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
BT산업동향 보고서 www.bioin.or.kr 산업동향 2013-2 총서 제 200권 공 개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Embed Size (px)

DESCRIPTION

.

Citation preview

Page 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05-806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TEL : 042-879-8371~9 www.bioin.or.kr

BT산업동향보고서

2013

총서200

국·

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바이오경제시대의초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T산업동향 보고서

www.bioin.or.kr

산업동향 2013-2 총서 제 200권

공 개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Page 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Page 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본지에 게재된 내용은 필자의 개인 견해이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가 아닙니다. 본지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본지의 내용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

(http://www.bioin.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Page 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Page 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발 간 사

세계적 고령화 추세가 지속되고 만성질환자의 수가 증가하며, 건강유지와

예방에 대한 관심 고도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는 세계는 지금 새로운 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과 더불어, u-Health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각광받으며, 활발한 연구개발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

입니다. 각국의 주요보고서는 미래 u-Health 산업이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

로 전망하고 있으며, 신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는 ‘국내․외 u-Health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하여 국내·외 u-Health 산업의 동향을 분석하고 국외 5개, 국내 7개 기업

체를 선정하여 관련 선행자료 및 최신 기업별 현황자료를 종합 검토하였습

니다. 국외 u-Health의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산업의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u-Health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총서 200번째로 발간되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산업동향

보고서입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발간하는 BT 산업동향보고서는

BT 핵심 이슈별 국가 R&D 활동현황 및 정책 추진현황, 국내외 기술동향과

전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를 담고 있어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관련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

습니다. 끝으로 이 보고서 작성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박수준 팀장님, 서울아산병원 u-Health센터 박중열 소장님, ㈜인성정보

김홍진 이사님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13. 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현 병 환

Page 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Page 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CONTENTSCONTENTS

❙요 약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 1

가. u-Health의 정의 ········································· 1

나. u-Health 산업의 범위 ································· 3

다. u-Health 기술의 분류 ································· 5

라. u-Health의 중요성 ······································· 8

2. 연구목적 및 분석 방법 / 13

가. 연구 목적 ······················································· 13

나. 분석 방법 ······················································· 14

3. 국외 u-Health 산업동향 / 16

가. 국외 u-Health 시장 ··································· 16

나. 국외 u-Health 정책 및 프로그램 ··········· 19

다. 국외 u-Health 산업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 34

4. 국내 u-Health 산업동향 / 81

가. 국내 u-Health 시장 ··································· 81

Page 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CONTENTS

나. 국내 u-Health 정부 정책 및 투자현황 · 84

다. 국내 u-Health 서비스 현황 ····················· 88

라. 국내 u-Health 산업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 98

5. 시사점 및 대응 방향/ 138

6. 참고문헌 / 143

Page 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표 목 차

[표 1] 미국의 u-Health 개념 및 정의 ···································································· 1

[표 2] u-Health 서비스의 대상자 및 관련법규 ···················································· 4

[표 3] u-Health 서비스의 세부 기술요소 분류 ···················································· 6

[표 4] u-Health 서비스의 세부 기술별 표준화 내용 ·········································· 7

[표 5] 미래 보건의료 서비스의 변화(1970 ~ 2050) ········································· 10

[표 6] 미국의 원격의료 서비스 매출액 전망 ························································ 18

[표 7] 미국 주정부 중심 주요정책 추진현황 ························································ 20

[표 8] OAT 산하 6개 원격의료 지원센터 ····························································· 22

[표 9] 오바마 정부의 u-health 사업 내용 ··························································· 23

[표 10] 미국의 민간주도 u-Health 서비스 ···························································· 24

[표 11] 일본 ‘국가 Brand Design'의 Healthcare 정보화 ·································· 25

[표 12] 일본의 원격진료 대상 포지티브 리스트 ···················································· 26

[표 13] e-Europe 2005 Action plan ···································································· 30

[표 14] 유럽의 u-Health 관련 프로젝트 ································································ 32

[표 15] u-Health 관련 해외특허 검색식 ································································ 34

[표 16] u-Health 분야별 주요 특허 출원 및 등록 기관 ···································· 41

[표 17] 특허 영향 지수, 기술력지수 도출 방법 ···················································· 42

[표 18] 최근 5년간 주요기업 영향력 지수 및 기술력 지수 ······························· 43

[표 19] GENERAL ELECTRIC의 헬시메지네이션 전략 추진 사례 ·················· 46

[표 20] GENERAL ELECTRIC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 50

[표 21] GENERAL ELECTRIC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51

[표 22] PHILIPS Healthcare 사업부의 주요 인수합병 ······································· 54

[표 23] PHILIPS ELECTRONICS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 58

[표 24] PHILIPS ELECTRONICS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59

[표 25] MEDTRONIC INC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 65

[표 26] MEDTRONIC INC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66

[표 27] MICROSOFT CORP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 72

[표 28] MICROSOFT CORP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73

[표 29]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 79

Page 1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표 목 차

[표 30]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80

[표 31] u-Health 영역에 따른 시장의 범위 ·························································· 82

[표 32] u-Health 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사업 ······················································ 86

[표 33] IT 융복합의료기기 주요 지원 분야 ···························································· 86

[표 34] 국내 u-Health 서비스 형태 정의 ······························································ 89

[표 35] u-Health 서비스 실태조사 분석기관 ························································ 89

[표 36] u-Health 관련 국내특허 검색식 ································································ 98

[표 37] u-Health 분야별 국내 주요 특허 출원 및 등록 기관 ······················· 101

[표 38] u-Health 분야 삼성전자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08

[표 39] u-Health 분야 LG전자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13

[표 40] SK 텔레콤의 u-Health 관련 주요 사업 협력 내용 ···························· 115

[표 41] u-Health 분야 SK 텔레콤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18

[표 42] u-Health 분야 KT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24

[표 43] 인성정보 u-Health 사업구분 ··································································· 125

[표 44] u-Health 분야 인성정보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29

[표 45] u-Health 분야 비트컴퓨터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33

[표 46] u-Health 분야 유비케어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 137

[표 47] u-Health 국내 및 국외 정책 환경 분석 ··············································· 138

[표 48] u-Health 국내 및 국외 경제 환경 분석 ··············································· 139

[표 49] u-Health 국내 및 국외 사회 환경 분석 ··············································· 139

[표 50] u-Health 국내 및 국외 기업 동향 분석 ··············································· 140

Page 1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그 림 목 차

[그림 1] 의료와 건강관리 ···························································································· 3

[그림 2] u-Health 세부 분류 ···················································································· 4

[그림 3] u-Health 서비스 흐름도 ············································································ 5

[그림 4] 세계 총 인구 중 고령인구 비중 전망(1950 ~ 2050) ························· 8

[그림 5] 국내 인구변화 및 고령인구 비중 전망(1970 ~ 2050) ······················· 9

[그림 6] 국내 국민 의료비 증가 추이(1980 ~ 2010) ········································· 9

[그림 7] u-Health 환경 ···························································································· 11

[그림 8] u-Health 기업의 특허 및 시장 분석 방법 ·········································· 15

[그림 9] 세계 u-Health 시장 전망 ········································································ 16

[그림 10] OAT 산하 6개 원격의료 지원센터 ························································· 21

[그림 11] 일본 건강정보활용기반 실증사업의 개요 ·············································· 27

[그림 12] 일본 원격진료 보조사업 ············································································ 28

[그림 13] 연도별 u-Health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 36

[그림 14] 세계의 u-Health 기술발전도 ·································································· 37

[그림 15] 주요 국가별 u-Health 기술발전도 ························································ 37

[그림 16] 기술성장단계 파악 방법론(예시) ···························································· 38

[그림 17] 세계 u-Health 전체 특허 맵 ·································································· 39

[그림 18] 세계 u-Health 특허 주요 출원인 ·························································· 40

[그림 19] GENERAL ELECTRIC의 매출액 변화 ·················································· 44

[그림 20] GENERAL ELECTRIC의 사업부별 매출비중 변화(2000→2010) ·· 45

[그림 21] GENERAL ELECTRIC의 헬시메지네이션 제품 및 기술 ·················· 46

[그림 22] u-Health분야 GENERAL ELECTRIC의 연도별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 48

[그림 23] u-Health분야 GENERAL ELECTRIC 특허맵 ···································· 49

[그림 24] u-Health분야 전체 특허맵에서 GENERAL ELECTRIC의 위치 ···· 49

[그림 25] PHILIPS ELECTRONICS의 매출액 변화 ············································· 52

[그림 26] PHILIPS ELECTRONICS의 사업부별 매출비중 변화(2000→2010) ·· 53

[그림 27] u-Health분야 PHILIPS ELECTRONICS의 연도별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 55

[그림 28] u-Health분야 PHILIPS ELECTRONICS 특허맵 ······························· 56

Page 1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그 림 목 차

[그림 29] u-Health분야 전체 특허맵에서 PHILIPS ELECTRONICS의 위치 ···· 56

[그림 30] MEDTRONIC INC의 매출액 변화 ·························································· 60

[그림 31] CareLink Network 구성도 ······································································· 61

[그림 32] u-Health분야 MEDTRONIC INC의 연도별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 62

[그림 33] u-Health분야 MEDTRONIC INC 특허맵 ············································ 63

[그림 34] u-Health분야 전체 특허맵에서 MEDTRONIC INC의 위치 ············ 64

[그림 35] MICROSOFT CORP의 매출액 변화 ······················································ 67

[그림 36] MICROSOFT Healthvault Platform ······················································ 68

[그림 37] u-Health분야 MICROSOFT CORP의 연도별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 69

[그림 38] u-Health분야 MICROSOFT CORP 특허맵 ········································ 70

[그림 39] u-Health분야 전체 특허맵에서 MICROSOFT CORP의 위치 ········ 71

[그림 40] SIEMENS 매출액 변화 ············································································· 74

[그림 41] SIEMENS 사업별 매출비중 변화 (2000→2011) ······························· 75

[그림 42] u-Health분야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연도별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 ······················································································ 77

[그림 43] u-Health분야 SIEMENS MEDICAL SOLUTIONS 특허맵 ············· 77

[그림 44] u-Health분야 전체 특허맵에서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위치 ·················································································· 78

[그림 45] 국내 u-Health 시장 전망 ········································································ 82

[그림 46] ’10년 u-Health 관련 부처별 투자 현황 ·············································· 84

[그림 47] ’10년 u-Health 관련 부처별 연구목적별 투자 현황 ························ 85

[그림 48] 지역별 국내 u-Health 서비스 현황 ······················································ 88

[그림 49] 서울 및 경기 지역의 u-Health 서비스 현황 ······································ 91

[그림 50] 2010 서울 u-Healthcare 서비스의 구성도 ········································ 92

[그림 51] 화성시 u-만성질환관리시스템 서비스의 구성도 ································ 93

[그림 52] 지방자치 단체 및 기타 지역의 u-Health 서비스 현황 ···················· 94

[그림 53] 강원도 만성질환 원격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 ·························· 95

[그림 54] 해양경찰청 원격응급의료서비스의 구성도 ············································ 97

[그림 55] u-Health 국내 특허 연도별 출원 및 등록 추이 ································ 99

Page 1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그 림 목 차

[그림 56] u-Health 국내 특허 주요 출원인 ······················································· 100

[그림 57] u-Health 국내 특허맵 ··········································································· 102

[그림 58] u-Health 국내 특허 기술발전도 ························································· 103

[그림 59] 삼성의 주요 미래사업 ············································································· 104

[그림 60] 삼성전자 M&A 추진 현황 ······································································ 105

[그림 61] 삼성전자 매출액 현황 ············································································· 106

[그림 62] u-Health분야 삼성전자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07

[그림 63] u-Health분야 삼성전자 국내 특허맵 ················································· 107

[그림 64] LG전자 매출액 현황 ················································································ 111

[그림 65] u-Health분야 LG전자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11

[그림 66] u-Health분야 LG전자 국내 특허맵 ···················································· 112

[그림 67] SK텔레콤 매출액 현황 ············································································ 115

[그림 68] u-Health분야 SK 텔레콤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16

[그림 69] u-Health분야 SK 텔레콤 국내 특허맵 ·············································· 117

[그림 70] KT u-Health 서비스 ·············································································· 119

[그림 71] KT u-Health 센터 개념도 ···································································· 120

[그림 72] KT 매출액 현황 ························································································ 121

[그림 73] u-Health분야 KT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22

[그림 74] u-Health분야 KT 국내 특허맵 ···························································· 123

[그림 75] 인성정보 매출액 현황 ············································································· 126

[그림 76] u-Health분야 인성정보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27

[그림 77] u-Health분야 인성정보 국내 특허맵 ················································· 128

[그림 78] BIT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 ························································· 130

[그림 79] 비트컴퓨터 매출액 변화 ········································································· 131

[그림 80] u-Health분야 비트컴퓨터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32

[그림 81] u-Health분야 비트컴퓨터 국내 특허맵 ············································· 133

[그림 82] 유비케어 매출액 변화 ············································································· 135

[그림 83] u-Health분야 유비케어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추이 ····· 135

[그림 84] u-Health분야 유비케어 국내 특허맵 ················································· 136

Page 1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Page 1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요 약

- i -

요 약

가. 연구배경

u-Health의 중요성

○ u-Health는 보건의료 환경, 기술, 정책 에서 매우 요한

산업으로 평가받으며, 향후 성장이 기 되는 산업

­ 선진국을 심으로 생활수 이 향상되고 의료기술이 발 하며,

세계 으로 인구 고령화 추세가 심화

­ 이로 인한 국민의료비는 지속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진료비는

연일 상승세

­ 더불어 보건의료 환경은 의료기술이 발 함에 따라 치료 심에서

웰-에이징(Well-aging)으로 진화

­ 유비쿼터스 기술은 u-Health의 실제 구 을 가능하게 하며,

IT기술이 성숙함에 따라 더욱더 활발한 산업성장이 기

­ 국내·외 주요 국가는 이러한 요성을 인식하고 u-Health 산업에

한 극 지원을 추진

나. 연구내용 및 분석방법

연구내용

○동향자료를 바탕으로 시장변화를 살펴보고 주요기업을 분석하여

재 u-Health 산업을 분석

­ 국내·외 u-Health 시장규모 미래 성장규모를 악하 으며,

국가별 주요 정책 로그램 정보 수집

­ 주요기업을 선정하여 특허분석을 진행하고, 사업 역, 매출 황,

M&A 황 등 주요 기업동향을 분석

Page 1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 ii -

­ PEST 분석을 통해 국내·외 u-Health 산업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략 응을 한 정책 제언

분석 방법

○특허 검색을 바탕으로 최근 20년간 특허를 분석하 으며, 기업의

연차보고서 시장보고서를 활용하여 기업 동향을 수집

­ 특허 문 솔루션 DB인 Aureka(해외특허), Focust(국내특허)를

활용한 키워드 기반 검색 진행

­ Datamonitor, Frost&Sullivan, 증권사, 은행 등 시장보고서를 활용하여

기업동향 작성

다. 글로벌 u-Health 산업동향

글로벌 u-Health 시장

○세계 여러 유수보고서는 u-Health 시장을 낙 하고 있으며, 미래

2,500~3,000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측

­ BCC Research(2008)는 세계 u-Health 련 시장을 2013년 2,539억

달러로 측하며 연평균 15.7%의 고성장을 할 것이라 망

­ 일본의 미쓰비시 종합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u-Health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0년 3,8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연 평균 21.0%의 고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망

국가별 u-Health 프로그램

○미국의 u-Health 로그램

­ 미국은 정부 주도하, 의료정보화를 통한 의료사각지 에 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한 여러 로그램을 진행

­ 최근 원격의료 네트워크 기반의 u-Health 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보건성 산하 OAT를 심으로 원격의료를 진행

Page 1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요 약

- iii -

­ 민간 주도 사업의 경우 다양한 질병을 상으로 하는 원격의료

건강 정보 달 서비스가 활성화

○일본의 u-Health 정책 서비스

­ 선도화된 ICT 기술을 바탕으로 국가의 략 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후생성 원격진료 통지에 따라 u-Health가 공인

­ 다양한 분야의 u-Health 서비스가 제공되며, 차확 되고 있는

실정이나, 의료법상 원격의료행 가 지되고 있는 상황

○유럽의 u-Health 정책 서비스

­ 유럽 역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가 간 력을 통한 u-Health가

실시

­ ‘e-Europe 2005 Action Plan'을 통해 EU국가들의 보건정보화를

추진하 으며, 장기 정책추진을 목표로 공공 자문 수립

­ 재 원격의료, 건강 모니터링 등 다양한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음

국외 u-Health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국외 u-Health는 2000년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이며, 체 으로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단

­ 분석기간 동안 총 16,404건이 출원 등록

­ 세계 으로 기술발 도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2005년 까지 격한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음

­ 특허맵의 경우 의료정보 리기술 련 특허가 다수 집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체정보 활용기술, 일상생활

모니터링, 응용서비스 기술이 산발 으로 집 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

○특허분석을 바탕으로, 세계 주요기업을 선정하여 각각 분석을 진행

­ GENERAL ELECTRONIC의 경우 헬스 어 산업의 집 인

투자를 단행하며, 헬시메지네이션 략으로 세계 보건의료 개선을

한 사업 재편, 의료정보 리기술 의료 상 련 특허 다수

보유하며 산업 반에 걸쳐 활발한 기술개발 진행

Page 1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 iv -

­ PHILIPS ELECTRONICS의 경우 GE와 마찬가지로 사업재편 이후

의료장비 분야에서 주요기업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의료정보 리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개발이 진행

­ MEDTRONIC INC의 경우 심 심박 련 의료사업을 심으로

지속 리가 필요한 심 질환 상자에 하여 u-Health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생체정보 활용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

­ MICROSOFT CORP의 경우 헬스 어 분야의 사업매출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기존 데이터 서버 기술의 강 을 바탕으로

의료정보 리기술에 상당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SIEMENS의 경우 체사업 헬스 어의 비 이 그리 크지는

않지만 사업재편과 더불어 향후 성장이 기 되는 사업으로 인정,

앞선 로벌 자기업과 마찬가지로 의료정보 리기술, 특히

의료 상 장보 련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

라. 국내 u-Health 산업동향

국내 u-Health 시장

○국내 u-Health 시장은 ’14년 약 3~5조 원의 규모 형성할 것으로 단

­ 2010년 국내 u-Health 시장규모는 1~3조 원의 규모로 평가받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2~16%로 고성장을 이룰 것으로 망

※u-Health 시장은 u-Health의 범위를 정의하기에 따라 시장규모의 차이

심화

국내 u-Health 정부 정책 및 투자 현황

○국내 u-Health 련 정부 투자는 ’10년 약 143억 원의 규모가 투자된

것으로 평가

­ 투자 액으로 지경부가 가장 많은 체 u-Health 련 정부투자의

53%를 투자되었으며, 분야별로 u-Medical에 가장 많은 투자 진행된

것으로 분석

Page 1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요 약

- v -

­ 연구개발 목 별 투자 황을 살펴보면 임상 개발연구에 한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단

○부처별로 교과부는 인력 기 ·원천기술개발, 지경부는 표 화

의료기기, 복지부는 인 라 서비스에 을 맞춘 정책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는 생체정보 획득 분석 기 ·원천기술 개발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

­ 지식경제부는 의료기기 기술개발 표 화를 심으로, 지원

활성화 정책이 추진

­ 보건복지부의 경우 u-Health 인 라 구축, 의료정보화 활성 정책 추진

국내 u-Health 서비스 현황

○ u-Health는 미래 유망 기술로 공공의료, 국민복지의 성격이 강한

특징으로 국가 주도 기술개발 시범사업이 활발히 추진

­ 지역별로 볼 때, 서울·경기 지역이 가장 많은 11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뒤로 충청도 지역에서 4개의 서비스가 실시

­ 서비스 유형으로는 건강 리 서비스가 1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원격진료를 실행하는 서비스가 10곳으로 나타남

­ 서울 경기지역의 u-Health 서비스는 주로 건강 리 서비스에

치 되어 있으며, 부분 무료 서비스로 제공

­ 경기를 제외한 지방자치단체 기타지역의 u-Health 서비스는

원격진료의 경우가 가장 많으며, 많은 지역이 이용자에게 일정부분의

부담 을 지

국내 u-Health 산업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국내 u-Health 산업은 최근 20년간 약 1,000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을 진행

­ 2000년 들어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하 으며, 2000년 가장 많은

110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Page 2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 vi -

­ 삼성 자, LG 자 등 자회사 KT, SKT와 같은 통신사업자 등이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

­ 국내 u-Health 산업은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단

○특허분석을 바탕으로 주요기업을 선정하여 기업동향을 분석

­ 삼성 자는 최근 극 인 움직임을 보이며, 헬스 어 산업에

집 인 투자를 감행하고 있으며, u-Health 분야에서 의료정보

리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로벌 자기업인 GE, Philips와 비슷한

사업 역을 구축

­ LG 자의 경우 일 이 당뇨폰으로 원격진료 사업을 추진하 으며,

재 지식경제부 주도 스마트 어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한

응용서비스 기술 련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인 것으로 분석

­ SK 텔 콤 역시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헬스 어 산업을 지정하며,

련 투자를 지속 으로 증가시키고, 다양한 병원 기업과 략

제휴를 통한 서비스 개발이 진행

○특허분석으로 드러나지 않은 주요기업을 선정하여 추가 분석 진행

­ KT의 경우 u-Health 센터를 심으로 지역별 조건에 맞는 u-Health

서비스를 구축하고 제공하는 사업을 구상하며, 의료정보 리기술을

바탕으로 련 응용서비스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

­ 인성정보의 경우 u-Health 사업을 민간분야와 공공분야로 나 어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국책사업에 참여하며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음, u-Health 분야의 다양한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드러나며,

다양한 기업 병원과 제휴를 통한 서비스 개발이 진행

­ 비트컴퓨터의 경우 의료정보 사업을 주력으로 원격 진료 건강 리

분야의 사업 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의료정보 리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인 것으로 분석

­ 유비 어의 경우 EMR시스템을 주력사업으로 솔루션 심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건강 리 u-Health 사업을 추진, 원격 건강 리에

필요한 의료정보 리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

Page 2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요 약

- vii -

마. 시사점 및 대응 방향

PEST 분석

○Political Environment(정책 로그램 련 서비스 황)

­ 미국, 일본, 유럽의 경우 정부와 민간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하여

다양한 서비스형태를 보이고 있음

­ 일본의 경우 원격처방을 법 으로 규제하며, 특정 환자에 한

원격진료 건강 리 서비스가 활발히 수행

­ 유럽의 경우 회원국 간의 법 제도가 확립되지 않아 서비스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

­ 국내 u-Health 서비스의 경우 정부 지자체 심의 연구개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음, 한 련 법규가 미흡하여 민간

서비스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음

○Economic Environment(시장 동향 규모, 망)

­ 국내·외 u-Health 시장은 미래 고성장을 진행하며, 거 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

­ 국내 u-health 시장은 2012년 국외 u-Health 시장의 1% 미만으로

아주 미약한 규모로 추정

­ 덧붙여, 기술의 발 으로 다양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등장할 것으로 보임

○ Social Environment(사회 환경 변화)

­ 세계 국내 고령인구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화

추세가 세계 수 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한, 세계 으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소득

생활 수 향상으로 선진국 심으로 지속 건강 리 수요가 증가

­ 국내 역시 선진국을 뒤이어 경제 성장과 함께 생활수 이 향상되며

건강 리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음

Page 2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 viii -

○Technological Environment(기업 기술 동향)

­ 국외 자 기업을 심으로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이 일어나고 있음

­ 세계 으로 로벌 기업이 체시장의 부분을 유하고 있는

것으로 단

­ 국내의 경우 기업의 그룹 내 역량을 집 하면서 시장의 유를

늘려가고 있는 상황

­ 소기업의 경우 특정 시장의 시스템 제품으로 기술력을 확보

­ 하지만, 기업의 련 분야 성장으로 소기업의 시장 유는 차

어들 것으로 망

시사점 및 대응 방향

○의료법 련 규정 법제도 확립

⇨ 서비스 활성화를 한 원격의료의 용 상, 용 범 등

u-Health 련 규정 법제도 확립

○ 략 기술개발을 통한 신 시장 공략

⇨ 새롭게 형성된 시장을 공략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략 기술개발을 통해 로벌 경쟁력 강화

○국내 민간 수요 발굴을 통한 수익 모델 창출

⇨ 선행 시범사업을 분석을 통한 민간수요 활성화 방안 도출

⇨ 건강 리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다변화를 통한 지속 수익

창출

○국내 소기업 육성 로벌 기업과의 력 제휴

⇨ 세계 우수 로벌 기업과 략 제휴를 통한 련 기술이

선진기술 습득

⇨ 소기업 기술지원을 통한 u-Health 산업 체의 활성화 략

구축

Page 2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1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가. u-Health의 정의

u-Health는 다학제적, 융합적 성격이 강한 이유로, 기술적

구성이나 산업적 분류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지고 있음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이 발표한 『u-Health 황과 정책과제』

에서는 u-Healt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음

­ IT, BT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의료산업에 목함으로써

질병의 방, 진단, 치료, 사후 리뿐만 아니라 건강 리 등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무구속, 무자각 환경에서 언제 어디서나 제공하는 것

○미국에서 정의하는 u-Health의 개념은 다음과 같음

­ Ubiquitous IT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구나 안 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건강 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표 1] 미국의 u-Health 개념 정의

개념 정의 비고

tele-medicine

원거리에서 송되는 데이터, 문서 등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 진단 처방을

결정하고 권고하는 의료행

WMA(World Medical

Association)

tele-health통신서비스를 통하여 원거리에 건강

련 정보나 서비스를 달하는 것Wikipidia

e-health

정보통신 기술 활용을 통하여 보건의료

시스템의 근성, 품질 효율성 향상을

달성하는 것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Page 2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2

○Upkar Varshney(2003)는 u-Healthcar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

­ 환자의 생체신호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의료기 에 송한 후 분석하고 다시 피드백해 으로서

환자의 질병에 해서 원격 리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건강 리가

가능할 수 있는 서비스

○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의 정의는 다음과 같음

­ u-healthcare란 u-health 환경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맞춤형

형태의 근이 가능해진 소비자 심 보건의료서비스임

­ u-health 환경이란 보건의료체계에 ubiquitous computing이

도입됨으로써 보건의료자원과 서비스 달체계의 지능화

네트워킹이 구 되어진 보건의료 환경을 의미함

※보건의료지원은 보건의료서비스체계에 관련된 시설, 인력, 장비, 지식,

정보를 뜻함

○ 한, 지경용 김명남(2009)은 u-Healthcar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음

­ u-Healthcare란 방, 진단, 치료, 사후 리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신의 건강상태가 의료진에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리 의료서비스 개념

본 보고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에서 발표한 정의에 따른

u-Health 관련 산업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정의한 u-Health란 다음과 같은 범 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

­ ‘정보통신기술과 의료산업의 목으로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무구속, 무자각 환경에서 언제 어디서나 제공하는 것’

­ 건강 리 의료정보화 등 기존의 Telemedicine, Telehealth,

eHealth의 범 와 mHealth, Digital Health 등 새롭게 창출된 시장의

범 를 포 하는 개념으로 단

Page 2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3

나. u-Health 산업의 범위

u-Health는 사용자 및 관련 서비스에 따라 u-Medical,

u-Silver, u-Wellness로 나눌 수 있음

­ u-Health 주요 이용 상자는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인, 아직 질환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발병가능성이 높은 험인자 보유군, 이미 만성,

