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KPSKPSKPSKPS KPS M 2017 PSKPSKPSKPS SKPSKPSKPS KPSKPSKPS PSKPSKPS SKPSKPS KPS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KPS PSKPS SKPS KPS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연결구 KPS M 2017 : 2011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표준화심의위원회 심의 2002년 9월 25일 제정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발행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KPSKPSKPS KPS M 2017

PSKPSKPSKPSSKPSKPSKPSKPSKPSKPSPSKPSKPSSKPSKPSKPSKPS

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KPSPSKPSSKPSKPS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연결구

KPS M 2017 : 2011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표준화심의위원회 심의

2002년 9월 25일 제정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발행

Page 2: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 1 -

한 국 플 라 스 틱 표 준

KPS M 2017 : 2011

제 정 2002. 9. 25

개 정 2011. 1. 21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연결구Fittings for Polyethylene Sewer and Drainage Pipes

1. 적용 범위

이 표준은 저압1) 또는 자연구배에 의한 흐름의 배수 및 하수용 등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관의 연

결구 및 기타 재질의 연결구(이하 “연결구”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주1) 이 표준에서 저압이란 수두(水頭) 0.15 MPa 이하로 정의한다.

2. 인용표준

다음에 인용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나.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

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12 육각 너트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ISO 8407 금속 및 합금의 부식 - 부식시편에서 부식생성물 제거

KS F 4552 메탈 라스

KS L 4552 화학분석용 자기 도가니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방법

KS M 3012 폴리에틸렌 시험방법 통칙

KS M 3368 수도용 내충격성 ABS 이음관

KS M 3404 일반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S M 3500-3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매설용 구조형 폴리에틸렌(PE)관-제3부:심레스관

KS M 3600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매설용 구조형 폴리염화비닐(PVC) 관

KS M 6518 가황고무의 물리시험방법

KS M 6613 수도용 고무

KS M ISO 472 플라스틱 - 용어

KS M ISO 1183 플라스틱 - 비발포 플라스틱의 밀도 및 상대밀도 측정

Page 3: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2 -

KS M ISO 2507-1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및 이음관 - 비카트 연화 온도 - 제1부 : 일반

시험 방법

KS M ISO 2507-2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및 이음관 - 비카트 연화 온도 - 제2부 : 무가소

화 폴리염화비닐(PVC-U), 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 관 및 이음관,

내충격성 폴리염화비닐(PVC-HI) 관의 시험 조건

KS M ISO 2580-2 플라스틱 - ABS성형 및 압출재료 - 제2부: 시험편 제작 및 물성측정

KS M ISO 3451-1 플라스틱-회분측정 - 제1부 통칙

KS M ISO 11357-6 플라스틱-시차주사열량계(DSC)-제6부:산화유도시간의 측정

KS M ISO 11922-1 유체이송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치수 및 허용차-제1부:미터법

KS M ISO 13966 열가소성 플라스틱 관 및 이음관 - 공칭 원강성

KS M ISO 21138-1 지하매설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플라스틱배관계-경질 폴리염화비닐(P

VC-U),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구조형관 시스템-제1부:관,

이음관, 배관 시스템용 재료 표준 및 성능 기준

KS M ISO 21138-2 지하매설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플라스틱배관계-경질 폴리염화비닐(P

VC-U),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구조형관 시스템-제2부:평

탄한 외부 표면을 가진 관 및 이음관, 유형 A

KS M ISO 21138-3 지하매설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플라스틱배관계-경질 폴리염화비닐(P

VC-U),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구조형관 시스템-제3부:매

끄럽지 않은 외부 표면을 가진 관 및 이음관, 유형 B

KPS M 2009 구조형 폴리에틸렌 하수도관

3. 용어의 정의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3.1 소켓(Socket) : 폴리에틸렌 관의 연결 시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말단이나 혹은 연결도구가 삽

입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이음부위

3.2 아답터(Adapter) : 폴리에틸렌 관의 연결 시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말단이나 혹은 연결도구

를 받아들여 수밀과 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이음부위

3.3 플랜지(Flange) :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말단에 부착된 합성수지재질의 플랜지와 또는 금속

재질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이음부위

3.4 구조형관(Structured wall pipe) : 관의 단면이 구조형으로 형성된 관으로 내면은 평탄하지만

외면은 파형(코러게이트관)으로 되어있는 관과 내외면이 평탄한 관(이중벽, 다층벽 및 충진벽관)을

말한다.

