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1563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 12): ): ): ):1563-1573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발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순환기내과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1 삼성생명과학연구소, 2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3 병리학교실 4 곽미향 1 ·김미경 4 ·김세화 2 ·이원하 2 ·유언호 3 ·박정의 1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in Carotid Atheroma Mi Hyang Kwak, MD 1 , Mi-Kyung Kim, MD 4 , Se-Hwa Kim 2 , Won-Ha Lee, PhD 2 , Un Ho Ryoo, MD 3 and Jeong Euy Park, MD 1 1 Departmemet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ardiac and Vascular Center, 2 Samsung Medical Center and Samsu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3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4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 and ObjectivesIt has been reported that various inflammatory and immune reaction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We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Materials and MethodThirteen carotid atheroma specimens ( frozen sections10 cases, paraffin section5 cases)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who underwent carotid endarterectomy at Samsung Medical Center and one normal aortic tissue was obtained from a transplantation donor in brain death. In the carotid endarterectomy speci- mens and a normal aortic tissue, the expressions of R110 ( TR1) , 139 ( TR2) and DR3 ( TR3) , members of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monoclonal antibodies. Simultaneously, we evaluated the expressions of foam cells, smooth muscle cells, T-lymphocytes and B- lymphocytes. Results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dentified a strong expressions of foam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in all atheroma. But, the expression of T-lymphocytes was minimal and that of B- lymphocytes was rare. The expression of DR3 ( TR3) was seen in all atheroma as strongly positive. The expression of 139 ( TR2) was observed well in frozen sections, but not in paraffin sections. Whereas, that of R110 ( TR1) was observed in paraffin sections as weakly positive, but not in frozen sections. The areas where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were expressed correlated to the area of foam cell presence. The expression of DR3 also correlated with expression of smooth muscle cells. In normal aortic tissue,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ells or TNF receptor superfamilies was not observed except smooth muscle cells which were observed in normal artery. ConclusionFoam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were abundantly present in atheroma.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are expressed in the atheroma and the region of expression was coincident with the presence of foam cells. ( ( ( ( Korean Circulation J 2000 ; 30( 12) : 1563-1573) KEY WORDSAtherosclerosis·TNF receptor superfamily·Carotid artery. 논문접수일:2000년 10월 11일 심사완료일:2001년 1월 15일 교신저자:박정의, 135-710 서울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순환기내과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email protected]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email protected]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3

Original Articles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의 발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순환기내과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1 삼성생명과학연구소,2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3 병리학교실4

곽미향1·김미경4·김세화2·이원하2·유언호3·박정의1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in Carotid Atheroma

Mi Hyang Kwak, MD1, Mi-Kyung Kim, MD4, Se-Hwa Kim2, Won-Ha Lee, PhD2, Un Ho Ryoo, MD3 and Jeong Euy Park, MD1 1Departmemet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ardiac and Vascular Center, 2Samsung Medical Center and Samsung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4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 and Objectives:It has been reported that various inflammatory and immune reaction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We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Materials and Method:Thirteen carotid atheroma specimens (frozen sections:10 cases, paraffin section:5 cases)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who underwent carotid endarterectomy at Samsung Medical Center and one normal aortic tissue was obtained from a transplantation donor in brain death. In the carotid endarterectomy speci-mens and a normal aortic tissue, the expressions of R110 (TR1), 139 (TR2) and DR3 (TR3), members of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monoclonal antibodies. Simultaneously, we evaluated the expressions of foam cells, smooth muscle cells, T-lymphocytes and B-lymphocytes. Results: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dentified a strong expressions of foam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in all atheroma. But, the expression of T-lymphocytes was minimal and that of B-lymphocytes was rare. The expression of DR3 (TR3) was seen in all atheroma as strongly positive. The expression of 139 (TR2) was observed well in frozen sections, but not in paraffin sections. Whereas, that of R110 (TR1) was observed in paraffin sections as weakly positive, but not in frozen sections. The areas where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were expressed correlated to the area of foam cell presence. The expression of DR3 also correlated with expression of smooth muscle cells. In normal aortic tissue,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ells or TNF receptor superfamilies was not observed except smooth muscle cells which were observed in normal artery. Conclusion:Foam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were abundantly present in atheroma. The TNF receptor superfamilies are expressed in the atheroma and the region of expression was coincident with the presence of foam cells. ( ( (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KEY WORDS:Atherosclerosis·TNF receptor superfamily·Carotid artery.

논문접수일:2000년 10월 11일

심사완료일:2001년 1월 15일

교신저자:박정의, 135-710 서울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순환기내과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email protected]

Page 2: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4

서 론

최근 동맥경화증의 발생과 진행에 여러 염증세포들의

활성화와 염증성 변화들이 관여한다는 보고가 많이 있

다.1) Rudolf Virchow는 동맥경화를 혈관벽의 만성 자

극으로 표현하였고, 동맥경화반에 대식세포(macro-

phage)의 침윤이 현저한 것은 만성 염증의 경우와 유

사한 점2)이다. 동맥경화반을 형성하는 주요 세포는 세

가지인데, fibrous cap을 주로 구성하는 평활근세포

(smooth muscle cell), lipid-rich core 부분의 주요

세포인 대식세포, fibrous cap에서 주로 발견되는 림프

구(lymphocyte)이다.3)

진행된 병변에서 평활근세포는 기능적인 변화와 양

적 증가를 보이는데, 이것은 지질 침착, 혈관 내막 구조

의 파괴, 혈관 내막과 세포간질의 손상, 혈소판과 섬유

소원의 침착 등 여러 자극들에 의해 평활근세포가 활성

화되어 나타난 결과이다. 대식세포는 진행성 병변의 형

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의 손상에 의해 단핵세

포(monocyte)가 대식세포나 포말세포(foam cell)로

변형되어 죽상반 형성을 시작하고 평활근세포의 증식

을 촉진하는 다양한 성장촉진인자와 단백물질을 생성

한다. 주로 TNF(tumor necrosis factor), IL(inter-

leukin)-1 등의 cytokine을 분비하여 세포괴사, 신생

혈관 생성, 혈전 생성 등을 유도하여 죽상반의 생성과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4)5) 또한, Nelken 등은

