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99? ; 36 : 361-36?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Pre1iminary C1inical App1i cation 1 · · · · : 2-D Cine P C (phas e con : 2-D Cine veloci ty 5 cm / 80msec, 12.3- 15 msec , flip EKG se (image · : 2-D Cine PC CSF flow (1). (motion -sensi ti ve 2-D Cine PC : 2 - 361 -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대한빙사선의학회지 199? ; 36 : 361-36?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Pre1iminary C1inical App1ication1

검혜영 · 최혜영 · 백숭연 · 이선화 · 고은주2. 이명숙3

목 적 : 뇌척수액류에 이상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서 흐름의 양상과 장애의 위치를 파

악하고 제 3뇌실조루술후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2-D Cine P C (phase con

trast)기법이 임상적으로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 대조군 3명과 전산화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에서 뇌수종이 있는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2명에서 제 3 뇌실조루술을 시행하였다. 이용한

기법은 2-D Cine PC로 veloci ty encoding은 5cm / sec로, TR을 80msec, TE를 12.3-15

msec, flip angle을 15-60도로 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EKG gating을 하였다. 다양한 se

quence에 대해 영상의 질 (image quality)를 분석하였고 각 phase에서 뇌척수액로를 따라

흐름을 관찰하여 신호의 연속성과 세기를 분석하여 폐색의 위치 및 속도의 강약을 결정하였

다.

결 과 · 대조군에서는 모든 뇌척수액로를 따라 수축기박동의 고신호강도와 이완기박동

의 저신호강도를잘보여주었고정상적인흐름의 비동시성의 연속성을보여주었다. 3례에서

뇌실계에서의 폐색소견이 있었고 나머지경우에서 정상이거나 양상은 정상과 유사하지만 강

도가 떨어지는 소견을 보여 전자의 경우 비교통성뇌수종을 확인할 수 있였고, 후자의 경우

교통성뇌수종을 예측할 수 있였다. 제 3 뇌실조루숨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 1 례에서만 시술부

위를 통한 신호을 볼 수 있었다.

결 론 : 2-D Cine PC 기법을 이용한 CSF flow study는 뇌수종이 있는 환자에서 비침습

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통해 뇌척수액의 흐름을 볼수있고 또 폐색된 부위를 결정할 수 있어

뇌설복강단락술의 적용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증례

는 미비하지만 제 3뇌실조루술시행 후 이 시술의 성공 여부를 판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사료된다.

뇌수종 환자에서 뇌척수액류의 역동을 이해하는 것은 질병의

과정에 접근하여 환자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뇌척

수액류의 역동에 대한 검사법으로 방사성동위원소 뇌조술이냐

전산단층촬영 뇌조술 등이 있는데, 방사성동위원소나 조영제를

요추천자하에 지주막하강에 주입후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

하여 그 흡수 정도를 보는 검사법으로 이 중 방사성동위원소 뇌

조술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검사법은 뇌척수

액공간에서 이물질의 움직임을 보는 것으로 침습적이며 검사

자체가 뇌척수액계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지주막하공간의

여러장소에서 흐름의 역할을 동시에 관찰할 수 없고 뇌척수액

의 속도를 측정할 수 없다 (1).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운동감

l 이화여자대학교의과대학부속목동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을지 중앙 의료원 진단방사선과 ’삼성제일병원 진단방사선과 이 논문은 1996년 5월 7일 접수하여 1997년 l윌 6일이1 채택되었음.

