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회화 小倉コレクションの総数68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 68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 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 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 点仏画3点とからなる。 このなかには金弘道と同年齢で親しい間柄であった李寅文(1745~1823以後)の『雑画帖』(図 797)、趙熙龍(1789~1866)の『墨蘭石帖』(図820)、鄭成源の『百済古都八景図帖(図801)』のよう 図820)、鄭成源の『百済古都八景図帖(図801)』のよう 820)、鄭成源の『百済古都八景図帖(図801)』のよう 図801)』のよう 801)』のよう に、いくつかの絵画からなる一括画帖がある。また、対聨の双幅からなる絵画と屏風もある。 聨の双幅からなる絵画と屏風もある。 の双幅からなる絵画と屏風もある。 これらを概観すると、第一に、時期的におよそ500年におよぶ朝鮮時代全体にわたっている。第 500年におよぶ朝鮮時代全体にわたっている。第 年におよぶ朝鮮時代全体にわたっている。第 二に、時代別画風の変化が窺われる山水、人物、花鳥、風俗、四君子など、伝統絵画のあらゆる分野 を広く含んでいる。第三に、画員と文人画家などの一級画家の絵画が多数含まれている。初期の作品 が少ない安堅(15世紀)を除外しても、朝鮮三大画家の2人、朝鮮後期画壇で活躍した3人のソンビ(士 15世紀)を除外しても、朝鮮三大画家の2人、朝鮮後期画壇で活躍した3人のソンビ(士 世紀)を除外しても、朝鮮三大画家の2人、朝鮮後期画壇で活躍した3人のソンビ(士 人)画家である士人三斎があまねく含まれており、朝鮮三大墨竹画家である李霆(1554~1626)、劉徳 1554~1626)、劉徳 ~1626)、劉徳 1626)、劉徳 )、劉徳 章(1675~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1675~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書画は材質上、可燃性と虫害から逃れられない紙や絹であるため、根本的に伝来するには困難が 伴うにもかかわらず、小倉コレクションは個人所蔵品としては屈指の水準の高い作品で構成されてい る。 すなわち、性理学を主体理念とした朝鮮王朝ソンビ文化の美感を代弁するように、水墨淡彩を主 とする清らかで明るい画境(絵のような眺め)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 (絵のような眺め)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 絵のような眺め)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 )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 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 画を通して窺い知られる。 伝称作品ではあるが、朝鮮初期画壇では文人画家の姜希顔(1417~1464)と姜希孟(1424~1483) 1417~1464)と姜希孟(1424~1483) ~1464)と姜希孟(1424~1483) 1464)と姜希孟(1424~1483) )と姜希孟(1424~1483) 1424~1483) ~1483) 1483) 兄弟、申師任堂(1504~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1504~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竹の大家、李霆の作品として黒絹に金泥で描いた〈竹〉(図814、815)の名品2点、李澄(1581~1674 図814、815)の名品2点、李澄(1581~1674 814、815)の名品2点、李澄(1581~1674 1581~1674 ~1674 1674 以後)の〈山水〉(図785)、水墨を中心として同時代の文人の間で好んで描かれた〈四季翎毛図〉系列 図785)、水墨を中心として同時代の文人の間で好んで描かれた〈四季翎毛図〉系列 785)、水墨を中心として同時代の文人の間で好んで描かれた〈四季翎毛図〉系列 の翎毛画がいくつか含まれている。 後期は‘朝鮮の画聖’と称される鄭 (1676~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 1676~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 ~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 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 )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 と呼ばれる金弘道(1745~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 1745~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 ~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 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 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 図832)、鄭 832)、鄭 とともに‘士人三斎’と称される 趙栄 (1686~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686~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ない李匡師(1705~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 1705~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 ~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 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 )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 1730~?)の〈猫〉(図830)などが ~?)の〈猫〉(図830)などが 図830)などが 830)などが ある。 朝鮮末期の作品は‘南の胡蝶’と称される文人画家、南啓宇(1811~1888)の〈花蝶〉(図834)、 1811~1888)の〈花蝶〉(図834)、 ~1888)の〈花蝶〉(図834)、 1888)の〈花蝶〉(図834)、 )の〈花蝶〉(図834)、 図834)、 834)、 李漢喆(1808~?)、劉淑(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1808~?)、劉淑(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劉淑(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 1843~1897)の翎 ~1897)の翎 1897)の翎 )の翎 毛と花鳥画などを網羅している。特に張乗業の〈猫〉(図841)は、湖巖美術館所蔵の対聨とみなされ 図841)は、湖巖美術館所蔵の対聨とみなされ 841)は、湖巖美術館所蔵の対聨とみなされ てきた豪鷲と雉を描いた2幅、日本の個人が所蔵していた馬図など4点と一括品であることが確認され た。 479 총 68점에 이르는 회화작품은 일반 회화 65점과 불화 과 불화 불화佛畵 3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는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는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는 김홍도와 동갑으로 가까운 사이였던 이인문李寅文(1745~1824 以後) 以後)의 『잡화첩雜畵帖(圖 797) 圖 797) 797), 조희룡 趙熙龍(1789~1866)의 『묵란석첩墨蘭石帖(圖 820) 圖 820) 820), 정성원鄭成源의 『백제고도팔경도첩百濟古都八景圖帖(圖 801) 圖 801) 801)처럼 여러 점으로 이루어진 일괄 화첩이 있다. 또한 대련對聯의 쌍폭雙幅으로 된 그림과 병풍 도 있다. 이들을 개관槪觀하면 첫째, 시기적으로 근 오백년에 이르는 조선 전 시기를 아우르고 있다. 둘 째, 시대별 화풍의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산수·인물·화조·풍속·사군자 등 전통회화의 모든 분 야를 두루 포함하였다. 셋째, 화원과 문인화가 등 일급화가一級畵家들의 그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비록 초기의 유작이 드문 안견安堅(15세기)은 제외되었으나 조선 3대 화가 가운데 두 명, 조선 후기 화단에서 활동이 두드러졌던 세 명의 선비화가인 사인삼재士人三齋가 두루 포함되어 있으며, 조선 3 대 묵죽화가墨竹畵家인 이정李霆(1554~1626)·유덕장劉德章(1675~1756)·신위申緯(1769~1847)의 대 나무 그림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서화書畵는 재질상 가연성可燃性과 충식蟲蝕의 피해에서 자유스러울 수 없는 종이나 비단이기 때 문에 근본적으로 전래傳來의 어려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쿠라 컬렉션은 개인 수장품으로 오쿠라 컬렉션은 개인 수장품으로 컬렉션은 개인 수장품으로 는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수준 높은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성리학을 주체이념으로 한 조선왕조 선비문화의 미감美感을 대변하듯 수묵담채水墨淡彩 위주의 맑고 밝은 화경畵境인 전통회화의 특징 및 흐름과 변천變遷의 대세大勢를 오구라 컬렉션 회화를 통해서 엿볼 수 있다. 오구라 컬렉션 회화를 통해서 엿볼 수 있다. 컬렉션 회화를 통해서 엿볼 수 있다. 비록 전칭傳稱작이나 조선 초기 화단에서는 문인화가文人畵家인 강희안姜希顔(1417~1464)과 강 희맹姜希孟(1424~1483) 형제, 신사임당申師任堂(1504~1551), 화원 이상좌李上佐(1465?~1546 以後) 以後) 이 포함되며, 중기 화단에는 묵죽墨竹의 대가 이정의 작품으로 흑견黑絹에 금니金泥로 그린 <대나무 대나무> (圖 814, 815) 圖 814, 815) 814, 815) 명품名品 2점, 이징李澄(1581~1674 以後) 以後)의 <산수山水> (圖 785)와 수묵水墨 위주로 동 시대 문인들 사이에 즐겨 그려진 사계영모도四季翎毛圖 계열의 영모화가 여러 점 포함되어 있다. 후기는 ‘조선의 그림성인畵聖’으로 정선鄭敾(1676~1759) 敾(1676~1759) (1676~1759)의 진경산수眞景山水를 비롯해, ‘조선의 그림신선畵仙’으로 불리는 김홍도金弘道(1745~1806 以後) 以後)의 <모란과 갈가마귀 모란과 갈가마귀牧丹 > (圖 832) 圖 832) 832), 정선 과 더불어 ‘사인삼재士人三齋’로 지칭되는 조영석趙榮 (1686~1761), 심사정沈師正(1707~1769), 강세 姜世晃(1713~1791) 등의 남종화南宗畵, 화적이 드문 이광사李匡師(1705~1777)의 소품, 그리고 ‘변 고양卞古羊’으로 유명한 변상벽卞相璧(1730~?)의 <고양이> (圖 830) 圖 830) 830) 그림 등이 있다. 말기는 ‘남나비’로 지칭되는 문인화가 남계우南啓宇(1811~1888)의 <모란과 나비 모란과 나비花蝶(圖 834) 圖 834) 834) 834)>, 이한철李漢喆(1808~?), 유숙劉淑(1827~1873), 조중묵趙重默(1820~1878 以後) 以後), 그리고 장승업張乘業 (1843~1897)의 영모와 화조화 등이 망라된다. 특히 장승업의 <고양이 고양이> (圖 841) 圖 841) 841) 841)는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대련對聯으로 간주되던 호취豪鷲와 꿩 그림 두 폭, 일본의 개인이 소장한 말 그림 4점 등과 함께 일괄품一括品임이 확인되었다. 478 회화 회화 絵画 Painting

