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39권 제2, 2015 여름. pp. 191~221 * 본 논문에서는 2015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인 러 중 장기 로드맵: 교역, 투자, 지역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활용한 설문결과를 일부 이용 하였다.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 * 李載榮李哲元 Ⅰ. 서론 Ⅱ.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 A. 선행연구 검토 B. 모형 및 데이터 C. 실증분석 결과 Ⅲ. 대러시아 진출환경 평가 A. 외부환경 B. 내부환경 Ⅳ.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진출전략 Ⅴ. 결론 한글초록 본 논문은 러시아에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고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러 진출환경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러시아 28개 지역의 횡단면과 7(2007~2013)의 시계열을 병합한 패널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원고정효과 모형 으로 러시아에 유입된 FDI 결정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기업 들은 대체로 러시아에 시장추구적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기업 의 대러 진출동기도 이와 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 과를 기초로 하여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을 대상으로 러시아 시장 진출 환경을 평가한바, 평균 이상의 내부 강점요인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 진출의 외부요인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우리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 진출에 있어 기회요인 보다는 위험요 인에 더 민감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향후 중장기 한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걸림돌을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주제어 : 투자결정요인, 러시아경제, 외국인직접투자, 러시아 투자환경, 한․러 경제협력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소연구/146호-06-이재영,이철원.pdf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 * 李載榮․李哲元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pp. 191~221

    * 본 논문에서는 2015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인 ‘한․러 중장기 로드맵: 교역, 투자, 지역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활용한 설문결과를 일부 이용하였다.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

    李載榮․李哲元

    Ⅰ. 서론

    Ⅱ.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

    A. 선행연구 검토

    B. 모형 및 데이터

    C. 실증분석 결과

    Ⅲ. 대러시아 진출환경 평가

    A. 외부환경

    B. 내부환경

    Ⅳ.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진출전략

    Ⅴ. 결론

    한글초록

    본 논문은 러시아에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고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러

    진출환경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러시아 28개 지역의 횡단면과 7개

    년(2007~2013년)의 시계열을 병합한 패널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원고정효과 모형

    으로 러시아에 유입된 FDI 결정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기업

    들은 대체로 러시아에 시장추구적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기업

    의 대러 진출동기도 이와 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

    과를 기초로 하여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을 대상으로 러시아 시장 진출

    환경을 평가한바, 평균 이상의 내부 강점요인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 진출의 외부요인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우리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 진출에 있어 기회요인 보다는 위험요

    인에 더 민감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향후 중장기 한․러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걸림돌을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주제어 : 투자결정요인, 러시아경제, 외국인직접투자, 러시아 투자환경, 한․러 경제협력

  • 192⋅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Ⅰ. 서 론

    2015년 한․러 수교 25주년을 맞아 우리는 그동안 우리 기업들의 대러

    진출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향후 양국간 새로운 경제협력 방

    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2013년 10월 발표된 ‘유

    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더불어 국정과제인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유라시

    아 협력 확대'를 실행하기 위해 양국간 중장기 경제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

    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골자는 유라시아

    를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평화의 대륙'으로 만들기 위한 국제협력

    을 강화하는 것으로, 우선적인 협력 대상국은 러시아다.1) 또한 2013년 11

    월 개최된 한·러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경제․교역․투자의 새로운

    분야를 모색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협력을 우선적으로 심화시킬 필요

    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 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중장기 협력 로드맵

    을 논의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사실 한국기업의 대러 직접투자 규모는 2014년 기준으로 약 1억 7,000

    만 달러로 이는 한국 해외직접투자 총액의 0.46%에 불과하다. 우리의 브

    릭스(BRICs) 국가들에 대한 직접투자 중 러시아의 비중은 2.9%로, 77%

    를 점하는 중국은 물론 인도(8.3%)와 브라질(11.4%)에 비해서도 현저하

    게 적은 규모이다. 한국의 대CIS 직접투자액에서 러시아의 비중은 37.7%

    에 달하지만, 이는 러시아보다 경제규모가 작은 카자흐스탄(52.8%)에도

    크게 미지치 못하는 수준이다. 2013년 기준 한국의 경제규모는 약 1조

    3,000억 달러로 세계 14위이며, 러시아는 약 2조 달러로 세계 9위를 기록

    하였다.2) 한국은 2013년 해외직접투자 규모가 약 290억 달러로 세계 12

    대 해외직접투자국이며, 같은 해 러시아는 792억 6,000만 달러의 외국

    인직접투자를 유치, 세계 3대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3) 이러한 점

    1) 이재영,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협력전략 연구”,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2015, p.295. 2) World GDP Ranking, http://databank.worldbank.org/data/download/GDP.pdf

    3)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2014, pp. 4, 7, 205~208.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193

    에 비추어 볼 때, 한국기업의 대러 직접투자 규모는 수교 이후 꾸준하게

    증가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매우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기업의 대러 투자진출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러 경제협력 증진이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

    기업들의 러시아 진출환경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학술적

    인 측면에서 러시아에 유입된 외국인직접투자(FDI) 결정요인 분석과 우리

    기업들의 대러 투자 동기에 대한 변화 분석이 러시아 진출환경 평가를 위

    한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대러 FDI 결정요인 중 최근 통계를 바탕으로

    주로 어떤 요인들이 실증적으로 유효하며, 실질적으로 한국 기업들은 최

    근 러시아 진출 동기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을 염두에 두고 러시아 진출

    환경을 평가해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2장에서 러시아에 유입된 FDI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를 총 28개 지역으로 구분, 러시아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2007-2013년 통계를 패널 데이터로 구성, 실증분

    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해석한다. 또한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기초하여 한국기업의 대러 진출동기를 파

    악하고 실증분석 결과와의 연계성을 검토한다. 3장에서는 경영학적 기법

    의 SWOT Matrix를 응용하여 러시아 진출환경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며,

    이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의 설문

    조사 기법을 접목한다. 4장에서는 3장의 환경평가에 기초하여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을 결합, 한국기업의 중장기 대러 진출 전략을 도출한다. 그리고

    끝으로 제5장에서는 한․러 경협활성화 방안 제시를 통해 결론을 맺고자

    한다.

  • 194⋅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Ⅱ.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

    A. 선행연구 검토

    개도국에 유입되는 FDI 결정요인 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는 중국과 인근

    아시아 국가들의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브

    릭스 혹은 몇몇 개발 잠재력이 큰 특정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는 FDI 결정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밖에 아프리카, 중남미 등 특

    정 지역의 개도국 혹은 중간 소득층과 같은 특정 소득의 개도국을 대상으

    로 하는 실증 연구들도 주목할 만하다.

    Eichengreen & Tong(2005)은 중국과 인접 아시아 국가로의 FDI 유입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저임 활용 FDI 성격이 강해 중국으로의 폭발적인 FDI

    유입은 장기적으로 인접 아시아 국가의 FDI 유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Duanmu & Guney(2009)는 중국과 인도 기업

    의 해외직접투자에서 시장규모, GDP 성장률, 세율 등이 유의적인 정의 관

    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분석한 Mah & Yoon(2010)은 임금과 이자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시장규모가 대표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만족시키며 FDI 유입을 증

    가시키는 요인으로 결론짓고 있다.

