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데이터 백업과 복제를 논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로 ‘중복제거(deduplication)’ 기술을 꼽습니다. 이 기술이 화두인 이유는 백업 및 복제 관련된 제반 비용을 줄이는 가운데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장애나 재해 상황에서 신속히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백업의 물리적 소산이 가지고 있는 보안이나 손실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데이터를 지켜 줄 수 있습니다. 비용은 줄이고 안전성은 높이며 백업 데이터 관리와 복구 시 운영 효율을 높여주는 ‘중복제거’ 기술의 개념부터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백업 및 복제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플랫폼 구현 가이드까지를 소개합니다. Part 1. 백업과 복제의 완성 ‘중복제거’ Part 2.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 시나리오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구축 가이드 · 중복제거 솔루션 체크 리스트 오늘 날 기업과 조직의 IT 환경 그리고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데이터 백업과 복제를 논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로 ‘중복제거(deduplication)’ 기술을 꼽습니다.

이 기술이 화두인 이유는 백업 및 복제 관련된 제반 비용을 줄이는 가운데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장애나

재해 상황에서 신속히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백업의 물리적 소산이 가지고 있는 보안이나 손실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데이터를 지켜 줄 수

있습니다. 비용은 줄이고 안전성은 높이며 백업 데이터 관리와 복구 시 운영 효율을 높여주는 ‘중복제거’

기술의 개념부터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백업 및 복제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플랫폼 구현 가이드까지를

소개합니다.

Part 1. 백업과 복제의 완성 ‘중복제거’

Part 2.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 시나리오

엔터프라이즈 IT 환경에서 데이터 백업과 복제는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작업입니다. 프로덕션 환경에 연결된 스토리지 환경과 마찬가지로

백업과 복제 인프라 역시 부족한 작업 시간과 모자란 용량이 늘 걱정입니다.

이런 고민을 털어내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 바로 중복제거 기술입니다.

늘 날 중복제거 기술은 데이터 백업과 복제의 시작이자 완성을 뜻하는 기술로 통합니다. 그렇다면 중복제거 기술이란

정확이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개념은 아주 간단합니다.몇 벌씩 존재하는 동일 데이터를 제외한다는 것입니다.

여러 벌의 동일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우리의 일상에서 매우 흔한 일입니다. 동일한 이미지나 문서 파일을 이메일 첨부 파일로

보내거나, 저장장치로 복사해 여러 장치에 저장해 쓰는 것은 너무나도 자연스럽습니다. 이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여러 업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등의 파일을 백업 받아 보면 그 크기가 상당한데, 그 내용을 들여다 보면 이것저것 겹치는

것이 꽤 됩니다. 여기서 겹치는 요소들을 싹 빼어 백업하거나 복제하는 것이 바로 중복제거라 생각하면 됩니다.

안 쓰이는 곳이 없는 팔방미인; ‘중복제거’

중복제거 기술은 주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요? 크게

데이터 백업,데이터 복제,데이터 장기보관 세 가지 영약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먼저 데이터 백업과 소산은 중복제거 기술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분야

입니다. NAS(Network Attached Storage)나 테이프 스토리지 상에 백업을 받

을 때 중복제거 기술을 적용해 백업 데이터 보관에 필요한 저장 용량(Backup

window)을 줄이고 효율적 소산을 위해 많은 기업과 조직에서 관련 솔루션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시장에 나와 있는 모든 VTL(Virtual Tape Library) 및 NAS

스토리지가 주요 기능 중 하나로 중복제거를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

해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용도는 데이터 복제 입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나 둘 중복제거 기술을 재해복구(DR) 관련 전략에 적용하고 있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원격지 재해복구 사이트로 데이터를 복제할 때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크게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중복제거 기술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WAN(Wide Area Network)을 통한 연결이나 광 케이블 망(DWDM; Dense Wave Division

Multiplexing)을 통한 연결이나 대역폭은 제한적입니다. 이런 이유로 WAN이 되었건 광 케이블 기반 전용 망이 되었건 네트워크를

오가는 데이터 양 자체를 줄이는 방법으로 중복제거 기술이 쓰이는 것입니다. 이는 곧 고가의 스토리지 장비와 스위치로 주센터

와 백업센터를 이중화 하는 고전적 방식을 쓰지 않고도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낮은 대역폭으로 기존 스토리지 인프라를 활용

해 원거리 복제를 수행하고 장애 시 원격지로부터 신속한 자료 복구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데 있어 중복제거가 큰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2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Part 1. 백업과 복제의 완성 ‘중복제거’

PART

1

백업과 복제의 완성 ‘중복제거’

Data Backup

Data Retention

Data Replication

세 번째 용도는 데이터 장기 보관입니다. 중복제거 기술의 두드러진 이점은 백업 저장 용량을 줄여 준다는 것입니다.

