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러시아 FOCUS 경제 R 3 2013년 3월 27일 수요일 section sponsored by Rossiyskaya Gazeta, Russia 러시아 청년 사업가들은 해외보다 국내 사업이 훨씬 더 전망이 높다 고 생각한다. 해외를 선호하는 청 년 사업가는 전체의 6분의 1에 불 과하다. 청년창업컨설팅회사인 ‘비즈니 스 몰로도스트(젊은이)’가 민간 리서치기업 ‘레바다 센터’와 함께 실시한 지난 2월의 여론조사 결과 를 보면 대다수 청년 사업가들이 러시아 국내에서 자신의 사업이 성 공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4% 가 기업활동 면에서 여타 서방 국 가들보다 러시아가 훨씬 미래가 밝 다고 확신하고 있다. 덧붙여 응답 자의 56%는 해외이민 계획이 없다 고 대답했다. 그러나 73%는 해외 에서 교육을 받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미래에 대한 이러한 낙관론의 배경에는 변화한 청년 사업가상이 자리 잡고 있다 고 진단한다. 청년 사업가의 기류는 기업 경 영전략에도 변화의 바람을 몰아 온다. 1990년대 초 사업가들은 자 본을 축적하고 지키는 데 전력을 다했지만 지금은 우선순위가 바 뀌었다. 자기만족을 위한 창업이 늘었다. ‘비즈니스 몰로도스트’의 공동 설립자인 표트르 오시포프는 “최 근 새로운 기업가상이 등장했으며 이는 새 트렌드를 반영한다. 신세 대 사업가들의 사업 목표는 자본 축적이 아니라 자기만족의 실현” 이라고 말한다. 이런 신세대 기업인들은 세제혜 택과 행정규제 완화 외에 실무경험 이 풍부한 지도자의 필요성을 절 실히 느낀다. 그래서 청년 창업가 의 82%가 자신의 사업을 위한 개 별 맞춤형 멘토를 찾아나서는 것 으로 조사되고 있다. ‘오포라 러시아’(중소기업인협 회)의 임원인 예브게니 야쿠봅스 키는 “이제 러시아에서 기업가란 ‘전통적 의미’의 비즈니스맨에 훨 씬 더 가까워졌다며 “그런 점에서 지금의 청년창업 열풍은 좋은 징 조라고 확신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최근의 러 시아 경제발전 상황을 우려하기 도 한다. 러시아 생산업연합 ‘비즈 니스 러시아’의 안톤 다닐로프-다 닐리안 부회장은 “전에는 원료 및 1차 산업 수출 비중이 63~65%였 지만 지금은 85%에 육박한다”며 “화학, 통신, 기술 분야 같은 큰 잠 재력을 가진 부문들을 발전시키려 면 제거해야 할 장애물이 많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사업가들은 서비스 분야, 특히 도 소매업을 선호하며 실물경제의 기 초가 되는 제조업은 ‘가장 선호하 지 않는’ 업종이다. 하이테크 투자 타깃으로 떠오른 러시아 유례없이 어마어마한 벤처투자금이 몰리고 있다 러시아가 미국 벤처캐피털의 차세대 타깃으로 부상할 것인가. 러시아 정 부의 강력한 경제 현대화 정책으로 현재 급성장 중인 러시아 스타트업 (신생기업)과 창업 인큐베이터들을 겨냥한 세계 유수의 외국 첨단기술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러시아 신세대 기업인들은 일정 한 틀에 갇힌 조직에 답답해한다. 디 자인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인 알렉 산드르 작스는 전형적인 케이스다. 작스는 아침 9시 출근, 저녁 6시 퇴 근이라는 도식을 거부한다. 필요하 다면 종일 일할 수 있지만 대신 창의 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바란다. 영감을 주는 작업환경이 중요한 이 유다. 이색적이며 안락한 분위기에 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상호 지원 할 수 있는 ‘협업 사무공간’이 늘어 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스타트업 의 성장을 보여주는 한 예다. 또 다른 예는 뉴욕 소재 국제 투자 매니지먼트 기업인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가 위키마트 (wikimart.ru)와 애니웨이애니데이 (anywayanyday.ru) 같은 러시아 스 타트업에 2200만 달러를 투자했다는 사실이다. 타이거는 2011년 5월 나스 닥에 상장된 러시아 최대 검색포털 얀덱스(Yandex.ru)의 주식도 보유 하고 있다. 또 징가(Zynga)의 설립자 마크 핀커스, 초기 페이스북 투자자 피터 티엘, 스카이프 설립자 니컬러 스 젠스트롬 같은 서방의 에인절 투 자가들은 ‘부킹닷컴’의 러시아판인 오스트로보크(Ostrovok.ru)의 성장 을 위해 1360만 달러를 투자했다. 러시아 스타트업의 약진은 혁신주 도적인 시장의 급속 성장 때문에 가 능해졌다. 1990년대 후반까지 러 시 아의 인터넷 보급률은 아주 낮았지 만 지금은 러시아인 두 명 중 한 명 이 인터넷 사용자이며 지금도 빠르 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러시 아는 인터넷 사용자 수에서 독일을 제치고 유럽 1위에 올랐다. 트루브리지 캐피털 파트너스의 투자분석가인 맥 앨라탭은 “미국 펀 드들은 한 지역에서 성공한 온라인 상거래와 소셜 네트워킹 기업의 성 공 사례를 다른 곳으로 이식하는 데 관심이 많다. 종전에는 중국이 타깃 이었지만 지금은 러시아에 대한 관 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과학 기술 산업에서 러시아가 가진 명성 도 도움이 된다. 미국 최대 벤처 펀 드인 개러지 테크놀로지 벤처스의 빌 라이하트 전무는 “러시아의 컴퓨 터공학과 재료공학은 세계 최고 수 준”이라고 지적한다. 낮은 인건비도 또 다른 이유다. 모스크바 스타트업 직원의 연봉은 높지만 주민 네 명 중 한 명꼴로 대 학생, 연구원, 대학 강사, 러시아 과 학아카데미 직원인 시베리아의 톰 스크 같은 도시에서는 월 2500달러 나 그 이하로도 최고급 인재를 영입 할 수 있다. 