    브릭스의 FDI 유입 결정요인에 관한 Ranjan & Agrawal(2011)은 시장

    규모, 무역개방도, 노동비용, 사회간접자본과 성장률 등이 FDI 유입에 유

    의적인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Mottaleb & Kalirajan(2010)

    은 FDI가 중국, 인도, 나이지리아 등 특정 개도국에 집중되는 것에 주목

    하여 주요 FDI 결정요인으로 GDP, 성장률, 무역비중, 친화적인 비즈니스

    환경 등을 제시하였다. 개도국에 유입되는 FDI 결정요인에는 개도국의

    발전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전성희(2011)는 개도국을

    중간소득과 저소득 국가로 구분하여 투자유입결정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195

    지역별로도 FDI 결정요인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아프리카 지

    역의 개도국들을 대상으로 FDI 결정요인을 분석한 Asiedu(2002)에서는 정

    치적 안정성, 제도적 투명성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었다. 반면, 과거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로 체제전환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중동

    부 유럽(Central and Eastern Europe)과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을 대상

    으로 분석한 Kinoshita & Campos(2002)에서는 과거 FDI 유입 규모와 개

    방화 정도 등이 주요 변수로 제시되었다. 한편 Amal, Tomio and

    Raboch(2010)은 중남미 개도국을 대상으로 FDI 유입의 결정요인을 분석

    한 결과 GDP와 임금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러시아에 유입된 FDI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은 이재영 외(2008)에서 러

    시아 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2000~06년

    러시아의 주요 지역별 통계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시장규모, 노동력, 인프라 수준이 FDI 유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

    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금수준이나 개방정도는 러시

    아 FDI 유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모형 및 데이터

    전술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개도국 FDI 유입의 주요 결정요인

    들을 선별하고, 본 연구가 러시아의 주요 지역별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

    분석인바, 국별 데이터인 경우에만 의미가 있는 요인들은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예를 들어 정치적 안정성, 제도적 투명성, 법인세율 등은 국별로

    는 차별화가 가능한 변수이나 러시아내에서 지역별로 차별화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변수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현실적으로 대리변수로 활용 가

    능한 변수만 채택하고 대리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 통계가 부재한 경우에

    는 변수에서 제외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모형을 설정할

    수 있다.

  • 196⋅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 RGDPRἰ, POPἰ, ROADἰ, WAGEἰ, OPENἰ, GR_RGDPRἰ

    러시아 ἰ지역의 외국인직접투자인 FDIἰ는 Xἰ에 나열된 독립변수의 함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을 선형로그방정식 형태로 변형하면 다

    음과 같은 형태로 회귀분석이 가능하며, 주요 독립변수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은 과 같다.

    ln lnln ln

    변수명 변수설명 예상부호

    lnRGDPR log(지역별 실질GDP/인구), 시장성 +

    lnPOP log(지역별 경제활동인구), 노동력 +

    lnROAD log(지역별 포장도로길이), 인프라수준 +

    WAGE 지역별 임금상승률, 임금수준 -

    OPEN (지역별 총수출입/GDP), 개방정도 +

    GR_RGDPR 지역별 실질GDP증가율, 성장성 +

    사용 독립변수 설명

    자료: 저자 작성.

    우선 각 지역별 시장성을 대표할 수 있는 대리변수로 해당 지역의 1인

    당 실질GDP를, 노동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역별 경제활동인구를 각각

    활용하였다. 인프라 수준에 대한 대리지표는 통계의 확보 및 정리가 가능

    한 지역별 토지면적 1,000km2당 포장도로 길이를 사용하였다. 지역별 임

    금수준은 정확한 지역별 임금지급액에 대한 자료부족으로 임금상승률을

    대리지표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개방정도는 해당 지역의 GDP

    대비 수출과 수입 총액을, 성장성은 지역별 실질GDP증가율을 각각 사용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197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러시아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러시아

    전역을 총 28개 지역 단위로 구분하였다. 러시아 연방은 중부연방관구, 북

    서연방관구, 남부연방관구, 북카프카스연방관구, 볼가연방관구, 우랄연방

    관구, 시베리아연방관구, 극동연방관구 등 총 8개 연방관구로 구분이 가능

    하다.4) 이 가운데 중부연방관구는 (1) 벨고로드 주, (2) 리페츠크 주, (3)

    모스크바 주, (4) 모스크바 등으로 구분하고, 북서연방관구는 (5) 코미 공

    화국, (6) 볼로그다 주, (7) 레닌그라드 주, (8) 상트페테르부르크 등으로 지

    역을 구분할 수 있다. 남부연방관구는 (9) 크라스노다르 변강, (10) 볼고그

    라드 주, (11) 로스토프 주 등으로 구분하고, 북카프카스연방관구는 (12)

    스타브로폴 변강을 대표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볼가연방관구는 (13)

    바쉬토르스탄 공화국, (14) 타타르스탄 공화국, (15) 페름 변강, (16) 니줴

    고로드 주 등으로, 우랄연방관구는 (17) 스베틀로프 주, (18) 야말로-네네

    츠크 자치주, (19) 투멘 주(자치구 제외), (20) 첼랴빈스크 주 등으로 구분

    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베리아연방관구는 (21)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강, (22)

    이르쿠츠크 주, (23) 케메로보 주, (24) 노보시비르스크 주 등으로, 극동연

    방관구는 (25) 사하공화국(야쿠치야), (26) 프리모르스크 변강, (27) 하바로

    프스크 변강, (28) 사할린 주 등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이와 같이 러시아의 총 28개 지역에 대한 2007~13년 데이터를 STATA

    에서 총 196개의 패널데이터로 병합하였다. 이재영 외(2008)의 분석 결

    과와 연결 및 비교를 통해 투자결정요인의 패턴변화 분석을 위해 2007년

    이후 부터 수집 가능한 최근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지역별 포장도로는

    2008~14년 통계만 수집 가능하여, 다른 변수들과 유일하게 시계열이 정

    확하게 일치하지 않았다.

    4) 이재영, 이철원, 황지영, 파벨 미나키르, 한․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20년: 새로운 비전과 실현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p.41.

  • 198⋅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C. 실증분석 결과

    러시아 28개 지역의 횡단면과 7개년(2007~13년)의 시계열을 병합한 패

    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정효과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독립변수

    와 28개 지역별 특성은 상관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고정효과(fixed effect)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의 이질성과 시간의 이질성을 동시에 고려

    하는 이원고정효과(two-way fixed effects) 모형을 적용하였다.5) 한편 에서 분석대상인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를 먼저 분석한 결과, lnPOP와

    lnRGDPR과의 상관계수가 0.6692, lnPOP와 lnROAD와의 상관계수가

    0.6332로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의 문제가 존재하였다.

    분석 독립변수 상관관계 분석

    lnRGDPR lnPOP lnROAD WAGE OPEN GR_RGDPR

    lnRGDPR 1.0000

    lnPOP 0.6692 1.0000

    lnROAD 0.3284 0.6332 1.0000

    WAGE -0.0099 0.0940 0.0337 1.0000

    OPEN 0.2468 0.1771 0.3687 0.1075 1.0000

    GR_RGDPR 0.2936 0.1639 0.1616 -0.1450 0.1237 1.0000

    자료: 저자 작성.

