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09:1009:30 KCSG Web-Based Clinical Trial System 대한항암요법연구회 데이터센터 강진형 09:3010:10 Understanding of Molecular Biology of Gastric Cancer 좌 장서울의대 김태유 10:3011:30 Debated Issues in Gastric Cancer Therapy 좌 장가톨릭의대 김훈교 11:3012:10 Updated Reports 좌 장성균관의대 강원기 2008년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일시: 2008년 10월 18일(토) 09:00∼16:30 장소: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강당 09:0009:10 개회사 및 축사 대한항암요법연구회 위암분과위원장 김열홍 한국임상암학회 회장 김삼용 Gastric Cancer New Insights into Gastric Cancer: From Bench to Bedside Epigenetic Alterations in Gastric Cancer 서울의대 강경훈 / 3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아주대 이종수 / 4 10:1010:30 Coffee break Is There a Role of 2 nd or 3 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의대 김시영 / 9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의대 방영주 / 14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AGC? 연세의대 노성훈 / 15 Update of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관의대 김경미 / 21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대 김열홍 / 28 12:1013:30 Lunch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0910sim0930 KCSG Web-Based Clinical Trial System 한항암요법연구회 데이터센터 강진형

0930sim1010 Understanding of Molecular Biology of Gastric Cancer 좌 장서울의 김태유

1030sim1130 Debated Issues in Gastric Cancer Therapy 좌 장가톨릭의 김훈교

1130sim1210 Updated Reports 좌 장성균 의 강원기

2008년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일시 2008년 10월 18일(토) 0900sim1630

장소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강당

0900sim0910 개회사 및 축사 한항암요법연구회 암분과 원장 김열홍

한국임상암학회 회장 김삼용

Gastric Cancer

New Insights into Gastric Cancer From Bench to Bedside

Epigenetic Alterations in Gastric Cancer 서울의 강경훈 3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아주 이종수 4

1010sim1030 Coffee break

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의 김시 9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의 방 주 14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AGC 연세의 노성훈 15

Update of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김경미 21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김열홍 28

1210sim1330 Lunch

1330sim1420 Role of Surgery Radiation and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Modulator가천의 신동복

1420sim1510 Obstruction of Colorectal Cancer Surgery or StentModulator성균 의 박 석

1530sim1630 Updated Reports Uncommon Gastrointestinal Cancer좌 장 북의 임창열

Colorectal Cancer

Controversies of Clinical Practice in Colorectal Cancer

Case Report 국립암센터 홍용상 35

Surgery of Liver Metastasis 가천의 박연호 40

Radiation of Liver Metastasis 국립암센터 김 용 48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연세의 고흥규 51

Discussion

Case Report 고려의 오상철 55

Efficacy of Gastrointestinal Stent 고려의 박종재 71

Efficacy of Surgical Management 성균 의 김희철 73

Discussion

1510sim1530 Coffee break

Small Intestinal Cancer 경북의 김종 75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고윤호 79

Anal Cancer 연세의 신상 87

Discussion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

Epigenetic Alterations in Gastric Cancer

서울 학교병원 병리과

강 경 훈

DNA methylation changes occurring in cancer cells are characterized by regional promoter CpG island hy-

permethylation and generalized genomic hypomethylation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contributes

to carcinogenesis by inactivation of gene expression whereas generalized genomic hypomethylation contrib-

utes to carcinogenesis by induction of chromosomal instability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cts as

an alternative to genetic mutations for the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or tumor-related genes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nd repetitive DNA hypomethylation occur not only in gastric car-

cinoma stage but also in its premalignant stages including intestinal metaplasia and gastric adenoma

Intestinal metaplasia is featured with markedly enhanced hypermethylation of multiple CpG island loci com-

pared with chronic gastritis without intestinal metaplasia regardless of H pylori infection Gastric epithelial

cells frequently shows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n association with H pylori infection or de-

velopment of intestinal metaplasia The methylation levels of repetitive DNA elements including ALU

LINE-1 and SAT2 tend to decrease with the progress of the lesion along the multistep gastric carcino-

genesis although the methylation behaviours of the individual repetitive DNA elements differ

Although gastric cancers show higher number of methylated genes compared to their premalignant lesions

a wide variation exists in the enhanced hypermethylation in gastric cancers A subset of gastric cancers is

featured with widespread hypermethylation in mutiple CpG loci and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CIMP) refers to this subset All of the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and nearly half of the microsatellite

instability-positive gastric carcinoma belong to CIMP-positive gastric carcinoma CIMP-positive gastric carci-

nomas tend to pursue better prognoses because of the inclusion of MSI-positive or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tend to be more frequent in diffuse type than in intestinal

type but does not show an association with tumor or nodal stage Non-neoplastic gastric mucosa from gas-

tric cancer patients show more frequent or higher levels of CpG island loci compared with non-neoplastic

mucosa from volunteers which is attributed to much higher prevalence rates of H pylori infection and in-

testinal metaplasia in the stomach from gastric cancer patients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아주 학교 생명과학과

이 종 수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1330sim1420 Role of Surgery Radiation and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Modulator가천의 신동복

1420sim1510 Obstruction of Colorectal Cancer Surgery or StentModulator성균 의 박 석

1530sim1630 Updated Reports Uncommon Gastrointestinal Cancer좌 장 북의 임창열

Colorectal Cancer

Controversies of Clinical Practice in Colorectal Cancer

Case Report 국립암센터 홍용상 35

Surgery of Liver Metastasis 가천의 박연호 40

Radiation of Liver Metastasis 국립암센터 김 용 48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연세의 고흥규 51

Discussion

Case Report 고려의 오상철 55

Efficacy of Gastrointestinal Stent 고려의 박종재 71

Efficacy of Surgical Management 성균 의 김희철 73

Discussion

1510sim1530 Coffee break

Small Intestinal Cancer 경북의 김종 75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고윤호 79

Anal Cancer 연세의 신상 87

Discussion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

Epigenetic Alterations in Gastric Cancer

서울 학교병원 병리과

강 경 훈

DNA methylation changes occurring in cancer cells are characterized by regional promoter CpG island hy-

permethylation and generalized genomic hypomethylation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contributes

to carcinogenesis by inactivation of gene expression whereas generalized genomic hypomethylation contrib-

utes to carcinogenesis by induction of chromosomal instability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cts as

an alternative to genetic mutations for the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or tumor-related genes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nd repetitive DNA hypomethylation occur not only in gastric car-

cinoma stage but also in its premalignant stages including intestinal metaplasia and gastric adenoma

Intestinal metaplasia is featured with markedly enhanced hypermethylation of multiple CpG island loci com-

pared with chronic gastritis without intestinal metaplasia regardless of H pylori infection Gastric epithelial

cells frequently shows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n association with H pylori infection or de-

velopment of intestinal metaplasia The methylation levels of repetitive DNA elements including ALU

LINE-1 and SAT2 tend to decrease with the progress of the lesion along the multistep gastric carcino-

genesis although the methylation behaviours of the individual repetitive DNA elements differ

Although gastric cancers show higher number of methylated genes compared to their premalignant lesions

a wide variation exists in the enhanced hypermethylation in gastric cancers A subset of gastric cancers is

featured with widespread hypermethylation in mutiple CpG loci and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CIMP) refers to this subset All of the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and nearly half of the microsatellite

instability-positive gastric carcinoma belong to CIMP-positive gastric carcinoma CIMP-positive gastric carci-

nomas tend to pursue better prognoses because of the inclusion of MSI-positive or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tend to be more frequent in diffuse type than in intestinal

type but does not show an association with tumor or nodal stage Non-neoplastic gastric mucosa from gas-

tric cancer patients show more frequent or higher levels of CpG island loci compared with non-neoplastic

mucosa from volunteers which is attributed to much higher prevalence rates of H pylori infection and in-

testinal metaplasia in the stomach from gastric cancer patients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아주 학교 생명과학과

이 종 수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

Epigenetic Alterations in Gastric Cancer

서울 학교병원 병리과

강 경 훈

DNA methylation changes occurring in cancer cells are characterized by regional promoter CpG island hy-

permethylation and generalized genomic hypomethylation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contributes

to carcinogenesis by inactivation of gene expression whereas generalized genomic hypomethylation contrib-

utes to carcinogenesis by induction of chromosomal instability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cts as

an alternative to genetic mutations for the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or tumor-related genes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nd repetitive DNA hypomethylation occur not only in gastric car-

cinoma stage but also in its premalignant stages including intestinal metaplasia and gastric adenoma

Intestinal metaplasia is featured with markedly enhanced hypermethylation of multiple CpG island loci com-

pared with chronic gastritis without intestinal metaplasia regardless of H pylori infection Gastric epithelial

cells frequently shows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n association with H pylori infection or de-

velopment of intestinal metaplasia The methylation levels of repetitive DNA elements including ALU

LINE-1 and SAT2 tend to decrease with the progress of the lesion along the multistep gastric carcino-

genesis although the methylation behaviours of the individual repetitive DNA elements differ

Although gastric cancers show higher number of methylated genes compared to their premalignant lesions

a wide variation exists in the enhanced hypermethylation in gastric cancers A subset of gastric cancers is

featured with widespread hypermethylation in mutiple CpG loci and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CIMP) refers to this subset All of the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and nearly half of the microsatellite

instability-positive gastric carcinoma belong to CIMP-positive gastric carcinoma CIMP-positive gastric carci-

nomas tend to pursue better prognoses because of the inclusion of MSI-positive or EBV-positive gastric

carcinoma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tend to be more frequent in diffuse type than in intestinal

type but does not show an association with tumor or nodal stage Non-neoplastic gastric mucosa from gas-

tric cancer patients show more frequent or higher levels of CpG island loci compared with non-neoplastic

mucosa from volunteers which is attributed to much higher prevalence rates of H pylori infection and in-

testinal metaplasia in the stomach from gastric cancer patients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아주 학교 생명과학과

이 종 수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아주 학교 생명과학과

이 종 수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이종수 New Experimental Approache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9

진행성 위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Is There a Role of 2nd or 3rd Line

Chemotherapy in AGC)

경희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시 영

Table 1 Phase III trials of palliative chemotherapy vs best supportive care

Regimen Number Median survival (months) P value Reference

FEMTX vs BSC

FAMTX vs BSC

ELF vs BSC

ELF vs BSC

17 vs 19

30 vs 10

10 vs 8

18 vs 19

12 vs 3

10 vs 3

10 vs 4

>75 vs 4

<0001

<0001

<002

005

(1)

(2)

(3)

(4)

BSC best supportive care F 5-FU E epirubicin or etoposide A adriamycin L leucovorin

이성 혹은 재발성 암에서 고식 (palliative)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는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

tive therapy)과 비교한 제3상 연구에서 생존기간 연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Table 1) 결론을 내리고 있어서 이성재발성 암에서 고식 항암화학요법은 표 치료라고 할 수

있다1-4 고식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제의 효과는 과거 1990년 에 주로 사용되었던

cisplatin 5-fluorouracil doxorubicin mitomycin C methotrexate etoposide 등의 치료 효과는 제3상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반응율 7-51 생존율 57-96개월을 보이고 있으며 인종에 따른 차이 때문에 국

가별 생존율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무질병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체생존기간은 한

국이 50개월 85개월 일본이 39개월 73개월 유럽연합이 41개월 72개월 미국이 37개월

85개월이다5 최근 2000년 에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되어 taxane irenotecan oxaliplatin

capecitabine S-1 등이 등장하게 된다 이들 신약들의 효과는 과거 약제와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에

서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월 체생존기간 90-130개월을 보이고 있어서 과거 약제 병

용요법에 비해 효과가 향상되고 부작용이 어드는 경향이고 투여하기 간편한 장 이 있다5 특히

cisplatin+5FU vs docetaxel+cisplatin+5FU를 비교한 V325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 삶의 질에서 통계

학 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고 있어서 새로운 약제들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67

이성재발성 암에서 1차(1st line) 치료에 실패한 경우 2차(2

nd line)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된

다 과거의 경우 부분 1차 치료제가 5-FU를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이거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

용요법이어서 2차 항암화학요법은 1차 치료가 5-FU를 근간으로 한 경우는 cisplatin 병용요법으로 그리

고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경우는 taxane 혹은 irinotecan 병용요법을 시행하는 경향이었다 Wilson 등에

의하면8 1966년-2003년 medline search로 2차 항암요법에 한 12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1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0

Table 2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taxa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으며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 논문에 의하면 평균 반응율은 208

(range 0-52) stationary disease가 26 (range 0-41)로 평균 종양조 율(tumor control rateCR+PR+SD)

는 51로 Cisplatin 근간 병용요법은 평균 반응율이 29 (range 19-45) paclitaxel 근간 병용요법은 평

균 25 (range 22-27)의 반응율을 보 으며 irinotecan 병용요법은 반응율 52이었다 체생존기간은

평균 56개월(range 25-11개월)이었다 증상완화 측면에서 분석한 경우는 한 개의 논문에서 보고하기를

44의 symptomatic benefit이 있었다

2000년 에 들어와서는 새로운 항암화학요법제들이 개발 되면서 이들 신약들이 이성재발성 암

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서도 새로운 항암제들이 사용하게 되었

다 Medline search를 통하여 2003년 이후 이성재발성 암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에 한 논문을 찾

은 결과 모두 15개의 제2상 임상시험 논문을 찾을 수 있었고 최 의 지지요법과 비교한 제3상 임상시

험은 없었다 2차 요법은 크게 분류하면 taxane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병용

요법 oxaliplatin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 그리고 새로운 경구 항암제인 capecitabine S-1을 근간으로

한 병용요법으로 나 수 있겠다

Doce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2) docetaxel과 cisplatin 병용요법은 1차요법으로 5-FU

platinum 등으로 치료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171-324 종양조 율 22-621 질병진행기간 22-45

개월 체생존기간 58-78개월이었다910

docetaxel 단독요법에서는 1차 치료로 5-fluorouracil 계열(5-FU

capecitabine doxifluridine S-1 UFT)과 platinum계열(cisplatin oxaliplatin)을 받은 환자를 상으로 시행한

결과 반응율은 48-163이었고 종양조 율은 429-571를 보 으며 질병진행기간 25개월 체생존

기간 35-83개월이었다1112 Paclitaxel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은 paclitaxel과 carboplatin 혹은 doxi-

fluridine 병용요법에서 반응율 182-22 종양조 율 637-66 질병진행기간 28-35개월 체생존기간

8-107개월이었다1314

Irinotecan을 근간으로 한 화학요법에서(Table 3) irinotecan 5-FU leucovorin (FOLFIRI) 병용요법으로 1

차 치료제로 platinum 5-fluorouracil taxane 계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서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6-63 질병진행기간 25-37개월 체생존기간 64-77개월이었다1516

그외 cisplatin docetaxel 혹은 mi-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1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1

TABLE 4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OXALIPLATIN OR NEW ORAL

5-FLUOROPYRIMIDINE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able 3 Phase II studies of second-lin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based regimen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

tomycin C 병용요법으로 반응율 156-32 종양조 율 53-625 질병진행기간 27-4개월 체생존기간

61-89개월이었다17-19

Oxaliplatin 병용요법으로는(Table 4) 5-FU leucovorin(FOLFOX) 병용요법 혹은 docetaxel 병용요법에서

는 상 환자군이 3rd

line 치료를 포함하고 있지만 반응율 4-105 종양조 율 48-578 질병진행기

간 25-4개월 체생존기간 66-81개월이었다2021 경구용 5-fluorouracil 제제인 S-1 capecitabine 병용요

법에서는(Table 4) 반응율 21-29 종양조 율 42-65 질병진행기간 33-4개월 체생존기간 6-8개월

이었다2223

이상을 요약하면 최근 새로 나온 항암화학요법제를 이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은 평균반응율 196 (range 4-324) 평균종양조 율 537 (range 42-637) 평균질

병진행기간 33개월(range 22-45개월) 평균 체생존기간 73개월(range 35-107개월)이었다 이 통계 결

과는 앞에서 제시한 신약을 이용한 1차 항암화학요법 효과인 반응율 32-54 질병진행기간 42-70개

월 체생존율 90-130개월과 비교하 을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Table 5) 물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2

ORR () TTP (months) OS (months)

1st line chemotherapy

2nd line chemotherapy (before 2003)

2nd line chemotherapy (after 2003)

32-54

0-52

4-324

42-70

NA

22-45

90-130

25-110

35-107

ORR overall response rate TTP time to progression OS overall survival

Table 5 Therapeutic effects of 1st and 2nd line chemotherapy

최 의 지지요법(best supportive care)군과 비교하는 3상임상시험 결과 없이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이성재발성 암의 2차 항암화학요법이 이득이 없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 모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을 하여야

할까 몇 가지 고려하여야 할 은 첫째 장기 인 투약으로 부작용이 축 될 것이고 특히 활동능력

(performance status)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한 합병증을 래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교차내성(cross

resistance)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부분의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활동능력이 좋은 환

자에서 반응율이 높은 것과 같이 2차 항암화학요법은 환자의 상태를 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

다 이들 환자는 이미 장기 인 항암제에 노출되어 부작용이 축 된 상태이고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

기 때문에 합병증이 올 가능성이 높다 어떤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1차 치료제로 어떤 약제를

투약했는지에 달려 있다 교차내성을 고려하여 2차 약제를 선택하여야 하며 복되는 부작용을 피해

야 한다

결론 으로 1차 항암화학요법에 실패한 이성재발성 암 환자에서 2차 항암화학요법의 유용성은

아직까지는 근거가 없지만 2상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면 효과를 기 할 수 있겠다 그러면 최 의 지

지요법을 조군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이 필요한가 1st line chemotherapy에서 best supportive care와

비교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보면 임상시험 진행에서 많은 어려운 들이 상되기 때문에 향후 2상 임

상시험을 통하여 2차 항암요법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측인자를 찾아 내는 것도 요하리라 생각

된다 재로서는 환자의 활동 능력을 고려하고 사용한 1차 항암제를 고려하여 가능한 교차내성을 피

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 병용요법을 선택하여 투약하여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Pyrhonen S et al A radomized comparison of 5-fluorouracil epidoxorubicin and methotrexate plus supportive

care with supportive care alone in patients with non-resectable gastric cancer Br J Cancer 71587-591 1995

2 Murad AM et al Modified therapy with 5-fluorouracil docorubicin and methotrexate in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7237-41 1993

3 Glimelius B et al Initial or delayed chemotherapy with best supportive care in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5189-190 1994

4 Scheithauer W et al Palliative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andomized trial Ann Hematol 73A181 1994 (suppl 2 abstr)

5 Ohtsu A Chemothe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J Gastroenterol 43256-264

2008

6 Van Cutsem E et al Phase I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plus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rouracil as first-line 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report of the V32 Study Group J Clin Oncol

김시 진행성 암에서 2차 혹은 3차 항암화학요법의 효과

13

244991-4997 2006

7 Ajani JA et al Quality of life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and fluorouracil compared with cisplatin and fluo-

rouracil from a phase III trial for advanced gastric or gastroesophageal adenocarcinoma The V-325 study

group J Clin Oncol 253210-3216 2007

8 Wilson D et al Review of second-lin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Clin Oncol

1781-90 2005

9 Park SH et al Docetaxel plus cisplatin as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

cer progressing on 5-fluorouracil-based regimen Am J Clin Oncol 27477-480 2004

10 Kim H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urring after or

progressing during 5-FUplatinum treatment Jpn J Clin Oncol 35727-732 2005

11 Lee J-L et al A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fter failure

of 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combination chemotherapy Cancer Chemother Pharmcol 61631-637 2008

12 Graziano F et al A phase II study of weekly docetaxel as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11263-1266 2000

13 Chang HM et al Phase II study of paclitaxel and carboplati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5-fluorouracil and platinum Jpn J Clin Oncol 35251-255 2005

14 Takiuchi H et al Multi-center phase II study for combination therapy with paclitaxeldoxifluridine to treat ad-

vancedrecurrent gastric cancer showing resistance to S-1 (OGSG 0302) Jpn J Clin Oncol 38176-181 2008

15 Assersohn L et al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5-fluorouracilleucovorin in patients with primary re-

fractory or relapsed advanced oesophageal and gastric carcinoma Ann Oncol 1564-69 2004

