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제29권 제1호, 2019년 1월 1 추나 단독 치료의 경추성 현훈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신선호민경진김의별하원배고연석 7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김인균이상열 21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전준영이종수 31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의과 및 한의과 의료기관 이용 현황 비교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본 데이터를 이용 하여 박주성김남권송윤경 41 양방 협진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 조사 정연민조성우 63 오적산 혼합단미엑스산제와 혼합단미연조엑스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단일 기관, 무작위 배정, 교차 연구 신희라박경태염승룡권영달 75 백수오-한속단 추출 복합물의 어린이 키 성장에 관한 임상 연구 하기찬백향임김혜미김영미정다영홍성제홍상근최창민 85 전방경유 경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시행 환자에 대한 추나 치료를 포함한 한의학적 치료 치험 1예 조동찬

제29권 제1호, 2019년 1월 · 문헌 분석은 두 명의 독립된 연구자(SHS, EBK)가 각각 선별된 연구의 전문을 검토하고 연구 디자인, 치료군과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제29권 제1호, 2019년 1월

    종 설

    1 추나 단독 치료의 경추성 현훈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신선호⋅민경진⋅김의별⋅하원배⋅고연석

    원 저

    7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김인균⋅이상열

    21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전준영⋅이종수

    31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의과 및 한의과 의료기관 이용 현황 비교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본 데이터를 이용

    하여

    박주성⋅김남권⋅송윤경

    41 한⋅양방 협진에 관한 일반인들의 인식 조사

    정연민⋅조성우

    63 오적산 혼합단미엑스산제와 혼합단미연조엑스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단일 기관, 무작위 배정, 교차 연구

    신희라⋅박경태⋅염승룡⋅권영달

    75 백수오-한속단 추출 복합물의 어린이 키 성장에 관한 임상 연구

    하기찬⋅백향임⋅김혜미⋅김영미⋅정다영⋅홍성제⋅홍상근⋅최창민

    증 례

    85 전방경유 경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시행 환자에 대한 추나 치료를 포함한 한의학적 치료 치험 1예

    조동찬

  •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Vol. 29 No. 1, January 2019

    Review Article

    1 Chuna Manual Therapy Alone for Cervicogenic Dizziness: A Systematic Review

    Seon-Ho Shin, Kyung-Jin Min, Eui-Byeol Kim, Won-Bae Ha, Youn-Seok Ko

    Original Articles

    7 Effects of Muscle Relaxation Approach and Joint Movement Approach on Neck Movement and Comfort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of Forward Head Posture

    In-Gyun Kim, Sang-Yeol Lee

    21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and GB20 for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Jun-yung Jeon, Jong-soo Lee

    31 A Comparative Analysis on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Tendency of Total Knee Arthroplasty

    Patients Using Patients Sample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Joo-sung Park, Nam-Kwen Kim, Yun-kyung Song

    41 Survey on Perception Level of the East-West Collaborative Medical Practices among the General Public

    Yeon-Min Jeong, Sung-Woo Cho

    63 Safety of Ojeok-san Extract Powder and Soft Extract in Healthy Male Volunteers, Single 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Hee-Ra Shin, Kyungtae Park, Seung-Ryong Yeom, Young-Dal Kwon

    75 Clinical Study on Child’s Height Growth of Mixtures of Cynanchum wilfordii and Phlomis umbrosa

    Extract

    Ki Chan Ha, Hyang Im Baek, Hye Mi Kim, Young Mi Kim, Da Young Jeong, Seong Je Hong, Sang Keun Hong,

    Chang Min Choi

    Case Reports

    85 The Case Repor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including Chuna on Post-operative State of Cervical Spine

    Dong-Chan Jo

  • www.e-jkmr.org 1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9 No. 1, January 2019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s://doi.org/10.18325/jkmr.2019.29.1.1 Review Article

    추나 단독 치료의 경추성 현훈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신선호*⋅민경진†⋅김의별*⋅하원배‡⋅고연석*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나눔요양병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Chuna Manual Therapy Alone for Cervicogenic Dizziness: A Systematic Review

    Seon-Ho Shin, K.M.D.*, Kyung-Jin Min, K.M.D.†, Eui-Byeol Kim, K.M.D.*, Won-Bae Ha, K.M.D.‡,

    Youn-Seok Ko, K.M.D.*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suk University*, Na-Num Long-Term Care Hospital†,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RECEIVED December 11, 2018

    REVISED December 31, 2018

    ACCEPTED January 2, 2019

    CORRESPONDING TO

    Youn-Seok Ko,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Woosuk University Medical

    Center, 46 Eoeun-ro, Wansan-gu,

    Jeonju 54987, Korea

    TEL (063) 220-8626

    FAX (063) 227-6234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9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vidence base for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CMT) alone for cervicogenic dizziness.

    Methods We conducted a search up to October 2018 in 7 electronic databases.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performed CMT for cervicogenic dizziness were

    included.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Results Ten RC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ta-analysis of 4 RCTs showed favor-

    able results for the use of CMT alone compared to medication.

    Conclusions In 10 RCTs, we found that CMT was effective in cervicogenic dizziness.

    However, most of the included RCTs were unclear risk of bias. Therefore, well designed

    RCTs would be needed to obtain the stronger evidence level of CMT for cervicogenic

    dizziness. (J Korean Med Rehabil 2019;29(1):1-6)

    Key words Chuna manual therapy, Cervicogenic dizziness,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서론»»»

    현훈은 임상적으로 흔한 자각 증상 중 하나로, 眩은 눈

    앞이 어둡거나 사물이 흐리게 보이며 때로는 눈앞에 빛이

    번쩍이는 것을 의미하고, 暈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도는

    것 같이 느껴 온전히 서 있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1). 현

    훈은 자각 증상이기 때문에,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부분이 전정 또는 미로구조의 이상으로 인한 말초성 현

    훈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곤혹스럽고 때로는 활동이 제한

    되지만 양성인 경우가 많다. 또한 중추신경계통의 질환에

    동반된 중추성 현훈과 전신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현

    훈이 있다1). 이러한 원인들 중, 경추부의 질환에 의해 나

    타나는 현훈이 있는데 이를 경추성 현훈(cervicogenic diz-

    zines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경추성 현훈은 경부 통증,

    경부의 뻣뻣함이나 두통과 연관된 경부의 불균형이나 불안

    정에 의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2).

    경추성 현훈은 경부 통증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심해지

    는 양상을 보이고, 경부 통증이나 경부의 움직임의 제한이

    개선되면 현훈 증상도 개선되는 양상을 보인다2).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경추성 현훈을 치료하고자 한다면 경추의

    불균형이나 불안정성 해결, 경부 근육의 이완을 위한 추나

    치료가 유효할 것으로 보이나, 아직 이에 대한 국내 한의

    학 연구는 2편3,4)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진은 국내⋅외

    에서 경추성 현훈에 추나 치료를 적용한 무작위배정임상

  • 신선호⋅민경진⋅김의별⋅하원배⋅고연석

    2 J Korean Med Rehabil 2019;29(1):1-6

    연구를 고찰하여 경추성 현훈에 추나 치료의 효과에 대한

    근거 수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1. 문헌 검색

    2018년 10월까지 국내외에 발표된 임상 논문을 대상으

    로 하였으며, 검색 방법은 오아시스(oasis.kiom.re.kr), DBPia

    (www.dbpia.co.kr),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ww.riss.kr), 한국전통지식포탈(www.koreantk.com),

    PubMed (www.pubmed.com), Th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www.interscience.wiley.com), Chinese

    Academic Journals (www.cnki.net)의 7개의 온라인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경추성 현훈에 추나 단독 치료를 적용

    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추나’와 ‘경추성 현훈’을

    각각의 검색 사이트에 한국어("경추성 현훈" AND "추나"),

    영어("Cervicogenic" AND ["dizziness" OR "vertigo"] AND

    "Chuna Manual Therapy"), 중국어("颈性眩暈" AND "推拿")

    를 사용하였다.

    2. 포함, 배제 기준

    국문, 중문,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 중 2018년 10월까지

    검색된 논문을 선정하였다. 검색된 논문 중 경추성 현훈

    환자를 대상으로 추나 치료를 단독으로 시행한 무작위배

    정임상연구를 선정하였으며, 동물실험이나 문헌고찰 연구,

    In vitro 연구는 배제하였다.

    중재로는 다른 병행치료 없이 추나 단독 치료를 시행한

    연구만 포함하였다. 그리고 검색된 논문 중에서 대조군의

    치료 방법, 치료 기간, 연구에 사용된 평가 지표, 환자의

    나이나, 성별 등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3. 문헌 선정 및 분석

    1) 문헌 검색 및 선별

    문헌 검색 및 선별은 두 명의 연구자(SHS, EBK)가 각각

    독립적으로 검색하였다. 검색된 문헌을 제목 및 초록을 통

    해 1차적으로 선별하고, 이후 선별된 논문의 원문을 구하여

    상세히 검토한 후 최종 문헌을 선정하였다.