    모델1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채택된 모든 독립변수를 포함하여 회

    귀분석을 실시한 다음,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2에서는

    lnRGDPR 및 lnROAD와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난 lnPOP를 제거하고 분석

    하였으며, 모델3에서는 lnRGDPR와 lnROAD를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러

    시아 28개 지역별 통계에서 경제활동인구는 그 지역의 시장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시장규모가 큰 지역일수록 도로망

    5) 민인식․최필선, STATA Panel Data Analysis, 2013, p.125.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199

    이 잘 되어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 특히 광활한 영토에 일부 지역에만 인

    구가 밀집해 있는 러시아의 경우 이러한 상관관계는 충분히 설명 가능한

    부분이다.

    모델1과 모델3에서는 lnPOP가 5% 유의수준에서 lnFDI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모델2에서는 lnRGDPR이 10% 유의

    수준에서 lnFDI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값을 나타내었다. 나머지

    lnROAD, WAGE, OPEN, GR_RGDPR 변수들은 모두 lnFDI와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즉, 외국기업들이 러시아에 투자할 때,

    주요 입지결정요인으로 시장규모와 노동력을 중요하게 본다는 결론이 가

    능하다. 반면 인프라수준, 임금수준, 개방정도 및 성장성은 러시아의 FDI

    유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전술한 lnPOP와

    lnRGDPR의 높은 상관관계를 감안하면, 종합적으로 외국기업들의 대러

    직접투자는 시장규모가 큰 지역에 투자하고 그 지역의 인적자원을 중요

    하게 고려하는 시장추구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재영

    외(2008)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즉,

    두 분석은 시기적으로 다른 데이터와 독립 변수 및 분석 기법에서의 약간

    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2008년 분석에서는 인프라 수준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이번 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왔다는 것 외에는 전반적

    인 결론이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외국기업들의 시장추구

    적인 대러 직접투자 패턴은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다는 사실을 이번 분석

    으로 확인할 수 있다.

  • 200⋅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모델 1 모델 2 모델 3

    lnRGDPR1.658

    (1.036)

    1.705*

    (1.047)-

    lnPOP2.601**

    (1.225)-

    2.481**

    (1.224)

    lnROAD-0.213

    (0.172)

    -0.172

    (0.172)-

    WAGE0.024

    (0.027)

    -0.001

    (0.028)

    0.008

    (0.027)

    OPEN-0.421

    (0.756)

    -0.226

    (0.758)

    -0.605

    (0.753)

    GR_RGDPR0.156

    (0.202)

    0.148

    (0.204)

    0.198

    (0.200)

    N of obs 195 195 195

    F-Value 3.38*** 2.86*** 3.24 ***

    대러 FDI 결정요인 분석 결과

    주: * P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01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그림 1] 한국기업들의 러시아 진출 동기 [그림 2] 한국기업들의 대러시아 투자진출 동기

    (단위: 설문조사 대상 응답 기업 수, 개) (단위: 투자금액 기준, 천 달러)

    자료: 저자 작성. 자료: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Ⅲ. 대러시아 진출환경 평가

    2015년 4월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

    사를 위해 확보한 기업명단은 163개였으나, 연락처 오류나 현지법인 철수

    등으로 실질적으로 설문이 가능했던 기업은 총 113개에 불과해 모집단이

    예상보다 많이 축소되었다. 이중 42개 기업(응답률 약 37%)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을 수 있었는데, 주로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블라디보스

    토크 등에 위치한 기업들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러 투자진출의 주요 동기가 시장추구에 있는바, 우

    리 기업들이 맞이하고 있는 러시아 시장 진출환경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러시아 시장 진출환경을 외부요인과 내부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문지

    를 작성7), 러시아 시장에 기 진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요인의 중요성

  • 202⋅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과 대응 정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8) 또한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경영학적 기법의 SWOT Matrix를 응용, 향후 러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중

    장기 전략적 틀을 도출하고자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기법9)은 주로 경영

    학에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최적의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는 러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중장기 전략으로 분석 대상 및 기간을 크게

    확대하여 적용하고 있다.10) 따라서 러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주체는

    기본적으로 기업이며, 이를 지원하는 정부도 주체인 기업과 동일한 목표

    를 지향하고 있다고 상정해 볼 수 있다.

    A. 외부환경

    외부환경은 중장기적으로 러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함에 있어 주체인 한

    국기업의 통제력을 벗어나는 환경을 말한다. 즉, 외부환경 분석은 이러한

    통제권 밖에 존재하는 요인들을 평가 및 분석하여 한국기업이 향후 러시

    아 시장을 진출함에 있어 직면하게 될 기회와 위협요소를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기회(Opportunity)는 주체인 한국기업에 일정한 이득을 가

    져다 줄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하고 위협(Threat)은 피하거나 파급효과가 최

    소화되도록 해야 하는 요소를 의미한다.11)

    전략 또는 전략적 관리란 기본적으로 한국이라는 주체가 외부 기회의

    7) 설문지 작성 과정에서 주요 외부요인과 내부요인의 선정은 불가피하게 필자의 주관성이 개입될 수밖에 없으나, 각각의 요인에 기타 항목을 추가하여 앞에 나열된 요인들이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8) 폴란드 시장에 대해 이와 유사한 평가를 실시한 것으로는 이철원․이현진․강세나, 폴란드의 주요 산업: 자동차, 인프라,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3-07,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p.123~133 참고.

    9) Mohammad Taleai, Ali Mansourian, Ali Sharifi(2009), “Surveying general prospects and

    challenges of GIS implemen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SWOT–AHP approach.”

    10) 전략에는 이미 단기 보다는 중장기에 가까운 사전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중장기 대러 경제협력 기본 방향 설정을 위한 환경 분석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업의 전략 도출시 보다는 중장기적인 환경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11) 임의의 외부환경 요인은 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주체의 특성이나 구성, 그 요인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나 상황 또는 시기 등에 따라서 기회 또는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환경 요인의 종류와 범주는 사실상 무수히 많다고 볼 수 있다.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03

    이점을 활용하고 외부 위협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도출하고 실행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부환경을 기회와 위협으로 구분하여 관찰

    하고 평가하는 것은 한국기업이 러시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

    하여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이러한 외부환경 평가의 기법에는 외부요인

    평가 행렬(External Factor Evaluation Matrix, EFE Marix)이 주로 이용되

    고 있다.12)

    에서와 같이 설문조사 결과 필자가 제시한 외부요인들에 대해 다

    양한 비중과 대응 정도의 평가가 42개 기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러시아 시

    장 진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회요인은 ‘에너지, 광물, 수산, 삼림 등 막

    대한 자원개발 잠재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20개 응답에서 핵심 외부요

    인으로 지적된 상기 요인은 평균 비중이 12%를 초과하는 핵심 외부요인

    이며, 평균 점수 1.7로 우리 기업들이 평균 정도(2)에도 미치지 못하는 대

    응을 하고 있는 기회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그 다음으로 ‘러시아의 풍부한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 ‘러시아 정부의 주요 정책’, ‘지리적 근접성’ 등이

    평균 비중 5% 이상의 주요 기회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이들 요인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은 ‘러시아 정부의 주요 정책’이 평균 이하인 반면, ‘러시아

    의 풍부한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 ‘지리적 근접성’ 등이 평균 이상으로 훌

