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컴퓨터 · 전자시스템공학부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최근 IT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3D 프린팅, 인공지능 등의 첨단 산 업분야에서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융합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는 융복합적 IT 기술을 재정의하며 관련 인재 양성의 새 지향점을 제시하는 배경입니다. 이러한 변 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2015년 본교에서는 기존의 컴퓨터공학과와 디지털정보공학과를 통 합한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가 출범했습니다. 기존 전공 구분의 경직성을 탈피하고자 복수의 트 랙제도, 즉 컴퓨터트랙과 전자시스템트랙을 운영합니다. 이러한 트랙제도는 학부 전공 내에서 다양 한 공학분야로 접근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컴퓨터 및 전자시스템공학에 대한 통합교육을 제공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외국인교수를 포함한 19명 교수진의 소수 학생 근접지 도, 교육 인프라의 대폭 확장과 같은 여건이 학부교육의 질을 극대화시켜줍니다. 이러한 토대 위에 서 본 학부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관한 균형 잡힌 전문성과 국제감각을 지닌 융합형 IT 인력 을 양성해 나갈 것입니다.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의 교과 구분은 교양, 전공기초, 트랙공통, 그리고 트랙심화로 나뉩니 다. 소정의 트랙심화 전공학점만 이수하면 졸업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제한없이 양 트 랙의 전공과목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계적인 학업이 이뤄지도록 매 학기 학생 개개인별 맞춤형 수강상담이 실시되며, 산업체 인턴십 등 실무형 교육을 위한 산학협력 환경도 제공됩니다. 이러한 통합적 교육을 통해 수학과 과학 관련 지식, 공학적 지식을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 기본지 식을 실제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 그리고 효율적 의사소통 및 조정능력을 축적할 수 있 습니다. 엔지니어의 생명인 ‘정확성’과 모든 혁신의 원천인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상상력’. 이 두 가지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면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는 당신에게 글로벌 IT 융합인재의 요람 이 되어줄 것입니다. 학부 전공 내의 연계가 용이한 2트랙 체제 수립 산학협력 기회의 확대로 실무형 교육 제공 정확성과 창의성을 결합한 IT 융합인재 실현 학부소개 학부특성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 Upload
    others

  • View
    5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최근 IT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3D 프린팅, 인공지능 등의 첨단 산

업분야에서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융합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는 융복합적 IT 기술을 재정의하며 관련 인재 양성의 새 지향점을 제시하는 배경입니다. 이러한 변

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2015년 본교에서는 기존의 컴퓨터공학과와 디지털정보공학과를 통

합한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가 출범했습니다. 기존 전공 구분의 경직성을 탈피하고자 복수의 트

랙제도, 즉 컴퓨터트랙과 전자시스템트랙을 운영합니다. 이러한 트랙제도는 학부 전공 내에서 다양

한 공학분야로 접근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컴퓨터 및 전자시스템공학에 대한 통합교육을

제공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외국인교수를 포함한 19명 교수진의 소수 학생 근접지

도, 교육 인프라의 대폭 확장과 같은 여건이 학부교육의 질을 극대화시켜줍니다. 이러한 토대 위에

서 본 학부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관한 균형 잡힌 전문성과 국제감각을 지닌 융합형 IT 인력

을 양성해 나갈 것입니다.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의 교과 구분은 교양, 전공기초, 트랙공통, 그리고 트랙심화로 나뉩니

다. 소정의 트랙심화 전공학점만 이수하면 졸업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제한없이 양 트

랙의 전공과목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계적인 학업이 이뤄지도록 매 학기 학생 개개인별

맞춤형 수강상담이 실시되며, 산업체 인턴십 등 실무형 교육을 위한 산학협력 환경도 제공됩니다.

이러한 통합적 교육을 통해 수학과 과학 관련 지식, 공학적 지식을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 기본지

식을 실제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 그리고 효율적 의사소통 및 조정능력을 축적할 수 있

습니다. 엔지니어의 생명인 ‘정확성’과 모든 혁신의 원천인 ‘창의적이고 감성적인 상상력’. 이 두

가지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면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는 당신에게 글로벌 IT 융합인재의 요람

이 되어줄 것입니다.

