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1. 저저저 저저저 저저 ▶ 저저저 저저저저 저저저 저저저 (1) 저저저 저저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Embed Size (px)

DESCRIPTION

투자와 금융상품.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IMF 구제금융. 1997 년 외환위기 때 위기극복을 위하여 IMF 에서 195 억 달러 ,IBRD( 세계은행 ) 에서 70 억 달러 , 아시아 개발은행 (ABD) 에서 37 억 달러의 자금 지원을 받아서 고금리 정책 , 재정긴축 , 경상수지흑자 정책 , 대기업의 해외매각 등을 거쳐 2001 년 8 월 IMF 차관 전액을 조기에 송환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IMF 구제금융

1997 년 외환위기 때 위기극복을 위하여 IMF에서 195 억 달러 ,IBRD( 세계은행 ) 에서 70 억 달러 , 아시아 개발은행 (ABD) 에서 37 억 달러의 자금 지원을 받아서 고금리 정책 , 재정긴축 , 경상수지흑자 정책 , 대기업의 해외매각 등을 거쳐 2001 년 8 월 IMF 차관 전액을 조기에 송환

원인 : 지급준비 정책의 변화 , 외환보유고 관리의 실패 , 과도한 해외 단기 차입금 , 환율 운용정책의 실패 , 금융기관의 부실 , 대외금융세력의 공격

결과 : 정권교체 , 독재재벌의 해체 , 해고규제의 완화 , 정부의 기업정책 변화 국민의 인식 변화

Page 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극심한 주가 변동을 틈타 주식을 활발하게 사고 팔면서 시세 차액을 노리는 투기꾼이 많아진 시장을 트래이더 장세 (Trader’s Market)라고 한다

Page 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금융시장과 자본시장에서 빠르게성장하고 있는 국가들의 신흥시장으로 ,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 중에서 경제성장률과 산업화가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의 시장

Page 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시장에서 강세장을 불 마켓 (bull market), 약세장을 베어마켓 (bear, market)이라한다 .

Page 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

J.M 케인즈가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전개한 이자를 결정하는 이론

유동성 선호란 자산 소유자들이 안전을 위하여 정부 공채와 같은 비유동성 자산을 현금이나 은행예금으로 바꾸려고 하는 성향

유동성 선호의 동기 : 거래적 동기 , 예비적 동기 , 투기적 동기

Page 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발행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하여형성된 투자자금을 전문운용회사가 운영하도록 맡기고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배분하는 펀드로 대표적인 것은 피델리티 마젤란펀드

Page 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3.7점 ]

Page 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미래의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현재 소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미래에 소비할 수 있는재화나 서비스가 줄어드는 것이다 .

따라서 돈의 수요가 늘어나고 금리는 올라가게 된다 .반대로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면

금리는 떨어진다 .

Page 1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외국보다 우리나라가 금리가 높으면 외국인이 예금을

우리나라 은행에 하게 되고 외국인의 예금이 우리나라에 많이 늘어나면 돈의 공급이 많아져서 금리는 떨어진다 .

Page 1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72 법칙

복리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숫자가 바로 '72' 이다 .

72 를 연평균 수익률로 나누면 원금이 2 배 늘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연평균 수익률 8% 를 유지할 수 있다면 9 년이 지나면 원금이 2 배가 된다 .

만일 수익성 좋은 상품을 이용하게 되어 연평균 수익률이 12% 라면 6 년 후에 원금이 2 배가 된다

복리는 지루하게 시간을 오랫동안 필요로 하고 ,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돌봐야 하는 재테크의 오래된 방법이다

Page 1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리볼빙 금리

리볼빙은 카드 결제금액을 자신의 경제 사정에 맞게 미리 정한 비율만큼 매월 나눠 낼 수 있는 제도다

리볼빙 금리의 일방적 인상은 금지되지만 장기 연체자나 상습 연체자에 대해서는 카드회사가 신용도를 평가해 금리를 올릴 수 있다

Page 1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저축을 많이 한다 .2.소비가 줄어 상품이 잘 팔리지 않는다 .3.받을 이자가 많아진다 .4.기업은 투자하려 하지 않는다 .5.경제가 나빠진다 .

Page 1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저축을 적게 한다 .2.소비가 늘어 상품이 잘 팔린다 .3.받을 이자가 적어진다 .4.기업은 투자에 관심을 갖는다 .5.경제가 활성화된다 .

Page 1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양도성예금증서 (CD)

은행이 자금조달을 위해 사용하는금융상품으로 사고팔수 있는 예금

통장으로 무기명식 통장으로 만기일에는 CD 를 갖고 있는 사람이 예금을

찾을 수 있다 .

▷ 환매조건부채권 ( 꼐 )

-보유하고 있는 우량채권등을 담보로일정기간 후 금융기관이 환매수 할

것을 조건으로 판매한 채권

Page 1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용돈 모아 마련한

100 만원을 내년 대학

등록금으로 쓰고 싶어

요 .

아르바이트로 돈

모아서 새 컴퓨터를 사고 싶어

요 .

언제든지 필요할 때 찾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

은행예금 정기적금 정기예금

Page 1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2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2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2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주택청약 저축 · 부금 · 예금

- 아파트를 분양받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자 지급과 함께 분양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

- 최근에는 청약저축 , 청약예금 , 청약부금이 통합된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출시되어 주택규모나 납입금액 등의 선택이

자유로워졌다 .

※ 주택청약종합저축

‘ 만능 청약통장’으로 불리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가장 큰 특징은

4.5% 의 파격적인 금리와 미성년자를 포함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고

기존의 청약저축과 달리 청약 이전에 희망주택규모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되어있다는 점이다 . 매월 납입금액은 2~50 만 원으로 5천 원 단위로 자유롭게 불입할 수 있

다 . 단 , 기존 청약저축 및 청약예금 , 청약부금 가입자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새로 가입해야 한다 .

Page 2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장기주택마련저축

- 자유적립식 장기저축상품으로 일전요건을 갖추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짐

- 주택구입이나 신축자금을 장기로 대출받을 수 있는 특별우대상품

- 만 18 세 이상 무주택자 또는 전용면적 85 평방미터 이하로 가입일

기준시가 3억 원 이하인 1주택 소유자로 세대주만 가입 가능

- 계약기간은 7년 이상 10 년 이내로 분기별 300 만 원 이내에서 1만 원 단위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으며 , 한도 내에서 여러 금융기관에 나누어

통장을 개설할 수 있음

- 확정 금리형 상품으로 , 7 년 이상 가입 시 비과세 혜택

▷ 연금저축

- 개인의 노후생활 및 장래의 생활안정을 목적으로 일정금액을

적립해 연금으로 원리금을 수령할 수 있는 장기 금융상품

- 소금공제혜택이 있으나 연금 수령 시 소득공제분과 연금 이자에 대해 세금

부과

▷ 교육보험

- 자녀가 학업을 마치고 경제적으로 독립할 때까지 연령에 따라 소정의

교육자금을 수혜할 수 있도록 부모가 자녀를 피보험자로 계약하는 상품

Page 2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통장 자동 대출약정 한도범위 내에서 입출금이 가능한 마이너스통장 대출

▷ 일반 자금 대출개인의 생활 안정을 위한 자금대출

▷ 가계 당좌 대출가계당좌예금 고객을 대상으로 약정한도 내에서 예금잔액 초과대출

▷ 주택 자금 대출주택의 신규취득 , 임차 , 증축 등에 소요되는자금대출

▷ 적금 관계 대출적금 한도 , 적금 만기 내 적금가입자를 위한 자금대출

Page 2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원금 균등 분할 상환방식대출원금을 대출기간으로 나누어 매월 일정금액을 상환하고 이자는 매월의 상환으로 줄어든 대출 원금의 잔액에 대하여 계산하는 방식