작법 (motion -sensi ti ve technique)으로 뇌실과 지주막하강의

뇌척수액역동을 알 수 있는데, 조영제 주엽이 필요없어 비침습

적이며 뇌척수액흐름 자체를 보는 것이므로 뇌척수액역동을 검

사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1).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국내에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척

수액류의 연구에 대한 보고가 없으므로 2-D Cine PC 가법을

이용한 뇌척수액 역동에 대해 소개하고 정상인에 있어서 심장

주기동안 뇌척수액흐름의 형태와 뇌수종이 있는 환자에 있어

뇌척수액류의 특정을 정상과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및방법

대조군으로정상 성인남자 3명 (평균연령 : 25세)과전산화

단층촬영이냐 자기공명영상에서 뇌수종이 있는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개내출혈이 4명, 뇌위축이 2명, 뇌막염이 2

- 361 -

Page 2: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 키아리기형이 각각 1명이었고 연령은 소아 2세

를 제외하고 19 -83세 ( 평균 50세)였고 남자가 9명 여자가 4

명이었다.

사용한 기기는 1.5T Signa (GE Medical Systems , Mil­

waukee, WI)로 2-D Cine PC 방법으로 EKG gating을 하여

모든 환자에 있어서 두미축을 따라 감작시켜 실비우스수도

(aqueduct)를 중심으로 정중시상단면영상을 얻었다. 먼저 정

상대조군을 대상으로 velocity encoding을 5cm / sec, TR을

80msec, TE를 12.3 - 15 msec로 하고 flip angle을 15도와 60

도로 각각 촬영후 방사선과 전문의 2인의 판단으로 가장 신호

대조가 뚜렷한 TR 80msec, TE 12.3 - 15msec, flip angle 15

도의 조건으로 13명의 환자에 실시하였다. FOV는 24cm x 24

김 혀| 영 오I :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cm, matrix 256 x 192, NEX는 2 - 3으로 하였다.

뇌척수액류의 평기는 마젠디공 (foramen of Magendi) 대

후두꽁-전후경추지주막하강에 이르는 통로, 경사대후방조, 몬

로공 (foramen of Monro)과 제 3 뇌실 -aqueduct -제 4 뇌실

에 이르는 통로를 따라 시행하였고 각 수축기와 이완기동안 각

통로에서의 신호의 강도와 떤속성을 비교분석히여 뇌척수액 흐

름의 장애가 있는 지점을 찾았다. 질병원인을 분석하여 뇌위축

을 제외하고 뇌실 폐쇄의 뚜렷한 원인이 있었던, 수모세포종,

소뇌의 전이성암, 제 1 키아리기형의 경우를 비교통성 뇌수종으

로, 나머지 뇌실수준에서 폐색의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는

비교통성 뇌수종으로 분류하고, CSF flow study와 비교하였다

(Table 1).

Table 1. Patient with Hydrocephalus According to Etiology and CSF Flow Pattern

Patients Diagnosis Hydrocephalus CSF study

1. M/2 Medulloblastoma

2. M/61 Aqueductal stenosis

3. F/58 Metastatic br. tumor

4. M/22 Chiari 1 malformation

5. M/38 SAH, A-comm. aneurysm

6. F/79 HT ICH

7. F/33 SAH, P-comm. aneurysm

8. M/26 SAH, Rt.A-comm. aneurysm

9. F/22 Cysticercosis

10. M/52 Meningitis

11. M/19 Tbc meningitis

12. M/53 Atrophy

13. M/83 Senile atrophy

noncommunicating no flow in aqueduct and 4th ventricle

noncommunicating tubulent flow at 3rd & 4th ventricle flow at aqueduct

noncommunicating normal

noncommunicating normaL flow in syrinx

communicating turbulent flow

communicating markedly slow flow at aqueduct

communicating normal but weak signal

communicating normal but weak signa l

communicating normal

communicating no flow in prepontine cystern

communicating only slow f10w in aqueduct. no f10w in subarachnoid space

normal

normal

SAH: subarachnoid hemorrhage HT ICH: hypertensive intracerebral hemorrhage Tbc : tuberculosis

A B

Fig. 1. A 83-year-old patient with senile atrophy. Normal intracranial CSF f1ow. A. T2 weighted axial image shows dilatated ventricle and prominent sulci B. In these 12 frames from a cine f10w map, caudal flow of CSF is hyperintense, cranial flow is hypointense. Caudal CSF flow in the basal cisterns and signal CSF spaces and faint flow out of the foramen of Magendi appears to preceed the downward pulsation of CSF through the aqueduct. Caudal flow in the aqueduct than flows later. In diastole, cranial f10w (areas of hypointense signal) of CSF in the cisterns and ventricular sy stem is noted. And than again, systolic caudal flow is reappeared .