    2) 문헌 분석 및 비뚤림 위험 평가

    문헌 분석은 두 명의 독립된 연구자(SHS, EBK)가 각각

    선별된 연구의 전문을 검토하고 연구 디자인, 치료군과

    대조군의 대상자 수, 추나 단독 치료 여부, 대조군 치료

    방법, 치료 효과, 평가 지표 등에 대한 자료를 추출하였다.

    자료 추출에 대하여 두 명의 독립된 연구자의 의견이 일

    치하지 않을 경우, 제3자인 다른 연구자(YSK)에게 의견을

    구하였다.

    비뚤림 위험 평가는 두 명의 독립된 연구자가 각각 선

    별된 문헌 중, Cochrane Collaboration이 개발한 Risk of

    bias 평가표5)를 사용하여, 7가지 항목에 대해서 각각 비

    뚤림 위험 평가를 시행하였다. 7가지 중, 그 외 비뚤림에

    대해서는 모집 비뚤림 및 치료 기간 등에 대해서 평가하

    였다. 평가에 있어 의견 불일치가 있을 경우, 재논의와 함께

    제3자인 다른 연구자(YSK)의 의견도 구하였다.

    4. 데이터 추출 및 자료 합성

    문헌에 대한 결과 요약 및 합성을 위하여, 결과값이 이

    분형 변수인 경우 비교위험도(relative risk, RR)를, 연속

    형 변수인 경우 표준화된 평균차(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

    을 Cochrane Software (Review Manager Version 5.3, The

    Nordic Cochrane Centre, The Cochrane Collaboration,

    Copenhagen, Denmark)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데이터를 추

    출하였다. 또한 카이 제곱 검정(p50%) 통계량을 통하여 연구들 간에 통계적으로 이질성이

    있을 경우, 포함된 연구들의 결과를 변량 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자료를 합성하였다. 그리고 통계

    적 이질성이 없는 경우, 포함된 연구들의 결과를 고정 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자료를 합성하였다.

    결과»»»

    1. 문헌 선정

    2018년 10월까지 검색 결과 7개의 온라인 검색 사이트

  • 추나 단독 치료의 경추성 현훈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www.e-jkmr.org 3

    Fig. 1. A flow chart diagram describing the trial selection process.

    Fig. 2. The meta-analysis outcome of effectiveness for cervicogenic dizziness between chuna manual therapy versus medication. CI: confidence interval.

    에서 검색된 논문은 총 433편이었다. 이를 대상으로 검색

    된 논문들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포함 및 배제 기준

    에 따라 1차적으로 39편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이후 전문

    을 구해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논문을 선별하였고,

    10편6-15)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다(Fig. 1).

    2. 문헌 분석

    1) 문헌 개요

    선별된 연구는 총 10편이었으며, 모두 중국에서 발표한

    연구이다. 실험군은 모두 추나 치료를 단독으로 시행하였

    으며, 대조군으로 약물 치료를 사용한 연구가 9편, 주사

    치료를 사용한 연구가 1편이었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

    과 같다(Table I).

    2) 평가 지표

    선별된 10편의 연구에서 총 86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

    로 4가지의 평가 지표를 사용하였다. 증상 호전에 따른

    치료율(efficacy rate)을 평가 지표로 사용한 논문이 10편

    으로, 모든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그 다음으로 현훈 지속

    시간,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The overall symp-

    tom and function scores가 사용된 연구가 각각 1편씩 있

    었다.

    3) 치료 효과

    선별된 10편의 연구에서 추나군 및 대조군을 포함한 20

    개 군의 치료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평가 지표에서

    모두 치료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 중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4편이다. 4편 모두 Sibelium이라는 약물을 대조군으로 사

    용하였고, 평가 지표로 모두 Efficacy Rate를 사용하였다.

    Efficacy Rate는 이분형 변수이기 때문에 비교위험도를 계

    산하였다. 메타분석에 포함된 4편의 연구는 연구 간 통계

    적 이질성(p=0.18, I2=38%)이 확인되지 않아 고정 효과모

    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을 약물 치료로 사용한

    연구 총 4편7,13-15)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약물 치료로

    는 Sibelium이 사용되었으나, 연구 간에 치료 기간, 투약

    방법 등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4편의 연구로 메타분석을

    시행해 본 결과, Efficacy Rate에서 추나 단독 치료가 약물

    치료(Sibelium)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RR=1.31, 95%

    CI=1.19 to 1.45, p

  • 신선호⋅민경진⋅김의별⋅하원배⋅고연석

    4 J Korean Med Rehabil 2019;29(1):1-6

    First author (year) Intervention Control Duration Evaluation index Result

    Shen (2017)6) A: Chuna manual therapy (n=64)

    B: Medication (sibelium 10 mg qd, betahistine mesylate 6 mg tid, vitamin 1 tab. tid) (n=64)

    A: 14 daysB: 10 days

    1. Vertigo duration2. Efficacy rate

    1. A>B (pB (pB (pB (pB (pB (pB (pB (pB (pB (pB (pB (pB (p

  • 추나 단독 치료의 경추성 현훈에 대한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www.e-jkmr.org 5

    Fig. 3. Risk of bias summary. (+): low risk of bias, (-): high risk of bias, (?): unclear of bias.

    통증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경부

    통증이나 경부의 움직임의 제한이 개선되면 현훈 증상도

    개선되는 양상을 보인다2). 경추성 현훈은 Ryan과 Cope18)

    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는데, 전정신경계가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경추부에 국한된 척추 변성증, 외상, 견인 등이

    경부 통증과 함께 현훈을 유발한다고 하였으나, 정확한 메

    커니즘을 정의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경추성 현훈의 병태

    생리학적 원인에 대해 Bracher 등19)은 혈관의 압박, 혈관

    운동 신경의 변화, 고유수용성감각의 변화 등 3가지 원인

    으로 설명했다.

    Wrisley 등2)에 의하면 경추성 현훈은 일반적으로 수 분

    혹은 수 시간 동안 지속되는 삽화적 성격으로 발생하는데,

    경추성 현훈으로 발생하는 증상들은 경추부를 움직이거나

    경부 통증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심해지고, 경부 통증을 개

    선하는 치료가 이루어지면 현훈 증상도 감소한다. 또한

    경추성 현훈의 진단은 평형장애 및 현훈과 목 부위의 통

    증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이전의 경추 질환

    이나 손상의 병력확인, 전정기능검사들을 통해 다른 전정

    기능 이상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2). 그

    리고 Brandt와 Bronstein20)은 경추부 또는 경향 부위의

    통증 및 불편감이 동반된 현훈이 있고 두부나 경부의 움

    직임에 의해 현훈이 생겨나거나 심화되며, 또한 청각신경

    검사 또는 전정신경검사에서 와우각전정계의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를 경추성 현훈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경추성 현훈의 한의학적 치료로는 경추부 통증과 연관된

    상부승모근, 흉쇄유돌근 등의 통증유발점을 해결해주는 침

    치료와 관련 혈자리에 약침 치료 경추의 움직임과 정상적

    인 고유수용성감각의 회복을 위한 추나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4). 특히 경추 질환의 구조적인 원인을 제거하였을 때,

    현훈이 호전된다는 경추성 현훈의 병리학적 특성에 착안하

    면 추나 치료가 상당히 효과적일 것이라고 보인다.

    이에 본 연구진은 경추성 현훈에 추나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7개의 온라인 검색 사이트에서 경추성 현훈에

    추나 치료를 단독으로 적용한 연구를 검색하고 무작위배정

    임상연구 10편을 선별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을 시행하였다. 치료군의 치료 방법으로는 추나 치료를 단

    독으로 시행하였고, 대조군으로는 9편에서는 혈관확장제로

    사용하는 Sibelium (flunarizine)과 betahistine 등과 단삼

    천궁과 같은 한약 제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를 시행하였고,

    1편에서는 천궁 추출물로 주사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20개의 환자군에서 각각의 평가 지표에서

    치료 전후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그리고

    치료군과 대조군의 치료 성적을 각각의 평가 지표에서 비

    교하면, 10편 모두 치료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메타분석에는 총 4편이 포함되었으며, 대조군으로

    Sibelium을 단독으로 사용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추나 치료가 약물 대조군에 비해 Efficacy Rate에 대해서

    유의하게 치료 성적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연구 간에 대조

    군 약물의 투약 기간 및 투약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10편의 무작위배정임상연구를 대상으로 Cochrane

    Collaboration이 개발한 Risk of bias 평가표5)를 사용하여

    비뚤림 위혐평가를 시행하였다. 10편의 연구 중 대부분이

    연구 방법에 대한 서술이 간결하거나 서술을 생략한 연구

    가 많아 비뚤림 위험 평가에 대부분 ‘불확실’로 평가되었

  • 신선호⋅민경진⋅김의별⋅하원배⋅고연석

    6 J Korean Med Rehabil 2019;29(1):1-6

    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고 엄격히 설계하여 비뚤

    림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추나라는 치

    료 특성상 눈가림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추나 연구 방법론적으로 좀 더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7개의 온라인 검색 사이트를 찾았으나, 한국,

    중국, 영어권 이외의 연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를

    포함하지 못하였으며, 온라인 검색 사이트에 등록되지 않

    은 회색 문헌들은 누락되었다. 그리고 선정된 연구의 수가

    적고, 선정된 연구 또한 모두 중국에서 발표한 연구로 언

    어적 비뚤림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치료군을 추나 단독으

    로 설정하였으나, 추나 기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 기법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것으로 추측이 되지만 이 부분에

    대한 세세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다른 치

    료와 추나 치료를 병행하여 시행하였을 때 치료 효과가

    어떤지에 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으로 10편의 논문을 종합하여 체계적 고찰과 메타

    분석을 시행한 결과, 추나 단독 치료가 경추성 현훈에 기

    존의 치료에 비해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정된 연구의 수가 적고 질적으로 우수

    한 연구라고 보기는 어려워,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이 아닌 질환에 추나

    치료가 적용될 수 있다는 근거 수준을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국내에서 2019년 3월부터 추나 치료가 건강

    보험에 적용이 되지만, 아직은 그 대상 질환에 근골격계

    일부 질환만 포함되었다.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이 아닌

    질환에 추나 치료가 적용될 수 있다는 근거 수준을 높이기

    위해 엄격하게 설계된 무작위배정임상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Department of Simgye Internal Medicine in National

    University of Korean Medicine. Cardiology, Neurology of

    Korean Medicine. 4th ed. Seoul:Gunja Publisher. 2010:388.

