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
2019학년도 대학원 가이드북 (겸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자료) 2019. 3. 1. 총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2019학년도

대학원 가이드북(겸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자료)

2019. 3. 1.

총신대학교 대학원

Page 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교 훈

一. 信者가 되라

一. 學者가 되라

一. 聖者가 되라

一. 傳導子가 되라

一. 牧者가 되라

교육이념

총신대학교는 성경적 세계관을 기초로 세워진 기독교 지도자 교육기관이다.

본교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예수교장로회 총회의 개혁주의 교리에 따라

학문연구와 영성 및 인성교육을 실시하며 인류사회와 국가 및 교회에 기여할

인재 양성을 사명으로 한다.

교육목적

본 대학은 대한민국 교육이념과 개혁주의적 기독교신앙의 세계관에 입각하

여 학문의 이론과 그 실천 방법을 연구 교수함과 동시에 신앙인격의 도야를

통하여 인류사회와 국가 및 교회에 봉사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1. 지성 : 성경적 신앙에 기초한 고도의 기독교학문을 수립한다.

2. 영성 : 성경적 가치관에 따른 경건을 훈련한다.

3. 인성 : 칼빈주의 세계관을 실천하여 사회와 교회에 봉사할 인재를 양성한다.

Page 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목 차

Ⅰ. 조직 및 학사 안내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

Ⅱ. 각 대학원 안내 31

1. 일반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

2. 목회신학전문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40

3. 선교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42

4. 교육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46

5. 사회복지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2

6. 상담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9

7. 교회음악대학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3

Ⅲ. 규 정 67

1. 대학원(통합) 학사내규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6

2. 대학원 장학금 운영 규정 ㆍㆍㆍㆍㆍㆍㆍㆍㆍ 84

3. 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ㆍㆍㆍㆍㆍㆍㆍ 87

4.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비 지급규정ㆍㆍㆍ 129

Ⅳ. 도서관 안내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1

Ⅴ. 전산과 안내 140

Ⅵ. 예비군 안내 144

Page 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 -

I. 조직 및 학사 안내

1. 대학원 (사당캠퍼스)

일반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 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 (총 7개 대학원)

2. 대학원 학사일정 1) 2019학년도 대학원 학사일정 (*학사일정은 학내사정으로 인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년·월 주 일정 학사내용 비고

2월

  2. 13.(수) 2018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개강2주전

2. 18.(월) ~ 2. 22.(금)2019-1학기 휴학/복학/등록 신청기간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신청기간

개강1주전

2. 25.(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2. 25.(월) ~ 2. 28.(목)

2019-1학기 수강신청기간

개강수련회 기간(각 대학원별)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응시료 납부기간

3월

1주 

3. 4.(월) 2019-1학기 개강

3. 4.(월) ~ 3. 12. (화)

수강신청 정정기간

과목면제(학점인정) 신청

3. 7.(목) 자격시험 환불신청 마감

2주 3. 12.(화), 3. 14.(목) 석·박사과정 자격시험(외국어, 전공)일·목·선:3.12.(화)교·사·상·교음:3.14(목)

3주 3. 21.(목)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외국어(영어) 재시험 오후 7시 예정

4주

3. 26.(화)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결과 발표

3. 29.(금) 수강신청 철회 마감일 / 4주차 휴학 마감

4월 8주 4. 26.(금) 8주차 휴학 마감

Page 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 -

년·월 주 일정 학사내용 비고

5월

10주 5. 10.(금) 10주차 휴학 마감 이후 휴학불가

11주

5. 15.(수) 개교기념일(휴무)

5. 13.(월) ~ 5. 21.(화) 2019-2학기 장학금 신청기간

12주 5. 20.(월) ~ 5. 31.(금) 2019-2학기 재입학 신청기간

6월

15주 6. 10.(월) ~ 6. 14.(금) 2019-1학기 종강  

16주 6. 17.(월) ~ 6. 21.(금) 2019-1학기 보강기간  

7월

18주 7. 1.(월) ~ 7. 19.(금) 교육대학원 하계 계절학기 교원양성과정만 해당

20주 7. 15.(월) 또는 22.(월) 외국어(영어) 자격시험 대비 특강(날짜 변동가능, 추후 공지)

2019-2학기 외국어(영어) 자격시험 응시 예정자 해당

8월

개강3주전

8. 5.(월) ~ 8. 9. (금)2019-2학기 휴학/복학 신청기간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신청기간

개강2주전

8. 13.(화) ~ 8. 16.(금)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응시료 납부기간  

개강1주전

8. 19.(월) ~ 8. 23.(금)

2019-2학기 수강 신청기간

2019-2학기 등록기간

2019-2학기 개강수련회(각 대학원별)

8. 22.(목) 자격시험 환불 신청 마감

1주

8. 26(월) 2019-2학기 개강

8. 26.(월) ~ 9. 3.(화)

과목면제(학점인정) 신청기간  

수강신청 정정기간  

8. 27.(화) ~ 8. 29.(목) 석·박사과정 자격시험(외국어, 전공) 일·목·선:8.27.(화)교·사·상·교음:8.29.(목)

9월

2주 9. 5.(목)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외국어(영어) 재시험

4주 9. 17.(화) 석·박사과정 자격시험 결과 발표

9. 20.(금) 수강신청 철회 마감 / 4주차 휴학 마감

Page 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 -

※ 약어설명: 일-일반대학원, 목-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선교대학원, 교-교육대학원, 사-사회복지대학원, 상-상담대학원, 교음-교회음악대학원※ 상기 일정은 학교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년·월 주 일정 학사내용 비고

10월

8주 10. 18.(금) 8주차 휴학 마감

10주 11. 1.(금) 10주차 휴학 마감 이후 휴학 불가

11월

12주 11. 11.(월) ~ 11. 19.(화) 2020-1학기 장학금 신청기간

13주 11. 18.(월) ~ 11. 29.(금) 2020-1학기 재입학 신청기간

12월

15주 12. 2.(월) ~ 12. 6.(금)   2019-2학기 종강

16주 12. 9.(월) ~ 12. 13.(금) 2019-2학기 보강기간

18주 12. 24.(화) ~ 1. 14.(화) 교육대학원 동계 계절학기 교원양성과정만 해당

2020년 1월

21주 1. 13.(월) 또는 20.(월) 외국어(영어) 자격시험 대비 특강(날짜 변동가능, 추후 공지)

2020-1학기 외국어(영어) 자격시험 응시 예정자 해당

2월   2. 12.(수) 2019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3월 1주  3. 2.(월) 2020-1학기 개강

Page 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 -

2) 2019-1학기 대학원 학위논문 일정 ※ 2019-2학기 대학원 학위논문 학사일정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참고 바랍니다. (2019년 8월 중순에 공지예정)

1. 논문지도학기 2. 논문심사학기(석사) 일·목·선 : 3학기(석사) 교·사·상·교음 : 4학기(박사) 일·목: 4학기, 5학기

(석사) 일·목·선 : 4학기 ~(석사) 교·사·상·교음 : 5학기 ~(박사) 일·목: 6학기 ~

l 논문지도학기: (석사) 일·목·선 : 3학기, 교·사·상·교음 : 4학기, (박사) 일·목: 4학기

l 논문지도학기 : (박사) 일·목: 박사과정 5학기

l 논문심사학기 : (석사) 일·목·선 : 4학기, 교·사·상·교음 : 5학기, (박사) 일·목: 6학기

논문진행 과정 기 간 비 고

‣ 석·박사과정 논문연구계획서 인터넷 입력기간

3. 4(월) ~3.12(화) 2019-1학기 석·박사과정 논문지도학기

‣ 논문지도교수 배정 3월중~4월중 학과(전공)에서 배정

‣ 논문지도교수 확정명단 공지 4월중 석·박사 논문지도 대상자 확인 : 학생로그인

논문진행 과정 기 간 비 고

‣ 박사과정 논문제안서 제출 (5부) (공동박사는 영문제안서)

3. 4(월) ~3.12(화)

* 2011학번 이후 박사과정에 적용 박 사 : 5학기 공동박사 : 4학기 이상* ‘논문프로포잘’과목을 수강신청 해야 함.

‣ 박사학위 논문제안서 심의 3~4월중 학위논문 제안서 심의대상자 (학과(전공)에서 주관하여 심사)

논문진행 과정 기 간 비 고

‣ 논문 심사비 납부 4.1(월)~4.5(금)자격고사(외국어,전공) 합격 및 가제본 논문 제출자격(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자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납부

‣ 논문공개발표 4.1(월)~4.26(금)해당학기에 심사용 가제본논문 제출대상자발표회는 해당 학과에서 주관

‣ 논문심사위원 배정 4~5월중 학과/전공에서 배정

‣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석·박사과정) 4.29(월)~5.20(월) 논문심사대상자

‣ 논문심사비 환불 신청(석·박사과정) 5.20(월)~6.4(화) 논문심사대상자 중 해당자

‣ 논문심사(석·박사과정) 5.20(월)~6.14(금) 논문심사대상자

‣ 논문 조건부합격자 수정확인서 제출 6.24(월)~6.28(금) 논문심사대상자

‣ 완제본 논문 제출(석·박사과정) 7.8(월)~7.17(수) 논문심사대상자 도서관에 제출 (석사 4부, 박사 4부)

Page 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 -

3. 수업 및 학점인정 안내(3절 ‘수업 및 학점인정 안내’부터 14절‘연구윤리교육안내’에 대한 상세사항은 대학원(통합) 학사내규

및 해당 규정을 반드시 참조. 해당 규정은 대학원 홈페이지-대학원 규정 참조)

1) 수강신청l 수강신청은 본인이 직접 수강신청 기간 중에 온라인으로 수강신청 한다(매 학기 학사

일정에 명시함).l 수강신청 방법

총신대학교 홈페이지(www.chongshin.ac.kr) ⇒ 수강로그인(화면 우측 상단부에 있음) ⇒ 해당 대학원 선택 ⇒ 로그인(ID:학번, Password:주민등록번호 앞자리) ⇒ 수강신청 클릭 ⇒ 수강신청 후 반드시 저장하고 확인을 하여야 한다.

l 매 학기 수강신청 기간 중에 수강신청을 하지 않으면 교과목은 수강할 수 없으며 수강신청을 하지 않고 이수한 성적은 인정하지 않는다(박사과정 5학기는 ‘논문프로포절’ 과목을 신청해야 함).

l 수업시간이 중복되는 교과목은 수강신청 할 수 없으며, 이수하여도 그 성적은 무효가 된다.

l 수강신청 정정은 개강 첫 주간에 있는 수강신청 정정기간에만 가능하다.l 출석부에 이름이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 교학지원처에서 수강신청여부를 확인한다

(수기로 기록한 학점은 인정하지 않는다).l 논문학기의 원생들은 필히 「논문」과목을 수강신청해야 한다. l 수강신청학점 제한은 각 대학원 및 학위과정별로 다르므로 이에 따라서 수강신청 한

다(II. 각 대학원 교육과정 안내 참조).

2) 수강철회l 수강과목을 계속 이수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 지정된 기간(학기 개강일로부터 4주 이

내)에 그 과목을 철회할 수 있다(철회신청서 제출).l 수강과목을 철회하였을 때 다른 과목을 신청할 수 없다.l 철회한 과목은 성적표에 “W”(Withdraw)로 표기된다.l 철회절차 없이 포기한 교과목의 성적은 “F”로 처리된다.

3) 강좌 폐강수강신청 학생수가 3명 미만인 과목의 경우에는 폐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단, 박사과정수업과 교회음악과 수업, 영어강의 수업은 예외로 한다).

4) 교육과정 및 이수학점l 각 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각 대학원 교육과정 안내(Ⅱ장) 및 대학원(통합) 학사내규 제

21조 참조한다.l 학위과정의 수료를 위해서는 이수과목의 총평균평점이 3.0(B0) 이상이 되어야 한다. l 논문신청자는 논문 작성 전에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선 수강하여야 한다.

5) 선수과목l 대학에서의 전공이 대학원에서 이수하는 전공과 다를 경우 전공 각 대학원에서 요하

는 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 l 전공 선수과목은 학부(대학)에서 이수함을 원칙으로 하며(일부 대학원의 경우 대학원

Page 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 -

에서 이수하므로 각 대학원의 개설과목 확인 요망), 졸업학점에 포함되지 아니 한다(단, 교대원에서 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양성과정의 경우 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이수학점에는 포함).

6) 결석 및 출석인정 출석이 매학기 15주의 3분의 2이상이여야 한다.

7) 성적 및 취득학점l 학업성적은 출석, 과제물, 시험, 학습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등급과 평점은 다

음과 같다.

등 급 점 수 평 점A+ 95 - 100 4. 5A° 94 - 90 4. 0B+ 89 - 85 3. 5B° 84 - 80 3. 0C+ 79 - 75 2. 5C° 74 - 70 2. 0F 69 이하 0. 0P 합격

NP 불합격I IncompleteW Withdraw

l 학점인정위 사항에 의해 70점(2.0/C⁰) 이상을 취득한 경우 취득학점을 인정한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인정하지 아니한다.Ÿ 시험 중 부정행위로 인하여 징계를 받은 자의 성적Ÿ 출석이 매학기 15주의 3분의 2이상이 아닌 경우Ÿ 미등록자가 응시하여 취득한 성적Ÿ 수강신청 학점을 초과하여 신청한 이수학점Ÿ 수강신청하지 않고 취득한 성적Ÿ 기타 부정, 착오로 얻은 성적

8) 성적 확인 및 수업평가l 매 학기가 종료된 이후 학교 홈페이지에 학생로그인하여 자신이 수강한 교과에 대한

수업평가를 실시한 후 성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성적을 개별 통지하지 않는다.l 수업평가는 학기 중간에 실시하는 중간 수업평가와 학기 말에 실시하는 수업평가로

실시한다(모두 온라인 상에서 실시). l 수업평가는 익명으로 실시되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되도록 한다.l 성적정정이 필요한 경우 담당교수를 통해 확인한 후 성적정정기간 내에 담당교수가

지정된 양식에 작성하여 교학지원처에 제출하여 정정할 수 있다.

Page 1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 -

4. 휴·복학·재입학 안내1) 휴학l 질병이나 군복무,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학(재입학 포

함) 후 첫 학기 휴학은 허락하지 않는다. 단, 수업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위원회에서 강제휴학을 명할 수 있다.

l 매학기 4주 이상 결석이 불가피한 경우는 휴학원서를 제출하여 원장의 허가를 득한 후 총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단, 진단서를 첨부한 질병휴학, 군입대 휴학, 임신ž출산ž육아휴학을 제외하고는 수업일수 2/3이후에는 휴학할 수 없다.

l 휴학기간은 1회에 2학기를 초과할 수 없으며 재학기간 중 석사학위과정은 2년(4학기), 박사학위과정은 3년(6학기)을 초과할 수 없다. 임신·출산·육아휴학은 2년(4학기)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일반휴학과는 별도로 한다. 육아휴학은 출산 시부터 만 8세이하(취학 중인 경우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를 말한다) 해당되며 남학생의 경우 1년간의 육아휴학만 신청할 수 있다. 군 휴학은 일반사병 복무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추가 복무기간은 일반휴학으로 산입한다. 단, 질병휴학은 일반휴학의 기간에 산입한다.

l 선교대학원의 경우 선교사로 파송되어 계속 사역하는 경우는 1회에 한해서 4년까지 휴학 할 수 있다(증명서 제출자에 한함).

l 휴학은 등록을 필한 자에 한하여 허락한다. 단, 지정된 기간 중에 한하여는 등록을 필하지 아니하여도 휴학을 할 수 있다.

l 휴학기간은 재학연한에 포함시키지 아니한다.l 질병휴학은 전문의가 발행한 4주이상의 진단서(‘수업참석이 불가함’ 기재필수)를 제출

해야 한다. 임신·출산·육아휴학은 인정 가능한 증빙서류(진단서,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제출해야 한다. 군 휴학자는 입영통지서 사본을 제출하고 군 전역하여 일반 휴학으로 변경 시에는 전역증(또는 소집해제증) 사본을 제출해야 한다.

l 등록금을 납부한 휴학자의 대체인정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이미 납부한 등록금을 복학하는 해당학기 등록금으로 대체 인정한다.

Ÿ 당해 학기 개시 4주 이후 8주 이내에 휴학한 자는 이미 납부한 등록금의 50%를 복학하는 해당 학기로 대체 인정한다.

Ÿ 당해 학기 개시 8주를 경과하여 휴학한 자는 복학하는 당해 학기 등록금 전액을 납부해야 한다.

2) 복학 l 휴학기간 만료나 휴학 사유 소멸 시에는 학기 초 소정의 기간 내에 복학하여야 하며,

휴학기간이 경과한 후 복학기간 내에 복학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제적 처리된다.l 휴학한 자가 복학하고자 할 때에는 복학원서를 제출하여 원장의 허락을 득한 후 총장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제적 다음의 조건 중 해당될 때 제적된다.l 휴학기간 만료 후 등록기간 내에 복학하지 아니한 자l 매 학기 소정의 기간 내에 등록을 안 한 자l 재학연한이 만료된 자(석사 12학기, 박사 20학기)l 질환 등 기타 사유로 계속 학업이 불가능한 자l 징계에 의하여 제적 처분을 받은 자l 자퇴원을 제출하여 승인된 자

Page 1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 -

4) 자퇴자진 퇴학을 하고자 하는 경우는 학과장과 상담 후 상담일지 및 자퇴원서(소정양식)를 제출하여 총장의 승인을 받아야한다.

5) 재입학재학 시 석사과정은 6학점, 박사과정은 9학점 이상 이수한 자로서 자퇴 또는 제적된 자가 재입학을 원하는 경우 1회에 한하여 기회를 줄 수 있다. 단 재입학하고자 하는 학년의 정원에 여석이 있을 때 가능하며 제적(자퇴) 이전의 취득학점을 인정한다. 다만, 재학연한 초과자와 징계에 의하여 제적된 자는 재입학할 수 없으며, 재입학 시 소정의 입학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5. 수업연한·재학연한 안내l 일반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의 석사학위과정의 수업연한은 4학기(2년)

로 하고, 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의 수업연한은 5학기(2.5년)로 하되, 각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의 재학연한은 입학 후 6년(12학기)으로 한다.

l 일반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과정의 수업연한은 3년(6학기)으로 하되, 재학연한은 입학 후 10년(20학기)으로 한다.

l 휴학기간은 재학연한에 산입하지 아니한다.l 공동학위 과정의 수업연한 및 재학연한도 일반 박사과정과 동일하게 적용한다.l 연구학기 등록금 납입은 수업연한 종료 후 4학기차까지는 수업학기 등록금의 10%를

납입하고, 5학기차부터는 20만원을 납입하여야 한다.

6. 전공변경 안내전공변경은 허락하지 않는 것을 원칙이나 부득이한 경우 석사학위과정에 한해 첫 학기말에 변경 전·후 학과장(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아 교학지원처에 제출하여, 대학원위원회와 총장의 승인을 받아 변경 할 수 있다.

7. 자격고사 및 자격고사면제 안내1) 자격고사 유형l 종합시험(아래의 응시학기는 시험당시의 등록학기를 의미함)Ÿ 일반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 석사과정은 3학기부터 응시Ÿ 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은 4학기부터 응시Ÿ 박사학위과정은 4학기부터 응시Ÿ 석사학위과정 : 전공과목에 대해 시험을 실시한다. 단, 교육대학원의 종합시험과목은

교직 1과목과 전공 2과목으로 한다. 박사학위과정 : 박사학위 전공과목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며 시험과목 및 수는 각 전공

에서 정한다.l 외국어시험 Ÿ 영어① 시험 응시 당시 1학기 이상 정규 등록된 자는 응시할 수 있다.② 불합격 시 논문학기에 1회에 한해 재시험에 응시 가능하다.③ 영어 시험범위 및 시험유형은 각 대학원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다.④ 영어 시험 대비특강을 매 학기 방학 중에 실시하고 있다(정확한 일정은 매 학기 방학

Page 1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 -

중 학교 홈페이지에 공지한다). Ÿ 전공언어 (일반대학원 6개 신학전공 박사과정생에만 해당)① 구약신학 전공 : 히브리어② 신약신학 전공 : 헬라어③ 조직신학, 역사신학 전공 : 성경히브리어, 성경헬라어, 교부헬라어, 라틴어 중 택1④ 실천신학 및 선교신학 전공 : 성경히브리어, 성경헬라어, 라틴어 중 택1Ÿ 제2외국어(일반대학원 6개 신학전공 박사과정생에게만 해당)① 화란어, 독일어, 불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중 택 1

2) 합격기준자격고사는 각 과목 당 70점 이상(100점 만점 기준)을 합격으로 인정한다.

3) 시험일시매 학기 초(3월 초 및 9월 초)에 실시한다(매 학기 학교 홈페이지에 공지하며 학사일정 표 참조 요망).

4) 응시절차 l 매년 2월과 8월 응시지원기간에 학사정보시스템에서 학생로그인하여 신청하고 응시료

를 납부하여야 한다(자격시험 응시료 미납자는 시험에 응시할 수 없고, 미납한 경우 시험에 응시를 했다 할지라도 점수는 무효처리 된다).

l 상세한 일정은 매년 1월과 7월에 학교 홈페이지 상에 별도로 공지한다.

5) 응시료 및 각 대학원별 응시과목

6) 자격고사 외국어(영어)시험 면제l 영어Ÿ 매 학기 초 신청기간에 신청서를 제출하여 면제받을 수 있다.Ÿ 대학원 학사내규 제53조: TOEFL(CBT):200점이상, TOEFL(IBT):73점이상, TOEIC:650점 이

상, TEPS:521 이상, IELTS: 6.0 이상 또는 이에 준하는 공인기관영어시험 성적을 면제신청일 기준 2년 이내에 취득한자는 면제할 수 있다.

대학원명1과목당 응시료

자격고사 응시과목석사 박사

일반대학원 3만원 5만원

∎석사: 2과목(전공 1과목, 영어 1과목)

∎박사(6개 신학계열): 4과목(전공·영어·전공언어·제2외국어 각 1

과목씩)

∎박사(기교,유교,사복,성경적상담): 2과목(전공 1과목, 영어 1과

목)

목회신학전문대학원 3만원 5만원 ∎석,박사: 2과목(전공 1과목, 영어 1과목)

선교대학원 3만원 - ∎3과목: 영어 1과목, 전공 2과목

교육대학원 3만원 - ∎4과목: 영어 1과목, 교직 1과목, 전공 2과목

사회복지대학원 3만원 - ∎4과목: 영어 1과목, 전공 3과목

상담대학원 3만원 - ∎3과목: 영어 1과목, 전공 2과목

교회음악대학원 3만원 - ∎3과목: 영어 1과목, 전공 2과목

Page 1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 -

Ÿ 총회에서 파송한 선교사로서 영어권 국가에서 3년 이상 사역한 선교사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면제 할 수 있다.

l 제2외국어Ÿ 재학 중에 개설되는 제2외국어 과목의 1,2(독일어 1,2 또는 화란어 1,2)를 모두 이수하

여 평균B⁺ 이상 취득할 경우 면제할 수 있다.

8. 과목면제/학점인정 안내매 학기 초 신청기간에 과목면제신청서를 제출하여 해당과목을 면제/학점인정 받을 수 있다.

대학원명 과정 전공명 과목명 신청 조건

일반대학원

석사

기독교교육학

신학과목

이전 학위과정에서

해당 과목 이수자

교육대학원의 경우

입학 후 첫 학기 1

회에 걸쳐서만 학점

인정 신청 가능

선수과목(학부 비전공자

의 경우. 일대원 교육과

정 부분 참조)

유아교육학

신학과목(구, 신, 역, 조,

실, 선)

선수과목(학부 비전공자

의 경우. 일대원 교육과

정 부분 참조)

교회음악학 선수과목

박사

기독교교육학

선수과목(비전공자의 경

우. 일대원 교육과정 부

분 참조)

※ 2019학번부터 면제 불

가-비전공자는 반드시 이

수해야 함

기독교유아교육학

신학과목(구, 신, 역, 조,

실, 선)

선수과목(비전공자의 경

우. 일대원 교육과정 부

분 참조)

기독교사회복지학

신학과목(구, 신, 역, 조,

실, 선)

기독교사회복지총론,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적

이해,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

미나(사회복지현장실습)

※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2019학번부터 면제 불가

Page 1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 -

성경적상담학

신학과목(구, 신, 역, 조,

실, 선)

성경적상담,

결혼과 가족치료,

이상심리학,

심리검사와 평가

교육대학원석사

(양성과정)

기독교교육 기본이수과목,

교과교육과목,

그 외 전공과목

(각 과목명은 교대원 교

육과정 부분 참조)

영어교육

유아교육

교직

교직이론과목,

교직소양과목

(교직실습과목 중 학교현

장실습은 교원자격증 소

지자만 면제 가능, 그 외

면제불가)

사회복지

대학원석사 사회복지학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

미나(사회복지현장실습)

※ 사회복지 현장실습은

2019학번부터 면제 불가

상담대학원 석사 성경적상담학

신학과목

(성경신학, 교의(조직)신학,

역사신학, 기독교세계관,

실천신학 외)

교회음악

대학원석사

교회음악

찬양사역

신학과목(구약서론,신약서

론,기독교세계관)

M.Div. 학위 취득자만

면제 가능

공통 석사, 박사 공통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석사과정에서 면제

받은 경우에도 박사

과정에서 인정받고

자 하며 다시 면제

신청을 해야 함.

Page 1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 -

9. 장학금 및 학자금대출 안내(대학원 장학금 운영규정 참조)

1) 장학금l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타의 모범이 되거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자에게는 장학금을 지

급하며, 장학금은 교비장학금과 외부(기탁)장학금으로 구분한다.

l 장학금의 구분Ÿ 교내장학금(등록금회계)각 대학원 재학생 수에 따라 배분한 장학금액 내에서 장학생 기본 요건, 선발 기준 및 절차에 따라 선발하여 지급하는 장학금

Ÿ 외부기탁장학금(비등록금회계)장학금을 기탁하는 외부 기관에서 장학금 수혜자를 지정하여 기탁한 장학금

Ÿ 국가연구장학금(비등록금회계)한국장학재단에서의 장학생 선발 공고 시에 장학금 수혜인원을 배정받게 될 경우, 교내에서의 선발기준에 따라 장학생을 선발 후 한국장학재단에 추천하여 지급받도록 하는 장학금

l 장학생 선발 절차Ÿ 교내장학금

* 조교장학금은 학과장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해 신청 자격 부여

Ÿ 외부기탁장학금

No 내용 담당

1 홈페이지에 장학생 신청 공지(매년 4월 및 10월 중) 교학지원처

2학교 홈페이지에 학생로그인하여 본인이 직접 신청

(단, 성적장학금은 신청 불필요)학생

3온라인 상에서 작성한 신청서를 출력하여 각 장학금 유형별로 요구되는

증빙서류와 함께 교학지원처에 제출학생

4 학기 종료 후 성적산출에 따라 성적장학금 대상자 선별 및 추천 교학지원처

5 장학생 선발 대상자를 각 대학원위원회에 추천 교학지원처

6 장학생 선발을 위한 각 대학원위원회 소집 교학지원처

7 위원회에서 장학생 추천 대상자 심의 대학원위원회

8 확정된 장학생 대상자 공지 교학지원처

9 등록금에 감면 장학금 반영 교학지원처

No 내용 담당

1 외부기탁(후원)모집 교학지원처

2 외부기탁 장학금 공고 교학지원처

3 외부기탁 장학생 지명 및 승인 기탁자 지명, 대학원위원회

4 확정된 장학생 대상자 공지 교학지원처

5 등록금에 감면 장학금 반영 또는 장학금지급 교학지원처

Page 1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 -

Ÿ 국가연구장학금(재단으로부터 장학생 배정을 받았을 경우에만 발생)

l 장학생 기본 요건(‘대학원 장학금 운영규정’ 제5조(장학생 선발자격)에 따름)각 장학금 별로 제시된 기본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

Ÿ 교내장학금ü 신청기간 내에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제출서류를 제출한 자(온라인 신청, 신청서 및 증

빙서류 제출 모두 충족되어야 신청자로 간주함. 성적장학금은 신청하지 않아도 됨.) ü 이전학기 평균성적이 3.5(B⁺) 이상인 자(단, ①신입생의 경우 이전 학기 성적은 없더라

도 근로 관련 장학금인 홍보장학금, 조교장학금, 근로장학금 및 신분에 따른 장학금인 외국인장학금, 장애인장학금, 선교사장학금, 군목장학금, 어린이집교사장학금, 현직교사장학금, 교직원자녀장학금, 사회복지전문사역장학금, 교역자장학금, 상담전문사역자에는 지원 가능 ②홍보대사장학금의 경우 3.0(B) 이상인 자)

ü 학칙 및 규정을 위반하지 아니한 자ü 복학 및 재입학의 당해 학기에는 제외ü 미등록 및 휴학생 제외ü 장학금 중복 신청 불가(단, ①근로장학금, 조교장학금, 가계장학금, 장애인장학금, 외부

기탁장학금, 기여장학금, 홍보대사장학금 중 1개 유형에 한해 그 외 장학금과 중복신청 가능. 근로장학금, 조교장학금, 기여장학금 간에는 중복 신청 불가 ②성적, 백만기도 중복 불가, 3개 장학금 수혜자의 대상이 될 경우, 그 중 수혜 혜택이 높은 2개까지 수혜 가능)

ü 장학금은 각 대학원의 수업연한과 등록금액을 초과 불가(수업연한 이후 논문 학기 등록생은 신청불가)

Ÿ 외부기탁장학금 외부기탁 장학금은 기탁자의 취지와 방법에 따른다.

Ÿ 국가연구장학금 (장학재단으로부터 장학생 배정을 받았을 경우에만 발생) ü 선발 당시 본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또는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자(단, 각 학위과정

수업연한의 첫 학기 및 마지막 학기 재학생, 휴학생, 추가학기생, 파트타임제 재학생은 제외).

No 내용 담당

1 한국장학재단에서 장학생 선발 공고 한국장학재단

2 한국장학재단에 장학생 배정 지원 교학지원처

3 장학생 배정 안내 한국장학재단

4 교내 홈페이지에 신청자 모집 안내 교학지원처

5 대학원 교학지원처에 지원서류 제출 학생

6 심사위원 선정(해당 대학원위원회) 대학원위원회

7 서류 심사 심사위원

8 대학 추천 대상자 선정 및 공지 교학지원처

9 추천대상자 명단을 재단 시스템에 업로드 교학지원처

10 추천대상자 온라인 신청 학생

11 추천대상자 최종 추천 교학지원처

12 추천대상자 선발 최종 공지 한국장학재단

13 등록금에 감면 장학금 반영 또는 장학금지급 교학지원처

Page 1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4 -

ü 4대 사회보험 미가입자(즉, 미취업자이어야 함. 단, 주 6시간 이내 근무에 대한 보험 가입자는 지원 가능)

ü 직전 재학 학기 성적이 4.0 이상인 자ü 해당 학기 및 과거학기의 이중지원하지 않은 자ü 연구제안서의 내용이 본교 기독교적 정체성 및 신학노선에 위배되지 않은 것이야 함.ü 본교 학생으로서의 품위에 저촉되지 않은 자※ 우수 탈북대학원생의 경우 우선 선발(모집 정원의 10% 범위 내에서)

l 각 장학금 유형 및 장학금액

*장학금 지급금액은 장학위원회 결의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장학금 유형 해당 대학원 장학금액

성적우수전체

박사 1,800,000원 석사 1,300,000원

조교 1,200,000원

현직교사 교육대학원 1,400,000원

근로

전체

1,500,000원

가계 1,400,000원

기여회장 2,000,000원

부회장, 총무, 회계 1,500,000원

군목 1,100,000원

선교사 등록금의 40%

장애인 1,300,000원

특별

어린이집교사 교육대학원 1,400,000원

사회복지전문사역사회복지대학원

1,500,000원

교역자 1,500,000원

상담전문사역자 상담대학원 700,000원

외국인

전체

등록금의 40%

가족 1,400,000원

교직원자녀 등록금의 40%

총신백만기도후원 1,000,000원

기탁 기탁에 따라 변동

홍보대사 등록금의 60%

Page 1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5 -

l 각 장학금 유형별 선정기준 및 제출서류

장학금 유형 선정기준 제출서류

성적우수

-전공별로 학기 구분 없이 일정 등수의 최상위 성적취득자에

게 지급하는 장학금(전공별 지급)

일대원 석사 1~2등 / 박사 1~2등

목대원 석사 1~2등 / 박사 1~2등

선대원 1~2등

교대원 1~3등

사대원 1~3등

상대원 1~10등

교음대원 1~3등(교회음악 1~3등, 찬양사역 1~3등.

단, 재학생 수 비율 반영하여 산정)

-별도 신청하지 않아도 최소 이수학점 조건 충족자에 한해 자

동으로 대상자 선발

-최소 이수학점

*일대원, 목대원, 사대원, 선대원(그 외 학번)은 9학점(3과

목 이상),

*교대원, 선대원(2013-2015학번), 상대원, 교음대원은 6학

점(3과목 이상)

* 선수과목 제외

-동점자 시 선발순위

① 평균평점 ② 신청학점 수③ 과목별 총점(과목별 학점X점수/과목수)④ 입학년도가 빠른 자 ⑤ 생년월일이 빠른 자

없음.

조교

해당학기에 각 전공별 학과장(전공주임교수)의 추천을 받아 연

구조교로 선정된 자에게 수여하는 장학금(학기 말 근무상황표

제출)

장학금신청서

(학과장추천필수)

현직교사교육대학원생으로서 현직교사(유치원, 초등, 중등교사)에게 수

여하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

경력증명서(교육청발행)

근로교내의 행정부서에서 근로하는 자에게 수여하는 장학금(학기

말에 근무상황표 제출)장학금신청서

가계

아래 조건 중 해당자에게 지급하는 장학금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유공자

장학금신청서

기초,차상위,유공자증명

서-다자녀부모: 주민등록상에 만20세 미만의 자녀가 3명 이상

(한 부모에게만 적용)

장학금신청서

주민등록등본

-그 외 가계형편이 극빈한 자(건강보험납입금 기준)

(2인 가구 4만원 이하, 3인 가구 5만원 이하, 4인 가구 6만원 이하, 5

인 가구 7만원 이하)

장학금신청서

건강보험납입영수증 및

건강보험증 사본

기여 각 대학원 원우회 임원 4인에게 주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

군목 본 교단소속의 군목에게 수여하는 장학금장학금신청서

노회소속증명서

선교사본 교단 총회세계선교회(GMS) 소속 선교사에게 수여하는 장학

장학금신청서

재직증명서

장애인국가기관에서 발행한 장애인증 소지자 중 장애등급 1급~3급에 해당하는 자에게 수여하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장애인증명서

Page 1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6 -

2)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l 학자금대출 신청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학기가 시작하기 전 방학 중에 홈페이지를 통

해 공지한다.l 한국장학재단(대학학자금지원시스템) (http://www.kosaf.go.kr)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가입 시 공인인증서 필요) 온라인으로 신청한다(문의02-1599-2000).

10. 연구활동비 지원안내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비 지급 규정 참조)

1) 적용 범위 대학원생이 학문 연구를 위하여 학술세미나 및 학회에 참석하여 연구활동을 하였을 경우 지급한다. - 한 학기당 3만원 범위 내에서 1회 지급 - 신청서류 : 대학원학생 연구활동지원비 신청서, 학회참가비 납부영수증 원본, 책자표지와 순서부분 사본 - 기 타 : 영수증의 학회직인이 날인 된 원본이 아닌 경우 지원비가 지급되지 않음

2) 지원 유형(학기당 1회 지급 기준임)l 논문게재비 Ÿ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한 저널의 논문게재에 참여한 경우에는 편당 30만원까지 지급.l 학술대회(세미나) 단순참가비

어린이집교사교육대학원생으로서 현직 어린이집교사(보육교사)에게 수여하

는 장학금(원장, 원감 제외)

장학금신청서

경력증명서(구청발행)

사회복지

전문사역자

사회복지대학원생으로서 사회복지사자격증 소지자에게 일정금

액을 지급하는 장학금(전문사역자에게 우선 지급)

입학 후 2개 학기동안 지급

장학금신청서

자격증사본

재직증명서

교역자

사회복지대학원생으로서 해당년도 입학모집요강에 따라 대상

자에게 지급하는 장학금(교역자 및 사모)

입학 후 2개 학기동안 지급

장학금신청서

교역자(재직증명서)

사모(주민등록등본)

상담전문사역자상담대학원생으로서 전임상담전문자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

재직증명서

외국인 정원 외로 입학한 외국 국적자에게 수여하는 장학금장학금신청서

당회장추천서

가족(친족)가족(부부 및 자녀, 형제, 자매에 한함)이 동시에 동일 대학원

에 재학 중일 때 그 중 1인에게 지급하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

재학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교직원자녀본교에 재직하는 교직원 및 배우자, 직계 자녀에게 수여하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

재직증명서

총신백만기도

후원

평균성적이 3.75(B⁺) 이상인 자 중 신청자에게 지급하는 장학

금, 수업연한내 1회 지급, 최소이수학점(성적장학금과 동일)

(성적, 조교, 기여장학금 제외)

장학금신청서

당회장추천서

기탁외부 기탁이 있을 경우 기탁자 취지에 따라 해당자에게 지급

하는 장학금장학금지급요청서

홍보대사대학원 홍보에 기여한 자로 교학처 추천과 해당 대학원위원회

에서 심의하여 해당자에게 지급하는 장학금

장학금신청서

홍보활동증빙자료

Page 2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7 -

Ÿ 전국 규모 이상의 학회(상시 조직을 갖추고 있는 학회를 의미함)에서 주관하는 학술대회(세미나)에 참석하는 경우 해당 학술대회(세미나)의 실참가비로 3만원 이내로 지원한다.

