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Exercise Science, 2013, Vol.22, No.4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성순창ㆍ김현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Abstract Sung, Soon-Chang, Kim, Hyun-Soo.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Fat-Free Mass Index and Fat-Mass Index in Korean Population. Exercise Science, 22(4):301-308, 2013. Because of fat-free mass (FFM) and body fat mass (BFM) change with age, height, and weigh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subjects have low or high FFM or BFM. The fat-free mass index (FFMI, kg/㎡) and body fat mass index (BFMI, kg/㎡) are useful in evaluating body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FMI, BF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ranges in subjects with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 in Korea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 The study contain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2,509 men, 3,268 women) aged 20 years or older. FFMI, BFMI, and %BF were calculated. FFMI values were 15.2 to 17.5 kg/㎡ for men and 13.1 to 14.8 kg/㎡ 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2.9 to 5.0 kg/㎡ for men and 5.2 to 8.0 kg/㎡ 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6.0 and 9.2 kg/㎡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for obese BMI (25 kg/㎡). Normal ranges for %BF were 16.7 to 22.6 and 28.0 to 34.3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is study presents FFMI and BFMI values that correspond to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s. FFMI and BFMI provide information about body compartments regardless of height. The present data may be useful to health specialist as reference values for Korean population in comparing healthy and ill subjects of all ages and identifying body composition changes related to aging, malnutrition, and exercise training. Key wordsbody mass index, fat-free mass index, fat mass index, DXA 초 록 성순창, 김현수.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22권 제4, 301-308, 2013. 제지방량 및 체지방량은 나이, 신장, 그리고 체중과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제지방량이나 체지방량의 과다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가 신체구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체질 량지수(BMI)로 평가한 마름, 표준, 과체중, 그리고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의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을 결정하 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0)가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제지방량과 체지방량 20-93세의 건강한 성인(: 2,509, : 3,268)을 대상으로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 BMI 범주에 해당하는 제지방량지 (:15.2-17.5, :13.1-14.8 kg/㎡)와 체지방량지수(: 2.9-5.0, :5.2-8.0 kg/㎡), BMI25 이상인 비만범주에 있는 체지방량지수 는 남녀 각각 6.0, 9.2 kg/㎡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표준범위의 체지방률은 남녀 각각 16.7-22.6 %, 28.0-34.3 %로 추정하였다.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의 값들은 신장과 상관없이 신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 영양, 그리고 의학과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이 한국인들의 노화, 질환, 그리고 운동 트레이닝으로 인한 신체구성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체질량지수,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이중에너지 X 선 흡수법(DXA) *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Exercise Science, 2013, Vol.22, No.4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성순창ㆍ김현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Abstract

Sung, Soon-Chang, Kim, Hyun-Soo.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Fat-Free Mass Index and Fat-Mass Index in Korean

Population. Exercise Science, 22(4):301-308, 2013. Because of fat-free mass (FFM) and body fat mass (BFM) change with age, height,

and weigh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 subjects have low or high FFM or BFM. The fat-free mass index (FFMI, kg/㎡)

and body fat mass index (BFMI, kg/㎡) are useful in evaluating body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FMI,

BF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ranges in subjects with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 in Korea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 The study contain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2,509 men, 3,268 women) aged 20 years or older. FFMI, BFMI, and %BF were calculated. FFMI

values were 15.2 to 17.5 kg/㎡ for men and 13.1 to 14.8 kg/㎡ 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2.9 to

5.0 kg/㎡ for men and 5.2 to 8.0 kg/㎡ for women within the normal BMI ranges. BFMI values were 6.0 and 9.2 kg/㎡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for obese BMI (25 kg/㎡). Normal ranges for %BF were 16.7 to 22.6 and 28.0 to 34.3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is study presents FFMI and BFMI values that correspond to low,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s. FFMI and BFMI

provide information about body compartments regardless of height. The present data may be useful to health specialist as reference

values for Korean population in comparing healthy and ill subjects of all ages and identifying body composition changes related to aging,

malnutrition, and exercise training.