▷ 일시 상환 방식이자는 매월 , 원금은 만기 시 상환하는 방식

▷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방식원금과 이자의 합계 금액이 매월 일정한 상환 방식

Page 2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금융기관 방문 대출상담

2. 금융기관 의 대출 심사 후 승인

3. 대출증서 발행 및 대출자의 서명

4. 금융기관이 대출자의 통장에 대출금 입금

Page 2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돈의 사용용도의 확인

2. 본인의 대출 상환능력 확인

•빚은 남의돈 이므로 당연히 책임이 따른다 . 빚을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 빚은 ‘ 잘 쓰면 약 , 잘 못쓰면 독’이 될수 있다

Page 2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보험 성립의 요건보험 성립의 요건

11 우연한 사고의 존재우연한 사고의 존재 (( 발생여부발생여부 , , 시기시기 , ,

정도가 불확실한 것정도가 불확실한 것 ))

2 다수 경제 주체의 결합다수 경제 주체의 결합

3 사고발생률이 비교적 적을 것사고발생률이 비교적 적을 것 (( 대수의 법칙대수의 법칙 ))

4 사고발생 정도의 통계적 추정 가능사고발생 정도의 통계적 추정 가능(( 확률의 원리확률의 원리 ))

Page 2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저축과 보험저축과 보험

시간에 따른 저축과 보험의 차이시간에 따른 저축과 보험의 차이

가입 만기 가입가입 만기

목표금액 목표금액

적금 보험

Page 3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보장성 보험과 저축성 보험

보험 사고 발생시만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으로 ‘ 소멸형 보험’이라고함

보장성 보험

저축성 보험

보험 사고 발생시만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으로 ‘ 소멸형 보험’이라고함

사고가 났을 때는 당연히 보험금을 지급하고

만기가 되면 은행처럼 이자와 원금을 지급하는

보험 상품으로 보장성 보험 보다 보험료가 많다 .

Page 3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손해 보험과 생명 보험손해 보험과 생명 보험

물건이나 재산상의 손해를 주로 보상해 주는 보험 ‘ 물보험’ 아라고도 함

손해 보험

생명 보험

사람의 신체나 생명에 일어나는 위험을보상해 주는 보험

Page 3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생명보험의 종류생명보험의 종류

11 사망보험 사망보험 : : 피보험자가 사망한 경우에 피보험자가 사망한 경우에

보험금이 지급되는 전형적인 보장성 보험금이 지급되는 전형적인 보장성

보험으로 정기보험과 종신보험이 있다보험으로 정기보험과 종신보험이 있다 ..

2 생존보험 생존보험 : : 피보험자가 보험기간 만료시 까지 피보험자가 보험기간 만료시 까지 생존하는 경우에만 보험금이 지급되는 생존하는 경우에만 보험금이 지급되는 보험이나 사망 시 에도 별도의 사망보험금이 보험이나 사망 시 에도 별도의 사망보험금이 지급된다지급된다 ..

Page 3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생명보험의 종류생명보험의 종류

33 생사혼합보험 생사혼합보험 :: 일명 양로보험이라고 하며 일명 양로보험이라고 하며

생존보험의 저축기능과 사망보험의 생존보험의 저축기능과 사망보험의

보장기능을 겸비한 절충형 보험으로 보장기능을 겸비한 절충형 보험으로

생존보험과 사망보험의 장생존보험과 사망보험의 장 ,, 단점을 보완한 단점을 보완한

것것4 교육보험 교육보험 : : 자녀교육에 필요한 학자금등을 자녀교육에 필요한 학자금등을 일정 기간마다 지급 받을 수 있는 보험으로 일정 기간마다 지급 받을 수 있는 보험으로 부모 사망 시에는 보험료가 면제되고 자녀의 부모 사망 시에는 보험료가 면제되고 자녀의 양육비와 학자금이 지급됨양육비와 학자금이 지급됨 ..

Page 3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개개의 사고는 우연에 의하여 지배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는 발생의경향을 통계적 확률에 의하여 예측할 수 있다는 법칙 , 대수관찰 ( 大數觀察 , 대량관찰 ) 결과 나온 통계는 동일한 사정에 ,있는 다른 경우에도 거의 적용된다는 것 .

Page 3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생명보험계약의 순보험료는 수지상등의 원칙에 의하여 계산된다 . 수지상등의 원칙이란 보험계약에서 장래 수입되어질 순보험료의 현가의 총익이 장래 지출해야 할 보험금 현가의 총액과 같게되는 것을 말하며 , 여기에서 수지가 같아진다는 것은 다수의 동일연령의 피보험자가 같은 보험종류를 동시에 계약했을 때 보험기간 만료시에 수입과 지출이 균형이 잡혀지도록 순보험료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Page 3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국민 연금2. 건강 보험3. 고용 보험4. 산재 보험

Page 3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44 대 사회 보험대 사회 보험

11 국민 연금 국민 연금 :: 대한민국대한민국에서 보험의 원리를

도입하여 만든 사회보험의 일종으로

가입자 , 사용자 및 국가로부터 일정액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 노령연금 ,

유족연금 , 장애연금 등을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사회보장제도 ..

Page 3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44 대 사회 보험대 사회 보험

22건강 보험 건강 보험 :: 의료비용을 지불해주는 보험의 의료비용을 지불해주는 보험의

한 형태이다한 형태이다 . . 좀 더 넓은 의미로도 좀 더 넓은 의미로도 사용되는데 장애사용되는데 장애 , , 장기 요양 및 관리를 장기 요양 및 관리를 포함하기도 한다포함하기도 한다 . . 정부가 지원하는 정부가 지원하는 사회보험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 , 집단적으로 가입할 수도 있으며집단적으로 가입할 수도 있으며 (( 예예 : : 기업이 종업원에게 보험을 들어 줌기업이 종업원에게 보험을 들어 줌 ), ), 개인적으로 가입할 수도 있다개인적으로 가입할 수도 있다 . . 각 경우 각 경우 가입자 개인이나 단체는 보험료 또는 가입자 개인이나 단체는 보험료 또는 세금을 내어 불시에 닥친 높은 세금을 내어 불시에 닥친 높은 의료비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다의료비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다 . . 비슷한 효과를 정부가 제공하는 비슷한 효과를 정부가 제공하는 사회복지를 통해 실현할 있음사회복지를 통해 실현할 있음 ..

Page 3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44 대 사회 보험대 사회 보험

33 고용 보험 고용 보험 ::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실직근로자와 가족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실직근로자와 가족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실직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실직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 ,

고용보험의 목적은 실업예방고용보험의 목적은 실업예방 , , 고용 촉진고용 촉진 , ,

근로자의 직업능력 개발 및 향상근로자의 직업능력 개발 및 향상 , , 국가의 국가의

직업지도와 직업소개 기능을 강화하고 직업지도와 직업소개 기능을 강화하고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 생활에 필요한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 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지급하여 구직 활동을 촉진하여 자금을 지급하여 구직 활동을 촉진하여

경제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것경제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것 . .

Page 4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44 대 사회 보험대 사회 보험

44 산재 보험 산재 보험 : : 산업재해보상보험은 특히 산업재해보상보험은 특히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 발생한 사고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 발생한 사고의

결과 나타난 질병결과 나타난 질병 , , 장해장해 (( 대부분의 대부분의

사회보장법에서는 기존에 사회보장법에서는 기존에 "" 장해장해 "" 에에

서 서 "" 장애장애 "" 로 바꾸여 표현하고 있으나로 바꾸여 표현하고 있으나 , ,

산재보험법에서는 장해라는 개념을 그대로 산재보험법에서는 장해라는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유지하고 있다 .) .) 부상부상 ,, 사망을 보호하기 사망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생한 제도이다위하여 발생한 제도이다 ..

