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103 四象 方劑名 英譯 標準化 에 대한 硏究 김현구 1,2 , 안상영 3 , 권오민 1 , 안상우 1 1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2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3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정책연구센터 Original Article Research on Standardization of Sasang Typology Formulae English Translation Hyun-Koo Kim 1,2 , Sang-Young Ahn 3 , Oh-Min Kwon 1 , Sang-Woo Ahn 1 1 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3 Korean Medicine Polic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s a new form of English translation in comparison with that shown in English books related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mulae which have been published up to now. Methods: This study formulated a new form of English translation guideline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glish translation cases listed i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d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Results: This study as a common rules suggested that names of preparation form should be placed at the very end of the formula name and the first letters of the major words of the formula name should be capitalized. In addition, for the sake of accuracy in English translation of the formula name, this study divided the formula names into 8 types. The 8 sorts of types include: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Materia Medica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 Materia Medica Numbers + Preparation Form,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Concept + Preparation Form, Concept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Concept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Etcetera. In these types, medicinal herbs should be written in scientific name, and translation of indication can follow Noun+~ing participle form. In case of the terms having a Korean-medicine-based meaning, this study aimed for source-oriented trans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English translation method and examples of the formula name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Key Words :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Sasang typology, formula, standardizati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Received28 September 2012 Revised10 December 2012 Accepted10 December 2012 Correspondence to:안상우(Sang-Woo Ahn) 한국한의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72 Tel+82-42-868-9442, Fax+82-42-868-9463, E-mail[email protected] 서 론 한의학의 세계화가 한의계의 공식 구호가 된 이 래 한의학 분야의 다방면에서 이에 대한 노력이 진 행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한의학 용어의 영어 번역 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문화권에 한의학을 소개하고 이해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첫 관문이라고 할 수 있 . 용어의 함의까지도 담아내는 적확한 번역만이 한의학 지식, 즉 구체적으로 한의학 서적의 영어 번 역의 토대가 되고, 나아가 한의학의 본질 및 정신을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20133) J Korean Oriental Med 2013;34(1):103-115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 JKOMjkom.org/upload/9-59 (103-115).pdf · 『한의학 한영사전』5)이 편찬되었다. 그 후 안상영 등이 『한의학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03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김현구1,2, 안상영3, 권오민1, 안상우1

    1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그룹, 2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3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정책연구센터

    Original Article

    Research on Standardization of Sasang Typology Formulae English Translation

    Hyun-Koo Kim1,2, Sang-Young Ahn3, Oh-Min Kwon1, Sang-Woo Ahn11Medical History and Literature Research Group,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3Korean Medicine Policy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Objectives: This study proposes a new form of English translation in comparison with that shown in English books related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ormulae which have been published up to now.Methods: This study formulated a new form of English translation guideline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nglish translation cases listed i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d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Results: This study as a common rules suggested that names of preparation form should be placed at the very end of the formula name and the first letters of the major words of the formula name should be capitalized. In addition, for the sake of accuracy in English translation of the formula name, this study divided the formula names into 8 types. The 8 sorts of types include: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 Materia Medica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 Materia Medica Numbers + Preparation Form,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 Concept + Preparation Form, ⓕ Concept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 Concept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 Etcetera. In these types, medicinal herbs should be written in scientific name, and translation of indication can follow Noun+~ing participle form. In case of the terms having a Korean-medicine-based meaning, this study aimed for source-oriented trans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general English translation method and examples of the formula names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Key Words :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Sasang typology, formula, standardizati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Received:28 September 2012 ⋅Revised:10 December 2012 ⋅Accepted:10 December 2012⋅Correspondence to:안상우(Sang-Woo Ahn)

    한국한의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72Tel:+82-42-868-9442, Fax:+82-42-868-9463, E-mail:[email protected]

    서 론

    ‘한의학의 세계화’가 한의계의 공식 구호가 된 이래 한의학 분야의 다방면에서 이에 대한 노력이 진

    행되어 왔다. 그중에서도 한의학 용어의 영어 번역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문화권에 한의학을 소개하고

    이해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첫 관문이라고 할 수 있

    다. 용어의 함의까지도 담아내는 적확한 번역만이 한의학 지식, 즉 구체적으로 한의학 서적의 영어 번역의 토대가 되고, 나아가 한의학의 본질 및 정신을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2013년 3월)J Korean Oriental Med 2013;34(1):103-115

  • (104)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3년 3월)

    104

    세계화와 함께 국제 사회에 강한 영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것이 표준화이다1). 아무리 한의학 용어를 유려한 영어로 번역하더라도 개인의 저작으로 그

    치면 표준이 될 수 없다. 표준이란 합의의 과정을 필요로 하며, 인정기관에서 승인을 통해 주어진 여건 하에서 최적의 질서를 확립할 목적으로 제정된 공통

    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위한 일종의 규정이다2). 이러한 표준의 제정을 통하여 문화, 언어, 제도가 다른 지구촌을 하나의 규범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의학 용어는 보통 경혈용어, 생리 및 병증용어, 서명 및 인명, 방제용어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경혈과 생리 및 병증, 서명 및 인명의 경우는 국제적인 표준안이 마련되었다. 2007년에 출간된 전통의학 표준용어집3)과 2008년에 출간된 경혈위치표준4)이 그것이다. 이에 비하면 방제 부문은 병증이나 경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과 重名, 異名, 無名 등의 문제로 인해2) 표준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국내 최초로 한의학 용어를 영문으로 표기한 한의학

    영문용어사전5)이 1995년 간행되었으나, 여기에도 방제명은 제외되어 있다. 한편 2004년에는 한의학 용어의 통일된 지침을 만들고자 보편적으로 사용되

    고 있는 방제용어를 포함한 한의학 용어를 정리하여

    『한의학 한영사전』5)이 편찬되었다. 그 후 안상영 등이 『한의학 한영사전』에 나온 755개의 방제명 중 사상의학 방제를 제외한 485개의 방제에 대한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2).

