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제1장 국민소득의 측정 제1장 국민소득의 측정

국민소득의 측정 - elearning.kocw.netelearning.kocw.net/contents4/document/lec/2013/Konkuk/Leegiseong7/1.pdfl거시경제학과거시경제주요변수 u거시경제정책 è정책목표(政策目標;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1장

국민소득의

1장

국민소득의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미시경 학과 거시경 학u미시경 학과 거시경 학

è미시경 학(微視經濟學; microeconomics)

개별소비자 업의의사결 , 개별시장에 의

균 가격 거래량결 , 자원 분의효 등을다룸.

®가격 능에 른시장간자원의 분 법연구

è거시경 학(巨視經濟學; macroeconomics)

국민경 체 인경 행 가소득 고용 ,

가 등에미치는 향연구

®국민경 체 인경 상변화를통해자원의

활용 법연구

è미시경 학(微視經濟學; microeconomics)

개별소비자 업의의사결 , 개별시장에 의

균 가격 거래량결 , 자원 분의효 등을다룸.

®가격 능에 른시장간자원의 분 법연구

è거시경 학(巨視經濟學; macroeconomics)

국민경 체 인경 행 가소득 고용 ,

가 등에미치는 향연구

®국민경 체 인경 상변화를통해자원의

활용 법연구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거시경 학의 개념u거시경 학의 개념

è국민경 체의 경 활동이 얼마나 활 하게 이루어

지고 있 며, 그리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연구하는

경 학 분야

Ø개별주체의 경 행 보다 경 체의 체

활동에 심

Ø 량(aggregates), 특히 국민소득의 결 안

장을 시

Ø경 활동에 향을 미치는 책 단과 효과

è국민경 체의 경 활동이 얼마나 활 하게 이루어

지고 있 며, 그리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연구하는

경 학 분야

Ø개별주체의 경 행 보다 경 체의 체

활동에 심

Ø 량(aggregates), 특히 국민소득의 결 안

장을 시

Ø경 활동에 향을 미치는 책 단과 효과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경 책 단 효과u경 책 단 효과

è통화 책(通貨政策; monetary policy)

통화 행 앙 행의 독 권리

통화 행의 효과는 엇인가?

앙 행(www.bok.or.kr)의 목표는 엇인가?

è재 책(財政政策; fiscal policy)

조 부지출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부개입(www.mosf.go.kr) 왜 필요하고,

어느 도가 한가?

è통화 책(通貨政策; monetary policy)

통화 행 앙 행의 독 권리

통화 행의 효과는 엇인가?

앙 행(www.bok.or.kr)의 목표는 엇인가?

è재 책(財政政策; fiscal policy)

조 부지출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부개입(www.mosf.go.kr) 왜 필요하고,

어느 도가 한가?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 공황(大恐慌; Great Depression)u 공황(大恐慌; Great Depression)

è 1929년 10월 24일 미국의 뉴욕 월가(Wall Street)의

‘뉴욕주식거래소’에 주가가 폭락한 데 단

공황 1933년 말까지 거의 모든 자본주의 국가들이

여 에 말 들었 며, 그 여 는 1939년까지 이어짐.

è 1929년 10월 24일 미국의 뉴욕 월가(Wall Street)의

‘뉴욕주식거래소’에 주가가 폭락한 데 단

공황 1933년 말까지 거의 모든 자본주의 국가들이

여 에 말 들었 며, 그 여 는 1939년까지 이어짐.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 인즈(John Maynard Keynes, 1883-1946)u 인즈(John Maynard Keynes, 1883-1946)

è 국의 경 학자로 공황의 이

치 책에 한 새로운 이론을 시한

거시경 학의 거장

Ø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1936)

è거시경 학 공황 이후 경 학의 새로운 분야로

확립

è 국의 경 학자로 공황의 이

치 책에 한 새로운 이론을 시한

거시경 학의 거장

Ø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1936)

è거시경 학 공황 이후 경 학의 새로운 분야로

확립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주요 거시경 상u주요 거시경 상

è경 장과 경 변동

§경 장(經濟成長; economic growth)

1인당 국민소득 의 지속 인 증가 추

§경 변동(景氣變動; business fluctuation)

체 경 활동의 확장( 황) 는 축(불황)

※ GDP의 변동 :

장 인 장 추 단 인 경 변동이 복합

어 있음. 라 장 추 를 표하는 추 을

구하고, 추 로부 상하이탈로경 변동 악

è경 장과 경 변동

§경 장(經濟成長; economic growth)

1인당 국민소득 의 지속 인 증가 추

§경 변동(景氣變動; business fluctuation)

체 경 활동의 확장( 황) 는 축(불황)

※ GDP의 변동 :