    12) EFE Matrix는 외부환경과 관련된 모든 요인들을 요약하고 평가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라고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5단계를 거쳐 작성할 수 있다. 첫째, 외부환경 파악 과정을 거쳐 핵심적인 외부환경 요인을 나열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기회요인을 먼저 나열하고 위협요인을 뒤에 배치한다. 둘째, 각 요인에 대하여 중요도에 따라 0.0(전혀 중요하지 않음)에서 1.0(매우 중요함) 사이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 가중치는 각 요인이 주체인 한국기업의 성공적인 러시아 시장 진출에 미치는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며 각 요인의 가중치의 합은 1이 되어야 한다. 셋째, 각 중요 외부요인에 대하여 한국기업이라는 주체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느냐에 따라 1에서 4 사이의 점수를 부여한다. 이때, 4는 대응이 매우 훌륭한 경우이고 3은 평균 이상 대응하는 경우, 2는 평균 정도 대응하는 경우, 1은 대응이 미흡한 경우를 의미한다. 넷째, 각 요인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곱한다. 다섯째, 각 요인에 대한 점수를 모든 요인에 대하여 합하여 한국 기업이라는 주체에 대한 총 가중점수를 구한다. EFE Matrix에서 가장 높은 총 가중점수는 4점이고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이며 평균은 2.5이다. 4점은 그 주체가 현존하는 모든 기회와 위협에 대하여 매우 뛰어나게 대응하고 있음, 즉 기회는 최대한 활용하고 위협의 효과는 최소화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1점은 그 반대이다. 만약 총 가중점수가 2.5를 넘는 경우에는 외부환경에 대한 한국 기업의 대응이 평균 이상임을 의미한다.

  • 204⋅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핵심 외부요인 평균비중1) 평균점수2) 빈도수

    (1) 에너지, 광물, 수산, 삼림 등 막대한 자원 개발 잠재력 12.1 1.7 20

    (2) 러시아 정부의 (극동개발, 경제 현대화 등) 정책 8.2 1.9 16

    (3) 러시아의 풍부한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 9.3 2.4 14

    (4) 지리적 근접성(극동, 시베리아 등) 5.2 2.6 12

    (5) 인프라 개발 수요(에너지 수송, 관광자원 개발 등) 2.6 1.8 5

    (6) 제도, 시스템 등 비즈니스 환경 개선 추세 2.0 2.0 5

    (7) 인근 CIS 시장 진출 거점 4.0 2.2 10

    (8) 기타 기회요인(남-북-러 3각 협력) 0.7 1.0 1

    (9) 부패 및 관료주의 등으로 인한 행정장벽 9.9 1.7 19

    (10) 복잡하고 높은 세율 등 외국기업에 대한 조세제도 8.2 1.6 17

    (11) 생산비용 상승 속도, 높은 물가수준과 임금 6.2 1.8 13

    (12) 산업 인프라(전력, 용수 사정, 교통, 운송 등)의 미비 5.6 1.6 12

    (13) 미국, EU, 중국, 일본 등 주요국 기업과의 경쟁 심화 3.1 1.4 5

    (14)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위험과 대서방 관계 6.5 1.3 15

    (15) 저유가에 따른 러시아 전반의 경기침체 16.2 1.5 24

    (16) 기타 위험요인: 없음 - - 0

    륭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머지 기회요인들은 평균 비중이 5%에 미치

    지 못하였으며, 기타 기회요인으로 남-북-러 3각 협력이 1개 기업에 의해

    제시되기도 하였다.

    러시아 시장진출 핵심 외부요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주: 1) (해당 요인의 총 비중의 합/전체 요인의 총 비중의 합)*100, 모든 요인의 평균비중 합은 100

    2) 해당 요인의 총 점수의 합/해당 요인의 빈도수자료: 필자 작성.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은 24개 기업에 의해 지적된 ‘저유가에 따른 러시

    아 전반의 경기침체’로 평균 비중이 16.2로 외부요인 중 가장 높았으며, 이

    러한 위험요인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대응은 1.5로 평균 이하였던 것으로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05

    핵심 외부 요인 가중치 평가점수 가중 점수

    기회(Opportunities)

    1. 에너지, 광물, 수산, 삼림 등 막대한 자원개발 잠재력

    2. 러시아의 풍부한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

    3. 러시아 정부의 (극동개발, 경제 현대화 등) 정책

    4. 지리적 근접성(극동, 시베리아 등)

    0.14

    0.11

    0.09

    0.06

    1.7

    2.4

    1.9

    2.6

    0.24

    0.26

    0.17

    0.16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19개 기업에 의한 ‘부패 및 관료주의 등으로 인한

    행정장벽’이 평균 비중 9.9%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지적되었으며, 우리

    기업들의 이에 대한 대응은 1.7로 역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이밖에 평균 비중이 5%를 초과하는 위험요인으로 ‘복잡하고 높은

    세율 등 외국기업에 대한 조세제도’,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위험

    과 대서방 관계’, ‘생산비용 상승 속도 및 높은 물가수준과 임금’, ‘산업인

    프라 미비’ 등 4개 요인이 추가로 지적되었다. 이처럼 평균 비중 5%를 넘

    는 핵심 외부요인으로 기회요인 보다는 위험요인이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

    된 것으로 보아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들은 대체로 러시아 시장

    이 기회요인 보다는 위험요인 비중이 훨씬 큰 것으로 느끼고 있음을 직관

    적으로 알 수 있다.

    여기서 평균 비중이 5%가 되지 않는 요인들을 제외하면 각각 4개의 기

    회요인과 6개의 위험요인들로 핵심 외부요인들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로 가중치를 다시 측정하여 핵심 외부요인을 평가하면 와 같다. 즉,

    러시아 시장진출의 핵심 외부요인을 평가한 결과, 가중점수 합계가 1.76으

    로 평균 2.5와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 우리 기업들이 외부요인들에 대해

    매우 미흡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러시아에 진출해 있

    는 우리 기업들은 현지시장에서 기회요인 보다는 위험요인들이 더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외부요인들에 대해 대응도 제대로 못하

    고 있는 것으로 체감하고 있는 것이다.

    러시아 시장진출의 핵심 외부요인 평가

  • 206⋅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핵심 외부 요인 가중치 평가점수 가중 점수

    위협(Threats)

    1. 저유가에 따른 러시아 전반의 경기침체

    2. 부패 및 관료주의 등으로 인한 행정장벽

    3. 복잡하고 높은 세율 등 외국기업에 대한 조세제도

    4.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위험과 대서방 관계

    5. 생산비용 상승 속도, 높은 물가수준과 임금

    6. 산업 인프라(전력, 용수 사정, 교통, 운송 등)의 미비

    0.19

    0.11

    0.09

    0.07

    0.07

    0.06

    1.5

    1.7

    1.6

    1.3

    1.8

    1.6

    0.29

    0.19

    0.14

    0.09

    0.13

    0.10

    합 계 1.00 1.76

    자료: 필자 작성.