Page 4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사학 연금2. 공무원 연금3. 군인 연금4. 수출 보험과 농업재해 보험 등

Page 4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국가의 책임 하에 일정한 법령에따라 공공비용으로 경제적 보호를요구하는 자들에게 개인별 보호 필요에 따라 주게되는 최저한도의사회보장성 보상

Page 4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서로 다른 기능을 하나로 묶은 상품2. 급변하는 환경에 맞는 새로운 상품3. 수시입출기능에 보장기능을 합한 상품

Page 4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적립 보험료 중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운용실적에 따라 수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함으로써 보험금이 변동하는 보험상품

Page 4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투자 (investment investing)

정의 : 특정한 이득을 얻기위해 시간을 투입하거나 자본을 제공하능것

일정기간 동안 실물자산 ( 스톡 ) 의 증가분을 투자 혹은 자본형성이라함 .

조투자 : 기본자산의 감가상각을 포함한 투자 순투자 : ‘총자본 형성’을 포함하지 않는 투자 ,

‘ 순자본 형성’이라고도함 . 실물자본 : 고정자본인 기계설비 , 구축물과

유동자본인 원자재 , 재고품 . 설비투자 ,건설투자 , 재고투자

Page 4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투자와 저축투자와 저축

투자 위험과 기대 수익의 관계투자 위험과 기대 수익의 관계

경우 1

경우 2

경우 1 : 기대수익이 낮은 반면 위험이 낮음 (예금 )경우 2 : 기대수익이 높은 반면 위험이 높음 (주식 )

투자위험

기대수익

Page 4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4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4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5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어디에 투자할래어디에 투자할래 ??

지배의 원칙지배의 원칙 (dominance principle)(dominance principle)

투자위험

기대수익

BA

C

A,B,C 증권 중 어디에 ?

Page 5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수익률주식수익률

공식

투자금액배당배당수익률

배당수익률자본이득수익률투자금액

배당투자금액투자회수금액주식수익률

100)(

100-

Page 5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주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업내적요인 기업외적요인

경영성과 시장 점유율

경영자

기업 이미지

연구개발능력

재무구조

경기

통화량

금리

국민소득

물가

환율

Page 5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에대한수요증가

기업부문

민간부문

소비증대 투자증대

자금확보

수익성향상 주

주가와 국민소득 동반향상

Page 5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투자자 매입

기업부문

민간부문

자금확보 시설투자

자금확보

수익성향상 주

주가와 통화량 동반상승

Page 5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기업부문

민간부문

금리상승

자금조달감소

금리상승

설비투자감소 주

금리와 주가는 반비례

수익성악화

예금비중증가

주식수요 감소

Page 5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자금확보 시설투자 수익성향상

주가와 통화량 동반상승

환율인하( 평가절

상 )

수출감소수입증가

수익성악화

수익성향상수출증가수입감소

수익성향상환율인상( 평가절

하 )

주가하락주가하락

주가상승

Page 5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투자는 이렇게주식투자는 이렇게

11 여유자금을 투자하라여유자금을 투자하라 ..

2 숯을 먼저 보고 나무를 보아라숯을 먼저 보고 나무를 보아라 ..

3 달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달걀은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

4 주식과 결혼하지 마라주식과 결혼하지 마라 ..

5 밀집모자는 겨울에 사라밀집모자는 겨울에 사라 ..

6 생선의 꼬리와 머리는 고양이에게 줘라생선의 꼬리와 머리는 고양이에게 줘라 ..

7 사고 팔고는 놀아라사고 팔고는 놀아라 . . 쉬는 것도 투자다쉬는 것도 투자다 ..

Page 5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 매매주문 유형주식 매매주문 유형

11 지정가 주문 지정가 주문 : : 투자자가 종목투자자가 종목 , , 수량수량 ,, 및 및

가격을 지정하는 주문으로서 지정된 가격 가격을 지정하는 주문으로서 지정된 가격

또는 그보다 유리한 가격에 매매를 원하는 또는 그보다 유리한 가격에 매매를 원하는

주문 방식으로 대부분의 투자자가 주문 방식으로 대부분의 투자자가

활용하는 방식 활용하는 방식 22 시장가 주문 시장가 주문 : : 가격을 정하지 않고 현재 가격을 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원하는 수량이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원하는 수량이

체결되기를 바라는 주문 형식으로 대체로 체결되기를 바라는 주문 형식으로 대체로

시장이 종료되기 직전에 지정가에서 시장이 종료되기 직전에 지정가에서

전환함전환함 ..

Page 5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매매 호가가격단위주식매매 호가가격단위

정의 정의 : : 매매거래를 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매매거래를 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가격으로 주가의 가격에 따라 다르다가격으로 주가의 가격에 따라 다르다 ,,

구분 호가가격단위유가증

권코스닥 프리보드

5,000 원 미만 5 원 5 원 5 원5,000 원 이상 -10,000 원 미만 10 원 10 원 10 원

10,000 원 이상 -50,000 원 미만

50 원 50 원 50 원

50,000 원 이상 -100,000 원 미만

100 원 100원

100 원

100,000 원 이상 -500,000 원 미만

500 원 100원

500 원

500,000 원 이상 1,000원

100원

1,000원

Page 6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이유 2. 기업과 주식시장의 체질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이유 1. 저금리 경향 때문에

이유 3. 장기투자 저변 인구의 확대 때문에

이유 4. 자산관리 서비스가 확산되었기 때문에

Page 6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예금 , 주식 ·채권 구매 = 투자 ?

저축

대부자금시장공급형성

자금

투자활동

* 차이점• 가계의 투자 목적 : 소득 증대 , 자산가치의 향상

• 기업의 투자 목적 : 생산을 통해 이윤을 증대

Page 6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저축을 하는 이유

1. 개인적으로 미래의 필요에 대비하기 위해

2. 갖고는 싶지만 당장은 돈이 없어 살 수 없는 상품들을 사기 위해3. 인생의 어느 시점에 반드시 필요한 돈을 준비하기 위해 4.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비

Page 6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장점 – 원금과 이자의 손실이 없다 .

• 단점 – 투자처럼 높은 수익을 얻기 어렵다 .• “ 동일한 종류의 위험을 지닌 사람들이

평소에 기금을 적립하여만약의 사고에 대비한다 .”는 보험 원리를 이용하여예금자를 보호하는 제도 .

• 은행이 파산한다 해도 은행당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1인당 최고 5 천만 원까지 보장

Page 6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Inflation)(Inflation)

물가는 계속 올라가고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 현상 . 다른 말로 ‘ 물가상승’ 이라고도 함 . 은행의 상품은 안전한 대신 인플레이션 위험에는 노출되어 있음

Page 6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시장 수익률의 변동에 따라 개별종목의수익률이 변하는 것

• 주식시장 전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의해 발생하는 위험

Ex) 경기 , 금리 , 환율 , 원자재가격

• 투자자가 개별적으로회피할 수 없는 위험

※ 투자 위험 – 투자 당시 기대했던 수익이 실현되지 않을 가능성을 말함

Page 6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투자의 위험의 종류투자의 위험의 종류

11 체계적 위험 체계적 위험 : :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남북관계의 긴장남북관계의 긴장 , , 정부금융정책의 변화정부금융정책의 변화 , ,

환율 등 경제상황 급변환율 등 경제상황 급변 . . 투자자 개인이 투자자 개인이

피할 수 없음피할 수 없음

2 비 체계적 위험 비 체계적 위험 : : 노사분규노사분규 , , 회계부정회계부정 , , 소송 소송 등과 같이 일부 특정기업에만 영향을 미치는 등과 같이 일부 특정기업에만 영향을 미치는 위험위험 . . 투자대상기업을 잘 선택하면 위험을 투자대상기업을 잘 선택하면 위험을 피 할 수 있음피 할 수 있음

