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지 2017;9:45-47 SPECIAL CONTRIBUTION 접수: 201781, 승인: 2017818연락처: 강동윤, 03080,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 Tel: (02) 2072-2844, Fax: (02) 2072-2593 E-mail: [email protected] Correspondence to: Dong Yoon Kang, MD Drug Safety Monitoring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Korea Tel: +82-2-2072-2844, Fax: +82-2-2072-2593 E-mail: [email protected]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탐방: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필그림 건강관리연구소 소개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 강동윤 The Active Pharmacovigilance System: A Postscript of Visiting the Harvard Pilgrim Health Care Institute Dong Yoon Kang, MD Drug Safety Monitoring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1988년 자발적 의약품 부작용 신고 제도를 시작한 이래 우리나라의 약물감시체계는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이러한 수동적 감시체계는 구체적인 약물유해반응의 실태 를 파악하는 데 태생적 한계가 있다. 1) 그리하여 최근에는 직면한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관련 대상 또는 데이터 베 이스로부터 직접 수집하는 능동적 감시체계가 대안으로 각 광받고 있다. 이러한 능동적 약물감시체계는 과거에는 기술 의 한계로 구현이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대규모 데이터베이 스를 통합한 감시체계 구축이 가능해졌다. 2) 최근 약물유해반응의 능동적 감시체계 도입에 대한 요구 가 높아짐에 따라 흐름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대규모 병원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자료에서 약물 유해반응 신호를 검색하는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품의약품안전처 역시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구축의 필요성 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주춧돌인 표준데이터모델(common data model: CDM)의 개발을 위해 의약품 이상사례 분야 병 EMR 표준모델 개발 연구(책임연구자: 김주한 서울대학 교 의과대학 정보의학실)”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일환으 미국 하버드대학교 필그림 건강관리연구소(Pilgrim Health Care Institute)와 학술적 교류를 가지게 되어 국내 약 물감시 관련 전문가들이 201611월 미국 보스턴의 하버드 의대 필그림 연구소와 약물역학 및 약물경제학부(Division of Pharmacoepidemiology and Pharmacoeconomic)를 방문하여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구축의 역사와 운영 실태를 돌아보았 던 경험을 소개하는 바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국(Food and Drug Ad- ministration, FDA)의 주도로 하버드의대 필그림 건강관리 연 구소(Harvard Pilgrim Health Care Institute) (그림 1)가 협연센 터로서 센티넬(Sentinel)’이라는 능동적 약물감시체계를 운 영하고 있다. 현재의 센티넬 프로그램이 있기까지는 10년간 의 준비와 노력이 있었다. 미국 FDA에서는 2007년 시판 후 약물감시체계를 강화하는 법을 통과시키고 2008약물안 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국가전자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 센티넬 이니셔티브(Sentinel Initiative)’라는 장기 프로젝 트를 발표하였다. 현재 센티넬 프로그램의 모체인 이 프로 젝트는 기존의 자발적 보고에 기반한 수동적, 후향적 탐색 에서 벗어나 이미 구축된 대규모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의약품 부작용을 신속하게 인지 및 평가하여 능동적 약물유해반응 감시를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 구체 적인 목표였다. FDA에서는 이를 위해 하버드의대 필그림 건강관리연구소를 협연센터로 지정하여 2009년부터 미니센 티넬(Mini- Sentinel)이라는 시범사업을 시작하였다. 이를 통 해 새로운 방식인 빅데이터 기반의 의약품 부작용 감시 방 법의 가능성과 도전과제 등을 파악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수 립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6년간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 보험 사 등 데이터파트너의 협력 체결, 분석방법의 결정과정 등 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미니센티넬은 성공적으로 능동적 약물감시체계의 유용성을 입증하였고 2016년부터 전국적으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탐방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필그림 건강관리 ...045-047)07... · 2017-11-08 · 법이란 판단 때문이다. 대규모 약화사고를 보다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탐방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필그림 건강관리 ...045-047)07... · 2017-11-08 · 법이란 판단 때문이다. 대규모 약화사고를 보다

