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간호학석사 학 논문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과 련요인

2015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공

송 은 선

Administrator
사각형

-i-

국문 록

최근 우리나라의 병원에는 세계 제일의 노인인구 증가 속도와

노년기에도 극 인 치료와 수술이 가능해진 의학 발 으로 인

해 노인 입원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

상 환경은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

에 이 맞추어져 있고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

되고 있어 노인 상의 간호에 있어서도 공감 간호의 요구가 높

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

에 한 공감력 수 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

사의 공감력 측정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수집된 자료는 빈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 Pearsons

correlationcoefficientStepwisemultipleregression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연구결과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으로 보

통 수 이 다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유의하게 차

이를 나타낸 일반 특성으로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높았고종교가 있는 간호사가 무종교보다 높았고일반 병동간호

사가 환자실 등 특수병동 간호사보다 높았고수간호사가 일반

-ii-

간호사 보다 높았다그리고 노인 련 경험 특성으로는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간호사가 공감력이 높았다이 결과에 비추어 보면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실

습경험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과

임상간호사에게 공감력 향상을 한 노인 련 교육을 증가시키고

노인복지 등의 건강한 노인을 상으로 한 실습을 추가할 필요

가 있다이는 궁극 으로 간호사들에게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노

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공감력간호사노인 환자

학 번 2012-20431

-iii-

목 차

국문 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Ⅰ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연구의 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3용어의 정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문헌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1간호사의 공감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

Ⅲ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1연구 설계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2연구 상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3연구 도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4자료 수집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5윤리 고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6자료 분석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Ⅳ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1 상자의 일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3노인환자 공감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간호학석사 학 논문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과 련요인

2015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공

송 은 선

Administrator
사각형

-i-

국문 록

최근 우리나라의 병원에는 세계 제일의 노인인구 증가 속도와

노년기에도 극 인 치료와 수술이 가능해진 의학 발 으로 인

해 노인 입원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

상 환경은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

에 이 맞추어져 있고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

되고 있어 노인 상의 간호에 있어서도 공감 간호의 요구가 높

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

에 한 공감력 수 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

사의 공감력 측정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수집된 자료는 빈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 Pearsons

correlationcoefficientStepwisemultipleregression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연구결과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으로 보

통 수 이 다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유의하게 차

이를 나타낸 일반 특성으로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높았고종교가 있는 간호사가 무종교보다 높았고일반 병동간호

사가 환자실 등 특수병동 간호사보다 높았고수간호사가 일반

-ii-

간호사 보다 높았다그리고 노인 련 경험 특성으로는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간호사가 공감력이 높았다이 결과에 비추어 보면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실

습경험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과

임상간호사에게 공감력 향상을 한 노인 련 교육을 증가시키고

노인복지 등의 건강한 노인을 상으로 한 실습을 추가할 필요

가 있다이는 궁극 으로 간호사들에게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노

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공감력간호사노인 환자

학 번 2012-20431

-iii-

목 차

국문 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Ⅰ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연구의 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3용어의 정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문헌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1간호사의 공감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

Ⅲ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1연구 설계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2연구 상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3연구 도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4자료 수집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5윤리 고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6자료 분석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Ⅳ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1 상자의 일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3노인환자 공감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Administrator
사각형

-i-

국문 록

최근 우리나라의 병원에는 세계 제일의 노인인구 증가 속도와

노년기에도 극 인 치료와 수술이 가능해진 의학 발 으로 인

해 노인 입원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

상 환경은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

에 이 맞추어져 있고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

되고 있어 노인 상의 간호에 있어서도 공감 간호의 요구가 높

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

에 한 공감력 수 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

사의 공감력 측정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수집된 자료는 빈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 Pearsons

correlationcoefficientStepwisemultipleregression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연구결과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으로 보

통 수 이 다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유의하게 차

이를 나타낸 일반 특성으로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높았고종교가 있는 간호사가 무종교보다 높았고일반 병동간호

사가 환자실 등 특수병동 간호사보다 높았고수간호사가 일반

-ii-

간호사 보다 높았다그리고 노인 련 경험 특성으로는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간호사가 공감력이 높았다이 결과에 비추어 보면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실

습경험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과

임상간호사에게 공감력 향상을 한 노인 련 교육을 증가시키고

노인복지 등의 건강한 노인을 상으로 한 실습을 추가할 필요

가 있다이는 궁극 으로 간호사들에게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노

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공감력간호사노인 환자

학 번 2012-20431

-iii-

목 차

국문 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Ⅰ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연구의 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3용어의 정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문헌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1간호사의 공감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

Ⅲ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1연구 설계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2연구 상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3연구 도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4자료 수집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5윤리 고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6자료 분석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Ⅳ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1 상자의 일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3노인환자 공감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i-

국문 록

최근 우리나라의 병원에는 세계 제일의 노인인구 증가 속도와

노년기에도 극 인 치료와 수술이 가능해진 의학 발 으로 인

해 노인 입원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

상 환경은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

에 이 맞추어져 있고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

되고 있어 노인 상의 간호에 있어서도 공감 간호의 요구가 높

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

에 한 공감력 수 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

사의 공감력 측정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수집된 자료는 빈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 Pearsons

correlationcoefficientStepwisemultipleregression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 다

연구결과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으로 보

통 수 이 다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유의하게 차

이를 나타낸 일반 특성으로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미혼자 보다

높았고종교가 있는 간호사가 무종교보다 높았고일반 병동간호

사가 환자실 등 특수병동 간호사보다 높았고수간호사가 일반

-ii-

간호사 보다 높았다그리고 노인 련 경험 특성으로는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간호사가 공감력이 높았다이 결과에 비추어 보면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실

습경험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과

임상간호사에게 공감력 향상을 한 노인 련 교육을 증가시키고

노인복지 등의 건강한 노인을 상으로 한 실습을 추가할 필요

가 있다이는 궁극 으로 간호사들에게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노

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공감력간호사노인 환자

학 번 2012-20431

-iii-

목 차

국문 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Ⅰ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연구의 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3용어의 정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문헌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1간호사의 공감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

Ⅲ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1연구 설계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2연구 상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3연구 도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4자료 수집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5윤리 고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6자료 분석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Ⅳ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1 상자의 일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3노인환자 공감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ii-

간호사 보다 높았다그리고 노인 련 경험 특성으로는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간호사가 공감력이 높았다이 결과에 비추어 보면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의 실

습경험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과

임상간호사에게 공감력 향상을 한 노인 련 교육을 증가시키고

노인복지 등의 건강한 노인을 상으로 한 실습을 추가할 필요

가 있다이는 궁극 으로 간호사들에게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노

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공감력간호사노인 환자

학 번 2012-20431

-iii-

목 차

국문 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Ⅰ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연구의 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3용어의 정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문헌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1간호사의 공감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

Ⅲ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1연구 설계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2연구 상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3연구 도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4자료 수집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5윤리 고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6자료 분석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Ⅳ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1 상자의 일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3노인환자 공감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iii-

목 차

국문 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ⅰ

Ⅰ서론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1연구의 필요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1

2연구의 목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4

3용어의 정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 5

Ⅱ문헌 고찰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1간호사의 공감력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0

Ⅲ연구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1연구 설계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2연구 상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3

3연구 도구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4

4자료 수집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5윤리 고려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6

6자료 분석 방법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7

Ⅳ연구 결과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1 상자의 일반 특성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8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0

3노인환자 공감력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4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iv-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8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5

Ⅴ논의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7

Ⅵ결론 제언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4

참고문헌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47

부록 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Abstrac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4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v-

ListofTables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19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

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1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3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

EmpathyConstructRatingSca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5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29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and

preferencesinworkingwitholderpatients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1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

olderpeople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2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34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middotmiddot36

부록 목차

부록 1연구동의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4

부록 2설문지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55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2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middot63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2013년 총인구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로 1970년 31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통계청2013)이는 세

계 으로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른 속도이다최근 의학의

발 으로 노년기에도 입원과 수술 치료가 증가하여(CourtneyTong

amp Walsh2000) 성기 병원의 노인 입원도 늘어나고 있다그런데 돌

의 임상 환경은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는 간과되기 쉬워(Squier

1990)더욱 인간 간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

2000)

공감(empathy)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

념으로(LaMonica1981)간호사의 돕는 과정에서 필연 이고 핵심 인

요소이며(Crumpei amp Dafinoiu 2012 Doyle Hungerford amp

Cruickshank2014) 문가 간호의 뿌리 깊은 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 간호 실무의 바탕이 되는 지식들은 공감을 통하여 실증

지식에서 창조 인 지식으로 발 할 수 있고 모든 상자가 만족할

수 있는 간호가 가능하므로 공감력은 질 간호의 기본요소로 보았다

이러한 요성에 한 인식으로 해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

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자의 건강

회복에 정 향을 미쳤는데(LaMonicaWolfMadeaamp Oberst

1987 Olson 1995 Goubert Craig Vervoort Morley Sullivan

WilliamsCanoamp Crombez2005)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상 연

구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

미쳤다(Williams 1979 Astrom Nilsson Norberg Sandman amp

Winblad1991)국내 간호학계의 공감력 련 연구를 살펴보면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가 부분이었고(김지

1995이정자2003최미정2005박향진2012)연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 공감력과 일반 특성과의 계를 탐색한 연구가 부분

이었다(김은희1983황경주1988김지 1995박은숙석민 과 정

경숙1997배주 2009박향진2012이정임2012)더구나 노인 상

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에 한 연구는 매우 었고 부분 간호사

의 노인에 한 태도를 심으로 한 연구들이었다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Von

HippelSilveramp Lynch2000Richteramp Kunzmann2011)다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인다(GruhnRebucalDiehlLumleyamp

Labouvie-Vief2008)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

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공감력에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한국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

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공감력 차이

를 연구하여 서술 자료로는 요하나 어떤 것이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

상 시킬 수 있는지에 한 정보는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체계 문헌 고찰(BruneroLamont

amp Coates2010)을 살펴보면 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교

육방법으로 나타났다국내에서 노인 련 체험학습으로는 노인 련 실

습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 사활동동거)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

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 련 학습과 상호작용 경험 등이 공

감력에도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노인 유사체험 경험

(최수원 과 박명화2009)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임 신김진성 과 김기

순2003)등은 노인에 한 정 인 태도와 련이 있어 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는 일반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

특성뿐 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등에 따른 공감

력을 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략을 개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환자

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 만 아

니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

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

2연구의 목

본 연구의 목 은 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과 공감력 련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서 간호

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 인 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한다

들째 간호사들의 공감력과 련 있는 일반 특성 요인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요인을 악한다

셋째 간호사들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악한다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

