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시각장애인의 자립생 영향요인에 관한 연 - 전의 시각장애인연합원을 대상으로 - 연세대학 사복대학원 사복학전공

전국의 시각장애인연합회원을 대상으로 file김김김김동동동동기기기기의의의의 석 석석석사사사사 학 학학학위위위위논논논논문문문문을을을을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영영영영향향향향요요요요인인인인에에에에 관관관관한한한한 연연연연구구구구

- 전국의 시각장애인연합회원을 대상으로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김 동 기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영영영영향향향향요요요요인인인인에에에에 관관관관한한한한 연연연연구구구구

- 전국의 시각장애인연합회원을 대상으로 -

지도 이 익 섭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5년 1월 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전공

김 동 기

김김김김동동동동기기기기의의의의 석석석석사사사사 학학학학위위위위논논논논문문문문을을을을 인인인인준준준준함함함함

심심심심사사사사위위위위원원원원 인인인인

심심심심사사사사위위위위원원원원 인인인인

심심심심사사사사위위위위원원원원 인인인인

연연연연세세세세대대대대학학학학교교교교 사사사사회회회회복복복복지지지지대대대대학학학학원원원원

2222000000005555년년년년 1111월월월월 일일일일

감감감감사사사사의의의의 글글글글

“여여여여호호호호와와와와는는는는 나나나나의의의의 목목목목자자자자시시시시니니니니 내내내내가가가가 부부부부족족족족함함함함이이이이 없없없없으으으으리리리리로로로로다다다다.

그가 나를 푸른 초장에 누이시며 쉴만한 물가로 인도하시는도다.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베푸시고

기름으로 내 머리에 바르셨으니 내 잔이 넘치나이다.

나의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정녕 나를 따르리니

내내내내가가가가 여여여여호호호호와와와와의의의의 집집집집에에에에 영영영영원원원원히히히히 거거거거하하하하리리리리로로로로다다다다.... “

시편 23편

되돌아보면 지난 2년의 시간이 그 어느 것 하나 하나님의 계획과 간섭 안에 거

하지 않은 일들이 하나도 없음을 다시 한번 깨닫고 고백하게 됩니다.

제 평생의 은사님이신 저희 선생님을 만나 뵙게 된 것도, 언제나 날카로운 지성

과 자상한 눈길로 보듬어 주신 강철희 선생님을 뵙게 된 것도, 늘 따뜻함과 친절

로 저를 대해 주신 김경미 선생님을 뵙게 된 것도, 그리고 연세사회복지대학원에

계신 모든 선생님들을 뵙게 된 것, 그 어느 것 하나 빠짐없이 모두 하나님의 계획

과 간섭 안에 있었던 일임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가슴 벅

찬 하나님의 사랑하심에....그리고 선생님들의 가르치심에....

그리고 사회복지라는 이름으로 알고 만나게 된 모든 연세사회복지인들, 정말로

느낍니다. 제 평생지기로 같이 사회복지를 치열하게 고민하고 함께 나눌 소중한

재산으로서의 동료요, 선배요, 후배임을.....

마지막으로 어머니. 감사드립니다. 못난 막내아들이 정말 보잘 것 없는 글이지만

어머님께 드립니다. 앞으로도 어머니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아들로서, 그리고

늘 어머님이 말씀하시던 돌아가신 아버님의 아들로서 부끄러움 없이 떳떳하게 살

아가겠습니다.

늘 언제나 건강하셔야 해요. 어머니.....

2005년 1월

연희관 석박연구실에서 김동기

- i -

목목목목 차차차차

국국국국문문문문요요요요약약약약 ································································································································································································································································································································································································································································································································ⅤⅤⅤⅤ

제제제제1111장장장장 서서서서 론론론론 ············································································································································································································································································································································································································································································································11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목적 ···················································································································6

제제제제2222장장장장 이이이이론론론론적적적적 배배배배경경경경 ································································································································································································································································································································································································································································7777

제1절 자립생활 ···················································································································7

1. 재활 ····························································································································7

2. 자립생활 ··················································································································10

3. 재활에서 자립생활패러다임으로의 전환 ··························································17

제2절 생태체계적 요인과 자립생활 ·············································································21

1. 생태체계적 관점 ···································································································21

2. 자립생활과 생태체계적 관점 ·············································································22

3.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24

제제제제3333장장장장 연연연연구구구구방방방방법법법법 ················································································································································································································································································································································································································································································22228888

제1절 연구내용 ················································································································28

1. 연구모형 ·················································································································28

2. 연구문제 및 가설 ·································································································30

제2절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32

1. 독립변수 ·················································································································33

2. 종속변수 ·················································································································35

3. 통제변수 ·················································································································37

제3절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8

- ii -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39

제5절 연구의 제한점 ······································································································40

제제제제4444장장장장 연연연연구구구구결결결결과과과과 ················································································································································································································································································································································································································································································44441111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1. 인구사회학적 특성 ·······························································································41

2. 장애 특성 ···············································································································45

제2절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46

1. 자립생활 수준 ·······································································································47

2. 하위차원별 자립생활 수준 ·················································································47

제3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립생활 수준 ················································54

1. 성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4

2. 연령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5

3. 월평균 소득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5

4. 직업유무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7

5. 거주지역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8

6.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8

7. 장애등급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9

8. 장애지속 기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60

제4절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2

1. 주요 독립변수 기술 분석 ···················································································62

2. 주요 독립변수와 자립생활과의 관계 ·······························································63

3.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

제5절 가설검증 ················································································································74

1. 개인체계요인과 자립생활 ···················································································74

2. 가족체계요인과 자립생활 ···················································································74

3. 사회체계요인과 자립생활 ···················································································75

- iii -

제제제제5555장장장장 결결결결론론론론 및및및및 제제제제언언언언 ················································································································································································································································································································································································································································7777666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76

1.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7

2. 지각된 통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7

3.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7

4. 신체적 기능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8

제2절 사회복지적 함의 ··································································································79

1. 실천적 함의 ···········································································································79

2. 학문적 함의 ···········································································································81

제3절 제언 ························································································································81

1.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향상을 위한 단기방안 ·············································81

2.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향상을 위한 중장기 방안 ·······································81

3.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82

참참참참고고고고문문문문헌헌헌헌 ····································································································································································································································································································································································································································································································································88884444

부부부부 록록록록 ····································································································································································································································································································································································································································································································································99990000

AAAAbbbbssssttttrrrraaaacccctttt ································································································································································································································································································································································································································································································································111100000000

- iv -

<<<<표표표표 목목목목 차차차차>>>>

<표 2.1> 재활과 자립생활 비교 ························································································19

<표 3.1> 측정도구 내용 및 구성 ······················································································32

<표 3.2> 표본추출 조사지역 비율 및 표본 수 ······························································38

<표 4.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3

<표 4.2> 조사대상자의 장애특성 ······················································································46

<표 4.3> 자립생활 수준 ······································································································47

<표 4.4> 지각된 통제수준 ··································································································48

<표 4.5>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 ························································································49

<표 4.6> 이동 및 신체적 활동수준 ··················································································50

<표 4.7> 손재주 수준 ··········································································································51

<표 4.8> 사회적 활동 수준 ································································································52

<표 4.9> 일상생활 활동 수준 ····························································································53

<표 4.10> 성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4

<표 4.11> 연령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5

<표 4.12> 월평균 소득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6

<표 4.13> 직업유무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7

<표 4.14> 거주지역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58

<표 4.15>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 여부에 따른 수준 ····················································59

<표 4.16> 장애등급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60

<표 4.17> 장애지속 기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61

<표 4.18> 주요 독립변수의 기술 분석 ············································································63

<표 4.19> 주요 독립변수와 자립생활과의 관계 ····························································65

<표 4.20>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72

<<<<그그그그림림림림목목목목차차차차>>>>

<그림 3.1> 연구모형 ············································································································30

- v -

국문요약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영영영영향향향향요요요요인인인인에에에에 관관관관한한한한 연연연연구구구구

-전국의 시각장애인연합회원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영향요인을 생태체계적 관

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체계, 가족체계 그리고 사회체계로 구분하였고, 개인체계에

는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가, 가족체계에는 가족지지가, 사회체계에는 사회적지지,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복지서비스 이용정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은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 그리고 이상 세 개

의 하위차원의 합인 전체자립수준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총 125명으

로 전국을 6대 광역권으로 구분하여 등록시각장애인의 비율대로 할당 표집하였

으며, 조사는 전화조사를 통해 실시되었고, 조사기간은 2004년 11월 20일부터 12

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자립생활은 M=3.3489(

SD=.3272)로 나타났고, 각각 하위차원의 전반적인 수준은 지각된 통제의 경우

M=3.3248(SD=.4699), 심리적 자기의존은 M=3.2140(SD=.4553), 신체적 기능은

M=3.5078(SD=.4119)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이 높고, 특히 신체적 기능 수준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우선 전체

자립생활 수준의 경우, 자존감과 장애수용 정도 그리고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시각장애

인의 전체 자립생활 수준이 높았고, 반대고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높을수록 시각장

애인의 전체 자립생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각된 통제의 경우, 정보

- vi -

접근의 어려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높

을수록 시각장애인의 지각된 통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자기의존

의 경우, 자존감과 장애수용 정도 그리고 정보접근의 어려움 등이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시각장애인의 심리

적 자기의존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 시각장애인의 심

리적 자기의존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기능의 경우, 모든 독립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향상을 위한 단기방안으로는 자존감과 장애수

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시각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의 개선을 들 수 있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향상을 위한 중장기 방안으로는 전달체계의

전환이다. 즉, 기존의 장애인복지관을 비롯한 시설들은 기본적인 의료 및 직업재

활을 수행해야 하며,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서비스 및 정책은 자립생활 센터를 통

해 장애인당사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용어: 시각장애인, 자립생활, 생태체계적 관점

- 1 -

제제제제1111장장장장 서서서서론론론론

제제제제1111절절절절 연연연연구구구구의의의의 필필필필요요요요성성성성

장애인복지가 변화하고 있다. 장애인복지 관련법의 개정이나 장애범주의 확대 등

국내의 환경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기존의 의료적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복지로

부터 환경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김미옥,2003). 즉, ‘개별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장애의 개념적 모델에 대한 변화1), ‘ICIDH’에서 ‘ICF’로의 장애

개념에 대한 변화2)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장애에 대한 이와 같은 변화의 공통점은 개인이 지닌 장애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적 요인을 중요시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변화와 맥을 같이하는 또 다른 변화

의 흐름이 바로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 즉,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이다.

패러다임(paradigm)이란, 어느 과학자 사회의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는 신념, 가

치, 기술 등을 의미하며(Kuhn,1999), 이를 장애에 적용하여 다시 한번 재정의 내린

다면, ‘장애패러다임’이란, 장애의 세계를 바라보는 실무자나 연구자들의 개별적인

관점을 의미한다(Dejong,1981). 즉, 장애문제의 소재가 어디에 있으며, 장애문제를

어떻게 개입할 것인 지 등에 대한 장애전문가들의 개별적인 관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장애패러다임(paradigm)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장애인에

1)개별적 모델은 장애의 개인적 비극이론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의료전문가에 의한 개별적 치료라는형태의 의료적 보호를 해결책으로 제시하며, 장애관리의 초점을 개인의 보다 나은 적응과 행위의 변화에 둔다. 반면, 사회적 모델은 장애는 개인에게 귀속된 것이 아니고 사회적 환경에 의해 창조된조건들의 복잡한 집합체로서, 장애의 문제를 관리,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행동(Social Action)을필요로 한다(권유경,2001).

2)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는 의료적 분류에 따른 장애분류로서, 장애는 개인적 특질인 기능장애(Impairment), 기능장애로 인한 능력 장애(Disability), 그리고 능력 장애의 사회적 결과인 사회적 불리(Social handicap)로 분류된다.(이정환 외,2002) 이는 주로 의학적 관점에서 행해졌고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는 환경적 요인을 간과하였다(권도용,2001). 반면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는장애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장애분류로서, 상황적 요인이 각 구성요소의 관계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에도 영향을 미치며, 장애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용어를사용한 것이다(김미옥,2004).

- 2 -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형성한다는 것은 사회가 장애인을 가치 있는 존재로 본다

는 것이며, 반대로 부정적으로 여긴다는 것은 장애인이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가지지 못했음을 뜻하기 때문에(김용득,1999) 사회에서 장애를 바라보는 시

각이 장애인들의 사회적 지위와 그들의 실제 삶의 모습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1970년대를 전후로 미국을 중심으로 장애패러다임에서 획기적인 변화의 바람이

일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바로 재활패러다임에서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이

하 IL이라함)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다. 전자의 경우, 문제는 장애인 개인에게 있으

며, 변화되어야 할 것은 장애인 바로 개인이다. 그리고 장애인은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혹은 직업재활 상담가의 지시나

조언에 따라야 하며, 장애인은 ‘환자’나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되

었다. 반면, 후자의 경우, 문제는 장애인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재활패러다임

이 제시하고 있는 문제 해결방법, 즉 의사 대(versus) 환자 또는 전문가 대(versus)

클라이언트라는 의존적인 관계에서 문제의 해결방법을 찾는 그 자체가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재활을 해결책으로 보지 않고, 문제의 일부로 보며, 문제가 장애인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재활과정 및 물리적 환경과 전반적인 사회적 통제기

제(control-mechanism)를 포함하는 환경에 있다는 것이다. 이런 패러다임 속에서

장애인의 역할은 위와 같이 ‘환자(Patients)’ 또는 ‘클라이언트(Clients)’가 아니라

소비자(The Consumer Role)이다(Dejong,1981).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은 새로운

사고와 삶의 방식이 도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이익섭,2000) 따라서 장애에

대한 사회 및 장애인 개인의 새로운 사고방식과 그 결과로서의 장애인들의 새로

운 삶의 방식이 도래해야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IL'이란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

현은 비장애인에 대해 언제나 사회적 약자로 자리매김 되었던 장애인의 사회적

지위를 비장애인과 동등한 관계로 격상시켜 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IL의 근원지인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전후를 기점으로 IL의 이념, 철학 및 원칙

에 관한 연구(Salvayon,1979; Parham,1983; Brisenden,1986 등), IL Programs 및

Skills에 관한 연구(Currie-Gross,1980; Williams,1981; Scharff,1984; Iceman,1984;

Genskow,1988; Nosek,1992 등), 자립생활센터(Center for Independent Living:이하

- 3 -

CIL이라 함)에 관한 연구(Nosek,1992; Marini,1994; Smith,1994; White,1996 등), 자

립생활 척도(Independent Living Scales)에 관한 연구(Loeb,1983; Dunlap,1987

;Searight,1991 ;Loeb,1996 등)등 연구가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IL이 1990년대에 소개되었을 정도로 IL이 서구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게 도입되었다. 따라서 이로 인해 IL에 대해 진행되어 온 연구의 내용과

방법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장애인의 IL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

면, 지체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연구(정은주,1998; 김은희,1999; 이경혜,2000; 이주

용,2002; 김순곤,2002 등), 정신지체장애인에 관한 연구(오혜경 외,2000), 청각 및 시

각장애인 자립에 관한 연구(정원일,2004), 그 외에 생활시설 장애인의 IL프로그램

에 관한 연구(최영광,2000), 장애인복지관에서의 자립생활에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김동호,2000), 장애인 IL을 위한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정민숙,1999) 등이 있다. 위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연구의 내용이 외국의 경우처럼 IL의 이념과 철학, CIL, IL

Skills 및 Scales 등 다양하지 못하고, 대부분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런 유형의 연구에 있어서 연구의

대상이 대부분 지체장애인에 한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IL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전 장애영역 포함’(Cross-Disability)3)

을 반영하여 하고자 그동안 지체장애인에 국한되어 진행된 기존의 연구에서 탈피

하여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지금까지 진행된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경우, 제한된

지역 내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투망식(a casting-net)으로 나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로인해 연구결과를 일

반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

3)자립생활서비스 모델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공통된 지원 서비스를 강조하고있다는 점이다. 어림잡아 3천5백만에서 3천6백만 가량의 장애인이 있는 미국 내에서 장애인복지서비스의 인위적이고 관료적인 파편화를 막고자 하는 이 같은 철학적 선언은 매우 돋보이는 내용이다. 전 장애영역에 대한 이 같은 강조는 지체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에서 나오는 다양한 욕구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특별한생활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욕구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과도 관련된 것이다(Mary, Ann. 1988).

- 4 -

한 연구모형을 제시함에 있어서 이론에 기반 한(theory-based) 체계적인 연구모형

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IL의 연구대상을 전국

의 시각장애인으로 확대시켜 이들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

(eco-system perspective)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시각장

애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Bronfenbrenner의 생태학

모형을 기초로 한 네 가지의 환경체계(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를 좀

더 단순하게 세 가지의 환경체계(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로 모형화 시킨

Kemp(1998)의 모델을 근간으로, 본 연구의 의도에 맞게 재구성 하였다.

본 연구에 생태체계적 모형을 적용한 목적과 연구대상을 시각장애인으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생태체계적 모형을 적용한 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위에

서도 언급했듯이 이론에 기반한 연구모형의 제시이며, 둘째, 시각장애인의 IL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애특성처럼 바꿀 수 없는 불변의

요인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복지적 개입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심

리․사회 및 환경적 차원의 요인들에 보다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시키기 위함

이다. 즉 환경 속의 인간4)(PIE: Person In Environment)으로서 시각장애인의 자립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각장애인 개인이 변화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

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대상으로 지체장애인을 제외한 나머지 14가지5) 장애유형 중 시각

장애인을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도 중증지체장애인과 더불

어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물리적 접근성이 떨어져 이동상의 제한정도가 높고 이

로 인해 취업 및 사회활동이 제한되며(이익섭,2003), 둘째, 시각장애인이 안마 및

4)인간과 환경을 분리된 실체가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실체로 이해하는 관점으로서, 사회복지전문직에서는 인간과 환경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영역에 초점을 두고 양자간의 상호교환을 통하여 어떤일이 진행되고 있는 가에 관심의 초점을 둔다.(김동배, 2001)

5)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 조에 의하면 장애의 종류는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된다2 , .

신체적 장애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와 내부기관의 장애가 있는 데 외부 신체기능 장애에 속하는 장,

애로는 지체장애 뇌 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등이 있고 내부기관 장애에, , , , , ,

속하는 장애로는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 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요루 장애 간질장애 등이 있다 그리, , , , , .

고 정신작 장애에는 정신지체 정신장애 발달장애 등이 있다 따라서 현행 장애인복지법상 법정 장애, , .

종류는 총 가지임을 알 수 있다15 .

- 5 -

침술 업을 통해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상태가 좋다는 잘못된

편견이 있는 데6), 시각장애인의 경제적 상태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2000년 장애인실태조사(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장애인이 느끼

는 경제적 곤란정도에 있어서, 전체 장애인의 60.4%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느끼

고 있는 반면, 시각장애인은 70.2%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나 시각장애인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7).

본 연구는 타 장애유형에 비해 지역사회참여 및 활동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경제

적 상태가 열악한 시각장애인의 IL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냄

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성공적으로 실천

하여 궁극적으로 지역사회로의 사회통합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도 및 정

책적 차원에서의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6)2001년 시각장애인 실태조사(한국 시각장애인 연합회)에 의하면, 시각장애인 직종의 경우, 안마업이 전체의 9.6%에 불과하다.

7)재가 취업 장애인의 월평균소득의 경우, 신장장애인 101.0만원, 뇌병변 장애인 89.6만원, 지체장애인85.9만원 그리고 전체 재가 취업 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이 79.2만원1)인 반면, 시각장애인의 월평균 소득은 79.1만원으로 나타났다(보건사회연구원, 2000 장애인실태조사).