    방제명 英譯 연구가 상대적으로 늦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특히 사상의학 관련 방제들은 아직까지도

    英譯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사상의학 용어의 英譯을 연구한 이지원7)의 논문이

    있으나, 사상방제의 경우 음역에 해당하는 로마자표기만 제안하였을 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상대적으로 논의가 부족했던

    사상처방의 英譯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東醫壽世保元』8)에 나오는 방제를 모

    두 포함하고 경험방까지 수록하고 있는 『東醫四象

    新編』9)에 있는 사상방제들을 대상으로 『한의학

    한영사전』과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10),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11)의 처방명 英譯 사례와 비교하여 새로운 英譯 방법과 원칙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론

    1. 국내 사상 방제명 英譯 사례 분석

    현재까지 발간된 사상의학 영문 자료들 중 방제명

    까지 수록된 서적은 대표적으로 사상체질학회에서

    펴낸 사상의학 개론서인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최승훈이 번역한 동의수세보원의 영역본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이 있다. 또한 2004년 발간된 『한의학 한영사전』에도 사상의학의 주요 방제명 270개가 영어로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위에 언급된 서적에 기재된 기존 사상의학 방제명 英譯 사례들이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1) 제형번역어의 위치, 전치사의 일관성 부족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을

    제외하고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한의학 한영사전』에서는 八物君子湯을 ‘Decoction of Eight Noble Ingredients’라고 하는 것처럼 방제명에서 제형의 명칭이 대부분

    가장 앞에 위치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일관되지 않고 蘇合香元의 경우 『한의학 한영사전』에서는

    Styrax Big Pill이라고 하는 등 제형명이 가장 뒤에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한글 또는 한자로 된 방제명의 경우 제형의 명칭이 가장 뒤에 위치하

    고 있는데다가, 방제 명칭에서 제형 명칭보다는 그 앞의 내용이 더 중요한 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고려

    하면 방제명 英譯시 제형이 가장 앞에 위치하는 것

    은 적절치 않다. 게다가 제형이 대부분 ‘湯(Decoction)’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러 湯들을 나열할 경우 그것들을 쉽게 분간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제형 뒤에 처방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구를 연결시키기 위해 중간에 of와 with 같은 전치

  • (105)김현구 외 3명 :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105

    사가 사용되었는데, 앞에 언급된 서적들을 살펴보면 이 두개가 특별한 원칙 없이 사용되고 있었다.

    2) 한의학 개념의 과도한 의역한의학의 고유 개념을 영어로 번역하는데 있어서

    의 어려움은 사상의학 뿐 아니라 한의학 전 분야에

    서 나타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 뿐 아니라 중국, 심지어 서구에서도 많은 논쟁이 있었다12). 즉, 원글자의 의미에 충실하게 번역할 것인지,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으로 바꿔서 번역할 것

    인지가 관건이다. 사상방제명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荊防瀉白散의 경우 『한의학 한영사전』에서는 ‘Powder for expelling Lung-heat with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으로,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에서는 ‘Powder of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loviae for Expelling Heat from the Lung’으로, 그리고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에서는 ‘Sedate the White Powder with Schizonepeta and Sileris’이라고 英譯하였다. 荊防瀉白散에서 ‘瀉白’ 부분이 한의학 고유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세 서적에서는 각각 ‘expelling Lung-heat’, ‘expelling Heat from the Lung’, ‘sedate the White’라고 번역했다. 이 세 번역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원글자의 의미에 충실한 직역보다는 모두 독자의 이

    해를 돕기 위한 의역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번역은 ‘瀉’를 ‘배출하다’, ‘내쫓다’의 의미로 번역하고 ‘白’을 ‘Lung-heat’라고 의역하였다. 결국 ‘瀉白’이라는 의미가 ‘폐열을 배출하다’의 의미로 번역된 것인데, 이는 사상의학의 관점에서 고려된 것이 아니다. 두 번째 번역은 첫 번째 번역의 의미를 가지면서 문구의 위치가 변경된 것인데, 고유처방명으로 사용되기에는 번잡하게 길어진 면이 있다. 세 번째 번역은 白을 ‘the White’라고 직역하고 가장 간결하게 표현하였으나 그에 비해서 瀉를 지나치

    게 의역하여 어색하게 되었다.