3용어의 정의

1)간호사

본 연구에서 간호사란 간호사면허를 취득한 후 서울시 소재 S 학병원

의 병동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

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2)간호사의 공감력

공감이란 상 방의 입장을 느끼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다(La

Monica1981)

본 연구에서는 La Monica (1981)가 개발한 공감측정도구(Empathy

ConstructRatingScaleECRS)를 박은숙 등 (1997)이 수정 보완한 5

척도 60문항으로 구성된 공감측정도구(ECRS)로 측정된 수를 의미한

다이들 문항은 자가 보고식 5 척도로 15문항은 역산 처리하여 최

60 에서 최고 360 까지 수가 높을수록 공감 정도가 상 으로 높음

을 의미한다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

Ⅱ 문헌고찰

1간호사의 공감력

lsquo공감rsquo(Empathy)이라는 용어는 상담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건강 문가부

터 일반인들에 이르기 까지 리 사용하는 개념이다(Bailey1996)공감

에 한 사 의미를 살펴보면 다른 사람에 한 완 한 이해를 통하

여 자신의 특성을 투사하는 힘을 의미한다(Simpsonamp Weiner1989)

공감의 의미와 요성은 자주 치료 계를 진하는 핵심 조건으로

CarlRogers연구 이후로 논의되기 시작하여(Rogers1975)여러 학자들

에 의해 다양한 에서 정의되고 있다Rogers(1975)는 공감이란 치

료자 자신의 감각을 잃지 않고 상자의 세계에 들어가 내면의 느낌에

민감해지는 것이라 하 으며Davis(1983)는 공감이란 상 방의 경험을

찰한 한 개인이 느끼는 폭넓은 느낌이나 반응으로 정의하 다

Mehrabian와 Epstein(1972)은 공감은 상 방의 정서를 본능 인 감각

으로 느끼는 것 이므로 개인의 성격특성이나 성향이 공감력의 차이를 만

든다고 하 다Gagan(1983)은 상 방의 의미와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

이며상 방에게 이해된 바를 달하는 상호작용 인 의미로 정의하

고ReynoldsScott와 Jessiman(1999)은 상자의 세계를 이해하고

화하는 능력이라고 하 다LaMonica(1981)는 상 방의 입장을 느끼

고 정확하게 인식하며 이해된 바를 상 방에게 달하여 상 방이 이를

지각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이 공감이라고 정의하 다그러므로 의

정의들을 종합해보면 공감은 상 방의 을 단순히 이해하는 인지

측면과 상 방의 감정을 감각 으로 느끼는 정서 측면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상 방에게 달하는 의사소통인 표 측면 등 하나 혹은 두세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 인 개념으로 정의되었다(박 선

2010)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7

Carper(1978)는 간호실무의 기 가 되는 간호 지식체는 4가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공감은 실증 인 간호지식이 창조 인 간호지식으로 확

장되는 원동력이며확장된 간호지식은 개별 특성을 가진 상자 모두에

게 만족할 수 있는 간호를 실천하게 된다고 하 다Ehmann(1971)는

간호 상황에서 논리 인 지식의 사용만으로는 환자의 내 이고 미세한

부분까지 사정하기 어렵고간호사는 공감을 통해 환자와 한 계를

경험하고환자에 해 더 깊고 완 한 평가와 이해를 하게 된다고 하

다그러나 의료기술이 잘 발달되고 치료약제가 잘 발달된 의료 환경일

수록 환자와 의료진간의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다고도로 발달된 의료기술과 치료약제는 생명을 하는

응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잘 발달된 공감 계는 상자의

건강문제가 질병으로 발 되기 에 사정될 수 있고 응 상황으로 진행

되는 것을 방할 수 있으며건강한 삶의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속 으로 리하는데 기본 인 조건이 된다(Squier1990)최근의 의료

환경은 노인환자의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 리와 임종환자 리에 한 요

구가 높아지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보인다이러한 변화는 환자보호자

와 지속 인 인간 계를 맺고 건강 문가의 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

며 간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Carveramp Hughes1990)더욱 인간 간

호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ynoldsamp Scott2000)

지난 40년 동안 국외 간호학계에서는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많은 연구가 축 되었다LaMonicaetal(1987)는 간호사의 공감력

과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한 향 조사에서 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로

부터 간호를 받은 암환자들은 불안과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 다 한

성기 치료 병원에 입원한 환자 상에서도 간호사의 높은 공감력은 환

자의 불안과 우울화를 낮추었다(Olson1995) 한 간호사의 높은 공

감력은 통증을 가지고 있는 암환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통증을 조

할 수 있는 행동 반응에 향을 주었다(Goubertetal2005)

반면에 간호사의 낮은 공감력은 환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에

향을 미쳤다일반외과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47명은 환자에 한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8

공감력은 간 이하의 낮은 수 이었고 부분의 간호사들은 환자와

화 할 때에 공감 이기 보다는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방법으로 화하

다(Hillsamp Knowles1983)환자는 공감력이 낮은 간호사에게 거리감을

느끼게 되고(MorseBottorffAndersonOBrienamp Solberg2006)간

호사는 환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없게 하여 간호사가 제공해야 하는 필

수 정보 제공 정서 지원 제공도 어렵게 하므로 환자에게 증가된 스

트 스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건강 결과를 낳는다(Reynoldsamp Scott

2000)

간호사의 공감력과 간호성과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정신병

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병동 간호사 125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2명를 상으로 악한 공

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특히 정신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유의하게 높았고높은 공감력

은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 다(박향진2012)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공감력과 직무만족도를 비교하기 하여 일반병동 간호사

113명과 정신과 병동 간호사 108명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은 두 집단

모두 등도 이상의 공감력을 보 으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직무만

족도도 높았다(최미정2005)정신과 간호사의 공감력과 자기노출간의

계를 악하기 하여 정신과 간호사 100명을 상으로 조사한 공감력

은 등도 이상이며공감력이 높은 간호사는 높은 자기 노출 행 를 보

다(김지 1995)

노인환자 상 연구에서도 간호사의 공감력은 환자 건강에 향을 미쳤

다Williams(1979)는 요양원과 자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상으로 8주

동안 간호사와 치료사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하고 공감 의사소통의

수 에 따라 노인의 자아 개념 변화에 향을 미치는지 조사하 다높

은 공감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노인환자는 자아 개념은 증가하 고 비

인간화와 비인격화등 부정 변화는 감소를 보 다 다른 연구에서

(Astrom etal1991)치매 노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간호보조원

들 60명을 상으로 1년 간격으로 2년 동안 치매 노인환자에 한 공감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9

력을 측정한 결과 상자의 평균 공감력은 등도 이상이었으며높은

공감력은 낮은 업무소진과 치매 노인환자에 한 정 태도 그리고 긴

한 치료 계 형성과 련이 있었다

국내 간호학계에서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으로 시행된 연구

는 한 편이 발견되었는데(김정희 와 정혜선2013)노인 병원 간호사 291

명을 상으로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심

으로 조사하 다공감의 4가지 하 요인인 취하기공상하기공감

심개인 고통 공감 심이 높을수록 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노인에 한 태도를 다룬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노인에

해 정 인 태도일수록 노인 상의 간호 실천 양이 증가되었다(정수

미2009)그러므로 노인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은 노인 간호의 질

을 결정짓는 주요인자라 할 수 있다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0

2간호사의 공감력 련 요인

간호사의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근무

지의 향이 알려져 있는데 정신과 병동 간호사는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

해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2012최미정2005) 직 이나 학

력경력의 향도 알려져 있는데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 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고 있으며(김은희1983배주 2009이정임2012)석사학

이상의 학 를 갖은 간호사는 다른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Bailey1996Forsyth1979박향진2012이정임2012)반면에 연

령교육 수 근무 경력직 등은 공감력에 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도 있으며(김지 1995박은숙 등1997황경주1988)일반 특

성 외에 본인 는 가족의 입원 경험이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를 보

다는 결과도 있다(김은희1983)

이러한 일반 특성이 공감력에 미치는 향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재 가능한 요인으로 공감력에 향을 주는 것들은 많은 연구는 되지 않

았다간호사의 공감력은 교육이나 로그램 운 등을 통하여 향상 가

능하다는 주장들이 있는데(Ancel2006 CnarlCevahirllSahinlll

SozerilVamp KuguogluV2007박향진2012Trevizanetal2014)주

로 간호교육을 통한 재이다Cnarl등 (2007)은 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

호 학 4학년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박향진 (2012)은 정신

과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력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한 수업의 경험이 있는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의사소통능력도 높았지만

공감력 한 높았다Ancel(2006)은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여 실험 후를

비교한 결과 실험 후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

공감력 향상을 한 간호교육 방법에 한 17편의 논문에 한 체계

문헌 고찰결과(Bruneroetal2010)체험학습이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램 요한 요소로 나타났다국내에서 시행 된 노인 련 체험학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1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1

습으로는 노인 련 실습노인 상 사활동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로그램이 있으나 실제로 이 의 노인과의 상호작용 경험이나 노인 련

학습경험 등이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지에 한 연구는 부족하다유사

한 선행연구인 노인에 한 태도연구를 살펴보면 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

(HenryDouglassamp Kostiwa2007VarkeyChutkaamp Lesnick2006

백성희2007정혜선김응종 과 김정희2010정혜 과 혜진2012

최수원 과 박명화2009) 한 재 동거하는 노인이나 과거 동거했던

노인 그리고 평소 가까이 지내는 노인과의 계가 좋을수록노인에

한 태도가 정 인 것으로 나타났다(임 신 외 2003)그리고 사회복

지사의 노인 련 사활동과 노인에 한 태도에 한 연구에서는 사

활동을 하면서 노인과 정 인 경험을 많이 가진 사회복지사일수록 노

인에 한 태도가 정 이었다(서문진희2013)사회학자들은 상 방에

한 공감은 개인의 행동변화 태도 변화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므

로(Marte1988)이러한 경험은 노인에 한 태도뿐만 아니라 노인에

한 공감력에도 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 까지 간호사 상 공감력에 한 국내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주로

정신과 병동 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을 악한 연구가 많았으며 일반

병동 간호사 상 특히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상 연구는 부족하

다연령과 공감력 계 연구에서 노인들은 인지능력이 쇠퇴하면서 다

른 사람의 감정을 정확하게 악하는 능력도 감소하게 되어 다른 연령

보다 공감 사고에 결함을 보인다(VonHippeletal2000Richteramp

Kunzmann2011)Gruhn등 (2008)은 10세부터 87세까지의 성인에서 공

감력과 련 요인을 밝히기 한 12년에 걸친 종단연구에서 노인들은 다

른 연령 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다공감은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어(Olson1991)노인환자의 낮은 공감력은 이를 간호하는 간호사에게

도 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노인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의 공감

력을 조사한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간호사들의 인간 계 경험에 한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2

