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조정일 신진교 A Study on R&D Input, R&D Output and Firm's Performance of SMEs in Daegu Jeong-Il Jo ․ Jin-Kyo Shin 국문 요약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Vol. 10. No. 1 2011. 12. pp83~96 83

* (재)대구TP 정책기획단 선임연구원(Senior Reseacher, Daegu Regional Innovation Agency), E-mail: [email protected], Tel:

053-757-3710

** 계명대학교 경영학부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stration, Keimyung University),

E-mail: [email protected], Tel: 053-580-6388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조정일 ․ 신진교

A Study on R&D Input, R&D Output and Firm'sPerformance of SMEs in Daegu

Jeong-Il Jo ․ Jin-Kyo Shin

국문 요약본 연구는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 간에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비교분석도 함

께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은 R&D투입, R&D성과, 혁

신전략, 교육훈련, 외부네트워크,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그리고 기술혁신능력에 있어서 비전략산업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분석 결과이지만 R&D활동의 선순환 구조가 전략

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전략산업과는 달리 전략산업에

있어서는 R&D성과와 기업성과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적

으로 외부네트워크 활성화가 R&D투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전략산업 여부에 따라서 R&D

투입에 미치는 결정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넷째, R&D투입이 R&D성과로 이어지는데

있어서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차이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R&D투입이나

R&D성과가 기업성과인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R&D활동의 선

순환 구조가 지역산업에 있어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대한 경영활

동의 조절효과도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전략산업에 있어서 기술혁신능력만이 조절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R&D투입, R&D성과, 기업성과, 지역전략산업, 내생변수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R&D input, R&D output and firm's

* **

Page 2: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84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performance.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al strategy industry and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the relationship. In the first of our main results, we found that

regional strategy indust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R&D

input, R&D output and management activities. Second, R&D input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D output in regional strategy industry. Third, we found no evidence that R&D input

and R&D outpu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firm's performance in all industries. This result

imply that it is more important for R&D activities to make firm's performance of SMEs higher

in Daegu.

Keywords : R&D input, R&D output, Firm's performance, Regional strategy industry,

Endogenous variable

Ⅰ. 서 론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소비자의 수요를 창출할

수있는혁신제품을개발해야만하는수요자중심

의 시장환경에서는 기업의 R&D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며, R&D를 통한 기술혁신은 기업

의 경쟁력과 성장의 핵심요소이다.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2009년 세계 R&D투자는

전년도와거의유사한수준이고향후확대될전망

인데이처럼불황속에서도R&D투자가유지되거

나빠른속도로회복되는이유는기업이나정부가

R&D를미래경쟁력의원천으로생각하기때문이

다(박찬수, 2010).

하지만 R&D투자를 단순히 증가하는 것보다

R&D투자가 이윤 창출 및 R&D 재투자로 이어

지는 R&D활동의효율성이높이는것이더중요

하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체적으로 대기업에 비

해 인적․물적자원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R&D

활동의효율성은높이는것이더많은 R&D투자

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할 것이다. 이처럼 R&D

활동의 효율성에 대해 최근에 이슈가 되는 것은

실증적 연구결과들에서 R&D투자와 기업성과

간에 비유의적인 양(+)의 또는 음(-)의 관계가

계속적으로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Morbey

and Reithner, 1990; Venkatraman and Prescott,

1990; Jaruzelski et al., 2005; Coombs and Bierly,

2006 등).1) 실제로 Apple, Toyota, Google,

Caterpillar 등업계최고의글로벌기업들은경쟁

사와 비교해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비율은

낮으나기업성과는오히려더높게나타나고있기

도 하다(장성근 외, 2009 재인용).

과거우리나라는 ’02년부터 13개지역(4개지역

은 ’99년부터 시작)을 대상으로 지역전략산업의

육성정책이 시행되어 왔고, 현재 지역산업육성정

책은 5+2 광역경제권, 13개 시․도, 234개 시․

군․구를대상으로선도․전략․특화산업을중심

으로추진되고있다. 이중전략산업은 ’99년~’12년

간인프라(50.1%), R&D(35.8%), 기업지원(11.6%)

1) 일본에서는 1990년대부터 나타난 R&D 효율성 저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고 특허수, R&D

지출 등 높은 기술수준과 마케팅, 기업가정신 등 낙후된 경영방식의 불균형이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로버크 버겔만 미 스탠퍼드대 교수(조선일보 Weekly Biz, 2007.6.29)가 “한국의 대기업들은 ...

엄청난 돈을 R&D에 투입하지만 새로운 비즈니스를 발견하는 전략적 연계에는 실패...” 라고 지적하기도

하였다(박찬수, 2008).

Page 3: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8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분야순으로예산이투입되었는데, 전반적으로초

기에는특화센터건립및장비구축등의하드웨어

중심으로 지원이 이루어졌고 점차 R&D 및 기업

지원서비스제공등과같은소프트웨어사업위주

로 지원의 중점이 옮겨가고 있다(홍진기, 2011).