Key words:body mass index, fat-free mass index, fat mass index, DXA

초 록

성순창, 김현수.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제22권 제4호, 301-308, 2013. 제지방량

및 체지방량은 나이, 신장, 그리고 체중과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제지방량이나 체지방량의 과다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가 신체구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체질

량지수(BMI)로 평가한 마름, 표준, 과체중, 그리고 비만에 해당하는 사람의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을 결정하

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0)가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제지방량과 체지방량

은 20-93세의 건강한 성인(남: 2,509명, 여: 3,268명)을 대상으로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준 BMI 범주에 해당하는 제지방량지

수(남:15.2-17.5, 여:13.1-14.8 kg/㎡)와 체지방량지수(남: 2.9-5.0, 여:5.2-8.0 kg/㎡)로, BMI가 25 이상인 비만범주에 있는 체지방량지수

는 남녀 각각 6.0, 9.2 kg/㎡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표준범위의 체지방률은 남녀 각각 16.7-22.6 %, 28.0-34.3 %로 추정하였다. 이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의 값들은 신장과 상관없이 신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동, 영양, 그리고

의학과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이 한국인들의 노화, 질환, 그리고 운동 트레이닝으로 인한 신체구성의 변화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체질량지수,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이중에너지 X 선 흡수법(DXA)

*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Page 2: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302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Ⅰ. 서론

비만의 진단과 체지방의 평가는 비만의 치료와 예방에 중

요하다. 체질량지수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할 경우 간편

하기 때문에 비만 진단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체질

량지수만으로는 폐경기(Heymsfield & Matthews, 1994), 노화

(Guo et al., 1999), 그리고 질환(Kyle et al., 2001; Kyle et al.,

2002) 중에 일어나는 신체구성 성분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

정하지 못한다. 신체구성변인은 체질량지수보다 건강과 관

련이 높고(Segal et al., 1987), 사망률의 좋은 예측인자(Van

Itallie et al., 1990)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절대적

제지방량과 체지방률을 사용하여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있다.

제지방량은 신장과 관련이 높고 노화와 함께 감소하기 때

문에 절대값을 사용하면 해석이 용이하지 않다. 또 제지방

량은 체지방률 증가와 비례하여 자동적으로 감소하기 때문

에 제지방량을 체중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는 것도 영양 상

태를 적절하게 나타내지 못한다. 체질량지수가 신장이 다른

사람의 체중이 너무 많거나 적은 것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처럼 제지방량지수(제지방량/신장2) 및 체지방량지수(체

지방량/신장2)를 사용하면 개인 혹은 개별집단을 표준 혹은

낮거나 높은 것으로 분류하여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질병,

치료, 노화 그리고 운동트레이닝의 영향을 추적할 수 있다

(Van Itallie et al., 1990; Kyle et al., 2003).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이 제지방량지수

와 체지방량지수에 관한 연구를 많이 보고하였다(김난수와

김현수, 2009; 성순창과 김현수, 2012; Frisancho, 1984;

Micozzi et al., 1986; Pichard et al., 2000; Schutz et al., 2002;

Kyle et al., 2003; Kyle et al., 2004; Kyle et al., 2005; Eto et

al., 2004; Nakao & Komiya, 2003; Kim et al., 2011). 이 중에서

많은 연구(김난수와 김현수, 2009; Kyle et al., 2001; Schutz et

al., 2002; Nakao & Komiya, 2003)들은 단주파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총수분량, 세포 내·외액과 노화에 따른 제지방량 성

분에 이들의 영향을 측정하지 못하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Kyle 등(2003)은 체질량지수로 구분한 비만도에 따라 제

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을 발표하였으

나 신체구성을 생체전기저항법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정

확한 값으로 간주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 연구자들(Kyle et

al., 2003)이 사용한 비만평가 기준은 아시아태평양 기준과

달랐다. 무엇보다 인종에 따라 신체구성의 평가기준은 달라

야 한다는 점이다. Hull 등(2011)도 아시아인의 제지방량지

수는 구미인에 비하여 크게 낮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아시아태평양기준인 체질량지수로 분류한 비

만도에 따른 한국인을 대상으로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

수 그리고 체지방률의 범위를 구하여 사용하면 운동, 영양,

및 의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지방량지수를 구함으로서 나이와 함께 감소하는 제

지방량이 나이의 영향인지 아니면 신체구성의 변화 때문인

지를 알 수 있다. 체지방량지수 역시 근육량과 체지방량의

상대적 크기를 구분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연구는 세계보

건기구의 아시아태평양기준인(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체질량지수가 18.5 kg/㎡ 미만은 마름, 18.5-22.9 kg/㎡

표준, 23-24.9 kg/㎡의 과체중, 25 kg/㎡

이상 비만으로 분류하

여 이에 상응하는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

방률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0)가 발표한 국민

건강영양조사 제 5기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성인 5,781명(남자: 2,512명, 여자: 3,269명)이었

다. 70세 이상 그룹에는 80세 이상인 피검자가 남녀 각각 50

명, 88명이 포함되어 있다.