3.5 수밀부 : 누수방지를 위한 하수관과 연결구의 접합 부위를 말하며, 환봉지지 결합형 연결구에

한한다.

3.6 체결부 : 수밀부의 이탈 또는 비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또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3.7 접속형 연결구(A형) : 별도의 소켓으로 제작된 연결구로 관의 양 말단이 모두 삽입되는 연결구

3.8 일체형 연결구(B형) : 관의 말단에 소켓이 부착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관의 말단 또는 말

Page 4: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3 -

종 류 기 호 연 결 방 법

접속형

연결구

(A형)

소켓 연결구 A-S/C 관과 동일 재질의 소켓으로 관과 관을 연결하여 접속

플랜지 연결구 A-F/L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플랜지를 볼트 또는 전기

융착방법 등으로 접속

전기융착 연결구 E/F이음관의 접속부위에 메탈 라스1) 모양의 발열선을 장

치하여 전기융착 트랜스를 사용한 접속

환봉지지 결합형

연결구(S/R형)S/R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수밀부와 환봉형태 등의

바가 포함된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체결부로 구성된

이음관을 볼트 접속

환봉지지 결합형

연결구(P/R형)P/R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의 수밀부와 환봉형태 등의

바가 포함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체결부로 구성된 이

음관을 볼트 접속

단에 부착된 아답터를 소켓에 삽입하는 연결구(소켓-관 또는 소켓-아답터 연결형 연결구)

3.9 성형 연결구(Special Pipe Fitting) : 열성형에 의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관과 성형부품을

연결하여 제작된 연결구

3.10 분기관(Branch Pipe) : 본관의 호칭보다 작으며, 본관의 길이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부설하는 관

3.11 지수단관(Clamp pipe for Manhole) : 관의 말단에 체결하여 관과 맨홀을 연결하는 부속

3.12 기하학적 용어 정의

3.12.1 공칭 치수(DN) : 나사산 크기로 나타내는 부품 이외의 수치화된 부품 치수. 제작 치수(m

m)와 거의 같다.

3.12.2 공칭 치수 DN/OD : 바깥지름과 관련한 공칭 치수

3.12.3 공칭 치수 DN/ID : 안지름과 관련한 공칭 치수

3.12.4 바깥지름(de) : 관이나 스피곳의 일정 지점에서 측정한 횡단면에 대한 외부지름의 측정값

으로 0.1 mm 단위로 반올림한다.

3.12.5 평균 바깥지름(dem) : 관이나 스피곳의 일정 단면에서 측정한 외부둘레를 π(= 3.142)로 나

눈 측정값으로 0.1 mm 단위로 반올림한다.

3.12.6 평균 안지름(dim) : 관이나 이음관의 동일 횡단면에서의 안지름을 일정 간격으로 측정한 값

의 평균값

3.12.7 관벽 두께(e) : 부속품 몸체의 일정 부분에서 측정된 관 두께

4. 종류 및 모양

4.1 종 류 연결구의 종류는 연결방법에 따라 다음 표 1과 같이 분류한다.

표 1 - 연결구의 종류

Page 5: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4 -

종 류 기 호 연 결 방 법

일체형

연결구

(B형)

소켓 연결구 B-S/C 관과 동일 재질의 소켓이 관의 말단에 부착되어 소켓-

아답터 및 소켓-관을 연결하여 접속

플랜지 연결구 B-F/L

합성수지 등의 플랜지가 볼트 또는 전기융착방법 등

으로 관의 한쪽 말단에 부착되어 플랜지-아답터 및

플랜지-관을 연결하여 접속

성형

연결구

엘 보 EL 관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ㄱ” 형태(90°, 45° 등)로

접속

정 티 T 동일한 관경의 관을 "T” 형태로 접속

이경티 RT 관경이 다른관을 "T” 형태로 접속

분기관 연결구 B/F수밀부와 체결부로 구성된 분기관을 직접 접착하여 접속

하거나 클램프 또는 볼트너트 조임방법 등으로 접속

지수단관 C/M 관의 말단에 체결하여 관과 맨홀을 연결하는 부속

주1) 메탈 라스(Metal Lath)는 KS F 4552에 규정된 리브 라스 모양을 원칙으로 하고 기타 모

양은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4.2 연결방법

4.2.1 맞대기 접합 관과 관을 맞대기 열융착으로 접속하거나, 관끝 부위에 V형 홈을 파고 폴

리에틸렌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접속한다.

