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 3 - < 붙임 1 > 제조혁신 국제포럼개최 계획 1. 목적 □ 선진국은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와 신속한 시장대응을 위해 개별기업 내부업무 및 기업간 IT기반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산업가치사슬 효율화를 도모하는 등 산업전체가 공동으로 대응 이에 제조혁신 국제포럼을 개최하여 국내외 제조혁신 추진사례를 소개하고 제조혁신의 필요성,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패널 토의를 통하여 국내 제조혁신의 개념과 방향을 설정코자 함 2. 개요 일시 및 장소 : 2005. 9. 30(), 8:30 ~ 17:00, COEX 인터콘티 넨탈호텔 다이아몬드홀 참석 : 200 여명 정부(산자부) : 산업자원부 차관, 자본재산업국장 및 관계자 국외 제조혁신 관련 전문가 국내 제조혁신 관련 산연 전문가 및 실무자 내용 해외 선진 제조혁신 사례에 대하여 각 분야 해외 전문가의 사례 발표(기업간 협업 또는 혁신모델 사례 소개) 제조혁신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패널토의(국내외 전문가) 제조업의 협업화에 관한 연구결과 발표(e매뉴팩처링 기반구축 사업의 기업간 협업허브 사례 소개) 및 전시

붙임 1 > 제조혁신 국제포럼 개최 계획img.yonhapnews.co.kr/etc/press/PR/2005/... · 참여업체: 삼성전자(주), (주)삼진엘앤디, DNC Zone 등 61개 사업내용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3 -

    < 붙임 1 > 『제조혁신 국제포럼』 개최 계획

    1. 목적

    □ 선진국은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와 신속한 시장대응을 위해

    개별기업 내부업무 및 기업간 IT기반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산업가치사슬 효율화를 도모하는 등 산업전체가 공동으로 대응

    □ 이에 제조혁신 국제포럼을 개최하여 국내외 제조혁신 추진사례를

    소개하고 제조혁신의 필요성,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패널

    토의를 통하여 국내 제조혁신의 개념과 방향을 설정코자 함

    2. 개요

    □ 일시 및 장소 : 2005. 9. 30(금), 8:30 ~ 17:00, COEX 인터콘티

    넨탈호텔 다이아몬드홀

    □ 참석 : 200여명

    ㅇ정부(산자부) : 산업자원부 차관, 자본재산업국장 및 관계자

    ㅇ국외 제조혁신 관련 전문가

    ㅇ국내 제조혁신 관련 산․학․연 전문가 및 실무자

    □ 내용

    ㅇ해외 선진 제조혁신 사례에 대하여 각 분야 해외 전문가의 사례

    발표(기업간 협업 또는 혁신모델 사례 소개)

    ㅇ제조혁신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패널토의(국내외 전문가)

    ㅇ제조업의 협업화에 관한 연구결과 발표(e매뉴팩처링 기반구축

    사업의 기업간 협업허브 사례 소개) 및 전시

  • - 4 -

    □ 세부일정

    시 간 구 분 내 용

    08:30-09:30 등록(Registration)

    09:30-09:40 개회사(Opening Address) 김기협(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Key-Hyup KIM (President of KITECH)

    09:40-09:50 축사(Congratulatory Address)조환익(산업자원부 차관)

    Hwan-Eik Cho(Vice Minister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09:50-10:10 Coffee Break

    10:10-10:40 특강 I( Special Lecture I ) The Future of Open Architecture Manufacturing Cells (Prof. D. Tesar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0:40-11:10 특강 II( Special Lecture II ) Challenges in Automotive Supplier Integration (Mr. Harry Lockhart - Vice President of Sales for AutoWeb Communications Inc.)

