50
敎育學碩士學位論文 웹 서비스를 활용한 문제은행 시스템 Item Pool System using Web Service 2005 2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컴퓨터 情報 敎育專攻

웹서비스를활용한문제은행시스템 ...제장서론1 1.1연구의필요성및목적 빠른통신망과멀티미디어기술을기반으로한인터넷사용의보편화는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敎育學碩士學位論文

    웹 서비스를 활용한 문제은행 시스템

    Item Pool System using Web Service

    2005 2年 月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컴퓨터情報 敎育專攻․

    張 恩 美

  • 敎育學碩士學位論文

    웹 서비스를 활용한 문제은행 시스템

    Item Pool System using Web Service

    2005 2年 月

    指導敎授 趙 根 植

    이 을 으로 함論文 敎育學碩士學位論文 提出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컴퓨터情報 敎育專攻․

    張 恩 美

  • 이 을 의 으로 함論文 張恩美 碩士學位 論文 認定

    2005 2年 月

    主審 ( )印

    副審 ( )印

    委員 ( )印

  • 요 약

    기존 온라인 학습 평가 시스템은 문제 제공에 관련된 문제은행과 학습자

    에 관한 사항을 관리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인증을 거친 학습자들에게

    평가 문항을 제시하며 학습자별로 평가 부분을 관리한다 그러나 여러 구.

    축되어 있는 학습 평가 시스템의 문제은행들은 이나 데이터베이스로HTML

    자료가 구축되어 있어 타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재사용하기가 어려우며 검

    색하기도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들이 학습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문제은행들을 사용하지 못하고 동일한 문제들로 구성된

    문제은행을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많은 부담을 갖게 되며 유사한 시스템들

    사이에 문제들이 중복되어 자원낭비 또한 유발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문제를 생성,

    검색 활용할 수 있는 웹 서비스 기반의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은행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학습 평가 시스템과 별도

    로 분리하였다 학습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특정 과.

    목에 대한 문제은행을 구축하여 문제들을 웹 서비스로 제공한다 문제은.

    행은 문제 등록 검색 수정 삭제 등 문제에 관한 사항만을 담당하고 학습, , ,

    평가 시스템은 이런 문제은행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평가에 활용하며 학습 평가 결과에 대한 관리 부분만을 전담한다 이런.

    구성은 여러 온라인 학습평가 시스템에서 문제은행 웹 서비스를 통하여 동

    일한 형태의 다양한 문제들을 사용자 정보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다는 장

    점을 가지게 된다.

  • 목 차

    요 약 ·········································································································ⅰ

    Abstract ·······································································································ⅱ

    목 차 ·········································································································ⅲ

    제 장 서 론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 ··································································· 1

    연구의 내용 및 방법1.2 ······································································· 2

    제 장 이론적 배경2 ··················································································· 5

    웹 서비스의 고찰2.1 ············································································· 5

    의 고찰2.2 .NET ··················································································· 10

    의 특징2.3 ASP.NET ········································································· 13

    기존 문제은행 시스템의 고찰2.4 ··················································· 15

    제 장 문제은행 시스템 설계3 ······························································ 17

    시스템 설계의 기본 방향3.1 ····························································· 17

    시스템 구현 환경3.2 ··········································································· 18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3.3 ····························································· 19

    데이터베이스의 설계3.4 ··································································· 22

    제 장 문제은행 시스템 구현4 ······························································ 24

    교과과정 등록 시스템 구현4.1 ························································· 24

    문제 등록 시스템의 구현4.2 ····························································· 26

    웹 서비스의 구현4.3 ··········································································· 29

    실험 및 결과 분석4.4 ········································································· 35

    제 장 결론 및 향후 연구5 ···································································· 41

    참고 문헌 ···································································································· 43

  • 제 장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

    빠른 통신망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는

    우리 시대를 정보화 사회로 만들었다 인터넷을 통한 자료 검색과 정보 취.

    득은 가장 기본적인 생활로 자리 잡았으며 전자상거래와 멀티미디어 자료

    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현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현.

    상은 우리 교육 현장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학습의 형태가 오프라인.

    학습에서 온라인 학습으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 평가 부.

    분은 교육 과정 중에서 학습자의 능력과 교육의 결과를 측정하는 가장 핵

    심이 되는 분야지만 교사들에게는 많은 부담과 업무를 주는 부분이다 그.

    러다 보니 중요성만큼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가 힘들었다 이런 학습[1].

    평가 부분을 온라인 평가 시스템으로 구성하면 한정된 시간에 학습과 학습

    평가를 모두 해야 하는 교사들의 부담을 어느 정도 해소 할 수 있다 교사.

    들은 수업 시간에 웹으로 학습 평가를 한 자료를 바탕으로 수업을 할 수

    있어 시간 절약과 많은 학습 정보를 학생들에게 더 전달 할 수 있는 기회

    가 된다.

    그러나 학습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많은 노력과 시

    간을 투자해야 한다 기존의 문제은행을 사용하지 못하고 동일한 문제들.

    로 구성된 문제은행을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많은 부담을 갖게 되며 유사

    한 시스템들 사이에 문제들이 중복되어 자원낭비 또한 유발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웹 서비스 를(Web Service)

  • 활용하였다 웹 서비스는 기존의 분산 컴퓨팅 시스템과 달리 웹에 적용을.

    시킬 수 있다 많은 기존 분산 컴퓨팅 기술은 자신의 통신 프로토콜을 갖.

    고 있으나 웹 서비스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월

    드 와이드 웹에 존재한다 그래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웹 서비스를 사.

    용할 수 있는 곳이면 가능하다 웹 서비스는 인터넷과 유사한 추상화 수.

    준으로 독립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는 형태

    로 볼 수 있다 이런 부분을 적용시켜 하나의 학습 평가 시스템으로 구성.

