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을 중심으로 정 의 영 * 13)Eui Young Chung 이 기 백 ** 14)Ki Baek Lee 최 문 기 *** 15)Mun Kee Choi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 활용과 혁신 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부 지원 활용은 제조 산업의 기업들이 외부 R&D 협력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혁신 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첨단 산업은 내부 R&D 역량과 외부 R&D 협력이 직접적으로, 정부 지원 활용은 간접적으로 혁신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비첨단 산업은 내부 R&D 역량이 높을수록 정부 지원 활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이는 외부 R&D 협력에 긍정적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 성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 제품 혁신, 혁신 성과, 개방형 혁신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D Resourc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ustry: With a Special Emphasis on Internal R&D Capability, External R&D Collaboration, and Governmental Support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R&D capability and the external R&D collaboration, the practical use of governmental support, and innovation performance. Firstly, the effective use of government supports turned out to be useful for manufacturing companies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R&D institutes in order to maximizing the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ly, it is verified that both internal R&D capability and external R&D collaboration with the high-tech industry directly affect for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governmental supports affects indirectly. Thirdly, the higher internal R&D capability of the low-tech industry seems to be more important to obtain better result of innovation performance in utilizing governmental supports. And it also contributes to positive external R&D collaboration with related universities and R&D institutes. Keywords : Product Innovation, Innovation Performance, Open Innovation * SK하이닉스 연구개발총괄 기술전략팀 선임([email protected]), 제1저자 **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박사과정([email protected]), 교신저자 ***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email protected])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을 중심으로

정 의 영*13)Eui Young Chung ․ 이 기 백**

14)Ki Baek Lee ․ 최 문 기***15)Mun Kee Choi

초 록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 활용과

혁신 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부 지원 활용은 제조 산업의 기업들이 외부

R&D 협력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혁신 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첨단 산업은 내부 R&D 역량과 외부 R&D 협력이 직접적으로, 정부 지원

활용은 간접적으로 혁신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비첨단 산업은 내부 R&D

역량이 높을수록 정부 지원 활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이는 외부 R&D 협력에 긍정적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 성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 제품 혁신, 혁신 성과, 개방형 혁신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D Resourc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ustry :

With a Special Emphasis on Internal R&D Capability, External R&D Collaboration, and Governmental Support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R&D capability and the

external R&D collaboration, the practical use of governmental support, and innovation

performance. Firstly, the effective use of government supports turned out to be useful

for manufacturing companies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R&D institutes in

order to maximizing the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ly, it is verified that both

internal R&D capability and external R&D collaboration with the high-tech industry

directly affect for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governmental supports affects

indirectly. Thirdly, the higher internal R&D capability of the low-tech industry seems

to be more important to obtain better result of innovation performance in utilizing

governmental supports. And it also contributes to positive external R&D collaboration

with related universities and R&D institutes.

Keywords : Product Innovation, Innovation Performance, Open Innovation

* SK하이닉스 연구개발총괄 기술전략팀 선임([email protected]), 제1저자 **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박사과정([email protected]), 교신저자***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email protected])

Page 2: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01

Ⅰ. 서 론

혁신이란 새로운 아이디어, 프로세스, 제품 또는 서비스를 추구하기 위한 아이디어의 발상, 수용, 그리고 실행으로 연결시키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Thompson, 1965). 이와 함께 혁신 성과는 시장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고, 진입 장벽을 견고하게 하며, 새로운 수익 채널과 고객을 확보하는 혁신 활동(Roberts, 1999; Chandy and Tellis, 2000)의 지표로서 기업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제조 산업에서는 기술 및 제품 개발에 있어 혁신 성과를 높이기 위해 기업 내부의 R&D 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내부 R&D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자들보다 기술적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이슈와 함께 외부 조직과의 R&D 협력이 혁신 성과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는 단순히 재정적 지원 중심의 과학 기술 정책에서 기술 개발 인프라 조성, 조세 절감, R&D 인력 교육 등 다방면의 분야로 과학 기술 지원 정책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정부의 역할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첫째, 기업의 R&D 활동에 있어 혁신 성과를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R&D 활동의 유형이 무엇인가이다. 둘째, 외부 R&D 협력, 즉 개방형 혁신이 과면 모든 산업에 효과적인가이다. 마지막으로 정부 지원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거쳐 혁신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가이다. 선행 연구들은 정부 지원이 혁신 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으나,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제조 산업을 대상으로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과 혁신 성과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둘째, 제조 산업을 첨단 산업과 비첨단 산업으로 구분하여 위의 세 가지 요소가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실무적 ․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에게는 R&D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정부에게는 효과적인 혁신 성과 창출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업과 정책 실무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결과의 의미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Page 3: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02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개발

1.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내부 R&D 역량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출시함으로써 소비자 및 기업 밖의 고객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Frishammar and Horte, 2005). 이와 함께 혁신 성과를 위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내부 R&D 역량이란 R&D와 관련된 전략,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투자에 있어 전체적으로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Yam et al., 2004). 내부 R&D 역량은 신속한 제품 개발, 시장 지배력 강화 및 기술적 노하우 축적 수단으로 작용하여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Dutta et al., 1999).