16 Kim ST et al Salvage chemotherapy with irinotecan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taxane- and cisplatin-re-

fractory metastatic gastric cancer Br J Cancer 921850-1854 2005

17 Baek JH et al Biweekly irinotecan and cisplatin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retreated patients with ad-

vanced gastric cancer A multicenter phase II study J Korean Med Sci 20966-970 2005

18 Sym SJ et al A phase II study of irinotecan and docetaxel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pre-

viously treated metastatic or recurrent advanced gastric cancer Cancer Chemother Pharmacol 2008 online ver-

sion

19 Giuliani F et al Irinotecan (CPT-11) and mitomycin-C (MMC) as second-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of the Gruppo Oncologico dellrsquo Italia Meridionale (prot 2106) Am J Clin Oncol

28581-585 2005

20 Jeong J et al Phase II study of combination chemotherapy of 5-fluorouracil low-dose leucovorin and ox-

aliplatin (FLOX regimen) in pretreated advanced gastric cancer Ann Oncol 191135-1140 2008

21 Barone C et al Docetaxel and oxaliplatin combination in second-lin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

tric cancer Gastric Cancer 10104-111 2007

22 Park SH et al Mitomycin C plus S-1 as second-line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 non-

comparative phase II study Anti-Cancer Drugs 19303-307 2008

23 Rosati G et al Reduced dose intensity of docetael plus capecitabine as second-line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gastric cancer a phase II study Ann Oncol 18(Suppl 6) vi128-vi132 2007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4

Whats the Role of Targeted Agents in AGC

서울 학교병원 종양내과

방 영 주

Gastric cancer is the fourth most common cancer and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worldwide Treatment outcome has been much improved during the past decades mainly due to earlier

diagnosis However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is still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Several

randomized trials have demonstrated that chemotherapy provides superior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when compared with the best supportive care Various combina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has been tested however median survival of patients is stuck on plateau of 10-12 months At pres-

ent combination of 5-fluoropyrimidine and platinum is most commonly used

Now the rol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is actively being explor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It has

been shown that HER2 is amplified in approximately 20 of intestinal-type gastric cancer and trastuzumab

is growth-inhibitory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cells Based on these combination of trastuzumab and

chemotherapy (5-fluoropyrimidine and cisplatin) is being tested against chemotherapy alone in patients with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In this ToGA trial more than 5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from 24

countries Very recently phase III trials incorporating lapatinib in HER2-amplified gastric cancer were begun

Several anti-angiogenic agents are also being tested in advanced gastric cancer Combination of bev-

acizuma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were tested in several phase II trials with some promising results

And a global phase III trial (AVAGAST study) is ongoing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ombination of this

agent and capecitabine plus cisplatin The target sample size if this trial is 760 Sunitinib a multipotent ty-

rosine kinase inhibitor was tested as the second-l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is international trial 72 patients were enrolled The disease control rate in this trial was 264 including 2

confirmed partial responses At this time the combination of sunitinib and chemotherapeutic agents is being

tested

In conclusion many molecularly targeted agents are being tes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ir rol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will be clarified in the near future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15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of Gastric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암센터

노 성 훈

Background

암은 세계 으로 발생률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 히 두 번째로 높은 암 사망의 원

인이다1 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암 수술의 목 은 암을 완 히 제함으로써 잔존암을 없애는 것이다

복강내에 잔존암이 없는 완 한 제 즉 근치 제의 조건은 원발암의 제시 모든 제연에 암세

포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제한 림 의 변연부에 암이 없어야 한다 즉 이된 림 보다 림

제의 범 가 넓어야 한다 암환자의 후를 증진시키기 해서 근치 제는 필수 이다 그

러나 원격 이가 있는 림 에서는 아무리 범 한 림 제술을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에

한 험성이 높고 후 한 불량하다 진행성 암에서 이될 수 있는 원격 림 로는 좌측 쇄골 상

부 림 (Virchowrsquos node) 종격 림 (mediastinal node) 동맥 주 림 (para-aortic node) 등이

표 이다

부분의 장 주 림 내 림 액은 최종 으로 동맥 주 의 림 로 흘러 들어오며 그

치는 좌신정맥의 상하 림 cisterna chyli 동맥의 후면에 치하는 림 등이다 일반 으로

동맥 주 림 은 원격림 로 간주되어 수술 치료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에 7번 림 이나 9번 림 에서 N3군을 거치지 않고 직 동맥 주 림 로 유입

되는 것이 찰되었고 특히 상부암의 경우에는 1번과 2번 림 에서 곧장 16번 림 로 림 가 유

입되는 것이 찰되었다2 이러한 소견은 동맥주 림 이 제2군 혹은 제3군 림 로 될 수도 있

다고 생각하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동맥주 림 의 외과 제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의 후

를 증진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Shiu 등은 D-number가 N-number 보다 큰 경우 수술 후 재발을

일 수 있다3고 하 으며 D2림 제술이 N1환자에서 효과 이듯이 이론 으로 N2혹은 N3환자에서

D4 제술이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4-6 한 동맥 주 림 에 미세 이가

있더라도 신 으로 퍼지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는 동맥주 림 제술을

시도하게 하 다 이 에서는 외과 으로 제가 가능한 동맥 주 림 에 해 문헌 고찰과 본

기 에서의 동맥 주 림 의 경험 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6

Classification amp incidence of para-aortic lymph node metastasis in gastric cancer

동맥 주 림 은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second English edition7에서 N3

UICC-TNM classification8에서는 M1으로 분류된다 동맥 주 림 은 일본 암연구회의 림 검토

원회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부분 정의되고 있다 좌신정맥 하연을 심으로 쪽을 16a 아래쪽을

16b로 분류하고 16a는 복부동맥상연을 기 으로 쪽을 16a1 아래쪽을 16a2로나 고 16b는 하장간막

동맥하연을 기 으로 쪽을 16b1 아래쪽을 16b2로 나 다 횡단면은 동맥과 정맥을 4구역으로 구

분하여 면 측면 후면 동맥- 정맥간으로 분류한다 (Fig 1) 진행성 암에서 특히 장막하(stage

T2b) 장막(stage T3) 혹은 주변장기(stage T4)에 암세포의 침윤이 있는 경우 동맥 주 림 에 이

가 될 수 있으며 미세 이의 빈도는 10~30 정도 보고하고 있다 상환자의 암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

겠으나 Keighley MR 등은 향 연구에서 제를 하지 못한 64(2031) 고식 제의

25(28) 근치 제의 22(1985)에서 pre-aortic or hepatic hilar nodes의 림 이를 찰하 다

고 보고하 다9 Yonemura 등은 무작 임상연구에서 D4 제군의 90 (12134) 동맥 주 림

이율을 보고하 으며10

Sasako 등도 향 다기 연구에서 진행성 암에서 육안 으로 동맥 주

림 의 이가 없는 경우에서 동맥 주 림 제군의 85 미세 이를 보고하 다11

Morbidity and mortality

체 으로 동맥 주 림 제술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길고 출 양이 많다 특히

췌장주 림 제술이 많아서 이로 인한 합병증이 높고 chyle ascites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숙련

된 술자는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수술 사망률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다 Uyama 등(1996)

은 동맥 주 림 제술을 하면서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를 시행하여 합병

증이나 수술 사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12 Kunisaki C 등(1999)은 D4 제술후 413의 합병증을 보이

는 반면 D2혹은 D3 제술 후 93의 합병증을 보 으며 D4 제술후 췌장루의 합병증이 높았다고 하

으나 수술 사망은 없었다고 하 다13 일본의 다기 향 공동연구 (JCOG study 9501)에서 D2림

제술과 D2 동맥 주 림 을 비교 분석하 으며 D2 동맥 주 림 제군(B군)이

D2 제군(A군)에 비하여 통계 으로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연장되었고 출 수 양이 많음을 보고하

다 합병증의 비율은 281(B군) vs 209(A군)로 B군이 높았지만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7

Fig 2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between D2 and D2 plus para-aortic lymphadenectomy (N

Engl J Med 2008359453-62)

않았다 (P = 0067) 특히 주요 합병증인 문합부 출 췌장루 복강내 농양 폐렴 등이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고 보고하 다 한 수술 사망률도 각각 08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4 아시아 외과종양그

룹에서 조사한 향 연구에서도 수술시간 출 양과 합병증이 D4 제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왔

지만 수술 사망률은 08 (D2) vs 39 (D4)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15 이처럼 동맥 주 림

제술은 체 으로 1-3정도의 수술 사망률을 보고하고 있으며 기존 술식에 비하여 매우 높은 사망

률을 보이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합병증은 기존의 술식에 비하여 높으나 경험이 많은 기 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수술 련 사망으로 연결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rognosis

공식 인 보고로는 처음으로 Maruyama K 등(1987)이 동맥주 림 이 환자의 5년 생존율

24 5년 이상의 장기 생존 6 를 경험하 다고 하 다16 그 후 많은 보고에서 장기 생존 가 발표되

고 후향 연구에서 동맥 주 림 제술로 기존의 림 제술보다 좋은 생존율을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하 다Yonemura Y 등(1994)은 상부암에서 R2 제술은 5년 생존율이 24인데 반하여 R4

제술로 38의 생존율을 얻었다고 하여 방 동맥 주 림 제술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음

을 시사하 다17

그러나 최근 향 다기 공동연구에서 D2 제군과 D2 동맥 주 림

제군간의 체 생존율에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고(Fig 2) 방 동맥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근치 제가 가능한 진행성 암에서 D2 림 제술이 가장 합하다고 결론 지었다1011

Experience of Severance Hospital

1987년부터 2004년까지 본원에서 진행성 선암으로 진단받고 제술을 시행받은 5152명 환자들

의 임상병리학 특징을 조사 분석하 다(Table 1) D2 + Para-aortic lymphadenectomy (PAND)를 시행받

은 군이 D2 군에 비해 종양의 크기가 크고 상부에 치하여 제술의 빈도가 많았으며 N2 N3

군의 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병기에 따른 두 군간에 (D2 vs D2 + PAND) 5년 생존율을 비교하 을 때

1기 (916 vs 875 P = 0899) 2기 (783 vs 600 P = 0484) 3기 (577 vs 313 P = 0002)

4기 (196 vs 161 P = 0893) 다 (Fig 3) 그 para-aortic lymphadnectomy를 시행한 86명을 후향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18

Variables D2 group (N = 5066) D2 + PAND group (N = 86) P value

Age (year) mean plusmn SD Gender Male Femalesize (cm) mean plusmn SD Tumor location Upper third Middle third Lower third DiffuseHistologic type 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Depth of invasion T2a T2b T3Nodal status N0 N1 N2 N3Stage I II III IVOperation type Total Subtotal

559 plusmn 120

3417 (674)1649 (326)

56 plusmn 30

982 (194)1616 (319)2345 (463)

123 (24)

1742 (344)3324 (656)

1342 (265)3196 (631)528 (104)

1484 (293)1825 (360)972 (192)785 (155)

682 (135)1227 (242)1957 (386)1200 (237)

1848 (365)3218 (635)

540 plusmn 123

50 (581)36 (419)68 plusmn 32

29 (337)31 (360)25 (291)1 (12)

25 (291)61 (709)

17 (198)56 (651)13 (151)

18 (209)18 (209)24 (279)26 (302)

8 (93)15 (174)32 (372)31 (360)

43 (500)43 (500)

01450068

lt00010002

0303

0194

lt0001

0043

0010

PAND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Table 1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patients

Fig 3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according to each stage between the two groups

노성훈 Is There a Role of Surgery in M1 Node (+) of Gastric Cancer

19

Complications Number

Surgical complications Intra-abdominal abscess Pancreatitis Wound infection Intestinal obstruction Postoperative bleedingNon-surgical complications Pleural effusion Pneumonia Atelectasis Pulmonary embolism Others

31111 52212

Total 19

Urinary tract infection hepatitis

Table 2 Complications after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ig 4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rate between 16 LN (-) group and 16 LN (+) group

으로 조사 분석 하 을 때 남자는 50명 여자는 36명으로 남녀 비는 32 으며 환자 군의 평균 BMI

는 210 (kgm2) 평균 수술시간은 253분 수술 평균 출 량은 493 ml 수술 후 평균 통기일은 5일

연식 개시일은 11일이었다 체 환자 합병증은 19명(221)에서 발생하 으며 외과 합병증은 7

명으로 복강내 농양 (3) 췌장염 (1) 상처 감염 (1) 장폐색 (1) 출 (1) 등이었으며 비외과 합병증

으로 흉막 삼출 (5) 폐렴 (2) 무기폐 (2) 폐색 증 (1) 기타 요로감염 간염 등이었다 (Table 2)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group의 5년 생존율은 377로 이 16 림 에 이가 없는 환자

의 5년 생존율은 457 다 반면에 16 림 에 이가 있는 16명 5년 이상 생존자는 없었다

두 군간에 평균 생존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P lt 0001) (Fig 4)

Conclusion

동맥 주 림 이의 외과 제에 의한 국소 치료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한 동맥 주

림 이는 원격 이로 간주해야 하며 신 인 치료에 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0

합하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암에서 방 동맥 주 림 제술은 효과가 없으며 D2 림

제술이 표 치료가 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1 Kelley JR Duggan JM Gastric cancer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J Clin Epidemiol 2003561-9

2 Hirai I Murakami G Kimura W et al Origin of the thoracic duct and pancreaticoduodenal lymphatic path-

ways to the para-aortic lymph nodes J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018441-448

3 Shiu MH Moore E Sanders M et al Influence of the extent of resection on survival after curative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Arch Surg 19871221347-1351

4 Isozaki H Okajima K Fujii K et al Effectiveness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549-554

5 Baba M Hokita S Natsugoe S et al Paraaortic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advanced carcinoma of the

upper-third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047893-896

6 Kosaka T Usami K Ueshige N et al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in 244 consecutive

case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629-633

7 Japanese Gastric Cancer A Japanese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 2nd English Edition Gastric Cancer

1998110-24

8 Sobin LH Wittekind C eds TNM classification of malignant tumors 6th ed New York Wiley-Liss 2002

9 Keighley MR Moore J Roginski C et al Incidence and prognosis of N4 node involvement in gastric cancer

Br J Surg 198471863-866

10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

n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t J Clin Oncol 200813132-137

11 Sasako M Sano T Yamamoto S et al D2 lymphadenectomy alone or with para-aortic nod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N Engl J Med 2008359453-462

12 Uyama I Ogiwara H Takahara T et al Spleen- and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with superextended

lymphadenectomy including dissection of the para-aortic lymph nodes for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663268-270

13 Kunisaki C Shimada H Yamaoka H et al Significance of para-aortic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2635-2642

14 Sano T Sasako M Yamamoto S et al Gastric cancer surgery morbidity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pro-

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D2 and extended para-aortic lymphadenectomy--Japan Clinical

Oncology Group study 9501 J Clin Oncol 2004222767-2773

15 Yonemura Y Wu CC Fukushima N et al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D2 and D4 extended dis-

section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nducted by Asian surgeons

Hepatogastroenterology 200653389-394

16 Maruyama K Okabayashi K Kinoshita T Progress in gastric cancer surgery in Japan and its limits of

radicality World J Surg 198711418-425

17 Yonemura Y Segawa M Matsumoto H et al Surgical results of performing R4 gastrectomy for gastric can-

cer located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Surg Today 199424488-49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1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김 경 미

암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 의 하나이며 가장 수술이 많이 이루어지는 암 하

나이다 따라서 병리과에서 받는 검체의 많은 부분이 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럼에도 암 병리검

사 보고서는 병원에 따라 는 병리의사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의 편차가 컸을 뿐 아니라 병리학 진

단에 한 기 도 일 성이 없었다 이에 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는 한 암학회와 함께

암 병리보고서를 표 화하는 작업을 하기로 하 다 2004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두 번의 소화

기병리학연구회 산하의 장 상피성종양 소 원회 모임 두 번의 연구회 체의 논의를 거쳐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을 2005년에 완성하 다 ldquo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rdquo은 국내 형병원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을 참고하 으며 미국 병리학회의 권장사항 미국 병리과장 회의 체크리스트

일본의 조기 암규약 UICC 분류법 (제6 ) WHO 분류 (2000) 등을 참고로 하 다 한 보건복지부

에서 시행하는 한국 앙암등록사업에 필요한 정보가 빠지지 않도록 유념하 다1

이러한 암의 조직학 진단은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과 수술 후 제된 조직을 보고 하는 진단

의 둘로 별된다 내시경생검을 통한 진단은 암의 유무 특정 조직학 진단을 주로 하나 암조직

의 제 후 진단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 깊이 림 이 등 다양한 여러 병리정보를 임상의사들에게

달하여 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요한 후인자로서의 기능이 있다

위암의 조직학적 유형

암의 조직학 유형은 WHO의 분류법 (2000)을 따른다2

선암종에서 두 가지 이상의 분화도가 섞여 나올 때는 간질을 제외한 암세포의 면 이 가장 많은 유

형으로 분류한다 원주세포로 구성된 뚜렷한 선구조는 well differentiated로 분류하고 입방형 세포로 구

성된 작은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분화가 나쁜 상 선암종에서 내강을 형성하

는 선구조는 moderately differentiated로 내강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poorly differentiated로 분류한다 선

구조나 편평상피 분화가 없는 경우에는 undifferentiated carcinoma로 분류한다

Grade X Cannot be assessed

Grade 1 Well differentiated (greater than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2

Table 1 Histologic type of gastric carcinoma

papillary adenocarcinoma

tubular adenocarcinoma well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moderately differentiated

tubular adenocarcinoma poorly differentiated

mucinous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adenosquamous carcinoma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undifferentiated carcinoma

other ______________________

Table 2 Histologic type by Lauren classification

intestinal

diffuse

mixed

indeterminate

Grade 2 Moderately differentiated (50 to 95 of tumor composed of glands)

Grade 3 Poorly differentiated (49 or less of tumor composed of glands)

Others에는 carcinoid adenocarcinoid parietal cell carcinoma choriocarcinoma hepatoid adenocarcinoma

clear cell adenocarcinoma 등이 포함된다

Intestinal type은 주로 장 상피를 닮은 선구조로 구성된 종양이다 Diffuse type은 종양세포가 작고 둥

며 내강을 형성하는 선구조가 거의 없는 종양이다 Mixed type은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이 각각

50씩 보이는 경우다 Indeterminate type은 분화가 나빠서 어느 쪽으로도 분류하기 곤란한 경우다

Lauren의 분류는 Adenocarcinoma (signet-ring cell carcinoma 포함)만 해당한다

Isolated tumor cells의 정의

이된 종양의 크기가 02 mm 이하이면 isolated tumor cells로 02-20 mm이면 micrometastasis로 정의

하고 있다 Isolated tumor cells는 이 숫자에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크기가 02 mm 이하더라도 HE염색으로 발견되는 림 이의 부분은 malignant activity

(gland formation stromal reaction proliferation)가 동반되어 있으므로 micrometastasis로 분류하는 것이 옳

다 면역염색으로 발견되는 isolated tumor cells의 부분은 HE 염색에서는 암세포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3

pN0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o examination for isolated tumor cells (ITCs)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3

pN0(i+)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morphologic (any morphologic tech-

nique including hematoxylin-eosin and immunohistochemistry) find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nega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pN0(mol+) No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histologically positive nonmorphologic (molecular) find-

ings for ITCs

위암의 치료효과 판정(Therapeutic efficacy)

Adjuvant chemotherapy 는 radiation therapy에 의한 치료효과를 조직학 으로 정하는 데 사용하며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이 없으므로 일본의 규약집을 따르기로 한다(Viable cells include cells

having eosinophilic cytoplasm with vacuolation and swollen nuclei)

