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Page 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출 문

한국콘텐츠진흥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2월 21일

주관 연구 기관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최 연 철연구 수행 기관    (주) 스트라베이스연구수행책임자 이 상 오 수행연구원 김 정 미 수행연구원 김 동 진 수행연구원 최 수 진 수행연구원 안 병 욱 수행연구원 전 창 의 수행연구원 권 성 미 수행연구원 허 윤 미

Page 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국내의 영화 산업은 높은 내수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으며, 한류 열풍에 힘입어 동남아, 일본, 중국 등 해외 시장 진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제작비가 상승하고 투자 여건이 악화되면서 국제 공동제작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려는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 보고서는 해외 영화 시장의 동향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영화 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 영화 시장 통계와 주요 동향 분석을 연구 내용으로 삼고

있다. 영화 시장은 권역별, 유통채널에 따라 분류된다. 권역별 분류에서는 북미권, 유럽권, 일본, 중국, 아시아태평양권, 남미권으로, 유통채널별 분류에서는 박스오피스, 홈비디오, 디지털 온라인 시장으로 나뉘며, 이 같은 분류체계에 근거해 해외 시장 동향을 조사했다. 이와 함께 주요 영화 관련 기업분석 및 컨퍼런스 소개를 수록함으로써 영화 시장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4. 연구수행결과: 연구 결과를 통해 주요 권역별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을 도출했다. 또한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영화 선진 시장 및 전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트렌드와 주요 사업자 동향 등을 제시했다.

5. 활용분야 및 실적: 이 보고서는 세계 및 권역별 영화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 및 사업자 동향을 조사해 제공함으로써, 각 권역별 시장 규모와 구조 및 특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화 산업에 종사하는 관련 종사자에게는 시장 안내의 지침서로, 관련 공무원들에게는 정책 수립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연구 효과 : 민간 부문에서는 본 보고서를 통해 해외 영화 시장의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효과적인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공공 부문에서는 국내 영화 관련 기업들의 해외 경쟁력을 제고하는 정책 수립의 효율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Page 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I -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1

제 1 절 영화 시장의 정의와 특성 ····································································································1

1. 영화 시장의 정의 ····························································································································· 1가. 영화 시장의 정의 ······················································································································ 1나. 영화 산업에 대한 디지털 기술의 영향 ························································································· 2

2. 영화 시장의 특성 ····························································································································· 3가. 인력과 자본의 집중 투여 ············································································································ 3나. 높은 리스크 ······························································································································· 4다. 높은 경제적 파급 효과 ·············································································································· 4라. 거대 미디어 기업에 의한 시장 과점 ·························································································· 4마. 다각화된 시장과 소비자 접점 ······································································································ 5

제 2 절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 방법론 ··················································································6

1.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 및 가치사슬 ··································································································· 6가. 영화 시장의 구조 ······················································································································· 6나. 영화 시장의 가치사슬 ················································································································· 7다.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 ················································································································· 9

2. 조사 방법론 ···································································································································· 10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12

제 1 절 세계 영화 시장의 규모와 전망 ·······················································································12

1. 세계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122. 세계 영화 시장 분야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133. 세계 영화 시장 권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154. 세계 영화 시장 관련 주요 통계 ······································································································ 16

가. 극장 관객 수 ···························································································································· 16나. 스크린 수 ································································································································· 17다. 영화 제작 편수 ························································································································· 18

제 2 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트렌드 ··························································································20

1. 3D 입체 영화 열풍 ························································································································· 20

이러닝편 목차영화편 목차

Page 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II -

2. 경제 위기의 영향과 투자 위축 ······································································································ 223. 인도와 중국 영화의 약진 ··············································································································· 234. 국제 공동제작 활기 ······················································································································· 245. 거대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의 영향력 확대 ······················································································ 256. 영화 유통 및 홈 비디오 시장의 지각 변동 가시화 ········································································· 267. 디지털 배급, 대세(大勢)로 자리 잡아 ···························································································· 298. 온라인 영화 시장의 분화 ············································································································· 31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33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33

1. 북미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332. 북미권 영화 시장 주요 통계 ··········································································································· 35

가. 극장 관객 수 ···························································································································· 35나. 영화 제작 편수 ························································································································· 36다. 극장 스크린 수 ························································································································· 36

3. 북미권 영화 시장 주요 트렌드 ········································································································ 38가. 경기침체 속 박스 오피스 실적 기대 이상 ················································································ 38나. 3D 영화에 대한 꾸준한 관심 ··································································································· 39다. 헐리웃 제작사들, 위기감 속에서 새로운 돌파구 모색 ······························································· 41라. DVD 시장의 지각변동과 갈등 ································································································ 44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47

1. 유럽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472. 유럽권 영화 시장 주요 통계 ··········································································································· 49

가. 극장 관객 수 ···························································································································· 49나. 영화 제작 편수 ························································································································· 50다. 스크린 수 ································································································································· 51

3. 유럽권 영화 시장의 국가별 주요 동향 ····························································································· 52가. 영국 ········································································································································· 52나. 프랑스 ···································································································································· 54다. 독일 ······································································································································· 55

4. 유럽권 영화 시장의 주요 트렌드 ····································································································· 56가. EU 회원국 영화 시장 안정 속 헐리웃 영화의 영향력 확대 ····················································· 56나. 디지털 시네마 지원 방안에 대한 논란 ····················································································· 58다. 비디오 시장 저작권 논의와 '삼진아웃제' ···················································································· 58

제 3 절 일본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59

1. 일본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59

Page 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III -

2. 일본 영화 시장 주요 통계 ··············································································································· 61가. 극장 관객 수 ···························································································································· 61나. 영화 제작 편수 ························································································································· 61다. 극장 스크린 수 ······················································································································· 62

3. 일본 영화 시장의 주요 트렌드 ······································································································ 62가. 스크린 증가에도 불구 관객 수는 제자리 ·················································································· 62나. 영화 제작 답보 속 각색 영화 제작 유행 ··················································································· 63다. 장비 벤더 협력으로 디지털 영화관 사업 가속화 ······································································· 64

제 4 절 중국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67

1. 중국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672. 중국 영화 시장 주요 통계 ··············································································································· 69

가. 극장 관객 수 ···························································································································· 69나. 영화 제작 편수 ························································································································· 69다. 스크린 수 ································································································································· 70

3. 중국 영화 시장의 주요 트렌드 ········································································································ 71가. 중국 영화, 자국 시장 내 비중 확대 ··························································································· 71나. 대형 원선기업들의 영향력 증대 ···························································································· 72다. 영화관 설비 및 디지털 극장 인프라 확대 ············································································· 73라.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강화 ····································································································· 74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75

1.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752.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주요 통계 ··························································································· 77

가. 극장 관객 수 ···························································································································· 77나. 영화 제작 편수 ························································································································· 77다. 극장 스크린 수 ························································································································· 78

3.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주요 동향 ··························································································· 79가. 인도 ······································································································································· 79나. 태국 ········································································································································· 80다. 말레이시아 ······························································································································ 80라. 호주 ······································································································································· 81

제 6 절 남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82

1. 남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 822. 남미권 영화 시장 주요 통계 ··········································································································· 84

가. 극장 관객 수 ···························································································································· 84나. 영화 제작 편수 ························································································································· 84다. 극장 스크린 수 ························································································································· 85

3. 남미권 영화 시장의 주요 동향 ········································································································ 86

Page 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IV -

가. 멕시코 ·································································································································· 86나. 브라질 ······································································································································ 86다. 아르헨티나 ······························································································································· 87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89

제 1 절 Time Warner ···················································································································89

1. Company Profile ···························································································································· 89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90

가. 사업부문 ·································································································································· 90나. Time Warner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 ······················································································ 92

3. 최근 Company 이슈 ························································································································ 93가. DVD 시장 어려움 속 영화부문 영업이익 소폭 상승 ··································································· 93나. TV Everywhere 프로젝트 ······································································································· 94

제 2 절 The Walt Disney Company ······························································································96

1. Company Profile ··························································································································· 96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97

가. 사업부문 ·································································································································· 97나. Disney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 ······························································································ 100

3. 최근 Company 이슈 ······················································································································ 102가. 경기 침체에 급감한 매출과 영업이익 ······················································································ 102나. Marvel 인수 ··························································································································· 104다. Hulu 진영 합류 ······················································································································ 105

제 3 절 News Corp. ···················································································································106

1. Company Profile ························································································································· 106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07

가. 사업부문 ································································································································· 107나. News Corp.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 ······················································································ 110

3. 최근 Company 이슈 ······················································································································ 111

제 4 절 Viacom ··························································································································112

1. Company Profile ························································································································· 112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13

가. 사업부문 ································································································································· 113나. Viacom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 ····························································································· 114

3. 최근 Company 이슈 ······················································································································ 115가. DVD 부문 합병 소문 ··········································································································· 115

Page 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V -

나. 크로스 미디어 전략 다각화 ····································································································· 115

제 5 절 도호(東宝株式会社, TOHO Co., Ltd.) ···············································································117

1. Company Profile ························································································································· 117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183. 최근 Company 이슈 ······················································································································ 118

제 6 절 도에이(東映) ···················································································································120

1. Company Profile ························································································································· 120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213. 최근 Company 이슈 ······················································································································ 122

제 5 장 주요 Conference 및 전시회 ·······································································123

제 1 절 American Film Market ···································································································123

1. 개요 ············································································································································· 1232. 행사 배경 ····································································································································· 1233. 2009년 행사 내용 ························································································································· 123

제 2 절 Canne Market ··············································································································125

1. 개요 ············································································································································· 1252. 행사 배경 ····································································································································· 1253. 2009년 행사 내용 ························································································································· 126

제 3 절 Europe Film Market(EFM) ······························································································127

1. 개요 ············································································································································· 1272. 행사 배경 ····································································································································· 1273. 2009년 행사 내용 ························································································································· 127

【참고자료】 ············································································································128

Page 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VI -

<표 1-1>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영화산업 구분 ····························································································· 2<표 1-2>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 ······················································································································· 10<표 1-3> 세계 영화 시장 조사를 위한 주요 국가별 자료 수집 출처 리스트 ······················································ 11

<표 2-1> 세계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12<표 2-2> 세계 영화 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 15<표 2-3> 헐리웃 영화사들의 현지화 전략 및 국제 공동제작 사례 ····································································· 25<표 2-4>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30

<표 3-1> 북미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33<표 3-2> 미국의 극장 입장료 변동 추이 ·········································································································· 35<표 3-3> 2009년 상반기 미국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 10 ··········································································· 38<표 3-4> 2009년 미국 영화계의 3D 영화 제작 현황 ························································································ 39<표 3-5> 헐리웃 주요 영화사의 게임사업 진출 현황 ························································································ 42<표 3-6> 유럽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47<표 3-7> 유럽의 국가별 영화 제작 편수 증감 추이 ·························································································· 51<표 3-8> 2008년 영국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 10 ······················································································ 53<표 3-9> 2009년 상반기 프랑스 극장 관객 수 ································································································· 54<표 3-10> 2008년 프랑스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55<표 3-11> 2008년 독일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55<표 3-12> 2008년 EU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 10 ······················································································ 57<표 3-13> 일본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59<표 3-14> 일본에서 시행 중인 다양한 극장 입장료 할인 제도 ········································································· 63<표 3-15> 중국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67<표 3-16> 2008년 중국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71<표 3-17> 중국의 10대 원선기업 ···················································································································· 73<표 3-18> 아태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75<표 3-19> 2008년 인도 발리우드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80<표 3-20> 남미권 영화 시장 규모 및 전망 ······································································································ 82<표 3-21> 2008년 멕시코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86<표 3-22> 2008년 브라질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87<표 3-23> 2008년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 88

<표 4-1> Time Warner Cable의 서비스 브랜드 현황 ······················································································· 91

영화편 표목차

Page 1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VII -

<표 4-2> Disney 부문별 실적 현황 ················································································································ 102<표 4-3> Disney 2009 회계연도 1/4~3/4분기, 2008 회계연도 1/4~3/4분기 실적비교 ··································· 103<표 4-4> Disney Media Networks 부문의 2008년 1-3분기, 2009년 1-3분기 실적비교 ································ 103<표 4-5> Filmed Entertainment 사업부문 계열사 ··························································································· 107<표 4-6> Television 사업부문 계열사 ············································································································ 108<표 4-7> Cable Network Programming 사업부문 계열사 ················································································ 109<표 4-8>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Division 사업부문 계열사 ····················································· 109<표 4-9> Viacom의 부문별 주요 브랜드 ········································································································ 113<표 4-10> 도에이 자회사 현황 ······················································································································ 121

<표 5-1> AFM 2009 참가 현황 ···················································································································· 124

Page 1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VIII -

<그림 1-1> 영화산업의 4개 부문 ······················································································································· 1<그림 1-2> Digital化에 따른 영상산업의 변화 ···································································································· 3<그림 1-3> 영화 시장의 구조 및 가치창출 영역 ································································································ 6<그림 1-4> 단계별 참여자들을 포함한 영화 시장의 가치사슬 ············································································· 8<그림 1-5> 영상제작 전후를 보여주는 영화산업의 가치사슬 ··············································································· 9

<그림 2-1> 세계 영화 시장 규모 추이 ············································································································· 13<그림 2-2> 세계 영화 시장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 14<그림 2-3> 2009년과 2014년 전 세계 영화 시장 분야별 비중 ········································································· 14<그림 2-4> 2009년과 2014년 세계 영화 시장 권역별 비중 ·············································································· 16<그림 2-5> 세계 권역별 극장 관객 수 추이 ····································································································· 17<그림 2-6> 세계 권역별 극장 스크린 수 추이 ·································································································· 18<그림 2-7> 세계 권역별 영화제작 편수 변동 추이 ··························································································· 19<그림 2-8> 북미 주요 입체 영화의 입체 상영관수와 입체 상영 매출 비중 추이 ················································ 21<그림 2-9> 거대 미디어 업체들과 헐리웃 메이저 영화사들의 소유 관계 ··························································· 26<그림 2-10> 헐리웃 영화 배급사들의 홀드백 체계 ··························································································· 27<그림 2-11>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 29<그림 2-12> 배급사별 아이튠스(iTunes) 온라인 카탈로그 편입 영화 수 (2009. 3 기준) ································· 32

<그림 3-1> 북미권 영화 시장 부문별 시장규모 추이 ························································································ 34<그림 3-2> 2009년과 2014년 북미권 영화 시장의 부문별 비중 ······································································· 34<그림 3-3> 미국의 극장 관객 수 및 입장료 ····································································································· 35<그림 3-4> 미국의 영화 제작 편수와 개봉 편수 ······························································································ 36<그림 3-5> 미국 극장 스크린 수 추이 ············································································································· 37<그림 3-6> 2008년 미국 유형별 극장 비중 ······································································································ 37<그림 3-7> Epix에서 유통된 주요 영화 ··········································································································· 43<그림 3-8>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Watch Instantly 사이트 ··········································································· 45<그림 3-9> 미국의 DVD 대여시장을 둘러싼 대립 상황 ···················································································· 46<그림 3-10> 유럽권 영화 시장규모 추이 ·········································································································· 48<그림 3-11> 2009년과 2014년 유럽권 영화 시장의 부문별 비중 ····································································· 48<그림 3-12> 유럽 극장 관객 수 추이 ·············································································································· 49<그림 3-13> 유럽 주요국 극장 관객 수 변동 추이 ··························································································· 50<그림 3-14> 유럽의 영화 제작 편수와 개봉 편수 ····························································································· 50<그림 3-15> 유럽 국가별 디지털 스크린 수 현황(2008. 6 기준) ····································································· 52

영화편 그림목차

Page 1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 IX -

<그림 3-16> 2008년 EU시장 개봉영화 제작국가 비율(관객 수 기준) ····························································· 57<그림 3-17> 일본 영화 시장 부문별 추이 ········································································································ 60<그림 3-18> 2009년과 2014년 일본 영화 시장 부문별 비중 ············································································ 60<그림 3-19> 일본의 관객 규모 변동 추이 ········································································································ 61<그림 3-20> 일본의 영화 개봉 편수 ················································································································ 62<그림 3-21> 일본영화의 홀드백 시스템 개요 ··································································································· 64<그림 3-22> Sony의 디지털 서비스 시네마 개요도 ·························································································· 65<그림 3-23> 중국 영화 시장 규모 추이 ··········································································································· 68<그림 3-24> 2009년-2014년 영화 시장 부문별 비중 ······················································································ 68<그림 3-25> 중국의 관객 규모 추이 ················································································································ 69<그림 3-26> 중국의 영화 제작 편수와 개봉 편수 ····························································································· 70<그림 3-27> 중국의 극장 스크린 수 추이 ········································································································ 70<그림 3-28> 영화 ‘난징! 난징!’의 포스터 ········································································································ 72<그림 3-29> 아태권 영화 시장 규모 추이 ········································································································ 76<그림 3-30> 2009년과 2014년 아태권 영화 시장 부문별 비중 ········································································· 76<그림 3-31> 아태권 주요 국가들의 극장 관객 수 추이 ····················································································· 77<그림 3-32> 아태권 주요 국가들의 영화 제작 편수 추이 ················································································· 78<그림 3-33> 아태권 주요 국가들의 스크린 수 ································································································· 78<그림 3-34> 남미권 영화 시장 규모 추이 ········································································································ 83<그림 3-35> 2009년과 2014년 남미권 영화 시장 부문별 비중 ········································································· 83<그림 3-36> 남미권 주요 국가들의 극장 관객 수 추이 ····················································································· 84<그림 3-37> 남미권 주요 국가들의 영화 제작 편수 추이 ················································································· 85<그림 3-38> 남미권 주요 국가의 스크린 수 ····································································································· 85

<그림 4-1> Time Warner의 미디어 부문 사업 포트폴리오 ··············································································· 93<그림 4-2> Time Warner의 미디어 부문 사업 현황 ························································································· 94<그림 4-3> Time Warner의 TV Everywhere 프로젝트 제휴사업자 현황 ·························································· 95<그림 4-4> Walt Disney의 미디어 사업 포트폴리오 ························································································· 98<그림 4-5> Disney Consumer Products 사업부의 다양한 캐릭터 상품들 ························································ 100<그림 4-6> Disney 가치사슬별 사업전략과 사업부문 ······················································································ 101<그림 4-7> Disney와 Marvel 합병에 따른 득실 비교 ····················································································· 105<그림 4-8> News Corp.의 미디어 사업 포트폴리오 ························································································ 110<그림 4-9> 2008~2009년 도호의 주요 흥행작 ····························································································· 119

<그림 5-1> 깐느 영화제와 함께 열리는 Canne Market(The Marché du Film) ················································ 125

Page 1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영화 시장의 정의와 특성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제 1 화 시장의 정의와 특성

1. 화 시장의 정의

가. 영화 시장의 정의 영화란 “연속적인 영상이 필름 또는 디스크 등의 디지털 매체에 담긴 저작물로서 영화상영관 등의 장소

또는 시설에서 공중에게 관람하게 할 목적으로 제작한 것”을 가리키며1), 영화 시장은 영화의 제작․활용․유통․보급․수출입 등에 관련된 시장2)을 의미한다. 요컨대 영화 시장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공중에게 영상물을 제공하며, 투자 및 제작, 배급, 상영, 부가시장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영화산업을 투자 및 제작, 배급, 상영, 부가 시장 등 4개 시장으로 구분할 경우3) 극장 박스오피스는 상영 부문에 포함되고 텔레비전 영화, DVD 등의 홈 엔터테인먼트,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영상은 부가시장에 포함된다4). 본 보고서에서는 주로 극장용 영화에 초점을 맞춰 박스오피스 시장을 분석하고 홈 엔터테인먼트와 온라인 영상 부문은 부가 시장에서 다룬다.5)

<그림 1-1> 화산업의 4개 부문

자료원: MPAA, 2008

본 보고서에서는 콘텐츠 산업을 중심으로 다루기 때문에 영화제작 및 상영을 위한 장비 제조업체와 극장설비 구축업체, TV, DVD플레이어 등 가전제품 제조사들은 영화산업에 포함시키지 않았고, 필요한 경우 본문 내에서 별도로 언급하였다. 상업용 광고와 뮤직비디오의 경우도 유의미한 영상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

1)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영화진흥법’이라 함)」제2조(정의) 제10호]

2) 영화진흥법 제2조(정의) 제1호 내지 제2호

3)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영화산업은 크게 영화 및 비디오 제작, 영화 및 비디오 제작관련 서비스, 영화 배급, 영화

및 비디오 상영으로 구분

4) <영화산업 구조분석 및 경쟁정책적 평가> 공정거래위원회, 2008의 분류를 따름

5) TV 영화의 경우 TV 시장보고서 참조

Page 1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2 한국콘텐츠진흥원

으나 극장 상영용 영상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의 특성상 영화산업 부문에서 제외했다. 아울러 온라인 영상에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성인영화도 본 보고서에서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캐릭터 산업 등과 연관되는 영화 부가 판권 시장 역시 별도의 보고서를 통해 다루고 있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영상 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영화, 비디오물,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업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 프로그램 제작 관련 서비스업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 프로그램 배급업

영화 비디오물 상영업

<표 1-1> 한국표 산업분류에 따른 화산업 구분

자료원: 공정거래위원회, 2008

나. 영화 산업에 대한 디지털 기술의 영향최근 영화산업을 이야기하며 디지털 기술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영화산업은 최신 기술을 선도적으

로 활용하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영상 산업의 도래에 따른 기존 아날로그 영상산업의 변화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영화 콘텐츠 공급자 측면에서 볼 때, 미디어기업 외에 다양한 진영의 기업들이 디지털영상 산업으로의 진출을 꾀하고 있다. 거대 복합 미디어기업들에 의해 운영되는 몇몇 배급 채널들을 통해서만 콘텐츠의 유통이 가능했던 아날로그 시대와는 달리,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 인프라 덕분에 새로운 유통 채널이 급증하고 배급망이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배급 방식에서 생겼던 병목현상들이 완화되고 있다.

또한 유통 시장에 인터넷 사업자를 비롯한 다양한 진영의 업체들이 참여하면서, 기존의 유통 질서가 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유통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신생업체들이 디지털영상 시장에 진출하고, 콘텐츠 유통 시장에 직접 뛰어드는 헐리웃 영화사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등, 영화 콘텐츠 유통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공급자 측면에서 나타난 또 다른 변화는 영상콘텐츠의 패키징 및 유통 단계에서 거래 비용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영상물을 복제할 때 한계비용이 거의 제로에 근접해지고 복제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 영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영화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이 기존의 아날로그 시대보다 현저히 감소하고 이에 따라 영화산업 구조 전반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수요자 측면에서의 변화는 영상콘텐츠 소비 매체의 변화, 이용 장소의 확대, 소비 행태의 변화 등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시대에는 사용자들이 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단말이 극장 스크린과 TV, DVD 등으로 제한되어 있었지만, 디지털 시대에는 PC, PMP, 휴대폰, 콘솔 게임기 등 다양한 단말 환경에서 영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수요자 측면에서 디지털화로 인해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무엇보다도 영상콘텐츠를 수동적으로 소비하

Page 1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영화 시장의 정의와 특성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3

던 단순 고객들이 콘텐츠의 생산과 유통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일명 ‘프로슈머’(prosumer)로 활약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이다. 관객들은 이제 디지털 장비의 보편화, 브로드밴드의 진화, 인터넷의 발달, 각종 커뮤니티의 활성화 등에 힘입어 영상 콘텐츠를 쉽게 접하고 생산하며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영화 콘텐츠 시장의 디지털화와 맞물려 기술 표준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기존 아날로그 시대와는 달리 유통 채널이 다양해지고 글로벌 배급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영상물의 기술 표준에 대한 주도권 확보 경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패키징과 배급 단계에서 기술 표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AnalogAnalog DigitalDigital

시장시장

공급공급SideSide

유통채널 소수 거대 복합미디어 기업이 장악

소수 거대 복합미디어 기업이 장악

다양한 진영의 Player들이등장=> 유통채널확대

다양한 진영의 Player들이등장=> 유통채널확대

TV, 극장(Screen)TV, 극장(Screen) TV, PC, PMP, 휴대폰,게임 콘솔 등

TV, PC, PMP, 휴대폰,게임 콘솔 등

수요수요SideSide

이용장소

소비 행태

가정, 극장가정, 극장 Any WhereAny Where

수동적 이용수동적 이용 능동적 이용=> Prosumer의 등장

능동적 이용=> Prosumer의 등장

소비 매체

제작, 패키징, 유통비용

제작에서 유통에 이르는비용이 큼

제작에서 유통에 이르는비용이 큼 크게 감소크게 감소

기술기술 보통보통 강화강화기술표준의 전략적 중요성

<그림 1-2> Digital化에 따른 상산업의 변화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2. 화 시장의 특성

가. 인력과 자본의 집중 투여영화 산업의 부가가치는 대부분 서비스 영역에서 창출된다. 영화산업 중 ‘제조업’에 포함되는 것은 필름

과 DVD, 비디오 카세트 생산과 복제 업무 정도에 불과하다.6) 그만큼 영화산업은 인력자원 중심의 ‘노동집약적’ 서비스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인력만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것이 영화산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영화 제작사와 상영시설을 운영하고, 영상 촬영은 물론 매우 전문적인 후처리 공정과 특수효과 등이 6) 미국의 경우 'NAICS Code 5121'에 규정된 내용 참조.

Page 1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4 한국콘텐츠진흥원

필요함을 감안하면 영화산업은 매우 ‘자본집약적’인 특징도 지니고 있다. 매몰비용과 고정비용 부담이 크다는 점도 영화산업의 ‘자본집약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영화 제작

비용은 관람객 수나 배급 규모와 관계없이 투입되며, 영화 한 편을 제작한 후 그 안에 들어간 자산을 다른 영화에 재활용할 수 있는 여지도 적다. 게다가 어떤 이유로든 제작이 중단될 경우 그 때까지 투입된 비용을 회수할 길이 없다. 전반적으로 초기 비용이 높고 그 이후 추가 비용이 적다는 점에서 영화산업의 비용구조는 온라인 정보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산업과 유사하다. 아날로그 영화의 경우 흥행 성공으로 여러 벌의 프린트를 만들어야 할 경우 증가하는 비용도 무시할 수 없지만 디지털 영화의 확산으로 그 부담은 줄어들고 있다.

나. 높은 리스크영화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비용에서는 사전 투자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여기에는 높은 리스크가

수반된다. 이 같은 리스크는 시장을 선도하는 메이저 제작사들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며 투자 규모에 비춰볼 때 오히려 리스크에 대한 노출 정도는 더 크다. 독립 영화의 경우 제작비 투자가 100만 달러 이하에서 이뤄지는 상황이어서 적은 투자비로 수 백 퍼센트의 수익을 올리는 사례도 있지만, 메이저급 영화사는 기본적으로 투자 규모가 크기 때문에 위험 부담도 더 커진다. 한편, 블록버스터 작품이 영화 제작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것은 특수효과에 들어가는 비용이 크기 때문이다. 블록버스터 영화 제작 비용은 통상 1억~2억 달러가 들어가며 타이타닉 같은 대작의 경우 2억 8천만 달러에 달하기도 한다.

다. 높은 경제적 파급 효과 영화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도 간과할 수 없다. 인력 집약적이고 특수 기술에 대한 요구가 큰 만큼 고

용 유발 효과와 타산업과의 연결고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 가지 사례로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감독한 Peter Jackson은 촬영지로 모국인 뉴질랜드를 선택했고, 이는 뉴질랜드에 상당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유발했다. ‘반지의 제왕’ 영화는 뉴질랜드의 광활한 대자연을 홍보하는 역할을 해 관광객을 증가시켰으며, 영화 산업에 관련된 2만 명의 고용 인력을 창출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한편, 영화의 제작과 유통은 주요 선진 산업국들을 중심으로 매우 중요한 사업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전통적인 영화 강국들의 상업 영화 제작이 활발한 가운데, 최근에는 중국과 인도 등이 신흥 영화강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라. 거대 미디어 기업에 의한 시장 과점7) 거대 글로벌 미디어 기업8) 산하의 제작사에서 만들어내는 영화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글로벌 미

7) 세계 영상산업을 글로벌 미디어기업이 주도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영상콘텐츠가 일반 재화와 달리 소비 후 가치를 판단하게 되

는 경험재로서의 특성으로 인해 시장 수요가 불확실하기 때문임.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High-risk, High-return) 산업인 영화

부문에서 리스크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미디어기업 수준의 규모가 요구됨

Page 1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영화 시장의 정의와 특성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5

디어 기업은 사업 포트폴리오에 영화의 제작과 배급, 방송은 물론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영역도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전통적인 엔터테인먼트 영역은 물론 상업용 포털, 온라인 방송, 케이블 TV와 통신 네트워크에 이르는 광범위한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영화 산업의 가치사슬과 비즈니스 모델을 재편하고 있다. 글로벌 미디어기업들은 특히 인수․합병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사업을 계속 확장하고 있으며, 유통 채널을 달리하는 이종 매체간의 수평적 결합을 통해 콘텐츠 유통 채널을 다양하게 확보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수직적 결합을 통해 콘텐츠 제작과 배급 부문 사업을 통합해 나가고 있다. 이 같은 수평․수직 계열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미디어기업들은 콘텐츠를 확보의 용이성과 콘텐츠 거래 비용 감소 등의 직접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물론 투자 위험이 분산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마. 다각화된 시장과 소비자 접점영화 상품은 극장 박스오피스 시장과 위성, 케이블, 공중파 등의 텔레비전 플랫폼, 홈 비디오 판매와 대

여 등으로 이뤄지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장,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와 인터랙티브 TV, 모바일 영상 등의 소비자 시장 등 다양한 접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 밖에도 각종 장난감, 책, 음악, 게임 등의 부가 상품 및 머천다이징 시장과도 연계되어 있다. 이런 다각화된 시장은 영화 및 관련 사업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8) OECD에 따르면, 영화를 포함한 영상 콘텐츠 비즈니스는 참여자들의 역할범위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Content Producer), 플랫폼

(Content Platform), 신디케이터(Content Syndicator), 거대 미디어 기업(Content Conglomerate)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계

영화시장에서는 콘텐츠의 제작에서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거대 미디어 기업들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있음

Page 1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6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화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 방법론

1. 화 시장의 분류체계 가치사슬

가. 영화 시장의 구조본 보고서에서는 영화 시장의 구조를 ‘제작’과 관련된 공급 측면과 ‘유통 및 관객 접점’과 관련된 수요

측면으로 정리해 검토한다. 수요 측면의 경우 1차 시장인 극장 박스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텔레비전과 홈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영상의 경우 수요 측면의 2차 시장(제 1절에 소개한 공정거래위원회의 분류에 따르면 ‘부가시장’)으로 다룬다. 캐릭터, 게임, 출판, 관광 등 영화산업과 관련된 부가산업 부문은 다루지 않는다.