내부 R&D 역량과 혁신 성과에 관련한 연구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abral(2000)은 내부 R&D 역량과 제품-시장간의 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품 개선을 위해 R&D 투자와 혁신 역량 강화가 필수적인 것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외부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흡수역량 즉, 내부 R&D 역량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Cohen and Levinthal, 1990). Becker and Dietz (2004)는 협력 파트너의 수가 기업의 혁신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면서, R&D 집약도(R&D Intensity)가 다른 기업 및 공공 연구기관과의 연구협력을 촉진하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언급하였다. Bayona et al.(2001)는 조직간 R&D 협력을 촉진하는 요소로써 기업의 내부 R&D 역량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R&D 협력 활동을 수행한 스페인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R&D 협력 추진 동기와 내부 R&D 역량에 대한 연구 결과, R&D 협력의 동기는 기술의 복잡성, 혁신의 비용에 드는 비용절감과 시장의 불확실성이며, R&D 협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부 R&D 역량이 필요함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기업의 내부 R&D 역량이 높을수록 공동 R&D 활동이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기업의 내부 R&D 역량이 높을수록 기업간 협력이 촉진되고, 궁극적으로 혁신 성과를 증대시킨다는 것이다.

Page 4: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03

(2) 공공 연구기관(대학, 연구소)과의 협력협력이란, 두 개 이상의 부서 또는 조직이 함께 일하고, 상호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공통된 비전을 소유하며, 자원의 공유를 통해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Frishammar and Horte, 2005). Belderbos et al.(2004)은 경쟁자, 공급자, 대학, 연구기관의 4가지 R&D 파트너를 대상으로 R&D 협력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네덜란드의 혁신 조사 데이터(1996, 1998)를 이용하여 경쟁자, 공급자와의 협력은 점진적 혁신 및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반면,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은 시장에 새로운 제품을 창출하는 기업의 혁신 성과와 기업의 성장성을 개선시킨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Romijn and Albaladejo(2002)는 외부 R&D 자원과의 협력 중 공공 연구기관과의 협력이 혁신 성과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며, 공공 연구기관과의 거리적 접근성 역시 혁신 성과에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3) 정부 지원정부 지원이란, 혁신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들의 R&D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조세감면, 자금지원, 기술정보제공, 기술인력 공급 등의 혜택을 기업에게 제공하는 지원 활동을 의미한다(OECD, 2005). 최근 한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녹색기술 또는 첨단 융·복합 기술 등의 신성장동력 기술들을 중심으로 기업의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국가 경제 발전과 연결시키고자 하는 정책이 이어지고 있다. Moore and Garnsey(1993)는 혁신형 기업과 외부 투자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불완전한 정보의 격차가 R&D 자금 조달의 가장 큰 장애물로 나타나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기업들의 혁신 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2. 연구 모형 개발

(1) 내부 R&D 역량과 혁신 성과의 관계Prajogo and Ahmed(2006)는 내부 R&D 역량은 혁신을 위한 리더십, 인재 관리,

지식 경영, 창조 경영 활동을 의미하는 혁신 자극(Innovation Stimulus)을 통해 강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R&D 역량은 궁극적으로 혁신 성과에 기여하는 것을 지적

Page 5: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04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하고 있다. 또한, Lukas and Ferrell(2000)은 높은 R&D 역량은 낮은 R&D 역량을 지닌 기업에 비하여 혁신 성과를 의미하는 기업 성장률과 시장 점유율 면에서 약 3배 이상의 높은 성과 창출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내부 R&D 역량 중 신제품 아이디어는 기업 성장률에 대한 기여가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다. 반면, Tatikonda and Rosenthal(2000)은 기술력과 혁신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새로운 기술과 공정의 개발로부터 발생하는 지식과 경험의 부족으로 인하여, 높은 기술력이 혁신 성과에 항상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은 아니며, 혁신 성과를 위한 기술적 발전, 원가 절감, 시장 출시 기간 등 각 기업들이 중요시 하는 요소에 맞추어 전략적으로 제품 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가설 1: 내부 R&D 역량은 조직의 혁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2)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혁신 성과의 관계외부 R&D 협력이란 기업 외부의 조직과의 기술에 대한 자원, 경험, 지식의 공유를

통해 성공적인 R&D를 위한 상호 협력 활동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지식은 두 가지 경로, 내부개발과 외부획득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제품 개발 비용의 증가, 제품 수명주기 단축, 기술의 복잡성 증가로 외부 R&D 협력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새로운 역량 개발과 보다 나은 성과, 그리고 시장에서의 경쟁 극복을 위하여 외부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공동 R&D, 지식의 이전 등의 외부 R&D 협력에서 지식을 제대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지식을 흡수하고 활용할 수 있는 조직 역량을 개발해야 한다(Cohen and Levinthal, 1990). 지식은 구체화시키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문서화하기도 어렵고 조직 간에 이전이 쉽지 않기 때문에, 내부 R&D 역량이 높은 기업이 고객, 경쟁자, 공급자, 대학, 연구소 등과의 R&D 협력을 이끄는데 효과적일 것임을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자원들과의 R&D 협력은 신속한 기술 개발과 함께 혁신적 아이디어 발상 및 사업화를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외부 R&D 협력은 시장의 니즈가 적절하게 반영된 기술 및 검증된 기술들을 활용함으로써 기술 개발 실패에 대한 위험성을 낮춰줄 뿐만 아니라, 외부 자원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에서 효과적이다. Nieto and Santamaria(2007)의 외부 R&D 협력 네트워크와 제품 혁신의 참신성(Novelty

Page 6: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05

of Product Innovation)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외부와의 R&D 협력에 있어 지속성(Continuity)을 유지한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혁신의 참신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단일 자원과의 협력 보다는 다양한 자원과의 협력이 더 효과적이며, 경쟁자와의 협력 보다는 공급자, 고객, 그리고 연구기관과의 협력이 더 높은 혁신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반면, Laursen and Salter(2006)는 BT 및 NT 산업의 경우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R&D 협력은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단순 제조업의 경우 그 효과가 비교적 크지 않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가설 2: 내부 R&D 역량은 조직의 외부 R&D 협력 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 3: 외부 R&D 협력 활동은 조직의 혁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3) 내부 R&D 역량, 정부 지원 활용, 혁신 성과의 관계Hsu and Chiang(2001)은 대만의 기술 혁신을 위한 정부 기술 정책이 공공 연구

