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 1 -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 -

조선산업의 기초분석

홍성인 연구위원 (성장동력산업연구센터)

1. 개관

□ 정의

○ 각종 선박, 해양구조물 및 관련 기자재의 연구개발 및 설계, 생산을 위

한 지식기반형 복합 엔지니어링 산업

- 해운업에서 사용되는 상선은 화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유조선, 컨테이

너선, 산적화물선, LNG선, LPG선, 차량운반선, 여객선 등으로 구분됨.

- 해양개발 및 자원생산에 사용되는 선박 및 시스템은 탐사선, 해저작업

선, 석유시추선, 부유식 혹은 고정식의 석유생산시스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

Re-gasification Unit), Platform, TLP(Tension Leg Platform), SPAR) 등

이 있음.

- 이밖에 수산업을 위한 각종 어선, 군수산업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상함,

잠수함 등이 있음.

□ 산업 특성

○ 조선해양산업은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가 크고 기술, 자본 및 고용 창

출형 산업

Page 2: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 -

<그림 1> 조선산업의 전후방 연관산업

해운산업수산업방위산업레저산업

해운산업수산업방위산업레저산업

기계산업철강산업전자산업전기공업화학공업가구업비철금속

기계산업철강산업전자산업전기공업화학공업가구업비철금속

조선산업

조선산업

전방산업전방산업후방산업후방산업

해운산업수산업방위산업레저산업

해운산업수산업방위산업레저산업

기계산업철강산업전자산업전기공업화학공업가구업비철금속

기계산업철강산업전자산업전기공업화학공업가구업비철금속

조선산업

조선산업

전방산업전방산업후방산업후방산업

- 종합 조립산업으로, 전방산업 뿐 아니라 철강, 기계, 전기, 전자, 화학

등 후방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매우 큼.

<그림 2> 조선산업의 후방산업 비중 변화

단위 : 십억 원

<1990년> <2000년> <2005>

<표 1> 조선산업의 전후방효과(2007년)

후방산업 영향(영향력계수) 전방산업 영향(감응도계수) 고용유발(명/10억원)

1.0471 0.6261 9.1

자료 : 한국은행, 2007년 산업연관분석표 , 2009. 8.

- 설계, 생산 및 관리기술 외에 첨단 IT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인 산업으로,

선박의 건조공정이 매우 다양하고 대형 구조물의 제작 상 자동화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정규모의 기능인력 확보가 필수적인 산업임.

Page 3: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 -

<그림 3> 조선해양분야의 주요 제품

- 선대, 도크, 크레인 등 대형설비가 필수적이므로 막대한 설비자금과 장

기간의 선박건조에 소요되는 운영자금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자본 집약

적 산업임.

- 선박은 사업 목적 및 운항 경로에 따라 적합한 선형개발이 필요하고,

거친 해상에서의 안전 운항, 화재 및 비상탈출,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설비 구비 등에 있어 국제 표준 및 각종 국제기구의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산업임.

○ 건조기간이 길고 타 산업에 비해 자본 회전율이 낮아, 즉 장기간의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운영자금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파이낸싱 및 장기 자

금순환을 커버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

- 대형 선박의 경우 건조기간이 평균 2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각종 자재의 구입자금, 인건비 등을 감당해야함.

- 초기 견적을 제시할 때부터 건조를 완료하여 선주에게 인도할 때까지의

건조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선박 한척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설계기간 7~8개월을 포함하여 1.5~2.0년 정도가 소요됨.

Page 4: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 -

○ 선주의 발주에 의해 선박을 건조하는 주문 생산방식의 산업이며, 수출선

건조시 높은 외화가득효과를 가짐.

- 조선해양산업은 항로, 적재화물 및 선주의 요구에 따라 선종이나 선형

이 달라지기 때문에 양산체제가 불가능하고 선주의 개별적인 발주에

의한 주문생산이 이뤄짐.

- 세계 선박시장이 단일시장(Global Market)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고

세계화가 요구되며, 종합 경쟁력이 확보될 경우 빠른 기간 내에 시장에

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도 있음.

- 비용절감과 규제 회피를 위한 편의치적국의 활용이 빈번하고, 수입국의

수입규제가 거의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수출전략화 유망 품목으로 주요

조선국간, 기업간 경쟁이 치열함.

○ 건조과정이 복잡하여 경영의 종합화 및 관리 메카니즘의 최적화가 매우

중요하고, 해상물동량에 직접 영향을 주는 세계경기변화가 중요한 수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함.

- 선박 한 척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설계, 자재구입, 생산, 품질검사, 성능

검사 등 복잡한 작업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의 수행을 위해서

는 마케팅, 기획, 구매, 회계 등 경영의 종합화가 필요함.

- 조선해양산업의 수요산업인 해운산업은 정치적․경제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요의 불안정성 및 장기적인 경기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해양구조물, 각종 플랜트, 토목 건설, 기계장비 등에 진출하여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거나, 해운, 금융, 기자재 등의 산업에 진출함으로

써 수직적․수평적 계열화를 도모하기도 함.

○ 선박의 가격이 대체로 고가이기 때문에 수출선 건조시 수출기여도 및

외화가득률이 높아 국가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

Page 5: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5 -

-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수출비율은 95%를 상회하고 있으며, ‘09년 기준

무역수지 흑자는 약 403억 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통관기

준) 405억 달러의 99.5%에 이르고 있음.

<표 2> 조선 및 주요 산업의 외화가득률 비교

주요 업종 외화 가득률

선박

철강 1차 제품

자동차

영상․음향 및 통신기기

반도체

철도차량

0.624228

0.515320

0.687113

0.464558

0.494633

0.554474

자료 : 한국은행,「산업연관표(2007)」, 2009.

○ 조선해양산업은 국가 방위산업이라는 관점에서도 중요하여 시장 경쟁력을

상실한 국가들도 조선해양산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음.

- 조선해양산업은 상선 및 여객선 외에 일반군함, 잠수함 및 항공모함 등

해군에서의 중요한 장비인 군용선을 건조하는 산업임.

- 선진국들은 이러한 이유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이미 뒤지고 있는 조

선해양산업을 계속 유지하고 있고 특히 미국이 대표적인 사례임.

○ 조선해양산업은 시스템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차세대 성장 동

력의 견인 역할 기대

- 정보통신기술, 디지털 컨텐츠 기술, CAD/CAM 기술 그리고 지능형 로

봇을 이용한 자동화 기술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조선해양산업

의 활황은 차세대 성장 동력분야의 발전을 위한 수요 창출의 근간이 될

수 있음.

○ 최근 조선해양산업은 신에너지 운송수요의 증대, 해상 물동량의 증가,

고급 레져선박 수요 증가 및 해양공간의 활용과 심해 유전 개발에 따른

Page 6: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6 -

해양플랜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트렌드

<그림 4> 조선해양산업의 제품 분화 전망

자료 : 대한조선학회, "조선해양산업 발전전략 구축", 2009.

- 특히 선박의 대형화/고속화, 디지털화 및 조선기술을 활용한 해양개발

및 공간 활용의 확대가 활발할 것으로 예상됨.

○ 조선해양산업은 SOLAS, MARPOL, IMO, ILO, 선급 및 해당 국가에서

요구하는 각종 기준을 적용하여 선박을 설계․건조해야 하며 그 기준은

점차 강화 추세

- 선박의 안전 및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다양한 국제규칙 (SOLAS,

MARPOL, IMO 등의 Rules)

- 승무원의 환경 개선을 위한 Rules(ILO 등)

- 각종 설비 및 위생환경을 위한 Rules(USCG, USPHS 등)

- 각 화물의 안전을 위한 Rules

- 선박의 보안 강화를 위한 Rules(ISPS)

Page 7: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7 -

<표 3> 조선해양산업의 일반적 특성

구 분 특 성

기술적 특성

- 종합조립산업, 높은 전후방연관효과, 대단위 장치산업

- 기술 및 자본집약적 산업, 해안지역에 입지

- 제품의 질적 측면과 높은 생산성이 중요

- 디지털 기술의 접목, 기술의 융/복합화를 통한 국내 조선해양산

업의 성장엔진 역할

경제적 특성

- 세계가 단일시장, 가격경쟁력이 시장 확보에 가장 중요

- 주문생산, 세계적으로 수입규제가 적어 수출산업으로 적합

- 자본집약적이며 자본의 회임기간이 길어 설비투자시점이 중요

- 거래단가가 고가, 고용규모가 커 노사관계가 중시됨

기 타- 국가방위와 연관(함정)

- 초기단계에서는 정책적 지원 효과가 지대(일본, 한국)

자료 : 한국조선공업협회, 전게서.

○ 최근의 조선산업은 시스템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차세대 성장

동력의 견인역할 기대

- 정보통신기술, 디지털 컨텐츠 기술, CAD/CAM 기술 그리고 지능형 로

봇을 이용한 자동화 기술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조선산업의

활황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발전을 위한 수요 창출의 근간이 될 수

있음.

2. 세계 조선산업의 주요 트렌드와 시장전망

□ 국내외 조선기술 트렌드

○ 조선 및 선박기술 개발 추이

-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수요자 맞춤형 기술개발형태에서 점차 수요

자 리드형 기술개발형태로 전환되고 있는데, 이는 최근 세계조선시장이

Page 8: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8 -

수요자 위주의 시장구조 보다 공급자 위주의 시장구조로 유지되는 경향

에 따른 것임.