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유질환군으로 나뉠 수 있음

[그림 1] 의료와 건강 리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 u-Health는 행 의 분류에 따라 건강 리 등 간 의료행 와 치료 등

직 인 의료행 로 구분

­ 한 고령자의 수가 늘어나면서 고령자에 맞추어진 u-health의

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련된 서비스 증가

­ 따라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0)에서는 u-Health를 치료 등 직

의료행 를 제공하는 u-Medical, 고령자를 상으로 치료, 리하는

u-Silver, 일반인 상으로 건강 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u-Wellness로

산업을 분류

Page 2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4

영역

(건강유지)

(A)

u-Wellness 영역(건강관리서비스 시장)

(B)

u-Silver영역

(요양)

(치료)

(C)

u-Medical 영역(원격진료+만성질환관리서비스)

(D)

65세 연령

[그림 2] u-Health 세부 분류

출처: u-Health 신사업 창출 략(안),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정책과, 2010

[표 2] u-Health의 상자 련법규

구 분 u-Medical u-Silver u-Wellness

상자만성질환자

(’10, 7백만→’14, 1천만명)

65세이상(’10, 5백만→’14, 6백만명)

일반인(’10, 48백만→’14, 49백만명)

서비스 치료 요양 건강 리

련법규 의료법의료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출처: u-Health 신사업 창출 략(안),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정책과, 2010

Page 2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5

다. u-Health 기술의 분류

u-Health 기술은 서비스 흐름에 따라 크게 센싱, 취합 및 전송,

분석 및 피드백으로 나눌 수 있음

[그림 3] u-Health 서비스 흐름도

출처: 유헬스 시 의 도래, 삼성경제연구원, 2007

○기술 요소에 따라 u-Health는 다시 Network Healthcare System,

Medical Device, Sensor, 기술표 보안 기술로 나뉠 수 있음

­ 김 환(2008)에 따르면 u-Health는 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계측기술, 획득된 정보를 u-Health 목 에 맞게 처리·분류하는

생체신호 처리·분석 기술, 노인의 낙상·수면· 압 등과 같은 응 상황

정보를 해당기 으로 송하는 기술을 포함

­ 한 언 된 요소기술을 유기 으로 통합되게 하는 네트워크

랫폼 기술인 유·무선 네트워크기술,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고

보호하는 보안기술 등이 u-Health 서비스 요소기술로 분류될 수 있음

Page 2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6

[표 3] u-Health 세부 기술요소 분류

분류 분류 세부 기술

u-Health

Network Healthcare System

- 생체신호 장·활용 기술

- 유·무선 네트워크 기술

- 생체신호 처리·분석 기술

- 생체신호 계측기술

- 보안 기술

Medical Device

Sensor

기술표 보안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201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08)는 u-Health의 3가지 분류로

표준화 대상항목을 정의

○ u-Health 기술을 생체정보 모니터링 기술,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

u-Health 응용서비스 기술로 분류

­ 생체정보 모니터링 기술은 u-Health를 제공하기 해 필요한

생체정보를 지속 으로 모니터링 하는 기술을 의미

­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은 일상생활 패턴을 모니터링 하여 건강 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 u-Health 응용서비스 기술은 응용서비스를 해 필요한 임상결정

지원, 네트워크 랫폼, 서비스 로토콜, 정보보호, 시험 인증에

한 기술을 나타냄

Page 2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7

[표 4] u-Health 서비스의 세부 기술별 표 화 내용

구분 표 화 상항목 표 화 내용

생체정보

모니터링

기술

u-Health용

생체신호 처리 기술

u-Health에 사용하기 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

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장하거나 송하기

한 방법,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u-Health용

의료 상 처리 기술

u-Health에 사용하기 한 의료 상의 진단지표,

장 송형식 내용에 한 표 화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

생활 센서 처리

기술

일상생활 모니터링하는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여 장하거나 송하기 한 방법,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행 정보 분류

각종 생활 센서로부터 추출되는 기본 인 원소행 의

분류, 형식 내용, 원소행 로부터 추론되는 생활

행 의 분류,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생활패턴 가시화일상생활 행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표 하는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u-Health

응용

서비스

기술

임상결정

지원기술(CDSS)

u-Health에 사용하기 한 각종 임상정보로부터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 형식, 내용 개인 보건 의료 정보의

리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u-Health 네트워크

랫폼

u-Health 시스템 간 연동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한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이벤트를

효율 으로 처리하기 한 미들웨어 표 화

응용서비스

로토콜

재택 건강 리 서비스, 응 상황 리 서비스, 모바일

건강 리 서비스, 만성질환 리 서비스 등

u-Health 응용 서비스 로토콜 표 화

의료정보 보호

u-Health에 사용하기 해 획득된 생체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u-Health 의료정보 시스템에 한 보호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를 확인하는 방법, 형식

내용 표 화

시험 인증u-Health 기기의 기능, 성능 호환성, 상호운용성을

확인하는 방법, 형식 내용에 한 표 화

출처: ‘ICT Standardization Roadmap 2009', 한국정보통신기술 회, 2008

Page 3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8

라. u-Health의 중요성

u-Health는 보건의료 환경, 기술, 정책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

○선진국을 심으로 생활수 이 향상되고 의료기술이 발 하면서,

세계 국내 인구 고령화 추세가 심화되고 있으며 차 가속화

­ 미국 상무부 인구통계국(2008)에 따르면, 2008년 세계 고령인구는

5억 600만 명으로 집계되며, 2040년 세계 65세 이상 인구

(고령인구)는 13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 10년 이내에 고령인구가

5세 미만의 유아인구보다 많아질 것으로 상

(단 : %)

[그림 4] 세계 총 인구 고령인구 비 망(1950 ~ 2050)출처: An aging world:2008, U.S.Department Health and Human Service, 2008

­ 국내 역시 고령화 사회가 지속되고 있으며, 통계청(2010)에서 발표한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2011년 65세 이상 인구는 566만 여명으로

조사되었고, 2040년 65세 이상 인구는 1,650만 여명에 이를 것으로

Page 3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9

­ 이는 체 국내 인구의 32.3%를 차지하는 수치로 동년 세계

고령화인구 비율(약 14%)보다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

(단위 : 천 명)

[그림 5] 국내 인구변화 고령인구 비 망(1970 ~ 2050)출처: An aging world:2008, U.S.Department Health and Human Service, 2008

○인구 고령화가 지속되고 생활수 이 높아짐에 따라, 국민이 지출하는

의료비는 최근 격히 증가하는 추세

(단 : 조원, %)

[그림 6] 국내 국민 의료비 증가 추이(1980 ~ 2010)출처: Health Data 2011, OECD, 2011

Page 3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0

­ 2010년 한국의 국민 의료비는 81.3조 원으로 역 최고치를

기록하 으며, GDP 비 국민 의료비 지출은 6.9%로 OECD국가

낮은 편

­ 하지만 국민의료비 지출 가계지출의 비율은 2009년 OECD국가

3 를 기록하 으며 국민이 부담하는 의료비가 상당한 수 으로 단

※ GDP 대비 국민의료비 OECD 평균(2004년 8.6%, 2009년 9.6%),

국민의료비 지출 중 가계지출 비울 OECD 평균(2004년 20.4%,

2009년, 19.8%)

­ 이러한 상황 속에 국내 노인진료비는 해가 지날수록 연일 상승세에

있으며 2011년 체 진료비 비 33.3%를 차지함

○기술의 발 과 더불어 보건의료 환경은 치료 심에서 웰-에이징으로

변화

­ 생활수 이 높아지고 의료기술이 발 함에 따라, 국민들의 건강

인식은 웰-빙(well-bing)을 넘어, 웰-에이징(well-aging), 웰-다잉

(well-dying)으로 변화하고 있음

⦁일반 으로 시스템바이올로지에서는 세계 헬스 어 산업이 4P

(Preventive, Personalized, Predictive, Participatory)의 방향으로

주도될 것으로 상

[표 5] 미래 보건의료 서비스의 변화(1970 ~ 2050)

○ 미래 보건의료 서비스는 IT 등 신기술이 도입되어 방, 진료, 치유, 처방, 리 측면

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망됨

- 성질환 ⇨ 만성질환

- 일시 치료 ⇨ 평생 방/모니터링

- 환자의 치료 ⇨ 일반인의 건강

- 공 자(의료기 심) ⇨ 수요자(환자 심)

- 병원 심 ⇨ 지역사회(가정) 심

- 침습성(invasive)/불편함(uncomfortable) ⇨ 무통증/무자각

출처: u-Health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Page 3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1. 연구배경 : u-Health 산업의 중요성

11

○고령화가 지속되고 의료수 이 높아지는 환경 속에서 IT 기술의

발 은 u-Health의 실제 구 을 가능하게 하며, 앞으로의 신사업

창출과 상 산업의 잠재성을 더욱더 부각

­ ‘언제, 어디서나’ 사용하는 컴퓨터 환경을 의미하는 Ubiquitous

컴퓨 은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가 사람, 사물, 환경 속에 자연스럽게

내재화되고 서로 연결되어 필요시 언제, 어디서나 컴퓨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뜻함(김주한, 2007)

­ 기존의 컴퓨 기술은 e-Health, 를 들어 EMR, OCS, PACS 등의

의료정보화 시스템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Ubiquitous 컴퓨

기술은 이러한 e-Health의 개념을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하는

u-Health 환경을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

[그림 7] u-Health 환경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 스마트폰의 개인 사용자 수가 늘어나고, Ubiquitous 컴퓨 이 개인

사용자까지 가능하게 됨으로써, 앞으로의 u-Health 산업은 건강 리

Application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음

­ 한, 스마트폰이 개인의료기기를 신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비용이 크게 감되어 u-Health 산업을 더욱더 성장시킬 망

Page 3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2

○ u-Health 산업의 환경 기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그

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u-Health 산업을 지정하며

u-Health 산업에 한 지원 추진

­ 2008년 지식경제부의 통령 업무보고에서 IT 융합기술을 차세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5 주력산업을 발표, 이 5 주력산업에

IT와 의료기술을 결합한 THz 내시경, 암검출 센서 등 u-Health

핵심기술이 포함

­ 기획재정부(2009)에서 발표한 ‘신성장동력 추진계획’에서는 고부가

서비스산업 분야에서 로벌 헬스 어가 지정되며, u-Health 산업을

성장시킬 구체 계획을 제시

­ 한 국가과학기술 원회(2011)에서는 다부처 공동기획사업에서

‘범부처 u-Health 산업화 진’의 기획을 추진하며 u-Health 산업의

특성을 반 한 부처의 공동 력을 구

이처럼, u-Health 산업은 보건의료 환경적, 기술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선정, 국가의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하며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

Page 3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2. 연구 목적 및 분석방법

13

2 연구 목적 및 분석 방법

가. 연구 목적

본 보고서에서는 u-Health 동향 자료를 중심으로 국내·외

u-Health 시장의 변화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주요 기업을

분석하여 현재 u-Health 산업의 동향을 분석

○국·내외 u-Health 시장규모 동향을 악하여 향후 u-Health 산업의

성장 미래 시장규모를 악

­ 체 분야별 국·내외 시장의 재 미래 규모를 악하여

u-Health 산업의 경제 향력 잠재력 악

○세계 주요 국가별 u-Health에 한 주요 정책 로그램 정보를

수집하여 u-Health 산업에 한 국가별 근 황 악

­ u-Health의 동향 자료를 심으로 연구 활동 서비스가 활발한

선진 국가 지역을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

­ 국가별 정책 로그램을 악하여, u-Health 산업의 응 방향을

분석

○국·내외 u-Health 산업의 주요기업을 분석하여 u-Health 산업의

황을 악하고자 함

­ u-Health 분야의 특허분석과 재 보고된 자료를 바탕으로 u-Health

분야의 주요기업을 선정

­ 분야별 u-Health 기업의 사업 역 매출 황, M&A 황, 최다

피인용 특허 최근 출원 특허를 분석하여 기업별 분석을 진행

○PEST 분석을 통하여 u-Health 산업 국내·외 황 해결해야할

문제 ,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

­ PEST 분석으로 u-Health 산업의 정책 , 경제 , 사회 , 기술

분석을 토 로 향후 략 응을 한 정책 제언

Page 3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4

나. 분석 방법

특허분석

○특허분석은 특허 문 솔루션 DB인 Aureka 국내 특허 검색을 한

Focust DB를 사용하 으며 최근 20년간(1991.01.01~ 재)의 특허

분석을 수행

­ Aureka DB를 활용하여 미국 특허청(USPTO). 유럽특허청(EPO),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일본특허청(JPO) 등의 해외 출원

등록된 특허를 검색하여 분석을 수행

­ 국내특허 분석은 Focust DB를 활용하여 국내에 출원 등록된

특허의 분석을 수행

­ 특허맵 분석을 통하여 u-health 산업 주요 기업별, 재 연구 역

기술 개발 황을 분석하여 u-health 산업의 트 드 악

­ 국내 기업의 경우 특허맵 상의 기업의 치를 악하고, 기업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련 연구 활용기술을 악하고자 함

시장(기업) 분석

○각 기업의 연차보고서 Datamonitor, Frost&sullivan, 증권사, 은행

등의 시장보고서를 활용하여 매출액, M&A 황 등 과거 재

기업의 변화를 분석

­ 세계 주요 기업의 경우 특허 검색결과의 피인용지수를 활용하여 특허

기술력지수(TS : Technology Strength)가 높은 5개 주요기업을 선정

­ 국내 주요 기업의 경우 특허 검색결과의 최다출원인을 상으로

주요기업 3개사를 선정하고, 이외 기타 동향분석을 통하여 u-Health

산업의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4개사를 선정하여 분석

Page 3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2. 연구 목적 및 분석방법

15

[그림 8] u-Health 기업의 특허 시장 분석 방법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3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6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가. 국외 u-Health 시장

국외 u-Health 시장 현황 및 전망

○세계 유수 보고서들은 로벌 u-Health 시장을 낙 으로 측하며

향후 2013년에는 2,500~3,000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측

­ BCC Research(2008)는 세계 u-Health 련 시장을 2013년 2,539억

달러로 측하며 연평균 15.7%의 고성장을 할 것이라 망

­ 일본의 미쓰비시 종합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u-Health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0년 3,8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연 평균 21.0%의 고성장을

달성할 것으로 망

(단 : 억 달러)

[그림 9] 세계 u-Health 시장 망

출처: Mobile Healthcare, BCC Research, 2008

NIA 유비쿼터스사회연구 시리즈 17호, 한국정보화진흥원 재가공(일본 미쓰비시 종합연구소)

Page 3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17

○성장률로 단할 때, u-Health 산업은 향후 거 한 잠재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단

­ u-Health는 다학제 성격을 가지며 정의에 따라 시장 규모가 큰

차이를 보여 인 수치를 비교할 수 없음

­ 연평균 성장률을 볼 때 BCC Research의 경우 15.7%, 미쓰비시

연구소의 경우 무려 21.0%라는 성장률을 망

주요 u-Health 시장 현황 및 전망

○미국의 Healthcare IT 련 시장은 2010년 540~600억 달러의 규모로

추산되며, 향후 련 시장은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망

­ RNCOS(2011)은 IT Hardware, Software, Service를 포함한 미국의

Healthcare IT 시장을 2011년 400억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단하고 있으며, 2012~2014년간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24%의

고성장 측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Health IT 시장 IT Hardware가 체

시장의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Health IT software시장은 2011년 8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 한 mobile Healthcare 시장은 년 비 성장률 17%로 2011년 21억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망하고 있으며, 2012~2014년까지 연평균 22%의

고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망

­ Frost&Sullivan(2007)은 미국의 Hospies/Homecare 시장을 2010년

541억 규모(CAGR 2001~2010 : 2.9%)를 형성할 것으로 보며,

인구의 고령화로 향후 상 시장이 더욱더 성장할 것으로 망

­ Global Insight(2006)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원격의료 서비스(병원,

의사, 기타사업자, 환자 연계)의 매출액은 2006년 388.3억 달러를

기록하 으며, 2011년 약 751억 달러(CAGR 2006~2011 : 14.1%)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측

Page 4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8

[표 6] 미국의 원격의료 서비스 매출액 망

(단 : 억 달러, %)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연평균

성장률

병원 20.5 31.8 43.9 56.9 70.9 86.2 33.3

의사 97.6 114.6 133.8 155.6 180.3 208.1 16.3

기타사업자 30.2 44.1 59.4 76.4 95.3 116.3 31.0

환자 연계 240.0 257.4 276.1 296.1 317.6 340.6 7.3

합계 388.3 447.9 513.2 585 664.1 751.2 14.1

출처: Healthcare Forcast 2006~2011, 2006 범부처 u-Health 산업화 진방안 기획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 한, Mobile World Congress(2011) AT&T 발표자료에 따르면 미국

mHealth 시장은 2009년 11억 달러 규모에서 2014년 4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단

­ Frost&Sullivan(2011)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PHR(Personal

Health Record) 시장은 2010년 3.12억 달러에서 2015년 4.1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망

○이외, 유럽의 eHealth 산업은 2006년 210억 유로 이상, 일본의 경우

차세 헬스 어 산업이 2015년 8,000억 엔 이상의 시장규모를 보일

것으로 추정

­ EU(2007)에 따르면, 2006년 유럽 16개국의 eHealth 산업은 210억

유로로 추정

­ Frost&Sullivan(2012)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유럽의 Healthcare

Data Storage 시장은 2011년 11.37억 달러에서 2017년 24.73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망(CAGR 2007~2017 : 13.6%)

­ 일본 후지경제사(2008)에 의하면, 일본의 차세 헬스 어 시장

규모는 2007년 1,809억 엔에서 2015년 8,249억 엔이 이를 망

­ Frost&Sullivan(2012)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의 Medical

Imaging 시장은 ’11, 23.8억 달러 → ’15, 36.5억 달러에 이를 망,

Healthcare IT 시장은 ’11, 17억 달러 → ’15, 20억 달러에 이를 망

Page 4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19

나. 국외 u-Health 정책 및 프로그램

(1) 미국의 u-Health 프로그램

미국은 정부의 주도하, 의료정보화를 통한 의료사각지대에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해 여러 프로그램 진행을 시작

○연방정부 주 정부 주도의 계획 략 수립 재정 지원을

바탕으로 공공의료 성격의 u-Health가 실행

­ 1996년 개인정보보호규정인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가 실시되면서 u-Health의 표 법안

제정으로 원격의료 행 의 석확립

­ 이후 연방원격진료법안(Balanced Budget Act)을 제정하면서 원격

의료를 실시하 으며, u-Health 담 부서를 신설하여 매년 원격진료

역확장

­ 부시정부는 NHII(National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를

통하여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시스템을 구축하는 계획을

발표하 으며, ‘Health IT’ 계획을 통하여 국민을 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확 할 계획 발표

­ ONC(Office of National Coordinator)는 DHIT(The Decade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를 발표하며, 임상의 정보화, 임상의

상호 속, 의료의 개인화, 국민 건강상태 증진을 목표로한 의료

정보화 략체계를 수립

­ 한 ONC는 NHIN(Nat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의

진행으로 지역별 의료정보 네트워크를 통합시키는 로젝트를 진행

○미국의 u-Health는 원격진료 원격의료 행 의 서비스가 발달해

있으며, 지역별로 u-Health 실시

­ 농 지역, 군인, 교도소 등 직 의료행 가 어려운 곳을 심으로

원격 의료 행 가 실행

Page 4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20

[표 7] 미국 주정부 심 주요정책 추진 황

구분 황

노스캐롤라이나 주

- 동 캐롤라이나 학 의학부는 100마일이나 떨어진 롤리지역의 주교도소에

유헬스 어 자문을 제공

- 의사는 유헬스 어링크를 통해 환자와 화하고 진단, 필요시 처방을 함

(디지털청진기, 그래픽 카메라, 소형 피부감지 카메라 사용)

- 주내 6개 지방병원과 지역 캠 의 해군병원에까지 확

미네소타 주

사우스다코다 주

아이오와 주

- 병원 간 원격진료 네트워크 서비스(Telehealth Network)를 실시하여 다양한

16개 병원에 양방향 비디오 컨퍼런싱 시스템을 설치하여 응 치료뿐만

아니라 각종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

- 환자는 유헬스 어장비를 통해 병원 방문 없이 진료 서비스를 제공받음

오리건 주

- EliteCare: 미국 오리건주 워키의 노인간호시스템을 구축

- 치추 배지를 제공하고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건강상태 악하고, 체크

결과의 자동보고로 노인의 건강상태 실시간 검

유타 주

- 1993년 비 리법인인 UHIN(Utah Health Information Network) 구축

- 주법으로 UHIN 채택 표 을 유타 보험과가 건강 리 청구의 기 으로

채택하도록 설정. 임상 역까지 확장 에 있음.

오크라호마 주- 1995년부터 50개의 농 지역 병원과 도시지역 병원을 연결한 세계 최

규모의 유헬스 어서비스 시행

애리조나 주- 2005년 애리조나 Health e-Connection의 설립 안을 주지사가 승인한 후

2006년 로드맵을 발표함

인디애나 주 - 2004년 IHIE(Indian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설립, 2006년 흑자 달성

조지아 주

- 1992년 조지아 원격교육과 유헬스 어법안(Georgia Distance Learning and

Telemedicine Act)의 통과

- 유헬스 어망은 159개 지역을 연결하는 60개 사이트로 이루어짐

텍사스 주

- 지방 소병원에 유헬스 어자문과 지속 인 의료교육을 제공하기 해

주 단 유헬스 어를 이용

- 텍사스 보건기술과학센터와 텍사스 의 는 104개 주교도소의 13만 명의

수감자에게 진료를 제공하고 있음

출처: u-Health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u-Health를 활용한 보건의료체계 선진화 방안, 안명옥, 2007

Page 4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21

최근에는 IT기술을 활용하여 u-Health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며, 개인정보보호를 강조

○오바마 정부의 u-Health 추진 로그램은 기존의 원격의료 시스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향상된 u-Health를 목표로 실행

­ 보건성 산하 OAT(The Office for the Advanced Technology)에서

u-Health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OAT 산하에는 6개의 원격의료

지원센터 보유

⦁원격의료 지원센터는 원격의료 로그램 실시하는 의료기 , 의료 네트워크,

의료인을 지원하며 법·제도를 마련하는 1개 국가센터와 서비스 제공

운 을 하는 5개의 센터 구축

[그림 10] OAT 산하 6개 원격의료 지원센터

출처: u-Health 신사업 창출을 한 사업화 략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0

Page 4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22

[표 8] OAT 산하 6개 원격의료 지원센터

센터명 치 활동범 주요 활동 역할

Center for Telehealth & E-Health Law(CTeL)

Washington.DC 국가

- 원격의료와 련한 법제도(보상, 면허, 이동통신, FDA규정, 개인정보보호, 인허가 등) 정책 정보 등의 수집, 분석,

- 매년 Telehealth Leadership Conference 개최- 원격의료 커뮤니티에 e-newsletter 발송 발간

California Telemedicine and e-Health Center(CTEC)

California 주 Sacramento

California 주 체

- 의료 근성 향상과 원격의료 사용 증진 방안 마련을 한 원격의료 T/F 구성 응용

- 원격의료 사용 증진을 한 각종 조사 연구 활동

- 정책개발자, 이해 계자 의체 구성 운

Great Plains Telehealth Resource and Assistance Center(TRAC)

South Dakota 주 Sioux Falls

Iowa, Minnesota, Nebraska, North Dakota, South Dakota

- 지역별 원격의료 컨퍼런스 개최- 개별 인 원격의료 장비 수요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 된 서비스 제공- 원격의료 련 장비와 서비스 평가- 자원, 도구, 련 자료 온라인 라이 러리 운- 교육 서비스 련 교재 제공- 원격의료 로그램 평가

Midwest Alliance for Telehealth and Technology Resource

Michigan 주 Marquett

Michigan, Indiana, Kansas

- 원격의료 련 문인 교육- 원격의료상담 개자 역할- 원격의료 Network 운 회의 개자 역할- 재택진료시스템 운- 지역사회에 원격의료 련 교육 제공- 지역사회 화상회의서비스 제공- 원격방사선시스템, 원격병리시스템 운

Northeast Telehealth Resource

Center (NETRC)

Maine 주 Lubec

Maine, New Hampshire, Vermont,

Massachusetts, Rhode Island,

Connecticut, New York

- 원격의료 련 기 에 기술 인 조언- 임상지침 개발 지원- 사업 략계획 수립 지원- 평가 방법 평가 도구 지원- 지속 인 의학교육 비디오 제공 등 정보공- 원격의료 정책입안자들과 력- 지역별 컨퍼런스 회의 개최 등을 통해 원격의료 지식 공유

NorthWest Regional Telehealth Resource

Center(NRTRC)

Washington 주 Spokane

Alaska, Idaho, Oregon, Montana, Washington, Utah, Wyoming, Hawaii, 미국령 태평양제도

- 원격의료 로그램과 어 리 이션 기술지원- 원격의료의 실제 의료서비스 용 폭 확- 지역 력을 통한 문 치료 근성 향상- 표 성과사례와 원격의료 툴킷에 한 정보 개발

- 지역별, 법제도, 정책, 배상 등 원격의료 련 이슈 조정

출처: u-Health 신사업 창출을 한 사업화 략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0

Page 4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23

­ 오바마 정부는 의료비용 감 의료수 의 향상을 해서 보건

정보기술에 투자 계획을 밝힘

­ 2011년 CMS(The Center of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는

‘EHR Incentive Program' portal을 구축하 으며, ONC는 의료정보

기술의 구 인증 로그램의 최종기 을 발표

[표 9] 오바마 정부의 u-Health 사업 내용

분야 주요 내용 산

원격의료

인 라 개선

농어 , 도시, 직장, 가정 등 지리

치와 계없이 원격의료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8억 달러, 의료정보

20억 달러

통신/ 로드밴드

인 라 확

원격의료, EHR을 한 의료기

네트워크 확

체 산 28.5천만 달러

가운데 상당 부분 반

의료서비스 수출재외 미국인에게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1천만 달러

재난 응

원격의료 활용응 상황 응에 원격의료 활용 1천만 달러

원격의료

가이드라인/ 표 개발원격의료 련 표 화 추진 5백만 달러

공공의료 로그램

원격의료 활용

연방 공공의료 로그램에 원격의료

활용

체 산 5.9천만 달러

가운데 상당액 반

출처: u-Health 해외선진사례 조사 출장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 2009

○이 보다 엄격한 개인 의료정보보호를 강조하며, 향상된 u-Health를

제공하기 해 노력

­ 연방의회 소비자 그룹은 개인 의료정보 보호 방안을 백악 에

제출하 으며, 미보건부는 이를 받아들임

⦁의료정보, 소셜미디어, 인터넷 이용확 로 개인의료정보의 유출 험이

높아짐에 따라서, 어떠한 형태로든 환자의 개인정보 유출시 환자에게

반드시 개인정보 유출에 한 사항을 공지하도록 지시

Page 4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24

민간 주도 사업의 경우 다양한 질병을 대상으로 한 원격 의료 및

건강정보 전달 서비스가 활성화

○민간 주도 사업은 온라인 건강정보사이트, 원격 진료 제공자를 한

교육지원 사업, 타 국가 의료진간 telemedicine 등이 있음

[표 10] 미국의 민간주도 u-Health

사업(주체) 사업 개요 제공 서비스

Matria Healthcare

건강보험 지원으로 포춘 1000 기업 민간

혹은 정부 상 건강증진 로그램 서비스

제공

- 질병 리

- 통합 웰니스 솔루션

- 산과서비스

WebMD-PHR

(www.webmd.com)