하지만 지역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산업정

책이지역산업의성장성이나생산성에있어높은

기여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R&D역량

강화를통한혁신의성과는아직까지미진한상황

으로평가되고있다. 전반적인대구지역전략산업

의 R&D역량 관련 문제점으로 중소기업의 R&D

역량 취약, R&D사업의 제품화․시장화 여건 미

비, 시장중심형․기업친화형 R&D 지원체계미정

립, 타지역과의차별화된 R&D 지원정책부족, 기

업지원기관 기능 중복 및 역할 차별화 미흡 등이

지적되고 있다(신진교․조정일, 2011). 따라서 지

역전략산업R&D역량관련문제점을극복해야만

지역 전략산업의 구조고도화와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고나아가지역의선순환경제구조를정착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R&D투입, R&D성과그리고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지역

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에비교분석을통해이

들산업간에R&D투입, R&D성과그리고기업성

과의 결정요인에 차별성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

고자한다. 기본적으로 본연구에서는 "R&D투입

↑→ R&D성과↑→기업성과↑"이라는R&D활

동의 선순환 구조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R&D투입과 R&D성과에 대한 설명변수로

기업내부적특성을나타내는CEO기술혁신의지,

혁신전략, 교육훈련, 조직문화, 외부네트워크를선

정하여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다만, R&D투입은

R&D성과에대해서유의적인설명변수로기업내

부적 특성과 함께 설명변수로 추가하였다. R&D

활동의선순환구조관점에서R&D투입이기업성

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R&D

성과를통해서기업성과에영향을미치는것을의

미하므로본연구에서는기업성과에대한회귀분석

에서 R&D성과를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화 하였다. 그리고 기업성과는 R&D활동이외 경

영활동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분석하

기 위해 조절변수를 포함하였다.

본연구의구성은다음과같다. 2장에서는실증

분석을 위한 표본, 변수,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였

는데 특히, 변수의 선정과 연구모형의 설정은 선

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이루어진다. 3장에서는 실

증분석의결과를제시하고,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분석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게 된다.

Ⅱ. 표본, 변수 및 연구모형

1. 표본의 선정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1,054여개 중소기업들

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설

문조사를실시하였고, 응답자는경영자, 중간관리

자, 실무담당자 중 응답하도록 하였으나, 가급적

이면경영자와중간관리자이상이설문에응답하

도록유도하였다. 설문조사결과총 828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가운데설문의응답이불성실하

거나신뢰성이낮다고판단되는기업을제외하고

최종분석에는 462개기업을활용하였다. 최종표본

462개 기업을 한국산업분류코드(KSIC)의 3-digit

로 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으로구분한결과전략

산업은 299개(64.7%)과 비전략산업 163개(35.3%)

로나타났다. 전체표본을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

으로구분하는것은전략산업이지역내제조업에

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09년

10인이상기준으로사업체수(49.5%), 종사자수

(59.7%), 출하액(54.8%), 생산액(54.7%), 부가가치

Page 4: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86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액(51.1%)에있어서전략산업이절대적비중을차

지고있고지역산업정책이시작한 ’99년이후부터

전략산업의비중은모두증가하고있는추세이다.

2. 변수의 측정

본연구에사용되는변수들은종속변수, 설명변

수, 조절변수 그리고 통제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종속변수는R&D투입, R&D성과그리고기업성과

로이에대한설명변수들은관련선행연구검토를

통해 선정하였다.2)

1) 종속변수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연구는 "R&D투입↑

→ R&D성과↑ → 기업성과↑"이라는 R&D활동

의선순환구조관점에서분석함에따라종속변수

는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로 하였

다. R&D투입은 ’04년~’08년간 평균 총인력 대비

연구개발인력 비중으로 측정하였다. R&D투입을

매출액대비연구개발비의비중을사용하기도하

나 본 연구의 표본이 지역 중소기업으로 R&D지

출을정확하게측정하는데있어서한계가있어연

구개발인력비중을 R&D투입변수로이용하였다.

R&D성과는 ’04년~’09년간 특허권과 실용신안권

을합한 등록건수로하였다. 하지만 R&D성과는

R&D투입과기업성과간매개역할을하는변수로

기업성과에대한설명변수로사용할경우내생성

(endogeneity)을반영하여분석하게된다. 기업성

과는 R&D성과가 실질적인 성과를 향상시키는지

를분석하기위해 ’05년~’08년간평균매출액성장

률로 측정하였다. R&D 투입, R&D 성과 그리고

기업성과 간에는 시차(time lag)가 존재할 수 있

고 시차의 간격에 따라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있으므로본연구에서는특정기간동안의평균

또는 합으로 분석하였다.

2) 설명변수

R&D투입과 R&D성과에대한설명변수로CEO

기술혁신의지, 혁신전략, 교육훈련, 조직문화, 외

부네트워크를선정하였다. 그리고 R&D성과에대

한 설명변수로 R&D투입을 추가하였다.

(1) CEO 기술혁신의지

CEO의 영향력이 높은 중소기업에 있어서

CEO의 혁신성은 중소기업의 혁신성에 더 많은

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나고있다(김인수․권

행민, 1985; Miller and Toulouse, 1986; 송상호,

1995 등). 특히, 한국중소기업들을혁신기업과비

혁신기업을구별하는가장중요한요인이 CEO의

모험지향성이라는 연구결과도 제시되고 있다(송

광선, 1995). 대구지역중소기업을대상으로한실

증적 연구결과에서도 CEO의 기업가정신이 높을

수록기술혁신은향상되는것으로나타났다(신진

교․임재현․황수정, 2009). 본 연구에서는 CEO

기술혁신의지를 ①신기술․신시장에 대한 적극

성, ②신기술의기획및개발능력, ③기술혁신에

대해최고경영자와종업원사이에는정신적일체

감이 형성, ④기술경영에 대해 최고경영자의 추

진력및위기관리능력등 4가지항목으로측정하

였다.