사모펀드 투자를 러시아 정부가 지원한다는 점도 1990~2000년대 초 의 러시아와 현재 러시아를 구분하 는 요인이다. 국책사업으로 대대적 인 물량 공세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 다. 러시아 정부가 연방과 지방 차원 에서 수백억 달러를 혁신 사업에 투 자하고 있다. 완공 단계에 이른 모스크바 외곽 의 대규모 테크허브 스콜코보는 혁 신 사업에 대한 대규모의 국가 보조 금과 감세 혜택을 등에 업고 수십 개 의 국제 벤처펀드와 하이테크기업들 에 러브콜을 하고 있다. 또 하나의 예 는 동유럽 최대 규모인 카잔 인근의 IT파크다. 톰스크 경제특구(SEZ)는 국내 기업들뿐 아니라 노키아 지멘 스 네트웍스, 한국의 다림 인터내셔 널, 미국에 본사를 둔 몬순 멀티미디 어와 로비 코퍼레이션 같은 해외의 유수 첨단기술 기업 등을 유치했다. 정부의 자금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3년 전 러시아에서 실제 운용되는 펀드는 20여 개에 불과했지만 지금 은 풍부한 자금이 모스크바로 몰려 들고 있다. 실리콘밸리 전문가인 스 티브 블랭크 교수는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어마어마한 거대 자금이 몰 리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도 많다. 그중 하나가 스타트업이 주도면밀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기업가정신을 물려받지 못 한 러시아의 신생 기업인들은 종종 설익은 프로젝트를 들이댄다. 샌프 란시스코와 함부르크에 본사를 둔 벤처펀드 BV 캐피털의 마리나 쿠즈 네초바는 “합리적인 비즈니스 모델 이나 계획이 부족하고 경험과 자질 도 모자라는 신생 스타트업을 종종 만나게 된다”고 말한다. 안드리엔 헨니 기자 아샤 파노얀 기자 서방국보다 러시아 미래 밝다 청년 사업가 84%가 국내 선호 이색적이며 안락한 분위기에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신사업을 지원하는 청년창업가의 ‘협업사무공간’ 게티이미지/포토뱅크 컴퓨터재료 공학 초일류 고급 인력 인건비도 낮아 미 벤처 캐피털 잇단 투자 톰스크 경제특구 입주 붐 돈보다 자기만족 우선시 해외 교육 받고 싶다 73% 맞춤형 멘토 원한다 82%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이 원자력 에너지의 새로운 중심지 로 부상하고 있다. 아태지역 국가 중 러시아의 주요 파 트너 국가는 한국이다. 최근에는 핵 안전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러시아는 사 실상 이 분야의 독보적인 국가로, 로스아톰이 한국의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전 세계 각국에서는 스 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자연재해 및 인재(人災)에 대한 안전시스템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확인됐다. 2012년 말까지 대부분 나라에서 테스트가 완료됐고 일부 나라에선 아직 진행 중이다. 유럽에서는 체코·불가리아·슬로바키아·헝가리·핀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인 러시아형 원자로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러시아형 원자로가 극 단적인 천재지변에도 안전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결과는 유럽보다 지진·해일 같은 자연재해의 위 험이 높은 아태지역 국가의 원전 건설사업에 큰 시사 점을 던져 준다. 2007년 중국 톈완(田灣) 발전소에 건 설돼 운용 중인 2개의 VVER-1000형 원전은 아시아 에 건설된 안전한 발전소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꼽 히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양국은 스트레스 테스트 이 후 톈완 발전소를 중국에서 가장 안전한 원자력발전 소로 공식 발표한 바 있다고 알렉산드르 우바로프 원 자력 전문가는 밝혔다. 로스아톰이 건설한 인도의 쿠단쿨람 원자력발전소는 현재 동일본 대지진 사태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 가 마련한 모든 안전기준 및 요구사항에 부합한다. 쿠 단쿨람 원전에는 비행기가 추락해도 안전한 이중 차 폐벽이 설치됐으며, 수소 재결합기를 활용해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내부 폭발을 방지하고 피동 잔열 제거 계 통을 채택해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원자로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멜트트랩(Melt-trap)이라는 노심용융물 격리시 설이 가상 사고 시에도 방사능 누출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쿠단쿨람 발전소는 유례없이 높 은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로스아톰의 이런 경험은 원전 강국으로 도약하는 한 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미 한국은 23기의 원전 을 가동하고 있고 2030년까지 이를 39기로 확대할 전 망이어서 한·러 양국은 이 분야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 고 폭넓은 협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드레이 레즈니첸코 기자 러시아 원전 세계 스트레스 테스트서 최고 안전 꼽혀 러중 합작 톈완 발전소 중국서 가장 안전 나탈리아 미하일렌코 포토 익스프레스 리아 노보스티 리아 노보스티