연구에서 선배간호사와의 세 차이의 경험은 동료 간의 부조화와 갈등을

겪게 하 다(안양희 외2002)한국은 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를 경험하

고 있는 곳으로 재의 노인세 와 20-30 는 삶의 경험에 있어 그만큼

차이가 크다(이 룡2004)한국의 간호사들의 평균 연령은 20-30 가

부분으로서(주 희2006)노인환자와 세 차가 크게 나는 계이므로

간호사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간호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

이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 간호사들의 공감력은 일반 특성에 따

른 향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 한 련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노인 련 경험

(상호작용 학습)에 따른 공감력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일반 특성 노인 련 경험(상호작

용 학습)이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 요인인지

확인하고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의 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3

Ⅲ 연구방법

1연구 설계

본 연구는 노인환자에 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고 련

요인을 조사하기 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2연구 상

본 연구의 상자는 서울시 소재 S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 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노인환자 간호의 경

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한 최근 3개월 동안 65세 이상 노인 입원환자

수가 체 입원환자수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가 상이다

상자 수는 통계 검정력 분석을 한 로그램인 Gpower3192를

이용하여 ANOVA 분석으로(효과크기 025(medium)유의수 05검

정력 8)5개 집단일 때 200명t-test분석으로(two-tailed)(효과크기 03

(medium)유의수 05검정력 8)82명이 산출되어 탈락자나 불완 한

자료를 고려하여 총 240명을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으며 이 에서

설문회수가 되지 않은 10명을 제외한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

었다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4

3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상자의 일반 특성에 련된 10문항과

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련된 9문항 그리고 공감력

60문항을 포함하여 총 7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일반 특성

일반 특성은 성별연령결혼 여부최종학력종교총 임상경력

근무지 근무지 경력직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 등 10문항의 명목

척도를 이용해 측정하 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

노인 련 경험 특성은 상호작용 경험과 학습경험으로 나 어 질문지를

구성하 다질문지는 문헌 고찰을 통해 기 내용을 구성하고(Henryet

al2007Varkeyetal2006임 신 외2003서문진희2013)노인

간호학 교수의 자문을 통해 완성하 다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은 노

인 간호업무 선호도와 빈도노인과의 거주 경험노인 자원 사 경험 등

6문항이며노인 련 학습경험은 노인 련 수강경험노인 상 실습경

험노인 련 체험 학습경험 등 3문항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하 다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면의 직선에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를 표시

하여 표시한 의 길이를 재서 평가하는 시각 상사척도를 이용하 다

직선의 길이를 10cm하고 좌측 0cm는 ldquo 선호하지 않다rdquo에서 우측

10cm는 ldquo매우 선호 한다rdquo를 나타내고 있으며 우측으로 평가한 길이가

커질수록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5

3)공감력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EmpathyConstruct

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이 도구는 LaMonica(1981)가 간호

사의 공감력을 측정하기 해 개발하 다개발 당시 간호학middot심리학 석

사 100명으로부터 간호사의 잘 발달된 공감과 부족한 공감을 서술 받아

이를 바탕으로 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127명의 간호사와

137명의 간호학생을 상으로 요인 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84문항 6 척

도인 도구를 개발하 다이 도구의 신뢰도는 반분법에 의해 96으로 나

타났다김문실 (1984)은 이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인에게 용

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고 Cronbachrsquosα값은 95이었고이를

황경주 (1989)가 한국간호사에게 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

으며 Cronbachrsquosα값은 97이었다박은숙 등 (1997)이 이 도구를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수정하 는데 이 과

정에서 우리나라 간호 상황에 부 한 어휘와 지나치게 복되는 문항

을 제외하고 15개의 역 문항을 포함한 총 60문항 5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 고 이때 Cronbachrsquosα값이 95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은숙 등 (1997)의 도구를 자에게서 사용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 다그러나 이 도구는 아동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공감력

을 측정하기 한 도구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상자로 상

자를 바꾸어 사용하 으나 모든 문항은 그 로 사용하 다각 문항은

lsquo 그 지 않다rsquo의 1 에서부터 lsquo매우 그 다rsquo의 5 까지 5 척도로

최 60 에서 최고 300 까지의 수가 가능한데 수가 높을수록 공감

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자료수집 에 5명의 간호사에게

이 도구로 조사한 결과 응답 시 문제가 되는 문항이 없어 그 로 사용하

다본 연구에서 이 도구의 신뢰도 Cronbachrsquosα 값은 956이었다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6

4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13일부터 6월20일까지 진행하 다자료 수집

장소인 학병원의 연구에 한 승인을 받은 후 간호부에 연구의 목 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은 후 진행하 다

자료 수집 장소는 서울 소재 종합병원인 S 학병원으로 해당기 의

의학통계 자료실의 도움을 받아 2014년 3월1일부터 6월1일까지 65세 이

상 노인 입원환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이상인 병동을 조사하여(내

과계 15개 병동외과계 12개 병동응 센터 3개 병동 환자실 4개 병

동으로 총34개 병동)해당병동에서 근무하면서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자료수집에 소요된 시간은

약 20분이었고작성된 설문지는 장에서 검토하여 응답이 락된 항목

을 확인하 고 락 항목은 연구자가 상자에게 다시 물어 기재하 다

5윤리 고려

본 연구는 연구 상자 보호를 하여 자료수집 에 S 학 병원의 연

구윤리심의 원회(IRB)로부터 연구승인(승인번호H-1405-064-581)을 받

아 자료 수집을 시작하 다연구자가 상자를 직 만나 연구의 목

과 취지를 설명한 다음연구 참여를 자발 으로 동의한 상자에게 서

면으로 연구 동의서를 받았다 상자에게 개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과 설문 도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불

이익이 없음을 설명하고 설문내용은 연구 목 으로만 사용할 것임을 알

리고 자료수집 하 다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7

6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210통계 로그램을 이용하 고 자료 분석을

한 구체 인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은 실

수와 백분율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로 분석하 다

2) 상자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평균표 편차를 이용하여 서술

통계로 분석하 다

3) 상자의 일반 특성노인 련 경험 특성(상호작용 학습)에 따

른 공감력 수 을 비교하기 하여 t-testANOVA 를 용하여 집

단별 차이를 분석하 고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는 Tukey

test 는 Dunnetttest로 사후 분석하 다

4)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공감력의 상 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고 공감력 측요인은 Stepwise

multiple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측요인 분석 시 독립 변수가

명목척도서열척도 일 때는 더미변수(1=노인 련 수강경험자미혼

수간호사무교노인과 살았던 경험자특수병동 근무지)로 환시켜

분석하 다

5)통계의 유의성 수 은 Plt05로 정하 다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8

Ⅳ연구 결과

1 상자의 일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상자는 총 230명으로 상자의 일반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1)

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220명(957)으로 다수를 차지하 고나이

는 20세-29세가 137명(596)으로 가장 많았고30세-39세가 69명

(300)으로 그 다음으로 많아 20-30 를 합치면 896로 부분을 차

지하 다결혼여부는 미혼이 171명(743)으로 가장 많았고학력은 4년

제 학 를 소지 간호사가 148명(643)으로 가장 많았다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 114명(496)과 종교가 없는 사람이 116명(504)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 고종교가 있는 사람은 기독교 61명(265)으로 가장 많았

총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61명(287)5년 이상 10년 미만

이 54명(235)으로 10년 이내가 522를 차지하 다 근무지는 내과

계 병동 111명(483)외과계 병동 54명(235) 환자실 55명(239)

응 실 10명(43)이었다 병동의 임상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11명(483)으로 가장 많았다직 는 일반 간호사가 199명(865)로

다수를 차지하 고 체 상자 226명(983)은 정신과에서의 근

무경험이 없다고 응답하 다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19

Table1Generalcharacteristicsoftheparticipants

(N=230)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MeanplusmnSD

GenderMale

Female

10

220

(43)

(957)

Age(yrs)

20~29

30~39

40~49

50~59

137

69

20

4

(596)

(300)

(87)

(17)

295plusmn604

MaritalstatusSingle

Married

171

59

(743)

(257)

Educationlevel

Diploma

RN-BSN

Bachelorrsquosdegree

Masterrsquosstudentdegree

28

26

148

28

(122)

(113)

(643)

(122)

Religion

None

Christian

Buddhist

Catholic

116

61

18

35

(504)

(265)

(78)

(152)

Totalnursing

career(yrs)

<1

1~3

3~5

5~10

ge 10

20

66

42

54

48

(87)

(287)

(183)

(235)

(209)

615plusmn589

Current

workplace

ER

SurgicalMedicalICU

Medicalunits

Surgicalunits

10

55

111

54

(43)

(239)

(483)

(235)

Careerat

current

workplace

(yrs)

<1

1~3

3~5

ge 5

52

111

35

32

(226)

(483)

(152)

(139)

327plusmn309

Position

Staffnurse

Seniorstaffnurse

Unitmanager

199

23

8

(865)

(100)

(35)

Workexperience

inPsychiatricunit

Yes

No

4

226

(17)

(983)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0

2 상자의 노인 련 경험 특성

1)노인 련 상호 작용 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은 Table2와 같다

체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는 평균 5plusmn189 이었다

재 근무지에서 매일 노인 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상자는 208명

(904) 고노인 간호에 해 166명(722)은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

가 어렵다고 생각하 다노인 상 간호업무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166

명을 상으로 악된 노인 간호 수행에 어려운 이유는 인지기능 하가

90명(543)신체 기동성 하가 58명(349)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상자 개인이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은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112명(487)과 조부모와의 친근

한 계 54명(235)으로 부분을 차지하 다

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583)이었고노인과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된 경험의 시

은 부분 과거에 함께 살았던 경험이었으며(120명)과거 1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살았던 경험이 각각 52명(388)으로 부

분을 차지하 다

노인 련 사 경험이 있는 상자는 124명이었고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은 부분 1년 이상 과거의 사 경험이었으며(105명)총

사 횟수는 2회 이상 5회 미만이 72명(58)으로 가장 많았다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2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1

Table2Characteristicsof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 ()

Frequencyof Everyday 208(904)

geriatriccare Lessthanonceaweek 22 (96)

Geriatriccare Yes 166(722)

difficulties No 64 (278)

Reasonfor

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6 (36)

Lowerphysicalmobility 58 (349)

Lowersensoryfunction 11 (66)

Lowercognitiveability 90 (543)

Others 1 (06)

Facilitationfactorfor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 16 (69)

empathyfor Practicum ofgerontologicalnursing 15 (65)

olderpeople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 112(487)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 54 (235)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 18 (78)

Others 2 (09)

None 13 (057)

Experienceofliving Yes 134(583)

witholderpeople No 96 (417)