Ÿ 학술대회 발표자의 경우 4만원을 지급한다.Ÿ 학회 입회비 및 참가비 이외의 경비로 지급한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3) 지원금 신청l 참가비는 다음의 서류를 갖추어 대학원 교학지원처로 논문 게재(졸업예정자의 경우 게

재예정) 및 학술대회 종료 후 신청하면 소속 대학원장의 결재를 득한 후 지급한다(각 대학원 전공조교가 수합하여 제출).

l 제출서류Ÿ 연구활동지원비 신청서(소정양식)Ÿ 참가 영수증 (학술대회참가자만 해당)Ÿ 논문목차, 표지 및 논문(사본) 혹은 학술대회(세미나) 관련 팜플렛

11. 학위논문안내[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 참조]

1) 석사과정l 논문계획서 입력 및 제출 Ÿ 시기 : 3학기 차부터(단, 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은 4

학기 차부터) 학기 초에 학사시스템에 입력 가능하다. Ÿ 논문연구계획서 입력 후 저장, 이후 논문연구계획서, 학위논문작성연구윤리서약서를

출력하고 연구윤리인터넷 강의를 들은 후 출력한 연구윤리교육이수증(각 대학원홈페이지-연구윤리-연구윤리교육안내 참조)과 함께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l 논문지도교수배정 Ÿ 논문계획서 입력 시 희망지도교수 2인을 입력하며 학생의 희망지도교수 입력 내용을

고려하여 학과/전공에서 지도교수 1명을 배정한다. Ÿ 학과/전공에서 배정 된 지도교수 명단을 대학원교학지원처로 제출한다.Ÿ 대학원교학지원처에서는 배정 된 지도교수를 학사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결과를 공지

한다.

l 논문지도 Ÿ 석사과정은 지도교수로부터 5회 이상 지도 받고,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시 지도카

드를 제출해야 한다.

l Proposal 발표 Ÿ 확정된 논문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논문제안서를 작성한 후 전공별로 발표한다.Ÿ 논문제안서 발표 시 논문제안서 소정 양식(대학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에 작

성한다.

l 논문심사비 납부 Ÿ 심사용 가제본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학기에 심사료를 납부한다.Ÿ 논문자격고사를 모두 합격하여야 심사자격이 주어지므로 자격고사를 합격한 자에 한

Page 2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8 -

하여 심사료를 납부할 수 있다.Ÿ 논문심사료를 납부한 자에 한하여 심사용 가제본 논문에 대한 심사를 받을 수 있다.

l 공개발표 Ÿ 일자와 시간은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진행한다.Ÿ 지도교수 및 전공 관련 원우(5인 이상)앞에서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이전에 실시한

다.Ÿ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시 공개발표 관련 자료를 교학지원처에 제출하도록 한다.

l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Ÿ 심사용 가제본 논문 자격조건을 갖춘 자(④심사용 가제본 제출자격 체크리스트 참조)

는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를 위해 심사용 가제본 논문 3부와 관련서류를 정해진 기간(홈페이지 공지) 내에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l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Ÿ 학과장/전공 주임교수는 심사위원을 추천하여, 관련 위원회의에 보고 한다. Ÿ 석사과정의 심사위원은 3명(외부1인 포함가능)으로 한다.Ÿ 심사위원장은 심사위원들 중 지도교수를 제외한 나머지 심사위원 중 호선한다.Ÿ 각 심사위원의 심사결과보고서 및 심사위원장의 최종심사결과보고서를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l 합격Ÿ 합격여부 판정은 합격, 불합격, 조건부합격으로 한다.Ÿ 내용(서류)심사 합격 시 구술심사를 받을 수 있다.Ÿ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각각에서 심사위원 2/3 이상의 80점 이상 평가 시 합격으

로 한다. Ÿ 조건부합격 시(그 외에도 수정확인서 제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논문수정확인서를

작성하여 지도교수의 확인 후 논문 완제본과 확인서를 제출기한 내에 교학지원처에 제출 시에 합격으로 판정된다.

Ÿ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에서 불합격한 자는 다음 학기에 수강신청을 완료한 후, 논문지도부터 과정을 밟으며 심사학기에 논문심사비를 다시 납부하도록 한다.

Ÿ 연구윤리기준에 위배 시 논문의 합격이 취소되거나 증명서 발급이 보류될 수 있다.

l 논문제출Ÿ 내용(서류)심사와 구술심사 각각에서 합격 판정되었을 경우 완제본 파일은 도서관 홈

페이지 dCollection에 업로드하고, 제작된 완제본논문 4부를 도서관에 납본하여야 한다. (완제본 제작시 ⑤완제본 논문 제출 체크리스트를 참조)

Ÿ 필요 시(조건부 합격 및 그 외에도 수정확인서 제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논문수정확인서를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Ÿ 완제본 제출의 절차

논문심사 합격⇒완제본 제출 체크리스트 확인 후 논문 완제본 제작⇒도서관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도서관 홈페이지 d-collection에 업로드하기 전에 d-collection에 탑재된 공지사항 확인⇒완제본 논문 원문을 d-collection에 업로드⇒업로드 후 도서관의 ‘제출승인’ 또는 ‘반송’ 확인(자신의 제출내역에서 확인 가능)⇒‘반송’일 경우 사유 확인 후 다시 업로드하면 되고, ‘제출승인’

Page 2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9 -

2) 박사과정l 학위논문계획서 입력 및 제출Ÿ 시기: 4학기차부터 학기 초에 학사시스템에 입력 가능하다.Ÿ 논문계획서 입력 시 ‘학위논문작성연구윤리서약서’(각 대학원 홈페이지 내 학위논문 관

련 양식에서 다운로드)및 연구윤리교육이수증(14. 연구윤리교육 부분 참조)을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l 논문지도교수 배정 및 지도 Ÿ 시기: 4학기차부터 학기 초에 학위논문계획서 입력 시 희망지도교수 2인을 입력하며

학생의 희망지도교수 입력 내용을 고려하며 학과/전공에서 1명의 지도교수를 배정.Ÿ 학과/전공에서 배정 된 지도교수 명단을 대학원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Ÿ 대학원교학지원처에서는 배정 된 지도교수를 학사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결과를 공지

한다.

l 논문지도 Ÿ 박사과정은 지도교수로부터 10회 이상 지도 받고,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시 지도카

드를 제출해야 한다.

l 논문제안서 작성 및 제출Ÿ 시기: 5학기차 학기 초에 소정 양식(각 대학원 홈페이지 내 학위논문 관련 양식에서

다운로드)에 작성하여 정해진 기간(홈페이지에 공지) 내에 제출한다. 논문제안서 제출 학기에는 ‘논문프로포절’ 과목을 수강신청 하여야 한다.

l 논문제안서심사위원회Ÿ 구성: 학과(전공)에서 학과장(또는 전공주임), 논문지도교수, 전공관련 교수 1~2인등 총

3~4인으로 심사위원을 구성한다.Ÿ 확정된 논문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논문제안서를 작성하여 제출한 후 발표하여 심사

한다.Ÿ 논문제안서 심사에서 합격(심사위원 2/3 이상의 80점 이상)한 자에 한해 논문을 작성

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Ÿ 논문제안서 심사와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을 동일한 학기에 할 수 없으며, 제안서

심사 후 다음 학기부터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이 가능하다.Ÿ 공동박사학위과정생의 논문제안서는 영문으로 정해진 작성 지침(홈페이지-논문관련 부

분 참조)에 따라 작성한다.

l 논문심사비 납부 Ÿ 심사용 가제본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학기에 논문심사비를 납부한다.Ÿ 논문자격고사를 합격하여야 심사자격이 주어지므로 자격고사를 합격한 자에 한하여

심사료를 납부할 수 있다.Ÿ 논문심사료를 납부한 자에 한하여 논문 가제본 심사를 받을 수 있다.

일 경우 저작권동의서와 제출확인서 출력⇒완제본 논문 체크리스트 기재하여 교학지원처 논문담당자에게 제출 ⇒저작권동의서, 제출확인서 및 완제본 논문 4권을 도서관 3층 대출실에 제출

Page 2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0 -

l 공개발표Ÿ 일자와 시간은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진행한다.Ÿ 지도교수 및 전공 관련 원우(5인 이상)앞에서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이전에 실시한

다.Ÿ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시 공개발표 관련 자료를 교학지원처에 제출하도록 한다. l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Ÿ 심사용 가제본 논문 자격조건을 갖춘 자(4)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자격 체크리스트

참조)는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를 위해 심사용 가제본 논문 5부, 심사용 가제본 논문에 대한 논문유사도검사결과보고서(2016.3.1.일자부터 적용 / 대학원 홈페이지 참조)와 관련서류를 정해진 기간(홈페이지 공지) 내에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l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Ÿ 학과장/전공주임교수는 심사위원을 추천하여, 관련 위원회의에서 결정한다.Ÿ 박사과정의 심사위원은 5인(외부2인)으로 한다.Ÿ 심사위원장은 심사위원들 중 지도교수를 제외한 나머지 심사위원 중 호선한다.Ÿ 각 심사위원의 심사결과보고서 및 심사위원장의 최종심사결과보고서를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l 합격 Ÿ 합격여부 판정은 합격, 불합격, 조건부합격으로 한다.Ÿ 내용(서류)심사 합격 시 구술심사를 받을 수 있다.Ÿ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각각에서 심사위원 2/3 이상의 80점 이상 평가 시 합격으

로 한다.Ÿ 조건부합격 시(그 외에도 수정확인서 제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논문수정확인서를

작성하여 지도교수의 확인 후 논문 완제본과 확인서를 제출기한 내에 교학지원처에 제출 시 합격으로 판정된다.

Ÿ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에서 불합격한 자는 다음 학기에 수강신청을 완료한 후, 논문지도부터 과정을 밟으며 심사학기에 논문심사비를 다시 납부하도록 한다.

Ÿ 연구윤리기준에 위배 시 논문의 합격이 취소되거나 증명서 발급이 보류될 수 있다.

l 논문제출Ÿ 내용(서류)심사와 구술심사 각각에서 합격 판정되었을 경우 완제본 파일은 도서관 홈

페이지 dCollection에 업로드하고, 제작된 완제본논문 4부를 도서관에 납본하여야 한다. (완제본 제작시 ⑤완제본 논문 제출 체크리스트를 참조)

Ÿ 필요 시(조건부 합격) 논문수정확인서를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Ÿ 완제본 제출의 절차

논문심사 합격⇒완제본 제출 체크리스트 확인 후 논문 완제본 제작⇒도서관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도서관 홈페이지 d-collection에 업로드하기 전에 d-collection에 탑재된 공지사항 확인⇒

완제본 논문 원문을 d-collection에 업로드⇒업로드 후 도서관의 ‘제출승인’ 또는 ‘반송’ 확인(자

신의 제출내역에서 확인 가능)⇒‘반송’일 경우 사유 확인 후 다시 업로드하면 되고, ‘제출승인’

일 경우 저작권동의서와 제출확인서 출력⇒ 완제본 논문 체크리스트 기재하여 교학지원처 논

문담당자에게 제출⇒저작권동의서, 제출확인서 및 완제본 논문 4권을 도서관 3층 대출실에 제

Page 2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1 -

3) 논문연구제안서 작성 안내l 제안서의 개요Ÿ 연구제안서는 논문을 쓸 수 있는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으로서 집을 짓는

과정에서의 설계도와도 같다. 그러므로 설계도에는 무엇을, 어떻게, 왜, 언제, 누구를, 어디에서 연구할 것인가 하는 기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Ÿ 연구제안서를 통해서 연구자는 지도교수나 심사위원들에게 연구에 대한 자신의 준비와 연구내용 등을 증명해야 하므로 무엇을 쓰고 싶은지를 보여주는 마음으로 이를 작성해야 하며, 앞으로 작성할 연구에 대한 계획을 작성하는 것이므로 미래형으로 작성해야 한다. 제안서는 작성양식([별첨] 참조)을 사용하여 하며 대학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l 주제선정Ÿ 먼저 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주제들을 가지고 연구제안서를 작성한다. 주제선

정을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최근 연구 동향 및 자신의 관심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희망지도교수와 사전에 논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l 제안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들Ÿ 제안서에는 연구배경,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문제, 용어정의, 연구의 범위 및 한계,

연구의 의의(중요성), 연구의 구성(절차), 연구방법, 연구목차, 장별요지, 선행연구, 참고문헌, 연구일정을 다룬다.

Ÿ 연구의 배경, 문제제기, 연구목적, 연구문제, 용어정의, 연구의 의의 부분에서는 무엇을, 왜 연구 하는지를 다룬다. 전문적인 영역을 다루기 때문에 연구의 주제가 독자가 이해하기 에 어렵다고 여겨지면 그 주제를 정의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어라 해도 필자가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면 용어정의 부분에서 새롭게 정의해 주어야 한다. 연구의 절차에서는 연구를 위한 시험연구의 시행여부나 절차와 방법, 그리고 연구도구를 만든 과정과 그 특성에 대한 안내를 한다. 그리고 이 연구가 왜 특정한 연구형태를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배경과 절차를 포함한다. 사회과학 연구라면 질적 연구인지 아니면 양적연구인지 그렇게 연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자료들을 수집했는지에 대한 자료수집 과정과 절차는 어떠한지, 자료수집 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이나 기술할만한 특이한 점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Ÿ 장별요지에서는 하고자 하는 연구의 각 장에 들어갈 내용의 간략히 기술한다. 그 중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다루는 장에서는 선정한 연구주제에 관해 발표된 자료들을 다양한 이론과 학자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한다. 그리하여 기존에 행해진 연구를 통하여 제기된 연구들과 연구자 자신의 연구를 가능하게 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한다. 사회과학연구를 할 경우에도 선행연구를 다루는 장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관해 기존에 연구된 모든 연구를 포함시킨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제기된 문제들을 가지고 논문작성자가 자신의 연구를 진행시키게 될 것이므로 선행연구 장들과 연구 배경, 문제제기, 연구문제, 연구목적 등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장별요지 내에 이론적 배경에 대해 다루는 장들 이후부터는 연구형태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이 조금 다르다. 문헌연구일 경우에는 연구문제에 의해서 제기된 과제에 따라 각 장의 제목을 정하고 그 각각에 대하여 장별로 작성하도록 한다. 연구문제가 세 개로 되어 있으면 3-5장 정도로 장 제목을 정하고 해당 주제에 대해 예상되는 글의 방향의 개략에 대하여 기술한다. 보통 한 장에 1쪽을 넘지 않는다. 사회과학연구의 경우에는 이론적 배경을 다루는 장들 이후에는 연구의 설계(연구대상, 연구방법 또는 도구, 자료분석방법, 연구절차, 예상되는 결과 등)을 각각의 장으로 정하고 기술하면 된다. 장별요지를 작성

Page 2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2 -

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 시 각주를 삽입할 수 있다. 장별요지를 작성한 후에는 선행연구를 작성한다. 선행연구는 자신의 논문 주제와 연관된 기존의 저서 및 논문들을 토대로 작성하되, 자신의 연구와의 연계성을 염두하며 작성하도록 한다.

Ÿ 장별요지 및 선행연구를 작성한 후에는 관련참고문헌을 작성한다. 참고문헌은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참고문헌 작성방식에 준해서 작성하면 된다. 제안서를 위한 청문회를 행할 때 교수들로부터 참고문헌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는 필수적이다.

Ÿ 마지막으로, 연구일정에서는 연구진행계획에 대하여 기술한다. 연구일정은 연도 및 월별로 계획하여 기술한다.

l 제안서 발표 및 심사연구제안서 작성이 끝난 후에 이에 대한 발표 및 심사가 있다. 박사과정의 경우 논문제안서심사위원회에서 이를 실시하게 되고, 석사과정의 경우 각 전공 내에서 발표일을 정하여 실시하게 된다. 논문제안서를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다음의 몇 가지 사항을 염두에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Ÿ 철저히 준비하라발표자료 준비를 위해 논문제안서는 논문제안서양식 다운받아 사용)에 작성하도록 하며 3-5분 이내로 자신의 연구계획에 대해 요지를 발표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Ÿ 발표 및 심사회의 목적을 알라연구논문을 쓸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평가와 발전적 조언을 주고자 함이니 열린 마 음으로 임하도록 한다. Ÿ 심사위원들의 질문에 두려워하지 말고 기대하라.심사위원들의 질문이나 코멘트는 앞으로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것이므로 이를 적극 수용하는 마음으로 기대하도록 한다.Ÿ 심사위원들은 학생들이 좋은 논문을 쓰도록 도우려 한다고 믿으라.

심사위원들이 수정을 요구하면 전문가적 조언을 얻은 것으로 감사하라. l 제안서 심사 결과 처리Ÿ 제안서 심사에서 합격(3~4인의 심사위원 중 2/3 이상으로부터 80점 이상을 받아야 합

격임)하여야 논문 작성을 할 자격이 주어지므로 심사에 합격할 수 있도록 연구의 목적,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선행연구, 참고문헌 등을 성실히 작성하도록 한다.

Ÿ 심사에서 불합격하였을 경우, 논문심사 절차 상 최소한 다음 학기에 재심사를 받을 수 있게 되며, 논문 심사는 논문제안서 심사보다 반드시 최소 한 학기 이후에 가능하다.

4)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자격 체크리스트(홈페이지에서 양식 다운로드 사용 가능)

[대학원] 심사용 가제본 학위논문 제출자격 체크리스트

No 항 목 내 역충족여부

교학처확인

내용가부(O, X)

1 등록Ÿ 일대원 · 목대원 · 선대원 석사 : 4학기 이상Ÿ 교대원 · 상대원 · 사대원 · 교음대원 석사: 5학기 이상Ÿ 일대원 · 목대원 박사: 6학기 이상

______학기차

2 자격시험

Ÿ 영어: 7개 대학원 석·박사 학위과정 전체Ÿ 제2외국어: 일대원 박사 신학전공(구/신/조/역/실/선)Ÿ 전공언어: 일대원 박사 신학전공(구/신/조/역/실/선)Ÿ 전공종합시험: 7개 대학원 석·박사 학위과정 전체Ÿ 교직과목: 교대원

합격 과목 및 연도

Page 2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3 -

*5항, 8항, 9항은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전까지 충족되면 됨. *8항 관련하여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생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또는 교내학술지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생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교내 학술지, 또는 전공별 학술지에 논문1편을 단독, 또는 공동연구(2인)로 작성하여 게재(게재예정확인서 포함)하여야 한다(심사·게재 증빙영수증 제출 시 연구활동비 지원규정에 근거하여 지원금 지급). 2017학년도 2월 졸업예정자부터 기교, 유교, 사복, 상담 전공생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게재논문만 인정함.

[제출일자] 20 . . . [제 출 자] 대학원명 : 전 공 : 학 번 : 성 명 : (서명)

3 이수학점

[일대원 석사 신학과] 전공18, 타전공6

[목대원] 석사24, 박사36

_____학점

[일대원 석사 기교과] 전공24, 신학10

[선대원 Th.M] 36, 28, or 27(학번별) [선대원 M.A.] 48, 36, or 36(학번별)(교필, 전필, 공필, 선택, MA필수 학점요건도 충족해야 함)

[일대원 석사 유교과] 전공26, 신학4

[교대원] 24(전공18, 교직6)

[일대원 석사 교음과] 전공24, 신학4

[사대원] 45(사회복지사 자격증소지자는 36)

[일대원 박사 신학전공, 기교전공] 전공27, 타전공9

[상대원] 24(학점코스는 30), 신학선수 6(3과목)

[일대원 박사 기독교유교, 사복, 상담전공] 전공27, 신학12

[교음대원] 전공38(신학4포함)-2016학번 이후 신학 6

4 평점 취득학점의 평균평점이 3.0(Bº) 이상인 자 ________ 점

5 지도카드논문지도교수의 배정을 받아 소정의 논문지도를 받은 자(지도카드: 석사5회, 박사10회)

________ 회

6논문제안

심사위원회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한자 (2011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박사과정만 해당

_______연도 입학_______연도 통과

7 재학연한학위과정의 재학연한을 초과하지 아니한 자: 석사6년(12학기), 박사 10년(20학기)이며 부득이한 경우 대학원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재학연한을 1년 연장 할 수 있다.

______학기 재학

8 논문게재2013학번 박사과정생부터는 학술지에 논문1편을 게재한 자(아래내용 참고)

학술지명________게재연도________

9 공개발표 학위논문 공개발표를 한 자_____년 ____학기에

발표

10학술대회발표/참석

전국 규모 이상 학술대회에서의 논문발표(1회 이상) 또는 참석(2회 이상)(*2016년3월1일 이후 제출하는 석박사과정생 전원 적용)

발표_______회 또는

참석 _______회

11논문유사도

검사

논문유사도검사기준 통과한 자- 박사과정 : 2016년 3월1일 이후 가제본 제출자부터 적용- 석사과정 : 2019년 8월 졸업자부터 적용(규정개정 중)* 유하도검사결과 기준 : 10%이하

__________%

12연구윤리교육이수

본교에서 정한 온라인연구윤리교육 이수증 제출한 자 제출연도_______

Page 2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4 -

5) 완제본 논문 제출 체크리스트(홈페이지에서 양식 다운로드 사용 가능)

학위논문 완제본 체크리스트학위논문 완제본 제출과 관련하여 원우들의 문의 및 오류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으

로서 아래와 같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완제본 작성 및 제출을 돕고자 합니다. 이번 학기에 학위논문 완제본을

제출하고자 하는 원우들은 완제본 논문 제출 전 아래의 항목들에 대하여 각자 면밀히 검토하여 완제본을 완

성한 후 완제본 논문은 도서관에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학위논문은 교내·외 각종 도서관에 비치될 예정

이므로 학위논문이 규격에 맞게 제본되어 비치될 수 있도록 원우들의 협조 바랍니다.

n 필수 요건 사항

n 숙지 요청 사항

번호 항 목 내 용 확인

1 필수 요건 충족 위의 필수 요건 항목에 대하여 허위로 표시되었을 경우 완제본 제출은 무효 처리 됩니다.

2 연구윤리제출된 논문에 표절 등 연구윤리 위배 사항 발생 시 ‘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 제29조(학위취소 등)에 따라 조치(학위 취소, 학위수여 보류, 또는 증명서 발급 중지)됩니다.

3 논문 추가 수정심사 후 논문의 주요 사항에 대하여 지도교수의 지도 없이 자의로 변경된 논문 제출은 불가하며, 완제본 제출 이후 추가 인쇄하는 논문 상에도 어떠한 자의적인 변경은 불가합니다.

4

논문 제출 이후 졸업사정회에서

졸업인준이 안 될 경우

완제본을 제출하였으나 졸업요건(졸업요건 체크리스트 참조)이 충족되지 않아 졸업사정회에서 졸업인준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서관의 안내에 따라 완제본을 반납 받으신 후, 졸업요건을 충족시킨 이후 학기에 완제본 논문(d-collection에 탑재하는 논문파일 포함)을 다시 제출하셔야 하며 이 때 완제본 논문 표지 상의 학위년도는 제출 시 연도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도서관에 완제본 제출 시 기타 사유로 인하여 완제본 접수가 불가하다고 안내받을 경우, 즉시 대학원 교학지원처로 연락 또는 방문해주시면 문제 해결을 위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그 외의 기타 문의: 대학원 교학지원처 02-3479-0274, 도서관 02-3479-0283)

번호 항 목 내 용 확인

1 학위년도겉표지와 속표지 왼쪽 상단에 학위년도가 바르게 표기되어 있습니까? * 2019년 8월 졸업예정자 → 2018학년도 2020년 2월 졸업예정자 → 2019학년도

2 제출일논문 내에 제출일은 바르게 표기되어 있습니까? * 2019년 8월 졸업예정자 → 2019년 7월 2020년 2월 졸업예정자 → 2020년 1월

3 학과 및 전공명학과명 및 전공명이 바르게 기재되어 있습니까? (학과 및 전공명은 대학원 홈페이지–대학원규정 배너–대학원학사내규 제3조(학위과정 및 입학정원) 별표에 명기되어 있는 학과명, 전공명과 반드시 일치해야 함)

4 논문제목

대학원 교학지원처에 최종 보고된 논문 제목과 일치합니까?(완제본에 기재된 논문제목과 대학원 교학지원처에서 도서관에 공지한 논문제목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도서관에서 완제본 접수가 안 되오니, 논문제목을 변경하시는 분들은 ‘논문제목변경신청서’(대학원홈페이지-학위논문-논문관련양식)를 대학원 교학지원처에 반드시 사전에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심사위원 서명 학위인준서에 전원 친필로 기재된 심사위원 서명을 포함하였습니까?

6 논문 내 규격논문 내 본문들의 작성이 본교의 규격에 맞추어 작성되어 있습니까? (글자크기, 글자체, 줄간격, 여백주기, 기타 편집방식)

7 논문 사이즈 논문의 사이즈는 A4입니까?

8 논문표지 색상 논문의 표지 색상이 규정을 따르고 있습니까? (석사는 감청색, 박사는 검정색)

9 논문 수량 제출용 완제본 수량이 규정을 따르고 있습니까? (석사, 박사 공히 4부)

10심사위원 수정 요청 사항 반영

학위논문 심사 시에 수정 요청된 사항들이 모두 반영되어 있으며, 그 외의 사항들에 대하여 지도교수의 지도 하에 이루어졌습니까?

Page 2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5 -

12. 졸업 요건 안내 (학위취득 요건)l 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은 4학기 이상을, 교육대학원, 상담대

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은 5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단, 박사 과정은 6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l 각 대학원 자격시험(외국어 및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l 소정의 이수학점을 취득한 자l 취득학점의 평균평점이 3.0(B0)이상인 자l 논문지도교수의 배정을 받아 소정의 논문지도를 받은 자l 박사과정은 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한 자(2011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l 학위과정의 재학연한을 초과하지 아니한 자l 일반대학원과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의 경우 아래와 같이 논문1편을 게재

(예정확인)한 자(2013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Ÿ 단독, 또는 지도교수 혹은 본교 전임교수와 공저로 작성하여야 한다.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또는 교내학술지에 게재하여야 한다. ㉯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교내 학술지(신규발간예정) 또는 전공별 학술지에 게재하여야 한다. ㉰ 인문사회계열(기교, 유교, 사복, 상담)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한다(2017년 2월 졸업예정자부터 적용)

Ÿ 게재(확정) 후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금 지급 규정에 따라 연구활동비를 지급한다.l 학위논문 공개발표를 한 자l 전국 규모 이상 학술대회에서의 논문발표(1회 이상) 또는 참석(2회 이상)l 소정의 연구윤리교육을 이수한 자 (p.26참고)

13. 공동박사학위과정 안내[공동학위수여에 관한 규정 참조]

l 본 과정은 총신대학교 대학원에 개설된 공동박사학위과정(정원 외) 등록생이 자신의 전공 분야(구약, 신학, 조직, 역사, 실천, 선교신학 중 택 1)에 대한 코스워크 및 논문작성에 있어서 총신대학교 및 화란 자유대학교 간의 코프로모션 체제(co-promotion system)에 따라 공동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게 하고자 한다.

l 이를 위해 총신대학교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등록 및 수업, 자격시험 및 논문제안서심사 과정을 밟고, 이후에 영문논문제안서, 공인영어시험점수, CV, 추천서 등을 토대로 화란 자유대학교에 지원·입학하여 논문작성을 거치고, 이후 총신대학교에서의 논문심사 및 학위취득절차에 의거하여 공동박사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l 자세한 사항은 총신대학교와 외국대학의 공동학위수여에 관한 규정 및 공동학위과정 운영 안내 자료(해당자에게 제공)를 참조하면 된다.

14. 연구윤리교육 안내l 각 대학원에서 논문작성 전에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교과를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l 각 대학원 내 각 학위과정에서의 논문제안서 제출 자격으로서 본교에서 정한 온라인

연구윤리교육(대학원 홈페이지 참조)을 이수하여 논문연구계획서 제출 시(박사-4학기, 석사-3학기(단, 교대원, 사대원, 상대원, 교음대원은 4학기) 연구윤리교육이수증 및 연구윤리준수서약서를 제출해야 한다.

l 논문작성 뿐 아니라 각 교과에서의 과제수행 시에도 연구윤리교육지침(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된 교육자료 참조)을 준수해야 하므로 졸업 요건으로 논문을 작성하지 않고 대체학점이수 및 졸업연주를 하는 경우에도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l 박사과정생은 심사용 가제본 논문 및 논문 완제본 제출 시 각각 논문유사도검사결과

Page 2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6 -

서(소정 양식)를 함께 제출하여 본교에서 정한 기준(각 대학원 홈페이지 참조)을 통과해야 한다(2016.3.1.일자부터 적용).

l 학위논문이 심사에서 통과된 후에라도 타인의 논문을 표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본교 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에 따라 학위를 취소할 수 있다.

1) 연구윤리교육l 방법

Ÿ 온라인교육(www.kird.re.kr->이러닝->R&D→대학원생을 위한 연구윤리(인문사회계))으로 실시한다.

Ÿ 매월 1일~30일(31일) 중 온라인으로 교육내용을 이수하고 평가받는다,Ÿ 수강신청은 매월 1일~20일까지만 가능

l 교육비 : 무료 l 이수결과보고

각자 온라인 프로그램 이수 후 교육이수증을 연구계획서 입력 후 대학원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2) 논문유사도검사

l 대상

Ÿ 석사과정생과 박사과정생은 학위논문에 대한 반드시 논문유사도 검사를 실시 후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

- 박사과정 : 2016.3.1.이후 졸업자부터 시행

- 석사과정 : 2019. 8월 졸업자부터 시행 (규정 개정 중)

l 방법: 논문유사도 검사시스템(카피킬러 (주) 무하유, 본교 대학원 홈페이지-‘논문표절검사’ 배너에 시스템 탑재)에 검사하고자 하는 논문을 입력->검사결과지 출력

l 활용

Ÿ 본인의 학위청구논문 등을 논문유사도 검사시스템으로 자율 검사하고 유사도 검사 등급을 확인한다.

Ÿ 유사도 검사결과에 의거 자율조치한다.

Ÿ 검사 결과 10% 미만일 경우 본교에서 정한 기준 상 통과이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을 경우 논문을 수정하여 재검사 실시한다.

l 결과활용

양호수준 : 연구윤리 위배사항 검토 후 이상이 없을 경우 활용 유의수준 : 양호수준으로 낮추거나 본인의 검토내용을 기술하여 활용의심수준 : 양호수준으로 낮추거나 지도교수의 검토내용을 기술하여 활용위험수준 : 수준을 낮추어 활용

양호수준 : 0% 이상~10% 미만 (통과)유의수준 : 10% 이상~15% 미만의심수준 : 15% 이상~20% 미만위험수준 : 20% 이상

Page 3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7 -

Ÿ 학위논문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및 논문 완제본 제출 시 논문유사도검사결과보고서(대학원 홈페이지-논문관련양식에서 다운로드 가능)를 작성하고 검사결과지를 첨부하여 교학지원처에 제출한다.

Ÿ 검사 결과 유사도가 10% 이상~20% 미만일 경우 10% 미만이 되도록 논문을 수정하고, 만약 더 이상의 조정이 불가능할 경우 논문유사도검사결과보고서에 지도교수의 확인이 반드시 기재되어야 한다.

15. 제 증명 발급 안내1) 학생증 발급l 학생증은 입학 후 1회에 한하여 무료로 발급하며 재학 중에만 사용한다(도서관 이용

시 지참해야 출입 및 대출가능).l 재발급시에는 발급수수료를 별도로 부담하여야 한다.

2) 각종 서식각 대학원의 학사와 관련한 서식은 본교 ‘홈페이지-각대학원홈페이지-각종서식’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한다.

3) 증명서 발급l 자동발급 : 증명서는 종합관 1층과 신관1층 로비에 있는 자동증명발급기에서 발급l 팩스신청 : 주민센터에서 팩스민원을 신청하여 발급l 인터넷우편신청 : 홈페이지 “우편증명신청”에서 등기우편으로 신청하여 발급l 인터넷증명발급 : 홈페이지 “증명서발급”에서 인터넷증명발급사이트에 회원가입 후 증

명서를 신청하여 발급

16. 기타1) 개인신상 변경l 개인의 주소와 전화번호가 변경될 시에는 반드시 학사정보시스템의 개인정보를 수정

해야한다. 학교 홈페이지 우측상단 “학생로그인(학사정보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신상관리-개인신상조회”에서 변경한다.

l 개인정보를 변경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모든 결과에 대해서는 학생 본인이 책임지도록 한다.

2) 게시판 사용 및 인쇄물 배포에 관한 안내Ÿ 교내 게시판에 공고 또는 인쇄물 부착 시 사전에 교학지원처에서 게시판 사용 검인을

받아야 하며, 인쇄물을 배포할 시는 사전에 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구내시설 이용 안내l 각 대학원원우회실Ÿ 각 대학원원우들 간의 교제 및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 제공Ÿ 일반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 제2종합관Ÿ 교육대학원, 선교대학원, 상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 : 신관 지하1층

Page 3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8 -

l 대학원 열람실Ÿ 원우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공간

Ÿ 위치 및 이용방법

건물명 층수 호수 열람실명 좌석수 열람실 이용방법

제1

종합관5층

520호 박사과정열람실 30지정자석제로서 매 학기 초에

신청하고 추첨을 통하여 배정520-1호 석사과정열람실

40520-2호 석사과정열람실

521호 대학원자유열람실 58 자유열람실

l 총신상담센터 운영Ÿ 기독교세계관과 성경적 관점에서 개인상담 및 심리검사, 집단상담 등을 통해 학업, 관

계, 신앙, 성격, 중독재활, 경제적 문제, 진로 등 어려움과 위기에 처한 원우들에게 도움 제공

Ÿ 제1종합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www.csucounsel.com) 참조 및 전화문의(02-3479-0547)

Ÿ 검사이용안내

1) 검사종류

① MBTI (성격유형검사) : 타고난 심리적경향성을 16가지 유형에 맞춰 파악하는 검사

②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개인의 성격·정서·적응수준 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는 검사

③ SCT (문장완성검사) : 미완성문장을 완전한 문장으로 만들게 하여 특성을 진단하는 검사

④ STRONG (직업흥미검사) : 직업적 흥미를 탐색하여 효율적인 진로 직업 설계를 도와주는

검사

2) 신청절차

센터 방문 또는 전화로 신청 및 검사 날짜 예약 ⇒ 검사 실시 ⇒ 결과해석상담

3) 검사 소요시간

① MBTI (성격유형검사) : 20~30분

②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60~90분

③ SCT (문장완성검사) : 20~30분

④ STRONG (직업흥미검사) : 20~30분

4) 검사결과 확인 소요기간

① MBTI (성격유형검사) : 검사 직후 바로

②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1주일 소요

③ SCT (문장완성검사) : 1주일 소요

④ STRONG (직업흥미검사) : 1주일 소요

5) 결과해석상담

각각의 심리 검사 실시 후 해석상담 날짜 예약 ⇒ 해석상담

Page 3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29 -

l 학생식당Ÿ 다양한 메뉴의 음식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Ÿ 제1종합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평일 07:00-18:30

l 보건실Ÿ 전문 보건교사가 상주하여 상시 어느 때라도 필요한 보건 관련 지원Ÿ 제1종합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평일 09:00-18:00Ÿ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문의(02-3479-0650)Ÿ 월요일 및 화요일 저녁 18:00~22:00에는 대학원 교학지원처(신관 113호)에 비치된 비

상약 이용 가능

l 서점Ÿ 교과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포함하여 신학서적들, 일반서적 및 그 밖의 다양한 전공분

야의 서적 구입 가능Ÿ 신관 지하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08:00-18:00Ÿ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문의(02-3479-0561)

l 복사실Ÿ 도서 및 논문의 복사, 제본을 할 수 있으며 복사카드 구입 가능Ÿ 제1종합관 5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08:30-18:00Ÿ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문의(02-595-8556)

l 매점Ÿ 간단한 스낵 및 문구류 등 제공Ÿ 제1종합관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08:00-18:30Ÿ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문의(02-3482-3892)

l 카페 그라찌에Ÿ 다양한 차, 음료 및 간단한 샌드위치 구입 가능Ÿ 신관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08:30-18:00

l 글로벌개혁신학처Ÿ 외국인 학생을 위한 지원과 관련된 문의 가능

6) 검사결과지 처리

① MBTI (성격유형검사) : 결과지 맨 뒷장(성격유형별 특성) 부분은 피검사자가 소지 가능

② MMPI (다면적 인성검사) : 결과지를 센터에서 보관

③ SCT (문장완성검사) : 결과지를 센터에서 보관

④ STRONG (직업흥미검사) : 결과지 원본 전체를 피검사자가 소지 가능

7) 예약 및 기타 문의

총신상담센터 02) 3479-0547

월~금 오전 10시~ 오후 6시 운영(채플시간(화~금 11: 45~12:40) 및 점심시간 제외)

Page 3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0 -

Ÿ 제1종합관 2층에 있으며 학기 중 평일 09:00-18:00, 방학 중 평일 09:00-15:00Ÿ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문의(02-3479-0247)

l 장애인 원우를 돕는 도우미 원우에게는 대학원 교학지원처에 신청 시 매 학기 일정금액 지급(학기별로 지급하며 지급 조건을 준수하여야 함. 대학원 홈페이지 공지 참조)

Page 3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1 -

II. 각 대학원 안내

1. 일반대학원

2. 목회신학전문대학원

3. 선교대학원

4. 교육대학원

5. 사회복지대학원

6. 상담대학원

7. 교회음악대학원

Page 3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2 -

1. 일반대학원

1. 교육과정 개요l 일반대학원은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공동박사과정으로 운영된다.l 공동박사과정은 영문논문제안서 작성 및 화란자유대학에서의 수학을 위한 지원요건

충족 등을 제외한 나머지 학사(수업연한, 수강신청 제한 및 최저 학점, 졸업요건 및 장학금 등)에 있어서 일반 박사과정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l 일반 박사과정 또는 공동박사과정으로 입학 후 일반에서 공동으로, 또는 공동에서 일반으로 과정 변경은 불가능하다(공동박사과정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공동박사학위과정 가이드 자료 참조).

1) 수업연한석사과정의 수업연한은 2년, 박사과정 및 공동박사학위과정(이하 박사과정이라 통칭함)의 수업연한은 3년으로 한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2) 수강신청 제한 : 석사 - 12학점, 박사 – 12학점

3) 졸업 최저이수학점l 학위취득에 필요한 최저 학점은 석사과정은 24학점, 박사과정은 36학점이다.l ‘논문’과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은 졸업이수학점에 포함되지 않는 공통필수과목이다(0

학점, P/F처리).

※ 졸업요건[학위취득요건] (가이드북 p.25참고)을 충족해야 하며 논문가제본 제출시 연구윤리이수증(p.26참고)과, 학술대회 2회 이상 참석자료 등을 제출해야 함.

l 학과별 이수 최저학점은 다음과 같다.

과 정 학과/전공 총이수학점논문/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박사

(Ph.D.)

신학과

신학*

36전공 27학점

필수

P/F로 처리

기독교교육학 선택 타전공 9학점

기독교

유아교육학39

전공 27학점

선택 신학과목 6과목 12학점

기독교

사회복지학39

전공 27학점

선택 신학과목 6과목 12학점

성경적상담학 39전공 27학점

선택 신학과목 6과목 12학점

석사

신학과(Th.M.) 24전공 18학점

선택 타전공 6학점

기독교교육학과(M.A.) 34전공 24학점

선택 신학과목 10학점

유아교육학과(M.A.) 30전공 26학점

선택 신학과목 2과목 4학점

교회음악학과(M.M.) 28전공 24학점 논문 Pass,

연주 Pass선택 신학과목 2과목 4학점

*신학전공 공동박사과정에도 동일 적용

Page 3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3 -

4) 선수과목

※ 각 대학원 전공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다.