약물역학 해 리학회지 2017;9:45-47 □ SPECIAL CONTRIBUTION □

수: 2017년 8월 1일, 승인: 2017년 8월 18일

연락처: 강동윤, 03080, 서울시 종로구 학로 101

서울 학교병원 약물유해반응 리센터

Tel: (02) 2072-2844, Fax: (02) 2072-2593

E-mail: [email protected]

Correspondence to: Dong Yoon Kang, MD

Drug Safety Monitoring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Korea

Tel: +82-2-2072-2844, Fax: +82-2-2072-2593

E-mail: [email protected]

능동 약물감시체계 탐방: 미국 하버드 학교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 소개

서울 학교병원 약물유해반응 리센터

강동윤

The Active Pharmacovigilance System: A Postscript of Visiting the Harvard Pilgrim Health Care Institute

Dong Yoon Kang, MD

Drug Safety Monitoring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1988년 자발 의약품 부작용 신고 제도를 시작한 이래

우리나라의 약물감시체계는 격한 발 을 이룩하 으나

이러한 수동 감시체계는 구체 인 약물유해반응의 실태

를 악하는 데 태생 한계가 있다.1) 그리하여 최근에는

직면한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련 상 는 데이터 베

이스로부터 직 수집하는 능동 감시체계가 안으로 각

받고 있다. 이러한 능동 약물감시체계는 과거에는 기술

의 한계로 구 이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규모 데이터베이

스를 통합한 감시체계 구축이 가능해졌다.2)

최근 약물유해반응의 능동 감시체계 도입에 한 요구

가 높아짐에 따라 흐름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규모 병원

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자료에서 약물

유해반응 신호를 검색하는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식

품의약품안 처 역시 능동 약물감시체계 구축의 필요성

을 인식하고 이를 한 주춧돌인 표 데이터모델(common

data model: CDM)의 개발을 해 “의약품 이상사례 분야 병

원 EMR 표 모델 개발 연구(책임연구자: 김주한 서울 학

교 의과 학 정보의학실)”를 진행하 다. 본 연구의 일환으

로 미국 하버드 학교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Pilgrim

Health Care Institute)와 학술 교류를 가지게 되어 국내 약

물감시 련 문가들이 2016년 11월 미국 보스턴의 하버드

의 필그림 연구소와 약물역학 약물경제학부(Division

of Pharmacoepidemiology and Pharmacoeconomic)를 방문하여

능동 약물감시체계 구축의 역사와 운 실태를 돌아보았

던 경험을 소개하는 바이다.

재 미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 국(Food and Drug Ad-

ministration, FDA)의 주도로 하버드의 필그림 건강 리 연

구소(Harvard Pilgrim Health Care Institute) (그림 1)가 연센

터로서 ‘센티넬(Sentinel)’이라는 능동 약물감시체계를 운

하고 있다. 재의 센티넬 로그램이 있기까지는 10년간

의 비와 노력이 있었다. 미국 FDA에서는 2007년 시 후

약물감시체계를 강화하는 법을 통과시키고 2008년 “약물안

성 모니터링을 한 국가 자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

는 ‘센티넬 이니셔티 (Sentinel Initiative)’라는 장기 로젝

트를 발표하 다. 재 센티넬 로그램의 모체인 이 로

젝트는 기존의 자발 보고에 기반한 수동 , 후향 탐색

에서 벗어나 이미 구축된 규모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의약품 부작용을 신속하게 인지 평가하여 능동

약물유해반응 감시를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이 구체

인 목표 다. FDA에서는 이를 해 하버드의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를 연센터로 지정하여 2009년부터 미니센

티넬(Mini- Sentinel)이라는 시범사업을 시작하 다. 이를 통

해 새로운 방식인 빅데이터 기반의 의약품 부작용 감시 방

법의 가능성과 도 과제 등을 악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수

립하도록 하 으며 이후 6년간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 보험

사 등 데이터 트 의 력 체결, 분석방법의 결정과정 등

많은 난 에도 불구하고 미니센티넬은 성공 으로 능동

약물감시체계의 유용성을 입증하 고 2016년부터 국 으

Page 2: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탐방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필그림 건강관리 ...045-047)07... · 2017-11-08 · 법이란 판단 때문이다. 대규모 약화사고를 보다

46 약물역학 해 리학회지 제9권 제1호, 2017

Figure 1. 하버드 학교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가 치한

Boston Landmark Center의 경.Figure 2.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의 센티넬 로그램 책임자

인 Dr. Richard Platt과 한국 방문단.

