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문서번호 관광사업과-3024 결재일자 2012.12.18.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401호 시 민 주무관 관광사업과장 문화관광디자인본부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협 조 ★교통정책과장 행정과장 버스정책과장 택시물류과장 교통운영과장 보행자전거과장 보도환경개선과장 공원녹지정책과장 시설부장 역사문화재과장 한양도성도감과장 디자인정책과장 공공디자인과장 관광진흥팀장 1,000만외래관광객시대에부응하는 다국어 안내표지판 종합 개선계획 2012.12.17. 문화관광디자인본부 (관광사업과) 작 성 자 과명 : 관광사업과 담당 :김경원(☎2171-2457), 안 병석(☎3707-9422) 팀장 : 오경희(☎3707-9440) 과장 : 박진영(☎3707-9410)

New 다국어안내표지판종합개선계획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03/WIKI/F... · 2015. 5. 1. · - 2 - 추진경과 외국어표기순서개편(’12.7.18:국제협력과)-영어→중국어→일본어순으로표기순서확정(외국인이용자수감안)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문서번호 관광사업과-3024

    결재일자 2012.12.18.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401호

    시 민

    주무관 관광사업과장 문화관광디자인본부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협 조

    ★교통정책과장

    행정과장

    버스정책과장

    택시물류과장

    교통운영과장

    보행자전거과장

    보도환경개선과장

    공원녹지정책과장

    시설부장

    역사문화재과장

    한양도성도감과장

    디자인정책과장

    공공디자인과장

    관광진흥팀장

    1,000만 외래관광객 시대에 부응하는

    다국어 안내표지판 종합 개선계획

    2012.12.17.

    문화관광디자인본부(관광사업과)

    작 성 자 과명 : 관광사업과 담당 :김경원(☎2171-2457), 안병석(☎3707-9422) 팀장 : 오경희(☎3707-9440) 과장 : 박진영(☎3707-9410)

  •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 시 민 : 유 ■ ( 외국어표기 기준 ) 무 □

    ● 이 해 당 사 자 : 유 □ ( ) 무 □

    ● 전 문 가 : 유 ■ ( 자문위원회 ) 무 □

    ● 옴 브 즈 만 : 유 □ ( ) 무 □

    법 령 및 기 타

    고 려 사 항

    ● 법 령 규 정 : 교통 □ 환경 □ 재해 □

    기타 ■ (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 무 □

    ● 기 타 사 항 :

    취약계층 □ 성인지 □ 장애인 □ 디자인 □

    갈등발생 가능성 □ 유지관리 비용 □ 무 ■

    타 자 원 의

    활 용

    ● 중 앙 부 처 : 유 □ ( ) 무 ■

    ● 민 간 단 체 : 유 □ ( ) 무 ■

    ● 기 업 : 유 □ ( ) 무 ■

    관 계 기 관 및

    단 체 협 의

    ● 관 계 기 관 : 유 □ ( ) 무 ■

    ● 민 간 단 체 : 유 □ ( ) 무 ■

    ● 시 산 하 기 관 : 유 ■ ( 시설관리공단 ) 무 □

  • Ⅰ.추진배경 및 추진경과 1

    Ⅱ.안내표지판 외국어 표기현황 및 장애요인 3

    Ⅲ.안내표지판 종합개선방안 5

    1.외국어 표기방법 표준화 6

    2.외국어 병기시 디자인 표준화 7

    3.분야별 정비추진계획 9

    Ⅳ.추진 및 점검체계 17

    붙 임 [1~8] 20

    목 차

  • - 1 -

    1,000만 외래관광객 시대에 부응하는

    다국어 안내표지판 종합 개선계획

    다양한 안내표지판에 대한 외국어 표기기준 설정,표준디자인 마련 등

    신규설치 및 정비를 통해 서울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개선하고자 함

    Ⅰ 추진배경 및 추진경과

    추진배경

    ❍ 외국인 한국여행시 주요 불편사항으로 ‘언어소통’과 ‘안내표지판’지적

    -1위(언어소통),2위(안내표지판),3위(교통혼잡),4위(비싼 물가)

    여행경로

    ①공 항 ⇒ ②교통수단 ⇒ ③숙 소 ⇒ ④관광지

    안내

    체계

    관광안내소 안내표지판 지도․홍보물

    웹사이트(VisitSeoul) 안내전화(120)

    -대부분의 안내표지판이 한․영으로 표기(도로․도로명주소․사설․지하철 등)

    ❍ 개별관광객(FIT)증가로 체계적인 관광안내체계 개선 및 구축 필요

    -외래관광객 방문형태(’11):개별여행 65%,단체여행 26.5%,에어텔 8.5%

    ❍ 외국어 관광안내정보 미비로 관광객에게 이용 불편과 혼란 초래

    -홍보물,안내표지판,안내방송 등 관광 접점에서 통일된 기준 필요

    시장요청사항 제238호(’12.3.12)

    ◇ 교통표지판,관광안내표지판 등 각종 사인물을 보면 외국어 표기 순서가

    제각각임.~ 중략 ~ 이번 기회에 외국어표기 T/F를 구성하여 외국어

    표기 순서 및 표기 오류 개선을 위한 외국어표기 지침을 마련해 주기 바라며,

    ◇ 서울시내의 모든 공공 사인물에 대한 종합적인 표기 개선대책을 추진해 주기 바람.

  • - 2 -

    추진경과

    ❍ 외국어 표기 순서 개편(’12.7.18:국제협력과)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순으로 표기순서 확정 (외국인 이용자수 감안)

    ❍ 안내표지판 외국어 표기개선 추진계획 수립(’12.9.12공공디자인과)

    - 4개국어 표기 기준 및 안내판 표준디자인 정립 등 추진방향 설정

    ❍ 안내표지판 외국어 표기개선 관련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12.9.18)

    -사설안내표지판 :‘표준디자인 매뉴얼’개정 필요

    -보행자 안내표지판 :외국어 표기 기준 및 표준디자인(안)개정 필요

    -지하철 안내표지판 :진행중인 ‘2012표준형 디자인’개발내용에 개선방향 반영 필요

    -관광안내표지판 :서울시 표준가이드라인 수립하여 시행 필요

    ❍ 안내표지판 외국어표기 종합개선 업무추진회의 개최 (’12.10.8)

    -안내표지판별 설치 및 교체시점을 고려하여 추진하되,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곳을

    대상으로 4개국어 표기 우선 추진(출입구 폴사인,내․외부역명판,편의시설안내사인,매표구 등)

    ❍ 외국어표기 관련 표준디자인 서울시민디자인위원회 심의 (’12.10.10)

    -,개정사항심의․의결

    ❍ 서울시 중문표기 기준 보완 (’12.11.12)

    -서울시 중문표기 자문위원회를 통해 표기원칙 보완 및 간/번체 우선순위 등 결정

    ❍ 서울시 일문표기 기준 마련 (’12.11.14~11.16)

    -한국관광공사와 협의를 거쳐 일문표기 서울시 자문위원회를 통해 일문표기 결정

    ❍ 서울시 외국어 표기기준 표준화계획 시민의견수렴 (’12.12.7~12.19)

    -자문회의를 통해 마련된 외국어표기기준(영․중․일)에 대한 공개 의견수렴 진행

    외국어(영․중․일)

    표기기준 마련

    (’12.7~’12.11) ⇒

    안내표지판별

    디자인기준 마련

    (’12.10) ⇒

    정비․신설 등 종합

    개선계획 수립․실행

    (’12.12~)

    국제협력과/관광사업과 공공디자인과 관광사업과

  • - 3 -

    Ⅱ 안내표지판 외국어 표기 현황 및 장애요인

    안내표지판 현황

    ❍ 여러 부서(기관)에서 개별규정에 의거,다양한 표지판을 설치․관리 중

    -표지판별(7종/144,564개)관련규정 및 관리주체가 모두 상이

    구 분 설치개수 사 례 표기 현황 관련 규정 관리주체

    도 로

    표지판10,250

    한 ․ 영(관광지는 한자병기

    가능)

    도로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지침((국토해양부)

    자치구(시 교통운영과 총괄)

    도로명주소

    도로명판31,954

    한 ․ 영 31,343

    한․ 영․중 436

    한 ․ 영․일 175

    도로명주소 안내시설규칙(행정안전부)

    자치구(시 행정과 총괄)

    보 행 자

    안내표지판1,134

    한․영 525

    한․영․일․중 609

    디자인심의(서울시)

    외국어표기서울시자문위원회 활용

    자치구(시 보행자전거과 총괄)

    사 설

    안내표지판11,490 한 ․ 영

    표준디자인 매뉴얼(서울시)

    외국어 표기(서울시외국어표기사전)

    자치구(시 보도환경개선과

    총괄)

    지하철

    안내표지판88,210

    한 ․ 영(일부 한자 병기)

    지하철안내체계개선기준안 (서울시)

    서울메트로,

    도시철도공사(시 교통정책과 총괄)

    문화재

    안내표지판1,350 한 ․ 영

    (373개는 한․영․일․중)

    외국어 표기기준(문화재청)

    디자인 기준(서울시)

    역사문화재과

    관 광

    안내표지판176

    (종합68, 유도108)

    한 ․ 영(일부 일․중 병기)

    표준디자인․ 가이드라인(한국관광공사)

    자치구(시 관광사업과 총괄)

    ❍ 미술관,박물관,공원,경기장,공공청사 등 외국인 방문이 예상되는 시설물내

    안내표지는 기관별로 관리되고 있어,시 전체적인 기준적용 및 현황파악이 미흡

  • - 4 -

    현행 안내표지판 개선의 장애요인

    ❍ 통일된 외국어 표기기준 부재

    -중문․일문 표기에 관한 중앙정부 차원의 통일된 표기 원칙 부재

    -영문표기 지침(로마자 표기법)만으로는 다양한 한글명칭(지명,기관명,문화재명 등)을

    모두 표기하기에 불충분하여 같은 단어를 서로 다르게 표기하는 사례 발생

    ※ '한강'을 HanRiver,HangangRiver,Hangang(Riv)등으로 표기

    -안내판별 근거규정에 따라 다수언어 표기가 금지되어 있는 경우도 존재

    ※ 도로표지판은 도로표지규칙(제5조)에 따라 한글과 영문(로마자)만 병기 가능

    ❍ 외국어 병기(倂記)시 ‘표준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부재

    -시설별로 ‘공공사인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 보행자(’12),사설(’12),지하철(’12),문화재(’09),공영주차장(’09),공사안내판(’11)

    -현존하는 가이드라인도 다국어병기에 대한 내용이 없어 외국어병기시

    글자별 규격과 색상 등에 대한 통일성이 결여

    ❍ 기 정비된 안내표지판의 경과기간이 짧아,재정비에 소극적 태도

    구 분 설치 및 정비현황 ’13년 편성예산

    도로명주소표지판 ‘11년 상반기 정비 완료(31,954개소)219백만원(유지보수비용)