이는 역으로 보면 동일한 규모의 용량을 가지고 좀더 많은 데이터를 오래 보관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합

니다. 데이터 보관 주기를 늘리는 것은 오늘 날 기업 및 조직에게 규제 준수, 데이터 분석 두 관점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규제 준수의 경우 세계 각국은 법령을 통해 일정 기간 동원 원본 데이터를 보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진료 기록,금융 거래 내역, 이메일 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장기 보관 관련 규제는 늘어가는 추세에 있습니다.

장기 보관 데이터가 늘어난다는 것은 곧 기업이나 조직 입장에서 볼 때 더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함을 뜻하는데, 중복

제거는 이런 규제 준수를 위한 여유 공간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다음으로 데이터 분석의 경우도 중복제거 기술이 큰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분석 환경에서 쓰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나데이터마트를 위한 전용 스토리지 환경을 가져갑니다. 이 환경에는 프로덕션 환경에 있는 시스템

들의 데이터를 배치 작업을 통해 옮겨 오게 되는데, 이 때 최근 데이터 위주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데이터는 장기 보관을 위해 테이프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조건에서 몇 년 이상의 추이 분석이 필요할 경우

테이프 담긴 데이터까지 참조해야 합니다. 실제로 데이터 분석자들은 프로덕션, 백업, 아카이빙 각 단계 별 데이터의

경계 구분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실무자의 눈 높이를 만족시키기는 데 있어 중복기술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까요? 일례로 VTL을 통해 디스크 기반으로 장기 보관을 한다면 데이터 보관 주기를 늘려분석자에게

좀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중복제거 솔루션 체크 리스트

오늘 날 기업과 조직의 IT 환경 그리고 데이터 생성, 보관, 폐기 관련 생명 주기 차원의 관리 전략에 비추어 볼 때

중복제거 솔루션은 어떤 기술적 특징을 갖추어야 할까요? IDG와 팔콘스토어가 공동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중복제거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①빠른 백업 ②신속한 데이터 복구 ③관리 효율 개선 ④비용 절감 ⑤백업 및 복구

인프라의 복잡도 감소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시장의 필요를 만족시키기는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① 확장성 : 매년 두 자리 수에 가까운 스토리지 용량 증설은 비단 프로덕션 환경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닙니다.

백업 및 복제 관련 인프라 역시 똑같이 증설의 필요성을 갖게 됩니다. 이런 용량 증설 이슈부터 본사와 지사 등

여러 곳에 위치한 데이터에 대한 백업과 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할 때 필요한 통합을 전제로 한

확장의 용이성도 확인해야 합니다. 물론이를 위해 기존 환경에 대한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것은 기본입니다.

② 유연성 : 중복제거는 여러 가지 방식의 기술이 존재합니다.인라인(Inline), 컨커런트(Concurrent), 포스트 프로세싱

(Post Processing), 중복제거 미수행 중 어느 하나라도 모자라면 안됩니다. 백업 속도가 중요한지, 스토리지 등

각종 장비 운용 효율이 중요한지 등 원하는 바에 따라 최선의 방식 선택이 가능해야 합니다. 중복제거 미수행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이미지 등과 같이 작업이 불필요한 데이터의 경우 중복제거를 하지 않도록 하는 옵션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고성능 : 시간 당 처리 가능한 데이터 처리 용량이 몇 테라바이트인(TB)지 확인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포인트

입니다. 이는 곧 백업 시간, 백업 윈도우 등 관리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개선 효과를 약속하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3

PART

1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백업과 복제의 완성 ‘중복제거’

④ 글로벌 중복제거 : 백업 및 복제 관련 IT 인프라는 생각처럼 단순하지 않습니다. 본사와 지사 등 여러 곳에 애플

리케이션과 데이터가 위치하고 있고 이들을 대상으로 백업과 복제가 수행됩니다.그리고 이들 작업을 함에 있어

여러 유형의 스토리지, 프로토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본사이건 지사이건 어디에 있건, 어떤 유형의 데이터

이건 통합의 관점에서 중복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챙겨 봐야 할 것은 논리적

관점에서 중복 데이터 저장소를 단일 이미지로 가져갈 수 있느냐에 대한 여부 입니다. 중복제거 노드들에 연결된

여러 스토리지를 논리적으로 단일 저장소 차원에서 확장이 가능해야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중복제거라 할 수