3월 27일자 3면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3월 27일자 3면

러시아 FOCUS ┃ 경제 R 32013년 3월 27일 수요일 section sponsored by Rossiyskaya Gazeta, Russia

러시아 청년 사업가들은 해외보다

국내 사업이 훨씬 더 전망이 높다

고 생각한다. 해외를 선호하는 청

년 사업가는 전체의 6분의 1에 불

과하다.

청년창업컨설팅회사인 ‘비즈니

스 몰로도스트(젊은이)’가 민간

리서치기업 ‘레바다 센터’와 함께

실시한 지난 2월의 여론조사 결과

를 보면 대다수 청년 사업가들이

러시아 국내에서 자신의 사업이 성

공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4%

가 기업활동 면에서 여타 서방 국

가들보다 러시아가 훨씬 미래가 밝

다고 확신하고 있다. 덧붙여 응답

자의 56%는 해외이민 계획이 없다

고 대답했다. 그러나 73%는 해외

에서 교육을 받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 전문가들은 미래에 대한

이러한 낙관론의 배경에는 변화한

청년 사업가상이 자리 잡고 있다

고 진단한다.

청년 사업가의 기류는 기업 경

영전략에도 변화의 바람을 몰아

온다. 1990년대 초 사업가들은 자

본을 축적하고 지키는 데 전력을

다했지만 지금은 우선순위가 바

뀌었다. 자기만족을 위한 창업이

늘었다.

‘비즈니스 몰로도스트’의 공동

설립자인 표트르 오시포프는 “최

근 새로운 기업가상이 등장했으며

이는 새 트렌드를 반영한다. 신세

대 사업가들의 사업 목표는 자본

축적이 아니라 자기만족의 실현”

이라고 말한다.

이런 신세대 기업인들은 세제혜

택과 행정규제 완화 외에 실무경험

이 풍부한 지도자의 필요성을 절

실히 느낀다. 그래서 청년 창업가

의 82%가 자신의 사업을 위한 개

별 맞춤형 멘토를 찾아나서는 것

으로 조사되고 있다.