    2. Wrisley DM, Sparto PJ, Whitney SL, Furman JM.

    Cervicogenic dizziness: a review of diagnosis and treatment.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0;30(12):755-66.

    3. Ahn JL, Lee IS. Treatment of cervicogenic vertigo by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two cases report. J

    Korean Med Rehabil. 2001;11(1):281-7.

    4. Hwang DG, Kim EJ, Choi KH, Heo SJ, Youn DW. A case

    report on a patient with cervical vertigo who improved

    with a combination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J Int

    Korean Med. 2017;38(3):392-400.

    5.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2011

    [cited 2018 Nov 20]. Available from: URL: http://crtha.iu

    ms.ac.ir/files/crtha/files/cochrane.pdf.

    6. Shen M. An analysis of treating 128 cases of cervical ver-

    tigo by massage plus cervical traction. Clinical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7;9(17):41-2.

    7. Shao X, Tian J, Yin S. 47 cases of cervical vertigo treat-

    ed with Chuna combined with exercise therapy. Zhejia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51(1):46.

    8. Xue L, Luo Y, Chen S, Wu J. Clinical effect of flexible

    tendon manipulation on cervical vertigo. Chin J of Clinical

    Rational Drug Use. 2016;9(3):132-3.

    9. Wei W, Wang C. Clinical observation of 30 cases of

    cervical vertigo treated by Chuna. Chinese Journal of

    Ethnomedicine and Ethnopharmacy. 2014;3:75-7.

    10. Lei P. Clinical analysis of Chuna treatment of cervical

    vertigo. Inner Mongolia Chinese Medicine. 2013;35:45-6.

    11. Yan W, He J. The cinical efficacy of Chuna for cervical

    vertigo. Chinese Manipulation and Qi Gong Therapy.

    2008; 24(1):22-3.

    12. Zuo S, Chen L. Clinical observation of 45 cases of cervical

    vertigo treated by chuna. Fujian Med J. 2008;30(4):131-2.

    13. Song H. The clinical efficacy of Chuna treatment for cer-

    vical vertigo. JCAM 2007;23(3):40-1.

    14. Ji Q, Chen P. The short-term efficacy of Chuna treatment

    for cervical vertigo. Liaon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6;33(6):734-5.

    15. Wang Q, Zeng Q, Gao A. The Chuna treatment for cervical

    vertigo in 34 cases. Shandong Medicine. 2002;42(36):45.

    16.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riental Neuropsychiatry. 1st ed.

    Paju:Jipmoondang. 2011:290.

    17. Kim JY, Kim WH, Lee JS, Oh HM, Kim DW, Choi DJ.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cervical vertigo.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3):177-81.

    18. Ryan GM, Cope S. Cervical vertigo. Lancet. 1955;269(6905):

    1355-8.

    19. Bracher ES, Almeida CI, Almeida RR, Duprat AC, Bracher

    CB. A combined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vertigo.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0;23(2):96-100.

    20. Brandt T, Bronstein AM. Cervical vertigo.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71(1):8-12.

  • www.e-jkmr.org 7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9 No. 1, January 2019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s://doi.org/10.18325/jkmr.2019.29.1.7 Original Article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김인균*,†⋅이상열*,†

    창원 자생한방병원*,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Effects of Muscle Relaxation Approach and Joint Movement Approach on Neck Movement and Comfort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of Forward Head Posture

    In-Gyun Kim, P.T., M.S.*,†, Sang-Yeol Lee, P.T., Ph.D.*,†

    Changwon Jaseng Hospital of Korean Medicin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yungsung University†

    RECEIVED November 15, 2018

    ACCEPTED December 29, 2018

    CORRESPONDING TO

    Sang-Yeol Le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yungsung

    University, 309 Suyeong-ro, Nam-gu,

    Busan 48434, Korea

    TEL (051) 663-4870

    FAX (051) 623-4873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9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comfort of daily life such as re-

    duction of headache and increase of movement of neck by using muscle relaxation ap-

    proach and joint movement approach for office worker with tension type headache of fo-

    ward head posture sitting over 5 hours.

    Methods For this, 9 male and 15 female participated in the foward head posture with ten-

    sion type headache. Each group consisted of 3 male and 5 female. Groups are divided into

    groups, such as muscle relaxation therapy, joint movement therapy, muscle relaxation and

    joint movement therapy. After intervention for each group for a month, we measured neck

    movement and head disability index and neck disability index 2 week. SPSS 23.0 (IBM

    Corp., Armonk, NY, USA)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

    iance (ANOVA), one-way ANOVA, compared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ree intervention groups have brought improvements in neck movement and

    daily life comfor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neck extension and

    change in neck disability index between 2 and 4 weeks in the joint movement approach

    compared to muscle relaxation approach, muscle relaxation and joint movement approach.

    Conclusions Office workers are exposed to tension type headache. However, muscle re-

    laxation approach and joint movement approach can improve neck movement and daily life

    comfort.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Key words Tension-type headache, Foward head posture, Myofascial release, Joint

    movement

    서론»»»

    두통은 일생 동안 전체 인구의 96.7%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이다. 두통은 머리와 목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으로

    정의된다. 두통으로 인해 야기되는 불편함과 사회적 비용

    은 환자 개인과 그 가족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적인 면

    에서 부담을 증가시킨다1). 세계보건기구는 두통을 인류 건

    강을 위협하는 10대 요인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2). 그

  • 김인균⋅이상열

    8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중 가장 흔한 두통이 긴장성 두통이며3), 전체 두통 비율의

    86%를 차지한다1).

    긴장성 두통의 원인은 다양하며4) 그중에서도 물리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과 인대의 문제5)와 목뼈의 이상으로

    두통이 발생한다6). 긴장성 두통을 가진 사람은 두부 전방

    전위 자세 증가와 목의 움직임의 감소가 임상적 특징으로

    나타난다7).

    두부 전방 전위 자세는 머리가 몸통에 대하여 앞쪽에

    놓이게 되는 자세이다8). 두부 전방 전위 자세가 나타나는

    이유는 장시간 정적으로 일하는 자세 때문이다9). 특히 오

    랜 시간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무직 종사자

    는 일반 생산직 종사자에 비해 컴퓨터의 사용이 많으며,

    컴퓨터의 사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목과 팔 등에 더 많은

    통증을 느끼게 된다10).

    이로 인해 두부 전방 전위 자세는 사무직 종사자에게

    많이 나타난다11). 우리나라 사무직 종사자는 연평균 2,057

    시간으로 1주일에 5일 동안 8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다12).

    사무직 종사자 9,066명 중 약 90%에 달하는 인원이 업무

    중 근골격계 장애를 가지고 있다13). 특히 컴퓨터를 사용하

    는 사무직 종사자가 증가하여 두부⋅목⋅어깨에 통증을 호

    소하는 근골격계 장애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4,15). 이러한

    근골격계 장애는 목의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를

    증가시키며16), 두통 장애 지수(headache disability Index)

    도 증가시킨다17). 이렇듯 두통 완화를 위해서는 제한된 목

    의 움직임과 두통 장애 지수, 목 장애 지수와 같은 일상생

    활의 편안함 개선이 필요하다.

    도수치료는 목의 움직임과 일상생활 편안함을 유의하

    게 증가시킬 수 있다18). 그리고 도수치료 중 목의 움직임

    개선과 통증 경감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근육 이

    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다19). 근육 이완 접근인 근막

    이완술은 인체의 불균형을 균형 상태로 유도함으로써 일

    상생활에서 인체를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만드는

    치료 기술이다20).

    또한 관절 가동 접근인 관절가동술은 관절의 자유로운

    가동성 유지 및 정상 회복을 시키기 위하여 관절면에 수

    동적⋅능동적 견인과 활주동작을 적용하는 방법이다21).

