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BI Design 서울특별시 5대 고궁 김소희, 김지혜

서울5대고궁(1) 2

Embed Size (px)

DESCRIPTION

서울시 5대고궁 아이덴티티 구축

Citation preview

Page 1: 서울5대고궁(1) 2

BI Design서울특별시 5대 고궁

김소희, 김지혜

Page 2: 서울5대고궁(1) 2

경복궁 경희궁 덕수궁 창경궁 창덕궁

Page 3: 서울5대고궁(1) 2

550560570580590600610620630640650

2004 2005 2006 2007

한국 방문 관광객수

•뉴욕 타임즈 선정 2010년

가 볼만한 도시 3위

•세계 도시브랜드 가치 10위

•외국인 관광객 1천만 명

유치계획

고궁 아이덴티티 구축의 필요성

Page 4: 서울5대고궁(1) 2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내외국인 방문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서울의 명소 4위 고궁 42.9%

•여행 패키지 상품 90%이상 고궁 필수코스로 포함

•추천하고 싶은 방문장소로는 경복궁(7%)이 3년째 1위

•한국 여행 중 가장 인상 깊은 관광지 18.5% 고궁선정

문화관광지로써 고궁의 중요성

Page 5: 서울5대고궁(1) 2

서울의 대표 색 중 하나인 '기와 진회색'을

모티브로 잡은 고궁 표지판 통일화

Page 6: 서울5대고궁(1) 2

주한 프리랜서 특파원

저널리스트 앤드류 셔면

‘죽은 문화’ 고궁을 살려라.

한국의 고궁들이야말로 외교적,

문화공간 역할 뿐 아니라

관광 수입원으로 톡톡한

역할을 할 수 있다.

Page 7: 서울5대고궁(1) 2

고궁의 표지판과 경복궁내 민속박물관,

고궁박물관의 표지판이 비 통합

Page 8: 서울5대고궁(1) 2

각 궁의 화장실 건물이 제각각 이다.

Page 9: 서울5대고궁(1) 2

쓰레기통의 형태가 일정한 컨셉 없이

각각 다르다.

Page 10: 서울5대고궁(1) 2

경희궁과 민속박물관, 고궁박물관의

팜플렛이 통합되어있지 않다.

Page 11: 서울5대고궁(1) 2

각 궁의 웹 페이지 컨셉이 서로 다르다.

Page 12: 서울5대고궁(1) 2

문화관광지 BI 해외 사례

오스트리아 빈의 뮤지션 아파트먼트

Page 13: 서울5대고궁(1) 2

프랑스 미술관들의 아트티켓과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문화관광지 티켓

Page 14: 서울5대고궁(1) 2

오스트리아의 빈 문화관광지 웹페이지와

임페리얼 오스트리아 웹페이지

Page 15: 서울5대고궁(1) 2

이미지 구축 방향

•고궁 방문 동기

1. 고궁의 건물과 경관을 관람하기 위해

2. 한국의 역사를 알기 위해

3. 궁궐 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내국인의 경우 탈 일상적 동기가 높음

한국의 정서와 문화

시민들의 휴식공간

Page 16: 서울5대고궁(1) 2

구축 계획

• 벤치, 휴지통, 소화전, 화장실 건물 등의 이미지 통합

• 팜플렛과 티켓을 더 실용적이고 고궁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이미지로 변경

•경희궁과 운현궁의 이미지 통합

• 경복궁내 민속박물관과 고궁박물관의 이미지 통합

• 궁내 보호수 및 토종식물을 나타내는 표지판 디자인으로

시민들에게 자연과 어우러지는 휴식공간의 정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