    보행자안내표지판 ’09년 설치완료(1,134개소) 미편성

    사설안내표지판 ’12년 11월 현재 80.7% 정비완료(9,277개소)미편성

    (민간부담)

    지하철안내표지판 도철 ’10년 919개,메트로 ’11년 952개 정비 메트로 450백만원도시철도 50백만원

    문화재안내표지판 ’09~’12년 373개(전체의 28%)정비완료 63백만원

    관광안내표지판 ’09~’11년 중구․종로구 교체․정비(28개소)900백만원(북촌 200포함)

  • - 5 -

    Ⅲ 종합 개선방안

    〈개선방향〉

    ❍ 표기 표준화 :내용통일(명칭․위치 등)

    -우리시 외국어(영․중․일)표기기준 확정을 통한 표기표준화

    -안내표지판 제작시 4개 언어(한․영․중․일어)표기 원칙 확립

    ❍ 디자인 표준화 :형식통일(규격․소재․색상 등)

    -모든 기관이 즉시 공통적용 가능한 외국어병기 표준디자인 가이드라인 제공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있는 시설은 외국어병기 기준만 즉시 추가토록 조치

    ❍ 외국인 방문빈도가 높은 지역을 우선 정비하되,단계별 추진

    -3년내 전부교체를 목표로 추진하되,교체주기 및 예산을 고려 단계적으로 추진

    -5개 관광특구(이태원,명동,동대문,종로,잠실)및대표관광지(남산,한강 등)는 ’13년 즉시추진

  • - 6 -

    1 외국어 표기방법 표준화

    ❍ 표기기준 :서울시 외국어(영․중․일)표기기준

    ① 영 어 :외국인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의미역(意味譯)병기 활성화

    예)Namsan(Mountain), Hangang(River),Gwanghuimun(Gate)

    ② 중국어 :간/번체 병기가 어려운 경우 “간체”우선 표기

    ③ 일본어 :가타카나표기를원칙으로하되,한자가있는국어의고유명사는국어의한자

    표기방식에따라한자병기가능하고,보통명사는일본어의한자표기에따라한자로표기

    예)시청 :市厅,까치산 :カチ山,잠실 :チャムシル(蠶室),화장실 :お手洗い, トイレ

    ※ 별첨 참조 :영어(’12.12월 개정),중국어(’12.12월 개정),일본어(’12.12월 제정)

    ❍ 표기사전

    -영문 표기사전 :http://englishname.seoul.go.kr(41,594개 단어 수록)

    -중문 표기사전 :http://chinesename.seoul.go.kr:8080(내 부 망/ 8 ,500개 단 어 수 록 )

    -일문 표기사전 :4,500개단어 데이터 관리중,부서요청시 자료제공중

    ※ ’13년 6월에 영․중․일 통합 웹사이트 구축 시민개방 예정

    ❍ 표준화범위 :14개 분야

    -행정구역명(시․도,시․군․구,읍․명․동),공공기관(조직․부서)명,자연지명,

    -교통 관련지(도로․교량․지하철역 등)명,문화/체육관련시설명,의료복지시설명

    -교육/언론/종교기관명,관광/숙박/쇼핑시설물명,기업체 단체 개인상호명

    -음식물명,언론/종교기관명,교육기관 및 학과명,한류문화(드라마명 등)관련 용어명

    -산업명(농업․공업․서비스업 등),물품명(산업별 생산물품)등

    ※ 시민의견 수렴(’12.12.6~12.19)후 자문위원회 개최를 통한 추가 보완 예정

    ❍ 추진절차 :관광사업과에 자문요청후 반드시 자문결과에 따라 시행

    표기안 마련및 자문의뢰

    표기안사전 검토

    외국어표기자문위원회자 문

    외국어 표기확정․통보

    외국어 표기사전수록 및 활용

  • - 7 -

    2 외국어 병기시 디자인 표준화

    ① 다국어 병기시 디자인 원칙(위치/색채/서체 및 글자크기)

    구분 원 칙 내 용

    3행

    표기

    -한글표기 하단부에 영어를, 영어 하단부에 중국어,일본어를 순차적으로 표기.

    -중국어, 일본어의 서체 높이는 영어크기와 같게 표기함을 원칙. 단, 외국어 서체 높이

    의 합(여백포함)은 한글서체의 높이와 같게 한다.

    2행

    표기

    -한글표기 우측부에 외국어 표기를 하되, 상단부에는 영어,하단부에는 중국어,

    일본어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표기한다.

    -외국어 서체 높이의 합(여백포함)은 한글서체의 높이와 같게 한다.

    1행

    표기

    -한글표기 우측부에 영어,중국어,일본어를 순차적으로 표기한다.

    -각 외국어(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서체 높이는 같게 하고, 한글서체보다 크지 않게

    하되 서체의 높이가 한글서체 높이의 60%이상 되도록 한다.

    바탕/

    글자색

    -글자의 색은 표기대상의 바탕색과 명도차를 두어 정보의 시인성을 확보

    색채대비예시

    ※ 투명재질 바탕의 외국어(중․일어)글씨를 위 규정을 준수하여 ‘스티커’

    로 붙이는 것도 교체주기 등을 고려하여 임시적으로 허용

  • - 8 -

    ② 안내표지판 內 QR코드 부착으로 외국어 정보 제공 강화

    -안내표지판 내 외국어 병행 표기가 미흡한 경우(예 :한․영만 있는 경우),QR

    코드를 통해 서울시 대표 관광홈페이지(www.visitseoul.net)로 연결하여

    충분한 외국어 정보가 안내 되도록 조치

    - 방법

    ․안내판의 우측 하단에 중국어․일본어

    로 표기된 QR코드를 제작․부착

    ※ QR코드는 부서별 수요신청을 취합하여

    관광사업과에서 일괄 제작․배포

    - 대상

    ․안내판 크기상 추가 외국어 표기가 곤란한 경우

    ․교체주기와 현장 상황상 신속한정비가 곤란한 경우

    ※ 유도정보 안내는 서울시 대표 관광

    홈페이지(www.visitseoul.net)로 집결

    ◈ 신규 제작시는 4개국어(한․영․중․일)표기하여 제작하되,

    ◈ 기존 안내판의 정비시 ’13년내 즉시 조치가 곤란한 물량에 대해서는

    ① 다국어 스티커 부착 및 ② QR코드 부착으로 임시적 조치 확행

    ③ 서울시 안내지도 단계적 통일 (안내표지판,인쇄 지도,홈페이지 및 모바일 디지털 지도 등)

    -인쇄 지도와 온라인 지도의 통일성 강화로 외국인의 공간이해 혼선방지

    -서울시 다국어 지도(공간정보담당관 제작)공동 활용 ⇒ ’13년부터 단계적 적용 추진

    서울 인쇄지도, 홈페이지지도 개별 사용(현재) 서울시 공동 다국어지도(한/영/중/일) 활용(’13년~)

  • - 9 -

    3 분야별 정비 추진계획

    관광거점용

    ① 5대 관광특구 등 주요관광지 -관광사업과

    ❍현 황:176개소(한․영표기/종합안내35,유도표지10,해설표지131)

    ❍추진내용(’13년)

    -종합관광안내표지판 신규설치:46개소

    5대 관광특구(25개):특구별 5개 추가 설치(특구진입로 중심)

    자치구 특 구 명(지정일) 면적(㎡) 지 정 위 치

    용산구 이 태 원(’97.9.25)

    383,292

    중 구

    명동․남대문․북창동(’00.3.30)

    633,514

    동대문 패션타운(’02.5.23)

    585,709

    종로구 종로․청계(’06.3.22)

    540,602

    송파구 잠실(’12.3.15)

    2,310,000

    주요 관광지(21개):인사동(3),삼청동(2),신촌(2),홍대입구(2),가로수길(2),

    강남역(2),청담사거리(1),광화문(2),약령시(3),광장시장(2)등

    -민간시설 활용 대형 지역안내지도 설치:38개(광고유치 등 민간참여를 통한 비예산사업)

    ’14년 DDP개장을 대비하여 동대문 패션타운특구내 38개 쇼핑몰

    의 건물벽면을 활용하여 대형 지역안내지도 설치

    -품격있는 민간광고 유치를 통한 종합안내표지판 정비(관광특구 우선 추진)

    -기존 176개 안내표지판 표준디자인과 다국어 표기(4개국어)로 교체정비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

    수량(개)

    신 설 234 84 50 50 50

    정 비 176 176 - - -

    예산액(백만원) 2,100 600 500 500 500

  • - 10 -

    ② 한양도성 -한양도성도감

    ❍현 황 :320개 (4개구간 :인왕산,백악산,낙산,남산 )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으로 교체

    -'13년 신설 및 정비물량 이외의 표지판은 스티커 및 QR코드 부착병행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

    수량(개)

    신 설 150 70 80 - -

    정 비 170 40 70 40 20

    예산액(백만원) 420 105 105 105 105

    ③ 북촌한옥마을 -한양도성도감

    ❍현 황 :163개(한․영표기/지주형 15,방향표시판 118,기타 30)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한옥마을 특성화 디자인 적용)

    -’13년 신설 및 정비물량 이외의 표지판은 스티커 및 QR코드 부착병행

    ❍추진계획 ※ 서울시가 기설치한 표지판(15)부터 우선 정비후 자치구가 설치관리중인 표지판(148)정비진행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

    수량(개)

    신 설 45 45 - - -

    정 비 118 15 103 - -

    예산액(백만원) 600 200 400 - -

    ④ DDP-디자인정책과

    ❍현 황 :38개소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

    -’13년 정비물량 :38개소(보행자안내표지판 20,종합관광안내표지판 9,지하철안내표지판 9)

    ❍추진계획 ※ ’13년 관광사업과(다국어 관광안내표지판 개선)사업비 활용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

    수량(개)

    신 설 (38) (지역안내지도판 38) - - -

    정 비 38 38 - - -

    예산액(백만원) 100 100 - - -

  • - 11 -

    ⑤ 문 화 재 -역사문화재과

    ❍현 황 :314개소 443개(376개는 다국어 표기 완료)

    ※ 다국어 표기 우선 대상은 서울소재문화재 1,357개소 중 사적․건축물 등

    부동산문화재 314개소 443개임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

    수량(개)

    신 설 15 4 4 4 3

    정 비 52 10 14 14 14

    예산액(백만원) 302 63 81 81 77

    ※ ’16년까지 국가․시지정 건축물문화재,명승,천연기념물 등 부동산문화재 우선설치 완료

    ⑥ 한강공원-한강사업본부

    ❍현 황 :884개(한․영표기/공원안내 220,접근안내 379,도로 285)