로 본격 인 센티넬 로그램을 시작하 다.3)

센티넬은 다양한 형태로 구축된 여러 기 의 의료데이터

베이스에서 공통 으로 수집할 수 있는 변수체계를 수립하

고, 자료분석을 한 코드를 만들고, 이에 따라 각 자료원에

서 분석된 결과 는 추출된 자료를 취합할 수 있는 시스템

이다. 특정 약물에 하여 안 성 이슈가 발생하 을 때

FDA가 이 문제를 연센터에 의뢰하면 연센터에서는 각

데이터 력체(건강보험, 학 는 연구소 등)에 이미 구축

되어 있는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코드를 보내고, 데이터

력체에서는 해당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연센터에 제출

한다. 연센터는 각 데이터 력체에서 제출된 결과를 검토

하고 체 자료에서 종합결과를 도출하여 FDA에 제출하면

FDA에서는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증거에 기반

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정보를 소통할 수 있게 된다.4) 기존

에 자발 부작용 신고자료에 의존하여 안 성 이슈가 생겼

을 때 인과 계를 확인하기 하여 새로운 연구를 수행하여

결과를 얻는 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던 것에 비하면

단히 신 이다. 미국은 센티넬 로그램으로 흩어져 있

는 모든 정보들을 극 으로 활용하여 과학 증거에 기반

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동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

으며 이를 통해 의약품 안 성 리에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하고 있다.5)

앞서 기술하 듯이 센티넬 로그램 자체는 FDA에서

장하지만 실제 구축과 운 은 연센터인 필그림연구소에

서 이루어진다. 필그림연구소에서 센티넬 운 을 해

이루어지는 여러 방법과 결정에는 하버드의 약물역학

약물경제학부가 깊이 여하고 있다. 능동 약물감시체계

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최 선인 이 곳에서 우리 연구진은

한국의 약물감시체계를 소개하고 향후 발 방향에 한 구

체 인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 한약물역학 해 리학회

를 표하여 참석한 연세 학교 박 원 교수가 한국의 약물

감시체계의 역사와 상황, 미국과의 차이 등에 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충북 학교 강민규 교수는 한국에서의 다

기 표 데이터모델 용 과정 과정 난 에 해 발

표하 는데, 의료체계 데이터구조의 차이에 따라 미국의

센티넬과는 근과 운 이 다를 수 밖에 없기에 필그림 연

구소 연구진들의 많은 심과 질문을 받기도 하 다. 서울

학교 김주한 교수는 표 데이터모델을 이용한 한국형 능

동 약물감시체계의 발 방향과 국제 력의 필요성에

해 강조하며 한국 연구진들의 발표를 마무리하 다. 필그림

연구소의 연구진들 역시 센티넬 로그램의 도입 과정, 미

니 센티넬 운 에서 나타났던 고충, 데이터 트 와의 계

형성, 올바른 의학 질문 생성의 어려움, 데이터 변환에 흔

히 수반되는 오류, 여러 문분야의 력 유지, 센티넬 로

그램을 이용한 의약품 안 성 변경의 성공 인 , 각 쿼리

에 한 최신 답변 생성 후 데이터 질 리의 요성, 극히

낮은 발생률을 나타내는 유해반응에서 낮은 양성 측도를

극복하기 한 다양한 시도, 데이터 손실에 한 처 등 지

난 10년간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구체 인 조언을 아끼지 않

았다(그림 2).

필그림연구소 방문을 마치고, 하버드의 의 약물역학

약물경제학부(Division of Pharmacoepidemiology & Pharma-

coeconomics at Brigham and Women’s Hospital)를 방문하여

규모 데이터를 이용한 약물역학 분석방법의 최신지견,

한미 양국의 산 자료의 차이에 따른 장단 과 최 의 연

구방법, 향후 국제 인 능동 약물감시체계 구축을 한

력방안 등에 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센티넬 시스템을

이용한 약물유해반응 연구에 한 세계 석학들의 강의들

을 들을 수 있었다.

