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Click here to load reader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Embed Size (px)

DESCRIPTION

2013년 9월 5일 오후 4시 ~ 6시, 의정부여자중학교 승리관에서 진행된 의정부 내 교사, 학생, 부모, 교육행정가, 시민, 자치행정가 등이 참여한 마주 이야기 한 마당. 약 150 여 명이 참석하였고, 서클 프로세스를 이용한 모둠 대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다음은 본 행사의 기획 내용. === 의정부 교육 공감 대화 마당 1. 취지와 목적 혁신 교육을 선언하고 실천한지 5년, 그리고 혁신 교육 지구인 의정부 지역에서도 학교 단위는 물론이거니와 교육청에서도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는 있지만 그 성과를 몸으로 체감하지는 못하고 있다. 교육청의 교육 관료들이 요구하는 혁신이 학교 현장의 혁신 담당 교사들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혁신의 질감이 다르다. 또한 혁신은 또 다른 업무일 뿐 현장의 교사들은 디지털 시대의 아이들과의 소통하지 못하고 상처받은 마음에 지쳐 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교육 정책과 입시 제도 때문에 불안한 학부모들도 임기응변으로 유혹하는 사교육 시장을 벗어나 교육의 본질을 궁리하고 실천하는 공교육의 혁신에 기대감을 가졌지만 정작 내 아이가 온전한 혁신 교육의 혜택을 받는 것 같지는 않아 혼란스럽기만 하다. 무엇보다 우리 아이들이 행복하지 않아 보인다. 미래 세대의 우리 아이들이 학교를 즐거운 배움의 공간으로 여기는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각자 다른 색깔과 형태로 이해하고 있는 ‘교육’에 대해 마음 터 넣고 이야기 하고 내가 원하고 우리가 함께 만들어갈 학교의 모습에 대해 상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2. 행사장 세팅 1) 진행 주관 기관(단체): 의정부교육지원청, 의정부여자중학교, 의정부교육희망네트워크 2) 행사 명칭: 의정부 교육 주체 공감 대화 마당 “학교야 오늘도 안녕하니?” 3) 사전 모둠 편성:18개 모둠(모둠별 8~9명)으로 편성 (입구에 모둠 편성 표 게시, 모둠 표시된 명찰 배부, 리플렛과 간식 준비 사전 명단 통보하지 않은 참가자 방명록 기재 및 모둠 배정과 수기 기재한 명찰 배부) 4) 방송 시설과 무선 마이크, 빔 프로젝트, 모둠별 센터 피스와 토킹 스틱(이야기 막대) 200개 의자를 두 줄로 배열 5) 모둠별 리더 사전 모임 3시 30분 : 약 10분간 진행 방법 설명 및 공감대 형성 3. 진행 시나리오 1) 행사 시작 안내 및 내빈 및 진행자 소개(의여중 이경석 선생님): -내빈 인사 교육감(장)-시장-희망넷 대표-진행자 2) 진행자 인사 및 행사 행정 안내 후 참가자 두 개 원형으로 서서 상호 인사 및 소개 3) 공감 대화의 규칙을 소개(피피티 화면에 정리!) ○원으로 둘러 앉습니다. ○공동체의 대화에 초대되었습니다. ○누구에게나 공정한 기회를 줍니다. ○‘이야기 막대’를 가진 사람이 이야기합니다.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면 패스할 수도 있습니다. ○한 사람이 너무 길게 이야기 하지 않기 위해 시간 지킴이가 2분을 넘기지 않게 돕습니다. ○내 이야기를 잘 들어줄 것이라는 신뢰감을 가지고 안전하게 이야기합니다. ○다른 사람이 이야기할 때 그 이야기에 귀를 기울입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대해 해석하거나 비판하지 않으며 끼어들지 않습니다. ○서로간에 유대감을 공유하고 공동의 지혜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4) 의여중 방송반 제작 동영상 상영- 2인 1모둠 느낌 나누기 5) 공감대화의 주제 제시(두개 주제를 동시에 피피티 화면에 제시?

Citation preview

Page 1: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의정부교육지원청, 의정부여자중학교,

의정부교육희망네트워크, 의정부혁신교육연구회

2013년 9월 5일(목) 16시

의정부여자중학교 승리관

Page 2: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공감대화의 규칙

Page 3: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Page 4: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지금 나에게 학교는 어떤 의미인가?

나와 우리가 바라는 학교를 만들려면?

Page 5: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지금 나에게 학교는 어떤 의미인가?

Page 6: 2013 의정부 교육주체 공감대화마당

나와 우리가 바라는 학교를 만들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