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 신지은 * ․손지희 ** ․이석훈 *** <요 약> 논문은 동일한 모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목적에서 수행된 통 계조사가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에 어떠한 변화가 오는지, 그러한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설 문문항 기술내용의 영향과 설문 문항에 내포된 암시(Cue)의 영향 을 알아보고자한다.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 비율이 영향을 받는가’를 목적으로 실시된 본 논문은 설문지 설계단계에서 나타나는 비표본오차의 원 인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설계하고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2007년 4월 1일부터 4월 14일까지 총 2주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본 문에서 조사한 문항의 기술내용, 성격과 설문이 내포하고 있는 암 시 등에서 비표본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특별히 오차가 크게 나타나는 그룹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핵심단어: 비표본오차, 설문문항, 용어, 암시(Cue) *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부 강사([email protected]) ** 대전충남지방통계청([email protected]) ***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부 교수([email protected])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

신지은*

․손지희**

․이석훈***

<요 약>

본 논문은 동일한 모집단을 상으로 동일한 목 에서 수행된 통

계조사가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에 어떠한 변화가 오는지,

그러한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를 악하고자 한다. 구체 으로는 설

문문항 기술내용의 향과 설문 문항에 내포된 암시(Cue)의 향

을 알아보고자한다.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 비율이 향을 받는가’를 목 으로

실시된 본 논문은 설문지 설계단계에서 나타나는 비표본오차의 원

인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설계하고 시민을 상으로 2007년

4월 1일부터 4월 14일까지 총 2주간 조사, 분석하 다. 결과, 본 논

문에서 조사한 문항의 기술내용, 성격과 설문이 내포하고 있는 암

시 등에서 비표본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 특별히

오차가 크게 나타나는 그룹이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핵심단 어 : 비표본오차, 설문문항, 용 어 , 암 시 ( C u e )

* 충남 학교 자연과학 학 수학통계학부 강사([email protected])

** 충남지방통계청([email protected])

*** 충남 학교 자연과학 학 수학통계학부 교수([email protected])

Page 2: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Ⅰ. 서론

1. 연구배경과 목

통계조사가 사회 반 인 역에서 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통

계자료에 존재하는 조사결과와 실제와의 차이, 즉 오차가 주요 심

사가 되어가고 있다. 오차는 표집단계에서만 발생하는 표본오차와

조사를 계획, 집행, 조사결과의 분석, 해석을 내리는 과정에 걸

쳐 발생하는 비표본오차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비표본오차는 각

종 통계조사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통계자

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해서는 조사 과정에 이러한 오차를

이기 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분야에 걸

쳐 다양하게 발생하는 비표본오차 에서 조사기획과정의 한 부분

을 차지하는 설문문항과 련된 비표본오차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문항의 기술내용의 향과 설문문항에 내포된

암시(Cue)의 향을 두 가지 유형의 문항으로 작성하여 응답결과에

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고 한 이 차이에 여한

인구학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2. 이론 논의

사람을 상으로 하는 사회조사는 언어를 주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는 문화, 사회, 집단 개인에 따라 그것이 내포

하고 있는 의미가 서로 차이를 보일 수도 있다. 설문문항에 기술된

용어가 갖는 함의차의 향을 보여주는 하나의 로서 미국의 여

러 조사기 들이 각기 다른 시 에서 미국인들을 상으로 행한

조사들 한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이는 같은 실을 지칭할 수

도 있는 다른 용어들[빈민(poor), 실업자(unemployed), 복지/구호

Page 3: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welfare)]이 빈민 실업자에 한 지출증 를 찬성하는 응답자

비율에 향을 미치는 지 알아본 실험이다. Institute of Life

Insurance사가 1968년에 행한 MAP(Monitoring Attitudes of

Public)조사결과를 보면 정부가 ‘빈민’(poor)에 해 좀 더 많은 것

을 해 주어야 한다고 보는 사람의 비율이 61.0% 고, ‘요 구호 상

자’(people on welfare)에 해 좀 더 많은 것을 해 주어야 한다고

보는 사람의 비율은 32.0%로 나타나 있다. 이는 ‘빈민’(poor)나 ‘요

구호 상자’(people on welfare)가 같은 의미로 사용됨에도 불구하

고, 미국인들 사이에서는 ‘welfare’라는 용어가 구제사업과 연 되

어 온 탓인지 상당한 거부감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인다(Smith,

1987). 한, 사회조사의 설문지 문항에 어떤 암시(Cue)가 개입될

경우, 응답자에 따라 암시를 받을 수도 있으므로 응답 경향에 다양

한 향을 미치게 된다.

설문지 문항에 내포된 암시의 향에 한 연구의 로서 ‘과거

김 정부의 북 정책’이라는 용어와 ‘ 북 화해 력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경우의 지지율의 차이를 연구한 논문을 들 수 있

는데 그 결과는 ‘ 북 화해 력정책’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경우 지

지율이 80.3%로 ‘김 정부’라는 용어가 포함된 경우(55.4%)보다

높게 나타났다. ‘김 정부’라는 용어가 응답자들로 하여 부정

인 회고평가를 하도록 향을 미친 반면, ‘화해 력’이라는 용어

는 응답자에게 정 인 기 심리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인다(이

은정, 2004). 한 ‘알려진 이름’과 마찬가지로 이념 색채의 용어

도 응답 경향에 향을 미친다는 연구 사례가 있다(Lockerbie &

Borrelli, 1990).

Page 4: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II. 조사의 설계

1. 조사의 상 실시

설문지 구성에 따른 오차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기 하여 본 논

문에서는 2006년 통계청과 유성구가 실시한 「2006년 유성구 사회

통계조사」에 이용된 설문지를 기 로 응답 경향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 설문지 구성 요소들에 한 검토를 통해 재구성하 다.

설문지의 구성에 따른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기 해 시민을

모집단으로 규정하고 유형(2개 집단 A, B)별로 나이와 지역을 고려

한 할당추출법(quota sampling)과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 다. 응답자의 나이는 재 통계청에서

경제활동인구 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15세 이상 인구를 기 으로

하 으며 분석의 용이함을 해 1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에 이르

기까지 총 여섯 개 구간으로 분류하 다. 지역은 시가 재 5

개의 ‘구’ 단 로 나뉘어 있는 을 이용하여 다섯 개 구간으로 분

류하 다. 이에 따라 각각의 그룹이 비슷한 비율로 배분될 수 있도

록 하 는데, 사실 정확한 할당추출법은 각 요인들의 비율에 비례

한 만큼 표본을 추출하는 PPS추출법이 원칙이나, 본 조사에서는

나이와 지역의 표본수가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제로

하 다. 이는 본 논문의 목 이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응답 비

율의 변화’를 분석해 보려는 것이기 때문에 유형별로 비슷한 비율

의 표본크기가 필요하다는 단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 표성을

가진 표본 집단을 추출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으므로 조사자의

편의에 따라 조사하기 용이한 응답자를 선정하 다. 이와 같이 본

조사에서 이용된 표본추출방법은 모집단에 해 표성 있는 표본

을 추출하기는 확률 표본추출(nonrandom sampling)방법이 아니

기 때문에 추출된 표본에 한 조사결과를 체 모집단에 한 결

Page 5: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과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본 논문의

