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현대 비평 이론의 종류 】 (1) Terry Eagleton, Literary Theory (2) 최동호 편, <새로운 비평 논리를 찾아서> (3) 이선영 편,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4) 이명재,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5) Peter Barry, Beginning Theory

비평 이론의 종류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korea_sejong/lee... · 2016-09-09 · 02. Structuralism 03. Post-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on 04. Postmodernism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현대 비평 이론의 종류 】

(1) Terry Eagleton, Literary Theory(2) 최동호 편, <새로운 비평 논리를 찾아서>(3) 이선영 편,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4) 이명재,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5) Peter Barry, Beginning Theory

【비평 이론의 필요성】

⇧ Jan Vermeer

Terry Eagleton, Literary Theory : Preface [Link]

Preface

If one wanted to put a date on the beginnings of the transformation which has overtaken literary theory in this century, one could do worse than settle on 1917, the year in which the young Russian Formalist Viktor Shklovsky published his pioneering essay 'Art as Device'. Since then, and especiall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 striking proliferation of literary theory: the very meaning of 'literature', 'reading' and 'criticism' has undergone deep alteration. But not much of this theoretical revolution has yet spread beyond a circle of specialists and enthusiasts: it has still to make its full impact on the student of literature and the general reader.

This book sets out to provide a reasonably comprehensive account of modern literary theory for those with little or no previous knowledge of the topic. Though such a project obviously involves omissions and oversimplifications, I have tried to popularize, rather than vulgarize, the subject. Since there is in my opinion no 'neutral', value-free way of presenting it, I have argued throughout a particular case, which I hope adds to the book's interest. [→ conclusion ]

The economist J. M. Keynes once remarked that those economists who disliked theory, or claimed to get along better without it, were simply in the grip of an older theory. This is also true of literary students and critics. There are some who complain that literary

theory is impossibly esoteric−who suspect it as an arcane, elitist enclave somewhat akin to nuclear physics. It is true that a 'literary education' does not exactly encourage analytical thought; but literary theory is in fact no more difficult than many theoretical enquiries, and a good deal easier than some. I hope the book may help to demystify those who fear that the subject is beyond their reach. Some students and critics also protest that literary theory 'gets in between the reader and the work'. The simple response to this is that without some kind of theory, however unreflective and implicit, we would not know what a 'literary work' was in the first place, or how we were to read it. Hostility to theory usually means an

opposition to other people's theories and an oblivion of one's own. One purpose of this book is to lift that repression and allow us to remember.

Conclusion: Political Criticism

・・・ what I have tried to show throughout this book is that the history of modern literary theory is part of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history of our epoch ・・・ literary theory has been indissociably bound up with political beliefs and ideological values. Indeed literary theory is less an object of intellectual enquiry in its

own right than a particular perspective in which to view the history of our times. Nor should this be in the least cause for surprise. For any body of theory concerned with human meaning, value, language, feeling and experience will inevitably engage with broader, deeper beliefs about the nature of human individuals and societies, problems of power and sexuality, interpretations of past history, versions of the present and hopes for the future. It is not a matter of regretting that this is so−of blaming literary theory for being caught up with such questions, as opposed to some 'pure' literary theory which might be absolved from them. Such 'pure' literary theory is an academic myth: some of the theories we have examined in this book

are nowhere more clearly ideological than in their attempts to ignore history and politics altogether. Literary theories are not to be upbraided for being political, but for being on the whole covertly or unconsciously so−for the blindness with which they offer as a supposedly 'technical', 'self-evident', 'scientific' or 'universal' truth doctrines which with a little reflection can be seen to relate to and reinforce the particular interests of particular groups of people at particular times. The title of this section, 'Conclusion: Political Criticism', is not intended to mean: 'Finally, a political alternative'; it is intended to mean: 'The conclusion is that the literary theory we have examined is political.'

Terry Eagleton, <문학이론 입문>

머리말

만일 금세기에 문학이론에 일어났던 변화가 시작된 해를 굳이 정하고자 한다면, 러시아 형식주의자 빅또르 쉬끌로프스끼가 그의 선구적인 글 「장치로서의 예술」을 발표했던 1917년으로 잡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때 이후로, 특히 지난 20년간에 걸쳐 문학이론은 놀랄 만큼 번성해왔다. ‘문학’ ‘글읽기’ 그리고 ‘비평’의 의미 자체도 깊은 변화를 겪었던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지식이 아예 없거나 혹은 얼마 안 되는 사람들에게 현대의 문학이론에 대한 웬만큼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제를 ‘중립적으로’, 어떤 가치로부터도 벗어나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것이 나의 의견이므로 나는 책 전체를 통하여 어떤 특별한 논지를 주장하려고 했다. 이것이 이 책에 흥미를 더해주기를 바란다.