MCP-1(monocyte chemotactic protein-1)이 진행

성 병변의 세포에서 발현된다고 하였다.3)

TNF-α는 26kDa의 membrane-associated mo-

lecule인데 17kDa의 soluble form으로 바뀌어, 다양한

염증 반응과 면역 반응에 관여하게 된다.6) TNF-α는

단핵구/대식세포, 림프구, 과립구, 혈관 평활근세포 등

에 의해 생성되며, 특이 수용체를 통해 세포에 직접적

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다른 여러 염증 매개물질과 cy-

tokine의 유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 작용을 나타내기

도 한다. Rus 등은 사람의 죽상반에서 TNF-α의 발

현을 증명하였는데, 이것은 TNF-α가 국소적으로 생

성되고 축적되어 동맥경화의 진행과 연관된 염증 반응

에 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7) 대식세포는 또한

IL-8을 매개로 죽상반의 파열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

인다. 즉, IL-8은 TIMPs(tissue inhibitors of me-

talloproteinases)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MMPs(matrix-

degrading metalloproteinases)와의 불균형을 초래하

게 되어 죽상반의 파열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8)

이처럼 동맥경화의 발생과 진행에 대식세포의 역할은 중

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림프구는 T-cell과 B-cell 모두 진행된 병변에서 단

일클론항체에 의해 발견되었다. T-cell은 helper T-

cell(CD4+)과 killer T-cell(CD8+) 모두 적절한 항

원에 반응하여 클론을 증식시킬 수 있다. 활성화된 T-

cell은 INF(interferon)-γ등의 cytokine을 생성하여

죽상반이 불안정하게 되도록 유도한다. B-cell도 진행

성 병변에 존재하여 자극에 의해 항체를 생성하여 병변

의 진행과 퇴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고콜레스테롤증은 동맥경화의 주요 위험인자로 Ox-

LDL(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이 그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Ox-LDL에 의해서 단핵구

가 포말세포로 변형이 되고 T-cell 의존성으로 면역반

응을 일으켜 죽상반 형성에 관여한다는 주장도 있다.9)

Palinski 등은 토끼와 사람의 혈청에서 Ox-LDL에 대

한 항체를 발견하고 그 역가가 진행성 동맥경화의 진단

에 유용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10) 또한 Ox-LDL에 의

해 대식세포의 TNF-α 분비가 증가되는데 이것도 죽

상반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1)

TNF superfamily는 TNF ligand superfamily와 TNF

receptor superfamily가 있다. TNF ligand super-

family는 type Ⅱ membrane protein으로 C-terminal

이 세포 외부에 존재하며, C-terminal 내에 존재하는

150개의 아미노산이 receptor와 반응하게 되며, 상호

간에 20∼25% 정도의 상동성을 가진다.12) TNF lig-

and와 반응하는 TNF receptor superfamily는 trans-

membrane glycoprotein으로 지금까지 약 25여종 이

상이 밝혀져 있으며, 반복되는 cysteine의 상동구조를

가지고 있다. Soluble form과 membrane-bound form

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의 신호 전달에 관여

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 활성화를 조절하고, 세포의

apoptosis에도 관여한다.13)

TNF receptor superfamily가 동맥경화와 관련되는

신호 전달에도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아직 이에 대

한 보고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TNF receptor

superfamily가 동맥경화증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지 알아보고자 TNF receptor superfamily의 일부인

Page 3: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5

R110(TR1), 139(TR2), DR3(TR3)에 대한 단일클

론항체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의 죽상반에서의 발현유무를 관찰하였다.

재료 및 방법

대 상

1997년 9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서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조직 채취가

가능한 13명의 죽상반 조직(동결생검 조직 10개, 파라

핀 조직 5개, 이 중 2명은 동결생검 조직과 파라핀 조

직이 모두 있음)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이 된 환자는

남자 10명, 여자 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6.15±10.57

세(남자 65.30±11.56세, 여자 68.67±7.09세)였다

(Table 1). 이 중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은 5명, 흡연

을 중단한 경우는 5명, 흡연을 하지 않은 사람은 3명이

었다. 13명 중 7명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고, 당뇨는

13명 중 4명에서 관찰되었다.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

테롤 수치가 240 mg/dL 이상이거나 수치가 높지 않더

라도 지질 강하제를 복용하고 있는 사람을 포함했는데

13명 중 10명에서 나타났다(Table 2).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BMI)는 23.46±2.44 kg/m2(남자 23.47

±2.75 kg/m2, 여자 23.44±1.27 kg/m2)이었다. 정상

인의 경동맥은 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장기이식을

했던 1명의 뇌사자의 동맥(동결생검 조직)을 정상 대

조군으로 삼았다. 이 뇌사자는 21세 여자로 이전의 특

별한 병력은 없었다.