2. 측정 항목 및 방법

1) 체격

신장은 신장계(SECA, 독일)를 이용하여 0.1 cm까지, 체중

은 디지털 체중계(GL-6000-20, G-tech, 한국)를 이용하여 0.1

kg까지 측정되었다.

2) 체지방률

신체구성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ometry, DXA)(Discovery-w, HOLOGIC, 미국)를 사용하

여 측정되었다.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는 다음과 같

이 정의하였으며, 이는 체질량지수와 같은 개념이다.

체질량지수(BMI, kg/㎡)=제지방량지수(FFMI, kg/㎡)

+ 지방량지수(FMI, kg/㎡)

Page 3: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성순창ㆍ김현수 303

Age (y) 20-93 20-39 40-59 60+ P

Men (n) 2509 757 954 798  

Ht (㎝) 169.7±6.5 173.8±5.6a 169.7±5.8b 165.7±5.7c .000

Wt (㎏) 69.1±10.7 73.2±11.3a 70.0±9.8b 64.2±9.3c .000

BMI (㎏/㎡) 23.9±3.1 24.2±3.4a 24.3±2.9a 23.3±3.0b .000

FFM (㎏) 52.3±6.9 55.4±6.6a 53.0±6.4b 48.5±5.9c .000

FFMI (㎏/㎡) 18.1±1.8 18.3±1.9a 18.4±1.8a 17.6±1.7b .000

Body fat (㎏) 16.3±5.5 17.2±6.3a 16.5±5.0b 15.3±5.0c .000

Body fat (%) 23.2±5.4 23.0±5.8 23.2±5.0 23.4±5.5 0.359

FMI (㎏/㎡) 5.7±1.8 5.7±2.1 5.7±1.7 5.6±1.8 0.219

Women (n) 3268 1006 1273 989  

Ht (㎝) 156.4±6.5 160.4±5.6a 156.9±5.3b 151.7±5.7c .000

Wt (㎏) 57.1±9.0 56.5±9.4a 58.5±8.4b 55.9±9.0a .000

BMI (㎏/㎡) 23.4±3.5 21.9±3.5a 23.8±3.2b 24.2±3.4c .000

FFM (㎏) 37.0±4.8 37.4±4.9a 37.8±4.6b 35.6±4.5c .000

FFMI (㎏/㎡) 15.1±1.7 14.5±1.7a 15.4±1.6b 15.4±1.5b .000

Body fat (㎏) 19.7±5.4 18.7±5.5a 20.3±5.1b 19.9±5.7b .000

Body fat (%) 34.1±5.4 32.6±5.4a 34.4±5.0b 35.1±5.8c .000

FMI (㎏/㎡) 8.1±2.3 7.3±2.1a 8.3±2.1b 8.6±2.4c .000

a, b, c, d: Different letter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p<.05FFM: fat-free mass, FFMI: fat-free mass index, FM: fat mass, FMI: fat mass index

Table 1. Anthropometric and body composition in healthy Korean adults (Mean±SD)

3. 자료처리 방법

자료는 SPSS PC+(versio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항목별로 평균(mean)과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n: SE)를 제시하였고, 각 연령집단(20~39세,

40~59세, 60세 이상) 사이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최소유의차법

(LSD)을 이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체질량지수의 아시아태평양기준에

상응하는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을

구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회귀선 그래프

에서 X-축에 있는 선은 체질량지수의 마름, 표준, 과체중, 비

만에 해당되는 값을 나타내는 것이며, Y축에 있는 선은 제지

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 값의 낮음, 표준,

높음, 그리고 매우 높음을 나타내었다. 신체질량 지수의 표

준범위에 해당되는 제지방량지수, 체지방량지수, 그리고 체

지방률 값을 토대로 범주화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모

든 유의 수준(α)은 .05로 하였다.

Ⅲ. 연구 결과

<Table 1>은 연령대별 남녀의 신체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항목은 나이와 함께 유의한 변화를 보였고, 변화

크기는 모든 연령대에서 성차를 보였다(p<.05). 예를 들면,

체중과 제지방량은 남자의 경우, 연령과 함께 유의하게 감

소하였지만 여자는 4, 50대가 유의하게 높았다. 체질량지수

는 남자의 경우 노인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여자는 나이와

함께 증가하였다(p<.05).