<그림 1-3> 화 시장의 구조 가치창출 역

자료원: 영화산업 구조분석 및 경쟁정책적 평가, 공정거래위원회, 2008, 한국영화산업 규

모 예측과 성장요인 분석, 방송위원회, 2004

1) 공급 측면 : 제작 및 투자

헐리웃을 중심으로 한 세계 영화산업은 영화를 포함한 미디어 산업 계열사를 거느린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영상, 음악, 인쇄 미디어 전반에 걸쳐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현재 헐리웃의 주요 제작사들 중 상당수가 이 같은 글로벌 대기업이나 다국적 투자자들의 소유이다. 또한 최근 세계 영화산업의 제작 구조는 자국 내 영화 시장만을 겨냥하기보다는 글로벌 배급과 유통을 고려하는 쪽으로 재편되고 있다. 글로벌 배급은 물론 다양한 국가가 참여하는 공동 제작 시스템이 확산되면서 뉴질랜드와 영국처럼 영화 제작 건수가 급증하는 국가들도 있다.

Page 1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7

2) 수요 측면 : 배급 및 상영

본 보고서에서 수요 측면의 1차 시장으로 삼고 있는 극장 박스오피스 시장과 2차 시장으로 묶은 텔레비전, 홈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영상 시장 사이의 구분은 극장 스크린을 통해 공공에게 영화를 상영하는 경우와 기타 개별 영상 디스플레이 장비(PC 포함)를 통해 개인적으로 소비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수익 모델에서도 1차 시장과 2차 시장은 구분되는데, 극장 박스오피스 시장이 관객들의 입장료 수입 중심으로 수익이 창출되는 반면 2차시장의 경우 광고 수익의 비중이 크다. 그러나 케이블 등 유료 TV와 DVD 셀스루(Sell-through)9) 시장, VOD 시장 등이 성장하면서 이 같은 전통적인 경계도 모호해지고 있다.

나. 영화 시장의 가치사슬영화 시장의 가치사슬은 매우 복잡하다. 오리지널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것은 물론, 일단 영화가 만들어진 후에도 새로운 부가가치를 덧붙여 다양한 상품으로 변용시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영상 엔터테인먼트 상품 자체가 본질적으로 이 같은 중간재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다 각종 기술과 매체의 발달로 소비자 접점이 더욱 다각화되면서 영화 시장의 가치사슬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화산 시장의 가치사슬은 영화의 투자와 제작, 배급, 상영, 부가 시장으로 연결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사업자들이 참여한다. 투자 단계에서는 다양한 배경의 투자자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제작 단계는 제작 전단계(pre-production), 제작 단계(production), 제작 후단계(post-production)로 이루어진다. 제작 전단계에서는 기획에 부합하는 시나리오 집필과 캐스팅, 사전 시장조사 등이 이뤄지며 투자단계는 제작 전단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작 단계에서는 실제 영화 촬영이 이뤄지며 제작 후단계에서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제반 후반작업인 녹음, 현상, 편집, CG 작업 등을 진행한다. 이 부분에서는 영화 제작사들이 활약한다. 제작 단계를 거쳐 영화 콘텐츠가 완성되면 배급사를 통해 홍보와 마케팅, 판권 유통 등의 작업이 이뤄지며 극장에서의 상영 단계 및 DVD와 TV, 온라인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2차 유통이 이뤄진다.

9) DVD 시장은 소비자에게 DVD를 판매하는 ‘셀스루’와 대여하는 ‘렌탈’ 시장으로 나뉘며, ‘렌탈’ 시장의 경우 오프라인 대여와 온라

인 대여로 다시 나눌 수 있음

Page 2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1-4> 단계별 참여자들을 포함한 화 시장의 가치사슬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영화 영상 기술과 배급 관련 기술이 꾸준한 발전을 이루면서도 영화산업의 기본적인 가치창출 구조는 큰 변화 없이 지속되어 왔지만 최근 디지털 영화 기술의 성숙과 콘텐츠-미디어-통신 부문의 활발한 교류에 힘입어 다음과 같은 변화를 맞고 있다. 첫째, 제작 단계와 제작 후단계의 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둘째, 극장의 상영 환경과 텔레비전 영화 방영 환경 사이에 차이점이 사라지고 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셋째, 단순히 온라인으로 영상 콘텐츠를 공급하는 수준을 넘어,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관객과의 인터랙티브 접촉과 같은 새로운 부가가치 영역이 생겨나고 있다.

Page 2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9

<그림 1-5> 상제작 후를 보여주는 화산업의 가치사슬

자료원: MPAA, 2008

다.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부가가치 창출 시점이 다각화되어 있고 사용자 접점이 분산되어 있는 영화산업의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분류체계가 혼재하고 있으나, 단계별로 정리하면 크게 제작과 투자(production and investment), 배급(distribution), 상영(exhibition or use)의 3단계 분류와 여기에 부가 산업(auxiliary business)을 더한 4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10)

본 보고서에서는 시장 규모 통계 조사를 위해, 매출이 발생하는 유통 채널에 따라 영화 시장을 크게 3부문으로 나눈다. 첫 번째 시장은 박스 오피스 수익이 집계되는 극장 상영 시장이다. 극장 상영 시장은 극

10) 이 같은 분류에 대한 대안으로 시네마, TV, DVD 등 홈비디오, 온라인 시장을 동등한 4개의 도메인으로 보는 방법도 있으며, 이

때 시장을 분석하는 틀은 상영접점인 시네마, TV, DVD, 온라인 시장의 4원 구조를 갖게 되고 여기에 제작 부문과 기타 관련 산

업이 추가됨

Page 2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장 세계 영화 시장 개요

10 한국콘텐츠진흥원

장의 매표 수익을 집계함으로써 산출된다. 두 번째 시장은 홈비디오 시장으로, DVD, Blu-ray, VHS 등 패키지 상품의 판매 매출액이 합산된 시장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온라인 시장은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를 통해 영화 콘텐츠가 대여, 다운로드 등의 방식으로 유통되는 시장이다. 극장 설비 산업이나 관련 기술 산업은 공식적인 영화 시장 규모에 포함시키지 않고, 필요할 경우 본문에서 별도로 다루기로 한다.

시장 분류체계 정의

극장 상영 시장장편 영화의 극장상영에서 발생하는 박스오피스 수익을 집계함으로써 산출

되는 시장

홈비디오 시장

판매DVD, VHS, 블루레이 등의 물리적인 영화 패키지 상품을 매장판매, 전자상

거래 등의 방법을 통해 판매하는 시장

대여DVD, VHS, 블루레이 등의 물리적인 영화 패키지 상품을 대여점 렌털, 키오

스크 렌털, 우편대여 등의 방법으로 대여하는 시장

디지털 온라인 시장

온라인

대여

영화를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파일 다운로드 시에는 감상 후나 일정기간 경

과 후 파일 자동폐기) 방식으로 대여하는 시장

디지털

다운로드

디지털 파일 형태로 PC, PMP, 게임기, 셋탑박스 등에 저장, 소유할 수 있는

영화 파일을 온라인에서 다운로드 방식으로 판매하는 시장

<표 1-2> 화 시장의 분류체계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2. 조사 방법론

이 보고서는 각종 관련 통계를 활용하여 전 세계 및 권역별 영화 시장규모 및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를 제공하고, 통계 자료를 통해 제시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정성적 자료들을 수집하여 만화 산업 트렌드와 수요자 동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본 보고서에서는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눈다. 1차 시장은 극장 흥행 매출인 박스오피스 수익을 집계하는 박스오피스 시장이며 2차 시장은 DVD, VHS, 블루레이 등의 판매, 대여, 온라인 매출이 집계되는 홈비디오 시장이다. 2차 시장은 오프라인 홈비디오 시장과 디지털 온라인 시장으로 세분화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시장 분류체계에 따라 전 세계 영화 시장 규모를 산출했다. 기본적인 통계 데이터로는 PWC의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09-2014의 Filmed Entertainment 부분 통계를 이용했다. 이밖에 각 지역 혹은 국가별로 다뤄야 할 통계 중 일부는 해당 국가의 영상 및 미디어 관련 기구들이 발표한 통계자료와 지역 정보를 활용하였으며 언론을 통해 공개된 내용들과 주요 영화 사업자들이 공개한 자료들을 참조하였다. 한편, 각 국가별 주요 트렌드 및 이슈 등과 같은 정성적 자료 수집에 활용한 주요 소싱 채널은 다음과 같다.

Page 2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영화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1

국가 구분 수집처 홈페이지

전세계 협회미국영화협회(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MPAA)www.mpaa.org

전세계 조사기관 Box Office Mojo www.boxofficemojo.com

전세계 기관 OECD www.oecd.org

전세계 조사기관 PriceWaterhouseCoopers www.pwc.com

전세계 조사기관 Nielsen Media www.nielsoneid.com

전세계 미디어 Internet Movie Database www.imdb.com

전세계 미디어 Screen Digest -

미국 협회미국영화협회(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MPAA)www.mpaa.org

미국 협회 National Association of Theatre Owners www.natoonline.org

미국 협회 American film institute www.afi.com

미국 미디어 New York Times www.nytimes.com

미국 미디어 Wall Street Journal www.wsj.com

미국 미디어 Moviefone www.moviefone.com/

남미 기관Fundación del Nuevo Cine

Latinoamericanowww.cinelatinoamericano.org

일본 협회 일본영화제작자연맹 www.eiren.org

일본 협회 映像産業振興機構(VIPO) www.vipo.or.jp

일본 기업 Cinemacafe www.cinemacafe.net/

일본 미디어 Allcinema www.allcinema.net

유럽 협회 EAO(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 www.obs.coe.int

유럽 협회 MEDIA Salles www.mediasalles.it

유럽 정부 European Commission ec.europa.eu/index_en.htm

프랑스 미디어 Le film Français www.lefilmfrancais.com

독일 협회독일극장연합

(Hauptverband Deutscher Filmtheater)www.deutsches-filminstitut.de

독일 협회독일영화배급위원회

(Verband der Filmverleiher)www.vdfkino.de

독일 미디어 Filmecho www.filmecho.de

독일 미디어 Filmzeitung www.filmzeitung.de

영국 정부기관 UK Film Council www.ukfilmcouncil.org.uk

영국 미디어 Screen Daily www.screendaily.com

중국 정부기관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 www.sarft.gov.cn

중국 정부기관 중국문화산업망 www.cnci.gov.cn

중국 미디어 Search China news.searchina.ne.jp

중국 미디어 人民網日本語版 japanese.china.org.cn

중국 미디어 中国特快ニュース www.tokkai.com

<표 1-3> 세계 화 시장 조사를 한 주요 국가별 자료 수집 출처 리스트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Page 2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1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제 1 세계 화 시장의 규모와 망

1. 세계 화 시장 규모 망

전 세계 영화 시장은 2009년 848억 3,300만 달러로 추산되고 있으며, 4.4%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이며 증가해, 2014년에는 1,053억 1,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25,838 24,786 26,316 27,302 28,340 29,586 31,095 33,046 35,280 37,711 39,474 5.9%

홈비디오

합계 56,153 54,617 54,356 54,251 52,399 51,118 51,032 52,000 53,673 56,336 56,755 2.1%

판매 37,479 36,793 36,508 36,353 34,708 33,371 33,257 34,243 35,983 38,774 39,185 3.3%

대여 18,674 17,824 17,848 17,898 17,691 17,747 17,775 17,757 17,690 17,562 17,570 -0.2%

디지털

온라인

합계 844 1,233 1,563 2,343 3,186 4,129 5,016 5,999 7,082 8,118 9,086 17.1%

대여 843 1,228 1,531 2,210 2,900 3,741 4,481 5,285 6,053 6,702 7,501 14.9%

다운로드 1 5 32 133 286 388 535 714 1,029 1,416 1,585 32.5%

합계 82,834 80,633 82,233 83,896 83,925 84,833 87,143 91,045 96,035 102,165 105,315 4.4%

<표 2-1> 세계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주: 반올림으로 인해 일부 항목의 합산치가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이하 본문 통계 모두 해당함)

자료원: PWC, 2009

2008년에는 전년 대비 0.03%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던 전 세계 영화 시장 규모는 2009년에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1.1%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부문별로는 박스오피스 시장에 해당하는 극장상영 부문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홈비디오 시장은 DVD 판매 침체 때문에 최근 몇 년 동안 계속해서 감소해왔다. 한편, 온라인 시장은 매우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기 침체는 영화 시장에 장기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영화 제작에는 최고 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이러한 효과가 단기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불황에 위축된 제작 투자는 몇 년 후 시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최근 극장용 영화 투자에 유입되는 자금이 대폭 줄어들었다는 뉴스가 보고된 바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영화 공급 시장을 중심으로 경기 침체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Page 2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세계 영화 시장의 규모와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3

<그림 2-1> 세계 화 시장 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2. 세계 화 시장 분야별 시장 규모 망

전 세계 극장 상영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295억 8,600만 달러로 추정되는 박스 오피스 시장은 5.9%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해 2014년에는 394억 7,4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홈비디오 시장은 2009년 511억 1,800만 달러에서 2.1%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해 2014년에는 567억 5,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홈비디오 시장은 2010년까지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1년경 성장세로 전환되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1년은 차세대 저장 매체인 Blu-ray의 시장 보급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2011년부터 홈비디오 시장의 성장세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시장은 높은 성장세가 돋보인다. 2009년 41억 2,900만 달러로 추정되었던 시장규모는 17.1%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해 2014년에는 2009년의 두 배를 상회하는 90억 8,6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Page 2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14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2> 세계 화 시장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2009년 영화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홈비디오 부문으로 전체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이 비중은 점차 낮아져 2014년에는 54%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극장상영 시장은 35%에서 37%로 점유율이 소폭 상승하겠고, 온라인 시장은 급성장에 힘입어 5%에서 9%로 두 배 가까이 비중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분야별 비중 2014년 분야별 비중

<그림 2-3> 2009년과 2014년 세계 화 시장 분야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2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세계 영화 시장의 규모와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5

3. 세계 화 시장 권역별 시장 규모 망

2009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영화 시장 권역은 북미권으로, 2009년을 기준으로 384억 1,100만 달러에 이르며 전 세계 시장에서 4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두 번째로 큰 시장은 유럽권으로 257억 1,9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로 30%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은 권역별로는 세 번째, 단일 국가로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며 89억 900만 달러로 11%의 시장 비중을 보인다. 그 뒤를 이어 아태권이 82억 4,700만 달러로 10%, 남미권이 25억 3,900만 달러로 3%, 중국이 10억 800만 달러로 1%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전세계 82,834 80,633 82,233 83,896 83,925 84,833 87,143 91,045 96,035 102,165 105,315 4.4%

북미권 37,985 37,374 38,213 38,992 38,243 38,411 39,232 40,756 42,687 45,135 46,315 3.8%

유럽권 27,152 25,465 25,384 25,374 25,533 25,719 26,261 27,269 28,744 30,668 31,447 4.1%

일본 8,703 8,495 8,511 8,641 8,738 8,909 9,099 9,480 9,936 10,432 10,736 3.8%

중국 349 430 563 702 868 1,008 1,161 1,307 1,463 1,631 1,782 12.1%

아태권 6,456 6,682 7,144 7,601 8,057 8,247 8,762 9,479 10,288 11,201 11,826 7.5%

남미권 2,190 2,190 2,420 2,586 2,486 2,539 2,628 2,754 2,917 3,098 3,209 4.8%

<표 2-2> 세계 화 시장 권역별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주: 권역별 구분에 포함되는 세부 국가는 다음과 같음. 북미권은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하며, 유럽권은 EMEA(Europe, Middle

East, Africa)로 서유럽, 동유럽, 중동, 아프리카의 국가들을 모두 포함. 아태권은 아시아․태평양권 국가들 중 일본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인 동남아시아, 인도, 한국, 호주, 뉴질랜드 등이 포함됨. 남미권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들을 포함

자료원: PWC, 2009

향후 성장 추세에서는 중국이 2009년에서 2014년까지 12.1%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가장 급속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아태권이 7.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 최대 시장인 북미권과 유럽권은 각각 연평균 성장률 3.8%, 4.1%로 신흥 시장에 비해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에는 중국이 전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로 늘어나지만,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전체 권역별 구도는 2009년과 거의 차이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Page 2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16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년 권역별 비중 2014년 권역별 비중

<그림 2-4> 2009년과 2014년 세계 화 시장 권역별 비

자료원: PWC, 2009

4. 세계 화 시장 련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2004년부터 2008년까지 주요 지역별 극장 관람객 수는 완만한 하향세 혹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미

국의 경우 박스오피스 관객 수는 2004년의 14억 8,400만 명에서 2008년에는 13억 6,400만 명으로 줄어들었으며, 유럽은 10억 1,280만 명에서 9억 2,42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일본은 1억 3,750만 명에서 1억 6,050만 명으로 줄어들었고, 중국은 2004년 1억 7,010만 명에서 2007년 1억 9,580만 명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Page 2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세계 영화 시장의 규모와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7

<그림 2-5> 세계 권역별 극장 객 수 추이

(단위 : 백만 명)

주: 유럽은 EU27개국의 통계를 기준으로 함. 공란은 자료가 발표되지 않은 부분

자료원: MPAA, NielsonEDI, Screen Digest,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그러나 2009년 상반기에는 다소 상황이 나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CAA(Cinema Advertising Association)에 따르면, 주요 국가들의 입장료 수입은 전년대비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국의 입장료 수입은 8,350만 달러로 늘어나 2001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나. 스크린 수전 세계 권역별 스크린 수에서는 미국이 2008년 기준, 3만 9,476개로 가장 많은데, 2005년 이후 4년 간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EU의 경우 2008년 통계는 아직 나와 있지 않으나 3만개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디지털 스크린 수는 최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Page 3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1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6> 세계 권역별 극장 스크린 수 추이

주 : 공란은 자료가 발표되지 않은 부분

자료원: MPAA, NielsonEDI, Screen Digest,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다. 영화 제작 편수영화제작 편수는 EU(유럽연합) 27개국이 2008년 1,145편을 만들어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고 520편을

제작한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전년도 제작 편수인 656편보다 무려 130여 편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경제위기의 여파를 실감하게 했다. 2008년에는 중국의 영화제작 편수가 400편을 기록하면서 418편인 일본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

Page 3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세계 영화 시장의 규모와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9

<그림 2-7> 세계 권역별 화제작 편수 변동 추이

자료원: MPAA, NielsonEDI, Screen Digest,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3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2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세계 화 시장의 메가트 드

1. 3D 입체 화 열풍

디지털 영화 시장의 발전과 긴밀하게 연계된 3차원(3D) 영화는 2009년 벽두부터 "3D가 모든 영화의 미래"11)라는 수식어 아래 한 해 동안 영화계를 이끌어갈 주요 화두로 회자되었다. 특히 북미 지역의 경우 3D 영화의 연이은 출시와 iMax 상영관의 확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영화의 신기원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DreamWorks는 향후 모든 차기작을 3D 버전으로도 출시할 계획임을 밝혔고 Disney 역시 'Up', 'G-Force', 'Toy Story' 등 4편 이상의 3D 영화를 선보였다. 1월에는 'My Bloody Valentine'이 3D 버전으로 개봉돼 신기술을 통한 공포영화의 부활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2009년 말에 선보인 James Cameron 감독의 대작 'Avatar'12)는 3D 영화의 기술적 방향성을 제시할 작품으로 일찌감치 이목을 집중시켰다. 2009년 최고의 기대작 중 하나였던 이 영화는 2010년 1월 25일을 기준으로 'Titanic'을 제치고 전 세계 역대 흥행 수입 1위 자리에 올랐다.

박스 오피스 시장은 입체 기술이 가장 먼저 도입된 분야이면서, 현재 입체 기술이 가장 큰 파급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시장이기도 하다. 입체 영화는 박스 오피스 매출을 증대시키고, 디지털 및 입체 스크린 상영 설비 확충을 이끌고 있다.

입체 영화의 수익 구조는 일반 영화에 비해 견고하다. 현재 일반 영화 티켓 가격은 8달러인데 입체 상영관 입장료는 여기에 일반적으로 3달러를 추가해 받고 있다. IMAX 입체영화관13)에서는 5달러의 프리미엄 요금을 추가로 받고 있음에도 관객 수는 줄지 않았다. 또한 입체영화는 객석 점유율을 높게 유지시키며, 지속적인 흥행 수입에도 영향을 미친다. 입체 스크린의 객석 점유율은 일반 스크린보다 높고, 보통 블록버스터 대작들이 첫 주에 가장 많은 관객 수입을 얻고 둘째 주부터 그 기세가 한풀 꺾이는 데 반해 입체영화는 꾸준히 관객을 동원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입체영화는 입체관 상영 수의 비중보다 입체 관람 매출 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 DreamWorks가 처음으로 선보인 입체 영화 ‘Monsters vs. Aliens’는 개봉 첫 주 7,300여개의 전체 개봉 스크린 가운데 28%에 해당하는 2,080개 스크린에서만 입체 방식으로 상영을 했음에도, 입체 상영 부분에서 거둔 수익이 3,260억 달러로 총 이익(5,930만 달러)의 56%를 차지했다. 2009년에 개봉한 두 입체 영화인 ‘My Bloody Valentine’과 ‘Coraline’은 입체 영화관 비중이 전체의 절반 이하였음에도 입체 상영 매출이 전체의 3/4 가량을 차지했다.

11) DreamWorks Animation의 Jeffrey Katzenberg CEO는 향후 자사의 모든 차기작을 3D 버전으로도 출시할 계획이라며 "언젠가

모든 영화가 3D 방식으로 제작될 것"이라고 단언

12) James Cameron 감독의 입체영화 ‘Avatar’ 배우들의 표정 연기를 CG에 반영하는 ‘이모션 캡처’라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 제작.

역대 흥행 기록 1위를 수립한 영화 ‘Titanic’의 James Cameron이 감독했으며, 공식 제작비는 2억 달러로 발표되었지만 실제 제

작비는 4억∼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관측되고 있음

13) IMAX(Image Maximum)는 IMAX사의 영화 필름 포맷이며, 종래 영화 필름과 비교할 때 훨씬 큰 사이즈(표준 IMAX 스크린은

폭 22미터에 높이 16미터)로 고해상도의 영상을 기록 및 표시할 수 있음. IMAX 입체영화는 이러한 대형 IMAX 스크린에 입체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일반 스크린에서 구현되는 입체영화에 비해 더 큰 현장감과 실감을 전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Page 3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21

<그림 2-8> 북미 주요 입체 화의 입체 상 수와 입체 상 매출 비 추이

자료원: Screen Digest, 2009

입체 영화의 매출 부양 효과에 힘입어 북미 박스 오피스 매출은 관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늘어났다. 2009년 여름시즌14) 집계된 북미 극장 매출은 42억 5,000만 달러로 2008년 여름시즌에 비해 1.3퍼센트 상승했다. 반면에 관람객 수를 나타내는 티켓 판매는 전년 여름에 비해 2.39퍼센트 하락한 571만개에 머물렀다.

2009년 여름 시즌 개봉한 입체영화는 Disney의 ‘Up’, ‘G-Force’, ‘X-Games 3D: The Movie’, Fox의 ‘Ice-Age 3’, Lionsgate의 ‘Battle for Terra’, Warner Bros.의 ‘Final Destination’을 위시한 6편이었다. 이들이 입체 상영관에서 거둔 매출액은 3억4,630만 달러에 이르러, 같은 기간 전체 박스 오피스 매출의 8.1%를 차지할 정도였다. 이들 입체 영화는 입체 상영관 매출이 전체의 55%를 차지하는 성과를 보였다. 유럽의 시장조사기관인 Screen Digest는 3억 4,630만 달러의 매출액 중에서 입체 상영 추가금액15)으로 발생한 매출액을 전체의 28퍼센트에 달하는 9,820만 달러로 추산한 바 있다.

14)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의 기간

15) 입체 영화관 입장료 추가금(premium)을 평균 3달러로 계산

Page 3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22 한국콘텐츠진흥원

3D 영화의 기대주 'Avatar'의 프로모션 3D 영화의 신기원을 연 작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James Cameron 감독의 영화 ‘Avatar'의 프

로모션에 일본의 가전업체인 Panasonic이 참여하기로 해 눈길을 끌었다. Panasonic은 2009년 8월 발표를 통해 20th Century Fox, 영화 제작사인 Lightstorm Entertainment와 더불어 'Avatar'의 프로모션을 공동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Avatar'는 'Titanic'을 연출한 Cameron 감독이 14년간 구상하고 4년간 제작한 디지털 3D 입체영화로, 막대한 자금이 투입됐으며, 판도라라는 행성을 무대로 주인공이 한 문명을 구하기 위한 싸움을 시작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anasonic은 2010년 출시 예정인 ’가정용 3D 시스템‘ 출시에 앞서 3D 영화의 매력과 시장성을 강조하기 위해 이번 프로모션에 참가했다. Panasonic은 'Avatar' 제작 현장에 자사 영상 기자재를 제공하는 등 3D 영화 제작 부문에서 이미 협력해왔다. Panasonic은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프로모션을 전개할 계획이다. 일본에서는 각종 이벤트는 물론 자사 브랜드인 ‘VIERA'의 TV CF에 Avatar 영상을 활용했고, 미국에서는 3D 지원 초대형 PDP 등을 탑재한 트럭 3대로 미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Full HD 해상도의 3D 영상을 홍보했다. 또한 유럽에서도 이동형 Full HD 3D Theater를 이용한 프로모션을 전개했다.

2. 경제 기의 향과 투자 축

2008년과 2009년을 강타한 글로벌 금융위기로 세계 경제가 휘청거린 가운데 영화 산업도 그 여파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NATO(National Association of Theatre Owners)의 발표에 따르면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2009년 1분기 미국의 극장 입장료 수입은 오히려 5.6% 증가하고 박스 오피스 규모도 8.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TO는 2009년 1월부터 7월까지 7개월 중 무려 5개월 동안이나 입장객 수 증가세가 이어졌다고 밝혔다.16)

그러나 금융위기와 경기위축이 영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2009년 초의 박스오피스 실적보다는 제작 및 투자 부문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타당하다. 영화 산업의 경우, 당장의 관객 수는 줄어들지 않더라도 영화 제작 부문이 위축되면서 경제위기의 효과가 다소 지연되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실제로 2005년부터 헐리웃 영화에 투자하기 시작한 헤지펀드 자금이 2009년에는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에서 2008년까지 영화 시장에 유입된 헤지펀드 규모는 150억 달러로 추정되지만 2009년부터는 썰물처럼 빠져나갔으며 단기 차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리스크 회피를 위해 영화 전문 투자자들에게 30~70%로 할인된 금액에 투자 권리를 넘기고 시장을 떠난 것으로 보인다. 주요 은행들 역시 영화 제작 부문에 대한 대출을 줄이고 이자율을 높이고 있다. 16)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른 엔터테인먼트 부문에 비해 영화관에 가는 것이 비교적 저렴하고 이 기간 중 영화 입장료가 크게 인

상되지 않았던 것에 따른 반사효과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음. 이 기간 중 미국 영화 시장의 실적이 좋았던 것은 배급사들이 영화

개봉시기를 조절한 결과이며 1월과 2월이라는 시기적인 요인도 작용했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음

Page 3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23

금융권의 영화 투자 회피 사례: 벨기에 ING 은행벨기에의 ING 은행은 영화 파이낸스 펀드 부문을 폐지하기로 했다. 2007년 영화 투자 펀드를 시작했던 ING 은행은 2년 동안 60여 편의 영화에 투자했으며 투자 금액은 약 4,200만 달러였다. 이 펀드의 본래 조성 목적은 은행이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한 것으로, 유럽영화 혹은 유럽과 공동 제작에 들어가는 투자금에 대해서는 세제 혜택이 제공됐었다. 데시아 은행도 2008년 영화 투자 펀드 조성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나 아직까지 투자 계획은 보류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에 따라 2009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메이저 영화사들이 출시하는 영화 편수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2006년 205편이었던 영화 출시 편수는 2008년에 이미 162편으로 감소한 바 있으며, 2009년에는 전국에서 동시에 상영하는 광역배급 편수도 전년도의 140편보다 줄어든 118편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17). 영화 제작사들이 2010년과 2011년 영화 출시 편수를 줄일 것이라는 계획을 공공연하게 밝히지는 않고 있지만 투자와 제작 부문에서 어느 정도의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3. 인도와 국 화의 약진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영화 산업에 대한 투자가 위축되고 극장 입장객 수나 입장료 수입 등 다양한 부문에서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영화 시장의 정체 혹은 하락세가 뚜렷한 가운데서도, 광대한 내수시장 규모를 발판으로 한 인도와 중국에서는 영화산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18) 인도의 경우 헐리웃과의 합작 등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중국은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영화관 시설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영화 제작을 위한 정부 지원이 이뤄지면서 성장에 탄력을 받고 있다.

