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최 종 보 고 서

- 총괄 분야 -

2009. 11

환 경 부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i -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연구 (연구기

간 : 2009년 01월 23일 ~ 2009년 11월 22일)의 총괄 분야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1월

총괄연구기관: 건국대학교

공동연구기관: 부산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남대학교

Page 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iii -

○ 참여연구원

연구책임자 : 이 상 우 (건국대학교)

총괄분야 책임연구원 : 이 상 우 (건국대학교)

조사분야 책임연구원

부착조류, 측정망 구축 : 황 순 진 (건국대학교)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배 연 재 (고려대학교)

어류 안 광 국 (충남대학교)

서식 및 수변환경 주 기 재 (부산대학교)

종합평가 원 두 희 (두희자연환경연구소)

복원 로드맵 이 상 우 (건국대학교)

DB 박 영 석 (경희대학교)

공동연구원 : 김 백 호 (건국대학교)

김 미 경 (건국대학교)

윤 태 중 (고려대학교)

연구보조원 : 김 난 영 (건국대학교)

이 주 환 (건국대학교)

유 영 훈 (건국대학교)

이 송 희 (건국대학교)

이 주 미 (건국대학교)

박 세 린 (건국대학교)

양 유 정 (건국대학교)

정 주 희 (건국대학교)

권 용 수 (경희대학교)

배 미 정 (경희대학교)

김 준 수 (경희대학교)

이 혜 영 (고려대학교)

이 재 훈 (충남대학교)

한 정 호 (충남대학교)

홍 동 균 (부산대학교)

최 종 윤 (부산대학교)

Page 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v -

목 차

제 1 장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지침 (안) ········································· 1

제 1 절 개요 ···························································································································· 3

1.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목적과 의의···································································· 3

제 2 절 부착조류 조사 및 평가 지침 ··················································································· 5

1. 부착조류의 특성 및 활용도······························································································ 5

2. 조사지침···························································································································· 6

3. 평가지침·························································································································· 26

제 3 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및 평가 지침 ························································· 59

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특성 및 활용도········································································· 59

2. 조사지침·························································································································· 60

3. 평가지침·························································································································· 77

제 4 절 어류 조사 및 평가 지침 ······················································································· 119

1. 어류의 특성 및 활용도································································································· 119

2. 조사지침························································································································· 120

3. 평가지침························································································································· 127

제 5 절 식생 조사 및 평가 지침 ······················································································· 152

1. 식생의 특성 및 활용도································································································· 152

2. 조사지침························································································································· 153

3. 평가지침························································································································· 160

제 6 절 서식 및 수변환경 조사 및 평가 지침 ································································ 162

1. 서식 및 수변환경의 특성 및 활용도············································································ 162

2. 조사지침························································································································· 163

3. 평가지침························································································································· 174

제 2 장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축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 185

제 1 절 선진국 측정망 운영사례 ······················································································· 187

제 2 절 선진국 생물학적 평가 및 측정망 정책시사점 ···················································· 208

1. 선진국의 사례 요약······································································································· 208

2. 정책 시사점··················································································································· 209

- vi -

제 3 절 우리나라 측정망 구축, 운영, 관리방안 ······························································ 211

1. 측정망 조사지점 구축··································································································· 211

2. 측정망 수립 및 운영방안······························································································ 252

제 3 장 하천 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연구 (I) ·································· 259

제 1 절 선진국 평가기법 및 사례 현지조사 및 시사점 도출 ········································· 261

제 2 절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 검토 ··········································· 267

1. 국외의 방식··················································································································· 267

2. 국내 적용방식의 제안··································································································· 268

제 3 절 수생태계 건강성 진단․평가 (예측)를 위한 생태계 모델 조사 ······················· 273

제 4 절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사업 발전방향 검토 ··········································· 277

제 4 장 DB 분야 ···························································································· 279

제 1 절 DB 자료의 구성 ··································································································· 281

1. DB 파일의 개선············································································································ 281

제 2 절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 활용 ················································································· 283

1. 수생태계 건강성 시각화································································································ 283

2.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자료 공개 및 활용··································································· 294

제 5 장 복원 로드맵 ······················································································· 301

제 1 절 하천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본방향 ···································································· 303

1. 복원 기본방향················································································································ 303

제 2 절 하천 건강성 및 복원 요구 등급 평가 ································································ 307

1. 하천 건강성 평가·········································································································· 307

2. 복원 요구 등급 평가 방안···························································································· 307

3. 복원 요구 등급 평가····································································································· 310

제 3 절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평가결과 ···································································· 315

1. 복원 요구 등급의 전체 대권역 공간적 분포 특성······················································· 315

2. 수계별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특성················································································ 317

3. 복원 요구 등급과 지표들간의 관계·············································································· 323

제 4 절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평가 및 관련계획 매핑 (Mapping) ······················· 328

1. 한강 대권역··················································································································· 328

2. 낙동강 대권역················································································································ 330

Page 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vii -

3. 금강 대권역··················································································································· 333

4.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336

5. 유역토지 이용 압력과 지표별 상관분석······································································· 339

제 6 장 전국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종합 ········································ 341

제 1 절 서론 ························································································································ 34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43

2. 분야별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43

가. 부착조류··················································································································· 343

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344

다. 어류·························································································································· 344

라. 서식 및 수변환경····································································································· 344

마. 생물서식처 평가······································································································· 345

제 2 절 국내외 연구현황 ···································································································· 346

1. 부착조류························································································································· 346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348

3. 어류······························································································································· 352

4. 서식 및 수변환경·········································································································· 356

5. 생물서식처 평가············································································································ 363

제 3 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65

1. 조사구간 및 시기·········································································································· 365

2. 조사내용 및 범위·········································································································· 365

3. 조사방법························································································································· 368

가. 수질 및 수문환경 분석···························································································· 369

나. 부착조류··················································································································· 370

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374

라. 어류·························································································································· 380

마. 서식 및 수변환경····································································································· 386

바. 생물서식처 평가······································································································· 394

사. 통계분석··················································································································· 398

제 4 절 연구결과 ················································································································ 399

1. 부착조류························································································································· 399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404

- viii -

3. 어류······························································································································· 408

4. 서식 및 수변환경·········································································································· 413

5. 생물서식처 평가············································································································ 419

6.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종합분석·············································································· 421

제 5 절 결론 ························································································································ 430

참 고 문 헌 ······································································································ 433

Page 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ix -

부 록 목 차

부록 1.2.1. 부착조류 종 목록····································································································· 33

부록 1.2.2. 부착조류 종별 생물지수 기준값·············································································· 45

부록 1.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 목록············································································ 103

부록 1.4.1. 어류 종 목록·········································································································· 133

부록 1.4.2. 전국 4대강 조사구간 (720개)별 하천차수 산정··················································· 136

부록 1.4.3. 대조 하천 지점 표기 및 메트릭별 점수 산정······················································· 151

부록 1.6.1. 각 평가항목의 점수별 예시 사진·········································································· 175

- x -

표 목 차

<표 1.2.1> 부착조류 현지조사표 양식······················································································ 9

<표 1.2.2> 하천에서 부착조류 채집기법의 요약···································································· 13

<표 1.2.3> 부착조류 분류군별 기준 문헌··············································································· 24

<표 1.2.4> 사례 지역에서 분석한 부착조류의 상대 밀도 및 부착조류 종들의 민감도 및

지표값의 계산······································································································· 27

<표 1.2.5> 영양염지수 (TDI)에 사용된 부착조류 종들의 민감도 및 지표값······················· 28

<표 1.2.6> 부착조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30

<표 1.3.1> Wentworth 퇴적물 분류 기준표········································································· 64

<표 1.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양식····························································· 67

<표 1.3.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 문헌··············································· 71

<표 1.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문헌················································· 71

<표 1.3.5> 동정기록양식········································································································· 72

<표 1.3.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장조사 및 실험실 분석과정···································· 75

<표 1.3.7> 물환경평가에 이용되는 수리객관적 군집지수표··················································· 77

<표 1.3.8> 우점도와 다양도에 따른 군집특성 및 환경상태·················································· 93

<표 1.3.9> 다양도지수에 따른 오수생물계열········································································· 94

<표 1.3.10> 각 지표생물군의 단위오탁계급치, 평균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치······················ 95

<표 1.3.1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98

<표 1.3.12>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한 오수생물지수의 산출과정······················ 101

<표 1.3.13>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한 오수생물지수의 산출····························· 101

<표 1.3.14>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한 오수생물지수의 산출과정······················ 102

<표 1.4.1> 어류 현지조사표 양식························································································· 122

<표 1.4.2> 어류를 이용한 건강도 모델 메트릭의 구간 설정··············································· 131

<표 1.4.3>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등급················································································ 131

<표 1.5.1> 하천 식생조사표·································································································· 154

<표 1.5.2> 식생유형별 조사면적의 기준··············································································· 155

<표 1.5.3> Braun-Blanquet의 우점도 기준········································································ 155

<표 1.5.4> 하천자연도 평가기준··························································································· 160

<표 1.5.5> 식생자연도 평가기준··························································································· 160

<표 1.5.6> 식생자연도 평가기준의 각 항목의 합산 점수에 의한 종합평가기준················· 161

<표 1.6.1>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현지조사표 양식··························································· 165

Page 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xi -

<표 1.6.2>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 167

<표 1.6.3>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기타 준비물····························································· 167

<표 1.6.4> 서식수변환경 평가항목 리스트 및 기준····························································· 169

<표 1.6.5>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 등급··········································································· 174

<표 2.1.1>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기초한 유럽국가의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 188

<표 2.1.2> 유럽국가의 생물을 이용한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 189

<표 2.1.3> 호주 각 주의 생물평가 등급 범위····································································· 192

<표 2.1.4> 미국의 생물기준 발달에 있어서 주요한 사건들················································ 193

<표 2.1.5>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도입을 촉진시켰던 중요한 법과 협정····························· 194

<표 2.1.6> 국가생물학적 평가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미국 연방정부 기관들··············· 195

<표 2.1.7> 미국의 생물학적 평가프로그램의 상황 (1995년도 기준) ·································· 199

<표 2.1.8> 미국 하천에 대한 생물평가 프로그램의 국가적 현황 (2001년 기준) ··············· 200

<표 2.1.9> 미국 하천에 대한 생물평가 프로그램의 1989년, 1995년 및

2001년 사이의 변화 요약··················································································· 203

<표 2.3.1> 측정망 하천 (구간) 선정의 원칙 및 활용성······················································ 212

<표 2.3.2>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간수 (안) ································································· 213

<표 2.3.3> 한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218

<표 2.3.4> 낙동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230

<표 2.3.5> 금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240

<표 2.3.6>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246

<표 2.3.7> 우리나라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기본체계 (안) ·············································· 253

<표 2.3.8>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운영체계 (안) ····························································· 256

<표 3.1.1> NCA 및 NEP의 모니터링 접근방법································································· 264

<표 3.1.2> 하구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NCA 지표······································ 265

<표 3.2.1> 표준화시킨 후의 각 지수의 등급범위 및 생물종합지수의 등급값 및

환경상태·············································································································· 268

<표 3.2.2> 표준화시킨 후의 각 지수의 등급범위 및 생물종합지수의 등급값 및

환경상태·············································································································· 269

<표 3.2.3> 평창강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270

<표 3.2.4> 달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271

<표 3.2.5> 인북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272

<표 5.1.1> 하천복원의 패러다임 변화 이해 ········································································· 304

<표 5.1.2> 하천 위계별 접근 방향······················································································· 306

- xii -

<표 5.2.1> 복원 요구 등급 판정 기준·················································································· 309

<표 5.2.2> 2009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에 기초한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판정 결과··· 310

<표 5.2.3> 2009년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유형별 분포················································· 312

<표 5.2.4> 2008년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판정 비율 및 2009년 증감비교 결과·········· 313

<표 5.3.1> 전국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324

<표 5.3.2> 전국 4대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회귀모형 추정 결과·································· 324

<표 5.3.3> 한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325

<표 5.3.4> 낙동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326

<표 5.3.5> 금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326

<표 5.3.6>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327

<표 5.4.1> 한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 330

<표 5.4.2> 낙동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 333

<표 5.4.3> 금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 336

<표 5.4.4>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 339

<표 5.4.5> 중권역 토지이용 압력과 지표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340

<표 6.2.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주요 수질평가지수········································ 349

<표 6.2.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주요 생태계 평가지수·································· 349

<표 6.2.3> 하천자연도 평가기준별 특성 및 장단점 (김 등, 1999) ····································· 356

<표 6.2.4> 적정한 기능상태 (Prichard, 1998) ···································································· 358

<표 6.2.5> 시각적 하천 건강성 평가 기법 (USDA, 1998) ················································ 358

<표 6.2.6> 현장 서식처 평가지 (Barbour, 1999) ································································ 359

<표 6.2.7> River Habitat Survey (EA, 1997) ·································································· 360

<표 6.2.8> 독일 하천 구조 질의 판단 기준 (조, 1997) ······················································ 360

<표 6.2.9> 하천자연성 조사부문 및 조사항목 (조, 1997b) ················································· 361

<표 6.2.10> 하천자연성 조사부문 및 조사항목 (김 등, 1999) ·············································· 362

<표 6.2.11> 하천자연성 조사부분 및 조사항목 (박 등, 2003) ·············································· 362

<표 6.2.12> 하천 자연성 판단 척도 (박 등, 2003) ······························································· 363

<표 6.2.13> 환경선진국에서 이용된 서식지 평가 모델 비교················································ 364

<표 6.3.1> 이화학적 수질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369

<표 6.3.2> 부착조류 현장조사 현지조사표 양식·································································· 371

<표 6.3.3> 부착조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373

<표 6.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양식··························································· 375

<표 6.3.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국내외 기준 문헌······································ 376

Page 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xiii -

<표 6.3.6> 각 지표생물군의 단위오탁계급치, 평균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치···················· 378

<표 6.3.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380

<표 6.3.8> 어류 야외 조사 현지조사표················································································ 382

<표 6.3.9> 어류 생태건강성 모델 메트릭의 구간 설정······················································· 385

<표 6.3.10> 어류 생태건강성 모델 등급구분········································································· 386

<표 6.3.11>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현지조사표 양식··············································· 387

<표 6.3.12>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사진 현지조사표 양식······································ 388

<표 6.3.13> 조사수행 연구원 구성, 역할 분담 및 기타 특징 ··············································· 389

<표 6.3.14>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장비········································································· 390

<표 6.3.15>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기타 준비물····························································· 390

<표 6.3.16>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구분·············································································· 394

<표 6.3.17> 하천차수 1~3차 하천의 생물서식처 평가 기법················································ 396

<표 6.3.18> 하천차수 4차 이상의 하천의 생물서식처 평가 기법········································· 397

<표 6.3.19> QHEI 모델의 평가등급······················································································ 398

<표 6.4.1>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출현종수 및 밀도····························································· 399

<표 6.4.2>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부착조류 엽록소 (Chl-a) 및 유기물량 ····················· 402

<표 6.4.3> 전국 4대강 대권역별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값 및 등급 분포··············· 402

<표 6.4.4>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값 및

등급 분포············································································································ 403

<표 6.4.5>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와 수질과의 상관도······ 403

<표 6.4.6>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및 개체수밀도··········· 405

<표 6.4.7>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지수································· 406

<표 6.4.8>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값 및

등급 분포············································································································ 406

<표 6.4.9>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값 및 등급 분포························································ 407

<표 6.4.10>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와

수질과의 상관도·································································································· 408

<표 6.4.11> 전국 4대강 어류 법적보호종 분포현황······························································ 410

<표 6.4.12> 전국 4대강 어류 외래도입종 분포현황······························································ 410

<표 6.4.13>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 (IBI) 값 및 등급 분포····························· 412

<표 6.4.14>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어류생물지수 (IBI) 값 및 등급 분포···· 413

<표 6.4.15>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어류생물지수 (IBI)와 수질과의 상관도·························· 413

- xiv -

<표 6.4.16>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서식수변환경지수 값 및 등급 분포································ 415

<표 6.4.17>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서식수변환경지수 및 등급 분포········· 416

<표 6.4.18>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종적특성 평가결과··············································· 416

<표 6.4.19>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횡적특성 평가결과··············································· 417

<표 6.4.20>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서식처특성 평가결과··········································· 418

<표 6.4.21>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교란특성 평가결과··············································· 418

<표 6.4.22>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서식수변환경지수와 수질과의 상관도····························· 419

<표 6.4.23>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 값 및 등급 분포··········· 420

<표 6.4.24>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 값 및

등급 분포············································································································ 421

<표 6.4.25>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와 수질과의 상관도······ 421

<표 6.4.26>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BOD 농도 및 수질 등급 분포···································· 422

<표 6.4.27>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BOD 농도 및 수질 등급 분포··········· 422

<표 6.4.28>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423

<표 6.4.29>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424

<표 6.4.30>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의

상관계수 및 유의성···························································································· 425

<표 6.4.31>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의 상관계수 및 유의성······································· 426

<표 6.4.32> 수계별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428

<표 6.4.33>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및 독립 하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428

<표 6.5.1>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430

Page 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xv -

부 록 표 목 차

<부표 1.4.1> 한강 대권역 320개 구간의 하천차수······························································ 136

<부표 1.4.2> 낙동강 대권역 130개 구간의 하천차수··························································· 142

<부표 1.4.3> 금강 대권역 130개 구간의 하천차수······························································ 145

<부표 1.4.4>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140개 구간의 하천차수············································· 148

<부표 1.6.1> 자연적인 종횡사주 항목 점수별 사진····························································· 175

<부표 1.6.2> 하천변 폭 항목 점수별 사진··········································································· 176

<부표 1.6.3> 저질상태 항목 점수별 사진············································································· 177

<부표 1.6.4> 횡구조물 항목 점수별 사진············································································· 178

<부표 1.6.5> 하도 정비 및 하도 특성의 자연성 정도 湯慴 사진······································· 179

<부표 1.6.6> 저수로 호안공 항목 점수별 사진···································································· 180

<부표 1.6.7> 제방 호안 재료 항목 점수별 사진·································································· 181

<부표 1.6.8> 둑 바깥쪽 토지 이용 항목 점수별 사진························································· 182

<부표 1.6.9> 둑 안쪽 토지 이용 항목 점수별 사진····························································· 183

<부표 1.6.10> 오염원 정화 시설 항목 점수별 사진······························································ 184

- xvi -

그 림 목 차

<그림 1.1.1> 물리․화학․생물학적 총체성에 근거한 수체의 건강성의 개념적 비교············ 3

<그림 1.1.2> 건강한 하천생태계의 모습 ·················································································· 4

<그림 1.2.1> 하천 바닥의 부착조류기질 (돌)과 표면에 부착된 부착조류의 외관모습 ··········· 5

<그림 1.2.2> 하상의 부착조류 기질 및 그 상태···································································· 12

<그림 1.2.3> 하상토 위의 부착조류 성장모습 ········································································ 13

<그림 1.2.4> 부착조류 시료준비 과정···················································································· 18

<그림 1.2.5> 부착조류 분석을 위한 시료준비 및 전처리 과정············································· 18

<그림 1.2.6> 하상의 부착조류 발달 상태에 따른 환경질 평가체계······································ 31

<그림 1.2.7> 부착조류 지표종································································································ 32

<그림 1.3.1> 현장에서의 온도 측정 모습 ··············································································· 63

<그림 1.3.2> 현장에서의 수심 및 유속 측정 모습 ································································ 63

<그림 1.3.3> 현장 수질측정 모습 ··························································································· 64

<그림 1.3.4> 기본적인 조사도구····························································································· 66

<그림 1.3.5> Surber sampler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 68

<그림 1.3.6> 호소형 채집도구································································································ 69

<그림 1.3.7> 변형된 Ekman Grab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 69

<그림 1.3.8> 골라내기 (sorting)와 동정 (identification)에 필요한 도구···························· 73

<그림 1.3.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장조사 및 실험실 분석과정································· 74

<그림 1.3.10>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생물군·································································· 99

<그림 1.4.1> 여울구간에서의 족대 2인 1조 채집································································ 124

<그림 1.4.2> 흐르는 구간에서의 투망 채집········································································· 124

<그림 1.4.3> 수초가 있는 연안부에서의 족대 채집····························································· 125

<그림 1.4.4> 소에서의 투망 채집························································································· 125

<그림 1.4.5> 어류 지표생물군······························································································ 132

<그림 1.5.1> 하천자연도 평가기준······················································································· 161

<그림 2.1.1> 영국의 EQI 적용을 통한 하천건강성 평가···················································· 190

<그림 2.1.2> 빅토리아주 하천 조사지점에 대한 AusRivAS 생물평가결과의

도식 및 요약···································································································· 192

<그림 2.1.3>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기초한 미국의 하천 모니터링 프로그램······················ 204

<그림 2.1.4> 미국 환경부 홈페이지의 건강도 평가 제반사항 공개 및 설명 ······················ 205

<그림 2.1.5> 미국 환경부 홈페이지의 건강도 평가결과 공개············································· 206

Page 1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xvii -

<그림 3.1.1> 수생태계 건강성의 평가 체계도······································································ 262

<그림 3.1.2> 생물학적 상태 평가체계도··············································································· 263

<그림 3.1.3> 미국 국가하구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구성항목 (US. EPA, 2007) ················ 263

<그림 3.1.4> 미국 하구에 대한 NCA 평가결과를 전국적, 대권역별로

도식화된 결과물······························································································· 266

<그림 3.1.5> 미국 하구에 대한 NCA 평가결과를 대상하구별로 도식화된 결과물············ 266

<그림 3.2.1> 평창강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270

<그림 3.2.2> 달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271

<그림 3.2.3> 인북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272

<그림 3.3.1> PAEQANN 모델 예측 예·············································································· 275

<그림 3.3.2> 선택된 종의 출현 예측을 위한 자료 입력 예················································ 276

<그림 3.3.3> 각 조사지점별 측정망 운영현황의 도시························································· 277

<그림 4.1.1> 분야별 DB 파일······························································································ 282

<그림 4.1.2> 생물서식처 DB 파일의 예·············································································· 282

<그림 4.2.1>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등급 분포····· 284

<그림 4.2.2>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지수 등급 분포······················································· 285

<그림 4.2.3>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어류 등급 분포··········································· 286

<그림 4.2.4>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서식 및 수변 등급 분포····························· 287

<그림 4.2.5> 2009년 각 조사구간에서의 생물서식처 등급 분포········································· 287

<그림 4.2.6> 2008~2009년 조사지점별 부착조류 등급 변화·············································· 288

<그림 4.2.7> 2008~2009년 조사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등급 변화······················· 289

<그림 4.2.8> 2008~2009년 조사지점별 어류 등급 변화····················································· 289

<그림 4.2.9> 2008~2009년 조사지점별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변화······························· 290

<그림 4.2.10> 중권역에 따른 부착조류 등급 분포································································ 291

<그림 4.2.11> 중권역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등급 분포········································· 291

<그림 4.2.12> 중권역에 따른 어류 등급 분포······································································· 292

<그림 4.2.13> 중권역에 따른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분포·················································· 293

<그림 4.2.14> 중권역에 따른 생물서식처 평가 등급 분포···················································· 293

<그림 4.2.15> 미국 EPA의 STORET database ································································· 294

<그림 4.2.16> FAME 연구과제의 개념도············································································· 295

<그림 4.2.17> 생물학적 수질지도 예 (영국) ·········································································· 295

<그림 4.2.18> 어류의 분포지역 및 환경 특성 표시······························································ 296

- xviii -

<그림 4.2.19>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 297

<그림 4.2.20> 환경부 환경지리정보서비스 (EGIS) ······························································· 297

<그림 4.2.21> 한국수자원공사의 국가수자원 종합정보시스템 (WAMIS) ···························· 298

<그림 4.2.22> 수생태계 건강성 검색 모색도········································································· 299

<그림 5.1.1> 하천 건강성과 복원의 기본방향 모식도························································· 303

<그림 5.2.1> 하천의 총체적 건강성 결정인자······································································ 308

<그림 5.2.2> 복원 요구 등급 표기 방법·············································································· 309

<그림 5.2.3> 수계별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11

<그림 5.3.1>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전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16

<그림 5.3.2>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한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18

<그림 5.3.3>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낙동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19

<그림 5.3.4>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금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21

<그림 5.3.5>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23

<그림 5.4.1> 한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 329

<그림 5.4.2> 낙동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도····················· 331

<그림 5.4.3> 금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도························ 334

<그림 5.4.4>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도······· 337

<그림 6.3.1> 시료의 채집, 전처리 및 슬라이드 제작 과정. ················································ 372

<그림 6.3.2> 현장조사, 채집 및 실내 정리 과정································································· 374

<그림 6.4.1> 전국 4대강 부착조류군집의 우점종 및 누적우점빈도···································· 401

<그림 6.4.2> 전국 4대강 수질 (BOD) ‘좋음’ 이상, 건강성 ‘양호’ 이상 지점 비교··········· 427

<그림 6.4.3> 4대강 본류, 지류 및 독립 수계의 수질 (BOD) ‘좋음’ 이상,

건강성 ‘양호’ 이상 지점 비교········································································· 429

Page 1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1장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지침(안)

제1절 개요

제2절 부착조류 조사 및 평가 지침

제3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및

평가 지침

제4절 어류 조사 및 평가 지침

제5절 식생 조사 및 평가 지침

제6절 서식 및 수변환경 조사 및 평가

지침

Page 1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 -

제 1 장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지침(안)

제 1 절 개요

1.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목적과 의의

생태계 (ecosystem)는 수량, 수질, 물리적 서식지 등 무생물학적 환경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내에서 이들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는 생태계의 독특한 구조와 기

능으로 나타난다. 수생태계 건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화학적 수질과 안정적인 물리

적 서식지가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건강한 수체는 생태학적으로 온전하거나 교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화학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 총체성을 모두 포함하는 생태학적 총체성으로 표현된다 (US. EPA, 2002) (그림 1.1.1,

1.1.2). 건강한 수체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는 교란된 수체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성의 회

복을 위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며, 생물학적 평가를 근거로 해당 수체의 회복과 복원을 위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림 1.1.1> 물리․화학․생물학적 총체성에 근거한 수체의 건강성의 개념적 비교

- 4 -

<그림 1.1.2> 건강한 하천생태계의 모습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기본적으로 생물학적인 지표와 평가방법을 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적 (혹은 지역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생물모니터링의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따라서 그

지역 혹은 국가의 물환경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조사․분석방법이 필요하다.

서식하는 생물의 구조와 기능에 근거한 생물학적 평가는 이화학적 평가에 비하여 물환경에

대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교란된 환경이 궁극적으로 회복하여야

할 생물학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즉, 우리가 목표로 하는 최적상태의 물환경은 그

안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건강하고 다양하게 부양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생태

계, 즉 교란되지 않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이지 단순히 맑은 물로 채워진 환경은 아니다.

미국 EPA는 환경적 지표로서 생물기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문제들을 관리하는데 생물

지표종이 유용한 도구가 된다고 인식하였고, 이러한 측정치들이 생물체에 대한 오염물질의 영

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생물지표와 기준들은 환경적 건강성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를 제공

한다고 판단하였다 (US EPA, 1990). 이 결과 지표수에 대한 최적의 환경지표는 “생물학적 총체

성, 즉 온전성 (integrity)1)”의 측정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들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U.S.

EPA, 1991).

이미 선진외국에서는 물환경관리의 핵심개념을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에 두고 있으며, 우리나

라도 최근에 그러한 측면으로 정책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환경부, 물환경관리기

본계획, 2006). 물환경을 생태계로 인식하고 생태계 본연의 기능회복에 목표를 둔다는 것은, 역

으로 물환경의 최종적인 평가가 생물학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또한 물리적인 생물서식지의 회

복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수체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를 근간으로 하

는 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는 건전한 생태계의 회복과 복원을 위한 기본적이자 핵심적인 단계

이므로 건강성 평가를 기초로 복원의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1) 최상 (최적)의 자연서식지에서와 비교할 수 있는 생물의 구성, 다양성, 기능적 단위를 가지는 균형적인, 종합적인, 그리고 적응적

인 생물군집을 유지하고 부양시킬 수 있는 수생태계의 능력 (건강성)을 의미함 (Karr et al., 1981)

Page 1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5 -

제 2 절 부착조류 조사 및 평가 지침

1. 부착조류의 특성 및 활용도

부착조류는 하천생태계의 먹이사슬의 근간을 구성하는 1차 생산자로서 생태계 내 에너지 전

달의 기초를 담당하고 있으며 돌, 식물, 모래, 진흙 등 다양한 기질에 부착하여 살아간다. 생물

학적 평가에 주로 이용되는 부착조류는 규조류 (diatom)이며, 하상의 자갈이나 호박돌 등의 돌

에 부착된 돌부착 규조류 (epilithic diatom)가 주를 이룬다 (그림 1.2.1).

규조류는 넓은 범위의 오염구배에 적응하므로 모든 하천에서 발견되며, 어떤 종들은 환경적

변화와 그들 서식처의 조건에 대해 다양하고 민감하게 반응하여 생태학적으로도 유용한 지표생

물 (biological indicator)로 이용된다. 또한 하천생태계에서 부착조류 종 조성의 변화는 수생태계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스트레스를 진단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으며, 생물보전에 대한

평가에 이용가능하다 (Stevenson, 1998; Stevenson and Pan, 1999).

<그림 1.2.1> 하천 바닥의 부착조류기질 (돌)과 표면에 부착된 부착조류의 외관모습

부착조류를 이용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정해진 조사지점에서 생물학적 질의 평가 (지점별 연구)

◦ 조사지점에서 생물학적 질의 시간적 변동 파악 (계절별 또는 연도별)

◦ 하천으로부터 생물학적 질의 공간적 변동 파악 (상류와 하류 사이의 비교)

◦ 환경적 교란으로부터 발생되는 결과를 평가 (보존지역과 교란지역 사이의 비교)

- 6 -

2. 조사지침

가. 조사대상 항목

◦ 부착규조류 총출현량 (세포수/cm2)

◦ 분류군별 우점종 및 출현량

◦ 부착조류 지표종

◦ 부착조류 엽록소 (μg/cm2) 및 AFDM (mg/cm2) 함량

◦ 조사지점 서식지 현황

나. 현장조사

1) 현장조사 개요

◦ 현장조사는 대상 지점 전체에 대한 일관성 있는 계획과 체계 하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조

사 과정과 측정, 채집 등에 있어 변이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2) 현장조사 방법

가) 조사 시기

◦ 조사의 빈도는 비용과 인력을 고려하여 설정하며, 연 1회인 경우는 홍수기 전 (4~5월),

연 2회인 경우는 홍수기 전후, 즉 봄 (3~4월)과 가을 (9~10월), 4회인 경우는 계절별 특

성을 감안하여 겨울 (1~2월), 봄 (4~5월), 여름 (7~8월), 가을 (10~11월) 에 수행한다.

- 홍수기에는 부착조류의 생물량이 안정 상태에 도달하는 기간을 고려하여 2~4주 이후

에 채집을 한다.

- 특정 수계 (지역 및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계절별 1회씩

연 4회 (1, 4, 7, 10월 경) 조사할 수 있다.

- 어떤 하천환경 조건에서 수중의 생물학적 질과 채집 이전 시기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질 측정망의 물리화학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Page 1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7 -

나) 조사 및 채집 장소

◦ 조사지점은 가능한 하천의 중심부근으로 평균 20~30 cm/sec 정도의 유속을 가진 여울

(riffle) 지역의 하상이 적절하며, 가능한 자갈 크기 이상의 기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 채집장소는 그 장소의 특성에 따라 선정할 수 있으나, 가능한 아래의 조건들을 고려하

여 선정한다.

- 하폭이 좁아서 가장자리의 영향 하에 있는 지역에서는 보다 깊은 수심 (30~50 cm)에서

수행한다.

- 수심이 얕은 하천에서는 가장자리는 피하여 하상의 중심에서 채집해야 한다.

- 수중보가 위치해 있는 경우, 상류지역보다는 수문 또는 보 (weir)의 하류부에서 조사한다.

- 수변식생이나 녹음이 우거진 지역 (그늘진 지역)은 피한다.

- 방수장화의 착용으로 접근이 가능한 장소이어야 한다 (보통 1 m 이하).

- 채집 시 기질은 규조류의 서식처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상면이 평평한 돌을 선택한다.

다) 채집 장비 및 도구

◦ 현장에서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부착조류를 채집 할 수 있다.

- 석회암과 같은 부드러운 하층토는 칼날형태의 도구를 이용하고, 단단한 기질에 대해서는

칫솔을 이용하여 채집한다.

- 돌과 같은 기질을 이용할 수 없는 서식지에서는 갈고리 형태의 낫을 이용하여 수련과 같

은 부유식물과 다른 침수식물을 채집한 후 그 표면으로부터 부착조류를 채집한다.

◦ 현장에서 부착조류를 바로 긁어내지 않고 실험실로 운반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채

집한 시료를 아이스박스에 냉장 보관하여 운반하며 도착 후 바로 긁어내도록 한다.

라) 조사 인원 구성

◦ 조사 인원의 수는 전반적인 조사일정에 따라 인원을 배정하고, 보통 한 지점에서의 조사는

최소한 숙련된 3명의 인원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 3명을 기준으로 할 경우, 작업은 현지조사표 작성 및 채수, 현장수질/유속 측정, 부착조류

기질의 채집 및 전처리 등으로 분업이 가능하다.

- 8 -

다. 현지조사표 작성 및 환경요인의 조사

1) 조사의 준비

◦ 일단 조사지점에 도착하면 조사를 위한 복장을 정리한다.

- 이때 장화, 혹은 Chest를 착용하고 유속측정기, 줄자, 대자 (1 m), 현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집할 솔과 샘플병, 현장에서 직접 채집할 수 없을 경우 기질을 담을 비닐 지퍼백, 현지

조사표, 핀셋, 증류수, 매스실린더, 채수를 위한 2 L 용량의 채수용 멸균 비닐백, GPS,

현장수질 측정기, BOD용 Winkler병 등을 준비한다.

※ 조사에 참여하는 인원은 각자 맡은 작업을 위해 필요한 장비나 도구를 챙긴 후, 하천으로

들어가 조사를 실시한다.

2) 현지조사표 작성

◦ 현지조사표의 기본적인 양식은 <표 1.2.1>과 같으며, 현지조사표는 크게 조사지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서식지의 유형, 시료채집방법, 수변의 상태, 수서생물상에 대한 정성적 평

가, 현장측정 자료 등을 기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현지조사표의 작성은 주로 현장조사의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작성하도록 하며 가능하다면

동일한 사람이 조사과정 전체를 통해 현지조사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작성의 편차를 줄이

기 위해 전 조사원이 현지조사표 작성에 대한 지식을 사전에 충분히 숙지하여야 한다.

※ 현지조사표에서 작성된 자료는 추후 서식지 평가에서 정성적 혹은 정량적 지표로 활용하

기 때문에 사전에 조사자들이 충분한 토의를 거쳐야 하며 작성하는 사람이 일관성 있는

기준을 가지고 작성해야 한다.

3) 환경요인 조사

가) 일반 수질

◦ 일반적으로 부착조류 서식에 영향을미치는 현장 수질항목으로 수온, DO, pH, 전기전도도 (EC),

탁도, 투명도등을포함한다. 현장용 다항목수질측정장비를사용하여측정한다.

Page 1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9 -

부 착 조 류 현 지 조 사 표 (F ie ld D ata Sheet)

하천명: 위치:

지점번호: 구분: 본류 지류 세지류 특성:

GPS 좌표: 위도 ° ′ ″ 경도 ° ′ ″ 하상구조: 하천자연성:

조사자명:

현지조사표완성자:

일자:

시간: 오전 오후

날씨:

서식지

TYPES

해당하천에 존재하는 각 서식지 조건 (%)

모래-실트-진흙-쓰레기 % 자갈 % 기반암 %

작은 나무 조각 % 큰 나무 조각 % 식물, 뿌리 등 %

여울 (Riffle) % 흐름 (Run) % 소 (Pool) %

Canopy % 수변식생피복 %

시료채집

채집도구 Suction 장치 Scrapping 기타

채집방법 걸어서 들어감 수변으로부터 채집 보트를 타고 채집

하천에서 직접 채집하였다면 각 서식지에 대한 샘플 채집수

모래-실트-진흙-쓰레기 % 자갈 % 기반암 %

작은 나무 조각 % 큰 나무 조각 % 식물, 뿌리 등 %

수변 및

하천환경

물빛 맑음 (바닥까지 보임) 탁함 --- 정도 (약간, 심함), 혼탁이유 -- (무기물, 유기물)

냄새 없음 보통 악취 (유기물) 악취(공장폐수)

수변식생 초본 ( %) 관목 ( %)

주변토지이용 도시 ( %) 숲 ( %) 논, 밭 ( %) 공단 ( %)

준설 및 공사 ( %) 축사 ( %)

모래퇴적/침식 (기질매몰도) 거의없음 10~20% 20~50% 50~80% > 80%

상류부 보의 위 및 영향 없음 있음 (조사지점과의 거리) m; 수질영향 유무: 유 무

수서생물상에 대한 정성적 LISTING

추정 풍부도 표시 : 0 = Absent/Not Observed, 1 = Rare (<5%), 2 = Common (5~30%)

3 = Abundant (30~70%), 4 = Dominant (>70%)

부착조류 (periphyton) 0 1 2 3 4 곰팡이류 (slimes) 0 1 2 3 4

사상성 조류 0 1 2 3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 1 2 3 4

수생식물 0 1 2 3 4 어 류 0 1 2 3 4

환경요인

항목 현장측정값 코멘트

하폭 (m)

수심 (cm)

유속 (m/s)

수온 (℃)

DO (mg/L)

pH

전기전도도 (μS/cm)

탁도 (NTU)

<표 1.2.1> 부착조류 현지조사표 양식

- 10 -

◦ 영양염류 및 유기물을 분석하기 위해 물시료를 채수하여 2 L 용량의 채수용 멸균 비닐백

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채워 냉장한 상태로 실험실로 운반한다.

나) 유속

◦ 부착조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적 항목으로서, 유속측정기를 사용하여 기질을 채집

한 지점 (여울)의 유속을 측정한다.

라. 부착조류 채집

1) 조사 및 채집 도구 준비물

◦ 사진기, GPS

◦ 장화 (혹은 Chest), 고무장갑

◦ 현장수질측정기, 줄자, 대자 (1 m)

◦ 유속계

◦ 칫솔, 비닐지퍼백, 핀셋, 아이스박스, 유성펜, 매스실린더

◦ 투명 플라스틱 샘플병 (200 mL 용량), 멸균 비닐백 (2 L 용량)

◦ 증류수, 증류수 Bottle

◦ 보존용액 [Lugol’s solution, 10% buffered formalin, 또는 2% Glutaraldehyde (Standard

methods, APHA 1995) 참조]

2) 채집지 선택

◦ 하천 내에서 서식지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변이는 연구지역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착조류의 단수기질 또는 서식지 조합의 방법으로 줄일 수 있다.

◦ 채집지역을 선정하고, 채집 전에 현지조사표를 미리 (혹은 인원이 가용할 경우 동시에) 작

성한다.

◦ 일반적으로 채집하는 기질/서식지조합은 유속이 10~50 cm/sec 정도인 얕은 여울에 있는

자갈을 이용한다.

Page 1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1 -

◦ 모래 위의 종조성은 미미하고 하층이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대상기질로서 적합하지 않다.

◦ 기질/서식지조합 (substrate/habitat combination)에서 몇 개의 부표본 (subsample)을 채집

한다. 각 지역이나 연구 하천에서 3개 또는 그 이상의 부표본을 채집해야 한다.

◦ 만일 단위면적당 생물량 (예, Chlorophyll-a)이 측정되어야 한다면 샘플링 면적을 측정해

야만 한다. 만일 Chl-a에 대한 채집계획이 있으면, 부표본을 하기 전까지는 샘플에 고정시

약을 넣으면 안 된다.

3) 부착조류 기질의 선택 및 채집법

가) 기질 선택

◦ 부착조류의 채집은 다양한 기질 (천연기질, 인공기질, 매질 내에 장치된 인공기질, 수생식

물 등)로부터 가능하나, 여러 가지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 채집의 기질의 공통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가장 대표적인 하나의 종류에서 수행한다.

◦ 부착조류 기질은 하천 내에서 가능한 가장 안정되고 견고한 자연 상태의 기질 (호박돌,

조약돌 등, 지름 10 cm 정도)을 선택한다.

◦ 시료 수는 최소 3개 이상으로 한다.

◦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로 기질을 선택한다.

- 자연기질 (하상의 자갈)

-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견고한 기질 (예를 들면, 시멘트, 나무구조 등의 인공적 기질)

- 전술한 두 형태의 기질 선택이 부적절한 경우로서 식생 기질 (식물체 줄기나 잎)

- 그 외 모든 기질이 존재하지 않거나 특별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인공적인 하상 재질

◦ 물의 흐름에 의한 영향으로 이동하거나 불안정한 기질 (모래, 진흙 등)과 나무 등의 채집

은 피해야 한다.

나) 시료의 채집면적

◦ 표본의 채집면적은 약 100 cm2가 적당하다.

- 12 -

◦ 부착조류가 부족한 하천에서는 1,000 cm2에 근접하게 채집한다.

다) 표본채집법

(1) 자연 상태의 견고한 기질 위에서의 표본채집

◦ 표본채집은 가능한 가장 안정한 자연 상태의 단단한 기질, 즉, 상면이 편평한 돌을 선택하

여야 한다 (그림 1.2.2).

※ 선택된 1개 시료의 기질 상면의 면적은 100 cm2정도 (지름 10 cm 정도) 되는 것이 좋다.

만약 자갈의 상면이 100 cm2이상이 되지 않을 경우 여러 개의 자갈을 선택하여 그 면

적으로 채집하며, 채집한 자갈의 수는 관계가 없다. 기질의 특성과 수에 관계없이 규

조류는 항상 기질의 윗부분에서 채집한다.

<그림 1.2.2> 하상의 부착조류 기질 및 그 상태

(2) 인공기질을 이용한 표본채집

◦ 자연 상태의 단단한 기질이 없는 경우 채집은 교각, 보 (weir)와 같은 인공적으로 견고한

기질을 선택하고 약 30 cm 정도의 수심에서 채집한다.

Page 1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3 -

(3) 식물체 기질상의 표본채집

◦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기질이 없는 곳에서 시료 채집은 고등식물의 침수된 부위에서 수행

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 기질은 부착조류 이외의 식물체에 침적된 유기질 또는 무기질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서 가볍게 흔들어 세척한다. 이 때 부착조류가 탈리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부유식물 잎의 밑면 채집은 빛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4) 인공적인 하상토의 표본채집

◦ 단단한 기질 또는 식생으로 뒤덮인 모든 기질이 없을 경우 인공적인 하상토 위에서 채집을

할 수 있다 (그림 1.2.3). 하상토의 윗부분의 일정 면적을 교란되지 않도록 긁어내어 채집

한다. 단단한 인공적인 하상토는 정량적인 비교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독성 효과에 대

한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림 1.2.3> 하상토 위의 부착조류 성장모습 (흰 줄자 주변에 짙은 색으로 된

부분이 모래부착조류 (episamic algae)임)

기질 (substrate) type 채집기법 (collection technique)

제거 가능한 딱딱한 기질- 자갈류, 나무조각물에서 대표 기질을 제거, 솔 등으로 표면의 조류를 긁어 샘플병에 담는다.

제거 가능한 부드럽거나 연한 기질 - 이끼류,대형조류, 식물체 줄기, 잎 및 뿌리

약간의 물과 식물을 병, 통, 비닐봉지 등의 콘테이너에 넣은다음, 많이 흔들고 조류를 조심스럽게 긁어낸다. 샘플 콘테이너에서 식물은 제거한다.

제거 불가능한 큰 기질 - 바위, 큰 돌, 기반암,나무덩어리, 큰 나무 등

밀착이 가능한 칼라가 붙어있는 PVC 파이프를 기질에 대하여 밀봉이 되도록 기질 한쪽 끝에 위치시킨다. 파이프에 있는 조류를 칫솔, 손톱브하천에서 부착조류 채집기법의 요약러시, 스크래퍼 등을 이용해서 제거한다. 파이프에 있는 조류를 피펫으로 이용하여 제거한다.

연한 퇴적층 - 모래, 실트, 미세유기물, 진흙

퇴적물위에 페트리디쉬를 뒤집는다. 시약스푼 등을 이용해퇴적물을 담는다. 하천으로부터 퇴적물을 제거하고 샘플콘테이너에 씻어 넣는다. 조류 샘플은 퇴적물이 가라 않으면 스푼, 핀셋 피펫 등으로 채집한다.

주) 출처: Kentucky DEP (1993), Bahls (1993)

<표 1.2.2> 하천에서 부착조류 채집기법의 요약

- 14 -

(5) 현장에서 시료의 전처리

◦ 현장에서 부착조류의 채집은 칫솔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기질의 일정면적으로부터 긁어내어

시료병에 담는다. 이때 채집된 부착조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처리가 필요하다.

※ 채집한 시료를 매스실린더에 담아 일정한 양 (예: 100 mL)으로 맞춘다. 이 중에서 생물량

(biomass)과 Chlorophyll-a 농도를 분석하기 위한 시료는 냉장 상태 (4℃ 수준)로

유지하여 실험실로 운반하고, 종조성 검경 및 세포밀도 관찰을 위한 시료는

현장에서 Lugol’s 용액 또는 중성 포르말린으로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포르말린

(10%, 최종농도)을 이용하지만 이 농도는 부착조류와 함께 채집된 유기물 양의 정도에

따라 가감되어야 한다.

라) 인공기질을 이용한 야외 채집방법

◦ 대부분의 모니터링을 하는 연구자는 자연기질에서 채집을 하고자 한다. 또한 가능한 필드

에서의 시간을 줄이고 정보의 생태학적 적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야외에 놓아

두고 일정기간 이상 조류가 착생하여 성장한 인공기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건

너기 어려운 대하천이나 얕지만 여울이 없는 강, 늪지, 정수서식지의 연안 등에서 특히 유

용하다.

◦ 자연기질과 인공기질은 그들이 가지는 장단점에 따라 모니터링과 수계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Stevenson and Lowe, 1986; Aloi, 1990). 비록 유리 슬라이드 (예: 슬라이

드 글라스)들이 많이 이용되지만, 이 외의 여러 가지의 인공기질을 이용할 수 있다 (투명

아크릴, clay pot, 벽돌 등).

◦ 배양기간은 2~4주가 적당하며, 그 기간 내에서 배양기간은 수중의 영양상태나 환경조건

에 따라 다르게 선정할 수 있다.

◦ 인공기질에서의 부착조류 채집법과 그 외 관련된 전처리, 분석 등의 과정은 자연기질을

이용할 때와 동일하다. 인공기질을 사용할 때 특히 주의할 것은 기질들을 잃어버리지 않

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Page 1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5 -

마) 야외에서의 정도관리 (Quality Control, QC)

◦ 주어진 장소에서 채집이 끝나면, 모든 브러쉬, suction 및 scraping 도구 등의 샘플과 닿았

던 것들은 깨끗이 닦고 증류수로 씻는다. 이러한 장비는 또 다시 다음 채집장소에서 이용

할 수 있으며, 필요하면 다시 씻는다.

◦ 채집이후에 모든 과정과 결과를 정확하고 완벽하게 하기 위해 모든 라벨과 양식의 기재된

정보를 확인한다.

◦ 본 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샘플링 기법, 샘플분석 그리고 분류학적인 부분의 재현성과

정도를 미리 평가할 수 있으면 좋다. 이 경우 전체 채집 샘플의 약 10% 정도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마. 실험실 분석

1) 부착조류 생물량 측정

가) 생물량 측정의 개요

◦ 부착조류 생물량 측정은 많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수행되는 부분이며, 영양염이 풍부한

환경이나 독성시험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경우 저서성 조

류의 샘플링은 영양염의 문제와 피해를 주는 조류성장 가능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최대생

물량을 간과한다 (Biggs, 1996; Stevenson, 1996).

◦ 생물량은 자연 또는 인공기질에서 채집된 샘플에서 측정할 수 있다. Chlorophyll-a,

ash-free dry matter (AFDM), 세포밀도, 세포의 생체적을 포함하는 부착조류 생물량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기질의 면적 (m2)을 반드시 구해야 한다. 부착조류 생물량은 보통

단위 면적당 Chlorophyll-a, AFDM로 평가한다 (Stevenson, 1996).

◦ 조류의 높은 생물량은 해당 수체의 영양상태를 나타낼 수 있지만, 또한 오랜 기간 안정화

된 흐름이 지배하는 생산성이 높지 않은 곳에서는 퇴적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다. 낮은

조류 생물량은 독성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지만, 폭우나 홍수 및 포식자에 의한 자연적인

섭식 때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물량 결과에 대한 해석은 애매하며 빠른 생물학

- 16 -

적 평가 프로그램에서 조류 생물량의 정량화에 대해 그 동안 강조되어 오지 못한 이유가

될 수도 있다.

◦ 그러나 근거가 충분할 경우, 일정량 이상의 조류생물량 (예를 들면, cm2당 10 μg Chl-a

이상, cm2당 5 mg AFDM 이상, 대형조류에 의해 40% 이상의 덮임)은 영양염이나 유기

물질이 풍부함을 나타낸다 (Biggs, 1996).

◦ 만약 생물량에 대한 반복적인 측정이 이루어진다면, 저서성 Chl-a의 평균과 최대값은 하

천 내의 영양 상태를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 Dodds 등 (1998)은 빈영양-중영양 경계의 Chl-a는 평균 2 μg/cm2, 최대값은 7 μg/cm

2이

며, 중영양-부영양 경계의 Chl-a는 평균 6 μg/cm2, 최대값은 20 μg/cm

2이라고 제안하였다.

나) 부착조류 분석을 위한 실험실 장비

◦ 10∼15배의 대안렌즈와 20배, 40배, 100배 (이멀젼 오일 사용) 대물렌즈를 장착한 현미경

◦ 혈구계수기 (Hemocytometer)

◦ Sedgwick-Rafter Chamber

◦ 현미경 슬라이드 및 커버글라스

◦ immersion oil, 렌즈 paper, 티슈

◦ 조직분쇄기 또는 믹서

◦ 핀셋

◦ 전기열판 (hot plate)

◦ fume hood

◦ 증류수병

◦ 산화제 (HNO3, H2SO4, K2Cr2O7, H2O2)

◦ 200∼500 mL 비이커

◦ 눈보호 안경, 실험실 가운

◦ 건조기 (AFDM)

◦ 회분기 (AFDM)

◦ aluminum weighing pans (AFDM)

◦ spectrophotometer 또는 fluorometer (Chl-a)

◦ 원심분리기 (Chl-a)

Page 1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7 -

◦ 원심분리관 (Chl-a)

◦ 아세톤 (Chl-a)

◦ MgCO3 (Chl-a)

다) Chlorophyll-a 측정법

◦ Chlorophyll-a는 전체 조류생물량의 0.5~2.0%의 범위이며 (APHA, 1995), 조류의 종류, 빛

과 영양염에 따라 비율이 변화한다. Chlorophyll-a 분석방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환

경부, 2008) 혹은 Standard methods (APHA, 1995, USEPA, 1992)를 따른다. 이 분석은

비교적 단순하고 아래와 같은 원칙으로 크게 구성된다.

- Chlorophyll-a을 아세톤 (90%)으로 추출하여 24시간 냉장보관

- 상등액을 추출하여 spectrophotometer 또는 fluorometer로 농도 측정

- 측정한 시료의 엽록소 농도로 기질 내 엽록소 농도를 계산

라) Ash-Free Dry Matter (AFDM)

◦ Ash-free dry matter (이하 AFDM) 분석은 조류의 유기물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유기물

은 세균, 곰팡이, 작은 동물류 및 부식질의 생물량을 포함한다. 이 분석에 대한 자세한 내

용은 Standard methods (APHA, 1995; USEPA, 1995)를 따른다. AFDM 분석은 비교적

단순하며 샘플 내의 유기물을 말리고 태워서 그 전후의 유기물 양의 차이를 측정한다.

◦ 시료가 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부착조류 생물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건중량보다는

AFDM을 측정한다.

2) 시료의 준비

◦ 부착조류의 생물분석을 위해 현장에서 채집한 기질을 현장 혹은 실험실에서 부착조류를

긁어내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일정한 부피로 정량한다.

◦ 기질 (돌)에서 이용할 부분을 일정면적의 방형구로 덮은 후 방형구 주변을 솔로 긁고 증류

수로 씻어 제거한 다음, 필요한 면적을 솔로 긁어 부착조류 시료를 용기에 담는다. 시료는

일정한 양만큼을 덜어내어 이용하고 남은 시료는 냉동고에 보관한다 (그림 1.2.4, 1.2.5).

- 18 -

<그림 1.2.4> 부착조류 시료준비 과정

<그림 1.2.5> 부착조류 분석을 위한 시료준비 및 전처리 과정

Page 2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9 -

가) 시료의 산 (acid) 처리

(1) 질산 (HNO3) 세척법 (※ 반드시 후드 내에서 실시)

(가) 보존된 부착조류 시료 5~10 mL을 유리 비이커에 넣는다.

(나) 강력한 발열반응이 일어나도록 농축 질산을 충분히 첨가한다. 대개 부착조류 시료 양

과 산의 양이 같으면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 주의: 부착조류 시료에 산을 가하면 격렬한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후드, 보호안경, 보호

복 (실험가운)을 착용해야 한다. Overflow가 발생하여 오염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각각의 부착조류 시료 비이커는 적어도 10 cm 이상 떨어뜨려 놓아야 한다.

(다) 산을 첨가한 부착조류 시료는 최소 5시간 이상 산화시킨다.

(라) 비이커에 증류수를 가득 채운다.

(마) 비이커의 물 cm 당 1 시간 정도 기다린다 (예: 5 cm 인 경우 5시간 방치).

(바) 사이펀으로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증류수를 채운다. 가벼운 조류가 빨려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이펀은 가운데는 피하고 비이커 가장자리 쪽이나 물의 표면에서 실시한

다.

(사) 모든 색깔이 없어질 때까지 (라)~(바) 과정을 반복하면, 부착조류 시료는 점차 깨끗해

지거나 또는 중성의 pH를 갖는다. 깨끗한 색이 나온 부착조류시료로 표본 (슬라이드)을

제작한다.

(2) Hydrogen Peroxide/Potassium Dichromate 산화법

(가) 위의 (가) 과정처럼 부착조류 시료를 준비하고, 농축된 산 대신에 H2O2 (50%)를 사용

한다.

(나) 샘플을 밤새 산화시킨 후 중크롬산칼륨을 첨가한다.

- 20 -

※ 주의: 이 방법은 격렬한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후두와 보호안경, 보호의류를 착용해야

한다. Overflow로 발생될 수 있는 오염을 막기 위해 샘플 비이커는 10 cm 이상 떨어

뜨린다.

(다) 샘플의 색이 자주색에서 노랑으로 바뀌고 끓는 것이 멈추면, 비이커에 증류수를 채운다.

(라) 4시간 기다려서, 사이펀으로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증류수를 채운다.

(마) 사이펀으로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증류수를 채운다. 가벼운 조류가 빨려드는 것을 피

하기 위해 사이펀은 가운데는 피하고 비이커 가장자리 쪽이나 물의 표면에서 실시한다.

(바) 깨끗한 색이 나올 때 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깨끗한 색이 나온 샘플은 표본 (슬

라이드)을 제작한다 (슬라이드 제작은 아래 참조).

(3) Permanganate 법

(가) 보존된 부착조류 시료 1~2 mL를 유리 시험관에 넣는다.

(나) 시료의 보관을 위해 넣은 Lugol’s 용액 또는 포르말린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를 15 mL

넣고 원심분리 시키고 상등액을 사이펀으로 제거한다.

(다) 원심분리된 시료에 철분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염산 1~2 mL를 넣고 반응시

킨 후 증류수로 3회 원심분리 시킨다.

(라) 원심분리 시킨 시료를 삼각플라스크에 옮긴 후 포화용액 KMnO4 10 mL와 황산 2 mL

를 넣고 거품이 생길 때까지 끓인다. 시료를 식힌 후 원심분리 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마) 시료에 H2O2 15 mL를 넣고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 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그리고

시료에 증류수를 15 mL를 넣고 3회 원심분리 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바) 응집방지를 위해 시료에 100% 암모니아 용액을 2 mL 넣고 원심분리 시켜 상등액을

제거한 후 증류수로 3회 원심분리 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다. 만약 암모니아 용액을 넣

어 노란색으로 변한다면 무색이 될 때까지 염산을 넣고 증류수로 3회 원심분리 시킨다.

Page 2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1 -

(사)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97% 에탄올로 2회 원심분리 시키고, 100% 에탄올로 1회 원심

분리 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적당량의 100% 에탄올을 넣고 시료와 혼합하여 보

존병에 옮겨 보관한다.

나) 검경 및 동정

(1) 슬라이드 제작법

◦ 이 과정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제작법으로 산화제를 이용하는 방법과 대체할 수 있다.

(가) 일단 기질에서 긁어내어 증류수로 일정량 정용된 시료를 교반한 후 정치 상태에서 내

용물 중 2 mL의 표본을 채취하고 실험용 튜브에 담는다.

(나)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8 mL를 첨가한 후 12시간을 기다린다.

- 이 기간은 모래를 포함하고 있는 용기 내에 뿌연 용액이 사라질 때까지 대략 10분 동안

가열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간헐적으로 생기는 탄산칼슘은 과산화수소의 처리 전과 후에

염산 몇 방울을 첨가함으로써 제거된다.

(다) 세정과 원심분리에 의한 과정에서 피각이 회수되며 연한 현탁액을 얻을 때까지 증류

수 내에 정치 상태로 둔다.

-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순수한 규조류 표본을 얻기 위하여 증류수를 이용하여 3~4회

세척을 반복한다. 세정은 10여 시간 정도 소요된다. 이때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

야 한다. 세정과정은 원심분리 (1,500 rpm/분)를 통해 단축될 수 있다.

(라) 얻어진 현탁액의 몇 방울을 채취하여 커버글라스 위에 놓고 약한 온도 (40℃ 이하)에

서 말린다. 특히 그 내부에서 규조류 피각들이 서로 엉켜서 응집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커버글라스는 굴절되지 않고 얇은 것을 사용한다.

(마) 평평한 판 위에서 강한 굴절률을 가진 액체로 된 봉입제 (1.7 이상의 강한 굴절지수를

가지고 있는 나프락스는 가장 많이 이용하는 봉입제이다)를 1~2 방울 정도 떨어뜨린다.

- 22 -

- 규조류의 피각에 봉입제가 스며들게 하기 위해서 미리 살짝 가온한 열판위에서 수행한

다. 슬라이드 위에 규조류의 피각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커버글라스를 약간 눌러준

다. 이 과정을 통해 슬라이드 위의 규조류 피각이 고르게 재분포 된다.

(바) 봉입제가 굳어지고 커버글라스가 다시 냉각되면 검경할 준비가 된 것이다. 슬라이드의

최상 보존을 위해 커버글라스의 가장자리는 에나멜 등의 밀봉제를 발라준다.

(2) 시료의 슬라이드 준비 및 계수 (counting)

◦ Palmer 계수기 (counting cell)는 soft-algae (규조류를 제외한 조류)의 종분류와 계수에

사용한다. Palmer counting cells에서는 정확한 규조류의 분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별

한 봉입 (mount) 방법으로 세척한 규조류를 계수한다.

(가) 소형 세포들의 계수 준비과정

◦ 샘플에 크기가 작은 조류가 많아 1,000배에서 관찰할 때는 간편한 wet mount 방법을 사

용한다. 현미경 하에서 초점을 맞추고 oil immersion을 사용할 때 커버글라스 밑에 물의

양이 적으면 세포들의 운동을 방해하게 된다. 적절히 밀봉하여 제작한 슬라이드들은 3∼4

일 정도 유지된다.

◦ 그러나 만일 시료 내의 조류 분류가 잘 알려져 있다면, 준비와 계수시간은 조류를 syrup

에 mounting 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syrup 내에서, soft algae와 규조류는 분류되지만, 규

조류의 형태학적인 해상도는 수지성분 (예: Naphrax®, Pleurax®)으로 봉입하여 계수한다.

① Wet mount 방법

◦ 커버글라스를 깨끗이 닦고 평평한 표면에 놓는다.

◦ 커버글라스 위에 algal suspension 1 mL를 피펫팅한다

◦ 커버글라스 위에서 algal suspension을 건조시킨다. 물의 증발은 slide-warmer에서는 빠르

고 vapor chamber에서는 느려진다 (간단하게는 cake pan 또는 aluminum foil hood에 샘

플을 놓아둠).

Page 2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3 -

◦ algal suspension의 건조가 끝나자마자, 0.02 mL의 증류수를 슬라이드에 떨어뜨리고 커버

글라스를 슬라이드에 덮는다.

◦ 투명한 손톱 메니큐어로 슬라이드 밑의 물을 밀봉한다.

(나) 대형세포들의 계수 준비과정

◦ Sedgewick-Rafter counting chamber는 시료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1.0 mL의 well을

가진 변형된 큰 슬라이드이다.

◦ Sedgewick-Rafter counting chamber에서 cell의 카운팅은 보통 Palmer cells 또는 wet

mounts로 계수한 이후에 실시한다.

◦ 시료에 대한 keeping track (횡 혹은 종의 일정 섹타)을 관찰하는 동안, 200배 또는 100배의

배율하의 counting cell에서 크기가 큰 조류를 계수하고 분류한다.

① 시럽 마운트 (Syrup mount) 방법

◦ 30 mL의 깨끗한 옥수수 syrup (예, Karo’s® Corn Syrup)와 7 mL 포름알데히드, 63 mL

의 증류수를 섞어 Taft’s syrup medium (TSM)을 준비한다. 100% TSM의 10 mL와 증류

수 90 mL를 혼합하여 10% TSM을 만든다.

◦ 커버글라스 위에 0.2 mL 10% TSM을 떨어뜨린다.

◦ 조류시료 1.0 mL를 커버글라스 위에 떨어뜨린다 (사용된 희석액 고려).

- 24시간동안 말린다. 또는 slide warmer에서 말린다. 너무 오래 말리거나 또는 세포에서

원형질분리가 일어날 때까지 말리지는 않아야 한다.

◦ 다른 커버글라스를 준비하고 그 위에 1.0 mL 10% TSM을 놓고 말린다 (밤새 또는 4시간

을 slide warmer 위에서 말린다. 원래의 TSM 층의 재부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빨리 처리

한다).

◦ 커버글라스를 슬라이드에 놓은 다음 슬라이드를 열판에 놓고 슬라이드와 시럽을 덥힌다.

- 24 -

끓지 않게 하고 덥히기만 한다. Syrup이 커버글라스에 고루 퍼지게 주의하면서 핀셋을 이

용하여 커버글라스를 가볍게 누른다. 이때 syrup이 커버글라스에 고루 퍼지게 한다.

◦ 열판에서 슬라이드를 들어내고 냉각시킨다.

- 냉각되면서 슬라이드위의 커버글라스가 밀봉된다.

- 슬라이드 아래의 시럽을 좀 더 영구히 밀봉하려면 커버글라스 주변을 투명 메니큐어로

밀봉한다.

※ 주의: 엽록소의 색깔을 보전하기 위해 샘플을 암소에 보관하다.

※ 특별주의: 만일 슬라이드를 따뜻한 곳에 저장하면, syrup이 점성을 잃어 점액질을 분비하

게 된다. 조류와 TSM이 커버글라스 아래로 흘러나와서 오염될 수도 있다. 슬

라이드는 평평한 곳에서 보관한다.

다) 동정

◦ 얇은 커버글라스 면을 현미경 대물렌즈 위에 위치시키고 U자형으로 이동하는 방법에 따

라 수행한다. 이것은 동일한 부분을 다시 돌아와 동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다.

◦ 부착조류 동정을 위한 참고문헌은 <표 1.2.3>에 제시하였으며, 부착조류 대상 종은 <부록

1.2.1>에 제시하였다.

제목 저자 출처 발행년도 비고

한국산 돌말류 (석조류)의 연구

I. 분류체계와 분류계급의 한국명화이 등

한국조류

학회지

10:1-11

1995부착조류

분류체계 참고

한국산 돌말류 (석조류)의 분류체계

연구 II. 출현목록이 등

한국조류

학회지

10:13-77

1995국내 부착조류

출현목록 참고

Subwasserflora von Mitteleuropa

Bacillariophyceae

K. Krammer and H.

Lange-BertalotElsevier 1997

부착조류 분류

참고문헌

http://diatom.acnatsci.org/AlgaeImage/부착조류 image

참고 website

http://keisou.hp.infoseek.co.jp/index. html부착조류 image

참고 website

http://www.itis.gov/부착조류 image

참고 website

<표 1.2.3> 부착조류 분류군별 기준 문헌

Page 2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5 -

라) 정도관리 (Quality control)

◦ 모든 시료와 규조류 슬라이드의 채집의 증거를 유지한다. 정확하게 라벨링하고, 고정하여

나중의 참고를 위해서 보관한다. 규조류 슬라이드 표본은 위치를 정확히 하기위해 다이아

몬드 또는 유성잉크 마커를 이용하여 명기한다. 표본에 대한 기록을 유지한다. 표본의 사

진을 통해 실험실 내 QA를 향상시킨다.

◦ 모든 샘플의 충분한 정도관리를 위해 몇 개의 wet mount 반복 샘플 내의 상대풍부도와

종풍부도를 평가한다.

◦ 만약 가능하면 QA/QC 시료들은 분류학적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른 분류학자에 동정

을 의뢰한다.

◦ 공통적인 주요 조류 종들은 동일한 지점의 시료로 만든 두 개 wet mount 시료에서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하며, 두 개의 반복 규조류 슬라이드 표본에서 75%를 초과하여야 한다.

◦ 만일 QA/QC 시료에 대해 다른 분류학자를 구하기 어려우면, wet mounts와 규조류 슬라

이드의 분류학인 결과를 확인하고 주기적인 spot-check를 위해 외부 분류학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Wet mount의 모든 일반 속과 규조류 슬라이드의 모든 주요종 (상대 풍부도

3% 이상)은 두 분석자에 의해 비슷하게 분류되어야 한다. 분류에 대한 차이점은 토의해야

하고 필요에 의해 수정해야한다.

◦ 기본적인 분류학적 참고문헌을 통해 조류를 분석할 때 도움을 받아야 하고, 필요하다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

- 26 -

3. 평가지침

가. 부착조류 생물지수 (영양염지수, TDI: Trophic Diatom Index)

※ 우리나라의 부착조류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

1) TDI 계산법

◦ 영양염지수는 각 지점에서 출현한 종의 상대밀도, 종의 오염민감도, 종의 출현도에 따른

지표값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TDI = (WMS × 25) - 25

WMS : 가중평균민감도 (weighted mean sensitivity)

WMS = ∑Aj·Sj·Vj / ∑Aj·Vj

Aj : abundance (propotion) of species in sample

(표본 내 종의 상대풍부도, %)

Sj : pollution sensitivity (1≤S≤5) of species

(종의 오염 민감도, 1~5 범위)

Vj : indicator value (1≤V≤3)

(종의 지표값, 1~3 범위)

◦ 현장 시료를 이용하여 영구표본을 제작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방법에 따라 종 수

준의 분류군별로 최소한 총 200개 이상은 계수한다 (Kelly and Withon, 1995).

◦ 계수한 결과 (a)를 이용하여 각 분류군이 지니는 규조류 영양지수 (TDI)에 대한 민감도값

(s, sensitivities values)과 지표값 (v, indicator values)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동시에 수질

오염에 대한 내성종과 그 계수한 값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2) TDI 계산 예

◦ 해당 하천지점에서 검경 및 계수된 부착조류 종의 목록과 각각에 대한 밀도 (count) (혹은

전체에 대한 %) <표 1.2.4>를 <표 1.2.5>의 민감도와 지표값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

한다.

Page 2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7 -

◦ 아래의 표를 이용하여 다음의 TDI 계산식에서 가중평균민감도를 산정한 후에 이를 이용

하여 최종 TDI를 계산한다.

WMS = ∑asv/∑av = 1,672/420 = 3.98

TDI = (3.98 × 25) - 25 = 74.52

Taxon Count (a)*

s v asv av Tolerant

Achnanthes lanceolata 4 5 2 40 8 ․

Achnanthes minutissima 8 2 2 32 16 ․

Amphora pediculus 23 5 2 230 46 ․

Cocconeis placentula 54 3 2 324 108 ․

Cocconeis pediculus 38 4 2 304 76 ․

Ctenophora pulchella 1 3 2 6 2 ․

Ctenophora spp. 1 2 1 2 1 ․

Cyclotella meneghiniana 34 5 1 170 34 ․

Cymbella silesiaca 1 3 2 6 2 ․

Diatoma moniliformis 4 2 1 8 4 ․

Diatoma vulgare 3 5 3 45 9 ․

Gomphonema olivaceum 1 5 2 10 2 ․

Gomphonema parvulum 4 5 3 60 12 ○

Nitzschia amphibia 1 4 3 12 3 ․

Navicula cryptotenella 2 5 2 20 4 ․

Nitzschia dissipata 7 4 2 56 14 ․

Navicula gregaria 5 5 1 25 5 ○

Nitzschia incospicua 10 4 1 40 10 ○

Navicula lanceolata 11 5 2 110 22 ○

Navicula minima 1 5 1 5 1 ○

Navicula muralis 1 5 1 5 1 ○

Navicula tripunctata 1 4 2 8 2 ․

Reimeria sinuata 7 4 3 84 21 ․

Rhoicosphenia abbreviata 15 4 1 60 15 ․

Stauroneis alpina 1 5 2 10 2 ․

Total 237 1,672 420 32

<표 1.2.4> 사례 지역에서 분석한 부착조류의 상대 밀도 및 부착조류 종들의 민감도 (s: sensitivities) 및

지표값 (v: indicator values)의 계산

주) * count 값은 전체의 밀도에 대한 부분 (%)을 이용할 수도 있다.

- 28 -

Taxon s v Comment

Achnanthoceras 0 0 Moved from Atteya (plankton)

Achnanthes (Achnanthidium) lanceolata-type 5 2 Includes A. rostrata, A. calcar, etc.

Achnanthes (Achnanthidium) minutissima-type 2 2 Includes A. microcephala, A. biasolettiana

Achnaathes (other) 3 1 Including other Achnanthidium spp.

Achnanthidium ․ ․ See Achnanthes spp.

Amphipleura 1 3

Amphora pediculus 5 2

Amphora (other) 5 1

Anomoeoneis 4 1 *

Asterionella 0 0 Plankton

Attheya 4 1 See Achnanthoceras

Aulacoseira 0 0 Plankton

Brachysira 1 3

Caloneis 3 1

Ceratoneis ․ ․ See Hannaea

Chaetoceras 0 0 Plankton

Cocconeis pediculus 4 2

Cocconeis placentula 3 2

Cocconeis (other) 2 2

Ctenophora pulchella 2 1 Formerly Synedra pulchella

Cyclostephanos 0 0 Plankton

Cyclotella 0 0 Plankton

Cymatopleura 4 1

Cymbella affinis 1 3

Cymbella delicatula 1 3

Cymbella microcephala 1 1

Cymbella (large forms) 4 2 Nominally >70 μm, Includes C. caespitosa, C. lanceolata*

Cymbella (other) 2 1 Includes Encyonema spp.

Denticula tenuis 2 2 Other Denticula spp. are halophilous

Diatoma tenue 2 2 *

Diatoma vulgare 5 3

Diatoma (other) 2 1

Didymosphenia geminata 2 3

Diploneis 1 1

Ellerbeckia arenaria 4 2

Encyonema minutum/silesiacum 3 2 *

Encyonema (other) ․ ․ See Cymbella (other)

Epithemia 1 2

Eucocconeis 3 1

Eunotia 1 3

Fragilaria capucina 2 2

Fragilaria crotonensis 0 0 Plankton

Fragilaria vaucheriae 3 2

Fragilaria (other) 2 1 Including Staurosira

Frustulia 1 2

Gomphocymbella 2 1

Gomphoneis ․ ․ Gomphonema-other

Gomphonema angustatum 1 2

Gomphonema olivaceoides 2 3

Gomphonema olivaceum 5 2

Gomphonema parvulum 5 3 Organic pollution-tolerant

<표 1.2.5> 영양염지수 (TDI)에 사용된 부착조류 종들의 민감도 (s: sensitivities) 및 지표값 (v: indicator

values)

Page 2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9 -

<표 1.2.5> 영양염지수 (TDI)에 사용된 부착조류 종들의 민감도 (s: sensitivities) 및 지표값 (v: indicator

values) (계속)

Taxon s v Comment

Gomphonema (other) 3 1

Gyrosigma 5 2

Hannaea arcus 1 3

Hantzschia 5 1

Martyana 5 2 Formerly freshwater species of Opephora

Melosira varians 4 2

Meridion circulare 2 3

Navicula cryptotenella-type 5 2 Includes N. menisculus, N. reichardtiana

Navicula gregaria 5 1 Organic pollution-tolerant

Navicula lanceolata 5 2 Organic pollution-tolerant

Navicula tripunctata 4 2

Navicula (other) 4 1 Excluding small species (see below). Including related genera suchas Luticola, Cavinula, etc.

Navicula (small species) 5 1 Nominally <12 μm. Including small species of Sellaphora, Diadesmisand related genera. Organic pollution-tolerant

Neidium 2 3

Nitzschia acicularis 4 1 *

Nitzschia amphibia 5 3 *

Nitzschia dissipata 5 2 *

Nitzschia pusilla 4 2

Nitzschia section Sigmoideae 4 2 Generally large (>100 μm) forms *

Nitzschia (other) 4 1 Includes N. palea plus Tryblionella and Psammodictyon. Organicpollution-tolerant

Opephora ․ ․ See Martyana

Peronia fibula 1 3 *

Pinnularia 1 3

Pseudostaurosira brevistriata 2 2

Psammodictyon ․ ․ See Nitzschia (other)

Punctastriata 4 1 *

Reimeria sinuata 4 3

Rhizosolenia 4 1 See Urosolenia

Rhoicosphenia abbreviata 5 1 R. curvata *

Rhopalodia 1 1

Sellaphora ․ ․ Included with small Navicula

Semiobis 1 3 *

Skeletonema 0 0 Plankton

Stauroneis 5 2

Staurosirella 4 1

Stenopterobia 1 1

Stephanodiscus 0 0 Plankton

Surirella 3 1

Synedra ulna 3 1 = Frgilaria ulna

Synedra (other) 4 1

Tabellaria fenestrata 0 0 Plankton

Tabellaria (other) 2 3

Tabularia 5 2 *

Tetracyclus 1 1

Thalassiosira 0 0 Plankton

Tryblionella ․ ․ See Nitzschia (other)

Urosolenia 0 0 Plankton

(주) 우점플랑크톤 분류군 및 그들의 유기물 내성정도도 포함첨가 되었음.

(*) Kelly and Whitton (1995)에 의해 제시된 값 이후에 보완된 내용.

- 30 -

3) 생물학적 평가지수에 의한 등급구분

◦ 하천환경의 질에 대한 구분은 해당지역이나 국가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구분한

다. 본 부착조류 평가등급은 4단계로 구분한다. 4등급의 구분은 “A”, “B”, “C”, “D” 이며,

각각의 등급은 최적, 양호, 보통, 불량의 환경상태로 규정한다.

4) TDI 값에 의한 평가

◦ 해당 하천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만든 표본 (슬라이드 샘플)에서 계수된 규조류의

상대빈도와 해당종의 오염민감도 및 지표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영양염지수 (TDI)의 점수를

<표 1.2.6>에 의거하여 등급을 구분한다.

등급구분 환경상태영양염지수 범위

(TDI)지표생물군

A 최적 0~40Achnanthes minutissima, Cymbella minut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B 양호 40~55 Achnanthes convergens, Synedra ulna, Nitzschia dissipata

C 보통 55~70 Navicula pupula, Navicula viridula, Nitzschia inconspicua

D 불량 70~100 Navicula saprophila, Gomphonema parvulum, Nitzschia palea

<표 1.2.6> 부착조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Page 2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1 -

나. 정성적 평가방법

1) 하상 부착조류 발달상태

◦ 부착조류의 서식환경은 하상이며 주로 돌에 부착하는 상태로 보여진다. 따라서 하상의 부

착조류 발달 상태에 따라 질적인 구분이 가능하다.

◦ 부착조류 서식지의 상태에 따라 정성적인 환경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을 <그림 1.2.6>에

따른다.

A B C D

<그림 1.2.6> 하상의 부착조류 발달 상태에 따른 환경질 평가체계

2) 지표종

◦ 부착조류는 광범위한 오염구배에 대한 내성이 크고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생물지표종으로서의 활용성이 크다.

◦ 다만 생물지표종 이용의 문제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이들의 내성이 나타나므로 단순한

존재의 유무를 가지고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32 -

<그림 1.2.7> 부착조류 지표종

□ 최적 (A등급)

Achnanthes minutissim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minuta

□ 양호 (B등급)

Achnanthes convergens Nitzschia dissipata Synedra ulna

□ 보통 (C등급)

Navicula pupula Navicula viridula Nitzschia inconspicua

□ 불량 (D등급)

Gomphonema parvulum Nitzschia palea Navicula saprophila

Page 2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3 -

Order Centrales

Suborder Coscinodiscineae

Family Thalassiosiraceae

Aulacoseira alpigena

Aulacoseira ambigua

Aulacoseira distans

Aulacoseira distans var. alpigena

Aulacoseira granulata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ulacoseira granulata var. italica

Aulacoseira italica

Aulacoseira (other)

Coscinodiscus (other)

Cyclostephanos dubius

Cyclostephanos invisitatus

Cyclostephanos rotula

Cyclotella asterocostata

Cyclotella atomus

Cyclotella cistula

Cyclotella cocellata

Cyclotella comta

Cyclotella cryptica

Cyclotella meneghiniana

Cyclotella ocellata

Cyclotella pseudostelligera

Cyclotella radiosa

Cyclotella socialis

Cyclotella stelligera

Cyclotella woltereckii

Cyclotella (other)

Stephanodiscus alpinus

Stephanodiscus hantzschii

Stephanodiscus invisitatus

Stephanodiscus (other)

Thalassiosira bramaputrae

Thalassiosira weissflogii

Thalassiosira (other)

Family Melosiraceae

Melosira nummuloides

Melosira varians

Melosira (other)

Hydrosera whampoensis

Pleurosira laevis

Stephanopyxis (other)

Family Hemidiscaceae

Actinocyclus normanii

Suborder Rhizosoleniineae

Family chaetoceraceae

Order Pennales

Suborder Araphidineae

Family Fragilariaceae

Asterionella formosa

부록 1.2.1. 부착조류 종 목록

- 34 -

Diatoma hiemale var. quadratum

Diatoma mesodon

Diatoma moniliformis

Diatoma tenuis

Diatoma vulgaris

Diatoma vulgaris var. brevis

Diatoma (other)

Fragilaria arcus

Fragilaria arcus var. recta

Fragilaria berolinensis

Fragilaria bidens

Fragilaria brevistriata var. inflata

Fragilaria capitata

Fragilaria capitellata

Fragilaria capucina

Fragilaria capucina var. capitellata

Fragilaria capucina var. fragilarioides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e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

Fragilaria capucina var. mesolepta

Fragilaria capucina var. rumpens

Fragilaria capucina var. vaucheriae

Fragilaria construens

Fragilaria construens f. binodis

Fragilaria construens f. venter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delicatissima

Fragilaria elliptica

Fragilaria exigua

Fragilaria famelica

Fragilaria imtermedia

Fragilaria linearis

Fragilaria nanana

Fragilaria perminuta

Fragilaria pinnata

Fragilaria pinnata var. intercedens

Fragilaria pinnata var. lancettula

Fragilaria robusta

Fragilaria rumpens

Fragilaria rumpens var. familiaris

Fragilaria rumpens var. fragilarioides

Fragilaria tenera

Fragilaria vaucheriae

Fragilaria vaucheriae var. capitellata

Fragilaria vaucheriae var. parvula

Fragilaria (other)

Hannaea arcus

Hannaea arcus var. amphioxys

Hannaea arcus var. constrictum

Hannaea arcus var. recta

Hannaea arcus var. subarcus

Meridion circulare

Meridion circulare var. constrictum

Opephora (other)

Punctastriata linearis

Page 2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5 -

Synedra acus

Synedra acus var. acula

Synedra acus var. angustissima

Synedra acus var. ostenfoldii

Synedra fasciculata

Synedra fasciculata var. truncate

Synedra inaequalis

Synedra lanceolata

Synedra pulchella

Synedra ulna

Synedra ulna var. acus

Synedra ulna var. angustissima

Synedra ulna var. contracta

Synedra ulna var. oxyrhynchus

Synedra ulna var. ramesi

Synedra (other)

Tabellaria fenestrata

Tabellaria flocculosa

Tabellaria ventricosa

Tabellaria (other)

Tabularia fasciculata

Suborder Raphidineae

Family Eunotiaceae

Actinella brasiliensis

Eunotia arcus

Eunotia bilunaris

Eunotia bilunaris var. linearis

Eunotia curvata

Eunotia exigua

Eunotia flexuosa

Eunotia formica

Eunotia glacialis

Eunotia incisa

Eunotia intermedia

Eunotia lapponica

Eunotia minor

Eunotia monodon var. bidens

Eunotia muscicola

Eunotia muscicola var. tridentula

Eunotia paludosa

Eunotia pectinalis

Eunotia pectinalis var. minor

Eunotia veneris

Eunotia (other)

Family Achnanthaceae

Achnanthes adnata

Achnanthes alteragracillima

Achnanthes amoena

Achnanthes biasolettiana

Achnanthes biasolettiana var. subatomus

Achnanthes biasolettiana var. thienemannii

Achnanthes bioretii

Achnanthes brevipes

Achnanthes catenata

Achnanthes clevei

- 36 -

Achnanthes clevei var. rostrata

Achnanthes coarctata

Achnanthes confervacea

Achnanthes conspicua

Achnanthes convergens

Achnanthes crenulata

Achnanthes cryptotenella

Achnanthes daui

Achnanthes delicatula

Achnanthes delicatula ssp. engelbrechtii

Achnanthes exigua

Achnanthes exigua var. elliptica

Achnantehs expressa

Achnanthes helvetica

Achnanthes hungarica

Achnanthes imperfecta

Achnanthes impexa

Achnanthes inflata

Achnanthes japonica

Achnanthes kolbei

Achnanthes laevis

Achnanthes lanceolata

Achnanthes lanceolata spp. dubia

Achnanthes lanceolata spp. frequentissima

Achnanthes lanceolata spp. robusta

Achnanthes lanceolata spp. rostrata

Achnanthes lapidosa

Achnanthes laterostrata

Achnanthes linearis

Achnanthes longipes

Achnanthes lutheri

Achnanthes microcephala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minutissima var. gracillima

Achnanthes minutissima var. inconspicua

Achnanthes minutissima var. jackii

Achnanthes minutissima var. saprophila

Achnanthes minutissima var. scotica

Achnanthes montana

Achnanthes oblongella

Achnanthes parvula

Achnanthes petersenii

Achnanthes psedoswarzi

Achnanthes pusilla

Achnanthes rupestoides

Achnanthes saccula

Achnanthes septentrionalis

Achnanthes silvahercynia

Achnanthes subatomoides

Achnanthes subhudsonis

Achnanthes subhudsonis var. kraeuselii

Achnanthes subsalsa

Achnanthes (other)

Cocconeis fluviatilis

Cocconeis pediculus

Page 2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7 -

Cocconeis placentula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occoneis scutellum

Cocconeis silicula

Cocconeis stauroneiformis

Cocconeis (other)

Family Naviculaceae

Amphipleura pellucida

Amphora angusta

Amphora coffeaeformis

Amphora copulata

Amphora inariensis

Amphora libyca

Amphora montana

Amphora ovalis

Amphora pediculus

Amphora strigosa

Amphora veneta

Amphora (other)

Anomoeoneis gomphonemacea

Anomoeoneis vitrea

Caloneis bacillum

Caloneis molaris

Caloneis silicula

Caloneis silicula var. truncatula

Caloneis (other)

Cymbella affinis

Cymbella amphicephala

Cymbella amphioxys

Cymbella aspera

Cymbella cistula

Cymbella cuspidata

Cymbella cymbiformis

Cymbella delicatula

Cymbella elginensis

Cymbella excisa

Cymbella gracilis

Cymbella hauckii

Cymbella hungarica

Cymbella incurvatum

Cymbella japonica

Cymbella kappii

Cymbella lacustris

Cymbella laevis

Cymbella lanceolata

Cymbella lancettulum

Cymbella leptoceros

Cymbella linearis

Cymbella mesiana

Cymbella minuta

Cymbella minuta f. latens

Cymbella naviculiformis

Cymbella neogracile

Cymbella obscura

- 38 -

Cymbella prostrata

Cymbella proxima

Cymbella salinarum

Cymbella silesiaca

Cymbella sinuata

Cymbella sinuata var. tabellaria

Cymbella subaequalis

Cymbella subcuspidata

Cymbella subminutum

Cymbella tumida

Cymbella tumida var. gracilis

Cymbella tumidula

Cymbella turgidula

Cymbella turgidula var. nipponica

Cymbella (other)

Didymosphenia geminata

Didymosphenia siberica

Diploneis boldtiana

Diploneis finnica

Diploneis marginestriata

Diploneis oblongella

Diploneis ovalis

Diploneis parma

Diploneis subovalis

Diploneis (other)

Encyonema lancettulum

Encyonema leei

Encyonema minuta

Encyonema silesiacum

Encyonema subminutum

Encyonema (other)

Encyonopsis leei

Frustulia amphipleuroides

Frustulia rhomboides var. crassinervia

Frustulia vulgaris

Frustulia (other)

Gomphoneis olivaceum var. minutissimum

Gomphonema acuminatum

Gomphonema affine

Gomphonema angustatum

Gomphonema angustum

Gomphonema augur

Gomphonema augur var. gautieri

Gomphonema augur var. sphaerophorum

Gomphonema augur var. turris

Gomphonema bavaricum

Gomphonema brasiliense

Gomphonema christenseni

Gomphonema clavatum

Gomphonema clevei

Gomphonema dichotomum

Gomphonema entolejum

Gomphonema frustulum

Gomphonema globiferum

Gomphonema gracile

Page 3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9 -

Gomphonema helveticum

Gomphonema herculeana

Gomphonema inaequilongum

Gomphonema insigne

Gomphonema intricatum

Gomphonema intricatum var. vibrio

Gomphonema kobayashiae

Gomphonema langenula

Gomphonema manubrium

Gomphonema mexicanum

Gomphonema minutum

Gomphonema nipponicum

Gomphonema olivaceum

Gomphonema olivaceum var. olivaceoides

Gomphonema parvulum

Gomphonema parvulum var. exilissimum

Gomphonema parvulum var. pavulius

Gomphonema procerum

Gomphonema productum

Gomphonema pseudoaugur

Gomphonema pseudosphaerophorum

Gomphonema pseudotenellum

Gomphonema pumilum

Gomphonema pumilum var. rigidum

Gomphonema quadripunctatum

Gomphonema separtipunctatum

Gomphonema subclavatum

Gomphonema truncatum

Gomphonema undclata

Gomphonema utae

Gomphonema vibrio

Gomphonema vibrio var. bohemicum

Gomphonema vibrio var. pumilum

Gomphonema (other)

Gyrosigma acuminatum

Gyrosigma attenuatum

Gyrosigma obscurum

Gyrosigma parkerii

Gyrosigma procentrum

Gyrosigma pseudokuetzingii

Gyrosigma scalproides

Gyrosigma spencerii

Gyrosigma (other)

Navicula absoluta

Navicula accomoda

Navicula americana

Navicula amphiceropsis

Navicula angusta

Navicula antonii

Navicula arkona

Navicula atomus

Navicula bacillum

Navicula bahusiensis

Navicula bavaricum

Navicula capitata

- 40 -

Navicula capitata var. recens

Navicula capitatoradiata

Navicula cari

Navicula caterva

Navicula charlatii

Navicula cincta

Navicula clementioides

Navicula clementis

Navicula cocconeiformis

Navicula cohnii

Navicula concentrica

Navicula confervacea

Navicula constans var. symmetrica

Navicula contenta

Navicula contenta var. biceps

Navicula cryptocephala

Navicula cryptotenella

Navicula cuspidata

Navicula decussis

Navicula elginensis

Navicula elginensis var. cuneata

Navicula erifuga

Navicula exigua

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goeppertiana var. monita

Navicula graciloides

Navicula gregaria

Navicula halinae

Navicula hasta

Navicula hasta var. gracilis

Navicula intermedia

Navicula joubaudii

Navicula laevissima

Navicula lanceolata

Navicula leistikowii

Navicula leptostriata

Navicula longicephala

Navicula lundii

Navicula luzsonensis

Navicula maceria

Navicula margalithii

Navicula medioconvexa

Navicula menisculus

Navicula menisculus var. upsaliensis

Navicula minima

Navicula minuscula

Navicula minuscula var. muralis

Navicula mutica

Navicula mutica var. goeppertiana

Navicula mutica var. ventricosa

Navicula neoventricosa

Navicula nipponica

Navicula nivalis

Navicula nolensoides

Navicula notha

Page 3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1 -

Navicula novasiberica

Navicula obsoleta

Navicula peregrina

Navicula perminuta

Navicula phyllepta

Navicula pinnate

Navicula protracta

Navicula pseudanglica

Navicula pseudolanceolata

Navicula pseudolanceolata var. denselineolata

Navicula pupula

Navicula pupula var. capitata

Navicula pupula var. capitellata

Navicula pupula var. elliptica

Navicula pupula var. mutata

Navicula pupula var. subcapitata

Navicula pygmaea

Navicula radiosa

Navicula turgidula

Navicula radiosafallax

Navicula recens

Navicula reichardtiana var. crassa

Navicula rhynchocephala

Navicula salinarum var. intermedia

Navicula saprophila

Navicula schroeteri

Navicula schroeteri var. symmetrica

Navicula schroeterii

Navicula seminuloides

Navicula seminulum

Navicula seminulum var. hustedtii

Navicula sinuata

Navicula stroemii

Navicula subalpina

Navicula subatomoides

Navicula sublanceolata

Navicula subminuscula

Navicula submuralis

Navicula subrostellata

Navicula subrotundata

Navicula subtilissima

Navicula symmetrica

Navicula tenelloides

Navicula tenera

Navicula thienemannii

Navicula tridentula

Navicula tripunctata

Navicula trivialis

Navicula tumida

Navicula tuscula

Navicula vaveei

Navicula veneta

Navicula ventralis

Navicula viridula

Navicula viridula var. germainii

- 42 -

Navicula viridula var. linearis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Navicula viridula var. rostrata

Navicula vitrea

Navicula yuraensis

Navicula zanoni

Navicula (other)

Neidium affine

Neidium ampliatum

Neidium bisulcatum

Neidium dubium

Neidium dubium var. cuneatum

Neidium iridis

Neidium productum

Neidium (other)

Pinnularia abaujensis

Pinnularia adnata

Pinnularia appendiculata

Pinnularia borealis

Pinnularia braunii

Pinnularia braunii var. amphicephala

Pinnularia brevicostata

Pinnularia divergens

Pinnularia gibba

Pinnularia gracilivalvis

Pinnularia hilseana var. japonica

Pinnularia imperfecta

Pinnularia interrupta

Pinnularia karelica

Pinnularia macilenta

Pinnularia maior

Pinnularia microstauron

Pinnularia schoenfelderi

Pinnularia subcapitata

Pinnularia subrostrata

Pinnularia tabellaria

Pinnularia viridis

Pinnularia viridis var. commutata

Pinnularia (other)

Pleurosigma angulatum

Reimeria sinuata

Rhaphoneis surirella

Rhoicosphenia abbreviata

Rhoicosphenia curvata

Stauroneis acuta

Stauroneis anceps

Stauroneis nobilis

Stauroneis phoenicenteron

Stauroneis phoenicenteron var. brunii

Stauroneis (other)

Family Epithemiaceae

Epithemia adnata

Epithemia hyndmanii

Epithemia sorex

Epithemia turgida

Page 3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3 -

Epithemia turgida var. westermannii

Epithemia turgidula

Epithemia (other)

Rhopalodia constricta

Rhopalodia gibba

Rhopalodia operculata

Family Bacillariaceae

Bacillaria paradoxa

Bacillaria paxillifer

Denticula fenais

Denticula subtilis

Denticula tenuis

Hantzschia amphioxys

Hantzschia (other)

Nitzschia acicularis

Nitzschia amphibia

Nitzschia angustata

Nitzschia angustatula

Nitzschia brevissima

Nitzschia bryophila

Nitzschia calida

Nitzschia capitellata

Nitzschia clausii

Nitzschia communis

Nitzschia commutata

Nitzschia constricta

Nitzschia denticula

Nitzschia dissipata

Nitzschia dissipata var. media

Nitzschia diversa

Nitzschia fasciculata

Nitzschia filiformis

Nitzschia filiformis var. conferta

Nitzschia fonticola

Nitzschia fonticola var. pelagica

Nitzschia fossilis

Nitzschia frustulum

Nitzschia fruticosa

Nitzschia ganderscheimiensis

Nitzschia gessneri

Nitzschia gracilis

Nitzschia hantzschiana

Nitzschia heufleriana

Nitzschia hungarica

Nitzschia inconspicua

Nitzschia intermedia

Nitzschia lanceolata

Nitzschia levidensis

Nitzschia levidensis var. victoriae

Nitzschia linearis

Nitzschia linearis var. subtilis

Nitzschia littoralis

Nitzschia microcephala

Nitzschia nana

Nitzschia palea

- 44 -

Nitzschia palea var. debilis

Nitzschia paleacea

Nitzschia paleaeformis

Nitzschia palustris

Nitzschia parvuloides

Nitzschia perminuta

Nitzschia pumila

Nitzschia pusilla

Nitzschia recta

Nitzschia scalpelliformis

Nitzschia sigma

Nitzschia sigmoidea

Nitzschia sinuata

Nitzschia sinuata var. tabellaria

Nitzschia stagnom

Nitzschia subacicularis

Nitzschia sublinearis

Nitzschia tabellaria

Nitzschia terrestris

Nitzschia thermaloides

Nitzschia tryblionella

Nitzschia tryblionella var. salinarum

Nitzschia trybrionella var. victoriae

Nitzschia umbonata

Nitzschia vermicularis

Nitzschia (other)

Family Surirellaceae

Cymatopleura solea

Cymatopleura (other)

Stenopterobia delicatissima

Surirella acus

Surirella amphioxys

Surirella andoi

Surirella angusta

Surirella bifrons

Surirella biseriata

Surirella brebissonii

Surirella capronii

Surirella elegans

Surirella gemma

Surirella gracilis

Surirella lata

Surirella linearis

Surirella minuta

Surirella ovalis

Surirella robusta

Surirella splendida

Surirella tenera

Surirella (other)

총 634종

Page 3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5 -

종명TDI

S V Comment

Achnanthes adnata 3 1

Achnanthes alteragracillima 2 2

Achnanthes amoena 3 1

Achnanthes biasolettiana 2 2

Achnanthes biasolettiana var. subatomus 2 2

Achnanthes biasolettiana var. thienemannii 2 2

Achnanthes bioretii 3 1

Achnanthes brevipes 3 1

Achnanthes catenata 3 1

Achnanthes clevei 4 2

Achnanthes clevei var. rostrata 4 2

Achnanthes coarctata 3 1

Achnanthes confervacea 3 1

Achnanthes conspicua 5 2

Achnanthes convergens 2 2

Achnanthes crenulata 3 1

Achnanthes cryptotenella 2 2

Achnanthes daui 5 2

Achnanthes delicatula 5 2

Achnanthes delicatula ssp. engelbrechtii 5 2

Achnanthes exigua 2 2

Achnanthes exigua var. elliptica 2 2

Achnantehs expressa 3 1

Achnanthes helvetica 3 1

Achnanthes hungarica 3 1

Achnanthes imperfecta 4 1

Achnanthes impexa 5 1

Achnanthes inflata 3 1

Achnanthes japonica 2 2

Achnanthes kolbei 4 2

Achnanthes laevis 3 1

Achnanthes lanceolata 5 2

Achnanthes lanceolata spp. dubia 5 2

Achnanthes lanceolata spp. frequentissima 5 2

Achnanthes lanceolata spp. robusta 5 2

Achnanthes lanceolata spp. rostrata 5 2

Achnanthes lapidosa 4 1

Achnanthes laterostrata 4 2

Achnanthes linearis 2 2

Achnanthes longipes 3 1

Achnanthes lutheri 3 1

Achnanthes microcephala 2 2

Achnanthes minutissima 2 2

Achnanthes minutissima var. gracillima 2 2

Achnanthes minutissima var. inconspicua 2 2

Achnanthes minutissima var. jackii 2 2

부록 1.2.2. 부착조류 종별 생물지수 기준값

- 46 -

종명TDI

S V Comment

Achnanthes minutissima var. saprophila 2 2

Achnanthes minutissima var. scotica 2 2

Achnanthes montana 3 1

Achnanthes oblongella 1 2

Achnanthes parvula 3 1

Achnanthes petersenii 2 2

Achnanthes psedoswarzi 3 1

Achnanthes pusilla 3 1

Achnanthes rupestoides 3 1

Achnanthes saccula 3 1

Achnanthes septentrionalis 5 2

Achnanthes silvahercynia 3 1

Achnanthes subatomoides 2 2

Achnanthes subhudsonis 3 1

Achnanthes subhudsonis var. kraeuselii 3 1

Achnanthes subsalsa 3 1

Achnanthes (other) 3 1 Including other Achnanthidium spp.

Actinella brasiliensis - -

Actinocyclus normanii - -

Amphipleura pellucida 1 3

Amphora angusta 5 1

Amphora coffeaeformis 5 1

Amphora copulata 5 1

Amphora inariensis 5 1

Amphora libyca 5 1

Amphora montana 5 1

Amphora ovalis 5 1

Amphora pediculus 5 2

Amphora strigosa 5 1

Amphora veneta 5 1

Amphora (other) 5 1

Anomoeoneis gomphonemacea 4 1

Anomoeoneis vitrea 1 3

Asterionella formosa - - Plankton

Aulacoseira alpigena - - Plankton

Aulacoseira ambigua - - Plankton

Aulacoseira distans - - Plankton

Aulacoseira distans var. alpigena - - Plankton

Aulacoseira granulata - - Plankton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 - Plankton

Aulacoseira granulata var. italica - - Plankton

Aulacoseira italica - - Plankton

Aulacoseira (other) - - Plankton

Bacillaria paradoxa 4 1

Bacillaria paxillifer 4 1

Caloneis bacillum 3 1

Caloneis molaris 3 1

Caloneis silicula 3 1

Page 3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7 -

종명TDI

S V Comment

Caloneissilicula var. truncatula 3 1

Caloneis (other) 3 1

Cocconeis fluviatilis 2 2

Cocconeis pediculus 4 2

Cocconeis placentula 3 2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3 2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3 2

Cocconeis scutellum 2 2

Cocconeis silicula 2 2

Cocconeis stauroneiformis 2 2

Cocconeis (other) 2 2

Coscinodiscus (other) - - Plankton

Cyclostephanos dubius - - Plankton

Cyclostephanos invisitatus - - Plankton

Cyclostephanos rotula - - Plankton

Cyclotella asterocostata - - Plankton

Cyclotella atomus - - Plankton

Cyclotella cistula - - Plankton

Cyclotella cocellata - - Plankton

Cyclotella comta - - Plankton

Cyclotella cryptica - - Plankton

Cyclotella meneghiniana - - Plankton

Cyclotella ocellata - - Plankton

Cyclotella pseudostelligera - - Plankton

Cyclotella radiosa - - Plankton

Cyclotella socialis - - Plankton

Cyclotella stelligera - - Plankton

Cyclotella woltereckii - - Plankton

Cyclotella (other) - - Plankton

Cymatopleura solea 4 1

Cymatopleura (other) 4 1

Cymbella affinis 1 3

Cymbella amphicephala 2 1

Cymbella amphioxys 2 1

Cymbella aspera 4 2

Cymbella cistula 4 2

Cymbella cuspidata 2 1

Cymbella cymbiformis 2 1

Cymbella delicatula 1 3

Cymbella elginensis - -

Cymbella excisa - -

Cymbella gracilis 2 1

Cymbella hauckii 2 1

Cymbella hungarica 2 1

Cymbella incurvatum 4 2

Cymbella japonica - -

Cymbella kappii - -

Cymbella lacustris - -

- 48 -

종명TDI

S V Comment

Cymbella laevis 2 1

Cymbella lanceolata 4 2

Cymbella lancettulum 5 1

Cymbella leptoceros 2 1

Cymbella linearis 2 1

Cymbella mesiana - -

Cymbella minuta 3 2

Cymbella minuta f. latens 3 2

Cymbella naviculiformis 2 1

Cymbella neogracile 2 1

Cymbella obscura - -

Cymbella prostrata - -

Cymbella proxima 4 2

Cymbella salinarum 4 2

Cymbella silesiaca 3 2

Cymbella sinuata 4 3

Cymbella sinuata var. tabellaria 4 3

Cymbella subaequalis 2 1

Cymbella subcuspidata 2 1

Cymbella subminutum 2 1

Cymbella tumida 4 2

Cymbella tumida var. gracilis 4 2

Cymbella tumidula 2 1

Cymbella turgidula 2 1

Cymbella turgidula var. nipponica - -

Cymbella (large forms) 4 2 Nominally > 7- μm, Includes C. caespitosa,C. lanceolata

Cymbella (other) 2 1 Includes Encyonema spp.

Denticula fenais 2 2

Denticula subtilis 2 2

Denticula tenuis 2 2

Diatoma hiemale var. quadratum 2 1

Diatoma mesodon 2 2

Diatoma moniliformis 3 1

Diatoma tenuis 2 2

Diatoma vulgaris 5 3

Diatoma vulgaris var. brevis 5 3

Diatoma (other) 2 1

Didymosphenia geminata 2 3

Didymosphenia siberica - -

Diploneis boldtiana 1 1

Diploneis finnica 1 1

Diploneis marginestriata 1 1

Diploneis oblongella 1 1

Diploneis ovalis 1 1

Diploneis parma 1 1

Diploneis subovalis 1 1

Diploneis (other) 1 1

Page 3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9 -

종명TDI

S V Comment

Encyonema lancettulum 2 1

Encyonema leei 2 1

Encyonema minuta 3 2

Encyonema silesiacum 3 2

Encyonema subminutum 2 1

Encyonema (other) 2 1 See Cymbella (other)

Encyonopsis leei 2 1

Epithemia (other) 1 2

Epithemia adnata 1 2

Epithemia hyndmanii 1 2

Epithemia sorex 1 2

Epithemia turgida 1 2

Epithemia turgida var. westermannii 1 2

Epithemia turgidula 1 2

Eunotia arcus 1 3

Eunotia bilunaris 1 3

Eunotia bilunaris var. linearis 1 3

Eunotia curvata 1 3

Eunotia exigua 1 3

Eunotia flexuosa 1 3

Eunotia formica 1 3

Eunotia glacialis 1 3

Eunotia incisa 1 3

Eunotia intermedia 1 3

Eunotia lapponica 1 3

Eunotia minor 1 3

Eunotia monodon var. bidens 1 3

Eunotia muscicola 1 3

Eunotia muscicola var. tridentula 1 3

Eunotia paludosa 1 3

Eunotia pectinalis 1 3

Eunotia pectinalis var. minor 1 3

Eunotia veneris 1 3

Eunotia (other) 1 3

Fragilaria (other) 2 1

Fragilaria arcus 1 3

Fragilaria arcus var. recta 2 1

Fragilaria berolinensis 4 1

Fragilaria bidens 2 1

Fragilaria brevistriata var. inflata 2 2

Fragilaria capitata 2 2

Fragilaria capitellata 1 2

Fragilaria capucina 2 1

Fragilaria capucina var. capitellata 2 2

Fragilaria capucina var. fragilarioides 2 1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e 2 2

Fragilaria capucina var. gracilis 2 2

Fragilaria capucina var. mesolepta 2 2

- 50 -

종명TDI

S V Comment

Fragilaria capucina var. rumpens 2 2

Fragilaria capucina var. vaucheriae 3 2

Fragilaria construens 2 1

Fragilaria construens f. binodis 2 1

Fragilaria construens f. venter 2 1

Fragilaria crotonensis - - Plankton

Fragilaria delicatissima 4 1

Fragilaria elliptica 4 1

Fragilaria exigua 4 1

Fragilaria famelica 4 1

Fragilaria imtermedia 2 1

Fragilaria linearis 2 1

Fragilaria nanana 4 1

Fragilaria perminuta 2 1

Fragilaria pinnata 4 1

Fragilaria pinnata var. intercedens 4 1

Fragilaria pinnata var. lancettula 4 1

Fragilaria robusta 2 1

Fragilaria rumpens 2 2

Fragilaria rumpens var. familiaris 2 1

Fragilaria rumpens var. fragilarioides 2 2

Fragilaria tenera 4 1

Fragilaria vaucheriae 3 2

Fragilaria vaucheriae var. capitellata 2 2

Fragilaria vaucheriae var. parvula 2 2

Frustulia amphipleuroides 1 2

Frustulia rhomboides var. crassinervia 1 2

Frustulia vulgaris 1 2

Frustulia (other) 1 2 Including Staurosira

Gomphoneis olivaceum var. minutissimum 3 1

Gomphonema acuminatum 3 1

Gomphonema affine 3 1

Gomphonema angustatum 1 2

Gomphonema angustum 3 1

Gomphonema augur 3 1

Gomphonema augur var. gautieri 3 1

Gomphonema augur var. sphaerophorum 3 1

Gomphonema augur var. turris 3 1

Gomphonema bavaricum 3 1

Gomphonema brasiliense 3 1

Gomphonema christenseni 3 1

Gomphonema clavatum 3 1

Gomphonema clevei 3 1

Gomphonema dichotomum 3 1

Gomphonema entolejum 3 1

Gomphonema frustulum 3 1

Gomphonema globiferum 3 1

Gomphonema gracile 3 1

Page 3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51 -

종명TDI

S V Comment

Gomphonema helveticum 3 1

Gomphonema herculeana 3 1

Gomphonema inaequilongum 3 1

Gomphonema insigne 3 1

Gomphonema intricatum 3 1

Gomphonema intricatum var. vibrio 3 1

Gomphonema kobayashiae 3 1

Gomphonema langenula 3 1

Gomphonema manubrium 3 1

Gomphonema mexicanum 3 1

Gomphonema minutum 4 2

Gomphonema nipponicum 3 1

Gomphonema olivaceum 5 2

Gomphonema olivaceum var. olivaceoides 2 3

Gomphonema parvulum 5 3 Organic pollution-tolerant

Gomphonema parvulum var. exilissimum 5 3

Gomphonema parvulum var. pavulius 3 1

Gomphonema procerum 3 1

Gomphonema productum 1 2

Gomphonema pseudoaugur 3 1

Gomphonema pseudosphaerophorum 3 1

Gomphonema pseudotenellum 3 1

Gomphonema pumilum 3 1

Gomphonema pumilum var. rigidum 3 1

Gomphonema quadripunctatum 3 1

Gomphonema separtipunctatum 3 1

Gomphonema subclavatum 3 1

Gomphonema truncatum 3 1

Gomphonema undclata 3 1

Gomphonema utae 3 1

Gomphonema vibrio 3 1

Gomphonema vibrio var. bohemicum 3 1

Gomphonema vibrio var. pumilum 3 1

Gomphonema (other) 3 1

Gyrosigma acuminatum 5 2

Gyrosigma attenuatum 5 2

Gyrosigma obscurum 5 2

Gyrosigma parkerii 5 2

Gyrosigma procentrum 5 2

Gyrosigma pseudokuetzingii 5 2

Gyrosigma scalproides 5 2

Gyrosigma spencerii 5 2

Gyrosigma (other) 5 2

Hannaea arcus 1 3

Hannaea arcus var. amphioxys 1 3

Hannaea arcus var. constrictum 1 3

Hannaea arcus var. recta 1 3

Hannaea arcus var. subarcus 1 3

- 52 -

종명TDI

S V Comment

Hantzschia amphioxys 5 1

Hantzschia (other) 5 1

Hydrosera whampoensis - -

Melosira nummuloides - -

Melosira varians 4 2

Melosira (other) - -

Meridion circulare 2 3

Meridion circulare var. constrictum 2 3

Navicula absoluta 4 1

Navicula accomoda 5 1

Navicula americana 5 1

Navicula amphiceropsis 4 1

Navicula angusta 4 1

Navicula antonii 4 1

Navicula arkona 4 1

Navicula atomus 5 1

Navicula bacillum 5 1

Navicula bahusiensis 5 1

Navicula bavaricum 4 1

Navicula capitata 4 1

Navicula capitata var. recens 4 1

Navicula capitatoradiata 3 2

Navicula cari 4 1

Navicula caterva 4 1

Navicula charlatii 4 1

Navicula cincta 4 1

Navicula clementioides 4 1

Navicula clementis 4 1

Navicula cocconeiformis 4 1

Navicula cohnii 5 2

Navicula concentrica 4 1

Navicula confervacea 5 1

Navicula constans var. symmetrica 4 1

Navicula contenta 5 1

Navicula contenta var. biceps 5 1

Navicula cryptocephala 4 1

Navicula cryptotenella 5 2

Navicula cuspidata 4 1

Navicula decussis 4 1

Navicula elginensis 4 1

Navicula elginensis var. cuneata 4 1

Navicula erifuga 4 1

Navicula exigua 4 1

Navicula goeppertiana 5 2

Navicula goeppertiana var. monita 5 2

Navicula graciloides 4 1

Navicula gregaria 5 1 Organic pollution-tolerant

Navicula halinae 4 1

Page 3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53 -

종명TDI

S V Comment

Navicula hasta 4 1

Navicula hasta var. gracilis 4 1

Navicula intermedia 4 1

Navicula joubaudii 5 1

Navicula laevissima 5 1

Navicula lanceolata 5 2 Organic pollution-tolerant

Navicula leistikowii 4 1

Navicula leptostriata 4 1

Navicula longicephala 4 1

Navicula lundii 4 1

Navicula luzsonensis 5 1

Navicula maceria 4 1

Navicula margalithii 4 1

Navicula medioconvexa 4 1

Navicula menisculus 5 2

Navicula menisculus var. upsaliensis 5 2

Navicula minima 5 1

Navicula minuscula 5 1

Navicula minuscula var. muralis 5 1

Navicula mutica 5 2

Navicula mutica var. goeppertiana 5 2

Navicula mutica var. ventricosa 5 2

Navicula neoventricosa 5 2

Navicula nipponica 4 1

Navicula nivalis 5 2

Navicula nolensoides 4 1

Navicula notha 4 1

Navicula novasiberica 4 1

Navicula obsoleta 5 1

Navicula peregrina 4 1

Navicula perminuta 4 1

Navicula phyllepta 4 1

Navicula pinnate 4 1

Navicula protracta 4 1

Navicula pseudanglica 4 1

Navicula pseudolanceolata 4 1

Navicula pseudolanceolata var. denselineolata 4 1

Navicula pupula 5 1

Navicula pupula var. capitata 5 1

Navicula pupula var. capitellata 5 1

Navicula pupula var. elliptica 5 1

Navicula pupula var. mutata 5 1

Navicula pupula var. subcapitata 4 1

Navicula pygmaea 4 1

Navicula radiosa 4 1

Navicula radiosafallax 4 1

Navicula recens 4 1

Navicula reichardtiana var. crassa 5 2

- 54 -

종명TDI

S V Comment

Navicula rhynchocephala 4 1

Navicula salinarum var. intermedia 4 1

Navicula saprophila 5 1

Navicula schroeteri 4 1

Navicula schroeteri var. symmetrica 4 1

Navicula schroeterii 4 1

Navicula seminuloides 4 1

Navicula seminulum 5 1

Navicula seminulum var. hustedtii 4 1

Navicula sinuata 4 1

Navicula stroemii 4 1

Navicula subalpina 4 1

Navicula subatomoides 4 1

Navicula sublanceolata 4 1

Navicula subminuscula 5 1

Navicula submuralis 5 1

Navicula subrostellata 4 1

Navicula subrotundata 4 1

Navicula subtilissima 4 1

Navicula symmetrica 4 1

Navicula tenelloides 4 1

Navicula tenera 4 1

Navicula thienemannii 4 1

Navicula tridentula 5 1

Navicula tripunctata 4 2

Navicula trivialis 4 1

Navicula tumida 4 1

Navicula turgidula 4 1

Navicula tuscula 4 1

Navicula vaveei 4 1

Navicula veneta 4 1

Navicula ventralis 4 1

Navicula viridula 4 1

Navicula viridula var. germainii 4 1

Navicula viridula var. linearis 4 1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4 1

Navicula viridula var. rostrata 4 1

Navicula vitrea 4 1

Navicula yuraensis 4 1

Navicula zanoni 4 1

Navicula (small species) 5 1Nominally < 12 μm, Including small species ofSellaphora, Diadesmis and related genera.Organic pollution-tolerant

Navicula (other) 4 1Excluding small species (see below). Includingrelated genera such as Luticola, Cavinula, etc.

Neidium affine 2 3

Neidium ampliatum 2 3

Neidium bisulcatum 2 3

Neidium dubium 2 3

Page 3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55 -

종명TDI

S V Comment

Neidium dubium var. cuneatum 2 3

Neidium iridis 2 3

Neidium productum 2 3

Neidium (other) 2 3

Nitzschia acicularis 4 1

Nitzschia amphibia 5 3

Nitzschia angustata 4 1

Nitzschia angustatula 4 1

Nitzschia brevissima 4 1

Nitzschia bryophila 4 1

Nitzschia calida 4 1

Nitzschia capitellata 4 1

Nitzschia clausii 4 1

Nitzschia communis 4 1

Nitzschia commutata 4 1

Nitzschia constricta 4 1

Nitzschia denticula 4 1

Nitzschia dissipata 5 2

Nitzschia dissipata var. media 5 2

Nitzschia diversa 4 1

Nitzschia fasciculata 4 1

Nitzschia filiformis 4 1

Nitzschia filiformis var. conferta 4 1

Nitzschia fonticola 3 2

Nitzschia fonticola var. pelagica 3 2

Nitzschia fossilis 4 1

Nitzschia frustulum 4 1

Nitzschia fruticosa 4 1

Nitzschia ganderscheimiensis 4 1

Nitzschia gessneri 4 1

Nitzschia gracilis 4 1

Nitzschia hantzschiana 4 1

Nitzschia heufleriana 4 1

Nitzschia hungarica 4 1

Nitzschia inconspicua 5 1

Nitzschia intermedia 4 1

Nitzschia lanceolata 4 1

Nitzschia levidensis 4 1

Nitzschia levidensis var. victoriae 4 1

Nitzschia linearis 4 1

Nitzschia linearis var. subtilis 4 1

Nitzschia littoralis 4 1

Nitzschia microcephala 4 1

Nitzschia nana 4 1

Nitzschia palea 5 1

Nitzschia palea var. debilis 5 1

Nitzschia paleacea 4 1

Nitzschia paleaeformis 4 1

- 56 -

종명TDI

S V Comment

Nitzschia palustris 4 1

Nitzschia parvuloides 4 1

Nitzschia perminuta 4 1

Nitzschia pumila 4 1

Nitzschia pusilla 4 2

Nitzschia recta 4 1

Nitzschia scalpelliformis 4 1

Nitzschia sigma 4 2

Nitzschia sigmoidea 4 2

Nitzschia sinuata 4 1

Nitzschia sinuata var. tabellaria 4 1

Nitzschia stagnom 4 1

Nitzschia subacicularis 4 1

Nitzschia sublinearis 4 1

Nitzschia tabellaria 4 1

Nitzschia terrestris 4 1

Nitzschia thermaloides 4 1

Nitzschia tryblionella 4 1

Nitzschia tryblionella var. salinarum 4 1

Nitzschia trybrionella var. victoriae 4 1

Nitzschia umbonata 4 1

Nitzschia vermicularis 4 1

Nitzschia (other) 4 1 Includes N. palea plus Tryblionella andPsammodictyon, Oranic pollution-tolerant

Opephora (other) 5 2

Pinnularia abaujensis 1 3

Pinnularia adnata 1 3

Pinnularia appendiculata 1 3

Pinnularia borealis 1 3

Pinnularia braunii 1 3

Pinnularia braunii var. amphicephala 1 3

Pinnularia brevicostata 1 3

Pinnularia divergens 1 3

Pinnularia gibba 1 3

Pinnularia gracilivalvis 1 3

Pinnularia hilseana var. japonica 1 3

Pinnularia imperfecta 1 3

Pinnularia interrupta 1 3

Pinnularia karelica 1 3

Pinnularia macilenta 1 3

Pinnularia maior 1 3

Pinnularia microstauron 1 3

Pinnularia schoenfelderi 1 3

Pinnularia subcapitata 1 3

Pinnularia subrostrata 1 3

Pinnularia tabellaria 1 3

Pinnularia viridis 1 3

Pinnularia viridis var. commutata 1 3

Page 3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57 -

종명TDI

S V Comment

Pinnularia (other) 1 3

Pleurosigma angulatum - -

Pleurosira laevis - -

Punctastriata linearis 4 1

Reimeria sinuata 4 3

Rhaphoneis surirella - -

Rhoicosphenia abbreviata 5 1

Rhoicosphenia curvata 5 1

Rhopalodia constricta 1 1

Rhopalodia gibba 1 1

Rhopalodia operculata 1 1

Stauroneis acuta 5 2

Stauroneis anceps 5 2

Stauroneis nobilis 5 2

Stauroneis phoenicenteron 5 2

Stauroneis phoenicenteron var. brunii 5 2

Stauroneis (other) 5 2

Stenopterobia delicatissima 1 1

Stephanodiscus alpinus - - Plankton

Stephanodiscus hantzschii - - Plankton

Stephanodiscus invisitatus - - Plankton

Stephanodiscus (other) - - Plankton

Stephanopyxis (other) - - Plankton

Surirella acus 3 1

Surirella amphioxys 3 1

Surirella andoi 3 1

Surirella angusta 3 1

Surirella bifrons 3 1

Surirella biseriata 3 1

Surirella brebissonii 3 1

Surirella capronii 3 1

Surirella elegans 3 1

Surirella gemma 3 1

Surirella gracilis 3 1

Surirella lata 3 1

Surirella linearis 3 1

Surirella minuta 3 1

Surirella ovalis 3 1

Surirella robusta 3 1

Surirella splendida 3 1

Surirella tenera 3 1

Surirella (other) 3 1

Synedra acus 4 1

Synedra acus var. acula 4 1

Synedra acus var. angustissima 4 1

Synedra acus var. ostenfoldii 2 1

Synedra fasciculata 5 2

Synedra fasciculata var. truncate 5 2

- 58 -

종명TDI

S V Comment

Synedra inaequalis 4 1

Synedra lanceolata 4 1

Synedra pulchella 2 1

Synedra ulna 3 1 Fragilaria ulna

Synedraulna var. acus 3 1

Synedraulna var. angustissima 3 1

Synedraulna var. contracta 3 1

Synedraulna var. oxyrhynchus 4 1

Synedraulna var. ramesi 3 1

Synedra (other) 4 1

Tabellaria (other) 2 3

Tabellaria fenestrata 2 3

Tabellaria flocculosa 2 3

Tabellaria ventricosa 2 3

Tabularia fasciculata 5 2

Thalassiosira bramaputrae - - Plankton

Thalassiosira weissflogii - - Plankton

Thalassiosira (other) - - Plankton

Page 4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59 -

제 3 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 및 평가 지침

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특성 및 활용도

하천생태계 (stream ecosystem)는 물이 흐르는 긴 수로를 따라 환경요인이 연속적으로 변하

고 그 곳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생물의 종류도 달라지는 독특한 생태계로 (Allan, 1995; Horne

and Goldman, 1994; Hynes, 1970; Vannote et al., 1980), 생물 구성원과 비생물 구성원 (환경)

으로 구성된다. 생물 구성원은 다시 생산자, 소비자 및 분해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생산자는

조류 (algae)와 대형식물 (macrophyte), 소비자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및 양서류, 그리

고 분해자는 박테리아와 곰팡이 같은 미생물로 대표된다. 소비자의 경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의 대부분 (95%)이 수서곤충으로서 이들이 하천생물의 종다양성과 풍부성을 거의 결정하게

된다 (Ward, 1992).

