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 1 - 제24회 서울학생탐구발표대회 보고서 ※출품번호 내용물에 따른 용기의 관성모멘트 측정 (진자의주기를이용) 2009. 8. 28. 소 속 청 학 교 명 학 년 성 명(팀명) 강동교육청 풍성중학교 3 권 세 호

※출품번호 내용물에따른용기의 관성모멘트측정 (진자의주기를이용) 실험4(전체가채워지는경우)에서는흙의관성모멘트가가장컸고,물,기름의순서대로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1 -

제24회 울학생탐 발표대회 보고

※출품번호 내용물에 따른 용기의

성모멘트 측정

(진자의 주기를 이용)

2009. 8. 28.

청 학 명 학 년 명(팀명)

강동 육청 풍 중학 3 호

- 2 -

※ 탐구주제

<내용물에 따른 용기의 성모멘트 측정(진자의 주기를 이용)>

I.탐구 계획

가.탐구 동기

학교 1학년 여름방학 때 나는 '통 속 내용물의 종류 질량 차이와 회 이동거리

의 련성 탐구'라는 주제로 탐구발표 회에 나간 이 있다.이 탐구는 용수철 기구를

만들어서 내용물이 든 통을 어 얼마나 멀리 이동하는지 그 거리를 재서 비교하는 실험

이었는데,당시에 했던 실험은 통이 용수철에 잘 맞지 않아 거리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

았고,결과를 해서 명확하게 해석하지 못해서 상당한 아쉬움이 남았었다.

따라서 나는 이번 탐구에서 지 까지 공부했던 물리 지식들을 이용하여 1학년 때는 측

정하지 못하고 비교만 하 던 통의 회 성을 직 측정,수치화해서 비교해보고,내용

물에 종류와 양에 따른 회 성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비교하고자 하 다.

나.탐구 목 알아보고 싶은

1.내용물의 양이 같을 때,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성모멘트 값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본다.

2.내용물의 종류가 같을 때,통 속에 든 내용물의 양에 따라 성모멘트 값이 어떻

게 달라지는지 알아본다.

3.결과가 어떻게 나왔으며, 이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를 과학 으로 분석해본

다.

다.탐구 기간 기간별 탐구 내용

2009년 8월 1일 ~ 2009년 8월 9일

탐구 주제 선정

2009년 8월 10일 ~ 2009년 8월 16일

련 서 참조 실험 계획

2009년 8월 17일 ~ 2009년 8월 20일

실험 비물 구매 실험 비

2009년 8월 21일 ~ 2009년 8월 22일

실험․탐구

- 3 -

2009년 8월 23일

실험 결과 분석

2009년 8월 24일 ~ 2009년 8월 25일

탐구보고서 작성 수정

2009년 8월 28일

탐구발표 회 출품

II.탐구 비

가.실험 방법 고안

1학년 때 했던 탐구와 연계하여 통의 회 성( 성모멘트)을 측정하려면 회 성의

정의가 필요하다.

1. 성모멘트에 하여

강체를 작은 입자의 모임으로 생각하고,이 강체가 각속력 ω로 고정된 축에 하여 회

한다고 가정하자.

사진 1. 강체 회전운동에 지

이러한 개개 입자의 운동 에 지는 그 질량과 선 속력에 의해 정해진다.번째 입자의

질량은 ,속력을 라 하면 이 입자의 운동에 지는

이 된다.강체 내의 모든 입자는 같은 각속력 ω를 갖지만,그들 각각의 선 속력을 회

축으로부터의 거리에 의해서 결정된다.회 강체의 체 운동에 지는 각 입자의 운동에

지의 합이다.

- 4 -

이 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은 모든 입자에 하여 동일하므로 호 밖으로 뽑아냈다. 호 안의 양을

성 모멘트(momentofinertia)로 정의하고 이것을 I로 표시하면

이 된다.( 학물리학 I(PhysicsforScientistsandEngineerswithModernPhysics),

RaymondA.Serway,p211-212.)

2.평행축 정리

질량 심을 지나는 임의의 축에 한 성모멘트를 이라고 하자.평행축 정리에

따르면 질량 심을 지나는 축으로부터 거리 D만큼 떨어져 있고 이 추과 평행한 축에

한 성 모멘트는 다음과 같다.

( 학물리학 I(PhysicsforScientistsandEngineerswithModernPhysics),Raymond

A.Serway,p215.)