결과분석 목 은 앞에서도 잠시 언 했듯이,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비율이 향을 받는가’를 분석해 보려는 것이지, ‘ 시

민의 의견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를 추정하려는 것이 아니기 때

문에 모집단에 한 표성에 한 의심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

라 단된다. 응답자 수는 각 유형별 500명 , 유형A 401명, 유형

B 384명으로 조사되었고, 조사시기는 2007년 4월 1일부터 4월 14일

까지 총 2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2. 설문문항의 구성

1) 설문문항의 상세정도

설문문항의 상세정도에 한 로서 ‘ 에서는 신문을 구독하십

니까?’라는 질문을 응답자에게 했을 경우 응답자가 혼선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밝히고 있다.(사회조사방법론, 오인환) 그래서 설문

문항기술의 상세정도가 조사 상자들에게 각기 다른 자극을

가능성을 알아보기 해 <표 1>과 같이 상세한 설문문항을 이용

하여 유형A, B 사이의 응답률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2) 설문문항이 포함한 특정내용의 향

설문의 내용과 연 된 인지도가 높은 사람의 이름을 포함하고 있

는 경우 응답에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하여 <표 2>과 같이

문항을 개발하여 분석하 다.

<표 1> 설문지 구성 형태

유 형 A 1. 에서는 주택을 갖고 있습니까?① 갖고 있다

② 갖고 있지 않다

유 형 B

1. 귀하 혹은 재 집에 같이 살고 있

는 가족 군가가 주택을 갖고 있

습니까?

① 갖고 있다

② 갖고 있지 않다

Page 6: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표 2> 설문지 구성 형태

유 형 A1. 행정복합도시 건설을 추진 인 ooo 통령

의 계획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정 이다

② 약간 정 이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부정 이다

⑤ 매우 부정 이다

유 형 B1. 행정복합도시 건설 계획에 해 어떻게 생

각하십니까?

① 매우 정 이다

② 약간 정 이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부정 이다

⑤ 매우 부정 이다

3) 설문문항이 정 암시 포함

응답자들의 응답경향 한 가지인 ‘ 정’ 응답경향(acquiescence

response)에 을 맞추어 설계된 본 문항은 ‘ 시가 진행하고

있는 무지개 로젝트’에 한 견해를 묻는 설문으로 응답자가 잘

알지 못하는 사항에 해 설문할 경우 그 암시의 효과가 극 화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진행되었다(Kolson & Green, 1970). 이를 바탕

으로 설문문항이 정 으로 편향된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었거나

포함되지 되지 않았을 경우에 따라 응답 경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의견을 분석하기 하여 <표 3>와 같은 설문을 이용하 다.

< 표 3 > 설 문 지 구 성 형 태

유형A

1. 「 로젝트」의 종합 ·효율 추진

체계 구축하고 지역의 지상황에

한 면 한 실사와 주민의견 수렴을

통해 사업의 실성과 실효성 제고하

려는 시의 무지개 로젝트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정 이다

② 약간 정 이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부정 이다

⑤ 매우 부정 이다

유형B1. 시의 무지개 로젝트에 해 어

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정 이다

② 약간 정 이다

③ 보통이다

④ 약간 부정 이다

⑤ 매우 부정 이다

Page 7: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표 4 > 설 문 지 구 성 형 태

A

1. 재 노인들이 겪고 있는

가장 어려운 은 무엇이

라고 생각하십니까?

( ) ( ) ( )

(순 에 상 없이 3개 이

내로 답변)

① 경제 인 어려움

② 직업이 없음

③ 건강문제(질병문제)

④ 외로움, 소외감

⑤ 가족으로부터 푸

⑥ 노인복지시설(요양시설, 양로원 등)

의 부족

⑦ 기타( )

2. 귀하께서는 시에서

가장 심을 두어야 할

사회복지 상이 구라고

생각하십니까?

( ) ( ) ( )

(순 에 상 없이 3개 이

내로 답변)

① 노인

② 장애인

③ 유아 아동

④ 소득층

⑤ 과자 비행청소년

⑥ 결손가정(소년 ․ 소녀가장, 편부모가정)

⑦ 기타( )

B

1. 귀하께서는 시에서

가장 심을 두어야 할

사회복지 상이 구라고

생각하십니까?

( ) ( ) ( )

(순 에 상 없이 3개 이

내로 답변)

① 노인

② 장애인

③ 유아 아동

④ 소득층

⑤ 과자 비행청소년

⑥ 결손가정(소년 ․ 소녀가장, 편부모가정)

⑦ 기타( )

2. 본인은 노후를 하여

비하고(되어) 있습니

까? 비하고(되어) 있

다면 그 가장 주된

것은 무엇입니까?

① 비하고(되어) 있다 ↓

공 연 (국민연 , 공무원연 등 )

사 연 (은행, 보험, 개인연 )

퇴직

,

부동산 운용

주식, 채권 등

기타( )

② 비하고(되어) 있지 않다

3. 재 노인들이 겪고 있는

가장 어려운 은 무엇이라

고 생각하십니까?

( ) ( ) ( )

(순 에 상 없이 3개 이

내로 답변)

① 경제 인 어려움

② 직업이 없음

③ 건강문제(질병문제)

④ 외로움, 소외감

⑤ 가족으로부터 푸

⑥ 노인복지시설(요양시설, 양로원 등)

의 부족

⑦ 기타( )

Page 8: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4) 선행문항의 암시

설문에 사용된 설문문항이 바로 뒤에 오는 설문문항과 련을 갖

고 있어서 뒤에 있는 설문문항의 응답에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는 것으로서 선행문항이 암시로 작용하여 응답률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하여 <표 4>과 같은 설문을 이용하 다.

Ⅲ. 분석 결과

1. 유형에 따른 조사 상 동질성 검정

본 설문의 성별 구성은 유형A가 남성 47.4%, 여성 52.6%로 나타

났고, 유형B는 남성 41.4%, 여성 58.6%로 나타나 유형에 따른 통

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χ2=2.71, p>.05). 유형A의 만30-40

세미만의 비율은 18.2%, 만40-50세미만의 비율은 18.0% 고, 유형

B의 경우는 각각 20.7%, 18.6%로 조사되었다(χ2

=7.48, p>.05). 응답

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을 선택하는 항목에서는 유형A는 서구 거

주자가 24.8%, 동구 거주자가 18.8%, 구, 유성구, 덕구 거주자

가 각각 21.3%, 18.8%, 16.5%로 나타났으며 유형B는 서구 거주자가

26.5%, 동구 거주자가 19.2%, 구, 유성구, 덕구 거주자가 각각

18.9%, 16.8%, 18.6%로 거주 지역에 한 응답자비율은 통계 으

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χ2

=1.72, p>.05). 응답자의 경제활동상태가

취업자인지 비취업자인지 알아본 문항에서는 유형A의 취업자가

69.3%, 유형B의 취업자가 70.3%로 나타났고, 유형 A, B간의 차이

가 입증되지 않는다(χ2

=0.95, p>.05). 응답자의 교육수 을 알아보기

해 제시한 교육상태 문항에서는 유형A는 고등학교가 33.9%로

가장 많이 차지하 고, 유형B는 4년제 학교가 31.1%로 가장 높

은 비율을 보 다. 학력에 한 응답자의 비율은 통계 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χ2=3.44, p>.05). 응답자의 주택 유상태를 설문한

Page 9: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문항에서는 자기집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유형A의 경우 58.6%로

나타났고, 유형B의 경우 61.2%로 나타났으며 응답자비율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χ2

=2.06, p>.05). 혼인상태의 경우 미혼

이 36.3%, 32.6%의 비율로 각각 유형A, B에 나타났고 미혼외의 경

우에는 유배우․사별․이혼이 포함되어 조사되었으며 응답자 비율

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χ2

=1.14, p>.05).

