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한국사회 제161(2015): pp.201-231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 1) 우민희 ** ㆍ이명진 *** ㆍ최샛별 **** 본 연구는 청년세대 1인가구의 여가활동과 가족가치관을 동세대 다인가구와의 비 교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청년세대 1인가구의 삶에서 가구 형태와 세대적 특성이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여 발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기저의 사 회구조적 측면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2013<고립과 단절의 사회, 그 사회적 원인 과 대응>연구단이 실시한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자료를 사용하여 20 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세대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 집단의 평일ㆍ휴일 여가활 동과 가족 가치관을 비교하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평일 여가활동에 영 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과 성별, 휴일 여가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는 연령과 성별, 계급, 혼인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구형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 가치관은 가족 관련 서술문항에 대 한 동의정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세 가지 요인을 추출하 였으며, 가족가치관을 보여주는 각 요인에 있어 청년세대 일인가구와 다인가구 간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내 성역할에 대한 태 전통적 가족 가치관에서는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일인 가구에 대한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청년세대 1인가구는 다인가구와 유사한 여가활동을 즐기며, 1인가구가 아닌 가족에 대해서도 유사한 태도와 가치관을 가지고 있지만 다인가구는 1인가구를 보편적인 가족형태 에서 벗어난 집단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가족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한국사회에는 1인가구에 대한 강한 고정관념이 존재하며, *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 행된 연구임(NRF-2014S1A5A2A03065229)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교신저자)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 pp.201-231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1)

우민희**ㆍ이명진***ㆍ최샛별****

요 약

본 연구는 청년세 1인가구의 여가활동과 가족가치 을 동세 다인가구와의 비

교 인 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청년세 1인가구의 삶에서 가구 형태와 세 특성이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여 발 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기 의 사

회구조 측면을 악한다. 본 연구는 2013년 <고립과 단 의 사회, 그 사회 원인

과 응>연구단이 실시한 ‘사회 계에 한 인식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세 1인가구와 다인가구 청년 집단의 평일ㆍ휴일 여가활동과 가족 가치 을 비교하 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평일 여가활동에 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과 성별, 휴일 여가활동에 향을 끼치는 변수는 연령과 성별, 계 , 혼인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구형태는 통계 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 가치 은 가족 련 서술문항에

한 동의정도를 5 척도로 측정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세 가지 요인을 추출하

으며, 가족가치 을 보여주는 각 요인에 있어 청년세 일인가구와 다인가구 간

차이를 보이는지에 해 t-test를 실시하 다. 분석 결과 ‘가정 내 성역할에 한 태도’와 ‘ 통 가족 가치 ’에서는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일인가구에 한 태도’에서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 다. 이 결과는 청년세

1인가구는 다인가구와 유사한 여가활동을 즐기며, 1인가구가 아닌 가족에 해서도 유사한 태도와 가치 을 가지고 있지만 다인가구는 1인가구를 보편 인 가족형태

에서 벗어난 집단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 다. 한 가족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시 에서도 여 히 한국사회에는 1인가구에 한 강한 고정 념이 존재하며, 이

*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

행된 연구임(NRF-2014S1A5A2A03065229)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과정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교신저자)

Page 2: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02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로 인해 청년세 1인가구가 청년세 들이 반 으로 갖고 있는 특성을 보일 때도

고정 념에 근거한 1인가구의 특성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함의한다.

주제어: 일인가구, 청년세대, 여가, 가족 가치관,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Ⅰ. 서론

201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980년 한국사회의 가구구

성의 4.8%에 불과하던 1인가구는 괄목할만한 증가세를 보이며 2010년에

는 23.9%로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는 가구 형태로 부상하였으며, 약

20년 뒤인 2035년에는 34.3%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통계청,

2010). 이에 반하여 5인 이상의 가구는 1980년대 이후로, 4인 가구는 2000

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보편적인

가구의 형태였던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으며, 그간 만연해 있던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의해 비정상의 범주로

간주되어 왔던 1인 또는 2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가족형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여 가족규모 축소의

배경, 그들의 생활양식 및 사회적 영향력 등에 대한 학문적 관심 역시 높

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보편적인 가구 형태의 하나로 새롭게 부

상한 1인가구의 가장 큰 특징이 생성 원인에서부터 삶의 양식에 이르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내부다양성임에도 불구하고 노

인 1인 가구를 제외한 내부의 다양한 하위집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

정이다. 최근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젊은 1인 가구의 경우 역시

학문적인 연구과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노년층 1 인가구는 오랫동안 복지 서비스의 대상이자 취약계층으로 인

식되어 온 반면, 청년층 1 인가구는 학업과 직장 등을 이유로 원가족에서

떠나 새로운 가족을 꾸리기 전에 잠시 거쳐 가는 일시적 가구형태로 인식

Page 3: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03

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청년세대 1 인가구는 고학력화, 결혼 지연, 도

시화, 고용시장의 불안정성 등과 맞물려 1 인가구 내에서 차지하는 비

중이 절대적으로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메스미디어와 마케팅 분야를

중심으로 양산되고 있는 결혼을 하지 않고 삶을 즐기는 소위 잘나가는

청년 세대 1 인가구의 이미지가 저출산, 만혼, 과소비 등의 사회적 이

슈와 연계되면서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맥을 같이

하여 이들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신조어 역시 양산되었다. ‘화려한 싱

글’, ‘골드미스’ 등의 신조어가 청년세대 1 인가구가 가지고 있는 자신

의 만족을 중요시하고, 인생을 즐길 줄 아는 트렌드 세터(trend setter)

의 이미지를 함의한다면, 솔로 이코노미(Solo Economy)는 청년 1 인가

구의 이미지가 공동체를 위한 희생 대신 자신의 만족과 행복을 중요시

여기는 여가문화의 향유와 소비 주체임을 보여준다. 1 인가구의 교통,

통신, 오락, 문화 등의 소비 증가는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이루어졌고, 1 인가구를 타겟으로 한 여가 상품이 확대되었다. 이에 청

년 1 인가구는 이러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주요 소비자로 상정되었고,

여가 관련 재화 및 용역 서비스 관련 업체와 기관의 주요 연구대상으

로 부상하고 있다.

상기한 청년세대 1 인가구에 대한 이미지는 이들이 함께 사는 가족 없

이 일상을 보낸다는 1 인가구의 특성과 청년이라는 세대적 특성이 결합한

존재라는 점, 그리고 경제, 문화, 기술 등의 사회구조적 변화가 맞물려 만

들어진 것이다. 청년 1 인가구 증가의 사회구조적 배경으로는 교육수준 향

상, 청년층 고용시장의 불안정성, 여성 취업률 증가, 정보통신의 발달, 도

시화 등을 들 수 있다(최경은ㆍ윤주, 2013; 김도희, 2012; 반정호, 2012;

정경희ㆍ남상호ㆍ정은지ㆍ이지혜ㆍ이윤경ㆍ김정석ㆍ김혜영ㆍ진미정,

2012; 정민우ㆍ이나영, 2011a; 정민우ㆍ이나영, 2011b; 김혜영ㆍ선보영ㆍ

진미정ㆍ사공은희, 2007). 청년세대 1 인가구의 내부적 특성으로는 개인

주의의 강화 즉, 자기 가치 제고와 여가 향유를 원하기 때문이며, 이는 오

랫동안 우리 사회를 지배해 온 가족주의적 가치관과 배치되는 것으로 분석

Page 4: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04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되고 있다(고가영, 2014; 이은미, 2013; 안신현, 2012; 조호정ㆍ전선형,

2010).