    관절의 자유로운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신연, 압박, 활주,

    구름, 회전 등의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하여 뻣뻣한 조직

    을 스트레칭 시켜 정상적인 움직임을 촉진할 수 있다. 이

    러한 촉진은 조직에 영양 공급을 하여 목의 증상이 완화

    되며, 고유수용성 감각이 유해성 자극을 주어 정상 신경

    활동을 만들어 목의 통증 인식억제 기능을 할 수 있다22).

    결국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은 목의 통증 감소와 목의

    움직임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23).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이러한 두부 전방 전위

    자세 및 긴장성 두통에 관한 중재를 불특정 다수의 직업

    군에 적용하여, 명확한 자료를 얻을 수 없었다. 특히 사

    무직 종사자는 일반 생산직 종사자에 비해 컴퓨터의 사용

    시간이 더 많으며10), 두부 전방 전위 자세와 긴장성 두통

    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 일반 생산직 종사자에 비해

    더 높은 편이다24,25). 따라서 본 연구는 두부 전방 전위 자

    세를 동반한 긴장성 두통 환자의 목의 움직임과 일상생활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긴장성

    두통 완화를 위한 치료적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창원 자생한방병원 내의 물리치료

    실에 연구 관련 포스터를 본 경남⋅부산에 거주하는 20~30

    대의 사무직 종사자 중 연구 선정 조건에 부합되며, 제외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대상자를 상대로 연구하였다. 대상

    자는 24명으로 남자 9명, 여자 15명으로 실험하였다. 대

    상자 중 실험 중에 배제된 인원은 없었다.

    1) 선정 기준

    (1) 국제두통협회26)에서 제공한 자료에 속하는 긴장성

    두통을 동반한 자(Table I)

    (2) 목의 전방 전위 자세 각도가 50° 이하인 자

    (3) 5시간 이상 사무직에 종사하는 자

    2) 제외 기준

    (1) 두통에 관련된 약을 복용하는 자

    (2) 뇌혈관 혹은 머리와 목에 문제가 있는 자

    (3) 목을 움직이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있거나 심각한

    목 손상이 있는 자

  •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www.e-jkmr.org 9

    A. Average headache frequency ≥15 days/month (180/year) for ≥6 months fulfilling crieria B-D listed below.B. At least 2 of the following pain characteristics:

    1. Pressing/tightening (non-pulsating) quality2. Mild or moderate intensity (may inhibit, but does not prohibit activities)3. Bilateral location4. No aggravation by walking stairs or similar routine physical activity

    C. Both of the following1. No vomiting2. No more than one of the following: Nausea, photophobia or phonophobia

    D.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1. History, physical - and neurological examinations do not suggest one of the disorders listed in groups 5-112. History and/or physical-and/or neurological examinations do suggest such disorders, but it is ruled out by appropriate

    investigations3. Such disorder is present, but tension-type headache attacks do not occur for the first time in close temporal relation to the

    disorder.

    Table I. Diagnostic Criteria of Tension-type Headac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1988)26)

    Fig. 2. Joint movement. Make smooth movement of neck joint.

    Fig. 1. Myofascial release. Relaxation of the muscles of the neck.

    2. 연구 방법

    두부 전방 전위 자세 각도가 50° 이하의 긴장성 두통을

    동반한 대상자에게 근육 이완 접근인 근막이완술, 관절

    가동 접근인 관절가동술, 근육 이완과 관절 가동 복합의

    접근인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을 적용하였을 때 목의

    움직임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

    하였다(Fig. 1, 2). 실험 전 목의 움직임과 일상생활 장애

    지수 평가를 위해 두통 장애 지수, 목 장애 지수를 평가하

    였다.

    그 후 각 그룹당 남자 3명, 여자 5명으로 세 그룹으로

    나누어 근막이완술, 관절가동술,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

    을 복합 적용하였으며, 한 달 동안 주 3회씩 15분간 중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2주에 한 번씩 목의 움직임, 두통 장애

    지수, 목 장애 지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성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KSU-18-03-006).

    3. 통계 처리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ver 23.0 (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다. Kolmogorov-Smirnov 검증법으

    로 정규성 검증 후 각 그룹의 중재 전, 중재 2주 후, 중재

    4주 후의 움직임과 일상생활 편안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배치분산분석(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였다. 측정 기간별 그룹 간

    중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기간별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

  • 김인균⋅이상열

    10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MFR JM MFR+JM p-value

    Age (Years) 31.75±4.89 28.75±5.67 29.25±5.28 0.49

    CVA (°) 43.62±2.82 42.37±4.27 44.37±4.13 0.57

    Time (min) 6.75±1.28 6.87±1.35 6.37±1.18 0.7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CVA: Craniovertebral angle.

    Table II. General Characteristics

    Group Pre (°)Post (°)

    F p-value2 week 4 week

    MFR 58.91±14.01 68.52±6.20 76.75±2.86 8.80 p

  •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www.e-jkmr.org 11

    Group Pre (°)Post (°)

    F p-value2 week 4 week

    MFR 37.60±3.97 40.91±2.65 43.28±1.75 12.24 p

  • 김인균⋅이상열

    12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Group Pre (°)Post (°)

    F p-value2 week 4 week

    MFR 67.60±7.42 73.46±7.73 82.45±5.30 14.21 p

  •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www.e-jkmr.org 13

    Group Pre (point)Post (point)

    F p-value2 week 4 week

    MFR 26.00±2.82 24.00±2.61 20.25±4.33 64.19 p

  • 김인균⋅이상열

    14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Group 0-2 week (°) 2-4 week (°) t p-value

    MFR 3.31±3.40 2.37±2.70 0.53 0.61

    JM 5.38±3.67 2.05±1.82 1.79 0.11

    MFR+JM 4.96±5.54 3.51±2.01 0.58 0.57

    F 0.51 0.96

    p-value 0.60 0.3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Table XIII. Comparison of Neck Right Lateral Bending Change

    Group 0-2 week (°) 2-4 week (°) t p-value

    MFR 11.01±5.30 9.93±4.78 0.39 0.70

    JM 12.52±11.85 6.45±8.16 0.94 0.37

    MFR+JM 9.77±9.40 5.27±9.48 0.86 0.41

    F 0.17 0.78

    p-value 0.83 0.4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Table XII. Comparison of Neck Extension Change

    Group 0-2 week (°) 2-4 week (°) t p-value

    MFR 10.97±12.55 7.23±7.62 0.72 0.49

    JM 13.85±11.84 7.52±4.20 1.45 0.18

    MFR+JM 9.60±8.18 6.66±9.27 0.52 0.61

    F 0.30 0.02

    p-value 0.73 0.9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Table XI. Comparison of Neck Flexion Change

    없었다(p>0.05). 또한 중재 방법 간의 변화량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able XIII).

    4) 목의 왼쪽 측면 굽힘 변화량 비교

    근막이완술 그룹의 목의 왼쪽 측면 굽힘 변화량 중 0~2

    주간은 5.03±5.08°, 2~4주간은 1.87±1.92°, 관절가동술 그

    룹의 목의 왼쪽 측면 굽힘 변화량 중 0~2주간은 2.41±3.55°,

    2~4주간은 2.53±2.37°,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 복합 그룹

    의 목의 왼쪽 측면 굽힘 변화량 중 0~2주간은 4.01±3.98°,

    2~4주간은 2.28±3.67°로 세 그룹 모두 목의 왼쪽 측면 굽

    힘 변화량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

    한 중재 방법 간의 변화량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p>0.05) (Table XIV).

    5) 목의 오른쪽 회전 변화량 비교

    근막이완술 그룹의 목의 오른쪽 회전 변화량 중 0~2주간

    은 7.06±8.63°, 2~4주간은 5.95±10.49°, 관절가동술 그룹의

    목의 오른쪽 회전 변화량 중 0~2주간은 10.47±10.22°, 2~4

    주간은 7.37±8.81°,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 복합 그룹

    의 목의 오른쪽 회전 변화량 중 0~2주간은 10.05±12.23°,

    2~4주간은 4.42±8.58°로 세 그룹 모두 목의 오른쪽 회전

    변화량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중재 방법 간의 변화량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Table XV).

  •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www.e-jkmr.org 15

    Group 0-2 week (°) 2-4 week (°) t p-value

    MFR 7.06±8.63 5.95±10.49 0.19 0.85

    JM 10.47±10.22 7.37±8.81 0.48 0.64

    MFR+JM 10.05±12.23 4.42±8.58 0.99 0.35

    F 0.25 0.20

    p-value 0.77 0.8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Table XV. Comparison of Neck Right Rotation Change

    Group 0-2 week (°) 2-4 week (°) t p-value

    MFR 5.03±5.08 1.87±1.92 1.48 0.18

    JM 2.41±3.55 2.53±2.37 -0.06 0.94

    MFR+JM 4.01±3.98 2.28±3.67 1.13 0.29

    F 0.77 0.11

    p-value 0.47 0.8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Table XIV. Comparison of Neck Left Lateral Bending Change

    Group 0-2 week (°) 2-4 week (°) t p-value

    MFR 5.86±4.41 8.98±9.39 -0.76 0.47

    JM 8.05±8.19 7.25±4.48 0.27 0.79

    MFR+JM 5.23±3.58 8.67±5.54 -1.70 0.13

    F 0.52 0.14

    p-value 0.59 0.8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MFR: myofascial release, JM: joint mobilization.