- 6 -

제제제제2222절절절절 연연연연구구구구의의의의 목목목목적적적적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완전한 사회통합에 기여

하는 것이다. 즉, 시각장애인이 정상적인 지역사회 안에서 가치 있는 방법에 의해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문형표,1994) 사회복지적 개입의 방향 및 대안을 제

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수단적 목적으로서 시각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도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이처럼 IL을 위한 서비스, 제도 및 정책관련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

하기 위해, 우선 전국 시각장애인들의 IL실태를 살펴보고, 시각장애인의 IL에 긍정

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시각장애인들의 IL실태를 지각된 통제(Perceived

Control), 심리적인 자기의존(Psychological Self-Reliance),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ing) 이상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Kemp(1998)의 생태학적 모델을

근간으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모형 즉,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에 입각해

서 설명하고자 한다. 각각의 체계가 시각장애인의 IL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단, 기존의 국내연구와는 차별적으로 시각장애인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은 통제변수로 처리하여, 개입할 수 없는 요

인들보다는 사회복지적 개입을 통해 변화 가능한 요인들에 좀 더 초점을 두어 요

인들의 상대적인 설명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IL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

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생활 증진을 위한

효과적이면서도 실현가능한 서비스, 제도 및 정책관련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

시하고자 한다. 즉, 시각장애인 스스로 변화됨과 동시에 시각장애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심리사회적 서비스, 제도 및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

다.

- 7 -

제제제제2222장장장장 이이이이론론론론적적적적 배배배배경경경경

본 장 제1절에서는 'IL'에 대해 첫째, 재활, 둘째, IL(Independent Living), 셋째,

재활패러다임에서 IL패러다임으로의 전환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제2절에서는

'생태체계적 요인과 자립생활'에 대해 첫째, 생태체계적 관점(eco-system

perspective), 둘째, IL과 생태체계적 관점, 셋째,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등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자 한다.

제제제제1111절절절절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IIIInnnnddddeeeeppppeeeennnnddddeeeennnntttt LLLLiiiivvvviiiinnnngggg))))

본 절에서는 첫째, 재활의 개념, 목표 및 제한점 , 둘째, 자립생활의 개념과 원리

및 CIL의 원칙과 제공되는 서비스 , 셋째, 재활패러다임에서 자립생활패러다임으

로의 전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1111.... 재재재재활활활활

자립 및 IL을 살펴보기 전에,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장애관련 이론 또는 패

러다임이 있다. 즉, 그것은 바로 장애인의 재활(Rehabilitation)이다. 왜냐하면, 자립

(Independence)과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은 재활패러다임으로는 중증장애

인에 대해 설명이 불가능한 예외(anomaly)를 설명하고(Dejong,1981), 뿐만 아니라

재활패러다임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중증장애인 관련 사회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제시된 패러다임이기 때문이다. 즉, 중증장애인의 삶의 모습과

문제점들을 설명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 재활패러다임의 한계가 드러나게 되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패러다임이자 실천모델이 IL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IL

의 개념과 원리 및 가치 등을 통해 IL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활의 개

념과 목표를 통해 그것의 한계를 확인하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 8 -

1111))))개개개개념념념념

재활의 어원은 라틴어인 habitas(to make able 혹은 to make fit again)에서 유래

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사회사업사전(1996)에서는 재활을 건강하고

유용한 능력을 되찾거나, 현 상황을 가능한 한 만족스러운 상황으로 복귀시키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런 재활을 돕는 과정은 병원, 사회사업가, 진료소, 학교,

교도소 및 기타 여러 곳에서 이뤄지며, 물리치료, 심리치료, 운동, 훈련 및 생활방

식의 변화 등을 실시한다(이경혜,2000). 또한 미국 헤리티지(American Hertiage)

사전에 의하면 재활(Rehabilitation)이란 “1. 치료나 교육을 통하여 바람직한 건강

과 생활을 회복시키는 것, 2. 바람직한 상태, 기능 또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것, 3.

이전의 특권이나 권리를 회복시키는 것” 등의 개념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사전

적 의미에서 재활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고 바람직한 상태,

기능, 능력, 권리 등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재

활을 의학적,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수단을 동원하고 이를 상호 조정하여 훈련

또는 재훈련을 통하여 장애인의 기능적 능력을 가능한 한 최고수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크루센(Krusen)은 재활을 장애인이 신체적, 심리적, 사회

적 및 직업적으로 정상의 생활을 영위하도록 그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훈련으로 정의하였으며, 루스크(Rusk)는 장애인으로 하여금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및 경제적으로 잠재능력을 최대한 회복시켜 충분

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김익균,2004). 정은주(1998)에

의하면, 재활이란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직업적 잠재능력을 최대한으로 회복시

켜 건전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장애인에 대해 장애이전의 상태로

회복시키려고 노력하는 과정이다.

이상의 정의를 종합해서 볼 때, 재활이란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지닌 장애인의

장애개선 또는 회복을 목표로 치료와 훈련 및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신체

적 기능강화를 위한 일련의 과정임을 알 수 있다. 즉, 재활의 초점이 질환(disease)

처럼 완전히 치유 및 회복이 가능하지 않은 손상(impairment)의 개선에 맞춰져 있

음을 알 수 있다.

- 9 -

2222))))목목목목표표표표 및및및및 제제제제한한한한점점점점

재활의 목표는 재활이 지향하고 있는 이념과 목적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미국에

서의 재활의 이념은 세 가지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 첫째, 모든 국민에게 기회의

균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장애인에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취업

과 함께 국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참여를 준비하게끔 하는 것이며, 둘째,

인간은 전인격적 존재라는 것으로서,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경제

적 부문으로 나뉘어 질 수 없는 하나의 완전한 개인이며, 인간의 개개의 부분은

전체를 형성하는 다른 부분들과 상호작용 한다는 것이고, 셋째, 인간은 독특한 존

재로서, 장애에 대한 심리적, 개인적 반응은 개인에 따라 각기 다르고 어느 누구

도 똑같은 욕구나 잠재능력을 갖지 않으며 개인마다 독특한 요구와 소질, 대처 방

법과 목표가 있다는 것이다(박옥희,2001). 즉 재활의 이념은 장애인도 비장애인처

럼 전인격적 존재이며 독특한 존재로서 비장애인에게 부여되는 동등한 기회가 똑

같이 장애인에게도 부여됨을 지향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재

활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통합으로서 장애인이 교육, 직업, 심리 등을 포함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재활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해서 재활의 목표, 즉 장

애인의 최적의 기능수준을 되찾아 최상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남상만 외,1997)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 재활의 관점에서 보았

을 때 장애를 의미하는 손상(Impairment)은 장애인이 사회로 통합되지 못하는 가

장 주된 이유가 된다. 이런 이유로 재활은 손상을 제거할 목적으로 또는 손상의

심각한 정도를 낮추기 위해 개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활의 개입에서 알 수 있는

것은 근본 관심사가 ‘손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손상을 가진 것은 ‘장애인 당사

자’이고, 손상을 인정하거나 또는 재활하는 것도 장애인 당사자의 의지이다. 재활

은 이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Mackelprang외,1999;이경혜,2000재인용). 즉, 재

활은 손상과 장애인 당사자를 별개로 보고, 장애인 당사자의 의지를 간과했을 뿐

만 아니라, 손상을 질환처럼(disease) 취급하여 훈련과 치료를 통해 극복 가능한

또 다른 유형의 질환으로 바라보았다는 것이다. 둘째, 장애인이 아무리 통합해서

- 10 -

살아가려고 해도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과 결함이 있으면 통합이 어렵게 된다. 특

히 그 국가의 이념과 정책노선 그리고 정책 방향이 어떠하냐에 따라 통합된 사회

의 성패가 가늠될 것이다(김종인,1998). 즉, 재활은 장애를 순전히 장애인 당사자의

책임으로 파악하여, 장애를 극복하게 되면 장애인의 사회통합이 가능하다고 보았

지만, 장애인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가 장애인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인정하

고 받아들이지 않으려한다면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장애극복’이란 재활의 목표만

을 통해서는 달성될 수 없는 것이다.

장애인의 사회통합이란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재활의 목표는 태생적인 제한점

즉, 장애를 장애인 당사자 개인에게 국한된 문제로 취급하여, 장애를 둘러싸고 있

는 제도 및 환경을 등한시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새로운 패러다임이 바로 다음에서 살펴볼 ‘IL’인 것이다.

2222....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IIIInnnnddddeeeeppppeeeennnnddddeeeennnntttt LLLLiiiivvvviiiinnnngggg))))

재활패러다임의 대안으로서 제시된 IL 패러다임을 살펴보기 전에, 한 가지 확인

하고 넘어갈 것이 있다. 즉, ‘Independent'의 의미에 관한 것으로, ’Independent'란

'혼자 살아가는 것(living alone)'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것(living together)'를 의미

한다. 전자는 ’독립‘을 의미하는 것이며, 후자는 ’자립‘을 의미하는 것으로,

’Independent‘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가족을 포함한 사회의 구성원과 떨어져

독립되어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포함한 사회의 구성원과 함께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오혜경(1999)에 의하면 이와 같이 'Independent'를 독립이

라 하지 않고 자립이라 칭함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은 누구도 완전한 독

립생활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은 사회 속에서 사회와 더불어 상호교류와

상호협력, 상호의존, 상부상조를 통해서만이 가능한 것이 우리의 삶이기 때문이다.

장애인의 경우 더욱 그러하며,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은 자신의 장애와 한계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며 또한 타인과 더불어 상호의존과 상

호지원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 11 -

1111))))개개개개념념념념

미국 헤리티지(America Heritage) 사전에 의하면, 자립이란 “1. 외적인 힘에 의하

여 통제되지 않는 것, 2. 다른 사람의 영향, 지시, 통제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것,

3. 다른 사람 또는 다른 것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좌우되지 않는 것, 4. 다른 사람

의 지원이나 보호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김익균,2004). 즉 사전

적 의미에서의 자립이란, 타인으로부터의 통제 하(下)에 놓이지 않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서구의 산업사회에 있어서 자립적인 것(Independent)이란, 스스로 지원 가능한

것, 자조(self-supporting)와 스스로 신뢰할 수 있는 것, 자신감(self-reliant)의 개념

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관련된 개념을 중요시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이 신체적인

손상을 입었을 경우, 자신의 일상적인 역할을 자기 스스로 수행할 수 없음을 의미

하고, 이러한 사람인 경우에 의존적(dependent)인 사람이라고 평가하게 된다. 이처

럼 서구문화에 의하면, 자립적이지 못함은 종속적인 것을 의미하고, 의존적이라

함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자신의 삶이 조정의 대상이 되는 것이라 하였다(오혜

경,1999). 이는 자립이란 다분히 개인의 문제에 국한된 것으로 자립의 개념을 장애

인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의 관계를 배제한 매우 협소한 차원에서 정의내

린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Brisenden(1989)은 자립이란 장애인들의 신체적인 것이나 지능적인 능력과

연관된 것이 아니고, 아무런 지원 없이 스스로를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것이 아니

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자립이란 장애인이 스스로 필요한 원조와 지원을 다양한

지원체계를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자립을 위

한 개인적 지원은 개인 스스로 자신을 조정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하루하루의 일상생활이 자립적인 생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즉, 위

의 정의와는 다르게, 자립이란 장애인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및 환경의 지원

을 배제하고는 생각할 수 없는 개념으로서, 장애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

양한 사회적 지원이 자립의 전제조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립생활이란, 장애인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며 그 결

- 12 -

정에 대하여 위험을 동반할 지라도 그에 대한 책임은 자신이 지며 자신의 인생에

대한 창조적 삶을 영위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장애인의 자립이란 기존

의 신체적 자립이나 경제적 자립의 의미에 국한된 의미로서가 아니라 삶 그 자체

에 대한 결정과 관리는 당사자의 책임 하에 행하여진다는 의미이다(정종화,2001).

한편 미국자립생활협의회(NCIL)에서는 자립생활을 “삶에 대한 자신의 결정에 대

하여 타인의 개입 또는 보호를 최소화하여 스스로 삶에 대하여 선택하고 결정하

는 모든 과정에 장애인 당사자가 참여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Friend(1979)는 자립생활을 “의사결정과 일상생활에서의 타인의 의존을 최소화하

며, 자신들이 만족스럽게 선택한 사항에 따라서 스스로의 생활을 관리하는 것이

다. 자립생활에는 자신들의 일을 스스로 관리하는 것, 일상생활 속에서 지역사회

에 참여하는 것,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 자기결정에 충실한

의사결정, 타인에 대한 심리․신체적 의존의 최소화 등이 포함된다.”라고 정의하

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자립과 자립생활의 개념을 토대로, 본 연구자에게 있어서 장애

인의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이란, Friend(1979)의 개념을 근거로, 일상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지닌 채 타인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역할을 주체적으로 수행해나가는 삶을 의미한다.

2222))))원원원원리리리리

자립생활의 원리는 몇 가지 가정에 기초하여 이뤄져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인간의 삶은 가치 있는 것이다. 둘째, 어떠한 손상을 입은 사람

이던지 누구나 자신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셋째, 장애인은 신체적인 반응, 사회적․물리적 반응, 지능적인 반응, 감각의 손상

그리고 정서적인 불안 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상의 장애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이

들은 자신들의 생활전반을 사정하고 관리하고 조정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넷째,

장애인들은 사회생활 전반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오혜경,1999). 즉, 장애인도 비장

애인처럼 지역사회 내에서 가치 있는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의 주체가 삶을 선택,

- 13 -

관리 및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 관리 및 조정할 권리를 지니고 있음

을 의미한다. 그리고 동시에, 장애인이 지닌 장애는 장애인의 한 가지 특징 혹은

개성에 불과한 것이지, 그것이 장애인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자립생활의 핵심원리는 문제의 소재가 장애인 개인에게 있지 않으며, 재활과정을

비롯하여 물리적 환경과 사회전반에 편재된 사회통제 메커니즘(mechanism)을 포

함한 환경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핵심원리는 다음의 세 가지 전제를 반영하

고 있다(Dejong,1978).

첫째, 당사자 주권을 가져야 한다. 전문가가 아닌 서비스의 실제적인 소비자가 자

신들의 이익을 가장 잘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소비자가 자신들의

이익에 맞춰서 서비스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둘째, 자기신뢰가 이루어져야 한다. 장애인들은 무엇보다도 자신들에게 주어져야

하는 권리와 혜택을 얻어낼 수 있는 자신들의 자원과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

셋째, 정치 및 경제적 권리를 가져야 한다. 장애인들은 다양한 정치 및 경제적 영

역에서 자유롭게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활동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따라서 이런 원리를 재해석하면, 자립생활의 원리는 장애인당사자중심, 지역사회

중심, 인권중심으로 볼 수 있다. 자립생활모델에서는 장애인문제에 대한 의료적․

직업훈련적 접근보다는 지역사회생활에서의 발생되는 문제의 제거 및 해결, 이를

위한 장애인당사자의 주체적인 역할과 그것을 위한 지원을 중시하는 것이다(김동

호,2000).

결국 장애인이 어디에 살고 어떻게 살며 그 환경에 어려움이 있다는 등 그 자체

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상황 결정과정에 있어 당사자인 장애인 자신이 얼마나

참여했는지가 더욱 중요한 핵심이다. 따라서 자신의 의사결정과 행동에 대한 책임

성은 자립생활원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Marget A,1988).

3333))))CCCCIIIILLLL((((CCCCeeeennnntttteeeerrrr ffffoooorrrr IIIInnnnddddeeeeppppeeeennnnddddeeeennnntttt LLLLiiiivvvviiiinnnngggg))))

자립생활센터(CIL)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에 의해 운영되는 비영

- 14 -

리조직(Non-profit Organization)이다. CIL은 미국의 한 장애학생인 에드 로버트

(Ed Robert)가 버클리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대학 측이 운영한 서비스 프로그램에

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몇몇 장애학생들은 졸업 후에도 자립적인 생활

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기 시작했고, 이 프로그램은 “독립성, 자립

성, 통합성, 사회적 문제로의 장애”를 원칙으로 삼아 자립생활 이념을 마련하였다.

그 후 이 프로그램을 정부에서도 적극 지원하면서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장

애인으로까지 서비스가 확대되고 CIL이 운영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이러한 자

립생활의 이념과 서비스는 다른 국가로 점차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일본의 경우

1981년 세계장애인의 해를 맞아 미국 자립생활운동의 시초가 된 버클리 대학의

장애인이 일본을 방문하면서 CIL의 기반이 마련되기에 이른다(국립재활원,2001).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도, 서울 장애인 자립생활 센터(SCIL), 피노키오 자립생활 센

터를 포함해서 전국에 20개 안팎의 자립생활센터가 현재 운영중이다.

위와 같은 CIl의 주요 사명은 장애영역에 관계없이 모든 장애인이 자립적으로 살

아갈 수 있고 자신의 생활에 대해 주도적일 수 있도록 지원해 주고 서비스를 제

공하는 데 있다(김동호,2000).

((((1111))))원원원원칙칙칙칙

CIL의 운영원칙은 미국 재활법(75조)에 잘 명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

다(미국연방 교육부 재활청,1998; Dejong,1983).

첫째, 센터의 운영방향과 정책수립, 의사결정, 서비스의 실천과 경영에 있어서 소

비자에 의한 관리(Consumer controled)이다. 이것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 조직의

정책이나 운영절차,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활동 등을 관장하는 결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런 입장에서, 넓은 의미의 “소비자(consumer)"란 직

접적으로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을 포함하여 권익옹호활동의 노력으로 인해 이차

적인 혜택을 받게 되는 장애인들까지 의미하는 것이다.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소비

자 주도는 정책, 운영절차, 서비스, 활동 등이 장애인들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

고 이들의 권리가 존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15 -

둘째, 자조와 권익옹호(self-help and self-advocacy)활동의 전개이다. 자립생활은

당사자가 자립적인 생활양식을 이루어내기 위해서 지역사회 내의 환경 및 사회적

인 장애물이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개별서비스와 지역사회 권익옹호 이 두 가지 모두를 위해 힘을 쏟아야만 한다.

셋째, 동료관계 및 동료간 역할모델의 발전이다. 자립생활에서 동료역할 모델을

강조하는 것은 장애를 가지고 자신들의 지역사회에서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동료 장애인들의 식견과 지원이 장애를 가진 다른 이들에게

크게 도움이 된다는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립적인 생활을 얻어내고자

노력하는 장애인 당사자들에게 이러한 동료는 강력한 역할모델이자 촉매자가 되

는 것이다.

넷째, 공공기금, 민간기금을 불문하고 사회에 그리고 모든 서비스와 프로그램, 활

동, 자원, 설비에 대한 중증장애인의 평등한 접근이 보장되어야 한다. 자립생활프

로그램은 소비자들이 서비스에 쉽고 평등하게 접근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CIL에

있어서, 이러한 노력은 소비자들에게 서비스 접근 방식을 알리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에게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아웃리치(outreach)를 통해 표방된다. 센

터들은 소비자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사회 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CIL의 운영원칙은 현재 일본 CIL운영규칙의 다음과 같은 4가지 필수

요건에도 잘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정종화,2001).

첫째, 운영위원회 51%는 장애인이어야 한다.

둘째, 최고 책임자는 장애인이어야 한다.