    11:10-11:40 특강 III(Special Lecture III ) Total Life Cycle Engineering (Dr. Laszlo Nemes - Manufacturing & Infrastructure Technology, CSIRO)

    11:40-12:10 특강 IV(Special Lecture IV)

    Innovating Manufacturing and the Role of Applied R&D in the ManuFuture TP (Prof. Hans Wernher van de Venn - Zurich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12:10-12:40 특강 V(Special Lecture V)

    Development of new products, processes and intelligentmanufacturing systems (Prof. Francesco Jovane - Industria l Techno logy & A utom ation Institu teTechnical University of Milan)

    12:40-14:00 lunch Time

    14:00-15:30

    Panel Discussion

    "제조업의 제조혁신"(Manufacturing innov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 좌장(Chairman) : Byoung-Kyu Choi (Professor of KAIST) * 패널리스트(Panelist) : - Prof. D. Tesar - Mr. Harry Lockhart - Dr. Laszlo Nemes - Prof. Hans Wernher van de Venn - Prof. Francesco Jovane - 이태용(산자부 자본재산업국장), Lee Tae-young(Director General Capital Goods Industry Bureau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 김기협(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 Key-Hyup KIM(President of KITECH)

    - 최병규(한국과학기술원 교수), Byoung-Kyu Choi(Professor of KAIST) - 이상조(연세대학교 교수), Sang-jo Lee(Professor of Yonsei University) - 팽정국(현대자동차 부사장), Jung-Kuk Paeng(Vice President of Hyundai Motors co.)

    15:30-15:45 Coffee Break

    15:45-16:15 사업 설명(Project Explanation) Presentation of e-Manufacturing - 최헌종 박사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Dr. -Ing Hon-Zong Choi - Principal Researcher of KITECH)

    16:15-17:30협업시스템 시연 및 설명

    (Demonstration of Collaboration System)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 - 5 -

    기업 A

    기업 B

    e - Manufacturing(제조업의 e - Business)

    구매 조달제품개발

    제조 프로세스

    생산현장관리

    제조 통합 및 협업

    기업내부의

    e - Manufacturing

    제품개발 구매 조달 생산현장관리

    기업간 거래

    B2B 전자상거래

    e - Factory제품개발 협업

    - e-Manufacturing 영역

    1. 제조 프로세스 통합. 지식 프로세스 기반. Business Process

    2. 제품개발 협업. CPC, Collaboration. PLM

    3. 구매조달 통합. SCM, CRM, B2B

    4. 생산현장 통합. e-Factory. Shop Floor Control

    < 붙임 2 > e매뉴팩처링 기반구축사업

    1. e매뉴팩처링 개념

    □ 산업인프라를 IT와 입체적으로 연계하여 신제품 개발, 조달,

    생산, 물류, A/S 등 전 제조부문의 업무프로세스, 관리․거래 및

    거래방식을 혁신하고 통합화하는 제조업의 정보화

    2. e매뉴팩처링 범위

    3.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05년~ 2010년(5년)

    □ 2005년 사업비: 50억원(정부 : 35억원, 민간 : 15억원)

    □ 참여업체 : 삼성전자(주), (주)삼진엘앤디, DNC Zone 등 61개

    □ 사업내용

    ㅇ사출금형설계, 사출금형생산, 블로우제품, 엔지니어링 협업허브

    시스템의 연동운영을 통한 기업간 협업허브의 기능 확대

    ㅇ 온라인상에서 전문기술인력 양성 및 기술자 재교육

  • - 6 -

    4. e매뉴팩처링의 사업성과

    □ 사출금형설계 협업허브

    ㅇ목적 : 기업 간 웹기반 설계협업시스템 구축

    ㅇ참여업체 : (주)삼진LND 외 정진정밀, KRDC 등 11개 협력업체

    ㅇ성과

    -금형개발 납기를 15일에서 10일로 단축(33% 납기 단축)

    -시방변경이 평균 7회에서 3회로 감소(57% 시방변경 감소)

    -금형제작을 연간 300벌에서 360벌로 확대(30% 생산성 향상)

    ※ 일본 엡손사에서 협업시스템을 통한 제품개발 및 생산 현장을 견학후 1500만불 규모 LCD 수주 계약(‘05. 2)

