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참존글로벌워크는 올해 중국 진출 10 년을 맞아 그 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 아동멀티샵인 트윈키즈365 1호점을 상하 이에 오픈했다. 지난 21일 홍췐루 징팅다샤 (井亭大厦) 1층에 200㎡(70평)규모의 매장 을 열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해가고 있다. ㈜참존글로벌워크는 30여년의 역사를 가진 유아동 전문 기업이다. 1995년 브랜드 ‘트윈키즈’를 시작으로 아동복 시장에 진출 했다. 2012년 ‘트윈키즈365’를 통해 아동뿐 이 아닌 유아동 패션 전문 기업으로 자리 매김했다. 트윈키즈365는 최근 롯데월드점, 피트인 산본점, 롯데수원몰에 입점해, 한국내 38점 을 운영하는 유아동 복합 멀티샵이다. 0~6 세까지 트랜드한 패션의류와 아이를 키우 면서 필요한 출산용품, 분유, 기저귀, 먹을 거리, 유아화장품, 유모차, 카시트 등 용품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윈키즈를 비롯 해, 더블하트, 하기스, B&B, OTOFULL 등 100여개의 브랜드가 입점되어 있다. 중국 트윈키즈365는 중국 고객들에게 인 기있는 한국 브랜드 30여개 브랜드로 상품 구성을 완료했다. 앞으로 한국브랜드의 중 국진출에 교두보 역할로 한국을 대표하는 유아동멀티샵으로 자리매김 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상하이 홍췐루 징팅다 샤, 루자주이 정다광장, 베이징 진위엔, 온라 인 쇼핑몰 알리바바 티몰에 입점이 확정되 어 있다. 하반기에는 7점을 추가 오픈해 2016 년 10점 영업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롯데월드몰 트윈키즈365 매장> <스퀘어원 쇼핑몰 트윈키즈365 매장> 2016 5 21 일 토요일 4 기업뉴스 대신증권 상하이 사무소 폐쇄 하나금융투자 홍콩법인 청산 NH투자 해외법인 8개→6개로 축소 트윈키즈356 중국 1호점 上海 에 오픈 홍췐루 井亭大厦 1층 200㎡ 규모 대신증권이 상하이 사무소를 폐쇄한다. 굳 이 현지에 사무소를 두지 않아도 국내에서도 투자가 용이해졌고 지역별 전략과 투자 환경 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증권 사들은 해외점포를 탄력적으로 운용 중이다. 17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올해 3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상하이 사무소 폐쇄를 결의했 다. 대신증권은 1984년 8월 도쿄사무소를 개 설하면서 대우증권과 함께 국내 증권사로 첫 해외진출 신호탄을 쐈다. 2014년 말 기준 대 신증권은 홍콩 현지법인 1곳과 도쿄와 상하 이에 각각 사무소를 운영했으나 상하이 사무 소가 폐쇄를 앞두면서 홍콩법인, 도쿄사무소 만 남게 된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현재 상하이 사무소 는 폐쇄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라며 “후강통, 선강통, 외국인투자적격제도(RQP) 등 국내에 서도 충분히 중국에 대한 투자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폐쇄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증권사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하나금 융투자는 2014년 말 기준 홍콩 현지법인 1곳, 베이징 사무소 1곳을 운영 중이었으나 작년 들어 홍콩 현지법인을 청산했다. NH투자증 권은 2014년 4분기 기준 런던, 뉴욕, 홍콩 등 법인 8개와 상하이 사무소 1곳으로 총 9곳이 었으나 올해 1분기 법인이 6개로 줄고 런던 사무소가 추가됐다. 반면 전략에 따라 법인 수를 늘린 곳도 있 다. 신한금융투자는 14년 말 법인 2곳, 사무소 2곳에서 최근 법인 수가 1곳 늘어 5곳을 보유 중이다.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대우는 박 현주 미래에셋증권 회장이 해외 투자 강화에 집중하는 만큼 지점 수에도 변화가 있을 것 으로 보인다. 실제 미래에셋대우는 뉴욕법인 의 1억 달러 증자를 결정했고 내년까지 인도 네시아·베트남·런던 등 해외법인에 3~5000 억원을 증자할 계획이다. 삼성페이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인 중국 알리바바의 ‘알리페이’와 손을 잡 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알리 바바는 두 페이의 협력방안을 조만간 공동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페이는 중국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모바일 결제시스템으로 중국인들은 스마 트폰에 어플을 구동시킨뒤 QR코드를 생성 해 결제한다. 알리페이는 현재 중국 모바일 시장의 71.58%를 차지하는 최대 결제수단 으로 회원이 무려 4억명 정도나 되는 것으 로 알려졌다. 그런데 알리페이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어플을 구동하고 QR코드를 생성하는데 걸 리는 시간이 좀 길어 중국 현지의 유통매 장에서 알리페이로 결제하는 줄의 대기열 이 길다고 한다. 반면 삼성페이는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열고 지문인식을 하는데 까지 대략 5초 정 도면 돼 알리페이에 비해 빠른 것으로 알려 졌다. 따라서 삼성페이와 알리페이의 제휴 로 삼성 스마트폰에서 쓸 수 있는 삼성페이 의 결제수단 가운데 하나로 중국 알리페이 가 탑재될 경우 알리페이에 비해 빠른 속도 로 중국인들의 마음을 끌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볼 수 있다. 또 이렇게 빠른 결제속도에 길들여질 경 우 중국내에서 정체되고 있는 삼성 스마트 폰의 판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시장 경쟁력 강화 삼성 스마트폰 판매증가 기대 삼성페이 중국 알리페이와 제휴