    ❍추진내용 :디자인통일 및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

    -’13년 공원안내판(220개)부터 정비추진,스티커 및 QR코드 부착병행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

    수량(개)

    신 설 90 30 30 30 -

    정 비 794 265 265 264 -

    예산액(백만원) 750 250 250 250 -

  • - 12 -

    ⑦ 남산공원 -공원녹지정책과(중부공원녹지사업소)

    ❍현 황 :183개소(한․영표기/종합 10,방향 96,이용 77)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

    -종합안내판(10),방향안내(39)부터 정비추진,스티커 및 QR코드 부착병행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정비목표수량(개) 183 10 58 58 57

    예산액(백만원) 271 10 87 87 87

    ※ 남산공원 시범실시후,’13년부터 서울시 직영공원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추진(도시공원 안내체계

    기준에 따라 디자인 등 정비하되,외국어 병기 추가)

    보행자용

    ⑧ 보행자 안내표지판 -보행자전거과

    ❍현 황 :1,134개(신형 609,구형 525)

    -신형디자인(4개국어)은 글로벌존(133개소)을 중심으로 기 정비(’08~’09)

    ❍추진계획 :’13년 전수조사 후 ’14년부터 본격 개선

    -’14년부터 명동 등 외국인 관광객 주요 방문지역을 중심으로 본격 수행예정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정비목표수량(개) 525(구형) - 225 300 -

    예산액(백만원) 2,625 - 1,125 1,650 -

    ⑨ 공사장 안내판 -보도환경개선과(시설관리공단)

    ❍추진방향 :관광객 밀집권역 공사장 주변 안내표지판에

    다국어 표기 병행

    ❍추진내용

    -공사장 주변에 안내표지판,현수막,안전펜스 등의 형태로 다국어 안내

    -공사 시작전부터 완료시까지 공사구간의 시점과 종점에 설치

    ❍추진계획 :’13년부터 모든 보도공사 적용

  • - 13 -

    지하도상가 안내표지판 -보도환경개선과(시설관리공단)

    ❍현 황 :29개소 756개(’09년 한․영 표기 정비완료)

    -종합안내도 65,출구안내 63,조명형 유도사인 223,유리문 그래픽 109,조명형

    화장실 37,화장실 벽부 72개,화장실시설물사인 25,CCTV 안내 162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스티커 및 QR코드 부착병행)

    -‘종합안내도,방향유도 등’외국인 이용빈도가 높은 안내판부터 정비를 추진

    ❍추진계획 :’13년 기 위탁중인 강남역,강남터미널역 지하상가 167개 우선 추진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정비목표수량(개) 756 167 385 204 -

    예산조치 지하도상가관리 위탁업체 주관

    ⑪ 사설안내표지판 -보도환경개선과

    ❍현 황 :11,490개

    -’09~’12년간서울시표준디자인에따라9,277개소(80.7%)‘한․영’표기기완료

    ※ 사설안내표지판 허용분야 :산업․교통(유통센터,공항,철도역 등),관광․휴양(관광지,유원지,공원,문화재,

    체험마을 등),공공․공용(문화체육시설,박물관,미술관,병원,유치원,호텔 등)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

    -구형디자인(2,213개)부터 디자인 교체 및 4개국어 표기로 정비

    -외국인 주요방문지인 중구,종로구,용산구,송파구,마포구,강남구부터 시행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정비목표수량(개) 2,213 553 553 553 554

    예산조치 표기주체 부담

    ※ 신규제작비용은 도로법에 따라 표기주체부담(40만원)이 원칙이므로,표지판 소유기관에게 자치구를 통해 안내

  • - 14 -

    도로(차량)용

    ⑫ 도로표지판 -교통운영과

    ❍현 황 :10,250개(한․영),국토해양부 지침에 의거 영어만 병기

    ❍추진내용 :도로표지규칙 개정 건의(한/영 표기)

    -외국인 이해도를 고려한 ‘2012년 서울시 외국어(영문)표기기준’의 반영

    -도로표지판에도 의미역 병기(전문 :fullname)허용

    예)Hangang(Riv)⇒Hangang(River)

    ❍추진계획 :’12년 연내 정부건의 및 교체수요발생시 순차교체

    ※ ’14년 이후 정부기준 표지판 규격이 변경될 예정이므로,이에 따른 교체수요 발생시

    우리시 지침인 의미역 병기도 반영하여 순차적으로 교체 가능토록 조치

    ⑬ 도로명주소 도로명판 -행정과

    ❍현 황 :31,954개(한․영 표기 31,343,한․영․중 표기 436,한․영․일 표기 175)

    ※ ’12.11월 행안부 개정지침(도로명주소안내시설규칙)은 4개언어 병기순서를 (한․영․일․중)으로 규정

    ❍추진내용 :향후 정비시부터 다국어 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

    -대부분 ’11년 상반기에 설치되었으므로,교체주기를 고려하여 순차적 교체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목표수량(개) 611 10 50 200 351

    예산액(백만원) 872 218 218 218 218 ]

    ※ 도로명판의 경우,2014년 전면사용에 대비해 설치가 완료되어 교체시 예산낭비가 우려되므로

    2014년 이후 점진적으로 교체 예정

  • - 15 -

    대중교통

    ⑭ 지하철 -교통정책과(서울메트로,도시철도공사)

    ❍현 황 :88,210개(한․영/한자 혼합,서울메트로 60,698,도시철도 27,512)

    ※ 서울메트로 120개역,도시철도 157개역

    ❍추진내용 :다국어(4개국어)표지판으로 순차적 교체(스티커 및 QR코드 부착병행)

    ※ 노선도내 역수가많은것을고려하여 중국어의 경우,‘간체’기재를 원칙

    -전동차內 :호선별 노선도 다국어(4개국어)로 전부 교체(’13.1월)

    -지하철역사 :외국인용 대형 노선안내도(4개국어/주요관광지․환승역 중심)를 모든

    개찰구 주변 벽면 및 스크린도어에 설치

    -외국인의 이용빈도가 높은 내․외부 역명판,주변지역 안내도 등부터 우선 교체추진

    ❍추진계획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정비목표

    수량(개)

    서울메트로 33,406 5,008 9,349 9,349 9,700

    도시철도 15,010 760 6,750 3,750 3,750

    계 48,416 5,768 16,099 13,099 13,450

    예산액(백만원) 5,000 500 1,666 1,416 1,418

    ⑮ 버 스 -버스정책과

    ❍현 황 :버스 7,530대,정류소 5,715개

    ※ 차량 및 정류소 노선도(한․영 표기)

    ❍추진내용

    -버스차량內 :기존 한․영 노선도에 중․일어 병기

    -버스정류소

    버스별 주요 경유지(관광지 중심)를 발췌한 별도 안내스티커 부착 추진

    ※ 상기 사항은 정류소별 상황에 대한 현장 조사후,가능지역에 대해 선별적‧단계적 추진

    ❍추진계획 :버스운송사업조합 연계 운수업체 자율 추진 유도

    구 분 계 2013 2014 2015 2016

    정비목표수량(대) 7,530 2,000 2,500 3,030 -

  • - 16 -

    ⑯ 택 시 -택시물류과

    ❍현 황 :72,263대(개인49,436,법인22,827)

    ❍추진내용 :외국인을위한안내매뉴얼제작․비치

    -통합 안내매뉴얼 제작 차량내 비치(영․중․일)

    :요금안내,불편신고,통역안내,서울관광안내(안내소 위치 및 대표

    홈페이지 등)

    -시에서 표준형 안내문 양식을 제공하고 택시조합을 통하여 제작․배포

    ※ 현재 피커폰(통역)및 불편신고(120+9,1330)안내스티커는 개별적으로 부착

    ❍추진계획 :’13년 전 차량 부착완료

    -택시승차대 다국어 안내표기 확대

    (승차대 표시,외국인관광택시 안내 등)

    ※ 스티커형으로 제작․부착

    (야간 식별을 위해 고휘도 반사지 재질 사용)

    -소요예산은 택시조합 부담으로 하되,시와 분담필요시 협의하여 조치

    ⑰ 안내방송 -교통정책과(서울메트로,도시철도공사),버스정책과

    ❍현 황 :58개소(지하철 41개역,버스 17개정류소)다국어 방송 시행중

    -지하철(41개소 :영․중․일):서울메트로 25개역,도시철도 16개역

    -버 스(17개소):영․일(동부이촌동 지역 10개소),영․불(서래마을,고속터미널 지역 7개소)

    ※ 영어 :지하철 1-4호선 및 5-8호선 전 역사 실시 중,버스도 전체 기실시중

    ❍추진내용 :50개소 다국어방송 추가실시(지하철41→68개소,버스17→50개소)

    ❍추진계획 :’13년 지하철 27개역,버스 33개 정류소에 대한 다국어

    녹음 ․방송 추진

    ※ 안내방송의 경우 정류장간 거리가 짧아 4개 국어를 방송할 수 있는 정류장부터 우선시행하고

    외국어표기 기준에 의해 표기한 문자에 맞는 해당 외국어 발음으로 방송하게 조치

  • - 17 -

    Ⅳ 추진 및 점검체계

    조직도 -다국어 안내표지판 종합개선T/F

    ※ 지하철은 교통정책과,공원은 공원녹지정책과,지하상가(시설관리공단)는 보도환경개선과에서 총괄

    기능 및 역할

    ※ 관광사업과장을CMO(ChiefforeignlanguageMarkingOfficer)로지정,외국어표기자문총괄

    ❍ 관광사업과 :점검 및 보고체계 총괄

    -분기별 진행사항 점검 및 보고회 개최 (외국인상설점검단 운영)

    -외국어 표기기준 및 표기사전 총괄 (외국어표기자문위원회 운영)

    -중․일문 QR코드 일괄 제작․배포(서울관광홈페이지내다국어안내 페이지구축)

    -안내표지판 개선 관련 업무추진 지침 시달 및 우수사례 교육

    ❍ 공공디자인과 :분야별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표준형디자인가이드라인 개발지원및자문(서울시민디자인위원회운영)

    -부서별 개별안내판 디자인 개발 자문

    ❍ 담당부서(사업소,공단․공사 포함)

    -세부추진계획 제출 :연차별 정비 및 예산확보 계획,현장점검 일정 등

    -점검 및 정비 추진 :제작․정비(교체/보수)및 스티커․QR코드 부착

    -정비실적 보고 :분기별 점검 및 정비실적 제출(⇒ 관광사업과)

  • - 18 -

    ❍운영개요

    ▸ 활동기간 :’12.12월~’13.11월(1년간)▸ 운영인원 :중국인 20명내외,일본인 20명내외 ※ 국내거주 외국인 유학생 활용▸ 점검방법 :주요관광지 관광객 동선 점검(유료관광지 포함) *2인1조 운영