Statuslivingwith

olderpeople(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14 (105)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20(895)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30 (224)

1-5 52 (388)

5over 52 (388)

Volunteeringexperience Yes 124(539)

forolderpeople No 106(461)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

experience(n=124)

Lessthan1year 19 (153)

1yearndash 5yearsago 67 (540)

5yearsagoover 38 (307)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

experience(n=124)

1 15 (122)

2~5 72 (580)

5over 37 (298)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2

2)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

상자의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3)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184명

(80)이었다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184명)의 응답한 자료

에 의하면 강의 받은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67명)

강의 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71명(386)31시간sim45시간이 76명

(41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

체 상자 230명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134명

(583)이었다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 134명을 상으로

악한 실습 시기는 부분 간호 학 재학 이었으며(123명)실습시간은

16시간sim30시간이 39명(291)31시간sim45시간이 46명(343)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 다실습 장소는 노인요양원 66명(493)노인병원 34

명(254)노인복지 24명(179)순이었다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3

Table3Typesofgerontologicallearning

(N=230)

Type Classification n ()

Lectureexperience Yes 184(800)

No 46(200)

Timeofthelecture Duringdiplomabachelor 167(908)

(n=184) Duringmasterrsquosdegree 9 (49)

Duringrefreshertraining 6 (33)

Others 2 (10)

Totalhoursoflecture le 15hours 21(114)

(n=184) 16hours~30hours 71(386)

31hours~45hours 76(413)

ge 46hours 16 (87)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 course

experience

Yes 134(583)

No 96(417)

Timeofthe Duringdiplomabachelor 123(918)

practicum experience Duringmasterrsquosdegree 6 (45)

(n=134) Others 5 (37)

Totalhoursof le 15hours 26(194)

gerontological 16hours~30hours 39(291)

nursingpracticum 31hours~45hours 46(343)

(n=134) ge 46hours 23(172)

Theplaceof NursingHome 66(493)

practicum GeriatricHospital 34(254)

(n=134) Seniorwelfarecenter 24(179)

Daycarecenter 8 (60)

Others 2 (15)

Experienceofsenior Yes 45(195)

simulationprogram No 185(795)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4

3노인환자 공감력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

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 표 편차는 2169 다

문항별 공감 수는 5 만 에서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문

항별 평균 공감력은 371 이고 표 편차는 036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정도는 보통이다

(3 )과 체로 그 다(4 )사이에 해당하 다

공감력에 한 60개 문항 평균 3 (보통)이하를 보인 것은 lsquo나는 간

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rsquo294 lsquo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간호 상자에게 조언 한다rsquo299 이었다(Table4)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5

ITEM Mean(plusmnSD)

나는 노인 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을 이해한다 358(plusmn062)

노인 상자의 감정과 같이 느낄 수 있다 341(plusmn066)

노인 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분 기를 조성한다334(plusmn069)

노인 상자의 감정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336(plusmn067)

나는 노인 상자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하다 294(plusmn076)

노인 상자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화를 시도한다 385(plusmn065)

나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느낀다 434(plusmn065)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는 들을 필요가 없고 무시해도 좋다고 느

낀다464(plusmn058)

개인의 차이를 존 한다 413(plusmn067)

다른 사람을 마음에서 우러나서 도와 수는 없다 418(plusmn068)

노인 상자가 도움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알아서 도

와 다332(plusmn063)

노인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로해 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의 가치기 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기계 으

로 업무를 처리한다390(plusmn071)

감정은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은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된다430(plusmn078)

나는 요령이 없고 무뚝뚝한 편이다 372(plusmn081)

노인 상자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인다 384(plusmn058)

노인 상자의 감정을 표 할 수 있게 해주며도와 방법을 모색한

다367(plusmn063)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있다는 것을 노인 상자에게 인식시켜 다 357(plusmn070)

Table4MeanandstandarddeviationofItemsofECRSEmpathy

ConstructRatingScale

(N=230)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6

긴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서도 노인 상자를 편안하게 해 다 347(plusmn062)

노인 상자의 사생활을 요시 여기고 지지해 다 379(plusmn059)

노인 상자와 화할 때는 냉정하고 부정 이다 407(plusmn064)

인간의 신체 정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347(plusmn066)

노인 상자의 장〮단 을 인정한다 369(plusmn054)

자신의 감정이나 가치를 배제하고 노인 상자에게 조언한다 299(plusmn077)

노인 상자를 마음으로 이해한다 358(plusmn061)

노인 상자를 인격 으로 하지 않는다 432(plusmn075)

상황에 한 노인 상자의 반응에 민감하다 351(plusmn067)

다른 사람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않는 편이다 419(plusmn066)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 하지 않는다 433(plusmn066)

기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정심을 보인다 384(plusmn062)

타인의 가치 을 존 한다 397(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에 무 심하게 한다 417(plusmn070)

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99(plusmn078)

노인 상자의 목표능력여건에 비추어 상황을 고려한다 367(plusmn060)

노인 상자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385(plusmn057)

노인 상자에게 온정과 심을 표 한다 376(plusmn059)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로 한다 375(plusmn063)

노인 상자의 표 이나 표정에 민감하므로 감정을 잘 이해한다 364(plusmn070)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 을 존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411(plusmn067)

아무리 바빠도 기분이 나빠 있는 사람과는 시간을 내어 이야기한다311(plusmn078)

나는 오만하고 자기 심 이다 416(plusmn062)

타인의 이야기를 인내심을 가지고 신 히 경청한다 354(plusmn061)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을 다 349(plusmn067)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7

다른 사람이 가진 문제나 걱정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 358(plusmn056)

노인 상자가 말을 할 때 비 없이 경청한다 350(plusmn065)

노인 상자의 감정이나 반응에 해 신 성을 보인다 371(plusmn055)

나는 있는 그 로의 타인을 존 한다 380(plusmn055)

타인에게 보인 자신의 행동에 해 책임을 느끼지 않는다 415(plusmn073)

노인 상자의 어깨나 손을 잡아주므로 써 수 가는 것을 표시한다369(plusmn075)

노인 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경청할 비가 되어 있음을 보여 다353(plusmn068)

진정한 의미의 의로나 충고도움을 다 356(plusmn063)

나는 보상을 생각 치 않고 자신을 아낌없이 수 있다 311(plusmn085)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 상자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

하도록 한다342(plusmn067)

노인 상자의 스트 스가 심할 때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 할 수 있

도록 해 다323(plusmn077)

문제에 한 정답을 주기보다는 노인 상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다318(plusmn071)

친 하고 정 이며 수용 이다 359(plusmn063)

화할 때는 로 서둘지 않는다 309(plusmn073)

기에 처한 사람의 요구에 해서는 즉각 반응을 보인다 377(plusmn067)

편견 없이 간호 상자를 한다 358(plusmn068)

노인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받아들인다 360(plusmn064)

Lowest Highest Mean(plusmnSD)

Item meanscoreofEmpathy 294 464 371(plusmn036)

TotalscoreofEmpathy 173 282 22253(plusmn2169)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8

4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련 요인

1)일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일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5와

같다

결혼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68p=005)종교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종교가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493p=013)그러나 종교가 있는 간호

사 114명을 상으로 상자가 믿고 있는 종교별로 기독교불교가톨릭

으로 나 어 추가 분석을 하 으며분석결과 종교 간에는 통계 으로

유의한 공감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3077p=050) 재 근무지에

따라 응 실 환자실내과계 병동외과계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 간

에는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특수 병동(응 실과 환자실)과

일반 병동(내과계와 외과계 병동)두 집단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

병동 근무 간호사 집단이 특수 병동 간호사 집단 보다 더 높은 공감력을

보 다(t=-2056p=041)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

로 나 어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4385p=014)

Tukey로 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

감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차=21844p=014)그러나 연령최

종학력총 임상경력 근무지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

감력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29

Table5Empathyaccordingtogeneralcharacteristics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GenderMaleFemale

10220

22380(plusmn2184)22247(plusmn2173)

189(850)

Age(yrs)

20~2930~3940~4950~59

13769204

22033(plusmn2112)22383(plusmn2140)22940(plusmn2471)24125(plusmn1980)

2250(083)

MaritalstatusSingleMarried

17159

22016(plusmn2124)22941(plusmn2168)

-2868(005)

Educationlevel

DiplomaRN-BSNBachelorrsquosdegreeMasterrsquosstudentdegree

282614828

21875(plusmn1869)21938(plusmn2311)22236(plusmn2184)23014(plusmn2152)

1632(183)

ReligionNoYes

116114

21903(plusmn2260)22609(plusmn2020)

-2493(013)

Typeofreligion(n=114)

ChristianBuddhistCatholic

611835

22428(plusmn1750)23672(plusmn2693)22377(plusmn1954)

3077(050)

Totalnursingcareer(yrs)

<11~33~55~10ge 10

2066425448

21550(plusmn1954)21970(plusmn1919)22067(plusmn2580)22607(plusmn1943)22700(plusmn2285)

1778(134)

Currentworkplace(type1)

ERSurgicalMedicalICUMedicalunitsSurgicalunits

105511154

22280(plusmn1984)21698(plusmn2265)22477(plusmn1950)22354(plusmn2471)

1645(180)

Currentworkplace(type2)

Specialunits(ER+ICU)Units(Medical+Surgical)

65165

21788(plusmn2220)22436(plusmn2127)

-2056(041)

Careeratcurrentworkplace(yrs)

<11~33~5ge 5

521113532

21694(plusmn2086)22330(plusmn2010)22960(plusmn2719)22122(plusmn2004)

2524(058)

PositionStaffnurse(a)Seniorstaffnurse(b)Unitmanager(c)

199238

22128(plusmn2125)22617(plusmn2128)24313(plusmn2501)

4385(014)a<c

(Tukey검증)

Workexperienceinpsychiatricunit

YesNo

4226

23450(plusmn2106)22232(plusmn2169)

1114(267)

NoteRN-BSN=RegisteredNurse-BachelorScienceofNursing

ER=EmergencyRoom ICU=IntensiveCareUnit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0

2)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상 계

분석에서는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가 높은 간호사는 노인환자에 해 높

은 공감력을 나타내었다(r=307plt001)

노인 련 상호작용 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Table7과 같다노인 간호 수행 빈도에 따라 매일 수행하는 집

단과 일주일에 1회 이하로 수행하는 집단의 공감력은 차이가 없었고

(t=1405p=161)노인 간호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상자는 어려움을

느끼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를 보 지만 통계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325p=745) 한 노인 간호의 어려움을 느끼는 간호사 166명을

상으로 노인 간호 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453p=770)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향요

인에 한 분석에서(F=2610p=018)Tukey사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

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고(평균차=25168p=028)조부모와의 친

근한 계라고 생각한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 없다고 생각한 상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평균차=22175p=015)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3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1