<Fig. 1>은 나이증가에 따른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

수의 변화양상을 남녀별로 나타낸 것이다. 제지방량지수와

연령사이의 관계는 곡선적이었다. 제지방량지수는 남자의

경우 40대가 가장 높았고, 20대와 60대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여자는 2, 30대 보다 60대 이상이 유의하게 높았

고, 남자는 2, 30대와 60대 이상 사이에서, 여자는 4, 50대가

60대 이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나이 증가에 따

른 신체 및 신체구성의 변화는 성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이의 영향이 현저한 시기는 70세 이상이

었다<Fig. 1>. 노인과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제지방량지수의

작은 차이(남자: 0.8 kg/㎡, 여자: 0.9 kg/㎡)는 노인을 포함한

모든 피검자들에서 같은 값들의 사용이 적절할지도 모른다.

Page 4: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304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Fig. 2. FFMI versus BMI and BFMI versus BMI for men(top) and women(bottom).

Fig. 1. FFMI(top) and BFMI(bottom) regressed against age in men and women

Page 5: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성순창ㆍ김현수 305

Fig. 3. %BF versus BMI and %BF versus BFMI for men(top) and women(bottom).

대체로 제체질량지수가 커지면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

량지수도 증가하였다<Fig. 2>. 표준 체질량지수 범위에 있는

피검자의 제지방량지수는 남자가 15.2에서 17.4 kg/㎡, 여자

는 13.1에서 14.7 kg/㎡ 범위에 있었다. 대부분의 피검자는

표준 제지방량지수 범위에 있었으나(71 %), 나머지는 제지

방량지수가 낮거나 높았다. 체질량지수가 표준이지만 제지

방량지수가 낮은 사람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체질량지

수가 표준범위에 있는데 제지방량지수가 높은 사람 역시 여

자(12 %)가 남자(9.7 %)보다 많았다. 그리고 체질량지수가

비만범위이지만 제지방량지수가 표준 범위에 있는 사람도

남녀 각각 15명, 51명이나 되었다.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률 사이에서 유의

한 양적 관계를 보였다<Fig. 2, 3>. 체질량지수가 표준인 피

검자들은 대체로 표준 체지방량지수범주에 있었다. 체질량

지수가 비만이지만 체지방량지수가 표준 범위에 있는 사람

도 남자가 43명, 여자가 33명이나 되었다<Fig. 2>.

<Fig. 2>의 오른쪽 그래프를 보면 체질량지수범위가 표준

인 사람들의 바람직한 체지방량지수 값들은 남자가 2.9~4.9,

여자가 5.2~7.9 kg/㎡ 범위에 있었다. 과체중인 체질량지수

범위(23.0~24.9 kg/㎡)에 있는 높은 체지방량지수는 남자가

5.0~5.9, 여자가 8.0~9.1 kg/㎡

이었다. 이 범위를 넘는 체지

방량지수는 매우 높아 비만범위에 해당될 것이다.

체질량지수가 표준 범위에 있는 표준 체지방률 값은 남자

가 16.7~22.5 %, 여자가 28.0~33.3 %였다(<Fig. 3>의 왼쪽 그

래프>). 과체중인 체질량지수 범위에 있는 피검자의 체지방

률은 남자가 22.6 %~24.8 %, 여자가 34.3~36.49 %이었고, 이

러한 한계를 상회하는 값들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비만 체질량지수에 해당될 것이다. 그리고 <Fig. 3>의 오른

쪽 그래프를 보면 표준 체지방량지수 범위(남자: 2.9~5.2, 여

자: 5.2~7.8 kg/㎡)에서의 체지방률은 남자가 14.7~21.7, 여자

가 28.0~34.5 %였다. 이 값들은 체질량지수로 평가한 체지방

률값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Ⅳ. 논의

신체구성은 건강의 주요한 요인이기 때문에(Segal et al.,

1987), 제지방량과 체지방은 건강평가의 한 부분으로 결정되

어야 한다. 그러나 제지방량과 체지방량은 신장, 체중, 그리

고 연령과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이 변인들의 수

Page 6: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306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준이 높은지 혹은 낮은지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제지

방량지수와 체지방량지수는 신장으로 인한 제지방량 및 체

지방량의 차이를 제거해주고, 연령 및 신장과 상관없이 권

장된 범위들의 한 세트를 가지는 이점을 제공해준다. 이러

한 이유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제지방량지수와 체지방량

지수에 관한 조사를 보고하였다.