    B. 내부환경

    내부환경은 한국기업이라는 주체가 중장기적으로 성공적인 러시아 시

    장 진출과 같은 원하는 것을 달성하거나 비전의 실현, 전략적 목적의 효과

    적인 달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과 관련된 모든 것을 의미한다.13) 모든

    내부환경 요인은 궁극적으로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강점과 약점의 파악은 내부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목적

    달성이나 비전 실현 등에 기여하게 된다. 내부환경 분석의 기법에는 주로

    내부요인평가 행렬(Internal Factor Evaluation Matrix, IFE Matrix)이 이용

    되고 있다.14)

    13) 이러한 내부환경에는 주체의 개인적인 능력, 조직의 구성, 문화, 부존자원 또는 소유하고 있는 자원, 성장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기본적으로 그 주체가 통제할 수 있는 활동 또는 요인들이다.

    14) IFE Matrix는 한국기업이라는 주체 또는 조직의 모든 기능적 하위 부문에 있어서 주요한 강점과 약점을 요약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며, EFE Matrix와 유사하게 5단계를 거쳐 작성할 수 있다. EFE Matrix 작성과 다른 점은 평가점수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EFE Matrix는 외부요인에 대한 대응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반면, IFE Matrix는 각 요인에 대하여 조직의 실제 경쟁력 정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우선, 중요한 내부요인을 강점과 약점으로 구분하여 나열하고 각 요인의 중요도에 따라 0.0(전혀 중요하지 않음)에서 1.0(매우 중요함) 사이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그 다음 각 요인의 내부적인 대응 및 능력에 따라 1(중요한 약점)에서 4(중요한 강점) 사이의 평가점수를 부여한 후 각 요인에 대하여 가중치와 평가점수를 곱하고 합하여 최종적인 총 가중점수를 구한다. EFE Matrix와 마찬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07

    러시아 시장 진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강점요인은 ‘주요 수출품의 품질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23개 기업에 의해 핵심 내

    부요인으로 지적된 상기 요인은 평균 비중이 16.7%로 가장 비중 있는 내

    부요인이며, 평균 점수는 3.0으로 평균(2.5) 보다 훨씬 큰 강점으로 평가되

    었다. 그 다음으로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의지’가 20개 기업에 의

    해 12.6%의 평균 비중으로 중요한 강점요인으로 인식되었으며, 평균 점수

    는 3.2로 오히려 비중이 가장 높은 상기 강점요인보다 더 큰 강점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이밖에 ‘철강,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 및 조선 등의 비교우

    위’, ‘IT 등 첨단기술․혁신 분양의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 등이 평균 비

    중 5% 이상의 주요 강점요인으로 지적되었다.

    가장 중요한 약점요인은 24개 기업에 의해 지적된 ‘러시아 시장진출 중

    장기 비전 및 진출전략 부재’로 평균 비중이 11.1%에 달했으며, 평균 점수

    는 1.7로 매우 취약한 약점으로 평가되었다. 그 다음으로 14개 기업에 의

    한 ‘러시아 전반에 대한 절대적인 정보 부족’이 평균 비중 8.1%의 중요한

    약점요인으로 지적되었다. 이밖에 ‘경쟁 대상 다국적 기업 대비 자본력 부

    족’과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 및 교류 부족’이 각각 7.4%와 5.7%의 평

    균 비중을 기록하였다. 나머지 약점요인들은 모두 5% 미만의 평균 비중을

    기록하였으며, 기타 약점요인으로 지적된 요인은 없었다.

    외부요인과 마찬가지로 내부요인들도 평균 비중이 5%가 되지 않는 요

    인들을 제외하면 4개의 강점요인과 4개의 약점요인들로 핵심 내부요인들

    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로 가중치를 다시 측정하여 핵심 내부요인을 평

    가하면 과 같다. 즉, 러시아 시장진출의 핵심 내부요인을 평가한 결

    과, 가중점수 합계가 2.51로 평균 2.5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 러시아 시장

    진출에 있어 우리 기업들의 내부적인 능력은 강점과 약점이 균형을 이루

    는 거의 평균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우리 기업

    가지로 최고 점수는 4점이고 최저 점수는 1점, 평균 점수는 2.5점이다. 어떤 주체(조직)에 대한 IFE Matrix 총 가중점수가 2.5보다 상당히 크다면 내부적인 능력에 상당한 강점이 있음을 의미한다.

  • 208⋅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핵심 내부요인 가중치 평가점수 가중점수

    강점(Strengths)

    1. 주요 수출품의 품질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

    2.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의지

    3. 철강,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 및 조선 등의 비교우위

    4. IT 등 첨단기술․혁신 분야의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

    0.21

    0.16

    0.12

    0.11

    3.0

    3.2

    3.2

    3.1

    0.63

    0.51

    0.38

    0.34

    들의 내부 능력이 러시아 시장을 진출함에 있어 평균적으로 전혀 부족함

    이 없다는 러시아 진출기업들의 자평인 것이다.

    러시아 시장진출 핵심 내부요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핵심 내부요인 평균비중 평균점수 빈도수

    (1) 주요 수출품의 품질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 16.7 3.0 23

    (2) IT 등 첨단기술․혁신 분야의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 9.2 3.1 16

    (3) 단기간 산업화 경험 1.5 3.2 5

    (4) 철강,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 및 조선 등의 비교우위 9.6 3.2 20

    (5) 대규모 인프라 구축 경험(도로, 공항, 항만 등) 2.7 3.0 8

    (6) 다양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능력 4.3 2.8 9

    (7)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의지 12.6 3.2 20

    (8) 기타 강점: 없음 - - 0

    (9) 경쟁 대상 다국적 기업 대비 자본력 부족 7.4 1.5 14

    (10) 원천기술 부족으로 핵심기술의 해외의존 2.3 1.6 5

    (11) 러시아시장에 대한 실질적, 심리적 거리감 4.6 1.7 12

    (12)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 및 교류 부족 5.7 1.6 9

    (13) 러시아 전반에 대한 절대적인 정보 부족 8.1 1.6 14

    (14) 러시아 시장진출 중장기 비전 및 진출전략 부재 11.1 1.7 24

    (15) 한국 기업문화와 러시아 기업문화의 불일치 4.2 1.6 9

    (16) 기타 약점: 없음 - - 0

    자료: 필자 작성.

    러시아 시장진출의 핵심 내부요인 평가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09

    핵심 내부요인 가중치 평가점수 가중점수

    약점(Weaknesses)

    1. 러시아 시장진출 중장기 비전 및 진출전략 부재

    2. 러시아 전반에 대한 절대적인 정보 부족

    3. 경쟁 대상 다국적 기업 대비 자본력 부족

    4.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 및 교류 부족

    0.14

    0.10

    0.09

    0.07

    1.7

    1.6

    1.5

    1.6

    0.24

    0.16

    0.14

    0.11

    합 계 1.00 2.51

    자료: 필자 작성.

    Ⅳ.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진출전략

    3장에서 살펴본 외부환경과 내부환경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장에

    서는 외부환경과 내부환경을 동시에 고려하여 대러 경제협력을 위한 결합

    전략을 수립하고 선택하고자 한다.15)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을 결합하여 전략을 설정하고 비교 및 평가하는 방

    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여기서는 전략도출의 주체나 전략도출의 목적

    등을 고려하여 SWOT(Strengths-Weaknesses-Opportunities-Threats) Matrix

    를 이용하기로 한다.16) SWOT Matrix는 한국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 진

    출함에 있어 중장기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내부환경과 외부환경 요인을 연

    결시킴으로써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참조).