한 해 1,000편 이상의 영화가 제작되고 극장 매출이 20억 달러에 달하는 인도는 내수 시장19)의 규모 자체도 크지만 최근 북미,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와 호주 등 글로벌 시장으로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이는 이민 등을 통해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인도인들이 많아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명 ‘발리우드’(Bollywood)로 불리는 인도 영화를 즐기는 인구가 세계적으로 늘어난 것도 주요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해외 제작사들과의 공동 제작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인도 영화의 세계 시장 진출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도 영화계는 2009년 칸영화제를 통해서도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발리우드의 2009년 칸 영화제 출품작들 중 일부는 특유의 춤과 노래를 뺀 소위 ‘글로벌 버전’이었고 발리우드와 헐리웃의 합작 영화들도 눈길을 끌었다. 헐리웃과의 합작영화인 ‘Slumdog Millionaire’의 성공 이후 인도 영화

17) Focus 2009, 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 2009

18) 세계에서 내수시장만으로 신규 영화의 수익을 창출할 만큼 시장규모가 큰 국가는 미국, 인도, 중국 등 손에 꼽을 정도

19) EOS의 2005년 자료에 따르면, 인도 영화 시장에서 자국 영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92.5%를 차지했으나 입장료가 높지 않기 때문

에 수익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2004년의 경우 인도 영화사들이 자체 영화를 통해 거둬들인 박스 오피스 수입은 약 7

억 달러였음

Page 3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24 한국콘텐츠진흥원

에 대한 글로벌 관객들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발리우드 배급사인 Eros International은 Sylvester Stallone과 Denise Richards 등 헐리웃 배우와 Akshay Kumar, Kareena Kapoor 등 인도 배우를 동시에 캐스팅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영화를 선보였다. Reliance Big Entertainment는 같은 영화에 대해 해외 관객을 위한 100분짜리 영어판(板)과 발리우드의 노래와 춤이 포함된 150분짜리 힌두어판(板)을 동시에 선보이는 전략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처럼 인도 영화계는 해외 로케와 다양한 주제의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자국 시장의 한계를 넘어 글로벌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영화 스크린 수가 인도의 약 1만 2,000개보다 3배 이상 많은 3만 9,000여 개에 달한다. 전 세계에 퍼져 살고 있는 중국인들도 중국 영화의 해외 수출에 매우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2005년까지만 해도 중국에서 한 해 제작 출시되는 영화는 260편에 불과했지만20) 최근에는 국영 영화사 뿐만 아니라 민간 영화사들이 적극적으로 제작에 나섬으로써 영화 편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어로 된 영화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영어를 사용한 영화가 늘어나고 있으며, 미국 등 해외에 기반을 둔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중국 영화가 많아지고 있다. 해외에 사는 중국인들을 겨냥한 수출 시장이 커지고 있는 것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중국은 인도에 비해 연간 영화 수입 편수가 많은 편으로, 인도 시장에서 상영되는 해외 수입 영화가 전체 상영 영화 편수의 약 10%인데 비해 중국은 약 40%에 이른다.

4. 국제 공동제작 활기

그동안 국제 영화계의 ‘변방’이었던 인도와 중국 등이 글로벌 영화 시장에 진출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헐리웃 영화사들도 인도, 중국, 러시아 등 신흥 시장에 주목하게 되었다. 헐리웃과 신흥 시장의 영화업계가 합작한 국제 공동제작과 헐리웃의 현지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하나의 영화로 여러 지역 관객들을 동시에 확보하고 문화적 장벽을 넘어 좀 더 쉽게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국제 공동제작21)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헐리웃 영화 제작사들이 신흥시장을 겨냥하는 소위 '현지화' 전략에 나선 것은 미국 이외의 시장이 커지면서 전에는 변방으로 여겨졌던 이들 시장을 장악하는 것이 높은 실적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중요한 과업이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헐리웃의 제작비에 비해 저렴한 투자 비용으로 여러 시장을 동시에 노려 비용효율성이 높다는 것도 중요한 유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Fox International은 2009년 한 해 동안 무려 9개 국가에서 현지 제작에 참여하기로 결정하는 등 신흥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현지 제작을 위해 Fox 산하의 28개 글로벌 지사 인력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현지 시장에 밝은 스태프를 고용하는 등 해당 지역을 향한 본격적인 러브콜에 나섰다. 인도 발리우드의 스타인 Shahrukh Khan을 내세운 'My Name is Khan'을 제작해 이미 호평을 받은 Fox International

20) 인구 규모가 중국의 10분의 1에 불과한 일본은 같은 기간 350편이 넘는 영화를 출시

21) 공동제작이란 둘 이상의 주체가 제작을 책임지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때 참여하는 주체가 각각 다른 국가 소속일 경우 국제 공동

제작이라고 함. 국제 공동제작은 공식 공동제작(official co-production)이라고도 하며, 공동제작 협정을 체결한 두 나라의 제작

자들이 공동제작 협정의 요건과 절차를 충족하여 양 국가의 국적을 취득할 영화를 제작하는 경우를 가리킴. 이 경우 당사국들의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공동제작 인증'이라고 함. 이밖에 해외 로케이션이나 기술 협력, 여러 국가의 배우와 스태프가 참여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국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Page 3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25

은 독일, 이탈리아, 일본 시장 등에서도 영화 공동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10여 년 전부터 현지화 전략에 주목해온 Warner Bros.는 2009년 7월 현재 12개 국가에서 총 44

개의 국제 공동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 방송사업자인 Star와 함께 합작 회사인 Fox Star Studio를 설립한 20th Century Fox는 인도에서 발리우드 영화 배급에 나서는 한편 인도와 러시아에서 현지 프로듀서들과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 Paramount는 2009년부터 러시아 최대의 인디 영화 배급사인 Central Partnership과 독점 배급 계약을 체결했고 Disney는 2008년 일본 도에이와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공동 제작한 데 이어 2009년에는 러시아어와 중국어로 된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 Sony Pictures는 2009년 영국에서 ‘The Damned United’에 투자했다.

영화사 현지화 전략 및 국제 공동제작 사례

Fox International - 독일, 이탈리아, 일본 시장 등 9개국에서 영화 공동 제작

Warner Bros.

- 12개 국가에서 총 44개의 국제 공동제작 프로젝트 진행

- 2008년부터는 유럽과 인도에서 직접 현지어 영화를 제작

- 일본에서 <데스노트> 시리즈 제작에 참여

20th Century Fox- 인도에서 발리우드 영화 배급 시장 진출

- 인도와 러시아에서 현지 프로듀서들과 제작 계약 체결

Paramount - 러시아 최대의 인디 영화 배급사인 Central Partnership과 독점 배급 계약 체결

Disney- 러시아어 영화 ‘MKniga Masterow’와 중국어 영화 ‘Touch of the Panda’ 제작 (2009년)

- 일본 도에이와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공동 제작 (2008년)

Sony Pictures- 영국에서 ‘The Damned United’에 투자

- 헐리웃 영화사 최초로 발리우드 영화인 ‘Saawariya’ 제작 (2007년)

Universal Pictures - 멕시코 제작사인 'Cha Cha Cha'와 함께 ‘Rough and Vulgar’ 공동제작(2008년)

<표 2-3> 헐리웃 화사들의 지화 략 국제 공동제작 사례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5. 거 로벌 미디어 사업자의 향력 확

국제 공동제작과 헐리웃 영화사들의 현지화 전략과 더불어 영화 산업의 글로벌화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특징으로 거대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의 영향력 확대를 지적할 수 있다. 영화산업의 중심은 여전히 ‘시네마’로 불리는 극장용 영화가 차지하고 있지만 다른 유통 채널들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이런 변화의 중심에는 영화제작 스튜디오와 텔레비전 네트워크, 통신 사업을 아우르는 거대 미디어 기업들이 존재하고 있다.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으로는 Time Warner, Walt Disney, Viacom, News Corporation, Sony, NBC Universal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영화, 방송, 인터넷, 스포츠, 출판, 음반, 게임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 초국가적인 사업을 영위하며 영향력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들은 Warner Bros. Entertainment, Paramount Pictures Corporation, Sony Pictures Entertainment Inc., 20th Century Fox Film Corporation, Universal City Studio 등 헐리웃의 메이저 영화 제작사들을 산하에 두고 있으며 이들이 세계 영화 시장의 약 80%를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Page 3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26 한국콘텐츠진흥원

특히 세계 영화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영어권 시장의 경우 대부분의 영화 및 영상 콘텐츠가 7~8개의 거대 미디어 업체 및 산하 기업들에 의해 제작 및 유통되는 상황이다. 독립 제작사나 배급사의 경우도 이들의 통제 하에 있는 메이저 영화사와의 계약 아래서 움직이거나 이들의 제작 및 상영 시설에 의존하는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유럽 일부 지역과 라틴 아메리카의 경우도 전국 규모 혹은 지역 규모의 제작사들과 거대 미디어 기업들이 헐리웃 시스템과 유사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헐리웃의 메이저 영화사들이 이들 중 일부의 지분을 보유하는 경우도 있다.22)

<그림 2-9> 거 미디어 업체들과 헐리웃 메이 화사들의 소유 계

자료원: OECD, 2008

6. 화 유통 홈 비디오 시장의 지각 변동 가시화

영화 콘텐츠는 소비자와 다양한 접점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극장은 물론 케이블, 위성, 공중파 텔레비전과 DVD 대여 및 판매,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인터랙티브 TV, 모바일 디지털 영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영화가 소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각종 부가판권 시장까지 더해지면 시장은 더욱 다각화되고 이는 영화산업의 수익 창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영화산업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들이 낙관론의 근거로 삼는 것도 이처럼 다각화된 접점을 통해 산업 전체의 침체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극장 박스 오피스 수입에만 의존하는 대신 홈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비중을 40~50% 수준으로 유지하면 수익성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영화산업의 대표적인 수익창구였던 DVD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뚜렷한 하향세를 보이면서, ‘박스오피스→DVD→

22) 영국의 공영 TV 방송사인 Channel Four의 영화제작 사업부문인 Film Four는 거대 미디어 사업자인 Walt Disney Company와

Sony Pictures를 통해 영화와 DVD를 배급하기도 했음

Page 3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27

PPV(pay-per-view)→유료 케이블/지상파 TV→신디케이트를 통한 TV 방영’의 순서로 영화 콘텐츠를 제공해 온 기존의 홀드백 시스템에서 DVD가 뒤로 밀려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Sony Pictures가 자사의 유명 애니메이션인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23)를 극장 상영한 후 DVD 발매 이전에 온라인 제공하기로 한 것도 이런 변화의 맥락에서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애니메이션은 2009년 9월 개봉해 1억 7,8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한 히트작으로, Sony Pictures는 2009년 11월 보도자료를 통해 DVD 발매 이전 한 달 여 동안 인터넷 TV를 통해 이 작품을 서비스한다고 발표했다. Sony Pictures의 이 같은 시도는 DVD 매출 감소에 대응하여 영화 콘텐츠의 새로운 디지털 유통 경로를 모색해온 결과로 평가된다.

<그림 2-10> 헐리웃 화 배 사들의 홀드백 체계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기존의 홀드백 전략에 대한 변화가 나타나면서 영화사들과 DVD 판매점 사이의 신경전도 불가피해졌지만24) 영화 시장에서 DVD 중심의 기존 홈 엔터테인먼트 방식이 유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DVD 시장의 위기는 통계 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DVD 판매 시장 규모는 2006년의 240억 달러에서 2008년에 220억 달러로 줄어들었다.25) 미국 DVD 시장의 위축 속도는 조사 기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NATO는 2008년 DVD 판매 시장이 전년비 8.4% 줄었다고 발표했고 Digital Entertainment Group은 9%, Screen Digest는 11% 줄어든 것으로 추산했다. 차세대 영상 매체로 주목받

23) 동명의 1978년 작 베스트셀러 동화에서 영감을 얻은 가족용 3D 애니메이션

24) 지금까지 영화사들은 온라인 공개에 앞서 DVD 발매를 추진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DVD의 판매 수익을 보장해왔음. 이에 따라

미국 최대 DVD 판매점인 Wall-Mart를 비롯한 DVD 유통업체들이 상당한 힘을 발휘해왔다. 하지만 홀드백 체계의 변화로 기존

DVD 유통 업체는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됨.

25) 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 2009

Page 4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28 한국콘텐츠진흥원

는 블루레이의 판매가 2007년 2억 7,000만 달러에서 2008년 7억 5,000만 달러로 증가하기는 했지만 DVD의 하락세를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26)

유럽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유럽의 시장조사 업체인 BVA에 따르면, 영국의 2008년 DVD 판매는 전년비 1.9% 증가했지만 가격 하락으로 인해 시장 규모는 오히려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Blu-ray 판매량은 당초 예상했던 370만 개보다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프랑스에서는 DVD 판매가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시장 규모는 7.5% 줄어든 13억 8,000만 유로로 나타났다. 독일의 DVD 판매량도 1.9% 줄어들었으며 시장 규모는 5.4% 감소했다.

온라인 VOD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는 DVD 시장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Screen Digest에 따르면, VOD 형태로 제공되는 영화의 시장 규모가 미국의 경우 2009년에 약 1억 5,600만 달러이고 유럽의 경우 3,8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온라인 VOD 시장은 2013년에 이보다 10배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에서는 통신사업자, 케이블 사업자, 방송사, 영상 리테일러, 제작사, 영화 라이브러리 등 다양한 사업자들이 2007년과 2008년 사이 VOD 시장에 대한 투자에 나섰다.27)

26) DVD 대여 시장의 경우 판매 시장보다는 하락세가 완만한 편이어서 블루레이를 포함할 경우 0.3% 감소하고, 블루레이를 제외했

을 경우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미국의 경우 6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던 대여 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세를 찾고 있는

것에 대해 온라인을 중심으로 대여 시장이 새로운 활성화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됨. 한편, 미국의 DVD 대여 업체

인 Netflix의 가입자 수는 2006년 630만 명에서 2009년 초 1,000만 명으로 늘어났으며, 맥도널드와 월마트 등 외식 유통업체들

과의 제휴를 통해 활약한 Redbox의 경우 키오스크 망이 2006년 2,300개에서 2009년 초에는 1만 3,700개로 늘어났고 2009년

말까지는 2만 개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됨

27) 현재로서는 Apple, MS, Sony, Nintendo 등 기존 IT 및 비디오 게임 업체들이 VOD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를 확보한 것으

로 분석됨. Screen Digest는 VOD 영화 시장의 주도 업체로 애플을 꼽고 있는데, 애플의 온라인 상점인 iTunes는 북미,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약 2,500개의 영화 카탈로그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약 600개 정도가 HD 화질을 지원함

Page 4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29

Sony Pictures의 홀드백 전략 변화DVD 출시에 앞서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Sony Pictures의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는 일단 Sony Bravia TV와 2009년 출시된 Sony Blue-ray Disc Player를 통해서만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Sony Pictures의 모기업인 Sony는 중간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직접 영화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며, 서비스 요금은 하루 이용 시 24.95달러이다. Sony Pictures가 DVD 발매에 앞서 인터넷 등으로 영화 콘텐츠를 유통시키기로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8년에도 Will Smith 주연의 영화인 'Hancock'을 대상으로 유사한 시도를 한 바 있다.

Sony Pictures의 이 같은 시도는 단순히 영화의 배급 순서를 변경한 것뿐만 아니라 홀드백 기간도 축소시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영화 개봉 후 3개월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자리 잡을 가능성에 위기감을 느낀 극장주들과 DVD 업체들은 Sony Pictures의 행보를 예의주시하며 상영 중인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를 조기에 내리겠다고 위협하는 등 이를 저지하기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림 2-11>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7. 디지털 배 , 세(大勢)로 자리 잡아

영화산업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다양한 부문으로 확산되면서 산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시장 기회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영화의 디지털화는 영화 제작에서 배급까지의 기간을 단축시키고 상영의 편의성을 높이고 영화의 도달 범위를 효율적으로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영화 산업의 수익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영화의 보급 속도와 수준은 지역에 따라 아직 편차가 심한 편이다.28)

28) 예컨대 영국은 National Lottery의 적극적인 자금 지원을 통해 농촌 벽지에까지 디지털 영사 시설이 설치되고 있는 반면 필리핀

의 경우 순수한 상업적 기반에서의 디지털 영화 배급 프로세스가 이제 막 걸음마 단계에 진입

Page 4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30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 영화 제작사들이 몰려 있고 글로벌 배급망을 쥐락펴락하는 미국은 디지털 배급 부문에서도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2009년 4월 현재 미국에서 박스오피스 개봉되는 영화 중 97.4%가 부분적으로라도 디지털 포맷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헐리웃 영화 제작사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모의 배급사들도 디지털화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 분야를 이끌어 나가는 것은 영화사들이다. 이들은 극장 흥행 산업을 주도하고 VPF(Virtual Print Fee) 메커니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29)

배급사 개봉작 수 디지털 개봉작 수 디지털 개봉 비율

Buena Vista 13 13 100%

Crane Movie Company 1 1 100%

5&2 1 1 100%

Focus 5 4 80%

Fox 20 20 100%

Fox Searchlight 6 3 50%

Freestyle 7 5 71%

Goldywyn 7 1 14%

LionGate 19 16 84%

MGM 7 3 43%

MGM/Weinstein 4 4 100%

Miramax 8 5 63%

National Geographic Cinema 1 1 100%

New Line 3 3 100%

Overture Films 8 5 63%

Paramount 8 8 100%

Paramount Classics 1 1 100%

Paramount Vantage 8 5 63%

Paramount/DreamWorks 6 6 100%

Picture House 5 4 80%

Rocky Mountain 2 1 50%

Rogue Pictures 2 2 100%

Screen Gems 5 5 100%

Slowhand 2 1 50%

Sony Pictures 15 14 93.3%

Stone Five Studios 1 1 100%

Summit Entertainment 5 5 100%

United Artists 1 1 100%

Universal 18 18 100%

Vivendi Entertainment 2 1 50%

Warner Bros. 14 13 92.9%

Warner Bros New Line 6 6 100%

Weinstein Company 7 2 28.6%

<표 2-4> 주요 배 사들의 디지털 배 황

자료원: ScreenDigest, 2009.4

29) VPF는 디지털 영화 시장 확대를 위해, 프린트 비용이 필요 없어진 디지털 영화 상영 시장에 가상 프린트 비용(Virtual Print

Fee)이라는 분담금을 만들어 디지털 영사 시설 확충 비용을 배급사도 부담하도록 한 제도임

Page 4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절 세계 영화 시장의 메가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31

미국의 경우 프린트 규모가 3,000벌 이상인 영화 102편은 모두 부분적으로라도 디지털 포맷으로 제공됐으며, 1,000~3,000 프린트 규모의 영화 56편 중 51편이 역시 부분적으로라도 디지털 방식으로 배급됐다. 소규모 배급사들의 경우 마스터링 등 다른 비용으로 인해 디지털 배급 비용이 아직은 더 큰 편이어서 디지털 포맷을 완전히 받아들이지 못한 상태이지만, 현재 과도기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디지털 배급의 명(明)과 암(暗)헐리웃 메이저 제작사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배급이 확산된 가운데 디지털 영화의 장단점에 대한

반성도 제기됐다. OECD는 2008년과 2009년 상반기 회원국 영화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디지털 영화의 명암을 지적했다. 디지털 영화의 장점으로는 영상 포맷의 변형이 자유로워지고, 이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품질의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됐다. 제작 단계에서 영상의 가공과 배포가 더욱 손쉬워지며 컴퓨터 기반의 새로운 제작 환경에서 각종 특수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혔다. 텔레비전과 DVD 등의 홈 엔터테인먼트 시장과 온라인 영상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한다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극장과 DVD 중심의 영화 산업 환경을 재편해 처음부터 ‘멀티캐스트’를 염두에 둔 기획과 제작, 유통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화로 인해 무분별한 이미지 마이닝(image mining)30)이 가능하고 불법 복제와 해적판 범람의 우려가 커지는 것은 관련 업계가 풀어가야 할 숙제로 제시됐다. P2P 기술을 활용한 개인들의 불법 공유가 증가하고, 극장 출시와 온라인 배급 사이의 시간 차이가 줄어들면서 이것이 영화산업의 홀드백 시스템에 위협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도 제기되었다.

8. 온라인 화 시장의 분화

전세계 온라인 영화 시장에서는 파일을 다운로드 후 하드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저장장치에 보유하는 일명 DTO(Download-To-Own) 방식보다는 대여 방식인 DTR(Download to Rent)의 비율이 높았다. 2008년의 경우 온라인 영화 시장에서 렌털 시장의 비율은 60%를 차지했으며, 이는 영화사들이 맺은 계약을 분석해 보면 더욱 확연해진다. 2009년 4월까지 헐리웃 주요 영화사들이 세계 영화 배급업계와 맺은 계약에 따르면, 온라인 DTR 계약 200건 당 DTO 계약은 100건에 불과했다. 단, 미국의 경우 DTO 방식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것으로 나타나 세계 시장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세계 온라인 영화 시장에서 이처럼 DTR 방식이 활성화된 이유로는 우선 온라인 영화 시장, 특히 DTO 부문에서 소매 업체들이 챙길 수 있는 거래 마진이 높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업체들이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DTO 가격을 높이 책정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DVD 판매 가격을 오히려 상회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객 입장에서 보면 동일한 가격에서는 영화 파일을 내려받기보다는 DVD를 보유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DTO 시장이 형성되기 어렵다.30) 고화질 디지털 영상에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

Page 4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장 세계 영화 시장의 동향 및 전망

32 한국콘텐츠진흥원

물론 Apple의 온라인 상점인 iTunes는 DTO 시장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iTunes를 통해 영화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에서는 DTR보다 DTO 매출이 높은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iTunes를 통해 온라인 영화에 접속할 수 있는 지역은 세계 전체로 볼 때는 매우 한정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미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iTunes의 혜택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림 2-12> 배 사별 iTunes 온라인 카탈로그 편입 화 수 (2009. 3 기 )

자료원: Screen Digest, 2009.4

2009년 4월 현재 미국을 제외한 세계 온라인 영화 시장에서 발생하는 매출은 대부분 영국, 프랑스, 독일이 차지하고 있다. 통계 집계가 완료된 2008년의 경우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세 국가의 온라인 영화 거래 건수는 4,500만 건으로, 같은 기간 중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23개 지역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영화 거래 7,200만 건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반면 같은 유럽 지역이라도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우 불법 콘텐츠의 범람으로 영국, 프랑스, 독일에 비하면 온라인 영화 시장이 크게 뒤떨어져 있다.31) 미국의 경우 2008년 한 해 동안 온라인 영화 거래 건수는 2억 8,600만 건을 기록했으며, 소비자들이 온라인 영화에 지출한 금액은 2억 1,200만 달러였다. 이는 전년도 대비 86% 증가한 규모이다.

31) 이런 가운데 2008년 말 Microsoft가 Xbox Live Video Marketplace를 스페인과 이탈리아에서 론칭하면서 합법적인 온라인 영

화 콘텐츠 보급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할 것인지 기대되고 있음

Page 4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33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북미권 화 시장의 규모 동향

1. 북미권32) 화 시장 규모 망

북미권 영화 시장 규모는 2009년 384억 1,100만 달러로 추정되며, 3.8%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성장해 2014년에는 463억 1,5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10,062 9,614 9,917 10,415 10,568 11,040 11,513 12,102 12,787 13,597 14,124 5.1%

홈비디오

합계 27,251 26,793 27,070 26,643 25,153 24,240 24,012 24,418 25,122 26,313 26,398 1.7%

판매 18,334 18,386 18,738 18,202 16,682 15,735 15,512 15,963 16,726 18,016 18,123 2.9%

대여 8,917 8,407 8,332 8,441 8,471 8,505 8,500 8,455 8,396 8,297 8,275 -0.5%

디지털

온라인

합계 672 967 1,226 1,934 2,522 3,131 3,707 4,236 4,778 5,225 5,793 13.1%

대여 672 967 1,202 1,821 2,269 2,804 3,281 3,731 4,155 4,472 4,952 12.0%

다운로드 0 0 24 113 253 327 426 505 623 753 842 20.8%

합계 37,985 37,374 38,213 38,992 38,243 38,411 39,232 40,756 42,687 45,135 46,315 3.8%

<표 3-1> 북미권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2009년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0.4% 소폭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유지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부문별로는 디지털 온라인 시장이 2014년까지 13.1%의 연평균 성장률로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극장상영 시장은 5.1%의 연평균 성장률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경기 침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부문은 홈비디오 시장으로, 특히 판매 시장은 전년대비 3.6% 감소한 157억 3,500만 달러에 그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디지털 온라인 유통 채널에 시장을 잠식당하고 DVD판매가 계속해서 하향 곡선을 그리며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판매 시장은 차세대 매체인 Blu-ray 시장 성숙에 따라 2011년에는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나, 대여 시장은 디지털 대여 부문에 시장을 잠식당해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32) 북미권 시장은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

Page 4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34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1> 북미권 화 시장 부문별 시장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2009년 북미권 영화 시장은 극장상영 부문 비율이 29%에 지나지 않고 홈비디오 시장이 전체의 63% 이상을 차지하는 2차 부가시장 중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4년에도 극장상영 시장 비중은 30%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부가시장에서는 홈비디오 부문의 비중이 63%에서 57%로 낮아지고 온라인 시장의 비중은 8%에서 13%로 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부문별 비중 2014년 부문별 비중

<그림 3-2> 2009년과 2014년 북미권 화 시장의 부문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4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35

2. 북미권 화 시장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2008년 미국의 극장 입장객은 13억 6,400만 명으로 전년대비 2.6% 감소했다. 지난 10년간 미국의 극

장 입장객 수는 약보합 혹은 완만한 하락세를 이어왔으며, 2002년에 16억 명으로 고점을 찍은 후 하락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다만 2009년 상반기에는 박스오피스가 호조를 보였고, 2009년 말까지 입장객 수가 사상 최대 규모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일반 미국인들에게는 다른 오락거리에 비해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보는 것이 재정적으로 부담이 적은 일이라는 점에서 테마파크나 주요 스포츠 경기보다는 극장을 찾는 관객 수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림 3-3> 미국의 극장 객 수 입장료

(단위: 백만 명)

자료원: MPAA, 2008

미국의 극장 입장료는 2001년 5.66달러에서 2008년 7.18달러까지 매년 5% 이하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제 입장료 인상 폭은 그보다 더 적은 셈이다.

연도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입장료 5.08 5.39 5.66 5.81 6.03 6.21 6.41 6.55 6.88 7.18

전년대비 변동률 8.3% 6.1% 4.9% 2.7% 3.8% 3.0% 3.2% 2.2% 5.0% 4.4%

<표 3-2> 미국의 극장 입장료 변동 추이

자료원: NATO, Bureau of Labor Statistics, MPAA, 2008

Page 4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36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영화 제작 편수미국 시장에서 2008년 한 해 동안 제작된 영화 수는 520편으로, 2007년의 656편보다 20.7%나 감소했

다. 미국 내 제작 영화 편수는 1999년 758편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2005년 699편을 정점으로 반등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영화 제작편수는 다시 줄어들었다. 미국 시장에서 개봉된 영화 수는 2008년 한 해 동안 610편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것으로, 제작편수가 줄어든 것에 비해서는 큰 변화 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림 3-4> 미국의 화 제작 편수와 개 편수

주: 제작편수와 개봉편수에 차이가 생기는 까닭은 제작된 작품들 중 다음 연도

로 개봉이 넘어가거나 낮은 시장성으로 극장 개봉 기회를 잡지 못하는 작품

들이 있기 때문임

자료원: MPAA; Focus 2009에서 재인용

다. 극장 스크린 수 미국의 극장 스크린 수는 자동차 극장을 포함하여 2007년 3만 9,347개에서 2008년 3만 9,476개로

전년 대비 0.3% 증가했다. 이는 1999년에 비해서는 약 3,000개 정도 늘어난 수치이다.

Page 4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37

<그림 3-5> 미국 극장 스크린 수 추이

(단위 : 개)

자료원: Nielsen EDI, 2008

스크린 유형에 따른 극장 수의 변동 현황을 보면 단관 극장의 경우 2006년 1,742개에서 2007년 1,748개, 2008년 1,747개로 거의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2008년에는 전년 대비 1곳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크린 수가 8~15개인 멀티플렉스 극장의 경우 2006년 1,661개에서 2007년 1,617개를 거쳐 2008년에는 1,679개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한편, 스크린 수가 2~7개인 미니플렉스 극장의 경우 2006년 2,362개에서 2007년 2,296개로 줄어들더니 2008년에는 또다시 2,215개로 전년 대비 3.5%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한편, 미국의 디지털 스크린 수는 최근 3년간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2008년에는 5,474개로 전 세계 디지털 스크린의 64%를 차지했다.

<그림 3-6> 2008년 미국 유형별 극장 비

자료원: Nielsen EDI, 2008

Page 5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38 한국콘텐츠진흥원

3. 북미권 화 시장 주요 트 드

가. 경기침체 속 박스 오피스 실적 기대 이상 금융위기와 경기침체 여파로 다른 산업이 불황에 빠진 와중에도 미국 박스 오피스 시장은 기대 이상의

호황을 기록해 경제위기에도 명암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2009년 미국 박스오피스 수입이 약 1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33) 전문가들은 사람들이 불황기에 마음의 위안을 주는 저렴한 상품을 구매한다는 일명 '립스틱 효과'에 빗대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Media Numbers에 따르면, 2009년 1분기 미국의 박스오피스 수입은 17억 달러였으며, Morgan Stanley는 2/4분기까지 다소 주춤하던 박스 오피스 흥행이 여름휴가 시즌과 가을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시즌 등 대목을 지나면서 회복되어 2009년 박스오피스 규모가 1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2009년 상반기 주요 히트작으로는 8월 현재 흥행 수입 약 3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한 'Transformer 2: Reengage of the Fallen'과 약 2억 9,000만 달러를 벌어들인 Disney의 3D 애니메이션 'Up', 2억 7,000만 달러의 흥행수입을 올린 Warner Bros.의 '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ed Prince' 등이 있다. 특히 상반기 10대 흥행작 중 3D 애니메이션 영화가 3건이나 포함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순위 제목 흥행수입 배급사 제작비 개봉일

1 Transformer2: Reengage of the Fallen 393.7 Dreamworks SKG 200 6/19

2 UP 287.4 Walt Disney Studio 175 5/13

3 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ed Prince 273.8 Warner Bros. Pictures N/A 7/15

4 The Hangover 262.0 Warner Bros. Pictures 35 5/30

5 Star Trek 255.3 Paramount Pictures 150 4/6

6 Monster vs. Alien 198.1 Dreamwork Distribution N/A 3/19

7 Ice Age 3 187.9 21th Century Fox N/A 7/1

8 X-men: Wolverine 179.8 21th Century Fox Film 150 4/8

9 Night at the Museum 2 174.9 21th Century Fox Film 150 5/14

10 Fast and Furious: The Original 155.0 Universal Pictures 85 3/12

<표 3-3> 2009년 상반기 미국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 10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IMDB PRO, 2009.8

33) PWC 기준에 의하면, 북미권에서 캐나다를 제외한 2008년 미국 박스오피스 시장은 97억 9,100만 달러임

Page 5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39

나. 3D 영화에 대한 꾸준한 관심 2009년 미국 영화계의 주요 화두 중 하나인 3D 영화는 2009 3월 개봉한 3D 영화 ‘Monsters vs.