Page 6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시장 전반의 움직임에 관계없이특정한 개별 투자종목에 한정된 위험

• 시장 전체의 변동과 관계없는 위험Ex) 노사문제 , 특허이용 , 광고 캠페인 ,소비자의 반응 , 소송 , 기업이미지 등

• 분산 가능 위험

※ 분산투자

-투자에서 오는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군데로 나누어서 하는 투자

-종목의 분산 , 지역의 분산 , 시간의 분산투자

Page 6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기업의 가치 기업의 가치 : : 주식은 기업의 성적표주식은 기업의 성적표

11 자산가치 자산가치 : :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금으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자금으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

2 수익가치 수익가치 : : 현재 기업이 돈을 얼마를 벌고 현재 기업이 돈을 얼마를 벌고 미래에는 얼마를 벌 수 있는가로 평가하는 미래에는 얼마를 벌 수 있는가로 평가하는 가치가치

3 무형가치 무형가치 : :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의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의 버팀목으로 최고경영자의 능력버팀목으로 최고경영자의 능력 , , 기업 기업 이미지 등을 평가하는 가치이미지 등을 평가하는 가치

Page 6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자산 가치 수익 가치 무형 가치

기업의 가치

유능한

사장영입

이미지세신

수출확대

외화증가

원화가치

나 사장

부지매입

공장확장

Page 7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실물자산동산 귀금속 , 예술품

부동산 주택 , 아파트 , 토지

금융자산

저축상품 예금 , 적금

투자상품 주식 , 채권

보험 , 연금 보험 , 연금

Page 7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주식회사 : 상법상 최소 5,000 만원 이상의 자본금과 이를 동일한 액면가를 가진 주식으로 주주들에게 배분한 회사 . 소상인과 소기업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최저 자본금 1,000 원 이상이면 주식회사로 상업등기 할 수 있다 .

2. 주식 : 회사의 주인이 되었다는 권리를 표시하는 증서

3. 배당 : 주식회사가 매년 벌어들인 수익에 대하여 소유하고 있는 주식수 만큼 수익을 받는 것 .

4. 시세차익 : 주식을 살 때와 팔 때의 금액의 차이

5. 주주 평등의 원칙 : 주식의 내용은 모두 평등하며 그 권리는 주식의 수에 비례한다 .

Page 7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보통주 [common stock, 普通株 ]

우선주 , 후배주 , 혼합주 등과 같이 특별한 권리내용이 없는 보통의 주식을 말함 . 일반적으로 주식이라 하면보통주를 말하는 것이며 단일종의 주식만이 발행된 때에는 이 명칭을 붙일 필요가 없다 .

2. 우선주 [ preferred stock, 優先株 ]

기업에 이익이 발생할 경우 우선적으로 배당을 받을 권리는 있으나 ‘의결권’이 없다 . 그러므로 주주총회에 참석해서 의견을 말 할 수도 없다 . 만약 이익이 없으면 배당도 없다 . 보통주에 비하여 가격이 낮은 편인 주식을 말한다 .

Page 7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3. 실권주 [ 失權株 , forfeited shares]

신주 인수권자가 청약 기일까지 청약하지 아니하거나 청약 후 납입일에 돈을 내지 아니하여 인수되지 않은 주식.

4. 공모주 [ 公募株 ]

일반에게 널리 투자할 사람을 구하여 발행하는 주식.

Page 7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1. 매매거래의 절차

매매거래계좌개설

매매주문

주문전달

매매체결

매매결과 보고

매매결과 통보

결제

명의개서

증권회사

한국거래소

증권회사

명의개서대행기관

시작

완료

Page 7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1) 증권계좌 개설

1. 매매위탁 증권회사 선택

2. 매매거래계좌 설정계약 : 도장 ( 또는 서명 ), 주민등록증 , 현금 ( 또는 유가증권 ), 소정의 양식 작성

3. 통장과 증권카드 발급 : 홈트레이딩 신청하면 매매거래가 자유롭고 증권회사의 가상계좌로 입출금도 자유로움

2) 매매주문 및 결제

1. 주문의 유형 : 지정가 주문 , 시장가 주문 , 조건부지정가 주문 , 최유리지정가주문 , 최우선지정가 주문

2. 매매거래일 및 시간 : 월 - 금 , 정규시장 : 09;00-15:00, 시간외시장 : 07:30-08:30 과 15:10-18:00

Page 7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2) 매매주문 및 결제

3. 매매수량 단위 : 유가증권시장은 최소 10 주 단위 , 코스닥과 프리보드 시장은 1 주 , 다만 유가증권시장도 ETF 와 5 만원 이상주식은 1 주 단위 , 시간외시장도 1 주 단위

단주 (odd lot) : 거래소에서 규정한 매매수량단위에 미치치 못하는 주식으로 유 ,무상증자에 따른 주식발행이나 주식배당 , 자본감소에 따른 주식 병합을 할 때 생긴다 . 따라서 단주는 정규시장이 아닌 시간외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합니다 .

Page 7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2) 매매주문 및 결제

4. 위탁증거금 : 일반적인 거래에서 계약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한 계약금 . 프리보드는 100% 납입 .

5. 한국예탁결제원 : 증권거래시 거래되는 유가증권을 거래자간에 직접 수수하는 대신 , 집중적으로 예탁받아 구좌가 설정된 자들 상호간에 계좌를 증심으로 대체결제를 해주는 것을 주요업무로 하는 기관 .

매매결제는 계약체결일 포함하여 3 일 이내 ( 보통거래 방식 기준 )

6. 명의개서 : 주식을 사면 발행회사의 주주명부에 주소 , 이름을 기입하는 절차 . 명의개서대행회사 : 한국예탁결제원 , 국민은행 , 하나은행

Page 7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2. 매매계약의 체결방법

1. 매매계약의 체결 방법 : 상대매매 ( 매매쌍방 이 1 인 경우 ) , 입찰매매 ( 매매쌍방 중 일방은 다수이고 상대방이 1 인 경우 ), 경쟁매매 ( 매매쌍방이 다수인 경우 )

집단경쟁매매 : 매도 , 매수측 회원의 시장대리인이 모여 거래소 직원의 지시에 따라 각 시장 대리인간에 공개적으로 손짓 및 발성에 의하여 가격과 수량의 경합을 거쳐 매매계약을 체결시키는 방식 .

개별경쟁매매 : 증권시장에서 채택하고있는 방식으로 거래소에서 다수의 호가간에 신속하고 유리한 가격에 매매체결을 하는 방식으로 가격우선의 원칙 , 시간우선의 원칙 , 위탁매매우선의 원칙 , 수량우선의 원칙의 순서로 진행

Page 7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2. 매매계약의 체결방법

2. 단일가 매매 : 일정한 시간동안 접수한 호가를 하나의 가격으로 매매체결하는 방식 . 장개시 시점의 최초가격 ( 시가 ), 시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정지된 후 재개시 최초가격 , 매매거래중단후 재개시 최초가격 , 장종료시 가격 ( 종가 ) 등의 결정시에 적용 시가는 08:00-09:00, 종가는 14:50-15:00 에 내는 호가를 모아서 단일가격으로 체결

3. 접속매매 : 09:00-14:50까지 가격에 맞는 호가를 체결 순서에 따라 거래를 성사시키는 매매방식으로 복수가격이 형성될수도 있으며 거래가 지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접속매매라 함 .

Page 8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증권투자의 절차 및 매매제도

2. 매매거래의 관리

1. 가격제한폭 : 하루 중 상승할 수 있는 최고의 가격 (상한가 ) 와 하락할 수있는 최저가격 ( 하한가 ) 를 가격제한폭이라하고 현재 유가증권시장과코그닥시장은 상하 15%, 프리보드는 상하 30% 이다 .