4.2.2 수밀부를 갖는 소켓 연결구 수밀부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소켓으로 접속한

다.

4.2.3 기 타 기타 연결방법에 대하여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다만, 그 연결방법이 적

절하게 검증되어야 한다.

4.3 모 양 연결구의 모양은 다음 그림 1 ~ 그림 7 에 따른다. 다만,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

라 모양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소켓연결구(A-S/C) 소켓연결구(B-S/C)

그림 1 - 소켓 연결구

Page 6: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5 -

플랜지 연결구(A-F/L) 플랜지연결구(B-F/L)

그림 2 - 플랜지 연결구

그림 3 - 전기융착 연결구(E/F)

그림 4 - 환봉지지 결합형 연결구(S/R, P/R)

그림 5 - 지수단관(C/M)

Page 7: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6 -

LL

H

엘보(45°이하)

Z

Var

.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L

Ad1

d2

이경티

그림 7 - 성형이음관: 정티(T), 이경티(RT)

5. 재료 및 가공방법

5.1 연결구는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 재질을 주체로 한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고 압출 또는 사출

가공 기타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것을 말한다.

5.2 전기융착 연결구의 발열선 및 환봉지지 결합형 연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스틸은

KS D 3698(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에 규정된 STS304 또는 STS304LN을 사용하여

제조하여야 한다.

5.3 플렌지 연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볼트 및 너트는 KS B 1002(육각 볼트) 및 KS B 1012(육

각 너트)에 규정된 볼트를 사용하여야 하다.

Page 8: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7 -

종 류 품 질 항 목 품 질적용

조항

폴리에틸렌(PE)

항복인장강도 (MPa) 15.0 이상 9.3.1

회분 (%) 0.10 이하 9.4

카본블랙 함량 (%)2) 2.0 ~ 3.0 9.5

열안정성(OIT) (분) 20 이상 9.6

NCLS (h) 24 이상 9.7

폴리프로필렌(PP)

항복인장강도 (MPa) 20.0 이상 9.3.1

회분 (%) 1.0 이하 9.4

카본블랙 함량 (%)2) 2.0 ~ 3.0 9.5

열안정성(OIT) (분) 8 이상 9.6

NCLS (h) 24 이상 9.7

5.5 기타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른 부속자재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부식의 가능성이 있는

금속제 부품은 적절하게 방식처리를 하여, KS D ISO 8407(금속 및 합금의 부식 - 부식시편에서

부식생성물 제거)에 따라 모재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부식생성물의 제거가 가능하

여야 한다.

6. 겉모양

이음관은 색상, 불투명도, 밀도 및 기타 성질이 본질적으로 균일하고, 사용상 해로운 결점이 없어

야 한다.

7. 치수

이음관의 치수는 종류에 따라 부속서 A. 표 5 ~ 표 14에 따른다.

8. 품 질

8.1 관의 품질

연결구에 사용되는 관은 재질에 따라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단체표준 또는 국가표준(KS) 인증제

품이어야 한다.

8.2 이음관의 물리적 특성

연결구의 물리적 특성은 9 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표 2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2 - 연결구의 물리적 특성1)

Page 9: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8 -

종 류 품 질 항 목 품 질적용

조항

폴리염화비닐(PVC)

항복인장강도 (MPa) 40.0 이상 9.3.2

비카트 연화 온도 (℃) 74 이상 9.8

침지성 (%) 각 시험액마다 ±0.2 이하 9.9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항복인장강도 (MPa) 40.0 이상 9.3.3

비카트 연화 온도 (℃) 76 이상 9.8

침지성 (%) 각 시험액마다 ±0.2 이하 9.9

고무재질

스프링경도(쇼어A) (Hs) 45 ~ 75 9.10

인장시험

인장강도(MPa) 5.0 이상9.11

신장률 (%) 300 이상

영구신장률(%) 15 이하 9.12

노화시험

인장강도변화율(%) - 25 이내

9.13신장변화율 (%) -30 ~ +10

스프링경도의 변화 (Hs) 0 ~ +7

주1) 고정용 부속품의 품질기준은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주2) 카본블랙함량은 흑색부분에 한하여 적용하고, 흑색 이외의 색상을 사용한 경우에는 자외

선에 노출시 노화방지를 위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비 고 1. 충진벽관을 사용하여 연결구를 제작할 경우 충진층을 제외한 관벽을 구성하는 물질의

품질을 말한다. 단, KPS M 2009의 최소관벽두께를 만족하여야만 한다.