온라인 의료/건강정보 서비스 사이트로 온라인

고 주로 비교 성공 수익을 냄

- 개인 Healthplan

- 치료 련 교육

- 건강에 향을 미치는 맞춤

정보제공

- 주요 건강데이터 공유

1st Call MD인터넷, 화, 그 외 모바일장비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의사들의 역망에 속

- 가까운 곳의 의사검색

- 증상 송 원격진단

Access Psychiatry원격 정신건강서비스와 행동건강서비스의 통합

- 원격 의료

- 업 의료 서비스

- 근거기반치료

Tele-health-Kids

Project

(Akron Children's

Hospital)

아동을 상으로 한 성질환(발열, 인후염,

피부발진, 귀앓이, 감기증상으로 응 처치

처는 아님)에 하여 원격진료

- 원격진단

- 자처방

- 원격진료데이터 송

Consult a Doctor

24시간 의사와의 의료상담 제공으로 미국

역의 주치의와 문의들의 일상 건강

상태에 답변 조언 제공

- 개인건강 리 서비스

BTF Telemedicine

Project

(Binaytara Foundation)

Telemedicine을 이용하여 네팔의 의사와

의 생을 상으로 문상담 CEM

제공

- 원격 의료

- 원격 건강상담

Diabetes HouseCall

(Healthimo)

당뇨환자를 상 Housecall 제공으로 지속

모니터링 교육

- 원격 진료

- 원격 모니터링

- 면 진료

출처: 국외 u-Health 황 정책 시사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Page 4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25

(2) 일본의 u-Health 정책 및 서비스

일본의 u-Health는 선도화된 ICT기술을 바탕으로, 국가 전략적

관리가 이루어짐

○후생성의 원격진료 통지에 따라 u-Health가 공인되며 원격의료

행 가 시작

­ CCTV와 화선을 이용한 1971년 오카야마 의 의료공 을

목 으로 u-Health의 개념을 이용하여 1997년 후생성의 원격진료에

한 통지에 따라 의료법에 되지 않음을 명시

­ 2001년 실시된 ‘국가 Brand Design’을 통하여 국가 장기 으로

u-Health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

[표 11] 일본 ‘국가 Brand Design’의 Healthcare 정보화

구분 설명

4단계 정책병원진료기 정보화, 의료기 네트워크화, 의료정보의 효과

인 사용, 실시간 의료정보지원

5단계 행동요령의료표 화, 정보인 라 구축, 시범사업 추진, 시스템 도입

정보시스템 유지 리, 홍보강화

6가지 측정시스템

자 환자진료 기록 시스템, 처방 시스템, 실시간 의료지원

시스템, 원격건강 리지원시스템, 환자불만처리시스템, 의학용어·

코드·양식에 한 자정보 달형 표 화시스템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의사법에 의하면 원격 독 지원서비스 원격 진료를 허용하고

있으며 원격 처방은 허용되지 않음

­ 일본 의사법에 의하면 원격진료의 명확화를 해 진료는 의사와

환자가 직 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원격진료는 면진료를

보완하는 경우로 법규화

­ 덧붙여, 만성질환자와 같이 병상이 안정되어 있는 환자에 하여

원격진료를 허용하고 있으며, 원격진료 상에 한 포지티

리스트를 구성

Page 4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26

[표 12] 일본의 원격진료 상 포지티 리스트

원격진료 상 내용

재택 산소 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환자

재택 산소 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

통신기기를 통해, 심 도, 압, 맥박, 호흡수 등의 찰을 실시해,

재택 산소 요법에 한 계속 조언·지도를 실시하는 것

재택 난치병 환자

재택 난치병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심 도, 압, 맥박, 호흡수 등의 찰을 실시해, 난치병의 요양상

필요한 계속 조언·지도를 실시하는 것

재택 당뇨병 환자

재택 당뇨병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당치 등의 찰을 실시해, 당뇨병의 요양상 필요한 계속 조언·

지도를 실시하는 것

재택 천식 환자

재택 천식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호흡

기능 등의 찰을 실시해, 천식의 요양상 필요한 계속 조언·지도를

실시하는 것

재택 고 압 환자

재택 고 압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압, 맥박 등의 찰을 실시해, 고 압의 요양상 필요한 계속

조언·지도를 실시하는 것

재택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재택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찰을 실시해, 아토피성 피부염의 요양상

필요한 계속 조언·지도를 실시하는 것

욕창이 있는 재택

요양 환자

재택 요양 환자에 해서, 화상 화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욕창

등의 찰을 실시해, 욕창의 요양상 필요한 계속 조언·지도를

실시하는 것

출처: 일본의 u-Health 동향, 보건복지포럼, 2009

○ ICT 기술의 발 으로 의료정보화를 통한 국가 략 u-Health가

도입

­ ‘e-Japan' 국가정보화 추진 략으로 u-Health를 한 기반을

갖추었으며, ‘e-Japan Ⅱ' 략의 일환으로 의료분야의 IT활용 선도화

계획을 발표

­ 일본 내 e-병원시스템 보 으로 400침상 이상의 병원 60%,

자진료시스템 도입으로 일본 내 보건소의 60%가 u-Health의

일환을 갖추려는 계획

Page 4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27

­ 한, 2008년부터 개인 건강정보의 활용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 책을

하여 후생노동성과 경제산업성이 연계한 건강정보활용기반구축

실증실험을 추진

[그림 11] 일본 건강정보활용기반 실증사업의 개요

출처: 국외 u-Health 황 정책 시사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일본에서는 의료분야에 다양한 형태의 u-Health 서비스가

제공되고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

○환자진료에 한 상담(Tele-consultation)

­ 의사와 환자의 양방향 상 통신으로 상담을 실시하며, 특히

내과질환, 피부과 질환, 정신과 질환에 유용한 것으로 단

­ 피부질환의 경우 상 일을 자우편으로 송하여 문가와의

상담이 가능하며, 정신과 상담의 경우 해외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상으로 원격상담을 실시하는 서비스를 추진

○진료행 의 실시간 지도

­ 환자에게 실시되는 여러 가지 의학조치를 타 지역에서 상으로

송받아 원격으로 지도할 수 있는 u-Health 서비스

Page 5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28

­ 내시경 수술의 지도가 가장 효과 인 것으로 나타나며, 그 외

음 화상, 안과의 미경화상 등의 서비스가 실시

○원격방사선진단(Tele-radiology), 원격 병리진단(Tele-pathology)

­ 방사선진단(X-ray, CT, MRI) 상물을 타 지역으로 송하여 독

진단을 목 으로 하는 서비스

­ IT 기술의 발달로 원본과 동일한 화질의 방사선진단 상물이 송

가능해졌으며, 량 송이 가능해 짐에 따라, 방사선 문의가

일 으로 독하여 결과를 송하는 형식으로 이용

­ 원격병리진단으로 시술 신속한 병리진단이 어려운 병원의

문제 을 해소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활용기 가 높은 서비스

­ 지역의료 원격의료보조사업 실시를 통하여 원격지의 환자에게

문의를 통하여 치료나 수술범 를 결정하는 형태로 공

[그림 12] 일본 원격진료 보조사업

출처: 일본의 u-Health 동향, 보건복지포럼, 2009

○원격가정간호(Tele-Homecare)

­ 환자의 집에 설치된 화상시스템으로 의료진의 상담과 함께 의료

조치가 가능한 서비스로 1997년부터 후생성이 국 지자체와 함께

사업을 진행

Page 5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29

­ 재택 재활지도, 재택 임산부검진, 재택 산소요법지원, 재택 터미

어지원, 재택 당뇨병환자지도 등으로 응용서비스가 확

⦁아와테 의 엔노시 : ’84년부터 ‘엔노방식 재택 어시스템’에 u-Health

서비스를 용하여 실시

⦁후지사와시 : ’04년 까지 약 4만 5천 엔을 투자하여 ‘e-Care Town 로

젝트’로 가정에서 복지 로그램의 혜택을 용

○ 동의료(Co-medical) 여

­ 상 송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공동으로 진료하거나 간호하는

서비스로, 를 들어 응 상황의 발생 시 원거리의 의사와 구

원간의 동의료가 가능하여 구 의 의료행 의 범 가 확

○건강 리서비스

­ 의사가 아닌 건강 리 자격을 부여한 문인이 이용자의 건강을

리하는 형태의 서비스

­ 약 20개의 세분화된 건강 리 자격증이 있으며, 원격건강 리를 한

건강 리 문회사가 약 2만개 이상 존재하며, 상장회사가 17개 존재

Page 5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30

(3) 유럽의 u-Health 정책 및 서비스

유럽 전역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가 간 협력을 통한 u-Health

실시

○EU 소속 국가들의 력과 네트워크 인 라 구축을 통하여,

u-Health의 근성 향상

­ ‘e-Europe 2005 Action plan'을 통하여 역 네트워크를 통한 EU

국가들의 보건정보화를 추진

⦁2003년 유럽 19개국의 e-Health 장 회의의 일환으로 ‘EU e-Health

선언문‘을 채택하고, EU의 10 우선과제로 e-Health를 추진 합의

[표 13] e-Europe 2005 Action plan

기간 계획 내용

2005년 12월 - u-Health 발 을 한 로드맵 발표

2006년 12월- 환자들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건강정보의 공유· 근법을 확립- 건강정보에 하여 상호 이용할 수 있는 표 확립

2008년 12월- 무선, 모바일, Grid 기술에 기반을 둔 Health Information Network (건강정보 네트워크)를 지원

2010년- 유럽 ICT 진 계획- 모든 사람의 근 참여가 가능한 유럽 정보사회 구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 2008년 EU내 회의를 통해 원격의료의 확 실행을 하여 2011년까지

집행 원과 회원국 수 의 실행계획을 세움

⦁집행 원회는 원격의료서비스의 검을 한 가이드라인개발을 2011년

까지, 규모 원격모니터링 비 로젝트를 2010년까지 지원

⦁ 한, 원격의료 상자의 개인정보 보호 원격의료의 신뢰도 고취를

한 권고안 마련을 해 의료 문가와 환자 사이의 력활동 기여

⦁EU 국가들 내의 원격의료 수요와 우선순 를 악하고, 우수사례 수집

Page 5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31

­ 2002년부터 유럽연합 회원국내 모든 국민들에게 자의료보험카드를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2008년 까지 스마트카드로 면 환하는

정책을 의결

⦁’02년 3월 바르셀로나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스마트 의료보험 카드 제도는

유럽연합 회원국내 모든 국민들에게 무료 의료서비스 보장 목 으로

실행

­ 국과 독일의 보건당국은 국내 지역 담당 주치의들에게 로드

밴드 네트워크를 제공하기로 계획하며, 온라인 진료 약 원격진찰

시스템을 국 으로 가능하도록 인 라 구축

­ 다양한 건강지표 개발과, 건강정보 공유, 질병 조기진단, 라이

스타일에 따른 건강 결정요인 규명을 통해 EU 회원국의 건강 개선을

목표로 련 로그램 추진

○EU는 2011년 1차 e-Health Action Plan(e-HAP)의 장기

정책추진을 목표로 2차 e-HAP를 한 공공 자문을 수렴

­ 2차 e-HAP는 Europe 2020 정책을 고려하여 2012~2020 기간 동안의

편 e-Health 로그램을 포 하는 장기 정책 수립을 목표로

하며, 다음 주요과제를 상정

⦁국민·환자의 건강권 헬스 어 문 인력을 한 e-Health 기술향상

⦁e-Health 호환성 해 문제 해결

⦁e-Health 련 법제도 개선

⦁e-Health 부문 신 연구 활동 지원을 통한 EU 의료 경쟁력 개선

○ u-Health 서비스 일환으로 원격의료, 모니터링 등 다양한 서비스 실시

­ 6th Framework Program에 국가 간 력을 통한 홈네트워크와

헬스 어 시스템 연구지원 내용이 포함

⦁EU RTD(European Union Research and Development) 등 유럽인의

생활 환경을 향상시키기 해 많은 로젝트가 진행

­ AAL(Ambient Assisted Living)

⦁고령인구 독립 생활을 한 의료, 건강 리, 안 , 보안, 사회 참여 등

원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08년부터 EU의 12개국이 참여

하여 6년간 약 3.5억 유로를 투자

Page 5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32

로젝트 세부 내용

TELEMED

- 유럽공동체에서 소규모 병원이나 일반병원에서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에 형병 원 의 문 의료진에 의한 원격진단 치료를

하여 추진하고 있는 로젝트

- Barcelona, Berlin, Florence, Geneva, Heidelberg, Montpeller,

Tromso를 2Mbps 역 종합통신망과 역 종합정보통

신망으로 연결

- 방사선 상과 의무기록을 문의에게 메일로 보내면 문의는

연 된 소 트웨어를 사용 독/진단하고 다시 메일로 의뢰인

에게 달하는 방식으로 시연

AMON

- SpO2, 압, ECG, 심장박동,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복합의료기기

- GSM을 이용하여 측정된 생체정보를 Medical Mission Center에서

장, 분석 후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시스템

RETAIN

- 1차 진료기 에서 3차 문 진료기 의 분야별 의료 문의에게

ATM을 통하여 디지털 방사선 상, 동 상, 텍스트정보를 동시에

보내고 문의 진단, 독을 받기 한 원격 문가시스템 개발

로젝트

­ 2002년 유럽 5개국과 14개 회사가 연합하여 원격건강모니터링 로젝트

시범사업을 진행

⦁센서와 엑 에이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몸이 불편한 환자를 모니터링

하고 임상시험을 원격 리하는 기술을 목표로 함

⦁ 상 환자가 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소지하여, 개인건강 진단요구에

응하고, 상황 발생 시 유연하게 처할 수 있는 시스템

[표 14] 유럽의 u-Health 련 로젝트

Page 5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33

로젝트 세부 내용

Telematics Phase - 건강 리를 심으로 하는 서비스 기술 개발 로젝트

SAFE21,

TEN-HMS- 원격 건강 모니터링과 건강 리를 한 로젝트

Senior Watch-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고령자 장애자의 동태를 모니터링

하는 로젝트

출처: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Page 5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34

다. 국외 u-Health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특허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u-Health 특징을 분석하고, 주요

기업을 파악하여 기업별 특성을 분석

[표 15] u-Health 련 해외특허 검색식

u-Health

해외

특허

분야 문검색식(Aureka DB 이용)

생체정보활용기술

(((biological near (signal* or information*)) or biosignal* or (blood near (sugar or

glucose or pressure)) or (body near (fat or temperature or heat)) or ECG or

electrocardiogra* or pulse or pulsation or "pulse beats" or heartbeat or "heart

rate") and (remote and (sav* or trasmit* or send* or sens* or record* or

measure or gaug* or check* or diagnos*))) not (optic* or fingerprint or iris or

pay* or certificat* or identificat*)

의료정보 리기술

((medical near imag*) or ((medical or health) and (record* and information*)))

and (diagnos* or sav* or trasmit* or send* or record*)

일상생활 모니터링

((human or person* or people) and (pattern* or behavior* or accident* or fall*))

and (remote and (monitor* or sen* or check or manag* or supervis* or mesur*

or gaug* or check*))

응용 서비스 기술

(health or healthcare or (chronic near (disease or illness)) or ememergenc*)

and (remote and (care or caring or manag* or supervis*))

검색기간(출원일 기 ):  검색범 : 검색 도메인:

1991. 1. 1 ~ 2012. 8. 31 Title, Abstract OR Claims미국 공개 등록, 유럽/PCT/일본 공개

* 기술분류 : 한국정보통신기술 회의 ICT 표 로드맵을 기 로 기술분류 진행

** 별도의 노이즈 특허 제거과정 없이 특허분석을 수행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5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35

○ u-Health를 한국정보통신 기술 회의 표 로드맵을 참고하여 4개

분야로 재구성 하 으며, 기술분류 검색식 이용하여 특허 검색 진행

­ 생체정보 기술은 u-Health의 핵심기술로 이용자의 생체 정보( 압,

당, 심박, 체온 등)를 측정 하여 장, 분석, 기록, 송하는 기술

­ 의료정보 리 기술은 의료 상 개인 의료기록의 장, 송하는

기술을 의미

­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은 이용 상자의 행동 패턴을 악하고,

한 낙상 사고 불의의 사고를 감지하는 기술

­ 응용서비스 기술은 의 요소기술을 바탕으로 건강 만성질환,

응 상황 등을 원격으로 리하는 시스템

­ 4가지 기술분류를 바탕으로 1991년부터 재까지 약 20년간의 미국

공개 등록, 유럽/PCT/일본 공개 특허를 검색

Page 5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36

(1) 국외 u-Health 특허 분석

BT, IT 기술의 발달로 2000년대 들어 특허활동이 활발하며,

전체적으로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

○ u-Health 기술은 2000년 들어 격한 특허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총 16,404건이 출원 등록

­ 연도별 출원 등록 건수를 살펴보면, 1991년부터 지속 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0년 들어 BT, IT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특허출원의 수가 1,000건을 돌 하며 활발한 특허

활동이 이루어짐

­ 2007년 가장 많은 1,338건이 출원 등록되었으며, 약 20년간 총

16,404건이 출원 등록되었음

[그림 13] 연도별 u-Health 특허 출원 등록 건수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 페 리특허는 제거함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5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37

­ 주요 국가별로는 검색기간 동안 미국이 가장 많은 10,165건, 그

다음으로 일본이 3,496건, 유럽(EP)이 409건에 하여 우선권이 있는

특허를 출원 등록함

[그림 14] 세계의 u-Health 기술발 도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그림 15] 주요 국가별 u-Health 기술발 도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6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38

[그림 16] 기술성장단계 악 방법론( 시)

출처: 의료정보 u-Health 기술 특허기술동향조사 보고서, 특허청, 2011

○ u-Health 련 체 특허를 살펴보면, 세계 으로 기술발 도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해석

­ 1991~1995 구간부터 2001~2005구간까지 출원건수 출원인수가

격히 증가하며, 세계 으로 u-Health 련 연구개발이 활발했던

것으로 분석

※ 본 분석에서는 특허 공개에 보통 18개월이 소요되는 것을 반영하여 최근

2년(2011, 2012)에 검색된 특허는 기술발전도 분석 대상에서 제외

※ 또한, 총 4개 구간(1구간 : 1991~1995, 2구간 : 1996~2000, 3구간 :

2001~2005, 4구간 : 2006~2010)으로 나누어 기술의 발전도를 분석

○국가별로 기술발 도를 살펴보면 미국, 유럽이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타 국가보다 일본의 경우 성숙기에 어든 시기가 이른

것으로 단

­ 미국의 u-Health 기술은 세계 동향과 비슷하게 1~4구간까지 격한

성장으로 보이고 있으며, 이는 부시 정부에 이어 오바마 정부에서

지속 으로 u-Health의 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로 단

­ 일본의 경우 2003년 e-JapanⅡ 략을 실행하며 시스템과 서비스

측면의 략을 강화함에 따라 기술의 발 도가 성숙기로 어들며,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는 측면의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해석

Page 6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39

­ 유럽의 u-Health 기술은 2, 4구간의 속한 발 이 에 띄며,

아직까지 기술의 발 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성장단계에 있는

것으로 단. 특히 4구간의 경우 ‘e-Europe 2005 Action plan’의

결과로 의료정보화 련기술의 속한 발 이 반 된 결과로 해석됨

[그림 17] 세계 u-Health 체 특허 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의료정보 리기술이 상당수 검색되었으며, 응용서비스 기술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은 상 으로 은 것으로 분석

­ 특히, 의료정보 리기술 의료 상 련 송 장, 독 련

특허가 다수 검색되었으며, 생체정보를 활용한 응용서비스 기술이

다수 검색된 것으로 단

­ 종합 으로 생체정보 측정 등 u-Health의 기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의료정보 송 장, 리 시스템, 이를 활용한 원격건강 리

시스템의 특허가 많은 것으로 단

Page 6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40

주요 출원인 중 최근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5개 기업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함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자 분야의 기업을 바탕으로 여러 종류의

기업이 u-Health 련 특허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 TOSIBA, HITACHI, GE, SIEMENS 등 자 기업들이 의료기기,

정보시스템 등을 필두로 헬스 어 분야에 활발한 특허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 u-Health 솔루션 업체인 IBM, Microsoft 등도 활발한 특허활동을

펼치며 u-Helath 역을 넓 가고 있음

[그림 18] 세계 u-Health 특허 주요 출원인

* 그룹내 계열사는 주요출원인 명을 통일하지 않고, 추가 수정하지 않음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6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41

○네 분야 의료정보 리기술이 가장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2007년 모든 분야가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

­ 생체정보 활용기술은 총 3,639 건이 검색되었으며, 2007년 240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가 출원 등록

­ 의료정보 리기술은 총 10,097건이 검색되었으며, 역시 2007년 가장

많은 907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네 분야 가장 활발한

특허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

­ 일상생활 모니터링 기술은 총 2,607건이 검색되었으며, 2007년 가장

많은 198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 응용서비스 기술은 1,369건이 검색되었으며, 2007년 가장 많은

128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표 16] u-Health 분야별 주요 특허 출원 등록 기

생체정보 활용기술 의료정보 리기술 일생생활 모니터링 응용 서비스 기술

기특허수

기특허수

기특허수

기특허수

CARDIAC PACEMAKERS

INC60 TOSHIBA CORP 438 MICROSOFT

CORP 27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23

MEDTRONIC INC 49 HITACHI MEDICAL CORP 264 IBM 22 MICROSOFT

CORP 22

IBM 34KONICA

MINOLTA MED & GRAPHIC

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20 GENERAL

ELECTRIC 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31 GENERAL

ELECTRIC 212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14 MEDTRONIC INC 13

GENERAL ELECTRIC 2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189 SONY CORP 12CARDIAC

PACEMAKERS INC

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21 SIEMENS AG 177 SIEMENS AG 11

ABBOTT DIABETES CARE

INC9

PACESETTER INC 19 FUJIFILM CORP 143 HITACHI LTD 10 IBM 9

QUALCOMM INC 17SIEMENS MEDICAL

SOLUTIONS129 MEDTRONIC INC 9 HONEYWELL INT

INC 8

SAMSUNG ELECTRONICS CO

LTD17 FUJI PHOTO

FILM CO LTD 121 SEARETE LLC 9SAMSUNG

ELECTRONICS CO LTD

7

HITACHI LTD 16 TOSHIBA KK 91 FUJITSU LTD 8CERNER

INNOVATION INC

6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6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42

○최다 출원 상 15개 기업의 특허활동을 기술력지수로 변환하여 출원

등록 특허의 기술력이 높은 기업을 도출

­ 기업별로 특허 향 지수(PII : Patent Impact Index)를 구하여 최근

5년간(2006~2010) 기술 신 성과가 재시 에 미치고 있는 기술

향력을 단

­ PII에 특허건수를 곱하여 특허의 질 , 양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기술 역량을 추정

[표 17] 특허 향 지수, 기술력지수 도출 방법

[특허 영향 지수 : PII, Patent Impact Index>

의특허피인용수 의특허수 전체특허의피인용수 전체특허수

[기술력 지수 : TS, Technology Strength>

×

해당연도의값 해당연도의의특허건수

출처: 특허분석 방법론, 한국특허정보원, 2005

Page 6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43

○기술력지수를 도출하여 5개년 평균 가장 높은 기술력을 보인 5개

기업을 선정하여 기업별 분석을 수행

­ 구간별 특허 향력지수를 고려하여 가장 최근인 4번째 구간

(2006~2010)을 살펴보면, 체로 부분의 기업들이 1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평균 인 수 에 못 미치는 결과를 도출

­ 하지만, 이는 체 u-Health 분야의 특허의 출원 건수가 증가하며,

개인이 출원 등록한 피인용 횟수가 늘어나며 나타난 상으로

­ 향력지수에 특허수를 곱하여 양 특성까지 고려한 기술력지수를

비교해본 결과, GENERAL ELECTRIC이 가장 높은 84.37을 기록함

­ 기술력지수가 높은 상 5개 기업을 최근 u-Health 분야의 주요

기업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함

[표 18] 최근 5년간 주요기업 향력 지수 기술력 지수

기업  '06~'10(PII) '06~'10(TS)GENERAL ELECTRIC 0.63 84.3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0.60 80.48

MEDTRONIC INC 1.86 66.85

MICROSOFT CORP 0.91 62.95

SIEMENS MEDICAL SOLUTIONS 0.71 58.41

FUJIFILM CORP 0.48 47.38

SIEMENS AG 0.41 38.94

CARDIAC PACEMAKERS INC 0.78 34.40

TOSHIBA CORP 0.12 30.50

IBM 0.56 25.96

KONICA MINOLTA MED & GRAPHICS 0.60 18.82

HITACHI MEDICAL CORP 0.21 16.87

FUJI PHOTO FILM LTD 0.32 1.30

HITACHI LTD 0.07 0.65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6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44

(2) 국외 u-Health 산업 세부 주요 기업

(가) GENERAL ELECTRIC

GENERAL ELECTRIC 기업 동향

○ 2000년 헬스 어 산업 집 투자로 미래 헬스 어 산업의 선두기업

으로 자리매김하기 한 략을 추진(삼성경제연구소, 2011)

­ 1990년 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장기 으로 사업을 재편하며

2000년 헬스 어 에 지 사업으로의 변화를 꾀함

­ 1990년 기존 GE의 성장을 견인한 융산업 산업재 산업을

축소하고, ‘헬시메지네이션’, ‘에코메지네이션’이라는 략 방향을

설정하여 미래 성장을 비

­ 이러한 략 방향으로 내부역량을 강화하기 해 기술 인 라를

확 하고, 미래 u-Health 산업 역에서의 입지를 넓 나가기 해

노력

(단 : 백만 달러)

[그림 19] GENERAL ELECTRIC의 매출액 변화

* Healthcare / Total = 체 매출액의 Healthcare 련 사업 매출 비

출처: GE Annual report, GENERAL ELECTRIC, 201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Page 6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45

­ 2011년 GENERAL ELECTRIC의 헬스 어사업부의 매출액은 168억

달러로 최근 5년간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연평균(CAGR :

2007~2011) 2.9% 성장을 기록하 으며, 체 매출 성장률

2.8%(동기간)과 비교해볼 때 비슷한 수 으로 단

­ 사업 역의 비 은 2011년 20%로 최근 5년간 20% 의 비슷한

수 의 사업 비 을 유지

[그림 20] GENERAL ELECTRIC의 사업부별 매출비 변화(2000 → 2010)

* 세부 매출액 수치 비 은 환율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출처: 트랜스포머의 조건, 삼성경제연구소, 2011

○GENERAL ELECTRIC은 헬시메지네이션 략으로 미래 성장

산업인 헬스 어 산업에서의 선 세계보건의료 개선을 한

노력을 추진

­ 헬시메지네이션 략은 6년간 60억 불을 투자하여 세계 보건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근성을 각 15%씩 높이고 비용을 15% 감해