2. 유형별 문항분석

1) 설문문항의 상세 정도

유형A 1. 에서는 주택을 갖고 있습니까?

유형B 1.귀하 혹은 재 집에 같이 살고 있는 가족 군가가

주택을 갖고 있습니까?

< 표 5 > 유 형 에 따 른 응 답 률 비 교

(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갖고 있음 247(63.0) 211(55.2) 458(59.2) χ2=4.84

df=1

p=0.0278

갖고 있지 않음 145(37.0) 171(44.8) 316(40.8)

체 392(100.0) 382(100.0) 774(100.0)

본 설문의 사안은 설문문항의 상세정도가 응답에 향을 미

치는지 알아보는 것으로써, 유형A에는 응답자 본인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응답자의 집을 지칭할 수도 있는 ‘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

고, 유형B에는 ‘귀하 혹은 재 집에 같이 살고 있는 가족 군

가’라는 상을 좀 더 분명하게 설명하여 주택소유 여부를 설문하

다. 분석결과 포 인 용어를 사용한 유형A에서 ‘갖고 있음’에

응답한 사람은 63.0% 고, 지칭하는 상을 구체 으로 규정해

유형B는 55.2%가 ‘갖고 있음’에 응답하여 7.8%의 차이를 보 다.

Page 10: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2) 설문문항이 포함한 특정내용의 향

유형A 1.행정복합도시 건설을 추진 인 ooo 통령의 계획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유형B 1.행정복합도시 건설 계획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표 6 > 유 형 에 따 른 응 답 률 비 교

(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매우 정 58(14.6) 57(15.0) 115(14.8)

χ2=62.31

df=4

p=0.0000

약간 정 70(17.6) 145(38.1) 215(27.6)

보통 157(39.5) 135(35.4) 292(37.5)

약간 부정 65(16.4) 35(9.2) 100(12.9)

매우 부정 47(11.8) 9(2.4) 56(7.2)

체 397(100.0) 381(100.0) 778(100.0)

같은 사안의 설문이라도 그것을 리 알려진 사람의 이름과 련

지어 제시했을 경우(유형A)와 포함하지 않은 경우(유형B)의 분석

결과 유형A가 유형B에 비해 정 인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흥미로운 것은 매우 정 인 응답률은 두 유형 모두

15%로서 극 의견을 갖는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고, 한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 역시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반면에 “약

간 정 ”이라고 응답한 비율과 부정 인 쪽에서는 큰 차이를 보

이는데 이 값들에서 유추해 본다면 약 17%(70여명)의 “ 정 ”그

룹이 통령의 이름에 의하여 부정 으로 갔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겠다.

3) 설문문항이 정 암시 포함

유형A 1.「 로젝트」의 종합 ․효율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의 지상황에 한 면 한 실사와 주민의견수렴

을 통해 사업의 실성과 실효성을 제고하려는

시의 무지개 로젝트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Page 11: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유형B 1. 시의 무지개 로젝트에 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표 7 > 유 형 에 따 른 응 답 률 비 교

(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매우 정 40(10.5) 22(6.3) 62(8.5)

χ2=43.40

df=4

p=0.0000

약간 정 103(27.0) 43(12.3) 146(19.9)

보통 205(53.7) 261(74.6) 466(63.7)

약간 부정 19(5.0) 21(6.0) 40(5.5)

매우 부정 15(3.9) 3(0.9) 18(2.5)

체 382(100.0) 350(100.0) 732(100.0)

설문이 갖고 있는 성질에 따라 응답자의 응답 경향이 달라 질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한 분석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함을 보 고

로젝트의 장 을 나열하지 않고 단지 그 사안에 한 평가를 설

문한 경우(유형B)에는 74.6%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유형A는 ‘보통’이 53.7% 고 ‘약간 정 ’이 27.0%로 유형B

의 ‘약간 정 ’ 12.3%와 14.7%p의 차이를 보 다.

4) 선행문항의 암시

1. 귀하께서는 시에서 가장 심을 두어야 할 사회복지 상이

구라고 생각하십니까?

유형A 노인문제 바로 다음에 질문을 제시한다.

유형B 질문을 먼 제시한다.

Page 12: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표 8 > 유 형 에 따 른 응 답 률 비 교

(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노인선택

안함102(25.4) 163(42.4) 265(33.8)

χ2=25.39

df=1

p=0.0000노인선택 299(74.6) 221(57.6) 520(66.2)

체 401(100.0) 384(100.0) 785(100.0)

가장 심을 두어야 할 사회복지 상을 선택하는 문항을 노인이 겪

고 있는 어려운 을 무엇인지 선택하는 문항 바로 뒤에 배치(유형A)

시킴으로써 ‘노인’이라는 용어를 암시 요인으로 작용하도록 하 다.

유형B는 ‘사회복지 상 선택 문항’ 그리고 ‘노인문제’ 순으로 배치하여

용어의 암시 작용을 배제시켰다.

분석 결과 ‘노인’을 선택한 응답자의 비율이 유형A는 75.7%, 유형B

는 58.2%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문제’에 한 문항을 우선 으로 배치

하여 응답자가 무의식 으로 ‘노인’이란 용어를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

는 것이다.

3. 인구특성변수에 따른 문항분석

1) 설문문항의 상세정도

우선 나이에 따른 결과를 보면 만15-20세미만 집단의 경우, ‘갖

고 있음’에 응답한 비율이 설문문항이 상세한 유형B의 경우가

66.0%로 유형A(45.6%)보다 20.4%p 더 많은 비율을 보 는데, 이는

이 연령 에 포함되는 응답자 부분이 고등학생 혹은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 ’이라는 용어를 ‘개인(본인)’에 한정시켜

생각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반면 20 와 30 , 60세 이상의 경

우는 유형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3: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교육정도에 따른 유형 간 비교에서는 학교 이하와 고등학교학

력인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이하 집단에서

는 ‘갖고 있음’의 비율이 유형 A, B에서 각각 81.3%, 55.2% 고,

고등학교 학력 집단에서는 유형 A, B가 각각 62.9%, 48.2%로 나타

났다. 반면 학력이 학원이상 집단의 경우 유형A는 59.4%, 유형B

는 56.7%로 그 차이가 불과 2.7%p밖에 나지 않았다. 따라서 학력

수 이 고학력으로 갈수록 용어가 갖고 있는 모호함은 응답에 큰

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부표 1).