노인과 동거 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

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251p=025)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134명을 상으로 재 동거 인 간호사와 그 지 않은

간호사의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차이가 없었으며(t=1002

p=318)동거기간에 따른 분석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181p=310)

노인 련 사 경험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214p=830) 사 경험이 있는 상자 124명을 상으로 마지막

사활동을 했던 시기에 따라 공감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으며(F=1573p=212) 사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28p=973)

Table6Corelationbetweensubjectsrsquosempathy andpreferencesin

workingwitholderpatients (N=230)

Mean(plusmnSD)Geriatriccarepreferencer(p)

Totalscoreofempathyr(p)

Geriatriccarepreference 500(plusmn189) 100

Totalscoreofempathy

22253(plusmn2169)307

lt001100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Table7Empathyaccordingtointeractionexperiencewitholderpeople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Frequencyofgeriatriccare

Everyday

Lessthanonceaweek

20822

22318(plusmn2171)

21636(plusmn2093)

1405

(161)

Geriatriccaredifficulties

YesNo

16664

22224(plusmn2053)

22328(plusmn2460)

-325

(745)

Resonfordifficultiesof

geriatriccare

(n=166)

Differenceinvalues

Lowerphysicalmobility

Lowersensoryfunction

Lowercognitiveability

Others

6 58 11 90 1

22850(plusmn2361)

22429(plusmn2024)

21864(plusmn2592)

22094(plusmn2009)

22200(plusmn0000)

453

(770)

Facilitatingfactorfor

empathyforolderpeople

Lectureofgerontologicalnursing(a)

Practicumofgerontologicalnursing(b)

Clinicalexperienceofgeriatrics(c)

Friendlyrelationshipwithgrandparent(d)

Interactionexperienceswitholderpeople(e)

Others(f)

None(g)

16 15 11254 18 2 13

23094(plusmn1873)

21620(plusmn1905)

22160(plusmn2046)

22794(plusmn2292)

22194(plusmn2278)

22300(plusmn2262)

20577(plusmn2352)

2610

(018)

agtgdgtg

Tukey검증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

YesNo

13496

22523(plusmn2163)

21876(plusmn2131)

2251

(025)

Statuslivingwitholderpeople

(n=134)

Currentlylivingwitholderpeople

livedwitholderpeopleinthepast

14 120

23071(plusmn2111)

22459(plusmn2169)

1002

(318)

Thedurationoftime

livingtogether(yrs)

(n=134)

1〈 1-5

5over

30 52 52

22080(plusmn2378)

22469(plusmn2021)

22833(plusmn2165)

1181

(310)

Volunteeringexperiencefor

olderpeople

YesNo

124106

22281(plusmn2069)

22220(plusmn2290)

214

(830)

Timelapsesincelast

volunteeringexperience

(n=124)

Lessthan1year

1yearndash5yearsago

5yearsagoover

19 67 38

22805(plusmn2708)

21990(plusmn2073)

22534(plusmn1624)

1573

(212)

Thetotalnumberof

volunteeringexperience

(n=124)

1 2~5

5over

15 72 37

22167(plusmn1615)

22306(plusmn2154)

22281(plusmn2110)

028

(973)

32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3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상자의 공감력을 비교한 결과는

Table8과 같다

노인 련 수강경험에 따른 공감력에는 수강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수강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공감력이 높았다(t=2874p=004)노인 련 수

강경험이 있는 간호사 184명을 상으로 수강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여(F=3631p=014)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수강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간sim45

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F=2765p=043)Tukey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 련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공감력에는 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

는 간호사와 실습경험이 없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통계 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1346p=180)노인 련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134명을 상으로 실습에 참여한 시기에 따라 간호 학 학원보수교

육기타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F=1269p=285)실습 시간에 따라 15시간 이하16시간sim30시간31시

간sim45시간46시간 이상 간의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2304p=080)실습 장소에 따라 노인요양원노인병

원노인복지 주간보호소기타 간 차이를 분석하 으며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397p=810)그러나 공감력 수가 높았던 노

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 집단을 이용하여 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그

지 않은 간호사보다 통계 으로 유의하게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 유무에 따라 분석한 결과 노

인 유사체험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경험이 없는 간호사와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649p=517)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Table8Empathyaccordingtogerontologicallearning

(N=230)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nEmpathy

Mean(plusmnSD)

tF(p)

Lectureexperience

YesNo

18446

22455(plusmn2106)

21443(plusmn2251)

2874

(004)

Timeofthelecture

(n=18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Duringrefreshertraining

Others

167 9 6 2

22305(plusmn2077)

23444(plusmn1570)

24317(plusmn2286)

25000(plusmn1838)

3631

(014)

Totalhoursoflecture

(n=18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1 71 76 16

23000(plusmn2010)

21986(plusmn1997)

22553(plusmn2259)

23363(plusmn1483)

2765

(043)

Gerontologicalnursing

practicumcourseexperience

YesNo

13496

22416(plusmn2044)

22026(plusmn2324)

1346

(180)

Timeofthepracticumexperience

(n=134)

Duringdiplomabachelor

Duringmasterrsquosdegree

Others

123 6 5

22332(plusmn2072)

23350(plusmn862)

23360(plusmn2117)

1269

(285)

Totalhoursofgerontological

nursingpracticum

(n=134)

le15hours

16hours~30hours

31hours~45hours

ge46hours

26 39 46 23

23300(plusmn1925)

22097(plusmn1697)

22137(plusmn2376)

22513(plusmn1804)

2304

(080)

Theplaceofpracticum

(n=134)

Nursinghome

Geriatrichospital

Welfarecenterforolderpeople

Daycarecenter

Others

66 34 24 8 2

22370(plusmn2088)

22244(plusmn2173)

22875(plusmn1404)

22250(plusmn2799)

22000(plusmn3111)

397

(810)

Practicumexperiencein

Welfarecenterforolderpeople

YesNo

24 206

22875(plusmn1404)

22181(plusmn2232)

1488

(040)

Experienceofseniorsimulationprogram

YesNo

45 185

22064(plusmn2142)

22299(plusmn2179)

-649

(517)

34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5

5노인환자에 한 공감력 측 요인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하여 서술 통계분석에서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 던

결혼유무종교유무 근무지직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노인과의

동거 경험 유무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노인복지 실습경험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고 공감력 총 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 다 회귀 분석

을 하 으며 결과는 table9와 같다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

호 업무선호도 으며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가 유

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노인 간호 업무선호도 하나만으로는 설명력이

94이지만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직 결혼 유무종교 유무노인

과 살았던 경험 유무 근무지(특수 병동과 일반 병동 근무)가 추가됨

으로서 191로 설명력이 증가하 다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6

Table9Predictorsofnursesrsquoempathyforolderpatients

(N=230)

VariablesR2

Cumulative

R2 β t p

Geriatriccarepreference 094 094 307 4862 000

Lectureexperience 035 117 187 2874 004

Maritalstatus 035 147 -187-2868 005

Position 033 150 181 2773 006

Religion 027 169 -163-2493 013

Experienceoflivingwith olderpeople022 173 147 2251 025

Currentworkplace(SpecialunitsUnits)018 191 -135 2056 041

NoteDummy Variable Lecture experience - Yes=1 Others=0Marital

status ndash Single=1 Others=0Position ndash Units manager= 1Others=0

Religionndash No=1Others=0Experienceoflivingwitholderpeoplendash Yes=1

Others=0Currentworkplacendash Specialunits=1Others=0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7

Ⅴ논의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특성(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

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항

목별 공감력 평균 수는 370 으로 나타났다국외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치매 노인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치매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정한 결과(Astrom etal1991)384(5 만 )이었고같은 도구로

환자 간호 회 소속 간호사들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Bailey

1996)는 216(5 만 )이었다국내에서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학병

원간호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342sim372(황경주

1989최미정2005박향진2012)로 본 연구 결과보다 약간 낮거나 비슷

하 다국내middot외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 환자에 한 공감력에 비교

할 때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비슷한 연령의 환자를

상으로 간호 할 때보다 갈등을 경험하고 공감력이 낮을 것으로 생각되었

으나 본 연구의 상자들의 노인 상자에 한 공감력 평균 수는 다른

일반 환자 상자에 한 공감력 수 과 별 차이가 없었다

1)일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기혼 간호사는 미혼 간호사 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는데 이는 일반

환자를 상으로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들(최미정2005박향진

2012)에서도 같은 결과이었다

종교가 있는 상자는 종교가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8

학생을 상으로 공감력 수 을 악한 연구(Ouzouniamp Nakakis2012)

에서 종교가 있는 간호학생이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일치한 결

과를 보 지만 정신과 간호사의 정신과 환자에 한 공감력 연구(김지

1995)에서는 오히려 무교의 간호사가 높은 공감력을 보여 본 연구와 다

른 결과를 보 다Duriez(2004)는 종교와 공감력의 계연구에서 종교

란 다른 사람을 공감하는 감정의 경험과 돕는 행동을 강화하는 목 이

있어 종교는 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련요인이지만 사회 지배 특성과

개인의 도덕 능력과 도덕 태도가치 방향 등 외부 변수의 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여 일치된 결과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지를 특수 병동과(응 실과 환자실)일반 병동(내과계병동과

외과계병동)으로 나 어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이 특수병동보다 공감력이

높았다이는 소진과 공감력의 계연구(Kennedy2013)에서 환자실이

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의 간호사들은 높은 소진률과 낮은 공감을

보인다는 결과와 비슷하며TuncGitmez와 Boothby(2014)의 연구에서

도 환자실 간호사는 병동간호사에 비해 낮은 공감력을 보 고 기계

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동을 보 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임상 환경은 고도의 기술과 높은 지식수 의 의료장비를

안 하게 사용하기 한 기술 능력 향상에 이 맞추어져(Williams

amp Stickley2010)간호에 있어서도 공감이 바탕이 되는 인간 계에

한 발달은 간과되고 있는 경향(Squier1990)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직 에 따라 일반간호사책임간호사수간호사로 나 어 간호사의 공감

력을 분석한 결과 수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일

반병동 간호사 상으로 공감력을 측정한 다른 연구들(김은희 1983박

향진 2012이정임 2012)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 다그러나 정신과병동

간호사 상(김지 1995)어린이 병동 간호사 상(박은숙 등1997)

치매병동 간호사 상(Astrom etal1991) 환자 회 소속간호사

상(Bailey1996)의 연구 결과 직 에 따라 간호사의 공감력에 차이가 없

었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다Trevizan등 (2014)

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입원환자에 한 간호사의 공감력 연구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39