<표 4> 조선해양산업의 기술개발 방향

구분 기술분야 세부 기술개발 방향

선박기술분야

경제성 추구 기술대형화, 고속화, 경량화, 복합기능화, 대마

력화

안전성 제고 기술 자동화, 무인화, 정보화

운항 편의성 향상 기술 인간공학적 설계, 통합자동화

환경친화성 기술이중선체화, 무독성 도료, 배기가스 절감,

밸러스트수 처리, 고효율 추진시스템

해양기술분야 해양자원 개발기술

해양구조물 설계, 엔지니어링기술 기능 복

합화, 초심해 구조물 및 초대형 부유식 생

산시스템, EPCI 기술

건조기술분야원가절감 건조기술

공정최적화, 생산자동화, 건조공정 아웃소

싱 및 전문화, 신 건조공법/건조규격/기자

재 표준화

첨단기술 접목기술 정보화 기술, 이종기술 융합화

○ 수요환경변화에 따른 선박기술의 변화

- 친환경 선박 건조에 강한 드라이브 : 단기적으로 이중 선각화, 무독성

도료, 밸러스트 수 규제 강화 등에 대한 대응부터 중장기적으로 친환경

동력원을 기반으로 한 그린쉽 개발 추진

․선체구조의 안정성 강화, 해양오염물질의 배출규제 등 국제적인 해양

환경보호규정의 강화로 인해 선체의 이중 구조화 기술, 무독성 도료

개발, 배기가스저감기술, 밸러스트 수 처리기술 등 환경친화적 기술

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Page 9: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9 -

- 선형의 변화 : 고속화, 대형화, 경량화

․1990년대 이후 해상교역량의 확대로 빠르고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선박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전개되는 한편 신소재 개발과 선형

최적화 등 선박의 경량화로 적재능력의 향상과 운항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

․특히 화물의 신속한 적하역, 복합운송시스템으로의 용이성 등으로 인

해 컨테이너 화물이 급증하면서 컨테이너선의 초대형화가 두드러졌

는데 특히 컨테이너선은 70년대에 2,000TEU 내외 핸디급에서 2000년

에 8,700TEU 스에즈막스급으로 지속적인 대형화가 이루어졌으며,

2007년경부터 10,000~15,000TEU 급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건조되

고 있음.

․또한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가스수요 확대, 천연가스 자연방출 억제

등으로 인해 가스운반선도 70년대에 80K급에서 2000년대에 들어와

150K 내외 2005년 이후 200K 이상으로 대형화가 지속됨.

- 해상수송환경 변화 : 전용화, 자동화, 경제선형화, 고출력 추진시스템화

․특정항로에 대한 다양한 화물의 정기운항 증가로 화물특성에 적합한

전용선화도 추진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CNG선, NGH선, GTL선

등 천연가스 수송관련 전용선의 개발도 활기를 띰.

․북극지역의 지하자원개발과, 북극항로 이용시 기존항로에 비해 항로

거리 40%, 수송시간 30% 정도를 단축할 수 있어 쇄빙선을 비롯한

빙해지역 운항선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선박의 대형화와 고속화로 인해 효율적인 고출력 대마력에 대한 연

구개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에너지원의 고갈 및 가격상승, 선원

부족 등의 영향으로 자동화, IT기술 등이 활용되는 선박운항자동화,

에너지절약형 추진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음.

○ 공급환경변화에 따른 건조기술의 변화

- 선박설계분야 : 표준화, 전산화, 정보화, 국제규격화

Page 10: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0 -

․IT, 컴퓨터기술 등 연관산업의 기술진전으로 선박설계용 전용프로그

램을 이용한 전산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위한 선형, 의장 등 제품/건조공정의 표준화가 적극적

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주요 경쟁국들은 자국의 표준화제품, 핵심건조공정요소기술을 국제규

격화하여 세계시장에서 선점적이고 배타적인 기술경쟁력 우위를 확

보하려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 선박건조분야 : 자동화, 통합화, 국제규격화, 건조공정의 전문화, 공정기

술 최적화, 건조공법 개선

․선박 가공조립공정의 자동화 및 로봇화로 신규인력의 작업적응성을

높이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기능인력의 노령화에 대비하고 있음.

․또한 선박수주에서 인도시까지 전공정을 통합전산화하여 공정간 정

보교류 를 원활히 하고 나아가 건조, 운항 및 폐선 등 선박의 전생애

(life cycle)에 걸친 지속적인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여 선박의 신뢰

성을 높이고 있음.

․단기간 내에 다량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기존의 도크 내 조립방식

에 대해 도크회전율을 높이기 위하여 선체블록단위가 중량화, 대형화

하는 메가블록공법 등의 생산설 향상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국내업체들은 육상건조공법, 수중용접의 댐공법 등 다양한 선박건조

공법을 개발, 운용하고 있음.

․선박건조시 건조공정단계를 외부 아웃소싱하는 공정전문화 및 특화

를 통해 생산공정의 단순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건조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 경영활동분야 : 인터넷기반 상거래화, 정보화

․컴퓨터기술, IT기술의 진전으로 B2B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음. 이러한 인터넷기반기술은 상거래 뿐 만 아니라 선박

설계생산통합시스템, virtual shipbuilding이라는 디지털기반 조선소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음.

Page 11: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1 -

․또한 사내 모든 자원 관련정보를 일괄 관리하는 조선통합자원 관리

시스템(ERP), 최적의 기자재 수급관리를 위한 조선기자재 수급관리시

스템(SCM) 등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

○ 조선기술기반 해양개발기술의 변화

- 해양개발의 타당성 여부 : 심해저 극한지역에 대한 경제성 확대

․육상자원/공간의 한계성에 넘어서 해양의 활용성, 경제성이 높아지고

있어 조선기술을 기반으로 정보화기술, 신소재기술 등 첨단기술이 융

합된 해양개발 관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선진조선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

․선진조선국을 중심으로 심해저 망간단괴자원 등 해저자원개발을 위

한 심해저탐사기술, 집광 및 채광시스템기술, 해양환경영향평가 및

보전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음.

- 선박과 해양구조물의 복합화 : 복합기능화

․인공섬 등 해양공간 활용 구조물과 해저광물 탐사/채굴 관련장비 자

체 뿐 만 아니라 선박과 해양구조물의 기능이 복합된 새로운 제품군

의 개발이 확대되고 있음.

○ 국내 기술개발 동향

- 2000년대에 들어와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하는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관

련 기술은 일부 고부가가치 선종 및 핵심기자재의 기술분야를 제외하

고는 일본, 선진조선국에 대해 설계, 생산 및 기자재분야에서 대부분 기

술경쟁력 비교 우위 또는 대등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기술경쟁력의 향상은 90년대 이후 꾸준히 진행되어온 연구개발

활동과 더불어 연구인력 및 엔지니어 등 고급 기술인력을 꾸준히 양성

한 결과로 평가됨.

Page 12: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2 -

․특히 2000년대 들어와 주력 건조선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최적설

계, 생산공정분야의 건조기술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래 첨단 선

종에 대해서는 기초기반기술 연구 및 핵심기자재 개발 등 제반 건조

기반기술 확보에 산학연 공동연구 등 다양한 기술개발활동을 전개하

고 있음.

- 우리나라는 선주 니즈에 부응하여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를 주도해 왔고

특히 12,000TEU급 Suezmax급 이상의 컨테이너선에 대한 선형 및 구조

설계, 추진시스템을 완결하고 건조를 전담하고 있음.

- LNG선 건조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조선소는 현대중, 삼성중, 대우

조선해양이며, 최근 한진, STX조선이 맴브레인타입 건조기술 확보로 신

규시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LNG 운반선에 대한 건조능력은 세계대비 70% 이상으로

최근 LNG운반선의 대형화에 따른 화물창 Sloshing해석기술, 화물창

3차원 온도분포해석기술, 선체 및 Pump tower 해석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LNG운반선에 대한 해외기술료에 따른 부가가치 유출을 막기 위해

최근 한국형 화물창 시스템(KC-1) 생산기술의 연구개발을 완료하여

시제품 생산이 가능한 상태임.

․한편, LNG선의 건조기술은 화물창 시스템 기술의 기술도입 등을 통

해 높은 기술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화물창 단열재, Cargo system,

Cryogenic 밸브류 등의 핵심적 소재 및 기자재류는 거의 대부분 수

입에 의존하고 있음.

- LNG운반과 달리 천연가스의 수송시스템으로 CNG, NGH, GTL운반방식

에 대한 기술개발은 개념설계의 연구개발단계에 있음. CNG운반선은 현

대중공업이 미국 EnerSea, 일본 가와사키 기선이 공동으로 개발하였음.

- 크루즈선 건조기술은 유럽 4개 조선소가 거의 독점적으로 확보하고 있

는 가운데 국내 조선소들은 고급 Ro-Pax급의 건조기술은 확보하고 있

Page 13: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3 -

으나 동급 선형 뿐 만 아니라 크루즈선에 대한 인테리어 시공기술 및

디자인 능력 부족한 상태로 산학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크루즈

선에 대한 건조경험은 없음.

