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 pp. 703 - 708, 1 987 Journal of Korean Radiologi cal Soci ety, 23(5) 703-708, 1 987 - Abstract - CT Findings of Subdural Hematomas: As a special References to Atypical CT Findings Whi Yul Cho, M.D. , Tae Sub Chung, M.D., Jung Ho Suh , M.D., Dong Ik, Kim, M.D. , Ki Whang Kim, M.D. and Chang Yun Park, M.D. Department of CoJ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ou/ , Korea Subdural hematomas (SDH) are relatively common and th e typica l CT lindings according to the age 01 them are we ll establ ish ed Th e CT lindings 01 82 patients w ith SDH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e operative lindingsTh e were as lo ll ows 1. The most common ca use 01 SDHs was the direct trauma w hi ch was not ed in 60 cases (73.2%)2. Th e the mi xe subacute 5 cases (41. 7%), and ch ron ic SDH 7 cases (20%) 3. Th e possible ca us es 01 the mixed den sity in acute SDH were unclotted blood in ea rl y stage 01 hematoma development or serum extrud ed during the earl y phas e 01 clot retractio n. 8ut the poss ibility 01 cerebrospinal Iluid within subdural space cJ ue to an arach no id t ear could not be excl uded 4. The possible causes 01 the mixed density in subacute and chronic SDH were serum extrud ed during the hematoma resolution and reb leeding 5. Wa ll enhancement 01 hematomas was noted in 3 cases (25%) 01 subacute SDHs and 15 cases (42.9%) 01 chronic SDHs 6. Most 01 SDHs was crescentic in shape, but in 4 cases (4. 9%). Midline shilt and compression 01 vent ri cles were proportional to the maximum thickness 01 SDHs . There were seen ips il ateral dilatation 01 vent ri cl es in 9 cases (11 .0%) and brain edema in 11 cases (1 3.4%) - 703-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人 함 JtdJ‘H잉생 IPf깐요 ~23 챈 잊 5 싸 pp. 703 - 708, 1987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3(5) 703-708, 1987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부정형적 소견을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조휘율·정태섭 ·서정호·김동익 ·김기황· 박창윤

- Abstract -

CT Findings of Subdural Hematomas: As a special References to Atypical CT Findings

Whi Yul Cho, M.D., Tae Sub Chung, M.D., Jung Ho Suh, M.D., Dong Ik, Kim, M.D., Ki Whang Kim, M.D. and Chang Yun Park, M.D.

Department of Radi%gκ CoJ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ou/, Korea

Subdural hematomas (SDH) are relatively common and the typical CT lindings according to the age 01 them

are well establ ished ‘

The CT lindings 01 82 patients w ith SDH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e operative lindings‘

The res비ts were as lollows

1. The most common cause 01 SDHs was the direct trauma which was noted in 60 cases (73.2%)‘

2. The atyp ic뎌떼a려ICσT lin띠dings 0이1 the mixe

(ρ20%),’ subacute SD아H 5 cases (41. 7%), and chronic SDH 7 cases (20%)

3. The possible causes 01 the mixed density in acute SDH were unclotted blood in earl y stage 01 hematoma

development or serum extruded during the earl y phase 01 clot retraction. 8ut the possibility 01 cerebrospinal

I luid with in subdural space cJ ue to an arachno id tear could not be excluded

4. The possible causes 01 the mixed density in subacute and chronic SDH were serum extruded during the

hematoma resolution and rebleeding

5. Wall enhancement 01 hematomas was noted in 3 cases (25%) 01 subacute SDHs and 15 cases (42.9%) 01

chron ic SDHs

6. Most 01 SDHs was crescentic in shape, but l enti c비a r in 4 cases (4.9%). M idline shilt and compression 01

ventricles were proportional to the maximum th ickness 01 SDHs. There were seen ipsilateral dilatation 01

ventricl es in 9 cases (11 .0%) and brain edema in 11 cases (1 3.4%)

본 논문은 1983 년도 연세대학교 의파대학 통합 교수연쿠바 보조로 이루어졌음.

