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 ([email protected])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우물 A Well Kyung-nam Kim <Abstrac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is a specific spot where we obtain water, a type of energy that enables the growth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particularly in that it provides humans with drinking water, which is essential to support life, in an old-fashioned manner.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imilarity of the symbolic structure of a well to the human mind and ascertained a well's sanctity, its symbol of fertility and birth, its role as a mediator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and its power of regenerating and healing by analyzing various cultures. I also explored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through a well, presented in Self-Portrait by poet Yun Dong-ju.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sandplay therapy cases and dreams, I looked into a well's symbols, namely a mediator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healing power, transcendental function of the unconscious, and negative energy of the unconscious. Keywords : well, symbol, holiness, affluence and birth, sandplay therapy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 55 -

* 남서울대학교 아동가족상담센터 상담원 ([email protected])

상징과모래놀이치료, 제3권 제2호

Symbols and Sandplay Therapy2012, 12, Vol. 3, No. 2, 55-72.

우물A Well

김 경 남*

Kyung-nam Kim

<Abstrac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is a specific spot where we obtain water, a type of energy that enables

the growth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particularly in that it provides humans with drinking

water, which is essential to support life, in an old-fashioned manner.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imilarity of the symbolic structure of a well to the human mind and ascertained a well's sanctity,

its symbol of fertility and birth, its role as a mediator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and its power of regenerating and healing by analyzing various cultures. I also explored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through a well, presented in Self-Portrait by poet Yun Dong-ju.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sandplay therapy cases and dreams, I looked into a well's symbols, namely a

mediator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healing power, transcendental function of the

unconscious, and negative energy of the unconscious.

Keywords : well, symbol, holiness, affluence and birth, sandplay therapy

Page 2: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56 -

Ⅰ. 서 론

인간이 일상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자연가운데 물의 종류는 셀 수 없을 만큼 다양하다.

특히, 우물은 옛 부터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생활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식수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인간은 신석기 시대에 접어들면서 정착생활을 시작하였고, 그 후 마을이 생기면서 집단

생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마을에 있어서 식수확보는 필수적인 문제이다. 대한민국

의 역사적인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우물은 삼국의 건국 초기이다. 그러나 실제로 발굴

된 것들을 살펴보면 선사시대의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Kwon, 2005). 우물은 인

간이 생존하는데 꼭 필요한 필수적 요소이며, 우물이 없었다면 식생활 체계가 형성될 수

없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우물은 사회가

발전하면서 상수도로 대체되었고 실제로 우리 주변에서 우물을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래놀이치료에서 내담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접하지 않는

우물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거대한 무의식의 세계를 탐색하여 개성과 과정을

거치는 작업 중에 자주 등장하는 것은 인류의 과거와 연결되어 있는 집단 무의식과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인간이 자기 자신을 알게 되는, 즉 개성화 과정에서 자아(Self)를

찾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의 상징물이라는 생각에 우물을 선택하게 되었다.

우물의 사전적인 정의는 땅을 파고 물을 괴게하여 물을 얻게 하는 것이고, 보편적 상징

으로서 우물은 여성원리 이며, 태모의 자궁, 마음을 나타낸다. 우물은 지하 세계와 접촉하

기 때문에 우물에는 종종 치유력과 소원 성취의 힘을 가지는 마법의 물이 있다. 뚜껑이 덮

인 우물은 처녀성을 의미하고, 강물이 흘러드는 우물은 남녀의 결합을 나타낸다. 겔트 신

화에서 성스러운 우물은 다른 세계와 통하며, 마력을 가지고, 그 물에는 치유력이 있다. 유

대교의 상징체계에서 담수가 솟아나는 우물은 토라(율법)를 나타낸다. 크리스트교에서 우

물은 구원과 정화의 상징이다(Cooper, 1978).

Ⅱ. 우물의 종류와 구조

우물은 지하수의 상태에 보통우물과 자분정(自噴井, artesian well, 지하수의 수압을 이용

한 우물)으로 분류된다. 지표면 아래에 점토와 같은 불투수성(不透水性) 지층이 있으면 그

위에 지하수가 괴는데, 이것은 흙의 빈틈을 통해서 대기에 접하고 있으므로 자유수면을 가

Page 3: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57 -

진 지하수라고 한다. 이 지하수를 퍼 올리는 우물이 보통 우물이다. 보통 우물은 다시 깊

은 우물과 얕은 우물로 구별된다(Doopidia, 2010).

지표면에서 지하의 자유수면까지 파내려가 우물바닥까지 솟아나는 물을 퍼올리는 우물

이 7m 이내이면 얕은 우물이고, 기하수층을 더욱 파 내려가 그 깊이가 7m 이상이면 깊은

우물이다. 얕은 우물은 예로부터 수굴식(手掘式)공법으로 만들었다. 곡괭이와 삽으로 토사

를 파고 버킷에 흙을 담아 반출한다. 그 주위에는 우물틀로서 토관이나 흄관을 삽입하여

흙의 붕괴를 방지한다. 깊은 우물의 경우는 체수층(흐르지 않고 괴여 있는 물) 부분에 세

로 방향의 틈새를 많이 넣은 콘크리트제의 우물틀을 사용해서 물을 모은다(Doopidia, 2010).