(2) 혁신전략

혁신전략을추구하는 중소기업은 혁신, 위험감

수, 유연성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을 강조

하는 경향이 있다. Daellenbach et al.(1999)은 이

러한중소기업은지속적인사업기회발굴과경쟁

우위에 있는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R&D

투자를한다는실증적증거를제시하기도하였다.

일반적으로 전략경영을 하는 중소기업이 그렇지

않은중소기업보다더높은성과를달성하는것으

로 나타났다(Naffziger and Mueller, 1999). 따라

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혁신전략을 추구함에

2)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변수들에 대한 정의 및 측정(설문)항목은 <부표 1>에 제시하였다.

Page 5: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87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따라R&D투자의집중도와혁신의성과가높아질

것으로예상된다. 혁신전략은그자체로서새롭거

나, 또는 신제품을 개발하는데 조직이 관여하는

것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데, Li and Atuahene-

Gima(2001)는조직이신제품개발을강조하는정

도로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혁

신전략을 신제품 도입 혹은 개발, 신속한 제품설

계변경, 신속한제품구색변동등에대해경쟁기

업보다 강조하는 정도로 측정하였다.

(3) 교육훈련

기업의혁신을위해서는높은교육수준과기술

적자질등을갖춘경험많은인재가결정적일것

이다. 높은기술적자질과다양한배경을갖춘경

험많은인적자원은외부환경에대한분석능력이

뛰어나며, 신사업또는신제품개발계획에필요한

조직 내외부 지식의 획득 및 활용 능력이 뛰어나

고, 이러한 지식은 혁신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

할을 한다(Hull et al., 2000). 실제로 대구지역 중

소기업이연구개발과관련한가장큰애로사항은

연구개발자금부족과함께연구개발인력부족인

것으로나타났다. 성공적인혁신을위한인적자원

관리 중 혁신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이 교육훈련

이라할수있다. 혁신적기업이그렇지않은기업

보다교육훈련프로그램을실시하는비율이높았

고,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지속성과 종업원 1인당

교육훈련비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Baldwin

and Johnson, 1996). 이처럼 혁신은 종업원들의

기술과지식에의존함에따라교육훈련은종업원

들의 혁신역량을 향상시키며, 결국 R&D투자와

함께효율성에도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고할수

있다. 교육훈련의 강도가급진적 제품혁신 수, 제

품혁신에의한매출비율, 특허수등과양(+)의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Souitaris,

2002). 교육훈련은 정기적으로 내부 또는 외부의

교육훈련프로그램활용여부를나타내는더미변

수(dummy variable)로 측정하였다.

(4) 조직문화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를 내부협력과 외부지

식에 대한 흡수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서로

다른정보원천을가지고핵심역량이다른부서들

간의활동을조정하고빈번한의사소통하는것이

혁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김영배,

2005 재인용). Glazer(1991)는 내부협력을 기반으

로 한 조직문화를 통해 경쟁기업들의 제품, 가격,

전략등의정보를획득하고이를통해경쟁기업들

보다더효율적이고효과적으로특정세분시장에

적합한제품등을제공한다라고하였다. 외부지식

에대한강력한흡수능력을가진기업도외부지식

을더잘획득하며, 더효과적으로학습함에따라

혁신및혁신성과에긍정적인영향을가지고있다

(Tsai, 2001 등).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를 ①개

인플레이보다는 팀플레이를 강조 정도, ②중요한

의사결정에 있어 합의 중시 정도, ③시장 흐름과

변화에대한적응노력정도, ④변화에대한개방

정도, ⑤종업원들이도전적이되도록장려하는정

도 등 5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5) 외부네트워크

외부네트워크는 혁신에 기초가 되는 아이디어

와 정보의 획득 및 연계․협력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경우자원이절대적으로부족하

여혁신활동에한계가있기때문에외부의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Bell and Albu, 1999;

Freel, 2000). 혁신적인중소기업들은내부R&D노

력뿐만아니라기술협력활동도활발하고기술협

력과혁신성과간에는양(+)의상관관계가존재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Rothwell and Dodson, 1991;

Hadjimanolis, 2000). 최근에는기술혁신의속도가

급속히빨라지고혁신의원천이매우다양하게변

화함에따라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이

기업생존의핵심적인요소로간주되고있는것도

Page 6: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88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기업의 외부네트워크의 활동이 그만큼 중요하다

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네트워크는 민간기업, 대

학, 연구소, 공공기관(중앙 및 지자체 포함)과의

연계정도로 정의하였다.

(6) R&D투입과 R&D성과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R&D투입과 R&D성

과 간에는 대체적으로 양(+)의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실증적 연구들에서는 직접적

인 관계가 없거나 R&D성과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irchall et

al., 1996; Hall and Bagchi-Sen, 2002). 이에반해

R&D투입과 기업성과 간에는 실증적 연구결과들

이 상호대립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기업의

매출액에미치는요인들이다양하기때문이다. 이

외에도 연구개발의 한계수확체감의 법칙과 원천

기술에대한개발필요성등때문이라는주장들도

있다(강승훈, 2006; 이병주, 2006).

R&D성과와기업성과간에도일관성있는실증

적 연구결과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실증연구들에서는 R&D성과가 기업성

과향상에긍정적인기여를한다고보고있다. 즉,

R&D성과와 같은 혁신은 새로운 사업 기회 획득,

국내외 시장경쟁력 강화, 선점우위 획득, 경쟁우

위획득, 국제신시장진출및생존등을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신진교․임재현, 2008).