이 논운은 1987 년 8월 31 일에 접수하여 1 987 년 9 월 9 일에 채택되었읍.

- 703-

Page 2: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太합放A,H~fi전샤l싹칩→ i;1l23장 第 5 까 1987-

I . 서 르르

경악하 혈종 (Subdural Hematoma : SDH)은 흔히

12 시간, 24 시칸, 그리고 72 시간 이내가 각각 l예씩 있

었고, 아급성에서 5 예 (41. 7%), 안성 7 예 (20 %) 에서

나타났다 (Table 1).

경 험 하게 되 는 두개 강내 혈종의 하냐로, 여 러 저 자들에 Table 1. Stage and Cases of Mixed Density of SDH*

의해 그 천산화 단층촬영 (이하 CT)소견이 보고되었다

1-7) 일반적으호 SDH의 명기에 짜라서 고밀도, 동밀

도, 저밀도의 소견으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3 , 6 , 8 , 9) 혼합

형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주로 만성에서 재출혈에 의

해 생 긴다고 하였을 뿐3 , 6 ,언 급성 및 아급성 의 경 우에

대해서는 보고된 것이 옐로 없었다 10 , 11 )

이에 저자들은 각각의 뱅기에 있어서 혼합형의 CT소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l .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최근 5 년간 연세대학교 부속 세브란스병원

에서 CT와 수술을 시행하여 SDH으혹 확인된 82 영의

환자을 대 상우로 하였마.

SDH의 영기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저자들마다8 , 10) 약

간의 차이가 있으냐, 서자들은 급성을 3 일까지, 아급성

을 15 일까지, 그 。l후를 만성으로 하였다. 각각의 영기

에 따른 원인을 살펴 보았으며 , SDH의 CT 밀도을 뇌

실질의 것 과 비교하여 고밀도, 동밀도, 저 밀도로 냐누었

고, 혼합형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 수술 소견과 비교하였

으며, 혈종의 최고 두께와 일반적인 CT 소견고벼 관계

를 검토하였다.

사용펀 CT기 기 는 Delta Scanner F. S. 50 , Philips

Tomoscan 310 , GE CT 9800 이었고, 절펀 두께는 10

mm로 하여 1O ~13 절펀을 촬영하였다. 조영 층강은

Conray-60 @을 성인은 90~ 1 20 cc , 소아는 2~3 cc

Ikg로 정맥내 주사하였막

Ill. 결 과

천체 82예는 급성 35 예 (42.7%), 아급성 12 예(1 4.6

%), 그리고 만성 35 예 (42.7%) 였으며, 급성의 경우 발

영부터 CT 촬영시까지 6시간 이내가 7 예, 12 시 간 이

내가 10 예, 24시간 이내가 9 예, 72 시간 이내가 9예였

마. 각각의 영기에 있어서 혼합형의 소견은급성에서 7

예 (20 %), 이중 6시간 이내가 4 예로 가장 않았으며,

Stage No. of Case (0/0) No. of Mixed Density (%)

Acute 35 (42.7) 7 (20.0)

0- 6 Hr 7 4

- 12 Hr 10

-24 Hr 9 1

-72 Hr 9

Subacute** 12 (14.6) 5 (41.7)

Chronic* ** 35 (42.7) 7 (20.0)

*SDH: Subdural Hematoma Total: 19 cases **3-15 Days ***Over 15 Days

SDH의 원인으호는 외상이 60예 (73 .2 %) (급성 31

예, 아급성 7 예, 만성 22 예)로 가장 많았으며,그외 경

믿L하 수활액낭종 7 예 (8.5 %)(급성 1 예, 아급성 3 예 ,

만성 3 예), 수술후 2 예 (2.4 %),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가 14 예(1 7 . 1 %) 였으며 , 1 3 예(1 5 . 9%) 에서는 만

성 알코올 좋독과 연관되어 있었다. 급성의 l 예에서는

두개 내 통정액 기형이 동반되었었r:f. (Table 2).