    또한 이러한 네 가지 전략을 기반으로 향후 러시아 시장진출을 위한 중장

    기 기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15) 여기서 도출되는 전략은 모든 가능한 대안을 고려하기 보다는 통제가능하고 관리가능하며 가장 매력적인 대안을 개발한 후 그 중에서 선택된다. 이때 대안 및 전략들 사이의 장점과 단점, 상충관계, 비용 및 편익 등을 분석하고 결정해야 한다.

    16) 전략도출의 기본적인 목적이 중장기적으로 한국기업의 성공적인 러시아 시장진출이기 때문에 한국기업에게 있어서 더 중요하거나 시급한 전략적 대안 하나만을 도출하는 것이 아닌, 여러 선택가능한 대안의 도출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는 SWOT Matrix를 이용하였다.

  • 210⋅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중장기 러시아 시장진출 기본 방향 설정을 위한 SWOT Matrix

    강점(S)

    1. 주요 수출품의 품질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

    2.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의지

    3. 철강,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 및 조선 등 비교우위

    4. IT 등 첨단기술․혁신 분야

    의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

    약점(W)

    1. 러시아 시장진출 중장기

    비전 및 진출전략 부재

    2. 러시아 전반에 대한

    절대적인 정보 부족

    3. 경쟁 대상 다국적 기업

    대비 자본력 부족

    4.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

    및 교류 부족

    기회(O)

    1. 에너지, 광물, 수산, 삼림

    등 막대한 자원개발 잠재력

    2. 러시아의 풍부한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

    3. 러시아 정부의 (극동개발,

    경제 현대화 등) 정책

    4. 지리적 근접성

    (극동, 시베리아 등)

    S-O 전략

    1. 제품경쟁력, 비교우위 활용

    수출확대전략

    (S1, S2, S3, O2, O4)

    2. 러시아 경제현대화 및

    극동개발 사업 참여

    (S3, S4, O3, O4)

    3. 산업 비교우위․첨단기술

    활용 자원개발사업 참여

    (S3, S4, O1, O3, O4)

    4. CIS 신흥시장 진출거점

    (S1, S2, O2, O3)

    W-O 전략

    1. 대러 자원개발협력 활성화

    위한 중장기 전략 구축

    (W1, W3, O1, O3, O4)

    2. 러시아 정부 개발정책에

    대한 심층 분석 및 참여

    (W2, W3, O2, O3, O4)

    3. 교류증진을 통한 러시아

    문화 이해력 제고

    (W1, W4, O2, O4)

    위협(T)

    1. 저유가에 따른 러시아

    전반의 경기침체

    2. 부패 및 관료주의 등으로

    인한 행정장벽

    3. 복잡하고 높은 세율 등

    외국기업에 대한 조세제도

    4.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

    학적 위험과 대서방 관계

    5. 생산비용 상승 속도, 높은

    물가수준과 임금

    6. 산업인프라 미비

    S-T 전략

    1. 경쟁력을 기반으로 내수

    시장 진출기반 구축

    (S1, S2, S3, T1, T4, T5)

    2. 러시아 경제현대화 사업

    지원을 통한 경제협력 강화

    (S3, S4, T2, T3, T6)

    3. IT 관련 인프라 개발사업

    참여 (S4, T2, T6)

    W-T 전략

    1. 러시아 지역 전문가 양성

    (W2, W4, T2, T3, T4)

    2. 대러 경제협력 중장기

    로드맵 설정

    (W1, W3, T1, T4, T6)

    3. 정부 간 고위급 외교 및

    경제협력 강화

    (W3, W4, T2, T3, T5)

    주: 와 에서 제시된 핵심 외부요인과 내부요인들을 결합하여 각각의 전략을 도출함. 괄호 안에는 해당 전략에 결합된 외부요인과 내부요인들을 표시함(예를 들어, S1은 첫 번째 강점 요인, O1은 첫 번째 기회 요인임).

    자료: 필자 작성.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11

    셋째, S-T(strengths-threats) 전략은 외부적인 위협의 영향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내부적인 강점을 활용하는 전략이다. 즉, 한국기업의

    강점을 활용하여 러시아 시장의 위협 요인을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러시아

    시장진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하지만 S-T 전략은 전술한 S-O

    전략을 추진하면서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위협요인의

    영향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내부적인 강점

    을 바탕으로 외부적인 기회를 확실하게 잡는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W-T(weaknesses-threats) 전략은 내부적인 약점을 감소시키

    고 외부적인 위협을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어적인 전략이다. 하

    지만 W-T 전략은 앞에서 살펴본 그 어느 전략보다도 긴 호흡으로 추진해

    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효과도 간접적이어서 꾸준한 추진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전략이다. 또한 전략의 대상이나 목표가 뚜렷하지 않아 민간 보다

    는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 적절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네 가지 전략을 기반으로 중장기 러시아 시장진출 기본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앞에서 살펴본 환경평가 결과와 함께 현지 진출기업에 대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전략의 객관성과 현실성을 검증하였다.17) 생산법

    인은 물론 판매법인, 지사, 사무소 등 다양한 형태로 러시아에 진출해 있

    는 한국기업은 물론 수출입은행, KOTRA 현지 무역관 등 관련 기관들과

    함께 현지 투자 및 외국기업 비즈니스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현지정부기

    관 등을 방문하여 보다 현실성 있는 러시아 시장진출 방향을 설정하기 위

    해 노력하였다.

    러시아 시장진출에 있어 가장 대표적인 S-O 전략으로 제품경쟁력과 비

    교우위를 활용한 수출확대를 들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주요 수출품의

    품질대비 가격경쟁력 보유,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의지와 철강, 자

    동차, 전기전자, 기계 및 조선 등 비교우위 등과 같은 우리 기업들의 강점

    17) 본 연구진은 2015년 4월 13일부터 16일까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5월 11일부터 15일까지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현지 비즈니스 애로요인 조사 등과 함께 러시아 시장진출 전략과 관련된 현지진출기업 대상 심층인터뷰 및 현지정부 면담을 실시하였다.

  • 212⋅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요인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이다. 이러한 강점 극대화를 통해 러시아 시장

    진출에 있어 현재 우리 기업들에 가장 현실성 있는 기회요인인 러시아의

    풍부한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극동지역의 지

    리적 근접성18) 등의 기회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러시아 경제현대화 및 극동개발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S-O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다.19) 이를 위해 우리 기업의 주요 강점인 철강,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 및 조선 등 비교우위와 IT 등 첨단기술․혁신 분

    야의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또한 극

    동지역의 지리적 근접성이라는 기회를 활용하여 선도개발구역 및 자유

    무역항 개발 등 러시아 정부의 정책에 적극 호응하는 전략이라 할 수

    있다.20)

    러시아 시장의 가장 비중이 큰 기회요인이나 아직 우리 기업들이 제대

    18) 다만, 2015년 4월 13일부터 1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지역 진출 기업면담을 통해, 러시아 극동지역은 시장의 규모 및 지리적 특성상 생산기지로서 보다는 물류거점으로서의 활용가치가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극동지역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은 대부분 지사, 대표사무소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현지생산 보다는 수출입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 진출기업들은 극동지역이 시장규모가 협소하고 시장이 분절되어 있어 생산거점으로서의 제조업 투자대상 지역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하였다.