Grade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grade 0 no effect

grade 1 viable cells account for 13 or more

grade 1a viable cells 23 or more

grade 1b viable cells 13-23

grade 2 viable cells account for less than 13

grade 3 no viable cells evident

Adenocarcinoma of GE junction

Subclassification of GE junction cancer

type I (adenocarcinoma of distal esophagus) epicenter of the tumor is between 1 cm and 5 cm above

the GE junction

type II (true 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within 1 cm oral and 2

cm above of the GE junction

type III (subcardia cancer of the stomach) epicenter of the tumor is located between 2 cm and 5 cm

above of the GE junction

종양의 50 이상이 식도에 있으면 식도암으로 50 이상이 에 있으면 암으로 분류한다5 만약

종양이 아래에 균등하게 분포한 경우 식도 junction의 암종으로 분류하고 squamous small cell and

undifferentiated types의 암종은 식도암으로 adenocarcinomas and signet-ring cell carcinomas은 암으로

분류한다6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4

임상적 의의를 갖는 조직학적 유형

Adenocarcinoma with micropapillary pattern7

① Defined as a carcinoma composed of small clusters of tumor cells lying within clear spaces simulating

vascular channels

② In the breast urinary bladder ureter lung parotid gland and colon associated with high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lymph node metastases and poor prognosis

Papillary adenocarcinoma8

① Epithelial projections scaffolded by fibrovascular cores

② Uncommon histologic entity (~6)

③ Papillary structures more than 50 of tumor

④ Older age early proximal tumor location

⑤ Frequent lymph node or liver metastasis poor prognosis

Lymphoepithelioma-like carcinoma9

① About 10 of gastric carcinomas harbor clonal EBV

② In Asia relatively low frequencies of EBV-GC ranging from 2~10

③ Male predominance

④ Predominance in the non-antrum part of the stomach

⑤ Tend to be the gastric or null mucin phenotype

⑥ EBV-encoded small RNA is expressed in almost all EBV-GC cells

⑦ Most studi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EBV presence and GC prognosis

Adenocarcinoma with rhabdoid features10

① Twelve of the 16 patients died of their disease within 10 months of presentation

② The noncohesive rhabdoid cells exhibited an eccentric nucleus with a paranuclear inclusion

(intermediate filaments by EM)

③ On immunohistochemistry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vimentin and cytokeratin

Hepatoid adenocarcinoma11

① More frequently occur in older patients

② Higher rates of recurrence and liver metastasis and a poor prognosis

③ Histologically similar to HCC

④ Positive for AFP but negative for HepPar1

⑤ Also occurs in lung pancreas and ovary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5

Adenocarcinoma pylorocardiac (clear) type12

① Clear cell carcinomas are well described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female genital tract

② Similar tumo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occasional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stomach colon and biliary system

Neuroendocrine tumors (NETs)1314

① Epidemiology 02100000 population

② As in other sit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are categorized in-

to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WHO classification of gastric NETs

① Well-differentiated NETs with benign or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classic carcinoid)

② Well-differentiated NECs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atypical) carcinoid]

③ poorly differentiated NECs with high grade malignant behavior

Well differentiated Type 1 NET

① Most common (70-85)

② Frequently small polypoid often multiple and usually benign

③ Secondary to hypergastrinemia related to atrophic gastritis (also includes microcarcinoidosis) and is al-

ways associated with ECL-cell hyperplasia

④ PrognosisSurvival no tumor related death at an overall mean follow-up of 53 months

Well differentiated Type 2 NET

① Type 2 is a rare tumor associated with primary hypergastrinaemia as a manifestation of ZES as part

of MEN-1

② Appear mostly as multiple benign polyps (WHO group 1) and are only in exceptional cases metastatic

(WHO group 2 endocrine carcinoma)

③ PrognosisSurvival there was 1 tumor-related death (49 months after diagnosis) and an overall mean

survival of 84 months

Well differentiated NEC with low-grade malignant behavior (malignant carcinoid)

① Second most common NE gastric tumor (13-20)

② Appears sporadically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either local (atrophic gastritis) or genetic (MEN-1)

③ Usually solitary and Ki-67 gt2 gt2 cm in diameter

④ Infiltrative growth with metastases both to regional lymph nodes and the liver

⑤ Less than 5 of these tumors can cause the so-called lsquoatypical carcinoid syndromersquo

⑥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28 months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26

Poorly differentiated NEC

① Highly malignant

② Can be subdivided into small cell and large cell variant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③ Relatively rare and account for lt5 of endocrine tumors

④ PrognosisSurvival mean survival of 7 months

Diagnosis of NETs

① If the diagnosis of a well- or poorly differentiated endocrine tumor is established by routine histo-

pathology including chromogranin A and synaptophysin additional staining for Ki-67 should always be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tumor

② High Ki-67 (gt15-20) indicates poor prognosis

Significance of Pathology in Gastric Carcinoma

① Pathologic type has clinical significance (esp small cell NE carcinoma and hepatoid adenocarcinoma)

② Pathologic stag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GCs

참 고 문 헌

1 김우호 박철근 김 배 외 7인 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 화 한병리학회지 200539106-113

2 Hamilton SR Aaltonen LA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Pathology and Genetics Tumours of the

Digestive System Lyon IARCPress 2000

3 Campton CC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Reporting on cancer specimen Case summaries and back-

ground documentation Northfield IL USA 2003 (wwwcaporg)

4 Siewert JR Stein HJ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 Classification pathology and extent of

resection Dis Esoph 19969173-182

5 Wittekind C Compton CC Greene FL Sobin LH Residual tumor classification revisited Cancer 200294

2511-2516

6 Wittekind C Henson DE Hutter RVP Sobin LH eds TNM Supplement A Commentary on Uniform Use

2nd ed New York Wiley-Liss 2001

7 Shimoda M Okada Y Hayashi Y et al Primary invasive micropapillary carcinoma of the 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20085103-7

8 Yasuda K Adachi Y Shiraishi N Maeo S Kitano S Papillary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Gastric

Cancer 2000333-38

9 Akiba S et al Epstein-Barr virus associated gastric carcinoma Epidemiologica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ancer Sci 200899195-201

10 Amrikachi M et al Adenocarcinoma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Prominent Rhabdoid Features Ann

Diagn Pathol 20026357-363

11 GAO YB et al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relevance of gastric hepatoid

adenocarcinoma Journal of Digestive Diseases 2007823-28

12 Ghotli ZA et al Clear cell (glycogen rich) gastric adenocarcinoma a distinct tubulopapillary variant with a

predilection for the cardiagastro-oesophageal region Pathology 200739(5)466-469

김경미 Update in Path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27

13 Ploumlckinger U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endocrine Gastrointestinal Tumours A

Consensus Statement on Behalf of the European Neuroendocrine Tumour Society (ENETS) Neuroendocrinology

200480394-424

14 Rindi G et al TNM staging of foregut (neuro)endocrine tumors a consensus proposal including a grading

system Virchows Arch 2006449395-401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28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고려의 안암병원 종양내과

김 열 홍

세계 으로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은 아직까지 암발생 1 를 차

지하고 있다12 보건복지부 주 한국 앙암등록본부와 지역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비록 약간 감

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암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암종이다2 한국에서 1999년

부터 2001년 기간 암의 age-standardized 유병율은 남자에서는 10만명당 586명 여자는 10만명당 308

명이었다2 완치 제술이 유일한 완치 방법이며 최근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으나 많은 암환자들

이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아직 사망률이 높은 상태이다 실제로 약 23의 암환자들은 이미 수술

제가 불가능한 병기에 진단된다 한국인 암환자들 505의 환자는 수술 단독 치료 그리고

14 환자들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는다3

암의 진행 정도와 위치 및 분화도

서울 병원의 자료에 의하면 1970년 는 체 암환자 조기 암의 비율이 77 1980년 에는

191 1990년 에는 29이었고 1996년에는 356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 다 한 암학회에서 조

사 발표한 연구 역시 1995년 5380명의 암 환자 조기 암은 286이었으나 1999년 6772명의 환

자 328로 증가하여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계속 되었다4 이러한 조기 암의 증가 추세는 고려

학교의 보고에서도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암 환자 조기 암 환자가 27이었으나 1997년부

터 2001년 사이의 암 환자 40로 증가를 보여 공통 인 상으로 보인다(p=0000)5 그러나 일본

은 암조기검진 로그램으로 조기 암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 이다6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암의 발생율이 어들고 있으며 암 발생 부 도 차 식도와 의 경

계부 분문부로 이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은 냉장고의 보 염식이 등 식사습 의 변화와

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미국내에서도 인디안 히스페닉 흑인 북유럽이나 아시아에서 온

이민자들이 백인에 비하여 높은 암 발생율을 보여 인종에 따른 차이도 있다고 생각된다 한 암

은 조직학 으로 intestinal type과 diffuse type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며 이들은 암 발생 과정이 다

르고 암의 발생율이 어드는 상은 주로 intestinal type의 암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경우 한 암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상부 13 암의 빈도는 1970년 와 1980년 58에서

1990년 에는 13로 높아졌으며 1995년 112에서 1999년에는 125로 약간 더 상승하 다4 다른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29

보고에서 역시 1989년부터 1996년까지의 환자에서는 상부 13 암의 빈도가 체 암 66 으

나 1997년부터 2001년까지의 환 94로 약간 상승하 다는 비슷한 경향을 보 다5 한국에서 상부

13 암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아직 서구에 비해서는 훨씬 은 빈도이다 암의 분화도

는 한국에서는 과거 10년간 별 변화가 없었으나 미국에서의 보고는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약간 증가하 다7 후향 연구에 의하면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3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275 poorly differentiated carci-

noma의 비율이 488이었으나 1996년부터 2000년까지의 암 환자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196 moderate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이 30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의 비율

이 493이었다8

최근 진행성 암 환자를 상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공동항암치료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 환자들이 좀 더 은 경향을 보 으며(median age 46 versus 65) 이러한 소견은 고

려 학교병원과 일본 국립암센터병원의 수술 제술을 받은 암 환자 40세 이하의 환자 비율이

한국에서는 148 던 반면 일본에서는 6에 불과하 고 70세 이상은 한국인에서 32 일본인에서

192를 보여 일치하는 경향을 보 다 특히 한국인 암 환자들은 poorly differentiated pathologic typ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signet ring cell carcinoma and mucinous adenocarcinoma)이 많은 반

면 일본인 암환자들은 differentiated histology (papillary adenocarcinoma and tubular adenocarcinoma)가

많았다 물론 두 병원의 환자 조기 암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여(일본 국립암센터병원 512

고려 학교병원190) 직 인 비교는 어려우나 진행성 암환자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차

이는 두 나라 암환자의 임상 특징의 차이로 보인다

한국인에서의 위암 발생 위험인자

1970년 후반에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짠 음식의 과량 섭취 비타민 C와 carotenoid 섭취 부족

등 3가지가 제기되었다 이후에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가되었다 과거

부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환되는 과정에 가장 큰 향을 미치는 인자로 음식물에 의한 내 미세

환경의 변화가 지목되었으며 이 학설은 아직도 여러 과학 근거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나 최근 H

pylori도 내 미세환경의 변화를 래하는 주된 향인자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성인에서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1980년 에 80 으나 1990년 에는 67로 감소를 보 다9

비록 암 유병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H pylori 감염율과 암의 발생과는 연 성이 없다는 연구결과

가 있으나10-12 한국에서 보고된 case-control 연구에서 H pylori 감염이 182의 험도를 보이며 암발

생의 요한 험인자로 확인된 바 있다13

사회경제 지 음주 흡연 식생활 습 냉장고 사용 등 환경 인자 식생활 습 이 가장

요한 암의 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습 를 들어 한국인은 신선한 채소보다는 짠 음식과

고탄수화물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암 발병 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9 몇몇 case-control 연구에

서 개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를 들어 된장 개 고추 개 생선튀김 그리고 짠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암의 발생 험성이 높았다고 보고하 다1415

다른 암의 발생 험인자로 유 인자가 있다 한국인에서 암환자의 first-degree relatives는

암 발생 험도가 31배이었으며16 이는 서구의 보고와 비슷한 수 이다 한국인에서 International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0

Gastric Cancer Linkage Consortium의 정의에 합당한 유 성 암은 체 암 환자의 03-31 정도를

차지한다9

한국인 위암환자의 수술 성적과 예후

2005년도 한국에서 시행된 암수술 13272건 526인 6987건은 5개 형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부분의 한국 암 문외과의는 일년에 100건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50건 이상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 병원의 숫자도 20개 이상에 이른다 한국에서 부분의 암 문외과의는 제한

림 제술보다는 범 한 림 제술(D2 or D3)을 시행한다917 기간별 통계로 박 등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1989년부터 1996년 동안 시행된 제술 74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된 반면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D2 림 제술이 83로 증가하 다(p=0000)5 다른 병원에서의 보고 역

시 606명의 상 진행성 암환자 772에서 D2 림 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제된 림 의 평

균 숫자는 372개(range 4 to 108)에 달하 다17 한 수술 제를 시도한 환자들 808-87의 환자

에서 완치 제가 가능하 다고 보고되었다5617

한국인 암환자의 완치 제수술 후 5년 생존율은

556-66로 TNM 병기에 따라서는 Ia Ib II IIIa IIIb 그리고 IV기가 각각 980-929 92-842

72-693 54-458 365-296 그리고 239-92이다5617

기간별 5년 생존율은 1997년부터 2001까지의

결과가 1989년부터 1996년 기간보다 훨씬 증가하 으나 이러한 향상은 주로 조기 암의 진단이 증가한

결과로 보이며5 진행성 암 치료성 은 별 변화가 없었다 복막재발이 한국인 암 수술 후 가장 재발

이 흔한 부 인데 이는 아마도 범 한 림 제로 충분한 국소질환의 제거가 되었기 때문으로 이

해된다5 암의 수술 제 후 후인자로 알려진 것들은 수술 완치 제 가능성 여부 침윤 정

도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 등이다6 다른 보고에서는 침윤정도(RR=2828) 림 이

(RR=2325) 복막 이(RR=3596) 그리고 림 선과 침윤 여부(각각 RR=1909과 1440)가 독립 인

재발 후인자 으며5 조기 암에서는 림 이 여부가 유일한 후인자이었다 반면 림 이

와 련이 있는 후인자로는 침윤의 정도 조직학 분화도 종양의 크기 육안 암종류 등이었다18

병리학 으로 림 침범 3기 환자의 후 련인자는 제 정도( 제술과 아 제술)와

이된 림 의 비율이 장기생존 측의 독립 인 후 인자 으나19

한국에서는 부분 범 한 림

제가 시행되고 있으므로 양성 림 의 숫자나 제거된 림 숫자보다는 제거된 림 양성

림 비율이 가장 종합 이고 정확한 후 측인자일 것으로 단되고 있다6

참 고 문 헌

1 Jemal A Siegel R Ward E et al Cancer statistics 2007 CA Cancer J Clin 5743-66 2007

2 Shin H-R Won Y-J Jung K-W et al Nationwide cancer incidence in Korea 1999~2001 First result using

the National Cancer Incidence Database Cancer Res Treat 37325-31 2005

3 Korea MoHaWro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03

4 Association KGC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105-14 2002

5 Park CH Song KY Kim SN Treatment results for gastric cancer surgery 12 years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e in Korea Eur J Surg Oncol 2007

6 Kim JP Surgical results in gastric cancer Semin Surg Oncol 17132-8 1999

김열홍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astric Cancer

31

7 Hassan HA Sharma VK Raufman JP Changing trends in gastric carcinoma at a university medical center a

twelve-year retrospective analysis J Clin Gastroenterol 3237-40 2001

8 Lee JY Kim HY Kim KH et al No changing trends in incidence of gastric cardia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853-7 2003

9 Lee HJ Yang HK Ahn YO Gastric cancer in Korea Gastric Cancer 5177-82 2002

10 Miwa H Go MF Sato N H pylori and gastric cancer the Asian enigma Am J Gastroenterol 971106-12

2002

11 Tajima K Challenging epidemiological strategy for paradoxical evidence on the risk of gastric cancer from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pn J Clin Oncol 32275-6 2002

12 Lunet N Barros 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ncer facing the enigmas Int J Cancer

106953-60 2003

13 Chang WK Kim HY Kim DJ et al Association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

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prospective case-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36816-22 2001

14 Lee JK Park BJ Yoo KY et al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Int J

Epidemiol 2433-41 1995

15 Kim HJ Chang WK Kim MK et al Dietary factors and gastric cancer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Int J

Cancer 97531-5 2002

16 Ahn YO Diet and stomach cancer in Korea Int J Cancer Suppl 107-9 1997

17 Park J-M Ryu W-S Kim J-H et al Prognostic factors for advanced gastric cancer Stage-stratified analysi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Cancer Res Treat 3813-8 2006

18 Kim JP Kim YW Yang HK et al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of 3926 gastric

cancer patients World J Surg 18872-7 discussion 7-8 1994

19 Kim J Cheong JH Hyung WJ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survival in pN3 gastric cancer patients J Surg

Oncol 889-13 200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35

Case Report

국립암센터 장암센터

홍 용 상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6

홍용상 Case Report

3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38

홍용상 Case Report

39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0

대장 직장암 간 전이 환자에서의 간절제 수술

가천의 길병원 외과

박 연 호

Table 1 Reported 5-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with curative intent

서 론

장 직장암은 진단 당시 20-30의 환자에서 동시성 간 이가 발견되며 25-50는 이시성으로 발

견된다고 알려져 있다12 술 후 추 찰 에도 매년 10-25의 환자가 추가로 간 이가 발견되어

결과 으로 체 장 직장암에서 약 40 내외의 환자들이 간 이를 갖게 된다 이 경우 간 제술

은 가장 효과 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 제 치료 후 5년 생존율

은 35-58 정도이며 5 미만의 수술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34 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다양

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앙생존기간이 12-24개월 정도로56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극 인 간

제가 환자의 후에 한 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외과적 절제술의 원칙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간 제의 목표는 충분한 간 기능을 유지하면서 잔류암이 없는 R0

resection을 얻는 것이다7 수술 검사에서 제 가능성이 있다고 단되어 수술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체계 인 평가를 통해 최종 제여부를 결정해야 한다(Table 2) 제를 진행하는 기 은 1) 육안으로

나 제연의 조직검사에서 모두 살아있는 잔류암이 없이 근치 간 제가 가능한가 2) 완 한 담도

배액과 행 공 이 확보된 인 한 2구역(segment) 이상의 간이 보존될 수 있는가 3) 수술 간 용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1

Table 2 Criteria defining resectability for surgical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is

(total liver volume)의 20 이상이 남아 있을 수 있는가 4) 제 불가능한 간 외 이 병변은 없는가

등을 고려하게 된다 건강한 정상 인 간의 total liver volume(TLV)은 체표 면 을 통해서 계산할 수

있다8 (TLV = -79441 + 126728 X body surface area)

1 제 수술의 진행 평가

환자의 병력 CEA 수치의 증가 복부 CT등 상 진단을 통해서 90 이상의 민감도 특이도를 갖고

간 이를 진단할 수 있다 수술 이가 의심되는 종괴에 한 경피 조직 검사는 암의 종 험

성이 보고 되고 있어서910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병소의 크기와 갯수 제연의 확보 등을 알아보기 한 수술 장 내에서의 음 검사(intraoperative

USG)는 요한 도구이다 음 를 통하여 병변에 한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담도의 구조

를 악하여 불필요한 간 손상을 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11

일단 개복하면 간 체를 진하여 상 진단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작은 종괴가 없는 지 다시

확인 하고 원발 부 병소 복강 골반 후복막 등을 모두 검사하여야 한다

2 제 가능성(resectability)의 개념

한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해부학 인 제가 가능하다면 수술을 진행해야 하지만 불량한 후인

자가 동반된 간 이의 경우에는 신 한 근이 필요하다 흔히 사용하는 clinical risk scoring system

에서 거론되는 후가 좋지 않은 요인들로 1) 원발암 에서의 림 이 2) 다발성 간 이 3) 원발

장 직장암 진단 혹은 치료 후 간 이가 발생할 때까지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 4) CEA 수치가

200 ngml 이상 5)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이상 등이 있다1213

간 이에 병소와 직 련된 후 인자들을 살펴볼 때 이암의 갯수와 크기가 요한 인자로 여

겨져 왔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이런 불량한 후 요인들을 동반하는 간 이에서도 제

수술을 통한 장기 생존을 보고하고 있어서 수술고려 상에서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개 이

상의 간 이 병소가 있으면서 양측성 이인 경우에도 수술 제와 함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을 동