2. 기타 연결구의 재질은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Page 10: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9 -

8.3 연결구의 기계적 특성

이음관의 기계적 특성은 표 3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3 - 연결구의 기계적 특성1)

항목 단위 품질 기준 시험 조건 적용 조항

수밀시험 -

이음부 수밀에 이상이 없

으며 파열 등의 결점이 없

을 것.

단, 600 mm 이하의 연결

구에만 적용한다.

시험온도 : 상온

가압 용재 : 물 or 공기

시험압력 : 0.07 MPa

지속 시간 : 10 분

9.14

기밀시험

혹은

(분무시험)

-

이음부 수밀에 이상이 없

으며 파열 등의 결점이 없

을 것.

단, 600 mm 이하의 연결

구에만 적용한다.

시험온도 : 상온

가압 용재 : 질소 or 공기

시험압력 : 0.017 MPa

지속 시간 : 10 분

9.15

연결부

수밀시험2) -

이음부 수밀에 이상이 없

으며 파열 등의 결점이 없

을 것.

단, 500 mm 이하의 연결

구에만 적용한다.

시험온도 : 상온

시험하중 : 적용 관의 5 % 변형시

하중

가압 용재 : 물 or 공기

시험압력 : 0.07 MPa

가압용재 : 질소 or 공기

시험압력 : 0.017 MPa

지속 시간 : 각 10 분

9.16

주1) 수밀시험과 기밀시험 중 택하여 한가지만 적용하며, 기계적 특성 시험은 600 mm 이하의

연결구에만 적용한다.

주2) 연결부 수밀시험은 참고사항이며 특정수준의 기능에 대하여 관 연결설계의 적합성을 부

여하기 위한 것이다.

9. 시험방법

9.1 색 및 겉모양

육안 또는 불빛을 사용하여 검사한다.

9.2 치 수

9.2.1 두 께

튜브마이크로미터, 버어니어 캘리퍼스 또는 초음파 두께측정기를 사용하여 최소두께를 결정한다.

Page 11: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0 -

9.2.2 나비 및 길이

줄자를 사용하여 나비 및 길이를 결정한다.

9.2.3 수밀부 안지름

버어니어 캘리퍼스 또는 줄자를 사용하여 평균안지름을 결정한다.

9.3 항복인장강도

9.3.1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의 항복인장강도

폴리에티렌의 항복인장강도 시험은 KS M 3006(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방법)을 따르며 2호형 시

험편을 사용하고, 시험 속도는 (50±2) mm/min를 적용하여 측정한다.

9.3.2 폴리염화비닐계(PVC)의 항복인장강도

폴리염화비닐계의 항복인장강도 시험은 KS M 3600(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매설용 구조형 폴리

염화비닐(PVC) 관)의 인장항복강도 시험방법을 따른다.

9.3.3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의 항복인장강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의 항복인장강도 시험은 KS M 3368(수도용 내충격성 ABS

이음관)의 인장강도 시험방법에 따른다.

9.4 회분

KPS M 2009(구조형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회분 시험방법에 따른다.

9.5 카본블랙 함량

KPS M 2009(구조형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카본블랙 함량 시험방법에 따른다.

9.6 열안정성[산화유도시간(OIT, Oxidative Induction Time)]

KPS M 2009(구조형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열안정성 시험방법에 따른다.

9.7 NCLS

KPS M 2009(구조형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NCLS 시험방법에 따른다.

비 고 시험편은 관을 잘라 열어서 가열 프레스한 판모양에서 잘라 만든다.

9.8 비카트 연화 온도(VST)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편은 (23±2)℃에서 1시간이상 방치한 후 KS M ISO 2507-1과 2507-2에

따른다. 이 경우 시험편에 가하는 시험 하중은 (50.0±1) N로 하고 전열 매체의 승온 속도는 매시

(50±5)℃로 한다.

9.9 침지성

KS M 3404(일반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의 침지성 시험방법에 따른다.

9.10 스프링 경도

KS M 6518(가황고무 물리시험방법)의 스프링 경도 시험방법에 따른다.

9.11 인장시험

KS M 6518(가황고무 물리시험방법)의 인장시험 시험방법에 따른다.