2) 설문문항이 포함한 특정내용 향

‘OOO 통령’의 이름이 포함된 경우와 그 지 않은 경우를 남녀

별로 살펴보면 남녀 모두 통령의 이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더 정 인 평가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성의 경우 통령의

이름이 포함되지 않은 유형B의 경우 정 인 응답의 비율은

61.4% 고, 여성의 경우는 46.8%로 유형A보다 각각 28.1%p,

16.2%p 높게 나타났으며, 정 인 응답 비율이 남자 집단에서 여

자집단보다 더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응답자의 학력상태에 따라 분

석해 본 결과는 모든 부문에서 통령 이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유형B) ‘행정도시건설계획에 한 견해’가 더 정 인 것으로 나

타났다. 학교 이하와 4년제 학의 경우는 통령이름이 포함되

지 않은 경우와 포함된 경우의 비율 간에 약 2배의 차이를 보인다.

반면 고등학교와 학원의 경우는 유형B의 정 비율이 유형A

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통령의 이름이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을까

상했으나, 체 으로 통령의 이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정

인 비율이 더 높은 결과를 보 다. 이는 통령의 직책이 미치는

향력이 지역 으로 작은 범 내에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국

가 인 차원의 정책에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단된다. 따라서

Page 14: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지역에 따른 각기 다른 반응이 필요한 조사일 경우에는 그 지역에

서 인지도가 높은 정책결정권자의 이름을 문항에 포함시켜 조사하

는 것이 효과 일 것으로 보인다(부표 2).

3) 설문문항이 정 암시 포함

남녀에 따른 유형간의 차이 여부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우에 설

문문항의 제시형태에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에 편향된

자세한 설명이 있는 설문문항을 제시했을 경우 여성의 정 응

답은 40.6%로 그 지 않은 경우의 정 응답15.0%에 비해

25.6%p증가하 다(부표 3).

4) 선행문항의 암시

‘노인’이라는 용어의 암시가 다음 문항에 향을 미치는가를 알아

본 결과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 , 30 , 40 60세 이상 집단

에서 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데, 20 , 30 , 40 집단에

서는 선행문항의 암시를 받은 경우에 선행문항의 암시가 없는 경

우보다 ‘노인’을 택한 응답률은 약 20%p 높게 나타나는데 60세 이

상의 집단에서는 선행문항의 암시를 받은 경우와 그 지 않은 경

우의 ‘노인’을 택한 응답률이 각각 88.9%, 46.6%로 두 배에 가까운

응답 경향의 차이를 보 다. 이는 직 으로 본인과 연 이 있는

사항인데다가 선행문항의 암시의 상호작용하여 오차가 배가되어 2

배의 응답차이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부표 4).

Page 15: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표 9 > 인 구 특 성 변 수 에 따 른 문 항 분 석

설문문항의

상세 정도

설문문항이

포함한 특정

내용 향

설문문항이

정 암시

포함

선행문항의

암시

카이

제곱

유의

확률

카이

제곱

유의

확률

카이

제곱

유의

확률

카이

제곱

유의

확률

성별남 3.74 0.0531 26.83 0.0000 3.37 0.1856 12.78 0.0004

여 2.59 0.1077 24.50 0.0000 35.75 0.0000 14.10 0.0002

나이

15-20세미만 4.30 0.0380 4.92 0.0822 8.25 0.0092 0.64 0.4251

20-30세미만 0.41 0.5201 14.19 0.0008 4.27 0.1233 6.88 0.0087

30-40세미만 2.93 0.0869 5.22 0.0734 7.95 0.0187 5.53 0.0187

40-50세미만 4.08 0.0435 8.85 0.0120 4.33 0.1146 3.99 0.0456

50-60세미만 8.71 0.0032 8.67 0.0131 8.00 0.0164 0.03 0.8652

60세 이상 1.87 0.1711 17.71 0.0001 10.84 0.0044 25.13 0.0000

교육

상태

학이하 8.08 0.0045 13.15 0.0014 8.18 0.0167 17.18 0.0000

고등학교 5.26 0.0218 4.22 0.1214 8.39 0.0151 1.62 0.2036

문 1.23 0.2674 8.67 0.0131 6.67 0.0300 0.53 0.4648

4년제 학 0.53 0.4650 28.95 0.0000 11.09 0.0039 10.18 0.0014

학원 0.05 0.8290 2.55 0.2800 6.74 0.0344 10.43 0.0012

혼인

상태

미혼 2.08 0.1488 13.40 0.0012 12.50 0.0019 10.27 0.0014

미혼 외 16.90 0.0000 34.63 0.0000 28.37 0.0000 14.57 0.0001

거주

기간

10년 미만 2.38 0.1231 13.48 0.0002 11.18 0.0037 8.77 0.0031

10년 이상 15.00 0.0001 3.88 0.0489 32.34 0.0000 16.51 0.0000

거주

지역

서구 0.90 0.3439 27.17 0.0000 7.17 0.0277 2.35 0.1251

동구 6.55 0.0105 1.20 0.5489 10.77 0.0046 2.89 0.0889

구 0.34 0.5583 6.15 0.0463 6.94 0.0310 1.83 0.1761

유성구 1.34 0.2478 6.80 0.0334 8.19 0.0121 15.12 0.0001

덕구 5.17 0.0230 21.10 0.0000 6.94 0.0297 8.04 0.0046

주택

자기집 41.14 0.0000 38.22 0.0000 32.35 0.0000 20.81 0.0000

자기집 아님 7.12 0.0076 13.20 0.0014 8.07 0.0177 5.40 0.0201

취업

상태

취업 9.55 0.0020 26.60 0.0000 21.55 0.0000 14.75 0.0001

비취업 0.43 0.5135 23.02 0.0000 16.41 0.0003 11.24 0.0008

Ⅳ. 결 론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 응답 비율이 향을 받는가’를 목 으로

실시된 본 논문은 설문지 설계단계에서 나타나는 비표본오차의 원

인들을 선행 경험분석 사례 에 설문문항의 기술내용의 향과

Page 16: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설문문항에 내포된 암시(Cue)를 바탕으로 두 가지 유형의 설문지

를 설계하고 시민을 상으로 조사, 분석하 다.

첫 번째, 설문문항의 기술에서는 설문문항의 상세정도에 따라서

응답률의 차이를 보 다.

두 번째, 설문이 내포하고 있는 암시가 응답비율에 작용하는가에

한 문제로 인지도 높은 사람의 이름 사용 여부, 정 으로 편향

된 설문의 사용 여부, 선행문항의 암시를 통해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 이와 같은 요인들은 모두 응답률의 차이가 나타났다.

체 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보다 세부 으로 어떤 집단에서 그

향을 크게 받는가를 조사하기 하여 인구학 특성에 따른 분

석을 수행하여 유의 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조사 상

의 특성에 따라서 문항 작성 시 특별히 신 하여야 하는 을 시

사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나이와 결혼여부, 나이와 취업여부 등은

상당히 연 되어 있으므로 주제 역(subject domain) 문가에 의

해서 향을 많이 받는 집단을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와 같이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라서 발생하는 비표본오차에 해

근해 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4가지 사례에서는 비표본오

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보 다.