본 연구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1 인 가구의 하위집단 중 1 인가구가 보

편화되면서 가장 큰 이미지 변화가 있었던 청년세대 1 인가구를 연구대상

으로 상정한다. 청년세대 1 인가구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1 인가구내에

서의 청년세대 1 인가구의 이미지 및 특성은 제시하고 있지만, 그들 집단

의 존재를 규정하는 연령과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타집단과의 비교적인

시각에서 진행한 연구는 많지 않다. 연구 대상을 정의하는 기준인 연령과

가구형태가 어떤 방식으로 청년 1 인가구 집단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특성으로 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청년세대 1

인가구의 특징적인 면모를 분석적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청년세대 1 인

가구의 특성을 청년세대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과 1 인가구이기 때문

에 나타나는 특성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며, 두 가지 특성이 중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의 특이점 역시 심도있게 분석되어야 한다. 특히 1 인가구

의 일상적 특이성은 가족이 존재하지 않는 집에서 노동시간외의 시간을

보낸다는 점에 근거하여 청년세대 1 인가구의 삶 중에서 여가생활과 가족

가치관에 초점을 두고 다인가구와 타세대와의 비교적인 관점에서 분석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1 인

가구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여가와 가족

의 의미가 청년세대 1 인가구와 어떻게 연결되고, 또 이들의 삶에 어떤 영

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청년세대 1 인가구의 가구 형태와 세

대적 특성이 조우하는 지점에서 발현되는 특징이 어떤 방식으로 사회구

조적인 측면과 결합하여 청년 1 인가구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지 고찰한다.

Page 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05

Ⅱ. 선행연구 고찰

1. 1인가구

1 인가구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로 1 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즉, 배우자가 있어도 동거하지 않

는 경우 역시 1 인가구에 포함되므로 1 인가구는 형성 요인, 인구학적 특

성, 사회문화적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1 인가구에

대한 구분은 상호 배제적이라기보다는 중첩적이다(변미리ㆍ신상영ㆍ조권

중, 2009). 1 인가구는 종종 독신과 혼동되는데, 독신이란 법적으로 배우

자가 없는 경우로 다양한 혼인지위를 포괄하는 1 인가구와 개념적 차이를

보인다(김혜영, 2014).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해 온 1 인가구에 대한 연

구들은 그들이 일상을 혼자 살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혼인과 가족 외에도

생활세계, 심리적 성향, 가치관, 재정상태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다수의 연구들은 우리 사회의 결혼 또는 가족 제도가 변화하는 특징적

징후 중 하나로 1인가구의 증가 현상을 설명해왔다. 이 연구들은 1인가구

를 통해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상 및 가족 가치관을 분석하거나(김혜영,

2014; 정경희 외, 2012; 김혜영 외,2007) 가족해체의 관점에서 독거노인이

형성되고 지속되는 현상에 대해 심층적으로 접근하였다(신근화, 2012; 이

신영ㆍ김은정, 2011; 하쾌남ㆍ정민자, 2000). 또한 원가족으로부터 독립하

여 새로운 가정을 형성하는 중간에 속한 청년세대 1인가구가 집과 가정에

부여하는 의미를 다루고 있다(정순희ㆍ임은정, 2014; 정민우ㆍ이나영,

2011b).

1인가구는 가구 규모의 특성 상 이동성이 높고, 소형 주택의 수요를 창

출해 왔기 때문에 주거와 거주지의 관점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주거를 다루는 연구는 크게 주요 도시의 1인가구 집 주거지를 분류하여

유형화한 연구(유창주ㆍ남광우, 2014; 이재수ㆍ양재섭, 2013), 1인가구의

Page 6: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06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주거와 관련된 정책적 수요를 측정한 연구(설동필ㆍ우윤석, 2012; 이동훈,

2012; 김옥연ㆍ문연기, 2009; 진해석ㆍ홍영균ㆍ홍기섭, 2009; 권주안ㆍ이

유진ㆍ최혜경, 2007)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1인가구 증

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이들의 주거 복지가 시급한 상태에 이르렀

으므로 현재의 다가구 중심 주택 지원정책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을 지

적한다. 1인가구의 거주지를 다루는 연구를 살펴보면, 거주지가 거주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1인가

구의 공간분포 패턴은 연령, 학력, 주택소유 및 주택유형을 기준으로 매우

대조적이고 불균등하게 나타난다. 교육수준이 높고 자가 아파트에 거주하

는 젊은 싱글족은 소수의 대도시에 집중해있는 반면에 교육수준이 낮고

단독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은 주로 농촌에 거주한다(이경애ㆍ

조주현, 2013; 이희연ㆍ노승철ㆍ최은영, 2011).

재무적 관점에서 1인가구는 다인가구와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빈곤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집단으로 제시된다. 1인가구는 다인가구 대비

더 높은 비율로 경제적 빈곤 상태에 처해 있는 적자가구에 포함되며(신민

경, 2014; 반정호, 2012; 김성숙, 2011), 성별을 남성으로만 통제한 연구에

서도 1인가구는 다인가구보다 낮은 재무 안정성을 보였다(차경욱, 2007).

특히 1인가구 중에서도 노인이 가장 경제적으로 열악한 집단으로 나타난

다(한혜진ㆍ정순희, 2013; 김수영ㆍ이강훈, 2009; 송유진, 2007). 반대로

소비 및 지출 특성에 대한 연구는 청년층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러한 연구는 공통적으로 청년세대 1인가구는 교통, 통신, 오락ㆍ문화, 여

가, 여행, 자기계발 등의 항목 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고자 하는 집단이

며, 향후 소비 시장의 흐름에 점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고가영, 2014; 이은미, 2013; 한정민ㆍ이용호, 2013; 안신현,

2012; 조호정ㆍ전선형, 2010).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온 1인가구에 대한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1인

가구를 분류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준으로 연령을 활용하고 있다. 연령을

기준으로 1인가구의 전반적인 혼인상태, 형성원인, 생활세계의 특성 등을

Page 7: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07

유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인가구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대다수

의 연구들은(김혜영, 2014; 이은미, 2013; 최경은ㆍ윤주, 2013; 반정호,

2012; 정경희 외, 2012; 강민규, 2011; 이희연 외, 2011; 변미리 외, 2009)

연령을 주요변수로 하여 학력, 거주지, 주택유형, 혼인 상태, 생성 원인 등

의 특성을 밝혀 왔다. 청년층 1인가구는 주로 도시에 거주하며, 청년층이

겪고 있는 경제적 어려움과 맞물려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급증하였고,

자유로운 생활을 즐기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 1인가구

는 이혼이 생성 원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다른 1인가구

에 비해 이혼 과정에 따르는 다양한 스트레스로 건강상 문제나 무력감,

대인관계에서 오는 자존심 상실 등의 문제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은 집단

으로 간주된다. 노년층 1인가구는 사별, 고령화가 주요 생성원인이며, 평

균수명의 차이로 여성의 비율이 월등히 높으며, 이들이 경제적, 사회적,

신체 및 정신 건강 면에서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노

인문제와 노인복지의 관점에서 접근되어 왔다.