나가는 략

­ 2010년 GENERAL ELECTRIC에서 발간한 ‘2010 헬시메지네이션

보고서’에 따르면 6년 계획의 첫 2년 동안 2억3천4백만명의

사람들에게 헬시메지네이션의 제품과 기술들의 혜택을 제공

※각 영역별 의료혜택을 받은 인구수는 (영상기술)1억 명, (진료현장 시

스템)7천 만명, (헬스케어 IT)5천 7백 만명, (기타)7백 만명으로 조사

Page 6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46

[그림 21] GENERAL ELECTRIC의 헬시메지네이션 제품 기술

출처: 2010 헬시메지네이션 보고서, GE ELECTRIC, 2011

[표 19] GENERAL ELECTRIC의 헬시메지네이션 략 추진 사례

추진 략 구분(기업 국가) 내용

비용 의료기기 비용 감

인도생수한병 값으로 촬 할 수 있는 500달러 가격의 심 도 기기 MACi 기술

국 세병원을 한 비용 CT, Brivo CT 기술제공

신시내티 시범 로그램

P&G, J&J, 앤덤, 유나이티드 헬스 어와의 트 쉽을 통한 진료 달체계 개선을 통한 비용 감

근성 제고아 리카, 방 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조작이 가년한 비용 산 음 기기

사우디아라비아 보건당국

심장질환, 여성질환에 을 둔 만성질환 리 로그램 련 기술개발

그래민 은행방 라데시 개발국가 농 지역 보건체계개선을 한 융 비즈니스 모델 지원

Economist Intellegence Unit

일본 고령화 트 드 연구를 통하여 가정에서 만성질환 리를 할 수 있는 소형 의료기기 기술개발

품질개선 첨단기술개발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를 인수하며 체외 암 로 일링 기술 GE 진단 상 역량 기술을 결합

메드헬트 쉽을 통한, 환자로 하여 개인의 건강 정보 추 , 분석할 수 있는 어 리 이션 기술개발

출처: 2010 헬시메지네이션 보고서, GENERAL ELECTRIC, 2011

Page 6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47

­ 헬시메지네이션의 성과로 비용 의료기기 지역사회 의료인력이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사용기능 기술개발로 근성을 향상

­ 한 각국 기 , 기업, 정부와의 트 쉽과 략 M&A를 통하여

해당 사업 역을 확장

○ 로벌 기업인 GENERAL ELECTRIC은 1984년 한국에 진출한

이래, u-Health 서비스 사업 확장을 한 노력

­ 1984년 삼성과 함께 삼성GE의료기기( GE헬스 어 코리아)를

설립하며 한국에 진출하여, 1992년 성남시 음 연구생산기지를

설립

­ 2000년 반 외환 기 이후 삼성이 합작법인에서 철수하 지만,

성남 연구생산기지를 세계 수 으로 끌어올렸으며, 2010년 인천

송도 로벌 u-Health R&D센터를 설립하며 병원과 환자를 연결하는

솔루션 개발에 노력

­ 최근에는 연세의료원과 ‘통합보건의료 서비스 구축을 한 업무 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헬스 어 IT 솔루션을 개발하고 환자 리

반에 걸친 통합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 한, 가천 길병원과 함께 ‘병원 간 상 진료정보교류 시범

사업에 한 계약’을 체결하며 길병원과 산하병원, 력 병의원 사이의

상정보 진료정보 교환 서비스 인 라를 구축하여 시범서비스를

실행할 계획

GENERAL ELECTRIC 특허 분석

○ 2000년 반 헬스 어 분야의 집 투자를 계획하며, 2000년

후반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을 보임

­ GENERAL ELECTRIC은 2000년 반 이후 활발한 특허 활동을

보이며 분석기간 동안 총 248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 2006년 헬스 어 분야의 사업을 확 하며, 2007년 가장 많은 37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이후 활발한 특허활동을 이어감

Page 7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48

­ 2007년에는 한국에 EMR R&D 센터 설립을 확정하며, 차세

의료정보시스템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한 기반 구축

[그림 22] u-Health분야 GENERAL ELECTRIC의 연도별 특허 출원 등록 건수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GENERAL ELECTRIC은 의료 상 련 특허를 심으로 u-Health

의료정보 리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단

­ GENERAL ELECTRIC은 다수의 의료정보 리 기술에 련한

특허가 출원 등록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단되며, 의료 상 정보

리 기술 련 특허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단

­ GENERAL ELECTRIC의 헬스 어 사업부는 의료 상기기를

바탕으로 의료정보시스템에 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업의

결과가 특허맵에 반 되었다고 단

­ 이외에 재 특허맵에 표 된 기술의 발 형태인 분자 상, 환자

모니터링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

Page 7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49

[그림 23] u-Health분야 GENERAL ELECTRIC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그림 24] u-Health분야 체 특허맵에서 GENERAL ELECTRIC의 치

* 빨간색 으로 표시된 부분이 GENERAL ELECTRIC 특허의 치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7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50

­ 체 특허맵에서 GENERAL ELECTRIC의 치를 살펴보면, 재

가장 활발한 특허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범 에 걸쳐

다양한 특허를 출원 등록

­ 특히 GENERAL ELECTRIC의 특허맵과 동일하게 의료정보 리

기술 련 특허가 집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GENERAL ELECTRIC의 주요 피인용 특허와 최근 특허 분석

­ 주요 피인용 특허를 보면, 의료 상의 측정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측정 진단 시스템 등의 특허수가 많은 피인용을 기록하며 다수 포진

­ 한 이러한 기술이 확장 응용된 형태인 원격 건강 리 특허가 등록

출원 되어 많은 피인용을 기록

[표 20] GENERAL ELECTRIC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피인용 횟수

US5463768A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error logs for diagnostics

1994-03-17 120

US5740802AComputer graphic and live video system for enhancing visualization of body structures during surgery

1995-12-08 116

US6325540B1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figuring and servicing a field replaceable unit in a medical diagnostic system

1999-11-29 46

US6546230B1Method and apparatus for skills assessment and online training

1999-12-31 42

US6473659B1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diagnostic related information

1998-04-10 37

US6011396AAdjustable interven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gnet

1998-01-02 36

US6411836B1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preferences configuring in an image handling system

1999-12-30 33

US20060033625A1DIGITAL ASSURANCE METHOD AND SYSTEM TO EXTEND IN-HOME LIVING

2004-08-11 32

US20050137465A1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in home activity of persons living independently

2003-12-23 29

US6591127B1Integrated multi-modality imaging system and method

1999-03-15 26

* 검색된 특허 피인용횟수가 가장 많은 10개의 특허를 추출

** 피인용횟수는 2012.8.31 기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7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51

­ GENERAL ELECTRIC의 최근 등록 출원 특허를 보면 의료 상

정보 리 기술, 환자 모니터링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음

­ 의료 상 정보기술의 경우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

의료기기의 통합 리 시스템 등 앞서 개발된 의료 사측정, 원격

모니터링 기술의 발 된 형태의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단

[표 21] GENERAL ELECTRIC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

WO2011EP72676ANANOPARTICLE COMPOSITION AND

ASSOCIATED METHODS THEREOF2011-12-14

US13152893A Informative Accessories 2011-06-03

US13041668A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DIAGNOSIS PROCESSES2011-03-07

US13006677A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COMPRISING BISMUTH OXID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2011-01-14

US2011986943AWIRELESS COMMUNICATION IN A MEDICAL

IMAGING OR MONITORING SYSTEM2011-01-07

US2010793302ASYSTEMS AND METHODS FOR

VALUE-BASED DECISION SUPPORT2010-06-03

US2010982365A

SYSTEM AND METHODS FOR REFERRING

PHYSICIANS BASED ON HIERARCHICAL

DISEASE PROFILE MATCHING

2010-12-30

US2010970491A

HEALTHCARE PROVIDER HYGIEN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2010-12-16

US2010970542ADYNAMIC PATIENT DAT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2010-12-16

US20110306882A1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A

WIRELESS DEVICE WITH A SYSTEM

THROUGH A CHARGE CRADLE

2010-06-14

* 검색된 특허 가장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7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52

(나) PHILIPS ELECTRONICS

PHILIPS ELECTRONICS 기업 동향

○ 재 Philips Electronics는 체 매출액의 39%가 헬스 어 사업에서

창출되며 해당 산업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단

(단 : 백만 유로)

[그림 25] PHILIPS ELECTRONICS의 매출액 변화

* Healthcare / Total = 체 매출액의 Healthcare 련 사업 매출 비

출처: 2011 Philips annual report, Philips Electronics, 201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2011년 Philips Electronics의 헬스 어 매출액은 88억 유로로 연평균

6.3%(CAGR : 2009~2011)의 성장을 기록하 으며, 체 사업

성장률 6.0%(CAGR : 2009~2011)와 비교해 볼 때, 소폭 성장

­ 체 매출액 비 헬스 어 사업의 매출 비율을 살펴보면, 최근 3년간

39%정도의 비율을 유지

­ 1990년 의 주력분야인 자 가 사업 역에서의 경쟁력 약화로

2001년 취임한 헤라르트 클 이스테를 이의 주도로 헬스 어, 조명,

생활가 의 3 축으로 사업을 변화

Page 7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53

­ 사업 재편 후 의료장비 분야에서 u-Health 주요기업으로 선정된

GENERAL ELECTRIC, SIEMENS와 함께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조명 분야에서 세계 1 를 달성

[그림 26] PHILIPS ELECTRONICS의 사업부별 매출비 변화(2000→2010)

* 세부 매출액 수치 및 비중은 환율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출처: 트랜스포머의 조건, 삼성경제연구소, 2011

○Philips Electronics는 과감한 사업재편, M&A로 ‘ 신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이라는 기업목표를 추구

­ 2001년 통신, 보안, 모바일용 부품, 모니터사업 철수, 2003년 항공,

2006년 반도체, 2007년 핸드폰 사업을 철수

­ 형 의료기기 제조기술에 가 부문의 마 과 서비스 역량을

결합하여 노년층에게 응 상황 응 약 복용 지원 등 독립생활을

지원, 서비스하는 라이 라인 사업을 개

­ 2000~2005년까지 인수합병에 약 50억 유로를 투입하면서 공격 인

투자를 감행하 으며, 이러한 결과 북미지역과 신흥시장에서 세계

기업의 입지를 구축

­ 재는 기존의 진단 상 사업과 함께 환자 모니터링, 심폐소생,

환자정보 리 련시스템, 홈헬스 어와 건강 리 련 제품으로

사업 역을 확장

Page 7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54

[표 22] PHILIPS Healthcare 사업부의 주요 인수합병

일시 상기업 내용

2005.08 Stentor, Inc.헬스 어 IT 기업을 인수하여 재 상 장

통신 시스템(PACS) 공 업체 세계 2 유

2006.04Witt Biomedical

Corporation

심 재 시술실에서 사용하는 류역학 모니

터링 임상 보고 시스템 공 기업을 인수하여

통합 캐쓰랩 솔루션 공

2006.11

Intermagnetics

General

Corporation

MRI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도 자석, MRI RF

코일 공 업체 인수하여, 포트폴리오 확

MR 시스템 출시기간 단축

2007.06VMI-Sistemas

Medicos

라질의 X-ray 제조업체 인수하여, 라틴아메리카

역에서 진단용 상 제품군 제공 신흥시장

공략

2007.08 XIMIS, Inc.차세 상의학 정보시스템(RIS) 제공업체 인수

하여 통합 RIS-RACS 솔루션 제공

2007.12 Emergin

경보 리 이벤트 통지 소 트웨어 기업을

인수하여 개인용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의료진

에게 긴 정보 달하는 시스템 구축

2008.02 VISICU Inc.

병원의 집 치료실(ICU)에 있는 환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임상 IT 시스템 공 업체를 인수하여,

원격 환자 모니터링 임상결정 지원 제품 공

2008.03TOMCAT Systems

Ltd.

심장치료와 련 데이터 수집, 통합 의료진

달 소 트웨어 개발업체 인수로 련 솔루션

제공

출처: http://www.healthcare.philips.com, Philips Elecrtronics, 2012

Page 7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55

PHILIPS ELECTRONICS 특허 분석

○헬스 어 분야의 집 투자로 2000년 후반 많은 양의 특허가

출원 등록 되었으며, 총 분석기간 동안 251건의 특허활동을 보임

­ 총 251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2000년 후반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이며 2008년 가장 많은 46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 2000년 들어 사업 역을 헬스 어, 조명, 라이 스타일로

축소시키면서 집 투자를 감행하고, 2000년 후반부터 많은 양의

특허 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단

[그림 27] u-Health분야 PHILIPS ELECTRONICS의 연도별 특허 출원 등록 건수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체 인 u-Health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단

­ u-Health 련 PHILIPS ELECTRONICS 특허맵을 살펴보면 크게

의료정보 리기술, 응용서비스 기술로 나 어 표 되고 있으며,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단

­ 의료 상 정보 리 기술이 다수 표 되고 있는 것으로 단되며,

임상결정 지원, 환자 건강 리 등 응용 서비스 개발 한 활발한

것으로 측정

Page 7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56

[그림 28] u-Health분야 PHILIPS ELECTRONICS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특정 분야에 집 되어 있기 보다는 u-Health 범 에 있어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그림 29] u-Health분야 체 특허맵에서 PHILIPS ELECTRONICS의 치

* 빨간색 으로 표시된 부분이 PHILIPS ELECTRONICS 특허의 치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7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57

­ u-Health 련 체 특허맵에서 PHILIPS ELECTRONICS의 치를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 부분에 특허가 집 된 것으로 단

­ 하지만 앞선 GE와 비슷하게 u-Health 범 에 있어서 다양한

특허가 출원 등록되고 있으며, 재 헬스 어 솔루션 서비스를

구축 하고 있는 기업의 략이 반 되고 있다고 단

○ 2000년 후로 출원된 특허가 많은 피인용 횟수를 보이며 산업에

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주요 피인용 특허를 살펴보면, 생체정보 의료정보를 측정,

기록하여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특허가 출원

­ 환자 정보를 송ㆍ수신하는 특허 한 많은 수의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로 2000년에 출원 등록된 특허가 다수

Page 8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58

[표 23] PHILIPS ELECTRONICS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피인용

횟수

US6968294B2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person

requiring care and his/her caretaker2001-03-15 96

US6725074B1

Quality indicator for measurement signals, in

particular, for medical measurement signals

such as those used in measuring oxygen

saturation

2002-05-29 86

US6611206B2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independent

person requiring occasional assistance2001-03-15 75

US6587945B1 Transmitting reviews with digital signatures 1998-12-28 54

WO2000057339A2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COMPUTERIZED

PATIENT RECORDS ACROSS A

NETWORK

2000-03-23 48

US6557102B1Digital trust center for medical image

authentication1997-09-05 43

US6785409B1

Seg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l images using diffusion propagation,

pixel classification, and mathematical

morphology

2000-10-24 35

US6405083B1Defibrillato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of

ECG signals2000-04-07 32

US7272426B2 Finger medical sensor 2005-08-03 32

US6718055B1Temporal and spatial correction for perfusion

quantification system2000-12-05 29

* 검색된 특허 피인용횟수가 가장 많은 10개의 특허를 추출

** 피인용횟수는 2012.8.31 기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8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59

○최근 출원 등록된 특허를 살펴보면, 의료정보 상정보의 분석

진단 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최근 출원 등록된 PHILIPS ELECTRONICS의 특허는 의료정보

기록 장 근, 의료 상 정보 분석 진단 기술 련 특허 보유

­ 최근 출원 특허를 보면, 주요 피인용 특허에서 나타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련 특허 보다는 상정보, 의료정보 네트워킹에 련된

특허가 재 활발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표 24] PHILIPS ELECTRONICS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

US20120203576A1AUTONOMOUS LINKAGE OF PATIENT INFORMATION RECORDS STORED AT DIFFERENT ENTITIES

2012-04-03

US20120185281A1

PEER RECOMMENDER- USE OF INTELLIGENTS TO STREAMLINE SEARCH OF PEERS FOR COLLABORATION PURPOSES AND ITS DISPLAY

2012-03-27

WO2012104786A2IMAGING PROTOCOL UPDATE AND/OR RECOMMENDER

2012-01-31

WO2012104771A2SECURE ACCESS TO PERSONAL HEALTH RECORDS IN EMERGENCY SITUATIONS

2012-01-30

US20120177277A1LIVE REGISTRATION FOR VESSEL TREATMENT

2012-01-26

US20120117099A1PATIENT IDENTIFICATION DISAMBIGUATION SYSTEMS AND METHODS

2012-01-17

WO2012098483A1SYSTEM AND METHOD FOR NEEDLE DEPLOYMENT DETECTION IN IMAGE-GUIDED BIOPSY

2012-01-12

WO2012098482A1

THERAPEUTIC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CHIEVABLE TARGET REGION FOR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2012-01-12

WO2012093363A2INTEGRATED ACCESS TO AND INTERATION WITH MULTIPLICITY OF CLINICA DATA ANALYTIC MODULES

2012-01-04

US20120095953A1PREDICTING USER INTERACTIONS DURING IMAGE PROCESSING

2011-12-27

* 검색된 특허 가장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8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60

(다) MEDTRONIC INC

MEDTRONIC INC 기업 동향

○최근 4년간 매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심 심박 련

의료사업이 주력 사업으로 자리잡고 있음

­ 2011년 159.3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 으며, 최근 4년간 연평균

성장률 5.64%(CAGR : 2008~2011)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유지

­ 최근 4년간 심 심박, 신경계 련 의료분야의 경우 체 매출의

50%를 꾸 히 유하며 성장을 지속

(단 : 백만 달러)

[그림 30] MEDTRONIC INC의 매출액 변화

* Cardiac and Vascular / Total = 체 매출액의 Cardiac and Vascular 련 사업 매출 비

출처: 2011, 2010, 2009 MEDTRONIC annual report, MEDITRONIC, 2011, 2010, 200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MEDTRONIC INC의 사업부는 5가지 사업부로 나뉘어지며, 심장

신경계질환 련 사업 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Page 8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61

­ MEDTRONIC INC 사업부 : 심박질환사업부 (CRDM:Cardiac

Rhythem Disease Management), 심장 질환 사업부(CV :

Cardiac Vascular), 뇌신경질환 사업부(Neuromodulation), 척추질환

사업부(Spinal & Biologics), 수술기술 사업부(Surgical Technologies)

○MEDTRONIC INC는 치료 심의 사업을 주력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2000년 어들어 질환 리 심의 사업을 병행

­ 2002년 메드트로닉 어링크 네트워크 도입 : 이식장치의 정보를

원격으로 송하여 담당의사의 검사 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인터넷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가상 검진형태로 환자와 주치의를

연결하는 형태로 최근 모바일 응용 로그램으로 더욱더 비용,

고효율의 서비스를 구

­ 이외 당을 모니터하는 인슐린펌 와 CareLink Network를

연결하는 솔루션을 선보이며, 향후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격 모니터링

진단 서비스를 구축할 것으로 망

[그림 31] CareLink Network 구성도

출처: Pacing Clin Elactrophysiol, 2004

Page 8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62

MEDTRONIC INC 특허 분석

○총 128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1990년 부터 꾸 한 기술개발

활동을 한 것으로 단

[그림 32] u-Health분야 MEDTRONIC INC의 연도별 특허 출원 등록 건수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 MEDTRONIC INC의 출원 등록 추세를 보면 분석기간 동안 총

128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

­ 2001년 가장 많은 18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 으며 1990년

반부터 최근까지 꾸 한 특허 활동

­ 2000년 까지 생체정보 획득 진단 분야의 특허가 다수 출원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원격 리 기술을 개발하여 2000년 반

기술 용을 시작한 것으로 단

Page 8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63

○ 체 으로 생체정보 활용기술 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이를

이용한 응용서비스 기술 특허가 개발

­ 순환기, 신경계 련 의료기기를 생산, 공 하는 MEDTRONIC

INC의 u-Health 련 특허를 보면 심박측정 자극 기기 등에

련된 생체정보 활용기술 특허가 집

­ 한, 이러한 특정 질환의 측정 기술을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를

원격으로 리하거나 진단하는 응용서비스 특허가 집

[그림 33] u-Health분야 MEDTRONIC INC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주요 기업의 다른 자회사와는 달리 심장 신경계질환 의료기기

문생산업체인 MEDTRONIC INC는 생체정보 활용기술에 집

­ 체 u-Health 분야 특허맵에서의 MEDTRONIC INC의 치를

살펴보면, GE, Philips와 달리 맵 하단의 특정부분에 집

­ 이 게 집 된 부분은 생체정보(신경계 련)의 측정 분석기술인

생체정보 활용기술 련 특허로 단

Page 8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64

[그림 34] u-Health분야 체 특허맵에서 MEDTRONIC INC의 치

* 빨간색 으로 표시된 부분이 MEDTRONIC INC 특허의 치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MEDTRONIC INC의 주요 피인용 특허를 살펴보면, 1990년 반에

출원 등록된 심박보조 의료기기 련 특허가 주요함

­ 가장 많은 피인용 횟수를 기록한 특허는 신경자극을 통한 심장질환

련 보조 의료기기 기술

­ 특히, 이러한 측정 기술을 바탕으로 심박 등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임

­ 한, 주요 피인용 특허의 특징을 살펴보면, 주로 1990년 반,

1990년 후반에 출원 등록된 특허의 피인용 횟수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음

Page 8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65

[표 25] MEDTRONIC INC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피인용 횟수

US5199428AImplantable electrical nerve stimulator/pacemaker with ischemia for decreasing cardiac workload

1991-03-22 513

US5957861AImpedance monitor for discerning edema through evaluation of respiratory rate

1997-01-31 242

US5876353AImpedance monitor for discerning edema through evaluation of respiratory rate

1997-01-31 197

US5941906A Implantable, modular tissue stimulator 1997-10-15 187

US6045513AImplantable medical device for tracking patient functional status

1998-05-13 150

US6477424B1Medical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programming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1999-05-28 147

US5810735A External patient reference sensors 1997-05-01 140

US6804558B2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betwee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a remote computer system or health care provider

2001-01-18 129

US5292343AHand shake for implanted medical device telemetry

1992-06-10 128

US5233985ACardiac pacemaker with operational amplifier output circuit

1991-07-15 127

* 검색된 특허 피인용횟수가 가장 많은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8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66

○MEDTRONIC INC의 최근 등록 출원 특허는 심장질환 모니터링

기술 의료정보 리에 련된 기술

­ 2011년도에 출원된 3건의 특허를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에 련된

특허이며, 이외에 심장질환 련 모니터링 기술 련 기기 시스템

기술이 활발히 개발 인 것으로 보임

[표 26] MEDTRONIC INC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

US20110307284A1COMMAND CENTER COMMUNICATION SYSTEM FOR IMPROVED MANAGEMENT OF COMPLEX MEDICAL ENVIRONMENTS

2011-06-09

US8229560B2System and method of using AV conduction timing

2011-04-01

US20110172744A1PRESENTATION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CAL DEVICE THERAPY

2011-01-07

US20120109243A1HEART FAILURE MONITORING AND NOTIFICATION

2010-10-28

US20100324643A1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Carbon Nanotube Material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2010-09-01

US20110105860A1 DETECTING WORSENING HEART FAILURE 2010-04-27

US20100228314A1REMOTE TITRATION OF THERAPY DELIVERED BY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2010-04-14

US20100280579A1 POSTURE STATE DETECTION 2010-01-26

US20100106035A1METHOD OF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RRHYTHMIAS USING SCATTER PLOT ANALYSIS

2009-12-31

WO2010005832A2ASSOCIATING THERAPY ADJUSTMENTS WITH PATIENT POSTURE STATES

2009-06-30

* 검색된 특허 가장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8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67

(라) MICROSOFT CORP

MICROSOFT CORP 기업 동향

○MICROSOFT CORP는 최근 5년간 매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솔루션 부문의 매출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

­ MICROSOFT CORP의 2011년 매출액은 699.43억 달러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 2007~2011) 8.15%의 고성장을 진행

­ 5개의 사업 역으로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 트웨어, 웹사이트에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솔루션 부문의 매출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남

(단 : 백만 달러)

[그림 35] MICROSOFT CORP의 매출액 변화

출처: 2011, MICROSOFT annual report, MICROSOFT, 2012

○개인건강 리 Healthvault 서비스 개발로 개인의 건강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시켜 능동 인 건강 리를 가능하게 함

­ 2007년 개인의 신체 생태와 병력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병원

건강 리 회사와 연결해 주는 의료 서비스 로그램 ‘Healthvault'

개발

Page 9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68

⦁건강 정보나 병력, 신체 상태 등을 입력하면 보안이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장이 되고, 인터넷을 통해 약을 체결한 병원과 건강 리서비스 회사로

연결되어 의료상담 제공

⦁Health Vault Search(콘텐츠/어 리 이션 연결 건강정보 습득),

Health Vault Repository account(사용자 가족과 의사들이 공유하는

암호화된 Health Record 제공), Health Vault Connection Center(계정과

연결된 어 리 이션을 통한 건강 모니터링)

­ Healthvault 서비스 제공을 해 뉴욕장로교회, 존슨앤존스

라이 스캔, 미국심장 회, 마요클리닉, 메드스타헬스 등 7개

네트워크와 트 쉽 체결

[그림 36] MICROSOFT Healthvault Platform

출처: Microsoft in Education, higherinnovation.com, 2009

○국제 으로 련 소 트웨어 업체를 인수하며, 개인 건강정보 련

소 트웨어 기술력 강화

­ 로벌 어 솔루션스(GCS)로부터 소 트웨어, 지 재산(IP) 등

신 헬스 어 기술 자산인수

Page 9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69

­ 헬스 어 소 트웨어 개발업체인 아직스(Azyxxi), 메드스토리

(Medstory), 센틸리온(Sentillion) 등 인수

­ 건강 리서비스 개선을 한 개방형 상호 운용 기술 랫폼과 신

임상 어 리 이션 개발을 목표로 GE와 합작사 설립

­ 2009년 Merck의 자회사인 로-제타 바이오소 트웨어(Rosetta

Biosoftware)를 인수하여 건강 련 소 트웨어 강화

­ 동향 분석 결과, 련 기업 인수 합병과 더불어 클라우드 련 기술

개발 한 진행 인 것으로 드러남

MICROSOFT CORP 특허 분석

○MICROSOFT CORP는 총 104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2000년 후반 활발한 기술개발활동을 보임

[그림 37] u-Health분야 MICROSOFT CORP의 연도별 특허 출원 등록 건수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 분석 상기간 동안 총 104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 으며,

2000년 들어 련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다, 2000년 후반 활발한

특허활동이 이루어짐

Page 9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70

­ 2008년 가장 많은 20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한데 이어 2010년에도

20건을 출원 등록하며 헬스 어 분야로의 기업 투자의 성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임

­ 재 의료정보 검색 디지털 진료 정보로 사업 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2000년 후반 특허활동이 활발히

일어난 것으로 단

○MICROSOFT CORP의 특허맵을 살펴보면, 데이터 서버 시스템

련 특허가 집 된 특징

­ MICROSOFT CORP의 특허맵은 주요기업으로 선정된 자회사와

달리 특징 으로 데이터 서버, 시스템 련 특허가 집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이러한 기반 기술을 심으로 의료정보 리기술 개발이 더불어