셋째, 장애종류를 초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개호서비스, 자립생활 프로그램, 동료상담, 주택개조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CIL의 운영원칙은 장애인 당사자 주도에 의한 운영, 동료지지의 중요성,

개별서비스 제공 및 지역사회 권익옹호 등으로 특징 지워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

에 CIL은 전 장애 영역(Cross Disability)포함 및 탈 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

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16 -

((((2222))))제제제제공공공공되되되되는는는는 서서서서비비비비스스스스

CIL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스스로가 자신의 삶을 선택하

고 결정하며 자신의 생활전반에 대한 통제력을 기반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일련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런 자립생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미

국, 영국 및 일본 등의 CIL센터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우리나라

에서도 몇몇 장애인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장애관련 정보제공 및 서비스 연결, 자

립생활 훈련, 동료상담서비스, 활동보조인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CIL이 제공

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엔 정보제공과 의뢰, 동료간 상담, 자립생활 훈련기술, 권익

옹호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자립생활연구회,1997:

장애우 권익문제연구소,2001: 국립재활원,2001).

①정보제공과 의뢰(Information & Referral)

장애인들이 직접서비스 외에도 각종 결정, 자원의 활용,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제도, 정책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의뢰지원은 자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리인이나 기관의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핵심적인 서비스이다. 정보제

공과 의뢰는 다른 서비스 기관과 지역사회에도 제공되어 장애에 대한 사회인식을

제고시키고, 장애인이 지역사회나 다른 서비스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서

비스나 자원을 알려주는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②동료간 상담(Peer Counseling)

동료간 상담의 핵심적 기능은 경험의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다. 상담을 통하여 자

립생활에 필요한 실천할 수 있는 기량을 얻게 된다. 자신과 동일시 할 수 있는 상

황에 처해 있는 장애인에게 경험은 최고의 재활전문가의 조언보다도 더 강력한

조정적 힘을 갖게 된다. 이것은 적절한 역할 모델을 제공할 수 있고, 자립심을 갖

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자신의 생활에 대학 책임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

를 통하여 장애인을 더 이상 다른 사람들의 자선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하여 장

애의 유형과 정도에 관계없이 자신에 대하여 책임질 줄 알도록 할 수 있다.

- 17 -

③자립생활 훈련기술(Independent Living Skill Training)

실질적이며 기능적이고 전략적인 기술 훈련으로 동료교육을 기본방침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장애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경험에서 얻어지는 내용을 바탕으

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자립생활을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는 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의사결정의 중요성, 개호서비스의 관리, 신변처리 및 일상생

활 관리, 재정관리 등이다.

④권익옹호(Advocacy)

권익옹호서비스는 자립생활서비스를 이전의 지역사회 중심의 기타 프로그램이나

기관들과의 확연한 차이로 인식된다. 장애인이 자신의 생활을 주도하고 선택권을

행사한다는 것은 자신의 신념에 따라 행동하고 이제까지의 전통적인 의존적인 규

범을 탈피하여 장애인 스스로 소비자로서 권리와 능력을 인정하고 행사함을 의미

한다.

따라서 CI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장애인 당사자의 선택 및 자기결정권을 신장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서비스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손상(impairment)으로

받아들여지는 장애의 치료 및 개선은 그렇게 중요한 사안이 아님을 알 수 있다.

3333.... 재재재재활활활활에에에에서서서서 IIIILLLL 패패패패러러러러다다다다임임임임으으으으로로로로의의의의 전전전전환환환환

재활에서 IL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1970년대를 전후로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

당시 미국의 장애인복지 정책은 재활패러다임에 기초하고 있었으며,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재활패러다임이 미국 장애이론을 지배해 왔었다(오혜경,1999).

1970년대 당시, 재활패러다임은 장애인문제를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았

다. 즉, 장애인은 일상의 활동에서 자신의 능력이 적절히 발휘될 수 없고, 둘째,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직업을 갖기 위한 준비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다. 이 두 경우 모두 문제는 개인적인 것이다. 변화가 필요한 쪽은 개인이다. 자신

들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장애인들은 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직업재

- 18 -

활 상담가 등의 지도를 따라야 한다. 장애인 개인은 “환자”나 “클라이언트”의 역

할을 하도록 기대되어질 뿐이다. 신체적 기능의 최상화나 수입이 있는 직업을 얻

는 것이 재활의 목적이므로, 재활의 성공은 환자나 클라이언트가 이미 마련되어

있는 치료체계에 얼마나 잘 순응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당시 이런 재활패러다임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예외(anomaly)가 드러

나게 되었다. 중증신체장애인들이 재활전문가들의 도움 없이도 자립생활을 해내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재활 서비스가 가장 많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이

이런 서비스 없이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이루어내고 있다는 점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었다. 즉 전문재활서비스에 협조하는 것이 자립생활의 필수조건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장애인들, 그 중에서도 중

증장애인들은 재활패러다임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었으며, 대안이 될만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 나서게 된 것이다(Dejong,1979).

이처럼 IL패러다임은 부분적으로 중증장애인의 새로운 욕구에 대한 반응으로서

출현한 것이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양자의 가장 두드

러진 차이점인 장애문제의 소재를 바라보는 방식에 기인한다.

재활의 개념에서는 문제의 소재는 개인인 반면 자립에 있어서의 문제점이란 환경

과 재활과정에 있어서의 사회여건이나 환경적인 요인들을 들고 있다. 즉, 장애인

문제는 개인적 요소에서 발생된다는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장애인의 문제를 장애

인의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요인이라는 개인의 특수한 조건에서 문제를 찾고자

하므로, 장애인의 개인적 요소를 병리적인 관점에서 보게 되며, 장애인 개인이 소

유한 능력이 사회가 요구하는 수준에 다다르지 못함으로써 장애인은 사회적인 부

적응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

반면, 장애인 문제를 보는 관점과 해결책에 있어 ‘재활’ 중심의 접근에 수정을 가

해야 한다는 새로운 입장은, 장애개인을 둘러싼 환경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범주로 관심 수준을 확대하는 것이고, 따라서 장애인의 문제는 장애를 가지고 살

아갈 때에 관련된 제 문제를 어떻게 해결, 조절, 제거, 극복하느냐에 보다 핵심적

인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Dejong,1981). 전자의 경우, 개인적인 문제라는

것이 전문가 집단의 일방적인 규정에 의해 고착화될 수 있고, 개인적 관점은 장애

- 19 -

인을 둘러싼 외적인 조건이나 사회 환경 등 정치, 경제, 사회적인 요인들은 무시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장애인 문제를 개인적 범주로 이해하는 입장은 비판받게

되었다(김동호,2000). 반대로, 후자의 경우, 장애란 장애인을 제한하는 모든 것을

함축하는 것으로서 편견에서 제도적인 차별까지, 접근 불가능한 물리적 환경에서

교통체계까지, 분리교육에서 노동에서의 배제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된

다(이성규,2000). 다음으로 문제의 해결에서 재활의 개념에 있어서는 의사와 물리

치료사, 작업치료사, 직업갱생 상담원 등에 의한 전문적 지도를 들고 있으며, 자립

에 있어서는 동료와의 상담, 인권 옹호, 사회 격차제거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입장에서 재활은 장애인을 환자 또는 클라이언트로 보는 것이고

자립에 있어서는 장애인을 소비자로서의 시민으로 보는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구

분이 아닌 인간 그 자체로 보는 시각이다. 또한 추구하는 결과는 재활에 있어서는

최대한의 일상생활동작과 수입 있는 고용이지만 자립에 있어서의 최대 추구하는

결과는 미래에 대한 생활설계이며 자기실현인 것이다(신상윤,1997).

지금까지 살펴본 재활과 자립의 차이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표2-1>

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2-1>재활과 자립생활 비교

자료:(Dejong,1978)

구분 재활(Rehabilitation) 자립생활(IL)

문제점 신체장애, 직업능력의 부족 전문직원과 가족에의 의존

문제의 소재 개인 환경, 재활과정

문제 해결법

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직업갱생상담원 등에 의한

전문적 지도

동료와의 상담, 인권옹호,

사회격차 제거 등

사회적 입장 환자, 클라이언트 소비자로서의 시민

추진하는 사람 전문직원 소비자로서의 시민

추구하는 결과 최대한의 ADL, 수입 있는 고용 IL

- 20 -

재활패러다임에서 IL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있어서 한 가지 확인해야 할 점이 있

다. 즉, 그것은 재활과 IL 패러다임간의 관계이다.

우선 재활에서 IL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재활패러다임에서 제공하는 재활서비스

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인가? 그것은 단연코 그렇지 않다. 장애인의 자립에 의료재

활, 교육재활, 직업재활 등의 재활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자립의 도

모라기보다는 장애인을 방임하는 것이다. 단지 그 목적이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동

등하게 만드는 것이냐, 아니면 장애인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비장애인과 동

등하게 인정하느냐가 문제인 것이다. 전자는 재활이 될 것이고 후자는 자립이 될

것이다(이경혜,2000). 즉, 자립생활로의 전환은 재활서비스의 포기가 아니라 재활서

비스의 수용을 의미한다. 하지만, 재활서비스를 받아들이는 기본자세가 재활패러

다임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뿐이다. IL패러다임에서 받아들이는 재활서비스는

장애인을 장애이전의 상태로 똑같이 만들어 주는 그런 헛된 서비스가 아니라, 최

소한의 기능회복을 기대하며 받아들이는 차선의 서비스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재활과 자립은 어떤 상호관계를 맺고 있으며, 앞으로 패러다임의 전환

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자립생활모델이 현재 변화의 초기단계를 넘

어서고 있지만, 재활모델 역시 장애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임을 부정할 수

는 없는 일이다. IL운동의 그 기본 원칙들을 계속해서 다듬어 나갈 때 IL모델도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장애인의 재활단계에서 IL단계로의 전환의 시

기에는 재활모델과 IL모델 모두 필요한 모델임을 인식하고 상호보완적이고 상호교

류적인 차원에서 다루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장애인의 진정한 자립생활을

이루기 이해서는 재활모델에서 자립생활모델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요청된다(오혜

경,1999).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재활패러다임에서 IL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논하

기엔 자립생활운동의 움직임이 너무 미미하다. 대부분의 장애인복지관은 거의 재

활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몇몇의 복지관과 CIL들이 동료상담, 자립생활

훈려기술 , 활동보조서비스 등 IL서비스를 조금씩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IL이 우리나라에 전국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홍보가

체계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것이며, 장애인관련 단체 및 기관들의 인식이 IL의 필

요성을 인식하는 방향으로 변해야 할 것이다.

- 21 -

제제제제2222절절절절 생생생생태태태태 체체체체계계계계적적적적((((EEEEccccoooo----SSSSyyyysssstttteeeemmmmiiiicccc)))) 요요요요인인인인과과과과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본 절에서는 첫째, 생태체계적 관점 둘째, IL과 생태체계적 관점 셋째, 시각장애

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Kemp(1998)의 모형을 근간으

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111.... 생생생생태태태태체체체체계계계계적적적적 관관관관점점점점

생태체계적 관점은 1970년 초 사회복지학의 이론적 준거로서 Germain에 의해 처

음 소개된 생태학과 인간을 사회적 및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 하는 개방체계로

이해한 일반 체계론의 결합된 관점이다. 즉, 인간이 체계로서 가지는 특성은 물론,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과 환경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변화시키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 인간과 환경을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발달에 관한 생태체계적 관점은 개인적 수준에서 대처능력의 감화는

물론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 양자를 모두 강조하는 접근방법으로서, 성장 발

달하는 인간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제도, 체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

는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한국청소년개발원,2001).

즉, 생태체계적 이론에서는 인간과 환경은 분리될 수 없으며, 인간과 환경은 지속

적인 상호작용과 상호교환을 통하여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서로를 형성하며 상

호적응하는 호혜적 관계(reciprocal relationship)를 유지하고 있다(김동배 외,1998).

그리고 본 이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발달의 과정, 발달이 일어나는 환경, 그리

고 모든 인간이 처해 있는 다차원적인 환경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상호연계

성을 살피는 것이다(윤종희,1994).

Brofenbrenner(1979)에 의하면,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다양한 체계수준에서 이루어

지는 개인들 간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환경은 인간발달을 설명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데, 생태적 환경을 구성하는 구조들은 크게 미시체

계(microsystem), 중간체계(mezosystem), 외체계(exosystem), 그리고 거시체계

- 22 -

(macrosystem)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체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시체계는 발달하는 개인이 독특한 물리적․물질적인 특성을 가진 환경

내에서 경험하는 활동, 역할 및 대인관계의 유형이다.

둘째, 중간체계는 발달하는 개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둘 이상의 환경들 간의

상호관계(interaction)로 이루어진다.

셋째, 외체계는 발달하는 개인이 적극적인 참여자로 관여하지는 않으나 발달하는

개인이 속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일에 영향을 주거나 영향을 받는 사건이 발생되

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경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거시체계는 기본적인 신념체계가 이념과 함께 하위체계들(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의 형태와 내용에서 나타나는 일관성(consistencies)으로서 하위

문화 수준이나 문화전반의 수준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수 있다.

요컨대, 생태체계적 관점은 인간과 환경사이의 상호보완성을 설명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으며, 환경과 인간을 하나의 총제로 간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김동배

외,1998). 따라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주 관심사는 개인적인 요인(personal

factors)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environmental factors)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며, 양자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및 상호보완에 관심을 가지고 있

다.

2222.... IIIILLLL과과과과 생생생생태태태태체체체체계계계계적적적적 관관관관점점점점

자립(Independence)이란 한 사람 한 사람이 개별적으로 정의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대적 개념이다(Friend,1979). 이처럼 장애인의 IL이란 장애인이 지니고 있는 장

애유형을 포함한 장애인이 처한 모든 상황을 고려해서 개별적으로 정의내릴 수밖

에 없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장애인의 자립생활 정도를 파악하고, 장애인

의 자립생활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초점을 장애인 개인에만 국한시킬 수 없고, 장애인을 포함한 환경까지 확대해서

둘 수밖에 없다.

- 23 -

Mathews(1987)는 장애인의 자립심(Independence)을 설명하는 모델로서 재활

(Rehabilitation)과 IL운동을 제외한 세 번째 가능성으로 인간발달 모델.(human

development model)을 제안했다. 이 모델에 의하면, 인간의 자립 수준은 인간과

환경 특징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서, 인간의 특징에는 개인의 신체적 능력, 능력,

지식, 기술, 가치, 태도 개인적 목표들이 포함되고, 환경적 특징에는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법률, 정책들과 같은 다양한 체계적 변수(systemic variables)

들을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과 환경의 특징들의 연속체에서 발생하는 변화

들이 개인의 자립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극대화된 촉진

적인 환경에서 자립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모델은 본 연구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인 생태체계적 관점과 맥을 같이

하는 모델로서, 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역시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이

며, 장애인역시 사회의 제도적, 물리적 환경의 지원 하에서 자신의 자립수준을 향

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장애인의 IL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장애인의 IL수준을 향상시키기 위

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고려 및 개입은 반드시 수반되어져야

하며, 여기서 생태체계관점 적용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들을 고찰했을 때 발생하는 유용성(utility)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적 접근은 인간의 행동을 개인, 가족, 지역, 사회 등과 같은 환경과

결부시켜 체계론적인 관점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본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정도를 알 수 있다.

둘째, 생태체계적 접근은 기존의 다양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통합적 시각에서 구

축된 것이므로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설명함에 있어서 보다 전반적인 분석을 가능

하게 하고, 또 개인에서 가족 혹은 보다 큰 체계에 이르는 다양한 분석단위로 장

애인의 자립생활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셋째, 생태체계적 접근은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어 이들의 자립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의 서비스, 제도 및 정책 개입전략

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 24 -

3333....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생생생생태태태태체체체체계계계계적적적적 요요요요인인인인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을 고찰하기 위해, 본 연

구에서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모형을 기초로 한 네 가지의 환경체계를 좀 더

단순하게 모형화 시킨 Kemp(1998)의 모델8)을 근간으로, 본 연구의 의도에 맞게

연구모형을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로 재구성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체계는 시각장애인 개인에 관한 특성변인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

회학적 변인과 장애특성 변인은 제외하고, 시각장애인의 심리사회적 특성변인만을

개인체계 속에 포함시켰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를 통해(정은주,1998;이경혜,2000;김

순곤,2002;정원일,2004 등)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장애특성 변인이 지체장애인의 자

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는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연구의 초점을 사회복지적 개입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변인에 두고자 개입이

불가능한 변인들은 통제변수로 별도로 취급하였다. 개인체계에 속하는 변인들로서

는 자존감(self-esteem)과 장애수용정도 등이 있다.

둘째, 가족체계는 미시체계와 거시체계를 연결시켜 주는, 즉 개인과 사회환경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조정자 역할을 한다. 가족체계에 속하는 변인들로서는 가족

지지(family support)가 있다.

셋째, 사회체계는 사회문화적 특성변인으로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의미한다. 사회체계에 속하는 변인들로서는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복지서비스 이용정도 등이 있다.

다음에서는 이 상의 세 가지 체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매우 제한적이기 때

문에,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 역량강화 등에 영향을 미

8)Kemp(1998)의 모델은 가족 내 학대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 생태학적 모델(ecological model) 또는체계적 접근법(systems approach)이다. 이 접근법은 인간의 행동을 개인, 가족, 지역, 사회 등과 같은환경과 결부시켜 이들 상호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역동성을 다룸으로써 전체론적인 관점을 강조한다(한은주,2000). 물론 가족 내 학대와 자립생활이라는 설명하고자 하는 인간행동 또는 사회현상은다르지만, 환경이라는 전체 테두리 속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자립생활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로서 본 모델을 사용하였다.

- 25 -

치는 요인 등 자립생활과 유사한 변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해보고자 한다.

1111))))개개개개인인인인체체체체계계계계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개인체계 변인들로서 본

연구자가 선정한 변인으로는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 두 가지 변인이 있다.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연구로서 김순곤(2002)의 경우, 자존감이 지체장애

인의 자립생활을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

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이 잘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지

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로서 변소현(1998)의 경우, 자존감과 장애수용정

도 모두 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이 보다 잘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로서 김은정(2002)의 경우, 장애수용정도는 사

회통합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시각장애인

이 장애를 수용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통합이 보다 잘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장애인의 사회통합은 장애인 자신이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인 안녕감

(well-being)이 전제될 때 진정으로 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Evans와 그의 동료

들(1993)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회복기에 있는 급성 백혈병환자들의 경우 자존감

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Young(1991)은 살바도르난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존감이 높은 집단은 자

존감이 낮은 집단보다 삶의 질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자존감은 산재장애인

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장애발생 후

장애에 적응하는 데는 실제장애정도보다 장애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Belgrave(1991)의 연구에 따르면, 장애에 대한 인식수준은 장애에 대한 적

응을 예측하는 심리사회적 변수들 중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Lee와 그의 동료들(1986)에 따르면, 산재장애인들의 경우 손상정도보다도 손

상정도에 대한 인식이 사회심리적 적응이나 직업상의 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

- 26 -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수경,1997)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개인체계 변인으로서 자존감과 장애수용

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고려되어

진다고 볼 수 있다.

2222))))가가가가족족족족체체체체계계계계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가족체계 변인들로서 본

연구자가 선정한 변인으로는 가족지지(family support)가 있다.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로서 이익섭(2003), 김은정(2002), 강우진(2001)

의 경우 가족지지가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산재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로서 박수경(1997)의 경

우, 사회통합의 하위 차원 중 가정 내 통합에 가족지지가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Morgolin(1971)과 Harris, et al(1973)는 장애에 대

한 환자의 반응을 조절하는 데 가족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rieschmann(1978)의 언급에 의하면, 장애 그 자체보다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의 질이 더 중요하다고 까지 말하고 있다.(Dejong,1981)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족체계 변인으로서 가족지지(family

support)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고려되

어 진다고 볼 수 있다.