Paintingportal.nrich.go.kr/file_link/Report/2005_일본도쿄...회화 小倉コレクションの総数68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68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회화

    小倉コレクションの総数68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68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点におよぶ絵画作品は、一般絵画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65点仏画3点とからなる。点仏画3点とからなる。

    このなかには金弘道と同年齢で親しい間柄であった李寅文(1745~1823以後)の『雑画帖』(図図

    797)、趙熙龍(1789~1866)の『墨蘭石帖』(図820)、鄭成源の『百済古都八景図帖(図801)』のよう図820)、鄭成源の『百済古都八景図帖(図801)』のよう820)、鄭成源の『百済古都八景図帖(図801)』のよう図801)』のよう801)』のよう

    に、いくつかの絵画からなる一括画帖がある。また、対聨の双幅からなる絵画と屏風もある。聨の双幅からなる絵画と屏風もある。の双幅からなる絵画と屏風もある。

    これらを概観すると、第一に、時期的におよそ500年におよぶ朝鮮時代全体にわたっている。第500年におよぶ朝鮮時代全体にわたっている。第年におよぶ朝鮮時代全体にわたっている。第

    二に、時代別画風の変化が窺われる山水、人物、花鳥、風俗、四君子など、伝統絵画のあらゆる分野

    を広く含んでいる。第三に、画員と文人画家などの一級画家の絵画が多数含まれている。初期の作品

    が少ない安堅(15世紀)を除外しても、朝鮮三大画家の2人、朝鮮後期画壇で活躍した3人のソンビ(士15世紀)を除外しても、朝鮮三大画家の2人、朝鮮後期画壇で活躍した3人のソンビ(士世紀)を除外しても、朝鮮三大画家の2人、朝鮮後期画壇で活躍した3人のソンビ(士

    人)画家である士人三斎があまねく含まれており、朝鮮三大墨竹画家である李霆(1554~1626)、劉徳1554~1626)、劉徳~1626)、劉徳1626)、劉徳)、劉徳

    章(1675~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1675~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1756)、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申緯(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1769~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1847)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の竹図がすべて含まれている。

    書画は材質上、可燃性と虫害から逃れられない紙や絹であるため、根本的に伝来するには困難が

    伴うにもかかわらず、小倉コレクションは個人所蔵品としては屈指の水準の高い作品で構成されてい

    る。

    すなわち、性理学を主体理念とした朝鮮王朝ソンビ文化の美感を代弁するように、水墨淡彩を主

    とする清らかで明るい画境(絵のような眺め)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絵のような眺め)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絵のような眺め)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の伝統絵画の特徴および流れと変遷の大勢が小倉寄贈絵

    画を通して窺い知られる。

    伝称作品ではあるが、朝鮮初期画壇では文人画家の姜希顔(1417~1464)と姜希孟(1424~1483)1417~1464)と姜希孟(1424~1483)~1464)と姜希孟(1424~1483)1464)と姜希孟(1424~1483))と姜希孟(1424~1483)1424~1483)~1483)1483))

    兄弟、申師任堂(1504~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1504~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1551)、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画員の李上佐(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1465?~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1546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以後)らが含まれており、中期画壇では墨

    竹の大家、李霆の作品として黒絹に金泥で描いた〈竹〉(図814、815)の名品2点、李澄(1581~1674図814、815)の名品2点、李澄(1581~1674814、815)の名品2点、李澄(1581~16741581~1674~16741674

    以後)の〈山水〉(図785)、水墨を中心として同時代の文人の間で好んで描かれた〈四季翎毛図〉系列図785)、水墨を中心として同時代の文人の間で好んで描かれた〈四季翎毛図〉系列785)、水墨を中心として同時代の文人の間で好んで描かれた〈四季翎毛図〉系列

    の翎毛画がいくつか含まれている。

    後期は‘朝鮮の画聖’と称される鄭 (1676~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1676~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1759)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の真景山水をはじめとし、‘朝鮮の画仙’

    と呼ばれる金弘道(1745~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1745~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1806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以後)の〈牡丹花鳥〉(図832)、鄭図832)、鄭832)、鄭 とともに‘士人三斎’と称される

    趙栄 (1686~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686~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61)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と沈師正(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07~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69)、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姜世晃(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13~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1791)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らの南宗画、残された画籍の少

    ない李匡師(1705~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1705~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1777)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の小品、そして‘卞古羊’で有名な卞相璧(1730~?)の〈猫〉(図830)などが1730~?)の〈猫〉(図830)などが~?)の〈猫〉(図830)などが図830)などが830)などが

    ある。

    朝鮮末期の作品は‘南の胡蝶’と称される文人画家、南啓宇(1811~1888)の〈花蝶〉(図834)、1811~1888)の〈花蝶〉(図834)、~1888)の〈花蝶〉(図834)、1888)の〈花蝶〉(図834)、)の〈花蝶〉(図834)、図834)、834)、

    李漢喆(1808~?)、劉淑(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1808~?)、劉淑(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劉淑(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1827~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1873)、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趙重黙(1820~1878以後)、そして張乗業(1843~1897)の翎1843~1897)の翎~1897)の翎1897)の翎)の翎

    毛と花鳥画などを網羅している。特に張乗業の〈猫〉(図841)は、湖巖美術館所蔵の対聨とみなされ図841)は、湖巖美術館所蔵の対聨とみなされ841)は、湖巖美術館所蔵の対聨とみなされ

    てきた豪鷲と雉を描いた2幅、日本の個人が所蔵していた馬図など4点と一括品であることが確認され

    た。。

    479

    총 68점에 이르는 회화작품은 일반 회화 65점과 불화과 불화 불화佛畵 3점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중에는점으로이루어져있다. 이 중에는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는

    김홍도와 동갑으로 가까운 사이였던 이인문李寅文(1745~1824 以後)以後))의 『잡화첩雜畵帖』(圖 797)圖 797) 797), 조희룡

    趙熙龍(1789~1866)의 『묵란석첩墨蘭石帖』(圖 820)圖 820) 820), 정성원鄭成源의 『백제고도팔경도첩百濟古都八景圖帖』

    (圖 801)圖 801) 801)처럼 여러 점으로 이루어진 일괄 화첩이 있다. 또한 대련對聯의 쌍폭雙幅으로 된 그림과 병풍

    도 있다.