3.물리 진자

철사로 만든 옷걸이의 무게 심을 잘 맞추면 옷걸이에 달린 고리 부분에 둘째 손가락

을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이 옷걸이를 다른 손으로 조그만 각변 만큼 움직여서 놓는

다면 그것은 진동하게 된다.매달려 있는 물체가 질량 심을 통과하지 않는 고정축 주

로 진동하며 그 물체가 질 으로 정확히 근사될 수 없다면,그 계를 단진자로 취 할 수

없다.이 경우 그 계를 물리 진자(Physicalpendulum)라 한다.

( 략)물리진자의 주기는 다음과 같다.

( 학물리학 I(PhysicsforScientistsandEngineerswithModernPhysics),Raymond

A.Serway,p342.)

와 같이 물리 진자와 평행축 정리를 이용하면 질량 심이 회 축이 되었을 때 통의

성모멘트를 측정할 수 있다.

- 5 -

※ 평행축 정리와 물리 진자는 평면 강체에서 정의된 것이라고도 하는데,평면 강체에서

정의되더라도 통의 회 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이것은 통을

근사 으로 여러 개의 질량 심이 같은 치에 있는 평면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기둥이라

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뒤의 실험 방법에서 언 되겠지만,통에 같은 길이의 을 여러

개를 연결하여 진동시키면,이 상황은 마치 같은 질량 심의 여러 개의 평면들이 같은

길이의 실로 단진동 하는 상황과 같다. 한 성 모멘트는 스칼라량이므로 이 평면들의

성모멘트를 모두 더하면 통의 성모멘트가 된다.(아래 실험에서 실의 질량은 거의 무

시될 수 있다.)

나.실험 비

략 인 실험과정은 다음과 같다.

1)같은 크기와 모양의 3개의 우유병에 체 높이의 1/4,1/2,3/4되는 지 에 각

각 낚싯 을 세 번씩 감아 묶고,묶고 나서 50cm를 남기고 낚싯 을 자른다.(이

때,테이 의 크기와 붙이는 치를 세 병 모두 같게 하고,묶고 50cm를 남긴 낚싯 의

시작 을 세 지 이 평행하게 한다.)

사진 2. 낚싯 묶 병

2)회 축(실험에서는 빨래 걸이를 사용)에 두꺼운 종이를 걸어 놓고,회 축에서

수직으로 40cm되는 지 에 표시한다.

3)빈 통을 회 축에 매달아(빈 통과 회 축이 평행이 되게 함)진동시켜 그 궤도

를 략 으로 악한다.

4)40cm되는 지 에 표시한 곳에서 많이 멀지 않은 궤도상의 한 을 택해서 표

- 6 -

시한다.

사진 3. 회전 에 종 착 사진 4. 종 에 시 점 표시

5)세 병에 물,기름,흙을 각각 통 체 높이의 1/4씩 넣는다.

사진 5. 통에 흙 기 사진 6. 내 물 통

6)세 병의 질량을 잰다.

사진 7. 질량 측정

7)각 병을 부착된 낚싯 을 이용하여 회 축에 연결시켜 진자를 만든다.이 때

통의 앙이 [2)]에서 표시한 40cm 지 에 오게 하도록 한다.(질량 심이 가능한

가까이 40cm 지 에 오게 하기 함)

- 7 -

사진 8. 진 형

8)[4)]에서 표시한 지 까지 통을 궤도를 따라 올리고,통을 놓아 진동 운동시

켜 다시 원 치로 돌아올 때 까지 걸린 시간(주기)을 10번 정도 반복하여 측정한

다.

사진 9. 진 주기 측정

9) 의 과정을 빈 통의 경우와 체 높이의 1/2,3/4,1만큼 채우고 반복한다.

III.탐구

가.실험 1-내용물을 통의 1/4만큼 채웠을 경우

통에 1/4만큼 내용물을 채웠을 경우 그 주기는 다음과 같다.(주기의 단 : )

- 8 -

표 1.통의 1/4만큼 채웠을 때 내용물에 따른 주기 측정

구분 물 기름 흙

1차 1.32 1.24 1.39

2차 1.33 1.26 1.41

3차 1.33 1.29 1.42

4차 1.35 1.29 1.42

5차 1.36 1.31 1.43

6차 1.36 1.31 1.44

7차 1.37 1.31 1.45

8차 1.38 1.32 1.47

9차 1.38 1.32 1.48

10차 1.39 1.33 1.49

11차 1.39 1.34 1.5

주기의 평균(단위 : 초) 1.36 1.301818 1.445455

사진 10. 기름 질량 측정

사진 11. 기름 진 운동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물이 1.36 ,기름이 1.30 ,흙이 1.44 가 나와 체 인 주기의 순서는 흙

>물 >기름 순이 되었다.