에서 고정근무 간호사들은 교 근무간호사들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

본 연구 상자들에서 수간호사의 직 는 고정 근무형태일 가능성이 있

어 하나의 변수만 비교하 을 때 나타나는 차이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에서는 근무형태에 따른 분류를 세분화하여 비교해 보는 연구가 더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2)노인 련 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 환자 공감력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은 상자는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고

공감력의 가장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결과로는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아서 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았던 것인지노인

간호 선호도가 높아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높았던 것인지에 한

인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추후 연구에서는 인과 계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공감력이 높았다그러나 노인과 동

거 경험이 있는 상자만을 따로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분석

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동거경험 유무가 기간이나 시기보다

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노인 련 사의 경험은 공감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활동 시기

활동 횟수에 따라 분석하 을 때도 차이가 없었다노인에 한 태도와

노인 련 사활동에 한 선행 연구에서 노인 사활동 재는 상자

들의 노인에 한 정 태도 변화에 향을 미쳤다(원 희김동배이

룡 과 한정란2002이은주 와 한창완2009)그러나 간호 학생의 노

인에 한 태도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사활동에 참가한 상자의 노인

에 한 태도는 정 향상은 있었지만 통계 인 유의성은 없었다(정귀

애 와 장희정2011)유사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공

감력을 가질 수 있는 깊이 있는 계(동거와 같이)가 아닌 경우 별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을 했을 때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추후 연구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0

에는 노인 련 사에서 의미 있는 경험 유무 등의 문항을 세분화하여

공감력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노인 련 학습경험 특성에 따른 노인환자 공감력

노인 련 수강경험이 있는 상자는 공감력이 높았다 한 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노인 간

호학 강의를 선호했던 상자는 도움이 되는 요인이 없다고 생각한 상

자 보다 공감력이 높았다간호사들의 공감력 향상을 하여 총 11시간

으로 구성된 인간의 이해라는 수업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후 비교한

결과 수업 시행 후 간호사들은 높은 공감력 향상을 보 고(LaMonica

etal1976)간호 학생의 공감력 향상을 해 간호 학에 인간 계와

효과 인 의사소통 수업과정을 개설하고 4년 동안 시행한 결과 간호 학

4학년 시기에 가장 높은 공감력을 보 다(Cnarletal2007)이상의 연

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감력은 련 수업과정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

음을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65세 이상 노인 입원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임상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은 노인환자를 빈번하게

간호한다그러므로 재 노인을 간호하는 다양한 분야의 임상 간호사들

에게 노인과 련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등의 과정을 개설하

고 특히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았던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을

한 정기 인 노인 련 학습 제공은 특수 병동 소속 간호사들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고 이는특수 병동에 입

원한 성기 노인환자의 건강회복에 정 향을 미치게 되어 노인의

건강증진 의료 이용을 이려는 정책 노력의 요구(도세록2012)에

도 이바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노인 련 실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고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도 통계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간호사들을 상으로 공감력 향상

을 해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을 총 5일 동안 시행하고 후를 비교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4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1

한 연구(Ancel2006)에서 로그램 시행 후 상자들은 향상된 공감력

을 보 다는 결과도 있었다간호 학생을 상으로 노인 간호 실습에

한 상학 연구(황윤 2005)에서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이 없는 임상실습은 노인에 한

이해부족과 간호역할의 모호함을 경험하면서 막막함을 느끼게 된다고 하

다즉 실습에 앞서 사 학습인 강의가 병행될 때 공감력 향상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Ancel연구에서 재 로그램 과정에는 체계

인 사 학습과정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게임이나 역할극 로그램이 공

감력 향상에 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실

습 장소 공감력이 높았던 노인복지 실습 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상자 두 그룹 간의 추가 분석에서 노인복지 에서 실습 했던 경험이 있

는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노인복지 은 방middot보호middot통합 기능을 심

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응하여 여가middot건강middot일자리middot

자원 사middot취약계층지원 등의 체계 이고 통합 인 노인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이다(보건복지부2014)이러한 노인복지 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다른 실습장소보다도 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므로 노인에 련된 실습 과정을 개설할 때 체계 이고

실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과정을 함께 개설하고(황윤

2005)건강하고 활동 인 노인들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노인복지

같은 장소를 실습 장소로 선택 한다면 보다 정 인 노인 뿐만 아니

라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은 공감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노인 유사체험과 같은 학습은 의과 학생 간호학생의사

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태도 향상을 해 많이 사용하던 재방법이었

고 정 인 태도향상을 보 다는 결과들(Henryetal2007Varkeyet

al2006백성희2007정혜선 외2010정혜 과 혜진2012최수

원 과 박명화2009)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유사체험과 같은 학습

경험이 있는 상자에서 더 향상된 공감력을 볼 수는 없었다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2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상호작용 학습)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되기 해 시행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은 선행연구의 일반 환자에 한 공감

력과 비교할 때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공감력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 유무종교 근무지(특수병동과 일반병동)

직 노인 간호 선호도노인과 동거 경험 노인 련 수강경험 유무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소 경험 유무 고 가장 요한 측

요인은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 다

따라서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과 련 요인 재 가능한

요인으로는 노인 련 수강경험과 건강한 노인을 만날 수 있는 실습 장

소의 경험으로 생각된다노인환자 비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임상 환

경에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노력은 요하다노인 간

호 업무 선호도는 공감력 향상을 한 요한 측 요인이었다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

과 계를 밝힐 수 없었다그러므로 노인 간호 선호도와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에 한 인과 계를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노인 련

수강경험은 공감력 향상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을 뿐만 아니라 노인을

공감하기 해 도움이 되는 요인이 노인 련 수강경험이라고 생각한

상자가 공감력이 높았다국내 4년제 간호 학에서 이루어지는 노인 간

호학의 개설 황 연구에서(윤은숙2008)약 87학교에서 노인 간호학

을 이론과목으로 개설하 지만 공 필수가 아닌 공 선택으로 개설되

어 많은 간호학 학생들이 공과목처럼 높은 비 을 두지 않고 있었고

실습은 약 45 학교에서 개설되었지만 노인 간호학 실습은 독립교과목

으로 개설되지 못하고 성인 간호학 등의 다른 과목에서 다루고 있어 실

습 장소로는 노인 병원요양원양로원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 인구 증가가 빠른 시 에서 노인 간호의 요구도는 늘어나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3

고 있다 비 간호사인 간호학생을 하여 노인에 한 체계 이고 실

제 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사 학습 과정인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하며 노인 간호학 실습과목은 성인 간호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져 실습 장소를 노인병원과 요양원 등 질병 심으로

건강하지 못한 노인 환자 상의 실습 경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노인들 상의 실습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 장소에 한 발굴

등 실습 로그램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 임상간호사

에서도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으로 노인 간호에 한 강의를 실시하거나 건강하고 활동 인 노

인들을 경험할 수 있는 노인 복지 등을 방문하는 사 활동 로그램

의 운 등 다양한 교육 로그램 개발은 임상에 있는 간호사들에게 노

인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이 노인환자

에게 제공하는 노인 간호의 질 향상도 기 할 수 있을 것이다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4

Ⅵ결론 제언

1결론

본 연구는 노인 간호의 경험이 있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상으로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수 을 악하고 련요인으로 생각되는 일반 특

성뿐만 아니라 노인 련 경험 등과의 계를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노

인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한 교육 로그램 개발의 기 자료로 활용

되기 해 시행된 서술 조사연구이다2014년 6월13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시 소재 일개 학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 240명을 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간호사의 공감력 측정

은 EmpathyConstructRatingScale(ECRS)를 사용하 다자료는 빈

도백분율평균표 편차t-testone-way ANOVA Tukey test

Dunnett test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 다

본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자가 인지한 노인환자에 한 자신의 공감력은 최 173 에서

최고 282 으로 평균 수는 22253(plusmn2169) 이 다

문항별 상자의 공감 수는 5 만 에 최소 294 에서 최 464

이며 평균 공감력은 371(plusmn36) 이 다

2) 상자의 일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기혼자(t=-2868p=005)종

교가 있는 상자(T=-2493p=013)근무지가 일반병동인 상자

(t=-2056p=041)수간호사(F=4385p=014)가 공감력이 높았다그러

나 연령최종학력경력 병동 경력정신과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3) 상자의 노인 간호 업무 선호도와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은 양의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5

상 계를 나타내었고(r=307plt001)노인 간호 수행 빈도노인 간

호에 어려움 유무어려움의 이유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4) 상자의 노인과 동거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동거 경험이 있는

상자는 동거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고(t=2251

p=025) 재 동거 상태동거기간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상자의 노인 련 사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사의

경험 사활동 시기 사활동 횟수에 따라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5) 상자의 노인 련 수강 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노인 련 수강

경험이 있는 상자는 강의 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공감력이 높았지

만(t=2874p=004)강의 참여 시기(F=3631p=014)총 강의 시간

(F=2765p=043)은 사후분석에서 공감력에 차이가 없었다

6) 상자의 노인 련 실습경험 특성에 따른 공감력은 실습경험 유무

실습 참여 시기실습 시간실습 장소노인유사체험과 같은 경험 유

무에 따라 공감력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노인복지 실습경험이 있는

상자는 실습경험이 없는 상자보다 높은 공감력을 보 다(t=1488

p=040)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6

2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본 연구는 서울소재 1개 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상으로

연구되었다추후 연구 상자를 확 하여 간호사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악하기 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비 임상간호사인 간호 학생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 향상을

하여 노인 간호학 과목을 공 필수 과목으로 개설해야 하며 실습 장

소를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하는 노인복지

등의 임상실습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3)임상 간호사들 에서 노인환자에 한 공감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실이나 응 실과 같은 특수 병동 간호사들을 하여 주기 인 노

인 간호학 강의 로그램을 실시하거나 건강한 노인들을 상으로 한

사 활동 로그램 등 임상간호사를 상으로 공감력 향상을 한 로그

램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7

참 고 문 헌

김문실 (1984)한국인의 공감측정도구에 한 연구간호학회지18(1)

26-33

김은희 (1983)看護員과 患 關係에서 感情移入에 關한 硏究(국내석사

학 논문) 全南大學校 大學院 주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664

김정희정혜선 (2013)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한국콘텐츠학회지13(12)840-850

김지 (1995)정신 간호사의 공감정도와 자기노출간의 계(국내석사

학 논문) 이화여자 학교 학원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30013

도세록 (2012)보건복지 Issueamp Focus한국보건사회연구원167

박 선 (2010) 심상담자를 한 공감교육 로그램 개발 효과 검증

(국내박사학 논문)경남 학교 학원마산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07921

박은숙석민 정경숙 (1997)아동간호사의 공감정도에 한 연구-간

호사와 입원아동 어머니를 상으로 아동간호학회지 3(2)