․크루즈선, Ro-Pax ferry의 관련 기자재분야는 인테리어 기자재와 의

장 기자재로 구분되는데, 일반 대형선박의 30배에 달하는 크루즈선의

의장물량은 국내 자재가 없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표 5> 분야별 국내 기술개발 동향

구분 제품/기술명 개발단계 주요 개발 내용 개발주체

LNG선기술검토

복합기능구조설계(FPSO, FSRU) 업계 공동화물창 방열/대형화 구조 업계 공동

상용화 재기화시스템 탑재형 선형 대우상용화 한국형 LNG화물창 업계 공동

초대형

컨테이너선

상용화선형 및 기본설계기술 업계대출력 추진기술(12,000TEU급) 업계 공동초대형선 건조기술 업계

기술검토극후판 자동용접기술 업계 공동신개념 추진장치(CRP 등) 산학연

크루즈선 기술검토

선형설계 및 성능해석기술 산학최적 일반배치 설계기술 산학 공동내부 인테리어설계기술 산학 공동선실설비 시스템 설계기술 산학

쇄빙상선 기술검토

쇄빙선 선형설계기술 산학 공동쇄빙선 의장설계기술 업계공동착빙/결빙 방지 설계기술 산연 공동저온강 용접기술 산학연

초고속선

상용화수중익형선 설계 및 생산기술 산연공동공기부양선 설계 및 생산기술 산연공동

Pilot

100인승표면효과선(WIG)설계 및

생산기술산연공동

충돌회피 및 안전운항시스템기술 업계

설계․생산자동화

및 통합화

Pilot 3차원 CAD제품모델링기술 산학 공동기술검토 시뮬레이션 기반 설계․생산기술 산학 공동상용화 공정 자동화(도장, 용접) 산학 공동상용화 저온용 특수용접기술 업계 공동상용화 생산․설계통합관리기술 업계

안전성평가/

관리기술기술검토

선박 생존성 평가기술 업계

통합안전관리시스템 기술 업계

건조공정최적화 상용화신건조공법개발

(육상건조,메가블록 등)업계

환경보전기술상용화 유해방오도료 대체기술 업계기술검토 밸러스트수 교환기술 업계공동

Page 14: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4 -

FPSO기술검토

및 상용화

Topside plant 엔지니어링기술 업계공동Risk기반통합설계기술 업계동적위치보조용

터렛 계류시스템기술업계공동

해상LNG터미널

(FSRU)기술검토

LNG FSRU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 산학연FSRU 구조물 계류시스템 설계기술

업계FSRU-LNGC 접안 감시제어기술

드릴쉽

상용화 Hull 설계 및 생산기술 업계기술검토 Topside 위험성 평가기술 업계 공동

Pilot 동적위치 구동용 트러스트기술 업계기술검토 유탄성 해석기술 산학연

SPAR/TLP 기술검토Topside 엔지니어링 기술 산학연계류 및 동적 위치제어 기술 업계 공동

반잠수식 기술검토동적 위치제어기술 업계 공동이중물체 운동해석기술 업계

해저자원탐사 및

개발기술검토

해저탐사용 무선자율탐사정 산학연

해저자원채광시스템기술 산학연

모터보트Pilot 견적․기본․상세설계기술 산학

기술검토 고속선박용 엔진설계기술 산학

세일요트기술검토 세일 및 마스트 설계기술 업계기술검토 선실설계 및 내부 인테리어기술 업계

설계/생산

pilot 유체성능해석기술 산학연

상용화 FRP가공기술 산연

Pilot 선형설계기술 산학연

자료 : 조선기술조합, “조선 기술로드맵”, 2009.

- 해양레저선박분야의 기술개발은 FRP선 건조업체를 중심으로 어선과 낚

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춘 단순한 선형의 설계․건조기술을 갖춤.

․향후 해양레저선박의 수요 증대에 대비하여 모터보트, 세일요트 등의

전용적인 해양레저선박의 기초기반기술을 중심으로 한 설계기술개발

에 주력하고 있으며, 건조기술은 상당한 수준으로 생산성 향상을 위

한 최신공법을 적용하고 있음.

○ 해외 기술개발 동향

- 경쟁국인 일본은 Challenge 21계획이라는 선박해양기술개발정책을 수립

하고 신형식의 미래첨단형 선박개발, 선박안전기술개발, 저공해선박 추

진시스템 개발, 대형구조물 개발, 조선용 CIMS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핵심요소기술을 산학연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음.

Page 15: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5 -

구분 제품/기술명 개발단계 주요 개발 내용 개발주체

LNG선기술검토

복합기능구조설계(FPSO, FSRU) 미국신선형설계(NGH, GTL) 미국, 일본

상용화 대형선(200K이상) 설계기술 프랑스, 일본

초대형

컨테이너선

상용화대출력 추진기술(12,000TEU급)

일본, 유럽

(노르웨이 등)

초대형선 건조기술

기술검토극후판 자동용접기술

신개념 추진장치(CRP 등)

크루즈선 상용화

선형설계 및 성능해석기술이탈리아,

독일 등

최적 일반배치 설계기술내부 인테리어설계기술

선실설비 시스템 설계기술

쇄빙상선 상용화, Pilot 쇄빙선 선형설계기술 러시아,

․이미 Techno Super Liner(TSL)라는 초고속화물선과 Mega-Float라는

대형 부유구조물 개발사업을 완료하여 상업화하였으며, 최근

MVS-2010 프로젝트를 통해 고효율, 저공해형 선박 설계를 추진하고

있음.

- 전통적 선진조선국인 유럽은 LeaderSHIP2015 프로젝트를 통해 유럽 공

동으로 국제경쟁력 강화 및 사업다각화를 위한 각종 연구개발을 추진하

고 있음. 특히 국제경쟁력 우위분야인 크루즈선의 건조기술 및 관련기

자재 등의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음.

- 해외 선진조선국들도 친환경 청정선박에 대한 연구개발을 국가 주도로 추진

하고 있음. 유럽공동체는 14개국 40개 기관이 참여한 TRESHIP(Technologies

for Reduced Environmental Impact from Ships)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여

선박설계단계부터 환경보호를 고려하여 최첨단 환경친화적 엔진개발, 오수처

리설비 등 관련장비를 장착하고 운송시스템 및 항해관리, 환경사고 예방의 관

련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영국, 독일, 네덜란드 등 일부 조선선진국이 산학연 공동으로 TEES(Tools

for Environmental Efficient Ship design)연구를 통해 어선 및 내항선을 중

심으로 선박개발 설계단계에서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고 있음.

<표 6> 조선해양산업 분야의 해외 기술개발 동향

Page 16: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6 -

쇄빙선 의장설계기술

핀란드착빙/결빙 방지 설계기술

저온강 용접기술

초고속선

상용화수중익형선 설계 및 생산기술

공기부양선 설계 및 생산기술유럽, 일본

Pilot

100인승표면효과선(WIG)설계 및

생산기술러시아

충돌회피 및 안정운항시스템기술 일본, 유럽

생산자동화 상용화설계 및 공정자동화 및 통합시스템

기술일본, 유럽

안전성평가/관리

기술

Pilot 및

상용화

선박운항충돌회피기술 유럽

선박생존성평가기술 유럽

건조공정

최적화상용화 생산성향상 및 신공법 개발 일본, 유럽

환경보전기술상용화 유해방오도료 대체기술 일본, 유럽Pilot 밸러스트수 교환기술 유럽, 일본

LNG-FPSO기술검토 및

Pilot

Topside plant 엔지니어링기술 네덜란드,

미국, 일본,

노르웨이

Risk기반통합설계기술동적위치보조용 터렛

계류시스템기술

해상 LNG

터미널(FSRU)기술검토

LNG FSRU 설계 엔지니어링 기술 노르웨이,

미국,

이탈리아

FSRU 구조물 계류시스템 설계기술

FSRU-LNGC 접안 감시제어기술

Offshore Drilling

Units(드릴쉽,

반잠수식,

SPAR/TLP)

상용화

Hull 설계 및 생산기술

싱가포르Topside 위험성 평가기술

동적위치 구동용 트러스트기술유탄성 해석기술

상용화 및

Pilot

Topside 엔지니어링 기술 노르웨이,

네덜란드,

미국

계류 및 동적 위치제어 기술동적 위치제어기술

이중물체 운동해석기술해저자원탐사 및

개발

Pilot 및

상용화

심해저 정밀/환경탐사기술 독일, 일본,

미국채광 및 제련기술

모터보트상용화 설계 및 건조기술 미국, 호주상용화 신선형 디자인기술 미국, 호주상용화 기자재 설계/생산기술 유럽

세일요트

상용화 설계 및 건조기술 미국, 프랑스

상용화 신선형 디자인기술 미국, 프랑스

상용화 기자재 설계/생산기술 유럽

- 스웨덴의 Ecoship 프로젝트는 1996년부터 에너지 절감 및 저공해형 디

젤전기추진기 개발 및 고효율 환경친화성 개념을 도입한 설계 및 건조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Page 17: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7 -

- 일본도 정부차원에서 차세대 내항선 Super EcoShip 프로제트로 고효율

저환경부하의 가스터빈개발, 선형개발 및 가변피치 프로펠라 도입 등

친환경 청정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도 오존, 화학약품, 미생물 등 다양한 방식에 대

해 미국, 호주, 독일, 영국 등 많은 나라에서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크루즈선은 Fincantieri 등 유럽의 4개 조선소에서 전통적인 기술우위를

바탕으로 독과점적인 건조기술 능력을 통한 선종차별화 전략으로 한국,

일본에 비해 높은 국제경쟁력을 지속하고 있음.

□ 세계시장 트렌드

○ 세계 선박시장 수요는 대체수요, 국제 규제 및 해상물동량 등에 따라 많

은 변화를 보여 왔고 특히 2008년 상반기까지 급증 추세를 보인 후 급

격한 침체로 전환됨.

- 로이드의 통계에 따르면 세계 선박수요는 1975년에 피크를 보인 후 ‘80

년대에 장기 하강추세를 나타냈음.

- 그러나 ‘90년대 들어 세계경제 및 해운산업이 회복되면서 수요가 꾸준

히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8,729만 GT를 기록, 과거 최고수준을 크게

경신한 이후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급격한 침체상

태를 보임.