기관에 대한 지원, 민간 산업에 대한 지원, 그리고 중소기업에 대한 인큐베이팅 지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 할 수 있었으며, 대만 정부가 기술과 시장간의 가교 역할에 대한 주체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Yam et al.(2004)은 1970년대부터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국의 R&D 자금 지원 정책이 현재의 혁신 성과로 표면화되었음을 설명하였다. 인력 공급, 자금 지원 등 하드웨어적 지원 정책을 활용하여 기업들이 혁신 성과를 이끌었으며, 차후 경영 부문, 인적자원관리 등의 소프트웨어 측면의 R&D 지원 등의 정부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편, 정부의 조세지원 등의 지원정책은 연구투자비의 확대 또는 R&D 인력의 확대 등의 내부 R&D 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 지원책에 의한 내부 R&D 역량 축적은 장시간 지원책에 의한 누적효과로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오히려 내부 R&D 역량이 있는 기업이 정부지원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성과를 올린다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즉, 내부 R&D 역량 강화에 투자 결정한 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활용하는 데에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를 통해 혁신 성과를 창출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Page 7: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06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 활용 H5

혁신 성과

H4

H2 H3H6

H1

가설 4: 내부 R&D 역량은 정부 지원 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가설 5: 정부 지원 활용은 조직의 혁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4) 정부 지원 활동과 외부 R&D 협력의 관계정부는 R&D 자금 지원, 기술 이전, 공동 R&D 과제 등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등의 외부 R&D 협력을 장려하고 있다. 정부 주도의 외부 R&D 협력 활동은 비용 절감, 품질 향상, 아이디어 창출, 기술력의 시너지 창출 등의 효과가 기대되어, 다양한 기업과 연구기관 사이에서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Czarnitzki et al.(2007)은 정부 R&D 자금 지원을 통해 R&D 효율성 향상 및 특허 활동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 간의 협력에 따른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가 더욱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났음을 언급하였다. 한편, Branstetter and Sakakibara(1998)는 일본의 ‘Japanese Research Consortia’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부의 R&D 자금 지원이 공동 R&D 협력에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기업의 R&D 투자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가설 6: 정부 지원의 활용은 조직의 외부 협력 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얻어진 변수와 연구 가설을 바탕으로 <그림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그림 1> 연구 모델

Page 8: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07

산업코드 제조업 모집단 표본15 음, 식료품 제조업 3,004 6.36% 14 4.09%17 섬유제품 제조업 3,054 6.46% 12 3.5%18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2,142 4.53% 6 1.75%19 가죽, 가방 신발 제조업 617 1.31% 4 1.17%20 목제 및 나무제품 제조업 679 1.44% 1 0.29%21 펄프, 종이 제품 제조업 1,210 2.56% 7 2.05%22 출판 인쇄 기록매체 복제업 1,952 4.13% 3 0.88%23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 75 0.16% 5 1.46%24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2,005 4.24% 35 10.23%25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3,860 8.17% 24 7.02%26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1,783 3.77% 13 3.80%

Ⅲ. 방법론

1. 표본 및 분석 도구

본 연구는 2008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에 의해 조사된 한국기술혁신조사(Korean Innovation Survey; KIS)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KIS는 2005년 이전 설립 및 총 종업원 수가 10명 이상인 한국에 소재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총 47,267개의 기업들이 모집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무작위추출방식을 사용하여 총 6,314개의 기업들이 선택되었으며, 설문지 회수율은 최종 67.1%, 표본크기는 총 3,081개의 기업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또한 혁신 성과, R&D 활동, 외부 기관과의 공동 제품 개발 경험, 정부 지원 활용에 대한 설문 항목에 대한 무응답 및 오류 응답의 제거를 통해 최종적으로 342개 기업을 본 연구를 위한 표본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최종 표본의 기업들은

<표 1> 연구 표본

Page 9: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08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27 제 1차 금속산업 1,587 2.25% 16 4.68%28 조립금속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053 12.81% 14 4.09%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775 14.33% 31 9.06%30 컴퓨터 및 사무용 기기 제조업 469 0.99% 9 2.63%31 기타 전기기계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 2,591 5.48% 27 7.89%32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935 6.21% 32 9.36%33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1,286 2.72% 23 6.73%3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463 5.21% 41 11.99%3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2 1.38% 9 2.63%36 가구 및 기타제품 제조업 1,858 3.93% 14 4.09%37 재생용 가공원료 생산업 217 0.46% 2 0.58%

전체 47,267 100% 342 100%

<표 1>과 같이 총 22개의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조방정식모델 사용을 위한 Smart PLS(Ver.2.0)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PLS는 LISREL 또는 AMOS 처럼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의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나, 주요인 분석법 사용을 통한 정규분포에 대한 엄격한 가정의 완화, 측정 오차 및 잠재 변수들의 예측 오차 최소화를 통해 경로계수 예측력의 극대화, 비교적 적은 표본에 적용하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황덕란 외, 2007).

2. 변수의 선정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검증되고 활용된 변수들을 사용하였으며, <표 2>와 같이 혁신 성과,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 활용으로 변수를 구분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은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다.