학 과 선수과목 선택 비고

기독교교육

과정 영 역 과목명

①-⑥영역중 4개 영역을 선택하여 각 1과목씩 총 4과목 수강

석사과정생 중 학부 비전공자는 선수과목으로 이수 또는 면제신청 해야 한다.

박사과정생 중 학부 비전공, 석사 비전공자는 선수과목으로 이수해야 한다.(면제 불가)

석/박사

① 종교학개론, 종교교육론

②포스터모더니즘과 기독교,

종교철학, 기독교교육과인간학

③ 기독교 교육과정

④기독교 교육방법론,

교육목회와 기독교 현장교육

⑤ 종교학사

⑥ 이상심리, 상담의 이론과 실제

(기독교)유아교육

<1학기 개설과목>유아교육론, 영유아발달과 교육, 유아교육철학, 아동수학지도, 아동과학지도, 아동음악, 아동복지론, 유아사회교육, 유아언어교육, 유아놀이지도, 유아교과교재연구지도법, 유아교과교육론, 가족상담, Children’s Literature,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특수아동지도, 교회학교 영유아교육, 장애유아진단평가, 정서및행동장애아교육 4과목 이수

석사과정생중 학부비전공자는 선수과목으로 이수하거나 면제신청 하여야 한다.

박사과정생 중 학부 비전공, 석사 비전공자는 선수과목으로 이수하거나 면제신청 해야 한다.

<2학기 개설과목>아동건강교육, 유아미술교육, 유아교사론, 유아교육과정, 다문화유아교육, 유아안전교육, 아동복지론, 독서치료론, 보육교사론, 유아교육과 인성, 유아논리 및 논술,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장애아통합교육, 부모교육,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언어지도 및 치료, 장애영유아 교수방법론

교회음악 ① 교회음악입문(1학기) ② 찬송가학 (2학기) ③ 교회음악행정 (2학기)

①-③ 3과목

기독교사회복지

① 기독교사회복지총론 ②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적이해 ③ 사회복지개론 ④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미나’ 는 2019학번부터 선수과목에서 제외 됨.

①-④ 4과목 이수

학부 또는 석사과정에서 이수하지 않은 경우 선수 과목으로 이수하거나 면제신청 해야 한다.

성경적상담

① 성경적 상담(구. 성경적 상담의 원리와 방법) ② 결혼과 가족치료(구. 성경적 결혼과 가정상담) ③ 이상심리학 ④ 심리검사와 평가

4과목 이수

석사 비전공자는 선수과목으로 이수하거나 면제신청 해야 한다.

Page 3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4 -

5) 기초신학과목기독교교육, (기독교)유아교육, 기독교사회복지, 성경적상담학, 교회음악전공 석사 또는 박사과정생들은 다음의 기초신학과목을 이수하거나 학점인정 받아야 한다.

※ 대학원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다.

2. 교육과정 (2019.3.1. 현재)

기초신학과목 과정 이수기준 비고

구약개론

신약개론

역사신학개론

조직신학개론

실천신학개론

선교신학개론

석사

유교, 교음 6개 과목 중 2개 과목 (2학점×2과목=4학점) 각 학기당

3과목씩

순환하며

개설됨.

기교 6개 과목 중 5개 과목 (2학점×5과목=10학점)

박사 유교, 사복, 상담 6개 과목 (2학점×6과목=12학점)

전공 과정 교과목명

구약신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구약신학오경 관련 과목고대근동과 이스라엘 역사원어강독기초아람어예레미아연구

히브리시방법론오경신학성경연구방법론원어강독구약과 신약의 관계선지서 연구역사서 연구

내러티브 방법론원어강독히브리어구문론시가서 연구 구약신학 세미나 선지서 관련과목오경

4학기차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오경 관련 과목고대근동과 이스라엘 역사원어강독기초아람어구약세미나시가서 연구예레미아 연구

히브리시 방법론오경 신학성경연구 방법론원어강독선지서 연구역사서 세미나

내러티브 방법론원어강독히브리어 구문론시가서 연구구약신학 세미나선지서 관련과목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오경 연구구약 세미나원어강독성경연구 방법론언약신학

논문프로포절 논문

신약신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로마서연구바울의언약신학요한복음세미나

바울과유대교마가복음서신학빌립보서연구

바울의연대기연구누가행전의성령론마가복음세미나

Page 3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5 -

요세푸스와 필로 연구사본학신약의 방법론헬라어

사해문헌연구신약의기독론헬라어

70인연연구(이사야서)역사적예수연구헬라어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4학기차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로마서연구바울의언약신학요한복음세미나요세푸스와 필로 연구사본학신약의 방법론헬라어

바울과유대교마가복음서신학빌립보서연구사해문헌연구신약의기독론헬라어

바울의연대기연구누가행전의성령론마가복음세미나70인연연구(이사야서)역사적예수연구헬라어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신약의칭의론과윤리갈라디아서연구해석학세미나누가복음언어학과성경해석헬라어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목회서신연구요한계시록연구사도행전의신학헬라어구문론신약윤리헬라어논문프로포절

논문

역사신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어거스틴의 고백록교회의 역사와 신학 원전1개혁파 신학의 역사교회와 국가 관계 연구세계부흥운동사인물로 본 한국교회사

어거스틴 신학의 개요중세기독교사상영미개혁교회의 신학과 역사네덜란드 교회사 연구한국교회사한국교회와 민족운동

기독교역사가들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종교개혁시대 개혁신학칼빈과 화란 개혁주의 신학유럽개혁주의 문화연구근대 개혁신학의 역사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4학기차

교부신학기독교 사상사 세미나칼빈의 개혁신학 세미나개혁파 경건주의한국교회사 세미나기독교 사상사 세미나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어거스틴의 고백록교회의 역사와 신학 원전1개혁파 신학의 역사교회와 국가 관계 연구세계부흥운동사인물로 본 한국교회사

어거스틴 신학의 개요중세기독교사상영미개혁교회의 신학과 역사네덜란드 교회사 연구한국교회사한국교회와 민족운동

기독교역사가들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종교개혁시대 개혁신학칼빈과 화란 개혁주의 신학이단과 사이비 세미나근대 개혁신학의 역사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교부신학기독교 영성의 역사칼빈의 개혁신학 세미나

초대교회사 세미나교회와 국가칼빈사상 원전연구

논문

Page 3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6 -

개혁파 경건주의한국교회사세미나기독교 사상사 세미나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개혁파 정통주의유럽개혁주의 문화연구한국교회사 원전연구논문프로포절

조직신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초기 장로교선교사들의 신학개혁신학 연구성윤리세미나조나단 에드워즈 칭의론칼바르트 신학비판

성령과 교회슐라이어마허의 신학 비판에드워즈신학 세미나생명윤리세미나판넨베르크, 틸리히, 몰트만 신학 비판종말론 연구

개혁주의 칭의와 교회인간론 세미나기독론: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개혁교의학 연구1목회윤리 세미나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종교다원주의

4학기차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초기 장로교선교사들의 신학개혁신학 연구성윤리세미나칭의론 연구칼바르트 신학비판

성령과 교회슬라이어마허의 신학 비판에드워즈신학 세미나생명윤리세미나판넨베르크,틸리히,몰트만 신학 비판종말론 연구

개혁주의 칭의와 교회인간론 세미나기독론: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개혁교의학 연구1목회윤리 세미나조나단 에드워즈 신학종교다원주의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교회와 신앙고백서 연구정통개혁신학 연구현대신학자 연구어거스틴 신학 연구개혁교의학 연구2현대윤리사상 연구성령과 부흥

교회론 주제 연구교회론 연구-총체적 복음 사역 C. S. 루이스 사상 연구개혁주의 변증학에드워즈의 신앙감정론성경신학적-조직신학적 구원론 연구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연구논문프로포절

논문

실천신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실천신학개론불안장애와 분노상담설교 세미나목사와 목회정신역동과 목회상담다양한 교육 목회전략세미나통일과 선교종교심리학화란어

목회와 복음전도현대강해설교의 이슈와 흐름가족생활주기와 목회상담현대심리치료이론과 목회상담

성경 교수학목회와 교회의 성장(신구약)주해와 설교 작성법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연구성경과 심리치료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4학기차

논문

Page 4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7 -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자기심리학과 목회상담

트라우마와 목회상담

다양한 설교형식과 구조

목회와 교회행정

세대통합 교회교육

통일목회의 이론과 실제

설교클리닉존 칼빈의 설교연구목회와 복음전도현대 강해설교의 이슈와 흐름다양한 강해설교연구현대심리치료이론과 목회상담

주제별 설교연구성경교수학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연구성경과 심리치료다양한 강해설교 형식목회와 교회성장 (신구약)주해와 설교 작성법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구약설교교회교육 과정론불안장애 및 분노상담한국교회 설교자 분석본문이 이끄는 설교선교적 설교연구설교의 역사와 설교자 연구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설교 세미나개혁교회영성신학구속사적 설교연구임상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대상관계이론과 목회상담미국 현대개혁주의 설교연구오늘을 위한 청교도 설교연구목회와 현대교회의 동향현대설교방법론논문프로포절

논문

선교신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성경적 상황화 신학선교의 성경적 기초리더십개론기독교와 조상숭배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개혁주의 선교신학선교적 교회론리더십개발이론영적전쟁과 세계관멘토링

선교역사연구방법론평신도 선교역사리더십훈련모델론선교행정과 전략선교문화인류학

4학기차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성경적 상황화 신학선교의 성경적 기초리더십개론기독교와 조상숭배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개혁주의 선교신학선교적 교회론리더십개발이론영적전쟁과 세계관멘토링

선교역사연구방법론평신도 선교역사리더십훈련모델론선교행정과 전략선교문화인류학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도시선교교회성장학현대선교신학

논문프로포절 논문

Page 4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8 -

성경적 목자리더십

기독교교육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교육신학세미나(통)기독교교육학자연구(통)기독교교육 교수-학습 세미나(석)개혁주의교육학과통합학습연구(석)기독교교육 연구방법론 세미나(통)인간발달과 성경적 상담(통)

기독교교육고전세미나(통)기독교교육과 인간학연구(통)디지털환경과 기독교교육(통)질적연구방법론세미나(통)신앙교육방법론(통)기독교상담의 이론과 방법(통)

현대기독교교육학자연구(통)기독교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통)기독교학교 교육과정 설계(석)성인교육과학습이해(통)성경교수방법론세미나(통)Case Conference1.(통)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4학기차 5학기차

기독교교육과 영성연구(통)기독교교육철학연구(통)교회교육디렉터 세미나(석)다문화기독교교육연구(통)이상심리와 성경적 상담(통)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교육신학세미나(통)기독교 교육자연구(통)기독교교육연구방법론 세미나(통)인간발달과 성경적 상담(통)

기독교교육고전세미나(통)기독교교육과 인간학연구(통)디지털환경과 기독교교육(통)질적연구방법론세미나(통)신앙교육방법론(통)기독교상담의 이론과 방법(통)

현대기독교교육학자연구(통)기독교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통)성인교육과 학습이해(통)성경교수방법론세미나(통)Case Conference1.(통)기독교학교 운영 및 실제(박)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기독교교육과 영성연구(통)기독교교육철학연구(통)기독교 미디어교육세미나(박)인간발달과기독교교육방법세미나(박)다문화기독교교육연구(통)이상 심리와 성경적 상담(통)

논문프로포절 논문

기독교유아교육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기독교유아교육프로그램연구부모가족관계연구비교유아교육론놀이이론세미나영유아교원교육세미나

영유아교육의역사와사상집단독서심리상담실습유아사회정서발달세미나유아교육과정세미나유초연계세미나

기독교유아교육연구독서심리상담개론교회영유아교육세미나장애아동통합교육유아교육의문화인류적접근

4학기차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기독교유아교육프로그램연구실행연구방법부모가족관계연구

영유아교육의역사와사상집단독서심리상담실습유아사회정서발달세미나

기독교유아교육연구독서심리상담개론교회영유아교육세미나

Page 4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39 -

※ 위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문의 : 전공별 조교) ※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사람은 박사과정에서는 면제신청하여 수강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비교유아교육론놀이이론세미나영유아교원교육세미나

유아교육과정세미나유초연계세미나

장애아동통합교육유아교육의문화인류적접근유아교육연구동향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기독교유아교육프로그램연구유아신앙발달연구실행연구방법부모가족관계연구비교유아교육론놀이이론세미나영유아교원교육세미나연구설계 및 방법론

영유아 교육의 역사와 사상집단독서심리상담실습유아사회정서발달세미나유초연계세미나논문프로포절

논문

기독교사회복지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적이해고급사회복지조사방법론사회복지개론질적연구방법론

기독교사회복지총론사례관리실천세미나사회복지정책분석세미나양적자료분석론인간행동과사회환경

가족복지실천세미나사회복지실천이론연구사회복지현장실습세미나지역사회복지연구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고급노인복지연구사회복지기관평가론사회복지실천사례연구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논문프로포절임상사회사업프로그램연구비교사회복지론

논문

성경적

상담학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성경적상담연구세미나질적연구방법론가족치료이론세미나 고급심리평가성경적 상담과 수퍼비전현대심리치료이론과 목회상담

양적자료분석성경적 상담원서강독고급이상심리기독교상담과 심리학고급상담심리이론용서와 상담심리학

불안장애 및 분노상담기독교상담과 중독세미나가족치료이론세미나 고급심리평가성경적 상담과 수퍼비전현대심리치료이론과 목회상담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양적자료분석성경적상담 원서강독고급이상심리기독교상담과 심리학고급상담심리이론용서와상담심리학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성경적상담연구세미나질적연구방법론가족치료이론세미나 고급심리평가성경적 상담과 수퍼비전현대심리치료이론과 목회상담

논문

Page 4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0 -

2. 목회신학전문대학원

1. 교육과정 개요1) 수업연한석사과정의 수업연한은 2년, 박사과정의 수업연한은 3년으로 한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2) 수강신청 제한

l 석사과정 : 9학점 l 박사과정 : 12학점

3) 졸업 최저이수학점l 학위취득에 필요한 최저학점은 석사과정은 24학점, 박사과정은 36학점이다.l ‘논문’과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은 졸업이수학점에 포함되지 않는 공통필수과목이다(각

0학점, P/F처리).

※ 졸업요건[학위취득요건] (가이드북 p.25참고)을 충족해야 하며 논문가제본 제출시 연구윤리이수증(p.26참고)과, 학술대회 2회 이상 참석자료 등을 제출해야 함.

2. 교육과정 (2019.3.1. 현재)

전공 과정 교과목명

(강해)설교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구약주해와 설교 1

신약주해와 설교 2

설교방법론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구약주해와 설교 2

신약주해와 설교 1

설교와 커뮤니케이션

강해 설교의 이론과 실제

설교와 청중이해

설교작성법

4학기차

논문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현대설교 방법론

설교학과 해석학

구약 장르별 설교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교부시대의 설교

복음서의 설교

현대강해 설교

강해설교 클리닉

강해설교와 적용

한국교회 설교자 연구

화행이론과 설교

요한계시록의 설교

현대개혁주의 설교자 연구

자율선택 1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공동서신의 설교

구속사적 설교

설교역사 연구

주제별 설교 연구

구약오경과 설교

사회 이슈 설교

눈문프로포절

논문

Page 4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1 -

※ 위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문의 : 02-3479-0513) ※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사람은 박사과정에서는 면제신청하여 수강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목회설교와 성경해석

목회상담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초문화목회상담

목회상담

목회상담학의 이론들

가족치료와 목회적 돌봄

제이아담스의 목회상담

신학과 심리학의 관계원강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중독자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기독교상담이론연구

목회상담요법의 새동향

4학기차논문

신학과 심리학의 관계

위기상담의 이론과 실제

청소년 상담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성경적상담의 이론과 방법

목회상담과 현대윤리적 이슈

연구

목회상담학 연구설계

발달심리학과 목회상담

21세기목회상담의 이슈들

결혼과 가정에 대한 목회상담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목회적가족치료

영성상담

중독과 목회적 돌봄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리더들의 목회적 돌봄

불안장애와 분노심리

기독교 이상심리

논문프로포절

21세기 목회상담학의 이슈들

목회상담과 심리검사의 활용

목회상담학 연구방법론

논문

교회성장학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소그룹목회세미나

한국교회 성장론

복음전도와 교회성장

교회성장목회클리닉

소그룹 이론과 실제

교회성장학 세미나

예배갱신과 교회성장

선교적 교회성장연구

제자훈련학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도시교회 개척

소그룹내 문제와 해결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교회성장 모델연구

21세기 목회리더십연구

목회학원론 특강

다문화사역과 교회성장

논문프로포절 논문

선교학

박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개혁주의 선교신학

이슬람

전문인 선교신학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선교적 교회론

타문화권 교회 개척학

한국 선교역사

세계 선교역사

문화속의 선교 목회학

선교의 성경적 기초

국내 다문화 선교전략

세계관과 세계관 변화

개혁주의 전도학

4학기차 5학기차 6학기차

타문화 선교현장 실습

선교 리더십 개발

선교현장 사례 연구

논문프로포절 논문

Page 4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2 -

3. 선교대학원

1. 교육과정 개요1) 수업연한선교대학원 수업연한은 2년(4학기)이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l 2018-2019학번

과정 공통필수 교양필수 전공필수 M.A.필수 선택과목 합계

Th.M. 9학점 3학점 9학점 - 6학점 27학점

M.A. 9학점 3학점 9학점 9학점 6학점 36학점

비고

1) 현직선교사로서 4년 이상의 경력을 소유한 자는 그 경력을 인정하여 담당교수

의 승인을 받아 ‘권역별연구’에서 현장실습을 면제할 수 있다.

2) 외국인 학생은 ‘권역별연구’를 선택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3)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0학점, P/F)과 ‘권역별연구’는 졸업 필수과목이다.

4) ‘논문’(0학점, P/F)은 졸업 필수과목이다(교양필수영역 개설).

※ GMS 소속 선교사후보생은 GMS 개설 과목을 필히 이수해야 선교사 자격을

부여한다. (선교대학원 내규에 따름.)

5) 2018학년도 전기 신입생에게 배부 된 대학원 가이드북 수정사항(졸업

최저이수학점) ‧2018학번 공통필수학점(Th.M. M.A.) 12학점→9학점)

l 2016-2017학번

과정 공통필수 교양필수 전공필수 M.A.필수 선택과목 합계

Th.M. 9학점 3학점 9학점 - 6학점 27학점

M.A. 9학점 3학점 9학점 9학점 6학점 36학점

비고

1) 현직선교사로서 4년 이상의 경력을 소유한 자는 그 경력을 인정하여 담당교수

의 승인을 받아 ‘권역별연구’에서 현장실습을 면제할 수 있다.

2) 외국인 학생은 ‘권역별연구’를 선택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3)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0학점, P/F)과 ‘권역별연구’는 졸업 필수과목이다.

4) ‘논문’(0학점, P/F)은 졸업 필수과목이다(교양필수영역 개설).

※ GMS 소속 선교사후보생은 GMS 개설 과목을 필히 이수해야 선교사 자격을

부여한다. (선교대학원 내규에 따름.)

l 2013-2015학번과정 공통필수 교양필수 전공필수 M.A.필수 선택과목 합계

Th.M. 12학점 2학점 8학점 - 6학점 28학점

M.A. 12학점 2학점 8학점 8학점 6학점 36학점

비고

1) 현직선교사로서 4년 이상의 경력을 소유한 자는 그 경력을 인정하여 담당교수

의 승인을 받아 ‘권역별연구’에서 현장실습을 면제할 수 있다.

2) 외국인 학생은 ‘권역별연구’를 선택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3)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1학점)과 ‘권역별연구’(1학점)는 졸업 필수과목이다.

4) ‘논문’(0학점, P/F)은 졸업 필수과목이다(교양필수영역 개설).

Page 4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3 -

● 2010-2012학번

과정 공통필수 교양필수 전공필수 M.A.필수 선택과목 합계

Th.M. 15학점 3학점 6학점 - 12학점 36학점

M.A. 15학점 3학점 6학점 12학점 12학점 48학점

비고

1) 현직선교사로서 4년 이상의 경력을 소유한 자는 그 경력을 인정하여 담당교수

의 승인을 받아 ‘권역별연구’에서 현장실습을 면제할 수 있다.

2) 외국인 학생은 ‘권역별연구’를 선택과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3)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1학점, P/F)과 ‘권역별연구’(2학점)는 졸업 필수과목이

다.

4) ‘논문’(0학점, P/F)은 졸업 필수과목이다(교양필수영역 개설).

※ 공필, 전필, M.A. 필수의 졸업이수학점보다 초과 이수한 학점은 선택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다.

(2015학년도 후기(2016.8.)졸업생부터 적용)

3) 수강신청 제한 l Th.M. 과정: 9학점(본교와 정식 MOU 체결된 선교단체에서 파송중인 해외 선교사에

한해 12학점까지 신청 가능)l M.A. 과정: 12학점(본교와 정식 MOU 체결된 선교단체에서 파송중인 해외 선교사에

한해 15학점까지 신청 가능)

2. 교육과정 (2018.3.1. 현재)

학과 과정 교과목명

선교학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공통필수

교회성장학

선교 역사

Mission Counselling

Cultural Anthropology

공통필수

선교인류학

선교상담학

Church Growth

A Mission History Strategy

국제리더십 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지도력개발학

선교행정과 전략(GMS)

국제리더십 전공필수(타전공 선택)

멘토링

세계관과 영적전쟁

선교목회전공필수(타전공 선택)

도시 선교학

타문화권 교회개척

선교목회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선교커뮤니케이션

이론과실제

셀사역 이론과 실제

전문인사역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전문인선교의 기초

선교적 교회론

전문인사역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전문인 선교전략과 프로그램

평신도 선교역사

선교상담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전인치유개발학

치유상담기술

선교상담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치유와 이론

치유와 상담제이론

Page 4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4 -

교양필수

권역별연구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논문

교양필수

권역별연구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논문

M.A.필수신학서론

신약서론M.A.필수

선교의 성경적 기초

구약서론

선택

구약선교신학

타문화권 가정사역

현대선교신학

선교 커뮤니케이션 전략

바울선교신학

한국선교역사

팀사역이론과 실제(GMS)

이슬람선교의 이론과

실제(GMS)

선택

심리검사와 평가

평신도 선교역사

교회성장전략

선교현장세미나

필드선교전략(GMS)

아시아 이해와 선교(GMS)

3학기차 4학기차

공통필수

교회성장학

선교 역사

Mission Counselling

Cultural Anthropology

공통필수

선교인류학

선교상담학

Church Growth

A Mission History Strategy

국제리더십 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지도력개발학

선교행정과 전략(GMS)

국제리더십 전공필수(타전공 선택)

멘토링

세계관과 영적전쟁

선교목회전공필수(타전공 선택)

도시 선교학

타문화권 교회개척

선교목회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선교커뮤니케이션

이론과실제

셀사역 이론과 실제

전문인사역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전문인선교의 기초

선교적 교회론

전문인사역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전문인 선교전략과 프로그램

평신도 선교역사

선교상담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전인치유개발학

치유상담기술

선교상담전공필수(타전공 선택)

치유와 이론

치유와 상담제이론

교양필수

권역별연구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논문

교양필수

권역별연구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논문

M.A.필수 신학서론 M.A.필수 선교의 성경적 기초

Page 4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5 -

※ 위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문의 : 02-3479-0279)※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과목은 석사학위과정에서 동일(또는 유사)과목 이수자에 한해 학점인정을 신청 할 수 있음.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신약서론 구약서론

선택

구약선교신학

타문화권 가정사역

현대선교신학

선교 커뮤니케이션 전략

바울선교신학

한국선교역사

팀사역이론과 실제(GMS)

이슬람선교의 이론과

실제(GMS)

선택

심리검사와 평가

평신도 선교역사

교회성장전략

선교현장세미나

필드선교전략(GMS)

아시아 이해와 선교(GMS)

Page 4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6 -

4. 교육대학원

1. 교육과정 개요1) 수업연한수업연한은 2.5년(5학기)이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2) 졸업 최저이수학점전공 18학점, 교직 6학점 총 24학점 이수

※ 교원양성과정인 경우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추가로 학점을 이수해야 함.

Ÿ

Ÿ 양성과정 학생이 논문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5학기 차에 대학원에 개설되는 전공 3과목(6학점)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2018-1 신입학생부터 해당).

※ 자세한 규정은 대학원(통합) 학사내규에 따른다.

대학원 학사내규 제 21조(수료 및 이수학점)

유아교육전공 중 재교육과정은 논문을 필수로, 양성과정의 1/2은 논문을 필수로, 나

머지 1/2은 논문대체학점이수를 할 수 있으며, 논문대체학점이수의 경우는 3과목(6학점)

에 해당하는 과목을 5학기차에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기준은 유아교육과 교

수회의 결정에 따른다.).

※ 논문을 쓰지 않는 경우에도 졸업요건[학위취득요건] (가이드북 p.25 참고)을 충족해야 하며 연구윤리이수증(p.26참고)과, 학술대회 2회 이상 참석자료 등을 제출해야 함.

3) 수강신청 제한

Ÿ 한 학기당 이수학점은 6학점(3과목)을 원칙으로 한다(논문제출학기에는 8학점까지 취득할 수 있다).

Ÿ ‘논문’ (6학점, P/F) 및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0학점,P/F처리)은 공통필수영역 교과이다. (단, 교원양성과정자의 경우 논문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5학기 차에 대학원에 개설되는 전공 3과목(6학점)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2018-1 신입학생부터 적용)).

Ÿ 교원자격증 취득희망자에 한해서 1,2학기에 대학원에서 개설하는 2학점(1과목)을, 3,4학기에 4학점(2과목)을 추가 신청(논문제출학기 제외)할 수 있으며, 학부에서 수강하는 선수 및 교직(학)과목은 6학점까지 추가로 신청가능하고, 교육봉사활동(2학점)은 신청학점에 포함 되지 아니한다(단, 본교에 입학하여 교원자격무시험검정을 위해 취득한 선수 및 교직(학)과목은 검정 시 총 28학점까지만 인정됨).

구분 항 목

전공

50학점

졸업요건을 위해 대학원 과목 18학점 이수

기본이수과목 14학점 이상 + 교과교육영역 6학점 이상

기타 전공과목

교직

22학점

교직이론 12학점 + 교직소양 6학점 + 교육실습 4학점

(졸업요건을 위해 대학원에서 개설되는 교직 6학점 이수)

Page 5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7 -

Ÿ 교원자격증 취득희망자의 경우 본교 대학에서 개설된 계절학기(2과목까지 가능)에서 이수하여 취득한 학점은 당해학기 대학원 및 학부(대학) 수강신청 학점제한과는 무관하게 졸업학점에 포함된다. 계절학기 과목은 학부에서 매 하계 및 동계 계절학기에 개설되는 과목 중에 신청 가능하며, 그 중 교육대학원에서 학기 중에 정규 개설되는 교직과목에 대해서는 이수 불가하다.

2. 교육과정 (2019.3.1. 현재)

전공 과정 교과목명

기독교

교육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교회교육디렉팅 이론과 실제기독교신앙교육자연구기독교교육과정설계개혁주의교육학과 통합학습설계기독교교육연구방법론결혼과 가족상담

교사를 위한 성경연구기독교교육과 인간학세미나인공지능환경과기독교교육실천질적연구방법론신앙교육방법연구기독교 상담의 이론과 실제

기독교교육과 영성세미나현대기독교교육사상기독교학교교육론성인교육세미나기독교교육방법의 이론과 실제이상심리와 상담

4학기차 5학기차

교육신학 인문학과 종교교육세미나청소년교육 세미나다문화기독교교육인간발달과 기독교교육방법청소년 상담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논문

영어교육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영어습득세미나

영어문학교육세미나

영어교수법 연구

영어학세미나

영어교과교육

영어교육과정연구

영어평가연구

영어읽기 및 쓰기지도 연구

Seminar in Teaching Spoken

English

영어교육현장연구

영어교육 연구방법론

영어교과교재연구지도

학교문법지도론

4학기차 5학기차

ICT활용영어교수법 연구

영문법교육세미나

다문화영어수업실습

영어교과논리 및 논술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영미문화와 영어교육

논문

유아교육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유아교육사조연구

유아교육세미나

기독교유아교육세미나

영유아언어교육세미나

기독교유아교육과정연구

유아교육연구방법

Page 5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8 -

※ 위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문의 : 기독교교육 02-3479-0523, 영어교육 02-3479-0525, 유아교육 02-3479-0558) ※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과목은 석사학위과정에서 동일(또는 유사)과목 이수자에 한해 학점인정을 신청 할수 있음.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Ÿ 자격증 이수 시 필수이수과목(학부개설과목로서 본교에 개설되는 강좌명으로 기재함)

※ 유아교사론과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는 2017학번부터 적용

※ 영유아발달과 교육, 유아안전교육은 전 학번 적용

과정 전공 기본이수과목(5과목 14학점 이상 이수) 교과교육과목(2과목 6학점 이상 이수)

석사

기독교교육

종교학개론, 종교교육론, 세계종교, 종교

철학, 종교사회학, 종교학사, 종교와 문

기독교교육 논리와 논술, 기독교교과교육

론, 기독교교과교재연구지도법

영어교육

창의적 사고와 영어읽기 (구,English

reading 또는영어독해및작문교육론), 영

어권 문화와 다문화 사회탐구 (구,영미문화

이해 및 지도), 영어음성학의 이론과 실제,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구,

English Speaking I, II 또는 영어청해 및

회화교육론), English Grammar & Writing

(구, English Writing), 영어교육론(또는 멀

티미디어 영어교육), 영어학개론, 영미문학

개관, 영문법교육론

영어교과교육론, 영어교과교재연구지도법,

ELT&English Essay, 교대원의 교과교육영

역 개설과목

유아교육

유아교육론, 부모교육, 유아교육과정, 유

아미술교육, 유아사회교육, 유아언어교

육, 유아놀이지도, 아동복지론, 영유아발

달과 교육, 유아교사론, 유아안전교육,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유아논리 및 논술, 유아교과교육론, 유아

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독서치료집단상담

장애아통합교육세미나

다문화교육론

영유아수학교육세미나

유아교육기관경영관리세미나

유아교육기관문제행동지원

유아교사교육세미나

유아교육기관장학론

영유아교육과정연구

영유아교육실행연구

교육통계

부모가족관계세미나

유아사회교육세미나

영유아복지세미나

놀이이론연구

교육통계

4학기차 5학기차

유아교육사조연구

유아교육세미나

독서치료집단상담

장애아통합교육세미나

다문화교육론

영유아수학교육세미나

유아교육기관경영관리세미나(

교육통계)

논문

Page 5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49 -

Ÿ 교직과목의 교수요목(2019학년도 강좌개설을 기준으로 함)

※ 교육실습 관련 문의 안내 : 유아교육과 02-3479-0578 / 기독교·영어·역사교육과 02-3479-0526 ※ 양성과정생이 학부에 개설되는 계절학기에 개설되는 교직과목을 이수하고자 할 때, 교대원에도 개설되는 교직과목은 수강 불가※ 무시험검정 성적합격기준 : 교직과목 평균성적 80점 이상 / 전공과목 평균성적 75점 이상 (교육대학원 재학 중 취득한 성적만 산출)

※ 학생 스스로 본인의 교원자격 무시험검정에 대한 상황의 철저한 관리 필요.

구분개설

기관과목 학점

자격증

취득조건비고

교직

이론

학부

교육평가 2

12학점(6과목)

이상타 대학에서의

기 이수학점 인정가능

(이수구분 상 ‘교직’으로

표기 시에 한함)

교육심리 2

교육사회 2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 2

대학원

교육학개론 2

교육사상사(교육철학 및 교육사)

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교육방법연구)

2

교육과정 2

교직

소양

대학원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2

6학점(3과목)

이상특수교육학개론 2

학부 교직실무 (교사와 윤리) 2

교육

실습학부

학교현장실습 Ⅰ 1

4학점 이상

학부학점 인정불가

(교원자격증 소지자는

사본 제출 시 실습

면제)학교현장실습 Ⅱ 1

교육봉사활동 2

학부학점 인정불가

(수강 신청시

전체학점에 포함되지

아니함)

총 22학점 이상

공통

교직 적성‧인성 검사 P/F2회 이상

적격판정

2013학번부터 2회 이상

적격판정

2012학번까지 1회 이상

적격판정

교내에서 학기당 1회 실시

홈페이지 공지 참조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P/F2회 이상

이수

교내에서 학기당 1회

실시.

학년도별 1회만 인정

홈페이지 공지 참조

Page 5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0 -

3. 교원자격증 취득 안내1) 대상본 교육대학원에 교원자격취득과정으로 입학하여 소정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석사학위를 받는 자로서 교원자격무시험 검정의 합격기준을 모두 통과한 자2) 무시험검정 합격기준

구분 2009~2012학년도 입학자 2013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전공과목

◦ 유치원·중등 교사 : 50학점 이상

- 기본이수과목 14학점(5과목) 이상 포함

- 교과교육영역 6학점(2과목) 이상 포함

◦ 유치원, 중등 교사 : 50학점 이상

- 기본이수과목 14학점(5과목) 이상 포함

- 교과교육영역 6학점(2과목) 이상 포함

교직과목

◦ 22학점 이상

- 교직이론 14학점(7과목) 이상

- 교직소양 4학점(2과목) 이상

- 교육실습 4학점 이상

(교육봉사활동 2학점이내 포함)

◦ 22학점 이상

- 교직이론 12학점(6과목) 이상

- 교직소양 6학점(3과목) 이상

- 교육실습 4학점 이상

(교육봉사활동 2학점이내 포함)

성적기준

◦ 졸업전체 평균성적 75/100점 이상 ◦ 교직과목 평균성적 80점 이상

◦ 전공과목 평균성적 75점 이상

※ 교육대학원 재학 중 취득한 성적만 산출

기타

◦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적격판정 1회 이상

◦ 대학의 장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

-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 일정 수준 이상의 외국어능력(외국어 교사

자격증 취득자에 한함)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이상

◦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적격판정 2회 이상

◦ 대학의 장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

- 일정 수준 이상의 외국어능력(외국어 교사

자격증 취득자에 한함)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이상

Page 5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1 -

[표1] 표시과목의 대학의 관련 학부(전공학과) 및 필수이수과목(본교 개설강좌명으로 기재함)

표시과목 관련학부(전공) 필수이수과목 비고

종교기독교 교육 및관련되는 학과(전공)

◦ 기본이수과목(5과목 14학점 이상) : 종교학개론, 종교

교육론, 세계종교, 종교철학, 종교사회학, 종교학사,

종교와 문화

◦ 교과교육과목(2과목 6학점 이상) : 기독교교육 논리

와 논술, 기독교교과교재연구지도법, 기독교교과교육

영어영어교육, 영어영문학 및 관련되는 학과(전공)

◦ 기본이수과목(5과목 14학점 이상) : 창의적 사고와 영어

읽기 (구,English reading 또는영어독해및작문교육론), 영

어권 문화와 다문화 사회탐구 (구,영미문화이해 및 지도),

영어음성학의 이론과 실제,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구, English Speaking I, II 또는 영어청해 및 회

화교육론), English Grammar & Writing (구, English

Writing), 영어교육론(또는 멀티미디어 영어교육), 영어학개

론, 영미문학개관, 영문법교육론

◦ 교과교육과목(2과목 6학점 이상): 영어교과교육론,

영어교과교재연구지도법, ELT&English Essay, 교대원

의 교과교육영역 개설과목

유아

유아교육과, 아동학과, 아동복지학과, 보육과 및 관련 되 는 학 과 ( 전공)

◦ 기본이수과목(5과목 14학점 이상) : 유아교육론, 부모

교육, 유아교육과정, 유아미술교육, 유아사회교육,

유아언어교육, 유아놀이지도, 아동복지론

◦ 교과교육과목(2과목 6학점 이상) : 유아논리 및 논술,

유아교과교육론,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별표2] 교직과목의 세부 이수기준

영역 과목 최저이수학점

교직이론

교육학개론 / 교육철학 및 교육사 / 교육과정 / 교육평가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 교육심리 / 교육사회 /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생활지도 및 상담 / 그 밖의 교직이론에 관한 과목

12학점 이상(6과목 이상)

교직소양

특수교육학개론(2학점 이상, 영재교육 영역 포함) / 교직실무(2학점 이상) /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2학점 이상)

6학점 이상

(3과목이상)

교육실습

학교현장실습(2학점 이상) / 교육봉사활동(2학점 이상 포함 가능) 4학점

총22학점

(2018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발췌)

Page 5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2 -

5. 사회복지대학원

1. 교육과정 개요1) 수업연한수업연한은 2.5년(5학기)이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2) 졸업 최저이수학점l 2019학번부터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와 관계없이 총 36학점(논문 9학점 포함) 이상

을 이수하면 과정 수료가 된다. 단, 종전의 규정을 따라 2010년도 이전 학번은 30학점(논문 6학점 포함) 이상을 취득하면 과정 수료가 되며, 2010학번부터 2018학번은 사회복지사 자격증 미소지자일 경우 45학점 (논문 9학점 포함)이상, 사회복지사 1급 또는 2급 자격증 소지자일 경우 36학점 (논문 9학점 포함)이상을 취득하면 과정 수료가 된다.

l 2010학번부터 2018학번까지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 또는 과정 중 취득자는 자격증 취득 후 졸업학점 이수를 종료하기 전까지 교학지원처에 자격증을 제출 한다.

3) 수강신청학점l 매 학기 수강 할 수 있는 최고학점은 9학점 (단, 논문제출 학기와 사회복지 현장실습

및 한국수어 교육실습 진행 학기에 한해서 12학점까지 취득할 수 있다).l 석사학위취득을 위해 논문 작성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논문대체학점이수로 가능하며

9학점(2010년도 이전 학번은 6학점)에 해당하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l 따라서 ‘논문’은 전공선택영역으로 9학점, P/F 교과이고,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은 선

택영역으로 0학점, P/F처리 교과이다.

※ 논문을 쓰지 않는 경우에도 졸업요건[학위취득요건] (가이드북 p.25 참고)을 충족해야 하며 연구윤리이수증(p.26참고)과 학술대회 2회 이상 참석 자료 등을 학과 사무실로 제출해야 함.