Aliens'가 개봉 첫 주 주말 동안 무려 5,930만 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발표되면서 더욱 관심을 끌었다. 이 영화가 기록한 개봉 흥행 성적은 3D 입체 영화가 개봉 첫 주 벌어들인 수입으로서는 사상 최고의 기록이며, 3D 영화가 아닌 일반 애니메이션 개봉작과 비교하더라도 손색이 없는 수준이다. 이에 고무된 헐리웃 관계자들은 이 영화가 3D 영화의 전성기를 열 기념비적 작품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특히 어린이 대상의 애니메이션부터 성인 취향의 SF 영화까지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담은 3D 영화가 2009년 한 해 동안 40여 편이나 제작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34) 3D 영화의 활황을 예감하게 했다.

‘Monsters vs. Aliens'의 경우 3D로 가공하는 비용이 총 제작비의 약 10%에 달하는 1,5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작품에 따라서는 3D 추가 비용이 총 제작비의 15%나 늘어날 수도 있다. 이처럼 높은 제작비용에도 불구하고 영화 제작사들이 앞다퉈 3D 영화 제작에 뛰어드는 이유는 이를 통해 거둘 수 있는 수익 구조가 일반 영화에 비해 견고하기 때문이다.

시기 제목 제작사 3D 스크린 수 개봉일

1분기

My Bloody Valentine 3D LGF 1033 1/16

Coraline Focus 1005 2/6

Under the Sea 3D Warner Bros. 49 2/13

Monsters Vs. Aliens DWA 2000 3/27

2분기 Up 3D Pixar/Disney 1534 5/29

3분기Ice Age 3D NWS 1606 7/1

Piranha 3D Weinstein N/A 7/24

4분기

Toy Story 1&2 3D Pixar/Disney N/A 10/2

Nightmare Before Christmas Disney N/A 10/16

A Chrismas Carol Disney N/A 11/6

Avatar NWS N/A 12/18

<표 3-4> 2009년 미국 화계의 3D 화 제작 황

자료원: 각 기업 발표자료, Morgan Stanley Research, 2009.7

3D 영화가 영화 시장의 수익을 증대시킬 것이라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거의 없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있다. 가장 큰 문제로는 우선 3D 상영관 시설의 부족을 꼽을 수 있다. 현재와 같이 개봉관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와이드 릴리즈(Wide National Release: 전국 규모의 광범위한 개봉)는 한 번에 하나의 3D 영화만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많은 3D 영화가 제작되어도 와이드 릴리즈를 위해서는 먼저 개봉한 영화가 극장에서 내려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또 다른 문제는 비용 부담이다. 스크린 당 15만 달러에 달하는 입체 상영관 구축 비용 부담 문제를 놓고 극장주와 배급사들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2009년 현재 북미 지역 3D 영화 스크린은 2,100개 가량 34) 2009년 3월 30일부터 4월 2일까지 개최된 세계적인 영화 회의 ShoWest 컨퍼런스에서 DreamWorks의 Jeffrey Katzenberg

CEO는 40개 이상의 3D 영화가 제작 중이며 2010년에는 15개의 3D 영화가 개봉될 것이라고 발표

Page 5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40 한국콘텐츠진흥원

보급되어 있으며, 이는 영화 제작사들이 희망했던 규모의 절반에 불과하다. 극장주와 배급사는 가상 프린트 비용(VPF: Virtual Print Fee) 분담 방안에 합의해 디지털 상영 설비 확충에 나서고 있지만 3D 스크린의 보급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2009년 한 해 동안 미국 3D 영화 시장에서 증명된 사실은 관객들이 프리미엄 콘텐츠에 대해서는 기꺼이 추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관객들은 3~5달러의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서라도 3D 영상의 경이로움을 맛보기 원하며, 3D 영화의 현장감과 사실감이 관객의 몰입을 극대화시켜 평범한 내용의 영화도 전혀 다른 차원으로 환골탈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사실은 3D 영화가 영화 시장의 수익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3D 영화가 보편화되면 새로운 배급 체계와 제작 구조, 상영방식에 따른 시장 참여자들 사이의 치열한 협상 과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3D 영화용 입체안경 구매를 둘러싼 미국 영화제작사와 극장주 사이의 갈등 20th Century Fox는 자사의 3D 애니메이션인 2009년 7월 1일 ‘Ice Age 3: Down of the

Dinosaurs'의 개봉을 앞두고 이 영화의 관람에 필요한 3D 극장용 안경을 영화사가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미 최대의 극장주인 Regal Entertainment는 여기에 반발해, 최악의 경우에는 'Ice Age 3'를 입체영화관에서 상영하지 않겠다고 고집했다. 결과적으로 Fox가 입체 안경 비용을 부담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지만 이는 3D 입체영화의 제작 증가와 더불어 입체영화 관람을 위한 추가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의 시발점이 된 사례로 이목을 끌었다.

현재 구축되어 있는 대부분의 입체영화 상영설비는 RealD 방식이며, 1달러짜리 일회용 편광안경을 필요로 한다. 현 시점에서 입체 안경 비용은 배급사가 부담하고 있다. 20th Century Fox는 2009년 3월까지만 해도 입체 안경의 구매 비용을 극장 측이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결국 자체 비용부담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앞으로 개봉될 입체영화에서도 같은 조치가 취해질 것인지는 미지수이다.

영화사들은 3D 영화 한 편 제작시 약 1,500만 달러의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데다 3D 영화 관람료에 추가되는 2~3달러의 부가 요금도 극장과 나누고 있는 실정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3D 극장용 안경의 비용은 개당 75센트~1달러 선으로, 영화가 크게 흥행할 경우 이 액수는 1,000만 달러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 3D 안경을 재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 한 사람마다 따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점도 영화사들의 불만요소이다.

극장주들 역시 3D 영화 포맷에 이미 상당한 자금을 투자했을 뿐 아니라 로열티 부담도 만만치 않다며 맞서고 있다. 통상 스크린 1개에 3D 관련 장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3D 상영장비의 원천 기술 보유사에게 5,000~10,000 달러의 일회성 라이선스 비용을 선불로 지불해야 하고 티켓 1장당 50센트 가량의 로열티도 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Page 5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41

다. 헐리웃 제작사들, 위기감 속에서 새로운 돌파구 모색 2009년 미국의 박스 오피스 시장은 비교적 선전했지만, 여름 시즌에 많은 예산이 투입된 헐리웃 블록버

스터 영화들이 흥행에 참패하면서 임원진 교체와 사업전략 변경, 영화 예산 삭감과 투자 구조개선 등의 조치가 잇따랐다. 이로써 2007년 말과 2008년 초 작가조합(Writers' Guilds of America)의 파업으로 영화 제작 편수가 크게 줄어들며 홍역을 치렀던 헐리웃이 다시 한 번 폭풍에 휩싸였으며, 제작환경과 영화 유통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려는 몸부림도 이어졌다35).

2009년 여름 개봉한 대작 영화에서 거듭 실패를 경험한 Universal Pictures와 Walt Disney 등 헐리웃 영화 제작사들은 전략 방향을 수정하고 임원을 교체했다. Universal Pictures의 공동회장이었던 Marc Shmuger와 David Linde는 2007~2008년에 뛰어난 실적을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2009년 개봉한 ‘Land of Lost’와 ‘Funny People' 등의 대작 영화가 흥행에 참패하면서 실적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Walt Disney의 임원이었던 Dick Cook은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은 영화들의 흥행 부진으로 물러났고, 이후 Rich Ross가 Disney Channels Worldwide의 사장으로 선임되어 2009년 남은 기간 중 Miramax가 제작한 비교적 저예산 영화 12편을 추가로 개봉하기로 했다. Walt Disney는 Steven Spielberg가 CEO로 있는 영화제작사 DreamWorks에서 제작한 영화에 대한 배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영화 제작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고 배급 비중을 높임으로써 흥행 참패로 인한 위험부담을 줄이는 전략을 구사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헐리웃 영화 제작사들은 변화하는 콘텐츠 유통 환경에 적응하는 새로운 실험을 시작하거나 그동안 백안시했던 게임 제작 사업에 나서는 등 위기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Walt Disney의 Bob Iger CEO는 헐리웃의 기존 비즈니스 모델로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없다며, 줄어드는 DVD 매출을 대체할 디지털 유통 플랫폼 개척과 영화 제작 및 마케팅 비용 감축, 신흥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협력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Iger CEO는 디지털 환경 변화에 발맞춰 영화 제작, 마케팅, 배급의 전 과정에 걸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역설했으며, 이와 관련해 필름의 디지털 복제와 영구 저장, 크로스 플랫폼 전송을 지원하는 신기술 ‘KeyChest’36)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MS의 X박스 같은 게임 콘솔과 스마트폰까지 넘나들며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Disney는 자체 게임개발에도 적극 나서기 위해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 Disney Interactive를 두고 있으며, 게임 사업 부문의 투자 규모를 2008년 1억 8,000만 달러에서 2010년에는 3억 5,000만 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다.

Warner Bros.는 2009년 4월 EA(Electronic Arts)와의 라이선싱 계약 기한이 만료되는 'Lord of the Ring' 관련 게임 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2009년 3월 영화 'Watchmen'의 개봉에 맞35) 미국영화협회(MPAA,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에 따르면, 헐리웃 제작사들이 영화 한 편당 투자하는 금액은 제

작과 마케팅 비용을 모두 포함해 2007년 이후 6% 가량 증가한 반면 2008년 10월부터 1년간 DVD 판매를 포함한 관련 수익은

급감

36) 영화와 TV쇼 등의 영상 콘텐츠를 VOD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Walt Disney가 개발 중임

Page 5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42 한국콘텐츠진흥원

춰 PS3, X박스360, PC용으로 'Watchmen' 게임을 발매한 바 있는 Warner Bros.는 영화 기반의 게임 사업 강화를 위해 2009년 7월 'Mortal Combat' 시리즈로 유명한 Midway Games를 4,900만 달러에 인수했다. Paramount Pictures와 헐리웃의 유명 영화제작자인 Jerry Bruckheimer도 영화 기반의 게임사업 진출에 나설 것을 선언했다. Paramount Pictures는 2008년 초 자체 게임 개발 스튜디오를 설립한 후 캐주얼 게임과 모바일 게임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Bruckheimer는 2009년 5월 Jerry Bruckheimer Games Studio를 설립하고 영화 기반의 게임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업체명 투자 현황 게임개발 및 출시 일정

Disney

- 2008년 1억 8,000만 달러를 투자했고,

2012년까지 투자규모를 3억 5,000만 달러

로 확대할 계획

- 게임개발업체인 Propaganda Games, Black

Rock, Avalanche, Junction Point 인수

- 'Pirates of the Caribbean: Armada of

the Damned' 개발 중

- 'Toy Story3' 개발 중 (2010년 발매 예정)

Warner Bros.- Traveller's Tales社 인수

- Turbine社 주식 취득

- 'Watchmen' 발매(2009.3)

- 'Harry Potter'게임 개발 중

Paramount Pictures- 2008년 자체 게임개발 스튜디오 설립

- Eidos의 John Kavanagh 영입- 캐주얼 및 모바일 게임 개발 진행

Jerry Bruckheimer- Jerry Bruckheimer Games 스튜디오 설립

현재 게임개발인력 영입 중- 자사 영화 및 드라마 기반 게임개발 진행

<표 3-5> 헐리웃 주요 화사의 게임사업 진출 황

자료: Disney, Warner Bros., Paramount Picture,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영화 유통 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 헐리웃 영화사들은 콘텐츠 다각화를 위한 게임시장 진출 이외에 신규 영화 전문 채널을 개국하기도 했다. MGM, Paramount Pictures, Lion Gate Entertainment가 주축이 되어 설립한 헐리웃표 영화 전문 채널인 Epix가 2009년 10월 30일 정식 출범하면서, 영화 콘텐츠의 저작권자인 영화 제작사들이 직접 TV와 온라인을 통한 영화 콘텐츠 유통에 나서는 가치사슬의 지각변동이 시작됐다.

제작사들의 이 같은 시도는 원천 콘텐츠 공급자보다는 최신 기술과 플랫폼 지배력을 지닌 업체들의 협상력이 강화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콘텐츠 파워를 회복하고 박스 오피스 이후의 2차 시장인 유료 TV 시장과 온라인 이용자들을 적극적으로 공략하지 않고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주도권을 잡기 어렵다는 절박한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

Page 5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43

헐리웃 영화 3社가 선보인 프리미엄 영화 채널 ‘EPIX’Paramount Pictures, MGM, Lions Gate Film 영화 3사로 이루어진 컨소시엄은 2009년 1월 프리

미엄 영화 채널 Epix의 사업 계획을 발표하며 헐리웃 안팎의 화제를 모았다. 세 회사는 Epix를 출범시키기 위해 연합 벤처 회사인 Studio 3 Networks(이하 Studio 3)를 설립한 바 있다. 서비스 명으로 확정한 Epix는 영어 단어 Epic(서사시를 뜻함)의 마지막 철자 'c'를 'x'로 치환한 것으로, Studio 3의 CEO인 Mark Greenberg는 'x'가 Epix의 크로스 플랫폼 전략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Studio 3는 웹포털 형태의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했으며 인터넷 VOD 서비스를 시작으로 위성 방송과 Cable TV와 같은 유료 방송 시장에 콘텐츠를 공급하고 기존의 방송 콘텐츠 사업자인 HBO, Showtime 과 경쟁하는 플랫폼으로 Epix를 키워낸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들 3개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영화만도 15,000편에 달하며 특히 Epix는 영화 3사의 최신 개봉작들을 극장 개봉 시점으로부터 약 9개월 이후에 방영하여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이는 HBO나 Showtime 등의 경쟁 채널이 극장 개봉 10∼11개월 이후에 최신작을 방영하는 것에 비해 1∼2개월 빠른 것이다.

Epix의 등장은 사업에 참여한 영화 3사와 미국의 유력 프리미엄 콘텐츠 채널 Showtime과의 계약이 결렬되면서 가시화되었다. Epix에 참여하는 영화 3사는 Showtime과의 프로그램 공급 협상에 난항을 겪었고 결국 2008년 3월 경 계약 체결이 무산되었다. Showtime은 계약을 갱신하면서 보다 낮은 라이선스 비용을 요구했지만 영화 3사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이들 영화 3사는 자신들이 보유한 히트작들을 담보로 자체 콘텐츠 배급 채널인 Epix를 출범시켜 자신들의 수익 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림 3-7> Epix에서 유통된 주요 화

Page 5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44 한국콘텐츠진흥원

라. DVD 시장의 지각변동과 갈등 2009년 상반기 미국의 DVD 홀드백37) 기간은 전년대비 2주 이상 늘어났다. 2009년 1월 이후 DVD 홀

드백 기간은 평균 144일이 소요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의 125일보다 19일 늘어난 것이다. 영화 개봉 기간을 늘리려는 극장주들과 DVD 출시일을 앞당기려는 판매업자들 사이의 줄다리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2009년 미국 시장에서 DVD 홀드백 기간이 길어진 것은 부활절 시즌이 늦어진 것과 3D 영화가 증가한 반면 이를 상영할 수 있는 극장 수는 제한적이어서 스크린 개봉 기간이 길어진 것이 주요한 이유로 분석된다.

DVD 판매가 감소하고 DVD 대여점을 통한 수익도 만족할만한 수준에 못 미치는 상황에 대한 영화 제작사들의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DVD 대여 사업자들의 고민과 변신 욕구도 커지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NPD에 따르면, 2009년 상반기 미국 DVD 대여 시장에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대여 비중은 45%였고 온라인 대여는 36%를 기록했다. 이에 덧붙여 일반 상점 및 수퍼마켓 등에 하루 동안 최소 1달러 요금으로 DVD를 대여하는 자판기가 설치됨에 따라 DVD 대여 시장에서 자판기 대여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19%를 기록했다.

자판기 대여 서비스의 점유율은 2009년의 19%에서 2010년 말에는 3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DVD 자판기 대여 사업자인 RedBox는 2009년 말까지 2만 대의 DVD 자판기를 설치할 계획이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인 Netflix는 2009년 7월 기준으로 1,050만 명의 회원을 확보하면서 회원 수 160만 명인 Blockbuster를 가볍게 따돌렸다.

미국의 대표적 DVD 대여 사업자 Blockbuster는 사업 재정비를 위해 2010년 말까지 미국 내 3,750개 매장 중 1,000개 매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했으며 대신 DVD 자판기 보급과 온라인 사업 강화를 통한 시장 경쟁력 회복에 나서기로 했다. Blockbuster는 실적 악화와 치열해진 경쟁 환경에 대한 자구책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으며, 2009년 말까지 DVD 대여 자판기를 현재 500대에서 2,500대까지 늘리고 2010년 중반까지는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한편, 시장조사업체인 Adams Media Research에 따르면, 최근 미국 시장에서 매년 대여되는 DVD의 수는 약 1억 5,000만 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37) 극장 개봉에서 DVD 출시까지 걸리는 기간을 의미

Page 5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북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45

DVD 시장의 모범생 Netflix의 “Watch Instantly” 서비스Netflix가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인 'Watch Instantly'를 시작한 것은 가입자 기반을 지

키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 서비스는 Netflix가 2007년 DVD 렌털 서비스를 보완한다는 명분으로 선보였으며, 최신 영화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우편 대여용 DVD 라이브러리와는 달리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는 오래된 영화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가 보유한 영화 타이틀 개수는 1만 2,000개가 넘는다.

Netflix는 월정액 사용료를 내면 우편을 통한 DVD 대여와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전략을 채택했는데 그것이 가입자 확대에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어서, Netflix는 적은 마케팅 비용으로 신규 고객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거실 엔터테인먼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다양한 제휴 네트워크를 확보한 것도 성공적인 전략이었다. Netflix는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TV에 연결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 유인을 위한 중요한 요소를 확보했다는 평을 받았다. MS의 XBox 게임기와 Blu-ray 플레이어, Roku가 제작한 99달러짜리 셋톱 박스 등은 TV와 연결해 Netflix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좀 더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Netflix의 전략에 따르면, 온라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자체로는 추가 매출을 낼 수 없다. 가입자에게 별도의 이용료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Netflix는 온라인 서비스를 지금과 같은 오프라인과의 결합상품 혹은 보완상품의 개념에서 탈피해 독립적인 수익기반을 갖는 사업으로 변화시킬 계획도 가지고 있다. DVD 시청을 원하지 않는 고객들을 겨냥해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를 준비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그림 3-8> 온라인 스트리 서비스 Watch Instantly 사이트

자료원: www.netflix.com

Page 5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46 한국콘텐츠진흥원

Sony Pictures, Lionsgate 등의 제작사들이 Redbox와 5년간의 DVD 유통 계약을 맺기도 했지만38), 하루 대여료 1달러라는 초저가형 DVD 대여 서비스에 대한 헐리웃 영화사들의 반감도 만만치 않다. 이런 저가 정책을 이어갈 경우 영화 제작사들의 주요 수익원인 DVD 판매수익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9년 상반기 미국내 DVD 매출은 13.5% 감소한 반면 대여 매출은 8% 이상 증가해 이런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2008년 말 Fox와 Universal Pictures, Warner 등은 DVD 대여 사업자에게 영화 타이틀을 넘기기에 앞서 28일 혹은 30일간의 스트리트 데이트 윈도 기간을 적용하기로 했지만 Redbox는 이를 거부했고 Universal과 Fox는 즉각 도매업체를 통한 DVD 공급제한 조치를 단행했다. 이에 반발한 Redbox가 일정 기간 동안 자사에 DVD를 공급하지 않기로 하는 것은 독점금지법에 위배된다며 Universal Pictures, 20th Century Fox, Warner Home Vid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저렴한 가격과 편리성을 앞세운 Redbox의 서비스가 그동안 영화를 빌려보지 않았던 새로운 고객 수요를 창출한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런 초저가 대여 서비스가 자칫하면 박스오피스와 DVD 판매장, VOD 시장 등 영화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DVD 시장의 지각변동과 이에 대응해야 하는 시장 참여자들의 고민은 2010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3-9> 미국의 DVD 여시장을 둘러싼 립 상황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38) 이 같은 결정은 Redbox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헐리웃의 다른 영화사들과 정반대되는 선택

Page 5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47

제 2 유럽권 화 시장의 규모 동향

1. 유럽권39) 화 시장 규모 망

유럽권 영화 시장 규모는 2009년 257억 1,9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4.1%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성장해 2014년에는 314억 4,7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9,113 8,414 9,011 9,172 9,594 10,047 10,480 11,033 11,724 12,468 12,976 5.3%

홈비디오

합계 17,873 16,802 16,075 15,866 15,456 15,073 15,056 15,356 15,958 16,925 17,055 2.5%

판매 14,249 13,371 12,996 13,175 12,884 12,572 12,631 13,024 13,750 14,864 15,079 3.7%

대여 3,624 3,431 3,079 2,691 2,572 2,501 2,425 2,332 2,208 2,061 1,976 -4.6%

디지털

온라인

합계 166 249 298 336 483 599 725 880 1,062 1,275 1,415 18.8%

대여 166 247 293 319 453 545 632 704 757 791 871 9.8%

다운로드 0 2 5 17 30 54 93 176 305 484 544 58.7%

합계 27,152 25,465 25,384 25,374 25,533 25,719 26,261 27,269 28,744 30,668 31,447 4.1%

<표 3-6> 유럽권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유럽권 시장은 북미권 시장과 마찬가지로 디지털온라인 시장이 18.8%의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홈비디오 부문에서는 대여 시장의 감소세가 돋보인다. 유럽권의 2008년 극장상영 시장 규모는 95억 9,400만 달러였으며, 2009년에는 전년대비 4.7% 성장한 100억 4,7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박스오피스 규모는 2005년 84억 1,400만 달러까지 떨어졌던 충격을 극복하고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홈비디오 시장은 2.5%의 낮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홈비디오 대여 시장은 -4.6%의 연평균 성장률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온라인 대여와 다운로드 시장에서는 각각 9.8%와 58.7%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이 기대된다. 특히 다운로드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2014년 5억 4,400만 달러까지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39) 유럽권은 EMEA(Europe, Middle East, Africa) 권역으로 서유럽, 동유럽, 중동, 아프리카의 국가들을 모두 포함

Page 6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4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10> 유럽권 화 시장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유럽권 시장은 북미권 시장보다 극장 상영 비중이 높다. 극장 상영 시장은 전체의 39%를 차지하며, 2014년에는 41%로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59%에 달했던 홈비디오 시장은 2014년 49%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온라인 시장은 2%에서 4%로 비중이 두 배 가량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2009년 부문별 비중 2014년 부문별 비중

<그림 3-11> 2009년과 2014년 유럽권 화 시장의 부문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6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49

2. 유럽권 화 시장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EU 27개국의 2008년 입장객 수는 9억 2,420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의 9억 1,980만 명보다 소

폭 증가한 것이지만 2006년의 9억 3,160만 명에는 못 미치는 규모이다. EU의 입장객 수는 2004년 10억 1,280만 명을 기록한 이후 지금까지 10억 명에 못 미치고 있다.

<그림 3-12> 유럽 극장 객 수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원: MPAA, OBS, SARFN, Screen Digest, EIREN, 2009

국가별로는 프랑스의 2008년 입장객 수가 1억 8,970만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영국과 독일이 각각 1억 6,420만 명과 1억 2,940만 명을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이 세 나라는 모두 전년도보다 입장객이 늘었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입장객 수도 각각 1억 1,160만 명과 1억 780만 명을 기록했다. 유럽에서 입장객 수가 1억 명을 넘는 것은 이들 6개 국가 뿐이었다.

Page 6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50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13> 유럽 주요국 극장 객 수 변동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원: OBS, 2009

나. 영화 제작 편수EU 27개국 시장에서 2008년 한 해 동안 제작된 영화 수는 1,145편으로, 2007년의 1,033편보다 112편

늘었다. EU 시장의 영화 제작 편수는 2004년의 870편에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림 3-14> 유럽의 화 제작 편수와 개 편수

자료원: MPAA, OBS, SARFN, Screen Digest, EIREN, 2009

Page 6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51

국가별로는 프랑스가 100% 자국에서 제작한 145편을 비롯해 240편을 제작했으며, 독일이 100% 자국에서 제작한 81편을 비롯해 125편, 영국이 100% 자국 제작한 66편을 비롯해 86편, 이탈리아가 100% 자체 제작한 128편을 포함한 155편을 제작했다.

국가 제작유형 2004 2005 2006 2007 2008

프랑스

100% 제작 130 126 127 133 145

공동제작(주도) 37 61 37 52 51

공동제작(참여) 36 53 39 43 44

독일

100% 제작 60 60 78 77 81

공동제작(주도) 27 18 20 16 15

공동제작(참여) N/A 25 24 29 29

영국

100% 제작 28 50 56 68 66

공동제작(주도) 22 18 21 14 11

공동제작(참여) 66 53 32 14 9

이탈리아

100% 제작 97 70 90 93 128

공동제작(주도) 18 13 12 16 18

공동제작(참여) 23 15 15 14 9

스페인

100% 제작 92 89 109 115 124

공동제작(주도) 15 29 23 26 26

공동제작(참여) 26 24 18 31 23

<표 3-7> 유럽의 국가별 화 제작 편수 증감 추이

자료원: FOCUS, 2009, OBS, 2008

다. 스크린 수유럽의 극장 스크린 수는 2007년 기준으로 2만 9,394개이며 멀티플렉스 스크린은 1만 1,541개이고 디

지털 스크린은 2008년 6월 현재 1,006개이다. 국가별 디지털 스크린 수를 보면, 영국이 298개로 가장 앞서 나가는 가운데, 독일과 프랑스가 각각 164개와 162개로 2위 경합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디지털 스크린을 확보하고 있다. 3위는 77개를 확보한 벨기에이고 4위와 5위는 각각 57개와 39개를 확보한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차지했다.

Page 6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52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15> 유럽 국가별 디지털 스크린 수 황(2008. 6 기 )

자료원: Media Salles, 2009

3. 유럽권 화 시장의 국가별 주요 동향

가. 영국영국 영화 시장은 2008년 박스오피스 규모가 8억 5,000만 파운드로 급증하고 자국 영화 점유율이 31%

를 넘어서는 등 활기를 보였다. 하지만 2009년은 이 같은 추세를 이어가기에 역부족이었다. 영국영화위원회(United Kingdom Film Council, UKFC)의 UK Film Yearbook 2009에 따르면, 2009년 1/4분기 영국영화의 전체 제작편수는 19편에 그쳤다. 이는 2007년 1/4분기의 32편과 2008년 1/4분기의 31편에 비해 급감한 것으로, 국제 공동제작 영화의 감소40)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영국 영화 업계는 그동안 헐리웃을 중심으로 한 메이저 스튜디오의 영국 현지 제작 덕분에 호황을 누려왔으나 2008년 후반 이후 파운드화 가치 상승으로 영국 내에서의 제작비용이 증가하면서 이 같은 흐름이 끊어졌다. UKFC에 따르면, 자금난 가중으로 인해 영화 1편당 평균 제작비용이 2003년 560만 파운드에서 2009년 1분기에는 330만 파운드까지 하락했다.