장 인 장 추 단 인 경 변동이 복합

어 있음. 라 장 추 를 표하는 추 을

구하고, 추 로부 상하이탈로경 변동 악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주요 거시경 상u주요 거시경 상

è ‘70의 법칙’(rule of seventy)è ‘70의 법칙’(rule of seventy)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주요 거시경 상u주요 거시경 상

è실업(失業; unemployment)

§일할 능 과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회가

주어지지 않는 상태

è 가 인 이션

§ 가(物價; prices)

한경 에 생산 거나 소비 는재화 비스의

체 가격

§인 이션(inflation)

가가지속 로 상승하는 상

è실업(失業; unemployment)

§일할 능 과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회가

주어지지 않는 상태

è 가 인 이션

§ 가(物價; prices)

한경 에 생산 거나 소비 는재화 비스의

체 가격

§인 이션(inflation)

가가지속 로 상승하는 상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거시경 책u거시경 책

è 책목표(政策目標; policy objectives)

§ 내균 ( 均衡) : 경 안 경 장

• 가안 과 완 고용

• 경 장(® 1인당소득 의 증 )

§ 외균 ( 外均衡) : 국 지의 균

è 책 단(政策手段; policy instruments)

§재 책(fiscal policy)

§통화 책(monetary policy)

§환 책(exchange rate policy) 등

è 책목표(政策目標; policy objectives)

§ 내균 ( 均衡) : 경 안 경 장

• 가안 과 완 고용

• 경 장(® 1인당소득 의 증 )

§ 외균 ( 外均衡) : 국 지의 균

è 책 단(政策手段; policy instruments)

§재 책(fiscal policy)

§통화 책(monetary policy)

§환 책(exchange rate policy) 등

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l 거시경 학과 거시경 주요변

u국부 국민소득u국부 국민소득

è국부(國富; national wealth) : 량(貯量; stock)

§일 시 에 있어 한 국가 체의 토지 자본재의

합 로, 국민소득과는달리 비스는포함 지 않음.

§국민소득창출의

è국민소득(國民所得; national income) : 량( 量; flow)

§일 간 동안 한 국가 국민들이 벌어들인 화폐액

§소비 축, 자의

è국부 국민소득의 계

§국부 노동이 결합하여 국민소득창출

§국민소득의 일부는 자 어 국부 증진

è국부(國富; national wealth) : 량(貯量; stock)

§일 시 에 있어 한 국가 체의 토지 자본재의

합 로, 국민소득과는달리 비스는포함 지 않음.

§국민소득창출의

è국민소득(國民所得; national income) : 량( 量; flow)

§일 간 동안 한 국가 국민들이 벌어들인 화폐액

§소비 축, 자의

è국부 국민소득의 계

§국부 노동이 결합하여 국민소득창출

§국민소득의 일부는 자 어 국부 증진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국내 생산의 개념u국내 생산의 개념

è국내 생산(國 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 : GDP)

§일 간 동안 한 국가의 국경내에 새롭게 생산

모든 최종생산 의 시장가치( 는 부가가치의 합계)

• 일 간 : 주어진 간 동안 생산 재화

비스를 집계( 량, : 월, 분 , 년)

• 국경내 : 속지주의(국경주의) 개념(국 불 )

• 새롭게 생산 : 생산과 을 거치지 않 것

포함하지않음( : 고품, 재고품).

• 최종생산 : 생산에 입 는 간재는 외

• 시장가치 : 시장에 거래 가격 로 평가

è국내 생산(國 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 : GDP)

§일 간 동안 한 국가의 국경내에 새롭게 생산

모든 최종생산 의 시장가치( 는 부가가치의 합계)

• 일 간 : 주어진 간 동안 생산 재화

비스를 집계( 량, : 월, 분 , 년)

• 국경내 : 속지주의(국경주의) 개념(국 불 )

• 새롭게 생산 : 생산과 을 거치지 않 것

포함하지않음( : 고품, 재고품).

• 최종생산 : 생산에 입 는 간재는 외

• 시장가치 : 시장에 거래 가격 로 평가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국내 생산의 개념u국내 생산의 개념

è국내 생산(國 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 : GDP)

§국내 생산 일 간 동안 한 국가의 국경내에

생산 모든 최종생산 의 시장가치이므로

• 재화 비스의 생산이 증가하면 GDP는 증가

• 가격 상승 로 시장가치가 상승하면 GDP는 증가

§우리나라는과거에는국민 생산(GNP)을지표로사용

§그러나1995년부 국내 생산(GDP)을 지표로 사용

( 확한 국내경 상황 악을 해)

è국내 생산(國 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 : GDP)