땅은 여러 가지 층으로 나누어진다. 우물을 만들 때에도 관찰 할 수 있듯 불투수층, 체

수층, 등 더 깊숙이 들어갈수록 여러 겹의 층들로 이루어져 있다. Jung의 이론인 분석심리

학의 정신의 구조(의식, 자아,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 Self)를 떠올려 보자. 서로 상이한 층

들이 함께 하나의 땅이라는 존재를 완성하고, 여러 가지의 정신 구조의 층들이 인간의 정

신을 이루고 있다. 특히, 우물은 구조적 특성상 깊은 땅에서부터 물이 솟아 올라온다. 인간

역시 개성화 과정을 통해 Self와의 관계를 맺기 위해서 깊이 잠자고 있는 에너지들이 의식

을 향하여 솟아 나와야 한다. 이렇듯 인간의 정신과 우물은 깊은 곳에서부터 에너지의 분

출이라는 상징적 구조가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Fig. 1).

Fig. 1. A well

(Source of the photo: www.encyber.com)

Page 4: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58 -

Ⅲ. 우물의 상징적 의미

1. 우물의 신성함

물은 인간을 비롯한 만물을 생성시킨 요소임과 동시에, 생명이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요소이다. 물은 탄생과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정화의 기능, 즉 더러워진 것에서 깨

끗한 것으로 변화하도록 하며, 한 방울의 힘없는 요소인 동시에 물로 인해 재난이 일어나

모든 생명의 싹을 틔우고 성장시키는 물의 능력은 정착 농경생활을 가능하게 하였고, 경작

을 통해 문명과 부를 이룩한 고대인들에게 물과 땅의 비옥함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물의 소중함과 신성성에 대한 인식은 물의 유연한 움직임과 원리를 상징화시킨 ‘용’이라는

상상의 동물을 창출시켰으며, 숭배하는 신앙을 낳기도 하였다. 또한 우물이 지닌 원초적

생명력은 여성의 생산성, 근원적인 생명으로의 회귀, 재상 등의 관념과 밀접히 관련되어

각종 상징 및 신화적 사고를 낳았으며, 물이 지닌 세정 능력은 모든 재앙과 잡귀를 물리치

는 벽사적인 기능과 함께 세속의 공간을 신성화시킨다는 의미를 띄게 되었다(Gu, 2002).

대한민국에서는 이른 첫 새벽에 긷는 우물물을 ‘정화수’라 하는데, 정성을 들이는 일이

나 신에게 올리는 의식에서 자주 사용된다. 신과의 만남은 아무 곳에서나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신과의 접촉을 시도할 때 목욕제계를 함으로써 몸과 마음을 깨끗

이 하여 신성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무속에서 굿을 할 때나 점을 칠 때 정화수를 떠

놓는 것을 일반적으로 볼 수 있고, 간절한 마음을 담아 조상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치성을

들일 때에도 ‘정화수’를 사용한다. 부정굿이라 하여 외부의 부정한 것들, 인간관계에서의

나쁜 것들, 제물에 묻은 부정을 없앨 때에도 ‘정화수’를 이용함으로서 신성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고유한 민속신앙에서 볼 수 있듯이 우물은 신성한 에너지를 상징적으

로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물의 신성함은 동양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기독교에서는 우물을 정

화의 상징으로 보았으며, 사람들은 자신들의 소망, 바람, 욕구들을 우물에 살고 있는 요정

에게 기도함으로써 원하는 것들이 이루어지기를 믿었다. 그리고 우물 안에 동전을 던지면

서 상징적인 제물을 바치는 것으로 바람, 소망 등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하였다(Walker,

1988). 우물은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위에서 신성한 능력을 발휘하는 상징

임을 여러 문화권을 통해 알 수 있다.

2. 풍요와 탄생의 상징으로서의 우물

인간을 포함하여 우주만물이 생성되고 성장하는데 필수적인 물이 생성되고 보관하며,

Page 5: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59 -

사용하는 공간인 우물이 풍요와 탄생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것이 너무나 당

연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물은 인간의 근본적인 삶을 위하여 꼭 필요한 강한 에너지원을

제공하고 있고, 또 그 에너지인 물을 통하여 농사도 짓고, 밥도 지으며, 깨끗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에너지를 통해 인간의 삶은 더욱 윤택하게 되며, 기본적인 생명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풍요로움을 제공하는 상징물임이 틀림없다. 그리

고 근원적으로 모든 생명이 물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음을 생각할 때 생명 탄생의 상징을

부여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그리스에서는 결혼하는 사람들은 다산의 능력을 얻기 위해

‘Hagiasma’라는 신성한 우물에 목욕을 한다고 전해져 내려온다(Walker, 1988). 또한, 우물은

여성원리이다. 우리 인간은 어머니의 자궁 안에서 수정과 동시에 양수라는 것으로부터 보

호를 받고, 자궁 안에서 성장하며 기본적인 자원을 제공 받는다. 이는 알 수 없고 보이지

않는 미지의 공간이며 생명력을 보호하고 성장, 양육하는데 일차적인 에너지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우물의 속성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우물이 풍요의 상징이라는 것은 다양한 문

화권의 민간 신앙, 풍속들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우물은 여러 문화권에서 알려진 설화나

민담에 자주 등장하는 상징물로서 그 의미와 상징적인 측면에서 공통적인 역할을 하였다

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우물이 인간의 삶 속에서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그리고 우리에게

어느 정도 중요한 측면이었는지를 알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정월 초하룻날 새벽에 주부들이 앞 다투어 샘물을 뜬다. 첫 번째 뜨는 물

을 ‘사자(獅子)의 젖’이라 하여 재복(再覆)으로 여긴다. 중국의 사천성(四川省)과 섬서성(陝

西省)의 한족(漢族)들도 ‘창은수(搶銀水)’ 풍습을 지킨다. 정월 초하룻날 새벽 다투어 우물

물을 길어다가 차를 끊여 다상에 바친다. 이를 ‘은수(銀水) 빼앗기’라 이르며, 빨리 뜰수록

부자가 된다고 여긴다. 섬서성에도 길어 온 물을 물독에 부으면 재산이 불어나며, 천을 염

색하면 빛이 나고, 쌀을 씻으면 밥맛이 좋고, 술을 빚으면 시지 않는다는 관념이 있다(Kim,

2001).