    되어 있던 문제은행 부분과 학습 평가 시스템 부분을 분리시켰다 개별 학.

    습 평가 시스템은 학습자에 대한 평가와 결과 관리 부분만을 담당하고 문

    제은행 시스템은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문제만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 두 부분이 서로 다른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이 되어도 하나의.

    시스템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 웹 서비스 기술을 적용시키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장에서는 장의 서론에 이어 본 연구에서. 2 1

    제안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을 살펴 본 후 본 연구와 관련된 학습

    평가 시스템을 분석한다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구현할 문제은행 시스템과. 3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 장에서는 장의 설계를 바탕으로 문제은행 시스. 4 3

    템을 구현하고 실험한 후 장에서는 결론 및 향후 연구를 제시한다5 .

    연구의 내용 및 방법1.2

    웹 서비스와 문제은행1)

    웹 서비스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문제은행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웹

    서비스의 활용의 필요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기존 문제은행 시스템에.

    서 갖고 있는 자료의 공유와 확장성의 한계를 살펴보고 웹 서비스를 활용

  • 한 문제은행 시스템이 갖는 장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내용 및 방법2)

    본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문항의 형태 분석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문제의 교육과정을 입.

    력 할 수 있는 테이블을 설계하였고 교육과정 요소와 문제 사이의 상호 연

    관성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문제에 관련된 웹 서비스 모듈을 설계하였다.

    설계 방법은 크게 문제은행 시스템과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 두 부분으

    로 나누어 설계하여야 하나 본 논문에서는 주안점인 문제은행 시스템만을

    설계하였다.

    문제은행 시스템에서는 웹 사이트 제공 부분과 웹 서비스 부분으로 설계

    한다 웹 사이트 부분은 웹 사이트에서 수행 할 수 있는 관리자 영역과.

    문제등록에 관련된 부분을 구현하기 위한 설계를 수행하며 웹 서비스 부분

    은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문제은행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연

    결하지 않고 문제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다.

    구현 내용 및 방법3)

    문제은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교육과

    정 요소에 맞추어 문항을 생성하고 웹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문항을 공유

    함으로써 문제들을 제공받는 여러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는 제공 받은 문제

    를 학습자에게 재가공하여 제공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그림 시스템 구현 내용[ 1-1]

    구현 방법은 을 이용하여 문제은행 시스템에서Visual Studio ASP.NET

    제공하는 웹 서비스와 문제은행 시스템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문제은행은

    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생성한다MS SQL 2000 Server .

  • 제 장 이론적 배경2

    웹 서비스의 고찰2.1

    웹 서비스의 정의1)

    현재 웹 서비스에 대한 정의는 발표기관 마다 매우 다양하다 우선.

    에서는 하나의W3C(World Wide Web Consortium) “ URI(Uniform

    에 의해 정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Resources Identifier) , XML

    구조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및 결합의 정의 서술 발견이 가능, ,

    해지고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경유한 기반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XML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과 직접적인 상호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해

    주는 것 으로 정의하였고 에서는 웹 서비스 아키텍처는 인터넷 프로" , IDC ”

    토콜 등을 포함한 공개적인 접속 표준과 독자적으로 기(IP), SOAP, WSDL

    술 된 구성요소에 의해서 다이내믹한 구성요소 간의 연결성 및 상호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화된 접근 방식 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에서“ . Barland

    는 웹 서비스는 인터넷상에서 표준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되고 발견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라고 하였고 에서는 웹 서비스는“ Gartner ” e-

    비즈니스 관련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비,

    즈니스 로직을 갖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에서는 분산된“, Aankee group ”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 툴 전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 ”

    케이션의 조립을 위한 구성요소를 전달하는 소프트웨어로서의 모델ASP

    이라고 각각 다양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2].

    발표기관에 따른 웹 서비스 정의를 보면 기술적인 부분과 상업적인 측면

    에서 접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술적인 부분을 살펴보면 웹 서비스는.

  • 인터넷상에서 표준화된 기술을 사용하여 정의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이지만 상업적인 측면에서의 웹 서비스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기업들

    이 다양한 비즈니스를 발견하여 운영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웹 서비스 자

    체를 하나의 비즈니스 로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런 관점들을 통합하여 일반적인 정의를 하자면 웹 서비스란 산업 표준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모사된 포괄적인 단어이며 실행되는 플랫폼에 상관없

    이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운용성을 용이하게 해주는 표준화된 소프트웨

    어 기술로서 필요한 서비스를 발견하고 제공하여 다양한 작업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다.

    웹 서비스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이는 유연한 소프트웨어, . (loosely coupled)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자가 새로운 플랫폼을 도입하거

    나 특정 플랫폼에 구애되지 아니함을 뜻한다.

    둘째 장치나 위치에 독립적이다 핸드폰 노트북등 다양한 유, . PC, PDA, ,

    무선 장치에서 웹 서비스를 통해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것

    을 말한다.

    셋째 동적인 기능을 갖는다 서비스 제공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찾아 실, .

    시간으로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며 서비스 제공자와 제공을 받는 고객

    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지 않는 쌍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며 필요한

    기능과 서비스 제공자를 고객이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비즈니스 모델이 변경될 때 편의성을 제공한다.

    넷째 기존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에 투자되고 생산된, .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등 기존의 시스템에 웹 서비스 프로세서를 적IT

    용시키는 가능한 것을 말한다 기존의 처리 방식을 외부에서 원하는 사람.

  • 들이 사용 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 프로세스를 포함하기만 하면 시스템의

    변경 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3].

    웹 서비스를 위한 요소기술2)

    웹 서비스는 자신의 정보 및 제공할 서비스 정보 그리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파일에 작성하고 이를 레지WSDL UDDI

    스트리에 등록해 놓는다 이 때 등록되는 개체나 서비스는 에 기반한. UUID

    고유 를 부여받게 된다 그러면 특정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서비스 요청ID .

