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2020. 7월호 304 최근 전 세계적인 코로나19의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으로 엄청난 변 화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국 도축장들의 가동률이 하락하면서 돼 지고기 수급이 어려워져 국제 돈육의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돈육 소비 가 촉진됨에 따라서 국내 지육가격은 고돈가를 보이고 있다. 고돈가에는 돼지를 많 이 빨리 출하하고 싶은 것이 한돈 사양가의 마음이겠지만, 현재 한돈농장의 성적을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 (자궁 내 성장 제한) 최 영 조 박사 (주)팜스코 축산과학연구소 R&D팀장 (표 1) 한돈팜스 사용농가 2019년 사육성적 구분  2019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농가수 3,277 3,256 3,223 3,228 3,206 3,195 3,188 3,173 3,092 3,038 3,020 2,982 3,157 모돈수(천두) 862 857 857 850 847 847 854 850 843 830 824 820 845 이유 후 육성률(%) 89.8 84.2 81.7 85.7 82.6 80.7 81.4 80.6 82.3 86.9 89.7 91.7 84.8 출하일령 (일) 182 210 203 200 203 213 208 211 214 196 192 189 202 기획특집 번식관리 프로젝트 : 교배 기술과 완성을 위한 비결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04 3052020. 7월호

최근 전 세계적인 코로나19의 대유행인 팬데믹(pandemic)으로 엄청난 변

화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국 도축장들의 가동률이 하락하면서 돼

지고기 수급이 어려워져 국제 돈육의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돈육 소비

가 촉진됨에 따라서 국내 지육가격은 고돈가를 보이고 있다. 고돈가에는 돼지를 많

이 빨리 출하하고 싶은 것이 한돈 사양가의 마음이겠지만, 현재 한돈농장의 성적을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

(자궁 내 성장 제한)

최 영 조 박사

(주)팜스코 축산과학연구소R&D팀장

(표 1) 한돈팜스 사용농가 2019년 사육성적

구분 2019년

합계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농가수 3,277 3,256 3,223 3,228 3,206 3,195 3,188 3,173 3,092 3,038 3,020 2,982 3,157

모돈수(천두) 862 857 857 850 847 847 854 850 843 830 824 820 845

이유 후육성률(%)

89.8 84.2 81.7 85.7 82.6 80.7 81.4 80.6 82.3 86.9 89.7 91.7 84.8

출하일령(일)

182 210 203 200 203 213 208 211 214 196 192 189 202

기획특집

번식관리 프로젝트 : 교배 기술과 완성을 위한 비결

Page 2: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04 3052020. 7월호

보면 상당히 저조하다. 2019년 한돈팜스 사용농가의 사육성적을 살펴보면, 이유 후

육성률은 84.8일, 출하일령은 202일령이다(표 1).

몇 년 전과 비교해 전혀 개선되고 있지 않는데다, 특히 하위에 속하는 농가들은

악화되어 상위권과 더욱 간격이 벌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사육성적이 저조한 이유로

는 큰 일교차로 인한 호흡기 질병의 만연과 기본적인 사양관리의 실행이 안 되는 면

도 있지만, 다산성 모돈의 도입 자체도 성적 저하의 일부 원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돈농가에서 이미 보편화된 다산성 모돈의 도입은 총산자수가 많은 장점이 있지

만, 단점도 갖고 있는데, IUGR(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자궁 내 성장

제한) 자돈의 증가가 최근에 대표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그렇다면 이름도 생소한 IUGR 자돈이란 무엇인가? 다산성 모돈은 산자수가 많게

개량되었지만, 반면에 자궁 및 태반의 크기(면적)는 커지지 않았다. 따라서 임신기간

에 모체로부터 태축으로의 영양소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서 비정상적으로 작은 돼지로

태어나는 경우가 증가하는 바, 이런 돼지를 IUGR 자돈이라 한다. IUGR 자돈은 (사진

1)과 같은 외관 특징을 가지고 있고, 생시체중이 800g 미만으로 정상적인 자돈보다 훨

씬 작기 때문에 분만사에서 쉽게 구분된다.

최근 Felicinoni 등(2019)의 연구에 의하면, 2010년에 IUGR 자돈은 총산자수

(Total born)의 6%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총산자수의 약 30%까지 급등한 사례

도 나타나고 있다. 총산자수를 14두라고 가정하면, 모돈 10두에서 태어난 140두 중

30%인 42두가 IUGR 자돈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실제 본인이 최근 다산성 모돈을

도입한 농장을 방문하면 어렵지 않게 분만사에서 쉽게 IUGR 자돈을 찾아볼 수 있다.