9.12 영구 신장률

KS M 6518(가황고무 물리시험방법)의 영구 0신장률 시험방법에 따른다.

Page 12: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1 -

9.13 노화시험

KS M 6518(가황고무 물리시험방법)의 노화시험 시험방법에 따른다. 다만, 시험온도는 (70 ± 1)

℃, 시험시간은 연속 96시간으로 한다.

9.14 수밀시험

연결구 시료에 (500 ± 100) mm 관을 연결하고 시료의 양쪽을 누설이 없도록 마감 처리하여 상

태 조절한다. 상태 조절 후 시료에 규정된 시험압력까지 가압하여 10 분 동안 이음부의 수밀여부

를 체크한다.

9.15 기밀시험

연결구 시료에 (500 ± 100) mm 관을 연결하고 시료의 양쪽을 누설이 없도록 마감 처리하여 상

태 조절한다. 상태 조절 후 시료에 규정된 시험압력까지 가압하여 10 분 동안 이음부의 기밀여부

를 체크한다.

9.16 연결부 수밀시험

KPS M 2009(구조형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연결부 수밀시험 시험방법에 따른다.

10. 검 사

10.1 검사 방법

연결구는 겉모양, 치수, 인장강도, 회분, 카본블랙 함량, NCLS, 용융질량흐름지수, 열안정성, 비카

트 연화 온도, 충격시험, 스프링경도, 인장시험, 영구신장률, 노화시험, 수밀시험 또는 기밀시험 등

에 대하여 9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모든 시료는 5 ~ 8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10.2 시료채취 방법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11. 표 시

연결구에는 표 4에 사항들을 선명하면서 쉽게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표 4 - 표시사항

1. 표준번호 SPS KPS M 2017-0837

2. 명 칭 접속형(A형) 플랜지(PE)

3. 공칭치수 DN 300

4. 제조업체 또는 그 약호

Page 13: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2 -

부속서 A.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연결구의 치수

표 5 - 접속형 및 일체형 소켓(S/C) 연결구의 치수

종류

호칭(DN/ID)

소켓(S/C) 연결구의 평균 안지름 (dim)평균안지름에

대한 허용차소 켓 아답터

이중벽관 다중벽관 심레스관 충진벽관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176

228

280

338

394

450

508

562

678

180

232

284

340

398

460

510

570

694

176.6

229.2

281.2

339.6

-

452.0

510.4

565.2

681.0

172

228

280

338

394

450

508

562

678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 4.5

± 5.1

± 5.1

± 5.1

± 5.1

± 5.1

± 5.1

± 5.1

± 5.1

(단위 : mm)

비 고 1. 내부에 경사가 있는 연결구의 경우 관이 삽입되는 부분의 최소 안지름을 적용한다.

2. 아답터의 치수는 아답터 연결형 연결구에 한한다.

3.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Page 14: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3 -

표 6 - 플랜지 연결구(F/L)의 치수

종류

호칭(DN/ID)

접속형 연결구(A형) 일체형 연결구(B형)

평균 안지름(dim) 평균 안지름(dim) 허용차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160 이상

210 이상

260 이상

310 이상

360 이상

410 이상

460 이상

510 이상

610 이상

710 이상

810 이상

910 이상

1 010 이상

1 210 이상

1 510 이상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4.5

±5.1

±5.1

±5.1

±5.1

±5.1

±5.1

±5.1

±5.1

±6.4

±6.4

±6.4

±6.4

±6.4

±7.6

(단위 : mm)

비 고 1. 내부에 경사가 있는 연결구의 경우 관이 삽입되는 부분의 최소 안지름을 적용한다.

2.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Page 15: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4 -

표 7 - 전기융착 연결구(E/F)의 치수

종류

호칭(DN/ID)두 께(e) 나 비 길 이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4 ± 2

7 ± 2

7 ± 2

7 ± 2

7 ± 2

7 ± 2

10 ± 2

10 ± 2

10 ± 2

10 ± 2

10 ± 2

12 ± 2

12 ± 2

12 ± 2

12 ± 2

200 ± 10

200 ± 10

200 ± 10

200 ± 10

200 ± 10

200 ± 10

350 ± 10

350 ± 10

350 ± 10

350 ± 10

350 ± 10

450 ± 10

450 ± 10

450 ± 10

450 ± 10

624 ~ 673

893 ~ 939

1 056 ~ 1 103

1 236 ~ 1 287

1 411 ~ 1 466

1 585 ~ 1 642

1 816 ~ 1 876

1 984 ~ 2 047

2 348 ~ 2 412

2 684 ~ 2 768

3 032 ~ 3 123

3 431 ~ 3 528

3 780 ~ 3 882

4 583 ~ 4 699

5 641 ~ 5 777

(단위 : mm)