학부 전공 내의연계가 용이한2트랙 체제 수립

산학협력기회의 확대로

실무형교육 제공

정확성과창의성을 결합한

IT 융합인재실현

학부소개

학부특성

372372

Page 2: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학부정보 연락처

031.330.4268설립연도

1982

입학정원

105명

재학생수

489

홈페이지

ces.hufs.ac.kr정시72명수시33명

김낙현 Univ.ofTexasatAustin공학박사 ComputerVision,

SignalProcessing

김상철 MichiganStateUniv.공학박사 GameProgramming,

MultimediaSystem

김성복 Univ.ofSouthernCalifornia공학박사 Robotics

김정국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OperatingSystem,

Real-timeSystems

김차성 한국과학기술원이학석사 ProgrammingLanguages

김희철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Algorithm,GraphTheory

손기락 Univ.ofCaliforniaSantaCruz공학박사 Database,DataMining

신찬수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Algorithm,

ComputationalGeometry

윤일동 서울대학교공학박사 ImageProcessing,

ComputerVision

이윤석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Distributed&ParallelSystems,

ComputerArchitecture

이재혁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FactoryAutomation,

AutomaticControl

이종욱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Database,DataMining,

BigData

임승호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EmbeddedSystems,

OperatingSystems

정대인 NewYorkUniv.공학박사 ComputerNetworks

정유진 서울대학교공학박사 Algorithm,

InformationRetrievalSystem

조상영 한국과학기술원공학박사 ComputerArchitecture,

EmbeddedSystem

한현구 AuburnUniv.공학박사 Planning,

Knowledge-BasedSystems

DongSeonCheng Univ.ofVerona공학박사 ComputerVision,

PatternRecognition

HoYubJung 서울대학교공학박사 ComputerVision,

MachineLearning

교수진

컴퓨터공학과 설립 기준.1993년 디지털정보공학과 설립 후2015년 컴퓨터공학과와 통합

372372 373한국외국어대학교 전공가이드북 | 공과대학

Page 3: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컴퓨터트랙_ 하위 기계어로부터 고급 컴퓨터언어까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웁니다. 이

를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등 제반 분야의 임베디드 시스템, 일반 응용 소프트웨어, 빅 데이터 처

리 및 웹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을 함양합니다.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위에 디지털시스템 설계, 스마트

센서기술과 네트워킹,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와 운용, 로봇 및 제어 시스템 설계, 영상 및 신호처

리 분야 등을 다루며 광범위한 시스템 구현능력 배양에 주력합니다.

전공 세부영역

PnP(Passion and Pioneer)_ PnP는 각종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해 마이크로 로봇(마이크로

마우스, 2족 로봇) 및 자율이동로봇,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학습 및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회

입니다. 학부생으로 구성된 본 학회는 내부 세미나와 프로젝트, 스터디를 통해 함께 실력을 쌓

아 나가고 있습니다.

R-Cube_ R-Cube는 창업동아리입니다. 현재 동아리 관련 세미나 등의 예비·심화 학습 및 실

무에 대한 자체 소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기초적인 능력을 키우고, 임베디드시스템 관련 아이템

개발을 중심으로 활동 중입니다. 실제 창업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실전경험을 쌓아

가고 있습니다.

Errors_ Errors는 1986년부터 시작된 유서 깊은 학회로서 학술제, 학회 MT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추억을 만들고 쌓아 갑니다. 각종 스터디그룹과 학회 세미나를 통해 컴퓨터과학에 대해 알

지 못했던 것을 배우기도 하고, 팀 프로젝트로 새로운 작품도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다.

TAB(Talking and Books)_ 서로 간에 이야기를 나누며 유대감을 형성하고, 책을 통해 지식을 쌓

아 가자는 의미의 학회로 1985년에 시작됐습니다. 정기학회 세미나와 프로젝트, 방학스터디 등

의 학술모임과 MT, 야유회 등의 친목모임을 진행합니다.

FC컴인_ 2004년 축구에 관심이 있는 학우들이 모여 만든 학회로서 교내 주요 축구대회에 참

가해 우승을 차지하는 등 실력을 과시하고 있습니다. 운동은 물론 축구 관련 세미나도 병행하며

대학생활의 활력을 더해 나갑니다.

이카루스_ 농구학회 이카루스는 컴퓨터와 씨름하느라 운동이 부족한 학과의 특성상 함께 모여

건강과 친목을 도모하고자 설립됐습니다. 농구를 좋아하고 팀워크를 느껴보고 싶은 학우들은

누구나 환영입니다.

컴파일러(Compiler)_ 1988년 Fortran 강의를 들은 몇몇 선배들의 작은 스터디그룹으로 시작

된 학회입니다. 컴파일러는 컴퓨터(Computer)와 비행사(Pilot)가 합쳐진 말로 ‘컴퓨터라는 무한

한 공간을 능수능란하게 비행하고 개척한다’는 의미를 지닙니다(또는 프로그래밍과정의 하나인

Compiler를 연상하게 합니다).