K

Page 3: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대한밤시선의학회지 1997 ; 36: 361 - 367

결 과

정상인 3명에서 모든 뇌척수액로를 따라 뇌척수액의 수축기

에서 미측방향 흐름에 의한 고신호 강도와 이완기에서는 두측

방향 흐름에 의한 저신호강도가 보였고, 각 통로에서 정상적인

뇌척수액흐름에 의한 선호의 비동시성과 연결된 통로 내에서의

흐름의 연속성이 보였다 한 주기동안 전 통로에서 최저의 신호

강도를 보이는 시점에서부터, 고신호가 후경부지주막하강에서

시작해서, 전경부지주막하강, 경사대후방조를 따라 보이기 시

작하며, 뇌실계에서는 지주막하강에 비해 신호가 늦게 나타났

다. aqueduct-제 4뇌실에서는 저신호와 고신호가 같이 보여

이상성 (biphasic)의 흐름을 보여주는 기간이 있었으나 다음기

간에서는 모두 고신호로 연속적 인 흐름을 보였다.

노인성 뇌위축환자 2명에서는모두정상인과같은흐름을나

타내였다 (Fig. lA, lB) .

비교통성 뇌수종으로 진단하였던 수모세포종환자에서 aque­

duct와 제 4뇌실부위에서 뇌척수액 흐름의 장애가 있었다

(Fig. 2A, 2B, 2C) . Aqueductal s tenosis 환자에서는 aque­

duct 상하부위에서 와류를 보였다 (Fig . 3A, 3B). 소뇌에 전이

성암이 있었던 환자는 종괴에 의한 제 4뇌실의 압박으로 뇌수

종이 있었지만 정상적인 흐름을 보였고, 제 1 키아리기형환자에

서도 정상과 같은 강한 신호강도의 뇌척수액흐름이 있였고, 경

추부 척수공동에서 수축기와 이완기의 뚜렷한 신호가 보여 척

수공동 (syrinx)내에서도 수액의 흐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ig. 4A, 4B) .

교통성 뇌수종으로 분류하였던 환자중 동맥류에 의한 지주막

하 출혈의 환자 1명에서 aqueduct와 제 4뇌실에서 강한 고신

호강도의 와류와 제트류를 볼 수 있였고, 뇌단락수술후 뇌수종

이 호전되었고 aqueduct에서 보이던 와류가 사라졌으나 신호

강도가 매우 미약하였다 (Fig. 5A, 5B, 5C ). 결핵성 뇌막염의

환자 l명에서 aqueduct 에 미약한 흐름만 있었고 다른부위에는

신호강도가 없었다 (Fig. 6A, 6B, 6C). 다른 뇌막염 환자는

prepontine cistern에 신호가 없었다. 나머지 두개내 출혈의

환자에서는 다양한 정도로 신호강도가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었

는데, 특히 1명에서는 신호가 너무 약해 영상분석이 어려웠다

뇌낭미충증환자는 정상과 같은 강한 신호강도의 뇌척수액류를

보였다

제 3뇌실조루술을 시행한 2명의 환자에 있어서는 이중 l명에

서만 제 3뇌실에서부터 지주막하강으로 연결되는 뇌척수액류

에의한신호를볼수있었고나머지 l명에서는신호가없었다.