2. 교육과정 (2019.3.1. 현재)1) 교육과정 구성

▪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상담·시설

운영전공)

공통필수(2과목)+선수(2과목)+해당전공 개설과목 7과목이상 이수

▪ 사회복지(한국수어통역·교원전공)

Page 5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3 -

전공사회복지

(사회복지서비스상담·시설운영전공)

사회복지

(한국수어교원전공)

공통필수기독교사회복지의실천적이해

기독교사회복지총론

선수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전공선택

사회복지상담

가족복지연구

사회복지서비스와 사래관리실천

사회복지법인·시설설립및운영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미나

재무·회계·관리

수퍼비전과 조직관리

마케팅론

고급노인복지연구

농사회의 이해

한국수어와 한국어

한국수어의 실제

한국수어의 어원

한국수어교재연구

한국수어교육과정개발

한국수어지도

한국수어교육실습

한국수어교육참관

사회복지실천이론연구

사회복지자료분석연구

사회복지정책분석세미나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장애인복지연구

프로그램개발과 평가세미나

법정필수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연구

총 학점 – 총 36학점 (논문 9학점 포함)

※ 2019학번부터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와 관계없이 적용

※ 2010년도 이전 학번은 30학점(논문 6학점 포함)

※ 2010학번-2018학번은 사회복지사 자격증 미소지자 45학점(논문 9학점 포함)이상,

사회복지사 1급 또는 2급 자격증 소지자 36학점(논문 9학점 포함)이상

※ 선택과목은 공통선택과목,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상담·시설운영전공) 개설과목, 사회복지(한국수어교원전

공) 개설과목을 모두 포함함.

※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상담·시설운영전공) 과정은 선수(2과목)+법정필수과목(7과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미나를 포함한 4과목 필수+선택과목(6과목 중 2과목 필수)을 수강 하여야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

및 1급 자격증 시험 응시가 가능(자격증 취득시 기본 이수과목 참조)

※ 사회복지(한국수어교원전공) 과정은 전공 선택에서 개설되는 9개 과목 중 8개 이상을 수강하여야 자격증

취득이 가능.

Page 5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4 -

2) 학기별 교과목 개설

※ 위 교육과정은 전공 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음. (문의 : 02-3479-0559) ※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과목은 석사학위과정에서 동일(또는 유사)과목 이수자에 한해 학점인정을 신청할 수 있음.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 ‘학교사회복지사’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학부에서 ‘아동복지론’ 또는 교육학 관련 과목 중 택1하고 ‘학교

사회복지론’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해야 함(졸업이수학점에는 반영 안 됨). ※ 2010년도 이전 학번의 경우 논문 6학점, 2010학번부터 논문 9학점으로 개설됨.

l 본 대학원의 개설목적에 따른 공통필수과목

공통필수과목명 학점 평가 이수구분

기독교사회복지총론(前 기독교사회복지론)

3 점수(등급) 필수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적 이해(前 기독교사회복지실천론)

3 점수(등급) 〃

전공 과정 교과목명

사회복지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사회복지개론(석박통합)

사회복지실천론

가족복지연구

사회복지상담(짝수해)

지역사회복지연구(석박통합)

농사회의 이해

한국수어와 한국어

기독교사회복지총론(석박통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석박통합)

사회복지조사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세미나

사회복지법인·시설설립및운영

(짝수해)

고급노인복지연구(석박통합)

한국수어의 실제

한국수어의 어원

기독교사회복지의 실천적이해

(석박통합)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미나

(석박통합)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자료분석연구

사회복지서비스와 사례관리실천

(홀수해)

재무·⦁회계⦁관리(짝수해)

사회복지실천이론연구(석박통합)

한국수어교재연구

한국수어교육과정개발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4학기차 5학기차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행정론

마케팅론(짝수해)

수퍼비전과 조직관리(홀수해)

장애인복지연구(홀수해)

사회복지정책분석세미나

(석박통합)

한국수어지도

한국수어교육실습

한국수어교육참관

논문 또는

논문대체학점 이수

Page 5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5 -

l 타 분야(학부)전공자의 경우 선수과목 이수(선수과목을 이수한 자는 “선수과목 학점인정서”를 입학 시 제출하여 면제받을 수 있음)

선수과목명 학점 평가 이수구분 비고

사회복지개론 0 P / F 선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0 P / F 〃

※ ‘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미나’ 는 2019학번부터 선수과목에서 제외 됨.Ÿ 선수과목 면제 대상자 ①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소지자 ② 평생교육시설 또는 시간제 수업을 통하여 해당과목을 이수하고 평생교육진흥원에 학점등록을 마친 자

3. 사회복지사 자격증 관련 소개1)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형

사회복지사 1급

l 법 제11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한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

l 시험 응시자격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소지자 및 사회복지사 2급 자격 요건을 갖춘 자(졸업자 혹은 해당년도 2월 졸업예정자에 한함)

l 시험과목

시험과목수 문제수 배점 총점 문제형식

3과목(8영역) 200 1점/1문제 200점 객관식 5지 선다형

시험과목 시험영역

사회복지기초 (50문항)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25문항) 사회복지조사론 (25문항)

사회복지실천 (75문항) 사회복지실천론 (25문항) 사회복지실천기술론 (25문항) 지역사회복지론 (25문항)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75문항) 사회복지정책론 (25문항) 사회복지행정론 (25문항) 사회복지법제론 (25문항)

Page 5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6 -

l 합격기준

Ÿ 전 과목 총점의 60%이상, 매 과목 만점의 40%이상 득점한 자 Ÿ 합격자 발표 후에도 제출된 서류 등의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르거나 응시결격사유가

발견될 때에는 합격을 취소함.

사회복지사 2급

l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다만,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지 아니하고 동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포함한 필수과목 6과목이상(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포함하되 대학원에서 4과목이상을 이수하여야 함)과 선택과목 2과목 이상을 이수한 경우에 한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을 인정한다.

l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관련학과 인정되지 않음)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포함하여 (2004.7.31 이후 입학생부터 해당) 필수과목 6과목(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이 있을 경우 필수과목 2과목까지 인정), 선택과목 2과목을 이수하고 석사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함.

2) 자격증 취득시 이수 교과목l 대학원사회복지현장실습을 포함하여(2004.7.31 이후 입학생부터 해당) 필수 6과목이상(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포함하되, 대학원에서 4과목이상을 이수하여야 함), 선택 2과목 이상 총 8과목 이상 l 대학 (2년제, 4년제 대학, 학점은행제 등)필수 10과목 선택 4과목이상 총 14과목 이상

구분 과 목 명

필수과목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선택과목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산업복지론, 의료사회사업론, 학교사회사업론, 정신건강론, 교정복지론, 사회보장론, 사회문제론, 자원봉사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지도감독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개발과평가,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 밑줄 친 과목은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내 개설된 과목임.※ 교과목의 명칭이 동일하지 아니하더라도 교과의 내용이 동일하다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동일 교과목으로 봄.

시험과목 시험영역 최저 합격 점수 최저 합격 점수

사회복지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조사론

20점 이상(50점 만점)

120점 이상 (200점 만점)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지역사회복지론

30점 이상 (75점 만점)

사회복지정책과제도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법제론

30점 이상 (75점 만점)

Page 6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7 -

3) 사회복지 현장실습 안내 l 사회복지현장실습(사회복지현장실습 및 세미나)은 3학기생 이상으로 사회복지개론, 인

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지역사회복지론을 선 이수할 것을 권고한다.

l 한국사회복지사협의회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경우 3학점 11시간(현장실습 8시간+실습세미나 3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다음 두 가지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Ÿ 학기중 실습:주당 1일 8시간 실습기관에 출석하여 총 16주 근무 Ÿ 방학중 실습:1일 8시간 매월 연속 3주 이상 실습지에 출석 근무

4)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신청 절차l 자택이나 직장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지방협회를 선정l 해당 지방협회로 구비서류를 우편발송 또는 직접 방문하여 제출l 구비서류 Ÿ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1부(해당 지방협회에서 양식 다운)Ÿ 6개월 이내에 촬영한 탈모상반신 반명함판(3cm x 4cm) 2매Ÿ 기본증명서 1부(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발급가능)Ÿ 최종학력 증명서(또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위증명서) 1부Ÿ 성적증명서 1부 Ÿ 사회복지현장실습확인서(원본) l 해당 지방협회 계좌번호로 수수료(5만원)를 입금l 자격 심사 후 신청서에 기입한 주소지로 등기 발송된 자격증을 수령※ 한국사회복지사자격관리센터 홈페이지(http://lic.welfare.net) 참고

4. 한국수어교원 자격증 관련 소개

1) 한국수어교원 자격증 유형

한국수어교원 1급

l 2급 자격 취득 후 한국수어 교육 경력 인정 기관에서 3년 이상 근무하면서 300시간 이상의 강의 시수를 충족하고 한국수어교원 양성과정 영역별 필수 이수시간 40시간 이상 이수한 후 승급 심사를 통과한 사람.

한국수어교원 2급

l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한국수어교원 자격을 취득하려고 할 때 학부에서 한국수어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경우 학부 비전공에 해당하는 학점(24학점)을 이수해야 함.

l 반드시 학위 취득 이전에 필수 이수학점을 취득해야 자격 부여 대상이 됨.

2) 자격증 취득시 이수 교과목

과정 영역

(전문)학사 학위 취득자 석⦁박사 학위 취득자

전공 학부전공 학부비전공

1. 언어 및 교육 기초 3학점6학점 6학점

2. 한국수어학 6학점

Page 6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8 -

3) 한국수어교원 교육실습 안내l 한국수어교원 교육실습은 3학기생 이상으로 한국수어학, 한국수어 교육론, 한국수어

실제 영역을 합하여 12학점을 선 이수할 것을 권고한다.

4) 한국수어교원 자격 취득 절차l 1급 ⦁ (2급 취득 후) 3년, 300시간 이상 강의 경력 ⦁ 영역별 필수 이수시간 충족 (40시간) ⦁ 승급심사 ⦁ 자격심사⦁ 1급 자격취득

l 구비서류 Ÿ 심사신청서Ÿ 경력증명서Ÿ 이수증명서

l 2급 ⦁ 영역별 필수 이수학점 충족⦁ 한국수어교육 학위 취득(전공) ⦁ 자격심사 ⦁ 2급자격 취득

l 구비서류 Ÿ 심사신청서Ÿ 성적증명서Ÿ 졸업(학위)증명서※ 한국수어교원누리집 홈페이지(http://sldict.korean.go.kr/kslteacher) 참고

3. 한국수어 교육론 12학점 6학점 9학점

4. 한국수어 실제 9학점 - 3학점

5. 농문화와 농사회 3학점 3학점 3학점

6. 한국수어교육실습 3학점 3학점 3학점

합계 36학점 18학점 24학점

Page 6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59 -

6. 상담대학원1. 교육과정 개요1) 수업연한수업연한은 2.5년(5학기)이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2) 졸업 최저이수학점l 과정수료를 위한 이수학점은 논문제출자는 전공 24학점, 논문미제출자는 전공 30학점

으로 한다. 모든 원생은 신학과목 3과목(6학점이상)을 선수과목으로 취득하여야 한다.단, 신학계열 출신자와 이미 선택과목을 이수한 자는 이를 면제신청하여 면제할 수 있다(단, 선수과목이 인정되는 학교는 총신대, 총신 신대원, 고신, 합신이다).

l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담실습 I, II(임상실습: 30시간, 수퍼비전: 20시간)를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l 석사학위취득을 위해 논문을 쓰는 것은 선택으로 할 수 있으며, 논문대체를 위해서는 추가로 6학점 이상(3과목)에 해당하는 과목을 졸업 전까지 이수해야 한다(2011학번부터 해당).

l 따라서 ‘논문’은 전공선택영역으로 6학점, P/F 교과이고,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은 영역으로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은 전공선택영역으로 0학점, P/F처리 교과이다.

3) 학점취득 제한매 학기 이수학점은 9학점까지 취득할 수 있다(선수과목 제외).

※ 논문을 쓰지 않는 경우에도 졸업요건[학위취득요건] (가이드북 p.25 참고)을 충족해야 하며 연구윤리이수증(p.26참고)과 학술대회 2회 이상 참석 자료 등을 학과사무실로 제 출해야 함.

2. 교육과정 (2019.3.1. 현재)

※ 위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문의 : 02-3479-0340)

전공 과정 교과목명

성경적상담

석사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상담심리이론

성경적상담

조직신학

발달심리학

이상심리학

진로상담

실천신학

결혼과 가족치료

위기상담

청소년상담

가족생활교육

성경적상담과 심리검사

연구윤리와논문작성법

4학기차 5학기차

상담의 이론과 실제

상담실습1

상담실습2

상담실습1(타 요일)

상담실습1

상담실습2

상담연구방법론

중독치료

집단상담

상담실습2(타 요일)

논문

Page 6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0 -

※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과목은 석사학위과정에서 동일(또는 유사)과목 이수자에 한해 학점인정을 신청 할수 있음.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 논문 (0) / 상담실습 I, II (임상실습 30시간- 수퍼비전 20시간 포함)

l 신학 관련 과목 (이 중 3과목을 이수하거나 면제되어야 함)

3. 전공별 교육과정

※ 상기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상담대학원 재학생은 4학기에 전공변경이 가능하다.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가능)

4. 자격고사 (영어, 전공) 상담대학원을 졸업하기 위하여 영어시험과 전공시험을 합격해야 한다. 합격 기준은 70점 이

상이다. 최근 2년 안에 학교에서 요구하는 영어시험의 점수를 가지고 있으면 면제도 가능하 다. 매 학기 시작 전 학교 공지사항에 따라서 영어시험특강이 개설되며, 영어시험은 석사 2학 기차 시점부터 신청 가능하다. 전공시험은 ‘성경적상담’과 ‘결혼과 가족치료’ 두 과목 시험을 보며, 이 시험들은 석사 4학기차

등록이후 시점부터 신청가능하다.

성경신학

교의(조직)신학

역사신학

기독교세계관

실천신학 외

전 공 명 취

성경적상담 및

상담심리결혼 및 가족치료 아동 및 청소년상담

신학선수 신학과목 3과목 이상(각 과목 당 2학점) (6)

공통필수성경적상담(3), 이상심리학(3), 가족치료(3),

심리검사(2), 상담실습(2)13

전공필수

위기상담(2)

중독상담(2)

발달심리(2)

부부상담(2)

가족생활교육(2)

노인상담(2)

아동상담(2)청소년상담(2)

진로상담(2)

6

전공선택 1. 각 전공에 개설된 필수과목을 전공선택 학점으로 교차 수강 가능(4과목)

2. 논문을 쓸 경우, 전공선택 학점으로 6학점 인정11

총 30학점

Page 6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1 -

5. 상담실습에 관한 규정제1조(목적) 본 규정은 상담대학원 상담실습과목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운영) 상담실습에 관한 세부사항은 상담대학원위원회에서 심의하여 운영하고 이에 대한 업무는 원장이 관장한다.

제3조(상담실습) ① 4학기차 및 5학기 차에 총신상담센터에서 상담실습을 해야 한다.② 수퍼비전은 본교의 상담전공 전임교수가 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한다. 단, 전임교수의 사정에 의하여 담당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대학원장의 제청에 의하여 위원회의 승인으로 시간강사 혹은 외부기관의 전문가로 위촉할 수 있다.③ 수퍼비전을 받는 학생과 교수의 비율은 가능한 균등하게 배정한다.

제4조(실습기관) ①실습기관은 위원회에서 결정한다.② 실습기관은 본교 상담센터로 하되 필요 시 실습기관은 위원회에서 논의하여 결정한다.

제5조(규정의 개정) 이 규정은 통합대학원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개정할 수 있다.

부 칙① 본 규정은 2002년 3월1일부터 시행한다.② 본 규정은 2004년 9월1일부터 시행한다.③ 본 규정은 2005년 9월1일부터 시행한다.④ 본 규정은 2010년 4월1일부터 시행한다.

⑤ 본 규정은 2016년 2월19일부터 시행한다.

6. 기타 상담관련 협의회 안내1) 한국복음주의 상담학회l 학회 소개 Ÿ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은 한국복음주의 상담학회(이하 상담학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

고 있다. 상담학회는 전국적인 조직을 갖춘 기독교상담학회로서 성경의 진리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기초한 전문 기독교상담을 추구한다. 상담학회는 학술진을재단 등재지인 “복음과상담”을 발행하며 기독교상담의 연구에 기여를 하고 있다.

Ÿ 상담학회는 한국의 대표적인 신학 학회인 한국복음주의신학회(한복신)의 상담분과로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한복신은 학술재단 등재지인 ‘성경과신학’을 발행하고 있으며 상담학회는 한복신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Ÿ 상담학회는 한국복음주의상담협회를 통해 기독교상담과 관련된 자격증을 수여하고 있다.

l 기독교(목회)상담 전문가 자격증 발급조건

1급

Ÿ 본 학회의 회원으로 다음 중 하나에 해당되는 자① 본 학회 회원대학의 석사학위를 취득했거나 취득 예정자로서 기독교(목회) 상담학

관련과목 24학점 이상의 학점을 취득한 자② 기독교(목회) 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 후 본 학회가 인정하는 대학이나 대학원 혹

은 이에 준하는 기관(학회 기관회원)에서 상담 관련 과목 12학점을 추가로 이수 한 자

Page 6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2 -

③ 기독교(목회)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 후 2년 이상 경과한 자Ÿ 본 학회가 주관하는 자격고시에 합격한 자 Ÿ 본 학회의 임상수련 요건을 모두 충족한 자

① 감독상담자의 지도하에 50시간 이상 상담실습 경험자② 본 학회 회원대학교 및 회원기관에서 주최하는 각종 세미나 및 교육연수 20시간

이상 이수한 자③ 집단 수퍼비전 30시간 이상④ 개인 수퍼비전 3시간 이상 ⑤ 신청일 기준 4회 이상 학회에 참석한 자⑥ 공개 사례발표 4회 이상 참석한 자

Ÿ 소속대학(기관) 감독상담사의 추천을 받은 자(소속대학에 감독상담사가 없는 경우 인근 회원대학의 감독상담사의 추천을 받은 자)

Ÿ 본 자격관리위원회의 면접을 통과한 자

2급

Ÿ 본 학회가 인정하는 대학이나 대학원 혹은 이에 준하는 기관(본 학회 기관회원)에서 상담학 관련 과목 24학점 이상을 이수한 자

Ÿ 본 학회가 주관하는 자격고시에 통과한 자 Ÿ 본 학회의 임상수련 요건을 모두 충족한 자

① 집단수퍼비전 20시간 이상 이수한 자② 본 학회 회원대학교 및 회원기관에서 주최하는 각종 세미나 10시간 이상 이수한

자③ 신청일 기준 2회 이상 학회에 참석한 자④ 공개 사례발표 2회 이상 참석한 자

Ÿ 소속대학(기관) 감독상담사의 추천을 받은 자(소속대학에 감독상담사가 없는 경우 인근 회원대학의 감독상담사의 추천을 받은 자)

Ÿ 본 자격관리위회의 면접을 통과한 자

※ 자격고시 세부사항Ÿ 합격선: 2급 60점, 1급 70점 이상, 과목 합격은 2년간 유효함. Ÿ 자격시험 응시과목(필수 2과목, 선택 2과목)

① 필수과목: 기독교(목회)상담, 성경적 상담학 ② 선택과목: 집단상담, 기독교위기상담, 기독교가정상담, 기독교청소년상담, 기독교발

달심리, 기독교이상심리 중 2과목(해마다 선택과목은 달라질 수 있음)

※ 학회 자격증 과정은 학생 개인이 관련 내용을 숙지하여 각자 준비를 해야 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상담학회 홈페이지(www.kecs.jams.or.kr) 참조.

Page 6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3 -

7. 교회음악대학원

1. 교육과정 개요1) 수업연한수업연한은 2.5년(5학기)이다(수업연한 학기에 모두 등록해야 졸업 가능).

2) 졸업 최저이수학점

이수학점38학점 (2015학번이전-신학과목 4학점포함 /

2016-2019학번-신학과목 6학점 포함)

비고

1) 별도의 선수과목 없다. 단, 학부에서 음악을 전공하지 않았을 경우, 추가적으

로 학부 과목을 필요에 따라 수강할 수 있다.

2) 교회음악 : ‘졸업논문’(0학점, P/F) 또는 ‘졸업연주’(0학점, P/F)

찬양사역 : ‘졸업논문’(0학점, P/F) 또는 ‘찬양사역 프로젝트’(0학점, P/F)

※ 졸업논문으로 졸업하는 경우에는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이 졸업 필수과목

이다. (전공필수영역 개설).

3) 학점취득제한매 학기 최고 10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다.

※ 논문을 쓰지 않고 졸업연주나 찬양사역프로젝트를 하는 경우에도 졸업요건[학위취득요 건] (가이드북 p.25 참고)을 충족해야 하며 연구윤리이수증(p.26참고)과 학술대회 2회 이상 참석자료등을 학과사무실로 제출해야 함.

2. 교육과정 (2019.3.1. 현재)

과정 전공 교과목명

석사

교회음악

지도자

과정/

찬양사역

지도자

과정

1학기차 2학기차 3학기차

전공실기I(교,찬)신약서론교회음악철학합창Ⅰ

전공실기II(교,찬)구약서론음악목회서론교회음악워크숍

전공실기Ⅲ(교,찬)교회음악문헌연구I기독교세계관합창II

교회음악인을위한딕션음악이론및실습I합창지휘법

음악이론및실습II성가편곡법CCM작,편곡법

예배와 음악 찬양과경배

Page 6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4 -

※ 위 교육과정은 전공사정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문의 : 02-3479-0654)※ (교)는 교회음악, (찬)은 찬양사역 (단, 지휘클래스와 성악클래스는 교회음악 지도자 과정 학생도 선택과목으로 수강할 수 있음)※ 음악비전공자의 경우 수강 신청 전 전공주임과 학사상담을 거쳐 음악이론 및 실습 Ⅰ,Ⅱ를 수강할 수 있음.※ 신학과목 3과목 : 기독교세계관, 신약서론, 구약서론 (M.Div. 학위 취득자만 면제 가능-학점인정 신청기간에 신청 후 인정받아야 함)※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과목은 석사학위과정에서 동일(또는 유사)과목 이수자에 한해 학점인정을 신청 할수 있음. (반드시 학점인정 신청기간에 학점인정면제신청서와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이수한 이전 과정 성적증명서 원본, 석사학위논문을 제출하여 인정받아야 함.) ※ 전공실기 Ⅰ~Ⅳ(교,찬)는 순차적으로 이수해야 함.

l 2014-2015학번을 위한 대체과목 목록

이전과목 대체과목

학기 구분 과목명 학기 구분 과목명

1 전필 성경의이해1 전필 신약서론

2 전필 구약서론

1 전필 지휘클래스(찬) 1 전필 전공실기Ⅰ(찬)

1 전필 교회음악의이해 1 전필 교회음악철학

2 전필 성악클래스(찬) 2 전필 전공실기Ⅱ(찬)

2 전필 고급지휘법 1 전선 합창지휘법

3 전필 교회음악사Ⅰ 3 전필 교회음악문헌연구Ⅰ

4 전필 교회음악사Ⅱ 4 전필 교회음악문헌연구Ⅱ

3 전필 보컬/키보드실기Ⅰ(찬) 3 전필 전공실기Ⅲ(찬)

4 전필 보컬/키보드실기Ⅱ(찬) 4 전필 전공실기Ⅳ(찬)

4 전선 논문작성법 4 전필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교,찬)

4학기차 5학기차

전공실기IV(교,찬)교회음악문헌연구II찬송가학연구윤리와논문작성법(찬)

전공실기V(교)워십밴드(찬)졸업연주 또는 졸업논문(교)졸업논문 또는 찬양사역프로젝트(찬)

칸타타,오라토리오연구교회음악세미나

교회론컴퓨터음악교회음악인턴쉽

Page 6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5 -

Ⅲ. 규 정

1. 대학원(통합) 학사내규

2. 대학원 장학금 운영 규정

3. 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

4.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비지원비 지급규정

Page 6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6 -

1. 대학원(통합) 학사내규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본 내규는 총신대학교 대학원의 통합 학칙 시행을 위한 각대학원에 관한 세부사항을 통합 규정함

(신학대학원은 제외)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삭제)

제2장 학위과정 및 입학정원

제3조(학위과정 및 입학정원) 각 대학원의 학위과정 및 입학정원은[별표]와같다

[별표]

대학원 학위과정 학과 전공 학위 정원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신학과 구약신학,신약신학,조직신학,역사신학,실천신학,선교신학 신학석사(Th.M.)

80명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 문학석사(M.A.)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학 문학석사(M.A.)

교회음악학과 성악,오르간,피아노,지휘,작곡,바이올린 음악학석사(M.M.)

박사과정신학과

구약신학,신약신학,조직신학,역사신학,실천신학,선교신학,기독교교육학,기독교유아교육학,기독교사회복지학,성경적상담학

철학박사(Ph.D.) 25명

신학과공동박사

과정구약신학,신약신학,조직신학,역사신학,실천신학,선교신학 철학박사(Ph.D.) 정원외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석사과정 목회학과강해설교학 신학석사

(Th.M. in Preaching)12명

목회상담학 신학석사(Th.M. in Pastoral Counseling)

박사과정 목회학과

설교학 신학박사(Th.D. in Preaching)

15명목회상담학 신학박사

(Th.D. in Pastoral Counseling)

교회성장학 신학박사(Th.D. in Church Growth)

선교학 신학박사(Th.D. inIntercultural Studies)

선교대학원석사과정

Th.M.과정

선교학과

국제리더쉽,선교목회,선교상담,전문인사역 선교학석사(Th.M.)

40명M.A.과정

국제리더쉽,선교목회,선교상담,전문인사역 선교학석사(M.A.)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교육학과 기독교교육, 영어교육, 유아교육 교육학석사(M.Ed.) 47명

(32)

사회복지대학원

석사과정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상담·시설 운영전공)

사회복지(한국수어교원전공)

사회복지학석사(사회복지서비스상담·시설운영전공)(M.S.W. in Social ServiceCounseling and Organization Management)사회복지학석사(한국수어교원전공)(M.S.W. in Korean SignLanguage)

15명

상담대학원 석사과정 성경적상담학과성경적상담 및 상담심리결혼 및 가족치료아동 및 청소년상담

상담학석사(M.A.C.) 30명

교회음악대학원 석사과정 교회음악학과 교회음악, 찬양사역 교회음악석사(M.C.M.) 20명

*교육대학원 (32)은 교사자격증 부여 입학정원임

Page 7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7 -

제 3장 입 학

제4조(입학시기) 각 대학원의 입학시기는 매 학기초로부터 4주 이내로 한다.

제5조(입학자격) 각 대학원의 입학자격은 다음 각 호 모두에 해당하는 자라야 한다.

1. 석사학위과정

① 학사학위 소지자 또는 이와 동등 학력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② 신학대학원 과정(3년6학기)의 목회학석사(M.Div.) 학위 취득자 또는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단, Th.M.의 일반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만 해당됨)

2. 박사학위과정

공통 : 학사학위 및 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1) 신학전공

① 신학대학원 과정(3년6학기)의 목회학석사(M.Div.) 학위 취득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② 신학석사(Th.M.) 학위 취득(예정)자

2) 기독교교육학전공

① 신학대학원 과정(3년6학기)의 목회학석사(M.Div.) 학위 취득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② 기독교 혹은 교육관련 석사학위 졸업(예정)자

3) 기독교유아교육학전공

① 유아교육전공 혹은 관련 석사과정 졸업(예정)자

4) 기독교사회복지학전공

① 사회복지 혹은 관련 석사과정 (M.A., M.S.W.) 학위 취득(예정)자

5) 성경적상담학전공

① 상담 혹은 관련 석사과정 학위 취득(예정)자

6) 목대원 박사학위과정

① 4년제 대학졸업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동등한 학력 인정받은 자.

② 목회학석사(M.Div.) 또는 이와 동등 학력 인정 받은 자(타교단의 경우, 교육부인정 M.Div. 학위취득자)

③ 신학석사(Th.M.), 또는 M.A.(기독교관련학과) 학위 취득(예정)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④ 상담학전공 지원자의 M.A.학위가 기독교관련 전공이 아닐 경우, 입학 후 신학관련과목(2과목 이상)

수강해야 함.

⑤ 목사안수 후 3년 이상의 목회경력이 있는 자. 단, 여성의 경우는 교회관련 사역 3년 이상인 자

제6조(지원구비서류) 각 대학원 각 학위과정의 입학시험에 지원하고자 하는 자는 다음의 서류를 소정 기일내

에 본 대학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1. 석·박사학위과정

가. 입학원서(소정양식)

나. 대학 졸업(예정)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2. 제1호에 명시된 지원구비서류 이외의 추가 서류는 각 대학원에서 정할 수 있다.

Page 7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8 -

제7조(전형방법) 1. 각 대학원 입학전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가. 면접 및 서류전형 : 전공분야에 대한 지식, 연구능력, 적성 등에 대해 심층면접 및 서류전형을 실시한다.

나. 실기시험 : 전공실기 능력을 시험한다(교회음악대학원 지원자만 해당).

다. 필답시험 : 전공분야에 대한 지식, 연구능력 등에 대해 각 대학원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필기시험으로 실

시할 수 있다.

제8조(외국인 입학) 1. 입학자격을 갖춘 외국인에 대하여는 정원 외로 입학을 허가 할 수 있다.

2. 일정수준 이상의 한국어 사용능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에게는 별도의 한국어 시험을 부과할 수 있

다.

제9조(배점 및 합격기준) 1. 각 대학원 입학시험 과목별 배점을 다음과 같이 하며, 합격에 필요한 최저점수는

입학사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의한다.

가. 면접 및 서류전형 합산 총점 : 100점 만점

나. 실기(교회음악과) : 100점 만점

다. 필답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각 대학원에서 별도로 정하여 시행한다.

제10조(편입학) 해당 학년도 각 학위과정의 입학정원에 여석이 있을 경우 전형을 거쳐 편입학을 허가할 수 있

다.

제11조(재입학) 본 대학원의 학생으로서 재학시 석사는 6학점, 박사는 9학점 이상 이수한 자로서 자퇴 또는 제

적된 자에게는 정원의 범위 내에서 1회에 한하여 재입학을 허가할 수 있다. 단, 징계 및 재학연한 초과로

인하여 제적된 자는 재입학 할 수 없다. 재입학생에 대하여는 자퇴 또는 제적 전에 취득한 학점을 인정하고,

재학 연한은 자퇴 또는 제적 전의 연한에 대한 잔여 학기로 한다.

제12조(합격사정) 입학사정은 대학원 위원회의 사정을 거쳐 총장의 승인으로 결정한다.

제4장 등록⦁휴학⦁복학⦁제적⦁자퇴

제13조(등록) 1. 등록은 입학등록 및 정규등록, 논문등록 등으로 구분한다.

2. 각 대학원생은 전항의 구분에 따라 소정의 등록금을 납입하여야 한다.

3. 정규등록 학기내에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학점을 취득할 때까지 매학기

신청학점에 해당하는 소정의 등록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4. 소요학점을 이수하고 학위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에도 학위를 취득할 때까지 소정의 등록금을 납부하여

야 한다.

제14조(휴학) 1. 질병이나 군복무,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학(재입학 포함) 후

첫 학기 휴학은 허락하지 않는다. 단, 수업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위원회에서 강제휴학을

명할 수 있다.

Page 7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69 -

2. 매학기 4주 이상 결석이 불가피한 경우는 휴학원서를 제출하여 원장의 허가를 득한 후 총장의 승인을 받

아야 한다. 단, 진단서를 첨부한 질병휴학, 군입대 휴학, 임신ž출산ž육아휴학을 제외하고는 수업일수 2/3

이후에는 휴학할 수 없다.

3. 휴학기간은 1회에 2학기를 초과할 수 없으며 재학기간 중 석사학위과정은 2년(4학기), 박사학위과정은 3

년(6학기)을 초과할 수 없다. 임신·출산·육아휴학은 2년(4학기)을 초과할 수 없으며 일반휴학과는 별도로

한다. 육아휴학은 출산 시부터 만8세이하(취학중인 경우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를 말한다)까지 해당되

며 남학생의 경우 육아휴학만 신청할 수 있다. 군 휴학은 일반사병 복무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추가 복

무기간은 일반휴학으로 산입한다. 단, 질병휴학은 일반휴학의 기간에 산입한다.

4. 선교대학원의 경우 선교사로 파송되어 계속 사역하는 경우는 1회에 한해서 4년까지 휴학 할 수 있다.(증

명서 제출자에 한함)

5. 휴학은 등록을 필한 자에 한하여 허락한다. 단, 지정된 기간 중에 한하여는 등록을 필하지 아니하여도 휴

학을 할 수 있다.

6. 휴학기간은 재학연한에 포함시키지 아니한다.

7. 질병휴학은 전문의가 발행한 4주이상의 진단서(‘수업참석이 불가함’ 기재필수)를 제출해야 한다. 임신·출산·

육아휴학은 인정 가능한 증빙서류(진단서, 출생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제출해야 한다. 군 휴학자

는 입영통지서 사본을 제출하고 군 전역하여 일반 휴학으로 변경시에는 전역증(또는 소집해제증) 사본을

제출해야 한다.

8. 등록금을 납부한 휴학자의 대체인정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이미 납부한 등록금을 복학하는 해당학기

등록금으로 대체 인정한다.

① 당해 학기 개시 4주 이후 8주 이내에 휴학한 자는 이미 납부한 등록금의 50%를 복학하는 해당 학기

로 대체 인정한다.

② 당해 학기 개시 8주를 경과하여 휴학한 자는 복학하는 당해 학기 등록금 전액을 납부해야 한다.

③ 군 입대, 질병(4주 이상 출석 불가), 임신 · 출산 · 육아로 휴학하는 자와 당해 학기 4주 이내에 휴학

한 자는 이미 납부한 등록금 전액을 복학하는 해당 학기 등록금으로 대체 인정한다.

제15조(복학) 1. 휴학한 자가 복학하고자 할 때에는 복학원서를 제출하여 원장의 허락을 득한 후 총장의 승인

을 받아야 한다.

2. 복학시기는 학교에서 지정한 등록기간 내로 한다.

3. 휴학기간 만료 및 휴학사유 소멸 시에는 복학을 하여야 한다.

제16조(제적) 다음의 각 항에 해당할 경우에는 제적한다.

1. 휴학기간 만료 후 소정기간 내에 복학하지 아니한 자

2. 매학기 소정기간 내에 등록하지 아니한 자

3. 재학연한이 만료된 자

4. 징계에 의하여 제적 처분을 받은 자

5. 질병으로 인하여 학업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된 자

6. 자퇴원을 제출하여 승인된 자

제17조(자퇴) 자진 퇴학하고자 원하는 자는 소정서식에 의한 자퇴 원서를 제출하여 총장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Page 7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0 -

제5장 수업연한⦁재학연한⦁수업⦁교과과정⦁학점

제18조(수업연한과 재학연한) 각 대학원의 수업연한과 재학연한은 다음과 같다.

1. 일반대학원,목회신학전문대학원,선교대학원의 석사학위과정의 수업연한은 4학기(2년)으로 하고, 교육대학

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의 수업연한은 5학기(2.5년)로 하되, 각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의 재학연한은 입학 후 6년으로 한다.

2. 박사학위과정의 수업연한은 3년으로 하되 재학연한은 입학 후 10년으로 한다.

3. (삭제)

4. 공동학위 과정의 수업연한 및 재학연한도 1, 2, 3항을 동일하게 적용한다.

제19조(수업) 1. 각 대학원은 성격에 따라 주간 및 야간에 수업을 할 수 있다. 단, 선수과목은 학부에서 수강하

여 주간에 수업을 할 수 있다.

2. 본 대학원의 수업일수는 매학기 15주로 한다.

제20조(교육과정)1. 각 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전공별로 편성하여 본 대학원위원회에서 정한다.

2. 교과과정의 편성은 석사와 박사학위과정을 연계적으로 편성하며 교과목은 3학점 (교대원, 선대원(2013학

번~2015학번), 교음대원은 2학점) 단위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기초공통과목은 2학점으로 할 수 있다.

3. 대학원간 유사 교과목은 공동으로 개설할 수 있다.

4.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은 따로 정한다.

5. 외국대학과 공동으로 “복수학위”(Dual degree)또는 “공동학위”(Joint Degree)과정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이

에 관한 세부사항은 따로 정한다.

제21조(수료 및 이수학점) 각 학위과정을 수료하기 위한 이수학점은 다음과 같으며, 수료학점에는 졸업논문 학

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① 일반대학원의 경우 신학과와 기독교교육과(및 전공)이외의 전공과정의 신학관련 이수학점은 다음과 같다.

ㄱ. 석사과정 : 2과목 (4학점이상)

ㄴ. 박사과정 : 6과목 (12학점이상)

② 신학과목을 타기관에서 이수한 경우 동일 신학계인 경우에 인정하는 것으로 하며, 교육대학원의 교직 이

수 학점은 6학점을 취득하여야 한다.

대학원명 과정 학과/전공 이수학점 비고

일반대학원

석사 신학과 전공 18 , 타전공 6

구약, 신약, 조직, 역사, 선교, 실천전공의 석사과정에서만 타전공을 이수함(단, 신학전공 이외 전공과목을 이수하고자 할 때에는 소속 전공주임의 동의 및 원장의 승인을 얻어야함).

석사 기독교교육학과 전공 24 , 신학 10

석사 유아교육학과 전공 26 , 신학 4

석사 교회음악학과 전공 24 , 신학 4

Page 7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1 -

박사 신학과

신학(6개 계열),기독교교육학

전공 27 타전공 9

구약, 신약, 조직, 역사, 선교, 실천전공의 박사과정에서만 타전공을 이수함(단, 신학전공 이외 전공과목을 이수하고자 할 때에는 소속 전공주임의 동의 및 원장의 승인을 얻어야함).

기독교유아교육학

전공 27 ,신학 6과목 12

기독교사회복지학

성경적상담학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석사 목회학과 전공 24

박사 목회학과 전공 36

선교대학원

석사(Th.M.)

선교학과전공필수 9 공통필수 9교양필수 3 선택 6

① 현직선교사로서 4년 이상의 경력을 소유한 자는 그 경력을 인정하여 ‘권역별연구’ 교과 내의 현장실습을 담당교수의 승인 하에 면제할 수 있다. ② 공필, 전필, M.A. 필수의 졸업이수학

점보다 초과이수한 학점은 전공선택학점

으로 인정할 수 있다.

석사(M.A.)