Kyle 등(2001)은 건강한 스위스인을, Coin 등(2008)은 이탈

리아인을, 그리고 성순창과 김현수(2012)는 한국인을 대상

으로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의 백분율을 보고하였

다. Hull 등(2011)은 남성의 경우 백인의 평균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는 각각 20.5, 5.2 kg/㎡였고, 아시아인은 각

각 18.8, 4.4 kg/㎡로 인종간의 큰 차이를 보고하였다. 즉 아

시아인은 백인에 비하여 신체질량지수, 제지방량지수 및 체

지방량지수 모두 크게 낮았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지방량지수나 제지방량지수의 범위를 결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제지방량지수와 연령사이에는 곡선적 관계가 있었고, 젊

은 사람과 노인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노인과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제지방량지수의 작은 차이(남자: 0.8 kg/㎡, 여자:

0.9 kg/㎡)는 노인들을 포함하는 모든 피검자에게 동일한 값

을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Genton 등(2013)은 낮은 제지방량지수는 건강한 노인의

독립적인 사망위험요인이라고 하였다. Forbes(1999)는 노화

로 인한 제지방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10년에 체중이 2.3

kg 혹은 체질량지수가 0.9 kg/㎡가 증가할 필요가 있다고 제

안하였고, Kyle 등(2003)은 60세 이후 체질량지수가 남자는

1.9, kg/㎡ 여자는 4.0 kg/㎡ 증가하면 젊었을 때의 제지방량

지수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차이는 방법론

이 달랐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지만 노인의 제지방량지수의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체중의 유지 또는 약간의 증가가 필

요한 것은 분명하다. 이 연구에서 나이의 영향은 노인후기

의 남자에서는 분명하였지만, 여자는 크지 않았다. 제지방

량지수는 나이가 많아도 일정하였기 때문에 제지방량지수

참조값의 조정은 필요할 것 같지 않다.

체중 및 체질량지수 값이 높아지면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

방량지수도 증가하였다. 체질량지수가 높은 것은 제지방량

지수 및 체지방량지수 혹은 두 요인이 모두 높기 때문이다.

표준 체질량지수 범위에 해당하는 표준 제지방량지수(남:

16.7~19.8, 여: 14.6~16.8 kg/㎡)를 유럽인(Kyle et al.,, 2001)과

비교한 결과, 예상한 대로 남자(18.2-20.0 kg/㎡)는 큰 차이를

보였으나, 여자(15.0-16.6 kg/㎡)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질량지수가 표준범위에 있는 건강한 피검자들은 표준 제

지방량지수 범위와 25~75 백분위 범위에 있었으며(성순창과

김현수, 2012), Kim 등(2011)은 1275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제지방량지수의 5~95 백분위 참조 값을 남녀

각각 16.3~22.3, 13.3~17.8 kg/㎡이라고 보고하여 이 연구결

과와 유사하였다.

한편, 제지방량이 많은 것은 건강에 나쁜 것이 아니므로

제지방량지수의 상한선은 논의할 필요가 없지만, 제지방량

및 제지방량지수의 낮은 수준은 건강한 사람 및 질환자의

영양상태의 중요한 마커이다. Van Itallie 등(1990)은 제지방

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는 단백질 부족을 진단하는데 유용

하다고 하였고, Broadwin 등(2001)은 제지방량을 5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가장 낮은 그룹은 가장 높은 그룹에 비하여

기능장애가 높다고 하였다. 그리고 Kyle 등(2003)은 많은 환

자가 폐 이식 이후 제지방량지수가 낮았으며 입원할 때 제

지방량지수가 낮으면 입원기간이 길어진다고 하였다. 이러

한 결과들은 제지방량지수가 영양상태를 결정하는데 유용

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제지방량지수와 건강위험

사이의 관계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하다.