고 찰

자기공명영상은 혈액과 뇌척수액 같은 동적인 흐름을 찾아낼

수 있으나 대부분의 임상연구는 자기공명혈관조영술 (MRA)

에 주관심을 두어 왔으며 , 뇌척수액에 대한 연구는 적였다. 2-D

Cine PC MR은 정지된 proton과 각 방향으로 흐르는 proton

의 속도와 방향의 차이를 가장 민감하게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이 척수액의 흐름에 적용하여 파동의 양상뿐 아니라 수치적으

로 얻은 크기나 지속시간 등의 자료를 통해 정상이나 질환별 특

성을 연구한 논문들이 있는데 (1 - 13) , 저자들은 정상과 뇌수종

A B C Fig. 2. A 2-year-old boy with medulloblastoma. A. Scout mid-sagittal film for CSF study with gradient echo technique shows a mass in the vermis with compession of 4th ventricle. B & C. Aqueductal and 4th ventricle flows are absent both in diastolic (B) and systolic (C) phase. Flow in prepontine cistern is only noted (arrows).

? m

Page 4: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김혀|염 오I ;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職-A B

A B

이 있었던 환자에서 2-D Cine P C 기법으로 나타나는 영상에

중점을 두었고, 이것을 바탕으로 임성적 양상과 연관시킬 수 있

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적 인 뇌척수액의 진동흐름(oscillator y fl ow)은 심장박

동이 뇌동맥과 미세혈관을 통해 뇌척수액을 움직여 일어난다.

뇌척수액의 수축기 움직 임은수축기 동맥파동이 뇌혈류를증가

시켜 일어나며 이완기 움직임은 척수막의 틴성빈동 (elas ti c

reco i l) 과 총뇌정맥의 유출에 의해 유발된다 (1 -9) . 호흡이 뇌

척수엑흐름의 박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흡기동안 증가된

정 맥환류에 의해 경막외 정맥이 허탈되어 미측방향으로의 뇌척

Fig. 3. A 61-year-old patient with aqueductal stenosis. A & B. Turbulent flow of CSF is noted within the third and the fourth ventricle. Bu t, there is a

• weak flow in aqueduct (arrow s), indi cati ng in complete obstru ction at aqueduct level ‘

뼈 없 따 내 뼈 빼

,

o

a R

e

s r

·핑 엔 ?

”“

l

s --

m

·E

’ m [

d

낀jυ 앉 S

야“

·

잉 V

h

<

1‘

m

따 O

p x m

뼈ι때

m

ι에 敏νM Mιm

η4 ψ ,“μ x P4 았 a l

;

ιμ r·m

·κ 와Jm 떠 ‘매

A

m

엑 ψι때 표 ·m

쟁 m

4t

I t

e

녀 [

y : m

‘ m M m d

n

h.

·m」이

L -U

I

F I

%

멋」 V

F•

마 A

-m G g m um h

수액흐름이 발생되고호기동안 팽창된 경막외정액에 의 해 반대

방향의 흐름이 생긴다 (1 , 9, 10) . 정적 자기공명영상에서 뇌척 수액의 움직임은 aqueduct of Sylvius Y- 마젠디공에서 신호결 여로 관찰된다. 이러한 신호결여는 정상적으로도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정중시상면에 대한 통로의 크기와 위치에

관계된다. 심장주기에 관련된 뇌척수액 진동양상을 영상화한

2-D Cine PC 기법은 정적 자기공명영상에 비해 뇌척수액의

흐름을 찾는데 더 예민하다 (1 ).

2-D Cine P C 기법은 한 방향으로 감작시켜 그 축으로의 신

호를 증강시키는 반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신호를 없애는

• 364 -

Page 5: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대한밤시선의학호1;':1 1997 ; 36 : 361-367

방법으로 최저음영과 최고음영의 신호는 감작된 축의 서로 반 움직임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얻어진 뇌척수액류 속도

대 방향의 최고 속력을 의미하며 중간음영 (medium gray)은 에 대한 정보들은 심장주기에 따라 균등한 간격로 나누어 재구

A B C Fig . s. A 38-year-old patient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due to anterior communicating aneurysm A. Hyperdynamic f10w is seen in the third and fourth ventricles and f10w signal at the aqueduct (arrow) is di storted and discontinued B. On serial phase, high signal intensity of systolic f10w is seen at aqueduct without distortion ‘

c. After shunt operation, the hyperdynamic f10w is disappeared. Bu t, there is no signal intensity in the intraventricular portion, probably due to weak f10w