트윈키즈356 중국 1호점 上海에 오픈 대신증권 상하이 사무소 폐쇄 · 면서 필요한 출산용품, 분유, 기저귀, 먹을 거리, 유아화장품, 유모차,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트윈키즈356 중국 1호점 上海에 오픈 대신증권 상하이 사무소 폐쇄 · 면서 필요한 출산용품, 분유, 기저귀, 먹을 거리, 유아화장품, 유모차,

㈜참존글로벌워크는 올해 중국 진출 10

년을 맞아 그 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유

아동멀티샵인 트윈키즈365 1호점을 상하

이에 오픈했다. 지난 21일 홍췐루 징팅다샤

(井亭大厦) 1층에 200㎡(70평)규모의 매장

을 열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해가고 있다.

㈜참존글로벌워크는 30여년의 역사를

가진 유아동 전문 기업이다. 1995년 브랜드

‘트윈키즈’를 시작으로 아동복 시장에 진출

했다. 2012년 ‘트윈키즈365’를 통해 아동뿐

이 아닌 유아동 패션 전문 기업으로 자리

매김했다.

트윈키즈365는 최근 롯데월드점, 피트인

산본점, 롯데수원몰에 입점해, 한국내 38점

을 운영하는 유아동 복합 멀티샵이다. 0~6

세까지 트랜드한 패션의류와 아이를 키우

면서 필요한 출산용품, 분유, 기저귀, 먹을

거리, 유아화장품, 유모차, 카시트 등 용품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윈키즈를 비롯

해, 더블하트, 하기스, B&B, OTOFULL 등

100여개의 브랜드가 입점되어 있다.