나.실험 2-내용물을 통의 1/2만큼 채웠을 경우

통에 1/4만큼 내용물을 채웠을 경우 그 주기는 다음과 같다.(주기의 단 : )

- 9 -

표 2.통의 1/2만큼 채웠을 때 내용물에 따른 주기 측정

구분 물 기름 흙

1차 1.46 1.45 1.46

2차 1.5 1.46 1.5

3차 1.5 1.46 1.51

4차 1.5 1.46 1.52

5차 1.51 1.48 1.53

6차 1.52 1.49 1.54

7차 1.56 1.5 1.54

8차 1.57 1.5 1.54

9차 1.57 1.51 1.57

10차 1.58 1.53 1.57

11차 1.59 1.54 1.59

주기의 평균(단위 : 초) 1.532727 1.489091 1.533636

사진 12. 1/2 채운 통

사진 13. 물 질량 측정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물이 1.53 ,기름이 1.48 ,흙이 1.53 로 물과 흙이 거의 비슷했지만 기름

은 이보다 주기가 짧았다.

다.실험 3-내용물을 통의 3/4만큼 채웠을 경우

내용물을 통의 3/4만큼 채웠을 경우 측정한 주기는 다음과 같다(주기의 단 : )

- 10 -

표 3.통의 3/4만큼 채웠을 때 내용물에 따른 주기 측정

구분 물 기름 흙

1차 1.46 1.47 1.57

2차 1.46 1.52 1.58

3차 1.46 1.53 1.59

4차 1.46 1.54 1.59

5차 1.47 1.54 1.6

6차 1.47 1.54 1.6

7차 1.48 1.55 1.61

8차 1.48 1.55 1.62

9차 1.48 1.56 1.63

10차 1.49 1.56 1.64

11차 1.49 1.56 1.65

주기의 평균(단위 : 초) 1.472727 1.538182 1.607273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물이 1.47 ,기름이 1.53 ,흙이 1.60 로 체 인 순서는 흙 >기름 >물

이었다.

라.실험 4-내용물로 통의 체를 채웠을 경우

표 4.통을 모두 채웠을 때 내용물에 따른 주기 측정

구분 물 기름 흙

1차 1.38 1.34 1.43

2차 1.38 1.34 1.45

3차 1.39 1.36 1.45

4차 1.39 1.37 1.46

5차 1.4 1.37 1.47

6차 1.41 1.37 1.51

7차 1.41 1.37 1.51

8차 1.41 1.4 1.51

9차 1.41 1.41 1.55

10차 1.43 1.42 1.56

11차 1.44 1.42 1.57

주기의 평균(단위 :초) 1.404545 1.379091 1.497273

- 11 -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물이 1.4 ,기름이 1.37 ,흙이 1.49 로 체 인 순서는 흙 >물 >기름

이 되었다.

※ 실험 4의 흙의 경우 낚싯 이 약간 늘어져 회 축에서 질량 심까지의 략 인

거리가 40cm가 아니라 45.5cm이 되었다.

사진 14. 회전 에 매달 기름통

마.실험 5-빈 통의 주기 측정

빈 통의 주기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주기의 단 : )

표 5.빈 통의 주기 측정

구분 주기

1차 1.28

2차 1.31

3차 1.31

4차 1.31

5차 1.33

6차 1.33

7차 1.33

8차 1.35

9차 1.36

10차 1.36

11차 1.39

주기의 평균(단위 : 초) 1.332727

- 12 -

IV.탐구 결과 분석

이 분석에서 계산되는 성모멘트는 '평균 인' 성모멘트라고 할 수 있다.왜냐하면,

물이나 기름이 가득 차 있지 않은 경우 이들은 유체이기 때문에 진자가 흔들릴 때 질량

심의 치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질량 심의 치가 바 더라도 통 안에서

바 기 때문에 그 변화가 미미해서 이는 무시가 가능하므로 '평균 인' 성모멘트라 하

고 분석하도록 하겠다.

가.물리 진자 상태에서의 성모멘트 계산

앞에서 물리 진자의 주기는

이었다.이 식을 정리하면 성모멘트 I는

이 된다.즉,통의 성모멘트를 구하기 해 필요한 것은 통의 질량, 력가속도,회 축

에서 질량 심까지의 거리,진자의 주기이다.실험을 통해 얻은 값은 다음과 같다.

(모든 표의 수치는 SI단 이다.)