대한민국에도 이것과 유사한 ‘용알뜨기’라는 풍속이 전해지고 있다. ‘용알뜨기’는 정월

대보름날에 부인들이 닭이 울 때를 기다렸다가 서로 앞을 다투어 우물물을 긷던 풍속으로,

첫새벽에 처음으로 길어온 우물물을 복물 또는 용알 떠온다고 한다. 때문에 정월 열 나흘

날 자정부터 동이를 이고 우물에 가서 기다리는 부인도 있다. 이날 밤에 하늘에서 용이 내

려와 우물에 알을 낳는다고 믿는데, 첫 번째 물을 긷는 사람의 물에 용의 알이 섞여 들어

가기 때문에 ‘용알뜨기’라 하여 이처럼 물 긷기를 다투는 것이다. 보통 용알을 먼저 떠간

사람의 집은 그 해 농사가 잘 된다고 믿는다. ‘용알뜨기’는 이처럼 풍농의 믿음이 담겨있

어 우물의 생산력과 풍요의 상징성을 확인할 수 있다(Kwon, 2005).

민담이나 고대설화 속에 등장하는 우물은 여성적 생산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우물이

지니고 있는 생명, 생산, 탄생력은 생명을 잉태하고 탄생시키는 여성의 생명원리와 깊은

Page 6: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60 -

관계가 있다. 제주도 무당 노래(천지왕 본풀이)를 살펴보면, 새벽 기운이 하늘과 땅을 만들

자, 이어 하늘에서 내린 이슬과 땅에서 솟은 물이 어우러져서 만물이 태어났다는 구절이

있다. 이는 우주만물을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물이 존재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

다. 샘은 생명의 근원이며, 새롭게 땅에서 솟아오르는 물의 모티브를 가진 우물 역시 생산

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Park, 1998). 우물을 통하여 근원적인 땅속에서의 솟구침은 생명력,

탄생력의 분출을 상징한다. 우물을 매개로 하여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고대설화들을 살

펴보면 우물의 생산적인 상징들이 잘 드러난다.

특히, 대한민국의 건국신화에서 우물은 건국시조의 출생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신라의 건국신화에서는 박혁거세와 왕비인 알영이 출생하는 곳이

모두 우물가로 나타나고, 고구려 시조인 동명성왕의 어머니 유화부인이 웅심연에서 나온

다. 고려를 건국한 왕건의 조모에 해당하는 용녀가 서해를 왕래하는데 우물을 통하여 서해

용궁을 드나들었다고 한다. 이는 왕건 자신이 우물에서 탄생한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모계

를 통해 신성성을 획득하고 있다. 이렇듯 건국신화를 통해 우물의 탄생력과 더불어 신성한

상징적 의미를 살펴 볼 수 있다. 건국신화 이외에도 영호남 지방에서는 칠월 칠석에 우물

을 치고 제사를 올린다. 이때 한 사람이 바닥에 들어가 물을 퍼서 중간 사람에게 올리고,

그는 다시 우물가의 사람에게 넘긴다. 출산을 앞둔 아내가 있는 남자는, 밑바닥으로 들어

가는데 이를 어여삐 여겨서 용왕신이 아들을 점지해 준다고 한다. 같은 내용의 민담으로

강원도 명주군 학산리의 한 처녀가 돌 우물에 비친 아침 해를 떠먹고 아들을 낳았다고 전

해진다. 대보름날 우물 속에 처음으로 비치는 달 그림자를 용의 알이라 하여, 수태하기를

원하는 여성이 이를 떠서 마시면 아기를 갖게 된다(Kim, 1983).

중국 민담에서도 한대(漢代)의 한 자매는 우물에 가서 달걀꼴 모양의 돌에 입을 맞추었

다가 잘못하여 삼켰다. 언니는 곧 임신을 하였고 용을 낳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대설화, 민담, 건국신화 등을 통해 우물이 풍요로움과 생산,

탄생의 상징을 가지고 있음을 뚜렷이 알 수 있다.

3.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하는 중재자로서의 우물

우물의 형상은 대지의 구멍이다. 우주 세계를 연결하는 중심의 축으로(central axis) 통하

는 열림으로서의 우물이다(Eliade, 1974). 우물은 마치 수직으로 뚫린 굴이나 터널처럼, 어딘

가 알 수 없는 세계로 연결된 ‘통로’로서의 느낌을 강하게 준다. 따라서 예로부터 사람들

은 우물이라는 통로와 연결된 그 너머의 곳을 바다 속 용궁으로 인식하기도 하였고, 죽어

서 가는 저승세계나 인간이 꿈꾸는 이상세계, 천상세계를 설정하기도 했던 것이다(Gu,

2002).

Page 7: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61 -

우물은 들어가면서 내부를 드러내며 내부로 들어갈수록 더욱더 깊은 어두움을 동반한

다. 우물 밖으로는 밝은 세계를 볼 수 있으며, 우물 안에서는 어두운 내면을 관찰할 수

있다. 우주의 중심과 연결된 수직적 축으로서 우물은 겉으로는 우물에 비추어져 있는 자

연, 사물, 인간 등만을 볼 수 있지만 내부로 들어갈수록 거대한 세계와 연결되어 있는 상

징물이다.