투자 감소로 인해 2009년에는 영국의 중소규모 영화사나 독립 영화 제작사들의 파산이 잇따랐다. 시장조사기관 PWC는 2008년 상반기부터 2009년 상반기까지 18개월 동안 영국에서 69개의 영화사들이 파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TV나 라디오 사업자들의 파산 규모보다 50%나 많은 것이다. 파산한 영화사는 주로 Grass Roots Films, Shoreline Films, Lucky7 등 소규모 독립영화사였지만 대형 제작사들 사이에서도 경영난으로 인한 구조조정이나 피인수 사례가 드물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NBC Universal 산하의 영국 영화사인 Working Title은 경비 절감을 위해 스탭들을 해고했고, Warner Independent와 Paramount 40) Screen Daily에 따르면, 2009년 상반기의 공동제작은 전년대비 78% 급감했으며 작품수로는 14편에서 현재 3편으로 줄어들어

2009년 상반기 영국 영화산업의 가장 커다란 변화로 기록되었음

Page 6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53

Vantage, Picturehouse 등도 문을 닫거나 큰 회사로 합병되었다. 투자 위축과 더불어 영화 제작에 대한 영국 정부의 감세 혜택41)이 사라진 것과 P2P 불법 다운로드의

증가로 영화제작사들의 수익성이 악화된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킨 요인으로 지목됐다. ‘Rogue Trader'(1999)를 제작한 Paul Raphael은 그동안 영화 제작에 대한 저리 대출이 활발해지면서 제작 편수가 무분별하게 증가했다가 돈줄이 끊기게 된 것도 영화사 파산의 원인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영화사들로서는 간접비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시장성 있는 영화 제작에 집중해야 하는 등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영국 내 영화제작에 대한 전체 투자금액을 기준으로 볼 때 투자 규모 감소폭이 크지 않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2007년 1/4분기의 2억 파운드, 2008년 1/4분기의 2억 5,000만 파운드에 비해 2009년 1/4분기의 투자금액 2억 3,000만 파운드가 그리 적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해외 합작영화에 대한 투자가 줄어든 대신 국내 투자 영화에 대한 예산이 전체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42)

한편, 2008년 영국의 흥행 영화 중 최고의 인기작으로는 미국과의 합작 영화인 'Mamma Mia!'가 꼽혔으며 역시 미국 자본이 유입된 'Quantum of Solace'는 유럽 전역에 걸쳐 큰 인기를 모았다. 2008년 흥행 영화 중 공동제작 영화까지 포함할 경우 미국 영화의 비중이 압도적이었다.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1 Mamma Mia! 미국+영국 31,787,609

2 Qantum of Solace 영국 25,845,988

3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25,381,221

4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미국 23,694,470

5 Sex and the City 미국 23,467,414

6 Hancock 미국 23,268,940

7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21,146,904

8 Wall-E 미국 19,708,754

9 High School Musical 3 미국 18,094,226

10 Kung Fu Panda 미국 15,534,309

<표 3-8> 2008년 국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 10

주: 아일랜드도 포함한 데이터

자료원: UK Film Council, 2009

41) 2007년 1월부터 새롭게 적용됐던 영국의 영화감세정책은 자국 내에서 영화를 제작할 경우 세제 혜택을 주는 것으로 영국 영화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도입. 영화감세정책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작비용의 25% 이상을 영국 내에서 지출해

야 한다는 조항이 있는데 이것이 해외 공동제작사들이 영국에서 영화제작을 하는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

도 했음

42) 2007년과 2008년 1분기의 경우 각각 1억 6,000만 파운드와 1억 4,000만 파운드로 집계되었으나 같은 기간 2009년의 경우는

1억 9,000만 파운드로 증가

Page 6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54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프랑스 2009년 상반기 프랑스 영화 시장은 전년도에 비해 침체된 모습을 보였지만 하반기 중 회복할 여지를

충분히 남겨두고 있다. 관객 규모 100만~300만 명 정도의 자국 영화들이 꾸준히 등장함으로 인해 프랑스 영화는 자국 점유율 40%대를 유지했다. 2009년 상반기 6개월 동안 누적 관객 수는 9,720만 명이었다. 이는 2008년 같은 기간 관객 수보다 4.3% 감소한 것이지만 제반 여건을 고려했을 때 비교적 긍정적인 결과로 평가된다. 2008년 7월에서 2009년 6월까지의 1년간 누적 관객 수는 1억 8,530만 명으로 전년 동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월별 2009년 2008년 1년간 변동률

1월 15.27 14.85 2.9%

2월 19.20 20.56 -6.6%

3월 18.23 27.11 -32.7%

4월 17.62 15.73 12%

5월 15.39 12.48 23.4%

6월 11.46 10.87 5.5%

상반기 누적 관객 수 97.18 101.59 -4.3%

1년간 누적 관객 수 185.3 185.23 0.04%

<표 3-9> 2009년 상반기 랑스 극장 객 수

주: 2009년과 1년간 변동률 수치는 추정치

자료원: CNC, 2009년 상반기 프랑스 영화산업 결산

2009년 상반기 프랑스 영화 점유율은 40.0%로 2008년 54.0%보다 14% 포인트 떨어졌다. 하지만 2008년 하반기부터 2009년 상반기 사이의 점유율은 42.6%로서 전년 동기의 점유율인 37.8%보다 4.8% 포인트 높았다. 반면 DVD를 포함한 홈 비디오 시장에서는 침체가 계속됐다. CNC가 2009년 7월 발표한 상반기 프랑스 비디오시장 통계에 따르면, 2009년 상반기 DVD 타이틀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13.2% 증가했지만 매출은 5억 9,076만 유로를 기록해 오히려 1.0% 감소했다. 한편, 불법 다운로드 문제가 이슈화된 프랑스에서는 박스오피스와 2차 시장 사이의 홀드백 기간을 ‘4개월 이후’로 단축함으로써 피해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특히 온라인 VOD의 경우 기존의 7개월 2주였던 홀드백 기간이 DVD와 동일한 ‘극장 상영 후 4개월’로 줄어들어 가장 큰 수혜를 입었다.

Page 6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55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1 Bienvenue Chez les Ch'tis 프랑스 20,449,865

2 Asterix aux jeux Olympiques프랑스 덴마크

스페인 이탈리아6,812,378

3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4,242,192

4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미국 4,192,618

5 Qantum of Solace 영국 3,721,442

6 Wall-E 미국 3,234,750

7 Kung Fu Panda 미국 3,231,135

8 The Chronicles of Narnia 미국 3,115,005

9 Hancock 미국 3,077,695

10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3,039,032

<표 3-10> 2008년 랑스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Le Film Francais, FOCUS, 2009

다. 독일 2009년도 상반기 독일 영화 시장은 관객 수와 박스 오피스 매출 측면에서 고무적인 흥행 실적을 달성

했다. 독일극장연합인 HDF(Hauptverband Deutscher Filmtheater)에 따르면, 2009년 상반기 독일 영화 시장 관객 수는 전년대비 7.5% 증가한 6,280만 명이었으며 박스오피스 흥행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영화전문잡지 Filmecho는 2009년 독일영화 상반기 특집 기사43)를 통해 이 같은 상반기 흥행 몰이의 원인으로 ‘Illuminati'나 ’Harry Potter and Half-blooded Prince' 같은 대형 영화들의 흥행 성공과 함께 다양한 장르 영화들의 선전을 지목했다.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1 Keinohrhasen 독일 4,878,676

2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4,774,478

3 Qantum of Solace 영국 4,655,312

4 Mamma Mia! 미국 4,195,964

5 Hancock 미국 3,846,331

6 Earth 영국, 독일 3,765,230

7 Wall-E 미국 3,168,267

8 Kung Fu Panda 미국 3,151,561

9 Indian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미국 2,847,930

10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2,808,380

<표 3-11> 2008년 독일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FFA, FOCUS 2009

독일에서는 2009년부터 영화보조금법(Film Subsidies Act, FFG) 수정법이 적용되었다. FFG 수정법에

43) 2009년 7월 17일자

Page 6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56 한국콘텐츠진흥원

는 극장 개봉일로부터 DVD 출시까지의 홀드백 기간을 6개월로 단축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VOD 홀드백 기간은 9개월이며 유료 TV는 12개월, 지상파 TV는 18개월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독일영화진흥재단기금(Deutsche Filmförderungfund; DFFF)은 2008년 총 1억 1,850만 유로를 투입해 198개의 영화 제작을 지원한 데 이어 2009년 상반기 동안 1억 770만 유로를 지출했다. 상반기에 지원을 받은 23편의 영화들 중 18편은 상업영화이고 4편은 다큐멘터리 영화, 1편은 애니메이션 영화였다. 나머지 9편은 공동제작 영화였다44). 2009년 상반기 중 관객 100만 이상을 동원한 영화 6편 중 5편이 DFFF 의 지원을 받아 제작된 것이어서 특히 눈길을 끌었다. 이 기금의 지원은 2012년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4. 유럽권 화 시장의 주요 트 드

가. EU 회원국 영화 시장 안정 속 헐리웃 영화의 영향력 확대 EU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유럽 영화 시장을 살펴보면, 사상 처음으로 영화 제작 편수가 줄어들었던

2007년 이후부터는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EAO(European Audiovisual Observatory)가 집계한 2008년 EU 회원국들의 영화 제작 편수는 1,145편이었고 그 중 878편이 픽션 영화였으며 267편이 다큐멘터리였다.45) 유럽에서 제작되는 영화의 비중이 63.2%로 여전히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한 가운데, ‘Quantum of Solace'의 경우처럼 미국 자본의 투자를 받아 유럽에서 제작되는 영화의 비중이 약 7%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 영화제작에 대한 감세 혜택이 사라지고 P2P 불법 다운로드가 증가하면서 경영난이 악화되어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다른 업체에 인수되는 영화 제작사도 생기는 등 영화 산업의 여건이 만만하지만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유럽 영화 시장은 서유럽권, 동유럽권, 북유럽권 등 지역에 따라 고유하고 독자적인 시장 트렌드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최근 글로벌 대자본의 공세 속에서 배급 및 상영 부문의 시장 집중화 및 글로벌화 추세에 편입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가운데 나타난 주목할 만한 현상은 2008년 EU 영화 시장에서 역내 제작 영화 이외에 해외 영화, 특히 미국 영화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는 점이다. 관객 동원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EU 시장에서 개봉된 영화 중 북미 영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63.4%에 달했다.

44) 2008년의 경우 국제 공동제작 영화 지원에 총 6,210만 유로가 지원

45) EOA는 2009년 발표되는 보고서부터 각국 데이터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영화 제작 유형을 픽션 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로 나

누어 집계

Page 6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유럽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57

<그림 3-16> 2008년 EU시장 개 화 제작국가 비율( 객 수 기 )

자료원: OBS, LUMIERE, 2008

이와 더불어 최근 몇 년간 EU 영화 시장에서 제 3세계 영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와 눈길을 끌었다. EAO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6년 사이에 미국이 아닌 제 3세계에서 만들어진 새 영화 1,324편이 유럽 시장에 상업적 목적으로 보급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중 배급된 새 영화 중 18.5%를 차지하는 것이다. 유럽에서 이 기간 중 개봉된 1,324편의 제 3세계 영화 중 아시아권 영화가 546편으로 가장 많고 유럽 내의 EU 미가입국 영화가 319편, 라틴 아메리카 영화가 172편, 캐나다 영화가 114편, 중동 지역 영화가 56편, 오세아니아 영화가 50편, 아프리카 영화가 33편이었다.46)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1 Mamma Mia! 미국+영국 31,787,609

2 Qantum of Solace 영국 25,845,988

3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미국 25,381,221

4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23,694,470

5 Bienvenue Chez les Ch'tis 프랑스 23,467,414

6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23,268,940

7 Kung Fu Panda 미국 21,146,904

8 Hancock 미국 19,708,754

9 Wall-E 미국 18,094,226

10 Sex and the City 미국 15,534,309

<표 3-12> 2008년 EU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 10

자료원: OBS, LUMIERE, FOCUS 2009

46) FOCUS, 2008 참조

Page 7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58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디지털 시네마 지원 방안에 대한 논란 유럽 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ECCD(European Commission Competition Directorate)를 통해

디지털 영화에 대해 세제 혜택을 주기로 한 이탈리아 정부의 계획에 대해 공식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이는 이탈리아 정부의 영화 지원 조치의 일환으로, 디지털 시네마 장비를 설치하는 모든 극장에 대해 30%의 세제 혜택을 주는 것이 지원 방안의 핵심이다. 유럽 위원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탈리아 극장의 75% 이상이 1~4개의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정도 규모의 극장에서는 투자 수익성이 그렇게 높지 않아 세제 혜택의 효과가 적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유럽 위원회는 이 같은 지원 정책의 필요성과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고, 정부의 지원이 디지털 영화관 확산에 도움이 될 것인지 여부와 지원 대상이 시장 전체에 확산되어 있는지, 특정 영역에 국한되어 있는지를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탈리아의 이번 사례는 정부의 디지털 영화 지원 정책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멀티플렉스와 소규모 극장 중 어느 쪽이 더 적절한 지원 대상인지, 이 문제에 대한 상업적 해결이 가능할 것인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 비디오 시장 저작권 논의와 '삼진아웃제'2009년 상반기 프랑스 영화 시장에서는 비디오 저작권과 관련해 큰 이슈가 터졌다. 이른바 ‘삼진아웃제’

로 알려진 ‘창작과 인터넷법(Loi Creation et Internet)’이 그것으로, 이 법안은 형법의 불법 다운로드 관련 규정을 보완해 비(非)형사상 처벌을 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불법 다운로드 서비스 가입자는 우편으로 경고 편지를 받게 되고 이후에도 계속 불법 다운로드를 이용하면 등기우편으로 재경고를 받는다. 그 후에도 여전히 불법 다운로드를 계속한다면 인터넷 정액제 가입을 해지시킨다. 인터넷 차단기간은 기본적으로 3개월에서 1년까지이며 처벌 이후에라도 더 이상 불법 다운로드를 하지 않겠다고 각서를 작성하면 1개월에서 3개월로 차단기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 법안은 상하원을 통과했으나 지난 6월 경 헌법위원회의 위헌판정으로 공표가 좌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법안 가결에 대한 정치권과 영화 업계의 의지는 굳건하며, 현재 수정 법안이 상정되어 2009년 내 하원 표결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법안에 따라 설치될 ‘인터넷에서의 창작물 배포와 권리 보호를 위한 고등기구’(Hadopi)는 불법 다운로드 서비스 이용자의 IP주소와 신원을 인터넷 사업자로부터 넘겨받을 수 있어 개인정보를 정부기관이 임의로 열람할 위험을 안고 있다.

영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움직임이 나타났다. 2009년 5월 FACT(Federation Agent Theft)를 포함한 영국 영화 관련 업계는 Load Carter 통신부 장관에게 영화 콘텐츠의 저작권 강화를 위한 조치를 요청하며 프랑스와 같은 ‘삼진아웃제(graduated response)’의 도입을 제안했다. UK Film Council의 John Woodward 회장은 80만 명의 일자리가 걸린 영화, 방송, 음반 산업의 저작권이 P2P를 통한 불법 다운로드 관행에 위협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Digital Britain'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Load Carter 장관을 압박해 여기에 강력한 저작권 보호 규정이 명시되도록 하는 의도로 분석된다.47)

47) 2009년 1월 발표된 중간보고서에서는 불법 다운로드 근절을 위한 ISP와 저작권자 사이의 공조체제인 ‘Rights Agency' 창설 방

안이 제안된 바 있음

Page 7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일본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59

제 3 일본 화 시장의 규모 동향

1. 일본 화 시장 규모 망

일본 영화 시장은 2009년 89억 9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3.8%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증가해 107억 3,6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2,038 1,915 1,957 1,917 1,882 1,908 1,940 2,009 2,086 2,164 2,219 3.1%

홈비디오

합계 6,660 6,570 6,531 6,677 6,715 6,666 6,667 6,714 6,792 6,899 6,925 0.8%

판매 2,631 2,705 2,328 2,184 2,077 1,932 1,836 1,787 1,768 1,778 1,707 -2.4%

대여 4,029 3,865 4,203 4,493 4,638 4,734 4,831 4,927 5,024 5,121 5,218 2.0%

디지털

온라인

합계 5 10 23 47 141 335 492 757 1,058 1,369 1,592 36.6%

대여 4 8 21 45 139 331 483 739 1,005 1,280 1,494 35.2%

다운로드 1 2 2 2 2 4 9 18 53 89 99 89.9%

합계 8,703 8,495 8,511 8,641 8,738 8,909 9,099 9,480 9,936 10,432 10,736 3.8%

<표 3-13> 일본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부문별로는 디지털 온라인 시장이 2014년까지 36.6%의 매우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극장상영 시장은 3.1%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홈비디오 부문은 판매 시장의 침체로 0.8%의 연평균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박스오피스 시장은 2006년 이래 하락세를 보이다가 2009년부터 반등한 것으로 보인다. 2008년의 박스오피스 규모는 18억 8,200만 달러로 직전 5년 동안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2009년에는 반등에 성공하면서 소폭 증가해 19억 8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홈비디오 부문에서는 판매 시장이 계속해서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대여 시장은 증가세가 예상된다. 이는 일본의 장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가 줄어들고 저렴하게 영화를 즐기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디지털 온라인 시장에서는 대여 시장이 35.2%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증가해 2014년에는 14억 9,4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며 홈비디오 판매 시장 규모에 육박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다운로드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은 89.9%로 매우 높지만 시장 규모 자체가 그리 크지 않아 대여 시장의 비중에는 현저히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Page 7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60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17> 일본 화 시장 부문별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일본 시장은 여타의 선진국 시장과 마찬가지로 홈비디오 중심의 특징을 보이는데, 그 비중은 모든 권역 중에서 가장 높다. 그러나 홈비디오 시장은 디지털 온라인 시장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9년 홈비디오 시장 비중은 전체의 75%에 이르지만, 2014년에는 64%로 10% 가까이 떨어지고, 감소한 비중을 온라인 시장이 대체하게 될 전망이다.

2009년 부문별 비중 2014년 부문별 비중

<그림 3-18> 2009년과 2014년 일본 화 시장 부문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7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일본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61

2. 일본 화 시장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관람객 수는 2008년 1억 6,050만 명을 기록하며 5년 동안 가장 적은 수로 집계됐다. 홈 엔터테인먼트

와 온라인 서비스 확대의 영향으로 극장에 오는 관람객 수가 줄어든 것은 물론, 젊은층 사이에서는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일이 시대에 뒤떨어져 보이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분석 결과도 나와 있다.

<그림 3-19> 일본의 객 규모 변동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원: EIREN, 2009

나. 영화 제작 편수 일본에서 2008년 한 해 동안 개봉된 영화는 806편으로 최근 3년 중 가장 적었다. 국내 제작 편수는

전년도의 407편보다 소폭 늘어난 418편이었고 외국산 영화는 전년도의 403편보다 줄어든 388편이었다.

Page 7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62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20> 일본의 화 개 편수

자료원: EIREN, 2009

다. 극장 스크린 수 2008년 일본 극장 시장의 총 스크린 수는 2007년의 3,221개보다 약 140개 늘어난 3,350개였으며, 그

중 멀티플렉스 스크린이 2007년의 2,454개에서 2008년 2,659개로 100개 이상 늘어나 스크린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2007년 86개였던 디지털 스크린 수는 2008년 6월 현재 94개로 늘었다. 향후 2년간 디지털 스크린 수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스크린 당 연간 흥행 수입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극장 입장료 요금이 오르는데도 불구하고 흥행 수입이 줄어드는 것은 극장 입장객 수가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3. 일본 화 시장의 주요 트 드

가. 스크린 증가에도 불구 관객 수는 제자리 2008년은 박스 오피스 수입과 극장 관객 수가 모두 감소한 한 해였다. 다만 일본 영화의 자국 시장 점

유율은 59.5%로 1969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몇 년간 일본 전역의 멀티플렉스 증가로 인해 스크린 수 증가 규모는 연간 약 200개에 이른다. 2008년 한 해 동안 138개의 스크린이 새로 추가되면서 2008년 12월 현재 멀티플렉스의 스크린이 약 2,659개로 늘어났고 전체 스크린 수는 3,359개로 늘었다. 그러나 극장 관객 수나 1인당 영화관람 횟수에는 변함이 거의 없어 업계 관계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일본 영화계는 관객을 모으기 위해 다양한 할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것이 입장료 인하 효과만 낼 뿐, 실제 관객 수 증가에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Page 7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일본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63

기준 이름 내용 설명

주기적 할인 영화팬을 위한 감사의 날 매월 1일은 입장료 1,000엔

대상별 할인

부부50할인 부부 중 한사람이 50세 이상이면 극장 입장료가 1인당 1,000앤

고등학생 우정 가격 고등학생 3명이 함께 오면 1인당 1,000엔

핸디캡 할인 장애인 할인 우대 가격 적용

지역별 극장별

할인

레이디스 데이 매우 수요일 여성의 관람료가 1,000엔

맨즈 데이 주 1회 남성의 관람료가 1,000엔

커플데이 월 1회. 커플이면 1인당 관람료 1,000엔

모닝퍼스트 쇼 평일 오전 첫 상영시간대의 조조할인

레이트 쇼 평일 오후 8시 이후 상영이 시간될 경우 할인

회원증 할인 극장 발행 회원증 소지자에게 입장료 할인 혜택 제공

사다리 할인 같은 극장에 두 번 이상 입장하는 경우 두 번째 입장료 할인

<표 3-14> 일본에서 시행 인 다양한 극장 입장료 할인 제도

자료원: EIREN, 2009

나. 영화 제작 답보 속 각색 영화 제작 유행2008년 일본에서 개봉된 영화는 418편이었으며 이는 1970년대 초 이래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영화 제

작 편수는 2006년과 2007년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박스 오피스 성적이 답보 상태에 머물면서 일본 영화 제작사들은 TV 시리즈와 만화, 소설이나 애니메이션 등 이미 익숙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각색한 영화를 만들어 내는 일에 매달렸다. 일본 영화의 주류를 이루는 이런 각색 콘텐츠들은 통상 영화 제작사와 TV 방송사, 배급업자, 출판사, 광고회사, 혹은 홈 비디오 기업들이 모여 홍보 전략까지 갖춘 상태에서 만들어졌다.

한편, 헐리웃 영화 제작사들과의 교류도 계속되고 있다. Walt Disney와 Warner Bros. 같은 헐리웃의 메이저 영화사들의 제휴 및 합작 제안이 이어진 가운데 Disney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Toei Animation, Madhouse, Gini 애니메이션 제작사 등과 제휴를 맺고 아시아 관객들의 입맛에 맞춘 작품을 제작하기로 했다. Toho, Shochiku, Toei 등 일본의 3대 현지 배급사들은 제작 스튜디오와 후반 작업 시설의 디지털화를 위해 수백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Page 7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64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영화 제작 시스템의 특징일본의 경우 영화 제작사나 투자사가 단독으로 영화를 제작하기보다는 방송사와 출판사 등 여러

회사가 결합해 형성된 ‘제작위원회’가 구성되어 영화가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같은 제작위원회 시스템은 영화제작 비용에 대한 투자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전문 분야를 지닌 여러 회사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수익 창출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제작위원회 방식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일명 ‘간사 회사’를 운용하는 것으로, 간사회사는 제작위원회에 참여하는 각 회사 간의 의견 및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제작 관리를 담당하며 제작위원회의 수익․ 지출 관리와 분배 업무 및 제작위원회 외부의 감독, 프로듀스, 작가 등과의 교섭 및 계약 체결 업무 등을 담당한다. 제작 관리를 주도하며 영화 제작 프로젝트 전반의 운영을 담당하는 간사회사는 그 대가로 제작위원회의 수기 중 일정 부분을 수수료로 받는다. 수수료 비율은 전체 매출의 약 5~10% 수준이다.

<그림 3-21> 일본 화의 홀드백 시스템 개요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다. 장비 벤더 협력으로 디지털 영화관 사업 가속화 디지털 시네마는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에 이르는 전 부문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다. 즉 디지털로 만

들어진 영화를 인공위성이나 미디어 전송을 통해 디지털 영사기로 극장에서 상영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극장의 디지털화는 고가의 장비 비용을 누가 지불하는가의 문제 때문에 지지부진해왔다. 일본의 경우 Sony가 극장운영시스템(TMS:Theater Management System)48)과 중앙 서버를 포함한 극장의 디지털 네

48) 일정 데이터 입력과 상영일정 편성, 프로젝터 등의 장비 상황 체크를 담당하고 프로젝터에 스케줄을 자동 전송하는 애플리케이

Page 7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일본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65

트워크화에 소용되는 비용을 직접 부담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일본 내 영화관의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Sony는 2008년 8월 16일 일본 내 영화관의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신규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을 공표했다. Sony는 방송기기 관련 사업 계열사인 Sony Protechno Support 내에 ‘디지털 시네마 사업 추진부’를 신설하고, 그동안 영화관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비용부담을 느꼈던 극장들에 대해 디지털 장비를 직접 제공함으로서 일본 내 극장의 디지털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일본 최대 영화관 운영업체인 T-Toy49)는 Sony와 디지털 시네마 상영 시스템 도입 및 전 상영관의 디지털화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10월부터 Sony의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터 'SRX-R220'50)이 순차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Sony는 영화제작사와 배급사에게 고품질의 디지털 상영 환경을 제공하고 4K 포맷의 디지털 영사기 상영 및 3D 영상상영 기회 확대 등 새로운 부가가치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디지털 영화관 운용 상황에 대한 보고를 극장주에게 정기적으로 하는 것은 물론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유통을 지원하는 등 디지털화에 따른 이점을 최대한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림 3-22> Sony의 디지털 서비스 시네마 개요도

자료원: Sony, 2009.8

Sony는 향후 디지털 시네마 솔루션 서비스를 일본은 물론 해외 다수의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 매니지먼트사에 적극 제안함과 동시에 다수의 극장 운영 기업과 계약을 추진해 2010년까지 일본 내 1,000개 영화관을 디지털화할 방침이다. Sony의 지원으로 일본 내 영화관들은 디지털화를 위한 초기 도입 비용을 절감

션으로,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터와 디지털 시네마 관련 장비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극장 내 효율적 운영을 가능하게 함

49) 일본의 영화사인 도에이(東映) 그룹이 운영하는 일본 최대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50) 기존 풀HD 화질보다 4배 이상 뛰어난 약 885만 화소를 제공. 기존 2K 기술의 프로젝터보다 4배 이상 뛰어난 4 K 고해상도로

깨끗한 화질과 2000대 1의 높은 명암비를 자랑하며 한대의 프로젝터로 20D(4K해상도)와 3D(3K해상도) 상영이 모두 가능

Page 7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66 한국콘텐츠진흥원

할 수 있게 되었다. Sony는 영화관으로부터 서비스 이용료를 받을 방침이지만 Sony와 이미 계약을 체결한 20th Century Fox, Walt Disney, Sony Pictures 등 3개 영화사가 디지털 배급시 영화관에 수수료를 지불하므로, 사실상 극장주 입장에서는 이용료 부담이 거의 없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디지털 전환에 따른 비용부담의 책임 공방이 결국 장비 벤더 측의 양보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일본의 디지털 시네마 시장에 영화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Page 7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절 중국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67

제 4 국 화 시장의 규모 동향

1. 국 화 시장 규모 망

중국 영화 시장은 2009년 10억 800만 달러로 추정되며, 12.1%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증가해 2014년에는 17억 8,2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221 287 376 478 605 721 849 966 1,086 1,208 1,329 13.0%

홈비디오

합계 128 143 187 224 263 287 312 340 374 413 439 8.9%

판매 74 86 124 158 194 215 237 262 294 330 354 10.5%

대여 54 57 63 66 69 72 75 78 80 83 86 3.5%

디지털

온라인

합계 - - - - - - - 1 3 10 14 N/A

대여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다운로드 - - - - - - - 1 3 10 14 N/A

합계 349 430 563 702 868 1,008 1,161 1,307 1,463 1,631 1,782 12.1%

<표 3-15> 국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중국의 극장 상영 시장은 2008년 6억 500만 달러에서 19% 성장해 2009년에는 7억 2,1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에는 2014년까지 13.0%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13억 2,9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시장은 북미권, 유럽권, 일본 등의 선진국 시장과 달리 불법 복제물의 범람으로 홈비디오 시장 비중이 매우 적은 특징을 보인다. 홈비디오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8.9%로 극장상영 시장에 비해 낮고,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선진국 시장에 비하면 현저하게 작다.

디지털 다운로드 시장은 2011년 100만 달러 규모에서 2014년에는 1,4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하겠지만, 절대적인 시장 규모가 워낙 작아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Page 8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6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23> 국 화 시장 규모 추이

단위 : 백만달러

자료원: PWC, 2009

중국 영화 시장은 극장상영 부문의 비중이 매우 높아, 2009년 기준으로 전체 시장에서 7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홈비디오 시장은 2009년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8%이지만 2014년에는 25%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선진국 시장과는 달리 줄어든 홈비디오 시장이 온라인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는 해적판 불법 복제물을 주로 이용하고 정품 콘텐츠에 대한 지불 의향이 낮은 중국 시장의 특수성에 기인한다.

2009년 부문별 비중 2014년 부문별 비중

<그림 3-24> 2009년-2014년 화 시장 부문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8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절 중국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69

2. 국 화 시장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중국의 극장 관객은 2007년 1억 9,600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의 1억 7,600만 명에 비해 2,000

만 명 늘어난 규모이다. 중국의 관객 수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8년 이후 자료는 발표되지 않았다.

<그림 3-25> 국의 객 규모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원: SARFT, 2009, Screen Digest, 2009

나. 영화 제작 편수중국에서 2008년 한 해 동안 제작된 영화 수는 400편으로, 2007년의 402편보다 2편 줄어들었다. 중국

의 영화 제작 편수는 2004년의 212편에서 2005년의 260편, 2006년에 330편으로 크게 증가해왔다. 반면, 중국에서 개봉되는 영화 수는 2004년의 100편에서 2005년 90편, 2006년 105편 등으로 큰 변동을 보이지 않다가 2007년에는 80편으로 오히려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제작되는 영화가 실제 극장에서 개봉될 기회를 잡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Page 8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70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26> 국의 화 제작 편수와 개 편수

자료원: SARFT, 2009, Screen Digest, 2009, Variety, 2009, Screen International, 2009

다. 스크린 수영화 산업 안팎의 자본들이 영화 시장에 진출하면서 극장들이 도시 곳곳에 생기고 인프라도 개선되고

있다. 2008년 말 기준으로 극장 체인 겸 영화 배급사인 원선기업들이 118개의 극장을 신축하면서 원선기업 휘하의 극장은 전년대비 8.27% 증가한 1,545개가 되었다. 한편, 2008년 한 해 동안 늘어난 스크린 수는 전년대비 16.16% 증가한 570개였다.

<그림 3-27> 국의 극장 스크린 수 추이

자료원: FOCUS, 2009, OBS, 2008

Page 8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절 중국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71

3. 국 화 시장의 주요 트 드

가. 중국 영화, 자국 시장 내 비중 확대2008년에 중국영화 시장의 주요 이슈는 중국 로컬 영화의 대활약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 기간 중국

의 박스오피스는 전년대비 27% 증가한 6억 5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중국 박스오피스 시장은 6년 연속 20% 이상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다. 2008년에는 중국 영화의 자국 시장 점유율이 전체 박스오피스의 60%를 넘게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중국 영화의 상영 편수 역시 6년 연속 수입 영화의 상영 편수를 능가했다. 2008년 한 해 동안의 10대 흥행작 중 중국 영화는 ‘적벽(Chi bi)’, ‘화피(Wa pei)’, ‘장강7호(Cheung Gong 7 hou)’, ‘비성물요(Fei Cheng Wu Rao)’, ‘쿵푸덩크(Gong fu guan lan)’, ‘매란방(Mei Lanfang)’에 이르기까지 과반수를 차지했다. 대작 영화와 중소 규모 영화가 고루 포진한 가운데 스크린 수가 증가하고 로컬 배급사들의 마케팅 노하우가 무르익으며 중국 영화 시장이 더욱 활기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순위 원제 제작국가 박스오피스(백만달러)

1 Chi bi 중국 45.7

2 Wa pei 중국/홍콩/싱가포르 33.7

3 Cheung Gong 7 huo 중국/홍콩 29.6

4 The Forbidden Kingdom 중국/미국 27.2

5 Kung Fu Panda 미국 26.4

6 Fei Cheng Wu Rao 중국 24.9

7 Quantum of Solace 영국/미국 20.8

8 Gong fu guan lan 중국/홍콩/대만 16.5

9 The Mummy 미국/독일 16.1

10 Mei Lanfang 중국/홍콩 15.7

<표 3-16> 2008년 국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Screen International, 2009

2009년 역시 중국 영화의 약진은 계속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 영화의 선전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비관론도 제기됐지만 중국 영화 시장은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2009년 상반기 중국 영화 시장의 흥행 규모는 약 23억 3,700만 위안에 달해 전년 대비 39%나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전국 규모로 배급된 신작 영화의 수는 약 80편이었다. 흥행 규모 1억 위안 이상인 영화는 8편이었고 흥행 규모 1,000만 위안이 넘은 영화는 전년도보다 28.5% 늘어난 26편이었다. 2009년 상반기 중국의 영화 시장은 자국 영화와 수입영화가 나란히 흥행에 성공했으며, 특히 명절과 휴일에 높은 관객 점유율을 보여 앞으로 이 시즌을 겨냥한 영화 기획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했다.