2. 투자경고 ( 위험 ) 종목 : 주가가 단시간에 급등하는 경우 지정하고 투자경고종목의 위탁증거금은 100% 징수하고 신규의 신용거래는 불허한다 .

3. 관리종목 :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는 종목의 경우 별도 관리를 통해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 시키기 위한 제도로 지정기준은 사업보고서 미제출 , 영업활동 정지 , 자본금 잠식 , 주식분산 기준 미달 , 거래량 , 주가 및 시가총액 일정수준 미달 등 이 있다 .

Page 8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시세표 보는법

1. 주가지수

1. 지수 (index) : 어떤 경제현상이나 상품의 가격변동 상황을 기준시점과 대비하여 나타내는 지표로 물가지수 , 임금지수 , 생산지수 , 출하지수 , 재고지수 , 소비지수 , 고용지수 , 주가지수 등 이 있다 .

2. 주가지수

1) 코스피지수 : 1980 년 1 월 4 일의 유가증권시장의 전종목 시가총액을 100포인트 하여 비교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하여 산출한 주가지수

2) 기타주가지수 : KRX 100, KOSPI 200, KOSDAQ, KOSTAR, 섹터지수 등

Page 8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시세표 표기방식

1.종가 : 시장 폐장 전 10 분 동안의 단일가 매매에서 결정된 가격으로 익일 가격의 등 , 하락폭 및 상 ,하한가를 결정하는 기준이다 .

2.시가 : 거래 당일의 개장가격으로 ‘ 시초가’라고도 함 . 매매시작 전 1 시간 동안의 단일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 ( 동시호가 ) 에 의해 체결된 가격

3.고가 , 저가 : 거래 당일 체결가격 중에서 최고가와 최저가를 말함 . 고가와 저가의 차를 일일 변동성이라 함

4.전일비 : 오늘 가격이 어제의 종가와 비교한 가격으로 상승은 , 하락은 , 상한가는 하한가는 로 나타낸다 .

Page 8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시세표 표기방식

5. 거래량 : 하루 동안에 매입 또는 매도된 총주식수를 표시하는데 이때의 단위가 주식시세표마다 다름으로 주의 할 것 .

6. 최고가 , 최저가 : 증권시장지에서는 주가가 1 년 동안 최고가와 최저가가 얼마였는지를 나타내는데 주식시세표마다 측정기간이 다를 수 있다 . 대체로 증권시장지는 당해년도의 1 월 4 일 부터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나타낸다 .

Page 8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주식시세표 에 나오는 용어1. 기세 : 매매계약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의 호가로서 직전시세에 비하여 가장 낮은 매도호가 또는 가장 높은 매수 호가를 의미함 . 즉 매도주문 만일 때는 가장 낮은 호가를 , 매수주문 만일 때는 가장 높은 호가를 기세가격이라 함 .

2. 투자경고 /위험종목 : 과거에는 감리종목이라 하였는데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한 경우 이를 시장참가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해당종목의 투자에 신중을 기하도록 지정하는 것 .

3. 배당락 : 주식회사의 사업연도가 종료되면 순이익 중에서 일부를 주주에게 배당을 주는 데 배당 받을 주주가 확정되면 그 다음 날부터 주식을 매입한 자는 배당 자격이 없다 . 그러므로 주식가격이 하락함을 의미함

4. 권리락 : 주식회사가 유 , 무상증자를 하는 경우 신주인수권을 받을 권리가 소멸됨을 조건으로 하는 매매임을 주지시키는 시장조치로 신주인수권이 없어진 새로운 가격이 형성된다 .

Page 8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파생상품의 개념1.파생상품은 기업이나 투자자가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출현하게 된 금융상품

2.파생상품은 곡물 ( 옥수수 , 쌀 등 ), 원유 , 주식 , 채권 등의 가격 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는 일종의 금융상품

3.파생상품 : 선물 (futures), 옵션 (option), 스왑(swap)

1) 선물 : 미래의 특정 시점에 인도될 상품을 거래하는 시장 . 한국의 경우 1996 년 5 월 3 일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주가지수선물의 거래가 시작되었고 , 1999 년 4 월 23 일 부산광역시에 한국선물거래소가 개장되었다 . 한국선물거래소에서는 미국달러 통화선물 ·CD 금리선물 · 금선물 및 미국달러 통화옵션 등이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으며 , 1999 년 9월부터는 국고채금리선물도 거래되고 있음 .

Page 8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파생상품의 개념

2) 옵션 (option) : 파생 상품의 일종이며 , 미리 결정된 기간 안에 특정 상품을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 이러한 권리는 특정 금융 상품을 정해진 가격에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매입 옵션 (call option) 과 ,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매도 옵션 (put option) 으로 나뉜다 .

3) 스왑거래 : 외국환 거래에서 같은 금액의 현물환과 선물환을 사고파는 일 . 예를 들면 , 상대편에게 1,000 원의 현물환을 팔면 1,000 원의 선물환을 그에게 사는 거래이다 . Swap 는 교환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

Page 8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의 개념과 이해

1.개념 : 일반적인 거래인 현물거래와 다르게 현재시점에서 계약하고 미래 일정시점에서 대상물품을 인수하고 대금을 결재하는 거래로 상대방 중 일방이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위험 때문에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를 한다 .

2.유래

1)최초의 선물거래 : 17 세기경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 시절 지방 제수들에 의해 거래

2)현대의 최초 선물거래 : 1848 년 시카고의 상품거래소에서 커피와 곡물을 대상으로 선물거래 함

3)우리나라의 경우 : 밭떼기

Page 8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 의 손익

0 0

손익

손익

선물 매입의 손익 선물 매도의 손익

선물거래에서는 매도와 매입의 손익은 서로 반비례한다 .

Page 8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의 특징 1.청산소의 존재 :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에 제 3 자가

개입하여 거래상대방이 되어주는데 이런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을 말함 . 거래상대방이 계약이행에 대하여 안심하고 매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우리나라의 청산소의 기능은 한국거래소가 수행하고 있다 .

2.증거금 제도 : 계약불이행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래소가 매매 당사자로 하여금 계약과 동시에 납부하도록 하는 일정비율의 보증금 . 주식상품 (15%), 기타 선물거래상품 (10%) 이다 .

레버리지 효과 : 현물로 금을 1kg 에 1,000 만원에 매입하였고 , 선물로 1 계약당 1,000 만원 하는 금을 10 계약 매입하였다고 가정하자 , 소요비용은 서로 같으나 1 개월 후에 금값이 1kg 에 1,050만원 이면 현물

Page 9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의 특징 레버리지 효과 (leverage effect) : 현물로 금을

1kg 에 1,000 만원에 매입하였고 , 선물로 1계약당 1,000 만원 하는 금을 10 계약 매입하였다고 가정하자 , 소요비용은 서로 같으나 1 개월 후에 금값이 1kg 에 1,050 만원 이면 현물매입은 50 만원 으로 5% 의 이익이 발생되지만 , 선물매입은 500 만원으로 50% 의 이익이 발생된다 . 만약 금값이 하락하면 선물 매입은 현물매입보다 10 배의 손해를 끼치는 위험도 있다 . 이런 효과를 레버리지 효과라 한다 .

증거금의 종류 : 개시증거금 , 유지증거금 , 추가증거금

3. 일일정산제도 : 당일 장 마감 후 종가를 기준으로 모든 참여자의 이익과 손실을 정산 후 추가증거금의 납부여부를 판단

Page 9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의 기능 1.가격변동의 위험관리 : 자신의 위험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과 이익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거래상대방도 무조건 손해는 아님 .

2. 가격예시 : 미래에 물건을 주고받는 것이므로 미래의 가격이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단계 . 선물가격은 미래의 시장의 가격을 판단하는 근거로 삼기도 함 .