‘오포라 러시아’(중소기업인협

회)의 임원인 예브게니 야쿠봅스

키는 “이제 러시아에서 기업가란

‘전통적 의미’의 비즈니스맨에 훨

씬 더 가까워졌다며 “그런 점에서

지금의 청년창업 열풍은 좋은 징

조라고 확신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최근의 러

시아 경제발전 상황을 우려하기

도 한다. 러시아 생산업연합 ‘비즈

니스 러시아’의 안톤 다닐로프-다

닐리안 부회장은 “전에는 원료 및

1차 산업 수출 비중이 63~65%였

지만 지금은 85%에 육박한다”며

“화학, 통신, 기술 분야 같은 큰 잠

재력을 가진 부문들을 발전시키려

면 제거해야 할 장애물이 많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사업가들은 서비스 분야, 특히 도

소매업을 선호하며 실물경제의 기

초가 되는 제조업은 ‘가장 선호하

지 않는’ 업종이다.

하이테크 투자 타깃으로 떠오른 러시아

유례없이 어마어마한 벤처투자금이 몰리고 있다

러시아가 미국 벤처캐피털의 차세대

타깃으로 부상할 것인가. 러시아 정

부의 강력한 경제 현대화 정책으로

현재 급성장 중인 러시아 스타트업

(신생기업)과 창업 인큐베이터들을

겨냥한 세계 유수의 외국 첨단기술

투자자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러시아 신세대 기업인들은 일정

한 틀에 갇힌 조직에 답답해한다. 디

자인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인 알렉

산드르 작스는 전형적인 케이스다.

작스는 아침 9시 출근, 저녁 6시 퇴

근이라는 도식을 거부한다. 필요하

다면 종일 일할 수 있지만 대신 창의

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바란다.

영감을 주는 작업환경이 중요한 이

유다. 이색적이며 안락한 분위기에

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상호 지원

할 수 있는 ‘협업 사무공간’이 늘어

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스타트업

의 성장을 보여주는 한 예다.

또 다른 예는 뉴욕 소재 국제

투자 매니지먼트 기업인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가 위키마트

(wikimart.ru)와 애니웨이애니데이

(anywayanyday.ru) 같은 러시아 스

타트업에 2200만 달러를 투자했다는

사실이다. 타이거는 2011년 5월 나스

닥에 상장된 러시아 최대 검색포털

얀덱스(Yandex.ru)의 주식도 보유

하고 있다. 또 징가(Zynga)의 설립자

마크 핀커스, 초기 페이스북 투자자

피터 티엘, 스카이프 설립자 니컬러

스 젠스트롬 같은 서방의 에인절 투

자가들은 ‘부킹닷컴’의 러시아판인

오스트로보크(Ostrovok.ru)의 성장

을 위해 1360만 달러를 투자했다.

러시아 스타트업의 약진은 혁신주

도적인 시장의 급속 성장 때문에 가

능해졌다. 1990년대 후반까지 러 시

아의 인터넷 보급률은 아주 낮았지

만 지금은 러시아인 두 명 중 한 명

이 인터넷 사용자이며 지금도 빠르

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러시

아는 인터넷 사용자 수에서 독일을

제치고 유럽 1위에 올랐다.

트루브리지 캐피털 파트너스의

투자분석가인 맥 앨라탭은 “미국 펀

드들은 한 지역에서 성공한 온라인

상거래와 소셜 네트워킹 기업의 성

공 사례를 다른 곳으로 이식하는 데

관심이 많다. 종전에는 중국이 타깃

이었지만 지금은 러시아에 대한 관

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과학

기술 산업에서 러시아가 가진 명성

도 도움이 된다. 미국 최대 벤처 펀

드인 개러지 테크놀로지 벤처스의

빌 라이하트 전무는 “러시아의 컴퓨

터공학과 재료공학은 세계 최고 수

준”이라고 지적한다.

낮은 인건비도 또 다른 이유다.

모스크바 스타트업 직원의 연봉은

높지만 주민 네 명 중 한 명꼴로 대

학생, 연구원, 대학 강사, 러시아 과

학아카데미 직원인 시베리아의 톰

스크 같은 도시에서는 월 2500달러

나 그 이하로도 최고급 인재를 영입

할 수 있다.

사모펀드 투자를 러시아 정부가

지원한다는 점도 1990~2000년대 초

의 러시아와 현재 러시아를 구분하

는 요인이다. 국책사업으로 대대적

인 물량 공세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

다. 러시아 정부가 연방과 지방 차원

에서 수백억 달러를 혁신 사업에 투

자하고 있다.