Page 8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72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년 중국 영화 시장의 화제작 ‘난징! 난징!’ 2009년 상반기 중국 영화 시장에서 1억 위안이 넘는 대 흥행 기록을 달성한 영화 5편 중 <난징!

난징!>(南京!南京!, City Of Life And Death)은 무거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1억 6,800억 위안이라는 흥행 기록을 세움으로써 역사 영화의 흥행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유엽과 고원원이 주연한 루추안 감독의 이 영화는 4월 22일 개봉되었다. 이 영화의 배경은 1937년 일본의 난징 침략이지만 감독은 전쟁에서 상실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있다. 광기 어린 전쟁에서는 군인과 민간인의 구분도 없고 승자와 패자의 구분도 없음을 지적한다. 영화초반의 치열하고 격렬한 전투장면이 지나고 나면 이야기는 전쟁 속에서 생존을 위해 발버둥치는 인간 군상의 모습을 세밀히 다룬다. 처음 병사들을 향했던 총구는 민간인을 향해 무차별적으로 불을 뿜어댄다. 영화의 후반부는 일본군 주인공을 통해 학살의 과정에서 인간성을 상실하고 영혼이 죽어가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감독은 극악한 폭력이란 압도적인 물리력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극단적인 공포에서 온다는 점을 병사들의 살상과정을 통해 명확히 드러내고 있다. 이 영화의 미덕은 압도적인 규모의 전쟁 씬에 기대거나 편향된 관점에 빠지지 않고, 극한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세밀한 묘사를 통해 마지막까지 주제를 잘 전달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림 3-28> 화 ‘난징! 난징!’의 포스터

나. 대형 원선기업들의 영향력 증대 중국 영화 시장에서 배급 유통 과정은 일종의 극장 체인인 ‘원선(院線)’이 담당하고 있다. 2008년부터는

여러 배급업체가 상호 협력에 나서는 등 배급 방식이 다양화되기 시작했지만 대부분의 개봉작이 극장 체인인 원선을 통해 배급되는 중국 영화 시장의 특징적 구도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2009년 상반기 중국 영화 시장에서 대형 원선들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몸집 불리기와 시장 확대에 나섰다. 보유하고 있는 영화관의 수와 규모, 특히 스크린 수를 기반으로 영화 시장에서의 협상권과 발언권을 강화하는 대형 원선들의 전

Page 8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절 중국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73

략이 두드러졌다. 2009년 상반기에는 기존의 10대 원선들이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완다 극장체인의 1

위 독주가 두드러졌다. 원선들은 2008년 말 기준으로 118개의 극장을 신축했으며 이에 따라 원선기업이 소유한 극장 수는 1,545개를 기록했다. 전국 스크린 수는 전년 대비 16.2% 증가한 4,097개였다. 이처럼 원선기업 소유의 극장과 스크린 수가 증가하면서 원선의 경쟁력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순위 원선기업상영회수

(천회)

관객 수

(천명)

흥행기록

(천위안)

평균입장료

(위안)

1 완다원선 271.9 11,066 333,051 29.91

2 중잉싱메이 343.2 9,714 305,382 31.43

3 상하이렌화 239.5 10,847 272,349 25.10

4 난팡신깐쌘 230.4 75,58 237,957 31.48

5 베이징신영련 353.4 73,36 220,926 30.11

6 광저우찐이쭈쟝 163.0 5,316 176,030 33.11

7 저장스스다이 130.1 3,534 986,260 27.89

8 랴오닝베이팡 174.6 3,594 885,190 24.62

9 쓰촨타이핑양 113.6 2,837 803,790 28.33

10 스지환쵸우 61.6 1,796 564,610 31.49

계 계 2,081.3 63,598 1,867,682 29.36

<표 3-17> 국의 10 원선기업1)

자료원: 중국광전총국, 2009

2008년부터 경영 고도화 및 경쟁력 강화에 나선 원선들은 인수합병에도 적극 나섰다. 그 결과 중잉싱메이 원선과 하이난란하이 원선이 합병을 통해 거대 배급 업체로 자리매김했고, 랴오닝베이팡 원선과 칭다오인싱도 전략적 합병을 단행했다. 원선기업들의 합병 및 제휴 효과는 2008년 중국 박스오피스 시장에서의 실적에 고스란히 반영되었으며 원선들은 해외배급, 홀드백 시스템 강화, 마케팅 전략 강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영화 제작 및 배급에 소요되는 비용을 효율화하고 배급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원선들간의 연합 배급이 확산되고, 영화 박스오피스의 흥행을 DVD와 온라인 등 2차 시장으로 이어가는 홀드백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2009년 상반기 승승장구하는 대형 원선들과는 달리 중소 규모의 원선들은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후난성에서 한 때 선두를 달리던 샤오샹 원선과 추샹 원선의 경우 2008년부터 경영난에 직면해 있으며51), 이는 중소 규모 원선기업 중 약 30%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다. 영화관 설비 및 디지털 극장 인프라 확대 2009년 상반기 현재 중국에서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영화관 설비에 대한 투자가 활기를 보였다. 중국

에서 극장 건립은 큰 이윤을 남길 수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대형 영화기업들이 이 부분에 많은 관심을 보51) 2008년 후난성의 박스오피스 규모는 약 8,200만 위안이었고 샤오샹 극장과 후난추샹 극장체인의 매출합계는 약 6,600만 위안

으로, 각각 전국 21위와 24위를 차지함. 그러나 대형 원선들의 시장 장악력이 강화되면서 샤오샹과 후난추샹은 모두 25위권 밖

으로 밀려났으며 2009년 상반기 흥행 기록도 1,000만 위안에 못 미쳤음

Page 8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74 한국콘텐츠진흥원

이고 있다. 극장들이 신기술과 첨단설비 도입에 앞 다투어 나서면서 2008년 7월 베이징에서 세계 최초의 레이저 상영관이 문을 연 데 이어 2008년 말에는 최대의 극장 네트워크인 완다 극장체인 스징산점에 아시아 최초의 디지털 아이맥스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었다. 2008년에만 800개의 디지털 스크린이 설치되면서 중국은 디지털 영화 설비 부문에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달리고 있다. 2009년 상반기 전국 단위로 개봉된 디지털 영화는 14편이었으며 그 중 중국 영화가 11편을 차지해 디지털 영화 부문의 강세를 과시했다.

하지만 이 같은 극장 건설과 설비 투자는 대도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국광전총국이 소위 ‘디지털 영화관 상영 시스템의 기술요구사항’을 발표하는 등 중국 영화 상영 공간 확대와 더불어 도시와 농촌의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하고 있지만,52) 극장 설비에 투자되는 자금 중 대도시 이외 지역으로 유입되는 자금은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원선이 개입하지 않은 일명 비(非) 원선 영화관과 중소도시의 영화관에 대한 투자는 매우 소극적이었다. 한편, 2009년 상반기에는 영화관 약 45개, 스크린 약 250개 정도가 만들어졌으며, 2009년 한 해 동안에는 영화관 110곳과 스크린 600여 개가 신설될 것으로 추산된다.

라.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강화중국 중앙정부 4대 부서 연합으로 발표한 중앙선전부 방침에 따라 중국 내 대부분의 영화 관련 단체는

2009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방송과 영화를 관장하는 광전총국 산하로 완전히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1986년 이후 모호한 상태로 존재하던 영화산업의 행정관리 체계가 정비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주관 부서에서부터 일선 업체에 이르기까지 영화의 제작, 배급 및 상영 등의 연결고리가 이어짐으로써 영화의 산업화와 시장운영을 위한 여건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됐다.

그러나 중국 영화의 수출 문제와 관련해서는 일선 업계와 정부와 학계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09년 Beijing Screening에서 자국 영화의 수출 부양책을 발표하며 사기업의 역량 확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영화 수출업자들에게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자막 제작과 출력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학자와 영화 제작자들은 수출 확대를 위해 가장 긴요한 것은 정부의 규제 축소라며, 정부의 간섭을 줄이는 것이 중국 영화 산업의 발전을 위한 3대 과제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한편, 2009년 7월 22일 원자바오 총리가 주최한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문화산업 진흥계획’이 통과됐다. 중국의 문화산업 진흥계획은 문화산업을 국가적인 핵심 발전 동력으로 삼아 정식으로 국가 차원의 조정과 진흥 기획에 들어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집중 육성 대상인 10대 산업 이후 11번째 산업 분야로 문화산업을 결정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52) 국유 지주회사인 베이징 화시아싱훠 디지털 영화 원선과 베이징 지우저우양광 디지털 영화 원선이 이미 시험 운영에 들어갔으

며, 단기간 내 디지털 원선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이들의 목적

Page 8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75

제 5 아시아․태평양권 화 시장의 규모 동향

1. 아시아․태평양권53) 화 시장 규모 망

아태권 영화 시장은 2009년 82억 4,7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7.5%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증가해 2014년에는 118억 2,6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3,276 3,455 3,866 4,060 4,354 4,472 4,854 5,404 5,981 6,571 7,054 9.5%

홈비디오

합계 3,179 3,220 3,262 3,515 3,663 3,711 3,816 3,950 4,126 4,391 4,500 3.9%

판매 1,687 1,730 1,740 1,997 2,177 2,214 2,325 2,455 2,643 2,924 3,034 6.5%

대여 1,492 1,490 1,522 1,518 1,486 1,497 1,491 1,495 1,483 1,467 1,466 -0.4%

디지털

온라인

합계 1 7 16 26 40 64 92 125 181 239 272 33.6%

대여 1 6 15 25 39 61 85 111 136 159 185 24.8%

다운로드 0 1 1 1 1 3 7 14 45 80 87 96.3%

합계 6,456 6,682 7,144 7,601 8,057 8,247 8,762 9,479 10,288 11,201 11,826 7.5%

<표 3-18> 아태권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아태권 영화 시장에서는 극장 상영 부문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극장 상영 시장은 2009년 44억 7,200만 달러의 시장규모에서 9.5%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해 2014년에는 70억 5,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홈비디오 시장은 3.9%의 연평균 성장률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지털 온라인 시장은 33.6%에 달하는 연평균 성장률로 성장해 2009년 6,400만 달러에서 2014년에는 2억 7,200만 달러로 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53) 아시아․태평양권 국가들 중 일본, 중국을 제외한 동남아시아, 인도, 한국, 호주, 뉴질랜드를 포함

Page 8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76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29> 아태권 화 시장 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아태권 영화 시장에서는 극장 상영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09년 전체 시장의 54%를 차지했던 극장 상영 시장은 2014년에는 60%로 늘어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홈비디오 시장은 2009년 45%에서 2014년 38%로 줄어들고, 온라인 시장은 1%에서 2%로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부문별 비중 2014년 부문별 비중

<그림 3-30> 2009년과 2014년 아태권 화 시장 부문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8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77

2. 아시아․태평양권 화 시장의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한국, 중국, 일본 등을 제외한 아태권 지역 주요 국가들의 극장 관객 수를 보면 말레이시아 관객 수가

2008년 한 해 동안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절대 관객 규모로는 필리핀이 가장 많았다. 인도의 경우 2008년 과 2009년의 관객 수가 집계되지 않았으나 2007년의 32억 9,000만 명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3-31> 아태권 주요 국가들의 극장 객 수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원: OBS, Screen Digest, Screen Int. FINAS, Singapore Film Commission Taiwan Cinema; Focus, 2009에

서 재인용

나. 영화 제작 편수인도와 호주 등을 제외한 아태권 국가들의 연간 영화 제작 편수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연간 제작편

수가 100편을 넘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렵고, 태국과 인도네시아, 홍콩 등이 연간 50편 이상을 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N/A

N/A

N/A

Page 9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7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32> 아태권 주요 국가들의 화 제작 편수 추이

자료원: OBS, Screen Digest, Screen Int. FINAS, Singapore Film Commission Taiwan Cinema; Focus, 2009에서 재인용

다. 극장 스크린 수아태권의 국가별 2008년 스크린 수를 보면, 태국이 704개, 홍콩이 190개, 인도네시아가 681개, 말레이

시아가 453개, 필리핀이 765개, 싱가포르가 177개, 대만이 580개 등으로 국가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들 중 인구 대비 스크린 수가 가장 많은 것은 싱가포르였으며, 가장 적은 것은 인도네시아였다.

<그림 3-33> 아태권 주요 국가들의 스크린 수

자료원: OBS, Screen Digest, Screen Int, FINAS, Singapore Film Commission Taiwan Cinema; Focus, 2009에서 재인용

N/A

N/A

N/A

Page 9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79

디지털 스크린의 경우 싱가포르가 28개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대만과 태국이 각각 18개와 15개를 기록했다. 2007년에는 단 하나도 없었던 말레이시아에서도 2008년에는 디지털 스크린이 3개를 기록했다.

3. 아시아․태평양권 화 시장의 주요 동향

가. 인도 연간 1,000편이 넘는 영화를 제작하면서 제작 편수에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인도 영화 시장54)이지

만 박스오피스 부문에서 볼 때 2008년은 쉽지 않은 한 해였다. 많은 대작 영화들이 개봉됐지만 기대만큼 관객을 모으지는 못했고 높은 제작비용을 회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2008년 상반기에는 양질의 영화가 부족했던 것과 더불어 프리미어 리그, 크리켓 경기로 인한 관객 분산 문제까지 겪었다. 다만 4분기에 개봉된 'Ghajini'와 'Rab Ne Bana Di Jodi' 같은 대작 영화들이 기대에 부응하면서 전체 박스오피스 매출은 전년대비 12% 증가한 18억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 박스오피스 시장을 떠받치는 데는 멀티플렉스 스크린의 증가가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멀티플렉스가 분쟁의 소지가 되기도 했다. 2009년 1분기에는 영화 수익 배분을 재협상하는 과정에서 영화 제작사들과 극장주들 사이에 충돌이 빚어졌다. 제작사들의 모임인 UPF(United Producers Forum)는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파업에 들어가기로 선언했다. 이들은 협상이 타결될 때까지 멀티플렉스 극장에서의 신규 개봉을 승인하지 않기로 했다. 인도 전체 박스 오피스에서 멀티플렉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65~79% 수준이며, 이들의 파업은 멀티플렉스에만 적용되는 것이었다. 2009년 초 멀티플렉스 극장들은 이 같은 개봉 차질 문제와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으로 객석 점유율이 낮아지자 관람료를 대폭 할인하는 등의 대책을 세우기도 했다. 한편, 인도에서는 불법 콘텐츠로 인한 피해 규모가 연간 약 1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이 문제가 더 부각되었다.

54) 인도 시장에서는 영화 제작 편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움. 지역별로 제작되는 영화의 편수가 많은데다 그것들을 합산해

신뢰할만한 정보로 분석해 발표하는 기관도 없음. 특히 인도 영화 시장은 지역별로 독자적인 제작, 배급 상영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언어와 지역에 따른 관객 성향도 달라 절대 비교가 불가능함. 인도 영화를 대표하는 두 갈래는 뭄바이를 중심으로 제작

되는 발리우드(Bolywood)/힌디영화(Hindi Cinema)와 뱅갈 지역에서 뱅갈 언어로 제작되는 뱅갈영화(Bengal Cinema)임

Page 9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80 한국콘텐츠진흥원

순위 원제 제작국가 박스오피스(백만달러)

1 Ghajini 인도 19.0

2 Singh is Kinng 인도 15.4

3 Rab Ne Bana Di Jo야 인도 14.2

4 Race 인도 12.1

5 Jodhaa Akbar 인도 11.2

6 Jaane Tu Ya Jaane Na 인도 11.7

7 Golmaal Returns 인도 10.4

8 Dostana 인도 10.0

9 Sarkar Raj 인도 7.5

10 Bhootnath 인도 6.4

<표 3-19> 2008년 인도 발리우드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FOCUS, 2009

나. 태국2008년 태국 영화계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태국 국내 정치 불안으로 타격을 입었다. 소비 심리 위축과

투자 감소로 흥행과 제작 측면에서 모두 어려운 시기를 겪었으며, 그 결과 태국 최대의 영화 제작 배급사인 사하몽콜필름도 매출이 약 20% 감소했다. 태국의 스크린 수는 2008년 12월말 현재 692개로 그 중 62%인 429개가 방콕과 주변 지역에 몰려있다.

태국의 영화 제작사들이 2008년에도 해결하지 못한 숙제는 불법 복제물 근절이다. 실제로 2008년 태국에서는 신작 영화 개봉 후 사흘 이내에 불법 DVD가 출시되었으며, 태국 영화업계의 히트작인 ‘옹박2’의 경우 불법 복제로 인한 피해 규모가 수백만 바트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불법 복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홀드백 기간을 단축하자는 대안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수익 감소를 우려한 극장 측의 반발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다. 말레이시아 2008년 말레이시아 영화 시장은 대대적인 호황을 맞았다. 관객 수가 전년대비 31% 증가한 4,390만 명

에 이르렀고, 100개의 스크린이 새로 문을 연 덕에 총 박스 오피스 수익도 1억 1,400만 달러로 늘었다. 이 기간 중 말레이시아 영화 시장의 최고 흥행작은 중국의 ‘장강7호(Cheung Gong 7 hou)’였으며 그 뒤를 이어 헐리웃 블록버스터인 ‘Iron Man’과 ‘The Mummy’ 시리즈, 영국의 ‘Quantum of Solace’가 흥행 상위를 휩쓸었다. 말레이시아 영화의 자국 시장 점유율은 12.1%로 높아졌으며, 2007년 21편이었던 영화 제작 편수도 2008년에는 25편으로 늘어났다.

Page 9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81

라. 호주 2008년 호주 박스오피스 시장은 역대 최고의 흥행실적을 기록했지만 자국 영화의 성적은 크게 나아지

지 않았다. 대신 헐리웃 영화들의 박스오피스 점유율이 84.2%에 달해 미국 영화에 대한 종속성이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2008년 호주의 박스오피스 매출 규모는 9억 4,600만 달러였으며 이는 전년대비 5.6% 증가한 것이다. 이 기간 중 호주 시장에서는 총 301편의 영화가 개봉되었으며 그 중 절반이 넘는 158편이 헐리웃 영화였고 호주 영화가 11%인 33편, 영국 영화가 8%인 24편으로 나타났다. 영화 한 편당 평균 매출 역시 헐리웃 영화가 370만 달러인 반면 호주 영화는 90만 달러에 불과해 아직까지 자국 영화의 경쟁력은 높지 않은 편이다.

Page 9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8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6 남미권 화 시장의 규모 동향

1. 남미권55) 화 시장의 규모 동향

남미권 영화 시장은 2009년 25억 3,900만 달러로 추정되며, 4.8%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증가해 2014년에는 32억 9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극장상영 1,128 1,101 1,189 1,260 1,337 1,398 1,459 1,532 1,616 1,703 1,772 4.9%

홈비디오

합계 1,062 1,089 1,231 1,326 1,149 1,141 1,169 1,222 1,301 1,395 1,438 4.7%

판매 504 515 582 637 694 703 716 752 802 862 888 4.8%

대여 558 574 649 689 455 438 453 470 499 533 549 4.6%

디지털온라인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합계 2,190 2,190 2,420 2,586 2,486 2,539 2,628 2,754 2,917 3,098 3,209 4.8%

<표 3-20> 남미권 화 시장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남미권 영화 시장의 극장 상영 부문은 극적인 성장세를 보이지는 않지만 2005년부터 줄곧 성장세를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남미권 극장상영 시장은 2009년 전년대비 4.6% 성장한 13억 9,800만 달러로 추산되며, 4.9%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해 2014년에는 17억 7,2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홈비디오 시장도 판매와 대여 부문 모두 성장세를 기록하며 4.7%의 연평균 성장률로 증가해 2009년 11억 4,100만 달러에서 2014년에는 14억 3,800만 달러로 늘어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55)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한 브라질, 멕시코 등의 중남미 국가들을 포함

Page 9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6 절 남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83

<그림 3-34> 남미권 화 시장 규모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2009년 남미권 영화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보이는 것은 극장 상영으로 55%를 차지하고 있고, 홈비디오 시장은 전체의 45%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부문별 비중은 2014년에도 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부문별 비중 2014년 부문별 비중

<그림 3-35> 2009년과 2014년 남미권 화 시장 부문별 비

자료원: PWC, 2009

Page 9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84 한국콘텐츠진흥원

2. 남미권 화 시장 주요 통계

가. 극장 관객 수남미권의 주요 영화 시장인 멕시코의 경우 2008년 극장 관객 수가 1억 7,800만 명으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멕시코 시장의 이 같은 우위는 지난 5년간 같은 패턴으로 지속되었다. 그 뒤를 이어 브라질의 극장 관객 수가 8,960만 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브라질의 경우 관객 수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관객 수는 3,080만 명으로 이 지역에서 세 번째로 많았다. 국가별로 편차가 큰 가운데, 멕시코 시장의 안정적 성장세가 주목을 끌고 있다.

<그림 3-36> 남미권 주요 국가들의 극장 객 수 추이

(단위: 백만 명)

자료원: Fundacion del Nuevo Cine Latinoamericao; Focus, 2009에서 재인용

나. 영화 제작 편수 남미권 국가들의 자국 영화 제작 편수는 국가별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앞서 박스 오피스 규모

와 관객 수가 컸던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가장 탄탄한 제작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2008년 아르헨티나의 영화 제작 편수는 85편으로, 전년도의 96편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다른 국가들보다 많았다. 그 뒤를 이어 브라질이 82편을 기록했으며 멕시코가 70편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이들 세 국가 외에는 영화제작이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았고, 칠레가 22편을 기록했다.

Page 9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6 절 남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85

<그림 3-37> 남미권 주요 국가들의 화 제작 편수 추이

자료원: Fundacion del Nuevo Cine Latinoamericao, Imcine; Focus 2009에서 재인용

다. 극장 스크린 수 극장 스크린 수는 멕시코가 3,920개로 가장 많았고 브라질이 2,278개로 그 뒤를 이었으며, 국가별로

편차가 심했다. 이들 중 인구 1인당 스크린 수가 가장 많은 것은 우루과이였다. 2009년 3월 현재 디지털 스크린 수는 멕시코가 55개로 가장 많고 브라질이 35개, 아르헨티나가 11개로 그 뒤를 이었다. 콜롬비아와 페루가 각각 10개와 7개를 기록했고 칠레와 우루과이가 7개와 1개였다.

<그림 3-38> 남미권 주요 국가의 스크린 수

자료원: Fundacion del Nuevo Cine Latinoamericao, Imcine; Focus 2009에서 재인용

Page 9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86 한국콘텐츠진흥원

3. 남미권 화 시장의 주요 동향

가. 멕시코 멕시코의 2008년 영화 시장은 소폭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 기간 중 극장 관객 수는 전년대비 1.7%

증가한 1억 7,800만 명을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2008년 박스오피스 매출은 6억 6,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보다 9.7% 증가한 규모이다. 2008년 개봉된 영화는 총 328편이었으며, 그 중 80% 이상이 정부의 지원을 받은 작품들이다. 멕시코 시장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등 다른 남미 영화 시장과 마찬가지로 자국 영화의 시장점유율이 높지 않다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지만 2008년에는 자국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한 해로 평가되고 있다.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1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6,713,972

2 Kung Fu Panda 미국 5,916,749

3 Iron Man 미국 5,305,310

4 The Chronicles of Narnia 미국/영국 5,184,389

5 Wall-E 미국 4,754,365

6 10,000 BC 미국/영국 4,639,825

7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4,535,388

8 The Mummy: Tomb of the Dragon Emperor 미국/독일 4,142,843

9 Hancock 미국 3,812,602

10 Journey to the Center of the World 미국 3,730,227

<표 3-21> 2008년 멕시코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IMCINE 2009

나. 브라질브라질 영화 시장은 2008년 하반기 흥행작들의 성공에 힘입어 관객 수가 전년대비 1.1% 증가한 8,960

만 명을 기록했다. 평균 입장료 역시 4.41달러로 소폭 인상되면서 2008년 박스오피스 매출은 전년대비 3% 증가한 3억 9,500만 달러를 나타냈다. 그러나 자국 영화의 출시가 증가하는데도 불구하고 브라질 영화의 자국 시장 점유율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2003년 21.4%였던 브라질의 자국영화 시장 점유율은 2008년에 9.8%까지 떨어졌다. 이는 전년도보다도 1.8%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브라질 영화 업계 종사자들은 자국 영화 점유율의 이 같은 하락세가 정책적 실패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영화 지원을 위한 공공 자금지원 프로그램이 예술영화 쪽에 집중되어 있고 주류 상업영화는 배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브라질 영화 제작사들은 연간 약 9,000만 달러에 달하는 정부 지원을 받았으며, 이에 따라 영화 제작이 늘어나기도 했다. 2003년 30편이던 브라질의 영화 제작 편수가 2008년 82편으로 늘어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Page 9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6 절 남미권 영화 시장의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87

한편, 브라질의 영화 지원 기구인 Ancine는 Sector Fund라는 새로운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 펀드는 관객 100만 명 이상을 동원할 수 있는 브라질 영화를 현재의 연간 6~8편에서 10~12편으로 늘리기 위해 지원될 예정이다.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백만 명)

1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4.0

2 Kung Fu Panda 미국 3.8

3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3.5

4 Iron Man 미국 2.8

5 Hancok 미국 2.7

6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Crystal Skull 미국 2.4

7 I Am Legend 미국 2.2

8 The Mummy: Tomb of the Dragon Emperor 미국/독일 2.2

9 Meu nome nao e johnny 브라질 2.1

10 Quantum of Solace 미국/영국 1.8

<표 3-22> 2008년 라질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Filme-8, Ancine, 2009

다.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영화 시장의 2008년 관객 수는 전년대비 11.2% 감소한 3,080만 명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

영화 기구인 INCAA(National Institute of Cinema and Audiovisual Arts)에 따르면, 2008년 극장 입장료는 전년대비 22.7% 상승한 3.74달러였으며 이에 따라 박스 오피스 매출은 전년대비 8.9% 증가한 1억 1,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기간 중 아르헨티나에서 제작된 영화는 85편이었으며, 아르헨티나의 자국 영화 시장 점유율은 11.9%였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약 3% 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자국 시장 점유율이 이처럼 증가한 것은 2008년 흥행작 베스트 10에 포함된 유일한 아르헨티나 영화 ‘Un novio para mi mujer' 덕분이다. 이 영화는 ’Kung Fu Panda‘에 이어 2008년 흥행 2위를 차지했다.

아르헨티나 영화 시장도 다른 남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미국 영화의 영향력이 큰 상황이다. 2008년의 경우 흥행작 베스트 10 중 무려 9편이 미국 영화였으며, 미국 영화의 시장점유율은 80%에 달했다. 아르헨티나 영화 시장에서 유럽, 아시아, 기타 남미 영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8.6%에 불과하다. 한편, 아르헨티나의 영화 제작 편수는 2007년 97편에서 2008년 85편으로 감소했으며, 이는 제작비용 상승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2009년 초 INCAA는 자국 영화 보호를 위해 더 엄격해진 상영 규정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극장주들은 아르헨티나 영화를 최소 2주 이상 의무적으로 상영해야 한다. 2009년 3월 현재 아르헨티나의 디지털 스크린 수는 11개였다.

Page 10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장 권역별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88 한국콘텐츠진흥원

순위 원제 제작국가 관객 수 (천 명)

1 Kung Fu Panda 미국 1550

2 Un novio para mi mujer 아르헨티나 1450

3 The Dark Knight 미국/영국 1350

4 WALL-E 미국 1250

5 Madagascar: Escape 2 Africa 미국 1200

6 The Chronicles of Narnia 미국/영국 1000

7 Enchanted 미국 900

8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Crystal Skull 미국 780

9 The Mummy: Tomb of the Dragon Emperor 미국/독일 700

10 I Am Legend 미국 640

<표 3-23> 2008년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흥행작 베스트10

자료원: INCAA, 2009

Page 10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Time Warner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89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제 1 Time Warner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22년 (Time 社 기준) CEO Jeffrey L. Bewkes

직원수 38,000명 (2009.3 기준) 홈페이지 http://www.timewarner.com

상장증시 NYSE 상장명 TWX

본사 주소 One Time Warner Center New York, NY 10019-8016

사업영역 종합 미디어 및 콘텐츠 사업 (영화, 영상, 방송, 케이블, 잡지, 온라인)

주요 계열사 Time Warner Inc., AOL LLC, HBO, Turner Broadcasting System, Time Inc. Warner Brs.

Financial Profile

(단위 :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5년 41,835 6,896 16.4%

2006년 43,690 7,830 17.9%

2007년 46,482 8,729 18.8%

2008년 46,984 8,748 18.6%

Company History

연도 Description

1923 Time 창간

1972 Kinney National Company의 非엔터테인먼트 부문 분사로 창립

1985 AOL, Quantum Computer Services라는 이름으로 사업 시작

1987 Warner Communications와 Time Inc. 합병

1988 Warner, Lorimar Telepictures 인수

1990 Time Warner로 사명 변경

1996 Turner Broadcasting System 인수

2001 AOL의 Time Warner 인수로 AOL Time Warner 탄생

2002 Tme Warner로 개명. Steve Case CEO 사임 및 Richard Parsons CEO 취임

2004 Warner Music Group 매각

2007 Jeffrey Bewkes CEO 취임

2008 New Line Cinema, Bob Shaye와 Michael Lynne의 퇴임으로 Warner Bros.로 흡수

2009 Time Warner Cable, 그룹에서 분사

Page 10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90 한국콘텐츠진흥원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Time과 Warner Communications社가 합병하여 설립된 Time Warner는 영화, 방송, 인터넷, 잡지, 케이블 등의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 최대의 글로벌 미디어 그룹이다. 2001년 1월에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AOL과 합병하여 AOL Time Warner를 설립했다. 합병 당시 뉴미디어와 전통미디어와의 컨버전스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주목을 받았으나, 이후 실적악화와 주가폭락 등의 합병으로 인한 부작용 측면이 부각되어 AOL Time Warner는 Time Warner로 사명을 변경했다.