3.새로운 투자수단 : 낮은 투자금으로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선물거래는 고위험 - 고수익 (High Risk-High Return) 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새로운 투자수단으로 제공

Page 9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의 유형

1.헤지거래자 : 위험전가가 목적인 투자자 . 가격의 등락에서 초래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미래의 상품을 미리 사거나 자신이 소유하거나 소유하게 될 상품을 미리 파는 선물계약을 하는 사람 .

2.투기거래자 : 선물시장에서 가격변동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자기책임하에 선물을 매매하여 시세차익을 얻으려는 사람 .

3.차익거래자 : 현물과 선물간에 일시적인 가격차이가 발생했을 때 이익을 취하기 위하여 현물과 선물을 동시에 거래하는 투자자 .

Page 9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옵션거래의 개념과 유래1.개념 : 특정일자에 서로 약정한 가격으로

대상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것

예 ) 현재거래가격이 10 만원인 금반지를 1 년 후에 9 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가 매매되면 이러한 옵션을 매입했다고 한다 . 현재의 옵션의 가치는 최소 1만원의 가치가 있고 만약 1 년 후 에 금반지 가격이 15 만원이라면 9 만원에 사는 옵션의 권리를 행사할 것 이며 , 반면에 6 만원으로 하락했다면 9만원에 사는 옵션의 권리를 포기하게 된다 .

2. 유래 : 1630 년대 네덜란드의 튤립 투기 붐시기 . 우리나라는 1997 년 7 월 7 일 KOSPI 200주가지수 옵션이 처음 도입 .

Page 9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옵션거래 관련 용어

1.거래대상

1)상품옵션 : 곡물 , 금 , 은 등과 같은 일반상품

2)금융옵션 : 주식 , 채권 , 주가지수 , 통화 등의 금융상품

2. 만기 미래의 일정 시점에서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인데 이 시점을 옵션의 만기일 이라 함 . 만기 까지 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옵션의 효력이 상실됨 .

3. 행사가격 : 거래대상이 되는 자산을 살수 있는 미리 정해진 가격

4. 프리미엄 : 옵션을 보유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대가 .

Page 9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선물거래와 옵션거래의 차이점

구분 선물거래 옵션거래

거래대상 대상 자산 자체 대상 자산을 매수 ,매도할 수 있는 권리

권리 ,의무

매수자와 매도자에게 권리 , 의무 동시부과

매수자는 권리만 매도자는 의무만 부과

증거금납부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납부

매도자만 납부 매수자는 프리미엄 지급

위험부담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무한정 위험

매수자는 프리미엄에 한정 , 매도자는 무한정

Page 9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콜옵션 (call option) : 살 수 있는 권리

2.풋옵션 (put option) : 팔 수 있는 권리

미국식 옵션 : 옵션을 구매한 시점부터 옵션계약이 끝나는 날까지 언제든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

유럽식 옵션 : 옵션계약이 끝나는 날에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으로 우리나라는 대부분 유럽식 옵션을 활용

Page 9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스왑 거래는 외환시장에서 거래 두 당사자가 같거나 서로 다른 두 통화를 대상으로 현물환거래와 선물환거래를 동시에 체결하고 미래의 일정시점에 양국 통화간의 금리차에 해당하는 이자지급 또는 원금을 상호 교환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 즉 사전에 정해진 가격 및 기간에 둘 이상의 당사자가 보다 유리하게 자금조달을 조달하기 위해 상호간에 부채를 교환함으로써 위험을 회피하려는 금융기법이다 .

Page 9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이런 스왑 거래는 금융시장의 세계적인 통합화 , 금융의 증권화 및 장부 외 거래의 진전에 따라 활발한 양상으로 보이고 있는데 , 환율 및 금리변동에 따른 기업의 차입비용을 절감하는 헤지 수단을 제공하는 기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 스왑 거래는 1980 년대 초 도입된 일 단기간에 자산에 부패의 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발전하였다 . 오늘날 유러 시장에서 조달되는 자금의 60% 이상의 스왑 거래로 이루어지고 있다 .

Page 9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스왑 거래에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다 .1) 금리 스왑 : 두 당사자가 원금의 교환없이 동일한 통화이자 지금만을 서로 교환하는 거래로서 쿠폰 스왑이라고도 한다 . 가장일반적인 금리 스왑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교환이다 .

2) 베이시스 스왑 : 금리 스왑의 변형된 형태로서 동일 통화의 두 번 동금리 채무의 이자지급을 교환하는 것으로 인덱스 스왑이라고도 한다 . 예를 들면 미국의 프라임 레이트와 유러달러 리보의 이자지급을 서로 교환하는 것이다 .

Page 10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3) 통화 스왑 : 일반적인 통화 스왑은 거래 두 당사자가 서로 다른 두 통화의 원금을 계약시의 환율로 교환하고 일정한 계약기간 동안 두 통화의 고정금리 지급을 교환한 후에 만기에 대시 원금을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 예를 들면 월드 뱅크의 양키본드 시장에서 달러 표시 본드를 발행하고 IBM 에서 스위스 본드 시장에서 스위스 프랑 본드를 발행한 다음 서로 원리금의 지급을 교환함으로써 양자가 모두 차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Page 10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4) 크로스 통화 : 금리 스왑은 금리 스왑과 통화 스왑이 혼합된 것을 말한다 . 즉 서로 다른 두 통화의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채무의 원금과 이자의 지급을 교환하는 것이다 . 유러본드 신규 차이에 가장 흔히 이용되고 있다 .

5) 자산 스왑은 두 투자자가 투자수익의 흐름을 서로 교환하는 것을 말하며 자산 스왑은 이미 네가지 스왑 형태 중 어느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

Page 10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지방채

지방 공공단체가 지방재정법에 의거하여 발행하는 채권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신용도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짐 . 도시철도공채 (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지역개발공채 , 도로공채등이 있다 .

2. 특수채

한국전력주식회사나 토지개발공사 등과 같이 특별한 법률에 의하여 설립된 기관이 발행한 채권

Page 10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3. 금융채

특별법에 의하여설립된 한국산업은행 , 한국은행 , 중소기업은행 등의 특수 금융기관이 정기 대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채권으로 특수채의 일종임 .4. 국채 [government bond, 國債 ]

국가에서 세입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 외국에서 발행하는 경우를 외국채라고 하며 , 국내에서 발행하는 것을 내국채라고 한다 . 용도에 따라서 적자 ( 赤字 ) 국채 , 건설국채 , 군사국채 ( 군사비 조달을 위한 것 ) 등으로 나누어진다 . 또한 국고의 자금융통을 일시적으로 원활케 하기 위해 발행하는 단기국채 , 장기재원의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장기국채로도 나뉘어진다 .

Page 10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구분 주식 채권이익분배 회사의 이익 및 배당

정책에 따라 주주총회의 승인 하에 임의 지급

영업실적과 관계없이 약정 이자를 지급

조달 자금의 성격

회사의 자본이 된다 . 회사의 부채가 된다 .

원금 상환 유무

원금 상환이 없다 . 만기가 되면 원금이 지급 된다 .

경영 참여 여부

의결권이 있는 주식의 경우 그에 비래한 경영 참여를 한다 .

경영권과는 무관하다 .

안전성 주식시장의 상황에 따라 이익과 손해가 모두 존재한다

원리금이 확정되어있어 회사가 파산하지 않으면 안정적이다 .

Page 10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전환사채 [convertible bond ; CB, 轉換社債 ]

일정한 조건 아래 발행 회사의 보통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사채. 잠재적인 주식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회사의 자금 조달을 쉽게 하며, 투자자에게는 수익성과 기업에의 참가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이점을 부여함으로써 투자 유인 ( 誘引 ) 을 제공한다 .