원하여 22-37 정도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141516

이 종괴의 수와 후와의 계는 단순한 수보다는

모든 병변이 제 되었는지의 여부가 더 큰 향을 주며 특히 단엽성인지 양엽성인지의 여부는 충분

히 간기능을 확보하고 제를 할 수 있는 한 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1516 Fong등12이 주장한 바 로

이 병소의 수가 4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간 제 이후 후가 그 이하의 병소를 갖는 환자군보다 유

의하게 나쁘다는 것이 다른 여러 임상 연구에서 밝 져서 이암의 개수가 주요한 후인자임은 분명

하다고 생각된다 Tanaka 등16은 4개 이상의 이암이 양쪽 엽 모두를침범한 환자군에서 제 수술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2

시도하여 5년 생존율을 425까지 보고하 다 아울러 이런 환자들의 후 인자로 1) 6개 이상의 이

암 2) 종양의 최 크기가 4 cm 이상 3) 간 제 수술 CEA 수치가 12 ngml 이상 4) 수술 이후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5) 간문맥 색 술 등의 시술 이후 순차 간 제를 한 경우 등을 들었다

이암의 크기만으로 후를 비교하 을 때는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많은데1417 종양의

크기가 큰만큼 충분한 제연의 확보가 더욱 강조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가능성이란 생존이 가능한 만큼의 잔존간 용 을 보존한 상태에서 충분한 제연을 확

보할 수 있느냐가 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완 제가 가능하더라도 제 후의 잔존 간이 무

을 경우에는 수술의 응이 될 수 없다

3 제 기술의 문제 - 제연 해부학 제 방법

종양과 단면간의 거리가 1 cm 미만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이 18-26인 반면 거리가 1 cm 이상이면

44-50 정도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171819

과거에는 제 간격이 불충분하게 확보될 경우 수술의 상

기로 여겨졌었다 제연에서 암세포가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는 20개월 이상의 무병기간을 기

하기가 어렵고1819 재발율이 51 5년 생존율은 17로 낮게 나왔다 그러나 미경 으로 제연에

암침윤이 없는 경우에는 제연의 거리에 상 없이 생존에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며 재발이나 재

발부 와도 계가 없다고 하는 연구들이 많아졌다2021 특히 Kokudo 등22은 간 제를 시행할 때 최소

2 mm의 제연 만을 확보하면 제연 련 재발율 6 5년 체 생존율 419 5년 무병 생존율

297라고 하여 이 병변의 개수 크기 치에 따라 제가 어려운 경우라도 극 인 수술이 필요

함을 보고하 다 이는 장 직장암의 간 이에서는 이 병소 주변으로의 미세 이(micrometastasis)

가 2 내외 정도로 매우 드물고 이가있더라도 종양 주변 4 mm 이내에 국한된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결국 제연 자체에 암세포 직 침윤이 있는지의 여부가 가장 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간 제의 방법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도 논란이 있어왔다 Iwatsuki 등23은 량 간

제를 받은 환자가 비 해부학 기형 제(wedge resection)를 받은 환자보다 히 후가 좋다고

하 으나 Cady 등18은 제된 간조직의 크기가 클수록 장기 생존이 어렵다고 하 다 이 문제는 종양

의 크기가 같은 환자들을 상으로 부분 간 제술과 확 간 제술 간의 치료 성 에 한 비교가 어

렵지만 간 이는 문맥을 통해 이된다고 생각되므로 해부학 량 간 제가 반드시 기형 제

나 구역 제와 같은 제한 제술 보다 장 이 있다고 이야기하기 힘들다 제한된 제로 종양을 제

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종양 자체의 크기가 작았음을 반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병변의 크기나 제

방법 보다는 병변이 체 간에서 차지하는 비율 이에 따른 제 가능 범 와 근치 제 유무 등

이 후에 더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4 제 시기의 문제 - 동시성 이 간암의 경우

동시성 장 직장암 간 이에서 원발암과 간 이의 동시 제는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때문에 일단 원발 병소를 수술한 뒤 2-3개월 후에 순차 인 간 제를 하도록 해왔었다1224 그러나

동시 제는 2번 수술의 험을 피할 수 있고 조기에 외과 제를 하여 보조치료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기 기간 간 이 병소가 진행함으로써 수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동시 제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526

Minagawa 등26은 원발 병소 주변의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3

Table 3 Multivariate analysis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ig 1 Survival curv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ver nodules for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and 4

or more lymph node metastases around the primary cancer (pN2 by the Union International Contre le Cancer

Staging System)

림 이가 3개 이하라면 간 이 병소가 4개 이상인 경우라도 동시 제 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지만 4개 이상의 림 이 환자에서는 그 경우 5년 생존율을 기 하기 어렵다고 하여 원발

병소의 림 이 갯수로 수술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하 다(Table 3 Fig 1) 이런 환자에게는

수술 유도 항암 요법을 사용하여 병기를 하시키고 암의 진 을 안정화 시키거나 멈춤으로써 추

후 간 제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그 시기 기간에 해서는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27

5 재발성 간 이에서의 간 재 제(repeat hepatectomy)

장 직장암의 간 이로 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70 가량은 2년 내에 암이 재발하게 되며 이

13 정도는 간에만 국소 으로 이가 발견된다 재발성 간 이를 진단받은 환자는 간의 재 제를 고

려해야 하며 간 이의 재 제를 시행한 환자들은 25-41의 5년 생존율을 보 다1516 이 경우 가장

요한 후 인자로는 첫 번째 간 제와 재수술 간의 무병 기간이며 재발 당시의 간 이 병소 갯수

도 향을 미친다고 한다 Imamura 등15은 첫 번째 간 제 후 재발하는 경우에 몇 가지 특징을 보인

다고 하는데 1) 부분의 재발성 간 이는 처음 치료한 부 이외의 곳에서 발생하고 2) 재 제 이

후에 다시 재발하는 양상은 처음 간 제 이후 재발하는 것과 비슷한 행태를 보이며 3) 무병 기간도

첫 수술 반복 제 과정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고 하 다 Antoniou 등28이 발표한 다수의 임상

연구들에 한 메타 분석(meta-analysis)에 따르면 장 직장암의 간 이에 한 첫 번째 간 제와 두

번째 간 제사이에는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Table 4) 장기간 환자 생존율에서 모두 통계 차

이가 없다고 하 다(Fig 2) 물론 기술 으로 두 번째 간 제수술이 더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수술

액 수 량이 유의하게 많다는 것은 이를 반 하는 결과지만 재발성 간 이 환자의 간 제도 통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4

Outcome No patients No studies ORWMDHR+(95 CI) P value

Perioperative Tx

Wedge resection

Chemotherapy

Operating time (min)

Blood loss (ml)

Postoperative Cx

Perioperative mortality

Hemorrhage

Hepatic insufficiency

Wound infection

Any complication

Disease recurrence

Intrahepatic

Extrahepatic plusmn Intrahepatic

Overall

Disease free (DF)

DF interval (mo)

Survival

First vs second

2654

1474

332

1005

1126

1028

849

203

1464

2322

2222

2322

409

20

1417

14

11

5

6

4

5

7

3

12

5

4

5

3

2

7

066 (044100)

097 (054174)

-275 (-63989)

-238 (-385-90)

101 (018572)

119 (064221)

073 (009564)

065 (020205)

101 (065155)

069 (042114)

071 (042119)

079 (058108)

099 (056174)

-327 (-965310)

090 (066124)+

050

920

140

002

990

580

760

460

980

150

200

150

970

310

060

CI confidence interval HR hazard ratio (values lt1 favor second resection gt1 favor first resection) OR odds ratio

(valueslt1 favor first resection gt1 favor second resection) WMD weighted mean difference (negative values favor first

resection positive values favor second resection) Bold number re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s

Table 4 Treatment and outcomes fo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 of colorectal metastases

Fig 2 Meta-analysis of survival data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sections

으로 낮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갖는 상태에서 안 하게 할 수 있는 수술이라고 여겨진다

두 번째 수술 이후에 다시 재발하여 세 번째 이상의 간 제 수술을 한 경우에 해서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다 Adam 등14은 16년 동안 60명의 재발하는 장 직장암 간 이 환자들에게 세 번째

간 제술을 시행하 고 5년 생존율 32 5년 무병 생존율 17를 보 다 술 후 합병증도 첫 번째

두 번째 수술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다고 보고하 으며 16명(27)의 환자에서는 간외 이 병소가

동반되어 있더라도 근치 (R0) 제가 가능해서 간 제와 병행해서 수술을 진행하 다 환자의 생존율

과 련된 인자들로 첫 번째 간 이 병소의 크기가 5 cm 보다 클 때 두 번째 간 제 수술 시 간외

이 병소가 있을 때 그리고 세 번째 간 제 시 근치 제를 하지 못했을 때 각각 후가 나쁘다고

하 다 재수술을 한 횟수에 따른 제군별로 생존율을 구할 만한 규모 임상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5

Table 5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Patients Submitted to Three Hepatic Resections for Colorectal Metastases

없고 부분 선별 환자에 한 결과를 보고하는 수 이다(Table 5)15162930

6 제 불가능한 다발성 양측성 간 이

- Two stage hepatectomy radiofrequency ablation cryotherapy radiation therapy etc

간 양엽에 다발성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모든 병변을 제거할 때 남게 될 간의 크기가 무 작

아서 간부 이 발생할 험이 있다면 제 수술을 진행할 수 가 없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문맥 색 술

(PTPE)을 하여 남게 될 간의 크기를 키우고 간을 제하는 시도들이 있었다3132 그러나 양엽에 다발성

으로 이 병변이 있는 경우 PTPE를 시행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이 정상 간실질 보다 더 빨리 자

랄 험이 지 되었다 Azoulay 등은 일차 간 제로 남게 될 간의 이 병변을 먼 제거한 후 항암

보조 요법 치료와 함께 문맥 색 술을 시행하여 간의 크기를 키운 다음 2차 간 제를 시도하는 방법

을 제안하 다 비록 상 환자수가 체 398명 환자의 4 정도로 지만 이런 시도를 한 16명의 환

자 13(81)명에서 2차 제가 가능하 고 3년 생존율 35 2차 제 후 앙 생존 기간이 31개월

이라고 하 다 Jaeck 등33은 기에 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이 방법을 용하여 2회에 걸친 간

제를 성공 으로 할 수 있었고 3년 생존율을 53로 보고하여 staged hepatectomy를 주장하 다 문제

는성공 으로 2차 간 제를 하게 된 환자들도 첫 수술과 함께 문맥 색 술을 하고 2개월 이상이 지

나야 수술이 가능하게 되어 지연된 이차 간 제 때문에 종양이 더 진행할 험을 안게 된다 남게

될 간의 용 이 충분히 커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했으며 문맥 색 술 자체의 합병증으로 인한 수술 불

가능 사례도 있어서 신 한 환자 선택이 필요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제 불가능한 동시성 간 이의 경우 신 항암 화학 요법을 하여 제 가능성을 재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만약 항암 요법 후에도 여 히 제 불가능하다면 다른 항암제로의 교체를 통해서

지속 인 치료 가능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 수술 이외의 다른 국소 치료 방법들인 ablative ther-

apy 경화 요법 방사선 치료도 함께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46

결 론

장 직장암 환자의 간 이는 원발암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 으로

증가할 것으로 측된다 간 제 수술 방법의 발달 수술 후 합병증의 감소 항암제의 발 으로 제

율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간 제는 안 한 술식이며 장기 생존을 기 할 수 있는 가장 입증된 방

법이지만 수술 이 병변에 한 면 한 평가 항암 요법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도 하다 따

라서 환자에 한 다학제 근을 통해 가장 한 치료 방침과 수술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극 제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참 고 문 헌

1 Fong Y Cohen AM Fortner JG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J Clin Oncol 15938 1997

2 Lewis MA Martin R The treatment of hepatic metastases in colorectal carcinoma Am Surg 72466 2006

3 Abdalla EK Vauthey JN Ellis LM et al Recurrence and outcomes following hepatic resection radiofrequency

ablation and combined resectionabla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nn Surg 239818 2004

4 Zorzi D Mullen JT Abdalla EK et al Comparison between hepatic wedge resection and anatom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J Gastrointest Surg 10(1)86 2006

5 Hurwitz H Fehrenbacher L Novotny W et al Bevacizumab plus irinotecan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N Engl J Med 3502335 2004

6 Saltz LB Meropol NJ Loehrer PJ et al Phase II trial of cetuximabin patients with refractory colorectal can-

cer that expresses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J Clin Oncol 221201 2004

7 Pawlik TM Choti MA Surgical therapy for colorectal metastases to the liver J Gastrointest Surg 111057

2007

8 Vauthey JN Abdalla EK Doherty DA et al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predict total liver volume in

Western adults Liver Transplantation 8(3)233 2002

9 Rodgers MS Collinson R Desai S et al Risk of dissemination with biopsy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is

Colon Rectum 46454 2003

10 Jones OM Rees M John TG et al Biopsy of resp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auses tumour dissem-

ination and adversely affects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Br J Surg 921165 2005

11 Stadler J Holscher AH Adolf JI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detection of occult liver metastases in color-

ectal cancer Surg Endosc 536 1991

12 Fong Y Fortner J Sun RL et al Clinical score for predicting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alysis of 1001 consecutive cases Ann Surg 230309 1999

13 Mala T Bohler G Mathisen O et al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can preoperative scoring pre-

dict patient outcome World J Surg 26(11)1348 2002

14 Adam R Pascal G Azoulay D et al Liver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the third hepatectomy Ann

Surg 238871 2003

15 Imamura H Kawasaki S Miyagawa S et al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to recurrent tumors after hep-

atectomy for metastatic spread of colorectal cancer to the liver Surgery 127528 2000

16 Tanaka K Shimada H Ueda M et al Role of hepatectomy in treating multiple bilobar colorectal cancer

metastases Surgery 143259 2008

17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amp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박연호 장 직장암 간 이 환자에서의 간 제 수술

47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50495 1996

18 Cady B Jenkins RL Steele GD et al Surgical margin in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is a critical

and improvable determinant of outcome Ann Surg 227566 1998

19 Shirabe K Takenaka K Gion T et al Analysisof prognostic risk factors in hepatic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gical margin Br J Surg 841077 1997

20 Pawlik TM Scoggins CR Zorzi D et al Effect of surgical margin status on survival and site of recurrence

after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241715 2005

21 Charnsangavej C Clary B Fong Y et al Selection of patients for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es

expert consensus statement Ann Surg Oncol 131261 2006

22 Kokudo N Miki Y Sugai S et al Genetic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f surgical margins in resected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rcinoma Arch Surg 137833 2002

23 Iwatsuki S Esquivel CO Gordon RD et al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Surgery

100(4)804 1986

24 Schlag P Hohenberger P Herfarth C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in colorectal cancer-competitive analysis of

treatment results in synchronous versus metachronous metastases Eur J Surg Oncol 16360 1990

25 Martin RCG Paty P Fong Y et al Simultaneous liver and colorectal resections are safe for synchronous col-

orectal liver metastasis J Am Coll Surg 197233 2003

26 Minagawa M Yamamoto J Miwa S et al Selection criteria for simultaneous resection in patients with syn-

chronous liver metastasis Arch Surg 1411006 2006

27 Adam R Delvart V Pascal G et al Rescue surgery for u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own-staged

by chemotherapy a model to predict long-term survival Ann Surg 240644 discussion 657 2004

28 Antoniou A Lovegrove RE Tilney HS et al Meta-analysis of clinical outcome after first and second liver re-

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Surgery 1419 2007

29 Ahmad A Chen SL Bilchik AJ Role of repeated hepatectomy in the multimodal treatment of hepatic color-

ectal metastases Arch Surg 142526 2007

30 Nagakura S Shirai Y Suda T et al Multiple repeat resections of intra- and extrahepatic recurrences in pa-

tients undergoing initial hepatectomy for colorectal carcinoma metastases World J Surg 26141 2002

31 Elias D Ouellet JF De Baere T et al Preoperative selective portal vein embolization before hepatectomy for

liver metastases long-term results and impact on survival Surgery 131294 2002

32 Azoulay D Castaing D Smail A et al Resection of nonresectable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af-

ter percutaneous portal vein embolization Ann Surg 231480 2000

33 Jaeck D Bachellier P Nakano H et al One or two-stage hepatectomy combined with portal vein emboliza-

tion for initially nonresectable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185221 2003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48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국립암센터 양성자치료센터

김 대 용

Table 1 Clinical results of radio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Author InstitutionPtsrsquo

No

No of

lesions

Extra-heaptic

disease

Total dose

(Gy)

Fraction size

(Gy)

Median fu

(months)

Local

control ()

OS

(months)

Krishnan

2006(3)

Robertson

1995(4)

Katz

2007(5)

Kavanagh

2006(6)

Herfarth

2000(10)

MDACC

Michigan U

Rochester U

Colorado U

Heidelberg U

17

22

69

21

24

4

(median)

1 8pts

gt38pts

1-6

1-3

1-3

12 pts

6 pts

None

None

NA

75-72

48-726

30-55

6

0

14-26

18-35

15-165

BID

3-5

20

14-26

92

420

145

19

57

62

(6 mos)

25

(1yr)

76

(10mos)

93

(18 mos)

71

(6 mos)

126

(median)

200

(median)

145

(median)

72

(1yr)

NR

암 환자에서의 간 이는 좋지 않은 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12

장 계 특히 장암 환자의 약

반수에서 궁극 으로 간 이가 유발된다고 하며 이 경우에 있어서 발견된 간 이 병소를 모두 제할

경우 5년 생존율을 25-40까지 기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수술 제가 기술 으로

가능한 경우는 간 이 환자의 20정도이며 고주 열치료술(Radifrequency ablation RFA) 간동맥 색

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등이 일부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외 다수의 환자에서

는 신항암화학요법이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1

간 이에 한 방사선치료는 체 간을 방사선조사 역으로 설정하 을 때 간의 방사선 민감성 주

변의 신장 혹은 소장 등과의 근 함 등으로 그 역할에 제약이 있었다1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삼차

원 입체조형 방사선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34 정 체부 방사선치료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356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RT)17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89이 발 하면서 정상 간 부 에 향을 이면서 종양

에 많은 양의 방사선용량을 달할 수 있게 되었다 (Table 1)

Robertson 등4이 1995년 발표한 논문에서 간 이가 확인된 장암 환자 22명을 상으로 3D-CRT로

방사선용량 48-72 Gy 15-165 Gy fx 시행하 을 때 4명의 환자에서 3 등 이상의 성부작용이

4명에서 있었는데 주로 오심 구토 그리고 일시 간수치 상승이었다고 하 다 50 환자에서 객

김 용 Radiation Therapy for Liver Metastases of Colorectal Cancer

49

인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앙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간 이외 부 에 이 여부가 의미있는 후

인자로 나타났다 ( 앙생존기간 22개월 14개월 p=001) 이 연구에서 간의 일부에 국한한 3D-CRT의

경우 큰 부작용없이 방사선용량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한 간부 국소제어를 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rishnan 등3은 2001-2003년까지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1

회 조사량 25 Gy(range 18-35 Gy)씩 총 방사선량 42 Gy (range 75-72 Gy)를 시행하 다 모든 환자에

서 3등 이상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앙생존기간은 126개월이었다 수술이 불가능 하고 항

암치료에 반응이 은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20 정도에서 장기 생존을 보

여주었다

1990년 후반부터 정 체부 고정기구(Stereotactic body frame)가 발달하면서 정 신 방사선치료

가 가능하게 되었고 수술이 합하지 않은 폐암 혹은 폐 이 환자에서 수술과 동일한 정도의 국소제

어율을 보고되고 있다356 Herfarth 등10은 1997-1999년까지 24명의 수술이 불가능한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 이에 하여 정 신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복부압박과 정 신 고정기구를 통해

총 55개의 병소에 하여 약 3-5mm 정도의 오차범 안에서 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14-26 Gy 1회

치료 후 81의 반응률을 보 다 1년 실제 생존율은 72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고 보고한바 있다

Katz 등5은 2001-2004년까지 69명의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방사

선조사량은 1회 3-5 Gy 총 30-55 Gy 시행하 다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고 77의 환자에서 반