집 된 것으로 단

[그림 38] u-Health분야 MICROSOFT CORP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9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71

○ 체 u-Health 특허맵 상의 MICROSOFT CORP의 치를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 분야의 특정 부분에 집

­ u-Health 련 체 특허맵 상에서 우측 상단의 의료정보 리기술

부분에 집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 의료 상 정보 련 의료정보 리 기술개발이 활발한 다른 주요

자기업과 달리 서버 데이터 리 부분의 리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단

[그림 39] u-Health분야 체 특허맵에서 MICROSOFT CORP의 치

* 빨간색 으로 표시된 부분이 MICROSOFT CORP 특허의 치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MICROSOFT CORP의 주요 피인용 특허를 살펴보면, 네트워크

시스템 련 특허가 다수 포진

­ 주요 피인용 특허의 부분이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 련

특허들이 다수이며 건강 리 모니터링과 같은 특허도 함께 포함된

것을 볼 수 있음

­ 1990년 후반부터 2000년 특허들이 피인용이 많이 되었으며,

건강 리 련 특허는 2003년, 2005년에 출원된 특허가 피인용

횟수가 높은 것으로 보임

Page 9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72

[표 27] MICROSOFT CORP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피인용

횟수

US7185290B2

User interface for a system and process

for providing dynamic communication access

and information awareness in an interactive

peripheral display

2001-06-08 33

US20070004969A1 Health monitor 2005-06-29 30

US20080091613A1 RIGHTS MANAGEMENT IN A CLOUD 2006-09-28 15

US7751971B2Location mapping for key-point based

services2007-01-17 11

US7430598B2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

alert management for networked systems2003-11-25 10

US20040208182A1 Format independent consumer IR transceiver 2003-04-16 9

US7221356B2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ff-surface condition by a laser speckle

size characteristic

2004-02-26 7

US7089561B2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communicating with computer processes2001-06-01 6

WO1999062007A1

A SCALABLE SYSTEM FOR CLUSTERING

OF LARGE DATABASES HAVING MIXED

DATA ATTRIBUTES

1999-03-29 6

US20080080526A1 MIGRATING DATA TO NEW CLOUD 2006-09-28 5

* 검색된 특허 피인용횟수가 가장 많은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MICROSOFT CORP의 u-Health 련 최근 출원 등록 특허를

살펴보면, 주요 특허의 연장선으로 데이터 련 특허가 다수

­ 기본 인 데이터 리에 련된 특허들이 부분 출원 등록

되었으며, 2010년 순에 의료정보 리 특허가 출원 등록

­ 주요 피인용 특허의 연장선으로 건강 리 의료정보 데이터의 리

련 기술이 개발 이며 특허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Page 9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73

[표 28] MICROSOFT CORP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

US20120204020A1SELF REGULATION OF THE SUBJECT OF

ATTESTATION2011-02-09

US20120197876A1

AUTOMATIC GENERATION OF AN

EXECUTIVE SUMMARY FOR A MEDICAL

EVENT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2011-02-01

US20120159637A1FUNCTIONALITY FOR PROVIDING

DE-IDENTIFIED DATA2010-12-17

US20120151382A1GENERATING AND MANAGING

ELECTRONIC DOCUMENTATION2010-12-14

US20120151557A1 Progressive Consent 2010-12-10

WO2011081738A2VERIFIABLE TRUST FOR DATA THROUGH

WRAPPER COMPOSITION2010-11-18

US20120110344A1 Reporting of Intra-Device Failure Data 2010-11-03

US20120102006A1

DISTRIBUTED TRANSACTION MANAGEMENT

FOR DATABASE SYSTEMS WITH

MULTIVERSIONING

2010-10-20

US20120029938A1 Anonymous Healthcare and Records System 2010-07-27

US20120004925A1HEALTH CARE POLICY DEVELOPMENT AND

EXECUTION2010-06-30

* 검색된 특허 가장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9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74

(마) SIEMENS

SIEMENS 기업 동향

○ 체 매출이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Healthcare 사업부 매출액 증가

­ 2011년 SIEMENS의 매출액은 약 735억 유로로, 최근 4년간 연평균

성장률 -1.67%(CAGR : 2008~2011)의 매출하락을 보임

­ 하지만 Healthcare사업의 경우 꾸 히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2011년 125억 유로로 체 매출을 17%를 차지

­ 최근 4년간 Healthcare 분야의 매출과 체 비 비 이 동반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향후 SIEMENS에서 Healthcare

사업부의 역할과 비 이 더욱더 증가할 것으로 단

(단 : 백만 유로)

[그림 40] SIEMENS 매출액 변화

* Healthcare / Total = 체 매출액의 Healthcare 련 사업 매출 비

출처: 2010, 2011 Siemens Annual Report, 2010, 20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Page 9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75

○기존 사업을 3개 사업으로 재편하여 미래 선도형 사업을 집 으로

육성

­ SIEMENS는 2000년 Operation 사업을 3개 사업으로 재구성 집

육성하여 미래 선도 산업에 한 비를 꾀함

­ 기존의 Operations 사업에 속해있던 A&D, I&S, PL, SBT, 등 기존

여러 사업이 재구성되어 Industry 사업으로 변모

※A&D(Automation and Drives), I&S(Industrial Solution and

Services), PL(Siemens Production and Logistics Systems),

SBT(Siemens Building Technology)

­ 한, PG, PTD 사업은 Renewable Energy 등이 포함된 미래형

Energy 사업으로, 기존 Medical Solution 사업은 진단의료기기 등이

강화된 Healthcare 산업으로 재구성

※PG(Power Generation), PTD(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2000년 Medical Solution 사업은 체 매출의 6%, 약 51억 유로

규모를 보이고 있지만, 2011년 Healthcare 사업은 체 매출의 17%를

차지하며 격한 성장을 보임

[그림 41] SIEMENS 사업별 매출비 변화(2000→2011)

출처: 2000, 2011 Siemens Annual Report, 2000, 2011

Page 9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76

○국내 련 기업 력 R&D센터 설립으로 동북아 지역의 지멘스

헬스 어 허 구축

­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 의료기기 R&D 센터 2004년 성남 분당에

설립하는 투자 약 체결, 이외 성남, 경주, 포항 등에 생산

연구시설이 있어 지멘스 음 기기 체 생산의 60%를 국내에서

생산 수출

­ 2012 국내 기업들과 력하여 진료 병원 경 과 련된 모든

분야에서 친환경, 고효율, 고품질 병원을 구축하는 ‘그린 러스

하스피탈’ 추진

⦁국내 력사 : 메디칼스탠다드, 트래콘, 본디 설계사무소, SEN, 오스람,

여주 고려병원, SK 텔 콤(모바일 솔루션)

⦁그린 러스 하스피탈 솔루션 : 병원지속가능 성장을 돕기 한 에 지,

산업, 헬스 어의 융합으로 친환경, 효율, 품질 요소를 반 하여 의료서

비스 향상 솔루션 제공

SIEMENS MEDICAL SOLUTIONS 특허 분석

○ SIEMENS MEDICAL SOLUTIONS는 2000년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이며 총 132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u-Health 련 특허는 총

132건의 특허가 분석기간 동안 출원 등록되었으며, 2007년 가장

많은 25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 1990년 에 련 특허가 검색되지 않았으며, 2000년 이후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이고 있음

Page 9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77

[그림 42] u-Health분야 SIEMENS MEDICAL SOLUTIONS 연도별 특허 출원 등록 건수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u-Health 련 특허맵을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을 심으로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그림 43] u-Health분야 SIEMENS MEDICAL SOLUTIONS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0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78

­ 의료정보 리기술 의료 상 정보 련 측정 진단기술 련

특허가 주요하게 특허맵에 표 되고 있음

­ 이외 만성질환의 모니터링 등 응용서비스 기술이 집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GE, Philips와 비슷한 유형의 특허맵을 띄고 있는

것으로 단됨

○ u-Health 련 체 특허맵에서의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치를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 부분에

집 되어 있음

­ 체 으로 맵 반에 있어 다양한 특허들이 출원 등록되고

있음과 동시에 맵 좌측상단의 의료정보 리기술 의료 상 련

부분에 특허가 집 되어 있음

­ 한 맵 우측 하단의 개인 의료정보 기록 리 부분역시 특허가

집 되어 있음을 볼 수 있음

[그림 44] u-Health분야 체 특허맵에서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치

* 빨간색 으로 표시된 부분이 SIEMENS MEDICAL SOLUTIONS 특허의 치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0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 국외 u-Health 산업 동향

79

○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를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 특허가 다수 출원 등록

­ 가장 많은 피인용 횟수를 기록한 특허는 음 진단을 이용한

특허이며, 다른 주요피인용 특허보다 월등히 많은 69건을 기록함

­ 주요 피인용 특허 9개가 의료 상 진단에 련된 특허로

분석되며, 이외에 건강 리 련 특허가 1개 포함되어 있음

­ 주요 피인용 특허에 선정된 부분의 특허가 2000년 반에 출원

등록된 특허이며, 2000년 출원 등록된 특허가 상 으로

의미 있음을 알 수 있음

[표 29]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주요 피인용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 피인용 횟수

US6475146B1Method and system for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ith diagnostic medical ultrasound systems

2001-09-24 69

US6733449B1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streaming of ultrasound data to a diagnostic medical ultrasound streaming application

2003-03-20 13

US20070046661A1 Three or four-dimensional medical imaging navigation methods and systems 2005-08-31 13

US7119810B2 Graphics processing unit for simulation or medical diagnostic imaging 2003-12-05 12

US7519591B2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on-based de-identification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2004-03-09 12

US7244230B2 Computer aided diagnostic assistance for medical imaging 2003-11-06 11

US7788040B2System for managing healthcare data including genomic and other patient specific information

2004-12-17 10

US20090313495A1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Synchronization Between Independent Applica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2009-06-08 9

US20050043620A1Diagnostic medical ultrasound system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2003-08-20 8

US7562026B2 Healthcare procedure and resource scheduling system 2005-10-13 7

* 검색된 특허 피인용횟수가 가장 많은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0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80

○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를

살펴보면, 의료 상 측정 진단과 함께 심장질환 모니터링 분야

특허 개발

­ 심장질환 모니터링 분야 특허가 세 건으로 최근 련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이외, 방사선, 음 측정 진단 분야 기술이 출원 등록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분야의 사업 역이 꾸 히 유지되고 있음을

볼 수 있음

[표 30]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최근 출원 및 등록 특허 리스트

특허번호 제목 출원일자

US20120179034A1Nuclear Imaging Scanner With Event

Position-Identifying Accelerometers2012-03-22

US20120172700A1Systems and Methods for Viewing and

Analyzing Anatomical Structures2012-02-01

US20120136264A1System for Ventricular Function Abnormality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2011-07-18

US20120123285A1System for Cardiac Condition Characterization

Using Electrophysiological Signal Data2011-06-15

US20120207369A1Presentation of Locations in Medical

Diagnosis2011-05-24

US20110271219A1Adaptive Imaging System Workflow & User

Interface System2011-02-02

US20110293163A1System for Detecting an Invasive Anatomical

Instrument2011-01-28

US20110282227A1System for Cardiac Medical Condition

Detection2011-01-07

US20120157834A1Path Parametric Visualization in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2010-12-16

US20120128221A1Depth-Based Information Layering in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2010-11-23

* 검색된 특허 가장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0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81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가. 국내 u-Health 시장

국내 u-Health 시장 현황

○ u-Health의 국내·외 연구를 살펴보면 국내 u-Health 시장은 2014년

약 3~5조 원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측

­ 2010년 국내 u-Health 시장규모는 1~3조 원의 규모로 평가받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12~16%로 고성장을 이룰 것으로 망

­ 국내 u-Health 산업은 재 시장이 크게 형성되지 못한 실정. 기술이

성숙하고 환경 여건이 조성됨에 따라 잠재력을 크게 인정받고 있음

※u-Health 시장은 u-Health의 범위를 정의하기에 따라 시장규모의 차이

심화

※해당 시장 규모는 관련 법·제도가 개정되어, 의사↔환자 원격의료가

실행될 경우의 시장규모를 의미하며, 실제시장과 차이가 있음

연구보고서별 국내 u-Health 시장의 현황 및 전망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0)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u-Health의

국내 시장은 2014년 3조 원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망

­ 2010년 국내 시장규모는 1.7조 원으로 추계되었으며 상이용자

분류에 따라 동년 u-Medical은 0.32조 원, u-Silver는 0.34조 원,

u-Wellness는 1.02조 원으로 단

­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0)의 보고서에서는 u-Health의 잠재시장을

추정하기 하여 비즈니스 모델별, 연령별 이용률과 지불의사가격을

곱한 합계를 시장의 규모로 가정

※ u-Health 시장 추계 식 = 시장규모

서비스 이용자 수 지불금액

서비스 종류 연도

Page 10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82

[표 31] u-Health 역에 따른 시장의 범

u-Health 역 비즈니스 모델 모델 개요

u-Medical

u-진료화상 화 혹은 의학 상을 기반으로 의사-환자, 혹은 의사-의료진 간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u-만성질환 리원격으로 생체신호 모니터링(재택 혹은 모바일)을 통해 만성질환에 한 주기 리, 피드백 서비스

u-Hospital병원내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환자 모니터링, 장 진료지원 등 서비스

u-Silver

u-안심 어노인 낙상, 치매노인 실종방지 등 상황에 한 안 리

u-홈 어독거노인, 재택/시설 거주노인에 한 원격 수발 환경 리

u-생활지원 신체장애 지닌 고령자의 독립 생활지원

u-Wellness

u-건강 리 일반인들의 건강증진 활동 지원 서비스

u-라이 어 일상생활의 건강환경 지원

u-헬스테인먼트u-건강 련 를 통해 인들의 건강증진 욕구 충족 지원

출처: u-Health 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단 : 억 달러)

[그림 45] 국내 u-Health 시장 망

출처: u-Health 신사업 창출을 한 사업화 략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0

Page 10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83

○한국 자통신연구원(2005)이 측한 국내 u-Health 산업의 시장은

2010년 약 1.76조 원의 규모

­ 의료기 제공 u-Health 서비스 시장, 개인가입형 u-Health 서비스

시장, 개인가입형 u-Health 서비스 이용을 한 추가 장비 시장의

값을 추계하여 u-Health시장을 측

※의료기관 제공 u-Health 서비스 : 병원과 약국 간 의료정보 공유서비스,

스마트카드 서비스, 의료기록 온라인 제공 서비스, 원격검진 서비스,

환자 위치정보 서비스

※개인 가입형 u-Health 서비스 : 병원 예약관리 서비스, 질병전문 상담

서비스, 질병 모니터링 서비스, 적외선 장치이용 응급서비스

­ 구분된 각각의 시장은 2010년 의료기 제공 u-Health 서비스 시장이

5,624억 원, 개인 가입형 u-Health 서비스 시장이 4,270억 원, 개인

가입형 u-Health 서비스 이용을 한 추가 장비 시장이 862억 원으로

추계

○삼성경제연구소(2007)에 따르면 국내 홈&모바일 헬스 어 시장은

2012년 약 2조 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측

­ 시장규모의 추정은 환자수 * 유헬스 비용 * 유헬스 상이용율로

산정하여 2012년 약 2조 원 규모의 성장을 망

※환자 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성인이환에서 발표한 질환별 유병율

이용하였으며, 예상이용율은 ETRI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 u-Health

비용은 미국의 원격 환자모니터링 평균 장비임대료를 활용

Page 10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84

나. 국내 u-Health 정부 정책 및 투자현황

전체 u-Health 관련 정부투자는 '10년 52개 과제에서 총 143억

원의 투자가 진행

○투자 액으로 지경부가 가장 많은 체 u-Health 련 정부투자의

53%를 투자되었으며, 연구 분야별로 u-Medical에 가장 많은 투자

진행

­ 지경부의 경우 76억 원의 가장 많은 액을 투자 하 으며,

교육과학기술부는 체 38억 원, 27%를 투자, 복지부의 경우 28억

원, 20%를 투자

­ 분야별로 u-Medical의 경우 체 48%, 분석기술 등 기반기술에

37%가 투자되었으며, 지경부 교과부의 u-Medical 분야에 한

높은 투자 비 을 확인

(단 : 백만 원)

[그림 46] ’10년 u-Health 련 부처별 투자 황

출처: 2010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포지셔닝분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연구개발 목 별 투자 황을 살펴보면 임상 개발연구에 한

투자가 활발한 것으로 단

­ 지경부는 임상, 개발연구 투자를 보이며, 교과부는 기 ,

원천연구, 복지부의 경우 응용, 개 임상, 개발연구에 집 투자

Page 10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85

­ 교과부는 u-Health 련 분석기술 등 기반기술에 집 되어 있으며,

지경부와 복지부의 경우 다양한 연구분야에 련 투자를 하고 있음

[그림 47] ’10년 u-Health 련 부처별 연구목 별 투자 황

출처: 2010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포지셔닝분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부처별로 교과부는 인력 및 기초·원천기술개발, 지경부는 표준화

및 의료기기, 복지부는 인프라 및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정책

추진

○교육과학기술부는 생체정보 획득 분석 기 ·원천기술 개발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

­ 2007년 문 학 특성화 사업으로 다기능 복합교육 시스템에 의한

u-Healthcare 인 자원 개발 사업 추진

­ 최근, 원격 건강 리 진단을 한 생체정보 분석, 진단 등

BT분야의 기 ·원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Page 10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86

[표 32] u-Health 기술개발 인력양성 사업

분류 세부사업

차세 바이오시스템 인포메틱스사업, 차세 응용오믹스 사업, 조직재생

기술개발사업, 생체활용바이오소재개발 사업

첨단의료

기반기술

바이오이미징 개발사업, 사이토믹스기반 진단

분자감지기술개발, 바이오 인터페이스 기술개발, 의학첨단과학

기술융합 원천기술개발, 융합바이오닉스 의료기술개발

출처: u-Health 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지식경제부는 의료기기 기술개발 표 화를 심으로, 지원

활성화 정책이 추진

­ 지식경제부는 '08년 의료기기 발 략에 따라 IT 융복합의료기기

개발에 5년간 2,500억 원 지원을 계획

[표 33] IT 융복합의료기기 주요 지원 분야

분야 주요 지원 항목

New-Aging장자가진단기(POCT), 가정용 투석기, Soc 보청기, 홈 어용

센서 등

라이 스타일 바이오칩센서, u-Healthcare, 심 ·암 진단/치료 융합시스템 등

첨단의료서비스 3D/4D 음 진단기, 다 상 내시경, 수술용 로 등

출처: 범부처 u-Health 산업화 진방안 기획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 한, u-Health 산업표 화 로드맵을 작성하고, 로드맵에 따른 국내

표 화 국제 표 제안활동을 강화

­ u-Health 서비스 활성화를 하여, 비즈니스모델, 기술개발, 법·제도

정비 등 다양한 범 의 정책 추진

○보건복지부의 경우 u-Health 인 라 구축 의료정보화 활성화 정책

추진

Page 10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87

­ 2005년 보건복지부는 u-Health 인 라 구축과 정보기술 개발을 해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련 법률 개정 추진

⦁보건의료정보화 종합계획 수립('06) : 원회 검토를 통해 국가보건의료

정보화 추진계획안 수립

⦁보건의료정보화 정보보호 련 법률 제정('07) : 계 부처·기 , 시민

단체 등과 다수 논의를 통해 정부안 마련

⦁공공보건, 공공의료, 민간의료 기 정보화 진('07) : 각 의료기 정보

시스템 구축을 한 시범사업 단계별 구축 추진

Page 11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88

다. 국내 u-Health 서비스 현황

u-Health는 미래 유망 기술로 공공의료, 국민복지의 성격이 강한

특징으로 국가 주도적 기술개발 및 시범사업이 활발히 추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1)이 발표한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에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 인 서비스를 분석

­ 지역별로 볼 때, 서울·경기 지역이 가장 많은 11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그 뒤로 충청도 지역에서 4개의 서비스가 실시

(단 : %)

[그림 48] 지역별 국내 u-Health 서비스 황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 서비스 유형으로는 건강 리 서비스가 1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원격진료를 실행하는 서비스가 10곳으로 나타남

Page 11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89

No 지역 서비스명 주 기추진

연도서비스 유형

1 강원 만성질환원격 리 시스템 강원도청 2007 원격진료

2 경상 원격 상진료서비스 경상북도청 2009 원격진료

3 라 방 건강 리서비스 라남도청 2010 건강 리

4 충청usn기반

원격건강모니터링시스템충청남도청 2009 원격진료

5 충청 지역사회 서비스 투자 사업 시청 2010 건강 리

6 경상 방문간호 u-Health 사업 부산시청 2009 건강 리

7 서울 2010 서울 u-Healthcare 서울시청 2010원격진료,

건강 리

8 충청 원격건강 리 서비스 서산시청 2010

원격모니터링,

원격진료,

원격방문간호,

건강 리

9 경기 u-방문간호 건강포털

구축사업성남시청 2010 건강 리

10 경기u-Health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주민 사증후군 리양평군청 2010 건강 리

[표 34] 국내 u-Health 서비스 형태 정의

서비스 형태 정의

원격응 의료

- 의사와 지리 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어

지 의사에게 면 치료 받을 수 없는 환자를 원격으로 지원하는

서비스

- 응 상황 등에서 제한 으로 사용됨

원격모니터링- 만성질환자를 상으로 질병의 치료 리를 목 으로 하는

문 서비스

원격진료- 의료인과 함께한 환자가 인터넷과 같은 원격통신형태를 이용하여

원격지 의사로부터 직 으로 의학 조언을 얻는 서비스

원격방문간호- 노인 거동 불편자의 세 방문을 통한 문 서비스를 효과 으로

지원하는 서비스

건강 리- 일반인의 상체측정 정보( 당, 압, 체성분, 활동량)를 송받아

식생활 운동 등 일상생활에서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서비스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표 35] u-Health 서비스 실태조사 분석기

Page 11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90

No 지역 서비스명 주 기추진

연도서비스 유형

11 충청독거노인 응 안 돌보미

사업부여군청 2009 기타 서비스

12 서울 건강 리서비스 강동구청 2010

원격모니터링,

원격진료,

건강 리

13 서울 건강 리서비스 강북구청 2010 건강 리

14 서울노인종합복지 과 보건소

치매센터 간 원격치매상담강서구청 2010

원격모니터링,

원격진료

15 서울 DrUB 구로구청 2007원격진료,

건강 리

16 서울 건강 리서비스 송 구청 2010 건강 리

17 서울 원격 화상 진료사업 강남구보건소 2003 원격진료

18 서울 u-Health 마을건강센터 마포구보건소 2009 건강 리

19 제주원격화상시스템(응 의료)

구축제주소방본부 2009 기타 서비스

20 경기 u-만성질환 리시스템 화성시보건소 2010

원격모니터링,

원격방문 리,

건강 리

21 기타 원격응 의료서비스 해양경찰청 2010 원격응 의료

22 기타남극세종기지 원

u-Healthcare 사업고 안암병원 2008 기타 서비스

23 기타심 도 원격 독 서비스,

원격 상의료 서비스

계명

동산의료원

2007/

2008

원격응 의료.

원격모니터링,

원격진료

24 기타

의사결정시스템을 이용한

노인당뇨병 환자의 지능형

u-Health 어 시스템

분당서울 병원 2009원격모니터링,

건강 리

25 기타 u-Health 당뇨 리 서비스 서울아산병원 2010 원격모니터링

26 기타 DreamcareTV 비트컴퓨터 2009 건강 리

27 기타 리본 서비스 유라클 2005 건강 리

* 2010.10 기 진행 인 u-health 서비스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Page 11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91

서울 및 경기지역의 u-Health 서비스는 주로 건강관리 서비스에

치중되어 있으며, 대부분 무료 서비스로 제공

○서울 경기 지역에서 제공하는 u-Health 서비스 세부 유형을

분석한 결과 건강 리가 9개 서비스에서 운

(단 : 건)

[그림 49] 서울 경기 지역의 u-Health 서비스 황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 서울 경기지역의 u-Health 서비스는 주로 건강 리 원격의료에

치 되어 있으며 2010년 건강 리 가입자 수가 약 1.8만여 명에 이름.