이 밖에 본 연구결과가 갖는 한계 은 다음과 같다. 표본 추출

과정에서 조사자의 자의에 따른 비확률표본추출법을 사용한 , 설

문지 구성에서 발생되는 비표본오차를 알아보기 한 문항으로 각

사례별로 한 가지 문항씩만 이용되었다는 , 설문지의 구성을 두

가지 유형으로 설계하여 조사했기 때문에 유형간 비교분석만 이루

어졌을 뿐 다양한 변화를 분석하지 못하 다는 등이다. 이러한

많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활성화 되지 않은 비표

본오차 련 실증연구의 하나로서 본 논문이 비표본오차의 최소화

방안을 구축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라 생각한다.

Page 17: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부 록

< 부 표 1 > 설 문 문 항 의 상 세 정 도(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유형A 유형B 체

갖고있음 105(59.7) 75(49.0) 180(54.7)혼

미혼

갖고있음 70(50.0) 73(58.9) 143(54.2)

갖고있지않음 71(40.3) 78(51.0) 149(45.3) 갖고있지않음 70(50.0) 51(41.1) 121(45.8)

체 176(100.0) 153(100.0) 329(100.0) 체 140(100.0) 124(100.0) 264(100.0)

갖고있음 130(66.7) 128(59.0) 258(62.6) 미혼

갖고있음 176(71.0) 135(53.1) 311(62.0)

갖고있지않음 65(33.3) 89(41.0) 154(37.4) 갖고있지않음 72(29.0) 119(46.9) 191(38.0)

체 195(100.0) 217(100.0) 412(100.0) 체 248(100.0) 254(100.0) 502(100.0)

15-20

세미만

갖고있음 26(45.6) 31(66.0) 57(54.8)거

10년

미만

갖고있음 57(46.0) 59(56.2) 116(50.7)

갖고있지않음 31(54.4) 16(34.0) 47(45.2) 갖고있지않음 67(54.0) 46(43.8) 113(49.3)

체 57(100.0) 47(100.0) 104(100.0) 체 124(100.0) 105(100.0) 229(100.0)

20-30

세미만

갖고있음 37(54.4) 29(60.4) 66(56.9) 10년

이상

갖고있음 190(70.9) 149(54.8) 339(62.8)

갖고있지않음 31(45.6) 19(39.6) 50(43.1) 갖고있지않음 78(29.1) 123(45.2) 201(37.2)

체 68(100.0) 48(100.0) 116(100.0) 체 268(100.0) 272(100.0) 540(100.0)

30-40

세미만

갖고있음 47(64.4) 40(50.6) 87(57.2)

서구

갖고있음 61(61.6) 55(55.0) 116(58.3)

갖고있지않음 26(35.6) 39(49.4) 65(42.8) 갖고있지않음 38(38.4) 45(45.0) 83(41.7)

체 73(100.0) 79(100.0) 152(100.0) 체 99(100.0) 100(100.0) 199(100.0)

40-50

세미만

갖고있음 44(62.0) 32(45.1) 76(53.5)

동구

갖고있음 48(64.9) 32(43.8) 80(54.4)

갖고있지않음 27(38.0) 39(54.9) 66(46.5) 갖고있지않음 26(35.1) 41(56.2) 67(45.6)

체 71(100.0) 71(100.0) 142(100.0) 체 74(100.0) 73(100.0) 147(100.0)

50-60

세미만

갖고있음 48(77.4) 41(53.2) 89(64.0)

갖고있음 51(63.0) 42(58.3) 93(60.8)

갖고있지않음 14(22.6) 36(46.8) 50(36.0) 갖고있지않음 30(37.0) 30(41.7) 60(39.2)

체 62(100.0) 77(100.0) 139(100.0) 체 81(100.0) 72(100.0) 153(100.0)

60세

이상

갖고있음 45(73.8) 36(62.1) 81(68.1)유성

갖고있음 38(52.1) 39(61.9) 77(56.6)

갖고있지않음 16(26.2) 22(37.9) 38(31.9) 갖고있지않음 35(47.9) 24(38.1) 59(43.4)

체 61(100.0) 58(100.0) 119(100.0) 체 73(100.0) 63(100.0) 136(100.0)

이하

갖고있음 39(81.3) 32(55.2) 71(67.0)덕

갖고있음 48(75.0) 40(56.3) 88(65.2)

갖고있지않음 9(18.8) 26(44.8) 35(33.0) 갖고있지않음 16(25.0) 31(43.7) 47(34.8)

체 48(100.0) 58(100.0) 106(100.0) 체 64(100.0) 71(100.0) 135(100.0)

고등

학교

갖고있음 83(62.9) 53(48.2) 136(56.2)

자기집

갖고있음 209(90.9) 154(66.4) 363(78.6)

갖고있지않음 49(37.1) 57(51.8) 106(43.8) 갖고있지않음 21(9.1) 78(33.6) 99(21.4)

체 132(100.0) 110(100.0) 242(100.0) 체 230(100.0) 232(100.0) 462(100.0)

갖고있음 39(67.2) 35(57.4) 74(62.2) 자기집

아님

갖고있음 36(22.8) 54(36.7) 90(29.5)

갖고있지않음 19(32.8) 26(42.6) 45(37.8) 갖고있지않음 122(77.2) 93(63.3) 215(70.5)

체 58(100.0) 61(100.0) 119(100.0) 체 158(100.0) 147(100.0) 305(100.0)

4년

갖고있음 65(54.6) 70(59.3) 135(57.0)취

취업

갖고있음 181(66.1) 141(53.0) 322(59.6)

갖고있지않음 54(45.4) 48(40.7) 102(43.0) 갖고있지않음 93(33.9) 125(47.0) 218(40.4)

체 119(100.0) 118(100.0) 237(100.0) 체 274(100.0) 266(100.0) 540(100.0)

학원

갖고있음 19(59.4) 17(56.7) 36(58.1)비취

갖고있음 66(55.9) 68(60.2) 134(58.0)

갖고있지않음 13(40.6) 13(43.3) 26(41.9) 갖고있지않음 52(44.1) 45(39.8) 97(42.0)

체 32(100.0) 30(100.0) 62(100.0) 체 118(100.0) 113(100.0) 231(100.0)

Page 18: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부 표 2 > 설 문 문 항 이 포 함 한 특 정 내 용 의 향(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유형A 유형B 체

정 60(33.3) 94(61.4) 154(46.2)

이하

정 14(29.2) 36(62.1) 50(47.2)보통 72(40.0) 39(25.5) 111(33.3) 보통 17(35.4) 15(25.9) 32(30.2)

부정 48(26.7) 20(13.1) 68(20.4) 부정 17(35.4) 7(12.1) 24(22.6)체 180(100.0) 153(100.0) 333(100.0) 체 48(100.0) 58(100.0) 106(100.0)

정 60(30.6) 101(46.8) 161(39.1)고등

학교

정 37(28.0) 35(31.8) 72(29.8)보통 81(41.3) 93(43.1) 174(42.2) 보통 56(42.4) 55(50.0) 111(45.9)