이와 같이 하천생태계는 생산자, 소비자 및 분해자의 각 영양단계 (trophic level)가 서로 유

기적 관계로 연결되어 먹이사슬 (food chain)을 이루고, 이들이 망처럼 얽혀서 먹이망 (food

web)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천생태계의 다양성이나 단순성은 먹이사슬의 길이로 측정될 수 있

기 때문에 먹이사슬은 하천생태계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한 주요 관심 사항일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의 환경을 평가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Allan, 1995; Hynes, 1970; Rosenberg and

Resh, 1993; 위 등, 1991; 윤 등, 1992d, 1992e).

이러한 먹이사슬을 구성하는 생물 중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특히 수서곤충은 하천생물 중

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무리일 뿐만 아니라, 영양단계의 저차 소비자 (1차 또는 2차 소비자

가 대부분)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천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중요하다 (Hynes, 1970; Ward,

1992; William and Feltmate, 1992). 또한 이들은 하천생태계의 다양한 환경요인과 서식처에 따

라 적응방식이 다양하고, 수질환경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이 많으므로 순수생태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지표종으로 이용되는 등 응용연구에도 좋은 재료가 된다 (Dudgeon, 1994,

1995; Minshall, 1988; Reice and Wolemberg, 1993; Rosenberg and Resh, 1993).

- 60 -

2. 조사지침

가. 조사대상 항목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및 출현 개체수 (개체/m2)

◦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점유율

◦ 조사지점의 군집지수 (우점도지수, 다양도지수, 종풍부도지수, 균등도지수)

◦ 한국오수생물지수 및 생물등급

◦ 조사지점 서식지 현황

나. 현장조사

1) 조사 시기

◦ 조사회수는 연간 2회를 기준으로 한다.

◦ 조사 시기는 환경상태가 안정한 상태인 홍수기 전후의 2회 조사 (봄: 3~4월, 가을: 9~10

월)를 원칙으로 하며, 강우 시에는 조사를 중단하고 10일 이상이 경과한 후에 재조사를 실

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대홍수 이후 1개월은 조사 시기에서 제외한다.

2) 조사지점

가) 조사정점의 선정에 고려할 사항

◦ 수질요인에 대한 일관성 있는 비교판정을 위해서는 비교적 하상구조가 동일한 지점을

조사정점으로 선정한다.

(1) 하천의 경우

◦ 하천의 경우 조사정점을 조약돌 이상의 하상구조를 가진 여울에서 수심은 약 50 cm 정도로

한다.

Page 4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61 -

(2) 유속이 느린 깊은 하천이나 호소의 경우

◦ 호소의 조사정점은 수위변동 및 호류의 간섭이 적은 수심 1 m로 제한한다. 조사당시의

하상상태는 반드시 명기한다.

나) 조사정점의 선정

◦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의 표준화를 위해 하천의 경우 조사구간에서 자갈 이상의 하상구조를

가진 수심 50 cm 이하의 여울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한다.

◦ 가능한 하천 중심부근의 평균 20~30 cm/sec 정도의 유속을 지니고 하상의 구조가 자

갈 이상인 여울 지역을 조사지점으로 선정한다.

3) 채집방법

가) 수심 50 cm 이하 하천 여울

◦ 현장조사시 최소한 3인 이상의 인력이 필요하다.

◦ 소형 서버넷 (30 × 30 cm, 망목 1.0 mm)을 이용하여 3회 이상 채집한다. 채집과 생물시료

의 선별이 끝나면 시료통에 하천명과 조사지점, 조사정점 및 채집기의 규격 (대형 혹은

소형)을 기록한다.

◦ 수심이 깊을 경우 대형 서버넷 (50 × 50 cm, 망목 1.0 mm)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

우에도 3회 이상 채집한다.

◦ 조사는 하류에서부터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며 실시한다.

◦ 한 사람은 물이 흘러오는 방향으로 서버넷을 놓고 흐름 방향에 직각으로 방형구 프레임을

내린 후 방형구내의 하상을 채취한다. 보존이 필요한 시료는 고정액이 담긴 표본병에 별도

보관한다.

- 62 -

◦ 모래 이하의 입도를 가진 하상은 손갈퀴로 깊이 10 cm까지 긁어 채집기의 망에 생물이

걸리게 한 이후 채집기를 수거하여 채집망에 들러있는 내용물을 흰색 쟁반에 붓고 물을

넘치지 않게 담고 핀셋으로 골라내어 시료통에 담는다.

◦ 이 상태에서 채집기의 채집망에는 아직 많은 생물이 붙어 있으므로 넘치지 않게 물이 담긴

또 다른 흰색 쟁반에 채집망을 담그고 역시 핀셋으로 생물을 골라내어 시료통에 담는다.

나) 수심 50 cm 이상의 유속이 느린 하천이나 호소

◦ 막대를 사용하여 구조를 변경한 Ekman grab으로 하상을 채취하여 내용물을 1 mm 체에

담아 넘치지 않을 정도로 물속에 담그고 조심스럽게 체질한다. 충분한 체질이 끝나면 걸

림물을 시료통에 담고 체에 붙어있는 생물들은 핀셋으로 채취하여 시료통에 붓고 고정액

을 붓는다.

◦ 이때 고정액은 퇴적물이 많이 섞여 있는 경우는 Formalin 20%를, 점토 덩어리나 부식질

이 적어 생물시료가 비교적 잘 선별된 경우에는 Kahle’s fluid를 사용한다. 한 조사지점에

서 조사정점의 수는 4회로 한다. 각 조사정점에서 위에 언급된 방법으로 채취와 생물시료

의 선별이 끝나면 시료통에 하천명과 조사지점 및 조사정점을 기록한다.

4) 환경요인의 조사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물리적 요인으로는 하상구조와 유속 및 수온에 영향을 크게 받

으며, 화학적 요인으로는 유기물 농도 및 부유물질 농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하여 기록한다.

가) 수온

◦ 자동측정기 또는 봉상 온도계로 측정한다 (그림 1.3.1).

◦ 조사정점에서 생물채집 전에 실시한다.

Page 4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63 -

<기온측정> <수온측정>

<그림 1.3.1> 현장에서의 온도 측정 모습

나) 유속 (하천의 경우)

◦ 유속 자동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 Craig method: 쇠자를 하천의 유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세워 물이 부딪혀 올라오는 높이

와 수심을 측정할 때 얻어진 값 사이의 높이 차를 측정하여 Craig method (Craig, 1987)

에 따라 계산한다 (그림 1.3.2).

Craig method: U= 2g(D2-D1)

U: Water velocity (mm/sec)

g: Force due to gravity

D1: Water height when ruler parallel to the flow

D2: Water height when ruler right angle to the flow

<유속측정 모습> <흐름의 평행방향> <흐름의 수직방향>

<그림 1.3.2> 현장에서의 수심 및 유속 측정 모습

- 64 -

다) 하상구조

◦ 하상의 입도는 자동입도분석기나 체질 및 피펫분석으로 조사하여, 퇴적물 유형, 평균입경,

분급도, 왜도, 첨도 등을 조사한다. 실측의 경우엔 조사정점과 비슷한 하상구조를 가진 정

점을 선정하여 별도로 채취한다.

◦ 입도분석은 육안적인 판정으로 기록한다. 조사정점에서 채집 전에 실시하며, 기준은 <표

1.3.1>을 적용하여 구성비가 높은 2~3개 유형의 비율을 기록한다.

◦ 육안으로 무게 구성비가 가장 높은 두개의 유형을 기록한다. 예로 자갈이 많고 잔석이 섞

여있는 경우는 “자갈+잔석”으로 표현한다. 기타 퇴적물의 색도를 갈색, 회갈색, 흑갈색, 회

색, 흑회색, 흑색의 순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유형 입경범위 (mm)

Boulder (바위) > 256

Cobble (호박돌) 64~256

Pebble (자갈) 16~64

Gravel (잔석) 2~16

Sand (모래) 0.063~2

Silt (실트) < 0.063

<표 1.3.1> Wentworth 퇴적물 분류 기준표

라) 현장 수질 측정

◦ 현장수질측정장비가 있으면 조사시에 현장수질을 측정하여 물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참고

자료로 활용 한다 (그림 1.3.3).

<그림 1.3.3> 현장 수질측정 모습

Page 4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65 -

5) 조사장비 및 도구

가) 기본적인 조사도구 (그림 1.3.4)

◦ 사진기, GPS 등 서식지 현황 조사

◦ 현지조사표 (field note): 조사지점의 환경을 기록 (표 1.3.2)

◦ 소형 컨테이너: 시료통 및 장비 운반에 필요한 컨테이너

◦ 고무장갑, 손갈퀴, 흰색 쟁반, 장화, 핀셋, 쇠자 (50 cm 이상)

◦ 온도측정기 (또는 봉상온도계), 유속측정기

◦ 시료병: 채집된 시료 보관용. 500 mL 용량의 것을 준비

◦ 표본보관병: 중요한 표본 보관용. 50 mL 용량 정도면 충분

◦ 체 (sieve): 망목 1.0 mm의 것을 표준

◦ 얼음제거장비: 동절기 조사시 필요.

◦ 조사용 선박: 수심이 깊은 하천이나 호소의 조사시 필요

- 66 -

<그림 1.3.4> 기본적인 조사도구

1. 서버넷: 정량채집시 사용

2. 장화: 가급적이면 가슴까지 오는 긴 장화를 사용

3. 운반용기: 채집도구를 담아 운반

4. 필기도구: 연필이나 유성펜을 사용

5. 기록용지: 주변 환경과 하천의 특성을 기록

6. 온도계: 수온과 기온을 측정

7. 자: 쇠자로 50 cm 이상의 것을 사용하며 수심과 유속을 측정시 사용

8. 손갈퀴: 조사할 때 하상을 긁는데 이용

9. 뜰채: 정성채집이나 채집물 정리시에 사용

10. 시료병: 채집물을 운반 및 보관하는데 사용

11. 고정 및 보존 시약: 칼스용액에 고정한 후 80% 에틴올에 보관

12. 사진기: 현장과 주변의 상황을 사진으로 기록

13. 핀셋: 핀셋이나 해부기 셋트로 표본을 추출

14. 확대경: 현장에서 채집물을 확인

15. 지도: 조사지점 확인

16. 흰색쟁반: 생물 분류

Page 4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67 -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

조사지

조사지명 지점번호

조사일시GPS 좌표

위도 ° ′ ″

조 사 자 경도 ° ′ ″

날씨맑음 , ( )% 흐림 , ( 약 , 중, 강 ) 비 , ( 약 , 중 , 강 ) 눈 , ( 약 , 중 , 강 ) 바람

기 온 ℃ 수 온 ℃

조사방법정 량: ( ) 회 정 성:

( 30 , 50 ) 서버샘플러 , 드레지 , 에크만 뜰채 , 족대 , 기타 ( )

유역환경

유역이용 오염원

□ 산림

□ 목초지

□ 마을

□ 상가, 음식점

□ 농경지

□ 공장지대

□ 주거밀집지

기타 ( )

□ 축산폐수의 유입

□ 생활하수의 유입

□ 각종 공사

기타 ( )

수변환경

식 생 (%) 수피도 (Canopy cover)

교목 ( ) %, 관목 ( ) %, 초본 ( ) % □ 짙음, □ 부분적, □ 없음

범람원의 이용: □ 자연형, □ 농경지, □ 도로, □ 주차장, □ 산책로, 기타:

제방 (좌안): 상류에서 하류로 볼때 제방 (우안): 상류에서 하류로 볼때

자연형 석축 돌망태 콘크리트 수직 자연형 석축 돌망태 콘크리트 수직

하상구조

(%)

점토 니 모래 잔자갈 자갈 호박돌 암반

<0.004 mm 0.004-0.06 mm 0.06-2 mm 2-16 mm 16-64 mm 64-256 mm >256 mm

하천현황

하천유형: □ 산간형 □ 평지형 □ 강 □ 호소 □ 연못

하폭 (m) 수폭 (m) 수심차 (mm)

수중보 및 기타 인공구조물 ~

구분: 폭: 높이: ~

여울 (Riffle) 흐름 (Run) 소 (Pool) ~

% % % ~

서식처교란 ~

□ 홍수피해, □ 준설, □ 수변공사 평균수심 (cm)

채널 (직선)화

평균유속 (cm/s)

투명도 냄 새

매우맑음 맑음 보통 탁함 매우탁함 없음 조금 중간 심함 매우심함

기타

특이사항

◈ 유역현황도

<표 1.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양식

- 68 -

나) 채집도구

(1) 수심 50 cm 이하의 하천 여울

◦ 서버넷 (Surber sampler): 수심 50 cm 이하의 하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정량채

집에 국제적으로 이용되는 표준 도구이다 (그림 1.3.5).

<그림 1.3.5> Surber sampler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 조사는 서버넷 (30 × 30 cm, 망목 1.0 mm)의 이용을 원칙으로 하며, 수심 등 하천 규모에

따라 대형 서버넷 (50 × 50 cm, 망목 1.0 mm)의 이용도 가능하다.

- 대형 (50 × 50 cm): 수심 25~50 cm 범위를 보이는 하천에서는 안쪽의 가로와 세로가

각각 50 cm인 프레임을 사용하며, 천막지를 포함한 망목의 길이는 약 80 cm 정도로 한

다.

- 소형 (30 × 30 cm): 수심 25 cm 이하이고 하폭이 좁은 협곡하천에서 시용한다.

(2) 수심 50 cm 이상의 유속이 느린 하천이나 호소

◦ Ekman grab, Ponar Grabs and Peterson Grab은 하상의 채취에 필요한 장비로 보통 느린

유속에 하상의 입도가 모래나 실트이하로 세밀한 경우에 사용한다 (그림 1.3.6).

Page 4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69 -

<Ekman Grab> <Ponar & Petite Ponar Grab> <Peterson Grab>

<그림 1.3.6> 호소형 채집도구

◦ 모래이상의 입도를 보이는 하상은 <그림 1.3.7>과 같이 스테인레스 봉을 연결하여 힘을

가하여 하상을 채취하도록 하며 월류 방지를 위하여 상단의 여닫이 강판은 그물코 1 mm

정도의 스테인레스의 체로 대신 부착하는 것을 이용한다.

◦ 단,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wadable stream이 주 대상이므로 이러한 장비의 사용은 참고

사항으로 하며, 특별한 경우에만 이용하도록 한다.

<그림 1.3.7> 변형된 Ekman Grab 및 이를 이용한 채집모습

다) 고정액

◦ 현지에서 Kahle’s fluid (증류수 59%, 에틸알콜 28%, 중성포르말린 11%, 아세트산 2%)로

고정하며, 시료를 빨리 처리할 경우에는 95% 에틸알코올에 고정할 수 있다.

◦ 생물량이 큰 대형 패류나 호소 퇴적물을 다량 포함한 시료는 Formalin 20% + Acetic acid

2%로 고정한다.

- 70 -

◦ 파리류중 각다귀류, 날도래류의 일부 종, 다모류의 일부 종 등은 Ethyl alcohol 20%로 선

고정하여 몸체를 이완시킨 후 Kahle’s fluid로 고정한다.

다. 실내분석 및 동정

1) 골라내기 (sorting)

◦ 현장에서 채집․고정된 표본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골라내기 작업을 실시한다.

◦ 골라내기의 과정은 고정된 시료를 체 (sieve, 망목 1.0 mm)를 이용하여 물로 씻어낸 후에 흰

색쟁반 (tray)에 옮기고 핀셋을 이용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선충류, 환형동물, 연체동물,

절지동물, 수서곤충 등)을 골라낸 후에 시료병에 육안적인 외형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한다.

◦ 골라낸 시료는 80% 에탄올에 보존한다.

2) 보존액

◦ 고정된 시료의 영구보존에 필요한 시약이다.

◦ Ethyl alcohol 70~80%: 생물량이 작은 수서곤충류의 보존에 사용한다.

◦ Formalin 5%: 생물량이 큰 패류 등의 보존에 사용한다.

3) 동정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 및 동정은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 (수서곤충류)

(윤, 1988)”, “수서곤충검색도설 (윤, 1995)”, “한국의 수서곤충 (원 등, 2005)”을 따른다.

◦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특히 깔다구류의 동정은 대표적인

오염지표종인 빨간색 깔다구류 중 깔다구속에 해당하는 것들만을 분리하여 산정한다.

◦ 연체동물의 동정은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Ⅰ) (권, 1990)”, “원색패류도

감 (권 등, 1992)” 및 “신원색한국패류도감 (권 등, 2002)”을 따르며, 거머리류는 “한국산

Page 4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71 -

거머리강 (환형동물문)의 분류 (송, 1995)”를 따른다. 기타 분류군은 일본을 포함한 외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류군을 동정한다 (표 1.3.3, 1.3.4).

분류군 제목 저자 발행년도

수서곤충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 (수서곤충류) 윤일병 1988

수서곤충 수서곤충검색도설 윤일병 1995

깔따구류 한국산 깔따구속 (파리목: 깔따구과)의 분류 윤과 전 1992

꼬마하루살이류깜장하루살이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기재

및 한국산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검색표배 등 1998

연체동물 (패류)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Ⅰ) 권오길 1990

연체동물 (패류) 원색한국패류도감 권 등 1993

연체동물 (패류) 신원색한국패류도감 권 등 2001

환형동물 (거머리류) 한국산 거머리강 (환형동물문)의 분류 송광래 1995

새우류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 (새우류) 김훈수 1977

곤충류 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 1994

기타 동물류 한국동물명집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수서곤충 한국의 수서곤충 원 등 2005

<표 1.3.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내 기준 문헌

분류군 제목 저자 발행년도

수서곤충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Merritt and Cummins 1984, 1996

담수 대형무척추동물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Peckarsky et al. 1990

수서곤충 Aquatic entomology McCafferty 1981

깔따구류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 Part Ⅰ-LarvaeWiederholm 1993

무척추동물 신일본동물도감 岡田要 1965

수서곤충일본산수생곤충검색도설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an)Kawai 1985

수서곤충일본산 수생곤충 (Aquatic Insects of Japan:

Manual with Keys and Illustrations)Kawai and Tanida 2004

<표 1.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국외 참고문헌

◦ 동정결과는 <표 1.3.5>의 예시와 같이 조사일자, 조사지점 등을 기입하고 출현종 및 개체수

를 기록한다. 동정은 가능한 종 수준까지 한다.

◦ 한편 골라내기와 동정에 요구되는 도구는 <그림 1.3.8>과 같다.

- 72 -

조사지점 유등천1 복수교 과제명 물환경

행정구역 대전광역시 중구 산성동

조사일시

1차 2004.12.08

2차조사방법 서버넷: (30 cm × 30 cm) × 3회

3차

문 / 목(Phylum / Order) 출현종수

출현 개체수

1차 2차 3차

1 편형동물문 Dugesia sp. 11

2 연체동물문 Semisulcospira libertina 5

3 하루살이목 Acentrella sibirica 1

4 Baetiella tuberculata 15

5 Baetis fuscatus 5

6 Nigrobaetis bacillus 18

7 Ecdyonurus levis 97

8 Ecdyonurus bajkovae 14

9 Epeorus curvatulus 82

10 Epeorus pellucidus 117

11 Rhoenanthus coreanus 3

12 Ephemera orientalis 4

13 Uracanthella rufa 568

14 Caenis KUa 1

15 잠자리목 Ophiogomphus obscura 4

16 강도래목 Archynopteryx KUa 1

17 딱정벌레목 Elmidae sp. (larva) 1

18 Psephenoides KUa 23

19 Mataeopsephus KUa 17

20 파리목 Antocha KUa 21

21 Simulium sp. 155

22 Chironomidae sp.1 39

23 Chironomidae sp.3 21

24 Chironomidae sp.4 1

25 날도래목 Psychomyia KUa 62

26 Cheumatopsyche brevilineata 428

27 Cheumatopsyche KUb 84

28 Hydropsyche kozhanschikovi 672

29 Hydropsyche valvata 82

30 Hydropsyche orientalis 74

31 Macronema radiatum 18

32 Rhyacophila nigrocephala 7

33 Hydroptila KUa 5

34

35

출현종수 33

<표 1.3.5> 동정기록양식

Page 4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73 -

<그림 1.3.8> 골라내기 (sorting)와 동정 (identification)에 필요한 도구

1. 해부현미경: 크기가 작은 종의 정확한 분류를 위하여 사용된다.

2. 페트리디쉬: 가급적 무색의 투명한 것을 사용한다.

3. 시료병: 크기가 다른 종류를 여러 개 준비한다.

4. 레벨: 채집일, 채집장소, 채집자, 종명 등을 기록한다.

5. 필기도구: 연필이나 샤프 등 기록할 수 있는 필기구를 사용한다.

6. 기록용지: 동정한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준비한다.

7. 보관용 시약: 70~80%의 Ethyl alcohol을 사용한다.

8. 쟁반: 바닥이 흰색이고, 평평한 것이 좋다.

9. 핀셋: 모양이 다른 핀셋을 2~3개를 준비한다.

10. 도감: 동정할 때 필요한 도감이나 기타 참고자료를 준비한다.

- 74 -

라. 조사의 전체과정 (<그림 1.3.9> 및 <표 1.3.6>)

<그림 1.3.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장조사 및 실험실 분석과정

Page 4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75 -

<표 1.3.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장조사 및 실험실 분석과정

마. 정도관리

◦ 현장조사의 경우, 조사구간에서 조사정점의 선정, 기상 (특히 강우)과 관련된 조사시점의

선정, 채집방법, 시료 고정 등 다양하고 섬세한 부분에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또한

실험실내에서는 채집된 시료의 골라내기 (sorting)와 동정 (identification)에 있어서 숙

련된 전문가를 통한 사전 교육이 요구된다.

- 76 -

1) 현지조사시

◦ 실제 현장에서 조사정점을 선정하는 것은 오랜 경험이 요구된다.

◦ 걸어서 건널 수 있는 하천을 대상으로 하여 여울지역에서의 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 조사구간에서 여러 상황에 따라 조사정점을 선정할 수 있는 안목을 높여주는 사전의 현장

교육이 요구된다.

◦ 실제 강우 등의 다양한 기상요건에 따라 조사의 정확한 일시를 정해야 한다. 특히 강우

등에 의해 유량 등의 급격한 변화가 있을 시에는 조사를 중지하고 추후 (10~15일 정도)

재조사를 실시한다.

◦ 하천의 여울을 조사대상으로 하므로 채집장비는 서버넷 (망목, 1 × 1 mm)을 이용하고, 반

복횟수도 하천규모에 따라 3회 이상 조사한다.

◦ 채집된 시료는 채집통에 옮겨 고정한 후에 조사일, 조사구간, 정량횟수 등을 정확한 기입

하며, 현지조사표에 기본적인 환경상태뿐만 아니라 특이사항을 기입한다. 가능한 동일한

조사구간은 동일한 조사팀에서 조사한다.

2) 실험실 분석시

◦ 실험실로 운반된 시료는 우선적으로 골라내기를 실시하여 유사한 분류군별로 모아 각각의

별도 시료병에 담고, 각 시료병에는 현장 채집병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정보를 기입하며,

동정된 종들은 분리하여 종명을 기입한다.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하천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지니고 있으므로

동정 능력이 중요하다. 종의 동정에 관한 부분은 오래된 경험과 선험자의 도움이 필요하

므로 교육을 통한 동정능력의 배양 및 정기적인 표본 검증에 의한 정도관리를 실시한다.

◦ 또한 표준화된 도감의 작성을 통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Page 4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77 -

3. 평가지침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평가에는 각 조사지점의 출현종수, 출현 개체수, 우점종

및 우점율, 군집지수, 한국오수생물지수 산출이 해당된다.

◦ 출현 개체수, 군집지수 및 한국오수생물지수는 각 지점에서 얻어진 개체수를 단위면적당

개체수 (개체/m2)로 환산하여 이용한다.

가. 생물평가기법

1) 군집지수

◦ 수리적 군집분석은 종수나 각 종의 개체수 조성비가 환경상태와 가지는 유기적 관계에

중점을 두고 판정하는 기법이다. 객관적 군집분석은 오수생물계열의 변화에 군집의 기능

적 변화가 수반된다는 근거를 가정하여 분석한다.

◦ 일반적으로 환경상태의 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군집지수는 <표 1.3.7>과 같다.

항목 산출식 비고

우점도지수 (DI)

McNaughton (1967)

N1+N2

NN1, N2: 제 1,2 우점종 개체수

N: 총 출현개체수

다양도지수 (H')

Shannon-weaver- ∑

S

i= 1p i log 2p i , p i=

Ni

NNi: I종의 개체수

N: 총 출현개체수

종풍부도지수 (R1)

Margalef (1958)S-1lnN

S: 총 출현종수

N: 총 출현개체수

종풍부도지수 (R2)

Menhinick (1964)

SN

S: 총 출현종수

N: 총 출현개체수

균등도지수 (J')

Pielou (1975)

H'log 2S

S: 총 출현종수

<표 1.3.7> 물환경평가에 이용되는 수리객관적 군집지수표

가) 우점도지수 (DI)

◦ 환경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내성이 강한 특정 우점종이 총 군집에서 차지하는 개체수비는

환경상태의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I)는 우점종 2종이

총 군집에서 차지하는 개체수비로 나타낸다 (McNaughton, 1967).

- 78 -

국명 학명

편형동물문 Phylum Platyhelminthes

와충강 Class Turbellaria

삼기장목 Order Tricladida

플라나리아과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 Dugesia japonica Ichikawz and Kawakatsu

산골플라나리아 Phagocata vivida (Ijima and Kaburaki)

통통플라나리아과 Family Kenkiidae

장님플라나리아 Schalloplana coreana Kawakatsu and Kim

유선형동물문 Phylum Nematomorpha

연가시강 Class Gordioida

연가시목 Order Gordea

연가시과 Family Gordiidae

연가시 Gordius aquaticus Linnaeus

가는줄연가시 Gordius liniatus Baek and Noh

털연가시 Gordius robustus Leidy

흑연가시목 Order Chordidea

흑연가시과 Family Chordodidae

오디흑연가시 Chordodes korrensis Baek

긴털흑연가시 Chordodes japonensis Inoue

연체동물문 Phylum Mollusca

복족강 Class Gastropoda

원시복족목 Order Archaeogastropoda

갈고둥과 Family Neritidae

기수갈고둥 Clithon retropictus (v Martens)

중복족목 Order Mesogastropoda

논우렁이과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둥근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laeta (Martens)

긴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Gray)

큰논우렁이 Cipangopaludina japonica (v Martens)

강우렁이 Sinotaia quadrata (Benson)

동굴우렁이과 Family Hydrobiidae

참동굴우렁이 Bithynella coreana Kwon

흰동굴우렁이 Akiyoshia coreana Kwon

쇠우렁이과 Family Bithyniidae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Böurguignat)

염주쇠우렁이 Gabbia misella (Gredler)

작은쇠우렁이 Gabbia kiusiuensis (S Hirase)

둥근입기수우렁이과 Family Stenothyridae

둥근입기수우렁이 Stenothyra glabra (A Adams)

흑색반점기수우렁이 Stenophyra edogawaensis (Yokoyama)

기수우렁이과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 Assiminea japonica v Martens

좀기수우렁이 Assiminea lutea A Adams

빨강기수우렁이 Assiminea latericea (H & A Adams)

밤색기수우렁이 Angustassiminea castanea Westerlund

다슬기과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Martens)

주름다슬기 Semisulcospira forticosta (Martens)

좀주름다슬기 Semisulcospira tegulata (Martens)

참다슬기 Semisulcospira coreana (Martens)

Page 5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79 -

국명 학명

주머니다슬기 Semisulcospira paucicincta (v Martens)

염주다슬기 Koreanomelania nodifila (v Martens)

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Martens)

띠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ovalis Burch and Jung

원시유폐목 Order Archaeopulmonata

대추귀고둥과 Family Ellobiidae

대추귀고동 Ellobium chinense (Pfeiffer)

기안목 Order Basommatophora

물달팽이과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 Lymnaea auricularia (Linnaeus)

알물달팽이 Lymnaea palustris ovata (Draparnaud)

애기물달팽이 Austropeplea ollula (Gould)

긴애기물달팽이 Fossaria truncatula (Müller)

왼돌이물달팽이과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 Physa acuta Draparnaud

또아리물달팽이과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 Gyraulus chinensis (Dunker)

일본또아리물달팽이 Gyraulus illibatus (Westerlund)

수정또아리물달팽이 Hippeutis cantori (Benson)

인도또아리물달팽이 Indoplanorbis exustus (Deshayes)

배꼽또아리물달팽이 Polypylis hemisphaerula (Benson)

민물삿갓조개과 Family Ancylidae (Ferrisidae)

민물삿갓조개 Laevapex nipponicus (Kuroda)

부족강: 이매패강 Class Pelecypoda: Bivalvia

담치목 Order Mytiloida

홍합과 Family Mytilidae

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 (Dunker)

석패목 Order Unionoida

석패과 Family Unionidae

말조개 Unio douglasiae Griffith and Pidgeon

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 (Martens)

일본말조개 Inversidens japanensis (Lea)

칼조개 Lanceolaria grayana (Lea)

귀이빨대칭이 Cristaria plicata (Leach)

원반대칭이 Pletholophus discoidea (Lea)

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Heude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Martens

펄조개 Anodonta woodiana (Lea)

도끼조개 Solenaia triangularis (Heude)

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 (Martens)

곳체두드럭조개 Lamprotula leai (Griffith and Pidgeon)

빗두드럭조개 Lamprotula microstricta (Heude)

예쁜두드럭조개 Shistodemus lampreyanus (Baird et A Adams)

백합목 Order Veneroida

돌고부지과 Family Trapeziidae

돌고부지 Trapezium liratum (Reeve)

재첩과 Family Corbiculidae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Prime

대륙재첩 Corbicula fluminalis (Müller)

공주재첩 Corbicula corolata Martens

콩제첩 Corbicula felnouilliana Heude

재첩 Corbicula fluminea (Müller)

섬재첩 Corbicula insularis Prime

참재첩 Corbicula leana Prime

- 80 -

국명 학명

엷은재첩 Corbicula papyracea Heude

점박이재첩 Corbicula portentosa Heude

산골과 Family Sphaeriidae

산골조개 Pisidium coreanum Kwon and Park

삼각산골조개 Sphaerium lacustre japonicum (Westerlund)

우럭목 Order Myoida

쇄방사늑조개과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 Potamocorbula amurensis (Schrenck)

환형동물문 Phylum Annelida

다모강 Class Polychaeta

부채발갯지렁이목 Order Phyllodocida

참갯지렁이과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 Neanthes japonica (Izuka)

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nuntia (Savigny)

실참갯지렁이 Tylorrhynchus heterochaetus (Quatrefages)

빈모강 Class Oligochaeta

물지렁이목 Order Archioligochaeta

물지렁이과 Family Naididae

물지렁이 Chaetogaster limnaei Baer

실지렁이과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 Hatai

거머리강 Class Hirudinea

부리거머리목 Order Rhynchobdellida

넙적거머리과 Family Glossiphoniidae

달팽이넙적거머리 Alboglossiphonia heteroclita (Linnaeus)

조개넙적거머리 Alboglossiphonia lata (Oka)

연두넙적거머리 Batracobdella paludosa (Carena)

갈색넙적거머리 Glossiphonia complanata (Linnaeus)

회색넙적거머리 Glossiphonia weberi Blanchard

민물넙적거머리 Helobdella stanalis (Linnaeus)

곤봉넙적거머리 Hemiclepsis japonica Oka

녹색넙적거머리 Hemiclepsis marginata (Muller)

개구리넙적거머리 Toryx tagoi (Oka)

턱거머리목 Order Arhynchobdellidae

거머리과 Family Hirudinidae

참거머리 Hirudo nipponica Whitman

갈색말거머리 Whitmania acranulata Whitman

녹색말거머리 Whitmania edentula Whitman

말거머리 Whitmania pigra Whitman

돌거머리과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 Erpobdella lineata Muller

절지동물문 Phylum Arthropoda

거미강 Class Arachnida

거미목 Order Araneae

물거미과 Family Argyronetidae

물거미 Argyroneta aquatica (Clerck)

갑각강 Class Crustacea

무갑목 Order Anostraca

가지머리풍년새우과 Family Thamnocephalidae

풍년새우 Branchinella kugenumaensis (Ishikawa)

배갑목 Order Notostraca

투구새우과 Family Triopidae

Page 5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81 -

국명 학명

긴꼬리투구새우 Triops longicaudatus (LeConte)

극미목 Order Spinicaudata

참조개벌레과 Family Cyzicidae

털줄뾰족코조개벌레 Caenestheriella gifuensis (Ishikawa)

혹머리조개벌레과 Family Limnadiidae

밤가시혹머리조개벌레 Eulimnadia braueriana Ishikawa

활미목 Order Laevicaudata

민무늬조개벌레과 Family Lynceidae

이형민무늬조개벌레 Lynceus biformis (Ishikawa)

등각목 Order Isopoda

잔벌레과 Family Sphaeromalidae

기수잔벌레 Gnorimosphaeroma anchialos Jang and Kwon

낙동잔벌레 Gnorimosphaeroma naktongense Kwon and Kim

개펄잔벌레 Gnorimosphaeroma ovatum (Gurjanova)

물벌레과 Family Asellidae

물벌레 Asellus hilgendorfii Bovalius

단각목 Order Amphipoda

아니소옆새우과 Family Anisogammaridae

빗살무늬가시예소옆새우 Jesogammarus ilhoii Lee and Seo

민가시예소옆새우 Jesogammarus koreaensis Lee and Seo

동굴옆새우과 Family Pseudocrangonyctidae

아시아동굴옆새우 Pseudocrangonyx asiaticus Uéno

옆새우과 Family Gammaridae

짧은털옆새우 Gammarus galgosensis Lee and Kim

짧은꼬리다리옆새우 Gammarus hoonsooi Lee

털보옆새우 Gammarus kyonggiensis Lee and Seo

긴털옆새우 Gammarus longisaeta Lee and Seo

가시다리옆새우 Gammarus odaensis Lee and Kim

보통옆새우 Gammarus sobaegensis Uéno

긴깃털옆새우 Gammarus wangbangensis Lee and Seo

칼세오리옆새우 Gammarus zeongogensis Lee and Kim

민손옆새우 Gammarus soyoensis Lee and Kim

십각목 Order Decapoda

새뱅이과 Family Atyidae

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제주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keunbaei Kim

한국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koreana (Kubo)

중국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sinensis Kemp

왜생이 Caridina japonica De Man

얼룩생이 Caridina leucosticta Stimpson

생이 Paratya compressa (De Haan)

징거미새우과 Family Palaemonidae

긴발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formosense Bate

왕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japonicum (De Haan)

두두럭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koreana Kim and Han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미야디새우 Palaemon miyadii (Kubo)

각시흰새우 Palaemon modestus (Heller)

줄새우 Palaemon paucidens De Haan

가재과 Family Cambaridae

만주가재 Cambaroides dauricus (Pallas)

가재 Cambaroides similis (Koelbel)

바위게과 Family Grapsidae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 De Haan

- 82 -

국명 학명

참게 Eriocheir sinensis Edwards

말똥게 Sesarma dehaani Edwards

달랑게과 Family Ocypodidae

달랑게 Ocypodes stimpsoni Ortmann

곤충강 Class Insecta

하루살이목 Order Ephemeroptera

피라미하루살이과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costalis (Matsumura)

멧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montanus Imanishi

꼬마하루살이과 Family Baetidae

깨알하루살이 Acentrella gnom Kluge

콩알하루살이 Acentrella sibirica Kazlauskas

길쭉하루살이 Alainites muticus (Linnaeus)

애호랑하루살이 Baetiella tuberculata (Kazlauskas)

개똥하루살이 Baetis fuscatus Linnaeus

나도꼬마하루살이 Baetis pseudothermicus Kluge

감초하루살이 Baetis silvaticus Kluge

방울하루살이 Baetis ursinus Kazlauskas

두날개하루살이 Cloeon dipterum (Linnaeus)

입술하루살이 Labiobaetis atrebatinus (Eaton)

흰줄깜장하루살이 Nigrobaetis acinaciger (Kluge)

한라하루살이 Procloeon halla Bae and Park

작은갈고리하루살이 Procloeon maritimum (Kluge)

갈고리하루살이 Procloeon pennulatum (Eaton)이

등딱지하루살이과 Family Caenidae

세뿔등딱지하루살이 KUa Brachycercus KUa

등딱지하루살이 KUa Caenis KUa

알락하루살이과 Family Ephemerellidae

민하루살이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먹하루살이 Cincticostella tshernovae (Bajkova)

뿔하루살이 Drunella aculea (Allen)

알통하루살이 Drunella cryptomeria (Imanishi)

쌍혹하루살이 Drunella lepnevae (Tshernova)

얼룩뿔하루살이 Drunella solida (Bajkova)

긴꼬리하루살이 Ephacerella longicaudata (Uéno)

다람쥐하루살이 Ephemerella aurivillii (Bengtsson)

알락하루살이 Ephemerella dentata Bajkova

칠성하루살이 Ephemerella imanishii Gose

흰등하루살이 Ephemerella kozhovi Bajkova

쇠꼬리하루살이 Serratella ignita (Poda)

범꼬리하루살이 Serratella setigera (Bajkova)

굴뚝하루살이 Serratella zapekinae (Bajkova)

등줄하루살이 Uracanthella rufa (Imanishi)

하루살이과 Family Ephemeridae

동양하루살이 Ephemera orientalis McLachlan

가는무늬하루살이 Ephemera separigata Bae

사할린하루살이 Ephemera sachalinensis Matsumura

무늬하루살이 Ephemera strigata Eaton

납작하루살이과 Family Heptageniidae

맵시하루살이 Bleptus fasciatus Eaton

봄처녀하루살이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봄총각하루살이 Cinygmula hirasana (Imanishi)

산처녀하루살이 Cinygmula kurenzovi (Bajkova)

Page 5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83 -

국명 학명

미리내하루살이 Ecdyonurus abracadabrus Kluge

백두하루살이 Ecdyonurus baekdu Bae

몽땅하루살이 Ecdyonurus bajkovae Kluge

참납작하루살이 Ecdyonurus dracon Kluge

꼬리치레하루살이 Ecdyonurus joernensis Bengtsson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네점하루살이 Ecdyonurus levis (Navás)

가락지하루살이 Ecdyonurus scalaris Kluge

나도네점하루살이 Ecdyonurus yoshidae Takahashi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점박이부채하루살이 Epeorus latifolium Uéno

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 (Brodsky)

배점하루살이 Heptagenia guranica Belov

햇님하루살이 Heptagenia kihada Matsumura

총채하루살이 Heptagenia kyotoensis Gose

중부채하루살이 Iron aesculus (Imanishi)

긴부채하루살이 Iron maculatus Tshernova

깊은골하루살이 Rhithrogena binotata Sinitshenkova

골짜기하루살이 Rhithrogena japonica Uéno

깊은산하루살이 Rhithrogena lepnevae Brodsky

빗자루하루살이과 Family Isonychiidae

빗자루하루살이 Isonychia japonica (Ulmer)

깃동하루살이 Isonychia ussurica Bajkova

갈래하루살이과 Family Leptophlebiidae

세갈래하루살이 Choroterpes (Euthraulus) altioculus Kluge

두갈래하루살이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발톱하루살이과 Family Metretopodidae

발톱하루살이 Metretopus borealis Eaton

방패하루살이과 Family Neoephemeridae

방패하루살이 Potamanthellus chinensis Hsu

흰하루살이과 Family Polymitarcyidae

흰하루살이 Ephoron shigae (Takahashi)

강하루살이과 Family Potamanthidae

작은강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odes) formosus Eaton

금빛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odes) yooni Bae & McCafferty

가람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us) luteus oriens Bae & McCafferty

강하루살이 Rhoenanthus (Potamanthindus) coreanus (Yoon & Bae)

옛하루살이과 Family Siphlonuridae

옛하루살이 Siphlonurus chankae Tshernova

표범하루살이 Siphlonurus palaearcticus Tshernova

수리하루살이 Siphlonurus sanukensis Takahashi

잠자리목 Order Odonata

실잠자리과 Family Coenagrionoidae

황등색실잠자리 Mortonagrion selenion (Ris)

노란실잠자리 Ceriagrion melanurum Selys

청동실잠자리 Nehalenia speiciosa (Charpentier)

등검은실잠자리 Cercion calamorum (Ris)

등줄실잠자리 Cercion hieroglyphicum (Brauer)

알락실잠자리 Enallagma cyathigerum (Charpentier)

아시아실잠자리 Ischnura asiatica (Brauer)

방울실잠자리과 Family Platycnemididae

방울실잠자리 Platycnemis phillopoda Djakonov

자실잠자리 Copera annulata (Selys)

청실잠자리과 Family Lestidae

- 84 -

국명 학명

청실잠자리 Lestes sponsa (Hansemann)

좀청실잠자리 Lestes japonicus Selys

묵은실잠자리 Sympecma paedisca (Brauer)

가는실잠자리 Indolestes gracilis pregrinus (Ris)

물잠자리과 Family Calopterygidae

담색물잠자리 Mnais strigsata Selys

검은물잠자리 Calopteryx atrata Selys

물잠자리 Calopteryx japonica Selys

부채장수잠자리과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 Ictinogomphus clavatus (Fabricius)

어리부채장수잠자리 Gomphidia confluens Selys

어리장수잠자리 Sieboldius albardae Selys

쇠측범잠자리 Davidius lunatus Bartenef

고려측범잠자리 KUa Nihonogomphus KUa

노란측범잠자리 Onychogomphus ringens Needham

측범잠자리 Ophiogomphus obscura (Bartenef)

호리측범잠자리 Stylurus annulata (Djakonov)

마아키측범잠자리 Anisogomphus maacki Selys

산측범잠자리 Anisogomphus melanopsoides (Doi)

자루측범잠자리 KUa Burmagomphus KUa

어리측범잠자리 Gomphus postacularis Selys

가시측범잠자리 Trigomphus citimus (Needham)

애측범잠자리 Trigomphus melampus (Selys)

검정측범잠자리 Trigomphus nigripes (Selys)

왕잠자리과 Family Aeshnidae

잘룩허리왕잠자리 Gynacantha japonica Bartenef

개미허리왕잠자리 Boyeria maclachlani Selys

큰무늬왕잠자리 Aeschnophlebia anisoptera Selys

긴무늬왕잠자리 Aeschnophlebia longistigma Selys

왕잠자리 Anax parthenope julius Brauer

먹줄왕잠자리 Anax nigrofasciatus Oguma

왕잠자리 KUa Anax KUa

참별박이왕잠자리 Aeshna crenata Hagen

참별박이왕잠자리 KUa Aeshna KUa

큰별박이왕잠자리 Aeshna nigroflava Martin

애별박이왕잠자리 Aeshna coerulea (Strön)

별박이왕잠자리 Aeshna juncea (Linnaeus)

장수잠자리과 Family Cordulegastridae

장수잠자리 Anotogaster sieboldii Selys

북방잠자리과 Family Corduliidae

청동잠자리 Cordulia aenea amurensis Selys

밀노란잠자리붙이 Somatochlora arctica (Zatt)

밀노란잠자리 Somatochlora graeseri Selys

북방잠자리 Somatochlora alpestris (Selys)

언저리잠자리 Epitheca marginata (Selys)

산잠자리 Epophthalmia elegans yagasakii Eda

노란잔산잠자리 Macromia daimoji Okumura

잔산잠자리 Macromia amphigena fraenata Martin

만주잔산잠자리 Macromia manchuria Asahina

잠자리과 Family Libellulidae

꼬마잠자리 Nannophya pygmaea Rambur

날개잠자리 Tramea virginia (Rambur)

된장잠자리 Pantala flavescens (Fabricius)

고추잠자리 Crocothemis servilia (Drury)

Page 5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85 -

국명 학명

홀쪽밀잠자리 Orthetrum lineostigma (Selys)

밀잠자리 Orthetrum albistylum speciosum (Uhler)

큰밀잠자리 Orthetrum triangulare melania (Selys)

밀잠자리 KUa Orthetrum KUa

배치레잠자리 Lyriothemis pachygastra (Selys)

대모잠자리 Libellula angelina Selys

넉점박이잠자리 Libellula quadrimaculata Linnaeus

진노란잠자리 Sympetrum uniforme (Selys)

노란잠자리 Sympetrum croceolum (Selys)

검정좀잠자리 Sympetrum danae Sulzer

만주좀잠자리 Sympetrum vulgatam imitans (Selys)

붉은좀잠자리 Sympetrum flaveolum (Linnaeus)

애기좀잠자리 Sympetrum parvulum Bartenef

깃동잠자리 Sympetrum infuscatum (Selys)

고추좀잠자리 Sympetrum depressiusculum (Selys)

여름좀잠자리 Sympetrum darwinianum (Selys)

깃동잠자리붙이 Sympetrum baccha matutinum Ris

두점박이좀잠자리 Sympetrum eroticum (Selys)

날개띠좀잠자리 Sympetrum pedemontanum elatum (Selys)

산좀잠자리 Sympetrum pedemontanum pedemontanum (Allioni)

대륙좀잠자리 Sympetrum striolatum imitoides Bartenef

대마도좀잠자리 Sympetrum cordulegaster Selys

흰얼굴좀잠자리 Sympetrum kunckeli (Selys)

노란허리잠자리 Pseudothemis zonata (Burmeister)

나비잠자리 Rhyothemis fulignosa Selys

밀잠자리붙이 Deielia phaon (Selys)

진주잠자리 Leucorrhinia dubia orientalis Selys

강도래목 Order Plecoptera

민날개강도래과 Family Scopuridae

민날개강도래 Scopura laminata Uchida

메추리강도래과 Family Taeniopterygidae

왜메추리강도래 Taenionema japonicum (Okamoto)

메추리강도래 KUa Taenionema KUa

메추리강도래 KUb Taenionema KUb

메추리강도래 KUc Taenionema KUc

민강도래과 Family Nemouridae Newman

토우민강도래 Nemoura tau Zwick

꼬마민강도래 Nemoura jezoensis (Okamoto)

꽈리민강도래 Nemoura gemma

국명 없음 Nemoura espera

민강도래 KUa Nemoura KUa

민강도래 KUb Nemoura KUb

총채민강도래 Amphinemura coreana Zwick

얼룩민강도래 Amphinemura steinmanni Zwick

둥근꼬리민강도래 Amphinemura verrucosa Zwick

국명 없음 Amphinemura rai

국명 없음 Amphinemura baei

총채민강도래 KUa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b Amphinemura KUb

삼새민강도래 KUa Protonemura KUa

흰배민강도래과 Family Capniidae Klapalek

짧은꼬리민강도래 Eucapnopsis stigmatica Okamoto

짧은꼬리민강도래 KUa Eucapnopsis KUa

흰배민강도래 KUa Capnia KUa

- 86 -

국명 학명

애강도래 Paracapnia recta Zhiltzova

꼬마강도래과 Family Leuctridae Klapalek

집게강도래 Leuctra fusca (Linnaeus)

꼬리강도래 Paraleuctra cercia Okamoto

꼬마강도래 Rhopalopsole mahunkai Zwick

넓은가슴강도래과 Family Peltoperlidae Claassen

뭉퉁강도래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넓은가슴강도래 Yoraperla uchidai Stark and Nelson

넓은가슴강도래 KUa Yoraperla KUa

큰그물강도래과 Family Pteronarcyidae Smith

한국큰그물강도래 Pteronarcys macra Ra, Baik, and Cho

그물강도래과 Family Perlodidae Klapalek

그물강도래 Megarcys ochracea Klapalek

점등무늬강도래 Perlodes stigmata Ra, Kim, Kang, and Ham

점등그물강도래 KUa Perlodes KUa

그물강도래붙이 Stavsolus japonicus (Okamoto)

삼줄강도래 Isoperla flavescens Zhiltzova and Potikha

큰등그물강도래 KUa Archynopteryx KUa

강도래과 Family Perlidae Latreille

한국강도래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강도래 KUa Kamimuria KUa

두눈강도래 Neoperla coreensis Ra, Kim, Kang, and Ham

두눈강도래(?) Neoperla quadrata

진강도래 Oyamia nigribasis Banks

강도래붙이 Paragnetina flavotincta (McLachlan)

얼룩강도래붙이 Paragnetina tinctipennis (McLachlan)

무늬강도래 Kiotina decorata (Zwick)

녹색강도래과 Family Chloroperlidae Okamoto

애민무늬강도래 Alloperla joosti Zwick

민무늬강도래 Alloperla rostellata (Klapalek)

여린녹색강도래 Sweltsa lepnevae Zhiltzova

녹색강도래 Sweltsa nikkoensis (Okamoto)

녹색강도래 KUa Sweltsa KUa

노린재목 Order Hemiptera

물벌레과 Family Corixidae

물벌레 Hesperocorixa distanti (Kirkaldy)

왕물벌레 Hesperocorixa kolthoffi (Lundbald)

닮은물벌레 Hesperocorixa mandshurica Jaczewski

어리방물벌레 Sigara (Pseudovermicorixa) septemlineata (Paiva)

진방물벌레 Sigara (Sigara) bellula (Horváth)

대만물벌레 Sigara (Sigara) formosana (Matsumura)

꼭지방물벌레 Sigara (Subsigara) weymarni Hungerford

검정배물벌레 Sigara (Tropocorixa) nigroventralis (Matsumura)

방물벌레 Sigara (Tropocorixa) substriata (Uhler)

각시손톱물벌레 Cymatia apparens (Distant)

동쪽꼬마물벌레 Micronecta (Basilionecta) sahlbergii (Jakovlev)

꼬마물벌레 Micronecta (Basilionecta) sedula Horváth

꼬마손자물벌레 Micronecta (Micronecta) guttata Matsumura

송장헤엄치게과 Family Notonectidae

북방송장헤엄치게 Notonecta (Notonecta) amplifica Kiritshenko

노랑송장헤엄치게 Notonecta (Notonecta) reuteri Hungerford

나도송장헤엄치게 Notonecta (Paranecta) kiangsis Kirkaldy

송장헤엄치게 Notonecta (Paranecta) triguttata Motschulsky

애송장헤엄치게 Anisops ogasawarensis Matsumura

Page 5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87 -

국명 학명

둥글물벌레과 Family Pleidae

꼬마둥글물벌레 Plea (Paraplea) indistinguenda Matsumura

둥글물벌레 Plea (Paraplea) japonica (Horváth)

물둥구리과 Family Naucoridae

빈대물둥구리 Ilyocoris cimicoides (Linnaeus)

물둥구리 Ilyocoris exclamationis (Scott)

물빈대과 Family Aphelocheiridae

물빈대 Aphelocheirus nawae Nawa

물장군과 Family Belostomatidae

각시물자라 Diplonychus esakii Miyamoto and Lee

물장군 Lethocerus deyrollei (Vuillefroy)

물자라 Muljarus japonicus (Vuillefroy)

큰물자라 Muljarus major Esaki

장구애비과 Family Nepidae

장구애비 Laccotrephes japonensis Scott

메추리장구애비 Nepa hoffmanni Esaki

게아재비 Ranatra chinensis Mayr

방게아재비 Ranatra unicolor Scott

딱부리물벌레과 Family Ochteridae

딱부리물벌레 Ochterus marginatus Latreille

물노린재과 Family Mesoveliidae

물노린재 Mesovelia oreinetalis Kirkaldy

가시물노린재 Mesovelia vittigera Horvath

실소금쟁이과 Family Hydrometridae

실소금쟁이 Hydrometra albolineata (Scott)

실소금쟁이 Hydrometra procera Horvath

제주실소금쟁이 Hydrometra okinawana Drake

깨알물노린재과 Family Mebridae

깨알물노린재 Hebrus nipponicus Horvath

깨알소금쟁이과 Family Veliidae 깨알소금쟁이과

얼룩깨알소금쟁이 Microvelia reticula (Burmeister)

긴깨알소금쟁이 Microvelia douglasi Scott

호르바드깨알소금쟁이 Microvelia horvathi Lundbald

털깨알소금쟁이 Pseudovelia tibialis tibialis Esaki and Miyamoto

낙동털깨알소금쟁이 Pseudovelia tibialis sexseta Miytamoto and Lee

강깨알소금쟁이 Pseudovelia koreana Miyamoto and Lee

소금쟁이과 Family Gerridae

소금쟁이 Aquaris paludum (Fabricius)

왕소금쟁이 Aquaris elongatus (Uhler)

등빨간소금쟁이 Gerris (Gerriselloides) gracilicornis (Horváth)

섬소금쟁이 Gerris (Gerriselloides) insularis (Motschulsky)

엿소금쟁이 Gerris (Gerriselloides) nepalensis Distant

애소금쟁이 Gerris (Gerris) latiabdominis Miyamoto

모소금쟁이 Gerris (Gerris) angulatus Lundblad

참소금쟁이 Gerris (Gerris) lacustris (Linnaeus)

북방소금쟁이 Gerris (Gerris) odontogaster (Zetterstedt)

어리광대소금쟁이 Rhyacobates esaki Miyamoto and Lee

바다소금쟁이 Halobates matsumurai Esaki

광대소금쟁이 Metrocoris histrio (White)

황해소금쟁이 Asclepios shiranui coreanus Esaki

갯노린재과 Family Saldidae

멋쟁이갯노린재 Chartoscirta elegantula (Fallén)

우리큰갯노린재 Macrosaldula koreana (Kiritshenko)

큰갯노린재 Macrosaldula rivularia (Sahlberg)

- 88 -

국명 학명

별갯노린재 Salda kiritshenkoi Cobben

참갯노린재 Salda splendens Jakovlev

갯노린재 Saldula saltatoria (Linnaeus)

다리갯노린재 Saldula pallipes (Fabricius)

좀갯노린재 Saldula ornatula (Reuter)

털갯노린재 Chiloxanthus pilosus pilosus (Fallén)

뱀잠자리목 Order Megaloptera

좀뱀잠자리과 Family Sialidae

좀뱀잠자리 KUa Sialis KUa

뱀잠자리과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 Protohermes grandis Thunberg

대륙뱀잠자리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Weele

딱정벌레목 Order Coleoptera

물방개과 Family Dytiscidae

깨알물방개 Laccophilus difficilis Sharp

동쪽깨알물방개 Laccophilus kobensis Sharp

무늬깨알물방개 Laccophilius lewisius Sharp

대륙깨알물방개 Laccophilus minutus (Linnaeus)

샤아프깨알물방개 Laccophilius sharpi Régimbart

알물방개 Hyphydrus japonicus Sharp

머리테물방개 Clypeodytes frontalis (Sharp)

꼬마물방개 Guignotus japonicus (Sharp)

테물방개 Liodessus megacephalus (Gschwendtner)

가는줄물방개 Coelambus chinensis Sharp

북쪽물방개 Coelambus impressopunctatus (Schaller)

동해물방개 Oreodytes kanoi Kamiya

외줄물방개 Potamonectes simplicipes (Sharp)

혹외줄물방개 Potamonectes hostilis (Sharp)

노랑무늬물방개 Neonectes natrix (Sharp)

섬등줄물방개 Copelatus japonicus Sharp

등줄물방개 Copelatus koreanus Mori

애등줄물방개 Copelatus weymarni Balfour-Browne

맵시등줄물방개 Copelatus zimmermanni Gschwendtne

노랑테콩알물방개 Platambus (Agraphis) fimbriatus fimbriatus Sharp

콩알물방개 Platambus (Agraphis) pictipennis Sharp

땅콩물방개붙이 Agabus adpressus Aube

애땅콩물방개 Agabus amoenus Solsky

북쪽땅콩물방개 Agabus congener (Thunberg)

검정머리땅콩물방개 Agabus conspicuus Sharp

머리땅콩물방개 Agabus insolitus Sharp

땅콩물방개 Agabus japonicus Sharp

검정땅콩물방개 Agabus optatus Sharp

큰땅콩물방개 Agabus browni Komiya

모래무지물방개 Ilybius apicalis Sharp

섬모래무지물방개 Ilybius chishimanus Kôno

닮은모래무지물방개 Ilybius lateralis Gebler

애기물방개 Rhantus (Rhantus) pulverosus (Stephens)

제주애기물방개 Rhantus (Rhantus) yessoensis Sharp

잿빛물방개 Eretes sticticus (Linnaeus)

줄무늬물방개 Hydaticus (Hydaticus) bowringi Clark

꼬마줄물방개 Hydaticus (Hydaticus) grammicus Germar

줄물방개 Hydaticus (Hydaticus) satoi Wewalka

큰알락물방개 Hydaticus (Guignotites) pacificus Aube

남쪽알락물방개 Hydaticus (Guignotites) rhantoides Sharp

Page 5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89 -

국명 학명

알락물방개 Hydaticus (Guignotites) thermonectoides Sharp

아담스물방개 Graphoderus adamsii (Clark)

배물방개붙이 Dytiscus (Macrodytes) czerskii Zaitsev

물방개붙이 Dytiscus (Macrodytes) dauricus Gebler

검정물방개 Cybister (Meganectes) brevis Aube

물방개 Cybister (Cybister) japonicus Sharp

동쪽애물방개 Cybister (Gschwendtnerhydrus) lewisianus Sharp

애물방개 Cybister (Gschwendtnerhydrus) tripunctatus orientalis Gschwendtner

자색물방개과 Family Noteridae

자색물방개 Noterus japonicus Sharp

고구려자색물방개 Noterus angustulus Zaitsev

노랑띠물방개 Canthydrus politus (Sharp)

물맴이과 Family Gryinidae

긴꼬리물맴이 Orectochilus (Orectochilus) villosus (Muller)

꼬리물맴이 Orectochilus (Orectochilus) regimbarti Sharp

물맴이 Gyrinus (Gyrinus) japonicus francki Ochs

꼭지물맴이 Gyrinus (Gyrinus) curtus Motschulsky

참물맴이 Gyrinus (Gyrinus) gestroi Régimbart

왕물맴이 Dineutes orientalis (Modeer)

물진드기과 Family Haliplidae

중국물진드기 Peltodytes sinensis (Hope)

노랑물진드기 Peltodytes koreanus Takizawa

물진드기 Peltodytes intermedius (Sharp)

알락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simplex Clark

애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ovalis Sharp

큰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eximius Clark

극동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basinotatus Zimmermann

샤아프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sharpi Wehncke

물땡땡이과 Family Hydrophilidae

점물땡땡이 Laccobius (Laccobius) bedeli Sharp

두점물땡땡이 Laccobius (Laccobius) binotatus d'Orchymont

꼬마점물땡땡이 Laccobius (Laccobius) fragilis Nakane

무늬점물땡땡이 Laccobius (Microlaccobius) oscillans Sharp

넓적물땡땡이 Enochrus (Holcophilydrus) umbratus (Sharp)

애넓적물땡땡이 Enochrus (Holcophilydrus) simulans (Sharp)

꼬마넓적물땡땡이 Enochrus (Lumetus) esuriens Walker

둥글넓적물땡땡이 Enochrus (Lumetus) subsignatus Harold

한일넓적물땡땡이 Enochrus (Lumetus) uniformis Sharp

좀물땡땡이 Helochares (Hydrobaticus) striatus Sharp

꼬마좀물땡땡이 Helochares (Helochares) pallens (MacLeay)

참점물땡땡이 Hydrobius fuscipes (Linnaeus)

물땡땡이 Hydrophilus accuminatus Motschulsky

남방물땡땡이 Hydrophilus bilineatus cashimirensis Redtenbache

잔물땡땡이 Hydrochara affinis (Sharp)

북방물땡땡이 Hydrochara libera (Sharp)

애물땡땡이 Sternolophus (Sternologphus) rufipes Fabricius

알물땡땡이 Amphiops mater Sharp

점박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signaticollis punctipennis Harold

새가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japonicus Sharp

남쪽점박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pulchellus MacLeay

뒷가시물땡땡이 Berosus (Enoplurus) lewisius Sharp

콩알물땡땡이 Regimbartia attenuata (Fabricius)

모래톱물땡땡이 Cercyon (Cercyon) aptus Sharp

갈색물땡땡이 Ceryon (Cercyon) olibrus Sharp

- 90 -

국명 학명

소똥물땡땡이 Ceryon (Cercyon) quisquilius (Linnaeus)

끝빨간말똥물땡땡이 Ceryon (Cercyon) vagus Sharp

노랑테똥물땡땡이 Ceryon (Paracercyon) laminatus Sharp

잔털물땡땡이 Cryptopleurum subtile Sharp

털물땡땡이 Pachysternum haemorrhoum (Motschulsky)

잔등볼록물땡땡이 Coelostoma orbiculare (Fabricius)

등볼록물땡땡이 Coelostoma stultum (Walker)

톱물땡땡이 Sphaeridium scarabaeoides (Linnaeus)

알꽃벼룩과 Family Helodidae

알꽃벼룩 KUa Helodes KUa

다색알꽃벼룩 KUa Scirtes KUa

진흙벌레과 Family Heteroceridae

진흙벌레 Heterocercus japonicus Kôno

여울벌레과 Family Elmidae

긴다리여울벌레 Stenelmis vulgaris Nomura

곰보긴다리여울벌레 Stenelmis nipponica Nomura

검정긴다리여울벌레 Stenelmis koreanus Sato

무늬여울벌레 Optioservus variabilis Nomura

애여울벌레 Zaitzevia nitida Nomura

물삿갓벌레과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 KUa Psephenoides KUa

넓은물삿갓벌레 KUa Mataeopsephus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Eubrianax KUa

잎벌레과 Family Chrysomelidae

일본잎벌레 Galerucella nipponensis Laboissiere

딸기잎벌레 KUa Galerucella KUa

벌목 Order Hymenoptera

물벌과 Family Agriotypidae

물벌 Agriotypus gracilis Waterston

파리목 Order Diptera

각다귀과 Family Tipulidae

각다귀 KUa Tipula KUa

각다귀 KUb Tipula KUb

각다귀 KUc Tipula KUc

각다귀 KUd Tipula KUf

각다귀 KUe Tipula KUe

각다귀 KUf Tipula KUf

각다귀 KUg Tipula KUg

각다귀 KUh Tipula KUh

각다귀 KUi Tipula KUi

각다귀 KUj Tipula KUj

각다귀 KUk Tipula KUk

각다귀 KUl Tipula KUl

각다귀 KUm Tipula KUm

각다귀 KUn Tipula KUn

각다귀 KUo Tipula KUo

각다귀 KUp Tipula KUp

장수각다귀 KUa Pedici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b Hexatoma KUb

검정날개각다귀 KUc Hexatoma KUc

명주각다귀 KUa Antocha KUa

애기각다귀 KUa Dicranota KUa

무늬애기각다귀 KUa Dicranomyia KUa

Page 5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91 -

국명 학명

황나각다귀 KUa Nephrotoma KUa

황나각다귀 KUb Nephrotoma KUb

나방파리과 Family Psychodidae

나방파리 KUa Psychoda KUa

털나방파리 KUa Telmatoscopus KUa

애모기과 Family Dixidae

애모기 KUa Dixa KUa

털모기과 Family Chaoboridae

털모기 KUa Chaoborus KUa

먹파리과 Family Simuliidae

뿔먹파리 Simulium (Nevermannia) uchidai (Takahashi)

애뿔먹파리 Simulium (Nevermannia) subcostatum (Takahashi)

어깨무늬먹파리 Simulium (Gnus) malyshevi Dorogostajskij et al

꼬마먹파리 Simulium (Gnus) nacojapi Smart

얼룩다리먹파리 Simulium (Simulium) suzukii Rubzov

꼬마무늬먹파리 Simulium (Simulium) quinquestriatum Shiraki

줄무늬먹파리 Simulium (Simulium) japonicum Matsumura

남방먹파리 KUa Simulium (Gomphostilbia) KUa

등에모기과 Family Ceratopogonidae

등에모기류 Ceratopogonidae sp.

깔따구과 Family Chironomidae

짠물깔따구 Chironomus salinarius (Kieffer)

요시마쯔깔따구 Chironomus yoshimatsui Martin and Sublette

장수깔따구 Chironomus plumosus (Linnaeus)

닙폰깔따구 Chironomus nipponensis Tokunaga

등깔따구 Chironomus dorsalis Meigen

노랑털깔따구 Chironomus flaviplumus Tokunaga

멧모기과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 KUa Philorus KUa

멧모기 KUb Philorus KUb

물멧모기 KUa Bibiocephala KUa

개울등에과 Family Athericidae

개울등에 KUa Atherix KUa

긴개울등에 KUa Suragina KUa

긴개울등에 KUb Suragina KUb

동애등에과 Family Stratiomyiidae

줄동에등에 KUa Stratiomyia KUa

춤파리과 Family Empididae

춤파리류 Empididae sp.

장다리파리과 Family Dolichopodidae

장다리파리류 Dolichopodidae sp.

꽃등에과 Family Syrphidae

흰줄꽃등에 KUa Eristalis KUa

물가파리과 Family Ephydridae

물가파리류 Ephydridae sp.

집파리과 Famiy Muscidae

집파리류 Muscidae sp.

모기과 Famiy Culicidae

집모기류 Culex sp.

날도래목 Order Trichoptera

각날도래과 Family Stenopsychidae

수염치레각날도래 Stenopsyche malmorata Navas

연날개수염치레각날도래 Stenopsyche bergeri Martynov

입술날도래과 Family Philopotamidae

- 92 -

국명 학명

넓은입술날도래 KUa Dolophilodes KUa

입술날도래 KUa Wormaldia KUa

통날도래과 Family Psychomyiidae

통날도래 KUa Psychomyia KUa

깃날도래과 Family Polycentropodidae

깃날도래 KUa Plectrocnemia KUa

별날도래과 Family Ecnomidae

별날도래 Ecnomus tenellus (Rambur)

줄날도래과 Family Hydropsychidae

곰줄날도래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산골줄날도래 KUa Diplectrona KUa

큰줄날도래 Macronema radiatum McLachlan

흰줄날도래 KUa Aethaloptera KUa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동양줄날도래 Hydropsyche orientalis

흰점줄날도래 Hydropsyche valvata

줄날도래 KUb Hydropsyche KUb

줄날도래 KUd Hydropsyche KUd

줄날도래 KD Hydropsyche KD

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꼬마줄날도래 KUa Cheumatopsyche KUa

꼬마줄날도래 KUb Cheumatopsyche KUb

물날도래과 Family Rhyacophilidae

긴발톱물날도래 KUa Apsilochorema KUa

곤봉물날도래 Rhyacophila yamanakensis Iwata

주름물날도래 Rhyacophila articulata Morton

물날도래 KUa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b Rhyacophila KUb

용수물날도래 Rhyacophila retracta Martynov

클레멘스물날도래 Rhyacophila clemens Tsuda

민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shikotsuensis Iwata

거친물날도래 Rhyacophila impar Martynov

검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nigrocephala Iwata

넓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brevicephala Iwata

계곡물날도래 Rhyacophila kuramana Tsuda

두잎물날도래 Rhyacophila bilobata Ulmer

시베리아물날도래 Rhyacophila sibirica MaLachlan

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narvae Navas

광택날도래과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 KUa Glossosoma KUa

큰광택날도래 KUa Agapetus KUa

애날도래과 Family Hydroptilidae

애날도래 KUa Hydroptila KUa

날도래과 Family Phryganeidae

단발날도래 Agrypnia pagetana Curtis

굴뚝날도래 Semblis phalaenoides Linne

둥근날개날도래과 Family Phryganopsychidae

둥근날개날도래 Phryganopsyche latipennis Banks

둥근얼굴날도래과 Family Brachycentridae

둥근얼굴날도래 KUa Micrasema KUa

우묵날도래과 Family Limnephilidae

가시날도래 Goera japonica Banks

가시우묵날도래 Neophylax ussuriensis Martynov

애우묵날도래 KUa Apatania KUa

Page 5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93 -

국명 학명

애우묵날도래 KUb Apatania KUb

띠무늬우묵날도래 Hydatophylax nigrovittatus McLachlan

검은날개우묵날도래 KUa Asynarchus KUa

모시우묵날도래 KUa Limnephilus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b Nothopsyche KUb

네모집날도래과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 KUa Lepidostoma KUa

네모집날도래 KUb Lepidostoma KUb

털날도래과 Family Sericostomatidae

털날도래 KUa Gumaga KUa

바수염날도래과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 Psilotreta kisoensis Iwata

날개날도래과 Family Molannidae

날개날도래 Molanna moesta Banks

달팽이날도래과 Family Helicopsychidae

달팽이날도래 Helicopsyche yamadai Iwata

채다리날도래 Family Calamoceratidae

채다리날도래 KUa Ganonema KUa

나비날도래 Family Leptoceridae

청나비날도래 KUa Mystacides KUa

나비날도래 KUa Ceraclea KUa

나비날도래 KUb Ceraclea KUb

나비날도래 KUc Ceraclea KUc

나비목 Order Lepidoptera

명나방과 Family Pyralidae

노란물명나방 KUa Cataclysta KUa

DI=N1+N2

NN1, N2 : 제 1,2 우점종 개체수, N : 총 출현개체수

◦ 군집지수간 상호관계에 있어 다양도지수 (H')와 우점도지수 (DI)는 역상관적인 양상을 보

여준다. 즉 다양도 (H')와 우점도 (DI)는 선형에 가까운 2차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군

집 내 종조성 특성에 따른 우점도 및 다양도지수의 구간은 <표 1.3.8>과 같다.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 (H') 종간경쟁 및 군집안정도 환경상태

0.90~1.00 0.00~1.00 경쟁력 파괴, 극한 안정 매우불량

0.70~0.90 1.00~2.00 경쟁력 약함, 불안정 불량

0.50~0.70 2.00~3.00 경쟁력 다소 높음, 불안정 다소양호

0.25~0.50 3.00~4.00 경쟁력 높음, 안정 양호

< 0.25 > 4.00 경쟁력 매우 높음, 고안정 매우양호

<표 1.3.8> 우점도와 다양도에 따른 군집특성 및 환경상태

- 94 -

나) 다양도지수 (H')

◦ 군집에서 임의의 두 개체가 같은 종에 포함될 확률을 단순도지수 (Simpson’s index of

concentration)라 한다 (Simpson, 1949).

λ= ∑s

i= 1

Ni(Ni-1)N(N-1)

S:종수, Ni: i종의개체수, N:총개체수

◦ Simpson의 다양도지수는 단순도지수의 역수 (1/λ)이며, 일반 자연수역에서 오염도가 심

한 수역은 대략 3 이하, 오염도가 약한 수역은 6 이상의 범위를 보인다.

◦ Shannon-Weaver의 다양도지수 H'는 아래와 같고, Staub et al. (1970)은 이 지수 값에 다

음과 같은 오수생물계의 기준을 부여하였다 (표 1.3.9).

H'=- ∑S

i= 1P ilog 2P i

( Pi=NiN

)

Ni : I종의 개체수, N : 총 출현개체수

지수 모델 지수 범위 오수생물계열

H'=- ∑S

i= 1P ilog 2P i

( Pi=NiN

)

0.0~1.0 강부수성

1.0~2.0 알파중부수성

2.0~3.0 베타중부수성

3.0~4.5 빈부수성

<표 1.3.9> 다양도지수에 따른 오수생물계열 (Stau et al., 1970)

※ 다양도지수가 매우 높은 경우는 군집의 안정도가 높으며 수질이 양호하다고 판정하지만,

다양도지수가 매우 낮은 경우는 자연적인 환경변화에 변동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질이

불량하다고 볼 수는 없다.

다) 종풍부도지수 (R1)

◦ 종풍부도지수는 총개체수의 총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 환경상태

가 양호할수록 종조성이 균형을 이룬다는 가정에서 환경상태에 대한 지수로서 이용한다.

Page 5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95 -

번호 지표생물군출현빈도 오탁

계급치(S)

지표가중치

(G)I

(0)II

(1)III(2)

IV(3)

V(4)

-(5)

편형동물문 (Phylum Turbellaria)

1 Dugesia 6.9 3.1 0.31 4

복족강 (Class Gastropoda)

2 Parafossarulus manchouricus 3.3 4.3 2.4 1.91 1

3 Semisulcospira 3.1 5.3 1.6 0.85 2

4 Austropeplea ollula 6.1 3.9 1.39 4

5 Radix auricularia 3.1 5.5 1.4 1.83 2

6 Physa acuta 4.3 5.7 4.57 3

부족강 (Class Lamellibranchiata)

7 Limnoperna fortunei 1.2 6.3 2.5 1.13 3

8 Anodonta arcaeformis 6.5 2.4 1.1 1.46 2

9 Unio douglasiae 1.6 4.1 2.7 1.6 1.43 1

10 Corbicula 2.1 6.8 1.1 0.90 3

빈모강 (Class Oligochaeta)

11 Branchiura sowerbyi 0.9 4.2 4.9 4.40 2

12 Limnodrilus gotoi 4.4 5.6 4.56 2

거머리강 (Class Hirudinea)

13 Glossiphoniidae 4.3 4.5 1.2 1.69 2

14 Arhynchobdellidae 1.1 4.7 4.2 2.31 2

갑각강 (Class Crustacea)

15 Asellus 1.5 4.7 3.8 2.23 2

16 Gammarus 10.0 0.00 5

17 Cardinia 6.0 3.1 0.9 1.49 2

하루살이목 (Order Ephemeroptera)

18 Siphlonurus chankae 10.0 0.00 5

<표 1.3.10> 각 지표생물군의 단위오탁계급치, 평균오탁계급치 (s) 및 지표가중치 (G)

R1=S-1lnN S : 총 출현종수, N : 총 출현개체수

라) 균등도지수 (J')

◦ 균등도지수 (J’)는 아래와 같다.

J'=H'

log 2S, H'= ( log 2S)․J' S : 총 출현종수, H' : 다양도지수

2)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Korean Saprobic Index)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평가기법인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를 따른다.

가) 지표생물군

◦ 물환경의 생물평가에 이용되는 지표생물군은 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치가 정리된 하천에서

출현도가 높은 총 100개의 지표생물군으로 제한 한다 (표 1.3.10).

- 96 -

번호 지표생물군출현빈도 오탁

계급치(S)

지표가중치

(G)I

(0)II

(1)III(2)

IV(3)

V(4)

-(5)

19 Ameletus 10.0 0.00 5

20 Acentrella 5.3 4.7 0.47 3

21 Alanites muticus 7.6 1.5 0.9 0.33 2

22 Baetiella tuberculata 6.3 3.7 0.37 4

23 Baetis 1.8 4.7 2.7 0.8 1.25 2

24 Nigrobaetis 2.1 6.1 1.8 0.97 2

25 Isonychia 9.7 0.3 0.03 5

26 Bleptus fasciatus 10.0 0.00 5

27 Cinygmula 8.7 1.3 0.13 5

28 Ecdyonurus 6.2 2.8 1.0 0.48 2

29 Ecdyonurus levis 1.8 5.1 3.1 1.13 2

30 Epeorus curvatulus 8.7 1.3 0.13 5

31 Epeorus pellucidus 6.4 3.6 0.36 4

32 Heptagenia 10.0 0.00 5

33 Iron 10.0 0.00 5

34 Rhithrogena 8.7 1.3 0.13 5

35 Choroterpes altioculus 6.3 3.7 0.37 4

36 Paraleptophlebia chocorata 9.3 0.7 0.07 5

37 Potamanthus 2.7 6.4 0.9 0.82 3

38 Rhoenanthus coreanus 3.7 6.3 0.63 4

39 Ephemera orientalis 1.9 6.4 1.7 0.98 3

40 Ephemera separigata 10.0 0.00 5

41 Ephemera strigata 7.5 2.5 0.25 4

42 Cincticostella 9.6 0.4 0.04 5

43 Drunella 8.7 1.3 0.13 5

44 Ephemerella 7.1 2.9 0.29 4

45 Serratella 6.8 3.2 0.32 4

46 Uracanthella 1.3 5.2 3.5 1.22 2

47 Caenis 2.7 5.1 2.2 0.95 1

잠자리목 (Order Odonata)

48 Cercion 6.7 2.1 1.2 1.44 1

49 Ischnura asiatica 6.5 3.5 1.35 4

50 Davidius lunatus 8.5 1.5 0.15 4

51 Nihonogomphus 4.1 4.0 1.9 0.78 1

52 Onychogomphus ringens 2.3 4.7 1.7 1.3 1.20 1

53 Ophiogomphus obscura 6.9 3.1 0.31 4

54 Sieboldius albardae 4.8 5.2 0.52 3

55 Stylurus annulata 5.3 3.7 1.0 1.57 2

56 Macromia 6.3 3.7 1.37 4

57 Orthetrum 4.1 5.3 0.6 1.65 3

58 Tramea virginia 3.6 6.4 1.64 4

강도래목 (Order Plecoptera)

59 Plecoptera 10.0 0.00 5

뱀잠자리목 (Order Megaloptera)

60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4.2 5.8 0.58 3

61 Protohermes grandis 6.7 3.3 0.33 4

딱정벌레목 (Order Coleoptera)

62 Neonectes natrix 10.0 0.00 5

63 Elmidae 4.5 5.5 0.55 3

64 Psephenidae 4.1 5.9 0.59 4

파리목 (Order Diptera)

65 Antocha 5.8 4.2 0.42 3

66 Dicranota 6.1 3.9 0.39 4

67 Hexatoma 10.0 0.00 5

68 Tipula 4.7 3.5 1.8 0.71 1

69 Psychoda 3.3 6.7 4.67 4

70 Simulium 6.1 3.9 0.39 3

71 Ceratopogonidae 3.8 6.2 0.62 4

72 Chironomidae (red-type) 1.3 4.6 4.1 4.28 2

73 Atherix 7.8 2.2 0.22 4

74 Suragina 9.2 0.8 0.08 5

Page 5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97 -

번호 지표생물군출현빈도 오탁

계급치(S)

지표가중치

(G)I

(0)II

(1)III(2)

IV(3)

V(4)

-(5)

75 Tabanus 5.3 3.1 1.6 0.63 1

76 Eristalis 1.6 8.4 4.84 4

날도래목 (Order Trichoptera)

77 Stenopsyche 9.6 0.4 0.04 5

78 Philopotamidae 10.0 0.00 5

79 Psychomyia 6.4 3.6 0.36 4

80 Plectrocnemia 9.4 0.6 0.06 5

81 Ecnomus tenellus 2.4 7.6 1.76 4

82 Arctopsyche ladogensis 10.0 0.00 5

83 Cheumatopsyche 5.7 4.3 0.43 3

84 Hydropsyche kozhantschikovi 1.1 4.8 4.1 1.30 2

85 Hydropsyche orientalis 6.7 3.3 0.33 4

86 Hydropsyche valvata 4.6 3.6 1.8 1.72 1

87 Macrostemum radiatum 3.2 6.1 0.7 0.75 3

88 Apsilochorema 9.4 0.6 0.06 5

89 Rhyacophila 8.7 1.3 0.13 5

90 Glossosomatidae 8.6 1.4 0.14 5

91 Hydroptila 2.3 6.7 1.0 0.87 3

92 Apatania 5.3 4.7 0.47 3

93 Goera 4.8 5.2 0.52 3

94 Hydatophylax nigrovittatus 10.0 0.00 5

95 Neophylax ussuriensis 7.9 2.1 0.21 4

96 Notopsyche 1.8 8.2 0.82 4

97 Goerodes 10.0 0.00 5

98 Psilotreta kisoensis 10.0 0.00 5

99 Ceraclea 5.7 4.3 0.43 3

100 Mystacides 7.9 2.1 0.21 4

◦ 실제의 조사에서 선정된 지표생물군 이외의 생물종이 출현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종

들은 한국오수생물지수의 산출에서는 제외한다.

나) 한국오수생물지수의 산출

◦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표 1.3.10>에 제시된 출현한 각 지표생물군의 오탁계급치 및

지표가중치를 적용하여 아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하며, <표 1.3.11>의 생물등급기준에

따라 판정한다. <그림 1.3.10>에는 각 생물등급별 주요 지표생물군을 나타낸 것이다.

KSI=∑n

i=1

Si∙Ai∙Gi

∑n

i=1

Ai∙Gi

KSI 한국오수생물지수 (korean saprobic index)

i 지정된 지표생물군의 일련번호 (number assigned to the taxon)

n 출현한 지표생물군의 총수 (number of taxa)

- 98 -

si i지표생물군의 오탁계급치 (saprobic value of the ith taxon)

Ai i지표생물군의 출현개체수 (abandance index of the ith taxon)

Gi i지표생물군의 지표가중치 (weighting factor of the ith taxon)

생물

등급

한국오수생물지수

(KSI)환경상태 지표생물군

A 0.0~≤1.0 최적옆새우, 가재, 뿔하루살이류, 민하루살이, 강도래, 물날도래,

광택날도래 등

B 1.0~≤2.4 양호다슬기, 넓적거머리, 강하루살이, 동양하루살이, 등줄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등

C 2.4~≤3.6 보통 물달팽이, 턱거머리류, 물벌레, 밀잠자리 등

D 3.6~≤5.0 불량 횐돌이물달팽이, 실지렁이, 깔따구, 나방파리 등

<표 1.3.1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Page 6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99 -

<그림 1.3.10>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생물군

□ 최적 (A등급)

한국강도래 민하루살이 가재

□ 양호 (B등급)

강하루살이 등줄하루살이 다슬기

□ 보통 (C등급)

돌거머리 물벌레 밀잠자리

□ 불량 (D등급)

왼돌이물달팽이 깔따구류 (적색) 나방파리

- 100 -

다) 한국오수생물지수 산출의 예

2005년 4월 한강 지류인 가평천에서 수질측정망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아

래의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산출식에 의거하여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

KSI=∑n

i=1

Si∙Ai∙Gi

∑n

i=1

Ai∙Gi

KSI 한국오수생물지수 (korean saprobic index)

i 지정된 지표생물군의 일련번호 (number assigned to the taxon)

n 출현한 지표생물군의 총수 (number of taxa)

si i지표생물군의 오탁계급치 (saprobic value of the ith taxon)

Ai i지표생물군의 출현개체수 (abandance index of the ith taxon)

Gi i지표생물군의 지표가중치 (weighting factor of the ith taxon)

<표 1.3.14>에 나타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오수생물지수를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① 현장에서 채집된 자료를 실험실에서 골라내기 (sorting) 및 동정 (identification)된 결과를

각 지표생물군별로 단위면적당 출현개체수 (개체/m2)로 환산하여 <표 1.3.12>와 같이 기

입한다.

② 각 지표생물군의 대하여 이미 확정되어있는 오탁계급치 (S), 지표가중치 (G) 및 단위면적

당 출현개체수 (A)의 곱을 아래와 같이 구한다.

S 22∙A 22∙G 22=0.4×66.7×4=98.7

③ ②번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지표생물군에서 계산된 값의 합을 구한다 (표 1.3.13).

∑n

i=1Si∙Ai∙Gi=1,038.4

Page 6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01 -

번호 지표생물군 S G A¹ Si Ai Gi Ai Gi

22 Baetiella tuberculata 0.4 4 66.7

24 Nigrobaetis 1.0 2 5.6

28 Ecdyonurus 0.5 2 150.0

31 Epeorus pellucidus 0.4 4 205.6

35 Choroterpes altioculus 0.4 4 166.7

36 Paraleptophlebia chocorata 0.1 5 27.8

38 Rhoenanthus coreanus 0.6 4 5.6

42 Cincticostella 0.0 5 27.8

43 Drunella 0.1 5 98.0

44 Ephemerella 0.3 4 5.6

46 Uracanthella 1.2 2 16.7

59 Plecoptera 0.0 5 16.7

65 Antocha 0.4 3 5.6

67 Hexatoma 0.0 5 5.6

70 Simulium 0.5 3 27.8

77 Stenopsyche 0.0 5 11.1

83 Cheumatopsyche 0.4 3 16.7

85 Hydropsyche orientalis 0.3 4 16.7

93 Goera 0.5 3 5.6

97 Goerodes 0.0 5 5.6

<표 1.3.12>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한 오수생물지수의 산출과정

번호 지표생물군 S G A¹ Si*Ai*Gi Ai*Gi

22 Baetiella tuberculata 0.4 4 66.7 98.7

24 Nigrobaetis 1.0 2 5.6 10.8

28 Ecdyonurus 0.5 2 150.0 144.0

31 Epeorus pellucidus 0.4 4 205.6 296.0

35 Choroterpes altioculus 0.4 4 166.7 246.7

36 Paraleptophlebia chocorata 0.1 5 27.8 9.7

38 Rhoenanthus coreanus 0.6 4 5.6 14.0

42 Cincticostella 0.0 5 27.8 5.6

43 Drunella 0.1 5 98.0 63.7

44 Ephemerella 0.3 4 5.6 6.4

46 Uracanthella 1.2 2 16.7 40.7

59 Plecoptera 0.0 5 16.7 0.0

65 Antocha 0.4 3 5.6 7.0

67 Hexatoma 0.0 5 5.6 0.0

70 Simulium 0.5 3 27.8 40.8

77 Stenopsyche 0.0 5 11.1 2.2

83 Cheumatopsyche 0.4 3 16.7 21.5

85 Hydropsyche orientalis 0.3 4 16.7 22.0

93 Goera 0.5 3 5.6 8.7

97 Goerodes 0.0 5 5.6 0.0

계 1,038.4

<표 1.3.13>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한 오수생물지수의 산출

- 102 -

④ 다음의 과정도 ②번 및 ③번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이 산출하며 그 결과는 <표

1.3.14>와 같다.

A 22∙G 22=66.7×4=266.7

∑n

i=1Si∙Ai∙Gi=3,340.0

⑤ 한국오수생물지수 산출식에 ③번과 ④번 과정에서 얻어진 값을 대입하여 최종적으로 지수

값을 얻는다.

·

··

⑥ 산출된 지수값을 <표 1.3.11>에 제시된 생물등급판정표에 따라 등급을 판정한다. 한국오

수생물지수값이 0.31이면 생물 A등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번호 지표생물군 S G A¹ Si*Ai*Gi Ai*Gi

22 Baetiella tuberculata 0.4 4 66.7 98.7 266.7

24 Nigrobaetis 1.0 2 5.6 10.8 11.1

28 Ecdyonurus 0.5 2 150.0 144.0 300.0

31 Epeorus pellucidus 0.4 4 205.6 296.0 822.2

35 Choroterpes altioculus 0.4 4 166.7 246.7 666.7

36 Paraleptophlebia chocorata 0.1 5 27.8 9.7 138.9

38 Rhoenanthus coreanus 0.6 4 5.6 14.0 22.2

42 Cincticostella 0.0 5 27.8 5.6 138.9

43 Drunella 0.1 5 98.0 63.7 490.0

44 Ephemerella 0.3 4 5.6 6.4 22.2

46 Uracanthella 1.2 2 16.7 40.7 33.3

59 Plecoptera 0.0 5 16.7 0.0 83.3

65 Antocha 0.4 3 5.6 7.0 16.7

67 Hexatoma 0.0 5 5.6 0.0 27.8

70 Simulium 0.5 3 27.8 40.8 83.3

77 Stenopsyche 0.0 5 11.1 2.2 55.6

83 Cheumatopsyche 0.4 3 16.7 21.5 50.0

85 Hydropsyche orientalis 0.3 4 16.7 22.0 66.7

93 Goera 0.5 3 5.6 8.7 16.7

97 Goerodes 0.0 5 5.6 0.0 27.8

계 1,038.4 3,340.0

<표 1.3.14> 가평천 01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한 오수생물지수의 산출과정

Page 6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03 -

국명 학명

편형동물문 Phylum Platyhelminthes

와충강 Class Turbellaria

삼기장목 Order Tricladida

플라나리아과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 Dugesia japonica Ichikawz and Kawakatsu

산골플라나리아 Phagocata vivida (Ijima and Kaburaki)

통통플라나리아과 Family Kenkiidae

장님플라나리아 Schalloplana coreana Kawakatsu and Kim

유선형동물문 Phylum Nematomorpha

연가시강 Class Gordioida

연가시목 Order Gordea

연가시과 Family Gordiidae

연가시 Gordius aquaticus Linnaeus

가는줄연가시 Gordius liniatus Baek and Noh

털연가시 Gordius robustus Leidy

흑연가시목 Order Chordidea

흑연가시과 Family Chordodidae

오디흑연가시 Chordodes korrensis Baek

긴털흑연가시 Chordodes japonensis Inoue

연체동물문 Phylum Mollusca

복족강 Class Gastropoda

원시복족목 Order Archaeogastropoda

갈고둥과 Family Neritidae

기수갈고둥 Clithon retropictus (v Martens)

중복족목 Order Mesogastropoda

논우렁이과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Reeve)

둥근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laeta (Martens)

긴논우렁이 Cipangopaludina chinensis (Gray)

큰논우렁이 Cipangopaludina japonica (v Martens)

강우렁이 Sinotaia quadrata (Benson)

동굴우렁이과 Family Hydrobiidae

참동굴우렁이 Bithynella coreana Kwon

흰동굴우렁이 Akiyoshia coreana Kwon

쇠우렁이과 Family Bithyniidae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Böurguignat)

염주쇠우렁이 Gabbia misella (Gredler)

작은쇠우렁이 Gabbia kiusiuensis (S Hirase)

둥근입기수우렁이과 Family Stenothyridae

둥근입기수우렁이 Stenothyra glabra (A Adams)

흑색반점기수우렁이 Stenophyra edogawaensis (Yokoyama)

기수우렁이과 Family Assimineidae

기수우렁이 Assiminea japonica v Martens

좀기수우렁이 Assiminea lutea A Adams

빨강기수우렁이 Assiminea latericea (H & A Adams)

밤색기수우렁이 Angustassiminea castanea Westerlund

다슬기과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Martens)

주름다슬기 Semisulcospira forticosta (Martens)

부록 1.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 목록

- 104 -

국명 학명

좀주름다슬기 Semisulcospira tegulata (Martens)

참다슬기 Semisulcospira coreana (Martens)

주머니다슬기 Semisulcospira paucicincta (v Martens)

염주다슬기 Koreanomelania nodifila (v Martens)

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Martens)

띠구슬다슬기 Koreoleptoxis globus ovalis Burch and Jung

원시유폐목 Order Archaeopulmonata

대추귀고둥과 Family Ellobiidae

대추귀고동 Ellobium chinense (Pfeiffer)

기안목 Order Basommatophora

물달팽이과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 Lymnaea auricularia (Linnaeus)

알물달팽이 Lymnaea palustris ovata (Draparnaud)

애기물달팽이 Austropeplea ollula (Gould)

긴애기물달팽이 Fossaria truncatula (Müller)

왼돌이물달팽이과 Family Physidae

왼돌이물달팽이 Physa acuta Draparnaud

또아리물달팽이과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 Gyraulus chinensis (Dunker)

일본또아리물달팽이 Gyraulus illibatus (Westerlund)

수정또아리물달팽이 Hippeutis cantori (Benson)

인도또아리물달팽이 Indoplanorbis exustus (Deshayes)

배꼽또아리물달팽이 Polypylis hemisphaerula (Benson)

민물삿갓조개과 Family Ancylidae (Ferrisidae)

민물삿갓조개 Laevapex nipponicus (Kuroda)

부족강 : 이매패강 Class Pelecypoda: Bivalvia

담치목 Order Mytiloida

홍합과 Family Mytilidae

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 (Dunker)

석패목 Order Unionoida

석패과 Family Unionidae

말조개 Unio douglasiae Griffith and Pidgeon

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 (Martens)

일본말조개 Inversidens japanensis (Lea)

칼조개 Lanceolaria grayana (Lea)

귀이빨대칭이 Cristaria plicata (Leach)

원반대칭이 Pletholophus discoidea (Lea)

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Heude

작은대칭이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Martens

펄조개 Anodonta woodiana (Lea)

도끼조개 Solenaia triangularis (Heude)

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 (Martens)

곳체두드럭조개 Lamprotula leai (Griffith and Pidgeon)

빗두드럭조개 Lamprotula microstricta (Heude)

예쁜두드럭조개 Shistodemus lampreyanus (Baird et A Adams)

백합목 Order Veneroida

돌고부지과 Family Trapeziidae

돌고부지 Trapezium liratum (Reeve)

재첩과 Family Corbiculidae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Prime

대륙재첩 Corbicula fluminalis (Müller)

공주재첩 Corbicula corolata Martens

콩제첩 Corbicula felnouilliana Heude

재첩 Corbicula fluminea (Müller)

Page 6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05 -

국명 학명

섬재첩 Corbicula insularis Prime

참재첩 Corbicula leana Prime

엷은재첩 Corbicula papyracea Heude

점박이재첩 Corbicula portentosa Heude

산골과 Family Sphaeriidae

산골조개 Pisidium coreanum Kwon and Park

삼각산골조개 Sphaerium lacustre japonicum (Westerlund)

우럭목 Order Myoida

쇄방사늑조개과 Family Corbulidae

쇄방사늑조개 Potamocorbula amurensis (Schrenck)

환형동물문 Phylum Annelida

다모강 Class Polychaeta

부채발갯지렁이목 Order Phyllodocida

참갯지렁이과 Family Nereidae

참갯지렁이 Neanthes japonica (Izuka)

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nuntia (Savigny)

실참갯지렁이 Tylorrhynchus heterochaetus (Quatrefages)

빈모강 Class Oligochaeta

물지렁이목 Order Archioligochaeta

물지렁이과 Family Naididae

물지렁이 Chaetogaster limnaei Baer

실지렁이과 Family Tubificidae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 Hatai

거머리강 Class Hirudinea

부리거머리목 Order Rhynchobdellida

넙적거머리과 Family Glossiphoniidae

달팽이넙적거머리 Alboglossiphonia heteroclita (Linnaeus)

조개넙적거머리 Alboglossiphonia lata (Oka)

연두넙적거머리 Batracobdella paludosa (Carena)

갈색넙적거머리 Glossiphonia complanata (Linnaeus)

회색넙적거머리 Glossiphonia weberi Blanchard

민물넙적거머리 Helobdella stanalis (Linnaeus)

곤봉넙적거머리 Hemiclepsis japonica Oka

녹색넙적거머리 Hemiclepsis marginata (Muller)

개구리넙적거머리 Toryx tagoi (Oka)

턱거머리목 Order Arhynchobdellidae

거머리과 Family Hirudinidae

참거머리 Hirudo nipponica Whitman

갈색말거머리 Whitmania acranulata Whitman

녹색말거머리 Whitmania edentula Whitman

말거머리 Whitmania pigra Whitman

돌거머리과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 Erpobdella lineata Muller

절지동물문 Phylum Arthropoda

거미강 Class Arachnida

거미목 Order Araneae

물거미과 Family Argyronetidae

물거미 Argyroneta aquatica (Clerck)

갑각강 Class Crustacea

무갑목 Order Anostraca

가지머리풍년새우과 Family Thamnocephalidae

풍년새우 Branchinella kugenumaensis (Ishikawa)

- 106 -

국명 학명

배갑목 Order Notostraca

투구새우과 Family Triopidae

긴꼬리투구새우 Triops longicaudatus (LeConte)

극미목 Order Spinicaudata

참조개벌레과 Family Cyzicidae

털줄뾰족코조개벌레 Caenestheriella gifuensis (Ishikawa)

혹머리조개벌레과 Family Limnadiidae

밤가시혹머리조개벌레 Eulimnadia braueriana Ishikawa

활미목 Order Laevicaudata

민무늬조개벌레과 Family Lynceidae

이형민무늬조개벌레 Lynceus biformis (Ishikawa)

등각목 Order Isopoda

잔벌레과 Family Sphaeromalidae

기수잔벌레 Gnorimosphaeroma anchialos Jang and Kwon

낙동잔벌레 Gnorimosphaeroma naktongense Kwon and Kim

개펄잔벌레 Gnorimosphaeroma ovatum (Gurjanova)

물벌레과 Family Asellidae

물벌레 Asellus hilgendorfii Bovalius

단각목 Order Amphipoda

아니소옆새우과 Family Anisogammaridae

빗살무늬가시예소옆새우 Jesogammarus ilhoii Lee and Seo

민가시예소옆새우 Jesogammarus koreaensis Lee and Seo

동굴옆새우과 Family Pseudocrangonyctidae

아시아동굴옆새우 Pseudocrangonyx asiaticus Uéno

옆새우과 Family Gammaridae

짧은털옆새우 Gammarus galgosensis Lee and Kim

짧은꼬리다리옆새우 Gammarus hoonsooi Lee

털보옆새우 Gammarus kyonggiensis Lee and Seo

긴털옆새우 Gammarus longisaeta Lee and Seo

가시다리옆새우 Gammarus odaensis Lee and Kim

보통옆새우 Gammarus sobaegensis Uéno

긴깃털옆새우 Gammarus wangbangensis Lee and Seo

칼세오리옆새우 Gammarus zeongogensis Lee and Kim

민손옆새우 Gammarus soyoensis Lee and Kim

십각목 Order Decapoda

새뱅이과 Family Atyidae

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제주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keunbaei Kim

한국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koreana (Kubo)

중국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sinensis Kemp

왜생이 Caridina japonica De Man

얼룩생이 Caridina leucosticta Stimpson

생이 Paratya compressa (De Haan)

징거미새우과 Family Palaemonidae

긴발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formosense Bate

왕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japonicum (De Haan)

두두럭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koreana Kim and Han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미야디새우 Palaemon miyadii (Kubo)

각시흰새우 Palaemon modestus (Heller)

줄새우 Palaemon paucidens De Haan

가재과 Family Cambaridae

만주가재 Cambaroides dauricus (Pallas)

가재 Cambaroides similis (Koelbel)

Page 6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07 -

국명 학명

바위게과 Family Grapsidae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 De Haan

참게 Eriocheir sinensis Edwards

말똥게 Sesarma dehaani Edwards

달랑게과 Family Ocypodidae

달랑게 Ocypodes stimpsoni Ortmann

곤충강 Class Insecta

하루살이목 Order Ephemeroptera

피라미하루살이과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costalis (Matsumura)

멧피라미하루살이 Ameletus montanus Imanishi

꼬마하루살이과 Family Baetidae

깨알하루살이 Acentrella gnom Kluge

콩알하루살이 Acentrella sibirica Kazlauskas

길쭉하루살이 Alainites muticus (Linnaeus)

애호랑하루살이 Baetiella tuberculata (Kazlauskas)

개똥하루살이 Baetis fuscatus Linnaeus

나도꼬마하루살이 Baetis pseudothermicus Kluge

감초하루살이 Baetis silvaticus Kluge

방울하루살이 Baetis ursinus Kazlauskas

두날개하루살이 Cloeon dipterum (Linnaeus)

입술하루살이 Labiobaetis atrebatinus (Eaton)

흰줄깜장하루살이 Nigrobaetis acinaciger (Kluge)

한라하루살이 Procloeon halla Bae and Park

작은갈고리하루살이 Procloeon maritimum (Kluge)

갈고리하루살이 Procloeon pennulatum (Eaton)이

등딱지하루살이과 Family Caenidae

세뿔등딱지하루살이 KUa Brachycercus KUa

등딱지하루살이 KUa Caenis KUa

알락하루살이과 Family Ephemerellidae

민하루살이 Cincticostella levanidovae (Tshernova)

먹하루살이 Cincticostella tshernovae (Bajkova)

뿔하루살이 Drunella aculea (Allen)

알통하루살이 Drunella cryptomeria (Imanishi)

쌍혹하루살이 Drunella lepnevae (Tshernova)

얼룩뿔하루살이 Drunella solida (Bajkova)

긴꼬리하루살이 Ephacerella longicaudata (Uéno)

다람쥐하루살이 Ephemerella aurivillii (Bengtsson)

알락하루살이 Ephemerella dentata Bajkova

칠성하루살이 Ephemerella imanishii Gose

흰등하루살이 Ephemerella kozhovi Bajkova

쇠꼬리하루살이 Serratella ignita (Poda)

범꼬리하루살이 Serratella setigera (Bajkova)

굴뚝하루살이 Serratella zapekinae (Bajkova)

등줄하루살이 Uracanthella rufa (Imanishi)

하루살이과 Family Ephemeridae

동양하루살이 Ephemera orientalis McLachlan

가는무늬하루살이 Ephemera separigata Bae

사할린하루살이 Ephemera sachalinensis Matsumura

무늬하루살이 Ephemera strigata Eaton

납작하루살이과 Family Heptageniidae

맵시하루살이 Bleptus fasciatus Eaton

봄처녀하루살이 Cinygmula grandifolia Tshernova

- 108 -

국명 학명

봄총각하루살이 Cinygmula hirasana (Imanishi)

산처녀하루살이 Cinygmula kurenzovi (Bajkova)

미리내하루살이 Ecdyonurus abracadabrus Kluge

백두하루살이 Ecdyonurus baekdu Bae

몽땅하루살이 Ecdyonurus bajkovae Kluge

참납작하루살이 Ecdyonurus dracon Kluge

꼬리치레하루살이 Ecdyonurus joernensis Bengtsson

두점하루살이 Ecdyonurus kibunensis Imanishi

네점하루살이 Ecdyonurus levis (Navás)

가락지하루살이 Ecdyonurus scalaris Kluge

나도네점하루살이 Ecdyonurus yoshidae Takahashi

흰부채하루살이 Epeorus curvatulus Matsumura

점박이부채하루살이 Epeorus latifolium Uéno

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 (Brodsky)

배점하루살이 Heptagenia guranica Belov

햇님하루살이 Heptagenia kihada Matsumura

총채하루살이 Heptagenia kyotoensis Gose

중부채하루살이 Iron aesculus (Imanishi)

긴부채하루살이 Iron maculatus Tshernova

깊은골하루살이 Rhithrogena binotata Sinitshenkova

골짜기하루살이 Rhithrogena japonica Uéno

깊은산하루살이 Rhithrogena lepnevae Brodsky

빗자루하루살이과 Family Isonychiidae

빗자루하루살이 Isonychia japonica (Ulmer)

깃동하루살이 Isonychia ussurica Bajkova

갈래하루살이과 Family Leptophlebiidae

세갈래하루살이 Choroterpes (Euthraulus) altioculus Kluge

두갈래하루살이 Paraleptophlebia chocolata Imanishi

발톱하루살이과 Family Metretopodidae

발톱하루살이 Metretopus borealis Eaton

방패하루살이과 Family Neoephemeridae

방패하루살이 Potamanthellus chinensis Hsu

흰하루살이과 Family Polymitarcyidae

흰하루살이 Ephoron shigae (Takahashi)

강하루살이과 Family Potamanthidae

작은강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odes) formosus Eaton

금빛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odes) yooni Bae & McCafferty

가람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us) luteus oriens Bae & McCafferty

강하루살이 Rhoenanthus (Potamanthindus) coreanus (Yoon & Bae)

옛하루살이과 Family Siphlonuridae

옛하루살이 Siphlonurus chankae Tshernova

표범하루살이 Siphlonurus palaearcticus Tshernova

수리하루살이 Siphlonurus sanukensis Takahashi

잠자리목 Order Odonata

실잠자리과 Family Coenagrionoidae

황등색실잠자리 Mortonagrion selenion (Ris)

노란실잠자리 Ceriagrion melanurum Selys

청동실잠자리 Nehalenia speiciosa (Charpentier)

등검은실잠자리 Cercion calamorum (Ris)

등줄실잠자리 Cercion hieroglyphicum (Brauer)

알락실잠자리 Enallagma cyathigerum (Charpentier)

아시아실잠자리 Ischnura asiatica (Brauer)

방울실잠자리과 Family Platycnemididae

방울실잠자리 Platycnemis phillopoda Djakonov

Page 6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09 -

국명 학명

자실잠자리 Copera annulata (Selys)

청실잠자리과 Family Lestidae

청실잠자리 Lestes sponsa (Hansemann)

좀청실잠자리 Lestes japonicus Selys

묵은실잠자리 Sympecma paedisca (Brauer)

가는실잠자리 Indolestes gracilis pregrinus (Ris)

물잠자리과 Family Calopterygidae

담색물잠자리 Mnais strigsata Selys

검은물잠자리 Calopteryx atrata Selys

물잠자리 Calopteryx japonica Selys

부채장수잠자리과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 Ictinogomphus clavatus (Fabricius)

어리부채장수잠자리 Gomphidia confluens Selys

어리장수잠자리 Sieboldius albardae Selys

쇠측범잠자리 Davidius lunatus Bartenef

고려측범잠자리 KUa Nihonogomphus KUa

노란측범잠자리 Onychogomphus ringens Needham

측범잠자리 Ophiogomphus obscura (Bartenef)

호리측범잠자리 Stylurus annulata (Djakonov)

마아키측범잠자리 Anisogomphus maacki Selys

산측범잠자리 Anisogomphus melanopsoides (Doi)

자루측범잠자리 KUa Burmagomphus KUa

어리측범잠자리 Gomphus postacularis Selys

가시측범잠자리 Trigomphus citimus (Needham)

애측범잠자리 Trigomphus melampus (Selys)

검정측범잠자리 Trigomphus nigripes (Selys)

왕잠자리과 Family Aeshnidae

잘룩허리왕잠자리 Gynacantha japonica Bartenef

개미허리왕잠자리 Boyeria maclachlani Selys

큰무늬왕잠자리 Aeschnophlebia anisoptera Selys

긴무늬왕잠자리 Aeschnophlebia longistigma Selys

왕잠자리 Anax parthenope julius Brauer

먹줄왕잠자리 Anax nigrofasciatus Oguma

왕잠자리 KUa Anax KUa

참별박이왕잠자리 Aeshna crenata Hagen

참별박이왕잠자리 KUa Aeshna KUa

큰별박이왕잠자리 Aeshna nigroflava Martin

애별박이왕잠자리 Aeshna coerulea (Strön)

별박이왕잠자리 Aeshna juncea (Linnaeus)

장수잠자리과 Family Cordulegastridae

장수잠자리 Anotogaster sieboldii Selys

북방잠자리과 Family Corduliidae

청동잠자리 Cordulia aenea amurensis Selys

밀노란잠자리붙이 Somatochlora arctica (Zatt)

밀노란잠자리 Somatochlora graeseri Selys

북방잠자리 Somatochlora alpestris (Selys)

언저리잠자리 Epitheca marginata (Selys)

산잠자리 Epophthalmia elegans yagasakii Eda

노란잔산잠자리 Macromia daimoji Okumura

잔산잠자리 Macromia amphigena fraenata Martin

만주잔산잠자리 Macromia manchuria Asahina

잠자리과 Family Libellulidae

꼬마잠자리 Nannophya pygmaea Rambur

날개잠자리 Tramea virginia (Rambur)

- 110 -

국명 학명

된장잠자리 Pantala flavescens (Fabricius)

고추잠자리 Crocothemis servilia (Drury)

홀쪽밀잠자리 Orthetrum lineostigma (Selys)

밀잠자리 Orthetrum albistylum speciosum (Uhler)

큰밀잠자리 Orthetrum triangulare melania (Selys)

밀잠자리 KUa Orthetrum KUa

배치레잠자리 Lyriothemis pachygastra (Selys)

대모잠자리 Libellula angelina Selys

넉점박이잠자리 Libellula quadrimaculata Linnaeus

진노란잠자리 Sympetrum uniforme (Selys)

노란잠자리 Sympetrum croceolum (Selys)

검정좀잠자리 Sympetrum danae Sulzer

만주좀잠자리 Sympetrum vulgatam imitans (Selys)

붉은좀잠자리 Sympetrum flaveolum (Linnaeus)

애기좀잠자리 Sympetrum parvulum Bartenef

깃동잠자리 Sympetrum infuscatum (Selys)

고추좀잠자리 Sympetrum depressiusculum (Selys)

여름좀잠자리 Sympetrum darwinianum (Selys)

깃동잠자리붙이 Sympetrum baccha matutinum Ris

두점박이좀잠자리 Sympetrum eroticum (Selys)

날개띠좀잠자리 Sympetrum pedemontanum elatum (Selys)

산좀잠자리 Sympetrum pedemontanum pedemontanum (Allioni)

대륙좀잠자리 Sympetrum striolatum imitoides Bartenef

대마도좀잠자리 Sympetrum cordulegaster Selys

흰얼굴좀잠자리 Sympetrum kunckeli (Selys)

노란허리잠자리 Pseudothemis zonata (Burmeister)

나비잠자리 Rhyothemis fulignosa Selys

밀잠자리붙이 Deielia phaon (Selys)

진주잠자리 Leucorrhinia dubia orientalis Selys

강도래목 Order Plecoptera

민날개강도래과 Family Scopuridae

민날개강도래 Scopura laminata Uchida

메추리강도래과 Family Taeniopterygidae

왜메추리강도래 Taenionema japonicum (Okamoto)

메추리강도래 KUa Taenionema KUa

메추리강도래 KUb Taenionema KUb

메추리강도래 KUc Taenionema KUc

민강도래과 Family Nemouridae Newman

토우민강도래 Nemoura tau Zwick

꼬마민강도래 Nemoura jezoensis (Okamoto)

꽈리민강도래 Nemoura gemma

국명 없음 Nemoura espera

민강도래 KUa Nemoura KUa

민강도래 KUb Nemoura KUb

총채민강도래 Amphinemura coreana Zwick

얼룩민강도래 Amphinemura steinmanni Zwick

둥근꼬리민강도래 Amphinemura verrucosa Zwick

국명 없음 Amphinemura rai

국명 없음 Amphinemura baei

총채민강도래 KUa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b Amphinemura KUb

삼새민강도래 KUa Protonemura KUa

흰배민강도래과 Family Capniidae Klapalek

짧은꼬리민강도래 Eucapnopsis stigmatica Okamoto

Page 6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11 -

국명 학명

짧은꼬리민강도래 KUa Eucapnopsis KUa

흰배민강도래 KUa Capnia KUa

애강도래 Paracapnia recta Zhiltzova

꼬마강도래과 Family Leuctridae Klapalek

집게강도래 Leuctra fusca (Linnaeus)

꼬리강도래 Paraleuctra cercia Okamoto

꼬마강도래 Rhopalopsole mahunkai Zwick

넓은가슴강도래과 Family Peltoperlidae Claassen

뭉퉁강도래 Yoraperla han Stark and Nelson

넓은가슴강도래 Yoraperla uchidai Stark and Nelson

넓은가슴강도래 KUa Yoraperla KUa

큰그물강도래과 Family Pteronarcyidae Smith

한국큰그물강도래 Pteronarcys macra Ra, Baik, and Cho

그물강도래과 Family Perlodidae Klapalek

그물강도래 Megarcys ochracea Klapalek

점등무늬강도래 Perlodes stigmata Ra, Kim, Kang, and Ham

점등그물강도래 KUa Perlodes KUa

그물강도래붙이 Stavsolus japonicus (Okamoto)

삼줄강도래 Isoperla flavescens Zhiltzova and Potikha

큰등그물강도래 KUa Archynopteryx KUa

강도래과 Family Perlidae Latreille

한국강도래 Kamimuria coreana Ra, Kim, Kang, and Ham

강도래 KUa Kamimuria KUa

두눈강도래 Neoperla coreensis Ra, Kim, Kang, and Ham

두눈강도래(?) Neoperla quadrata

진강도래 Oyamia nigribasis Banks

강도래붙이 Paragnetina flavotincta (McLachlan)

얼룩강도래붙이 Paragnetina tinctipennis (McLachlan)

무늬강도래 Kiotina decorata (Zwick)

녹색강도래과 Family Chloroperlidae Okamoto

애민무늬강도래 Alloperla joosti Zwick

민무늬강도래 Alloperla rostellata (Klapalek)

여린녹색강도래 Sweltsa lepnevae Zhiltzova

녹색강도래 Sweltsa nikkoensis (Okamoto)

녹색강도래 KUa Sweltsa KUa

노린재목 Order Hemiptera

물벌레과 Family Corixidae

물벌레 Hesperocorixa distanti (Kirkaldy)

왕물벌레 Hesperocorixa kolthoffi (Lundbald)

닮은물벌레 Hesperocorixa mandshurica Jaczewski

어리방물벌레 Sigara (Pseudovermicorixa) septemlineata (Paiva)

진방물벌레 Sigara (Sigara) bellula (Horváth)

대만물벌레 Sigara (Sigara) formosana (Matsumura)

꼭지방물벌레 Sigara (Subsigara) weymarni Hungerford

검정배물벌레 Sigara (Tropocorixa) nigroventralis (Matsumura)

방물벌레 Sigara (Tropocorixa) substriata (Uhler)

각시손톱물벌레 Cymatia apparens (Distant)

동쪽꼬마물벌레 Micronecta (Basilionecta) sahlbergii (Jakovlev)

꼬마물벌레 Micronecta (Basilionecta) sedula Horváth

꼬마손자물벌레 Micronecta (Micronecta) guttata Matsumura

송장헤엄치게과 Family Notonectidae

북방송장헤엄치게 Notonecta (Notonecta) amplifica Kiritshenko

노랑송장헤엄치게 Notonecta (Notonecta) reuteri Hungerford

나도송장헤엄치게 Notonecta (Paranecta) kiangsis Kirkaldy

- 112 -

국명 학명

송장헤엄치게 Notonecta (Paranecta) triguttata Motschulsky

애송장헤엄치게 Anisops ogasawarensis Matsumura

둥글물벌레과 Family Pleidae

꼬마둥글물벌레 Plea (Paraplea) indistinguenda Matsumura

둥글물벌레 Plea (Paraplea) japonica (Horváth)

물둥구리과 Family Naucoridae

빈대물둥구리 Ilyocoris cimicoides (Linnaeus)

물둥구리 Ilyocoris exclamationis (Scott)

물빈대과 Family Aphelocheiridae

물빈대 Aphelocheirus nawae Nawa

물장군과 Family Belostomatidae

각시물자라 Diplonychus esakii Miyamoto and Lee

물장군 Lethocerus deyrollei (Vuillefroy)

물자라 Muljarus japonicus (Vuillefroy)

큰물자라 Muljarus major Esaki

장구애비과 Family Nepidae

장구애비 Laccotrephes japonensis Scott

메추리장구애비 Nepa hoffmanni Esaki

게아재비 Ranatra chinensis Mayr

방게아재비 Ranatra unicolor Scott

딱부리물벌레과 Family Ochteridae

딱부리물벌레 Ochterus marginatus Latreille

물노린재과 Family Mesoveliidae

물노린재 Mesovelia oreinetalis Kirkaldy

가시물노린재 Mesovelia vittigera Horvath

실소금쟁이과 Family Hydrometridae

실소금쟁이 Hydrometra albolineata (Scott)

실소금쟁이 Hydrometra procera Horvath

제주실소금쟁이 Hydrometra okinawana Drake

깨알물노린재과 Family Mebridae

깨알물노린재 Hebrus nipponicus Horvath

깨알소금쟁이과 Family Veliidae 깨알소금쟁이과

얼룩깨알소금쟁이 Microvelia reticula (Burmeister)

긴깨알소금쟁이 Microvelia douglasi Scott

호르바드깨알소금쟁이 Microvelia horvathi Lundbald

털깨알소금쟁이 Pseudovelia tibialis tibialis Esaki and Miyamoto

낙동털깨알소금쟁이 Pseudovelia tibialis sexseta Miytamoto and Lee

강깨알소금쟁이 Pseudovelia koreana Miyamoto and Lee

소금쟁이과 Family Gerridae

소금쟁이 Aquaris paludum (Fabricius)

왕소금쟁이 Aquaris elongatus (Uhler)

등빨간소금쟁이 Gerris (Gerriselloides) gracilicornis (Horváth)

섬소금쟁이 Gerris (Gerriselloides) insularis (Motschulsky)

엿소금쟁이 Gerris (Gerriselloides) nepalensis Distant

애소금쟁이 Gerris (Gerris) latiabdominis Miyamoto

모소금쟁이 Gerris (Gerris) angulatus Lundblad

참소금쟁이 Gerris (Gerris) lacustris (Linnaeus)

북방소금쟁이 Gerris (Gerris) odontogaster (Zetterstedt)

어리광대소금쟁이 Rhyacobates esaki Miyamoto and Lee

바다소금쟁이 Halobates matsumurai Esaki

광대소금쟁이 Metrocoris histrio (White)

황해소금쟁이 Asclepios shiranui coreanus Esaki

갯노린재과 Family Saldidae

멋쟁이갯노린재 Chartoscirta elegantula (Fallén)

Page 6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13 -

국명 학명

우리큰갯노린재 Macrosaldula koreana (Kiritshenko)

큰갯노린재 Macrosaldula rivularia (Sahlberg)

별갯노린재 Salda kiritshenkoi Cobben

참갯노린재 Salda splendens Jakovlev

갯노린재 Saldula saltatoria (Linnaeus)

다리갯노린재 Saldula pallipes (Fabricius)

좀갯노린재 Saldula ornatula (Reuter)

털갯노린재 Chiloxanthus pilosus pilosus (Fallén)

뱀잠자리목 Order Megaloptera

좀뱀잠자리과 Family Sialidae

좀뱀잠자리 KUa Sialis KUa

뱀잠자리과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 Protohermes grandis Thunberg

대륙뱀잠자리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Weele

딱정벌레목 Order Coleoptera

물방개과 Family Dytiscidae

깨알물방개 Laccophilus difficilis Sharp

동쪽깨알물방개 Laccophilus kobensis Sharp

무늬깨알물방개 Laccophilius lewisius Sharp

대륙깨알물방개 Laccophilus minutus (Linnaeus)

샤아프깨알물방개 Laccophilius sharpi Régimbart

알물방개 Hyphydrus japonicus Sharp

머리테물방개 Clypeodytes frontalis (Sharp)

꼬마물방개 Guignotus japonicus (Sharp)

테물방개 Liodessus megacephalus (Gschwendtner)

가는줄물방개 Coelambus chinensis Sharp

북쪽물방개 Coelambus impressopunctatus (Schaller)

동해물방개 Oreodytes kanoi Kamiya

외줄물방개 Potamonectes simplicipes (Sharp)

혹외줄물방개 Potamonectes hostilis (Sharp)

노랑무늬물방개 Neonectes natrix (Sharp)

섬등줄물방개 Copelatus japonicus Sharp

등줄물방개 Copelatus koreanus Mori

애등줄물방개 Copelatus weymarni Balfour-Browne

맵시등줄물방개 Copelatus zimmermanni Gschwendtne

노랑테콩알물방개 Platambus (Agraphis) fimbriatus fimbriatus Sharp

콩알물방개 Platambus (Agraphis) pictipennis Sharp

땅콩물방개붙이 Agabus adpressus Aube

애땅콩물방개 Agabus amoenus Solsky

북쪽땅콩물방개 Agabus congener (Thunberg)

검정머리땅콩물방개 Agabus conspicuus Sharp

머리땅콩물방개 Agabus insolitus Sharp

땅콩물방개 Agabus japonicus Sharp

검정땅콩물방개 Agabus optatus Sharp

큰땅콩물방개 Agabus browni Komiya

모래무지물방개 Ilybius apicalis Sharp

섬모래무지물방개 Ilybius chishimanus Kôno

닮은모래무지물방개 Ilybius lateralis Gebler

애기물방개 Rhantus (Rhantus) pulverosus (Stephens)

제주애기물방개 Rhantus (Rhantus) yessoensis Sharp

잿빛물방개 Eretes sticticus (Linnaeus)

줄무늬물방개 Hydaticus (Hydaticus) bowringi Clark

꼬마줄물방개 Hydaticus (Hydaticus) grammicus Germar

줄물방개 Hydaticus (Hydaticus) satoi Wewalka

- 114 -

국명 학명

큰알락물방개 Hydaticus (Guignotites) pacificus Aube

남쪽알락물방개 Hydaticus (Guignotites) rhantoides Sharp

알락물방개 Hydaticus (Guignotites) thermonectoides Sharp

아담스물방개 Graphoderus adamsii (Clark)

배물방개붙이 Dytiscus (Macrodytes) czerskii Zaitsev

물방개붙이 Dytiscus (Macrodytes) dauricus Gebler

검정물방개 Cybister (Meganectes) brevis Aube

물방개 Cybister (Cybister) japonicus Sharp

동쪽애물방개 Cybister (Gschwendtnerhydrus) lewisianus Sharp

애물방개 Cybister (Gschwendtnerhydrus) tripunctatus orientalis Gschwendtner

자색물방개과 Family Noteridae

자색물방개 Noterus japonicus Sharp

고구려자색물방개 Noterus angustulus Zaitsev

노랑띠물방개 Canthydrus politus (Sharp)

물맴이과 Family Gryinidae

긴꼬리물맴이 Orectochilus (Orectochilus) villosus (Muller)

꼬리물맴이 Orectochilus (Orectochilus) regimbarti Sharp

물맴이 Gyrinus (Gyrinus) japonicus francki Ochs

꼭지물맴이 Gyrinus (Gyrinus) curtus Motschulsky

참물맴이 Gyrinus (Gyrinus) gestroi Régimbart

왕물맴이 Dineutes orientalis (Modeer)

물진드기과 Family Haliplidae

중국물진드기 Peltodytes sinensis (Hope)

노랑물진드기 Peltodytes koreanus Takizawa

물진드기 Peltodytes intermedius (Sharp)

알락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simplex Clark

애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ovalis Sharp

큰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eximius Clark

극동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basinotatus Zimmermann

샤아프물진드기 Haliplus (Liaphlus) sharpi Wehncke

물땡땡이과 Family Hydrophilidae

점물땡땡이 Laccobius (Laccobius) bedeli Sharp

두점물땡땡이 Laccobius (Laccobius) binotatus d'Orchymont

꼬마점물땡땡이 Laccobius (Laccobius) fragilis Nakane

무늬점물땡땡이 Laccobius (Microlaccobius) oscillans Sharp

넓적물땡땡이 Enochrus (Holcophilydrus) umbratus (Sharp)

애넓적물땡땡이 Enochrus (Holcophilydrus) simulans (Sharp)

꼬마넓적물땡땡이 Enochrus (Lumetus) esuriens Walker

둥글넓적물땡땡이 Enochrus (Lumetus) subsignatus Harold

한일넓적물땡땡이 Enochrus (Lumetus) uniformis Sharp

좀물땡땡이 Helochares (Hydrobaticus) striatus Sharp

꼬마좀물땡땡이 Helochares (Helochares) pallens (MacLeay)

참점물땡땡이 Hydrobius fuscipes (Linnaeus)

물땡땡이 Hydrophilus accuminatus Motschulsky

남방물땡땡이 Hydrophilus bilineatus cashimirensis Redtenbache

잔물땡땡이 Hydrochara affinis (Sharp)

북방물땡땡이 Hydrochara libera (Sharp)

애물땡땡이 Sternolophus (Sternologphus) rufipes Fabricius

알물땡땡이 Amphiops mater Sharp

점박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signaticollis punctipennis Harold

새가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japonicus Sharp

남쪽점박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pulchellus MacLeay

뒷가시물땡땡이 Berosus (Enoplurus) lewisius Sharp

콩알물땡땡이 Regimbartia attenuata (Fabricius)

Page 6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15 -

국명 학명

모래톱물땡땡이 Cercyon (Cercyon) aptus Sharp

갈색물땡땡이 Ceryon (Cercyon) olibrus Sharp

소똥물땡땡이 Ceryon (Cercyon) quisquilius (Linnaeus)

끝빨간말똥물땡땡이 Ceryon (Cercyon) vagus Sharp

노랑테똥물땡땡이 Ceryon (Paracercyon) laminatus Sharp

잔털물땡땡이 Cryptopleurum subtile Sharp

털물땡땡이 Pachysternum haemorrhoum (Motschulsky)

잔등볼록물땡땡이 Coelostoma orbiculare (Fabricius)

등볼록물땡땡이 Coelostoma stultum (Walker)

톱물땡땡이 Sphaeridium scarabaeoides (Linnaeus)

알꽃벼룩과 Family Helodidae

알꽃벼룩 KUa Helodes KUa

다색알꽃벼룩 KUa Scirtes KUa

진흙벌레과 Family Heteroceridae

진흙벌레 Heterocercus japonicus Kôno

여울벌레과 Family Elmidae

긴다리여울벌레 Stenelmis vulgaris Nomura

곰보긴다리여울벌레 Stenelmis nipponica Nomura

검정긴다리여울벌레 Stenelmis koreanus Sato

무늬여울벌레 Optioservus variabilis Nomura

애여울벌레 Zaitzevia nitida Nomura

물삿갓벌레과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 KUa Psephenoides KUa

넓은물삿갓벌레 KUa Mataeopsephus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Eubrianax KUa

잎벌레과 Family Chrysomelidae

일본잎벌레 Galerucella nipponensis Laboissiere

딸기잎벌레 KUa Galerucella KUa

벌목 Order Hymenoptera

물벌과 Family Agriotypidae

물벌 Agriotypus gracilis Waterston

파리목 Order Diptera

각다귀과 Family Tipulidae

각다귀 KUa Tipula KUa

각다귀 KUb Tipula KUb

각다귀 KUc Tipula KUc

각다귀 KUd Tipula KUf

각다귀 KUe Tipula KUe

각다귀 KUf Tipula KUf

각다귀 KUg Tipula KUg

각다귀 KUh Tipula KUh

각다귀 KUi Tipula KUi

각다귀 KUj Tipula KUj

각다귀 KUk Tipula KUk

각다귀 KUl Tipula KUl

각다귀 KUm Tipula KUm

각다귀 KUn Tipula KUn

각다귀 KUo Tipula KUo

각다귀 KUp Tipula KUp

장수각다귀 KUa Pedici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b Hexatoma KUb

검정날개각다귀 KUc Hexatoma KUc

명주각다귀 KUa Antocha KUa

- 116 -

국명 학명

애기각다귀 KUa Dicranota KUa

무늬애기각다귀 KUa Dicranomyia KUa

황나각다귀 KUa Nephrotoma KUa

황나각다귀 KUb Nephrotoma KUb

나방파리과 Family Psychodidae

나방파리 KUa Psychoda KUa

털나방파리 KUa Telmatoscopus KUa

애모기과 Family Dixidae

애모기 KUa Dixa KUa

털모기과 Family Chaoboridae

털모기 KUa Chaoborus KUa

먹파리과 Family Simuliidae

뿔먹파리 Simulium (Nevermannia) uchidai (Takahashi)

애뿔먹파리 Simulium (Nevermannia) subcostatum (Takahashi)

어깨무늬먹파리 Simulium (Gnus) malyshevi Dorogostajskij et al

꼬마먹파리 Simulium (Gnus) nacojapi Smart

얼룩다리먹파리 Simulium (Simulium) suzukii Rubzov

꼬마무늬먹파리 Simulium (Simulium) quinquestriatum Shiraki

줄무늬먹파리 Simulium (Simulium) japonicum Matsumura

남방먹파리 KUa Simulium (Gomphostilbia) KUa

등에모기과 Family Ceratopogonidae

등에모기류 Ceratopogonidae sp.