우리는 흔히 의식을 작은 섬에 비유한다면 무의식을 넓은 바다에 비유한다. 우리의 의

식이란 마치 피부와 같은 표면이다. 그 밑에 끝없는 미지의 영역이 있다. 우리는 이것을

가볍게 무의식이라 부르지만 무의식이 얼마만큼 큰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지 알 길이 없다

(Lee, 1978). 이처럼 우물의 구조, 속성이 인간의 의식과 무의식 구조, 속성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나의 내면세계에 우물이 있다면 그것의 역할은 무엇일까?

나에게 있어 우물이라는 상징은 나를 무의식의 세계로 연결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충분

히 했음을 말하고 싶다. 그 과정에서 어떻게 심리적 문제들이 해결되는 지가 중요하지만

우물 자체로서 나를 탐색하고, 통찰 할 수 있게 도와준 상징물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나

스스로 외면하고 잊고 싶었던, 그래서 더 인정하기 싫었던 그림자적인 요소들을 직면하고

집단 무의식의 에너지를 지원받으며 통찰할 수 있도록 한 싱징이다. 그럼으로써 내가 개성

화 과정에 한 발 더 다가가게 된 것이라 생각한다.

어린 시절 꿈속에 등장하는 친구나, 우물과 관련된 기억들은 나에게 두려움으로 인식되

었고, 실제 싸늘하고 검은 이미지로서 등장하면서 나를 힘들게 하였다. 그것은 아마도 내

가 인정하고 싶지 않은 죄책감, 우울, 불안의 덩어리였다는 탐색을 하게 되면서 내가 부정

하는 그림자적인 요소들을 인식하게 되었다. 얼마전부터 꿈속에 나타나는 나의 외상적 경

험은 과거의 공포스러움에서 점차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두렵고 무서운 이미지에서 점점

밝아졌으며 친구의 친근한 경험들이 떠올랐다. 아직 그 사건을 모두 해결하고 나에게 있는

모든 죄책감과 불안을 극복했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통찰과 직면을 통하여 해결되어 가고

있는 과정이라 생각된다.

중국인들은 사람이 죽어서 가는 저승은 땅 밑의 샘과 통한다고 여겨 저승을 황천(黃泉),

구천(九泉)이라 일컬었다. 오늘날에도 장례 때 우물에 대고 이름을 외쳐서 죽은 사람의 혼

을 부른다. 일본에서도 우물은 저승과의 통로로 여긴다. 사람이 기절하였을 때 우물을 들

여다보면서 이름을 부르면 혼이 되돌아온다고 여긴다. 태어나다가 죽거나 젊어서 죽은 사

람의 혼을 부를 때에도 우물 속을 향하거나 지붕 위로 올라가거나 저승 쪽이라고 생각되

는 곳으로 멀리 가서 혼을 부른다. 7월 15일(음력)에는 우물을 청소하는데 이는 죽은 사람

의 혼이 가는 길을 정비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Kim, 2001). 이처럼 우물은 보이지 않고 거

대한 다른 세계와 연결된 곳을 상징하며, 우물을 통해 지하세계에서 현실로 원하는 것을

Page 8: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62 -

끌어 올리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한다(Bidermann, 1994).

4. 우물의 재생, 치유능력

우물은 설화에서 흔히 치유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등장한다. 우물이 등장하는 설화가운

데 많이 나타나는 것은 불치의 병으로 고통을 받다가 우물물을 먹거나 바르거나 하여 그

병을 고쳤다는 설화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아주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대표적인 치유의 기능으로서 작용한 설화를 살펴보면, 경기도 광주에 이집이라는 총

각이 살고 있었는데, 그의 아버지가 등에 종기가 나서 몹시 고생을 하였다. 효성이 지극

한 이집은 아버지의 종기를 고치기 위해 온갖 정성을 다하던 중, 어느 날 꿈에 산신령

이 나타나 절에 가서 백일기도를 하라고 일러준다. 절에 가서 기도를 한 후, 이집의 아

버지는 목이 말라 붕어가 들어있던 그릇의 물을 마셔버렸다. 그랬더니 아버지의 종기가

터져있고 붕어가 그 빈 그릇에서 퍼덕이고 있었다. 그래서 붕어를 살리려고 우물물을

길어 부으니 붕어가 제 색을 찾으면서 살아났다. 그것을 보고서 그 우물물을 아버지의

종기에 바르니 터진 종기가 아물기 시작했다. 그래서 우물물로 아버지 종기를 고쳤고,

그 소문이 나자 피부병 환자들이 물려 들어 병을 고쳤다고 한다(Gwangju Newsletter

Association, 1990).

또한, 기독교 성경에 사마리아 여인이 우물가에서 예수님과 대화를 나눈다. “우리 조상

야곱이 이 우물을 우리에게 주었고 또 여기서 자기와 자기 아들들과 짐승이 다 먹었으니

당신이 야곱보다 더 크나이까”라고 사마리아 여인이 예수님에게 묻자 예수님은 “내가 주

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

아나는 샘물이 되리라”고 대답하셨다(요한복음 4장 14~15절). 이 성경 구절에서 말하는 우

물은 재생, 치유의 상징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Fig. 2).