    이들을 개관槪觀하면 첫째, 시기적으로 근 오백년에 이르는 조선 전 시기를 아우르고 있다. 둘

    째, 시대별 화풍의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산수·인물·화조·풍속·사군자 등 전통회화의 모든 분

    야를 두루 포함하였다. 셋째, 화원과 문인화가 등 일급화가一級畵家들의 그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비록 초기의 유작이 드문 안견安堅(15세기)은 제외되었으나 조선 3대 화가 가운데 두 명, 조선 후기

    화단에서 활동이 두드러졌던 세 명의 선비화가인 사인삼재士人三齋가 두루 포함되어 있으며, 조선 3

    대 묵죽화가墨竹畵家인 이정李霆(1554~1626)·유덕장劉德章(1675~1756)·신위申緯(1769~1847)의 대

    나무 그림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서화書畵는 재질상 가연성可燃性과 충식蟲蝕의 피해에서 자유스러울 수 없는 종이나 비단이기 때

    문에 근본적으로 전래傳來의 어려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쿠라 컬렉션은 개인 수장품으로오쿠라 컬렉션은 개인 수장품으로 컬렉션은 개인 수장품으로

    는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수준 높은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성리학을 주체이념으로 한 조선왕조

    선비문화의 미감美感을 대변하듯 수묵담채水墨淡彩 위주의 맑고 밝은 화경畵境인 전통회화의 특징 및

    흐름과 변천變遷의 대세大勢를 오구라컬렉션회화를통해서엿볼수있다.오구라컬렉션회화를통해서엿볼수있다. 컬렉션 회화를 통해서 엿볼 수 있다.

    비록 전칭傳稱작이나 조선 초기 화단에서는 문인화가文人畵家인 강희안姜希顔(1417~1464)과 강

    희맹姜希孟(1424~1483) 형제, 신사임당申師任堂(1504~1551), 화원 이상좌李上佐(1465?~1546 以後)以後)) 등

    이 포함되며, 중기 화단에는 묵죽墨竹의 대가 이정의 작품으로 흑견黑絹에 금니金泥로 그린 (圖 814, 815)圖 814, 815) 814, 815) 명품名品 2점, 이징李澄(1581~1674 以後)以後))의 (圖 785)와 수묵水墨 위주로 동

    시대 문인들 사이에 즐겨 그려진 사계영모도四季翎毛圖 계열의 영모화가 여러 점 포함되어 있다.

    후기는 ‘조선의 그림성인畵聖’으로 정선鄭敾(1676~1759)敾(1676~1759)(1676~1759)의 진경산수眞景山水를 비롯해, ‘조선의

    그림신선畵仙’으로 불리는 김홍도金弘道(1745~1806 以後)以後))의 (圖 832)圖 832) 832), 정선

    과 더불어 ‘사인삼재士人三齋齋’로 지칭되는 조영석趙榮 (1686~1761), 심사정沈師正(1707~1769), 강세

    황姜世晃(1713~1791) 등의 남종화南宗畵, 화적이 드문 이광사李匡師(1705~1777)의 소품, 그리고 ‘변

    고양卞古羊’으로 유명한 변상벽卞相璧(1730~?)의 (圖 830)圖 830) 830) 그림 등이 있다.

    말기는 ‘남나비’로 지칭되는 문인화가 남계우南啓宇(1811~1888)의 ,

    이한철李漢喆(1808~?), 유숙劉淑(1827~1873), 조중묵趙重默(1820~1878 以後)以後)), 그리고 장승업張乘業

    (1843~1897)의 영모와 화조화 등이 망라된다. 특히 장승업의 (圖 841)圖 841) 841)841)는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대련對聯으로 간주되던 호취豪鷲와 꿩 그림 두 폭, 일본의 개인이 소장한 말 그림 4점 등과

    함께 일괄품一括品임이 확인되었다.

    478 회화

    회화 │ 絵画 │ Painting

  • 480 회화 회화 481

    782 | 귀거래도귀거래도 歸去來圖 Returning Home

    傳강희안姜希顔 (1417~1464) | 朝鮮 |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 강희안姜希顔 (1417~1464) | 朝鮮 |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강희안姜希顔 (1417~1464) | 朝鮮 |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1417~1464) | 朝鮮 |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朝鮮 |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 | 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絹本水墨淡彩 | 96.5×52.5cm | TA-371 96.5×52.5cm | TA-371

    Attributed to Kang Hi-an (1417-1464)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silk | 96.5x52.5cm

    시서화詩書畵 삼절삼절三絶로지칭되는강희안 지칭되는강희안지칭되는강희안 강희안강희안(호號 인재仁齋)호號 인재仁齋)號 인재仁齋) 인재仁齋)인재仁齋))은 15세기조선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 15세기조선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세기조선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 조선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조선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 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초기에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 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가장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 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두드러진문인화가이며,조 문인화가이며,조문인화가이며,조, 조조

    선중기 중기중기(1550~1700 경)경)) 화단을크게풍미화단을크게풍미 크게풍미크게풍미 풍미풍미風靡한절파계 절파계절파계浙派系 화풍의선구화풍의선구 선구선구先驅를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소장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소장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소장. 국립중앙박물관소장국립중앙박물관소장 소장소장

  • 회화 회화

    789 | 산수산수 山水 Landscape

    정선鄭敾 (1676~175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30.2×20.7cm| TA-390(1676~175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30.2×20.7cm| TA-390朝鮮 |絹本水墨淡彩 | 30.2×20.7cm| TA-390 | 絹本水墨淡彩 | 30.2×20.7cm| TA-390絹本水墨淡彩 | 30.2×20.7cm| TA-390 30.2×20.7cm| TA-390

    Jeong Seon (1676-1759)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silk | 30.2x20.7cm

    종이에그린앞그림의번짐효과 그린앞그림의번짐효과그린앞그림의번짐효과 앞그림의번짐효과앞그림의번짐효과 그림의번짐효과그림의번짐효과 번짐효과번짐효과 효과효과[선염渲染]와달리선묘 달리선묘달리선묘 선묘선묘線描의용필법 용필법용필법用筆法이돋보이는그림이다.이그림역시 돋보이는그림이다.이그림역시돋보이는그림이다.이그림역시 그림이다.이그림역시그림이다.이그림역시. 이그림역시이그림역시 그림역시그림역시 역시역시

    현재족자로개장되어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족자로개장되어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족자로개장되어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개장되어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개장되어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있으나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일련의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그림으로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된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화첩에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속한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그림이다.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화면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하단의두모서리를대각선 두모서리를대각선두모서리를대각선 모서리를대각선모서리를대각선 대각선대각선對角線

    으로, 왼쪽을단애, 왼쪽을단애왼쪽을단애 단애단애斷崖로그반대편은틔워수면 그반대편은틔워수면그반대편은틔워수면 반대편은틔워수면반대편은틔워수면 틔워수면틔워수면 수면수면水面이확장되며, 상단에담청 확장되며, 상단에담청확장되며, 상단에담청, 상단에담청상단에담청 담청담청淡靑의원산 원산원산遠山을두어이들이이 두어이들이이두어이들이이 이들이이이들이이 이이

    루는너른수면의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 너른수면의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너른수면의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 수면의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수면의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 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중심인화면중앙에는정박 화면중앙에는정박화면중앙에는정박 중앙에는정박중앙에는정박 정박정박碇泊중인배에낚싯대를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 배에낚싯대를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배에낚싯대를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 낚싯대를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낚싯대를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 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드리운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 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인물을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 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배치하였다.구체적인지명. 구체적인지명구체적인지명 지명지명

    地名을확인하긴어려우나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 확인하긴어려우나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확인하긴어려우나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 어려우나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어려우나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 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눈에전혀설지아니한산세 전혀설지아니한산세전혀설지아니한산세 설지아니한산세설지아니한산세 아니한산세아니한산세 산세산세山勢며수지법 수지법수지법樹枝法에서실경 실경실경實景 맛도감지된다.맛도감지된다. 감지된다.감지된다..