체지방량지수는 체질량지수와 함께 직선적으로 증가하

였다. 체지방량지수는 표준 체질량지수 범위에서 남자가

1.8~5.2, 여자가 3.9~8.2 kg/㎡였다. Schutz 등(2002)은 체지방

량지수가 25 백분위와 75 백분위에서 각각 남자가 3.5~5.9

kg/㎡, 여자가 4.9~7.8 kg/㎡이라고 보고하였으며, 성순창과

김현수(2012)는 남자가 4.4~6.8 kg/㎡, 여자가 6.5~9.4 kg/㎡라

고 보고하여 인종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체지방률의

잘못된 분류가 모든 체질량지수범위에서 있을지라도 과체

중 혹은 비만자에서 더욱 많았다. 사실 건강한 비만자의 15

%는 표준 체지방량지수 범위에 있었고, 8.5 %는 매우 높은

범위에 있었다. 이와 같이 높게 그리고 매우 높은 체지방량

지수 혹은 체지방량은 건강한자 혹은 질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높은 체지방량지수 혹은

체지방률은 최근에 체중이 증가하였거나 운동부족인 사람

에서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에너지 소비와 섭취가 불균형일

때 제지방량보다 체지방의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표준 체지방률은 남자가 13.4~21.7 %, 여자가

24.6~33.2 %였다. 여러 체질량지수 수준에서 체지방량지수

로 결정한 체지방률은 같은 체질량지수 수준에서 발견된 체

지방률 수준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지방률로 표시

한 체지방 과잉축적은 체질량지수 증가와 함께 점차 작아지

Page 7: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성순창ㆍ김현수 307

지만<Fig. 3>, 제지방량지수는 그렇지 않았다. 이것은 체지

방률에서 체중 증가 자체는 절대적 체지방이 보다 크기 때

문이다. 더욱이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지수사이에서 매우 높

은 상관을 보였다(남: r=0.96, 여: r=:0.95). 이상의 연구결과

를 종합해볼 때 체질량지수로 신체구성을 평가하는 것은 한

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체질량지수만으로는 체중에 대한 제지방량 및 체지방량

이 어느 정도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제지방량지수와 체

지방량지수는 신장과 관계없이 신체구성에 관한 중요한 정

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표준 BMI 범주에 해당하는 제지방

량지수(남:15.2-17.5, 여:13.1-14.8 kg/㎡) 및 체지방량지수(남:

2.9-5.0, 여:5.2-8.0 kg/㎡)의 표준 범위는 영양, 운동, 의학 등

건강전문가들이 임상현장에서 한국성인의 노화, 영양문제,

만성질환, 그리고 운동트레이닝으로 발생하는 신체구성의

변화를 평가할 때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태평양아시아의 체질량지수기준과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

량지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대상자들의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난수, 김현수 (2009). 여학생의 신체구성평가지표로서 체

지방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의 참조 규준. 운동과학,

18(2): 257-26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0).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

양조사 제5기 1차년도. 서울: 질병관리본부.

성순창, 김현수 (2012). 한국성인의 제지방량지수와 체지방

량지수의 분포. 체육과학연구, 23(4): 785-792.

Broadwin, J., Goodman-Gruen, D., & Slymen, D. (2001).

Ability of fat and fat-free mass percentage to predict

functional disability in older men and women. J. Am.

Geriatr. Soc., 49: 1641-1645.

Coin, A., Sergi, G., Minicuci, N., Giannini, S., Barbiero, E.,

Manzato, E., Pedrazzoni, M., Minisola, S., Rossini, M.,

Del Puente, A., Zamboni, M., Inelmen, E. M., & Enzi,

G. (2008). Fat-free mass and fat mass reference values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in a 20-80

year-old Italian population. Clin. Nutr., 27: 87-94.

Eto, C., Komiya, S., Nakao, T., & Kikkawa, K. (2004). Validity

of the body mass index and fat mass index as an

indicator of obesity in children aged 3-5 year. J. Physio.

Anthropol. Appl. Human Sci., 23: 25-30.

Forbes, G. B. (1999). Longitudinal changes in adult fat-free

mass: influence of body weight. Am. J. Clin. Nutr., 70:

1025-1031.

Frisancho, R. (1984). New standards of weight and body

composition by frame size and height for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adults and the elderly. Am. J. Clin.

Nut., 40: 808-819.

Genton, L., Graf, C. E., Karsegard, V. L., Kyle, U. G., &

Pichard, C. (2013). Low fat-free mass as a marker of

mortality in community-dwelling healthy elderly

subjects. Age Ageing, 42(1): 33-39.

Guo, S. S., Zeller, C., Chumlea, W. C., & Siervogel, R. M.

(1999). Aging, body composition, and lifestyle: the Fels

Longitudinal Study. Am. J. Clin. Nutr., 70(3): 405-411.