○ 2008년까지 지속된 수요증가는 주로 노후 선박의 대체수요, 해양오염 규

제강화, 해상물동량 증가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한 것으로 평가됨.

- 우선, 노후선박의 대체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환경관련 이슈와

관련된 것으로 해양오염을 줄이기 위한 기준미달선박에 대한 해체 증

가로 대체수요가 증가함.

Page 18: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8 -

- 경제회복에 따른 해상 물동량의 증가, 해운업체들의 규모의 경제를 추

구하기 위한 선박 대용량화 추세에 의한 신조수요 증가 등임.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물동량 증가는 해당지역 국적 선대의 규모를

확대시켜 신조선 수요로 이어졌고, 화물수송에서의 규모의 경제 추구

로 컨테이너선, LNG선을 중심으로 대용량 선박이 출현1)하였음.

○ 한편 고유가 추세, 북극 항로의 개방 가능성 등으로 해양플랜트, 쇄빙기

능 선박의 수요 등도 증가하고 있음.

- 특히 LNG선의 경우 대형화, 고속화 뿐 아니라 안정성을 위해 신 추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고, 북극항로 개방에 따라 쇄빙 및 내빙 기능을

가진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그림 5> 세계 선박시장 및 국별 공급 추이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60 65 70 75 80 85 90 95 2000 2005 2009

(천 GT)

세계

한국

일본

중국

자료 : Lloyd's.

- 해양플랜트 가운데 FPSO, Drill Ship의 경우 고유가에 따른 원유 채굴

이 심해저에서 추진되면서 수요가 증가하였고(심해저 유전개발의 경제

성 확보), LNG-FPSO, FSRU도 LNG에 대한 수요 증가로 시장이 밝을

전망임.

1) 대용량 선박의 출현은 세계조선시장의 흐름을 왜곡시켜 불황기를 장기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음.

Page 19: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19 -

- 또한 에너지 가격에 따라 소요비용 때문에 개발을 보류했던 부분에 대

해 에너지원 확대를 위한 Marginal Field 개발이 필요해 지면서 해양플

랜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향후 Sub sea 설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전망

- 한편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크루즈선 분야는 Fincantieri, Aker Finnyards,

Meyer Werft 등 유럽의 조선소가 주도하고 있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요가 주춤하고 있으나 다양한 상품개발로 전망은 밝은 편임.

○ 2009년 기준 선종별 건조규모는 탱커가 약 1,257만 CGT로 가장 크고 이

어 벌크캐리어, 컨테이너선 등의 순

- 2000년 이후 일반 선종의 연평균 증가율은 LNG선이 16.0%로 가장 높

고, 탱커 13.4%, 벌크 캐리어 12.8%, 컨테이너선 6.8%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 크루즈선은 2002년까지 증가하다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향후 2010

년을 전후한 시점이후 중대형선을 중심으로 증가가 예상되고 있음.

<표 6> 선종별 세계시장 규모(건조량 기준)

단위 : 천 CGT, %

구 분 2000 2002 2004 2006 2009연평균증가율

(2000~‘09)

탱 커 4,047 4,323 5,736 8,309 12,572 13.4

벌크캐리어 3,087 3,303 4,325 5,371 9,132 12.8

컨테이너선 3,695 4,820 4,536 10,094 6,679 6.8

LNG선 955 697 1,349 1,911 3,625 16.0

크루즈선 1,099 1,316 887 934 1,014 -0.9

전 체 20,044 21,392 24,774 33,886 43,692 9.0

자료 : Lloyd's.

Page 20: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0 -

□ 주요국 및 기업 동향 : 글로벌 경쟁 및 전략

○ 세계 조선해양산업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 영향 요인은 기술혁신이 뒷받

침된 가격경쟁력으로, 생산요소가격, 생산성을 통해 발현

○ 조선해양산업의 글로벌 시장은 일본 업체들의 경쟁력이 퇴조하면서(건조

능력, 비용) 핵심역량(건조능력, 비용 절감, 대용량화 수요니즈 대응, 선

형개발 능력 등)을 갖춘 한국 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

국의 성장세가 두드러짐.

- 특히 중국 업체들의 성장은 정부주도의 대대적 설비 확충을 통해 가속

화 되고 있고(CSSC(숭명도(‘08), 장흥도(’08), 용혈도(‘09) 프로젝트),

CSIC(발해(’08), 청도 북해(‘05), 기타(위해 등)) 이를 기반으로 건조능력

측면에서 한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2009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발주규모가 급락한 가운데 중국은

자국 수요 진작, 해외 발주분에 대한 적극적인 금융지원으로 수주량

(CGT) 기준 약 42.1%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한국을 추월

- 세계 선박시장의 초호황과 이은 급침체로 신규 진입 조선소들은 다시

시장에서 퇴출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주도업

체의 구조변화가 예상되고 있음.

- 세계 경제 여건변화에 따른 수요 대응능력이 중요하며, 국내 업체들의

경우 유가 변화에 따른 해양플랜트(FPSO 등 원유시추장비) 수요증가에

탄력적으로 대응

Page 21: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1 -

<그림 6> 조선해양산업의 국별 경쟁력 변화 및 전망

자료 : 2015 산업발전 비전과 전략, 산업자원부, 2006년.

○ 주요 조선국의 글로벌 위상 변화를 살펴보면, 10년 동안 조선 3국(한국,

일본, 중국)의 글로벌 포지션이 역동적으로 변화하였고 계속 진행 중

<표 7> 글로벌 경쟁 속의 한국 위치

 구 분 1995 2000 2005 2009연평균증가율(%)

(1995~2009)

세계시장 규모

(만 CGT)1,468 2,004 2,897 4,369 8.1

생산규모

(만CGT) 

한국 305 648 1,009 1,447 11.8

일본 576 641 831 961 3.7

중국 76 114.5 419.4 1,239 22.1

세계시장

점유율

(%)

한국 20.8 32.3 34.8 33.1 -

일본 39.2 32.0 28.7 22.0 -

중국 5.2 5.7 14.5 28.4 -

상대적

점유비율

한/일 0.5 1.0 1.2 1.5 -

한/중 4.0 5.7 2.4 1.2 -

자료 : Lloyd’s.

- 2000년대 세계시장 주도국 변화의 주역인 한국과 일본의 경쟁 패러다임

변화에서 한국의 인력기반, 공정혁신 및 투자전략이 주효하였으나, 최근

에는 후발주자로 급성장한 중국의 정부주도의 적극적인 확장전략이 시

장에서 변화를 주도

Page 22: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2 -

<표 7> 한․일 간 경쟁 패러다임 변화

구 분 1960-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 이후

경쟁 우위 일본업체 우위 일본업체 우위 한국업체 우위 한국/중국업체 경쟁

배경

-정부의 보호 및 육성

-용접에 의한 블록공법

채용

-관리기술 제고

-자동화, 표준화

채용

-우수 인력/인프라

-설계 유연성 우위

-시장 호황 대처 주

효(설비, 공법)

-정부주도 금융(중)

-건조능력 확대(중)

-내수 진작(중)

-인력/인프라(한)

-설계 유연성(한)

-시장 대응 공법개발

경쟁 우위

요인

-생산성 획기적 제고

-원가절감

-원가절감

-품질경쟁력

-수요니즈 대응

-가격/품질 경쟁력

-건조공정 혁신

-질적 생산요소(한)

-금융/건조능력(중)

-건조공정 혁신(한)

○ 조선해양시장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마켓으로 국내 조선업

체들의 시장 경쟁은 해외기업보다 국내기업 간에 주로 발생해 왔음.

- 1980년대 : 가격경쟁력 바탕으로 해외기업(일본)과 경쟁

- 1990년대 : 국내기업 간 수주경쟁이 매우 치열

→ 조정명령(2002년 대우:삼성)

- 2000년대 : 품질/기술경쟁력 제고로 해외시장에서의 우위 지속, 수요

급증으로 국내기업 간 수주경쟁의 강도는 낮아짐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수주경쟁 치열

전개 전망/중국 주력기업과의 경쟁 본격화 예상

○ 한국 주력제품의 하나인 탱커의 세계시장 포지션은 점유율 측면에서 볼

때 1995년 30%에서 2000년 55.1%로 대폭 증가하였으나 중국의 비중이

늘면서 2009년에는 44.6%로 감소

- 세계 시장에서 대표적인 경쟁국인 일본과는 1995년 대등한 비중에서

2005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과는 15.3배에서 2.1

배로 크게 감소

Page 23: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3 -

<표 8> 탱커의 글로벌 포지션 변화

구 분 1995 2000 2005 2009

연평균

증가율(%)

(1995~2009)

세계시장 규모(만 CGT) 307 494 899 1,257 10.6

한국 생산(만 CGT) 92 272 454 561 13.8

일본 생산(만 CGT) 90 178 219 251 7.6중국 생산(만 CGT) 6 18 125 272 31.3한국 세계시장 점유율

(생산기준, %)30.0 55.1 50.5 44.6 -

상대적 점유율(한/중) 15.3 15.1 3.6 2.1 -상대적 점유율(한/일) 1.0 1.5 2.1 2.2 -

주 : Chemical Tanker, Oil Products Tanker 포함.