응을 보 으며 10개월 20개월 국소제어율은 각각 76 57 다 Kavanagh 등6은 3개 이하 6 cm 이하

의 크기의 간 이 병소를 가진 36명의 환자를 상으로 정 체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3회에 걸

쳐 총 60 Gy 방사선용량을 주었을 때 한 명의 환자에서 3등 피하조직 부작용을 제외하고 큰 부작

용이 없었고 18개월째 국소제어율 93로 1회 20 Gy씩 3회의 방사선치료를 통하여 큰 부작용 없이 수

술에 근 하는 국소제어율을 보일 수 있음을 보고하 다 몇 연구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간내 이

의 치와 병소의 크기 등에 따라 방사선분할선량과 총 방사선량을 크게 할 경우 국소제어율을 높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택 내부 방사선치료는 90

Yttrium microsphere를 간동맥을 통해 주입하여 종양과 주변 정상 간 사이

의 액공 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로 동맥에서 액공 을 받은 간 이 병소에 200-300 Gy의 고용량 방

사선을 달하면서 주 정상 간조직에 향을 거의 주지 않는 치료방법이다17 Gray 등7은 항암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장암 간 이 환자를 상으로 간동맥내 항암치료 (FUDR)과 FUDR과 90Yttrium micro-

sphere를 혼합하여 치료하 을 때 부작용에서 차이가 없었고 반응률(44 vs 176 p = 001) 무진행생

존기간(159 months vs 97 months p = 004) 5년 생존률(5 vs 0)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 다고 보고하

양성자 혹은 탄소입자 방사선치료 등은 일반방사선치료에 비하여 주 에 주요 장기에 방사선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병소에 원하는 방사선용량을 달하는데 있어서 큰 장 을 가진다89 Gohongi 등8은 간

이 환자를 상으로 양성자를 이용하여 1회 3 Gy 총 방사선량 66 Gy를 시행하여 완 해를 얻고

2년이상 무진행상태를 보 으며 부작용이 없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 외 아직 간 이에 하여는 보

고된 논문이 많지 않으나 원발성간암에 하여는 부작용이 으면서 좋은 성 을 보고 하고 있다

Mizmoto 등9은 2002-2004년까지 53명의 간암환자를 상으로 1회 33 Gy 총 726 Gy 용량으로 근치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3년 생존율 451 국소제어율 86와 함께 3등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고 보

고한 바 있다 이는 원발암으로 이암의 경우와 직 비교하기는 무리가 있으나 양성자 등의 입자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0

사선을 통해서 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용량을 높임을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라 하겠다

참 고 문 헌

1 Liu LX Zhang WH Jiang HC Current treatment for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terol 20039193-200

2 Tomlinson JS Jarnagin WR DeMatteo RP et al Actual 10-year survival after resection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defines cure J Clin Oncol 2007254575-4580

3 Krishnan S Lin EH Gunn GB et al Conformal radiotherapy of the dominant liver metastasis a viable strat-

egy for treatment of unresectable chemotherapy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Am J Clin Oncol

200629562-567

4 Robertson JM Lawrence TS Walker S et al The treatment of colorectal liver metastases with conformal ra-

diation therapy and regional chemotherap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532445-450

5 Katz AW Carey-Sampson M Muhs AG et al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for limited hepatic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793-798

6 Kavanagh BD Schefter TE Cardenes HR et al Interim analysis of a prospective phase III trial of SBRT for

liver metastases Acta Oncol 200645848-855

7 Gray B Van Hazel G Hope M et al Randomised trial of SIR-Spheres plus chemotherapy vs chemotherapy

alone for treating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primary large bowel cancer Ann Oncol 2001121711-1720

8 Gohongi T Tokuuye K Iida H et al Concurrent proton beam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for

the metastatic liver tumor of gastric carcinoma a case report Jpn J Clin Oncol 20053540-44

9 Mizumoto M Tokuuye K Sugahara S et al Proton beam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djacent to the

porta hepati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871462-467

10 Herfarth KK Debus J Lohr F et al Extracranial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set-up accuracy of patients

treated for liver metastase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046329-335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1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Past Present and Future -

연세의 세 란스병원 상의학과

고 흥 규

적 응 증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고주 열치료의 응증은 아직 국제 으로 공인된 기 은 없으나

부분 원발성 간세포암의 치료 응증인 최 직경 5 cm 이내의 최고 3개까지의 종양을 근치 치료

를 한 종양 범 로 여기고 시술하고 있다 장암의 간내 이 환자에 한 응증에 한 진료가이

드라인에 하여 발표된 것이 없으므로 2005년도 한간암연구회 진료가이드라인에 따른 응증을 간

내 이암에 한 부분만을 기술해 보면 응증인 경우 단일 종양일 경우 종양 장경이 4 cm

이하 다발성일 경우 3개 이하이며 각각의 종양 장경이 3 cm 이하 유도할 상검사에서 종양이 잘 보

일 때이다 시행은 하되 조심스러운 시술이 필요한 상 비 응증으로는 조 되지 않는 복수 교정

후 지속되는 출 소인( 소 6만 이하 PT 60 이하) Major vessel (직경 3mm 이상의 간내 )이나

주요장기가 해 있을 경우 돌출성 성장(exophytic growth)을 보일 때 큰 종양(5cm 이상) 다발성 종양

(4개 이상)인 경우이다 비 응증은 조 되지 않는 다량의 복수와 출 소인 상 유도가 불가

능할 때 조가 안되는 환자 신성 성 감염의 경우다

그러나 간암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의사는 상기한 응증에 무 얽매이기 보다는 항상 안

하고도 완 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사 에 신 한 계획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

응증 환자의 경우에도 개복하 는 복강경하 근을 이용하여 성공 인 치료를 마칠 수도 있다 응

증에 해당하는 환자라 하더라도 시술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체치료법으로의 환이 요망

되기도 한다 한편 종양이 무 커서 경피 고주 열치료만으로는 완 치료를 기 하기 어려운 경우

에는 개복하여 첩 소작을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간내 류를 단 혹은 감소시킨 다음 고주 열

치료를 하기도 한다

임상 치료 성적

고주 열치료의 효과는 많은 연구에서 생존율과 재발율에 있어서 수술 제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2007년 Abitabile 등의 연구에 따르면 47명의 간 이암 환자에서 시행한 고주 열치료에

서 재발율은 88 고 특히 3 cm 미만의 종양에서는 16로 상당히 낮은 재발율을 보고 하 다 치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2

료 후 3년 생존율도 57로 상당히 높게 보고 되었다 2007년 Park 등은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제

술을 시행하고 30명의 환자에서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후향 으로 비교하 으며 생존율에

있어서는 56개월과 36개월로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 하 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56와

60로 통계 으로 수술 제술과 비교하여 고주 열치료가 차이가 없었다

고주 열치료의 안정성은 최근 여러 다기 공동연구들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2001년도 Livraghi 등

의 첫 다기 공동연구결과에 의하면 2320명의 간암 환자를 고주 열치료한 결과 시술과 련된 사망

률은 03 고 주합병증 발생율은 22 다 사망원인은 장 열에 의한 다기 부 복막염에 의한

패 성 쇽 종양 열에 의한 심한 출 담도 착에 의한 간부 등이 있었다 2003년도 Mulier 등에

의한 고주 열치료후 합병증에 한 82개의 연구논문에 한 분석결과 사망률 05 합병증 발생율

89로 수술 치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사망률을 보여 비교 안 한 시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

근 발표된 단일기 의 연구 결과들에서는 사망률 0에 2-4 범 의 주합병증율을 보고 하고 있다 알

려진 표 인 주합병증으로는 출 농양 담도나 장 열손상 지패드 화상 는 극경로 종양

이 등이며 시술자는 다양한 합병증의 종류와 이들의 조기 진단과 한 치료에 해 숙지하고 있

어야 하며 방법도 동시에 알아야 한다

Local ablation의 방법

간 이암은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서 수술 제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에서 이와 같이 수술 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체의 25 미만이다 국소 치료법은 수술

제가 어려운 간 이암 환자에 있어 물리 는 화학 방법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비수술 치료법이

다 마이크로웨이 이 고주 집 음 냉동요법 등 고온 온 온도를 이용한 물리 국소치

료법과 에탄올 아세톤 등의 화학 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나뉜다 각 치료법 마다 고유한 장단

을 지니고 있으나 지 재는 고주 열치료가 안정성이나 치료 효과면에서 가장 리 시행되고 있다

고주 를 이용한 간암의 국소 열치료는 1990년 에 들어서야 임상 으로 가능해졌다 고주 열치료

의 치료 기 은 종양 내에 삽입한 바늘 형태의 제 1 극의 끝을 통해 약 500 kHz 정도의 주 수로

빠르게 진동하는 교류 류를 제 2 극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때 극 주 의 조직내의 이온들이 불

안정해짐에 따라 소 마찰열을 유발시킴으로써 조직에 비특이 열손상이 유도된다 제 2 극을 체

외에 지패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극(monopolar) 방식으로 제 1 극과 동일하게 체내 조직 내에 삽

입할 경우에는 양극(bipolar) 방식으로 분류한다

고주 열치료를 한 기본 인 장비는 고주 발생기와 고주 극이다 고주 발생기는 개

150W-250W 범 의 출력을 갖고 있고 고주 극은 단극형으로 내부냉각형(internally cooled) 다침

팽창형(multitined expandable) 류형(perfusion)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 패드가 필요 없는 양

극형이 소개되었다 내부냉각형 극은 극 내에 냉각된 식염수를 순환시켜 극의 끝에 과도한 조직

가온으로 인한 숯 형성을 감소시켜 열 도를 극 화 시키고자 한 극이고 팽창형 극은 약 7-12개

의 우산살 는 나뭇가지 모양의 내장된 구부러진 극을 안에 지니고 있고 종양내에서 펼쳐져 극

발생 범 를 최 화시키고자 고안된 극이다 류형 극은 극 끝의 작은 구멍을 통해 고농도의

식염수를 조직 내로 직 류시켜 열 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극을 말하며 최근 소개된 양극형

극의 경우 하나의 바늘형 극 끝에 두 개의 극을 장착하여 지패드 없이 체내에서 양극 방식의

고흥규 Radiofrequency Ablation of Liver Metastasis - Past Present and Future -

53

치료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고주파 열치료의 종양 targeting monitoring 방법

고주 열치료는 극의 삽입 경로에 따라 경피 복강경하 는 개복하의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시

술이 가능하다 부분 침습 이 낮은 경피 경로가 선호되고 있고 경피 경로로 시행하기에 어려

운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이용하게 된다 시술 횟수는 불완 소작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1회로

치료를 종결한다

우선 계획 음 에서 계획하 던 삽입 경로를 통해 음 유도 하에 고주 극을 종양의 원하

는 부 에 치시키는 과정을 표 화(targeting)라고 하는데 이는 완 한 치료범 를 확보하는 데 가장

결정 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술자는 사 에 계획된 종양의 부 에 안 하고도 정확하게 극을

설치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어느 정도의 음 유도하 재 시술에 한 경험이 필수 이다

극의 정확한 설치에 해당하는 표 화(targeting)과정에 이어 치료하는 동안 시술의 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요한데 이 과정을 찰(monitoring)이라고 한다 이에는 부분 상유도기기인 음 가 사용

되며 일부 시술자는 MR thermometry를 이용한 조직내 온도의 측정을 통해 보다 객 화된 조직 열손상

의 범 를 시술 평가하기도 한다 음 로 치료부 를 찰할 경우 가온됨에 따라 조직 내 수분이

기화하며 발생하는 작은 공기방울(microbubble)에 의해 치료부 가 고에코성으로 바 게 되는데 이 부

가 치료 종양부 를 충분히 포함하는가를 찰한다 그러나 이 고에코성 부 가 실제 소작부를 정

확히 반 하지 않고 먼 치료한 부 의 후방 음 으로 인해 치료되지 않은 잔류 종양 부 의 정확히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소 재발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종양주 약 5-10mm의 정상 실질 부

를 치료범 에 포함되도록 하는 략이 필요하다

지 까지 주로는 targeting과 monitoring에 음 가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 기계와 기구의 발달에 따

라 객 상을 제시할 수 있는 CT가 음 를 체할 수 있다 특히 컴퓨터의 발달에 의해 Cone

beam CT (CBCT) 상을 기존의 투시 장비(Fluoroscopy)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치료 실시

간으로 음 투시 CBCT 를 이용한 정확한 targeting과 monitoring이 가능하겠다

이 외에도 경피 방법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복강경하 방법이 그 안으로 제시되고 있고 한 그

성 도 경피 방법에 비하여 우월하게 보고 되고 있으나 경피 방법에 비하여 침습 인 방법이 문

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 복강경하 방법에 합한 고주 극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복 방법은

장암 수술 후 추 찰 에 의 두 가지 방법으로도 불가능한 경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원발성 장암을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맺 는 말

재 처음 진단 당시에 혹은 장암의 수술 후에 진단되는 간 이암에 한 가장 검증된 생존율 향

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은 수술 제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체 간 이암 환자

약 14 정도의 환자 만이 이 치료의 효과를 기 할 수 있다

이런 수술 제를 기 하기 어려운 나머지 다수의 환자에서 완치를 기 해 볼 수 있는 치료가

국소 소작술이며 재 다른 종류의 국소 치료법들이 계속 소개되고 발 하고 있지만 몇 가지 확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4

한 장 때문에 고주 열치료는 당분간 더욱 더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지 까지 같이 앞으로도 고주 열치료의 치료효율의 향상을 해 몇 가지 일련의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 된다 첫째 일회 치료 시 치료범 를 확 하기 한 다각 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망

된다 다양한 고주 극모델의 개발 에 지 달모드의 다양화 조직내의 열역학 환경의 조 등을

통해 소작효율을 극 화하는 시도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확한 극의 설치 치료 모

니터를 한 각종 상의 융합기법이나 로 등을 이용한 자동화 기능에 한 연구가 실화되고 있

다 셋째 고주 열치료는 지 까지의 경피 방법으로 실시되던 것에서 벗어나 다른 수술 방법과

융합하여 발 할 것이다 즉 원발성 장암의 수술을 하면서 이암을 같이 수술 고주 열치료를

시행한다든지 혹은 추 찰 발생한 경피 근이 어려운 종양에 한 복강경 고주 열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 인 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한 고주 극의 개발도 같이 이루어 질 것

이다 궁극 으로 고주 열치료의 장 인 비침습 특성에 한 이해와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다면

수술 제술 특히 비해부학 제(non anatomical resection)를 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발 할 수

있겠다고 자는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1 Dodd GD III Soulen M Kane R et al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malignant hepatic tumors at the

threshold of major breakthrough RadioGraphics 2000209-27

2 Goldberg SN Grassi CJ Cardelar JF et al Image-guided tumor ablation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and

reporting criteria Radiology 2005235(3)728-39

3 Rossi S Di Stasi M Buscarini E et al Percutaneous RF interstitial thermal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hep-

atic cancer AJR Am J Roentgenol 1996167759-68

4 McGahan JP Dodd GD III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iver current status AJR 20011763-16

5 Gazelle GS Goldberg SN Solbiati L Livraghi T Tumor Ablation with Radiofrequency Energy Radiology

2001217633-646

6 Goldberg SN Radiofrequency tumor abl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Eur J Ultrasound 200113129-47

7 Dodd GD III Frank MS Aribandi M Chopra S Chintapalli KN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computer analysis

of the size of the thermal injury created by overlapping ablations AJR Am J Roentgenol 2001177777-82

8 Chen MH Yang W Yan K et al Large liver tumors protocol for radiofrequency ablation and its clinical ap-

plication in 110 patients-mathematic model overlapping mode and electrode placement process Radiology

2004232260-71

9 Crucitti A Danza FM Antinori A Vincenzo A Pirulli PG Magistrelli P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of liver tumors percutaneous and open surgical approaches J Exp Clin Cancer Res 200322(4 Suppl)191-5

10 Tepel J Hinz S Klomp HJ Kapischke M Kremer B Intraoperativ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for irre-

sectable liver malignancies Eur J Surg Oncol 200430551-5

11 Patterson EJ Scudamore CH Owen Da Nagy AG Buczkoski AK Radiofrequency ablation of porcine liver in

vivo effects of blood flow and treatment time on lesion size Ann Surg 1998227559-65

12 Livraghi T Solbiati L Meloni MF Gazelle GS Halpern EF Goldberg SN Teatment of focal liver tumors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a multicenter study Radiology 2003226441-51

13 Mulier S Mulier P Ni Y et al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coagulation of liver tumours Br J Surg

2002891206-22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55

Case Report

고려의 구로병원 종양 액내과

오 상 철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6

오상철 Case Report

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58

오상철 Case Report

5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0

오상철 Case Report

61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2

오상철 Case Report

63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4

오상철 Case Report

65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6

오상철 Case Report

6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68

오상철 Case Report

69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0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1

악성 대장 폐쇄 환자에서의 자가 팽창성 금속 스텐트 삽입술

고려의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박 종 재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는 응 수술을 요하는 한 질환이나 통 인 다단계 혹은 단단계

의 수술 치료는 합병증 사망률이 높다는 단 이 있다 최근 장암 병변에 자가 팽창성 속 스

텐트를 삽입하여(이하 스텐트 삽입술) 수술 감압 혹은 고식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입증되어 이에

한 시술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악성 장 폐쇄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술에 하여 간략

히 알아보고자 한다

장암에 의한 성 장 폐쇄 병변의 스텐트 삽입술에는 임상 으로 크게 두 가지의 응증이 있

는데 첫째는 수술이 불가능한 이성 장암에 하여 보존 치료 목 으로 둘째는 근치 제가

가능한 장암에 하여 수술 감압 목 으로 시행된다 근치 수술 스텐트 삽입술은 응 수술

에 비하여 단단계 수술을 가능하게 하여 장루 조성술의 필요성을 낮추고 문합부 부 등의 수술 후

합병증 재원 기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1 한 치료 련 사망률 치료 비용 등의 감소도

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보존 치료 목 으로 스텐트를 삽입하 을 때에도 약 85sim

100 정도에서 증상의 호 을 기 할 수 있다4 폐쇄성 악성 장 병변에 한 스텐트 삽입술의 기술

성공률은 92로 보고되고 있고 시술 실패의 원인으로는 심한 착으로 유도선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장의 심한 유착이나 굴곡으로 내시경이 삽입하지 못하 을 경우 등이 있다5

한편 폐쇄성 병변으로 인한 장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의 인 기증이 되

며 이 때에는 고식 인 하트만 수술법이나 복강경하 수술을 시행한다 그 밖에 경험이 많은 내시경 의

사가 없을 때에도 수술 치료를 고려하여야 한다6

스텐트 삽입 방법은 기본 으로 방사선 으로 방사선 투시하에 시행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내시

경 직시하에 시행 할 수 있다 직장 S-자 결장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선 으로 가능

할 수 있으나 비장 만곡 부 와 우측 장에서는 방사선 투시하에서 는 기술 으로 쉽지 않아 내시경

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 이다 이 때에도 방사선 투시하에 유도선의 착부 통과 여부 확인이

나 착의 정도와 길이를 악하는 것이 성공 이고 안 하게 시술을 종료하는데 있어서 요하다46

스텐트 삽입술에 이용되는 스텐트는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개발되어 사용 에 있으나 각각을 비

교한 구체 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크게 비막성(uncovered)과 막성(covered)으로 구분되며

비막성의 경우에는 종양의 스텐트내 증식(tumor ingrowth)이 흔하지만 스텐트 일탈(migration)이 드문 반

면 막성 스텐트는 스텐트 일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스텐트내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재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2

Stent Length (mm) Diameter (mm) Manufacturer

Wallstent

Ultraflex

Z-stent

Niti-S

ComVi

Hanarostent

Bonastent

Uncovered 6090

Uncovered 5787117

Uncovered 40608010012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6080100