부정 55(28.1) 22(10.2) 77(18.7) 부정 39(29.5) 20(18.2) 59(24.4)체 196(100.0) 216(100.0) 412(100.0) 체 132(100.0) 110(100.0) 242(100.0)

15-20

세미만

정 25(43.1) 26(55.3) 51(48.6)

정 20(34.5) 31(50.8) 51(42.9)보통 25(43.1) 20(42.6) 45(42.9) 보통 20(34.5) 24(39.3) 44(37.0)

부정 8(13.8) 1(2.1) 9(8.6) 부정 18(31.0) 6(9.8) 24(20.2)체 58(100.0) 47(100.0) 105(100.0) 체 58(100.0) 61(100.0) 119(100.0)

20-30

세미만

정 23(33.3) 30(62.5) 53(45.3)4년

정 40(33.3) 78(66.7) 118(49.8)보통 27(39.1) 16(33.3) 43(36.8) 보통 56(46.7) 33(28.2) 89(37.6)

부정 19(27.5) 2(4.2) 21(17.9) 부정 24(20.0) 6(5.1) 30(12.7)체 69(100.0) 48(100.0) 117(100.0) 체 120(100.0) 117(100.0) 237(100.0)

30-40

세미만

정 23(31.5) 39(49.4) 62(40.8)

학원

정 17(47.2) 19(63.3) 36(54.5)보통 34(46.6) 29(36.7) 63(41.4) 보통 7(19.4) 6(20.0) 13(19.7)

부정 16(21.9) 11(13.9) 27(17.8) 부정 12(33.3) 5(16.7) 17(25.8)체 73(100.0) 79(100.0) 152(100.0) 체 36(100.0) 30(100.0) 66(100.0)

40-50

세미만

정 21(29.2) 38(53.5) 59(41.3)거

10년미만

정 48(37.5) 53(50.5) 101(43.3)보통 26(36.1) 18(25.4) 44(30.8) 보통 55(43.0) 40(38.1) 95(40.8)

부정 25(34.7) 15(21.1) 40(28.0) 부정 25(19.5) 12(11.4) 37(15.9)체 72(100.0) 71(100.0) 143(100.0) 체 128(100.0) 105(100.0) 233(100.0)

50-60

세미만

정 20(32.3) 34(44.7) 54(39.1)10년이상

정 80(29.7) 147(54.2) 227(42.0)보통 22(35.5) 33(43.4) 55(39.9) 보통 102(37.9) 92(33.9) 194(35.9)

부정 20(32.3) 9(11.8) 29(21.0) 부정 87(32.3) 32(11.8) 119(22.0)체 62(100.0) 76(100.0) 138(100.0) 체 269(100.0) 271(100.0) 540(100.0)

60세

이상

정 16(25.4) 34(58.6) 50(41.3)

서구

정 24(24.2) 55(55.6) 79(39.9)보통 23(36.5) 18(31.0) 41(33.9) 보통 41(41.4) 35(35.4) 76(38.4)

부정 24(38.1) 6(10.3) 30(24.8) 부정 34(34.3) 9(9.1) 43(21.7)체 63(100.0) 58(100.0) 121(100.0) 체 99(100.0) 99(100.0) 198(100.0)

미혼

정 52(37.1) 66(53.2) 118(44.7)

동구

정 21(28.0) 26(35.6) 47(31.8)보통 61(43.6) 51(41.1) 112(42.4) 보통 38(50.7) 35(47.9) 73(49.3)

부정 27(19.3) 7(5.6) 34(12.9) 부정 16(21.3) 12(16.4) 28(18.9)체 140(100.0) 124(100.0) 264(100.0) 체 75(100.0) 73(100.0) 148(100.0)

미혼외

정 76(30.0) 135(53.4) 211(41.7)

정 32(39.0) 36(50.0) 68(44.2)보통 95(37.5) 81(32.0) 176(34.8) 보통 28(34.1) 28(38.9) 56(36.4)

부정 82(32.4) 37(14.6) 119(23.5) 부정 22(26.8) 8(11.1) 30(19.5)체 253(100.0) 253(100.0) 506(100.0) 체 82(100.0) 72(100.0) 154(100.0)

자기집

정 72(31.2) 121(52.4) 193(41.8)

유성구

정 38(50.7) 45(71.4) 83(60.1)보통 83(35.9) 85(36.8) 168(36.4) 보통 27(36.0) 15(23.8) 42(30.4)

부정 76(32.9) 25(10.8) 101(21.9) 부정 10(13.3) 3(4.8) 13(9.4)체 231(100.0) 231(100.0) 462(100.0) 체 75(100.0) 63(100.0) 138(100.0)

자기집아님

정 54(33.5) 79(53.7) 133(43.2)

덕구

정 12(18.5) 38(53.5) 50(36.8)보통 72(44.7) 49(33.3) 121(39.3) 보통 23(35.4) 21(29.6) 44(32.4)

부정 35(21.7) 19(12.9) 54(17.5) 부정 30(46.2) 12(16.9) 42(30.9)체 161(100.0) 147(100.0) 308(100.0) 체 65(100.0) 71(100.0) 136(100.0)

업취업

정 85(30.8) 132(49.8) 217(40.1)상

태비취업

정 43(35.5) 68(60.2) 111(47.4)보통 110(39.9) 95(35.8) 205(37.9) 보통 47(38.8) 39(34.5) 86(36.8)

부정 81(29.3) 38(14.3) 119(22.0) 부정 31(25.6) 6(5.3) 37(15.8)체 276(100.0) 265(100.0) 541(100.0) 체 121(100.0) 113(100.0) 234(100.0)

Page 19: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부 표 3 > 설 문 문 항 이 정 암 시 포 함(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유형A 유형B 체

정 58(32.8) 33(23.9) 91(28.9)

이하

정 15(31.3) 6(10.5) 21(20.0)보통 102(57.6) 93(67.4) 195(61.9) 보통 27(56.3) 46(80.7) 73(69.5)

부정 17(9.6) 12(8.7) 29(9.2) 부정 6(12.5) 5(8.8) 11(10.5)체 177(100.0) 138(100.0) 315(100.0) 체 48(100.0) 57(100.0) 105(100.0)

정 76(40.6) 30(15.0) 106(27.4)고등

학교

정 40(32.0) 19(18.6) 59(26.0)보통 96(51.3) 159(79.5) 255(65.9) 보통 70(56.0) 76(74.5) 146(64.3)

부정 15(8.0) 11(5.5) 26(6.7) 부정 15(12.0) 7(6.9) 22(9.7)체 187(100.0) 200(100.0) 387(100.0) 체 125(100.0) 102(100.0) 227(100.0)

15-20

세미만

정 28(49.1) 10(22.7) 38(37.6)

정 21(38.9) 9(17.3) 30(28.3)보통 29(50.9) 33(75.0) 62(61.4) 보통 30(55.6) 41(78.8) 71(67.0)

부정 0(0.0) 1(2.3) 1(1.0) 부정 3(5.6) 2(3.8) 5(4.7)체 57(100.0) 44(100.0) 101(100.0) 체 54(100.0) 52(100.0) 106(100.0)