    ❍ 중점 점검지역

    ▸ 관광특구 :5개 권역(이태원,명동․남대문․북창동,동대문 패션타운,종로․청계,잠실)▸ 한양도성 :삼청각,팔각정,북악산길,부암동,낙산공원 등 주변 관광지▸ 남산공원 :N서울타워,남산봉수대,케이블카,식당,남산골한옥마을 등▸ 한강공원 :이용시설(체육시설,캠핑장,수영장,자연학습장,유람선,등),편의시설(화장실,주차장,나들목,그늘막,자전거도로 등)▸ 기타관광거점 :강남구(가로수길,삼성딜라이트),송파구(롯데월드),영등포구(LG사이언스홀,SIFC),마포구(하늘공원)등

    추진방식

    ❍ 연차별 소요예산을 확보하되,필요시 민간투자 유치를 통해 재원충당

    ❍ 광고유치를 통한 민간참여로 예산절감 :2,472개/6,768백만원

    ※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 등 관리조례 개정(‘13년 상반기:공공디자인과)후 본격화

    -추진대상 :관광안내도,공원안내,보행자안내,문화재안내,한양도성·북촌한옥마을·DDP주변 등

    -’13년 상반기 :관광특구내 관광안내도(신규 25개/125백만원)-즉시시행

    -’13년 하반기 :총 2,447개/6,643백만원 – 조례개정후 시행

    ․관광특구이외의 관광안내도(385개/1,975백만원),

    남산(183개소/271백만원)

    ․한강(884개/750백만원),

    보행자안내표지판(525개/2,625백만원)

    ․문화재안내표지판(67개/302백만원),

    한양도성(320개/420백만원)

    ․북촌한옥마을(45개/2억원),DDP주변(38개/1억원)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17조

    제17조(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의 표시방법)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은 다음 각 호의기준에 따라 표시하여야 한다.

    다.버스승강장·택시승강장·노선버스안내표지판·지정벽보판 및 현수막 지정게시대

    라.가목부터 다목까지에 규정되지 아니한 공공시설물 중 시·도 조례로 정하는 편익시설물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 등 관리조례 제10조

    제10조(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의 표시방법)① 영 제17조제1호라목에 따른 광고물을표시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은 다음과 같다.

    3.「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관광지·관광단지 또는 관광특구 안에 설치된 관광안내도

  • - 19 -

    행정사항

    ❍ 부서별 업무 추진절차

    추진계획

    제출 ⇒

    외국어표기기준및

    표준디자인 적용 ⇒정비실행

    추진실적 보고

    (매분기) ⇒

    사후점검

    추가정비

    ’12.12월말 ’13.1월중 ’13.2월~ ’13.3월~ ’13.4월~

    ❍표준화된 외국어 표기기준 및 디자인 반영 개선 추진(전부서․자치구)

    -첨부된 ‘외국어(영․중․일)표기방법 표준화계획’을 참조,정비가 필요한

    안내판에 대한 표기안을 부서별로 마련하여 관광사업과에 자문의뢰

    -다량의 표지판을 관리하여 ‘표준형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부서는 공공디자인과에 개발을 의뢰하고,그 외의 경우는 ‘다국어 병기시

    디자인 원칙(위치/색채/서체/크기)’에 따라 부서별로 4개국어 병기하여 제작조치

    ❍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 다국어 표기도 강화(전부서)

    -기관별 홈페이지내 주요 정보(오시는 길,지역 상세안내 그림지도 등)다국어

    표기 및 출력‧다운로드 서비스 시행

    -서울시 다국어 온라인 지도를 공동 활용(공간정보담당관 협의)해 각 기관별

    필요 정보를 추가(매쉬업)한 후,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 광고 유치를 통한 재원충당을 위해 「서울시 옥외광고물 등 관리조례」 개정 추진(공공디자인과)

    ❍ 추진실적 평가보고회 개최 :1차(’13.3월),2차(’13.6월),3차(’13.9월)

    ❍ 미스터리 점검(반기별)항목에 “안내표지판”포함(평가담당관)

    붙 임 : 1.안내표지판 설치현황 (p20)

    2.안내표지판 표준형 디자인 개발내역 (p21)

    3.자치구별 관광안내표지판 현황 (p24)

    4.부서별 안내표지판 개선실적 (p25)

    5.안내표지판 광고유치 관련 법규정 (p27)

    6.서울시 외국어 표기기준 및 사전 추진현황 (p29)

    7.서울시 외국어(영문)표기 기준(안)(p31)

  • - 20 -

    붙임 1

    안내표지판 설치 현황

    ❍ 설치 및 표기현황

    -도로(차량)용

    구 분 도로표지판 도로명주소 도로명판

    설치개수 10,250 30,994

    사 례

    설치근거 도로표지규칙(국토해양부) 도로명주소 안내시설규칙(행정안전부)

    관련부서 교통운영과 행정과

    표기현황 한글․영문만 표기

    -보행자용

    구 분도로명주소지역안내판

    사설안내표지판

    지하철안내표지판

    보행자안내표지판

    관광안내표지판

    설치개수 106 11,490 12,163 1,134(신형 609, 구형 525)176

    (종합 68, 유도108)

    사 례신형

    표준형(종합, 유도)

    구형

    구형(중구, 종로구 등)

    설치근거도로명주소

    안내시설규칙(행정안전부)

    사설안내표지설치 및

    관리지침(국토해양부)

    사설안내표지표준

    디자인매뉴얼(서울시)

    안내사인매뉴얼(서울메트로,도시철도공사)

    디자인심의(서울시)

    보행자안내체계개선 (서울시)

    한국관광안내표지

    표준가이드라인(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관련부서 행정과 보도환경개선과서울메트로

    도시철도공사보행자전거과 관광사업과

    표기현황 2종 2종 2종(일부 4종) 4종 2종(관광지, 범례 4종)

    1 한글 한글 한글 한글 한글

    2 영어 영어 영어 영어 영어

    3 - - (일본어) 일본어 日 or 中

    4 - - (중국어) 중국어 中 or 日

    비고종합안내도 관광

    명소(4종표기)

    자치구별 표기순서 상이•중 구 日→中•종로구 中→日

  • - 21 -

    붙임 2

    안내표지판 표준형디자인 개발 내역

    구분 디자인 표기 언어 담당부서

    보행자

    안내표지판

    - 한글, 영어, 중국어, 일

    본어

    공 공 디 자 인 과

    (2012)/

    보행자전거과

    사설안내

    표지판

    - 한글, 영어, 중국어, 일

    본어

    공 공 디 자 인 과

    (2012)/

    보도환경개선과

    지하철

    안내표지판

    - 한글, 영어, 중국어, 일

    본어

    공 공 디 자 인 과

    (2012)/

    교통정책과

    지하철9호선

    안내사인- 한글, 영어, 한자

    (주)지하철9호선

    (2009)

    문화재안내

    - 한글, 영어 중국어, 일

    본어문화재과(2009)

    공영주차장

    안내표지판

    - 한글, 영어주 차 관 리 과

    (2009)

  • - 22 -

    구분 디자인 표기 언어 담당부서

    공사안내판

    종합안내도- 한글

    공공디자인과

    (2011)/

    기술심사담당

    관 ( 조 경 심 사

    과)

    공사안내판

    (이동형)- 한글

    공공디자인과

    (2011)/

    기술심사담당

    관 ( 조 경 심 사

    과)

    차없는거리

    안내판- 한글

    공공디자인과

    (2011)/

    보행자전거과

    승용차요일

    제안내판- 한글

    공공디자인과

    (2011)/

    친환경교통과

    승용차요일

    검지장소표

    지판

    - 한글

    공공디자인과

    (2011)/

    친환경교통과

    거주자우선

    주차안내판- 한글

    공공디자인과

    (2011)/

    교통운영과

    공개공지

    안내사인

    - 한글, 영어건축기획과

    (2010)

  • - 23 -

    구분 디자인 표기 언어 담당부서

    금연안내

    표지판- 한글, 영어

    건강증진과

    (2011)

    청계천

    난간

    위험안내

    표지판

    - 한글시설관리공단

    (2011)

    인왕산, 북

    악산 일대

    아트보드

    - 한글, 영어 중국어, 일본어문 화 재 과

    (2012)

    ※ 서울시 관광안내표지판 디자인(안)

  • - 24 -

    붙임 3

    자치구별 관광안내표지판 현황

    ❍ 관광안내표지판은 자치구별 필요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치․관리 중

    (총176개,11개 자치구)

    구 분 계 종로구 중구 용산구 광진구 강북구 서대문 마포구 양천구 강서구 금천구 송파구

    종 합 35 8 20 - 2 2 1 2 - - - -

    해 설 131 116 - 8 - - - - 3 2 2 -

    유 도 10 - - - - - - - - 7 2 1

    ※ 각 자치구에서 설치한 안내표지판 중 설치․관리주체가 관광과인 경우

    ❍ 관광안내표지판 분류(종합․해설․유도․명칭)

    《한국관광공사의 표준디자인 가이드라인》

    【자치구별 관광안내표지판 디자인 미통일 사례 】

  • - 25 -

    붙임 4

    부서별 안내표지판 개선실적

    행 정 국

    ≪행정과≫ :새주소 도로명판 31,954개소 설치 (’10~’11:영어 병기)

    ❍ 행정안전부 지침에 의거,한글․영어 병기 완료(2011년 상반기)

    ❍ 외국어 표기 실적 :한․영 31,343,한․영․중 436,한․영․일 175

    < ’12.11.15 행정안전부령 제322호(도로명주소안내시설규칙 일부개정령) >

    ▷ 최근 4개언어 표기(한․영․일․중) 기준으로 디자인 변경되었으나, 기존

    안내표지판의 설치 경과기간이 짧아 신규 설치시 우선적으로 반영 예정

    도시교통본부

    ≪보행자전거과≫ :보행자 안내표지판 설치사업(’08~’09)

    ❍ 보행자 안내표지판 총개수 :서울시 전역 1,134개소

    -신형 디자인 :609개소(4개국 언어표기 :한국어,영어,일어,중국어 順)

    -구형 디자인 :525개소(2~3개국 언어표기 :한국어,영어,한자 順)

    ※ 신형 디자인 609개소는 관광객이 많이 찾는 글로벌존을 중심으로 설치

    ․서울 글로벌화 추진계획 :글로벌존(133개소),일반지역(476개소)설치

    ≪보도환경개선과≫ :사설안내표지판 9,277건(’09~’12:영어 병기)

    ❍ 산업․교통분야 :유통센터,공항,철도역 등

    ❍ 관광․휴양분야 :관광지,유원지,공원,문화재,체험마을 등

    ❍ 공공․공용분야 :문화체육시설,박물관,미술관,병원,유치원,호텔 등

  • - 26 -

    ≪교통정책과≫ :지하철 통합싸인시스템 가이드라인 수립후 개선 추진

    ❍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지하철안내정보 대상(출입구 폴사인,내․외부역명판,편의시설