3333))))사사사사회회회회체체체체계계계계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사회체계 변인들로서 본

연구자가 선정한 변인으로는,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복지서비스 이용정도 등 세 가지가 있다.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연구로서 김순곤(2002), 정은주(1998)의 경우 사회

적 지지가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지체장애인의 자립정도가 높다는 것이

다.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로서 김은정(2002), 강우진(2001)의 경우 사

- 27 -

회적 지지가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 변소현(1998)과 산재장애인의 사

회통합에 대한 연구 박수경(1997)의 경우, 마찬가지로 사회적 지지가 장애인의 사

회통합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지체 및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정도가 높다는 것이다.

Belgrave(1991)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지원은 장애에 대한 적응에 중요한 영향

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지역사회내의 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질환자

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Kennedy(1989)에 따르면 정신질환자들의 경우, 높은 수준의 정서적 지원을 받는

집단의 경우 사회통합정도가 높을수록 안녕감이 높아졌지만 정서적 지원수준이

낮은 집단은 사회통합정도와 안녕감의 관계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evin과 Brekke(1993) 역시 보호시설의 직원이나 동료들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원

은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적응을 예측함에 있어 개인적인 특성보다 더 중요함을

지적하였다.(박수경,1997)

시각장애인의 역량강화에 대한 연구로서 황령희(2001)의 경우, 정보접근이 역량강

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에 접근하는데 어려움

이 적을수록 시각장애인의 역량강화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Young 외

(2000)의 중증 정신장애를 가진 개인에 있어서 역량강화와 재활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은 정신장애, 재활, 약물치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내담자를 교육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내담자에게 재활과 약물치료의 가치를 의사소통할 수

있다고 하였다.(황령희,2001)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연구로서 김순곤(2002), 이경혜(2000)의 경우, 기관

의 복지서비스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로서 김은정(2002)와 지체장

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인 변소현(1998)의 경우도 기관서비스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체계 변인으로서 사회적지지,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복지서비스 이

용정도 등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고려되어 진다.

- 28 -

제제제제3333장장장장 연연연연구구구구방방방방법법법법

제제제제1111절절절절 연연연연구구구구내내내내용용용용

본 절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기 위해 설

정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1111.... 연연연연구구구구모모모모형형형형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시각장애인들의 IL수준을 살펴보

고, 다음으로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로 구분하여 각 체계에 속한 요인들이 시

각장애인의 IL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수는 Kemp(1998)의 모형을 재구성하여 개인

체계 변인에 자존감(self-esteem)과 장애수용정도를, 가족체계 변인에 가족지지

(family support)를, 사회체계 변인에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와 정보접근의 어

려움 정도 및 기관서비스 이용정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선행연구는

대부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을 독립변수로 취급하여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적 개입의 여지가 없는 변인의 경우 통제변수로 취급하여, 사

회복지적 개입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독립변수에 연구의 초점을 맞췄다.9)

종속변수인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은 Friend(1979)의 개념화에 근거하여

9)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직장생활을 하는 지 여부는 독립, ‘ ’

변수에서 제외시키고 오히려 통제변수로 취급하였다 일반적으로 장애인의 자립을 직장생활을 통한, .

경제적 자립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데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자립생활 에서, (Independent Living)

는 직장생활을 하는 지 여부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즉 장애인의 신체적 손상 에 초점을. , (Impairment)

맞추어 신체적 손상의 기능향상을 통한 직장생활 지속을 추구하는 것은 이론적 배경에서도 언급하였,

듯이 자립이 아닌 재활의 관점이며 따라서 재활에서는 교육 치료 훈련 등을 강조한다 그러나 본, , , .

연구에서 의미하는 자립생활의 경우 직장생활을 하고 안하고는 장애인의 선택 및 결정의 문제이며, ,

직장생활을 하지 않더라도 장애인이 본인의 결정과 선택을 영위하면서 살아갈 수 있다면 그것이 자

립 생활이라는 것이다.

- 29 -

지각된 통제(Perceived Control), 심리적인 자기의존(Psychological Self-Reliance),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ing) 이상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였다.10)

통제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과 장애특성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인구사회학

적 변수에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직업, 동거 가족

수, 거주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 등이, 장애특성 변수에는 장애등급, 장

애지속기간 등이 포함된다. 다음의 <그림3-1>은 각 체계가 시각장애인의 IL에 미

치는 영향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10)자립생활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에서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은 심리내적인 측면이 강한 하, ,

위차원인 반면 신체적 기능은 외적인 측면이 강한 하위차원이다 자립생활을 심리적인 측면에 초점, .

을 두어 지각된 통제 및 심리적 자기의존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자립생활 은, (Independent Living)

실질적인 삶으로서 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동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심지어는 운동,

이기 까지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Movement) . Friend(1979)의 정의에 입각하여, 자립생활을 정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동적인 의미를 포함하기 위해서 ‘신체적 기능’이란 하위차원을 포함시켰음을밝혀 둔다.

- 30 -

<그림3-1> 연구모형

2222.... 연연연연구구구구문문문문제제제제 및및및및 가가가가설설설설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 IL수준

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설정한 본 연구의 기본적인 연

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자존감�장애수용

�자존감�장애수용

�가족지지�가족지지

�사회적지지�정보접근의어려움정도

�서비스이용정도

�사회적지지�정보접근의어려움정도

�서비스이용정도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종속변수종속변수종속변수종속변수독립변수독립변수독립변수독립변수

�지각된지각된지각된지각된통제통제통제통제(Perceived Control)

�심리적심리적심리적심리적자기의존자기의존자기의존자기의존(Psychological Self-Reliance)

�신체적신체적신체적신체적기능기능기능기능(Physical Functioning)

�지각된지각된지각된지각된통제통제통제통제(Perceived Control)

�심리적심리적심리적심리적자기의존자기의존자기의존자기의존(Psychological Self-Reliance)

�신체적신체적신체적신체적기능기능기능기능(Physical Functioning)

통통통통제제제제변변변변수수수수

인구사회학적특성인구사회학적특성인구사회학적특성인구사회학적특성성별, 연령, 학력, 종교유무, 결혼상태, 월평균가구소득직업유무, 동거가족수,거주지역, 국기법수급여부

장애특성장애특성장애특성장애특성장애등급, 장애지속기간

- 31 -

연연연연구구구구문문문문제제제제 1111 :::: 개개개개인인인인체체체체계계계계 요요요요인인인인은은은은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칠칠칠칠 것것것것인인인인가가가가????

연연연연구구구구문문문문제제제제 2222 :::: 가가가가족족족족체체체체계계계계 요요요요인인인인은은은은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칠칠칠칠 것것것것인인인인가가가가????

연연연연구구구구문문문문제제제제 3333 :::: 사사사사회회회회체체체체계계계계 요요요요인인인인은은은은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칠칠칠칠 것것것것인인인인가가가가????

위와 같은 기본적인 연구문제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보다 구체적인 가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설1. 자존감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전체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

의존,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장애수용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전체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심리

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가족지지 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전체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심리

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사회적지지 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전체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심

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전체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 복지서비스 이용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전체자립생활, 지각된 통

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2 -

제제제제2222절절절절 조조조조작작작작적적적적 정정정정의의의의 및및및및 측측측측정정정정도도도도구구구구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정한 개인체계, 가

족체계, 사회체계 속의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인 자립생활에 대한 조작적정의 및 이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한 측정도구는 다음에 제시된 <표3-1>과 같다.

<표3-1> 측정도구 내용 및 구성

11)신체적 기능은 이동 및 신체적 활동, 손재주, 사회적 활동, 일상생활 활동 등 4가지 하위차원으로구성되어져 있으며, 각 하위차원이 4문항씩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변수 요인 측정도구 문항 수 Cronbach's α

독립변수

개인체계․자존감

․장애수용

5

3

.821

.706

가족체계 ․가족지지 5 .724

사회체계

․사회적지지

․정보접근의 어려움정도

․복지 서비스이용정도

6

6

6

.890

종속변수 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11)

6

4

16

.850

.646

.871

.826

통제변수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직업, 동거 가족 수,

거주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 유무

장애특성 ․장애등급, 장애지속기간

- 33 -

1111.... 독독독독립립립립변변변변수수수수

1111))))개개개개인인인인체체체체계계계계

개인체계에 속하는 독립변수에는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가 있다. 자존감(self-esteem)

의 측정도구는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역한 Rosenberg

Self-esteem(RSES)의 10개 항목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박수경(1997)의 연

구12)에서 중복문항을 제거, 수정하여 사용된 바 있으며 있으며 모든 연구에서 신뢰도

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내용을 묻는 항목을 제외하고 긍정적 항목 3

개와 부정적 항목 2개, 이상 총 5개로 구성하였다.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체로 그렇다=3점’ , ‘매우 그렇다=4점’이다. 점

수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은 것을 의미하고, 부정적 항목은 역점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신뢰도는 Cronbach's α=.821로 나타났다.

장애수용정도는 시각장애인이 본인이 지니고 있는 시각장애를 받아들이는 정도를 의

미하며, 측정도구로는 미국 Light House(1994)에서 사용했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

였다. 본 척도는 이익섭(2003)의 연구13)에서 우리나라 상황에 적용 가능한 항목을 선정

하여 사용된 바 있으며, 신뢰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내용을

묻는 항목을 제외하고 3개의 부정적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

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체로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

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시각장애 수용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고, 부정적 항목 모두

역점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신뢰도는 Cronbach's α=.706으로 나타났다.

2222))))가가가가족족족족체체체체계계계계

가족체계에 속하는 변수로는 가족지지(family support)가 있다. 가족지지의 측정도구

12)박수경(1997)의 연구에서 자존감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7292로 나타났다.

13)이익섭(2003)의 연구에서 장애수용정도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7670으로 나타났다.

- 34 -

는 Moss(1986)의 가정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 중에서 응집성 1문항, 표현정도,

갈등정도를 나타내는 항목을 각각 2개씩 선정하였으며, 긍정적 항목 2개, 부정적 항목 3

개 총 5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본 척도는 박수경(1997)의 연구14)에서 사용된바 있으며,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체로 그렇다=3점’ , ‘매우 그렇다=4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

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고, 부정적 항목은 역점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

타난 신뢰도는 Cronbach's α= .724로 나타났다.

3333))))사사사사회회회회체체체체계계계계

사회체계에 속하는 독립변수에는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 정보접근성, 복지서비스

이용정도 등이 있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으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해줌으로써 자

신이 사회성원들로부터 애정을 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다고 경청과 관심을 주고, 주위

환경으로부터 제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충고, 제안 및 개인에게 필요한 현

물, 현금의 제공과 원활한 역할수행을 위한 확인과 피드백, 수용 등을 제공하는 것을 의

미한다.(최미영,2003) 사회적 지지의 측정도구는 Tracy & Whittaker(1990)가 개발한

The Social Network Map과 Winefield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Multidimensional

Support Scale, 박지원(1985)의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를 통해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도를 혼합한 것인데,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 각각 2항목씩

총 6항목이다. 본 척도는 최미영(2003)의 연구15)에서 사용된바 있으며 신뢰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

점’, ‘대체로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신뢰도는 Cronbach's α=.890으로 나타났다.

정보접근성은 정보에 접근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정도를 의미하며, 정보란 시사(사

고, 사건), 구인, 문화(영화, 연극, 음악 등)등 일상생활에 관련된 모든 소식을 의미한다.

정보접근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터넷, 간행물(신문, 잡지), 라디오, TV,홍보인쇄물 등 일

14)박수경(1997)의 연구에서 가족지지 정도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9083으로 나타났다.

15)최미영(2003)의 연구에서 사회적지지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9522로 나타났다.

- 35 -

반적인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정도를 긍정적 문항2개,

부정적 문항4개 총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응답범주는 ‘1=매우 그렇지 않다’. ‘2=대체로

그렇지 않다’, ‘3=대체로 그렇다’, ‘4=매우 그렇다’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보에 접근하

는 것이 어려움을 의미하며, 긍정적 문항은 역점으로 처리하였다.

기관의 복지서비스 이용정도는 지난 1개월 동안에 기관 및 시설에서 제공하는 복지서

비스의 이용정도를 의미한다. 서비스의 내용에는 시각장애인용 컴퓨터 활용교육, 연극,

음악회 등 문화관람, 볼링, 수영, 헬스 등 오락스포츠 활동, 음성정보서비스 및 전화사서

함, 점자 및 음성도서관 그리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 등 총 6문항이 포함된다. 응답범주

는 ‘거의 이용하지 않았다=1점’, ‘한달에 1-2회 정도 이용하였다=2점’, ‘1주일에 1회 정도

이용하였다=3점’, ‘1주일에 2-3회 정도 이용하였다=4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222.... 종종종종속속속속변변변변수수수수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자립생활(IL)이란, Friend(1979)의 개념을 근거로, 일상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지닌 채 타인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역할을 주체적으로 수행해나가는 삶을 의미한

다.16) 시각장애인의 IL 측정도구는 CRWWD(Center for Research on Women

With Disability)에서 개발한 PIPⅡ(Personal Independence ProfileⅡ)이다.17) 본 척

도는 지각된 통제(Perceived Control), 심리적인 자기의존(Psychological

Self-Reliance),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ing) 이상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구

성되어 있다. 자립생활 전체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826으로 나타났다.

16) 국내의 ‘자립생활’관련 선행연구의 경우, IL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서 일본의 Human CareAssociation의 자기평가 지표를 참고하여 국립재활원이 2001년에 고안한 ‘자립생활에 대한 자가평가’척도를 사용하였는데, 본 연구자는 IL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척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심스럽게 제안하는 바이다. 왜냐하면 본 척도의 하위차원 구성이 IL의 이념을정확히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되어지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17)본 척도는 Margaret A. Nosek 및 Marcus J. Fuher(1992) 등에 의해 200명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로서,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자립의 수준을 묘사하기(describe) 위해서 고안되었다(Nosek,1992).

- 36 -

지각된 통제란 시각장애인들이 자신들의 삶을 통제 및 관리하고 있는 정도를 의

미한다.18) 본 척도 10문항 중19)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6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

다.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

체로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신의 삶에 대한 통

제 및 관리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나타난 신뢰도는 Cronbach's α

=.850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기의존은 타인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고 자기 자신에 의존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본 척도 34문항 중20)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4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

였다21).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체로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점’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 자신에 대한

의존이 높음을 즉, 타인에 대한 심리적 의존이 낮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나타

난 신뢰도는 Cronbach's α=.646으로 다른 측정도구에 비해 비교적 낮았지만 척도

의 신뢰도는 입증되었다.22)

신체적 기능은 일상생활에서의 지역사회활동정도를 의미하며, 이동(Mobility), 신

체적 활동(Physical Activity), 손재주(Dexterity),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 일상

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등 5개의 하위차원(sub-scale)으로23) 구성되

18)원래 척도지에는 “This area of my life is in my hands; I control it"로 나타나 있음. 삶에서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무슨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이 자신들의 행동의 결과라고믿는다. 이들이 삶에서 무엇인가가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일어나지 않을 때 그것을 변화시키거나아니면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인다. 통제권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항상 본인들의 결정에 행복할 필요는 없지만 그들의 삶을 자신들이 이끌어 간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다.(Nosek,1992)

19)Nosek(1992)의 연구에서 본 10문항에 대한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86으로 나타났다.

20)Nosek(1992)의 연구에서 본 문항에 대한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79로 나타났다.

21)총 35문항 중 우리나라 사정에 맞는 9문항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지만, 내적일관성에 문제가발생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9문항이 3개의 세부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어졌으며, 내적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일차원의 4문항을 추출하여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하지만 앞으로 본 척도의 사용에 있어서 심리적의존의 경우, 신뢰도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 정서에적합한 문항사용을 위해서 보다 세심한 주의와 신중한 사용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22)내적일관성은 어떤 개념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측정도구의 구성문항들이 서로 유사한 정도를 말하며, 각 항목과 전체항목과의 상관관계를 평균하여 그 값을 구한다. 일반적으로 내적 일관성의 기준은보통 Cronbach's α 값으로 살펴볼 수 있는 데, 최소한 .60이상은 되어야 하며, 사회과학에서 .70이상

은 확보가 되는 것이 좋다(이익섭 외,2004).

23)Nosek(1992)의 연구에서 본 5개 하위차원에 대한 신뢰도 측정결과는 Cronbach's α= .93임.

- 37 -

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하위차원 총 24문항 중, 중복되거나 시각장애인의

상황에 맞지 않는 차원은 제외하고, 이동 및 신체적 활동, 손재주, 사회적 활동,

일생생활 활동 네 가지 하위차원에서 각각 4문항씩 선정하여 총 16문항으로 설문

을 재구성하였다. 본 척도의 응답범주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체로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점’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

활에서 지역사회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부정적 문항은 역점으

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신뢰도는 Cronbach's α=.871로 나타났다.

3333.... 통통통통제제제제변변변변수수수수

통제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과 장애특성변인으로 구분하였다. 인구사회학

적 변수에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유무,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직업유무, 동

거 가족 수, 거주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 등이, 장애특성 변수에는 장애

등급, 장애지속기간 등이 포함되었다.

- 38 -

제제제제3333절절절절 조조조조사사사사대대대대상상상상 및및및및 자자자자료료료료수수수수집집집집 방방방방법법법법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원으로서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30세

이상 80세 미만의 시각장애인 125명이다. 그리고 조사대상자는 한국시각장애인연

합회 중앙본사로터 연락처가 확보된 시각장애인232명을 다음의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국의 6대 광역권별로 등록시각장애인 인구 비에 맞추어 할당표집 하였다

(<표3-2>참조).

<표3-2>표본추출 조사지역 비율 및 조사대상자 수

주:2001년 시각장애인실태조사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실제로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결번, 조사대상자의 사망, 조사대상자와의 연결

되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고 통화가 완료된 경우는 125명이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표본수도 125명이다.

조사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5명에 의해 전화면접방

법으로 수행되었다. 신뢰도 확보를 위해 사전에 전화면접조사원들에 대한 교육은

본 연구자의 주관 하에 3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전화조사는 2004년 11월 20일부터

12월2일까지 실시되었다.

구분 시각장애인수 비율(%) 조사대상자 수(명)

계 46,957 100 232

수도권 17,678 37.6 87

강원권 1,992 4.2 10

충청권 6,105 12.9 30

영남권 13,075 28 65

호남권 7,464 15.9 37

제주권 643 1.4 3

- 39 -

제제제제4444절절절절 자자자자료료료료 분분분분석석석석 방방방방법법법법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작업과 오류검토 작업을 시행한 후 SPSS/PC 12.0을 이용하

여 통계 처리되었으며, 빈도분석, 기술 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

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 장애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사용하여 자립생활의 하위차원인 지각된

통제(Perceived Control), 심리적인 자기의존(Psychological Self-Reliance),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ing) 등의 자립생활 수준을 살펴보았다.

셋째,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여 성별, 연령,

학력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등급, 장애발생시기 등의 장애특성에 따른 시

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일원분산분석의 경우, 각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Scheffe's test 및 Dunnett T3)을 시도하였

다.

넷째,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들 간의

관련정도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개인체계, 가족체

계, 사회체계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40 -

제제제제5555절절절절 연연연연구구구구의의의의 제제제제한한한한점점점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모든 장애유형 중 시각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장애유형의 자립생활에 적용하여 일반화시키는데 있어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가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시각장애인이 아닌 한

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원에 국한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시각장애인연합회

비(非)회원을 포함한 전국의 시각장애인의 특성이라고 일반화시키는 데 있어서 제

한점을 지니고 있다. 즉 시각장애인 연합회원의 심리사회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되

었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전체 시각장애인의 특성이라고 일반화시키는 데 있어

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셋째, 지금까지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

로 활발히 진행되지 않은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함에 있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

하기 보다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요인을 선정할 수밖에 없었던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넷째, 본 연구가 생태체계적 모형을 기반으로 진행 된 연구지만 체계간의 상호작

용 즉, 개인체계와 가족체계 그리고 개인체계와 사회체계 등 체계간의 상호작용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아

생태체계적 모형을 통계적으로 충분히 적용하지 못한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 41 -

제제제제4444장장장장 연연연연구구구구결결결결과과과과

본 장의 제1절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제2절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

립생활 정도를, 제3절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의 정도

를, 제4절에서는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그리고 제5절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

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도록 하자.