CT소견상급성 35 예는고밀도 27 예 (77.1 %), 혼합

형 7 예 (20 %)였으며, 1 예 (2.9 %)에 서는 동밀도의 소

견을 보였마. 아급성 12 예는 고밀도 4 예 (33.3 %), 혼

합형 5 예 (41 .7%) , 동일도 3 예 (25 %)였마. 만성의 35

Table 2. Causes of SDH*

Stage Acute Subacute Cause

Traumatic

Subdural Hygroma

Operation

V-P Shunt

(n = 35) (n = 12)

31** 7

3

Craniotomy 1

Unknown

Alcoholics

2 3

2

Chronic (n=35)

22

3

9

11

*SDH: Subdural Hematoma Total: 82 cases * * 1 Case: Arteriovenous Malformation

-704 -

Page 3: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조휘율 외 : 경악하 혈종의 전산화단충촬영-

예는 고밀도 1 예 (2.9 %), 혼합형 7예 (20 %), 동밀도

14 예 (40 %), 그라고 저 빌도 13 예 (37.1 %)의 소견을

보였마 (Table 3).

전체 82 예중 19 예 (23.2 %)에 서 흔합형의 소견이 보

였으며 , 그 모ocf은 불규칙 한 것 이 (Irregular Pattern)

13 예 (68.4%)(Fig.l)로 가장 많았무며, 저밀도의 음

영이 내측연에만 국한된 모양이 (Marginal Pattern) 3

예(1 5.8 %)(Fig. 2), 저밀도의 응영파고밀도의 음영이

관상형 (Lam inar Pattern)으로 혼합된 것이 3 예(1 5.8

%)(Fig .3 )로 나타났다.

혈종 측벽의 조영 증강은 아급성 3 예 (25 %)와 만성

15 예 (42.9 %)에서 판찰되었다 (Fig.4).

SDH의 일반적 인 CT 소견과 최고 혈종 두께와의 판

계에서는 대부분 두께에 상판없이 초생달모%썩 소견을

보였으냐 (95.1 %), 4 예 (4.9 %)에서는방추형의 소견을

보여 경 악외 혈종과의 감옐을 요했막 중앙선 천위와

Table 3. Stage and CT Density of SDH*

Stage Acute Subacute Chronic

CT Dens갚F\ (n = 35j (n=12j (n= :-l5j

High Density 27 4 1

Mixed Density 7 5 7 Marginal 1 1 1

Irregular 3 4 6

Laminar 3

Isodensity 3 14

Low Density 13

Wall Enhancement 3 15

*SDH: Subdural Hematoma Total: 82 cases

뇌살 압박 소견은 두께가 넓을수록 않았고, 그 외 9 예

(11. 0%)에서는 동측 뇌실 팽창이 , 16 예 ( 20 %)에서는

주위의 뇌부종이 관찰되 었다 (Tabl e 4).

N. 고 찰

SDH은 대개 놔표연에서 상시상 정액동으」료 유입되

는 교정맥 (Bridging Vein)의 손상에 의해 생기게 되

어 주로 상천막 두개부외 경악하에 형성띈다. 이외에도

손상받은 뇌표연 주위에 있는 동맥 또는 정액의 출혈,

골절에 의한 경뇌막 파열로 경뇌막 혈관에서 경놔악하

강으로 출혈되 어 생 킬 수 있 마3 , 5 , lO~

SDH의 원안은 대부분 외승벼l 의해 생기는데,저자들

의 경우에서도 73 %가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것이었으

며, 두개내 수술후 생긴 2 예도 인위적인 외상에 의한

Table 4. CT Findings and Maximum Thickness of SDH*

-0.5** -1.0 -2.0 - 3.0 Over

(n=4) (n=26j (n=27j (n=14j (n= l1 j

Shape

Cresentic 4 26 25 14 9

Lenticular 2 2

Midline Shift 7 18 13 11

Venticular Compression

18 23 14

Ventricular 4 3

Dilatation

Brain Edema 5 4

*SDH: Subdural Hematoma Total: 82 cases ** cm

Fig. 1. The irregular pattern of mixed den. sity. These scans were obtained 10 days later after minor head trauma. The low and relatively well defined high densities are noted within this right.sided SDH. On operation, old dark.bloody fluid and clotted hematoma were gushed out.