    3) 본초 표기의 문제 일반 방제 표기와 마찬가지로 사상의학에서의 방

    제도 主藥의 명칭으로 방제명을 정하거나, 葛根解肌湯과 같이 主藥과 효능을 병기해서 의미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안2)의 논문에서 제기한 바와 같이 기존 세 서적의 사상방제 영어 표기도 (이하 KHP)과 (이하 KP)의 표기와 차이가 있었다. 麻黃이나 葛根을 각각 Herba Ephedrae, Radix Puerariae로 표기한 것은 중국약전의 표기법을 따른 것으로 한의학, 특히 사상의학 방제의 영문 표기는 대한민국 표준으로 제시된

    와 를 기준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상의학 방제에는 세 개 이상의 본초명으로

    이루어진 방제명들이 많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芎歸葱蘇理中湯, 黃茋桂枝附子湯, 荊防地黃湯 등이 있는데 이 약재들의 표기를 모두 반영하여 방제명으로 쓰

    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방제명은 고유명사로서 그 표기가 그 처방에만 맞는 고유성을 드러

    내 주면 되고 그 안에 수많은 정보들을 나열할 필요

    는 없다. 따라서 방제명 英譯에는 간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급적 길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2. 제안된 방제 英譯의 방법

    방제명의 일관성 및 효율성 있는 英譯을 위해서

    는 우선적으로 방제명의 구성 원칙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東醫壽世保元』의 방제들을 모두 수록하고 있고 사상의학에 입각한 경험방

    까지 있어 사상의학의 처방을 포괄하고 있다고 여겨

    지는 『東醫四象新編』에 실린 방제들 중 이름이 거

    의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것들을 제외한 313개의 방제들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8가지 유형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초명+제형’은 皂角大黃湯, 黃芪桂枝湯, 猪苓車前子湯 등으로 92개, 둘째로 ‘본초+주치(효능)+제형 또는 주치(효능)+약물+제형’은 麻黃調胃湯, 升陽益氣附子湯, 荊防敗毒散 등으로 73개, 셋째로 ‘본초의 개수+제형’은 三神散, 九味花惜湯, 十二味地黃湯 등으로 35개,

  • (106)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3년 3월)

    106

    Formulae Classifications 313 Formulae of Dongeui Sasang Sinpyeon (numbers) Percentage (%)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92 29.4ⓑ Materia Medica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73 23.3ⓒ Materia Medica Numbers + Preparation Form 35 11.2ⓓ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70 22.4ⓔ Concept + Preparation Form 22 7.0ⓕ Concept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14 4.5ⓖ Concept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7 2.2ⓗ Etcetera 12 3.8

    Table 1. Classifications of Formulae Mentioned in Dongeui Sasang Sinpyeon into Eight Types

    넷째로 ‘주치(효능)+제형’은 固氣調胃湯, 升陽益氣湯, 導赤降氣湯 등으로 70개, 다섯째로 ‘개념+제형’은 拱辰黑元丹, 霹靂散, 陽毒白虎湯 등으로 22개, 여섯째로 ‘개념+본초+제형 또는 본초+개념+제형’은 麻黃金水湯, 白何烏君子湯, 地黃白虎湯 등 으로 14개, 일곱째로 ‘개념+주치(효능)+제형 또는 효능+개념+제형’은 太陰調胃湯, 千金導赤散 등으로 7개, 마지막으로 기타 유형은 水銀薰鼻方, 點眼散 등으로 12개이다. 사상의학 방제에서는 명명법에 있어 ‘본초명+제형’이 29.4%, ‘본초+주치(효능)+제형 또는 주치(효능)+약물+제형’이 23.3%, ‘주치(효능)+제형’이 22.4% 순으로 많은 빈도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1) 공통 원칙 첫째, 제형에 대한 번역어는 방제명의 가장 뒤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한다.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제형 번역어를 가장 앞에 위치시키는 것은 단점이 더

    많으며, 한글/한자로 된 원 방제명의 어순과 일치시키고 간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뒤에 위치시키는

    것이 더 적절하다. 둘째, 英譯된 방제명에서 띄어쓰기를 할 때마다

    주요 용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기존까지는 이에 대한 표준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않아 『한의학 한영사전』이나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에서는 대문자 표기를 하였지만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에서는 방제명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하고 나머지는 소문자 처리하는 등

    상이하였다. 방제명 중 주요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면 고유명사임을 부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문자 처리를 하지 않는 것보다 효과적이다.셋째, 제형 종류의 英譯은 湯, 煎과 飮은 모두

    Decoction, 散은 Powder, 膏는 Paste, 元 또는 丸은 Pill, 丹은 Pellet으로 한다. 이밖에 赤蛇酒에 나오는 酒는 Liquor로, 鎭陰膾의 膾는 Tartare, 如神炷의 炷는 Stick, 如意刀의 刀는 Blade, 如意針의 針은 Needle로 英譯하였다.

    2) 본초명이 들어간 방제명의 英譯본초명은 와 에 있는 표기법을 기준

    으로 한다. 巴豆膏와 같이 한가지 본초명으로 방제명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본초명+제형’으로 번역한다. 따라서 巴豆膏는 Crotonis Semen Paste가 된다.

    두 가지 이상의 본초명으로 방제명이 구성된 경

    우에는 ‘본초명1 + and + 본초명2 + 제형’으로 번역한다. 이 원칙에 따르면 葛根浮萍湯은 Puerariae Radix and Spirodelae Herba Decoction이 된다.