3) 조절변수

본연구에서는R&D활동이외경영활동의조절

효과(moderating effect)를 분석하고자 인적자원

관리, 마케팅관리, 생산관리, 기술혁신능력을조절

변수로 하였다. 직접적인 관련 연구는 아니지만

최근국내연구에서보면R&D투입을단순히증가

하는것보다는기술경영능력을강화하는것이더

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장성근․신영수․정

해혁, 2009).3) 이러한 맥락에서 R&D성과가 기업

성과로연결되기위해서기업의경영활동도매우

중요할것으로판단된다. 본연구에서는경영활동

을성과지향적인적자원관리, 차별적마케팅관리,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내부 기술혁신능력으로 구

분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

업성과에영향을미치는결정요인을분석하기위

해 다음과 같이 3가지 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R&D투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CEO기술혁신의지(), 혁신전략(), 교육

훈련(), 조직문화(), 외부네트워크()

를 설명변수로 하였고 기업의 설립연수()와

규모()를통제변수로하였다. 두번째모형은

R&D성과()에대한모형으로R&D투입모

형에서 R&D투입()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기업성과()에 대한 모형에서는

R&D성과를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화하

여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내생변수를포함한회

귀식의추정에가장일반적으로쓰이는방법이도

구변수법(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을 사

용한 2SLS(two-stage least squares)으로 본 연

3) 그들은 관련 연구들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기술경영능력을 기술전략, 기술프로세스, 기술자산, 기술인

력, 기술조직, 기술리더십으로 측정하였다.

Page 7: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89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표 1> 기술통계와 차이분석 결과

변 수 전체(n=462)

전략산업(n=299)

비전략산업(n=163)

차이분석

R&D투입 8.10 10.54 3.64 6.34a

R&D성과 3.24 3.73 2.34 1.88c

기업성과 27.72 20.88 40.28 1.10

CEO 기술혁신의지 4.14 4.15 4.15 0.00

혁신전략 3.82 3.92 3.63 3.97a

교육훈련 0.53 0.56 0.48 1.65c

조직문화 3.76 3.77 3.74 0.61

외부네트워크 1.90 2.00 1.70 3.37a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 1.95 1.93 1.98 0.68

차별적 마케팅관리 3.49 3.51 3.46 0.89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3.37 3.82 2.55 8.23a

기술혁신능력 3.26 3.31 3.17 2.16b

설립연수 2.55 2.54 2.58 0.78

기업규모 46.19 49.37 40.37 1.30

주) 차이검증은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sample t-test) t-value의 절대값이다. a, b, c는 각각 p<.10, p<.05, p<.01

를 의미한다.

구에서는이를활용하여분석하였다. 2SLS의 1단

계로내생변수인R&D성과를종속변수로하는회

귀분석을통하여예측치()를구한다음이

를 2SLS의 2단계매개변수로사용하였다. 성과지

향적 인적자원관리(), 차별적 마케팅관리

(),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기술혁신능

력()을 조절변수로 하였다. 예를 들어,

는 매개변수인 R&D성과와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의 곱한 값인 상호작용(interaction)

을 의미한다.

Ⅲ. 실증분석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표 1>은R&D투입, R&D활동, 기업성과및관

련 변수들의 기술통계와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차이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R&D투입(연

구개발인력 비중)은 평균 8.10% 그리고 평균

R&D성과는 3.24건으로 나타났다.4)

CEO 기술혁신의지는평균 4.14로상당히높은

반면에 기술혁신능력 3.26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외부네트워크와 성과지향

적 인적자원관리는 각각 1.90과 1.95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 기술혁신의 속도가급

속히빨라지고혁신의원천이매우다양하게변화

됨에따라서외부의기술이나아이디어를내부혁

신으로연결시키는이른바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과 연구개발(R&D)을 대체하는 개념

인 연계개발(Connect & Develop: C&D)이 기업

생존의핵심적인요소로간주되고있는상황에서

지역기업의 외부네트워크 활성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4) 하지만 대구지역 연구개발인력의 구성에 있어서는 학사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박사 출신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실질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Page 8: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90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표 2> 전략산업 여부에 따른 상관분석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 R&D투입 .13 ­.03 ­.01 .09 .10 .00 .18 ­.02 .11 .08 .11 ­.10 ­.03

2 R&D성과 .11 ­.05 .09 .25 .13 .12 .29 .20 .28 .26 .16 ­.02 ­.05

3 기업성과 .20 .14 .08 .07 .05 .02 ­.04 ­.05 ­.04 ­.04 ­.09 ­.19 ­.07

4 CEO 기술혁신의지 ­.03 .13 .06 .24 .12 .41 .17 .16 .30 .23 .32 .03 .07

5 혁신전략 .08 .07 .08 .28 .02 .21 .16 .04 .37 .27 .39 ­.07 ­.01

6 교육훈련 .21 .21 .09 .24 .21 .27 .35 .34 .30 .21 .17 .05 .32

7 조직문화 .00 .11 .07 .56 .30 .30 .20 .22 .35 .07 .31 .12 .05

8 외부네트워크 .16 .25 .14 .16 .19 .34 .12 .38 .15 .26 .22 .11 .21

9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 ­.04 .11 .02 .27 .19 .25 .36 .12 .20 .17 ­.02 ­.06 .26

10 차별적 마케팅관리 .12 .10 .01 .34 .29 .12 .29 .15 .23 .40 .38 .08 .12

11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13 .04 .04 .31 .22 .20 .23 .20 .31 .23 .17 .01 .11

12 기술혁신능력 .16 .16 .10 .48 .35 .33 .49 .31 .31 .48 .21 .04 .05

13 설립연수 ­.13 .04 ­.26 ­.07 ­.01 ­.12 ­.13 .02 .00 .05 ­.02 .03 ­.03

14 기업규모 ­.12 .38 ­.08 .02 .08 .11 ­.04 .16 .10 .00 .12 .07 ­.01

주) 대각선 아래부분은 전략산업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이고 윗부분은 비전략산업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이다.