○ 컨테이너선의 경우는 세계시장 점유율이 1995년 16%에서 2005년 54.1%,

2009년 53.4%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일본, 중국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 유지

- 경쟁국인 일본과의 상대적 점유율은 1995년 일본의 50% 수준에서 2005

년 5.5배, 2009년에는 3.3배로 증가하여 여전히 높은 위상 제고

- 중국의 경우 연평균 증가율 29%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상대적 점유율

이 ‘95년 15배 수준에서 2009년 3.4배 수준으로 빠르게 감소

<표 9> 컨테이너선의 글로벌 포지션 변화

구 분 1995 2000 2005 2009

연평균

증가율(%)

(1995~2009)

세계시장 규모(만 CGT) 281 342 695 668 6.4

한국 생산(만 CGT) 45 174 376 357 15.9

일본 생산(만 CGT) 95 44 68 109 1.0

중국 생산(만 CGT) 3 19 75 106 29.0한국 세계시장 점유율

(생산기준, %)16.0 50.9 54.1 53.4 -

상대적 점유율(한/중) 15.0 9.2 5.0 3.4 -

상대적 점유율(한/일) 0.5 4.0 5.5 3.3 -

○ LNG선의 경우도 시장에서의 위상 제고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Page 24: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4 -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제품이나 2009년에는 다소 하락

- 1995년 세계시장 점유율이 0%이었으나 2009년 70.8%로 급격하게 증가

했고 일본에 대한 상대적 점유율도 0에서 3.2배로 급증하였음.

- 반면 중국은 2005년까지 건조실적이 없었으나 자국물량의 발주가 지속

적으로 발생하면서 2009년에는 16만 CGT의 실적이 나타났고, 이후 풍

부한 자국물량을 기반으로 빠른 증가가 예상

<표 10> LNG선의 글로벌 포지션 변화

구 분 1995 2000 2005 2009

연평균

증가율(%)

(1995~2009)세계시장 규모(만 CGT) 69 124 143 363 12.6

한국 생산(만 CGT) 0 68 118 257 15.9

일본 생산(만 CGT) 43 39 26 80 4.5

중국 생산(만 CGT) 0 0 0 16 n.a한국 세계시장 점유율

(생산기준, %)0.0 54.8 82.5 70.8 -

상대적 점유율(한/중) 0 0 0 16.1 -

상대적 점유율(한/일) 0.0 1.7 4.5 3.2 -

자료 : Lloyd's.

○ 한편 해양플랜트의 경우 사이즈가 큰 FPSO는 물론 시추선(Drill Ship)

분야와 반잠수식 시추설비(Semi-Submersible) 시장에서도 높은 점유율과

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업체별로는 삼성중공업은 시추선(Drill Ship) 분야, 대우조선해양은 반잠

수식 시추선(Semi-Sub.)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과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현대중공업은 Jack-up을 비롯한 전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

로 평가되었으나 최근에는 3사 모두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보임.

- 또한 에너지가격과 연동된 해양플랜트 연관분야 시장의 시장 확대로

LNG-FPSO와 같은 LNG 생산/저장 설비의 주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

분야 또한 국내업체들이 강점을 갖고 있어 향후 전망이 밝은 것으로

Page 25: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5 -

나타남.

○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고

특히 2005년 이후 선박용 블록 조달의 용이성과 중장기 신조 가능 조선

소로의 확장을 겸해 크게 증가

- 2007년 STX조선해양은 유럽 크루즈선 건조 조선소 Aker Yards 인수,

대련의 종합 건조기지 건설 등으로 대규모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 한진중공업의 경우 필리핀 수빅조선소의 본격 가동으로 대형 선박의 건

조능력이 크게 확충

- 2009년 현대중공업의 현대종합상사 인수로 중국 청도 인근에 있는 중소

형 조선 건조 현대청도조선이 네트워크에 편입

<그림 6> 국내 조선업체들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일본의 경우는 경쟁력 제고를 위해 규모의 확대를 꾀하는 구조조정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자국내 M&A임.

Page 26: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6 -

- 2000년 이후 대형설비의 강점을 추구하기 위해 자국내 조선소 간의 합

종연횡을 모색하여 2003년 무렵부터 대형 조선소의 구조가 전환되었음.

<그림 7> 일본 조선소들의 자국내 M&A 현황

히다치조선

NKK(일본강관)

IHI(선박해양부문)

스미토모중기계(함정부문)

가와사키중공업‘조선부문’ 분사

스미토모중기계‘상선부문’ 분사

Universal 조선

IMI Marine United

가와사키 조선

스미토모 MarineEngineering

○ 유럽 조선업체들은 유사 사업 조선소의 인수 합병을 통해 규모를 확대

하고 관련사업 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형태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추진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 차원에서의 M&A가 진행되고 있고

Fincantieri의 경우 크루즈선 개조시장에서 철수하는 등 구조개편이 진행

<그림 8> 유럽 조선소들의 M&A 현황(크루즈선)

Page 27: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7 -

□ 세계 시장 전망

○ 중장기(2010~2018년) 선박 건조수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상물동

량 감소, 다량의 신조선박 및 수주잔량 등으로 인해 연평균 건조수요는

과거 평균수요를 하회할 전망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감한 세계시장의 선박 건조수요는 2012년까지

정상 수요규모를 향해 증가할 것이나 상당기간 적정 규모로 유지될 전망

- Clarkson에 따르면 연평균 수요규모는 약 2,660만 CGT로 ‘96∼2008년

연평균의 74.9%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

- 이는 2007년 피크기에 맞춰 늘어난 글로벌 공급능력이 치열한 경쟁을

통하여 조정될 것임을 시사함.

<그림 9> 세계의 선박 건조수요 전망

자료 : Clarkson Shipbuilding Forecast Club, "The Newbuilding Market 2009-2021", Oct.

2009.

- 청정 에너지 수요, 에너지 가격 변화에 따라 심해 원유 및 가스 시추를

위한 해양플랜트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유지될 전망

- 특히 해양플랜트의 경우 드릴쉽, FPSO에서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LNG-FPSO, FSRU 등의 수요증가 및 발생이 예상

- Clarkson의 경우 2021년까지 선종별 수요증가율을 LNG선의 경우 연평

Page 28: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8 -

균 5∼5.3%, 컨테이너선 약 -0.5∼5.8%, 탱커 1.0∼2.9%, 벌크캐리어 1.6

∼3.6% 등으로 전망함.

<표 10> 선종별 연평균 건조수요 증가율(2009~2021)

LNG선 컨테이너선 탱커 벌크캐리어 FPSO

09-11 12-16 17-21 09-11 12-16 17-21 09-11 12-16 17-21 09-11 12-16 17-21 09-11 12-16 17-21

선박수요

증가율5.2 5.3 5.0 -0.5 5.8 5.2 1.0 2.9 2.8 1.6 3.6 3.2 2.9 4.0 3.0

자료 : Clarkson Shipbuilding Forecast Club, "The Newbuilding Market 2009-2021", Oct.

2009.

- 특히 컨테이너선의 경우 다량의 신조 선박과 해운시장 침체로 2011년까

지 감소가 예상되고 있고, 반면 청정에너지 수요와 맞물린 LNG선의 경

우 5%대의 높은 수요증가가 예상되고 있음.

○ 한편, 크루즈선의 시장전망은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전 세계적 경기침

체에도 불구하고 일부 크루즈 선사 및 조선소의 재무 불안정이 문제가

되고 있을 뿐 크루즈 수요는 높은 수준을 유지2)

- 크루즈 여행객 규모는 2008년 1,320만 명(북미 기준)을 기록, 전년대비

5.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발표됨.

- 크루즈선의 수요는 대형 및 초대형 크루즈선을 중심으로 활성화될 것으

로 예상되고 있고, 특히 글로벌 경제가 안정기를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12년 이후부터 발주가 더 늘어날 전망임.

2) Clarkson Shipbuilding Forecast Club, 전게서.

Page 29: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29 -

<표 11> 크루즈선의 선형별 연평균 발주전망

단위 : 척, %

‘96~2008 2011~2014 2015~2018 2018 연평균증가율

10만 GT 이상 4 5 7 9 8.46만~10만 GT 4 5 5 6 4.12만~6만 GT 3 2 2 5 5.22천~1만 GT 1 1 0 0 0

계 12 14 15 21 5.8

자료 : Clarkson Shipbuilding Forecast Club, "The Newbuilding Market 2009-2018", Oct.

2009.

○ 이러한 추세 등을 감안할 때 세계 선박 건조수요는 2005년 4,651만 GT

에서 2010년 4,240만 GT, 2015년 4,160만 GT로 예상

- Clarkson 전망의 경우 특히 건조량 측면에서 핵심 선종인 탱커와 벌크

캐리어의 ‘96~2008년 평균 기준 2018년의 연평균증가율이 각각 -3.6%,

-4.2%로 나타나고 있고 컨테이너선의 경우도 1.4%에 불과할 것으로 전

망되고 있음.

<표 12> 선종별 연평균 건조수요 및 증가율

단위 : 백만 CGT, %

‘96~2008 2011~2014 2015~2018 2018 연평균증가율

탱커 10 4.9 5.5 6.9 -3.6

벌크 캐리어 9.4 4.2 4.9 6.1 -4.2

LNG선 1.8 2.1 2.5 2.9 4.9

컨테이너선 7.4 5 6.6 8.5 1.4

크루즈선 1 1.3 1.6 2.1 7.7

해양플랜트 1.4 2.9 3.1 3.4 9.3

전선종 35.5 25.2 28.0 34.1 -0.4

자료 : Clarkson Shipbuilding Forecast Club, "The Newbuilding Market 2009-2018", Oct.

2009.

주 : 연평균증가율은 ‘96~2008 연평균 대비 2018년 수요의 증가율임.