A B C Fig. 6. A 19-year-old patient with tuberculous meningitis A. Gd-enhanced Tl weighted sagittal image shows marked enhancement of the basa l cistern , ambient cistern and spinal canal. Hydrocephalus is seen B. In diastolic phase, dark signal is noted onl y in aqued uct (arrow) ‘ There are no f10w signals in subara chnoid spaces C. In systolic phase, faint high signal is seen in aquedu ct (arrow)

%

Page 6: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김혀|영 오I :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 hn ique

성된다 (1, 8, 11 ).

뇌척수액은 수축기에 미측방향, 이완기에 두측방향으로 흐르

고 대부분 뇌척수액 통로를 따라 서로 다른 부위에서 비동시성

으로 일어난다. 모든 통로에서 이완기 박동이 있는 시점에서부

터 관창하면 뇌척수액의 초기 흐름은 마젠디공을 통해 대조

(cis terna magna)로, 대조에서 후경부지주믹하강으로 일어난

다. 흐름은 다시 전경부지주막하강과 경사대후방조 (retrocliv­

a l cistern) 에서 나타나고 다음 제 3뇌실후부, aqueduct와 제 4

뇌실 상부에서 보인다. 제 4 뇌실 제 3 뇌실후부의 역류로모든

흐름이 두측 파동을 보이게 되며 다음 순환이 시작된다. Aque­

duct에서는 서로 다른 기간에 정상적으로 이상성 (biphasic)

의 파동을 보이며 제 4뇌실 내에서는 상부와 하부에서 비동시

성의 파동을 보인다. 즉 뇌척수액흐름은 비동시성으로 뇌실계

의 흐름이 지주막하강에 비해 약간 늦어지며, 대부분의 통로에

서 움직임이 일측성이지만 aqueduct -제 4 뇌설과 대조에서 。l

상성파동을 보인다 (1 -9) .

폐색에 의한 뇌수종의 경우 두측과 미측으로의 정상적인 흐

름이 협착부에서 없어지거나 심하게 약화되었고, 뇌압이 증가하

거나 뇌실격리 또는 비동시성의 와류가 있는 콧에서는 과역동

적 (hyperdynamic)흐름이 보였다. 수모세포종에 의한 aque­

du ct 폐색환자에서 이콧을 통과하는 신호가 없었다. 제 4 뇌실 유출로의 폐색에 의한 격려뇌실을 형성한 경우 뇌척수액 박옹

은 그부위에 국한되고 진행이 없는 현저하면서 지속적인 파동

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8). 본 연구에서 aqueductal

stenosis 환자에서 3뇌실과 4뇌실에 과역동척 흐름이 있었고,

aqueduct에서아의 흐름은 차단되지 않았는데, 이는 완전한 폐

색이 없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뇌수종환자에서 폐색부위에 따라 뇌척수액역동의 양상이 달

라져 키아리기형환자 같이 대후두공에 폐색이 있는 경우

Magendi공과 후경부지주막하캉의 초기박동이 없거나 감소된

다는 보고가 있으나 (2, 8, 12) , 저자들의 예는 키아리기형환자

에서 소뇌편도에 의한 대후도공부위의 폐쇄가 없어 같은 현상

을 볼 수는 없었다. 경추부 척수공동에서 수축기와 이완기에 뚜

렷한 신호변화가 있어 뇌척수액의 흐름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로서 외상에 의한 척수연화와 감멸할 수 있다 (1) .