- 705-

Page 4: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Fig. 3. The laminar pattern of mixed density. These scans were obtained ap­proximately 2 hr after the patient fe!l, stricking his head on a cement floor. The areas of low density within this right­sided SDH are typical of the laminar pattern .

-λ합}jj( ú‘t짜챔장~*;tt : !:1l23 !{to 찌 5 싸 1987-

- 706 -

Fig. 2. The marginal pattern of mixed density. The areas of linear low density are noted in the inner margin of the left-sided SDH

Fig. 4. Wall enhancement after contrast injection is noted in this scan ob­tained 1 month after trauma

Page 5: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조휘율 외 ’ 경악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것이라 하겠다. 경막하 수활액낭종과 원인을 알 수없었

던 예들에 서 13 예가 만성 알코올 좋옥과 연판된 것으

로 보아, 이는 인지되지 않은 경미한 외승벼l 의한 것으

로 사료된다. 그러무로 본 예들의 거의 대부분이 직 ·간

접적인 외@벼l 의한 것으로 생각펀다.

두개강내 혈종의 뱅기에 짜릎 CT 밀도의 변호↓는 여

러 저자들에 의해 보고되어 왔다8 , 9 , 13 ,써 New등 14 )은

실험적으로 혈액의 CT 밀도는 혈색소치와 비례함을 보

고하였다. 혈종의 CT밀도는 급성에서 고밀도로 냐타

나고, 출혈이후 1~4 주 정도 지냐연 뇌실질파 비슷한

밀도를 갖게 되어 특히 양측성의 경우에 서는 뇌살 앙박

소견파 조영 증강이후 뇌표연 혈판의 전위, 혈종 측벽의

조영 증장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하였 마3 , 6 , 8 , 9 , 1 5 -18:

반성으로 진행되연 저 밀도의 음영으로 보이는데, 이와같

은 현상은 혈뱅이 용해되연서 척혈구의 파괴로 혈색소

가 식작용11 의해 제거되기 혜문이라고 하였마l시

혼합형의 소견을 보이는, 특히 급성의 SDH은 Reed

등11 )의 보고에 의 하연 사망율이 50%로 일반적 인 소견

을 보이는 경우보다 높다고 하였으며, 약 39%에서 보

였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 7예 (20 %)에서 보였으

며, CT소견상 저밀도의 부분은 뇌척수。「 보다약간 높거

냐 바슷하였막 전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요며, 그 수술

소견상 웅고되지 않은 혈액 또는 혈뱅이 보였다고 하였

으며, 지주악 파열은 확인할 수 없었마고 하였마. 이러

한 정요로 볼 때, 급성 SDH에서 혼합형우로보이는 원

인무로써는 초기 혈종 형성전의 융고되지 않은 혈액 , 또

는 초기 혈병 수축시 생기는 혈청에 의한 것으로 생각

된다. 하나, 수술 소견상 지주막 파열은 확인되지 않았

지만, 저밀도의 음영이 뇌척 수액 것과 비슷한 예를 볼

혜, 그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하겠마. 급성의 1 예

에서는 동밀도의 소견을 보였는데, Smith 등20) 0 1 보고

한 바에 의하연 빈혈 환자들에서 혈중 혈색소치가 8~

10 gm/ dl 알 때 혈종의 밀도는 동밀도의 응영부로 나타

난다고 하였으며 , 본 예에서도 혈색소치가 8.6 gm/dl로

그들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빈혈에 의한 것으로생각된다.