제제제제1111절절절절 조조조조사사사사대대대대상상상상자자자자의의의의 일일일일반반반반적적적적 특특특특성성성성

1111.... 인인인인구구구구사사사사회회회회학학학학적적적적 특특특특성성성성

본 연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별, 연령, 학력, 종

교,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직업, 동거 가족 수, 거주지역, 거주지역군, 국민기

초생활보장수급 여부를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성별의 경우, 남자가 111명(88.8%) 여자가 14명(11.2%)으로 남자가 여자

보다 약 8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원의 대부

분이 남자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되어진다.

두 번째, 연령의 경우, 50대가 55명(44.0%), 40대가 32명(25.6%) 그리고 60대 이상

이 23명(18.4%)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의 62.4%가 50대 이상이고 평

균연령이 약 52세로 대상자의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학력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이 73명(58.4%), 중학교 졸업이 19명(15.2%)

그리고 전문대학교 졸업이상이 17명(13.6%)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졸업이 가

장 많은 것은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맹학교에서 고등학교교육까지를 이수하고

졸업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되어진다.

네 번째, 종교의 경우, 기독교가 55명(44.0%), 무교가 37명(29.6%) 그리고 불교가

17명(13.6%)로 나타났다. 따라서 약 70%에 해당하는 조사대상자가 기독교를 포함

- 42 -

한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결혼상태의 경우, 기혼이 104명(83.2%), 미혼이 14명(11.2%) 그리고 사

별이 5명(4.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기혼이고 배우자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 번째, 월평균 가구소득의 경우,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이 27명(21.6%),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24명(19.2%),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19명

(15.2%) 그리고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17명(13.6%)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150만원 이상으로 응답한 대상자가 약 40%에 달할 정도로 조

사대상자의 경제적 상태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2000년 장애인실태조사의 결과(시각장애인 월평균 가구소득:79.1만원)와는 매우 상

반된 결과로서, 조사대상자의 66명(52.8%)정도가 안마 및 침술 업에 종사하고 있

으며24), 이들 중 33명의(직업과 월평균소득의 Cross-tab결과임) 월평균 소득이 150

만원 이상으로 응답하여 나타난 결과이다.25)

일곱 번째, 직업의 경우, 안마 및 침술 업이 66명(52.8%), 무직이 30명(24.0%), 기

타 8명(6.4%)순으로 나타났다. 위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시각장애인 연합회 소속인

조사대상자들의 직종이 대부분 안마 및 침술 업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이 조사대상

자의 경제적 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덟 번째, 동거 가족 수의 경우, 3명이상이 73명(58.4%), 1명-2명이 42명(33.6%)

그리고 혼자살고 있는 경우가 10명(8.0%) 순으로 나타났다.

아홉 번째, 거주지역의 경우, 중소도시가 56명(44.8%), 대도시가 50명(40.0%) 그리

고 농어촌이 19명(15.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가 농어촌에 비해 중소

도시 및 대도시에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 번째, 거주 지역군의 경우, 수도권이 50명(40.0%), 영남권이 37명(29.6%), 호남

권이 17명(13.6%) 그리고 충청권이 13명(10.4%) 순으로 나타났다.

24)시각장애인실태조사(2001년)에 의하며, 7.2%만이 안마시술소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원의 특성이 강하게 반영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25)본 연구에서의 조사대상자의 월평균소득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은 조사대상자의 직종

이 강하게 반영된 결과이므로 본 연구 결과를 시각장애인연합회 비회원들에게까지 일반화시켜서 적,

용하는 것은 연구의 제한점에서도 밝혔듯이 매우 무리가 있다.

- 43 -

마지막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의 경우, 비수급권자가 108명(86.4%), 수

급권자가 17명(13.6%)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수치는 조사대상자의 경제적 상태

가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지금까지 살펴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n=125, 단위: 명)

특성 구분 빈도(%)

성별

(n=125)

남자 111(88.8)

여자 14(11.2)

연령

(n=125, M26)≒52세)

30대 15(12.0)

40대 32(25.6)

50대 55(44.0)

60대 이상 23(18.4)

학력

(n=124)

초등학교 졸업 이하 15(12.0)

중학교 졸업 19(15.2)

고등학교 졸업 73(58.4)

전문대학교 졸업 이상 17(13.6)

종교

(n=124)

기독교 55(44.0)

천주교 13(10.4)

불교 17(13.6)

무교 37(29.6)

기타 2(1.6)

결혼상태

(n=125)

미혼 14(11.2)

기혼 104(83.2)

이혼 2(1.6)

사별 5(4.0)

- 44 -

특성 구분 빈도(%)

월평균 가구소득

(n=123)

없음 12(9.6)

50만원 미만 13(10.4)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 19(15.2)

100만원 이상 150만원 미만 27(21.6)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24(19.2)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 17(13.6)

300만원 이상 11(8.8)

직업

(n=125)

고위임직원, 행정, 관리자 4(3.2)

전문가(약사, 물리치료사 등) 3(2.4)

사무직원 4(3.2)

안마 및 침술업 66(52.8)

기능직 근로자 1(.8)

단순노무직 근로자 1(.8)

농․임․수산업 근로자 4(3.2)

자영업자 4(3.2)

무직 30(24.0)

기타 8(6.4)

동거 가족 수

(n=125)

혼자 살고 있음 10(8.0)

1-2명과 같이 살고 있음 42(33.6)

3명이상과 같이 살고 있음 73(58.4)

거주지역

(n=125)

대도시 50(40.0)

중소도시 56(44.8)

농어촌 19(15.2)

- 45 -

2222.... 장장장장애애애애특특특특성성성성

본 연구 조사대상자의 장애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장애등급 및 장애지속 기간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장애등급의 경우, 1급이 112명(89.6%), 2급이 9명(7.2%) 그리고 3급이 3

명(2.4%)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이 전맹(Blindness)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애지속 기간의 경우, 20년 이상이 98명(79.0%),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24명(19.4%) 그리고 10년 미만이 2명(1.6%)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장애지속 기

간이 약 33년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살펴본 장애특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2>에 제시된 바와

같다.

26)M=mean으로서 평균을 의미함.

특성 구분 빈도(%)

거주 지역군

(n=125)

수도권 50(40.0)

영남권 37(29.6)

호남권 17(13.6)

충청권 13(10.4)

강원권 6(4.8)

제주권 2(1.6)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 여부

(n=125)

수급권자 17(13.6)

비 수급권자 108(86.4)

- 46 -

<표4-2> 조사대상자의 장애특성

(n=125, 단위: 명)

제제제제2222절절절절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본 절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첫째 자립생활의 하

위차원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통한 전반적인 자립생활 수준과, 둘째, 각 차원별

설문문항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한 세부적인 자립생활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1111....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본 연구에서는 자립생활을 앞서 언급한 대로 세 가지 하위차원 즉,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으로 구성하였다. 전체 자립생활27)은 M=3.3489( S

D28)=.3272)로 나타났고, 각각 하위차원의 전반적인 수준은 지각된 통제의 경우

M=3.3248(SD=.4699), 심리적 자기의존은 M=3.2140(SD=.4553), 신체적 기능은

M=3.5078(SD=.4119)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이 높고, 특히 신체적 기능 수준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27)전체자립생활 = 지각된 통제 + 심리적 자기의존 + 신체적 기능

28)SD=Standard Deviation으로 표준편차를 의미함.

특성 구분 빈도(%)

장애등급

(n=125)

1급 112(89.6)

2급 9(7.2)

3급 3(2.4)

4급 1(.8)

장애지속 기간

(n=124, M≒33년)

10년 미만 2(1.6)

10년 이상 20년 미만 24(19.4)

20년 이상 98(79.0)

- 47 -

지금까지 살펴본 자립생활 수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3>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3> 자립생활 수준

2222.... 하하하하위위위위차차차차원원원원별별별별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다음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3가지 하위차원에 대해 설문

문항을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인 자립생활의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3가지 하위차

원 중, 신체적 기능의 경우, 세부영역으로 이동 및 신체적 활동, 손재주, 사회적

활동 그리고 일상생활 활동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1111)))) 지지지지각각각각된된된된 통통통통제제제제

지각된 통제란 시각장애인들이 자신들의 삶을 통제 및 관리하고 있는 정도를 의

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 및 관리수준이 높다는 것을 나타

낸다. 총 6문항 중 4문항이 지각된 통제의 평균점수인 3.3248보다 높은 것으로 나

타났고, 나머지 2문항 즉, “스포츠활동, 관광, 게임등과 같은 오락스포츠 활동은

내가 노력하면 참가할 수 있다(M=3.1120)"와 ”학교를 다니거나 또는 유사한 교육

과정은 내가 노력하면 받을 수 있다(M=3.1680)"는 평균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이 자신의 삶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지각된

통제 수준은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하위차원 M SD 최소값/최대값

지각된 통제 3.3248 .4699 2.00/4.00

심리적

자기의존3.2140 .4553 2.25/4.00

신체적 기능 3.5078 .4119 1.75/4.00

전체자립생활 3.3489 .3272 2.26/4.00

- 48 -

지금까지 살펴본 지각된 통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4>에 제시된 바

와 같다.

<표4-4> 지각된 통제 수준

(단위: 명(%))

2222)))) 심심심심리리리리적적적적 자자자자기기기기의의의의존존존존

심리적 자기의존은 타인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고 자기 자신에 의존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 자신에 대한 의존이 높음을 즉, 타인에 대한 심

리적 의존이 낮음을 의미한다. 총 4문항 중 1문항만 평균점수인 3.2140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나는 아이들이 어렸을 때 책임감을 심어주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

29)나머지 30명은 무직인 시각장애인임.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맛있는 음식, 깨끗한 집안환경 등

과 같은 가정 내에서의 안락함은

내가 노력하면 얻을 수 있

다.(n=125)

1

(.8)

4

(3.2)

70

(56.0)

50

(40.0)

3.3520

(.5855)

가족구성원들과의 친밀한 관계는

내가 노력하면 맺을 수 있

다.(n=125)

0

(.0)

2

(1.6)

58

(46.4)

65

(52.0)

3.5040

(.5331)

직장에서의 일은 내가 노력하면

잘할 수 있다.(n=95)29)

0

(.0)

0

(.0)

50

(52.6)

45

(47.4)

3.4792

(.7801)

스포츠활동, 관광, 게임 등과 같

은 오락스포츠 활동은 내가 노력

하면 참가할 수 있다.(n=125)

3

(2.4)

17

(13.6)

68

(54.4)

37

(29.6)

3.1120

(.7208)

친한 친구 또는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는 내가 노력하면 만들 수

있다.(n=125)

1

(.8)

1

(.8)

69

(55.2)

54

(43.2)

3.4080

(.5549)

학교를 다니거나 또는 유사한 교

육과정은 내가 노력하면 받을 수

있다.(n=125)

4

(3.2)

14

(11.2)

64

(51.2)

43

(34.4)

3.1680

(.7485)

- 49 -

(M=3.5040)" 문항이 본 하위척도의 평균점수를 훨씬 상회했으며, 나머지 3문항은

모두 평균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이 타인을 의존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의존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음

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심리적 자기의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5>에 제시

된 바와 같다.

<표4-5>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

(단위: 명(%)

3333)))) 신신신신체체체체적적적적 기기기기능능능능

신체적 기능은 일상생활에서의 지역사회활동정도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역사회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하위차원은 이동(Mobility)

및 신체적 활동(Physical Activity), 손재주(Dexterity),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

일상생활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4가지 세부차원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나는 문제를 피하려고 하기보다

는 오히려 그것에 부딪히려고 한

다.(n=125)

5

(4.0)

12

(9.6)

63

(50.4)

45

(36.0)

3.1840

(.7660)

나는 보통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

을 받기보다는 영향을 미치는 편

이다.(n=125)

3

(2.4)

20

(16.0)

74

(59.2)

28

(22.4)

3.0160

(.6954)

나는 내가 맡은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상당히 자신 있

다.(n=125)

2

(1.6)

9

(7.2)

82

(65.6)

32

(25.6)

3.1520

(.6098)

나는 아이들이 어렸을 때 책임감

을 심어주는 것에 대해 찬성한

다.(n=125)

0

(.0)

1

(.8)

60

(48.0)

64

(51.2)

3.5040

(.5178)

- 50 -

((((1111))))이이이이동동동동((((MMMMoooobbbbiiiilllliiiittttyyyy)))) 및및및및 신신신신체체체체적적적적 활활활활동동동동((((PPPPhhhhyyyyssssiiiiccccaaaallll AAAAccccttttiiiivvvviiiittttyyyy))))

신체적 기능의 평균점수가 3.5078인 반면, 본 세부차원의 평균점수는 2.9560으로

다른 세부차원에 비해 평균점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

애인이 이동 및 신체적 활동을 함에 있어서 다른 신체적 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설문문항 중, “나는 장애 때문에 하루

의 대부분을 집안에서만 보내야 한다(M=3.1600)"의 역문항만 평균점수를 상회하는

것으로 드러나, 조사대상자인 시각장애인이 장애로 인해 집안에만 있지는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동 및 신체적 활동 수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4-6>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6>이동 및 신체적 활동 수준

(단위: 명(%))

30) 신체적 기능의 세부차원에서 역점수로 계산한 문항을 의미함*: (recoding).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나는 장애 때문에 하루의 대부

분을 집안에서만 보내야 한

다.(n=125)*30)

61

(48.8)

31

(24.8)

25

(20.0)

8

(6.4)

3.1600

(.9621)

나는 혼자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n=125)

18

(14.4)

15

(12.0)

60

(48.0)

32

(25.6)

2.8480

(.9676)

나는 산책할 때 누군가가 나를

도와주어야만 한다.(n=125)*

33

(26.4)

52

(41.6)

31

(24.8)

9

(7.2)

2.8720

(.8887)

나는 장애 때문에 계단을 오르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

다.(n=125)*

49

(39.2)

31

(24.8)

34

(27.2)

11

(8.8)

2.9440

(1.0104)

합 계 M=2.9560(SD=.6318)

- 51 -

((((2222))))손손손손재재재재주주주주

본 세부차원의 평균점수는 3.7080으로 신체적 기능의 평균점수인 3.507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인 시각장애인들이 자물쇠에 열쇠를 돌리거나

(M=3.7760), 신발 끈을 묶거나(M=3.7600) 또는 음식뚜껑을 여는(M=3.8320) 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손을 사용하는 간단한 활동들을 잘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하지만 본 세부차원의 문항 중 “나는 쉽게 옷에 단추를 달 수 있다

(M=3.4553)"의 문항만 평균점수보다 낮게 나왔으나,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이 손

재주를 통한 신체적 기능을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살펴본 손재주 수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7>에 제시된 바

와 같다.

<표4-7> 손재주 수준

(단위: 명(%))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나는 쉽게 자물쇠에 열쇠를 돌릴

수 있다.(n=125)

2

(1.6)

1

(.8)

20

(16.0)

102

(81.6)

3.7760

(.5367)

나는 쉽게 옷에 단추를 달 수 있

다.(n=123)

5

(4.0)

10

(8.0)

32

(25.6)

76

(60.8)

3.4553

(.8123)

나는 쉽게 신발 끈을 묶을 수 있

다.(n=125)

2

(1.6)

3

(2.4)

18

(14.4)

102

(81.6)

3.7600

(.5736)

나는 쉽게 음식뚜껑을 열 수 있

다.(n=125)

2

(1.6)

0

(.0)

15

(12.0)

108

(86.4)

3.8320

(.4875)

합 계 M=3.7080(SD=.4759)

- 52 -

((((3333))))사사사사회회회회적적적적 활활활활동동동동

본 세부차원의 평균점수는 3.5807로 신체적 기능의 평균점수인 3.5078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을 먹을 때(M=3.6320)와 돈을 관리할 때(M=3.6160) 등의

문항에서 본 세부차원의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나는 빨래를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M=3.4286)"문항과 ”나는 청소를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이 필요하다(M=3.4324)"문항이 본 세부차원의 평균점수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조사대상자인 시각장애인이 사회적 활동을 원활히 잘 수행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사회적 활동 수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8>에 제시

된 바와 같다.

<표4-8>사회적 활동 수준

(단위: 명(%))

31)빨래와 청소에 있어서 남자 시각장애인의 경우 배우자가 하는 경우 수가 줄어들었음, n .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나는 약을 먹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n=125)*95(76.0) 17(13.6) 10(8.0) 3(2.4)

3.6320

(.7354)

나는 돈을 관리할 때 다른 사람

의 도움이 필요하다.(n=125)*94(75.2) 17(13.6) 11(8.8) 3(2.4)

3.6160

(.7490)

나는 빨래를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n=70)31)*44(62.9) 17(24.3) 4(5.7) 5(7.1)

3.4286

(1.0286)

나는 청소를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n=74)*45(60.8) 20(27.0) 5(6.8) 4(5.4)

3.4324

(1.0094)

합 계 M=3.5807(SD=.6463)

- 53 -

((((4444))))일일일일상상상상생생생생활활활활 활활활활동동동동

본 세부차원의 평균점수는 3.8100으로 신체적 기능의 평균점수인 3.5078보다 매우

높고, 신체적 기능의 세부차원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

인 시각장애인이 화장실 사용하기(M=3.8080), 옷 입기(M=3.8160), 침대 및 의자에

서 이동하기(M=3.7920) 및 식사하기(M=3.8240) 등의 일상생활 활동을 매우 원활히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일상생활 활동 수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9>에 제

시된 바와 같다.

<표4-9>일상생활 활동 수준

(단위: 명(%))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M

(SD)

나는 화장실을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n=125)*110(88.0) 9(7.2) 3(2.4) 3(2.4)

3.8080

(.5915)

나는 옷을 입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n=125)*111(88.8) 7(5.6) 5(4.0) 2(1.6)

3.8160

(.5733)

나는 침대, 의자에서 이동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

다.(n=125)*

107(85.6) 12(9.6) 4(3.2) 2(1.6)3.7920

(.5721)

나는 식사할 때 다른 사람의 도

움이 필요하다.(n=125)*107(85.6) 12(9.6) 4(3.2) 2(1.6)

3.8240

(.5246)

합 계 M=3.8100(SD=.4902)

- 54 -

제제제제3333절절절절 조조조조사사사사대대대대상상상상자자자자의의의의 일일일일반반반반적적적적 특특특특성성성성과과과과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본 절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본 연구자가 밝히고 싶은 몇 가지 일

반적 특성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 특성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으로 나뉘어 지는 데,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 연령,

월평균소득, 직업유무, 거주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 등을, 장애특성에서

는 장애등급 및 장애지속 기간 등을 선택하여 각각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를 기반

으로, 각 변수와 자립생활과의 1:1의 관계 속에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자

립생활 정도의 차이를 밝힐 수 있다.