142-294

박향진 (2012)정신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국

내석사학 논문)이화여자 학교 학원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2845759

배주 (2009)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업무

성과의 계(국내석사학 논문)고신 학교 일반 학원부산

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1605170

백성희 (2007)간호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와 정 태도 변화를

한 노인유사체험의 용에 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5-12

보건복지부 (2014)2014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8

서문진희 (2013)사회복지사의 노인 상 사회복지실습과 자원 사 경험

이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TheEffectofExperi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Volunteering on Social

WorkersAttitudetowardtheElderly21(-)114-136

안양희김 란서복남이경의이은하임은실 (2002)간호사의 인간

계 경험에 한 연구JournalofKoreanAcademyofNursing

32(3)295-304

원 희김동배이 룡한정란 (2002)연구논문노인의 자원 사활동이

학생의 노인에 한 태도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2(2)

131-146

유수정김신미이윤정 (2004)노인유사체험이 간호사의 노인에 한 태

도에 미치는 향JournalofKorean Academy ofNursing

34(6)974-982

윤은숙 (2008)노인간호학 개설 황 교과과정 조사연구 -4년제 간호

학과를 심으로한국간호교육학회지14(2)188-194

이 룡 (2004)연령별 노인에 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 통합 로그

램의 략 방안모색노인복지연구26(단일호)143-164

이정임 (2012)간호사의 문화 역량과 공감의 계한림 학교 석사학

논문

이정자 (2003)간호사의 진 의사소통과 인 계에 한 연구(국

내석사학 논문)제주 학교 교육 학원제주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9572449

이은주한창완 (2009)노인 상 자원 사활동이 학생들의 노인 노

인복지에 한 인식에 미치는 향 한국노년학 29(4)

1233-1245

임 신김진선김기순 (2002)간호사들의 노인에 한 지식 태도

NursesKnowledgeandAttitudestowardtheElderly22(1)

31-46

정귀애장희정 (2011)간호 학생의 노인간호 사 로그램의 효과한

국간호교육학회지17(2)200-207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49

정수미 (2009)노인 문병원 (요양병원)간호사의 노인에 한 지식태

도 실천과의 계 구가톨릭 학교 석사학 논문

정혜선김응종김정희 (2010)연구 논문간호 학생의 노인체험복 착

용경험에 한 연구한국노년학30(1)141-157

정혜 혜진 (2012)노인유사 체험이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돌

태도노인에 한 이해도업무만족도 직무수행에 미치는

향지역사회간호학회지23(2)222-230

주 희 (2006)분야별 활동 간호사 유휴간호사 황 분석 연구 한

간호정책연구소

최미정 (2005)정신과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

무만족도 비교연구(국내석사학 논문)경희 학교 교육 학원

서울Retrievedfrom httpwwwrisskrlinkid=T10115924

최수원박명화 (2009)연구논문노인유사체험이 노인병동 간호사의 노

인에 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향한국노년학29(2)

513-527

통계청 (2013)2013년 고령자 통계 자료

황경주 (1988)看護師의 共感(Empathy)에 한 硏究(국내석사학 논

문)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서울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84587

황윤 (2005)간호학생의 노인병동 임상실습경험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73-85

AncelG(2006)DevelopingempathyinnursesAninservicetraining

programArchivesofPsychiatricNursing20(6)249-257

AstromSNilssonMNorbergASandmanP-Oamp WinbladB

(1991)StaffburnoutindementiacaremdashRelationstoempathy

andattitudesInternationalJournalofNursingStudies28(1)

65-75

BaileyS(1996)LevelsofempathyofcriticalcarenursesAustralian

CriticalCare9(4)121-127

BruneroSLamontSamp CoatesM(2010)A review ofempathy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0

educationinnursingNursingInquiry17(1)65-74

CarperBA(1978)Fundamentalpatternsofknowinginnursing

Advancesinnursingscience1(1)13-24

CarverEamp HughesJ(1990)Thesignificanceofempathy(pp

13-27)SpringerPublishingCoNew York

CnarlNCevahirllRSahinlllSSozerilVCamp KuguogluVS

(2007)Evaluationoftheempathicskillsofnursingstudents

with respect to the classes they are attendingRevista

ElectonicadeEnfermagem9(03)588-595

CourtneyMTongSamp WalshA(2000)Acute‐carenursesrsquo

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JournalofNursingPractice6(2)62-69

CrumpeiIamp DafinoiuI(2012)Therelationofclinicalempathyto

secondary traumatic stressProcedia-Socialand Behavioral

Sciences33438-442

DoyleKHungerfordCamp CruickshankM(2014)Reviewing

Tribunalcasesand nursebehaviourPutting empathy back

intonurseeducationwithBloomstaxonomyNurseeducation

today34(7)1069-1073

EhmannVE(1971)EmpathyIts origincharacteristicsand

processPerspectivesinpsychiatriccare9(2)72-80

ForsythG L (1979) Exploration of empathy in nurse-client

interactionAdvancesinnursingscience1(2)53-62

GaganJM(1983)MethodologicalnotesonempathyAdvancesin

nursingscience5(2)65-72

GoubertLCraigKDVervoortTMorleySSullivanM

WilliamsAdCCanoACrombezG(2005)Facing

othersinpaintheeffectsofempathyPain118(3)285-288

GruhnDRebucalKDiehlMLumleyMamp Labouvie-ViefG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5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1

(2008)Empathy acrosstheadultlifespanLongitudinaland

experience-samplingfindingsEmotion8(6)753

HenryBWDouglassCamp KostiwaI(2007)Effects of

participation in an aging game simulation activity on the

attitudesofAlliedHealthstudentstowardolderadultsThe

internetjournalofalliedhealthsciencesandpractice5

HillsMDamp KnowlesD(1983)Nurseslevelsofempathyand

respectin simulated interactionswith patientsInternational

JournalofNursingStudies20(2)83-87

KennedyB(2013)TheRelationshipsBetweenEmpathyandBurnout

inNursesUniversityofOtago

LaMonicaEL(1981)Constructvalidityofanempathyinstrument

Researchinnursingamp health4(4)389-400

LaMonicaELWolfRMMadeaARamp OberstMT(1987)

EmpathyandnursingcareoutcomesResearchandTheoryfor

NursingPractice1(3)197-213

LaMonicaELCarewDKWinderAEHaaseAMBamp

BlanchardKH(1976)Empathytrainingasthemajorthrust

ofa staffdevelopmentprogramNursing Research25(6)

447-451

MarteA(1988)How does itfeelto be old Simulation game

provides into aging experien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innursing19(4)166

MehrabianAamp EpsteinN(1972)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1Journalofpersonality40(4)525-543

MorseJMBottorffJAndersonGOBrienBamp SolbergS

(2006)Beyond empathyexpanding expressions ofcaring

Journalofadvancednursing53(1)75-87

Olson J K (1995) Relationships Between Nurse‐Expressed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2

EmpathyPatient‐Perceived Empathy and PatientDistress

JournalofNursingScholarship27(4)317-322

OuzouniCamp NakakisK(2012)Anexploratorystudyofstudent

nursesempathyHealthScienceJournal6(3)534-554

ReynoldsWJamp ScottB(2000)Donursesandotherprofessional

helpersnormallydisplaymuchempathyJournalofadvanced

nursing31(1)226-234

ReynoldsWJScottBamp JessimanWC(1999)Empathyhas

notbeenmeasuredinclientsrsquotermsoreffectivelytaughta

review oftheliteratureJournalofadvancednursing30(5)

1177-1185

RichterDamp KunzmannU(2011)Agedifferencesinthreefacets

of empathy performance-based evidencePsychology and

aging26(1)60

RogersCR(1975)EmpathicAnunappreciatedwayofbeingThe

counselingpsychologist5(2)2-10

SimpsonJAamp WeinerES(1989)TheOxfordenglishdictionary

(Vol2)ClarendonPressOxford

SquierRW(1990)A model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s in practitioner-patient

relationshipsSocialscienceamp medicine30(3)325-339

TrevizanMAdosSantosAlmeidaRGSouzaMCMazzoA

MendesIACamp MartinsJCA(2014)Empathy in

Brazilian nursing professionalsA descriptivestudyNursing

ethics0969733014534872

TuncPGitmezAamp BoothbyMRK(2014)Aninvestigationof

emotionallaborstrategieson thebasisofempathy among

nurses working at intensive care and inpatient units

AnatolianJournalofPsychiatry15(1)45-54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3

VarkeyPChutkaDSamp LesnickTG(2006)Theaginggame

improving medicalstudentsrsquoattitudestowardcaring forthe

elderlyJournaloftheAmericanMedicalDirectorsAssociation

7(4)224-229

VonHippelWSilverLAamp LynchME(2000)Stereotyping

againstyourwillTheroleofinhibitoryabilityinstereotyping

and prejudice among the elderly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Bulletin26(5)523-532

WilliamsCL(1979)Empathiccommunication and itseffecton

clientoutcomeIssuesinmentalhealthnursing2(1)15-26

WilliamsJamp StickleyT(2010)Empathy andnurseeducation

NurseEducationToday30(8)752-755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4

부록 1연구동의서

안녕하십니까

본 연구는 노인환자간호의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의 노인환자에 한 공

감력과 련요인을 조사하고자 하는 서술 연구입니다이를 해 노인

환자 간호의 경험이 있는 임상 간호사의 노인 환자에 한 공감력을 측

정하고자 합니다

설문 작성에 요구되는 상 시간은 약 20분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솔직하고 성의 있게 답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본 연구

에 한 참여와 단은 자발 으로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수집된 자료

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연구 목 으로만 사용됩니다잠 장치가 있는

곳에 자료를 보 하여 기 이 보호될 것이며 본 연구가 완료되어 출 된

후에는 즉시 폐기 처리할 것입니다

본 설문지를 완료해 제출하신 분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보상으로 제공해

드립니다

연구에 하여 궁 하신 사항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연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참여 동의서 [연구자 보 ]

본인 이 연구에 한 명 충분히 들었 며 이 연구에 참여할 것 동

합니다 본인 자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 알고 있습니다

참여자 명 __________________( 명) ______________

동 날짜_______________월___________________일

서울 학교 간호 학

성인간호학(노인 공)석사과정생

송은선

(연락처 010-8616-5041)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5

부록 2설문지

다 귀하 일 특 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또는 답해 주 요

1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① 남 ② 여

2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_________세( 년생)

3귀하의 결혼 여부는 어떻게 되십니까①미혼 ②기혼

4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 문 졸 ② RN-BSN ③ 졸 ④석사과정

⑤석사 수료 ⑥석사 이상

5귀하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천주교 ⑤기타( )