학부활동

전공과목공통(교양)_ 기초미적분학1~2 / 일반물리1~2 / 기초미적분학2 / 일반물리2

공통(전공)_ 이산수학 / 컴퓨터개론 및 실습 / 공학설계기초 / 컴퓨터프로그래밍 및 실습 /

선형대수 / 디지털공학 기초 및 실습

공통(전공)_ 논리회로 및 실험 / 자료구조 및 실습 / 알고리즘 설계와 해석 /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실습

전자시스템트랙_ 공학수학 / 전기회로 / 전자기학 / 확률과 통계 / 전자회로

컴퓨터트랙_ 컴퓨터시스템설계 / 프로그래밍어론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어셈블리어 및 실습

공통(전공)_ 컴퓨터구조 / 데이터통신 / 인턴프로그램1~2 / 운영체제 / 컴퓨터네트워크

전자시스템트랙_ 신호 및 시스템 / 제어공학 / 디지털신호처리 / 전기기기 및 실험

컴퓨터트랙_ 소프트웨어공학 / 컴퓨터그래픽스 / 시스템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

컴파일러구성론 / 설계패턴

공통(전공)_ 캡스톤설계 / 영상처리 / 임베디드시스템

전자시스템트랙_ 제어시스템설계 / 임베디드소프트웨어 / 디지털집적회로설계 /

로봇공학 및 실습

컴퓨터트랙_ 게임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설계 / 빅 데이터 처리 / 웹프로그래밍 /

멀티미디어시스템 / 인공지능 / 컴퓨터보안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374374

Page 4: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진학 & 교육_ 대학원 진학 및 해외유학, 대학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등의

국책연구원

IT 기업_ 네이버, 다음카카오, 넥슨, 안랩 등 국내 대형 포털, 게임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등

제조업체_ 전자·통신·시스템통합 관련 대기업, 로봇 개발업체, 컴퓨터 하드웨어 제조업체,

전자·전기 설계 및 제조업체, 각종 전자·전기 장비운용 분야 중견기업

기타_ 금융전산, 정보교육, 시스템통합사업체, 기술직 공무원, 기술 마케팅 분야

진출분야

다양한 전공선택의 기회를 드립니다!정대인 교수 (학부장)

대학에서의 학습은 자신이 선택한 전공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하는 것은 물론 전공과 다양하게 접

목되는 타 분야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도를 넓혀가는 의미도 있다고 봅니다. 첨단 IT 분야에는 자

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정보의 취득, 전달 및 저장, 가공과 변형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이

집약돼 있습니다. 이런 세부 기술들을 각각 전공으로 분류한다면, 전공 간의 유기적 관련성을 깊

게 이해하는 것이 당연히 필요하겠죠.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분류되는 두 영역 간의 유기적 관련성을

영역의 구분에 제한받지 않고 마음껏 학습할 수 있도록 한 노력의 결실입니다. 컴퓨터트랙과 전자

시스템트랙으로 나뉜 시스템 하에서 학생들은 충분한 시간을 갖고 넓은 학습영역을 경험할 수 있

습니다. 학부 차원에서는 학생들이 자기 적성과 흥미에 맞는 분야를 선택하는 폭을 더욱 넓혀주

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첨단 인공지능분야에 관심을 갖는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해

당분야의 교수님을 새로 보강하며, 향후 전공분야를 더욱 확장하려는 계획이 착실히 진행 중입니

다. 혹시 엔지니어로서 자신의 상상력을 펼쳐볼 기회를 얻고 싶으십니까? 다양한 기회 속에서 자

신에게 유용한 최적의 선택을 하고 싶다고요? 우리 컴퓨터·전자시스템공학부가 자신 있게 초대장

을 보냅니다. 열아홉 분의 교수님들이 여러분의 미래와 함께하겠습니다.

내가 찾은 우리 학부의 매력포인트는?안윤주 (15학번)

신생학부이다 보니 저도 우리 학부에 대해 경험한 것은 많지 않습니다. 다만 이 학부를 선택한 이

유는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공대 학과면 배우는 게 다 거기서 거기 아냐?’ 사실 이렇게 생각하

는 이들도 꽤 있을 겁니다. 저도 그랬고요. 그런데 진로선택을 고민하며 우리 학부를 살펴보니 아

주 매력적인 차이점이 보이더군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두 분야 모두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

다는 점이었습니다. 입학해 보니 제 생각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죠. 우리 학부는 학

년이 올라간다고 해서 세부전공을 정하지 않습니다. 물론 컴퓨터트랙과 전자시스템트랙을 결정해

전공을 맞춰 듣긴 합니다만, 컴퓨터트랙을 택했다고 해서 전자시스템트랙의 과목들을 들을 수 없

는 게 아니라서 두 분야를 다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더군요. 제 경우 처음에는 프로그래밍(컴퓨터

트랙)이 흥미로웠는데, 전공과목들을 배우다 보니 점점 더 하드웨어 쪽의 회로 디자인에 관심이

가더군요. 그래서 앞으로는 두 가지 분야를 함께 공부할 생각입니다. 관심분야가 여럿인 학생들에

게는 정말 공부하기 딱 좋은 환경 아닐까요? 그리고 대학생이라면 학회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