깔따구과 Family Chironomidae

짠물깔따구 Chironomus salinarius (Kieffer)

요시마쯔깔따구 Chironomus yoshimatsui Martin and Sublette

장수깔따구 Chironomus plumosus (Linnaeus)

닙폰깔따구 Chironomus nipponensis Tokunaga

등깔따구 Chironomus dorsalis Meigen

노랑털깔따구 Chironomus flaviplumus Tokunaga

멧모기과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 KUa Philorus KUa

멧모기 KUb Philorus KUb

물멧모기 KUa Bibiocephala KUa

개울등에과 Family Athericidae

개울등에 KUa Atherix KUa

긴개울등에 KUa Suragina KUa

긴개울등에 KUb Suragina KUb

동애등에과 Family Stratiomyiidae

줄동에등에 KUa Stratiomyia KUa

춤파리과 Family Empididae

춤파리류 Empididae sp.

장다리파리과 Family Dolichopodidae

장다리파리류 Dolichopodidae sp.

꽃등에과 Family Syrphidae

흰줄꽃등에 KUa Eristalis KUa

물가파리과 Family Ephydridae

물가파리류 Ephydridae sp.

집파리과 Famiy Muscidae

집파리류 Muscidae sp.

모기과 Famiy Culicidae

집모기류 Culex sp.

날도래목 Order Trichoptera

각날도래과 Family Stenopsychidae

수염치레각날도래 Stenopsyche malmorata Navas

Page 6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17 -

국명 학명

연날개수염치레각날도래 Stenopsyche bergeri Martynov

입술날도래과 Family Philopotamidae

넓은입술날도래 KUa Dolophilodes KUa

입술날도래 KUa Wormaldia KUa

통날도래과 Family Psychomyiidae

통날도래 KUa Psychomyia KUa

깃날도래과 Family Polycentropodidae

깃날도래 KUa Plectrocnemia KUa

별날도래과 Family Ecnomidae

별날도래 Ecnomus tenellus (Rambur)

줄날도래과 Family Hydropsychidae

곰줄날도래 Arctopsyche ladogensis Kolenati

산골줄날도래 KUa Diplectrona KUa

큰줄날도래 Macronema radiatum McLachlan

흰줄날도래 KUa Aethaloptera KUa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동양줄날도래 Hydropsyche orientalis

흰점줄날도래 Hydropsyche valvata

줄날도래 KUb Hydropsyche KUb

줄날도래 KUd Hydropsyche KUd

줄날도래 KD Hydropsyche KD

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 Iwata

꼬마줄날도래 KUa Cheumatopsyche KUa

꼬마줄날도래 KUb Cheumatopsyche KUb

물날도래과 Family Rhyacophilidae

긴발톱물날도래 KUa Apsilochorema KUa

곤봉물날도래 Rhyacophila yamanakensis Iwata

주름물날도래 Rhyacophila articulata Morton

물날도래 KUa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b Rhyacophila KUb

용수물날도래 Rhyacophila retracta Martynov

클레멘스물날도래 Rhyacophila clemens Tsuda

민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shikotsuensis Iwata

거친물날도래 Rhyacophila impar Martynov

검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nigrocephala Iwata

넓은머리물날도래 Rhyacophila brevicephala Iwata

계곡물날도래 Rhyacophila kuramana Tsuda

두잎물날도래 Rhyacophila bilobata Ulmer

시베리아물날도래 Rhyacophila sibirica MaLachlan

무늬물날도래 Rhyacophila narvae Navas

광택날도래과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 KUa Glossosoma KUa

큰광택날도래 KUa Agapetus KUa

애날도래과 Family Hydroptilidae

애날도래 KUa Hydroptila KUa

날도래과 Family Phryganeidae

단발날도래 Agrypnia pagetana Curtis

굴뚝날도래 Semblis phalaenoides Linne

둥근날개날도래과 Family Phryganopsychidae

둥근날개날도래 Phryganopsyche latipennis Banks

둥근얼굴날도래과 Family Brachycentridae

둥근얼굴날도래 KUa Micrasema KUa

우묵날도래과 Family Limnephilidae

가시날도래 Goera japonica Banks

- 118 -

국명 학명

가시우묵날도래 Neophylax ussuriensis Martynov

애우묵날도래 KUa Apatania KUa

애우묵날도래 KUb Apatania KUb

띠무늬우묵날도래 Hydatophylax nigrovittatus McLachlan

검은날개우묵날도래 KUa Asynarchus KUa

모시우묵날도래 KUa Limnephilus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b Nothopsyche KUb

네모집날도래과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 KUa Lepidostoma KUa

네모집날도래 KUb Lepidostoma KUb

털날도래과 Family Sericostomatidae

털날도래 KUa Gumaga KUa

바수염날도래과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 Psilotreta kisoensis Iwata

날개날도래과 Family Molannidae

날개날도래 Molanna moesta Banks

달팽이날도래과 Family Helicopsychidae

달팽이날도래 Helicopsyche yamadai Iwata

채다리날도래 Family Calamoceratidae

채다리날도래 KUa Ganonema KUa

나비날도래 Family Leptoceridae

청나비날도래 KUa Mystacides KUa

나비날도래 KUa Ceraclea KUa

나비날도래 KUb Ceraclea KUb

나비날도래 KUc Ceraclea KUc

나비목 Order Lepidoptera

명나방과 Family Pyralidae

노란물명나방 KUa Cataclysta KUa

Page 7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19 -

제 4 절 어류 조사 및 평가 지침

1. 어류의 특성 및 활용도

어류는 장기간의 영향을 나타내는 생물지표 (Biological indicator)이며, 이들은 비교적 오래 살

고 이동성이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서식지 조건을 대표한다.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어류를 이용

하여 생물학적 수질특성을 평가하는 생물통합지수 (Index of Biological Index) 방식을 도입하여

수질 보전 및 생태계 보전, 환경영향평가에 효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

는데 있어 어류가 지닌 다각적인 장점들 때문에 어류가 수환경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수체내의 어류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수질특성을 평가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여러 핵심적

특성들 때문에 수많은 환경 선진국들에서 수질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어류는 다양한 영양 단계 (잡식성, 초식성, 충식성, 육식성)를 대표하는 일정한 범위의 종

들로 어류군집이 구성되며, 이들은 낮은 먹이단계의 영향들을 통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

므로 어류의 군집구조는 하천 또는 강의 환경상태에 대한 통합된 그림을 나타낼 수 있다.

◦ 어류는 수체 내 먹이망, 먹이사슬의 최상위단계에 있으며, 대부분 인간들에 의해서 소비가

된다. 그러므로 수질오염 및 생태계교란을 평가하는데 핵심 대상이다.

◦ 어류는 채집현장에서 비교적 채집과 종 (species) 수준까지 동정이 용이하다. 대부분의 표

본은 야외에서 분류와 동정이 가능하여, 어류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다시 자연 수계에 곧

바로 놓아 줄 수가 있다.

◦ 어류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어류들의 환경요구조건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며 대부

분의 어종들의 생활사 및 분포에 대한 자료가 풍부하다.

- 120 -

※ 하천차수 산정법

◦ 하천차수 (Stream order)는 1 : 120,000 축적의 지도를 이용하여 Strahler (1957) 방법에

따라 결정.

※ 하천차수 산정 방법: 동일한 차수의 하천이 만나면 차수가 올라가고, 큰 차수의 하천에

작은 차수의 하천이 유입되면 큰 하천차수를 따름.

2. 조사지침

가. 현장조사의 개요

◦ 어류 생물지수 산출을 위한 현장 조사는 채집도구의 효율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므로 조

사지침에 기재된 채집도구를 사용하여 충실히 조사에 임해야 하며, 또한 조사자의 경력과

노하우에 의한 오차도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조사시간 역시 조사지침에 주어진

대로 정확히 임하여 종수와 개체수와 같이 채집 시간에 영향을 받는 지수들의 변이 폭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조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모든 것은 계획대로 이루

어져야 하며 또한 지침에 입각하여 조사되어져야 한다.

나. 조사 시기 및 채집장소 선정

1) 조사 시기

◦ 일반적으로 일일 최대온도 (Maximum daily temperature)가 19℃ 이상 되는 시기로서, 홍

수기 전 (3~4월)․후 (9~10월)에 실시한다.

2) 어류채집 구간

◦ 상․하류 간 총 200 m 구간에서 조사가 가능한 구간으로서, 가능한 여울 (Riffle), 소

(Pool), 흐르는 곳 (Run)을 모두 포함하는 모든 구간에서 실시하며, 하천차수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 채집자가 가슴장화의 착용으로 접근이 가능한 장소, 조사대상 하천을 대표할 수 있는 장소

를 선정한다.

Page 7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21 -

[예: 동일한 차수의 하천인 1차 하천과 1차하천이 만나면 2차하천이 되고, 2차 하천과 1차 하천

이 만나면 큰 차수인 2차 하천을 따른다. 다시 동일한 차수의 하천인 2차 하천과 2차 하천이 만

나면 3차 하천이 됨.]

<하천차수 계산법>

다. 현장조사 및 채집

1) 현지조사표 작성 및 현장사진 촬영

◦ 어류의 채집 전 기재: 코드번호, 중권역명, 하천명 (구간명), GPS 좌표, 조사일자, 채집도

구, 하천차수, 기상상태,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특기사항 등을 기입한다 (표 1.4.1).

◦ 어류의 채집 후 기재: 채집한 어류의 종명, 종별 개체수․내성도 특성, 섭식 특성, 서식지

특성 및 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 (외형손상 유무, DELT) 등을 기입한다 (표 1.4.1).

◦ 현장사진 쵤영: 조사구간 내 상․하류 전경, 하상 및 특이사항에 대한 사진 촬영을 실시한다.

2) 채집도구 및 조사인원

가) 채집도구 및 장비

◦ 투망 (망목 5 × 5 mm), 족대 (망목 4 × 4 mm), 가슴장화, 방수상의, 채집통, 어류도감,

10% 포르말린, 어류보관용 비닐, 현지조사표, 연필 또는 샤프펜슬, 클립보드, 구급약 등

- 122 -

중권역 / 코드번호 / 하천차수 차

하천명 (구간명) 채집소요시간 (분) 분

GPS 좌표 위도 ° ′ ″ 경도 ° ′ ″ 기상상태 맑음 / 흐림 / 비 / 눈

조사일자 년 월 일 채집도구투망 (망목 5 x 5 mm),

족대 (망목 4 x 4 mm)

No. 종명 개체수내성도 특성

(TS / SS / IS)

섭식 특성

(O / I / C / H)

서식지 특성

(RB / -)

비정상 개체

(비정상유형)

외래종

(Y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데이터

정리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총 국내종수

내성도 섭식특성 서식지

비정상종

개체수 비율내성종

개체수 비율민감종 수

잡식종

개체수 비율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여울성

저서종수

% % % %

비정상 유형 특징 증상 하천의 물리적 특성 (200 m 구간 평가)

DE (Deformity) 변형머리, 근육, 지느러미, 그리고

몸의 다른 부분의 변형

[Ⅰ] 하상구조 특성

① 바위 ( %) ② 자갈 ( %) ③ 모래 ( %)

④ 진흙 / 뻘 ( %) ⑤ 콘크리트 ( %)EF

(Erosion of fin)

지느러미

짓무름

정상 지느러미가 후천적

영향으로 파괴 및 부식, 짓무름 [Ⅱ] 하천의 형태 특성

① 자연형 ( ) ② 직강화 ( ) ③ 복합형 ( )

④ 댐 / 보 / 교각 ( ) ⑤ 하천공사 ( )LE (Lesions) 피부손상체벽과 조직의 상해, 부상

(대개 출혈을 동반) [Ⅲ] 하천의 흐름상태

① 아주빠름 ( ) ② 빠름 ( ) ③ 보통 ( )

④ 느림 ( ) ⑤ 거의 정체 ( )TU (Tumors) 종양 체벽 외부로 조직의 돌출

특기사항

<표 1.4.1> 어류 현지조사표 양식

Page 7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23 -

나) 조사 인원 구성

◦ 어류채집에 대한 전문적 훈련을 받았거나 현장경험이 최소한 3년 이상인 전문가가 1인 이

상 포함한다.

◦ 어류의 채집은 현지조사표 작성 인원을 포함하여 3인 1조로 한다.

◦ 3인 (A, B, C)이 어류 채집 시, A는 투망 (50분), B는 족대 (50분), C는 투망 (25분) / 족

대 (25분) 혼용하여 채집한다.

3) 어류 현장채집

◦ 어류 현장조사방법은 환경부의 물환경종합평가개발 조사연구 (2007) 및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2007)의 어류조사 방법에 의거 (Wading method에 기초)한다.

◦ 어류채집의 정량화 (Catch Per Unit of Effort, CPUE)를 위해 채집시간 50분, 채집거리

200 m에서 현장 어류조사를 실시한다.

◦ 조사구간 내 여울 (Riffle), 소 (Pool), 흐르는 곳 (Run)에서 가능한 각 구역별 조사빈도를

균등하게 한다.

가) 여울에서의 채집

◦ 흐름이 빠른 곳에서 투망을 이용할 경우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투망을 던진 후 물의 흐름

을 따라서 투망을 신속하게 수거한다.

◦ 족대 단독 사용의 경우 물이 흐르는 반대 방향으로 족대를 대고 채집을 하며 발을 사용해

서 하천 바닥을 강하게 긁어준다. 물살이 거센 경우에 2인 1조로 채집한다 (그림 1.4.1).

- 124 -

<그림 1.4.1> 여울구간에서의 족대 2인 1조 채집

나) 흐르는 곳에서의 채집

◦ 흐르는 곳은 투망을 사용하여 채집한다 (그림 1.4.2). 수초 및 돌이 있는 연안부에서 족대

를 사용한다 (그림 1.4.3).

◦ 흐르는 곳에서의 채집은 하천에 따라 흐름이 빠르거나 느릴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유속을 파악한 뒤 방향 설정을 한다.

<그림 1.4.2> 흐르는 구간에서의 투망 채집

Page 7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25 -

<그림 1.4.3> 수초가 있는 연안부에서의 족대 채집

다) 소에서의 채집

◦ 소에서의 채집은 물 흐름에 영향 받지 않으므로 채집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 소는 물이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족대, 투망 모두 사용하며, 일정 수심 이상의 소에서는

주로 투망을 이용한다 (그림 1.4.4).

<그림 1.4.4> 소에서의 투망 채집

4) 채집어류의 종 분류 및 사진촬영

가) 종 분류 및 개체수 산정

◦ 어류체장의 길이가 20 mm 이하의 동정이 불가능한 치어의 경우에는 본 조사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126 -

◦ 종 분류는 채집 시 현장에서 즉시 수행한다. 현장에서의 분류가 어려운 경우 10% 포르말

린 용액에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 후 분류한다 (김과 박, 2002).

◦ 조사 시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환경부 자료 참조)이 채집되었을 때는 기록한 다음에 즉

시 놓아주어야 한다. 고정된 표본에는 채집일자, 채집지역, 채집자 등을 기록해야 한다.

나) 비정상어종의 감별

◦ 현장에서 비정상어종의 외형적 감별을 실시: 감별 방식은 Sanders et al. (1999)의 방법에

따라 기형 (DE, Deformity), 지느러미의 손상 (EF, Erosion), 피부손상 (LE, Lesions) 및

종양 (TU, Tumors)으로 구분한다 (표 1.4.1).

다) 어류 종에 대한 사진 촬영

◦ 현장에서 채집된 어종의 사진촬영을 실시한다.

5) 현장조사 시 유의사항

◦ 정도 관리는 어류 생물환경평가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현장 자료수집과 서식지

평가를 위한 보전, 조사 과정, 자료 기록을 포함한 모든 상황에 적용되어야 한다.

◦ 어류의 현장 동정은 숙련되고 어류동정에 잘 알려진 분류학자에 의해 지도되어야 한다.

의심스러운 종은 모든 현장에서 적어도 한명 이상의 숙련된 분류학자에 의하여 동정하고

현장에서 즉시 동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동정

하거나 다른 숙련된 분류학자에 동정을 하여야 한다. 표본은 이름을 표기하여 보존한다.

보존 형태는 완벽해야 하고, 채집지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 모든 조사 장비는 작동상태가 좋아야 하고, 또한 조사 자료는 완전해야하며 읽기 쉽고, 컴

퓨터에 기록하고, 자료형태를 통일화 시켜야한다. 조사하는 동안 조사인원들은 적절한 운영

절차의 숙지할 뿐만 아니라 통일화된 조사 지침 역시 숙지하여야 하며 현장의 위험요소나

특성 등에 대하여 사전 인지를 해야 한다.

◦ 적어도 조사들은 검증된 두 팀으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 조사자들의 구성과 조직화는 다양

할 수 있으나, 최소한 2명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3명 이상으로 구성할 것을 추천한다.

Page 7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27 -

3. 평가지침

가. 어류에 의거한 건강성 평가 모델 및 메트릭 분석

1) 메트릭 1 (M1): 국내종의 총 종수

◦ 잡종과 외래도입어종을 포함하지 않는 메트릭으로, 하천차수에 영향을 받으며, 수질오염 및

서식지 교란 등의 환경이 불량한 지역에서는 수가 감소하는 특성을 반영한 메트릭이다.

2) 메트릭 2 (M2): 여울성 저서종수

◦ 유속감소 및 하상 유기물 축적에 따라 종수가 감소되는 특성을 반영한 메트릭이다.

3) 메트릭 3 (M3): 민감종수

◦ 높은 부유물질로 인한 서식지의 하상구조 변경, 수질 저하 및 독성 물질 등으로 인해 종

의 감소가 기대되는 특성을 반영한 메트릭이다 (U.S. EPA, 1993).

4) 메트릭 4 (M4):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

◦ 본 모델 메트릭에 이용된 내성종은 잉어 (Cyprinus carpio), 붕어 (Carassius auratus), 피

라미 (Zacco platypus)등과 같은 수질오염에 상대풍부도가 증가하는 내성종 특성을 반영

한 메트릭이다 (U.S. EPA, 1993).

5) 메트릭 5 (M5): 잡식종 (Omnivores)의 개체수 비율

◦ 동식물을 구분하지 않고 섭식하는 종으로 정의되며,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질적 하강에

따라 잡식종의 풍부도가 증가하는 메트릭이다 (Ohio EPA, 1987).

6) 메트릭 6 (M6): 국내종의 충식종 (Insectivores)의 개체수 비율

◦ 본 메트릭은 국내종 충식종의 개체수 (잡종과 외래도입종을 제외)를 총 개체수 (외래도입

종을 포함한 채집된 전체 개체수)로 나누어주는 메트릭으로서, 수중 무척추동물을 섭식하

- 128 -

는 어종으로,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질적 하강에 따라 충식종의 풍부도가 감소한다

(Ohio EPA, 1987).

7) 메트릭 7 (M7):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 본 메트릭은 잡종과 외래도입종을 포함하지 않으며, 개체군의 풍부도를 평가하는 항목으

로, 채집된 어류의 개체수를 과거의 어류상 조사 결과를 기초로 최대 종풍부도 선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8) 메트릭 8 (M8): 비정상종 (Anormalities)의 개체수 비율

◦ 어류의 외형적 건강상태를 대표하는 항목으로 비정상 특성은 4부류로 구분: 기형

(Deformity), 지느러미의 손상 (Erosion), 피부손상 (Lesions) 및 종양 (Tumors)

나. 어류의 평가등급 산정방법

1) 메트릭 산정법

◦ 우리나라 하천차수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메트릭은 M1, M2, M3, M7로서 <표 1.4.2>에

의거하여 산정한다.

◦ 나머지 메트릭 (M4, M5, M6, M8)은 <표 1.4.2>와 같이 상대 비율에 의거하여 산정한다.

2) 모델값 산정법

◦ 각 등급에 대한 점수는 계급구간을 “5”, “3”, “1”로 구분하여, 8 메트릭이 모두 최고 점수

인 5점을 획득할 경우, 메트릭의 최대 가능 점수는 “8 × 5 = 40점”이고, 최소 가능 점수는

“8 × 1 = 8점”이다.

◦ 어류가 전혀 채집되지 않을 경우, 최소 가능점수인 “8점”을 부여한다.

◦ 아래에 모델값 산정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Page 7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29 -

중권역 / 코드번호 갑천 중권역 / G031 하천차수 3차

하천명 (구간명) 대전천 (대전천03) 채집소요시간 (분) 50분

GPS 좌표 위도 36° 20′08″ 경도127° 25′12″ 기상상태 맑음 / 흐림 / 비 / 눈

조사일자 2008년 06월 09일 채집도구투망 (망목 5 x 5 mm),

족대 (망목 4 x 4 mm)

No. 종명 개체수내성도 특성

(TS / SS / IS)

섭식 특성

(O / I / C / H)

서식지 특성

(RB / -)

비정상 개체

(비정상유형)

외래종

(Y / -)

1 붕어 40 TS O - - -

2 잉어 19 TS O - 1 (EF) -

3 피라미 11 TS O - - -

4 메기 2 TS C - 1 (LE) -

5 버들치 2 SS I - - -

6 누치 1 TS I - - -

7 줄몰개 1 IS I - - -

8 떡붕어 1 TS O - - Y

9

10

11

12

13

14

15

데이터

정리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총 국내종수

내성도 섭식특성 서식지

비정상종

개체수 비율내성종

개체수 비율민감종 수

잡식종

개체수 비율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여울성

저서종수

76 7 96.10% 1 92.21% 5.19% 0 2..60%

비정상 유형 특징 증상 하천의 물리적 특성 (200 m 구간 평가)

DE

(Deformity)변형

머리, 근육, 지느러미, 그리고

몸의 다른 부분의 변형[Ⅰ] 하상구조 특성

① 바위 ( 0% ) ② 자갈 ( 60% ) ③ 모래 ( 30% )

④ 진흙 / 뻘 ( 10% ) ⑤ 콘크리트 ( 0% )EF

(Erosion of fin))

지느러미

짓무름

정상 지느러미가 후천적

영향으로 파괴 및 부식, 짓무름 [Ⅱ] 하천의 형태 특성

① 자연형 ( ) ② 직강화 ( ) ③ 복합형 ( ○ )

④ 댐 / 보 / 교각 (교각 다수) ⑤ 하천공사 ( )LE

(Lesions)피부손상

체벽과 조직의 상해, 부상

(대개 출혈을 동반)[Ⅲ] 하천의 흐름상태

① 아주빠름 ( ) ② 빠름 ( ) ③ 보통 ( ○ )

④ 느림 ( ) ⑤ 거의 정체 ( )TU

(Tumors)종양 체벽 외부로 조직의 돌출

특기사항

대동천 합류, 하상도로 존재, 주변 주택가 및 유흥업소 존재

유량이 매우 적음, 하상에 부착조류 多, 악취발생

3) 모델값 산정법 예

가) 야외 조사 현지조사표

- 130 -

나) 모델 메트릭값 산정

※ 하천차수: 금강 대권역, 금강 수계, 갑천 중권역의 “대전천03” 구간은 3차 하천이다.

○ M1 (국내종의 총 종수): 총 8종이 출현하였으나, 외래도입어종인 떡붕어를 제외한 국내

종의 총 종수는 7종으로서 하천차수는 3차이므로 메트릭값은 3점 (5~8종)으로 산정

○ M2 (여울성 저서종수): 하천차수가 3차인 본 하천의 여울성 저서종은 전혀 출현하지 않

아 메트릭값은 1점 (0~1종)으로 산정

○ M3 (민감종수): 민감종은 1종 출현하였으며, 하천차수가 3차이므로 메트릭값은 1점 (0~2

종)으로 산정

○ M4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은 외래도입어종인 떡붕어를 포함하

여, 96.10%로 나타나 메트릭값은 1점 (> 20%)으로 산정

○ M5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은 외래도입어종인 떡붕어를 포함하

여, 92.21%로 나타나 메트릭값은 1점 (> 45%)으로 산정

○ M6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은 5.19%로 나타나 메

트릭값은 1점 (< 20%)으로 산정

○ M7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총 77 개체가 출현하였으나, 외래도입어종인 떡붕어를

제외한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는 76 개체로서 하천차수는 3차이므로 메트릭값은

1점 (0~95 개체)으로 산정

○ M8 (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 잉어 1 개체 (EF) 및 메기 1 개체 (LE)에서 외형적 손상

이 나타나, 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은 2.60%로 나타나 메트릭값은 1점 (> 1%)으로

산정

○ M1에서 M8까지 산정된 각 메트릭값을 합하면 “대전천03”의 어류 생태건강성 모델값은

10점으로 D (불량)등급으로 판정

Page 7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31 -

4) 최종등급 평가법

◦ 어류모델 평가는 최적 (40~36, Excellent, A), 양호 (35~26, Good, B), 보통 (25~16, Fair,

C), 불량 (15 이하, Poor, D)의 4등급으로 구분한다 (표 1.4.3, 그림 1.4.5.).

총 국내종수

(M1)

하천차수모델값

민감종수

(M3)

하천차수모델값

1 3 5 1 3 5

1 0~1 2 >2 1 0 1  >1

2 0~2 3~5 >5 2 0~1 2 >2

3 0~4 5~8 >8 3 0~2 3~4 >4

4 0~5 6~11 >11 4 0~3 4~5 >5

5 0~7 8~14 >14 5 0~3 4~7 >7

6 0~9 10~18 >18 6 0~4 5~8 >8 

여울성

저서종수

(M2)

하천차수모델값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M7)

하천차수모델값

1 3 5 1 3 5

1 0 1 >1 1 0~20 21~42 >42

2 0~1 2 >2 2 0~58 59~108 >108

3 0~1 2~3 >3 3 0~95 96~182 >182

4 0~2 3~4 >4 4 0~115 116~228 >228

5 0~2 3~5 >5 5 0~160 161~320 >320

6 0~3 4~6 >6 6 0~200 201~395 >395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

(M4)

모델값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M6)

모델값

1 3 5 1 3 5

>20 5~20 <5 <20 20~45 >45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

(M5)

모델값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

(M8)

모델값

1 3 5 1 3 5

>45 20~45 <20 >1 0~1 0

<표 1.4.2> 어류를 이용한 건강도 모델 메트릭의 구간 설정

생물등급 어류생물지수 (IBI) 환경상태 지표생물군

A 36~40 최적 미유기, 금강모치, 열목어 등

B 26~35 양호 쉬리, 갈겨니, 은어, 쏘가리 등

C 16~25 보통 피라미, 끄리, 모래무지, 참붕어 등

D ≤ 15 불량 붕어, 잉어, 미꾸라지, 메기 등

<표 1.4.3>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등급

- 132 -

<그림 1.4.5> 어류 지표생물군

□ 최적 (A등급)

미유기 금강모치 열목어

□ 양호 (B등급)

쉬리 갈겨니 쏘가리

□ 보통 (C등급)

피라미 끄리 모래무지

□ 불량 (D등급)

잉어 붕어 메기

Page 7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33 -

국명 학명내성도특성

섭식특성

서식지특성

두갑강 칠성장어목 칠성장어과칠성장어 Lethenteron japonica Martens IS O -

다묵장어 Lethenteron reissneri Dybowski SS O -

조기강

뱀장어목 뱀장어과뱀장어 Anguilla japonica Temminck and Schlegel IS C -

무태장어 Anguilla marmorata Quoy and Gaimard IS C -

청어목멸치과 웅어 Coilia nasus Temminck and Schlegel IS C -

청어과 전어 Konosirus punctatus Temminck and Schlegel IS H -

잉어목

잉어과

잉어 Cyprinus carpio Linnaeus TS O -

이스라엘잉어 Cyprinus carpio Linnaeus TS O -

붕어 Carassius auratus Linnaeus TS O -

떡붕어 Carassius cuvieri Temminck and Schlegel TS O -

초어 Ctenopharyngodon idellus Cuvier and Valenciennes TS H -

납자루아과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 Kner IS O -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 Arai, Jeon and Ueda IS O -

각시붕어 Rhodeus uyekii Mori IS O -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Nichols IS O -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 Temminck and Schlegel IS O -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Berg SS O -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 Kim and Kim IS O -

임실납자루 Acheilognathus somjinensis Kim and Kim IS O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atea Mori IS O -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 Kim and Yang IS I -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us Temminck and Schlegel IS O -

큰납지리 Acanthorhodeus macropterus Bleeker IS O -

가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 Regan IS O -

모래무지아과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Temminck and Schlegel TS O -

돌고기 Pungtungia herzi Herzenstein IS I -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 Mori SS I -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Jeon and Choi SS I -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SS I RB

새미 Ladislabia taczanowskii Dybowski SS H RB

참중고기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Mori SS I -

중고기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Jordan and Hubbs IS I -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Regan IS I -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Jordan and Hubbs SS I -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Berg TS O -

참몰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Jordan and Hubbs IS O -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 Hosoya and Jeon IS O -

누치 Hamibarbus labeo Pallas TS I -

참마자 Hamibarbus longirostris Regan IS I -

어름치 Hamibarbus mylodon Berg SS I -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Temminck and Schlegel IS I -

버들매치 Abbottina rivularis Basilewsky TS O -

왜매치 Abbottina springeri Banarescu and Nalbant TS O -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Mori SS I RB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Mori SS I RB

흰수마자 Gobiobotia nakdongensis Mori SS I RB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Mori SS O RB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Mori IS O RB

여울마자 Microphysogobio rapidus Chae and Yang SS O RB

됭경모치 Microphysogobio jeoni Kim and Yang IS I -

배가사리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Mori SS H RB

두우쟁이 Saurogobio dabryi Bleeker IS O -

부록 1.4.1. 어류 종 목록

- 134 -

국명 학명 내성도특성

섭식특성

서식지특성

조기강

잉어목

황어아과

백련어 Hypophthalmichthys molitrix Cuvier and Valenciennes IS H -

대두어 Aristichthys nobilis Richardson TS H -

황어 Tribolodon hakonensis Günther IS O -

대황어 Tribolodon brandtii Dybowski IS I -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 Linnaeus SS I -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Slauvage and Dabry SS I -

버들개 Rhynchocypris steindachneri Dybowski SS I -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Kim SS I -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 Jordan and Starks SS I -

피라미아과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Günther TS O -

갈겨니 Zacco temminckii Temminck and Schlegel SS I -

참갈겨니 Zacco koreanus Kim, Oh and Hosoya SS I -

피라미 Zacco platypus Temminck and Schlegel TS O -

끄리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Berg TS C -

눈불개 Squaliobarbus curriculus Richardson IS O -

강준치아과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Basilewsky TS C -

백조어 Culter brevicauda Günther TS C -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Jordan and Metz TS O -

살치 Hemiculter leucisculus Basilewsky TS I -

종개과

종개 Orthrias toni Dybowsky SS I RB

대륙종개 Orthrias nudus Bleeker SS I RB

쌀미꾸리 Lefua costata Kessler IS I -

미꾸리과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 TS O -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Günther TS O -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Wakiya and Mori SS O RB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 Kim, Park and Nalbant SS O RB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 Kim IS I RB

부안종개 Iksookimia pumila Kim and Lee SS O -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Kim and Son SS I -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Kim, Choi and Nalbant IS I -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Nalbant SS I -

동방종개 Iksookimia yongdokensis Kim and Park IS I -

기름종개 Cobitis hankugensis Kim, Park, Son and Nalvant IS I -

점줄종개 Cobitis lutheri Rendahl IS I -

줄종개 Cobitis tetralineata Kim, Park and Nalbant IS I -

북방종개 Cobitis pacifica Kim, Park and Nalbant IS I -

수수미꾸리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and Mori SS O RB

좀수수치 Kichulchoia brevifasciata Kim and Lee SS I RB

메기목

동자개과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TS I -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Uchida SS I RB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Mori SS I RB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Dybowski IS I -

밀자개 Leiocassis nitidus Sauvage and Babryi TS I -

메기과메기 Silurus asotus Linnaeus TS C -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Mori SS C RB

퉁가리과

자가사리 Liobagrus mediadiposalis Mori SS I RB

퉁가리 Liobagrus andersoni Regan SS I RB

퉁사리 Liobagrus obesus Son, Kim and Choo SS I RB

바다빙어목 바다빙어과

빙어 Hypomesus nipponensis McAllister IS I -

바다빙어 Osmerus eperlanus mordax Mitchill SS I -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Temminck and Schlegel IS H -

연어목 연어과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Li SS C -

연어 Oncorhynchus keta Walbaum SS C -

산천어 / 송어 Oncorhynchus masou masou Brevoort SS C -

Page 7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35 -

국명 학명 내성도특성

섭식특성

서식지특성

조기강

연어목 연어과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Walbaum SS C -

숭어목 숭어과

숭어 Mugil cephalus Linnaeus TS H -

등줄숭어 Chelon affinis Günther IS H -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Temminck and Schlegel TS H -

동갈치목

송사리과송사리 Oryzias latipes Temminck and Schlegel TS O -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Chen, Uwa and Chu TS O -

학공치과줄공치 Hyporhamphus intermedius Cantor IS H -

학공치 Hyporhamphus sajori Temminck and Schlegel IS H -

큰가시고기목 큰가시고기과

큰가시고기 Gasterosteus aculeatus Linnaeus IS I -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Guichenot IS I -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Tanaka IS I -

드렁허리목 드렁허리과 드렁허리 Monopterus albus Zuiew TS C -

쏨뱅이목

양태과 양태 Platycephalus indicus Linnaeus IS I -

둑중개과

둑중개 Cottus koreanus Heckel SS I RB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Mori SS I RB

개구리꺽정이 Myoxocephalus stelleri Tilesius IS C -

꺽정이 Trachidermus fasciatus Heckel TS I -

농어목

농어과농어 Lateolabrax japonicus Cuvier IS C -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 McClelland IS C -

꺽지과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Steindachner SS C -

꺽지 Coreoperca herzi Herzenstein SS C -

꺽저기 Coreoperca kawamebari Temminck and Schlegel IS C -

검정우럭과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Rafinesque TS I -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Lacepede TS C -

주둥치과 주둥치 Nuchequula nuchalis Temminck and Schlegel IS I -

시클리과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TS O -

돛양태과 강주걱양태 Repomucenus olidus Günther TS I -

구굴무치과 구굴무치 Eleotris oxycephala Temminck and Schlegel IS C -

동사리과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and Jeon SS C -

얼룩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Iwata and Jeon IS C -

남방동사리 Odontobutis obscura Temminck and Schlegel IS C -

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 Günter IS O -

망둑어과

날망둑 Chaenogobius castaneus O'Shaughnessy IS I -

꾹저구 Chaenogobius urotaenia Hilgendorf IS I -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Temminck and Schlegel TS I -

흰발망둑 Acanthogobius lactipes Hilgendorf IS O -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and Schlegel TS I -

갈문망둑 Rhinogobius giurinus Rutter TS O -

밀어 Rhinogobius brunneus Temminck and Schlegel IS I RB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bifasciatus Steindachner TS I -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 Temminck and Schlegel TS I -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Katsuyama, Arai and Nakamura IS I RB

줄망둑 Acentrogobius pflaumii Bleeker IS C -

짱둥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Linnaeus IS H -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Cantor TS I -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Gill IS O -

버들붕어과 버들붕어 Macropodus ocellatus Cantor TS I -

가물치과 가물치 Channa argus Cantor TS C -

복어목 참복과

까치복 Takifugu xanthopterus Temminck and Schlegel IS I -

복섬 Takifugu niphobles Jordan and Snyder IS I -

황복 Takifugu obscurus Abe IS I -

SS = 민감종, IS = 중간종, TS = 내성종, O = 잡식성, C = 육식성, I = 충식성, H = 초식성, RB = 여울성 저서종

- 136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1 골지천 02 2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2 골지천 04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3 골지천 10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4 골지천 12 2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5 석항천 03 4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6 송천 03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7 송천 08 4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8 어천 06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09 어천-소 02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0 오대천 03 4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1 오대천 07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2 지장천 02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3 지장천 04 3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4 한강 43 6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5 한강 44 6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6 한강 45 6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7 한강 51 6

남한강 남한강상류 H018 한강 52 6

남한강 평창강 H019 계촌-소 01 1

남한강 평창강 H020 속사천 01 3

남한강 평창강 H021 송한-소 01 3

남한강 평창강 H022 신일-소 01 1

남한강 평창강 H023 운학천 2

남한강 평창강 H024 주천강 03 3

남한강 평창강 H025 주천강 04 3

남한강 평창강 H026 주천강 10 4

남한강 평창강 H027 주천-소 01 3

남한강 평창강 H028 주천-소 03 2

남한강 평창강 H029 평창강 05 3

남한강 평창강 H030 평창강 11 4

남한강 평창강 H031 평창강 13 4

남한강 평창강 H032 평창강 16 3

남한강 평창강 H033 흥정-소 01 3

남한강 평창강 H034 흥정천 03 3

남한강 충주댐 H035 매포천 02 3

남한강 충주댐 H036 옥동천 01 2

남한강 충주댐 H037 옥동천 06 3

남한강 충주댐 H038 원서천 02 3

남한강 충주댐 H039 장평천 3

남한강 충주댐 H040 제천천 02 3

남한강 충주댐 H041 제천천 03 4

남한강 충주댐 H042 한강 06 4

남한강 충주댐 H043 죽령천 3

남한강 충주댐 H044 한강 01 2

남한강 충주댐 H045 한강 53 5

남한강 충주댐 H046 가대천 5

남한강 충주댐 H047 한강 57 5

남한강 달천 H048 관평천 1

남한강 달천 H049 달천 02 4

남한강 달천 H050 달천 03 4

<부표 1.4.1> 한강 대권역 320개 구간의 하천차수

부록 1.4.2. 전국 4대강 조사구간 (720개)별 하천차수 산정

Page 7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37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남한강 달천 H051 달천 05 3

남한강 달천 H052 달천 06 3

남한강 달천 H053 달천 11 3

남한강 달천 H054 동진천 01 2

남한강 달천 H055 동진천 02 3

남한강 달천 H056 석문동천 01 2

남한강 달천 H057 석문동천 02 2

남한강 달천 H058 신월-소 02 1

남한강 달천 H059 쌍천 04 2

남한강 달천 H060 요도천 03 3

남한강 달천 H061 음성천 03 2

남한강 달천 H062 행목동천 2

남한강 달천 H063 화양-소 01 2

남한강 달천 H064 화양천 02 2

남한강 충주댐하류 H065 법천천 3

남한강 충주댐하류 H066 앙성천 01 2

남한강 충주댐하류 H067 영덕천 01 2

남한강 충주댐하류 H068 운계천 03 3

남한강 충주댐하류 H069 한강 12 5

남한강 충주댐하류 H070 한강 13 5

남한강 충주댐하류 H071 한강 13-1 5

남한강 충주댐하류 H072 한포천 01 4

남한강 섬강 H073 계천 01 2

남한강 섬강 H074 계천 02 3

남한강 섬강 H075 계천 06 4

남한강 섬강 H076 궁촌천 02 3

남한강 섬강 H077 금계천 04 4

남한강 섬강 H078 대관대천 02 3

남한강 섬강 H079 매지천 3

남한강 섬강 H080 부평천 2

남한강 섬강 H081 서곡천 03 3

남한강 섬강 H082 섬강 02 5

남한강 섬강 H083 섬강 03 4

남한강 섬강 H084 섬강 05 5

남한강 섬강 H085 섬강 06 5

남한강 섬강 H086 섬강 08 5

남한강 섬강 H087 섬-소 03 2

남한강 섬강 H088 옥산천 3

남한강 섬강 H089 원주천 02 3

남한강 섬강 H090 원주천 04 3

남한강 섬강 H091 유동천 02 3

남한강 섬강 H092 이리천 02 3

남한강 섬강 H093 일리천 01 3

남한강 섬강 H094 전천 03 3

남한강 섬강 H095 창봉천 3

남한강 섬강 H096 화천 2

남한강 섬강 H097 흥양-소 01 2

남한강 남한강하류 H098 간매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099 대왕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0 복하천 02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1 복하천 03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2 복하천 04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3 양화천 04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4 양화천 05 3

- 138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5 연양천 01 2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6 오갑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7 용두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8 용문천 01 2

남한강 남한강하류 H109 일신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0 장록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1 중리천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2 청미천 02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3 청미천 05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4 청미천 09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5 한강 15 5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6 한강 16 5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7 한강 17 5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8 한강 19 5

남한강 남한강하류 H119 흑천 01 1

남한강 남한강하류 H120 흑천 04 3

남한강 남한강하류 H121 흑천 06 3

남한강 경안천 H122 경안천 02 4

남한강 경안천 H123 경안천 03 4

남한강 경안천 H124 경안천 06 4

남한강 경안천 H125 경안천 07 4

남한강 경안천 H126 경안천 08 3

남한강 경안천 H127 경안천 09 2

남한강 경안천 H128 곤지암천 03 2

남한강 경안천 H129 목리천 1

남한강 경안천 H130 목현천 2

남한강 경안천 H131 신월천 1

남한강 경안천 H132 엄미천 1

남한강 경안천 H133 우산천 2

남한강 경안천 H134 직리천 2

북한강 평화의댐 H135 북한강 06 5

북한강 춘천댐 H136 북한강 10 5

북한강 춘천댐 H137 북한강 10-1 5

북한강 춘천댐 H138 양구서천 01 4

북한강 춘천댐 H139 지촌-소 03 3

북한강 춘천댐 H140 화천천 03 3

북한강 인북천 H141 가아-소 01 2

북한강 인북천 H142 가아천 01 2

북한강 인북천 H143 가아천 02 2

북한강 인북천 H144 북천 01 2

북한강 인북천 H145 북천 02 4

북한강 인북천 H146 북천 04 3

북한강 인북천 H147 서화천 2

북한강 인북천 H148 영실천 02 3

북한강 인북천 H149 인북-소 01 1

북한강 인북천 H150 인북-소 02 2

북한강 인북천 H151 인북-소 03 1

북한강 인북천 H152 인북-소 05 1

북한강 인북천 H153 인북천 03 3

북한강 인북천 H154 인북천 05 3

북한강 인북천 H155 인북천 06 2

북한강 인북천 H156 인북천 07 3

북한강 소양강 H157 내린-소 01 3

북한강 소양강 H158 방내-소 01 2

Page 8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39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북한강 소양강 H159 방태-소 01 3

북한강 소양강 H160 방태-소 02 3

북한강 소양강 H161 방태-소 03 3

북한강 소양강 H162 상남천 01 2

북한강 소양강 H163 소양강 02 3

북한강 소양강 H164 소양강 07 5

북한강 소양강 H165 소양강 11 4

북한강 소양강 H166 소양강 12 4

북한강 의암댐 H167 가평천 01 2

북한강 의암댐 H168 가평천 04 2

북한강 의암댐 H169 가평천 07 3

북한강 의암댐 H170 공지천 3

북한강 의암댐 H171 북한강 11 6

북한강 의암댐 H172 북한강 12 6

북한강 의암댐 H173 북한강 17 5

북한강 의암댐 H174 북한강19 5

북한강 홍천강 H175 길곡천 2

북한강 홍천강 H176 홍천강 02 3

북한강 홍천강 H177 홍천강 05 4

북한강 홍천강 H178 홍천강 08 4

북한강 홍천강 H179 홍천강 10 4

북한강 청평댐 H180 북한강 25 5

북한강 청평댐 H181 봉수천 1

북한강 청평댐 H182 조종천 01 2

북한강 청평댐 H183 조종천 02 3

북한강 청평댐 H184 조종천 04 3

한강본류 팔당댐 H185 한강 22 6

한강본류 한강서울 H186 고덕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187 궁촌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188 덕소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189 덕풍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0 도림천 01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1 도심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2 막계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3 목감천 02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4 분당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5 산곡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6 성내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7 성북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8 안양천 02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199 한강 33 6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0 안양천 04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1 안양천 05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2 안양천 06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3 야탑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4 양재천 02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5 왕숙천 03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6 왕숙천 04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7 왕숙천 05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8 왕숙천 06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09 용정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0 우이천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1 월문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2 유양천 2

- 140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3 정릉천 01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4 정평천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5 중랑천 01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6 중랑천 03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7 중랑천 04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8 중랑천 05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19 진목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0 진벌천 1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1 청계천 01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2 청계천 02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3 청계천 03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4 탄천 01 3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5 탄천 02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6 탄천 03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7 탄천 04 4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8 탄천 05 5

한강본류 한강서울 H229 홍릉천 2

한강본류 한강서울 H230 홍제천 1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1 곡릉천 01 3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2 곡릉천 02 3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3 곡릉천 04 3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4 곡릉천 05 3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5 굴포천 01 2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6 굴포천 02 3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7 한강38 6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8 석현천 2

한강본류 한강고양 H239 창릉천 01 2

한강본류 한강고양 H240 창릉천 02 2

한강본류 한강고양 H241 창릉천 03 3

한강본류 임진강상류 H242 임진강 03 6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3 눌노천 02 3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4 문산천 01 3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5 문산천 02 3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6 임진강09 6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7 문산천 04 2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8 문산천 05 3

한강본류 임진강하류 H249 사미천 02 3

한강본류 한탄강 H250 김화남대천 03 4

한강본류 한탄강 H251 김화남대천 01 4

한강본류 한탄강 H252 김화남대천 02 4

한강본류 한탄강 H253 대교천 02 3

한강본류 한탄강 H254 도평천 3

한강본류 한탄강 H255 명덕천 01 2

한강본류 한탄강 H256 문혜천 02 5

한강본류 한탄강 H257 사곡-소 01 2

한강본류 한탄강 H258 신천 03 4

한강본류 한탄강 H259 신천 04 4

한강본류 한탄강 H260 신천 06 6

한강본류 한탄강 H261 영평-소 01 3

한강본류 한탄강 H262 영평천 01 5

한강본류 한탄강 H263 영평천 02 5

한강본류 한탄강 H264 영평천 03 3

한강본류 한탄강 H265 영평천 04 4

한강본류 한탄강 H266 영평천 05 4

Page 8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41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한강본류 한탄강 H267 와수천 02 3

한강본류 한탄강 H268 차탄천 01 3

한강본류 한탄강 H269 차탄천 02 3

한강본류 한탄강 H270 차탄천 03 3

한강본류 한탄강 H271 청담천 4

한강본류 한탄강 H272 포천천 01 3

한강본류 한탄강 H273 포천천 05 4

한강본류 한탄강 H274 한탄강 05 5

한강본류 한탄강 H275 한탄강 08 6

한강본류 한탄강 H276 한탄강 09 6

한강본류 한탄강 H277 한탄강 10 6

안성천 안성천 H278 성환천 02 3

안성천 안성천 H279 수원천 1

안성천 안성천 H280 안성천 05 5

안성천 안성천 H281 안성천 12 3

안성천 안성천 H282 오산천 01 2

안성천 안성천 H283 오산천 02 2

안성천 안성천 H284 오산천 02-1 2

안성천 안성천 H285 오산천 03 2

안성천 안성천 H286 오산천 04 2

안성천 안성천 H287 입장천 02 3

안성천 안성천 H288 진위천 02 3

안성천 안성천 H289 진위천 06 3

안성천 안성천 H290 황구지천 01 3

안성천 안성천 H291 황구지천 02 3

안성천 안성천 H292 황구지천 03 3

기타 한강서해 H293 내가천 2

기타 한강서해 H294 선행천 1

기타 시화호 발안천 03 4

기타 시화호 반월천 3

기타 시화호 발안-소 02 1

기타 양양남대천 북천 02 4

기타 양양남대천 쌍천 01 4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2 3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3 3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8 3

기타 양양남대천 후천 01 1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02 3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03 3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04 3

기타 강릉남대천 군선천 01 2

기타 강릉남대천 남양천 3

기타 강릉남대천 신리천 2

기타 강릉남대천 신왕천 2

기타 강릉남대천 신흥천 01 1

기타 강릉남대천 신흥천 02 1

기타 강릉남대천 연곡-소 01 2

기타 강릉남대천 연곡천 01 2

기타 강릉남대천 주수천 02 3

기타 삼척오십천 가곡천 04 6

기타 삼척오십천 삼척오십천 02 6

기타 삼척오십천 삼척오십천 03 6

기타 삼척오십천 삼척오십천 05 3

기타 삼척오십천 삼척오십천 08 6

- 142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낙동강 안동댐 N001 낙동강34 6

낙동강 안동댐 N002 낙동강39 6

낙동강 안동댐 N003 황지천01 4

낙동강 안동댐 N004 철암천01 4

낙동강 안동댐 N005 현동천01 3

낙동강 임하댐 N006 반변천01 5

낙동강 임하댐 N007 반변천07 5

낙동강 임하댐 N008 길안천01 4

낙동강 임하댐 N009 용전천02 4

낙동강 임하댐 N010 용전천04 4

낙동강 임하댐 N011 길안천13 3

낙동강 안동댐하류 N012 낙동강29 6

낙동강 안동댐하류 N013 낙동강28 6

낙동강 안동댐하류 N014 미천01 4

낙동강 내성천 N015 내성천01 5

낙동강 내성천 N016 내성천03 5

낙동강 내성천 N017 내성천06 6

낙동강 내성천 N018 한천01 4

낙동강 영강 N019 영강01 5

낙동강 영강 N020 영강02 5

낙동강 영강 N021 양산천01 4

낙동강 영강 N022 이안천01 4

낙동강 영강 N023 영강11 3

낙동강 병성천 N024 병성천01 5

낙동강 병성천 N025 병성천02 4

낙동강 낙동상주 N026 낙동강26 6

낙동강 낙동상주 N027 낙동강27 6

낙동강 위천 N028 위천01 5

낙동강 위천 N029 위천02 5

낙동강 위천 N030 위천08 5

낙동강 위천 N031 위천04 4

낙동강 낙동구미 N032 낙동강23 6

낙동강 낙동구미 N033 낙동강25 6

낙동강 감천 N034 감천01 4

낙동강 감천 N035 감천03 4

낙동강 감천 N036 감천04 4

낙동강 낙동왜관 N037 낙동강18 6

낙동강 낙동왜관 N038 낙동강20 6

낙동강 낙동왜관 N039 백천01 4

낙동강 낙동왜관 N040 한천04 2

낙동강 금호강 N041 금호강01 5

낙동강 금호강 N042 금호강02 6

낙동강 금호강 N043 금호강05 6

낙동강 금호강 N044 자호천02 4

낙동강 금호강 N045 고현천04 3

낙동강 금호강 N046 오목천05 2

낙동강 회천 N047 회천01 5

낙동강 회천 N048 회천02 5

낙동강 회천 N049 가야천04 3

낙동강 회천 N050 대가천03 4

낙동강 회천 N051 회천03 4

낙동강 낙동고령 N052 낙동강13 6

<부표 1.4.2> 낙동강 대권역 130개 구간의 하천차수

Page 8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43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낙동강 낙동고령 N053 낙동강16 6

낙동강 합천댐 N054 황강08 5

낙동강 합천댐 N055 가천천03 4

낙동강 합천댐 N056 거창위천01 4

낙동강 합천댐 N057 마리천 3

낙동강 합천댐 N058 황강10 3

낙동강 황강 N059 황강01 6

낙동강 황강 N060 황강02 5

낙동강 황강 N061 황강04 5

낙동강 황강 N062 황계천01 3

낙동강 낙동창녕 N063 낙동강10 6

낙동강 낙동창녕 N064 낙동강12 6

낙동강 낙동창녕 N065 토평천01 3

낙동강 낙동창녕 N066 토평천02 3

낙동강 낙동창녕 N067 신반천01 3

낙동강 남강댐 N068 남강11 6

낙동강 남강댐 N069 남강14 6

낙동강 남강댐 N070 덕천강04 4

낙동강 남강댐 N071 람천01 4

낙동강 남강댐 N072 함양위천02 4

낙동강 남강댐 N073 임천01 4

낙동강 남강 N074 남강01 5

낙동강 남강 N075 남강04 6

낙동강 남강 N076 남강07 6

낙동강 남강 N077 함안천02 2

낙동강 낙동밀양 N078 낙동강05 6

낙동강 낙동밀양 N079 낙동강09 6

낙동강 낙동밀양 N080 계성천03 3

낙동강 낙동밀양 N081 광려천02 3

낙동강 낙동밀양 N082 신천 3

낙동강 낙동밀양 N083 청도천01 4

낙동강 밀양강 N084 밀양강01 5

낙동강 밀양강 N085 밀양강02 5

낙동강 밀양강 N086 단장천06 3

낙동강 밀양강 N087 동창천07 3

낙동강 밀양강 N088 청도천02 4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N089 낙동강02 6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N090 낙동강04 6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N091 서낙동강02 6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N092 양산천02 4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N093 양산천01 3

형산강 형산강 N094 형산강01 5

형산강 형산강 N095 형산강02 5

형산강 형산강 N096 기계천02 4

형산강 형산강 N097 형산강05 4

태화강 태화강 N098 태화강02 5

태화강 태화강 N099 태화강03 5

태화강 태화강 N100 태화강04 5

태화강 태화강 N101 동천03 2

태화강 태화강 N102 삼동천 2

기타 회야강 N103 회야강01 4

기타 회야강 N104 회야강05 4

기타 회야강 N105 회야강04 3

- 144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기타 수영강 N106 수영강01 4

기타 수영강 N107 수영강03 4

기타 수영강 N108 춘천 1

기타 왕피천 N109 왕피천01 4

기타 왕피천 N110 송천01 4

기타 왕피천 N111 남대천02 3

기타 영덕오십천 N112 영덕오십천01 5

기타 영덕오십천 N113 영덕오십천03 4

기타 영덕오십천 N114 곡강천02 3

기타 대종천 N115 대종천01 4

기타 대종천 N116 냉천01 3

기타 대종천 N117 장기천 3

기타 가화천 N118 곤양천01 3

기타 가화천 N119 백련천 3

기타 가화천 N120 사천강01 3

기타 가화천 N121 죽천천01 1

기타 남해도 N122 봉천 2

기타 남해도 N123 금평천 1

기타 거제도 N124 연초천 3

기타 거제도 N125 고현천 2

기타 거제도 N126 구천천 1

기타 낙동강남해 N127 진전천01 3

기타 낙동강남해 N128 내동천 2

기타 낙동강남해 N129 창원천 3

기타 낙동강남해 N130 용정천 1

Page 8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45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금강 용담댐 G001 금강03 4

금강 용담댐 G002 금강07 4

금강 용담댐 G003 진안천 3

금강 용담댐하류 G004 금강10 4

금강 무주남대천 G005 무주남대천06 4

금강 영동천 G006 봉황천03 4

금강 영동천 G007 금강13 5

금강 영동천 G008 금강16 5

금강 영동천 G009 영동천03 3

금강 영동천 G010 영동천04 4

금강 초강 G011 초강03 4

금강 초강 G012 추풍령천02 3

금강 초강 G013 초강07 5

금강 대청댐상류 G014 금강18 6

금강 대청댐상류 G015 금강19 6

금강 보청천 G016 보청천01 2

금강 보청천 G017 항건천02 3

금강 보청천 G018 보청천03 3

금강 보청천 G019 보청천05 4

금강 보청천 G020 보청천07 4

금강 대청댐 G021 소옥천02 4

금강 대청댐 G022 회인천02 3

금강 대청댐 G023 주원천 1

금강 대청댐 G024 금강27 6

금강 갑천 G025 두계천01 3

금강 갑천 G026 갑천03 3

금강 갑천 G027 갑천05 4

금강 갑천 G028 갑천05-1 4

금강 갑천 G029 갑천06 4

금강 갑천 G030 유등천04 3

금강 갑천 G031 유등천05 4

금강 갑천 G032 대전천03 3

금강 갑천 G033 갑천07 5

금강 대청댐하류 G034 금강28 6

금강 대청댐하류 G035 외천천02 3

금강 미호천 G036 미호천02 3

금강 미호천 G037 칠장천02 2

금강 미호천 G038 미호천05 5

금강 미호천 G039 미호천04 4

금강 미호천 G040 백곡천02 4

금강 미호천 G041 백곡천04 4

금강 미호천 G042 초평천03 3

금강 미호천 G043 미호천06 5

금강 미호천 G044 보강천02 3

금강 미호천 G045 미호천07 5

금강 미호천 G046 무심천03 3

금강 미호천 G047 무심천04 3

금강 미호천 G048 미호천08 5

금강 미호천 G049 미호천09 5

금강 미호천 G050 병천천05 3

금강 미호천 G051 석남천02 3

금강 미호천 G052 조천03 4

<부표 1.4.3> 금강 대권역 130개 구간의 하천차수

- 146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금강 미호천 G053 월하천02 2

금강 미호천 G054 미호천10 5

금강 금강공주 G055 금강29 6

금강 금강공주 G056 용수천03 3

금강 금강공주 G057 대교천02 2

금강 금강공주 G058 금강30 6

금강 금강공주 G059 정안천03 4

금강 금강공주 G060 유구천04 4

금강 금강공주 G061 금강31 6

금강 금강공주 G062 금강32 6

금강 금강공주 G063 지천05 3

금강 금강공주 G064 은산천02 3

금강 금강공주 G065 금천03 3

금강 금강공주 G066 석성천03 3

금강 금강공주 G067 금강35 6

금강 논산천 G068 논산천02 4

금강 논산천 G069 노성천03 4

금강 논산천 G070 논산천04 5

금강 논산천 G071 방축천 2

금강 논산천 G072 수철천 1

금강 논산천 G073 어량천2 2

금강 논산천 G074 강경천04 3

금강 논산천 G075 논산천05 5

금강 금강하구언 G076 길산천02 3

금강 금강하구언 G077 금강37 6

만경강 만경강 G078 만경강03 3

만경강 만경강 G079 고산천02 3

만경강 만경강 G080 만경강04 4

만경강 만경강 G081 소양천01 4

만경강 만경강 G082 소양천03 4

만경강 만경강 G083 만경강05 5

만경강 만경강 G084 전주천02 3

만경강 만경강 G085 전주천03 3

만경강 만경강 G086 전주천04 4

만경강 만경강 G087 삼천03 3

만경강 만경강 G088 삼천04 3

만경강 만경강 G089 만경강06 5

만경강 만경강 G090 익산천02 2

만경강 만경강 G091 만경강07 5

동진강 동진강 G092 동진강02 4

동진강 동진강 G093 동진강04 4

동진강 동진강 G094 천원천02 4

동진강 동진강 G095 정읍천02 3

동진강 동진강 G096 정읍천03 3

동진강 동진강 G097 정읍천04 4

동진강 동진강 G098 동진강05 5

동진강 동진강 G099 고부천03 3

동진강 동진강 G100 고부천04 3

삽교천 삽교천 G101 삽교천04 3

삽교천 삽교천 G102 삽교천05 3

삽교천 삽교천 G103 삽교천07 5

삽교천 삽교천 G104 무한천03 4

삽교천 삽교천 G105 무한천06 5

Page 8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47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삽교천 삽교천 G106 곡교천03 3

삽교천 삽교천 G107 원성천 2

삽교천 삽교천 G108 천안천01 1

삽교천 삽교천 G109 삼룡천 2

삽교천 삽교천 G110 천안천02 3

삽교천 삽교천 G111 마곡천 3

삽교천 삽교천 G112 곡교천06 4

기타 대호방조제 G113 당진천02 2

기타 대호방조제 G114 역천02 3

기타 부남방조제 G115 태안천 2

기타 부남방조제 G116 장검천 2

기타 부남방조제 G117 둔당천 2

기타 부남방조제 G118 청지천 2

기타 부남방조제 G119 도당천02 3

기타 부남방조제 G120 간월호 4

기타 부남방조제 G121 와룡천02 3

기타 금강서해 G122 광천천 2

기타 금강서해 G123 대천천02 3

기타 금강서해 G124 웅천천02 3

기타 금강서해 G125 웅천천04 4

기타 금강서해 G126 판교천02 2

기타 직소천 G127 직소천02 3

기타 직소천 G128 백천 2

기타 주진천 G129 주진천02 4

기타 주진천 G130 주진천03 4

- 148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1 영산강01 2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2 광주천02 2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3 광주천03 2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4 영산강04 2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5 영산강07 3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6 영산강08 3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7 영산강09 4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8 영산강10 4

영산강 영산강상류 Y009 풍영정천04 2

영산강 영산강상류 Y010 증암천01 2

영산강 영산강상류 Y011 증암천03 1

영산강 영산강상류 Y012 영산강06 3

영산강 황룡강 Y013 북하천03 2

영산강 황룡강 Y014 평림천04 2

영산강 황룡강 Y015 황룡강03 3

영산강 황룡강 Y016 황룡강04 3

영산강 황룡강 Y017 황룡강07 3

영산강 황룡강 Y018 황룡강08 3

영산강 지석천 Y019 대초천02 2

영산강 지석천 Y020 대초천03 2

영산강 지석천 Y021 지석천05 3

영산강 지석천 Y022 지석천07 3

영산강 지석천 Y023 지석천09 3

영산강 지석천 Y024 화순천05 2

영산강 영산강중류 Y025 만봉천04 2

영산강 영산강중류 Y026 영산강11 4

영산강 영산강중류 Y027 영산강12 4

영산강 영산강중류 Y028 영산강14 4

영산강 영산강중류 Y029 영산강15 4

영산강 영산강중류 Y030 평동천03 2

영산강 고막원천 Y031 고막원천05 3

영산강 고막원천 Y032 고막원천07 3

영산강 영산강하류 Y033 영산강16 4

영산강 영산강하류 Y034 영산강18 4

영산강 영산강하류 Y035 함평천03 3

영산강 영산강하류 Y036 함평천04 3

영산강 영산강하류 Y037 삼포천02 3

영산강 영암천 Y038 영암천02 2

영산강 영암천 Y039 학산천04 2

영산강 영산강하구언 Y040 무안02 5

섬진강 섬진강댐 Y041 섬진강01 3

섬진강 섬진강댐 Y042 섬진강02 3

섬진강 섬진강댐 Y043 섬진강03 3

섬진강 섬진강댐 Y044 섬진강04 4

섬진강 섬진강댐 Y045 섬진강05 4

섬진강 섬진강댐 Y046 섬진강06 4

섬진강 섬진강댐 Y047 섬진강07 4

섬진강 섬진강댐 Y048 세동천03 1

섬진강 섬진강댐 Y049 임실천02 3

섬진강 섬진강댐 Y050 옥녀동천01 2

섬진강 섬진강댐 Y051 추령천02 3

섬진강 섬진강댐 Y052 추령천04 4

<부표 1.4.4>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140개 구간의 하천차수

Page 8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49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섬진강 섬진강댐하류 Y053 갈담천02 2

섬진강 섬진강댐하류 Y054 섬진강09 5

섬진강 섬진강댐하류 Y055 섬진강10 5

섬진강 섬진강댐하류 Y056 섬진강11 5

섬진강 섬진강댐하류 Y057 섬진강12 5

섬진강 섬진강댐하류 Y058 치천04 3

섬진강 오수천 Y059 오수천02 3

섬진강 오수천 Y060 오수천04 4

섬진강 오수천 Y061 오수천05 4

섬진강 순창 Y062 경천02 2

섬진강 순창 Y063 경천03 2

섬진강 순창 Y064 섬진강13 5

섬진강 순창 Y065 섬진강14 5

섬진강 순창 Y066 섬진강15 5

섬진강 순창 Y067 섬진강16 5

섬진강 순창 Y068 옥과천02 3

섬진강 순창 Y069 옥과천03 3

섬진강 요천 Y070 요천02 3

섬진강 요천 Y071 요천04 3

섬진강 요천 Y072 요천06 4

섬진강 요천 Y073 요천08 4

섬진강 요천 Y074 요천09 4

섬진강 섬진곡성 Y075 곡성천02 3

섬진강 섬진곡성 Y076 섬진강17 5

섬진강 섬진곡성 Y077 섬진강18 5

섬진강 섬진곡성 Y078 섬진강19 5

섬진강 섬진곡성 Y079 오곡천02 2

섬진강 주암댐 Y080 동복천03 4

섬진강 주암댐 Y081 동복천05 4

섬진강 주암댐 Y082 동복천06 4

섬진강 주암댐 Y083 보성강02 3

섬진강 주암댐 Y084 보성강03 3

섬진강 주암댐 Y085 보성강05 4

섬진강 주암댐 Y086 보성강07 4

섬진강 주암댐 Y087 보성강08 4

섬진강 보성강 Y088 보성강10 5

섬진강 보성강 Y089 보성강11 5

섬진강 보성강 Y090 보성강12 5

섬진강 보성강 Y091 보성강13 5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2 서시천02 3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3 서시천05 3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4 섬진강20 6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5 섬진강21 6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6 섬진강22 6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7 화개천02 3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8 주교천02 2

섬진강 섬진강하류 Y099 황전천03 4

섬진강 섬진강하류 Y100 횡천강01 3

섬진강 섬진강하류 Y101 횡천강03 3

섬진강 섬진강하류 Y102 횡천강05 3

섬진강 섬진강하류 Y103 횡천강06 4

섬진강 섬진강하류 Y104 진월 6

탐진강 탐진강 Y105 금강천06 3

- 150 -

수계명 중권역명조사구간

하천차수코드 조사지점

탐진강 탐진강 Y106 옴천천03 2

탐진강 탐진강 Y107 유치천02 1

탐진강 탐진강 Y108 탐진강02 2

탐진강 탐진강 Y109 탐진강06 3

탐진강 탐진강 Y110 탐진강07 3

탐진강 탐진강 Y111 탐진강09 3

기타 섬진강서남해 Y112 강진천03 2

기타 섬진강서남해 Y113 월성천 2

기타 섬진강서남해 Y114 대덕천01 2

기타 섬진강서남해 Y115 수문천02 2

기타 완도 Y116 군외천 1

기타 금산면 Y117 오천천 1

기타 이사천 Y118 순천동천01 3

기타 이사천 Y119 순천동천03 3

기타 이사천 Y120 순천동천04 3

기타 이사천 Y121 이사천03 2

기타 이사천 Y122 이사천06 2

기타 이사천 Y123 벌교천03 4

기타 이사천 Y124 화양천 1

기타 이사천 Y125 도화천 2

기타 수어천 Y126 광양서천04 2

기타 수어천 Y127 수어천02 2

기타 여수시 Y128 돌산천 1

기타 진도 Y129 석교천03 2

기타 와탄천 Y130 와탄천04 2

기타 와탄천 Y131 군남천02 2

기타 와탄천 Y132 태봉천01 2

기타 신안군 Y133 금산천 1

기타 영암방조제 Y134 영암호01 4

기타 (제주) 제주서해 Y135 옹포천02 1

기타 (제주) 제주남해 Y136 연외천02 2

기타 (제주) 제주남해 Y137 동홍천02 2

기타 (제주) 제주남해 Y138 영천02 2

기타 (제주) 제주북해 Y139 도근천 2

기타 (제주) 제주북해 Y140 광령천02 2

Page 8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51 -

부록 1.4.3. 대조 하천 지점 표기 및 메트릭별 점수 산정

가. 대조 (Reference) 하천선정

◦ 4대강 대권역의 총 39개 구간에서 하천차수별 대조 하천선정

◦ 1차 하천 (7개 구간), 2차 하천 (7개 구간), 3차 하천 (11개 구간), 4차 하천 (7개 구간), 5

차 하천 (3개 구간) 및 6차 하천 (4개 구간)

하천차수 대권역 하천명 세부지점

1차

한강 홍정천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흥정리 양지동

낙동강 덕천강 경남 산청군 시천면 외공리 상지

금강 유성천 대전시 덕명동 갑하산 하부

금강 용수천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작바위

금강 용수천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자연학습원

영산강/섬진강 화개천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영산강/섬진강 연곡천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서리 피아골

2차

한강 한계천 강원도 인제군 북면 장수대

한강 홍정천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이승복생가터

한강 가평천 경기도 가평군 북면 도대리 소락개

한강 개곡천 경기도 가평군 백둔리 한터

금강 용수천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제2학봉교

영산강/섬진강 명호천 경남 하동군 청암면 명호리

영산강/섬진강 황룡강 전남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선마 (백양사)

3차

한강 내리천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밤내리 엄수교

한강 인북천 강원도 인제군 북면 월학리

한강 주전천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강림리 개건너

낙동강 내대천 경남 산청군 시천면 내대리 학생야영장

금강 대곡천 대전시 서구 매로동 야실

금강 속리천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백현리 잣고개

금강 속리천 충북 보은군 삼외면 탁주리 (탑자리)

영산강/섬진강 연곡천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서리 평도

영산강/섬진강 악양천 경남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 평촌

영산강/섬진강 황룡강 전남 장성군 북하면 대흥리 갈마

영산강/섬진강 영산강 전남 장성군 서삼면 송현리 해평

4차

한강 삼척오십천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천기리 괴음정

한강 박대천 충북 괴산군 청천면 후평리

한강 평창강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재산리 소원동

한강 가평천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노루모고개

금강 무주남대천 전북 무주군 무주읍 장백리 장백교

금강 금강 충남 금산군 부리면 수통리 수통

영산강/섬진강 화개천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화계교

5차

한강 평창강 강원도 영월군 서면 문둔

낙동강 길안천 경북 안동군 길안면 대사리 토일

낙동강 길안천 경북 안동군 임하면 금소리

6차

낙동강 낙동강 경북 상주군 낙동면 성동리 강창나루

낙동강 내성천 경북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섬진강 섬진강 경남 하동군 악양면 덕은리

섬진강 섬진강 전남 구례군 토지면 파도리 간문교

- 152 -

제 5 절 식생 조사 및 평가 지침

1. 식생의 특성 및 활용도

하천지역에서의 식생은 하천지역에 서식하는 모든 소비자들의 영양구조의 바탕을 구성하는

하천생태계의 1차생산자의 역할이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하천의 물리․화학적

입지적 특성에 따른 고유의 식생이 발달하여 분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생은 하천지역의 입

지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소비자에 해당하는 동물들의 서식역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따라서 하천생태계의 전체적인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식생

조사가 필수적이다.

하천지역에서의 식생조사의 목적은 식생단위 및 종조성의 파악과 아울러 식생도를 제작하여

하천지역 내의 식생분포 상황을 파악하는데 있다.

Page 8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53 -

2. 조사지침

가. 식생 조사

1) 식생조사의 개요

◦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 (Braun-Blanquet, 1932)의 주목적은 조사구의 범위에 나타나는

식물의 양적 평가를 수반하여 완전한 목록을 작성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하여 출현한 식

물의 분포량과 생육상태를 피도와 우점도, 군도, 활력도 등의 기준에 따라 판정해 간다.

또 조사구의 크기와 위치, 입지조건 등도 동시에 기록한다.

2) 조사도구

가) 조사용지

◦ 표. 5.1의 식생조사표를 이용한다. 필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나) 지형도

◦ 가장 최신의 국토지리원 발행의 1/50,000 또는 1/25,000 지형도를 사용하고,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는 1/2,500과 1/5,000 혹은 그것보다도 대축척의 지형도를 사용한다.

다) 식물채집도구

◦ 채집도구는 식생조사 시에 발견된 불분명하거나 의문시되는 종을 채집할 때 사용된다. 모

종삽, 전정가위 또는 채집통 (또는 비닐봉투), 종이테이프를 이용하여 채집한 표본은 조사

지점을 기록한 라벨을 붙이고 식생조사표에도 기록해 둔다.

- 154 -

조사일자: 년 월 일

대학교 실험실식생조사표

군락명: 군락

No. 조사지역 주소: 조사자

해발: m 식생상관: 사진번호 (수중, 수변, 상류부, 하류부) : , , ,

수로: 사행,직강 GPS 좌표: 위도 ° ′ ″, 경도 ° ′ ″

단면: 자연, 복단면, 단단면 지리적 위치: 상류, 중류, 하류, 기타 ( )

면적: m × m하천의 기질 상태: 자갈, 모래, 점토, 기타 ( )

하천폭: m

계층구분 높이 (m) 식피율 (%) 우점종식생상태: 초지-관목림지-교목림지, 초지-관목림지,

다년생 초지, 1년생 초지

기타 ( )

교목층 (T1)

아교목층 (T2)

관목층 (S)

특기사항:초본층 (H)

우점종 목본 DBH: 최대 ( ㎝), 중간 ( ㎝), 최소 ( ㎝)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 CㆍS 종명 CㆍS 종명 CㆍS 종명 CㆍS

아교목층 (T2)

사업명: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조사구간

선정 및 현장 정밀조사

※군락 (식생)단면도는 뒷면에 스케치

<표 1.5.1> 하천 식생조사표

Page 8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55 -

3) 조사구의 선정과 조사구면적

◦ 조사구는 상관적, 구조적으로 균질한 장소를 추출한다. 하천식생은 교란 등으로 시간적으로

나 공간적으로 균질하지 않고, 하천 특유의 식물 이외의 식물이 침입할 수 있는 환경도 많

은 점에서 조사구를 선정할 때는 조사지 전체의 식생배분을 충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조사구 면적은 <표 1.5.2>를 따른다. 조사구의 중심부근에서 출현한 식물을 기록하면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조사면적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

식생유형 조사면적 (m2)

교목림 100~500

저목림 25~100

초원 10~25

답압군락 1~10

<표 1.5.2> 식생유형별 조사면적의 기준

4) 양적평가의 기준

◦ 조사구 내에 출현한 식물을 계층별로 기록하여 식생조사표에 기입한다. 그리고 조사구의 크

기와 형상이 정해진 단계에서 그 범위에 출현한 종의 피도와 우점도, 군도 등을 판정한다.

피도는 어떤 식물이 지표를 덮고 있는 비율이고, 우점도는 피도와 수도 (개체수)의 조합으

로 나타낸다. 군도는 식물의 집합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식생조사에서는 Braun-Blanquet

(1932)의 우점도 계급이 사용된다 (표 1.5.3).

우점도 기준

5 개체수는 임의, 피도 75~100%

4 개체수는 임의, 피도 50~75%

3 개체수는 임의, 피도 25~50%

2 개체수는 임의, 피도 5~25%

1 개체수는 많지만, 피도가 낮다 (5% 이하). 또는 분산된 상태이지만 피도는 5%.

+ 약간의 피도로 분포하는 소수

r 단독이고 약간의 피도

<표 1.5.3> Braun-Blanquet의 우점도 기준

- 156 -

◦ 식생 조사의 범위는 조사구역의 중심에서 상ㆍ하류 500 m 씩의 총 1,000 m 범위, 횡단

범위는 유로 폭 (제방과 제방 사이)을 고려한다. 조사구의 크기는 초본 식생은 1~2 m ×

1~2 m, 그리고 목본 식생은 대상 군락의 수고에 따라 조정한다.

나. 식생단면도 작성

◦ 식생조사에서 설치한 1개의 transect를 따라서 수로에서부터 횡단 범위까지 출현하는 식생의

단면도를 도식화하여 작성한다.

다. 하천식생도

1) 식생도의 종류

◦ 식물군락의 분포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을 식생도라고 한다. 식생도는 대상 지역 식생의

공간분포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고, 지형도, 지질도, 토양도 등과 함께 지역환경을 파악하는데

기본적인 지도가 된다.

◦ 현존식생도는 표현방법에 따라 식생을 상관에 기초한 상관식생도와 식물사회학적 식생단

위를 사용한 식물사회학적 식생도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가) 상관식생도

◦ 식물군락의 상관에 따른 식생도로서 식물군계와 우점종에 따라 구분된 식물군락 (우점군

락)이 범례로서 이용된다. 식물군계는 낙엽활엽수림과 초원, 저목림 등과 같이 군락의 최

상층에 우점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기초하여 구분된 것이다. 우점군락은 물억새 (우점) 군

락, 버드나무 (우점)림 등과 같이 최상층에 우점하는 식물을 근거로 구분한다.

나) 식물사회학적 식생도

◦ 식물군락을 구성하는 식물의 종조성에 기초하여 구분된 식생단위를 범례로 하는 식생도를

식물사회학적 식생도라고 한다. 식생단위로는 군집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군단

등의 상급단위나 아군집, 변군집 등의 하위단위도 사용된다.

Page 8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57 -

2) 하천식생의 지도화

가) 축척

◦ 하천지역을 대상으로 한 식생도도 기본적으로는 일반적인 식생도를 작성하는 방법과 같다.

식생도의 축적은 조사의 목적과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1/1,000~1/50,000까지를 고려한다.

나) 정밀도 (그림으로 표시하는 최소면적)

◦ 식생도상에서 5 mm2~1 cm

2정도의 넓이를 도시한다.

※ 1/500보다 큰 축척의 경우는 큰 나무 한 그루가 서 있는 경우도 식생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식생도에서 예를 들면 버드나무군락으로서 도시하는 것보다 버드나무입

목 등으로 표시한다.

◦ 하천의 식물군락에는 식생도에 도시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은 없지만, 귀중도가 높은 군

락이 출현하는 경우에는 점 또는 심볼 표시를 이용해 정보를 나타낸다.

다) 식생도의 작성 방법

◦ 사진판독과 현지답사를 조합하여 지도화 한다. 통상 항공사진은 국토지리정보원 (전 국립

지리원) 등에서 시판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항공사진 및 관공서나 지방

자치단체에서 촬영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1/5,000~1/10,000의 식생도를 작성한다.

◦ 1/500보다 대축척의 식생도는 시판되고 있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지 않고, 현지답사를 통해

작성한다.

※ 1/100 전후의 축척 식생도에는 기구 (balloon)와 radio control helicopter 등을 이용한

공중사진을 사용할 수 있다.

라) 식생도 작성의 순서

◦ 식물사회학적인 식생도를 만드는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다. 또 우점군락에 의한 식생도는

이 순서 중 ⑤, ⑥, ⑧의 과정은 불필요하다. 이 경우에도 범례로서 이용되는 우점군락의

내용을 나타내기 위해서 범례마다 대표적인 식분은 식생조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 158 -

① 현지 예찰

- 군락의 종류와 배분상황을 파악한다. 식생도의 축척과 정밀도를 결정한다.

② 공중사진의 입수, 촬영과 기본도가 되는 지형도의 입수 혹은 지형을 측량한다.

- 식생도의 축척, 정밀도에 대응한 공중사진과 지형도를 조달한다.

③ 사진판독으로 예찰도 (상관식생도) 작성

- 공중사진 상에서 균질하게 보이는 범위를 색깔 별로 분류하여 기본도에 기입한다. 하천

의 경우 버드나무류의 숲이나 아까시나무림 등과 같이 우점군락이 공중사진으로 판별하

기 어려운 경우는 우선 이들을 정리해서 하나의 범례로 해 둔다.

④ 식생도의 범례결정을 위한 식생조사

- 도시된다고 생각되는 군락에 대해서 식생조사를 행한다.

⑤ 표 조작에 의한 식생단위의 결정

- 식생조사자료를 처리 해석하고, 군락식별표를 작성한다.

⑥ 식생도 작성지침의 작성

- 군락 식별에 이용되는 종을 나타낸 지침 (식생도 작성 지침)을 작성한다. 또, 이 지침에

는 조사지내에서 인식되고 식생도에 도시된 토지 이용유형 등도 첨가한다.

⑦ 현지답사에 의한 군락의 면적 조사와 보충 식생조사

- 식생도 작성지침을 이용하여 미리 작성한 상관식생도와 실제의 식생단위의 면적을 현지

에서 조합하고, 범례를 통합 혹은 분할하여 도시한다. 식생도 작성지침에서는 어느 군락

에도 포함되지 않는 식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식분의 면적을 도시하고, 또 그곳에서 식

생조사를 한다.

⑧ 식물사회학적 식생도의 작성

- 보충조사로 자료를 검토하고 식생도를 완성시킨다.

마) 식생도의 완성

◦ 최종적인 식생도는 제도용 필기구 등을 사용해 경계선을 긋고 범례마다 분류한다. 범례

Page 9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59 -

색은 상호 식별 가능한 배색으로 한다. 또, 범례 색은 초지군락은 황색계통, 삼림은 녹색

계통의 색을 사용하는 등 배색에 주의하고, 식생전체의 배분상태가 시각적으로 나타나도

록 한다.

◦ 다양한 지역에 다양한 식생유형이 존재함으로 교목, 관목, 다년생 초본, 1년생 초본, 외래

종 등으로 구별하여 범례를 작성하기도 한다.

◦ 최근에는 기본도를 스캐너 등으로 컴퓨터에 입력하여 식생도를 작성한다. 또한, 캐드 및

지리정보시스템 (GIS)을 이용하여 식생유형별 면적을 구할 수 있다.

- 160 -

3. 평가지침

◦ 수집된 식생도, 식생 조사 자료 및 식생단면도를 대상으로 <표 1.5.4> 및 <표 1.5.5>와

<그림 1.5.1>의 기준에 근거하여 식생자연도를 평가한다. 이를 종합한 평가는 <표 1.5.6>

에 근거하여 실시한다.

등급 단면구조 식생구조 주변 경관 비고

1물가, 강턱 및 강둑은 인위적소재로 덮여 있을 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관리된다.

대체로 일년생초본

도시식피율은 50% 이하이고 대체로일년생식물로 이루어진다.

2강턱 외에 물가와 강둑은 인위적 소재로 덮여 있고, 그 관리도 인위적 관리에 의존한다.

대체로 다년생초본

도시 및 농촌식피율은 50% 이상이고 다년생식물이 주도한다.

3물가만 인위적 소재로 덮여있고, 관리는 부분적으로 인위적 관리에 의존한다.

초본 및 관목 도시 및 농촌초본과 관목으로 이루어진 식생단면이 나타난다.

4하천의 모든 구역이 자연소재로 덮여 있으나 여전히 인위적 관리가 이루어진다.

초본, 관목 및 교목이존재하나 교목은 외래종이거나 외지종이 대부분이다.

농촌 및 도시

식생단면은 초본, 관목 및 교목으로 이루어지나 교목은 외래종이거나 지역의 생태적 조건과 어울리지 않는 종이다.

5하천의 모든 구역이 자연소재로 덮여 있고 관리도 자연상태에 의존한다.

초본, 관목 및 교목으로 이루어지고 교목을비롯하여 대부분의 종은 고유종이다.

농촌 및 자연

초본, 관목 및 교목으로 이루어진 식생구조가 나타나고, 출현식물은 고유종일 뿐만 아니라지역의 생태적 조건과 어울리는 종이다

<표 1.5.4> 하천자연도 평가기준

점수

식생요소1 2 3 4 5

식생 다양성 (3) ※※20% 이하20% 초과

40% 이하

40% 초과

60% 이하

60% 초과

80% 이하

80% 초과

100% 이하

외래종 우점 면적 (2) 20% 이상15% 이상

20% 미만

10% 이상

15% 미만

5% 이상

10% 미만5% 미만

1년생 식물 면적 (2) 20% 이상15% 이상

20% 미만

10% 이상

15% 미만

5% 이상

10% 미만5% 미만

하천 자연도 (10) 1 2 3 4 5

종 다양성 (3) 20% 이하20% 초과

40% 이하

40% 초과

60% 이하

60% 초과

80% 이하

80% 초과

100% 이하

※괄호 안의 숫자는 가중치

※※ 식생다양성과 종다양성은 그것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동일비율 (20%)로 나누어서 등급을 부여한 것으로, 최대값과 최소값은 아래의 기준을 따랐다.

- 최대 식생형 수는 전체 조사구간 중 가장 많은 식생형이 출현한 곳의 수

- 최소 식생형 수는 전체 조사구간 중 가장 작은 식생형이 출현한 곳의 수

- 최대 종수는 전체 조사구간 중 가장 많은 종 수를 나타낸 곳의 수

- 최소 종수는 전체 조사구간 중 가장 작은 종 수를 나타낸 곳의 수

<표 1.5.5> 식생자연도 평가기준

Page 9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61 -

<그림 1.5.1> 하천자연도 평가기준

평가 기준점수 범위 매우양호 양호 보통 불량 매우불량

점수 범위 81 이상 61~80 41~60 21~40 20 이하

<표 1.5.6> 식생자연도 평가기준의 각 항목의 합산 점수에 의한 종합평가기준

- 162 -

제 6 절 서식 및 수변환경 조사 및 평가 지침

1. 서식 및 수변환경의 특성 및 활용도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천생태계의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평가할 필요가 있

다. 과거에는 하천의 특성을 평가할 때 수문 및 수질 특성을 주로 고려하여, 하천의 건강성을

수질로만 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점은 일정부분 수생태계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수생태계의 복잡한 얼개에 의하여 결정되는 건강성 전체를 대표하기

에는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 요소인 생물분

류군 분포와 서식처 특성을 수질 및 수문환경과 동시에 평가하여야 한다.

서식처 및 하천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생물분류군에 대한 조사시 부속적으로

평가되는 정량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특정 생물분류군의

분포 특성을 설명하는데 용이하지만, 조사지점의 건강성 평가에 대해서는 정보량의 한계가 있

다. 또한 하천의 형태적인 특성을 평가할 때에 일반적으로 하천 자연성 평가 기법이 많이 도입

되었지만, 이들 기법은 거의 대부분 경관생태학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어 생물이 서식하는 서식

처에 대한 평가 개념은 상당부분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미국, 유럽 및 일본 등에서는 하천의 형태적 특성과 서식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 기법을 이미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1970~1980년대를 전후해서 외국의 하천

생태계 복원의 방향성은 현재 우리나라의 그것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미국, 일본, 독일

등 하천생태계에 일찍이 관심을 가져온 선진국의 경우, 역시 하천을 공간적은 관점에서 바라보

았다.

Page 9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63 -

2. 조사지침

가. 조사대상

◦ 하천 서식 및 수변환경 현재 상태 (현지조사표의 서식수변환경 평가항목 활용)

◦ 조사구간 정점 고도

◦ 조사구간 평가거리 내의 하천 수로폭과 제방폭

나. 현장조사

1) 현장조사의 준비

◦ 서식수변환경 평가는 기본적으로 서식수변환경 평가지 (현지조사표)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평가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장 조사 작업이 수반된다. 원활한 현장조사를 수행하기 위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만족하도록 한다.

2) 조사 시기

◦ 홍수기 전후로 2회 조사 (봄: 3~4월, 가을: 9~10월)한다.

※ 조사 전에 집중 강우 또는 홍수가 발생하였을 경우는 강우가 끝나고 10일이 경과한 후에

조사 실시한다. 또한 전체 조사구간에 대한 평가는 2주~4주 이내에 완료하여야 한다.

3) 조사 및 채집 장소 선택

◦ 기본적으로 조사구간의 정점에서 상하류 방향으로 각각 1 km씩의 가시거리 확보가 가능한

곳을 선정한다.

◦ 평가 항목에 따라 조사평가 장소는 하천변 혹은 제방상단이 될 수 있다.

4) 조사인원 구성

◦ 한 지점에서의 조사는 최소한 숙련된 3명의 인원이 필요하다

- 164 -

◦ 매 회 조사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조사인원은 서식수변환경 평가 항목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상기 사항 중 다음에 대한 경우는 예외 혹은 변경이 가능하다. 단, 각각의 변경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를 충분히 취하도록 한다.

- 최소요구직급: 상기 역할분담 중 기록자에 대한 최소요구직급은 다소 완화될 수 있으며,

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서식환경 평가에 대한 사전정보를 충분히 숙지하였을 경우 현장

경험이 다소 부족한 연구원이라도 참여가 가능하다.

- 조사 중 역할 교체: 조사구간이 많을 경우 장거리 운행 등에 의해 운전자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역할을 나누어 수행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 역할 교체가 발생하는 연구원들 간

에 현장을 평가하는 관점에 대해서 사전에 충분히 토의를 수행하여 역할 교체에 따른

결과의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단, 평가자의 평가 역할은 분담하지 않도록 한다.

- 조사 프로그램별 역할 교체: 목적하는 전체 조사구간을 2회 이상 나누어 조사 수행할 경

우, 각 조사 프로그램별 조사원간 평가 항목별 관점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조사

전 연구원간 평가 통일성에 대해 충분히 의견교환을 하여야 한다.

다. 현지조사표 작성 및 환경요인의 조사

1) 현지조사표 작성

◦ 현지조사표의 기본적인 양식은 아래의 <표 1.6.1>과 같으며, 현지조사표는 크게 조사지점

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항목, 조사구간의 하천폭 측정값 기입양식

및 각 조사구간의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사진 정보 부착 양식 등으로 구성된다.

※ 현지조사표의 작성은 보통 현장조사의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작성하도록 하며 가능한 동

일한 사람이 조사전체를 통해 현지조사표를 작성하도록 한다.

Page 9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65 -

◇ 조사지점 정보 하천등급: 1. 국가하천 ( ), 2. 지방1급하천 ( ), 3. 지방2급하천 ( ), 4. 소하천 ( )

조사일 시각 중권역명 하천명 조사구간명 조사수행자

GPS 좌표 고도 (m) 특기사항 총점 및 등급

위도 ° ′ ″

경도 ° ′ ″

총점

등급

◇ 서식수변환경 평가항목연번 항목 평가내용 판정점수 평가기준 점수 비고

1 자연적인종횡사주

물흐름 다양성 유발하는자연적인 종횡 사주발생횟수

5 4회 이상

4 3회

3 2회

2 1회

1 없음

2 하천변 폭수로폭과 제방내 폭간비율 (완충지대 및수로변 식생 서식처)

5 2.0<비율

4 1.5<비율≤2.0

3 1.0<비율≤1.5

2 0.5<비율≤1.0

1 비율≤0.5

3 저질 상태하상의 지배적인 현재저질상태 평가

5 거암 이상, 모서리가 둥근 돌

4자갈-호박돌이 많이 존재하고 대체로 모서리가 둥긂 (일부모래 존재)

3 잔자갈-모래 혼재 (돌의 경우 모서리가 있는 돌이 많음) 혹은 모래가 지배적임

2 실트 혹은 더러운 진흙 (汚泥)

1 콘크리트 바닥으로만 구성

4 횡구조물어류 이동을 방해하는인공구조물의 방해정도

5 횡구조물 없음

4 울퉁불퉁한 완경사수로 형태

3 어도가 별도로 존재하며 길고 완만한 형태

2 어도가 존재하나 급격한 낙차폭이 있음

1 횡구조물에 어도가 없거나 파손되어 기능이 없음

5

하도 정비및 하도특성의

자연성 정도

하도의 자연성 정도

5 정비하지 않은 자연 사행하천

4 정비되었으나 하도, 저수로 사행유지

3 하도 직강화, 저수로 사행

2 하도, 저수로의 직강화 (저수로 폭의 변화 유지)

1 하도, 저수로의 인공 (일정 폭) 직강화

6저수로호안공

저수로 호안공의 특성평가

5 호안공이 없는 자연 상태

4 목책 등 자연 소재 + 인공 식생호안

3 사석, 석축 + 인공 식생호안

2 사석 또는 석축 호안 (투수성)

1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7제방호안

재료제방 호안재료의 인공화정도

 5 5 인공제방이 없는 경우

 4 4 인공 흙제방 (자연식생, 잔디 식재 등)

 3 3 사석쌓기, 자연형호안 블록에 인공식생 포함

 2 2 사석쌓기, 자연형 호안 블록 (투수성)

 1 1 호안블록,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8둑 바깥쪽토지 이용

둑 바깥쪽의 지배적인토지 이용의 인공화 정도

5 초지나 관목림 등의 자연 상태

4 인공녹지와 자연녹지의 혼재

3 대부분 경작지, 공원, 일부구간의 시가지와 주거지

2 일부분 경작지, 1/2 정도의 시가지와 주거지

1 1/2 이상의 시가지와 주거지

9둑 안쪽

토지 이용

둑 안쪽의 토지이용상황이 하천생태계에미치는 영향

5 자연식생, 인공구조물이 없는 경우

4 자연식생과 인공식생 (잔디, 초지공원 등) 혼재

3 경작지 (논, 밭 등)

2 1/2 정도의 공원 및 운동장 시설

1 주차장, 불투수성 인공구조물 설치

10오염원 유입

정화시설

오염원의 유입 정도 및수질정화 시설의설치여부

5 오염원 유입 없음

4 오염원 유입되나 정화시설 존재

3 오염원 유입되나 하천에 영향 없음. 정화시설 없음

2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영향 미침. 정화시설 없음

1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심한 영향. 정화시설 없음

구분 1 (상류) 2 3 4 5 6 (중앙) 7 8 9 10 11 (하류)

수로

제방

<표 1.6.1>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현지조사표 양식

- 166 -

◆ 전경사진 및 부분사진

우안

제내지∼제방상단 제외지 사면~둔치 둔치~호안공

전경

사진

좌안

제내지∼제방상단 제외지 사면~둔치 둔치~호안공

◆ 특기사항

특기사항1 특기사항2

설명 설명

<표 1.6.1>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사진 현지조사표 양식 (계속)

Page 9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67 -

2) 현장 환경요인 조사

가) 하천 수로 및 제방폭 측정

◦ 거리측정기 등을 활용하여 수로 좌우안간 거리 및 제방 좌우간 상단간 거리를 측정한다.

◦ 측정된 하천폭 데이터 활용 방법은 아래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항목별 설명을 참조한다.

라. 서식 및 수변환경 현장 조사

1) 조사 도구

◦ <표 1.6.2>에 나타나 있는 도구들을 사용하여 서식 및 수변환경 조사를 실시한다.

주 용도 필요장비 및 물품 용도

조사지점기본정보

GPS 조사지점 위치에 대한 좌표 기록

디지털카메라 조사지점 특성에 대한 사진정보 확보

우리가람 길라잡이지도조사지점까지 접근을 위한 지리정보 및 하천기본정보 확보

도로지도

서식 및수변환경평가

서식수변환경 평가지 각 지점별 서식환경 평가 및 등급화

거리측정장비 수로폭 및 제방내 폭 측정

망원경 하천 내 종횡 구조물 등의 특성 평가

<표 1.6.2>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

※ 조사 수행 시 좌표는 항시 GPS를 이용하여 기록하며, 최소 초단위 소수점 1자리까지는

측정한다. 활용한 GPS가 어떠한 좌표체계를 활용하는지 기록을 남겨둔다.

◦ 기타 준비물의 경우 현장조사에 휴대시 조사의 수월성이 확보되는 장비로, 필수적으로 휴

대할 필요는 없다 (표 1.6.3). 녹취된 내용은 각 조사지점 특성에 대한 기록 및 사진정보

입력란에 입력하며, 별지 혹은 파일로 제출할 수 있다.

주 용도 필요장비 및 물품 용도

조사지점기본정보

네비게이션 조사지점까지 접근을 위한 지리정보 확보

녹음기 현장평가 중 녹취가 필요한 경우 활용 (인근 주민 면담 등)

<표 1.6.3>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기타 준비물

- 168 -

2) 평가 거리 설정

◦ 기본 기준 : 조사정점 (GPS 기록지점)에서의 수로폭에 20 m를 곱하여 나온 거리를 평가

하기로 함 (예 : 정점의 수로폭이 32 m였다면 640 m가 평가거리가 된다.)

◦ 예외

- 평가거리는 최대 2 km이다. 즉, 위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였을 경우 2 km가 초과된다

면 2 km 이내의 특성만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정점의 수로폭이 132 m였다면 기준에

따른 평가거리는 2,640 m가 되며, 따라서 2 km 이내의 평가를 실시한다. 단, 이는 평가

거리 결정을 위한 것이며, 평가 현지조사표에의 수로폭 기록은 실측된 값을 그대로 기입

한다.

- 평가항목 중 연번 2와 3 (각각 하천변폭 및 저질상태 <표 1.6.4> 참조)은 생물상 조사와

동일한 평가거리에 대해 실시한다. 기본적으로 200 m로 하며, 정점을 중심으로 상류방향

100 m, 하류방향 100 m로 한다.

3)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항목 (<표 1.6.4> 참조)

가) 자연적인 종횡사주

◦ 측정목적 : 물흐름의 다양성 유발하는 자연적인 종횡 구조물의 발생횟수를 평가하는 항목

이다.

◦ 하천의 생물종다양성은 기본적으로 흐름의 다양성에 의하여 결정되며, 하천 내에 발생하는

하중도 및 사주의 개수를 파악하여 물흐름의 다양성에 의한 서식처 다양성을 평가한다.

Page 9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69 -

번호 항목 평가내용 점수 평가기준 비고

1 자연적인종횡사주

물흐름 다양성유발하는자연적인 종횡사주 발생횟수

5 4회 이상

평가 대상은 사주, 하중도, 돌출물(바위 등)을 포함.

4 3회

3 2회

2 1회

1 없음

2 하천변 폭

수로폭과 제방내폭간 비율(완충지대 및수로변 식생서식처)

5 2.0<비율

본 항목 (제방내 토지비율) 비율이 2.0을 넘어도 수량풍부성 (수로폭 / 제방폭 단순비율)이 20% 이하일 경우 3점으로 배점

4 1.5<비율≤2.0

3 1.0<비율≤1.5

2 0.5<비율≤1.0

1 비율≤0.5

3 저질 상태하상의 지배적인현재 저질상태평가

5 거암 이상, 모서리가 둥근 돌

저질다양성 정보를 위해 부착 및 저서생물분야에서 산출되는 하상구조물비율과 비교할 것

4자갈-호박돌이 많이 존재하고 대체로 모서리가 둥긂(일부 모래 존재)

3잔자갈-모래 혼재 (돌의 경우 모서리가 있는 돌이 많음) 혹은 모래가 지배적임

2 실트 혹은 더러운 진흙 (汚泥)

1 콘크리트 바닥으로만 구성

4 횡구조물

어류 이동을방해하는인공구조물의방해정도

5 횡구조물 없음

다음의 경우 최하점수 (1점)로 배점:○ 어도에 물이 흐르지 않는 경우,○ 2개 이상의 보가 존재할 경우,○ 보내 퇴적이 심한 경우 (수심 5

cm이내)

4 울퉁불퉁한 완경사수로 형태

3 어도가 별도로 존재하며 길고 완만한 형태

2 어도가 존재하나 급격한 낙차폭이 있음

1 횡구조물에 어도가 없거나 파손되어 기능이 없음

5하도 정비 및하도 특성의자연성 정도

하도의 자연성정도

5 정비하지 않은 자연 사행하천

 

4 정비되었으나 하도, 저수로 사행유지

3 하도 직강화, 저수로 사행

2 하도, 저수로의 직강화 (저수로 폭의 변화 유지)

1 하도, 저수로의 인공 (일정 폭) 직강화

6저수로호안공

저수로 호안공의특성 평가

5 호안공이 없는 자연 상태

좌우안이 다를 경우, 좌안과 우안 각각에 점수를 내어 각 점수에 대한 평균을 반올림함. 형태가 지점에 따라틀리면 지배적인 형태로 평가

4 목책 등 자연 소재 + 인공 식생호안

3 사석, 석축 + 인공 식생호안

2 사석 또는 석축 호안 (투수성)

1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7 제방호안재료

제방 호안재료의인공화 정도

5 인공제방이 없는 경우

 

4 인공 흙제방 (자연식생, 잔디 식재 등)

3 사석쌓기, 자연형호안 블록에 인공식생 포함

2 사석쌓기, 자연형 호안 블록 (투수성)

1 호안블록,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8둑 안쪽 토지

이용

둑 안쪽의지배적인 토지이용의 인공화정도

5 초지나 관목림 등의 자연 상태

경작지의 비중이 크고, 홍수시 대규모의 토사 및 오염원 유입이 우려될 경우 비고난에 언급

4 인공녹지와 자연녹지의 혼재

3 대부분 경작지, 공원, 일부구간의 시가지와 주거지

2 일부분 경작지, 1/2 정도의 시가지와 주거지

1 1/2 이상의 시가지와 주거지

9둑 바깥쪽토지 이용

둑 바깥쪽의토지이용 상황이하천생태계에미치는 영향

5 자연식생, 인공구조물이 없는 경우

 

4 자연식생과 인공식생 (잔디, 초지공원 등) 혼재

3 경작지 (논, 밭 등)

2 1/2 정도의 공원 및 운동장 시설

1 주차장, 불투수성 인공구조물 설치

10 오염원 유입정화시설

오염원의 유입정도 및수질정화 시설의설치여부

5 오염원 유입 없음

 

4 오염원 유입되나 정화시설 존재

3 오염원 유입되나 하천에 영향 없음. 정화시설 없음

2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영향 미침. 정화시설 없음

1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심한 영향. 정화시설 없음

<표 1.6.4> 서식수변환경 평가항목 리스트 및 기준

- 170 -

나) 하천변 폭

◦ 측정목적: 수로폭과 제방내 폭 간의 비율에 대한 항목으로, 완충지대 및 수로변 식생서식

처를 평가한다. 수로변에 땅과 물이 만나는 곳이 넓게 확보될수록 수위 변화에 따른 생물

서식의 다양성이 보장될 수 있으므로, 수로폭과 제방내 폭 간의 비율에 대한 항목으로, 완

충지대 및 수로변 식생서식처를 평가한다.

◦ 200 m의 평가거리 내에서 등간격으로 11회의 수로폭과 제방폭을 실측하여 평가한다. 평가

방법은 각 측점마다의 제방폭 (di)과 수로폭 (wi)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을 수로폭 (wi)으

로 나누고, 이들의 산술평균값을 비율값 (I)으로 활용한다 (식 1 참조).

I=

∑11

i=1

|d i-wi|

wi

11 식 1.

◦ 단, 수량의 확보 차원에서 수로폭을 제방폭 값으로 나눈 비율이 20% 이하일 경우에는 3점

으로 설정한다. 이는 제방으로부터 제방까지의 폭 중에서 수로의 폭이 차지하는 비율로,

수로가 어느 정도 유지가 되고 있는지를 고려하는 부분이다 (유량이 적어 수로의 폭이 매

우 작은 경우는 본 항목 자체의 비율값이 크게 증가하는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 저질 상태

◦ 측정목적: 하상의 현재 저질상태 평가를 위한 항목이다.

◦ 하천생태계는 외부에서의 물리적 교란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골재채취나

하천변 토목 공사 등이 발생할 경우 발생지점으로부터 하류로 많은 토사가 유입되고 하상

을 구성하는 구성물질의 형태 역시 크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항목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 200 m의 평가거리 내에서 최소 10회 이상의 하상구조 특성을 관찰하고 지배적인 상태를

기록한다. 배점이 모호할 경우 (예를 들어 2점과 3점의 중간정도가 필요할 경우) 낮은 점

수를 채택한다.

Page 9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71 -

◦ 배점 결과는 추후 부착조류 및 저서무척추동물 분야에서 산출된 하상구조물 평가결과와

비교한다.

라) 횡구조물

◦ 측정목적: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인공구조물의 방해정도를 평가한다.

◦ 보의 형태적인 특징, 어도의 존재유무 및 어도의 특성에 따라 평가를 수행한다.

마) 하도의 자연성

◦ 측정목적: 하도의 자연성과 하천 형태의 인위적 변경정도를 평가한다.

◦ 다음과 같은 특성에 따라 평가를 진행한다.

- 정비하지 않은 자연 사행하천: 자연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함.

- 정비되었으나 하도, 저수로 사행유지: 하천은 정비되었으나, 하도와 저수로는사행을유지함.

- 하도 직강화, 저수로 사행: 하천은 정비되어 하도가 직강화 되었으나, 저수로는 사행을

유지함.

- 하도, 저수로의 직강화: 하천이 정비되어 하도와 저수로는 사행을 유지하지 못하고 직강

화된 경우. 일부 구간에서 직강화는 되었으나, 저수로 폭은 변화를 유지함.

- 저수로의 인공 (일정 폭) 직강화: 하도와 저수로가 콘크리트 등으로 일정한 폭으로 인위

적으로 직강화된 경우

바) 저수로 호안공

◦ 측정목적: 저수로변의 인공적인 교란여부를 통해 물과 땅이 만나는 곳의 서식처와 하천

특성을 평가한다.

◦ 저수로 호안은 홍수시 완전히 물에 잠기고 저수시에는 드러나는 곳으로 수역과 육역을 연

결하는 공간으로써 생물의 이동과 생태계의 연속성 확보를 고려해야 한다.

◦ 저수로 호안은 고수부지와 수역의 물질교환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 구조인가에 따라 등

급이 달라진다. 따라서 호안블록이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성 호안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 172 -

사석 또는 석축 등의 투수성 호안, 여기에 인공 식생을 더한 경우, 목책 등 자연소재와 인

공식생 호안 혼합, 호안공이 없는 자연 상태 등의 순서로 바람직하다.

◦ 본 항목의 경우 좌․우안이 같을 경우와 다를 경우가 있으며, 양안의 점수를 합하여 2로

나눈 평균값을 이용한다. 단, 평균값을 반올림한다.

사) 제방호안 재료

◦ 측정목적: 제방은 하천구역과 비하천구역을 차단하는 인공구조물로써, 생태계의 연속성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저수로 호안과 마찬가지로 재료의 인공화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 콘크리트블록과 같은 불투수성 제방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자연형 호안블록 (투수성), 여

기에 인공식생을 포함한 경우, 인공흙 제방 (자연식생, 잔디식재), 인공 제방이 없는 경우

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 호안재료가 좌․우안 다를 경우 지배적인 형태로 결정하며, 좌․우안 동등 비율로 서로 다

른 재료일 경우 좌․우안 각각 판단하고, 산술 평균하여 평균 점수를 산정하여 반올림한다.

아) 둑 바깥쪽 토지 이용

◦ 측정목적 : 하천 제방내측의 토지이용도를 평가한다.

◦ 하천 제방에서 둑 바깥쪽으로 500 m에 한하여, 판단구간의 지배적인 토지이용에 해당하는

것을 택하되, 시가지나 주거지, 경작지 및 자연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 경작지의 비중이 크고, 홍수시 대규모의 토사 및 오염원 유입이 우려될 경우 별도로 명시한다.

자) 둑 안쪽 토지 이용

◦ 측정목적: 하천변의 둔치 인공화 정도를 평가한다.

◦ 주차장이나 체육시설 등 불투수성 재료로 덮인 경우, 경작지, 인공 식생지, 자연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Page 9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73 -

차) 오염원 유입 및 정화시설

◦ 측정목적: 오염원에 대한 관리 상태를 평가한다.

◦ 오염원의 유입이 없는 경우, 유입은 되지만 수처리 시설을 갖춘 경우, 유입은 되지만 수처

리 시설을 갖추지 않은 경우로 구분한다.

4) 정도관리 (Quality control)

◦ 모든 사진정보는 조사 직후 하드디스크로 옮기고, 조사구간별로 폴더를 만들어 지점별로

파일명을 정하여 보관하며, 백업본을 생성하여 2중으로 보관한다.

◦ 각 항목별 평가 점수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진정보를 공유하여 모든 연구원간의

의견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하여 각 조사구간별 항목별 점수를 확정한다.

◦ GPS를 이용한 고도정보는 오차범위가 크며 실제 고도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활용하며, 고도 자료는 DEM을 통하여 확보한 뒤 GPS 측정 고

도와 비교 후 활용한다.

- 174 -

3. 평가지침

◦ 각 조사구간별 10개 항목을 평가한 후 <표 1.6.5>에 제시되어 있는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서식 및 수변환경의 등급 평가를 실시한다.

등급구분 환경상태 점수 범위 의미

A 최적 41~50 전체적으로 자연성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서식환경 역시 양호함

B 양호 31~40 서식환경 및 자연상태를 유지하지만 부분적으로 제한요인이 있음

C 보통 21~30 전체적으로 자연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제한 요인이 많음.

D 불량 10~20 심한 훼손으로 자연요소가 상당히 희박하며 서식환경에 제한이 큼.

<표 1.6.5>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 등급

Page 9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75 -

부록 1.6.1. 각 평가항목의 점수별 예시 사진

종횡사주 4회 이상 3회

2회 1회

없음

<부표 1.6.1> 자연적인 종횡사주 항목 점수별 사진

- 176 -

2.0<비율 1.5<비율≤2.0

1.0<비율≤1.5 0.5<비율≤1.0

비율≤0.5

<부표 1.6.2> 하천변 폭 항목 점수별 사진

Page 9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77 -

저질이 거암 이상, 모서리가 둥근 돌자갈-호박돌이 많이 존대하고 대체로 모서리가 둥긂

(일부 모래 존재)

잔자갈-모래 혼재 (돌의 경우 모서리가 있는 돌이

많음) 혹은 모래가 지배적임실트 혹은 더러운 진흙

콘크리트 바닥으로만 구성

<부표 1.6.3> 저질상태 항목 점수별 사진

- 178 -

횡구조물 없음 울퉁불퉁한 완경사수로 형태

어도가 별도로 존재하며 길고 완만한 형태 어도가 존재하나 급격한 낙차폭이 있음

횡구조물에 어도가 없거나 파손되어 기능이 없음

<부표 1.6.4> 횡구조물 항목 점수별 사진

Page 10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79 -

정비하지 않은 자연 사행하천 정비되었으나 하도, 저수로 사행유지

하도 직강화, 저수로 사행유지 하도, 저수로의 직강화 (저수로 폭의 변화 유지)

하도, 저수로의 인공 (일정 폭) 직강화

<부표 1.6.5> 하도 정비 및 하도 특성의 자연성 정도 湯慴 사진

- 180 -

호안공이 없는 자연 사행 하천 목책 등 자연 소재 + 인공 식생 호안

사석, 석축 + 인공 식생호안 사석 또는 석축 호안 (투수성)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부표 1.6.6> 저수로 호안공 항목 점수별 사진

Page 10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81 -

인공제방이 없는 경우 인공 흙제방 (자연 식생, 잔디 식재 등)

사석쌓기, 자연형호안 블록에 인공식생 포함 사석쌓기, 자연형 호안 블록 (투수성)

호안 블록,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부표 1.6.7> 제방 호안 재료 항목 점수별 사진

- 182 -

초지나 관목림 등의 자연 상태 인공녹지와 자연녹지의 혼재

대부분 경작지, 공원, 일부구간의 시가지와 주거지 일부분 경작지, 1/2 정도의 사기지와 주거지

1/2 이상의 시가지와 주거지

<부표 1.6.8> 둑 바깥쪽 토지 이용 항목 점수별 사진

Page 10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83 -

자연식생, 인공구조물이 없는 경우 자연식생과 인공식생 (잔디, 초지공원 등)혼재

경작지 (논, 밭 등) 1/2 정도의 공원 및 운동장 시설

주차장, 불투수성 인공구조물 설치

<부표 1.6.9> 둑 안쪽 토지 이용 항목 점수별 사진

- 184 -

오염원 유입 없음 오염원 유입되나 정화시설 존재

오염원 유입되나 하천에 영향 없음, 정화시설 없음 오염원 유입되나 하천에 영향 미침. 정화시설 없음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심한 영향. 정화시설 없음

<부표 1.6.10> 오염원 정화 시설 항목 점수별 사진

Page 10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2장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축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정책제안

제1절 선진국 측정망 운영사례

제2절 선진국 생물학적 평가 및 측정망

정책시사점

제3절 우리나라 측정망 구축, 운영,

관리방안

Page 10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87 -

제 2 장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축 및 유지관리 정책

제 1 절 선진국 측정망 운영사례

1. 유럽환경청 (European Environment Agency)

- 지표수 수질모니터링 프로그램 (EEA, 1996)

하천생태계 내의 동․식물 군집은 그들이 서식하고 있는 수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

한다. 하천의 생물은 종마다 오염원에 대한 민감도와 내성도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고, 수질오염

과 서식지의 교란을 포함하는 오염 (pollution)은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내성종을 증가시킨

다. 따라서 어느 하천 조사지점에서의 수서 생물군집의 구성은 수질의 종합적인 상태를 반영하

게 된다 (Kristensen and Bøgestrand, 1996).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부착성조류 (돌말류)를 이용하

여 하천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평가들은 일차적으로 해당 하천에 대한

관리와 모니터링을 책임지고 있는 지역의 해당기관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나, 일부 다른 나라에

서는 이러한 업무를 주요하천에 대한 생물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국가수준의 모니터링으로 발전

시켜왔다. 이러한 국가조사사업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방법 (예를 들면 채집방법, 조사지점 선

택기준, 종 분류체계 등)을 이용하는 해당기관 (예: 유역 혹은 지방환경청)에 의해 수집된 결과

들을 기초로 하였다. 생물학적 평가를 실시하는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이화학적 수질평가 지점

에서 수서생물을 이용한 평가를 병행하고 있다 (표 2.1.1).