훌륭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 유지하기 해서는 우

수한 인력과 그들을 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재 센

티넬 로그램의 운 을 한 산은 연간 약 $14,000,000

(한화 약 158억)로 주로 인건비와 데이터 구매 비용으로 사

용한다.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에 속한 200여명의 연구원들

부분은 직간 으로 센티넬 로그램과 연 이 있으며,

이 65명은 센티넬 담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연구

Page 3: 능동적 약물감시체계 탐방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필그림 건강관리 ...045-047)07... · 2017-11-08 · 법이란 판단 때문이다. 대규모 약화사고를 보다

강동윤. 하버드 학교 필그림 연구소 방문기 47

소 외부에도 약물역학자, 임상 문가, 통계학자 의료정

보 문가 등을 포함한 수백 명의 문인력이 센티넬의 성공

인 운 을 해 력하고 있다. 이토록 많은 문인력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막 한 재정은 부분 제약회사 기

과 연방정부의 세 으로 충당된다. 필그림 건강 리연구소

는 미니센티넬의 성공 인 운 을 마친 후 2016년 본격 인

센티넬 로그램의 가동과 함께 인력과 시설을 확충하여

Boston landmark center로 이 하여 활발하게 활동 이다.

센티넬 방문을 통하여 좋은 결과를 얻기 해서는 좋은

시스템이 필요하고 이를 구축하기 해서는 오랜 기간 꾸

히 우수한 인력과 많은 자본의 투자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센티넬은 비록 짧은 역사이지만 그간 꾸 한 성과

를 내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우월한 경제력을 감안하더라

도 그간 막 한 산을 투자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향후 약물유해반응을 리하는데 있어 가장 “경제 ”인 방

법이란 단 때문이다. 규모 약화사고를 보다 빠르게

방하거나 약물유해반응에 한 극 개입으로 국민건강

을 향상시키는 것이 궁극 으로 훨씬 산 소모가 다. 의

학의 발 , 만성질환 증가, 다약제 사용, 고령화 등으로 의

약품의 사용과 유해반응의 발생은 세계 으로 증가하고 있

어 향후 센티넬과 같은 능동 감시가 세계 약물감시의

표 이 될 것으로 상한다. 우리나라는 뛰어난 정보통신인

라는 물론 국민이 단일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고 주

민등록번호로 연계가 가능하며 각 개인의 처방정보까지 알

수 있는 등 자의무기록을 이용한 약물감시시스템이 정착

하기에 이상 인 조건을 가지고 있다. FDA에서 지난 10

년간 수많은 연구와 시행착오를 거치며 발 시킨 센티넬의

장단 을 미리 악하고 비한다면 이를 뛰어넘는 첨단의

능동 약물감시체계의 개발과 운 도 가능하며, 우리나라

가 보건의료강국으로 거듭나는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되리

라 상한다.

감사의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 처의 2017년도 지역의약품안

센터 운 에 한 사업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hoi NK, Park BJ. Adverse drug reaction surveillance system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278-84.

2. Huang YL, Moon J, Segal JB. A comparison of active ad-

verse event surveillance systems worldwide. Drug Saf 2014;

37:581-96.

3. Ball R, Robb M, Anderson SA, Dal Pan G. The FDA's senti-

nel initiative--a comprehensive approach to medical product

surveillance. Clin Pharmacol Ther 2016;99:265-8.

4. Psaty BM, Breckenridge AM. Mini-Sentinel and regulatory

science--big data rendered fit and functional. N Engl J Med

2014;370:2165-7.

5. Platt R, Carnahan RM, Brown JS, Chrischilles E, Curtis LH,

Hennessy S, Nelson JC, Racoosin JA, Robb M, Schneeweiss

S, Toh S, Weiner MG.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Mini-Sentinel program: status and direction.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12;21 Suppl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