    Table XVI. Comparison of Neck Left Rotation Change

    6) 목의 왼쪽 회전 변화량 비교

    근막이완술 그룹의 목의 왼쪽 회전 변화량 중 0~2주간

    은 5.86±4.41°, 2~4주간은 8.98±9.39°, 관절가동술 그룹

    의 목의 왼쪽 회전 변화량 중 0~2주간은 8.05±8.19°, 2~4

    주간은 7.25±4.48°,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 복합 그룹

    의 목의 왼쪽 회전 변화량 중 0~2주간은 5.23±3.58°, 2~4

    주간은 8.67±5.54°로 세 그룹 모두 목의 왼쪽 회전 변화량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중재 방

    법 간의 변화량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able XVI).

    7) 두통 장애 지수 변화량 비교

    근막이완술 그룹의 두통 장애 지수 변화량 중 0~2주간

    은 3.25±2.60°, 2~4주간은 6.50±1.77°, 관절가동술 그룹

    의 두통 장애 지수 변화량 중 0~2주간은 2.75±3.19°, 2~4

    주간은 7.75±2.71°,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 복합 그룹

    의 두통 장애 지수 변화량 중 0~2주간은 2.25±3.91°, 2~4

    주간은 6.00±2.13°로 세 그룹 모두 두통 장애 지수변화량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XVII).

  • 김인균⋅이상열

    16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Group 0-2 week (point) 2-4 week (point) t p-value

    MFR 2.00±1.06 3.75±3.91 1.26 0.24

    JM 4.00±4.78 12.50±8.86* 3.32 p

  •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www.e-jkmr.org 17

    치료를 하는 선행 연구가 있었다16).

    선행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본고에서는 두부 전방 전위

    자세를 동반한 긴장성 두통 환자에게 근육 이완 치료적

    접근인 근막이완술과 관절 가동 접근인 관절가동술, 근육

    이완과 관절 가동 접근인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술 복합

    중재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목의 움직임, 두통 장애

    지수, 목 장애 지수의 일상생활 편안함이 중재 전후 비교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김인균⋅이상열

    18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안함의 개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본 연구는 기존 선행된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가

    져오는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보다 세분화된 직업군을 선택

    함으로써 사무직 종사자들에 대한 치료적 계획 수립에 도

    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치료적 중재 시점을 초기 중재 기간인 2주 이하보

    다는 4주 이상의 치료적 중재를 했을 때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함을 보여 주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령대가 20~30대를 대상으로 진

    행하였기에 이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

    었다. 그리고 모집 인원 대상이 작으며,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모든 직업군에 일반화를 시키기

    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목의 움직임 측정을 상⋅하부로

    구분하지 않고 전체적인 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목의 움

    직임 제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나이 및 직업군을 다양하게 하고,

    목의 움직임을 상⋅하부로 나누어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

    여 두부 전방 전위 자세와 긴장성 두통을 동반한 환자에

    게 일반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론»»»

    컴퓨터의 보급과 스마트폰 등의 보급으로 인해 사무직

    에 종사하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두부 전방 전위 자세

    와 긴장성 두통의 비중이 늘어나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

    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

    를 진행하였다.

    두부 전방 전위 자세를 동반한 긴장성 두통을 가진 사

    무직 종사자에게 치료적 중재인 근막이완술과 관절가동

    술을 적용하였으며, 이때 목의 움직임, 두통 장애 지수, 목

    장애 지수와 같은 일상생활 편안함의 개선에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5). 또한 관절가동술이 근막이완술, 근막

    이완술과 관절가동술 복합에 비해 목의 폄 개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목 장애 지수 변화량 비교도

    2~4주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References»»»

    1. Stovner LJ, Hagen K, Jensen R, Katsarava Z, Lipton RB,

    Scher AI, Zwart JA. The global burden of headache: a

    documentation of headache prevalence and disability

    worldwide. Cephalalgia. 2007;27(3):193-210.

    2. Guilbert JJ. The World Health Report 2006: working to-

    gether for health. Education for health (Abingdon, England).

    2006;19(3):385.

    3. Silberstein SD, Lipton RB, Solomon S, Mathew NT.

    Classification of daily and near-daily headaches: pro-

    posed revisions to the IHS criteria. Headache. 1994;

    34(1):1-7.

    4. Headac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lassification and diagnostic criteria

    for headache disorders, cranial neuralgias and facial pain.

    Cephalalgia. 1988;8(7):1-96.

    5. Melchart D, Linde K, Fischer P, White A, Allais G,

    Vickers A, Berman B. Acupuncture for recurrent head-

    ache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ephalalgia. 1999;19(9):779-86.

    6. Kim MJ, Lee KS, Kwak BM, Lee EK, Choi EH, Park YC,

    Hong KE. Clinical characteristic and roentgenographic

    finding of the cervical spine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2009;26(2):59-70.

    7. Fernández-de-las-Peñas C, Alonso-Blanco C, Cuadrado

    ML, Gerwin RD, Pareja JA. Trigger points in the sub-

    occipital muscles and forward head posture in ten-

    sion-type headache. Headache. 2006;46(3):454-60.

    8. Good M, Stiller C, Zauszniewski JA, Anderson GC,

    Stanton-Hicks M, Grass JA. Sensation and distress of pain

    scales: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J Nurs Meas.

    2001;9(3):219-38.

    9. van der Windt DA, Thomas E, Pope DP, de Winter AF,

    Macfarlane GJ, Bouter LM, Silman AJ. Occupational risk

    factors for shoulder pain: a systematic review. Occup

    Environ Med. 2000;57(7):433-42.

    10. Kim YS, Rhee KY, Jin JH, Kim JS. Study on the impact of

    use of technology on work environment and the health

    of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14;

    29(5):146-53.

    11. Fernández-de-Las-Peñas C, Cuadrado ML, Pareja JA.

    Myofascial trigger points, neck mobility, and forward head

    posture in episodic tension-type headache. Headache.

    2007;47(5):662-72.

    12.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Labor

    Environment Survey 2016 [Internet] 2016 [cited 2018 Oct

    24].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

    l.do?orgId=380&tblId=DT_380002_C002&vw_cd=MT_ZTITL

    E&list_id=380_38002_012&seqNo=&lang_mode=ko&langua

    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 근육 이완 접근과 관절 가동 접근이 긴장성 두통을 가진 두부 전방 전위 자세 환자의 목의 움직임 및 일상생활 편안함에 미치는 영향

    www.e-jkmr.org 19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Labor

    Environment Survey 2014 [Internet] 2014 [cited 2018 Oct

    24].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

    l.do?orgId=380&tblId=DT_380002_C002&vw_cd=MT_ZTITL

    E&list_id=380_38002_012&seqNo=&lang_mode=ko&langua

    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14. Mekhora K, Liston CB, Nanthavanij S, Cole JH. The ef-

    fect of ergonomic intervention on discomfort in com-

    puter users with tension neck syndrom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00;26(3):367-79.

    15. Côté P, Cassidy JD, Carroll LJ, Kristman V. The annual

    incidence and course of neck pain in the general pop-

    ulatio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Pain. 2004;

    112(3):267-73.

    16. Lee HR, Shim JH, Oh DW. Effects of high-frequency di-

    athermy integrated into suboccipital release on tender-

    ness and neck mobility and disability in people with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Physical Therapy Korea.

    2007;24(2):37-47.

    17. Kim CK, Lee ES. The changes of in headache due to

    postur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tension headache

    with forward head postur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Neurotherapy. 2016;20(3):27-32.

    18. Whittingham W, Nilsson N. Active range of motion in the

    cervical spine increases after spinal manipulation. Journal

    of Manipulative and Physiological Therapeutics. 2001;24(9):

    552-5.

    19. Hoving JL, Koes BW, de Vet HC, van der Windt DA,

    Assendelft WJ, van Mameren H, Devillé WL, Pool JJ,

    Scholten RJ, Bouter LM. Manual therapy, physical ther-

    apy or continued care by a general practitioner for pa-

    tients with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2002;136(10):713-22.

    20. Park JH. A study on the PAS release therapy used by

    myofascial releas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999;11(3):107-13.

    21. Oh HJ, Hwang BJ, Choi YR. Effects of cervical joint

    mobilization on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dis-

    ability index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4;8(2):89-96.

    22. Godges JJ, Mattson-Bell M, Thorpe D, Shah D. The im-

    mediate effects of soft tissue mobilization with proprio-

    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glenohumeral ex-

    ternal rotation and overhead reach.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003;33(12):713-8.

    23. Lee HS, Yoo JH. The effects of stretching and isometric

    exercise for chronic neck pain patient in strength and

    p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3):329-37.

    24. Kim JS, Chae YW. The effect of involuntary muscle con-

    traction due to forward head position in pressure pain

    threshold of pericranial muscl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0;12(3):339-47.

    25. Fernández-de-Las-Peñas C, Alonso-Blanco C, Cuadrado

    ML, Gerwin RD, Pareja JA. Myofascial trigger points and

    their relationship to headache clinical parameters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Headache. 2006;46(8):

    1264-72.