방 법

면역조직화학 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동결생검 조직

5 μm로 만들어진 동결생검 조직을 상온에서 1시간

정도 둔 뒤, 98% ethanol에서 10∼20분간 고정시키고

증류수로 4분씩 2번 세척하였다. 3% H2O2에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흔들어 주면서 10∼20분간 두었다. 증

류수로 4분씩 2번 세척한 뒤 tris buffered saline

(TBS, pH7.4)으로 4분간 세척하였다. 조직이 상하지

않도록 TBS를 없앤 후, DAKO pen으로 조직부위를 2

mm 정도 남기고 둘러싸듯이 marking 하였다. 그리고

DAKO LSAB(labelled streptavidinebiotin) kit를 이

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과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bl-

ocking antibody로 약 20분간 반응시켰는데, 항체와의

반응은 습윤상자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였다. Blocking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arotid atheroma Patients Sex Age Smoking HT DM HL BMI

P 1 M 77 S - - - 19.33 P 2 M 62 S - - + 18.70 P 3 M 56 N - - + 25.66 P 4 M 46 S - + - 23.90 P 5 M 78 E + - + 24.24 P 6 F 75 N + - + 22.32 P 7 M 53 E + - - 24.56 P 8 M 70 E + + + 22.41 P 9 M 60 E + - + 26.23 P 10 F 70 S + + + 24.82 P 11 M 72 S + - + 26.97 P 12 F 61 N - - + 23.17 P 13 M 79 E - + + 22.71

P:patient (P1-10:frozen section, P3, 5, 11-13:para-ffin setion) Smoking (S/E/N:smoker/ex-smoker/non-smoker) HT:hypertension DM:diabetes mellitus HL:hyperlipidemia (include receiving lipid lowering agents) BMI:body mass index (kg/m2)

Table 2. Lipid profile of patients

Total Chol LDL HDL TG Treament

P 1 127 70 40 83 P 2 163 88 59 79 Lovastatin P 3 245 127 50 266 Simvastatin P 4 203 129 43 153 P 5 163 97 30 182 Lovastatin P 6 202 109 78 74 Lovastatin P 7 175 103 60 62 P 8 192 108 30 270 Lovastatin P 9 150 81 29 200 Lovastatin P 10 189 126 39 118 Lovastatin P 11 196 124 34 188 Lovastatin P 12 241 97 44 98 Lovastatin P 13 172 92 65 77 Lovastatin

P:patient Total Chol:total cholesterol (mg/dL) LD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HDL: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TG:triglyceride (mg/dL)

Page 4: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6

solution을 제거하고 일차 항체로 실온에서 1시간 30

분 또는 4℃에서 overnight(12∼16시간)로 반응시켰

다. TNF receptor superfamily에 속하는 일차 항체는

R110(TR1), 139(TR2), DR3(TR3)를 사용(Dr. Kwon,

Indiana University in USA 제공)하였고 1 시간 30분

반응 시는 1:500, overnight시는 1:1000으로 희석

하였다. 대식세포에 대한 일차 항체는 CD68(mouse

monoclonal IgG1, kappa, clone KP1, DAKO)로 1:

1000∼1:2000으로 희석하였고, 평활근세포는 anti-

actin(mouse monoclonal IgG2a, kappa, clone 1A4,

DAKO)으로 1:2000으로 희석하였다. T-cell은 CD3

(mouse monoclonal IgG1, kappa, clone UCHT1,

DAKO)로 1:300으로 희석하였으며, B-cell은 CD20

(mouse monoclonal IgG2a, kappa, clone L26, DAKO)

으로 1:1000∼1:2000으로 희석하였다. 그 뒤, TBS

로 5분씩 3번 세척하고 이차 항체인 link용액으로 10

분간 반응시켰다. 다시 4분씩 3번 TBS로 세척하고

streptavidin-HRP로 10분간 반응시킨 뒤 TBS로 5

분씩 3번 세척하였다. DAB(diamino-benzidine)로 발

색 반응을 관찰하면서 발색 시간을 조절하였고, 음성

대조는 4분간 발색시켰다. Autohematoxylin으로 co-

unterstaining(약 4분)을 하고 증류수로 4분간 세척하

였다. 다시 3분씩 ethanol 80%, 90%, 98%, 100%의

순으로 탈수 과정을 거쳐 xylene에서 약 10분간 둔 뒤,

permount로 처리하여 슬라이드를 제작하고 관찰하였다.

파라핀 조직

5 μm로 만들어진 파라핀 조직을 55℃에서 1시간

정도 둔 뒤 xylene에 3분씩 3회 통과하여 파라핀을 제

거하였다. 그 뒤, 100%, 98%, 90%, 80% ethanol의

순으로 3분씩 거친 후, 증류수로 3분씩 2회 세척하고

TBS에 1회 3분 동안 세척하였다. 그리고, 3% H2O2에

10∼20분간 둔 뒤 동결생검 조직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판독

1명의 해부병리 전문의가 슬라이드를 판독하였다.

Rus의 반정량적 방법7)을 기준으로 5군데의 다른 현미

경 시야에서 100개의 세포당 발현되는 세포의 퍼센트

를 구하여 20∼40%는 (+), 40∼70%는 (++), 70%

이상은 (+++)로 표시하였다.

결 과

동결생검 조직의 염색 양상

10명의 환자의 동결생검 조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

색을 한 결과(Table 3, Fig. 1), 139(TR2)와 DR3

(TR3)는 모든 환자의 조직에서 발현되었다. R110

(TR1)은 10명 중 6명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동맥경

화에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진 포말세포(CD68), 평활

근세포(1A4), T-cell(CD3), B-cell(CD20)의 발현

도 동시에 관찰하였는데, 포말세포와 평활근세포는 모

든 조직에서 발현되었고, T-cell은 10명 중 5명에서

약하게 발현된 반면, B-cell은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염증세포들이 병변 주위에 뒤섞여서 같이 발현되기는

하지만 TNF receptor superfamily와의 연관성을 살

펴보면 주로 포말세포와 그 분포가 비슷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DR3는 포말세포와 평활근세포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정상조직에서는 평활

근세포(1A4)외에는 모두 발현되지 않았다.