1인가구는 인구사회학적 분포가 상당히 차별적이고, 이질성이 높아 유

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계층적으로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반정호, 2012; 정희순, 2011). 대도시에 거주하며, 교육수준이 높고 자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소수의 젊은 싱글족과 농촌에 주로 거주하는 교육수

준이 낮고 단독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독거노인으로 양분되는 것이다(최

샛별, 2014; 김도희, 2012; 이희연 외, 2011; 변미리 외, 2009). 다시 말해

1인가구는 극단적 성격의 집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 쪽 끝에는 노년층

을 다른 쪽 끝에는 청년층을 두고 있다. 1인가구의 이렇게 높은 다양성은

본 연구의 주요 연구대상인 청년세대 1인가구를 노년층 1인가구와 극단

적으로 대비될 수밖에 없게 만든다. 동시에 1인가구는 내부 다양성이 매

우 큰 집단이기 때문에 확실한 한 가지 특성만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즉, 특정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특정 범주의 1인 가구에 초

점을 맞춰 다른 범주의 집단과 비교적인 시각에서 연구와 조사를 진행할

때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청년세대 1인가구라

Page 8: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08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는 연구 대상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령과 가구형태라는 각각

의 범주를 축으로 하여 다른 연령집단과 다인가구와의 비교적인 시각에

서 다층적으로 연구해야 필요가 있다.

2. 청년세대 1인가구

1인가구 내부 하위집단을 범주화하여 양극단에 위치 지운다면 한 쪽

끝에 대도시에 거주하며, 교육수준이 높고 자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소수

의 젊은 싱글족이 위치한다. 이는 청년세대 1인가구를 가족에게 희생하는

것을 거부하고, 자신의 만족을 중요시하며, 인생을 적극적으로 영위하는

대표적인 집단이라는 인식과 일맥상통하여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1

인가구 관련 선행연구 고찰에서 살펴본 것처럼 청년세대 1인 가구에 대한

연구는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소비지출 행태를 주제로 삼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젊은 1인가구는 ‘솔로 이코노미1)’라는 새로운 단어를 만

들어낼 정도로 주요 소비자층으로 부상하였다. 젊은 1인가구의 증가는 주

택에서부터 간단한 식료품과 생활용품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새로운 수

요를 창출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1인가구의 증가와 그들의 소비적 특

성, 소비시장의 새로운 풍속도를 다루는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고

가영, 2014; 이은미, 2013; 안신현, 2012; 송애희ㆍ김미경, 2011; 오수연,

2008). 또한, 청년세대 1인가구는 소비지출 분석에서 다른 세대 1인가구와

비교하여 여가생활을 즐기거나 문화 향유에 투자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

났다(고가영, 2014; 성영애, 2013; 전상민, 2013).

청년세대는 1인가구가 아닐지라도 노동 편향적 삶의 양식에서 탈피하

여, 자기 개성과 멋을 추구하는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소비주의와 접목한

여가 지형적 삶을 새로운 하위문화로 구성하는데 선도적(김문겸, 2008)

1) 2007년 다보스포럼에서 젊은 싱글들이 소비 트렌드를 좌우한다고 발표하면서

형성된 개념으로, 2012년 뉴욕대 사회학 교수인 에릭 클라이넨버그(Eric Klinenberg)의 「고잉 솔로 싱글턴이 온다」가 출판되면서 언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Page 9: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09

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20-30대는 인구구성상의 경제활동 비

중이 매우 높고 여가시장의 흐름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 소비 집단이며,

자기중심적, 개인주의적이며,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정체성 및

차별성을 소비를 통해 부각시키려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연령계층별 교

양 및 오락비 지출에 소득대비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인다(김수

정ㆍ이명진ㆍ최샛별, 2012; 황윤미ㆍ윤소영, 2007; 조유현ㆍ이정인, 2003).

청년세대 1인가구는 동세대가 겪는 시대와 사회구조를 함께 경험하지

만 홀로 살고 있다는 특수성을 갖는다. 1인가구를 대상으로 각 세대의 여

가 특성을 다루는 연구에서 청년세대 1인가구는 다른 연령의 1인가구와

비교하여 ‘자기’를 강조하고, 정체성을 표현하는 성격을 띠고 있으며, 자

기계발이나 사회적 관계 유지에도 적극성을 보이며, 취미생활에 대한 욕

구가 높다고 말한다(최경은ㆍ윤주, 2013; 안신현, 2012; 정경희 외, 2012).

한편, 청년세대 1인가구는 적극적인 여가 및 문화 소비자인 동시에 청년

세대가 겪고 있는 청년실업, 고용 불안정 등의 경제적 어려움과 더불어

높은 주거비용까지 감당해야 하는 경제적으로 더 큰 어려움에 처한 집단

이다(정순희ㆍ임은정, 2014; 김도희, 2012; 정민우ㆍ이나영, 2011a). 전반

적으로 청년세대 1인가구의 여가 및 경제적 상황은 많은 부분 청년세대의

특성과 겹쳐진다.

그러나 비용이 아닌 시간 차원에서 20-30대의 실제 여가행태를 살펴보

면, 대부분 평일과 주말 여가시간에 대중매체를 이용한 수동적 여가생활

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유현ㆍ이정인, 2003). 이는 청년세대

가 여가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거나 개인의 관심사를 개발하는 것, 일상으

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꿈꾸고 시도도 해보지만 실제 삶은 그와 괴리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상 탈출’, ‘환상적 경험’을 추구하지만 실제로

이를 행하는 데는 많은 경제 자본을 필요로 하므로 일상은 대중매체와 같

은 수동적 여가로 채워져 있는 것이다. 같은 맥락으로 청년세대 1인가구

에게도 자본주의 문화경제는 ‘궁상맞은 독신’과 ‘화려한 싱글’을 끊임없

이 대비함으로써 기호와 가치로서의 여가 소비를 부추기고 있다고 유추

Page 10: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10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할 수 있다.

1인가구의 여가활동 양상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연령이라는 한 변수

로 설명되지 않는다. 여가 향유 정도에는 경제적 기반이 큰 영향을 미치

므로 여가활동에는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 수준도 큰 영향을 끼친다(김혜

영 외, 2007). 본 연구와 같은 자료를 활용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 간 문

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구한 연구에서도 연령 외 교

육수준, 월가구소득 등의 요인이 함께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끼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최샛별, 2014). 30-40대의 미혼, 기혼, 1인가구의 시간사용

및 여가활동을 비교한 윤소영(2002)의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일에 투자하

는 시간과 가정을 관리하는 시간이 가장 많았고, 교제와 여가활동 시간은

오히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의 가족 돌보기 관련 의무생활시간

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시간은 자신을 위한 시간이 아니라 일에 몰두하는

시간으로 치환되는 것이다.

청년 1인가구의 가족에 대한 가치관 역시 현시대 청년들이 갖는 다양

한 측면들의 연속선상에 있는 동시에, 기존 가정으로부터 주거독립은 이

루었으나 새로운 가정으로는 편입하지 않은 가족의 경계에 선 상태로 다

인가구 청년세대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기존의 가정과 완전한 분리는 이

루지 않았으나, 같은 세대의 다인가구보다는 독립성을 보장받는 형태로

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청년세대 1인가구의 삶의 본질, 주거 경험이 의미

화 되는 방식 등에 대해 관심을 둔 연구들(정순희ㆍ임은정, 2014; 정민우

ㆍ이나영, 2011b)이 등장하였다. 청년세대의 가족에 대한 태도는 개인화

를 추구하는 동시에, 가족 중심적 사고 역시 강력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

으로 묘사할 수 있다(김혜경, 2013; 정민우ㆍ이나영, 2011a). 청년세대는

원가족과 강력한 관계를 가족의 영역으로 유지하는 한편, 자신만의 개인

적이고 사적인 생활을 개별적으로 꾸려나가는 것이다. 결혼에 대한 태도

에서도 여전히 가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제도적 결혼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김혜영, 2014; 정경희 외, 2012; 정민우ㆍ이나영, 2011a;

김혜영 외, 2007). 청년세대 1인가구의 삶이 가구 중심적 삶과 거리가 있

Page 11: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11

다고 결론 내리는 연구에서도 청년 1인가구는 가정을 꾸리는 것에 가치를

두지 않아 거부한다기보다는 그에 드는 너무나 높은 비용을 감당하지 못

해 좌절과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한다(정순희ㆍ임은정,

2014). 이는 청년세대 1인가구 증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만혼 및 결혼에 대

한 가치관의 변화로 꼽고, 그들이 가족을 비롯한 타인에게 희생하기보다

자기만족을 중시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제동을 건다.