가. 하천 생물학적 질을 평가하는 EU의 국가조사사업

생물모니터링 조사들은 보통 하천상태에 대한 각 나라별로 수립된 체계에 따라 수행되는데,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영국 등은 1970년대 이후 2~5년 주기로 하천상태를 평가하

고 있으며, 벨기에와 스페인은 1980년대 이후 비슷한 주기로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1992년 네

덜란드는 생물학적 프로그램을 육수모니터링 프로그램(inland water monitoring program)에 추

가하였고, 1989년 이래로 덴마크는 1년 주기로 생물학적 분류등급을 수정하였다.

생물모니터링 측정망은 일반적으로 많은 조사지점을 포함하는데, 예로 영국은 10,000개 정도,

아일랜드는 3,000개 정도의 지점을 선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점들은 주요한 모든 하천에 위

치하며, 각 하천에서 나타나는 수환경의 전체 범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선정하고 있다.

생물모니터링에 이용되는 조사방법과 빈도는 국가마다 약간 다르다. 영국과 독일에서는 지방

- 188 -

환경청에서 실질적인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며, 기획위원회에서 국가전체의 평가와 보고를 위해

지방조직으로부터 결과를 수집한다. 이와는 다르게 아일랜드에서는 생물학적 평가모니터링 프로

그램이 환경보호청 단일 기관에 의해 수행된다. 모니터링의 결과는 보고서의 형태로 출판되며,

여기에는 하천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등급이 표현되는 하천 수질평가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국가명 프로그램명 평가대상 생물 주기 조사빈도

조사범위 결과활용

오스트리아

국가하천의생물학적 평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968년부터2년 주기 국가전체

2년마다보고서와지도 작성

벨기에

플란더스 지역하천질의

생물학적 평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989년부터매년은 아님

1회/년 플란더스 지역에서900 지점

매년 보고서

왈룬 지역하천질의

생물학적 평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식물플랑크톤,수생식물

1980년부터3년 주기

1회/년 왈룬 지역에서 350 지점3년마다보고서와지도 작성

덴마크하천질의

생물학적 평가Inventory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989년부터매년 하천의생물분류결과수집

1~2회/년

표준화된 네트워크는없음.연간 총 10,000 지점조사

매년 보고서

독일 하천질의수질지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미소식물, 미소동물

1976년부터5년 주기

국가의 모든 주요 하천 지도

아일랜드

하천질의생물학적 평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수생식물, 조류(algae), siltation

1971~1993년까지는 4년주기1994년부터는3년 주기

1회/년6~9월사이

1971년 2,000 km,1981년 7,000 km, 및1990년 12,700 km로 확장1,200하천에서 약 3,000지점 조사

3년마다표와 지도작성

룩셈부르크

하천질의생물학적 평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경우에 따라플랑크톤, 수생식물이용

1972년부터3~5년 주기오염이 심한하천은 매년

주요하천에 대한 국가적조사특히 원칙적으로 양어와관련된 하천 조사

스페인하천질의

생물학적 평가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980년부터3~5년 주기

4회/년국가 전체에서 847 지점조사

보고서와지도 작성

영국하천과 수로의생물학적 분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970년 초부터5년 주기

2~3회/년

영국과 웨일즈는 40,000km 하천과 수로에서 약7,000 지점스코틀랜드는 11,000 km에서 976 지점북아일랜드 2,500 km,290 지점

보고서 작성

(주) EEA (1996)

<표 2.1.1>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기초한 유럽국가의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

Page 10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89 -

나. 국가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과 연계된 생물학적 평가

유럽에서 일반 하천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연계된 생물학적 수질평가는 정해진 조사지점에서

년 1~2회 기본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대한 조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

에서는 부착조류, 수생식물 및 어류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표 2.1.2).

국가 프로그램 평가대상 조사빈도 조사범위

오스트리아하천수질모니터링에 대한

조례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저서식물 1991년부터

국가 전체;

244 지점

덴마크국가모니터링 프로그램하천

모니터링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저서식물

1989년부터

2회/년

국가 전체;

261 지점

프랑스 국가유역 네트워크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부착조류

국가 전체;

1,082 지점

네덜란드국가지표수 모니터링

(MWTL), 생물 분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수생식물

1992년부터

1~13회/년,

매년 또는 4년

주기

국가 전체;

15 고정지점

스웨덴

국가 시계열 reference 하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부착조류 1993년부터 1회/년 35개 하천

국가 시계열 reference 하천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부착조류,

어류, 수생식물

1994년부터 1회/년,

수생식물은 3년

주기

15개 하천

<표 2.1.2> 유럽국가의 생물을 이용한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

2. 독일

독일의 수질기준 관계법령은 EU의 75/440/EEC기준 (음용수 원수로서 지표수 수질기준)을 적

용한다. 다만 주정부 간 물관리 업무의 조화와 조정, 협조를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물관련 전문

가로 구성된 주간 물분야 협력위원회 (LAWA)가 국민들의 수질이해를 쉽게 하려는 목적으로

1976년에 수질지도를 처음으로 작성하면서 설정한 하천의 수질등급판정기준이 우리가 이해하는

수질환경기준에 가장 유사하며, 이는 7개의 등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LAWA, 2000).

독일은 수량이 풍부하고 수량의 변화 (하상계수)가 적어 측정당시의 수질만을 나타내주는

이화학적 수질지표보다는 과거의 장기적인 수질변화를 총체적으로 대변해주는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에 의한 수질등급 판정을 중시하고 있다. 따라서 수질등급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

집을 이용한 오수생물지수 (saprobic index) (DIN 38410 Part2, 1990)에 의하여 판정하고 생물

학적 산소요구량 (총유기탄소량), 암모니아성 질소, 용존산소량 등과 같은 이화학적 지표는 보

조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환경부, 2000; 국립환경연구원, 2000; http://www.lawa.de).

- 190 -

3. 영국 (GQA, 영국환경청)

영국에서는 하천의 수질을 생물학, 영양염류, 심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GQA, General Quality of Assessment)하고 있다 (http://www.environment-agency.gov.uk

/science/monitoring/184353). 이 중에서 하천의 생물학적 평가는 하천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생물학적 평가에서는 유기오염물질에 민감한 정도를 기준으로 80개의 서로 다른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과(科)를 정하고, 시료에서 관찰된 각 과의 수와 각 과의 평균값 (ASPT, Average

Score Per Taxa)을, 하천이 오염되지 않고 생태학적 피해를 입지 않은 상태에서 발견될 수 있

는 대형무척추동물의 수와 평균값을 컴퓨터로 예측 (RIVPACS, River Invertebrate Predi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한 수치로 나누어 생태적 평가지수 (Ecological Quality Indices: EQI)

를 구한다. 이렇게 구한 EQI를 중심으로 하천을 6등급 (매우양호, 양호, 조금양호, 보통, 빈약,

불량)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를 하천에 도식화한 예를 <그림 2.1.1>에서 보여주고 있다.

<그림 2.1.1> 영국의 EQI 적용을 통한 하천건강성 평가

Page 10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91 -

4.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1974년에 세느강 (Seine River) 수계관리청 (Seine Water Agency)에서 규조류

와 규조류 지수를 이용하여 하천수질을 평가하기 시작하였고, 1990년 이후부터는 다른 5개 수

계관리청에서도 이를 도입하였다.

1994년 프랑스 농공환경연구소 (CMEAGREF)는 6개 수계관리청과 연합하여 프랑스 전역을 대

상으로 수질감시를 위한 실용적인 규조류지수 (IBD)를 개발하였으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OMNIDIA), 1995년에 최초로 지수를 공표하였다 (첫번째 판). 이후로 IBD 계산 소프트웨어 프로

그램을 개선하였고 이 프로그램은 프랑스에서 실제로 크게 적용되었다. 수계관리청들은 이 프로

그램을 1996년부터 국가유역망에 활용하였다. 이때 최초의 IBD 데이터 베이스가 완성되었다.

1998년 이 자료에 대한 재검증이 완료되었으며 2000년 6월 프로그램에 새로운 계산방법을 첨

가하여 표준화된 IBD (세번째 판) 완성하였고 이 방법론은 프랑스 표준화법인 AFNOR에 NF

T90-354로 출간되어 범용화 단계로 진입하였다. 현재 규조류지수 (diatom index)는 프랑스 국

가수준에서 일반수질의 평가에 일상적으로 이용․적용되고 있다 (Prygiel and Coste, 2000).

프랑스에서 규조류에 기초한 일반 수질지수가 성공적으로 이행된 이유는 프랑스는 수질관리

와 규제에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diatom에 의한 생물지표에 오랜 경험을 보유하

고 있기 때문이며, 대부분의 경우 많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육수학적 연구와 관련이 깊다. 프

랑스의 하천 모니터링은 1960년 대 후반에 이미 시작되었고, 현재는 많은 지방 환경청들이 자

체의 모니터링망을 구축하였다.

5. 호주

호주에서의 수서생물지수 (Aquatic biota index)는 국가 하천건강성 프로그램 (National River

Health Program)을 기반으로 각 주에서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기초로 하였으며, 모

아진 자료는 표준화된 AUSRIVAS 방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Coysh et al., 2000). 호주 전역

약 6,000개 지점에서 조사가 되었으며, 1996년 이래로 지속적인 재평가를 하고 있다.

AUSRIVAS 모델은 대조하천 지점 (reference site)에서 예측된 생물상과 환경상태가 알려지지

않은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류를 비교함으로써 하천의 생물학적 상

태를 평가하고 있다 (표 2.1.3). <그림 2.1.2>는 호주에서 하천생태계를 평가한 결과를 도식화하

여 나타낸 것이다 (http://audit.deh.gov.au/ ANRA/coasts/docs/estuary_assessment/Est_Ass_

Contents.cfm).

- 192 -

주 X 등급 A등급(대조)

B등급(상당한 훼손)

C등급(심한 훼손)

D등급(극단적인 훼손)

ACT >1.14 0.86-1 0.55-0.86 0.28-0.55 0-0.28

NSW >1.17 0.83-1 0.55-0.83 0.28-0.55 0-0.28

QLD >1.19 0.81-1 0.55-0.81 0.28-0.55 0-0.28

TAS >1.16 0.84-1 0.55-0.84 0.28-0.55 0-0.28

VIC >1.16 0.84-1 0.55-0.84 0.28-0.55 0-0.28

SA >1.18 0.82-1 0.55-0.82 0.28-0.55 0-0.28

WA >1.17 0.83-1 0.55-0.83 0.28-0.55 0-0.28

NT >1.15 0.85-1 0.55-0.85 0.28-0.55 0-0.28

ACT: 오스트레일리아수도주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NSW: 뉴사우스웨일스주 (New South Wales),

QLD: 퀸슬랜드주 (Queensland),

TAS: 태즈메이니아 (Tasmania),

VIC: 빅토리아주 (Victoria),

SA: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South Australia),

WA: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Western Australia),

NT: 노던준주 (Northern Territory)

<표 2.1.3> 호주 각 주의 생물평가 등급 범위

<표 2.1.2> 빅토리아주 하천 조사지점에 대한 AusRivAS 생물평가결과의 도식 및 요약

(O=관찰치, E=기대치)

Page 10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93 -

6. 미국

가. 생물학적 수질평가와 기준의 역사

환경오염의 지표종으로서 수생생물을 처음 이용한 역사는 약 15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50년 대 중반 당시의 영국 (Chadwick, 1842), 미국 (Hassal, 1850), 독일 (Cohn, 1853) 등에서

오염생물학은 열악한 위생상태 또는 식수원에서의 상태를 사람의 건강과 연관 지어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영국에서 수질오염을 소개하는 최초의 국가적 입법을 가져오게 되었다

(Davis, 1995).

미국에서는 1894년에 Illinois 강에서 최초로 생물모니터링 station이 설립되어 수생생물에 대

한 오염의 영향을 평가하기에 이르렀다. 1900년대에 들어와 생물학적 하천 분류체계와 부수생

물학에 대한 개념들이 하천수질조사에 도입되었고, 특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어류를 대상

으로 수치화된 지수를 개발하였으며 (표 2.1.4), 생물학적 기준과 평가의 의미를 제도와 정책적

으로 지원하여 왔다 (표 2.1.5).

년도 사건

1894 오염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최초의 생물학적 하천모니터링 station을 일리노이강에 설립

1901 생물학적 분류체계에 대한 개념의 제안

1908 수질오염에 대한 지표생물의 설정

1913 하천오염과 수생생물에 대한 영향을 연결시키는 보고서 출간

1949 오염에 대한 수생생물군집의 반응을 숫자로 표시하는 히스토그램 표현방법 제안

1954-5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생물학적 지수 제안 (Beck's biotic index; Saprobic index of Pantleand Buck)

1966 오염생물학에 적용한 Shannon-Weiner 다양성지수 제안

1976어류군집에 대한 Well-Being 지수 (Shannon-Weiner 지수와 어류의 밀도와 무게를 연합하여만듬) 제안

1981 어류 군집에 대한 IBI 제시

1984 IBI의 메트릭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최대종풍부도 라인을 설정

1987Ecoregion 개념의 태동Ohio 주에서 무척추동물군집지수 개발Ohio 주에서 생물기준을 위한 regional reference 상태 도입

1989 저서생물과 어류에 대한 신속한 생물평가지침의 발간

1990 Ohio주에서 수치화된 생물학적 지수를 수질기준법에 채택

1993 EPA에서 얕은 하천에서 적용하는 생물기준의 개발에 대한 기술지침서의 발간

자료: Davis, W.S. 1995.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Building on the Past

<표 2.1.4> 미국의 생물기준 발달에 있어서 주요한 사건들

- 194 -

법/협정 연도 생물기준에 대한 중요한 요소들

River Pollution Prevention Act(하천오염방지법, 영국) 1876 어족자원보호와 심미적 불쾌감 방지를 위해 계획된 최초의 입법

Public Water Pollution Control(공중보건서비스법)

1912 미국의 주요 하천시스템에서 오염과 수생생물에 대한 최초의 국가적 조사사업

Federal Water Pollution ControlAct (연방수질오염방지법)

1948주 간에 수질오염방지를 위한 연방청의 설립. 어류와 수생생물의번식이 물의 호혜적 이용에 대한 타당성으로 인식

Ohio River Valley SanitationCommission Compact 1948

독성시험을 통하여 수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수질기준을 개발하는 방안

FWPCA Amendments 1956어류와 수생생물 보호를 물의 호혜적 이용으로 인식하는 근거정립.수생생물의 체계적인 수집에 필요한 국가 수질모니터링망

FWPCA Amendments 1965 주의 수질기준을 평가하는 연방 산하기관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1969 연방정부의 활동에 환경평가와 영향에 대한 의정서 제출

Clean Water Act(청정수법)

1972 지표수의 생물학적 총체성을 유지하고 회복하는데 초점을 둔 법의제정. 생물학적 총체성을 규정하고 측정하기위한 커다란 변화의 시작

Endangered Species Act 1973 특수한 상황 (위험)에 처한 생물의 보호

Water Quality Act 1987 공학적 기초에서 수질에 기초한 접근법으로 전환

Great Lakes Water QualityAgreement

1987생태학적 총체성과 생태계 건강성 측정을 위한 생물학적 총체성개념 채택

Water Pollution Prevention andcontrol Act 1993

수체의 생물학적 상태를 설정하는데 기초를 둔“생물학적 방류수기준”을 제안

Nonpoint Source Water PollutionAct

1993 생태계 총체성보호를 위한 접근법의 확대와 생물학적 기준의 유지

Biological Survey Act 1993 미국 생물학적 자원의 상태와 변화를 평가하는 국가 생물조사사업과 조사기관을 요구

자료: Davis, W.S. 1995.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Building on the Past.

<표 2.1.5>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도입을 촉진시켰던 중요한 법과 협정

생물학적 수질평가의 역사는 매우 길지만 실제로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정책에서 생물의 조

사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을 도입한 것은 미국에서는 불과 30년 전의 일이다. 따라서 미국에서

조차도 생물학적 수질평가와 기준은 아직 완성단계는 아니며 주마다 생물학적 평가를 인식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연방정부에서는 각 주에 대하여 생물학적 수질관리 프로그램의 개

발과 적용을 추천하고 있으며 이 결과 많은 주정부에서 국가 생물학적 평가프로그램을 포함시

키고 있다 (표 2.1.6).

Page 10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95 -

국가기관 프로그램

Department of interior (내무성)

Fish and Wildlife Service

National Contaminant Biomonitoring Program

Biomonitoring of Environmental Status and Trends

Waterfowl Breeding Population and Habitat Survey

National Survey of Fish, Hunting and Wildlife

Geological Survey National Water Quality Assessment

National Park Service Watershed Protection Program: Park-Based Water Quality DataManagement Program, National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Bureau of Land ManagementFederal Land Policy and Management Act Assessments BLMInitiatives

Bureau of Reclamation National Irrigation Water Quality Program

National Biological Survey National Biological Survey

Department of Commerce (상무성)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Administration

National Status and Trends Program

Fisheries Statistics Program

Living Marine Resources Program

Classified Shellfishing Water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청)

Great Lakes Fish Monitoring Program

National Water Quality Monitoring Program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

Tennessee Vally Authority Water Resources and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Department of Agriculture (농무성)

Forest Service

Resource Planning Act Assessments

Forest Service Water Quality Program

Watershed improvement program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program

Soil Conservation Service President's Water Quality Initiative

자료: Davis, W.S. 1995.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Building on the Past.

<표 2.1.6> 국가생물학적 평가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미국 연방정부 기관들

나.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개발과 적용

미국에서 생물학적 수질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노력은 생물학적 모니터링 정보를 수자원

상태의 평가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각 주정부의 노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주정부에 의해 시

행되고 있는 접근방법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은 ① 생물평가의 개념과 수질프로그램을 향상시키

기 위한 생물기준의 이용, ② 세련된 생물학적 평가방법의 개발, ③ 그리고 수치화된 생물기준

을 수질기준(법)에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성은 각 주에서 생물기준과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함께 각주의 자연자원과 제도적 프로그램에 의해 부과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 196 -

위해 각 주에서 선택한 세부적인 생물기준 접근법의 차이에 기인한다.

이러한 생물기준은 서술적 또는 수치적 기준으로서, 생물평가의 결과가 수생생물 군집이 입

은 피해정도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어떤 주, 예를 들면 Ohio주에서는 이러한 생물학적 기준들

이 수질기준법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다른 주들에서는 일반적 수질기준법 또는 다른 수자원 관

리행위들을 도와주는데 이용된다. 실제로 상당한 연방정부차원의 국가적 노력이 생물학적 수질

기준을 도입하고 적용하는데 투자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수질기준의 개발과 적용은 주정부의

수질프로그램에 달려있다.

미국환경청 (U.S. EPA)은 1980년대 후반부터 생물학적 기준을 개발하고 이행하는 국가적 가

이드라인을 준비해왔다. 1987년 지표수 모니터링 체계 (Surface Water Monitoring: A

framework for Change)를 출판하였고, 이를 통해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생물학적 모니터링기법

을 조속히 개발하도록 하는 권고하였다. 이후 “하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과 기준”에 관한 워크

샆에서 생물학적 프로그램을 기존의 이화학적 수질평가프로그램에 합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

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의 권고사항은 1988년 수질평가에 관한 국가심포지엄에

서 몇 개 주정부와 연방정부기관들 간에 국가적인 생물평가정책이 새로운 생물학적 도구의 이

용을 확대하고 이것이 수질평가프로그램 전반을 통해 이행되도록 해야 한다는데 전적으로 동의

하였다. 이러한 개념적인 틀을 이용하여 Ohio 주 (1987, 1989)는 어류와 저서생물의 조사에 기

초하여 생물기준을 위한 세부적인 야외조사 및 자료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1989년 미국 환경청은 저서생물과 어류에 관하여 하천에서 이용하는 신속한 생물평가지침서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를 출간하였다. 1990년에는 “Biological Criteria: National Program Guideance for

Surface Waters”를 출간하였고, 1992년에 또 다른 지침서 “Procedures for initiating Narrative

Biological Criteria”를 출판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개발과 관련된 기술 혹은 기법에

대한 지침서들도 출간하였다. 이후 1993, 1994년에 걸쳐 다양한 수계들에 대한 생물학적 수질평

가에 대한 기술지침서들이 출간되었다.

현재 미국 환경청 정책의 주요한 목표는 모든 주에서 생물학적 기준을 그들의 수질기준에 포

함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동시에 환경청은 “맑은 물 법 (CWA)”에 근거하여 요구된 수자원관리

활동을 통해 생물학적 기준의 이용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1994년에 출간된

수질평가 가이드라인은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확대이용을 1차적인 목표로 정하고 있다. 연방정

부와 주정부에서는 또한 오염총량관리에 있어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잠재적인 이용성에 대해서

도 연구하고 있다. 연방환경청과 주에서의 이러한 노력들이 자연자원과 이들을 관리에 필요한

제도적 프로그램을 위해 궁극적으로 모든 주에서 현재의 생물학적 평가활동들을 점검하고 가장

적절한 생물기준 프로그램의 개발을 시도하도록 만들었다.

Page 10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97 -

다. 생물기준 프로그램의 요소들

생물기준의 목적은 모든 주의 수질기준을 위해 부가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생물

기준은 해당 수체의 실질적인 생물학적 상태에 근거한 건강성 달성목표를 평가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생물학적 준거치 (criteria)는 서술적인 표현이나 수치로 표현되어야 하며,

이들은 수생생물의 용도가 부여된 즉, 해당 이수목적 하에서, 수체에 서식하는 가능한 최고의

생물군집 또는 최적의 생물학적 상태를 표현한다. 수자원을 담당하는 주의 기관들에 의한 생물

기준의 개발은 적절한 대조하천 (reference) 에서와 비교되는 서식생물의 상태를 평가하는 생물

평가 (biological assessment)에 의존한다.

Gibson (1994)에 의하면, 생물기준의 개발과 이행은 생물기준 개발과정의 계획; Reference 상

태의 지정; 생물조사의 실행; 생물기준의 설정 이라는 네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수질문제를 보

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규정하는 것 이외에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적용은, ① 높은 수준의 수질

을 확보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② 비점오염원 제어에 대한 체계를 제공하며, ③ 수질향상을 증

명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라. 각 주의 생물기준 프로그램의 현황

생물기준의 개발에 투자된 각 주의 노력들은 해당 주의 수자원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생물조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사실, 최초의 주정부 생물기준 프로그램은 제도적 틀 내에서 그들

의 생물평가결과를 적용시킨 생물학자들의 노력과 함께 시작되었다. 생물기준을 개발하는데 소

요된 시간은 수행된 생물학적 평가와 수질기준 안에서 생물기준의 이행과 관련된 제반활동을

포함한다.

수질기준 프로그램을 위한 생물학적 기준을 개발함에 있어, 주 (state)들은 생물평가방법의

향상을 위해, 생물모니터링 활동을 생물기준을 이용하는 프로그램 속에 포함시키기 위해, 그리

고 생물기준을 수질기준 또는 수자원관리 프로그램에 합병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주 정부 프로그램의 법적․행정적 환경은 궁극적으로 특별한 생물기준 프로그램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구조를 결정하게 된다.

1) 주 (state)의 생물학적 평가 이용 상태

Florida, Kentucky, Maine, New York, North Carolina, Wisconsin 등의 주들은 1970, 80년대

에 생물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선도적 역할을 해왔으며, 생물평가 프로그램이 수자원모

니터링 프로그램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그 외 다른 주들에서는 생물평가에 대해 많은 투자를

- 198 -

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생물평가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이 그들이 주는 이득에 비해 너무 높

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1990년대에 출판된 생물평가 지침서들은 이러한 비용편익 문제와

시간적 효율성에 대한 부분들을 개선․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생물평가에 있어 고려해야할 중요한 사안중의 하나는 평가지침과 계획에서 지역성의 반영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평가의 전반적인 계획과 방법 및 생물학적 대상 등에 대해 그 지역의 특

수한 환경과 상태를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물평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기존에 출간된 지침서나 가이드라인을 적절하게 수정․보완하고 또한 생물평가에 대상으로 하

는 생물을 그 환경과 특성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 등이 여기에 포함될 것이다. 실제로,

미국과 같이 면적이 큰 나라에서는 지역적 특수성 예를 들면, ecoregion2)은 생물평가에 있어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연방정부 환경청에서 권고한 여러 가지 평가에 대한 지침이나

방법들을 적절하게 수정․보완하고 평가를 위한 대표적인 생물을 선택하는 등은 각 주의 판단

과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

1995년 조사에 의하면, 미국의 47개 주와 수도 (District of Columbia), 그리고 미국령 Puerto

는 그들의 수질프로그램에 어떤 형태로든 생물모니터링을 도입하고 있다 (표 2.1.7, 2.1.8). 이중

약 절반은 프로그램과 분석방법을 정리하여 문서화하고 있으며, 이 들 주에서는 생물프로그램

을 이행하는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의 주들은 개발단계에 있으며, 세 개의 주에서는

아직 생물학적 평가방법의 개발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46개 주에서는 그들의 샘플링 프로그램에서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 25개 주에서는 어류에 대해서도 평가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부착조류는 평가프로그램의 하나로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으며, 세 개의 주에서 생물평가방법

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하천생태계에 이용될 수 있는 신속한 생물모니터링기법이 개발된 1989년에 미국 환경청

에서는 각 주의 정규적인 생물평가 (bioassessment)와 생물모니터링 (biomonitoring)에 대한 현

황을 파악하였다 (표 2.1.9) (U.S. EPA, 1989). 이때까지는 모든 주에서 생물평가의 실제적인 이

용이 결정되지 않았다. 1995년의 자료를 기초로 물관리 프로그램에서 각 주의 생물평가와 생물

준거치 (biocriteria)의 이용 현황을 보다 많이 축적하였는데 6년 동안에 생물평가에 대한 많은

개선노력이 있었다 (U.S. EPA, 1996).

2) 생태권역 혹은 생태지역으로 표현되며, 환경과 기후, 지형, 식생 등이 달라 획일적인 평가방법이나 reference를 적

용하기 어려운 경우를 의미함

Page 11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199 -

주정부

생물평가의 목표 (Target)생물 생물기준을 생물평가에 이용하는 상황

어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부착조류수질기준 (법)에포함하여 이용 수자원관리에 이용

생물기준의개발단계 생물기준 없음

AL ∨ ∨

AK ∨ ∨

AR ∨ ∨ ∨

AZ ∨ ∨

CA ∨ ∨

CO ∨ ∨

CT ∨ ∨

DE ∨ ∨ ∨

DC ∨ ∨

FL ∨ ∨ ∨

GA ∨ ∨

HI ∨

ID ∨ ∨ ∨

IL ∨ ∨ ∨

IN ∨ ∨ ∨

IA ∨ ∨ ∨

KS ∨ ∨

KY ∨ ∨ ∨ ∨

LA ∨ ∨ ∨

ME ∨ ∨

MD ∨ ∨

MA ∨ ∨ ∨

MI ∨ ∨ ∨

MN ∨ ∨ ∨

MS ∨ ∨

MO ∨ ∨

MT ∨ ∨ ∨ ∨

NE ∨ ∨ ∨

NV ∨

NH ∨ ∨

NJ ∨ ∨

NM ∨ ∨

NY ∨ ∨

NC ∨ ∨ ∨

ND ∨ ∨

OH ∨ ∨ ∨

OK ∨ ∨ ∨ ∨

OR ∨ ∨ ∨

PA ∨ ∨ ∨

PR ∨

RI ∨ ∨ ∨

SC ∨ ∨ ∨

SD ∨

TN ∨ ∨ ∨

TX ∨ ∨ ∨

UT ∨ ∨

VT ∨ ∨ ∨

VA ∨ ∨

VI ∨

WA ∨ ∨ ∨

WV ∨ ∨ ∨

WI ∨ ∨ ∨

WY ∨ ∨

(자료) Surtherkland and Stribling. 1995. Status of Biological Criteria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표 2.1.7> 미국의 생물학적 평가프로그램의 상황 (1995년도 기준)

- 200 -

프로그램 요소(PROGRAMMATIC ELEMENT)

사례 권역의 수 (NUMBER OF ENTITIES)

현장적용(In place)

개발중(Under

development)

미개발(None)

적용불가(Not

applicable)

생물학적 수질평가 이용 (Use of Bioassessments)

수자원관리(Water resource management)

57 2 6 0

수서생물 이용(Interpret aquatic life use attainment)

40 6 13 6

서술적 생물기준(Narrative biocriteria in WQS) 29 11 20 5

정량적 이행절차 또는 전환을 위한 서술적생물기준(Narrative biocriteria in WQS with quantitativeimplementation procedures or translators)

22 8 30 5

수리적 생물기준(Numeric biocriteria in WQS)

4 11 45 5

이용 군집 (Assemblage Used)

어류 (Fish) 41 0 16 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Benthic macroinvertebrates)

56 1 0 8

조류 (부착조류, 규조류)(Algae (periphyton, diatoms)) 20 5 32 8

한 개 이상 군집(More than one assemblage)

45 5 7 8

대조하천 상황 (Reference Conditions)

생태권역 (Ecoregional) 42 2 12 9

특정지역 (Site specific) 19 1 37 8

주전체 또는 특정유역(State‐wide or basin‐specific)

7 1 46 11

분석 (Analysis)

생물학적 항목 분석 (Biological metric) 54 1 1 9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22 2 32 9

평가 (Assessment)

다항목 지수 (Multimetric index) 41 3 12 9

서식지 평가 (Habitat assessment) 57 0 0 8

<표 2.1.8> 미국 하천에 대한 생물평가 프로그램의 국가적 현황 (2001년 기준)

1989년 이래로 최소한 세 개의 지표생물군 중 최소한 한 가지 생물군 이상을 조사한 지역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1995년에 조사된 거의 모든 지역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평

가를 수행하고 있다. 1989년부터 1995년까지 감소되었던 부착조류에 대한 조사도 1995년부터

2001년 사이에 크게 증가하였다. 단지 하나의 지표생물군을 이용한 평가는 수서생물을 동정하

는데 있어 대략 80~85%의 효율성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1995년이래로 US EPA는

Page 11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01 -

특히 규모가 큰 하천에서 다중 그룹의 사용을 추천해 왔다. 2001년에 하나 이상의 지표생물군

을 사용하는 지역의 수는 41개에 이르며, 이러한 41개 지역 중 20개의 지역은 기본적인 지표생

물군 이외에 식물성플랑크톤, 대형수생식물 및 동물성플랑크톤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셋 또는

네 개의 지표생물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989년 이후 (특히 1995년 이후)의 주요 발전 중 하나는 지역적인 비교와 교란을 감지하는

근간으로 지역적인 대조상태 (reference condition)의 이용이 증가하여 왔다는 것이다. 1989년에

단지 네 개의 주에서만 생태지역적인 대조상태 (ecoregional reference condition)를 사용하고 있

으며 1995년에는 15개 지역에 이른다. 그러나 2001년까지 39개의 지역에서 뚜렷한 생태지역 내

에서 최소로 교란을 받은 지역의 조합을 이용하여 대조상태를 특징짓고 있다. 하지만 이와 반

대로 11개의 지역에서 대조군을 구별하기 위하여 지점 특이적인 접근방법 (site-specific

approach)을 이용하였다.

2001년의 조사에서 최종적으로 미국 수질환경기준 (water quality standards)에서 “서술적 생

물준거치 (narrative biocriteria)”에 대한 정의를 내렸는데, 이것은 “주어진 수준의 환경에 서식

하는 수서생물 군집의 생물학적 건강성을 묘사하는 서술식 표현”으로 정의하였다.

2) 생물학적 기준의 제도화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생물학적기준 프로그램 이행에 앞서 생물기준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

나, 실제로 종합화된 생물기준을 수질기준의 법적 체계 안에 완전히 합병시켜 수자원 관리에

이용하고 있는 주는 거의 없다. 다만 Ohio, Maine, Florida 등 세 개의 주에서만 현재 생물기준

을 수질기준법에 포함시키고 있는 정도이다. Ohio주의 경우는 법적인 생물기준이 가장 광범위

한 샘플링, 평가, 그리고 적용 프로그램으로 국가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다른 주들, 특히 North

Carolina는 법적으로 채택하지는 않았지만 적극적인 생물학적 기준프로그램 (지수)을 수자원관

리 활동에 적용시키고 있다. 최소한 24개의 주에서는 수자원 관리를 위해 생물학적 기준을 이

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23개 주에서는 법적기준으로 이용하거나 위해 또는 수자

원관리를 이용하기 위해 생물기준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 수질기준 (Water Quality Standards)

1978년, Florida 주는 수치화된 생물기준을 그들의 수질기준법에 포함시킨 최초의 미국 주정

부가 되었다. 이때 Florida 주정부에서 이용한 지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근거한 다양도

지수로서 담수와 습지에서 요구되는 특별한 수준을 규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어떠한 수체의 생

물다양도가 Reference 값과 비교하여 75% 이하로 떨어져서는 안된다는 규정을 포함하였다. 실

- 202 -

제로 이 지수는 그리 크게 이용되지는 않았다. Delaware 주에서도 수치화된 기준을 수질기준에

포함하였으나, 이것을 단지 배의 정박장소 (marina)와 관련된 영향을 평가하는 데 이용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Ohio주의 생물기준은 수질을 평가하고 분류하는데 있어 집중적으로 적용

되었으며, 1990년 수치생물기준을 주정부 수질기준에 포함시켰다. 이후 Ohio는 생물학적 기준을

환경질의 악화를 평가하고, 수생생물을 이용에 대한 달성도를 평가한 결과, 화학적 평가방법 하

나를 이용한 결과에 비교하여 약 2배나 많은 생태계가 피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Maine주 역시 생물학적 수질기준을 법적으로 채택한 주로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샘플링

에 근거한 기준을 수질기준법에 포함시키는 방법의 수단으로 수생생물 이용분류법을 발전시켰

다. 1986년 수정된 수질등급체계는 특별히 생물평가의 이용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정되었다.

Maine주의 4등급 체계의 수질기준은 각 등급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수생생물의 상태를 포

함하도록 규정되었다.

나) 수자원 관리

수질기준에 법적으로 포함시키지는 않고 있지만 수자원 관리활동에 생물기준을 적용하는 주

들 중에서, North Carolina주가 가장 활발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예외적인 수질상태를 나

타내는 특별한 물문제를 확인하는데 있어 생물학적 자료와 기준을 중점적으로 활용해 왔다.

Arkansas주에서는 설정한 각각의 생태지역을 위해 개발한 생물기준을 반영하는 문서화된 수생

생물 이용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다. Texas주는 서술적인 생물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제한되거

나 예외적인 범위와 관련된 수생생물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이용하였다. Connecticut주에서는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위한 서술적 생물기준을 활용하는 질적인 생물평가방법을 개발․이용하

고 있다. 이외에도 Vermont, New York, Nebraska, Oregon주 등에서 문서화된 수생을 중점적

으로 활용하였다. 다른 많은 주들에서는 생물조사나 생물기준에 필요한 조사방법 등이 시작단

계에 있다. Delaware와 Minnesota 그들의 연안습지역과 호수가 많은 환경에 대한 조사에 기초

하여 reference 상태와 생물조사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Page 11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03 -

프로그램 요소

권역수

현장적용 개발 중 미개발

1989 1995 2001 순변화 1989 1995 2001 순변화 1989 1995 2001 순변화

생물평가의 이용

수자원 관리 41 41(+0) 52(+11) +11 3 8(+5) 0(-8) -3 8 3(-5) 0(-3) -8

수서생물 이용 모름 31 39(+8) +8 모름 8 6(-2) -2 모름 13 7(-6) -6

서술적 생물기준 모름 29 28(-1) -1 모름 11 10(-1) -1 모름 12 14(+2) +2

수리적 생물기준 1 2(+1) 3(+1) +2 모름 15 10(-5) -7 49 35(-14) 39(+4) -8

생물군집의 이용

어류 22 29(+7) 37(+8) +15 1 5(+4) 0(-5) -1 28 18(-10) 15(-3) -1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39 44(+5) 51(+7) +12 3 5(+2) 1(-4) -2 10 3(-7) 0(-3) -10

조류 (부착조류, 규조류) 7 4(-3) 19(+15) +12 0 3(+3) 5(+2) +5 44 45(+1) 28(-17) -16

하나의 군집 이상 24 26(+2) 41(+15) +17 4 10(+6) 5(-5) +1 26 16(-10) 6(-10) -20

대조하천 상황

생태권역 4 15(+11) 39(+24) +35 2 26(+24) 2(-24) 0 44 11(-33) 11²(0) -33

특정지역 모름 31 19(-12) -12 모름 0 1(+1) +1 모름 21 32²(+11) +11

주 전체 또는 특정 유역 모름 6 6(0) 0 모름 0 0 0 모름 46 46²(0) 0

자료분석을 위한 다항목

생물 특성 (Biology) 3 42(+39) 50(+8) +47 11 6(-5) 1(+5) -10 35 4(-31) 1(-3) -34

주: 동일한 52개의 동일권역이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가장 정확히 비교하기 위하여 각 년도마다 52개의 동일권역을 이용.

1. 점진적인 변화 (1989~1995, 1995~2001)는 괄호안에 나타내었고, “순변화”는 1989년부터 2001년까지의 전체 변화를 의미 (1989년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2. 생태권역과 주 전체 또는 특정 유역 요소는 뉴욕과 버지니아의 프로그램에는 적용 불가. 특정 지역 요소는 유타의 프로그램에는 적용 불가. 비교를 위하여 이 표에서는 미개발로 계산

<표 2.1.9> 미국 하천에 대한 생물평가 프로그램의 1989년, 1995년 및 2001년 사이의 변화 요약¹

- 204 -

마. 생물지수 이용 사례

<그림 2.1.3>과 같이 미국은 전역을 10개의 권역 (Region)으로 나누어 평가하며 각 주정부는

지역적 특색을 바탕으로 제시된 메트릭을 선택적으로 택하여 사용한다.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tocol (EMPA)를 운영하고 있으며 생물 지표종으로는 부착조

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를 사용하고 일부 양서류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 중 어류 조사

는 Wadeable Stream Assessment (WSA)라는 하천 평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림 2.1.3>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기초한 미국의 하천 모니터링 프로그램

1) 생물지수 정보공개 및 조사 보고서의 작성과 공개

가) 생물지수 정보공개

미국 환경부의 주도하에 각 주의 환경부에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 환경부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건강성 평가에 대한 제반사항이 상세히 설명되어지고 있다 (그림 2.1.4).

나) 조사 보고서의 작성과 공개

담당부서, 조사원, 프로그램 설명, 참고문헌, 프로그램항목, 조사구간, 조사지점, 수생태계 점

수, 레퍼런스 지점의 상태, 야외조사방법, 자료분석 등이 모두 포함된 포괄적인 보고서가 작성된

다 (그림 2.1.5).

Page 11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05 -

->

->

->

<그림 2.1.4> 미국 환경부 홈페이지의 건강도 평가 제반사항 공개 및 설명

- 206 -

->

->

->

<그림 2.1.5> 미국 환경부 홈페이지의 건강도 평가결과 공개

Page 11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07 -

8. 일본

1958년 최초로 수질보전법 및 공장폐수 배출규제법을 제정한 이후 1967년 대기, 수질, 소음,

진동, 지반침하, 악취, 토양오염 등 환경오염현상 및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업체의 책임 등을 규

정한 공해대책기본법 (환경오염규제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수질오탁방지법 제정 및 수질오염에

대한 환경기준을 작성하여 1971년에 고시하였다. 일본의 수질환경기준은 우리나라와 같이 대상

항목에 따라 사람의 건강보호에 관한 기준과 생활환경의 보전에 관한 기준으로 나누어 정하고

있다. 일본 환경기준의 특징 중의 하나는 수산등급에서 지표어종을 표시한 것을 지적할 수 있

다. 또한 2003년 수생생물의 보전에 관한 수질기준이 확정되어 2004년에 총아연 항목에 대한

생물기준치가 생활환경의 보전기준에 포함되었다.

일본에서는 환경성 (환경관리국 수환경부) 주관으로 1984년부터 전국수생생물조사를 실시하

고 있다. 현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30개 지표생물군으로 나누고 이를 4개의 수질등급체계

로 구분하여 이용하고 있다 (http://w-mizu.nies.go.jp/suisei/suisei.html). 1991년도 자료에 의하

면 전국수생생물조사사업에 의한 생물모니터링이 시행되고 있는 하천수는 약 1,200여개이고, 조

사지점수는 약 4,000여개로 알려져 있으며, 참가단체수는 약 1,200여개, 참가자수는 약 27,000여

명 정도이다. 일본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간이수질판정기법은 수질

평가와 아울러 환경교육의 목적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208 -

제 2 절 선진국 생물학적 평가 및 측정망 정책시사점

1. 선진국의 사례 요약

하천의 생물학적 평가는 다양한 생물군집이 가지는 특성을 활용하여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판

단하는 방법으로서 그 결과는 궁극적으로 하천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주는 지표로 활

용된다. 생물학적인 평가방법은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지역 혹은 국가적 단위에

서 측정망으로 발전시켜 활용하고 있으며, 생물측정망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의 건강

성을 파악하고 이를 수질개선 및 생태계 복원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전통적으로 수생생물 (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부착조류, 어류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평가들은 일차적으로 해당

하천에 대한 관리와 모니터링을 책임지고 있는 지역의 해당기관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나, 몇몇

다른 나라에서는 이러한 업무를 주요하천에 대한 생물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국가수준의 조사로

발전시켜왔다. 이러한 국가조사사업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방법 (예를 들면 채집방법, 조사지

점 선택기준, 종 분류체계 등)을 이용하는 지방환경청 (혹은 해당기관)에 의해 수집된 결과들을

기초로 하였다. 여러 유럽국가에서는 이화학적 수질평가 지점에서 수서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병행하고 있다.

현재 미국 환경청 (EPA) 정책의 주요한 목표는 모든 주 (state)에서 생물학적 기준을 그들의

전체 수질프로그램과 수질기준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동시에 ‘맑은 물 법 (Clean Water

Act)’에 근거하여 수자원관리 활동을 통해 생물학적 기준의 이용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예를 들면, 1994년에 출간된 수질평가 가이드라인은 생물학적 수질기준의 확대된 이용을 1차적

인 목표로 정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에서는 또한 오염총량관리에 있어 생물학적 수질기

준의 잠재적인 이용성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있다.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생물학적기준 프로그램 이행에 앞서 생물기준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

나, 실제로 종합화된 생물기준을 수질기준의 법적 체계 안에 완전히 합병시켜 수자원 관리에

이용하고 있는 주는 거의 없다. 다만 세 개의 주 (Ohio, Maine, Florida)에서 현재 생물기준을

수질기준법에 포함시키고 있는 정도이다. Ohio주의 경우는 법적인 생물기준이 가장 광범위한

샘플링, 평가, 그리고 적용 프로그램으로 국가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 생물학적 수질평가의 역사는 매우 길지만 실제로 수자원의 관리를 위한 정책에서

생물의 조사에 바탕을 둔 프로그램을 도입한 것은 미국에서는 불과 30여 년 전의 일이다. 따라

서 미국에서 조차도 전국적으로 생물학적 수질평가와 기준은 아직 완성단계는 아니며 주마다

생물학적 평가를 인식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연방정부에서는 각 주에 대하여 생물학

적 수질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추천하고 있으며 이 결과 많은 주정부에서 국가 생물학

Page 11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09 -

적 평가프로그램을 포함시키고 있다. 2001년의 조사에서 최종적으로 미국 수질환경기준 (water

quality standards)에서 “서술적 생물준거치 (narrative biocriteria)”에 대한 정의를 내렸는데, 이

것은 “주어진 수준의 환경에 서식하는 수서생물 군집의 생물학적 건강성을 설명하는 서술식 표

현”으로 정의하였다.

수생태계 건강성의 평가를 위해서는 이를 필요로 하는 하천의 선정과 표준화된 지침과 방법

에 의거한 정기적인 조사를 요구한다. 이러한 전반적인 내용은 생물측정망 프로그램 내에서 운

영되어야 하며, 외국의 경우 특별한 생물모니터링 조사들은 보통 하천상태에 대한 국가적 분류

와 관련하여 수행되는데,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영국 등은 1970년대 이후 2~5년

주기로 하천 상태를 평가하고 있으며, 벨기에와 스페인은 1980년대 이후 이와 비슷한 주기로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호주 전역 약 6,000개 지점에서 조사가 되었으며, 1996년 이래로 지속적

인 재평가를 하고 있다. 1992년 네덜란드는 생물학적 프로그램을 육수모니터링 프로그램

(inland water monitoring program)에 추가하였고, 1989년 이래로 덴마크는 1년 주기로 생물학

적 분류등급을 수정하였다. 프랑스의 하천 모니터링은 1960년 대 후반에 이미 시작되었고, 현재

는 많은 지방 환경청들이 자체의 모니터링망을 구축하였다. 현재 프랑스 하천들은 물리, 화학,

생물 및 생태학적 상태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확보하여 시행되는 국가적 스케일에서부터 지역

스케일에 이르기까지 몇 개 시스템에 의해 모니터링 되고 있는 상태이다.

생물모니터링 측정망은 대게 많은 조사지점을 포함하는데, 영국은 10,000개 정도, 아일랜드는

3,000개 정도의 지점을 선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점들은 주요한 모든 하천에 위치하며, 각

하천에서 나타나는 수환경의 전체 범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선정하고 있다. 한편, 생물모니터링

에 이용되는 조사방법과 빈도는 국가마다 약간 다르다. 영국과 독일에서는 지방환경청에서 실

질적인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며, 기획위원회에서 국가전체의 평가와 보고를 위해 지방조직으로

부터 결과를 수집한다. 이와는 다르게 아일랜드에서는 생물학적 평가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환경

보호청 단일 기관에 의해 수행한다. 모니터링의 결과는 보고서의 형태로 출판되며, 여기에는 하

천의 길이를 따라 다양한 등급이 표현되는 하천 수질평가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정책 시사점

선진국에서의 생물학적 수질평가와 생물측정망은 기본적으로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수자원 관리와 보호에 이용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생물이

가지는 독특한 특성과 반응을 이용한 평가는 이화학적 평가에 비해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

을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인식하였고 이를 부분적으로 지역적 혹은 국가적 수질관리프

로그램에서 수용하였으며, 최근에는 그 범위를 크게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2007)” 개정을 통해 주창한 “수생태계 건강

- 210 -

성 회복”은 우리 물관리정책이 미래지향적인 선진국 물관리정책의 공통적인 기본개념에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며, 이는 우리나라 물관리정책이 선진적이고 종합적인 틀로 나아간 것으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다른 부분에서도 마찬가지 이지만 우리나라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이라는 정책의 계획과 실행

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주요한 하천에 대한 조사와 평가가 선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천생

태계의 조사와 평가 그리고 결과의 활용은 국가적으로 정형화된 틀, 즉 생물측정망 프로그램

내에서 이루어져야하며, 이 프로그램은 표준화된 조사방법, 조사대상 하천, 측정망 관리 및 운영

체계, 결과의 활용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국가 생물측정망이 지속적으로 운영

되기 위해서는 측정망 프로그램이 제도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선진국들은 각 나라 혹은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적인 측정망을 확립하고 있으며, 이

와 함께 그에 필요한 내용들을 법,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생물측정망

프로그램을 조속히 제도화하여 지속적인 운영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차후 생물측정망 프

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국가적 차원에서

조사평가를 위한 인력양성 지원, 조사평가에 필요한 안정적인 재원의 마련, 운영관리 기구와 조

직의 안정화 등은 생물측정망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는데 필요한 사안이며, 내용적으로는 우리나

라 실정에 맞는 표준화된 조사지침과 가이드라인이 확정되어야 하며, 동시에 이에 필요한 학술

적․기술적인 자료 (예를 들면, 생물도감, 참고자료, 정기 fact sheet 등)의 개발이 요구된다. 생

물조사는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조사지침과 가이드라인은 주기적으로 개선․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선진국 사례에서도 나타나듯이 조사 하천의 선정, 조사의 주기, 횟수 등 기본적인 체계는 각

나라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는 생물측정망을 운영하는 국가와 지역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인력과 재정이 허락한다면 국가의 모든 하천을 측정망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

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을 합하여 법정하천 총 3,893개 (하천연장: 30,233

km, 지방 2급 하천 이상, 근거: 하천일람 (건설교통부, 2004)), 소하천 22,664개 (하천연장:

35,815 km)가 존재한다. 그러나 국가의 측정망을 전국의 모든 하천에 적용하기에는 관리, 운영

면에서 비효율적 일 수 있다. 따라서 측정망을 확립하는 단계에서 포함되는 하천은 반드시 관

리가 필요한 하천과 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며, 차후에 이를 확대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ge 11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11 -

제 3 절 우리나라 측정망 구축, 운영, 관리방안

1. 측정망 조사지점 구축

가. 선행연구

1) 총 후보 조사지점 (구간) 선정

환경부 (2007)는 우리나라 4대강 수계에 포함된 국가하천, 지방 1, 2급 하천 및 일정구간 (10

km)이상의 소하천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전국적으로 총 3,893개 (지방 2급 하천 이상, 근거: 우

리가람 길라잡이 (건설교통부, 2002)) 이상의 하천에 대해 도상 작업 및 현장 확인을 거쳐 조사

구간을 선정하였다.

구간선정 기준은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규모와 연장 등을 고려하여 국가하천과 지방1급 하천

은 매 10 km 마다 1개의 구간을 선정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가장 많은 수로 분포하는

지방 2급 하천에 대해서는 5 km를 기본구간으로 하되 유로의 연장을 감안하여 5~10 km 구간

으로 선정하였다. 각 하천유형별 구간선정의 기준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구간선정기준

• 국가하천: 매 10 km 마다 1개 구간씩 선정

• 지방 1급: 매 10 km 마다 1개 구간씩 선정

• 지방 2급

- 5 km 마다 1개 구간을 선정하되, 유로 연장에 따라 달리 선정

- 10 km 이하 하천: 1개 구간 선정 (5 km 미만의 하천은 제외)

- 10 km 이상 하천: 5 km 마다 1개 구간

- 일반하천 (소하천): 지방 2급 하천과 동일한 방법 적용

- 합류점 역시 조사구간에 포함시키며, 하위 하천쪽으로 구간 선정

조사구간을 선정에 필요한 정량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접근성, 하천의 대표성, 구간의 안

정성 그리고 서식지의 자연성을 고려하고 각 항목은 가중치를 공히 3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한 결과, 조사구간 수는 총 5,711개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한강 대권역에서 가장 많은

1,702개가 도출되었고, 그 다음으로 낙동강 1,658개, 금강 1,222개, 영산강․섬진강 1,129개의 순

으로 나타났다.

- 212 -

2) 측정망 조사구간 선정

선행연구 (환경부, 2007)에서 기초로 한 대상 하천 (구간)의 유형, 건강성 평가결과의 활용방

안은 다음 <표 2.3.1>과 같다. 대상하천의 유형은 활용성에 따라 구분함이 바람직하며, 활용성

은 상태가 매우 양호한 보전하천, 현재 상태가 악화되어 복원이 필요한 복원하천, 교란이 적고

자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복원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대조하천, 그리고 기후변화, 토지이용

변화, 환경변화 등 향후 자연적, 인위적 교란이 예상되는 하천들과 특별한 목적에 의해 관리가

요구되는 하천을 포함하는 기타하천으로 구분하였다.

대상 하천 (구간)의 유형건강성 평가 (조사지점별생물, 식생,

생물서식처, 수변환경)활용성

수생태계 건강성 보전이 필요한 하천 (구간)A등급 하천 (생물 및 수변 항목 모두

고려)보전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이 필요한 하천 (구간)C, D등급 하천 (생물 및 수변 항목 모두

고려)복원하천

교란이 (거의)없는 자연상태의 하천으로 복원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하천 (구간)

A등급 하천 중에 평가 점수가 높은 하천

(생물 및 수변 항목 모두 고려)대조하천

수질측정망이 없는 상류 수계 등 보전 및

관리가 요구되는 하천 (구간)전체 등급 고려

모니터링 추이에

따라 판단

기후변화, 토지이용변화, 환경변화 등 향후

중요한 자연적․인위적 교란이 예상되는 하천

(구간)

전체 등급 고려

유역상황 고려,

모니터링 추이에

따라 판단

※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인근에 타측정망 (예를 들면, 수질측정망) 지점이 존재할 경우에는 향후 그와 연계성 파악을 위하여

동일 혹은 인접구간으로 선정 (자료), 환경부 (2008)

<표 2.3.1> 측정망 하천 (구간) 선정의 원칙 및 활용성

향후 구간 수의 확대를 통해 측정망으로 확정하기 위한 구간들은,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원칙 및 과정을 통해 정리하였다.

(1) 4대강 대권역의 중권역 및 소권역 단위로 조사구간을 배분

◦ 각 소권역 내에 최소 1개 이상의 조사구간을 포함함을 원칙

(2) 우선적으로 중권역 대표지점 (혹은 주요지점)을 포함

(3) 수질측정망 지점을 최대한 고려하되, 수질측정망 지점에서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가 용

이하지 않을 경우 가장 가까운 인근지역으로 선정

(4) 중권역 대표지점과 수질측정망을 포함한 이후에는 각 조사구간의 평가점수에 따라 우선

순위 결정

◦ 평가점수가 45점 이상 되는 구간들을 고려하며, 이들은 보전구간 혹은 대조하천 구간

Page 11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13 -

으로 활용. 우선순위는 평가항목 중 자연성과 안정성 항목을 중심으로 결정

◦ 평가점수가 20점 이하인 구간을 고려하며, 이들은 복원대상으로 활용. 우선순위는 평가

항목 중 자연성과 안정성 항목을 중심으로 결정

(5) 전체 측정망 구간수의 결정은 기본적으로 중권역별 조사구간수의 비율을 이용

※ 대조하천은 연차별로 확대하도록 하며, 전체 측정망 구간의 20%까지 구성함을 목표로

함. 대조하천은 조사구간 선정시에 고려된 하천 이외의 상류구간도 함께 고려하며, 선

행 연구 및 연구진의 조사에서 평가된 하천 (구간)을 대상으로 연차적으로 확대하도록

함.

※ 생태복원 대상하천, 시범하천 등 사업이 계획 혹은 진행되고 있는 하천에 대해서도 추

가적인 고려가 필요 (사안별 조사평가 진행).

측정망 구간 선정에 원칙에 따라 도출한 최소한의 구간수는 총 1,189 개소로 나타났으며 (표

2.3.2), 이 중에서 한강대권역 435 개소, 낙동강 대권역 347 개소, 금강 대권역 218 개소, 영산강

대권역 189 개소로 구분되었다. 총 도출된 구간 중에서 2009년 현재 조사하고 있는 하천구간은

총 720 개소로서 전체의 60.6%이며, 이중 한강 320 개소, 낙동강 130 개소, 금강, 130 개소, 영

산강․섬진강 140 개소를 점하고 있다. 향후 469개 구간에 대한 단계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대권역(1)중권역

(2)소권역

(3)수질측정망조사

지점수

(4)총 후보조사

구간수

(5)수생태

계건강성조사

구간수(2008)

(6)추가조사

구간수*(2008)

(7)측정망

구간수

(8)수생태

건강성조사

구간수(2009)

(9)확대

구간수

합계 117 821 636 5,711 640 549 1,189(50) 720 469

한강 30 289 223 1,702 320 115 435(15) 320 115

낙동강 33 247 186 1,658 100 247 347(15) 130 217

금강 22 141 152 1,222 100 118 218(10) 130 88

영산강․섬진강 32 144 75 1,129 120 69 189(10) 140 49

(주)

(1) 물환경관리기본계획상 중권역 수

(2) 물환경관리기본계획상 소권역 수

(3) 수질측정망 조사지점수

(4) 환경부 (2007) 조사연구에서 도출된 총 후보구간 수 (국가 및 지방하천 등 범정하천과 10 km 이상 소하천 고려)

(5) 2008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구간수

(6) 환경부 (2008) 조사연구에서 추가적으로 도출된 측정망 조사구간 수

(7) 환경부 (2008) 조사연구에서 도출된 총 측정망 조사구간 수, 괄호안은 레퍼런스 구간수

(8) 2009년 실제 조사평가 구간수. (6)항의 추가도출 구간에서 각 하천별로 일부 추가 (한강 제외)

(9) 향후 추가될 확대 구간 총수

<표 2.3.2>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간수 (안)

- 214 -

3) 전국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성 현황

가) 한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성 현황

중권역명 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을포함하는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

평가구간수(2009)

측정망구간선정기준에의해 추가된 구간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

구간수 (안)

비고

남한강상류 17 17 18 5 23

평창강 13 13 16 5 21

충주댐 20 20 13 14 27

달천 14 14 18 6 24

충주댐하류 5 5 8 1 9

섬강 10 10 26 2 28

남한강하류 19 19 23 8 31

경안천 5 5 13 2 15

금강산댐 13 0 0 0 0 중권역 전체 북한권역

평화의댐 4 2 1 2 3 4개 소권역 중 2개 북한권역

춘천댐 12 11 5 8 13 12개 소권역 중 1개 접근불가

인북천 4 3 16 1 17 4개 소권역 중 1개 접근불가

소양강 8 8 10 3 13

의암댐 7 7 8 3 11

홍천강 14 14 5 11 16

청평댐 8 8 5 5 10

팔당댐 1 1 1 0 1

한강서울 16 16 44 1 45

한강고양 7 7 11 4 15

고미향천 5 0 0 0 0 중권역 전체 북한권역

임진강상류 9 2 1 1 2 9개 소권역 중 7개 북한권역

임진강하류 9 7 7 4 11 9개 소권역중 2개 접근불가

한탄강 15 14 28 4 32 15개 소권역중 1개 접근불가

한강하류 1 1 0 1 1

안성천 18 18 16 9 25

한강서해 8 5 2 3 5 3개 소권역에 조사구간 없음

시화호 6 4 3 2 5 2개 소권역에 조사구간 없음

양양남대천 9 7 6 4 10 2개 소권역에 조사구간 없음

강릉남대천 7 7 11 2 13

삼척오십천 5 5 5 4 9

계 289 250 320 115 435

Page 11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15 -

중권역명 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을포함하는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

평가구간수(2009)

측정망구간선정기준에의해 추가된 구간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

구간수 (안)

비고

안동댐 12 12 4 15 19

임하댐 15 15 6 12 18

안동댐하류 8 8 3 7 10

내성천 16 16 4 15 19

영강 7 7 5 4 9

병성천 3 3 2 1 3

낙동상주 3 3 3 0 3

위천 10 10 4 7 11

낙동구미 2 2 2 0 2

감천 7 7 3 5 8

낙동왜관 8 8 4 7 11

금호강 19 19 6 18 24

회천 7 7 5 4 9

낙동고령 7 7 2 6 8

합천댐 8 8 5 7 12

황강 4 4 4 1 5

낙동창녕 5 5 5 4 9

남강댐 14 14 6 10 16

남강 10 10 4 10 14

낙동밀양 9 9 6 8 14

밀양강 9 9 5 9 14

낙동강하구언 8 8 6 6 12

형산강 9 8 4 8 12

태화강 6 6 5 9 14

회야강 3 3 3 3 6

수영강 6 6 3 6 9

왕피천 11 10 3 7 10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영덕오십천 8 8 3 5 8

대종천 6 5 3 3 6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가화천 7 7 4 5 9

남해도 5 5 2 3 5

거제도 5 5 3 3 6

낙동강남해 9 8 3 9 12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계 247 244 130 217 347

나) 낙동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성 현황

- 216 -

중권역명 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을포함하는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

평가구간수(2009)

측정망구간선정기준에의해 추가된 구간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

구간수 (안)

비고

용담댐 8 8 3 8 11

용담댐하류 1 1 1 1 2

무주남대천 3 3 1 4 5

영동천 6 6 5 4 9

초강 3 3 3 2 5

대청댐상류 1 1 2 0 2

보청천 6 6 5 2 7

대청댐 5 5 3 8 11

갑천 6 6 9 1 10

대청댐하류 2 2 3 0 3

미호천 15 15 19 5 24

금강공주 14 14 13 6 19

논산천 5 5 8 3 11

금강하구언 3 3 2 2 4

만경강 14 14 14 8 22

동진강 8 8 9 8 17

삽교천 16 16 12 9 21

대호방조제 3 3 2 2 4

부남방조제 6 5 7 4 11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금강서해 9 9 5 6 11

직소천 3 2 2 2 4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주진천 4 4 2 3 5

계 141 139 130 88 218

다) 금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성 현황

Page 11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17 -

중권역명 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을포함하는소권역수

수생태계건강성

평가구간수(2009)

측정망구간선정기준에의해 추가된 구간수

수생태계건강성측정망

구간수 (안)

비고

영산강상류 8 8 12 1 13

황룡강 4 4 6 1 7

지석천 7 7 6 2 8

영산강중류 4 4 6 1 7

고막원천 2 2 2 0 2

영산강하류 4 4 5 1 6

영암천 2 2 2 0 2

영산강하구언 1 1 1 0 1

섬진강댐 9 9 12 2 14

섬진강댐하류 3 3 6 1 7

오수천 3 3 3 1 4

순창 4 4 8 0 8

요천 4 4 5 1 6

섬진곡성 3 3 5 0 5

주암댐 7 7 8 4 12

보성강 2 2 4 0 4

섬진강하류 11 11 13 5 18

탐진강 4 4 7 0 7

섬진강서남해 8 8 4 4 8

완도 1 1 1 1 2

금산면 1 1 1 0 1

이사천 10 10 8 5 13

수어천 6 6 2 5 7

여수시 1 1 1 0 1

진도 4 3 1 2 3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와탄천 9 8 3 6 9

신안군 1 1 1 0 1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영암방조제 5 4 1 4 5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제주서해 3 1 1 0 1 2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제주남해 4 4 3 1 4

제주북해 4 3 2 1 3 1개 소권역 조사구간 없음

제주동해 5 0 0 0 0 중권역 전체 조사구간 없음

계 144 133 140 49 189

라)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성 현황

- 218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

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 H10101-01 남한강 남한강상류 광동댐 골지천 02 H001 강원도 태백시사조동 상사미 2교 37 17 4.0 128 59 22.0 지류 골지천1  

2 H10101-02 남한강 남한강상류 광동댐 골지천 04 H002 강원도 태백시 하장면 숙암리 숙암1교 37 20 25.0 128 58 11.0 지류 번천  

3 H10102-01 남한강 남한강상류 광동댐하류 골지천 06   강원도 태백시 하장면 정용안 갈밭교 37 22 27.0 128 54 42.0 지류    

4 H10103-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임계천 임계천 05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봉산리 암내교 37 28 35.0 128 50 54.0 지류    

5 H10104-01 남한강 남한강상류 골지천중류 골지천 10 H003 강원도 정선군 북면 여량리 제 1여랑교 37 28 24.0 128 43 46.0 지류 골지천2  

6 H10105-01 남한강 남한강상류 도암댐 송천 03 H006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용산리 용산교 37 39 11.0 128 41 59.0 지류 송천1  

7 H10106-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송천 송천 08 H007 강원도 강릉시 북면 여량리 송천교 37 30 31.0 128 42 39.0 지류 송천2  

8 H10107-01 남한강 남한강상류 골지천하류 골지천 12 H004 강원도 정선군 북면 장열리 장열교 37 27 25.0 128 40 42.0 지류 조양강  

9 H10108-01R 남한강 남한강상류 오대천상류 오대천 01   강원 평창 진부 동산리 사고사 37 45 3.0 128 34 33.0 지류    

10 H10108-02 남한강 남한강상류 오대천상류 오대천 03 H010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하진부교 37 38 9.0 128 33 36.0 지류 오대천1  

11 H10109-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오대천하류 오대천 07 H011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나전리 나전교, 오대천 2 환경부 수질관측소 37 26 26.0 128 38 57.0 지류 오대천2  

12 H10110-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어천상류 어천 04   강원도 정선군 동면 석곡2리 석분교 37 21 12.0 128 43 41.0 지류    

13 H10111-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어천하류 어천-소 02 H009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여탄리 덕산3교 37 22 9.1 128 43 9.0 지류    

14 H10111-02 남한강 남한강상류 어천하류 어천 06 H008 강원도 정선군 동면 애산리 애신교 37 22 25.0 128 40 16.0 지류 어천  

15 H10112-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정선 한강 43 H014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애산리 정선제2교 37 22 54.0 128 40 5.0 본류 정선1  

16 H10112-02 남한강 남한강상류 정선 한강 44 H015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 정선제1교 37 22 44.0 128 39 33.0 본류 정선2  

17 H10112-03 남한강 남한강상류 정선 한강 45 H016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광하교 37 22 4.0 128 37 10.0 본류 광하  

18 H10113-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지장천상류 지장천 02 H012 강원도 정선군 사북면 직전리 사북교 37 13 41.0 128 47 46.0 지류 지장천1  

19 H10114-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지장천하류 지장천 04 H013 강원도 정선군 동면 낙동리 선평역 앞 다리 37 19 22.0 128 42 49.0 지류 지장천2  

20 H10115-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창리천 창리천 01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창리 창리교, 창리-소 01, 02합류부 37 19 46.0 128 30 54.0 지류    

21 H10116-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석항천 석항천 03 H005 강원도 영월군 영월군 덕포리 덕삼교 37 11 10.0 128 29 17.0 지류 석항천  

22 H10117-01 남한강 남한강상류 영월 한강 51 H017 강원도 영월군 영월군 삼옥리 삼옥교 37 12 25.0 128 30 38.0 본류 동강  

23 H10117-02 남한강 남한강상류 영월 한강 52 H018 강원도 영월군 영월군 덕포리 영월대교 37 10 55.0 128 28 32.0 본류 영월군 중권역대표

24 H10201-01 남한강 평창강 흥정천 속사천 01 H020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중앙교 37 40 23.0 128 27 55.0 지류    

25 H10201-02 남한강 평창강 흥정천 흥정-소 01 H033 강원도평창군봉평면 37 38 49.0 128 19 49.0 지류    

26 H10201-03 남한강 평창강 흥정천 흥정천 03 H034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백옥포리 백옥포교, 평창강 합류부 37 34 12.0 128 24 12.0 지류    

27 H10202-01R 남한강 평창강 평창강상류 면온천 0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유포리 평창강 합류부 37 32 51.0 128 23 43.0 지류    

28 H10202-02 남한강 평창강 평창강상류 평창강 16 H032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개수리 37 29 6.0 128 23 38.0 지류 평창강1  

29 H10203-01 남한강 평창강 대화천 대화천 02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하안미리 사초교, 평창강 합류부 37 27 9.0 128 26 29.0 지류    

30 H10204-01 남한강 평창강 계촌천 계촌-소 01 H019 강원도평창군방림면 37 27 46.0 128 19 22.0 지류    

31 H10205-01 남한강 평창강 평창수위표 평창강 02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 방림리 계촌천 합류부 37 25 28.0 128 23 18.0 지류    

32 H10206-01 남한강 평창강 평창강중류 평창강 05 H029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도돈리 도돈교 하류부 37 19 12.0 128 22 19.0 지류 평창강2  

33 H10207-01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시점 주천-소 01 H027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37 29 56.0 128 14 12.0 지류    

34 H10207-02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시점 주천-소 03 H028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37 28 17.0 128 13 9.0 지류    

35 H10208-01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상류 주천강 03 H024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안흥리 상안천 합류부 37 28 14.0 128 12 7.0 지류 주천강1  

36 H10208-02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상류 주천강 04 H025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강림리 강림천 합류부 37 21 37.0 128 7 54.0 지류    

<표 2.3.3> 한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Page 12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19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7 H10209-01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중류 운학천 H023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37 19 55.0 128 11 52.0 지류    

38 H10210-01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하류 신일-소 01 H022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37 15 15.0 128 15 13.0 지류    

39 H10210-02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하류 송한-소 01 H021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37 13 49.0 128 15 49.0 지류    

40 H10210-03 남한강 평창강 주천강하류 주천강 10 H026 강원도 영월군 서면 신천리 신천교, 평창강 합류부 37 13 40.0 128 20 4.0 지류 주천강2  

41 H10211-01 남한강 평창강 쌍용천 쌍용천 01   강원도 영월군 남면 토교리 토교, 삼화천 합류부 37 12 28.0 128 20 14.0 지류    

42 H10212-01 남한강 평창강 문곡천 문곡천 01   강원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 간포교, 마차천 합류부 37 14 53.0 128 25 54.0 지류    

43 H10213-01 남한강 평창강 평창강하류 평창강 11 H030 강원도 영월군 남면 연당리 연당교, 평창강 3 지자체 수질관측소 37 11 42.0 128 24 20.0 지류 평창강3  

44 H10213-02 남한강 평창강 평창강하류 평창강 13 H031 강원도 영월군 영월군 하송리 한강 합류부 37 10 17.0 128 27 20.0 지류 평창강3-1 중권역대표

45 H10301-01 남한강 충주댐 평창강합류점 한강 53 H045 강원도 영월군 영월군 정양리 영월군 한국전력지소 37 9 27.0 128 29 53.0 본류 영월2  

46 H10302-01 남한강 충주댐 옥동천상류 옥동천 01 H036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천평리 상동교, 꼴두바위표지판 37 7 33.0 128 50 0.0 지류 옥동천1  

47 H10302-02 남한강 충주댐 옥동천상류 옥동천 02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내덕리 신덕구교, 덕구리표지판 37 6 49.7 128 46 32.3 지류 옥동천2  

48 H10303-01 남한강 충주댐 옥동천중류 옥동천 03   강원도 영월군 중동면 시루리 시루교 37 8 38.5 128 42 48.2 지류    

49 H10304-01 남한강 충주댐 내리천 내리천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녹전초교, 내리분교 37 6 7.6 128 40 45.8 지류    

50 H10305-01 남한강 충주댐 옥동천하류 옥동천 06 H037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옥동 대야1교 37 6 58.0 128 32 57.0 지류    

51 H10306-01 남한강 충주댐 사이곡천합류점 남천   충북 단양군 영춘면 37 3 6.2 128 30 36.7 지류    

52 H10307-01 남한강 충주댐 하일천합류점 한강 57 H047 충북 단양군 가곡면 가대리 가대교 37 2 8.0 128 24 9.0 본류 가곡  

53 H10307-02 남한강 충주댐 하일천합류점 가대천 H046 충북 단양군 가곡면 가대리 참좋은민박 37 2 41.5 128 24 4.3 지류 가대천  

54 H10308-01 남한강 충주댐 매포천 매포천 02 H035 충북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 하괴교, 성신양회 37 0 22.0 128 20 15.0 지류 매포천  

55 H10309-01 남한강 충주댐 죽령천 죽령천 H043 충북 단양군 단성면 북하리 단양1교 36 55 41.0 128 20 15.0 지류 죽령천  

56 H10310-01 남한강 충주댐 단양천합류점 한강 01 H044 충북 단양군 가곡면 사평리 사평교 37 0 33.0 128 23 19.0 본류 덕천  

57 H10311-01 남한강 충주댐 단양천 단양천 01   충북 단양군 대강면 가산리 가산교, 도락산관광농원직판장 36 53 11.6 128 18 40.0 지류    

58 H10312-01 남한강 충주댐 충주댐상류 한강 03   충북 단양군 적성면 애곡리 입간판 36 57 22.3 128 19 55.8 본류    

59 H10313-01R 남한강 충주댐 제천천상류 제천-소 02   충북 제천시 봉양읍 옥전리 연화교, 송화사 37 10 9.3 128 5 47.6 지류    

60 H10313-02 남한강 충주댐 제천천상류 제천천 02 H040 충북 제천시 봉양읍 연박리 주포2교 37 7 44.0 128 7 9.0 지류 제천천1  

61 H10314-01 남한강 충주댐 장평천 장평천02 H039 충북 제천시 봉양읍 주포리 제비람교 37 7 32.0 128 11 41.0 지류 장평천  

62 H10315-01 남한강 충주댐 제천천하류 제천천 03 H041 충북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 연박2교 37 7 3.0 128 6 41.0 지류 제천천2  

63 H10315-02 남한강 충주댐 제천천하류 제천천 06   충북 충주시 산척면 명서리 37 4 1.6 128 1 36.0 지류 제천천3  

64 H10316-01 남한강 충주댐 원서천 원서천 02 H038 충북 제천시 백운면 석천리 석문교, 석천경로당 37 6 10.0 128 2 1.0 지류 원서천  

65 H10317-01 남한강 충주댐 광천 광천 01   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월악교, 물돌민박 36 53 24.9 128 8 30.9 지류    

66 H10318-01R 남한강 충주댐 동달천 동달천 01   충북제천한수 와룡교, 물레방아휴게소 36 51 10.3 127 5 19.4 지류    

67 H10318-02 남한강 충주댐 동달천 동달천 02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송계3교 36 53 51.7 128 4 33.4 지류    

68 H10319-01 남한강 충주댐 충주댐 고교천   충북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 월림교 37 4 5.8 128 11 19.9 지류    

69 H10320-01 남한강 충주댐 충주댐하류 한강 06   충북 충주시 동량면 종민동 충주댐 37 0 8.8 127 59 52.6 본류 충주댐  

70 H10320-02 남한강 충주댐 충주댐하류 한강 07   충북 충주시 동량면 손동 충원교 37 0 37.4 127 58 56.9 본류 충주시  

71 H10320-03 남한강 충주댐 충주댐하류 한강 08 H042 충북 충주시 동량면 손동 조동교,하이텔모텔 37 1 22.3 127 55 4.3 본류 목행대교 중권역대표

72 H10401-01R 남한강 달천 달천상류 달천 07   충북 보은 내속리 중판리 중판교 36 30 44.7 127 48 6.4 지류    

73 H10401-02 남한강 달천 달천상류 달천 09   충북 보은군 산외면 갈탕리 길탕2교 36 33 45.0 127 43 2.9 지류    

74 H10402-01 남한강 달천 감천 중리천 H111 충북 청원군 미원면 중리 중리저수지하방 37 16 13.0 127 27 40.0 지류    

- 220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75 H10403-01 남한강 달천 압정천합류점 달천 11 H053 충북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 옥화교, 달천 1 지자체 수질관측소 36 36 55.6 127 42 7.3 지류 달천1  

76 H10403-02 남한강 달천 압정천합류점 신월-소 02 H058 경북 상주시 화북면 중벌리 36 36 5.9 127 50 1.4 지류    

77 H10404-01 남한강 달천 압정천 압항천 01   충북 괴산군 청안면 부흥 황암천 합류부 36 42 9.2 127 44 12.8 지류    

78 H10405-01 남한강 달천 화양천 화양-소 01 H063 충북 괴산군 청천면 이평 교량 36 38 34.3 127 53 4.3 지류    

79 H10405-02 남한강 달천 화양천 화양천 02 H064 충북 괴산군 칠성면 화양리 화양천 지자체 수질관측소 36 40 46.8 127 48 11.0 지류 화양천  

80 H10405-03 남한강 달천 화양천 관평천 H048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관평교 36 40 31.3 127 51 44.6 지류    

81 H10406-01 남한강 달천 괴산댐 달천 14   충북 괴산군 청천면 후영리 화양제1교하방 36 40 47.6 127 48 27.0 지류 달천1-1  

82 H10407-01 남한강 달천 쌍천 행목동천 H062 충북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 내쌍곡교 36 44 42.0 127 54 8.0 지류 향목동천  

83 H10407-02 남한강 달천 쌍천 쌍천 04 H059 충북 괴산군 칠성면 갈읍리 칠성교하방, 맛나촌식당옆 36 47 10.0 127 51 22.0 지류 쌍천  

84 H10408-01 남한강 달천 동진천 동진천 01 H054 충북 괴산군 소수면 아성리 아성교 36 49 54.0 127 45 22.0 지류 동진천1  

85 H10408-02 남한강 달천 동진천 동진천 02 H055 충북 괴산군 괴산읍 대덕리 동진교 36 48 20.0 127 48 58.0 지류 동진천2  

86 H10409-01 남한강 달천 괴산댐하류 달천 05 H051 충북 괴산군 칠성면 대덕리 괴강교 36 48 3.0 127 49 29.0 지류 달천2  

87 H10409-02 남한강 달천 괴산댐하류 달천 06 H052 충북 괴산군 불정면 목도리 목도교 36 52 1.0 127 51 29.6 지류 달천3  

88 H10410-01 남한강 달천 음성천 음성천 03 H061 충북 괴산군 불정면 하문리 하산교 36 52 58.0 127 51 26.0 지류 음성천  

89 H10411-01 남한강 달천 석문동천합류점 달천 01   충북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비산교 36 55 46.3 127 40 20.9 지류    

90 H10412-01 남한강 달천 석문동천 석문동천 01 H056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온천리 수안보 한화콘도 간판 36 50 51.1 127 59 26.3 지류 석문동천  

91 H10412-02 남한강 달천 석문동천 석문동천 02 H057 충북 괴산군 장연면 문강리 문강교, 석문천 지자체 수질관측소 36 53 6.0 127 57 1.0 지류 석문천  

92 H10413-01 남한강 달천 요도천 요도천 03 H060 충북 충주시 이류면 하검단리 하검단교 36 57 54.0 127 52 4.0 지류 요도천  

93 H10414-01 남한강 달천 달천하류 달천 02 H049 충북 충주시 풍동 유주막다리교 36 56 23.0 127 54 48.0 지류 달천4주요지점/중권역대표

94 H10414-02 남한강 달천 달천하류 충주천   충북 충주시 교현동 대봉교 36 58 24.1 127 55 42.5 지류 충주천  

95 H10414-03 남한강 달천 달천하류 달천 03 H050 충북 충주시 가금면 창동리 탄금대교 36 59 8.1 127 53 28.7 지류 달천5  

96 H10501-01 남한강 충주댐하류 충주조정지댐 하구암천   충북 충주시 가금면 하구암리 중구교 37 1 58.5 127 49 35.2 지류    

97 H10502-01 남한강 충주댐하류 목계수위표 영덕천 01 H067 충북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영덕교 37 4 18.1 127 55 59.1 지류 영덕천  

98 H10502-02 남한강 충주댐하류 목계수위표 한강 12 H069 충북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목계교, 목계나루터 37 4 28.0 127 52 34.0 본류 중원  

99 H10503-01 남한강 충주댐하류 운계천합류점 한포천 01 H072 충북 충주시 노은 신효리 신효교 37 2 17.5 127 46 34.6 지류    

100 H10503-02 남한강 충주댐하류 운계천합류점 앙성천 01 H066 충북 충주시 앙성 본평리 본평1교 37 6 20.5 127 44 17.4 지류 앙성천  

101 H10503-03 남한강 충주댐하류 운계천합류점 한강 13 H070 강원도 원주시 소태 덕은 덕은교 37 8 49.0 127 47 17.0 본류 덕은리  

102 H10504-01 남한강 충주댐하류 운계천 운계천 03 H068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리 37 8 34.4 127 47 46.9 지류    

103 H10505-01 남한강 충주댐하류 섬강합류점 법천천 H065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 수영봉교, 거북이 비석 37 12 3.0 127 45 29.0 지류    

104 H10505-02 남한강 충주댐하류 섬강합류점 한강 13-1 H071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남한강대교, 부론면사무소 37 12 8.0 127 44 52.7 본류 원주 중권역대표

105 H10601-01 남한강 섬강 횡성댐 계천 01 H073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신대리 중앙교 37 35 23.2 128 13 17.6 지류    

106 H10601-02 남한강 섬강 횡성댐 유동천 02 H091 강원도횡성군청일면계천 37 33 49.3 128 8 4.5 지류 유동천  

107 H10601-03 남한강 섬강 횡성댐 계천 02 H074 강원도 횡성군 갑천면 초현리 황수교 37 33 52.1 128 7 13.9 지류 계천1  

108 H10602-01 남한강 섬강 횡성댐하류 대관대천 02 H078 강원도 횡성군 전촌교 37 33 48.3 128 2 46.5 지류 대관대천  

109 H10602-02 남한강 섬강 횡성댐하류 계천 06 H075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궁천리 대관대교 37 31 49.8 128 0 50.6 지류 계천2  

110 H10603-01R 남한강 섬강 금계천 금계천 02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상동리 상동제1교 37 36 24.1 127 59 27.3 지류    

111 H10603-02 남한강 섬강 금계천 창봉천 H095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예수재림교 창보교회 앞 다리 37 32 50.0 127 57 41.0 지류    

Page 12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21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12 H10603-03 남한강 섬강 금계천 금계천 04 H077 강원도 홍천군 공근면 공근교 37 31 57.0 127 57 57.3 지류 금계천  

113 H10604-01 남한강 섬강 전천 전천 03 H094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가담리 남산교 37 28 48.0 127 59 2.0 지류 전천  

114 H10605-01 남한강 섬강 원주천합류점 섬강 05 H084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가남리 횡성교 37 27 47.7 127 58 16.3 지류 섬강1  

115 H10605-02 남한강 섬강 원주천합류점 옥산천 H088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광격리 광격교 37 26 47.0 127 55 55.0 지류    

116 H10605-03 남한강 섬강 원주천합류점 섬강 06 H085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옥산리 옥산천 합류부, 섬강 2 환경부 수질관측소 37 25 31.0 127 55 15.0 지류 섬강2  

117 H10606-01 남한강 섬강 원주천 화천 H096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37 20 1.0 127 59 20.0 지류    

118 H10606-02 남한강 섬강 원주천 원주천 02 H089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인동 대평교 37 20 21.0 127 57 58.0 지류 원주천1  

119 H10606-03 남한강 섬강 원주천 흥양-소 01 H097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직삼교 37 21 23.0 127 59 53.0 지류    

120 H10606-04 남한강 섬강 원주천 원주천 04 H090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주산리 주산교 37 24 36.0 127 55 11.0 지류 원주천2  

121 H10607-01 남한강 섬강 삼산천 삼산천 02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판대 장지교 37 22 12.8 127 48 4.7 지류    

122 H10608-01 남한강 섬강 간현수위표 일리천 01 H093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오상교 37 30 10.1 127 54 25.0 지류    

123 H10608-02 남한강 섬강 간현수위표 이리천 02 H092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 37 24 55.0 127 51 49.0 지류    

124 H10608-03 남한강 섬강 간현수위표 섬강 08 H086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월송리 원호교 37 22 54.0 127 51 36.0 지류 섬강3  

125 H10609-01 남한강 섬강 서곡천 매지천 H079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흥대교 37 16 54.0 127 54 36.0 지류    

126 H10609-02 남한강 섬강 서곡천 서곡천 03 H081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광터교 37 20 18.0 127 51 10.0 지류 서곡천  

127 H10610-01 남한강 섬강 섬강하류 섬강 02 H082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문막리 37 18 9.0 127 48 48.0 지류 섬강4  

128 H10610-02 남한강 섬강 섬강하류 섬-소 03 H087 강원도 횡성군 지정면 취병 숲풍교 37 19 46.0 127 46 47.0 지류    

129 H10610-03 남한강 섬강 섬강하류 궁촌천 01 H187 강원도 원주시 귀래면 대안교 37 34 24.7 127 13 42.5 지류    

130 H10610-04 남한강 섬강 섬강하류 궁촌천 02 H076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후용리 충효교 37 15 45.0 127 50 0.0 지류    

131 H10610-05 남한강 섬강 섬강하류 부평천 H080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와평교 37 16 27.0 127 44 32.8 지류    

132 H10610-06 남한강 섬강 섬강하류 섬강 03 H083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가산리 세종천문대 앞 37 15 6.0 127 45 6.0 지류 섬강4-1 중권역대표

133 H10701-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청미천상류 청미천 08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백봉리 37 7 33.0 127 23 11.0 지류    

134 H10702-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죽산천 죽산천 02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제2죽산교 37 4 51.0 127 26 9.0 지류    

135 H10703-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청미천중류 청미천 09 H114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매신 한평교 37 5 30.0 127 28 54.0 지류 청미천1  

136 H10704-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응천 응천 02   충북 음성군 생극면 송곡1리 송곡교 37 3 26.0 127 36 1.0 지류    

137 H10705-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청미수위표 청미천 02 H112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 오남리 청미천교 37 6 56.0 127 38 12.0 지류 청미천2  

138 H10705-02 남한강 남한강하류 청미수위표 오갑천 H106 충북 음성군 감곡면 실우리 상우교 37 7 11.0 127 39 42.0 지류    

139 H10706-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청미천하류 청미천 05 H113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장안리 삼합교 37 11 55.0 127 43 14.0 지류 청미천3  

140 H10707-01 남한강 남한강하류 금당천 일신천 H109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일신리 일신1교 37 25 6.0 127 41 13.0 지류    

141 H10708-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여주수위표 한강 15 H115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도리 섬강교 37 13 29.0 127 42 31.0 본류 강천 주요지점

142 H10708-02 남한강 남한강하류 여주수위표 한강 16 H116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이호 이포대교 37 15 5.0 127 41 11.0 본류 여주1  

143 H10708-03 남한강 남한강하류 여주수위표 연양천 01 H105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멱곡리 삼교교 37 14 3.0 127 39 28.0 지류    

144 H10708-04 남한강 남한강하류 여주수위표 간매천 H098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간매 37 16 51.0 127 42 13.0 지류    

145 H10709-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양화천합류점 후포천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후포리 후포교 37 21 14.4 127 36 22.3 지류    

146 H10710-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양화천 양화천 04 H103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매화 용은교 37 16 24.0 127 33 11.0 지류 양화천  

147 H10710-02 남한강 남한강하류 양화천 양화천 05 H104 경기도 여주군 홍천면 상백리 율극교 37 19 52.0 127 34 26.0 지류 양화천2  

148 H10711-01 남한강 남한강하류 곡수천 곡수천 02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율촌 율촌교 37 22 24.3 127 35 40.6 지류    

- 222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49 H10712-01 남한강 남한강하류 복하천상류 원두천   경기도이천시대포동 대월교 37 12 3.0 127 27 30.0 지류    

150 H10713-01 남한강 남한강하류 복하천중류 복하천 02 H100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가좌리 37 14 4.0 127 27 2.0 지류 복하천1  

151 H10713-02 남한강 남한강하류 복하천중류 장록천 H110 경기도이천시장록동 별명교 37 14 57.0 127 27 37.0 지류    

152 H10714-01 남한강 남한강하류 복하천하류 복하천 03 H101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지리 복하2교 37 16 42.0 127 28 33.0 지류 복하천2  

153 H10714-02 남한강 남한강하류 복하천하류 복하천 04 H102 경기도 이천시 흥천면 다대리 별명교 37 19 54.0 127 32 22.0 지류 복하천3  

154 H10715-01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합류점 한강 17 H117 경기도 양도 대신면 배석 37 21 12.0 127 34 15.0 본류 여주2  

155 H10715-02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합류점 한강 18   경기도 양평군 대신면 양촌 하천제방위 37 21 49.6 128 33 46.8 본류 양평  

156 H10716-01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상류 흑천 01 H119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도원교 37 32 55.0 127 47 59.0 지류    

157 H10716-02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상류 용두천 H107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몰문교 37 32 52.0 127 42 47.0 지류    

158 H10716-03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상류 대왕천 H099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새마을교 (새말교) 37 33 40.6 127 40 4.8 지류    

159 H10717-01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하류 흑천 04 H120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봉상교 37 30 14.0 127 38 5.0 지류 흑천1  

160 H10717-02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하류 용문천 01 H108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교 37 31 34.0 127 36 19.0 지류    

161 H10717-03 남한강 남한강하류 흑천하류 흑천 06 H121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화전교 37 27 49.0 127 31 46.0 지류 흑천2  

162 H10718-01 남한강 남한강하류 양평수위표 한강 19 H118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전복교 37 28 59.0 127 29 30.0 본류 강상 중권역대표

163 H10719-01 남한강 남한강하류 남한강하류 한강 21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37 30 52.0 127 22 22.5 본류    

164 H10801-01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상류 경안천 06 H12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 예직교 37 11 21.8 127 15 29.0 지류 운학  

165 H10801-02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상류 경안천 07 H12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 진흥전기, 가선교 37 13 54.9 127 12 44.8 지류 경안천1  

166 H10801-03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상류 경안천 08 H126 경기도 용인시 유병동 인정교 37 16 36.7 127 13 35.3 지류 경안천2  

167 H10802-01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중류 오산천 02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일월리 동림교 37 20 12.9 127 12 8.8 지류    

168 H10803-01 남한강 경안천 경안수위표 경안천 09 H127 경기도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 초부교 37 18 37.8 127 14 25.4 지류 경안천3  

169 H10803-02 남한강 경안천 경안수위표 직리천 H134 경기도 광주시 태전동 미래코 건물 앞 작은다리 37 23 32.5 127 13 1.6 지류    

170 H10803-03 남한강 경안천 경안수위표 목리천 H129 경기도 광주시 목동 목동교 37 22 48.7 127 12 57.1 지류    

171 H10803-04 남한강 경안천 경안수위표 경안천 02 H122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고산리 오포대교 37 22 2.9 127 14 35.7 지류 경안천4  

172 H10803-05 남한강 경안천 경안수위표 목현천 H130 경기도 광주시 탄벌동 회덕교 37 24 40.1 127 15 48.5 지류    

173 H10804-01 남한강 경안천 곤지암천 곤지암천 03 H128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섬들교 37 25 47.9 127 17 27.0 지류 곤지암천  

174 H10805-01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하류 경안천 03 H123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서하리 서하교 37 25 34.7 127 18 47.3 지류 경안천5주요지점/중권역대표

175 H10805-02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하류 신월천 H131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신월교 37 25 33.9 127 18 11.9 지류    

176 H10805-03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하류 엄미천 H132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송백정 (음식점) 앞 다리 37 28 18.5 127 14 26.6 지류    

177 H10805-04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하류 경안천 04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무수리 37 26 12.1 127 18 44.7 지류 경안천6  

178 H10805-05 남한강 경안천 경안천하류 우산천 H133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관음교 37 28 6.3 127 18 59.8 지류    

179 H20101-01R 북한강 평화의댐 평화의댐 북한-소 01   강원도화천군화천면천미리 천미교 38 13 42.0 127 52 37.0 지류    

180 H20101-02 북한강 평화의댐 평화의댐 북한강 02   강원도 화천군 화천면 수하리 평화의댐위 38 12 44.0 127 50 53.0 본류    

181 H20102-01 북한강 평화의댐 평화의댐하류 북한강 06 H135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구만리 구만교 38 5 60.0 127 45 60.0 본류    

182 H20201-01 북한강 춘천댐 건솔리하천 수입-소 01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현리 선안2교 38 12 45.0 127 56 20.0 지류    

183 H20202-01 북한강 춘천댐 수입천하류 수입-소 03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오미리 38 11 21.0 127 54 39.0 지류    

184 H20203-01R 북한강 춘천댐 서천 창리천 02   강원도 양구군 남청리 대암농협 남면 건조 저장시설 38 4 54.0 128 1 49.0 지류    

185 H20203-02 북한강 춘천댐 서천 양구서천 01 H138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정림리 정림교 38 5 57.0 127 59 9.1 지류 양구서천  

Page 12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23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86 H20204-01 북한강 춘천댐 양구서천 양구서-소 03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군량리 본리 공원, 건강원 38 9 8.0 127 56 59.0 지류    

187 H20205-01 북한강 춘천댐 화천댐 간척천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용호리 산호교회앞 38 3 52.0 127 46 54.0 지류    

188 H20206-01 북한강 춘천댐 화천댐하류 풍산천 02   강원도 화천군 화천면 풍산리 호음교 38 7 37.0 127 45 11.0 지류    

189 H20207-01 북한강 춘천댐 화천천 화천천 03 H140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 상리용 신교 38 6 38.6 127 41 52.0 지류 화천천  

190 H20208-01 북한강 춘천댐 춘천댐상류 계성천 01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계성교 38 4 42.0 127 38 58.0 지류    

191 H20209-01 북한강 춘천댐 지촌천 지촌-소 03 H139 강원도 화천군 사북면 오탄리 38 3 11.3 127 31 35.3 지류    

192 H20210-01 북한강 춘천댐 춘천댐 사평천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고탄리 성탄교 37 59 22.0 127 42 47.0 지류    

193 H20211-01 북한강 춘천댐 춘천댐하류 북한강 10 H136 강원도 춘천시 서면 서상 37 56 32.7 127 42 30.5 본류 춘천  

194 H20211-02 북한강 춘천댐 춘천댐하류 북한강 10-1 H137 강원도 춘천시 신매리 신매대교 37 55 19.5 127 43 10.9 본류 춘천-1 중권역대표

195 H20301-01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중류 서화천 H147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 453번 지방도 교차교량, 대곡보 38 15 51.2 128 13 18.8 지류    

196 H20301-02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중류 인북-소 01 H149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심적리 심적중보, 대암산 북동사면 지류 38 15 17.0 128 11 47.0 지류    

197 H20301-03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중류 인북천 05 H154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 서화천, 인북 소 01 합류부 38 16 1.1 128 11 38.6 지류 인북천1  

198 H20301-04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중류 인북-소 02 H150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천도교, 서화초교, 천도리 매봉산측지류

38 13 37.4 128 12 35.3 지류    

199 H20301-05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중류 인북천 06 H155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천도교, 인북 소 02 합류부 38 13 57.2 128 11 58.2 지류    

200 H20302-01 북한강 인북천 북천 북천 01 H144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용대 자연휴양림 매표소앞 38 13 12.2 128 22 8.6 지류    

201 H20302-02 북한강 인북천 북천 영실천 02 H148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북천 합류부 38 11 32.9 128 21 14.2 지류    

202 H20302-03 북한강 인북천 북천 북천 02 H145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구만교, 영실천 합류부 38 11 42.7 128 20 13.7 지류    

203 H20302-04R 북한강 인북천 북천 한계천 01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장수대 매표소 앞 38 7 1.0 128 19 19.0 지류    

204 H20302-05 북한강 인북천 북천 북천 04 H146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어두원교, 북천 지자체 수질관측소 38 8 5.5 128 13 59.4 지류 북천  

205 H20303-01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인북-소 03 H151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38 11 32.9 128 12 34.1 지류    

206 H20303-02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인북천 07 H156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서흥 양수장, 인북-소 03합류부,인북(지방1) 합류 상류

38 11 54.0 128 12 31.6 지류    

207 H20303-03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인북천 03 H153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합강리 빙스턴교 상류부, 인북천 2 환경부수질관측소 38 5 15.6 128 10 58.2 지류 인북천2 중권역대표

208 H20303-04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가아-소 01 H141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38 8 29.2 128 8 50.7 지류    

209 H20303-05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가아천 01 H142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가아리 다소교, 가아-소 01 합류부 38 8 15.7 128 8 43.3 지류    

210 H20303-06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가아천 02 H143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인북천 합류부 38 7 20.5 128 10 14.5 지류    

211 H20303-07 북한강 인북천 인북천하류 인북-소 05 H152 강원도 인제군 북면 38 5 17.5 128 11 51.8 지류    

212 H20401-01 북한강 소양강 내린천상류 내린-소 01 H157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 내린천-소하천 합류부 37 49 34.2 128 21 36.3 지류    

213 H20402-01R 북한강 소양강 방내천 방내천 01   강원도홍천군내면율전리율전1교 37 46 15.0 128 17 48.0 지류    214 H20402-02 북한강 소양강 방내천 방내-소 01 H158 강원도 홍천군 내면 방내리 37 48 25.1 128 15 46.6 지류    

215 H20402-03 북한강 소양강 방내천 상남천 01 H162 강원도 홍천군 상남면 상남리 상남7교 37 53 11.7 128 13 53.3 지류    

216 H20403-01 북한강 소양강 내린천하류 내린-소 02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미산리 37 52 27.0 128 19 16.0 지류    

217 H20404-01 북한강 소양강 방태천 방태-소 01 H159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쇠나드리 방태천-소하천 합류부 38 1 4.1 128 28 27.3 지류    

218 H20404-02 북한강 소양강 방태천 방태-소 02 H160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 방태천-소하천 합류부 37 58 49.8 128 27 14.3 지류    

219 H20404-03 북한강 소양강 방태천 방태-소 03 H161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 37 57 39.3 128 24 24.6 지류    

220 H20405-01 북한강 소양강 소양강상류 소양강 12 H166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고사리 고사리 쉼터부근 (상류쪽) 38 2 32.1 128 12 26.4 지류 내린천2  

221 H20405-02 북한강 소양강 소양강상류 소양강 11 H165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 하추교 (공사중) 38 0 29.1 128 14 23.4 지류 내린천1  

- 224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222 H20406-01 북한강 소양강 양구교수위표 소양강 02 H163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38 3 8.2 128 9 59.8 지류 소양강1  

223 H20407-01 북한강 소양강 소양강댐 조교천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조교리 조교2교 (하류쪽) 37 56 27.0 127 56 42.0 지류    

224 H20408-01 북한강 소양강 소양강댐하류 소양강 07 H164 강원도 인제군 신북면 천천리 세월교 37 55 40.3 127 47 26.0 지류 소양강2  

225 H20501-01 북한강 의암댐 공지천 공지천 H170 강원도 춘천시 온의동 공지교 37 52 7.6 127 43 27.2 지류 공지천1  

226 H20502-01 북한강 의암댐 의암댐 북한강 11 H171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 수질관측소 37 53 20.3 127 43 1.9 본류    

227 H20502-02 북한강 의암댐 의암댐 북한강 12 H172 강원도 춘천시 낙원동 공지천교 37 52 26.0 127 42 38.6 본류 공지천2  

228 H20503-01 북한강 의암댐 팔미천 팔미천 02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팔미리 팔미교 37 48 57.0 127 42 14.0 지류    

229 H20504-01 북한강 의암댐 가평수위표 북한강 17 H173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의암리 의암교 37 49 45.6 127 40 35.8 본류 의암  

230 H20504-02 북한강 의암댐 가평수위표 북한강 19 H174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 가마교 37 44 30.2 127 30 39.5 본류    

231 H20505-01R 북한강 의암댐 가평천상류 석룡천   경기도가평군북면 적목리 석충천 유원지 내 37 59 15.0 127 26 50.0 지류    232 H20505-02 북한강 의암댐 가평천상류 가평천 01 H167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명화교 37 55 43.2 127 29 39.0 지류 가평천1  

233 H20506-01 북한강 의암댐 가평천하류 가평천 04 H168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 37 53 0.7 127 32 53.1 지류 가평천2  

234 H20506-02 북한강 의암댐 가평천하류 가평천 07 H169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37 49 53.9 127 31 3.6 지류 가평천3  

235 H20507-01 북한강 의암댐 청평댐상류 달전천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진양교 (진양마을 입구) 37 48 33.0 127 28 30.0 지류    

236 H20601-01 북한강 홍천강 내촌천상류 내촌천 03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풍암리 풍앙교 37 43 31.0 128 10 16.0 지류    

237 H20602-01 북한강 홍천강 내촌천하류 내촌천 08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북창교 37 48 2.0 127 59 32.0 지류    

238 H20603-01 북한강 홍천강 홍천강상류 홍천강 02 H176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 철정교 37 48 18.5 127 59 34.7 지류 화양강  

239 H20604-01 북한강 홍천강 화촌수위표 성산천 02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 성산천-홍천강 합류부 37 46 11.0 127 58 23.0 지류    

240 H20605-01 북한강 홍천강 군업천 군업천 02   강원도홍천군화촌면내삼포리 군업천 -홍천강 합류부 37 44 58.0 127 57 48.0 지류    

241 H20606-01 북한강 홍천강 덕치천합류점 풍천 02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송정리 신내교 37 44 50.0 127 56 47.0 지류    

242 H20607-01 북한강 홍천강 덕치천 덕치천 03   강원도 홍천군 홍천면 지리 덕치교 37 42 4.0 127 54 40.0 지류    

243 H20608-01 북한강 홍천강 홍천수위표 홍천강 05 H177 강원도 홍천군 홍천면 희망리 홍천교 37 41 15.1 127 52 45.7 지류 홍천강1  

244 H20609-01 북한강 홍천강 성동천 성동천 03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중화계리 성동천교 37 42 10.0 127 51 7.0 지류    

245 H20610-01R 북한강 홍천강 양덕원천합류점 굴지천   강원도홍천군북방면역전평리본궁교 37 43 42.0 127 47 50.0 지류    

246 H20610-02 북한강 홍천강 양덕원천합류점 홍천강 07   강원도 홍천군 남면 남로일리 홍천강-양덕원천 37 40 1.0 127 46 5.0 지류    

247 H20611-01 북한강 홍천강 양덕원천 양덕원천 03   강원도 홍천군 남면 남로일리 양덕원천-홍천강 합류부 37 39 49.3 127 45 56.8 지류    

248 H20612-01 북한강 홍천강 서면수위표 홍천강 08 H178 강원도 홍천군 서면 여유포 팔봉산 유원지 (유기농 생태마을 안) 37 41 57.4 127 41 57.1 지류 홍천강2  

249 H20613-01 북한강 홍천강 중방대천 중방대천 02   강원도 홍천군 서면 중방대리 오곡2교 37 40 31.0 127 36 28.0 지류    

250 H20614-01 북한강 홍천강 홍천강하류 길곡천 H175 강원도 홍천군 서면 길곡리 길곡교 37 41 12.8 127 36 14.0 지류    

251 H20614-02 북한강 홍천강 홍천강하류 홍천강 10 H179 강원도 홍천군 서면 마곡리 추곡천 합류부 37 40 32.6 127 36 32.8 지류 홍천강6 중권역대표

252 H20701-01 북한강 청평댐 미원천 미원천 02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장돌교 37 41 4.0 127 29 18.0 지류    

253 H20702-01 북한강 청평댐 청평댐 송산천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송산리 송산교 37 41 10.0 127 31 20.0 지류    

254 H20703-01 북한강 청평댐 조종천상류 조종천 01 H182 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 운악교 37 51 46.0 127 21 8.0 지류 조종천1  

255 H20703-02 북한강 청평댐 조종천상류 봉수천 H181 경기도 가평군 상면 봉수리 물곡 2교 37 49 57.0 127 18 49.0 지류    

256 H20704-01 북한강 청평댐 조종천하류 조종천 02 H183 경기도 가평군 하면 대보리 대보교 37 47 41.6 127 22 14.0 지류 조종천2  

257 H20704-02 북한강 청평댐 조종천하류 조종천 04 H184 경기도 가평군 외서면 청평리 수질관측소 37 43 43.2 127 24 28.9 지류 조종천3  

258 H20705-01 북한강 청평댐 구운천 구운천 02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송천리 신촌교 37 41 38.0 127 20 32.0 지류    

Page 12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25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259 H20706-01 북한강 청평댐 청평댐하류 북한강 25 H180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삼봉리 37 34 33.7 127 20 10.2 본류 삼봉리주요지점/중권역대표

260 H20707-01 북한강 청평댐 사기막천 벽계천 02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명달리노문교 37 38 26.0 127 25 54.0 지류    

261 H20708-01 북한강 청평댐 북한강하류 묵현천 02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면 창현리 제1금남교 37 37 57.0 127 21 4.0 지류 묵현천  

262 H30101-01 한강 팔당댐 팔당댐 한강 22 H185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 팔당댐앞, 환경부 수질관측소 37 31 26.1 127 16 31.3 본류 팔당댐앞 중권역대표

263 H30201-02 한강 한강서울 팔당댐하류 산곡천 H195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37 32 10.4 127 13 49.0 지류 산곡천  

264 H30201-03 한강 한강서울 팔당댐하류 덕풍천 H189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 37 32 44.4 127 13 12.1 지류 덕풍천  

265 H30201-04 한강 한강서울 팔당댐하류 도심천 H191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제1도곡교, 우성아파트 인근 37 34 29.6 127 13 10.1 지류 도심천  

266 H30201-05 한강 한강서울 팔당댐하류 월문천 H211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37 34 48.8 127 13 4.0 지류 월문천  

267 H30201-06 한강 한강서울 팔당댐하류 덕소천 H188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덕소교, 덕소IC 부근 우송그린아파트 37 35 10.2 127 12 28.2 지류 덕소천  

268 H30201-07 한강 한강서울 팔당댐하류 홍릉천 H229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37 35 30.0 127 10 59.7 지류 홍릉천  

269 H30202-01 한강 한강서울 퇴계원수위표 진목천 H219 경기도 포천 시내촌면 37 47 29.0 127 12 50.0 지류    

270 H30202-02 한강 한강서울 퇴계원수위표 진벌천 H220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37 44 30.0 127 12 8.0 지류    

271 H30202-03 한강 한강서울 퇴계원수위표 왕숙천 03 H205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37 42 1.0 127 10 17.0 지류 왕숙천1  

272 H30202-04 한강 한강서울 퇴계원수위표 왕숙천 04 H206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37 39 33.0 127 9 8.0 지류 왕숙천2  

273 H30202-05 한강 한강서울 퇴계원수위표 용정천 H209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37 40 36.0 127 10 19.0 지류    

274 H30203-01 한강 한강서울 왕숙천 왕숙천 05 H207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 37 36 2.0 127 9 10.0 지류 왕숙천3  

275 H30203-02 한강 한강서울 왕숙천 왕숙천 06 H208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37 35 22.2 127 9 59.9 지류 왕숙천4  

276 H30204-01 한강 한강서울 탄천상류 정평천 H214 경기도 용인시 풍덕천동 37 19 3.6 127 5 22.9 지류    

277 H30204-02 한강 한강서울 탄천상류 탄천 01 H224 경기도 용인시 죽전동 37 19 36.8 127 6 40.3 지류 탄천1  

278 H30204-03 한강 한강서울 탄천상류 탄천 02 H225 경기도 성남시 구미동 37 20 22.2 127 7 12.3 지류 탄천2  

279 H30204-04 한강 한강서울 탄천상류 분당천 H194 경기도 성남시 수내동 37 22 42.4 127 7 14.4 지류    

280 H30205-01 한강 한강서울 성남수위표 야탑천 H203 경기도 성남시 야탑동 37 24 27.7 127 7 30.2 지류    

281 H30205-02 한강 한강서울 성남수위표 탄천 03 H226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사송동 여수대교 37 25 7.7 127 7 9.8 지류 탄천3  

282 H30205-03 한강 한강서울 성남수위표 탄천 04 H227 서울시 송파구 장지동 37 27 59.1 127 7 29.7 지류 탄천4  

283 H30206-01 한강 한강서울 탄천하류 막계천 H192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 37 26 43.0 127 0 28.0 지류    

284 H30206-02 한강 한강서울 탄천하류 양재천 02 H204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 37 29 41.6 127 4 33.0 지류 양재천  

285 H30206-03 한강 한강서울 탄천하류 탄천 05 H228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37 30 23.6 127 4 13.0 지류 탄천5  

286 H30207-01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합류점 고덕천 H186 서울시 강동구 하일동 37 33 42.0 127 10 23.7 지류 고덕천  

287 H30207-02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합류점 성내천 H196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37 31 17.5 127 7 6.9 지류 성내천  

288 H30208-01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상류 유양천 H212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 37 46 49.0 127 2 52.0 지류    

289 H30208-02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상류 중랑천 05 H218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37 44 9.0 127 3 19.0 지류 중랑천1  

290 H30209-01 한강 한강서울 청계천 성북천 H197 서울시 성북구 안암3가 37 34 44.8 127 1 27.7 지류 성북천  

291 H30209-02 한강 한강서울 청계천 정릉천 01 H213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7 36 0.0 127 2 25.0 지류 정릉천  

292 H30209-03 한강 한강서울 청계천 청계천 01 H221 서울시 동대문 용두동 37 34 11.4 127 1 48.9 지류 청계천2  

293 H30209-04 한강 한강서울 청계천 청계천 02 H222 서울시 성동구 송정동 37 33 8.0 127 3 8.0 지류 청계천3  

294 H30209-05 한강 한강서울 청계천 청계천 03 H223 서울시 성동구 용답동 37 34 8.7 126 58 45.2 지류 청계천1  

295 H30210-01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하류 중랑천 01 H215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 37 40 35.0 127 3 6.0 지류 중랑천2  

- 226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296 H30210-02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하류 우이천 H210 서울시 강북구 번동 37 37 19.0 127 3 7.0 지류 우이천  

297 H30210-03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하류 중랑천 03 H216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 37 34 53.0 127 4 39.0 지류 중랑천3  

298 H30210-04 한강 한강서울 중랑천하류 중랑천 04 H217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1가 37 32 44.0 127 1 57.0 지류 중랑천4  

299 H30211-01 한강 한강서울 한강대교수위표 반포천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37 29 58.8 126 59 9.0 지류    

300 H30212-01 한강 한강서울 홍제천합류점 한강 33 H199 서울시 마포구 망원동 37 33 9.9 126 53 45.0 본류 영등포 중권역대표

301 H30213-01 한강 한강서울 홍제천 홍제천 H230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37 33 39.0 126 54 17.0 지류 홍제천  

302 H30214-01 한강 한강서울 안양천상류 안양천 04 H200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 37 21 54.5 126 57 7.8 지류 안양천1  

303 H30215-01 한강 한강서울 안양천중류 안양천 05 H201 경기도 안양시 안양동 37 23 44.2 126 55 59.7 지류 안양천2  

304 H30215-02 한강 한강서울 안양천중류 안양천 06 H202 경기도 안양시 박달동 37 25 42.5 126 54 5.1 지류 안양천3  

305 H30215-03 한강 한강서울 안양천중류 안양천 02 H198 서울시 강서구 염창동 37 29 49.0 126 52 17.0 지류 안양천4  

306 H30216-01 한강 한강서울 안양천하류 목감천 02 H193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37 29 23.7 126 52 9.4 지류 목감천  

307 H30216-02 한강 한강서울 안양천하류 도림천 01 H190 서울시 구로구 심도림동 37 29 11.7 126 55 3.9 지류 도림천  

308 H30301-01 한강 한강고양 창릉천 창릉천 01 H239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 덕수교 37 38 65.0 126 53 58.0 지류 창릉천1  

309 H30301-02 한강 한강고양 창릉천 창릉천 02 H240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창릉동 삼송교 37 37 55.0 126 52 36.0 지류 창릉천2  

310 H30301-03 한강 한강고양 창릉천 창릉천 03 H24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창릉교 37 35 49.0 126 51 1.0 지류 창릉천3  

311 H30302-01 한강 한강고양 행주대교수위표 한강 34   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한강타운 가양대교 하류 (영등포공고) 37 34 10.0 126 51 9.0 본류 가양  

312 H30303-01 한강 한강고양 굴포천 굴포천 01 H235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 중동대로 고가 옆길 37 31 23.7 126 45 41.7 지류 굴포천1  

313 H30303-02 한강 한강고양 굴포천 굴포천 02 H236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오곡리 박촌교 37 32 18.7 126 45 47.8 지류 굴포천2  

314 H30303-03 한강 한강고양 굴포천 굴포천 03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전호리 굴포교 37 35 33.0 126 46 59.0 지류 굴포천3  

315 H30304-01 한강 한강고양 계양천 한강 35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 행주대교 행주대교 교각 밑 37 36 6.0 126 48 44.0 본류 행주  

316 H30305-01 한강 한강고양 곡릉천상류 석현천 H238 경기도 양주시 일영리 일영유원지 입구 200 m 상류 37 41 51.0 126 56 10.0 지류    

317 H30305-02 한강 한강고양 곡릉천상류 곡릉천 04 H233 경기도 양주시 삼상리 정자교 37 41 31.0 126 55 56.0 지류    

318 H30305-03 한강 한강고양 곡릉천상류 곡릉천 05 H234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제2 벽제교 37 41 28.0 126 51 23.0 지류 곡릉천1  

319 H30306-01 한강 한강고양 곡릉천하류 곡릉천 01 H231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지영동 지영교 37 43 16.0 126 50 31.0 지류    

320 H30306-02 한강 한강고양 곡릉천하류 곡릉천 02 H232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대원리 봉일천교 37 44 16.0 126 48 28.0 지류 곡릉천2  

321 H30306-03 한강 한강고양 곡릉천하류 곡릉천 03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교하리 곡릉천교 37 45 31.0 126 43 58.0 지류 곡릉천3  

322 H30307-01 한강 한강고양 임진강합류점 한강 38 H237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산남리 남습지, 출판단지 북쪽 37 38 32.3 126 42 49.2 본류 파주 중권역대표

323 H30401-01 한강 임진강상류 군남수위표 임진강 03 H242 경기도 연천군 왕등면 진상리 임진교 38 3 15.0 127 1 0.0 지류 임진강1 중권역대표

324 H30402-01 한강 임진강상류 한탄강합류점 황공천 02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우정리 무명 다리 38 2 30.0 127 0 35.0 지류    

325 H30501-01 한강 임진강하류 적성수위표 임진강 05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노곡리 비횽대교 37 59 21.0 126 55 9.0 지류 임진강2  

326 H30502-01 한강 임진강하류 사미천 사미천 02 H249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사미천교 38 0 2.0 126 52 50.0 지류    

327 H30503-01 한강 임진강하류 눌노천합류점 임진강 07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하포리 군부대 통제 37 55 55.0 126 49 42.0 지류 임진강3 민통선

328 H30503-02 한강 임진강하류 눌노천합류점 눌노천 02 H243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덕천리 덕천교 37 54 34.0 126 53 47.0 지류    

329 H30504-01 한강 임진강하류 문산천합류점 임진강 09 H246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 문산천 합류부 37 54 25.0 126 49 27.0 지류 임진강4 주요지점,중권역대표

330 H30505-01 한강 임진강하류 문산천상류 문산천 04 H247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마장교 37 46 26.0 126 54 40.0 지류    

331 H30505-02 한강 임진강하류 문산천상류 문산천 05 H248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방축리 광탄교(방축사거리) 37 48 15.0 126 51 6.0 지류 문산천1  

332 H30506-01 한강 임진강하류 문산천하류 문산천 01 H244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월롱 주원교 37 47 52.0 126 49 41.0 지류    

Page 12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27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33 H30506-02 한강 임진강하류 문산천하류 문산천 02 H245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능산리 아가메교 37 49 8.0 126 47 6.0 지류 문산천2  

334 H30506-03 한강 임진강하류 문산천하류 문산천 03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임월교 37 51 31.0 126 46 35.0 지류 문산천3  

335 H30507-01 한강 임진강하류 임진강하류 만우천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만우리 37 49 42.6 126 42 9.8 지류    

336 H30601-01 한강 한탄강 남대천 김화 남대천 01 H251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 운장리 운장리 검문소 전 농로 -> 둑 38 16 2.0 127 27 14.0 지류    

337 H30601-02 한강 한탄강 남대천 사곡-소 01 H257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 잠곡 1교 38 13 31.0 127 29 1.0 지류    

338 H30601-03 한강 한탄강 남대천 와수천 02 H267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와수리 구변교 38 13 36.5 127 25 58.1 지류    

339 H30601-04 한강 한탄강 남대천 김화 남대천 02 H252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김화교 38 14 47.0 127 25 2.0 지류    

340 H30601-05 한강 한탄강 남대천 김화 남대천 03 H250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청양리 장수 대교 38 14 34.0 127 22 30.0 지류 김화남대천  

341 H30602-01R 한강 한탄강 대교천합류점 한탄강 03   강원 철원 갈말 상사리 와동교 38 14 57.0 127 17 9.0 지류  

342 H30602-02 한강 한탄강 대교천합류점 대교천 02 H253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장흥리 봉우교 38 10 41.0 127 16 10.0 지류    

343 H30603-01 한강 한탄강 한탄강수위표 한탄강 05 H274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사정리 근홍교 38 7 17.0 127 16 13.0 지류 한탄강1  

344 H30603-02 한강 한탄강 한탄강수위표 문혜천 02 H256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성토교 38 8 36.5 127 17 40.5 지류    

345 H30604-01 한강 한탄강 영평천합류점 건지천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중리 중리 1교 38 6 19.0 127 12 34.0 지류    

346 H30605-01 한강 한탄강 영평천상류 영평천 01 H262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평리 양평교 38 0 25.0 127 12 58.0 지류    

347 H30605-02 한강 한탄강 영평천상류 영평천 02 H263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백의리 신백의교 38 0 55.0 127 8 36.0 지류 영평천  

348 H30605-03 한강 한탄강 영평천상류 도평천 H254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제2도평교 38 3 32.0 127 23 16.0 지류    

349 H30605-04 한강 한탄강 영평천상류 영평천 03 H264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영평천-도평천 합류부 38 3 26.0 127 23 18.0 지류 영평천1  

350 H30605-05 한강 한탄강 영평천상류 영평-소 01 H261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문바위 유원지위 38 2 54.0 127 23 9.0 지류    

351 H30605-06 한강 한탄강 영평천상류 영평천 04 H265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사직리 삼팔교 37 59 57.0 127 18 41.0 지류    

352 H30606-01 한강 한탄강 수입천 수입천 02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수입리 수입교 37 59 18.0 127 19 19.0 지류    

353 H30607-01 한강 한탄강 포천천상류 포천천 01 H272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하송우리 가산교 37 50 2.0 127 9 29.0 지류    

354 H30608-01 한강 한탄강 포천천하류 명덕천 01 H255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명덕리 명덕교 37 53 56.0 127 16 41.0 지류    

355 H30608-02 한강 한탄강 포천천하류 포천천 05 H273 경기도 포천시 영증면 양문리 은현교 37 59 59.0 127 14 24.0 지류 포천천  

356 H30609-01 한강 한탄강 영평천하류 영평천 05 H266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 영중교 38 0 55.0 127 14 59.0 지류 영평천3  

357 H30610-01 한강 한탄강 신천상류 신천 02   경기도양주시은현면 은현교 37 51 54.0 127 1 31.0 지류    

358 H30610-02 한강 한탄강 신천상류 신천 03 H258 경기도 양주시 회천동 3번도로 용암리 방향 소래교 37 51 38.0 127 2 38.0 지류 신천1  

359 H30611-01 한강 한탄강 청담천 청담천 H271 경기도 양주시 회천2동 회정교 37 50 37.0 127 3 35.0 지류    

360 H30612-01 한강 한탄강 신천하류 신천 04 H259 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 선업교 37 54 1.0 127 3 1.0 지류 신천2  

361 H30612-02 한강 한탄강 신천하류 신천 06 H260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대전리 대전교 38 0 17.0 127 4 41.0 지류 신천3  

362 H30613-01 한강 한탄강 차탄천 차탄천 01 H268 경기도 연천군 중면 옥산리 대광교 38 10 19.0 127 5 57.0 지류    

363 H30613-02 한강 한탄강 차탄천 차탄천 02 H269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 옥산 2교 38 5 38.0 127 5 0.0 지류    

364 H30613-03 한강 한탄강 차탄천 차탄천 03 H270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왕림리 왕림 1교 38 2 35.0 127 3 27.0 지류 차탄천  

365 H30614-01 한강 한탄강 한탄강하류 한탄강 08 H275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궁평리 (포천-연천 사이) 궁신교 38 2 25.0 127 6 25.0 지류 한탄강2  

366 H30614-02 한강 한탄강 한탄강하류 한탄강 09 H276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고탄교 38 1 51.0 127 4 8.0 지류 한탄강3  

367 H30614-03 한강 한탄강 한탄강하류 한탄강 10 H277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남계리 창고 옆 38 1 0.0 127 1 47.0 지류 한탄강3-1 중권역대표

368 H30701-01 한강 한강하류 한강하류 개화천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개곡리 개곡교 37 44 2.0 126 36 0.0 지류    

369 H40101-02 안성천 안성천 안성천상류 안성천 12 H281 경기도 안성시 현수동 37 0 4.2 127 16 13.2 기타 안성천1  

370 H40102-01 안성천 안성천 고삼댐 고당천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37 9 12.0 127 18 50.0 기타    

- 228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71 H40103-01 안성천 안성천 한천 한천 02   경기도 용인시 고삼대갈리 37 3 47.0 127 15 42.0 기타    