    ㅇ설계 협업허브 적용 이후 영업-설계-가공-시사출까지 기술정보

    일원화 및 관리 통합

  • - 7 -

    □ 사출금형생산 협업허브

    ㅇ목적 : 금형생산업체간 공정관리 및 통합지원 협업시스템 구축

    ㅇ참여업체 : DNC Zone 외 명화정밀, 로얄정밀 등 19개 임가공 업체

    ㅇ성과

    - 기존 단품금형 수주에서 Turn Key형 금형 수주로 전환하여

    ‘03년도 매출액 20억원에서 ’04년도 75억원으로 확대

    - 영세 중소 임가공업간 IT기반 협업비즈니스모델 방안 제시

    - 영업비용, 부대비용, 시방변경 비용 등 감소로 인한 매출대비

    이익률 향상

    ㅇ생산 협업허브 적용 이후 턴키 수주를 통한 공정계획/관리

    일원화, 금형생산프로세스 통합, 자동데이터 연계, 생산 업무

    표준화 등 생산정보의 체계화 및 통합화

  • - 8 -

    □ 블로우제품 협업허브

    ㅇ목적 : 블로우성형업체들간 도면 중심의 기술협업 허브 구축

    ㅇ참여업체 : 동아정밀 외 삼양사, LG생활건강 등 9개 기업

    ㅇ성과

    - 해외 선진기업에 부품 수출시 협업 공동 허브를 통한 대응 강화

    - 변경 이력의 지식정보화를 구축하여 고질 불량 발생율 10%

    이상 절감, 불량처리비용 15% 이상 절감

    - 데이터 전달 오류의 70% 감소, 단위공정의 재작업 발생 20%

    감소, 도면 배포시간 80% 감소, 시제품 제작 40% 감소 효과

    ㅇ블로우 제품 협업허브 적용 이후 해외 업무지원을 위한 설계

    자동 변환, 협업 인프라 통합 등 블로우제품 금형기술 강화

  • - 9 -

    ◇ 주로 생산영역에서 수익성 증대, 신제품 개발기간 단축 등을

    위하여 제조혁신추진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성, 비용부담, 전문인력 부족 등이 제조혁신

    추진시 장애요인으로 나타남

    < 붙임 3 > 제조혁신 실태조사

    1. 조사개요

    □ 조사목적

    ㅇ제조업이 직면하고 있는 전략적 대응체계 마련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제조혁신 지원사업 종합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

    □ 조사대상 : 금형, 기계, 자동차, 전자업종 등 624개 업체

    *통계청의 2003년 산업총조사결과 조사된 종사자 5인 이상의 35,955개 업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추출

    □ 조사내용

    ㅇ제조업계의 경쟁력 수준 및 애로사항

    ㅇ제조혁신에 대한 인식정도와 추진의향 및 영역

    ㅇ현재 추진중인 기업내 혁신분야 및 내용

    ㅇ제조혁신 추진을 위한 방향 및 정부지원방법 등에 대한 의견

    □ 조사기간 : ‘05. 8. 10~9. 9(1개월)

    □ 조사방법 : 우편조사 및 면접조사

    2. 조사결과

  • - 10 -

    93.9 93.988.9

    95.5

    89.3

    75.4

    84.589.8 87.4

    75.178.3

    73.2

    57.6

    81.0

    91.1

    82.182.082.0

    40.0

    60.0

    80.0

    100.0

    전체 품질 가격 납기 노동생산 마케팅 물류/유통 고객관리 유연성

    현재

    5년 후

    (선진국 : 100.0)

    □ 경쟁력 수준 및 생산성 저해요인

    ㅇ조사대상 기업들은 선진국(100%) 대비 현재의 경쟁력력 수준을

    평균 82.0%로 인식하고 있으며, 향후 5년내에 93.9%로 상승할 것

    으로 기대하고 있음

    < 표 1 > 선진국 대비 경쟁력 수준

    ㅇ조사대상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에 전반적으로 느끼는 애로수준은

    높지 않으나 기술, 인력, 자동화 등에 대해서는 보통수준 이상의

    애로를 체감하고 있음

    < 표 2 > 생산성 향상에 관한 애로 수준

    1.25

    1.72

    2.49

    2.44

    2.74

    2.03

    2.11

    0.00 2.50 5.00

    전체 평균

    인력부족

    노사관계

    고령화(애로지수 보통수준 : 2.50)