6귀하의 총 임상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년( )개월

7귀하의 근무지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응 실 ② 환자실 ③기타( )병동

8귀하의 근무지 경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개월

9귀하의 직 는 무엇입니까

①일반간호사-5 ②일반간호사-4 ③수간호사

10귀하의 정신과 병동 근무 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4: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6

다 귀하 노인 경험에 한 질 입니다해당하는 번 에 V 해 주 요

1귀하는 노인 련 과목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련 과목 강의 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2번으로 가시오)

1-1노인 련 과목 강의들은 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 기타( )

1-2노인 련 과목 강의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귀하는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습니까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실습경험이 있다면 (경험이 없으면 3번으로 가시오)

2-1노인 상 실습경험은 언제입니까

①간호 학 재학 ② 학원 과정 ③보수교육 ④기타( )

2-2노인 상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기억나는 로 학 는 시간으로 빈칸을 채워주세요)

①__________학 ②_________시간 ③ 기타( )

2-3실습 장소는 어디 으며 각 장소의 실습 시간은 몇 시간이었습니까

① 노인요양원 ---( )시간

② 노인병원 -----( )시간

③ 노인복지 ---( )시간

④ 주간보호소 ---( )시간

⑤ 기타( )---( )시간

3귀하는 노인 체험 복 입기 등과 같은 체험학습경험이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4조부모( 는 부모 어느 한 분이 만 65세 이상인 노부모)와 동거경험이 있

습니까

① 재 같이 살고 있다

② 과거에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있다

③ 같이 살아 본 경험이 없다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5: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7

0 1 2 3 4 5 6 7 8 9 10

과거 노인과 동거 경험이 있다면( 재 같이 살거나 경험이 없으면 5번으

로 가시오)

4-1조부모( 는 부모 65세 이상 노부모)와 동거 기간은 얼마입니까

① 1년 미만 ② 1년 ~5년 미만 ③ 5년~10년 미만 ④ 10년 이상

5귀하의 노인을 상으로 하는 자원 사활동 경험은 있습니까

①있다 ②없다

노인 상 자원 사활동 경험이 있다면(경험이 없으면 6번으로 가시오)

5-1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은 언제입니까

① 최근 1년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② 과거 1년 ~5년 미만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③ 과거 5년 이상 노인 상 자원 사 경험이 있다

5-2노인 상 자원 사 활동의 횟수는 몇 회입니까

① 1회 ② 1회~5회 ③ 5회 이상 ④ 기타( )

6귀하의 노인간호 업무 선호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하지않다 매우

한다

7 재 근무지에서 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빈도는 몇 회입니까

① 매일 ② 주 1회 정도 ③ 월 1회 정도 ④ 거의 없음

8노인을 상으로 간호업무 수행 에 다른 연령층 보다 간호가 어렵다고 생

각합니까

① ② 아니오

lsquorsquo로 답한 경우 (lsquo아니오rsquo라고 답하 으면 9번으로 가시오)

8-1노인 상 간호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가치 의 차이

② 노인의 신체 기동성 하

③ 노인의 감각 기 의 기능 하

④ 노인의 인지 기능 하

⑤ 기타______________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6: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8

9귀하가 노인에 해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 것은 무엇입니

① 노인간호학 강의

② 노인간호학 실습

③ 임상에서 노인 상의 간호경력

④ 조부모와의 친근한 계

⑤ 기타 노인과의

⑥ 기타( )

⑦ 없음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7: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59

다음문항은 평소 귀하가 노인환자와의 계에서 생각하는 느낌이

나 행동에 해 기술한 것입니다

질문지를 읽으시고 각 문항에 우측 해당 칸에 lsquoVrsquo표시하여 주시기 바

랍니다

공감력 측정 설문지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나는 간 상자 입장에 그들 이해한다

2간 상자 감 과 같이 느낄 있다

3간 상자가 자신 감 어 놓 있는

분 를 조 한다

4간 상자 감 에 한 이해가 부족하다

5나는 간 상자가 말 하지 않아도 이해하는

듯 하다

6간 상자를 독립 인격체 보고 를 시도

한다

7나 자신 생각만이 다고 느낀다

8다른 사람 견이나 가 는 들 필요가 없고

시해도 좋다고 느낀다

9개인 차이를 존 한다

10다른 사람 마 에 우러나 도 는 없

11간 상자가 도움 요청할 지 다리지 않

고 미리 알아 도 다

12간 상자가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했

해 다

13간 상자 가 이나 상황 이해할 없

에 계 업 를 처리한다

14감 요하지 않다고 믿는다 사람 마 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다

15나는 요 이 없고 뚝뚝한 편이다

16간 상자가 하는 말에 주 를 울인다

17간 상자 감 할 있게 해주며 도

법 모색한다

18여러 가지 해결 안이 있다는 것 간 상자에

게 인식시켜 다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8: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0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19장하거나 암담한 상황에 도 간 상자를 편

안하게 해 다

20간 상자 사생 요시 여 고 지지해

21간 상자 할 는 냉 하고 부 이다

22인간 신체 신 사회 요구에 민감하다

23간 상자 장〮단 인 한다

24자신 감 이나 가 를 하고 간 상자에

게 조언한다

25간 상자를 마 이해한다

26간 상자를 인격 하지 않는다

27상황에 한 간 상자 에 민감하다

28다른 사람 감 잘 고 하지 않는 편이다

29다른 사람 견 존 하지 않는다

30나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동

심 보인다

31타인 가 존 한다

32간 상자 감 에 심하게 한다

33인내심이 부족하고 충동 이다

34간 상자 목 능 여건에 추어 상황

고 한다

35간 상자 상황 이해하 고 노 한다

36간 상자에게 과 심 한다

37 한 마 과 이해심이 있는 목소리 한다

38간 상자 이나 에 민감하므 감

잘 이해한다

39다른 사람 견이나 가 존 해야 다

고 생각한다

40아 리 도 분이 나 있는 사람과는 시간

내어 이야 한다

41나는 만하고 자 심 이다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69: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1

각 항 간 상자는 노인 상자를 미합니다

1 2 3 4 5

그 지않다

별 그 지 않다

보통이다

체 그 다

매우그 다

42타인 이야 를 인내심 가지고 신 히 경청

한다

43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요청이 없어도 도움

44다른 사람이 가진 나 걱 들 해결할

있도 도 다

45간 상자가 말 할 없이 경청한다

46간 상자 감 이나 에 해 신

보인다

47나는 있는 그 타인 존 한다

48타인에게 보인 자신 행동에 해 책임 느끼

지 않는다

49간 상자 어깨나 손 잡아주므 써

가는 것 시한다

50간 상자가 원하면 언 든지 경청할 가

어 있 보여 다

51진 한 미 나 충고 도움 다

52나는 보상 생각 않고 자신 아낌 없이

있다

53여러 가지 법 사용하여 간 상자 하여

자신 감 하도 한다

54간 상자 스트 스가 심할 는 감 행

동 할 있도 해 다

55에 한 답 주 보다는 간 상자가

스스 를 해결할 있도 도 다

56 하고 이며 용 이다

57 할 는 지 않는다

58에 처한 사람 요구에 해 는 즉각

보인다

59편견 없이 간 상자를 한다

60간 상자가 보고 느낀 그 자체를 아들인다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70: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2

부록 3의학연구윤리심의 원회(IRB)승인서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71: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3

부록 4연구도구 사용 허락서

당시 공동연구자인 석민 과 정경숙은 연락이 닿지 않아 박은숙 연구

자에게 도구 사용 허락을 받음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72: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4

Abstract

TheFactorsofempathy

forolderpatient

ingeneralhospitalnurses

EUNSUNSONG

DepartmentofNursingGraduatingSchool

SeoulNationalUniversityCollegeofNursing

Duetothefastestgrowing population aging in theworldand

medicaldevelopmentthatenablesfull-scaletreatmentsandoperations

eveninlateryearsthenumberofolderpatientsinhospitalsareon

the rise in Korea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is known to

positively affect patientsrsquorecoveryhoweverthe current clinical

environmentisfocusedonimprovementoftechnicalabilitytoensure

a safe use ofmedicalequipmentand overlooks the humanistic

relationshipbasedonempathyThusdemandsforempathicnursing

forolderpatientsareincreasing

Thisstudyisadescriptiveresearchtoidentifythestatusandfactors

ofempathyforolderpatienttargetingnurseswhoworkingeneral

hospitalsThedatawascollectedforaweekfrom June13th2014

and240nursesfrom generalhospitalsinSeoulwhohaveexperience

incaringforolderpatientsparticipatedThenursesrsquoabilitytofeel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ECRS)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utilization of

frequencypercentageaveragestandard deviationt-testone-way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Page 73: Disclaimer - Seoul National University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35/1/000000025180.pdf · Cruickshank,2014)전문가적간호의뿌리깊은개념이다(Brown,2011). Carper(1978)는간호실무의바탕이되는지식들은공감을통하여실증

65

ANOVATukeytestDunnetttestPearsonscorrelationcoefficient

andStepwisemultipleregres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elf-acknowledged ability to feel

empathyforolderpatientsrangedfrom thelowestscoreof173tothe

highestscoreof282withtheaveragescoreof22253(plusmn2169)which

isa normallevelGeneralattributesthat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rsquos 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atients

includedmaritalstatus(higherforthosewhoaremarried)religion

(higherforthosewith religiousfaith)andnursesin generalunit

scoredhigherthanthoseinspecialunitandunitmanagernurses

scored higherthan staffnursesAdditionallynurses who prefer

geriatriccarehaveexperiencewithliving with olderpeoplehave

takenlecturesongerontologyandorhavepracticedinseniorwelfare

centersscored higherThisresultdemonstratesthathaving taken

trainingsthatarerelatedtoolderpeopleandpracticeexperiencein

locations whereone can meethealthy olderpeoplecan serveas

factors ofthe nursesrsquoability to feelempathy for older people

Thereforeitis necessary to increase senior-related training and

practiceopportunitieswith healthy olderpeoplein placessuch as

senior welfare centers targeting nursing students and nurse

practitionersUltimatelythiswillprovidenurseswiththeopportunity

toimprovetheirabilitytofeelempathyforolderpatientsanditcan

beexpectedthatthiswillleadtoimprovednursingqualityforolder

patients

keywordsempathynurseolderpatient

StudentNumber2012-20431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3 용어의 정의
      • Ⅱ 문헌 고찰
        • 1 간호사의 공감력
        • 2 간호사의 공감력 관련 요인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설계
            • 2 연구 대상
            • 3 연구 도구
            • 4 자료 수집 방법
            • 5 윤리적 고려
            • 6 자료 분석 방법
              • Ⅳ 연구 결과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대상자의 노인 관련 경험 특성
                • 3 노인환자 공감력
                • 4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관련 요인
                • 5 노인환자에 대한 공감력 예측 요인
                  • Ⅴ 논의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