    紙本のさきの図の 染効果とは異なり、線描の用筆法が引き立つ図である。本図もやはり現在掛け軸に改装され

    ているが、一連の図からなる画帖に収められた図である。画面下端の両隅を対角線として左側に断崖が、その反対側に開け

    た水面が広がり、上方に淡青の遠山を置き、広い水面の中心である画面中央には停泊する舟に釣竿を垂らした人物を配置す

    る。具体的な地名を確認するのは難しいが、馴染みのある山勢で、樹枝法には実景の妙味も感じられる。

    790 | 산수산수 山水 Landscape

    조영석趙榮 (1686~1761) | 朝鮮 |紙本水墨淡彩 | 56.7×16.8cm | TA-391朝鮮 |紙本水墨淡彩 | 56.7×16.8cm | TA-391 | 紙本水墨淡彩 | 56.7×16.8cm | TA-391紙本水墨淡彩 | 56.7×16.8cm | TA-391 56.7×16.8cm | TA-391

    Jo Yeong-seok (1686-1761)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paper | 56.7x16.8cm

    조영석(자字 종보宗甫, 호號 관아재觀我齋)자字 종보宗甫, 호號 관아재觀我齋) 종보宗甫, 호號 관아재觀我齋)종보宗甫, 호號 관아재觀我齋), 호號 관아재觀我齋)호號 관아재觀我齋) 관아재觀我齋)관아재觀我齋))은 조선후기화단에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조선후기화단에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조선후기화단에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화단에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화단에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있어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활동이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두드러진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세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문인화가를지칭하는 ‘사 지칭하는 ‘사지칭하는 ‘사 ‘사사

    인삼재士人三齋’의 한 사람이다. 시서화 삼절의 한 사람이다. 시서화 삼절 한 사람이다. 시서화 삼절한 사람이다. 시서화 삼절 사람이다. 시서화 삼절사람이다. 시서화 삼절. 시서화 삼절시서화 삼절 삼절삼절三絶로 특히 산수와 인물에 능했다. 정선 특히 산수와 인물에 능했다. 정선특히 산수와 인물에 능했다. 정선 산수와 인물에 능했다. 정선산수와 인물에 능했다. 정선 인물에 능했다. 정선인물에 능했다. 정선 능했다. 정선능했다. 정선. 정선정선鄭敾(1676~1759)(1676~1759)과는 이 이이

    른바백악사단 백악사단백악사단白岳詞壇에속해가까운사이였고,윤두서 속해가까운사이였고,윤두서속해가까운사이였고,윤두서 가까운사이였고,윤두서가까운사이였고,윤두서 사이였고,윤두서사이였고,윤두서, 윤두서윤두서尹斗緖(1668~1715)와더불어풍속화의선구자 더불어풍속화의선구자더불어풍속화의선구자 풍속화의선구자풍속화의선구자 선구자선구자先驅者 위위

    치를점하는등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점하는등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점하는등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등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등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양자의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회화사적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역할과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의의에서공통점이보인다. 공통점이보인다.공통점이보인다. 보인다.보인다..

    이그림은화면의절반인상단을제사 그림은화면의절반인상단을제사그림은화면의절반인상단을제사 화면의절반인상단을제사화면의절반인상단을제사 절반인상단을제사절반인상단을제사 상단을제사상단을제사 제사제사題詞로채웠고,하단에만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채웠고,하단에만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채웠고,하단에만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하단에만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하단에만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그림이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있어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처음부터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이를의식하고그렸음이분 의식하고그렸음이분의식하고그렸음이분 그렸음이분그렸음이분 분분

    명하다.상단의글은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 상단의글은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상단의글은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 글은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글은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 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우리가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 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알고있는조영석의서체 있는조영석의서체있는조영석의서체 조영석의서체조영석의서체 서체서체書體와는차이를보인다.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 차이를보인다.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차이를보인다.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 보인다.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보인다.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 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섬세함이돋보이는점묘 돋보이는점묘돋보이는점묘 점묘점묘點描를많 많많

    이사용한얌전한필치의화풍으로,격조 사용한얌전한필치의화풍으로,격조사용한얌전한필치의화풍으로,격조 얌전한필치의화풍으로,격조얌전한필치의화풍으로,격조 필치의화풍으로,격조필치의화풍으로,격조 화풍으로,격조화풍으로,격조, 격조격조格調가감지되나일반적인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 감지되나일반적인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감지되나일반적인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 일반적인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일반적인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 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그의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 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그림과는다소차이를보인다. 다소차이를보인다.다소차이를보인다. 차이를보인다.차이를보인다. 보인다.보인다..

    趙榮 字は宗甫、号は観我齋)は朝鮮後期画壇において活躍した3人の文人画家を指す‘士人三齋’の1人である。

    詩書画の三絶で、特に山水と人物にたけていた。いわゆる白岳詞壇に属し、鄭 (1676~1759)とは親しい間柄で、尹斗緒とは親しい間柄で、尹斗緒

    (1668~1715)とともに風俗画の先駆者としての地位を占めるなど、両者の絵画史的役割と意義において共通点がみられとともに風俗画の先駆者としての地位を占めるなど、両者の絵画史的役割と意義において共通点がみられ

    る。

    本図は画面の上半分を題詞でうめ、下半分にだけ図があり、当初からこれを意識して描いたことは明らかである。上半分の

    題詞はよく知られた趙榮 の書体とは異なる。繊細さが引き立つ点描を多用した見事な筆致の画風で、格調が感じられる

    が、一般的な趙榮 の図とは多少の違いがみられる。

    791 | 관월관월 觀月 Watching the Moon

    조영석趙榮 (1686~1761) | 朝鮮 |紙本水墨淡彩 | 32.2×27.7cm | TA-392朝鮮 |紙本水墨淡彩 | 32.2×27.7cm | TA-392 | 紙本水墨淡彩 | 32.2×27.7cm | TA-392紙本水墨淡彩 | 32.2×27.7cm | TA-392 32.2×27.7cm | TA-392

    Jo Yeong-seok (1686-1761)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paper | 32.2x27.7cm

    화면왼쪽상단에먹색이튀는 ‘관아재 왼쪽상단에먹색이튀는 ‘관아재왼쪽상단에먹색이튀는 ‘관아재 상단에먹색이튀는 ‘관아재상단에먹색이튀는 ‘관아재 먹색이튀는 ‘관아재먹색이튀는 ‘관아재 튀는 ‘관아재튀는 ‘관아재 ‘관아재관아재觀我齋’의 관서의관서 관서관서款署는그의그림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 그의그림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그의그림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 그림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그림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 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가운데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 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흔히찾아볼수있다. 시동 찾아볼수있다. 시동찾아볼수있다. 시동 수 있다. 시동수있다. 시동 있다. 시동있다. 시동. 시동시동侍童도

    없이달밝은밤정박 달밝은밤정박달밝은밤정박 밝은밤정박밝은밤정박 밤정박밤정박 정박정박碇泊한배에홀로앉아시심 배에홀로앉아시심배에홀로앉아시심 홀로앉아시심홀로앉아시심 앉아시심앉아시심 시심시심詩心에잠긴서정적인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 잠긴서정적인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잠긴서정적인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 서정적인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서정적인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 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분위기의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 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그림이다. 같은주제의그림이. 같은주제의그림이같은주제의그림이 주제의그림이주제의그림이 그림이그림이

    조선후기 여러 문인화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여러 문인화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여러 문인화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문인화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문인화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찾아볼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수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있어,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여기적인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문인화가들이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즐겨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택한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하나로 생각된다.하나로 생각된다. 생각된다.생각된다..

    조영석의여타의전래작들과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여타의전래작들과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여타의전래작들과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전래작들과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전래작들과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비교할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때 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때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그의 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그의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그림일가능성이크다. 농묵 가능성이크다. 농묵가능성이크다. 농묵 크다. 농묵크다. 농묵. 농묵농묵濃墨보다는먹을아낀양활달 먹을 아낀양활달먹을아낀양활달 아낀양활달아낀양활달 활달활달豁達함과

    는구별되는담묵 구별되는담묵구별되는담묵 담묵담묵淡墨 위주의옅은푸른색이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위주의옅은푸른색이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옅은푸른색이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옅은푸른색이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푸른색이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푸른색이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깔린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차분한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분위기로,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직업화가와구별되는특징이다. 구별되는특징이다.구별되는특징이다. 특징이다.특징이다..