보면 R&D투입, R&D성과, 혁신전략, 교육훈련,

외부네트워크,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그리고 기술

혁신능력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난 4년간 평균 매출액성장률은 비유

의적으로 비전략산업이 높았는데 비전략산업에

있었지만, 기업 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설립연수는 짧은 대

신 기업규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표 2>는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의변수들간

상관관계를분석한결과를제시하고있는데먼저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에 있어서 R&D투입과

R&D성과간에는각각 .11과 .13으로양(+)의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R&D성

과와기업성과간상관관계에있어서는상반된결

과를 보이고 있는데 전략산업의 경우에는 .14로

양(+)의 상관관계가 비전략산업의 경우에는 ­.05

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비

록 상관관계분석 결과이지만 R&D활동의 선순환

구조가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에차이가존재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략산업에있어서설립연수와일부변수들간

에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설립연수와 기업성과 간에 유의적인 ­.26로 나타

나고 있다. 즉, 설립연수가 오래된 기업일수록성

장성으로 측정되어지는 기업성과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성장의 한계에 기인한 것으로 판

단된다. 또한 교육훈련과 조직문화도 마찬가지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정기적 내부

또는외부교육훈련프로그램활용정도와내부협

력과 외부지식에 대한 흡수능력이 신생기업일수

록 높은 것을 의미한다.

설명변수들 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이후 회귀분석을 실시하면서 공차한계

(tolerance)나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를 통해 다중공선성을 진단하였으나 이를

의심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2. 회귀분석 결과

먼저 R&D성과와기업성과에미치는영향을분

석하기앞서R&D투입에대한회귀분석과전략산

업 여부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전체 산업에 대한 회귀분석결

Page 9: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91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표 3> R&D투입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형 3-1 모형 3-2

전체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전체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070 ­.074 ­.046 ­.067 ­.067 ­.043

.102b .057 .080 .105b .074 .067

.161a

.200a

.060 .171a

.200a

.089

­.048 ­.043 ­.047 ­.062 ­.071 ­.042

.140a .109c .158c .163a .131b .180b

­.109b ­.107b ­.088

­.126a ­.139b ­.106

7.197a

.0731.810

4.349a

.0691.889

1.346.0412.053

7.854a

.1081.835

5.056a

.1081.853

1.459.0622.111

종속변수 는 R&D투입을 의미한다. 는 CEO 기술혁신의지, 는 혁신전략, 는 교육훈련, 는 조직문화, 는 외부네트워크를 의미하는 설명변수이다. 와 는 각각 통제변수로 기업의 설립연수

와 규모를 의미한다.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은 한국산업분류코드(KSIC)의 3-digit으로 구분하였다. a, b, c는 각

각 p<.10, p<.05, p<.01를 의미하고 회귀계수는 표준화된 회귀계수이다.

과를보면혁신전략, 교육훈련그리고외부네트워

크가 각각 5%와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양(+)

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혁신전략은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으

로구분하여분석한결과에서는모두비유의적으

로나타나혁신전략이기업의R&D투입에긍정적

인영향을미친다고단정적인결론을내리기는어

렵다. 그리고CEO기술혁신의지와조직문화는전

략산업여부와는상관없이모든모형에서비유의

적인 음(­)의 값으로 나타나고 있다. 설립연수와

기업규모인 통제변수는 유의적 내지 비유의적인

음(­)의값으로차이분석결과를종합해볼때신

생기업일수록,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전략

산업인 경우 R&D투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산업 여부에 따라 회귀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전략산업에 있어서는 교육훈련과 외부네트

워크가 여전히 유의적인 양(+)의 값으로 나타났

다. 이에 반해 비전략산업에서는 외부네트워크만

이각각 10%와 5%유의수준에서유의한양(+)의

값을보여주고있다. <표 3>의결과를종합해보

면 외부네트워크가 활성화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중요한요인이라고할수

있다.

<표 4>는 R&D투입이 R&D성과에 미치는 영

향을분석한결과와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차

이를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R&D투입이 R&D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모

형에서 유의성에 차이는 있지만 양(+)의 값으로

나타났다. 즉, 통제변수의포함 여부에 따라서유

의성의차이를보이고있는데모형 4-1에서는전

략산업여부에상관없이비유의적인양(+)의값으

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형 4-2에서 전체산업을 대상으로 한

경우 R&D투입이 5%유의수준에유의한양(+)의

값으로나타나R&D투입이 R&D성과에긍정적인

영향을미치고있음을알수있다. 전략산업의경

우에서는 표준화 된 회귀계수가 .114로 1% 유의

수준에 유의한 양(+)의 값을 보인 반면에 비전략

산업의 경우에서는 비유의적인 .067로 나타났다.