  • - 11 -

    효율화달성 10.6

    수익성제고 21.6

    불량률감소/

    납기단축 15.5

    거래선다변화/

    거래관계강화 11.9

    신제품개발기간단축 18.6기타 15.2

    기술경쟁력향상 6.6

    (단위 : %)내부적 기반미흡

    0.1

    기타0.1 이해부족

    0.2

    비용과다0.2

    투자효과 불확실0.2 전문인력부족

    0.2

    □ 제조혁신 추진 의향 및 장애요인

    ㅇ주로 생산영역에서 매출증대 및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성증대를 위해

    제조혁신을 추진하고 있거나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표 3 > 제조혁신 추진 효과

    ㅇ한편 비용부담,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성 등이 제조혁신 추진시 예상

    장애요인인 것으로 분석됨

    < 표 4 > 제조혁신 추진시 장애 요인

    단위 : %

  • - 12 -

    제품설계 19.2

    제품생산관리 19.0

    제품조립0.2

    제품시험검사2.5

    제품설계정보

    9.3

    신제품개발정보

    5.5제품기획/

    디자인14.3

    신제품개발 29.3

    기타 0.6

    □ 제조혁신 요소

    ㅇ제품개발시 신제품 개발능력, 설계능력, 생산관리 능력을

    중요한 기술로 판단하고 있음

    < 표 5 > 제품개발시 우선기술

    ㅇ설비 및 장비와 IT기술이 접목되어 글로벌화가 진행되는 경우 생산

    관리, 유지보수, 가동률, 납기 등 제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낼 것

    으로 예측

    < 표 6 > 설비 및 장비의 IT화 기술접목시 기대효과 지수

    3.643.37

    4.32

    3.37 3.50

    0.00

    2.50

    5.00

    전체 평균 생산관리 유지보수 가동률 납기

    (기대효과 지수 : 0 ~ 5, 보통수준 : 2.5)

    단위 : %

  • - 13 -

    글로벌협업4.3

    제조협업3.2경영관리

    4.8

    생산관리25.3

    B2B사이트구축0.9

    고객관리마케팅A/S8.2

    물류관리3.7

    구매·판매관리9.4

    재고관리14.2

    인트라넷/그룹웨어 14.4

    기본소프트웨어11.6

    단위 : %

    □ 제조혁신 프로세스, 정보화

    ㅇ제조혁신 요소 중 프로세스/정보화와 관련해서는 주로 생산관리

    시스템 영역에 정보화 투자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표 7 > 정보시스템을 통한 프로세스 개발환경 지수