중국 트윈키즈365는 중국 고객들에게 인

기있는 한국 브랜드 30여개 브랜드로 상품

구성을 완료했다. 앞으로 한국브랜드의 중

국진출에 교두보 역할로 한국을 대표하는

유아동멀티샵으로 자리매김 할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상하이 홍췐루 징팅다

샤, 루자주이 정다광장, 베이징 진위엔, 온라

인 쇼핑몰 알리바바 티몰에 입점이 확정되

어 있다. 하반기에는 7점을 추가 오픈해 2016

년 10점 영업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롯데월드몰 트윈키즈365 매장>

<스퀘어원 쇼핑몰 트윈키즈365 매장>

2016년 5월 21일 토요일 4 기업뉴스

대신증권상하이 사무소 폐쇄

하나금융투자 홍콩법인 청산

NH투자 해외법인 8개→6개로 축소

트윈키즈356 중국 1호점 上海에 오픈

홍췐루 井亭大厦 1층 200㎡ 규모

대신증권이 상하이 사무소를 폐쇄한다. 굳

이 현지에 사무소를 두지 않아도 국내에서도

투자가 용이해졌고 지역별 전략과 투자 환경

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증권

사들은 해외점포를 탄력적으로 운용 중이다.

17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올해 3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상하이 사무소 폐쇄를 결의했

다. 대신증권은 1984년 8월 도쿄사무소를 개

설하면서 대우증권과 함께 국내 증권사로 첫

해외진출 신호탄을 쐈다. 2014년 말 기준 대

신증권은 홍콩 현지법인 1곳과 도쿄와 상하

이에 각각 사무소를 운영했으나 상하이 사무

소가 폐쇄를 앞두면서 홍콩법인, 도쿄사무소

만 남게 된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현재 상하이 사무소

는 폐쇄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라며 “후강통,

선강통, 외국인투자적격제도(RQP) 등 국내에

서도 충분히 중국에 대한 투자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폐쇄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증권사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하나금

융투자는 2014년 말 기준 홍콩 현지법인 1곳,

베이징 사무소 1곳을 운영 중이었으나 작년

들어 홍콩 현지법인을 청산했다. NH투자증

권은 2014년 4분기 기준 런던, 뉴욕, 홍콩 등

법인 8개와 상하이 사무소 1곳으로 총 9곳이

었으나 올해 1분기 법인이 6개로 줄고 런던

사무소가 추가됐다.

반면 전략에 따라 법인 수를 늘린 곳도 있

다. 신한금융투자는 14년 말 법인 2곳, 사무소

2곳에서 최근 법인 수가 1곳 늘어 5곳을 보유

중이다.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대우는 박

현주 미래에셋증권 회장이 해외 투자 강화에

집중하는 만큼 지점 수에도 변화가 있을 것

으로 보인다. 실제 미래에셋대우는 뉴욕법인

의 1억 달러 증자를 결정했고 내년까지 인도

네시아·베트남·런던 등 해외법인에 3~5000

억원을 증자할 계획이다.

삼성페이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인 중국 알리바바의 ‘알리페이’와 손을 잡

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알리

바바는 두 페이의 협력방안을 조만간 공동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페이는 중국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모바일 결제시스템으로 중국인들은 스마

트폰에 어플을 구동시킨뒤 QR코드를 생성

해 결제한다. 알리페이는 현재 중국 모바일

시장의 71.58%를 차지하는 최대 결제수단

으로 회원이 무려 4억명 정도나 되는 것으

로 알려졌다.

그런데 알리페이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어플을 구동하고 QR코드를 생성하는데 걸

리는 시간이 좀 길어 중국 현지의 유통매

장에서 알리페이로 결제하는 줄의 대기열

이 길다고 한다.

반면 삼성페이는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열고 지문인식을 하는데 까지 대략 5초 정

도면 돼 알리페이에 비해 빠른 것으로 알려

졌다. 따라서 삼성페이와 알리페이의 제휴

로 삼성 스마트폰에서 쓸 수 있는 삼성페이

의 결제수단 가운데 하나로 중국 알리페이

가 탑재될 경우 알리페이에 비해 빠른 속도

로 중국인들의 마음을 끌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볼 수 있다.

또 이렇게 빠른 결제속도에 길들여질 경

우 중국내에서 정체되고 있는 삼성 스마트

폰의 판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시장 경쟁력 강화

삼성 스마트폰 판매증가 기대

삼성페이 중국 알리페이와 제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