따라서 R&D투입이 R&D성과로이어지는데있어

Page 10: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92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표 4> R&D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형 4-1 모형 4-2

전체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전체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064 .056 .068 .102b

.114a

.067

.043 .073 ­.014 .037 .064 ­.015

.069 ­.016 .208a

.054 ­.040 .206a

.076 .109a

.032 .022 .055 .025

.022 .308 .022 .051 .058 .028

.209a

.195a

.235a

.171a

.142b

.236a

­.072 ­.084 ­.030

.298a .395a .022

8.267a

.0981.901

4.810a

.0901.905

4.090a

.1361.686

11.899a

.1741.943

10.331a

.2221.969

3.056a

.1371.700

종속변수 는 R&D성과를의미한다. 는 R&D투입, 는 CEO기술혁신의지, 는혁신전략, 는

교육훈련, 는조직문화, 는외부네트워크를의미하는설명변수이다. 와 는각각통제변수로기업의설

립연수와 규모를 의미한다.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은 한국산업분류코드(KSIC)의 3-digit으로 구분하였다. a, b, c는 각각p<.10, p<.05, p<.01를 의미하고 회귀계수는 표준화된 회귀계수이다.

<표 5> 기업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전체)

모형 5-1 모형 5-2 모형 5-3 모형 5-4 모형 5-5

.008 .007 ­.018 ­.028 ­.031

.015 ­.572 .078 ­.566

.126 .017 ­.052

­.202 .002 ­.342

­.044 .180 .191

.715 .496 .342

­.172a ­.173a ­.159a ­.162a ­.156a

­.009 ­.004 ­.069 ­.109 ­.121

3.692a 2.173b 3.880a 2.628a 2.774a

.031 .037 .033 .044 .041

2.002 1.999 1.994 2.016 2.016

종속변수 는기업성과를의미한다. 는R&D투입과는R&D성과로이를종속변수로하는회귀분

석의예측치이다. 는성과지향적인적자원관리, 는차별적마케팅관리, 는효율지향적생산관리, 는기

술혁신능력을의미하는조절변수이다.예를들어, 는매개변수인R&D성과와성과지향적인적자원관리의곱한값인상

호작용(interaction)을의미한다. 단,모형 5-1과모형5-2는 R&D성과를외생변수로가정하고추정한회귀모형이고모형5-3,모형5-4,모형 5-5는R&D성과를내생변수로가정하고2SLS를활용한회귀모형이다. 와 는각각통제변수로기업의설립

연수와 규모를 의미한다. a, b, c는 각각 p<.10, p<.05, p<.01를 의미하고 회귀계수는 표준화된 회귀계수이다.

서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에차이가존재함을

분석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R&D투입을제외한R&D성과의결정변수들중

혁신전략, 교육훈련 그리고 외부네트워크가 모형

에 따라서 R&D성과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혁신전략의경우비전략

산업에 있어서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값을, 교육훈련은전략산업에있어서유의적인양

Page 11: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93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표 6> 기업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전략산업 여부)

모형 6-1 모형 6-2 모형 6-3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전략산업 비전략산업

.076 ­.074 .058 ­.074 .047 ­.074

.233b .080 ­1.386b ­.117

.092 ­.054 ­.046 ­.069

.625 ­.189 ­.187 ­.255

.074 .148 ­.016 .154

.877b

.339 .548 .300

­.195a ­.179b ­.200a ­.186b ­.187a ­.184b

­.175c ­.093 ­.207c ­.121 ­.233b ­.124

8.807a 1.762 5.748a 1.088 5.623a 1.247

.107 .043 .137 .054 .119 .053

1.935 2.033 1.983 2.049 1.939 2.052

종속변수 는 기업성과를 의미한다. 는 R&D투입과는 R&D성과로 이를 종속변수로 하

는 회귀분석의 예측치이다. 는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 는 차별적 마케팅관리, 는 효율지향적 생

산관리, 는 기술혁신능력을 의미하는 조절변수이다. 예를 들어, 는 매개변수인 R&D성과와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의 곱한 값인 상호작용(interaction)을 의미한다. 모든 모형은 R&D성과를 내생변수로 가정하고 2SLS를활용한 회귀모형이다. 와 는 각각 통제변수로 기업의 설립연수와 규모를 의미한다. a, b, c는 각각 p<.10,

p<.05, p<.01를 의미하고 회귀계수는 표준화된 회귀계수이다.

(+)의값을보여주고있다. 반면에모든모형에서

외부네트워크가 유의적인 양(+)의 값을 보여주고

있어 앞에서도 강조하였듯이 외부네트워크의 활

성화가R&D성과에있어서도중요한요인임을실

증적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전체산업의 기업성과에 대한 회귀분

석결과는 <표 5>과같다. R&D성과에대한외생

변수와내생변수가정에상관없이모든모형에서

R&D투입과 R&D성과가비유의적인값으로나타

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산업에 있어서

R&D활동의선순환구조가미흡하다는것을의미

한다. 경영활동의 조절효과도 유의적으로 나타나

지않았는데이러한결과가다중공선성으로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R&D성과를 제외하고 회

귀분석을 하였지만 여전히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6>은전략산업여부에따른기업성과에대

한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조절변수를

제외한모형에서보면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

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비유의적이긴

하지만전략산업에있어서는R&D투입이양(+)의

값을보인반면에비전략산업에있어서는음(-)의

값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R&D성과는 전략산업

의경우 5%유의수준에서유의한양(+)의값을나

타내고 있다.