Page 10: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09

측정 변수 측정 방법 선행 연구

혁신성과

진부한 기존 제품 대체 6점 척도 Alegre et al.(2006)신규 시장 개척 6점 척도 Deshpande et al.(1993)

품질 향상 6점 척도 Tatikonda and Rosenthal(2000),Salomo et al.(2007)

내부R&D역량

R&D 집약도 비율 Hill and Snell(1988),Wang et al.(2008)

R&D 인력 비중 비율 Yam et al.(2004)혁신 제품 비중 비율 Wang et al.(2008)

외부R&D협력

대학 6점 척도 Belderbos et al.(2004), Amara et al.(2008)

정부출연연 및 국공립 연구소 6점 척도 Saez et al.(2002),

Bougrain and Haudeville(2002)정부지원활용

기술개발 조세 감면 6점 척도 Guellec and Potterie(1997)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 지원 6점 척도 Czarnitzki et al.(2007)

기술지원 및 지원 6점 척도 Romijn and Albaladejo(2002)

변수 개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 최대진부한 기존 제품 대체 342 3.24 1.36 0.00 5.00

신규 시장 개척 342 3.05 1.41 0.00 5.00품질 향상 342 3.61 1.17 0.00 5.00

R&D 집약도 342 7.39 10.79 0.02 104.93R&D 인력 비중 342 0.13 0.13 0.00 0.95혁신 제품 비중 342 11.25 9.07 0.00 33.33

대학 342 1.89 1.85 0.00 5.00정부출연연 및 국공립연구소 342 1.32 1.76 0.00 5.00

기술개발 조세 감면 342 1.08 1.66 0.00 5.00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 지원 342 1.90 1.98 0.00 5.00

기술지원 및 지도 342 1.21 1.58 0.00 5.00

<표 2> 주요 변수

주 : R&D 집약도=총 R&D 지출액/총 인력, R&D 인력 비중=총 R&D 인력 수/총 인력 수, 혁신 제품 비중=최근 3년간 혁신 제품 매출액/총 제품 매출액.

<표 3> 주요 변수의 기초 통계량

Page 11: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10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1) 혁신 성과Salomo et al.(2007)은 혁신 성과를 기술적 향상, 제품 품질 향상, 생산 능력의

향상, 매출, 시장 점유율, 기술 경쟁력 향상, 프로젝트의 효율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Prajogo and Ahmed(2006)는 신제품의 신규성, 최신 기술의 도입, 신제품 개발 속도, 시장에 출시된 신제품 수, 시장 내 최초 출시 제품 수로 혁신 성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 성과와 관련된 선행 연구(Deshpande et al., 1993; Tatikonda and Rosenthal, 2000; Alegre et al., 2006)를 참조하여 진부한 기존 제품 대체, 신규 시장 개척, 품질 향상의 변수를 도입하였다. 또한 Likert형 6점 척도(e.g., 0점 ‘활용 않음’ ~5점 ‘매우 높음’)로 측정된 제품 혁신 효과에 대한 설문을 활용하여 혁신 성과를 측정하였다.

(2) 내부 R&D 역량Wang et al.(2008)은 내부 R&D 역량을 R&D 인력 비중, R&D 성공 제품 비율,

특허 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Love and Mansury(2007)는 R&D 인력의 학력, 기업 내 R&D 활동 비중, 기업 내 R&D 부서 비중, R&D 인력 비중, R&D 투자액으로 내부 R&D 역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Hill and Snell, 1988; Yam et al., 2004; Wang et al., 2008)를 참조하여 R&D 집약도, R&D 인력 비중, 혁신 제품 비중으로 변수를 측정하였다. 전체 종업원 수, R&D 전담 인력 수, R&D 투자액, 전체 매출 대비 혁신 제품의 기여도의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내부 R&D 역량을 측정하였다.

(3) 외부 R&D 협력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연구기관을 외부 R&D 협력의 변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Becker and Dietz(2004)는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은 제조 산업 내 신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Bougrain and Haudeville, 2002; Saez et al., 2002; Belderbos et al., 2004; Amara et al., 2008)를 참조하여 대학과 정부출연연 및 국공립 연구소로 외부 R&D 협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Likert형 6점 척도(e.g., 0점 ‘활용 않음’ ~5점 ‘매우 높음’)로 측정된 협력 파트너가 제품 혁신에 기여한 정도에 대한 설문을 활용하여

Page 12: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11

외부 R&D 협력을 측정하였다.

(4) 정부 지원 활용Czarnitizki et al.(2007)은 정부 지원에 대한 측정을 정부의 R&D 자금 지원, 공동

협력을 위한 정부 지원 횟수로 측정하였으며, Guellec and Potterie(1997)는 정부 지원의 요소를 세액 공제와 R&D 자금 지원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Guellec and Potterie, 1997; Romijn and Albaladejo, 2002; Czarnitzki et al., 2007)를 참조하여 기술 개발 조세 감면,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자금 지원, 기술 지원 및 지도로 정부 지원 활용을 측정하였다. Likert형 6점 척도(e.g., 0점 ‘활용 않음’ ~5점 ‘매우 높음’)로 측정된 정부 지원 제도의 활용에 대한 중요도의 설문을 활용하여 정부 지원 활용을 측정하였다.

(5) 통제 변수본 연구에서는 기업 크기를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다.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풍부한 R&D 자금, R&D 인력 등을 바탕으로 폭넓은 기술 포트폴리오를 지니고 있다(Lichtenthaler,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e.g., Shan et al., 1994; Kochhar and David, 1996)를 참조하여 R&D 투자액과 R&D 인력 변수를 전체 종업원 수로 나누어 기업의 크기를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다.

3.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본 연구에서는 측정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확인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PLS(Partial Least Square)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바탕으로 한 항목 측정 결과는 <표 4>와 같다.