여기에서 알 수 있듯 우물물은 병을 치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물의 예

배, 특히 치료효과가 있는 우물은 민중의 깊은 신앙심으로 예배를 드리는 경우가 많다. 실

상 우물은 제단이나 신전에 설치되어 성소로 여겨지는 모습을 여러 문화권에서 볼 수 있

다. 원시 사르디니아인들은 우물에 공물을 바치고 그 곁에 제단을 세워 사르디니아의 아버

지를 모시고 예배하였으며(Eliade, 1949), 예수님과 사마리아 여인이 대화를 나누던 우물은

교회가 지어져 있다. 이처럼 우물이 신전, 제단의 장소로 쓰이는 것은 그 우물이 지닌 치

유 능력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말한다. 왜냐하면 우물의 원형인 물은 ‘살아있는 물’이며,

치유하고 젊음을 회복시켜주고, 영원한 생명을 보증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물은 재생의

공간으로서 치유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9: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63 -

Fig. 2. well of Jusus conversation with the Samaritan woman

(Source of the photo: http://blog.daum.net/sunghwa/15853536?

srchid=IIMWMQNc 400#A2767C04950CEF13618722D)

5. 문학작품에 드러난 우물

우물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은 셀 수 없이 다양하다. 필자가 소개할 작품은 윤동주(2002)

의 ‘자화상’이라는 시이다. 여러 문학 작품 가운데 특별히 ‘자화상’을 선택한 이유는 우물

을 통하여 무의식적인 요소들을 하나씩 깨닳아 나가면서 그림자를 발견하며, 이러한 과정

을 반복하면서 자기의 전체 인격을 통합하려고 노력하는 개성화 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

이다.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 집니다.

Page 10: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64 -

도로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인간의 무의식에는 언제나 전체가 되고자 하는 경향이 있어 무의식이라 부르는 마음의

심층에는 의식으로 통합하려는 원동력이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무의식은 의식을 보상하려

는 노력과 시도를 하는 보상적 기능을 한다. 의식이 무의식에 관심을 두며 무의식적 요소

들을 인식하며 살 때 인간정신의 전체적 실현과 성숙이 이루어진다. 위의 시 ‘자화상’에서

는 그러한 요소들을 매우 잘 표현하고 있다.

자신의 무의식을 들여다보는 것은 어느 날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이 결코 아니다. 자신

을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혼자 경험해야 하는 외로운 작업이라 말

할 수 있다. 위의 시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우물을 통해 시작하고 있고, 이는 의식과 무의

식을 연결하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물 속에는 우주적

자연물들이 존재하고 있듯 개인의 역사를 탐색할 수 있으며 집단 무의식, 개인 무의식에서

의식화를 시도한다(Bradway & McCoard 1997). 하지만 무의식의 요소들을 의식이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개인의 내부에 존재하는 열등한 성향, 즉 그림자를 인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시에서는 그러한 과정을 ‘어떤 사나이를 만나고 미워져 다시 돌

아 간다’는 표현으로 그림자를 인식하고 받아들이기 힘든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어려운 과정을 거쳐 그림자의 요소들을 의식화하여 인정한다고 개성화 과정이

끝난 것이 아니다. 무의식의 그림자적인 특성들은 무수히 많으므로 이러한 과정을 여러 번

거쳐야 의식에 결여된 보충적 역할을 하며 정신적인 통합을 시도한다. 이렇게 의식화된 그

림자들은 무한한 가능성을 보유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버리고 지워야 하는 열등한 특

성이 아닌 생명의 원천 및 창조적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는 다시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

가고 그리워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통해 볼 수 있다.

결국, 우물 속에서 처음처럼 자연의 광경을 보며 또 다시 사나이를 만나게 된다. 인간은

무의식의 내용들을 의식에 포함하여 인격의 통합을 노력하지만 대부분의 인간은 자기실현

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다. 계속적으로 성숙되고 통합된 인격체가 되려고 의식화를 노력하

며 끊임없이 전체가 되려고 하는 노력이 드러나고 있다. 윤동주 시인의 ‘자화상’은 우물을

Page 11: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65 -

Fig. 3. the picture of Client A’s first session

통해 무의식적 요소들이 의식으로 통합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격의 성숙을

위해 끊임없는 개인의 통찰과 노력이 필요한 개성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Ⅳ. 실제 모래놀이치료에서 내담자가 사용한 우물의 상징

1. Case A

실제 모래놀이치료에서 필자는 내담자가 우물을 통하여 자신의 무의식을 들여다봄으로

서 여정을 떠나는 것을 관찰한 바 있다. 그녀는 8세의 여아이며 초등학교 1학년생이다. 그

녀가 만 4세 정도에 아버지가 돌아가시는 외상을 경험하였다. 그녀의 어머니는 아이들보다

그녀 자신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면서 아이들을 양육하였다. 그녀는 어머니에게서 양육을

받기보다 오히려 어머니를 위로하는 태도로 생활을 하였다. 어느 날 그녀는 어머니를 위로

해 주는 생활을 그만하기로 결정하면서 짜증을 내고, 화를 표현 하는 등 태도의 변화를 가

져왔다. 어머니는 달라진 그녀의 행동을 매우 이상하게 여겼으며 그것이 모래놀이치료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3session에 Fig. 3의 모래상자를 꾸몄다. 오른쪽 하단 코너에 그녀가 동일시하고

있는 백설공주가 우물에서 두레박에 담겨진 우물물을 들여다보고 있다. 그것과 대극을 이

루는 왼쪽 상단 코너에는 얼음성에 작은 요정이 있다. 그녀는 그것을 요정이 잠을 자고 있

다고 말했으며, 그 요정 피겨는 그녀의 첫 세션에서부터 등장하는 것으로 실제 그녀의 이

미지와 매우 흡사하다. 그 요정은 내담자가 동일시하고 있는 인물임을 알 수 있다.