20-30

세미만

정 26(37.7) 8(19.0) 34(30.6)4년

정 54(45.8) 27(25.0) 81(35.8)보통 39(56.5) 31(73.8) 70(63.1) 보통 58(49.2) 76(70.4) 134(59.3)

부정 4(5.8) 3(7.1) 7(6.3) 부정 6(5.1) 5(4.6) 11(4.9)체 69(100.0) 42(100.0) 111(100.0) 체 118(100.0) 108(100.0) 226(100.0)

30-40

세미만

정 27(38.0) 12(16.9) 39(27.5)

학원

정 13(36.1) 2(7.7) 15(24.2)보통 38(53.5) 51(71.8) 89(62.7) 보통 19(52.8) 19(73.1) 38(61.3)

부정 6(8.5) 8(11.3) 14(9.9) 부정 4(11.1) 5(19.2) 9(14.5)체 71(100.0) 71(100.0) 142(100.0) 체 36(100.0) 26(100.0) 62(100.0)

40-50

세미만

정 22(32.8) 15(21.7) 37(27.2)거

10년미만

정 49(38.3) 18(18.8) 67(29.9)보통 35(52.2) 48(69.6) 83(61.0) 보통 73(57.0) 68(70.8) 141(62.9)

부정 10(14.9) 6(8.7) 16(11.8) 부정 6(4.7) 10(10.4) 16(7.1)체 67(100.0) 69(100.0) 136(100.0) 체 128(100.0) 96(100.0) 224(100.0)

50-60

세미만

정 22(37.3) 11(15.9) 33(25.8)10년이상

정 94(37.0) 45(18.1) 139(27.6)보통 33(55.9) 54(78.3) 87(68.0) 보통 132(52.0) 190(76.3) 322(64.0)

부정 4(6.8) 4(5.8) 8(6.3) 부정 28(11.0) 14(5.6) 42(8.3)체 59(100.0) 69(100.0) 128(100.0) 체 254(100.0) 249(100.0) 503(100.0)

60세

이상

정 18(30.5) 8(15.1) 26(23.2)

서구

정 34(36.6) 19(22.1) 53(29.6)보통 31(52.5) 43(81.1) 74(66.1) 보통 49(52.7) 62(72.1) 111(62.0)

부정 10(16.9) 2(3.8) 12(10.7) 부정 10(10.8) 5(5.8) 15(8.4)체 59(100.0) 53(100.0) 112(100.0) 체 93(100.0) 86(100.0) 179(100.0)

미혼

정 56(40.3) 22(19.8) 78(31.2)

동구

정 20(27.0) 6(8.5) 26(17.9)보통 77(55.4) 80(72.1) 157(62.8) 보통 45(60.8) 60(84.5) 105(72.4)

부정 6(4.3) 9(8.1) 15(6.0) 부정 9(12.2) 5(7.0) 14(9.7)체 139(100.0) 111(100.0) 250(100.0) 체 74(100.0) 71(100.0) 145(100.0)

미혼외

정 87(36.4) 42(17.9) 129(27.2)

정 28(35.9) 11(16.9) 39(27.3)보통 125(52.3) 178(75.7) 303(63.9) 보통 41(52.6) 47(72.3) 88(61.5)

부정 27(11.3) 15(6.4) 42(8.9) 부정 9(11.5) 7(10.8) 16(11.2)체 239(100.0) 235(100.0) 474(100.0) 체 78(100.0) 65(100.0) 143(100.0)

자기집

정 89(40.8) 39(18.6) 128(29.9)

유성구

정 34(45.3) 12(21.4) 46(35.1)보통 105(48.2) 157(74.8) 262(61.2) 보통 39(52.0) 41(73.2) 80(61.1)

부정 24(11.0) 14(6.7) 38(8.9) 부정 2(2.7) 3(5.4) 5(3.8)체 218(100.0) 210(100.0) 428(100.0) 체 75(100.0) 56(100.0) 131(100.0)

자기집아님

정 51(31.9) 24(17.5) 75(25.3)

덕구

정 26(42.6) 15(21.7) 41(31.5)보통 99(61.9) 103(75.2) 202(68.0) 보통 31(50.8) 50(72.5) 81(62.3)

부정 10(6.3) 10(7.3) 20(6.7) 부정 4(6.6) 4(5.8) 8(6.2)체 160(100.0) 137(100.0) 297(100.0) 체 61(100.0) 69(100.0) 130(100.0)

업취업

정 97(36.7) 48(20.0) 145(28.8)상

태비취업

정 46(39.0) 16(15.0) 62(27.6)보통 139(52.7) 174(72.5) 313(62.1) 보통 66(55.9) 85(79.4) 151(67.1)

부정 28(10.6) 18(7.5) 46(9.1) 부정 6(5.1) 6(5.6) 12(5.3)체 264(100.0) 240(100.0) 504(100.0) 체 118(100.0) 107(100.0) 225(100.0)

Page 20: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 부 표 4 > 선 행 문 항 의 암 시(단 : 명, %)

유형A 유형B 체 유형A 유형B 체

무응답 37(20.6) 59(38.3) 96(28.7)혼

미혼

무응답 34(23.6) 52(41.9) 86(32.1)

응답 143(79.4) 95(61.7) 238(71.3) 응답 110(76.4) 72(58.1) 182(67.9)

체 180(100.0) 154(100.0) 334(100.0) 체 144(100.0) 124(100.0) 268(100.0)

무응답 57(28.5) 101(46.3) 158(37.8)

미혼외

무응답 67(26.5) 109(42.6) 176(34.6)

응답 143(71.5) 117(53.7) 260(62.2) 응답 186(73.5) 147(57.4) 333(65.4)

체 200(100.0) 218(100.0) 418(100.0) 체 253(100.0) 256(100.0) 509(100.0)

15-20세

미만

무응답 21(35.0) 20(42.6) 41(38.3)거

10년

미만

무응답 32(24.6) 45(42.9) 77(32.8)

응답 39(65.0) 27(57.4) 66(61.7) 응답 98(75.4) 60(57.1) 158(67.2)

체 60(100.0) 47(100.0) 107(100.0) 체 130(100.0) 105(100.0) 235(100.0)

20-30세

미만

무응답 16(22.9) 22(45.8) 38(32.2)10년

이상

무응답 70(25.8) 116(42.3) 186(34.1)

응답 54(77.1) 26(54.2) 80(67.8) 응답 201(74.2) 158(57.7) 359(65.9)

체 70(100.0) 48(100.0) 118(100.0) 체 271(100.0) 274(100.0) 545(100.0)

30-40세

미만

무응답 15(20.5) 30(38.0) 45(29.6)

서구

무응답 29(29.3) 40(39.6) 69(34.5)

응답 58(79.5) 49(62.0) 107(70.4) 응답 70(70.7) 61(60.4) 131(65.5)

체 73(100.0) 79(100.0) 152(100.0) 체 99(100.0) 101(100.0) 200(100.0)

40-50세

미만

무응답 19(26.4) 30(42.3) 49(34.3)

동구

무응답 19(25.3) 28(38.4) 47(31.8)