    방제명에 본초명이 3개 이상 들어있는 경우에는 본초명을 모두 살려서 써주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안상영 등2)은 이런 경우 방제명에는 직접적으로 나와 있지 않지만 방제의 효능을 밝혀 ‘주치(효능) + 제형 + of(with) + 군약’의 형식으로 쓸 것을 제안하였으나, 이보다는 되도록 원문의 의미에 충실하게 번역하여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이해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번역의 정확성에 충실하면서도 간결성을

  • (107)김현구 외 3명 :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107

    살려주기 위하여 부위명은 삭제하고 번역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한글/한자 방제명에 있어서도 芎歸香蘇散처럼 본초명을 모두 밝혀주지 않고 약자만으

    로 방제명을 표시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영어 번역

    에서도 이와 비슷한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혹, 부위명을 삭제해서 사용되는 본초 이해에 어려움이 생길

    경우에는 본초명 전체를 표시해준다. 이 같은 원칙에 따르면 芎歸香蘇散은 Cnidii, Angelicae Gigantis, Cyperi, and Perillae Powder이 되고, 黃芪桂枝附子湯은 Astragali, Cinnamomi Ramulus, and Aconiti Decoction으로 번역된다.

    3) 주치(효능)가 포함된 방제명의 英譯주치(효능)이 포함된 경우에는 ‘명사 + ing분사’

    형태를 활용할 수 있으며, 명사와 ing분사 사이에는 하이픈(-)을 써서 영어권 독자들이 한눈에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주치(효능)이 포함된 방제명은 다음과 같이 세 형식으로 英譯할 수 있다. ‘본초명 + 주치(효능) + 제형’ 유형의 경우에는 ‘본초명 + 명사 + ing분사 + 제형’으로 번역한다. 이 원칙에 따르면 葛根解肌湯은 Puerariae Radix Flesh- Resolving Decoction이 되며, 香砂養胃湯은 Cyperi Rhizoma and Amomi Fructus Stomach-Nourishing Decoction이 된다.

    ‘주치(효능)+제형’ 유형의 경우, 방제명에서 적응증이 두 개 이상 나열될 수 있다. 이럴 때도 원 한글/한자 방제명의 어순에 맞추어 英譯해 주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升陽益氣湯은 Yang-Upraising Qi-Replenishing Decoction으로, 凉膈散火湯은 Diaphragm-Cooling Fire-Dissipating Decoction으로 번역된다.

    ‘개념 + 주치(효능) + 제형’ 유형의 경우에도 역시 원 방제명 어순을 살려 번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太陰調胃湯의 경우 Taeeum Stomach- Regulating Decoction으로 번역한다. 여기서 太陰은 사상의학의 고유 개념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WHO 전통의학국제표준용어집에 있는 ‘greater yin’이 아닌 한글의 로마자화 음역인 taeeum으로 번역하였다.

    기타 ‘명사 + ing분사’를 사용하기 어려운 예가 있을 수 있다. 사상방제에서 熱多寒少湯, 寒多熱少湯 같은 경우가 대표적인데 多를 Dominant, 小를 Recessive라 하여 각각 Heat-Dominant Cold- Recessive Decoction, Cold-Dominant Heat- Recessive Decoction이라고 英譯한다.

    4) 한의학 고유 개념의 英譯한의학(또는 사상의학) 고유의 개념이나 비유적

    표현이 있는 방제의 英譯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명사+ing분사+제형’의 형식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贊化丹의 경우 Transformation-Helping Pellet으로 번역한다.

    ‘본초+개념+제형’의 경우에는 ‘명사 + ing분사 + 제형’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개념 자체가 명사형으로 끝날 수 있는 경우는 ing분사를 쓰지 않아도 좋다. 이 같은 원칙에 따르면 麻黃金水湯은 Ephedrae Herba Metal-Water Decoction, 地黃玄武湯은 Rehmanniae Radix Black Turtoise Decoction으로 번역할 수 있다. ‘개념+효능+제형’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원 방제명의 어순에 맞게 번역해 주는데 經驗調胃湯의

    경우 Empirical Stomach-Regulating Decoction, 少陽補胃湯의 경우는 Soyang Stomach-Tonifying Decoction으로 번역한다.

    5) 기타 이밖에도 한의학 고유 개념은 아니지만 특정 개

    념이 방제명에 사용된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개념의 원 의미를 충실히 반영하면서 최대한 간결하게

    번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錦上添花白虎湯의 경우 『한의학 한영사전』에서는 ‘The Best White Tiger Decoction’으로 英譯하였는데 간결성은 있으나 영어 방제명만 봐서는 ‘錦上添花’의 의미를 역으로 생각해내기 힘들다. 따라서 ‘錦上添花’의 의미를 최대한 살려주기 위하여 Embellished Brocade White Tiger Decoction으로 번역하였다. 水銀薰鼻方도 『한의학 한영사전』과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에는 각각 ‘Calomelas-fumigating

  • (108)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3년 3월)

    108

    mehod’, ‘Calomelas Fumigating Method’라 하여 수은을 ‘Calomelas’로 번역하였으나 Calomelas는 輕粉(염화제일수은)을 말하지 수은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은 아니므로 수은의 라틴어명인 Hydrargyrum을 사용하였고, 단순 훈증이 아니라 코에 한 것이므로 Nose-Fumigating으로, ‘方’은 단순히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본초들을 조합한 처방의 의미

    를 가지므로 Method가 아닌 Formula로 번역하여 최종적으로 Hydrargyrum Nose-Fumigating Formula로 번역하였다.