완공 단계에 이른 모스크바 외곽

의 대규모 테크허브 스콜코보는 혁

신 사업에 대한 대규모의 국가 보조

금과 감세 혜택을 등에 업고 수십 개

의 국제 벤처펀드와 하이테크기업들

에 러브콜을 하고 있다. 또 하나의 예

는 동유럽 최대 규모인 카잔 인근의

IT파크다. 톰스크 경제특구(SEZ)는

국내 기업들뿐 아니라 노키아 지멘

스 네트웍스, 한국의 다림 인터내셔

널, 미국에 본사를 둔 몬순 멀티미디

어와 로비 코퍼레이션 같은 해외의

유수 첨단기술 기업 등을 유치했다.

정부의 자금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3년 전 러시아에서 실제 운용되는

펀드는 20여 개에 불과했지만 지금

은 풍부한 자금이 모스크바로 몰려

들고 있다. 실리콘밸리 전문가인 스

티브 블랭크 교수는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어마어마한 거대 자금이 몰

리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도 많다. 그중 하나가

스타트업이 주도면밀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기업가정신을 물려받지 못

한 러시아의 신생 기업인들은 종종

설익은 프로젝트를 들이댄다. 샌프

란시스코와 함부르크에 본사를 둔

벤처펀드 BV 캐피털의 마리나 쿠즈

네초바는 “합리적인 비즈니스 모델

이나 계획이 부족하고 경험과 자질

도 모자라는 신생 스타트업을 종종

만나게 된다”고 말한다.

안드리엔 헨니 기자

아샤 파노얀 기자

서방국보다 러시아 미래 밝다

청년 사업가 84%가 국내 선호

이색적이며 안락한 분위기에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신사업을 지원하는 청년창업가의 ‘협업사무공간’ 게티이미지/포토뱅크

컴퓨터재료 공학 초일류

고급 인력 인건비도 낮아

미 벤처 캐피털 잇단 투자

톰스크 경제특구 입주 붐

돈보다 자기만족 우선시

해외 교육 받고 싶다 73%

맞춤형 멘토 원한다 82%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이 원자력 에너지의 새로운 중심지

로 부상하고 있다. 아태지역 국가 중 러시아의 주요 파

트너 국가는 한국이다.

최근에는 핵 안전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러시아는 사

실상 이 분야의 독보적인 국가로, 로스아톰이 한국의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전 세계 각국에서는 스

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자연재해

및 인재(人災)에 대한 안전시스템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확인됐다. 2012년 말까지 대부분 나라에서 테스트가

완료됐고 일부 나라에선 아직 진행 중이다.

유럽에서는 체코·불가리아·슬로바키아·헝가리·핀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인 러시아형 원자로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러시아형 원자로가 극

단적인 천재지변에도 안전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결과는 유럽보다 지진·해일 같은 자연재해의 위

험이 높은 아태지역 국가의 원전 건설사업에 큰 시사

점을 던져 준다. 2007년 중국 톈완(田灣) 발전소에 건

설돼 운용 중인 2개의 VVER-1000형 원전은 아시아

에 건설된 안전한 발전소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꼽

히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양국은 스트레스 테스트 이

후 톈완 발전소를 중국에서 가장 안전한 원자력발전

소로 공식 발표한 바 있다고 알렉산드르 우바로프 원

자력 전문가는 밝혔다.

로스아톰이 건설한 인도의 쿠단쿨람 원자력발전소는

현재 동일본 대지진 사태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

가 마련한 모든 안전기준 및 요구사항에 부합한다. 쿠

단쿨람 원전에는 비행기가 추락해도 안전한 이중 차

폐벽이 설치됐으며, 수소 재결합기를 활용해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내부 폭발을 방지하고 피동 잔열 제거 계

통을 채택해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원자로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멜트트랩(Melt-trap)이라는 노심용융물 격리시

설이 가상 사고 시에도 방사능 누출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쿠단쿨람 발전소는 유례없이 높

은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로스아톰의 이런 경험은 원전 강국으로 도약하는 한

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미 한국은 23기의 원전

을 가동하고 있고 2030년까지 이를 39기로 확대할 전

망이어서 한·러 양국은 이 분야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

고 폭넓은 협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드레이 레즈니첸코 기자

러시아 원전 세계 스트레스 테스트서 최고 안전 꼽혀러중 합작 톈완 발전소 중국서 가장 안전

나탈리아 미하일렌코

포토 익스프레스

리아 노보스티

리아 노보스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