Page 12: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66 -

“모래놀이치료는 가로와 세로의 차원,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미스테리와 명

확한 현실, 정신과 육체, 생각과 신체적 표현, 의식과 무의식의 여러 가지 대극을 중재한

다”(Weinrib, 2004, p.72). 모래상자에서 우물은 대극의 중심에 있고, 백설공주가 우물을 바

라보고 있는 것은 의식과 무의식의 대극을 중재하는 것이다.

그녀는 4session부터 깊은 무의식의 여정을 떠나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통하여 에너지와

자원을 비축하였고, 드디어 무의식으로의 길고 험한 여정을 떠났다. 때때로 내담자들은 깊

은 무의식에 도달하게 되면 그것을 직면하기를 두려워하여 잠시 동안의 휴식기간을 필요

로 한다. 그녀 역시 3회기 정도 모래상자를 꾸미지 않았고 게임을 하였다. 휴식이 끝나자

그녀는 다시 모래상자를 꾸몄는데 모래상자의 왼쪽 절반 정도를 모두 바다로 썼고, 그 바

다 속에서 파도를 만드는 장면을 연출하였다. 그녀가 선택한 사람 피겨들 역시 모래사장에

서 바다로 흘러들어 파도에 휩쓸리고 있었다.

어느 날 그녀는 모래상자에 상담센터와 자신의 모래놀이치료실을 꾸몄으며 매우 많은

울타리들로 치료실을 보호하였다. 그리고 상담센터의 입구를 매우 성스러운 피겨로 표현하

였고 치료실의 밖은 낭떨어지라 떨이지면 매우 위험하다고 표현하였다. 그리고 손에는 매

우 뾰족하고 빨간색 매뉴큐어가 칠해져 있는 가짜 손가락들을 끼었다. 그녀는 자신의 모습

을 어머니에게 보여 주고 싶어 하였고 실제 어머니에게 보여주었다.

치료사로서 필자는 항상 어머니를 위로하고 착해야만 인정받았던 그녀가 자신의 부정적

인 측면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간은 누구나 이중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긍정적이면서 부정적인 측면들을 모두 가지고 있다. 오히려 그것을 부정하

거나 한 쪽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이 균형의 조화를 깨는 것이다.

이렇듯 우물은 무의식의 요소들을 의식화하는 역할을 하며 통찰을 돕는다고 할 수 있다.

우물은 무의식과 연결되어 있으며, 무의식의 내용들을 끌어 올릴 수 있다(Bradway, 2001).

또한 거울이 귀했던 옛적에는 샘을 거울로 쓰기도 하였다. 자신의 모습을 주의 깊게 들여

다보고 관찰하면서 내면세계를 통찰하고 안정을 되찾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무의식을

탐색하는 과정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물은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

하고 있는 중재자로서의 상징물로 충분히 볼 수 있다.

그리고 내담자는 27 session 종결을 준비하며 또 다시 우물을 사용했다. 모래상자의 중심

에는 우물이 있고 3마리의 유니콘이 우물의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Fig. 5). 그 중 한 마리

를 다른 유니콘들 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였다. 그 작은 유니콘의 뿔은 우물 속을 향하고

있다. 내담자는 모래를 꾸미면서 “유니콘이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고 있는 거예요.”라고

말했다.

Page 13: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67 -

Fig. 4. the picture of Client A’s 27thsession

Fig. 5. the magonified picture of the well

and the unicorns of the 27thsession

유니콘의 대표적인 상징을 살펴보면 “물을 정화하는 자”이며 그 뿔은 물 속의 독을 발

견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크리스트교에서는 유니콘의 뿔은 해독

제로서의 기능을 한다(Cooper, 1978).

이 모래놀이 사진은 내담자가 기나긴 여정을 통하여 스스로 내면의 새로운 것들을 발견

하고 인식하며 일상생활이 변화를 표현할 것이라 생각된다(Fig. 4). 내담자에게 모래놀이치

료 작업은 내면세계와 외부세계를 연결하며 의식과 무의식의 에너지가 조화를 이루며 통

합을 이루는 과정이었을 것이다. 이것은 내담자가 가지고 있었던 여려 가지 어려움들에 대

한 치유를 뜻한다.

내담자는 모래상자 중앙에 있는 우물을 통해 무의식으로 하강하며 무의식의 두려운 측

면들을 유니콘의 뿔로 정화하여 새로운 에너지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이것은 우물의 치유

능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우물의 물은 유니콘의 뿔이 해독을 하며, 정화를 통해 무의식

의 강하고 두려우며 어두운 측면의 에너지들을 인식하고 통할하여 새로운 에너지로 전화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우물의 치유능력을 확연히 탐색 해 볼 수 있는 회기였다.

2. Case B

이 사례는 우물을 통한 무의식의 초월적 기능을 보여준다. 이 사례는 필자의 동료 모래

놀이치료사가 진행한 것이다.

다음의 내담자는 30대 후반의 여성이며 16 session 동안의 모래놀이치료를 진행하였고 여

기서 소개될 모래그림은 7th session이다(Fig. 7). 내담자의 주호소는 분노조절이 안 되는 것

과, 심한 우울증이다. 그녀의 분노 감정은 딸들에게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폭력적인 행

Page 14: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68 -

동을 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녀는 모래놀이치료를 하면서 원가족 중 특히 어머니에 대

한 부정적인 경험과 정서를 드러냈다. 어머니는 그녀가 어릴 때부터 많이 아파 그녀를 신

체적으로 잘 돌봐주지 못했고 스킨쉽이 없었으며, 정서적인 공감 반응이 매우 부족했다.