비교통성 뇌수종으로 생각하였던 3명의 환자 중 소뇌에 전이

성암이 있었던 환자는 정상흐름을 보였는데 , 이는 종괴의 압박

이 불완전하여 뇌척수액 흐름이 유지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

나 뇌수종의 원인이 뇌실수준에서 일어난 것이므로 흐름이 있

다고 하더라도 불완전한 폐색의 비교통성 뇌수종으로 진단하는

것이 합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통성수두종으로 생각하였던 지주막하출혈환자에서 aque ­

duct와 제 4뇌실에서 강한 고신호강도의 외류와 제트류가 있었

는데 이는 혈병에 의해 aquedduct 수준에서 폐색이 얼어났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뇌단락수술후 뇌수종이 호전되었고 aque­

duct에서 보이던 와류가 사라졌는데 , 이는 혈병이 제거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하였다. 수술후 신호강도가 매우 약화되었는데

원인은 알 수 없지만 뇌척수액의 흐름의 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결핵성 뇌막염의 경우는 지주악하 공간에서 심한 염증에 의

해 뇌척수액의 흐름이 방해되어 뇌수종이 유발된 것을 알 수 있

었다. 신호강도가 미약하였던 나머지 환자는 뇌척수액의 속도

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감소된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뇌실계에

서 특별히 신호가 없어지거나 와류를 보이는 부분이 없어 교통

성 수믹증으로 진단하였다. 신호강도가 너무 약해 영상분석이

어려웠던 1명의 환자는 뇌척수액의 흐름이 veloci ty encoding

보다 낮은 속도로 흐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뇌위축환자에서

는 정상적인 흐름을 보여 뇌혈류흐름의 장애에 의한 뇌수종이

아니라 실질의 감소 때문에 뇌실거대가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

다.

뇌척수액흐름의 2D -cine PC 자기공명영상을 해석하는데 주

의할 사항은 흐름이 ‘없다’고 진단한 것이 실제로 폐색이 아니

라 매우 느린 뇌척수액흐름을 나타내거나 영상단면에서 벗어난

경우일 수 있다는 것, 연속적으로 보이는 흐름이 두 개의 불연

속적 공간의 박동에 의해 보일 수 있다는 것과 수렴이나 와류,

박동의 aliasing 에 의해 불연속적 흐름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이

다 (8).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임상적 적용여부에 대한 결과를 평

가하기에는 대상이 적였고 둘째 , 기술적 제약으로 velocity

encoding을 5cm/ sec 미만으로 낮출 수 없어 신호가 없는 경우

실제로 폐색이 있는지 흑은 5cm/ sec 미만의 매우 qft한 흐름때

문인지 알 수 없으므로 특히 제 3뇌설조루술을 시행한 환자에

서 수술의 성공여부를 짐작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러한 기술적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면 흐름이 믿f한 부위에서

신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전폐색과 감별할 수 있을 것이라 생

각된다.

결론적으로 2-D cine PC MRI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정상

과 비정상의 뇌척수액 흐름을 잘 보여주며 신호강도 및 신호양

상의 변화로 폐색부위를 결정할 수 있어 뇌수종에 대한 진단적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뇌실복강단락술과 제 3뇌실조루

술과 같은 치료의 효율성을 예측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것으로 사료된다.

;한 끼 무 허 口

1. Quencer RM , Donovan-Post MJ , Hinks RS. Cine MR in the

evaluation of normal and abnormal CSF f10w ’ intracranial and

intraspinal studies. Neuroradiology 1990 ; 32: 371-391

2. Bhadelia RA, Bogdan AR, W이pert SM, Lev S, Appignani BA.

Heilman CB. Cerebrospinal f1uid f10w waveforms: analysis in

patients with Chiari 1 malformation by means of gated phase contrast MR imaging velocity measurements. Radiology 1995;

196 : 195-202

3 ‘ Bhadelia RA , Bogdan AR , Wolpert SM. Analys is of the

cerebrospinal f1uid f10w waveforms using gated phase contrast

MR velocity measurements. AJNR 1995; 16: 389-400

4. Enzmann DR, Pelc NJ. Brain motion: measurement with phase­

contrast MR imaging. Radiology 1992; 185 : 65 3-660

5. Enzmann DR, Pelc NJ. Cerebrospinal f1uid f10w measured by phase-contrast cine MR. AJNR 1993; 14: 1301- 1307

• 366 -

Page 7: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H한밤시선의학회지 1997 ; 36: 361-367