청년세대의 여가와 가족에 대한 가치관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태도는

‘자기’를 강조하고, 개인적이고 사적인 생활 영역의 독립성을 보장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는 점이다. 산업화 및 현대화 이후 계속된 시간과 공

간의 분리는 노동 외 시간에서 또 한 번 일어난다.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한

논의는 가족문제에서 출발하였으나 인간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관심과

관련성을 높이며 점차 일 외적 삶과 시간을 세분화하게 되었다(김정운ㆍ

박정열ㆍ손영미ㆍ장훈, 2005). 비노동시간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은 가족과 개인이며, 이 둘은 상호배타적인 수준은 아닐지라도 분리 가능

하다. 이러한 면에서 청년세대 일인가구는 물리적으로 가족이 배제되었기

에 비노동시간을 완전히 개인 위주로 꾸려나갈 수 있다. 즉, 청년 일인가

구의 삶에서 여가의 의미와 가족을 생각하는 방식은 긴 하게 연결된다.

Ⅲ. 연구대상 및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인구학적 연령집단에 근거한 세대 구분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구분점이

되어왔다. 소로킨(Sorokin, 1962)은 연령을 사회 체계와 조직 구조를 형성

하고, 개인의 행동과 특징을 형성하는 기초 개념으로 보았고, 최홍철과 최

현자(2014)는 우리 사회는 일정한 연령에 따라 취업, 결혼, 출산 등의 과

업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에 맞춰 인생을 살아왔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Page 12: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12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1인가구라는 삶의 형태 자체가 기존의 생애주기 궤도를 따르는 방식이 아

닐지라도 특정 연령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생애주기와 비교를 하게끔 한

다. 한국 사회에서 20-30대는 취업, 결혼, 출산, 육아 등의 사회적으로 요

구되는 생애사건들에 직면해 있다(정민우ㆍ이나영, 2011a). 그리고 20-30

대 1인가구는 전반적으로 취업이나 진학을 목적으로 생성되었으며, 원가

족으로부터 거주지의 분리는 이루었으나 결혼을 통해 새 가정을 구성하

지는 않고 있는 집단이라는 특수성을 가진다. 따라서 1인가구에 대해 세

대적 차원에서 접근한 연구는 많은 경우 청년세대의 연령 경계를 20대에

서 30대로 잡고 있다(이은미, 2013; 김도희, 2012; 정경희 외, 2012; 정민우

ㆍ이나영, 2011a; 정민우ㆍ이나영, 2011b).

일반적인 청년세대 1인가구의 연령은 20-30대이지만 교육 기간이 연장

되고, 직업 획득과 결혼 역시 연기됨에 따라, 청년세대를 보다 세 한 방

식으로 규정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정순희ㆍ임은정(2014)는 청년1인가구

의 삶에 대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25~39세의 취업 청년들로 한정하였

다. 비취업 청년은 거의 대부분의 삶의 문제가 비취업이므로 다른 요인들

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없기 때문이다. 김혜영(2014)은 1인가구의 연령

별 특성을 혼인상태와 연관 지었는데, 청년세대를 미혼으로 혼자 생활하

는 것을 특징으로 보았다. 따라서 2010년 기준 통계청의 연령대별 혼인상

태에서 미혼이 가장 주된 혼인 상태로 나타난 연령인 45세 미만을 청년세

대로 상정하였다. 정경희 외(2012)의 연구는 통계 조사에서는 20-30대를

대표적인 청년세대 연령으로 이해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삶과 생활 세

계의 이해를 위한 질적 조사에서는 20~30대일지라도 내부 연령대와 이혼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할 것으로 판단하여 30대 미혼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

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청년세대 1인가구에

대한 전반적인 여가와 가족가치관에 대한 특성 이해를 목적으로 삼고 있

으므로 일반적 연령 경계인 20-30대를 적용하였다.

Page 13: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13

2.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양적 자료는 2013년 <고립과 단절의 사회, 그 사회

적 원인과 대응> 연구단이 실시한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자

료 중 여가활동과 가족가치관에 대한 문항들을 사용하였다. 2013년 10월

30일부터 12월 16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15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1:1 대면면접조

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표본은 먼저 전국 16개 시도별로 1인가구 60명

과 다인가구 60명씩 총 120명을 유의할당하여 추출하였고, 잔여 표본은

지역별 인구비례에 의해 할당한 후 다단계 층화추출법(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이 자료는 1인가구와 다인가

구를 1:1 비율로 유의할당 추출했다는 점에서 1인가구의 가구유형으로 인

해 생기는 특이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기존의 많은 자료들은 1인가구

만을 대상으로 수집되어 1인가구 내 다양한 특성을 밝히는 데는 유용하였

지만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그들의 실질적 차이를 밝히기 어려웠음을 고

려할 때, 이 자료는 1인가구의 다인가구와 차별화되는 특성을 밝히기에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설문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요인분

석, t-test 등의 통계기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때, 자료 수집은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율을 동일하게 설정했지만 분석에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

의 실제 비율을 반영한 가중치를 적용하였다2). 또한, 전체 응답자들의 연

령은 20세 이상 80세 미만의 범위로 고루 분포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연

구대상자인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층만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

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2) 전체 인구 중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기준 약 27.1%이다(통계청, 2012).

Page 14: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14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구분 1인가구 다인가구 전체

전체 205 (100.0) 597 (100.0) 802 (100.0)

성별남성 123 (60.0) 307 (51.3) 430 (53.5)여성 82 (40.0) 291 (48.7) 373 (46.5)

연령20대 104 (51.0) 276 (46.2) 380 (47.4)30대 100 (49.0) 321 (53.8) 421 (52.6)

지역

규모

서울/광역시 104 (50.7) 283 (47.4) 387 (48.3)중소도시 77 (37.6) 218 (36.5) 295 (36.8)

읍/면 24 (11.7) 96 (16.1) 120 (15.0)혼인

상태

기혼 6 (2.9) 269 (45.1) 275 (34.3)비혼 199 (97.1) 328 (54.9) 527 (65.7)

교육

수준

중졸 이하 4 (2.0) 6 (1.0) 10 (1.3)고졸 68 (33.3) 177 (29.7) 245 (30.6)

전문대졸 52 (25.5) 181 (30.4) 233 (29.1)대졸 이상 80 (39.2) 232 (38.9) 312 (39.0)

계급

중상/신중간 86 (42.4) 263 (44.1) 349 (43.7)구중간 41 (20.2) 134 (22.5) 175 (21.9)노동 57 (28.1) 152 (25.5) 209 (26.2)기타 19 (9.4) 47 (7.9) 66 (8.3)