경제학자 케인즈는 이론을 싫어하거나 이론 없이 더 잘해나갈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들은 보다 낡은 이론에 사로잡혀 있을 따름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것은 문학도들과 비평가들에게도 해당된다. 문학이론이 너무 비교적이라고 불평하는 사람들−문학이론이 핵물리학처럼 소수를 위한 비밀스런 영역이 아닌가 의심하는 사람들이 있다. 문학교육이 반드시 분석적인 사고를 장려하지는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학이론은 실상 여타의 많은 이론적 탐구들보다 더 어려운 것이 아니며 어떤 것들보다는 훨씬 쉽다. 나는 이 책이 문학이론이 자신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있다고 겁내는 사람들에게서 그 두려움을 제거해주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어떤 문학도들과 비평가들은 문학이론이 ‘독자와 작품 사이에 끼어든다’고 반발하기도 한다. 이에 간단히 응답을 하자면, 어떤 종류의 이론이 없다면 (그 이론이 아무리 무반성적이고, 함축적이라 할지라도) 우리는 ‘문학작품’이 애초에 어떤 것인지를 혹은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모르리라는 것이다. 이론에 대한 반감은 보통 다른 사람들의 이론에 대한 반발과 함께 자기 자신이 가진 이론의 망각을 의미한다. 이 책의 목적 가운데 하나는 그런 망각을 제거하여 우리로 하여금 기억하도록 만드는 일이다.

결론 : 정치적 비평

・・・ 이 책을 일관하여 필자가 보이고자 하는 점은 현대문학이론의 역사가 우리 시대의 정치적・이데올로기적 역사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이다 ・・・ 문학이론은 정치적 신조 및 이데올로기적인 가치와 뗄 수 없게 연결되어 있다. 사실 문학이론이란 것은 그 자체로서 지적인 탐구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고 우리 시대의 역사를 바라보는 특정한 시각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결코 놀랄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적 의미나 가치・언어・감정・경험 등과 관계된 이론체계는 그 어떤 것이든 개인과 사회의 본성에 대한 광범위하고 뿌리 깊은 신념들, 권력과 성의 문제, 과거 역사의 해석, 현재에 대한 설명, 그리고 미래에의 희망과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그렇다고 해서 애석해할 문제도 아니고 문학이론이 그런 문제들과 얽혀 있다고 비난하면서 그런 문제들로부터 면제될 ‘순수한’ 문학이론으로 대치시킬 문제도 아니다. 그

런 ‘순수한’ 이론은 아카데믹한 신화에 불과하다. 다시 말하면 이제까지 검토해본 문학이론 중의 몇 가지는 그들이 역사와 정치를 전적으로 무시하고자 시도하는 데에서 스스로의 이데올로기성을 뚜렷이 부각시킨다. 문학이론이 비난을 받아야 한다면 정치적 성격을 지녔기 때문이 아니라 대체로 암암리에 또는 무의식적으로 정치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조금만 생각해보아도 특별한 시기에 특별한 집단의 특정 이익과 관계되어 있고, 그것을 강화하는 것임이 드러날 수 있는 이론을 마치 ‘기술적이거나’, ‘자명하거나’, ‘과학적이거나’, ‘보편적인’ 진리인 양 내세우는 맹목성 때문이다. 이 장의 제목인 ‘결론 : 정치적 비평’은 ‘마침내, 정치적 대안’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제까지 검토해본 문학이론은 정치적 성격을 지닌다는 결론’을 뜻하고자 한 것이다.