    □ 협업

    ㅇ제조혁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협업방안으로 취약요소에 대한

    정보교류, 다양한 협업모델 구축 등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

    < 표 8 > 제조혁신 효율화를 위한 협업 방안

    전 문 기 관 통 한 지 원

    1 6 .1

    참 여 기 업 인 증

    2 .8

    전 자 상 거 래

    활 성 화

    6 .4

    다 양 한 협 업 모 델

    2 2 .0공 평 한

    수 익 배 분 구 조 1 2 .9

    정 보 교 류 의 장

    마 련 3 9 .8

    단위 : %

  • - 14 -

    공유필요성

    부족

    5.9

    정보누설

    우려

    10.8

    정보독점

    경향

    10.6

    수급기업간

    연계부재

    15.9재정부담

    13.0경영상 문제

    10.6

    표준화 미흡

    21.0

    기존데이터

    통합

    12.1

    ㅇ제조혁신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표준화, 수요․공급기업간 연계

    시스템, 정보독점, 보안문제 등 장애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됨

    < 표 9 > 제조혁신 효율화의 장애요인

    □ 인력양성

    ㅇ제조혁신을 위한 인력과 관련하여 주로 생산부문, 설계 및

    디자인 영역에서 인력부족을 호소하고 있음

    < 표 10 > 제조혁신을 위한 인력부족 현황

    단위 : %

    R&D7.8

    고객관리 A/S 1.1물류 0.6

    수주·판매4.2

    생산27.6 원/부자재

    구매·조달5.5

    설계·디자인22.6

    제품기획 15.0

    시장조사·마케팅15.6

    단위 : %

  • - 15 -

    자금지원 35.6

    프로그램

    지원

    10.5

    인센티브부여 8.0

    인증발급 2.5 이직방지

    제도 8.8

    교육정보제공 6.3

    국가차원

    프로그램

    28.2

    기타

    0.2

    자금지원

    22.9

    정보제공

    4.8

    설비공동활용

    5.0

    인력지원

    9.9

    집적회지원

    1.7

    정보화지원

    7.3경영지원

    4.1

    공정개선/표준화

    22.0

    기술이전/기술개발

    22.0

    ㅇ제조혁신 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육관련 자금 지원,

    국가차원의 다양한 연수프로그램 마련을 요구함

    < 표 11 > 제조혁신을 위한 인력부족 해소방안

    □ 제조혁신 정부지원 방향

    ㅇ제조혁신을 위한 정부 지원 방향으로는 기업간 기술이전 및 기술

    개발, 공정개선․표준화, 자금지원, 인력지원 등을 요청하고 있음

    < 표 12 > 제조혁신을 위한 정부지원 방향

    단위 : %

    단위 : %

  • - 16 -

    공통기반우선지원

    1.5

    홍보확대4.7

    수요부합형정책8.8

    적정 변화관리 유도

    11.8

    절차간소화24.4

    기술이전인센티브

    6.9

    적정 이익배분 구조

    6.4

    즉시지원체계

    마련9.2

    선진적거래관행

    11.8

    법제도정비14.6

    (단위 : %)

    ㅇ제조혁신을 위한 정부지원체계의 개선점으로는 지원절차 간소화

    및 창구 일원화, 법․제도 정비, 선진적 거래관행 확립 등의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있음

    < 표 13 > 제조혁신을 위한 정부지원체계 개선점

  • - 17 -

    < 붙임 4 >

    해외 초청 전문가 현황

    □ Prof. Delbert Tesar(테사르 교수, 미국)

    ㅇ현, 텍사스 오스틴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기계공학과 교수

    ㅇ주요경력

    - 현, 텍사스 오스틴 대학 기계공학과 “Carol Cockrell Curran in

    Engineering” 및 텍사스 오스틴 대학 로보틱스 연구그룹장

    - ASME Machine Design, 미공군 공로상, Endowed Fellow상

    (IC2 Institute), 로봇산업협회 Engelberger상 (2005) 등 수상

    - 미공군 프로젝트 심의 및 연구 자문위원, 3개국(NBS, AF, NASA)

    로보틱스 심의단 위원, 국립 우주정거장 연구회 상임심의위원 등 역임

    -정책자료(Position Paper) 90편, 논문투고 215편, 보고서 227편 등

    ㅇ주요관심분야

    -제조 및 물류 시스템, 개방형 생산 셀 기술

    -지능형 머신 시스템, 지능형 액츄에이터 및 센서 기술

    -인터액티브 디자인

    ㅇ특강주제 : “The Future of Open Architecture Manufacturing Cells”

    ; 개방형 생산 셀(Open Architecture Manufacturing Cell) 구성을

    위한 요소기술의 패키지화(고급 컴포넌트 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의 통합 모듈화) 및 검증된 방법론(측정방법론, 지능형

    액추에이터, 조건기반 유지보수 방법 등)의 구축으로 미래 생산

    시스템의 구현 촉진

  • - 18 -

    - 텍사스 오스틴 대학의 지능형머신(Intelligent Machine)은 데이터

    베이스 제어를 통한 작업 성능제어가 가능하고 온라인 결함 복구를

    통한 결함포용(Fault Tolerance)이 가능하며, 이들 사이에

    정의된 컴포넌트 유지보수를 통한 조건기반 관리(Condition-based

    Maintenance)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함

    - 생산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개방형 생산 셀의 개념 및 미래지향적

    요구기술 소개

    - 개방형 생산 셀 구현을 위해 텍사스 오스틴 대학에서 수행한

    연구 내용 소개(지능형머신을 위한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 모듈을

    위한 측정방법론(Metrology) 테스트베드, 다이 피니싱, 항공기

    기체 생산을 위한 재프로그램이 가능한(Reprogrammable) 조립 셀,

    제조 프로세스와 툴링 및 센서 기반 생산 프로세스 제어 등)

  • - 19 -

    □ Mr. Harry Lockhard(해리 록하트, 미국)