    3. 국내 사상방제명 英譯 비교 및 새로운 英譯 제안

    『한의학 한영사전』에 英譯된 방제는 총 755개이며, 이 중 사상의학 방제는 270개이다. 이는 사상의학 방제명 英譯이 수록된 나머지 두 서적보다 많

    은 분량으로 현재 가장 많은 사상의학 영어방제명을

    수록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의학 한영사전』 및 다른 두 서적에 있는 사상의학방제 英譯을 비교 검

    토하고 새로운 英譯을 다음 표를 통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Table 2)

    고 찰

    본고에서는 기존의 사상의학 방제 英譯을 분석

    하고, 새롭게 제안하는 英譯 및 그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사례 분석은 『한의학 한영사전』을 중심으로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과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을 비교하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英譯한 사상방제는 『한의학 한영사전』에 수록된 방제 755개 중 사상의학 방제 270개를 포함하는 『동의사상신편』에 수록된 방제 313개이다. (여기서 방제 수 계산은 방제명을 기준으로 하였다. 즉, 방제구성이 같지만 방제명이 다른 경우는 다른 것으로 구분하였다.) 기존 사례 분석을 통해 英譯의 일관성, 한의학 개념 및 고유 표현의 정확한 전달, 표준화된 본초명의 표기 등에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검토하였다. 이러

    한 검토점들을 가지고 『동의사상신편』에 수록

    된 방제들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방제명 英譯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재 한의 또는 중의 용어의 英譯에서 있어서

    가장 큰 논쟁의 줄기를 이루는 것은 독자 지향 번

    역(reader-oriented translation)을 할 것인지, 아니면 원 출처에 충실한 번역(source-oriented translation)을 할 것인가이다. 洪梅의 연구12)에 따르면 謝竹藩 또는 Dan Bensky와 같이 독자 지향 번역을 추구하는 흐름은 한 단어도 다른 문맥에서는 다

    른 단어로 번역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서양의학 용어를 중의 용어에 바로 대응시키는 것처럼 서

    양의 개념을 직접 연결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Nigel Wiseman으로 대표되는 원문 지향 번역을 추구하는 흐름은 직역과 회역성의 원칙을

    강조하면서 체계적인 번역 원칙을 세울 것을 주

    장한다. 이런 방법은 가급적 단어 하나하나에 고유 번역어를 정해놓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독자 지향 번역 방법과 원문 지

    향 번역 방법 중에서 후자에 더 무게를 두었다. 방제명은 주로 고유 명사로 사용되는데다 특히

    사상방제의 경우 의역을 하게 되면 앞서 살펴본

    것처럼 ‘瀉白’에서 ‘白’이 肺와 관련이 있다고 쉽게 단정 짓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보다는 원 글자에 충실하게 번역하여 독자가

    사상의학 이론을 충분히 이해했을 때 그 의미를

    파악하도록 여지를 두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본고에서는 『한의학 한영사전』과 『東醫四象

    新編』에 실린 사상방제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重名, 異名에 대한 분석은 따로 시행하지 않았다. 重名은 이름은 같으나 방제 구성이 다른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十全大補湯이나 白虎湯과 같이 사상방제가 아닌 범주

    에서도 쓰이는 방제명을 본 연구에서 제외시키지

    는 않고 함께 英譯하였다. 또 異名은 ㊀擦光, 歸腎㊀擦光과 같이 명칭이 다르지만 같은 주치효능과

    구성약재를 가진 경우를 말하는데 이 경우에도

    특별히 하나로 묶거나 같다고 표시하지 않았다.

  • (109)김현구 외 3명 :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109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熊膽散 Fel Ursi Powder Powder of Fel Ursi Fel Ursi powder Bear Gallbladder Powder

    皂角大黃湯 Gleditsiae Fructus and Rhei Rhizoma DecoctionDecoction for Fructus Gleditsiae and Radix et Rhizoma Rhei

    Decoction of Fructus Gleditsiae and Radix et Rhizoma Rhei

    Gleditsia and Rhubarb Decoction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蘇合香元 Styrax Liquides Pill Styrax Big Pill Storax pill Styrax Pill

    人蔘陳皮湯Ginseng Radix and Citri Pericarpium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Ginseng and Pericarpium Citri

    Decoction of Radix Ginseng and Pericarpium Citri Reticulatae

    Ginseng and Tangerine Peel Decoction

    川芎桂枝湯Cnidii Rhizoma and Cinnamomi Ramulus Decoction

    Decoction of Rhizoma Cnidii and Ramulus Cinnamomi

    Decoction of Rhizoma Chuanxiong and Ramulus Cinnamomi

    Lingusticum and Cinnamon Decoction

    黃茋桂枝湯 Astragali Radix and Cinnamomi Ramulus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Astragali and Ramulus Cinnamomi

    Decoction of Radix Astragali and Ramulus Cinnamomi

    Astragalus and Cinnamon Decoction

    芎歸香蘇散Cnidii, Angelicae Gigantis, Cyperi, and Perillae Powder

    Powder of Rhizoma Cnidii, Radix Angelicae Gigantis, Rhizoma Cyperi and Folium Perillae

    Powder of Rhizoma Chuanxiong, Radix Angelicae Sinensis, Rhizoma Cyperi and Folium Perillae