    26. Headac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lassification and diagnostic criteria

    for headache disorders, cranial neuralgias and facial

    pain. Cephalalgia. 1988;8(7):10-41.

    27. Marcus M, Gerr 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female office workers: associations with

    video display terminal use and occupational psychoso-

    cial stresso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1996;29(2):161-70.

    28. Yun MH, Lee YG, Eoh HJ, Lim SH. Results of a survey

    on the awareness and severity assessment of upper-limb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emale

    bank teller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01;27(5):347-57.

    29. Kim EJ, Kim JW, Park BR. Effects of sling exercise pro-

    gram on muscle activity and cervical spine curvature of

    forward head postur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1;11(11):213-20.

    30. Chae YW, Lee HM. The effect of craniocervical exercise

    on tension-type headache.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09;21(4):9-16.

    31. Kim IG, Lee SY.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and

    tension type headache on neck movement: for office

    worker.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8;30(4):

    107-11.

    32. Martín-Herrero C, Rodrigues de Souza DP, Alburquerque-

    Sendín F, Ortega-Santiago R, Fernández-de-Las-Peñas C.

    Myofascial trigger points, pain, disability and quality of

    sleep in patients with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a

    pilot study. Rev Neurol. 2012;55(4):193-9.

    33. Oguzhanogle A, Sahiner T, Kurt T, Akalin O. Use of

    amitriptyline and fluoxetine in prophylaxis of migraine

    and tension-type headaches. Cephalgia. 1999;19(5):531-2.

    34. Kim HJ, Jang C, Bae SS. The effects of mobilization on

    ne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3;15(3):679-91.

    35. Ajimsha MS. Effectiveness of direct vs indirect technique

    myofascial release in the management of tension-type

    headache.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001;15(4):431-5.

    36. Monzani L, Espí-López GV, Zurriaga R, Andersen LL.

    Manual therapy for tension-type headache related to

    quality of work life and work presenteeism: secondary

    analysi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lement

    Ther Med. 2016;25:86-91.

    37. Greenman PE. Principles of manual medicine. 3rd ed.

    Philadelphia: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50-68.

    38. Cho SH.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and

  • 김인균⋅이상열

    20 J Korean Med Rehabil 2019;29(1):7-20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exerciseon chronic ten-

    sion-type headache [dissertation]. Busan (KR):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4.

    39. Maitland GD, Hengeveld E, Banks K, English K. Maitland’s

    vertebral manipulation. 7th ed. Churchill Livingston:

    Edinburgh. 2005:183.

    40. Park KL, Lee IH, Koo CH, Bae SS. The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therapy on pain recovery for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18(1);33-40.

    41. Jennum P, Jensen R. Sleep and headache. Sleep Medicine

    Reviews. 2002;6(6):471-9.

    42. Finley MA, Lee RY. Effect of sitting posture on 3-di-

    mensional scapular kinematics measured by skin-mount-

    ed electromagnetic tracking sens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84(4):563-8.

    43. Barnes JF. Myofascial release the missing link in tradi-

    tional treatment. In: Hammer WI, ed. Functional soft tis-

    sue examination and treatment by manual methods. 2nd

    ed. Thorofare, SLACK Inc. 2004:59-81.

    44. Jeon HY, Jung HS, Bae SS. Effects of flexion-extension

    of stretching on craniocervical.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06;1(1):109-16.

  • www.e-jkmr.org 21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9 No. 1, January 2019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s://doi.org/10.18325/jkmr.2019.29.1.21 Original Article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전준영⋅이종수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and GB20 for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Jun-yung Jeon, K.M.D., Jong-soo Lee, K.M.D., Ph.D.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RECEIVED December 19, 2018

    REVISED January 9, 2019

    ACCEPTED January 11, 2019

    CORRESPONDING TO

    Jong-soo Lee,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23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Korea

    TEL (02) 958-9214

    FAX (02) 963-4983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9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bjectives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lectroacupuncture (EA)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GB20 for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CTTH).

    Methods Subjects aged 18-65 years who had suffered from CTTH for more than 3months

    were recruited from September 2016 to May 2017. Thirty subjects were voluntarily re-

    cruited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15 to EA group, another 15 to

    sham-EA group. The treatment sessions were performed every 2-4 days for a total of three

    sessions over 1 week. The symptoms of headache were assessed before the treatment

    and after a week from the last treatment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headache fre-

    quency (HF),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KHIT-6).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ll

    participa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upon using chi-square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values between baseline and follow-up. Wilcoxon

    rank sum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p-values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no difference in VAS and KHIT-6 was observed

    between groups. HF of EA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sham-EA

    group. Within the EA group VAS, HF and KHIT-6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Meanwhile, only KHIT-6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in sham-EA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EA on both side acupuncture point GB12 and

    GB20 is applicable to improve symptoms in patients with CTTH. (J Korean Med Rehabil

    2019;29(1):21-29)

    Key words Electroacupuncture, Tension-type headac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cupuncture point

    서론»»»

    긴장성 두통은 가장 흔한 일차성 두통으로 그 정의와

    지역에 따라 역학조사상 다양한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1).

    국제두통학회(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IHS)의 보

    고에 따르면 일생 동안 긴장성 두통을 겪을 확률은 30%

    에서 78%에 이르며 같은 일차성 두통인 편두통보다 유병

    률이 더 높다고 한다1). 긴장성 두통에는 일반적으로 1개

    월에 10회 이하로 빈도가 높지 않은 경우 진통제나 비스테

    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만성인 경우 amitriptyline과 같은

    항우울제를 사용하며2) 약물요법 외에 물리요법 등의 치

    료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 전준영⋅이종수

    22 J Korean Med Rehabil 2019;29(1):21-29

    A. Headache occurring on ≥15 days per month on average for >3 month (≥180 days per year) and fulfilling B-DB. Headache lasts hours or may be continuousC. Headache has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Bilateral location2. Pressing/tightening (non-pulsating) quality3. Mild or moderate intensity4. Not aggravated by routine physical activity such as walking or climbing stairs

    D. Both of following:1. No more than one of photophobia or mild nausea2. Neither moderate or severe nausea nor vomiting

    Table I. Definition of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in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riteria11)

    침 치료의 통증 완화 효과는 이미 입증된 바 있는데4),

    Cochrane Library에서 2016년에 발표한 체계적 문헌고찰5)

    에 따르면 단순 침 치료는 긴장성 두통에 대해 유의한 효

    과가 있었다. 미국의 경우 침 시술자의 9.9%가 편두통 등

    두통의 치료 목적으로 침을 시술하였다고 밝혔다6). 국내에

    서도 두통은 2014년 기준 한방의료기관의 다빈도상병 20

    순위 안에 포함되어 있고, 그 치료법으로 침이 가장 대중

    적으로 활용되었다7).

    긴장성 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전침 치료를 실시한 기존

    의 국내외 임상연구 중에는 긴장성 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상하지의 경혈에만 전침 치료를 하여 무작위 배정 교차대

    조군 연구를 실시한 Xue 등8)의 연구, 만성긴장성 두통 환

    자를 대상으로 하지에 분포한 경혈인 足三里 (ST36)와 上

    巨虛 (ST37)에 전침 치료를 하여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

    구를 실시한 Kwon 등9)의 연구, 만성긴장성 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목과 손 귀의 경혈 총 16부위에 자침 후 목 주

    변 경혈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무작위 배정 교차대조군 연

    구를 실시한 Chassot 등10)의 연구가 있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목 주위의 경혈에만 시행한 전침의 효과를 확인

    하고자 양측 完骨 (GB12)과 風池 (GB20)에만 전침 치료

    를 시행한 실험군과 비경혈점에 거짓 전침을 시행한 대조

    군을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1) 선정 기준

    2016년 9월 1일부터 2017년 5월 13일까지 모집 공고를

    통해 국제 두통분류 3판(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3rd edition, ICHD-3)의 만성 긴장성

    두통 진단 기준을 충족시키는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환

    자 30명을 모집하였다(Table I)11). 시험 참가 전 1주일간

    두통으로 인한 불편감이 100 mm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로 40 mm 이상이고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없으며 연구 기간 동안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치료를 받지 않기로 서면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토콜은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승인(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 번호: KOMCIRB-160620-HR-032)을 받았다.

    2) 제외 기준

    다음의 조건에 해당되는 환자는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

    하였다.

    (1) 두통의 원인이 특발성이 아닌 직접적인 원인으로

    생각되는 심각한 특정 질병 진단을 받은 자: 머리나

    목의 외상 혹은 손상, 편타성 손상, 수두증, 악성

    종양 등

    (2) 두개골 수술의 과거력이 있거나 수술이 연구 기간

    내에 예정된 경우

    (3) 허혈성 뇌졸중 등 두경부 혈관장애를 진단 받은 자

    (4) 지난 1년간 한 달에 한 번 이상 편두통 증상이 있

    었던 경우

    (5) ICHD-2의 다른 일차성 두통의 진단 기준에 더 부

    합되는 자

    (6)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자

    (7) 50세 이후에 발생한 두통

    (8) 치료 효과나 결과의 해석을 방해할 수 있는 다른

    만성적인 질환이 있는 경우

    (9) 인지기능이 심하게 저하되어 연구에 동의 및 협조

    가 어려운 환자

  •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www.e-jkmr.org 23

    Fig. 1. Intervention of each groups. (A) Intervention for electroacupuncture group. (B) Intervention for sham-electroacupuncture group.