<표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

본 연구의 여가 관련 종속변수는 ‘자주 하는 여가 활동’과 ‘가족 가치

관’이다. 여가활동은 가용시간의 양적 차이가 있으므로 평일과 휴일로 나

누었고, 25 개의 항목3)을 제시하여 가장 자주하는 평일과 휴일 여가활동

각각에 대해 응답하는 방식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25가지 여가 항목 중

상위 세 개 활동인 ‘인터넷 하기’, ‘TV/DVD/비디오 보기’, ‘친구 만나기’

와 그 외 여가로 여가활동 항목을 정리하였다. 평일과 휴일의 유형이 다

3) 설문에 포함된 25개 여가활동에는 TV/DVD/비디오보기, 라디오듣기, 음악듣

기, 신문/잡지 읽기, 인터넷하기, 온라인 게임하기, 영화보기, 문화행사 참여하

기, 독서하기, 운동하기, 운동경기 관람하기, 등산하기, 종교 활동하기, 친구만

나기, 친척만나기, 전화수다하기, 쇼핑하기, 여행하기, 집안 가꾸기, 사우나/온천/찜질방가기, 낮잠 자기, 아무것도 하지 않기, 외국어 및 교양 등 자기계발, 미용 및 외모관리가 포함되었다.

Page 1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15

소 다른데, 대표적인 것이 ‘낮잠자기’와 ‘종교활동’이다. 특히 휴일의 경우

는 ‘낮잠자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상위 3개 여가활동과 큰 차이가 없

는 9.9%임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범주로 포함시켰다. 따라서 평일 여가활

동은 인터넷하기, TV/DVD/비디오 보기, 친구만나기, 기타 활동의 네 범

주로, 휴일 여가활동은 평일 여가활동의 범주에 낮잠자기가 포함된 다섯

범주로 분류되었다. 즉, 평일 여가활동보다 휴일 여가활동 유형이 더 다양

하게 나타났다.

여가활동 관련 독립변수는 가구유형 외에도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원을 고려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인구학적

특성 요인들로는 가구형태, 성별, 연령, 거주 지역 규모, 결혼 유무가 포함

된다. 가구형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분류되고, 성별 변수는 여성과

남성, 연령은 연속변수 형태로 사용하였다. 지역 규모는 서울/광역시,중소

도시, 읍면으로 나누었고, 결혼 유무는 기혼과 나머지 혼인 상태로 나눠

처리하였다. 사회경제적 특성 요인들에는 응답자 본인의 교육수준과 계

급, 우울감, 도와줄 사람을 포함시켰다. 응답자 본인의 학력은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 대졸 이상으로 분류되었고, 계급은 중상/신중간, 구중간,

노동으로 분류하였다4). 우울감과 도와줄 사람의 수는 연속변수이다.

다음으로 가족 가치관 관련 분석은 가족가치관을 나타내는 문항을 종

속변수로, 가구형태를 독립변수로 두고 t-test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제시된 가족과 관련된 문항 17개5)에 대해 5점 척도‘1: 전혀 동의하지 않

는다’에서 ‘5: 매우 동의한다’로 측정하였다. 17개의 문항은 다시 요인분

석을 통해 12개 문항을 사용해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가족 관련 가

치관에 쓰인 3개 요인은 ‘1인가구에 대한 태도’, ‘성역할에 대한 태도’,

‘전통적 가족주의’이다.

4) 가구 계층 변수의 경우 한국 사회의 가구계층을 직업의 종류를 바탕으로 구성

한 홍두승(2005)의 계층 모형을 변형시켜 중상/신중간 계층, 구중간, 노동 계층

으로 분류하였다. 5) <표 6>요인분석 결과표에 제시

Page 16: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16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1. 여가활동

<표 2>는 청년세대 일인가구와 다인가구의 평일 및 휴일의 여가활동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전체 인구 중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기준 약 27.1%이므로 여가활동의 사례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통계청, 2012). 전체 청년세대의 여가활동을 살펴보면, 평일은 인터넷하

기(36.4%), TV/DVD/비디오 보기(14.4%), 친구 만나기(8.1%) 순으로 휴일

은 인터넷하기(14.7%), 친구 만나기(12.5%), TV/DVD/비디오 보기(12.2%)

의 순으로 여가생활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과 휴일 여가

모두에서 가장 자주하는 여가활동의 순위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가 동일

하였다. 또한, 평일 여가활동은 절반 이상이 인터넷하기, TV/DVD/비디오

보기에 몰려있는 반면, 휴일 여가활동은 더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여가활동 유형 1인가구 다인가구 전체

평일

여가

활동

인터넷 하기 71 (34.8) 220 (36.9) 291 (36.4)

TV/DVD/비디오 보기 32 (15.7) 83 (13.9) 115 (14.4)

친구 만나기 23 (11.3) 42 (7.0) 65 (8.1)

기타 78 (38.2) 251 (42.1) 329 (41.1)

휴일

여가

활동

인터넷 하기 33 (16.3) 85 (14.2) 118 (14.7)

친구 만나기 31 (15.3) 69 (11.5) 100 (12.5)

TV/DVD/비디오 보기 25 (12.3) 73 (12.2) 98 (12.2)

낮잠자기 18 (8.9) 61 (10.2) 79 (9.9)

기타 96 (47.3) 310 (51.8) 406 (50.7)

<표 2> 가구형태별 평일과 휴일 여가활동 분포 빈도(%)

다음은 이러한 여가활동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보기 위하

여 실시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Page 17: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17

평일 여가활동은 네 개 범주로 이루어졌으며, 기준 범주는 기타이다. 그리

고 휴일 여가활동의 경우에는 다섯 개 범주로 이루어졌고, 기준 범주는

기타이다. 독립변수로 사용된 변수는 모두 아홉 개인데, 여기에는 연령,

우울감, 도와줄 사람, 가구형태, 성별, 거주 지역규모, 계급, 결혼유무, 교

육수준이 포함된다. 각 범주의 기준범주는 마지막 범주로 지정하였다. 특

히 연속변수인 연령, 우울감, 도와줄 사람은 공변량으로 전체 모형에 포함

되었다. <표 3>의 의사 R2 값이 보여주듯이, 이러한 독립변수들을 포함한

모형은 대체로 평일의 여가활동 종류보다는 휴일의 여가활동 종류를 설

명하는데 더 적절하다.

평일 여가 휴일 여가

Cox and Snell .080 .182Nagelkerke .087 .195McFadden .034 .073

<표 3> 의사 R2(Pseudo R2) 측정값

<표 4>와 <표 5>는 각각 평일과 휴일의 여가활동에 대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95% 신뢰수

준에서 연령과 성별만이 평일 여가활동의 종류를 설명하는데 혹은 모형

의 적합도를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시 말

하자면, 이들 변수는 평일 여가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휴일 여가활동경우에는 다르게 나타난다. 연령, 성별, 계급, 결혼유

무가 95% 신뢰수준에서 전체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평일과 휴일 여가활동 모두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는 연령과 성별이고, 휴일여가는 계급과 결혼유무 변수까지

포함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때, 평일이나 휴일과 상관없이 여가활동의 종류를 설명하는데 가

구유형은 특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Page 18: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18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효과모형 적합 기준 우도비 검정

축소 모형의 -2 로그 우도 카이제곱 df 유의수준

상수 1751.385 .000 0 .