    Lingusticum, Angelica, Cyperus and Perilla Powder

    人蔘桂枝附子湯Ginseng, Cinnamomi Ramulus, and Aconiti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Ginseng, Ramulus Cinnamomi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Decoction of Radix Ginseng, Ramulus Cinnamomi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aeparata

    Ginseng, Cinnamon, and Aconite Decoction

    黃茋桂枝附子湯 Astragali, Cinnamomi Ramulus, and Aconiti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Astragali, Ramulus Cinnamomi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Decoction of Radix Astragali, Ramulus Cinnamomi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aeparata

    Astragalus, Cinnamon, and Aconite Decoction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獨活地黃湯

    Angelicae Pubescentis Radix and Rehmanniae Radix Preparata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Rehmanniae Praeparata with Radix Angelicae Pubescentis

    Decoction of Radix Angelicae Pubescentis and Radix Rehmanniae Preparata

    Rehmannia Decoction with Pubescent Angelica

    Table 2. Comparison of Sasang Formula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 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d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ith its

    Proposals

  • (110)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3년 3월)

    110

    熟地黃苦蔘湯Rehmanniae Radix Praeparata and Sophorae Radix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Rehmanniae Praeparata and Radix Sophorae

    Decoction of Radix Rehmanniae Preparata and Radix Sophorae

    Rehmannia and Sophora Decoction

    忍冬藤地骨皮湯Lonicerae Caulis and Lycii Radicis Cortex Decoction

    Decoction of Caulis Lonicerae and Cortex Lycii

    Decoction of Caulis Lonicerae and Cortex Lycii Radicis

    Lonicera Stem and Lycium Bark Decoction

    猪苓車前子湯 Polyporus and Plantaginis Semen Decoction

    Decoction of Polyporus and Semen Plantaginis

    Decoction of Polyporus and Semen Plantaginis

    Polyporus and Plantain Decoction

    滑石苦蔘湯Talcum and Sophorae Radix Decoction

    Decoction of Talcum and Radix Sophorae

    Decoction of Talcum and Radix Sophorae

    Talcum and Sophora Decoction

    荊防地黃湯

    Schizonepetae, Saposhnikoviae, and Rehmanniae Radix Praeparata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Rehmanniae Praeparata with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

    Decoction of Herba Schizomepetae, Radix Saposhnikoviae and Rehmannia

    Rehmannia Decoction with Schizonepeta and Sileris

    ⓑ Materia Medica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葛根承氣湯Puerariae Radix Qi-Coordinating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Puerariae for Raising Gi

    Decoction for purgation with Radix Puerariae

    Raise the qi Decoction with Kudzu

    葛根解肌湯Puerariae Radix Flesh-Resolving Decoction

    Decoction of Radix Puerariae for Dispelling Pathogenic Factors from the Superficial Muscles

    Decoction for releasing the flesh with Radix Puerariae

    Release the Muscle Layer Decoction with Kudzu

    鹿茸大補湯Cervi Parvum Cornu Greatly Tonifying Decoction

    Decoction of Cornu Cervi Pantotrichum for Powerfully Tonifying

    Decoction for major tonification with Cornu Cervi Pantotrichum

    Great Tonifying Decoction with Deer Horn

    麻黃發表湯Ephedrae Herba Exterior-Effusing Decoction

    Decoction of Herba Ephedrae for Dispelling Pathogenic Factors from the Exterior

    Decoction for diaphoresis with Herba Ephedrae

    Ephedra Decoction to Release the Exterior

    麻黃定喘湯Ephedrae Herba Panting-Stabilizing Decoction

    Decoction of Herba Ephedrae for Relieving Asthma

    Decoction for relieving asthma with Herba Ephedrae

    Stop the Asthma Decoction with Ephedra

    麻黃定痛湯Ephedrae Herba Pain-Stabilizing Decoction

    Decoction of Herba Ephedrae for Relieving Pain

    Decoction for relieving pain with Herba Ephedrae

    Stop the Pain Decoction with Ephedra

    淸心蓮子湯Heart-Clearing Nelumbinis Semen Decoction

    Decoction of semen Nelumbinis for eliminating Heart-Heat

    Decoction of Semen Nelumbinis for clearing the Heart

    Lotus Seed Decoction to Clear the Heart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藿香正氣散Agastachis Herba Qi-Correcting Powder

    Powder of Herba Pogostemonis for Restoring Health

    Powder of Herba Agastachis for restoring qi

    Agastache Powder to Rectify the qi

    白何烏附子理中湯 Cynanchi Wilfordii Decoction of Radix Decoction for regulating Regulate the Middle

  • (111)김현구 외 3명 :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111

    Radix and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Middle-Regulating Decoction

    Cynanchi Wilfordi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for Regulating the Middle Heater

    the middle with Radix Polygoni Multiflori Alba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aeparata

    Decoction with White Fleeceflower and Aconite

    升陽益氣附子湯

    Yang-Upraising Qi-Replenishing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Decoction

    Decoction for Raising Yang and Reinforcing Gi with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Decoction for ascending yang and replenishing qi with Radix Aconiti Lateralis Praeparata

    Raise the yang and Augment the qi Decoction with Aconite

    吳茱萸附子理中湯

    Evodiae Fructus and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Middle-Regulating Decoction

    Decoction of Evodia Fruit and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for Regulating the Middle Heater

    Decoction for regulating the middle with Fructus Evodiae and Radix Aconiti Laterallis Praeparata