372 H40104-01 안성천 안성천 청룡천 청룡천 02   경기도 안성시 리양 36 58 15.0 127 11 18.0 기타    

373 H40105-01 안성천 안성천 입장천 입장천 02 H287 충남 천안시 성환민궁2 36 57 41.8 127 8 31.3 기타 입장천  

374 H40106-01 안성천 안성천 평택수위표 유천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36 58 57.0 127 10 20.0 기타    

375 H40107-01 안성천 안성천 성환천 성환천 02 H278 충남 천안 시성환 36 57 2.6 127 7 31.7 기타 성환천  

376 H40108-01 안성천 안성천 진위천합류점 도일천   경기도 평택시 도일동 37 2 33.0 127 6 5.0 기타    

377 H40109-01 안성천 안성천 이동댐 용덕사천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37 11 0.0 127 12 29.0 기타    

378 H40110-01 안성천 안성천 기흥댐 수원천 H279 경기도 용인시 기흥 37 15 50.3 127 8 12.7 기타    

379 H40110-02 안성천 안성천 기흥댐 오산천 04 H286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갈리 37 16 6.5 127 6 40.8 기타    

380 H40111-01 안성천 안성천 오산천 오산천 01 H282 경기도 용인시 기흥시 388 지방도 교차점 37 13 11.4 127 5 44.7 기타 오산천1  

381 H40111-02 안성천 안성천 오산천 오산천 02-1 H284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석우리 석우교 37 11 59.1 127 5 16.1 기타 오산천4  

382 H40111-03 안성천 안성천 오산천 신리천 H309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37 52 59.9 128 46 19.0 기타    

383 H40111-04 안성천 안성천 오산천 오산천 02 H283 경기도 오산시 두곡동 37 9 28.3 127 4 36.8 기타 오산천2  

384 H40111-05 안성천 안성천 오산천 오산천 03 H285 경기도 평택시 서탄금 암리 37 6 7.9 127 3 3.7 기타 오산천3  

385 H40112-01 안성천 안성천 황구지천상류 황구지천 01 H290 경기도 수원시 대황교 37 13 25.5 127 1 33.2 기타 황구지천1  

386 H40113-01 안성천 안성천 황구지천하류 황구지천 02 H291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고지리 37 10 0.4 126 59 50.7 기타 황구지천2  

387 H40113-02 안성천 안성천 황구지천하류 황구지천 03 H292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회화리 37 7 11.0 127 0 6.1 기타 황구지천3  

388 H40114-01 안성천 안성천 동연교수위표 진위천 06 H289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봉남리 37 5 38.4 127 5 30.7 기타 진위천1  

389 H40114-02 안성천 안성천 동연교수위표 진위천 02 H288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 회화리 37 5 13.2 127 0 14.8 기타 진위천2  

390 H40115-01 안성천 안성천 진위천 진위천 03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37 1 24.0 127 0 16.0 기타 진위천3  

391 H40116-01 안성천 안성천 아산방조제상류 안성천 05 H280 경기도 평택시 오성 길음 36 58 47.3 126 58 29.6 기타    

392 H40117-01 안성천 안성천 둔포천 명포천   충남 아산시 둔포면 36 55 4.0 127 0 29.0 기타    

393 H40118-01 안성천 안성천 아산방조제 아산천   충남 아산시 영인면 36 53 13.0 126 56 3.0 기타    

394 H50119-01 기타 한강서해 포내천 포내천   경기도 김포시 동진 웅정리 포내2교 (통진 휴게소 옆) 37 43 6.0 126 32 6.0 기타    

395 H50120-01 기타 한강서해 검단천 승기천   인천시 남동둔춘동 남동대교 (연수사거리) 37 24 22.0 126 41 12.0 기타    

396 H50121-01 기타 한강서해 장수천 은행천   경기도 시흥시 안현동 무명 다리 37 25 17.0 126 48 26.0 기타    

397 H50122-01 기타 한강서해 상동암천 선행천 H294 인천시 강화군 선원 창리 남창교 (희년빌딩 옆) 37 43 58.0 126 29 26.0 기타 선행천 중권역대표

398 H50123-01 기타 한강서해 삼흥천 내가천 H293 인천시 강화군 내가 고천리 내가교 버스 승강장 37 43 33.7 126 23 26.8 기타 내가천  

399 H50201-01 기타 시화호 화정천 안산천   경기도 안산시 이동 37 18 53.1 126 50 32.8 기타    

400 H50202-01 기타 시화호 반월천 반월천 H296 경기도 안산시 상록본오 37 16 45.1 126 53 9.3 기타 반월천  

401 H50203-01 기타 시화호 자안천 무봉천   경기도 화성시 온석동 37 9 55.0 126 50 27.1 기타    

402 H50204-01 기타 시화호 남양방조제 발안-소 02 H297 경기도 화성시 장안독정 37 3 28.8 126 52 29.2 기타    

403 H50204-02 기타 시화호 남양방조제 발안천 03 H295 경기도 화성시 장안독정 37 4 22.7 126 53 0.3 기타    

404 H50301-01 기타 양양남대천 자산천 자산천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38 26 16.0 128 25 29.0 기타    

405 H50302-01 기타 양양남대천 북천 북천 02 H298 강원도 고성군 간성 대대리 교동천 합류부, 간성북천 지자체 수질관측소

38 23 13.9 128 27 37.3 기타 간성북천  

406 H50303-01 기타 양양남대천 남천 천진천   강원도 고성군 토성 38 15 32.0 128 33 5.0 기타    

407 H50304-01 기타 양양남대천 청초천 쌍천 01 H299 강원도 속초시 설악 신흥사앞 쌍-소 01 합류부 38 10 6.2 128 31 54.5 기타    

Page 12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29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408 H50305-01 기타 양양남대천 후천 후천 01 H303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 후-소 01 합류부, 황이 1 보 상류부 37 54 47.7 128 29 59.3 기타    

409 H50306-01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8 H302 강원도 양양군 서면 도리 양양남대천 (지방 1) 합류부 38 0 24.4 128 37 45.5 기타    

410 H50306-02R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1   강원도 양양군 서면 손양리 38 0 48.0 128 37 30.0 기타    

411 H50306-03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2 H300 강원도 양양군 서면 범부리 용천 지자체 수질관측소 38 3 17.8 128 36 27.4 기타 용천  

412 H50306-04 기타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양양남대천 03 H301 강원도 양양군 손양 월리간리 양양 지자체 수질관측소 38 4 29.8 128 37 50.5 기타 양양 중권역대표

413 H50307-01 기타 양양남대천 상운천 상운천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38 2 8.0 128 41 13.0 기타    

414 H50401-01 기타 강릉남대천 연곡천 연곡천 01 H314 강원도 강릉시 연곡 삼산리 소금강펜션 앞 (마야교) 37 50 49.1 128 41 12.3 기타    

415 H50401-02 기타 강릉남대천 연곡천 연곡-소 01 H313 강원도 강릉시 연곡 퇴곡리 소금강교 (매표소앞) 37 50 46.5 128 42 19.8 기타    

416 H50401-03 기타 강릉남대천 연곡천 신왕천 H310 강원도 강릉시 연곡 신왕리 마암교 (마암터) 37 49 41.6 128 46 29.3 기타    

417 H50402-01 기타 강릉남대천 사천천 사천천 03   강원도 강릉시 사천 사천진리 하평교 37 49 49.0 128 52 31.0 기타    

418 H50403-01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오봉)댐 도마천 02   강원도 강릉시 왕산 도마리 새재교 37 40 57.0 128 49 36.0 기타    

419 H50404-01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02 H304 강원도 강릉시 성산 오봉 구산교 상방 37 42 46.6 128 49 54.4 기타 쌍촌  

420 H50404-02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03 H305 강원도 강릉시 강릉 내곡동 내곡교 37 44 50.8 128 53 12.8 기타 강릉  

421 H50404-03 기타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강릉남대천 04 H306 강원도 강릉시 강릉 포남동 포남교 (공사중) 37 45 52.0 128 54 43.5 기타 포남 중권역대표

422 H50405-01 기타 강릉남대천 군선천 군선천 01 H307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덕현 가둔지1교 37 41 32.8 128 55 51.6 기타    

423 H50406-01 기타 강릉남대천 주수천 남양천 H308 강원도 강릉시 옥계 남양리 남양1교 37 34 29.7 129 1 0.4 기타    

424 H50406-02 기타 강릉남대천 주수천 주수천 02 H315 강원도 강릉시 옥계 주수리 주수교 37 36 22.7 129 2 3.2 기타 주수천  

425 H50407-01 기타 강릉남대천 전천 신흥천 01 H311 강원도 동해시신흥동 서학교 37 30 50.0 129 1 28.0 기타 전천  

426 H50407-02 기타 강릉남대천 전천 신흥천 02 H312 강원도 동해시신흥동 삼척김씨 효열문 (신흥마을 입간판) 37 30 46.0 129 1 35.0 기타 달방천  

427 H50501-01 기타 삼척오십천 삼척오십천상류 삼척오십천 04   강원도 삼척시 도계 도계 늑구교, SK 주유소 37 15 2.2 129 3 40.4 기타    

428 H50502-01 기타 삼척오십천 삼천오십천하류 삼척오십천 05 H319 강원도 삼척시 도계 하고사 고사리 양수장, 하고사리역 37 16 43.0 129 3 54.0 기타 고사  

429 H50502-02 기타 삼척오십천 삼천오십천하류 삼척오십천 08 H320 강원도 삼척시 미로 하정 하정2교 37 23 25.0 129 6 18.0 기타 미로  

430 H50502-03 기타 삼척오십천 삼천오십천하류 삼척오십천 02 H317 강원도 삼척시 남양 엑스포교, 삼척시립미술박물관 37 26 8.0 129 9 28.0 기타 삼척  

431 H50502-04 기타 삼척오십천 삼천오십천하류 삼척오십천 03 H318 강원도 삼척시 정라 삼척교 37 25 46.0 129 10 53.0 기타 사직 중권역대표

432 H50503-01 기타 삼척오십천 마읍천 교곡천   강원도 삼척시 근덕 교곡 교곡교, 삼척예비군훈련장 37 21 51.5 129 12 22.5 기타    

433 H50504-01 기타 삼척오십천 호산천 호산천 01   강원도 삼척시 원덕 이천 원덕상수원 보호구역 표지판 37 11 40.5 129 18 28.4 기타    

434 H50505-01R 기타 삼척오십천 가곡천 가곡-소 02   강원 삼척 가곡 오저 오저1교 37 9 1.0 129 12 14.7 기타    

435 H50505-02 기타 삼척오십천 가곡천 가곡천 04 H316 강원도 삼척시 원덕 월천 월천교 37 9 2.0 129 20 35.0 기타 가곡천  

- 230 -

No. 분류코드 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 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 N10101-01R 낙동강 안동댐 황지천 황지천 01   강원도태백시화전동 38번 국도 추전제2터널 인근 37 12 11.0 128 57 6.0 본류    

2 N10101-02 낙동강 안동댐 황지천 황지천 05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 장성여자실업고교 인근 37 6 1.0 129 1 36.0 본류 황지1  

3 N10101-03 낙동강 안동댐 황지천 황지천05-1 N003 강원 태백시 동점동 동점역앞 자개문교 37 5 37.7 129 2 22.9 본류    

4 N10101-04 낙동강 안동댐 황지천 철암천02   강원도 태백시 철암동 철암배수지 인근 37 7 31.0 129 2 49.0 지류 철암천  

5 N10101-05 낙동강 안동댐 황지천 철암천 02-1 N004 강원 태백시 동점동 혈내촌앞/동점교 하류 200 m 지점 37 5 47.5 129 2 50.9 지류    

6 N10101-06 낙동강 안동댐 황지천 낙동강01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37 4 9.0 129 3 23.0 본류 황지2  

7 N10102-01 낙동강 안동댐 낙동강상류 골포천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전곡리 교량 36 58 22.0 129 6 41.0 지류    

8 N10103-01 낙동강 안동댐 소천수위표 낙동강05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암돌교 인근 36 56 23.0 129 1 20.0 본류 봉화  

9 N10104-01 낙동강 안동댐 현동천 현동천03 N005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36 56 41.6 129 0 20.0 지류    

10 N10105-01 낙동강 안동댐 재산천합류점 덕신천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두음리 36 54 55.0 129 0 52.0 지류    

11 N10106-01 낙동강 안동댐 운곡천합류점 재산천01   경상북도 봉화군 제산면 현동리 36 48 7.0 128 58 14.0 지류    

12 N10107-01 낙동강 안동댐 운곡천 운곡천06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도천리 36 52 19.0 128 54 48.0 지류    

13 N10108-01 낙동강 안동댐 도산수위표 낙동강09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교 인근 36 46 53.0 128 53 28.0 본류 도산  

14 N10108-02 낙동강 안동댐 도산수위표 낙동강 09-1 N002 경북 봉화군 명호면 관창2리 (양상교) 양상교 36 45 50.4 128 53 36.8 본류    

15 N10109-01 낙동강 안동댐 안동댐상류 토계천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교량 36 44 8.0 128 50 49.0 지류    

16 N10110-01 낙동강 안동댐 동계천 동계천02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인괘리 교량 36 40 50.0 128 54 57.0 지류    

17 N10111-01 낙동강 안동댐 안동댐 낙동강13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도곡리 36 35 31.0 128 51 54.0 본류 안동호3  

18 N10111-02 낙동강 안동댐 안동댐 낙동강14   경상북도 안동시 석동동 36 34 37.0 128 49 13.0 본류 안동호2  

19 N10112-01 낙동강 안동댐 안동댐역조정지 와야천   경상북도 안동시 안막동 와룡터널 인근 36 34 42.0 128 45 24.0 지류    

20 N10201-01 낙동강 임하댐 반변천상류 반변천01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36 47 36.0 129 8 59.0 지류    

21 N10202-01 낙동강 임하댐 장파천 장파천01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 36 43 14.0 129 13 6.0 지류    

22 N10203-01 낙동강 임하댐 동천합류점 반변천04 N007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 감천2교 부근 36 39 8.7 129 6 25.3 지류 반변천1  

23 N10204-01 낙동강 임하댐 동천 동천05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청기리 보 36 38 54.0 129 3 50.0 지류    

24 N10205-01 낙동강 임하댐 화매천합류점 반변천05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삼산리 고부름양수장 인근 36 34 52.0 129 5 13.0 지류    

25 N10206-01 낙동강 임하댐 화매천 화매천02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 36 33 17.0 129 7 22.0 지류    

26 N10207-01 낙동강 임하댐 임하댐상류 반변천06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진안양수장 인근 36 31 57.0 129 2 43.0 지류    

27 N10208-01 낙동강 임하댐 용전천상류 용전천01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양숙리 교량 36 16 25.0 129 8 10.0 지류    

28 N10209-01 낙동강 임하댐 청송수위표 용전천05 N010 경상북도 청송군 청운동 교량 36 23 16.7 129 4 42.5 지류    

29 N10210-01 낙동강 임하댐 용전천하류 용전천07 N009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 중평교 인근 36 26 32.5 129 1 41.6 지류 용전천2  

30 N10210-02 낙동강 임하댐 용전천하류 용전천08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광리 송광2교 인근 36 29 13.0 129 1 18.0 지류 용전천1  

31 N10211-01 낙동강 임하댐 임하댐 반변천07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대곡리 임하호3수공수질관측소 36 30 3.0 128 56 40.0 지류 임하호3  

32 N10211-02 낙동강 임하댐 임하댐 반변천08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선착장 36 30 49.0 128 53 25.0 지류 반변천2  

33 N10212-01 낙동강 임하댐 길안천상류 길안천01 N011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모계리 교각 36 13 43.6 128 53 52.3 지류    

34 N10212-02R 낙동강 임하댐 길안천상류 무계천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무계리 무계청소년수련원 36 13 12.0 128 54 11.0 지류    

35 N10213-01 낙동강 임하댐 길안수위표 길안천10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육계리 36 24 37.0 128 55 25.0 지류    

36 N10214-01 낙동강 임하댐 길안천하류 길안천13 N008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금소교 인근 36 31 13.0 128 50 16.0 지류 길안천  

<표 2.3.4> 낙동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Page 12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31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7 N10215-01 낙동강 임하댐 반변천하류 반변천10 N006 경상북도 안동시 정하동 안동교 인근 36 33 12.6 128 45 5.9 지류 반변천2-1중권역 대표/주요지점

38 N10301-01 낙동강 안동댐하류 송야천 송야천01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장기리/도천리 장기2교 인근 36 40 3.0 128 42 24.0 지류    

39 N10302-01 낙동강 안동댐하류 미천상류 하화천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 교량 36 25 3.0 128 40 33.0 지류    

40 N10303-01 낙동강 안동댐하류 미천하류 미천08 N014 경상북도 의성군 남호면 무릉리 월평양수장 인근 36 31 19.0 128 41 5.0 지류 미천  

41 N10304-01 낙동강 안동댐하류안동댐역조정지하류

낙동강15 N001 경상북도 안동시 광석동 안동교 인근 36 34 45.0 128 45 53.5 본류 안동2중권역 대표/주요지점

42 N10304-02 낙동강 안동댐하류 안동댐역조정지하류

낙동강17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 교량 36 33 31.0 128 34 21.0 본류 안동3  

43 N10305-01 낙동강 안동댐하류 신역천 풍산천01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대두서리 36 37 3.0 128 37 30.0 지류    

44 N10306-01 낙동강 안동댐하류 광산천합류점 하아천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하아리 36 32 23.0 128 34 32.0 지류    

45 N10307-01 낙동강 안동댐하류 광산천 하신천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금계리 36 30 8.0 128 32 3.0 지류    

46 N10308-01 낙동강 안동댐하류 내성천합류점 낙동강20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천곡리 신하2양수장 인근 36 32 15.0 128 20 58.0 본류 예천  

47 N10308-02 낙동강 안동댐하류 내성천합류점 낙동강20-1 N012 경북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삼강교 36 33 53.6 128 17 49.9 본류 예천-1 중권역 대표

48 N10401-01 낙동강 내성천 낙화암천 낙화암천01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간곡리/보계리 36 55 28.0 128 38 47.0 지류    

49 N10402-01 낙동강 내성천 내성천상류 내성천03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두월리 두월교 인근 36 47 22.0 128 42 9.0 지류    

50 N10403-01 낙동강 내성천 토일천 토일천01   경상북도 봉화군 상움면 문촌리 36 48 49.0 128 46 34.0 지류    

51 N10404-01 낙동강 내성천 죽계천 사천01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옥대리 36 56 34.0 128 37 4.0 지류    

52 N10405-01 낙동강 내성천 서천상류 서천01   경상북도 영주시 상줄동 36 49 54.0 128 35 28.0 지류    

53 N10406-01 낙동강 내성천 서천하류 서천02   경상북도 영주시 조암동 영주대교 인근 36 48 13.0 128 36 50.0 지류 영주서천2  

54 N10406-02 낙동강 내성천 서천하류 서천03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권선리 36 46 9.0 128 37 27.0 지류 영주서천  

55 N10407-01 낙동강 내성천 내성천중류 내성천05 N017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월평리/탄산리 36 44 4.4 128 37 21.0 지류 내성천4  

56 N10407-02 낙동강 내성천 내성천중류 내성천06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기곡리 우래양수장 인근 36 41 30.0 128 37 17.0 지류 내성천5  

57 N10408-01 낙동강 내성천 옥계천 옥계천03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독양리 36 43 17.0 128 34 15.0 지류    

58 N10409-01 낙동강 내성천 월포수위표 내성천07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신척리 36 39 11.0 128 30 16.0 지류 내성천1  

59 N10410-01 낙동강 내성천 한천상류 한천02   경상북도 예천군 하리면 율곡리 교각 36 42 47.0 128 26 35.0 지류    

60 N10411-01 낙동강 내성천 예천수위표 금곡천01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원유리/직리 36 41 53.0 128 22 51.0 지류    

61 N10412-01 낙동강 내성천 한천하류 한천04 N018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왕신리 대왕교 인근 36 39 5.0 128 27 18.0 지류 한천  

62 N10413-01 낙동강 내성천 경천댐 금천01   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노은리 덕성리전투전승비 36 46 9.0 128 19 16.0 지류    

63 N10414-01 낙동강 내성천 대하리천 대하리천01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가좌리 36 46 8.0 128 14 49.0 지류    

64 N10415-01 낙동강 내성천 금천 금천04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약석리 관동교 인근 36 39 14.0 128 15 48.0 지류    

65 N10416-01 낙동강 내성천 내성천하류 내성천08 N016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오천리 선봉대 인근 36 35 58.0 128 25 4.2 지류 내성천2  

66 N10416-02 낙동강 내성천 내성천하류 내성천10 N015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달지리/향성리보 36 35 13.3 128 18 19.5 지류 내성천3 중권역 대표/주요지점

67 N10501-01 낙동강 영강 영강상류 영강01 N023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용유리 용유교 36 34 18.5 127 55 43.3 지류    

68 N10502-01 낙동강 영강 영강중류 양산천02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상괴리 의병대장 이강년선생기념관 36 40 11.8 127 59 41.4 지류 양산천1  

69 N10502-02 낙동강 영강 영강중류 양산천03 N021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하괴리 하리1교 36 39 22.1 128 2 0.9 지류 양산천3  

70 N10503-01 낙동강 영강 조령천 조령천01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모곡리 TAEYOUNG 철강재공장 36 42 21.2 128 7 19.0 지류    

- 232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71 N10504-01 낙동강 영강 점촌수위표 영강08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불정1교 36 38 32.0 128 9 4.8 지류    

72 N10505-01 낙동강 영강 미안천상류 대중천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이촌리 36 29 7.8 128 3 9.6 지류    

73 N10506-01 낙동강 영강 미안천하류 이안천09 N022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 신흥교 36 33 2.6 128 10 45.4 지류 이안천  

74 N10507-01 낙동강 영강 영강하류 영강10 N020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의곡리 신망애육원-우시장 도로 36 35 27.7 128 12 52.8 지류 영강1  

75 N10507-02 낙동강 영강 영강하류 영강01 N019경북 문경시 영순면 말웅리 낙동강 합류점 상류 500 m지점 36 31 44.1 128 15 53.3 지류 영강2-1 중권역 대표

76 N10601-01 낙동강 병성천 병성천상류 병성천02 N025 경상북도 상주시 인평동 오흥교 36 23 25.1 128 9 33.2 지류    

77 N10602-01 낙동강 병성천 북천 북천03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 능암교 지나서 우회전 후삼거리 인근

36 24 18.3 128 5 20.8 지류    

78 N10603-01 낙동강 병성천 병성천하류 병성천03 N024 경상북도 상주시 병성동 36 26 4.0 128 14 8.8 지류 병성천 중권역 대표

79 N10701-01 낙동강 낙동상주 영강합류점 낙동강21 N013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말응리 36 32 57.0 128 16 8.0 본류 영순  

80 N10702-01 낙동강 낙동상주 병성천합류점 낙동강22 N027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회상리 버리마 양수장 36 28 8.9 128 14 50.4 본류 상주1  

81 N10703-01 낙동강 낙동상주 위천합류점 낙동강23-1 N026 경북 상주시 중동면 간물동 중동교 36 24 15.3 128 18 18.8 본류 상주2 중권역 대표

82 N10801-01 낙동강 위천 고로수위표 덕천천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눌임리 덕치교 36 6 56.0 128 46 32.0 지류 덕천천  

83 N10802-01 낙동강 위천 미성교수위표 위천03   경상북도 군위군 의흥면 수서리 이지교 36 10 5.0 128 42 40.0 지류    

84 N10803-01 낙동강 위천 병천교수위표 구천01   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운산리 제1 무암교 36 6 13.0 128 42 27.0 지류    

85 N10804-01 낙동강 위천 남천 남천03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거매리 효령교 36 9 4.0 128 35 20.0 지류    

86 N10805-01 낙동강 위천 쌍계천합류점 위천04 N030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무성리 무성교, 정면에 비석 (무성) 36 11 23.0 128 34 1.4 지류 위천1  

87 N10806-01 낙동강 위천 쌍계천상류 쌍계천05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구련리 벼육묘 36 15 58.0 128 39 11.0 지류    

88 N10807-01 낙동강 위천 남대천 남대천04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 남천교 36 19 50.0 128 42 9.0 지류    

89 N10808-01 낙동강 위천 쌍계천하류 쌍계천07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 안실교, 이정표 36 18 25.0 128 34 1.0 지류 쌍계천  

90 N10809-01 낙동강 위천 용곡수위표 위천08 N031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동부리 동부교 36 19 15.0 128 30 10.0 지류    

91 N10810-01 낙동강 위천 위천 위천10 N029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 단밀교 36 22 41.8 128 23 23.8 지류 위천2  

92 N10810-02 낙동강 위천 위천 위천11 N028 경상북도 상주시 중동면 간물리 (우물리) 우물교 36 24 10.2 128 19 46.1 지류 위천6 중권역 대표

93 N10901-01 낙동강 낙동구미 낙동수위표 낙동강24 N033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동리 생물양수장 36 21 17.0 128 17 41.0 본류 상주3 주요지점

94 N10902-01 낙동강 낙동구미 감천합류점 낙동강25-1 N032 경북 구미시 선산읍 생곡리 일선교 36 16 23.2 128 20 33.7 본류 산곡 중권역 대표

95 N11001-01 낙동강 감천 감천상류 감천02   경상북도 김천시 지배면 여배리 35 57 28.7 128 0 24.5 지류    

96 N11002-01 낙동강 감천 감천중류 무릉천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임평리 36 0 16.5 128 0 41.9 지류    

97 N11003-01 낙동강 감천 직지사천 직지사천01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상금리 36 7 38.8 128 5 29.0 지류    

98 N11004-01 낙동강 감천 김천수위표 감천04 N036 경상북도 김천시 감천면 금송리 36 5 31.8 128 7 30.8 지류 감천1  

99 N11004-02 낙동강 감천 김천수위표 감천04-1 N035 경북 김천시 지좌동 김천교 36 7 6.6 128 7 51.0 지류    

100 N11005-01 낙동강 감천 아천 아천03   경상북도 구미시 어모면 다남리 36 10 57.5 128 9 22.4 지류    

101 N11006-01 낙동강 감천 율곡천 율곡천   경상북도 구미시 남면 용전리 36 7 47.2 128 10 38.9 지류    

102 N11007-01 낙동강 감천 감천하류 감천07 N034 경상북도구미시고아읍봉산리 36 13 30.4 128 20 8.2 지류 감천2-1 중권역 대표

103 N11101-01 낙동강 낙동왜관 구미수위표 낙동강26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 월곡양수장 인근 36 13 37.4 128 21 37.2 본류 강정  

104 N11102-01 낙동강 낙동왜관 한천 한천01 N040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천평리 36 4 27.2 128 32 17.7 지류    

105 N11103-01 낙동강 낙동왜관 왜관수위표 낙동강28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북삼면) 오평리 36 4 11.7 128 23 3.8 본류 구미  

106 N11103-02R 낙동강 낙동왜관 왜관수위표 반지천   경상북도칠곡군석적면반계리 36 1 46.2 128 26 3.4 지류    

107 N11104-01 낙동강 낙동왜관 성주수위표 낙동강30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 35 53 34.5 128 24 5.9 본류 성주  

Page 12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33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08 N11104-02 낙동강 낙동왜관 성주수위표 낙동강29 N038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제2왜관교 인근 35 58 48.0 128 23 36.6 본류 왜관 주요지점

109 N11105-01 낙동강 낙동왜관 백천상류 백천04   경상북도 성주군 월황면 대산리 35 55 42.2 128 19 5.4 지류    

110 N11106-01 낙동강 낙동왜관 이천 이천03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백전리 35 55 39.6 128 15 43.5 지류    

111 N11107-01 낙동강 낙동왜관 백천하류 백천05 N039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동암리 35 53 42.0 128 21 16.0 지류 백천  

112 N11108-01 낙동강 낙동왜관 금호강합류점 낙동강31 N037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리 35 50 27.9 128 27 38.1 본류 달성 중권역 대표

113 N11108-02 낙동강 낙동왜관 금호강합류점 낙동강32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월성리 35 48 19.8 128 25 58.9 본류 화원나루  

114 N11201-01R 낙동강 금호강 영천댐 현내천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현내리 현내리입구, 입간판, 마을숲 36 10 40.0 129 5 21.0 지류    

115 N11201-02 낙동강 금호강 영천댐 자호천04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도일리 도일교 36 6 28.0 129 4 55.0 지류 죽장천  

116 N11202-01 낙동강 금호강 자호천 자호천05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평창리 삼매교 인근 36 3 11.0 129 0 51.0 지류 자양호1  

117 N11202-02 낙동강 금호강 자호천 자호천06 N044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 선원교 인근 36 38 21.6 129 0 44.7 지류 금호강1  

118 N11203-01 낙동강 금호강 고촌천 고촌천01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삼산리 덕암교 35 59 9.0 129 5 35.0 지류    

119 N11204-01 낙동강 금호강 고현천 고현천02 N045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오리정림 (비석-애림정향), 봉림교

36 36 0.0 128 54 5.0 지류    

120 N11205-01 낙동강 금호강 신령천 신령천01   경상북도 영천시 신령면 부산리 부산2교, 성덕대학입구 36 3 36.0 128 45 13.0 지류    

121 N11206-01 낙동강 금호강 금호강시점 북안천03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송포리 작산교 35 56 19.0 128 57 26.0 지류    

122 N11207-01 낙동강 금호강 금호강상류 대창천03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강회리 마음교 35 53 33.0 128 53 27.0 지류    

123 N11208-01 낙동강 금호강 청통천 청통천02   울산광역시 경산시 와촌면 동강리 안동교 인근 35 56 56.0 128 50 19.0 지류    

124 N11209-01 낙동강 금호강 오로천 오목천01 N046 경상남도 경산시 용성면 신곡리 당리교 35 47 25.0 128 52 49.0 지류    

125 N11210-01 낙동강 금호강 남천 남천02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계양동 영대교 35 46 58.0 128 43 56.0 지류 군위남천  

126 N11210-02 낙동강 금호강 남천 매호천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 매호6교 35 50 28.0 128 42 14.0 지류 남천  

127 N11211-01 낙동강 금호강 동촌수위표 금호강03 N043 대구광역시 동구 괴전동 금강역 주변 35 53 49.0 128 48 6.4 지류 금호강2  

128 N11211-02 낙동강 금호강 동촌수위표 금호강04   대구광역시 달성군 동구 효목동 화랑교 35 52 27.0 128 39 50.0 지류 금호강3  

129 N11212-01 낙동강 금호강 공산댐 능성천   대구광역시 서구백안동 갓바위교 35 57 0.0 128 41 48.0 지류    

130 N11213-01 낙동강 금호강 동화천 동화천02   대구광역시 동구 연경동 연경교 지나서 바로 35 56 24.0 128 37 26.0 지류    

131 N11214-01 낙동강 금호강 금호강중류 금호강05   대구광역시 달성군 북구검단동 산격대교 35 54 28.0 128 36 22.0 지류 금호강4  

132 N11215-01 낙동강 금호강 신천상류 용계천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오리 오동2교 35 45 5.0 128 39 4.0 지류 가창댐1  

133 N11216-01 낙동강 금호강 신천하류 신천02   대구광역시 수성구 상동 상동교 35 50 5.0 128 36 24.0 지류    

134 N11217-01 낙동강 금호강 팔거천 팔거천02   대구광역시 북구 대전동 태전2교 35 55 20.0 128 32 52.0 지류    

135 N11218-01 낙동강 금호강 이언천 이언천01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리 심천교 35 57 6.0 128 30 0.0 지류    

136 N11219-01 낙동강 금호강 금호강하류 금호강06 N042 대구광역시 달성군 북구 사수동 해랑교 35 53 39.2 128 33 4.2 지류 금호강6  

137 N11219-02 낙동강 금호강 금호강하류 금호강07 N041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 강창교 35 51 11.8 128 28 23.7 지류 금호강6중권역 대표/주요지점

138 N11301-01 낙동강 회천 성주댐 대가천03   경상북도 김천시 금수면 공산리 35 55 22.1 128 8 16.6 지류    

139 N11302-01 낙동강 회천 대가천 대가천04 N050 경상북도 김천시 가천면 창천리 35 52 52.5 128 10 23.1 지류 회천1  

140 N11303-01 낙동강 회천 회천상류 회천02 N051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읍 괘빈리 35 44 55.2 128 17 18.2 지류 회천  

141 N11304-01 낙동강 회천 가야천 가야천01 N049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 35 47 29.6 128 5 11.7 지류 가야천  

142 N11304-02R 낙동강 회천 가야천 매화천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구미리 매화교 35 44 0.0 128 7 21.3 지류    

143 N11305-01 낙동강 회천 묘산천 묘산천01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 묘산교 35 39 29.7 128 6 55.4 지류    

144 N11306-01 낙동강 회천 안림천 안림천01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백산리 송림양수장 인근 35 40 5.3 128 12 17.1 지류    

- 234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45 N11307-01 낙동강 회천 회천하류 회천03 N048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속리 35 41 25.2 128 19 23.6 지류 회천2  

146 N11307-02 낙동강 회천 회천하류 회천01 N047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송곡리 35 36 55.7 128 21 52.5 지류 회천2-1 중권역 대표

147 N11401-01 낙동강 낙동고령 진천천 진천천01   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 35 48 43.4 128 30 32.5 지류    

148 N11402-01 낙동강 낙동고령 고령교수위표 교항천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신당리 35 47 34.5 128 46 48.2 지류    

149 N11403-01 낙동강 낙동고령 현풍수위표 낙동강33 N053 대구광역시달성군논공읍상리 35 44 21.4 128 24 8.1 본류 고령 주요지점

150 N11404-01 낙동강 낙동고령 달창댐 운봉천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운봉리 35 36 59.9 128 30 33.5 지류    

151 N11405-01 낙동강 낙동고령 차천 차천01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경리 35 38 10.4 128 28 6.2 지류    

152 N11406-01 낙동강 낙동고령 회천합류점 낙동강35   경상북도 고령군 의곡면 답곡리 35 39 8.4 128 23 31.6 본류 대암  

153 N11406-02 낙동강 낙동고령 회천합류점 낙동강35-1 N052 대구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 우곡교 35 37 23.0 128 23 34.8 본류 대암-1 중권역 대표

154 N11407-01 낙동강 낙동고령 황강합류점 낙동강36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삼학리 35 35 19.1 128 21 32.7 본류 창녕  

155 N11501-01 낙동강 합천댐 계수천 산포천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강천2농로교 35 49 30.3 127 55 47.0 지류    

156 N11502-01R 낙동강 합천댐 황강상류 황강 01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궁항리 원궁항교 35 49 44.9 127 52 38.7 지류    

157 N11502-02 낙동강 합천댐 황강상류 황강02 N058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영교리 임실교 35 45 2.5 127 54 3.7 지류 거창동천1  

158 N11502-03 낙동강 합천댐 황강상류 황강03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평리 양항교 35 41 3.3 127 56 21.2 지류 거창동천2  

159 N11503-01 낙동강 합천댐 거창위천상류 소정천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갈계리 중산교 35 47 53.2 127 48 50.1 지류    

160 N11504-01 낙동강 합천댐 거창위천하류 거창위천03 N056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리 35 41 12.5 127 55 15.9 지류 거창위천2  

161 N11504-02 낙동강 합천댐 거창위천하류 마리천 N057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마리중학교 전방 100미터 35 41 57.6 127 51 19.3 지류 거창위천1  

162 N11505-01 낙동강 합천댐 합천댐상류 황강04 N054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임불리 35 37 55.3 127 59 6.0 지류 황강1-1 중권역 대표

163 N11506-01 낙동강 합천댐 가천천 가천천03 N055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기리 지산교 35 39 52.3 128 0 48.4 지류 가천  

164 N11507-01 낙동강 합천댐 사천천 사천천01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덕산리 35 34 19.3 127 53 35.5 지류    

165 N11508-01 낙동강 합천댐 합천댐 황강05   경상남도 거창군 공산면 고삼리 35 36 7.8 128 2 17.5 지류 합천호3  

166 N11508-02 낙동강 합천댐 합천댐 황강06   경상남도 거창군 대병면 상천리 합천댐 35 32 7.7 128 1 52.1 지류 합천호1  

167 N11601-01 낙동강 황강 합천수위표 황계천02 N062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평산리 35 31 46.7 128 7 4.3 지류    

168 N11602-01 낙동강 황강 합천수위표하류 황강08 N061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 35 34 16.8 128 10 30.3 지류 황강2  

169 N11603-01 낙동강 황강 죽고수위표 황강10   경상남도 합천군 쌍측면 갑산리 35 35 3.9 128 15 21.7 지류 황강3  

170 N11604-01 낙동강 황강 황강하류 황강10-1 N060 경남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황강교 35 34 17.9 128 17 34.1 지류    

171 N11604-02 낙동강 황강 황강하류 황강11 N059 경남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 창덕교 (청덕교 아님) 35 34 20.1 128 20 33.5 지류 황강5 중권역 대표

172 N11701-01 낙동강 낙동창녕 적포교수위표 낙동강37 N064 경상남도 의령군 낙서면 아근리 35 31 41.0 128 21 36.0 본류 합천  

173 N11701-02 낙동강 낙동창녕 적포교수위표 토평천04 N065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성산리 35 34 30.3 128 32 37.0 지류 토평천2  

174 N11701-03 낙동강 낙동창녕 적포교수위표 토평천02-1 N066 경남 창녕군 대지면 왕산리 왕산교 35 33 36.2 128 28 53.0 지류    

175 N11701-04 낙동강 낙동창녕 적포교수위표 토평천02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원촌리 원촌교 인근 35 33 6.5 128 26 46.4 지류 토평천1  

176 N11702-01R 낙동강 낙동창녕 유곡천 대현천   경상남도의령군궁류면평촌리 35 26 6.5 128 13 44.3 지류    

177 N11702-02 낙동강 낙동창녕 유곡천 유곡천02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칠곡리 35 25 47.9 128 18 56.1 지류    

178 N11703-01 낙동강 낙동창녕 신반천 신반천04 N067 경상남도 청도군 부림면 대곡리 35 29 34.5 128 20 56.0 지류 신반천  

179 N11704-01 낙동강 낙동창녕 마수원수위표 창녕천01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 진창리 35 30 8.8 128 27 0.0 지류 창녕천  

180 N11705-01 낙동강 낙동창녕 남강합류점 낙동강39 N063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용산리 35 23 36.2 128 26 3.0 본류 용산 중권역 대표

181 N11801-01 낙동강 남강댐 남강상류 봉전천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 서하제일교회인근 35 38 19.9 127 42 57.7 지류    

182 N11802-01 낙동강 남강댐 함양위천합류점 남강02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월림리 칠소교 35 37 52.9 127 47 12.7 지류 남강천  

Page 12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35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83 N11803-01 낙동강 남강댐 함양위천 남강04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웅평리 보 35 30 39.6 127 48 36.3 지류 함양위천2  

184 N11803-02 낙동강 남강댐 함양위천 함양위천02 N072 경상남도 함양군 병곡면 도천리 고속도로 근처 35 30 53.5 127 43 45.7 지류 함양위천1  

185 N11804-01 낙동강 남강댐 람천 람천05 N071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장항교 35 25 41.5 127 37 9.5 지류 람천1  

186 N11805-01 낙동강 남강댐 임천 임천05 N073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 보 35 27 52.5 127 47 34.0 지류 임천  

187 N11806-01 낙동강 남강댐 산청수위표 남강05 N069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대포리 대포교 35 28 6.8 127 51 23.7 지류 경호강1  

188 N11807-01 낙동강 남강댐 양천합류점 외송천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외송리 35 21 6.1 127 56 15.0 지류    

189 N11808-01 낙동강 남강댐 신등천 신등천01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함방리 제방공사중 35 25 23.9 128 2 6.8 지류    

190 N11809-01 낙동강 남강댐 양천 양천10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신기리 구 토현교 35 17 46.1 127 58 54.0 지류 양천  

191 N11810-01 낙동강 남강댐 남강댐상류 남강08 N068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묵곡교 35 16 55.5 127 57 43.1 지류 경호강2 중권역 대표

192 N11811-01 낙동강 남강댐 덕천강상류 내원천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내원리 35 17 59.3 127 48 35.0 지류    

193 N11812-01 낙동강 남강댐 시천천 시천천03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외공리 내공교 35 14 32.8 127 49 0.5 지류 덕천강1  

194 N11813-01 낙동강 남강댐 덕천강하류 덕천강03 N070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자양리 두양교 35 15 48.0 127 53 45.3 지류 덕천강2  

195 N11814-01R 낙동강 남강댐 남강댐 완사천 02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작팔리 작팔교 35 6 51.0 127 59 4.8 지류    

196 N11814-02 낙동강 남강댐 남강댐 남강10   경상남도 진주시 귀곡동 진양호 수자원공사 35 9 35.5 128 1 49.8 지류 진양호2  

197 N11901-01 낙동강 남강 영천강합류점 남강11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35 10 5.0 128 6 46.0 지류 남강1  

198 N11902-01 낙동강 남강 영천강 영천강05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 다리 35 10 32.0 128 8 30.0 지류 유천강/영천강  

199 N11903-01 낙동강 남강 반성천합류점 남강12 N076 경상남도 진주시 집현면 신당리 금산교 35 12 40.2 128 7 32.0 지류 남강2  

200 N11904-01R 낙동강 남강 영천강 연화천   경상남도고성군영현면연화리 35 4 33.0 128 12 42.0 지류    

201 N11905-01 낙동강 남강 반성천합류점 남강13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덕곡리 월강교 35 13 22.0 128 11 54.0 지류    

202 N11905-02 낙동강 남강 반성천합류점 대곡천02   경상남도진주시대곡면와룡리 35 15 17.0 128 10 34.0 지류 대곡천  

203 N11906-01 낙동강 남강 반성천 반성천01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대촌리 반성교 35 9 52.0 128 17 43.0 지류    

204 N11907-01 낙동강 남강 정암수위표 남강15 N075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대산리 35 16 44.9 128 17 17.0 지류 남강3  

205 N11908-01 낙동강 남강 석교천 석교천02   경상남도 함안군 군곡면 사도리 35 16 32.0 128 19 56.0 지류    

206 N11909-01 낙동강 남강 의령천 의령천03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동리 공단교 35 19 1.1 128 16 8.0 지류 의령천  

207 N11910-01 낙동강 남강 함안천합류점 월현천   경상남도 창원시 정곡면 석곡리 35 23 27.9 128 19 58.4 지류    

208 N11911-01 낙동강 남강 함안천 함안천01 N077 경상남도 마산시 함안면 대산리 35 14 36.9 128 25 43.0 지류 함안천1  

209 N11911-02 낙동강 남강 함안천 함안천02   경상남도 마산시 대산면 서촌리 고속도로, 조사지점별보 35 16 50.6 128 25 13.0 지류 함안천2  

210 N11912-01 낙동강 남강 남강하류 남강18 N074 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35 23 0.2 128 25 21.4 지류 남강4중권역 대표/주요지점

211 N12001-01 낙동강 낙동밀양 진동수위표 낙동강40   경상남도 창녕군 길곡면 오호리 낙동대교 35 23 46.6 128 31 19.7 본류 남지  

212 N12002-01 낙동강 낙동밀양 계성천 계성천02 N080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계성리 광계교 35 28 37.0 128 29 52.0 지류 계성천  

213 N12002-02R 낙동강 낙동밀양 계성천 동정천   경상남도창녕군장마면동정리 35 27 31.8 128 27 9.1 지류    

214 N12003-01 낙동강 낙동밀양 광려천 광려천03 N081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면 용산리 다리, 보 35 18 43.5 128 30 11.0 지류 광려천3  

215 N12003-02 낙동강 낙동밀양 광려천 광려천04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구포리 제방으로 올라오는 도로 35 21 14.9 128 29 41.2 지류 광려천2  

216 N12004-01 낙동강 낙동밀양 임해진수위표 낙동강41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노리 35 22 29.0 128 37 7.7 본류 임해천  

217 N12004-02 낙동강 낙동밀양 임해진수위표 신천 N082 경상남도 창원시 북면 마산리 산수교 35 20 39.9 128 37 0.0 지류 신촌  

218 N12005-01 낙동강 낙동밀양 수산수위표 수산천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 35 22 41.4 128 42 50.7 지류    

219 N12006-01 낙동강 낙동밀양 청도천 청도천05 N083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범평리 다리 35 25 38.6 128 38 46.0 지류 청도천  

- 236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220 N12007-01 낙동강 낙동밀양 주천강 주천강   경상남도 창원시 대산면 우암리 주천교 35 18 49.9 128 43 40.7 지류    

221 N12008-01 낙동강 낙동밀양 화포천 화포천03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명동리 화포교 35 18 52.5 128 48 30.3 지류 화포천  

222 N12009-01 낙동강 낙동밀양 밀양강합류점 낙동강42   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수산리 수산대교 35 21 46.8 128 42 45.8 본류 하남  

223 N12009-02 낙동강 낙동밀양 밀양강합류점 낙동강39-1 N079 경남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 남지대교 35 23 14.5 128 29 14.2 본류    

224 N12009-03 낙동강 낙동밀양 밀양강합류점 낙동강44-1 N078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송지리 삼랑진교 35 22 44.7 128 49 2.0 본류 삼랑진 중권역 대표

225 N12101-01 낙동강 밀양강 운문댐 동창천05 N087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 신원1교 35 45 36.7 128 59 4.1 지류 동창천  

226 N12101-02R 낙동강 밀양강 운문댐 운문천01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수월교 35 39 11.0 128 57 52.0 지류

227 N12101-03 낙동강 밀양강 운문댐 동창천06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방지리 임당교 35 42 15.0 128 55 3.0 지류 운문호1  

228 N12102-01 낙동강 밀양강 동창천 관하천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 봉산교 35 39 50.0 128 51 7.0 지류    

229 N12103-01 낙동강 밀양강 청도천상류 현리천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현리리 오동교 35 38 31.0 128 36 4.0 지류    

230 N12104-01 낙동강 밀양강 청도천하류 청도천06 N088 경상북도청도군청도읍월리 35 27 9.7 128 39 21.2 지류    

231 N12105-01 낙동강 밀양강 밀양댐 단장천 01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 강촌연수원 35 32 14.0 129 0 43.0 지류    

232 N12106-01 낙동강 밀양강 동천 동천02   경상북도 경주시 산내면 남명리 남명교 35 35 11.0 128 57 20.0 지류    

233 N12107-01 낙동강 밀양강 단장천 단장천03 N086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대리 풍호대교 35 27 56.6 128 58 20.5 지류 배내골  

234 N12107-02 낙동강 밀양강 단장천 단장천05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모래밭들교 35 29 39.0 128 55 50.0 지류 밀양댐1  

235 N12108-01 낙동강 밀양강 밀양수위표 밀양강01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 상동교 35 33 40.0 128 45 58.0 지류    

236 N12109-01 낙동강 밀양강 밀양강 밀양강02   경상남도 밀양시 용평동 활성교 35 29 24.0 128 46 49.0 지류 밀양강1  

237 N12109-02 낙동강 밀양강 밀양강 밀양강03 N085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이천리 철길 지하 통로 35 28 21.9 128 45 54.3 지류 밀양강2  

238 N12109-03 낙동강 밀양강 밀양강 밀양강04 N084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략리 삼상교 35 24 44.1 128 47 36.8 지류 밀양강3 중권역 대표

239 N12201-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원동천합류점 원동천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내포리 세월교 35 24 23.8 128 55 57.6 지류    

240 N12202-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월촌수위표 내동천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매리 35 18 11.3 128 55 47.7 지류  

241 N12203-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양산천상류 양산천02 N092 경상남도양산시북정동 효충교 35 22 51.2 129 2 45.8 지류 양산천1  

242 N12204-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양산천하류 양산천03 N093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가산리 호포 철교 35 17 13.7 129 0 44.3 지류 양산천3  

243 N12204-02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양산천하류 낙동강45 N090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서용리 (서룡리) 35 18 55.5 128 58 25.8 본류 물금 주요지점

244 N12205-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구포수위표 낙동강47-1 N089 부산 북구 구포동 구포대교 35 12 25.4 128 59 23.1 본류 구포중권역 대표/주요지점

245 N12205-02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구포수위표 대천천   부산광역시 북구화명동 화명교 35 14 22.5 129 0 51.1 지류 대천천  

246 N12205-03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구포수위표 학장천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35 8 15.7 128 58 21.9 지류 학장천3  

247 N12206-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조만강 조만강01   경상남도 김해시 풍유동 능소교 35 13 2.9 128 50 28.1 지류    

248 N12207-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서낙동강 서낙동강01 N091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 35 10 32.0 128 54 28.5 본류 서낙동강3  

249 N12207-02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서낙동강 신어천   경상남도 김해시 삼정동 35 13 33.0 128 54 37.1 지류 신어천1  

250 N12208-01 낙동강 낙동강하구언 낙동강하구언 낙동강47   부산광역시 강서구대저2동 35 9 9.9 128 58 9.9 본류 낙동강하구언3  

251 N20101-01 형산강 형산강 형산강상류 복안천   경상북도 경주시 두서면 활천리 복안교 35 42 0.0 129 11 1.0 기타    

252 N20102-01 형산강 형산강 대천 대천04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와산교 35 49 6.0 129 9 19.0 기타    

253 N20103-01 형산강 형산강 남천 남천01   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 시동교 35 45 47.0 129 17 6.0 기타    

254 N20104-01 형산강 형산강 북천 북천01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신라교 35 49 53.0 129 17 35.0 기타 보문호2  

255 N20104-02 형산강 형산강 북천 북천02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구황교 35 50 21.0 129 14 20.0 기타 보문호1  

256 N20105-01 형산강 형산강 칠평천 칠평천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금계리 부곡교 35 59 13.0 129 12 45.0 기타    

Page 12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37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257 N20106-01 형산강 형산강 기계천 기계천03 N096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 문성리 문성교 36 3 58.7 129 11 55.8 기타 기계천  

258 N20107-01 형산강 형산강 안강수위표 형산강01 N097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인천교 35 46 29.3 129 12 0.0 기타 형산강1-1  

259 N20107-02R 형산강 형산강 안강수위표 소현천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지일교 35 52 57.0 129 11 27.0 기타    

260 N20107-03 형산강 형산강 안강수위표 형산강03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오야리 형산강교 35 56 1.0 129 14 29.0 기타 형산강1  

261 N20107-04 형산강 형산강 안강수위표 형산강04 N095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 국당교 35 59 6.3 129 16 39.0 기타 형산강2  

262 N20107-05 형산강 형산강 안강수위표 형산강04-1 N094 경북 포항시 남구 상도동 연일대교 36 0 3.9 129 20 36.3 기타 형산강4중권역 대표/주요지점

263 N30108-01 태화강 태화강 조동수위표 태화강01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천전리 상북교 35 34 1.0 129 6 31.0 기타 지현  

264 N30109-01 태화강 태화강 대암댐 둔기천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둔기리 작동교 35 31 7.0 129 10 38.0 기타 작동교  

265 N30109-02 태화강 태화강 대암댐 보은천01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보은리 보은교 35 30 13.0 129 8 25.0 기타 보은천  

266 N30109-03 태화강 태화강 대암댐 보은천02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면 하금리 왕방교 35 30 43.0 129 9 29.0 기타 하장교  

267 N30110-01 태화강 태화강 사연댐 대곡천02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삼정리 중동교 35 39 3.1 129 10 52.3 기타 상정교  

268 N30110-02 태화강 태화강 사연댐 대곡천01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대곡리 35 37 4.7 129 10 39.5 기타 대곡천1  

269 N30111-01 태화강 태화강 삼호수위표 태화강02 N100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사연리 망성교 35 35 7.5 129 13 55.7 기타 망성  

270 N30111-02 태화강 태화강 삼호수위표 태화강03 N099 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삼호교 35 33 14.3 129 16 34.1 기타 삼호  

271 N30111-03 태화강 태화강 삼호수위표 태화강03-1 N098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학성교 35 32 55.7 129 20 12.2 기타 학성 중권역 대표

272 N30111-04 태화강 태화강 삼호수위표 삼동천 N102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 신복교 35 31 48.5 129 7 4.7 기타    

273 N30111-05 태화강 태화강 삼호수위표 가천천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 교동교 35 32 8.0 129 6 41.0 기타 신화  

274 N30112-01 태화강 태화강 동천 동천01 N101 울산광역시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 구어교 35 42 11.2 129 19 15.2 기타 제일(A)  

275 N30112-02 태화강 태화강 동천 동천02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동 천곡교 35 38 10.0 129 20 32.0 기타 신담  

276 N30112-03 태화강 태화강 동천 동천03   울산광역시 중구 반구동 동천교 35 33 26.0 129 21 22.0 기타 내황  

277 N40113-01 기타 회야강 청량천 대정천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대정리 다리 35 25 56.3 129 20 18.0 기타    

278 N40114-01 기타 회야강 회야댐 회야강01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 덕계리 35 22 35.4 129 9 23.2 기타 덕계천  

279 N40114-02 기타 회야강 회야댐 회야강02 N104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 용당리 회야교 인근 35 26 7.3 129 11 28.5 기타 회야강1  

280 N40114-03 기타 회야강 회야댐 회야강03 N105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석천리 35 28 20.5 129 13 17.6 기타 회야강2  

281 N40114-04 기타 회야강 회야댐 회야강04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통천리 35 28 6.4 129 14 55.7 기타 회야호2  

282 N40115-01 기타 회야강 회야강 회야강06 N103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삼평리 35 24 36.0 129 18 37.7 기타 회야강3 중권역 대표

283 N40201-01 기타 수영강 효암천 진하천   울산광역시 울주 군서생면 진하리 35 22 56.5 129 20 15.6 기타    

284 N40201-02 기타 수영강 효암천 춘천 N108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1동 다리 35 10 25.2 129 10 15.9 기타 춘천  

285 N40201-03 기타 수영강 효암천 우동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이동 다리 35 10 25.9 129 8 26.4 기타 우동천  

286 N40202-01 기타 수영강 회동댐 수영강02 N107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한물교, 금정체육공원 35 16 40.5 129 6 31.2 기타 회동댐상류  

287 N40202-02 기타 수영강 회동댐 수영강04   부산광역시 해운대 구반여동 35 12 45.0 129 7 16.0 기타 수영천3  

288 N40203-01 기타 수영강 수영강 수영강04-1 N106 부산 수영구 수영동 35 9 55.9 129 7 33.8 기타 수영강5 중권역 대표

289 N40204-01 기타 수영강 죽성천 죽성천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기장군천, 목도 35 14 43.9 129 13 19.7 기타    

290 N40205-01 기타 수영강 동천 동천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성서교 35 8 42.0 129 3 48.0 기타 동천2  

291 N40206-01 기타 수영강 부산천 부산천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35 7 42.4 129 2 49.4 기타    

292 N40301-01 기타 왕피천 부구천 부구천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 917 번 국도 인근 37 5 49.0 129 21 59.0 기타    

293 N40302-01 기타 왕피천 남대천-1 남대천02 N111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광풍리 광천교 인근 37 1 31.2 129 21 6.2 기타    

- 238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294 N40303-01 기타 왕피천 장수포천 발리천   경상북도 영양군수 기면 발리리 36 46 7.0 129 12 0.0 기타    

295 N40304-01 기타 왕피천 매화천 매화천01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기양리 매화댐 인근 36 53 3.0 129 21 36.0 기타    

296 N40305-01 기타 왕피천 광천 광천02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상근리 보 36 56 4.0 129 14 39.0 기타    

297 N40306-01 기타 왕피천 왕피천 왕피천04 N109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 36 57 50.9 129 23 50.6 기타 왕피천 중권역 대표

298 N40307-01 기타 왕피천 척산천 척산천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기성리 가다평양수장,맷돌양수장 사이 36 47 52.0 129 26 36.0 기타    

299 N40308-01 기타 왕피천 남대천 남대천03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도성리 기원양수장 인근 36 59 37.0 129 23 40.0 기타    

300 N40309-01 기타 왕피천 삼율천 백록천   경상북도 영덕군 변곡면 변곡리 36 35 39.0 129 24 25.0 기타    

301 N40310-01 기타 왕피천 송천 송천04 N110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원구리 교량 36 32 51.7 129 22 41.6 기타 영덕 송천  

302 N40401-01 기타 영덕오십천 축산천 축산천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교량 36 30 9.0 129 25 37.0 기타    

303 N40402-01 기타 영덕오십천 영덕오십천상류 영덕오십천01 N113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36 27 41.0 129 12 59.5 기타    

304 N40403-01 기타 영덕오십천 대서천 대서천02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 교량 36 23 56.0 129 18 28.0 기타    

305 N40404-01 기타 영덕오십천 영덕오십천하류 영덕오십천03-1

N112 경북 영덕군 영덕읍 남산동 영덕대교 36 24 20.9 129 22 13.2 기타 영덕 중권역 대표

306 N40405-01 기타 영덕오십천 장사천 장사천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부흥리 36 17 37.0 129 22 44.0 기타    

307 N40406-01 기타 영덕오십천 광천 광천 01   경상북도 포항시 송라면 중산리 36 15 5.0 129 18 43.0 기타    

308 N40407-01 기타 영덕오십천 용연댐 청하천   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 덕천리 교량 36 12 22.0 129 21 17.0 기타    

309 N40408-01 기타 영덕오십천 곡강천 곡강천 01 N114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호리 보 36 6 56.0 129 18 11.9 기타    

310 N40501-01 기타 대종천 냉천 냉천02 N116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 용덕리 제일 신천리 APT 35 58 26.9 129 24 32.0 기타 냉천  

311 N40502-01 기타 대종천 대화천 장기천 N117 경상북도 경주시 장기면 마현리 장기교 35 50 45.9 129 24 21.1 기타    

312 N40503-01 기타 대종천 대종천 대종천 02 N115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두산리 원당교 35 45 1.1 129 27 59.1 기타 대종천 중권역 대표

313 N40504-01 기타 대종천 하서천 나산천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나산리 나산교 35 42 26.0 129 27 43.0 기타    

314 N40505-01R 기타 대종천 수렴천 주전천   울산광역시동구동부동 봉대교 35 32 59.0 129 27 18.0 기타    

315 N40505-02 기타 대종천 수렴천 일산천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미포초교 35 30 8.0 129 25 23.0 기타    

316 N40601-01 기타 가화천 관곡천 백련천 N119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진교리 다리 35 1 20.9 127 54 11.9 기타 백련천  

317 N40602-01 기타 가화천 곤양천 북천천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다리 35 6 43.3 127 53 10.4 기타    

318 N40602-02 기타 가화천 곤양천 곤양천 03-1 N118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 하천터널 앞 35 3 21.7 127 58 33.0 기타 곤양천 중권역 대표

319 N40603-01 기타 가화천 가화천 목단천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 양돈장 35 3 29.6 127 59 29.3 기타 목단천  

320 N40604-01 기타 가화천 사천강 사천강 03 N120 경상남도 사천시 정동면 고읍리 예수교 35 4 52.4 128 4 41.9 기타 사천천  

321 N40605-01 기타 가화천 죽천천 죽천천 02 N121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화전리 화전교 35 2 55.6 128 5 46.7 기타    

322 N40606-01 기타 가화천 삼천포천 봉남천   경상남도 사천시 향촌동 다리 34 55 59.8 128 6 25.8 기타    

323 N40607-01R 기타 가화천 학림천 월평천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월평리 다리 34 57 10.5 128 20 46.9 기타    

324 N40607-02 기타 가화천 학림천 고성천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죽계리 징검다리 34 59 4.4 128 20 8.1 기타 봉련천  

325 N40701-01 기타 남해도 정포천 서상천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서상리 금서교 34 48 36.9 127 50 38.4 기타    

326 N40702-01 기타 남해도 대곡천 봉천 N122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남변리 다리 (입현교) 35 49 54.6 127 54 9.0 기타 남해봉천 중권역 대표

327 N40703-01 기타 남해도 궁평천 금평천 N123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신전리 금평교 34 46 30.8 127 57 48.7 기타    

328 N40704-01 기타 남해도 화천 화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봉화리 다리 34 47 19.6 128 1 15.6 기타    

329 N40705-01 기타 남해도 창선천 부윤천   경상남도 남해군 창산면 오용리 다리 (도로) 34 51 49.1 128 1 43.4 기타    

330 N40801-01 기타 거제도 통영시섬군 산양천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궁항교 34 48 33.1 128 23 4.5 기타    

Page 13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39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31 N40802-01 기타 거제도 사등천 고현천 N125 경상남도 거제시 신현읍 상동리 다리 34 52 29.6 128 38 8.0 기타 고현천  

332 N40802-02 기타 거제도 사등천 연초천 N124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죽토리 연초교 34 54 11.8 128 38 45.5 기타 연초천-1 중권역 대표

333 N40803-01 기타 거제도 외포천 외포천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외포리 외포4교 34 56 36.3 128 42 44.5 기타    

334 N40804-01 기타 거제도 둔덕천 구천천 N126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 구천리 구천교 34 48 50.4 128 38 8.2 기타 구천댐  

335 N40805-01 기타 거제도 소동천 소동천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소동리 다리 34 50 15.5 128 41 53.7 기타    

336 N40901-01 기타 낙동강남해 보전천 보전천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전포교 35 2 4.9 128 22 3.7 기타    

337 N40902-01 기타 낙동강남해 용정천 용정천 N130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 35 0 42.3 128 29 5.0 기타    

338 N40903-01 기타 낙동강남해 황리천 안정천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34 56 36.4 128 24 53.6 기타    

339 N40904-01 기타 낙동강남해 진전천 진전천 02 N127 경상남도 마산시 진전면 동산리 세월교 35 6 54.5 128 23 42.0 기타 진전천 중권역 대표

340 N40905-01 기타 낙동강남해 진동천 태봉천   경상남도 마산시 진북면 교동리 교동교 35 7 7.3 128 29 45.6 기타    

341 N40905-02R 기타 낙동강남해 진동천 덕곡천   경상남도 마산시 진북면 덕곡리 하우스 단지 35 7 34.9 128 28 23.5 기타    

342 N40906-01 기타 낙동강남해 삼호천 양덕천   경상남도 마산시 양덕동 양덕초등학교 35 13 57.2 128 35 18.4 기타 양덕천  

343 N40906-02 기타 낙동강남해 삼호천 회원천   경상남도 마산시 산호동 마선여중 35 13 12.7 128 33 40.1 기타 마산공단  

344 N40907-01 기타 낙동강남해 남천 남천 02   경상남도 창원시 덕정동 35 13 9.9 128 39 3.5 기타 남천  

345 N40907-02 기타 낙동강남해 남천 창원천 N129 경상남도 창원시 삼동동 배원교 35 14 2.5 128 38 46.1 기타    

346 N40907-03 기타 낙동강남해 남천 내동천 N128 경상남도 창원시 명곡동 명곡교회 35 14 56.0 128 38 35.0 기타

347 N40908-01 기타 낙동강남해 양곡천 송정천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35 6 25.6 128 50 31.2 기타    

- 240 -

No. 분류코드 수계구분

중권역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 2008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 G10101-01R 금강 용담댐 장계천합류점 장수천   전북 장수군 장수읍 노곡리 노곡교 35 38 52.0 127 32 10.0 지류    

2 G10101-02 금강 용담댐 장계천합류점 금강 01   전북 장수군 장수읍 선창리 왕대교 35 39 58.0 127 31 26.0 본류   Reference (하류)

3 G10102-01 금강 용담댐 장계천 장계천 02   전북 장수군 장계면 무농리 동정교 (대통령주유소 뒤) 35 44 47.0 127 33 55.0 지류    

4 G10103-01 금강 용담댐 구량천 통안천   전북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 용추교 하류 다리 35 50 31.0 127 41 0.0 지류   용추폭포

5 G10104-01 금강 용담댐 진안천합류점 금강 03 G001 전북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 연화교 35 47 56.0 127 31 12.0 본류 가막 Reference (하류)

6 G10105-01 금강 용담댐 진안천 진안천 G003 전북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 중앙교 35 48 29.0 127 27 23.0 지류 진안천  

7 G10106-01 금강 용담댐 정자천 마조천   전북 진안군 정천면 봉학리 향가교 하류 200 m 항가교 35 52 27.0 127 25 4.0 지류   Reference

8 G10107-01 금강 용담댐 주자천 용덕천   전북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 미적교 하류 500 m 35 59 63.0 127 26 12.0 지류   Reference

9 G10108-01 금강 용담댐 용담댐 금강 04   전북 진안군 상전면 항동리 죽도교 35 44 54.0 127 29 41.0 본류 용담댐4 호소의 시작

10 G10108-02 금강 용담댐 용담댐 금강 06   전북 진안군 정천면 모정리 사근교 35 54 59.0 127 29 33.0 본류 용담댐3 용담호

11 G10108-03 금강 용담댐 용담댐 금강 07 G002 전북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 댐축 하류 (신용담교) 35 56 55.0 127 31 38.0 본류 용담댐1 댐축하류

12 G10201-01R 금강 용담댐하류 용담댐하류 안창천 02   전북 무주군 부남면 고창리 635지방도 35 56 57.0 127 33 57.0 지류  

13 G10201-02 금강 용담댐하류 용담댐하류 금강 10 G004 전북 무주군 무주읍 용포리 용포교 35 59 12.0 127 37 9.0 본류 용포 Reference

14 G10301-03 금강 무주남대천 무주남대천상류 원당천 01   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삼공교 35 54 2.0 127 47 11.0 지류 국립공원수질측정망

Reference

15 G10302-01 금강 무주남대천 무주남대천중류 무주남대천 04   전북 무주군 무주읍 장백리 용강교 36 1 26.0 127 45 6.0 지류    

16 G10303-01 금강 무주남대천 무주남대천하류 무주남대천 05   전북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하장백교 36 1 31.0 127 42 14.0 지류    

17 G10303-02R 금강 무주남대천 무주남대천하류 북창천   전북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무주불교대학 근처 35 58 55.0 127 41 42.0 지류  

18 G10303-03 금강 무주남대천 무주남대천하류 무주남대천 06 G005 전북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구름다리교 36 0 0.0 127 37 30.0 지류 무주남대천 수달보트장

19 G10401-01 금강 영동천 봉황천합류점 금강 13 G007 충남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재원대교 36 6 27.0 127 34 5.0 본류 제원  

20 G10402-01 금강 영동천 봉황천상류 봉황천 01   충남 금산군 남이면 흑암리 흑암교 36 0 56.0 127 27 32.0 지류    

21 G10403-01 금강 영동천 봉황천하류 봉황천 03 G006 충남 금산군 제원면 제원리 제원교 36 6 28.0 127 33 10.0 지류 봉황천 송운기념공원

22 G10404-01 금강 영동천 호탄수위표 호탄천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신기교 (신기마을 입구) 36 8 57.0 127 38 8.0 지류    

23 G10405-01 금강 영동천 초강합류점 금강 15   충북 영동군 양산면 봉곡리 봉곡교 36 7 33.0 127 41 4.0 본류   송호관광단지

24 G10405-02 금강 영동천 초강합류점 금강 16 G008 충북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양강교 36 12 32.0 127 42 34.0 본류 영동  

25 G10406-01 금강 영동천 영동천 영동천 03 G009 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영동 제2교 36 9 57.0 127 46 34.0 지류 영동천1 고수부지

26 G10406-02R 금강 영동천 영동천 주곡천   충북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 주곡교 (주곡리 입구) 36 10 25.0 127 49 29.0 지류    

27 G10406-03 금강 영동천 영동천 영동천 04 G010 충북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 초강교 36 12 29.0 127 43 4.0 지류 영동천2  

28 G10501-01 금강 초강 초강상류 초강 03 G011 충북 영동군 매곡면 노천리 내장교 36 12 9.0 127 56 3.0 지류 초강1  

29 G10501-02 금강 초강 초강상류 추풍령천 02 G012 충북 영동군 황간면 광평리 광평교 36 13 2.0 127 56 25.0 지류 추풍령천  

30 G10502-01R 금강 초강 석천 반계천   경북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 송포교 36 17 34.0 127 58 33.0 지류   상수도보호구역

31 G10502-02 금강 초강 석천 석천 01   경북 상주시 모동면 수봉1리 백화교 36 17 23.0 127 56 50.0 지류    

32 G10503-01 금강 초강 초강하류 초강 07 G013 충북 영동군 심천면 단전리 단용교 36 13 40.0 127 43 26.0 지류 초강2  

33 G10601-01 금강 대청댐상류 보청천합류점 금강 18 G014 충북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 이원대교 36 15 44.0 127 38 20.0 본류 옥천  

34 G10601-02 금강 대청댐상류 보청천합류점 금강 19 G015 충북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 금강4교 36 16 30.0 127 41 36.0 본류 우산 금강유원지 근처

35 G10701-03 금강 보청천 보청천상류 보청천 01 G016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산성리 산성교 36 32 9.0 127 40 35.0 지류 보청천1 Reference

36 G10701-04R 금강 보청천 보청천상류 종곡천   충북 보은군 보은읍 강신리 강신교 36 29 41.0 127 44 40.0 지류    

<표 2.3.5> 금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Page 13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41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8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7 G10702-01 금강 보청천 항건천 항건천 02 G017 충북 보은군 수한면 오정리 오정2교 36 28 27.0 127 41 10.0 지류 항건천  

38 G10703-01 금강 보청천 삼가천합류점 보청천 03 G018 충북 보은군 탄부면 대양리 대양교 36 28 37.0 127 43 35.0 지류 보청천2  

39 G10704-01 금강 보청천 삼가천 삼가천 03   충북 보은군 탄부면 하장리 탄부교 36 26 3.0 127 48 48.0 지류  Reference, 수위관측소

40 G10705-01 금강 보청천 보청천중류 보청천 05 G019 충북 옥천군 청산면 교평리 예곡교 36 21 34.0 127 48 55.0 지류 보청천3  

41 G10706-01 금강 보청천 보청천하류 보청천 07 G020 충북 옥천군 청성면 양저리 양저대교 36 17 35.0 127 41 48.0 지류 보청천4 Reference

42 G10801-01R 금강 대청댐 대청댐상류 금강 20   충북 옥천군 동이면 청마리 청마리 말티 마을회관 앞 36 18 2.0 127 40 0.0 본류    

43 G10801-02 금강 대청댐 대청댐상류 금강 22   충북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장계교 36 22 1.0 127 38 20.0 본류 대청댐4 대청댐 시작

44 G10802-01 금강 대청댐 소옥천상류 금산천   충북 옥천군 군서면 금산리 금천1교 36 15 3.0 127 32 50.0 지류  Reference, 민박촌

45 G10803-01 금강 대청댐 소옥천하류 소옥천 02 G021 충북 옥천군 군서면 서정리 육군 2201부대 입구 36 19 58.0 127 34 14.0 지류 옥천천 2201부대 입구

46 G10804-01 금강 대청댐 대청댐 회인천 02 G022 충북 보은군 회북면 고석리 고석교 36 27 49.0 127 35 46.0 지류 회인천  

47 G10804-02 금강 대청댐 대청댐 주원천 G023 대전 동구 대청동 세천교 36 20 20.0 127 29 40.0 지류 주원천  

48 G10804-03 금강 대청댐 대청댐 품곡천   충북 청원군 문의면 노현리 노현교 36 30 57.0 127 30 24.0 지류 품곡천  

49 G10804-04 금강 대청댐 대청댐 금강 24   충북 청원군 문의면 덕유리 문의대교 36 29 38.0 127 28 53.0 본류 대청댐1 대청댐

50 G10804-05 금강 대청댐 대청댐 금강 25   충북 청원군 문의면 미천리 미천교 36 30 59.0 127 30 14.0 본류 대청댐3 대청댐

51 G10804-06 금강 대청댐 대청댐 금강 26   대전 대덕구 신탄진동 대청교 36 28 25.0 127 28 36.0 본류 대청댐 대청댐 유원지

52 G10805-01 금강 대청댐 대청댐조정지 용호천   대전 대덕구 장동 장동교 36 24 51.0 127 26 37.0 지류    

53 G10901-01 금강 갑천 갑천상류 두계천 01 G025 충남 계룡시 두마면 엄사리 두계교 36 15 48.0 127 16 51.0 지류 두계천  

54 G10902-01 금강 갑천 유성수위표 갑천 03 G026 대전 서구 평촌동 증촌교 36 15 0.0 127 19 38.0 지류 봉곡2교  

55 G10902-02 금강 갑천 유성수위표 갑천 05 G027 대전 서구가 수원동 가수원교 36 18 13.0 127 21 43.0 지류 갑천1  

56 G10903-01 금강 갑천 유등천상류 유등천 03   충남 금산군 복수면 구례리 구례교 36 12 1.0 127 22 54.0 지류    

57 G10904-01 금강 갑천 대전천 대전천 03 G032 대전 중구 인동 보문교 36 20 8.0 127 25 12.0 지류 대전천3 하상도로

58 G10905-01 금강 갑천 유등천하류 유등천 04 G030 대전 중구 산성동 버드내교 (한밭가든) 36 18 5.0 127 22 56.0 지류 유등천1 고수부지

59 G10905-02 금강 갑천 유등천하류 유등천 05 G031 대전 서구 삼천동 한밭대교 36 22 5.0 127 23 47.0 지류 유등천5 하상도로

60 G10906-01 금강 갑천 갑천하류 갑천 06 G029 대전 유성구 도룡동 대덕대교 36 22 5.0 127 22 53.0 지류 대전공단1  

61 G10906-02 금강 갑천 갑천하류 갑천 07 G033 대전 유성구 송강동 신구교 36 26 45.0 127 23 39.0 지류 갑천5  

62 G10906-03 금강 갑천 갑천하류 갑천 05-1 G028 대전 유성구 도안동 월평공원 돌다리 36 19 26.0 127 21 19.0 지류    

63 G11001-01 금강 대청댐하류 매포수위표 외천천 02 G035 충북 청원군 부용면 우록리 우록교 36 29 25.0 127 24 18.0 지류 현도공단  

64 G11002-01 금강 대청댐하류 미호천합류점 금강 27 G024 충북 청원군 현도면 시목리 외천 합류부 상류 36 27 10.0 127 25 35.0 본류 현도  

65 G11002-02 금강 대청댐하류 미호천합류점 금강 28 G034 충북 청원군 부용면 부용리 동양시멘트 옆 가교 36 30 50.0 127 22 3.0 본류 청원  

66 G11101-01 금강 미호천 한천 한천 03   충북 진천군 대소면 삼호리 삼호교 36 57 58.0 127 28 41.0 지류    

67 G11102-01 금강 미호천 미호천상류 미호천 02 G036 충북 음성군 삼성면 천평리 천평교 36 58 45.0 127 30 27.0 지류 미호천1  

68 G11102-02 금강 미호천 미호천상류 미호천 04 G039 충북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 오갑교 36 50 44.0 127 30 11.0 지류 미호천2  

69 G11102-03 금강 미호천 미호천상류 칠장천 01   충북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 월성교 36 58 18.0 127 27 13.0 지류 대풍공단  

70 G11102-04 금강 미호천 미호천상류 칠장천 02 G037 충북 진천군 이월면 내산리 미산교 36 58 19.0 127 27 7.0 지류 칠장천  

71 G11103-01 금강 미호천 백곡댐 백곡천 02 G040 충북 진천군 백곡면 석현리 용진교 36 52 42.0 127 22 55.0 지류 백곡천1  

72 G11104-01 금강 미호천 백곡천 백곡천 04 G041 충북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 신정교 36 51 16.0 127 27 41.0 지류 백곡천2  

73 G11105-01 금강 미호천 원남댐 마송천   충북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마송교 36 52 12.0 127 39 34.0 지류    

- 242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8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74 G11106-01 금강 미호천 미호(초평)댐 초평천 03 G042 충북 진천군 초평면 화산리 용동교 36 50 32.0 127 31 24.0 지류 초평천  

75 G11107-01 금강 미호천 보강천 보강천 02 G044 충북 청원군 북이면 보광교 36 46 50.0 127 34 28.0 지류 보강천  

76 G11108-01 금강 미호천 미호천중류 미호천 05 G038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농다리 36 49 35.0 127 29 34.0 지류 미호천7  

77 G11108-02 금강 미호천 미호천중류 미호천 06 G043 충북 청원군 오창면 은탄리 은탄교 36 46 9.0 127 30 41.0 지류 미호천3  

78 G11109-01 금강 미호천 북일수위표 미호천 07 G045 충북 청주시 외하동 화상리 석화천합류부 상류 2.5 km 36 42 27.0 127 28 24.0 지류 미호천4  

79 G11110-01 금강 미호천 무심천 무심천 03 G046 충북 청원군 신송리 신송대교 36 36 57.0 127 29 45.0 지류 무심천1  

80 G11110-02 금강 미호천 무심천 무심천 04 G047 충북 청주시사직2동 청주대교 36 37 59.0 127 29 10.0 지류 무심천2  

81 G11111-01 금강 미호천 병천천상류 병천천 02   충남 천안시 병천면 매송리 매송교 36 48 65.0 127 16 60.0 지류    

82 G11112-01 금강 미호천 병천천하류 병천천 05 G050 충북 청원군 강외면 환희2리 환희1교 36 38 14.0 127 21 2.0 지류 병천천  

83 G11113-01 금강 미호천 석화수위표 미호천 08 G048 충북 청원군 옥산면 중신리 남촌교 36 39 19.0 127 23 8.0 지류 미호천8  

84 G11113-02 금강 미호천 석화수위표 석남천 02 G051 충북 청주시 신촌동 석남천교 36 38 35.0 127 25 30.0 지류 청주공단2  

85 G11113-03 금강 미호천 석화수위표 가경천   충북 청주시 복대동 롯데리아앞 개신1교 36 37 21.0 127 26 68.0 지류 청주공단  

86 G11114-01 금강 미호천 조천 조천 03 G052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번암동 조천교 36 36 14.0 127 18 22.0 지류 조천하상주차장,고수부지

87 G11115-01 금강 미호천 미호천하류 미호천 09 G049 충북 청원군 강외면 서평1리 미호교 36 37 13.0 127 21 6.0 지류 미호천5  

88 G11115-02 금강 미호천 미호천하류 미호천 10 G054 충남 연기군 동면 보통리 봉암첩 합류부 36 31 18.0 127 19 14.0 지류 미호천6  

89 G11115-03 금강 미호천 미호천하류 월하천 02 G053 충남 연기군 서면 봉암리 월암교 36 34 15.0 127 17 18.0 지류 월하천  

90 G11201-01 금강 금강공주 용수천 용수천 03 G056 충남 연기군 금남면 감성리 도암교 36 27 21.0 127 16 33.0 지류 용수천  

91 G11202-01 금강 금강공주 금남수위표 금강 29 G055 충남 연기군 남면 나성리 금남교 36 28 46.0 127 16 12.0 본류 연기  

92 G11203-01 금강 금강공주 대교천 대교천 02 G057 충남 공주시 장기면 도계리 송암교 36 29 46.0 127 12 38.0 지류 대교천  

93 G11204-01 금강 금강공주 공주수위표 석장천   충남 공주시 장기면 장암리 장암교 상류 550 m 다리 36 26 58.0 127 11 14.0 지류    

94 G11205-01 금강 금강공주 유구천합류점 금강 30 G058 충남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탄천초교대학분교장 마을 입구 36 27 51.0 127 7 34.0 본류 곰나루  

95 G11205-02 금강 금강공주 유구천합류점 정안천 03 G059 충남 공주시 신관동 정안천교 36 28 7.0 127 7 40.0 지류 정안천  

96 G11206-01 금강 금강공주 유구천 유구천 02   충남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동원교 36 31 21.0 126 57 36.0 지류    

97 G11206-02 금강 금강공주 유구천 유구천 04 G060 충남 공주시 우성면 대성리 대성양수장 앞 36 27 56.0 127 3 14.0 지류 유구천  

98 G11207-01 금강 금강공주 어천합류점 검상천   충남 공주시 검상동 만수교 36 25 49.0 127 4 19.0 지류    

99 G11208-01 금강 금강공주 지천합류점 금강 31 G061 충남 공주시 탄천면 분강리 도선관리사무소 앞 36 20 18.0 126 59 5.0 본류 공주2  

100 G11209-01 금강 금강공주 지천상류 지천 03   충남 청양군 대치면 개곡리 개곡교 36 23 49.0 126 50 34.0 지류    

101 G11210-01 금강 금강공주 지천하류 지천 05 G063 충남 부여군 은산면 회곡리 지천교 36 19 24.0 126 51 40.0 지류 지천  

102 G11211-01 금강 금강공주 규암수위표 금강 032 G062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정동리 백마강교 36 18 1.0 126 55 30.0 본류 정동  

103 G11211-02 금강 금강공주 규암수위표 은산천 02 G064 충남 부여군 규암면 모리 모리교 36 17 34.0 126 52 24.0 지류 은산천  

104 G11212-01 금강 금강공주 금천 금천 03 G065 충남 부여군 구룡면 용당리 용당교 36 14 39.0 126 53 11.0 지류 금천  

105 G11213-01 금강 금강공주 석성천 석성천 03 G066 충남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 성동교 36 13 56.0 127 2 3.0 지류 석성천  

106 G11214-01 금강 금강공주 논산천합류점 금강 33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 백제대교 36 16 34.0 126 53 18.0 본류 부여1  

107 G11214-02 금강 금강공주 논산천합류점 금강 34   충남 부여군 장암면 사산리 구 양수장 앞 36 12 3.0 126 57 57.0 본류 부여2  

108 G11214-03 금강 금강공주 논산천합류점 금강 35 G067 충남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 사현교 36 10 32.0 127 0 9.0 본류 성동  

109 G11301-01 금강 논산천 논산천상류 장선천 01   전북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 고당청소년수련원 앞 36 3 23.0 127 20 40.0 지류   Reference

110 G11302-01 금강 논산천 탑정댐 논산천 02 G068 충남 논산시 가야곡면 신흥유원지 36 10 18.0 127 12 18.0 지류 논산천1 유원지

Page 13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43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8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11 G11303-01 금강 논산천 노성천 노성천 03 G069 충남 논산시 광석면 산동리 왕전배수장 앞 36 12 58.0 127 5 43.0 지류 노성천 왕전배수장

112 G11304-01 금강 논산천 강경천 강경천 04 G074 충남 논산시 걍경읍 채운리 제내교 36 9 34.0 127 1 37.0 지류 강경천  

113 G11304-02 금강 논산천 강경천 마산천 02   충남 논산시 연무읍 봉동리 두화수문교 36 6 49.0 127 4 6.0 지류 마산천  

114 G11304-03 금강 논산천 강경천 수철천 G072 충남 논산시 연무읍 황화정리 황화교 36 5 53.0 127 5 45.0 지류 수철천  

115 G11304-04 금강 논산천 강경천 어량천 02 G073 전북 익산시 망성면 무형리 어량교 36 6 44.0 127 2 27.0 지류 어량천  

116 G11305-01 금강 논산천 논산천하류 논산천 03   충남 논산시 부적면 탑정리 탑정교 36 10 18.0 127 8 59.0 지류 탑정지1 탑정호 수문 하류

117 G11305-02 금강 논산천 논산천하류 논산천 04 G070 충남 논산시 부적면 왕덕리 계백교 36 12 26.0 127 4 59.0 지류 논산천2  

118 G11305-03 금강 논산천 논산천하류 논산천 05 G075 충남 논산시 성동면 삼호리 봉화배수장에서 둑방으로 100 m 36 9 46.0 127 0 48.0 지류 논산천4  

119 G11305-04 금강 논산천 논산천하류 방축천 G071 충남 논산시 채운면 용화리 용화교 36 10 12.0 127 3 20.0 지류 방축천  

120 G11401-01 금강 금강하구언 입포수위표 금강 36   충남 논산시 강경읍 황산동 황산나루터 선착장 옆 황산대교 밑 36 9 3.0 127 0 35.0 본류 강경 하구언

121 G11402-01 금강 금강하구언 길산천 길산천 02 G076 충남 서천군 기산면 산정리 북원교 36 4 18.0 126 43 58.0 지류 길산천  

122 G11403-01 금강 금강하구언 금강하구언 금강 37 G077 충남 부여군 양화면 시음리 웅포대교 36 6 15.0 126 52 31.0 본류 양화-1 하구언

123 G11403-02 금강 금강하구언 금강하구언 금강 40   전북 군산시 성산면 금강하구둑 36 0 47.0 126 45 4.0 본류 금강하구언1 금강갑문

124 G20101-01R 만경강 만경강 대아댐 용연천   전북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편암교 35 56 14.0 127 19 30.0 지류  

125 G20101-02 만경강 만경강 대아댐 만경강 03 G078 전북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 용암교 35 58 49.0 127 15 31.0 기타 대아지1 Reference

126 G20102-01 만경강 만경강 경천댐 고산천 04 G079 전북 완주군 화산면 화평리 화평교 36 0 59.0 127 14 16.0 기타 경천지1  

127 G20103-01 만경강 만경강 대아댐하류 신흥천   전북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구재제1교 36 2 7.0 127 16 33.0 기타   Reference

128 G20104-01 만경강 만경강 소양천 소양천 01 G081 전북 완주군 소양면 황운리 해월교 35 50 60.0 127 13 39.0 기타 소양천1  

129 G20104-02 만경강 만경강 소양천 소양천 03 G082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 소양교 35 52 20.0 127 9 33.0 기타 소양천2  

130 G20105-01 만경강 만경강 전주천합류점 만경강 04 G080 전북 완주군 봉동급 율소리 양화교 35 58 16.0 127 13 7.0 기타 고산 Reference

131 G20105-02 만경강 만경강 전주천합류점 만경강 05 G083 전북 완주군 삼례읍 하리 하리교 35 53 34.0 127 6 8.0 기타 전주  

132 G20106-01 만경강 만경강 전주천상류 수원천   전북 완주군 상관면 마치리 저수지 하부 제방교각 35 46 28.0 127 13 13.0 기타    

133 G20107-01 만경강 만경강 구이댐 계월천   전북 완주군 구이면 계곡리 매산교 35 40 42.0 127 6 19.0 기타    

134 G20108-01 만경강 만경강 삼천 삼천 03 G087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석구동 용와마을 (골프장) 인근 35 46 57.0 127 6 46.0 기타 삼천1  

135 G20108-02 만경강 만경강 삼천 삼천 04 G088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마전교 35 49 58.0 127 6 28.0 기타 삼천2 하상도로

136 G20109-01 만경강 만경강 전주천하류 전주천 02 G084 전북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색장교 35 47 28.0 127 11 43.0 기타 전주천1 Reference

137 G20109-02 만경강 만경강 전주천하류 전주천 03 G085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완산동 완산교 35 48 18.0 127 9 54.0 기타 전주천2  

138 G20109-03 만경강 만경강 전주천하류 전주천 04 G086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 전주천교 35 50 32.0 127 6 24.0 기타 전주천4  

139 G20110-01 만경강 만경강 익산천 익산천 02 G090 전북 익산시 춘포면 인수리 인수교 35 53 57.0 127 1 53.0 기타 익산천  

140 G20111-01 만경강 만경강 만경강중류 만경강 06 G089 전북 익산시 춘포면 용연리 익산교 35 53 45.0 127 4 16.0 기타 삼례  

141 G20111-02 만경강 만경강 만경강중류 만경강 07 G091 전북 익산시 목천동 만경교 35 54 12.0 126 57 29.0 기타 김제  

142 G20111-03 만경강 만경강 만경강중류 이리천   전북 익산시 동산동 신기교 35 55 15.0 126 58 27.0 기타 이리공단  

143 G20112-01 만경강 만경강 동지산수위표 탑천 02   전북 군산시 서수면 서수리 석화교 35 59 8.0 126 53 45.0 기타    

144 G20113-01 만경강 만경강 옥서면 미제천   전북 군산시 옥구읍 선제리 상평교 35 55 14.0 126 41 50.0 기타    

145 G20114-01 만경강 만경강 만경강하류 만경강 08   전북 군산시 대야면 복교리 고석천 유입부 상류 500 m 35 55 10.0 126 50 30.0 기타    

146 G30115-01 동진강 동진강 동진강상류 동진강 01   전북 정읍시 산외면 산외수양관 가는길 근처 다리 35 37 58.0 127 3 45.0 기타    

147 G30116-01 동진강 동진강 신태인수위표 동진강 02 G092 전북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시산교 35 36 46.0 126 58 49.0 기타 동진강1  

- 244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8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48 G30117-01R 동진강 동진강 정읍천 정읍천 01   전북정읍시 나장상동 단풍다리 35 30 13.0 126 54 38.0 지류  내장산국립공원

무료주차장

149 G30117-02 동진강 동진강 정읍천 정읍천 02 G095 전북 정읍시 내장상동 송산교 35 34 52.0 126 49 44.0 기타 정읍천1  

150 G30117-03 동진강 동진강 정읍천 정읍천 03 G096 전북 정읍시 농소동 정읍교 35 32 40.0 126 52 46.0 기타 정읍천3  

151 G30117-04 동진강 동진강 정읍천 정읍천 04 G097 전북 정읍시 덕천면 초강리 정읍천대교 35 40 33.0 126 51 55.0 기타 정읍천4  

152 G30117-05 동진강 동진강 정읍천 천원천 02 G094 전북 정읍시 상교동 상평교 35 34 1.0 126 49 44.0 기타 천원천  

153 G30118-01 동진강 동진강 고부천상류 고부천 01   전북 고창군 성내면 옥제리 송암교 (동림저수지 상류) 35 30 41.0 126 42 46.0 기타    

154 G30119-01 동진강 동진강 고부천하류 고부천 02   전북 부안군 줄포면 난산리 백운교 35 34 50.0 126 43 32.0 기타    

155 G30119-02 동진강 동진강 고부천하류 고부천 03 G099 전북 부안군 영원면 맹성리 앵성교 35 39 20.0 126 45 46.0 기타 고부천1  

156 G30119-03 동진강 동진강 고부천하류 고부천 04 G100 전북 부안군 동진면 용계리 팔왕교 (팔왕가든 근처) 35 43 29.0 126 47 21.0 기타 고부천2  

157 G30120-01 동진강 동진강 원평천 원평천 03   전북 정읍시 봉남면 삼평리 양전교 35 44 43.0 126 54 37.0 기타 원평천1  

158 G30120-02 동진강 동진강 원평천 원평천 04   전북 부안군 죽산면 대창리 죽산교 (지방도 다리) 35 45 51.0 126 48 42.0 기타 원평천2  

159 G30121-01 동진강 동진강 신평천 신평천 02   전북 김제시 죽산면 종신리 수교 35 47 53.0 126 48 26.0 기타   신평갑문

160 G30122-01 동진강 동진강 동진강하류 동진강 04 G093 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신양동 신태인대교 밑 신고제일교 35 40 45.0 126 52 9.0 기타 동진강2  

161 G30122-02 동진강 동진강 동진강하류 동진강 05 G098 전북 부안군 동진면 서포리 동진교 35 42 50.0 126 49 8.0 기타 동진강3  

162 G30122-03 동진강 동진강 동진강하류 덕천천 01   전북 정읍시 이평면 창동리 창동교 35 39 25.0 126 49 21.0 기타 덕천천  

163 G40123-01 삽교천 삽교천 삽교천상류 삽교천 01   충남 홍성군 장곡면 홍원리 홍원교 36 32 70.7 126 41 55.0 기타    

164 G40124-01 삽교천 삽교천 구만수위표 삽교천 04 G101 충남 예산군 삽교읍 삽교리 충의대교 36 41 1.0 126 43 57.0 기타 삽교천1  

165 G40125-01 삽교천 삽교천 삽교천중류 삽교천 05 G102 충남 당진군 합덕읍 신리 신리 양수장 36 44 0.0 126 45 21.0 기타 삽교천2  

166 G40126-01 삽교천 삽교천 무한천상류 무한천 01   충남 청양군 화성면 광평리 제2장군교 36 26 97.4 126 43 67.5 기타    

167 G40127-01 삽교천 삽교천 화산천 화산천 02   충남 예산군 대술면 산정리 산들교 36 38 99.7 126 53 17.2 기타    

168 G40128-01 삽교천 삽교천 신양천 운곡천   충남 쳥양군 운곡면 신대리 신운곡교 36 34 15.9 126 47 10.8 기타    

169 G40129-01 삽교천 삽교천 예당댐 무한천 03 G104 충남 예산군 광시면 신대리 신대교 36 33 57.0 126 47 18.0 기타 무한천1 수산자원보호구역

170 G40129-02 삽교천 삽교천 예당댐 무한천 04   충남 예산군 대흥면 지곡리 딴산교 36 38 56.5 126 48 58.8 기타 예당지1  

171 G40130-01 삽교천 삽교천 무한천하류 무한천 06 G105 충남 예산군 신암면 종경리 신례원교 36 43 47.0 126 49 59.0 기타 무한천2  

172 G40131-01 삽교천 삽교천 곡교천상류 곡교천 01   충남 천안시 광덕면 대평리 원덕교 36 40 18.3 127 8 41.1 기타    

173 G40132-01 삽교천 삽교천 풍서천 풍서천 02   충남 천안시 풍세면 풍서리 풍세교 36 43 25.1 127 7 22.6 기타    

174 G40133-01 삽교천 삽교천 천안천 천안천 01 G108 충남 천안시 다가동 다가교 36 47 46.0 127 8 54.0 기타 천안천1  

175 G40133-02 삽교천 삽교천 천안천 천안천 02 G110 충남 아산시 배방면 휴대리 휴대교 36 46 41.0 127 6 56.0 기타 천안천2  

176 G40133-03 삽교천 삽교천 천안천 원성천 G107 충남 천안시 원성동 구성교 36 48 1.4 127 9 12.8 기타 원성천  

177 G40133-04 삽교천 삽교천 천안천 삼룡천 G109 충남 천안시구성동 삼용교 36 47 50.5 127 9 33.6 기타 삼룡천  

178 G40134-01 삽교천 삽교천 곡교천중류 곡교천 03 G106 충남 천안시 풍세면 삼태1리 축산단지 하류 300 m 다리 36 44 56.0 127 7 44.0 기타 곡교천1  

179 G40135-01 삽교천 삽교천 온양천 마곡천 G111 충남 아산시 송악면 마곡리 방미교 36 47 33.0 126 59 47.0 기타 온천천  

180 G40136-01 삽교천 삽교천 강청수위표 곡교천 06 G112 충남 아산시 선장면 홍곳리 학성천 합류부 36 49 8.0 126 56 11.0 기타 곡교천2  

181 G40137-01 삽교천 삽교천 곡교천하류 학성천   충남 아산시 선장면 선창리 선창교 36 47 26.4 126 52 94.7 기타    

182 G40138-01 삽교천 삽교천 삽교방조제 삽교천 06   충남 아산시 선장면 돈포리 도고천 유입부 36 46 57.0 126 51 30.0 기타 삽교호1  

183 G40138-02 삽교천 삽교천 삽교방조제 삽교천 07 G103 충남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 한뿌리 마을 앞 36 52 57.0 126 49 45.0 기타 삽교호2  

184 G50139-01 기타 대호방조제 대호방조제 성연천   충남 서산시 성연면 평리 성연파출소 인근 36 50 23.3 126 27 59.2 기타    

Page 13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45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8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 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85 G50140-01 기타 대호방조제 석문방조제 역천 02 G114 충남 당진군 당진읍 우두리 채운교 36 56 17.0 126 37 59.0 기타 당진천-1  

186 G50140-02 기타 대호방조제 석문방조제 당진천 02 G113 충남 당진군 당진읍 우두리 우수교 36 53 39.0 126 19 34.0 기타 당진천  

187 G50141-01 기타 대호방조제 송산방조제 초대천   충남 당진군 신평면 초대리 초대교 36 53 81.5 126 45 63.4 기타    

188 G50201-01 기타 부남방조제 용요천 용요천   충남 태안군 근흥면 수용리 용신교 36 44 63.8 126 14 63.6 기타    

189 G50202-01 기타 부남방조제 반계천 갈두천   충남 태안군 원북면 대기리 풍천교 36 47 69.5 126 15 82.8 기타    

190 G50203-01 기타 부남방조제 부남방조제 장검천 G116 충남 서산시 부석면 갈마리 갈마1리 입구 교각 36 43 5.0 126 23 31.0 기타 장검천  

191 G50203-02 기타 부남방조제 부남방조제 태안천 G115 충남 태안군태안읍 반곡교 36 44 13.0 126 19 50.0 기타 태안천  

192 G50204-01 기타 부남방조제 간월방조제 중리천   충남 홍성군 서부면 중리 중리 입구 36 34 43.0 126 31 35.0 기타    

193 G50204-02 기타 부남방조제 간월방조제 와룡천 02 G121 충남 홍성군 갈산면 상촌리 행산교 36 35 49.0 126 33 6.0 기타 와룡천  

194 G50204-03 기타 부남방조제 간월방조제 도당천 02 G119 충남 서산시 해미면 웅소성리 대교 36 43 58.0 126 31 15.0 기타 도당천  

195 G50204-04 기타 부남방조제 간월방조제 청지천 G118 충남 서산시수석동 청지천교 36 45 54.0 126 28 38.0 기타 청지천  

196 G50204-05 기타 부남방조제 간월방조제 둔당천 G117 충남 서산시 석남동 둔당교 36 45 29.0 126 25 56.0 기타 둔당천  

197 G50204-06 기타 부남방조제 간월방조제 간월호 G120 충남 홍성군 서부면 궁리 간월호 A방조제 앞 36 35 35.0 126 27 34.0 기타 간월호  

198 G50205-01 기타 부남방조제 금리천 판교천   충남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판교리 마을회관 옆 하천 36 32 27.0 126 31 13.0 기타    

199 G50301-01 기타 금강서해 광천천 광천천 G122 충남 홍성군 광천읍 광천리 소용교 36 30 33.0 126 38 40.0 기타 광천천  

200 G50302-01 기타 금강서해 봉당천 봉당천   충남 보령시 주교면 주교 배다리 36 23 47.6 126 33 89.4 기타    

201 G50303-01 기타 금강서해 청천(청라)댐 길현천   충남 보령시 청라면 옥계리 서촌교 36 24 69.3 126 38 77.8 기타    

202 G50304-01 기타 금강서해 대천천 남포천   충남 보령시 남포면 제석리 제석2리입구 교각 36 18 39.9 126 34 36.0 기타    

203 G50304-02 기타 금강서해 대천천 대천천 02 G123 충남 보령시 대천동 동대교 36 20 38.0 126 36 2.0 기타 대천천  

204 G50305-01 기타 금강서해 보령댐 웅천천 02 G124 충남 보령시 미산면 도화담리 도화담교 36 17 16.0 126 40 40.0 기타 웅천천1  

205 G50305-02 기타 금강서해 보령댐 웅천천 03   충남 보령시 웅천읍 평리 용암교 35 15 39.0 126 38 36.2 기타 보령댐1  

206 G50306-01 기타 금강서해 웅천천 웅천천 04 G125 충남 보령시 웅천읍 노천리 노천교 36 13 25.0 126 35 48.0 기타 웅천천2  

207 G50307-01 기타 금강서해 종천천 종천천 01   충남 서천군 판교면 상좌리 상일교 36 8 94.9 126 39 20.0 기타    

208 G50308-01 기타 금강서해 판교천 판교천 02 G126 충남 서천군 서천읍 구암리 구암교 36 5 20.0 126 40 50.0 기타 판교천  

209 G50309-01 기타 금강서해 경포천 경포천   전북 군산시 미장동 미장교 35 57 54.9 126 43 39.8 기타    

210 G50401-01 기타 직소천 부안댐 직소천 02 G127 전북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직소교 35 40 12.0 126 34 51.0 기타 부안댐1Reference,보조댐 하부

211 G50401-02R 기타 직소천 부안댐 거석천   전북 부안군 상서면 거석리 거석2교 35 38 26.0 126 37 44.0 지류   상수원 보호구역

212 G50401-03 기타 직소천 부안댐 백천 G128 전북 부안군 상서면 노적리 노적교 35 39 22.0 126 37 1.0 기타 백천내 Reference,유원지

213 G50402-01 기타 직소천 주상천 주상천 01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가오교 35 40 56.0 126 41 27.0 기타    

214 G50501-01 기타 주진천 운산천 마동천   전북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마동삼거리 근처 35 36 19.0 126 31 15.0 기타   Reference

215 G50502-01 기타 주진천 갈곡천 갈곡천 01   전북 고창군 심림면 평월리 자포교 35 28 44.0 126 42 2.0 기타    

216 G50503-01 기타 주진천 주진천 주진천 02 G129 전북 고창군 아산면 계산리 연화교 35 28 31.0 126 36 38.0 기타 주진천  

217 G50503-02 기타 주진천 주진천 주진천 03 G130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연기교 35 30 19.0 126 36 8.0 기타 주진천-1  

218 G50504-01 기타 주진천 해리천 해리천 01   전북 고창군 해리면 송산리 송산교 35 27 26.0 126 32 13.0 기타    

- 246 -

No. 분류코드 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 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 S10101-01 섬진강섬진강댐 섬진강상류 섬진강01 Y041 전북 진안군 백운면 남계리 동남교 35 40 21.0 127 23 22.0 본류    

2 S10101-02 섬진강섬진강댐 섬진강상류 섬진강02 Y042 전북 진안군 마령면 계서리 계남교 35 43 13.0 127 22 30.0 본류    

3 S10102-01 섬진강섬진강댐 세동천 세동천03 Y048 전북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덕천교 35 45 21.0 127 21 12.0 지류    

4 S10103-01 섬진강섬진강댐 관촌수위표 섬진강03 Y043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서산교 35 44 26.0 127 20 18.0 본류 관촌  

5 S10103-02R 섬진강섬진강댐 관촌수위표 구신천 02   전북 임실 관촌 방현리 좌산교 35 41 2.9 127 17 37.1 지류    

6 S10103-03 섬진강섬진강댐 관촌수위표 섬진강04 Y044 전북 진안군 성수면 용포리 반용교 35 42 24.0 127 18 37.0 본류    

7 S10103-04 섬진강섬진강댐 관촌수위표 섬진강05 Y045 전북 임실군 관촌면 관촌리 오원교 35 40 10.0 127 16 15.0 본류    

8 S10104-01 섬진강섬진강댐 임실천 임실천02 Y049 전북 임실군 신평면 창인리 용산교 35 38 58.0 127 16 56.0 지류 운암 중권역대표

9 S10105-01 섬진강섬진강댐 섬진강댐상류 섬진강06 Y046 전북 임실군 신평면 호암리 호암교 35 38 44.0 127 15 13.0 본류    

10 S10105-02 섬진강섬진강댐 섬진강댐상류 섬진강07 Y047 전북 임실군 신평면 덕암리 덕암교 35 36 40.0 127 12 14.0 본류    

11 S10106-01 섬진강섬진강댐 옥녀동천 옥녀동천01 Y050 전북 임실군 신덕면 신흥리 흥덕교 35 41 15.0 127 9 33.0 지류    

12 S10107-01 섬진강섬진강댐 추령천상류 추령천02 Y051 전북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 하리교 35 27 7.0 126 59 2.0 지류    

13 S10108-01 섬진강섬진강댐 추령천하류 추령천04 Y052 전북 정읍시 산내면 매죽리 사내버스 정류장, 잠수교 35 33 17.0 127 0 54.0 지류 임실  

14 S10109-01 섬진강섬진강댐 섬진강댐 황토천   전북 정읍시 산내면 장금리 황토교 35 32 29.3 127 4 46.6 지류    

15 S10201-01 섬진강섬진강댐하류섬진강댐하류 섬진강09 Y054 전북 임실군 강진면 회진리 임실보 (장자) 35 31 13.0 127 7 5.0 본류    

16 S10201-02 섬진강섬진강댐하류섬진강댐하류 갈담천02 Y053 전북 임실군 강진면 회진리 회진교 35 31 32.0 127 9 9.0 지류    

17 S10201-03 섬진강섬진강댐하류섬진강댐하류 섬진강10 Y055 전북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회곡교 35 30 55.0 127 9 49.0 본류    

18 S10202-01 섬진강섬진강댐하류 치천 문치천   전북 순창군 구림면 운남리 방화교 35 27 39.9 127 5 33.2 지류    

19 S10202-02 섬진강섬진강댐하류 치천 치천04 Y058 전북 임실군 덕치면 일중리 일중교 35 29 22.0 127 8 49.0 지류 동계 중권역대표

20 S10203-01 섬진강섬진강댐하류 오수천합류점 섬진강11 Y056 전북 임실군 덕치면 장암리 장산회관 (장산리경로당) 35 29 8.0 127 9 48.0 본류    

21 S10203-02 섬진강섬진강댐하류 오수천합류점 섬진강12 Y057 전북 순창군 적성면 구미리 방산마을, 나루터 35 26 59.0 127 12 9.0 본류    

22 S10301-01 섬진강 오수천 오수천상류 오수천02 Y059 전북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지덕교 35 33 12.0 127 20 5.0 지류    

23 S10302-01 섬진강 오수천 오수천중류 오수천03   전북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실곡교 35 31 24.2 127 19 38.2 지류 오수천 중권역대표

24 S10303-01 섬진강 오수천 오수천하류 오수천04 Y060 전북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둔덕교 35 29 50.0 127 19 7.0 지류 적성 주요

25 S10303-02 섬진강 오수천 오수천하류 오수천05 Y061 전북 순창군 적성면 평남리 서호교 35 25 51.0 127 13 57.0 지류    

26 S10401-01 섬진강 순창 경천합류점 섬진강13 Y064 전북 순창군 적성면 고원리 유적교 35 23 34.0 127 12 33.0 본류    

27 S10402-01 섬진강 순창 경천 경천02 Y062 전북 순창군 순창읍 교성리 옥천교 35 22 29.0 127 8 0.0 지류    

28 S10402-02 섬진강 순창 경천 경천03 Y063 전북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 승입마을 버스정류장 35 21 33.0 127 11 4.0 지류    

29 S10403-01 섬진강 순창 옥과천 옥과천02 Y068 전남 곡성군 옥과면 황산리 금단양수장 하류 35 16 0.0 127 7 37.0 지류    

30 S10403-02 섬진강 순창 옥과천 옥과천03 Y069 전남 곡성군 옥과면 주산리 주산교 35 17 53.0 127 8 52.0 지류    

31 S10404-01 섬진강 순창 요천합류점 섬진강14 Y065 전북 순창군 풍산면 대가리 대풍교 35 20 47.0 127 11 15.0 본류 남원 중권역대표

32 S10404-02 섬진강 순창 요천합류점 섬진강15 Y066 전북 남원시 대강면 방산리 방산나루, 방산 양수장 35 18 56.0 127 11 58.0 본류    

33 S10404-03 섬진강 순창 요천합류점 섬진강16 Y067 전북 남원시 금지면 귀석리 금곡교 35 18 37.0 127 17 55.0 본류    

34 S10501-01 섬진강 요천 동화댐 백운천B01   전북 장수군 번암면 지지리 원지지마을 35 34 42.5 127 34 20.2 지류    

35 S10502-01 섬진강 요천 요천상류 요천02 Y070 전북 장수군 번암면 죽산리 죽산교 35 32 29.0 127 31 6.0 지류    

36 S10502-02 섬진강 요천 요천상류 요천04 Y071 전북 장수군 번암면 대논리 월석교 35 30 13.0 127 32 5.0 지류 요천  

<표 2.3.6>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후보구간

Page 13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47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37 S10503-01 섬진강 요천 남원수위표 요천06 Y072 전북 남원시 이백면 척문리 이백교 35 25 22.0 127 24 44.0 지류 요천-1 중권역대표

38 S10504-01 섬진강 요천 요천하류 요천08 Y073 전북 남원시 금지면 창산리 금송교 35 20 44.0 127 18 19.0 지류 고달  

39 S10504-02 섬진강 요천 요천하류 요천09 Y074 전북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 요천대교 35 19 8.0 127 18 41.0 지류    

40 S10601-01 섬진강섬진곡성 곡성천합류점 섬진강17 Y076 전남 곡성군 고달면 고달리 고달교 35 17 37.0 127 19 42.0 본류    

41 S10602-01 섬진강섬진곡성 곡성천 곡성천02 Y075 전남 곡성군 오곡면 대평리 이화교 35 16 40.0 127 19 1.0 지류    

42 S10602-02 섬진강섬진곡성 곡성천 오곡천02 Y079 전남 곡성군 오곡면 덕산리 덕산교, 덕산리회관 35 15 54.0 127 18 24.0 지류 곡성 중권역대표

43 S10603-01 섬진강섬진곡성 압록수위표 섬진강18 Y077 전남 곡성군 고달면 두가리 두곡교 35 15 53.0 127 20 33.0 본류    

44 S10603-02 섬진강섬진곡성 압록수위표 섬진강19 Y078 전남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 압록역 앞 35 11 53.0 127 22 32.0 본류    

45 S10701-01 섬진강 주암댐 보성강상류 보성강02 Y083 전남 장흥군 장동면 배산리 마흘교 34 45 26.0 127 1 33.0 지류    

46 S10702-01 섬진강 주암댐 겸백수위표 보성강03 Y084 전남 장흥군 장평면 녹양리 죽동교, 죽동마을 34 48 26.0 127 1 31.0 지류 보성강  

47 S10702-02 섬진강 주암댐 겸백수위표 보성강05 Y085 전남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 용지교 34 47 27.0 127 5 46.0 지류 보성강-1 중권역대표

48 S10702-03 섬진강 주암댐 겸백수위표 보성강07 Y086 전남 보성군 겸백면 평호리 가장교 (겸백초교) 34 49 52.0 127 8 48.0 지류    

49 S10702-04 섬진강 주암댐 겸백수위표 보성강08 Y087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운림리 숙호교 34 51 5.0 127 9 38.0 지류    

50 S10703-01 섬진강 주암댐 주암댐상류 율어천02   전남 보성군 율어면 율어리 상율교, 율어중교 34 52 15.1 127 11 5.4 지류 동복천2  

51 S10704-01 섬진강 주암댐 동복댐 길성천   전남 화순군 북면 길성리 길성3교 35 8 44.8 127 6 46.1 지류    

52 S10705-01 섬진강 주암댐 동복천 동복천03 Y080 전남 화순군 북면 임곡리 임곡교 35 8 28.0 127 5 33.0 지류 동복천1  

53 S10705-02 섬진강 주암댐 동복천 동복천05 Y081 전남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 복영마을 앞 교량 35 4 23.0 127 6 59.0 지류    

54 S10705-03 섬진강 주암댐 동복천 동복천06 Y082 전남 화순군 남면 용리 용리교 35 1 34.0 127 6 50.0 지류    

55 S10706-01 섬진강 주암댐 송광천 외서천   전남 순천시 외서면 장산리 제1장산교 34 54 21.8 127 17 3.6 지류    

56 S10707-01 섬진강 주암댐 주암댐 한천천   전남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 외장마을 콘크리트 교량 34 57 55.7 127 13 34.6 지류    

57 S10801-01 섬진강 보성강 주암댐하류 보성강10 Y088 전남 순천시 주암면 대곡리 대곡1양수장 35 6 33.0 127 15 1.0 지류 보성천  

58 S10801-02 섬진강 보성강 주암댐하류 보성강11 Y089 전남 곡성군 목사동면 삼태리 삼태교 앞 35 7 53.0 127 17 13.0 지류 보성천-1주요/중권역대표

59 S10802-01 섬진강 보성강 보성강하류 보성강12 Y090 전남 곡성군 죽곡면 유봉리 태안교 35 9 36.0 127 20 47.0 지류    

60 S10802-02 섬진강 보성강 보성강하류 보성강13 Y091 전남 곡성군 죽곡면 용정리 한우리참숯갈비 35 10 38.0 127 21 21.0 지류 계산  

61 S10901-01 섬진강섬진강하류 황전천 황전천03 Y099 전남 순천시 황전면 선변리 17번국도 교량 하부 35 9 13.0 127 27 40.0 지류    

62 S10902-01 섬진강섬진강하류 구례수위표 섬진강20 Y094 전남 구례군 구례읍 죽마리 구례1교 35 9 56.0 127 27 51.0 본류    

63 S10903-01R 섬진강섬진강하류 서시천 용추천   전남 구례 산동 위안리 월계교 35 20 2.9 127 28 53.3 지류    

64 S10903-02 섬진강섬진강하류 서시천 서시천02 Y092 전남구례군산동면외산리하신교 35 18 0.0 127 25 40.0 지류    

65 S10903-03 섬진강섬진강하류 서시천 서시천05 Y093 전남 구례군 구례읍 봉남리 서시교 35 12 40.0 127 28 28.0 지류 구례 주요

66 S10904-01 섬진강섬진강하류 송정수위표 섬진강21 Y095 전남 구례군 문척면 금정리 금평양수장 인근 35 11 30.0 127 30 26.0 본류    

67 S10904-02 섬진강섬진강하류 송정수위표 섬진강22 Y096 전남 구례군 토지면 파도리 간전교 35 11 24.0 127 32 39.0 본류    

68 S10905-01 섬진강섬진강하류 화개천합류점 연곡천   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서리 콘크리트 교량 35 14 37.2 127 35 5.4 지류 덕은  

69 S10906-01 섬진강섬진강하류 화개천 화개천02 Y097 경남 하동군 화개 운수리 용운교 35 14 12.0 127 38 29.0 지류    

70 S10907-01R 섬진강섬진강하류 하동2수위표 섬진강 23   경남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부덕초교 (남도대교 하류) 35 10 8.0 127 38 33.4 지류 횡천강1  

71 S10907-02 섬진강섬진강하류 하동2수위표 섬진강24   경남 하동군 악양면 미점리 악양삼거리 35 7 50.2 127 41 39.5 본류    

72 S10908-01 섬진강섬진강하류 하동댐 횡천강01 Y100 경남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 시목교 35 11 24.0 127 47 4.0 지류 횡천강2  

73 S10909-01 섬진강섬진강하류 횡천강 횡천강03 Y101 경남 하동군 청암면 평촌리 평촌교 35 9 36.0 127 47 19.0 지류 횡천강3  

- 248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74 S10909-02 섬진강섬진강하류 횡천강 횡천강05 Y102 경남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마치교 35 4 59.0 127 47 52.0 지류    

75 S10909-03 섬진강섬진강하류 횡천강 횡천강06 Y103 경남 하동군 적량면 고절리 대석교 35 3 34.0 127 47 0.0 지류 하동 주요

76 S10910-01 섬진강섬진강하류 주교천 주교천02 Y098 경남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 고하교 35 1 15.0 127 49 54.0 지류 진월 중권역대표

77 S10911-01 섬진강섬진강하류 섬진강하류 섬진강25   경남 하동군 하동읍 비파리 섬진교 35 3 50.7 127 44 28.1 본류    

78 S10911-02 섬진강섬진강하류 섬진강하류 진월 Y104 경남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 19번 및 2번국도 분기전 500 m 상류 34 59 6.0 127 46 22.0 지류    

79 Y11001-01 영산강 영산강상류 담양댐 영산강01 Y001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 담양호 유입부, 792번도로 교점 35 25 20.9 127 2 4.1 본류 담양 주요

80 Y11002-01 영산강 영산강상류 오례천 오례천01   전남 담양군 무정면 평지리 평지교 (담양군 무정면 평지리) 35 16 54.8 127 3 45.0 지류    

81 Y11003-01 영산강 영산강상류 영산강상류 영산강04 Y004 전남 담양군 담양읍 금월리 금월교 35 19 47.1 127 1 10.5 본류    

82 Y11004-01 영산강 영산강상류 광주댐 증암천01 Y010 광주시 북구 충효동 다리위 35 10 57.7 127 0 28.4 지류    

83 Y11005-01 영산강 영산강상류 증암천 증암천03 Y011 전남 담양군 고서면 주산리 창평1교 35 12 16.3 126 59 9.7 지류 우치 주요

84 Y11006-01 영산강 영산강상류 광주수위표 영산강06 Y012 전남 담양군 봉산면 와우리 삼지교 위 35 16 4.6 126 56 25.8 본류 풍영정천  

85 Y11006-02 영산강 영산강상류 광주수위표 영산강07 Y005 광주시 북구 용두동 용산교 다리아래 35 14 32.7 126 53 27.6 본류 광주1 주요

86 Y11007-01 영산강 영산강상류 풍영정천 풍영정천04 Y009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 철교밑 운남교 35 9 54.7 126 49 13.1 지류 광주천1  

87 Y11008-01 영산강 영산강상류 황룡강합류점 영산강08 Y006 광주시 광산구 우산동 다리아래 35 9 1.2 126 49 36.6 본류 광주천2  

88 Y11008-02 영산강 영산강상류 황룡강합류점 광주천02 Y002 광주시 북구임동 35 7 42.7 126 55 39.0 지류 광주2  

89 Y11008-03 영산강 영산강상류 황룡강합류점 광주천03 Y003 광주시 서유덕동 35 9 1.6 126 50 10.9 지류 광주2-1 중권역대표

90 Y11008-04 영산강 영산강상류 황룡강합류점 영산강09 Y007 광주시 광산구 신촌동 극락교 35 8 18.6 126 49 46.1 본류    

91 Y11008-05 영산강 영산강상류 황룡강합류점 영산강10 Y008 광주시 서구 서창동 서창교 35 6 21.6 126 49 17.8 본류    

92 Y11101-01R 영산강황룡강 장성댐 대악천 01   전남 장성 북하 월송 월성제 35 21 11.5 126 51 40.4 지류 활룡강1  

93 Y11101-02 영산강황룡강 장성댐 북하천03 Y013 전남 장성군 북하면 죽평리 35 24 7.1 126 53 37.2 지류    

94 Y11102-01 영산강황룡강 황룡강중류 황룡강03 Y015 전남 장성군 장성읍 기산리 서암교 35 19 16.0 126 47 40.9 지류 황룡강2  

95 Y11103-01 영산강황룡강 평림천 평림천04 Y014 광주시광산구도덕동 삼도교 35 9 58.0 126 42 8.6 지류 황룡강3  

96 Y11104-01 영산강황룡강 황룡강하류 황룡강04 Y016 전남 장성군 황룡면 황룡리 35 17 22.0 126 46 26.8 지류 황룡강3-1주요/중권역대표

97 Y11104-02 영산강황룡강 황룡강하류 황룡강07 Y017 광주시 광산구 서봉동 송정취수장 35 8 39.4 126 46 14.0 지류    

98 Y11104-03 영산강황룡강 황룡강하류 황룡강08 Y018 광주시 광산구 유계동 위험지역 35 7 17.1 126 47 2.3 지류    

99 Y11201-01R 영산강 지석천 지석천상류 청풍천 02   전남 화순 신리교(구) 34 52 47.0 126 58 39.0 지류 지석천1  

100 Y11201-02 영산강 지석천 지석천상류 지석천03   전남 화순군 이양면 입교 34 55 47.4 126 59 10.3 지류 화순천  

101 Y11202-01 영산강 지석천 지석천하류 지석천05 Y021 전남 화순군 도곡면 죽청리 죽청대교 35 0 20.4 126 56 23.7 지류    

102 Y11203-01 영산강 지석천 화순천 화순천05 Y024 전남 화순군 능주면 죽청교 35 0 42.3 126 56 42.6 지류    

103 Y11204-01 영산강 지석천 나주댐 대초천02 Y019 전남 나주시 남평읍 우산리 고마교 35 5 56.8 126 52 0.2 지류 지석천4주요/중권역대표

104 Y11205-01 영산강 지석천 대초천 대초천03 Y020 전남 나주시 납평읍 우산리 우산교 34 58 10.3 126 52 4.1 지류 지석천2  

105 Y11206-01 영산강 지석천 남평수위표 지석천09 Y023 전남 나주시 금천면 원곡리 신가제방 보 아래 35 2 54.3 126 46 54.4 지류 광산 주요

106 Y11207-01 영산강 지석천 지석천 지석천07 Y022 전남 나주시 남평읍 대교리 영천교 35 2 46.5 126 50 28.4 지류    

107 Y11301-01 영산강 영산강중류 나주수위표 영산강11 Y026 광주시 광산구 송대동 학산교 35 3 55.6 126 46 12.5 본류 나주 주요

108 Y11301-02 영산강 영산강중류 나주수위표 평동천03 Y030 광주시 광산구 본덕동 본촌교 35 5 36.7 126 46 55.9 지류    

109 Y11302-01 영산강 영산강중류 영산포수위표 영산강12 Y027 전남 나주시 죽림동 나주대교 옆 35 1 59.1 126 44 5.5 본류    

110 Y11303-01R 영산강 영산강중류 만봉천 만봉천 03   전남나주세지 송죽교 34 56 13.1 126 32 41.3 지류 영산포  

Page 13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49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11 Y11303-02 영산강 영산강중류 만봉천 만봉천04 Y025 전남 나주시 운곡동 양곡교 34 59 19.4 126 42 28.8 지류 영산포-1 중권역대표

112 Y11304-01 영산강 영산강중류 고막원천합류점 영산강14 Y028 전남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죽산교 34 58 28.5 126 38 13.3 본류 고막원천1  

113 Y11304-02 영산강 영산강중류 고막원천합류점 영산강15 Y029 전남 나주시 공산면 신곡리 석관정 나루 (나주시 다시면 동담리) 34 59 16.0 126 35 40.6 본류고막원천2

-1 중권역대표

114 Y11401-01 영산강 고막원천 고막원천상류 고막원천05 Y031 전남 함평군 대동면 상옥리 옥동교 (함평군 대동면 상옥리) 35 7 55.5 126 37 28.7 지류 함평  

115 Y11402-01 영산강 고막원천 고막원천하류 고막원천07 Y032 전남 함평군 학교면 석정리 다리이름없음 (함평군 학교면 석정리) 35 1 47.9 126 35 42.1 지류 함평천1  

116 Y11501-01 영산강 영산강하류 영암천합류점 영산강16 Y033 전남 함평군 동강교 34 58 52.6 126 32 51.7 본류    

117 Y11502-01 영산강 영산강하류 함평수위표 함평천04 Y036 전남 함평군 대동면 영수교 35 0 59.0 126 31 49.4 지류    

118 Y11503-01 영산강 영산강하류 함평천 함평천03 Y035 전남 함평군 대동면 금산리 금운교 35 3 45.5 126 31 30.3 지류    

119 Y11503-02 영산강 영산강하류 함평천 엄다천   전남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35 0 6.3 126 31 30.0 지류 무안1 중권역대표

120 Y11504-01 영산강 영산강하류 삼포천 삼포천02 Y037 전남 나주시 동강면 진천리 34 54 56.4 126 34 51.2 지류    

121 Y11505-01 영산강 영산강하류 영암천합류점 영산강18 Y034 전남 무안군 몽탄면 명산리 몽탄대교 34 54 0.4 126 31 52.2 본류    

122 Y11601-01 영산강 영암천 학산천 학산천04 Y039 전남 영암군 서호면 성재리 34 45 32.0 126 36 15.2 지류 무안2 주요/중권역대표

123 Y11602-01 영산강 영암천 영암천 영암천02 Y038 전남 영암군 군서면 해남읍 내사리 해창교 34 49 2.6 126 39 8.7 지류 탐진강1-1  

124 Y11701-01 영산강 영산강하구언 영산강하구언 무안02 Y040 전남 목포시 신흥동 영산호 방조제 34 47 52.4 126 26 28.7 지류 옴천천  

125 Y20101-02 탐진강 탐진강 탐진댐 탐진강02 Y108 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오목교 34 43 21.4 126 54 33.2 기타 유치천  

126 Y20101-03 탐진강 탐진강 탐진댐 옴천천03 Y106 전남 강진군 옴천면 봉림리 봉림교 34 44 58.3 126 49 26.2 기타 탐진강1  

127 Y20101-04 탐진강 탐진강 탐진댐 유치천02 Y107 전남 장흥군 유치면 관동리 신풍교 34 47 35.7 126 50 2.2 기타 탐진강2  

128 Y20102-01 탐진강 탐진강 탐진강중류 탐진강06 Y109 전남 장흥군 장흥읍 예양리 34 43 0.3 126 54 42.6 기타 금강천  

129 Y20102-02 탐진강 탐진강 탐진강중류 탐진강07 Y110 전남 장흥군 장흥읍 순지리 세월교 34 39 4.8 126 53 25.2 기타 탐진강3중권역대표

/주요

130 Y20103-01 탐진강 탐진강 금강천 금강천06 Y105 전남 장흥군 장흥읍 순지리 감천교 34 40 42.1 126 51 59.2 기타 강진천 중권역대표

131 Y20104-01 탐진강 탐진강 탐진강하류 탐진강09 Y111 전남 강진군 강진읍 평동리 34 37 53.5 126 48 58.4 기타    

132 Y30105-01 기타 섬진강서남해 강진천 강진천03 Y112 전남 강진군 강진읍 학명리 학명교 34 37 42.4 126 45 39.3 기타    

133 Y30106-01 기타 섬진강서남해 흥촌천 월성천 Y113 전남 해남군 북일면 신월리 지사교 34 27 31.6 126 40 26.8 기타    

134 Y30107-01 기타 섬진강서남해 칠량천 대구천01   전남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정수사 부근 수계 34 31 57.4 126 50 30.7 기타    

135 Y30108-01 기타 섬진강서남해 대덕천 대덕천01 Y114 전남 장흥군 대덕읍 신월리 거정교 34 29 52.3 126 53 23.5 기타    

136 Y30109-01 기타 섬진강서남해 고읍천 수문천02 Y115 전남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 신촌2교 34 38 7.6 127 1 33.6 기타    

137 Y30110-01 기타 섬진강서남해마수천 마륜천01   전남 고흥군 동강면 화산리 화산교 34 44 23.8 127 16 54.3 기타    

138 Y30111-01 기타 섬진강서남해 사정천 용산천01   전남 고흥군 두원면 용산리 금계마을 금계회관 34 39 31.1 127 15 47.8 기타    

139 Y30112-01 기타 섬진강서남해 고읍천-1 고읍천A   전남 고흥군 풍양면 한동리 죽시교 34 34 31.2 127 14 24.5 기타 군외천 중권역대표

140 Y30201-01 기타 완도 완도군 청룡천   전남 완도군 고금면 청룡리 청학교 34 25 1.2 126 48 28.7 기타 오천천 중권역대표

141 Y30201-02 기타 완도 완도군 군외천 Y116 전남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 대문교 34 22 11.8 126 38 50.8 기타 이사천1  

142 Y30301-03 기타 금산면 금산면 오천천 Y117 전남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 금산남 초교 인근 34 25 41.3 127 12 16.5 기타    

143 Y30401-04 기타 이사천 주암조절지댐 이사천03 Y121 전남 순천시 승주읍 신성리 송전교 35 0 7.1 127 23 2.0 기타 이사천2  

144 Y30402-01R 기타 이사천 이사천 상사천 01   전남 순천 낙안 창녕리 봉계2교 34 55 38.4 127 23 52.3 지류 순천동천1  

145 Y30402-02 기타 이사천 이사천 이사천06 Y122 전남 순천시 야흥동 양률교 34 54 55.5 127 28 51.4 기타 순천동천2 중권역대표

146 Y30403-01 기타 이사천 순천동천 순천동천01 Y118 전남 순천시 서면 선평리 선평교 34 59 21.2 127 29 47.5 기타 순천동천3  

- 250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47 Y30403-02 기타 이사천 순천동천 순천동천03 Y119 전남 순천시 풍덕동 풍덕교 34 56 49.0 127 29 46.1 기타    

148 Y30403-03 기타 이사천 순천동천 순천동천04 Y120 전남 순천시 대대동 순천만 탐사선 선착장 34 53 25.3 127 30 51.4 기타    

149 Y30404-01 기타 이사천 벌교천 벌교천03 Y123 전남 보성군 벌교읍 봉림리 봉림교 34 50 56.0 127 20 19.3 기타    

150 Y30405-01 기타 이사천 동룡천 동룡천   전남 순천시 별량면 호동리 동막2교 34 50 16.8 127 24 43.0 기타    

151 Y30406-01 기타 이사천 대강천 와우천   전남 고흥군 동강면 오월리 선지마을 버스정류장 34 48 54.9 127 20 51.5 기타    

152 Y30407-01 기타 이사천 화양천 화양천 Y124 전남 여수시 화양면 서촌리 서촌교 34 41 2.8 127 35 20.4 기타    

153 Y30408-01 기타 이사천 강산천 강산천   전남 고흥군 점암면 강산리 한동교 34 38 44.3 127 26 36.2 기타    

154 Y30409-01 기타 이사천 고흥천 포두천01   전남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신기교, 포두서초교 34 33 18.9 127 18 42.2 기타 광양서천  

155 Y30410-01 기타 이사천 도화천 도화천 Y125 전남 고흥군 도화면 사덕리 시덕교 34 29 43.1 127 19 28.2 기타    

156 Y30501-01 기타 수어천 광양동천 광양서천04 Y126 전남 광양시 광양읍 칠성리 서천교 34 58 40.3 127 34 36.9 기타 수어천  

157 Y30502-01R 기타 수어천 수어댐 수어천지류 01   전남 광양시 진상면 어치리 내회교 35 6 20.0 127 39 40.0 기타    

158 Y30502-02 기타 수어천 수어댐 수어천02 Y127 전남 광양시 진상면 황죽리 황죽교 35 2 49.3 127 41 42.4 기타    

159 Y30503-01 기타 수어천 수어천 수어천04   전남 광양시 진상면 지원리 지원교 35 1 1.6 127 43 24.8 기타    

160 Y30504-01 기타 수어천 성황천 성황천   전남 광양시 도이동 성황교 34 56 27.6 127 40 51.4 기타    

161 Y30505-01 기타 수어천 율촌천 상암천   전남 여수시 상암동 금강고려화학공장 34 49 55.6 127 44 27.3 기타 돌산천 중권역대표

162 Y30506-01 기타 수어천 연등천 연등천   전남 여수시 군자동 시민회관 앞 34 44 48.1 127 43 43.8 기타    

163 Y30601-01 기타 여수시 여수시 돌산천 Y128 전남 여수시 돌산읍 평사리 도실삼거리 34 40 18.7 127 45 58.4 기타 석교천 중권역대표

164 Y30701-02 기타 진도 군내천 오산천   전남 진도군 고군면 오산리 34 29 56.7 126 21 6.2 기타    

165 Y30702-01 기타 진도 석교천 석교천03 Y129 전남 진도군 지산면 소포리 바다 합류 34 29 13.3 126 12 57.4 기타    

166 Y30703-01 기타 진도 의신천 초상천   전남 진도군 의신면 초사리 초평교 34 25 8.3 126 20 16.8 기타    

167 Y30801-01 기타 와탄천 자룡천 자룡천02   전북 고창군 대산면 바다 합류 (동아양수장 옆 다리) 35 25 35.2 126 27 26.5 기타 와탄천 중권역대표

168 Y30802-01 기타 와탄천 구암천 구암천02   전북 고창군 공음면 칠암천 합류부 35 23 7.2 126 28 35.1 기타    

169 Y30803-01 기타 와탄천 와탄천 와탄천04 Y130 전남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 바다 합류(법성포 1번지 식당 앞) 35 19 18.0 126 27 7.3 기타    

170 Y30804-01R 기타 와탄천 불갑천 불갑천 04   전남 영광 불갑 자비 군남천 합류부 (메산교) 35 14 47.7 126 26 49.9 기타    

171 Y30804-02 기타 와탄천 불갑천 군남천02 Y131 전남 영광군 군남면 포천리 바다 합류 (포천교) 35 14 15.2 126 27 0.6 기타    

172 Y30805-01 기타 와탄천 오동천 오동천   전남 영광군 염산면 오동리 삼오교 35 12 8.3 126 23 38.2 기타    

173 Y30806-01 기타 와탄천 우간천 양간천   전남 무안군 해제면 용학리 35 5 40.1 126 18 17.5 기타    

174 Y30807-01 기타 와탄천 태봉천 태봉천01 Y132 전남 무안군 청계면 태봉리 청천천 합류부 34 58 5.5 126 26 34.6 기타 금산천 중권역대표

175 Y30808-01 기타 와탄천 청계천 용계천   전남 무안군 청계면 남성리 도남교 34 54 32.1 126 25 27.9 기타 영암호1 중권역대표

176 Y30901-01 기타 신안군 신안군 금산천 Y133 전남 신안군 압해면 복욕리 34 53 40.6 126 19 11.0 기타    

177 Y31001-02 기타 영암방조제 영암방조제 영암호 Y134 영암호 34 38 49.7 126 33 16.1 기타    

178 Y31002-01 기타 영암방조제 금호방조제 금자천   전남 해남군 산이면 노송리 34 36 48.6 126 29 8.0 기타    

179 Y31003-01 기타 영암방조제 해남방조제 구림천   전남 해남군 삼산면 평활리 매정교 34 30 22.6 126 36 42.4 기타    

180 Y31004-01R 기타 영암방조제 현산천 현산천 01   전남 해남 현산 고현 학의교 (고현천 합류부) 34 27 54.4 126 32 44.6 기타 웅포천 중권역대표

181 Y31004-02 기타 영암방조제 현산천 산정천   전남 해남군 송지면 산정리 신정교 34 22 17.8 126 31 13.8 기타    

182 Y40101-01 제주 제주서해 금성천 옹포천02 Y135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월계교 33 24 21.0 126 15 36.0 기타    

183 Y40201-02 제주 제주남해 창고천 창고천02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안덕계곡, 안덕교 33 15 23.2 126 21 14.9 기타 동홍천 중권역대표

184 Y40202-01 제주 제주남해 예래천 연외천02 Y136 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 서귀교 33 14 52.0 126 33 18.0 기타    

Page 13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51 -

No. 분류코드수계구분

중권역 구분 소권역 구분 조사구간명2009code

행정구역명

GPS 좌표 본류지류구분

수질측정망명칭

비고위도 경도

도 분 초 도 분 초

185 Y40203-01 제주 제주남해 도순천 동홍천02 Y137 제주도 서귀포시 동홍동 정방교 33 14 45.0 126 34 18.0 기타 외도천 중권역대표

186 Y40204-01 제주 제주남해 신례천 영천02 Y138 제주도 서귀포시 토평동 돈네코유원지, 원앙폭포입구 33 17 54.0 126 35 22.0 기타    

187 Y40301-01 제주 제주북해 수산천 도근천 Y139 제주도 제주시 외도동 외도교 33 29 34.0 126 26 14.0 기타    

188 Y40302-01 제주 제주북해 광령천 광령천02 Y140 제주도 제주시 외도1동 월대교 33 29 31.0 126 26 6.0 기타    

189 Y40303-01 제주 제주북해 병문천 산지천02   제주도 제주시 일도일동 광제교 33 30 37.7 126 31 36.6 기타    

주)분류코드: ☐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① ☐ : : 대권역 구분(H: 한강 대권역, N: 낙동강 대권역, G: 금강 대권역, Y: 영산강 대권역, S: 섬진강 대권역)

② ☐ : : 수계 구분

③ ☐☐ : 중권역 구분

④ ☐☐ : 소권역 구분

⑤ ☐☐ : 조사구간

⑥ ☐ : Reference 구간

- 252 -

2. 측정망 수립 및 운영방안

가. 목적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구축의 목적은

- 전국 하천의 중권역 대표지점, 주요 수질측정망, 훼손구간 및 건강성 상태가 양호한 지점

등 수생태계 보전과 복원 대상 공공수역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수생태계 건강성 변화의 추세를 파악하는 동시에,

- 장래 수생태계 보전 및 생태하천 복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 법적근거

- 환경정책기본법 제15조 (환경상태의 조사․평가 등)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9조 (상시 측정 및 수질․수생태계 조사)

다. 측정망 기본체계안

우리나라 생물측정망 기본체계 안을 <표 2.3.7>과 같이 제시하였다. 이 체계는 전반적인 조

사 항목, 범위, 주기, 빈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필요한 내용은 전체 범위 내에서 선택

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그러나 선진국의 사례에서도 나타나듯이 평가의 항목을 비롯하여 조

사주기와 빈도는 각국의 생물측정망 운영 목표 및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하천 건강성 평가를 위한 항목은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식생, 생물서식처

/서식 및 수변환경, 식생 등 총 5개 분야를 포함하며, 수질은 모든 조사지점에 대해 조사하

도록 한다.