선교학과전공필수 9 공통필수 9교양필수 3 M.A.필수 9 선택 6

교육대학원 석사 교육학과 전공 18 교직 6

① 교원자격취득자 요건은 별도 규정을 참고 ② 유아교육전공 중 재교육과정은 논문을 필수로, 양성과정의 1/2은 논문을 필수로, 나머지 1/2은 논문대체학점 이수를 할 수 있으며 논문대체학점 이수의 경우는 3과목(6학점)에 해당하는 과목을 5학기차에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기준은 유아교육 전공 교수회의 결정에 따른다).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사회복지학과 36 (논문 9학점 포함)

① 본 대학원의 개설목적에 부합되는 기독교사회복지 관련 2개 과목을 공통필수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② 석사학위취득을 위해 논문을 쓰는 것은 선택으로 할 수 있으며, 논문대치로 9학점에 해당하는 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

상담대학원 석사 성경적상담학과전공 24(논문 제출자)전공 30(논문 미제출자)

① 신학과목 6학점이상(3과목)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해야 하며, 이미 이수한 자는 이를 면제 할 수 있다.② 석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턴십을 하여야 한다.③ 석사학위취득을 위해 논문을 쓰는 것은 선택으로 할 수 있으며, 논문대치로 6학점에 해당하는 과목을 5학기차에 추가로 이수하여야 한다.

교회음악대학원

석사 교회음악학과

전공 38(신학 6 포함)교회음악 : 졸업논문 또는 졸업 연주(Pass)찬양사역: 졸업논문 또는 찬양 사역 프로젝트(Pass)

① 음악비전공자의 경우 수강신청 전 전공주임과 학사상담을 거쳐 음악이론 및 실습 I, II를 수강할 수 있음.②신학과목 3과목: 기독교세계관, 신약서론, 구약서론

Page 7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2 -

제22조(타전공 및 타대학원 학점 인정) 재학 중 학과장 또는 주임교수의 지도를 받아 석사과정 6학점(교육대학

원, 교회음악대학원 및 선교대학원(2013학번~2015학번)의 경우 4학점),박사과정은 9학점(목회신학전문대학

원의 경우 12학점) 이내에서 소속대학원 내의 타전공 또는 본교 타대학원에서 개설한 교과목을 수강하여

인정받을 수 있다. 단, 신학대학원은 예외로 한다.

제23조(교육과정의 구분) 석사, 박사학위과정의 교과과목은 각 대학원의 성격에 따라 구분한다.

제24조(교직이수) 교원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교직이수는 교원자격 검정령 시행규정에 의한다.

제25조(선수과목) 1. 대학의 전공이 대학원의 전공과 다를 경우 전공 선수과목을 지정할 수 있다.

2. 전공 선수과목은 학부(대학)에서 이수함을 원칙으로 하며, 졸업학점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제26조(수강신청 및 정정) 1. 학생은 등록을 필한 후 소정기일 내에 수강신청을 하여야 하며, 수강신청을 하지

않고 취득한 성적은 인정하지 아니한다.

2. 규정 외에 초과하여 신청한 과목의 취득학점은 무효로 한다.

3. 수강신청의 정정은 소정기일 내에만 가능하다.

4. 임의로 수강을 포기한 과목은 F로 처리되며, 임의로 변경하여 취득한 성적은 인정하지 아니한다.

제27조(수강신청 제한) 수강신청은 아래와 같이 매학기 수강신청 제한 학점을 초과할 수 없다. 이 경우 선수과

목과 보충과목의 학점은 예외로 한다.

대학원명 과정 제한 학점수

일반대학원석사

12학점박사

목회신학

전문대학원

석사 9학점

박사 12학점

선교대학원석사(Th.M) 9학점 본교와 정식 MOU 체결된 선교단체에서 파송중인 해외 선교사

에 한해 추가 3학점 신청 가능석사(M.A) 12학점

교육대학원 석사

6학점(논문 제출 학기에는 8학점까지 취득 할 수 있다. 단, 교원자격증 취득희망자에 한해서 1, 2학기에 1과목, 3, 4학기에 2과목을 추가 신청 할 수 있으며(논문제출학기 제외), 교육봉사활동(2학점)은 신청학점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9학점 (단, 논문 제출 학기에 한하여 12학점까지 취득할 수 있다)

상담대학원 석사 9학점

교회음악대학원 석사 10학점

Page 7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3 -

제28조(수강철회) 학생이 수강과목을 계속 이수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에는 소정기일 내(개강 후 4주 이내)에

수강을 철회 할 수 있다.

제6장 계절학기

제29조(계절학기개설)계절학기의 강좌는 학생들의 수요가 있을 경우 방학기간 중에 개설할 수 있다.

제30조(신청학점)계절학기 강좌 개설은 총장의 승인을 받아 개설하고 강좌는 계절학기당 2과목 이내로 한다.

제31조(수업시간) 1학점당 강의 시간은 15시간 이상으로 한다(단, 총장 승인 하에 집중이수제로 실시할

수 있다).

제32조(교과목 개설제한) 수강신청 인원이 10명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개설한다.

제33조(등록)계절학기의 수강을 원하는 자는 수강신청을 하고 정한 기일까지 수강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제34조(계절학기 학점인정) ① 계절학기에 취득한 학점은 당해학기 수강신청 학점제한과는 무관하며 졸업학점

에 포한된다.②교육대학원 교원자격증 취득희망자의 경우 본교 대학에서 개설된 계절학기에서 이수하여 취득

한 학점은 당해학기 대학원 및 학부(대학) 수강신청 학점제한과는 무관하게 졸업학점에 포함된다.

제7장 시험 및 성적

제35조(성적평가 확정 및 정정) 1. 성적은 학과목 담당교수가 성적보고서를 작성하여 기한 내에 보고함으로써

확정한다.

2. 확정된 성적은 과오처리 이외에는 정정 할 수 없다. 단, 과오처리의 경우에는 담당교수가 그 사유서와 관

계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정정보고서를 기한 내에 제출하여 원장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

3. 학업성적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며 그 표시방법, 평점 및 설명은 다음과 같다.

등급 점수 평점

A+ 95 ~ 100 4.5

Ao 90 ~ 94 4.0

B+ 85 ~ 89 3.5

Bo 80 ~ 84 3.0

C+ 75 ~ 79 2.5

Co 70 ~ 74 2.0

F 69 이하 0

P 합격

NP 불합격

I Incomplete

W Withdraw

Page 7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4 -

제36조(이수인정평점) 이수인정 평점은 학생의 수강과목별 출석이 매학기 15주의 3분의 2이상이고 과목당 성

적평균이 2.0(C⁰)이상이 되어야 한다. 단, 각 학위과정의 수료에 필요한 이수과목의 총평점평균은 3.0(B⁰)이상

이 되어야 한다.

제37조(재수강) 1. 과락된 과목은 재수강을 하여야 성적을 취득할 수 있다.

2. 재수강 성적은 B+을 초과할 수 없으며, 성적의 취득과 동시에 이전성적은 무효로 한다.

제38조(학점인정 및 과목면제) 1. (삭제)

2. (삭제)

3. 교육대학원 교사자격증 취득희망자의 경우 전적 대학 또는 대학원 관련학과에서 취득한 학점에 대해 학

점인정을 신청하고 이를 입학 전에 해당 전공주임 심사 후 교원양성위원회에서 승인받아야 한다.

4. 각 대학원의 전공에서 지정한 선수과목 및 신학과목의 경우 전적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동일(또는 유사)

과목 이수자에 한해 과목면제를 신청하고 이를 학과장/전공주임 심사 후 해당 대학원위원회에서 승인받아야

한다(단, 신학과목은 동일 계통 학교에서 이수한 신학과목에 한한다).

5.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교과의 경우 전적 석사학위과정에서 동일(또는 유사) 과목 이수자에 한해 학점인

정을 신청하고 이를 해당 학기 담당교수의 심사 후, 해당 대학원위원회에서 승인받아야 한다.

6. ‘권역별연구’ 교과의 경우 외국인 학생은 과목대체를 신청하고 이를 선교대학원 전공주임의 심사 후, 해

당 대학원위원회에서 승인받아야 한다(4년 이상 선교사 경력자는 담당교수의 승인 하에 교과 내의 현장실습

을 면제받을 수 있다).

제39조(대학원 학점 교환제) 각 대학원 재학생은 전공분야와 관련 있는 과목에 한하여 각 대학원과 학점교류

협정을 체결한 국내․외 타 대학원에서 수강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사항은 따로 정한

다.

1. 타 대학원에 개설된 과목을 수강하려는 학생은 학과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학기 당 교환학점은 국내 대학원은 3학점, 국외 대학원은 15학점 이내로 한다.

3. 재학 중 타 대학원에서 수강할 수 있는 교환학점은 15학점 이내로 한다. 다만, 박사과정의 경우에는 특별

한 사유가 있을 때 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타 대학원에서 취득한 학점의 2분의 1 이내에서 졸업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사항은 따로 정한다.

제40조(과정 수료인정) 각 과정별 수업연한이 경과하고 소정의 학점을 취득한 자는 각 학위과정의 수료자로

인정한다. 각 과정의 수료를 인정하는 시기는 매 학기말로 한다.

제8장 전공의 변경

제41조(전공변경) 전공변경은 석사학위 과정의 경우 첫 학기 말(단, 상담대학원은 4학기 까지)에 한하여 가능

하며, 절차에 따라 최종 총장의 승인을 받아 변경할 수 있다.

제42조(전공변경 절차) 전공변경원을 제출하고 변경전, 변경후 학과장(주임교수)의 승인과 대학원위원회의 인준

을 받아 총장의 승인을 받게 된다.

Page 7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5 -

제9장 학생지도 및 장학금⦁연구비

제43조(학생지도) ① 학생은 대학원 학칙과 학사내규 및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②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타의 본이 되거나 선행 등으로 학교의 명예를 높인 자는 대학원위원회의 심사를 거

쳐 포상할 수 있다.

③ 학생의 본분과 학칙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거나 학교의 명예를 실추시킨 행위를 한 자 등은 대학원위원회

의 심의를 거쳐 경중에 따라 이를 징계할 수 있다.

제44조(포상) 원장은 품행이 단정하고 학력이 우수하거나 타의 모범이 될만한 선행을 한 원생에 대하여 대학

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포상할 수 있다.

제45조(징계) 원장은 학생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할 때에는 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처 징계한다.

1. 학칙을 위반한 자

2. 시험 및 과제물 작성에 부정행위를 한 자

3. 학생의 본분에 어긋난 행동을 하여 각 대학원의 명예를 실추시킨 자

제46조(징계의 종류)

1. 징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① 경징계 : 주의, 훈계, 경고, 근신 등

② 중징계 : 정학(유기,무기), 제적 등

2. 시험(중간/기말고사, 종합고사 등)에 응시하여 부정행위를 한 자는 아래 원칙에 준하여 학사징계를 받는

다.

① 타인의 답안지를 보거나 이에 준하는 부정행위: 해당시험과목 무효

② 노트, 책, 컨닝페이퍼를 사용한 부정행위 및 이에 준하는 행위: 해당과목 무효 처리 및 해당학기 정학

③ 대리시험 및 시험답안지를 상호 교환했거나 이에 준하는 부정행위 : 해당과목 무효 처리 및 무기정학

3. 과제물을 제출함에 있어 타인의 과제물을 표절한 흔적이 현저하다고 지도교수가 판단한 경우에는 시험

부정과 동일한 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간주한다.

제47조(지도교수 배정) 삭제

제48조(장학금 및 연구활동비 보조) ①각종 장학금지급을 위하여 세부규정으로 장학금운영규정을 별도로 둔다.

②대학원학생이 학문연구를 위하여 학술세미나 및 학회에 참여하여 활동을 하였을 경우 지급하며,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비 지급규정”을 따로 둔다.

제49조(수혜대상자 선정) ① 장학생의 선정은 대학원위원회에서 정한다.

② 장학금 또는 연구비를 지급 받고자 희망하는 자는 소정 기간 내에 장학금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성

적장학금 대상자 제외)

Page 7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6 -

제10장 공개강좌

제50조(공개강좌) ① 본 대학원은 필요에 따라 공개강좌를 개설 할 수 있다.

② 공개강좌는 직무, 교양 또는 연구상 필요한 학식 및 기술의 습득을 희망하는 자를 지도한다.

③ 공개강좌의 주제, 기간, 수강자격, 정원, 장소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총장이 정한다.

④ 공개강좌를 이수한 자에게는 소정의 이수증서를 교부 할 수 있다.

제11장 연구생

제51조(삭제)

제12장 자격시험

제52조(자격시험 종류)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 논문제출 자격시험은 외국어시험과 종합시험으로 한다.

제53조(응시자격) 1.각 대학원의 외국어 시험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다.

① 각 대학원 학위과정의 1학기 이상 정규등록 되어 있는 자로 한다. 단, 전공언어와 제2외국어는 일반대학

원 신학전공(구약, 신약, 조직, 역사, 실천, 선교) 박사과정생에만 해당된다.

② 논문학기에 해당하는 자로 외국어시험(영어)에 탈락한 경우 1회에 한하여 재시험을 볼 수 있도록 한다.

③ 총회에서 파송한 선교사로서 영어권 국가에서 3년 이상 사역한 선교사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면제 할

수 있다.

④ TOEFL(CBT):200점이상,TOEFL(IBT):73점이상, TOEIC:650점이상, TEPS:521이상, IELTS:6.0이상 또는 이에 준

하는 공인기관의 외국에 성적을 취득한자는 면제할 수 있다(단, 시험성적은 면제신청일 기준 2년 이내 취득

성적에 한한다).

⑤ 사회복지대학원의 영어권 외국인, 탈북자(새터민), 조선족, 정원외 입학생, 특수교육 대상자는 외국어시험

(영어)을 면제 한다.

2. 종합시험 : 석사학위과정은 3학기이상(단, 교육대학원,사회복지대학원,상담대학원,교회음악대학원은 4학기),

박사학위과정은 4학기이상 등록하고 각 학위과정의 수료를 위한 최저 이수학점 이상을 취득했거나 취득하

게 되는 학기부터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제54조(응시절차) 외국어 시험과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학생은 소정기일 내에 학생정보시스템의 자격고

사관리에서 과목을 신청하고 수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제55조(시험시기) 외국어시험(전공언어, 제2외국어, 영어)과 종합시험은 매년 1,2학기초에 실시한다.

제56조(출제위원) 외국어 시험 및 종합시험의 출제와 채점위원은 전공 주임 또는 학과장 (원장)이 맡고, 영어시

험은 영어교육과 학과장이 맡는다. (단, 산업교육학부 대학원의 경우에는 산업교육학부 대학원 운영위원회에서

주관한다)

Page 8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7 -

제57조(출제범위) 외국어 시험과 종합 시험의 출제범위는 다음과 같다.

1. 외국어 시험 : 외국어의 능력이 전공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수준이 되는가를 시험한다(단, 산업

교육학부 대학원의 경우에는 산업교육학부 대학원 운영위원회에서 주관한다).

2. 종합시험

가. 석사학위과정 : 전공 영역과 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 지식과 능력을 시험하는 범위로 한다.

나. 박사학위과정 : 전공 영역 전체의 전문적 연구 방법에 대한 넓고 깊은 지식 능력을 시험하는 범위로

한다.

제58조(시험과목) 자격시험의 과목은 다음과 같다.

1. 외국어 시험 : 가. 영어

나. 전공언어(일반대학원 신학전공 박사과정생에만 해당)

① 구약신학 전공 : 히브리어

② 신약신학 전공 : 헬라어

③ 조직신학, 역사신학 전공 : 성경히브리어, 성경헬라어, 교부헬라어, 라틴어 중 택1

④ 실천신학 및 선교신학 전공 : 성경히브리어, 성경헬라어, 라틴어 중 택1

다. 제2외국어 시험은 일반대학원 신학전공 박사과정생에게만 해당되며, 시험대상 언어는 화란어, 독일어,

불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중에서 택1하여 시험하되, 타 외국어의 경우 해당 대학원위원회에서 심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2. 종합시험

가. 석사학위과정 : 전공과목에 대해서 시험을 실시한다. 단, 교육대학원의 경우에는 교직 1과목과 전공 2

과목에 대해서 시험을 실시한다.

나. 박사학위과정 : 박사학위 전공과목에 대해서 시험을 실시한다.

다. 시험과목 및 수는 해당 전공에서 정한다.

제59조(합격기준) 자격시험의 합격인정 점수는 다음과 같다.

1. 외국어시험 : 외국어시험 과목에 대한 성적은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을 합격으로 인정한다.

2. 종합시험 : 종합시험에 대한 성적은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을 합격으로 인정한다.

제60조(합격인준)1. 학생의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 결과를 대학원위원회에서 인준함으로써 합격여부가 확정된

다.

2. 공인된 영어능력검정시험에서(토플, 토익 등) 일정한 성적을 취득한 자는 면제할 수 있으며, 면제신청에

대해 영어교육과 학과장 심사 후 이를 해당 대학원위원회에서 승인해야 한다.

㉠TOEFL(CBT):200점 이상 ㉡TOEFL(IBT):73점 이상

㉢TOEIC:650점 이상 ㉣TEPS:521 이상

㉤IELTS: 6.0이상 3.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의 제2외국어는 재학 중에 개설되는 제2외국어 과목 중에서 선택하여 1, 2 모두에

대해 평균B⁺ 이상 취득할 경우 면제할 수 있다.

Page 8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8 -

제13장 학위청구 논문

제61조(학위청구논문) 대학원의 학위청구논문에 관한 제반사항은 별도의 규정을 둔다.

제14장 학위수여

제62조(학위수여)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자에게 대학원위원회에 회부하여, 학위수여자 사정을 행한 후,

해당 대학원장의 제청으로 총장이 별표와 같이 학위를 수여한다.

1. 학위청구논문심사에 합격한 자 또는 규정에 따라 추가학점을 이수하였거나 졸업연주심사에 합격한 자

2. 아래의 졸업요건을 갖춘 자

가. 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은 4학기 이상을, 교육대학원, 상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교

회음악대학원은 5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단, 박사과정은 6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나. 각 대학원 자격시험(외국어 및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다. 소정의 이수학점을 취득한 자

라. 취득학점의 평균평점이 3.0(B0) 이상인 자

마. 논문지도교수의 배정을 받아 소정의 논문지도를 받은 자

바. 박사과정은 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한 자(2011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사. 학위과정의 재학연한을 초과하지 아니한 자

아. 일반대학원과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의 경우 아래와 같이 논문1편을 게재(예정확인)한 자(2013학

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① 단독, 또는 지도교수 혹은 본교 전임교수와 공저로 작성하여야 한다.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한

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또는 교내학술지에 게재하여야 한다. ㉯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한

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교내 학술지 또는 전공별 학술지에 게재하여야 한다.㉰ 인문사회계열(기교,

유교, 사복, 상담)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한다(2017년 2월 졸업예정자부터 적용)

② 게재(확정) 후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금 지급 규정에 따라 연구활동비를 지급한다.

자. 학위논문 공개발표를 한 자

차. 전국 규모 이상 학술대회에서의 논문발표(1회 이상) 또는 참석(2회 이상)

카. 소정의 연구윤리교육을 이수한 자

3. 논문대체학점이수자와 졸업연주과정자는 2항의 졸업여건 중 논문이수자와 관련된 마, 바, 아, 자는 제외한

다.

Page 8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79 -

*별표

대학원명 과 정 학 과 전 공 학 명 학 위

일반대학원

석 사 신학과

구약신학, 신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선교신학

신학석사 Th.M.

석 사 기독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 문학석사 M.A.

석 사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학 문학석사 M.A.

석 사 교회음악학과 교회음악학 음악학석사 M.M.

박 사 신학과

구약신학, 신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실천신학, 선교신학,

기독교교육학,

기독교유아교육학,

기독교사회복지학,

성경적상담학

철학박사 Ph.D.

목회신학

전문대학원

석 사 목회학과강해설교학 신학석사 Th.M. in Preaching

목회상담학 신학석사 Th.M. in Pastoral Counseling

박 사 목회학과

설교학 신학박사 Th.D. in Preaching

목회상담학 신학박사 Th.D. in Pastoral Counseling

교회성장학 신학박사 Th.D. in Church Growth

선교학 신학박사 Th.D. in Intercultural Studies

선교대학원석사(Th.M.)

선교학과국제리더십, 선교목회,

선교상담, 전문인사역

선교학석사 Th.M.

석사(M.A.) 선교학석사 M.A.

교육대학원 석 사 교육학과기독교교육영어교육유아교육

교육학석사 M.Ed.

사회복지대학원 석 사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

스상담·시설운영전공)

사회복지(한국수어교원

전공)

사회복지학석사(사회복지

서비스상담·시설운영전공)

사회복지학석사(한국수어

교원전공)

M.S.W.

상담대학원 석 사 성경적상담학과

성경적상담 및 상담심리

결혼 및 가족치료

아동 및 청소년상담

상담학 석사 M.A.C.

교회음악

대학원석 사 교회음악학과

교회음악(전공명기)교회음악석사 M.C.M.

찬양사역

Page 8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0 -

제63조(명예박사학위) 명예박사학위는 국내 혹은 국외에서 기독교에 지대한 공헌을 한 자에 대하여 대학원위

원회의 의결을 거쳐 명예박사학위를 수여한다.

1. 대학원장은 명예박사학위 수여의 후보자를 대학원위원회에 회부하여 학위수여 여부를 심의한다.

2. 명예박사 학위수여의 의결은 대학원위원회의 3분의 2 이상의 표결에 의한다.

3. 대학원장은 대학원위원회의 명예박사 학위수여 의결사항을 총장에게 보고하여 수여 의결을 확정한다.

제64조(학위수여 보고) 총장은 학위수여자를 교육과학기술부에 보고한다.

제65조(학위수여 시기) 학위수여의 시기는 연 2회로 한다.

제66조(학위수여 취소) 총장은 박사 또는 명예박사의 학위를 받은 자가 그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대학원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학위수여를 취소할 수 있다. 학위수여를 취소한 때에는 이를 과학기술부장관에

게 보고한다.

제67조(학위기 양식) 본 대학교에서 수여하는 석사, 박사 및 명예박사의 학위기 및 수료증서 양식은 [별지]와

같다.

제15장 조직

제68조(직제 및 위원회 구성) ① 각 대학원에는 원장, 각 학과(전공)에는 학과장(전공 주임교수)과 지도교수를

둔다. 학과장(전공주임교수)은 학칙 및 학사내규에 의하여 학과의 제반 학사업무를 관장하며, 지도교수는 학

생의 전공연구과제 지정 등, 기타 수학지도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② 대학원위원회(이하‘위원회’)는 학사운영 및 원생지도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총장이 임명하

여 구성한다.

제69조(위원의 임기) 위원의 임기는 보직 재임기간으로 하고 그 외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 할 수

있다. 다만, 결원으로 인하여 새로 임명된 위원은 전임자의 잔여 임기로 한다.

제70조(위원회의 임무)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 의결한다.

① 학생의 입학, 퇴학, 제적 및 수료, 학위수여에 관한 사항

② 학과 및 전공의 설치와 폐지, 학생정원에 관한 사항

③ 교육과정에 관한 사항

④ 장학금 및 연구비의 지급 또는 보조에 관한 사항

⑤ 지도교수 및 논문 지도교수와 심사위원의 선정에 관한 사항

⑥ 공개강좌의 설치, 운영에 관한 사항

⑦ 대학원 제규정의 제정, 개정, 폐지에 관한 사항

⑧ 기타 본 대학원의 효율적 운영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제71조(위원회의 소집 및 정족수) ① 위원회는 필요시 위원장이 소집하고 의장이 된다.

Page 8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1 -

②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회하고, 출석위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

하되, 가․부 동수인 경우 의장이 의결권을 갖는다.

제72조(준용사항) 학년, 학기, 수업일수, 등록, 시험, 성적, 상․벌 등 본 내규에서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에 관하

여는 대학원 학칙 및 대학교 학칙 또는 전례를 준용하여 시행한다.

제73조(본 규정 개정) 본 학사내규는 본 통합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개정 할 수 있다.

부 칙

1.(시행일) 이 학칙은 2006년 3월 20일 부터 시행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08년도 3월 1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2. 일반대학원 및 선교대학원의 성적평가는 2005학년도 학번까지는 종전(4.3만점)대로 시행한다.

부 칙

1.(시행일) 이 학칙은 2008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2.(경과조치) 이 학칙의 시행과 동시에 종전의 각 대학원 학칙은 폐지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09년도 3월 1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2. 이 내규는 2009학년도 신입생모집부터 시행한다. 2. 이 내규는 2009학년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10년도 10월 14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11년도 3월 1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2. 이 내규는 2011년도 9월 1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12년도 3월 1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2. 이 내규는 2012년도 3월 26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13년도11월 20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부 칙

1. 이 내규는 2015년도 7월 1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Page 8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2 -

부 칙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6년도 2월 19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사회복지대학원 대학원명칭과 학과 명칭변경은 2013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6년도 4월 22일부터 시행한다.

㉮ 제 21조 (수료 및 이수학점)에서 선교대학원의 이수학점은 2016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 제21조(수료 및 이수학점)에서 교회음악대학원의 비고 ①,② 항은 2016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2. (경과조치) 이 내규는 2016년도 2월 15일부터 모든 학생에게 적용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6년도 7월 13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제21조(수료 및 이수학점)에서 선교대학원의 비고 ②항은 2015학년도 후기 (2016. 8) 졸업생부

터 적용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6년도 10월 18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제5조 2항의 2)의 ② 기독교교육학 박사학위과정 입학자격은 2017학년도 신입생모집시부터 적

용 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7년도 3월 13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제21조(수료 및 이수학점) ②호 중 교회음악대학원의 이수학점 교회음악전공 ‘졸업논문 또는

졸업연주(Pass), 찬양사역전공 ’졸업논문 또는 찬양사역 프로젝트(Pass)’의 적용은 2017년 2월 졸업자부터

적용 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7년도 10월 19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제3조(학위과정 및 입학정원) [별표]와 제62조(학위수여) 3항의 [별표]의 상담대학원 전공변경은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사회복지대학원 전공, 학명, 학위명변경은 2018년 2월 졸업생부터 적용한다.

3. (경과조치) 제27조(수강신청제한) 교육대학원 ‘교원자격증 희망자에 한해서 1, 2학기에 1과목, 3, 4학기에

교직과목을 2과목 추가 신청할 수 있으며(논문제출학기 제외)’의 적용은 2017학년도 2학기 수강신청부터

적용한다.

부 칙 (2018.11.20.)

1. 이 내규는 2018년 11월 20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제14조(휴학)의 3항 육아휴학을 출산시부터 만 8세이하까지로 확대하는 조항은 2018학년도 1학

기부터 적용한다.

3. (경과조치) 제21조(수료 및 이수학점) 교육대학원 비고 ②는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한다.

Page 8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3 -

4. (경과조치) 제41조(전공변경) 상담대학원의 전공변경을 4학기 말에 가능하도록 한 규정은 2018학년도 1학

기부터 적용한다.

5. (경과조치) 제53조(응시자격) ⑤항 사회복지대학원의 외국어시험(영어) 적용면제대상자 규정은 2018학년도

1학기부터 적용한다.

부 칙 (2019.02.07.)

1. (시행일) 이 내규는 2019년도 2월 7일부터 시행한다.

Page 8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4 -

2. 대학원 장학금 운영 규정

제1조(목적) 본 규정은 각 대학원(신학대학원 제외)의 장학금 운영에 대한 세부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운영) 장학금 운영에 대한 사항은 대학원위원회에서 심의하여 운영하며, 이에 대한 업무는 위원장이 관

장한다.

제3조(장학금의 구분) 각 대학원의 장학금은 교비장학금과 기탁장학금으로 구분한다.

제4조(장학금의 종류 및 수혜대상) 각 대학원의 장학금 종류와 수혜대상은 다음과 같다.

(일반대학원: 일,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목, 선교대학원: 선, 교육대학원: 교, 사회복지대학원: 사, 상담대학원: 상, 교회음악대

학원: 교음)

장학금명 해당대학원 내 용

입학성적우수장학금

전체

입학전형 시 필답고사(전공)를 실시하는 대학원, 과정, 학과, 전공에 한하여 다음과 같이입학성적우수 장학금을 지급한다. 1) 일·목·선·교 대학원의 경우 전공별 1등으로 합격한 자에게 1학기의 수업료 중 일정액을 지급한다. 2) 사·상·교음 대학원의 경우 1등으로 합격한 자에게 1학기의 수업료 중 일정액을 지급한다. 3) 단, 지급 해당 대학원, 과정, 학과, 전공이 정원 미달일 경우는 지급하지 않는다.

성적우수장학금 전체

재학 중 직전학기의 성적(백분율)이 우수한 자에게 장학금을 지급한다. 단, 일대원·목대원·선대원·사대원은 9학점(3과목)이상, 교대원·선대원(2013학번~2015학번)·상대원·교음대원은 6학점(3과목) 이상 신청한 자에 한하며 백분율이 동일한 경우에는 다음의 순위에 의한다.

① 평균평점이 높은 자 ② 신청학점수가 많은 자를 우선한다. ③ 과목별 총점을 계산하여 총점이 높은 자를 우선함:(과목별 학점X점수/과목수) ④ 입학년도가 빠른 자를 우선한다. ⑤ 생년월일이 빠른 자를 우선한다.

조교장학금 전체해당 학기에 각과의 교수 업무를 보좌 할 수 있는 자질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여 수업료의 일부를 지급한다.

현직교사장학금 교 현직교사(유.초.중.고)에게 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한다(교육청 발행 경력증명서 제출자에 한함)

근로장학금 전체 교내의 행정부서에서 근로하는 자에게 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가계장학금 전체가계형편이 극빈한 자(생활보호 대상자 또는 이에 준하는 경우를 말한다)에게 주임교수(학과장)의 추천에 의하여 대학원위원회에서 심의하여 지급한다.

기여장학금 전체 원우회임원에게 봉사에 대한 장학금으로 지급하며, 그 대상은 회계를 포함하여 4명 이내로 한다.

군목장학금 전체 본 교단 소속의 군목에게 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선교사장학금 전체 교단 소속 선교사에게 수업료의 일부를 장학금으로 지급한다.

장애인장학금 전체국가기관에서 발행한 장애인증을 소지자 중 장애등급 1급~3급에 해당하는 자에게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Page 8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5 -

제5조(장학생선발 자격) 각 대학원의 장학금은 다음 자격을 구비한 자에게 지급한다.

1. 소정기간내에 장학금 신청서(소정양식)를 제출한 자(단, 성적장학금 대상자는 제외)

2. 이전학기 평균성적이 3.5(B⁺) 이상인 자(단, ①근로 관련 장학금인 홍보대사장학금, 조교장학금, 근로장학

금 및 신분관련 장학금인 외국인장학금, 장애인장학금, 선교사장학금, 군목장학금, 어린이집교사장학금,

현직교사장학금, 교직원자녀장학금, 사회복지전문사역장학금, 교역자장학금, 상담전문사역자장학금에 지

원하는 신입생의 경우 제외 ②홍보대사장학금은 3.0(B) 이상인 자로 함)

3. 학칙 및 제 규정을 위반하지 아니한 자

4. 복학 및 재입학의 당해 학기에는 성적 장학금을 신청할 수 없다.

제6조(수혜제한) ① 장학금 수혜자로서 해당 학기에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는 장학금을 지급하지 아니 한다.

② 한 사람이 두 종류의 장학금을 한 학기에 동시에 받을 수 없다. 단, 일부 장학금에 한해 중복수혜가 가능

하다.

가. 근로장학금, 조교장학금, 가계장학금, 장애인장학금, 외부기탁장학금, 기여장학금은 1개의 타 종류 장학

금과 중복수혜가 가능하다. 단, 기여장학금, 조교장학금, 근로장학금 간에는 중복수혜를 금한다.

나. 홍보대사장학금은 가계장학금, 장애인장학금, 외부기탁장학금에 한해 중복수혜 가능하다.

③ 모든 장학금은 각 대학원의 수업연한을 초과할 수 없다.

제7조(유효기간) 장학생으로 선정된 자가 소정기간 내에 장학금 지급 수속을 필하지 아니한 경우 그 수혜자격

은 자동으로 상실된다.

제8조(장학사정) 장학사정은 매학기 대학원위원회에서 심의하여 시행한다.

부 칙

일반대학원

① 본 규정은 1996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특별장학금교사상

대학원 중 특성화를 위한 장학금은 다음과 같다.1. 교육대학원/어린이집 교사장학금: 어린이집 교사에게 일정금액 지급한다.2. 사회복지대학원/ ①사회복지(한국수어통역)전문사역장학금: 사회복지사자격증, 한국수어통역사자격증 소지자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한다(단, 현직사역자에게 우선 지급한다). ②교역자장학금: 해당년도 입학모집요강에 따라 일정금액을 지급한다.3. 상담대학원/상담전문사역자장학금: 전임상담전문자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한다.

외국인장학금 전체 정원 외로 입학한 외국인에게 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가족장학금 전체직계가족(부부 및 자녀, 형제에 한함)이 동시에 동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자에게 일정금액의 장학금을 지급한다.(1인에게만 지급)

교직원자녀장학금 전체 본교에 재직 중인 교직원 및 배우자, 직계 자녀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한다.

총신백만기도후원장학금

전체 평균성적이 3.75(B⁺) 이상인 자에게 지급한다.

기탁장학금 전체 외부 기탁장학금은 기탁자의 취지와 방법에 따른다.

홍보대사장학금 전체 전체 대학원 홍보에 기여한 자로 교학처 추천과 대학원위원회심의에 의하여 지급한다.

Page 8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6 -

② 본 규정은 1999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③ 본 규정은 2005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목회신학전문대학원

① 본 규정은 200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 본 규정은 2005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교육대학원

① 본 규정은 1999년 9월부터 시행한다.

② 본 규정은 2005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사회복지대학원

① 본 규정은 200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 본 규정은 2005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상담대학원

① 본 규정은 2002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 본 규정은 2005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각대학원

① 본 규정은 2008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① 본 규정은 2009학년도 신입생모집부터 시행한다.

부 칙

(시행일) 본 규정은 2009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시행일) 본 규정은 2011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시행일) 본 규정은 2012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시행일) 본 규정은 2013년 1월 31일부터 시행한다.

(시행일) 본 규정은 2015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규정은 2016년 4월 22일부터 시행한다.

2. (경과조치) 이 규정은 2016년 2월 15일부터 적용한다.

부 칙

1. (시행일) 이 규정은 2017년 3월 13일부터 시행한다.

Page 9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7 -

3. 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총신대학교 대학원(신학대학원 제외) 학위수여에 따른 학위청구논문의 작성, 지도, 제출,

심사 등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논문연구계획서/ 논문지도교수 등

제2조(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석사과정은 3학기(교육대학원,사회복지대학원,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은 4학기)

박사과정은 4학기 이상을 등록한 자는 소정기간 내에 「학위논문 연구계획서」를 학사정보시스템의 학위

논문관리에 학위논문연구계획서를 입력하여야 한다.

제3조(지도교수 자격) 1. 논문 지도교수는 본교의 전임교원 중에서 선임한다.

2. 지도교수가 정년퇴임하는 경우 학생은 퇴임일로 부터 1학기 이내에 대학원장에게 지도교수 위촉 기

간 연장을 신청하여 위촉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신설 2016.02.19, 개정 2019.02.07>

3. 지도교수가 정년퇴임 후 1학기 이내에 명예교수로 위촉되면 위촉기간 동안에는 별도의 「지도교수 연

장원」을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신설 2019.02.07.>

4. 논문 지도교수는 소속 대학원/학과에서 전공적합성을 고려하여 배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신설

2019.02.07>

제4조(논문지도교수 배정절차) 1.석사과정은 3학기차(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

은 4학기차)에, 박사과정은 4학기차에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입력 시 희망지도교수 2인을 학사정보시스템

에 입력한다.

2. 학생이 입력한 희망지도교수와 학위논문 연구계획서는 교학과에서 자료를 정리하여 각 전공별 학과장

(주임교수)에게 지도교수를 추천 의뢰한다.

3. 학과장은 학과(전공) 교수회에서 학생의 전공, 논문제목과 내용 등을 참고하여 지도교수를 배정한다.

<개정 2019.02.07>

4. 학과(전공)에서 지도교수 배정시 1인을 배정하되, 필요시 1인당 2인의 지도교수를 배정 할 수 있다.

<개정 2015.07.01, 2019.02.07>

5. 학과(전공)에서 배정된 지도교수명단을 교학과로 제출하고, 교학과는 학사정보시스템에 입력한다. <개

정 2019.02.07>

제5조(지도학생 수 제한) 1. 효율적인 논문지도를 위하여 논문지도교수 1인이 담당할 학생 수는 한 학기당 각

대학원별로 박사학위과정인 경우 4인 이내, 석사와 박사과정을 합하여 8인 이내로 하며 누적된 학생은

제외한다(단, 부득이한 경우에는 학과(전공)에서 학생 수를 조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개정 2015.07.01,

2019.02.07>

Page 9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8 -

2. 본인의 희망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경우에는 학과(전공)에서 지도교수를 변경할 수 있다. <개정

2019.02.07>

가. 논문제목(내용)과 지도교수의 전공이 일치하지 아니 한 경우

나. 특정교수에게 지도교수 신청이 편중 된 경우

다. 기타 논문지도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 된 경우

라. 전공 교수의 사정상 부득이 한 경우

제6조(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 1.대학원과 목회신학전문대학원의 박사학위청구논문을 신청하는 자는 자격고사

합격 이후 확정된 논문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5학기차에 ‘논문프로포절’과목을 수강신청하고, 논문제안

서를 제출하여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2. 학과(전공)에서 학과장(또는 전공주임), 논문 지도교수, 전공관련 교수 1~2인등 총 3~4인으로 심사위원

을 구성하여 심사를 실시한다. 위원장은 학과장(또는 전공주임)으로 하되, 학과장(전공주임)이 지도교수인

경우 심사위원 중 호선한다. <개정 2015.07.01, 2016.04.22, 2016.10.18, 2017.03.13, 2019.02.07>

3. 논문제안서를 소정의 양식에 서면평가하며, 심사위원 중 2/3이상 80점(B) 이상의 평가를 받는 경우에

합격으로 한다. 심사 종료 후 논문제안서 심사결과서를 교학과에 제출하고, 교학과는 결과를 논문제안서

성적에 Pass, Fail로 입력한다. <신설 2015.07.01, 개정 2019.02.07>

4. 논문제안서 작성은 별도의 작성지침에 따른다.

5. 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의 심사 후 합격자에게 한하여 논문을 작성하도록 한다.

6. 논문제안서 심사는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과 동일 학기에 할 수 없으며, 반드시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이전 학기에 완료되어야 한다.