1) 해외전환사채 [ 海外轉換社債 ] 해외 증권 시장을 통하여 초기에 사채로 발행되나 일정 기간 뒤에 일정한 조건에 따라 발행 회사의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사채 .

2) 전환사채투자신탁 [ 轉換社債投資信託 ] 전환 사채를 중심으로 공사채 및 전환

Page 10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채권

주식

CB 투자 수익 구조장내 매수

공모를 통해

CB 투자

약속된 채권금리 확보

매매차익 ( 실거래가 - 전환가 ) 발생휴지조각으로 전락

주식전환시

만기보유시

회사가 망하면

Page 10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2. 신주인수권부사채 [BW ; 新株引受權附社債 ]

회사채 형식으로 발행되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주식을 청구할 수 있는 사채 . 주식 , 채권 , 외환 등의 정해진 수량을 약정한 값에 매매할 수 있는 권리를 워런트라고 하는데 , 발행기업의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워런트가 붙은 사채 , 곧 신주인수권부 사채라 한다 .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대개 고정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채권과 주식인수권리가 따로 매매될 수 있다 . 워런트 소지자가 주식을 요구할 경우 대개 신주를 발행 , 건네주는 게 일반적이다 . 투자자들은 발행기업의 주가가 약정된 매입가를 웃돌면 워런트를 행사해 차익을 얻을 수 있다 . 그렇지 않으면 워런트를 포기하면 된다 . 채권 부분의 고정금리를 확보하며 주식의 시세차익도 가능한 것이다 .

Page 10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채권을 일정기간 후 일정금액으로 되 사줄 것을 조 건으로 고객에게 판매하는 채권 .2. 고객과 금융기관이 이자와 기간을 사전에 약정하고 계약에 따라 지급일에 정해진 이자를 고객에게 지급하는 거래 .

3. 기간에 따라 4.8%~5%초반까지 금리 차이가 있으며 단기에 쓸 목돈을 잠시 예치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면 좋음 .

환매조건부채권 (=RP) 의 종류① 수시입출금식 RP - 은행의 일반 예금통장처럼 수시로 입출금이 자유로움② 약정식 RP - 은행의 정기예금과 비슷한 상품으로 3 일에서 1 년까지 자유롭게 기간을 설정할 수 있음

Page 10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환매조건부채권 (=RP) 의 장점① 안정성이 높다 ( 확정금리 & 안정성이 가장 높은 국공채나 AAA 이상의 금융채 및 회사채에 투자 &

판매하는 금융회사에서 재매입을 보장 )②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고 중도해지가 언제든지 가능하다③ 최소 가입금액에 대한 규정 없이 대부분의 금융기관에서 소액으로도 가입 가능하다

※ 주의할 점약정식 RP 의 경우 펀드처럼 중도 환매수수료가 있다 .예를 들어 약정기간의 50% 를 채우지 못했을 경우 약정이율의 30% 만 지급되기도 하는 것 !

따라서 중도 환매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이율이 약간 낮더라도 수시입출금식으로 가입하는 것이 좋다 .

Page 11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부동산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뮤추얼펀드 . 리츠는 증권의 뮤추얼펀드와 같이 전문 펀드매니저들이 일반인과 기관 투자가들의 돈을 모아 펀드를 구성 , 부동산에 투자해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되돌려준다 . 일반인들이 리츠 투자를 하는 방법에는 펀드 공모에 직접 참여하거나 , 펀드가 증시에 상장된 후 거래중인 주식을 매입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공모에 참여할 경우 저렴하게 주식을 사기 때문에 증시 상장 후에 주가가 오르면 상당한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 하지만 펀드를 잘못 사면 투자원금을 손해 볼 수도 있다 . 리츠 공모에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은 증시에서 거래되는 리츠 주식을 매입하는 방식을 통해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다 . 리츠는 투자대상이 부동산이기 때문에 원금 손실 가능성이 적으면서도 안정적인 배당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 또 리츠는 이익금의 90% 이상을 배당금으로 주주들에게 돌려주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은행예금이나 채권처럼 고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

Page 11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직접투자

유동성 자산주식채권

증권 투자

투자 수익

Page 11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간접투자

유동성 자산주식

채권

입금

수익증권

출금

증권투자

수익증권

투자수익

Page 11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펀드 (Fund)

우리 말로는 기금 ( 基金 ) 이란 뜻으로 투자전문기관이 여러 사람으로부터 돈을 모아 증권이나 채권에 투자를 하고 여기서 올린 수익을 다시 투자자에게 투자액의 비율에 따라 나눠주는 것 . 투자신탁회사 영업점 창구에 가면 누구라도 이런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 주식을 그냥 사고파는 직접투자와 대비되는 간접투자방식의 전형적인 예이다 .

Page 11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자산운용회사

투자할 돈은 있지만 전문지식 부족이거나 직접투자가 힘든 사람들의 돈을 펀드 판매로 기금을 모아서 그 자산을 운용하는 업무를 행하는 자로서 증권 투자법 제 33 조 제 1 항의 규정에 의하여 금융감독위원회에 등록한 자를 말한다 . 자본금 70 억 이상 , 운용전문인력 5 인 이상 , 임원 선임 시 결격사유 미 해당 및 재무 건전성요건을 충족시킨 뒤 금융감독위원회에 등록을 해야 한다 .

Page 11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구분 간접투자 직접투자투자 자금 거액의 공동 투자 소액의 개인투자

자산운용주체

펀드 매니저 투자자 본인

투자결과에 대한 책임

투자자 본인 투자자 본인

투자 및 거래 비용

공동투자로 비용절감 상대적으로 싸다 .

포트폴리오 다수 종목 분산 투자 소수 종목 집중 투자

위험 관리 체계적 위험관리 위험관리 취약

Page 11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채권형

혼합형

주식형

투자위험 고저

기대수익률

Page 11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목적에 따른 주요 금융상품저축목적 주요상품

목돈마련 자유적금 , 정기적금 , 가계우대정기적금

주택자금 마련

주택청약예금 , 주택청약부금 , 주택청약저축 , 장기주택마련저축 등

노후생활 자금마련

연금보험 , 연금저축 , 역모기지론 등

목돈 늘리기 정기예금 , 수익증권 , 뮤추얼펀드 , 변액보험 등

생활 안정성 확보

생명보험 , 상해보험 , 질병보험 ( 암보험 등 ), 손해보험 등

Page 11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Q : 펀드와 수익증권은 어떻게 다른가요 ?A : 펀드와 수익증권은 비슷한 말이지만 펀드가 수익증권보다 더 큰 개념이다 . 수익증권도 펀드이지만 계약형 펀드 ( 투자신탁 ) 를 수익증권이라고 하고 회사형 펀드는 뮤추얼 펀드라고 한다 .

Page 11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2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투자금의 상당금액을 안전한 채권에 투자하고 거기서 발생하는 이자와 투자금 일부만을 고수익을 기대하는 곳에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위험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는 상품

•원금보장형은 원금은 보장하지만 예상수익률이 낮기 때문에 보수적이거나 안정적인 투자자가 선호하고 있으며 , 원금비보장형은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대신 기초자산 가격의 변동에 따라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공격적인 투자자에게 적합

주가지수연동 증권

(ELS : Equity Linked

Securities)

•ELS 에 투자하는 펀드로 , ELS 가 증권사 상품인데 반해 ELF 는 자산운용사 상품으로 은행에서도 판매된다는 점과 주식매매차익이 비과세 된다는 차이가 있음

•채권투자를 통해 원금을 보전하고 나머지는 지수에 연동된 파생상품에 투자해 추가 수익을 내는 구조

주가지수연동 펀드

(ELF : Equity Linked Fund)

•투자원금을 정기예금 등의 안전한 자산에 운용해서 만기 시 원금을 보장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예금이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통해 주가지수 움직임에 연동한 파생상품에 투자하여 고수익을 추구하는 상품

•중도해지 시 중도 해지 이율을 적용하여 산정된 금액에서 중도 해지수수료를 차감한 후 지급하거나 무이자인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

주가지수연동 예금

(ELD : Equity Linked

Deposit)

Page 12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2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2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경영참가목적이 아닌 증권투자를 가리킨다 . 이에 반하여 경영참가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를 직접투자라고 한다 .