- 조사주기는 매년~ 매 3년의 범위로 설정하며, 식생은 매 5년으로 제시하였다.

- 조사빈도는 연 4회~ 3년 1회 (연 1/3회, 전체 지점을 3년에 걸쳐 모두 조사)의 범위로 설정

하였으며, 필요 (조사 목적)에 따라 빈도를 선택할 수 있다.

조사구간의 수질은 생물조사와 함께 조사해야 한다. 환경부 수질측정망과 일치하는 구간은

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되지 않는 구간은 기본적인 수질조사를 병행하

도록 한다. 조사결과의 효율적인 분석과 활용을 위해 매 3년 마다 DB 점검, 조사지침 개선보완,

방향설정 등을 위한 점검에 대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한다.

Page 13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53 -

프로그램 이름 평가항목 조사주기 조사빈도 지리학적coverage

결과활용

한국 생물측정망

부착조류

매년~매 3년

연 1회~연 4회

국가차원 5대강본류와 지류 포함

- 하천건강성 평가- 대국민홍보- 건강성지도- 복원정책- 식생자연도- 복원의 가이드라인

저서생물

어류

생물서식처/수변

식생 매 5년 연 1회 ~2회

Reference 하천 매 1~2년 연 1회주요 Reference하천 50개 지점

- 하천건강성 평가- 복원의 가이드라인

(주)

- Reference 하천평가는 생물측정망 내에서 수행가능. 다만 대조하천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며, 향후 그 수를 증가하여야 할 것임. 특히 대조하천이 수질측정망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기본적인 수질조사를 병행함. Reference 하천조사 항목은 일반 측정망 항목과 동일함.

- 조사구간의 수질은 생물조사와 함께 조사함을 원칙으로 하되, 수질측정망과 일치하는 구간은 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되지 않는 구간은 기본적인 수질조사를 병행함.

- 조사결과의 효율적인 분석과 활용을 위해 매 3년 마다 DB 점검, 조사지침 개선보완, 방향설정 등을 위한

점검이 반드시 필요함.

<표 2.3.7> 우리나라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기본체계 (안)

라. 측정망 지점 설정 및 운영방안

1) 측정망 지점 설정 방안

현재 (2009년) 환경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사업은 전국 4대강

대권역 전체를 포함하며, 총 720개 조사구간 (지점)에 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총 720개 조사지

점은 2007년 선행연구,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조사구간 선정 등 현

장 정밀조사 (환경부)”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4대강의 중권역 대표지점과 수질측정

망 지점, 그리고 조사구간 평가결과에 따라 보전 및 복원이 필요한 지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지점의 수는 국가하천, 지방하천 및 일부 소하천을 포함하여 총

5,711개로서, 현재의 조사지점 720 개소는 약 13%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의 조사지점은

국가 전역을 다루기에는 상당히 미흡하다. 측정망 대상구간은 국가의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지만 최소 20%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측정망 구축은 그 나라의 물환경에 관리의 기본적인 체계를 따

르는 것이 이를 전체 물환경프로그램으로 종합화하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타당하다. 현재 환경

부의 물환경관리 정책의 공간적 체계는 대권역, 중권역, 소권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모든 중권

역은 대표지점에 대한 이화학 및 생물학적 (건강성) 목표수질을 부여하여 이수목적에 부합하도

록 관리하고 있으므로 중권역 대표지점을 포함하는 의미는 매우 크며, 이들 중권역 대표지점들

- 254 -

은 다른 지점들 보다 조사평가의 강도를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 한편 전국 하천과 호소에 대

하여 수질측정망이 운영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도 종합적인 물환경 평가 및

물관리에 필요하다. 그리고 중권역을 구성하는 단위권역은 소권역으로서 가능한 전국의 소권역

(소권역 내의 하천)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전국의 대표성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들과 함께 조사구간 평가결과를 반영한 보전 혹은 복원이 필요한 지점을 포함

할 때 전체 조사지점은 약 1,200 개소 (전체 후보 지점의 21%, 측정망 지점 1,139 개소 +

reference 하천지점 50 개소) 정도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표 2.3.8 참조). 그러나 인력과 여건

이 허용된다면 보다 많은 수의 조사지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후보지점의 40% 이상 포

함), 이 경우 전국에 걸친 보다 세밀한 하천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측정망 내에 대조하천 (Reference stream)에 대한 조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대조하

천은 교란된 하천이 궁극적으로 회복해야할 건강성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하천이므로, 다양한

지역에서의 대조하천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며, 외국에서도 Reference 하천에

대한 조사는 강조하고 있다. 미국 Ohio EPA (1995)의 경우 Reference Site Network 유지를 위

해 주 전체에서 설정한 전체 Reference site 중에서 매년 10% 씩 추가적으로 조사해야 한다고

명기하고 있다 (Davis and Simon, 1995). 우리나라에서도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내에

Reference 하천에 대한 평가를 명문화하고 평가대상 하천과 향후의 운영방안을 정립할 필요성

이 크다.

2) 측정망 운영 방안

측정망의 운영은 측정망 먼저 기본체계를 정립한 후 평가 대상하천과 지점을 선정해야한다.

실제로 평가대상 하천과 지점의 선정은 측정망 운영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수생태계 건강

성 측정망에 포함할 하천과 지점은 운영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겠지만, 본 연구

에서는 현재의 조사평가 체계를 기초로 크게 두 가지 안에 대한 의미와 장단점을 정리하였다

(표 2.3.8).

가) 현재의 조사체계 (2009)

현재의 조사대상 하천지점은 4대강 대권역, 중권역 대표지점, 수질측정망 지점, 보전 및 복원

이 필요한 지점 등을 포함하여 총 720 개소 (한강 320 개소, 낙동강 130 개소, 금강 130 개소,

영산․섬진강 140 개소)를 포함하고 있다 (표 2.3.2 참조). 현재의 조사지점은 각 대권역의 공간

적 범위 (크기)와는 관계없이 설정되어 일부 미흡한 부분이 인정된다 (특히, 낙동강 대권역). 따

라서 권역별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반적으로 보완 및 확대가 필요하다.

Page 13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55 -

나) 제 1안

제 1안에서 제시한 측정망 조사지점 수는 상기한 측정망 지점 선정의 원칙에 따라 총 후보조

사 구간수의 21%에 해당하는 1,200 개소이며 (표 2.3.8), 1 안의 특징은 전체 조사주기 연 1회,

중권역 대표지점의 조사평가 강화에 있다.

중권역 대표지점은 수질 및 수생태 건강성 목표등급이 제시되어 있으며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상 중권역 관리의 대표지점으로서 중요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들 지점은 현재의 연 2회 조

사보다는 계절별로 1회씩 총 연 4회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생물상의 분포를

현재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중권역 물관리를 위해 보다 정

확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외국에서도 주요한 하천 혹은 지점에 대해서는 조사빈도를 높여

서 다른 지역과 차별적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있다.

중권역 대표지점을 제외한 지점들에 대해서는 연 2회가 바람직하나 인력과 경비를 포함하는

여건상, 그리고 지난 3년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연 1회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매년

주시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연 1회 조사 평가가 년 단위로 볼 때에는 부족할 수 있으나 자료

가 축적됨을 감안하면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생조사는 매 5년 주기로 실시하는데 문제는 없으나, 중권역 대표지점과 참조하천 지점에

대해서는 빈도를 상향조정하는 방안 (매 2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현재의 식생

조사 예산에 대한 추가가 고려되어야 한다.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평가결과의 report 형식도 제도적인 측정망 수립․운영과 연계할 때

검토될 필요성이 크다. 전체 대권역, 조사분야를 망라하는 복잡하고 대규모적인 현재의 결과

report 형식은 연구자의 입장에서 너무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어서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정책

을 다루는 분야나 비전문가들에게는 이해의 어려움과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매

3년을 주기로 DB 점검, 조사지침의 개․보정, 운영방안의 검토를 정기적으로 수행하다고 볼 때

현재의 대규모 report 형식은 3년 주기가 바람직하며, 일반 연차별 조사평가 report는 대권역,

분야별로 주요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DB를 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다) 제 2안

제 2안에서 제시한 측정망 조사지점 수는 총 후보조사 구간수의 44%에 해당하는 2,500 개소

이며 (표 2.3.8), 2안의 특징은 전체 조사주기 매 3년 1회, 전국 하천에 대한 조사범위의 확대에

있다. 2안은 1안에 비교할 때 전국적으로 2배 많은 하천을 조사하므로, 보다 많은 하천들에 대

한 건강성을 평가하고 이를 생태하천 복원 등에 필요한 자료로의 활용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특히 환경부에서 전국적인 하천에 대한 수생태계 정보를 보유하게 되므로 지방하천의 생태복원

- 256 -

등에 대해 보다 직접적인 방향과 대책을 수립하고 운영하는데 용이하다. 그러나 전반적인 평가

주기가 3년이므로 정보의 신속성과 즉시성 확보의 어려움은 감수해야 한다.

중권역 대표지점에 대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2안에서도 중권역 대표지점은 년 4회, 참조하천

은 년 1회로 1안과 동일하다. 다만 나머지 지점에 대해서는 전체주기를 3년에 모두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2안의 경우 실제로는 일부 지점 (779 개소, 중권역 대표지점과 참조하천을 제외한

지점 (총 2,336 개소)에 대해서는 매년 1/3 (779 개소) 부분씩 1회 조사하게 된다.

2안에서의 식생 조사도 중권역 대표지점과 참조하천에 대해서는 매 2년 1회로 1안과 동일하

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전체 조사주기는 5년 1회로 1안과 동일하게 수행하

도록 한다.

결과의 report 형식은 1안에서 제시한 방안이 2안에서도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항목 현재 (2009년) 제1안 제2안

조사지점수

총 지점수 720 개소 1,200 개소 2,500 개소

측정망 지점수 720 개소 1,150 개소 2,450 개소

Reference 하천 - 50 개소 50 개소

연간 총 조사지점수 및 산출근거

1,440 개소

- 중권역 대표 지점228개 (114개 x 2회)

- 그 외 지점 1,212개소 (606개 x 2회)

1,542 개소

- 중권역 대표 지점456개 (114개 x 4회)

- 그 외 지점 1,036개소

- Ref. 하천 50 개소

1,285 개소

- 중권역 대표 지점456개 (114개 x 4회)

- 그 외 지점 779 개소(2,450개-114개)/3년

- Ref. 하천 50 개소

조사 빈도

중권역 대표지점 (114개) 1년 2회 1년 4회 1년 4회

중권역 대표지점 외 1년 2회 1년 1회 년 1/3회

Reference 하천 1년 1회 1년 1회 1년 1회

전체 조사주기 1년 1년 3년

소요예산 (천원) 약 1,600,000 약 1,700,000 약 1,600,000

(주)※ 식생조사시 예산 추가 필요※ 연차별 평가보고서는 건강성 평가의 핵심 내용을 제시하며, 매 3년 마다 세부내용을 포함하는 종합보고서를작성하며, 이때 DB 점검, 지침개․보정, 측정망 운영방안 보완 등의 작업을 실시함

<표 2.3.8>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운영체계 (안)

라) 결론

상기한 측정망 운영에 대한 2개의 안은 각기 장점이 있으며, 어떤 형태로 운영해도 별 문제

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1안의 경우는 전체 조사지점은 2안에 비해 적으나 매년 주기로 주사

를 하게 되므로 총 조사지점수는 현재 (2009년) 보다는 약 100 개소가 증가하게 된다. 2안의 경

우도 조사지점 수는 많으나 매년 조사하는 지점수가 현재 조사와 비교할 때 문제가 없어 현재

의 여건으로 시행이 가능하다.

Page 13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57 -

우리나라 수생태계 건강성 측정망 운영체계는 운영 목적에 따라 상기한 2개 안에서 택일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매 3년 주기의 운영체계는 매년 조사에 비해 자료의 신속한 결과의

확보와 현안사안에 대한 대체가 늦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함께 측정망 수립을 위한

많은 하천들의 조사지점 검증 등에 대한 추가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측정망 수립운영의 초기 단계인 현실을 감안할 때 제 1안이 보다 현실적이고 운영관

리가 용이하다고 판단된다.

Page 14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3장 하천 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연구 (I)

제1절 선진국 평가기법 및 사례 현지조사

및 시사점 도출

제2절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 검토

제3절 수생태계 건강성 진단․평가

(예측)를 위한 생태계 모델 조사

제4절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사업

발전방향 검토

Page 14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61 -

제 3 장 하천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연구(I)

제 1 절 선진국 평가기법 및 사례 현지조사 및 시사점 도출

선진국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사례를 자료 및 현지조사를 통하여 국내 여건을 고려한 최적

의 수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수체는 생태학적으로 완전한 상태 혹은 교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화학적, 물리

적 및 생물학적 완전성을 모두 담보하여 생태학적 완전성으로 표현된다 (U.S. EPA, 2002). 이

중에서 하나 또 그 이상이 교란이나 파괴되었을 때 수체의 건강성은 영향을 받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서식하는 수생생물이 그 영향을 반영한다. 따라서 생물학적 상태는 수체의 건강성

을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지표이다. 수체의 생태학적 건강성은 해당 수체에서의 생물과 무

생물 (이화학)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표현되며, 생태적 건강성의 평가는 이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다.

수체의 건강성은 표현하는 생물학적 상태에 대한 평가는 교란된 수체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

게 할 뿐만 아니라 건강성의 회복을 위한 판단의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동시에 건강한 수체

(자연 상태 혹은 교란되지 않은 대조하천)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를 근거로 해당 수체의 회복

혹은 복원을 위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수체의 건강성의 평가는 생물학적인 지표와 평가방법을 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적 (혹은

지역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따라서 그 지역 혹은 국가의

수 환경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조사․분석방법이 필요하며, 또한 평가방법의 개발이 매우 중요

하다.

1. 영국

유럽물관리지침 (EU Water Framework Directive)을 준수하기 위한 영국의 수생태계 건강성

의 종합적인 평가체계는 <그림 3.1.1>과 같다. 영국에서는 수생태계의 범위를 하천 (rivers), 호

소 (lakes), 기수 (transitional) 및 연안 (coastal)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수역에 대하여 생물학적

상태 (biological quality elements), 물리화학적 상태 (physico-chemical quality elements) 및 특

정오염물질 (specific pollutants-Annex Ⅷ EQS)에 대하여 각각의 등급을 산출하고 여기서 가장

최저로 평가된 항목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생태학적 상태 (ecological status)를 나타내며, 아울러

European Annex X EQS & DSD List1을 준수하기 위한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적 상태

(chemical status)를 표현한다.

- 262 -

생태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등급은 총 5개 등급으로 각 항목에서 최저로 평가된 항목에 의하

여 생물학적 상태, 물리화학적 상태 및 특정오염물질 상태를 나타내며, 역시 각각에서 최저를

받은 상태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생태학적 상태를 등급화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림 3.1.1> 수생태계 건강성의 평가 체계도

생물학적 상태의 종합적인 평가체계는 <그림 3.1.2>와 같다. 영국에서 이용하는 주요 생물군

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Benthic macroinvertebrates), 어류 (Fish), 수생식물 (Plants) 및 조

류 (Algae)에 대하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수행하고 각각의 등급을 나타낸다. 여기서 가장

최저의 등급을 기록한 생물군의 지수를 최종적인 생물학적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즉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양호 (good), 어류가 빈약 (poor), 수생식물 및 조류가 최적 (high)으로 각각

평가되었다면 생물학적 상태는 가장 최저로 평가된 어류의 등급인 빈약의 상태로 종합적인 등

급을 산출하게 된다.

같이 영국에서는 유럽물관리지침 (EU WFD)을 준수하기 위한 종합적인 수생태계 평가체계에

서 생물학적 상태뿐만 아니라 물리화학적 상태와 특정오염물질 상태를 종합하여 수생태계 건강

성의 통합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Page 14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63 -

<그림 3.1.2> 생물학적 상태 평가체계도

2. 미국

수생태계 건강성의 평가는 다양한 항목을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국가나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미국에서 수생태 건강성의 종합적인 평가는 하구

의 평가체계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미국의 하구 평가의 경우 수질, 퇴적질, 저서생물, 어류조

직 오염도 등 4개의 지표를 지수화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림 3.1.3), 수생태계 건강성 측면에

서는 생물학적 평가의 프로토콜을 마련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U.S. EPA, 2000).

<그림 3.1.3> 미국 국가하구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구성항목 (U.S. EPA, 2007)

미국의 국가하구프로그램 (National Estuary Program: NEP)은 청정수법 (CWA, Clean

Water Act)에 근거를 두고 28개의 하구에 대한 국가하구평가 (NCA: National Coastal

Assessment)를 실시한다. NCA는 총 4개의 지수로 구성되며, 수질지수 (Water Quality Index),

저니질지수 (Sediment Quality Index), 저서지수 (Benthic Index), 어류조직오염물지수 (Fish

- 264 -

Tissue Contaminants Index)로 이루어져있다. 각각의 지수는 세부적인 지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종적으로 이들 4개 지수를 통합하여 전체적인 건강성 평가를 시행한다.

미국의 국가하구프로그램 (NEP)과 국가하구평가 (NCA)는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모니터링의

접근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NEP가 NCA의 4개 구성 항목뿐만 아니라 지점 특이적인

지표를 포함하여 보다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표 3.1.1). 조사빈도 역시 NCA가 연중 가장

스트레스가 심한 시기에 하루 조사를 하는 것에 반하여 NEP에서는 변동이 크지만 모니터링 하

는 지표종에 따라서 시간, 매일, 매주, 매달, 분기별, 연중 조사를 한다.

인자 NCA 방법 NEP 방법

모니터링지표

▪ 수질지수

▪ 저니질지수

▪ 저서지수

▪ 어류조직오염물지수

▪ 변동이 크지만 다양한 지점 특이적인 지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4개의 NCA 지수를 포함

조사지점의

선정▪ 하구역 전반에 걸쳐 랜덤 샘플링

▪ 오염되거나 열악한 지점으로 알려진 하구의

특정 지역을 모니터링하거나 전구간에 걸친

랜덤 샘플링

조사 빈도

▪ 하루(여름시기, 7~8월): 일년 중 가장

스트레스가 심한 시기에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써 오염 원인 포착

▪ 변동이 크지만 모니터링 하는 지표종에

따라서 시간, 매일, 매주, 매달, 분기별, 연중

조사

조사 주기▪ 1997~2003 (샘플링을 하는 연도는 특정

NEP 하구역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다.)▪ 20년 또는 그 이상의 유용한 자료가 존재함.

<표 3.1.1> NCA 및 NEP의 모니터링 접근방법

<표 3.1.2>에는 하구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NCA 지표를 설명해 놓았다. 미국

의 하구평가 프로그램은 전국적으로 분포한 28개 하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하구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각각의 하구는 상기한 4개의 평가 지표를 공히 이용하

여 평가하는 것이 특징이며, 각 조사지점에서의 결과를 <표 3.1.2>에 기술한 하구 지역에 대한

등급 산정에 대한 서술적 등급기준에 의하여 평가하고 등급을 산정하도록 되어있다. <그림

3.1.4~3.1.5>에서는 NCA에 의한 하구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난 보고형식이다.

전국적, 권역별, 하구별로 간단히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림 3.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국의 하구프로그램은 총 4개의 지수로 구분된다. 수질지

수는 5개 항목으로 나타나며 각 항목값의 평균에 의하여 수질지수값이 산출되며, 3개의 항목으

로 구성된 퇴적물지수 역시 수질지수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산출된다. 저서지수 및 어류조직오

염도지수는 각각 1개의 항목으로 되어있다. 이처럼 산출된 4개의 지수값을 이용하여 각 지점의

전체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표 3.1.2>의 하구 지역 등급산출에 대한 서술적 기준을 이용하여

각 하구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Page 14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65 -

항목 설명

수질지수

▪ 수질지수: 5개의 수질 지표에 근거 (용존 무기질소 (DIN), 용존 무기인 (DIP), chlorophyll a,

투명도, 용존산소)

▪ 생태적 상태

- Good: 어떠한 지표도 poor로 평가되지

않고, 하나의 수질지표가 최대 fair로

평가

- Fair: 하나의 수질지표가 poor로

평가되거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지표가 fair로 평가

- Poor: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질지표가

poor로 평가

▪ NEP 하구 지역에 대한 등급

- Good: NEP 하구지역의 10% 미만이 Poor

상태이며, 50% 이상이 Good 상태이다.

- Fair: NEP 하구지역의 10∼20%가 poor

상태에 있거나 50% 이상이 poor 및 fair

혼합상태에 있다.

- Poor: NEP 하구지역의 20% 이상이 poor

상태에 있음.

저니질지수

▪ 저니질지수 : 3개의 저니질 지표에 근거(침전물 독성, 침전물 오염물질, 침전물의 전체

유기탄소(TOC))

▪ 생태적 상태

- Good: poor로 평가된 지표는 없으며,

침전물의 오염물질 지표가 good으로

평가됨

- Fair: poor로 평가된 지표가 없으며,

침전물의 오염물질 지표가 fair로 평가

- Poor: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표가 poor로

평가

▪ NEP 하구 지역에 대한 등급

- Good: NEP 하구지역의 5% 미만이 poor

상태이며, 50% 이상이 Good 상태이다.

- Fair: NEP 하구지역의 5∼15%가 poor 상태에

있거나 50% 이상이 poor 및 fair 혼합상태에

있다.

- Poor: NEP 하구지역의 15% 이상이 poor

상태에 있음.

저서지수

▪ 저서지수: 하구의 저질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의 상태를 나타내며 저서군집의 다양성,

내성종의 존재유무, 민감종의 존재유무 등의 측정을 포함한다.

▪ 생태적 상태

- Good, fair, poor의 평가는 국지적으로

저서지수의 점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 NEP 하구 지역에 대한 등급

- Good: NEP 하구지역의 10% 미만이 poor

상태이며, 50% 이상이 Good 상태이다.

- Fair: NEP 하구지역의 10∼20%가 poor

상태에 있거나 50% 이상이 poor 및 fair

혼합상태에 있다.

- Poor: NEP 하구지역의 20% 이상이 poor

상태에 있음.

어류조직

오염물지수

▪ 어류조직오염물지수: 어류/갑각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정도를 나타낸다.

▪ 생태적 상태

- Good: 등재된 모든 오염물질에 대하여

어류조직의 오염물질 농도는 EPA

권고안의 농도범위를 넘지 않는다.

- Fair: 등재된 최소 하나의 오염물질에

대하여 어류조직의 오염물질 농도는

EPA 권고안의 농도범위 내에 분포한다.

- Poor: 등재된 최소 하나의 오염물질에

대하여 어류조직의 오염물질 농도는

EPA 권고안의 농도범위를 넘는다.

▪ NEP 하구 지역에 대한 등급

- Good: 분석된 어류 표본 또는 포획된

모니터링 지점의 10% 미만이 poor 상태에

있으며, 50% 이상이 good 상태에 있다.

- Fair: 분석된 어류 표본 또는 포획된

모니터링 지점의 10∼20% 미만이 poor

상태에 있거나, 50% 이상이 poor와 fair의

혼합상태에 있다.

- Poor: 분석된 어류 표본 또는 포획된

모니터링 지점의 20% 이상이 poor 상태에

있다.

<표 3.1.2> 하구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NCA 지표

- 266 -

<그림 3.1.4> 미국 하구에 대한 NCA 평가결과를 전국적, 대권역별로 도식화된 결과물

<그림 3.1.5> 미국 하구에 대한 NCA 평가결과를 대상하구별로 도식화된 결과물

Page 14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67 -

제 2 절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 검토

선진국의 수생태계에 대한 종합평가 사례를 분석하여 각 사례별 장단점을 분석하고 국내에

적용가능한 종합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에는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

류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 종합평가 방안 및 수변서식환경 및 생물서식처 등 물리적 요인에

의한 종합평가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국외의 방식

가. 영국

유럽물관리지침 (EU Water Framework Directive)을 준수하기 위한 영국의 수생태 건강성의

종합적인 평가체계는 수생태계의 범위를 하천, 호소, 기수 및 연안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수역

에 대하여 생물학적 상태 (biological quality elements), 물리화학적 상태 (physico-chemical

quality elements) 및 특정오염물질 상태 (specific pollutants-Annex Ⅷ EQS)를 종합하여 생태

학적 상태 (ecological status)를 나타내며, 아울러 European Annex X EQS & DSD List1를 준

수하기 위한 화학물질에 대한 화학적 상태 (chemical status)를 표현하고 있다.

생태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등급은 총 5개 등급으로 각 항목에서 최저로 평가된 항목에 의하

여 생물학적 상태, 물리화학적 상태 및 특정오염물질 상태를 나타내며, 역시 각각에서 최저를

받은 상태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생태학적 상태를 등급화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 방식의 장점은 1) 별도의 산출방식이 없이도 직접적으로 종합적인 등급을 나타낼 수 있으

며, 2) 각각이 나타낸 것 중 가장 최저의 등급을 이용하므로 하천 관리항목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울러 1) 여러 항목 중 최저를 나타내는 항목이 대표 등급이 되므로 하

천생태계의 종합적인 평가라는 의미에서는 대표성에 의문이 나타날 수 있으며, 2) 여러 항목 중

최저를 나타내는 항목의 등급이 대표적인 등급으로 나타나므로 대국민 홍보시 국내의 하천 생

태계가 항상 좋지 않은 쪽으로 표현될 수 있고, 2) 하천관리의 주체로서는 많은 정책적인 부담

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 될 수 있다.

나. 미국

미국의 하구프로그램은 총 4개의 지수로 구분된다. 수질지수는 5개 항목으로 나타나며 각 항

목값의 평균에 의하여 수질지수값이 산출되며, 3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퇴적물지수 역시 수질지

- 268 -

수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산출된다. 저서지수 및 어류조직오염도지수는 각각 1개의 항목으로

되어있다. 이처럼 산출된 4개의 지수값을 이용하여 각 지점의 전체적인 상태를 나타내며, <표

3.2.1>의 하구 지역 등급산출에 대한 서술적 기준을 이용하여 각 하구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생물등급 환경상태

생물지수

생물종합지수부착조류

(TDI)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KSI)

어류

(IBI)

A 최적 0~≤40 0~≤15 0~≤15 0~≤25

B 양호 40~≤55 15~≤45 15~≤40 25~≤50

C 보통 55~≤70 45~≤75 40~≤65 50~≤75

D 불량 70~≤100 75~≤100 65~≤100 75~≤100

<표 3.2.1> 표준화시킨 후의 각 지수의 등급범위 및 생물종합지수의 등급값 및 환경상태

미국의 방식은 1) 각 지수에 의한 평균적인 값을 이용하여 각 지점에 대한 것을 표현하고 여

기에 하구 지역 전체의 등급을 산정하는 서술적 기준으로 보완을 함으로서 한 지점이 매우 낮

은 값이 나타나더라고 전체 하구의 등급을 산출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고, 2)

전체 등급을 평균값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는 관리대상의 모호함을 각 지점별, 각 하구별 및

NEP 하구 전체에 대한 것을 각 항목의 값을 색으로 표현함으로써 전체적인 등급뿐만 아니라

각 개별항목에 대한 것을 동시에 나타낸 장점이 있다.

2. 국내 적용방식의 제안

영국에서 제안하고 있는 최저를 나타낸 항목의 등급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등급을 산출하는

방식은 국내 여건을 감안할 때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미국에서 이용하고 있는 기본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부착조류를 이용한 영양

염지수 (TDI) 및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지수 (IBI)를 이용하여 생물종합지수를 산출하며, 수중

및 수변환경, 서식지 평가는 별도의 지수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종합적인 생물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생물종합지수에 이용되는 각 지수는 서로 다른 물리화

학적 수환경을 반영한다는 조건하에 서로 상관성이 높지 않다고 가정하여 각 분류군별 지수값

의 가중치는 동일한 것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각 생물지수의 최저값 및 최고값의 범위가 달라

각 분류군별 지수를 표준화하여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재산정된 각 지수의 등급범위는 <표

3.2.2>와 같다.

Page 14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69 -

생물등급 환경상태

생물지수

생물종합지수부착조류(TDI)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KSI)

어류(IBI)

A 최적 0~≤40 0~≤20 0~≤15 0~≤25

B 양호 40~≤55 20~≤45 15~≤40 25~≤50

C 보통 55~≤70 45~≤70 40~≤65 50~≤70

D 불량 70~≤100 70~≤100 65~≤100 70~≤100

<표 3.2.2> 표준화시킨 후의 각 지수의 등급범위 및 생물종합지수의 등급값 및 환경상태

그러나 이 방식은 서로 기준값에 차이가 많이 나는 단점이 있다. 즉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및 어류가 15로 생물 A등급이고, 부착조류가 55로 생물 B등급을 나타내는 경우 평균값에 의한

산출기준은 낸다면 결과적으로 생물종합지수는 28.3으로 생물 B등급을 나타내게 된다. 물론 저

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어류가 거의 생물 B등급에 인접한 값이고, 부착조류는 생물 C등급에 인

접한 경우이므로 생물 B등급으로 표현되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경우를 대비하여 산출된 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검증이 필요하며, 나아가

미국의 방식과 같은 서술적인 기준의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009년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종합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평창강 중권역, 달천 중권역

및 인북천 중권역에 대하여 각 생물군의 지수값과 등급, 생물종합평가의 지수값과 등급을 BOD

농도 및 수질환경기준과 비교한 결과는 <그림 3.2.1~3.2.3> 및 <표 3.2.3~3.2.5>에 나타내었다.

평창강 중권역의 경우 BOD 농도가 평균 1.7 mg/L로 수질환경기준 Ib 등급으로 나타나고 있

으나 생물종합 평가결과는 지수값 30의 B등급으로 평가되었다. 각 생물군별 지수값의 결과로

판단할 때 부착조류 영양염지수값 (TDI)이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을 나타내는 지점이 많아 이

중권역의 지점에서는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의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전반적인 유기물 농도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어류

지수 (IBI)는 생물서식지 평가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생물종합평가 결과도 지수

값 30 정도로 A에 가까운 B등급으로 종합적인 평가결과는 수질환경기준과도 유사하게 나타나

고 있다 (그림 3.2.1, 표 3.2.2). 일부 지점에서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는 생물군을 확인할

수 있다면 그 생물군이 주로 반영하는 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향후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달천 중권역과 인북천 중권역도 유사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단지 생물종합평가 결과만을

나타냈을 경우에 각 생물군이 가지는 특이성, 즉 부착조류는 영양염류 농도에,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은 유기물 농도에 기본적으로 반응한다고 볼 경우 각각의 특성에 대한 부분이 간과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포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표시방법이 적절히 사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270 -

중권역명 지점명부착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생물종합평가 BOD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농도 등급*

평창강

H019 62.21 보통 0.27 최적 38.0 최적 24 최적 2.0 좋음

H020 32.60 최적 0.22 최적 24.0 보통 26 양호 1.6 좋음

H021 76.17 불량 0.33 최적 24.0 보통 41 양호 2.0 좋음

H022 57.36 보통 0.41 최적 34.0 양호 27 양호 1.2 좋음

H023 26.24 최적 0.27 최적 34.0 양호 16 최적 1.4 좋음

H024 96.07 불량 0.73 최적 30.0 양호 45 양호 1.8 좋음

H025 27.94 최적 0.62 최적 22.0 보통 28 양호 1.6 좋음

H026 25.61 최적 0.48 최적 26.0 양호 23 최적 1.6 좋음

H027 64.47 보통 0.29 최적 24.0 보통 37 양호 2.0 좋음

H028 49.43 양호 0.30 최적 38.0 최적 20 최적 2.3 약간좋음

H029 63.64 보통 1.28 양호 30.0 양호 38 양호 1.8 좋음

H030 30.47 최적 0.63 최적 28.0 양호 24 최적 1.8 좋음

H031 38.05 최적 0.68 최적 28.0 양호 27 양호 1.0 매우좋음

H032 64.31 보통 0.57 최적 30.0 양호 34 양호 1.6 좋음

H033 59.65 보통 0.14 최적 26.0 양호 33 양호 1.6 좋음

H034 77.62 불량 0.22 최적 34.0 양호 32 양호 1.6 좋음

평균 53.24 양호 0.47 최적 29.38 양호 30 양호 1.7 좋음

*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표 3.2.3> 평창강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조 사 지 점 H019 H020 H021 H022 H023 H024 H025 H026 H027 H028 H029 H030 H031 H032 H033 H034 AVG

등 급

부 착 조 류저 서생물어 류종 합수 질

A

B

C

D

<그림 3.2.1> 평창강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수질기준은 A: Ia-Ib, B: II-III, C: IV-V,

D: VI 등급을 적용하여 비교함)

Page 14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71 -

중권역명 지점명부착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생물종합평가 BOD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농도 등급*

달천

H048 52.58 양호 0.48 최적 40.0 최적 21 최적 0.8 매우좋음

H049 35.22 최적 0.73 최적 24.0 보통 30 양호 0.8 매우좋음

H050 68.21 보통 3.83 불량 18.0 보통 67 보통 2.6 약간좋음

H051 33.72 최적 0.75 최적 26.0 양호 28 양호 0.8 매우좋음

H052 57.20 보통 0.59 최적 36.0 최적 26 양호 0.8 매우좋음

H053 35.76 최적 0.50 최적 30.0 양호 24 최적 0.8 매우좋음

H054 48.90 양호 1.23 양호 26.0 양호 36 양호 1.4 좋음

H055 48.28 양호 0.43 최적 22.0 보통 34 양호 0.6 매우좋음

H056 92.44 불량 0.65 최적 34.0 양호 40 양호 1.6 좋음

H057 98.82 불량 0.54 최적 16.0 보통 57 보통 1.0 매우좋음

H058 28.55 최적 1.34 양호 32.0 양호 25 최적 1.6 좋음

H059 33.68 최적 0.61 최적 32.0 양호 22 최적 1.0 매우좋음

H060 67.10 보통 2.56 보통 18.0 보통 58 보통 5.0 보통

H061 69.29 보통 1.12 양호 22.0 보통 46 양호 2.4 약간좋음

H062 28.72 최적 0.48 최적 34.0 양호 18 최적 1.2 좋음

H063 51.77 양호 0.29 최적 30.0 양호 27 양호 1.6 좋음

H064 29.56 최적 0.37 최적 32.0 양호 19 최적 1.4 좋음

*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표 3.2.4> 달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조 사 지 점 H048 H049 H050 H051 H052 H053 H054 H055 H056 H057 H058 H059 H060 H061 H062 H063 H064 AVG

등 급

부 착 조 류저 서생물어 류종 합수 질

A

B

C

D

<그림 3.2.2> 달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수질기준은 A: Ia-Ib, B: II-III, C: IV-V,

D: VI 등급을 적용하여 비교함)

- 272 -

중권역명 지점명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어류 생물종합평가 BOD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지수값 등급*

농도 등급*

인북천

H141 27.05 최적 0.17 최적 32.0 양호 17 최적 1.2 좋음

H142 36.82 최적 0.48 최적 24.0 보통 29 양호 1.0 매우좋음

H143 46.95 양호 0.28 최적 34.0 양호 23 최적 0.6 매우좋음

H144 44.29 양호 0.41 최적 40.0 최적 17 최적 1.0 매우좋음

H145 14.96 최적 0.17 최적 26.0 양호 18 최적 0.8 매우좋음

H146 14.37 최적 0.22 최적 34.0 양호 11 최적 0.8 매우좋음

H147 25.91 최적 0.18 최적 38.0 최적 12 최적 1.0 매우좋음

H148 30.44 최적 0.26 최적 28.0 양호 22 최적 0.7 매우좋음

H149 25.82 최적 0.58 최적 30.0 양호 21 최적 0.8 매우좋음

H150 49.79 양호 0.75 최적 30.0 양호 30 양호 1.0 매우좋음

H151 27.87 최적 0.27 최적 40.0 최적 11 최적 1.2 좋음

평창강

H152 43.55 양호 0.69 최적 24.0 보통 32 양호 0.6 매우좋음

H153 29.41 최적 0.39 최적 32.0 양호 19 최적 0.8 매우좋음

H154 47.86 양호 0.29 최적 36.0 최적 21 최적 0.8 매우좋음

H155 33.18 최적 0.42 최적 32.0 양호 21 최적 1.2 좋음

H156 30.78 최적 0.45 최적 32.0 양호 20 최적 1.6 좋음

평균 33.23 최적 0.38 최적 32.6 양호 20 최적 0.9 매우좋음

*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표 3.2.5> 인북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조 사 지 점 H141 H142 H143 H144 H145 H146 H147 H148 H149 H150 H151 H152 H153 H154 H155 H156 AVG

등 급

부 착 조 류저 서생물어 류종 합수 질

A

B

C

D

<그림 3.2.3> 인북천 중권역의 지점별 생물등급 및 수질기준 비교 (수질기준은 A: Ia-Ib, B: II-III, C: IV-V,

D: VI 등급을 적용하여 비교함)

Page 14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73 -

제 3 절 수생태계 건강성 진단․평가 (예측)를 위한 생태계 모델 조사

선진국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진단․평가 등을 위하여 개발된 모델을 종합분석하여 국내 현실

에 적절한 생태계 모델을 파악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미국환경청 (EPA) 및 미국지리원 (USGS) 등에서 많은 연구 결과들을 통하여

표준화된 다양한 생태조사 방법이 확립되어 있으며,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1) 생태

권역 (ecoregion) 구분, 각 권역별 대조지역 및 정의 확립, 2) 사용되는 분류군 (조류, 무척추동

물, 어류 등) 및 조사항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가이드라인/프로토콜 등 제시, 3) 생물

학적 조사항목 이외의 물리, 화학적 또는 기타 조사항목 제시, 4) 데이터 처리방법 및 보고 내

용 등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장소 및 시간에 따라 조사되는 자료 축적이 가

능하고 또한 이를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의 시간적, 공간적인 평가 및 비교가 가능하다.

미국 EPA에서 수행한 (또는 수행 중인) 대표적인 연구 과제로는 Environmental Indicators

Initiativ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 (EMAP) 등이 있다. EMAP은

국가 생태자원의 상태와 추세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툴을 개발하는 연구과제로서 최종 목표

는 다양한 시간적 공간적 스케일에서 얻어진 환경 모니터링 자료를 생태적으로 평가하고 도구

를 개발하여 생태자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미래의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EMAP는 다양한 스케일에서 생태적 자원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수를 개발한다.

미국 USGS에서 수행한 (또는 진행 중)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Biomonitoring of

Environmental Status and Trends (BEST) 등이 있다. BEST 연구과제는 Status and Trends

Program (S&T) of the USGS Biological Resources Discipline의 한 세부 과제이다. S&T

Program은 국가 생물자원의 조사하여 현재의 상태와 경향성을 평가, 예측 및 보고하는 것이다.

BEST 연구과제의 목적은 선택된 종과 서식지에 대한 환경교란 물질의 영향을 측정하고 평가

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생물 모니터링 방법과 도구를 개발하며, 그 교란물질-영향에 대한 정보

를 종합하여 자연자원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유럽에서는 여러 EU 구성 국가들 및 연구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사 자

료를 통합관리 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예전에는 국가별로 또는 기관별로 서로 다

른 조사 항목, 조사 방법, 단위의 표기 문제 등에 많은 이질성이 있어서 이를 전체적으로 통합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EU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대형 연구 과제를 통해 국가별,

연구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자료를 통합하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

을 개선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 274 -

1) AQEM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the

Ecological Quality of Streams and Rivers throughout Europe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2) STAR (Standardization of River Classifications: Framework method for calibrating

different biological survey results against ecological quality classifications to be

developed for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3) FAME (Development,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standardised fish-based

assessment method for the ecological status of European rivers)

4) PAEQANN (Predicting Aquatic Ecosystems Qual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impa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structure of aquatic communities (Algae,

Benthic and Fish Fauna))

5) Eurolimpacs (Integrated Project to Evaluate the Impacts of Global Change on European

Freshwater Ecosystems)

그 외 영국에서는 RIVPACS (River Invertebrate Predi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를 개

발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을 이용한 수생태계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호주 등에서는

영국에서 개발된 RIVPACS에 바탕을 두고 자신들의 실정에 맞는 평가법으로 변형 개발하여 사

용하고 있다.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얻어진 야외조사 자료는 통합, 전산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그

림 3.3.1>은 EU PAEQANN 연구 과제를 통해 생성된 부착조류의 통합 자료의 일부 예를

Excel의 spread sheet로 나타낸 것을 보여준다. 통합자료에서는 일련번호, 조사장소, 조사유역

(대), 조사유역 (소) 하천, 조사일시, 조사기관, 조사자, GPS (위도, 경도) 등을 포함하여 물리화

학적 환경특성, 생물특성 (출현 종) 등을 각 조사구간별로 나타내주어 모든 정보를 쉽게 비교하

고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시, 통해 자료 분석 및 모델링, 비교하고 이용할 수 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의 양, 비교적 많지 않을 때는 spread sheet,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

게 이용할 수 있으나 자료의 양이 많아지면 spread sheet만으로는 자료를 다루는데 한계가 있

으므로 multiuser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MS) 등 database 전용 도구를

이용하여 database를 구축하여야 한다.

미국 EPA에서는 STORET database (http://epa.gov/storet/)와 연계하여 생물검정을 위해 채

집된 자료들을 입력, 저장, 분석할 수 있는 database 관리시스템인 EDAS (Ecological Data

Application System)을 개발하여 생태계 평가를 위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어류, 저서성 무척추동물 및 조류의 군집을 이용한 수생태계 평가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로

수행된 EU PAEQANN 연구과제에서는 각 분류군에 대한 자료를 database 화하여 이를 온라인

Page 14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75 -

및 오프라인 프로그램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하였다 (Park & Lek, 2005). 이 프로그램에서는 각

조사구간의 물리화학적 환경특성 및 각 종의 밀도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으므로 환경관리

자 및 연구자 모두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조사지역에서 환경변이가 있을 때 예상되는 생물군집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3.3.1~3.3.2). Database에 누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를 유형

화하고, 이들에 미치는 환경 인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화는 자료특성을

분석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자료를 표준화하여 database를 작성하고

이를 지리정보시스템 (GIS)과 연계하여 생물 및 환경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고, 그 database

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 수생태계 건강성지수 도출, 환경변화에 따른 생물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누적된 자료를 매우 효율적으로 잘 활용하는 것으로서 수생태계 관리에 있어서 매우 유용

한 것이다.

AB

C D

AB

C D

<그림 3.3.1> PAEQANN 모델 예측 예

- 276 -

<그림 3.3.2> 선택된 종의 출현 예측을 위한 자료 입력 예

Page 14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77 -

제 4 절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사업 발전방향 검토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2008.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측정망으로서의 진행

될 수 있는 생물측정망 구축 및 운영․관리방안에 대한 것을 제시하도록 하며, 나아가 물환경

종합평가를 위하여 각 조사지점에 대하여 기존의 수질측정망뿐만 아니라 신규로 추가되는 생물

측정망, 퇴적물측정망, 비점오염물질측정망 등의 운영상황을 기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모

았다.

종합적인 생물지수와 아울러 국가하천측정망에서는 <그림 3.3.3>과 같이 각 지점에 대하여

지점현황 (서식지 평가 등)을 나타내고 여기에 수질측정망, 퇴적물측정망 및 생물즉정망의 결과

가 표현되어 궁극적으로 국가하천측정망의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각 지점에 대하여 수행되는 측정망과 측정항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지점

에 대하여 운영되고 있는 측정망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려면 각 측정망 관련 운영계획을 비

교해야하는 번거로움 해소할 수 있는 통합적인 운영방안이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그림 3.3.3> 각 조사지점별 측정망 운영현황의 도시

Page 15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4장 DB 분야

제1절 DB 자료의 구성

제2절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 공개 및

활용

Page 15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81 -

제 4 장 DB 분야

제 1 절 DB 자료의 구성

1. DB 파일의 개선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의 연구 특성상 다양한 분류군에 대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참여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각 각의 연구자들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분류군에 대해서 조사내용의 기

입 및 관리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조사 자료의 통합 및 자료의 활용에

있어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분야별로 조사 지침서에 따라 야외

조사 기록장 (현지조사표)의 표준화와 더불어 자료의 입출력이 용이하도록 Excel을 이용하여 각

분야별로 정리하였다. 더불어 Excel을 이용한 자료의 축적시 대형 DB 구축에 쉽게 이식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자료의 입출력시 건강성 등급 및 지수의 산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Excel 시트 상에서 매크로를 활용하였다. 매크로의 활용은 건강성 등

급 및 지수 계산의 간편성과 계산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계산시 사용되는 수식의 통일

로 정보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009년 DB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2008년도 DB 구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의 생물분야의 DB에서는 기존의 알파벳 및 생물명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

던 DB 파일 형식을 분류군 별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이 과정에서 건강성 등급 및 지수의 매

크로를 수정 보완하였다 (그림 4.1.1). 또한 2009년에는 생물서식처 (QHEI)에 대한 조사가 수행

됨에 따라 생물서식처의 DB 양식을 <그림 4.1.2>와 같이 나타내었다. 생물서식처는 조사지점

일반정보와 함께 각 항목별 판단지표 및 평가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지수는 각 항목별 판

단지수가 입력되면 Excel의 매크로를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산출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생

태계 건강성 등급이 평가되게 하였다.

- 282 -

(a) (b)

(c) (d)

<그림 4.1.1> 분야별 DB 파일. a) 부착조류, b)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c) 어류, d) 서식 및 수변 환경

<그림 4.1.2> 생물서식처 DB 파일의 예

Page 15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83 -

제 2 절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 활용

1. 수생태계 건강성 시각화

가. 분야별 등급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각 분야의 등급변화를 GIS (ArcView GIS

3.3)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사용된 자료는 2008년 640개 지점과 2009년 720개 지점에서 조사

된 각 분야별 지수 -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어류생물지수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 자료를 사용하였다. 각 자료는 연도별로 조사된

1차, 2차 자료를 평균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2009년에는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가 추가되

어 1차, 2차 자료를 평균하였다.

각 분류군에서의 등급은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의 각 분야별 조사지침을 바탕으로 4

개의 등급 (A, B, C, D)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등급은 서로 다른 색을 통해 GIS상에서 표현하

였다 (A: 파랑색, B: 녹색, C: 노란색, D: 빨강색). GIS상에서의 각 조사지점은 조사지침에 의거

한 조사 구간을 설정하여 나타내었다.

1) 부착조류

<그림 4.2.1>은 부착조류에서 영양염지수 (TDI)를 이용한 각 시기별 조사지점에 따른 등급을

나타내며, 2008년과 2009년의 영양염지수 (TDI)에 의한 부착조류의 등급은 유사한 경향성을 보

였다. 2008년에는 C등급이 전체 조사된 640개 지점 중 28.9% (185개 지점)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반면 A등급은 128개로 전체의 20%로 나타났다. 한편 2009에는 전체 720개 조사지점 중

172개 지점 (27.4%)에서 C등급의 영양염지수 (TDI)에 의한 부착조류 등급이 나타났으며, A등

급은 21.1%로 2008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2008년과 2009년 모두 영양염지수 (TDI)에 의한 부착조류의 등급 판정 결과 강원도를 비롯한

경상북도 지역에서 A등급의 파란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서울, 경기도, 충청도 등 서해안

쪽에 위치하는 지역에서는 붉은색의 D등급과 노란색의 C등급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색의 B등급은 주로 경기도 동부와 전라도 지역에서 나타났다.

- 284 -

<그림 4.2.1>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등급 분포. a: 2008년, b: 2009년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따른 조사지점의 등급 분포는 B등급 이상의 등급 분포를 보여 전

반적으로 양호한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강원도지역이 A등급을 나타내는 파란색 지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 4.2.2). 반면 서울 및 서해안 지역 인근의 지역에서는 B등급 이하의

등급 분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한편 각 시기별 등급 분포를 살펴보면, 2008년 조사된 저서

생물의 등급 분포에서는 A등급을 보인 조사지점이 전체의 41.6% (266개 지점)로 가장 많았으

며, D등급은 54개 지점 (8.4%)로 가장 적었다. B등급과 C등급은 각각 34.1%와 15.3%를 나타냈

다. 또한 2009년의 저서생물의 등급 분포는 B등급이 31.1%로 2008년에 비해 다소 낮아진 비율

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2008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Page 15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85 -

<그림 4.2.2>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지수

등급 분포. a: 2008년, b: 2009년

3) 어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등급 분포와는 달리 어류의 등급 분포는 상대적으로 C등급 이하의

등급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서울, 경기도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서 D등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림 4.2.3). 한편 경상도 지역은 C등급과 D등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강

원도 지역은 어류 메트릭에 따른 등급이 대체적으로 B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어류의 건강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기별 조사구간의 등급비에 따르면 A등급과 D

등급의 비율은 각 각 2008년 6.7%와 26.7%였던 것이 2009년에는 4.3%와 25.1%로 줄었다. 반면

B등급과 C등급은 2008년에 비해 각 각 2.7%와 1.3%가 증가한 24.6%와 46.0%의 등급비를 보였

다. 그러나 2008년과 2009년의 등급 분포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 286 -

<그림 4.2.3>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어류 등급 분포. a: 2008년, b: 2009년

4) 서식수변환경

<그림 4.2.4>는 조사구간에 따른 서식 및 수변환경의 등급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2008년과

2009년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B등급 이상의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B등급의 비율이

2008년 56.4% (361개 지점)와 2009년 62.5% (450개 지점)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또한 이

들 B등급은 전체 조사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반면 C등급과 D등급은 서울, 경기 북부를 비

롯한 전라남도 일부 지역과 제주도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C등급 이하의 등급의 비율이 19.6%인

2009년에 비해 2008년에는 25.9%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생물서식처 평가

생물서식처 평가는 2009년 조사에서 처음으로 조사가 시행되었으며, 그 결과 B등급이 418개

조사지점에서 나타나 58.1%의 비율로 가장 높았으며, C등급은 34.3% (247개)로 B등급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그러나 A등급과 D등급은 각 각 6.3% (45개 지점)와 1.4% (10개 지점)로 상

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그림 4.2.5). 각 등급의 지역적 분포에서는 가장 높은 비율을 보

인 B등급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한 반면 C등급은 경기도 일부 지역과 경상북도 및 전라남

도 일부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87 -

<그림 4.2.4> 조사 시기별 각 조사구간에서의 서식 및 수변 등급 분포. a: 2008년, b: 2009년

<그림 4.2.5> 2009년 각 조사구간에서의 생물서식처 등급 분포

나. 시간에 따른 지점별 건강성 등급 변화

2008년과 2009년에 조사된 각 분야별 건강성 등급의 변화를 2008년의 640개 지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조사지점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내었다 (지점명은 2009년의 지점명을 기준으로

함). 등급의 비교는 2008년의 등급에서 2009년 등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A~D등급을

각 각 1~4의 점수로 환원하여 계산하였다. 이때 2008년 D등급에서 2009년 A등급으로 변화된

경우 수생태계 건강성이 가장 개선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2008년의 A등급에서 2009년

- 288 -

의 D등급으로 변화한 경우 건강성이 가장 악화된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시간 변화에 따른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 변화는 GIS 상에서 색의 차이로 나타내었으며, 건강성이 개선 된 경우에

는 푸른색 계열, 건강성이 악화되었을 경우에는 붉은색 계열로 변화의 정도는 밝기 차로 표현

하였다. 반면 건강성 등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녹색으로 나타내었다.

1) 부착조류

<그림 4.2.6>에서는 2008년과 2009년 조사된 영양염지수 (TDI)를 이용한 부착조류의 시간에

따른 건강성 등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 (58.2%, 371개 지점)

등급의 변화가 없었다. 2008년에 비해 2009년의 영양염지수 (TDI) 등급이 개선된 지점은 22.3%

인 반면 건강성이 악화된 지점은 전체 640개 지점의 19.6%로 나타났다. 특히 등급의 변화가 발

생한 지점 중 2008년에 비해 2009년에 한 등급 개선된 지점이 121개 지점 (19.0%)으로 가장 많

았으며, 건강성이 악화된 경우에도 한 등급의 변화가 발생한 지점이 17.2%로 높게 나타났다. 한

편 건강성 등급이 2008년 A등급에서 2009년의 D등급으로 가장 심하게 악화된 지점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안궁리 (H287, 입장천 02) 1개 지점뿐이었으며, 반대로 2008년 D등급에서 2009

년 A등급으로 건강성 등급이 3등급 개선된 지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림 4.2.6> 2008~2009년 조사지점별 부착조류 등급 변화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등급 변화는 H283, N074, Y116 3개 지점에서 2008년 A에서 2009년

D등급으로 건강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2008년 D등급에서 2009년 A등급으로

건강성이 개선된 경우는 H252, G026, G027의 3개 지점에서 나타났다. 한편 한 등급 내에서의

Page 15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89 -

변화의 경우 건강성이 개선된 지점은 112개 (17.6%)였으며, 건강성이 악화된 지점은 전체의

20.0% (127개 지점)로 나타났다.

<그림 4.2.7> 2008~2009년 조사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등급 변화

3) 어류

어류 분야에서 등급 변화가 없는 지점이 전체의 68.1% (436개 지점)로 다른 생물 분야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등급의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특히 어류에서는 2008년에서 2009년의 등급

변화 중 3등급의 변화가 나타난 지점은 없었다. 2008년에서 2009년으로 두 등급의 건강성 등급

변화를 보인 지점의 경우에는 H140, H183, H197의 3개 지점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640개 조사지점의 0.3% (H219, Y126)에서 어류의 건강성 등급이 두 등급 개선된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한 등급내에서의 건강성 등급의 변화를 보인 지점은 악화된 경우가 14.5%, 개선된

경우가 16.6%로 건강성 등급의 개선 및 악화의 변화 비율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2.8> 2008~2009년 조사지점별 어류 등급 변화

- 290 -

4)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 및 수변 환경 분야에서 건강성 등급이 2008년 D등급에서 A등급으로 개선된 경우는

H261 지점뿐 이었으며, 주로 한 등급의 변화만이 발생하는 특징을 보였다. 한 등급 내에서의

변화는 개선된 경우가 19.1%였으며, 악화된 경우가 13.0%로 상대적으로 개선된 지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두 등급의 건강성 등급의 변화를 보인 경우는 개선된 지점

이 전체의 1.1%였으며, 악화된 지점은 0.2%로 나타났다.

<그림 4.2.9> 2008~2009년 조사지점별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변화

다. 중권역별 건강성 등급 변화

중권역에 따른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의 분야별 등급의 분포를 나타내기 위하여 조사에서 사

용된 전체 113개 중권역의 각 분야별 등급 분포를 GIS (ArcView GIS 3.3)를 이용하여 나타내

었다. 중권역 자료는 2009년 조사된 1차와 2차 자료의 중권역별 지수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계

산하였다. 각 분야별 등급의 구분은 앞선 조사구간에 따른 등급분포와 동일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의 각 분야별 조사지침에 따라 4개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등급은 색을 통해

구분하였다 (A: 파랑색, B: 녹색, C: 노란색, D: 빨강색).

1) 부착조류

<그림 4.2.10>에서는 중권역에 따른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등급을 나타내었다. 사용된

전체 113개 중권역 중 C등급으로 나타난 중권역이 40개로 가장 많았으며, 주로 서울, 경기, 전

남 및 경남 일부 지역에 분포한 반면 가장 적은 수 (16개 중권역)의 A등급은 주로 강원도와 경

Page 15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91 -

북 지역의 동해안 인근 지역에 분포하였다. 반대로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등급 중 가장

악화된 상태를 보이는 D등급의 중권역은 충청남도, 제주도, 경상도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B

등급을 띄는 중권역의 경우 강원도, 충북, 전북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4개 등급 중 가장 넓은 유

역에서 나타났다.

<그림 4.2.10> 중권역에 따른 부착조류 등급 분포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권역 별 저서생물의 등급 변화는 <그림 4.2.11>에 나타난 것처럼 54개 중권역이 B등급을

보이며 가장 많았으며, 주로 경상도와 충남,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였다. 저서생물에서 B등급 다

음으로 많은 35개 중권역에서 나타난 A등급은 강원도와 백두대간 주변의 중권역에서 주로 분

포하였다. 한편 시화호, 회야강, 금강하구언, 완도의 4개 중권역은 D등급을 보였으며, 경기도와

전남 및 경남 일부 지역에서는 C등급의 중권역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2.11> 중권역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등급 분포

- 292 -

3) 어류

중권역에 따른 어류의 등급 분포는 지역적인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권역에 따른 어류

의 등급 분포는 다른 건강성 조사 분야와는 달리 A등급을 띄는 중권역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체 중권역 중 강원도와 경상도 일부 및 제주도 등 일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권역에서 C

등급 이상의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 분포를 보였다 (그림 4.2.12). 특히 C등급은 71개 중권역에서

나타났으며,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D등급의 중권역은 경기도와 경상

도,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22개 중권역이 이에 해당하였다.

<그림 4.2.12> 중권역에 따른 어류 등급 분포

4) 서식 및 수변환경

전체 5개 건강성 조사 분야 중 서식 및 수변환경이 B등급 이상의 상대적으로 양호한 등급의

중권역이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특히 B등급의 중권역이 90개로 전체 중권역의 79.6%에 해당하

였으며,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였다 (그림 4.2.13). 반면 서식 및 수변환경에서는 어류와는

반대로 D등급을 보이는 중권역이 없었으며, C와 A등급의 중권역은 각 각 12개와 11개로 나타

났다. 이중 A등급의 중권역은 주로 강원도와 경상도 일부 지역에 분포한 반면 C등급의 중권역

은 전남, 경상도, 경기도, 제주도 등 주로 해안가와 인접한 중권역에서 주로 나타났다.

Page 15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93 -

<그림 4.2.13> 중권역에 따른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분포

5) 생물서식처 평가 (QHEI)

<그림 4.2.14>는 중권역에 따른 생물서식처 평가 (QHEI)의 등급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 B등급을 보이는 중권역이 75개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C등급은 34개의 중권역에서

나타났다. C등급의 중권역은 주로 경기도 일대와 전남, 경북에 분포하였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B등급의 중권역이 분포하였다. 한편 A등급의 중권역은 용담댐하류와 제주남해 중권역에서 나

타났으며, D등급은 완도와 진도 중권역으로 두 중권역 모두 전남의 남해 지방에 위치하였다.

<그림 4.2.14> 중권역에 따른 생물서식처 평가 등급 분포

- 294 -

2.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자료 공개 및 활용

가. 외국 사례

1) 미국 EPA 사례

미국 EPA는 미국 전역의 700,000개 지점에서 조사된 200백만 표본에 대한 수환경 관련 자료

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STORET database (http://epa.gov/storet/)를 활용하고 있다 (그림

4.2.15). STORET database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수환경 관련 database로서 수환경 자료를 제

공함에 있어 GIS와 연계하여 조사지점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STORET database는 다른 일반적인 생물 database와는 달리 수질 정보 및 분류군에 대한 정보

를 동시에 제공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그림 4.2.15> 미국 EPA의 STORET database

2) 유럽 FAME

FAME은 하천의 생태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어류를 이용한 생태

건강성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ecoregion 및 EU 스케일에서 평가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그림 4.2.16>은 어류 군집을 이용한 생물지수 개발을 위하여 수행된 FAME 연구과제의 일반

적인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표준화된 연구 지침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Page 15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95 -

연구 지침서에 따라 조사된 자료를 표준화하여 양질의 database를 작성, 모델 개발에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개념은 유럽을 중심으로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영국 환경청

(http://www.environment-agency.gov.uk/)에서는 주기적으로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생물학적

수질지도 (그림 4.2.17)를 작성하여 각 수계별로 수질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그림 4.2.17>은 2000년부터 2006년 사이의 각 수계의 수질 변동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통해

시간에 따른 수질의 변동을 알 수 있다.

<그림 4.2.16> FAME 연구과제의 개념도

<그림 4.2.17> 생물학적 수질지도 예 (영국)

- 296 -

3) EU PAEQANN 사례

EU의 PAEQANN 연구과제에서는 어류, 저서성 무척추동물, 부착조류 군집을 이용한 수생태

계 평가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로서, 각 분류군에 대한 자료를 database화하여 이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 프로그램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각 조사지점의 물리화학

적 환경특성 및 각 종의 밀도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으므로 환경관리자 및 연구자 모두에

게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림 4.2.18>은 PAEQANN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 조사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지역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출현하는 종 및 환경 특

성을 나타내 준다. 왼쪽 그림에서 붉은 점은 조사지점을 나타내며 각 조사지점을 마우스로 선

택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출현종의 밀도 및 조사지점의 환경인자 값이 제시되게 된다. 또한

어류 사진을 제공해 준다.

A

B

A

B

<그림 4.2.18> 어류의 분포지역 및 환경 특성 표시

나. 우리나라의 수환경 관련 자료 활용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환경 관련 database의 활용 및 제공하는 사례로는 환경부의 물환경정

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을 들 수 있다 (그림 4.2.19). 물환경정보시스템은 1) 오염원,

수질, 수량 등 수계오염특성 정보의 종합관리를 기하고 정보서비스 향상을 위한 물환경 정보인

프라로서의 「물환경정보센타」운영 체계 구축, 2) 물환경정보의 통합조사 및 오염원, 수질, 수

량 DB 연계ㆍ구축, 호소환경 DB 구축, GIS DB 확대 보완ㆍ구축, 3) 오염원자료 정확도관리를

기반으로 수계별 DB 자료공유시스템, 보고서 지원시스템, 수질예측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

발, 4) 물환경정보의 공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물환경정보시스템의 경우 수체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물학적 평가를 제공하고 있으나, 2004년과 2005년 자료 이

후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다.

Page 15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97 -

<그림 4.2.19>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또한 환경부에서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2002년도 결과에 대한 생태자연도, 문헌정보 DB,

생물종정보 DB 및 항공사진 영상정보 등을 이용하여 환경영향평가, 국토이용변경, 공유수면매

립 등 주요시책의 협의․평가 시 환경부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국자연환경조사 (1997

∼2003)결과를 종합, GIS-DB 구축하여 자연환경종합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환경지리정보서비

스(EGIS)를 제공하고 있다(http://egis.me.go.kr) (그림 4.2.20). 그리고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국

가수자원 종합정보시스템(WAMIS; 홈페이지 http://www.wamis.go.kr/)을 개발하여 수자원 및

환경생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4.2.21).

<그림 4.2.20> 환경부 환경지리정보서비스 (EGIS)

- 298 -

<그림 4.2.21> 한국수자원공사의 국가수자원 종합정보시스템 (WAMIS)

다. 수생태계 건강성 DB 활용 방안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 및 유럽지역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여러 기관들에서 축적된 자료

를 인터넷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공개 및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로 축적

되는 자료 또한 인터넷 등의 방법을 통해 공개하여 관련분야 연구자들이 연구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료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관심지

역의 수생태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원자료 공개뿐만 아니라

자료의 요약, 정리된 내용을 인터넷으로 제공하여 일반인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할 필요가 있

다.

이를 위하여 본 보고서에서는 3개 생물분야와 함께 2가지의 환경 분야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

성 자료를 미국 EPA에서 운영하는 STORET database와 환경부의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근간하

여 그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자료는 4대강의 여러 조사

지점에서 주기적인 조사 (2회/년)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조사지점을

기반으로 각 생물분야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자료의 제공은 미국 EPA의 STORET

database와 같이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전체 자료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시 자료의 획

득에 있어 용이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로 얻어진 결과를 일부 연구자들뿐만 아

니라 일반 국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EGIS에서 제공하는 GIS와 같은 시각화 할 수

있는 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역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생

태계 건강성을 각 조사지점에서의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중권역, 대권역 등 보다 상위의 수계

Page 16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299 -

정보를 함께 나타낸다면 정보의 효율성 및 활용성을 증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4.2.22>는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만든 정보 제공

을 목적으로 한 수생태 건강성 조사 자료의 웹 모식도이다. 웹 모식도는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에서 현재 조사되고 있는 5개 분야 (부착조류, 저서생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생물서식처)와

수질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정보이용자의 이용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접근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식도에 따르면 정보이용자는 검색 조건을 선택하고 검색메인에 있는 수계별,

행정구역별, 하천명에서 알고자 하는 하천을 선택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선택된 항목에 해당

하는 자료가 제공되는 형태이다. 차후 이러한 모식도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정보의 제공을

위해 모식도를 수정, 보완하며 자료의 제공은 GIS를 연계한 지도 정보 및 그래프를 통한 시간

및 지역적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림 4.2.22> 수생태계 건강성 검색 모색도

Page 16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5장 복원 로드맵

제1절 하천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본

방향

제2절 하천 건강성 및 복원 요구 등급

평가

제3절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평가결과

제4절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평가 및

관련계획 매핑 (Mapping)

Page 16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03 -

제 5 장 복원 로드맵

제 1 절 하천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본방향

1. 복원 기본방향

가. 복원 기본방향 개발

하천의 생태적 의미는 하천의 기능, 구조, 그리고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하천의 생태적 기

능은 에너지, 물질, 생물의 이동과 서식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수생물과 수질 측면으로 나누어

평가될 수 있다. 하천의 구조는 하천 구성요소들의 공간적 관계를 지칭하며, 하천 서식환경과

수변환경으로 나누어 평가될 수 있다. 하천의 변화는 하천 자체의 동적 역동성, 뿐만 아니라

인간의 하천 혹은 유역에 대한 이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천의 기능, 구조, 변화는 끊

임없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순환적 고리로 이해해할 수 있다.

Function Structure

Pressure

<그림 5.1.1> 하천 건강성과 복원의 기본방향 모식도

이러한 하천의 생태학적 이해를 기초로 하여 위의 <그림 5.1.1>과 같이 하천복원의 개념적

기본모형을 개발하였다. 기본모형에서 하천의 기능은 하천의 구조와 변화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하천의 구조 또한 하천의 기능과 변화압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건강한 하천

- 304 -

의 복원은 이러한 세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하천 복원의 목표는 하천의

기능회복에 두어야 하며, 하천의 구조와 변화압력의 복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

여야 한다. 따라서 하천의 건강성은 기능과 구조 그리고 변화압력 모든 측면에서 건강성을 유

지해야 한다. 한 축에서의 건강성 붕괴는 시차를 두고 결국 다른 두 축의 건강성 붕괴를 야기

할 것이다.

나. 새로운 패러다임의 발전적 수용

환경부가 제시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하천복원 방향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 될 수 있다

(표 5.1.1).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발전적으로 수용하고, 하천의 근원적인 특성 및 기능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패러다임을 개발하였다.

부문 기존 패러다임 새로운 패러다임

생태적 건강성 확보 공원화 자연화

유역통합 관리체계 전환 선개념 면개념

실질적 결과 도출 공사중심 목표중심

참여형 추진체계 정립 관 주도 협의체 주도

출처: 환경부, 생태하천 만들기 10년 계획, 2007.

<표 5.1.1> 하천복원의 패러다임 변화 이해

1) 다기준적 접근

하천의 건강성은 단일 기준에 기초하여 측정,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생물, 수질, 하천구조, 수

변식생 등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특히 도시 인접하천의 경우 하천의 복원

은 인간의 다양한 형태의 이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천 건강성의 평가, 복원 요구도 판

정, 복원 목표, 복원사업 과정에는 다방면의 전문가 및 다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는 전문 분야별 협업이 필수적이며 GIS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2) 위계적 접근

하천은 그 위계에 따라 다른 생태적-수리수문학적 특성을 가진다. 이는 다른 위계의 하천은

크기가 다른 유역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복원방법을 다른 위계의 하천에 적용할

경우 예상하지 못한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위계의 하천은 정책, 전략, 계획, 사

업별로 다른 위계에서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Page 16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05 -

3) 과정적 접근

하천은 복원사업이 이루어진 후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자체 생이화학적 특성, 수리수

문적 변화, 그리고 주변의 환경적 변화 및 이용압력 등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동적인 구

조체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천의 복원은 명확한 목표 연도를 갖고 완료되는 단일사업으

로 이해되면 곤란하고, 계획, 사업, 평가, 모니터링 등으로 이루어진 계속되는 과정으로 이해되

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전략과 지원, 주민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4) 복원방법의 다양화

지금까지의 하천 복원사업은 대부분 물리적 복원만을 고려하였다. 환경부의 새로운 하천복원

패러다임, 다기준적 접근, 위계적 접근 및 과정적 접근방법을 기초하면 하천은 물리적 사업만으

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다른 하천의 위계와 다양한 전문분야에서의 복원방법, 그리고 과정적

접근방법으로 다양한 복원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물리적 복원방법뿐만 아니라 관리, 정

책, 계획, 교육, 홍보 등의 비물리적 방법들 또한 복원의 한 방법으로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5) 지역 순화적

하천의 건강성은 위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다. 즉, 동일한 규모의 하천이

라 하더라도 그 생태지리적 특성에 따라 생태적 위치와 특수성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위에서 언급된 위계적 접근방법과 연계되어 있다. 하천 자체 또한 상류에서 하류에 이

르기까지 다양한 환경과 관계를 갖는다. 대권역, 중권역, 소권역적 특성에 따라 하천의 복원은

지역 환경에 순화적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하천 자체에서도 동수계내 소지역에 순화적이어야

한다. 지역 순화성은 복원 접근방법, 사용될 도구, 그리고 사용될 재료 등에 고려되어야 한다.

지역의 고유 생태환경에 순화된 하천의 복원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리 및 조성비용의 절감뿐

만 아니라 복원하천의 안정성에도 유리하다.

다. 하천 위계별 복원 기본방향

환경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및 추가적인 패러다임을 발전적으로 수용하여, 하천의 위계별 접

근방법을 요약하였다 (표 5.1.2). 표에서 하천의 위계가 높을수록 하천의 생태적 기능 복원을 목

표로 국토차원으로 고려하여 물리적 사업위주보다는 장기적인 목표로 비물리적 사업을 통하여

복원한다. 비물리적 복원은 정책, 규제, 지원, 사회교육 및 홍보 등 물리적 사업 외에 모든 방법

- 306 -

을 지칭한다. 이에 비하여 지천 및 구간의 경우, 좀 더 직접적인 물리적 복원방법을 통하여 단

기간에 복원을 마무리 하여야 한다. 아래 표에 의하면 국가 및 지방하천 같은 대규모 하천의

경우 관리 및 복원(관리)기본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에 근거하여 소규모 하천들의 복원사업

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규모 하천의 기본계획은 전국하천 조사 및 모니터링 계획과 연계할 필

요가 있으며, 국토계획과의 연계 등을 고려할 때, 기본계획은 10년 단위로, 재정비 및 관리계획

은 5년 단위가 적절하며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 24조에 근거한 “수질 및 수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본계획”과 연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본계획 및 재정비 계획에 근거하여

각 소규모 지천 및 지방하천은 복원계획, 사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대규모 하천의 복원

기본계획의 법적 구속력 확보를 위해서는 하천법 (하천정비기본계획, 제17조) 혹은 수질 및 수

생태 보전에 관한 법 24조의 일부를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 지천 구간 지점

주요목표 기능 기능+구조 기능+구조 기능+구조+이용 기능+구조+이용 구조

관리/계획/사업 관리 기본계획 기본계획+사업 기본계획+사업 사업 사업

직/간접 간접 직, 간접 직, 간접 직, 간접 직접 직접

공간범위 국토+region region landscape landscape area site

공공참여 약 중 강 강 중 약

강도 약 약 중 중 강 강

목표년도 장 장 중 중 단 단

<표 5.1.2> 하천 위계별 접근 방향

Page 16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07 -

제 2 절 하천 건강성 및 복원 요구 등급 평가

1. 하천 건강성 평가

<그림 5.1.1>의 하천건강성과 복원 기본방향 모식도에 기초한 하천의 건강성 평가는 수질-생

물 건강성, 수변-서식환경 건강성, 그리고 유역-이용의 건강성 세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기본 모

식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세부분은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한 축의 훼손은 시차를 두고 다른

축에 영향을 주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천의 요구등급의 판단은 이러한

하천의 총체적인 건강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결과에 의하면 하천의 수질-생물 건강성은 생물 분야

에서 부착조류 (TDI),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KSI), 그리고 어류를 포함하고, 수질분야에서

BOD를 포함한다. 수질-생물분야의 평가는 각 4등급으로 최적, 양호, 보통, 불량으로 구분된다.

수변-서식환경의 건강성은 생물서식환경과 수변환경을 통합한 10개의 평가항목으로 조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등급의 기준은 수질-생물분야의 평가 등급과 같다. 유역-이용의 건강성은 명확한

등급평가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며, 본 사업에서도 제외 되었으나, 추후 효과적인 등급평

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복원 요구 등급 평가

가. 등급평가 원칙

하천 건강성에 기초하여 복원 요구 등급의 평가는 복원 사업의 우선순위 설정 및 효과적인

정부 예산의 집행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사업에서 사용되는 요구등급 판정을 위해서 사

용된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1) 최저등급 기준원칙

하천의 복원 측면에서 하천의 건강성 평가는 최저의 기준에 맞추어야 한다. 다른 지수들과

같이 각 부분별 평가치를 평균할 경우 부분별 최저의 등급이 좋은 등급들의 부문들에 의하여

완화될 여지가 많다 (regression to the mean). 더욱이 복원 요구 등급의 취지와 본 사업의 건

강성-복원 기본방향에 기초하면, 한 부문의 훼손 혹은 결핍은 필연적으로 다른 부분의 훼손을

야기할 것이기 때문에 복원 요구 등급은 최저등급을 우선 적용하여야 한다. <그림 5.2.1>에서와

- 308 -

같이 하천의 총체적인 건강성은 결국 최저의 조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복원 요구도 등급은 다른 부문에서 좋은 등급을 받더라도 한 등급에서 낮은 등급을 받을 경우

낮은 등급에 기준을 두고 평가 하였다.

2) 최저등급 우선원칙

복원 요구 등급 판정 대상은 ’09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전 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등급

판정의 순서는 최저등급을 우선으로 하였다. 즉, 최저 등급(4등급)을 기준으로 전 구간을 판정

하고 그 나머지 구간들을 대상으로 3등급, 그리고 그 나머지 구간을 대상으로 2, 1등급으로 각

각 판정하였다.

<그림 5.2.1> 하천의 총체적 건강성 결정인자

3) 등급과 유형 분리원칙

복원 요구 등급은 하천의 복원 요구도에 대한 종합적인 지수이지만, 하천별 훼손 유형에 대

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요 훼손 원인을 포함하여야 한다. 즉, 1, 2, 3, 4로만 등급을

표기할 경우 위에서 제시된 중요한 원칙들, 즉 최저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잃게 된다.

따라서 등급과 등급판정 원인이 별도로 표기되어야 한다.

나. 복원 요구 등급 및 표기

복원 요구 등급의 표기는 아래 <그림 5.2.2>와 같이 등급 및 유형을 동시에 표기하며, 등급의

Page 16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09 -

좌측은 등급, 우측은 훼손유형을 표기하기로 하였다. 각 등급의 판정기준은 아래 <표 5.2.1>에

설명되어 있다. <표 5.2.1>에서 1등급은 복원 요구 등급이 가장 낮으며 전 평가부문이 1등급으

로 판정된 경우이다.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은 역으로 수생태계 건강성이 비교적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복원 요구 등급 4는 어느 한 부문이라도 4등급으로 판정된 경우로 복원

요구 등급은 제일 높다. 복원 요구도 유형은 F, S, FS 유형으로 구분된다. F형의 경우 등급의

판정 주요 인자가 F (기능)에 기인한 경우이며, S인 경우는 하천의 구조 (주로 수변 및 서식처)

상 평가결과에 의하여 복원요구도가 결정된 경우를 말해준다. 또한 FS의 경우 하천의 기능과 구

조가 동시에 같은 영향을 준 경우로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S의 경우 4등급으로 복원 요구

등급이 매우 높으며, 등급판정의 주요 원인은 수변-서식환경의 낮은 등급 때문에 4등급을 받은

경우이며, 3FS의 경우 복원 요구 등급은 3등급으로 높으며 하천의 기능과 구조 같은 3등급으로

판정된 경우이다. 변화압력 (Pressure) 유형은 본 사업에 평가하지 않았으므로 실제적인 등급유

형은 F (Function), S (Structure), 그리고 FS (Function & Structure)세 종류로 구분된다. 또한

1등급의 경우 모든 부문에서 1등급을 받아야 복원 요구 등급 1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유형은 없

다.

1 등급

✕F 유형

= 복원 요구 등급2 등급

S 유형3 등급

P 유형4 등급

등급 훼손유형

<그림 5.2.2> 복원 요구 등급 표기 방법

복원 요구 등급 복원요구도 판정 기준

1 낮음 전 부문이 1등급인 경우

2 보통3, 4등급을 받은 구간을 제외한 구간 중, 생물-수질, 수변-서식, 유역-이용 부

문 중 어느 한 부문이라도 2등급을 받은 경우

3 높음4등급을 받은 구간을 제외한 구간 중, 생물-수질, 수변-서식, 유역-이용 부문

중 어느 한 부문이라도 3등급을 받은 경우

4 매우 높음생물-수질, 수변-서식, 유역-이용 부문 중 어느 한 부문이라도 4등급을 받은

경우

<표 5.2.1> 복원 요구 등급 판정 기준

- 310 -

3. 복원 요구 등급 평가

가. 복원 요구 등급 평가

2009년 1, 2차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술된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1등급은 2개 지점 0.6%, 2등급은 133개 지점 18.5%, 3등급은 274개 지점 38.0% 그리고 4등급

은 311개 지점 43.2%로 판정되었다 (표 5.2.2). 복원 요구 등급 판정 결과에 의하면 전체 조사

지점의 82%이상이 3혹은 4등급의 높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정되어 우리나라 전체수계가 전

반적으로 크게 훼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복원이 매우 시급한 4등급만을 기초로 판단

할 경우에 한강이 35.3%, 금강이 60.8%, 낙동강이 52.3%, 영산강ㆍ섬진강이 36.4%로 나타나

금강과 낙동강이 한강과 영산강ㆍ섬진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복원 요구 등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5.2.2와 그림 5.2.3). 이는 금강, 낙동강이 한강이나 영산강ㆍ섬

진강에 비해 훼손정도가 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표 5.2.2, 그림 5.2.3).

등급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ㆍ섬진강 계

개소 비율 개소 비율 개소 비율 개소 비율 개소 비율

1 2 0.6 0 0.0 0 0.0 0 0.0 2 0.3

2 96 30.0 10 7.7 14 10.8 13 9.3 133 18.5

3 109 34.1 41 31.5 48 36.9 76 54.3 274 38.0

4 113 35.3 79 60.8 68 52.3 51 36.4 311 43.2

계 320 100.0 130 100.0 130 100.0 140 100.0 720 100.0

* 식생조사 결과는 미반영된 결과임

<표 5.2.2> 2009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에 기초한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판정 결과

.

Page 16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11 -

<그림 5.2.3> 수계별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표 5.2.3>은 2009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를 기초로 복원 요구 등급을 평가하여 수계별,

등급별, 등급 유형을 분류한 표이다. 복원요구도가 가장 높은 4등급을 기준으로 전체 수계를 봤

을 때, 기능적 훼손 (4F)에 기인한 경우가 295개 지점으로 구조적 훼손 (4S)에 기인한 경우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의 기능과 구조 측면 (4FS) 모두에 기인한 경우는 13개 지점

으로 나타났다. 한강수계의 경우 하천 구조의 훼손 (4S)에 의한 등급 판정을 받은 1개 지점, 하

천 기능상 훼손에 의한 경우가 103개 지점, 하천의 구조와 기능 모두 훼손된 경우가 9개 지점으

로 나타났다. 이는 한강 수계의 경우 하천 구조상의 훼손보다는 하천 기능상의 문제가 더욱 심

각한 것으로 해석되며, 더욱이 하천의 기능과 구조측면에서 훼손이 심각한 구간도 상당한 것으

로 평가할 수 있다. 하천의 구조가 덜 훼손된 상태에서 하천 기능상의 훼손이 심각한 경우는 여

러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사업에서 포함하지 않는 유역 및 이용에 그 원인이 있을 것으로

- 312 -

추정된다. 금강, 낙동강, 영산강ㆍ섬진강 또한 비슷한 패턴을 보여 준다. 즉, 구조적 훼손 (4S)에

기인하여 4등급 판정을 받은 경우보다 하천 기능상 훼손 (4F)에 기인하여 4등급 판정을 받은 경

우가 월등히 많았다. 하천의 기능과 구조 모두 훼손 (4FS)에 기인하여 복원 요구 등급을 높게

판정받는 경우는 금강과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낙동강 대권역에서 1

개 지점으로 나타났다.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ㆍ섬진강

계남한강 북한강 본류 안성천 기타 소계

1 소계 0 2 0 0 0 2 - - - 1

2  

2S 0 0 0 0 0 0 - - - 1

2F 18 20 2 0 3 43 3 4 2 52

2FS 26 6 8 0 13 53 6 10 11 76

소계 44 26 10 0 16 96 9 14 13 129

3  

3S 2 0 1 0 0 3 2 4 1 14

3F 52 19 18 0 7 96 37 38 65 234

3FS 6 0 3 1 0 10 3 6 10 31

소계  60 19 22 1 7 109 42 48 76 279

4  

4S 1 0 0 0 0 1 - 2 - 3

4F 29 3 52 14 5 103 79 62 51 295

4FS   0 9 0 0 9 - 4 - 13

소계 30 3 61 14 5 113 79 68 51 311

조사구간계  134 50 93 15 28 320 130 130 140 720

<표 5.2.3> 2009년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유형별 분포

나. 복원 요구 등급 변화 양상

아래 <표 5.2.4>는 2008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4대강의 복원 요구 등급

을 판정한 결과의 등급별 비율과 2009년도 증감 비교표이다. 2008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는

한강 320개 지점, 금강 100개 지점, 낙동강 100개 지점, 영산강․섬진강 120개 지점을 포함하여

전국 640개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평가결과 2008년도의 경우 1등급의 경우 7개 지점으로 1.1%,

2등급이 101 개소, 15.8%, 3등급이 191지점, 29.8%, 그리고 4등급이 341지점, 53.3%로 나타났다.

’08 등급과 ’09 등급을 전체 수계 차원에서 비교해 보면 (표 5.2.2와 5.2.4), 2009년에 1등급의 비

율은 1% 가량 감소하였으며, 2, 3등급은 증가, 그리고 4등급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계별로 살펴보면 한강의 경우 2, 3등급이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1등급과 4등급은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금강의 경우 3, 4등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2등급은 감소하였다. 낙동강의 복원

Page 16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13 -

요구 등급은 4등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3등급은 3~4% 정도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 영산강ㆍ섬진강의 경우 4등급의 비율이 현저하게 감소한 반면 3등급의 비율이

매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등급이 전 수계차원에서 줄어드는 경향은 일단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이러한 현상이 하

천의 생태적 건강성이 개선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우선 1년 동안 하천

의 생태적 건강성 개선을 위한 대규모 사업이 진행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염원의 유입이 줄

어들었다는 연구결과 또한 없는 상황을 고려하면 이러한 현상은 단순한 수생태계 건강성의 자연

스러운 변동, 평가 방법과 항목의 변경, 그리고 평가지점의 증가에 의한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범 정부차원과 민간주도의 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부 구간에서는 실제적으로 하천의 건강성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단순

히 복원 요구 등급의 변화만으로 이러한 결론을 도출해 내기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등급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ㆍ섬진강

비율 증감 비율 증감 비율 증감 비율 증감

1 2.2 -1.6 0.0 0.0 0 0.0 0 0.0

2 24.4 +5.6 12.0 -5.1 5.0 +5.8 5.0 4.3

3 28.4 +5.7 28.0 +4.3 31.0 +5.9 34.2 20.1

4 45.0 -9.7 60.0 +0.8 64.0 -11.7 60.8 -24.4

계 100 100 100 100

<표 5.2.4> 2008년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판정 비율 및 2009년 증감비교 결과

다. 복원 우선순위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서 조사구간별 복원 우선순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우선순위

는 몇몇 원칙에 의해 설정되는데, 원칙은 아래와 같다.

➀ 연속성: 4등급이 일정 구간에 연속적으로 나타날 경우를 우선한다. 이는 개별 구간이 4등급을 받았을 경우보다 4등급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경우에 훼손이 보다 광범위하게 발생

할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속적인 4등급의 경우 하류의 하천 건강성에 또다

시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➁ 훼손 유형: 훼손 유형이 4FS인 경우를 우선한다. 하천의 구조가 양호한 경우에는 하천의기능을 일부 회복할 여지가 있을 수 있으나, 기능과 구조 측면 모두 훼손이 심각한 경우

이러한 기대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 314 -

➂ 즉시성: 훼손 유형이 4S인 경우를 우선한다. 하천의 복원은 결국 하천의 구조적 복원을통하여 하천의 기능을 복원한다는 관점에서, 그리고 4F인 경우는 그 원인과 복원 대상이

불명확한 것을 고려하면 4S인 경우가 4F인 경우보다 우선하여야 한다. 특히 4F인 경우

하천의 구조적 문제보다는 유역 토지와 이용 특성에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으

므로 즉시성 측면에서 4F 혹은 4FS인 경우가 우선하여야 한다.

④ 상류우선: 하천의 특수한 특성상 상류의 하천의 건강성은 하천 하류의 건강성에 직접적

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하천의 복원 요구도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상류가 하류에 비해

우선하는 것이 타당하다.

Page 16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15 -

제 3 절 대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평가결과

1. 복원 요구 등급의 전체 대권역 공간적 분포 특성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지점들의 복원 요구 등급 공간적 분포를 나타낸 <그림 5.3.1>

에서 복원 요구 등급의 공간적 특성은 국토의 서남측은 대체적으로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

여주고 있으며, 동북지역은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2008년 조사

결과와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전국차원의 지형과 그리고 지역의 도시

화율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4대강의 상류부는 비교적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하류 지역은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적 강원도와 경기도 동북부 지역에 복원

요구 1, 2등급이 많이 나타나며, 서울, 경기도 서남부, 전라남도 지역에 복원요구 3, 4등급이 비

교적 많이 나타났다. 특히 낙동강 지역은 본류를 따라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이 중류에서부터 출

현하여 다른 수계와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낙동강 수계의 경우 중류에서부터 내륙

에 대도시가 발달하여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은 비교적 도시화 면적인 높은 곳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1, 2등급은 비교적 도시화 비율이 높지 않은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있다.

전체 대권역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하류에 갈수록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이 많이 출현

한다는 것이다. 이는 물론 부분적으로 한강과 같이 하류에 대도시가 발달하여 나타나는 현상으

로 이해된다. 또한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려지는 하천의 일반적인 특성상 상 중류부에서 유

입된 오염원이 하류에 퇴적되어 나타나는 결과이기도 하다. 특히 하류에 하구언이 설치되어 있

는 경우 유속을 더욱 감소시켜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수계

하류지역의 생태적 건강성 증진 및 복원 요구 등급을 낮추기 위해서는 복원사업 하천 관리예산

의 투입이 하류지역에 한정되어 투입될 경우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류지역뿐

만 아니라 오염원 발생이 많은 상 중류 지역과 동시에 복원 및 관리 사업이 집행되어야 그 효

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강 대권역의 상류지역 일부 구간에서도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이 간헐적으로 출현하는데, 이

는 하천의 전반적인 건강성이 낮아 나타난 현상보다는 특정 평가지표가 낮게 평가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이는 평가지표가 수계의 상, 중, 하류의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지역의 특이 환경특성 혹은 일시적인 환경변화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지표의 검증

에 대한 노력과 특이 지점들에 대한 별도의 조사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316 -

<그림 5.3.1>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전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Page 16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17 -

2. 수계별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특성

가. 한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특성

아래 <그림 5.3.2>에 나타난 한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의 특징은 전국 대권역과 유사

하게 대도시가 입지해 있는 서해 지역에 집중적으로 4등급이 분포해 있고 동측에는 비교적 낮

은 2등급이 많이 분포해 있다. 비교적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이는 중권역들은 동해안 지역

의 중권역들과 인북천 중권역, 소양강 중권역, 홍천강 중권역, 그리고 달천 중권역 등이다.

안성천 중권역, 한강서울 중권역, 한탄강 중권역, 한강고양 중권역은 4등급이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어, 하천 생태계 건강성이 매우 심각하게 훼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성천 중권

역은 1개 지점만 3등급으로 나타났을 뿐 전 조사지점이 4등급으로 판정되어 복원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안성천은 서식수변환경 지표를 제외하고 여타 모든 지표들이 C 혹

은 D등급을 보이고 있어 전반적으로 하천의 건강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성천은 어

류지표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가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안성천은 우선적으로

하천의 구조적 복원을 통해 하천의 건강성을 회복시켜 나가야 하며 장기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4등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한강서울 중권역은 몇몇 지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점

들이 모두 4등급으로 나타났다. 한강서울 중권역도 안성천과 비슷하게 기능상 훼손 (4F)으로 인

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대부분 어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낮은 등급으로 나타난 것으

로 보인다. 따라서 현장조사를 통해 원인을 먼저 규명해야 할 것이다.

한탄강 중권역의 경우 2등급에서 4등급까지 복원 요구 등급의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

탄강 중권역 중에서도 신천 조사구간은 BOD,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분야에서

모두 D등급 판정을 받았다. 따라서 하천의 복원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며 구조적 복원을

통하여 장기적인 하천의 기능회복이 필요하다. 한탄강 중권역 영평천 또한 일부 최상류부를 제

외하면 전구간에서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하여 동일 수계인 김화남대

천은 비교적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어 대비된다.

임진강 하류 중권역은 1개 지점을 제외하고 모두 4등급으로 판정되었는데 문산천의 경우 부

착조류 지표가, 그리고 눌노천의 경우 어류 지표가 낮게 평가되어 나타난 결과이다. 따라서 임

진강 하류 중권역의 경우 지천별로 다른 원인에 의하여 높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정되어 중

권역 전체에 동일한 복원 및 관리방안을 적용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강, 인북천, 양양남대천, 홍천강, 강릉남대천, 청평댐 중권역은 4등급이 한 지점도 나타나

지 않았다. 특히 동해안과 인접하여 있는 중권역에는 강릉남대천, 양양남대천, 삼척오십천이 있

는데 이 중에서 강릉남대천과 양양남대천은 4등급이 한 지점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삼척오십천

은 4등급이 한 지점 나타났다. 이 지점은 부착조류에 의해 4등급으로 판정되었으므로 현장조사

- 318 -

와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져 복원 사업이 시행된다면 단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특이하게 한강 대권역의 최상류 지역에 속하는 남한강상류 중권역과 평창강 중권역에 4등급이

연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남한강 중권역의 송천과 오대천, 그리고 평창강 중권역의 주천강, 흥

정천 등 복원 요구 등급 4등급을 보여주고 있는 지점들은 모두 부착조류 지표가 낮게 평가되어

나타난 결과이다. 부착조류를 제외한 지표들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므로 지역적 특

수성이 부착조류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혹은 부착조류 평가지표가 이들 지역의 하천 생태적 건강

성을 평가하는데 부적합한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강 대권역 비교적 상류에 속하는 의암댐 중권역과 춘천댐 중권역에서도 복원 요구 등급 4등급

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 지점들의 특징은 서식수변환경과 수질 지표는 비교적 양호하나 어류지표

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가 낮게 평가되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림 5.3.2>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한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Page 17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19 -

나. 낙동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특성

낙동강 대권역의 전반적인 복원 요구 등급 분포의 특징을 살펴보면 (그림 5.3.3), 전반적으로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갖는 지점은 안동댐 하류 본류구간과 남, 동지역에서 많이 관찰된다. 낮

은 복원 요구 등급은 왕피천 중권역, 임하댐 중권역, 영강 중권역, 밀양강 중권역, 합천댐 중권

역 및 남강댐 중권역 등 낙동강 지천의 상류지역 중권역에서만 나타나며, 안동댐하류 중권역

이하 본류 전구간은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인 3~4등급을 연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림 5.3.3>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낙동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 320 -

비교적 상류지역인 내성천의 경우 다른 지표들은 비교적 양호하나 어류 분야 평가가 매우 낮

아 높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정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주변 본류 및 지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특히 위천, 낙동구미, 감천, 낙동왜관 중권역의 경우 4등급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

는데 이는 어류 등급이 낮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낮은 어류지표의 평가결과는 낙동강 하류 전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위 중권역들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어류 서

식처에 중점을 두고 하천의 구조적 복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왕피천 중권역, 영덕 오십천 중권역, 대종천 중권역과 같은 동해안 지역의 독립적인 소하천

중권역들은 낙동강 본류 중권역에 비하여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1~2등급은 전혀 출현하지 않

고 대부분 3~4등급이 출현하고 있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안 지역의

태화강 중권역, 회야강 중권역 및 수영강 중권역은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인 4등급이 지배적으로

출현하고 있어 이미 하천의 건강성이 많이 훼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들 중권역들은

부착조류 지표들이 매우 낮게 평가되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정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수생태계 건강성 증진을 위한 복원 및 관리방안이 수립되지 않을 경우 동해안 지역의 중권역들

도 남해안 지역의 중권역 수준으로 악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영덕오십천의 경우 이미 하천 건

강성 악화가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시급한 조치가 요구된다.

합천댐 상류지역의 지점들과 남강댐 상류지역들은 특이하게 여타 다른 부분의 지표들은 양호

하게 평가되었으나 수변 및 서식환경 지표가 매우 낮게 평가되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

정되었다. 이렇게 수변 및 서식환경이 여타 지표들에 비해 낮게 평가되는 지점들의 경우 시간

이 지남에 따라 다른 생물지표들에게도 영향이 전이될 위험이 있으므로 시급히 하천 수변환경

정비 및 복원이 요구된다. 또한 수변 및 서식환경 지표들은 여타 다른 지표들에 비하여 복원효

과가 즉시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다. 금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특성

금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 분포를 살펴보면 (그림 5.3.4), 무주남대천, 용담댐하류, 용담댐,

초강 등 대청댐 상류권역의 몇몇 중권역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4등급이 연속적으로 관찰된

다. 삽교천 중권역의 경우 1개 지점을 제외하고 전 지점이 4등급으로 나타났는데 유역내 도시

화 비율이 많지 않음에도 4등급이 연속으로 출현하였다. 삽교천 중권역의 4등급 유형은 기능적

훼손 (4F)으로 특히 부착조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등급에 의한 것으로 판정되었으므로 현

장 조사와 정밀한 조사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금강 본류 중에서 대전시, 공주시를 관통

하는 지역도 4등급이 연속적으로 출현하고 있어 대전시 구간은 직접적인 복원사업과 도시기본

계획과 연계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17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21 -

<그림 5.3.4>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금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대호방조제와 부남방조제 중권역 또한 4등급이 연속적으로 관찰되고 있는데 이는 부착조류

등급에 의한 것이므로 현장 조사와 보다 정밀한 조사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호천 중

권역은 비교적 상류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청주, 증평 지역을 지나는 상류에서부터 연속적으로 4

등급이 빈번하게 출현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부착조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판정

결과이므로 수변환경을 변경하는 물리적인 복원사업보다 하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천

복원사업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부착조류 지표 및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 지표들의 평가 적합성도 같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322 -

대청댐 하류의 모든 중권역들에서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이 지속적으로 나타나 금강 하천의 생

태적 건강성이 전반적으로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금강의 큰 지류인 논산천 중권역 또한 2개

지점을 제외하고 전 지점에서 4등급이 출현하고 있으며, 만경강 중권역의 경우 최상류 지역들

을 제외하면 전 지역에서 4등급이 나타났다. 동진강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데, 상류지역 3개 지

점에서만 3등급으로 판정되었을 뿐 전 지점이 4등급으로 판정되었다. 금강 수계에서 전반적으

로 가장 양호한 중권역은 보청천 중권역과 초강 중권역이며, 가장 복원 요구 등급의 분포가 다

양하게 분포한 중권역은 만경강 중권역이다.

라.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 분포 특성

<그림 5.3.5>에서와 같이 섬진강 수계와 영산강 수계는 복원 요구 등급 측면에서 강한 대비

를 보여주고 있다. 섬진강댐 중권역, 오수천 중권역, 순창 중권역 등 대부분의 섬진강 수계 중

권역 들은 몇몇 지점을 제외하고 모두 복원 요구 등급 2~3등급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황룡강

중권역, 영산강 상류 중권역들은 2~3개 지점을 제외하고 모두 3~4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섬

진강 수계에서 복원 요구 등급 4등급으로 판정된 지점들은 섬진강 하류 중권역 2개 지점과 순

창 중권역의 2개 지점뿐인데, 이들 대부분은 어류 분야의 지표들이 낮게 평가되어 나타난 결과

이다. 따라서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복원 및 관리방안이 도입될 경우 이들 지점들의 수생태계

건강성도 쉽게 증진될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는 영산강 수계의 경우, 최상

류 지역 일부에서만 3등급이 나타날 뿐 전 수계에서 4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예를 들어 상류

지역인 지석천 중권역, 황룡강 중권역, 고막원천 중권역 대부분의 지점들이 4등급으로 판정되었

다. 이들 대부분은 여타 다른 지표 보다는 낮은 어류지표 평가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

라서 섬진강 수계와 마찬가지로 어류 서식처에 중점을 둔 서식환경 및 하천의 구조적 복원을

통해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 적절한 복원사업과 관리가 도입되면 영산강 수계의 건강성은 점진

적으로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영산강 하류지역인 영암천 중권역

과 탐진강에서도 발견된다.

제주도의 경우 2009년도에는 모두 5개 지점에서 모니터링이 실시되었는데, 3개 지점은 복원

요구 등급 4등급으로, 2개 지점은 복원 요구 등급 3등급으로 판정되었다. 이들 지점들은 특이하

게 수질 (BOD)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으나, 부착조류 지표가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부

착조류 관련 환경 개선을 통하여 이들 지점의 생태적 건강성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Page 17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23 -

<그림 5.3.5>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기초한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분포

3. 복원 요구 등급과 지표들간의 관계

2009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지표들과 하천의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표 5.3.1)를 살펴보면 복원 요구 등급은 어류지표의 평가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

로 나타났다. 복원 요구 등급과 어류지표와의 상관지수는 r = 0.77로 복원 요구 등급 (RDI)이

최소등급에 초점을 둔 네거티브형 지표임을 감안한다면 전반적으로 어류지표의 평가결과가 전

수계에 걸쳐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어류지표들은 섬진/영산강 수

- 324 -

계에서 복원 요구 등급의 판정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복원 요구 등급에

영향을 준 지표는 부착조류 지표로 상관지수는 r = 0.68 이다. 상대적 수변서식 환경 지표는 복

원 요구 등급에 작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지표는 또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지표와 매우 강한 상관관계 (r = 0.52)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복원 요구 등

급에 대한 각 지표들의 영향력은 어류 > 부착조류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서식 및 수변환

경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수변 RDI1)

부착 0.45** 0.38** 0.27** 0.6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52** 0.41** 0.57**

어류 0.32** 0.77**

서식수변 0.37**

* P < 0.05, ** P < 0.01.1) RDI (복원 요구 등급): Restoration Demanding Index

<표 5.3.1> 전국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다른 지표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복원 요구 등급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에서 종속변수는 복원 요구 등급으로, 독립변수들은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등급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표 5.3.3) 4개 지표

등급은 모두 유효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변수들의 설명력은 약. 77.7%이다. 회귀모형에서, 표준

화 계수를 기준으로 지표들의 복원 요구 등급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 보면, 어류가

0.55로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부착조류가 0.42, 그리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서식 및 수변

환경 평가지표는 0.07과 0.05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 수계차원에서 복원 요구 등급

에 대한 지표들의 영향력은 어류와 부착조류 평가 등급에 의해 결정되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 지표와 수변 및 서식환경 지표는 그 영향력이 극히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구분비표준화 계수

β t 모형B 표준오차

상수 0.75 0.05 - 13.0**

F: 623.5**

R2: 0.77

종속변수: RDI1)

부착조류 등급 0.29 0.01 0.42 20.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등급 0.54 0.01 0.07 3.1**

어류등급 0.51 0.02 0.55 26.0**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0.05 0.02 0.05 2.6**

* P < 0.05, ** P < 0.01.1)

RDI (복원 요구 등급): Restoration Demanding Index

<표 5.3.2> 전국 4대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 회귀모형 추정 결과

Page 17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25 -

한강 대권역에서 복원 요구 등급과 평가 지표들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아래 <표 5.3.3>에 요약

되어 있는데, <표 5.3.3>에서 복원 요구 등급은 대부분의 평가지표들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특히 어류평가 결과와 가장 큰 상관성을 보인다 (r = 0.78). 부착조류 또한 어류와 비슷한 0.74의

상관성을 보이는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한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은 크기 어류지표와 부착조

류 평가결과가 주요 결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한강 상류지역에서 부착조류 평가

결과에 의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이 나타난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 대권역을 대

상으로 한 상관분석 결과 (표 5.3.2)에서와 같이 한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은 서식 및 수변

환경 평가지표에 가장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복원 요구 등급의 네거티브

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가 가장 양호하여 복원 요구 등급의 평가에 영향

을 적게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관분석에 기초한 한강 대권역에서 각 지표들의 복원 요

구 등급에 대한 영향력은 어류 > 부착조류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서식 및 수변환경 순인

것으로 보인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RDI1)

부착 0.46** 0.43** 0.37** 0.7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65** 0.54** 0.67**

어류 0.51** 0.78**

서식 및 수변환경 0.49**

* P < 0.05, ** P < 0.01.1)

RDI (복원 요구 등급): Restoration Demanding Index

<표 5.3.3> 한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낙동강 대권역에서 복원 요구 등급과 각 지표들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표 5.3.4>에 요약되어

있다. 특이하게 낙동강 대권역에서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결과는 부착조류, 어류 및 저서성 대

형무척추동물 등 각 평가지표 들과유의하지 않거나 매우 낮은 상관성을 보인다. 낙동강 대권역

의 복원 요구 등급은 어류와 가장 큰 상관성 (r = 0.79)을 보이며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결과와

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지 않는다. 낙동강수계에서 복원 요구 등급은 어류지표 다음으로 부

착조류, 그리고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순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낙동

강수계의 복원 요구 등급은 어류의 평가결과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각

평가지표들 간의 유의하지 않은 상관성은 낙동강 대권역의 하천 건강성의 불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안정화된 하천 환경에서 한 분야에서의 하천건강성 변화는 점진적으

로 다른 분야에 영향을 주게 되고 각 분야의 평가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게 되는데, 환경적

변화가 급격할 경우 다른 분야에서는 아직 변화가 평가되지 않는 평가결과의 불일치 현상이 발

생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평가 지표들의 부정확성의 가능성이다. 즉, 하천의 건강성을

- 326 -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하는데, 평가 분야별로 건강성을 정확히 평가하지 못해서 나타난 현상일

수도 있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평가지표 자체의 문제 혹은 평가자들의 숙련도에 의해

발생한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RDI1)

부착 0.47** 0.39** 0.09 0.5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23** 0.26** 0.33**

어류 -0.09 0.79**

서식 및 수변환경 0.13

* P < 0.05, ** P < 0.01.1)

RDI (복원 요구 등급): Restoration Demanding Index

<표 5.3.4> 낙동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금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과 각 평가 지표들간 상관도는 (표 5.3.5) 부착조류가 가장 높고

(r = 0.74) 서식 및 수변환경 지표가 (r = 0.21)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 또한 상관계

수가 0.62로 나타나 복원요구 등급과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고 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은 복원 요구등급과 여타 다른 지표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약 0.51 정도의 상관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이하게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지표는 부착조류 그리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 지표와 유의하지 않거나 혹은 매우 낮은 상관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하천환경의 불안

정성 혹은 평가지표와 평가자 문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평가지표

또한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평가지표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

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RDI1)

부착 0.44** 0.28** 0.11 0.7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34** 0.16 0.51**

어류 0.20* 0.62**

서식 및 수변환경 0.21**

* P < 0.05, ** P < 0.01.1)

RDI (복원 요구 등급): Restoration Demanding Index

<표 5.3.5> 금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복원 요구 등급은 낙동강 대권역과 마찬가지로 어류의 평가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표 5.3.6).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복원 요구 등급은 동 대

권역의 어류 평가결과와 0.74 정도의 매우 큰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서식 및 수변환경 지

Page 17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27 -

표와는 0.30 정도의 가장 낮은 상관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에서 어류

의 평가결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서식 및 수변환경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각 지표별 복원요구도와의 상관성 크기는 어류 > 부착조류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서식 및 수변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어

류는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와 유의하지 않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과 가장 큰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RDI1)

부착 0.36** 0.27** 0.29** 0.5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45** 0.33** 0.49**

어류 0.11 0.74**

서식 및 수변환경 0.30**

* P < 0.05, ** P < 0.01.1) RDI (복원 요구 등급): Restoration Demanding Index

<표 5.3.6>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평가지표들과 복원 요구 등급과의 상관분석 결과

- 328 -

제 4 절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평가 및 관련계획 매핑 (Mapping)

1. 한강 대권역

한강 대권역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한강, 한강동해, 한강서해, 안성천 대권역 등 4개 대권역

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총 27개의 중권역을 포함하고 있다.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의 분포는

1등급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2등급이 11개 중권역, 3등급이 12개 중권역, 그리고 4개의 중권역은

4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4.1). 그림에서 복원 요구 등급 2등급은 주로 한강 대권역 동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3등급은 임진강 및 한탄강 중권역을 포함한 서북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동해안 독립지류 중 삼척오십천 중권역만이 복원 요구 등급 3등급을 보여주고 있다. 높은 복원

등급인 4등급은 주로 수계 서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강고양, 한강서울, 안성천, 시화호 중권역

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5.4.1>에 나타난 토지이용 압력을 나타내는 공단의 지정 및 운영현황 그리고 택지개발

지구지정 및 개발현황 분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공단과 택지개발 지구의 분포와 중권역별 복

원 요구 등급 분포지역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강고양, 한강서울, 시

화호, 안성천, 한강서해 중권역에 대부분의 공단과 택지개발 지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중권

역은 모두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다. 임진강 하류 중권역과 한탄강 중권역의 남측

지역은 공단과 택지개발 지구가 많이 지정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하천의 건강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특별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남한강 하류 중권

역과 섬강 중권역도 이와 유사한데, 특히 섬강 중권역에는 택지개발 지구가 많이 지정되어 있

다. 이외에 강릉 남대천 중권역, 충주댐 중권역 중권역, 그리고 달천 중권역은 현재 복원 요구

등급이 그리 높지 않으나 택지개발 지구 및 공단이 상당히 지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토지이용

압력이 높아 특별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중권역별 토지이용 압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환경부의 2007년 토지피복 분류에 기초하여 토지

피복도 7개 대분류에 기초하여 면적비율을 계산하였다. 토지피복 분류에 포함된 토지피복은 시

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 초지, 습지, 습지 그리고 나지를 포함하고 있다 (표 5.4.1). <표 5.4.1>

에서 기존 연구에서 하천의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토지용도로 알려진

시가화 지역의 비율은 한강고양 (51.85%), 한강서울 (43.03%), 한강서해 (30,43%), 시화호

(18.67%), 안성천 (17.44%), 경안천 (13.4%) 순으로 높았다. 이들 중권역들은 대부분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 주고 있어 중권역내 시가화비율과 하천 복원 요구 등급 간의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안천 중권역은 비교적 높은 시가화 비율을 보여주나 상대적으로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및 복원사업을 통하여 유역내

토지이용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안성천, 시화호, 남한강 하류 중권역은

Page 17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29 -

상대적 농업지역의 비율이 높아 수생태계 건강성 관리를 위해서는 농경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

물 및 농약잔유물의 관리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5.4.1> 한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

- 330 -

중권역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 초지 습지 나지 내륙수

남한강상류 2.21 8.09 85.78 0.98 0.00 1.96 0.98

평창강 2.38 19.05 73.47 1.36 1.02 2.04 0.68

충주댐 1.20 13.46 78.85 1.20 0.24 1.44 3.61

달천 3.33 21.85 70.37 2.22 0.74 0.74 0.74

충주댐하류 4.71 28.24 60.00 2.35 1.18 2.35 1.18

섬강 3.98 19.12 72.91 1.99 0.80 0.80 0.40

남한강하류 6.69 37.50 48.55 2.62 0.87 1.74 2.03

춘천댐 1.75 7.89 86.84 0.88 0.00 0.00 2.63

인북천 0.00 8.33 83.33 8.33 0.00 0.00 0.00

소양강 1.78 4.27 89.32 0.36 0.36 0.71 3.20

의암댐 5.83 15.83 72.50 1.67 0.00 3.33 0.83

홍천강 2.71 8.91 86.05 0.39 0.00 0.39 1.55

청평댐 5.51 7.87 76.38 6.30 0.00 0.00 3.94

경안천 13.40 19.59 54.64 7.22 0.00 2.06 3.09

팔당댐 0.00 0.00 83.33 0.00 0.00 0.00 16.67

한강서울 43.03 6.06 40.00 4.24 0.61 4.24 1.82

한강고양 51.85 22.22 14.81 7.41 0.00 0.00 3.70

한탄강 2.44 14.63 80.49 0.00 0.00 0.00 2.44

안성천 17.44 43.42 30.96 2.49 1.42 0.71 3.56

한강서해 30.43 14.49 37.68 2.90 10.14 2.90 1.45

시화호 18.67 35.33 25.33 3.33 10.67 6.00 0.67

양양남대천 1.05 5.26 88.42 2.11 0.00 2.11 1.05

강릉남대천 5.17 9.77 75.86 5.17 0.57 2.30 1.15

삼척오십천 2.44 5.49 89.63 0.00 0.61 0.61 1.22

<표 5.4.1> 한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

2. 낙동강 대권역

낙동강 대권역은 총 33개의 중권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2등급이 1개 중권역, 3등급이 18개

중권역, 4등급이 14개 중권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창녕과 낙동밀양 중권역을 제외한 낙동강

본류구간을 포함하는 모든 중권역들은 복원 요구 등급 4등급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하천의 건

강성이 크게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최상류 지역은 안동댐 중권역을 제외하면 낙동강의

상류에서부터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이 출현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성천, 안동댐하류, 병성천, 위천, 감천, 낙동고령, 황강, 남강, 낙동강 남해 그리고 낙

동강 하구언 중권역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인 4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독립하천인 회야강과 태

화강 중권역 또한 4등급으로 평가되어 복원 요구 등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1등급 중권역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해도 중권역만 2등급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중권역으로 분

Page 17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31 -

류되었다 (그림 5.4.2).