【비평 이론의 종류】

01. 초기의 맑시즘 비평02. 신비평03. 심리주의 비평04. 신화비평05. 현상학과 실존주의 비평06. 독자반응비평07. 구조주의와 기호학08. 해체비평09. 여성문학론10. 1960~80년대 맑시즘 비평

01. 역사・전기 비평02. 사회・문화적 비평03. 형식주의 비평04. 구조주의 비평05. 탈구조주의 비평06. 심리주의 비평07. 신화형성 비평08. 독자중심 비평09. 페미니즘 비평10. 문화연구

01. 역사주의 비평02. 문학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비평03. 정신분석학적 비평과 테마비평04. 신화・원형 비평05. 형식주의와 뉴크리티시즘06. 구조주의와 해체비평07. 기호학적 비평08.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09. 여성주의 비평10. 대화비평과 담론이론11. 신역사주의 비평과 문화유물론12. 탈식민주의와 한국의 전통비평

Beginning Theory

01. Liberal humanism02. Structuralism03. Post-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on04. Postmodernism05. Psychoanalytic criticism06. Feminist criticism07. Lesbian/gay criticism08. Marxist criticism09. New historicism and cultural materialism10. Postcolonial criticism11. Stylistics12. Narratology13. Ecocriticism

Literary Theory 현상학 | 해석학 | 수용이론 | 구조주의와 기호학 | 탈구조주의 | 정신분석학 | 정치적 비평

새로운 비평논리 맑시즘 | 신비평 | 심리주의 | 신화 | 현상학과 실존주의 | 독자반응 | 구조주의와 기호학 | 해체 | 여성문학론

방법과 실제 역사-전기 | 사회-문화 | 형식주의 | 구조주의 | 탈구조주의 | 심리주의 | 신화형성 | 독자중심 | 페미니즘 | 문화연구

이론과 실제

역사주의 | 문학사회학과 마르크스주의 | 정신분석학-테마비평 | 신화-원형 | 형식주의-뉴크리티시즘 | 구조주의-해체 | 기호학 | 수용미학-독자반응 | 여성주의 | 대화-담론이론 | 신역사주의-문화유물론 | 탈식민주의-한국의 전통비평

Beginning Theory

Liberal humanism | Structuralism | Post-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on | Postmodernism | Psychoanalytic | Feminist | Lesbian-gay | Marxist | New historicism and cultural materialism | Postcolonial | Stylistics | Narratology | Ecocriticism

【주요 비평 이론】01. 해석학02. 수용이론・수용미학・독자반응03. 구조주의04. 탈구조주의・후기구조주의・해체비평・포스트모더니즘05. 정신분석학・심리주의06. 마르크스주의07. 신비평・뉴크리티시즘08. 러시아 형식주의09. 신화・원형10. 실존주의11. 페미니즘・여성문학론・여성주의12. 역사・전기13. 생태주의・생태학

01 해석학적 비평02 독자반응 비평03 구조주의 비평04 탈구조주의 비평05 정신분석학적 비평06 마르크스주의 비평07 신비평08 러시아 형식주의 비평09 신화비평10 실존주의 비평11 페미니즘 비평12 역사・전기 비평13 생태주의 비평

【비평 이론별 기본 개념】

01. 해석학적 비평 Hermeneutics 〔성서・선이해・순환・의도―의미―의의〕

02. 독자반응비평 〔수용미학・수용이론〕Reader-response Criticism 〔Reception Theory〕 〔독서・지평・기대・텍스트〕

03. 구조주의 비평Structuralism 〔소쉬르・기호・언어구조・언어체계〕

04. 탈구조주의 비평 〔후기구조주의・해체주의・해체비평・포스트모더니즘〕Post-Structuralism・Deconstruction・Postmodernism 〔상대성・다원성・이분법・로고스〕

05. 정신분석학적 비평 〔심리주의 비평〕Psychoanalysis・Psychologism 〔프로이트・무의식・정신병・승화〕

06. 마르크스주의 비평Marxism 〔경제・유물론・토대―상부구조・리얼리즘〕

07. 신비평 〔형식주의 비평〕New Criticism・Formalism 〔내재분석・함축・긴장・의도의 오류〕

08. 러시아 형식주의 비평Russian Formalism 〔문학성・시・시어와 일상어・낯설게하기〕

09. 신화비평 〔원형비평〕Myth Criticism・Archetypal Criticism 〔고대・집단무의식・패턴・인류학〕

10. 실존주의 비평Existentialism 〔카뮈 <이방인>・사르트르 <구토>・자유・부조리〕

11. 페미니즘 비평 〔여성문학론・여성주의〕Feminism 〔억압・차별・성차・젠더〕

12. 역사・전기 비평Historical Criticism・Biographical criticism 〔작가연구・시대・환경・배경〕

13. 생태주의 비평 〔생태학・녹색문학〕Ecocriticism 〔자연・환경・기술・지속〕

【 비평이론의 분류 】

Meyer Howard Abrams, The Mirror and the L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