    Regulate the Middle Decoction with Evodia and Aconite

    香砂養胃湯

    Cyperi Rhizoma and Amomi Fructus Stomach-Nourishing Decoction

    Decoction of Rhizoma Cyperi and Fructus Amomi for nourishing the Stomach

    Decoction of Rhizoma Cyperi and Fructus Amomi Rotundus for nourishing the stomach

    Nourish the Stomach Decoction with Cyperus and Cardamon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荊防導赤散Schizonepetae Spica and Saposhnikoviae Radix Red-Conducting Powder

    Powder for treating dark urine with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

    Powder of Herba Schizom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 for Inducing Heat

    Guide Out the Red Powder with Schizonepeta and Sileris

    荊防瀉白散Schizonepetae Spica and Saposhnikoviae Radix White-Draining Powder

    Powder for expelling Lung-heat with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

    Powder of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loviae for Expelling Heat from the Lung

    Sedate the White Powder with Schizonepeta and Sileris

    荊防敗毒散Schizonepetae Spica and Saposhnikoviae Radix Toxin-Repelling Powder

    Antiphlogistic Powder of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

    Antiphilogistic Powder of Herba Schizonepetae and Radix Saposhnikoviae

    Detoxify Pathogens Decoction with Schizonepata and Sileris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獼猴藤植腸湯 Actinidiae Chinensis Caulis Intestine-Planting Decoction

    Decoction for Planting Intestine with Caulis Actinidiae Chinensis

    Decoction for planting intestine with Caulis Actinidiae Chinensis

    Plant the Intestine Decoction with Actinidia

    五加皮壯脊湯Acanthopanacis Cortex Spine-Strengthening Decoction

    Decoction for Strengthening Spine with Cortex Acanthopanacis

    Decoction for strengthening spine with Cortex Acanthopanacis

    Strengthen the Spine Decoction with Acanthopanax

    ⓒ Materia Medica Numbers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十全大補湯Ten Wholesome Greatly Tonifying Decoction

    Decoction for Powerfully Tonifying of Ten Prefect Drugs

    Decoction of ten powerful tonics

    All-Inclusive Great Tonifying Decoction

    八物君子湯Eight-Element Noble Decoction

    Decoction of Eight Noble Ingredients

    Decoction of eight noble ingredients

    Eight Noble Ingredient Decoction

  • (112)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3년 3월)

    112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十二味地黃湯Twelve-Flavor Rehmanniae Radix Praeparata Decoction

    Decoction of twelve drugs containing Radix Rehmanniae Praeparata

    Decoction of Twelve Drugs with Rehmannia

    Twelve-Ingredint Decoction with Rehmannia

    六味地黃湯Six-Flavor Rehmanniae Radix Preparata Decoction

    Decoction of six drugs containing Radix Rehmanniaee Praeparata

    Big Pill of Six Ingredients with Radix Rehmanniae Preparata

    Six-Ingredient Decoction with Rehmannia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補肺元湯Lung-Prime Tonifying Decoction

    Decoction for Invigorating the Lung Vitality

    Decoction for invigorating Lung vitality

    Tonify the Lung Source Decoction

    熱多寒少湯Heat-Dominant Cold-Recessive Decoction

    Decoction for Treating More Fever than Cold

    Decoction for treating more fever than cold

    Greater Heat and Lesser Cold Decoction

    調胃升淸湯Stomach-Regulating Upraising-Clearing Decoction

    DecoctionforElevatingtheCleanYangthroughRegulatingtheStomach

    Decoction for elevating the clean yang through harmonizing the stomach

    Regulate the Stomach and Raise the Clear Decoction

    寒多熱少湯Cold-Dominant Heat-Recessive Decoction

    Decoction for Treating More Cold than Fever

    Decoction for treating more cold than fever

    Greater Cold and Lesser Heat Decoction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補中益氣湯Middle-Tonifying Qi-Replenishing Decoction

    Decoction for Tonifying the Middle Heater and Reinforcing Gi

    Decoction for tonifying the middle and replenishing qi

    Tonify Middle and Augment the qi Decoction

    升陽益氣湯Yang-Upraising Qi-Replenishing Decoction

    Decoction for Raising Yang and Reinforcing Gi

    Decoction for ascending yang and replenishing qi

    Raise the yang and Augment the qi Decoction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導赤降氣湯Red-Conducting Qi-Lowering Decoction none

    Decoction for Inducing Heat and Lowering Gi

    Guide Out the Red and Descend the qi Powder

    凉膈散火湯Diaphragm-Cooling Fire-Dissipating Decoction

    Decoction for cooling the diaphragm and dispersing fire

    Decoction for Removing Heat from the Diaphragm and Scattering Fire

    Cool the Diaphragm and Disperse the Fire Decoction

    ⓔ Concept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拱辰黑元丹 Polaris-Aspiring Black Alchemistic Pill of Modified GongchenDan Consolidating the Source

  • (113)김현구 외 3명 :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113

    Vitality Pellet Revering the North Polar Star for black vitality Energy Pill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陽毒白虎湯Yang Toxin White Tiger Decoction

    White tiger decoction for yang type inflammatory swelling

    White tiger decoction for Yang Toxin

    White Tiger Decoction for Clearing yang Toxins

    ⓕ Concept + Materia Medica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地黃白虎湯Rehmanniae Radix Crudus White Tiger Decoction