또한, 그녀의 어머니는 무조건 공부를 잘 하기를 강요하였고 노력하는 과정보다 결과를 매

우 중요시 여겼다.

Figure 6. the picture of Client

B’s 7thsession

Figure 7. the Enlarged Picture of Client

B’s well of the7thsession

모래상자에는 물동이가 감겨 있는 우물이 있다. 내담자는 우물을 살피며 “정말 제일 안

에 있는 나는 누구일까요? 내가 모르는 또 다른 내 모습이 있어요. 우물의 물동이를 올리

면 우물 깊숙한 곳에서 무언가 나올 것 같아요. 그리고 두렵기도 하고 기대가 되기도 하네

요. 우물 속으로 숨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이 모래사진에 대한 내담자의 두려움 및 기대에 관한 감정 표현과 진정한 자신에 대한

궁금증은 필자로 하여금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뿌리에 있는 우물을 연상시킨다. 위그드라실

은 세계의 중앙이며, 삶과 죽음의 전체 주기를 동시에 관장하고 인간이 성장하는 대신 고

통과 상실을 겪어야 한다는 것을 환기시켜 준다. 위그드라실은 3개의 뿌리를 가지고 있고

이 뿌리들은 세 개의 우물로 인해 수분을 공급받는다. 그 중 두 번째 뿌리는 니플헤임이라

고 불리는 죽음의 영역이며 이곳의 우물은 흐베르겔미르이다. 흐베르겔미르 우물은 모권적

무의식(matriarchal unconscious)이 존재하는 정신의 가장 어두운 장소이다. 또한, 흐베르겔미

르 우물의 변화 방식은 초월(transcendent)이다.

내담자는 흐베르겔미르 우물로의 하강을 통해 어머니와의 부정적 모권적 관계를 극복하

고자 한다. 모성으로의 하강은 인생의 후반부에 일어나는 체험이며 이러한 체험을 통해 삶

의 태도가 변화하게 된다(Birkhauser-Oeri, 2003).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심오하고 혼돈이 특

징이며, 개인 자아와 자신이 누구인가에 관한 의식적인 인식에 관한 급격한 재질서화와 관

Page 15: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69 -

련된다. 또한, 이것은 깊은 무의식까지 하강할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Turner, 2005). 내담자

는 우물을 통해 진정한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심오한 질문을 던지며 모권적 무의식을

향해 하강하고, 두려움과 기대감을 동시에 느끼며 혼돈을 경험하고 있다. 혼돈이 없이 새

로운 것이 등장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내담자는 이러한 혼돈과 깊은 모권적 무의식으로

의 하강할 준비가 된 것을 “우물 속으로 숨고 싶어요.” 라고 표현 한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 내담자는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내담자는 새로운 자신이 등장할 것에 대한 초

월적인 경험을 준비하고 있다.

3. Case C

지금까지 상징으로서의 우물이 긍정적 측면을 보여준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상징

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모든 정신현상이 대극의 긴장과 갈등과 통합의 과정에서 진행되

듯 무수히 많은 대극성 속에서 우리는 삶을 경험한다. 대극성은 정신의 원초적 조건이다

(Lee, 2002). 무의식을 탐색하는 과정 중에 내면이 미숙하고 부도덕하며, 약하고 부정적인

내용들을 마주치게 된다. 이때 무의식속에 버려져 있어 미분화된 요소들로 인해 내담자가

굉장한 공포스러움을 경험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 이러한 것을 무의식으로부터 압도당할

것 같은 두려움이라고 말한다. 모래놀이치료 작업 중 무의식으로부터 압도당할 것 같은 공

포가 밀려오면 내담자는 잠시 모래놀이치료를 중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포심, 두

려움으로 인해 내면의 탐색을 포기한다면 무의식을 의식화 할 수 없다. 그것이 드러날 때

그 내용들은 곧 창조적이며 긍정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무의식의 부정적 측면은

상대적이다.

필자가 우물 상징 페이퍼를 마무리 하고 있을 때 쯤 꾸었던 꿈의 내용이다.

나는 내 동료, 친구들과 빨간 자동차를 타고 어디론가 새로운 곳으로 여행을 가고 있었

다. 가는 길에 그렇게 어둡지도 않고 밝지도 않은 곳에 우물이 하나 있었고 그 주변에 서

있는 나를 발견하였다. 그 다음 나는 우물 속으로 빠져들고 있었으며 밖을 향하여 손을 뻗

었지만 속수무책이었다. 갑자기 우물의 깊숙한 곳으로부터 커다란 손이 나와 나의 다리를

당겼고 나는 순간 더 깊은 아래로 끌려 들어가고 있었다. 나는 순간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공포감을 경험하였고 그 내용을 회상하는 지금도 소름이 돋는다. 그렇게 아래로 향하여 내

려가고 있는데 누군가 밖에서 우물을 들여다보았고 그때 어디선가 갓 태어났을 법한 아이

가 나타나 나와 눈을 마주치며 우물 밖으로 올라갔다. 옷 하나 걸치지 않은 갓난아이가 우

물을 통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보며 나는 손을 뻗어 잡아보려고 애썼으나 계속 정체모를

힘에 이끌려 빠져 들어가고 말았다.