원격의료 서비스의 경우 2010년 약 6천여 명이 가입

­ 한, 11개 서비스 7개의 서비스가 무료로 운 되고 있으며,

나머지 4개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가 부담하는 액은 5~7,000원,

정부 지원 이 63,000원 정도로 나타남

­ 원격진료의 경우 질병별로 고 압과 당뇨에 한 서비스가 부분

이었으며, 건강 리의 경우 부분의 서비스가 운동 리, 양 리에

의해서 실시

○세부 u-Health 서비스를 살펴보면, 서울시에서 주민을 상으로한

건강 리 서비스 원격진료가 가장 활발히 운

­ ‘2010 서울 u-healthcare'서비스는 공공 서비스의 목 으로 원격

모니터링, 원격진료, 건강 리의 서비스를 2010년 6월부터 실시

Page 11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92

⦁성북구, 도 구 보건소를 심으로 성북구, 도 구에 거주하고 있는 만성

질환자, 응 환자, 독거노인, 비만환자, 일반인을 상으로 서비스를 실시

⦁2010년 원격의료 가입자 수는 639명으로 당뇨, 고 압, 심장질환, 비만에

한 서비스를 제공

[그림 50] 2010 서울 u-Healthcare 서비스의 구성도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건강 리 서비스의 경우 2010년 가입자는 1,792명으로 집계되며, 운동

처방, 양 리, 비정상데이터를 가진 환자를 상으로 간호사 양

사가 화나 방문을 통한 상담 서비스를 실행

­ ‘u-Health 마을건강센터'서비스는 2009년 4월부터 실시된 서비스로

마포구 주민을 상으로한 건강 리 서비스를 실시

⦁마포구 보건소 마포구 15개 동의 건강센터, 유라클이 본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으며, 공공서비스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건강 리 서비스로 이용 상자에게 운동처방, 양 리 서비스를 실행

Page 11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93

⦁서비스 가입자 수는 가장 많은 11,516명이 가입되어 있으며, 마포구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자, 응 환자, 독거노인, 비만환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일반인을 상으로 무료로 제공

­ ‘u-만성질환 리시스템’은 화성시 보건소에서 주 하며, 2010년 1월부터

실시된 공공서비스 성격의 u-Healthcare 서비스

⦁원격진료를 심으로 원격건강 리, 방문건강 리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으며, 화성시 담주민건강지원센터와 아주 학병원(가정의학과)가

참여하고 있는 서비스

⦁화성시 거주 주민 만성질환자 고 험자에 하여 서비스를 실시

에 있으며, 이용 상자에게 무료로 제공

⦁원격의료의 경우 가정의학과, 응 의학과, 재활의학과가 참여하여 고

압을 상으로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으며, 건강 리의 경우 운동처방,

양 리, 환지 데이터( 압, 당, 체지방) 송 서비스를 실시

⦁2010년 원격의료 건강 리 서비스의 가입자 수는 2,496명으로 집계

[그림 51] 화성시 u-만성질환 리시스템 서비스의 구성도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Page 11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94

경기를 제외한 지방자치단체 및 기타지역의 u-Health 서비스는

원격진료의 경우가 가장 많으며, 많은 지역이 이용자에게

일정부분의 부담금을 지급

○해당 지역의 u-Health 서비스를 살펴보면 원격의료(8개 서비스)

건강 리(7개 서비스)를 주로 제공

(단 : 건)

[그림 52] 지방자치 단체 기타 지역의 u-Health 서비스 황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 경기지역을 제외한 지방자치단체 기타 지역의 u-Health 서비스는

주로 원격진료의 형태와 건강 리의 형태가 가장 많이 실행

­ 2010년 해당 지역의 건강 리 서비스 가입자 수는 약 1만여 명에

달하며, 원격진료의 경우에도 약 5천여 명의 이용자가 서비스에 가입

­ 해당 지역에서 제공되는 u-Health 서비스는 서울 경기 지역과

달리 많은 서비스에서 이용자가 7,000~12,700원의 액을 부담

­ 하지만 정부 지자체의 부담 한 상당하며, 완 한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은 5개 서비스로 확인

­ 원격진료의 경우 서울 경기지역과 달리 다양한 질병을 상으로

하고 있지만, 많은 곳에서 당뇨 고 압에 한 서비스를 제공

Page 11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95

­ 해당 지역의 건강 리를 제공하는 u-Health 서비스의 경우 운동처방,

양 리, 환자데이터( 압, 당, 체성분) 송의 서비스를 병행

­ 한, 기타서비스의 경우 응 의료의 성격으로 소방본부, 해양경찰청

등 사고 재해 지역에서의 구 활동에서 의사와의 원격진료 형태를

이룸

○세부 서비스를 살펴보면, 의료서비스를 받기 힘든 지역을

상으로한 서비스와 도시를 심으로 건강 리를 실시하는

서비스로 나뉘며, 기타서비스로 응 의료 형태가 실시

­ ‘강원도 만성질환원격 리 시스템’은 강원도청에서 주 하며 2007년

10월부터 실시된 u-Health 서비스

[그림 53] 강원도 만성질환 원격 리 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해당 서비스는 공공서비스의 성격으로 원격진료를 주로 공 하며, 강원도

(동해시, 속 시 제외)지역의 만성질환자를 상으로 당뇨, 고 압에

한 원격진료를 제공

⦁13개 시·군 보건소, 16개 시·군 보건진료소, 8개 시·군 보건지소 보건

출장소, 한림 학교병원, 강릉동인병원, ㈜MTM이 참여하는 규모

u-Health 서비스

Page 11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96

⦁원격의료의 이용자는 해마다 증가하여 2010년 2,166명을 상으로 서비스를

실행 에 있으며, 서비스 이용 상자에게 본인부담 10,000을 부여

하며, 65세 이상 환자에 월 200,000원의 정부지원 을 보조

­ ‘방문간호 u-Health 사업’은 부산시청이 주 하며 공공서비스의

성격으로 2009년 11월부터 실시되고 있음, 2007년의 시범사업 1단계

서비스를 종료한 후, 운 비용의 증가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 계획

⦁부산시 16개 보건소, 부산시 의료원, ㈜아름티엔티에서 참여하는 서비스로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집 건강 리군 상자에 한하여 실시되고 있는

무료 u-Health 서비스

⦁해당 서비스는 건강 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2010년 서비스 가입자는

10,321명으로 운동처방, 양 리, 환자 데이터( 압, 당, 체지방) 값

송 등의 서비스를 실행

­ ‘해양 경찰청 해양원격응 의료서비스’는 해양경찰청이 주 하는

공공서비스로 해상 역이나 연안 도서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 상황에 처하기 한 서비스

⦁2010년 1월부터 제공되고 있으며, 선박 어업종사자, 연안 도서지역

주민들의 응 상황 발생 시 즉각 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음

⦁해당 서비스는 가천의 길병원, KT, 유신씨엔씨가 참여하는 서비스로

2010년 이용자 수는 125명

⦁응 지상황 발생 시 해상 응 의료 제센터에서 즉각 으로 출동

지령을 내리고 원격응 처치를 시도하게 됨, 이후 응 환자의 상태

정보를 수시로 송하며 지역별 응 병원으로 이송

Page 11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97

[그림 54] 해양경찰청 원격응 의료서비스의 구성도

출처: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

Page 12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98

라. 국내 u-Health 산업 특허 및 주요기업 동향

특허분석을 통하여 u-Health 산업의 주요 기업을 파악하고

분야별 기업 특성을 파악

[표 36] u-Health 련 국내특허 검색식

u-Health

국내

특허

분야 국문검색식(Focust DB 이용)

생체정보활용기술

((생체신호 or 생체정보 or 당 or 압 or 체지방 or 심 도 or 맥박

or 체온 or 심박 or 운동량) AND (원격 and (진단 or 장 or 송 or

분석 or 감지 or 기록 or 측정))) NOT (지문 or 홍채 or 동공 or 인증

or 신원조회 or 결제 or 신원)

의료정보 리기술 ((의료 상 or 의료정보 or 의료기록) AND (진단 or 장 or 송))

일상생활 모니터링

((일상 or 인간 or 사람 or 휴먼) and (패턴 or 행동 or 사고 or 낙상))

and (원격 and (기록 or 장 or 송 or 처리 or 분석 or 측정))

응용 서비스 기술

(건강 리 or 만성질환 or 응 ) AND 원격

검색기간(출원일 기 ):  검색범 : 검색 도메인:

1991. 1. 1 ~ 2012. 8. 31 Title, Abstract OR Claims 한국 출원 등록

* 해외특허와 동일한 기술분류, 검색기간을 기 으로 국내에 출원 등록된 특허를 검색

** 별도의 노이즈 제거 없이 특허분석을 수행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2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99

(1) u-Health 국내 특허 분석

국내 u-Health 산업은 다양한 출원인들이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약 20년간 1,000건의 특허를 출원 및 등록

○국내의 u-Health 기술은 2000년 들어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 국내 u-Health 련 특허는 2000년 가장 많은 110건을 출원

등록되었으며 이후 꾸 한 특허활동을 보이며, 분석기간 동안 총

1,000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 시기 으로 주요 국가의 기술개발 추이와 비슷하게 2000년 들어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까지도 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수행

[그림 55] u-Health 국내 특허 연도별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12

Page 12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00

○ 기업과 소기업, 학계, 연구계의 다양한 출원인들이 u-Health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삼성 자, LG 자 등 자회사, KT, SKT와 같은 통신회사,

한국 자통신연구원과 같은 출연연구소 산학 력단 등 다양한

출원인이 국내 u-Health 기술개발을 해 노력

­ 이외 694명의 출원인이 4개 이하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기업

이외에 소기업에서도 련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단

[그림 56] u-Health 국내 특허 주요 출원인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분야별로 분류하여도, 기업, 소기업 등 다양한 출원인들이

u-Health 분야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 생체정보 활용기술의 경우 총 300건의 특허가 검색되었으며, 2008년

가장 많은 40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되며 2000년 활발한

특허활동이 이어지고 있으며, 삼성 자, LG 자가 주요출원인으로

나타남

Page 12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01

­ 의료정보 리기술의 경우 총 447건의 특허가 검색되었으며,

2000년에 가장 많은 61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됨. 삼성 자, 이티

등과 함께 소기업의 주요출원인이 에 띔

­ 일상생활모니터링 분야의 경우 총 108건의 특허가 검색되었으며,

2000년 반과 후반에 련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보이며,

2008년 14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 응용서비스 분야의 경우 2000년 격히 특허수가 증가하며,

검색기간 동안 총 256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되었으며, 2008년 가장

많은 34개의 특허활동이 이루어짐. 주요출원인으로는 LG 자, SK

텔 콤, 삼성 자 등 다수의 기업 포진

[표 37] u-Health 분야별 국내 주요 특허 출원 등록 기

생체정보 활용기술 의료정보 리기술 일생생활 모니터링 응용 서비스 기술

삼성 자주식회사

12삼성 자 주식회사

18

코닌클리 필립스

일 트로닉스 엔. 이.

5LG 자 주식회사

8

LG 자 주식회사

7경북 학교 산학 력단

13한국 자통신연구원

3에스 이

텔 콤주식회사5

한국 자통신연구원

6 이지 어텍(주) 9디지맥

코포 이션2

삼성 자 주식회사

4

김성헌 4주식회사 이티

7보디미디어 인코퍼 이티드

2연세 학교 산학 력단

4

애 리우 외 3 4주식회사 인피니트 테크놀로지

6삼성 자 주식회사

2주식회사 씨유메디칼 시스템

4

연세 학교 산학 력단

4가톨릭 학교 산학 력단

5송암시스콤 주식회사

2한국 자통신연구원

4

주식회사 헬스피아

4에스 이

텔 콤주식회사5

주식회사 나노스타스

2정보기술

주식회사4

동명 학교 산학 력단

3한국 자통신연구원

5

이외 한 건 이하 출원 등록

(주)네오쿼터스 3

순천 학교 산학 력단

3 (주)써니그라피 4콸콤

인코포 이티드3

에스 이 텔 콤주식회사

3 (주)네오비트 4경도메디칼 시뮬 이션 주식회사

2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2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02

○측정, 송, 응용서비스 등 u-Health 분야 범 의 기술개발이 진행

인 것을 볼 수 있음

­ 체 특허맵의 경우 의료정보 리, 송 장의 기술들이 집

­ 한 생체정보 측정, 송 장 기술 련 특허가 집 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한 건강 리 원격진료, 행동모니터링 기술개발이

이루어짐

­ 맵하단에 표시되어 있듯이 이러한 원격의료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

송, 장 송수신 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그림 57] u-Health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반의 급격한 기술개발로 현재 국내

u-Health 기술발전은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판단

○종합 으로 재 국내 u-Health 기술은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단

­ 2, 3 구간의 속한 증가가 보이며, 1990년 반에 특허활동에

비하여 2005년까지 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일어난 것으로 보임

Page 12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03

­ 4구간에 들어 그 성장세가 어들었지만, 향후 u-Health 산업 규모의

망을 볼 때, 국내 u-Health 기술발 도는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구간별로 볼 때, 2구간에서 자기업들의 활발한 활동과 함께,

3구간의 통신기업들의 진출로 활발한 기술개발활동이 이루어짐

­ 2구간에서 특허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기업은 LG 자, 삼성 자

이며, 이외에도 126명의 출원인이 각 한 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산업 체에 기술개발이 이루어짐

­ 3구간의 경우에도 LG 자가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하 으며, SK

텔 콤, KT 등 기존의 통신 련 기업들도 u-Health 산업에 진출하며

활발한 기술개발활동을 펼침

[그림 58] u-Health 국내 특허 기술발 도

* 본 분석에서는 특허 공개에 보통 18개월이 소요되는 것을 반 하여 최근 2년(2011,

2012)에 검색된 특허는 기술발 도 분석 상에서 제외시킴

** 한, 총 4개 구간(1구간 : 1991~1995, 2구간 : 1996~2000, 3구간 : 2001~2005, 4구간 : 2006~2010)으로 나 어 기술의 발 도를 분석함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2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04

(2) 국내 u-Health 세부 주요 기업

(가) 삼성전자

삼성전자 기업동향

○삼성 자는 그룹의 헬스 어 집 투자 계획의 일환으로 의료기기

분야에서 극 인 투자를 보이고 있는 상황

­ 삼성 그룹 내에서는 5개 친환경 에 지 헬스 어 산업에 2020년

까지 23조 투자계획을 발표

※의료기기 분야 2020년까지 1조 2,000억 원 투자 계획

­ 이에 따른 후속조치로 삼성 자는 의료기기 분야를 신규사업으로

채택하며 공격 인 투자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 한, 그룹 내 헬스 어 가치사슬의 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종합 솔루션 서비스 사업을 추진 에 있음

⦁삼성그룹 헬스 어 가치사슬 역량 : (삼성의료원)의료서비스 사업, (삼

성 자, 삼성테크 ) 의료기기 분야, (삼성 기, 삼성 SDS) 헬스 어

솔루션 사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의약품

[그림 59] 삼성의 주요 미래사업

출처: 삼성그룹 보도자료, 2010

○기업 인수합병에 있어서도 주요 의료기기업체인 메디슨을 인수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음

­ 2010년 국내 엑스 이 기기 제조업체인 이, 당해 세계 7%의 유로

5 에 해당하는 의료기기 생산업체 메디슨을 인수

Page 12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05

­ 2011년 미국 의료기기업체인 넥서스의 의료기기 부문인 ITC 넥서스

홀딩 컴퍼니를 인수

­ 삼성 자의 최근 5건의 M&A 3건이 의료장비 기업이었으며, 향후

MRI, X-ray 문업체 인수 계획을 포함하여 진단기기 모바일

의료장비에 집 할 망

[그림 60] 삼성 자 M&A 추진 황

출처: 삼성, 의료·헬스 어 사업 속도낸다, 서울경제, 2011

○삼성 자의 축 해온 IT기반 기술이 최 한 활용 가능한 u-Health

분야에 집 으로 사업 확장

­ 기존 HME사업 (Health & Medical Equipment)의 인큐베이

기간을 끝내고 의료기기사업 으로 공식 사업조직 확

­ 석박사 인력 모집으로 극 인재유치 삼성메디슨과 력하여

내부 조직 재편 실행하 으며, 2020년까지 매출 10조 원 규모를 목표

­ 우리나라 미국, 유럽에서 자체 랜드 상표등록을 완료, 2011년 8월

카드형 압계가 식약청 허가 획득, 자체 의료기기 제품개발을 추진

­ 한, 비트컴퓨터와 자사의 갤럭시탭을 활용한 모바일 병원서비스

사업에 한 업무 약을 추진

­ 지식경제부가 주 하는 스마트 어 시범사업에서 SK텔 콤,

인성정보, 삼성생명, 인포피아 등과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

­ IT융복합 의료기기 제품과 모바일헬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한 사업을 추진

Page 12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06

(단 : 억 원)

[그림 61] 삼성 자 매출액 황

출처: 2011, 2010 삼성 자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2, 20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삼성 자의 헬스 어 의료기기 사업의 매출은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단

­ 삼성 자의 매출액은 2011년 165조 원을 기록하며 매해 최고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연평균 8%(CAGR : 2008~2011)의 성장률을 보임

­ 하지만, 이러한 매출은 주로 자제품으로 발생한 매출로 삼성 자

헬스 어 의료기기 사업은 신사업으로 재 매출이 발생하고 있지는

않고 있음

삼성전자 특허분석

○ 2000년 후반 활발한 특허활동을 펼치며, 검색기간 동안 총 37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 삼성 자 은 국내에서 u-Health 분야의 기술개발을 가장 활발히 하고

있는 기업으로 분석기간 동안 총 37건의 특허를 국내에 출원 등록

­ 2000년 후반 격한 특허의 증가가 주목할 만하며, 2010년 가장

많은 9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Page 12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07

­ 2010년 출원 등록 특허를 살펴보면, 의료 상시스템이 주를

이루며 련 분야의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보임

[그림 62] u-Health분야 삼성 자 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그림 63] u-Health분야 삼성 자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3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08

○ u-Health 서비스 의료정보 리기술의 의료 상 련 종합 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의료 상 측정 기술이 기본 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측정 정보를

변환하거나 분석하는 련 특허가 집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최종 으로 이러한 분석정보를 표 하고 송수신, 장하는 정보 송

리 기술 련 특허들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단

○최근 출원 특허를 살펴보면, 삼성 자는 의료 상 시스템을 기반으로

건강 리 서비스 역의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표 38] u-Health 분야 삼성 자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110128650A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2011-12-02

KR20110007317A3차원 의료 영상으로부터 최적의 2차원 의료 영상을 자동

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2011-01-25

KR20100134909A의료 영상을 이용한 영상진단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이를 수행하는 영상진단 시스템2010-12-24

KR20100134908A진단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의료영상시스템2010-12-24

KR20100124106A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2010-12-07

KR20100090785A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의료영상시스템2010-09-15

KR20100073721A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채용한 의료영상시스템 2010-07-29

KR20100022761A바이오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인터넷 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서비스 방법2010-03-15

KR20100019466A 스트로보 박막 화학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2010-03-04

KR20090087080A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2009-09-15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3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09

­ 의료 상 시스템, 의료 상 진단 등의 특허가 가장 에 띄며,

건강 리시스템 과련 특허도 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의료 상 련 특허의 경우 과거에서부터 꾸 하게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단되며, 삼성 자 u-Health 분야의 주력 기술로 해석할 수

있음

Page 13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10

(나) LG전자

LG전자 기업동향

○지식경제부 주 스마트 어 시범사업자로 선정되며, 최근 u-Health

분야의 사업 확장을 추진

­ 2000년 반 국책사업 로젝트의 일환으로 의료용 살균세척기의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의료기기 연구 분야에 심을 보임

­ 2007년 캐나다 앨버타 주정부와 함께 휴 화를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사업으로 압 등 환자 건강 수치를 측정하여 병원이나

주치의에게 송하는 시스템 구축 작업 추진

­ 2011년 지식경제부가 주도하고 LG 자와 SK텔 콤 컨소시엄이

주도해 참여하는 만성질환자 상 원격진료 건강 리서비스

‘스마트 어 시범사업’을 진행

⦁LG 자, LG텔 콤, 소기업 4개사, 총 6개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원격의료/건강 리 통합 스마트 어 서비스센터 과제’를 실시

­ 세 란스 병원과 차세 헬스 어 사업 추진을 한 제휴 약

‘신기술 의료기기 개발 임상시험 활성화를 한 공동연구 추진’

체결

­ 한, 그룹내 LG유 러스, LGCNS 등 계열사와 함께 헬스 어

통합서비스 구축을 한 력 강화를 진행하고 있음

○LG 자의 매출액은 자제품 련 사업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헬스 어 분야의 경우 지속 투자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

­ LG 자의 2011년 체 매출액은 54조 원에 달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의 매출감소로 년 비 매출성장이 감소

­ 2011년 매출액의 부분은 자가 제품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며,

헬스 어 분야의 경우 삼성 자와 마찬가지로 매출액이 발생하는

단계 이 의 연구개발투자가 지속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Page 13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11

[그림 64] LG 자 매출액 황

출처: 2011, 2010 LG 자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2, 20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LG전자 특허 분석

○ 2000년 반 u-Health 련 기술개발에 집 하 으며, 검색기간

동안 총 19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그림 65] u-Health분야 LG 자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3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12

­ LG 자는 분석기간 동안 u-Health 분야에 총 19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2000년 반에 활발한 특허활동을 수행

­ 국외 자기업과 비교할 때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u-Health에

집 하기 보다는 헬스 어 반의 사업에 투자

○LG 자는 휴 용 기기를 이용한 원격의료 기술개발 련 특허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특허맵에서 응용서비스 기술 의료정보 리기술 련 특허가

상당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한, 응용서비스 기술의 경우 건강 리 시스템과 함께, 일상생활

건강 리 제품 련 특허가 집 되어 있는 것을 악할 수 있음

[그림 66] u-Health분야 LG 자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 최근 출원 등록 특허를 보면, 휴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리

기술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련 기술의 응용개발을

통한 특허가 출원 등록될 것으로 단됨

Page 13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13

[표 39] u-Health 분야 LG 자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080049347A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원격 제어 방법 2008-05-27

KR20070116200A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07-11-14

KR20060045625A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생체정보 측정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생체정보 측정 기능을 구비한 원격 조종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2006-05-22

KR20050064572A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방법 2005-07-16

KR20050042972A 원격 건강검진시스템 2005-05-23

KR20050040191A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2005-05-13

KR20050014686A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서비스 방법 2005-02-22

KR20040081039A 휴대단말기의 의료서비스 관리방법 2004-10-11

KR20040057715A 표준 확장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갖는 의료 및 체력단련 장치 2004-07-23

KR20020076913A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환자 원격 감시시스템 2002-12-05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3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14

(다) SK 텔레콤

SK 텔레콤 기업동향

○기업 내 극 헬스 어 사업 육성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병원 수출을 한 움직임을 보임

­ ICT 기반의 스마트병원 구축사업을 한 다양한 모바일 솔루션

개발로 디지털병원 수출사업을 한 석을 마련

­ 최근 조직개편을 통하여 미래 성장 동력인 헬스 어, 기업 간 솔루션,

유무선 인테넷TV 서비스 개발을 담하는 미래기술원을 신설하며

헬스 어 분야의 극 움직임을 보임

○모바일 헬스 어 서비스 개발로 B2C 유형의 사업을 추진하며 련

분야의 정착으로 향후 수익모델을 기

­ 서울 아산병원과 함께 개인 의료정보 기록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어 리 이션 ‘내손 안의 차트’ 개발

­ 2011년 서울 병원과 합작사 헬스커넥트 설립으로 방·진단·

치료· 리를 연계한 차세 의료서비스 모델 개발 추진

­ 2012년 녹십자헬스 어, 하이디어솔루션즈 ‘효드림텔 어’ 서비스

­ 코리아메디 어와 함께 스마트폰 앱 ‘가족건강수첩’ 개발로 모바일

헬스 어의 사업진출을 추진

○국내외 련 기업의 투자를 집 하며, 로벌 수출 신사업 모델

창출을 한 노력을 지속

­ 2011년 나노엔텍에 규모 투자를 감행하며 체외진단기기 등 기술을

이용한 u-Health 서비스 사업을 모색

­ 한, 국 의료진단기기 벤처기업 티엔롱의 지분 49%를 인수하며

경 에 참여할 계획을 밝히며, 향후 국 헬스 어 시장에도 진출

움직임을 보임

Page 13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15

[표 40] SK 텔 콤의 u-Health 련 주요 사업 력 내용

력기업 병원 주요내용

서울아산병원

스마트폰을 통한 개인 질병이력 각종 검사결과 확인은 물론

처방된 약물 투약 개인 질환 리 가능한 ‘내손 안의 차트’

어 리 이션 개발

제일병원태블릿 PC 통한 진료비 조회 결제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병원

결제솔루션’ 공

조선 학병원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이용한 OCS, EMR, PACS 등 의료데이터

조회 입력 시스템 ‘T비즈 호스피탈’서비스 공

서울 학병원건강 리 목표 수립 식이요법 운동치료, 문가 상담 등 모바일

인터넷 이용 실시간 자가 리 시스템 ‘헬스온’개발

녹십자헬스 어,

하이디어솔루션즈

고령자 활동상황 원격체크 응 상황 발생시 후속조치 텔 어

서비스 ‘효드림텔 어’ 개발

코리아메디 어기본 건강정보를 바탕으로 건강수첩을 만들어 자가 진단을 통해 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가족건강수첩’ 어 리 이션 개발

(단 : 억 원)

[그림 67] SK텔 콤 매출액 황

출처: 2011, 2010 SK텔 콤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2, 201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Page 13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16

○ SK 텔 콤 역시 헬스 어는 신사업 분야이며, 사업화로 인한

매출증가 보다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로 분석

­ 국내 통신시장의 약 50%를 유하며, 높은 매출액 증가를 보이고

있음, 2011년 매출 약 16조원, CAGR(2008~2011) 8.2%를 기록

­ SK 텔 콤 역시 매출액의 부분이 주력사업인 유무선통신에서

발생한 매출로 헬스 어분야는 재 수익창출 단계로 진입하지 못함

SK 텔레콤 특허분석

○ 2000년 u-Health 산업에 진출하여 최근까지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을 하고 있음

­ SK 텔 콤의 경우 2000년 이후 련 기술개발을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2004년 가장 많은 7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 u-Health 분야에 총 13건의 특허가 검색되었으며, 최근 헬스 어

분야에 집 인 투자를 감행하며, 향후 지속 인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망

[그림 68] u-Health분야 SK 텔 콤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3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17

○ SK 텔 콤은 최근 의료정보 리기술 응용서비스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단

­ 특허맵의 경우 크게 응용서비스 기술의 원격건강 리 련 기술,

생체정보 활용기술이 그룹화 되어 있으며, 이외에 생체정보 측정 련

특허의 집 이 에 띔

­ 최근 출원 등록 특허를 살펴보면, 최근 원격진료에 련된

기술개발이 이 진 것으로 보이며, 2004년에는 환자 모니터링 등과

같은 건강 리 기술개발이 주를 이룬 것으로 단

[그림 69] u-Health분야 SK 텔 콤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4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18

[표 41] u-Health 분야 SK 텔 콤 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100137828A 건강정보 측정기와 관리 장치 및 방법 2010-12-29

KR20100125525A 원격 화상 진료 시스템 및 방법 2010-12-09

KR20100077812A진료시간을 고려한 의료 정보 서비스를 위한 서버, 단말

장치, 접속장치, 시스템 및 방법2010-08-12

KR20090126685A 스마트 포털을 이용한 수요응답 시스템 및 방법 2009-12-18

KR20050058968A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진단 서비스 방법 2005-07-01

KR20050049332A 헬스 칩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2005-06-09

KR20040087297A 건강 및 환경 오염 체크 로보트 2004-10-29

KR20040087281A 생체인식을 이용한 의료네트워크의 개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2004-10-29

KR20040087183A 통신망을 이용한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2004-10-29

KR20040086657A 환자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2004-10-28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4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19

(3) 분석 외 국내 u-Health 주요 기업

최근 u-Health 산업의 동향 모니터링을 통하여 특허 검색으로

실제 산업과 달리 부각되지 않은 4개의 기업을 선정하여

추가적으로 특허분석 수행, 각 기업의 특징을 파악함

(가) KT

KT 기업동향

○ u-Health 센터를 심으로 지역별 조건에 맞는 u-Health 서비스를

구축하려는 사업을 구성

­ KT의 u-Health는 독거노인, 만성질환자 리 등 공공 보건의료

서비스와 헬스 크와 같은 주민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 u-Health 센터 구축을 통해 지자체별 특성(지역, 주민구성, 산)에

맞는 서비스를 구성하고, 제공, 리하도록 설계

[그림 70] KT u-Health 서비스

출처: KT u-Health 서비스 소개, KT 서비스 개발본부, 2008

Page 14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20

­ u-Health 센터를 심으로 u-Health 서비스를 총 운 하고,

모니터링 지역주민의 건강 Data를 장, 활용하는 구조

[그림 71] KT u-Health 센터 개념도

출처: KT u-Health 서비스 소개, KT 서비스 개발본부, 2008

○KT는 2000년 후반부터 련 기업 병원, 지자체 등과 활발한

제휴 력을 이어가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상황

­ 2006년 국내 헬스 어 솔루션 기업인 GC헬스 어와 u-Health

건강상담 서비스 정을 체결

­ 2010년 강남세 란스병원과 제휴를 통한 당뇨, 고 압 등 만성질환

상 ‘Style u-Health 서비스' 구축 MOU 체결하 으며, 같은 해

원 학교 의과 학병원과 u-Healthcare 의료 서비스 제공을 한

상호 력 약을 체결

­ 2010년 분당 서울 병원과 스마트폰과 패드, IT기기를 이용한

만성질환 리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스마트폰 어 리 이션 등 련

기술의 임상시험을 진행

Page 14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21

­ 2011년 국내 최 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 KT u-Health 서비스를