    자는 요구되는 서비스에 대한 메시지를 작성한 후 레지스트리에서UDDI

    분류 및 식별 체계와 같은 여러 검색 조건을 통해 검색해 찾게 된다 그리.

    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파일을 받게 되고 이 정보를 이용WSDL

    하여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결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는데 그 실행

    결과 값만을 문서 형태로 받게 된다 이런 웹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XML .

    요소 기술들은 아래와 같다.

    년에(1)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1996 W3C(World Wide

    에서 제안한 것으로 현재도 계속 다양한 표준들이Web Consortium)

    제정되고 있다 이런 은 웹에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표준이. XML

    되는 범용적인 언어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조화된 데이터

    를 처리하고 표현하는데 이용되어 웹 서비스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

    이다.

    웹에서 구조화되고 형(2)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이 있는 정보를 교환하는 기반의 프로토콜로서 업계의 표준(type) XML

    이 되어가고 있다 개방된 인프라스트럭처 를 기반으로. (infrastructure)

  • 한 풍부하고 자동화된 웹 서비스를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이

    용이한 메시지 전송과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RPC

    호출에 대한 방법을 모두 지원한다.

    웹 서비스 인터페이(3)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

    스에 대한 기술언어이다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표현하는. XML

    포맷으로 새로운 웹 서비스를 공개할 때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각

    서비스에 대한 오퍼레이션 집합을 식별하는 파일이 파일이다WSDL .

    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상호 요구사항을 기록하여 올바른 포맷으WSDL

    로 기술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한다 이를SOAP .

    구성하는 요소는 Types, Message, Operation, Port Type, Binding,

    로 구성되어 있다Port, Service .

    서버가(4)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찾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의 저장소이다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검색하여 다.

    른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기 원한다면 에 등록해야UDDI

    한다 는 공개적으로 접근과 검색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공개된. UDDI ,

    레지스트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종의 검색엔진과 유사하다. UDDI

    의 이용으로 기반의 웹 서비스로 제공하는 각 회사들은 서비스를XML

    공개하여 서로의 서비스들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래 그림 은 위에서 기술한 웹 서비스 요소 기술들이 어떻게 구현[ 2-1]

    되는지를 나타낸다.

  • 그림 웹 서비스 요소 기술 구현[ 2-1]

  • 의 고찰2.2 .NET

    의 등장과 플랫폼1) .NET

    의 중심에는 웹 서비스가 존재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NET XML .

    는 향후 소프트웨어 산업의 중요 키워드가 애플리케이션간의 통합 그리고

    포스트 라고 전망하였고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이PC

    바로 웹 서비스 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래서 의 핵심으로XML .NET

    웹 서비스를 포함하게 된 것이다XML

    그림 플랫폼의 구조[ 2-2] NET

    플랫폼은 그림 와 같이 가지 주된 요소로 구성이 되어있.NET [ 2-2] 4

    다 플랫폼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핸드폰 노트북등 다. .NET PC, PDA, ,

    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클라이언트로 존재한다 이런 장치들을 통해 웹 서.

  • 비스에 접근하여 작업하거나 정보를 제공받는다 두 번째 구성요소로 서버.

    가 있는데 서버들은 구조를 지원하여 웹 서비스를 사용.NET XML XML

    하는 시스템과 응용프로그램들 사이의 통합을 가능하게 만들며 주요 서버

    제품군으로는 Application Center, BizTalk Server, SQL Server,

    Commerce Server, Content Management Server, Exchange Server,

    등이 있다 세 번째로 개발 도구가 있는데 이 개Host Integration Server . ,

    발 도구는 개발자들이 과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Visual Studio.NET .NET

    쉽고 빠르게 웹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프레임워크에서 제공되.NET

    는 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언어CLR(Common Language Runtime)

    등 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수 있게 한다(VB.NET, C#, VC++.NET ) .

    마지막 구성요소로써 웹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개발자가 자신만의XML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 이외에 모든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일반적인 서비스들을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겠다는 것이다[4].

    의 프레임워크2) .NET

    프레임워크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들이 동작하는 환경을.NET

    말한다 프레임워크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언어 독. .NET .NET

    립적 기반 구조이며 구현 및 배포의 생산성 효율성 단순성을 증대 시킨, ,

    새로운 플랫폼이다 그리고 인터넷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응용 프로그램 개.

    발 플랫폼이자 구현에 필요한 방대한 클래스 라이브러리이기도 하다.

  • 그림 프레임워크의 구조[ 2-3] .NET

    그림 은 프레임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프레임[ 2-3] .NET . .NET

    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이다 은 가비지 컬렉션 타입체크CLR . CLR , ,

    보안 체크 등의 작업을 지원하게 되는데 이런 기능들은 자바 환경에서 자

    바 가상머신의 역할과 비슷하다 하지만 자바 가상머신이 자바 언어만 지.

    원하고 있는 것에 비해 은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물론 자바CLR .

    머신은 다양한 플랫폼 위에 올라갈 수 있지만 현재까지 은 단지 윈도.NET

    우 플랫폼에서만 동작이 가능하다 환경에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 .NET

    파일하게 되면 곧바로 네이티브 코드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에서 해CLR

    석 가능한 형태의 코드 로 컴파MSIL(Microsoft Intermediate Language)

    일 되어 생성된다 이 코드는 코드와 데이터뿐만 아니라 에서 관리할. CLR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도 같이 들어있어 은 수행 시 이CLR

    코드를 분석하여 클래스를 로드하고 네이티브 코드를 생성하며 보안MSIL ,

    을 적용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동작 시킨다 다음[4]. .NET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는 언어에 관계없이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NET

  •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클래스의 집합을 말한다.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상위 레벨에는 데이터 엑세스 관련 클래.NET

    스와 관련 클래스들의 집합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라 불리XML ADO.NET

    는 이 새로운 데이터 액세스 클래스들은 기존의 를 더욱 발전시킨 새ADO

    로운 형태의 데이터 액세스 기술을 구현한 것으로 특히 가 밀접하게XML

    통합되어 있다.