    안내사인,매표구,전동차 단일노선도 등)으로 4개국어 표기 추진(’12.12월~)

    ≪서울메트로≫ :156개역 1,859개소 설치(’08~’12:영․중․일어 병기)

    ❍ 스크린도어 단일노선도(역명 표기):120역 924개소

    ❍ 주변지역안내도(주요 관광지 표기):36역 935개소

    ≪도시철도공사≫ :919개소 설치(’10년 :영․중․일어 병기)

    ❍ 주변지역안내도 설치 :33개 역사 919개소

    문화관광디자인본부

    ≪관광사업과≫ :중국어 서체(간체,번체)결정 및 일본어 표기지침 확정

    ❍ 주요관광지 주변 외국어표기 정비 및 신설계획 수립(’12.12)

    ≪공공디자인과≫ :‘서울시관광안내표지판’표준디자인 개발 및 가이드라인 수립

    ❍ ‘서울시지하철통합사인시스템’용역서울시민디자인위원회심의․확정(’12.12.21)

    ❍ ‘사설안내표지판’가이드라인 개발 완료 및 통보(’12.10.20)

    ❍ ‘관광안내표지판’표준디자인 개발(’13.1)

    ≪역사문화재과≫ :문화재안내판 373개소 설치(’09~’12:영․일․중어 병기)

    ❍ ’09년 276개, ’10년 81개, ’11년 2개, ’12년 14개

    ≪한양도성도감≫ :북촌 한옥마을 통합디자인 기획(용역)

    ❍ 기본설계 및 디자인 개발(’12.11~’13.2):20백만원

    ❍ 문안 작성 및 실시설계(’13.3~’13.6)

    ❍ 제작 및 설치(’13.7~’13.8)

  • - 27 -

    붙임 5

    안내표지판 광고유치 관련 법규정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 시행령 제17조

    제17조(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의 표시방법)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표시하여야 한다.

    1.다음 각 목의 공공시설물에만 표시할 수 있다.

    가.철도역·공항·항만·버스터미널 및 트럭터미널의 광장에 설치되어 있는 시계탑·

    조명탑·교통안내소·안내게시판·관광안내도 및 일기예보탑

    나.고속국도 휴게소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탑·시계탑·교통안내소·관광안내도 및

    게시판

    다.버스승강장·택시승강장·노선버스안내표지판·지정벽보판 및 현수막 지정게시대

    라.가목부터 다목까지에 규정되지 아니한 공공시설물 중 시·도 조례로 정하는

    편익시설물로서 시장등이 시·군·구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정하는 시설물.

    다만,가목부터 다목까지의 공공시설물 외에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제29조제

    2항 각 호의 법인(이하 "국가등"이라 한다)이 시책 홍보 등을 목적으로 광고물등

    을 표시한 공공시설물과 제29조제3항제5호부터 제7호까지의 광고물은 편익시설

    물로 정할 수 없다.

    2.공공시설물의 효용을 해쳐서는 아니 된다.

    3.시·도지사 또는 시장등이 지정하는 부분에 표시하여야 한다.

    4.표시면적은 공공시설물 면적의 4분의 1이내여야 한다.

    5.그 밖에 지역 특성,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과 안전,도시미관 및 쾌적한 생활

    환경 조성을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시·도 조례로 정하는 사항을 지켜

    야 한다.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 등 관리조례 제10조

    제10조(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의 표시방법)① 영 제17조제1호라목에 따른

    광고물을 표시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은 다음과 같다.

    1.휴지통,벤치

    2.지상변압기함,공공자전거보관대

    3.「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관광지·관광단지 또는 관광특구 안에 설치된

    관광안내도

  • - 28 -

    붙임 6

    서울시 외국어 표기기준 및 사전 추진현황

    Ⅰ 그간의 추진경위

    우리시는 2002년부터 자체적으로 외국어 ‘표기기준’을 정립하고 ‘표기

    사전(용례집)’을 마련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중

    ○ 외국어표기 자문단 구성 운영 (’01.12)

    ○ 영문 표기기준 마련 및 D/B구축,온라인 서비스 실시 (’02.2)

    ․대상시설물 : 도로명, 지하철역명, 지하상가, 관광시설물, 공원, 문화재,

    경기장, 버스・택시 승차대 및 사설 시설물 등

    ․서 울 시 영 문 표 기 사 전 (41 ,5 9 4개 단 어 ) 서 비 스 제 공 : h t tp :/ /e ng lish n am e .s eo u l.g o .k r

    ○ 중국어 표기기준 마련 (’04.3)

    ○ 영문 표기기준 개선 (’08.12)

    -국토해양부(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지침),행정안전부(도로명주소 영문 로마자표기 방법)개정기준 반영

    ○ 지하철역명 외국어(중문,일문)표기표준화 방안 마련 (’08.12)

    ○ 중국어 표기 및 발음 표준화 기준 마련 (’10.5)

    ○ 공무원직명외국어표기표준화외국어(영․중․일문)표기기준마련 (’11.5)

    ○ 외국어 표기 자문위원 위촉 (’11.12):영어(5),중어(5),일어(5)

    ○ 외국어표기순서및오류개선을위한외국어표기표준화개선(’12.7)

    ※ 외국인이용자수감안영어→중국어→일본어순으로표기순서확정

    ○ 외국어표기자문위원회개최및참석(’12.10.~12)

    -서울시외국어표기자문위원회개최(중어1,일어1),한국관광공사외국어표기자문위원회참석(일어 3)

    ❍ 서울시 외국어 표기기준 표준화계획 시민의견수렴 (’12.12.7~12.19)

    -자문회의를 통해 마련된 외국어표기기준(영․중․일)에 대한 공개 의견수렴 진행

  • - 29 -

    Ⅱ 외국어 표기 현황

    구 분영어 중국어 일본어

    정부 서울시 정부 서울시 정부 서울시

    표기기준 ○ ○ × ○ × ×

    표기사전 ○ ○ ○ ○ ○ ×

    1 영어(English)

    구 분 내 용

    표기기준

    ①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문화체육관광부고시 2000-8) : 기본원칙 - 국어의 표준발음법에 따라 로마자 표기기준 제시

    ②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지침 (국토해양부 예규 2012.4) -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및 도로명주소 영문 로마자표기 방법 적용

    ③ 도로명주소 영문 로마자 표기방법 (행정안전부 업무편람 2008.4) - 도로별 구분기준 표기시 영문병기 가능 : 로(路) : St / 길(街) : Rd

    ④ 문화재명 외국어 표기기준 (문화재청 지침 2011) -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및 단어의 뜻을 영어로 옮기는 방식(의미역) 적용

    ⑤ 서울시 영문 표기기준 (2002년 최초 마련, 2008. 2012 보완 개정)

    -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등 정부 기준을 준용하여 서울시 적용기준 마련

    표기사전

    (용례집)

    ① 행정안전부 : 도로명 주소 영문 로마자 표기 안내 사전 (웹사이트 : juso.go.kr)

    ② 문화재청 : 문화재명 외국어(영․중․일) 표기 용례집 (책자)

    - 국가지정문화재명 3,765개 단어 수록

    ③ 한국관광공사 : 외국어(영․중․일) 안내 표기 용례집 (책자/웹사이트) - 관광지명, 기타 관광용어 등 14,000 단어 수록 - 주소 : http://kto.visitkorea.or.kr/kor/biz/pr/fl/translation/place.kto

    ④ 서울시 : 영문 표기사전 (http://englishname.seoul.go.kr) ※ 41,594개 단어 수록

    표기기준별

    사례

    구 분국어의

    로마자표기법

    (문광부)

    교통안내표 지 판(국토부)

    도로명 주소영 문 표 기

    (행안부)

    문화재명외국어용례집

    (문화재청)

    외국어관광안 내 표 기 용 례 집(한 국 관 광 공 사 )

    영문 표기사전

    (서울시)

    남 산 Namsan Namsan(Mt.)Namsan Montain

    Namsan Montain

    Namsan(Mt.)

    한 강 Hangang Hangang(Riv)HangangRiver

    HangangRiver

    Hangang(River)

    광 희 문/숭 례 문

    GwanghuimunSungnyemunGate

    SungnyemunGate

    Gwanghuimun

    종 로 Jongno Jong-ro Jong-ro 또는Jong-ro St Jongno

    경 복 궁 GyeongbokgungG ye o n g b o k g u ng Palace

    G ye o n g b o k g u ng Palace

    Gyeongbokgung (palace)

    한강대교 HangangdaegyoHangangdaegyo(Br)

    Hangangdaegyo

    신용산역 Sinyongsan Stn Sinyongsan Station

    문제점 ① 표기기준 ․ 표기사전 간 통일성 부재 : 예) 교량표기 : 00 daegyo / 00 daegyo(Br)

    ② 외국인 입장에서 발음이 어려우며 의미의 이해가 쉽지 않음

  • - 30 -

    2 중국어(中文) ․ 일본어(日文)

    구 분 중 문 일 문

    표기기준

    o 중앙정부 기준 없음

    o 서울시 중국어 표기기준 (2004. 4)

    o 서울시 지하철역명(470개) 외국어표기

    표준화 기준 및 사전(용례집) (2008.12)

    o 국어의 가나문자 표기법 (교과부 자료 ’11. 12)

    o 서울시 일문 표기기준 없음 ※ ’12년 마련중

    o 서울시 지하철역명 (470개) 외국어표기

    표준화 기준 및 사전(용례집) (2008.12)

    표기사전

    (용례집)

    o 문화재청 : 문화재명 외국어(영․중․일) 표기 용례집 (책자)

    - 국가지정문화재명 3,765개 단어 수록

    o 한국관광공사 : 외국어(영․중․일) 안내 표기 용례집 (책자 및 웹사이트)

    - 관광지명, 기타 관광용어 등 14,000개 단어 수록

    ※ http://kto.visitkorea.or.kr/kor/biz/pr/fl/translation/place.kto

    o 서울시 : 중문 표기사전 (내부망)

    (http://chinesename.seoul.go.kr:8080)

    - 8,500 단어 수록

    o 서울시 : 사전 없음

    ※ 지하철역명등 공공분야 4,500 단어

    사례 실무적으로 데이터 관리 중

    ※ 2013. 6월 언어별 통합사전(웹사이트) 구축 및 시민개방 예정

    표기기준별

    사례

    구 분

    문화재명

    외국어용례집

    (문화재청)

    외국어관광

    안내표기 용례집

    (한 국 관 광 공 사 )

    중문

    표기사전

    (서울시)구분

    문화재명

    외국어용례집

    (문화재청)