    간송미술관에 있는 배에서 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 있는 배에서 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있는 배에서 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 배에서 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배에서 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 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나는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 새를 바라보는 김창업새를 바라보는 김창업 바라보는 김창업바라보는 김창업 김창업김창업金昌業(1658-1721)(1658-1721)의 에는홀로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에는홀로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에는홀로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 홀로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홀로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 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피리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 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부는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 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모습이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 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표현되어있는데, 특히이두그림 있는데, 특히이두그림있는데, 특히이두그림, 특히이두그림특히이두그림 이두그림이두그림 두그림두그림 그림그림

    은우측에바위를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 우측에바위를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우측에바위를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 바위를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바위를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 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포치시키고그아래선중 그아래선중그아래선중 아래선중아래선중 선중선중船中의인물을등장시키고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 인물을등장시키고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인물을등장시키고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 등장시키고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등장시키고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 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있는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 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화면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 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구성에서친연성이감지된다. 친연성이감지된다.친연성이감지된다. 감지된다.감지된다..

    画面左上に墨色がはねる‘觀我齋’の落款は、趙榮 の図においてよくみられるものである。侍童もおらず、月明

    かりの照らす夜、停泊した舟に1人座って詩心にふける叙情的な雰囲気の図である。同じ主題が朝鮮後期の様々な文人画家

    の図に見出すことができ、余技的な文人画家が好んで選んだ主題の1つと考えられる。趙榮祐の他の伝来作と比較して、趙祐の他の伝来作と比較して、趙の他の伝来作と比較して、趙

    榮 の図である可能性が高い。濃墨よりは、墨を節約するような豁達とは区別される淡墨を主体とし、薄い青色を用いて物

    483

    787 | 산수산수 山水 Landscape

    정선鄭敾 (1676~175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敾 (1676~175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 (1676~175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1676~175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朝鮮 |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 | 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絹本水墨淡彩 | 104.4×49.6cm | TA-388 104.4×49.6cm | TA-388

    Jeong Seon (1676~1759)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silk | 104.4x49.6cm

    ‘조선의그림성인조선의그림성인 그림성인그림성인 성인성인畵聖’으로지칭되는정선은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으로지칭되는정선은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지칭되는정선은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지칭되는정선은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정선은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정선은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84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세의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수를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누려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작품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수도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적지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않다.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중국과구별되는고유색 구별되는고유색구별되는고유색 고유색고유색固

    有色 짙은 어엿하고당당한, 이른바진경산수짙은어엿하고당당한, 이른바진경산수 어엿하고당당한, 이른바진경산수어엿하고당당한, 이른바진경산수 당당한, 이른바진경산수당당한, 이른바진경산수, 이른바 진경산수이른바진경산수 진경산수진경산수眞景山水를 이룩하여한시대를크게풍미 이룩하여한시대를크게풍미이룩하여한시대를크게풍미 한 시대를크게풍미한시대를크게풍미 시대를크게풍미시대를크게풍미 크게 풍미크게풍미 풍미풍미風靡하였다. 이에 문인화. 이에 문인화이에문인화 문인화문인화

    가나직업화가가릴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 직업화가가릴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직업화가가릴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 가릴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가릴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 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것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 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없이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 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화단의모든이들이우리산하 모든이들이우리산하모든이들이우리산하 이들이우리산하이들이우리산하 우리산하우리산하 산하산하山河를화폭에옮기는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 화폭에옮기는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화폭에옮기는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 옮기는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옮기는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 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것이크게유행하게되었다. 크게유행하게되었다.크게유행하게되었다. 유행하게되었다.유행하게되었다. 되었다.되었다..

    이 그림은두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그림은두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그림은두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두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두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점으로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같은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크기이나,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구도면에서살필때대련 살필때대련살필때대련 때대련때대련 대련대련對聯보다는병풍에속한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 병풍에속한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병풍에속한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 속한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속한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 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일련의그림으로보는것 그림으로보는것그림으로보는것 보는것보는것 것것

    이 옳을 듯하다. 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 옳을 듯하다. 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옳을 듯하다. 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 듯하다. 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듯하다. 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 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수묵 위주에 약간의 담황 위주에 약간의 담황위주에 약간의 담황 약간의 담황약간의 담황 담황담황淡黃이 가채된 맑고 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 가채된 맑고 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가채된 맑고 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 맑고 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맑고 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 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투명한 화면에는 각기 와옥 화면에는 각기 와옥화면에는 각기 와옥 각기 와옥각기 와옥 와옥와옥瓦屋에서 나와 동자를 나와 동자를나와 동자를 동자를동자를

    거느리고산책중인,그리고초옥 산책중인,그리고초옥산책중인,그리고초옥, 그리고초옥그리고초옥 초옥초옥草屋에홀로서안을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홀로서안을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홀로서안을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서안을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서안을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앞에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둔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선비가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보인다.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모두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집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앞에큰나무들을나타내전 큰나무들을나타내전큰나무들을나타내전 나무들을나타내전나무들을나타내전 나타내전나타내전 전전

    경을이루며,유현 이루며,유현이루며,유현, 유현유현幽玄한분위기가물씬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 분위기가물씬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분위기가물씬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 물씬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물씬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 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풍겨지는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 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집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 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뒤로소나무가있는배산 소나무가있는배산소나무가있는배산 있는배산있는배산 배산배산背山의둔덕들이보이며그너머로 둔덕들이보이며그너머로둔덕들이보이며그너머로 보이며그너머로보이며그너머로 그너머로그너머로 너머로너머로

    원경이전개된다. 전개된다.전개된다..

    ‘朝鮮の画聖’と称される鄭朝鮮の画聖’と称される鄭 は84歳の長寿を保ち、作品の数も少なくない。中国と区別される固有色の濃い堂84歳の長寿を保ち、作品の数も少なくない。中国と区別される固有色の濃い堂歳の長寿を保ち、作品の数も少なくない。中国と区別される固有色の濃い堂

    々としたいわゆる真景山水をつくりあげ、一世を風靡した。これにより、文人画家や職業画家の別なく画壇のあらゆる者が

    韓国の山河を画幅に描くことが流行するようになった。

    本図は2点で、同じ大きさであるが、構図面からみると対聯よりは屏風に属した一連の図とみるのが正しいようである。水

    墨中心に若干の淡黄が加えられた澄んだ透明な画面には、各々瓦屋から出て童子を従えながら散策する人物、そして草屋に

    一人で机を前にしたソンビがみえる。ともに家の前に大きな木々を描いて前景とし、幽玄な雰囲気が漂う家の後ろに松のあ

    る背山の丘がみえ、その向こうに遠景を展開する。。

    788 | 채신채신 採薪 Gathering Firewood

    정선鄭敾 (1676~1759) | 朝鮮 |紙本水墨淡彩 | 33.0×52.0cm | TA-389(1676~1759) | 朝鮮 |紙本水墨淡彩 | 33.0×52.0cm | TA-389朝鮮 |紙本水墨淡彩 | 33.0×52.0cm | TA-389 | 紙本水墨淡彩 | 33.0×52.0cm | TA-389紙本水墨淡彩 | 33.0×52.0cm | TA-389 | 33.0×52.0cm | TA-389

    Jeong Seon (1676-1759)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paper | 33.0x52.0cm

    현상태는족자로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 상태는족자로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상태는족자로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 족자로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족자로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 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꾸며져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 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있으나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 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중앙에접힌자국에의해화첩 접힌자국에의해화첩접힌자국에의해화첩 자국에의해화첩자국에의해화첩 의해화첩의해화첩 화첩화첩畵帖에속했던한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 속했던한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속했던한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 한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한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 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폭임을알수있다.강가의오래 알수있다.강가의오래알수있다.강가의오래 수있다.강가의오래수있다.강가의오래 있다.강가의오래있다.강가의오래. 강가의오래강가의오래 오래오래

    된나무그늘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 나무그늘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나무그늘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 그늘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그늘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 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아래배를정박하고담소 배를정박하고담소배를정박하고담소 정박하고담소정박하고담소 담소담소談笑 중인인물들은현실에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 인물들은현실에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인물들은현실에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 현실에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현실에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 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존재하되현실을초극한은자 현실을초극한은자현실을초극한은자 초극한은자초극한은자 은자은자隱者나도인 도인도인道人

    들로보인다. 담묵 보인다. 담묵보인다. 담묵. 담묵담묵淡墨으로습기많은수변 습기많은수변습기많은수변 수변수변水邊의공기에사람주변을바리운담청 공기에사람주변을바리운담청공기에사람주변을바리운담청 사람주변을바리운담청사람주변을바리운담청 주변을바리운담청주변을바리운담청 바리운담청바리운담청 담청담청淡靑과얼굴주변에보이는담 얼굴주변에보이는담얼굴주변에보이는담 주변에보이는담주변에보이는담 보이는담보이는담 담담

    황淡黃을제외하고는먹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제외하고는먹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제외하고는먹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먹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먹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위주이다.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먹의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번짐에서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중국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강남지방의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습윤한광경을담은선염 광경을담은선염광경을담은선염 담은선염담은선염 선염선염渲染 위주의남종문위주의남종문 남종문남종문

    인화풍의용묵법 용묵법용묵법用墨法이돋보인다. 돋보인다.돋보인다..