    의 특징2.3 ASP.NET

    은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 모델을 통해 체계적인 프로그래밍ASP.NET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매우 이해하기 쉬운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생.

    성해 낼 수 있다 웹 폼 등 수많은 서버 컨트롤들을 제공해 주어 보다 많.

    은 기능을 가진 웹 사이트를 코드의 군더더기 없이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

    고 컨트롤들을 프로그래밍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기에 직관적인 프로그래

    밍을 제작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언어 독립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

    이나 등과 같은 어떠한 언어로 페이지를C# Visual Basic .NET ASP.NET

    만들 수 있다 이들 언어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들은 이 지원되는 그. CLR

    어떠한 플랫폼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이것은 기존에 프로그래밍 방법과.

    매우 다르다 새로운 방법이 제시 될 때마다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하는 불.

    편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켜 프로그래머의 부담을 개선하였다. ASP.NET

    은 또한 코드 비하인드라는 것을 제공한다 프로그래밍 코드와 컨. HTML

    텐트가 혼합된 방식이 아닌 컨텐트와 코드의 분리된 방식이 제공되며 컴파

    일 언어를 사용하여 페이지가 작성되고 컴파일 되어 실행 시 메모리에 올,

    라가 동작하기에 매우 좋은 성능을 가지게 되며 가비지 컬렉터에 의해 개

  • 체들의 관리가 이루어지기에 메모리 누수와 같은 원인으로 서버가 다운되

    는 일이 최소화 된다 그 외에도 클라이언트 장치들을 지원하는 장점을 가.

    지고 있다.

    의 실행을 살펴보면 우선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화일을ASP.NET aspx

    호출하게 되고 서버는 이 파일 정확하게 확장자 과 연결되어 있는 에( ) DLL

    게 처리를 요청한다 은 이 파일을 받아 파싱 작업을 하게 되고. ASP.NET

    작업을 마친 다음에는 컴파일단계를 거친다 컴파일이 된 후 과 메타. MSIL

    데이타가 만들어지고 이는 로 생성된다 이는 어셈블리 캐시Assembly IL .

    에 저장되고 이 파일을 원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메모리에 적

    제 되어 수행되어진다[6].

  • 기존 문제은행 시스템의 고찰2.4

    새로운 문제를 만드는 것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과 마찬가지

    로 많은 시간과 노력의 투자가 요구된다 이렇게 어렵게 만들어진 다양하.

    고 좋은 문제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더 좋은 문제를 재생산 할 수 있

    있도록 한 곳에 모아 놓아 저장할 수 있도록 해 놓은 것을 문제은행(Item

    이라고 한다Pool) .

    이런 문제은행을 활용한 기존의 시스템들이 많이 있는데 크게 문제 제공

    형태와 실시간 평가 형태와 단계별 평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문제 제공 형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교사가 학생

    들에게 문제와 자료를 워드나 텍스트형태로 제공하는 전통적인 방식이다.

    이 방식은 관리자인 교사가 사용하기 쉽게 복잡한 시스템을 구축 할 필요

    가 없기에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를 제공한다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학습자가 평가 후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기

    능이 없기 때문에 활용의 측면에서 질적으로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두 번째 실시간 평가 형태는 웹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는 평가의 형태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을 활용하여 실시간 모의고사를 실

    시하고 평가 결과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난이도별로 문제를.

    풀어보고 정답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학습자는 본인의 학

    습 능력을 파악하기 용이하다 일반 교사들이 구축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유료로 운영하는 사설 교육단체에서 현재 많이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 단.

    계별 평가 형태는 학습 평가가 단계별로 구성되어 하위 단계를 통과하지

    못 하면 다음 단계의 평가를 수행 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이런 방식은.

    대부분 요즘 제시되고 있는 문제은행에서 볼 수 있다 단계별 평가는 본인.

  • 의 학습단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부족한 부분이나 더 높은 단계를 제시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상의 문제은행 시스템들을 분석한 결과 가지 형태의 대부분의 시스3

    템들은 단일 서버형태로서 교수학습자가 단일 서버에 접속하여 문제를 출․제하고 푸는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웹 기반의 문제은행 시스템.

    은 문항 단위로 관리되는 시스템과 시험지 단위로 관리되는 시스템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단일 서버 형태의 문제은행 시스템은 다른 문제.

    은행 시스템과의 문제 공유에 문제점을 보이며 시험지 단위로 관리되는 시

    스템은 나 등의 형태로 문제가 제공되어지기 때문에 문제를 재사PDF GIF

    용하거나 재가공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

    을 극복하기 위해 문제은행 시스템과 평가 시스템을 분리하고 문제은행 시

    스템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일 시스템으로 만들어 평가 시스템으로의

    문제들을 서비스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문제의 공유문제나 재사용.

    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제 장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3

    시스템 설계의 기본 방향3.1

    기존의 제시되어진 많은 웹 기반의 학습 평가 시스템은 단독으로 구성

    되어있어 학습자들의 평가 결과와 문제은행을 교사가 모두 관리를 하는 형

    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교사 개개인이 학습 평가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

    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가 되며 여러 교사 학습평가용 시스템에서 보

    유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타 학습 평가 시스템 간에 공유하기가 어려

    워 동일한 문제들을 각기 다른 학습 평가 시스템에 입력해야 하는 자원의

    낭비가 유발된다 그리고 기존에 입력 되어있는 다양하고 유용한 문제들을.

    재사용하기가 쉽지 않아 학습자들에게 더 나은 학습평가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래.

    와 같은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다수의 교사 학습 평가용 시스템에서 하나의 과목별 문제은행으로,

    부터 문제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문제은행과 학습을 평가하는 부분을 독

    립적인 시스템으로 구성한다.