    ㅇ현, AutoWeb Communications, Inc. 부사장

    ㅇ주요 경력

    - The Pipeline Group 창립 및 대표, Future 3 세일즈 부사장,

    Maxager Technology 현장경영 부사장, NetFrame Systems 동부지역

    경영 부사장, Sun Microsystems 북미 CAD 파트너 프로그램 책임자 역임

    ㅇ주요 관심분야

    - 자동차산업의 글로벌 부품개발 협업 전략 및 시스템

    - 다품종 소량주문 대응형 지능형 공급망

    -제품개발 라이트 사이클 관리 등

    ㅇ특강주제 : “Challenges in Automotive Supplier Integration”

    ;구성 업체간 협업을 위해 필요한 시․공간적 제약조건 완화와 온라인상의 협의 공간 확보 및 이용을 위한 협업솔루션(AutoWeb

    Collaborative Exchange)의 사용으로 공급망(Supply Chain) 통합 추진

    - 오토웹(AutoWeb) 회사 소개

    - 오토웹 정보기술 가치 모델 소개

    - 오토웹 솔루션 사용 전후의 공급망의 구조적 변화: 각 업체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솔루션이 통합 허브의 역할을 함

    - 오토웹 유틸리티 모델 소개

    - 공급자 통합을 위한 노력: 과거 전자데이터 통합(Electronic

    Data Integration; EDI)을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고객 요구조건에

    따른 표준의 수정작업 등으로 인한 고비용의 문제점이 노출됨

  • - 20 -

    그러나 고객의 요구조건이 공급자 별로 점차 다양해져 그에

    따른 공급자의 정보 및 툴의 통합화가 절실히 요구됨

    - 협업적 공급망 통합화를 위한 기술적 요구사항과 통합화를 위한

    도구로서 오토웹 솔루션 소개(솔루션명: AutoWeb Collaborative

    Exchange)

    - 오토웹 솔루션 이용을 통한 자동차 산업에서의 협업적 제품

    개발 및 공급망 통합화 사례 소개

  • - 21 -

    □ Dr. Laszlo Nemes(래즐로 네메스 박사, 호주)

    ㅇ현,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Manufacturing & Infrastructure Technology 센터장,

    호주 이공학기술 아카데미(Academy of Technolog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및 미국 국제 생산성향상협회 회원

    ㅇ주요 경력

    - IMS 프로그램 기술위원회 호주 대표단 회원 역임

    - 'Centenary Medal'(호주 산업공학회), 'Silver Core'상 (국제정보

    처리연합), 민족국가상 (헝가리) 등 수상

    - 저서 10편, 논문 115편, 보고서 27편, 특허 6편 등

    ㅇ주요 관심분야

    -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와 관련 도구 및 방법론

    - 가상기업와 글로벌(가상)기업 ICT 하부구조(Infrastructure)의 통합운영

    - 차세대 생산시스템

    ㅇ특강주제 : “Total Life Cycle Engineering”

    ; 전사적 제품주기 엔지니어링(Total Life Cycle Engineering)의 중요성

    및 이를 위한 주요 연구 방향 제시를 통해 복잡한 가상기업

    (Virtual Enterprise)의 효율적 운영방안 제시

    - 제품주기 및 주기에 따른 기업의 오퍼레이션 히스토리

    - IMS(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s)의 GLOBEMEN(Global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in Enterprise Networks) 프로젝트의

  • - 22 -

    사례 : ANZAC(Australia and New Zealand Allied Corps)의 군함

    동맹을 위한 가상 기업 결성

    ※ GLOBEMEN 프로젝트의 목적 : 가상제조기업의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아키텍처의 구현방법을 검증하며,

    아키텍처의 특성 검증을 통한 가상제조기업의 표준을 제정하여 제조

    업체 및 학계, IT 벤더로 하여금 표준에 대한 사용을 증진케 하기 위함

    - 엔터프라이즈 엔지니어링(Enterprise Engineering)의 효용성 :

    엔터프라이즈 모델은 기업의 구조, 활동, 프로세스, 정보, 자원,

    목적 및 조건 등을 표현하므로 이를 이용하면 기업 간 공유

    지식을 표현하는데 있어 모호함을 최소화하고 명확한 이해 및

    의사소통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전사적 제품주기 엔지니어링의 개요 및 필요성,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연구 분야 소개

  • - 23 -

    □ Prof. Hans Wernher van de Venn(한스 베르너 교수, 스위스)