연령 1775.345 23.960 *** 3 .000

도와줄 사람 1754.200 2.816 3 .421

우울감 1754.252 2.868 3 .412

가구형태 1754.551 3.167 3 .367

성별 1761.045 9.660 * 3 .022

지역규모 1756.450 5.065 6 .535

계급 1758.458 7.073 9 .629

결혼유무 1754.344 2.959 3 .398

교육 1754.553 3.168 9 .957

<표 4> 평일 활동에 대한 우도비(Likelihood Ratio) 검증

주: *p < .05, **p<.01, ***p<.001

효과모형 적합 기준 우도비 검정

축소 모형의 -2 로그 우도 카이제곱 df 유의수준

상수 1910.575 .000 0 .

연령 1923.814 13.240 * 4 .010

도와줄 사람 1918.413 7.839 4 .098

우울감 1916.528 5.953 4 .203

가구형태 1911.576 1.002 4 .910

성별 1941.937 31.362 *** 4 .000

지역규모 1919.523 8.948 8 .347

계급 1944.453 33.878 *** 12 .001

결혼유무 1938.065 27.491 *** 4 .000

교육 1919.753 9.179 12 .688

<표 5> 휴일 활동에 대한 우도비(Likelihood Ratio) 검증

주: *p < .05, **p<.01, ***p<.001

Page 19: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19

여가는 개인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적인 활동일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

구조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제약되는 사회적 활동이기도 하다. 김수정

외(2012)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 이에 상응하는 상이한 여가활

동들의 분포를 그려내어 한국 사회의 여가 지형 구조를 시각화한 연구에

서도 평일과 휴일의 주요 여가활동유형은 한편으로 연령이라는 축에 따

라 20-30 대의 여가, 40-50 대의 여가, 60 대 이상의 여가로 구분되고, 또

다른 한 편으로는 교육수준과 가구계층을 포괄하는 계층이라는 축에 따

라 상층의 여가와 중층의 여가, 그리고 하층의 여가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다항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도 연령은 평

일과 휴일 여가 모두에서 계급과 결혼 상태는 휴일 여가에서 의미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나 청년세대로 연령 변수를 일정하게 통제했음에도

연령은 청년세대 내에서도 여가활동을 설명하는 의미 있는 변수였다. 하

지만 청년세대가 1 인가구인 것은 평일 및 휴일여가 활동을 설명하는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2. 가족 가치관

다음으로 청년세대 1인가구가 가구형태에 따라 다른 가족 가치관을 가

지고 있는가에 대해 면 히 살펴본다. <표 6>은 가족관련 가치관의 유형

분류를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

성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

용하였으며, 요인 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전방식(varimax)을 채

택하였다. 추출된 3개 요인을 각각 ‘1인가구에 대한 태도’, ‘가정 내 성역

할에 대한 태도’, ‘전통적 가족주의’로 명명했다. 각 문항에 대한 동의도는

5점 척도로 1점은 ‘전혀 그렇지 않다’를 5점은 ‘매우 그렇다’로 측정하

여 변수로 사용하였다. 요인 점수는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들의 평균

값이다.

우선 첫 번째 요인인 “1인가구에 대한 태도”는 ‘1인가구는 정서적 안정

Page 20: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20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항목 평균표준 편차

성분 크론바흐

α1 2 3

1인가구에 대한 태도 3.34 .65      

0.71

혼자 사는 사람들은 정서적 안정감이 낮다 3.26 .86 .82 .10 .09

혼자 사는 사람들은 외로움을 많이 느낄 것이다 3.48 .85 .75 .14 .01

혼자 사는 사람들은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

할 것이다3.43 .88 .73 .15 -.05

결혼은 사람들이 보통 결혼하는 나이에 해야

한다3.18 .95 .59 -.08 .22

<표 6 >가족관련 가치관 요인분석

감이 낮다’, ‘1인가구는 외로움을 많이 느낀다’, ‘1인가구는 개인주의적 성

향이 강하다’, ‘결혼은 적령기가 있다’의 항목을 포함한다. 1인가구를 정

상성의 범주에서 벗어난 집단으로 판단하는 태도를 보인다. 내적 일관성

(internal consistency)을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계산한 결과 그 값

이 .71이었다. 두 번째 요인은 “가정 내 성 역할에 대한 태도”로 ‘결혼한

여성도 직장을 가져야 한다’, ‘맞벌이 부부는 집안일과 자녀양육을 균등

부담해야 한다’, ‘불행한 결혼보다는 이혼이 낫다’, ‘아버지는 자녀 교육

문제에 적극 관여해야 한다’, ‘가장의 권위는 존중 받아야 한다’를 포함한

다. 부부간 역할분담에 있어 전통적 가치관보다 성별 분업적 가치관이 약

해졌으나, 양육에 대한 책임은 여전히 여성에게 더 강하게 부여되고 있는

태도를 나타낸다. 신뢰도는 .67로 나타났다. 세 번째 요인은 “전통적 가족

주의”로 ‘결혼한 여자는 친정보다는 시집 일을 우선시해야 한다’, ‘남성

은 처가살이를 가능한 피해야 한다’, ‘아들은 있어야 한다’의 항목을 포함

하고 있으며, 가부장적 가치관을 보이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신뢰도는

.53으로 나타났다.

Page 21: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21

항목 평균표준 편차

성분 크론바흐

α1 2 3

가정 내 성역할에 대한 태도 3.74 .52      

0.67

결혼한 여성도 직장을 가져야 한다 3.73 .76 .02 .71 -.01

맞벌이 부부는 집안일과 자녀양육을 똑같이

부담해야 한다3.84 .81 .14 .70 -.20

불행한 결혼보다는 이혼이 낫다 3.80 .90 .12 .69 -.12

아버지는 자녀 교육 문제에 적극 관여해야 한다 3.68 .77 -.01 .57 .16

가장의 권위는 존중받아야 한다 3.65 .73 .10 .55 .32

전통적 가족주의 2.99 .66      

0.53

결혼한 여자는 친정보다는 시집 일을 우선시

해야 한다2.89 .88 .04 .02 .72

남성은 처가살이를 가능한 피해야 한다 3.17 .97 .04 .06 .71

아들은 있어야 한다 2.90 .88 .10 -.05 .67

<표 7>은 청년세대의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가구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t-test 분석 결과이다. 각 요인에 대해 청년세대 1인가구

와 다인가구가 같은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1인가구에

대한 태도”에 대해 살펴보면, t값은 -2.57로 1인가구와 다인가구는 1인가

구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동의도의 평균은 1인가구

는 3.24, 다인가구는 3.37의 수치를 보여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다인가

구가 1인가구에 대한 고정관념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성

역할 태도”를 살펴보면, t값은 -.75로 1인가구와 다인가구는 부부간 성 역

할에 대해 통계적으로 차별적인 지각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

적으로 동의도의 평균은 1인가구는 3.72, 다인가구는 3.75로 나타났다.

“전통적 가족주의”에 대해 살펴보면, t값은 -.17로 1인가구와 다인가구는

전통적 가족주의에 대해 통계적으로 차별적인 지각을 하지 않는 것으로

Page 22: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22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의도의 평균은 1인가구는 2.92, 다인가구는 3.01

로 나타났다.