    외국어관광

    안내표기 용례집

    (한 국 관 광 공 사 )

    일문단어

    사례집 초안

    (서 울시 실 무용 )

    남 산 南山 南山 南山 남 산 南山 南山 南山

    한 강 汉江 汉江 汉江 한 강 漢江 漢江 漢江

    숭 례 문 崇礼门 崇礼门 崇礼门 숭 례 문 崇礼門崇礼門

    (崇禮門)崇禮門,崇礼門

    종 로 钟路 종 로 鐘路

    경 복 궁 景福宫 景福宫 景福宫 경 복 궁 景福宮 景福宮 景福宮

    종 묘 宗庙 宗庙 宗庙 종 묘 宗廟 宗廟 宗廟

    한강대교 汉江大桥 화 장 실 お手洗お手洗い, トイレ

    신용산역 新龙山站 신용산역 新龍山駅

    문 제 점

    ① 중앙부처의 국문의 중문 표기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기관별 적용 방식이

    상이하므로 통일된 원칙이 필요

    ※ 서울시 자체 기준 (‘04 최초 ’08,’10 보완)

    ② 간/번체 병기가 곤란한 경우

    서체 우선순위에 대한 통일기준 미비

    ① 교육과학기술부의 ‘국어의 가나문자

    표기법’은 교과서 편수용 기준이고

    공식적인 가나문자 표기법으로 활용

    되지 못하고 있어 통일된 원칙 필요

    ② 일문 표기사전(용례집) 미비

  • - 31 -

    붙임 7

    서울시 외국어(영문)표기 기준(안)

    ※’12.12.31 시민의견 수렴결과를 반영한 최종 표기기준 별도 게시 예정

    2012.12월 개정본

    관광사업과(3707-8439)

    한글을 언어 및 발음체계가 상이한 로마자로 옮기기 위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만

    으로는 지명,인명,기관명,문화재명 등 다양한 한글 명칭을 모두 영문으로 표기하기에 불

    충분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준과 용례를 마련함.

    1.영문표기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외국인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하며 ()안에 의미역을

    병기한다.단 영문철자는 전문(fullname)사용을 원칙으로 한다.단,사인물에 따

    라 다음 규정을 적용한다.

    가.도로표지판의 영문표기는 국토해양부의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지침」을

    나.새주소 도로명판의 영문표기는 행정안전부의 「새주소(도로명주소)업무편람」을

    다.음식명의 영문표기는 한국관광공사의「외국어 음식메뉴 표기」를 따른다.

    ※ 영문표기의상이한부분은최근개정된행정안전부의지침을따르는것을원칙으로한다.

    2.인명,회사명,단체명,기관명 등은 그 동안 써온 표기를 쓸 수 있다.

    예) 이 순 신 YiSunshin

    삼 성 Samsung

    건 국 대 KonkukUniversity

    정동극장 ChongdongTheater

    정동제일교회 ChungdongFirstMethodistChurch

    ※ 김 치 Kimchi

    ※ 태권도 Taekwondo

  • - 32 -

    예) 신한은행답십리지점 ShinhanBank(DapsimniBranch)

    농협 장안동지점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Jangan-dongBranch)

    한국전력공사중부지점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JungbuBranch)

    KT광화문지사 KTGwanghwamunDistrictOfficeKT봉천지점 KTBongcheonBranchOffice

    3.영문 약자의 경우 영어권 국가에서 통용되는 약자만을 사용토록 하고 반드시

    apostrophe(')또는 period(.)를 병기한다.

    예) Building Bldg.DepartmentStore Dept.StoreUniversity Univ.Mountain Mt.International Int'lNational Nat'l

    4.한글 명칭을 음절이 아닌 단어별로 구분하여 로마자로 옮기되,영문 단어의 첫 알파벳은

    대문자로,나머지 알파벳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예) 강 변 Gangbyeon(O) GangByeon(X)독 립 문 Dongnimmun(O) DongNim Mun(X)중 랑 천 Jungnangcheon(O) JungNangCheon(X)샛별공원 SaetbyeolPark(O) SaetByeolPark(X)

    가.다만,관사나 전치사는 첫 알파벳도 소문자로 표기하되,

    예) 서울시립대학교 UniversityofSeoul세종문화회관 SejongCenterforthePerformingArts

    나.표기의 첫 단어일 경우에는 첫 단어명을 대문자로 한다.

    예) 한국은행 TheBankofKorea

    5.회사명,단체명,기관명 등의 경우

    가.본점은 괄호 안에 HQ를 병기하고

    예) 하나은행 본점 HanaBank(HQ)

    나.지점·지소는 별도의 지점·지소 표기를 하지 않되,

    예) 우리은행 대치지점 WooriBank서울축협 정릉지점 NationalLivestockCooperativeFederation

    다.지점명등을명기할필요가있는경우괄호안에 「○○Branch」로표기할수있다.

  • - 33 -

    6.산,강,섬,도로,사찰,교량,문화재 등의 경우 그 명칭 전부(fullname)를 로마자로

    표기하고외국인의 이해를돕기 위해그 속성을영문으로 병기하되 괄호를 사용한다

    예) 남 산 Namsan(Mountain)국 사 봉 Guksabong(Peak)한 강 Hangang(River)여 의 도 Yeouido(Island)밤 섬 Bamseom (Islet)조 계 사 Jogyesa(Temple)한강대교 Hangangdaegyo(Bridge)경 복 궁 Gyeongbokgung(Palace)보 신 각 Bosingak(Belfry)종 묘 Jongmyo(RoyalShrine)

    7.기관,시설등의명칭은영어로번역표기하되,이해를위해괄호안에그속성을병기한다.

    예) 하 늘 공 원 HaneulPark

    광 명 역 GwangmyeongStation

    장 안 교 회 JanganChurch

    중곡주유소 JunggokGasStation

    호암약수터 Hoam MineralSpring

    아 바 타 Avatar(ShoppingMall)

    코아아트홀 CoreArtHall(MovieTheater)

    현 대 장 Hyeondaejang(Inn)

    8.터널,교량,아파트 단지 등의 서수 표기는 영문의 통상적인 서수 표기 방식에 따른다.

    예) 남산3호터널 NamsanTunnel3

    용 두 4교 Yongdugyo4

    상계주공2단지아파트 SanggyeJugongApts.Complex2

    쌍용아파트101동 SsangyongApt.#101

    가.다만,서수로 표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예) 광장동현대2차아파트 Gwangjang-dongHyundai2(i)-chaApts.

    종 로 3가 Jongno3(sam)-ga(Road)

    이문2파출소 Imun2(i)PoliceBox

    장안 제4동 Jangan4(sa)-dong

  • - 34 -

    1.공공기관

    가.시청은「City Hall」,구청은「○○-gu Office」,동 주민센터는 「○○

    -dongCommunityServiceCenter」로 한다.

    예) 서 울 시 청 SeoulCityHall

    종 로 구 청 Jongno-guOffice

    적선동사무소 Jeokseon-dongCommunityServiceCenter

    나.교육청은「DistrictOfficeofEducation」으로 한다.

    예) 동작교육청 DongjakDistrictOfficeofEducation

    다.경찰서는「PoliceStation」,파출소는 「PoliceBox」로 한다.

    예) 양 천 경 찰 서 YangcheonPoliceStation

    이문2파출소 Imun2(i)PoliceBox

    라.소방서는「FireStation」,소방파출소는 「FireStationBranch」로 한다.

    예) 용 산 소 방 서 YongsanFireStation

    이태원소방파출소 ItaewonFireStationBranch

    마.우체국은「PostOffice」,우편취급소는 「PostalAgency」로 한다.

    예) 동 작 우 체 국 DongjakPostOffice

    신정6동 우편취급소 Sinjeong6(yuk)-dongPostalAgency

    바.세무서는「DistrictTaxOffice」로 한다.

    예) 동 대 문 세 무 서 DongdaemunDistrictTaxOffice

    성 동 세 무 서 SeongdongDistrictTaxOffice

    사.지방법원은「DistrictCourt」지방법원지원은「BranchCourt」로한다.

    예) 서 울 지 방 법 원 SeoulDistrictCourt

    서울지방법원남부지원 SeoulSouthernDistrictCourt

  • - 35 -

    아.지방검찰청은「DistrictPublicProsecutors'Office」,지방검찰지청은

    「BranchPublicProsecutors'Office」로 한다.

    예) 서 울 지 방 검 찰 청 SeoulDistrictPublicProsecutors'Office

    서울지방검찰청남부지원 SeoulSouthernDistrictProsecutors'Office

    자. 지방노동청은「Regional Labor Administration」지방노동사무소는

    「RegionalLaborOffice」로 한다.

    예) 서울지방노동청 Seoul Regional Ministry of Labor,

    RepublicofKorea

    서부노동사무소 SeobuRegionalLaborOffice

    차.대사관 및 영사관명은 공식 국가명이 긴 관계로 약칭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하되,이 경우「Embassy」및 「Consulate」앞에 국가명의 형용사형 또

    는 명사형을 쓴다.

    예) 영 국 대 사 관 BritishEmbassy

    중 국 대 사 관 ChineseEmbassy

    독 일 대 사 관 GermanEmbassy

    미 국 대 사 관 USEmbassy

    프랑스대사관 FrenchEmbassy

    일 본 대 사 관 JapaneseEmbassy

    방글라데시대사관 BangladeshEmbassy

    과테말라대사관 GuatemalaEmbassy

    모로코대사관 MoroccoEmbassy

    케냐영사관 KenyaConsulate

    루마니아영사관 RomaniaConsulate

    2.도로

    가.고속(화)도로 및 간선도로,순환도로 등의 경우에는 그 속성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도로표지규정집」의 일반표기사례에 따른다.

    예) 경부고속도로 GyeongbuExpressway

    동부간선도로 DongbuArterial(Road)

    내 부 순 환 로 NaebuRingway

  • - 36 -

    나.일반도로의 경우에는 로마자 표기에 따른다.

    예) 천호대로 Cheonho-daero(Boulevard)압구정로 Apgujeong-ro(Street)종 로 3가 Jongno3(sam)-ga(Road)인 사 동 길 Insadong-gil(Road)

    다.삼거리,사거리,오거리 등의 교차로는 로마자 표기에 따른다.

    예) 동교동삼거리 DonggyodongSamgeori미 아 사 거 리 MiaSageori목 동 오 거 리 MokdongOgeori※ 신 촌 로 터 리 SinchonRotary※ 오류인터체인지 OryuInterchange

    3.주택

    가.아파트,연립,다세대주택의 경우에는「Apt.」로 표기하되,복수의 건물로 이

    루어진 경우에는 복수형태인 「Apts.」로 표기한다.