비 고 1.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Page 16: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5 -

표 8 - 환봉지지 결합형 연결구(S/R)의 치수

종류

호칭(DN/ID)

두 께 나 비 길 이

체결부

(STS)

체결부

(STS)

두께허용차

수밀부체결부

(STS)수밀부

체결부

(STS)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0.6

0.6

0.6

0.6

0.6

0.6

0.6

0.8

0.8

0.8

0.8

0.8

0.8

0.8

0.8

± 0.07

± 0.07

± 0.07

± 0.07

± 0.07

± 0.07

± 0.07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 0.09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350 이상

350 이상

350 이상

450 이상

450 이상

45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245 ~ 250

245 ~ 250

245 ~ 250

245 ~ 250

345 ~ 350

345 ~ 350

345 ~ 350

445 ~ 450

445 ~ 450

445 ~ 450

590 ~ 600

590 ~ 600

590 ~ 600

590 ~ 600

590 ~ 600

520 이상

675 이상

832 이상

989 이상

1 146 이상

1 303 이상

1 460 이상

1 617 이상

1 931 이상

2 241 이상

2 555 이상

3 183 이상

3 811 이상

4 749 이상

5 218 이상

(단위 : mm)

비 고 1.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체결부(STS)의 길이는 참고값으로 한다. 다만, 누수 및 수밀부의 이탈 또는 비틀어

짐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Page 17: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6 -

표 9 - 환봉지지 결합형(P/R) 연결구의 치수

종류

호칭(DN/ID)

두 께 나 비 길 이

체결부

(PE)수밀부

체결부

(PE)수밀부

체결부

(PE)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3.0 이상

3.0 이상

3.0 이상

3.0 이상

3.0 이상

4.0 이상

4.0 이상

4.0 이상

4.0 이상

4.0 이상

5.0 이상

5.0 이상

5.0 이상

5.0 이상

5.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300 이상

350 이상

350 이상

450 이상

450 이상

45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600 이상

245 ~ 250

245 ~ 250

245 ~ 250

245 ~ 250

345 ~ 350

345 ~ 350

345 ~ 350

445 ~ 450

445 ~ 450

445 ~ 450

590 ~ 600

590 ~ 600

590 ~ 600

590 ~ 600

590 ~ 600

520 이상

675 이상

832 이상

989 이상

1 146 이상

1 303 이상

1 460 이상

1 617 이상

1 931 이상

2 241 이상

2 555 이상

3 183 이상

3 811 이상

4 749 이상

5 218 이상

(단위 : mm)

비 고 1.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체결부(PE) 두께의 허용차는 ± 4%로 한다.

3. 체결부(STS)의 길이는 참고값으로 한다. 다만, 누수 및 수밀부의 이탈 또는 비틀어

짐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Page 18: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7 -

표 10 - 엘보(L)의 치수

종류

호칭평균안지름

엘보 (45°이하) 엘보 (90°이하)

한면당 중심 길이(L)한면당 중심

길이(L)

중앙Var

최소길이(Var)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144.9 ~ 155.1

194.9 ~ 205.1

244.9 ~ 255.1

294.9 ~ 305.1

344.9 ~ 355.1

394.9 ~ 405.1

444.9 ~ 455.1

494.9 ~ 505.1

594.9 ~ 605.1

693.6 ~ 706.4

793.6 ~ 806.4

893.6 ~ 906.4

993.6 ~ 1 006.4

1 193.6 ~ 1 206.4

1 493.6 ~ 1 506.4

200

200

250

300

320

350

400

400

500

600

600

700

700

900

1 000

200

200

250

300

320

350

400

400

500

600

600

700

700

900

1 000

100 이상

100 이상

100 이상

100 이상

150 이상

150 이상

150 이상

200 이상

200 이상

200 이상

20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250 이상

300 이상

(단위 : mm)

비 고 1. 길이(L, Var)는 참고값으로 한다.

2.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른다.