- '18년까지 선종별 수요증가율은 해양플랜트의 경우 연평균 9.3%, 크루

즈선 7.7%, LNG선 4.9%, 컨테이너선 약 1.4%, 탱커 -3.6%, 벌크캐리어

-4.2% 등으로 전망하였음.

Page 30: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0 -

3. 국내 조선산업의 현 좌표와 현황

□ 국민경제에서의 위상

○ 한국 조선해양산업은 2000년대에 들어와 세계 조선해양산업의 1위 위치

를 고수하고 있고, 다양한 공정혁신을 바탕으로 기술도 선도하고 있어

세계 조선해양의 리더, 동시에 한국 수출의 견인 주역 역할

○ 국내에서 조선산업의 위치는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2009) 12.4%,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23.6%, 2008년 기준 제조업 대비 생산비중

5.9%, 부가가치 5.9%, 고용 5.3%, 유형 고정자산 규모 5.8% 차지

- '09년 기준 수출실적은 451억 달러로 '00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이

20.5%에 이르고 있고, 무역수지 흑자가 약 403억 달러에 이름.

- 조선산업의 주력 품목인 강선을 기준으로 한 수출 비율은 약 95% 이상

으로 거의 전량 수출임.

- 세계시장 호조에 힘입어 '09년 12월말 기준 수주잔량이 5,280만 CGT로

향후 2년치 정도의 일감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임.

산업 규모 및 위상

(10억원, 천명)

시장 조직

업체수(개사)

생산액 부가가치 고용 유형고정자산규모 대기업 중소

기업 계

66,146(5.9)

21,802(5.9)

130(5.3)

20,521(5.8) 17 1,087 1,104

(1.9)

<표 13> 조선해양산업의 위상과 산업구조

자료 : 통계청,「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2009. 12., 한국은행,「기업경영분석」, 2009.

주 : ( ) 안은 제조업 대비 비중.

○ 조선해양산업의 업체수 기준 중소기업의 비중이 2008년 기준 약 98.5%

- 조선해양산업에 속한 업체들은 중소기업이 대부분으로 전체의 98%를

Page 31: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1 -

상회하고 있으나 300인 이상 대기업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85.7%로 나타나고 있음.

○ 조선업체들은 도크설비가 필수이므로 바다와 인접한 지역에 주로 분포

- 대형 조선소는 부산, 경남 및 전남 등 해안지역에 대부분의 업체가 입

지해 있으며, 중소형 조선소는 3면의 해안 인접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으나 특히 부산, 전남, 경남, 인천지역에 다수 입지

- 선박 부품 및 기자재 업체의 경우도 대부분 조선업체가 입지해 있는 인

근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특히 부산 및 경남, 전남지역에 다수의 기자

재업체가 입지해 있음.

<표 14> 지역별 조선산업 분포

단위 : 개사, 10억원, %

사업체수 비중 생산액 비중 부가가치액 비중

경상남도 538 52.3 21,872 46.1 7,068 42.9

부산광역시 118 11.5 1,764 3.7 449 2.7인천광역시 6 0.6 18 0.0 13 0.1

울산광역시 162 15.8 18,812 39.6 7,359 44.6

강원도 5 0.5 8 0.0 7 0.0

충청남도 6 0.6 23 0.0 7 0.0전라북도 3 0.3 18 0.0 5 0.0전라남도 138 13.4 4,527 9.5 1,484 9.0경상북도 46 4.5 209 0.4 95 0.6

계 1,028  100  47,468  100  16,487  100.0

자료 : 통계청,「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지역편, 2008. 12.

□ 국내 조선소들의 시장집중도 변화

○ 한국 조선소들의 생산실적 및 비중은 설비확충 이전에는 현대의 시장점

유율이 국내의 경우 50%를 상회하여 시장집중도가 0.4에 근접하였으나

‘97년 이후 대우, 삼성 및 현대삼호의 실적이 늘면서 2008년에는 0.14 정

도로 낮아짐.

Page 32: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2 -

<표 15> 조선소별 시장점유율 및 시장집중도 추이

단위 : 천 GT, %

구분

1990 2000 2003 2008생산

실적

(천GT)

시장

점유율

생산

실적

(천GT)

시장

점유율

생산

실적

(천GT)

시장

점유율

생산

실적

(천GT)

시장

점유율

국내 세계 국내 세계 국내 세계 국내 세계

현대

대우

삼성

한진

현대삼호

기타

1,802

1,101

409

130

72

59

50.4

30.8

11.4

3.6

2.0

1.6

10.7

6.3

2.1

0.5

0.4

0.2

4,384

2,878

2,338

780

580

1,258

35.9

23.6

19.1

6.4

4.7

10.3

14.0

9.2

7.5

2.5

1.9

4.0

3,876

2,896

3,055

375

1,699

1,702

28.5

21.3

22.5

2.8

12.5

12.5

10.9

8.2

8.6

1.1

4.8

4.8

7,100

4,010

4,269

749

2,710

7,265

27.2

15.4

16.4

2.9

10.4

27.8

10.7

6.1

6.4

1.1

4.1

11.0계 3,573 100.0 20.2 12,218 100.0 39.1 13,603 100.0 38.3 26,103 100 39.4시장

집중도(HI)0.3641 0.2272 0.1978 0.1407

자료 : 한국조선공업협회.

주 : 시장집중도는 상위 5개사 기준임(HI=∑(시장 점유율)).

- 국내외 시장점유율 추이를 보면 ‘95년을 전후한 설비확충으로 삼성과

현대삼호의 국내외 시장점유율이 대폭 상승한 반면 한진 등의 시장점

유율은 감소하고 있음.

- '03년 이후 기타 조선소들의 생산실적이 크게 증가한 것은 중형급 이하

조선소들의 수출선 건조가 크게 증가하였고 기타 신설 조선소들의 실적

이 반영된 결과임.

□ 업체별 세계시장 점유율 변화

○ 국내 대형 5사(현대, 삼성, 대우, 한진, 현대삼호)의 ‘08년 기준 세계시장

점유율은 건조량 기준 1.1~10.7%, 수주량 기준 0.7~11.3%

- 주요 업체의 설비 확충 규모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다소 변화가 발생하

고 있고, 현대의 점유율이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고 있고, 나머지 업체들

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Page 33: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3 -

- 2008년까지 세계조선시장의 호조로 대형 5사의 매출액은 증가를 나타내

었으나 이후 시황이 급격하게 침체되면서 수주가 크게 감소하고 있고

2010년부터는 건조규모도 감소가 예상되고 있음.

<표 16> 국내 주요 업체의 세계시장 점유율 추이 (GT 기준)

(단위: %) 1995 1996 1997 2000 2002 2006 2007 2008

현대중공업건 조

수 주

11.1

8.5

12.8

10.5

10.5

12.5

10.8

10.1

12.2

10.7

9.2

11.3

8.5

6.2

10.7

11.3

삼성중공업건 조

수 주

6.3

7.5

6.4

6.0

5.4

5.9

6.7

9.0

8.6

12.7

7.0

6.6

6.0

5.7

6.1

5.8

대우조선해양건 조

수 주

6.6

4.6

8.5

7.4

8.0

10.5

6.7

6.5

9.5

6.6

6.1

5.1

5.1

5.1

6.4

7.1

한진중공업건 조

수 주

1.7

1.6

1.4

1.9

2.6

0.8

2.9

1.7

1.8

1.9

1.8

1.3

1.8

0.5

1.1

0.7

현대삼호중공업건 조

수 주

1.5

3.8

2.5

2.5

3.3

3.9

1.1

3.4

5.5

4.1

4.5

4.6

2.1

3.0

4.1

3.7

- 세계 조선업계의 수주잔량을 살펴보면, 10위권 조선업체 가운데 국내

조선업체가 8개로 나타났었으나 2008년 이후 중국 조선업체의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7개로 감소

- 특히 일본은 대형 조선업체들이 글로벌 조선호황에 대해 보수적으로 대

처, 건조능력 확충을 소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수주잔량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반면 정부차원에서 건조능력 확충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중국은

대련조선에 이어 강남 및 장수조선도 10위권으로 부상함.

- 국내 업계도 건조능력을 크게 확충한 현대중공업의 수주잔량이 더 빠르

게 감소하면서 수주잔량 기준 순위가 대우, 삼성, 현대 순으로 변화

Page 34: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4 -

<표 17> 세계 조선업계 순위

2004년 5월 2006년 5월 2010년 3월

조선소 국적수주잔량

(천CGT)조선소 국적

수주잔량

(천CGT)조선소 국적

수주잔량

(천CGT)

1 현대중공업 한국 8,995 현대중공업 한국 11,161 대우조선해양 한국 8,167

2 삼성중공업 한국 6,283 삼성중공업 한국 8,295 삼성중공업 한국 7,988

3 대우조선해양 한국 4,695 대우조선해양 한국 7,497 현대중공업 한국 7,661

4 현대미포 한국 2,957 현대미포 한국 4,170 STX조선 한국 4,647

5 현대삼호 한국 2,805 현대삼호 한국 2,776 현대미포 중국 4,101

6 미쯔비시 일본 2,127 STX조선 한국 2,307 현대삼호 한국 3,810

7 STX조선 한국 1,916 한진중공업 한국 2,193 대련조선 중국 2,967

8 한진중공업 한국 1,592 대련조선 중국 1,897 강남조선 중국 2,979

9 신아조선 한국 862 가와사키 일본 953 장수조선 중국 2,726

10 New Century 중국 698 신아조선 한국 915 성동조선 한국 2,602

자료 : Clarkson.