    무르녹는 시적 정취 시적 정취시적 정취 정취정취情趣는 정선 그림의 위대성 정선 그림의 위대성정선 그림의 위대성 그림의 위대성그림의 위대성 위대성위대성偉大性과 함께 마치 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 함께 마치 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함께 마치 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 마치 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마치 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 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조선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 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선비의 어질고 해맑은 심성 어질고 해맑은 심성어질고 해맑은 심성 해맑은 심성해맑은 심성 심성심성心性과 정신 정신정신

    자세를설득력있게가시적으로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설득력있게가시적으로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설득력있게가시적으로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가시적으로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가시적으로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드러내고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있다.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나아가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맑고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정갈한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조선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그림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특징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및 정선을비롯한당시의및정선을비롯한당시의 정선을비롯한당시의정선을비롯한당시의 비롯한당시의비롯한당시의 당시의당시의

    지식인들이추구했던문인화의극치 추구했던문인화의극치추구했던문인화의극치 문인화의극치문인화의극치 극치극치極致를보여준다. 보여준다.보여준다..

    現状は掛け軸であるが、中央に畳まれた痕跡があるので、画帖にあった1幅であることが分かる。川辺にたつ古木

    の陰の下に舟を泊め、談笑する人物は現実に存在するが、現実を超克した隠者や道人とみられる。淡墨で湿り気のある水辺

    の空気を表現し、人物の周辺に広がる淡青と顔周辺にみえる淡黄を除くと墨が中心をなす。墨のにじむ様子に、中国江南地

    方の湿潤な光景をこめた 染を主とする南宗文人画風の用墨法が引き立つ。

    熟した詩的情趣は鄭 絵画の偉大性とともに、あたかも朝鮮ソンビの賢明で透き通った心性と精神を、説得力をもたせて可

    視的に表している。さらに、澄んだ清潔な朝鮮絵画の特徴、および鄭 をはじめとした当時の知識人が追求した文人画の極

    致を示している。。

    482

  • 484 회화 회화 485

    静かな雰囲気を表現し、職業画家とは区別される特徴をもつ。

    澗松美術館の所蔵で、飛び立つ鳥を舟から眺める金昌業(1658~1721)の<秋江晩泊>と、国立中央博物館所蔵の許佖1658~1721)の<秋江晩泊>と、国立中央博物館所蔵の許佖~1721)の<秋江晩泊>と、国立中央博物館所蔵の許佖1721)の<秋江晩泊>と、国立中央博物館所蔵の許佖の<秋江晩泊>と、国立中央博物館所蔵の許佖

    (1709~1761)の<山水人物>には、1人で笛を吹く姿が表現されているが、特にこの2つの図は右側に岩をよせ、その下の1709~1761)の<山水人物>には、1人で笛を吹く姿が表現されているが、特にこの2つの図は右側に岩をよせ、その下の~1761)の<山水人物>には、1人で笛を吹く姿が表現されているが、特にこの2つの図は右側に岩をよせ、その下の1761)の<山水人物>には、1人で笛を吹く姿が表現されているが、特にこの2つの図は右側に岩をよせ、その下のの<山水人物>には、1人で笛を吹く姿が表現されているが、特にこの2つの図は右側に岩をよせ、その下の

    舟に人物を登場させるなど、画面構成において類似性が認められる。。

    792 | 산수산수 山水 Landscape

    심사정沈師正 (1707~176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17.5×14.0cm | TA-395(1707~1769) | 朝鮮 |絹本水墨淡彩 | 17.5×14.0cm | TA-395朝鮮 |絹本水墨淡彩 | 17.5×14.0cm | TA-395 | 絹本水墨淡彩 | 17.5×14.0cm | TA-395絹本水墨淡彩 | 17.5×14.0cm | TA-395 17.5×14.0cm | TA-395

    Sim Sa-jeong (1707-1769)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silk | 17.5x14.0cm

    심사정의작품중에는족자나병풍, 그리고

  • 486 회화 회화 487

    いる。山水および花卉、翎毛、怪石など、多方面の絵を残しているが、<金剛山図>などの真景山水も残しており、沈師正

    とともに国風化した朝鮮南宗画の世界をみせる。崔北の遺作の中には朝鮮通信使と関連した書画の発掘とともに日本で公開

    されたものがあるが、これらの中には多少疑わしいものもなくはない。本図は状態が極めて良好で、闊達で筆線に強弱と速

    さが感じられる流麗な 染法は沈師正と類似性がみられるが、熟達した深い味わいとは距離がある。。

    797 | 잡화첩잡화첩 雜畵帖 Album of Various Paintings

    이인문李寅文 (1745~1824以後) | 朝鮮 |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1745~1824 以後) | 朝鮮 |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以後) | 朝鮮 |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 | 朝鮮 |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朝鮮 |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 | 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紙本水墨淡彩 | 25.5×36.8cm | TA-402 25.5×36.8cm | TA-402

    Yi In-mun (1745-1824 or later)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paper | 25.5x36.8cm

    이인문(자字 문욱文郁, 호號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자字 문욱文郁, 호號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 문욱文郁, 호號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문욱文郁, 호號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 호號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호號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館道人ㆍ유춘有春ㆍ자연옹紫煙翁))은 김홍도와 동갑내기 화원으 김홍도와 동갑내기 화원으김홍도와 동갑내기 화원으 동갑내기 화원으동갑내기 화원으 화원으화원으

    로서로가까운벗이었으나그림의소재와화풍은사뭇달랐다.대표작으로는김정희가소장했던

  • 488 회화 회화 489

    801 | 백제고도팔경도첩백제고도팔경도첩 百濟古都八景圖帖 Album of Eight Scenes around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정성원鄭成源 | 20世紀 |紙本水墨淡彩 |各 26.4×35.2cm | TA-425 | 20世紀 |紙本水墨淡彩 |各 26.4×35.2cm | TA-425世紀 |紙本水墨淡彩 |各 26.4×35.2cm | TA-425 | 紙本水墨淡彩 |各 26.4×35.2cm | TA-425紙本水墨淡彩 | 各 26.4×35.2cm | TA-425 各 26.4×35.2cm | TA-425各 26.4×35.2cm | TA-425 26.4×35.2cm | TA-425

    Jeong Seong-won | 20th century | Ink and light color on paper | Each leaf 26.4x35.2cm

    동양에있어서아름다운절경 있어서아름다운절경있어서아름다운절경 아름다운절경아름다운절경 절경절경絶景을일괄로그린그림은그연원이오래다.중국의

  • 490 회화 회화 491

    모태母胎가되었다. 되었다.되었다..