다중공선성으로 인해 조절변수가 포함된 모형

에서는상반된결과를나타내고있어전략산업의

R&D성과가 기업성과의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라

는확실한증거를찾을수는없었다. 그리고모형

6-2에서 기술혁신능력만이 조절효과가 유의적인

것으로나타나기업성과에대한경영활동의조절

효과가있다라고해석을하는데는다소무리가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2: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94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Ⅳ. 결 론

본연구는대구지역전체산업을중심으로R&D

시스템의실증적분석과함께전략산업과비전략

산업간비교분석도하였다. 이를위해 R&D에대

한분절적분석에한정하지않고R&D투입, R&D

성과그리고기업성과라는시스템적접근에기초

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CEO

기술혁신의지, 혁신전략, 교육훈련, 조직문화, 외

부네트워크와 같은 결정변수와 기업의 설립연수,

규모와 같은 통제변수(기업특성변수) 그리고

R&D투입이 R&D성과에미치는영향을분석하였

다. 다음으로 이러한 R&D성과가 실질적으로 기

업성과를향상시키는지그리고R&D 이외성과지

향적인적자원관리, 차별적마케팅관리, 효율지향

적생산관리, 기술혁신능력과같은기업경영활동

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은 R&D투입, R&D성과, 혁신전략, 교육

훈련, 외부네트워크, 효율지향적생산관리그리고

기술혁신능력에 있어서 비전략산업 보다 유의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분석 결과이

지만 R&D활동의 선순환 구조가 전략산업과 비

전략산업간에차이가존재하는것으로나타났다.

즉, 비전략산업과는 달리 전략산업에 있어서는

R&D성과가기업성과인재무성과에긍정적인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적으로

외부네트워크활성화가 R&D투입에긍정적인영

향을 미쳤고, 전략산업 여부에 따라서 R&D투입

에미치는결정요인이다르게나타나기도하였다.

넷째, R&D투입이 R&D성과로 이어지는데 있어

서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에차이가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R&D투입이나 R&D성과

가기업성과인재무성과유의적인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R&D활동의 선순환 구조가

지역산업에있어서제대로작동하지않는것으로

나타났다. 전략산업에 있어서 기술혁신능력만이

기업성과에 대한 조절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

고,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 차별적 마케팅관

리, 효율지향적 생산관리의 조절효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결과들을종합해보면 R&D활동이라는

일련의과정이선순환적구조를가져야하는데지

역 중소기업들은 R&D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R&D투입↑→

R&D성과↑→기업성과↑” 과정이 유의적으로 나

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역기업의

R&D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R&D투자 확대는

물론이고 R&D 기획력제고, R&D성과의사업화,

외부네트워크활성화등이필요하다는것을알수

있었다.

참 고 문 헌

강승훈, 2006, “CEO Report : 한국 기업의 R&D를 진

단한다”, 「LG주간경제」, 2006. 6. 21: 8~14.

김인수․권행민, 1985, “기술혁신적 기업과 비혁신적

기업의 비교연구”,「경영학연구」, 14(2): 1~25.

김영배, 2005, “혁신형 중소기업 : 기업특성, 기술학습

과 경영성과”, 「STEPI 정책자료」, 2005(19):

1~177.

박찬수, 2008, “선진기업의 R&D 경영유형과시사점”,

「SERI 경제 포커스」, 210: 1~10.

박찬수, 2010, “혁신적 발명의 패러다임 변화 및 시사

점”, 「SERI 경영 노트」, 41: 1~10.

송광선, 1995, “기술혁신의영향요인에 관한연구 : 중

소기업을 대상으로”,「중소기업연구」, 17(2): 16

9~192.

송상호, 1995, “기업유형과기술혁신영향요인간의통

합론적 연구”,「경영학연구」, 24(3): 177~213.

Page 13: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95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신진교․임재현, 2008, “IT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개

발, 시장지향성, 혁신 및 성과”,「벤처경영연구」,

11(2): 25~39.

신진교․임재현․황수정, 2009, “중소기업의기술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기업경영연구」,

16(4): 1~23.

신진교․조정일, 2011, “R&D 혁신역량과기업성과간

의관계 : 대구지역전략산업과비전략산업간비

교분석”, 「경영정보연구」, 30(2): 211~235.

신진교․조정일․김태운, 2011, “대구지역전략산업의

R&D시스템에 관한 연구”,「인적자원관리연구」,

18(2), 143~160.

이병주, 2006, “경영정보 : 한국기업의 R&D투자 효율

성 진단”, 「LG주간경제」, 2006. 11. 22: 3~7.

장성근․신영수․정해혁, 2009, “R&D투자, 기술경영

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경영학연구」, 38(1):

105~132.

홍진기, 2011, “신지역산업 육성정책의 추진방향과 경

남의 대응방안”, 「경남발전지」, 111: 16~23.

Baldwin, J. R., and Jihnson, J., 1996, “Business

strategies in more- and less-innovative firms

in Canada, Research Policy, 25: 785-804.

Bell, M. and Albu, M., 1999, “Knowledge systems

and technological dynamism in industrial

clusters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Development, 26(9): 1715~1734.

Birchall, D. W., Chanaron, J. J., and Soderquist, K.,

1996, “Managing innovation in SMEs : a

comparison of companies in the UK, France

and Portugal”,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12(3): 291~305.

Coombs, J. and Bierly, P., 2006, “Measuring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R&D

Management, 36(4): 421~434.

Daellenbach, U. S., McCarthy, A. M., and

Schoenecker, T. S., 1999. “Commitment to

innovation: the impact of top management team

characteristics”, R&D Management, 29(3): 19

9~208.

Freel, M. S., 2000, “External linkage and product

innovation in small manufacturing firms”,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12(3): 245~266.