7. 석사과정의 경우 3학기차(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의 경우 4학기차)에

논문제안서를 전공별로 발표할 수 있다.

제7조(논문지도카드) 1. 학위논문의 지도는 석사과정은 5회 이상, 박사과정은 10회 이상을 받아야 한다.

2. 논문지도카드는 논문지도를 받을 때마다 지도교수의 확인서명을 받아야 한다.

3. 논문지도카드는 심사용 가제본 논문을 제출할 시 교학과에 제출한다.

제8조(논문작성법) 1. 매 학기 개설되는「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을 논문 작성 전에 이수하여야 한다. 단, 이미

이 과목을 이수한 자는 과목 담당교수의 동의하에 면제 할 수 있다.

2. 논문의 작성은 대학원 학위논문 작성지침(대학원 가이드북)에 따른다.

제9조(논문지도교수의 변경) 지도교수의 신상변화(휴직, 연구년, 병가, 정년퇴임 등) 또는 논문 주제변경등의 사

유로 논문지도교수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학과장(주임교수)에게 「논문 지도교수 변경신청서 」

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학과(전공)는 지도교수 변경승인 결과를 교학과에 제출하고, 교학과는

해당 내용을 학사정보시스템에 입력한다. <개정 2015.07.01, 2019.02.07>

제10조(논문 지도기간의 연장) 1. 논문 지도교수가 논문의 내실을 위하여 논문 지도기간의 연장이 필요하다

판단된 경우 논문지도교수의 동의를 얻어「학위논문지도기간 연장신청원」을 학과장(전공주임)에게 제출

할 수 있다. <개정 2019.02.07>

Page 9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89 -

2. 논문지도기간의 연장은 해당 학과(전공)의 인준을 얻어 시행한다. <개정 2019.02.07>

3. 학과(전공)는 논문지도기간의 연장 승인결과를 교학과에 제출한다. <신설 2019.02.07>

4. 교학과는 해당 내용을 학사정보시스템에 입력하고 재학연한을 관리한다. <신설 2019.02.07>

제11조(연구윤리) 1.논문작성 시 연구윤리를 준수 할 수 있도록 ‘학위논문 작성 연구윤리 준수 서약서’(별지1호)

및 연구윤리교육이수증을 연구계획서와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2. 연구윤리교육은 본교에서 정한 연구윤리교육 방법을 따르도록 한다.

3. 심사용 가제본 논문 및 학위논문 제출승인서 제출 시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박사과정)를 함께 제출하도록

하며, 학위논문유사도판정 기준에 관한 사항은 별도로 정한다.

제3장 논문의 제출

제12조(심사용 가제본 제출자격) 다음의 요건을 갖춘 자는 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1. 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선교대학원은 4학기 이상을, 교육대학원, 상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교

회음악대학원은 5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단, 박사과정은 6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2. 각 대학원 자격시험(외국어 및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3. 소정의 이수학점을 취득한 자

4. 취득학점의 평균평점이 대학원은 3.0(B0) 이상인 자

5. 논문지도교수의 배정을 받아 소정의 논문지도를 받은 자

6. 박사과정은 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 한자(2011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7. 학위과정의 재학연한을 초과하지 아니한 자

8. 일반대학원과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의 경우 아래와 같이 논문1편을 게재(예정확인)한 자(2013

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① 단독, 또는 지도교수 혹은 본교 전임교수와 공저(2인)로 작성하여야 한다.

㉮ 일반대학원 박사과정: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또는 교내학술지에 게재하여야 한다. ㉯ 목

회신학전문대학원 박사과정: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교내 학술지 또는 전공별 학술지에 게재

하여야 한다. ㉰ 인문사회계열(기교, 유교, 사복, 상담)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한다

(2017년 2월 졸업예정자부터 적용)

② 게재(확정) 후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금 지급 규정에 따라 연구활동비를 지급한다.

9. 학위논문 공개발표를 한 자

10. 전국 규모 이상 학술대회에서의 논문발표(1회 이상) 또는 참석(2회 이상)

제13조(논문 공개발표회) 1.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를 제출할 자는 학위논문 공개발표 후, 그 결과를 발표

자료와 함께 첨부하여 보고하여야 한다.

2. 논문 공개 발표회는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실시하되 지도교수 참관 하에 관련 전공의 학생들(5명이상)

에게 공개적으로 행하여야 한다.

3. 논문 공개발표회는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제출 이전에 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14조(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1. 학위논문의 지도가 완료되면 심사용 가제본 논문원고를 소정기간 내에 교

Page 9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0 -

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2.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 제출자는 원고 제출 시 다음 사항을 구비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가. 학위논문 공개발표회 보고서

나. 학위논문 제출 승인서

다.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석사과정 3부, 박사과정 5부)

라. 논문 심사비

마. 논문지도카드: 석사과정 5회, 박사과정 10회

바.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박사과정, 석사과정)

* 제14조(심사용 가제본 논문제출)의 ‘바’항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를 석사과정도 제출을 의

무화하는 규정이 2019년 1월 14일 통합대학원위원회에서 결의되어 현재 개정절차를 진

행중임으로 석사과정도 2019년 8월 졸업자부터는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를 가제본논문제

출시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제15조(논문 심사비) 1.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 제출자는 소정의 논문심사비를 납부하여야 한다.

2. 논문 심사비는 대학원위원회에서 정하여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 제출에 즈음하여 공지한다. 공지된

기한 내에 논문 심사비를 납부하지 않은 자는 해당 학기 논문심사 대상자에서 제외된다.

3. 논문 심사비는 논문 심사위원의 심사비와 행정비(진행비) 등의 경비로 지출한다.

4. 논문 심사비 지급은 논문심사가 완료된 후에 지급한다.

5. 납부된 논문 심사비는 논문이 통과되지 못함을 이유로 반환하지 아니한다.

6. 논문심사에서 불합격 된 경우에는 차후의 논문심사학기에 다시 논문심사비를 납부하여야 한다.

제16조(학위논문 제출) 학위논문이 심사에서 통과되면 논문수정확인서(필요 시) 및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석사

과정, 박사과정)를 교학과에 제출하고 논문 완제본은 도서관에 제출한다. 도서관에 학위논문을 파일

로 올리는 방법은 도서관규정 및 공지에 따른다.

* 박사과정만 제출하던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를 석사과정도 제출을 의무화하는 규정이

2019년 1월 14일 통합대학원위원회에서 결의되어 현재 개정절차를 진행중임으로 석사

과정도 2019년 8월 졸업자부터는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를 가제본논문제출시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제17조(학위논문 제출기한) 학위청구논문은 학위과정의 최종 등록학기에 제출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학위논

문의 제출기한은 석사과정-6년(12학기), 박사과정-10년(20학기) 이내로 한다. 단, 부득이 한 경우 학과

(전공)의 승인을 얻어 논문 제출 학기를 1년 연장할 수 있다. <개정 2013.01.31, 2016.10.18,

2019.02.07>

제18조(논문 연구등록) 과정을 수료한 자가 학위취득을 위하여 논문 지도를 받아야 할 경우에는 수업연한 이

후 4개 학기 동안은 정규 등록금의 10%를, 그 이후 학기부터는 20만원을 연구등록금으로 납부하여야

한다.

Page 9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1 -

제19조(논문 수강신청) 과정을 수료한 후에 학위취득을 위하여 연구등록을 하는 자는 필히 심사용 가제본 논

문 제출학기에 ‘논문’과목 수강신청을 하여야 한다.

제4장 논문의 심사 등

제20조(논문 심사위원의 구성) 1. 학위 청구논문의 심사위원의 수는 논문지도교수를 포함하여 석사과정은 3인

이상, 박사과정은 5인 이상으로 한다.

2. 심사위원의 자격은 본교 교수 및 박사학위를 소지한 조교수 이상으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심사위원은 본교 교원으로 구성하되 석사과정은 3인 중 1명을 외부에서 초빙할 수 있다. 박사과정은

5명 중 2명 이상을 외부에서 초빙하여야 한다. 이 경우 외부 심사위원은 반드시 전공 또는 관련분야의

박사학위를 소지한 조교수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제21조(심사위원장) 1. 학위논문 심사위원장은 심사위원들 중 지도교수를 제외한 나머지 심사위원 중 호선한

다.

2. 심사위원장은 타 심사위원과 동등한 의결권을 갖는다.

제22조(논문의 심사 시기, 절차, 진행) 1. 논문의 심사 시기는 매 학기 소정기간에 실시하되 특별한 일이 없는

한 5월과 11월에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심사용 가제본 논문은 논문 심사기간 개시일 2주전까지 석사과정은 3부, 박사과정은 5부를 교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3. 논문심사는 논문의 내용(서류)심사와 구술심사로 나누어 실시한다.

4. 논문구술심사는 본인을 출석시켜 공개적으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대학원

장이 그 방법을 정할 수 있다.

5. 논문 구술심사 시 심사위원장이 건강 상의 문제 등 불가피한 사유로 구술심사에 참석하지 못할 경우

대학원장이 그 방법을 정할 수 있다.

6. 심사(구술 및 서류심사)는 석사의 경우 1회, 박사의 경우 2회 이상으로 하되, 박사의 경우 2회 중 1회는

서류심사만으로 할 수 있다. <신설 2015.07.01, 개정 2019.02.07>

제23조(논문심사의 방법, 판정) 1. 논문의 심사는 논문내용과 체제상의 결함이 없는가를 살핀 후 합격(Pass), 불

합격(Fail) 또는 조건부합격으로 판정한다.

2. 합격의 판정은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각각에서 석사과정은 3인중 2인의 박사과정은 심사위원 5

인중 4인의 80점(B) 이상의 평가를 받는 경우에 합격으로 하며, 내용(서류)심사에서 합격 시에 구술심사

를 할 수 있다.

제24조(심사결과보고) 1. 논문심사가 완료되면 심사위원장은 각 심사위원의 내용(서류) 및 구술심사결과서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심사결과보고서를 소정양식에 의거 작성하여 소정기일 내에 원장에게 제출하여

야 한다.

2. <삭제> <개정 2019.02.07>

제25조(논문통과 및 조건부 통과 등) 1. 논문심사에서 통과된 자는 심사과정에서 지적된 사항을 수정·보완하

Page 9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2 -

여 교학과의 공지에 따라 완제본을 제출한다. <개정 2013.01.31, 2015.07.01, 2019.02.07>

2. 논문심사에서 조건부로 통과된 경우에도 조건 사항을 철저하게 이행한 후 논문수정확인서를 작성하

여 논문지도교수의 확인을 받아서 성적입력기간내에 교학과로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3.01.31,

2019.02.07>

제26조(재심사) 1. 논문심사에서 1차에 통과되지 아니한 경우 재심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사위원장은

그 일정을 원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단, 재심사의 일정은 최종 논문 제출일보다 20일 이전에 행하여

야 한다.

2. 재심사에서도 합격이 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음 학기에서 심사를 받아야 한다.

제27조(불합격 논문) 1. 논문심사에서 불합격 된 경우에는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적절히 보완하여 다음 학기에

다시 제출할 수 있다.

2. 이 경우 논문심사 학기에 논문심사비를 다시 납부하여야 한다.

제5장 논문의 제본 / 학위취소 등

제28조(논문의 제본 및 납본 등) 1. 학위논문이 심사에서 통과된 경우 소정기간 내에 소정의 부수를 논문규정

에 따라 제본하여야 한다.

2. 제출하는 논문에는 심사위원 전원의 자필서명을 받아야 한다.

3. 제본된 논문은 그 내용을 도서관 홈페이지에 입력한 후 소정의 부수(석사 4부, 박사 4부)를 학교에 납

본하여야 한다. <개정 2019.02.07>

제29조(학위취소 등) 다음의 경우에는 학위수여 후에라도 해당 대학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위취소 등의 조

치를 취할 수 있다(교육과정 공동운영에 따른 학위를 포함한다).

1. 학생이 타인의 논문을 표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학위를 취소할 수 있다.

2. 학생이 조건부 통과에서 이행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학위수여를 보류하고 조건이 충족된 후

에 수여한다.

3.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논문을 작성하였거나 이미 학위가 수여된 경우 등에는 사안에 따라 학위 수여

를 취소하거나 또는 증명서 발급을 보류할 수 있다.

제30조(규정의 개정) 이 규정은 통합대학원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개정할 수 있다.

제31조 (대학원 학위논문 작성 세부지침) 대학원 학위논문 작성 세부지침은 원장의 승인을 받아 시행 한다.

[본조신설 2019.02.07]

부 칙

1. 본 규정은 2003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2. 본 규정은 2008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Page 9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3 -

3. 본 규정은 2009년 3월 1일부터 적용한다.

4. 본 규정은 2009년 9월 1일부터 적용한다.

5. 본 규정은 2010년 11월 22일부터 적용한다.

6. 본 규정은 2011년 9월 1일부터 적용한다.

7. 본 규정은 2013년 1월 31일부터 적용한다.

8. 본 규정은 2015년 7월 1일부터 적용한다.

9. (경과조치) 제11조(연구윤리) 제3항, 제14조(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제2항 및 제16조(학위논문 제출)의 논

문유사도검사결과 충족에 대해서는 2016년 3월 1일 이후부터 적용한다.

10. (경과조치) 제12조(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자격) 제10항 학술대회 발표 및 참석 충족에 대해서는 2016년 3

월 1일 이후부터 적용한다.

11. (시행일) 이 규정은 2016년 2월 19일부터 시행한다.

12. (경과조치) 이 규정은 2015년 10월 8일부터 적용한다.

13. (시행일) 이 규정은 2016년 4월 22일부터 시행한다.

14. (경과조치) 이 규정은 2016년 2월 15일부터 적용한다.

부 칙

① (시행일) 이 규정은 2016년 7월 13일부터 시행한다.

② (경과조치) 이 규정은 2016학년도 1학기부터 적용한다.

부 칙

① (시행일) 이 규정은 2016년 10월 18일부터 시행한다.

② (경과조치) 제6조 1항 ‘논문프로포절’ 수강신청은 2017학년도 1학기부터 적용한다.

부 칙

① (시행일) 이 규정은 2017년 3월 13일부터 시행한다.

부 칙

① (시행일) 이 규정은 2019년 2월 7일부터 시행한다.

Page 9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4 -

l 학위논문의 절차와 흐름도

1. 연구계획서/ 지도교수 배정/ 논문제안서심사/ 논문지도/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승인

1. 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입력 및 제출

가) 시기/ 석사과정은 3학기차부터, 박사 4학기차부터 가능하다(단, 교육대학원과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은 4학기차부터 가능하다).

나) 내용/ 홈페이지 학생로그인하여 학사시스템 학위논문관리에서 희망지도교수 2인(그 중 1인을 학과에서 선

정) 및 학위논문연구계획서를 입력한 후 ‘학위논문작성연구윤리준수서약서’(별지1호) 및 연구윤리교육이수

증과 함께 교학과에 제출한다.

2. 학위논문 지도교수의 배정

가) 논문 지도교수 추천의뢰 : 교학과에서는 제출된 논문연구계획서에 의거하여 논문지도교수 추천자 명부를

작성하여 각 학과장 또는 전공 주임교수에게 논문지도교수 추천을 의뢰한다. 각 학과에서는 소속 교수회

의를 거쳐 지도교수를 배정 후 배정결과를 교학과에 제출한다.

나) 교학과에서는 배정된 지도교수 명단을 학사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학생들에게 결과를 공지한다.

3. 논문제안서 심사위원회 심사

가) 시기/ 박사과정은 논문제안서 작성지침에 의한 논문제안서를 작성하여 5학기 차에 논문제안서 심사위원

회(학과장 또는 전공주임, 지도교수, 전공관련교수 1-2인 이상의 총 3~4인으로 구성)의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나) 심사결과/ 심사위원회에서의 심사결과보고서는 교학과에 제출한다. 심사위원 중 2/3 이상 80점(B) 이상의

판정인 경우 합격으로 하며, 심사에 통과한 다음 학기부터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이 가능하다.

다) 석사과정/ 석사과정은 논문제안서 작성지침에 의한 논문제안서를 작성하여 3학기 차(교육대학원, 사회복

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의 경우 4학기차)에 전공별로 발표할 수 있다.

4. 학위논문의 지도

가) 논문 지도 횟수 / 지도교수를 배정 받은 학생은 최소한 석사과정은 5회 이상, 박사과정은 10회 이상 논

문지도를 받아야 한다.

나) 논문지도카드 / 논문지도를 받을 때마다 「논문지도카드」에 지도교수의 확인서명을 받아야 하며,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시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Page 9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5 -

2. 심사용 가제본 논문원고 제출/ 논문공개발표회/ 논문심사비 납부

1.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자격 요건이 충족되고 학위논문의 지도가 완료되어 논문이 완성되면 소정 기일

내에 심사용 가제본 논문을 교학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단, 석사과정은 3부, 박사과정은 5부를 제출한다. 심

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시 「논문공개발표회 결과보고서」와 발표자료 요약본, 논문지도카드, 학위논문제출

승인서,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석사과정, 박사과정 모두 해당)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2. 논문공개발표회

학위논문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논문발표를 공개적으로 하여야 한다. 공개발표회는 논문원고 제출일 이전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자와 시간은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논문지도교수 및 전공관련 교수 참관 하에 원

우들(5인 이상) 앞에서 공개적으로 하여야 한다.

3. 논문심사비 납부

심사용 가제본 논문을 제출한 자는 교학과로부터 논문심사비 입금에 관한 안내를 받아 소정기간에 심사비를

납부하여야 한다(매학기에 심사비 고지함). ☞ 소정기간 내에 심사비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해당 학기에 논문

심사대상자에서 제외된다.

3. 논문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심사위원 구성/ 심사절차 및 진행)

1. 논문심사위원의 선정

가) 논문 심사위원 추천의뢰/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이 완료되면 교학과에서는 심사명부를 작성하여 각 학

과장(또는 전공 주임교수)에게 심사위원 추천을 의뢰한다. 단, 석사과정의 심사위원은 3명(그 중 1인은 외

부위원 포함 가능), 박사과정의 심사위원은 5명으로 하되 박사과정의 심사위원 중 2명 이상은 외부인사

중에서 초빙하여야 한다.

나) 심사위원 추천/ 각 학과장(전공 주임교수)은 심사위원을 결정한다.

2. 논문 내용(서류)심사 일정 및 진행

가) 일정/ 논문 내용(서류)심사는 각 학과별, 전공별로 심사위원장의 책임 하에 각 심사위원이 개별적으로 심

사를 행한다. 각 심사위원은 내용심사 보고서를 소정의 양식에 작성하여 교학과에 제출해야 한다.

나) 위원장 선임/ 논문심사위원 중 위원장은 지도교수를 제외한 심사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다) 합격 판정/ 석사과정은 심사위원 3인 중 2인 이상, 박사과정은 심사위원 5인 중 4인 이상 80점(B) 이상의

평가를 받은 경우에 합격으로 한다.

3. 논문 구술심사 일정 및 진행

가) 일정/ 논문 구술심사는 논문 내용(서류)심사 후 논문 제출학생을 출석시켜 구두로 행함을 원칙으로 하되

Page 9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6 -

원장이 부득이 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원장이 그 방법을 정할 수 있다.

나) 방법/ 심사위원은 구술심사 결과를 소정의 양식에 작성하고 이를 종합하여 심사위원장이 소정의 양식에

심사결과보고서를 작성한 후 교학과에 제출해야 한다.

다) 합격 판정/ 석사과정은 심사위원 3인 중 2인 이상, 박사과정은 심사위원 5인 중 4인 이상 80점(B) 이상의

평가를 받은 경우에 합격으로 한다.

라) 불합격 처리/ 구술심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다음 학기에 연구등록을 하고 논문심사지도비 납부

하는 단계부터 심사과정을 밟아야 한다.

마) 심사횟수/ 구술심사는 최소 1회 이상으로 한다.

바) 관련규정 (대학원 학위논문에 관한 규정 제22조 논문의 심사 시기, 절차, 진행 ⑥항

심사(구술 및 서류심사)는 석사의 경우 1회, 박사의 경우 2회 이상으로 하되, 박사의 경우 2회 중 1회는

서류심사만으로 할 수 있다.

4. 학위논문 제출 및 졸업

1. 논문 제출

가) 온라인 등록 및 제본/ 논문 내용(서류) 및 구술심사에서 합격한 경우 논문 수정을 완료한 후 도서관

홈페이지 학위논문올리기에서 색인 및 논문파일을 온라인 등록한 후 논문 규정에 따라 제본한다.

나) 심사위원 날인/ 도서관에 제출하는 논문에는 심사위원 전원의 자필서명을 받는다.

다) 도서관에 논문파일 제출/ 논문제본 규정에 따라 제본된 논문 중 소정의 부수(석사 4부, 박사 4부)는

도서관에 제출한다.

라) 교학과에 제출/ 논문수정확인서(필요 시) 및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석·박사과정)를 교학과에 제출한다.

2. 학위취득, 취소 및 졸업

가) 학위취득 및 졸업/ 논문 제출 후 해당 대학원위원회의 학위수여심의를 거쳐 총장의 승인을 받은 자에

게 석사 및 박사학위가 수여된다. 졸업에 관한 사항은 홈페이지 및 해당자에게 별도로 공지된다.

나) 취소/ 학생이 타인의 논문을 표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조건부 통과에서 이행조건을 충족하지 못

한 경우, 또는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논문을 작성하였거나 학위가 수여된 경우에는 해당 대학원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사안에 따라 증명서 발급 보류 또는 학위 취소가 가능하다.

Page 10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7 -

석사학위 논문심사과정 흐름도

논문계획서입력 및 제출(A)대상:논문작성

희망자시기:매학기 말

논문지도교수배정(B)

PROPOSAL발표(C)

논문지도(D)

논문심사비납부(E)

공개발표(F)

합격 및 가제본

논문제출(G)

합격 심사(H)

합격(I)

논문 제출(J)

졸업(K)

(A) 논문계획서 입력 및 제출

① 시기 :석사 3학기차부터

(단, 교육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은 4

학기차부터 가능)

② ‘학위논문작성연구윤리서약서’ 및 연구윤리교육이수증과 함께 제출

(B) 논문지도교수배정

① 학과(전공)에서 배정→교학과에 제출

② 교학과에서 학사프로그램에 입력 후, 공지

(C) Proposal 발표

①전공별로 발표

(D) 논문지도

① 석사과정은 5회 이상 지도

(E) 논문심사비납부

① 석사:200,000원

* 자격고사를 Pass 하여야 심사자격이 주어짐.

(F) 공개발표

① 일자와 시간은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진행

(G)합격 및 심사용 가제본 논문 제출

① 합격한 자는 내용(서류)심사와 구술심사를 위해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 3부(가제본)를 교학과에 제출

(H)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① 학과장/전공 주임교수는 심사위원을 추천하여, 관련 회의에서 결정

② 석사과정의 심사위원은 3명(외부1인 포함가능)

③ 각 심사위원의 내용(서류) 및 구술심사보고서를 종합하여 심사위원장은 심사결과보고서를 교학과에 제출

(I)합격

①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에서 합격(80점 이상)한 자는 완제본 논

문제출

② 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에서 불합격한 자는 다음 학기에 수강신

청을 완료한 후, 논문지도(D)부터 과정을 밟음.

(J) 논문 제출① 4부의 논문을 도서관에 납본② 논문수정확인서(필요 시)는 교학처에 제출

Page 10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8 -

박사학위 논문심사과정 흐름도

논문계획서 입력 및 제출(A)

논문지도교수배정 및 지도(B)

논문제안서심사위원회(C)

논문심사비납부(D)

공개발표(E)

합격 및 가제본

논문제출(F)

불합격 심사(G)

합격(H)

논문 제출(I)

졸 업(J)

(A)학위논문계획서 입력 및 제출 ① 시기 : 박사 4학기차부터 ②‘학위논문작성연구윤리서약서’ 및 연구윤리교육이수증과 함

께 제출(B)논문지도교수 배정 및 지도 ① 학과(전공)에서 배정 후 교학과에 결과제출 ② 교학과에서 학사프로그램에 입력 후, 학생에게 공지 ③ 박사과정은 10회 이상 지도를 받아야 함.(C)논문제안서심사위원회 ①구성: 학과장/전공주임, 논문지도교수, 전공관련교수 1-2인

으로 하여 총 3~4인으로 함. ② 5학기차에 논문제안서 발표하여 심사(D)논문심사비 납부 ①박사: 900,000원 * 자격고사를 Pass 하여야 심사자격이 주어짐.(E)공개발표 ①일자와 시간은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진행(F)합격 및 심사용 가제본 논문제출 ①합격한 자는 내용(서류)심사와 구술심사를 위해 심사용 가

제본 논문원고 5부(가제본) 및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2016.3.1. 이후 시행)를 교학과에 제출

(G)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 ①학과장/ 전공주임교수는심사위원을 추천하여, 관련회의에서

결정 ②박사과정의 심사위원은 5명(외부2인)으로 함.③ 각 심사위원의 내용(서류) 및 구술심사보고서를 종합하여 심

사위원장은 심사결과보고서를 교학과에 제출 (H)합격 ①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에 합격(80점 이상)한 자는 도서

관에 완제본 논문을 제출 ②내용(서류)심사 및 구술심사에서 불합격한 자는 다음 학기

에 수강신청후, 논문지도(C)부터 진행(I) 논문 제출① 4부의 논문을 도서관에 납본② 논문수정확인서(필요 시) 및 논문유사도검사결과서는 교

학과에 제출

Page 10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99 -

대학원 학위논문 작성 세부지침

Ⅰ. 심사용 가제본 논문 작성 및 제출방법 1. 소정기일 내에 심사용 가제본 논문(석사학위는 3부, 박사학위는 5부)를 대학원 교학지

원처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학위청구논문 제출승인서와 논문지도카드를 첨부하여야 한다. 3. 소정의 논문 심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4. 논문은 국문 또는 외국어로 작성하되 횡서로 쓰고, 아래한글 파일에 작성한다.

Ⅱ. 본 논문 작성 및 제출1. 제출자격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가 논문심사위원회에서 통과되었음을 주심이 대학원장에게

보고한 후 심사용 가제본 논문 원고 제출자는 본 논문을 작성 제출한다.

2. 작성 및 제출방법가) 본 논문은 다음에 기술한 논문작성 지침에 따라 이를 작성하여야 한다.나) 제출절차:① 논문심사가 완료되면 도서관 홈페이지 학위논문 올리기에서 색인 및

파일 등을 입력한다. ② 제본된 논문(석·박사 공히 5부)을 도서관 사서실에 제출한다. * 제출하는 논문에는 반드시 논문인준서에 심사위원(교수)의 확인서명 또는 날

인을 받아야 한다.다) 홈페이지 입력방법:도서관 홈페이지 ⇒ 학위논문 올리기 ⇒ 글쓰기 ⇒ Login ⇒ ID

(학번), 비밀번호(주민등록번호 뒤7자리)입력 ⇒ 저작권위임서에 동의함 ⇒ 졸업논문 내용(소속, 목차, 초록, 화일 등)입력 ⇒ 등록(완료)

라) 파일 입력시 파일명을 저자명- 논문제목. 확장자로 사용바람(예:홍길동-기독교적 미술관.hwp)

마) 유의사항:졸업논문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대학도서관등에 공개되며, 파일입력시는 저작권 위임서에 동의하여야 입력할 수 있습니다.

3. 서식, 용지 및 제본 1) 분량 및 용지 본문(각주 포함, 서두와 참고자료 제외) 분량은 폰트 크기 11포인트, 줄 간격 200%,

장평 95, 자간 2로, 석사학위논문은 A4(210×297mm) 용지 50-100매 사이, 박사학위논문은 A4 100-200매 사이로 한다. 제본용 겉표지 용지는 가로와 세로 모두 1cm씩 더 길게(220×307mm)한다. 박사는 폰트크기는 10.5포인트로, 줄간격은 180%로 조절가능하다.

2) 여백 겉표지, 속표지, 논문제출서, 학위인준서, 감사의 글, 목차, 표 목차 혹은 그림 목차,

약어표기, 국문초록, 본문, 참고문헌, 부록, 색인, 영문초록 모두 위쪽 여백 3cm, 머리말 0cm, 아래쪽 여백 2cm, 꼬리말 1cm, 왼쪽 여백 3cm, 오른쪽 여백 2.5cm로 한다. 제본용 겉표지의 경우, 위·아래·왼쪽 여백은 3.5cm, 오른쪽 여백은 3cm로 한다(별지서식 1호 참고).

Page 10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0 -

3) 제본 a) 논문에 사용하는 용지는 A4 용지규격의 백색 타이프용지나 80g/㎡ 이상 백색 모조

지를 사용한다.

b) 양면 인쇄한다. 단, 석사학위논문은 단면인쇄도 가능하다.

c) 겉표지 색깔은 석사학위논문은 진한 감색, 박사학위논문은 흑색으로 한다. d) 겉표지 별지서식 1호 양식을 따르고 글자는 금박으로 찍는다. 필요할 경우, 논문제

목 밑에 부제목(sub-title)을 붙일 수 있다.

e) 겉표지 안쪽에는 백색 모조지를 붙이고 면지는 120g/㎡ 백색 모조지로 하고, 그 다음에 속표지(별지서식 2호 양식)를 넣는다.

f) 참고문헌 방법 등과 이 지침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학문 분야의 전통과 관행에 따라 논문 전체를 통해 일관성 있게 기재하되, 자료인용 형식은 ‘저자-제목 형식’과 ‘저자-발행년 형식’ 중 하나를 택하여 일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g) 논문작성 시작단계부터 학교 인터넷에 게재된 예시파일(template)을 다운받아 사용하도록 한다.

4. 논문구성 1) 순서 서두는 겉표지, 속표지, 논문제출서, 학위인준서, 감사의 글, 목차, 표나 그림이 있을

경우 표 및 그림 목차, 국문초록 순으로 구성한다. 본문은 서론, 본론, 결론 순으로 구성한다. 참고자료는 참고문헌, 부록, (색인), 영문초록 순으로 구성한다. 이들은 모두 논문의 오른쪽 새로운 페이지에서 시작한다.

2) 서두 a) 겉표지 논문의 겉표지는 별지서식 1호 양식에 따르며, ① 논문제목, ② 학교명, ③ 소속 학

과 및 전공 명, ④ 성명을 쓴다. 겉표지 다음 장에 백지를 한 장 삽입한다. 논문 제목은 간단하고도 포괄적이어야 하며, 제목의 자수가 짧되 그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논문제목이 두 줄에 걸칠 때는 사이 간격을 2cm로 한다. 겉표지 좌측 상단의 학년도는 졸업학년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2012년 2월 또는 8월 학위수여자의 경우 2011학년도로 표시한다.

b) 속표지 별지서식 2호 양식에 따르며, ‘a) 겉표지’의 내용에 따른다.

c) 논문제출서 별지서식 3호 양식에 따른다.

Page 10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1 -

d) 학위인준서 석사학위논문인 경우 심사위원 3인,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심사위원 5명이 서명할 난

과 하단에 학교명 및 확인예정일을 기입하며, 별지서식 4호 양식에 따른다.

e) 감사의 글 논문 제출자가 논문 지도교수 및 개인 또는 단체에 논문작성에 관련해서 받는 도움

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려고 할 때 이 글을 쓴다. 그러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f) 목차 목차는 일반적으로 장(章), 절(節), 항(項), 목(目) 등으로 나누며, 가급적 I. 1. 1) (1)

① a) 체계를 따른다. 논문 처음 시작은 서론(들어가는 말)으로 시작하며 이때부터 번호를 붙인다.

g) 표 및 그림 목차 표와 그림 목차는 논문 속에 실린 표와 그림의 차례를 정하여 기입하는 부분이다.

이때 표와 그림의 번호와 표제가 본문의 것과 일치해야 한다.

h) 국문초록 국문초록은 논문 내용을 간단히 이해할 수 있도록 논문의 전체 내용을 요약한 것이

다. 요약은 논문의 내용을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해주며 논문을 색인하고 인출하기 위한 정보활동에 사용된다.

국문초록의 작성요령은 다음과 같다. ① 정확해야 한다. 요약에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이 정확하게 반영되어야 하며, 논문 본문에 나타나 있지 않은 내용은 절대 포함시켜서는 안 된다. ② 자기 설명적이어야 한다. 요약에서는 참고문헌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 보다는 논문 작성자의 말로 바꾸어 기술하는 것이 좋다. 다른 출판물을 인용했을 경우에는 저자명과 출판연도를 반드시 기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논문의 참고문헌 목록에는 인용한 서적이나 논문의 제목을 기입하여야 한다. ③ 간결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논문작성자는 문장 하나하나가 자신의 논문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도록 정리하여야 한다. ④ 비 평가적이어야 한다. 요약에는 평가하는 문체보다는 보고하는 형식을 취하여야 한다. ⑤ 조리 있고 읽기 쉬워야 한다. 요약은 분명하고 활기찬 산문 형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3) 본문 a) 서론 학위논문에서 본문은 주로 서론에서 시작되며 서론은 제1장이 된다. 즉 서론의 첫

페이지가 그 논문의 첫 페이지가 된다. 다시 말하면 논문의 서두부분은 로마 숫자 소문자로 페이지 수를 표기하지만 본문부터는 아라비아 숫자로 페이지 수를 표기한다. 서론에서는 다음 사항을 기술한다. ① 목적: 취급하고자 하는 논제의 연구목적을 간결하고도 충분하게 소개한다. ② 범위: 취급하는 문제의 범위를 밝힌다. ③ 연구문제의 소개: 논제 또는 그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문제에 관한 연구과정 및 상황을 간단히 소개한다. ④ 방법론: 논제에 관한 연구방법론을 소개한다. 여러 사실을 정리하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이론에 기초를 둔 논제에의 접근방법이 있어야 한다. ⑤ 기본 자료의 소개 및 용어의 정의 - 논문에서 사용한 기본 자료나 용어를

Page 10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2 -

이 부분에서 명백히 밝혀두어야 한다.

b) 본론 본론은 논문의 핵심이므로 내용의 가치와 논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론에서는 충분한 자료를 구사해서 일관성 있게 논리를 전개하고 규명하고자 하는 논제를 명백히 설명하여야 한다. 각 장은 논문의 오른쪽 새로운 페이지에서 시작한다.

c) 결론 결론은 논문의 마무리이므로 연구의 중요한 결과 또는 발견을 기재하며, 향후 계속

연구하여야 할 문제를 제시한다. 본론에서 전개한 사실을 간단히 요약하고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지적함으로써 논문전체를 마무리하는 곳이 결론부분이다.

4) 참고자료 참고자료에는 참고서적 목록, 부록, (색인), 영문초록이 포함된다.

a) 참고문헌 참고서적은 학위논문의 참고자료 부분의 시작으로서 논문의 오른쪽 새로운 페이지

로 시작한다. 논문 내에 있는 자료가 연구 결과의 해석과 결론을 지지해 주듯이, 참고문헌의 인용은 논문 전체에 관하여 이루어지는 진술들을 증명해 주는 역할을 한다. 논문 내에서 인용된 모든 인용 출처들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되어야 한다. 참고서적은 국문의 문헌을 저자의 성명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고, 외국어의 문헌은 abc순으로 나열한다.

b) 부록 부록에는 본문에 참고적인 자료가 되거나 증거자료가 되는 것, 실험결과 표 등을 수

록한다. 조사양식, 설문지, 통계표, 검사지 및 인용된 법률조문 등을 독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자료이다. 부록은 논문의 오른쪽 새 페이지로 시작한다.

c) 색인 일반적으로 비 간행 논문에는 색인을 달지 않지만 독자에 편리를 제공하려면 색인

을 다는 것이 좋다. 논문을 단행본으로 간행하려면 색인이 필요하며 더욱이 논문의 내용이 복잡하면 색인을 더욱 더 필요하다.

d) 영문초록 영문초록 작성요령은 기본적으로 국문초록과 마찬가지로 논문의 내용을 간결하고도

함축성 있게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영문으로 작성할 때 문법적인 정확성을 기하고 적합한 영어단어의 선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영문초록을 작성 시 문단의 시작부분은 다섯 칸 혹은 일곱 칸을 띄우고 한 문단 내의 두 문장 사이는 두 칸을 띄워야 한다.

5. 글자 및 문단 모양 1) 제목 폰트크기 11-18의 신명조체로 한다. ‘장’ 제목만 중앙 정렬시키고, 나머지 제목은 왼

쪽으로 정렬시킨다. 이 파일의 ‘스타일’에는 제목들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Page 10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3 -

‘논문제목’(ThesisTitle): 신명조, 폰트크기 18, 가운데 정렬, 줄 간격 200%

‘제목1’(Title1): 견명조, 폰트크기 16, 가운데 정렬, 줄 간격 200%‘제목2’(Title2): 태고딕, 폰트크기 14, 왼쪽 정렬, 줄 간격 200%‘제목3’(Title3): 태명조, 폰트크기 12, 왼쪽 정렬, 줄 간격 200%‘제목4’(Title4): 중고딕, 폰트크기 11, 왼쪽 정렬, 줄 간격 200%‘제목5’(Title5): 중고딕, 폰트크기 11, 왼쪽 정렬, 줄 간격 200%

2) 본문(바탕글) 폰트크기 11의 신명조체로 하되, 30pt 들여 쓴다. 왼쪽 정렬이고, 줄 간격은 200%이

다. 이 파일의 스타일 이름은 ‘바탕글’(normal) 혹은 ‘본문’(Body)이다.

3) 블록인용 폰트크기 10의 신명조체로 하고, 왼쪽에 30pt 여백을 둔다. 이 파일의 스타일 이름은

‘블록인용’(Block Quotation)이다.

4) 표 표 제목은 ‘제목5’ 스타일로 만든 다음, 중앙 정렬된 표 크기에 맞춰 왼쪽 정렬한다. 표

내용의 글자모양은 폰트크기 9의 신명조체로 한다. 스타일 이름은 ‘표’(Table)이다.

5) 각주 폰트크기 10의 신명조체로 한다. 이 파일의 스타일 이름은 ‘각주’(Footnote)이다.

6) 참고문헌 폰트크기 11의 신명조체로 하되, 30pt 내어 쓴다. 왼쪽 정렬이고, 줄 간격은 200%이

다. 이 파일의 스타일 이름은 ‘참고문헌’(Bibliography)이다. 단, ‘저자-발행년 형식’의 경우, 첫줄에는 저자명만 쓰고, 둘째 줄부터 왼쪽 여백을 30pt 만큼 두도록 한다.