    둘째 서로 분리된 문제은행 시스템과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간의 원활,

    한 정보 즉 문제 정보를 전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쉽게 사용,

    이 가능한 웹 서비스를 사용한다.

    셋째 문제은행에 등록되어 있는 문제들은 문제은행 시스템의 사용자인,

    교사들이 직접 관리하여 오류와 수정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 시스템의 구현 환경3.2

    본 연구에서는 문제은행시스템의 서버를 운영하기 위하여 Windows

    를 채택하였으며 웹 서버는 전2000 Server , MS Windows 2000 Server

    용 웹 서버인 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웹 응용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로IIS .

    서 데이터의 조작과 함께 문제은행 시스템과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간의

    문제 전달을 위한 웹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MS Visual Studio

    을 개발 도구로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문제은행이 제공ASP.NET .

    하는 웹 서비스는 다른 개발 도구를 사용하여 제작한 학습 평가 시스템에

    서도 구축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문제정보 및 교사 정보 등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는 을 이용하였다 전체 구현MS SQL Server 2000 .

    환경은 아래 표 로 정리 하였다[ 3-1] .

    표 시스템의 구현 환경[ 3-1]

    구분

    운영체제

    웹 서버

    DBMS

    개발도구

    저작언어

    이미지

    웹 브라우저

  •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3.3

    문제은행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웹 사이트 웹 서비스 모듈로 나누었,

    다 웹 사이트 모듈은 다시 관리자 모듈과 문제 모듈로 나누어진다 관리. .

    자 모듈은 문제은행 시스템 전반에 대한 관리 통제를 할 수 있도록 하였으

    며 등록한 교사의 문제은행 시스템 이용을 위해 승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을 하였다 문제 모듈은 승인된 교사들에 의해 강의 교과목의 교과과.

    정에 관한 등록 조회 수정 삭제 등을 할 수 있으며 문제에 대한 부분 또, , ,

    한 등록 조회 수정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 , .

    그리고 웹 서비스 모듈은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원하는 문제를 조

    건에 맞도록 제공 할 수 있는 웹 서비스 및 웹 사이트에서 작업을 하는 문

    제와 교과과정 처리 부분을 개별적으로 구축하는 개별 학습 평가시스템에

    서도 적용하여 사용가능 할 수 있게 하는 웹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 그림 은 문제은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 3.1]

    나타낸 것 이다.

    그림 문제은행 시스템의 전체 구성요소[ 3-1]

  • 웹 사이트1)

    관리자 모듈(1)

    관리자는 문제은행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모듈로 교사 정보와 전체적

    인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할 수 있다 교사가 교과과정과 문제정보에 대해.

    서 다룰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승인 작업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문제 모듈(2).

    문제은행 시스템의 사용 승인을 받은 교사는 웹을 통하여 문제은행의 실

    질적인 데이터인 교과과정과 문제를 등록 수정 삭제 할 수 있도록 되어있

    다.

    출제하고자 하는 문제는 미리 입력을 해 놓은 교과과정을 선택 한 후

    등록이 가능하며 문제에 따라 텍스트 자료와 이미지 자료를 등록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문제 교과과정에 대한 등록 구성은 그림 와 같다. / [ 3-2] .

    그림 문제 교과과정 등록 구성도[ 3-2] /

  • 웹 서비스2)

    본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웹 서비스는 교사들이 직접 운영하는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문제은행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 교사가 구축하는 개별 학습 평가 시스

    템에서 교과과정 문제에 관한 조회 등록 삭제 수정에 관한 모든 사항을/ , , ,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로 표준화. XML

    된 을 사용하는 문제은행 시스템의 웹 서비스는 다른 언어나SOAP, WSDL

    환경으로 구축된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는 문제은행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교사 정보를 문제은행 시

    스템에 보내고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직접적인 의 연결 없이 원하DB

    는 데이터를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이런 동작은 많은 교사의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환경의 제약 없이 문제를 공유하며 사용이 가능하다 문.

    제은행 시스템과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이 어떤 식으로 서비스 전달이 이

    루어지는지 아래 그림 으로 표현 하였다[ 3-3] .

    그림 문제은행 시스템과 개별 학습 평가 시스템의 서비스 전달[ 3-3]

  •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교과 과정 조회 요청을 받음①

    학습 평가 시스템으로 교과 과정 조회에 대한 전달②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문제 자료 요청을 받음③

    학습 평가 시스템으로 문제 자료에 대한 자료 전달④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교과과정 문제 등록 수정 삭제를 함/ , ,⑤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요청받은 웹 서비스에 대한 자료 처리 요구⑥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요청받은 웹 서비스에 대한 자료 처리 결과⑦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학습자 의 자료 검색과 학습 결과 자료 갱신DB⑧

    데이터베이스의 설계3.4

    본 논문의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문제은행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아래

    와 같이 설계한다.

    우선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하는 교사 정보 저장을 위한 테이블 User

    는 다음 표 와 같다[ 3-2] .

    표 교사정보 테이블의 구성[ 3-2]

    필드이름 데이터형식 설명

    리스트 목록번호

    교사 ID

    교사 이름

    교사 비밀번호

    교사 소속 학교

    교사 연락처

    비승인 교사 관리자(0) (1) (2)

  • 문제를 구성하는 교과과정 정보 저장을 위한 테이블 은 다음 표tCurri [

    과 같이 구성하였다3-3] .

    표 교과과정정보 테이블의 구성[ 3-3]

    필드이름 데이터형식 설명

    교과과정 목록번호

    해당 학년

    해당 학기

    대단원

    소단원

    작성자 교사번호( )

    문제은행 시스템의 핵심은 문제 저장 테이블 는 다음 표munjeBank [

    와 같이 구성하였다3-4] .