    (10) 두통으로 인한 소송 혹은 보상 관련 환자

    (11) 현재 corticosteroids, narcotics, 근이완제, 두통 치

    료를 위한 한약을 복용 중이거나 기타 연구자가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약물을 복용한 경우

    (12) 동의서 서명을 거부하는 경우

    (13) 임상연구에 참여하거나 치료를 받는 것이 힘든 경우

    (마비, 심각한 정신적 혹은 심리적 이상, 치매, 약물

    중독, 연구에 참가할 시간이 안 되는 경우, 심각한

    시각이나 청각의 이상, 통원이 불가능한 경우, 한국

    어로 읽고 쓰기가 안 되는 경우 등)

    3) 무작위 배정

    본 연구는 전침군과 거짓전침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

    는데 피험자를 두 군에 무작위 배정할 때 R 3.2.5 for

    Windows (Microsoft, Redmond, WA, USA)를 이용해 블록

    무작위 배정을 실행하였다. 블록 크기는 6으로 하여 총

    30명을 두 군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2. 시술

    시술은 임상 경험이 3년 이상인 한의사 1명에 의해 이

    루어졌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 for

    Acupuncture Point Locations12)에 맞춰서 취혈하였고 두

    집단 모두 첫 방문 시점부터 시술하여 3일 간격으로 총 3

    회 전침 또는 거짓전침을 시행하였으고, 치료가 종료된 세

    번째 방문 시점으로부터 7일 후에 내원하도록 하여 두통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방문 예정일에는 하루의 오차를 허용

    하였다(Appendix I).

    1) 전침군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한 뒤 양측 完骨 (GB12), 風池

    (GB20) 총 4부위에 자침한 뒤 양쪽 모두 完骨 (GB12),

    風池 (GB20)를 짝지어 침전기자극기 단자를 연결하고 2

    Hz로 20분간 전기자극을 가하였다(Fig. 1A). 전기자극의

    강도는 자극을 느끼기 시작하는 감각 역치와 통증을 느끼

    기 시작하는 통각 역치의 평균으로 하였다9).

    2) 거짓전침군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한 뒤 좌우 대칭으로 비경혈점

    총 4부위에 자침한 뒤 양측의 비경혈점을 짝지어 침전기

    자극기 단자를 연결하고 전침군과 마찬가지로 침전기자

    극기의 전원을 켜고 작동음이 나도록 하되 실제 전기자극

    은 가하지 않았다(Fig. 1B). 전침군과 마찬가지로 20분간

    시행하였다.

    3. 평가

    평가는 시술자가 아닌 평가자 1명에 의해 이루어졌다.

    매 평가 시점마다 두통 VAS, 두통 빈도, 한국어판 두통영향

    검사(Korean Headache Impact Test-6, KHIT-6)13)에 대한

  • 전준영⋅이종수

    24 J Korean Med Rehabil 2019;29(1):21-29

    Fig. 2. Study subjects flow diagram.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는데, 총 세 차례(처음 방문했을

    때, 세 차례 전침 또는 거짓전침을 시행한 직후, 치료 종료

    후 7일 뒤인 네 번째 방문)에 걸쳐 평가하였다.

    1) 주평가지표

    100 mm 두통 VAS: VAS는 왼쪽 끝을 0 (통증 없음),

    오른쪽 끝을 100 (극심한 통증)으로 하여 연구 대상자가

    현재 자신의 두통 정도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하

    였다. 시술 전후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첫 방문 시

    점과 네 번째 방문 시점의 변화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2) 부평가지표

    (1) 두통 빈도

    두통 빈도는 리커트 5점 척도(5-point Likert scale)를

    이용하였다. 측정 시점으로부터 앞선 1주일간 두통의 빈

    도에 대한 서술이 적힌 선택지 다섯 가지를 제시하고 환자

    본인이 해당되는 선택지에 체크하도록 하였다. 1주일간

    전혀 혹은 거의 없었다고 응답한 경우 1점, 1주일간 1~2일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 2점, 1주일간 3~4일 있었다고 응답

    한 경우 3점, 거의 매일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 4점, 하루

    에도 여러 번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 5점을 부여하였다.

     (2) 한국어판 두통영향 검사(KHIT-6)

    여섯 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장성 두통뿐만

    아니라 편두통을 포함한 두통 전반이 환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사회기능, 역할기능,

    인지기능, 심리적인 고통, 활력도를 측정하기 위한 여섯

    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Appendix II). 각 질문에 대

    해 다섯 가지의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답변에 따라 36~78점의 점수를 산정한다14).

    4. 통계 분석

    통계 처리는 SPSS 18.0 for Windows (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각 측정값들을 평균(mean)±표준편

    차(standard deviation), 중위수(median), 사분위수(interquartile

    range)로 표시하였다. 전침군과 거짓전침군 간의 성별 비

    율에 대해서는 chi-square test를 시행하고, 각 실험군 내

    에서 치료 전과 추적조사 사이의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같은 시점에서 두 군 사이의 비교는 Wilcoxon

    rank sum test를 사용하였다. 각 분석에 대해 p-value

  •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www.e-jkmr.org 25

    EA Group (n=15) Sham-EA Group (n=15) p-value

    Baseline (1st visit) 57.07±12.04 61.47±14.97 0.442

    Follow-up (4th visit) 44.93±17.02 54.00±14.78 0.164

    p-value 0.013* 0.109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EA: electroacupuncture.*p

  • 전준영⋅이종수

    26 J Korean Med Rehabil 2019;29(1):21-29

    EA Group (n=15) Sham-EA Group (n=15) p-value

    Baseline (1st visit) 58.07±5.38 60.27±4.42 0.405

    Follow-up (4th visit) 54.00±6.98 57.93±4.73 0.131

    p-value 0.003* 0.016*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EA: electroacupuncture.*p

  •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www.e-jkmr.org 27

    유의하게 호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침은 거짓전침에

    비해 특히 두통 빈도를 유의하게 낮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전침이 만성 긴장성 두통을 호전시킨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거짓전침군에서 KHIT-6가 유의

    하게 호전된 것은 인지기능, 심리적 고통, 활력도와 같이

    심리적 상황과 밀접한 증상을 평가하는 KHIT-6의 특성상

    Leibing 등21)의 연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증의 완화

    를 기대하는 환자의 심리가 다른 평가지표보다 KHIT-6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 참여한 30명의 연구 대상자 중 탈락한 3명은

    모두 방문 일시를 지키지 않아 추적관찰 실패로 탈락한 것

    으로, 이상반응으로 인해 중도 탈락한 자는 없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침 치료의 안전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파일럿 연구로

    서 표본의 크기가 한정적이라는 점이다. 비록 유의한 차

    이는 아니었지만 거짓전침군에서도 치료 전후로 VAS, 두

    통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표본의 크기가 커지면

    이러한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날 가능성

    도 배제할 수 없다. 둘째, 대상자가 침 치료와 비교적 친

    숙한 한국인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심리적 기대감이나 편

    견 등으로 인해 평가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

    로 다른 두 평가지표에 비해 심리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

    상되는 KHIT-6의 결과가 다른 지표와 다르게 거짓전침군

    에서도 유의하게 호전된 것은 이러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결론»»»

    만성 긴장성 두통에 있어 양측 完骨 (GB12), 風池 (GB20)

    에 대한 전침 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0명을 대상으로 15명씩 전침군, 거짓전침군으로 나누어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

    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침군은 치료 전후로 VAS, 두통 빈도, KHIT-6가 모

    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거짓전침군에서는 KHIT-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

    소하였고 VAS와 두통 빈도는 감소한 경향은 있었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치료 전 두 군 사이에 VAS, 두통 빈도, KHIT-6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치료 후 두통 빈

    도는 전침군에서 거짓전침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낮았다.

    이로 보아 양측 完骨 (GB12), 風池 (GB20)에 대한 전침

    시술은 만성 긴장성 두통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References»»»

    1. Stovner LJ, Hagen K, Jensen R, Katsarava Z, Lipton R,

    Scher A, Steiner T, Zwart JA. The global burden of head-

    ache: a documentation of headache prevalence and dis-

    ability worldwide. Cephalalgia. 2007;27(3):193-210.

    2. Pfaffenrath V, Brune K, Diener HC, Gerber WD, Göbel

    H. Treatment of tension-type headache. Recommendation

    of German Migraine and Headache Society. Shmerz.

    1998;12(2):156-70.

    3. McCrory DC, Penzien DB, Hasselblad V, Gray RN.

    Evidence Report: Behavior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Tension-Type and Cervicogenic Headache. 1st ed.

    DesMoines:Foundation for Chiropractic Education and

    Research. 2001:2085.

    4. Hugh MP, Richard H, George L, Rosa S. Acupuncture

    Research: Strategies for Establishing an Evidence Base.

    1st ed. London:Churchill Livingstone. 2007:195-8.