7) 성경원어폰트 성경원어폰트는 바이블웍스(Bible Works) 활자체로 한다. 이 활자체는 http://www.bibleworks.com/fonts.html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6. 인용 1) 성경인용 a) 성경 인용은 『개역개정판』을 기본으로 하되, 그밖에 다른 번역본이나 자신의 개인

번역을 사용할 경우 이를 반드시 명기해야 한다.

b) 성경구절을 제목이나 본문에 언급할 때는 “창세기 1장 1절”과 같이 쓰고, 각주나 괄호 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약식으로 표기한다.

예) 창 1:1-2:3; 시 110:1-3; 암 5:2-4; 마 3:1-4; 막 4:9, 13; 5:1-3; 롬 12:1-2; 엡 4:3; 5:6-7.

Page 10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4 -

2) 인용문 a) 인용문이 3줄 이하이면 앞 문장에 이어 쓰되 인용문 앞과 뒤에 겹 따옴표(“…”)를 쓰

고, 인용부호 안에서 인용부호를 쓸 경우에는 홑 따옴표(‘…’)를 쓴다.

b) 인용문이 4줄 이상이면 ‘블록인용’으로 하고 글자크기는 10포인트로 한다. 이때 겹 따옴표는 쓰지 않는다.

3) 외국 인명 표기 본문과 각주 모두, 우리말로 음역한 성(last name)만을 표기한다. 예) 칼빈은 … 라고 말했다.

4) 저자가 넷 이상일 때는, 저자 이름을 다음과 같은 약식으로 기재할 수 있다. 예) 심창섭 외 3인 예) Hadonson Robinson, et al. 혹은 Hadon Robinson and others

5) 외국어 논문 인용 시 In(in) 표기법 a) 각주: “논문 명,” in 책명 (이때 논문 명 뒤에 반점[,]을 찍는다.) b) 참고문헌: “논문 명.” In 책명 (이때 논문 명 뒤에 온점[.]을 찍는다.) ※ 논문이 책에 인용되었을 때만 in을 사용하고 저널(학술지)에 게재되었을 때는 in을

사용하지 않는다.

7. 문장부호 1) 괄호는 소괄호를 사용한다. 하지만 소괄호 안에 또 다른 괄호를 사용할 때는 중괄호

를 쓴다. 예, ( [ ] ).

2) 강조 부호로는 홑 따옴표(‘ ’)를 쓴다.

3) 콜론(:), 세미콜론(;)은 앞 단어에 붙이고, 이어지는 단어는 한 칸 띄고 쓴다.

4) 논문 제목을 기록할 때, 반점(,)과 온점(.)은 겹 따옴표(“ ”) 안에 찍는다. 예)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

5) 쪽은 p(p). 혹은 ‘쪽’을 기재하지 않고, 쪽만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예) 10-19, 82-88, 254-298.

8. 약어2nd second, 제2의3d third, 제3의4th fourth, 제4의cf. confer, 비교하라.diss. dissertation, 학위논문ed(s). editor(s), 편찬자, 편집자; edited by, 에 의해 편집된; edition, 판e.g. exempli gratia, 예를 들어et al. et alii, 그리고 다른 이들

Page 10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5 -

f(f). and the following one(s), 그리고 이어지는 것(들)LXX Septuagint(the Greek OT), 칠십인역MT Masoretic Text (of the OT), 마소라 사본Ph. D. Doctor of Philosophy, 철학박사rev. revised (by), (에 의해) 개정된Th. D. Doctor of Theology, 신학박사Th. M. Master of Theology, 신학석사trans. translator, 번역자; translated by, 에 의해 번역된vol(s). volume(s), 권

III. 각주 및 참고문헌 방식 1: 저자-제목 형식

전통적으로 학문적인 글에 사용되던 자료인용방식이다. 본문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는 인용 및 내용 각주와 참고문헌에서 자료를 인용하는 방식을 소개하였다.

1. 일반원칙 1) 약식정보 a) 각주에서 자료를 처음 인용할 때는 그 자료의 모든 정보를 기록하지만, 두 번째부터

는 약식정보로 한다. 예) 심창섭, 『기독교 교회사』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1998), 27. 예) 심창섭, 『기독교 교회사』, 55. 예) F. F. Bruce, Commentary on the Book of the Acts: The English Text with

Introduction, Exposition and Notes, NLCNT (London: Marshall, Morgan and Scott, 1954), 77-78.

예) Bruce, Book of the Acts, 90-91.

b) 약식정보는 저자, 책명(또는 논문 명), 해당 쪽으로 기록한다. 저자가 외국인인 경우 성(last name)만 기록한다. 책과 논문 제목도 핵심적인 한두 단어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예) 최홍석, 인간론, 160. 예) 이상원, “배아줄기세포추출은 현대판 몰록신 숭배,” 145-146. 예) Berkouwer, General Revelation, 105.

c) 연이어 같은 자료를 참고했을 때도 ibid(ibidem, 같은 곳에서),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약식정보를 반복해서 사용한다.

예) 최홍석, 인간론, 160. 예) 최홍석, 인간론, 261. 예) Robinson, Biblical Preaching, 21. 예) Robinson, Biblical Preaching, 31.

2) 개정판 수를 표기할 경우 a) 각주: 책명 뒤에 반점(,)을 찍고, ‘개정판’, 혹은 ‘rev. ed.’ 등을 쓴다. 예) 김길성, 『개혁신학과 교회』, 개정판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2010), 65-67. 예) Cornelius Van Til, The Defense of the Faith, rev. 3d ed. (Phillipsburg:

Page 10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6 -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7), 52-54.

b) 참고문헌: 책명 뒤에 온점(.)을 찍고, ‘개정판’, 혹은 ‘Rev. ed.’ 등을 쓴다. 예) 김길성. 『개혁신학과 교회』. 개정판.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2010. 예) Van Til, Cornelius. The Defense of the Faith. Rev. 3d ed. Phillipsburg: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7.

3) 참고문헌 순서 먼저 한글 서적을 기록하고, 다음에 외국어 서적을 기록한다. 한글은 저자명의 가나

다순으로 기록하고, 외국서적은 저자명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기록한다.

4) 동일 저자의 저작물이 여럿인 경우, 참고문헌의 둘째 자료부터는 저자명 대신 3자(30pt) 길이의 중간실선을 긋고 마침표를 찍는다.

예) 박용규. “개혁주의 역사신학적 입장에서 본 12신조.” 「신학지남」 통권298호 (2009): 81-139.

―――. “미국과 한국 개혁주의운동, 그 역사적 개관.” 「신학지남」 통권301호 (2009): 93-129.

2. 단행본 1) 한글 단행본 a) 각주: 저자, 『책명』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쪽. 예) 정일웅, 『기독교 예배학 개론』 (서울: 범지출판사, 2005), 128-133. ※ 반복 인용 시 ibid,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해서 저자, 책명, 해당 쪽으로

표기한다. 예) 정일웅, 『기독교 예배학 개론』, 128. 예) 정일웅, 『기독교 예배학 개론』, 133.

b) 참고문헌: 저자. 『책명』.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정일웅. 『기독교 예배학 개론』. 서울: 범지출판사, 2005.

2) 외국 단행본 a) 각주: 저자, 책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쪽. 예) G. C. Berkouwer, General Revelation (Grand Rapids: Eerdmans, 1955), 97. ※ 반복 인용 시 ibid,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해서 기록한다. 저자의 성(last

name) 만 적는다. 예) Berkouwer, General Revelation, 97. 예) Berkouwer, General Revelation, 103.

b) 참고문헌: 저자, 책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Berkouwer, G. C. General Revelation. Grand Rapids: Eerdmans, 1955.

Page 11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7 -

3. 번역서 1) 외국어 ➡ 한글 번역서 a) 각주: 저자, 원서 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역자, 『번역서 명』 (출판

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쪽. 예) Cleon L. Rogers, The Topical Josephus: Historical Accounts that Shed Light

on the Bible (Grand Rapids: Zondervan, 1992); 김정우 역,『(성경을 비추는 역사서) 요세푸스』 (서울: 엠마오, 2000), 10-11.

※ 반복 인용시 저자의 성(last name), 『한글 번역서 명』, 해당 쪽을 적는다. 예) Rogers, 『요세푸스』, 97.

b) 참고문헌: 저자. 원서이름(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역자. 『번역서 명』.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Rogers, Cleon L. The Topical Josephus: Historical Accounts that Shed Light on the Bible. Grand Rapids: Zondervan, 1992; 김정우 역.『(성경을 비추는 역사서) 요세푸스』. 서울: 엠마오, 2000.

2) 외국어 ➡ 외국어 번역서 a) 각주: 저자, 번역서 명, trans. 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쪽. 예) John Calvin,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 trans. Leroy Nixon

(Grand Rapids: Eerdmans, 1950), 23. ※ 반복 인용 시 ibid,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해서 기록한다. 저자의 성(last

name) 만 적는다. 예) Calvin, Deity of Christ, 97.

b) 참고문헌: 저자. 번역서 명. Trans. 역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예) Calvin, John.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 Trans. Leroy Nixon.

Grand Rapids: Eerdmans, 1950.

4.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 한글 a) 각주: 저자, “논문,” 「학술지」 권수 (출판연도): 해당 쪽. 예) 이상원, “배아줄기세포추출은 현대판 몰록신 숭배,” 「신학지남」 통권 286호

(2006): 141.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학술지」 권수 (출판연도): 논문 전체 쪽. 예) 이상원. “배아줄기세포추출은 현대판 몰록신 숭배.” 「신학지남」 통권 286호

(2006년 봄호): 139-173.

2) 외국어 a) 각주: 저자, “논문,” 학술지 명 권수 (출판연도): 해당 쪽. 예) Don Swanson, “Dialogue with a Catalogue,” Library Quarterly 10 (2008):

30-31. ※ 반복 인용 시 저자의 성(last name), “논문 명,” 해당 쪽을 적는다. 예) Swanson, “Dialogue with a Catalogue,” 35.

Page 11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8 -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학술지 명 권수 (출판연도): 논문전체 쪽 예) Swanson, Don. “Dialogue with a Catalogue.” Library Quarterly 10 (2008):

30-50.

5. 편집지 논문 1) 한글 a) 각주: 저자, “논문,” 『책명』, 편집자 편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쪽. 예)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 『이상문학수상 작품집』, 문학사상가 편 (서울:

문학사상사, 1977), 114.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책명』. 편집자 편.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논문 전체 쪽. 예)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 『이상문학수상 작품집』. 문학사상가 편. 서울:

문학사상사, 1977: 110-125.

2) 외국어 a) 각주: 저자, “논문,” in 책명, ed(s). 편집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쪽. 예) Robert D. Knudsen, “Calvinism as a Cultural Force,” in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ed. W. Stanford Rei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2), 13-14.

예) Haddon Robinson, “Required Reading: Why Establish a Reading Plan?,” in The Art and Craft of Biblical Preaching, eds. Haddon Robinson and Craig Brian Larson (Grand Rapids: Zondervan, 2005), 89.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In 책명. Ed(s). 편집자.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논문전체 쪽.

예)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d. John McNeill.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예) Knudsen, Robert D. “Calvinism as a Cultural Force.” In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Ed. W. Stanford Rei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2, 15-35.

예) Clements, R. E. “Isaiah 53 and the Restoration of Israel.” In Jesus and the Suffering Servant. Eds. W. H. Bellinger and W. R. Farmer. Harrisbur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8, 39–54.

6. 학위논문 1) 한글 a) 각주: 저자, “논문 명” (학위, 학교, 연도), 해당 쪽. 예) 이상웅, “조나단에드워즈의 성령론 연구” (철학박사학위, 총신대학교, 2008), 28.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명.” 학위, 학교, 출판연도. 예) 이상웅. “조나단에드워즈의 성령론 연구.” 철학박사학위, 총신대학교, 2008.

Page 11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09 -

2) 외국어 a) 각주: 저자, “논문 명” (학위, 학교, 연도), 해당 쪽. 예) G. N. Hansen, “John Calvin and the Non-literal Interpretation Scripture” (Ph.

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8), 15.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명.” 학위, 학교, 출판연도. 예) Hansen, G. N. “John Calvin and the Non-literal Interpretation Scripture.” Ph.

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8.

7. 재인용 1) 각주: 원본 서지사항; 재인용한 책의 서지사항을 표기하고 “에서 재인용”을 덧붙인다. 예) Andreas J. Köstenberger and Peter T. O’Brien, Salvation to the Ends of the

Earth: A Biblical Theology of Mission, New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11 (Downers Grove: Apollos/IVP, 2001, 73; 채은수, “신약성경 저자들의 세계선교지평(I)” 「신학지남」 통권 303호 (2010): 135에서 재인용.

2) 참고문헌: 원본은 표기하지 않고, 재인용한 책만 표기한다. 예) 채은수. “신약성경 저자들의 세계선교지평(I).” 「신학지남」 통권 303호 (2010):

133-197.

8. 고전 인용(각주) 1) 첫 인용: 인용한 쪽을 쓰지 않고 권과 장과 절을 쓴다. 권.장.절은 아라비아 숫자로 기

록한다. 예)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Ford Lewis Battle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1.2.1.

2) 반복 인용: 둘째 인용에서 약어 사용을 명시한다. 예) Calvin, Institutes, 1.2.1.

9. 기타 자료 1) 인터넷에 게재된 단행본이나 논문의 경우 일반적인 형식에 <인터넷 사이트>와 접속

연월일을 덧붙인다. a) 각주: 저자, 논문이나 책명, (출판정보), 해당 쪽, <인터넷 사이트>, 접속 연월일. 예) 정일웅, “최근 중동세계의 정치변화와 이슬람 선교,” 「신학지남」 통권 제309호

(2011): 30, <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1739977>, 2012년 2월 2일 접속.

예) William R. Cannon, The Book of Acts (Nashville: Upper Room Books, 1989), 50, <http://www.religion-online.org/showbook.asp?title=693>, accessed 1 Feb. 2012.

예) C. Kavin Rowe, “Reading World Upside Down: A Response to Matthew Sleeman and John Barclay,”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33 (2011): 335 <http://web.ebscohost.com/ehost/detail?sid=abeddc1d-2795-4495-ac37-fe075f462b61%40sessionmgr112&vid=4&hid=123>, accessed 1 Feb. 2012.

Page 11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0 -

b) 참고문헌: 저자. 논문이나 책명. 출판정보. <인터넷 사이트>. 접속 연월일. 예) 정일웅. “최근 중동세계의 정치변화와 이슬람 선교.” 「신학지남」 통권 제309호

(2011): 19-36. <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1739977>. 2012년 2월 2일 접속.

예) Cannon, William R. The Book of Acts. Nashville: Upper Room Books, 1989. <http://www.religion-online.org/showbook.asp?title=693>. Accessed 1 Feb. 2012.

예) Rowe, C. Kavin. “Reading World Upside Down: A Response to Matthew Sleeman and John Barclay.”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33 (2011): 335-346. <http://web.ebscohost.com/ehost/detail?sid=abeddc1d-2795-4495-ac37-fe075f462b61%40sessionmgr112&vid=4&hid=123>. Accessed 1 Feb. 2012.

2) 학술발표 자료를 위해서는 ‘학술지 명, 권수, 출판연도’대신 ‘학회 명, 발표지, 발표연월일’을 기입한다.

a) 각주: 저자, “논문” (학회 명, 발표지, 발표연월일), 해당 쪽. 예) 이관직, “에스더서 등장 인물들에 대한 심리분석” (실천신학 교수 학술발표회, 총

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년 11월 10일), 7.

b) 참고문헌: 저자. “논문.” 학회 명, 발표지, 발표연월일, 논문 전체 쪽. 예) 이관직. “에스더서 등장 인물들에 대한 심리분석.” 실천신학 교수 학술발표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년 11월 10일, 1-18.

3) 강의안에는 ‘과목 명, 강의개설학교명, 해당학기’를 기입한다. a) 각주: 저자, “강의안 제목” (과목 명, 강의개설학교명, 해당학기), 해당 쪽. 예) 정훈택, “공관복음” (공관복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년 1학기), 37.

b) 참고문헌: 저자. “강의안 제목.” 과목 명, 강의개설학교명, 해당학기. 예) 정훈택. “공관복음.” 공관복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년 1학기.

10. 표와 그림 표나 그림을 통해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표현할 경우에는 번호와 제목을 달고 그 아

래에 표나 그림을 넣는다. 번호는 ‘논문 장 번호’와 ‘해당 장 내의 일련번호’를 사용하여 <표 1-1>, [그림 1-1]과 같이 만든다. 표와 그림은 본문에 맞추어 양쪽정렬시킨다. 표 제목은 표 크기에 맞춰 표 위에 왼쪽 정렬하고, 그림 제목은 그림 아래에 중앙 정렬한다. 표와 그림에 각주를 달 때에는 ‘영어 알파벳 소문자 이탤릭 위 첨자’를 해당 낱말 뒤에 붙인 후, 표나 그림 아래에 각주를 단다. 표(나 그림)의 내용각주는 표(나 그림)의 각주 아래에 ‘주:’를 붙이고 단다. 각주와 내용각주는 표나 그림 크기를 고려하여 왼쪽 정렬시킨다. 다른 연구자의 연구물에서 표나 그림을 인용할 경우, 연구자로부터 허락을 받고 표나 그림의 하단에 출처를 밝힌다.

예) <표 2-4> 교육 관련 컴퓨터, 인터넷을 이용(종합)

Page 11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1 -

구분 문항사례수

1a 2b 3 4 5

전 체 233 2.26 2.91 2.55 3.32 2.91

소속별신학대학원 191 2.27 2.90 2.57 3.29 2.90

신학원 42 2.24 2.95 2.48 3.45 2.95

a 문항 1의 질문은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궁금증을 직접 해결한 경험이 있다.”이다.

b 문항 2의 질문은 “커뮤니티 등이나 사이버선생님을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궁금증에 대해 직접 상담 받은 경험이 있다.”이다.

주: 이 표는 조인진, “신학대학원생들의 교육정보화 수준 진단,” 「신학지남」 통권 제302호 (2010): 120쪽에 있는 표를 수정하여 만든 것이다.

11. 각주 양식의 보기 김지찬, 『언어의 직공이 되라』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77. 류응렬, “예수님처럼 설교하라?: 크래독의 설교신학과 평가,” 「신학지남」 통권 301호

(2009): 155. 박건택 외 3인, 『자끄엘륄 사상 입문: 현대문명비판과 새로운 기독교』, 개정증보판

(서울: 다산글방, 2003), 53. 유재원 편, 『원어번역 주석 성경: 오경편』 (서울: 양문, 1991), 32. 이한수, 『신약은 성령을 어떻게 말하는가』 (서울: 이레서원, 2002), 77. 정훈택, 『새로 번역한 공관복음 대조성경』 (서울: 민영사, 2008), 31. A. O. Bellis, “Poetic Structure and Intertextual Logic in Jeremiah 50,” in Troubling

Jeremiah, eds. A. R. P. Diamond, K. M. O’Connor and L. Stulman, JSOTSup, 260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9), 179.

James Montgomery Boice, “Foreword to John Calvin,” in Sermons on Psalm 119 by John Calvin (Audubon, NJ.: Old Paths Publications, 1996), 45.

William J. Bouwsma, John Calvin: Sixteenth Century Portrai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56.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d. John McNeill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78.

Steven J. Lawson, The Expository Genius of John Calvin (Orlando: Reformation Trust Publishing, 2007), 34.

John H. Leith, “Calvin’s Doctrine of Proclamation of the Word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in John Calvin and the Church: A Prism of Reform, ed. Timothy George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0), 68.

Richard Muller, The Unaccommodated Calvin: Studies in the Foundation of a Theological Tra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5.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I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4), 78.

Don Swanson, “Dialogue with a Catalogue,” Library Quarterly 10 (2008): 40. John L. Thompson, “Calvin as a Biblical Interpreter,” in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ed. Donald K. McKi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98.

Page 11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2 -

12. 참고문헌 양식의 보기 김상훈. 『해석 매뉴얼: 성경해석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그리심, 2003. 김성태. 『북방선교의 실상: 중국의 가정교회와 북한의 지하교회를 찾아서』. 서울: 생

명의 말씀사, 1994. 심상법. 『바울의 영성: 떨림(십자가)․울림(윤리)․어울림(공동체)』.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6. 안인섭.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를 위한 신학』. 서울: 그리심, 2009. Boice, James Montgomery. “Foreword to John Calvin.” In Sermons on Psalm 119

by John Calvin. Audubon, NJ.: Old Paths Publications, 1996. Bouwsma, William J. John Calvin: Sixteenth Century Portrai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Calvin, Joh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d. John McNeill.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Evans, G. R., ed. The First Christian Theologians: An Introduction to Theology in

the Early Church. The Great Theologians. Oxford, UK; Malden, MA: Blackwell Pub., 2004; 박영실 역, 『초대교회의 신학자들』. 서울: 그리심, 2008.

Lawson, Steven J. The Expository Genius of John Calvin. Orlando: Reformation Trust Publishing, 2007.

Leith, John H. “Calvin’s Doctrine of Proclamation of the Word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In John Calvin and the Church: A Prism of Reform. Ed. Timothy George.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0.

Muller, Richard. The Unaccommodated Calvin: Studies in the Foundation of a Theological Tra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Schaff, Philip.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I.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4.

Swanson, Don. “Dialogue with a Catalogue.” Library Quarterly 10 (2008): 30-50. Van Til, Cornelius. An Introu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Defense of Biblical

Christianity, 5. Phi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1978; 이승구․강웅산 역. 『(코넬리우스 반틸의) 조직신학서론: 계시, 성경, 하나님의 서문』. 서울: 크리스챤 출판사, 2009.

IV. 각주 및 참고문헌 방식 2: 저자-발행년 형식

인용되는 자료에 대한 표기를 각주에 하지 않고 ‘본문 내’에 하고, 자세한 정보는 ‘참고문헌’에 기재하는 방식이다. 이 형식을 따를 경우에도, 내용각주는 ‘저자-제목 형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재한다. 각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문장이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문장이 너무 많이 끊어지는 경우, 내용 각주를 달고 거기에 같은 방식으로 출처를 인용하는 것이 좋다. 인용문은 본문에서 사고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킨다. 인용문의 기본형식은 (저자 출판연도, 해당 쪽)으로 하되, 책 전체를 지칭할 때는 (저자 출판연도)만으로 표기하고, 본문 중에 저자명이나 출판연도가 표기되어 있을 때는 인용문에서 이것들을 생략한다. 동일저자의 동일연도의 출판물이 여러 개일 때에는 출판연도 뒤에 발행일 순서에 따라 a, b, c, 등을 부기한다. 다른 저자의 여러 자료를 함께 인용할 때나, 동일저자의 여러 저작을 함께 인용할 때는 자료 사이에 세미콜론(;)을 두어 구별한다.

Page 11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3 -

자료의 순서는 연도순이나 가나다(알파벳)순으로 한다.

1. 일반원칙 1) 약식정보 저자-발행년 형식의 경우, 인용각주에 자료정보를 제공할 때 약식정보가 필요 없다.

2) 개정판 수를 표기할 경우 a) 본문/각주 예) (Van Til 1967, 52-54)

b) 참고문헌 예) Van Til, Cornelius. (1967). The Defense of the Faith(3d ed). Phillipsburg: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3) 참고문헌 a) 순서: 먼저 한글 서적을 기록하고, 다음에 외국어 서적을 기록한다. 한글은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기록하고, 외국서적은 저자명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기록한다.

b) 문단모양 ① 첫줄에는 저자명만 쓰고, 둘째 줄부터 왼쪽 여백을 3자(30pt) 만큼 두도록 한다. ② 탭(Tab)키를 사용하여 발행년 이후 정보를 둘째 줄로 내리면 된다. 이 파일의 스타

일을 사용하여 편집할 경우, 첫줄은 ‘참고문헌(Bibliography)’ 스타일을, 둘째 줄부터는 ‘참고문헌2(Bibliography2)’ 스타일을 적용하면 된다. ‘참고문헌2’ 스타일은 왼쪽여백이 3자(30pt) 만큼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4) 동일 저자의 저작물이 여럿인 경우에도, 저자의 이름은 한 번만 기록한다. 동일저자의 동일연도의 출판물이 여러 개일 때에는 출판연도 뒤에 발행일 순서에 따라 a, b, c, 등을 부기한다.

5) 본문 예시 여러 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반대한다(Haenchen 1971, 395; Jervell 1998, 341). 마

샬에 따르면, 이는“일반적인 자기 부인이나 순교를 가리킬 수 있다”(마샬, 1978: 374).

6) 참고문헌 예시 이관직. (2005). 찬송과 목회상담. 서울: 생명의 말씀사. Haenchen, Ernst. (1971). The Acts of the Apostles: A Commentary. Trans. B. Noble

et al. Oxford: Basil Blackwell. Marshall, I. Howard. (1978). The Gospel of Luke: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NIGTC. Exeter: Paternoster.

2. 단행본 1) 한글 단행본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정일웅, 2005)

Page 11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4 -

예) (김길성, 2010) 직접 인용 시 쪽수도 함께 기재한다. 예) (김길성, 2010: 36-39) ※ 반복 인용 시 ibid,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해서 기록한다. (저자명, 출판연

도, 해당 쪽)으로 표기한다. 예) (김길성, 2010). 예) (김길성, 2010).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책명. 출판지: 출판사. 예) 정일웅. (2005). 기독교 예배학 개론. 서울: 범지출판사. 예) 김길성. (2010). 개혁신학과 교회(개정판). 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c) 편찬자는 저자와 동일하게 이름만 표기한다. ① 본문/각주 예: (유재원, 1991) ② 참고문헌 예: 유재원 편. (1991). 원어번역 주석 성경: 오경편. 서울: 양문.

2) 외국 단행본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Berkouwer, 1955) ※ 반복 인용 시 ibid,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해서 기록한다. 저자의 성(last

name)만 적는다. 예) (Berkouwer, 1955). 예) (Berkouwer, 1955).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책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예) Berkouwer, G. C. (1955). General Revelation. Grand Rapids: Eerdmans.

3. 번역서 1) 외국어 ➡ 한글 번역서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Rogers, 1992) ※ 반복 인용 시 저자의 성(last name), 출판연도를 적는다. 예) (Rogers, 1992)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원서 명(이탤릭체). 출판지: 출판사; 역자. 출판연도. (번역서 명). 출판자: 출판사.

예) Rogers, Cleon L. (1992). The Topical Josephus: Historical Accounts that Shed Light on the Bible. Grand Rapids: Zondervan; 김정우 역. 2000. (성경을 비추는 역사서) 요세푸스. 서울: 엠마오.

2) 외국어 ➡ 외국어 번역서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Calvin, 1950) ※ 반복 인용시 ibid, 전게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반복해서 기록한다. 저자의 성(last

name) 만 적는다.

Page 11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5 -

예) (Calvin, 1950)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번역서 명(Trans.) 역자. 출판지: 출판사. 예) Calvin, John. (1950). The Deity of Christ and Other Sermons(Trans.). Leroy

Nixon. Grand Rapids: Eerdmans.

4.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 한글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이상원, 2006)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명. 학술지, 권수, 논문 전체 쪽. 예) 이상원. (2006). 배아줄기세포추출은 현대판 몰록신 숭배. 신학지남, 286,

139-173.

2) 외국어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해당 쪽) 예) (Swanson, 2008, 30-31) ※ 반복 인용 시 (저자의 성[last name] 출판연도: 해당 쪽)을 적는다. 예) (Swanson, 2008)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 학술지 명, 권수, 논문전체 쪽. 예) Swanson, Don. (2008). Dialogue with a Catalogue. Library Quarterly, 10, 30-50.

5. 편집지 논문 1) 한글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조세희, 1977)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명. 책명. 편집자 편(논문 전체 쪽). 출판지: 출판사. 예) 조세희. (1977).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 이상문학수상 작품집. 문학사상가 편(pp.

110-125). 서울: 문학사상사.

2) 외국어 a) 본문/각주 ① 기본형식: (저자, 출판연도). 예) (Knudsen, 1982) 예) (Robinson, 2005) ② 편찬자가 편찬지 내에 쓴 글임을 표기 할 경우, 논문명 뒤에 연도를 쓴다. 예) (Bauckham, 1988)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 In 편집자명, 책명(해당 논문의 전체 쪽수). 출판지: 출판사.

예) Bjork, A. (1989). Retrieval inhibition as an adaptive mechanism in human memory. In

Page 11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6 -

H.L. Roediger & F.I.Craik (Eds.), Varieties of memory and consciousness(pp. 309-330). Hillsdale, NJ: Erlbaum.

6. 학위논문 1) 한글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이상웅, 2008)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명. 학위, 학교, 도시명. 예) 이상웅. (2008). 조나단에드워즈의 성령론 연구. 철학박사학위, 총신대학교, 서울.

2) 외국어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Hansen, 1998)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명. 학위, 학교, 도시명. 예) Hansen, G. N. (1998). John Calvin and the Non-literal Interpretation

Scripture. Ph. 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

7. 재인용 1) 본문/각주: 원본 서지사항; 재인용한 책의 서지사항을 표기하고 “에서 재인용”을 덧붙

인다. 예) (Kostenberger & O’Brien, 2001; 채은수, 2010: 135에서 재인용)

2) 참고문헌: 원본은 표기하지 않고, 재인용한 책만 표기한다. 예) 채은수. (2010). 신약성경 저자들의 세계선교지평(I). 신학지남, 통권 303호,

133-197.

8. 고전 인용(본문/각주) 인용한 쪽을 쓰지 않고 권과 장과 절을 쓴다. 권.장.절은 아라비아 숫자로 기록한다.

(저자, 출판연도, 권.장.절.) 예) (Calvin, 1960, 1.2.1.)

9. 기타 자료 1) 인터넷에 게재된 단행본이나 논문의 경우, 본문/각주는 일반적인 형식과 동일하게 기

재하고, 참고문헌에는 일반적인 형식에 <인터넷 사이트>와 접속 연월일을 덧붙인다. a) 본문/각주: (저자, 출판연도) 예) (정일웅, 2011) 예) (Cannon, 1989) 예) (Rowe, 2011)

b) 참고문헌: 저자. 출판연도. 논문이나 책명. 출판연도를 제외한 출판정보. <인터넷 사이트>. 접속 연월일.

예) 정일웅. (2011). 최근 중동세계의 정치변화와 이슬람 선교. 신학지남, 통권 309호, 19-36. <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1739977>. 2012년 2

Page 12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7 -

월 2일 접속. 예) Cannon, William R. (1989). The Book of Acts. Nashville: Upper Room Books.

<http://www.religion-online.org/showbook.asp?title=693>. Accessed 1 Feb. 2012.

예) Rowe, C. Kavin. (2011). Reading World Upside Down: A Response to Matthew Sleeman and John Barclay.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33, 335-346. <http://web.ebscohost.com/ehost/detail?sid=abeddc1d-2795-4495-ac37-fe075f462b61%40sessionmgr112&vid=4&hid=123>. Accessed 1 Feb. 2012.

2) 학술발표 자료를 위해서는 ‘학술지 명, 권수, 출판연도’대신 ‘학회 명, 발표지, 발표연월일’을 기입한다.

a) 본문/각주: (저자, 발표연도) 예) (이관직, 2011)

b) 참고문헌: 저자. 발표연도. 논문명. 학술발표집명. 발표지쪽수. -출간된 논문집의 경우 저자. 발표연도. 논문명. 학술대회명. 장소. -미출간된 논문집의 경우 예) Cynx, J., William, H., & Nottlebohm, F. (1992). Hemispheric differences in

avian song discrimin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89, 1372-1375.

Lanktree, C., & Briere, J. (1991, January). Early data on the trauma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TSC-C).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 San Diego, CA.

3) 강의안에는 ‘과목 명, 해당학기’를 기입한다. a) 본문/각주: (저자, 해당학기연도) 예) (정훈택, 2008)

b) 참고문헌: 저자. 해당학기연도. 강의안 제목. 과목 명, 강의개설학교명, 해당학기. 예) 정훈택. (2008). 공관복음. 공관복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학기.

10. 표와 그림 표나 그림을 통해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표현할 경우에는 번호와 제목을 달고 그 아

래에 표나 그림을 넣는다. 번호는 ‘논문 장 번호’와 ‘해당 장 내의 일련번호’를 사용하여 <표 1-1>, [그림 1-1]과 같이 만든다. 표와 그림은 본문에 맞추어 양쪽정렬시킨다. 표 제목은 표 크기에 맞춰 표 위에 왼쪽 정렬하고, 그림 제목은 그림 아래에 중앙 정렬한다. 표와 그림에 각주를 달 때에는 ‘영어 알파벳 소문자 이탤릭 위 첨자’를 해당 낱말 뒤에 붙인 후, 표나 그림 아래에 각주를 단다. 표(나 그림)의 내용각주는 표(나 그림)의 각주 아래에 ‘주:’를 붙이고 단다. 각주와 내용각주는 표나 그림 크기를 고려하여 왼쪽 정렬시킨다. 다른 연구자의 연구물에서 표나 그림을 인용할 경우, 연구자로부터 허락을 받고 표나 그림의 하단에 출처를 밝힌다.

Page 12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8 -

예) <표 2-4> 교육 관련 컴퓨터, 인터넷을 이용(종합)

구분 문항사례수

1a 2b 3 4 5

전 체 233 2.26 2.91 2.55 3.32 2.91

소속별신학대학원 191 2.27 2.90 2.57 3.29 2.90

신학원 42 2.24 2.95 2.48 3.45 2.95

a 문항 1의 질문은 “교육용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궁금증을 직접 해결한 경험이 있다.”이다.

b 문항 2의 질문은 “커뮤니티 등이나 사이버선생님을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궁금증에 대해 직접 상담 받은 경험이 있다.”이다.

주: 이 표는 조인진(2010: 120)에 있는 표를 수정하여 만든 것이다.

11. 참고문헌 양식의 보기 김창훈. (2005). 복음의 본질과 복음의 핵심: 마가복음의 바른 이해와 설교(The

Essence of the Gospel). 서울: 솔로몬.

박용규. (2009a). 개혁주의 역사신학적 입장에서 본 12신조. 신학지남, 통권 298호, 81-139.

(2009b). 미국과 한국 개혁주의운동, 그 역사적 개관. 신학지남, 통권 301호, 93-129.

박형대. (2010). 사도행전에 소개된 예루살렘 교회의 변화에 대한 소고. 신학지남, 통권 303호, 107-132.

임경철. (2008).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보는 선교학의 나아갈 길. 신학지남, 통권 295호, 112-126.

Bouwsma, William J. (1988). John Calvin: Sixteenth Century Portrai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Bjork, A. (1989). Retrieval inhibition as an adaptive mechanism in human memory. In H.L. Roediger & F.I.Craik (Eds.), Varieties of memory and consciousness(pp. 309-330). Hillsdale, NJ: Erlbaum.

Lawson, Steven J. (2007). The Expository Genius of John Calvin. Orlando: Reformation Trust Publishing.

Muller, Richard. (2000). The Unaccommodated Calvin: Studies in the Foundation of a Theological Tra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Schaff, Philip. (1984).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I.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Swanson, Don. (2008). Dialogue with a Catalogue. Library Quarterly, 10, 30-50.

Page 12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19 -

[별지서식 1호(겉표지)]

가로: 220밀리미터[A4용지보다 1센티미터 더 길게]

(1) 논문제목이 두 줄에 걸칠 때에는 사이간격을 2센티미터로 한다.

(2) 겉표지 왼쪽 상단의 학년도는 졸업학년도를 기입한다.

(예: 2012년 2월 또는 8월 학위수여자의 경우 ‘2011학년도’로 표시한다.)

[

여백 4

센티미터]

논문제목 제

출자명[

여백4센티미터]

[

왼쪽 여

백 3·5센티미터]

[위쪽 여백 3.5센티미터]

○○○○학년도[‘제목1’ 스타일, 왼쪽 정렬]○○학위청구논문[‘제목1’ 스타일, 왼쪽 정렬]

[논문제목 위쪽 여백 7센티미터]○○○○○○○

[‘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학과 ○○전공[‘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제출자명[‘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아래쪽 여백 3.5센티미터]

[오른쪽 여

백 3

센티미터]

세로:

307센티미터[

A4용지보다 1센티미터 더 길게]

Page 12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0 -

[별지서식 2호(속표지)]

가로: 210센티미터

(1) 논문제목이 두 줄에 걸칠 때에는 사이간격을 2센티미터로 한다.

(2) 속표지 왼쪽 상단의 학년도는 졸업학년도를 기입한다.

(예: 2012년 2월 또는 8월 학위수여자의 경우 ‘2011학년도’로 표시한다.)

[

왼쪽 여

백 3

센티미터]

[위쪽 여백 3센티미터]

○○○○학년도[‘제목1’ 스타일, 왼쪽 정렬]○○학위청구논문[‘제목1’ 스타일, 왼쪽 정렬]

[논문제목 위쪽 여백 6.5센티미터]○○○○○○○

[‘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학과 ○○전공[‘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제출자명[‘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아래쪽 여백 2센티미터][꼬리말 여백 1센티미터]

[

오른쪽 여

백 2·5센티미터]

세로: 297밀리미터

Page 12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1 -

[별지서식 3호(논문제출서)]

가로: 210밀리미터

[

왼쪽 여

백 3

센티미터]

[논문제목 위쪽 여백 4센티미터]○○○○○○○

[‘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지도교수 ○ ○ ○[‘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이 논문을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위 문단과의 사이간격 3센티미터]년 월 일

[‘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위 문단과의 사이간격 3센티미터]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학과 ○○전공[‘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제출자명[‘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아래쪽 여백 2센티미터][꼬리말 여백 1센티미터]

[

오른쪽 여

백 2·5센티미터]

세로: 297밀리미터

Page 12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2 -

[별지서식 4호(학위인준서)]

가로: 210밀리미터

[

왼쪽 여

백 3

센티미터]

[위쪽 여백 3센티미터]

○○○의 ○○학위 논문을 인준함.[‘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심사위원 ○ ○ ○ (인)심사위원 ○ ○ ○ (인)심사위원 ○ ○ ○ (인)심사위원 ○ ○ ○ (인)심사위원 ○ ○ ○ (인)[‘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년 월 일[‘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위 문단과의 사이간격 3센티미터]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논문제목’ 스타일, 중앙 정렬]

[아래쪽 여백 2센티미터][꼬리말 여백 1센티미터]

[

오른쪽 여

백 2·5센티미터]

세로: 297밀리미터

Page 12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3 -

[별지서식 5호(본문)]

가로: 210밀리미터

(1) 본문 쪽 수는 꼬리말에 넣어 하단에 중앙 정렬시킨다.