또한 측정 모형 검증에 있어 요인 적재량(Factor Loading)의 경우 0.6 이상의 적합한 기준(Chin, 1998)을 모든 변수들이 충족하였으며, 평균 분산 추출(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의 경우 0.5 이상(Bagozzi and Yi, 1988)으로 충족하였다. 또한 복합 신뢰도(Composite Reliability, CR) 역시 0.7 이상의 기준(Fornell and Larcker, 1981)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상관관계와 AVE 값에 있어, AVE의 제곱근 값은 같은 행과 열에 있는

Page 13: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12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측정 변수 Loading AVE CR

혁신 성과진부한 기존 제품 대체 0.7099 0.500 0.748

신규 시장 개척 0.6381 0.500 0.748품질 향상 0.7647 0.500 0.748

내부 R&D 역량 R&D 집약도 0.7572 0.520 0.763

R&D 인력 비중 0.7893 0.520 0.763혁신 제품 비중 0.6053 0.520 0.763

외부 R&D 협력 대학 0.7719 0.659 0.794정부출연연 및 국공립 연구소 0.8500 0.659 0.794

정부 지원 활용기술개발 조세 감면 0.6458 0.594 0.812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 지원 0.8658 0.594 0.812기술지원 및 지도 0.7850 0.594 0.812

혁신 성과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 활용혁신 성과 0.811931*

내부 R&D 역량 0.406110* 0.770975*

외부 R&D 협력 0.186999* 0.104508* 0.706179*

정부 지원 활용 0.019057* 0.167781* 0.236449* 0.721801*

상관계수보다 높아야 하며(Chin, 1998), 0.7 이상이면 다른 요인과 구별이 된다고 할 수 있다(Hulland, 1999). 따라서 <표 5>와 같이 본 연구의 변수들은 AVE의 제곱근 값이 상관계수보다 높으므로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표 4>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표 5> 상관관계 분석

주 : 대각행렬 값은 AVE값의 제곱근을 나타냄

Page 14: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13

4. 산업 유형별 분석

본 연구에서의 산업의 기술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Hatzichronoglou (1997)의 산업 분류를 참조하여 제조업을 첨단 산업과 비첨단 산업으로 구분하였다. 첨단 산업 기업은 R&D 지출, 특허, 그리고 신제품 개발 등의 R&D 활동들이 사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혁신 성과로 연결될 수 있으며(Hagedoorn and Cloodt, 2003), 그 차이가 유의미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첨단 산업은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KSIC: 24)’,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 제조업(KSIC: 30)’, ‘기타 전기기계 및 전기 변환장치 제조업(KSIC: 31)’,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KSIC: 32)’,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KSIC: 3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KSIC: 3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KSIC: 35)’로 설정하였다. High Technology 기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KSIC: 15, 17, 18, 19, 20, 21, 22, 23, 25, 26, 27, 28, 29, 36, 37)을 비첨단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연구 모델 분석 결과

(1) 첨단 산업 분석 결과본 연구의 연구 모형에 대한 첨단 산업에서의 경로계수분석(Path Coefficients

Analysis) 결과는 <그림 2>와 같이 도출되었다. 첨단 산업에서의 결과를 살펴보면, 내부 R&D 역량→혁신 성과(ß=0.287, p<0.1),

정부 지원 활용→외부 R&D 협력(ß=0.466, p<0.01), 외부 R&D 협력→혁신 성과(ß=0.189, p<0.1)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부 R&D 역량→정부 지원 활용, 정부 지원 활용→혁신 성과, 내부 R&D 역량→외부 R&D 협력의 가설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14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내부 R&D 역량

정부 지원 활용

외부 R&D 협력

혁신 성과

R2=0.08

R2=0.14

R2=0.11

0.054(0.478)0.288(2.851***)

0.214(2.181**)0.006(0.056)

0.190(1.484)0.367(3.860***)

주 : *p< .1, **p< .05, ***p< .01<그림 2> 첨단 산업의 경로계수분석 결과

(2) 비첨단 산업 분석 결과첨단 산업 경로계수분석에 이어, 비첨단 산업에서의 경로계수분석 결과는 <그림 3>과

같이 도출되었다.

주 : *p< .1, **p< .05, ***p< .01

<그림 3> 비첨단 산업의 경로계수분석 결과

내부 R&D 역량

정부 지원 활용

외부 R&D 협력

혁신 성과

R2=0.01

R2=0.21

R2=0.10

-0.056(0.407)0.081(0.659)

0.189(1.694*)0.124(0.712)

0.287(1.717*)0.466(4.975***)

Page 16: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15

산업 기업 실무자

첨단 산업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Bristol-Myers Squibb 책임 연구원(개발팀)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시계 제조업 Carl Zeiss Inc. 책임 연구원

(R&D)비첨단 산업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대호 산업 대표이사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삼진 정밀 대표이사

정부 정부 기관연구개발특구진흥원 대덕특구 단장대전 테크노파크 과장

(기업지원팀)

비첨단 산업에서의 결과를 살펴보면, 내부 R&D 역량→정부 지원 활용(ß=0.288, p<0.01), 정부 지원 활용→외부 R&D 협력(ß=0.367, p<0.01), 외부 R&D 협력→혁신 성과(ß=0.214, p<0.05)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부 R&D 역량→혁신 성과, 정부 지원 활용→혁신 성과, 내부 R&D 역량→외부 R&D 협력의 가설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론 및 시사점

1. 토의

본 연구에서는 앞서 기술한 연구 모델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및 정부 정책 실무자들과 그 내용을 토의하며 연구 결과의 의미를 보완하였다. 인터뷰 대상은 <표 6>과 같다.