표 6.여러 가지 측정 값

구분 거리 주기(물) 주기(기름) 주기(흙) 중력가속도

빈 통(실험 5) 0.4 - - -

9.81

실험 1 0.4 1.36 1.301818 1.316364

실험 2 0.4 1.532727 1.489091 1.533636

실험 3 0.4 1.472727 1.538182 1.607273

실험 4 0.4(흙은 0.455) 1.404545 1.379091 1.497273

표 7.통의 질량

구분 빈 통 통(물) 통(기름) 통(흙)

실험 1 0.058 0.321 0.284 0.331

실험 2 0.058 0.619 0.549 0.714

실험 3 0.058 0.891 0.822 1.175

실험 4 0.058 1.088 0.992 1.428

- 13 -

이를 통해 얻은 각 진자의 성모멘트 값은 다음과 같다.(표와 그래 의 성모멘트 단

도 SI단 이다.)

표 8.통 속 내용물에 따른 성모멘트 값(진자)

구분 물 기름 흙

빈 통 0.01024 0.01024 0.01024

실험 1 0.059014 0.04784 0.068379

실험 2 0.144541 0.121 0.166921

실험 3 0.192084 0.193311 0.301708

실험 4 0.211339 0.187528 0.361952

그래 1.통 속 내용물의 종류와 양에 따른 성모멘트 값.(진자)

나.회 축이 질량 심일 때 성모멘트 계산

평행축 정리를 이용하여

회 축이 질량 심일 때 성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여기서 D=0.4(실험 4흙의 경우

0.455)I는 각 경우의 성모멘트 값을 표에서 입하면 된다.이를 이용하여 구한 성모

멘트 값은 다음과 같다.( 성모멘트의 단 는 SI단 이다.)

- 14 -

표 9.통속 내용물에 따른 성모멘트 값(질량 심)

구분 물 기름 흙

실험 1 0.007654 0.0024 0.015779

실험 2 0.045501 0.03316 0.052681

실험 3 0.049524 0.061791 0.113708

실험 4 0.039529 0.028808 0.06632

그래 2.통 속 내용물의 종류와 양에 따른 성모멘트 값.(질량 심)

다.분석 -물리 진자에서의 성 모멘트

[그래 1.]에서 빈 통인 상태에서 내용물이 채워질수록 성모멘트 값이 증가하는 것

을 알 수 있다.특히 흙의 성모멘트 증가율이 가장 컸고,다음으로 물,기름 순서여서

실험 4( 체가 채워지는 경우)에서는 흙의 성모멘트가 가장 컸고,물,기름의 순서 로

성모멘트의 값이 작아졌다.기름의 경우 실험 3보다 실험 4의 성모멘트 값이 작았는

데,이는 흙과,물이 실험 3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서 실험하는 도 에 생긴 오차에 의

해 측정된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따라서 진자의 경우는 체 으로 계속 증가하는 경향

- 15 -

을 보 고.이는 물리 진자의 회 축에서 통이 40cm 정도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생각된다.회 축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면,운동하는 도 통 속 내용물의 움직임

의 효과(뒤에서 다루게 된다.)가 작아지게 되지만,통의 체 질량은 계속 증가하게 되므

로 성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그리고 증가율은 체 으로 흙 > 물 > 기름 순인데,

이는 도와 연 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모멘트는 질량과 회 축에서의 거리와

련이 있는데,흙은 물이나 기름보다 도가 크므로 같은 부피만큼 담으면 통의 질량의

증가율은 같은 경우의 물이나 기름보다 크다.따라서 성모멘트 값도 물이나 기름에 비

해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같은 원리로 물의 성모멘트 증가율이 기름의 증가율보다

크다.(질량 증가에 의한 회 성의 증가 효과)

라.분석 -회 축이 질량 심인 경우의 성 모멘트

1)유동성 결여에 의한 성모멘트 증가 효과

기름의 도가 물의 도보다 작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부피에서 기름의 성모멘트가

더 큰 구간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이유는 바로 통속의 내용물의 유동성 차이에 있었

는데,이는 통 속에 있는 내용물이 회 을 하게 되면,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힘( 력)을 받게 되어 아래쪽으로 내려가려 하고,이는 회 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

하게 된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내용물의 유동성이 작을수록 커서,물,기름,흙

에서 흙이 이 효과를 많이 받고,그 다음으로 기름,물 순이다.그리고 통 속 내용물이

어느 정도 증가하면 성모멘트가 감소하게 되는데,이는 통 속의 내용물이 차 으로

가득 차게 되면서 큰 비 을 차지하고 있었던 내용물의 유동성에 의한 효과가 사라지

게 되기 때문이다.즉,질량에 의해 성모멘트가 증가하는 효과보다,통 속 내용물의

유동성 결여에 의해 성모멘트가 증가하는 효과가 더 큰 것이다.그러므로 내용물이

간정도로 들어있는 통보다 가득 든 통이 더 회 시키기 쉽다.