    이그림이보여주듯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그림이보여주듯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그림이보여주듯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보여주듯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보여주듯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그는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조선후기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풍속화나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산수를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임모하기도했다. 신윤복 했다. 신윤복했다. 신윤복. 신윤복신윤복申潤福(1758?~1813 以後)(1758?~1813 以後)以後)) 풍속화풍속화

    의백미 백미백미白眉로잘알려진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잘알려진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잘알려진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알려진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알려진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간송미술관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소장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30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폭으로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이루어진국보135호 『혜원전신첩 국보135호 『혜원전신첩국보135호 『혜원전신첩 135호 『혜원전신첩호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에속한

  • 492 회화 회화 493

    이돋보이는소동파입상 돋보이는소동파입상돋보이는소동파입상 소동파입상소동파입상 입상입상立像은형태의자연스런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 형태의자연스런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형태의자연스런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 자연스런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자연스런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 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표현외에주인공의표정 외에주인공의표정외에주인공의표정 주인공의표정주인공의표정 표정표정表情을나타낸수작 나타낸수작나타낸수작 수작수작秀作이다..

    19世紀の画壇では前代の風俗画や真景山水は衰退し、南宗画が勢力を得るようになるのが一般的な様相である。

    19世紀半ばに活躍した画員の劉淑(字は善永・野君、号は蕙山・恵山)は、中人文人の集まりである碧梧社に若い頃から参加

    した。劉淑は李漢喆と同じく‘官学派の首長’と呼ばれるなど、伝統的な主題の図にあまねく秀でていた。

    22歳の1848年から1872年まで差備待令画員として10度以上奎章閣儀軌図の制作に参与した。多方面に優れた遺作があ

    り、<紅白梅>屏風は宝物に指定されている。劉淑は張承業の師匠としても知られており、金弘道から張承業にいたる架

    け橋の役割を果たした。背景をつけずに描き、水墨の白描で流麗な筆線が引き立つ蘇東坡の立像は形態の自然な表現のほか

    に、主人公の表情をよく表した秀作である。

    812 | 미인미인 美人 Portrait of a Beauty

    筆者未詳 | 朝鮮 | 紙本水墨淡彩 | 114.2×56.5cm | TA-427

    Anonymous | Joseon Dynasty | Ink and light color on paper | 114.2x56.5cm

    이 그림은 신윤복 전칭작 그림은 신윤복 전칭작그림은 신윤복 전칭작 신윤복 전칭작신윤복 전칭작 전칭작전칭작傳稱作으로 지칭되기도 하지만 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지칭되기도 하지만 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지칭되기도 하지만 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하지만 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하지만 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혜원과는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구별되며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그를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따른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후대의 그림으로 사료된 그림으로 사료된그림으로 사료된 사료된사료된

    다. 화면상태가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 화면상태가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화면상태가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 상태가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상태가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 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양호하지못하나, 머리의가체 못하나, 머리의가체못하나, 머리의가체, 머리의가체머리의가체 가체가체加 나옷, 그리고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 옷, 그리고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옷, 그리고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 그리고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그리고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 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안면처리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 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등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 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필치에서얼굴이큰편이며, 얼굴 얼굴이큰편이며, 얼굴얼굴이큰편이며, 얼굴 큰편이며, 얼굴큰편이며, 얼굴 편이며, 얼굴편이며, 얼굴, 얼굴얼굴

    과몸방향은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몸 방향은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몸방향은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방향은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방향은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혜원의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것과는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반대이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다소곳한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자세에서는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공통점이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보이기도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하며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오른손은치마뒤로가려 치마뒤로가려치마뒤로가려 뒤로가려뒤로가려 가려가려

    졌고왼손은배꽃을쥐고있다. 왼손은배꽃을쥐고있다.왼손은배꽃을쥐고있다. 배꽃을쥐고있다.배꽃을쥐고있다. 쥐고있다.쥐고있다. 있다.있다..

    3행의 칠언시는 먹색이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행의 칠언시는 먹색이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 칠언시는 먹색이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칠언시는 먹색이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 먹색이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먹색이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 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옅고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 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화면에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 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떠 있으나 비교적 유려 있으나 비교적 유려있으나 비교적 유려 비교적 유려비교적 유려 유려유려流麗한 서체 서체서체書體로 내용 또한 그림과 걸맞다. 이어 내용 또한 그림과 걸맞다. 이어내용 또한 그림과 걸맞다. 이어 또한 그림과 걸맞다. 이어또한 그림과 걸맞다. 이어 그림과 걸맞다. 이어그림과 걸맞다. 이어 걸맞다. 이어걸맞다. 이어. 이어이어

    「을유년삼월기망기소사을유년삼월기망기소사乙酉年三月旣望寄所寫」의간기가있어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간기가있어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간기가있어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있어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있어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대체로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1825년 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년3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3월 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월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16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일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그린것으로보이나,그보 것으로보이나,그보것으로보이나,그보 보이나,그보보이나,그보, 그보그보

    다한갑자 한갑자한갑자 갑자갑자甲子 더내려온1885년일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더내려온1885년일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 내려온1885년일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내려온1885년일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 1885년일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년일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 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가능성도없지않다. 「기거 없지않다. 「기거없지않다. 「기거. 「기거기거起居한곳에서그린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 곳에서그린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곳에서그린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 그린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그린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 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것」이아닌 「그린것을보낸다 아닌 「그린것을보낸다아닌 「그린것을보낸다 「그린것을보낸다그린것을보낸다 것을보낸다것을보낸다 보낸다보낸다

    (준다)」는의미의해석도가능하다.는의미의해석도가능하다. 의미의해석도가능하다.의미의해석도가능하다. 해석도가능하다.해석도가능하다. 가능하다.가능하다..

    本図は申潤福の伝称作といわれることもあるが、蕙園の図とは異なり、蕙園に倣った後代の図と考えられる。画面の称作といわれることもあるが、蕙園の図とは異なり、蕙園に倣った後代の図と考えられる。画面の作といわれることもあるが、蕙園の図とは異なり、蕙園に倣った後代の図と考えられる。画面の

    状態が良好ではないが、飾り髪や服、そして顔の処理などの筆致において、顔が大きく、顔と体の方向は蕙園のものとは反対

    である。うつむき加減のしとやかな姿勢には共通点がみられ、右手はチマの下に隠され、左手には梨の花を持っている。

    3行の七言詩は墨が薄く、画面に浮かんでいるが、比較的流麗な書体で、内容もまた図に似つかわしい。続いて、‘乙酉年

    三月既望寄所寫’という刊記があり、おおよそ1825年3月16日に描いたものとみられるが、それより一回り後の1885年で

    ある可能性もなくはない。‘起居した所で描いたもの’でなく、‘描いたものを送る’という意味の解釈も可能である。

    813 | 성재수간성재수간 聲在樹間 Sounds among Trees

    조석진趙錫晋 (1853~1920) | 朝鮮 |絹本彩色 | 99.4×37.0cm | TA-423(1853~1920) | 朝鮮 |絹本彩色 | 99.4×37.0cm | TA-423絹本彩色 | 99.4×37.0cm | TA-423 99.4×37.0cm | TA-423

    Jo Seok-jin (1853-1920) | Joseon Dynasty | Color on silk | 99.4x37.0cm

    조석진(자字 응삼應三, 호號 소림小琳)자字 응삼應三, 호號 소림小琳) 응삼應三, 호號 소림小琳)응삼應三, 호號 소림小琳), 호號 소림小琳)호號 소림小琳) 소림小琳)소림小琳))은화원으로고종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 화원으로고종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화원으로고종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 고종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고종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 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어진을제작하기도하고,영춘 제작하기도하고,영춘제작하기도하고,영춘 하고,영춘하고,영춘, 영춘영춘永春 군수를역임했다.그보군수를역임했다.그보 역임했다.그보역임했다.그보. 그보그보

    다 8세연하인안중식 8세연하인안중식세연하인안중식 연하인안중식연하인안중식 안중식안중식安中植(1861~1919)(1861~1919)과는평생화업의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평생화업의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평생화업의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화업의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화업의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길을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함께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했으니,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1911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년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근대적성격의미술교육 성격의미술교육성격의미술교육 미술교육미술교육

    기관으로최초인서화미술회 최초인서화미술회최초인서화미술회 서화미술회서화미술회書畵美術會와조선서화협회에서후진 조선서화협회에서후진조선서화협회에서후진 후진후진後進을양성했다. 말년에는공업전습소에서도 양성했다. 말년에는공업전습소에서도양성했다. 말년에는공업전습소에서도. 말년에는공업전습소에서도말년에는공업전습소에서도 공업전습소에서도공업전습소에서도 도도

    자기표면에그림을그렸다. 표면에그림을그렸다.표면에그림을그렸다. 그림을그렸다.그림을그렸다. 그렸다.그렸다..