활용한 화상진료시스템 ‘한국의료 u-Health 센터’를 구축하고

시범운 을 실시

­ 최근 2012년에는 덕군과 약을 통한 u-Health 압· 당

리서비스를 제공하 으며, 연세 의료원과 함께 의료·정보통신

융합사업 합작회사 ‘후헬스 어‘를 출범

○KT의 u-Health 련 매출은 재 발행하지 않거나 미약한 것으로

­ KT의 매출액은 2007년부터 꾸 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단되며,

2010년 까지 연평균 19.2%(2007~2010)성장을 기록하고 있음

­ 주요 국내 기업과 마찬가지로 KT 역시 헬스 어 분야의 매출이

발행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며, 재 극 투자단계에 있는

것으로 단

(단 : 억 원)

[그림 72] KT 매출액 황

출처: 2010, 2009 KT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1, 2010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Page 14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22

KT 특허분석

○ u-Health 련 특허가 많지는 않지만 2000년 후반 들어 련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연구개발을 진행 인 것으로 드러남

­ KT는 총 분석기간 동안 총 15건의 u-Health 련 특허를 출원

등록한 것으로 분석되며, 2004년 가장 많은 4건이 출원 등록

­ KT의 u-Health 련 기술개발은 2000년 반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단

[그림 73] u-Health분야 KT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KT는 특허맵 상에 의료정보 리기술이 집 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남

­ KT의 특허맵을 살펴보면, u-Health 련 기술은 의료정보 리기술

특허가 집 되어 있는 것을 악할 수 있음

­ 특히 병원 간 개인의료정보 송수신, 네트워크 등 특허가 집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불어 의료정보 장, 활용 기술이

집 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

Page 14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23

[그림 74] u-Health분야 KT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KT는 최근 자사의 강 을 활용한 의료정보 리기술을 바탕으로

응용서비스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단

­ KT의 최근 특허 출원을 살펴보면,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기반을

활용한 인터넷 의료서비스 련 특허가 다수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 이외, 특허맵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의료정보 리기술을 바탕으로

건강 리, 응 상황 감지 등 응용서비스 기술개발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단

Page 14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24

[표 42] u-Health 분야 KT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080060999A인터넷 로토콜 티 이 서비스의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방법2008.06.26

KR20070096138A타일드 디스 이 장치와 핸드 트래커 장치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 방법2007.09.20

KR20060093850A인터넷 방송과 연동한 IPTV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2006.09.27

KR20060028223A 부하 분산에 따른 원격의료 시스템 그 서비스 제공 방법 2006.03.29

KR20050114393A 건강 리 서비스 방법 2005.11.28

KR20050109630A 인터넷 방송과 연동한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2005.11.16

KR20050076346A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당량정보에 한 표 메시지를

송하기 한 당측정기, 이의 송방법, 이를 이용한

당정보 송시스템 그 방법

2005.08.19

KR20040091584A 의료서비스 만족도 순 정보 제공 방법 그 시스템 2004.11.10

KR20040081328A응 상황을 감지하기 한 원격 보호 단말기, 시스템

방법2004.10.12

KR20040073355A 개방병원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달 시스템 그방법 2004.09.14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4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25

(나) 인성정보

인성정보 기업동향

○인성정보 u-Health 사업은 민간분야와 공공분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잠재력을 인정받아 비 있게 추진되고 있는 상황

­ 민간분야의 경우 2001년부터 극 인 사업화를 추진 ‘Hicare'

랜드를 선보이며 서비스를 제공

­ 공공 분야의 사업은 공공 보건의료사업 응 의료, 구조체계와

련하여 진행하는 사업

※ 인성정보는 공공분야의 역량을 인정받아 2006년 u-health 선도사업,

2007년 복지정보인프라구축사업, 부산광역시 u-Health 사업, 파주시·

성남시 u-city사업, 2008년 USN기반 원격 건강모니터링시스템 구축

사업 등 관련 사업에 참여

[표 43] 인성정보 u-Health 사업구분

분야 구분 사업명 세부내용

민간

분야

B2C형 사업 Hicare 건강 리서비스 개인의 건강 험요인 분석, 질병 방

맞춤형 건강 리 서비스

B2B형 사업

병의원을 한 Hicare

ASP 서비스

의료기 을 한 의료정보 리

서비스

Hicare 홈네트워크

서비스 가정 받는 Hicare 건강 리 서비스

Hicare Fitness 시스템 이용자의 건강 체력상태

분석으로 운동처방과 식이처방 제공

공공

분야

의료 형평성 제고

기여 u-Health

보건소 u-방문보건

시스텝

의료 취약계층에 간호사가 정기

방문을 통해 체계 리를 지원

격오지 주민, 원격진료

u-이동진료 시스템

낙도 격오지 주민을 한

찾아가는 이동진료 시스템

요양원 u-Health 시스템요양원 고령자 상 이동형 건강 리

시스템

응 환자 구조활동

지원 u-Healthu-119 시스텝

응 환자 이송 필요한 응 의료

실시간 의료지도 서비스

출처: 2011 인성정보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2

Page 14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26

○활발한 기술 력 기술개발로 해외시장 진출을 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

­ 2006년 가톨릭 학교산하 ㈜평화드림과 u-Healthcare 통합 리

시스템 개발 서비스를 한 합작회사 ㈜C&I HealthCare 설립

­ 2010년 의료기기업체 엘바이오와 함께 개발한 의료용 다기능 측정

기록 장치 ‘하이 어 닥터유’가 국내최 식약청 인증 획득

­ 2011년 ㈜나노엔텍과 함께 국내·외 홈헬스 어 u-Health 사업의

확 를 한 MOU 체결

­ 같은해, 모바일 엔터 라이즈 어 리 이션 랫폼 문업체인

안테나 소 트웨어, IT 솔루션 기업인 한국 CA 테크놀로지스와

트 계약 체결

­ 한, 최근 가정용 원격진료기기 ‘하이 어(모델명 HX-461)’가 국내

최 로 미국 FDA 인증을 받으며 미국 시장 진출의 포문 개방

○인성정보의 u-Health 련 매출은 향후 차 성장할 것으로 망

­ 인성정보 2011년 매출은 2,500억 원에 달하며, 이 IT 인 라

u-Health 사업부문의 경우 약 8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

(단 : 억 원)

[그림 75] 인성정보 매출액 황

출처: 2011, 2010 인성정보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2, 2011

Page 14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27

­ IT인 라 u-Health사업은 최근 4년간 연평균 8.56%의 비교

양호한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인성정보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장비 도매사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나, 기존 사업보고서와 비교를 위해 2010, 2011년

매출액 중 도매사업부문은 제외

­ u-Health 사업 매출액의 비 을 살펴보면, 2008년 2.3%에서 최근

2011년 2%로 분석되며, 2%내외의 비 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하지만, u-Health 사업의 총 매출규모는 최근 4년간 꾸 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더욱더 큰

성장폭을 보일 것으로 망

인성정보 특허분석

○인성정보는 22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최근 5년간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

[그림 76] u-Health분야 인성정보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5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28

­ 인성정보의 출원 등록 특허를 살펴보면, 총 u-Health 련 22개의

특허, 2010년 가장 많은 8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된 것으로 분석

­ 최근 5년간 18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되며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단되며, 향후 련 기술개발이 더욱더 활발할

것으로 망

○인성정보의 특허맵은 u-Health 반의 다양한 분야에 집 되어 있는

것으로 단되며 응용서비스 기술의 활발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단

­ 인성정보의 특허맵을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 생체정보 활용

기술, 응용서비스 기술 등 다양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 의료정보 리기술의 경우 개인의료정보 리 의료정보 송

수신 등 련 특허가 집 되어 있는 것으로 단

­ 생체정보 측정기술은 운동량, 몸무게, 지속시간 등 운동정보 측정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를 활용하여 운동처방 등

다양한 형태의 건강 리 응용서비스 기술이 개발된 것으로 분석

[그림 77] u-Health분야 인성정보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5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29

○인성정보의 최근 출원 특허는 u-Health 다양한 분야의 특허가 출원

등록된 것으로 단

­ 인성정보는 생체정보 측정기술 련 특허가 다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특허맵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이러한 기 기술을

바탕으로 응용서비스 기술이 출원 등록

­ 한, 스마트폰 의료정보 리, 의료정보 네트워크 등 개인 의료정보

리 특허 한 출원 등록된 것을 볼 수 있음

[표 44] u-Health 분야 인성정보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110064083A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리 시스템 방법 2011.06.29

KR20110023785A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 리 네트워크 그 방법 2011.03.17

KR20110019841A 의료정보 리 네트워크 그 방법 2011.03.07

KR20100119061A 필드 체력나이 산출장치 방법 2010.11.26

KR20100118991A 근력 나이 산출장치 방법 2010.11.26

KR20100118949A 체력나이 산출장치 방법 2010.11.26

KR20100112152A 원격건강 리 시스템 그 방법 2010.11.11

KR20100112017A생체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응 상황 리시스템 그

방법2010.11.11

KR20100111986A 생체정보 측정장치 사용자 리시스템 그 방법 2010.11.11

KR20100111983A 라이 로그 분석시스템 그 방법 2010.11.11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5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30

(다) 비트컴퓨터

비트컴퓨터 기업동향

○비트컴퓨터는 의료정보사업을 주력으로 원격진료 건강 리

유헬스 분야의 사업 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 상황

­ 주력사업인 의료정보 사업은 병원, 의원, 약국의 통합 솔루션과

부가서비스 를 바탕으로 하며 EMR, PACS 등 Health IT 소 트웨어

⦁bitnixHIS : OCS, EMR, LIS, RIS, PACS, 첨단 진료환경을 구축하고

진료 효율을 개선

[그림 78] BIT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

출처: 비트컴퓨터 웹사이트(www.bit.co.kr), 2012

­ 노인 만성질환자 등 개인을 심으로 한 건강 리 서비스, 병원을

심으로 한 원격진료 시스템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

⦁환자회진 로그램 : 안드로이드기반 로그램 개발로 종이처방 신

모바일처방 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어 시범사업’ 용

Page 15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31

⦁드림 어 러스 : 병원 심의 원격진료 시스템으로 산재의료 리원 산하

기 , 도서 산간지역 등 국의 다양한 지역에 구축. 한, 2010년 말

서울시 소득층을 한 u-Healthcare 시스템 구축

⦁드림 어 TV 건강 리 : 무선 환경에서 사용자가 건강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만하며 자동으로 TV에 측정결과를 달하여 자동 분석

(단 : 억 원)

[그림 79] 비트컴퓨터 매출액 변화

출처: 2009, 2010, 2011 비트컴퓨터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0, 2011, 201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의료정보사업의 매출을 심으로 원격진료 사업으로 사업 역을

확장

­ 비트컴퓨터는 2011년 308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연평균 (CAGR :

2007~2011) 3.7%의 성장을 보이고 있음

­ 주력사업인 의료정보사업이 2011년 체 매출의 75%, 의료정보

사업과 u-Healthcare 사업이의 매출액이 체 매출의 84.2%를

차지하고 있으며, u-Healthcare 사업의 매출이 차 증가하는 형세

­ 2011년 이후 시장의 경쟁자 수 증가로 수익이 다소 감소하는 상을

보 지만, 기존의 의료정보사업과 유헬스 어 사업의 매출액은 과거

2007년부터 꾸 히 증가

Page 15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32

비트컴퓨터 특허분석

○최근 특허활동이 두드러지며, 분석기간 동안 총 32건의 특허를 등록

출원

­ 비트컴퓨터는 2007년부터 최근까지 17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하며

활발한 특허활동을 보임. 검색기간 동안 32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그림 80] u-Health분야 비트컴퓨터의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비트컴퓨터는 의료정보 리 기술을 기반으로 건강 리 서비스

분야에 집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비트컴퓨터의 특허 내용을 살펴보면, 의료정보 리기술의 정보 송

네트워킹 기술이 집

­ 한, 헬스 어 응용서비스 기술로 고령자 건강 리 시스템

콘텐츠 련 특허가 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건강상태, 고령자, 서비스의 키워드를 포함한 특허로 치매 방

일반인 련 기술 련 특허를 보유

­ 한, 최근 출원 등록한 특허를 볼 때, 재 비트컴퓨터는 기

생체정보를 통한 건강 리 분야를 연구개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과거 출원한 특허를 보면, 의약품 자처방 등 의료정보 리

분야에도 꾸 한 연구개발을 추진

Page 15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33

[그림 81] u-Health분야 비트컴퓨터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표 45] u-Health 분야 비트컴퓨터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120000207A심박측정을 한 상 자동인식 최 측정 치

보정 시스템2012-01-02

KR20100131593A인 이어 타입의 맥박측정장치 맥박측정이 가능한 인 이어

타입의 보청기2010-12-21

KR20100088770A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2010-09-10

KR20100085023A이종 로 일 지원 블루투스 기기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

하는 블루투스 계 장치, 시스템 그 방법2010-08-31

KR20100041041A 의료 계 시스템 그 계 방법 2010-04-30

KR20100031103A심박측정을 한 상 자동인식 최 측정 치

보정 시스템2010-04-05

KR20090005895A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 어 서비스 시스템 방법 2009-01-23

KR20080126329A 의료기기 정보연동 시스템 방법 2008-12-12

KR20080096631A IPTV를 이용한 헬스 어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2008-10-01

KR20080035955A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 리 시스템 그 방법 2008-04-18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5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34

(라) 유비케어

유비케어 기업동향

○ 재 의원용 EMR시스템을 주력 사업으로 솔루션 심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건강 리 u-Health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

­ 의원용 EMR 솔루션의 경우 시장의 43.3%를 유하고 있으며, 체

의원시장의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음에도 신규가입 수 증가

­ 한 EMR과 연동되는 의료기기 유통, 의원 소모품 자상거래 등

다양한 부가아이템 연동으로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시켜나가고 있음

­ 약국경 솔루션 부문은 ‘U pharm'을 통해 약국 IT, 자상거래,

상품유통 등 약국비즈니스 토탈 솔루션으로 시스템시장의 경쟁력을

강화

­ u-Healthcare 솔루션 부문은 향후 잠재력을 인정받아 자가건강 리

유형 서비스를 공 하기 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국내 EMR 시장의 유 성공으로, 미국, 국 등의 해외 진출을

시도하며 로벌 EMR 시장 진입을 시작

­ 미국 EMR회사 래티넘MD를 인수하며 미국 의료정보화 시장

진출의지 강화

­ 국 EMR 시장의 진출을 해 지법인을 설립하며, 국병원용

EMR 로그램 ‘이쯔롱’을 보 할 계획

○유비 어는 연 15%의 고성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원격건강 리

분야로 사업 역을 확장 추진

­ 유비 어는 2011년 567억 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연평균 (CAGR :

2008~2011) 15%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 주력사업인 메디컬솔루션 부문의 매출액은 2011년 체매출액의

51%, 288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 으며, 건강 리 u-Healthcare

부문의 매출액은 차 성장을 진행

Page 15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35

(단 : 억 원)

[그림 82] 유비 어 매출액 변화

출처: 2009, 2010, 2011 유비 어 사업보고서, 융감독원, 2010, 2011, 201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유비케어 특허분석

○유비 어는 2000년 후반 활발한 기술개발을 진행하 으며, 향후

활발한 특허활동이 이 질 것으로 단

[그림 83] u-Health분야 유비 어 연도별 국내특허 출원 등록 추이

* 특허공개는 통상 18개월이 소요되어 최근 2~3년 감소추세 보임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5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36

­ 유비 어는 2000년 부터 특허활동을 시작하여 활발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분석기간 동안 총 38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 2010년 가장 많은 7건의 특허를 등록 출원하 으며, 최근 미국

EMR 업체를 인수하고, 국 지법인을 설립하면서 해외 시장에

본격 으로 진입하며, 향후 련기술개발이 더욱더 가속화 될 것으로

○원격 건강 리에 필요기술이 개발 이며, 최근에는 의약품 리

시스템 련 기술개발이 진행 임을 알 수 있음

­ 유비 어의 개발 기술을 보면 환자의 의료정보를 송 장하는

기술이 집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네트워킹기술이 특허맵에

표 되어 있음

­ 한, 원격의료를 통한 자처방 기술에 하여 기술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최근 출원 등록된 기술을 살펴보면, 의약품 리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음

[그림 84] u-Health분야 유비 어 국내 특허맵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5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4. 국내 u-Health 산업 동향

137

[표 46] u-Health 분야 유비 어의 최근 출원 등록 특허 리스트

출원번호 제목출원 등록 일자

KR20110015473A 약국의 약품 재고 리 방법 시스템 2011-02-22

KR20110007250A 약품 식별정보를 이용한 약품재고 리 장치 방법 2011-01-25

KR20100092390A 휴 용 단말기 약물 복용 알람 방법 2010-09-20

KR20100092389A 처방 바코드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방법 2010-09-20

KR20100079236A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2010-08-17

KR20100079235A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 감시 시스템 방법 2010-08-17

KR20100069890A 약품 자동 주문 시스템 방법 2010-07-20

KR20100059079A 의약품 무인 자동 매 시스템 방법 2010-06-22

KR20100026318A 맞춤형 운동 안내 방법 시스템 2010-03-24

KR20090088975A 약품의 발주주기 추천 시스템 방법 2009-09-21

* 검색된 특허 최근 출원 등록된 10개의 특허를 추출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Page 16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38

5 시사점 및 대응 방향

PEST 분석을 통한 거시적인 국내·외 환경 분석

○Political Environment(정책 로그램 련 서비스 황)

[표 47] u-Health 국내 국외 정책 환경 분석

국외 국내1) 미국

- 부시정부 EHR 시스템 구축, 오바마

정부 원격 의료 련 사업 추진

- 연방정부 주 정부의 원격진료

원격 의료 로그램 구축

- 원격진단, 원격의료, 자처방, 질병 리

등 범 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엄격한 의료정보 보호

2) 일본

-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며, 후생성의

원격진료 통지에 따라 u-Health 서비스

공인

- ‘e-Japan Ⅱ’ 략으로 의료분야의 IT

활용 선도화 계획 발표

- 다양한 원격 독 지원 서비스 원격

진료 허용하고 있으나, 원격 처방 불허

- 원격 진료 상 ‘포지티 리스트’ 구축

3) 유럽

- ‘e-Europe 2005 Action Plan’을 통해

10 우선과제로 e-Health 추진

- 연합 회원국내의 원격의료 확 실행을

한 계획수립

- 원격 의료, 원격 모니터링, 개인 건강

정보 산화 등 다양한 서비스 진행

- u-Health 활성화를 해 부처별 심의

연구개발 시범사업이 진행

·교과부 : 인력 기 ·원천 기술개발

·지경부 : 표 화 의료기기

·복지부 : 인 라 서비스

- 법률 으로 제한 u-Health 서비스 진행

·환자-의사 간의 원격진료 처방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원격진료의 경우 의료인을 동반한 원격지

의사의 의학 조언으로 제한

·정부 지자체 심의 일반인 상

건강 리 서비스가 국 으로 가장

많은 시범사업 서비스 형태를 구축

소결

미국, 일본, 유럽의 경우 정부와 민간 서비스의 활성화로 인하여

다양한 서비스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원격처방을

법 으로 규제하며, 특정 환자에 한 원격진료 건강 리

서비스가 활발히 수행됨. 유럽의 경우 회원국 간의 법 제도가

확립되지 않아 서비스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며,

국내 u-Health 서비스의 경우 정부 지자체 심의 연구개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음. 한, 련 법규가 미흡하여 민간

서비스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음

Page 16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5. 시사점 및 대응 방향

139

○Economic Environment(시장 동향 규모, 망)

[표 48] u-Health 국내 국외 경제 환경 분석

국외 국내

- 세계 u-Health 시장은 향후 거 한 시장을

형성할 망

·BCC Research : 2013년 2,539억 달러

망(CAGR '07~'13: 21.0%) ·미쓰비시 종합연구소 : 2010년 3,800억

달러 추정(CAGR '06~'10: 15.7%)- 다양한 u-Health 세부 시장의 등장

·mHealth Application 시장 등 기술

발 으로 인한 새로운 시장 창출

기존 시장의 성장 상

- 국내시장 역시 미래 고성장을 진행할 것으로

추정

·보건산업 진흥원 : 2010년 1.7조 원으로 추정

· 자통신연구원 : 2010년 1.76조 원으로 추정

·삼성경제연구소 : 2012년 2조 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추정

-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황에 비해 실제

수익모델이 미흡

·기술 발 수요 증가로 인하여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구상되고 있지만, 실제 상

용화 되지 못함

소결

국내·외 u-Health 시장은 미래 고성장을 진행하며, 거 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국내 u-health 시장은 2012년 국외

u-Health 시장의 1% 미만으로 아주 미약한 규모로 추정. 덧붙여,

기술의 발 으로 다양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등장할 것으로 보임

○ Social Environment(사회 환경 변화)

[표 49] u-Health 국내 국외 사회 환경 분석

국외 국내

- 세계 인구 고령화

·2040년 세계 65세 인구 13억 명 망

·2040년 세계 인구 14% 해당

- 의료비 지출 증가

·GDP 비 국민 의료비 증가(OECD 기 ,

2004년 8.6%→ 2009년 9.6%)

- 국내 인구 고령화

·2040년 국내 65세 인구 1,650만 명 망

·2040년 국내 인구 32.3% 해당

- 국민 지출 의료비 증가

·국민의료비 가계 지출 비율 OECD

3 (2009년 32.4%)

- 건강 인식 변화

·소득 생활수 향상으로 선진국 심 웰-빙(Well-being) 문화 확산

·국내 역시 생활수 향상으로 지속 건강 리 수요 증가

소결

세계 국내 고령인구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 고령화

추세가 세계 수 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한, 세계 으로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소득 생활 수 향상으로

선진국 심으로 지속 건강 리 수요가 증가. 국내 역시 수요

증가 추세에 있음

Page 16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40

○Technological Environment(기업 기술 동향)

[표 50] u-Health 국내 국외 기업 동향 분석

국외 국내

- 특허검색결과 미국, 일본에서 가장 활발한

기술개발활동을 보이고 있음

·검색기간동안 미국이 10,000여건의 특허를

출원 등록

·기술발 도 측면에서, 일본이 성숙기에

어든 것으로 보이며, 미국과 유럽이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단

- 주요 기업으로는 GE, PHILIPS, SIMENS 등

의료기기 생산업체가 다수

·GE, PHILIPS, SIEMENS : 의료기기와

HIT 환경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 구축

·MEDTRONIC : 생체정보 측정을 통한

만성질환자 리 u-Health 집

·MICROSOFT :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개인의료정보화 건강 리 집

- 특허검색 결과 우리나라는 2000년 들어

활발한 기술개발활동을 보임

·검색기간 동안 1,000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2000년 가장 많은 110건의 특허가 출원

등록

·활발한 기술개발활동 보이고 있으며

재 기술발 도에서 성장기에 있는

것으로 단

- 주요 기업으로 기업과 소기업으로

구분됨

· 기업의 경우 그룹내 역량을 집 하여

통합솔루션 구축을 한 사업진행

·삼성 자 : 의료기기 사업을 통한 HIT

u-Health 시장 근

·LG 자 : 건강 리 시스템을 통한

u-Health 서비스 모델 집

·SK 텔 콤 : 스마트병원 솔루션 집

·KT : 지역 헬스 어센터 집

· 소기업의 경우 특정분야에 기업 노

하우를 집

·인성정보 : 공공, 민간 다양한 분야 사업

추진

·비트컴퓨터 : 의료정보 솔루션 사업

·유비 어 : 개인의료정보 시스템 집

소결

국외 자 기업을 심으로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세계 으로 로벌 기업이 체시장의 부분을 유하고 있는

것으로 단. 국내의 경우 기업의 그룹 내 역량을 집 하면서

시장의 유를 늘려가고 있는 상황. 소기업의 경우 특정 시장의

시스템 제품으로 기술력을 확보. 하지만, 기업의 련 분야

성장으로 소기업의 시장 유는 차 어들 것으로 망

Page 16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5. 시사점 및 대응 방향

141

시사점 및 대응 방향

○의료법 련 규정 법제도 확립

­ 해외 선진국의 경우 원격의료의 용 범 , 상 등 명확한

규정으로 원격의료 활성화를 한 노력을 기울임

­ 국내 의료 련 규정 법제도의 경우 용 범 , 상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제한

⇨ 서비스 활성화를 한 원격의료의 용 상, 용 범 등

u-Health 련 규정 법제도 확립

○ 략 기술개발을 통한 신시장 공략

­ 로벌 기업의 의료정보화 의료기기 시장 유로 인하여 국내

기업의 로벌 경쟁이 불가피

­ mHealth Application 등 기술 발 을 통해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는 상황

⇨ 새로이 형성된 시장을 공략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략 기술개발을 통해 로벌 경쟁력 강화

○국내 민간 수요 발굴을 통한 수익 모델 창출

­ 재 정부, 지자체의 시범사업 서비스는 공익 성격이 강하며,

시범사업을 벗어나 활성화되지 못함

­ 민간 서비스의 경우 건강 리 측면의 서비스가 다수를 이루며,

시장 형성 기로 미래 확실한 수요를 상할 수 없는 상황

­ 세계 인 경향과 비슷하게 국내 u-Health 련 수요역시 증가하는

것에 비해, 국내 기업의 련 매출이 미약한 것으로 단

⇨ 선행 시범사업을 분석을 통한 민간수요 활성화 방안 도출

⇨ 건강 리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다변화를 통한 지속 수익

창출

Page 16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42

○국내 소기업 육성 로벌 기업과의 력 제휴

­ 로벌 기업과 국내기업의 IT 기술력은 비슷한 수 이나,

의료기기 등 헬스 어 련 기술격차 존재

­ 기업의 그룹 내 역량을 집 을 통한 헬스 어 시장 본격 진출로

련 소기업의 흡수, 통합 M&A 증가

⇨ 세계 우수 로벌 기업과의 략 제휴를 통한 련 기술

이 선진기술 습득

⇨ 소기업 기술지원을 통한 u-Health 산업 체 활성화 략

구축

Page 16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6. 참고 문헌

143

6 참 고 문 헌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건강보험 주요통계’ (2011)

2) 기획재정부, ‘신성장동력 추진계획’ (2009)

3) 김 환, ‘u-Healthcare 산업동향’ (2008)

4) 김주한, ‘e-Health and u-Health : 황과 망’ (2007)

5) 융감독원, ‘2009~2011 비트컴퓨터 사업보고서’ (2010~2012)

6) 융감독원, ‘2010, 2011 삼성 자 사업보고서’ (2011, 2012)

7) 융감독원, ‘2009~2011 유비 어 사업보고서’ (2010~2012)

8) 융감독원, ‘2010, 2011 인성정보 사업보고서’ (2011, 2012)

9) 융감독원, ‘2009, 2010 KT 사업보고서’ (2010, 2011)

10) 융감독원, ‘2010, 2011 LG 자 사업보고서’ (2011, 2012)

11) 융감독원, ‘2010, 2011 SK 텔 콤 사업보고서’ (2011, 2012)

12) 보건복지포럼, ‘일본의 u-Health 동향’ (2009)

13) 삼성경제연구소, ‘유헬스(u-Health)의 경제 효과와 성장 략’ (2007)

14) 삼성경제연구소, ‘트랜스 포머의 조건’ (2011)

15)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0년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포지셔닝 분석’ (2012)

16) 특허청,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사업 의료정보 u-Health 특허기술

동향조사 보고서’ (2012)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u-Health 황과 정책과제‘ (2011)

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외 u-Health 황 정책 시사 ’ (2011)

1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범부처 u-Health 산업화 진방안 기획연구’,

(2011)

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 조사 분석’ (2011)