파라핀 조직의 염색 양상

5명의 환자의 파라핀 조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한 결과(Table 4, Fig. 2), R110(TR1)은 5명 중 3명

에서 약하게 발현되었고, 139(TR2)는 5명 중 1명에

서 발현되었다. 반면, DR3(TR3)는 모든 환자의 조직

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포말세포와 평활근세포도 염

색했던 모든 조직에서 발현되었다(포말세포는 5명, 평

활근세포는 4명 염색). T-cell과 B-cell은 2명의 조

Table 3.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frozen sections Patients R110 139 DR3 CD68 CD3 CD20 1A4

P 1 - ++ ++ ++ - - ++ P 2 + + + +++ + - ++ P 3 - ++ + + - - + P 4 + ++ + ++ ± - + P 5 + + ++ ++ + - +++ P 6 + ++ +++ ++ + - + P 7 - + + + - - ++ P 8 - ++ + +++ + - + P 9 + ++ ++ ++ - - + P 10 + ++ ++ +++ + ± +

Normal - - - - - - ++

Page 5: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7

직을 염색하였는데 T-cell은 약하게 발현되고, B-cell

은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파라핀 조직에서의 TNF re-

ceptor superfamily의 발현도 포말세포의 발현 분포와

유사하였고, DR3는 평활근세포의 분포와도 연관성이

있었다.

고 찰

동맥경화의 기전은 혈관 내막의 만성적인 손상과 관

Table 4.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paraffin sections

Patients R110 139 DR3 CD68 CD3 CD20 1A4

P1 + - ++ ++ + - ++

P2 + ++ +++ ++ + - +++

P3 - - +++ +++

P4 + - + ++ +++

P5 - - ++ + +++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carotid atheroma (frozen section). The expressions of DR3 and 139 were strong, and the expression of R110 was weak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arotid atheroma. The distribution of TNF receptor superfamilies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foam cells. And DR3 also stained around smooth muscle cells. A:R110 (TR1) B:139 (TR2) C:DR3 (TR3) D:CD68 (foam cell) E:1A4 (smooth mu-scle cell)

AAAA BBBB

CCCC DDDD

EEEE

Page 6: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8

련이 있는데, 혈관벽의 염증세포 침윤, 세포의 증식,

fibrous plaque 형성, 죽상반 파열, 혈전에 의한 폐색

등을 포함하게 된다. 혈관벽에 만성적인 손상을 주는

인자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이 있다.

최근 동맥경화의 기전에 관여하는 인자로 대식세포,

혈소판, 림프구들과 이들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조절인

자들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14)

단핵구는 동맥경화반을 형성하는 모든 단계에서 중

요한데 특히 초기 단계에서의 역할이 크다. 보고에 의

하면,15) 고지방, 콜레스테롤 식이 후 수일 내에 혈중

단핵구들이 혈관벽에 부착하여 TNF와 IL-1을 분비하

고 다양한 부착인자들을 발현하여 내막 주위에 더 많은

단핵구를 모이게 한다. 단핵구가 혈관벽에 부착하게 되

면, 내막하부위(subendothelial space)로 이동하여 대

식세포로 변형된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는 tissue

matrix protein, oxidized lipid와 MCP-1, M-CS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와 같은

cytokine들로 생각된다. TNF, IL-1등은 MCP-1의

AAAA BBBB

CCCC DDDD

EEEE

Fig. 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carotid atheroma (paraffin section). The expression of DR3 was strong, and the expression of R110 was weak. But, the expression of 139 nearly was not seen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arotid atheroma. The distribution of TNF receptor superfamilies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foam cells. And DR3 also stained around smooth muscle cells. A:R110 (TR1) B:139 (TR2) C:DR3 (TR3) D:CD68 (foam cell) E:1A4 (smooth muscle cell)

Page 7: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69

생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식세포는 oxidized

lipoprotein을 탐식하여 포말세포로 다시 변형되고 TNF

와 IL-1을 포함한 다양한 cytokine과 성장인자를 분

비하여 평활근세포를 혈관내막으로 이동시키고 증식

시키는 역할을 한다. 진행된 병변에서는 interstitial

collagenase(matrix metalloproteinase-1), stro-

melysin(matrix metalloproteinase-3) 같은 matrix

metalloproteinases에 의해 대식세포의 이동이 촉진된

다. 이런 효소들은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며,

죽상반의 파열을 일으켜 급성혈전, 심근경색, 사망을 초

래할 수 있다. 그리고, fibrous cap내에 단핵구/대식세

포의 침윤이 많을수록 죽상반의 불안정성을 유도하고

증상 발현이 많다는 보고들도 있다.16)17) 죽상반이 불

안정하게 되는 이유는 대식세포/포말세포에 의해 분비

된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에 의해 세포

외 기질이 분해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림프구는 죽상반의 중요한 인자이다. 동맥경화의

모든 단계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이것은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그 기전에 관여할 것이라는 것을 시

사한다. 그 항원들에 대해서 아직 확실히 증명되어 있

지는 않지만 oxidized LDL에 대한 자가항체는 사람에

서 흔히 발견되며, 이 항체에 대한 역가는 동맥경화의

진행과 관련이 있다. 병변의 발생 중에 oxidized LDL

에 대한 항원이 B-림프구와 T-림프구에 표현된다.

T-림프구는 helper(CD4+) cell과 killer(CD8+) cell

모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이식과 관련된 동

맥경화의 경우 T-림프구의 역할이 크다. 죽상반에 부

착된 T-림프구는 활성화되어 대식세포와 B-림프구를

활성화시키고 중성구 부착인자(neutrophil adhesion

molecule)를 발현시키고 cytotoxic T-cell을 활성화

시킨다. 또한 INF-γ를 분비하여 대식세포나 평활근

세포에 작용하여 병변의 진행이나 퇴화에 관여한다.