① 돌출된 뇌

② 뒤로 젖혀진 귀

③ 돌고래를 닮은 머리

(머리 앞은 직선, 두개골은 커브형)

④ 짧고 주름진 주둥이

⑤ 툭 튀어나온 눈, 원통형의 코

⑥ 낮은 생시체중

▲ (사진 1) IUGR 자돈의 외관 특징

Page 3: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06 3072020. 7월호

IUGR 자돈은 생시체중이 낮고, 소장의 길이와 무게, 그리고 면역기관의 무게

또한 상대적으로 가볍다. 장에 면역세포의 80%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약한 장 발달

은 곧바로 돼지의 면역 시스템을 약하게 만든다. 따라서 IUGR 자돈은 면역 시스템

이 잘 발달되지 않아 질병에 잘 걸리고, 환경 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소장 융모의

발달도 미흡해 융모의 흡수 면적이 적기 때문에 정상 자돈보다 영양소 이용효율이

매우 떨어져서 성장이 잘 안 된다. 결국 IUGR 자돈의 발생 증가로 인해 더 많이 죽

고, 출하일령도 지체되고 있는 것이다. IUGR 자돈 등의 영향으로 요즘 평균 생시

체중은 과거 1.5kg에서 1.3kg 정도로 200g이나 감소하였다. 이것만으로도 출하일

령은 4~5일 정도 늦어지게 됐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IUGR 자돈을 고려한 모돈의 영양관리를 해야 하는 것인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후보돈의 사양 및 영양관리부터 신경을 써야 한다.

1. 후보돈의 급여 프로그램

후보돈을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이기 위한 모돈으로 만드는 것이 사육의 목표이다.

따라서 후보돈은 절대로 육성돈처럼 증체시키면서 키우면 안 된다. (그림 1)의 후보

돈과 육성돈의 성장곡선 비교를 보면, 후보돈과 육성돈은 성장곡선에서 매우 차이

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 후보돈과 육성돈의 성장곡선 비교 <자료 : (주)팜스코 양돈연구, 2017>

Page 4: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06 3072020. 7월호

특히 다산성 모돈은 근본적으로 정육형(Lean type)으로 개량되어 왔다. 이런 Lean

type 돼지들은 지방의 축적 속도는 낮고, 살코기의 증체 속도가 빠르다. 따라서 육성

돈 사료같이 후보돈 사료보다 라이신(Lysine)이 높게 설계된 사료를 조금만 먹어도

살코기 증체가 잘 된다. 하지만 Lean type 돼지는 살코기 증체가 빨라 근육 성장이

빠른 반면 상대적으로 내장기관의 발달과 번식기관의 발달 속도가 느린 편이다. 따라

서 후보돈의 시기 때 섬유소가 많이 포함되고,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료를 많

이 섭취하는 것이 내장기관을 발달시키고, 근육의 성장 속도를 적절하게 하고, 번식

기관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후보돈 시기 때 위와 장

의 용적을 키워 줄 수 있어서 사료를 많이 먹어야 하는 포유돈 시기 때 사료 섭취량을

올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과거 국내 농가들에서는 후보돈의 근육 성장 제한을 위해 후보돈 시기에 사료량을

제한 급이하는 급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주)팜스코의 경우 농장에 도입한

후보돈 시기 때 사료를 3.5kg 이상 자유롭게 급여해도 목표 체중과 일령에 도달하고,

소화기관과 번식기관이 발달하도록 설계한 후보돈 사료를 권장하고 있다(그림 2).

2. 임신말기 사료 프로그램

과거 15~20년 전에는 임신기간이 114일이었다. 하지만 산자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서 임신기간도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임신기간이 평균 115일이 일반적이

지만, 산자수가 높은 농장은 116일도 걸린다.

보통 임신말기라고 하면 임신 90일부터 분만까지의 약 2주 동안의 시기를 의미한

다. 전체 임신기간과 비교하면 매우 짧은 이 시기에 생시체중의 약 50% 급속 성장이

발생한다. IUGR 자돈 같은 생시체중이 매우 낮은 자돈들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에는

이 시기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임신말기에는 모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최대한 영양을 오래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자수도 많아지고 생시체중도 작아

(그림 2) 후보돈 급여 프로그램의 예

Page 5: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08 3092020. 7월호

졌기 때문에 이 시기에 영양을 충분하게 공급하지 않으면 생시체중 및 균일도에 나

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과거 이유두수 10두 정도의 모돈일 때는 이 시기에 비교적 높은 양의 사료를 급

여하다가 분만시기의 난산 방지 및 공복 스트레스 감소 목적으로 하루에 사료 섭취

량을 500g씩 일찍부터 감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다산성 모돈에서는 이러한

급여 프로그램은 바람직하지 않다. 임신말기에 사료를 너무 일찍 줄여나간다면 다

산성 모돈의 자돈 생시체중을 크게 떨어뜨릴 뿐 아니라 분만 후 사료량을 많이 먹

어야 하는 포유시기에 사료 섭취량의 증가 속도가 늦어지고, 포유시기 사료 피크

도달시기가 7일 이후로 길어지게 된다. 이는 포유기간의 전체 총사료 섭취량을 감

소시켜 유량 및 이유체중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생시체중의

증가 및 IUGR 자돈을 고려하면 임신말기에서 분만까지 사료 섭취량을 가능한 높

게, 오래 가는 것을 권장한다.

3. 분만 당일 초유 섭취관리

초유 급여는 자돈의 생존율을 높이고 건강한 자돈을 많이 생산하는 데 매우 중요

하다. 자돈은 초유를 최소한 250g/두는 섭취해야 살아나갈 수 있다. 특히 IUGR 자

돈 같이 약한 자돈들은 초유를 적정량을 먹지 않고는 생존할 수 없다.