Uncovered 80 110 140

Covered or uncovered 6080100

2022

25

25

20

20

22

2224

Boston Scientific

Boston Scientific

Wilson-Cook

Taewoong Medical

Taewoong Medical

MI Tech

Standard Sci Tech

Table 1 폐쇄성 장 병변에 사용되는 속 스텐트의 종류

리 사용되고 있는 각각의 스텐트에 한 특징을 Table 1에 정리하 다4

스텐트 삽입술의 합병증으로는 시술 의 천공이 가장 요한 합병증이고 시술 후 출 이나 지연성

천공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하며 스텐트 삽입이 실패할 경우에는 송기에 의한 병변 근

부 장의 팽창 정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가 이면 시술 도 공기 주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스

텐트의 착 혹은 폐쇄는 시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부분은 종양이 스텐트 내로 발육되어 발생

하나 변 혹은 이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7 치료는 이차 인 스텐트 재 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일반 으로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배변 완화제 등으로 변을 묽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6 스텐트

일탈은 주로 막성 스텐트 삽입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하나 수주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1

결론 으로 악성 종양에 의한 성 장폐쇄 환자에서 자가 팽창형 속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 수

술 혹은 고식 인 치료법으로서 효과 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증례에 합한 스텐트

의 선택 시술에 따른 합병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해서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내시경의의 단이

요하겠으나 궁극 으로 스텐트 삽입술의 효과 유용성 평가를 해서는 향 후 보다 많은 환자를

상으로 고식 인 수술과의 향 인 비교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서정필 김상우 백창렬 et al 장폐쇄가 동반된 장암에 한 기치료로서 수술 자가팽창성 속스

텐트 삽입술과 응 수술의 비교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321-7

2 Targownik LE Spiegel BM Sack J et al Colonic stent vs emergency surgery for management of acute

left-sided malignant colonic obstruction a decision 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0460865-74

3 이기명 김태일 고 민 et al 장암에 의한 장 폐쇄 환자에서 자가팽창형 속제 스텐트 삽입술의 효

과에 한 다기 연구 - 응 수술군과의 비교를 통한 임상 효과 의료 경제학 분석을 심으로 -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836274-81

4 박 수 악성 장 착에서의 속 도 의 역할 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200735(Suppl 1)324-7

5 Khot UP Lang AW Murali K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lorectal stents Br J

Surg 2002891096-102

6 Keymling M Colorectal stenting Endoscopy 200335234-8

7 Paul Diaz L Pinto Pabon I Fernandez Lobato R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malignant colorectal strictures

with metallic stents Cardiovasc Intervent Radiol 19992229-36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3

Obstruction of Colon Cancer Surgical Options of Management

성균 의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 희 철

Obstruction tha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10-30 of patients is one of common presentation in col-

orectal cancer About 40 of obstruction results from the right side colon cancer When complete ob-

struction of the colon arises as a result of a carcinoma the recommended treatment depends on the level of

the colon that is obstructed as well as the beliefs and experience of the treating surgeon

If the patientrsquos condition can be stabilized and there is evidence of resolution of the occlusion bowel

preparation and elective resection is the ideal solution This course is not usual and therefore decisions on

how to proceed must be made For the right sided colonic obstruction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treatment of choice is a resection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removal of the right and proximal trans-

verse colon Even though the bowel is not prepared the resection usually can be readily accomplished

When the obstruction is located in left side colon distal to transverse colon the matter of how to proceed is

controversial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managing left side obstructing colon cancer classical two or three stage pro-

cedure Hartmannrsquos operation on-table lavage with one stage resection and anastomosis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and so on To choose one of the diverse options the surgeon should answer the several issues

Should primary resection be undertaken Should an anastomosis be performed Should a diversion be cre-

ated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se questions dogmatically because nuances in the presentation or in the

findings may lead the surgeon to take an alternative course of action After all surgeon decides how to

treat based on the patientrsquos condition disease status and personal preference

Intestinal stenting is a procedure that is rapidly coming into more widespread use It is first introduced by

Doharto in 1991 Since then the use of metallic stents expanded widely and includes 2 main indications

definitive palli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disease in whom resection is not curative due to

an unresectable tumor metastatic disease or high operative risk and secondly as a bridge to one stage elec-

tive surgery Colonic stenting as a bridging procedure has a several advantages comparing with other

options It makes one-stage operation possible without increasing the mortality and morbididy because con-

ventional bowel cleansing can be performed preoperatively In addition it allows preliminary complete evalu-

ation to help design the best treatment plan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4

Since the introduction of laparascopic colorectal resection in the last decad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benefits of this method over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for colon cancer Mentioned advantages include de-

creased surgical trauma reduction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aster postoperative recovery an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ose obtained with conventional surgery To adopt laparoscopic approach for obstructing col-

orectal cancer preoperative colonic stenting is a appropriate option and this can make laparoscopic surgery

possible The use of stent as a bridge to elective one stage laparoscopic resection with primary anastomosis

for colonic obstruction could provide the combined advantages of the 2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Although stent are expensive the procedure appears to be cost-effective since emergency operation can be

avoided with acute bowel obstruction and in those with advanced disease no resection of the colon is

necessary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5

소장의 악성 종양(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경북 학교병원 액종양내과

김 종 광

Table 1 Genet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at predispose to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Condition Histology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Hereditary nonpolyposis colon cancer

Crohnrsquos disease

Peutz-Jeghers

Gardnerrsquos syndrome

Celiac disease

Neurofibromatosi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istory of other primary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Adenocarcinoma hamartomas

Adenocarcinoma desmoid

Adenocarcinoma lymphoma

Paraganglioma

Lymphoma

Adenocarcinoma carcinoid

서 론

소장의 악성 종양은 미국에서 1년에 약 6000례가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문 질환으로 체 장

종양의 2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남자에게 조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진단 나이

는 약 57세 정도이다 이 게 소장의 악성 종양이 장의 악성 종양보다 발생이 낮은 이유는 1) 장내

용물의 빠른 이동으로 carcinogen에 노출되는 시간이 은 것 2) 액성의 장 내용물로 장 내막의 자극이

은 것 3) 장보다는 박테리아가 다는 것 4) 림 조직 면역 로불린 A 등이 많아 보호 역할

을 하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장의 악성 종양들 선암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carci-

noid 종양 림 종 간질성 종양(주로 장 기질 종양)이 흔하다 소장 악성 종양의 원인 인자로는 육

류나 소 에 인 음식 등의 식생활과 흡연 음주 등이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외 유 인 원인으로는

Table 1과 같다 소장의 악성 종양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 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복부 통증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끔 항문 출 복부 종괴와 장 천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에 있어 CEA 검사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상학 진단으로 이 조 바륨 상(enteroclysis

double contrast barium study)와 복부 단층 촬 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carcinoid 종양인 경

우에 octreotide 는 MIBG 스캔이 도움이 된다 그 외 십이지장 병변의 진단을 해서는 상부 장

내시경이 확장형 장내시경(extended colonoscopy)이 회장 말단 부 의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 캡슐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6

Table 2

Study Study type No Chemotherapy RR OS mo

Overman 2008

Fishman 2006

Locher 2005

Gibson 2005

Enzinger 2005

Czaykowski 2004

Goetz 2003

Crawley 1998

Jigyasu 1984

Morgan 1977

Rochlin 1965

Phase 2

Retrospective

Retrospective

Phase 2

Phase 1

Retrospective

Phase 1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30

44

20

38

4

37

5

8

14

7

11

CAPOX

Various agents

5-FU and platinum

FAM

5-FU cisplatin irinotecan

5-FU based

5-FU oxaliplatin irinotecan

ECF

5-FU-based

5-FU-based

5-FU

50

29

21

18

50

5

40

37

7

0

36

203

186

14

8

NR

16

NR

13

9

NR

NR

Abbreviations RR response rate OS overall survival mo months

내시경의 등장으로 소장 체의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소장 선암(adenocarcinoma)

소장의 악성 종양 가장 흔한 종양으로 주로 50에서 60 에서 진단되며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그 다음으로 공장 회장 순이다 부분 진단 당

시에 병기로 3기 이상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후가 불량하다 후 인자로는 Howe 등이 미국 암

등록 통계에서 4995명의 소장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1) 고령 2) 십이지장 부 발병 3) 암에 한 직

인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 이성 질환이 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로는 병변이 국

소 인 경우에는 완 제가 가장 요한 치료 방법이며 수술 후 보조요법의 항암제 방사선 치료

는 이 에 3개의 후향 인 연구가 있었으나 모두에서 그 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 기에 향후 향

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는 항암약물 치료를 시행할 수 있는데 217명

의 환자를 상으로 분석한 Dabaja 등의 후향 연구에서 수술을 받지 못하 거나 4기인 경우 항암약

물 치료를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 기간이 연장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앙 생존기간

12개월 2개월 p value 002) 항암화학 요법의 약제로는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5-fluorour-

acil을 포함하는 복합화학요법이며 최근에 Overmann 등이 시행한 capecitabine과 oxaliplatin의 2상 임상

연구에서 50의 반응률과 203개월의 비교 좋은 앙 생존기간을 찰할 수 있었다 특정 복합항암

화학 요법의 우월성에 해서도 향 인 연구는 없지만 Overmann 등이 80명의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 으로 분석한 결과 5-fluorouracil과 platinum 복합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군이 기타 복

합화학요법을 받은 군보다 통계 으로 유효하게 생존의 증가를 보 다 이 연구에서 다른 후 인자로

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치료 받은 경우와 원발 부 의 수술을 받은 경우가 좋은 후 인자 으며 수

술 후 보조화학요법을 받은 경우는 불량한 후 인자 다

Carcinoid

Carcinoid는 체 소장의 악성 종양 약 30를 차지하며 소장의 Kulchitsky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

김종 소장의 악성 종양

77

으로 주로 회장 부 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약 30에서 carcinoid가 아닌 다른 종양의 존재와 련이

있으며 조기에 국소 원격 이를 할 수 있는 종양이다 일반 으로 비특이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안면 홍조 설사 wheezing 등의 증상을 보이는 carcinoid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종양에서 se-

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 는 catecholamine 등을 분비하여 증상이 발생하며 증상 치료에 long

acting somatostatin analog인 octreotid가 도움이 된다 진단 근으로 carcinoid syndrome 증상이 있다면

24시간 소변의 5-HIAA 검사가 도움이 되며 octreotide 스캔 MIBG scan으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로는

국소 인 경우에는 종양 주 림 의 제가 가장 요하겠으며 이성 질환인 경우에도 증상의

개선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해 간 이의 제 간 동맥 색 술 등을 시행할 수 있으며 항암화학요법

으로는 streptozocin + 5-fluorouracil 는 cyclophophamide 요법이 이 연구에서 약 40의 반응률을 보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외 인터페론 알 와 octre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sorafenib suni-

tinib bevacizumab everolimus imatinib bortezomib 등의 표 치료제의 연구가 활발하다

림프종(Lymphoma)

소장의 악성 종양의 약 15에서 20를 차지하며 주로 회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발생의 험인자로

는 autoimmune disease immune deficiency Crohnrsquos disease 등이 있다 가장 흔한 조직 아형은 diffuse

large B cell이며 그 다음으로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 peripheral T cell

lymphoma Burkittrsquos lymphoma 등이다 치료로는 주로 진단이나 출 장 폐쇄 등을 해 수술을 시행

하게 되며 MALT lymphoma나 국소 인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도움이 되고 aggressive 는 advanced

질환일 때는 조직형에 따른 복합항암화학 요법이 시행한다

간질성 종양(Mesenchymal tumor)

체 소장의 악성 종양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주로 공장과 회장에 발생한다 조직학 으로 과거에

leiomyoma leiomyosarcoma로 알려졌던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가 가장 흔하며 순수 leiomyo-

ma leiomyosarcoma는 드문 것으로 밝 졌다 GIST는 interstitial cells of Cajal에서 유래한 종양으로 비특

이 증상이나 복부 종괴 는 통증 등으로 나타나며 많게는 약 50 정도까지 이나 재발할 수 있

는 악성 종양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로 이 되는 장소는 간 복막 등이 있으며 평균 5년 생존

률은 약 30에서 40 정도이다 약 95에서 CD117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양성을 보이며 kinase gene

mutation이 요한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Kit mutation을 보이는 것이 약 80에서 85이고 PDGFRA

mutation이 약 7이고 나머지는 mutation을 발견할 수 없는 wild type이다 진단 당시 후 인자로는 가

장 요한 것이 크기와 mitosis 수이며 이에 따라 험군을 very low low intermediate high 군으로 나

다 국소 병변의 치료로는 림 제를 포함하지 않는 완 제술이 요하겠으며 이성이나 재

발한 질환 인 경우에는 기존의 항암약물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새로운 표 치료제로 Kit kinase inhibitor

인 imatinib mesylate가 효과 인 치료제이다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78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장의 악성 종양들은 비교 드물게 발생하며 비특이 증상들로 인해 진

단이 늦을 경우가 많아 그 후가 불량하다 그러므로 복부의 통증이나 오심 구토 체 감소 등의

비특이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한번쯤 소장의 종양에 해 의심하여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가능한

일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드문 빈도로 인하여 GIST를 제외하고는 소장의 악성

종양의 치료의 발 이 미약하므로 다기 향 인 연구를 통해 표 치료의 정립 치료 성 의 향

상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Devita VT Jr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7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PA USA

2 Howe JR Karnell LH Menck HR Scott-Conner C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Cancer

1999862693-2706

3 Dabaja BS Suki D Pro B Bonnen M Ajani J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Presentation prognostic

factors and outcome of 217 patients Cancer 2004101518-526

4 Overman MJ Kopetz S Wen S et 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a platinum compound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small bowel adenocarcinoma Cancer in press

5 Overman MJ Varadhachary GR Lin E et al Final response data of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

aliplatin (CAPOX) i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or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826S Abstract 4538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79

Appendiceal Cancer

가톨릭의 강남성모병원 내과

고 윤 호

빈 도

원발성 충수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882년 Berger 등이 최 로 보고한 이래로 1990

년 후반까지 단지 500 미만의 비카르시노이드(non-carcinoid) 충수암이 문 문헌에 보고되었을 뿐

이다 Smeenk RM 등은 충수 제술을 시행한 167744명의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약 03 빈도의 원발

성 충수 액성 상피종양을 찰하 고1 이는 소화기암에서 05 미만에 해당한다 원발성 충수암

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선암의 경우에는 원발성 충수종양의 4-6에 불과하며2 이는 원발

성 충수암만을 본다면 연 백만 명당 012 의 빈도에 해당한다3

조직학적 분류

원발성 충수 상피종양에 한 조직학 분류는 병리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우선 상피성 종양은 샘종(adenoma) 암종(carcinoma) 카르시노이드종양(carcinoid)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종양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에서는 원발성 충수

암을 크게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장형 선암(Colonic type adenocarcinoma) 액성 선암

(mucinous adenocarcinoma)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 술잔세포암(goblet cell (adenocarcinoid))

악성 카르시노이드종양(malignant carcinoid) 등이다4 최근에 Pai 등은 충수 액성 종양을 복막가성 액

종(pseudomyxoma peritonei)과 련하여 악성도에 따라 세분화 하 는데5(Table 1 2) 최근 임상에서 병리

진단 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조직학 으로 양성 액낭종과 액성 암을 육안 으로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조직학 으로 충수 벽에 암세포가 침윤된 경우나 복강내 액성 물질 내에 선암 상피세

포가 발견될 때 액성암으로 단한다

조직학 아형에 따른 빈도를 본다면 32-85가 카르시노이드종양으로 가장 많고 액성 낭성선암과

선암 등이 나머지를 차지한다 암종 에서는 약 40가 액성 선암(mucinous adenocarcinoma)이며 장

형 선암(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은 25 반지세포암(signet ring cell carcinoma)은 4의 빈도를 보

인다6

충수는 해부학 으로 내강이 좁아서 내강 내 이물질 혹은 종괴 등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며 충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0

Feature Mucinous adenoma Mucinous neoplasm UMP Mucinous neoplasm LMP Mucinous carcinoma

Architecture

Cytomorphology

Appendiceal wall

with epithelium

Peritoneal implants

Metastasis to

lymph nod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Flat or villiform

Low grade

No

No

No

Resection

curative

Cured by

resection

Flat or villiform

Low grade

May be seen but

not clearly invasive

No

No

Complete resection

with clear margin

Low potential for

recurrence

Flat or villiform

Low grade

Yes

Yes noninvasive

paucicellular

No

Complete resection and

surgical debulking

Recurs often with 50

5-year survival

Complex papillary fronds

with cribriforming

High grade

Yes

Yes invasive

highly cellular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in survival

Poor prognosis with

lt10 5-year survival

UMP 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LMP low malignant potential

Table 1 Differential diagnosis of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cell)

Uncommon infreque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scenario of pseudomyxoma peritonei

Cytoarchitectual features of frank carcinoma mucinous type gt50 mucin intestinal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present

When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mucin best referred to as peritoneal carcinomatosis

Clinically malignant with poor prognosis clinical course may not be altered by extensive debulking

Table 2 Adenocarcinoma (mucinous intestinal signet ring)

수 벽은 세로 근육섬유(longitudinal muscle fiber) 돌림 근육섬유(circular muscle fiber)가 없기 때문에 염

증 혹은 침윤 등에 의해 쉽게 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충수 상피종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악성

도(low grade) 액성 종양에서도 충수 천공이 쉽게 일어나 복강 내로 종을 유발한다 OrsquoDonnell 등

의 보고를 보면 장형 선암의 경우 성 충수염 증상을 호소한 환자의 56에서 수술 소견상 천공이

찰되기도 하 다7

복강 내로 종된 종양은 주로 복막가성 액종(pseudomyxoma peritonei)의 형태로 나타난다 복막가성

액종은 액성 충수종양이 복강 내로 종되어 나타나는 임상 질환(entity)으로서 복막표면과 망

(omentum) 등에 액성 물질이 침착 되면서 액성 복수가 복강 내에 축 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 질환

으로는 일차 으로 충수돌기나 난소의 양성 선종 는 양성 액낭 천공에서부터 진행된 선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질환이 복막가성 액종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부분 액성 충수종양에 의해 발생한다 복

막이 액분비성 암세포에 의해 두껍게 덮이더라도 내부조직이나 복강 외로 침투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

는다고 알려져 있다 복막성 암종증(carcinomatosis peritonei)과는 Table 3과 같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복막가성 액종의 조직학 형태 임상양상 기원 등에 따라 Table 3 4와 같이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Ronnet 등은 조직학 으로 미만성 복막선 액종(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과 복막 액성암종(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AMC)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미만성

복막선 액종이 더 흔하고 후도 양호하다고 하 다8 미만성 복막선 액종(DPAM)은 비교 균일한

병리학소견을 보이며 풍부한 mucin pool과 악성도가 low grade adenomatous mucinous epithelium과 fib-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1

Feature Pseudomyxoma peritonei Peritoneal carcinomatosis

Primary site

Primary diagnosis

Peritoneal implants

Cytoarchitectual features

Lymph node liver and lung

metastases

Treatment

Clinical behavior

Appendix

Mucinous neoplasm of low malignant

potential

Noninvasive surface implants often

pauciellular

Simple or focal proliferative epithelium

with minimal to moderate atypia mitotic

figures spares nonatypica

Practically never

Surgical debulking improves prognosis

Slowly progressive with 50 5-year

survival

Colon appendix stomach

Mucinous adenocarcinoma

Invasive implants glands and cells

easily found

Cribriform andor tubular structures

andor signet ring cell with enlarged

nuclei prominent nucleoli frequent

mitotic figures which may be

atypical

Often present

Surgical debulking has little impact

on survival

Less than 10 5-year survival

Table 3 Differential diagnosis of mucinous ascites

Ronnett et al 1995 Bradley and Geisinger 2006 Misdraji et al 2003

Diffuse peritoneal adenomucinosis

(DPAM)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PMCA)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low

grade

Mucinous carcinoma peritonei high

grade

Involvement by LAMN

Mucinous adenocarcinoma

Table 4 Classification of pseudomyxoma peritonei

rosis로 구성되며 개는 충수종양이 천공되면서 생기며 치료 후 재발도 부분 복막에 국한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에 반해 복막 액성암종(PMCA)은 주로 충수 혹은 장의 액성 선암에서 유발되며 복

강 내 이뿐 아니라 간혹 간과 같은 실질이나 림 이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반 인 후는 미