Page 16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44

2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u-Health 신사업 창출을 한 사업화 략 연구’

(2010)

2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u-Healthcare 활성화 장기 종합계획 수립’ (2008)

23) 한국 자통신연구원, ‘신규 u-Health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한

시장수요 분석보고서’ (2005)

24) 한국정보통신기술 회, ‘ICT Standardization Roadmap 2009' (2008)

25) 한국특허정보원. ‘특허분석 방법론’ (2005)

26) European Commissio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he eHealth

Market in Europe' (2007)

27) Frost&Sullivan, ‘Asia Pacific Healthcare Outlook : 2012-2015' (2012)

28) Frost&Sullivan, ‘Asia Pacific Healthcare Outlook Focus : South Korea'

(2010)

29) Frost&Sullivan, ‘European Data Storage Market in Healthcare' (2012)

30) Frost&Sullivan, ‘Overview of the U.S. Healthcare Market and

Implication for the Healthcare IT Industry' (2007)

31) Frost&Sullivan, ‘Overview the Telemedicine Market in South Korea' (2011)

32) GENERAL ELECTRIC, ‘2010 헬시메지네이션 보고서‘, (2011)

33) GENERAL ELECTRIC, ‘2011 Annual Report' (2012)

34) KT 서비스 개발본부, ‘KT u-Health 서비스 소개‘ (2008)

35) MEDTRONIC, ‘2009~2011 Annual Report' (2010~2012)

36) MICROSOFT, ‘2011 Annual Report' (2012)

37) OECD, ‘Health Data 2011' (2011)

38) PHILIPS ELECTRONICS, ‘Annual Report 2011' (2012)

39) RNCOS, ‘US Healthcare IT Market Analysis' (2011)

40) SIEMENS, ‘2010, 2011 Annual Report' (2011, 2012)

4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An aging world :

2008', (2008)

Page 167: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 목록

145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1 총서 제1권 항암 중점 분자표적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1 공개

2 총서 제2권 비만/당뇨 중점 분자표적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2 공개

3 총서 제3권 항암 세포치료제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3 공개

4 총서 제4권 치주질환 억제 및 치료제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4 공개

5 총서 제5권 남세균(Cyanobacteria)활용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5 공개

6 총서 제6권 세포스위치 모델시스템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6 공개

7 총서 제7권 Cytokine 및 cervical cancer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7 공개

8 총서 제8권 바이오칩 검출기술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8 공개

9 총서 제9권 약물작용점 탐색기술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9 공개

10 총서 제10권 Peptide drug 김무웅 2005-06-30 특허맵2004-10 비공개

11 총서 제11권 Metabolic engineering과 Biocatalysis 김무웅김은중 2005-06-30 특허맵2005-1 공개

12 총서 제12권 Embryonic stem cell과Xenogenic organ과 Organogenesis 김은중 2005-06-30 특허맵2005-2 공개

13 총서 제13권 미생물(박테리아, 효모, 곰팡이)발현시스템 및 동물세포 발현시스템 김은중 2005-06-30 특허맵2005-3 공개

14 총서 제14권 약물전달시스템 김무웅 2005-07-19 기술동향2005-1 공개

15 총서 제15권 줄기세포 문성훈 2005-07-19 기술동향2005-2 공개

16 총서 제16권 세포치료제 문성훈 2005-07-19 기술동향2005-3 공개

17 총서 제17권 형질전환동물 및 이종장기 김은중 2005-07-19 기술동향2005-4 공개

18 총서 제18권 단백질 칩 김은중 2005-08-12 기술동향2005-5 공개

19 총서 제19권 BT 산업동향보고서 편람 1 문성훈 2005-09-13 산업동향2005-1 공개

20 총서 제20권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 MEMS 김무웅 2005-10-7 기술동향2005-6 공개

21 총서 제21권삼투압 작용을 이용한 경구용 약물 방출제어 약물전달시스템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

김무웅 2005-12-31 특허맵2005-4 공개

22 총서 제22권미생물 유전체 활용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과 핵심특허 확보 방안연구

김무웅 2005-12-31 특허맵2005-5 공개

23 총서 제23권국소 주입형 고분자 젤을 이용한 지능형 항암제 전달 시스템 개발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

김무웅 2005-12-31 특허맵2005-6 공개

24 총서 제24권 단기분석 특허맵 보고서 모음 김은중김무웅 2006-02-10 특허맵2006-1 공개

25 총서 제25권 2005 생명공학 주요 통계 모음 문성훈 2006-02-22 산업동향2006-1 공개

26 총서 제26권 BT 제도동향보고서 이천무 2006-02-28 제도동향2006-1 공개

27 총서 제27권 면역조절치료제 김은중 2006-02-28 기술동향2006-1 공개

28 총서 제28권 해외 생물소재센터 구축 및 활용 김영철 2006-05-04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29 총서 제29권 단백질체 연구 및 활용치료제 김무웅 2006-06-06 기술동향2006-2 공개

30 총서 제30권국내 비임상․임상 인프라에 대한 현시점과 신규 수요파악을위한 설문 결과 보고서

문성훈 2006-07-10 산업동향2006-2 공개

31 총서 제31권이종장기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관한 연구(돼지를 중심으로)

김무웅 2006-09-10 특허맵2006-2 비공개

32 총서 제32권세포치료제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관한 연구(성체줄기세포를 중심으로)

김무웅 2006-09-10 특허맵2006-3 공개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 목록 ◑

Page 168: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46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33 총서 제33권바이오신약 대표적 블록버스터의약품 관련 특허들의 출원 및등록 경향과 특허망에 대한 분석

김무웅 2006-09-10 특허맵2006-4 공개

34 총서 제34권 Status of Biotechnology in Korea 김영철 2006-10-20 정책동향2006-1 공개

35 총서 제35권 신약기술의 산업화 촉진을 위한 혁신 확산전략 이천무 2006-12-29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36 총서 제36권 바이오에너지 김은중 2006-12-30 기술동향2006-3 공개

37 총서 제37권 시스템생물학 김무웅 2006-12-30 기술동향2006-4 공개

38 총서 제38권 경기바이오센터 BT인프라(GLP/GMP) 시설 구축 타당성 조사 연구 문성훈 2007-04-30 산업동향2007-1 비공개

39 총서 제39권 글라이코믹스 및 탄수화물 의약품 김은중 2007-06-14 기술동향2007-1 공개

40 총서 제40권 주요국의 바이오산업 동향 분석 문성훈 2007-06-30 산업동향2007-2 공개

41 총서 제41권 생명공학 기술영향평가 및 공공인지도 이천무 2007-07-18 제도동향2007-1 공개

42 총서 제42권 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김영철 2007-07-20 기술동향2007-2 공개

43 총서 제43권 뇌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07-07-25 기술동향2007-3 공개

44 총서 제44권 2007년 생명공학 기초 통계집 윤동섭 2007-08-31 통계2007-1 공개

45 총서 제45권바이오신약∙장기 제품군별/주요질환별 세계 및 국내 시장현황과 전망분석에 관한 연구

김무웅김은중 2007-09-01 산업동향2007-3 공개

46 총서 제46권 1989~1997년간 미국 FDA에서 승인된 신약 관련 특허 분석

김은중김무웅 2007-09-01 특허맵2007-1 공개

47 총서 제47권바이오그린21사업 핵심기술별 특허분석-전반부(작물, 동물, 곤충, 농용미생물, 조류(algae)를 중심으로)

김무웅김은중 2007-10-10 특허맵2007-2 공개

48 총서 제48권바이오그린21사업 핵심기술별 특허분석-후반부(Genomics, Proteomics, GMO를 중심으로)

김은중김무웅 2007-10-10 특허맵2007-3 공개

49 총서 제49권 고령화 사회 대응 연구개발 추진 및 지원방안 기획

장현숙(김영철) 2007-10-11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50 총서 제50권항체치료제 제작 관련 플랫폼 기술에 대한 핵심특허 및 관련 업체 심층분석

김무웅김은중 2007-10-16 특허맵2007-4 공개

51 총서 제51권아토피 치료제 관련 국내외 특허 분석을 통한 기술개발 트랜드 및 국내 보유기술 분석 연구

김은중김무웅 2007-10-16 특허맵2007-5 공개

52 총서 제52권 미국의 생명공학 혁신체제 정선양(이천무) 2007-11-27 정책연구보고서 공개

53 총서 제53권 BT 시장 현황 및 전망 분석 보고서 김은중 2007-12-15 시장동향 공개

54 총서 제54권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3단계 기획연구

김무웅김은중 2007-12-20 정책기획보고서 비공개

55 총서 제55권 국가생명자원 현황 실태조사 최홍근(김영철) 2007-12-31 기술동향2007-4 공개

56 총서 제56권 프로테오믹스 중점 연구분야별 서지(특허,논문)분석

김은중김무웅 2008-01-14 특허맵2008-1 비공개

57 총서 제57권국가 생명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 마스터플랜 김영철 2008-01-31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58 총서 제58권 2005생명공학백서 김영철 2005-12-31 생명공학백서 공개

59 총서 제59권 Biotechnology in Korea 김은중 2006-02-08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60 총서 제60권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의 바이오 김은중 2006-07-10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61 총서 제61권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07~'16) 이천무 2006-12-15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Page 169: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 목록

147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62 총서 제62권 "Bio-Vision 2016" 수립 사례로 본기본계획작성 메뉴얼 문성훈 2007-02-01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3 총서 제63권 Bio-Vision 2016 홍보브로셔 김영철 2007-03-12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64 총서 제64권 제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94∼’06)우수연구성과 모음집 김은중 2007-02-15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5 총서 제65권 2007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책자 이천무 2007-04-04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6 총서 제66권 2007 생명공학백서 김영철 2007-12-28 생명공학백서 공개

67 총서 제67권 제2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 최종보고서 이천무 2008-01-06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68 총서 제68권 환경생명공학(Bioremediation을 중심으로) 김무웅 2008-01-31 기술동향2007-5 공개

69 총서 제69권한의약 R&D 중장기 육성·발전 계획 (2008~2017) 문성훈 2008-03-10 정책기획보고서 공개

70 총서 제70권 주요국의 생명공학 정책동향 윤동섭 2008-03-31 정책동향2008-1 공개

71 총서 제71권 2008년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 윤동섭 2008-03-31 통계 2008-1 공개

72 총서 제72권 주요 질환별 신약개발 동향 김은중 2008-04-04 기술동향2007-6 공개

73 총서 제73권 국내외 해양과학 기술동향분석 김수길 2008-04-07 정책기획보고서 비공개

74 총서 제74권한의약 R&D중장기 육성․발전 기획 연구 문성훈 2008-04-28 정책기획2008-1 공개

75 총서 제75권 한의약 기술동향보고서 김은성 2008-06-30 기술동향2008-1 공개

76 총서 제76권 2008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보고서 이천무 2008-07-25 정책기획2008-2 공개

77 총서 제77권 2008 줄기세포시행계획보고서 이천무 2008-07-25 정책기획2008-3 공개

78 총서 제78권일본 제약산업의 발전과정과 공공정책 및 미래상 윤동섭 2008-07-31 산업동향2008-1 공개

79 총서 제79권미국 제약기업 및 바이오벤처의 성장전략 윤동섭 2008-07-31 산업동향2008-2 공개

80 총서 제80권2단계 1차년도(’07.7-’08.6) 센터 실적보고서 문성훈 2008-07-31 정책연구2008-1 비공개

81 총서 제81권 2008년 생명공학기초통계 윤동섭 2008-08-31 통계2008-2 공개

82 총서 제82권 해양생명공학 기술동향보고서 김수길 2008-10-22 기술동향2008-2 공개

83 총서 제83권 줄기세포 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08-10-31 기술동향2008-3 공개

84 총서 제84권 생명공학분야 로열티 결정모형 성웅현(이천무) 2008-10-31 정책연구2008-2 공개

85 총서 제85권 국내 생명공학관련 법제의 현황 및 개선방안

류화신(이천무) 2008-10-31 정책연구2008-3 공개

86 총서 제86권 보건의료 R&D 분야 발전방안 김영철 2008-10-31 정책연구2008-4 공개

87 총서 제87권 OECD 생명공학작업반 활동분석 김은성 2008-11-25 정책연구2008-5 공개

88 총서 제88권바이오매스 에너지 연구개발사업 기획을 위한 연구 김영철 2008-11-28 정책기획2008-4 공개

89 총서 제89권국립한의학전문대학원 역할 정립 및 연구분야 발굴 기획 보고서 문성훈 2008-12-30 정책기획2008-5 비공개

90 총서 제90권 국내외 줄기세포 연구역량 조사분석 및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김무웅김은중 2008-12-31 정책기획2008-6 비공개

91 총서 제91권국내외 줄기세포 기술분야별 연구역량 조사를 위한 기술맵 및 인력맵 작성

김은중김무웅 2008-12-31 특허맵2008-2 비공개

92 총서 제92권 Bioin BT스페셜 전문가리포트 박미정 2008-12-31 Bioin스페셜 2008 공개

93 총서 제93권 단백체학 연구 및 활용기술 김은중 2009-01-13 기술동향2008-4 공개

94 총서 제94권바이오분야 하이테크 제품관련 리스크와 소비자 혁신성 및 제품수용성에 관한 연구

서상혁(문성훈) 2009-02-10 정책연구2009-1 공개

Page 170: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48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95 총서 제95권뇌기능활용및뇌질환치료기술개발연구사업단 3단계 기획을 위한 3P(Paper, Patent, Product) 분석

김무웅김은중 2009-02-10 특허맵2009-1 비공개

96 총서 제96권이종장기 생산용 무균 및 복제돼지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 관한 연구

김은중김무웅 2009-02-12 특허맵2009-2 비공개

97 총서 제97권BT 통계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제언 윤동섭 2009-03-31 정책연구2009-1 비공개

98 총서 제98권 바이오융합기술 -바이오나노 기술을 중심으로- 신승후 2009-03-31 기술동향2008-5 공개

99 총서 제99권Fraunhofer Center for Biopharmaceutical Research(CBR) 한국연구소 유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무웅김수길 2009-04-10 정책기획2009-1 비공개

100 총서 제100권 노화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09-04-20 기술동향2008-6 공개

101 총서 제101권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문성훈 2009-04-25 정책연구2009-2 공개

102 총서 제102권 바이오 세계로의 초대 김은중 2009-04-25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103 총서 제103권 2009 Biotechnology in Korea 김은중 2009-05-25 생명공학홍보책자 공개

104 총서 제104권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중장기발전계획(’08~’17) 문성훈 2008-06-01 정책기획2009-2 공개

105 총서 제105권Approaches to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Korean Biotechnology

문성훈 2009-09-04 정책연구2009-3 공개

106 총서 제106권 2009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이천무 2009-08-30 정책기획2009-3 공개

107 총서 제107권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이천무 2009-08-30 정책기획2009-4 공개

108 총서 제108권 2009년 Bioin 이슈&특집(상) 박미정 2009-11-07 Bioin 2009-1 공개

109 총서 제109권 2009년 생명공학 기초 통계 문성훈김용경 2009-11-18 통계2009 공개

110 총서 제110권 2단계 정책정보기반사업 추진계획 이천무 2009-11-25 정책연구2009-5 비공개

111 총서 제111권 바이오 R&D 효율화 정립방안 이천무 2009-11-25 정책연구2009-6 비공개

112 총서 제112권 2009 제도동향 보고서 이천무 2009-11-25 제도동향2009-1 공개

113 총서 제113권 MD-Ph.D 협력프로그램 기획연구 이천무 2009-11-25 정책연구2009-7 비공개

114 총서 제114권 약물전달시스템 활용기술 김은중 2009-12-22 기술동향2009-1 공개

115 총서 제115권 2009 Bioin 스페셜 전문가리포트 박미정 2009-12-30 Bioin 2009-2 공개

116 총서 제116권 2009 생명공학백서 김영철양준혁 2009-12-31 생명공학백서 공개

117 총서 제117권진안 홍삼연구소 발전방안 기획보고서 김영철 2009-12-31 정책기획2009-5 비공개

118 총서 제118권 Bioin 이슈&특집 2009_하 박미정 2010-01-15 Bioin 2009-3 공개

119 총서 제119권BioWatch 국가별 최신

BT동향(Monthly)박미정 2010-01-15 Bioin 2009-4 공개

120 총서 제120권 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손진영 2010-02-10 기술동향2009-2 공개

121 총서 제121권 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항바이러스 치료제를 중심으로) 김용경 2010-02-10 기술동향2009-3 공개

122 총서 제122권 인플루엔자 연구 및 활용기술 양준혁 2010-02-10 기술동향2009-4 공개

123 총서 제123권 질환별 기술개발 동향(심혈관질환을 중심으로) 신율 2010-02-10 기술동향2009-5 공개

124 총서 제124권 후성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김무웅 2010-03-17 기술동향2009-6 공개

Page 171: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 목록

149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125 총서 제125권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기획연구

김무웅김은중 2010-04-01 정책기획2010-1 비공개

126 총서 제126권바이오 분야에서의 트리즈(TRIZ) 적용사례 연구 김무웅 2010-04-10 정책기획2010-2 공개

127 총서 제127권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김은중 2010-06-25 산업동향2010-1 공개

128 총서 제128권 2010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이천무 2010-08-10 정책기획2010-3 공개

129 총서 제129권 2010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이천무 2010-08-10 정책기획2010-4 공개

130 총서 제130권 동국대 한의과대학 연구개발 발전방향

김무웅김은중 2010-09-30 정책기획2010-5 비공개

131 총서 제131권바이오기술의 사업화 전략 :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 지역을 중심으로

최종인김무웅 2010-10-08 정책연구 2010-1 공개

132 총서 제132권 산림과학기술 기획보고서 김무웅김수길 2010-11-15 정책기획2010-6 공개

133 총서 제133권2010년 Bioin 스페셜

전문가리포트박미정 2010-11-30 Bioin 2010-1 공개

134 총서 제134권 2010년 Bioin 이슈&특집 박미정 2010-12-15 Bioin 2010-2 공개

135 총서 제135권 2010년 BioINdustry 글로벌 산업동향 최나린 2010-12-30 Bioin 2010-3 공개

136 총서 제136권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김민정 2011-01-31 기술동향2010-1 공개

137 총서 제137권 바이오에너지 연구 및 기술개발동향 감주식 2011-01-31 기술동향2010-2 공개

138 총서 제138권 바이오융합연구 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검토연구 문성훈 2011-02-10 정책기획2010-7 비공개

139 총서 제139권 바이오신기술우수사업화 사례분석과 시사점도출 문성훈 2011-02-10 정책기획2010-8 공개

140 총서 제140권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지원센터의 기능 설정 및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문성훈 2011-02-10 정책기획2010-9 비공개

141 총서 제141권 신종인플루엔자 범부처 사업단 기획보고서 문성훈 2011-02-28 정책기획2010-10 비공개

142 총서 제142권 HT고속화사업 세부기획 보고서 문성훈 2011-02-28 정책기획2010-10 비공개

143 총서 제143권2010년 BioWatch 국가별 최신

BT동향박미정 2011-01-31 Bioin 2010-4 공개

144 총서 제144권 생명공학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보고서 Ser. 2 김은중 2011-03-04 산업동향2011-1 공개

145 총서 제145권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단계('07.7~'10.6) 실적보고서 김무웅 2011-03-04 정책기획2010-11 비공개

146 총서 제146권 바이오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김무웅김은중 2011-04-01 정책연구2011-2 공개

147 총서 제147권 2010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문성훈이재형최나린

2011-03-31 통계2011 공개

148 총서 제148권효율적 암 연구개발을 위한 국립암센터 기관고유연구사업 성과분석 및 평가

김은중 2011-05-25 정책기획 2011-1 비공개

149 총서 제149권 바이오 연구 트렌드 분석 및 미래유망 연구 테마 도출 김무웅 2011-05-27 기술동향2011-1 공개

150 총서 제150권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오민정 2011-05-31 기술동향2011-2 공개

Page 172: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50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151 총서 제151권 2011년 Biotechnology in Korea

김무웅김은중김민정감주식

2011-06-10 BT홍보 공개

152 총서 제152권 농식품 R&D 기술기획시스템 구축 사업

김영철양준혁 2011-7-15 정책기획 2011-2 공개

153 총서 제153권 2011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이천무 2011-07-27 정책기획 2011-3 공개

154 총서 제154권 2011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이천무조성도 2011-07-27 정책기획 2011-4 공개

155 총서 제155권 인간유전체 분석연구 및 활용기술 김민정 2011-08-05 기술동향2011-3 공개

156 총서 제156권 국내외 주요 바이오제약기업 R&D 현황분석

최나린이재형문성훈

2011-08-10 산업동향2011-2 공개

157 총서 제157권 바이오분야 특허, 논문분석을 위한 검색 키워드 모음집 Ser.1 김은중 2011-08-16 특허맵 2011-1 공개

158 총서 제158권 골다공증 연구 및 활용기술 최나린 2011-08-17 기술동향2011-4 공개

159 총서 제159권 생명공학분야의 지식재산 제도 동향 조성도 2011-08-29 제도동향2011-1 공개

160 총서 제160권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11-'20)

문성훈, 양준혁 2011-10-01 정책기획 2011-5 공개

161 총서 제161권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문성훈, 양준혁,이재형

2011-10-01 정책기획 2011-6 공개

162 총서 제162권 2011년 생명공학 기초통계문성훈이재형최나린

2011-10-30 통계 2011-2 공개

163 총서 제163권 2011년 BioINdustry 글로벌 산업동향 최나린문성훈 2011-11-30 산업동향 2011-3 공개

164 총서 제164권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 관련 기술동향김은중김민정감주식

2011-12-15 기술동향2011-5 비공개

165 총서 제165권 2011년 Bioin스페셜 해외 BT네트워크 박미정 2011-12-30 Bioin 2011-1 공개

166 총서 제166권 대전지역 바이오기업 지원 1 김수길문성훈 2011-12-30 정책기획 2011-7 비공개

167 총서 제167권 대전지역 바이오기업 지원 2 김수길문성훈 2011-12-30 정책기획 2011-8 비공개

168 총서 제168권 대전지역 바이오기업 지원 3 김수길문성훈 2011-12-30 정책기획 2011-9 비공개

169 총서 제169권 2011 생명공학백서 문성훈오민정 2012-01-19 생명공학백서 공개

170 총서 제170권2010년 바이오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포트폴리오 및 포지셔닝 분석

김무웅 2012-02-29 정책연구 2012-1 공개

171 총서 제171권 건강기능식품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 이천무안희윤 2012-02-29 기술동향2012-1 공개

172 총서 제172권생물정보학을 통한 단백질체학 연구 및 활용기술 박성호 2012-02-29 기술동향2012-2 공개

Page 173: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 목록

151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173 총서 제173권산림과학기술 경쟁력 분석 및 발전방안 도출을 위한 3P(Paper, Patent, Product) 분석 연구

김무뭉김은중김민정감주식

2012-03-02 정책기획 2012-1 비공개

174 총서 제174권

산림과학기술 중점분야별 3P

(Paper, Patent, Product) 분석

보고서

김무뭉김은중김민정감주식

2012-03-02 특허맵 2012-1 비공개

175 총서 제175권 2011년 Bioin스페셜 이슈&특집 박미정 2012-03-05 Bioin 2011-2 공개

176 총서 제176권2011년 Bioin스페셜

전문가리포트박미정 2012-03-05 Bioin 2011-3 공개

177 총서 제177권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단계 계획(’12〜’16)문성훈 2012-03-20 정책기획 2012-2 공개

178 총서 제178권 천연물 신약 연구개발 동향 (개발연구 중심으로) 권순원 2012-04-18 기술동향2012-

3 공개

179 총서 제179권 해양생명공학(조류 바이오매스 활용기술개발) 김은중 2012-04-18 기술동향2012-

4 공개

180 총서 제180권 바이오 소재 활용기술(바이오플라스틱 중심으로) 김민정 2012-04-30 기술동향2012-5 공개

181 총서 제181권특허정보 기반의 바이오 연구 트렌드 분석 및 미래유망 연구테마 도출

김무웅감주식 2012-04-30 기술동향2012-6 공개

182 총서 제182권 국립중앙과학관 기획 김영철 2012-06-30 정책기획 2012-3 비공개

183 총서 제183권 2012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이천무 2012-05-30 정책기획 2012-4 공개

184 총서 제84권 2012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이천무조성도 2012-05-30 정책기획 2012-5 공개

185 총서 제185권 2012년도 생명연구자원관리 시행계획 양준혁문성훈 2012-06-30 정책기획2012-6 공개

186 총서 제186권 생명연구자원(기반기술을 중심으로) 민현준이천무 2012-08-31 기술동향2012-7 공개

187 총서 제187권 약물전달시스템 김현수이천무 2012-09-05 기술동향2012-8 공개

188 총서 제188권 주요 질환별 연구 및 기술개발 (암을 중심으로) 김영아 2012-09-05 기술동향2012-9 공개

189 총서 제189권 뇌과학연구 및 활용기술 김모모 2012-09-05 기술동향2012-10 공개

190 총서 제190권 2012년 Bioin스페셜 해외 BT네트워크 박미정 2012-10-20 Bioin 2012-1 공개

191 총서 제191권 2012년 생명공학 기초통계박성호

문성훈2012-11-08 통계 2012-1 공개

192 총서 제192권 (재)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 1단계 연구성과 및 환경변화 분석 연구

김무웅

김민정

감주식

2012-12-10 정책기획2012-7 비공개

Page 174: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산업동향 2012-2152

No 총서번호 보고서명 담당자 발간일 분류 공개 여부

193 총서 제193권 (재)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 2단계 연구방향에 관한 기획연구

김무웅

김은중

김영아

2012-12-10 정책기획2012-8 비공개

194 총서 제194권2012년 Bioin스페셜

전문가리포트박미정 2012-12-20 Bioin2012-2 공개

195 총서 제195권다부처 참여분야 R&D사업 투자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은중 2012-12-28 정책기획2012-9 비공개

196 총서 제196권 2012년 BioINdustry 글로벌 산업동향

감주식조성도권순원문성훈

2013-01-04 산업동향2012-1 공개

197 총서 제197권2012년도 주요부처 BT연구성과

모음집박미정 2013-01-11 Bioin2012-4 공개

198 총서 제198권2012년 Bioin고객만족도 설문조사

자료집박성훈 2013-01-16 Bioin2012-5 비공개

199 총서 제199권 2012년 Bioin스페셜 이슈&특집 박미정 2013-01-17 Bioin2012-6 공개

200 총서 제200권 국내외 u-Health 산업 동향 권순원문성훈 2013-01-20 산업동향2012-2 공개

Page 175: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산업동향 2012-2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2013年 1月 20日 印刷

2013年 1月 31日 發行

編 著 者 권 순 원

문 성 훈

發 行 人 현 병 환/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發 行 處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과학로 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자생동 3층

대표전화 : (042) 879-8366

ISBN 978-89-6709-026-5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2

非賣品

Page 176: 총서200권_u-health_산업동향보고서

305-806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TEL : 042-879-8371~9 www.bioin.or.kr

BT산업동향보고서

2013

총서200

국·

내외

유헬스

산업동향

바이오경제시대의초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T산업동향 보고서

www.bioin.or.kr

산업동향 2013-2 총서 제 200권

공 개

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국내·외 유헬스 산업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