□ 수급 현황

○ 모든 선종을 포함한 국내 조선해양산업의 2009년 기준 수출규모는 약

451.3억 달러, 수입은 약 48.7억 달러(탱커선의 2009년 수출은 약 239.8

억 달러)로 나타나 2000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이 각 지표 모두 20% 이

상을 기록

<표 18> 조선해양산업의 국내 수급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

2000 2002 2004 2006 2009 연평균증가율

공급생산 8,425 10,869 15,663 22,805 46,100 20.8

수입 635 1,014 1,585 2,009 4,872 25.4

수요수출 8,420 10,867 15,657 22,123 45,128 20.5

내수 640 1,016 1,591 2,691 5,844 27.9

자료 : 관세청, KOTIS(MTI기준).

주 : 2009년 생산 및 내수는 추정치이고, 수입 및 내수의 상당부분은 선체블록이 차지함.

- 전체 선종의 경우 생산의 대부분이 수출되고 있으므로 수출비율이 매우

Page 35: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5 -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2000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이 약 20.5%임.

<표 19> 국내 주요 선종의 수출입 규모

단위 : 억 달러

구분2001년 2003년 2006년 2009년

수입 수출 소계 수입 수출 소계 수입 수출 소계 수입 수출 소계

탱커 1.7 24.6 26.3 1.9 68.7 70.6 2.9 87.2 90.1 8.1 239.8 247.9

기타화물선 1.1 54.4 55.5 1.8 34.2 36 5.5 108.0 113.5 17.4 132.4 149.8

자료 : 관세청, KOTIS(HS기준).

- 전체 수입(MTI 기준)은 수출의 약 10%를 약간 상회하고 있으나 외환위

기 이후 감소 추세에서 점차 증가세를 보여 왔으며 특히 2005년 이후

대우와 삼성의 선체블록의 대중국 반입이 크게 증가하면서 2000년 이후

연평균 증가율이 27.9%로 높은 수준을 보임.

- 주요 선종별 수출규모는 금액기준으로 볼 때 2009년 탱커가 약 240억

달러로 가장 많고 이어 컨테이너선, LNG선이 포함되어 있는 기타 화물

선 등의 순임.

□ 기업규모별 현황

○ 조선산업의 기업규모별 현황을 보면 '08년말 기준 대기업 17개사, 중소

기업 1,087개사로 대기업 비중이 1.5%

- 조선산업의 업체수는 '90년대 중반이후 조선호황의 영향으로 지속적으

로 증가하다 2003년 이후에는 경쟁력 보유 기업들을 중심으로 재편된

후 다시 급속 증가추세를 보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Page 36: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6 -

<표 20> 조선산업의 기업규모별 현황

단위 : 업체수

구 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조선

산업

중소

기업880 890 821 799 792 966 1,013 1,087

대기업 13 10 9 9 8 14 15 17

소계 893 900 830 808 800 980 1,028 1,104

전 산업 106,550 111,025 113,297 113,920 117,818 113,930 119,610 58,823

비중(%) 0.84 0.81 0.73 0.71 0.68 0.86 0.85 1.9

자료 :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호.

주 : 2008년부터 5인 기준에서 10인 기준으로 변화.

- 기업규모별로 볼 때 중소기업의 비중은 약 98.5%로 나타나고 있으나

생산비중은 14.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대부분의 중소업체

들이 영세한 상태임을 알 수 있음.

- 이러한 중소기업의 일부는 최근 수출선 건조를 시작한 중소 조선소 및

대기업의 사내 하청기업이거나 하도급업체들로 블록가공 및 세부공정을

분담하고 있는 업체들로 판단됨.

- 조선산업의 전 산업에서 차지하는 기업수 비중은 약 1.9%로 약 5.3~

12.4%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생산, 고용 및 수출비중에 비해 작

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업당 평균 매출 및 고용규모가 여

타업종에 비해 크기 때문임.

□ 국내 주요 생산업체

○ 국내 주요 조선업체들은 세계 유수의 업체들로 평가받고 있고 '09년 수

주잔량 기준 국내 7개사가 세계 1위부터 10위권에 속함.

- 최근 침체국면에 접어들었지만 ‘90년대 중반 이후 2008년 상반기까지

조선시황의 활황과 함께 국내 조선업체의 생산성 및 기술수준도 비약

적으로 발전해 왔음.

Page 37: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7 -

- 고부가가치선으로 일컬어지는 LNG선 시장의 약 80%를 국내 업체들이 공

급을 전담하고 있고 초대형 컨테이너선 시장의 수요를 리드하고 있음.

- 또한 심해 유전개발 및 시추선박 등과 같은 해양플랜트 분야도 동 분야

에 대한 활발한 투자와 제품 및 기술개발전략을 추진해 온 국내 업체들

이 세계시장을 선점하고 있고 세계수요를 이끌고 있음.

- 2000년 이후 블록을 건조하던 업체의 신조 전환과 신설 조선소 증가로

중형급 조선업체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선종 및 선형 선박

의 건조가 크게 증가하였음.

<표 21> 국내 주요 생산업체 현황

업체명 주요 생산품목 비 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진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STX 조선

SLS 조선

대선조선

성동조선해양

대한조선

SPP 조선/해양

대형 탱커,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등

초대형컨테이너선, 대형탱커, LNG선, FPSO 등

LNG선, 대형 탱커,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대형 컨테이너선 및 탱커, LNG선 등

탱커, 컨테이너선, 벌크캐리어 등

제품운반선, LPG선, 탱커, 컨테이너선 건조 등

제품운반선, LPG선, 탱커 등

선박, 철구조물, 강선건조 등

선박, 철구조물, 강선건조 및 수리 등

선박, 철구조물, 강선건조 등

선박, 철구조물, 강선건조 등

선박, 철구조물, 강선건조 등

육상건조 최초 적용

특수선 우위, 메가블록

LNG선 최다 건조

컨테이너선, 필리핀투자

범용 대형선

중대형급 선박(신조전환)

중대형급 선박

중형급 선박

중형급 선박

중형급 선박(블록→신조)

중형급(‘07 신설, 가동)

중형급 선박(블록→신조)

□ 조선산업의 고용현황

○ 조선산업 고용은 '08년 기준 129,827명으로,광업 및 제조업 고용을 기준

으로 한 고용비중은 약 5.3%로, ‘02년의 3.2%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음.

- 조선산업의 고용규모는 ‘03년 다소 감소한 이후 조선호황에 따른 건조

량 증가에 따라 ’04년부터 다시 빠른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건조량이 감

소하기 시작하는 2009년 이후부터 다시 감소가 예상됨.

Page 38: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8 -

<표 22> 조선산업의 고용 현황

단위 : 명, %

구 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조선산업 86,213 86,201 90,304 92,213 104,367 118,818 129,827

총고용 2,712,310 2,752,175 2,814,598 2,881,003 2,878,582 2,855,426 2,466,716

총고용

대비 비중3.2 3.1 3.2 3.2 3.6 4.2 5.3

자료 : 통계청,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각호.

주 : 총고용은 광업 및 제조업 고용을 기준으로 함.

4. 산업에 대한 종합평가 및 과제도출

□ SWOT 분석

○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강점은 다종 다양한 선박의 건조경험 및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킬 수 있는 대형 건조설비, 풍부한 기술인력, 후방산업 발

달 등임.

- 한국 조선해양산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특히 최근에는 다량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LNG선, FPSO 등을 비롯, 여러 종류의 선박을 다량 건조해

왔기 때문에 선박설계에 있어서 선주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뛰어남.

- 선박의 연속건조에 의한 생산성 향상 속도가 경쟁국인 일본에 비해 앞선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대형선박 건조를 타깃으로 했기 때문에 건조설비

의 운영에 있어 경쟁국에 비해 높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시킬 수 있음.

- 고급기술인력의 경우 조선관련 학과의 매년 배출인력이 750여명에 이르

고 있으며 이들이 기술개발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인적기반이 됨.

- 경쟁국에 비해 높은 품질 및 낮은 단가로 공급되는 후판 및 선박용 엔

진 등이 건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원천이 되고 있음.

Page 39: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39 -

- 최근까지 선박을 발주해 온 해외 선주들의 경우 한국건조 선박의 품질

및 공급조건에 대해 신뢰를 하고 있고 지속적인 수요원이 되고 있음.

○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약점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해운산업으로 인한 빈

약한 내수물량, 고부가가치선용 기자재의 낮은 국산화율, 기반이 취약한

중소 조선해양산업 등임.

- 풍부한 내수물량은 조선불황기에도 선박건조를 지속시킬 수 있는 원천

이 될 수 있고, 여러 가지 유리한 조건을 갖춘 수요물량이 될 수 있지

만 한국의 경우 추진되고 있는 국내선 건조 프로젝트가 10% 미만으로

미미함.

- 선박금융 분야의 발전수준이 낮고 다양하지 못한 금융상품으로 인해 파

이낸싱조건이 불리한 편임.

- 세계시장에서 경쟁하는 주요 업체가 국내업체들이기 때문에 협력이 어

렵고, 출혈경쟁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기도 함.

<그림 10> 조선해양산업의 SWOT 분석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형 조선해양산업을 보완할 수 있는 위치에 있

는 중소 조선산업의 기반이 다시 취약해지고 있고, 다각화를 추진하고

Page 40: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0 -

있으나 조선업체들의 전업도가 높아 경기변화 대응력이 떨어지는 것으

로 평가됨.

- 조선기자재산업의 발달수준이 대형 조선해양산업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

고 있어 핵심 및 고부가가치 선박용 기자재의 국산화가 미흡한 수준임.