6. Enzmann DR, Pelc NJ. Normal flow patterns of inracranial and

spinal cerebrospinal fluid defined with phase-contrast cine MR

imaging. Radiology 1991; 178: 467-474

7. Levy LM , Di Chiro G. MR phase imaging and cerebrospinal

fluid flow in the head and th e spine. Neuroradiology 1990 ; 32

399-406

8. Naidich TP , Altman NR, Gonzalez-Arias SM. Phase contrast

C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normal cerebrospinal fluid oscil­

lation and applications 10 hydrocephalus. Neurosurgica 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4. Philadelphia, Pa: Saunders, 1993;

677-706

9. Fe inberg DA. Modern concepts of brain motion and cerebro­

spinal fluid flo w. Radiology 1992; 185 : 630-632

10. Schroth G, Klose U. Cerebrospinal fluid flow . 1I. Physio logy of

respiration-related pulsations . Neuroradiology 1992; 35: 10- 15

11. Quencer RM. Intracranial CSF flow in pediatric hydrocephalus

Evaluation wit h cine-MR imaging. AJNR 1992; 13: 601-608

12. Armonda RA , Citrin Cl\ι Foley KT, Ellenbogen RG. Quantitat­

ive cine-mod 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Chiari

malgormations : an analysis of cerebrospinal fluid dynamics

Neurosurgery 1994; 35 ‘ 21 4- 224

13. Nitz WR, Bradley WG, Watanabe AS, et al. Flow dynamics of

ce rebrospinal fluid: assessment with phase-contrast velocity

MR imaging performed w ith retrospective cardiac gating. Radi -

010‘gy 1992; 183: 395-40

J Korean Radiol Soc 1997; 36 : 361 - 367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Preliminary Clinical A pplication 1

Hyae young Kim , M.D. , Hye Young Choi, M .D. , Seung Yeon Bae1ι M.D. Sun Wha Lee, M.D. , Eun Joo Ko, M.D. 2, Myung Sook Lee, M.D. 3

1 Department of Rad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2Depart ment of Radiology, Eulgi Medical Center

3Department of Radiology, Samsung Cheil Hospital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2-D Cine PC (phase contrast) technique in visualizing the pattern and the site of abnormal CSF f10w and to assess the effect of a third ventriculostomy in patients with hydrocephalu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three no야rma떠1 controls and 13 pa따t디ien따t않s with hydroceph때a때lus , as shown on CT or MRI, and two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eir third ventriculostomy. The technique was EKG-gated 2-D Cine PC MRI with velocity encoding 5cm/sec,

TR 80msec, TE 12.3 - 15msec, and f1ip angle 15 - 60 degrees. Image quality was analyzed for vari­able sequences, and CSF f10w was observed along the CSF f10w pathway. We analyzed continuity and intensity of the CSF f10w signal, and obstruction site and f10w velocity degree were then de­fined .

Results: Systolic high and diastolic low signal intensity along the CSF f1ow-pathway, with nor­mal asynchronicity and continuation, were clearly seen in normal controls . In three patients, there was obstruction at the ventricular level while others were either normal or showed a normal pat­tern with a weak signal. ‘Normal’ was defined as noncommunicating hydrocephalus and the latter as communicating hydrocephalus. In the two patients who had undergone ventriculostom)ι a signal was in one case detected at the site of the third operation.

Conclusion: A 2-D Cine PC CSF f10w study enables us to see CSF f10w signals noninvasively and to detect the site of obstruction of a CSF f1ow-pathway. It can therefore it can be useful for determining the application of a ventriculoperitoneal shunt and assessing the effect of a third ventriculostomy.

