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Chapter 09. 종양 NEOPLASM

Chapter 09.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up/sonhohee/8.pdf중간엽조직) origin . 비상피성조직에 생긴 악성종양 ... - stomach, intestine, breast, kidney, uterus,

  • Upload
    others

  • View
    6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Chapter 09. 종양 NEOPLASM

1. 종양의 정의 • Neoplasia = 신생물 • Neoplasm (종양) ; 비정상적인 성장에 의한 조직의 덩어리

• 일반적인 의학적 용어 ; tumor (종양) • benign or malignant)

• 악성종양 ; cancers (암)

2. 종양의 명명 및 분류

• 양성종양 (Benign tumor) - 전이가 되지 않는 종양 (adenoma, papilloma, polyp) - 발생모세포와 유사한 형태 및 구조

• 악성종양 (Malignant tumor)

- 형성 후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종양 -sarcoma : mesenchymal tissue (중간엽조직) origin 비상피성조직에 생긴 악성종양 -carcinoma : epithelial cell(상피세포) origin 상피조직에 생긴 악성종양

2. 종양의 명명과 분류

조직발생학적 분류(histological classification)

• 상피성종양 (epithelial tumor)

• 비상피성종양 - 중간엽성종양 (mesenchymal tumor)

양상에 따른 분류(histological classification)

• 양성종양 (benign tumor): – 양성 간엽성종양

• 근종(myoma), 골종(osteoma), 연골종(chondroma), 등

– 양성 상피성 종양 • 샘종, 선종(adenoma), 유두종(papilloma) • 예외: melanoma, hepatoma

• 악성종양 (malignant tumor) – 악성 상피성종양: 암종(carcinoma)

• 기원한 세포나 성장 양상에 따라 • 종양이 기원한 장기에 따라

– 악성 간엽성종양: 육종(sarcoma) • 육종(sarcoma), 골육종(osteosarcoma), 지방육종(liposarcoma)

생물학적 성상 (biologic behavior)에 따른 분류 – 양성종양 (benign tumor) – 악성종양 (malignant tumor) – Low grade malignancy (locally aggressive, borderline)

• 기원조직에 의한 분류

– 단일 실질(simple tumor) 세포형 – 혼합세포형: 혼합종양 (mixed tumor) – 기형종 (teratoma)

3.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특성

1. 종양의 성장속도(rate of growth) 2. 성장양상(mode of growth) 3. 전이(metastasis) 4. 재발(recurrence) 5. 전신상태(general condition)

종양의 성장속도 (Rate of Growth)

• 종양 성장속도의 결정 – 종양세포의 분화도와 관계되며 대부분의 악성 종양은 양성 종양보다 빠르게 성장

• 관련인자: – 호르몬 (예: 자궁근종- 에스트로겐의 영향)

– 적절한 혈액공급

– 숙주의 방어적인 면역반응

국소침윤 (Local Invasion) • 양성 종양

– 팽창성으로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압축된 결체조직인 섬유성 피막(encapsulation) 형성

– 쉽게 만져지고 유동성이고 잘 분리되며 외과적으로 적출이 쉬움

• 악성 종양 – 침습성(Infiltration) 성장을 보이므로 주위의 정상조직과 경계가 불분명

– 천천히 자라는 팽창성 악성종양은 피막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피막이 있어도 조직학적으로 거의 주위조직을 침윤

전이 (Metastasis)

• 혈행성 전이 (hematogenous spread)

: sarcoma의 흔한 전이경로

• 림프성 전이 (lymphatic spread)

: calcinoma의 흔한 전이경로

(1) 상피성 종양

1) 양성상피성 종양 Benign epithelial tumors : 유두종, 샘종 등 ① slow. expansive growth ② 주위조직 압박하여 혈액순환 장애 : 그러나, 서서히 성장하므로 necrosis까지는 일어나지 않는다.

③ metastasis하지 않는다. ④ 현미경적으로 정상조직과 아주 닮아있다.

⑴ 유두종(papilloma) ① 육안

epithelial surface에서 finger-like 또는 warty projection으로 보일 때

② 현미경적 neoplastic epithelial cell들이 cancer nest 형성 normal epithelium과 닮아있다.

③ 장소 squamous cell papilloma - skin, palate, larynx transitional cell papilloma - urinary tract

이행상피 유두종

⑵ 샘종(선종, Adenoma) * 원주상피 기원의 종양 ① 구성 : glandular columnar epithelium ② 장소 : intestine, breast, pancreas, thyroid, parathyroid,

salivary gland ③ 현미경적 잘 분화된 구조 normal gland tissue에서와 비슷한 secretion secretion한 것이 고여서 gland 팽창 → cyst formation

- 용종(polyp) mucosal surface에 돌출하는 neoplasm 예) gastric or colonic lumen에 돌출

2) 악성상피성 종양 Malignant epithelial tumors (=calcinoma)

① 40세 이상에서 나타남. ② rapid growth, infiltrative growth but, sarcoma보다는 느림 ③ 인접 tissue를 침범 파괴하여 necrosis, hemorrhage일으킨다.