만성의 경우 혼합형의 소견은 주로 재출혈에 의한다

고 하였마3 , 6 , 8) 저자들의 경우 7 예 (20 %)에서 냐타났

으며 , 수술소견상 재출혈의 모양은 4 예에서 관철할 수

있었으며, 3 예에서는 마량의 오래된 검붉은 혈액과 함

께 혈영이 보였마고 하였마. 특히 후자에서는 혈종의 최

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읍성의 경우 5예 (41. 7 %)에 서 혼합형의 소견을 보

였고, 수술 소견상 부분적으로 응집된 혈영과 검붉은 혈

액이 냐왔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혜깨출혈에 의한 것보

다는 혈종의 용해 파정의 국소적 인 변화로 여 겨진다.

아급성 3 예와 얀성 15 예에서 혈종측벽의 조영 증강

이 판찰되었는데, 이는 혈종의 기질화 (Organ i zation )

가 출혈후 1~4 주 사이에 이루어지며, 주위로 파혈관

형성이 되어 조영 증강이 된마는 보고들10 , 12 , 18)과 알치

한다고하겠다.

SDH의 최고 두께와 일반석 인 CT소견을 비교한데 서

는 (Tab le 4) , 대부분 두께에 상관없이 특정적인 초생

달 모양의 음영으로 냐타났으내, 4 예 (4.9 %) 에서는 방

추형의 음영을 보여 경악외 혈종과의 강i혈을 요했는데,

전자에서는 뇌실질과의 접촉연이 넓고 양쪽 끝。 l 가늘

어진다는 정 등도로 진단할 수 있었다6-8 , 10) 중앙선 천

위와 뇌살 압박의 소견은 두께와 비혜하여 혈종이 클수

록 주위에 종괴 영향이 많읍을 알 수 있었다.동측 뇌실

팽창 소견은 9 예(ll .O %)에서 보였는데, 이는 Reed

등11 )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뇌척수액 경로의 。J빅벼l 의

해 이차적으로 생긴 것으로 여겨지며, 그들의 반도(5 . 6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혈종 주위 뇌부종의 소견

은 11 예(13 .4 %)에 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뇌실질의 외

상과 혈종의 종괴 효과에 의한 것으로 생 각펀다.

V. 걸 트르

저자들은 최근 5 년간 연세대학교 부속 세브란스뱅원

에 SDH으로 CT와 수술을 시행한 82 예를 대상£로

닝l특이한 CT 소견을 보이는 예들을 분석하여 마음파 같

은 결론을 얻었닥

1. SDH의 원인은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것이 60 예

(73.2 %)로 가장 않았으며 , 냐머지의 여l들에서도 직·칸

접으로 외상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혼합형의 소견은 19 예 (23.2 %)에서 보였으며,급

성 7 예 (20 %), 아급성 5 예 (41. 7 %) , 만성 7예 (20%)

였마.

3. 급성 SDH의 혼합형의 원인A로써는초기의 융고

되지 않은 혈액 또는 초기 혈뱅 수축에 짜를 혈장 생성

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지주악 파열에 의한 뇌 척수

고 둔께는 모두 3 .0 cm 이상인 것으로 볼 때, 그 혼합 액의 유업도 그 가능성이 있을 것으호 사료된마.

형의 원인은 재출혈파 다량의 혈종。 l 용해되는 파정 중 4. 아급성파 만성의 경우에서는 각 뱅기의 혈영 수축

- 707-

Page 6: 경막하 혈종의 전산화단층촬영 CT Findings of Subdural … · 2016-12-27 · 견을 보이는 sdh를 수술 소견파 비교 분석하여 운헌 고찰파 함께 보고하는

大~J~ }jj( ~H5t[뽑장,~*~~t ‘ ?íl23장 까 5 싸 1987-

에 의한 혈장 생성과 채출혈에 의한 것£로 생각된다.