    표 문제 저장 테이블의 구성[ 3-4]

    필드이름 데이터형식 설명

    문제 목록 번호

    문제 문항

    지문 내용

    지문 그림

    예제 1

    예제 2

    예제 3

    예제 4

    예제 5

    문제 정답

    문제 풀이

    문제 수준

    교과과정

    작성자

  • 제 장 문제은행 시스템의 구현4

    장의 설계를 기본으로 이번 장에서는 교과목으로는 국사 과목을 선정3

    하여 구체적인 문제은행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다음 그림 은 문. [ 4-1]

    제은행 시스템 승인 후 교사가 볼 수 있는 화면이다.

    그림 국사 문제은행 시스템의 첫 화면[ 4-1]

    교과과정 등록 시스템의 구현4.1

    문제등록의 기본이 되는 교과과정의 조회 수정 삭제 등을 담당하는 영, ,

    역은 아래 그림 이다[ 4-2] .

  • 그림 교과과정 조회 수정 삭제[ 4-2] , ,

    이 부분에서는 교사들이 현재 등록되어있는 교과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오타나 잘못된 점이 발견 되었을 때는 교사 본인이 입력 해 놓은

    교과과정에 한해서 수정버튼을 눌러 변경이 가능하며 삭제 또한 가능하다.

    다음에 살펴 볼 부분은 교과 과정을 등록하는 부분이다 학년 학기 입. ,

    력은 라디오 버튼으로 손쉽게 설정 할 수 있으며 대단원과 소단원을 모두,

    입력 한 후 교과과정 입력 버튼을 클릭하면 교사가 입력한 교과 과정 정‘ ’

    보가 등록이 된다 동일한 교과 과정이 입력이 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

    한다.

  • 그림 교과 과정 등록 화면[ 4-3]

    문제 등록 시스템의 구현4.2

    기 등록된 문제들을 살펴보고 조회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교사, ,

    들은 본인이 작성 문제에 대해서 수정과 삭제의 권한을 갖게 된다 아래.

    그림 는 문제 조회에 관련한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4-4] .

  • 그림 문제 조회 화면[ 4-4]

    문제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우선 등록되어 있는 해당 교과 과정을 찾아야

    한다 해당 교과 과정이 없을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교과 과정 영역에 들.

    어가서 등록을 한다 문제 등록 첫 화면은 아래 그림 와 같이 나오. [ 4-5]

  • 는데 원하는 교과과정에 있는 다음 버튼을 누르면 그림 의 입력화‘ ’ [ 4-6]

    면이 나온다 입력 화면에서는 저장할 문제와 지문 문제에 포함된 이미지. ,

    들을 입력할 수 있으며 문제에 해당하는 보기는 수학능력평가 기준에 맞추

    어 개의 항목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5 .

    그림 교과 과정 선택 화면[ 4-5]

    그림 문제 입력 화면[ 4-6]

  • 웹 서비스의 구현4.3

    지금까지는 문제은행 시스템 자체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 교과 과

    정과 문제를 취급하는 시스템을 보았다 문제은행 시스템 자체만 아니라.

    교사 학습평가용 시스템에서도 문제은행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

    지 않고 위 사항들을 구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웹 서비스 메소드를 살

    펴보겠다.

    웹 서비스로 구현한 웹 메소드 중 교과 과정을

    조회하는 메소드를 아래와 같이 예제로 제시한다.

    교과과정 조회

  • 외부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 필요한 웹 서비스를 등록하여 웹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웹 메소드들을 호출하면 원하는 결과를 데이터로 받XML

    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교사 학습평가용 시스템에서 국사 문.

    제은행 시스템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웹 메소드 를 호출하getCurriInfo()

    면 국사 문제은행 시스템 웹 서비스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교과과정

    정보를 받아 이라는 형태로 호출한 시스템으로 다시 반환을 해 주dataset

    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웹 메소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웹 메.

    소드의 내부 처리과정을 알 필요도 없으며 알 수도 없다.

    웹 메소드의 항목을 제공해 주는 것을 에서는 시각적으로 웹 메소.NET

    드를 아래 그림 과 같이 제공하여 준다[ 4-7] .

    그림 웹 메소드 화면[ 4-7] getCurriInfo

  • 그림 웹 메소드를 실행 한 결과 화면[ 4-8] getCurriInfo

    위에서 살펴본 는 인자 값이 없는 웹 메소드 형태를 가지고getCurriInfo

    있었으나 아래 그림 의 는 교과과정 정보를 입력하는[ 4-9] insertCurriInfo

    것으로서 매개 변수들을 갖고 있다.

  • 그림 웹 메소드 화면[ 4-9] insertCurriInfo

    그림 에서 입력한 정보가 무사히 입력이 되었다면 그림 과[ 4-9] [ 4-10]

    같은 값을 가지는 정보가 반환되며 이상이 있는 경우는 를 반환true false

    하여 웹 서비스를 사용하는 학습 평가 시스템에서는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림 웹 메소드 결과 화면[ 4-10] insertCurriInfo

  • 문제은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들은 와getCurriInfo

    외에도 많은 메소드들을 제공한다 이런 웹 메소드들은 어insertCurriInfo .

    느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표 과 표 는 본 문제은행 시[ 4-1] [ 4-2]

    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메소드들과 매개변수 그리고 설명을 보여준다.