Page 16: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70 -

꿈에서 깨어나 꿈의 내용들을 떠올려 보았다. 나는 내용을 회상할 때 우물에게 빨려 들

어가는 느낌이 생생하였고 무의식에 압도될 것 같은 공포, 두려움을 느꼈다. 무의식의 두

려운 힘은 우리를 어두운 행동으로 몰아갈지도 모른다고 느껴지는 내적공포이다(Fontana,

1993). 아마 내담자들도 모래놀이 작업을 하면서 밀려드는 두려움이 이런 경험일 것이다.

그래서 자꾸 생각하기를 회피하면서 뭔가 두고 나온 듯, 개운하지 않은 아쉬움이 들었다.

이 과정에서 멈춘다면 무의식의 굉장히 devouring 측면은 의식으로 나오고 싶어 기회를 엿

볼 것이다. 무의식의 보고라 불리는 꿈이 나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무의식이 나에

게 아직 해결되지 않은 부분들이 남아 있음을 그래서 더 많은 탐색을 할 필요성을 일깨워

주는 듯 했다. 아마도 의식화되지 않을 것들을 더 탐색하여 심리적 성숙이 이루어져야 하

는 것을 재탄생으로 묘사 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모래놀이치료사로서 무의식의 굉장함

을 알고는 있었으나 꿈을 통한 경험으로 다시 한 번 무의식의 경이로움에 감탄한다.

Ⅴ. 결 론

마을이 형성되고 집단생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던 우물은 인류의 발전으로 현재 주변

에서 쉽게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인간에게 절대적 존재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분명하다.

비록 지금은 그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과거 인류의 부산물이 되었다. 나는 이러한

우리사회를 살펴보면서, 우물의 필요성을 더 이상 인식하지 않는 현대인들이 무의식의 탐

색을 외면하는 것과 비유될 수 있다고 본다. 현대인들은 외부세계에서 페르조나의 역할을

지나치게 중요하게 여기고 무의식으로부터의 메세지, 에너지들을 등한시 여기고 있다. 그

러나 무의식의 작업을 거부하고 외면하면 할수록 우리의 내면세계는 우물과 같은 개인들

의 상징들을 의식세계로 계속 내보낼 것이다.

위의 내용들을 살펴보았듯이 상징으로서 우물은 신성함, 풍요와 탄생,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하는 중재자, 재생과 치유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사례를 통해 무의식의 여정

을 위한 과정에서의 우물, 의식과 무의식의 대극 중재 역할로서의 우물, 치유 능력의 우물,

모권적 하강을 통한 무의식의 초월적 기능으로서의 우물, 무의식의 devouring power를 보여

주는 우물의 상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다양한 우물의 상징은 인류의 여러 문화권에서

도 공통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Jungian의 집단 무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인간에게 무의식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도 알아보았다.

나는 모래놀이치료자로서 이 작업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있어 상징이 얼마나 의미가 있

으며, 개인적인 상징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깨닫는다.

또한, 나의 내면세계, 정신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을 생각할 때 내면세계, 정신의 위대함에

Page 17: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김경남 / 우물

- 71 -

놀랐다. 그러한 작업을 가능하게 안내하는 모래놀이치료의 위대함 역시 다시 한 번 인식

한다.

References

Biedermann, H. (1994). Dictionary of symbol. New York: Penguin Books.

Bradway, K. (2001). Symbolic meaning of sandplay images.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0(1), 99.

Bradway, K. & McCoard, B. (1997). Sandplay: silent workshop of the psyche. New York: Bulter and

Tanner.

Cooper, J. C. (1978). An illustrated e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 Seoul: Kachi.(Korean trans, 1994)

Eliade. M. (1974). Shaman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Eliade. M. (1949). 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Seoul: Hangilsa.(Korean trans, 1996)

Fontana, D. (1993).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London: Duncan Barid.

Gu, M. R. (2002). The symbolic meaning and social function of well. Comparative Folk Customs

Association, 23, 313-341.

Gwangju Newsletter Committee. (1990). News letter of Gwangju. Gwangju: The Gwangju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Kim, K. U. (2001). Choong Han il se Naraeu Choogeominsok Yeongoo V: samkwa woomul [Study

V about residential folk customs in China, Korea, and Japan: Springs and wells]. Study on the

Folk Customs, 8, 243-277.

Kim, T. G. (1983). Korean folk religion study. Seoul: Chipmoondang.

Kim, Y. C. (2005). Big color bible. Seoul: Sungseowon.

Kwon, T. H. (2005). The folk customs, mythical symbol, and meaning of wells. Study of Life and

Civilization, 16, 5-24.

Lee, B. Y. (1978). Analytical psychology. Seoul: Hangilsa.

Lee, B. Y. (2002). Self and Self-actualization. Seoul: Hangilsa.

Park, C. S. (1998). The mythical meaning of ‘A king between heaven and earth’. Korean Legend

Literature Association, 6, 351-384.

Turner, B. A. (2005). The handbook of sandplay therapy. California: Temenos Press.

Walker, B. G. (1988). The woman's dictionary of symbols and sacred objects.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Weinrib, E. L. (2004). Images of the Self. California: TemenosPress.

Page 18: Kyung-nam Kim  · Kyung-nam K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ism of a well that frequently appears in a sandtray. A well is very meaningful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Vol.3 No.2.

- 72 -

Yoon, D. C. (2002). Enumerating stars at night. Seoul: Gold book.

On-line References

Doopedia. (2010). A method of construction structure of a well. Retrieved from http:// www.doopedia.

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2318#MGROUP_1010

15000150696

투고일 : 2012. 10. 23

게재확정일 : 2012.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