<표 6> 인터뷰 대상

첫째, 정부 지원 활용은 첨단 산업과 비첨단 산업 모두를 포함하여, 제조 산업의 외부 R&D 협력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국책 과제를 중심으로 R&D 협력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기업과 연구기관간의 비즈니스와 기술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기도 하며, 기업과 대학 간의 협력을 통해

Page 17: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16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우수 인력에 대한 교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정부의 주도로 해당 지역의 대학 및 연구기관, 그리고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들이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공동 연구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대전 테크노파크에 의하면, 기업은 뛰어난 사업적 역량을 지니고 있으며, 대학 및 연구기관은 높은 수준의 R&D 역량을 지니고 있기에, 이들을 연결시킴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촉매제 역할을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며, 그 예가 바로 공동 R&D, 산학연 중심의 정부 과제라고 응답하였다.

연구개발특구진흥원 역시 산학연 협력 및 공동 R&D 지원 사업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최근 개방형 혁신, 기술의 융 ․ 복합화 추세 등으로 인해 기업과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협력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정부 지원은 제조 산업 R&D에 있어 외부 협력의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R&D, 사업화 등의 혁신 역량을 지닌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을 선별하고, 이들이 모일 수 있는 ‘협력의 장’을 펼쳐주는 R&D 지원 정책이 혁신 성과 창출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첨단 산업에게 있어 내부 R&D 역량이 직접적으로 혁신 성과 창출에 연계될 수 있으며, 정부 지원을 활용하여 외부 R&D 협력의 기회를 만들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혁신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다. 첨단 산업에 속한 Bristol-Myers Squibb(BMS)의 경우, 항암제, 알츠하이머 질환 등에 대한 내부 R&D 활동에 집중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충분히 안정된 R&D 성과물을 창출해 왔다. 내부적으로 지닌 고급 R&D 인력, 높은 수준의 R&D 예산,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임상 실험 등 동일 수준의 외부 R&D 협력 파트너를 찾기 어렵기 때문에, 내부 R&D 역량이 BMS의 중요한 혁신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자 현미경, 수술 현미경 등 첨단 광학 기기를 제조하는 Carl Zeiss의 경우 고도화된 광학 기술과 축적된 노하우를 지니고 있다. 이에 있어 Carl Zeiss는 고도화된 수준의 기술 파트너를 외부에서 찾을 수 없기에 안경 렌즈, 안과 소모품 등 비첨단 사업부에 한하여 공급자 및 경쟁자와의 R&D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Carl Zeiss는 외부 R&D 협력을 통한 R&D 효율성 창출 보다는 사내 검증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R&D 정책이라 할 수 있다.

BMS와 Carl Zeiss의 사례와 같이 첨단 산업은 높은 기술력과 축적된 노하우가 필요하고, R&D 협력시 높은 거래 비용(Transaction Cost)으로 인해 내부 R&D 역량에 집중하고 이를 통한 혁신 성과 창출이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높은 내부

Page 18: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17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중심의 혁신 전략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셋째, 비첨단 산업은 내부 R&D 역량이 강할수록 정부 지원책을 잘 활용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R&D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 비첨단 산업은 첨단 산업에 비해 내부 R&D 역량이 부족하며, 정부 지원 활용을 통해 혁신 성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기술 기반의 기업들을 지원해주고 있는 대전 테크노파크는 비첨단 산업의 기업들이 주로 R&D 인력 수준, R&D 자금, R&D 사업화 역량 등 전반적인 R&D 역량 측면에서 첨단 산업에 비해 부족하다고 설명하였다. 첨단 산업 내 기업들은 이미 일정 수준 이상의 내부 R&D 역량을 지니고 있으며, 정부 지원이 아니더라도 자체적으로 내부 R&D 역량 강화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대전 테크노파크는 비첨단 산업 기업들의 내부 R&D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기술 개발, 기술이전, 특허, 인증, 마케팅, 내부 인력양성, 시제품 제작, 디자인 등의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을 받은 기업들 중 약 30%의 기업들이 매출, 특허 등록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구기관 및 기술 중심의 기업들을 지원해주는 연구개발특구진흥원은 첨단 산업에 비해 비첨단 산업 내 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통한 혁신 창출이 비교적 용이하며, 단기적으로 혁신 성과가 표면화 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아이디어에서부터 기술개발, 사업화, 그리고 가시적 성과에 이르는 과정이 첨단 산업은 매우 길며, 주로 개발 초기에 지원을 하는 정부 지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잊혀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기술 개발 과정에 있어 자사의 내부 R&D 역량이 핵심으로 작용되었다고 착각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와 반대로 비첨단 산업의 경우 첨단 산업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의 R&D 역량을 지니고 있기에 정부 지원에 대해 느끼는 효용의 정도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기술 개발 과정 역시 첨단 산업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정부 지원에 따른 혜택을 느끼는 정도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내부 R&D 역량만으로도 직접적인 혁신 성과 창출이 가능한 첨단 산업과 달리, 비첨단 산업의 기업들은 정부의 외부 R&D 협력 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혁신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자동차 내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하는 대호 산업은 실험 장비, 재료, 부품 등 자체적으로 모든 R&D 시설을 구축하기에는 높은 비용이 소요되기에 R&D의 영역을 외부의 대학 및 연구기관에 의뢰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성과 역시 높게 나타나기에 외부 R&D 협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낮은 생산 단가와 빠른 납기가 본 기업 비즈니스의 핵심이라 할 수 있

Page 19: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18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으며, 이를 위해 원료 공급자, 1차 생산 기업, 물류 기업 등 외부 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협력하고 있다.