    5. Linde K, Allais G, Brinkhaus B, Fei Y, Mehring M, Shin

    BC, Vickers A, White AR. Acupuncture for the prevention

    of tension‐type headache [Internet] 2016 [cited 2017 May 1].

    Available from: URL: https://www.cochranelibrary.com/

    cdsr/doi/10.1002/14651858.CD007587.pub2/full.

    6. Burke A, Upchurch DM, Dye C, Chyu L. Acupuncture use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tudy.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6;12(7):639-48.

    7.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utilization and consumption. 1st ed. Seoul:Human Culture

    Arirang. 2014:568-714.

    8. Xue C, Dong L, Polus B, English R, Zheng Z, Da Costa

    C, Li C, Story D. Electroacupuncture for tension-type

    headache on distal acupoints only: a randomized, con-

    trolled, crossover trial. Headache. 2004;44(4):333-41.

    9. Kwon YJ, Lee DH, Lee UI, Park KM, Lee SH. Effects of

    fixed-intensity and varied-intensity electroacupuncture in

    pain and sensory threshold in patients with chronic ten-

    sion headach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2012;29(4):25-34.

    10. Chassot M, Dussan-Sarria J, Sehn F, Deitos A, de Souza

    A, Vercelino R, Torres I, Fregni F, Caumo W.

    Electroacupuncture analgesi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 전준영⋅이종수

    28 J Korean Med Rehabil 2019;29(1):21-29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 chronic ten-

    sion-type headache: a randomized, sham controlled,

    crossover trial.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5;15:144.

    11. Headac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3rd edition (beta version). Cephalagia.

    2013;33(9):629-808.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1st ed. Manil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110-24.

    13. Chu MK, Im HJ, Ju YS, Yu KH, Ma HI, Kim YJ, Kim JY,

    Lee BC.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HIT-6). J Korean Neurol Assoc.

    2009;27(1):1-6.

    14. Kosinski M, Bayliss MS, Bjorner JB, Ware JE Jr, Garber

    WH, Batenhorst A, Cady R, Dahlof CG, Dowson A, Tepper

    S. A six-item short-form survey for measuring headache

    impact: the HIT-6. Qual Life Res. 2003;12(8):963-74.

    15. Julious SA. Sample size of 12 per group rule of thumb

    for a pilot study. Pharmaceut Statist. 2005;4(4):287-91.

    16. Johanson GA, Brooks GP. Initial scale development sam-

    ple size for pilot stud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10;70(3):394-400.

    17. Lyngberg AC, Rasmussen BK, Jørgensen T, Jensen R.

    Prognosis of migraine and tension-type headache: a

    population-based follow-up study. Neurology. 2005;65(4):

    580-5.

    18. Choe JR. Studies in muscle contraction headache. The

    Korean Journal of Pain. 1990;3(2):150-9.

    19.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Meridians and Acupoints

    textbook from school and graduate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Practice Guidebook of Meridians and

    Acupoints. 1st ed. Seoul:Palm Tree Publishing Company.

    2010:331-550.

    20. Kim BH, Kim K, Nam HJ.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ystemic manual acupuncture, periauricular

    electroacupuncture, and digital electroacupuncture to treat

    tinnitus: a randomized, paralleled, open-labeled exploratory

    trial.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7;17(1):85.

    21. Leibing E, Leonhardt U, Köster G, Goerlitz A, Rosenfeldt

    JA, Hilgers R, Ramadori G. Acupuncture treatment of

    chronic low-back pain -- a randomized, blinded, place-

    bo-controlled trial with 9-month follow up. Pain. 2002;

    96(1-2):189-96.

  • 만성 긴장성 두통에 대한 양측 완골과 풍지혈 전침 치료의 효과: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 대조군 파일럿 연구

    www.e-jkmr.org 29

    처치 내용 항목 기술 세부사항

    침 치료에 대한 논거 1 침법의 종류 근위 취혈

    치료법의 근거 긴장성 두통에 대한 가설 중 대후두신경을 포착하는 두반극근과 두판상근의 근막방아쇠점 부위의 치료

    자침에 대한 상세한 내용 2 자침 수 4

    사용한 경혈 이름 完骨 (GB12), 風池 (GB20)

    자침 깊이 0.8~1 cm

    침 자극의 형태 전침 2 Hz

    유침 시간 20분

    침의 형태 멸균 일회용 침(0.25×40 mm)

    처치 내용 3 치료 횟수 3회

    치료 빈도 1회/2-4일

    함께 처치한 내용 4 다른 처치 없음

    시술자의 배경 5 침 시술자에 대한 서술 한방병원에서 3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갖춘 한의사

    대조군 처치 6 대조군 설정에 대한 논거 일반적으로 전침의 대조군으로 설정되는 비경혈점 거짓전기자극군을 대조군으로 설정

    참가자의 맹검 여부 참가자에 대한 맹검 시행함

    대조군 처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

    角孫 (TE20, auricular apex가 머리에 닿는 지점)과 외후두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를 직선으로 연결한 가상의 선을 3등분하여 발생하는 선상의 양끝을 제외한 두 지점을 자침하여 양쪽으로 총 4부위에 0.3~0.5 cm 깊이로 자침한 뒤 20분간 침전기자극기를 작동시켜 소리만 나게 하고 통전은 되지 않도록 함

    STRICTA: Standards for Reporting Interventions in Clinical Trials of Acupuncture.

    Appendix I. STRICTA of Intervention

    Appendix II.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KHIT-6)12)

  • www.e-jkmr.org 31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Vol. 29 No. 1, January 2019

    pISSN 1229-1854 eISSN 2288-4114

    https://doi.org/10.18325/jkmr.2019.29.1.31 Original Article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의과 및 한의과 의료기관 이용 현황

    비교 분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박주성*⋅김남권†⋅송윤경*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A Comparative Analysis on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Tendency of Total Knee Arthroplasty Patients Using Patients Sample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Joo-sung Park, K.M.D.*, Nam-Kwen Kim, K.M.D.†, Yun-kyung Song, K.M.D.*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한국

    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

    발사업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과

    제고유번호: HB16C0011).

    본 연구는 2018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임.

    RECEIVED December 12, 2018

    REVISED January 18, 2019

    ACCEPTED January 18, 2019

    CORRESPONDING TO

    Yun-kyung Song, Department of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21 Keunumul-ro, Jung-gu,

    Incheon 22318, Korea

    TEL (032) 770-1298

    FAX (032) 468-4033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19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bjectives To obtain future research basis of Korean Medicine for total knee arthroplasty

    patient by analyzing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nd treatment duration.

    Methods Data sampling was performed o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patient data of 2015 (Confidence level of 97%) to analyze patients'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tendency. Sampling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 Patients

    who completed their treatment within 5 months of total knee arthroplasty, ii) Patients who

    continued their treatment after 5 month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o investigate patients'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tendenc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carefully

    monitor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otal of 1,655 patients had gone through total knee arthro-

    plasty out of 1,453,486 patients who were gathered for sampling. First sampling group

    (Patients who completed their treatment within 5 months of total knee arthroplasty) was

    287 patients and second sampling group (Patients who continued their treatment after 5

    months of total knee arthroplasty) was 385 patien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visited

    Korean Medical service in first sampling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second sampling

    group.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and cost con-

    sumed by second group (Patients who continued their treatment after 5 months of total

    knee arthroplasty) was higher than that of first group (Patients who continued their treat-

    ment after 5 months of total knee arthroplasty). It is highly recommended to continue with

    further study for efficient medical and Korean Medical service and reduced cost. (J Korean

    Med Rehabil 2019;29(1):31-39)

    Key words Knee Arthroplasty, Health Services, Comparative Study

    서론»»»

    현대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퇴행성 질환인 슬관절 골

    관절염의 발생 빈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슬관절 골관절염에 대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써 통증의

    제거 및 슬관절 운동 기능의 회복을 목표로 인공 슬관절

  • 박주성⋅김남권⋅송윤경

    32 J Korean Med Rehabil 2019;29(1):31-39

    Code Contents

    N2072 Replacement arthroplasty, Total arthroplasty, Knee

    N3712 Revision of replacement arthroplasty, Total arthroplasty, Knee

    N3717 Revision of replacement arthroplasty, Total arthroplasty, Knee, Complex

    N3727 Revision of replacement arthroplasty, Total arthroplasty, Knee, Resection of previous artificial implant, Complex

    Table I. Code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Procedure on Total Knee Arthroplasty

    전치환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는데, 10년 이상의 장기적인

    추시에 따르면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인다1).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10년

    간 10만 명당 척추수술 건수는 165% 증가하였고, 슬관절

    전치환술은 190%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3). Cho 등4)

    의 연구에 따르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는 퇴행

    성 관절염 84.7%, 류마토이드 관절염 7.6%, 골괴사 3.8%

    의 순으로 나타나 퇴행성 관절염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수술 후 재활에 있어서,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자유롭게 보행하고 일상생활에 복귀하

    기까지 일반적으로 2∼3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후 완전한 회복까지는 1년 이상이 소요된다.

    수술 후 어떠한 재활 과정을 거치느냐에 따라서 회복 속

    도의 차이는 매우 크다5).

    한의학계에서도 슬관절 전치환술 후 환자에 대한 보고6,7)

    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며, 수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