5. 혈종 측벽의 조영 증강은 아급성 3 예 (25 %)<t만

성 15 예 (42 . 9 %)에서 판찰되었다.

6. 혈종의 모양은 두께에 상관없이 대부분 초생 달 모

양으호 보였으냐, 4 예 (4 .9 %)에 서는 $μ추형의 소견을

보였다. 중앙선 천위와뇌실 압박 소견은 두께에 비례

하였으며, 그외 동측 뇌실 팽창 소견이 9 예(11 . 0 % ),

주위 뇌부종소견이 11 예(13 .4 %)에서 관찰되었다.

REFERENCES

1. Forbes G5, 5heedy PF, Piepgras DG et al: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5ubdural Hematomas.

Radiology 126:143-148, 1978

2. Merino-de Villasante J, Taveras JM: Computerized

Tomography in Acute Head Trauma. AjR 126:765-778,

1976

3. Dublin AB, French BN, Rennick JM: Computed

Tomography in Had Trauma. Radiology 122:365-369,

1977

4. Koo AH, LaRoque RL: Evaluation of Head Trauma by Com­

puted Tomography. Radiology 123:345-35α 1977

5. Zimmerman RA, Bilaniuk LT, Gennarelli T et al: Cranial

Computed Tomography 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Head Trauma. AjR 131:27-34, 1978

6. Cornell 5H, Chiu LC, Christie JH: Diagnosis of Extracerebral

Fluid Collections by Computed Tomography. AjR

131-107-110, 1978

7 김동익 , 서정호, 박칭윤 :급성 두뇌 외상의 천산화

단충촬영에 관한 고찰.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7 :399

413 , 1981

8. 5cotti ι Terbrugge, K Melancon D et al: Evaluatin of the

Age of 5ubdural Hematomas by Computerized

Tomography. j Neurosurg 47:311-315, 1977

9. Messina AV, Chernik NL: Computed Tomograhphy: The

"Resolving" Intracerebra l Hemorrhage. Radiology

118:609-613, 1975

10. Tsai FY, Teal J5, Hieshima GB: Neuroradiology of Head

Trauma. pp 102-134, University Park Press, Baltimore, 1984

11. Reed D, Rebertson WD, Graeb DA et al ‘ Acute 5ubdural

Hematomas: Atypical CT Findings. AjNR 7:417-421, 1986

12. Cameron MM: Chronic 5ubdural Hematoma: A Review

of 114 Cases. j Neuro Neurosurg Psychia 41:834-839, 1978

13. Dolinskas CA, Bilaniuk LT, Zimmerman RA et al: Computed

Tomography of Intracerebral Hematomas. 1. Transmission

CT Observation on Hematoma Resolution . AjR

129:691-688, 1977

14. New PJ, Aronow 5: Attenuation Measurements of Whole

BLood and Blood Fractions in Computed Tomography

Radiology 121:635-640, 1976

15. Amendola MA, Ostrum BJ: Diagnosis of Isodense 5ubdural

Hematomas by Computed Tomography. AjR 129:693θ97,

1977

16. Kim K5, Hem mati M, Weinberg PE: Computed

Tomography in Isodense 5ubdural Hematoma. Radiology

128:71-74, 1978

17. Möller A, Ericson K: Computed Tomography of Isoat­

tenuating 5ubdural Hematomas. Radiology 130: 149-152,

1979

18. Tsai FY, Huprich JE, 5egall HD et al: The Contrast-Enhanced

CT 5can in the Diagnosis of Isodense 5ubdural Hematoma

j Neurosurg 50:64-69, 1979

19. Hayman LA, Evans RA, Hinck VC: Rapid-High-Does Con­

trast Computed Tomography of Isodense 5ubdural

Hematomas and Cerebral 5welling. Radiology

131:381-383, 1979.

20. 5mith WP, Batnitzky 5, Rengachary 55: Acute Isodense 5ub­

dural Hematomas: A Promlem in Aenmic Patients. AjR

136:543-546, 1981

- 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