2.“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 는 증시 격언과 비슷한 의미이며 위험을 분산하는 이론으로 유명한 것이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이다 . 어느 특정 종목에 집중투자를 하는 것보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투자하는 것이 수익률과 투자위험을 고려할 때 장점이 있으며 , 포트폴리오는 서로 다른 기대 수익률과 분산을 가진 개별 주식의 집합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 결국 포트폴리오는 위험을 분산하여 투자손실을 최소화하고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매매전략이다 .

Page 12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1 선물거래 : 미래의 특정시점 ( 만기일 ) 에 수량 · 규격이 표준화된 상품이나 금융 자산을 ( 외환 , CD, 국채 등 ) 을 특정가격에 인수 혹은 인도할 것을 약정하는 거래이다 . 이러한 선물거래는 공인된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며 현시점에 합의된 가격( 선물가격 ) 으로 미래에 상품을 인수 혹은 인도하는 것 .

우리나라 선물 거래소 : 국채 , 옵션 , CD, 증권금리 , 주가지수 , 달러 , 금 등 거래

2. 현물거래 : 현물이란 매매계약 성립 시에 이미 존재하는 상품을 가리킨다 . 실물거래라고도 하며 , 매매 쌍방은 결제일 당일에 각각의 거래 대상물을 상대방에게 건네주도록 되어 있다 . 현물거래는 2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 계약 즉시 현물을 인도하는 직거래(spot transaction) 와 장래의 일정 시점 이내에 인도할 것을 조건으로 계약하는 연거래 (forward contract) 로 구분한다 .

Page 12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2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안정성 큰 수익률 다양한 혜택

Page 12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2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2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3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Page 131: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주택청약 저축 · 부금 · 예금

- 아파트를 분양받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자 지급과 함께 분양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

- 최근에는 청약저축 , 청약예금 , 청약부금이 통합된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출시되어 주택규모나 납입금액 등의 선택이

자유로워졌다 .

※ 주택청약종합저축

‘ 만능 청약통장’으로 불리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가장 큰 특징은

4.5% 의 파격적인 금리와 미성년자를 포함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고

기존의 청약저축과 달리 청약 이전에 희망주택규모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되어있다는 점이다 . 매월 납입금액은 2~50 만 원으로 5천 원 단위로 자유롭게 불입할 수 있

다 . 단 , 기존 청약저축 및 청약예금 , 청약부금 가입자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새로 가입해야 한다 .

Page 132: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장기주택마련저축

- 자유적립식 장기저축상품으로 일전요건을 갖추면 비과세 혜택이

주어짐

- 주택구입이나 신축자금을 장기로 대출받을 수 있는 특별우대상품

- 만 18 세 이상 무주택자 또는 전용면적 85 평방미터 이하로 가입일

기준시가 3억 원 이하인 1주택 소유자로 세대주만 가입 가능

- 계약기간은 7년 이상 10 년 이내로 분기별 300 만 원 이내에서 1만 원 단위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으며 , 한도 내에서 여러 금융기관에 나누어

통장을 개설할 수 있음

- 확정 금리형 상품으로 , 7 년 이상 가입 시 비과세 혜택

▷ 연금저축

- 개인의 노후생활 및 장래의 생활안정을 목적으로 일정금액을

적립해 연금으로 원리금을 수령할 수 있는 장기 금융상품

- 소금공제혜택이 있으나 연금 수령 시 소득공제분과 연금 이자에 대해 세금

부과

▷ 교육보험

- 자녀가 학업을 마치고 경제적으로 독립할 때까지 연령에 따라 소정의

교육자금을 수혜할 수 있도록 부모가 자녀를 피보험자로 계약하는 상품

Page 133: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주식워런트증권(ELW : Equity Linked Warrant)

특정 대상물을 사전에 정한 미래의 시기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증권( 기초자산은 특정 주식 또는 주가지수에 한정 )

▷ 주가지수연계증권

(ELS : Equity Linked Securities)

특정 주가지수나 주가변동에 연계하여수익률이 결정되는 신종 유가증권

( 기초자산이 주가나 주가지수에 국한 )

Page 134: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파생결합증권(DLS : Derivatives Linked Securities)

이자율 , 환율 , 주가 , 신용 , 실물 등관련 파생상품에 연계하여 수익률이

결정되는 신종 유가증권(ELS 보다 기초자산의 폭이 넓음 )

▷ 주가지수연계펀드

(ELF : Equity Linked Fund)

펀드의 수익률이 주가나 주가지수움직임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화된 수익구조를 갖는 펀드

Page 135: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 주가지수펀드

(ETF : Equity Traede Fund)

주가지수 (KOSPI200, KOSDAQ50) 의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인덱스 펀드의 일종

Page 136: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목적 금융상품

주택마련 청약저축 , 청약부금 , 청약예금 , 장기주택마련저축 , 장기주택마련펀드

노후자금 변액유니버셜보험 , 변액연금보험 , 개인연금보험 , 연금신탁

교육자금 연액유니버셜보험 , 수익증권 , 뮤추얼펀드 , 교육보험

목돈마련 정기적금 , 수익증권 , 뮤추얼펀드 , 상호부금

목돈 굴리기 정기에금 , 금전신탁 , 수익증권 , 뮤추얼펀드 , ELS/ELF, 발행어음 , CP

대출목적 상호부금 , 신용부금 등

위험보장 상해 /통합보험 , 정기보험 , 종신보험 , 암보험 , 변액보험

Page 137: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아무리 자신의 목적에 맞는 금융상품을 찾았다 하더라도 그렇게 모은 돈이 언제 필요한 것인지 , 그리고 현재 자신의 수입이나 주머니 사정으로는 언제까지 예금불입이 가능한지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 목적과 기간 외에도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더 있다 . “ 안정성 , 수익성 , 환금성”이 바로 그것이다 .[ 수익성 ] 투자로 인하여 높은 이자수익이나 가격상승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 안정성 ] 원금이 보존될 수 있는 정도[ 환금성 ] 투자한 돈을 얼마나 쉽고 빠르게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느냐를 말함 . ‘ 현금전환성’이라고도 함수익성 , 안정성 , 환금성은 서로 상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금의 성격에 따라 중요도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금융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

Page 138: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은 단골고객이나 거액예금자에

대해서는 수수로 면제 , 우대금리 적용 , 긴급자금 대출 , 재테크 상담 등 여러 가지 부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1개의 건전한 금융기관을 주거래

기관으로 정해놓고 집중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

Page 139: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각 기관별로 안정성을 측정하는 지표가 있으므로 이를 참고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

구분 주요 경영지표 공통사항

은행 , 종합금융회사투자금융 ,

상호저축은행

BIS 기준 자기자본 비율

부실여신 비율- 경영공시 내용- 감동당국의 경영평가 결과-국제신용평가관리의

신용등급- 최근의 주가수준 등

증권회사 영업용순자본 비율

투자신탁 ( 운용 )회사 펀드수익률

보험회사 지급능력 비율

Page 140: 1.  저축과 투자의 이해   ▶ 저축의 시대에서 투자의 시대로 (1)  저축과 투자

이해하기 쉬운 서류사용 , 문제 발생시 해결능력 등

지리적인 가까움과 폰뱅킹이나 인터넷뱅킹 등시스템 사용의 용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