    표 문제은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교과과정 관련 웹 서비스[ 4-1]

    웹 메소드 명 매개변수 설명

    교과과정 번호 교과

    과정

    삭제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교과과정 번호

    교과

    과정

    수정

    학년

    학기

    대단원

    소단원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학년

    교과

    과정

    입력

    학기

    대단원

    소단원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없음

    교과

    과정

    조회

  • 표 문제은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제 관련 웹 서비스 계속[ 4-2] ( )

    웹 메소드 명 매개변수 설명

    문제 번호문제

    삭제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문제 번호

    문제

    수정

    문제

    지문

    그림

    보기1

    보기2

    보기3

    보기4

    보기5

    정답

    풀이

    난이도

    교과과정 번호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없음문제

    조회

    문제 번호 특정

    문제

    조회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교과과정 번호 평가

    문제

    조회

    랜덤으로 받아 올 문제 수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 표 문제은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문제 관련 웹 서비스[ 4-2]

    웹 메소드 명 매개변수 설명

    문제

    문제

    등록

    지문

    그림

    보기1

    보기2

    보기3

    보기4

    보기5

    정답

    풀이

    난이도

    교과과정 번호

    교사아이디

    교사비밀번호

    실험 및 결과분석4.4

    본 장에서는 다수의 교사들이 특정 단원의 문제들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사용하는 경우에서 나온 결과를 비

    교하여 출제 문제의 중복과 유사정도 알아보고 평가를 하도록 하겠다.

    실험의 기본적인 조건은 아래 표 과 같은 특정 단원으로 제한을[ 4-3]

    한다 그리고 출제 교사 수는 명으로 제한하였고 문제 수는 교사 인당. 4 1

    대단원에서 총 문제를 출제도하도록 하였다15 .

  • 표 실험을 위한 특정 단원[ 4-3]

    과목명 대단원명 소단원명 문제 수

    중학

    국사고조선의 성장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총 문제15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여러 나라의 발전

    문제은행 시스템 비사용 조건의 문제 출제1)

    교사 명에게 표 을 제시하여 문제를 각자 개별적으로 제출하도록4 [ 4-3]

    하였다 제출된 문제는 각 교사들이 개별적으로 구축한 학습 평가 시스템.

    에 등록된 문제로 가정하였다 제출된 문제를 분석한 결과 문제의 소단원.

    별 문제 수는 아래 표 와 같다 결과를 보면 출제 교사들은 소단원[ 4-4] .

    별로 문제 수를 일정하게 출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표 소단원별 출제 문제 수[ 4-4]

    소단원명 교사 1 교사 2 교사 3 교사 4 총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5 4 4 4 17(37.7%)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5 5 6 5 21(46.6%)

    여러 나라의 발전 5 6 5 6 22(48.8%)

    다음은 각 교사들이 제출한 문제의 중복성과 유사성을 비교해 보았다.

    문제와 보기가 동일한 경우는 문제가 중복된다고 보았으며 문제만 동일하

    고 보기는 다르게 출제된 경우는 문제가 유사성이 있다고 설정하여 중복과

    유사를 갖고 있는 문항 수의 정도를 정리하였다 다음 표 는 위 설. [ 4-5]

    정을 토대로 문제를 조사하여 중복과 유사성 정도를 나타낸 표이다.

  • 표 문제은행 시스템 비사용 시 중복성과 유사성 정도[ 4-5]

    소단원명문제2 문제3 문제4 총

    중복 유사 중복 유사 중복 유사 중복 유사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1 1 0 1 1 0 2 2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2 1 1 2 0 0 3 3

    여러 나라의 발전 2 3 1 1 0 0 3 4

    5 5 2 4 1 0 8 9

    위 표를 분석 한 결과 총 문제 중 문제씩 중복 되는 경우는 건 있60 2 5

    었으며 문제씩 중복된 경우는 건 문제 이상 중복 되는 경우는 건이3 2 , 4 1

    존재했다 유사성을 갖고 있는 문제는 중복된 문제보다 건 정도 많은 건. 1 9

    을 보여주고 있다.

    문제은행 시스템 사용 조건의 문제 출제2)

    이 절에서는 앞 절에서와 같이 교사 명에게 표 을 제시하여 문제4 [ 4-3]

    를 각자 개별적으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단 문제를 제출 시 본 논문에서. ,

    제시하고 구현한 문제은행 시스템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출하도록 하

    였다 제출된 문제를 분석한 결과 문제의 소단원별 문제 수는 표. [ 4-4]

    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음은 앞 절에서 문제의 중복과 유사성을 조사한 방법과 동일하

    게 출제 문제를 분석한 결과표이다.

  • 표 문제은행 시스템 사용 시 중복성과 유사성 정도[ 4-6]

    소단원명문제2 문제3 문제4 총

    중복 유사 중복 유사 중복 유사 중복 유사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1 1 0 2 0 0 1 3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0 3 0 2 0 0 0 5

    여러 나라의 발전 0 4 0 1 0 0 0 5

    1 8 0 5 0 0 1 13

    위 표를 분석 한 결과 총 문제 중 문제씩 중복 되는 경우는 건 있60 2 1

    었을 뿐 중복된 경우가 없었으며 유사성을 갖고 있는 문제는 건으로 중13

    복되는 문제에 비해서 많은 건수를 나타내고 있다.

    결과분석3)

    이 절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제은행 시스

    템의 평가를 한다.

    제출된 문제를 분석한 결과 문제의 소단원별 문제 수는 표 의 결[ 4-4]

    과를 그림 와 같이 도표로 나타내 보았다[ 4-11] .

    0

    1

    2

    3

    4

    5

    6

    7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문화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여러 나라의 발전

    교사 1

    교사 2

    교사 3

    교사 4

    그림 소단원별 출제 문제 수 도표[ 4-11]

  • 앞 도표의 결과로 각 단원별로 동일한 문제수를 제출해도 소단원 별로

    출제 문제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문제를 추출 할 때 소단원.

    별로 등록되어 있는 문제 수에 비례에서 처리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0

    0.5

    1

    1.5

    2

    2.5

    비적용 적용 비적용 적용 비적용 적용

    2문제 3문제 4문제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여러 나라의 발전

    그림 중복된 문제 수 도표[ 4-12]

    그림 는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적용 했을[ 4-12]

    경우 출제 문제가 얼마나 중복이 되는지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도표

    로 작성해 보았다 시스템을 비적용 했을 경우 문제 중복이 건 문제. 2 5 , 3

    중복이 건 문제 중복이 건으로 총 건의 중복이 발생이 되었다 반면2 , 4 1 8 .