[

왼쪽 여

백 3

센티미터]

[머리말 0센티미터][위쪽 여백 3센티미터]

[아래쪽 여백 2센티미터][꼬리말 여백 1센티미터]

[

오른쪽 여

백 2·5센티미터]

세로: 297밀리미터

Page 12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4 -

[별지서식 6호(영문초록)]

가로: 210밀리미터

[

왼쪽 여

백 3

센티미터]

[머리말 0센티미터][위쪽 여백 3센티미터]

[논문제목 위쪽 여백 4센티미터]ABSTRACT

[‘제목1’ 스타일, 중앙 정렬]

Kil-dong HongThe Department ofTheologyChongshin UniversityGraduate School

[아래쪽 여백 2센티미터][꼬리말 여백 1센티미터]

[오른쪽 여

백 2·5센티미터]

세로:

297밀리미터

Page 12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5 -

<참조> 논문작성 규격(hwp)

구 분 제목 문 단 용지 여백 비고

논문제목

신명조 18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정렬, 줄간격

200%

-

위 30 mm

아래 20 mm

머리말 0 mm

꼬리말 10 mm

왼쪽 30 mm

오른쪽 25 mm

겉표지, 속표지,

논문제출서,

학위인준서

- -

학위논문 규정 별

지서식 1호, 2호, 3

호, 4호 참조

감사의 글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정렬, 줄간격

200%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양쪽 정렬, 줄간격 200 %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제목과 문단 사이

에 한 줄 띄움.

목차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정렬, 줄간격

200%

장제목 I : 신명조 11P, 진

하게, 장평 95, 자간 2, 왼

쪽정렬, 줄간격 200%, 들

여쓰기 0pt,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절제목 1: 신명조 11P, 보

통, 장평 95, 자간 2, 왼쪽

정렬, 줄간격 200%, 들여

쓰기 15pt,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항제목 1) : 신명조 11P, 보

통, 장평 95, 자간 2, 보통,

왼쪽정렬, 줄간격 200%,

들여쓰기 30pt,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목제목 (1): 신명조 11P, 보

통, 장평 95, 자간 2, 보통,

왼쪽정렬, 줄간격 200%,

들여쓰기 70pt,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제목 : 신명조 11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진하게,

왼쪽정렬, 줄간격 20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Page 12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6 -

표 목차,

그림 목차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정렬, 줄간격

200%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왼쪽 정렬(필요 시

가운데 또는 오른쪽 정렬),

줄간격 200 %,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국문초록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정렬, 줄간격

200%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양쪽정렬, 줄간격

20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들여쓰기 30pt

약어 표기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 정렬, 줄간격

200%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왼쪽정렬, 줄간격 20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본문

장제목 I : 견명조 16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정렬,

줄간격 200%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양쪽정렬, 줄간격 20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들여쓰기 30pt 학위논문규정 별

지서식 5호 참조

절제목 1. : 태고딕 14P, 보통,

장평 95, 자간 2, 왼쪽정렬, 줄

간격 200%, 들여쓰기 2글자

항제목 1) : 태명조, 12P, 보통,

장평 95, 자간 2, 왼쪽정렬, 줄

간격 200%, 들여쓰기 4글자

목제목 (1) : 중고딕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왼쪽정렬, 줄

간격 200%, 들여쓰기 6글자

그 이하 제목은 ①, a) 순으로

한다.

제목은 중고딕 11P, 보통, 장

평 95, 자간 2, 왼쪽정렬, 줄간

격 200%, 들여쓰기 6글자

본문 내 인용문 -

신명조 10P, 보통, 장평 95,

자간 2,

양쪽정렬, 줄간격 16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여백

4pt,

들여쓰기 30pt

표, 그림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

간 2, 왼쪽정렬

신명조 9P, 보통, 장평 95,

자간 2왼쪽 정렬(필요 시

가운데 또는 오른쪽 정렬),

줄간격 130%,

Page 13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7 -

*한글 프로세서(hwp)에 작성함.

*각 장은 책의 오른쪽 페이지에서 새로 시작함(Ctrl+Enter).

*절 이하의 제목과 문단은 줄을 띠지 않고 붙여 씀.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문단(표, 각주, 인용문 제외)의 줄간격은 180%로, 글자크기는 10.5pt로 조절 가능함.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각주 -

신명조 10P, 보통, 장평 95,

자간 2, 양쪽 정렬, 줄간격

16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내어쓰기 14pt

참고문헌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 정렬, 줄간격

200%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왼쪽 정렬, 줄간격

20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내어쓰기 30pt

제목과 문단 사이

에 한 줄 띄움.

부록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 정렬, 줄간격

200%

-제목과 문단 사이

에 한 줄 띄움.

ABSTRACT

(영문초록)

신명조, 14P, 진하게, 장평 95,

자간 2, 가운데 정렬, 줄간격

200%,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양쪽정렬, 줄간격

200%,

문단모양 왼쪽·오른쪽 여

백 0,

들여쓰기 30pt

제목과 문단 사이

에 한 줄 띄움.

학위논문양식 별

지서식 6호 참조

논문제목: 신명조 11P, 보통,

장평 95, 자간 2, 가운데 정렬,

줄간격 200%

이름, 전공, 소속명: 신명조

11P, 장평 95, 자간 2, 오른쪽

정렬, 줄간격 200%

Page 13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8 -

4.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비 지급 규정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이하 “대학원”이라 한다) 학생에게 창의적인 연구활동 증진과 연구환경을 지원하는 학생 연구활동 지원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대상) 이 규정의 적용대상은 본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제3조(적용범위) 학생 연구활동 지원비는 대학원생이 학문 연구를 위하여 학술지 논문게재에 참여하거나 학술세미나 및 학회에 참석하여 연구활동을 하였을 경우 지급한다.

제4조(지원금 지급유형) 학생 연구활동 지원비는 소속 대학원장의 결재를 득한 후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하여 지급한다. 1. 대학원생이 학술지 논문 게재에 참여한 경우

① 한국연구재단 등재 또는 등재후보 학술지 게재 논문에 참여한 경우에는 편당 30만원을 지급한다.2. 전국 규모 이상의 학회에서 주관하는 학술대회(세미나, 워크샵)에 참여하는 경우➀ 참여하여 발표하는 경우 4만원을 지급한다.➁ 단순참여하는 경우에는 실참가비를 지원한다.

제5조(지원금 지급 제한) 지원금 지급은 다음과 같이 제한한다.① 제4조 제2항의 단순참여에 대한 실참가비 지원은 한 학기에 3만원 이내로 한다.

➁ 학회 입회비 및 참가비 이외의 경비로 지급한 경우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제6조(지원비 신청) 지원비는 다음의 서류를 갖추어 대학원 교학과로 논문 게재(게재확정) 또는 학술대회 종료 후 신청하여야 한다.

①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지원비 신청서 [별지 제1호 서식]② 학술지 표지, 목차 및 논문 사본, 영수증(원본) 각 1부 (논문 게재자만 해당)③ 참가 영수증 원본 및 학술대회(세미나, 워크샵) 팜플렛 표지 사본 1부(학술대회, 세미나 또는 워크샵 참가 및 발표자만 해당)④ 게재예정증명서(논문 게재예정 확정자 중 게재 시기가 졸업 이후인 자만 해당)

제7조(기타) 이 규정의 개정은 통합대학원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며 미비사항은 별도의 결의로 시행한다.

부 칙① (시행일) 이 규정은 200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② (시행일) 이 규정은 2016년 2월 19일부터 시행한다.

Page 13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29 -

[별지 제1호 서식]

대학원 학생 연구활동 지원비 신청서

소 속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선교대학원 □상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교회음악대학원

성 명 학번학과(전공)

연락처(집)

(H.P.)입금계좌번호

은 행 명 :

계좌번호 :

예금주(본인) :

구분

논문게재

□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 게재 논문에 참여한 경우

□ 전국규모 학술지 게재 논문에 참여한 경우

□ 교내학술지 게재 논문에 참여한 경우(신학지남 등)

학술대회(세미나) 참여

1. 학술대회명 :

2. 주관기관 :

3. 관련교수 :

4. 학술대회일시 :

5. 학술대회장소 :

게재논문

제목 또는

학술대회

주제

첨부서류 ➀ 논문 게재의 경우: 논문표지, 목차, 논문 사본, 영수증(원본) 1부 ➁ 학술대회 단순참석 또는 발표의 경우: 학술대회(세미나 또는 워크샵) 팜플렛 표지, 참가영수증(원본) 사본 1부 ➂ 학술대회 발표의 경우: 학술대회 팜플렛 표지, 프로그램 사본 각 1부, 참가영수증(원본)

위와 같이 연구활동지원비를 신청합니다.

20 년 월 일

신청인 :

원장 귀하

Page 13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0 -

IV. 도서관 안내

도서관 홈페이지 URL : http://lib.chongshin.ac.kr

1. 도서관 이용시간

l 자료실 이용시간 - 사당

요일 월, 화, 목, 금 수 토

학기 중 09:00 ~ 22:00 09:00 ~ 18:00 휴관

요일 월 ~ 금 토

방학 중하계 09:00 ~ 18:00

휴관동계 09:00 ~ 17:00

l 자료실 이용시간 - 양지

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학기 중 08:00 ~ 22:00 08:00 ~ 17:00 휴관

요일 월 ~ 금 토

방학 중 09:00 ~ 16:30 휴관

l 열람실 이용시간 - 사당

이용시간 06:00 ~ 24:00 5층 열람실은

대학원생 전용휴관일 주일, 성탄절

l 열람실 이용시간 - 양지

이용시간 24시간 개방

휴관일 토요일, 주일, 성탄절

2. 이용자별 대출가능권수 및 대출기간

이용자 구분 대출권수 대출기간

학부생(대학) 5권 1주

대학원생(석사과정) 10권 2주

대학원생(박사과정) 20권 30일

강사 15권 30일

전임교수이상 40권 90일

Page 13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1 -

3. 도서관 각 실별 이용

1) 대출/열람

개가식으로 자유로이 원하는 자료에 접근할 수 있으며 L.C. 분류체계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미의 회

도서관 분류법으로 세부주제는 도서관 홈페이지의 도서관 안내 참조]에 따라 주제별로 배가되어 있다. 서가배열 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형태이며, 같은 주제인 경우는 동서가 양서보다 우선 배열되어 있다. 도서관 곳 곳

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과제물 도서란>을 통하여 학기 중 과제물에 도움

이 되는 자료들을 일반자료보다 단기간으로(학부생 3일, 대학원생 1주일 대출 / 연장불가) 순환시킴으로써 더욱 많

은 이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신착도서>코너를 마련하여 새로 들어오는 자료는 별도로 배

치,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2) 전자정보실

CD, DVD, VCD, 오디오 자료 등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음악감상, 영화감상, 어학훈련, 교육용 등으로 제공하고 있으

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접근을 지원한다. 또한 국회도서관과의 협정을 통해 3대의 국회도서관 자료검색 전용 단말기

를 설치하여 학위논문을 포함한 원문 자료들을 검색할 수 있다. 국회도서관 자료검색 전용단말기에서 국립중앙도서

관 원문 자료도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들의 독서활동 강화를 위해서 <총신 추천도서>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경제, 과학, 교육, 기독교, 문학, 역

사, 예술, 인문사회, 지리, 철학 등 10개 분야의 인문․교양 교수추천도서 117권이 비치되어 있어 관내 열람이 가능

하고, 대출은 불가하다.

3) 참고봉사실

참고봉사실은 23,000여권의 각종 사전류, 연감류, 법령, 통계자료와 지도 등이 LC분류체계에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이용자들이 수시로 참고하는 자료들로 관외대출이 금지되나 무인복사기가 있어 자료의 복사는 가능하다. 또한 참고

자료 외에도 학위논문/정기간행물/요람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학기 중 수업에 활용되는 지정도서는 이용이 많기 때

문에 특별히 <지정도서제도>를 시행하여 대출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도서관에서 항상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

으 며, 본도서관에 소장하고 있지 않은 국내 자료에 대해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를 통하여 상호대차 및 문

헌복 사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4) 사서실(정리실)

자료의 수서(구입), 정리(분류 및 목록) 업무를 하고 있다.

5) 자료실 출입

재학생은 학생증, 졸업생은 졸업증명서와 신분증이나 특별대출증으로 자료실 출입이 가능하다.

Page 13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2 -

4. 도서관 소장 자료 검색

1) 통합검색

찾고자 하는 단어가 제목, 지은이, 출판사 등 어디에 있든지 상관없이 검색할 수 있다. 단, 2개 이상의 단어가 같

이 들어간 자료를 찾고 싶을 땐 결과 내 재검색을 이용하도록 한다.

2) 단순검색

l 제목, 지은이, 출판사로 검색할 수 있으며 처음의 단어를 입력하면 중간에 내용을 생략하더라도 절단된 내용을

포함하여 검색한다. 단, 지은이로 검색할 때에는 서양인의 경우 반드시 이름과 성을 도치하여 검색한다. 예) Jean

Calvin은 Calvin, Jean으로 검색

l 서명, 서명키워드, 저자명, 저자명키워드, 주제명, 주제명키워드 등 12가지 검색 포인트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발행연도 제한도 가능하다. 특히 동서, 양서에 상관없이 특정한 자료를 모두 검색하고 싶다면 주제명으로 검색한

다. 단, 주제명은 영문으로만 검색할 수 있다. 지은이가 서양인인 경우에는 이름을 한글로 입력할 경우보다 영문

으로 입력할 경우에 더 많은 자료가 검색되므로 가능한 영문으로 검색하도록 한다. 예) 저자명에서 융, 칼 (생략)

검색결과 6건. Jung, Carl (생략) 검색결과 9건

3) 상세검색

내용은 단순검색과 동일하나 불리언 연산(AND, OR)검색이 가능하다.

4) 학위논문검색

상세검색과 동일하나‘출판사’라는 검색 포인트에 학위논문 발행대학교를 입력한다.

5) 비도서 자료 검색

l DVD/VCD/Audio-CD등을 검색할 수 있다. 자료명, 자료명 키워드, 인명, 인명키워드, 주제어, 주제어키워드, 제작

사 등으로 검색할 수 있다. 즉, 영화자료인 경우 영화명(원어로도 검색가능)/주연/감독명 등으로 검색할 수 있으

며, 음악자료인 경우 음반명/수록된 곡명/작곡자/연주자/연주단체/성악자/지휘자 등으로 검색가능하다. 멀티미디

어 리스트도 각 주제별로 제공된다.

l 음반자료인 경우는 한글보다 영문, 혹은 자료의 원어명으로 검색하면 더욱 많은 자료가 검색된다. 예) ‘아이다’

검색결과 3건, 'Aida' 검색결과 15건

6) 신착자료 조회

새로 들어온 자료들을 기간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결과에서 자료의 청구번호를 즉시 확인, 이용할 수 있다. 단,

참고사항에 ‘배가중’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아직 정리중인 자료이다.

Page 13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3 -

5. 자료의 대출/반납/예약

1) 일반자료(단행본) 대출

자료검색 후 자료의 상세사항에 있는 청구기호(적색으로 표시)로 서가에서 자료를 찾아 대출대에서 학생증과 함께

제출하여 대출한다.

2) 과제물도서 대출

대출방식은 위의 단행본과 동일하나 대출기간이 학부생 3일, 대학원생 1주일로 제한되며 자료연장은 불가하다.

3) 비도서 자료 이용

검색 후 청구기호를 전자정보실 담당자에게 알려주고 학생증을 제출한다. 자료를 받아 관내에서 이용한다.

4) 반납

l 일반자료와 과제물자료는 자동반납기로 이용자가 직접 반납하며, 비도서 자료는 담당자에게 반납한다. 반납 시에

는 반드시 모니터를 확인하여 연체에 따른 대출정지기간이 있는지, 아직 반납하지 않은 자료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도록 한다. 예약된 자료는 예약자료 메시지가 뜬다. (예약자료는 대출실 담당자에게 줄 것)

l 당일 반납도서를 계속 대출하고 싶은 경우 당일 대출이 가능하다(단, 예약자가 없는 경우에 한함).

l 도서관의 시스템은 도서와 비도서 자료가 통합적으로 운영되므로 도서 연체자는 비도서 자료 또한 이용이 제한

된다. 연체자료수×연체일의 기간 동안 대출/갱신/예약 등의 모든 서비스가 불가하다.

5) 예약

원하는 자료를 검색했을 때 자료가 이미 대출된 경우 다음 이용을 위해 예약할 수 있다. 먼저 로그인을 한다. 자료

의 상세사항 하단에 ‘대출중, 반납예정일’이 뜨고, 예약을 원할 시에는 우측의 ‘예약’버튼을 클릭한다. My search list

화면에 ‘예약완료되었습니다’라고 메시지가 뜬다. 예약했던 자료가 반납된 경우에는 ‘대출불가, 예약도착도서, 보관

기간’이 뜬다. 예약 자료는 <자료가 반납된 날로부터 2박 3일간만> 보관되고,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예약이 해

지되므로 자료가 도착되었는지 수시로 웹상이나 모바일 어플에서 확인하고, 기간 안에 대출창구에서 대출하여야 한

다. 예약자료가 도착하자마자 핸드폰으로 SMS문자서비스로 통보된다(반드시 My Library - 개인정보관리에서 핸드폰

번호를 기입할 것). 예약은 한 자료당 2명, 1인당 2자료에 한하여 가능하다.

6. 이용자 서비스: Log-in 필요

1) 로그-인

도서관 홈페이지의 이용자 서비스 메뉴에 있는 사항들은 모두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이며 메뉴를 클릭하면 ID와

Password를 요구하게 된다. ID와 PW는 학사로그인과 동일하다.

2) 대출 연장/ 조회

이용자 서비스 메뉴 중 [대출연장/조회]를 선택, 본인이 대출한 자료와 반납일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장을 원할

때는 화면 오른쪽의 [연장]을 클릭한다. 단, 연장은 1회에 한해서만 가능하며, 연장을 시행한 날로부터 기간(대출기

간)이 계산된다. ※과제물도서와 예약된 자료는 연장 불가함.

Page 13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4 -

3) 희망자료 신청

희망하는 자료의 서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등은 필수적으로 기입해야 한다. 원하는 자료가 비도서인 경우는 참

고사항에 그 사항을 기입하고 자료가 도착했는지를 통보받기 위해서 개인정보입력란에 반드시 E-mail주소를 기입한

다. 개인별로 한 학기에 5권 신청 가능하다.

4) 원문복사 서비스 신청/조회

국내 590여개 회원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문헌복사 및 상호대차 서비스를 신청, 조회할 수 있다. 본 서비

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개인회원으로 먼저 RISS에 가입하여야 한다. 단, RISS 웹사이트

에서의 가입은 '가등록'이 되므로 도서관 참고봉사실 담당자를 통해 정식 등록과정을 거쳐야 한다.

5) 타 기관 열람의뢰서 발급

타기관의 도서관 및 자료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도서관에서 타 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열람의뢰서를

발급받아 해당 기관에 제시하여야 한다.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자서비스에서 타기관 열람의뢰서 양식을 입력하여 인

쇄한 후 제출하도록 한다.

7. 학위논문 원문보기

1) dCollection 본교 학위논문 원문서비스

도서관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링크된 dCollection 사이트에서 본교 학위논문(2003년 이후) 원문 및 교내학술지 원문

을 이용할 수 있다.

2) 국회도서관 학위논문 원문서비스

국회도서관에서는 학위논문뿐 아니라 각종 학술지 또한 원문으로 구축하고 있다. 서비스 이용은 사당동 캠퍼스에 3

대, 양지캠퍼스에 2대가 설치되어 있는 ‘국회도서관원문서비스’전용단말기에서만 가능하다.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학위논문 원문서비스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메인화면 하단의 ‘RISS’ 링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고,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을 검색

하여 이용할 수 있다. RISS 사이트 상단에 ‘총신대학교’ 표시가 되어야 기관회원으로 접속된 것으로, 기관회원으로

로그인되어 있는지 확인 후 이용하도록 한다.

8. 전자저널 이용 *원문보기를 위해서는 Acrobat Reader 설치필요

1) ATLAS, ASE, RPC, SocINDEX with FT, ES, ERIC

l ATLAS DB는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미국 신학도서관협회(American Theological Library Association)에서 제작

된 데이터베이스로 1,800만 건 이상의 초록과 색인을 제공하는 RDB와 Full-text를 제공하는 ATLA Serials로 구성

되어 있다. ATLA Serials에는 510, 000여건의 전자 기사와 310여종 학술지 전문(full text)이 수록되어 있다.

Page 138: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5 -

l ASE (Academic Search Elite) DB는 전 학문분야를 다루고 있는 DB로, 1985년부터 현재까지 2,100종 이상의 학술

지 전문(full text)이 수록되어 있다. 거의 150종 이상의 저널에는 PDF 이미지가 있으며, 3,650여종의 색인, 초록

을 제공하는 DB이다.

l RPC는 세계종교, 주요종파, 성경연구, 종교사, 인식론, 정치철학, 언어철학, 윤리학, 철학사 등 300여종의 원문을

제공하는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신학과 철학연구에 있어 가장 필수적인 도구이다.

l SocINDEX with FT는 세계에서 가장 방대하고 우수성을 자랑하는 사회학 연구 데이터베이스이다. 20,000개 이상

의 사회학 용어 시소러스에 수록된 주제명 표목과 210만개 이상의 레코드가 들어 있으며, 1908년부터 발간된

860종의 저널과 830종 이상의 도서 및 단행본, 16,800종의 회의 자료 전문(Full Text)이 수록되어 있다.

l ES (Education Source)는 교육학 분야 연구를 지원하는 해외학술 원문 데이터베이스로, 1,990여 종의 저널 원문

을 이용할 수 있다. ERIC에 색인되어 있는 77.14%에 해당하는 911종의 저널을 원문으로 제공한다.

l ERIC은 교육학 분야의 가장 광범위한 서지 DB로서 1966년부터 현재까지 130만 여건 이상의 색인 정보를 수록

하고 있다. Current Index of Journals in Education 및 Resources in Education Index에 포함된 학술지에 수록된

정보도 제공한다.

l ATLAS부터 ERIC까지의 모든 DB는 서로 연동이 되므로 동시 검색 또한 가능하다.

2) EBSCO 전자저널

EBSCOhost 전자저널은 현재 본도서관에서 Paper자료로 구독하고 있는 양서저널 중 on-line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

저널의 원문을 제공한다.

3) Brill Academic Publishers

Brill 출판사에서 출판되는 저널중 종교, 역사학, 지리학, 법학, 고전연구, 아시아연구, 수학, 생물학 등 전자저널 원문

을 제공한다.

4) DBpia 전자저널

교회사연구, 기독교교육정보, 대학과 복음, 사목, 세계의 신학, 성서조선 등 국내 기관의 간행물 DB를 검색 및 원문

열람할 수 있다.

5) 교보문고 스콜라

신약논단, 신학사상 등 국내 학회의 원문을 열람할 수 있으며, 교보문고가 만든 경제, 경영, 공학, 사회과학, 어문, 의·약학,

법학, 인문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학술논문 원문을 열람할 수 있다.

6) KISS 전자저널

국내학회지, 연구소간행물, 대학논문집, 학위논문 등 논문과 아티클 원문을 이용할 수 있다.

7) e-Article 국내학술지

구약논단, 기독교육논총, 복음과 교육, 복음과 상담, 설교 한국등 국내학술지 원문을 이용할 수 있다.

8) 신학지남 Web 원문검색

1918년 창간호부터 현재까지의 자료를 원문으로 이용할 수 있다.(DBpia 사이트 이용)

Page 139: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6 -

9. Web DB 이용

*원문보기를 위해서는 Acrobat Reader 설치필요

1) KOREAA2Z(디지털 문화예술강좌)

한국학에 관한 유용한 정보와 대학인에게 필요한 교양적 자료의 원문을 이용할 수 있고, 문화, 영화, 미술, 음악, 문학등

다양한 주제의 강의를 동영상으로 제공한다.

2) Naxos Music Library

세계적인 클래식 음악 레이블인 Naxos(낙소스)에서 2004년부터 시작하게 된 디지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도

서관 웹사이트에서 낙소스 URL 링크를 클릭하면 접속 가능하다(교내에서는 별도의 로그인 없이 이용할 수 있고, 교

외에서 이용할 경우 로그인후 이용할 수 있다.

3) BOOK ZIP 해외/국내 도서요약 서비스

해외도서, 국내도서 베스트셀러와 신간도서를 요약한 내용으로, 해외도서 오디오 북(다운로드 가능)과“인포그라픽스"

와 "영어회화 VOD"가 함께 제공 된다.

4) PQDT Global(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Global)

전 북미지역(미국) 및 중국, 유럽 일부 지역의 석/박사 학위논문 412만여 건(서지초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95만권에 대한 PDF원문을 제공하는 최대의 해외 석/박사 학위논문 데이터베이스이다.

5) RefWorks

웹 기반 참고문헌 및 연구정보 관리도구로, 국내외학술DB에서 검색한 결과를 레퍼런스 문헌으로 저장하여 개인만의

연구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

6) Classical Scores Library

클래식 음악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포괄적인 온라인 악보 데이터베이스로, 세계적 작곡가의 저

작권이 있는 유명한 악보로 구성되어 있다. 오케스트라, 합창곡, 금관 악기, 목관악기 외 다양한 악기를 위한 기악곡

18,900여 개를 제공한다.

7) EEBO(1473-1700)(Early English Online)

영어로 처음 출판된 해(1473년)부터 1700년대까지 영국과 미국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영문 자료의 원문을 볼 수 있

으며,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종교분야에서는 Calvin, Luther, Knox, Laud를 연구하는데 연구 요구를 충분

히 충족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8) ECCO(1701-1800)(Eighteenth Century Collection Online)

British Library와 Michigan University Library를 위시하여 1,500개 이상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영문 자료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DB로 다운이 가능하며, 검색이 매우 단순하지만 효율적이다.

9) PAO(Periodicals Archive Online)

Page 140: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7 -

인문/예술/사회과학 분야에서 선호도가 높거나 보존가치가 있는 저널에 대해 초판부터의 원문을 제공하는 아카이브

저널 데이터베이스이다.

10) The Vogue Archive

미국판 Vogue지를 초판부터 최신호까지 매월 업데이트하여 제공한다.

11) AVON(Academic Video Online)

학술용으로 선별된 다큐멘터리, 인터뷰, 교습영상, 실습자료, 공연실황, 뉴스 등 5만 편 이상의 전 주제 분야 비디오

스트리밍 컬렉션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10. 이러닝(E-Learning) / 전자책 자료 이용

1) 해커스 인강

어학(토익/토플/텝스/스피킹/IELTS/일반영어/중국어/특수외국어)과 취업에 관한 193개의 강좌를 제공합니다. 월마다

수강신청해서 강의를 들을 수 있으며, 1인당 월 수강신청은 2개 강좌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TOEIC / TOEFL 모의 테스트 서비스

iBT 방식의 토익, 토플 모의고사를 응시할 수 있으며, 응시 완료 즉시 점수를 확인하고 복습하기를 통해 Review할

수 있다. 실제시험의 최신 경향과 난이도를 반영하여 출제되며, 모의고사 이외에도 Daily Study와 토익 리스닝 튜

터, VOA 뉴스 등 부가 콘텐츠도 이용할 수 있다

3) K-MOOC(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란, 누구나, 어디서나, 원하는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서비스로, K-MOOC는 한국형 온

라인 공개강좌 서비스이다. 서울대, KAIST 등 10개 국내 유수대학의 총 27개 강좌를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4) KOCW(Korea Open Course Ware)

고등교육 교수학습자료 공동활용 서비스로, 국내 일반 및 원격대학에서 개발한 우수 고등교육 이러닝 콘텐츠와 해

외 고등교육기관들의 강의 자료를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5) 전자책

교보문고 , 북큐브, EBSCO e-Book, ATLA Collection, Brill e-Book, GVRL, Luthers Werke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이용 가능하며, 교내외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는 도서관

홈페이지 로그인을 한 후에 이용 가능하다. 국내 전자책은 모바일 이용 시 교보문고, 북큐브 각각의 앱을 설치 후

이용 가능하다.

-교보문고 모바일 로그인 : ID/PW 둘 다 ID로 입력

-북큐브 모바일 로그인 : ID/PW 도서관 홈페이지와 동일

Page 141: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8 -

11. 기타 서비스

1) 전자저널 교외접속

l 도서관 컨텐츠에 포함된 대부분의 DB는 교내 네트워크에서 인증 없이 실행되나 교외인 경우에는 도서관 홈페이

지에서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다.

l 로그인에 사용되는 ID와 PW는 학사로그인과 동일하다.

2) 온라인 참고자료

학습 및 학문연구에 도움이 될만한 웹자료들을 제공한다. 헬라어, 히브리어, 성서관련 자료와 통계 등을 참고할 수

있다.

3) 도서관 온라인 이용자교육

이용자들의 효율적인 도서관 컨텐츠 활용과 정보검색 능력 향상을 위하여 온라인으로 이용자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도

서관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온라인 이용자교육> 아이콘을 클릭하여 교육을 들을 수 있다.

Page 142: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39 -

Ⅴ. 전산정보팀 안내

1. 홈페이지 및 통합로그인 사용방법

1) 홈페이지 활용범위

l 대학소개/입학정보/대학원/대학생활(학생서비스)/총신광장(각종게시판)

2) 홈페이지 활용방법

l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login창을 통해 입력합니다.

l 아이디는 학번이며 초기 비밀번호는 학사정보시스템과 동일합니다.

l 패스워드 변경방법 : 학사정보(학생)에서 패스워드를 변경하면 홈페이지에서도

적용이 됩니다.

3) 사역게시판 사용방법

l 핸드폰인증으로 본인확인서비스를 이용하신 후 글쓰기를 하시면 됩니다.

2. 웹메일 사용 안내

l 총신대홈페이지(www.csu.ac.kr) 상단 우측에 있는 총신메일을 클릭하거나 인터넷 주소표시줄에 http://mail.chongshin.ac.kr 또는 http://mail.csu.ac.kr를 입력 합니다.

l 총신메일 메인에 있는 회원가입을 클릭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필수입력사항(※학번은 필히 입력하시기 바람)을 입력한 후 가입신청을 하며 전산정보팀에서 사용인증이 되어야만 사용가능합니다.

l 가입신청 후 일반적으로 하루가 지나면 사용인증이 되지만 수작업으로 인증을 거치기 때문에 신청일이 주말 또는 공휴일일 경우 사용인증이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3. 커뮤니티 서비스 사용안내(에듀클래스/클럽/블러그)

Page 143: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40 -

l 커뮤니티 서비스 중에 에듀클래스는 Off_line 강의의 보조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부

분으로 강의자료, 시간표, 강의계획서, 레포트 등을 교수와 학생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개인의 신앙. 경험 및 지식을 인터렉티브한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형 블러그를 제공하며, 웹환경에서의 다양한 게시판, 자료실, 쪽지

기능 등을 이용하여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자유롭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l 총신대홈페이지(www.csu.ac.kr) 상단 우측에 있는 커뮤니티&블러그를 클릭하거나 인터

넷 주소표시줄에 http://blog.chongshin.ac.kr 또는 http://blog.csu.ac.kr를 입력하여 들

어가면 됩니다.

l 아이디는 학번이며 초기 비밀번호는 학사정보시스템과 동일합니다.

(에듀클래스/커뮤니티/블러그 아이디와 학생로그인 아이디와 같으며 학사정보(학생)

패스워드변경 시에 동일 적용됩니다.)

l 총신대홈페이지 통합로그인을 통해 로그인을 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 메뉴구성에서 에듀클래스를 클릭하면 학생들이 수강하는 강좌별로 매학기 마다 에듀

클래스가 자동생성 되므로 각 강좌 에듀클래스를 클릭한 후에 사용하면 됩니다.

l 클럽과 블러그를 개설할 경우 메일과 같이 관리자가 승인을 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습

니다.(승인 절차는 메일과 동일)

4. 학사정보시스템 사용방법

l 학사정보시스템 들어가기(3가지 방법)

Ÿ 웹브라우저에서 URL 직접입력 https://haksa.csu.ac.kr/Haksa/index_student.jsp

Ÿ 웹브라우저에서 URL 직접입력 https://haksa.chongshin.ac.kr/Haksa/index_student.jsp

Ÿ 총신대학교 메인홈페이지(www.csu.ac.kr or www.chongshin.ac.kr) 우측상단에서 학사정

보(학생) 이미지 클릭

l 학사정보시스템 로그인

Ÿ 본인의 소속에 맞는 신분을 선택하고 아이디(학번)와 비밀번호 입력

Ÿ 초기 비밀번호는 본인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6자리이며 초기 비밀번호 로그인 시 반드

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함

l 학사정보시스템 메뉴 현황

Page 144: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41 -

좌측메뉴 세부메뉴

학적관리 휴학신청, 복학신청, 학적변동내역, 전공내역 조회

수업관리 개인별 시간표, 수강내역 조회, 수업계획서 조회

성적관리 전체성적조회, 금학기 성적조회

강의평가관리 강의평가, 중간강의평가

개인정보관리 개인신상변경, 비밀번호 변경, 증명서 등기우편 신청/확인

등록관리등록금고지서출력, 등록금분납신청, 등록금 수납내역서,

교육비납입증명서, SMS개인정보제공 동의

자격고사관리 자격고사 신청, 신청내역 조회, 자격고사 고지서

장학관리 장학금 신청, 금학기장학 내역, 전체장학 내역

논문관리 학위논문연구계획신청, 학위논문연구계획서조회, 학위논문 조회

증명관리 증명서 등기우편신청 / 확인

기타 강의실 대여 현황조회, 원격제어지원, 오피스365 신청

5. 수강신청스템 사용방법

l 수강신청시스템 들어가기(2가지 방법)

Ÿ 웹브라우저에서 http://sugang.chongshin.ac.kr:8080/ 직접입력

Ÿ 총신대학교 메인홈페이지(www.csu.ac.kr or www.chongshin.ac.kr) 우측 상단에서 수강

로그인

l 수강신청시스템 로그인

Ÿ 학사정보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그인

Ÿ 로그인 후 반드시 첫 화면에 있는 수강신청 일정 안내를 숙지한 후 수강신청

l 수강신청시스템 사용방법

Ÿ 화면 상단메뉴에 수강신청 메뉴를 클릭하고 학과/과목 등을 선택하여 목록 조회

Ÿ 조회된 개설과목 리스트 우측 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수강 신청하며, 삭제할 경우 화면

하단 수강신청 내역 우측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됨.

Ÿ 상단 메뉴 수강신청내역 조회에서는 수강신청 내역과 개인시간표 조회하여 출력 가능.

Ÿ 매크로 사용방지를 위해 같은 강좌를 연속으로 클릭하게 되면 요청한 강좌에 대하여

수강 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Page 145: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42 -

6. 공용 PC 사용장소 및 무선 인터넷 사용안내

캠퍼스 구 분 건 물 위 치

사당

공용 PC종합관 3층 도서관

신관 3층 전산 1, 2실습실

Wifi

가능 지역

종합관 전체

신관 전체

2종합관 전체

학생회관 전체

남자생활관 전체

여자생활관 전체

l 전산 1, 2실습실 PC 이용 시간

Ÿ 이용시간 : 평일 9:00 ~ 18:00

Ÿ 수업시간 외에 사용 가능

l 3층 도서관 PC 이용 시간

Ÿ 도서관 이용 시간과 동일

Ÿ 무선 인터넷 연결 안내(접속 방법)

Ÿ SSID : CSU

Ÿ 패스워드 : chongshin0191

l 주의사항

Ÿ 교내 (유·무선) 인터넷 사용 시 Torrent(토렌토), P2P프로그램, 웹디스크(웹하드)등의 사

용을 금지하며 적발 시 차단 또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

Ÿ 학내에서 유·무선공유기 또는 개인 네트워크 장비 사용을 금지하며 적발 시 해당 장비

를 교내망에서 분리 조치할 수 있습니다.

7. 정품소프트웨어 사용

l 한컴오피스에 대하여는 교내에서는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l 각종 불법 소프트웨어는 교내에 절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공

유 폴더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후 사용할 경우 반드시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파일 검사한 후에 사용하기 바랍니다.

8. MS-Office365 이용방법

l 학사정보시스템 -> 기타서비스 -> 오피스365 신청메뉴에서 메뉴 클릭 후 가입신청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이용 가능하며 재학 중인 학생이 아닌 경우 이용 제한이 있습

니다.

Page 146: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43 -

Ⅵ. 예비군대대 안내

1. 예비군업무1) 편성대상l 석사과정 / 박사과정 학생l 재학생(휴학, 자퇴, 제적, 졸업등 기타 학적변동자 제외)l 사병(일반하사 포함) ; 전역 후부터 8년차까지 간부(장교 및 부사관) : 전역 후부터 계급별 연령 만기까지 ※훈련은 전역 후 6년차 까지 실시 2) 직장예비군 대원 신고(방침보류원서 제출) 안내l 신․편․재입학 및 복학한 예비역 학생은 아래와 같이 대원신고를 필하여야 한다. (기간 내 미신고자는 편성에서 제외)

l O.T 시에 대원 신고 접수(양식 작성 제출)l O.T 불참자 및 미신고대원 신고 접수 : 전화 접수도 가능

Ÿ 신고 기간 : ‘2018. 3, 2(금)~ 3. 9(금) / 09:00 ~18:00

Ÿ 신고 장소 : 예비군대대 방문 또는 전화(02-3479-0263~4)

3) 교육훈련

2. 민방위업무l 민방위 해당 학생은 지역 민방위대 편성l 편성연령 : 40세(1978.1.1.일생)l ‘16.12.31자로 향토 예비군 복무가 만료되는 40세(1977년생) 이하 남자Ÿ 석사과정 학생은 재학증명서를 본인 주민등록상의 거주지 행정관서(읍, 면, 동)에 제출

하면 훈련이 면제됨

l 훈련기간 Ÿ 편성 1~4년차 연 4시간 소집교육(구청 단위) Ÿ 편성 5년차부터 40세(1978.1,1)까지 연 1회 비상소집훈련Ÿ 각 개인이 읍,면,동 민방위 담당자에게 조치해야 됨

3. 학사사관 지원 l 지원대상 : 대학 졸업자 / 졸업예정자l 지원시기 : 매년 6월~12월(최종발표 1월)l 시험내용 : 필기시험, 신체검사, 체력검정, 면접, 신원조회, 인성검사

-1~6년 차 : 방침보류훈련(년 8시간) -7~8년 차 : 훈련은 없고 예비군 대원으로 편성만 됨.

Page 147: 대학원 가이드북 - CHONGSHINwiz.chongshin.ac.kr/user/gra/download/an application... · 2019. 4. 29. · 격 체크리스트 참조) 충족자만 ... 정수업과 교회음악과

- 144 -

l 캠퍼스 안내

06988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143 총신대학교 대학원 교학지원처www.chongshin.ac.kr / Tel. (02)-3479-02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