구분

평균 표준편차

T값1인가구(N=205)

다인가구(N=597)

1인가구(N=205)

다인가구(N=597)

1인가구에 대한 태도 3.24 3.37 .64 .65 -2.57**

성역할 태도 3.72 3.75 .51 .52 -.75

전통적 가족주의 2.92 3.01 .62 .67 -.17

<표 7> 가구형태 별 가족 관련 가치관 t-test 결과

주: *p < .05, **p<.01, ***p<.001

가족에 대한 가치관 중 청년세대가 가구형태에 따라 다른 가치관을 가

지고 있는 경우는 “1인가구에 대한 태도” 뿐이었다. 1인가구가 아닌 가정

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은 가구형태에 따라 달라지지 않지만 1인가구에 대

한 생각은 가구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1인가구가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인가구는 상대적으로 1인가구

를 더 개인주의적이고, 자기에게 많은 투자를 하는 사람들로 인식하고 있

음을 의미한다. 가족에 대한 가치관을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가지고 있음

에도 1인가구는 어딘가 다른 집단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는 다인가구

더 나아가 사회에 전반에 걸쳐 1인가구에 대한 특정한 고정관념이 존재한

다는 것을 함의한다.

Ⅴ. 요약 및 결론

전체 가구 중 절반가량이 2인 이하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가정일 정

도로 가족 규모는 지속적으로 축소되었으며, 가장 작은 단위의 가구 형태

Page 23: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23

인 1인가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거주 공간에서 홀로 일상을 보내는

1인가구는 인구 구성 비율이 양적으로 확장됐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

으로 형성되고, 넓은 범위의 삶의 형태를 보이는 등 내부 이질성도 함께

높아졌다. 이런 특성을 반영하듯 1인가구를 바라보는 시선도 오랫동안 존

재해 온 결핍되거나 외로운 1인가구에서 자기중심적으로 인생을 즐기는

1인가구로 양분화 되었다. 이 때, 동정의 대상이자 대표적인 사회적 약자

로 상정되는 부정적인 이미지는 노년세대 1인가구를 향하고 있고, 화려하

고 자유로우며, 자신의 삶을 당당하게 즐기는 긍정적인 이미지는 청년세

대 1인가구를 향하고 있다. 청년이라는 세대적 특성과 1인가구라는 가구

형태에 동시에 속하는 집단은 교육 기간 연장, 혼인의 지연, 여성 취업률

증가, 도시화 및 정보화 등의 사회구조적 변화와 함께 극적인 이미지 변

화를 겪게 되었다.

1인가구의 생활은 노동 외 시간을 가족 없이 보내고 있다는 점을 가장

큰 특징으로 갖고 있다. 그러므로 1인가구의 삶이 실제로 그들에게 주어

지는 시선과 유사하다면, 여가를 보내는 방식과 가족과 관련된 가치관에

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다른 가족 구성원의 간섭이나 역할에 에너지와

시간을 쏟을 필요가 없는 일상을 보낸다는 점이 1인가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또한 청년세대는 자기중심적이고, 여가활동에서 많은

소비를 하는 집단으로 설명된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라는 연령적 특성과

1인가구라는 가구 형태적 특성을 함께 갖고 있는 청년세대 1인가구의 여

가활동과 가족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 그들의 삶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비

롯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 1인가구가 여가활동과 가족가치관 면에서 다인가

구 청년과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청년세대 1

인가구의 가구 형태와 세대적 특성이 어떤 방식으로 사회구조적인 측면

과 결합하여 청년 1인가구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단독가구를 형성하

고 있는 사람을 청년세대 1인가구라고 정의하고, 청년세대 다인가구 집단

Page 24: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24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과 비교하여 여가활동 및 가족 가치관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였

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율을 1:1로 유의할당

추출한 ‘사회관계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자료이다. 선행 연구의 자료

대부분이 1인가구만을 대상으로 수집되어 1인가구 내 다양한 특성을

살펴보기에는 유용하였지만 가구형태를 기준으로 그들의 실질적 차이

를 밝히기 어려웠음을 고려할 때, 이 자료는 1인가구의 차별화되는 특

성을 연구하는 목적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청년세대의 평일과 휴일 여가활동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는 연령과 성별이었고, 휴일 여가활동에는 연령과 성별 외에 계

급과 혼인상태도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가구형태 즉, 1인

가구 여부는 청년세대의 평일과 주말 여가활동 모두를 설명하는데 중요

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다.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령, 성별, 혼인상태,

계급은 일반적으로 여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변수들이다. 즉,

청년세대의 여가활동은 집에 본인 외의 구성원이 존재하는가와 상관없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가족 가치관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 역시 비슷하게 나타났다. 청년세대

1인가구는 가족 가치관 중 ‘1인가구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는 다인가구

청년과 통계적으로 다른 집단인 것으로 밝혀졌으나 ‘전통적 가족주의’

요인과 ‘가정 내 성 역할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

었다.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입각한 모습의 가정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

은 가구형태에 따라 달라지지 않지만 1인가구를 바라보는 시선은 자신이

1인가구인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즉, 청년세대 다인가구는 1인가구

를 개인주의적이고, 자기에게 많은 투자를 하는 집단으로 인식하고 있음

을 의미한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는 다인가구 가정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은 유사하

지만 1인가구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은 다르다는 점이 이 연구의 중요한

성과이다. 1인가구가 혼인과 혈연을 통해 만들어진 가정을 부정적으로 여

Page 2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25

기는 것이 아니라, 다인가구가 1인가구를 왜곡하여 바라보고 있는 것이

다. 청년세대 1인가구는 1인가구라는 가구형태로 살게 되면서 내적인 변

화를 겪으면서 새로운 생각이나 가치관을 갖게 된 집단이 아니라 외부적,

환경적, 사회구조적 변화로 인해 혼자 살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하지만 정

상가족 이데올로기가 팽배한 사회에서 ‘가족’은 냉혹한 사회로부터 개인

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보호막으로 이해되므로 ‘가족’의 관점에서 1인가

구를 바라보는 것은 언제나 우려와 결핍의 시선을 낳는다(노명우, 2014).

그러나 혼자 사는 장점은 곧 가족과 함께 살 때 겪게 되는 단점이다. 1인

가구는 가정에서 어떤 간섭도 눈치도 받지 않으며, 모든 생활을 철저히

자기중심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청년세대 1인가구가 여가에 대

한 강한 적극성을 가질 것이라는 인식은 이러한 지점에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청년세대 1인가구는 가족과 함께 살 때 겪는 단점을 안고 살 필

요가 없는 집단으로 생각되기보다는 여가활동을 활발히 즐겨서 만족스러

워 하고 있을 것이라고 믿게 만들었다. 나아가 여가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계급, 노동시간과 같은 요소 대신 가정생활에 쏟는 시간이 여가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이해하게 만들어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곧 가정에 대한 희생

을 거부하는 관념으로 치부하게 만든 것이다. 물론, 1인가구에 대한 시각

이 낙오자에서 트렌드세터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갖게 된 것은 분명 진일

보한 변화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강력한 힘을 가

지고 있는 사회에서 1인가구에 대한 시선은 필연적으로 왜곡될 수밖에 없

으며, 그들이 사회구조 및 경제적 현실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혼자

살기를 단순히 개인의 만족을 극대화하고자 선택한 능동적 삶의 형태로

오해하게 만든다. 이렇듯 청년세대 1인가구를 둘러싼 편견과 고정관념은

그것을 만들어내는 특정 사회적 기제의 산물이므로 앞으로도 꾸준한 관

심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2015년 05월 30일 접수

2015년 06월 25일 수정 완료

2015년 06월 26일 게재 확정

Page 26: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26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참고문헌

강민규. 2011. “국내 1인 가구 증가의 공간분포 특성에 따른 지역 정책적

함의.” 「국토정책 Brief」 311: 1-6.