<그림 5.4.2> 낙동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도

- 332 -

낙동강 대권역 중권역별 공단 및 택지개발 지구지정 및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공

단과 택지개발 지역은 낙동강 본류구간을 따라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적 상류구간

인 내성천 중권역에서 3개의 공단이 개발되어 있으며, 공단 및 택지개발지구 지정은 낙동왜관,

낙동고령, 낙동강 하구언 및 낙동남해 중권역에 집중적으로 지정 및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복원 요구 등급의 공간분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으로 이들 중권역들은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다. 본류 중권역 중 낙동창녕과 낙동밀양 중권역에는 공단 혹은 택지개발

지구지정 개소가 비교적 적거나 거의 없으며 이들 중권역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복원 요구 등급

을 보여 주고 있다. 금호강 중권역과 형산강 중권역은 현재 복원 요구 등급 3등급으로 평가되

었으나, 이들 중권역에 공단 및 택지개발 지구가 다수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중권역들은

앞으로 하천의 건강성이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특별한 관리가 필

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영강 중권역, 거제도 중권역 그리고 가화천 중권역에서도 유사한 상황으

로, 이들 중권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낙동강 대권역내 중권역별 토지피복도를 평가한 결과를 요약한 <표 5.4.2>에 의하면, 유역내

시가화 비율은 수영강 (29.55%), 회야강 (16.98%), 낙동고령 (13.98%), 낙동강 하구언 (13.73%),

태화강 (11.01%), 낙동강 남해 (10.9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들 중권역들은 대부분 높은 복

원 요구 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이들 중 수영강 중권역은 현재 3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장

래에 4등급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내성천, 낙동밀양, 가화천, 낙동상주, 낙동구

미, 그리고 병성천 중권역은 중권역내 농업지역의 비율이 30% 이상으로 여타 다른 중권역에 비

하여 비교적 농업지역의 비율이 높다. 이들 중권역들은 농경지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 및 농약

잔유물 관리에 보다 높은 관심을 두고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비교적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주고 있는 왕피천 중권역의 경우 80% 이상이 산림지역으로 분류되고 있고 공단 혹은 택지

개발 및 지구개발 등이 전혀 지정되지 않아 다른 중권역에 비하여 수생태계 건강성의 개선 가

능성이 매우 높은 중권역으로 판단된다. 안동댐 중권역과 대종천 중권역 또한 산림의 비율이

높으며. 이들 중권역은 모두 3등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Page 17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33 -

중권역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 초지 습지 나지 내륙수

안동댐 3.32 14.02 77.12 1.11 0.37 1.48 2.58

임하댐 2.11 17.52 77.64 0.60 0.60 0.30 1.21

안동댐하류 3.64 24.85 66.06 1.82 1.82 1.21 0.61

내성천 2.01 37.46 56.86 0.33 0.67 1.34 1.34

영강 1.95 20.13 73.38 1.95 0.65 1.30 0.65

병성천 6.76 32.43 59.46 0.00 0.00 1.35 0.00

낙동상주 2.56 33.33 61.54 0.00 0.00 2.56 0.00

위천 3.48 28.70 63.91 0.87 0.00 1.30 1.74

낙동구미 3.33 33.33 60.00 0.00 0.00 3.33 0.00

감천 2.33 24.42 69.77 1.16 0.00 1.74 0.58

낙동왜관 7.49 27.27 57.22 0.53 0.00 3.74 3.74

금호강 8.73 21.13 64.51 1.69 0.56 1.97 1.41

회천 2.38 18.25 76.19 1.59 0.79 0.00 0.79

낙동고령 13.98 26.88 50.54 1.08 0.00 4.30 3.23

합천댐 5.81 18.06 71.61 1.29 0.00 0.65 2.58

황강 6.25 17.19 68.75 1.56 1.56 4.69 0.00

낙동창녕 1.25 25.00 68.75 1.25 1.25 2.50 0.00

남강댐 3.64 17.66 72.99 2.60 0.52 0.78 1.82

남강 7.50 29.00 57.00 2.50 1.00 1.50 1.50

낙동밀양 3.57 34.52 50.60 4.17 0.60 1.19 5.36

밀양강 2.99 21.37 69.23 1.28 0.85 2.14 2.14

낙동강하구언 13.73 20.26 54.90 1.96 1.31 3.92 3.92

형산강 5.79 22.11 64.21 3.68 0.00 3.16 1.05

태화강 11.01 21.10 61.47 0.92 0.00 4.59 0.92

회야강 16.98 16.98 58.49 1.89 0.00 5.66 0.00

수영강 29.55 10.23 50.00 4.55 0.00 4.55 1.14

왕피천 1.75 10.48 85.15 0.44 0.00 1.31 0.87

영덕오십천 4.67 18.67 72.67 1.33 0.67 1.33 0.67

대종천 6.48 12.04 78.70 0.93 0.00 1.85 0.00

가화천 5.51 33.86 55.12 0.00 1.57 2.36 1.57

남해도 3.85 26.92 65.38 0.00 0.00 3.85 0.00

거제도 6.02 25.30 63.86 3.61 0.00 1.20 0.00

낙동강남해 10.92 21.85 59.66 3.36 0.84 3.36 0.00

<표 5.4.2> 낙동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3. 금강 대권역

금강 대권역은 총 22개의 중권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복원 요구 등급 2등급은 2개 중권역,

3등급은 10개 중권역, 그리고 4등급은 10개 중권역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준 중권역은 용담댐 하류 중권역과 보청천 중권이며 이들 중권역은 모두 금강의 상

- 334 -

류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상류지역 중권역인 초강, 무주남대천, 용담댐, 영동천 중권역은 3등급

으로 판정되었는데, 이들 중권역들은 대부분 부착조류 분야와 어류분야에서 낮게 평가되어 높

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그림 5.4.3).

<그림 5.4.3> 금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도

Page 17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35 -

<그림 5.4.3>에 나타난 공단개발 및 택지개발 지구지정/개발 현황의 분포는 정확히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의 판정결과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단 및 택지개발 지구 지정 및 개

발밀도가 매우 높은 미호천, 삽교천, 대호방조제 중권역들은 모두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높은 개발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현재 낮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 주고 있는

갑천, 만경강, 금강서해 중권역은 장래에 하천의 건강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위험이 높은 중권

역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대적으로 낮은 개발밀도를 보이나 높은 복원 요구 등

급을 보여주고 있는 금강공주와 논산천 중권역은 부착조류 지표에서 매우 낮은 등급에 의하여

높은 복원 요구 등급으로 판정되었으므로 이 부착조류 지표를 개선하면 복원 요구 등급의 개선

이 즉시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다른 대권역에 비하여 금강대권역의 특징은 대부분의 독

립하천들이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동진강, 삽교천, 대호방조제와 부남

방조제 중권역은 하천의 건강성 훼손 정도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을 살펴보면, 시가화 비율이 대청댐하류 (23.81%), 만경강 (11.2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청댐하류는 현재 복원 요구 등급 4등급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만

경강 중권역은 현재 3등급으로 분류되나 유역내 시가화 비율이 높아 장래에 복원 요구 등급이

악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지역의 비율은 동진강 (58.85%), 금강하구언 (55.17%), 대호방조제

(53.98%), 부남방조제 (52.29%)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권역들은 현재에 이미 복원 요구 등급

4등급으로 분류되어 유역에서의 토지이용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

히 이들 중권역들은 시가화 및 농업용 토지에 의한 영향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부분은

부착조류 분야의 평가등급에 의해 복원 요구 등급이 판정된 것으로 보이며, 부착조류 관리에

대한 대책이 여타 다른 중권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무주남대천과 용담댐 하류 중권

역은 산림의 비율이 각각 86%, 85%로 높게 나타났다. 용담댐 하류지역은 현재 비교적 양호한

2등급으로 판정되었으나, 무주남대천 중권역은 3등급으로 판정되고 있다. 무주남대천 중권역의

경우 부착조류와 어류등급이 C등급으로 판정되어 복원 요구 등급 3등급으로 판정되었다. 이들

지표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이 중권역의 전반적인 하천 건강성은 쉽게 개선될 것으로 판

단된다.

- 336 -

중권역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 초지 습지 나지 내륙수

용담댐 4.46 14.65 73.25 2.55 0.00 0.64 4.46

용담댐하류 0.00 15.00 85.00 0.00 0.00 0.00 0.00

무주남대천 0.00 12.66 86.08 1.27 0.00 0.00 0.00

영동천 4.31 24.14 66.38 0.86 1.72 0.86 1.72

초강 2.80 19.63 73.83 0.00 0.00 1.87 1.87

대청댐상류 4.55 27.27 59.09 4.55 0.00 0.00 4.55

보청천 3.19 23.40 61.70 4.26 1.06 3.19 3.19

대청댐 4.46 20.54 64.29 0.00 0.00 0.89 9.82

갑천 9.35 22.43 56.07 5.61 0.93 4.67 0.93

대청댐하류 23.81 23.81 42.86 0.00 4.76 0.00 4.76

미호천 7.42 34.84 47.42 4.84 0.65 0.97 3.87

금강공주 5.50 32.04 57.28 1.29 1.29 0.32 2.27

논산천 8.18 34.55 51.82 0.91 0.00 0.00 4.55

금강하구언 4.60 55.17 33.33 1.15 1.15 0.00 4.60

삽교천 9.57 41.84 42.91 1.42 0.71 1.42 2.13

대호방조제 3.54 53.98 34.51 0.88 3.54 0.88 2.65

부남방조제 7.80 52.29 28.90 1.83 2.75 1.83 4.59

금강서해 7.33 36.00 47.33 4.00 0.67 2.00 2.67

만경강 11.24 41.57 38.20 2.25 1.87 2.62 2.25

동진강 7.29 58.85 27.60 0.52 1.04 2.60 2.08

직소천 2.38 42.86 42.86 4.76 0.00 0.00 7.14

주진천 5.81 47.67 41.86 1.16 1.16 0.00 2.33

<표 5.4.3> 금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4.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은 모두 32개 중권역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들 중 복원 요구 등급 1등

급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2등급이 1개 중권역, 3등급이 18개 중권역, 그리고 4등급이 11개 중권

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2등급 중권역은 수어천 중권이며, 3등급 중권역은 섬진강댐, 섬진강 하

류, 오수천, 요천, 순창, 섬진곡성 및 보성강 중권역등을 포함한 섬진강 대권역에 위치하고 있으

며, 4등급 지역은 고막원천, 영산강중류, 영산강 하류, 영암천, 영암방조제 및 진도 중권역을 포

함한 영산강 수계 및 독립하천들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섬진강이 영산강에 비하여

하천 건강성의 훼손정도가 덜한 것으로 보이며, 독립지천 및 영산강 수계는 상대적으로 훼손정

도가 심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부분의 중권역들은 부착조류 분야와 어류 분야에서 매우 낮

은 등급으로 판정되었으며, 이 두 지표의 평가결과가 복원 요구 등급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Page 17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37 -

<그림 5.4.4>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중권역별 복원 요구 등급, 관련계획 및 현황도

- 338 -

다른 대권역에 비하여 공단 및 택지개발지구 지정 및 개발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보인다.

대부분의 공단 및 택지개발 지구 개발은 영산강 수계에 밀집되어 있으며 섬진강 수계에서는 수

어천 중권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복원 요구 등급의 분포와 매우 근접하게 일치하

고 있다. 다만 수어천 중권역, 영산강 하구언과 영산강 상류 중권역의 경우 현재 3등급으로 분

류되고 있는데, 이들 중권역은 앞으로 토지이용 압력에 의하여 하천의 건강성이 악화될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는 반대로 영암방조제 그리고 진도 중권역의 경우 특별히 유

역내에 공단 및 택지개발 지구지정 지구가 전혀 없는데 높은 복원 요구 등급을 보여 주고 있다.

이들 중권역은 어류지표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다. 제주 북해와

제주 남해 중권역에는 각각 1개씩 택지개잘 지구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 중권역들은 모두 4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표 5.4.4>은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내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을 보여주고 있는데, 시가화

비율은 영산강 상류 (17.39%), 수어천 (15.0%), 제주북해 (10.3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어

천의 경우 공단 및 택지개발 지구 지정도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시가화 비율도 높은편인데 상

대적으로 3등급을 보여 주고 있어 흥미롭다. 농업지역의 비율은 영산강 중류 (66.18%), 제주서

해 (64.52%), 영산강 하류 (58.02%), 영암천 (53.49%), 와탄천 (50.55%), 고막원천 (50.0%) 순으

로 높게 나타났다. 와탄천 중권역을 제외한 이들 중권역들은 모두는 4등급으로 판정되어 농업

용 토지이용이 하천의 건강성에 불리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는 반대로 섬

진강댐과 주암댐 중권역은 산림의 비율이 각 각 73.02%와 71.02%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높은

산림비율을 보인다. 이 두 중권역은 어류를 제외하면 다른 지표들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인 것

으로 보여 하천 건강성 개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Page 18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39 -

중권역 시가화지역

농업지역 산림 초지 습지 나지 내륙수

섬진강댐 2.38 16.67 73.02 3.17 1.59 0.79 2.38

섬진강댐하류 0.00 26.32 65.79 2.63 5.26 0.00 0.00

오수천 3.28 27.87 62.30 0.00 3.28 1.64 1.64

순창 2.70 39.19 56.76 1.35 0.00 0.00 0.00

요천 3.57 23.81 65.48 3.57 1.19 2.38 0.00

섬진곡성 0.00 17.24 68.97 3.45 0.00 3.45 6.90

주암댐 3.41 17.61 71.02 3.98 0.57 0.57 2.84

보성강 4.35 26.09 67.39 2.17 0.00 0.00 0.00

섬진강하류 2.69 19.89 69.89 3.76 0.54 0.54 2.69

섬진강서남해 4.00 46.29 42.29 2.86 1.71 1.14 1.71

완도 1.67 31.67 55.00 0.00 3.33 6.67 1.67

금산면 5.26 31.58 63.16 0.00 0.00 0.00 0.00

이사천 4.60 32.76 56.32 2.87 0.57 1.72 1.15

수어천 15.00 17.00 59.00 2.00 2.00 4.00 1.00

여수시 4.76 19.05 52.38 14.29 0.00 4.76 4.76

영산강상류 17.39 32.17 40.00 1.74 3.48 1.74 3.48

황룡강 2.06 26.80 67.01 1.03 0.00 1.03 2.06

지석천 4.50 26.13 61.26 4.50 0.90 0.90 1.80

영산강중류 7.35 66.18 22.06 0.00 0.00 0.00 4.41

고막원천 2.78 50.00 44.44 0.00 2.78 0.00 0.00

영산강하류 3.70 58.02 30.86 0.00 2.47 1.23 3.70

영암천 0.00 53.49 34.88 4.65 0.00 0.00 6.98

영산강하구언 7.69 46.15 26.92 0.00 3.85 3.85 11.54

탐진강 4.94 20.99 65.43 0.00 2.47 1.23 4.94

진도 2.94 44.12 39.71 4.41 0.00 2.94 5.88

영암방조제 3.41 46.59 34.66 1.14 1.14 2.27 10.80

와탄천 8.79 50.55 30.77 1.10 3.85 0.55 4.40

신안군 1.37 43.84 39.73 1.37 5.48 1.37 6.85

제주서해 4.84 64.52 16.13 14.52 0.00 0.00 0.00

제주북해 10.34 31.03 39.66 17.24 0.00 1.72 0.00

제주남해 5.26 36.84 49.12 8.77 0.00 0.00 0.00

제주동해 3.17 42.06 29.37 23.02 0.00 2.38 0.00

<표 5.4.4>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중권역별 토지피복 비율

5. 유역토지 이용 압력과 지표별 상관분석

유역내 토지이용 현황 및 계획과 각 지표들간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부착조류분야의 경우

일반 공단지정 개소 (r = 0.32), 국가공단 지정 개소 (r = 0.22), 택지개발 지구지정개소 (r =

-0.21), 시가화 비율 (r = 0.31) 그리고 농경지 비율 (r = 0.40)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부착조류 등급은 산림과 강한 부의 관계를 (r = -0.48)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부착조류는

- 340 -

유역내 시가화 면적비율과 산림지역 비율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은

상반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시가화 면적 비율이 높아질수록 부착조류 분야의 건강

성은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산림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평가등급 또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저서분야의 평가결과는 일반

공단 개소 (r = 0.34), 국가공단 개소 (r = 0.23), 택지개발 개소 (r = 0.28), 시가화비율 (r =

0.28) 그리고 농경지 비율 (r = 0.31)과 밀접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며, 산림비율 (r = -0.42)와는

강한 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유역내 습지비율 (r = 0.29)과 나지비율 (r = 0.35) 또한 저서

분야 평가등급과 양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유역내 산림의 비율이 증가할 때 저서성 대

형무척추동물 지표 또한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어류분야 평가결과는 일반공단 개소 (r =

0.23), 택지개발 개소 (r = 0.22), 시가화비율 (r = 0.26) 그리고 농경지 비율 (r = 0.31)과 밀접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며, 산림비율 (r = -0.33)과 초지비율 (r = -0.39)과는 강한 부의 관계를 보

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역내 산림과 초지의 비율은 어류의 등급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

는 것을 보여주며, 반대로 공단 및 택지와 같은 개발사업은 어류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수변 및 서식분야 평가결과 또한 유사한데, 특히 시가화 비율이 다른

토지피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산림의 비율은 수변 및 서식분야 평가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외로 BOD는 유역의 토지이용 및 피복에 덜 민감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지비율에 상당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r = -0.60). 전반적으로 복

원 요구 등급 (RDI)는 시가화면적 비율 (r = 0.26)과 농경지비율 (r = 0.43)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과 초지와 같은 녹지면적비에도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

히 유역내 산림면적비율 (r = -0.46)과 초지비율 (r = -0.23)이 증가할 경우 복원 요구 등급은

상당히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수변환경

BOD RDI1)

일반공단개소 0.32** 0.34** 0.23* 0.22* 0.17 0.22*

국가공단개소 0.22* 0.23* 0.09 0.11 0.15 0.14

택지개발개소 0.21* 0.28** 0.22* 0.23* 0.18 0.17

시가화비율 0.31** 0.28** 0.26** 0.29** 0.17 0.26**

농경지비율 0.40** 0.31** 0.31** 0.15 -0.21* 0.43**

산림비율 -0.48** -0.42** -0.33** -0.28** 0.18 -0.46**

초지비율 -0.03 -0.18 -0.39** -0.06 -0.60** -0.23*

습지비율 0.08 0.29** 0.15 0.13 0.19* 0.15

나지비율 0.03 0.35** 0.11 0.18 0.08 0.13

<표 5.4.5> 중권역 토지이용 압력과 지표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Page 18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6장 전국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종합

제1절 서론

제2절 국내외 연구현황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4절 연구결과

제5절 결론

Page 18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43 -

제 6 장 전국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종합

제 1 절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본 장에서는 4대강 720개 전체 조사구간에 대해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

식 및 수변환경 총 4개 분야의 조사결과를 대권역, 본류, 지류 등으로 구분하여 종합적으로 정

리하였고, 수질 및 각 조사분야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

는 한편, 물환경보전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장에서는 4대강 대권역 전체에서 동일하게 수행된 4개 조사 분야별로 각 분야 특성,

조사의 필요성, 국내외 현황, 조사 내용 및 방법 등 대권역별로 같은 내용의 중복을 피하기 위

하여 4대강 종합평가 결과를 제외한 모든 내용은 여기에서 정리하였음을 밝혀둔다.

2. 분야별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부착조류

부착조류는 광합성의 광포화점이 높아 높은 광조건에도 잘 적응하는 생리․생태적 특성을 보

일 뿐만 아니라 수온, 초식생물의 섭식, 기질의 종류, 영양염, 유속 및 유량 등에 의해 생물량

증감의 계절적인 특성이 뚜렷하다 (Allan, 1995; Bott, 1983; Hill et al., 1995; Lamberti and

Steinman, 1997). 또한 부착조류는 물환경 변화에 대해 민감하고 기질에 장기간 부착함으로써

수질변화나 오염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되며 수질의 생물학적 판정 재료로 가치가 높아 하천

의 건강성을 평가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Allan, 1995; Watanabe, 1990).

외국에서는 부착조류의 식물상, 군집구조, 물질순환, 광합성과 호흡, 생물량과 생산성 및 군집

대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 결과, 부착조류는 기질에 오랫동안

부착하기 때문에 수질오염 등 수환경의 상태를 판정하는 좋은 재료가 되었고, 특히 돌부착성

규조류는 하천 오염의 생물학적 진단 도구로 이용될 수 있었다 (Descy, 1979; Lange-Bertalot,

1979; Sumita and Watanabe et al., 1986; Cox, 1988; Watanabe and Asai, 1990; Watanabe et

al., 1990). 오염판정의 기준은 부착조류의 생물량 (Chlorophyll-a, AFDM), 종조성, 풍부성 및 상

대 빈도 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었고, 특히 부착 규조류와 물환경 요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근

- 344 -

거로 유기물 오염도나 영양상태 오염도를 평가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수가 개발되어 소개되었

다 (Watanabe and Asai, 1990; Kelly et al., 1995).

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수생태계의 먹이그물에 있어 생산자와 고차소비자를 연결하는 저차

소비자로서,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성이 민감하고 지표성이 강하여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있어

오랫동안 이용되어 오고 있는 주요한 생물군이다. 따라서 저서생물을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

의 평가는 교란된 물환경을 복원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다. 어류

어류를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법은 이미 여러 환경 선진국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에서 IBI 생태건강성 평가 모델 혹은 RBP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모델을 이용해 국가 전

체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어류가 수중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이용되는

핵심 이유는 첫째, 어류는 수생태계에서 먹이사슬 관계의 최상위에 있고, 물속에서 장시간 동안

사는 생활사를 가지고 있고, 또한 종 감별이 용이하고, 수질오염 및 생태계 교란에 대한 내성도

가 다르기 때문에 수체의 환경지표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외국에서

는 어류를 이용한 다변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

나 국내의 경우 이런 모델의 도입은 본 연구 및 이전의 안 등 (2001), 안 등 (2003)에 의해 개

발된 모델을 제외한다면 이런 평가기법은 우리나라에서 전무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수환경

평가의 일환으로 환경부 주도 하에 수행된 각 종 어류 생태모니터링 조사 자료에 따르면, 하천

내 어류 분포, 상대풍부도, 어종 조성도 및 보호어종 등에 대하여 기술한 바 있으나, 하천 간 혹

은 수계별 상태 비교는 극히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이를 이용한 총체적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는 더 더욱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라. 서식 및 수변환경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하천생태계의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평가할 필요가 있

다. 과거에는 하천의 특성을 평가할 때 수문 및 수질 특성을 주로 고려하여, 하천의 건강성을

수질로만 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점은 일정부분 수생태계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수생태계의 복잡한 얼개에 의하여 결정되는 건강성 전체를 대표하기

에는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하천생태계의 건강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 요소인 생물분

Page 18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45 -

류군 분포와 서식처 특성을 수질 및 수문환경과 동시에 평가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서식처 및 하천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생물분류군에 대한 조사시 부속적으로

평가되는 정량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특정 생물분류군의

분포 특성을 설명하는데 용이하지만, 조사지점의 건강성 평가에 대해서는 정보량의 한계가 있

다. 또한 하천의 형태적인 특성을 평가할 때에 일반적으로 지점의자연성 평가 기법이 많이 도

입되었지만, 이들 기법은 거의 대부분 경관생태학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어 생물이 서식하는 서

식처에 대한 평가 개념은 상당부분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시도되고 있는 생물분류군 정보를 이용한 수생태계 평가결과를 하천의 서식처 및

집수역 특성과 연결시킬 수 있는 가교가 필요한 실정이며, 이러한 시도를 통해 생물분류군의

정량적인 정보를 하천의 수환경 특성과 결부시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서식 및 수변

환경 평가 기틀을 통해 확보된 정량적인 평가 자료를 수질 및 생물분류군 자료와 비교 분석하

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대해 하천의 외적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 생물서식처 평가

서식지의 변형이나 질의 하락은 하천 내의 생물 군집 구조에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

한다 (Karr et al., 1985). 서식환경이 악화되어 있는 지역에서 이루어진 조사는 중금속 등의 독

성물질이나 유기물 오염, 혹은 수계내 존재하는 다양한 위해물질에 의한 생태계 영향을 모호하

게 만들 수 있고, 이런 오염물질의 영향이 없는 지역에서 하천의 건강도가 낮게 평가될 수 있

어 수질의 화학적 오염과 더불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매우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로서 생물지수를 활용한 건강도 평가에 있어 서식지 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생물서식처 평가는 하도내, 하안, 수변부의 횡적으로 연속된 수생태계 건강성의 평가를

위해 본 연구사업에서 2009년도에 새로이 추가된 분야로서 미국 EPA의 물리적 서식처 평가지

수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를 수정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하도록 평가기법

을 마련하였다.

- 346 -

제 2 절 국내외 연구현황

1. 부착조류

가. 외국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부착조류 (규조류)를 이용한 수질평가의 역사는 100여년이 넘지만 실제로 규조류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된 역사는 짧다. 특히, 과거 20여 년 동안 규조류를 이용한 생물지수들이 전 세계

를 통하여 크게 인식되었고 (예: Prygiel et al., 1999), 크고 작은 하천 유수시스템에서 관리를

위한 decision making에 일조하였다 (Kelly, 1998, 2002; Prygiel and Coste, 1993). 또한, 생물

지표종으로서 규조류의 응용적 활용에 대한 연구는 운하화된 수로와 같은 특별한 시스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보다 유용하게 활용된 사례도 있다 (Prygiel and Coste, 1993).

규조류를 이용하는 방법의 개발과 관련하여 특히 프랑스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지형적 차이에 의한 권역구분에 관련된 연구, 생태지역 등). 프랑스에서의 연구결과는 유

럽 전역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Prygiel and Coste, 1993). 또 다른 부착조류의 이용사례는 영국

의 하천에서 상류부에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유입되는 상황에서 영양염의 저감에 대한 정책적

판단을 하도록 도와주는데 필요한 적당한 시험방법으로 이용된 것이다 (Kelly, 2002). 또한, 규

조류 생물지수의 계산을 위해 OMNIDIA와 같은 software 프로그램의 개발은 규조류에 기초한

방법들의 이용을 크게 향상시켰다 (Le Cointe et al., 1993). 필란드 (Eloranta, 1999)와 폴란드

(Kwandrans et al., 1998)를 포함하는 많은 유럽 국가에서 다양한 규조류 생물지수들이 채택되

어 검증되었다.

부착조류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는 개체, 집단 및 군집수준에서 다양한 지표항목들이 제

시되고 있다 (U.S. EPA, 1995). 그러나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종의 조성과

분포에 기초하며, 이들은 생물학적 지표종을 이용한 기본적인 평가법 (예, Watanabe et al.,

1990)과 종의 상대밀도, 오염지표성 및 민감도 등을 기초로 한 정량적인 평가법이 주로 이용되

고 있다.

대부분의 규조류 생물지수는 Zelinka and Marvan (1961)의 누적평균을 이용한 방법에 기초하

며, 그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각 규조류 분류군의 오염민감도 값과 종의 발생빈

도에 의거한 지표값을 기초로 계산한 누적지수를 이용하여 왔다.

Page 18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47 -

Index = ∑ Aj·Sj·Vj / ∑Aj·Vj

Aj: 샘플 내에서 j 종의 밀도 (혹은 상대빈도)

Vj: 각 종의 지표값

Sj: 종 j의 개체군 민감도

일반적인 형태로서 Zelinka-Marvan의 식 (formula)을 따르고 있는 부착조류 지수는 해당 조

사지역에서 나타나는 규조류 종의 분포에 따른 가중치, 특별한 종의 오염물질에 대한 민감도,

평가대상 오염물질 (유기물 혹은 영양염) 등의 차이에 따라 Z-M formula를 수정하여 적용해

왔을 뿐 근본적인 지수의 형태와 계산의 방식은 거의 동일하다. 일부의 지수들 (예를 들면,

DAIpo, DCI)은 오염에 민감한 종 또는 내성적 종들만을 대상으로 확률적인 분포를 이용하여

지수를 산정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가장 진보된 방법은 상기한 Z-M의 식을 지역에 맞도

록 수정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이용하고 있는 부착조류 지수들은 선행연구 (환경부,

2007)에 정리되어 있다.

나. 국내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과거에 우리나라에서 이용된 부착조류 지수는 유기물 지수 (DAIpo)가 유일하며 영양염을 고

려한 사례는 없었다.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단지 DAIpo 지수값을 통해 하천을 여러 가지 부수성

수역으로 구분하였고, BOD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이화학적 수질변수들과 상관성을 평가한 정도

에 지나지 않았다. 조사하천들도 주로 낙동강 수계에 편중되어 있으며, 그 외에는 단편적인 조

사 이외에 거의 수행된 바가 없었다. 부착조류의 지표종은 Watanabe에 의한 3가지의 구분 (호

청수성종, 광적응종, 호오탁성종)을 따르고 있으며, 국내의 특징적인 지표종이나 생태종을 특별

히 지적한 사례는 없었다 (환경부, 2007 참조).

우리나라에서는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위해 환경부에서 3년 (2003~2006)간의 연구를 통해 국

내 4대강 수계의 80개 구간을 대상으로 부착조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방법 (하천에서

유기물과 영양염 영향의 동시평가)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한 바 있다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 환경부, 2006).

2007년 환경부에서는 이전의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 조사연구 (2003~2006)의 결과로 도출

된 조사․평가기법에 근거하여 전국 4대강 대권역의 540개 구간에 대해 부착조류를 이용한 수

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를 우리나라 최초로 실시하게 되었다. 이 조사사업은 향후 수생태

계 측정망 구성과 함께 지속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 348 -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재 환경 선진국들 (미국, 영국, 프랑스 등)에서는 저서생물, 어류 및 부착조류 등 이용한 생

물학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국가 전체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획득한 건강도 자료를 DB화하여 국가의 종합적 수질관리 및 수생태계 건강성 관리에 직접적으

로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환경부 (2006)에서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를 이

용한 생물학적 물환경 평가기법을 개발한 바 있다.

선진국 (미국 및 유럽)의 경우 수자원의 총체성을 반영하는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물관리

의 최상 목표로 설정하고 1990년대 초반부터 수질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체계를 도입․활용하

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지표생물을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해 이미 1981년에 다

변수 모델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을 개발하여 수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체계적으로 활

용하고 있으며, 그 결과들은 국가 생태네트워크 구축 및 지역적 물환경 종합평가에 크게 기여

하고 있다. 한편 EU는 유럽물관리지침 (Water Framework Directive)을 수립하여 2015년을 목

표로 하천생태계 평가를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종합적 물관리 정책을 추진 중이다.

환경부는 2006년 이러한 선진국의 물관리 정책과 견줄 수 있는 ‘물환경관리기본계획 (2006~

2015)’을 수립하였고, ‘물고기가 뛰놀고 아이들이 멱 감을 수 있는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

질로부터 안전한 물환경 조성’을 10개년 계획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본계획의 목표달

성에 대한 의지로써 환경부는 기존의 ‘수질환경보전법’을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에 관한 법률’

(2007.11)로 개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정책추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가. 외국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는 일반적으로 지표성이 높은 개체군, 즉

지표종을 이용하는 방법과 생물군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조건

에서 출현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위해서는 군집 단위에서의

분석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아가 수질평가와 아울러 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생물로 이용되고 있다.

<표 6.2.1>에서는 오수생물체계 (saprobic system)가 제안된 이후 최근까지 개발․적용되고

있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다양한 생물학적 평가지수의 유형 분류 및 변천사를 나

타내고 있으며, <표 6.1.2>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지

수의 유형을 분류해 놓았다.

Page 18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49 -

구분 지수 국가 비고

오수생물지수(SaprobicIndices)

Biologically Effective Organic Loading(BEOL)

독일 Knöpp (1954)

Saprobic Index 독일 Pantle and Buck (1955)

Saprobic Valency 독일 Zelinka and Marvan (1961)

Coupling Analysis 독일 Buck (1974)

Saprobic Valency 일본 Gose (1978)

DIN system 독일 Friedrich (1990)

Saprobic Index 한국 윤 등 (1992)

Integrated Saprobic System 오스트리아 ÖNORM M 6232 (1995)

단순지수(SimplifiedIndices)

Family Biotic Index 미국 Hilsenhoff (1988)

Group Pollution Index 한국 윤 등 (1992)

Higher Taxa Biotic Index 한국 공 등 (1995)

생물지수(수식기반)

(BIotic Indices)(formula based)

Biotic Index 미국 Beck (1954, 1955)

Biotic Index 일본 Tsuda (1964)

Biotic Index 남아프리카 Chutter (1972)

Biotic Index 미국 Hilsenhoff (1977)

Quality Index 네덜란드 Tolkamp and Gardeniers (1977)

Improved Biotic Index 미국 Hilsenhoff (1987)

RIVAUD 스위스 Lang et al. (1989)

Improved RIVAUD 스위스 Lang and Reymond (1995)

생물지수(기준표기준)

(Biotic Indices basedon standard tables)

Trent Biotic Index (TBI) 영국 Woodwiss (1964)

Extended Trent Biotic Index (EBI) 영국 Woodwiss (1967)

생물점수(Biotic Scores)

Biotic Score 영국 Chandler (1970)

Biological Monitoring Working PartyScore (BMWP) 영국 Hellawell (1978)

BMWP/Average Score Per Taxon(ASPT)

영국 Armitage et al. (1983)

Total Biotic Score 한국 윤 등 (1992)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Index(MCI)

뉴질랜드 Stark (1993)

경험모델(empirical model)

River InVertebrate Prediction AndClassification Scheme (RIVPACS) 영국 Wright et al. (1993)

AUStralian RIVer Assessment System(AUSRIVAS)

호주 Norris (1995)

Benthic evaluation of ORegon rIverS(BORIS)

USA Canale (1999)

<표 6.2.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주요 수질평가지수

구분 지수 국가 비고

통합평가 체계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the Ecological Quality

of Streams and Rivers throughout Europe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QEM)

유럽

연합http://www.aqem.de

다항목지수

(Multiple Metric Index)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RBPs) 미국

Shackleford (1988), Barbour et al.(1992, 1995, 1996b), Hayslip (1993),

Smith and Voshell (1997)

Invertebrate Community Index (ICI) 미국 DeShon (1995)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BIBI)한국 환경부 (2006)

<표 6.2.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주요 생태계 평가지수

- 350 -

생물학적 수질평가기법은 Kolkwitz and Marsson (1902, 1908, 1909)이 처음으로 하천생태계

를 네 등급의 오수생물체계 (Saprobic system)로 구분한 이후 BEOL (Knöpp, 1954), Saprobic

index (Pantle and Buck, 1955), Saprobic valency (Zelinka and Marvan, 1961), Indicative

weight (Schwoerbel, 1970), Trent biotic index (Woodiwiss, 1964, 1978), Score system

(Chandler, 1970), Biotic index (Hilsenhoff, 1977, 1982, 1988) 등 무수한 방법으로 세분되었다.

Sladecek (1973b)은 2,000여종에 달하는 지표생물을 이용하여 오수생물체계를 8등급으로 더욱

세분하였고, Tuffery and Verneaux (1968)는 담수생태계를 유수 및 정수지역으로 구분하여 응

용하는 방법을 고안하기도 하였다.

많은 종이 지역에 따라 분포가 다르므로 각 지역의 고유 생물군집을 중심으로 생물지수를 고

안하고 있는데, 유럽에서는 영국 (Sladecek, 1973a; Woodiwiss, 1964, 1978), 독일 (Knöpp, 1954;

Pantle and Buck, 1955; Zelinka and Marvan, 1961; DIN, 1990), 프랑스 (Tuffery and

Verneaux, 1968), 덴마크 (Anderson et al., 1984), 네덜란드 (Klapwijk, 1988) 등을 들 수 있다.

북미의 경우는 Richardson (1928), Gaufin (1973b), Bartsch and Ingram (1959, 1966), Hynes

(1960) 등에 의하여 이러한 연구가 시작되어 각 주 단위로 고유의 생물지수를 개발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Wisconsin (Hilsenhoff, 1977, 1982, 1988), Ohio (Olive and Smith,

1975; Oilve, 1976), Kansas (Chutter, 1972), West Virginia (Wojcik and Butter, 1977) 등의 주

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US EPA에 의해 주도되어 일련의 Project로

진행되고도 있다 (Gaufin, 1973; Beck, 1977; Harris and Lawrence, 1978; Hubbard, 1978;

Surdick and Gaufin, 1978; Horning, 1984; Mount, 1984). 최근에는 ‘RBP’나 ‘IBI’의 개념을 이용

한 물환경 평가지침서가 작성되어 이용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생물지수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방법으로 Tsuda (1964, 1974)에 의하여

Beck and Tsuda법이 제안되었고, Gose (1978)에 의하여 Zelinka and Marvan (1961)의 방법이

수정되어 제안된 바 있다. 특히 일본은 환경청 수질보전국 주관으로 “전국수생생물조사”라는 과

제로 1984년 이후부터 생물 모니터링을 계속하여 실시하고 있는데, 초반기에는 대상생물로 조

류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그 지표성이 탁월함에 입각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단

일 분류군만을 가지고 수질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수질평가에 사용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의 분류군은 총 16개 군으로 그 원안은 각 연구기관의 용역연구로 이루어진 “수생생물에 의한

육안적 수질판정법”에 의하고 있으며, 현재는 환경성과 국립환경연구소 주관으로 저서성 대형무

척추동물을 30개 지표생물군으로 나누고 이를 4개의 수질등급체계로 구분하여 이용하고 있다.

나. 국내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국내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는 주로 수서곤충이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수리적 군집분석에

Page 18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51 -

의존한 수리군집지수의 방법이 양적으로 주종을 이루어왔다고 할 수 있는데 (윤, 1984), 1970년

대 말부터 김 등 (1979, 1980), 윤 등 (1981, 1982, 1984, 1985 등 다수), 위 등 (1983, 1991) 등에

의해 거의 전국의 주요 하천들이 비교적 자세히 연구되었다. 이는 군집의 다양성에 기초를 두

어 (Wilhm and Dorris, 1968; Pielou, 1966) 하천의 오수생물체계를 나누는 (Staub et al., 1970)

방법으로 일본의 경향과 유사하다.

한편 국내에 있어서 지표군집지수를 도출하기 위한 지표종 및 지표군집에 관한 연구는 안

(1973)이 만경강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한 것을 시작으로, 위 (1974)와 위 등

(1983)은 각각 영산강과 탐진강 수계에서 수서곤충을 대상으로 Beck and Tsuda (1964)의 방법

을 도입하였고, 이 (1976, 1977)는 한강 유역에서 미생물과 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Srameck

and Husek (1956)의 방법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도입하였다. 나 등 (1986)은 영산강 유역의 수

서곤충에 대한 이화학적 내성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 등 (1991)은 영산강 유역의 수서곤충을

대상으로 Hilsenhoff (1977)의 방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오와 전 (1991)은 낙동강 지류인 배내천

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Trent biotic index (Woodiwiss, 1978), Biotic score

(Chandler, 1970), Monitoring working party score (Hellawell, 1986) 등의 방법을 다양하게 도

입하여 시도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적용 범위가 좁은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고, 오탁계급치 역시

외국의 것을 그대로 도입하는 등 국내 현실에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윤 등 (1992a, 1992b, 1992c)은 지금까지 조사되어온 국내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오탁계급치를 밝히고 오탁계급치를 도수로 한 단위오탁지수의 분

산도분석을 통하여 지표가중치를 도입함으로써 Zelinka and Marvan (1961)의 방법을 개량한

Saprobic Index (SI), Total Biotic Score (TBS) 및 간이수질평가지수인 Group Pollution Index

(GPI)를 제안한 바 있다. 공 등 (1995)은 국내에 출현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일부 분류

군을 제외하곤 과 (Family) 이상의 수준에서 총 29개의 분류군으로 대별하고 윤 등 (1992)의 오

탁지수를 기준으로 지표군의 단위오탁지수를 산정함과 아울러 종의 출현도를 고려한 한국생물

지수 (Korean Biotic Index, KBI) 및 ESB 지수 (공 등, 1999)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각 종의 오

탁계급치와 지표가중치의 결정에 대한 기준을 단지 다양도지수 만을 고려한 한계점이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는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위해 환경부에서 3년 (2003~2006)간의 연구를 통해

국내 4대강 수계의 80개 구간을 대상으로 년 2~3회의 조사를 통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한 바 있다 (물환

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 환경부, 2006; 원 등, 2006).

2007년 환경부에서는 이전의 물환경종합평가방법개발 조사연구 (2003~2006)의 결과로 도출

된 조사․평가기법에 근거하여 전국 4대강 대권역의 540개 구간에 대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 을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 조사사업은 향후 수생태계

측정망 구성과 함께 지속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 352 -

3. 어류

가. 외국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환경선진국인 호주 및 뉴질랜드는 국가 하천 건강성 프로그램 (National River Health

Program), 총체적 유역관리체제 (Total Catchment Management), 국가수질관리 (National

Water Quality Management) 프로그램들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생태 건강성 네트워크 구

축 작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어류를 이용하여 생태계 안전성을 평가하는 “신속한 생물평가

법” (Rapid Biological Assessment, RBA) 및 하천평가법 (Australian River Assessment

Scheme, AUSRIVAS)을 수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체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영국의 스

코틀랜드 환경부에서는 수생태계 건강관리 프로그램 (AEHMP)을 운영하여 수계내 생물 다양성

파악 및 생태계 모니터링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특히, 수계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위한

생물학적 모니터링기법 (BMWP), 지표 어류를 이용한 생태학적 지표법 (EQI)과 같은 다양한

선진기술을 이용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에서는 수환경연

구부 산하에 수생태계 연구관리 프로그램 (AEMRP) 및 이와 유사한 UWMP, LMRP, EMAAP,

AER의 프로그램들에서는 하천 수질평가 및 수계 건강성 평가기법으로 널리 알려진 생물통합지

수 (Index of Biological Index)를 이용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

고 관리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어류를 이용한 다변수평가 기법은 수중 생태계내의 물리

적, 화학적 변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생물군집간의 역동적 특성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며

(Karr, 1981; Karr & Dionne, 1991; Karr et al., 1986), 조사 시 비용절감효과가 탁월하고 (Ohio

EPA, 1987), 생태계 복원 시에 복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핵심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 (Karr,

1981; Rankin & Yoder, 1999)에서 수생태계의 종합적 평가 기법으로서 인정 받아왔다. 또한, 미

국에서는 어류를 이용한 수질특성 및 수생태계 건강성 파악을 위한 기반연구가 활발히 진행되

고 있다. 미국의 오하이오 환경부 (Ohio EPA)에서는 어류를 이용한 생태건강성 모델

(Ecological health model)을 통하여 생물학적 수질을 평가하고 있고, 연방정부에서는 미국 전역

에 대해 생물학적 수질평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생물에 바탕을 둔 수질등급을 세분하여 구분

하고 있다. 심하게 훼손된 수계는 이런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핵심자료로 이용하여 친환경적 복

원을 기획하고 있다. 특히, 사이버 가상공간에 각 수계 및 특정지역의 생물학적 수질등급을 분

류군별로 칼라로 구분하여 주정부의 수질평가의 핵심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 내 수계관리 동향에 따르면, USGS 및 USDA에서는 수계관리프로그램

(Watershed Management Program, WMP), 수계정보네트워크 (Watershed Information

Network, WIN), 수계연구단 (Watershed Initiative, WI), 수질모니터링ㆍ평가프로그램 (Water

Quality Monitoring & Assessment Program, WQMAP)을 산하 기관에서 운영하면서 어류와

Page 18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53 -

같은 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확립하고 있고, 이 결과 수생태계 보전 및 어종 다양

성 확보에 실효를 거두고 있다. 특히,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기법으로서 U.S. EPA

주도하에 확립된 Barbour et al. (1999)의 “신속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법 (Rapid Bioassessment

Protocol, RBP)”은 “생태 위해성 평가법” 등과 함께 표준화된 지침서로 작성되어 수질관리 및

수생태계 관리에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다.

어류의 종조성, 군집특성 및 개체건강성에 의거한 수체의 생물학적 수질평가법 (Biological

Assessment)은 생물 통합지수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모델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Model, EHA)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이는 1981년 미국

중부의 하천에서 어류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다변수 모델 (Multi-metric Model) 개발에 의해

최초로 도입되었다. 그 후 1986년까지 각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다각적인 모델 수정작

업이 12개 주 정부에서 실행되었고, 4년 뒤인 1991년에는 이미 35개 이상의 미국 주정부에서

생물학적 수질평가 지침서로 채택되어 하천의 수질평가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실효를 거

두고 있다.

이 모델은 다변수 분석 (Multi-metric Analysis)으로서 12개의 변수를 기반으로 하여 생물지

수를 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수질오염에 따른 지수산출을 위해 유기오염 및 다양한 서

식지 교란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였다. 생물지수 산출을 위해 이용된 지표변수는 M1: 총토착 종

의 개체수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M2: Darter 혹은 저서성 어류의 종수 (Number of

darter species), M3: 소에 거주하는 종수 (Sunfish), M4: 장수하는 종의 수 (Long-lived

species, 혹은 Sucker 종), M5: 민감 종수 (Number of intolerant species), M6: 내성 종수

(Number of tolerant species), M7: 잡식 종 어종의 개체수빈도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omnivore), M8: 식충성 어종의 개체수빈도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insectivore), M9: 육식

성 본토 종의 개체수빈도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native carnivore), M10: 본토 종의 총

개체수 (Total number of individuals), M11: 외래 종 (혹은 교잡 종)의 상대빈도, M12: 질병 및

비정상성 어류의 상대빈도 (Proportion with disease / Anomality)로서 12개 메트릭을 이용하였

다. 각각의 메트릭은 “5”, “3”, “1”의 범주로 구분하여 최적, 보통, 최악상태로 구분하여 점수화

하여 최대 60점, 최소 12점까지의 계급체제를 마련하고 5등급 체제로 구분하여 생물지수를 산

출하고 이에 따른 서술적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을 최적상태 (Excellent), 양호상태 (Good), 보통

상태 (Fair), 악화상태 (Poor), 극히 악화된 상태 (Very Poor)의 범주로 구분하는 생물지수화 체

제를 마련하였다.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법 모델 개발 및 등급체제의 도입은 미국 외에 캐나다

(Lyons et al., 1995), 영국 (Oberdorff & Hughes, 1992), 호주 (Harris, 1995), 일본 (Koizumi &

Matsumiya, 1997), 독일 (Hugueny et al., 1996), 프랑스 (Didier et al., 1996)에서도 수행되었고,

이런 결과 국가의 수질보존, 어류 종 보존 및 지역적 수환경 종합평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354 -

아울러 최근에는 아프리카 (Hocutt et al., 1994), 인도 (Ganasan & Hughes, 1998), 남미

(Gutierrez, 1994) 등에서 본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다각적 어류평가 모델 및 신기술은 미국, 영국 및 독일 등에서는 1980년대 후반에 각 종 수

환경 평가기법 개발 및 환경관리 기술개발을 착수하여 왔으며, 특히 생태계 보전 및 복원기술

등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90년도부터 수환경 평가조서 확립, GIS를

이용한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생태계복원기술개발을 위한 지침서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U.S. EPA는 1999년 생태계 신기술평가기법인 “RBP 지침서”의 기틀을 확립하였고, 이를 이용하

여 미국 전역의 생태네트워크 구축이 마련되었다. 또한, 상기 해외 연구동향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호주, 뉴질랜드, 영국,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들에서도 다양한 생태모니터링 기법 및 건강성

평가기법개발을 통해 환경산업에 대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법들은 나라

마다의 종 분포 및 생태형에 있어서 지역적 특이성 때문에 본 선진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각 지역의 생태특성을 고려한 평가모델 개발, 둘째, 모델에 이용되는 메트릭 특성 및 생태

지표 종에 대한 사전분석, 셋째, 모델의 수체 적용 후 민감도 향상을 위한 모델보정 작업이 뒤

따라야하는 난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환경 선진국에서 개발된 모델의 경우 생태계가 비교적

잘 보존된 지역에 적용되는 모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토지이용 및 각 종 산

업 활동이 집중적으로 가중되는 우리나라 수계에 외국 모델을 적용할 경우, 생태계 평가에 실

효를 거둘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생태계건강성 평가를 위해서는 오염원 및 오염부하의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생태 지표 종 확립, 서식지 길드분석, 본토 생물의 영양단계

분석법에 대한 연구가 확립되어져야 한다. 이런 선진 기초기술의 현장적용 및 모델 이용은 시

행착오를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에서 어류평가 모델 확립 및 건강성 DB구축에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 국내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우리나라에서 어류를 이용한 생태계 평가가 이루어진 대표적인 사례는 전국 규모의 자연생태

조사가 환경부 주도 하에 2차례에 걸쳐 (1986~1990년, 1997~2003년) 시행된 바 있다. 그러나

과거 국내에서 이루어진 평가의 사례는 어류 종 분포도, 풍부도 산정 및 보호어종의 조사 등의

기초생태조사 (김, 2003), 단일어종 또는 일부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 (박 등, 1996), 시ㆍ공

간적 측면에서의 정성적 분석 (이, 2001)에 의한 평가 등과 어류 군집지수 등을 이용한 단순한

평가가 대부분 이었다. 이러한 평가들은 일부 종의 서식만으로 수질을 평가하거나 혹은 1~2개

의 변수들로 상관도를 분석하는 것에 그쳐, 수질에 따른 지표 종을 제시하거나 등급을 구분하

여 이루어진 어류생물지수평가는 전무하였다. 특히, 하천에서의 하천의 크기 (차수, Stream

order)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 하에서의 단순한 어류 종 다양도의 비교평가는 수체에 대한 오류

Page 18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55 -

해석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정부는 상기의 다각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 주도하에 2002년 어류를 포함한 보호 생

물 종 및 자연생태계보존지역을 지정하여 보호ㆍ관리하였고, 아울러 향후 10년 동안에 전국을

통합한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구축”을 8대 중점추진과제 중의 하나로 설정하였다. 이는 생태계

의 교란 및 건강성 파악에 중요한 요소로서 이 정책에 따르면, 제 1단계는 생태 현황 분포조사,

생태 네트워크 기본단위 설정 및 제반 정보 확충, 제 2단계는 핵심생태 보호지역 설정, 복원사

업 추진 및 생태네트워크 지도 작성, 제 3단계는 항구적인 보존 대책 및 어류를 포함한 생태

모니터링 시스템구축으로 생태네트워크의 추진 전략을 단계별로 세워놓고 있다. 현 정부의 환

경정책을 감안할 때, 본 연구개발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어류에 의거한 생태건강성 평가 및

DB 구축을 위한 표준화된 선진 모니터링 기술 개발은 상기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의 다양한 평가의 문제점을 보완한 우리나라실정에 맞는 어류 다변수 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은 2000년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의 다양한 하천 생태계를 대상으로 어류평

가모델이 도입됨에 따라 어류를 이용한 생태 건강성 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안 등, 2001;

안 등, 2003; 안 등, 2005). 어류를 이용한 생태건강성 다변수 메트릭 평가모델인 IBI는 우리나라

수생태계의 지역적,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는 메트릭 모델로 수정 변경하여 평가가 수행되었다.

본 모델을 최초로 개발한 Karr (1981)는 북미의 어류군을 이용한 12개 메트릭 시스템을 제한하

였으나, 어류 연령산정에 대한 부정확성 및 Sunfish 종류에 대한 국내 메트릭 적용의 부적합성

및 일부 메트릭 특성의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각각 “장수하는 어류항목을 반영한 흡반류

(Species of long-lived fish)” 및 “Sunfish 수 (Number of sunfish species)” 항목에 대한 메트릭

은 배제하였다. 또한 본래 Barbour et al. (1999) 및 Karr (1981)가 제시한 메트릭 중 일부 메트

릭은 국내 어종의 생태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적용하여 각각 “국내 종의 총

종수 (Total number of native fish species)”, “여울성 저서 종수 (Number of riffle-benthic

species)”, “민감 종수 (Total number of sensitive species)”, “내성 종의 개체수 비율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tolerant species)”, “잡식 종의 개체수 비율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omnivores)”, “충식 종의 개체수 비율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native insectivores)” 및 “육

식 종의 개체수 비율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native carnivores)”, “채집된 국내 종의 총

개체수 (Total number of individuals)”, “외래도입 종의 개체수 비율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exotic species)”, “비정상 종의 개체수 비율 (Proportion of individuals as abnormal

individuals)”의 10개 메트릭을 선정하여 생물학적 수질평가가 수행되어 왔다.

현재는 환경부의 물환경 종합평가개발 조사연구 (환경부, 2006) 및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환경부, 2007)의 어류 평가 메트릭에 의거하여 “육식 종의 개체수 비율” 및 “외

래도입 종의 개체수 비율” 등 2개 메트릭을 제외하고 8개 메트릭의 다변수 모델을 적용하여,

- 356 -

2007년에 환경부에서는 우리나라 4대강 대권역을 대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한 바 있다. 이런 평가 기법은 화학적 수질 오염 특성뿐만 아니라 하천의 생태 복원 사업

에 초점이라 할 수 있는 서식지 교란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향후 어류 건강성 DB가 계속 축

적 될 경우 향후 수계 및 하천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4. 서식 및 수변환경

가. 외국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미국, 유럽 및 일본 등 환경선진국에서는 하천의 형태적 특성과 서식처 특성을 고려하기 위

하여 다양한 평가 기법을 이미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1970~1980년대를 전후해서

외국의 하천생태계 복원의 방향성은 현재 우리나라의 그것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미국,

일본, 독일 등 하천생태계에 일찍이 관심을 가져온 선진국의 경우, 역시 하천을 공간적은 관점

에서 바라보았으며, 복원의 대상이 되는 하천을 분석함에 있어서도 생물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

는 거의 없었다. 즉, 인간의 목적에 부합하는 하천 개발 혹은 복원이 당시의 궁극적인 목표였으

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조사 역시 물리적인 요소에 치중하였다 (표 6.2.3).

구분 특성 및 장단점

국외

독일▪ 하천구조질 파악 및 평가, 객관적이고 정량화가 가능한 항목 선정▪ 토지이용 및 생태계환경특성에 관한 항목 미흡

영국▪ 하천경관보전을 위한 평가, 제내외지 경관유형의 체계화▪ 항목의 중복성과 기준 모호, 서술항목의 정량화 어려움, 객관적 비교평가틀로미흡

일본▪ 하천현황의 자연상태 파악, 생태계 및 경관, 인문사회적 평가 항목▪ 물리적 구조질에 대한 항목 부족

뉴질랜드▪ 하천 주변 생태계의 보존가치평가, 고유생물상 분포변화 중심▪ 물리적 구조질에 대한 항목 부족

Leopold (1969)▪ 하천 경관가치의 계량적 평가,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경관의 특성 항목▪ 생태계 다양성, 변형정도 등의 표현의 한계성

Fry (1994) ▪ 토지이용 의사결정을 위한 하천수변지역의 평가▪ 평가기준 분류의 체계성 및 항목의 구체성 결여

국내

녹지자연도 ▪ 각 종 개발지구 선정시 생태적인 고려▪ 생태적 건강성에 기인한 질적 가치판단으로 미흡

하천환경현황도 ▪ 전국 하천오염환경 파악, 수질평가 항목▪ 하천환경질 관련 지표의 필요성

시정개발연구원 ▪ 하천 형상에 따른 물리적 평가기준, 하천정비상태 및 요망하천 파악 가능▪ 식생구조 및 생태적 속성 관련 항목 부족

조용헌 ▪ 생태적 복원 활용가능한 물리적 구조질 파악▪ 구조질 관련 평가부분의 체계성과 항목의 구체성

정경진▪ GIS 활용하여 하천자연도 평가, 생태적재생 위한 정보수집, 분석 관리방안 제시▪ 평가목적 및 항목의 개념적 틀로서 미흡

<표 6.2.3> 하천자연도 평가기준별 특성 및 장단점 (김 등, 1999)

Page 18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57 -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수자원 관리 정책이 주정부에 일임되어 있었으며, 연방정부 수준에서의

관리 정책은 그리 많지 않았다. 당시 주요 수자원 관리 부서로 국방성 산하의 미공병단 (Corps

of Engineers), 내무성 산하의 개척국 (Bureau of Reclamation), 지질조사국 (Geological Survey),

농무성 산하의 토양보존국 (Soil Conservation Service) 등의 연방정부 기구가 있었다. 이들의 주

된 목적은 수자원의 개발이었으며, 따라서 조사항목 역시 수문요소와 기상요소 등 물리적인 환

경에 치중하였다. 1970년대 이후 대부분의 기구들이 목표를 개발에서 관리 쪽으로 전환함과 함

께, 장기생태연구 (Long-Term Ecological Research)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취되면서 생물적

인 요소와 하천환경과의 관계를 통한 하천의 보전과 복원 등으로 방향이 선회하였다.

독일의 경우 라인란트-팔쯔 방식 및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방식 등 두 가지 기준을 동시에

적용하여 하천의 자연성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Otto, 1995). 영국에서는 National River

Authority에서 하천의 자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일본 역시 하천변 자연성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NRA, 1992; 건설성동북지방건설국, 1994). 특히 일본의 경

우, 1980년대 당시 전국 109개의 1급수 수계 중 106개 수계에 대해 하천환경관리의 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하지만 여기서도 수환경관리의 개념이 포함된 경우는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이후

정책적인 장치를 통하여 하천을 이ㆍ치수 목적뿐만 아니라 인간과 공존하는 환경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사업에서는 녹화호안, 제방 및 고수부지의 식생 회목, 어도

설치 등 생물 요소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졌다 (환경부 1997). 이러한 하천 자연성 평가기준은

국내에서도 적용된 바가 있지만, 국내의 여건을 반영하는데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미국 토지관리국 (USBLM)과 농무성 (USDA)의 Fish and Wildlife Service와 자원보전국

(NRCS)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Proper Function Condition (Prichard, 1998), 농무성 (USDA)의

자원보전국 (NRCS)에서 개발한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USDA, 1998), 환경청에

서 개발한 Habitat Assessment Filed Data Sheet (Barbour 등, 1999) 등이 있으며, 뉴질랜드

PNAP (Protected National Ares Program)의 생태계 보전가치를 위한 조사, 일본 건설성 동북

지방건설국의 하천현황의 자연상태를 파악할 목적인 물리적 요소와 생물적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자연성 조사, 영국 EA (Environment Agency)의 River Habitat Survey (EA, 1997), 독

일의 하천복원을 위한 하천 구조질에 대한 조사 등이 있다.

1) 미 내무성 (USDI) 토지관리국 (USBLM)의 Proper Function Condition

Proper Function Condition (PFC)는 미 내무성 (USDI)의 토지관리국 (USBLM)과 미농무성

(USDA)의 Fish and Wildlife Service와 자원보전국 (NRCS)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모형으로, 수

변과 습지지역에서의 물리적 기능의 적정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FC의 물리적 지

표는 수변 서식처 건강 상태의 일차적인 조사 기준이 되는 수문, 식생, 침식과 퇴적, 토질, 수질

- 358 -

등 17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Yes”, “No”, “Not Applicable”로 판단하고 최

종적으로 대상 수변의 물리적 기능 상태를 적정한 상태 (Proper Functioning Condition), 기능위

험 상태 (Functional At Risk), 기능정지 상태 (Nonfunctional)로 판단하여 제시한다 (Prichard,

1998) (표 6.2.4).

평가 부문 평가 항목

수문지형지하수, 홍수터, 지하수 함양, 홍수터 저류 및 방류, 홍수 조절, 강턱 폭, 하폭/수심비,

굴곡도, 흐름의 소류력, 수리학적 조절, 하상 표고

식생군락 형태, 군락 형태 분포, 식피도, 식생군락의 변화와 천이, 식생회/번식, 근밀도,

생존

침식/퇴적 제방 안정, 하상 안정 (소류사량), 퇴적 특성

토양 토양 상태, 호기성/혐기성 토양 분포, 모세관 현상, 토양 수분의 경년 변화

수질 온도, 염도, 영양물질, 용존산소, 유사

<표 6.2.4> 적정한 기능상태 (Prichard, 1998)

2) 미 농무성 (USDA)의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SVAP)는 미 농무성 (USDA)의 자원보전국 (NRCS)에

서 개발한 모형으로 하천의 물리적인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SDA, 1998)

(표 6.2.5). 본 모형은 생태계를 판단하는 Chemical Variables, Biotic Factor, Energy Source,

Flow Regime 등의 조사지표와 함께, 하천의 물리적인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첫 단계의 지표로

써, 생태와 수문에 관한 약간의 지식과 교육만으로도 판단이 가능하여, 토지소유자, 토지이용과

관련된 사람들과 직접 조사를 시행하고, 토지자원의 상태와 보전 방법과 건강한 하천이 주는

효과 등에 대한 의견교환이 가능하다. SVAP는 Channel condition 등 15개의 항목으로 구성되

어있으며, 각 항목별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Poor, Fair, Good, Excellent의 4등급으로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SVAP는 주로 Maryland, Virginia 등 미국의 동부지역에서 많이 적용되

고 있으며, 수질, 어류, 수서곤충 등 조사항목 지표인 Index Biotic Integrity 등과 함께 조사되

어 인간의 간섭도 (Human Disturbance Index)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USDA, 2001).

평가기준 평가 항목

흐름의 서식적 건강성

(서식 구조)

하도 조건, 수문학적 대안, 하안, 제방의 안정, 물의 상태, 영양물 풍부도, 어류이동

제약 시설, 어류서식처의 하상재료, 소, 무척추동물 서식처, 식생 피도, 비료 사용,

염도, 여울 구조, 대형무척추동물

<표 6.2.5> 시각적 하천 건강성 평가 기법 (USDA, 1998)

Page 19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59 -

3) 미 환경청 (USEPA)의 Habitat Assessment Field Data Sheet

Habitat Assessment Field Data Sheet (HAFDS)는 미 환경청에서 개발한 모형으로 하천 생

태계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서식처의 구조질과 수질, 수생생물의 생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표 6.2.6). HAFDS는 미 환경청에서 개발한 “Rapid Bio-assessment Protocol”의

“Visual-Based Habitat Assessment”이며, “Habitat Assessment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Periphyton Protocols”, “Benthic Macroinvertebrate Protocols”, “Fish Protocols”

로 구성되어 있다 (Barbour, 1999). HAFDS는 High Gradient stream과 Low Gradient stream으

로 구분하여 각 10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을 Optimal, Suboptimal, Marginal,

Poor로 구분하고 조사하고 있다.

평가 부문 평가 항목

급경사 하도기질/하상 재료, 퇴적, 유속/수심, 하도흐름 상태, 하도 개수, 여울 또는 만곡의 출현정도, 제방 안정, 식생 보호, 수변 식생구역의 폭

완경사 하도기질/하상 재료, 소의 물질 특성, 소의 다양성, 유사 퇴적, 하도흐름 상태, 하도 개수,하도의 사행 (만곡), 제방 안정, 식생 보호, 수변 식생구역의 폭

<표 6.2.6> 현장 서식처 평가지 (Barbour, 1999)

4) 영국 River Habitat Survey

영국의 River Habitat Survey (RHS)는 영국 자연보전협회 (Nature Conservancy Council,

NCC)에서 제안한 방법론에 기초한 것으로 서식처의 위치와 형태, 취약성, 복원력 및 하천수변에

관계된 정보가 기록되며, 하천 생태계에 관련한 다양한 자료확보를 통하여 자연보존의 중요성에

관한 구체적인 조사를 시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RHS는 영국 Environment Agency (EA)에서 개

발한 하천 서식처에 관한 조사, 자료구축 및 판단, 하천계획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

며, EA 각 분야의 정책결정과 운영관리뿐만 아니라 지역 관련기관, 자연보전 단체, 학계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RHS는 하도를 중심으로 500 m 구간을 표본단위 (Sample Unit)로 10 개소의 등

간격으로 나누어 부분조사 (Spot-Check)와 정밀조사 (Sweep-up)를 시행한다 (EA, 1997) (표

6.2.7).

- 360 -

평가 부문 평가 항목

기본 정보지도 배경정보, 현장조사 세부사항, 자배적인 계곡 형태, 여울의 수, 소와점사주

지점 평가물리적 속성 (지배적인 제방 재료, 지배적인 하상재료, 지배적인 흐름 형태, 하도 개수, 하도 형태), 제방 상단의 식생 토지이용 (제방 정부에서 5m까지의 토지이용), 식생 구조, 하도 식생 형태

상세 평가하천 50 m 구간의 토지이용, 제방 선형, 교목의 범위와 관련 특성, 하도구조물의 범위, 하도 규모, 인공구조물 수, 최근 하도관리 실적, 특이 형상,하도 막힘, 주목할 만한 천적, 전반적인 특성, 오리나무

<표 6.2.7> River Habitat Survey (EA, 1997)

5) 독일 하천구조질 조사

독일의 하천구조질의 조사는 조 (1997b)에 의하면 독일의 하천 생태적 복원을 위한 방법론으

로 라인란트-팔쯔 주에서 개발되었으며, 수질을 나타내는 ‘하천질 규정’이라는 기존 방법에 대

응하여, 개발 초기부터 하천구조의 파악 및 판단을 위해 ‘하천구조 질 규정’이라는 명칭으로 일

컬어졌다 (표 6.2.8). 하천구조 질 판단 수로 발달, 종단면, 횡단면, 하상구조, 하천변 구조, 하천

주변 등 6개 부문으로 구성되어있다. 독일의 하천 구조질 판단기준은 초기부터 하천복원을 위

해서 개발되었고, 조사항목들은 하천복원 조치를 강구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전문가들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화 시킬 수 있는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 부문 조사항목

수로의 발달 수로의 굴곡, 굴곡 수식, 종사주, 특수한 수로구조

종단면 횡구조물, 강물의 역류․정체, 배수로, 횡사주, 흐름의 다양성, 수심 변이

횡단면 횡단면 유형, 횡단면 깊이, 폭 수식, 폭 다양성, 배수로

하상구조 하상저질 유형, 하상공, 저질 다양성, 특수한 하상구조

하천변 구조 강변숲, 강변 식생, 호안공, 강변 종방향 배열, 특수한 강변구조

하천주변 평지이용, 수변대, 혐오스러운 주변구조

<표 6.2.8> 독일 하천 구조 질의 판단 기준 (조, 1997)

나. 국내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국내의 하천 수변환경 관련 조사는 주로 환경부의 자연형하천정화사업, 건설교통부의 하천환

경정비 사업, 행정자치부 소방방재청의 소하천 정비사업 및 각 지자체에서 실시한 하천복원 사

업 등을 대상으로 하여 사업 이후의 하천환경 변화 중점으로 조사한 사례 등이 있다.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하천의 자연성 평가 기법은 조 (1997)가 제공한 하천 평가기준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적용된 사례가 있으며, 결과의 의미 역시 하천의 특성을 충분

Page 19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61 -

히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준의 대부분이 대체로 경관학적 측면이 강한

편이라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법이 개발 및 보완되어 왔으며, 이들 기법의 적용성 역

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해서는 하천의 자연성 평가 기법에 대한 일부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우선 각 평가 항목의 기준이 다소 정성적인 경우가 많으며, 비전문가가 판단할 경우 의

미의 모호성 때문에 평가에 애로사항이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평가기준에 서식처의 개념이

비교적 부족한 편이어서, 하천을 서식처로 판단할 경우 제공되는 정보량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국내의 하천 수변환경 관련 조사는 주로 환경부의 자연형하천정화사업, 건설교통부의 하천환

경정비 사업, 행정자치부 소방방재청의 소하천 정비사업 및 각 지자체에서 실시한 하천복원 사

업 등을 대상으로 하여 사업 이후의 하천환경 변화 중점으로 조사한 사례 등이 있다.

1) 조 (1997b)의 조사방법

조 (1997b)는 하천자연성 판단의 목적을 하천의 생태학적 복원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의 질을 파악하여, 하천관리 방침을 결정 (진단)하고, 복원의 수단을 결정 (처방)하는

데 두고 있으며, 조사부문 및 조사항목은 아래 표와 같이 하천생태계의 변이축인 공간적축 즉

종적, 횡적, 수직적축에 초점을 맞추어 6개 부문으로 선정하고, 조사항목 24개의 세부 조사항목

을 선정하였다. 판단 단위는 조사대상 파악의 충분성, 조사의 수월성 및 비용, 육안 관찰거리, 조

사 결과의 표현 등을 고려하여 100 m 일정 간격을 적용하고 있다 (조, 1997b) (표 6.2.9).

조사 부문 조사항목

수로의 발달 수로의 굴곡, 측방침식, 종사주, 특수한 수로구조

종단면 횡구조물, 횡사주, 흐름의 다양성

횡단면 횡단면 유형, 제방 재료, 폭 다양성, 하천상부 구조물

하상구조 저질 다양성, 특수한 하상구조

저수로변 구조 저수로변 식생, 호안공, 특수한 저수로변 구조, 저수로변 종방향 배열

하천주변 인접 토지이용, 하천변 대상수림, 자연스럽지 않은 구조

<표 6.2.9> 하천자연성 조사부문 및 조사항목 (조, 1997b)

2) 정의 판단 방법

정은 하천자연성 판단을 GIS를 활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판단 결과에 따라 하천환경 정비계획

의 접근방식을 유역별로 다양하게 적용하고 도시하천의 새로운 정비기법인 자연형 하천공법의

적지 선정과 하천의 생태적 재생을 위하여 효율적인 정보수집, 분석, 관리방안의 제시를 목적으

- 362 -

로 하고 있다. 조사부분 및 조사항목은 아래 표와 같다. 하천자연성 판단기준의 도출을 위하여

국․내외 및 유사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하였으나, 조사 부

분의 분류기준의 체계성이 부족하며, 항목도출을 위한 명확한 판단 목적의 규정과 그 개념적

근거가 미흡한 점이 있다 (김 등, 1999) (표 6.2.10).

조사 부문 조사항목

하천저수로 미지형 변화율, 하도형태 변화율, 수질 (BOD), 하상 재료

인공구조물 호안 재료, 보, 하수 유입구, 제방 재료

하천식생 식생 구조, 습생식물 피도, 하변림

인접토지이용 제외지 토지이용, 제내지 토지이용

야생동물 어류, 조류, 수서생물 종류

<표 6.2.10> 하천자연성 조사부문 및 조사항목 (김 등, 1999)

3) 박 등 (2003)의 판단 방법

박 등 (2003)은 우리나라 국가하천 및 지방1급 하천과 같은 대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하천자

연성 판단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천자연성 판단의 조사 부문은 하천의 형태, 하천의 환경으로 2

개 부문으로 단순화하고, 각 부문의 조사항목은 부문간의 균형을 고려하여 7개의 조사항목씩 14

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표 6.2.11).

일반적으로 하천의 형태는 종단, 횡단, 하상구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조사구간이 길어

질 경우 종단과 횡단개념보다는 하천의 평면개념으로 파악하여야 하므로, 하천형태 부문은 수

로의 굴곡, 사주, 흐름의 다양성 등 하도특성과 하상재료, 저수로 폭 다양성, 저수로 호안공, 제

방 호안공 등을 포함하여 1개의 부문으로 정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천환경 부문은

저수로 및 홍수로 식생, 제내지 및 제외지의 토지 이용, 댐 및 보 등과 같은 하천 상․하류간의

연속성을 저해하는 횡단구조물, 수질, 경관과 수량 풍부도를 파악할 수 있는 수면폭/하천폭 비

를 선정하였다.

조사 부문 조사항목

하천의 형태수로의 굴곡, 종․횡사주, 흐름의 다양성, 하상 재료, 저수로폭 다양성, 저수로 호안공,

제방호안 재료

하천의 환경저수변 식생, 홍수로 식생, 제내지 수변구역 토지이용, 제외지 홍수터이용, 횡방향

인공구조물, 수질, 수면폭/하천폭 비

<표 6.2.11> 하천자연성 조사부분 및 조사항목 (박 등, 2003)

Page 19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63 -

자연성 판단의 척도는 아래 표와 같이 자연성 저감정도에 따라 가장 자연에 가까운, 자연스

러운 상태를 1, 자연에서 가장 먼, 극히 심하게 훼손된 상태를 5를 주는 5단계로 구분을 하였다.

조사 결과의 집계과정은 먼저 부문별로 판단 결과를 단순 평균하여 부문별 판단지수로 결정하

고, 부문별 판단지수를 단순 평균하여 총괄 판단 지수를 계산하였다. 산출된 부문별 지수와 총

괄 지수들은 아래 표의 지수 범위에 따라 결정하였다 (표 6.2.12).

자연성판단지수 지수범위 하천의 상태 의미

1 1.0≤I≤1.8 자연스러운 원자연 상태

2 1.8<I≤2.6 거의 자연스러운 자연상태를 유지하지만 부분적으로 제한요인이 있음

3 2.7<I≤3.4 제한적으로 자연스러운 전체적으로 자연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제한요인이 많음

4 3.4<I≤4.2 훼손된 심한 훼손으로 자연요소가 상당히 희박함

5 4.2<I≤5.0 극히 심하게 훼손된 인위적인 지나친 훼손으로 자연요소가 거의 없음

<표 6.2.12> 하천 자연성 판단 척도 (박 등, 2003)

5. 생물서식처 평가

가. 외국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환경 선진국에서는 30여 년 전부터 물리적서식지 평가와 다양한 서식지 평가 모델이 이용되어

왔다 (표 6.2.13). 초기의 서식지 평가 모델은 HQI 모델과 같이 단일종의 서식여부나 단일종의 수

용능력을 가늠하기 위하여 만들어 졌으며, 이후 Winget and Mangum (1979)의 BCI (Biotic

Condition Index) 모델과 같이 군집지수 등의 생물을 활용한 지수들과 결합되어 모델로 나타났다.

현재는 다변수 서식지 평가 모델인 QHEI 모델과 RBP 모델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 364 -

서식지 평가모델 / 방법 서식지 평가의 평가목적 문헌

FHSI model (Fish Habitat SuitabilityIndex)

단일종의 서식지 수용력 평가Terrel (1984)Layher and Maughan (1985)

HQI 모델 송어 현존량의 예측 서식지모델 Binns and Eiserman (1979)

BSC model (Biological streamcharacterization)

IBI와 함계 이용된 서식지질 모델 Illinosis EPA (1989)Hite (1988)

Transect method model소구역내의 transect에 의거한서식지평가모델

Dunham and Colotzi (1975)Platts et al. (1983)Armour et al. (1983)Duff et al. (1989)

Habitat diversity/ complexity model하상구조/수심/유속에 의거한Shannon Index

Gorman and Karr (1978)Schlosser (1982)

HI model (Habitat Quality Index) 미주리주의 서식지질 지수 (최적환경과 비교하는 모델)

Fajen and Wetnes (1982)

BCI model (Biotic Condition Index) 서식지, 종우점도, 분류군을이용한 종다양도

Winget and Mangum (1979)Mangum (1986)

HCI model (Habitat Condition Index)하천제방 및 하천구성요소를이용한 서식지 상태지표 모델 Duff et al. (1989)

IFIM model (Instream FlowIncremental Methodology)

하천어종의 유량 필요량에 대한척도측정 모델 Bovee (1982, 1986)

QHEI model어류에 의거한 하천생태건강도 및생물학적 수질기준 (IBI) 평가모델

Ohio EPA (1989)Rankin (1989, 1991)

RBP 서식지평가모델 어류 건강도 및 하천 서식지분류에 의거한 서식지평가모델

US EPA (1999)Barbour and Stribling (1991)Ball (1982)Platts et al. (1983)

<표 6.2.13> 환경선진국에서 이용된 서식지 평가 모델 비교

나. 국내의 생물학적 평가 방법 개발 및 이용현황

국내에서의 서식지 평가지수의 활용은 미비하였으나 2000년 이후 안 등 (2001)을 비롯한 다

수의 논문이 출판되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식지 평가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하천복원

사업의 복원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생물지수를 사용한 평가와 함께 핵심 평가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도가 악화된 하천평가 시 어떤 요소를 개선해야 하는지 판별할 수 있는 좋은 척

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age 19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65 -

제 3 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조사구간 및 시기

가. 조사구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조사구간 선정은 2008년 수질측정망 운영계획을 기준으로 4대강

대권역의 중권역 대표지점과 수질측정망 지점을 포함하여 선정하였다.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총 조사구간은 한강 대권역 320개 구간, 낙동강 대권역 130개 구간, 금강

대권역 130개 구간,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140개 구간 등을 포함하는 총 720개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나. 조사 시기

건강성 평가를 위한 당해연도 현장 조사 평가는 전국 4대강 720개 구간에 대하여 환경부의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안) (2008)’에 따라 2009년 4월~5월 및 9월에 조사가 진행

되었다. 본 조사 시기는 여름 장마에 의한 집중강우와 태풍 등의 영향을 받기 전․후 시기로,

우기 집중강우에 의한 영향성을 배재하기 위하여 홍수가 시작되기 전으로 설정되었다. 해당 조

사 시기 중 조사가 실제 진행된 날에 강우가 발생한 경우도 있었으나, 모든 조사구간에 대해

비교적 균등한 상태에서의 평가가 가능하였다.

2. 조사내용 및 범위

가. 수질 및 수리 환경

1) 조사하천에 대한 수질조사

수온, pH, DO, EC 등의 현장 측정 항목들을 측정하고, BOD, NH3-N, NO3-N, TN, TP,

PO4-P, Chlorophyll-a 등의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측정망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2) 기초 수리 및 수문환경 측정

걸어서들어갈수없는하천은제외하고유속, 수심, 하폭, 유량등수리및수문항목을측정하였다.

- 366 -

나. 부착조류

1) 부착조류 종조성 및 분포

전국 4대강에서 출현한 부착조류 군집의 총 분류군, 종조성, 밀도, 우점종, 누적우점빈도를 분

석하고, 오염지표종을 분석하였다. 우점종은 조사구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종, 누적우

점빈도는 출현횟수가 많은 종으로 결정하였다.

2) 부착조류 생물량 (Chl-a 및 AFDM)

전국 4대강에서 조사구간별 부착조류 엽록소량 (Chl-a, Chlorophyll-a) 및 유기물량 (AFDM,

Ash Free Dry Matter)을 분석하였다.

3) 부착조류 생물지수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전국 4대강에서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등급을 이용하였으며, TDI와 수질항목간의 상관

성을 분석하였다.

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 출현현황

전국 4대강에서 출현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총 분류군 목록, 종조성, 밀도, 우점종

및 점유율을 분석하였다.

2) 군집구조

조사구간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및

풍부도지수 (RI)를 산출하였다.

3) 한국오수생물지수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조사구간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Korean Saprobic Index)

를 산출하고, 이를 평가기준에 따라 등급을 산정함으로써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4) 한국오수생물지수와 수질과의 상관성

조사구간에 따라 산출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지수 (KSI) 및 BOD와의 분포 및 비

교, 생물지수 (KSI) 및 수질항목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Page 19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67 -

5)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평가자료의 DB화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로 얻어진 자료는 엑셀-DB화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수생

태계 건강성 평가 DB를 구축하고 향후 시기별, 수계별, 구간별 비교평가에 이용하였다.

라. 어류

1) 어류 종조성 및 분포현황

전국 4대강에서 출현한 어류의 총 종수 및 개체수에 대한 상대풍부도 분석 및 그에 따른 우

점종을 분석하였다. 또한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종I․II급 등의 법적보호종 및 외래도입종에

대한 분포현황을 분석하였다

2) 어류의 생태지표 특성

전국 4대강에서 출현된 어류의 내성도 길드 및 섭식 길드를 분석하였다. 내성도 길드는 수질

오염과 서식지의 질적 저하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각각 민감종 (Sensitive species, SS), 중간종

(Intermediate species, IS), 내성종 (Tolerant species, TS)으로 구분하였으며, 섭식 길드는 섭식

특성에 따라 충식종 (Insectivores, I), 잡식종 (Omnivores, O), 육식종 (Carnivores, C), 초식종

(Herbivores, H)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3) 어류의 메트릭 특성

전국 4대강에서 출현한 어류를 이용한 어류생물지수 (IBI)의 8가지 메트릭에 따라 조사구간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4) 다변수 어류평가모델에 의한 생태건강성 평가 및 등급도출

전국 4대강에서출현한어류를이용한어류생물지수 (IBI) 산정 및생태건강성등급을도출하였다.

마. 서식 및 수변환경

1)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전국 4대강에서의 서식 및 수변환경의 평가를 위해 평가 지침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

사지점의 서식처 및 하천 수변환경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조사지점의 서식 및 수변

환경 등급을 산정하였다.

- 368 -

2) 조사지점의 건강성 관리 확보 방안

현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조사지점이 당면한 생태 환경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

의 원인과 관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바. 생물서식처 평가

1) 생물서식처 평가에 의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조사구간별 생물서식처평가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평가기준에 따라 등급을 산정함으로써 수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2) 생물서식처 평가등급과 수질등급 (BOD)의 비교

조사구간에 따라 산출된 생물서식처 평가등급과 BOD 등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3) 생물서식처평가지수와 수질과의 비교분석

조사구간에 따라 산출된 생물서식처평가지수와 수질항목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사.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과의 상관성

전국 4대강 조사지점에서 관측된 수질 항목과 5개 분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의 분포 비

교 및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기물 범위에 따른 각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항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평가자료의 DB화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로 얻어진 자료는 엑셀-DB화하여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DB를 구축하

고 향후 시기별, 수계별, 구간별 비교평가에 이용한다.

3. 조사방법

본 연구에서는 4대강 대권역의 선정된 조사구간에 대하여 2008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안)에 준하여 5개 분야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생물서식처)의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조사하천에 대한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으며, 조사 평

Page 19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69 -

가된 결과물은 표준화된 DB 양식에 의거하여 정리하였다.

가. 수질 및 수문환경 분석

1) 수질 분석

수질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정도관리에 유의하며, 이를 위해 공인된 분석기관인 산업공해연구

소에 일괄적으로 의뢰하여 분석을 하였다. 샘플링 및 분석 의뢰는 부착조류 분야에서 수행하였

다. 분석에 필요한 시료는 각 조사구간에서 2 L를 채수하여 아이스박스에 담아 조사 당일 공인

분석기관으로 운송하였다. 이화학적 수질분석항목은 <표 6.3.1>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007 준용).

현장에서 측정한 이화학 항목은 수온, DO, pH, EC이며 각각의 항목은 DO meter (YSI), pH

meter (Horiba), Conductivity meter (Hach)로 측정하였다. 탁도는 실험실로 운반한 즉시

Turbidity meter (Ha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하천 구조 및 수리 환경 분석

수문환경에해당하는항목은유속, 수심, 하폭, 유량등의항목으로 <표 6.3.1>에의거하여수행하였다.

측정항목 분석방법 비고

DO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4항 윙클러 아자이드화나트륨 변법, 격막전극법 현장분석

pH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3항 현장분석

수온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1항 직접측정법 현장분석

EC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41항 전기전도도측정계 현장분석

탁도 탁도계 측정

유속 유속계/표면유속측정법 현장분석

수심 대자로 측정 현장분석

하폭 교량의 폭에 기준하여 측정 현장분석

BOD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5항

TN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14항

NO3-N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13항

NH3-N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11항

TP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17항

PO4-P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16항

Chl-a 수질오염공정시험법 제4장 제40항

<표 6.3.1> 이화학적 수질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 370 -

나. 부착조류

1) 부착조류 현장조사

나) 부착조류 현장조사 및 채집방법

(1) 현장조사

야외에서 부착조류의 발달상태 조사 및 주변 서식지 상태를 기재할 수 있는 “부착조류 현장

조사표”를 마련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항목에 대한 조사를 통해 완성하였다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안), 2007).

현지조사표의 기본적인 양식은 <표 6.3.2>과 같으며, 조사구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서식지

의 type, 시료채집방법, 수변의 상태, 수서생물상에 대한 정성적 목록화, 현장측정 자료 등을 기

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 부착조류 채집

부착조류는 돌부착규조류 (epilithic diatom)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당 구간의 횡적인

transect 전체를 대상으로 지름 10 cm 정도의 표면이 평평한 돌 (호박돌 혹은 자갈형태)을

구간 당 2~5개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돌은 현장에서 일정면적을 칫솔로 긁어 낸 후, 플라스

틱 병에 담아 아이스박스에 보관, 운반하였다.

현장에서 즉시 긁어내지 못한 경우에는, 채집한 기질 (돌)은 비닐 지퍼백에 담아 얼음이

담긴 아이스박스에서 냉장보관한 후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실험실에 운반된 돌 기질은 즉시

분석을 하기 어려운 경우 -4 ~ -5℃의 급속 냉동고에 냉동 보관하였다. 부착조류 분석을 위

한 현장조사, 채집, 전처리 및 슬라이드 제작 등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요약하면 <그림

6.3.1>과 같다.

Page 19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71 -

부착조류 현장 조사표 (Field Data Sheet)

하천명: 위치:

지점번호: 구분: 본류 지류 세지류 특성:

GPS 좌표: 위도 ° ′ ″ 경도 ° ′ ″ 하상구조: 하천자연성:

조사자명:

현지조사표완성자:

일자:

시간: 오전 오후

날씨:

서식지

TYPES

해당하천에 존재하는 각 서식지 조건 (%)

모래-실트-진흙-쓰레기 % 자갈 % 기반암 %

작은 나무 조각 % 큰 나무 조각 % 식물, 뿌리 등 %

여울 (Riffle) % 흐름 (Run) % 소 (Pool) %

Canopy % 수변식생피복 %

시료채집

채집도구 Suction 장치 Scrapping 기타

채집방법 걸어서 들어감 수변으로부터 채집 보트를 타고 채집

하천에서 직접 채집하였다면 각 서식지에 대한 샘플 채집수

모래-실트-진흙-쓰레기 % 자갈 % 기반암 %

작은 나무 조각 % 큰 나무 조각 % 식물, 뿌리 등 %

수변 및

하천환경

물빛 맑음 (바닥까지 보임) 탁함 --- 정도 (약간, 심함), 혼탁이유 -- (무기물, 유기물)

냄새 없음 보통 악취 (유기물) 악취 (공장폐수)

수변식생 초본 ( %) 관목 ( %)

주변토지이용 도시 ( %) 숲 ( %) 논, 밭 ( %) 공단 ( %)

준설 및 공사 ( %) 축사 ( %)

모래퇴적/침식 (기질매몰도) 거의없음 10~20% 20~50% 50~80% > 80%

상류부 보의 위 및 영향 없음 있음 (조사지점과의 거리) m; 수질영향 유무 : 유 무

수서생물상에 대한 정성적 LISTING

추정 풍부도 표시: 0 = Absent/Not Observed, 1 = Rare (<5%), 2 = Common (5~30%)

3 = Abundant (30~70%), 4 = Dominant (>70%)

부착조류 (periphyton) 0 1 2 3 4 곰팡이류 (slimes) 0 1 2 3 4

사상성 조류 0 1 2 3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0 1 2 3 4

수생식물 0 1 2 3 4 어 류 0 1 2 3 4

환경요인

항목 현장측정값 코멘트

하폭 (m)

수심 (cm)

유속 (m/s)

수온 (℃)

DO (mg/L)

pH

전기전도도 (μS/cm)

탁도 (NTU)

<표 6.3.2> 부착조류 현장조사 현지조사표 양식

- 372 -

<그림 6.3.1> 시료의 채집, 전처리 및 슬라이드 제작 과정

2) 부착조류 분석

가) 실내 분석

(1) 현미경 분석

부착규조 종의 동정과 계수를 위해 영구표본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Zeiss Axioskop

2 광학현미경으로 1,000배 하에서 수행하였고, 필요한 경우에 Cool Snap cf (Roper Scientific

Photometrics)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부착조류 군집 분석 및 TDI

등의 조사를 위한 출현종의 상대빈도 (relative abundance)를 위한 계수는 임의로 선정된 현미

경 하의 시야에서 규조 피각의 수가 500개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2) 부착조류 생물량 (Chl-a 및 AFDM)

부착조류의 생물량 분석을 위해 돌에서 긁어낸 일정한 면적에 대응하는 필요한 양을 이용하여

Standard methods (APHA, 1995)에 따라 엽록소량 (Chl-a)과 유기물량 (AFDM)을 측정하였다.

Page 19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73 -

1) 부착조류 지수분석

부착조류의 지수는 영양염지수 (TDI, Kelly and Whitton, 1995; 환경부, 2007)를 이용하였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지수에서 이용한 생태종에 대한 민감도와 가중치를 지수의 계산에 이용하였

으며, 필요시 국내에서 분석된 생태종의 분포도 고려하여 민감도와 가중치를 수정하여 적용하

였다. 지수의 산정은 환경부 (2008)의 지침에 의거하였다.

가) 영양염지수 (TDI)

현장 시료를 이용하여 영구표본을 제작하여 종 수준의 분류군별로 계수하였다. 계수한 결과

(A)를 이용하여 각 분류군이 지니는 규조류 영양지수 (TDI)에 대한 민감도값 (S, sensitivities

values)과 지표값 (V, indicator values)을 구분하여 추출하고, 동시에 수질오염에 대한 내성종과

그 계수한 값을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안), 2008).

다음의 TDI 계산식에서 가중평균민감도를 산정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최종 TDI를 계산하였다.

TDI = (WMS × 25) - 25

WMS: weighted mean sensitivity

WMS = ∑Aj·Sj·Vj / ∑Aj·Vj

나) 지수 평가

하천환경의 질에 대한 구분은 해당지역이나 국가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착조류 평가등급은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4등급의 구분은 “A”, “B”, “C”, “D” 이며, 각

각의 등급은 최적, 양호, 보통, 불량의 환경상태로 규정하였다.

하당 하천에서 채취한 샘플을 이용하여 만든 표본 (슬라이드 샘플)에서 counting된 규조류의

밀도 (혹은 상대빈도)와, 해당종의 오염민감도 및 지표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영양염지수 (TDI)

의 점수는 아래 <표 6.3.3>에 의거하여 등급을 구분하였다 (환경부, 2007).

등급구분 환경상태 영양염지수 범위 (TDI)

A 최적 0~40

B 양호 40~55

C 보통 55~70

D 불량 70~100

<표 6.3.3> 부착조류를 이용한 평가지수 등급

- 374 -

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 생물서식환경

야외에서 조사구간의 주변상황 및 생물서식환경을 기재할 수 있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를 마련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항목에 대한 조사를 통해 완성하였다 (환경부, 수생태

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지침 (안), 2008).

현지조사표의 기본적인 양식은 <표 6.3.4>과 같으며, 현지조사표는 크게 조사구간에 대한 기

본적인 정보, 조사방법, 유역환경, 수변환경, 하상구조, 하천현황 및 기타 특이사항 등을 기입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2) 채집 및 골라내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은 정량조사 방법을 기본으로 하였고, 각 조사구간의 수량과

물리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계류형 정량채집망인 Surber net (30 × 30 cm)을 이용하여 여울

지역에서 하천규모에 따라 최소 3회 이상 반복적으로 채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시료는 현장에서 99% 에틸알코올에 고정하고, 실험실로 운

반․골라내기 (sorting)를 한 후 80% ethanol에 보존하였다 (그림 6.3.2).

<그림 6.3.2> 현장조사, 채집 및 실내 정리 과정

Page 19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75 -

<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

조사지

조사지명 지점번호

조사일시GPS 좌표

위도 ° ′ ″

조 사 자 경도 ° ′ ″

날씨맑음 , ( )% 흐림 , (약 , 중, 강 ) 비 , (약 , 중 , 강 ) 눈 , (약 , 중 , 강 ) 바람

기 온 ℃ 수 온 ℃

조사방법정 량 : ( ) 회 정 성 :

( 30 , 50 ) 서버샘플러 , 드레지 , 에크만 뜰채 , 족대 , 기타 ( )

유역환경

유역이용 오염원

□ 산림

□ 목초지

□ 마을

□ 상가, 음식점

□ 농경지

□ 공장지대

□ 주거밀집지

기타 ( )

□ 축산폐수의 유입

□ 생활하수의 유입

□ 각종 공사

기타 ( )

수변환경

식 생 (%) 수피도 (Canopy cover)

교목 ( ) %, 관목 ( ) %, 초본 ( ) % □ 짙음, □ 부분적, □ 없음

범람원의 이용: □ 자연형, □ 농경지, □ 도로, □ 주차장, □ 산책로, 기타:

제방 (좌안): 상류에서 하류로 볼때 제방 (우안): 상류에서 하류로 볼때

자연형 석축 돌망태 콘크리트 수직 자연형 석축 돌망태 콘크리트 수직

하상구조

(%)

점토 니 모래 잔자갈 자갈 호박돌 암반

<0.004mm 0.004-0.06mm 0.06-2mm 2-16mm 16-64mm 64-256mm >256mm

하천현황

하천유형: □ 산간형 □ 평지형 □ 강 □ 호소 □ 연못

하폭 (m) 수폭 (m) 수심차 (mm)

수중보 및 기타 인공구조물 ~

구분: 폭: 높이: ~

여울 (Riffle) 흐름 (Run) 소 (Pool) ~

% % % ~

서식처교란 ~

□ 홍수피해, □ 준설, □ 수변공사 평균수심 (cm)

채널 (직선)화

평균유속 (cm/s)

투명도 냄 새

매우맑음 맑음 보통 탁함 매우탁함 없음 조금 중간 심함 매우심함

기타

특이사항

◈ 유역현황도

<표 6.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지조사표 양식

- 376 -

3) 실내 분석

가) 동정 (identification)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각 분류군 중 수서곤충의 경우는 윤 (1988, 1995), McCafferty

(1981), Kawai (1985), Merritt and Cummins (1984, 1996) 및 Peckarsky et al. (1990), 원 등

(2005) 등을 참고로 하여 동정하였다 (표 6.3.5). 특히 곤충류 중 꼬마하루살이류는 배 등 (1998)

을 참고하였고, 깔따구류는 Wiederholm (1983)을 이용하여 외부형태, 특히 체장, 체색, 구기 형

태, abdominal tubule의 유무, 강모의 형태 등의 특징을 고려하여 임의로 과 수준 (family level)

에서 동정하였다. 또한 갑각류 및 환형동물류 등은 김 (1977), 岡田要 (1965a, b, c), Pennak

(1989) 및 Peckarsky et al. (1990)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동정된 학명의 체계 및 국명은 한국

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 1994)과 한국동물명집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그리고 날도래의 경

우 황정훈 (2006)에 의거하여 작성하였다.

분류군 제목 저자 년도

무척추동물 신일본동물도감 岡田要 1965

새우류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 (새우류) 김훈수 1977

수서곤충 Aquatic entomology McCafferty 1981

수서곤충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Merritt and Cummins 1984

수서곤충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 (수서곤충류) 윤일병 1988

패류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Ⅰ) 권오길 1990

무척추동물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Peckarsky et al. 1990

깔따구류 한국산 깔따구속 (파리목: 깔따구과)의 분류 윤과 전 1992

패류 원색한국패류도감 권 등 1993

깔따구류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Part Ⅰ-Larvae

Wiederholm 1993

곤충 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 1994

수서곤충 수서곤충검색도설 윤일병 1995

거머리류 한국산 거머리강 (환형동물문)의 분류 송광래 1995

수서곤충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Merritt and Cummins 1996

무척추동물 한국동물명집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꼬마하루살이류깜장하루살이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기재 및한국산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검색표

배 등 1998

패류 신원색한국패류도감 권 등 2001

수서곤충 한국의 수서곤충 원 등 2006

날도래류 한국한 날도래목의 분류학적 연구 황정훈 2006

<표 6.3.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국내외 기준 문헌

Page 19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77 -

나) 출현현황 및 군집구조분석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출현종수 및 출현개체수를 산출하고, 각 조사구간별로 우점종

및 점유율을 구하였다.

군집구조의 분석은 조사구간별로 정량적으로 채집된 자료로부터 출현한 분류군의 수를 비교

하여 출현개체수, 우점종, 군집지수 - 우점도지수, 다양도지수, 풍부도지수 및 균등도지수 - 를

산출하였다. 총출현개체수를 N, i 종의 개체수를 Ni, 총 출현종수를 S, 제1우점종의 개체수를

N1, 제2우점종의 개체수를 N2라 할 때, 아래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군집의 분석에는 정량채

집을 통하여 얻어진 시료만을 이용하였다.

우점도지수 (DI) =N1+N2

NMcNaughton (1967)

다양도지수 (H') = - ∑S

i= 1p ilog 2p i, p i=

Ni

NShannon-Weaver (1949)

균등도지수 (J') =H'

log 2SPielou (1975)

풍부도지수 (R1) =S-1lnN

Margalef (1958)

다)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Korean Saprobic Index) 산정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기법인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원 등

(2006))를 이용하여 각 조사구간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즉 생물학적인 수질평가에

이용하고 있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중에서 지표성을 갖는 총 100개 생물군을 이용하여 각

조사구간의 수생태계를 평가하고 생물등급을 산정하였다 (표 6.3.6).

KSI=∑n

i= 1s i∙A i∙G i

∑n

i= 1A i∙G i

KSI 한국오수생물지수 (korean saprobic index)

i지정된 지표생물군의 일련번호 (number assigned to the taxon)

n출현한 지표생물군의 총수 (number of taxa)

s ii 지표생물군의 오탁계급치 (saprobic value of the ith taxon)

A ii 지표생물군의 출현개체수 (abundance index of the ith taxon)

G ii 지표생물군의 지표가중치 (weighting factor of the ith taxon)

- 378 -

번호 지표생물군출현빈도 오탁

계급치(S)

지표가중치

(G)I (0) II (1) III (2) IV (3) V (4) - (5)

편형동물문 (Turbellaria)1 Dugesia 6.9 3.1 0.31 4

복족강 (Gastropoda)2 Parafossarulus manchouricus 3.3 4.3 2.4 1.91 13 Semisulcospira 3.1 5.3 1.6 0.85 24 Austropeplea ollula 6.1 3.9 1.39 45 Radix auricularia 3.1 5.5 1.4 1.83 26 Physa acuta 4.3 5.7 4.57 3

부족강 (Lamellibranchiata)7 Limnoperna fortunei 1.2 6.3 2.5 1.13 38 Anodonta arcaeformis 6.5 2.4 1.1 1.46 29 Unio douglasiae 1.6 4.1 2.7 1.6 1.43 110 Corbicula 2.1 6.8 1.1 0.90 3빈모강 (Oligochaeta)

11 Branchiura sowerbyi 0.9 4.2 4.9 4.40 212 Limnodrilus gotoi 4.4 5.6 4.56 2

거머리강 (Hirudinea)13 Glossiphoniidae 4.3 4.5 1.2 1.69 214 Arhynchobdellidae 1.1 4.7 4.2 2.31 2갑각강 (Crustacea)

15 Asellus 1.5 4.7 3.8 2.23 216 Gammarus 10.0 0.00 517 Cardinia 6.0 3.1 0.9 1.49 2

하루살이목 (Ephemeroptera)18 Siphlonurus chankae 10.0 0.00 519 Ameletus 10.0 0.00 520 Acentrella 5.3 4.7 0.47 321 Alanites muticus 7.6 1.5 0.9 0.33 222 Baetiella tuberculata 6.3 3.7 0.37 423 Baetis 1.8 4.7 2.7 0.8 1.25 224 Nigrobaetis 2.1 6.1 1.8 0.97 225 Isonychia 9.7 0.3 0.03 526 Bleptus fasciatus 10.0 0.00 527 Cinygmula 8.7 1.3 0.13 528 Ecdyonurus 6.2 2.8 1.0 0.48 229 Ecdyonurus levis 1.8 5.1 3.1 1.13 230 Epeorus curvatulus 8.7 1.3 0.13 531 Epeorus pellucidus 6.4 3.6 0.36 432 Heptagenia 10.0 0.00 533 Iron 10.0 0.00 534 Rhithrogena 8.7 1.3 0.13 535 Choroterpes altioculus 6.3 3.7 0.37 436 Paraleptophlebia chocorata 9.3 0.7 0.07 537 Potamanthus 2.7 6.4 0.9 0.82 338 Rhoenanthus coreanus 3.7 6.3 0.63 439 Ephemera orientalis 1.9 6.4 1.7 0.98 340 Ephemera separigata 10.0 0.00 541 Ephemera strigata 7.5 2.5 0.25 442 Cincticostella 9.6 0.4 0.04 543 Drunella 8.7 1.3 0.13 544 Ephemerella 7.1 2.9 0.29 445 Serratella 6.8 3.2 0.32 446 Uracanthella 1.3 5.2 3.5 1.22 247 Caenis 2.7 5.1 2.2 0.95 1잠자리목 (Odonata)

48 Cercion 6.7 2.1 1.2 1.44 1

<표 6.3.6> 각 지표생물군의 단위오탁계급치, 평균오탁계급치 (s) 및 지표가중치 (G)

Page 20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79 -

번호 지표생물군출현빈도 오탁

계급치(S)

지표가중치

(G)I (0) II (1) III (2) IV (3) V (4) - (5)

49 Ischnura asiatica 6.5 3.5 1.35 450 Davidius lunatus 8.5 1.5 0.15 451 Nihonogomphus 4.1 4.0 1.9 0.78 152 Onychogomphus ringens 2.3 4.7 1.7 1.3 1.20 153 Ophiogomphus obscura 6.9 3.1 0.31 454 Sieboldius albardae 4.8 5.2 0.52 355 Stylurus annulata 5.3 3.7 1.0 1.57 256 Macromia 6.3 3.7 1.37 457 Orthetrum 4.1 5.3 0.6 1.65 358 Tramea virginia 3.6 6.4 1.64 4

강도래목 (Plecoptera)59 Plecoptera 10.0 0.00 5

뱀잠자리목 (Megaloptera)60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4.2 5.8 0.58 361 Protohermes grandis 6.7 3.3 0.33 4

딱정벌레목 (Coleoptera)62 Neonectes natrix 10.0 0.00 563 Elmidae 4.5 5.5 0.55 364 Psephenidae 4.1 5.9 0.59 4파리목 (Diptera)

65 Antocha 5.8 4.2 0.42 366 Dicranota 6.1 3.9 0.39 467 Hexatoma 10.0 0.00 568 Tipula 4.7 3.5 1.8 0.71 169 Psychoda 3.3 6.7 4.67 470 Simulium 6.1 3.9 0.39 371 Ceratopogonidae 3.8 6.2 0.62 472 Chironomidae (red-type) 1.3 4.6 4.1 4.28 273 Atherix 7.8 2.2 0.22 474 Suragina 9.2 0.8 0.08 575 Tabanus 5.3 3.1 1.6 0.63 176 Eristalis 1.6 8.4 4.84 4

날도래목 (Trichoptera)77 Stenopsyche 9.6 0.4 0.04 578 Philopotamidae 10.0 0.00 579 Psychomyia 6.4 3.6 0.36 480 Plectrocnemia 9.4 0.6 0.06 581 Ecnomus tenellus 2.4 7.6 1.76 482 Arctopsyche ladogensis 10.0 0.00 583 Cheumatopsyche 5.7 4.3 0.43 384 Hydropsyche kozhantschikovi 1.1 4.8 4.1 1.30 285 Hydropsyche orientalis 6.7 3.3 0.33 486 Hydropsyche valvata 4.6 3.6 1.8 1.72 187 Macrostemum radiatum 3.2 6.1 0.7 0.75 388 Apsilochorema 9.4 0.6 0.06 589 Rhyacophila 8.7 1.3 0.13 590 Glossosomatidae 8.6 1.4 0.14 591 Hydroptila 2.3 6.7 1.0 0.87 392 Apatania 5.3 4.7 0.47 393 Goera 4.8 5.2 0.52 394 Hydatophylax nigrovittatus 10.0 0.00 595 Neophylax ussuriensis 7.9 2.1 0.21 496 Notopsyche 1.8 8.2 0.82 497 Goerodes 10.0 0.00 598 Psilotreta kisoensis 10.0 0.00 599 Ceraclea 5.7 4.3 0.43 3100 Mystacides 7.9 2.1 0.21 4

- 380 -

라) 지수산정에 의한 등급 판정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하여 계산한 지수는 <표 6.3.7>에 의거하여 등급을 판정하고,

BOD 수질기준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물등급 환경상태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A 최적 0.00~≤1.00

B 양호 1.00~≤2.40

C 보통 2.40~≤3.60

D 불량 3.60~≤5.00

<표 6.3.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라. 어류

1) 어류 현장조사 및 채집방법

가) 어류 현장조사 방법

어류 현장조사 방법은 환경부의 물환경종합평가개발 조사연구 (환경부, 2006) 및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환경부, 2007)의 어류조사 방법에 의거 (Wading method에

기초)하였다. 어류 채집의 정량화 (Catch Per Unit of Effort, CPUE)를 위하여 채집거리는

200 m, 조사 소요시간 50분으로 한정하였고, 가능한 한 여울 (Riffle), 소 (Pool), 흐르는 곳

(Run)을 포함하는 곳에서 조사빈도를 균등하게 하여 채집자가 가슴장화의 착용으로 접근이

가능한 장소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천차수 (Stream order)는 1:120,000 축적의 지도 (정

밀도로지도, 영진문화사)를 이용하여 Strahler (1957) 방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투망 (5 × 5 mm)과 족대 (4 × 4 mm)를 이용하였고, 조사인원은 어류채집에

대한 전문적 훈련을 받았거나 현장경험이 최소한 3년 이상인 전문가를 1인 이상 포함하였으

며, 현지조사표 작성 인원을 포함하여 3인 1조로 구성 조사하였다.

나) 어류 채집방법

(1) 여울 (Riffle)에서의 채집

여울은 물살이 비교적 빠른 곳으로 하천바닥의 기질은 주로 자갈과 작은 바위 등으로 구

성되어 있다. 족대 사용의 경우, 물이 흘러가는 반대 방향으로 족대를 대고 채집을 하여야

하며 발을 사용해서 하천 바닥을 강하게 긁어 채집을 실시하였고, 투망 사용의 경우, 투망을

Page 20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81 -

던진 후 물의 흐름을 따라서 투망을 수거하였다. 이는 물살에 의하여 투망이 들렸을 경우 어

류의 탈출을 최소화 하며 흐름과 역행할 경우 생기는 투망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흐르는 곳 (Run)에서의 채집

흐르는 곳에서의 채집은 여울보다는 물 흐름이 빠르지 않지만 수심이 깊다. 물 흐름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족대는 채집 방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흐르는 곳은 하천에 따라 흐름

이 빠르거나 느릴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유속을 파악한 뒤 방향 설정 후, 채집을 실시하

였다. 흐르는 곳은 투망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편이다. 수초가 있는 수변지역에서는 족대의 사

용도 이루어졌다.

(3) 소 (Pool)에서의 채집

소에서의 채집은 여울과는 달리 물 흐름에 영향 받지 않으므로 채집방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소는 물이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족대, 투망 모두 사용이 용이하며, 일정 수심 이상의 소에서는

주로 투망을 이용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인 채집방법이다.

다) 채집어류의 종 분류 및 비정상어종 감별

(가) 채집어류의 종 분류

어류체장 20 mm 이하의 동정이 불가능한 치어의 경우에는 본 조사에 포함시키지 않았고, 종

분류는 채집 현장에서 김과 박 (2002) 및 김 등 (2005)에 의거해 동정하였으며, 현장에서의 분

류가 어려운 경우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실험실로 운반 후 수행하였다. 조사 시, 천연

기념물 및 멸종위기종이 채집되었을 때는 기록한 다음에 즉시 놓아주었다.

(나) 비정상어종 감별

현장에서 비정상어종의 외형적 감별을 실시하였고, 감별 방식은 Sanders et al. (1999)의 방법

에 따라 기형 (DE, Deformity), 지느러미의 손상 (EF, Erosion), 피부손상 (LE, Lesions) 및 종

양 (TU, Tumors) 등의 내용을 비정상성 유형감별 현지조사표에 기록하였다.

- 382 -

중권역 / 코드번호 / 하천차수 차

하천명 (구간명) 채집소요시간 (분) 분

GPS 좌표 위도 ° ′ ″ 경도 ° ′ ″ 기상상태 맑음 / 흐림 / 비 / 눈

조사일자 년 월 일 채집도구투망 (망목 5 x 5 mm),

족대 (망목 4 x 4 mm)

No. 종명 개체수내성도 특성

(TS / SS / IS)

섭식 특성

(O / I / C / H)

서식지 특성

(RB / -)

비정상 개체

(비정상유형)

외래종

(Y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데이터

정리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총 국내종수

내성도 섭식특성 서식지

비정상종

개체수 비율내성종

개체수 비율민감종 수

잡식종

개체수 비율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여울성

저서종수

% % % %

비정상 유형 특징 증 상 하천의 물리적 특성 (200 m 구간 평가)

DE (Deformity) 변형머리, 근육, 지느러미, 그리고

몸의 다른 부분의 변형

[Ⅰ] 하상구조 특성

① 바위 ( %) ② 자갈 ( %) ③ 모래 ( %)

④ 진흙 / 뻘 ( %) ⑤ 콘크리트 ( %)EF

(Erosion of fin)

지느러미

짓무름

정상 지느러미가 후천적

영향으로 파괴 및 부식, 짓무름 [Ⅱ] 하천의 형태 특성

① 자연형 ( ) ② 직강화 ( ) ③ 복합형 ( )

④ 댐 / 보 / 교각 ( ) ⑤ 하천공사 ( )LE (Lesions) 피부손상체벽과 조직의 상해, 부상

(대개 출혈을 동반) [Ⅲ] 하천의 흐름상태

① 아주빠름 ( ) ② 빠름 ( ) ③ 보통 ( )

④ 느림 ( ) ⑤ 거의 정체 ( )TU (Tumors) 종양 체벽 외부로 조직의 돌출

특기사항

<표 6.3.8> 어류 야외 조사 현지조사표

Page 20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83 -

2) 어류를 이용한 생태계 건강도 평가 모델

가) 어류 종조성 및 생태지표 특성 분석법

(1) 내성도 분석

내성도 특성 분석을 위해 채집종은 수질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 (Sensitive

species, SS), 내성종 (Tolerant species, TS)과 두 범주사이의 중간종 (Intermediate species, IS)

으로 구분하였다.

민감종 (SS)은 주로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어종 (U.S. EPA, 1993), 내성종 (TS)은 수

질오염 (역사적 자료근거)에도 불구하고 종수 및 분포범위가 증가하는 어종, 중간종 (IS)은 두

범주사이에 포함되지 않는 종으로 규정하였다.

내성도 특성 분석을 위한 예를 들면, 붕어 (Carassius auratus)에 관한 문헌 즉, 개체군 조사

논문, 출판자료 혹은 도감 등의 포괄적 문헌조사에 의거하여 붕어는 오염에 내성이 강하고, 낮

은 용존산소에도 잘 견디며, 높은 수온에도 잘 생존하며, 수질등급 3~4급수에서 주로 발견된다

는 종합적 문헌에 의거하여 내성종으로 분류하였다.

(2) 섭식 특성 분석

본 섭식 특성 분석에서 어류는 Nelson (1994~2006)의 분류체계를 이용하였고, 수체내 에너지

흐름을 반영하는 영양단계는 잡식종 (Omnivores, O), 충식종 (Insectivores 혹은 Invertevores I),

육식종 (Carnivores 혹은 Piscivores, C) 및 초식종 (Herbivores, H)으로 대별하여 분석하였다.

Ohio EPA (1987)에 따르면 잡식종은 동․식물질의 상당비율을 지속적으로 먹는 종, 충식종

은 주로 수서무척추곤충을 먹는 종, 육식성종은 주로 어류, 다른 척추동물을 먹는 종으로 정의

하였으며, 식성의 분류는 일차 먹이원 (Primary source of food)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분류는

기존의 도감 및 문헌을 이용하였고, 분야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통해 재정리하였다.

예를 들어 영양 구조체제의 분류에서 최 (1989)에 따르면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는 수서곤충 및 소동물을 섭식한다고 보고한 반면, 김 (1997)은 수생곤충 및 부착조류를, 그 외

의 연구들에 따르면 곤충 및 실지렁이를 혼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런 경우, 1차적인 먹이원으

로서 수서곤충을 먹는 충식종 (Insectivores)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섭식 특성에 대한 분

석 기준은 1차적으로 지형적, 국지적 생태의 특성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Karr et al., 1986),

국내에서 널리 인용되는 담수 어류의 종별분류 및 생태적 특성을 기술한 도감 및 어류문헌에

의거하였고,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통하여 문헌을 뒷받침하였다.

- 384 -

나) 어류 생태건강성 모델 메트릭 특성

본 생태건강성 평가모델은 환경부의 물환경종합평가개발 조사연구 (환경부, 2006) 및 수생태

계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환경부, 2007)의 어류 평가 8-메트릭 모델에 의거하였다. 본

모델에 이용된 각 메트릭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1) 메트릭 1 (M1): 국내종의 총 종수

잡종과 외래도입종을 포함하지 않는 메트릭으로, 하천차수에 영향을 받으며, 수질오염 및 서

식지 교란 등의 환경이 불량한 지역에서는 수가 감소하는 특성을 반영한 메트릭이다.

(2) 메트릭 2 (M2): 여울성 저서종수

본 메트릭은 유속감소 및 하상 유기물 축적에 따라 종수가 감소되는 특성을 반영한다.

(3) 메트릭 3 (M3): 민감종수

서식지의 하상구조 변경, 수질 저하 및 독성 물질 등으로 인해 종의 감소가 예상되는 특성을

반영한 메트릭이다.