가. 사업부문Time Warner는 Film Entertainment, AOL, Cable, Network, Publishing의 5개 사업부문을 중심으로 전

세계 콘텐츠 & 미디어 산업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1) Film Entertainment

2개의 스튜디오(Warner Brothers 및 New Line Cinema)를 보유하고 있는 Time Warner의 Filmed Entertainment Division은 영화 제작 및 배급, TV 프로그램 제작, 유통, 라이선싱을 담당하고 있다.

Time Warner가 보유하고 있는 2개의 스튜디오는 경쟁업체에 비해 방대한 라이브러리를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 박스 오피스 시장과 홈비디오 시장에서 수위를 달려 왔다. Time Warner의 글로벌 사업에 주축이 되는 것은 단연 Film Entertainment 사업 부문이며, 특히 Warner Bros. Entertainment는 영화 시장의 구조적 침체와 미국 영화 시장 성장의 포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글로벌 시장을 통해 돌파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Warner Bros. Entertainment(WB)는 영상콘텐츠 제작 및 유통 부문의 선두업체이다. 전 세계 30개 국가에 지사를 두고 있는 Warner Bros. Pictures International은 연간 170여개 국가에 자사 영화를 배급하고 있다. WB의 전 세계에 걸친 글로벌 배급 인프라는 세계 시장 진출을 가능케 하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외국계 업체로는 최초로 중국 멀티플렉스시장에 진출하기도 했다.

2008년 2월 Time Warner Group은 Warner Bros. Pictures 산하에 New Line Cinema를 흡수한다고 발표했다. 약 40여 년간 영화 제작, 유통, 머천다이징 사업을 운영해온 New Line Cinema를 Warner Bros.와 합병시킨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New Line Cinema가 'The Lord of the Rings' 이후로 이렇다 할 흥행작을 내지 못해 회사 운영의 위기를 맞았다는 점이고, 둘째는 Warner가 본사의 몸집을 줄이면서 전문성이 강화된 부서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한편, New Line Cinema가 제작한 'The Lord of the Rings' 시리즈는 전 세계 29억 달러의 박스 오피스 매출을 기록했으며, 홈 엔터테인먼트 및 머천다이징 상품 매출만 30억 달러에 이르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Page 10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Time Warner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91

2) AOL(American Online)

1985년 설립된 ‘AOL’은 Dulles와 Virginia에 본사를 둔 ISP 업체로 ‘CompuServe’, ‘Netscape’, ‘MapQuest’, ‘ICQ’ 등의 인수를 통해 세계 최대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로 자리 잡았다. AOL은 현재 가입자 감소에 따라 접속료 수익은 계속 하락하고 있으나, AOL.Com과 2005년 인수한 AD.Com을 통한 광고 수익은 증가추세에 있다. 가입자 감소에 따른 AOL의 수익 악화를 최소화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AOL은 ‘Content’와 ‘Access’ 부문을 분리하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3) Cable (Time Warner Cable)

Time Warner의 Cable 사업부문(TWC)은 Time Warner Inc. 내의 케이블 사업부로서 미국 내 33개 주(州)에 디지털방송․디지털 전화 등 케이블 네트워크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ime Warner Cable은 1989년 Warner Communication의 한 사업부였던 Warner Cable과 American Television and Communications Corp.의 합병에 의해 탄생되었으며 Comcast에 이은 2위의 케이블 MSO이다.

Time Warner Cable은 2008년 여름 Cox Communications, CableVision, Charter Communications, Brighthouse Networks 등과 함께 전국 규모의 맞춤형 광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Caneo Ventures LLC.를 합작 설립했다. Canoe Ventures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고객 행태 정보를 활용해 인터랙티브 광고와 같은 새로운 광고 형식을 시도하고 있다.

Category Service Brand

Time Warner CableRoad Runner

Road Runner-Class Business Digital Phone

Local News Channels

Capital News 9-Albany, Albany, NY

MetroSports, Kansas City, MO News 8 Austin, Austin, TX

News 10 Now-Syracuse, Syracuse, NY

News 14, Carolina-Charlotte, Charlotte, NC

News 14, Carolina-Raleigh, Raleigh, NC

NY1 News, New York, NY

R News, Rochester, NY

Joint VenturesUrban Cableworks of Philadelphia ,

Texas and Kansas City Cable Partners, L.P

<표 4-1> Time Warner Cable의 서비스 랜드 황

자료원: Time Warner

4) Networks

Time Warner의 Networks 사업부문은 미국 및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케이블 방송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업영역은 Basic Cable Service, Pay TV, Broadcasting Television 등으로 구성되어 있

Page 10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92 한국콘텐츠진흥원

다. Time Warner의 Networks 사업 부문은 최근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나고 있다. Turner Classic Movies의 경우 9개 언어로 제작, 출시되고 있으며, Cartoon Network는 애니메이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에서 19개 로컬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CNN Headline News는 영어뿐 아니라 남미 및 아시아 판으로도 별도 제작되고 있다.

Networks 사업 부문은 이외에도 드라마 등 방송콘텐츠를 DVD 버전으로 제작해 홈비디오 시장에 유통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들은 이미 구축된 Time Warner의 영화 글로벌 배급망을 이용해 전 세계에 유통되고 있으며, WB Network, HBO 등에서 제작한 인기드라마들이 주로 인기를 끌고 있다.

Turner Broadcasting은 뉴스,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 분야의 케이블 채널을 美 전역에 서비스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케이블 채널로는 CNN, TNT, Cartoon Network 등이 있다. HBO는 24시간 방영되는 Premium cable network이며, 또한 Joint Venture 형태로 현재 전 세계 50여 개 국가에 진출함으로써 세계 Pay TV 시장의 선두업체로 발돋움하고 있다. HBO는 가입료 외에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제작과 他 네트워크로의 신디케이트를 통해 판매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Time Warner의 공중파 TV를 담당하고 있는 WB Networks는 미국 내 방송사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WB Networks의 매출이 Time Warner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WB Networks의 대표작으로는 ‘The West Wing’, ‘ER’, ‘Without a Trace’, ‘Cold Case’, ‘Two and a Half Man’, ‘Joey’ 등이 있다.

5) Publishing(Time)

Time社는 세계 최대 잡지 출판사로, Time, People, Sports Illustrated, Entertainment Weekly, Southern Living In Style, Fortune, Money, Real Simple, Cooking Light 등을 포함한 잡지를 출간하고 있다.

나. Time Warner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와 브랜드의 역량이 담긴 고품질 콘텐츠는 Time Warner의 중요한 경쟁력으

로 꼽힌다. Time Warner는 영화제작사인 Warner Brothers, 유료 케이블 채널인 HBO, 케이블 방송인 CNN, TBS, TNT, 출판부문인 Time Inc., 온라인 미디어인 AOL 등으로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덕분에 경기침체로 인한 광고시장 불황을 잘 견뎌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Page 10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Time Warner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93

<그림 4-1> Time Warner의 미디어 부문 사업 포트폴리오

자료원: Time Warner,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하지만 Time Warner의 경우 AOL과 Time Inc. 부문의 활성화라는 오랜 과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3분기 중 AOL과 Time Inc.의 광고 실적은 모두 부진을 면치 못했다. Time, Fortune, Sports Illustrated 등 유명 잡지들을 발행하고 있는 Time Inc.의 경우 2009년 3/4분기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1,540만 달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 경기 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3. 최근 Company 이슈

Time Warner는 CBS Corporation, Viacom, News Corporation 등 전통의 미디어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기타 콘텐츠의 불법 복제 문제로 인해 매출이 급감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박스 오피스 수입과 DVD 판매수입이 최근에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Warner Bros.의 성장 전망과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 DVD 시장 어려움 속 영화부문 영업이익 소폭 상승Time Warner는 2009년 3/4분기까지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2% 하락한 208억 8,900만 달러를 기

록했으며 영업이익은 7.3% 감소한 4억 6,600만 달러로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이는 광고 산업의 장기 침체와 더불어 DVD 사업의 매출이 부진했던 결과로 분석된다.

Time Warner는 2/4분기 광고 시장의 급격한 침체로 인해 매출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았으며, 당시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도 매출과 순익 하락을 점치며 주당 예상 순익을 37센트로 설정한 바 있다. 하지만 자회사인 Turner의 케이블 사업이 선전하고 영화 'The Hangover'가 히트를 기록하면서 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Time Warner의 CFO인 John Martin Jr.는 2009년 순익을 전년도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예측했으며 Time Warner의 시장 내 입지가 경쟁사보다 향상되고 있다고 자평했다.

여러 사업 분야 중 영화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경우 2009년 3/4분기까지의 매출이 전년 대비 6.5% 하락한 77억 4,600만 달러에 그쳤으며, 이는 특히 DVD 부문의 매출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Page 10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94 한국콘텐츠진흥원

영화 부문의 영업이익은 저예산에 초점을 맞춘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 6억 4,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히트 영화인 'The Hangover'는 3,500만 달러의 예산을 들여 3억 4,500만 달러의 매출을 거두는 깜짝 실적으로 2분기 실적 방어의 1등 공신이 되었다.

<그림 4-2> Time Warner의 미디어 부문 사업 황

자료원: Time Warner,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나. TV Everywhere 프로젝트 Time Warenr는 경쟁사인 Comcast와 더불어 2009년 7월부터 자사의 기존 케이블TV 가입자들을 겨냥

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TV Everywhere'를 시범 실시했다. Time Warner가 주창하고 Comcast가 가세한 TV Everywhere 프로젝트는 무료 온라인 동영상에 대한 기존 미디어 업체들의 반격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TV Everywhere는 기존 유료 콘텐츠를 가입자들에게 PC와 휴대단말로도 제공한다는 개념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이다. 이는 Hulu 같은 광고 기반 무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대응해 가입자 기반을 지키기 위한 것이지만, 일각에서는 대형 미디어 서비스 업체들의 온라인 진출에 따른 시장 독점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새롭게 선보일 The On Demand Online 시범 서비스에서는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해 강화된 인증기술이 도입되며, 프리미엄 콘텐츠 제공에 따른 광고 수익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 모델도 개발될 예정이다. 새 인증시스템이 실효성을 입증할 경우 프리미엄 영상 콘텐츠를 가진 업체들이 대거 이 시장에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광고에 기반을 둔 TV Everywhere의 수익모델에 대해 서비스 비용 회수가 어려우며 따라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게 된 업체들이 케이블 방송 서비스 요금을 인상하는 방법 등으로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이 프로젝트를 둘러싼 업계 안팎의 논란은 계속 이어지

Page 10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Time Warner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95

고 있다.

<그림 4-3> Time Warner의 TV Everywhere 로젝트 제휴사업자 황

자료원: Time Warner,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Page 10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96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The Walt Disney Company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23년 CEO Robert A. Iger

직원수 150,000 명 (2009.11 기준) 홈페이지 http://www.disney.com

상장증시 NYSE 상장명 DIS

본사 주소 500 South Buena Vista Street Burbank, CA 91521

사업영역 종합 미디어 및 콘텐츠 사업 (영화, 영상, 방송, 케이블, 캐릭터, 테마공원, 출판, 온라인)

주요 계열사

Walt Disney Pictures, Touchstone Pictures, Hollywood Pictures, Miramax, Buena Vista

Motion Picture Group, ESPN, Disney Channel, ABC Family, Toon Disney, SOAPnet,

Jetix and equity interests in Lifetime Entertainment Services, A&E Television Networks,

Financial Profile

(단위 :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5년 31,374 3,931 12.5%

2006년 33,747 5,355 15.9%

2007년 35,510 6,781 19.1%

2008년 37,843 7,404 19.6%

2009년 36,149 5,697 15.8%

Company History

연도 Description

1923Walt Disney와 그의 형 Roy Disney가 애니메이션 단편 시리즈를 만들기 위해 Disney Brothers Studio를 설립함

1928 미키마우스 캐릭터 개발

1955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 최초의 디즈니랜드 오픈

1969 교육 애니메이션 사업 진출

1971 Disney랜드를 레저 공간으로 확장 및 재창조

1984 Touchstone Pictures 설립

1986 Touchstones Television 설립

1992 Disneyland Paris 건립, 애니메이션 영화 알라딘(Aladdin) 개발

1995 Pixar와 최초의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스토리(Toy Sotry) 개발

1996 ABC 방송사 인수

2006 CG 애니메이션 제작사 Pixar 인수 합병 완료

2007 클럽 펭귄(CLUB PENGUIN) 인수

2008 Disney-ABC 방송그룹, 뉴미디어 콘텐트 제작사인 STAGE 9 DIGITAL MEDIA 론칭

2009 만화회사 Marvel 인수 발표, WIDELOAD GAMES INC. 인수 합의

2009DISNEY- ABC TELEVISION GROUP, HEARST CORPORATION 및 NBC UNIVERSAL과 함께 A&E TELEVISION NETWORKS & LIFETIME ENTERTAINMENT SERVICES 공동참여 발표

2009 온라인 동영상 업체인 HULU의 주주로 지분 참여

Page 10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The Walt Disney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97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Walt Disney는 1923년 단편 만화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설립한 Studio로 시작되었다. Walt Disney의 사업부는 Studio Entertainment, Media Networks, Parks and Resorts, Consumer Product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Disney는 영화, TV 프로그램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및 유통부터 2차 부가가치 창출에 유리한 캐릭터 상품 및 테마공원 등의 사업 영역까지 영위하고 있는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로 성장했다.

가. 사업부문Walt Disney의 사업부문은 Media Networks, Studio Entertainment, Park and Resorts, Consumer

Products, 그리고 모바일 사업과 비디오 게임 사업을 담당하는 Interactive Media 등 5개로 구성되어 있다. Media Networks는 뉴스 방송 및 음악 방송, 스포츠 방송, TV 프로그램의 배급 및 프로그램 라이선스와 해외 방송, 제작, 배급에 관한 모든 투자와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으며 Studio Entertainment는 애니메이션 및 영화, 그리고 관련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Park and Resorts는 전세계 테마파크 및 리조트 운영을 관리하고 있으며 테마파크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 및 호텔, 편의시설의 건설 관련 사업을 맡고 있다. Consumer Products는 Disney와 관련된 제품, 캐릭터나 지적 재산에 대한 라이선스를 담당하고 있다.

1) Studio Entertainment

Studio Entertainment 사업부문은 Walt Disney의 모체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Studio Entertainment는 크게 극장 부문과 홈 엔터테인먼트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극장 부문의 주요 자회사로는 Walt Disney Pictures, Touchstone Pictures, Hollywood Pictures, Miramax, Buena Vista Motion Picture Group 등이 있으며, 홈 엔터테인먼트 부문은 Buena Vista Home Entertainment, Buena Vista International이 있다. 한편, Studio Entertainment 사업부문에는 2006년 1월 인수한 3D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Pixar Animation이 편입되어 장편 애니메이션과 영화 제작의 역량이 한층 강화되었다. 2007년 2월에는 이미지무버스 디지털(ImageMovers Digital)이 Walt Disney 스튜디오에 합류하면서 공연 실황 독점 제공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Walt Disney 스튜디오는 Walt Disney Pictures, Touchstone Pictures, Hollywood Pictures, Miramax Films 브랜드를 통해 영화를 배급하고 있다. 특히 Walt Disney Pictures에는 Walt Disney Animation Studios, Pixar Animation Studios, DisneyToon Studios가 포함된다. 글로벌 배급은 Walt Disney Studios Motion Pictures International이 맡고 있다. 한편, Walt Disney Studios Home Entertainment는 Disney와 기타 영화사의 타이틀을 판매(Sell-Through) 혹은 대여(Rental) 방식으로 홈 비디오 시장에 제공하고 있다.

Page 11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9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4-4> Walt Disney의 미디어 사업 포트폴리오

자료원: Walt Disney,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2) Media Networks

Disney의 매출규모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Media Networks는 크게 Cable Networks 와 Broadcasting 사업부로 구성되며, 독립 자회사로 Walt Disney Internet Group(WDIG)를 두어 인터넷과 디지털 미디어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가) Cable NetworksCable Networks는 TV 콘텐츠의 국내외 유통 및 라이선싱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Cable Networks에는

ESPN 계열의 모든 스포츠 채널들을 비롯해 Disney Channel, ABC Family, Toon Disney, SOAPnet, Jetix and equity interests in Lifetime Entertainment Services, A&E Television Networks 등이 있다.

대표 채널인 Disney Channel Worldwide는 케이블 및 위성방송 서비스로 현재 북미, 유럽, 중동, 아시아태평양, 남미, 아프리카 등 120여 개국, 6억 명 이상의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24개 Disney Channel과 8개 Playhouse Disney Channel 그리고 8개의 Toon Disney Channel이 전 세계적으로 방영되고 있다. Disney의 스포츠 전문 채널인 ESPN은 ESPN, ESPN2, ESPN Classic, ESPNEWS를 비롯한 6개의 미국 내 TV 채널과 31개의 글로벌 채널 및 3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11개의 인터넷 사이트 운영과 3개의 잡지 및 서적출판, 그리고 Podcast와 DVD 등의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Cable Networks 부문은 향후 Disney의 주력사업 부문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Disney가 ESPN, Disney Channel 등 Cable 시청률 상위권 채널을 다수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 BroadcastingBroadcasting 사업부는 ABC Television Network로 대표되는데, 현재 미국 전체 가구의 99%가 ABC

Television Network를 시청할 수 있는 상태다. ABC Television Network는 71개의 라디오 방송국과 10개

Page 11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The Walt Disney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99

의 지상파 방송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뉴스 방송 및 음악 방송, 스포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방송국들은 디지털 지역기상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청자들은 휴대전화 서비스를 이용해 뉴스, 날씨,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ABC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시각과 장소, 방법에 맞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의 디지털화에도 적극적이다. 2005년 10월 처음으로 TV 콘텐츠를 Apple의 iTunes Music Store를 통해 판매하기 시작한 ABC와 Disney Channel은 첫 해에 1,280만 개의 에피소드를 판매했으며 현재도 많은 TV 시리즈를 iTunes에서 판매하고 있다. ABC.com은 'Lost', 'Desperate Housewives', 'Grey’s Anatomy' 등을 포함한 ABC 프로그램을 광고기반 비디오 스트리밍으로 제공하고 있다.

주요 자회사인 Buena Vista Production, Touchstone Television은 TV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으며, Buena Vista Television, Walt Disney Television은 아동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TV 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사인 Buena Vista Television과 미국 외 지역으로의 Disney 시리즈 및 영화의 배급을 담당하는 Buena Vista International Television 역시 Broadcasting 사업부에 속해 있다.

다) Walt Disney Internet GroupWalt Disney Internet Group(WDIG)은 Disney.com과 Disney.co.uk 등 Walt Disney의 인터넷 사업 부

문에 대한 전략 수립과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신규 플랫폼을 대상으로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콘텐츠를 개발․보급하고 인터넷 서비스 뿐만 아니라 주요 이동통신사업자들과 협력을 통해 Disney, ESPN, ABC 등의 방송 프로그램에 기반한 모바일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WDIG는 Disney.com, ABC.com, ESPN.com 등 약 40개 이상의 웹사이트를 관리․운영하고 있다. Walt Disney의 셋탑박스를 통한 영화 VOD 서비스인 MovieBeam은 2006년 2월 미 전역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에 있으며, ABC 방송사가 최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WDIG는 중국에서 Disney 캐릭터를 이용한 캐주얼 게임을 제작 및 배급하기 위해 유명게임개발사인 Shanda와 제휴하기도 했다.

3) Parks and Resorts

Parks & Resorts 사업부문은 California에 위치한 Disneyland Resort, Orlando와 Florida에 위치한 Walt Disney World Resort 등 Walt Disney 산하의 테마파크와 리조트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크루즈와 리조트를 보유한 Disney Vacation Club,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행지를 여행하는 가이드 투어인 Adventures by Disney, 8개의 ESPN Zone sport dining과 엔터테인먼트 센터를 운영하는 Disney Regional Entertainment, New York과 Florida 그리고 California에 위치한 Disney stores, 모든 Disney 테마파크와 리조트 등의 사업을 기획 및 설계하는 Walt Disney Imagineering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 Tokyo Disney Resort와 Disneyland Resort Paris, Hong Kong Disneyland Resort를 관리하고 있으며, 2005년 9월 12일 개장한 홍콩 Disney랜드는 일본에 이어 아시아 2번째 Disney 테마파크로,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설립됐다.

Page 11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00 한국콘텐츠진흥원

4) Consumer Product

Disney Consumer Products(DCP)는 세계에서 가장 큰 라이선스 사업자 중 하나로, 기존 및 신규 Disney 캐릭터와 콘텐츠에 기반한 다양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있으며, 전 세계 제조사, 출판사 등과 라이선스를 제휴하는 업무도 담당하고 있다. DCP는 어린이 전용 전자 제품 출시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4-5> Disney Consumer Products 사업부의 다양한 캐릭터 상품들

자료원: Disney 홈페이지

5) Interactive Media

Interactive Media Group은 Disney 브랜드의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콘텐츠를 온라인, 모바일, 비디오 게임 콘솔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해외 사업 부문에서는 전 세계에 5개의 게임 개발 제작사를 두고 있는 Disney Interactive Studios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회사는 다양한 멀티 플랫폼 비디오 게임, 모바일 게임,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자체 퍼블리싱과 배급 업무를 하고 있다. Disney Online은 Disney.com 웹사이트는 물론 어린이와 가족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으며, 가상 세계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Disney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Disney는 과거 애니메이션 사업에서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토대로 케이블, 지상파 방송과 같은 Content

Distribution 영역에 적극 진출하는 등 시장환경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 왔다. 또한 Disney는 영상 콘텐츠의 캐릭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테마파크와 캐릭터 상품 사업부문을 활용하는 등

Page 11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The Walt Disney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01

사업 영역이 콘텐츠 산업 가치사슬의 전반에 걸쳐있어 유리한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Disney의 부가 사업영역은 타 사업부문과의 끊임없는 연계를 통해 TV, Cable, 음악, 인터넷, 게임,

테마파크와 리조트, 소비자용품 제작, 소매상점까지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림 4-6> Disney 가치사슬별 사업 략과 사업부문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

Disney는 새롭게 등장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한편, 이미 보유 중인 콘텐츠와 신기술의 접목을 통해 자사의 콘텐츠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 부문에서 Pixar와의 관계 정립은 특히 긍정적인 요소로 꼽힌다. M&A가 불화와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미디어 업계에서 Disney와 Pixar가 2006년 합병 당시 제기되었던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를 2년 만에 뒤집을 수 있었던 것은 두 기업 간의 '협조와 존중'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합병 이전, Disney와 Pixar는 경쟁 업체로서 누적되어온 적대감 뿐 아니라, 2006년 Pixar 애니메이션의 Disney 배급과 관련된 계약 연장56) 때문에 불편한 관계에 있었다. 게다가 신임 CEO로 지명된 Robert A. Iger가 Pixar 출신 인력들을 Disney 조직에 융화시킬 수 있을 지도 의심스러웠다. 일각에서는 Disney가 일년에 겨우 한 편 정도의 애니메이션 영화를 더 만들기 위해 터무니없이 높은 인수 비용을 치렀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하지만 Disney와 Pixar는 합병 2주년을 맞아 'Wall-E'라는 1억 8,000만 달러 규모의 거대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이런 우려를 잠식시켰다. 인수 합병이 불화와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미디어 업계에서 새로운 합병의 성공 사례를 제시했다는 평가도 나오기 시작했다.

인기 애니메이션 영화인 'Cars'는 Disney와 Pixar의 시너지를 잘 보여준 사례로 꼽힌다. 당초 비평가들은 'Cars'에 대해 Pixar가 스토리텔링에 별로 공을 들이지 않은 작품으로 간주했고, 이에 따라 해외 배급도 56) Pixar는 1995년 Toy Story를 시작으로 2006년 'Cars'에 이르기까지 배급을 Disney에 일임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Page 11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02 한국콘텐츠진흥원

'Finding Nemo' 같은 기존 작품보다 부진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난 후 'Cars'는 Disney에 수십억 달러의 이익을 가져다 준 일등공신이 되었다.

'Cars'의 전 세계 개봉 수입은 4억 6,0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총 2,700만 장의 DVD가 팔렸다. 관련 캐릭터 상품 판매로도 50억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 인터넷에는 'Cars'의 가상공간이 생겼고, 'Cars'를 주제로 한 아이스 스케이팅 쇼가 성황리에 열리고, 캘리포니아에 있는 디즈니랜드에서는 'Cars'를 콘텐츠로 한 체험 코스가 만들어졌다.

현재 Disney의 매출에서 가장 비중이 큰 부문은 Media Networks로 2008년을 기준으로 158억 5,700만 달러의 매출과 49억 4,200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부문2007 2008

매출액 영업이익 매출액 영업이익

Media Networks 14,913 4,508 15,857 4,942

Parks and Resorts 10,626 1,710 11,504 1,897

Studio Entertainment 7,491 1,195 7,348 1,086

Consumer Products 1,990 689 2,415 778

Interactive Media 490 -291 719 -258

<표 4-2> Disney 부문별 실 황(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Walt Disney Annual Report

3. 최근 Company 이슈

가. 경기 침체에 급감한 매출과 영업이익2008년 하반기 전 세계를 강타한 미국발 금융 위기는 수많은 기업들의 실적을 악화시켰다. 불황의 바람

은 세계 최대의 미디어 기업인 Disney도 피해갈 수 없었다. 경기 침체기에 사람들은 필수적이지 않은 엔터테인먼트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있어, 대부분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엔터테인먼트에 연관되어 있는 Disney는 불황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Page 11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The Walt Disney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03

부문2008 1Q~3Q

매출액2009 1Q~3Q

매출액변화율

2008 1Q~3Q영업이익

2009 1Q~3Q영업이익

변화율

Media Networks 11,713 11,484 -2% 3,805 3,280 -14%

Parks and Resorts 8,535 7,823 -8% 1,485 1,074 -28%

Studio Entertainment 5,896 4,641 -21% 988 188 -81%

Consumer Products 1,680 1,779 6% 567 458 -19%

Interactive media 574 555 -3% -138 -181 -31%

총합 28,398 26,282 -7% 6,707 4,819 -28%

<표 4-3> Disney 2009 회계연도 1/4~3/4분기, 2008 회계연도 1/4~3/4분기 실 비교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Disney Quarterly Earning Report, 2009

2009년 1분기~3분기 기준으로 수익이 가장 줄어든 부문은 Studio Entertainment로 매출액은 2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81%나 감소함으로써 가장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CEO인 Robert A. Iger는 Earning Report에서 “심각한 글로벌 경제 위기가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지만, 우리는 각 사업 영역을 건실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Studio Entertainment 부문의 극심한 난조와 더불어 사업부문 총합으로도 매출이 7%나 감소하고 영업이익이 28%나 감소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는 평가를 피해갈 수 없게 되었다.

각 부문별로 상세히 살펴보면 Media Networks 부문에서는 케이블 방송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감소가 거의 없었던 데 비해 지상파 방송 부문은 매출액이 7%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무려 4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 방송 부문의 부진은 프라임타임 시간대 프로그램 제작에 높은 비용이 들어갔고 광고비가 경기 침체 영향으로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부문 2008매출액

2009매출액 변화율 2008

영업이익2009

영업이익 변화율

Cable Networks 7,114 7,219 1% 2,892 2,776 -4%

Broadcasting 4,599 4,265 -7% 913 504 -45%

총합 11,713 11,484 -2% 3,805 3,280 -14%

<표 4-4> Disney Media Networks 부문의 2008년 1-3분기, 2009년 1-3분기 실 비교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Disney Quarterly Earning Report, 2009

가장 나쁜 실적을 보인 Studio Entertainment 부문의 부진은 북미 지역의 DVD 판매 감소와 전 세계적인 극장수입 감소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극장 상영 부문 매출보다는 홈비디오 시장에서 DVD 감소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경기 침체기에는 사람들이 엔터테인먼트 소비에 지출을 줄인다는 속설을 다시금 확인시켜주었다.

Page 11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04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Marvel 인수Disney는 2009년 8월 31일 'Spider Man', 'X-man', 'Iron Man' 등의 유명 만화 콘텐츠를 다수 확보하

고 있는 Marvel을 40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Disney는 현금과 주식 교환을 통해 올해 말까지 Marvel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며 향후 Marvel이 보유한 5,000여 개 캐릭터들을 활용하여 영화화 하거나 관련 캐릭터 상품 판매로 수익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업계 및 투자 전문가들은 이번 합병이 Disney보다 Marvel에 훨씬 유리한 계약이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어린이와 여성, 가족용 캐릭터에서는 매우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청소년 및 남성들을 타깃으로 하는 콘텐츠 사업57)에서 취약했던 Disney가 이번 Marvel과의 합병으로 명실 공히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는 거대 미디어·콘텐츠 사업자로 거듭날 수 있게 됐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美 시장조사기관인 Sterne Agee의 애널리스트 Lrvind Bhatia는 “이번 합병은 특히 Disney의 브랜드 파워와 테마 파크, 케이블 채널, 영화 제작사, 캐릭터 머천다이징 사업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할 수 있게 된 Marvel에게 더 유리한 계약이었다”고 평가했다.

대다수의 투자자들과 애널리스트들 역시 Disney의 Marvel 인수 금액이 지나치게 과대하게 책정되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Disney가 Marvel의 주요 콘텐츠를 활용하려면 기존의 라이선스 계약이 만료하는 2011년 많게는 2017년 이후가 되어야 가능하다고 알려졌으며, Marvel의 히어로 캐릭터들은 DVD 매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Spider Man'의 원작자이자 영화 'Spider Man'의 제작총지휘를 담당했던 Stan Lee는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여러 관점에서 두 기업의 합병은 서로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호의적인 입장을 표명하는 등 콘텐츠 창작업계의 반응은 대체로 낙관적이다.