있습니다. 중복제거 노드 마다 스토리지들이 독립적인 사일로 형태로 존재한다면? 스토리지 증설 이슈가 생길

때마다 각 노드 단위로 스토리지를 증설해야 합니다. 이는 여러 노드에 걸쳐 글로벌 중복제거를 수행함에 있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⑤ 보안성 : 원격지로 데이터 복제를 하기 위해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은 기본 중 기본입니다. WAN은 물론이고

전용선이라 해도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타고 가는 과정에 누군가에 의해 유출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과 암호화를 통해 네트워크 대역폭 소요를 최소화 하는 가운데 안전하게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외 또 강조 할 보안성은 가상 테이프의 완전 파쇄 입니다. 개인정보 등 규제 대상인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더 이상 보관하면 안될 경우 완전히 기록을 지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림 1] 사일로 구조의 VTL과 글로벌 중복제거 간 차이

⑥ 고가용성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격언은 데이터 보호 부문에도 통합니다. 중복제거 기술 역시 여러

노드 간에 고가용성 아키텍처를 구성해 어느 한 지점의 장애가 발생해도 바로 페일오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PART

1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백업과 복제의 완성 ‘중복제거’

VS.

사일로 구조 글로벌 중복제거

오늘 날 VTL과 중복제거 기술은 통합을 기초로 한 멀티 사이트 백업 및 복제 전력을 추구하는 데있어 그 특유의 경제성과 합리

성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특히 물리적으로 조직과 IT 시스템이 분산되어 있는기업과 기관의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조직뿐 아니라 시스템까지 분산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는 주로 현지 시스템 상에 담기는 것이 보통입니다. 백업의 경우 중요 시스템

의 경우 장애나 재해 발생에 대비해 테이프로 백업 받은 저장 미디어를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원격지로 이격시켜 보관하게 됩니

다. 흔히 관리자들이 말하는 소산 백업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이런 구조 하에서는 백업미디어에 대한 수요는 나날이 늘게 됩니다.

백업 미디어에 대한 확장은 각 지점 단위로 이루지게 되는데, 해마다백업 수요가 늘면 그에 맞게 추가로 백업 미디어를 구매하는

말하는 스케일업(Scale-Up) 방식으로 대응을 합니다. VTL은 이런 방식에 중복제거란 개념을 더해 주는 동시에 글로벌 중복제거

란 개념을 통해 여러 곳에 시스템과 데이터가 분산되어 있는 조직에서 단일 노드 관점에서 데이터 백업 작업을 통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습니다. 일종의 스케일아웃(Scale-Out) 방식으로 유연하게 백업 및 소산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중복제거 기술은 기업 및 기관의 데이터센터 환경 변화와

맞물려 더욱 그 활용 모델이 다양해 지고 있습니다.

그 동안 중복제거 하면 주로 백업이나 VTL을 우선 떠올렸습니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는 백업소산을 위한 원거리 복제와멀티 사이트

재해복구(DR)까지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복제거 기술은 작게는 전산실 크게는 기업 데이터센터의 경계를 빠르게 벗어나고 있습니다. VTL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여러 기업과 조직에서 테이프 라이브러리가 아니라 디스크 기반 백업으로 전환을 위한 목적으로

VTL을 도입하였습니다. 기존 백업 인프라 구성과 설정에 크게 손 댈 것 없이 백업 속도는 끌어 올릴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테이프를

쓸 때와 달리 소산 백업을 실행할 때 비교할 수 없는 편리함을 준다는 점에서 VTL은 큰 환영을 받아 왔습니다. 여기에 중복제거

기술까지 더해지면서 백업 윈도우 절감 효과까지 제공하면서 VTL에 대한 시장의 만족감을 높여왔습니다. 이런 만족감은 최근

통합 백업과 원격지 복제 부문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백업도 이제는 스케일 아웃 방식이 대세

5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PART

2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Part 2.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Use Case 1:소산 기반의 원격지 재해복구(DR)