(4) 메트릭 4 (M4):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

본 모델 메트릭에 이용된 내성종은 잉어 (Cyprinus carpio), 붕어 (Carassius auratus) 및 피

라미 (Zacco platypus) 등과 같은 수질 저하 및 오염에 상대풍부도가 증가하는 오염에 내성이

강한 종 (다량의 유기물을 선호하는 종)을 이용한다.

(5) 메트릭 5 (M5): 잡식종 (Omnivores)의 개체수 비율

본 항목은 동식물을 구분하지 않고 섭식하는 종으로,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질적 하강에 따

라 잡식종의 풍부도는 증가한다.

(6) 메트릭 6 (M6): 국내종의 충식종 (Insectivores) 개체수 비율

본 메트릭은 국내종 충식종의 개체수 (잡종과 외래도입종을 제외)를 총 개체수 (외래도입종을

포함한 채집된 전체 개체수)로 나누어주는 메트릭으로서, 수중 무척추동물을 섭식하는 어종으

로,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질적 하강에 따라 충식종의 풍부도가 감소한다.

Page 20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85 -

(7) 메트릭 7 (M7):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본 메트릭은 잡종과 국외도입종을 포함하지 않으며, 개체군의 풍부도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채집된 어류의 개체수를 과거의 어류상 조사 결과를 기초로 최대 종풍부도 선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을 이용하여 산정함.

(8) 메트릭 8 (M8): 비정상종 (Anormalities)의 개체수 비율

어류의 외형적 건강상태를 대표하는 항목으로, 본 조사에서는 Sanders et al. (1999)의 방법에

따라 DELT 비정상 특성을 기형 (Deformity), 지느러미의 손상 (Erosion), 피부손상 (Lesions)

및 종양 (Tumors)의 4부류로 구분한다.

다) 어류의 평가등급 산정법

어류를 이용한 수질평가기준 등급은 아래와 같이 4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세부등급은 최적

상태 (A), 양호상태 (B), 보통상태 (C), 불량상태 (D)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등급점수 산정법을 보면 각 등급에 대한 점수는 가능 메트릭이 8개이고,

계급구간을 “5”, “3”, “1”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최대 점수는 8 × 5 = 40점으로서 산정되었다.

어류가 전혀 채집되지 않을 경우는 최소 가능점수인 “8점”을 부여하였다.

M1, M2, M3, M7의 점수산정은 하천의 규모 (Stream order)에 따라 차등을 둔다 (표 6.3.9).

하천차수는 하천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출현종과 채집개체수가 늘어나 종 다양도 및 풍부도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려되었다.

총 국내종수(M1)

하천차수모델값

민감종수(M3)

하천차수모델값

1 3 5 1 3 51 0~1 2 >2 1 0 1  >12 0~2 3~5 >5 2 0~1 2 >23 0~4 5~8 >8 3 0~2 3~4 >44 0~5 6~11 >11 4 0~3 4~5 >55 0~7 8~14 >14 5 0~3 4~7 >76 0~9 10~18 >18 6 0~4 5~8 >8

 

여울성저서종수

(M2)

하천차수모델값

채집된국내종의총 개체수

(M7)

하천차수모델값

1 3 5 1 3 51 0 1 >1 1 0~20 21~42 >422 0~1 2 >2 2 0~58 59~108 >1083 0~1 2~3 >3 3 0~95 96~182 >1824 0~2 3~4 >4 4 0~115 116~228 >2285 0~2 3~5 >5 5 0~160 161~320 >3206 0~3 4~6 >6 6 0~200 201~395 >395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M4)

모델값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M6)

모델값1 3 5 1 3 5

>20 5~20 <5 <20 20~45 >45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M5)

모델값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

(M8)

모델값1 3 5 1 3 5

>45 20~45 <20 >1 0~1 0

<표 6.3.9> 어류 생태건강성 모델 메트릭의 구간 설정

- 386 -

어류모델 평가는 최적 (40~36, Excellent, A), 양호 (35~26, Good, B), 보통 (25~16, Fair,

C), 불량 (15 이하, Poor, D)의 4등급으로 대별하여 평가하였다 (표 6.3.10).

등급구분 환경상태 모델값

A 최적 36~40

B 양호 26~35

C 보통 16~25

D 불량 ≤15

<표 6.3.10> 어류 생태건강성 모델 등급구분

마. 서식 및 수변환경

1) 서식 및 수변환경 현장조사

가) 현장조사의 준비

서식수변환경 평가는 기본적으로 서식수변환경 평가지 (현지조사표)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표

6.3.11~12). 평가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장 조사 작업이 수반된다. 원활한 현장조사를 수행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Page 20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87 -

◇ 조사지점 정보 하천등급: 1. 국가하천 ( ), 2. 지방1급하천 ( ), 3. 지방2급하천 ( ), 4. 소하천 ( )

조사일 시각 중권역명 하천명 조사구간명 조사수행자

GPS 좌표 고도 (m) 특기사항 총점 및 등급

위도 ° ′ ″

경도 ° ′ ″

총점

등급

◇ 서식수변환경 평가항목

연번 항목 평가내용 판정점수 평가기준 점수 비고

1

자연적인종횡사주

물흐름 다양성 유발하는자연적인 종횡 사주발생횟수

5 4회 이상

4 3회

3 2회

2 1회

1 없음

2

하천변 폭 수로폭과 제방내 폭간비율 (완충지대 및 수로변식생 서식처)

5 2.0<비율

4 1.5<비율≤2.0

3 1.0<비율≤1.5

2 0.5<비율≤1.0

1 비율≤0.5

3

저질 상태 하상의 지배적인 현재저질상태 평가

5 거암 이상, 모서리가 둥근 돌

4 자갈-호박돌이 많이 존재하고 대체로 모서리가 둥긂 (일부모래 존재)

3잔자갈-모래 혼재 (돌의 경우 모서리가 있는 돌이 많음) 혹은모래가 지배적임

2 실트 혹은 더러운 진흙 (汚泥)

1 콘크리트 바닥으로만 구성

4

횡구조물 어류 이동을 방해하는인공구조물의 방해정도

5 횡구조물 없음

4 울퉁불퉁한 완경사수로 형태

3 어도가 별도로 존재하며 길고 완만한 형태

2 어도가 존재하나 급격한 낙차폭이 있음

1 횡구조물에 어도가 없거나 파손되어 기능이 없음

5

하도 정비 및하도 특성의자연성 정도

하도의 자연성 정도 5 정비하지 않은 자연 사행하천

4 정비되었으나 하도, 저수로 사행유지

3 하도 직강화, 저수로 사행

2 하도, 저수로의 직강화 (저수로 폭의 변화 유지)

1 하도, 저수로의 인공 (일정 폭) 직강화

6

저수로 호안공 저수로 호안공의 특성평가

5 호안공이 없는 자연 상태

4 목책 등 자연 소재 + 인공 식생호안

3 사석, 석축 + 인공 식생호안

2 사석 또는 석축 호안 (투수성)

1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7

제방호안 재료 제방 호안재료의 인공화정도

5 인공제방이 없는 경우

4 인공 흙제방 (자연식생, 잔디 식재 등)

3 사석쌓기, 자연형호안 블록에 인공식생 포함

2 사석쌓기, 자연형 호안 블록 (투수성)

1 호안블록, 콘크리트 호안 (불투수성)

8

둑 바깥쪽토지 이용

둑 바깥쪽의 지배적인토지 이용의 인공화 정도

5 초지나 관목림 등의 자연 상태

4 인공녹지와 자연녹지의 혼재

3 대부분 경작지, 공원, 일부구간의 시가지와 주거지

2 일부분 경작지, 1/2 정도의 시가지와 주거지

1 1/2 이상의 시가지와 주거지

9

둑 안쪽 토지이용

둑 안쪽의 토지이용상황이 하천생태계에미치는 영향

5 자연식생, 인공구조물이 없는 경우

4 자연식생과 인공식생 (잔디, 초지공원 등) 혼재

3 경작지 (논, 밭 등)

2 1/2 정도의 공원 및 운동장 시설

1 주차장, 불투수성 인공구조물 설치

10

오염원 유입정화시설

오염원의 유입 정도 및수질정화 시설의 설치여부

5 오염원 유입 없음

4 오염원 유입되나 정화시설 존재

3 오염원 유입되나 하천에 영향 없음. 정화시설 없음

2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영향 미침. 정화시설 없음

1 오염원 유입되어 하천에 심한 영향. 정화시설 없음

구분 1 (상류) 2 3 4 5 6 (중앙) 7 8 9 10 11 (하류)

수로

제방

<표 6.3.11>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현지조사표 양식

- 388 -

◆ 전경사진 및 부분사진

우안

제내지∼제방상단 제외지 사면~둔치 둔치~호안공

전경사진

좌안

제내지∼제방상단 제외지 사면~둔치 둔치~호안공

◆ 특기사항

특기사항1 특기사항2

설명 설명

<표 6.3.12>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사진 현지조사표 양식

Page 20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89 -

나) 조사인원

서식수변환경 평가 항목은 수중 및 수변을 동시에 다루고 있기 때문에 최소 3인 이상의 연구원

혹은 연구조원이 1조로 구성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2인의 역할 분담은 <표 6.3.13>과 같다.

구분 역할 권장 직급 최소요구 직급 비고

평가자(1명)

각 항목에 대하여평가를 주도

책임급 혹은선임급 연구원

박사과정생이상

- 평가결과 누락 혹은 오기록 주의- 각 항목별 평가 실시 및 지점별편차 발생 주의

조사기록자

(1명 이상)

현장에서 조사를주도적으로 진행

박사과정생 이상석사과정생혹은 학부생

- 평가자와 같이 평가 실시- 평가자의 평가와 비교하여 의견

교환 후 기록

<표 6.3.13> 조사수행 연구원 구성, 역할 분담 및 기타 특징

상기 사항 중 다음에 대한 경우는 예외 혹은 변경이 가능하다. 단, 각각의 변경에 대하여 필

요한 조치를 충분히 취하도록 하였다.

(1) 최소요구직급

상기 역할분담 중 기록자에 대한 최소요구직급은 다소 완화될 수 있으며, 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서식환경 평가에 대한 사전정보를 충분히 숙지하였을 경우 현장 경험이 다소 부족한 연구

원이라도 참여가 가능하다.

(2) 조사 중 역할 교체

조사구간이 많을 경우 장거리 운행 등에 의해 운전자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역할을 나누어

수행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 역할 교체가 발생하는 연구원들 간에 현장을 평가하는 관점에

대해서 사전에 충분히 토의를 수행하여 역할 교체에 따른 결과의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단, 평가자의 평가 역할은 분담하지 않도록 하였다.

(3) 조사 프로그램별 역할 교체

목적하는 전체 조사구간을 2회 이상 나누어 조사 수행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는 각 조사 프로그램별 구성 연구원간 정보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관점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조사를 수행하기 전 역할별 연구원간 사전 교감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하였다.

다) 평가를 위한 장비 및 도구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해서는 <표 6.3.14>에 제시되어 있는 장비 및 준비물이 필요하다. 이

항목에 포함된 장비는 현장조사 수행시 필수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장비로, 2팀 이상의 연구진

- 390 -

이 조사를 수행할 경우 연구진별 보유장비의 모델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주 용도 필요장비 및 물품 용도

조사지점

기본정보

GPS 조사지점 위치에 대한 좌표 기록

디지털카메라 조사지점 특성에 대한 사진정보 확보

우리가람 길라잡이지도조사지점까지 접근을 위한 지리정보 및 하천기본정보 확보

도로지도

서식환경평가

서식수변환경 평가지 각 지점별 서식환경 평가 및 등급화

거리측정장비 수로폭 및 제방내 폭 측정

망원경 하천 내 종횡 구조물 등의 특성 평가

<표 6.3.14>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장비

라) 기타 준비물

기타 준비물의 경우 현장조사에 휴대시 조사의 수월성이 확보되는 장비로, 필수적으로 휴대

할 필요는 없다 (표 6.3.15). 녹취된 내용은 각 조사지점 특성에 대한 기록 및 사진정보 입력란

에 입력하였다.

주 용도 필요장비 및 물품 용도

조사지점

기본정보

네비게이션 조사지점까지 접근을 위한 지리정보 확보

녹음기 현장평가 중 녹취가 필요한 경우 활용 (인근 주민 면담 등)

<표 6.3.15> 서식수변환경 평가를 위한 기타 준비물

2) 서식수변환경 평가항목

가) 자연적인 종횡사주

본 항목은 ‘물흐름의 다양성 유발하는 자연적인 종횡 구조물의 발생횟수’를 평가하는 항목이

다. 하천의 생물종다양성은 기본적으로 흐름의 다양성에 의하여 결정되며, 하나의 구간 내에서

자연적으로 사주 혹은 하중도가 발생하여 하천흐름이 변형될 경우 종다양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항목은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나) 하천변 폭

본 항목은 ‘수로폭과 제방내 폭 간의 비율’에 대한 항목으로, 완충지대 및 수로변 식생서식처

를 평가한다. 수로변에 땅과 물이 만나는 곳이 넓게 확보될 수록 수위 변화에 따른 생물서식의

다양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본 항목은 이와 같은 성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정되었다. 200 m의

Page 20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91 -

평가거리 내에서 등간격으로 11회의 수로폭과 제방폭을 실측하여 평가한다. 평가방법은 각 측

점마다의 제방폭 (di)과 수로폭 (wi)의 차이에 대한 절대값을 수로폭 (wi)으로 나누고, 이들의 산

술평균값을 비율값 (I)으로 활용한다:

I=

∑11

i=1

|d i-wi|

wi

11

단, 수량의 확보 차원에서 수로폭을 제방폭 값으로 나눈 비율이 20% 이하일 경우에는 3점으

로 한다. 이는 제방으로부터 제방까지의 폭 중에서 수로의 폭이 차지하는 비율로, 수로가 어느

정도 유지가 되고 있는지를 고려하는 부분이다. 즉, 유량이 적어 수로의 폭이 매우 작은 경우는

본 항목 자체의 비율값이 크게 증가하는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치

로 수로폭/제방폭 비율 20%의 기준을 잡았다.

다) 저질 상태

본 항목은 ‘하상의 현재 저질상태 평가’를 위한 항목이다. 하천생태계는 외부에서의 물리적

교란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골재채취나 하천변 토목 공사 등이 발생할 경우

발생지점으로부터 하류로 많은 토사가 유입되고 하상을 구성하는 구성물질의 형태 역시 크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항목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200 m의 평가거리 내에서

최소 10회 이상의 하상구조 특성을 관찰하고 지배적인 상태를 기록한다. 배점이 모호할 경우

(예를 들어 2점과 3점의 중간정도가 필요할 경우) 낮은 점수를 채택한다. 배점 결과는 추후 부

착조류 및 저서무척추동물 분야에서 산출된 하상구조물 평가결과와 비교하도록 하였다.

라) 횡구조물

본 항목은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인공구조물의 방해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이다. 국내

하천의 대표적인 특성이라고도 할 수 있는 보의 설치 여부는 어류의 이동성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항목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

시하였다.

마) 하도의 자연성

하도가 자연적으로 사행되어 있을수록 생태적 건강성이 양호하다. 한편 인위적으로 정비되었

으나, 저수로가 사행되어 있으면 그나마 생태적 건강성이 좋으며, 저수로마저 인공적으로 직강

화 되어 있으면 생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① 정비하지 않은 자연 사행하천: 자연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함.

② 정비되었으나 하도, 저수로 사행유지: 하천은 정비되었으나, 하도와 저수로는 사행을 유

- 392 -

지함.

③ 하도 직강화, 저수로 사행: 하천은 정비되어 하도가 직강화 되었으나, 저수로는 사행을

유지함.

④ 하도, 저수로의 직강화: 하천이 정비되어 하도와 저수로는 사행을 유지하지 못하고 직강

화된 경우. 일부 구간에서 직강화는 되었으나, 저수로 폭은 변화를 유지함.

⑤ 저수로의 인공 (일정 폭) 직강화: 하도와 저수로가 콘크리트 등으로 일정한 폭으로 인위

적으로 직강화된 경우

바) 저수로 호안공

저수로 호안은 홍수시 완전히 물에 잠기고 저수시에는 드러나는 곳으로 수역과 육역을 연결

하는 공간으로써 생물의 이동과 생태계의 연속성 확보를 고려해야 한다. 본 항목의 경우 좌우

안이 같을 경우와 다를 경우로 나뉘어 있으며, 둘 중 한가지 기준을 적용하였다. 저수로 호안은

고수부지와 수역의 물질교환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 구조인가에 따라 등급이 달라진다. 따라

서 호안블록이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성 호안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사석 또는 석축 등의 투

수성 호안, 여기에 인공 식생을 더한 경우, 목책 등 자연소재와 인공식생 호안 혼합, 호안공이

없는 자연 상태 등의 순서로 바람직하다. 호안공이 좌, 우안 다르게 설치된 경우 지배적인 형태

로 결정하며, 좌, 우안 동등 비율로 서로 다른 호안공이 설치될 경우 좌, 우안 각각 판단하고,

산술 평균하여 평균 점수를 산정하였다.

사) 제방호안 재료

제방은 하천구역과 비하천구역을 차단하는 인공구조물로써, 생태계의 연속성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 저수로 호안과 마찬가지로 재료의 인공화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불투수성 제방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자연형 호안블록 (투수성), 여기에 인공식생

을 포함한 경우, 인공흙 제방 (자연식생, 잔디식재), 인공 제방이 없는 경우로 구분하여 판단한

다. 호안재료가 좌, 우안 다를 경우 지배적인 형태로 결정하며, 좌우안 동등 비율로 서로 다른

재료일 경우 좌, 우안 각각 판단하고, 산술 평균하여 평균 점수를 산정하였다.

아) 둑 바깥쪽 토지 이용

하천의 생태계 및 수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이 토지 이용이다. 이는 인간이 하천에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다. 우리나라 하천은 대부분이 인공제방으로 고수부지와 둑 바깥

쪽 토지의 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으므로 토지이용이 하천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보다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육안으로 관찰하며, 하천 제방에서 둑 바깥쪽으로 500 m에 한하여, 판단

구간의 지배적인 토지이용에 해당하는 것을 택하되, 시가지나 주거지, 경작지 및 자연상태로 구

분하여 판단한다. 경작지의 비중이 크고, 홍수시 대규모의 토사 및 오염원 유입이 우려될 경우

Page 20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93 -

별도로 명시하였다.

자) 둑 안쪽 토지 이용

둑 안쪽 고수부지 (둔치)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가장 많이 훼손된 하천구역의 하나로, 도시

하천은 하상도로, 주차장, 체육시설 등으로, 농촌지역은 경작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하천환

경에 불리한 상황이다. 향후 하천의 복원이라는 관점에서는 상기한 모든 시설을 철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장이나 체육시설 등 불투수성 재료로 덮인 경우, 경작지, 인공 식생지, 자연 상

태로 구분하여 판단하였다.

차) 오염원 유입 및 정화시설

하천의 유역으로부터 오염원이 유입되면 하천 수질 및 생태에 영향을 미친다. 생활 하수나

공장 폐수, 축산 폐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하천의 수질을 보전하고 생태계

를 보호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다. 오염원의 유입이 없는 경우가 가장 좋고, 유입은 되지만

오염정화시설을 갖추어서 하천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차선책으로 하였다. 오염원의

심한 유입으로 하천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질정화시설을 갖추지 않는 경우를 제일

나쁜 것으로 구분하였다.

3) 평가 거리 설정

각 조사지점별 평가거리는 항목에 따라 차이를 두었다.

가) 기본 기준

조사정점 (GPS 기록지점)에서의 수로폭에 20 m를 곱하여 나온 거리를 평가거리로 하였다.

예를 들어 정점의 수로폭이 32 m였다면 640 m가 평가거리가 된다.

나) 예외

① 평가거리는 최대 2 km이다. 즉, 위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했을 경우 2 km가 초과된다면

2 km 이내의 특성만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정점의 수로폭이 132 m였다면 기준에 따른

평가거리는 2,640 m가 되며, 따라서 2 km 이내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단, 이는 평가거

리 결정을 위한 것이며, 평가 현지조사표에의 수로폭 기록은 실측된 값을 그대로 기입

하였다.

② 평가항목 중 연번 2와 3 (각각 하천변폭 및 저질상태)은 생물상 조사와 동일한 평가거

리에 대해 실시하였다. 기본적으로 200 m로 하며, 정점을 중심으로 상류방향 100 m, 하

류방향 100 m로 하였다.

- 394 -

4) 평가 방법

각 지점에 대하여 상기 10개 항목을 평가한 후 <표 6.3.16>에 제시되어 있는 평가 기준을 이

용하여 조사지점의 서식 및 수변환경의 평가 등급을 산정하였다.

등급구분 환경상태 점수 범위 의미

A 최적 41~50 전체적으로 자연성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서식환경 역시 양호함

B 양호 31~40 서식환경 및 자연상태를 유지하지만 부분적으로 제한요인이 있음

C 보통 21~30 전체적으로 자연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제한 요인이 많음.

D 불량 10~20 심한 훼손으로 자연요소가 상당히 희박하며 서식환경에 제한이 큼.

<표 6.3.16> 서식 및 수변환경 등급 구분

바. 생물서식처 평가

1) 생물서식처 평가방법

생물서식처 평가는 조사지점의 하천차수에 따라 평가방법이 다르므로 조사지점의 하천차수를

미리 산정한 후 하천 내 인공․자연적 구조물, 흐름의 다양성, 저질 상태, 제방 내외의 토지 이

용 등 수변서식환경을 생물서식처 평가 조사지에 기록하였다 (표 6.3.17, 표 6.3.18).

가) 하천차수 (Stream order): 1~3차 하천

(1) M1. 하천 서식지 구성: 조사지점에서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 나무, 밑부분이 파

인 등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장소의 비율 산출

(2) M2. 하상 매몰도: 조사지점의 바위, 자갈 등이 고운 침전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비율

을 산출하는 것으로 모래에 대한 자갈의 비율로도 산출 가능

(2) M2. 소 (Poor)의 하상구조 특성: 자갈, 모래, 뻘 등 소 지점의 하상구조의 구성과 수생

식물의 분포 정도에 따라 산출

(3) M3. 하천 유량: 유량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로써 수로의 유량 상태와 하상의 노출정도

를 통해 산출

(3) M3. 하천 유량: 유량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로써 수로의 유량 상태와 하상의 노출정도

를 통해 산출

Page 20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95 -

(4) M4. 소규모 댐의 건설 유무: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 200 m~하류 200 m)이

내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인공구조물, 인공보, 댐 등의 유무를 통해 산출

(4) M4. 소규모 댐의 건설 유무: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 200 m~하류 200 m)이

내에서 물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인공구조물, 인공보, 댐 등의 유무를 통해 산출

(5) M5. 하천 변경도: 조사 하천의 인공 제방이나 인공 조형물과 같은 하천 환경의 개발

정도를 통해 산출

(6) M6. 침전물 축적도: 자갈, 점토, 모래 등 침전물의 축적으로 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의

정도를 통해 산출

(5) M5. 하천 변경도: 조사 하천의 인공 제방이나 인공 조형물과 같은 하천 환경의 개발 정

도를 통해 산출

(6) M6. 침전물 축적도: 자갈, 점토, 모래 등 침전물의 축적으로 물 밖으로 드러난 부분의

정도를 통해 산출

- 396 -

생물서식처 메트릭환경상태

최적 (A) 양호 (B) 보통 (C) 불량 (D)

M1. 하천 서식지 구성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나무, 밑부분이 파인 등의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장소의비율이 >50%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나무, 밑부분이 파인 등의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장소의비율이 30~50%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나무, 밑부분이 파인 등의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장소의비율이 10~30%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나무, 밑부분이 파인 등의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장소의비율이 <10%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2. 하상 매몰도

바위, 자갈 등이 고운 침전물에의해 <30%정도 둘러싸여 있는경우 (모래에 대한 자갈의 비율이>70%)

바위, 자갈 등이 고운 침전물에의해 30~60% 정도 둘러싸여있는 경우 (모래에 대한 자갈의비율이 70%~40%)

바위, 자갈 등이 고운 침전물에의해 60~80% 정도 둘러싸여있는 경우 (모래에 대한 자갈의비율이 40%~20%)

바위, 자갈 등이 고운 침전물에의해 >80% 둘러싸여 있는 경우(모래에 대한 자갈의 비율이<20%)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3. 하천 유량유량이 풍부하여 하천 제방의낮은 부분까지 수위가 차고하상이 거의 노출되지 않음

수로의 75% 이상 물로 채워져있고 수로의 25% 미만의 하상이드러남

수로의 25~75%가 물로 채워져있고 하상의 대부분이 드러남

유량이 매우 적고 흐름이 거의없음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4. 소규모 댐의 건설 유무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흐름을 방해하는 어떠한 조형물도없음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인공댐은 없으나 일부인공물/자연물에 의해 흐름이차단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인공보는 1개 존재하고부분적으로 흐름이 차단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 보및 댐이 존재하고 물의 흐름이거의 완전하게 차단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5. 하천 변경도 개발이 거의 되지 않았거나 자연그대로의 하천

과거 개발로 인한 일부 인공 제방흔적을 제외하고 최근 만들어진인공 조형물이 없음

40~80%가 인공적으로 만든제방으로 되어 있고 인공조형물이 곳곳에 존재

제방의 80%이상이 시멘트로 덮여있거나 서식처가 크게 변형됨(직강화).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6. 침전물 축적도 침전물의 축적으로 물밖으로드러난 부분이 없거나 <10%

자갈, 모래, 점토 등이 쌓여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이 10~40%

자갈, 모래, 점토 등이 쌓여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이 40~60%

자갈, 모래, 점토 등이 쌓여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이 >60%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모델값 120 ~ 96 90 ~ 66 60 ~ 36 30 ~ 6

<표 6.3.17> 하천차수 1~3차 하천의 생물서식처 평가 기법

Page 20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97 -

생물서식처 메트릭환경상태

최적 (A) 양호 (B) 보통 (C) 불량 (D)

M1. 하천 서식지 구성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 나무,밑부분이 파인 등의 서식처가 될수 있는 장소의 비율이 >30%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 나무,밑부분이 파인 등의 서식처가 될수 있는 장소의 비율이 20~30%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 나무,밑부분이 파인 등의 서식처가 될수 있는 장소의 비율이 5~20%

큰 바위, 자갈, 물에 잠겨있는 나무,밑부분이 파인 등의 서식처가 될수 있는 장소의 비율이 <5%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2. 소 (Pool)의 하상구조 특성자갈과 단단한 모래가 고르게분포되어있어 수생식물이일반적으로 잘 분포

부드러운 모래와 진흙으로이루어져 있고 수생식물이듬성듬성 분포

수생식물 약간 있거나 거의 없고하상이 진흙/뻘로 이루어짐

하상이 뻘로만 이루어지고평평하며 수생식물이 존재하지않음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3. 하천 유량유량이 풍부하여 하천 제방의 낮은부분까지 수위가 차고 하상이 거의노출되지 않음

수로의 75% 이상 물로 채워져있고 수로의 25% 미만의 하상이드러남

수로의 25~75%가 물로 채워져있고 하상의 대부분이 드러남

유량이 매우 적고 흐름이 거의없음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4. 소규모 댐의 건설 유무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흐름을 방해하는 어떠한 조형물도없음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인공댐은 없으나 일부인공물/자연물에 의해 흐름이 차단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인공보는 1개 존재하고 부분적으로흐름이 차단

조사지점을 중심으로 400 m (상류200 m~하류 200 m)이내에서 보및 댐이 존재하고 물의 흐름이거의 완전하게 차단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5. 하천 변경도 개발이 거의 되지 않았거나 자연그대로의 하천

과거 개발로 인한 일부 인공 제방흔적을 제외하고 최근 만들어진인공 조형물이 없음

40~80%가 인공적으로 만든제방으로 되어 있고 인공 조형물이곳곳에 존재

제방의 80% 이상이 시멘트로 덮여있거나 서식처가 크게 변형됨(직강화).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M6. 침전물 축적도침전물의 축적으로 물밖으로드러난 부분이 없거나 <30%

자갈, 모래, 점토 등이 쌓여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이 30~60%

자갈, 모래, 점토 등이 쌓여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이 60~80%

자갈, 모래, 점토 등이 쌓여물밖으로 드러난 부분이 >80%

메트릭값 20 18 16 15 13 11 10 8 6 5 3 1

모델값 120 ~ 96 90 ~ 66 60 ~ 36 30 ~ 6

<표 6.3.18> 하천차수 4차 이상의 하천의 생물서식처 평가 기법

- 398 -

나) 하천차수 (Stream order): 4차 이상의 하천

조사 하천의 차수가 4차 이상이 되면 1~3차 하천에 비하여 하천의 폭과 길이가 매우 넓어지

므로 구분을 하여 산출하였다. 각 메트릭스의 특성상 비율과 M2에서 차이점을 나타낸다.

2) QHEI 모델의 세부 평가기법

생물서식처 평가를 이용하여 계산한 지수는 <표 6.3.19>에 의거하여 4개의 등급으로 판정하

였고, 해당 조사지점의 BOD 및 NH3-N, NO3-N, TN, TP, PO4-P, Chlorophyll-a의 수질기준과

비교분석하였다.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점수 96~120 66~90 36~60 6~30

<표 6.3.19> QHEI 모델의 평가등급

사. 통계분석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들과 수질항목들과의 상관성 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를 이용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 <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Page 21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399 -

제 4 절 연구결과

1. 부착조류

전국 4대강에서 출현한 부착조류는 총 2목 4아목 12과 53속 510종 103변종으로 총 613종이었

으며, 그 중 호청수성종은 Achnanthes convergens를 비롯하여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등 81종 (13.2%), 호오탁성종은 Navicula pupula, Navicula saprophila 등 44종 (7.2%)이

출현하였다. 각 대권역별 출현종수는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486종으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으며, 한강 대권역 (372종), 금강 대권역 (293종), 낙동강 대권역 (250종) 순으로 나타났

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총 출현종수가 다른 대권역에 비해 높은 이유는 영산강·섬진강 대

권역의 각 수계가 하천특성이 다양하여 많은 종들이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5개 수계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은 총 89종이었으나, 1개 수계(탐진강 수계)에서만

출현한 종은 176종으로 나타나 큰 차이를 나타냈다.

전국 4대강의 각 조사구간별 부착조류 출현종수는 평균 35종으로 최저 8종 (한강 대권역, 한

강고양 중권역, H235, 굴포천01, BOD: 20.9 mg/L,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에서 최고 77

종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섬진강댐 중권역, Y045, 섬진강05, BOD 2.5 mg/L, 전북 임실군 관

촌면 호암리)의 범위를 보였다 (표 6.4.1).

대권역중권역

수(개)

조사구간수

(개)

출현종수 (개) 평균밀도 (cells/cm2)

총 종수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한강 27 320 372 3160

(H247,H253)

8(H235)

851,836 11,907,000(H305)

6,881(H186)

낙동강 33 130 250 3661

(N001)11

(N106)375,932

4,802,767(N056)

10,313(N067)

금강 22 130 293 4067

(G064)14

(G109) 323,4061,046,788

(G103)49,721(G003)

영산강·섬진강 31 140 486 37 77(Y045)

11(Y090)

270,589 2,365,923(Y049)

1,966(Y090)

전국 4대강 113 720 613 3577

(Y045)8

(H235) 557,47811,907,000

(H305)1,966(Y090)

<표 6.4.1>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출현종수 및 밀도

전국 4대강의 부착조류 밀도는 평균 557,478 cells/cm2로 나타났으며 한강 대권역이 평균

851,836 cells/cm2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낙동강 대권역 (375,932 cells/cm

2), 금강 대

- 400 -

권역 (323,406 cells/cm2),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270,589 cells/cm2) 순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

구간별 밀도는 최저 1,966 cells/cm2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보성강 중권역, Y090, 보성강12,

BOD: 1.7 mg/L, 전남 곡성군 죽곡면 유봉리)에서 최고 11,907,000 cells/cm2(한강 대권역, 강릉

남대천 중권역, H305, 강릉남대천03, BOD: 0.8 mg/L,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의 범위를 나타냈

다.

전국 4대강의 부착조류 우점종은 한강 대권역과 낙동강 대권역에서 각각 우점종으로 나타난

Achnanthes minutissima로 전체 부착조류 밀도의 15.4%를 차지했으며, 금강 대권역에서 우점종

으로 나타난 Nitzschia fonticola가 전체 부착조류 밀도의 9.9%를 차지하였다. 가장 높은 누적우

점빈도를 보인 종은 Achnanthes minutissima로서 총 126개 지점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한강 대권역 (68개 지점) 및 낙동강 대권역 (44개 지점)에서 높은 우점빈도를 나타냈다 (그림

6.4.1). 그 밖에도 Achnanthes convergens (82개 지점)가 높은 우점빈도를 나타냈으며, 금강 대

권역에서 높은 우점빈도를 나타냈던 Nitzschia fonticola와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높은 우

점빈도를 나타냈던 Melosira varians가 각각 53회와 35회로 높은 누적우점빈도를 나타냈다.

전국 4대강의 부착조류 Chl-a는 평균 4.5 μg/cm2로 각 조사구간 중 Chl-a가 최대값을 보인

구간은 한강 대권역의 본류 구간 중 충북 충주시 목행동 (남한강 수계, 충주댐 중권역, H042,

한강06, Chl-a: 44.8 μg/cm2, BOD: 1.4 mg/L) 지점이었으며, 최저값을 보인 구간은 영산강․섬

진강 대권역의 섬진강 본류 구간 중 전남 구례군 구례읍 죽마리 (섬진강 수계, 섬진강하류 중권

역, Y094, 섬진강20, Chl-a: 0.0 μg/cm2, BOD: 1.0 mg/L) 지점으로 나타났다. 대권역별 Chl-a

농도는 한강 대권역이 평균 5.7 μg/cm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낙동강 대권역은 5.2 μg/cm

2,

금강 대권역은 3.8 μg/cm2, 영산강․섬진강은 1.9 μg/cm2로 각 대권역간 차이를 나타냈다. 한강

대권역은 0.1~44.8 μg/cm2의 범위로 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은

0.0~8.7 μg/cm2로 가장 변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대강의 부착조류 AFDM은 평균 1.3 mg/cm2로 최대값을 보인 구간은 한강 대권역의

충북 충주시 목행동 (남한강 수계, 충주댐 중권역, H042, 한강 06, AFDM 10.1 mg/cm2, BOD:

1.4 mg/L) 지점이었으며, 최저값을 보인 구간은 낙동강 대권역의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다공

리 (기타 수계, 거제도 중권역, N124, 연초천, AFDM 0.1 mg/cm2, BOD: 3.4 mg/L) 지점으로

나타났다. 대권역별 AFDM은 금강 대권역이 1.7 mg/cm2, 한강 대권역이 1.5 mg/cm2, 낙동강

대권역이 1.3 mg/cm2로 유사한 농도를 나타냈으며,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은 0.7 mg/cm2로 타

대권역에 비해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표 6.4.2).

부착조류를 통한 전국 4대강의 건강성 평가는 ‘보통’ 수준으로 전체 720개 조사구간 중 197개

구간이 ‘보통’ (27.4%), 189개 구간이 ‘양호’ (26.3%), 182개 구간이 ‘불량’ (25.3%), 152개 구간이

‘최적’ (21.1%)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에 의한 평가에서는 전반적으

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표 6.4.2).

Page 21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01 -

Cumulative dominant frequences (No.)

0 20 40 60 80 100 120 140

Achnanthes minutissimaAchnanthes convergens

Nitzschia fonticolaMelosira varians

Nitzschia inconspicuaNitzschia amphibia

Nitzschia paleaFragilaria elliptica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Fragilaria construens f. venter

Navicula subminusculaFragilaria construens var. binodis

Achnanthes alteragracillimaNitzschia frustulum

Navicula cryptocephalaNavicula minima

Gomphonema pumilumGomphonema parvulum

Cymbella silesiacaFragilaria capucina

Synedra ulnaCymbella affinis

Cyclotella meneghinianaCocconeis placentula

Cyclotella atomusFragilaria construens

Achnanthes conspicuaNavicula saprophila

Diatoma vulgarisFragilaria capucina var. vaucheriae

Hannaea arcus var. amphioxysCymbella minuta

Gomphonema clavatumNavicula pupula

Navicula seminulumFragilaria (other)

Achnanthes minutissima var. saprophilaAchnanthes subhudsonis

Cymbella tumidaGomphonema clevei

Gomphonema pseudotenellumNavicula cryptotenella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recensSurirella minuta

Aulacoseira granulataFragilaria arcusHannaea arcus

Hannaea arcus var. subarcusSynedra fasciculata

Achnanthes catenataAchnanthes exigua

Achnanthes lanceolataAchnanthes minutissima var. gracillima

Achnanthes minutissima var. jackii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Navicula cinctaNavicula nivalis

Navicula perminutaNavicula (other)

Nitzschia paleacea

> 50% (N=21~126)

< 22% (N=9~16)

< 16% (N=3~8)

<5% (N=2)

<그림 6.4.1> 전국 4대강 부착조류군집의 우점종 및 누적우점빈도

- 402 -

대권역중권역수

(개)

조사구간수

(개)

Chl-a (μg/cm2) AFDM (mg/cm

2)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한강 27 320 5.744.8

(H042)0.1

(H119 외 4구간) 1.510.1

(H042)0.1

(H161 외 7구간)

낙동강 33 130 5.2 19.4(N112)

0.4(N105)

1.3 7.5(N068)

0.1(N060, N124)

금강 22 130 3.839.3

(G003)

0.0(G117, G122,

G130)1.7

8.4(G031)

0.3(G112, G116)

영산강ㆍ섬진강 31 140 1.9 8.7(Y076)

0.0(Y094)

0.7 2.0(Y112)

0.2(Y057, Y078)

전국 4대강 113 720 4.5 44.8(H042)

0.0(Y094)

1.3 10.1(H042)

0.1(N124 외 9구간)

<표 6.4.2>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부착조류 엽록소 (Chl-a) 및 유기물량

부착조류를 이용한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건강성 평가결과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는 평

균 56.7로 ‘양호’하며, 한강 대권역은 53.7 (‘양호’)로 가장 좋은 것으로, 금강 대권역은 66.6 (‘보

통’)으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 대권역에서 ‘최적’으로 평가된 구간들은 주로 강원도

에 위치하며, 대부분 BOD 2.0 mg/L 이하로 양호한 수질을 보이는 구간들로 나타났다. 금강 대

권역은 대전, 공주, 논산, 익산, 전주, 천안 등 도심을 통과하거나, 토사 유입, 쓰레기 투기 등으

로 인한 영향으로 ‘불량’으로 평가된 지점들이 전체의 46.9%를 차지하여 전국 4대강 중 가장 건

강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표 6.4.3).

대권역 조사구간수(개)

TD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한강 320 53.7 양호 81 (25.3) 85 (26.6) 96 (30.0) 58 (18.1)

낙동강 130 55.6 보통 38 (29.2) 32 (24.6) 20 (15.4) 40 (30.8)

금강 130 66.6 보통 12 (9.2) 28 (21.5) 29 (22.3) 61 (46.9)

영산강ㆍ섬진강 140 55.4 보통 21 (15.0) 44 (31.4) 52 (37.1) 23 (16.4)

전국 4대강 720 56.7 보통 152 (21.1) 189 (26.3) 197 (27.4) 182 (25.3)

<표 6.4.3> 전국 4대강 대권역별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건강성 평가결과는 모두 평균 ‘보통’ 수준으로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나, 독립 하천들은 ‘보통’ 및 ‘불량’ 등급의 구간 비율이 본류 및 지류 하천들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대강 총 389개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 중 건강성이 ‘최적’인 하천은 총 64개 하천으로

Page 21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03 -

주로 남한강, 북한강, 낙동강, 섬진강의 본류 혹은 주요 지류의 상류로 유입되는 하천들과 동해

로 유입되는 독립수계의 하천들로 주변의 환경이 주로 숲이나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염

원의 유입이 적고 자연형인 하천들이 이에 해당하였다. 반대로 건강성이 ‘불량’으로 평가된 하천

들은 주로 한강 본류 수계 및 금강, 영산강 수계의 지류 하천들과 한강 대권역 기타 수계 중

서해 유입천 및 낙동강 대권역의 태화강 수계, 금강 대권역의 삽교천 수계, 영산강․섬진강 대

권역의 제주 수계 하천들로 서울, 상주, 대전, 광주 등의 도시를 관통하거나 주변의 토지가 농경

지로 이용되는 하천들이 이에 해당되었다.

하천별 건강성 평가결과 하상이 주로 자갈 및 호박돌로 구성되어 있어 부착조류의 서식에 적

합하고, 주변에 오염원이 없어 바닥까지 보일 정도로 맑은 하천인 현동천 (낙동강 대권역)의 부

착조류 영양염지수 (TDI)는 21.2로 720개 조사구간 중 가장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건강성이 낮게 평가된 하천은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가 98.6인 월하천 (금강 대권역)

으로, 유기오염에 내성이 강한 호오탁성 종인 Navicula minima가 65.0% 이상의 매우 높은 점

유율을 보였으며 조사시 하천변 제방 공사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추정된다.

하천하천수

(개)

조사구간수

(개)

TD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본류 5 96 56.1 보통 23 (24.0) 25 (26.0) 24 (25.0) 24 (25.0)

지류 267 455 55.8 보통 98 (21.5) 133 (29.2) 121 (26.6) 103 (22.6)

독립 117 169 59.6 보통 31 (18.3) 31 (18.3) 52 (30.8) 55 (32.5)

전국 4대강 389 720 56.7 보통 152 (21.1) 189 (26.3) 197 (27.4) 182 (25.3)

<표 6.4.4>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와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

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특히 BOD, TN 등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Chl-a는 다른 수질항목

에 비해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다. 각 대권역별 상관성 분석 결과 4대강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는 모든 수질항목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표 6.4.5).

대권역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

한강 (n=320) 0.481** 0.452** 0.256** 0.469** 0.272** 0.285** 0.174**

낙동강 (n=130) 0.290** 0.305** 0.225* 0.326** 0.39** 0.378** 0.211*

금강 (n=130) 0.440** 0.336** 0.277** 0.323** 0.319** 0.263** 0.191*

영산강ㆍ섬진강 (n=140) 0.242** 0.218** 0.108 0.269** 0.271** 0.326** -0.297**

전국 4대강 (n=720) 0.394** 0.352** 0.250** 0.338** 0.273** 0.265** 0.170**

* p < 0.05, ** p < 0.01

<표 6.4.5>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와 수질과의 상관도

- 404 -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전국 4대강 720개 조사구간 내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9강 26목 123과

410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종수는 15종이었다. 각 대권역별 총 출현종수는 한강 대권역이 321

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낙동강 대권역 (235종),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214종), 금강 대권역

(203종) 순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구간별 총 출현종수는 한강 대권역의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운장리 (임진강․한탄강 수계, 한탄강 중권역, H251, 김화남대천01, BOD: 1.3 mg/L) 지점에서

57종으로 가장 많았고, 한강 대권역의 서울 구로구 고척동 (한강본류 수계, 한강서울 중권역,

H198, 안양천02, BOD: 5.3 mg/L)과 낙동강 대권역의 수영강 (기타 수계, 수영강 중권역, N106,

수영강01, BOD: 2.8 mg/L)에서 2종이 출현하여 가장 적었다. 분류군별로는 수서곤충류 중 유수

생태계의 대표 분류군인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66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비곤충류에서는 연체동물문이 41종이 출현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요 생물자원으로는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에 해당하는 기수

갈고둥과 (Netritidae)에 속한 기수갈고둥 (Clithon retropictus)이 전라남도 나주 일대 (지석천,

Y022; 화순천, Y024), 함평 일대 (학산천, Y039), 해남 일대 (월성천, Y113), 장흥 일대 (수문천,

Y115)에서 37개체/m2가 출현하였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하루살이목 4종 (금빛하루

살이, Potamanthus (Potamanthodes) yooni; 가람하루살이, Potamanthus (Potamanthus) luteus

oriens; 장수하루살이, Rhoenanthus (Potamanthindus) coreanus; 가는무늬하루살이, Ephemera

separigata), 잠자리목 1종 (청실잠자리, Lestes sponsa), 강도래목 4종 (총채민강도래,

Amphinemura coreana; 한국큰그물강도래, Pteronarcys macra; 한국강도래, Kamimuria

coreana; 두눈강도래, Neoperla quadrata), 딱정벌레목 1종 (등줄물방개, Copelatus koreanus),

날도래목 1종 (연날개수염치레각날도래; Stenopsyche bergeri)으로 총 11종이 출현하였다.

전국 4대강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밀도는 평균 1,979개체/m2이고, 금강 대권역에

서 평균 2,993개체/m2로 가장 높았으나,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839개체/m2로 가장 낮았다.

지점별 출현 개체밀도는 한강 대권역 중 한탄강 중권역에 위치한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H258, 신천03, BOD: 11.3 mg/L) 지점에서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가 58,756개체/m2 출현

하여 총 58,906개체/m2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운천리 (임진강하류 중권역,

H246, 임진강09, BOD: 2.4 mg/L)에서 11개체/m2로 가장 낮았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

수 점유율은 하루살이목이 26.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날도래목 24.0%, 파리목

23.6%, 환형동물문 19.4%로 나타났고, 다른 비곤충류 및 수서곤충류의 개체수 점유율은 2% 미

만이었다 (표 6.4.6).

Page 21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05 -

대권역총종수

비곤충류 수서곤충류평균

개체밀도(개체/m2)

편형동물문

유선형동물문

연체동물문

환형동물문

갑각강

하루살이목

잠자리목

강도래목

노린재목

뱀잠자리목

딱정벌레목

파리목

날도래목

나비목

풀잠자리목

한강 321 4 1 29 16 10 62 24 25 10 2 34 43 60 1 0 2,384

낙동강 235 1 1 27 18 9 43 29 11 6 2 19 24 45 0 0 1,195

금강 203 2 1 24 14 10 38 21 8 9 2 24 18 30 2 0 2,993

영산강ㆍ섬진강 214 2 1 28 14 11 51 22 6 5 2 23 15 32 1 1 893

전국 4대강 410 4 1 41 25 17 66 49 25 13 2 48 50 66 2 1 1,979

<표 6.4.6>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및 개체수밀도 (개체/m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은 종의 구분이 어렵고 모든 수계에서 분포하는 깔따구류

(non-red type)는 제외하고 산출하였다. 전체 조사구간에서 상대 출현빈도가 상위 70%에 해당

하는 종은 총 12종으로, 도심지를 관류하며 인위적인 교란이 큰 경우와 서식처가 모래 또는 뻘

등의 단순한 서식처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내성범위가 넓고 광범위하게 서식하는

오염 수계 지표생물인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가 22.5%로 가장 높았고, 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등줄하루살이

(Uracanthella rufa), 개똥하루살이 (Baetis fuscatus), 흰점줄날도래 (Hydropsyche valvata), 깔

따구류 (Chironomidae spp. (red type)), 부채하루살이 (Epeorus pellucidus), 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 등이 출현하였다. 우점종인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는 한

강 대권역과 금강 대권역에서 각각 29.0%와 23.0%의 우점율을 나타냈으며, 아우점종인 꼬마줄

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는 금강 대권역과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각각

14.5%와 1.2%의 우점율을 나타냈다. 총 720개 조사구간 내에서 1회 이상 우점하여 출현한 종은

총 81종이며, 깔따구류 (Chironomidae spp. (red type))가 96회 (13.1%)로 가장 많이 우점하였고,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가 83회 (11.5%)로 아우점종으로 나타났다. 20회 이상 출현한 종

은 7종으로 꼬마줄날도래 (Cheumatopsyche brevilineata),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개똥하루살이 (Baetis fuscatus), 등줄하루살이 (Uracanthella rufa), 네점하루

살이 (Ecdyonurus levis) 등이 우점하였고, 20회 이하 출현한 종은 72종으로 나타났다.

전체 4대강에서 평균 군집지수는 우점도지수 (DI)가 0.7 (±0.2), 다양도지수 (H')가 2.4 (±0.9),

균등도지수 (J')가 0.6 (±0.1), 풍부도지수 (RI)가 2.0 (±1.0)이었다. 대권역별 군집지수는 영섬

강․섬진강 대권역에서 우점도지수가 0.6로 가장 낮았고, 다양도지수는 2.5, 균등도지수는 0.7,

풍부도지수는 2.2로 나타났으며, 금강 대권역에서 우점도지수가 0.7로 가장 높았고, 다양도지수

는 2.1, 균등도지수는 0.6, 풍부도지수는 1.9로 산출되었다. 풍부도지수는 낙동강 대권역에서 1.7

로 최소값을 나타냈다. 지점별 군집지수 중 우점도지수 (DI)는 0.2 (G014, 금강18, 충청북도 옥

천군 동이면 적하리)에서 1.0 (H190, 도림천01,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의 범위를 보였으며, 다

- 406 -

양도지수는 0.1 (H213, 정릉천0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에서 4.3 (G014, 금강18, 충청북도 옥

천군 동이면 적하리)의 범위를 나타냈다. 균등도지수는 0.0 (H213, 정릉천01, 서울시 성북구 하

월곡동)에서 1.0 (H198, 안양천 02, 서울시 구로구 고척동)의 범위를, 풍부도지수는 0.1 (N106,

수영강01, 부산시 수영구 수영동)에서 5.1 (G004, 금강10,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용포리)의 범

위를 보였다(표 6.4.7).

수계 조사구간수(개)

군집지수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 (H') 균등도지수 (J') 풍부도지수 (RI)

한강 320 0.6 2.4 0.6 2.1

낙동강 130 0.7 2.3 0.7 1.7

금강 130 0.7 2.1 0.6 1.9

영산강․섬진강 140 0.6 2.5 0.7 2.2

전국 4대강 720 0.7 2.4 0.6 2.0

<표 6.4.7>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지수

전국 4대강의 건강성 평가를 위해 모든 조사구간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

하여 산출한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Korean Saprobic Index)값은 1.7 (±1.2)의 환경상태는 ‘양

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 조사구간 중 ‘최적’인 구간은 총 300개 구간으로 41.7%를 차지하

였으며, ‘양호’인 구간은 224개 (31.1%), ‘보통’인 구간은 129개 (17.9%), ‘불량’인 구간은 67개

(9.3%)를 나타냈다. 대권역별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한강 대권역에서 1.5로 최소값을, 금강

대권역에서 1.9로 최대값을 나타냈으나, 환경상태는 모든 대권역에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

다. ‘최적’인 구간은 한강 대권역에서 175개 조사구간으로 최대 54.7%를 차지하였으며, 영산강․

섬진강 대권역에서 40개 조사구간으로 최소 28.6%를 나타냈다. 반면 ‘불량’인 구간은 영산강․

섬진강 대권역에서 6개 조사구간으로 최소 4.3%를, 금강 대권역에서 18개의 조사구간으로 최대

13.8%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금강 대권역은 인구 밀집지나 공업지대 등 오염원의 유입이 쉬운

영향으로 인하여 한국오수생물지수 (KSI)의 값이 가장 높게 산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 6.4.8).

대권역조사구간수

(개)

KS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한강 320 1.5 양호 175 (54.7) 62 (19.4) 46 (14.4) 37 (11.6)

낙동강 130 1.7 양호 43 (33.1) 58 (44.6) 23 (17.7) 6 (4.6)

금강 130 1.9 양호 42 (32.3) 43 (33.1) 27 (20.8) 18 (13.8)

영산강ㆍ섬진강 140 1.8 양호 40 (28.6) 61 (43.6) 33 (23.6) 6 (4.3)

전국 4대강 720 1.7 양호 300 (41.7) 224 (31.1) 129 (17.9) 67 (9.3)

<표 6.4.8>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값 및 등급 분포

Page 21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07 -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KSI) 값은

1.8 (±1.2), 1.5 (±1.1), 2.1 (±1.2)로 산출되었으며, 환경상태는 모두 ‘양호’ 수준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적’인 구간은 지류 하천에서 222개 지점으로 48.8%의 비율을 나타냈으며, 지

류 하천 중 주로 유속이 빠르고 하상구조가 다양한 산간 계곡이나 오염원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하천이 해당하였다. 반면, ‘불량’인 구간은 독립 하천에서 27개 지점으로 16.0%의 비율을

나타냈으며, 삽교천 같이 도심지를 통과하거나 주변에 공업지대, 혹은 수변부 공사 진행 중인

지점 등이 해당하였다 (표 6.4.9).

하천별 건강성 평가결과 하상의 대부분이 호박돌과 자갈로 이루어진 평지하천으로 옆새우류

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난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도근천이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0.0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도심이나 인구밀집지에 위치해 오염원의 유입이 많은 하천인

한강 대권역의 도림천, 정릉천이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4.8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하천수

(개)

조사구간수

(개)

KS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본류 5 96 1.8 양호 35 (36.5) 32 (33.3) 20 (20.8) 9 (9.4)

지류 267 455 1.5 양호 222 (48.8) 134 (29.5) 68 (14.9) 31 (6.8)

독립 117 169 2.1 양호 43 (25.4) 58 (34.3) 41 (24.3) 27 (16.0)

전국 4대강 389 720 1.7 양호 300 (41.7) 224 (31.1) 129 (17.9) 67 (9.3)

<표 6.4.9>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값 및 등

급 분포

전국 4대강에서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값과 모든

수질 항목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BOD

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고, Chl-a와 상관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권역별 상관도는 각 수질

항목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BOD, TN, NH3-N, TP, PO4-P에서

유의하게 산출되었으며, NO3-N 및 Chl-a와는 유의하지 않았다 (표 6.4.9).

- 408 -

대권역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

한강 (n=320) 0.636** 0.608** 0.414** 0.629** 0.442** 0.466** 0.331**

낙동강 (n=130) 0.382** 0.288** 0.165 0.313** 0.411** 0.393** 0.276**

금강 (n=130) 0.418** 0.416** 0.449** 0.278** 0.353** 0.243** 0.204*

영산강ㆍ섬진강 (n=140) 0.400** 0.178* 0.243** 0.141 0.330** 0.389** -0.153

전국 4대강 (n=720) 0.524** 0.452** 0.373** 0.419** 0.395** 0.387** 0.155**

* p < 0.05, ** p < 0.01

<표 6.4.10>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KSI)와 수질과의 상관도

3. 어류

전국 4대강 대권역에서 채집된 전체 담수어류는 총 14목 29과 134종 179,590개체가 출현하였

다. 각 대권역별로 살펴본 결과, 한강 대권역에서 출현한 어종이 100종으로 가장 다양한 어종이

출현하였으며, 금강 대권역 78종,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75종, 낙동강 대권역 75종 순으로 나타

났다. 각 조사구간별 출현종수는 평균 10.7종으로 채집이 불가능했던 구간부터 최대 29종 (금강

대권역, 대청댐 중권역, G021, 소옥천02, 충북 옥천군 군북면 지오리)까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

었다. 특히 건천화, 수질오염 등으로 채집이 불가능한 구간의 경우, 한강 대권역이 8개 구간으

로 가장 많았으며 낙동강 대권역 2개 구간,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각각 1개 구간으로 나

타났다.

전국 4대강 대권역에서 채집된 어류를 분석한 결과, 그 중 피라미 (Zacco platypus)가 전체

어종의 31.4% (56,377개체)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였고, 참갈겨니 (Zacco koreanus)

가 11.6% (20,859개체)를 차지하며 아우점하고 있었다. 그 외 전체 어종 중 약 3% 이상 채집된

어종은 돌고기 (Pungtungia herzi) 4.0% (7,176개체),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3.1% (5,569개체)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나머지는 3% 미만으로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2.9%, 붕어 (Carassius auratu) 2.7%, 밀어 (Rhinogobius brunneus)

2.6%,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2.5%, 끄리 (Opsar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2.2%,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2.0% 순으로 출현하였다. 특히 우점종 피라미 (Zacco

platypus)의 경우 전국 4대강 대권역 전체 720개 조사구간 중 585개 조사구간 (81.3%)에서 평균

96.4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구간에 따라 0개체에서 1,220개체까지 다양하게 채집되어 4대강 대권

역의 대표어종이라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4대강 본류 (91종)에 비해 지류에서 105종이 출현

하였으며, 독립 수계에서도 105종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기간 중 채집 조사된 법적보호종은 16종 2,003개체였으며, 총 채집 어류 17,9590개체

의 1.1% 수준을 보였다. 이들 중 천연기념물은 어름치 (Hemibarbus mylodon) (천연기념물 제

Page 21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09 -

238호, 259호)와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천연기념물 제 454호) 2종으로 각각 317개체와 6

개체가 채집되었다. 어름치 (Hemibarbus mylodon)는 기존 보고대로 한강 대권역에서만 채집되

었으며,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또한 금강 대권역에서만 채집되어 대권역별로 서식범위가

한정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어름치 (Hemibarbus mylodon)는 한강 대권역에서도 남한강, 북한

강, 한탄강 수계 등 모두 22개 구간에서 채집되어 비교적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지만,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는 금강 수계에서 2개 구간 6개체만이 채집되었고, 미호

종개 (Iksookimia choii)가 채집된 지역 또한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서식이 보고되었던

기존의 하천 (미호천, 갑천)의 중․상류지역에 분포하였다. 특히, 채집된 6개체 중 갑천 중권역

(G028, 갑천05-1;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동)에서 5개체가 채집된 반면, 미호천 중권역 (G035,

미호천04;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에서는 1개체만이 채집되었다. 따라서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의 원 서식지인 미호천에서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다. 멸종위기종은 전체 15종 1,686개체가 채집되어 전체 개체수 중 0.9% 수준을 보였으며, 멸종

위기종I급이 5종 239개체 (0.13%), 멸종위기종II급이 10종 1,447개체 (0.8%)가 출현하였다. 이 중

한강 대권역에서는 가는돌고기 (Pseudopungtungia tenuicorpa),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둑중개 (Cottus koreanus),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잔가시고기 (Pungitius kaibarae),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등 모두 멸종위기종II급에 해당하는 8종 1,246개체가 출현하였다. 낙동강 대권역

에서 멸종위기종I급은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와 흰수마자 (Gobiobotia

nakdongensis) 등 2종 83개체가 채집되었고, 멸종위기종II급은 한둑중개 (Cottus hangiongensis)

1종 3개체가 채집되었다. 금강 대권역에서는 천연기념물이며 멸종위기종I급인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를 포함하여, 멸종위기종I급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 퉁사리

(Liobagrus obesus) 및 멸종위기종II급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등 총 5종 199개체가 채집되었고,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멸종위기종II급 다묵

장어 (Lethenteron reissneri), 임실납자루 (Acheilognathus somjinensis) 등 2종 155개체가 채집

되었다 (표 6.4.10).

- 410 -

대권역 출현종수 (종) 개체수 (%) 종명

한강 9 1,563 (2.0)가는돌고기, 가시고기, 꾸구리, 돌상어, 둑중개, 묵납자루,어름치, 잔가시고기, 한둑중개

낙동강 3 86 (0.47) 얼룩새코미꾸리, 흰수마자, 한둑중개

금강 5 199 (0.4) 감돌고기, 꾸구리, 돌상어, 미호종개, 퉁사리

영산강․섬진강 2 155 (0.5) 다묵장어, 임실납자루

전국 4대강 16 2,003 (1.1)가는돌고기, 가시고기, 꾸구리, 돌상어, 둑중개, 묵납자루,어름치, 잔가시고기, 한둑중개, 얼룩새코미꾸리, 흰수마자,감돌고기, 미호종개, 퉁사리, 다묵장어, 임실납자루

<표 6.4.11> 전국 4대강 어류 법적보호종 분포 현황

전국 4대강 대권역에서 채집된 외래종은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이스라엘

잉어 (Cyprinus carpio)로 총 5종 3,453개체로 나타났으며, 전체 채집 어류의 1.9%로 나타났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우점도를 보인 배스 (Micropterus salmoides)는 2,174개체 (1.2%)가 채집되

었고,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653개체 (0.36%)가 출현하였다. 아열대성 어류인 나일틸라

피아 (Oreochromis niloticus)는 한강 대권역과 금강 대권역에서 출현하고 있으며, 수온이 떨어

지는 겨울에는 자연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으나 (김, 1997) 점차적으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이스라엘잉어 (Cyprinus carpio)는 한강 대권역에서 1개체만이 출

현하고 있었다. 외래종 중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경우, 정

수역인 호소나 하천의 흐름이 느린 곳을 선호하고 내성이 높은 종으로 상류하천과 소규모 하천

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대권역 출현종수 (종) 개체수 (%) 종명

한강 5 455 (0.5)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블루길, 배스, 나일틸라피아

낙동강 3 922 (4.0) 떡붕어, 배스, 블루길

금강 4 1,141 (2.3) 나일틸라피아, 떡붕어, 배스, 블루길

영산강․섬진강 3 935 (3.2) 배스, 블루길, 떡붕어

전국 4대강 5 3,453 (1.9)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블루길, 배스, 나일틸라피아

<표 6.4.12> 전국 4대강 어류 외래도입종 분포현황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어류 내성도 특성 분석에 따르면, 내성종 (Tolerance species)은 83,448

개체로 전체 개체수 중 46.5%를, 민감종 (Sensitive species)은 51,149개체가 출현하여 28.5%를

Page 21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11 -

차지하여 전체적으로 내성종이 우점하고 있었다. 중간종 (Intermadiate species)은 44,993개체,

25.1%가 출현하였다. 대권역별로 살펴보면, 한강 대권역은 전체 77,018개체 중 민감종은 30,440

개체가 확인되어 39.5%의 상대풍부도를 나타내었고, 내성종은 29,065개체가 확인되어 39.5%로

출현하였다. 낙동강 대권역은 전체 23,017개체 중 민감종은 7,104개체가 채집되어 30.9%를 차지

하였고, 내성종은 11,330개체 (49.2%)가 출현하였다. 금강 대권역은 민감종이 전체 50,519개체

중 4,555개체 (9.0%)를 차지하였고, 내성종은 30,534개체 (60.4%)로 나타났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은 29,036개체 중 민감종은 9,050개체 (31.2%)를 차지하였고, 내성종은 12,519개체

(43.1%)로 나타나 4대강 대권역 전체가 내성종이 민감종에 비하여 더 높은 상대풍부도를 보였

다. 금강 대권역은 내성종이 민감종에 비하여 6배 이상의 상대풍부도를 보여 이런 높은 내성종

우점현상은 수질 악화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US. EPA (199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

는 바이며, 특히 금강 대권역에서 내성종의 상대풍부도는 만경강 (51.1%) 수계를 포함하여 모두

50% 이상을 상회하여 내성종의 단연 우세현상을 보였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경우, 섬진

강 수계는 내성종이 38.9%, 민감종이 36.3%로 내성종이 미세한 우위를 보였으나, 영산강 수계

에서는 민감종이 8.9%인 반면 내성종이 63.7%로 나타나 비하여 7배 이상의 차이를 보여 수질

에 내성이 강한 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어류 섭식 특성 분석에 따르면, 잡식종 (Omnivore)은 89,847개체 (50%),

충식종 (Insectivore)은 75,956개체 (42.3%), 육식종 (Carnivore)은 9,156개체 (5.1%), 초식종

(Herbivore)은 4,631개체 (2.6%)로 나타나 잡식종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육식종은 5.1%

로서, 육식종의 상대빈도가 5.0% 이상일 때 ‘최적’ 상태이며, 1~5%까지는 보통 상태, 1% 미만

인 경우 생태계 악화로 규정한 (US. EPA, 1993) 것에 따르면 육식종 측면에서는 ‘최적’ 상태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 대권역은 충식종 49.7%, 잡식종 43.4%, 육식종 2.3%, 초식종

4.6% 등으로 나타나 충식종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고, 육식종의 상대빈도 측면에서는 보통의

범주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대권역의 경우 충식종이 44.1%, 잡식종이 39.3%, 육

식종이 14.6%, 초식종이 2.1%로 나타나 충식종이 우세하였고, 그 중 참갈겨니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육식종이 14.6%로서 4대강 대권역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며 ‘최적’ 상태

를 보이고 있었다. 금강 대권역은 잡식종은 64.7%, 충식종은 29.0%, 육식종은 5.9%, 초식종은

0.5%로 나타나 잡식종의 단연 우세 현상을 보였고 육식종 측면에서는 ‘최적’ 상태로 분석되었으

며,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는 잡식종은 50.6%, 충식종은 44.5%, 육식종은 3.7%, 초식종은

1.2%로 나타나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또한 잡식종의 우세현상을 보였고 육식종 측면에서는 보

통 상태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낙동강을 제외한 나머지 대권역에서는 잡식종이 우세한 경향

을 보이고 있었다.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등급 분석에 따르면, 4대강 대권역의 어류생물지

수 (IBI)의 모델값은 평균 21.3 (n = 720)로 ‘보통’ 상태 (C)로 분석되었고, 최대값은 40, 최소값

- 412 -

은 8로 나타나 구간별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성 등급별 분포 분석에 따르면, ‘최적’

(A) 31개 구간 (4.3%), ‘양호’ (B) 177개 구간 (24.6%), ‘보통’ (C) 331개 구간 (46.0%), ‘불량’

(D)은 181개 구간 (25.1%)으로 나타났다. 각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 (IBI) 모델값은 한강 대권

역의 평균이 23.6 (B, ‘양호’)로 가장 높았으며, 낙동강 대권역 19.2 (‘보통’, C), 금강 대권역 19.2

(보통, C),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이 20.2 (‘보통’, C)로 나타났다. 한강 대권역은 최대값 40.0부

터 최소값 8.0까지 구간별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성 등급별 분포 분석에 따르면, ‘최

적’ (A) 30개 구간 (9.4%), ‘양호’ (B) 111개 구간 (34.7%), ‘보통’ (C) 112개 구간 (35.0%), ‘불량’

(D)은 67개 구간 (20.9%)으로 나타났다. 각 수계별 어류생물지수 (IBI) 모델값은 북한강 수계의

평균이 29.6으로 가장 높았으며, 12개 구간에서 ‘최적’ 상태를 나타냈다. 낙동강 대권역의 경우,

최대값은 36.0, 최소값은 8.0로 나타났고, ‘최적’ (A) 1개 구간 (0.8%), ‘양호’ (B) 23개 구간

(17.7%), ‘보통’ (C) 58개 구간(44.6%), ‘불량’ (D)은 48개 구간 (36.9%)으로 나타났다. 금강 대권

역은 최대값 35.0, 최소값 9.0로 나타났고, ‘양호’ (B) 16개 구간 (12.3%), ‘보통’ (C) 85개 구간

(65.4%), ‘불량’ (D)은 29개 구간 (22.3%)으로, ‘최적’ (A)인 구간은 나타나지 않았다. 영산강․섬

진강 대권역의 경우, 최대값은 34.0, 최소값은 8.0로 나타났고, 건강성 등급별 분포 분석에서는

‘최적’ (A)은 단 1개의 구간도 없었으며, ‘양호’ (B) 27개 구간 (19.3%), ‘보통’ (C) 76개 구간

(54.3%), ‘불량’ (D)은 37개 구간 (26.4%)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강 대권역 및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최적’이 나타나지 않았고, 이와 상대적으로 한강 대권역에서는 30개 조사구간으로

가장 많은 ‘최적’ 구간을 보였으며, 이는 산간계류형 하천이 많이 분포하는 상류가 비교적 잘 보

존되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표 6.4.12).

대권역조사구간수

(개)

IB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한강 320 23.6 양호 30 (9.4) 111 (34.7) 112 (35.0) 67 (20.9)

낙동강 130 19.2 보통 1 (0.8) 23 (17.7) 58 (44.6) 48 (36.9)

금강 130 19.2 보통 0 (0.0) 16 (12.3) 85 (65.4) 29 (22.3)

영산강ㆍ섬진강 140 20.2 보통 0 (0.0) 27 (19.3) 76 (54.3) 37 (26.4)

전국 4대강 720 21.3 보통 31 (4.3) 177 (24.6) 331 (46.0) 181 (25.1)

<표 6.4.13>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어류생물지수 (IBI)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건강성 평가결과는 모두 평균 ‘보통’ 수준으로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표 6.4.13). 하지만 지류 하천에서는 ‘최적’ 및 ‘양호’ 등급의 구간 비율이 각

각 6.2%, 28.8%로서 본류 하천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본류 하천의 경우 ‘최적’ 등급은 출

현하지 않았고, ‘양호’ 등급 또한 지류 및 독립 하천에 비해 가장 낮은 7.3% 정도로 출현하였다.

또한 ’보통’ 등급이 65.6%로 다른 하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6.4.13).

Page 21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13 -

하천별 건강성 평가결과 저질의 상태는 돌, 모래, 자갈이 적절이 혼재되어 있는 하천인 한강

대권역의 관평천, 대왕천 및 서화천이 어류생물지수 (IBI) 39.0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도심하천으로 탁도가 높거나 오염원의 유입이 많은 하천인 한강 대권역의 고덕천, 덕소천, 도

림천, 도심천, 목감천, 정릉천, 정평천과 낙동강 대권역의 장기천, 내동천,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의 풍영정천이 어류생물지수 (IBI) 8.0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하천수

(개)조사구간수

(개)

IB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본류 5 96 18.8 보통 0 (0.0) 7 (7.3) 63 (65.6) 26 (27.1)

지류 267 455 22.3 보통 29 (6.4) 131 (28.8) 189 (41.5) 106 (23.3)

독립 117 169 20.2 보통 2 (1.8) 39 (23.1) 79 (46.7) 49 (29.0)

전국 4대강 389 720 21.4 보통 31 (4.3) 177 (24.6) 331 (46.0) 181 (25.1)

<표 6.4.14>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어류생물지수 (IBI)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에서 조사된 어류생물지수 (IBI)의 모델값과 모든 수질 항목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BOD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

Chl-a와 상관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6.4.14).

대권역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

한강 (n=320) -0.586** -0.571** -0.347** -0.597** -0.408** -0.421** -0.302**

낙동강 (n=130) -0.297** -0.311** -0.203* -0.335** -0.344** -0.322** -0.219*

금강 (n=130) -0.430** -0.393** -0.332** -0.334** -0.373** -0.326** -0.197*

영산강ㆍ섬진강 (n=140) -0.561** -0.189* -0.339** -0.086 -0.494** -0.527** 0.016

전국 4대강 (n=720) -0.490** -0.393** -0.303** -0.369** -0.364** -0.362** -0.152**

* p < 0.05, ** p < 0.01

<표 6.4.15>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어류생물지수 (IBI)와 수질과의 상관도

4. 서식 및 수변환경

전국 4대강 대권역 전체에 대한 서식수변환경지수의 평균은 35.2점으로 ‘양호’ 등급에 해당되

었다 (표 6.4.15). 가장 낮은 서식수변환경지수를 보인 지점은 한강 대권역의 성내천 (한강서울

중권역, H196, 성내천, 서울 송파구 풍납동)으로 14.0점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지수를 보인 조

사구간 역시 한강 대권역의 상남천 (소양강 중권역, H162, 상남천 01,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 상

남리)으로 50.0점을 기록하였다. 성내천의 경우 하천변폭 (3점)을 제외하면 모든 항목이 1~2점

을 기록하여, 전반적으로 하천의 서식처 및 수변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 414 -

가장 높은 서식수변환경지수를 보인 대권역은 한강 대권역으로 35.7점을 기록하였고, 가장 낮

은 점수는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으로 34.5점을 기록하였다. 4대강 대권역의 평균점수 상에서는

모두 34.0∼36.0점의 범위 내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최소값 및 최대값의 범위는 상대적으로 한

강 대권역이 작았다 (한강 대권역, 14.0∼50.0; 낙동강 대권역, 17.5∼47.5; 금강 대권역, 23.0∼

45.5;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 22.5∼47.0).

전국 4대강 대권역의 서식수변환경지수를 통한 건강성 평가는 ‘양호’ 수준으로 전체 720개 조

사구간 중 129개 구간이 ‘최적’ (17.9%), 450개 구간이 ‘양호’ (62.5%), 125개 구간이 ‘보통’

(17.4%)이었으며, ‘불량’은 16개 구간 (2.2%)에서 나타났다. 건강성이 ‘최적’인 지점은 주로 한강

대권역에서 분포하였으며 이들 수계에서 총 81개 구간이 해당되었고, 낙동강 대권역 27개 구간,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에서 13개 구간, 그리고 금강 대권역에서 8개 구간이 ‘최적’에 해당되었

다. ‘불량’에 해당되는 구간은 한강 및 낙동강 대권역에서만 관측되었으며, 각각 10개 및 6개 구

간이었다. 비교적 서식수변환경 건강성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수준인 ‘최적’과 ‘양호’ 구간의

수는 한강 대권역이 가장 많아 258개 구간이었으며, 다음으로 영산강ㆍ섬진강이 112개, 금강이

106개, 낙동강 대권역이 103개 순으로 나타났다.

등급별 분포 구간수를 판단할 때, 대권역별 총 조사구간의 수가 서로 다른 문제가 있어 %비

율로 평가할 필요가 있었다. 비율 관점에서 볼 때, ‘최적’ 등급에 해당되는 구간은 역시 한강 대

권역이 가장 많아 25.3%를 기록하였고, 낙동강 대권역이 20.8%, 영산강·섬진강 9.3%, 마지막으

로 금강 대권역이 6.2%를 차지하였다. 조사구간의 수로 판단할 때는 한강과 금강 대권역 중 ‘최

적’에 해당되는 구간의 수가 10배 가량 차이가 났으나, 전체적인 비율 상에서는 약 4.5% 정도의

차이만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불량’에 해당되는 조사구간의 %비율은 각각 한강 대권역이

3.1%, 낙동강 대권역이 4.6%로 나타나, 1.5배 가량 낙동강 대권역에서 더 많은 ‘불량’ 구간들이

존재하였다. ‘최적’과 ‘양호’ 조사구간의 %비율은 한강 대권역이 80.6%, 낙동강 79.2%, 금강

81.5%, 마지막으로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에서 80.0%로 파악되었다. 즉, 조사구간 수적 관점에

서는 한강 대권역에서 ‘양호’ 이상 등급의 조사구간이 많았으나, 비율 관점에서는 금강 대권역이

가장 ‘양호’한 상태였으며, 한강 대권역이 두 번째, 그리고 낙동강 대권역이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1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15 -

대권역조사구간수

(개)

서식수변환경지수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한강 320 35.7 양호 81 (25.3) 177 (55.3) 52 (16.3) 10 (3.1)

낙동강 130 35.4 양호 27 (20.8) 76 (58.5) 21 (16.2) 6 (4.6)

금강 130 34.6 양호 8 (6.2) 98 (75.4) 24 (18.5) 0 (0.0)

영산강ㆍ섬진강 140 34.5 양호 13 (9.3) 99 (70.7) 28 (20.0) 0 (0.0)

전국 4대강 720 35.2 양호 129 (17.9) 450 (62.5) 125 (17.4) 16 (2.2)

<표 6.4.16> 전국 4대강 대권역별 서식수변환경지수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 대권역의 본류 구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및 섬진강)에 해당되는 지점들의

서식수변환경지수는 평균 37.1점으로 ‘양호’에 해당하였으며, 가장 높은 서식수변환경지수를 보

인 하천은 한강이었다 (표 6.4.16).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의 섬진강 본류가 한강 대권역의 본류

와 거의 유사한 지수값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금강 본류가 ‘양호’한 상황이었다. 낙동강의 본류

는 ‘양호’ 등급에 해당되었으며, 한강 대권역의 한강 본류가 가장 낮은 지수를 보였다.

한강 대권역은 특징적으로 남한강의 본류와 북한강의 본류가 만나는 형태로, 이들을 나누어

서 평가할 경우 남한강 수계의 본류는 총 16개 조사구간에 대해서 38.2점 (‘양호’)이었고, 북한강

수계의 본류는 8개 조사구간에 대해서 39.4점 (‘양호’)을 기록하였다. 즉, 남한강 수계 내에서의

본류보다 북한강 수계에서의 본류가 보다 높은 서식수변환경지수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에서의

환경 교란요소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서식수변환경지수값은 각각 37.1점, 35.5점, 33.4점으로

산출되었으며, 환경상태는 모두 ‘양호’ 수준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적’인 구간은 지류

하천에서 96개 지점, 본류에서 21개 지점으로 20.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오염원의 영향이 적

은 북한강, 남한강, 낙동강의 지류와 북한강, 남한강, 섬진강 본류구간이 해당하였다. 반면, ‘불

량’인 구간은 본류, 지류, 독립 하천에서 모두 5% 미만으로 나타났다 (표 6.4.17).

하천별 건강성 평가결과 수량이 풍부하고 여울이 잘 발달되어 있는 한강 대권역의 상남천이

서식수변환경지수 50.0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가 밀집한 도심에 위치하며 정

비가 잘되어 있는 하천인 한강 대권역의 성내천이 서식수변환경지수 14.0으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 416 -

하천하천수

(개)

조사구간수

(개)

서식수변환경지수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본류 5 96 37.1 양호 21 (21.9) 65 (67.7) 9 (9.4) 1 (1.0)

지류 267 455 35.5 양호 96 (21.1) 269 (59.1) 78 (17.1) 12 (2.6)

독립 117 169 33.4 양호 12 (7.1) 116 (68.6) 38 (22.5) 3 (1.8)

전국 4대강 389 720 35.2 양호 129 (17.9) 450 (62.5) 125 (17.4) 16 (2.2)

<표 6.4.17>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서식수변환경지수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 대권역에 대한 서식수변환경지수의 각 특성항목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양호’한 수

준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4개 특성항목 중 서식처 특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

다 (특성별 평균: 종적, 3.4점; 횡적, 3.5점; 서식처, 3.6점; 교란, 3.6점). 서식처 및 교란 특성은

대권역간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종적 및 횡적 특성은 약간 넓은 편차를 보여 대권역간

하천의 종횡 구조와 인위적 교란 요소에 대한 발생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 4대강 대권역 총 720개 조사구간의 종적 특성을 살펴보면 금강 대권역이 비교적 열악한

상황을 보이고 있었으며, 한강 대권역이 가장 ‘양호’한 상태에 있었다 (표 6.4.17). 종적 특성 지

수가 가장 높은 수계는 한강 대권역으로 3.6점을 기록하였고, 낙동강, 영산강ㆍ섬진강, 그리고

금강 대권역 순이었다. 각 대권역의 종적특성의 구성항목 (자연적인 종횡사주, 하도정비 및 특

성 자연도)의 평균값은 각 대권역별로 상이성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하도의 자연성 항목이 자

연적인 종횡사주에 비해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종횡사주 항목은 금강 및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2점대를 기록하고 있었다. 한강 대권역의 종횡사주 항목은 3.5점으로 가장 높은 점

수를 기록하였다. 이와 반대로 하도의 자연성 항목은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에서 등급상으로는

‘양호’에 해당되지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하도 자체의 자연성이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는 것

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의 대권역은 3.6∼3.7점 수준으로 거의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즉, 전국 4

대강 대권역은 대체로 하도 자체의 자연성에 대한 교란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 하도 내

측의 흐름 다양성이 다소 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권역수계수

(개)

중권역수

(개)

조사구간수

(개)

평균 종적

특성

평균 종적특성 평가

자연적인 종횡사주 하도정비 및 특성 자연도

한강 6 28 320 3.6 3.5 3.6

낙동강 4 33 130 3.4 3.1 3.7

금강 5 21 130 3.1 2.6 3.6

영산강ㆍ섬진강 5 20 140 3.3 2.6 4.0

전국 4대강 15 113 720 3.4 3.1 3.7

<표 6.4.18>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종적특성 평가결과

Page 21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17 -

전국 4대강 총 720개 조사구간 전체에서 하천 횡적특성은, 종적특성과는 달리 대권역간 편차

가 작은 편이었다. 전체적인 평균 점수는 3.5점으로 ‘양호’한 상황이었고, 한강과 금강 대권역은

3.6점, 낙동강과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은 3.4점으로 각각 같은 점수를 나타냈다 (표 6.4.18). 이

들의 구성항목을 살펴보면, 수로의 자연성 정도는 모든 대권역에서 상당히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둔치의 발달정도와 제방 변형정도는 상대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

천변폭의 경우 3.1∼3.4점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여 비교적 넓은 둔치가 형성되는 것으로 파악되

었다. 저수로 하안공은 모든 대권역에서 4.0점 이상을 기록하여 저수로 자체에 대한 인위적인

교란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제방 재료는 금강 대권역이 3.4점을 기록하여 비교

우위에 있었을 뿐이며, 한강 및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은 보통 수준에 머물러 상대적으로 대권

역간 편차가 발생하면서 제방 교란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대강 대권역의 횡적특

성의 경우 하도 내측에 대해서는 큰 문제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나 제방에 의한 하

천과 주변 집수역간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권역 구분수계수

(개)

중권역수

(개)

조사구간수

(개)

평균 횡적

특성

평균 횡적특성 평가

하천변폭 저수로 하안공 제방 하안재료

한강 6 28 320 3.6 3.4 4.4 3.0

낙동강 4 33 130 3.4 3.1 4.0 3.2

금강 5 21 130 3.6 3.1 4.1 3.4

영산강ㆍ섬진강 5 20 140 3.4 3.4 4.2 2.6

전국 4대강 15 113 720 3.5 3.3 4.2 3.0

<표 6.4.19>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횡적특성 평가결과

전국 4대강 총 720개 조사구간 전체에서 하천 서식처특성에 대한 평가결과, 한강 및 낙동강

대권역이 높은 점수를 받았고, 금강과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이 비교적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

다. 한강과 낙동강 대권역은 각각 3.7점씩을 기록하여 ‘양호’ 등급 내에서도 상위부에 속해 서식

처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표 6.4.19). 구성항목별 평가결과, 저질의 다양성

과 상태보다 횡구조물의 특성이 보다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저질상태 항목은 한강 대권역

이 3.6점을 기록하여 가장 양호하였으나, 나머지 대권역은 3.1∼3.2점 사이여서 ‘양호’ 등급 내에

서도 초반부로 비교적 하상 구조의 질적 특성에 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횡구조물

항목의 경우 낙동강 대권역에서 4.1점으로 ‘최적’ 상태로 나타나 가장 양호하였으며, 한강 및 금

강 대권역 역시 3.9점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의 경우 3.6

점을 기록하여 횡구조물 항목 내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였다.

- 418 -

대권역 구분수계수

(개)

중권역수

(개)

조사구간수

(개)

평균 서식처

특성

평균 서식처특성 평가

저질상태 횡구조물

한강 6 28 320 3.7 3.6 3.9

낙동강 4 33 130 3.7 3.2 4.1

금강 5 21 130 3.5 3.1 3.9

영산강ㆍ섬진강 5 20 140 3.4 3.2 3.6

전국 4대강 15 113 720 3.6 3.4 3.9

<표 6.4.20>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서식처특성 평가결과

전국 4대강 총 720개 조사구간 전체에서 하천 교란특성은 대권역간 편차가 크지 않았으나,

항목별로 살펴볼 때에는 편차가 다소 존재하는 경우가 있었다. 낙동강 대권역이 3.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금강, 영산강ㆍ섬진강, 마지막으로 한강 대권역 순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대

권역의 점수가 3.5∼3.7점 사이로 양호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표 6.4.20). 각 항목별로 살펴볼 때,

제내지 토지이용 상태는 낙동강과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한강과 금강 대권역은 각각 3.0점과 2.7점을 기록하여 보통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외지

토지이용 상황은 제내지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한강 대권역과 금강 대권역이 최적 혹은

최적에 근접한 상황이었고, 낙동강 대권역은 오히려 보통에 근접한 상황이었다. 오염원 항목은

낙동강과 금강 대권역이 최적 상태에 있었으며, 한강 및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은 ‘양호’ 등급으

로 파악되었다. 즉, 교란 특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하천 자체에 대한 인위적 요소의

작용보다는 집수역 내에서의 복잡한 토지이용 상황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교란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권역수계수

(개)

중권역수

(개)

조사구간수

(개)

평균 교란

특성

평균 교란특성 평가

제내지

토지이용

제외지

토지이용오염원

한강 6 28 320 3.5 3.0 4.0 3.4

낙동강 4 33 130 3.7 3.7 3.1 4.2

금강 5 21 130 3.6 2.7 3.9 4.1

영산강ㆍ섬진강 5 20 140 3.6 3.6 3.6 3.6

전국 4대강 15 113 720 3.6 3.2 3.8 3.7

<표 6.4.21>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하천 교란특성 평가결과

전국 4대강의 서식수변환경지수와 수질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한강과 낙동강 대권역에서는

모든 수질항목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금강 및 영산강ㆍ섬진강 대권역에서는 NO3-N

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을 뿐 다른 항목들에서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표 6.4.21).

Page 22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19 -

대권역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

한강 (n=320) -0.469** -0.460** -0.304** -0.493** -0.350** -0.375** -0.128*

낙동강 (n=130) -0.206* -0.218* -0.219* -0.201* -0.204* -0.207* -0.011

금강 (n=130) -0.037 0.022 -0.039 0.100 -0.098 -0.097 -0.073

영산강ㆍ섬진강 (n=140) -0.119 -0.140 -0.045 -0.206* -0.109 -0.110 0.159

전국 4대강 (n=720) -0.318** -0.283** -0.199** -0.307** -0.259** -0.267** -0.037

* p < 0.05, ** p < 0.01

<표 6.4.22>전국 4대강 대권역의 서식수변환경지수와 수질과의 상관도

5. 생물서식처 평가

전국 4대강, 720개 조사구간에서 조사된 생물서식처 평가의 각 메트릭스는 하천 서식지 구성

(M1), 하상 매몰도 및 소 (pool)의 하상 구조 특성 (M2), 하천 유량 (M3), 소규모 댐의 건설 유

무 (M4), 하천 변경도 (M5), 침전물 축적도 (M6)로 구성된다. 전국 4대강의 모든 조사구간에서

하천 서식지 구성 (M1) 평균값은 11.8±4.3이었으며,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10.1로 가장 낮

았고, 금강 대권역에서 13.4로 가장 높았다. 고운 침전물에 의한 하상 매몰도 및 소 (pool)의 하

상 구조 특성 (M2)은 하천차수가 1~3차 (M2-1), 4차 이상 (M2-2)일 경우로 구분하여 평가하

였으며, 각 평균값은 11.5±4.1, 12.2±3.6으로 산출되었고, 하상 매몰도 (M2-1)의 대권역별 평균값

은 최소 10.5 (영산강․섬진강 대권역, 금강 대권역)에서 12.7 (낙동강 대권역)의 범위를 보였으

며, 소 (pool)의 하상 구조 특성 (M2-2)의 평균값은 11.5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12.7 (낙

동강 대권역)의 범위를 보였다. 하천 유량 (M3) 평균값은 12.1±3.4로 산출되었으며, 대권역별 평

균값은 낙동강 대권역과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최소 11.8로 유량이 적다고 평가되었고, 금

강 대권역에서 최대 12.8로 유량이 가장 풍부하다고 평가되었다. 소규모 댐의 건설 유무 (M4)

는 소규모 댐이나 인공구조물에 의해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낸 값으로, 평균값은

12.1±4.2의 범위를 보였으며, 금강 대권역에서 10.2로 가장 낮았고, 낙동강 대권역에서 12.8로 가

장 높았다. 조사 하천의 개발 정도를 나타낸 하천 변경도 (M5)의 평균값은 11.5±3.8이었으며,

최소값은 금강 대권역에서 10.0으로 나타났고, 최대값은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12.0으로

산출되었다. 침전물의 노출 정도로 산출되는 침전물 축적도 (M6)는 평균 12.5±3.9로 산출되었으

며, 낙동강 대권역에서 축적도가 12.0으로 높았으며, 금강 대권역에서 12.8로 축적도가 낮게 나

타났다.

전국 4대강, 720개 조사구간에서 대한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는 71.8±16.6로 환경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대권역별 생물서식

처평가지수는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69.1로 가장 낮은 값이 산출되었고, 한강 대권역에서

- 420 -

73.2로 가장 높은 값이 산출되었다. 지점별 생물서식처평가지수의 범위는 영산강․섬진강 대권

역의 기타 수계의 군외천 (Y116; 군외천; BOD: 1.1 mg/L;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대문리)에서

6.0으로 최소값이, 한강 대권역 임진강․한탄강 수계의 한탄강 (H275; 한탄강 08; BOD: 2.9

mg/L;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궁평리)에서 114.0으로 최대값이 산출되었다. 전국 4대강의 720개

조사구간에서 ‘최적’ 등급은 45개 조사구간 (6.3%), ‘양호’ 등급은 418개 조사구간 (58.1%), ‘보통’

등급은 247개 조사구간 (34.3%), ‘불량’ 등급은 10개 조사구간 (1.4%)으로 평가되었다. 전국 4대

강에서 각 메트릭스별 비교시 하천 주변에 인위적인 개발로 인한 하천 변경 (M5)의 영향이 생

물서식처평가지수 값 및 등급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권역조사구간수

(개)

QHE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한강 320 73.2 양호 20 (6.3) 203 (63.4) 92 (28.8) 5 (1.6)

낙동강 130 72.4 양호 2 (1.5) 89 (68.5) 39 (30.0) 0 (0.0)

금강 130 70.8 양호 9 (6.9) 73 (56.2) 46 (35.4) 2 (1.5)

영산강ㆍ섬진강 140 69.1 양호 14 (10.0) 53 (37.9) 70 (50.0) 3 (2.1)

전국 4대강 720 71.8 양호 45 (6.3) 418 (58.1) 247 (34.3) 10 (1.4)

<표 6.4.23>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건강성 평가결과는 모두 ‘양호’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독립 하천에서 생물서식처평가지수의 값이 가장 낮았고, 본류 하천에서 가장 높았다 (표 6.4.24).

4대강 720개 하천 중 건강성이 ‘최적’인 하천은 총 46개 하천으로 산간 계류에 있거나 인위적

인 간섭이 거의 없었던 지점으로 오염원의 유입이 적은 지점이 해당되었다. 건강성이 ‘불량’으로

평가된 하천들은 주로 한강 본류, 영산강 본류, 금강 본류,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일부 독립

하천들로 도로 및 공장지대로 수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하상이 단순하고, 유량이 적으며, 인공구

조물 및 댐이 곳곳마다 위치해 있는 하천들이 이에 해당되었다.

하천별 건강성 평가결과 다양한 하상조건과 청정한 수질로 생물서식처로서 유리한 조건인 한

강 대권역의 후천이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 108.0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량

이 적어 수생생물의 서식에 적합하지 않은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군외천이 생물서식처평가지

수 (QHEI) 6.0으로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221: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21 -

하천하천수

(개)

조사구간수

(개)

QHEI 등급별 구간수 (%)

평균 등급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본류 5 96 73.3 양호 10 (10.4) 54 (56.3) 32 (33.3) 0 (0.0)

지류 267 455 72.6 양호 32 (7.0) 266 (58.5) 150 (33.0) 7 (15.0)

독립 117 169 68.7 양호 4 (2.4) 98 (58.0) 64 (37.9) 3 (1.8)

전국 4대강 389 720 71.8 양호 46 (6.4) 418 (58.1) 246 (34.2) 10 (1.4)

<표 6.4.24>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 값 및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에서 조사된 생물서식처평가지수와 모든 수질 항목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과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Chl-a를 제외한 모든 수질항목에서 유의하다고 나

타났으며, 각 수질 항목은 대체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2.25). 대권역

별 상관도는 한강과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모든 수질 항목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낙동강 대권역에서 질소(TN, NO3-N)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다른 수질항목과는 상

관성이 낮았다. 또한 모든 대권역에서 TN과 유의하다고 나타났다.

대권역 BOD TN NH3-N NO3-N TP PO4-P Chl-a

한강 (n=320) -0.111* -0.128* -0.116* -0.126* -0.122* -0.110* 0.119*

낙동강 (n=130) -0.205* -0.231** -0.129 -0.250** -0.151 -0.131 -0.036

금강 (n=130) -0.194* -0.104 0.000 -0.196* -0.215* -0.190* -0.020

영산강ㆍ섬진강 (n=140) -0.379** -0.258** -0.281** -0.234** -0.327** -0.364** 0.212*

전국 4대강 (n=720) -0.184** -0.147** -0.124** -0.154** -0.168** -0.168** 0.009

* p < 0.05, ** p < 0.01

<표 6.4.25> 전국 4대강 각 대권역의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와 수질과의 상관도

6.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종합분석

가. 수질등급 평가

조사 기간 동안 전국 4대강의 BOD 농도의 평균은 2.5 mg/L로 ‘약간좋음’ (II) 수준이었다. 전

체 720개 조사구간 중 92개 구간이 ‘매우좋음’ (12.8%), 317개 구간이 ‘좋음’ (44.0%), 135개 구

간이 ‘약간좋음’ (18.8%), 118개 구간이 ‘보통’ (16.4%), 44개 구간이 ‘약간나쁨’ (6.1%), 6개 구간

이 ‘나쁨’ (0.8%), 8개 구간이 ‘매우나쁨’ (1.1%)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수질등급은 ‘매우좋음’

~ ‘좋음’ 등급의 구간이 50.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4.25).

- 422 -

대권역

조사

구간수

(개)

평균 BOD

농도

(등급)

등급별 구간수 (%)

매우좋음(Ia)

좋음(Ib)

약간좋음(II)

보통(III)

약간나쁨(IV)

나쁨(V)

매우나쁨(VI)

한강 3202.6

(약간좋음)39

(12.2)148

(46.3)47

(14.7)51

(15.9)27

(8.4)2

(0.6)6

(1.9)

낙동강 1302.0

(좋음)9

(6.9)79

(60.8)31

(23.8)9

(6.9)2

(1.5)0

(0.0)0

(0.0)

금강 1302.8

(약간좋음)18

(13.8)35

(26.9)30

(23.1)36

(27.7)7

(5.4)3

(2.3)1

(0.8)

영산강․섬진강 1402.3

(약간좋음)26

(18.6)55

(39.3)27

(19.3)22

(15.7)8

(5.7)1

(0.7)1

(0.7)

전국4대강 7202.5

(약간좋음)92

(12.8)317

(44.0)135

(18.8)118

(16.4)44

(6.1)6

(0.8)8

(1.1)

<표 6.4.26>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BOD 농도 및 수질 등급 분포

대권역별 BOD는 낙동강 대권역이 ‘좋음’으로 가장 좋은 수질을 상태를 나타냈고, 한강과 금

강,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은 모두 ‘약간좋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섬진강대권역은 수질

이 ‘매우좋음’ 등급인 조사구간이 전체 조사구간의 18.6%로 4대강 중 ‘매우좋음’ 구간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에서 ‘매우좋음’의 수질을 보인 구간들은 자연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하천들로 섬진강 수계의 지류들과, 탐진강 및 기타 수계의 하천들이 이

에 해당하였다. 전국 4대강 중 낙동강 대권역의 ‘매우좋음’ 등급 구간은 6.9%로 4대강 대권역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으나, ‘좋음’ 등급 구간은 전체 구간의 60.8%로 67.7%에 해당하는

구간이 좋음 이상으로 나타났다.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에 해당하는 구간들의 평균 BOD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

나, 독립 하천들은 ‘매우좋음’ (Ia등급)인 구간이 전체 조사구간의 23.7%로 본류나, 지류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표 6.4.26).

하천하천수

(개)

조사

구간수

(개)

평균BOD

농도

(등급)

등급별 구간수 (%)

매우좋음(Ia)

좋음(Ib)

약간좋음(II)

보통(III)

약간나쁨(IV)

나쁨(V)

매우나쁨(VI)

본류 5 962.5

(약간좋음)5

(5.2)49

(51.0)19

(19.8)15

(15.6)7

(7.3)1

(1.0)0

(0.0)

지류 267 4552.4

(약간좋음)47

(10.3)220

(48.4)86

(18.9)69

(15.2)26

(5.7)1

(0.2)6

(1.3)

독립 117 169 2.6(약간좋음)

40(23.7)

48(28.4)

30(17.8)

34(20.1)

11(6.5)

4(2.4)

2(1.2)

전국 4대강 389 720 2.5(약간좋음)

92(12.8)

317(44.0)

135(18.8)

118(16.4)

44(6.1)

6(0.8)

8(1.1)

<표 6.4.27>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BOD 농도 및 수질 등급 분포

전국 4대강의 총 389개 하천 중 수질이 ‘매우좋음’ (Ia등급)인 하천은 51개 하천으로 주로 한

Page 222: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23 -

강 대권역의 북한강 상류의 지류, 기타 수계의 동해 유입하천,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의 섬진강

유입지류, 탐진강 유입지류 등 유역이 주로 산지이거나 인적이 드물어 오염원 유입의 우려가

거의 없는 하천들로 나타났다. 반대로 수질이 ‘매우나쁨’ (VI등급)인 하천은 총 5개 하천으로 한

강 대권역의 매지천, 굴포천, 신천, 반월천과 금강 대권역의 광천천이 이에 해당하였다. 이 하천

들은 주택가 및 위락시설이나 공장들이 분포한 지역의 도심하천들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의

유입이 있어 수질이 나쁘게 평가되었다.

하천별 수질 등급 평가결과 가장 수질이 ‘양호’한 하천은 강 상류부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

는 하천인 북하천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한강 대권역의 굴포천은 직강화된 도심하천으로 하천

유역에 도로 및 주차장, 공장 등이 위치하고 있어 수질이 가장 불량하게 나타났다.

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전국 4대강의 건강성은 부착조류 ‘보통’,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양호’, 어류 ‘보통’, 서식 및

수변환경 ‘양호’, 생물서식처 평가는 ‘양호’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표 6.4.27).

대권역

조사

구간수

(개)

부착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 생물서식처 평가

TDI KSI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QHEI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한강 320 53.7 양호 1.5 양호 23.6 보통 35.7 양호 73.2 양호

낙동강 130 55.6 보통 1.7 양호 19.2 보통 35.4 양호 72.4 양호

금강 130 66.6 보통 1.9 양호 19.2 보통 34.6 양호 70.8 양호

영산강․섬진강 140 55.4 보통 1.8 양호 20.2 보통 34.5 양호 69.1 양호

전국 4대강 720 56.7 보통 1.7 양호 21.4 보통 35.2 양호 71.8 양호

*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표 6.4.28>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대권역간 건강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 중 한강 대권역은 어류를 제외한 모든

분야가 ‘양호’ 등급이었으며, 각 분야에서 또한 가장 ‘양호’한 지수값을 나타내 4대강 중 건강성

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대권역은 부착조류 ‘보통’,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양호’,

어류 ‘보통’, 서식 및 수변환경 ‘양호’, 생물처식처 평가 ‘양호’로 다른 대권역들과 같은 등급으로

평가되었으나, 다른 대권역들에 비해 불량한 지수값을 나타내어 건강성이 가장 나쁘게 평가되

었다.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들은 모두 부착조류와 어류는 ‘보통’, 저서성 대형무척추동

물, 서식 및 수변환경, 생물서식처 평가는 ‘양호’ 등급으로 평가되었으나 각 분야의 지수값은 독

립 하천에서 다소 불량하게 평가되었다 (표 6.4.28).

- 424 -

하천별 건강성 평가결과 항상 수위가 잘 유지되고 있고, 하상조건이 다양하며 수변식생대가

발달하여 생물서식처로서 매우 우수한 서화천은 모든 항목에서 ‘최적’으로 평가되어 건강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로, 아파트, 공장 분포 지역에 위치하며 호안의 인공화가 심한

한강대권역의 성북천은 모든 항목에서 ‘불량’으로 평가되어 건강성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

다.

대권역하천수

(개)

조사

구간수

(개)

부착조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생물서식처

평가

TDI KSI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QHEI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본류 5 96 56.1 보통 1.8 양호 18.8 보통 37.1 양호 73.3 양호

지류 267 455 55.8 보통 1.5 양호 22.3 보통 35.5 양호 72.6 양호

독립 117 169 59.6 보통 2.1 양호 20.2 보통 33.4 양호 68.7 양호

전국 4대강 272 720 56.7 보통 1.7 양호 21.4 보통 35.2 양호 71.8 양호

*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표 6.4.29>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다.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의 상관성

전국 4대강 720개 구간의 이화학적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

관성을 나타내었다.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와 어류생물지수 (IBI)의 상관성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서식

수변환경지수와 생물서식처평가지수 (QHEI)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나 어류생물지수 (IBI)에 비해서 다소 낮지만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표 6.4.29).

Page 223: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25 -

대권역

(조사구간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BOD

부착조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서식 및 수변

환경

TDI KSI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한강

부착조류 TDI 0.48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636** 0.500**

어류 IBI -0.586** -0.493** -0.735**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469** -0.428** -0.628** 0.550**

생물서식처 QHEI -0.111* -0.277** -0.312** 0.244** 0.373**

낙동강

부착조류 TDI 0.29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382** 0.430**

어류 IBI -0.297** -0.478** -0.273**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206* -0.088 -0.324** -0.034

생물서식처 QHEI -0.205* -0.199* -0.090 0.322** 0.136

금강

부착조류 TDI 0.44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418** 0.455**

어류 IBI -0.430** -0.429** -0.505**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037 -0.010 -0.189* 0.272**

생물서식처 QHEI -0.194* -0.248** -0.454** 0.379** 0.392**

영산강․섬진강

부착조류 TDI 0.24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400** 0.411**

어류 IBI -0.561** -0.333** -0.503**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119 -0.364** -0.346** 0.155

생물서식처 QHEI -0.379** -0.478** -0.526** 0.387** 0.422**

전국 4대강

부착조류 TDI 0.39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524** 0.469**

어류 IBI -0.490** -0.459** -0.608**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318** -0.282** -0.480** 0.381**

생물서식처 QHEI -0.184** -0.285** -0.353** 0.293** 0.341**

* P < 0.05, ** P < 0.01

<표 6.4.30>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의 상관계수 및 유

의성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 및 어류생물

지수 (IBI)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어류생물지수 (IBI) 역시 부착조류 영양염지수 (TDI)와

한국오수생물지수 (KSI)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서식수변환경평가지수는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와 가장 큰 상관성을 나타냈다. 다른 항목들과도 유의한 상관성

을 나타냈으나, 대권역별로 일부 항목과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생물서식처 평가 항목 역시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다른 평가 항목에 비해 상관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 426 -

나타났다. 이화학적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BOD는 모든 항

목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와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한강 대권역은 모든 항목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다른 대권역에

서는 일부 항목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아 대권역간 차이를 나타냈다.

전국 4대강의 본류, 지류, 독립 하천들의 이화학적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와의 상

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화학적 수질과 수생태계 평가 항목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

었다 (표 6.4.30).

수계명

(조사구간수)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BOD

부착조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서식 및 수변

환경

TDI KSI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본류

부착조류 TDI 0.37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402** 0.406**

어류 IBI -0.426** -0.505** -0.422**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299** -0.324** -0.372** 0.267**

생물서식처 QHEI -0.454** -0.292** -0.360** 0.477** 0.234*

지류

부착조류 TDI 0.40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559** 0.474**

어류 IBI -0.488** -0.432** -0.634**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377** -0.258** -0.552** 0.452**

생물서식처 QHEI -0.150** -0.317** -0.389** 0.324** 0.392**

독립

부착조류 TDI 0.36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518** 0.469**

어류 IBI -0.543** -0.547** -0.604**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180* -0.300** -0.315** 0.245**

생물서식처 QHEI -0.145 -0.177* -0.226** 0.140 0.198**

전국 4대강

부착조류 TDI 0.39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KSI 0.524** 0.469**

어류 IBI -0.490** -0.459** -0.608**

서식 및 수변환경

서식수변환경지수

-0.318** -0.282** -0.480** 0.381**

생물서식처 QHEI -0.184** -0.285** -0.353** 0.293** 0.341**

* P < 0.05, ** P < 0.01

<표 6.4.31>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독립 하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항목간의 상

관계수 및 유의성

대권역별 상관성 분석 결과 모든 항목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본류와 독립 하천에서는 수중생물 평가 항목간의 상관성은

Page 224: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27 -

어류생물지수 (IBI)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BOD 또한 본류와 독립 하천에서는 어류생물지수

(IBI)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지류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각 평가항목간의 상관성은 본류보다 지류에서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전국 4대강 720개 구간의 이화학적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BOD는 환경부 수질기준의 좋음 (Ib등급) 이상인 구간수와 각 수생태계 평가결과 ‘양호’ (B등

급) 이상의 구간수를 비교하였다.

전국 4대강 720개 구간 중 BOD ‘좋음’ (Ib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구간은 409개 구간 (56.8%)

이었으며, 5개 분야의 평가결과 중 ‘양호’ (B등급) 이상에 해당되는 구간은 각각 부착조류 영양

염지수 (TDI) 341개 구간 (47.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한국오수생물지수 (KSI) 524개 구간

(72.8%), 어류생물지수 (IBI) 208개 구간 (28.9%), 서식수변환경지수 579개 구간 (80.4%), 생물서

식처평가지수 (QHEI) 463개 구간 (64.3%)에 각각 해당되었다 (그림 6.4.2).

4대강의 수생태계 건강성은 부착조류와 어류에 의한 평가를 제외하고 BOD에 의한 평가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생물 중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평가는 다른 수중생물보

다 양호하게 평가되었으며, 서식 및 수변환경은 전반적인 수중생물의 평가보다 더 양호하게 평

가되었다 (그림 6.4.2).

<그림 6.4.2> 전국 4대강 수질 (BOD) ‘좋음’ 이상, 건강성 ‘양호’ 이상 지점 비교

대권역별로는 낙동강 대권역과 한강 대권역이 수질과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가 타 대권역

에 비해 양호하게 나타났고, 금강 대권역은 수중생물 평가 항목이 다른 수계에 비해 불량하게

- 428 -

평가되었다. 영산강․섬진강 대권역은 생물서식처 평가결과가 타 수계에 비해 불량하게 나타나

인위적 영향에 의한 생물서식처 교란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표 6.4.31).

대권역

(조사구간수)

BOD부착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서식 및수변환경

생물서식처평가

TDI KSI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QHEI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한강 (320) 187 58.4 166 51.9 237 74.1 141 44.1 258 80.6 223 69.7

낙동강 (130) 88 67.7 70 53.8 101 77.7 24 18.5 103 79.2 91 70.0

금강 (130) 53 40.8 40 30.8 85 65.4 16 12.3 106 81.5 82 63.1

영산강․섬진강(140) 81 57.9 65 46.4 101 72.1 27 19.3 112 80.0 67 47.9

전국 4대강 (720) 409 56.8 341 47.4 524 72.8 208 28.9 579 80.4 463 64.3

※ BOD: Ib (2 mg/L 이하: 좋음~매우좋음) 이상,TDI, KSI, IBI, 서식 및 수변환경, 생물서식처평가 분야: 양호 (B등급) 이상

<표 6.4.32> 수계별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전국 4대강의 본류 및 지류 구간에 해당되는 지점들은 어류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양호’이

상 조사구간수 비율이 50% 이상으로 양호한 건강성을 나타냈으나, 독립 하천들은 모든 분야에

서 ‘양호’ 이상 조사구간수 비율이 본류와 지류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표 6.4.32). 어류 분야

의 건강성 평가결과는 본류에서 ‘양호’ 이상 조사구간수 비율이 7.3%로 다른 분야와는 다르게

본류의 건강성이 더 불량하게 평가되었다.

하천

(조사구간수)

BOD부착조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수변환경 생물서식처평가

TDI KSI IBI 서식수변환경지수 QHEI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구간수(개)

비율 (%)

본류 (96) 54 56.3 48 50.0 67 69.8 7 7.3 86 89.6 63 65.6

지류 (455) 267 58.7 231 50.8 356 78.2 160 35.2 365 80.2 298 65.5

기타 (169) 88 52.1 62 36.7 101 59.8 41 24.3 128 75.7 102 60.4

전국 4대강 (720) 409 56.8 341 47.4 524 72.8 208 28.9 579 80.4 463 64.3

※ BOD: Ib (2 mg/L 이하: 좋음~매우좋음) 이상,TDI, KSI, IBI, 서식 및 수변환경, 생물서식처평가 분야: 양호 (B등급) 이상

<표 6.4.33> 전국 4대강 본류, 지류 및 독립 하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Page 225: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29 -

<그림 6.4.3> 4대강 본류, 지류 및 독립 수계의 수질 (BOD) ‘좋음’ 이상, 건강성 ‘양호’ 이상 지점 비교

- 430 -

제 5 절 결론

조사 기간 동안 전국 4대강의 BOD 농도는 평균 2.5 mg/L로 ‘약간좋음’ (II) 수준이었으며, 건

강성은 부착조류 ‘보통’,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양호’, 어류 ‘보통’, 서식 및 수변환경 ‘양호’, 생

물서식처 평가는 ‘양호’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전반적으로 생물을 이용한 평가결과는 ‘보통’~‘양

호’의 범위를 보였으며, 생물서식처와 서식 및 수변환경 지표를 이용한 평가결과는 4대강 대권

역 모두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표 6.5.1).

대권역조사

구간수(개)

BOD

부착조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어류

서식 및수변환경

생물서식처평가

TDI KSI IBI서식수변환경

지수 QHEI

평균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지수 등급**

한강 320 2.6약간좋음 53.7 양호 1.5 양호 23.6 보통 35.7 양호 73.1 양호

낙동강 130 2.0 좋음 55.6 보통 1.7 양호 19.2 보통 35.4 양호 72.3 양호

금강 130 2.8약간좋음 66.6 보통 1.9 양호 19.2 보통 34.6 양호 70.8 양호

영산강․섬진강 140 2.3약간좋음 55.4 보통 1.8 양호 20.2 보통 34.5 양호 68.8 양호

전국 4대강 720 2.5 약간좋음

56.7 보통 1.7 양호 21.4 보통 35.2 양호 71.7 양호

* 매우좋음: Ia등급, 좋음: Ib등급, 약간좋음: II등급, 보통: III등급, 약간나쁨: IV등급, 나쁨: V등급, 매우나쁨: VI

** 최적: A등급, 양호: B등급, 보통: C등급, 불량: D등급

<표 6.5.1> 전국 4대강의 대권역별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 비교

생물서식처와 서식 및 수변환경에 의한 평가는 대체로 하천의 물리적 구조와 오염원 분포 등

에 관련된 지표항목을 포함하는데 반하여 생물평가는 해당 하천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대

상으로 한다. 따라서 생물에 의한 평가는 하천생태계의 기능을 반영하게 된다. 본 조사에서 나

타난 결과로 판단할 때, 조사된 우리나라 하천의 건강성 상태는 수생태계 구조보다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서식생물이 하천의 모든 상태 (즉, 물리, 화학, 수문학적

상태)를 종합하고 그 영향을 누적적으로 반영한 결과로 보여진다. 즉, 본 평가의 결과는 생물학

적 건강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수질, 다양한 물리적 요소들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서식처의 상

태, 유량 등의 조건이 모두 양호한 상태를 갖추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종합적인 결과로 판단할 때, 대권역간 수생태계건강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평

가 등급의 비교 결과), 다른 대권역에 비해 한강 대권역의 조사하천들이 다른 대권역의 하천들

에 비해 건강성의 상태가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수의 점수 비교 결과). 물론, 각

Page 226: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31 -

대권역의 중권역, 본류, 지류, 개별 조사구간 등으로 세분할 때에는 평가등급이나 지수값이 일정

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특이한 것은 4대강 대권역 중에서 금강 대권역이 다른 대권역들에

비해 부착조류의 평가값이 10.0점 이상 높게 나타나 (표 6.5.1), 대권역이 전반적으로 부영양화

의 정도가 다른 대권역 하천들 보다 높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영양염지수 (TDI) 값은

높을수록 나쁜 상태를 의미함).

실제로 제한된 조사구간 및 조사구간의 수, 그리고 지역별 조사하천의 특성이 다른 점을 감

안한다면 각 대권역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계적으로 평균하여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

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종합 평균의 결과는 본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비교한 자료이지 4대강

대권역 각각의 건강성의 상태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결과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각

대권역, 그리고 각 대권역 내의 다양한 하천의 건강성 평가 및 비교를 위해서는 조사 평가된

세부적인 결과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한강 대권역 하천 중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어 있는 지점으로 수량은 그리 풍부하

지 못하지만 항상 수위가 잘 유지되고 있고, 하상조건이 다양하며 수변식생대가 발달하여 생물

서식처로서 매우 우수한 지점인 서화천 (북한강 수계, 인북천 중권역, H147, 서화천, 강원도 인

제군 서화면 서화리)은 모든 분야에서 건강성이 ‘최적’으로 평가되었으며, BOD 또한 1.0 mg/L

로 ‘매우좋음’으로 평가되어 4대강 720개 조사지점 중 가장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한강 대권역의 성북천 (한강본류 수계, 한강서울 중권역, H197, 성북천, 서울시 성북구 안

암동 4가)은 BOD는 2.6 mg/L로 ‘약간좋음’으로 나타났으나, 도로, 아파트, 공장 등이 분포하고

있는 도심지를 관통하여 흐르는 관계로 유량의 부족, 오염물질의 유입, 서식조건의 악화 등의

결과로 인해 모든 분야가 ‘불량’으로 평가되었다.

전국 4대강에서 수생태계 건강성이 불량하게 평가된 구간들은 대체로 도심하천, 오염하천, 서

식처가 교란된 하천들이다. 본 조사결과는 실제로 교란된 하천들의 상태를 수생태계 건강성의

척도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강성 회복의 필요성과 달성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본 조사사업의 중요성과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Page 227: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참 고 문 헌

Page 228: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35 -

참 고 문 헌

1. 부착조류

Allan, J.D.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 Hall. Landon.

Karr, J.R. and D.R. Dudley. 1981. Ecological perspective on water quality goals.

Environmental Management 5: 55-68.

Karr, J. 1995. Protecting Aquatic ecosystems: Clean water is not enough. In:

(Davis and Simon, eds.) Biological Assessment and Criteria. p 7-14. Lewis,

Boca Raton.

Karr, J.R., R.C. Heifinger and E.H. Helmer. 1985. Sensitivity of the index of

biotic integrity tio changes in chlorine and ammonia levels from

wastewater treatrment facilities. Journal of the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57: 912-915.

U.S. EPA, 2000. Evaluation guidelines for ecological indicators.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Washinton D.C., EPA/620/R-99/005. p. 4-19.

U.S. EPA. 2002. Biological Assessments and Criteria: Crucial Components of

Water Quality Programs. EPA 822-F-02-006.

U.S. EPA. 1999. P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2nd eds. EPA 841-B-99-00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Zelinka, M. and P. Marvan. 1961. Zur Präzisierung der biologischen klassifikation der

Reinheid fliessender Gewässer. Arch. Hydrobiolog. 57: 389-407.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Allan, J.D. 1995.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Chapman and Hall, London.

DIN 38410 Part 2. 1990. Germa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 436 -

waste water and sludge: biological-ecological analysis of water (group M);

determination of the saprobic index (M2).

Kawai, T. 1985.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kawai, T. and K. Tanida. 2004. Aquatic Insects of Japan: Manual with Keys and

Illustrations. Tokai University Press.

McCafferty, W.P. 1981.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Boston. pp. 448.

Merritt, R.W. and K.W. Cummins. 1984.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2nd ed. Kendall/Hunt Publ. Co., Dubuque, Iowa.

Merritt, R.W. and K.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Hunt Publ. Co.

Peckarsky, B.L., P.R. Fraissinet, M.A. Penton and D.J. Conklin, Jr. 1990.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 Connell

Univ. Press, Ithaca and London. 442pp.

Pennak, R.W. 1989.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3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628pp.

Vannote, R.L., G.W. Minshall, K.W. Cummins, J.R. Sedell and C.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 J. Fish. Aquat. Sci. 37: 130-137.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1. Biology and habitat.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438pp.

Wiederholm, T.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

Part Ⅰ- Larvae. Ent. Scand. Suppl. 19. 457pp.

Zelinka, M. and P. Marvan. 1961. Zur Präzisierung der biologischen klassifikation

der Reinheid fliessender Gewässer. Arch. Hydrobiolog. 57: 389-407.

岡田要. 1965a. 新日本圖鑑(上). 北隆館. 679pp.

岡田要. 1965b. 新日本圖鑑(中). 北隆館. 803pp.

岡田要. 1965c. 新日本圖鑑(下). 北隆館. 763pp.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 동물편 (연체동물Ⅰ). 문교부. 446pp.

권오길, 민덕기, 이종락, 이준상, 제종길, 최병래. 2001. 신원색한국패류도감. 민 패류

박물관. 332pp.

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1993.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46pp.

Page 229: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37 -

김훈수. 1977.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 (새우류). 문교부.

배연재, 박선영, 황정미. 1998. 깜장하루살이 (하루살이목: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기재 및 한국산 꼬마하루살이과 유충의 검색표. 한국육수학회지 31(4):

282-286.

송광래. 1995. 한국산 거머리강 (환형동물문)의 분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pp.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 수서곤충. 조서출판 생태조사단.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 (수서곤충류). 문교부.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서울.

윤일병, 전동준. 1992. 한국산 깔다구속 (파리목: 깔다구과)의 분류. 한국곤충연구소

연구보고 8: 1-14.

한국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 건국대 출판부.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아카데미서적.

3. 어류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pp. 21-27.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ColumbU.S.,

Ohio, USA.

Sanders, R.E., R.J. Milter, C.O. Yondr and E.T. Rankin 1999. The use of external

deformities, erosion, lesions, and tumors in fish assemblages for characterizing aquatic

resources. Simon, T.P. (Eds), CRC Press. p. 225-245.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Cincinnati, Ohio 45268.

환경부. 1987. ’87 자연생태계전국조사. 1차년도 (생물상분포도).

환경부. 2007.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

- 438 -

구 최종보고서 (III): 수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4. 식생

Braun-Blanquet, J. 1932. Plant Sociology :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McGraw-Hill. New York.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USA.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이창석, 오종민, 이남주. 2002. 하천환경과 수변식물. 신광문화사.

5. 서식 및 수변환경

Moss, B. 1998. Ecology of Fresh Waters: Man and Medium, Past to Future.

U.S. EPA. 2002. Biological Assessments and Criteria: Crucial Components of

Water Quality Programs. EPA 822-F-02-006.

조용현. 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개발.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189pp.

환경부. 1997.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 공법의 개발.

환경부. 2006. 물환경 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

6. 종합평가

U.S. EPA. 2007. National Estuary Program Coastal Condition Report.

EPA-842/B-06/001.

http://www.aqem.de

http://aquaeco.ups-tlse.fr

Page 230: final report_4 river projects

- 439 -

http://www.best.usgs. gov

http://www.epa.gov/emap

http://www.eu-star.at

http://www.eurolimpacs.ucl.ac.uk

http://fame.boku.ac.at

http::/www.wfduk.org

7. DB

Environmental System Research Institute (ESRI), ArcView GIS 3.2a.

Chang, H.J. 2008.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trends in the Han River

basin, South Korea. Water Res. 42: 3285-3304.

Lek, S., M. Scardi, P. Verdonschot, J. Descy and Y.-S. Park. 2005. Modelling

community structure in Freshwater ecosystem, Springer, Berlin. 518pp.

U.S. EPA. STORET database (http://epa.gov/storet/).

국토해양부. 국가수자원 종합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영국 환경청. (http://www.environment-agency.gov.uk/).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http://water.nier.go.kr/).

환경부. 환경지리정보서비스. (http://egis.me.go.kr).

8. 복원 로드맵

이도원. 2003. 경관생태학, 서울대학출판부.

환경부. 2007. ’07년도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결과.

환경부. 2007. 생태하천 만들기 10년 계획.

환경부. 2007. 생태계가 살아 숨쉬는 건강한 하천 만들기.

환경부. 2007. 섬진강수계 생태계 복원 수립연구.

Craig W. Johnson and Susan Buffler, 2008. Riparian buffer design guidelines,

USDA Forst Service, RMRS-GTR-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