    19) 2015년 5월 11일부터 15일까지의 러시아 모스크바 지역 진출 기업면담을 통해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 우리 기업들이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부문의 투자진출이 러시아 정부의 경제현대화 정책과 연계하여 추진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러시아 정부의 국내 제조업 육성 정책에 협조하면서 현지정부로부터 세제혜택을 비롯한 다양한 투자인센티브를 제공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지 생산거점 구축은 최근 저유가와 서방의 대러 경제제재 등에 의한 러시아 경기침체 상황에서도 우리 진출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에서 비교적 선방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 2015년 4월 1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개발부 관계자(Rakipov, Albert)와의 면담에서 러시아 정부가 극동지역 개발을 위해 대표적으로 선도개발구역과 자유무역항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극동개발부 관계자에 따르면, 3개의 선도개발구역 조성을 위해 향후 3년간의 인프라 건설비 예산이 책정된 상태이며, 극동개발펀드와 외국인투자 유치 등을 통해 추가적인 재원조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자유무역항 조성을 토대로 블라디보스토크를 포함한 극동지역이 부산, 싱가포르와 같은 물류 중심지로 성장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선도개발구역에 관한 법은 2015년 3월 30일 발효하였는바,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Министерство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развитию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ступил в силу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терри

    ториях опережающего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http://minvostokrazvitia.

    ru/press-center/news_minvostok/?ELEMENT_ID=3066(검색일: 2015.4.15) 참고.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13

    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S-O 전략

    도 중장기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 특정 산업의 비교우위

    와 경쟁력 있는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극동․시베리아

    개발 등 러시아 정부의 개발정책과의 연계도 고려해볼 수 있다. 아직까

    지 우리 기업들의 러시아의 대규모 자원개발 사업 참여 실적이 부진한

    편인데, 이는 직․간접적으로 대러 투자실적 부진으로 연결되고 있다. 따

    라서 이러한 S-O 전략은 향후 중장기적으로 우리의 대러 투자실적을 적

    정 수준에 올려놓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마지막으로 풍부한 시장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CIS 신흥시장 진출

    거점을 러시아에 마련하는 S-O 전략을 들 수 있다. 즉, CIS 시장의 위협요

    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수시장 규모가 비교적 큰 러시아에 거점을 안정

    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근 CIS 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하는 전략이

    다. 성장잠재력이 풍부한 자체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에 우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시장개척 의지를 바탕으로 주요 수출품의 품질 대비

    가격경쟁력을 적극 활용한다면, 러시아 정부의 경제현대화 정책에 적극

    호응하면서 러시아와 밀접한 경제관계를 맺고 있는 CIS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거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O 전략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중

    장기 비전 및 진출전략 부재와 경쟁 대상 다국적 기업 대비 자본력 부족을

    극복하고 러시아 시장의 핵심 기회요인들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

    기 위해 대러 자원개발협력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구축하는 전략

    이다. 둘째, 러시아에 대한 정부부족과 우리 기업의 상대적인 자본력 부족

    을 보완하기 위해 러시아 정부의 개발정책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적정

    사업을 찾아내어 참여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각적인 양국간

    교류증진을 통해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제고하는 전략도 러시아

    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지리적 근접성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데 많

    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214⋅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S-T 전략으로는 경쟁력 기반의 러시아 내수시장 진출기반 구축, 러시아

    경제현대화 사업 지원을 통한 경제협력 강화, IT 관련 인프라 개발사업 참

    여 등을 들 수 있다. 첫 번째는 제품경쟁력과 시장개척 의지 및 특정 산업

    의 비교우위를 총동원하여 저유가와 지정학적 위기에 따른 최근 러시아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그리고 나머지 두 가지는 러

    시아 시장의 전통적인 위협요인인 행정장벽, 복잡한 조세제도 및 산업인

    프라 미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생적인 전략들이다.

    마지막으로 러시아 지역 전문가 양성, 대러 경제협력 중장기 로드맵 작

    성, 정부 간 고위급 외교 및 경제협력 강화 등을 W-T 전략으로 제시할 수

    있다. 러시아에 대한 정부부족과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 및 교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지역 전문가 양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행

    정장벽, 복잡한 조세제도, 러시아의 대서방 관계 등의 위협 요인들이 혼재

    되어 있는 러시아는 현지에 대한 전문성 없이는 접근이 쉽지 않다. 한편

    대러 경제협력 중장기 로드맵은 경쟁국 대비 자본력 부족이라는 약점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러시아의 경기 순환적 혹은 구조적 위협요

    인들에 대해 다소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우리 기업의 상대적인 자본력 부족과 러시아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의

    약점을 극복하는 데에는 고위급 외교와 이를 통한 경제협력 강화가 매우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

    Ⅴ. 결 론

    한․러 수교 25주년을 맞아 지금까지 우리는 본고에서 대러 투자진출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외국기업의 대러 투자결정요인 분석, 우리 기업

    의 대러 진출환경 평가 및 진출전략 도출 등에 노력을 경주하였다. 외국기

    업의 대러 투자는 시장추구적이었으며, 한국기업의 대러 진출동기 역시

    시장진출이 압도적이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15

    우리 기업들을 대상으로 러시아 시장 진출환경 평가를 실시한 결과, 우리

    기업들은 내부 강점요인이 평균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외부요인에 적절하

    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우리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진출에 있어

    기회요인 보다는 위협요인에 보다 더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SWOT 분석을 기초로 에서와 같이 우리 기업의 중장기 러

    시아 시장진출 기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한․러 중장기 경제협력 과제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한·러 무역의 지속가능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업내 무역이 활성화되어

    야 하며, 러시아와 한국간 글로벌 가치사슬이 형성되어야 한다. 양국 간에

    는 주로 산업간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역증가세가 글로벌 금융위

    기 이후 크게 둔화되었다. 한·러간 글로벌 가치사슬이 형성되기 위해서 투

    자확대는 물론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논의도 필요할 것이다.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과의 FTA 체결은 새로운 시장진출에 좋은 발판을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한국과 EAEU간 FTA 타당성에 관해 공동연

    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2015년부터 정식 발효됨으로써 유라시아경제연

    합21)은 GDP 총 2조 2천억 달러, 인구 1억 8천만 여명의 대규모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상당수가 수출입업무도 담당하고 있는

    데, 관세 및 복잡한 통관절차를 비롯한 비관세 장벽으로 인해 상당한 어려

    움을 겪고 있다. 관세를 적용하는 기준이 종가세 및 종량세를 적용하는 과

    정에서 WTO 규정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최근 각종 제도적, 행

    정적 절차가 도입되면서 비관세장벽이 추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통관규칙이 담당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비일관성 등으로 인해

    기업들이 추가적으로 지불해야하는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21) 회원국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등으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박상남, 김선탁, 이지은, 박상준,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 전략 연구: 중견국 전략의 사례와 EEU가 한국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참고.

  • 216⋅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통관절차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단순화 및 원활화 방안을 마련하는 공

    동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러시아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 대상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결과, 현

    지 비즈니스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금융여건이 반복적으로 지적되는바, 이

    에 대한 개선이 핵심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서방의 대러 제재

    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측 비즈니스 파트너가 외국인투자 기업

    에 전적으로 금융조달 부담을 전가하는 경우가 많아 현지 금융조달의 어

    려움은 대러 투자진출의 실질적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러 투자

    플랫폼 활용성 제고, 한․러 경협 핵심의제 상정 등 러시아 금융여건 개선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한․러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금융여건 개선 개

    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지원 분야를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이용할 수 있

    는 방향으로 한․러 투자 플랫폼 활용성 제고 방안 마련이 유효적절하며,

    이를 경협 핵심의제로 상정하여 러시아 측에서 할 수 있는 금융여건 개선

    노력을 촉구할 필요도 있다.