Situation • 전국 각지에 위치한 여러 기관의 서버들에 대한 백업 수행

• 1차 백업 후 정기적으로 테이프 소산

Solution • VTL어플라이언스 도입

• VTL을 통해 백업 데이터에 대한 중복제거 수행

• 광 케이블 망(DWDM)을 통해 원격지 온라인 소산

Benefit

• VTL 기반의 원격지 재해복구 체제 가동

• 테이프의 물리적 배송에 따른 데이터 손상과 손실 및 보안우려 감소

• 백업 및 소산 관련 인력 및 운영, 비용 효율 개선

[그림 2] 소산 기반의 원격지 재해복구 구성

이 조직은 VTL을 도입해 온라인 기반 소산 백업은 물론이고 장애 시 신속한 복구를 지원하는 재해복구까지 가능한

환경을 꾸렸습니다. 그리고 VTL어플라이언스와 스토리지 장비는 SAN 스위치로 연결되어 정기 백업을 수행하는

한편 광 케이블 망과 WAN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데이터를 복제하였습니다. 원격지 데이터센터에도

VTL과 스토리지 장비가 위치하고 있어 과거 테이프 소산만 하던 때에는 생각할 수 없었던 장애나 재해시 즉각적인

데이터 복구를 지원할 수 있는 재해복구 체제까지 가동이 가능해졌습니다.

6

PART

2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이 가상 시나리오는 VTL을 통한 원격지 재해복구(DR) 체제 가동에 대한 예입니다. 이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조직은

흔히 전국 각지에 있는 산하 기관의 업무 시스템에 대한 백업을 중앙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상에서 처리해 왔습니다.

일종의 백업 마스터 서버를 운영하던 이 조직은 1차 백업으로 테이프 미디어를 이용했습니다. 그러던 중 데이터

용량 증가와 안전한 데이터 보호, 비용절감을위해 원격지 복제 및 재해복구(DR)를 위한 일환으로 VTL을 도입하였

습니다.

이 가상 시나리오는 VTL을 통해 글로벌 중복체제를 가동하는 것에 대한 예입니다. 이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조직은

전국 지사에서 매일 같이 본사에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매일 본사 시스템으로 복제되는 데이터 량은

수백 GB수준이었습니다. 본사와 지사 간 전용 망으로 연결되어 있긴 했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매일 같이 복제해야

하다 보니 부담이 존재했습니다.

Use Case 2:글로벌 중복제거

Situation • 수백 GB 단위로 데이터 백업이 매일 같이 이루어짐

• 해당 데이터들은 지사에서 본사로 매일 복제 되어짐

Solution • VTL도입으로 본사와 지사 간 원격지 백업 데이터 복제 수행

• 글로벌 중복제거로 용량을 줄여 WAN으로 복제 수행

Benefit • 서비스 네트워크에 영향 없이 일일 백업 데이터 복제 수행

Site A

Production Server Backup Server

VTL Storage

De-dupe

VTL

Site B

Production ServerBackup Server

VTL Storage

De-dupe

VTL

WAN, DWDM

[그림 3] 글로벌 중복제거 구성성

이 가상 시나리오는 VTL을 통해 백업 디스크 인프라를 확장하는 동시에 표준화 하는 것에 대한 예입니다. 이 시나

리오에 등장하는 조직은 자사 데이터센터 내에 여러 업체의 스토리지 제품을 이용해왔습니다. 백업의 경우 디스크

부터 물리적 테이프 라이브러리까지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던 가운데 지속적인 백업 용량 증가에

따른 운영 부담이 가중되자 새로운 해결 책 마련에 나서게 됩니다. 백업 소요 시간은 늘고,데이터 복구에 필요한

시간도 함께 늘어가자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백업 방안을 찾게 된 것입니다.

Use Case 3:이기종 스토리지 기반 통합 백업 환경

Situation • 백업 대상 시스템 다수 존재

• 이기종 스토리지 자원 활용 모색

Solution • VTL도입으로 이기종스토리지를 활용한 통합 백업 인프라 조성

• 압축 및 중복제거 기술로 백업 윈도우 축소

Benefit • 데이터 백업 소요 시간은 줄이고,성능은 높여

• 디스크 기반 백업 및 복제 관련 표준화 된 아키텍처 수립

7

PART

2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이런 이유로 이 조직은 본사와 각 지사에 VTL을 배치해 글로벌 중복제거 체제를 완성했습니다. 본사와 지사 간

데이터가 복제 될 때 중복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타고 오지 않도록 한 결과 네트워크 대역폭에 전혀 무리를 주지 않고

일일 복제 수행이 가능해졌습니다.