    ㅇ현, 취리히응용과학대학(Zurich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교수 및 메카트로닉스시스템연구소 소장

    ㅇ주요 경력

    - 아첸 유럽메카트닉스센터 연구원, 중국 란저우대학 교수,

    'MicroSolutions'과 학과장 역임

    현, 졸로투른응용과학대학 교수 및 스위스 'ManuFuture' 워크

    그룹 회원

    - 스위스 기술상, BMWi (독일 경제기술부) 수상, 란저우대학 명예

    교수상 수상

    - 저서 1편, 논문 등 기술지 30편

    ㅇ주요 관심분야

    - 차세대 생산시스템

    - 인터넷 기반 원격 진단/유지 및 필드버스 시스템 기술

    - 소형/마이크로/나노 부품의 생산공정기술

    ㅇ특강주제 : “Innovating Manufacturing and the Role of

    Applied R&D in the ManuFuture TP”

    ;제품생산을 위한 전 제품주기상의 응용 R&D의 필요성 인식을 통해

    연구 주체인 대학 및 산업체와의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한 모델

    및 로드맵 제시

    - 매뉴팩처링에서의 응용 R&D의 필요성: 유럽의 경우 제조업의

    다수의 고용을 촉진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 - 24 -

    연구 활동을 통한 산출물(새로운 제조기술 등)이 상품화되기

    까지의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원이 미비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계와 산업체를

    연결하는 고리 필요

    - 학계의 기술개발과 산업체의 제품개발 주기가 만나는 기술적

    으로 취약한 부분을 죽음의 계곡(Valley of Death)이라 일컬으며

    바로 이 부분이 응용 R&D가 필요한 곳임

    - 스위스의 응용 R&D 사례 : 주로 UAS(Universities of Applied

    Science)에 의해 수행됨

    - 학계와 산업체의 협업 모델 제시

    - 응용 R&D기술이 ManuFuture의 비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논의

    ※ ManuFuture : 2004년 12월 7일 EC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주요 목적은 연구 활동을 통해 얻은 지식을 유럽 및 세계 시장에 상품화하기

    위해 산업체의 변화(Transformation)를 가속화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임

    - e매뉴팩처링에서의 응용 R&D 필요성 및 역할, 제조 혁신을 위한

    R&D 기술 응용 방안 및 사례 소개

  • - 25 -

    □ Prof. Francesco Jovane(프란체스코 요바나 교수, 이탈리아)

    ㅇ현, 밀라노기술대학(Technical University of Milan) 교수 및 산업

    기술 및 자동화연구소 소장

    ㅇ주요 경력

    - CIRP(International Institution for Production Engineering

    Research) 회장 역임 및 각종 생산기술 관련 연구회 및 협회 활동 중

    - SME Albert M. Sargent 진보상, 산업공학 'Laurea Degree' 상

    수상(나폴리대학)

    ㅇ주요 관심분야

    -지능형 생산 시스템, 생산공정기술, 공작기계

    ㅇ특강주제 : “ManuFuture: the European Approach to

    Manufacturing Innovation”

    ; ManuFuture의 비전(Vision)을 바탕으로 EU의 제조혁신을 위한

    연구사례를 통해 글로벌 제조혁신을 위한 핵심 요구기술 제안

    - EU에서의 제조기술 및 생산 시스템 관련 연구 현황 소개

    - 유럽 제조 산업의 현재와 미래 (패러다임의 변화)

    - EU의 제조혁신 방안 및 비전: ManuFuture Vision for 2020

    - ManuFuture의 필요성 : 현 유럽 제조환경은 자원중심으로부터

    지식중심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며 여러 수행주체의 목적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다목적 접근방법(Multi-purpose Approach)이 개발

    되어야 함

  • - 26 -

    - 유럽 제조환경의 현재 상황 고찰을 통한 장단점 분석.

    결국 제조환경의 패러다임의 변화 필요.

    ManuFuture를 통해 전략적 기술혁신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기술개발 필요

    - ManuFuture 접근법 : 자원 중심 → 지식 중심, 개별경쟁 → 시스템

    경쟁, 매크로 → 마이크로 → 나노 규모 등

    - 제조혁신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요구기술 소개

    - ManuFuture의 전략 및 사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