한편, 오일 및 가스용 밸브를 제조하는 삼진 정밀 역시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한 외부 R&D 협력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삼진 정밀은 내부 R&D 활동에 있어 자체적으로 구축하기 어려운 고가의 실험 장비를 인근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대처하고 있다. 또한 아이디어의 단계를 지나 기술 개발 단계로 진입할 때 외부 R&D 자원들을 활용하는 비중이 매우 높으며, 특히 지식과 경험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신규 사업 추진의 경우 외부의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학 및 연구기관에 대한 R&D 협력은 높은 기술력, 품질 향상 등의 측면에서는 효과적으로 나타나지만, 비첨단 산업에서의 핵심 니즈라 할 수 있는 스피드와 원가 절감의 측면에서는 오히려 기업과의 협력이 효과적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에 있어, 비첨단 산업의 기업들이 활발하게 외부 R&D 협력 파트너와 혁신 성과를 추구 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가 정부 지원이라 할 수 있다. 정부 지원은 비첨단 산업의 내부 R&D 역량을 강화 시키고, 외부 R&D 협력 채널과의 연계 작업을 통해 혁신 성과로 연결시켜주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첨단 산업은 정부 지원을 활용하여, 내부 R&D 역량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R&D의 기능을 대학 및 연구기관, 기업 등의 외부 R&D 채널과의 협력을 정부 지원을 활용하여 생산 시간 단축과 원가 절감으로 혁신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본 연구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첫째, 내부 R&D 역량, 외부 R&D 협력, 정부 지원 활용과 혁신 성과간의 관계를 첨단 산업과 비첨단 산업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산업별로 혁신 성과에 기여하는 주요 자원과 혁신 성과 창출 경로를 분석하였다. 둘째, 정부 지원 활용이 공공 연구기관과의 R&D 협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는 산업의 첨단성에 관계없이 나타났지만, 비첨단 산업의 기업들의 정부 지원 활용이 내부 R&D 역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비첨단 산업의 내부 R&D 역량에도 기업과 정부의 관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기업들이 현재 자사가 혁신 성과 창출을 위해 집중해야 할 자원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시 유용한 정보로

Page 20: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19

사용할 수 있도록 주요 자원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서, IT, BT, NT 산업 등이 속한 첨단 산업 내 기업들은 내부 R&D 예산을 늘리며, R&D 인력을 보강하는 등의 내부 R&D 역량 강화에 비중을 두어야 하며, 가구, 고무, 기계 제조 등 비첨단 산업의 기업들은 정부 지원 정책을 활용하여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R&D 협력을 강화하고, 집중하는 것이 혁신 성과 창출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내부 R&D 역량은 무시되어서는 안되고, 정부 지원을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으며, 외부 R&D 협력의 성과를 흡수하는 수준까지의 역량 강화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부 정책 담당자들에게는 혁신 성과 창출을 위해 어떠한 성격의 정부 지원이 혁신 성과 창출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정부 지원 정책에 있어 정부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해 줄 수 있다. 즉, 정부는 제조 산업의 기업들에 대하여 서로의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협력의 장’을 펼쳐 주어 기업과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시너지 창출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혁신 성과 창출에 효과적이며, 이와 함께 정부 지원 활용에 미흡한 비첨단 산업의 기업들에게 외부 R&D 협력 지원 정책과 함께, 내부 R&D 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다각화된 측정 지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지원(정부 구매, 기술정보 제공, 정부 사업 참여 등), 혁신 성과(원가 절감, 시장 점유율, 제품 다양화 등), 외부 R&D 협력(공급사, 경쟁사 등)에 대한 다양한 변수가 존재했으나, 구성 개념(Construct)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측정 변수를 제한하였다.

둘째, 첨단 산업과 비첨단 산업의 구분상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atzichronoglou(1997)의 OECD 보고서를 바탕으로 첨단 산업과 비첨단 산업을 구분하였으나, 최근 산업간의 융·복합화 추세, 단일 기업 내 첨단 사업군과 비첨단 사업군의 동시 운영, 그리고 동종 산업 내에서도 첨단 산업 기업과 비첨단 산업 기업의 존재 등을 이유로 기술 수준에 따른 명확한 산업 구분에 대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통한 연구 결과 검증 과정에 있어, 첨단 산업을 주로 글로벌 대기업을, 비첨단 산업은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이 되었기에, 기업 규모에 따른 비대칭성이 존재, 인터뷰 결과 내용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Page 21: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20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參考文獻>

황덕란, 최영환, 김미영, 문정훈. “온라인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쇼핑 동기와 감정이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구매경험자와 잠재구매자간의 차이 분석,”「경영연구」, 제22집 제2호,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pp.347-375.

Alegre, J., Lapiedra, R., Chiva, R. “A Measurement Scale for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9, No.4, 2006, pp.333-346.

Amara, N., Landry, R., Becheikh, N., Ouimet, M, “Learning and Novelty of Innovation in Established Manufacturing SMEs,” Technovation, Vol.28, No.7, 2008, pp.450-463.

Bagozzi, R.,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1988, pp.74-94.

Bayona, C., Garcia-marco, T., Huerta, E. “Firms’ Motivations for Cooperate R&D: An Empirical Analysis of Spanish Firms,” Research Policy, Vol.30, No.8, 2001, pp.1289-1307.

Becker, W., Dietz, J.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 : Evidence for the German Manufacturing Industry,” Research Policy, Vol.33, No.2, 2004, pp.209-223.

Belderbos, R., Carree, M., Lokshin, B. “Cooperative R&D and Firm Performance,” Research Policy, Vol.33, No.10, 2004, pp.1477-1492.

Bougrain, F., Haudeville, B. “Innovation, Collaboration and SMEs Internal Research Capacities,” Research Policy, Vol.31, No.5, 2002, pp.735-747.

Branstetter, L., Sakakibara, M. “Japanese Research Consortia : A Microe- conometric Analysis of Industrial Policy,”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Vol.46. No.2, 1998, pp.207-233.

Cabral, L. B. “R&D Cooperation and Product Market Competition,” Industrial Organization, Vol.18, No.7, 2008, pp.1033-1047.