- 한국이 세계조선시장에서 1위의 위치에 있으나 조선관련 국제활동에서

핵심멤버로서의 역할이 미흡하고, 이로 인해 관련 국가간 이해관계조정

등에서 마찰이 발생하거나 각종 규제제정 시에도 수동적 입장이 되고

있음.

○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기회요인은 주요 기업의 다각화 추진, 선주들의 높

은 신뢰도, 철강․엔진 등 관련산업의 지속적 발전, 세계 해양플랜트 시

장의 지속적 확대 가능성 등임.

- 한국의 조선업체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조선부문의 침체에 대응하

기 위하여 풍력, 에너지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고 축적된 경험

과 연관기술을 바탕으로 점유율 제고가 기대됨.

- 후방산업인 철강 및 엔진부문의 지속적 발전이 예상되고 있어 유리하고

안정적인 조건의 후판 및 엔진공급이 계속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LNG-FPSO, 원유시추선 등 해상구조물에 대한 수요창출이 예상되고 있

어 조선업체들의 선박건조시설 활용이 활발할 것으로 기대됨.

○ 한국 조선해양산업의 위협요인으로는 세계시장의 침체 지속, 중국의 급

부상과 정책적 지원, 통상마찰의 재발 가능성, 주요 발주국의 자국 건조

주의 확대 등이 거론되고 있음.

- 저임 인력으로 무장한 중국 조선산업의 빠른 추격, 경쟁국인 일본의 시

장지위 유지 전략 및 EU 조선산업의 부활 전략 등은 한국 조선해양산

업의 시장 유지 및 확대전략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Page 41: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1 -

- 세계조선시황을 보면 단기적으로 9.11 테러사태 이후 선박수요가 급속

히 회복되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1970년대 건조된 선박의 대체수요가

소진되고 있어 불안정한 상태가 도래할 가능성도 있음.

□ 당면과제

○ 핵심기술 및 신개념 선박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 고부가가치선의 핵심기술 확보와 신개념 선박 등의 핵심연구 활성화를

추진해야 함.

○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강화

- 기능인력의 장기 수급계획 수립 및 양성, 우수 전문 기술인력 확보 등

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함.

○ 해양플랜트산업 기술경쟁력 제고

- 해양공간 활용 및 심해 자원 개발용 해양플랜트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

한 전략적 제휴 및 인프라 구축을 추진함.

○ 요트, 파워보트 등 해양레저장비산업의 활성화

-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을 통한 경쟁력 제고와 해양레저 수요 창출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적극 추진함.

○ 디지털 기반 조선 컨텐츠 분야 강화

- 조선해양 정보기술 체계의 확립 및 신산업 창출을 통한 신성장 동력화

를 유도해 나감.

Page 42: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2 -

5. 조선해양산업의 발전전략

□ 핵심기술 및 신개념 선박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 고부가가치선의 핵심기술 확보

- 후발 조선국과의 차별화 및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초대형 크루즈선,

FSRU, Sub-sea 설비, 그린쉽 등 고부가가치제품의 핵심기술 개발이 필

요함.

- 선박 대형화, 고속화, 전문화에 따른 핵심기술개발을 위해 ‘저소음 대형

캐비테이션 터널’을 구축하였고, 최근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쇄빙선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빙해수조 시설’ 등 공동연구기반장비가 갖춰짐.

○ 신개념 선박 등의 기초연구 활성화 추진

- 에너지 수요구조 변화, 오염저감 및 환경친화적 니즈 확대, 선박의 초고

속․초대형화에 따른 신개념 선박의 등장이 예상되나, 관련 연구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후 출현할 선박의 원천기술 선점을 위해 기초연구

를 활성화함.

- 이를 위해 전문연구기관내 기초․핵심기술 연구센터 설립하고 신개념

선박의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등으로 추진함.

□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인력개발 체계 강화

○ 기능인력의 장기수급계획 수립

-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대비하여 장기 인력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지역별

실태조사 및 수급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대응방안을 마련함.

- 건조량 변화에 따른 인력수급의 원활한 조절을 위해 노동부와 공동으로

Page 43: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3 -

직업전문학교 및 기능대에 맞춤형 조선기능 인력양성 프로그램 설치하

고 기술개발을 통한 주요 공정의 자동화율 확대를 추진함.

○ 우수 전문기술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 및 홍보강화

- 조선해양산업에 대한 미래비전 제시를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세계 위상

과 향후 전망을 제공하여 우수고교생이 조선해양공학을 전공하도록 유

도함.

- LNG선, 다양한 해양플랜트 등 주력 건조선종의 변화에 따라 대학교육

교과과정 개편 및 전기.전자, 플랜트 및 메카트로닉스분야 등의 우수인

력이 조선업계에 유입되도록 산.학.연 연계노력을 강화함.

□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제고

○ 해양공간 활용 및 심해 자원 개발용 해양플랜트 기술경쟁력 제고

- 기본설계 및 엔지니어링 능력열위로 지속적인 부가가치 창출 확대가 어

려우므로 산․학․연 전문가를 활용한 연구기획을 통하여 로드맵을 작

성하고 신규과제를 발굴, 발굴된 과제를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등으로

지원하여 계속 기술경쟁력을 제고함.

○ 전략적 제휴 및 인프라 구축 추진

- 특히 해양분야의 경우 외국 엔지니어링사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엔지

니어링 기술의 습득, 혹은 기술공유 노력이 필요하며, 기본설계, 엔지니

어링 기술 확보, 전문 기술인력 양성 및 선진국과의 교류 확대를 위해

전문 교육 프로그램, 국제 공동연구 등을 추진함.

□ 요트 등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

○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을 통한 경쟁력 제고

Page 44: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4 -

- 해양레저장비 개발에 필요한 공동연구장비 구축 등을 위해 동남권(중소

조선연구원)과 서남권(대불대)에 기반조성사업을 통한 지원을 강화함.

- 신제품․디자인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진흥 및 사업발전기금’에 전입되

는 경륜경정 수익금의 해양레저장비 지원규모를 확대하고 다양한 기술

개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함.

- 해양레저장비 설계․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 대학 관련학과 신설 유도

및 국제교류를 통해 Yacht 등 레저선박을 설계․생산할 수 있는 전문기

술인력 양성을 추진함.

○ 해양레저 수요 창출을 위한 제도개선

- 자유로운 해양레저 활동을 위한 다양한 관련규제를 완화하고 등록제 시

행으로 부과되는 고율의 취득세(10%) 부담 완화를 추진함.

□ 조선․해양기자재산업 고도화․수출산업화

○ 조선․해양기자재 개발 및 기술력 제고를 통한 고도화

- 혁신우량 중소기자재업체 중심의 LNG선용 초저온배관장치, 지능형 고

장진단 기술, IT접목 항해정보기술, 위성통신망 이용기술, HVAC시스

템, 크루즈선용 인테리어 및 장비 등 고부가가치 핵심기자재 개발 및

기술력을 제고함.

○ 해외마케팅 강화 및 국제표준 활동 강화를 통한 수출산업화

- 국내에서 개최되는 선박해양 및 기자재 국제 전시회 등과 연계하여 해

외유명 선주 초청사업 지원을 강화하고, 포세도니아 전시회(그리스) 등

세계 3대 전시회에 조선업계와 공동 참여를 확대하여 해외전시회를 통

해 해외 마케팅능력을 강화함.

Page 45: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5 -

- 국내 표준을 ISO/IMO 등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국내 대응체계를 구축

하고 국제활동의 지원을 강화함.

□ 글로벌 조선해양 리더로서 국제 위상 강화

○ 통상마찰 대응능력 제고

- 향후 중장기적으로 세계1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경쟁국의 통상압력에

대해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 민․관 협

력체계의 원활한 가동, 정보수집능력 배양 등을 강화함.

- 국제협력강화 등을 통해 통상마찰을 사전에 억제하도록 노력해야 하나,

세계 단일시장의 특성상 불가피한 통상 분쟁에 대한 사전 대응능력을

배양함.

○ 적극적인 Rule-Maker로서 활동 강화

- IMO(국제해사기구), ISO, IACS(국제선급연합) 등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세계 1위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조선해양산업과 관련된 국제규범 제

정시 적극 참여를 통해 규범제정 단계부터 조선업계의 의견을 반영하

여 소극적인 규범준수에서 탈피, 적극적인 Rule-Maker로서 활동을 강

화함.

- OECD 신조선협정협상이 다시 재개됨에 따라 향후 세계 조선해양산업

의 공정한 경쟁질서 확립을 위한 주요 조선 산업국간 양자 및 다자 협

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 디지털 기반 조선 컨텐츠 분야 강화

○ 조선해양 정보기술강국 확립

- CAD/CAE, 데이터 표준, CAM용 S/W의 개발, ERP 나아가 가상 시뮬

Page 46: A PQ - 1 - ! "#$% &'()*$+,- . /012345 67 89:/;?@ a b7 cd.& ef ghij k ! /1234 lmn6o1 pq r=ls t=%u6v % r=! lmn g

- 46 -

레이션, PDM, PLM 등의 분야에서 세계 조선정보기술시장의 강국이 되

는 것을 목표로 디지털기반 조선 컨텐츠 기술 및 조선정보기술 개발에

주력함.

- 또한, 지능형 제품 모델을 기반으로 선박․해양구조물의 설계․해석․

생산계획 및 생산과정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산, 가공 유통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

○ 신산업 창출을 통한 신성장 동력화

- 조선 및 해양플랜트분야 디지털 소프트웨어의 발전기반 조성 및 조선

기술의 디지털 기반 조선 컨텐츠화로 조선정보기술의 가공․유통․관리

체계 구축하여 신성장 동력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