    한․러 투자활성화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질 때 보다 효과적인바, 아직까

    지 투자실적이 극히 저조한 러시아 기업의 국내투자 유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KOTRA의 Invest Korea, 한․러 비즈니스 협의회, 러

    시아연방 상공회의소, 모스크바 기업가협회 등 관련 기관의 협력 하에 러

    시아의 해외직접투자를 한국에 유치하기 위한 현지 투자유치 설명회를 지

    속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점차 러시아의 유망 지방으로 확대하는 전략도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22) 또한 재러 고려인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투자유치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도 시도해 볼만하다.

    한·러 차세대 성장 동력 마련과 극동-동북아 가치사슬 연결 차원에서 러

    시아 극동 선도개발구역 내 한·러 공동 산업 특별경제지대 조성을 제안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기업 또는 한·러 합작기업이 공동 산업 특별경제

    지대에서 반제품 또는 부속품을 생산하고 이를 한국 또는 제3국으로 수출

    22) 이재영, 이성봉, Alexy Kuznetsov, 민지영, 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 패턴과 한국의 투자 유치 확대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참고.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17

    하여 완제품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선도개발구역의 조

    세특혜는 물론, 추가적인 특혜(행정적 특혜, 물류 인프라 특혜)가 공동 산

    업 특별경제지대에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극동-한반도의 연계성 강화 차원에서 남·북·러 3자 교통·물류·에너지 네

    트워크 협력 사업을 지속 추진해야 할 것이다.23) 현재 논의 중인 한국 기

    업 컨소시엄의 나진-하산 프로젝트 참여와 해당 사업의 활성화를 적극 추

    진하여, 시베리아 횡단철도-한반도 종단철도 연결사업의 추진 동력을 확

    보하고, 향후 3자 네트워크 협력 사업 확대의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편 남·북·러 전력계통망 연계사업 및 가스관 건설사업과 관련하여, 사업

    의 경제적 타당성과 객관적인 상황을 고려하면서 실현방안을 모색하기 위

    해 논의 채널을 상시적으로 가동할 필요가 있다.

    23)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재영(2015), pp.300-303; Lee, Jae-Young and Alexey Novitskiy, “Russia's Energy Policy and Its Impacts on Northeast Asian Energy Security,”

    International Area Review, Vol. 13, No. 1, 2010, pp.41-62 참고.

  • 218⋅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참고문헌

    고재남․엄구호 엮음, 러시아의 미래와 한반도.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2009.

    나희승, “단계별 남북․대륙철도 구축방안과 한․러 철도협력,” 한국시베리아연구, 제13권 1호, 2009.

    민인식․최필선, STATA Panel Data Analysis, 2013. 박상남, 김선탁, 이지은, 박상준,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 전략 연구: 중견국

    전략의 사례와 EEU가 한국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성원용, “한․러 경제관계 20년의 회고와 전망,” 시베리아 극동연구, 제6호, 2010.

    이용권, “한․러 에너지 협력관계 20년의 회고와 전망,” 시베리아 극동연구, 제6호, 2010.

    이재영,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협력전략 연구”,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이재영 외, 한국의 주요국별․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러시아.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________, 한국기업의 대러시아 현지경영 현황과 과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________, 한․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20년: 새로운 비전과 실현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________, 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 패턴과 한국의 투자 유치 확대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이철원․이현진․강세나, 폴란드의 주요 산업: 자동차, 인프라,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13-07,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

    원, 2013.

    전성희, “개발도상국 FDI 유입에 대한 결정 요인 분석,” 국제통상연구(국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19

    제통상학회), 16(4), 63-87, 2011.

    Amal, M., B. T. Tomio & Raboch, H.,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Latin America”, GCG Georgetown University -

    Universia, 4(3), 116-133, 2010.

    Asiedu, E., “On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Developing Countries: Is Africa Different,” World Development,

    30(1), 107-119, 2002.

    David, F. R., Strategic Management, concepts and cases(9th ed.), Prentice

    Hall, 2005.

    Duanmu, J-L. & Guney, Y., “A Panel Data Analysis of Locational

    Determinants of Chinese and Indi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Journal of Asia Business Studies, 3(2), 1-34, 2009.

    Eichengreen, B. and H, Tong, “Is China's FDI Coming at the Expense of

    Other Countries?,” NBER Working Paper No. 11335,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5.

    Kinoshita, Y. and N. Campos, “The Location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ransition Economies,” Working Paper, 2002.

    Lee, Jae Young, “Evaluation on the 20 Yea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and Future Directions for Its Strategic

    Development: A Perspective from Korean Side,” The 20 Years of

    Korea-Russia Relations: Accomplishments and Prospects, The 22nd

    Korea-Russia International Conference Hosted by Institute of Far

    Eastern Studies and Asia-Pacific Research Center(September

    30~October 1, 2010, Seoul), 2010.

    Lee, Jae-Young and Alexey Novitskiy, “Russia's Energy Policy and Its

    Impacts on Northeast Asian Energy Security,” International Area

    Review, Vol. 13, No. 1, 2010.

    Mah, J. S. and S. C. Yoon, “Determinants of FDI Flow into Indonesia and

  • 220⋅ 제39권 제2호, 2015 여름

    Singapore,” International Area Review, 13(1), A joint Publication of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Area Studies and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Seoul, 34-37, 2010.

    Mohammad Taleai, Ali Mansourian, Ali Sharifi, “Surveying general

    prospects and challenges of GIS implemen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SWOT–AHP approach”, 2009.

    Mottaleb, K. and K. Kalirajan,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A Comparative Analysis,” ASARC

    working paper, 2010/13.

    Park, Jeongdae and Lee Jaeyoung,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s,” Journal of

    Asia-Pacific Affairs, Vol. 3, No. 2, 2002.

    Ranjan, V. and G. Agrawal, “FDI Inflow Determinants in BRIC countries:

    A Panel Data Analysis,”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Canadian

    Center of Science and Education), 4(4), pp. 255-263, 2011.

    UNCTAD, World Investment Report, pp. 4,7, 205~208, 2014.

    World Bank, World GDP Ranking (http://databank.worldbank.org/data/

    download/GDP.pdf)

    Иванов И., “Россия в международном движении капитала,” МЭиМО,

    No. 1, 2009.

    Министерство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развитию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ступил в силу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территориях опережа

    ющего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http://minvostokrazvitia.

    ru/press-center/news_minvostok/?ELEMENT_ID=3066(검색일:

    2015.4.15).

    СергейКуликов, “России пророчат лидерство,” Независимая газета,

    No. 12, 25 января 2010г, 2010.

    러시아연방 통계청(http://www.gks.ru)

  • 대러시아 FDI 결정요인 분석과 진출환경 평가⋅221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투자정보(http://www.koreaexim.go.kr)

    〔논문투고일: 2015. 07. 10〕

    〔심사의뢰일: 2015. 07. 15〕

    〔게재확정일: 2015. 08.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