20Mbps

Plant A Plant C

Plant B

Headquarter

VTL

De-dupe

VTL Storage

Plant D

VTL

Server

De-dupe

VTL Storage

VTL

Server

De-dupe

VTL StorageVTL

Server

De-dupe

VTL Storage

VTL

Server

De-dupe

VTL Storage

[그림 4] 이기종 스토리지 기반 통합 백업 구성

Use Case 4:데이터 장기 보관

Situation • 1차 백업 장치로 테이프 라이브러리 활용

• 소산 백업 시 테이프 미디어 불량에 대한 우려

Solution

• VTL 어플라이언스 도입

• 본사 데이터센터와 전국 각지에 있는 공장들을 VTL로 연계

• 각 공장에서 중복제거를 수행한 후 데이터를 본사 데이터센터로 소산

Benefit

• VTL을 통해 온라인 소산 실현

• 중복제거로 스토리지 용량 절감

• 디스크 기반 백업을 통해데이터 복구 속도 개선

• 기존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2차 백업 환경으로 구성해 데이터 장기보관을 위한 아카이빙 공간 확보

8

PART

2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이 조직이 선택한 방안은 VTL 도입이었습니다. 이 조직은 기존 대비 절반 이하로 백업 소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여러 업체의 이기종스토리지를 활용해 VTL 디스크로 구성하는 것을 목표하였습니다. 수백 테라바이트 규모의 백업

스토리지 용량을 VTL을 통해 확보한 이 조직은 초기에 압축 기술을 주로 썼으나 VTL을 신규 도입하면서 중복제거

까지 사용하여백업 및 복제 관련 용량과 성능 최적화도 추진하였습니다.

이 가상 시나리오는 VTL을 통한 데이터 장기 보관의 예입니다. 이 시니리오에 등장하는 조직은 제조 기업으로 전국에

공장이 있고 각 공장마다 IT 인프라를 구축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조직은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1차 백업 미디어로

활용하였고, 이를 중앙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정기 소산하는 방식으로 관리하였습니다.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통합

백업 인프라로 활용하던 이 조직은 VTL을 도입하면서 백업과 장기 보관을 위한 아카이빙 체제가 바뀌었습니다.

VTL Storage VTL Storage VTL Storage VTL Storage

Tape Library

Group A : Server

VTL VTL VTL VTL

De-dupe De-dupe De-dupe De-dupe

Group B : Server Group D : ServerGroup C : Server

[그림 5] 데이터 장기 보관 구성성

9

PART

2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각 공장에서는 VTL을 통해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백업 받았습니다. 각 공장에 배치된 VTL 장비는 광 케이블 망을

통해 서울에 위치한 데이터센터로 보내졌습니다. 서울 센터에도 VTL이 배치되어 전국 각지 공장과 데이터 백업 및

복제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하도록 구성했습니다. VTL 도입 후 데이터 소산은 모두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게 되었

습니다. 이 조직은 기존에 사용하던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2차 백업 환경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장애나

재해 시 신속히 복구가 필요한 데이터는 VTL을 통해 디스크 기반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그 외 장비 보관용 데이터는

스토리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게 되어 중요한 비즈니스 데이터에 대한 보관 복구 속도를 높이는 한편 보관 주기까지

늘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100Mbps

Network Hub

Plant A Plant B

Plant C Plant D

Server Backup Server

De-dupe

VTL

VTL Storage

Tape Library

Server Backup Server

De-dupe

VTL

VTL Storage

Tape Library

Server Backup Server

De-dupe

VTL

VTL Storage

Tape Library

Server Backup Server

De-dupe

VTL

VTL Storage

Tape Library

Headquarter

Server Backup Server

De-dupe

VTL

VTL Storage

Tape Library

20Mbps

9

PART

2

차세대 데이터 백업 및 복제 위한 ‘중복제거플랫폼’ 구축 가이드

통합 백업 및 중복제거 플랫폼 구현시나리오

팔콘스토어(FalconStor Software, Inc. (NASDAQ: FALC))는 스토리지 기반의 데이터 보호(Data Protection)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입니다. 팔콘스토어는 전통적인 백업과 재해복구 방식을 벗어나 서비스 지향적인 차세대 데이터

보호(service-oriented data protection) 시대로의 전환을 이끌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팔콘스토어의 솔루

션은 디스크 기반 백업, CDP(Continuous Data Protector). WAN 환경에 최적화된 복제, 재해복구 자동화 등 전사적

데이터보호 체제 완성에 필요한 전 부문에 걸쳐 포진되어 있습니다. 팔콘스토어 솔루션은 중소중견기업부터 포춘

100대 기업까지 규모를 가리지 않고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팔콘스토어의 제품은 솔루션 공급 업체나 전략적

파트너 또는 주요 OEM 기업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팔콘스토어의 본사는 뉴욕 멜빌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비즈니스 거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팔콘스토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전화(02-782-3723) 또는

홈페이지(http://www.falconstor.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