§국내 생산 일 간 동안 한 국가의 국경내에

생산 모든 최종생산 의 시장가치이므로

• 재화 비스의 생산이 증가하면 GDP는 증가

• 가격 상승 로 시장가치가 상승하면 GDP는 증가

§우리나라는과거에는국민 생산(GNP)을지표로사용

§그러나1995년부 국내 생산(GDP)을 지표로 사용

( 확한 국내경 상황 악을 해)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국내 생산의 개념u국내 생산의 개념

è국내 생산(國 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 : GDP)

1930년 이후 경 책 립의 로 사용

è국내 생산(國 總生産; gross domestic product : GDP)

1930년 이후 경 책 립의 로 사용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삼면등가의 법칙(三面等價法則)u삼면등가의 법칙(三面等價法則)

è국내 생산(GDP)=국내 지출(GDE)=국내 소득(GDI)

생산∙지출∙분 라는 가지 면에 의 국민소득

(이론상 로) 동일함.

è국내 생산(GDP)=국내 지출(GDE)=국내 소득(GDI)

생산∙지출∙분 라는 가지 면에 의 국민소득

(이론상 로) 동일함.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국내 소득과 국민 소득의 개념u국내 소득과 국민 소득의 개념

è국내 소득(國 總所得; gross domestic income : GDI)

국내에 생한 소득의 크 (=국내 생산; GDP)

è국민 소득(國民總所得; gross national income : GNI)

국내는 론 외국에 벌어들인 소득을 합산

GNI=GDI+ 외 취요소소득

국민 소득 자국민이해외에

벌어들인 소득에 자국내에

활동하는외국인의소득을차감한

GNI=GNP(국민 생산)

è국내 소득(國 總所得; gross domestic income : GDI)

국내에 생한 소득의 크 (=국내 생산; GDP)

è국민 소득(國民總所得; gross national income : GNI)

국내는 론 외국에 벌어들인 소득을 합산

GNI=GDI+ 외 취요소소득

국민 소득 자국민이해외에

벌어들인 소득에 자국내에

활동하는외국인의소득을차감한

GNI=GNP(국민 생산)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명목GDP 실질GDPu명목GDP 실질GDP

è명목GDP(名目GDP; nominal GDP=경상가격GDP)

§그해의시장가격을 로환산한최종생산 가치

§생산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가격의 변화에 향 음.

è실질GDP(實質GDP; real GDP=불변가격GDP)

§특 년도의가격을 로평가한최종생산 가치

§생산량의 변화 추이만

§경 의 인 생산활동 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 경 장률을 할 때 사용)

§실질GDP의 규모는 어느 해를 로 하느냐에

라 달라짐.

è명목GDP(名目GDP; nominal GDP=경상가격GDP)

§그해의시장가격을 로환산한최종생산 가치

§생산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가격의 변화에 향 음.

è실질GDP(實質GDP; real GDP=불변가격GDP)

§특 년도의가격을 로평가한최종생산 가치

§생산량의 변화 추이만

§경 의 인 생산활동 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 경 장률을 할 때 사용)

§실질GDP의 규모는 어느 해를 로 하느냐에

라 달라짐.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명목GDP 실질GDPu명목GDP 실질GDP

è명목GDP 실질GDP의 계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 값을 분 (%)로

나타낸 것을 GDP 이 (GDP deflator)라고 함.

GDP 이 = ´100

® 실질GDP= ´100

§ GDP 이 는 일종의 가지 이며, 명목GDP를

실질GDP 는실질GDP를명목GDP로환산할때이용

è명목GDP 실질GDP의 계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 값을 분 (%)로

나타낸 것을 GDP 이 (GDP deflator)라고 함.

GDP 이 = ´100

® 실질GDP= ´100

§ GDP 이 는 일종의 가지 이며, 명목GDP를

실질GDP 는실질GDP를명목GDP로환산할때이용

명목GDP

실질GDP

명목GDP

GDP 이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실 GDP 잠재GDPu실 GDP 잠재GDP

è실 GDP(實際GDP; actual GDP)

§한국가의국경내에 실 로생산 모든최종생산 의

시장가치(매 간당실 로나타나는 GDP)

è잠재GDP(潛在GDP; potential GDP)

§한 국가의 국경내에 존재하는 모든 생산요소를

상 로 입(고용)할때생산가능한최종생산 의

시장가치

§이용가능한 모든 생산요소가 상 로 고용 는

상태를 완 고용이라 함.

§ 라 잠재GDP는 ‘완 고용GDP’라고도 함.