    White tiger decoction with Radix Rehmanniae

    White Tiger Decoction with Radix Rehmanniae

    White Tiger Decoction with Rehmannia

    ⓖ Concept + Indication + Preparation Form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太陰調胃湯Taeeum Stomach-Regulating Decoction

    Decoction for Regulating the Stomach in Taeeum person

    Decoction for harmonizing the stomach in a greater yin person

    Tae-eum Regulate the Stomach Decoction

    ⓗ Etcetera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二聖救苦丸Two Holy Suffering-Saving Pill

    Pills with Two Wonderful Drugs Saving from Suffering

    Pills with two wonderful drugs saving from suffering

    none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秘方和滯丸Secret Stagnation-Harmonizing Pill

    none Secretly prescribed pills for removing stagnancy none

    如神湯 Marvelous Decoction Miraculous Decoction none none如意丹 Pliant Pellet none Pills for alleviation none

    FormulaeProposed English Translation with Standardization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e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水銀薰鼻方Hydrargyrum Nose-Fumigating Formula

    Calomelas-fumigating method

    Calomelas Fumigating Method none

  • (114) 대한한의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3년 3월)

    114

    본고는 사상방제의 분류 및 정리를 목표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급적 많은 수의 방제명을 英譯

    化 하고자 하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사상의학 방제명의 英譯에 일관

    성, 정확성, 효율성을 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원칙에 입각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제형에 대한 번역어는 방제명의 가장 뒤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한다.

    둘째, 英譯된 방제명에서 띄어쓰기를 할 때마다 주요 용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셋째, 제형 종류의 英譯은 湯, 煎과 飮은 모두

    Decoction, 散은 Powder, 膏는 Paste, 元 또는 丸은 Pill, 丹은 Pellet으로 하며 기타 제형 종류는 상황과 맥락에 맞게 英譯한다.

    넷째, 본초명은 와 에 있는 표기법을 기준으로 한다. 巴豆膏와 같이 한 가지 본초명으로 방제명이 구성된 경우에는 ‘본초명+제형’으로 번역한다. 두 가지 본초명으로 방제명이 구성된 경우에는 ‘본초명1 + and + 본초명2 + 제형’으로 번역한다. 본초명이 세 가지 이상 들어있는 경우에는 부위명은 삭제하고 번역하도록 한다. 혹, 부위명을 삭제해서 사용되는 본초 이해에 어려움이 생길 경우에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본초명 전체를 표시해준다. 다섯째, 주치(효능)이 포함된 경우에는 ‘명사 +

    ing분사’ 형태를 활용하도록 하며, 명사와 ing분사 사이에는 하이픈(-)을 써서 영어권 독자들이 한눈에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중에서 ‘본초명 + 주치(효능) + 제형’ 유형의 경우에는 ‘본초명 + 명사 + ing분사 + 제형’으로 번역한다. ‘개념 + 주치(효능) + 제형’ 유형의 경우에도 역시 원 방제명 어순을 살려 번역하도록 한다.

    여섯째, 한의학(또는 사상의학) 고유의 개념이나 비유적 표현이 있는 방제의 英譯도 가능한 범위 내

    에서 ‘명사+ing분사+제형’의 형식을 유지하도록 한

    다. 다만 개념 자체가 명사형으로 끝날 수 있는 경우는 ing분사를 쓰지 않아도 좋다.

    일곱째, 기타 錦上添花白虎湯과 같이 방제명에 한의학 용어는 아니나 고유명사가 있는 경우 원문에

    충실하고 간결성을 살려 번역해 주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상방제를 포함한 한의학 용어

    의 영어 번역 및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

    어지기를 바라며, 사상의학을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자들이 논문 등의 문헌에서 통일된 사상의학 영어방

    제명을 사용하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상의학 안내 및 교육, 임상, DB 등에서도 본 연구결과가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2년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문헌 창의적 해석을 통한 미래지식 보감 구축’(K1211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도움을 주신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체질

    과 고병희 교수님, 이의주 교수님, 이준희 교수님, 그리고 이지원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Shin MJ. A New Introduction on Standardization. Seoul: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7:22.

    2. Ahn SY, Kwon OM, Han CH, Park SY, Ahn SW. Research on Standardization of TKM Formulae English Translation. J Korean Oriental Med. 2010;31(1):57-68.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07.

    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08.

    5. Shin MK.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al Terminology. Seoul:Kyung

  • (115)김현구 외 3명 : 四象 方劑名의 英譯 標準化에 대한 硏究

    115

    Hee University Press. 1995. 6. Korean-English Dictionary of Oriental Medicin

    e. Paju:Jimoondang. 2004. 7. Lee JW. Standard Terminologies on Sasang Co

    nstitution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dissertation. 2010:109-10.

    8. 李濟馬. 『東醫壽世保元』. 咸興:栗洞契. 1901. 9. 元持常. 『東醫四象新編』. 京城:文友社. 1929.10. Song IB, The Societ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 Introduction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oul:Jimoondang. 2005:214-26.

    11. Lee Je-ma. Translated by Choi SH.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Press. 2009.

    12. Hong M. Standardization History of English Terms of Chinese Medicine in Last 30 Years. Chinese Academy of Chinese Medical Sciences. Doctoral dissertation. 2008:6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