응답 53(73.6) 41(57.7) 94(65.7) 응답 56(74.7) 45(61.6) 101(68.2)

체 72(100.0) 71(100.0) 143(100.0) 체 75(100.0) 73(100.0) 148(100.0)

50-60세

미만

무응답 24(38.1) 29(36.7) 53(37.3)

무응답 19(22.4) 23(31.9) 42(26.8)

응답 39(61.9) 50(63.3) 89(62.7) 응답 66(77.6) 49(68.1) 115(73.2)

체 63(100.0) 79(100.0) 142(100.0) 체 85(100.0) 72(100.0) 157(100.0)

60세

이상

무응답 7(11.1) 31(53.4) 38(31.4)

유성구

무응답 17(22.7) 35(54.7) 52(37.4)

응답 56(88.9) 27(46.6) 83(68.6) 응답 58(77.3) 29(45.3) 87(62.6)

체 63(100.0) 58(100.0) 121(100.0) 체 75(100.0) 64(100.0) 139(100.0)

이하

무응답 7(14.3) 31(52.5) 38(35.2)

덕구

무응답 17(25.8) 35(49.3) 52(38.0)

응답 42(85.7) 28(47.5) 70(64.8) 응답 49(74.2) 36(50.7) 85(62.0)

체 49(100.0) 59(100.0) 108(100.0) 체 66(100.0) 71(100.0) 137(100.0)

고등

학교

무응답 43(31.9) 44(39.6) 87(35.4)

자기집

무응답 56(24.1) 103(44.2) 159(34.2)

응답 92(68.1) 67(60.4) 159(64.6) 응답 176(75.9) 130(55.8) 306(65.8)

체 135(100.0) 111(100.0) 246(100.0) 체 232(100.0) 233(100.0) 465(100.0)

무응답 20(34.5) 25(41.0) 45(37.8)자기집

아님

무응답 44(26.8) 58(39.2) 102(32.7)

응답 38(65.5) 36(59.0) 74(62.2) 응답 120(73.2) 90(60.8) 210(67.3)

체 58(100.0) 61(100.0) 119(100.0) 체 164(100.0) 148(100.0) 312(100.0)

4년

무응답 25(20.8) 47(39.8) 72(30.3)취

취업

무응답 72(25.9) 111(41.4) 183(33.5)

응답 95(79.2) 71(60.2) 166(69.7) 응답 206(74.1) 157(58.6) 363(66.5)

체 120(100.0) 118(100.0) 238(100.0) 체 278(100.0) 268(100.0) 546(100.0)

학원

무응답 4(11.1) 14(46.7) 18(27.3)

비취업

무응답 30(24.4) 51(45.1) 81(34.3)

응답 32(88.9) 16(53.3) 48(72.7) 응답 93(75.6) 62(54.9) 155(65.7)

체 36(100.0) 30(100.0) 66(100.0) 체 123(100.0) 113(100.0) 236(100.0)

Page 21: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참고 문헌

김경동․이온죽(2005), 『사회조사연구방법-사회연구의 이론과 기법』,

박 사.

김원용(1996), “질 문지 순 서효과 에 한 연구-지방 자치단 체장 선

거의 후보 지지율 을 심으로 ”, 『 고연 구』30: 95~112,

한국방송 고공사.

역시(1997), 『지역환경기 설정 환경 개선 책』.

오인환(1992), 『사회조사방법론-오차요인 집 연구』, 나남.

오인환․박흥수․김 석․한정호(1990), " 고에 한 국민인식도

조사", 한국 고 의회.

이은정(2004), "서베이 리서치의 질문지 구성에 따른 응답 경향

변화에 한 연구-정치 경향에 한 질문지 향 분석",

한국외국어 학원.

최종후․강 희(1998),『설문조사-처음에서 끝까지』, 자유아카데미.

통계청(2006),『유성구 사회통계조사 보고서』.

허명회(1998), 『통계조사의 길잡이』, 23~30, 자유아카데미.

Lockerbie, B. and Borrelli, S.A.(1990), “Question Wording and

Public Support for Contra Aid”, Public Opinion

Quarterly 54, Oxford University Press.

McClendon, M.J.(1986), “Response-order Effects for Dichotomous

Questions”, Public Opinion Quarterly 67, Oxford

University Press.

Rea, L.M. and Parker, R.A.(1998), 한국통계학회 조사통계연구회

(역), 통계조사 실무자를 한 통계조사방법, 30~43,

자유아카데미.

Sigelman, L.(1981), "Question-order Effects on Presidential

Popularity", Public Opinion Quarterly 45, Oxford

Page 22: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University Press.

Smith, T.W.(1987), "That which We Call Welfare by Any

Other Name Would Smell Sweeter: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Question Wording on Response

Pattems", Public Opinion Quarterly 51, Oxford

University Press.

Kolson & Green(1970), "Response Set Bias and Political

Socialization Research," Social Science Quarterly 51(3):

527~538, Southwestern Social Science Association.

Page 23: 설문문항의 특성에 따른 비표본오차 사례 분석kostat.go.kr/attach/journal/12-2-4.pdf신지은*․손지희**․이석훈***  본 논문은 동일한

T h e C a s e A n a l y s i s o f N o n - S a m p l i n g

E r r o r i n d u c e d b y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s u r v e y q u e s t i o n s o f a q u e s t i o n n a i r e

Ji-Eun Shin*

․J i - H u i S o n**

․Suk-Hoon Lee***

< A B S T R A C T >

W e i n v e s t i g a t e h o w m u c h t h e r e s p o n s e s a r e i n f l u e n c e d

b y t h e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t h e s u r v e y i n t h e q u e s t i o n n a i r e .

W e g e n e r a t e d 4 d i f f e r e n t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w i t h r e s p e c t t o

t h e d e g r e e o f p r e c i s i o n o f e x p r e s s i o n , i n v o l v e m e n t o f a

p r o p e r t e r m , i n c l u s i o n o f p o s i t i v e l y i n f l u e n t i a l c o n t e n t s ,

p l a c i n g p o s i t i v e l y i n f l u e n t i a l q u e s t i o n j u s t i n f r o n t o f t h e

q u e s t i o n s o f i n t e r e s t . T w o d i f f e r e n t q u e s t i o n n a i r e s a r e

m a d e t o f i n d t h e i n f l u e n c e e a c h c h a r a c t e r i s t i c . T h e r e s u l t s

s h o w t h a t a l l 4 c h a r a c t e r i s t i c s o f q u e s t i o n s i n f l u e n c e

s i g n i f i c a n t l y o n t h e r e s p o n s e p a t t e r n s a n d t h e s u b g r o u p s

w h i c h a r e m o r e i n f l u e n c e d r e l a t i v e l y t o o t h e r g r o u p s a r e

s e a r c h e d .

K e y w o r d s : n o n - s a m p l i n g e r r o r , s u r v e y q u e s t i o n s

o f a q u e s t i o n n a i r e

* Lecturer, Division of Mathematics & Statist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email protected])

** KNSO, Daejeon․Chungnam Local Statistics Office([email protected])

*** Professor, Division of Mathematics & Statist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