1111.... 성성성성별별별별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성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해 본 결과, 전체자립

생활과 자립생활의 3가지 하위차원에서 성별에 따른 자립생활수준의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서는 자립생활 수준에 차이

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0>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0>성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성별t Sig

남(n=111) 여(n=14)

전체 자립생활 3.3504(.3286) 3.3371(.3275) .142 .887

지각된 통제 3.3339(.4718) 3.2524(.4647) .610 .543

심리적 자기의존 3.2140(.4583) 3.2143(.4478) -.002 .998

신체적 기능 3.5032(.3935) 3.5446(.5533) -.354 .724

- 55 -

2222.... 연연연연령령령령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연령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해 본 결과, 전

체자립생활과 자립생활의 3가지 하위차원에서 연령에 따른 자립생활수준의 차이

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단, 신체적 기능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

록 신체적 기능이 높아지는 경향성은 보이고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았

다(p=.070). 따라서 연령에 따라서는 자립생활 수준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1>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1>연령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3333.... 월월월월평평평평균균균균 소소소소득득득득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월평균 소득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해 본

결과, 전체 자립생활(p=.027)과 지각된 통제(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연령 대

F Sig

30대(n=15) 40대(n=32) 50대(n=55) 60대이상(n=23)

전체

자립생활

3.4408

(.2223)

3.3862

(.3579)

3.3255

(.3234)

3.2928

(.3499).849 .470

지각된 통제3.3778

(.3855)

3.4010

(.4777)

3.3018

(.4526)

3.2391

(.5532).637 .592

심리적

자기의존

3.2000

(.4246)

3.2266

(.4594)

3.2000

(.4699)

3.2391

(.4614).052 .984

신체적 기능3.7446

(.1572)

3.5310

(.3939)

3.4748

(.4353)

3.4000

(.4504)2.409 .070

- 56 -

를 보였다. 이에 대한 Scheffe의 사후검증32) 결과, 첫째 전체 자립생활의 경우, 200

만원 이상인 시각장애인이(M=3.4853, SD=.3377) 100만원 미만의 시각장애인

(M=3.2746, SD=.3464)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29) 둘째

지각된 통제의 경우, 월평균 소득이 200만원 이상인 시각장애인이(M=3.5286,

SD=.4652) 100만원 미만인 시각장애인(M=3.1773, SD=.4652)보다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8). 따라서 월평균 소득에 따라 전체자립생활 수준과

지각된 통제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2>

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2>월평균 소득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p< .05, **p< .01

32)영가설의 기각여부를 검정하여 만약 영가설이 기각되었다면 어떤 대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찾아내는 통계적 방법을 사후비교분석(post-hoc comparison analysis) 혹은 Scheffe'방법이라고 부른다(성태제,2001)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월평균 가구소득

F Sig100만원 미만

(n=44)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n=51)

200만원 이상

(n=28)

전체

자립생활

3.2746

(.3464)

3.3359

(.2913)

3.4853

(.3377)3.711 .027*

지각된 통제3.1773

(.4652)

3.3399

(.4545)

3.5286

(.4466)5.111 .007**

심리적

자기의존

3.1818

(.4392)

3.1618

(.4495)

3.3661

(.4882)2.010 .138

신체적 기능3.4647

(.5103)

3.5061

(.3388)

3.5611

(.3725).463 .631

- 57 -

4444.... 직직직직업업업업유유유유무무무무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직업유무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해 본 결과, 첫째

전체 자립생활의 경우, 직업이 있는 시각장애인이(M=3.4040, SD=.3053) 직업이 없

는 시각장애인(M=3.1744, SD=.338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둘째 지각된 통제의 경우, 직업이 있는 시각장애인이(M=3.3867,

SD=.4503) 직업이 없는 시각장애인(M=3.1289, SD=.484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게 높게 나타났고(p=.008), 셋째 신체적 기능의 경우, 직업이 있는 시각장애인이

(3.5779, SD=.3297) 직업이 없는 시각장애인(M=3.2859, SD=.5532)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9), 즉, 직업을 가지고 있는 시각장애인이 직업이 없

는 시각장애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전체자립생활 수준과 지각된 통

제감 수준 그리고 사회적 기능 수준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직업유무에 따라 전체

자립생활, 지각된 통제 및 신체적 기능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세

한 내용은 다음의 <표4-13>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3>직업유무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p< .01, ***p< .001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직업 유무

t Sig

직업 있음(n=95) 직업 없음(n=30)

전체 자립생활3.4040

(.3053)

3.1744

(.3380)3.499 .001***

지각된 통제3.3867

(.4503)

3.1289

(.4841)2.684 .008**

심리적 자기의존3.2474

(.4634)

3.1083

(.4187)1.465 .146

신체적 기능3.5779

(.3297)

3.2859

(.5532)2.742 .009**

- 58 -

5555.... 거거거거주주주주지지지지역역역역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거주 지역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해 본 결

과, 전체자립생활과 자립생활의 3가지 하위차원에서 거주 지역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 지역에 따라서

는 자립생활 수준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4>

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4>거주지역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6666.... 국국국국민민민민기기기기초초초초생생생생활활활활보보보보장장장장수수수수급급급급 여여여여부부부부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국민기초 생활보장 수급 여부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해 본 결과, 전체자립생활과 자립생활의 3가지 하위차원에서 수급 여부에 따

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급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거주지역

F Sig

대도시(n=50) 중소도시(n=56) 농어촌(n=19)

전체 자립생활3.3561

(.3256)

3.3396

(.3161)

3.3573

(.3783).040 .960

지각된 통제3.2820

(.4353)

3.3435

(.4700)

3.3825

(.5659).391 .677

심리적

자기의존

3.2000

(.5025)

3.1875

(.4297)

3.3289

(.4001).721 .489

신체적 기능3.5863

(.3109)

3.4878

(.4481)

3.3604

(.5008)2.233 .112

- 59 -

여부에 따라서는 자립생활 수준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5>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5>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 여부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7777.... 장장장장애애애애등등등등급급급급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장애등급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해 본 결과, 전체

자립생활과 자립생활의 3가지 하위차원에서 장애등급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의 차

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하지만, 2급 이상의 시각장애인이 1

급 시각장애인보다 전체자립생활과 각각의 모든 하위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진 않지만 높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장애등급에 따라서는 자립생활

수준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6>에

제시된 바와 같다.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수급권자 여부

t Sig

수급권자(n=17) 비 수급권자(n=108)

전체 자립생활3.2570

(.3819)

3.3633

(.3173)-1.247 .215

지각된 통제3.1745

(.4956)

3.3485

(.4636)-1.425 .157

심리적 자기의존3.0588

(.4883)

3.2384

(.4474)-1.520 .131

신체적 기능3.5378

(.4165)

3.5031

(.4129).322 .748

- 60 -

<표4-16>장애등급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8888.... 장장장장애애애애지지지지속속속속기기기기간간간간에에에에 따따따따른른른른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

지역 군에 따른 자립생활 정도의 차이를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해 본 결과,

전체 자립평균(p=.000), 지각된 통제(p=.001), 심리적 자기의존(p=.014), 신체적 기

능(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한 Scheffe 및

Dunnett T3사후검증33) 결과, 첫째 전체 자립생활의 경우, 지속기간이 10년 미만인

시각장애인이(M=2.2705, SD=.0122)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장애인(M=3.4261,

SD=.2644, p=.000)과 20년 이상 장애인(M=3.3555, SD=.3058, p=.000)보다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통제의 경우, 지속기간이 10년 미만인

시각장애인이(M=2.2000, SD=.2828)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장애인(M=3.4306,

SD=.4454, p=.001)과 20년 이상 장애인(M=3.3252, SD=.4521, p=.003)보다 통계적으

33)사후검증 시, 집단간 등분산성(Homogeneity of Variances)이 충족되면 Scheffe의 사후검증을, 충족되지 못하면 Dunnett T3사후검증을 이용한다.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장애등급

t Sig

1급(n=112) 2급 이상(n=13)

전체 자립생활3.3354

(.3332)

3.4652

(.2513)-1.359 .177

지각된 통제3.3122

(.4723)

3.4333

(.4517)-.879 .381

심리적 자기의존3.1987

(.4602)

3.3462

(.4023)-1.106 .271

신체적 기능3.4952

(.4223)

3.6161

(.2985)-1.001 .319

- 61 -

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자기의존의 경우, 지속기간이 10년 미

만인 시각장애인이(M=2.3750, SD=.1767)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장애인(M=3.3333,

SD=.3269)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지만 낮은 경향성을 보였다(p=.067) 마지

막으로 신체적 기능의 경우, 지속기간이 10년 미만인 시각장애인이(M=2.2366,

SD=.0694)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장애인(M=3.5145, SD=.4408, p=.000)과 20년 이

상 장애인(M=3.5373, SD=.3659, p=.00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

다. 즉, 장애지속기간이 짧을수록 전체자립생활 및 각각의 하위차원에 있어서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장애지속기간에 따라 자립

생활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7>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7>장애지속 기간에 따른 자립생활 수준

(단위: M(SD))

*p<.05, ***p< .001

자립생활의

하위차원

장애지속기간

F Sig10년

미만(n=2)

10년이상

20년 미만(n=24)20년 이상(n=98)

전체

자립생활

2.2705

(.0122)

3.4261

(.2644)

3.3555

(.3058)14.000 .000***

지각된 통제2.2000

(.2828)

3.4306

(.4454)

3.3252

(.4521)6.916 .001***

심리적

자기의존

2.3750

(.1767)

3.3333

(.3269)

3.2041

(.4699)4.451 .014*

신체적 기능2.2366

(.0694)

3.5145

(.4408)

3.5373

(.3659)11.489 .000***

- 62 -

제제제제4444절절절절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요요요요인인인인

본 절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은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환경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

대적 중요성을 밝히는 작업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

회복지적 개입전략 또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개인체계,

가족체계 그리고 사회체계로 구분하였다. 개인체계는 자존감과 장애수용 정도로,

가족체계는 가족지지로 그리고 사회체계는 사회적지지,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복지 서비스 이용정도 등으로 구체적으로 조작화 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첫째, 각각의 체계

를 구성하는 독립변수의 전반적인 특성을 밝히는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

둘째, 각각의 체계에 속한 독립변수와 자립생활과의 관계를 밝히는 상관관계분석

(Correlation Analysis), 셋째,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상대적인 영

향력을 밝히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의 단계로 실행되었다.

1111.... 주주주주요요요요 독독독독립립립립변변변변수수수수의의의의 기기기기술술술술 분분분분석석석석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독립변수 중, 첫째 개인체계에 속

한 변수들을 살펴보면, 자존감은 평균점수가 3.0672(SD=.5679)로 나타나 자신에 대

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수용 정도의 평균점수는

3.2507(SD=.5799)로 나타나 조사대상자인 시각장애인들이 자신들이 지니고 있는

시각장애를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체계에 속한 변수

를 살펴보면, 가족지지는 평균점수가 3.1565(SD=.4935)로 나타나 가족지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표준편차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체계에 속한 변수들

- 63 -

을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의 평균점수는 2.8507(SD=.5543)로 나타나 가족지지에 비

해 다소 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의 평균점수는

2.6147(SD=.5208)로 나타나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그다지 크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정도의 평균점수는 1.8933(SD=.8443)으로 나타나 서비스

이용 정도가 낮은 편이며, 다른 독립변수에 비해 표준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

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8>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8>주요 독립변수의 기술 분석

주: 자존감 - 점수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을 것을 의미함.

장애수용 - 점수가 높을수록 장애수용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함.

가족지지 -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함.

사회적지지 -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함.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 점수가 높을수록 정보접근이 어려운 것을 의미함.

서비스 이용 정도 - 점수가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함.

2222.... 주주주주요요요요 독독독독립립립립변변변변수수수수와와와와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과과과과의의의의 관관관관계계계계

주요 독립변수와 자립생활과의 관계를 전체자립생활과 각각의 하위차원 순으로

독립변수 M SD 최소값/최대값

개인체계

자존감 3.0672 .5679 1.60/4.00

장애수용 3.2507 .5799 1.00/4.00

가족체계 가족지지 3.1565 .4935 1.80/4.00

사회체계

사회적지지 2.8507 .5543 1.33/4.00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2.6147 .5208 1.17/4.00

서비스

이용 정도1.8933 .8443 1.00/4.00

- 64 -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체자립생활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 있는 독립변수들을 살펴보면,

개인체계에 있어서는 자존감(r=.535, p=.000)과 장애수용(r=.399, p=.000), 가족체계

에는 가족지지(r=.348, p=.000), 사회체계에 있어서는 사회적지지(r=.265, p=.003)와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r=-.381, p=.0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체계의 서비스

이용정도를 제외한 개인 및 가족 그리고 사회환경적 요인이 전체자립생활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지각된 통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 있는 독립변수들을 살펴보면,

개인체계에 있어서는 자존감(r=.292, p=.001)과 장애수용정도(r=.193, p=.031), 사회

체계에 있어서는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r=-.488, p=.0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

각된 통제의 경우, 다른 체계의 요인들보다 개인체계에 속한 요인과 밀접한 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와 서비스이용 정도는 지각

된 통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자기의존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 있는 독립변수들을 살펴보

면, 개인체계에 있어서는 자존감(r=.521, p=.000)과 장애수용정도(r=.378, p=.000),

가족체계에 있어서는 가족지지(r=.413, p=.000), 사회체계에 있어서는 사회적지지

(r=.182, p=.042)와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r=-.245, p=.006)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

회체계의 서비스 이용정도를 제외한 개인 및 가족 그리고 사회환경적 요인이 심

리적 자기의존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기능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 있는 독립변수를 살펴보면,

개인체계에 있어서는 자존감(r=.366, p=000)과 장애수용정도(r=.314, p=.000), 가족

체계에 있어서는 가족지지(r=.348, p=.000), 사회체계에 있어서는 사회적지지

(r=.265, p=.003)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체계에 속한 정보접근의 어려움정도 와

서비스 이용정도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들이 신체적 기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개인체계에 속한 자존감과 장애수용

과 같은 정서적 측면이 강한 독립변수들도 신체적 기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요컨대 개인체계에 속한 자존감과 장애수용의 경우 전체자립생활 뿐만 아니라 모

- 65 -

든 하위차원의 자립생활들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는 지각된 통제를 제외한 나머지 자립생활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신체적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자립생활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서비스이용 정도의

경우 전체자립생활을 포함한 나머지 모든 하위차원의 자립생활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나타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19>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4-19>주요 독립변수와 자립생활과의 관계

*p<.05, **p<.01, ***p< .001

3333....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요요요요인인인인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자립생활은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으

로 구성된 복합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자립생활을 비롯해서 각 하위차원

별로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체계의 요인들을 비교하여 밝히는 분

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다음에서는 자립생활의 각 하위차원별로 영향을 미치는

전체자립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신체적 기능

자존감 .535*** .292** .521*** .366***

장애수용 .399*** .193* .378*** .314***

가족지지 .348*** .137 .413*** .217*

사회적지지 .265** .086 .182* .331***

정보접근성 -.381*** -.488*** -.245** -.082

서비스이용정도 -.082 -.100 -.129 .062

- 66 -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고자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

등의 통제변수와 각 체계에 속하는 요인들을 동시 투입하여 실시하는 다중회귀분

석34)을 실시하였다.

우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명목변수인 성

별, 종교유무, 결혼상태, 직업유무, 거주지역 및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 여부 등

은 가변수35)(Dummy Variable)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 간

의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팽창계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를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모든 변수에서 VIF계수가

5를 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36) 또한 잔차(residual)

의 독립성 즉, 잔차의 자기상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Dubin-Watson검증37)을 실

시한 결과 자기상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서는 전체자립생활과 각각의 하위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차례대로

살펴보도록 하자.

34)다중회귀분석과 함께, 통제변수의 설명력을 제외한 독립변수의 설명력(R²:결정계수)만을 알아보기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도 실시하였다.

35)회귀모형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측정된 질적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사용하는것이 이론적으로 불가피할 경우에는 이러한 변수들을 가변수로 전환시켜 회귀분석에 포함시킬 수 있다(김두섭 외, 2000).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가변수를 조작했다. 성별¹(남자=1, 여자=0), 종교¹(종교 있음=1, 종교 없음=0), 결혼상태¹(미혼=1, 나머지=0), 결혼상태²(기혼=1, 나머지=0), 결혼상태³(이혼=1, 나머지=0), 직업유무¹(직업 있음=1, 직업 없음=0), 거주지역¹(대도시=1, 농어촌과 나머지=0), 거주지역²(중소도시=1, 농어촌과 나머지=0), 수급권자 여부¹(수급권자=1, 비 수급권자=0).

36)3개 이상의 독립변수들 간의 강한 선형관계를 다중공선성이라고 하며, 심한 다중공선성은 회귀분석 결과를 왜곡시켜 특정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독자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그리고 일반적으로 분산팽창계수(VIF) 값이 10이상일 때는 심한 다중공선성의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Hocking and Pendleton, 1983:김두섭 외 2000)

37)회귀분석 과정에서 일단 회귀식이 추정되고 나면 잔차의 자기상관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주로 Dubin-Watson검증을 이용한다. 이 값이 2에 가까울수록 잔차간에 자기상관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김두섭 외, 2000).

- 67 -

1111))))전전전전체체체체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전체자립생활은 자립생활의 하위차원인 지각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그리고 신

체적 기능을 합산하여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

그리고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적합도(F값)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p=.000),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대한 설명력(R²)은 49.0%로 나타났다38).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체계내의 독립변수가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미치

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전체자립생

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체계 속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살펴보면, 첫째 개인체계에 속하는 요인으로

서, 자존감(p=.001)과 장애수용(p=.050)이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β39)=.351) 그리고 장애

수용정도가 높을수록(β=.184) 전체자립생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체계

의 경우, 가족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40). 셋째 사회체계의 경우,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0) 나머지 사회적 지

지41)와 서비스 이용정도42)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8)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전체자립생활을 설명하는 독립변수만의 설명력(R² Change)은 31.7%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자립생활을 설명하는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39)β: 표준화된 회귀계수로서, 이것의 추정치의 절대 값이 클수록 해당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서혜선 외, 1999)

40) 가족지지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재해석 하고자 한다. 즉 시각장애인이 자립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가족의 지원이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느끼는 가족 지지의 평균점수가 3.1565이고 표준편차도다른 독립변수 중 가작 적은 .4935로서(<표4-18>참조) 일정수준 이상의 가족지지가 이미 시각장애인에게 제공되고 있고 가족지지 정도에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논의는 자립생활의 세가지 하위차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41)사회적 지지에 대해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재해석 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가 자립생활의하위차원 중 지각된 통제 및 심리적 자기의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진 않지만, 표준화계수(β)가 음(-)의 부호를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지지가 예상과는 다르게 반대의 부호(-)가 나온 것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조사대상자인 연합회원 시각

- 68 -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β=-.308) 전체자립생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요컨대, 자존감이 높을수록,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전체자립생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 전체자립생활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존감(β=.351),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β= -.308), 장애

수용 정도 (β=.184) 순으로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20>에 제시된 Model 1 내용과 같다.