Peoples 등은 동맥경화에서 보이는 혈관 평활근세포

의 증식에 T-림프구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

고,18) Swanson 등은 사람의 죽상반에서 T-림프구 수

용체의 다양성에 대해 보고했다.19) Stemme 등은 죽상

반에서 발견되는 T-림프구의 대부분은 memory cell

로 만성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라고 하였다.20)

죽상반에 존재하는 T-림프구의 대부분은 활성화의

지표가 되는 HLA-DR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auto-

crine T-cell growth factor인 IL-2의 발현은 적다. 이

것은 죽상반에 존재하는 T-림프구의 증식은 활발하지

않으면서 장기간에 걸쳐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맥경화의 초기 단계에서 T-림프구는 항원 특이적 반

응으로 염증 반응을 시작한다. 즉, 항원에 반응하여 T-

림프구는 국소적으로 cytokine을 분비하여 단핵구와 다

른 T-림프구를 죽상반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된 T-림

프구는 항원 특이성이 없이 cytokine의 분비를 통해서

염증 과정에 기여한다.21) T-림프구는 동맥경화의 발생

과 진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림프구는 T-림프구 의존성 또는 비의존성으로

신호 전달 체계와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단핵구에서 유

래되는 B lymphocyte stimulator(BLyS)는 B-림프

구의 증식과 면역글로불린의 분비에 관여하는 TNF

superfamily의 일부이다. BLyS는 자가면역, 종양, 면

역결핍증 등의 질환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22)

평활근세포는 점차적으로 병변을 혈관 내강으로 진

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특수한

수용체를 통해 반응하여 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

키고 많은 양의 connective tissue matrix를 분비하게

한다. 대표적인 성장인자들은 PDGF, fibroblast growth

factor, insulin-like growth factor, M-CSF, TGF-

β,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like

growth factor 등이 있다. 또한 평활근세포는 혈관의

수축과 이완에도 관여한다. 동맥경화가 진행되면서 평

활근세포는 세포간질을 과다하게 형성하여 병변의 팽

창에 기여한다. 평활근의 증식, 과도한 세포간질의 형

성, 혈관의 수축 등이 혈관 내강을 축소시키고 동맥경

화를 진행시키게 된다.

동맥경화반에서 TNF-α, IL-1β, IL-6, IL-10,

INF-γ 등을 비롯한 cytokine의 발현도 보고되었는데,

이런 cytokine들은 세포사에도 관여하여 세포외기질

을 변성시키고 죽상반의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23) 또한 DeGraba도 사람의 경동맥 죽상반에

서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과

TNF-α의 발현을 증명하고 이런 염증 매개물질들이

뇌졸중 등의 증상 유발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24)

진행된 죽상반에서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뿐 아니

라 괴사 부위도 관찰된다. 이런 세포사의 일부는 apo-

ptosis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Fukuo 등은 혈

관평활근세포에 IL-1과 TNF-α를 동시에 투여하면

Fas의 upregulation을 유도하지만, nitric oxide(NO)

Page 8: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70

synthesis inhibitor인 NG-monomethyl-L-arginine

을 IL-1, TNF-α와 병용 투여하면 Fas의 upregu-

lation이 저해됨을 관찰하였다. 이는 대식구에서 유래된

cytokine들이 혈관 평활근세포에서 Fas의 upregu-

lation을 유도하는 기전은 NO에 의존적임을 시사한다.

Fasme-diated apoptosis가 동맥경화 생성과정에서 혈

관 평활근세포의 세포사를 조절할 가능성도 있다.25)

CCR2는 MCP-1의 수용체로 단핵구의 이동에 중요

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TNF-α는 CCR2를

downregulation하여 MCP-1에 의한 단핵구의 내막하

부위로의 이동을 차단한다. 그러나, Ox-LDL에 노출되

면 TNF-α의 작용이 길항되어 불안정한 죽상반에서

단핵구의 침윤이 지속되고 만성적인 염증 반응을 보이

게 된다.26) TNF-α는 여러 보고에서 동맥경화와 관련

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ytokine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혈관세포와 성장인자가 동맥경

화의 발생과 진행에 관련이 있다. 이런 인자들이 작용

하려면 특이수용체를 통해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신

호 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 중인데,

TNF superfamily도 그 중 일부로 최근까지 약 25종

이상의 TNF ligand/receptor superfamily가 밝혀져

있다.27) TNF receptor superfamily에 속하는 물질들

은 대부분 Ⅰ형 막성 당단백(membrane glycoprotein)

으로 상호간에 25∼30%의 상동성이 있으며, cysteine

의 반복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TNF ligand

superfamily에 속하는 물질들은 TNF와 20% 정도의

상동성이 있는 Ⅱ형 막성 당단백이다.13)28)

TNF ligand superfamily는 cytokine 분비의 유도,

부착인자(adhesion molecule)의 upregulation, 항원

과 보조자극 단백질의 활성화, 그리고 면역반응을 하는

동안 발생되는 자극과 조절 신호를 증폭시키는 데 관여

한다. TNF, LT-α(lymphotoxin-alpha, TNF-β),

LT-β, CD27L, CD30L, CD40L, 4-1BBL, OX40L,

CD 95L(FasL:fibroblast-associated ligand)등을

포함하며, LT-α를 제외한 모든 ligand는 세포막에 부

착된 형태(membrane-bound type Ⅱ glycoproteins)

로 존재하며, TNF, CD30L, CD40L, CD95L 등은

soluble form으로도 존재하고, LT-α는 soluble form

으로만 존재한다. 최근 APO2L ligand(APO2L, TR-

AIL:TNF-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도

TNF ligand superfamily의 한 종류로 밝혀졌다.29)30)

이런 TNF 유사 물질들은 apoptosis나 세포독성(cy-

totoxicity)에 의한 세포사를 포함하여 세포의 증식과

활성화, 분화를 조절하게 된다.