    그림은송대구양수 송대구양수송대구양수 구양수구양수歐暘修가 52세때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 52세때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세때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 때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때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 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지어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 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후대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 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지식인사이에서크게회자 사이에서크게회자사이에서크게회자 크게회자크게회자 회자회자膾炙되는 「추성부秋聲賦」를주제로 주제로주제로

    한 고사인물화 범주의 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 고사인물화 범주의 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고사인물화 범주의 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 범주의 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범주의 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 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그림이다.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 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조선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 후기 김홍도의 절필작후기 김홍도의 절필작 김홍도의 절필작김홍도의 절필작 절필작절필작絶筆作도 이 글이며, 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 이 글이며, 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이 글이며, 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 글이며, 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글이며, 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 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근대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 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화단에서도 즐겨 그려진 즐겨 그려진즐겨 그려진 그려진그려진

    주제의하나로서화면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하나로서화면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하나로서화면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화면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화면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왼쪽에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이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밝히고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있다.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가을바람의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소슬하고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적적함을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형용하며가을의조락을서글퍼 가을의조락을서글퍼가을의조락을서글퍼 조락을서글퍼조락을서글퍼 서글퍼서글퍼

    하며인간삶의무상함을읊은명문장 인간삶의무상함을읊은명문장인간삶의무상함을읊은명문장 삶의무상함을읊은명문장삶의무상함을읊은명문장 무상함을읊은명문장무상함을읊은명문장 읊은명문장읊은명문장 명문장명문장名文章이다. 그는산수·인물·기명절지·영모·어해등다방면의화목에. 그는산수·인물·기명절지·영모·어해등다방면의화목에그는산수·인물·기명절지·영모·어해등다방면의화목에 산수·인물·기명절지·영모·어해등다방면의화목에산수·인물·기명절지·영모·어해등다방면의화목에 등다방면의화목에등다방면의화목에 다방면의화목에다방면의화목에 화목에화목에

    능했다.그와안중식문하. 그와안중식문하그와안중식문하 안중식문하안중식문하 문하문하門下는 20세기한국화 20세기한국화세기한국화 한국화한국화韓國畵에있어세칭 6대가 있어세칭 6대가있어세칭 6대가 세칭 6대가세칭 6대가 6대가대가大家를비롯한대가들이탄생하는요람 비롯한대가들이탄생하는요람비롯한대가들이탄생하는요람 대가들이탄생하는요람대가들이탄생하는요람 탄생하는요람탄생하는요람 요람요람

    搖籃이었다..

    趙錫晋(字は応三、号は小琳)は画員として高宗の御真を制作したこともあり、永春郡守を歴任した。趙錫晋より8

    歳年下の安中植(1861~1919)とは生涯画業の道をともにしたが、1911年に近代的性格の美術教育機関として初めて設立さ

    れた書画美術会と朝鮮書画協会で後進を養成した。末年には工業伝習所で陶磁器に絵を描いた。

    本図は宋代の欧陽修が52歳の時に詠み、後代に知識人の間で膾炙した「秋声賦」を主題とした故事人物画の範疇の図であ

    る。朝鮮後期の金弘道の絶筆作もこれで、近代画壇でもよく描かれた主題の1つで、画面左にこの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

    る。秋風の肌寒さ、もの寂しさを形容し、秋の落葉を悲しがり、人間の生の無常を詠んだ名文である。趙錫晋は山水、人

    物、器皿折枝、翎毛、魚蟹など、多方面の画題にたけていた。趙錫晋と安中植の門下生は20世紀の韓国画においていわゆ

    る6大家をはじめとした大家が誕生する揺籃であった。

    814 | 대나무대나무 竹 Bamboo

    이정李霆 (1554~1626) | 朝鮮 |黑絹泥金 | 131.0×55.7cm | TA-377(1554~1626) | 朝鮮 |黑絹泥金 | 131.0×55.7cm | TA-377朝鮮 |黑絹泥金 | 131.0×55.7cm | TA-377 | 黑絹泥金 | 131.0×55.7cm | TA-377黑絹泥金 | 131.0×55.7cm | TA-377 131.0×55.7cm | TA-377

    Yi Jeong (1554-1626) | Joseon Dynasty | Gold leaf on black silk | 131.0x55.7cm

    종실宗室 출신으로 자는 중섭출신으로 자는 중섭 자는 중섭자는 중섭 중섭중섭仲燮, 호는 탄은호는 탄은 탄은탄은灘隱이다. 세종. 세종세종世宗(1397~1450)(1397~1450)의 현손 현손현손玄孫으로 비교적 전래작이 비교적 전래작이비교적 전래작이 전래작이전래작이

    많은편이다.개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 편이다.개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편이다.개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 개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개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 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그림으로명성이높은이암 명성이높은이암명성이높은이암 높은이암높은이암 이암이암李巖(1507~1566)(1507~1566)과사촌이다. 사촌이다.사촌이다..

    조선왕조 전체를통해후기의유덕장 전체를 통해후기의유덕장전체를통해후기의유덕장 통해 후기의유덕장통해후기의유덕장 후기의 유덕장후기의유덕장 유덕장유덕장劉德章(1675~1756)(1675~1756), 신위신위申緯(1769~1847)(1769~1847)와 함께 ‘묵죽 함께 ‘묵죽함께 ‘묵죽 ‘묵죽묵죽墨竹의 삼대가 삼대가삼대가三

    大家’로 지칭되며그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로지칭되며그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지칭되며그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지칭되며그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그 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그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가운데서도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단연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선두를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차지한다.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조선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중기에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있어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조선대나무그림의정형 대나무그림의정형대나무그림의정형 그림의정형그림의정형 정형정형定型을이룩 이룩이룩

    한회화사적의의가지대한문인화가이다. 회화사적의의가지대한문인화가이다.회화사적의의가지대한문인화가이다. 의의가지대한문인화가이다.의의가지대한문인화가이다. 지대한문인화가이다.지대한문인화가이다. 문인화가이다.문인화가이다..

    그의 유작 가운데에는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 494 회화 회화 495

    柳徳章(字は子固、号は 雲、茄山)は朝鮮中期の李霆(1554~1626)、後輩の申緯(1769~1847)とともに‘三大墨

    竹画家’と呼ばれている。柳徳章の6代前の柳辰仝(1497~1561)は書画にもたけており、南大門の扁額’崇禮門’を書いたと

    伝えられている。柳徳章の曾祖父で、1680年の庚申換局で賜死したが、後に無実の罪をそそいだ柳赫然(1616~1680、字

    は晦爾、号は野塘)もまた墨竹に名を残しており、非常に珍しい例であるが澗松美術館に小品が現存する。

    柳徳章の墨竹については、金正喜(1786~1856)らがつけた題詩が、文献のみならず実物としても伝えられていって、ハンって、ハン、ハン

    ビット文化財団所蔵で、秋史の題が図の上段についた対聯がある。朝鮮中期以降は画帖のほかに屏風もよく描かれたが、おが図の上段についた対聯がある。朝鮮中期以降は画帖のほかに屏風もよく描かれたが、お図の上段についた対聯がある。朝鮮中期以降は画帖のほかに屏風もよく描かれたが、おついた対聯がある。朝鮮中期以降は画帖のほかに屏風もよく描かれたが、お対聯がある。朝鮮中期以降は画帖のほかに屏風もよく描かれたが、お

    そらくそのような連幅に属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本図と類似したものには、同年1753年癸酉夏に淡彩で描かれた澗松美術

    館所蔵の<雪竹図>が知られている。しかし、画面構成においては国立中央博物館の所蔵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