    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 했을 경우에는 문제 중2

    복이 건만 발생을 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개별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1 .

    했을 때 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제은행 시스템이 문제의 중복을 상당

    량 제거를 했음을 알 수 있다.

  • 0

    0.5

    1

    1.5

    2

    2.5

    3

    3.5

    4

    4.5

    비적용 적용 비적용 적용 비적용

    2문제 3문제 4문제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여러 나라의 발전

    그림 유사한 문제 수 도표[ 4-13]

    그림 은 문제은행 시스템을 적용했을 때와 비적용 했을 때 유사[ 4-13]

    한 문제로 출제된 문제 수를 도표로 작성해 보았다 시스템을 비적용 했.

    을 경우 문제가 유사한 경우가 건 문제가 유사한 경우가 건이었다2 5 , 3 4 .

    그리고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는 문제가 유사한 경우가 건 문2 8 , 3

    제가 유사한 경우는 건으로 시스템을 비적용 했을 때보다 소폭 증가하였5

    다 이는 중복된 문제를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수정하면서 생긴.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실험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보면 문제은행 시스템을 사용

    하면 개별적으로 구축한 문제은행에 비해 문제들의 중복을 상당수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내용의 여러 유형 문제들이 만들어.

    져 학습자에게 다양한 문제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

    다.

  • 제 장 결론 및 향후 연구5

    현재 온라인상에서 접할 수 있는 많은 문제은행 시스템은 하나의 메인

    서버를 기준으로 독립된 환경에서 구축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일관된 문제 양식을 제공하여 학습 평가를 하고 있으며 피드

    백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다양하고 수준 있는 문제를 접하.

    기 어려우며 각각 다른 환경에서 구현되고 설계 되어진 시스템으로 인해,

    문제의 공유가 쉽지 않고 재사용성이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 분산 컴퓨팅 시스,

    템과는 다르게 웹에 적용하기 쉬운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제를 관리하고

    문제를 제공하는 문제은행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하였다 개별 평가 시스템.

    에서는 이런 문제은행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 문제

    를 추출하고 재가공하여 온라인으로 학습자의 학습 평가를 가능하도록 하

    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구현된 문제은행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특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는 분산처리 시스템과는 달,

    리 웹 서비스는 와 같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런 장점을 활용하여 구축한.

    문제은행 시스템은 타 환경에서 개발된 개별 학습평가 시스템에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 문제에 관련된 서비스들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평가 시스템과 분리된 공동으로 관리하는 문제은행 시스템으로 인,

    해 중복된 문제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다양한 유형을 갖는 문제들

    이 증가하였다.

    셋째 복잡한 문제은행 시스템의 구축 없이 간단한 평가시스템만을 구축,

    하여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 받은 문제를 재가공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 있게 되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반면에 다음과 같은 향후 연구

    과제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평가 결과가 문제은행 시스템에 반영되어 문제의 난이도를 조

    절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장의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소단원 별4

    제출 문제수와 비례하여 문제들을 추출 할 수 있는 방안이 추가 연구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한희섭 기반 문제은행 시스템 의 설계 및 구현 경인교[1] , “XML (IDB) ,”

    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김완 을 이용한 웹사이트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2] , “ASP.NET ,”

    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 정부연 웹 서비스의 현황 및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정보통신, “ ,”

    정책 제 권 호14 15 , 2002.

    정성권 최성우 하민규 웹서비스 영진닷[4] , , , “about.NET XML ,”

    컴, 2002.

    송호중 역 의 이해학위 와[5] ,“Web Service XML ,WSDL, SOAP

    표준 이용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UDDI ,” , 2002.

    김태영 영진닷컴[6] , “Taeyo's ASP.NET v1.0 with C#," , 2003.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교육과학사[7] , “ ,” , 1992.

    나창하 를 이용한 교수학습용 평가시스템의 설계 및 구[8] , “ASP

    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이효강 를 한 시스템 안양대학교 첨단산업기[9] , “ASP ,“利用 學習評價

    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3.

    이수미 웹 기반에서의 문항분석을 통한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10] , “

    및 구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11] TAEYO : http://www.taeyo.pe.kr

  • 감사의 글

    우선 교육대학원 년 동안 지도를 해주시고 본 논문이 나오기까지 많은, 2

    격려와 지도를 아끼지 않으셨던 조근식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왕창종 교수님 이균하 교수님 양용준 교수님 유원희 교수님 배해, , , , ,

    영 교수님 이정현 교수님 유형선 교수님 이필규 교수님 유상봉 교수님, , , , ,

    한경숙 교수님 이주홍 교수님 신병석 교수님 이종식 교수님 심정섭 교, , , ,

    수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석사과정을 보내는 동안 직장 동료이자 배움의 동행자로 많은 힘이 되어

    준 경은이와 대학원에 들어와 새롭게 알게 된 선영 성미 현이 언니 현, , ,

    정 보영 보현 혜진 류민형 선생님 채인선 선생님등 많은 교육대학원 동, , , , ,

    기들과 태간오빠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학부 때부터 많은 힘이 되어준 현정 윤정 성운 현숙 성이와 진우 오, , , ,

    빠 효철 오빠 규남 오빠 익환 오빠 종은 오빠 오지현양 용집 오빠에게, , , , , ,

    또한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늦었지만 소중한 만남이 된 진영 선희 석규 성호 태현 진선 미희 지, , , , , , ,

    현 순근 오빠 호선 병윤 현석 윤희 언니 정희 언니 효원 이학조 선생, , , , , , , ,

    님 경국 오빠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함께 전합니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사랑하는 소중한 부모님과 동생 호영이 그리고

    정희에 깊은 감사를 전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