Heymsfield, S. B., & Matthews, D. (1994). Body composition:

research and clinical advances--l993 A.S.P.E.N. Research

Workshop. JPEN, 18(2): 91-103.

Hull, H. R., Thornton, J., Wang, J., Pierson, R. N. Jr., Kaleem,

Z., Pi-Sunyer, X., Heymsfield, S., Albu, J., Fernandez,

J. R., Vanitallie, T. B., & Gallagher, D. (2011). Fat-free

mass index: changes and race/ethnic differences in

adulthood. Int. J. Obes., 35(1): 121-127.

Kim, C. H., Chung, S., Kim, H., Park, J. H., Park, S. H., Ji,

J. W., Han, S. W., Lee, J. C., Kim, J. H., Park, Y. B.,

Nam, H. S., & Kim, C. (2011). Norm references of

fat-free mass index and fat mass index and subtypes of

obesity based on the combined FFMI-%BF indices in the

Korean adults aged 18-89 yr. Obesity Research & Clinical

Practice, 5(3): e210-e219.

Kyle, U. G., Genton, L. C., Slosman, D. O., & Pichard, C.

(2001). Fat-free and fat mass percentiles in 5225 healthy

subjects aged 15 to 98 years. Nutrition, 17: 534-541.

Kyle, U. G., Genton, L., Henry, C., Lukaski, H. C., Dupertuis,

Y. M., Slosman, D. O., Hans, D., & Pichard, C. (2005).

Comparison of fat-free mass and body fat in Swiss and

Page 8: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ksep-es.org/upload/pdf/es-22-4-301.pdf · 2015-12-09 · 운동과학, 2013년, 제22권 제4호

308 한국성인의 체질량지수와 제지방량지수 및 체지방량지수와의 관련성

논문투고일:2013. 08. 27

심 사 일:2013. 09. 21

심사완료일:2013. 11. 15

* 교신저자:김현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email protected]

American adults. Nutrition, 21: 161-169.

Kyle, U. G., Morabia, A., Schutz, Y., & Pichard, C. (2004).

Sedentarism affects body fat mass index and fat-free

mass index in adults aged 18 to 98 years. Nutrition,

20(3): 255-260.

Kyle, U. G., Morabia, A., Unger, P., Slosman, D. O., Mensi,

N., Unger, P., & Pichard, C. (2001). Contribution of

body composition to nutritional assessment at hospital

admission in 995 patients: a controlled population study.

Br. J. Nutr., 86(6): 725-731.

Kyle, U. G., Schutz, Y., Dupertuls, Y. M., & Pichard, C. (2003).

Body composition interpretation: contributions of the

fat-free mass index and the body fat mass index.

Nutrition, 19: 597-604.

Kyle, U. G., Unger, P., Mensi, N., Genton, L., Pichard, C.

(2002). Nutrition status in patients younger and older

than 60 y at hospital admission: a controlled population

study in 995 subjects. Nutrition, 18(6): 463-469.

Micozzi, M. S., Albanes, D., Jones, D. Y., & Chumlea, W. C.

(1986). Correlations of body mass indices with weight,

stature, and body composition in men and women in

NHANES I and II. Am. J. Clin. Nutr., 44: 725-731.

Nakao, T., & Komiya, S. (2003). Reference norms for a fat-free

mass index and fat mass index in the Japanese child

population. J. Physiol. Anthropol., 22(6): 293-298.

Pichard, C., Kyle, U. G., Bracco, D., Slosman, D. O., Morabia,

A., & Schutz, Y. (2000). Reference values of fat-free and

fat masses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3393

healthy subjects. Nutrition, 16: 245-254.

Schutz, Y., Kyle, U. U., & Pichard, C. (2002). Fat-free mass

index and fat mass index percentiles in Caucasians aged

18-98 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6(7):

953-960.

Segal, K. R., Dunaif, A., Gutin, B., Albu, J., Nyman, A., &

Pi-Sunyer, F. X. (1987). Body composition, not body

weight,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ex hormone levels in men. J. Clin. Invest., 84(4):

1050-1055.

Van Itallie, T. B., Yang, M. U., Heymsfield, S. B., Funk, R.

C., & Boileau, R. A. (1990). Height normalized indices

of the body’'s fat-free mass and fat mass: potentially

useful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us. Am. J. Clin. Nutr.,

52(6): 953-95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Expert consultation.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 157-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