만성 복막선 액종(DPAM)에 비해 나쁘다

복막가성 액종의 기원에 한 여러 논란이 있어 왔다9 특히 여성환자의 경우 원발성 액성 난소

암에 의해 2차 으로 생기는 지 여부에 해 최근에는 형태학 면역염색 그리고 분자병리학 검사

등에 의해 MUC-2 CDX-2 등과 련된 충수 기원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10-12

임상증상

충수암은 조직학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임상 특징을 가진다 McCusker 등의 보고에 의하면 카

르시노이드종양은 평균나이 38세로 다른 암종에 비해 비교 은 연령 군에서 호발하는 반면 그 외

선암은 개 60세 후에서 발병하 다 성별의 비율을 보면 개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데 카르시노이

드종양과 액성 선암은 여성에서 보다 호발하는 반면 장형 선암은 남성에서 보다 호발한다3

임상증상은 개 비특이 이서 수술 에 충수암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반 이상이 우하

복부통증에 의해 성 충수염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 복부종괴 혹은 복부팽만으로 인하여

난소종양으로 의심되어 수술 수술소견이나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1314

액성암은 주로 복부팽만 혹은 복부종괴와 같은 가성 액종 양상으로 나타나고 비 액성암은 성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2

Origin of tumorPathologic

subclassificationFeature

Recommended

treatment

Appendix

Appendix

Colon

DPAM

PMCA

PMCA

Low-grade

Multifocal

Mucinous deposits

Diffuse peritoneal surface involvement

Fibrosis

Possible ovarian involvement (small

bilateral ovarian surface and limited mucin)

High grade

Metastases to the peritoneum

Possible parenchyma and lymph node

involvement

Mucinous deposits

Possible signet-ring cell differentiation

Increased cytologic atypia

As above

CRS and HIPEC

Consider systemic

chemotherapy prior to

CRS and HIPEC

Systemic

chemotherapy +CRS

and HIPEC

CRS cytoreductive surgery DPAM disseminated peritoneal adenomucinosis HIPEC intraperitoneal hyperthermic

chemotherapy PMCA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Table 5 Pseudomyxoma peritonei

복통이나 성 충수염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5

원발성 충수암이 가장 흔히 이되는 장소는 복막이고 그 외 림 간 난소 복벽 그리고 폐의 순서이

다 그러나 액성 암의 경우 행성이나 림 이 등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기설정은 장암과

동일하고 보고되는 문헌을 보면 국소진행성 병기와 이성병기는 비슷한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예 후

충수암이 드문 종양이라는 특수성과 여러 조직아형이 포함되어있는 이질성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그 상이 일정치 않아 보고된 5년 생존율을 보면 20-94로 차이가 많다1316-18

충수암의 후는

장암과 마찬가지로 병기를 따르고 이외에 조직학 분류에 따라 후에 차이가 있으나 체 으로 증

례가 어 후를 추측할 수 있는 인자를 제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보고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수술

병소의 범 조직아형 그리고 세포감량수술 정도 등이 후와 하게 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

다316-20 수술 이병소의 수 혹은 범 는 병 재발과 한 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

세포암의 경우 주 장기로 이되는 경우 충수돌기에만 국한된 경우 보다 18배정도의 비교 험도가

증가한다3 McCusker 등은 1061 의 원발성 충수 종양을 분석하 는데 특히 액성 선암과 장형 선암

간에는 체생존율에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반지세포암의 경우는 비교 험도 174로 다른 조직아

형과 통계학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 고3 McGory 등의 보고에서는 반지세포암의 5년 생존율은

7에 불과하 다17 수술과 련하여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는 경우 5년 생

존율은 86에 이른 반면 불완 하게 시행된 경우 20에 불과하여 세포감량수술의 정도를 요한

후인자로 제시하 으며16 만약 복막 내 이가 심해 세포감량수술을 완 하게 시행하지 못하 더라도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3

Fig 1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y histology and tumor size

항암 치료 후 2차 혹은 3차의 세포감량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후를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

어21 극 인 근이 필요하다

치 료

원발성 충수 카르시노이드종양에 해서는 몇 개의 표 치료지침이 제시되어 있지만 충수암은 그

빈도가 고 조직아형이 다양한 질환임을 감안한다면 표본크기가 작은 몇 개의 연구결과로 명확한 치

료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수술이 일차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육안 으로 보이는 모든 병변의 제와 조직학 검사

를 한 충수돌기 제술이 요구된다 수술 치료로서 우결장반 제술(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하는

경우는 부분 1차 수술로 충수 제술을 시행한 후 확진 되어 2차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다

Hesketh 등의 보고에 의하면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충수 제술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보다

생존율에서 우월성으로 보여주어22 우결장반 제술을 가장 한 치료로 제시를 하 고 그 후 부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4

의 외과의에게 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3

그러나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의 이

에 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론 으로 액성 암의 치료는 행성이나 림 이의 성향이 없는 것을

고려한다면 꼭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여야 하는지는 여 히 논란의 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액성 충수암의 경우도 우결장반제술을 시행하여 70의 5년 생존율을 보여 우결장반 제술

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24 비 액성 선암의 경우에는 우결장반 제술이 가장 한 치료방

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Gonzales 등은 복강 내 이가 동반된 액성 충수암에서 우결장반 제술이

충수 제술에 비해 생존율 증가를 보여주지 못하여 특히 이가 동반된 경우 완 한 세포감량수술이

이루어지거나 림 이가 있거나 비 액성 선암일 경우에만 우결장반 제술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

하 다19

일부에서는 충수암이 난소에 특히 잘 이되므로 방 양측난소 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하기도

하고 복막에 이된 경우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이성 암인 경우의 option으로 신 항암화학요법 복강 내 고온항암화학요법(hyperthermic intra-

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세포감량수술(cytoreductive surgery) 혹은 이들 치료의 병용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포감량수술과 복강 내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복

강 내 항암화학요법에는mitomycin C 5-fluoropyrimidines cyclophosphamide cisplatin 등이 가장 많이 사

용되고 있다 Sugarbaker 등은 세포감량수술과 복강내 항암화학요법으로 등도의 잔류 병변을 가진 환

자에서 3년 생존율 48 육안 잔류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20 소량의 잔류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3년 생존율 92의 성 을 얻었다25 Gough 등도 단독 수술요법 보다는 복강내 화학요법 병

합 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했다26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은 in vitro 실험에서 체온에서의 용

액보다 고온용액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이 증명됨27에 따라 세포감량수술 후 복강내 온도를 약 42-43

oC로 만들고 mitomycin C나 5-fluorouracil 등의 화학요법 제제를 복강내 사용하는 방법으로 Witkamp 등

이 46명의 환자에 이 요법을 사용하여 3년 생존율 81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 4명의 치료

련 사망이 있었고 22명(48)의 환자에서 골수억제소견을 보 다28 최근 James 등은 복강내 고온항암

화학요법의 효능을 알아보기 해 악성도 액성 소화기암 환자 82명을 무작 배정하여 세포감량

수술만 하는 군과 세포감량수술과 cisplatin을 이용한 지속 복강내 고온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하는 3상

연구를 진행 이다29

신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지난 20년간 암 혹은 장암에서 사용되는 항암제가 시도되어왔다

5-fluorouraci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hexamethylmelamine cisplatin이 단일제제요법으로 시도되었

으나 생존율 향상에 큰 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최근 몇 개의 증례보고에서는 FOLFOX regimen이 좋

은 반응을 보여 세포감량수술 후 장기생존을 보고한 도 있다30

충수암의 발생에 MUC2가 여하며 이는 EGFRRasRaf 경로에 의해 활성화됨이 알려지면서31

Andreopoulou 등은 20명의 복막 이가 동반된 액성 암환자에서 cetuximab 단독요법을 시행하 는데

반응을 보인 는 없었으나 무병진행을 보인 경우가 15 3 있었고 25에서는 CEA 혹은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의 감소를 찰할 수 있었다32

한 Logan-Collins 등의 연구에서 액성 선암에서의 VEGF의 발 여부는 후와 한 련성을

보여주어33 추후 bevacizumab 등과 같은 신생 억제제 등을 세포독성항암제와 병용하는 방법도 좋은

후보라 하겠다

고윤호 Appendiceal Cancer

85

참 고 문 헌

1 Smeenk RM van Velthuysen ML Verwaal VJ Zoetmulder FA Appendiceal neoplasms and pseudomyxoma

peritonei a population based study Eur J Surg Oncol 200834196-201

2 Hananel N Powsner E Wolloch Y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 unusual disease The European jour-

nal of surgery = Acta chirurgica 1998164859-62

3 McCusker ME Cote TR Clegg LX Sobin LH Primary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a pop-

ulation-based study from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results program 1973-1998 Cancer

2002943307-12

4 Percy C VHV Muir C edit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Oncology (ICD-O)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0

5 Pai RK Longacre TA Appendiceal mucinous tumors and pseudomyxoma peritonei histologic features diag-

nostic problems and proposed classification Advances in anatomic pathology 200512291-311

6 Rutledge RH Alexander JW Primary appendiceal malignancies rare but important Surgery 1992111244-50

7 ODonnell ME Carson J Garstin WI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carcinoid tumour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761431-7

8 Ronnett BM Zahn CM Kurman RJ Kass ME Sugarbaker PH Shmookler BM Disseminated peritoneal ad-

enomucinosis and peritoneal mucinous carcinomatosis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9 cases with emphasis

on distinguishing pathologic features site of origin prognosis and relationship to pseudomyxoma peritonei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5191390-408

9 Ronnett BM Kurman RJ Shmookler BM Sugarbaker PH Young RH The morphologic spectrum of ovarian

metastases of appendiceal adenocarcinomas a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umors

often misinterpreted as primary ovarian tumors or metastatic tumors from other gastrointestinal site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997211144-55

10 Nonaka D Kusamura S Baratti D Casali P Younan R Deraco M CDX-2 expression in pseudomyxoma peri-

tonei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42 cases Histopathology 200649381-7

11 OConnell JT Tomlinson JS Roberts AA McGonigle KF Barsky SH Pseudomyxoma peritonei is a disease

of MUC2-expressing goblet c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2002161551-64

12 Bradley RF Stewart JHt Russell GB Levine EA Geisinger KR Pseudomyxoma peritonei of appendiceal ori-

gin a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101 patients uniformly treated at a single institution with literature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630551-9

13 ODonnell ME Badger SA Beattie GC Carson J Garstin WI Malignant neoplasms of the appendix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7221239-48

14 Connor SJ Hanna GB Frizelle FA Appendiceal tumors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 analysis of appendiceal

tumors from 7970 appendectomie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84175-80

15 Conte CC Petrelli NJ Stulc J Herrera L Mittelman A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Surgery gynecology

amp obstetrics 1988166451-3

16 Sugarbaker PH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s a curative approach to

pseudomyxoma peritonei syndrome Eur J Surg Oncol 200127239-43

17 McGory ML Maggard MA Kang H OConnell JB Ko CY Malignancies of the appendix beyond case ser-

ies reports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2005482264-71

18 Yan TD Black D Savady R Sugarbaker PH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of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seudomyxoma peritonei Annals of surgical oncology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6

200714484-92

19 Gonzalez-Moreno S Sugarbaker PH Right hemicolectomy does not confer a survival advantage in patients

with mucinous 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peritoneal seeding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491304-11

20 Sugarbaker PH Chang D Results of treatment of 385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spread of appendiceal

malignanc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9996727-31

21 Yan TD Bijelic L Sugarbaker PH Critical analysis of treatment failure after complete cytoreductive surgery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eritoneal dissemination from appendiceal mucinous

neoplasms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7142289-99

22 Hesketh KT The management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vermiform appendix Gut 19634158-68

23 Proulx GM Willett CG Daley W Shellito PC Appendiceal carcinoma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surgery

and impl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6651-3

24 Chang P Attiyeh FF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8124176-80

25 Sugarbaker PH Zhu BW Sese GB Shmookler B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appendiceal cancer results

in 69 patients treated by cytoreductive surgery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seases of the colon and

rectum 199336323-9

26 Gough DB Donohue JH Schutt AJ Gonchoroff N Goellner JR Wilson TO Naessens JM OBrien PC van

Heerden JA Pseudomyxoma peritonei Long-term patient survival with an aggressive regional approach Annals

of surgery 1994219112-9

27 Teicher BA Kowal CD Kennedy KA Sartorelli AC Enhancement by hyperthermia of the in vitro cytotox-

icity of mitomycin C toward hypoxic tumor cells Cancer research 1981411096-9

28 Witkamp AJ de Bree E Kaag MM van Slooten GW van Coevorden F Zoetmulder FA Extensive surgical

cytoreduction and intraoperative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seudomyxoma

peritonei The British journal of surgery 200188458-63

29 James P Phase III randomized study of operative debulking and systemic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intra-

and peri-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eritoneal carcinomatosis from low-grade gas-

trointestinal adenocarcinoma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vclinicaltrialsNCI-03-C-0085

30 Ishibashi K Sobajima J Okada N Ishizuka N Yokoyama M Mitsuhashi T Miyazaki T Nakada H Gonda

T Ishida H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ei successfully treated with multidisciplinary treatment including

modified FOLFOX6 regimen Gan to kagaku ryoho 2007342047-9

31 Perrais M Pigny P Copin MC Aubert JP Van Seuningen I Induction of MUC2 and MUC5AC mucins by

factors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is mediated by EGF receptorRasRafextracellular sig-

nal-regulated kinase cascade and Sp1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227732258-67

32 Andreopoulou E MF Safa M Escalon J Downey A Newman E Hochster H Wojtaszek C Mauro D Lowy

A Phase II study of cetuximab in mucinous peritoneal carcinomat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ASCO

Annual Meeting Proceedings Part I Vol 24 No 18S (June 20 Supplement) 200614020

33 Logan-Collins JM Lowy AM Robinson-Smith TM Kumar S Sussman JJ James LE Ahmad SA VEGF ex-

pression predicts survival in patients with peritoneal surface metastases from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appendix and colo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0815738-44

983157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83157

87

Management of Anal Cancer

연세의 세 란스병원 종양내과

신 상 준

Fig 1 Anal anatomy

서 론

항문암은 모든 장 악성 종양의 15에 불과하다1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에 4660명이 항문암 진단을 받았고 그 660명이 질병으로 사망하

다 연령 보정 발생률은 100000명당 15명이며 1978-2003년까지의 SEER 자료에 의하면 발생률은 지

속 으로 증가하고 있다2 최근의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타 종류의 암과 비교했을 때 상 으로

낮은 발생률로 인해 장암의 치료에 비해 치료법은 거의 바 지 않고 있으나 다른 장 악성 종양

과 달리 병용요법으로 완치의 가능성이 높다

항문암은 장의 끝으로서 골반 부(pelvic floor)에서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 부 에서 시

작하여 항문직장 고리(anorectal ring)를 통과하여 피부와 연결하는 부 에 생기는 암이다 해부학 항

문암은 치상선(dentate line 직장의 단층 원주상피와 항문 의 층상피를 분리하는 선)으로부터 항문피

부선(anal verge)을 말하며 외과 항문암은 항문직장경계(anorectal junction)로부터 항문피부선(anal

verge)까지를 포함한다 항문경계는 항문피부선부터 회음부 5cm까지를 말한다(Fig 1) 조직학 으로 항

문암은 치핵 항문열창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만성 자극에 의해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의 몇몇의 연구에서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HIV 감염 낮은 CD4 count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88

흡연 항문성교(anoreceptive intercourse) 장기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이 항문암과 연 된다고 보고하

다 항문암 진단을 한 이학 검사는 내과 외과 방사선종양학 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서혜

부는 주의 깊게 찰 되야 한다 의심되는 림 종 가 있으면 세침흡입세포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직장수지 검사는 항문주 검사와 함께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방사선학 진단 검사로는 직장에스

상결장경검사(proctosigmoidoscopy) 흉부x-ray와 원격 이를 감별하기 해 컴퓨터 단층촬 (CT)나 자기

공명 상 등이 있다 경직장 음 (Transrectal ultrasound TRUS)는 종양의 침윤도나 주변 림 이

를 확인하는 요한 검사이다3 의심되는 경우 HIV 검사도 시행해야 하며 만약 HIV양성인 환자의 경

우 치료 CD4 수치 확인은 필수 이다4

예후 인자

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림 병기 나이 방사선 용량 총 치료 기간 등이 있다5-7

300명 이상을 상으로 한 연구들을 보면 5년 생존율이 1기는 82 2기는 71 3기는 53이다 림

음성이며 4 cm 미만인 경우 3년 생존율이 85 5년 생존율이 79인 반면 림 양성이며 4

cm이상인 경우는 3년 생존율이 68 5년 생존율이 58로 감소된다 Peiffert 등이 보고한 경우에도 국

소 실패율이 T병기에 따라 T1 11 T2 24 T3 45 T4 43이고 5년 생존율도 T 병기에 따라 감

소한다(T1 94 T2 79 T3 53 and T4 19)8

Hughes 등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국소 조 (locoregional control)율이 45-49 Gy 받은 환자는 50

인 것에 비해 55 Gy 이상 받은 환자는 90 으며9 Ferrigno 등의 보고에 의하며 50 Gy 이상 받은 환

자에서는 86 50 Gy 이하를 받은 환자에는 34로 큰 차이를 보 다10 그러나 55 Gy 이상을 받은

군과 그 이하를 받은 군에서는 반응률의 차이는 없었다(p = 099)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Split course radiation therapy)은 치료에 한 부작용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에서 1990년 반부터 시행하던 방법이나 아직 추천되는 방사선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

다 그러나 몇몇의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법이 환자의 후에 좋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 다 방사

선 치료기간 연장이 38일 이상 된 경우 무병생존율(DFS) 국소 조 률(local control rate)에 악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91-08 연구는 치료기간 분리 조사

법이 국소재발률을 높인다고 확정 하 다12

치 료

1970년 이 에 항문암을 진단 받은 환자들은 복회음 제술(APR) 결장조루술(colostomy)을 받았

으며 5년 생존율은 40-70 다 그러나 Wayne 주립 학의 연구자들은 수술 항암방사선 요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 으며13 Nigro 등은 5-FU와 mitomycin C와 30Gy의 방사선 조사를 한 뒤 수술을

하여 3명의 환자에서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12명의

환자 7명에서 수술 조직학 완 해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는 5-FUmitomycin C방사선

치료를 받은 45명의 환자 38명(84)에서 6주간의 완 해를 보 다14 이런 연구들은 지속 으로

보고되어 항문 조임근을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복회음 제술은 잔류암이나 재발암의 경우 구제술

(salvage surgery)시에 추천되었다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89

Table 1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alone and of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several different chemotherapy

regimens

Study Years n ResultsXRT

alone

CMT

(5-FU)

CMT

(5-FUMMC)

CMT

(5-FUCis)

Flam et al17

UKCCCR15

EORTC16

RTOG 98-1122

1988-1991

1987-1994

1987-1994

2006

291

585

110

682

4-yr DFS

4-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3-yr DFS

3-yr OS

Colostomy rate

5-yr DFS

5-yr OS

Colostomy rate

NR

58

39

NAb

65

NAc

51

NAa

23

73

NAa

NR

65

23

NAb

72

NAc

61

75

10

54

70

19

a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S bSignificantly bette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with CMT cCMT improved colostomy rate by 32 at years

Abbreviations 5-FU 5-fluorouracil Cis cisplatin CMT combined modality therapy DFS disease-free survival EORT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MMC mitomycin C NA not applicable NR not reported

OS overall survival RTOG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UKCCCR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XRT radiotherapy

의 규모 임상연구에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이 표 치료임을 입증하 다(Table 1)

먼 1987년부터 1991년 동안 585명의 환자를 상으로 한 United Kingdom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UKCCCR)15 임상연구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Gy)과 항암치료(5-FU 1000 mgm2

D1-D4 or 750 mgm2 D1-D5)mitomycin C 12 mgm

2 D1)와 방사선치료(45Gy)의 동시 치료군을 비교하

고 6주 후에 반응을 평가하 다 반응률이 50 미만인 경우 구제수술을 시행하 고 반응률이 50

이상이면 boost 방사선요법을 시행하 다 연구의 일차목 은 국소 치료실패율이었다 42개월간 추

찰 후 국소 치료실패율은 항암 방사선치료 동시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 고(36 vs 59

p lt 00001) 국소 치료실패를 46 감소시켰으며 사망률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p = 002) 항암방사