    예) 현 대 연 립 HyundaiApt.대 명 주 택 DaemyeongApt.우성아파트 WoosungApts.삼성아파트 SamsungApts.마이홈아파트 MyHomeApts.그린빌아파트 GreenVilleApts.

    나.다만,주상복합으로 이루어진 상가아파트인 경우「Apt.&Stores」로 표기한다.

    예) 삼희상가아파트 SamhuiApt.& Stores

    다.아파트의 단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어의 통상적인 서수표기 방식에 따르고,아

    파트의 동을 표기할 때에는 「#」을 병기한다.

    예) 상계주공2단지아파트 SanggyeJugongApts.Complex2쌍용아파트 101동 SsangyongApt.#101

    4.건물별관

    가.별관 건물명은 건물 또는 기관명에 「Annex」를 병기한다.

    예) KBS별관 KBSAnnex

  • - 37 -

    5.인명(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제4항)

    가.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고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예) 민용하 MinYongha(MinYong-ha)송나리 SongNari(SongNa-ri)

    나.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예) 한복남 HanBoknam (○) HanBongnam (×)홍빛나 HongBitna(○) HongBinna (×)

    다.'성'의 표기는「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그동안

    사용하여 왔던 '성'이 국어의 로마자표기법과 다른 경우 그동안 써온 표기를

    쓸 수 있다.(국어의로마자표기법에서'성'에대한표기를별도로정할때까지사용)

    ※ 「성에 대한 표기」참조

    예) 김 Gim, Kim, Kym이 I, Lee, Yi

    6.고개

    가. 고개는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Gogae」또는「ryeong」으로 표기하되,

    「Gogae」는 고개이름에서 띄어쓰고,「ryeong」은 고개이름에 붙여쓴다.

    예) 아 리 랑 고개 Arirang-gogae(Ridge)

    우 이 령 Uiryeong(Ridge)

    아리랑고개길 Ariranggogae-gil(Road)

    7.학교

    가.어린이집,유아원 등은「NurserySchool」로 한다.

    예) 쌍문1동어린이집 Ssangmun1(il)-dongNurserySchool

    나.유치원은「Kindergarten」으로 한다.

    예) 샛별유치원 SaetbyeolKindergarten

    다.초등학교는「ElementarySchool」로 한다.

    예) 대도초등학교 DaedoElementarySchool

  • - 38 -

    ⓐ 상 업 고 등 학 교 「CommercialHighSchool」

    예)경기상업고등학교 GyeonggiCommercialHighSchool

    ⓑ 실 업 고 등 학 교 「VocationalHighSchool」

    예)경성여자실업고등학교 GyeongseongGirls'VocationalHighSchool

    ⓒ 공 업 고 등 학 교 및기계공업고등학교

    「TechnicalHighSchool」

    예)영등포공업고등학교성동기계공업고등학교

    YeongdeungpoTechnicalHighSchoolSeongdongTechnicalHighSchool

    ⓓ 정보산업고등학교 「InformationIndustryHighSchool」

    예)고명정보산업고등학교 KomyungInformationIndustryHighSchool

    ⓔ 전자고등학교 「ElectronicsHighSchool」

    예)서초전자고등학교 SeochoElectronicsHighSchool

    ⓕ 전자공업고 등학교 「ElectronicsTechnologyHighSchool」

    예)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DeogilElectronicsTechnologyHighSchool

    ⓖ 전기공업고등학교 「ElectricTechnicalHighSchool」

    예)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SudoElectricTechnicalHighSchool

    ⓗ 정보공업고등학교 「InformationTechnologyHighSchool」

    예)동호정보공업고등학교 DonghoInformationTechnologyHighSchool

    ⓘ 전산상업고등학교 「ComputerScienceandBusinessHighSchool」

    예)해성여자전산상업고등학교 HaeseongGirls'ComputerScienceandBusinessHighSchool

    ⓙ 정보과학고등학교 「InformationScienceHighSchool」

    예)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Mirim Girls'InformationScienceHighSchool

    ⓚ 경영정보고등학교 「ManagementInformationHighSchool」

    예)서울경영정보고등학교 SeoulManagementInformationHighSchool

    ⓛ 전자공예고등학교 「ElectronicsPolytechnicHighSchool」

    예)대진전자공예고등학교 DaejinElectronicsPolytechnicHighSchool

    ⓜ 전산디자인고등학교 「ComputerScienceandDesignHighSchool」

    예)동일여자전산디자인고등학교 DongilGirl'sComputerScienceandDesignHighSchool

    ⓝ 미술고등학교 「ArtHighSchool」

    라.중학교는「MiddleSchool」로,여자중학교는「Girls'MiddleSchool」로한다.

    예)신구 중 학 교 ShinguMiddleSchool

    무학여자중학교 MuhakGirls'MiddleSchool

    마.고등학교는「HighSchool」로,여자고등학교는「Girls'HighSchool」로 한다.

    예) 동 북 고 등 학 교 DongbukHighSchool

    한성여자고등학교 HanseongGirls'HighSchool

  • - 39 -

    예)서울미술고등학교 SeoulArtHighSchool

    ⓞ 예술고등학교 「ArtsHighSchool」

    예)서울예술고등학교 SeoulArtsHighSchool

    선화예술고등학교 SunhwaArtsHighSchool

    ⓟ 국악예술고등학교 「TraditionalArtsHighSchool」.

    예)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SeoulTraditionalArtsHighSchool

    ⓠ 체육고등학교 「PhysicalEducationHighSchool」

    예)서울체육고등학교 SeoulPhysicalEducationHighSchool

    ⓡ 외국어고등학교 「ForeignLanguageHighSchool」

    예)대원외국어고등학교 DaewonForeignLanguageHighSchool

    바.산업정보학교는 「PolytechnicSchool」로 한다.

    예) 아현산업정보학교 AhyeonPolytechnicSchool

    사.부속학교는사범대와대학을동일하게「○○SchoolAttachedto○○University」로 한다.

    예) 고려대사범대부속고등학교 KoreaHighSchoolAttachedtoKoreaUniversity

    홍대부속초등학교 HongikElementarySchoolAttachedtoHongik

    University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KoreaNationalUniversityHighSchool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Demonstration Middle SchoolCollege ofEducation Ewha

    WomansUnversity

    아.특수학교는 「School」로 표기하되 필요시 속성을 알 수 있도록「forthe

    PhysicallyChallenged」등을 병기한다.

    예) 주몽학교 JumongSchool(fortheHandicapped)

    교남학교 Kyonam School(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서울농학교 SchoolNationalSchoolfortheDeaf

    8.학원

    가.학원은 「Academy」로 한다.

    예) 수도학원 SudoAcademy

    고려학원 GoryeoAcademy

  • - 40 -

    9.청소년시설

    가.청소년독서실은 「YouthStudyRoom」으로 한다.

    예) 은평구립 청소년독서실 Eunpyeong-guYouthStudyRoom

    나.청소년회관 및 청소년수련관은「YouthCenter」로 한다.

    예) 목동 청소년수련관 Mok-dongYouthCenter

    다.도서관은「PublicLibrary」로 한다.

    예) 도봉도서관 DobongPublicLibrary

    ※ 경기도장학관 Gyeonggi-doStudentDormitory

    10.문화·복지시설

    가.구민회관은 「○○-guCommunityCenter」로 한다.

    예) 종로구민회관 Jongno-guCommunityCenter

    나.구민체육센터는 「○○-guSportsCenter」로 한다.

    예) 동작구민체육센터 Dongjak-guSportsCenter

    다.구민문화체육센터는 「○○-guCultureandSportsCenter」로 한다.

    예) 마포문화체육센터 Mapo-guCultureandSportsCenter

    라.구민문화정보센터는 「○○-guCultureandInformationCenter」로 한다.

    예) 도봉문화정보센터 Dobong-guCultureandInformationCenter

    마.보건소는 「○○-guCommunityHealthCenter」로 한다.

    예) 서대문구보건소 Seodaemun-guCommunityHealthCenter

    바.종합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회관은 「SocialWelfareCenter」로 하되,사설

    기관의 경우 기존 영문명을 사용할 수 있다.

    예) 유락종합사회복지관 YurakSocialWelfareCenter

    성북노인종합복지관 SeongbukSeniorWelfareCenter

    광주공원노인복지회관 GwangjuSilver'sParkWelfareCenter

  • - 41 -

    ① 내과의원 「InternalMedicineClinic」예)연세중앙내과의원 YonseiJungangInternalMedicine Clinic② 외과의원 「SurgeryClinic」예)동인외과 DonginSurgeryClinic③ 산부인과의원 「Obstetrics& GynecologyClinic」.예)한솔산부인 HansolObstetrics& GynecologyClinic④ 이비인후과의원 「Ear,Nose,andThroatClinic」예)정이비인후과 Jung'sEar,Nose,andThroatClinic⑤ 정형외과의원 「OrthopedicSurgeryClinic」예)푸른정형외과 PureunOrthopedicSurgeryClinic⑥ 성형외과의원 「PlasticSurgeryClinic」예)보니따성형외과 BonitaPlasticSurgeryClinic⑦ 신경외과의원 「NeurosurgicalClinic」예)석신경외과 SeokNeurosurgicalClinic⑧ 신경정신과의원 「NeuropsychiatricClinic」예)열린마음신경정신과 Yeollinmaeum NeuropsychiatricClinic⑨ 소아과의원 「PediatricsClinic」예)홍소아과 HongPediatricsClinic

    아.근로자복지관은 「LaborWelfareCenter」로 한다.

    예) ○○근로자복지관 ○○LaborWelfareCenter

    자.장애인종합복지관은 「WelfareCenterfortheDisabled」로 한다.

    예) 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NambuWelfareCenterfortheDisabled

    차.경로당,노인정 등은 「HallfortheElderly」로 한다.

    예) 자양1동 경로당 Jayang1(il)-dongHallfortheElderly

    카.양로원은 「SeniorCitizensHome」으로 한다.

    예) 청운양로원 CheongunSeniorCitizensHome

    11.병원·의원·약국

    가.병원은「Hospital」로,한방병원은 「OrientalMedicineHospital」로 한다.

    예) 세 종 병 원 SejongHospital

    우리한방병원 WooreeOrientalMedicineHospital

    나.의원은 「Clinic」으로,한의원은 「OrientalMedicineClinic」으로 한다.

    예) 도봉고려의원 DobongGoryeoClinic

    누가한의원 NugaOrientalMedicineClinic

  • - 42 -

    ⑩ 안과의원 「EyeClinic」예)서울안과 SeoulEyeClinic⑪ 비뇨기과의원 「UrologyClinic」예)이수비뇨기과 IsuUrologyClinic⑫ 치과의원 「DentalClinic」예)백상치과 BaeksangDentalClinic

    다.약국 및 약방은「Pharmacy」로 한다.