Quesnel 등(2012)의 분만 당일 초유

섭취량에 따른 이유 전 사고율의 연구 결

과(그림 3)를 보면, 초유를 200~300g

섭취한 포유자돈은 이유 전 사고율이

10%였으나 초유를 100~200g 섭취한

포유자돈은 이유 전 사고율이 33%, 초

유를 100g 미만 섭취한 포유자돈은 이

유 전 사고율이 63%에 달하였다. 초유를

400~500g 섭취한 포유자돈은 이유 전

사고율이 5% 이하로 현저하게 낮았다.

자돈의 수동면역을 증가시키는 데 중

요한 면역글로불린인 IgG는 태어나서 24

시간 동안만 흡수할 수 있다. 출생 후 24

시간 동안의 초유(Colostrum) 섭취량에 (그림 3) 초유(Colostrum) 섭취량과

이유 전 폐사율 <자료 : Quesnel et al., 2012>

Page 6: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08 3092020. 7월호

따른 IgG의 혈중 농도(그림 4)를 보면,

초유를 300~400g 섭취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초유를 많이 먹을수록 생존

에 유리해지는 것이다.

초유 섭취량에 따른 42일령 체중(그

림 5)을 보면, 초유를 최소로 섭취한 자

돈들과 최대로 섭취한 자돈의 42일령

체중은 최대 2.5kg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42일령 체중 차이의

3.15배가 동일 일령 출하체중 차이임을

감안하면 출하체중에서는 약 7.8kg의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출하일

령으로는 9일 이상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초유를 잘 먹이는 것

이 이유 후 육성률 및 출하일령에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산성 모돈에서는 분만 당일에 모든 포유자돈에게 충분한 양의 초유를

골고루 먹이기 위해 포유자돈을 절반씩 나눠서 초유를 먹게 하는 분할 포유(Split

feeding)를 반드시 할 것을 권장한다. 초유를 잘 급여할 수 있는 모돈을 만들기 위

해서는 후보돈 시기부터 장 건강(Gut health)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후보돈 시기에 자유 채식을 할 수 있는 급여 프로그램을 통해 섭취량을 증

대하고, 위와 장의 용적을 키우면 장관의 발달도 잘 되고, 장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어 모돈이 되어서도 건강하기 때문에 초유도 잘 급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림 4) 출생 후 24시간 동안의 초유(Colostrum)

섭취량에 따른 IgG의 혈중 농도 <자료 : Quesnel et al., 2012>

(그림 5)

초유 섭취량에 따른

42일령 체중

<자료 :

Quesnel et al., 2012>

Page 7: (자궁 내 성장 제한) IUGR 자돈을 고려한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pignpork.com/upload/6556dee51fc89c4549c0b2055b9e541d.pdf · 2020. 7. 24. · 306 2020. 7월호

2020. 7월호310 PB2020. 7월호

4. 이유 당일 날의 사료 프로그램

이유부터 교배까지의 기간을 배란 촉진기 또는 강정사양시기라고 한다. 말 그대로

다음 산차 난포의 정상적인 숫자와 난포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시기인

데, 이 시기는 이유한 모돈의 몸을 빨리 회복시켜서 다시 임신할 수 있도록 건강하게

해 주고, 배란율을 올려서 다음 산차에서 산자수를 올리기 위한 목적이 있다.

하지만 국내 일부 농장들은 이 시기에 제대로 사료를 급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이유 당일에는 오전에 분만사에서 교배사로 이유모돈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료

를 남기면 청소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이유 당일 사료를 아예 절식시키는 농가들도 있

다. 하지만 다산성 모돈은 재귀발정일을 단축시키는 쪽으로 개량되어 왔기 때문에 강

정사양시기에는 집중적으로 영양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 이유 당일 절

식을 하면 발정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 포유모돈이

사료를 충분하게 섭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체손실이 심해진다.

다산성 모돈의 경우 포유자돈수는 많으나 사료 섭취가 충분하지 않아 포유기간 중

체손실이 심할 시 이유 당

일 절식을 하게 되면 몸

을 더 빠지게 해서 재귀발

정일에 나쁜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다음 산차에 산자

수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

래한다. 따라서 이유 당일

에도 사료를 3.6kg 이상

급여하는 것을 권장한다.

◇ … ◇ … ◇ … ◇

다산성 모돈의 영양관리는 건강한 이유자돈을 많이 생산하는 것이다. 다산성 모돈

의 특성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기반으로

최적의 영양 공급관리를 하는 것이 IUGR

자돈 문제를 해결하면서 한돈농가의 이

유 후 육성률을 대폭 개선하고, 출하일령

을 단축하는 지름길이다.

상기 원고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글쓴이에게 문의바랍니다.

☎ 글쓴이 연락처 : 02-6200-9952

문의사항

▲ (사진 2) 다산성 모돈에 대한 오랜 노하우와 경험이 축적된 기술로

다산성 모돈이 가진 유전력을 극대화해서 최고의 생산성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