- 16 -

2)이번 탐구에서 얻은 결과

1.이번 탐구 역시 내용물이 다른 세 통에서 모두 성모멘트 값이 증가하다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내용물이 가득 들어있을 때 굴리기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그래 상 1/2과 3/4지 사이(가로축 2번과 3번 사이)에서 물의 그래 와 기름의 그

래 가 만나는 까지,즉 빈통부터 내용물의 양이 체 통의 5/8정도 차기 까지는

물의 성모멘트 값이 기름의 성모멘트 값보다 크다.즉,이 범 에서 내용물의 유동

성에 의해 성모멘트가 증가하는 효과보다는 내용물의 질량에 의해 성모멘트가

커지는 효과가 더 우세한 것이다.

3.그러나 이후 가로축 2.5지 과 3.5지 사이까지는 기름의 성모멘트 값이 물

의 성모멘트 값보다 크다.즉,내용물의 양이 체 통의 5/8에서 7/8일 때까지는 내

용물의 유동성의 의한 성모멘트 증가 효과가 질량에 의한 성모멘트 증가 효과보

다 큰 것이다.

4.3.5지 부터 4번 지 ,즉 내용물의 양이 체 통에 7/8에서 가득 찰 때까지는

다시 물의 성모멘트가 기름의 성모멘트 값보다 크다.즉,이 떄는 질량의 의한

효과가 유동성 차이에 의한 효과보다 큰 것이다.

5.흙은 이와 무 하게 물과 기름의 경우보다 항상 성모멘트 값이 큰데,이는 흙

은 고체이기 때문에 물이나 기름보다 유동성 차이에 의한 효과가 크고, 도가 커

서 질량에 의해 성모멘트가 증가하는 효과도 크기 때문이다.

6. 한 통이 가득 참으로 인해 굴리기 쉬운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이 경우에

도 통 속에 든 내용물의 양이 매우 작을 때의 경우보다는 성모멘트 값 이 크다.즉

내용물이 ' 당히 들어있는 경우'보다는 가득 찬 통이 굴리기 쉽다는 것이다.

- 17 -

V.결론 요약

1.내용물이 든 통의 회 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질량이 증

가해서 회 성모멘트가 커지는 효과,회 하면서 내용물이 아래로 힘을 받게 되어

회 을 방해하여 회 성모멘트가 커지는 효과)이 두 가지 어느 것이 더 향을

많이 미치는 가의 여부는 통에 든 내용물에 양에 따라 다르다.

2.통의 든 내용물이 증가할수록 성모멘트가 커지게 된다.즉,회 시키기 어려워

지게 된다는 것이다.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양이 증가할수록 성모멘트의 값이 작아

지게 되는 구간이 있으며,이는 통이 가득 찰 때 까지 지속된다.즉, 당히 차있는

통보다는 가득 찬 통이 굴리기 쉽다는 것이다.그러나 가득 찬 통이 무조건 굴리기

쉽다는 것은 아니다.통 속의 든 내용물의 양이 거나 빈 통이며,이 경우가 가득 찬

통보다 굴리기가 쉽다.

VI.탐구 후 느낀

2년 탐구보고서를 작성할 때 회 성에 한 값을 명확하게 수치화하지 못해서 큰

아쉬움이 남았었는데,이번 탐구에서 조 이나마 이 아쉬움을 해결할 수 있어서 탐구를

하는 동안 즐거웠다. 한 내가 직 궁 증을 풀기 해 서 을 찾아보고,실험을 설계

하여 이것을 통해 수치를 얻어 그래 를 그려 결과를 얻어내는 것은 탐구 내내 평소에

맛 볼 수 없었던 흥미로움이었다.

등학교 6학년 때부터 지 까지 매 여름방학마다 탐구보고서를 제작하는 동안,조

더 과학에 한 나의 지식을 넓히게 된 것 같아 기분이 좋다. 한 앞으로 내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이 게 직 실험하고 결론을 내어 탐구보고서를 제작하 던 경험들이 큰 보탬

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VII.참고문헌

1. 학물리학 I[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Modern Physics 6th

Edition](RaymondA.Serway.JohnW.Jewett;북스힐;2005)

2.통 속 내용물의 종류 질량 차이와 회 이동거리의 련성 탐구(권세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