Page 22: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21

Chandy, R. K., Tellis, G. J. “The Incumbent’s Curse? Incumbency, Size, and Radical Product Innovation,” The Journal of Marketing, Vol.64, No.3, 2000, pp.1-17.

Chiang, Y. H., Hung, K. P. “Exploring Open Search Strategies and Perceived Innovation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 organizational Knowledge Flows,” R&D Management, Vol.40, No.3, 2010, pp.292-299.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Quarterly, Vol.22, No.1, 1998, pp.7-16.

Cohen, W., Levinthal, D.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 No.1, 1990, pp.128-152.

Czarnitzki, D., Ebersberger, B., Fier, A.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ollaboration, Subsidies and R&D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Finland and Germany,”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Vol.22, No.7, 2007, pp.1347-1366.

Deshpande, D., Farley, J. U., Webster, F. E. Jr. “Corporate Culture, Customer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in Japanese Firms: A Quadrad Analysi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1993, pp.23-37.

Dutta, S., Narasimhan, O., Rajiv, S. “Success in High-technology Markets: Is Marketing Capability Critical?,” Marketing Science, Vol.18, No.4, 1999, pp.547-568.

Fornell, C., Larcker, D.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1981, pp.39-50.

Frishammar, J., Horte, S. A. “Managing External Information in Manufacturing Firms: The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2, No.3, 2005, pp.251-266.

Page 23: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22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Griliches, Z., Regev, H. An Economic Evaluation of High-tech Policy in Israel, Washington D.C : ATP-Conference, 1998.

Guellec, D., Potterie, B.P. “Does Government Support Stimulate Private R&D?,” OECD Economic Studies, No.29, 1997, pp.95-122.

Hagedoorn, J. “Understanding the Rationale of Strategic Technologies Partnering : Interorganizational Modes of Cooperation and Sectoral Differen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4, No.5, 1993, pp.371-385.

Hatzichronoglou, T. Revision of the High-technology Sector and Product Classification, OECD STI Working Papers, 1997.

Hill, C. W. L., Snell, S. A. “External Control, Corporate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in Research Intensive Industri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9, No.6, 1998, pp.577-590.

Hsu, C. W., Chiang, H. C. “The Government Strategy for the Upgrading of Industrial Technology in Taiwan,” Technovation, Vol.21, No.2, 2001, pp.123-132.

Hulland, J. “Use of Partial Least Squares(PLS)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A Review of Four Recent Studi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0, No.2, 1999, pp.195-204.

Kochhar, R., David, P.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 Innovation : A Test of Competing Hypothes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7, No.1, 1996, pp.73-84.

Laursen, K., Salter, A.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7, No.2, 2006, pp.131-150.

Lichtenthaler, U. “Outbound Open Innovation and Its Effect on Firm Performance : Examining Environmental Influences,” R&D Management, Vol.39, No.4, 2009, pp.317-330.

Love, J. H., Mansury, M. A. “External Linkages, R&D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US Business Services,” Industry and Innovation, Vol.14, No.5, 2007, pp.477-496.

Page 24: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제조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123

Lukas, B. A., Ferrell, O. C.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2, 2000, pp.239-247.

Mention, A. L. “Co-operation and Co-opetition as Open Innovation Practices in the Service Sector : Which Influence on Innovation Novelty?,” Technovation, Vol.31, No.1, 2011, pp.44-53.

Moore, I., Garnsey, E. “Funding for Innovation in Small Firms: The Role of Government,” Research Policy, Vol.22, No.5-6, 1993, pp.507-519.

Nieto, M. J., Santamaria, L. “The Importance of Diverse Collaborative Networks for the Novelty of Product Innovation,” Technovation, Vol.27, No.6-7, 2007, pp.367-377.

OECD.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Oslo Manual 3rd Edition, 2005.

Prajogo, D., Ahmed, P. K.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on Stimulus, Innovation Capac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R&D Management, Vol.36, No.5, 2006, pp.499-515.

Roberts, P. W. “Product Innovation, Product-Market Competition and Persistent Profitability in the U.S. Pharmaceutical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0, No.7, 1999, pp.655-670.

Romijn, H., Albaladejo, M.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Electronics and Software Firms in Southeast England,” Research Policy, Vol.31, No.7, 2002, pp.1053-1067.

Saez, C. B., Marco, T. G., Arribas, E. H. “Collaboration in R&D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res : An Empirical Study of Spanish Firms,” R&D Management, Vol.32, No.4, 2002, pp.321-341.

Salomo, S., Weise, J., Gemunden, H. G. “NPD Planning Activ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Process Man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Innovativeness,” Th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24, No.4, 2007, pp.285-302.

Page 25: 기업의 R&D 자원과 혁신 성과의 구조적 관계 · 2015-12-29 · 혁신 성과란 기업, 시장, 또는 산업 내에서 최초에 속하는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124 POSRI경영경제연구 제13권 제1호 2013

Shan, W., Walker, G., Kogut, B. “Interfirm Cooperation and Startup Innovation in the Biotechnology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5, No.5, 1994, pp.387-394.

Tatikonda, M. V., Rosenthal, S. R. “Technology Novelty, Project Complexity, and Product Development Project Execution Success : A Deeper Look at Task Uncertainty in Product Innovation,”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47, No.1, 2000, pp.74-87.

Thompson, V. “Bureaucracy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0, No.1, 1965, pp.1-20.

Wang, C. H., Lu, I. Y., Chen, C. B. “Evaluating Firm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under Uncertainty,” Technovation, Vol.28, No.6, 2008, pp.349-363.

Yam, R. M., Guan, J. C., Pun, K. F., Tang, E. Y. “An Audi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Chinese Firms : Some Empirical Findings in Beijing, China,” Research Policy, Vol.33, No.8, 2004, pp.1123-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