TNF receptor superfamily는 transmembrane gl-ycoprotein으로 TNF ligand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에

관여하며, 세 가지 TNF receptor-like molecule(TR1,

TR2, TR3)과 TNF receptor인 TNFR-Ⅰ(p60), TN-

FR-Ⅱ(p80), TNFR-Ⅲ(TNFR-RP:TNF receptor

related protein)를 포함하여, CD27, CD30, CD40,

Fas(CD95/Apo1), 4-1BB, OX40, p75 low affinity

nerve growth factor(NGFR-p75),31) LT-β rece-

ptor,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protein(RANK)32)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

리고, 최근 밝혀진 APO2L에 대한 receptor도 5가지

가 있는데, DR4(death receptor 4, TRAIL-R1), DR5

(APO2, TRICK2, TRAIL-R2, KI-LLER), DcR1

(decoy receptor 1, TRAIL-R3, TRID, LIT), DcR2

(TRUNDD, TRAIL-R4), OPG(osteoprotegerin)

이다.30)

TNF receptor superfamily는 신호 전달 물질에 따

라, death domain을 가지고 있는 것과 TNF receptor

associated factor(TRAF)-protein을 가지고 있는 것

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33) TNFR-I, Fas, DR3,

DR4, DR5, TRAIL receptor는 death domain을 가지

고 있다.34) TNF receptor superfamily는 apoptosis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death signal은 caspase

와 JUN kinase pathway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고,

survival signal은 NF-κB pathway의 활성화를 통해

서 매개하는 것으로 보인다.35)36)

TNF receptor superfamily의 대부분이 soluble

form으로도 존재하는데, proteolytic cleavage에 의해

서(CD27, CD30, CD40, CD95), 또는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서(4-1BB, CD95) soluble form으로

된다. TR2와 TR3는 type Ⅰ membrane protein인

반면, TR1은 다른 TNF receptor superfamily와 달리

transmembrane domain이 없이 soluble protein으로

분비된다. TR2와 TR3는 TR1과 달리 조혈세포(he-

matopoietic cell)에서 많이 발현되며, 특히 TR3는 활

성화된 T-림프구에 의해 발현이 잘 된다. 유전자 ma-

pping을 한 결과, TR1은 8q24에 있고 다른 superfamily

member와 인접해 있지 않지만, TR2와 TR3는 1번

Page 9: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71

염색체에 있으며, 이 곳은 TNFR-II, 4-1 BB, OX40,

CD30의 유전자가 cluster를 이루고 있는 1p36을 포

함한다.

Osteoprotegerin(OPG)/osteoclastogenesis inhi-

bitory factor(OCIF)은 TR1이라고도 하며, 폐, 심장,

신장, 간, 위, 장, 피부, 뇌, 척수, 갑상선, 뼈 등에서 발

견된다. OPG/OCIF mRNA는 주로 골모세포계 세포,

혈관 내막세포, 대동맥 평활근세포, 섬유모세포, 단핵구

세포, B-림프구 등의 cell line에서 고농도로 발견되고,

IL-1α, IL-1β, TNF-α, TNF-β등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다.37) OPG는 주로 골격세포에서 파골세포의 분

화를 억제하고, 성숙된 파골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apoptosis를 유도한다. 또한 OPG는 섬유모세포의 증

식을 유도하며38) T-림프구의 작용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4)

TR2는 처음에 HSV(herpes simplex virus) entry

의 coreceptor로 발견되어 HVEM(herpesvirus entry

mediator) 또는 HveA(herpesvirus entry protein A)

라고도 불린다. TR2는 비장이나 말초 혈액의 백혈구 등

에서 많이 발현되며 mRNA의 발현은 CD4+와 CD8+

T-림프구와 CD19+ B-림프구, 단핵구에서 발견된다.

TR2는 주로 T-림프구의 증식과 활성화에 중요한 작용

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27)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유

발하여 종양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39)

DR3(TR3)는 death domain을 가지고 있으며 ap-

optosis와 NFκB의 활성화를 모두 유발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고, 주로 비장, 흉선, 뇌 등에서 발현된다. DR3

는 안정된 T-림프구에서는 발현이 적지만, T-림프구

의 활성화가 일어나면 발현이 매우 증가된다고 하며,31)

단핵구에서의 발현도 보고되었다. 그리고, DR3는 림프

구의 항상성 조절에도 기여하는 것 같다.40)

AITR(activation-inducible TNFR family mem-

ber)는 TNF receptor superfamily의 한 종류로 림프

선과 말초 혈액의 백혈구 등에서 발현되는데, NF-κB

를 활성화시킨다. AITR에 대한 ligand는 혈관 내막세

포에서 발현되는데, 이 AITR은 T-림프구와 혈관 내

막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34)

TNF ligand/receptor superfamily가 동맥경화와 직

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 그러나, TNF

가 동맥경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TNF ligand/

receptor superfamily가 T-림프구의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혈관 내막세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아 동맥경화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작용을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R110은 TR1이고, 139는 TR2,

DR3는 TR3이다. DR3는 동결생검 조직과 파라핀 조

직 모두에서 발현이 잘 되었고, R110은 동결생검 조직

과 파라핀 조직 모두에서 약하게 발현이 되었으나 파라

핀 조직에서 더 발현이 잘 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139는 동결생검 조직에서는 비교적 발현이 잘 되었으

나 파라핀 조직에서는 잘 발현되지 않았다. 그리고, 동

맥경화의 기전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포말세포, 평활근

세포, T-림프구와 B-림프구의 발현도 같이 보았는데

포말세포와 평활근세포는 죽상반에서 강하게 발현되었

고, T-림프구는 비교적 약하게 발현된 반면, B-림프

구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TNF receptor superfamily

가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이 되지 않고 죽상반에서만 발

현이 되었고, 그 발현 양상이 포말세포의 발현과 비슷

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동맥경화의 발생과 진행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DR3는 평활근세포

와도 그 발현 분포가 비슷하여 상호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동맥경화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

려진 Ox-LDL은 농도에 따라 그 작용이 달라진다.11)

저농도의 Ox-LDL은 단핵세포/대식세포로부터 PD-

GFBB, IL-1β, TNF-α, HB-EGF등의 성장인자들

을 분비하게 하여 평활근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그

러나, 고농도의 Ox-LDL은 오히려 이런 성장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킨다고 한다. 본 실험으로는 LDL 콜레스