선치료 그룹에서 조기 사망자는 치료 련하여 6명(p = 003) 패 증으로 2명이 사망하 다 그러나

체사망률(OS)에서 유의함은 입증되지 않았다(p = 025)

고 험군 T3-T4 or N (+) tumor를 상으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EORTC)16에서 시행한 유사한 3상 연구가 있었는데

110명의 환자를 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군(45 Gy)과 항암방사선 동시치료군(IVF 5-FU 750 mgm2

D1-D5 D29-D33mitomycin C 15 mgm2 D1)으로 나 무작 비교연구를 시행하 다 필요할 경우 서혜

부에 Boost 방사선치료를 시행하 다 6주 후에 평가하여 완 반응이나 부분반응으로 평가되면 각 그룹

에서 방사선 치료를 15 Gy 혹은 20 Gy를 추가 으로 시행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서 완 반응

비율이 더 높았다(54 vs 80 p = 002) 병변이 진행하거나 유지되면 구제수술을 시행하 다 치료

의 조기 후기 독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한 명이 패 증으로 사망하 다 항암방사선치료 그룹에

서 5년간 locoregional control (18) colostomy-free survival (32)에서 우수한 성 을 보여주었다

Mitomycin을 병용하여 사용하면서 치료 독성이 문제가 되어 mitomycin 없이 5-FU만을 사용하는 것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0

에 한 연구가 있었다 RTOG Phase III Intergroup study (RTOG 87-04)에서는 방사선치료(45Gy) IVF

5-FU (1000 mgm2 D1-5 D28-33) 단독치료군과 방사선치료 IVF 5-FUmitomycin C (10 mgm2 D1

and D28) 복합항암치료군을 무작 비교연구하 다17 림 양성 환자에서는 54 Gy의 방사선 치료

를 추가하 으며 치료 후 4-6주가 지난 다음 층의 생검을 시행하 다 체 으로 복합항암요법을

시행한 그룹에서 4년 colostomy rate이 향상되었고(p=0002) colostomy-free survival (p = 014) 무병생존

기간(p = 0003)이 증가하 다 5-FU 단독군에 비해 5-FUmitomycin C 복합항암치료 군에서 호 구 감

소 소 감소 감염 등에서 4도 이상의 독성이 유의하게 많았고 이 2명이 사망하 다 하지만

체 생존율에서는 통계 유의성을 증명하지 못하 다

한 항문암 치료에 한 몇몇 소규모 2상 연구에서 cisplatin의 방사선 감작효과와 역할이 제시되었

다1819 가장 보편 으로 사용되는 요법은 5-FU (250 mgm2day) 지속정주와 cisplatin (4 mgm2day)를 매

주 월요일부터 요일까지 방사선치료를 하는 당일에 원발성 종양과 인근 림 에 방사선을 조사하

여 총55Gy 시행하는 것이다 92명을 상으로 총 44개월을 추 찰한 후향 연구에서는 5년 생존

율이 55 고 무병생존율이 77이며 colostomy free-survival은 82 다 국소 치료실패율과 원격

이는 각각 179 고 T3-4 환자에서 국소 치료실패율이 높았고 N2-3 환자에서 원격 이율이 높았

다 그래서 T3-4 환자에서는 방사선 조사용량을 59 Gy로 증량하 다

Peiffert20

등은 선행화학요법에 한 견해를 제시하 다 모든 병기의 환자들에게 4주 간격으로 2회

의 continuous infusion 5-FU (800 mgm2 D1-4)cisplatin (80 mgm

2 D1) 항암치료를 시행한 후 같은 항암

제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45Gy)를 시행하 는데 선행화학요법을 한 경우 체 인 반응률은 61

이었고 치료가 완 히 끝난 후 보고된 완 반응은 935 다 그리고 T3-4나 임 양성인 고 험군을

상으로 한 CALGB 연구에서21 45명의 환자가 2주기의 5-FU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치료

를 진행하 고 방사선 치료 에는 표 항암치료 요법인 5-FUmitomycin C를 투여하 다 항암방사선

요법 후 반응율은 좋은 편이었는데 완 반응이 37명(82) 부분반응이 4명(9)이었으며 1명이 진행을

보 다 3-4도의 치료 련 독성은 호 구감소(60) 소 감소(41) 구내염(38) 구토(24)로 보고되

었다 4년간의 추 찰 후 무병생존율(DFS)은 61 Colostomy-Free Survival (CFS) 50 고 재까지

68의 환자들이 생존해있다

선행화학요법과 mitomycin을 체한 cisplatin의 고무 결과로 시행된 III상 Intergroup 연구(RTOG

98-11) 연구에는 2기와 3기의 항문암 환자가 모집되었다 mitomycin 그룹은 5-FU와 mitomycin-C로 항암

방사선 동시요법(처음에는 45 Gy를 하다가 T2에 해서는 55 Gy까지 T3T4 tumors에 해서는 59 Gy

까지 투여)으로 치료하 고 cisplatin 그룹은 2주기 동안 5-FU와 cisplatin을 선행하여 치료를 하고 같은

약물과 방사선 조사량으로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진행하 다 국소재발이나 원격 이의 측면에서

mitomycin 그룹의 표 치료(5-FUMMC 항암방사선 동시투여)와 비교했을 때 cisplatin 그룹의 선행항암

치료가 무병생존 기간과 체생존기간의 향상을 입증하지 못하 다 오히려 mitomycin 그룹의 성 이

더 좋은 경향을 보 다 평균 251 년을 추 찰 하 고 mitomycin 그룹의 3년 5년 무병생존율은 각

각 67 61로 보고되었으며 cisplatin그룹에서는 각각 61 54로 보고되었다 체 생존율은 mito-

mycin 그룹에서 3년 5년 생존율이 84 75인 것에 비해 cisplatin 그룹에서는 76 70 으며 이는 통

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 치료 실패군은 mitomycin그룹에서 32 cisplatin 그룹에서 40 다

colostomy가 필요한 비율도 mitomycin 그룹에 비해cisplatin 그룹에서 높았다(19 v 10 p=002) 두 치

료그룹간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어서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치료가 제 로 시행되지 못했기 때문은 아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1

님을 알 수 있었다22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치료 약 8주 후에 평가를 하여 병이 지속되는 경우는 기에

발견하여 구제요법으로 수술이 필요하다 임상 으로 잔류암이 의심되는 경우 화학ㆍ방사선 치료 16

주까지는 조직생검을 하기 에 매 4-6주마다 추 찰을 해야 한다 이유는 치료 종료 후 조직의 염

증반응이 있을 수 있고 이것이 잔류암으로 오인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잔류암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에는 신 마취 하에서 여러 개의 수술 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며 이때 공형성 궤양 는 감염의

험에 유의해야 한다 항문의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화학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국소 재발이나 잔류

암에 해서는 구제요법으로 복회음 제술(APR)이 선호된다 약 40-50 환자에서는 구제수술 후에 완

치가 되며23-25 Renehan23 등의 연구에 따르면 구제 수술을 받았던 73명의 환자에서 수술 경계가 양성

인 경우 생존에 향이 가장 컸다(p = 0008)

항문암 치료의 목표가 항문 약근을 보존하면서 완 반응을 보이는 것이더라도 UKCCCR과 EORTC

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한 이환사망률이 있을 수 있다 가능한 성 독성으로는 피로 식욕부진

항문주 항문 의 통증 골수억제 막염 설사 방사선 직장염 방사선 피부염 등이 있다 복회음

제술 이후의 흔한 성 독성은 상처 회복을 어렵게 한다 만성 인 휴유증은 성욕감퇴 성교통 배변

과 배뇨의 어려움 등이 있다 소수의 환자들은 항문 약근의 기능이상으로 경증부터 증의 변실 으

로 고생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지속되는 변실 때문에 결장루설치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구제 수술

을 받는 경우에 결장루설치술과 련되어 정신사회 인 부분에서 환자의 우울증 자신감 결여 성기

능이상 일상생활의 제한 그리고 사회 분 기에 응하는 능력 등에 이상을 보일 수 있다26

항문암의 약 10~30의 환자에서 이성 병변이 발생하는데27 가장 흔한 이 치는 폐 간 그

리고 뇌이다 이들에서의 상되는 5년 생존은 보도에 따르면 18이다5 최근 문헌을 살펴보아도 이러

한 이성 환경에서 보편 으로 받아들여지는 항암요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Platinum과 5-FU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요법을 흔히 고려하고 두경부암이나 폐암 등 다른 편평세포암종에 사용되는 복합

항암요법 한 사용해 볼 수 있다

항문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에 하여 국과 미국에서 재 2상 임상시험 에 있다(ACT II와

EXTRA) ACT II에서는 항암ㆍ방사선 치료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 유지의 역할에 해서 연구되고 있는

데 환자들은 4개의 치료군 하나에 배정된다 1) 5-FUmitomycin CXRT 2) 5-FUmitomycin CXRT 이

후에 보조 항암요법으로 5-FUcisplatin 3) 5-FUcisplatinXRT or 4) 5-FUcisplatinXRT 이후에 보조 항암

요법으로 5-FUcisplatin 이제까지 ACT II는 상 등록환자 600명 705의 환자들이 등록 되었다28

연구의 목 은 완 반응율과 4도의 독성발생이다 EXTRA는 최근 시작된 2상 시험으로 capecitabine

(825 mgm2 BID over Days 1-5 8-12 15-19 22-26 29-33 and 36-40) mitomycin C (12 mgm2 Day 1) 그

리고 XRT (306 Gy in 17 fractions 198 Gy in 11 fractions)로 진행되고 있으며 1차 목 은 어느 조합이

ACT II연구에 유사한 반응률과 독성을 보이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 장 종양에서 옥살리

라틴의 역할이 재 연구 이다 직장암에서 12상 연구에서 옥살리 라틴이 방사선의 증감제로서 유

망함이 알려졌다29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재 oxaliplatin capecitabine과 방사선 치료(45-59

Gy)에 해서 연구 이다30

연구 목 은 치료실패까지의 시간 독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이차목 은

완 반응 2년 국소 질병 조 결장루설치술을 하지 않는 생존 앙 생존 무진행 생존의 결정이다

항문 의 선암은 극히 드물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항문 선암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037 100000

men vs 025 100000 women)5 항문 선암은 편평상피암보다 진행이 빠르며 국소 원격 재발의 험도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2

더 높다31

따라서 완치목 으로의 항암ㆍ화학요법은 추천되지 않으며 직장암에서처럼 수술 는 후

의 보조요법으로만 추천된다 복회음 제술은 국소재발시의 구제요법으로 남겨두어야 한다32 항문 선암

과 편평상피세포 암의 상되는 5년 생존율은 남자에서 51와 62 여자에서 48와 67이다5

추적 검사

처음 2년 동안에는 매 3개월마다 직장 수지검사 서혜부 임 선의 검사 등의 포 인 신체 검사

가 필요하며 다음 3년간은 반년마다 검사를 시행한다 첫 2년 동안 직장에스상결장경검사를 매 6개월

마다 시행한다 방사선학 검사는 복부 골반 CT검사 는 MRI검사를 매 6~12개월마다 시행하며

특히 T3-4 N2 병기 환자들에게서는 강력히 추천된다

결 론

항문암의 치료는 1970년도에 항암 방사선 동시치료가 복회음 제술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방향이 바 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치료법의 변화나 발 은 미미하 다 하지만 재

EGFR에 한 단클론성 항체와 항암ㆍ방사선 치료를 복합한 다기 연구가 진행 되고 있어 향후 치료

의 결과가 기 된다

참 고 문 헌

1 Ryan DP Compton CC Mayer RJ 2000 Carcinoma of the anal canal N Engl J Med 342792-800

2 Ries LAG Harkins D M K 2005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03 National Cancer Institute1-103

3 Tarantino D Bernstein MA 2002 Endoanal ultrasound in the staging and management of squamous-cell carci-

noma of the anal canal potential implications of a new ultrasound staging system Dis Colon Rectum

4516-22

4 Hoffman R Welton ML Klencke B Weinberg V Krieg R 1999 The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CD4 count

on the outcome and treatment tolerance of HIV-positive patients with anal cancer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44127-131

5 Johnson LG Madeleine MM Newcomer LM Schwartz SM Daling JR 2004 Anal cancer incidence and sur-

vival the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experience 1973-2000 Cancer 101281-288

6 Myerson RJ Kong F Birnbaum EH Fleshman JW Kodner IJ Picus J Ratkin GA Read TE Walz BJ 2001

Radiation therapy for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linical and treatment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Radiother Oncol 6115-22

7 Graf R Wust P Hildebrandt B Gogler H Ullrich R Herrmann R Riess H Felix R 2003 Impact of overall

treatment time on local control of anal cancer treated with radiochemotherapy Oncology 6514-22

8 Peiffert D Bey P Pernot M Guillemin F Luporsi E Hoffstetter S Aletti P Boissel P Bigard MA Dartois

D Baylac F 1997 Conservative treatment by irradiation of epidermoid cancers of the anal canal prognostic

factors of tumoral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7313-324

9 Hughes LL Rich TA Delclos L Ajani JA Martin RG 1989 Radiotherapy for anal cancer experience from

1979-1987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71153-1160

10 Ferrigno R Nakamura RA Dos Santos Novaes PE Pellizzon AC Maia MA Fogarolli RC Salvajoli JV

신상 Management of Anal Cancer

93

Filho WJ Lopes A 2005 Radiochemotherapy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retro-

spective analysis of results and radiation dose effectivenes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11136-1142

11 Deniaud-Alexandre E Touboul E Tiret E Sezeur A Houry S Gallot D Parc R Huang R Qu SH Huart J

Pene F Schlienger M 2003 Results of definitive irradiation in a series of 305 epidermoid carcinomas of the

anal canal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59-1273

12 John M Pajak T Flam M Hoffman J Markoe A Wolkov H Paris K 1996 Dose escalation in chemo-

radiation for an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RTOG 92-08 Cancer J Sci Am 2205-211

13 Nigro ND Vaitkevicius VK Considine B Jr 1974 Combined therapy for cancer of the anal canal a prelimi-

nary report Dis Colon Rectum 17354-356

14 Nigro ND Seydel HG Considine B Vaitkevicius VK Leichman L Kinzie JJ 1983 Combined preoperative ra-

diation and chemotherapy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Cancer 511826-1829

15 1996 Epidermoid anal cancer results from the UKCCCR randomised trial of radiotherapy alone versus radio-

therapy 5-fluorouracil and mitomycin UKCCCR Anal Cancer Trial Working Party UK Co-ordinating

Committee on Cancer Research Lancet 3481049-1054

16 Bartelink H Roelofsen F Eschwege F Rougier P Bosset JF Gonzalez DG Peiffert D van Glabbeke M

Pierart M 1997 Concomitan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s superior to radiotherapy alone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anal cancer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trial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Radio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ooperative Groups J Clin Oncol

152040-2049

17 Flam M John M Pajak TF Petrelli N Myerson R Doggett S Quivey J Rotman M Kerman H Coia L

Murray K 1996 Role of mitomycin in combination with fluorouracil and radiotherapy and of salvage chemo-

radiation in the definitive nonsurgical treatment of epidermoid carcinoma of the anal canal results of a phase

III randomized intergroup study J Clin Oncol 142527-2539

18 Martenson JA Lipsitz SR Wagner H Jr Kaplan EH Otteman LA Schuchter LM Mansour EG Talamonti

MS Benson AB 3rd 1996 Initial results of a phase II trial of high dose radiation therap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E4292)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35745-749

19 Gerard JP Ayzac L Hun D Romestaing P Coquard R Ardiet JM Mornex F 1998 Treatment of anal canal

carcinoma with high dose radiation therapy and concomitant fluorouracil-cisplatinum Long-term results in 95

patients Radiother Oncol 46249-256

20 Peiffert D Giovannini M Ducreux M Michel P Francois E Lemanski C Mirabel X Cvitkovic F Luporsi E

Conroy T Gerard JP 2001 High-dose radiation therapy and neoadjuvant plus concomitant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cell anal canal cancer final results of a

phase II study Ann Oncol 12397-404

21 Meropol NJ Niedzwiecki D Shank B Colacchio TA Ellerton J Valone F Budinger S Day JM Hopkins J

Tepper J Goldberg RM Mayer RJ 2008 Induction therapy for poor-prognosis anal canal carcinoma a phase

II study of the cancer and Leukemia Group B (CALGB 9281) J Clin Oncol 263229-3234

22 Ajani JA Winter KA Gunderson LL Pedersen J Benson AB 3rd Thomas CR Jr Mayer RJ Haddock MG

Rich TA Willett C 2008 Fluorouracil mitomycin and radiotherapy vs fluorouracil cisplatin and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91914-1921

23 Renehan AG Saunders MP Schofield PF ODwyer ST 2005 Patterns of local disease failure and outcome af-

ter salvage surgery in patients with anal cancer Br J Surg 92605-614

24 Nilsson PJ Svensson C Goldman S Glimelius B 2002 Salvage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anal epidermoid

cancer Br J Surg 891425-1429

25 Bai YK Cao WL Gao JD Liang J Shao YF 2004 Surgical salvage therapy of anal cancer World J

제8 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94

Gastroenterol 10424-426

26 Jephcott CR Paltiel C Hay J 2004 Quality of life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f anal carcinoma a case con-

trol study of long-term survivors Clin Oncol (R Coll Radiol) 16530-535

27 Myerson RJ Karnell LH Menck HR 1997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report on carcinoma of the anus

Cancer 80805-815

28 2005 ACT II A Second UK Phase III Anal Cancer Trial A Trial of Chemoradiation and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Anal Cancer httpwwwncrnorgukportfoliodataaspID=691

29 Rodel C Grabenbauer GG Papadopoulos T Hohenberger W Schmoll HJ Sauer R 2003 Phase III trial of

capecitabine oxaliplatin and radiation for rectal cancer J Clin Oncol 213098-3104

30 Eng C Crane C and Rosner G 2005 A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and radiation ther-

apy XELOX-XRT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anal canal a preliminary toxicity

analysis ASCO GI Symposium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p A216

31 Papagikos M Crane CH Skibber J Janjan NA Feig B Rodriguez-Bigas MA Hung A Wolff RA Delclos

M Lin E Cleary K 2003 Chemo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anu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5669-678

32 Belkacemi Y Berger C Poortmans P Piel G Zouhair A Meric JB Nguyen TD Krengli M Behrensmeier F

Allal A De Looze D Bernier J Scandolaro L Mirimanoff RO 2003 Management of primary anal canal ad-

enocarcinoma a large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Rare Cancer Network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1274-1283

제8차 Consensus Conference-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

인 쇄 2008년 10월 13일발 행 2008년 10월 18일

발행인 방영주편집인 임호영ㆍ류백렬

발행처 한국임상암학회서울시 송파구 풍납 2동 389-1풍납빌딩 3층Tel 02-3010-8657 484-2857Fax 02-3010-8658E-mail kacokacoorkrHomepage wwwkacoorkr

인쇄처 (주)메드랑ㆍ도서출판 의학문화사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48-13Tel 325-2093 Fax 325-2095E-mail infomedrangcokrHomepage wwwmedrangcokr

  • 일정표pdf
  • 01강경훈pdf
  • 02이종수pdf
  • 03김시영pdf
  • 04방영주pdf
  • 05노성훈pdf
  • 06김경미pdf
  • 07김열홍pdf
  • 08홍용상pdf
  • 09박연호pdf
  • 10김대용pdf
  • 11고흥규pdf
  • 12오상철pdf
  • 13박종재pdf
  • 14김희철pdf
  • 15김종광pdf
  • 16고윤호pdf
  • 17신상준pdf
  • 판권pdf
Page 1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1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2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3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4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5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6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7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3: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4: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5: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6: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7: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8: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89: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90: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91: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
Page 92: Gastric Cancer / Colorectal Cancer · 2008. 10. 23. · Gastric cancer is one of human cancer tissue types where CpG island hypermethylation is frequently found. Promoter CpG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