고가영. 2014. “1인가구 증가 소비지형도 바꾼다.” 「LGERI리포트」.

권주안·이유진·최혜경. 2007.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 및 공급 활성화 방

안.” 「주택산업연구원」 4: 1-91.

김도희. 2012. “청년일인가구 증가 요인에 따른 생활실태 분석과 정부의

정책 과제.” 「한국 지방정부 학회학술대회 논문집」 2012: 1-27.

김문겸ㆍ박재환 외. 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한울.

김성숙. 2011. “저소득층 일인가구 및 非일인가구의 가계 재무상태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 125-145.

김수영ㆍ이강훈. 2009. “이전소득의 독거노인가구 빈곤 경감효과 비교.”

「한국노년학」 29: 1559-1575.

김수정ㆍ이명진ㆍ최샛별. 2012. "한국사회의 여가 지형도.” 「여가학연구」10: 55-85

김옥연ㆍ문연기. 2009. “일인가구 주거실태 분석.” 「주거환경」7: 37-53.

김정운ㆍ박정열ㆍ손영미ㆍ장훈. 2005. “‘일과 삶의 조화’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2(3): 29-48

김혜경. 2013. “부계 가족주의의 실패?” 「한국사회학」47: 101-141.

김혜영. 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일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15(2): 255-292.

김혜영ㆍ선보영ㆍ진미정ㆍ사공은희. 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pp. 2-314.

노명우. 2013.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 사월의 책.

반정호. 2012. “일인가구의 사회ㆍ경제적 특성과 변화.” 「노동리뷰」85:

55-67.

변미리ㆍ신상영ㆍ조권중. 2009. “일인가구, 서울을 변화시킨다.” 「정책리

Page 27: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27

포트」 30: 1-18.

설동필·우윤석. 2012. “1-2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공급정책의 효율성 연

구.” 「한국정책연구」 12(4): 197-222.

성영애. 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 패

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송유진. 2007. “사별 후 혼자 사는 노인 1인가구의 특성: 지역별 분포와 사

회경제적 특성,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지」18(1): 147-160.

송애희ㆍ김미경. 2011. “젊은 1인가구를 위한 소형집합주거의 공간계획

특성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13: 21-25.

신근화. 2012. “독거노인의 가족해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19: 79-104.

신민경. 2014. “일인가구의 특성에 따른 재무구조의 특징.” 「Financial

Planning Review」7: 1-24.

안신현. 2012. “부상하는 1인 가구의 4대 소비 트렌드.” 「SERI 경제포커스」159.

에릭 클라이넨버그, 안진이 역. 2013. 「고잉솔로 싱글턴이 온다」. 길벗.

오수연. 2008. “일인가구의 지갑을 열어라.” 「마케팅」42: 79-81.

유창주ㆍ남광우. 2014. “일인가구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 -부산시를 사례

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17: 59-71.

윤소영. 2002.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

가정관리학회지」20: 209-217.

이경애ㆍ조주현. 2013. “서울시 일인가구의 거주지 분포변화에 관한 연

구.” 「부동산도시연구」6: 23-50.

이동훈. 2012. “서울시 저소득 일인가구를 위한 임대주택 유형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28: 75-84.

이신영ㆍ김은정. 2011. “독거노인의 자녀와의 사회적지원 유형과 관련요

인.” 「가족과문화」23: 105-136.

Page 28: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28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이은미. 2013. “인구와 가계 통계로 본 1인 가구의 특징과 시사점.” 「SERI

경제포커스」422.

이재수ㆍ양재섭. 2013. “서울의 일인가구 특성과 거주 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 정책방향 연구.” 「국토계획」48: 181-193.

이희연ㆍ노승철ㆍ최은영. 2011. “일인가구의 인구ㆍ경제ㆍ사회학적 특성

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 분포.” 「대한지리학회지」46: 480-500.

전상민. 2013 “단독가구의 소비지출패턴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소비

자문제연구」44: 21-43.

정경희ㆍ남상호ㆍ정은지ㆍ이지혜ㆍ이윤경ㆍ김정석ㆍ김혜영ㆍ진미정.

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

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민우ㆍ이나영. 2011a. “가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경제와 사회」 pp.

105-145.

정민우ㆍ이나영. 2011b. “청년 세대, ‘집’의 의미를 묻다.” 「한국사회학」45: 130-175.

정순희ㆍ임은정. 2014. “청년 1인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7(4): 1-19.

정희순. 2011. “한일양국 일인가구의 사회구조적 특징 연구.” 「한국일본어

문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496-501.

조유현ㆍ이정인. 2003.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결정요인

분석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2, 30대를 중심으로-.” 「생활과학논집」18: 125-146

조호정ㆍ전선형. 2010. “국내 일인가구의 7대 구조적 특징-일인가구의 저

소득ㆍ고연령 심화.” 「경제주평」 394: 10-14.

진해석·홍영균·홍기섭. 2009. “1인가구 요구 분석에 따른 집합주택단지 계

획.”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1): 181-184.

차경욱. 2007. “남성 일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53-269.

Page 29: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29

최경은ㆍ윤주. 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

화관광연구원.

최샛별. 2014. “1인가구의 문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

구: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12(2): 1-24.

최홍철ㆍ최현자. 2014.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3): 93-125.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하쾌남ㆍ정민자. 2000. “독거노인가구의 형성과정에 관한 생애과정적 사

례 연구.” 「생활과학논문집」1」 pp. 107-125

한정민ㆍ이용호. 2013. “1인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경제」 pp. 22-31.

한혜진ㆍ정순희. 2013. “일인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6: 35-62.

황윤미ㆍ윤소영. 2007.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분석 -1인미디어 활용자의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4: 27-47.

Sorokin, Pitrim A. 1962. Social and Culture Dynamics. Vol. Ⅵ. New York:

The Bedmister Press.

Page 30: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230 한국사회 제16집 1호(2015년)

A Study on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Valu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One-Person Household: Focusing on Comparisons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Woo, MinHeeM.A. student, Dept. of Soc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Lee, Myoung-JinProfessor, Dept. of Sociology, Korea University

Choi, SetByolProfessor, Dept. of Soc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valu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one-person household by comparing them with the younger generation living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This aims to analyze how the household types and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re combined to affect the lives of the young living alone, thereby identifying the underlying socio-structural aspects. This study uses the survey on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perceptions on social relations” conducted by the research team “isolated and broken society, its social causes and responses” in 2013, to compare the young aged between 20 and 39 in the one-person household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based on their leisure activities on weekdays and weekends and family values.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variables that affect weekday leisure activities include age and sex while the variables that affect weekend leisure activities include age, sex, social status, and marriage. Household

Page 31: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 ... · 2015-09-03 ·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231

types, however, do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eisure activities. As for family values, multiple choices of family-related questions are given scores of one to five each for primary factor analysis, which extracts three factors, and a t-test is conducted to see tha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family values between the young in the one-person household and the young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The analyses reveal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in the home” and “traditional family values” between the household types although the two group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attitude toward the one-person household.” This result shows that the young living alone enjoy similar leisure activities with the young living with others as well as have similar attitudes and values toward multi-person households while the young living with others perceive the one-person household as an unconventional family group. Even today, when various types of nontraditional families are growing up, strong stereotypes against the one-person household still persists in Korean society, which leads to stereotypes against the young living alone even when they show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dinary young.

Key words: one-person household, younger generation, leisure activity, family value, normal family id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