⑴ 편평상피암 Squamous cell carcinoma ① 장소 - squamous epith.으로 덮인 장소, uterine cervix,

skin, Esophagus, larynx. metastasis하여 urinary tract, bronchus에도 간다. ② 육안 - nodular, papillary, 넓게 infiltration or ulceration ③ 현미경적 - keratin 주위에 prickle cell 존재

⑵ 샘암종(선암, Adenocarcinoma) - squamous cell papilloma 보다 더 흔하다. ① 장소 - stomach, intestine, breast, kidney, uterus,

thyroid, pancreas ② 육안 - malignant하므로 black color로 나타난다. gland가 많은데 여러 층으로 멋대로 생겨있어 normal과 다르다.

⑶ 이행성상피암 transitional cell carcinoma ① 장소 - urinary bladder에 가장 흔함. ② 육안 - papillary, nodular tumors diffuse or ulcerated tumors

(2) 비상피성 종양

1) 섬유조직의 종양 (1) 섬유종 Fibroma ① 구성 - well-developed fibrous CT ② 장소 - 평소 fibrous tissue가 많은 곳에 잘 생긴다 Skin, fascia, tendon, subcutaneous tissue, kidney ovary breast. intestine 등 ③ nature - slow, expansive growth → encapsulation ④ 육안 - rounded or lobulated mass, hard or soft

(2) 섬유육종

2) 지방조직의 종양 (1)지방종 Lipoma ① 성분 - mature adipose tissue ② 장소 - subcutaneous tissue of neck, shoulder & buttock, omentum, retroperitoneum, mediastinum ③ nature - slow growing, very common, encapsulated ④ 육안 - soft yellow, multilobular mass, 정상 adipose tissue와 같다. ⑤ 조직학적 - thin fibrous septa로 구분된 vacuolated fatty

tissuesudan III stain하면 red color

(2) 지방육종 Liposarcoma ① malignant lipoblast nuc.가 거대하다. ② 장소 - retroperitoneal tissue에 생긴 pre-existing lipoma에서 ③ 종류 ㉠ 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 ㉡ myxoliposarcoma myxomatous stroma에 lipoblast와 capillary의 proliferation ㉢ pleomorphic (anaplastic) liposarcoma 다른 anaplastic mesenchymal tumor와 분간하기 힘든 pleomorphic

feature 갖는다

3) 연골 및 뼈에서 일어나는 종양 (1) 골육종 Osteosarcoma - osteoblast가 많이 나타난다. ① 장소 - long bone의 end femur, tibia, fibula등의 knee j.근방 - 75% humerus의 shoulder j.근방 - 나머지 ② 성장기의 청소년(15-25세)에 잘 발생 ③ 종류 ㉠ Osteolytic - osteoblast많고, bone tissue는 거의 없다.

4) 근육의 종양 (1) 민무늬근종(평활근종, Leiomyoma)

① 장소 - smooth muscle 특히 uterus의 myometrium, esophagus, GI tract, prostate, ovary ② 자궁근종 ㉠ 육안적 - rounded, sharply circumscribed mass, normal smooth m.과 거의 비슷

(2) 민무늬근육종(평활근육종, Leiomyosarcoma) ① 장소 - uterus, stomach ② 육안 - necrosis와 hemorrhage를 동반하는 soft. non-encapsulated mass ③ 현미경적 - cytoplasmic & nuclear pleomorphism

(3) 가로무늬근육종(횡문근종, Rhabdomyoma) ① 장소 - skeletal m.과 cardiac m. striated m. ② 드물다

5) 혈관종(hemangioma) – 대부분 benign – 모세혈관종(capillary hemangioma) – 해면상혈관종(hemangioma cavernosum) : 딸기반점(strawberry mark)

6) 신경-외배엽에 유래되는 종양 (1) 신경교종glioma

⑴ 성상교세포종 astrocytoma - 성인의 대뇌반구에 호발하는 성상교세포의 이상증식에 의한 종양

⑵ 희돌기 교종(핍지신경교종) oligodendroglioma - 분화시기에 유래되어 형성된 종양으로 발생률은 낮다

⑶ 성상교 아세포종 astroblastoma - 성상교세포 보다 약간 미숙한 성상교 아세포로 이루어지며 대뇌반

구 백질부에서 빈발하는 악성종양

(2) 흑색종(melanoma) melanin 색소 생성세포로 형성된 암 ① 말단성 흑점양 흑색종 acral lentiginous muscle ② 연소성 흑색종 juvenile muscle ③ 악성검은사마귀 흑색종 lentigomaligna muscle ④ 악성흑색종 malignant muscle

7) 조혈장기 및 림프성 조직에 유래되는 종양 (1) 악성림프종(lymphoma) (2) 호지킨병 (3) 백혈병 ① 급성림프성 백혈병 acute lymphoid leukemia(ALL) ② 만성림프성 백혈병 chronic lymphoid leukemia(CLL) ③ 급성골수성 백혈병 acute myeloid leukemia(AML) ④ 만성골수성 백혈병 chronic myeloid leukemia(CML)

4. 암의 진행도와 병기

암 병기(Stage) 분류

□ 종양의 병기(Stage)

암의 성장과 확산 정도를 나타냄

□ 병기 결정 방법

임상적 진찰, 수술적, 병리학적 검사, 영상 의학적 검사

□ 병기구분 목적

치료 계획, 예후에 대한 지침, 치료 결과의 평가에 도움

□ 암병기 분류 종류

SEER 분류법, TNM 분류법

참고문헌 정형재 외. 알기쉬운 인체병리학, 정담미디어, 2013 김민수 외(Catherine et al., 원저). 치료사를 위한 병리학, 이퍼블릭,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