Page 19: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8 -

표 11 - 정티(T)의 치수

종류

호칭평균안지름 본관길이 (L) 가지관 길이 (A)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000

1200

1500

144.9 ~ 155.1

194.9 ~ 205.1

244.9 ~ 255.1

294.9 ~ 305.1

344.9 ~ 355.1

394.9 ~ 405.1

444.9 ~ 455.1

494.9 ~ 505.1

594.9 ~ 605.1

693.6 ~ 706.4

793.6 ~ 806.4

893.6 ~ 906.4

993.6 ~ 1 006.4

1 193.6 ~ 1 206.4

1 493.6 ~ 1 506.4

500 이상

550 이상

700 이상

700 이상

800 이상

1 000 이상

1 000 이상

1 200 이상

1 300 이상

1 500 이상

1 600 이상

1 800 이상

1 900 이상

2 200 이상

2 600 이상

150 이상

150 이상

250 이상

300 이상

300 이상

300 이상

300 이상

300 이상

300 이상

400 이상

400 이상

400 이상

500 이상

500 이상

500 이상

(단위 : mm)

비 고 1. 길이(L, A)는 참고값으로 한다.

2.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른다.

Page 20: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19 -

표 12 - 이경티(RT)의 치수

종류

호칭 본관길이 (L) 가지관 길이 (A)

본관(d1) 분기관(d2)

200 150 500 160

250 150 ~ 200 600 160

300150 ~ 200 600

160250 750

350150 ~ 200 750

160250 ~ 300 800

400150 ~ 200 700

180250 ~ 350 800

450

150 ~ 200 800200

250 ~ 350 900

400 1 000 300

500

150 ~ 200 850200

250 ~ 350 950

400 ~ 450 1 050 300

600

150 ~ 200 900250

250 ~ 350 1 000

400 ~ 500 1 200 350

700

150 ~ 200 950250

250 ~ 350 1 100

400 ~ 600 1 300 350

800

150 ~ 200 1 000250

250 ~ 350 1 100

400 ~ 600 1 300 350

700 1 500 450

900

250150 ~ 200 1 050

250 ~ 350 1 200

400 ~ 600 1 400 350

450700 ~ 800 1 600

1 000

250150 ~ 200 1 100

250 ~ 350 1 300

400 ~ 600 1 500 350

450700 ~ 900 1 800

1 200

250150 ~ 200 1 150

250 ~ 350 1 350

400 ~ 600 1 600 350

450700 ~ 1000 1 900

1 500

250150 ~ 200 1 200

250 ~ 350 1 400

400 ~ 600 1 700 350

700 ~ 1 200 2 300 450

(단위 : mm)

비 고 1. 길이(L, A)는 참고값으로 한다.

2.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른다.

Page 21: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20 -

표 13 - 분기관 연결구(B/F)의 치수

호 칭분기관의 최소 안지름

본관 분기관

200 ~ 1 200

100 110 이상

125 120 이상

150 160 이상

200 210 이상

250 260 이상

300 310 이상

(단위 : mm)

비 고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Page 22: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21 -

표 14 - 지수단관(C/M)의 치수

종류

호칭평균안지름 길이(L)

지수판(폴리에틸렌)

높이(H) 두께(T)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 000

1 200

1 500

144.9 ~ 155.1

194.9 ~ 205.1

244.9 ~ 255.1

294.9 ~ 305.1

344.9 ~ 355.1

394.9 ~ 405.1

444.9 ~ 455.1

494.9 ~ 505.1

594.9 ~ 605.1

693.6 ~ 706.4

793.6 ~ 806.4

893.6 ~ 906.4

993.6 ~ 1 006.4

1 193.6 ~ 1 206.4

1 493.6 ~ 1 506.4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10

15

15

20

20

30

30

35

40

40

50

60

60

60

80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7 이상

(단위 : mm)

비 고 1. 길이(L)는 참고값으로 한다.

2. 기타 치수는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Page 23: KPS M 2017-2011 · 2012-08-14 · kps m 2017 : 2011 - 6 - l l h 엘보(45°이하) z v ar. l 엘보(90°이하) 그림 6 - 성형이음관: 엘보(el-45°, el-90°) d a l d 정티

KPS M 2017 : 2011

- 22 -

제 정 자 :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제 정 : 2002년 9 월 25 일

원안작성 :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표준화심의위원회

이 표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시험원(☎ 2280-8261,8270)으로

전화 또는 서신으로 연락하여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