Index Words: Brain, MR Magnetic resonance (MR), f10w studies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ae Young Kim , M.D. , Department of Radiology ,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 911-1 MokDong YanCheon-Ku, Seoul Korea . Tel. 82-2-650-5173-4 Fax.82-2-644-3362

m

ν

Page 8: CSF Flow Image Using Phase-Contrast Cine MR Technique · 2016-12-26 · 명과 소뇌에 전이성 종양, 수모세포종, aqueductal s tenosis, 뇌 낭미충증, 제 1키아리기형이

1997년도 때한방사선의학회 중요행사 일정 안내

일 정 대 회 구 분

내 용 마감일 / 일정 장 ~、-

쉬|링연구계획서 신청마감 97. 1. 1 5(수)

Bracco 기금 신청마감 97. 1. 1 5(수)

1차시험 97. 1. 1 6( 목) 서울대병원

저140자전문의 시염 2차슬라이드시험 97. 1. 23(목) 서울대병원

2차구술시험 97. 1. 24( 금) 팔레〈호텔

학술상,저술상 신청마감 97.2. 1 5( 토)

10th ECR 10th ECR 97. 3. 2( 일 ) - 3. 7 ( 목) Vienna, Austria

5th ISMRM 5th ISMRM 97. 4. 1 2(토) -4. 1 8( 금) Vancouver , Canada

준계전공의 연수교육 춘계 전공의 연수교육 97. 4. 19(토) 13 : 00 - 경주현대호텔

초록제출마감 97. 2. 15(토)

97년도준계학술대회 전시업체 Booth 신청 마감 97. 2. 15(토)

춘계학술대회 97. 4. 18(금)-4. 19(토) 경주현대호텔

전공의 오리엔테이션 신입전공의 오리엔테이션 97. 5. 17(토) 정

전공의펑가고사 응시자사전등록마감 97. 5. 15(목)

전공의 평가고사 97. 5. 31(토) 14 : 00 전국 5 - 6개 지역

수련병원 진단방사선과 전공의 지도감독서류조사 97.4. 30(수)

전공의지도감독 전공의 지도감독 방문조사 97. 6. 16(수) -6. 30 ( 월)

97th ARRS 97th ARRS 학회 97. 5. 4( 일) -5. 9 (금) Boston, USA

제 10자 한일방사선의학회 초록제출마감 97. 2. 15(토)

제 10차 한일방사선의학회 97. 6. 6(금) - 6. 7( 토) 일본나가사끼

사전등록마감 97. 4. 30(수)

저119자 전문의 연수강좌 전시업체 Booth 신청 마감 97. 4. 30(수)

제 19차 전문의 연수강좌 97. 5. 24(토) 부산해운대

한중의학학술대회 한중방사선학회 (Symposium) 97. 7. 7(월 ) -7. 9 (수) 중국북경

‘ 초록제출마감 97. 7. 31(목)

저153자 학술대회 및 종회 사전등록마감 97. 8. 30 (토)

전시업체 Booth 신청 마감 97. 7. 31(목)

제 53차 학술대회 및 총회 97. 10. 1 6 (목)-10. 18 ( 토) 호텔롯데월드

83th RSNA 83th RSNA(북미방사선의학회) 97. 11. 30( 일) - 12. 5(금) Chicago, USA

흉부방사선과학 97. 1. 15(수) 18:00 - 20:00 삼성의료원

복부방사선과학 97. 2. 19(수) " ’

신경 방사선과학 97. 3. 19(수) y y

근,골격계 방사선과학 97. 4. 2 (수) " "

중재적 방사선과학 97. 5. 21(수) y "

Imaging Conference 소아방사선과학 97. 6. 1 8 (수) y "

비뇨생식계 방사선과학 97. 7. 16(수) y

유방방사선과학 97. 9. 24(수) " "

흉부방사선과학 97. 10. 8(수) " y

복부방사선과학 97. 11. 1 9( 수) " "

신경 방사선과학 97. 12. 1 7( 수) " "

- 3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