2222))))지지지지각각각각된된된된 통통통통제제제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 그리고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

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적합

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p=.001), 지각된 통제수준에 대한 설명력

(R²)은 36.6%로 나타났다4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체계내의 독립변수가 지각된 통제 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지각된 통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각의 체계 속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살펴보면, 첫째 개인체계에 속하는 요인으로서

자존감과 장애수용 및 가족체계에 속하는 가족지지는 지각된 통제 수준에 통계적

장애인이 사회적 지지를 장애인에 대한 연민 또는 자선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식했기 때문에나온 결과라고 조심스럽게 해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의 경우 시각장애인연합회원의 개인적 특성이 강하게 반영된 결과로서,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도 물론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논의는 자립생활의 세 가지 하위차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42)서비스 이용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에 대해 본 연구자는다음과 같이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런 결과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 기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중요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시각장애인이 이용하는 서비스 정도의 평균점수가 1.8933(<표4-18>참조)으로 대도시를 제외한 중소도시 및 농어촌과 같은 지역은 서비스를 제공하는기관의 수가 적거나 없어서 시각장애인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나온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와 질도 중요하지만, 우선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의 양적 확대를 위한 제도적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런 논의는 자립생활의 세 가지 하위차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43)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통제수준을 설명하는 독립변수만의 설명력(R² Change)은 20.3%로나타났다. 따라서 지각된 통제수준을 설명하는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 69 -

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체계의 경우, 정

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지각된 통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0) 나머지 사회적 지지와 서비스 이용정도는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β=-.411) 지

각된 통제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요컨대,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 지각된 통제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β=-.411)가 지각된 통제 수준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20>에 제

시된 Model 2의 내용과 같다.

3333))))심심심심리리리리적적적적 자자자자기기기기의의의의존존존존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 그리고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

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적합

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p=.000),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대한 설명

력은 46.4%로 나타났다4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체계내의 독립변수가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미

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여부의 경우, 수급권자일수록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이 낮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p=.078). 그리고 각각의 체계 속에 속한 독립변

수들을 살펴보면, 첫째 개인체계에 속하는 요인으로서, 자존감(p=.000)과 장애수용

(p=.043)이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β=.460) 그리고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β=.196)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체계의 경우, 가족지지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체계의 경우,

44)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심리적자기 의존수준을 설명하는 독립변수만의 설명력(R² Change)은 34.2%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을 설명하는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 70 -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25) 나머지 사회적 지지와 서비스 이용정도는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β

=-.194)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요컨대, 자존감이 높을수록,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존감(β=.460), 장애수용 정도 (β=.196),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β= -.194) 순으로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20>에 제시된 Model 3의

내용과 같다.

4444))))신신신신체체체체적적적적 기기기기능능능능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애특성 그리고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

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적합

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p=.000), 신체적 기능 수준에 대한 설명력은

39.6%로 나타났다4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체계내의 독립변수가 신체적 기능 수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우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경우, 연령(p=.009)

과 동거 가족 수(p=.000)가 신체적 기능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β=-.302) 그리고 동거가족수가 적을수

록(β=-.375) 신체적 기능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 특성은

신체적 기능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리고 각각의 체계 속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살펴보면, 개인체계에 속하는

자존감과 장애수용, 가족체계에 속하는 가족지지 그리고 사회체계에 속하는 사회

적지지,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서비스 이용정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45)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신체적 기능을 설명하는 독립변수만의 설명력(R² Change)은 14.2%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적 기능 수준을 설명하는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보다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 71 -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서비스 이용정도의 경우, 이용정도

가 높을수록(β=.169) 신체적 기능 수준이 높은 경향성을 보여주었다.(p=.087)

요컨대, 신체적 기능 수준의 경우, 일반적 특성에 속하는 연령과 동거가족 수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모든 독립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존감, 장애수용 정도,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등의 심

리적인 요인이 신체적 기능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

에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4-20>에 제시된 Model 4의 내용과 같다.

- 72 -

<표4-20>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독립변수Model 1(전체자립) Model 2(지각된 통제)

B (S.E) β B(S.E) β

개개개개인인인인체체체체계계계계자존감 ....222200004444((((....000066662222)))) .351*** .133(.098) .161

장애수용정도 ....111100005555((((....000055553333)))) .184* .045(.084) .055

가가가가족족족족체체체체계계계계 가족지지 .098(.063) .145 .054(.100) .056

사사사사회회회회체체체체계계계계

사회적 지지 .004(.053) .007 -.024(.084) -.028

정보접근의 어려움 ----....111199997777((((....000055553333)))) -.308*** ----....333377774444((((....000088884444)))) -.411***

서비스이용정도 .002(.035) .005 -.061(.056) -.110

통통통통제제제제변변변변수수수수

인인인인구구구구사사사사회회회회학학학학적적적적특특특특성성성성

성별¹ -.021(.088) -.019 -.026(.140) -.017

연령 -.003(.004) -.086 .002(.006) .031

학력 .008(.026) .028 .037(.041) .093

종교¹ -.059(.059) -.082 -.062(.093) -.060

결혼상태¹ -.121(.162) -.110 .172(.258) .110

결혼상태² -.005(.142) -.005 .133(.225) .103

결혼상태³ .278(.238) .108 .383(.378) .104

월평균 가구소득 .008(.020) .039 .022(.032) .080

직업유무¹ .023(.078) .029 .053(.124) .048

동거 가족 수 -.033(.021) -.139 .013(.034) .038

거주지역¹ -.051(.083) -.076 -.175(.132) -.181

거주지역² -.027(.081) -.041 -.071(.128) -.075

수급권자여부¹ -.121(.091) -.127 -.108(.144) -.080

장장장장애애애애특특특특성성성성

장애등급 .031(.072) .034 .019(.115) .015

장애지속 기간 .000(.002) -.013 -.002(.003) -.067

CCCCoooonnnnssssttttaaaannnntttt 2.837***(.402) 3.474***(.638)

RRRR²²²² .490 .366

AAAAddddjjjjuuuusssstttteeeedddd RRRR²²²² .379 .229

FFFF 4444....444433332222************ 2222....666666665555************

DDDDuuuubbbbiiiinnnn----WWWWaaaattttssssoooonnnn 1.589 1.539

- 73 -

*p<.05, **p<.01, ***p<.001

독립변수

Model 3

(심리적 자기의존)

Model 4

(신체적 기능)

B (S.E) β B(S.E) β

개개개개인인인인체체체체계계계계자존감 ....333377770000((((....000088888888))))************ .460 .107(.084) .148

장애수용정도 ....111155554444((((....000077775555))))**** .196 .115(.072) .162

가가가가족족족족체체체체계계계계 가족지지 .148(.089) .158 .092(.085) .110

사사사사회회회회체체체체계계계계

사회적 지지 -.080(.075) -.097 .115(.072) .155

정보접근의 어려움 ----....111177772222((((....000077775555))))**** -.194 -.043(.072) -.055

서비스이용정도 -.015(.050) -.027 .082(.047) .169

통통통통제제제제변변변변수수수수

인인인인구구구구사사사사회회회회학학학학적적적적특특특특성성성성

성별¹ -.055(.125) -.037 .020(.120) .015

연령 .003(.005) .054 ----....000011113333********((((....000000005555)))) -.302

학력 .023(.037) .060 -.037(.035) -.107

종교¹ -.093(.084) -.092 -.022(.080) -.025

결혼상태¹ -.328(.231) -.215 -.206(.220) -.150

결혼상태² -.224(.201) -.178 .076(.192) .068

결혼상태³ .265(.338) .074 .186(.322) .058

월평균 가구소득 .001(.029) .004 .000(.027) -.002

직업유무¹ -.099(.111) -.091 .115(.106) .118

동거 가족 수 -.001(.030) -.003 ----....111111110000************((((....000022229999)))) -.375

거주지역¹ -.108(.118) -.115 .129(.113) .153

거주지역² -.106(.115) -.115 .096(.109) .116

수급권자여부¹ -.229(.129) -.174 -.025(.123) -.021

장장장장애애애애특특특특성성성성

장애등급 .083(.103) .065 -.008(.098) -.007

장애지속 기간 -.002(.003) -.058 .003(.003) .108

CCCCoooonnnnssssttttaaaannnntttt 2222....000088880000************((((....555577771111)))) 2222....999955558888************((((....555544444444))))

RRRR²²²² .464 .396

AAAAddddjjjjuuuusssstttteeeedddd RRRR²²²² .348 .266

FFFF 4444....000000004444************ 3333....000033333333************

DDDDuuuubbbbiiiinnnn----WWWWaaaattttssssoooonnnn 1.754 1.736

- 74 -

제제제제5555절절절절 가가가가설설설설 검검검검증증증증

본 연구에 대한 가설은 다음과 같이 검증되었다.

1111.... 개개개개인인인인체체체체계계계계요요요요인인인인과과과과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1111))))자자자자존존존존감감감감과과과과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시각장애인의 자존감은 전체자립생활 수준과 그 하위차원인 심리적 자기의존 수

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자존감이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되었다.

2222))))장장장장애애애애수수수수용용용용정정정정도도도도와와와와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시각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는 전체 자립생활 수준과 그 하위차원인 심리적 자기

의존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

애인의 장애수용정도가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

다.

2222.... 가가가가족족족족체체체체계계계계요요요요인인인인과과과과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1111))))가가가가족족족족지지지지지지지지와와와와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시각장애인이 느끼는 가족지지 정도는 전체자립생활 수준과 어떤 하위차원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

의 가족지지정도가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 75 -

3333.... 사사사사회회회회체체체체계계계계요요요요인인인인과과과과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1111))))사사사사회회회회적적적적 지지지지지지지지와와와와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시각장애인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 정도는 전체자립생활 수준과 어떤 하위차원에

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

인의 사회적지지 정도가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

다.

2222))))정정정정보보보보접접접접근근근근의의의의 어어어어려려려려움움움움정정정정도도도도와와와와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시각장애인이 느끼는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전체자립생활과 그 하위차원인

지각된 통제 및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을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 어려움 정도가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3333))))서서서서비비비비스스스스이이이이용용용용 정정정정도도도도와와와와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시각장애인의 서비스 이용정도는 전체자립생활 수준과 어떤 하위차원에도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서비

스 이용 정도가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 76 -

제제제제5555장장장장 결결결결론론론론 및및및및 제제제제언언언언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파악하고, 시각장애인들의 자립

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밝히어, 이를 근간으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

는 것이다.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체계, 가족체계 그리고

사회체계로 구분하여 각 체계에 속한 요인들이 자립생활의 3개 하위차원인 지각

된 통제, 심리적 자기의존, 그리고 신체적 기능과 3개 하위차원을 합산한 전체 자

립생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다음에서는 첫째,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전체자립생활 및 각각의 하위차원별로 요약해 보고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학문적․실천적 함의를 모색해보며, 셋째 시

각장애인 당사자의 변화를 유도하고 시각장애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변화시

킬 수 있는 단기 및 중장기 사회복지적 개입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

펴보고자 한다.

제제제제1111절절절절 연연연연구구구구결결결결과과과과 요요요요약약약약

1111....전전전전체체체체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 수수수수준준준준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요요요요인인인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대한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고, 일

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각각의 독립변수가 설명하는 전체자립수준에 대한

설명력은 31.7%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전체자립생활 수준을 설명하는 설

명력의 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77 -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반적 특성은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립변수의 경우, 자존감

이 높을수록(β=.351),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β=.184) 전체자립생활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β=-.308) 전체자립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서비스 이용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존감(β=.351),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β

= -.308), 장애수용 정도 (β=.184) 순으로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상대적으로 큰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22....지지지지각각각각된된된된 통통통통제제제제 수수수수준준준준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요요요요인인인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지각된 통제 수준에 대한 설명력은 36.6%로 나타났고, 일반

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각각의 독립변수가 설명하는 지각된 통제 수준에 대

한 설명력은 20.3%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지각된 통제 수준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반적 특성은 지각된 통제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립변수의 경우, 정보접

근의 어려움이 클수록(β=-.411) 지각된 통제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존감,

장애수용 정도,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서비스 이용정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

게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삶을 관리하

고 통제하는 데 있어서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β= -.411)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333....심심심심리리리리적적적적 자자자자기기기기의의의의존존존존 수수수수준준준준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요요요요인인인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 78 -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대한 설명력은 46.4%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각각의 독립변수가 설명하는 심리적 자기의존 수

준에 대한 설명력은 34.2%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

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반적 특성은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립변수의 경우, 자

존감이 높을수록(β=.460),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β=.196)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

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접근의 어려움이 클수록(β=-.194) 심리적 자기의존 수준

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서비스 이용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의존을 최

소화하고 자기 자신에 의존하는 정도에 자존감(β=.460), 장애수용 정도 (β=.196),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β= -.194) 등이 순서대로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4444....신신신신체체체체적적적적 기기기기능능능능 수수수수준준준준에에에에 영영영영향향향향을을을을 미미미미치치치치는는는는 요요요요인인인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에 속한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적 기능 수준에 대한 설명력은 39.6%로 나타났고, 일반

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각각의 독립변수가 설명하는 신체적 기능 수준에 대

한 설명력은 14.2%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수가 신체적 기능 수준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하위차원과 전체자립생활 수준에 비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반적 특성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β=-.302),

동거가족 수가 많을수록(β=-.375) 신체적 기능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다른 일반적 특성은 신체적 기능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립변수의 경우 자존감, 장애수용 정도,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 및 서비스 이용정도 등 모든 독립변수가 통

- 79 -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의

지역사회 활동에 수준에 있어서 모든 체계의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

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제제제2222절절절절 사사사사회회회회복복복복지지지지적적적적 함함함함의의의의

1111.... 실실실실천천천천적적적적 함함함함의의의의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등급과 장애지속기간이라는 객관적인 사실(fact)보다는 장애수용 정도라

는 장애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cognition)과 자존감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 향상

을 위해 시각장애인 당사자의 변화를 유도함에 있어서, 장애등급과 장애지속기간

이라는 사회복지적 개입이 불가능한 요인보다는 사회복지적 개입이 가능한 자존

감과 장애수용 정도에 보다 초점을 두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보접근성의 어려움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즉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시각장애의 특성상 타 장애유형과 구분되는 연구

결과로서,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 정보접근의 용이함을 보장하는 것이 시각장애인

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

다.

셋째, 월평균 가구소득이라는 경제적 요인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다른 요인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월평균소득과 자립생활과의 1:1관계에서는 전체자립생활과 지각된 통제수준에서

월평균소득이 높은 시각장애인이 낮은 시각장애인보다 높은 수준의 자립생활 수

준을 보여주었지만(<표4-12>참조),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는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런 결과는 경제적 상태가 장애인

- 80 -

이 자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어지는 현재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이를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는 기존 선행연구(이경혜,2000: 김순곤,2002)와는 상반

되는 결과로서, 시각장애인이 일상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지닌 채 타인

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면서 지역사회 내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역할을

주체적으로 수행해나가는 삶인 자립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경제적 상태보다는 자

존감, 장애수용정도 및 정보접근의 어려움 등 심리사회적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2222.... 학학학학문문문문적적적적 함함함함의의의의

본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학문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이라는 주제는 IL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전 장애영역 포함(Cross-Disability)"를 반영함으로써, 그동안 지체장애인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둘째, 연구의 방법론에 있어서, 우선 제한된 지역 내에서의 조사가 아니라 전국조

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IL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기존의 국내연구에서 사용한 척

도보다는 보다 더 IL의 진정한 이념을 반영할 수 있는 척도를 사용함으로써, 물론

사용함에 있어 좀 더 신중을 기해야겠지만, 앞으로 진행될 IL연구를 위해 보다 타

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척도를 소개해 주는 역할을 수행 하였다.

셋째, 연구 이론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의 I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태체계적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IL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좀

더 포괄적으로 조망할 수 있었다. 또한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IL

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제시함에 있어서 시각장애인 당사자의 변화를 유도하

고 시각장애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대안, 즉 인간과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둘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 81 -

제제제제3333절절절절 제제제제언언언언

본 절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의

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펴보고자 한다.

1111....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향향향향상상상상을을을을 위위위위한한한한 단단단단기기기기 방방방방안안안안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현재 장애인복지관련 시설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자립생

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기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111))))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존존존존감감감감과과과과 장장장장애애애애수수수수용용용용 향향향향상상상상을을을을 위위위위한한한한 방방방방안안안안

첫째, 시각장애인의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재활프로그램

개발이다. 기존의 장애인복지 시설에서 제공하는 재활프로그램은 의료재활 및 직

업재활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장애등

급, 장애지속기간, 직업유무 등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존감과 장애수용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의료, 교육

및 직업재활 위주의 서비스에서, 시각장애인의 자존감과 장애수용 정도를 향상시

킬 수 있는 예를 들면,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Assertive Training Program), 사회

기술훈련 프로그램(Social Skill Program) 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

라 현재 20개 안팎의 CIL에서도 동료간 상담(Peer Counseling), 리더쉽 훈련

(Leadership Training) 등 시각장애인의 자존감과 장애수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

는 프로그램이 보다 활발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시각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의 개선이다. 97년도에 ‘장애인먼저’ 실천중앙협

회의회가 조사한 일반국민의 장애인을 보는 인식에서 약67%가 부정적으로 인식하

고 있는 것과 같이 아직도 우리사회의 장애에 대한 인식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니

- 82 -

며 그릇된 편견이 남아 있다.(유권곤,1999) 시각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시

각장애인의 자존감과 장애수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예를 들면, 각종 언론과 정보매체를 통해 장애인의

장애극복 등 성공사례와 미담사례 등을 적극적으로 발굴 및 홍보하고, 장애인과

일반인과의 인연 맺기 등 후원결연을 통하여 사회각계와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유권곤,1999)

2222))))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정정정정보보보보접접접접근근근근성성성성 향향향향상상상상을을을을 위위위위한한한한 방방방방안안안안

첫째,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

웨어의 개발 및 대여 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각장애

인의 정보접근의 어려움 정도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합성카드, 점자프린터, 화면

엑세스 프로그램 등의 개발 및 무상 및 저렴한 가격으로의 대여가 제도화되어야

한다.

둘째, 정보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보조기구 사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

다. 현재 일부 제한된 몇몇 곳에서만 재활보조기구 사용에 대한 교육이 이루저지

고 있으므로, 인터넷, 컴퓨터 및 통신보조 장비 사용에 대한 교육이 보다 전국적

으로 보다 확대되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222.... 시시시시각각각각장장장장애애애애인인인인의의의의 자자자자립립립립생생생생활활활활향향향향상상상상을을을을 위위위위한한한한 중중중중․․․․장장장장기기기기 방방방방안안안안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장기 방안의 핵심은 ‘전달체계의 ’전

환‘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 정책 및 제도의 전달체계가 과연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논의했던 ’자립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 이 질

문에 대해선 회의적이며, 이는 시각장애인에게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실천적 자립생활을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 83 -

수 있는 전달체계를 형성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현재 우

리나라에서는 지역사회 재활시설에서 재가 장애인들을 위한 지역사회재활(CBR)의

일환으로 자립생활센터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흐름이 있으나, 이는 기존 시설

의 프로그램이나 운영의 실태로 보아 진정한 자립생활의 실현이 어렵다고 생각된

다.(변경희, 2003) 또한 이광원(2001)에 의하면, 현재 우리나라에 장애인생활시설이

나 지역사회재활시설들이 있지만, 이들은 장애인을 보호가 필요한 대상자로 취급

하면서, 기존의 사회체계에 맞도록 훈련시키는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치

고 있다. 장애인 복지관을 비롯한 지역사회재활 시설들은 중증의 장애인을 지역사

회에 자립시킨 사례를 전혀 갖고 있지 못하며, 문제의 원인이 장애인 내부에 있다

고 보는 재활의 패러다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향상을 위한 중장기 방안은 기존의 장애인복지 전

달체계의 전환으로서, 기존의 장애인복지관을 비롯한 시설들은 기본적인 의료 및

직업재활을 수행해야 하며,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서비스 및 정책은 자립생활센터

(CIL)을 통해 장애인 당사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국적으로 CIL

의 활성화를 위한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이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3333.... 후후후후속속속속 연연연연구구구구를를를를 위위위위한한한한 제제제제언언언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에 속하지 않은 비 연합회원 시각장애

인과의 비교를 통한 상대적인 자립생활 수준뿐만 아니라 타 장애유형과의 상대적

인 자립생활 수준을 파악할 수 없었다. 즉, 조사대상자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회원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비회원간의 상대적인 자립생활 수준을 파악할 수

없었고, 뿐만 아니라 다른 장애유형과의 상대적인 자립생활 수준을 비교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장애유형을 포함한 다양한 비교집단을 설정

하여 시각장애인의 상대적인 자립생활 수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

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장애인의 자립생활이란 매우 개별적인 것이기 때

- 84 -

문이다. 즉, 장애인 개개인의 문제가 다르므로 그것에 대해 어떠한 문제든지 개별

적으로 지원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장애유형을 포함한 다양한 비교집단에

대한 연구가 후속연구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분석이 필요하

다. 본 연구에서는 각 체계에 속한 요인들이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

향력만을 비교 분석하였지만, 후속연구에서는 체계 간 요인들의 상호작용과 한 체

계에 속한 요인의 매개 또는 조절작용 역할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CIL의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

다.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향상을 위한 중장기 방안으로서 CIL중심으로의 전달체

계를 제안했지만, 현재까지 CIL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

다. 따라서 CIL중심의 서비스 제공이라는 대원칙 하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

인 자립생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CIL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

한 확인작업이 후속연구에서는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85 -

참참참참고고고고 문문문문헌헌헌헌

1111.... 국국국국내내내내 문문문문헌헌헌헌

강우진. 2001. 장애인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곽형식 외. 2000.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형설출판사.

