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Ph. D. HU 심리학 이해 10주차 - 사회 속의 개인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심리학 이해

10주차 - 사회 속의 개인

Page 2: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자아의 구성 요소

사회 속의 개인 2

구성요소

제임스(1890)

• 물리적 자아: 신체, 재산 등과 같은 물질적 요소

• 사회적 자아 : 사람들이 나에 대해가지는 인상이나 평가의 요소

• 정신적 자아: 개인의 성격, 취향, 정서등과 같은 주관적인 요소

마커스와 누리우스(1986)

• 현실자아: 현재의 자신에 대한 개념• 가능자아: 미래의 자신에 대한 개념,개인적인 목표

Page 3: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자아개념의 근원

사회 속의 개인 3

근원

쿨리(1902)• 거울 속에 비친 자기 (Looking-glassself): 중요한 타인이 자신에게 하는 행동을 통해서 자기개념을 형성.

페스팅거(1954)

• 사 회 비 교 이 론 (social comparisontheory): 자신의 능력 수준과 태도의 정당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자신과 유사한 다른 사람과 비교.

Page 4: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자아의 기능

사회 속의 개인 4

기능

자기참조효과(self-referencing effect)

사람들은 자신과 관련된 정보에 훨씬 더 관여하고 더 민감하게 반응.

자기중심적 사고사람들은 자기와 관련된 정보를 중시하고 다른 사람들도 자기처럼 생각할 것이라고 생각.

Page 5: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귀인이론

존스(Jones): 대응추리이론(correspondent inference theory: Jones & Davis, 1965)

특정 행위를 통해 행위자의 내적인 특성을 추론

행위의 사회적 바람직성

정직한 행위: 행위자가 정직한 사람이이거나 사회적 요구 때문에

부정직한 행동: 행위자의 부정직한 성격

사회 속의 개인 5

Page 6: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귀인에서의 편향들

사회 속의 개인 6

기본적 귀인 오류(fundamentalattribution error)

다른 사람의 행동 할 때 성향적 혹은 내적요인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성.

행위자-관찰자 효과(actor-observereffect)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성향적인 요인에 귀인하는 반면, 자신의 행동은 상황적인 요인에 귀인하는 경향.

이기적 편향(자기본위적 편향)(self-serving bias)

자신의 집단이 긍정적인 행동을 행한 경우에 내적 귀인하고, 다른 집단이 한 경우에는 외적 귀인한다.

Page 7: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태도의 3요소

사회 속의 개인 7

구성요소 내용 예시

인지적 요소 태도 대상에 대한 지식, 신념들 “담배는 폐암을 일으킨다.”

정서적 요소 태도 대상에 대한 감정 및 평가 “담배는 나쁘다.”

행동적 요소 태도 대상에 대한 반응준비성 및 행동의도 “스스로 금연을 실천한다.”

보수 진보

Page 8: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태도의 형성

고전적 조건형성: 어떤 대상 +특정 인지 및 정서

사회 속의 개인 8

Page 9: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태도의 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강화-->행동의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회 속의 개인 9

Page 10: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사회학습: 모방학습 등 간접적인 학습

사회 속의 개인 10

Page 11: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태도의 형성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반복적으로 노출--> 친숙성--> 긍정적인 태도

사회 속의 개인 11

Page 12: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태도의 형성

하이더(Heider, 1958)의 균형이론(balance theory)

사회 속의 개인 12

Page 13: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태도의 변화

사회 속의 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사람들이 자신의 태도와 불일치하는 행동을 했을 때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부조화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태도를 변화시킨다.

자기지각이론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태도를 추론한다.

합리적 설득 모형

의사전달자: 전문자로서의 신빙성이 높고, 신뢰할 만하고고상한 사람이 설득력 높음.

메시지: 상위, 양방적/일방적 주장, 두려움의 효과.

청중: 지적 능력 및 자존감, 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법 및 면전의 문 기법.

Page 14: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인지부조화이론

부조화 감소 방안① 행동변화: 백화점에서 산 물건이 맘에 안 들면 교환한다.