    예) 광생약국 GwangsaengPharmacy그랜드약국 GrandPharmacy

    12.상점

    가.재래시장은 「Market」으로 한다.

    예) 동 대 문 시 장 DongdaemunMarket녹 번 시 장 NokbeonMarket천호청과종합시장 CheonhoVegetable& FruitMarket노량진수산시장 NoryangjinFishMarket마포농수산물시장 MapoAgriculturalandMarineProductsMarket

    나.백화점은 「Dept.Store」로 한다.

    예) 롯 데 백 화 점 LotteDept.Store갤러리아백화점 GalleriaDept.Store태 평 백 화 점 TaepyungDept.Store메트로미도파 MetroMidopa(Dept.Store)

    다.상점이 밀집되어 상가를 이루는 경우 그 특성이나 그간의 관행 등을 고려「Shop」,

    「Arcade」,「ShoppingCenter」,「ShoppingMall」중 택일하여 표기한다.

    예) 대 길 상 가 DaegilShoppingCenter

    대림쇼핑센터 Daerim ShoppingCenter

    우성쇼핑센터 WoosungShoppingCenter

    자동차부품중앙상가 AutoPartsShoppingMall

    낙 원 상 가 NagwonArcade

    미 주 상 가 MijuArcade

    신 동 아 상 가 SindongahArcade

    유 투 존 UtooZone(ShoppingMall)

    동 방 프 라 자 DongbangPlaza(ShoppingMall)

    명 동 지 하 상 가 Myeong-dongUndergroundShoppingCenter

  • - 43 -

    13.주소

    가.주소 중 시ㆍ도,시ㆍ군ㆍ구,읍ㆍ면ㆍ동,리의 표기는「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 따

    라 표기한다

    나.주소의 영문표기는 한글주소와는 반대로 '동-호수,특수주소명,산ㆍ번지ㆍ호수ㆍ

    (통반),리,읍ㆍ면ㆍ동,시ㆍ군ㆍ구,시ㆍ도'의 순으로 하고 영어식으로 적는다.

    예)서울특별시서초구잠원동산65-33번지1통1반신반포22차아파트1동1호

    1-1, Sinbanpo22-chaApts.,San65-33(1/1),Jamwon-dong,Seocho-gu,

    Seoul,우편번호,Korea

  • - 44 -

    서울시 외국어(중문)표기 기준(안)

    ※’12.12.31 시민의견 수렴결과를 반영한 최종 표기기준 별도 게시 예정

    2012.12월 개정본

    관광사업과(3707-8439)

    1.중문 표기 시 간체와 번체의 병기가 어려운 경우는 간체 표기를 우선하며 간체

    와 번체의 동시 표기의 경우는 1)간체 2)번체 순으로 표기한다.

    2.고유명사

    가.기관명,인명,지명 등은 가능한 한 해당기관 또는 당사자가 사용하거나 관용적으로

    사용해온 한자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다.

    예)월드컵경기장 :世界杯体育场 무역센터 :会展中心

    경원대학교 :暻园大学 한국관광공사 :韩国旅游发展局

    나.한자가 있는 고유명사의 경우는 가능한 한 한자 그대로 사용한다.

    예)남대문 :南大门 명동 :明洞

    다.의미가 명확하여 대응되는 중국어가 있는 순우리말 등은 의역을 원칙으로 한다

    예)굽은다리 (曲桥) 어린이대공원 (儿童大公园)

    까치산 :喜鹊山 당고개 :堂岭

    라.의미의이해가어렵거나의역시표기전달이어려운경우는음역을원칙으로 한다.

    예)장승배기 (长丞拜基) 돌곶이 (多尔古齐)

    마.과거에 사용했던 한자 명칭이 존재하나 현재 사용하는 고유명사와 발음이 상이

    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음역한다.

    예)연신내 :延新内 ※ 과거 한자명칭 :延曙川

    보라매공원 :波拉美公园 ※ 과거 한자명칭 :海东青

    바.한자가 없는 고유명사는 의역과 음역영역으로 나누어 표기하되

    이미 관용화된 용어에 대한 표기는 음역 또는 의역을 그대로 적용한다.

    예)의역 :애오개 (儿岭 ) 음역 :연신내 (延新内 )

  • - 45 -

    사.이체자의 경우는 현대 중국 한자로 바꾸어 사용한다.

    예)수유 (水逾) ※ 水踰-한국 한자

    아.현대 중국어에서 이미 사용하지 않는 한자로 된 고유명사의 경우는 한국 한자를 그

    대로 사용한다.

    예)지축 (纸杻) 녹번 (碌磻)

    3.보통명사

    가.한자로 구성되어있는경우일지라도중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고,현대 중

    국어 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표기로 바꾸어 표기한다.

    예)화장실 :洗手间 장애인용 :残疾人专用 고속도로 :高速公路

    서울역 :首尔站 김포공항 :金浦机场

    나.순우리말의 보통명사경우중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로 바꾸어 사용한다.

    예)책상 :书桌 표 파는 곳 :售票处

    다.외래어의경우중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로 바꾸어 사용한다.

    예)올림픽 :奥林匹克 터미널 :客运站 갤러리 :画廊

    1.역명 + ‘입구’의 ‘입구’는 삭제한다.(영문표기 원칙과 동일)

    예)서울대입구 :首尔大学 (영문 :SeoulNat'lUniv.)

    한성대입구 :汉城大学 (영문 :HansungUniv.)

    ※"을지로입구"의 경우만 입구를 그대로 사용 :乙支路入口

    2.역명 + ‘앞’의 ‘앞’은 삭제한다.(영문표기 원칙과 동일)

    예)외대앞 :外国语大学 (영문 :HankukUniv.ofForeignStudies)

    동묘앞 :东庙 (영문 :Dongmyo)

    3.역명이 대학명칭인 경우 全名을 사용한다.(중국역명 표기 방식과 동일)

    예) 고 대 :高丽大学 이 대 :梨花女子大学

    한 양 대 :汉阳大学 ※ 한대앞(안산선):汉阳大学(安山)으로 표시

  • - 46 -

    4.시청,구청,정부과천청사의 역명은 고유명사로 간주해 한자 그대로 사용한다.

    예)시청 :市厅 강남구청 :江南区厅 정부과천청사 :政府果川厅舍

    5.앞의 지명이 생략된 역명의 경우 중국어도 지명을 생략한다.

    예)고속터미널 :高速巴士客运站 ※ 남부터미널 :南部客运站

    대공원 :大公园 ※ 어린이대공원 :儿童大公园

    교 대 :教育大学 ※ 인천교대 :仁川教育大学

    6.기존 사용 습관을 존중해 재는 “斋”,들은 “德”,내는 “内”,골은 “谷”로 음역한다.

    예)무악재 :毋岳斋 마 들 :马德

    연신내 :延新内 먹 골 :墨谷

    7.순우리말 역명을 의역할 경우 동일한 지명(역명)이 있어 혼란을 야기할 경우 음역한

    다.

    예)한 티 :汉堤 ※ 대치동 大峙洞

    범 계 :凡溪 ※ 호계동 :虎溪洞

    새 절 :赛折 ※ 신사동 :新沙洞

    *새절역은 새로운 절(新寺)을 의미하나 3호선 신사(新沙)와 한자독음이 같아 음역으로 표기함

  • - 47 -

    서울시 외국어(일문)표기 기준(안)

    ※’12.12.31 시민의견 수렴결과를 반영한 최종 표기기준 별도 게시 예정

    2012.12월 제정본

    관광사업과(3707-8439)

    용례중심의 일본어 국문표기 기본 원칙을 마련하여 행정의 통일성을 높이고 방한 일본

    인 등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함

    1.국어의 일문표기는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교과부 교과서편수자료)을 준용하여

    국어의 표준 발음법(문교부 고시 제88-2호,1988.1.19)에 따라 가타카나로

    표기한다.

    2.가나문자는 박(mora)단위로 적되 국어의 ‘자음+모음’음절은 두 박을 넘지 않게

    받침은 한 박을 넘지 않게 적는다.

    3.고유명사

    가.한자(漢字)가 있는 국어의 고유명사는 한자를 병기할 수 있으며 표기는 용어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국어의 한자 표기 방식을 적용한다.

    예)잠 실 :チャムシル(蠶室) 녹 번 :ノクボン( 碌磻)

    나.인명은 성과 이름을 가운뎃점으로 구별하며,개인의 관용적 표기에 따른다.

    예)이(리)영미 :イ(リ)・ヨンミ 윤손하 :ユン・ソナ

    다.지명은‘국어의가나문자표기법’가나문자표기용례에따르는것을원칙으로한다.

    예)서울특별시 :ソウル特別市 중구 :チュン区

    라.국명은일본의국명표기에따른다.

    예)대한민국 :大韓民国 한국 :韓国 

  • - 48 -

    4.보통명사

    가.보통명사는 일본어의 한자 표기에 따라 한자로 표기한다.

    예)시 청 :市庁 까치산 :カチ山

    나.국어에서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 보통명사(寺 ,島 등)와 일본에서 통용되지

    않는 보통명사(宮,江 ,嶺 등)는 발음대로 적는다.

    단,한자(漢字)가 있는 경우 ()안에 병기할 수 있으며,병기하는 한자는 국어의

    한자 표기를 따른다

    예)불국사 : プルグクサ(佛國寺) 을지로 :ウルチロ(乙支路)

    다.지명 등으로 관용화 된 보통명사는 발음대로 적는다.단()안에한자를병기할수있으

    며,국어의 한자 표기를 따른다

    예)남대문 :ナムデムン(南大門) 동대문 :トンデムン(東大門)

    5.행정구역명,역명,도로명 등에서 접미 요소는 일본어의 한자 표기를 적용한다.

    예)서초동 :ソチョ洞 호남선 :ホナム線

    6.시설물 명칭 중 외래어 부분은 일본의 외래어 표기에 따른다

    예)올림픽공원 :オリンピック公園 디지털미디어시티 :デジタルメディアシティ

    7. ‘국어의 가나문자 표기법’과 상이한 관용적 표기는 서울시 일본어표기 자문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표기하되관용적 표기임을나타낸다.

    예)육 회 :ユケ(국어의 가나문자 표기법)(×), ユッケ(관용적 표기)(○)

    비빔밥 :ビビンパプ(국어의 가나문자 표기법)(×), ビビンパ(관용적 표기)(○)

    지하철역명 표기는 한자(漢字)의 유무와 무관하게 국어의 발음표준법에 따라 발음

    대로 가타카나로 적는다.단 가타카나 표기 시 표기가 동일해지는 경우,()안에 한

    자를 병기할 수 있으며,국어의 한자 표기를 따른다.

      예)온양온천 :温陽温泉(X) オニャンオンチョン(O)

       신촌 :シンチョン(新村) 신천 :シンチョン(新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