테롤의 정도에 따라 TNF receptor superfamily의 발

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평활근세포나 대식세포의

발현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기는 어려웠다. LDL 콜레

스테롤의 농도에 따른 TNF receptor superfamily등의

cytokine이나 성장인자의 발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는 더 많은 수의 실험 대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R110과 139의 발현이 조직 준비 과정의 차

이에 따라 그 발현 정도에 차이를 나타내는 이유를 알

수는 없으나, 각 receptor 마다 발현되는 최적의 조건

이 다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 역시 실험의 대상 수가

적은 것이 그 이유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동맥경화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세포는 포말세

포, 평활근세포, 림프구들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

Page 10: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72

도 포말세포와 평활근세포가 강하게 발현되었고, TNF

receptor superfamily의 발현과도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동맥경화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T-

림프구는 약하게 발현되었고 B-림프구는 거의 발현되

지 않았다. TNF receptor superfamily가 어떤 종류의

신호 전달을 통해 동맥경화의 기전에 관여하는지는 아

직 알 수 없으며, 그 기전에 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요 약

연구목적:

동맥경화의 발생과 진행에 다양한 염증성 반응과 면

역성 반응들이 관여한다는 증거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대식세포, 혈관 평활근세포, T-림프구, B-림프구 등의

여러 세포들과 여기에서 분비되는 TNF, interleukin

등의 여러 cytokine, 여러 성장인자, 화학주성인자들이

복합적으로 동맥경화의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

다. TNF ligand/receptor superfamily는 apoptosis에

관련된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TNF receptor superfamily가

동맥경화의 발생과 진행에도 관여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 법:

삼성서울병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받은 13

명 환자의 죽상반 조직(동결생검 조직:10명, 파라핀

조직:5명, 2명은 두 가지 조직 모두 염색)과 1명의 뇌

사자에서 얻은 정상 동맥 조직에서 TNF receptor

superfamily의 일종인 R110(TR1), 139(TR2), DR3

(TR3)의 발현을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리고, 동맥경화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포말세포, 혈관 평활근세포, T-림프구,

B-림프구의 발현도 동시에 관찰하여 TNF receptor

superfamily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결 과:

1) 포말세포와 평활근세포는 모든 조직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T-림프구는 약하게 발현되었으며, B-림

프구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2) DR3(TR3)는 모든 조직에서 가장 강하게 발현되

었으며, 139(TR2)는 동결생검 조직에서는 잘 발현되

었으나, 파라핀 조직에서는 발현이 거의 되지 않았고,

반면 R110(TR1)은 파라핀 조직에서 약하게 발현되었

으나 동결생검 조직에서는 잘 발현이 되지 않았다.

3) TNF receptor superfamily의 발현은 주로 포말

세포의 발현 분포와 유사하였다. DR3는 혈관 평활근세

포의 분포와도 연관성이 있었다.

4) 정상 조직에서는 어떤 염증세포나 TNF receptor

superfamily의 발현은 없었으며, 정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발현만 보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동맥경화의 진행에 포말세포의 역

할이 클 것으로 보이며 혈관평활근세포도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TNF receptor su-

perfamily는 주로 포말세포의 작용 기전에 관여하는 것

으로 생각되며, 일부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작용과도 관

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중심 단어:동맥경화·TNF receptor superfamily·

경동맥.

REFERENCES

1) Elneihoum AM, Falke P, Hedblad B, Lindgärde F, Oh-lsson K. Leukocyte activation in atherosclerosis: corre-lation with risk factors. Atherosclerosis 1997;131:79-84.

2) Hansson GK, Jonasson L, Seifert PS, Stemme S. Immune mechanisms in atherosclerosis. Arteriosclerosis 1989;9: 567-78.

3) Stary HC, Chandler AB, Dinsmore RE, Fuster V, Glagov S, Insull W Jr, et al. A definition of advanced types of athero-sclerotic lesions and a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atheros-clerosis: A report from the committee on vas-cular lesions of the council on atherosclerosis, American Heart Associ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5; 15:1512-31.

4) Tipping PG, Hancock WW.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nd interleukin-1 by macrophages from human atheromatous plaques. Am J Pathol 1993;142:1721-8.

5) Barath P, Fishbein MC, Cao J, Berenson J, Helfant RH, Forrester JS.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in human atheroma. Am J Cardiol 1990;65:297-302.

6) Armitage RJ.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s and their ligands. Curr Opin Immunol 1994;6: 407-13.

7) Rus HG, Niculescu F, Vlaicu R.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human arterial wall with atherosclerosis. Athe-rosclerosis 1991;89:247-54.

8) Moreau M, Brocheriou I, Petit L, Ninio E, Chapman MJ, Rouis M. Interleukin-8 mediates downregulat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1 expression in cholesterol-loaded human macrophages: relevance to stability of atherosclerotic plaque. Circulation 1999;99: 420-6.

9) Stemme S, Faber B, Holm J, Wiklund O, Witztum JL,

Page 11: 경동맥 죽상반에서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 PDF file전화:(02) 3410-3419·전송:(02) 3410-3417 E-mail:jepark@smc.samsung.co.kr . 1564 Korean Circulation J 2000;30(12):1563-1573

1573

Hansson GK. T lymphocytes from human atherosclerotic plaques recognize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1995;92:3893-7.

10) Palinski W, Rosenfeld ME, Ylä-Herttuala S, Gurtner GC, Socher SS, Butler SW, et al. Low density lipo-protein undergoes oxidative modification in vivo. Proc Natl Acad Sci USA 1989;86:1372-6.

11) Jovinge S, Ares MP, Kallin B, Nilsson J. Human mono-cytes/macrophages release TNF-α in response to Ox-LD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6;16:1573-9.

12) Baker SJ, Reddy EP. Transducers of life and death: TNF receptor superfamily and associated proteins. Oncogene 1996;12:1-9.