요가 있더라고요. 우리 학부는 학회활동이 무척 활발한 편입니다. 저처럼 공모전이나 학술제를 준

비하는 모임에서 활동할 수도 있고요. 이런 활동들을 하며 수업 외적인 부분에 대한 경험도 쌓을

수 있고 선후배 간의 정도 두터워질 수 있어 참 좋았어요. 제가 속한 학회는 올해 학교에서 열린 이

공계학술제에도 참가했는데요. 지문 인식, 초음파를 이용한 장애물 인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헬스장 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주제들이 발표된 자리였습니다.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경험이

었죠. 여러분도 학회활동으로 알찬 대학생활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인터뷰

374374 375한국외국어대학교 전공가이드북 | 공과대학

Page 5: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

Q 학부 내 두 개의 트랙 간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컴퓨터트랙은 각종 레벨의 프로그래밍기술, 컴퓨터 내에서의 각종 데이터처리기술, 컴퓨

터 구성 및 기능 자체에 주목합니다. 반면 전자시스템트랙은 특정 용도의 시스템 구현, 시

스템 내 하드웨어 레벨의 하위 레벨 프로그래밍기술 등 특정 목적을 위한 컴퓨터 기능의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두 트랙 간의 어우러짐이 강조됩니다만, 졸업할 시점에는

어느 분야든지 자신의 관심이 경쟁력을 발휘하기에 가장 유리한 영역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두 트랙을 경험하면서 적성과 재능을 고려하신 다음 현명한

선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트랙 선택은 언제 어떻게 하는 건가요?

A 명시적으로 정해진 절차는 없습니다. 졸업장에도 트랙 명시는 없고요. 두 개의 트랙별로

졸업요건 중 어느 한 개를 만족시키도록 개개인의 계획하에 자율적으로 수강하면 됩니다.

다만, 4학년 1학기 시작 시점에는 과거의 이수 현황과 본인의 의지를 기준으로 두 트랙 중

하나에 대한 집중도가 두드러질 것입니다. 이를 명확하게 깨닫기 위해서는 4학년 1학기

수강신청 이전에 반드시 지도교수님과 수강상담을 해야 합니다. 교수님과의 상의를 통해

본인의 트랙 선택은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입니다.

Q 전공심화와 이중전공 중 어느 것을 하는 것이 좋은가요?

A 공학계열 전공 학생의 경우에는 졸업 후 전공 관련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전공 분야에서의 전문성이 높은 졸업생을 기업체에서 선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대 학과생들은 교양을 제외한 대부분의 학점들을 전공으로 채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

욱이 우리 학부의 트랙제도는 전공분야 교과목 선택의 폭을 상당히 넓게 제공하고 있죠.

기존 두 전공의 벽을 허문 것으로 학생들의 전공분야 선택에 대한 기회가 획기적으로 넓

어진 것입니다. 그러한 기회를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의 몫입니다.

Q 담당선생님이 없는데 상담이 필요하면 어떻게 하나요?

A 학부 1학년 신입생세미나 교과목과 2학년 진로설계세미나 교과목은 지도교수님과의 상담

으로 이루어지죠. 우리 학부에서는 이 상담교과목들을 학생별로 동일한 지도교수님을 배

정해서 일관된 상담지도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관계는 3~4학년에도 이어

져 대학생활 내내 동일한 지도교수님과 함께합니다. 따라서 상담이 필요하면 우선 지도교

수님을 찾아뵙는 것이 좋겠죠? 물론 학생들이 사안에 따라 다른 교수님을 찾아가는 경우

도 있는데, 어느 쪽이든 학부의 모든 교수님들이 흔쾌히 얼굴을 마주해주실 것입니다.

Q 졸업 후 취업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은 무엇이 있나요?

A 우리 학부에서는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 중 4~8주간 진행되는 기업체 현장실습에 대해

전공 2학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업체와 협력해 인턴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

고 있고요. 4학년 때 배우는 캡스톤설계과목은 실질적인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시연해 보이는 프로젝트 과목인데요. 개개인의 전공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전공분야의 중요한 포트폴리오 항목이 되기도 합니다. 아울러 로봇 경진대회, 임베디드 시

스템 경진대회, 창업대전, 벤처대회, 프로그램 경진대회 등 각종 대회 참여를 권장하고 참

가 학생에게 인센티브를 지원해주기도 합니다.

학부 Q&A

Page 6: Division of Computer and Electronic Systems Engineering 전자 ...adms.hufs.ac.kr/enter/pdf/computer.pdf · 전자시스템트랙_ 미적분학, 공학수학 등 기본적인 수학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