국립재활원. 2001. 자립생활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평가.

권도용 외. 2001. 장애우 복지론. 나눔의 집.

권유경. 2001. 장애의 개념과 등급.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김동배 외. 1998.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김동호. 2000. 자립생활패러다임에서 본 한국장애인복지관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000. 자립생활의 한국적 모색. 한일장애인 자립생활세미나 2000 자료집.

---------- 2002. 장애패러다임의 전환과 자립생활. 장애인고용.

김두섭 외. 2000.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나남 출판.

김미옥. 2003. 장애인복지 실천론. 나남 출판.

김미옥 외. 2004. 장애와 사회복지. 학지사.

김순곤. 2002. 중증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

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용득. 2001. 장애인복지이념의 동향. 한국장애인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김은정. 2002.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요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은희. 1999. 지체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김익균 외. 2004. 장애인복지론. 효문사.

김종인. 1998. 우리나라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지도자 역할. 나사렛논총 2. 나사렛

대학교.

남상만 외. 1997. 장애인복지개론. 홍익재.

- 86 -

문형표. 1994. 사회통합의의 및 정책적 과제.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미연방 교육부 재활청. 1998. 미국재활법. 한국맹인복지연합회.

박수경. 1997. 산업재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

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옥희. 2001. 장애인복지론. 학문사.

변경희. 2002. 자립생활모델의 우리나라 적용방안 모색. 장애인의 날 기념 세미나

자료집.

변소현. 1998. 장애인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혜선 외. 1999. SPSS를 활용한 회귀분석. SPSS 아카데미.

성태제. 2001. 현대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신상윤. 1997. 중도신체장애인의 자립생활. 재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오혜경. 1999. 장애인자립생활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제3집. 카톨릭대학

교 사회복지연구소

--------- 1999. 장애인과 사회보지실천. 아시아미디어리서치.

--------- 2000. 정신지체장애인 자립생활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권곤. 1999. 시각장애인복지의 현황과 향후과제. 99시각장애인복지세미나 자료

집Ⅰ.

윤종희. 1994. 아동․가족 연구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의 적용. 인간 생태학적 측면

에서의 가정학. 연세대학교 창립 30주년 기념 심포지엄.

이광원. 2001. IL관점에서의 장애인복지 서비스 및 전달체계 전환방안 토론원고.

2001 국제 장애인 복지 실천 세미나.

이경혜. 2000.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성규. 2000. 사회통합과 장애인복지정책. 나남출판.

---------- 2001. 장애인복지정책과 정상화, 홍익재.

이소희 외. 200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현학사.

이익섭. 2000. ‘장애인복지패러다임과 인권’ 정립회관 직원교육자료집.

- 87 -

--------- 2003.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vol.54.

이익섭 외. 2004. 사회복지조사 방법의 이해. 학지사.

이정환 외. 2002. 장애인복지론. 도서출판 그린.

이주용. 2003.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우울과의 관계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임안수. 1999. 시각장애인의 자기존중감. 한국맹인복지연합회.

장애우 권익문제연구소. 2001. 장애우 복지론.

정민숙. 1999.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정원일. 2004. 서울지역 거주 시각․청각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은주. 1998. 지체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종화. 2001. 장애인 자립생활실천을 위한 과제와 전망. 2001국제 장애인복지 실

천세미나.

최영광. 2000. 생활시설 장애인의 자립생활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기초 환경 탐색.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2000년 장애인실태조사.

한국시각장애인엽합회. 2001. 시각장애인실태조사.

한국자립생활연구회. 1997. 자립생활 미 발간 자료집.

한국청소년 개발원. 2001. 저소득 실업가정의 청소년 문제와 대책. 서울 한국청소

년개발원.

한은주. 2000.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가정관리학

과 석사학위 논문

황령희. 2001. 정보접근과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88 -

2222.... 국국국국외외외외 문문문문헌헌헌헌

Brisenden, S. 1989. A charter for personal care in Progress. 16. Disablement

Income Group.

Debra, A. Sanchez. 1987. The Independent Living Skills Inventory: An

Examination Of Its Validity and Clinical Use. University

of Nebraska.

Dejong, G. 1978. The Movement for Independent Living. Origins, Ideology and

Implications for disability Research. Boston, MA: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e Tufts-New England Medical Center.

------------- 1979. The Movement for Independent Living. Origins, Ideology and

Implications for disability Research. East Las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University Centers for International Rehabilitation.

------------ . 1981. Environment Accessibility and Independent Living Outcomes.

장애인의 접근여건과 자립생활의 성과. 장애인복지정책과 장애인복지

연구의 방향. 정립회관 역.

-------------- 1983. Defining and Implement the Independent Living Concept. In

N. Crew, I. Zola and Associates, Independent Living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Donna Lee , H.L. 2000. Independent Living Scales: Relationship To Cognitive

Functioning, Depression, Medical Buredn, and Level of After-Care

In Geriatric Medical Patients. Kent State University.

Dunlap, William R. 1987. Development of a set Instruments to Asses

Independent Living Skill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 53.

Elizabeth A. Chamberlain. 2003. Independent Living Skills for Students 쫴 are

Blind or Visually Impaired. Capella University.

Genskow. Jack K. 1988. Independent Livings and Services for Older Person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54.

- 89 -

Fawcett, S. B. 1994. A Contextual-Behavioral Model of Empowerment: Case

Studies Involving People Physical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22.

Friden, L. 1979. ILRU Source Book Huston, TX: The Institute for Rehabilitation

and Research.

Iceman, Deanna J. 1984. Independent Living Skills Training: A Survey of

Current Practice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50.

Kemp, A. 1998. Abuse in the Family: An Introduction Brooks/Coie Pub.

Loeb, P.A. 1983. Validity of the Community Competence Scale with the elderly.

St. Louis University.

Loeb, P.A. 1996. Independent Living Scales Manual. San Antonio. TX :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Marget A, Nosek. 1988.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Contemporary to the Rehabilitation Counseling Press'

------------ 1992. Independenc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 A

heuristic model.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36.

Marini, Irmo. 1994. Identified Service and training needs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in the Southeastern.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60.

Mary Ann Lachat. 1988. The Independent Living Service Model. 자립생활서비스

모델. 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역.

Mathews, R. M and Seekings. T. An Interactional Model of Independence.

Rehabilitation Psychology. 1987.32.

Nancy M. Crewe 외. Independent Living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신체장

애인을 위한 자립생활. 정립회관 역. 2000.

Parham, Jery. 1983. Complementary Concepts: Independent Living and In-Home

Respite Care.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49.

Perlmuter and Monty, 1979 Choice and Perceived Control,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90 -

Salvayon, Connie. 1979. Design for Independent Living. Library Journal.vol.104.

Scharff, Barb. 1984. Demonstration Home Independent Living Technology:

Courage Center.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50.

Searight, H. R. 1991. The Community Competence Scale as a measure of

functional daily living Skills. Th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1.

Smith, Laura W. 1994. Independent Living Centers: Moving into the 21st

Century. American Rehabilitation. vol.20.

Steven E, Brown. 2000. Freedom of Movement. Independent Living History and

Philosophy. Institute on Disability Culture.

Urie Bronfenbrenner. Social development Ecology: 이영 역, 1992, 교육과학사.

Williams, Michael G. 1981. Independent Living and Older People.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47.

White, Glen W. 1996. Preventing and managing secondary conditions: A

proposed role for independent living center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62.

W. Wonlfensberger. Social Welfare and Normalization, 사회복지서비스와 정상

화이론. 김용득 외 역. 2000. 나눔의 집.

- 91 -

부부부부 록록록록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설문번호

안녕하세요?

저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에서 장애인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

입니다.

본 설문지는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생활(Independent

Living)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

혀, 이를 근간으로 시각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

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고안된 설문지입니다.

모든 질문은 여러분을 위한 연구에 필요한 것이며, 정답은 없으므로 가

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여여여러러러러분분분분께께께께서서서서 응응응응답답답답해해해해 주주주주신신신신 내내내내용용용용은은은은 무무무무기기기기명명명명으으으으로로로로 통통통통계계계계 처처처처리리리리되되되되어어어어 순순순순수수수수한한한한

연연연연구구구구목목목목적적적적으으으으로로로로만만만만 사사사사용용용용되되되되므므므므로로로로 개개개개인인인인의의의의 비비비비밀밀밀밀이이이이 보보보보장장장장됨됨됨됨을을을을 약약약약속속속속드드드드립립립립니니니니다다다다....

바쁘신 중에도 시간을 내셔서 연구에 도움을 주시는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04년 11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구자: 김 동기

지도교수: 이 익섭 교수

응답자 응답지역

조사자 조사일시

- 92 -

1. 다음은 선생님 자신에 대한 생각을 묻는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오.(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매우 그렇지 않

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대체로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점’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다음은 선생님이 시각장애에 대해 갖는 생각을 묻는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나는 다른 사람들만큼 가치 있는 사

람이다.

2.나에게는 장점이 많다.

3.내 자신을 실패자라고 생각하는 경우

가 많다.

4.나에게는 다른 사람들만큼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5.나에겐 자부심을 느낄만한 것이 많지

않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시력이 손상된 사람은 결코 행복해

질 수 없다.

2.시력이 손상되면, 손상이전에 혼자

했던 대부분의 일들을 주위 사람들에

게 의존할 필요가 있다.

3.시력을 잃는 것은 자기 자신을 잃는

것이다.

- 93 -

3. 다음은 선생님의 가족에 관한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세요.

4. 다음은 선생님이 가족을 제외한 주위사람들(친구, 이웃, 직장동료 등)에

대해 갖는 생각을 묻는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

택해 주십시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우리가족은 개인적인 문제를 서로 부

담 없이 상의한다.

2.우리가족은 서로를 비난하여 마음의

상처를 줄 때가 있다.

3.우리가족은 화가 나면 물건을 던지거

나 때리기도 한다.

4.우리가족에게는 가족이라는 집단의식

이 거의 없다.

5.우리가족은 서로에게 많은 관심과 시

간을 할애한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1.내가 사랑과 보살핌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 준다.2.내가 마음 놓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

들이다.3.내가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할 때 충고

와 조언을 해준다.4.내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면 현명하

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준

다.5.내가 필요로 하는 돈이나 물건들을

최선을 다해 마련해준다.6.대가를 바라지 않고 최선을 다해 나

의 일을 도와준다.

- 94 -

5.다음은 선생님이 일상생활 중 정보를 얻는 데 있어서 어려움 정도를 묻

는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오. 본 문

항에서 정보란 시사(사건, 사고), 구인, 문화(영화, 연극, 음악, 스포츠 등)등

일상생활에 관련된 모든 소식을 의미합니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나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2.나는 간행물(신문, 잡지 등)을 통해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3.나는 라디오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것

이 쉽다.

4.나는 TV를 통해 정보를 얻는 데 쉽

다.

5.나는 전단지 등 홍보인쇄물을 통해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6.나는 다른 기타 방법을 통해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

- 95 -

6.다음은 선생님이 지난 한달 동안 이용한 기관 서비스의 횟수에 관한 문

항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오.(각 문항에 대

한 응답은 ‘거의 이용하지 않았다=1점’, ‘한달에 1-2회 정도 이용하였다=2

점, ’1주일에 1회 정도 이용하였다=3점‘, ’1주일에 2-3회 정도 이용하였다=4

점‘으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문 항

거의

이용하지

않았다

한달에

1-2회 정도

이용하였다

1주일에

1회 정도

이용하였다

1주일에

2-3회 정도

이용하였다

1.시각장애인용 컴퓨터 활용교육

2.연극, 음악회, 문화행사 등 관람

3.볼링, 수영, 헬스 등 스포츠활동

4.음성정보서비스 및 전화사서함

5.점자 및 음성도서관

6.상담 및 정서적 지원

- 96 -

7. 다음은 선생님이 자신의 일상생활들을 얼마나 통제 및 관리하는 지 정

도를 묻는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

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맛있는 음식, 깨끗한 집안 환경 등과

같은 가정 내에서의 안락함은 내가 노

력하면 얻을 수 있다.

2.가족구성원들과의 친밀한 관계는 내가

노력하면 맺을 수 있다.

3.직장에서의 일은 내가 노력하면 잘 할

수 있다.

(단, 무직의 경우는 이곳에 표시

< >)

4.스포츠활동, 관광, 게임 등과 같은 오

락 스포츠 활동은 내가 노력하면 참가할

수 있다.

5.활동과 관심사를 함께 할 친한 친구

또는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는 내가 노력

하면 맺을 수 있다.

6.학교를 다니거나 또는 유사한 교육과

정은 내가 노력하면 받을 수 있다.

- 97 -

8. 다음은 선생님이 심리적으로 자시자신에게 의존하는 정도를 묻는 문항

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나는 문제를 피하려고 하기 보다는 오

히려 그것에 부딪히려고 한다.

2.나는 보통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

기보다는 오히려 영향을 미치는 편이다.

3.나는 내가 맡은 일을 처리하는 데 있

어서 상당히 자신 있다.

4.나는 아이들이 어렸을 때, 책임감을 심

어주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

- 98 -

9. 다음은 선생님의 신체적 기능에 대한 문항들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선

생님의 생각을 선택해 주십시오.

문 항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1.나는 장애 때문에 하루의 대부분을 집

안에서만 보내야 한다.

2.나는 혼자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3.나는 산책할 때 누군가가 나를 도와주

어야만 한다.

4. 나는 장애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5.나는 쉽게 자물쇠에 열쇠를 돌릴 수

있다.

6.나는 쉽게 옷에 단추를 달 수 있다.

7.나는 쉽게 신발 끈을 묶을 수 있다.

8.나는 쉽게 음식뚜껑을 열 수 있다.

9.나는 약을 먹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이 필요하다.

10.나는 돈을 관리할 때 다른 사람의 도

움이 필요하다.

11.나는 빨래를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이 필요하다.12.나는 청소를 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이 필요하다.

13.나는 화장실을 사용할 때 다른 사람

의 도움이 필요하다.

14.나는 옷을 입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

이 필요하다.

15. 나는 침대, 의자에서 이동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16.나는 식사할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 99 -

10. 다음은 선생님의 일반적인 사항에 관한 문항입니다. 해당하는 사항을

선택해 주세요.

설문에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성별 ①남자< > ②여자< >

2. 연령 < >세

3. 학력

①무학< > ②초등학교졸업(중퇴포함)< >

③중학교 졸업(중퇴포함)< > ④고등학교졸업(중퇴포함)< >

⑤전문대 졸업(중퇴포함)< > ⑥대학교졸업(중퇴포함) < >

⑦대학원 졸업이상 < >

4. 종교①기독교< > ②천주교< > ③불교< >

④무교< > ⑤기타 < >

5. 결혼 상태①미혼< > ②기혼< > ③동거< >

④이혼< > ⑤별거< > ⑥사별< >

6.월평균

가구소득

①없음< > ②50만원미만< >

③50만원 이상-100만원미만< > ④100만원 이상 - 150만원미만< >

⑤150만원 이상-200만원미만< > ⑥200만원 이상 - 300만원미만< >

⑦300만원 이상< >

7. 직업

①고위임직원, 행정, 관리자< > ②전문가(교수, 약사, 의사 등)< >

③사무직원 < > ④안마시술소 및 침술업< >

⑤기능직 근로자< > ⑥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직원< >

⑦단순노무직 근로자< > ⑧농․임․수산업 근로자< >

⑨자영업자< > ⑩학생< >

⑪무직< > ⑫기타< >

8.동거 가족 수 < >명

9.거주 지역①대도시(특별시, 광역시) < > ②중소도시(시)

③농어촌(군, 구) <  >

10.국민기초

생활보장

수급자 여부

①수급권자<   > ②비수급권자< >

11. 장애등급 < >급

12. 발생시기 <  > 년 < >세

- 100 -

AAAAbbbbssssttttrrrraaaacccctttt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KIM, DONG KI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level of Independent Living of

Blind people, and make suggestion for the methodology to improve it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welfare. For the research, I made eco-system perspective

approach to clarify the variable factors for the Independent Living, then

subdivided it into Individual perspective, Family perspective and Social

perspective. In Individual perspective, Self-esteem and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in Family perspectiv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and in

Social perspective, Social Support, level of Information barriers and use of

Social Security Services were included. In addition, the level of Independent

Living of blinded were estimated with Perceived Control, Psychological

Self-Reliance, Physical Functioning, and Aggregated level of Independence, the

subtraction of previous three factors. Total number of sample for this research

was 125 registered blind people in six metropolitan areas, and proportionally

surveyed by telephone from 20th Nov, 2004 to 2nd Dec, 2004.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level of their Independent Living, it showed

aggregated level of M=3.3489( SD=.3272). And in each sub-factors,

- 101 -

M=3.3248(SD=.4699) for Perceived Control, M=3.2140(SD=.4553) for Psychological

Self-Reliance, and M=3.5078(SD=.4119) for Physical Functioning.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blinded people's level of Independent Living is substantial in

general, and especially their level of Physical Functioning is in high level.

Second, regarding variable factors on the level of Independent Living for the

blind people, we can find out that Self-esteem,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Information barriers made substantial influences statistically for

the case of the Aggregated level of Independence. It means that the

Aggregated level of Independence was high when the degree of the Self-esteem

and disability Acceptance was high, while it was low when the degree of

those two factors low but Information barrier was high. For the case of

Perceived Control, Information barriers made reasonable influence on it. On the

other word, when the level of Information barriers was high, the level of

Perceived Control for blind people was low. And for the case of Psychological

Self-Reliance, level of Self-esteem, disability acceptance, and Information barriers

made substantial influence in statistical terms. It means that it showed high

level of Psychological Self-Reliance when the level of Self-esteem and Disability

acceptance was high, but if the level of Information barriers was high, it

showed low level of Psychological Self-Reliance. Finally, the research indicates

that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do not make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Functioning.

In accordance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ing Social welfare

approaches can b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blinded

people's Independent Living.

First, development of Psychiatric therapy programmes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change of social perception

on people with visibility problem are necessary for the short-term.

- 102 -

Second, changes in transformation system is necessary for the long-run. It

means that exist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with purpose to help disabled ones

should practice basic medical and rehabilitation services, while other supports

and services for the improvement of Independent Living standard of blinded

should be provided directly to beneficiaries through the relevant service

agencies.

key words: Blind people, Independent Living, eco-system perspective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