Glazer, R., 1991, “Marketing in an information-

intensive environment : strategic implications

of knowledge as an asset”, Journal of

Marketing, 55: 1~19.

Hadjimanolis, A., 2000, “An investigation of

innovation antecedents in small firms in the

context of a small developing country”, R&D

Management, 30: 235~245.

Hall, L. A. and Bagchi-Sen, S., 2002, “A study of

R&D,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Canadian biotechnology industry”,

Technovation, 22(4): 231~244.

Hull, R., Coombs, R., and Peltu, M., 2000,

“Knowledge management practices for

innovation : an audit tool for impro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20(5~8): 633-656.

Jaruzelski, B., Dehoff, K., and Bordia, R., 2005,

“Money isn't everything”, Strategy+ Business,

41(Winter).

Li, H. Y. and Atuahene-Gima, K., 2001, “Product

innovation strategy and the performance of

new technology ventures in China”,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1123~1134.

Miller, D. and Toulouse, J., 1986, “Chief executive

personality and corporate strategy and

structure in small firms”, Management Science,

32: 1389~1409.

Morbey, G. K. and Reithner, R. M., 1990, “How

R&D affects sales growth,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Research Management,

Page 14: 대구지역 중소기업 R&D투입, R&D성과 그리고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2015-04-02 · !"#$%&'()* + , - ./ 0 - 1 2 . 034 566 7 0! 5 894:8:49: ;< =>?@=aa>b

96 조정일․신진교

대구경북연구 제10권 제1호

May-June: 11~14.

Naffziger, D. W. and Mueller, C., 1999, “Strategic

planning in small businesses : process and

content realities”, Proceedings of the USASBE/

SBIDA Annual National Conference, San Diego,

CA, 1~15.

Rothwell, R. and Dodgson, M., 1991, “External

linkage and innovation in small and

midium-sized enterprises”, R&D Management,

21: 125~137.

Souitaris, V., 2002, “Firm-specific competencies

determining technological innovation : a survey

in Greece”, R&D Management, 32: 61-77.

Tsai, W., 2001, “Knowledge transfer in

intraorganizational networks : effects of

network position and absorptive capacity on

business unit innovation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5): 996~

1004.

Venkatraman, N. and Prescott, J. E., 1990,

“Environment-strategy coalignment : an

empirical test of its performance implic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1(1): 1~23.

논문접수일: 2011. 10. 03, 심사완료일: 2012. 12. 27

최종원고: 2012. 12. 27

<부표 1> 변수의 정의 및 측정항목

변 수 측 정 항 목

종속

변수

R&D투입 ­ ’04~’08년간 평균 총인력 대비 연구개발인력 비중

R&D성과 ­ ’04~’09년간 특허권과 실용신안권을 합한 등록 건수

기업성과 ­ ’05~’08년간 평균 매출액성장률로 측정된 재무성과

결정

변수

CEO

기술혁신

의지

­ 최고경영자의 신기술 및 신시장에 대한 마인드는 적극적

이다

­ 최고경영자는 신기술의 기획 및 개발 능력을 가지고

있다

­ 기술혁신에 대해 최고경영자와 종업원 사이에는 정신적

일체감이 형성되어 있다

­ 기술경영에 대해 최고경영자의 추진력 및 위기관리 능력

은 뛰어나다

혁신전략­ 신제품 도입 혹은 개발, 신속한 제품설계 변경, 신속한

제품 구색변동 등에 대해 경쟁기업보다 강조하는 정도

교육훈련­ 정기적으로 내부 또는 외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활용

여부

조직문화

­ 회사는 개인플레이보다는 팀플레이를 강조한다.

­ 회사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있어 합의를 중요시 한다.

­ 회사는 시장의 흐름과 변화에 적응하고자 많이 노력한

다.

­ 회사는 변화에 대해 개방적이다

­ 회사는 종업원들이 도전적이 되도록 장려하는 편이다.

외부네트

워크

­ 민간기업, 대학, 연구소, 공공기관(중앙 및 지자체 포함)

과의 연계정도

조절

변수

성과지향적

인적자원관리

­ 종업원 인센티브 규정 활용정도

­ 종업원 고충처리제도 활용정도

­ 실질적인 제안제도 활용정도

­ 고용안전성 보장제도 활용정도

­ 체계적이고 수량화할 수 있는 업무수행결과 평가제도 활

용정도

차별적

마케팅관리

­ 브랜드, 제품 성능/품질, 신제품 개발, 주문 생산, 납기,

제품 A/S, 가격, 판매망, 촉진(광고, 판매촉진, 홍보), 판

매원역량 등에 있어서 타사대비 경쟁력 수준

효율지향적

생산관리

­ 생산설비 유지관리를 위한 정기점검, 주기적인 공정관

리, 주기적인 품질관리, 불량에 대한 원인분석 및 교정,

최근 2년간 도입한 생산성 향상 프로그램 실시여부

기술혁신

능력

­ 기술혁신을 위한 자원(연구개발자금, 인력, 정보 등)의

가용성

­ 해당 기술의 발전방향과 기술 예측능력 등과 같은 기술

환경에 대한 이해 정도

­ 경쟁사의 기술혁신전략에 대한 정보의 가득성

­ 신기술개발 동향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능력

­ 중장기 신사업 혹은 신제품 개발계획 수립의 체계성

­ 중장기 신사업 혹은 신제품 개발계획이 환경변화에 대한

유연성

기업

특성

설립연수 ­ 설립연도부터 경과된 햇수의 자연로그 값

기업규모 ­ ’05~’08년간 평균 총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