è실 GDP(實際GDP; actual GDP)

§한국가의국경내에 실 로생산 모든최종생산 의

시장가치(매 간당실 로나타나는 GDP)

è잠재GDP(潛在GDP; potential GDP)

§한 국가의 국경내에 존재하는 모든 생산요소를

상 로 입(고용)할때생산가능한최종생산 의

시장가치

§이용가능한 모든 생산요소가 상 로 고용 는

상태를 완 고용이라 함.

§ 라 잠재GDP는 ‘완 고용GDP’라고도 함.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GDP 갭과 자연GDPuGDP 갭과 자연GDP

è GDP 갭(GDP gap)

§잠재GDP 실 GDP 의 차이

GDP 갭=잠재GDP-실 GDP

§한국가의경 상태평가

• GDP 갭>0 : 실업의존재® 요증 의필요

• GDP 갭<0 : 경 의과열® 요억 의필요

è자연GDP(自然GDP; natural GDP)

§ GDP 갭이 0일 때의 실 GDP로 완 고용GDP임.

§인 이션을 야 시키지 않는 최 GDP

è GDP 갭(GDP gap)

§잠재GDP 실 GDP 의 차이

GDP 갭=잠재GDP-실 GDP

§한국가의경 상태평가

• GDP 갭>0 : 실업의존재® 요증 의필요

• GDP 갭<0 : 경 의과열® 요억 의필요

è자연GDP(自然GDP; natural GDP)

§ GDP 갭이 0일 때의 실 GDP로 완 고용GDP임.

§인 이션을 야 시키지 않는 최 GDP

l 생산과 소득l 생산과 소득

uGNP 업솝션(Absorption)uGNP 업솝션(Absorption)

è GNP(gross national product)

§일 간동안한국가의국민에의하여생산 모든

최종생산 의 시장가치

è업솝션(總資源使用量; Absorption : A)

§일 간동안한국가의국민에의하여사용 재화

비스의 량

§ GNP 업솝션의 계

• A=GNP+(M-X) ® A-GNP=M-X

• A>GNP ® 출< 입 : 상품 지 자 생

• A<GNP ® 출> 입 : 상품 지 흑자 생

è GNP(gross national product)

§일 간동안한국가의국민에의하여생산 모든

최종생산 의 시장가치

è업솝션(總資源使用量; Absorption : A)

§일 간동안한국가의국민에의하여사용 재화

비스의 량

§ GNP 업솝션의 계

• A=GNP+(M-X) ® A-GNP=M-X

• A>GNP ® 출< 입 : 상품 지 자 생

• A<GNP ® 출> 입 : 상품 지 흑자 생

l 생산 개념의 용 과 한계l 생산 개념의 용 과 한계

uGDP 개념의 용 과 한계uGDP 개념의 용 과 한계

è GDP 개념의 용

§한국가의경 활동 을나타내는지표로 리사용

§ 과 에 경 구조 악이 가능

§간 로 후생 을 나타냄(국가간 경 비교).

è GDP 개념의 한계

§여가나인간비용( : 스트 스등) 등이고 지않음.

§ 질 생산만 고 (생산과 에 의 자연 , 공해

등 고 지 않음.)

§재화 비스의 질 변화를 고 하지 못함.

§지하경 규모를 하지 못함.

è GDP 개념의 용

§한국가의경 활동 을나타내는지표로 리사용

§ 과 에 경 구조 악이 가능

§간 로 후생 을 나타냄(국가간 경 비교).

è GDP 개념의 한계

§여가나인간비용( : 스트 스등) 등이고 지않음.

§ 질 생산만 고 (생산과 에 의 자연 , 공해

등 고 지 않음.)

§재화 비스의 질 변화를 고 하지 못함.

§지하경 규모를 하지 못함.

l 생산 개념의 용 과 한계l 생산 개념의 용 과 한계

uGDP 개념의 용 과 한계uGDP 개념의 용 과 한계

è GDP 개념의 한계

§ GDP는 직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표본추출에 의한

추계 식이므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어 움.

§ 상 일 결여( : 가 주부의 가사노동비포함,

출부의가사노동 포함 등)

è새로운 후생지표 : GDP 개념의 한계 보완

경 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 : MEW)

§ J. Tobin-W. Nordhaus가 개 한 개념

MEW=GDP+가 주부가사노동+여가의가치-공해비용

§이를 P. Samuelson 경 후생(NEW)이라 명명함.

è GDP 개념의 한계

§ GDP는 직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표본추출에 의한

추계 식이므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어 움.

§ 상 일 결여( : 가 주부의 가사노동비포함,

출부의가사노동 포함 등)

è새로운 후생지표 : GDP 개념의 한계 보완

경 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 : MEW)

§ J. Tobin-W. Nordhaus가 개 한 개념

MEW=GDP+가 주부가사노동+여가의가치-공해비용

§이를 P. Samuelson 경 후생(NEW)이라 명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