② 태도변화: 남편이 마음에 안 들지만 친구 남편보다는 낫다며 참고 산다.

③ 불일치의 중요성 격하: 부조화의 의미를 감소시킴.

(예) 흡연의 해독에 대해 금연을 하며 받게 되는 스트레스보다는낫다고 생각한다.

④ 조화인지 추가: (예) 해병대에 입대하는 반전주의자가 강력한 군대가 있어야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예) 종말론자의 휴거예언이 빗나갔을 때, 하느님이 우리의 기도를들어주셨다.

사회 속의 개인 14

Page 15: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인지부조화이론

cognitive dissonance theory (Festinger, 1957)Festinger & Carlsmith(1959)의 실험(불충분 정당화)

피험자에게 벽돌쌓기와 같은 지겨운 단순 과제를 30분 동안 시

킨 다음, 대기 중인 다른 피험자에게 재미있다고 말하게 하고 그

대가로 1$ 또는 20$을 줌. → 며칠 후 과제에 대한 태도 질문을

한 결과, 1$을 받은 피험자들만이 태도를 바꿔 재미있다고 대답

했다.

왜냐하면 20$ 받은 자들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할 만한 외부요

인( 조화인지로 작용한다)이 있어 인지부조화가 크지 않으나,

1$ 받은 자들은 정당화 거리가 불충분하므로 내부로 정당화하여

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부조화를 감소시킬 수밖에 없었다

사회 속의 개인 15

Page 16: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자기지각이론

self-perception theory

Bem(1969)에 의하면 사람들은 여러 대상이나 쟁점들에대해 명확한 태도를 지니지 않은 채 모호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자신의 행동과 그 행동이 일어난 상황으로부터 추론하여 자신의 태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이론은 인지일관성 기제를 부정하고, 자신의 행동과 상황을 관찰해서 합당한 태도를 추론한다는 귀인이론적입장을 취하고 있다

사회 속의 개인 16

나는오렌지를좋아하구나

Page 17: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두 이론의 비교

대부분 두 이론은 해석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결론적으로 동일한 예언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각 이론이 더 설명력이 있는 조건이 있다.

인지부조화이론과 자기지각 이론의 비교① 인지부조화이론은 자신의 태도가 분명한 경우, 원래의 태도가

현저히 부각되는 경우, 더 논쟁적이고 자기에게 중요하여 관여수준이 높은 주제들에 잘 적용된다.

② 자기지각이론은 어떤 대상이나 쟁점에 대하여 태도가 형성되지않았거나 태도가 불분명한 경우 또는 사소하고 처음으로 당면한주제들에 잘 적용된다.

사회 속의 개인 17

Page 18: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합리적 설득모형

의사전달자(communicator)신빙성이 높고(credible)

신뢰할 만하고(trustworthy)

고상한 사람

사회 속의 개인 18

Page 19: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합리적 설득모형

메시지(message)의사전달자의 메시지와 청중의 태도 간의 차이(상위;discrepancy)의 적절함

중간 정도의 상위에서 태도변화가 가장 크고, 의사전달자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이 상위의 크기가 증가함

양방적/일방적 주장

의사전달자의 태도에 공감하는 청중들에게는 일방적 메시지가 태도의 강도를 증가

의사전달자의 태도에 반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청중에게는 양방향적인 메시지

두려움의 효과(fear appeal)

사회 속의 개인 19

Page 20: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합리적 설득모형

청중(audience): 지능, 자존감?

자존감 수준이 중간 정도인 사람의 태도변화가 가장 크다(Rhodes & Wood, 1992).

발 들여놓기 기법(foot-in-the-door technique)--A

면전의 문 기법(door-in-the-face technique)--B

사회 속의 개인 20

A: 1만원만 yes .... 5만원만

B: 100만원만 그럼 5만원만

Page 21: 심리학이해 - KOCWelearning.kocw.net/KOCW/document/2015/chungang/husungho1/10.pdfph. d. hu 태도의변화 사회속의개인 13 인지부조화이론 사람들이자신의태도와불일치하는행동을했을때심리

Ph. D.

HU

감사합니다.

사회 속의 개인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