13) Gruss HJ, Duyster J, Herrmann F. Structural and bio-logical features of the TNF receptor and TNF ligand superfamilies: interactive signals in the pathobiology of Hodgkin’s disease. Ann Oncol 1996;7(suppl 4):S19-26.

14) Boyle EM Jr, Lille ST, Allaire E, Clowes AW, Verrier ED. Atherosclerosis. Ann Thorac Surg 1997;64:S47-56.

15) Cybulsky MI, Gimbrone MA Jr. Endothelial expression of a mononuclear leukocyte adhesion molecule during atherogenesis. Science 1991;251:788-91.

16) McCarthy MJ, Loftus IM, Thompson MM, Jones L, London NJ, Bell PR, et al. Angiogenesis and the athero-sclerotic carotid plaque: An association between sympto-matology and plaque morphology. J Vasc Surg 1999;30: 261-8.

17) Husain T, Abbott CR, Scott DJ, Gough MJ. Macrophage accumulation within the cap of carotid atherosclerotic plaque i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cerebral ischemic events. J Vasc Surg 1999;30:269-76.

18) Peoples GE, Blotnick S, Takahashi K, Freeman MR, Klagsbrun M, Eberlein TJ. T lymphocytes that infiltrate tumors and atherosclerotic plaques produce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like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 potential pathologic role. Proc Natl Acad Sci USA 1995;92:6547-51.

19) Swanson SJ, Rosenzweig A, Seidman JG, Libby P. Diversity of T-cell antigen receptor Vβ gene utilization in advanced human atheroma. Arterioscler Thromb 1994; 14:1210-4.

20) Stemme S, Holm J, Hansson GK. T lymphocytes in human atherosclerotic plaques are memory cells expressing CD-45RO and the integrin VLA-1. Arterioscler Thromb 1992; 12:206-11.

21) Yokota T, Hansson GK. Immunological mechanisms in atherosclerosis. J Intern Med 1995;238:479-89.

22) Moore PA, Belvedere O, Orr A, Pieri K, LaFleur DW, Feng P, et al. BLyS: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family and B lymphocyte stimulator. Science 1999;285: 260-3.

23) Mallat Z, Heymes C, Ohan J, Faggin E, Leseche G, Tedgui A. Expression of interleukin-10 in advanced human atherosclerotic plaques: relation t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and cell death.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9;19:611-6.

24) DeGraba TJ.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adhesion molecules in human atherosclerotic plaque. Ne-urology 1997;49(Suppl 4):S15-9.

25) Fukuo K, Nakahashi T, Nomura S, Hata S, Suhara T, Shimizu M, et al. Possible participation of Fasmediated

apoptosis in the mechanism of atherosclerosis. Geronto-logy 1997;43(Suppl 1):35-42.

26) Weber C, Draude G, Weber KS, Wubert J, Lorenz RL, Weber PC. Downregulation by tumor necrosis factor-α of monocyte CCR2 expression and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induced transendothelial migration is antago-nized by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A potential mechanism of monocyte retention in atherosclerotic lesions. Atherosclerosis 1999;145:115-23.

27) Kwon B, Youn BS, Kwon BS. Functions of new identified members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ligand superfamilies in lymphocytes. Curr Opin Immunol 1999; 11:340-5.

28) Cosman D. A family of ligands for the TNF receptor superfamily. Stem cells 1994;12:440-55.

29) Green EA, Flavell RA. TRANCE-RANK, a new signal pathway involved in lymphocyte development and T cell activation. J Exp Med 1999;189:1017-20.

30) Halaas ø, Vik R, Ashkenazi A, Espevik T. Lipopolys-accharide induces expression of APO2 ligand/TRAIL in human monocytes and macrophages. Scand J Immunol 2000;51:244-50.

31) Tan KB, Harrop J, Reddy M, Young P, Terrett J, Emery J,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TNF-like ligand and recently described TNF ligand and TNF receptor super-family genes and their constitutive and inducible expres-sion in hematopoietic and non-hematopoietic cells. Gene 1997;204:35-46.

32) Yeh WC, Hakem R, Woo M, Mak TW. Gene targeting in the analysis of mammalian apoptosis and TNF receptor superfamily signaling. Immunol Rev 1999;169:283-302.

33) Wajant H, Grell M, Scheurich P. TNF receptor associ-ated factors in cytokine signaling. Cytokine Growth Factor Rev 1999;10:15-26.

34) Kwon B, Yu KY, Ni J, Yu GL, Jang IK, Kim YJ,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activation-inducible protein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and its ligand. J Biol Chem 1999;274:6056-61.

35) Baker SJ, Reddy EP. Modulation of life and death by the TNF receptor superfamily. Oncogene 1998;17:3261-70.

36) Jiang Y, Woronicz JD, Liu W, Goeddel DV. Prevention of constitutive TNF receptor 1 signaling by silencer of death domains. Science 1999;283:543-6.

37) Hofbauer LG, Khosla S, Dunstan CR, Lacey DL, Boyle WJ, Riggs BL. The roles of osteoprotegerin and oste-oprotegerin ligand in the paracrine regulation of bone resorption. J Bone Miner Res 2000;15:2-12.

38) Kwon BS, Wang S, Udagawa N, Haridas V, Lee ZH, Kim KK, et al. TR1, a new member of th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induces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inhibits osteoclastogenesis and bone resorption. FASEB J 1998;12:845-54.

39) Zhai Y, Guo R, Hsu TL, Yu GL, Ni J, Kwon BS, et al. LIGHT, a novel ligand for lymphotoxin β receptor and TR2/HVEM induces apoptosis and suppresses in vivo tumor formation via gene transfer. J Clin Invest 1998; 102:1142-51.

40) Chinnaiyan AM, O’Rourke K, Yu GL, Lyons RH, Garg M, Duan DR, et al. Signal transduction by DR3, a death domaincontaining receptor related to TNFR-1 and CD95. Science 1996;274:9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