이번 Marvel 인수로 Disney는 Marvel의 다양한 IP를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사업 영역 또한 한층 확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Marvel은 지난 수년간 영화사업 등에 선행 투자해 왔는데 최근 이들 영화들이 상당한 흥행 수익을 올리며 좋은 실적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Disney는 당초 우려되었던 Pixar와의 합병을 통해 애니메이션 사업에서 한 단계 도약을 이루어냈기 때문에, 이번 Marvel 인수를 통해 슈퍼 히어로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 사업에서도 입지를 굳힐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57) 실제로 Disney는 청소년 대상의 비즈니스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초 자사 케이블 채널 Toondisney를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채널 ‘Disney XD’로 개편하는 등의 경쟁력 강화 전략을 추진해 왔음

Page 11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The Walt Disney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05

<그림 4-7> Disney와 Marvel 합병에 따른 득실 비교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9

다. Hulu 진영 합류Disney는 ABC 방송과 Disney 계열 케이블 채널이 보유한 방송 콘텐츠를 온라인 동영상 업체인

Hulu.com에 제공하기로 했다고 2009년 4월 발표했다. Disney는 NBC Universal 및 New Corp와 더불어 Hulu의 공동 운영업체로도 참여하고 있다. Disney는 이로써 ABC Entertainment, ABC Family, SOAPnet을 통해 방송된 전체 프로그램 및 과거 방송 동영상, Disney 채널이 보유한 히트 프로그램들, Disney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인기 콘텐츠를 Hulu에 제공하게 되었다.

물론 Walt Disney 산하의 ABC 방송도 이미 자체 웹사이트인 ABC.com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웹TV 형태로 제공해오고 있었다. 하지만 자체 운영만으로는 눈에 띄는 성과를 올릴 수 없다는 판단 아래 YouTube나 Hulu 같은 유력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직접 대결을 벌이는 대신 온라인 시장에서의 운영 노하우와 인지도, 트래픽을 확보한 전문 사이트와 손을 잡기로 결정한 것이다. Disney는 Hulu에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자사 계열의 온라인 사이트인 ESPN, Disney Channel에도 여전히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Disney의 이번 결정에는 향후 온라인 동영상 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Disney가 자사의 핵심 자산인 콘텐츠를 유통시킬 플랫폼 사업자로 Hulu를 선정한 배경에는 성장일로에 있는 온라인 동영상 시장에 대한 투자 의지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온라인 동영상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Google, Yahoo, Microsoft를 견제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온라인 동영상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참여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Page 11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06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3 News Corp.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52년 CEO K. Rupert Murdoch

직원수 40,000명 (2009.1기준) 홈페이지 www.newscorp.com

상장증시 NYSE 상장명 NWS

본사 주소 1211 Avenue of the Americas, New York, NY 10036, United States

사업영역종합 미디어 및 콘텐츠 (영화 및 TV 영상물, TV 네트워크, 위성TV, 각종 일간지 및 잡지,

서적 및 간행물, 스포츠, 웹사이트)

주요 계열사Fox Film Entertainment, Fox Studio, Fox Television Studios, Fox Searchlight Pictures,

Star TV, Fox Movie Channel, Fox News Channel

Financial Profile

(단위 :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6년 25,327 3,977 15.7%

2007년 28,655 4,476 15.6%

2008년 32,996 5,274 15.9%

2009년 30,423 3,558 11.7%

Company History

연도 Description

1952 Rupert Murdoch, 호주에서 Adelaide News 창간

1969 영국의 Sunday Newspaper, The News of the World 등을 인수

1979 News Corporation으로 사명 변경

1987 미국 4대 지상파 방송사 중 하나인 Fox Television Network를 설립

1989 영국에 Sky Satellite TV Broadcasting을 설립

1990 경쟁사인 BSB를 인수하면서 BSkyB 탄생

1990 Harper Collins를 인수하여 출판사업에 진출

1993 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위성방송 채널인 Star TV를 설립

2005 The Associated Press(AP)와 합작회사 STATS를 설립

2005 Scout Media 및 스포츠 잡지 출판사인 Scout Publishing 인수

2005 뉴미디어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SNS인 MySpace의 모기업인 Intermix Media를 인수

2008 월스트리트저널 및 다우존스 인수

2009 아시아 방송 사업 구조조정

Page 11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News Corp.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07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Rupert Murdoch이 설립한 News Corporation(이하 News Corp.)은 잡지 등 도서 출판에서부터 영화 및 TV프로그램 제작, 지상파 및 위성 TV채널 운영, 뉴미디어 분야에 이르기까지 방송ㆍ미디어 분야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News Corp.의 TV채널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제공되고 있는 채널의 하나이며, 특히 위성방송 서비스의 경우는 미국ㆍ남미ㆍ유럽ㆍ일본 등 전 세계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서비스로 명성을 날리고 있다.

가. 사업부문News Corp.의 사업 부문은 Filmed Entertainment, Television, Cable Network Programming,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Magazine and Inserts, Newspapers, Book Publishing, Other Assets 등 8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News Corp.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유럽, 호주,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등 전 세계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 Filmed Entertainment

News Corp.은 Film Entertainment 부문은 자회사인 Fox Film Entertainment를 중심으로 영화 및 TV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배급하고 있다. Fox Film Entertainment가 제작ㆍ배급한 영화 가운데 역대 미국 박스 오피스 흥행 실적 상위 5위권 안에 랭크된 작품으로는 1977년 'Star Wars' 및 1999년 'Star Wars Episode 1: The Phantom Menace' 등 2편이 있고, 전 세계적으로 크게 히트한 'Titanic' 또한 Fox의 배급작이다.

사업부문 계열사

Filmed Entertainment

Fox Film Entertainment

20th Century Fox

20th Century Fox Espanol

20th Century Fox Home Entertainment

20th Century Fox International

20th Century Fox Television

Blue Sky Studios

Fox Searchlight Pictures

Fox Studio

Fox Studios Australia

Fox Studios Baja

Fox Studios LA

Fox Television Studios

<표 4-5> Filmed Entertainment 사업부문 계열사

자료원: News Corporation

Page 12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08 한국콘텐츠진흥원

2) Television

News Corp.의 Television 사업부문은 미국ㆍ영국ㆍ독일ㆍ중국ㆍ인도ㆍ일본ㆍ호주 등지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 사업자 중 하나인 Fox Broadcasting Company는 미국 4대 지상파 방송사 가운데 하나이며, Star TV 또한 아시아 53개 이상의 국가에서 3억 명 이상의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방송사이다.

사업부문 계열사

Television

Fox Broadcasting Company

Fox Sports

Fox Television Station

FOXTEL

MyNetworkTV

STAR TV

<표 4-6> Television 사업부문 계열사

자료원: News Corporation

Fox Broadcasting Company는 미국 대형 방송사 가운데 후발 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미국적이고 보수 우파 성향의 시청자를 대변하는 채널로 입지를 굳혔다. 방송 초창기부터 10~20대의 시청자 층을 겨냥한 ‘젊고 자극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프로 스포츠 중 하나인 NFL의 중계권을 보유하여 미국의 젊은 남성층에 주로 어필하고 있다.

3) Cable Network Programming

News Corp.는 주요 자회사 Fox Cable Network Group을 통해 미국 케이블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스포츠 방송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Fox News Radio는 5분 뉴스 서비스가 간판 프로그램이며, 현재까지 350개 이상의 뉴스 프로그램을 제작해 방송했다. 일반 연예 채널 FX는 'The Shield', 'Nip/Tuck', 'Rescue Me' 등의 드라마 시리즈를 비롯해 리얼리티 시리즈인 'Black. White' 등을 편성해 시청자의 높은 호응을 받은 바 있다. Fox Sports Network 소유의 Regional Sports Networks(RSNs)는 미국의 지역 스포츠 방송을 선도하고 있다.

Page 12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News Corp.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09

사업부문 계열사

Cable Network Programming

Fox Movie ChannelFox News ChannelFox college SportsFox Sports EnterprisesFox Sports En EspanolFox Sports NetFox Soccer ChannelFox RealityFuel TVFXNational Geographic Channel

United StatesWorldwide

SPEEDSTATS Inc.

<표 4-7> Cable Network Programming 사업부문 계열사

자료원: News Corporation

4)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Division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Division에는 이탈리아의 Sky Italia, 영국의 BSkyB, 미국의 DirecTV 등이 포함된다. Sky Italia는 160개 이상의 채널 및 쌍방향 서비스와 PVR 서비스인 MySky를 제공하고 있다. Sky Italia는 지난 2006 월드컵에 64개 경기를 모두 HD 디지털로 중계하는 등 고화질 서비스를 선도하고 있다.

사업부문 계열사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DivisionBSkyB, DirecTV, Foxtel, Sky Italia

<표 4-8> Direct Broadcast Satellite Television Division 사업부문 계열사

자료원: News Corporation

DirecTV는 방송 위성을 이용해 미국 및 남미지역(멕시코 제외)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최대의 위성방송 사업자이다. 1977년 설립되었으며, 1985년부터 2003년까지 다국적 기업인 GE의 산하에 있었다. 2003년 News Corp.이 DirecTV의 지분 34%를 인수했으며, 2004년 3월 사명을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에서 The DirecTV Group, Inc로 변경했다. DirecTV의 서비스 지역은 미국과 남미 지역으로 각각 DirecTV U.S.와 DirecTV Latin America가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irecTV는 가입자들에게 1,500여 개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채널을 공급한다.

Page 12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10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4-8> News Corp.의 미디어 사업 포트폴리오

자료원: NewsCorp.,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나. News Corp.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News Corp.은 뉴스/스포츠/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한 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위성/케이블/공중파 방

송뿐만 아니라 인터넷/모바일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News Corp.은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 가운데 인터넷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이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이트인 MySpace.com을 비롯한 30여 개의 인터넷 사이트를 소유한 Intermix Media를 5억 8,000만 달러에 인수했으며, 온라인 스포츠 뉴스 사이트인 Scout.com과 47종의 스포츠 잡지를 발행하는 Scout Publish의 모회사인 Scout Media를 인수했다. News Corp.의 Murdoch 회장은 향후 10년간 두 자리 수의 수익률을 기록하려면 ‘Click and Mortar(오프라인 기업이 온라인을 강화하는 전략)’가 필수적이라며, 온라인 사업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News Corp.의 자회사인 Fox Entertainment Group은 ‘FoxSports.com’, ‘FoxNews.com’, ‘Fox’ 등 자사의 온라인 부문 총괄을 위해 Fox Interactive Media를 설립, 인터넷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News Corp.는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부터 모바일 미디어에 적합하게 제작한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 News Corp.의 자회사인 Fox Mobile Entertainment는 모바일 콘텐츠 포털 서비스 ‘Mobizzo’ 출시를 발표했다. Fox Mobile Entertainment는 Mobizzo 서비스와 관련해 미국 이통사들과 활발히 제휴를 맺고 있다. Mobizzo의 이용 요금은 월 5.99달러이며, ‘Family Guy’, ‘American Dad’, ‘Napoleon Dynamite’와 같은 Fox Entertainment의 방송 및 영화 콘텐츠 자산을 활용하여 다운로드 형식의 모바일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한편, News Corp.은 VeriSign으로부터 지분 인수한 모바일콘텐츠 사업부 ‘Jamba!’58)를 자사 모바일콘텐츠 부문 자회사인 Fox Mobile Entertainment에 편입시킨 후, Mobizzo에 통합시켰다. 또한 58) 미국에서는 ‘Jamster!’로 지칭됨

Page 12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News Corp.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11

MySpace.com을 통해서도 Jamba!의 콘텐츠를 판매함으로써, 전사적인 차원에서 모바일콘텐츠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News Corp.은 모바일콘텐츠 분야에서는 다른 미디어/콘텐츠 업체들과는 달리 최종 소비자에게 모바일콘텐츠를 직접 판매하는 유통구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처럼 소비자와 직접적인 접점을 가져가려는 News Corp.의 유통전략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3. 최근 Company 이슈

News Corp.의 2009년 키워드는 ‘유료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인 Hulu에 대해 News Corp.는 2010년 초까지 사용자들에게 유료 요금을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동영상 콘텐츠별 요금 산정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유료 서비스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질 것인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News Corp.의 콘텐츠 유료화 전략은 온라인 뉴스 콘텐츠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났다.

‘유료화’의 문제는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Rupert Murdoch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이 자신의 콘텐츠를 훔쳐가고 있다면서 맹비난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Murdoch 회장은 Google 등을 겨냥해 검색 엔진을 통해 기사를 링크하는 하는 행위는 절도라고 주장하는 등 뉴 미디어와의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Page 12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1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4 Viacom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70년 CEO Philippe P. Dauman

직원수 - 홈페이지 http://www.viacom.com

상장증시 NYSE 상장명 VIA

본사 주소 1515 Broadway New York, NY 10036, USA

사업영역 케이블TV 채널 운영 및 편성, 영화제작 및 배급 등

주요 계열사Paramount Pictures, Paramount Vantage, MTV Films, Nickelodeon Movies, Paramount

Home Entertainment, MTV Networks, Neopets, Xfire, Atom, Harmonix, Quizilla

Financial Profile

(단위 :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5년 9,519 2,624 27.6%

2006년 11,361 2,850 25.1%

2007년 13,423 3,013 22.4%

2008년 14,625 2,977 20.4%

Company History

연도 Description

1970 회사 설립

1971 Columbia Broadcasting Systems Inc.(CBS)로부터 분사 완료

1983 Warner Communications Inc. 및 Warner Amex Cable Communications와 합작사 설립

1986 MTV Network 인수 완료

1994 Paramount Communication Inc.와 99억 달러 규모의 합병 완료

1999 뉴욕증시 상장

2000 CBS Corporation과의 합병 완료

2001 BET,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 제공

2006 Paramount Pictures, Paramount Vantage 론칭

2007 Paramount Pictures, 북미 이외 15개 주요 국가에서 자체 배급 시작

2007 Famous Music 매각 완료

2008 Viacom, Paramount, MGM, Lionsgate가 새 합작사 epix 설립

2008 Dreamworks 분사 완료

Page 12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절 Viacom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13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Viacom은 1970년 美 FCC(연방통신위원회)가 공중파 TV 방송사의 케이블 시스템 및 지역 TV 방송사 소유를 규제함에 따라, CBS가 공중파와 분리해 설립한 케이블 및 미디어 기업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Viacom은 케이블TV 채널, 영화 및 음반 사업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종합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업체인 Viacom은 MTV Networks, BET Networks, Paramount Pictures, Paramount Home Entertainment, DreamWorks SKG, Famous Music 등을 계열사로 거느리고 TV, 케이블, 극장,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가. 사업부문Viacom은 전 세계적으로 케이블 TV, 영화, 음악 등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

는 인터넷, 모바일 등과 같은 디지털 플랫폼 사업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Viacom의 사업부문은 크게 Media Network 부문과 Filmed Entertainment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Media Network 사업부문은 BET Network 부문과 MTV Networks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Filmed Entertainment 부문은 △영화제작 및 배급 사업과 △음반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문별 주요 브랜드는 아래 표와 같다.

부문 주요 브랜드

Media Networks

o BET NETWORKS BET, BET J

o MTV Networks

ATOMFILMS, ADDICTINGGAMES, CMT, COMEDY CENTRAL, GAMETRAILERS, HARMONIX, LOGO, MTV, MTV2, MTVN INTERNATIONAL, MTVU, MTV TR3S, NEOPETS, NICKELODEON - NICK JR., NICK AT NITE, PARENTSCONNECT, RHAPSODY , SHOCKWAVE, SPIKE, THE N, TV LAND, VH1, VH1 CLASSIC, VH1 SOUL, VIRTUAL WORLDS, XFIRE

Filmed EntertainmentPARAMOUNT PICTURES CORP., PARAMOUNT PICTURES, PARAMOUNT VANTAGE, MTV FILMS, NICKELODEON MOVIES, HOME ENTERTAINMENT

<표 4-9> Viacom의 부문별 주요 랜드

자료원: Viacom 홈페이지,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1) Media Networks

Viacom의 Media Network 사업부문은 MTV Networks와 African-American을 대상으로 하는 BET Networks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MTV Networks(MTVN)는 현재 25개 언어로 된 130여 개 지역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MTVN은 유사 고객층 및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MTVN Music and Logo Group, MTVN Kids and Family Group, MTVN Entertainment Group, MTVN International 등의 4개 부

Page 12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14 한국콘텐츠진흥원

문으로 나뉜다.MTVN Music and Logo Group은 주로 18~34세를 대상으로 음악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료 음악 채널인 VH1은 전세계적으로 약 1억 명의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Logo는 레즈비언, 게이, 트렌스젠더들을 위한 채널이다. MTVN Kids and Family Group은 2~17세의 어린이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양질의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프로그램,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아동전문 채널인 Nickelodeon은 전 세계 약 1억 7,000만 명의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다. MTVN Entertainment Group은 성인을 대상으로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과 온라인 콘텐츠, 게임 등을 제작․배급하고 있다. MTVN International은 국제적으로 제작한 100여 개의 프로그램에 대해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으며, MTVN 브랜드의 웹사이트들을 제공하고 있다.

BET Networks는 미국의 African-American을 대상으로 엔터테인먼트, 음악, 뉴스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케이블TV 채널로, BET, BET J, BET Gospel, BET Hip Hop을 포함한 케이블 프로그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BET Networks의 주요 채널 가운데 BET은 24시간 종합 케이블 채널이며, BET J는 주로 재즈, R&B, neo-soul 등을 제공하는 음악 전문 채널이다. BET Gospel은 gospel 음악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BET Hip Hop은 힙합 음악과 공연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Viacom은 2006년 8월 BET가 BET.com의 지분을 사들이면서 BET.com에 대한 100%의 경영권을 갖게 되었다. BET.com은 African-Americans를 대상으로 콘텐츠와 뉴스,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등 쌍방향 방송 등을 제공한다. BET.com은 BET Networks 프로그램 서비스의 쌍방향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다.

2) Filmed Entertainment

Viacom의 Filmed Entertainment 사업 부문은 1)Feature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부문의 Paramount Pictures, Paramount Home Entertainment, DreamWorks SKG와 2)Music Publishing 부문의 Famous Music으로 구성돼 있었으나, 2007년 5월 Famous Music을 Sony의 자회사인 Sony/ATV에 4억 달러에 매각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Music Publishing 부문은 사라졌다.

Film 사업 부문의 주요 자회사로는 우선 극장용 영화를 제작 및 유통하는 Paramount Pictures가 있다. Paramount Pictures는 1912년에 설립된 헐리웃 메이저 영화 제작사로, 아카데미 수상작인 ‘Forrest Gump’, ‘Brave Heart’, ‘the Hours’, ‘Titanic’ 등을 포함, 약 2,500개 이상의 작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Paramount Home Entertainment는 영화의 홈비디오 배급을 담당하고 있다. 2006년 1월에는 DreamWorks SKG의 인수를 완료함에 따라 Viacom의 Film 사업부문 역량이 보다 강화되었다.

나. Viacom의 사업전략 및 주요활동Viacom은 시청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세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략을 통해 세계 미디어

Page 12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절 Viacom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15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Viacom의 대표 채널 가운데 하나인 BET은 미국 인구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흑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중이며, MTV Networks는 각 시장의 특성에 맞춘 콘텐츠를 제공해 해당 지역에서의 인기 채널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편, 2002년 당시 거대 미디어기업들이 사업 다각화를 위해 무차별적으로 기업들을 인수․합병하면서 ‘몸집불리기’를 실행했던 것처럼 Viacom도 CBS와의 합병을 통해 거대 미디어그룹으로 거듭났다. 그러나 시너지 효과를 유발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이루어진 CBS와의 합병은 예상만큼의 성과를 거두진 못했다. 합병 이후 Viacom의 주가는 거의 절반까지 하락했으며, CBS 사업부문의 더딘 성장으로 인해 Viacom의 자산 가치도 계속 하락했다. 결국 2005년에 Viacom은 다시 분사를 결정하고 2006년 1월, 케이블 네트워크 부문을 중심으로 한 Viacom과 지상파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CBS로 분리했다. 분사 이후 Viacom은 케이블 네트워크 전문 미디어 기업으로 거듭났으며, 단순한 사업 확장을 위해서가 아닌 전문화를 위한 인수 합병 전략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가. DVD 부문 합병 소문 Viacom 산하의 Paramount Pictures는 2009년 7월 경쟁업체인 Sony Pictures와 DVD사업부 등 홈 엔터

테인먼트 부문 합병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문에 휩쓸렸다. 경쟁사들 간에 이 처럼 합병 논의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그 동안 영화사들의 주요 수익 창출원이었던 DVD 산업이 급속히 위축되는 데 따른 대응책으로 분석된다. 2009년 세계 DVD 판매 시장은 급감했으며, 여기에 경기침체까지 겹쳐 영화사들의 비용 절감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이번 합병 논의는 DVD의 생산과 유통, 비영업 부문 기능의 통합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Paramount와 Sony는 이 소문에 대해 부인하고 있지만 유력 언론들은 두 회사가 DVD 부문 합병 시 기대할 수 있는 비용절감 효과를 내세우며 합병 논의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나. 크로스 미디어 전략 다각화영상 사업을 온라인 게임 시장과 연결하려는 업계의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Viacom도 Nickelodeon과

MTV Networks로 대표되는 케이블방송 사업부문과 온라인 게임의 연계를 통한 크로스 미디어 전략을 통해 새로운 수익 모델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 사업모델은 지금 당장은 영화사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지만 TV 영역에서 영상물의 비중이 큰 것과 마찬가지로 웹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미래 전략의 측면에서는 영화 콘텐츠의 다양한 활용과도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Nickelodeon은 취학 전 아동, 8세~12세까지의 트윈(tween) 세대, 10대 청소년, 그리고 이들과 불가분의 관계인 부모 등 다양한 연령집단별로 맞춤화된 일련의 사이트 군(群)을 구축하고 이를 서로 연결해 '미국 최대의 온라인 게임 네트워크'를 만든다는 계획을 세웠다. Nickelodeon은 영화 제작사, 비디오 게임 퍼

Page 12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16 한국콘텐츠진흥원

블리셔, 완구 제조업체 등을 이 사이트들의 주요 광고주와 마케터로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ickelodeon이 10대 청소년을 겨냥해 운영하는 웹사이트 'The N'은 12세~17세 대상의 게임 콘텐트를 제공하고 있다. The N의 서비스를 즐기던 이들이 성장하게 되면 곧 Nick.com을 이용하게 된다.

Nickelodeon은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총 1억 달러를 들여 어린이용 온라인 게임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Nickelodeon은 MTV Networks로부터 이 비용을 투자 받아 퍼즐과 카드게임 등 어린이들이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캐주얼 게임과 교육용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Insight Communication과 같은 케이블 업체들과 공동으로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유료 교육게임 서비스를 준비하고 3차원 아바타와 멀티플레이어 게임 등을 제공하는 'Nick Gaming Club' 서비스도 정비하고 있다.

MTV Networks는 온라인 게임 사업 진출을 위한 내부 조건이 이미 무르익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MTV Networks의 시청자 중 약 47%는 Nickarcade.com, Neopets, Shockwave, Addicting Games를 통해 게임관련 콘텐츠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CMT.com, Comedycentral.com, MTV.com 등 TV 채널의 자체 웹사이트에 마련해 둔 캐주얼 게임 섹션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Viacom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게임은 물론 어린이 대상의 온라인 캐주얼 게임에 있어서도 안정적인 수익 모델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선 광고 수익과 소액 거래 모델을 결합해 사용자들에게 일단 샘플 서비스를 즐기도록 한 후 나중에 게임 구매를 유도하는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게임 자체는 무료로 즐기면서 게임 내의 아이템을 구매하는 식의 모델을 개발하거나, 게임 플레이 도중 기업들의 상품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도 긍정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59)

59) 지난 한해 눈길을 끌었던 마케팅 기획으로 평가 받고 있는 사례에는 MTV Networks 산하 Shockwave 사이트에서 직소퍼즐 게

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을 상대로 Staples社가 후원하는 "easy button" 항목을 눌러 퀴즈의 힌트를 얻게 한다거나, Nickelodeon의

Nick.com Arcade 사이트에서 Paramount Pictures의 “Bee Movie” 홍보용 맞춤 게임을 제공하는 방식 등이 꼽히고 있음

Page 12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절 도호(東宝株式会社,TOHO Co.,Ltd.)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17

제 5 도호(東宝株式会社, TOHO Co., Ltd.)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32년 CEO 高井英幸

직원수 366명(2009년 10월 기준) 홈페이지 http://www.toho.co.jp

상장증시 도쿄증시 상장명 -

본사 주소스튜디오: スタジオ/東京(成城)

直営演劇劇場: 2劇場(帝国劇場・シアタークリエ)

사업영역

o 영화 : 영화 제작, 배급, 흥행 o 연극 : 연극 기획, 제작, 흥행

o TV :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판매

o 영상관련 : 영화 팜플렛 및 비디오소프트 제작․판매, 판권관련사업 등

o 부동산경영 : 토지 및 ․건물의 임대 등

주요 계열사 도호시네마즈(주), 도호(주) 등

Financial Profile

단위: 백만엔 매출액 경상이익 경상이익률

2006년 202,990 23,873 11.8%

2007년 201,026 25,518 12.7%

2008년 205,037 21,693 10.6%

2009년 213,493 25,770 12.1%

Company History

연도 Description

1932 연극 영화의 흥행산업을 목적으로 (주) 도쿄 디카라즈카 극장 설립

1943 도호영화(주) 합병 후 영화 및 연극의 제작 배급 흥행사업. 회사명을 東宝株式会社로 변경

1949 도쿄 증권거래소 상장

1969 신쥬쿠 도호 회관 완공

1981 창립 50주년 기념

1992 히카타 ST 빌딩 완공

2000 시네마 메디아 개장

2002 도호에 특화된 경영관리 시스템 ‘CAST’ 도입

2003 버진 시네마즈 재팬 인수

2004 나고야 도호 빌딩 완공

2006 영화 흥행 부문 회사 분할, 도호 시네마즈(주)로 승계.

2007 연극 극장 ‘시아타쿠리에’ 개장

2008 센다이 동보 빌딩 개장, ‘벼랑 위의 포뇨’ 대히트

Page 13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18 한국콘텐츠진흥원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도호는 79개의 자회사 및 18개의 관련사를 보유하고 있다. 도호의 사업부문은 영상, 연극, 부동산 사업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009년 3월 마감된 2009년 회계연도에서 부문별 수익 현황은 영화 제작 영업 수익 486억 엔, 영상 제작 부문 24억 엔, 영상 사업 152억 엔, 엔터테인먼트 및 흥행 사업 127억 엔, 부동산 경영 및 스튜디오 운영 수익 213억, 기타 2억 엔이다.

도호는 홈비디오와 TV용 영화 콘텐츠 개발 및 판매, 극장용 영화 생산과 유통을 담당한다. 자회사와 관련회사를 통해 극장운영을 하기도 한다. 영화 사업은 도호에게 가장 중요하고 큰 사업영역이다.

도호는 두 번째 사업 부문인 연극 사업을 통해 연예 기획사를 운영할 뿐 아니라 연극 공연들을 제작하고 판매한다. 이 분야는 도호의 사업영역 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보여줄 뿐 아니라 영업이익도 증가하는 부문이다.

부동산사업 부문에서는 부동산 리스, 관리, 청소, 유지, 보안 등 부동산에 관련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로 유지 등의 사업영역도 포함하고 있다. 도호의 부동산사업은 영화 사업 다음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도호는 기타사업 분야에서 레스토랑과 놀이공원, 경영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2009년 일본 경제는 세계 경기침체의 악영향을 받았고, 엔고에 따른 수출 부진과 고용 상황 악화, 개인 소비 감소로 경기가 급속히 후퇴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영화 시장에서는 2009년 스크린 수가 전년 대비 138개 늘어나 3,359개에 달했지만 극장 관객 수와 흥행수입은 전년 대비 약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크린 1개당 흥행수입도 감소 추세가 이어졌다. 이처럼 영화 흥행 환경이 악화된 가운데 도호는 ‘벼랑 위의 포뇨’와 ‘꽃보다 남자 파이널’ 등의 영화를 히트시키며 영화 사업 부문에서 선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영화 배급 사업에서는 ‘가치☆보이’, ‘영화 쿠로사키’, ‘명탐정 코난 전율의 악보’, ‘모래시계’, ‘The Last Princess’, ‘산의 당신 도쿠이치의 사랑’, ‘더 매직아워’, ‘꽃보다 남자 파이널’, ‘벼랑 위의 포뇨’,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 ‘20세기 소년 제1장’을 공동제작, 배급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 결과 영화 배급 사업의 영업수익은 259억 4,800만 엔, 영업이익은 56억8,800만 엔을 기록했다.

영화 상영 사업에서는, 도호시네마즈를 중심으로 ‘jumper', '마법에 걸린 사랑', 'Charlie Wilson's War', 'Indiana Jones and the Kingdom of the Crystal Skull', 'Chronicle of Narnia 2', 'No Country', 'Rambo 4' 등, 일본국내외 화제작을 상영했다. 또한 각지의 극장에 새로운 티켓 판매 시스템을 추가하고 디지털 시네마 및 3D 입체 상영 설비를 빠르게 도입, 타사와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Page 13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절 도호(東宝株式会社,TOHO Co.,Ltd.)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19

<그림 4-9> 2008~2009년 도호의 주요 흥행작

자료원: 도호 홈페이지, 2009

한편, 도호는 성공적으로 관련사업 분야의 다각화를 수행함으로써 일본에서 가장 큰 세 개의 영화 배급사 중 하나로 성장할 수 있었다. 도호는 초기에는 극장 상영 사업만 진행하다가, 영화 붐이 일어나는 시기에 성공적으로 영화 사업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였고, 단순히 극장운영만 하던 것에서 관련 콘텐츠를 제작 개발하고 배급, 홍보, 연예인 육성까지 사업의 수직 다각화를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 다각화 전략을 통해 안정적으로 인기 있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 점이 도호의 핵심적인 성공 요소라고 할 수 있다.

Page 13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2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6 도에이(東映)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49년 CEO 오카다 유스케

직원수 308명(2009.3 기준) 홈페이지 http://toei.co.jp

상장증시 도쿄 오사카 증시 1부 상장명 -

본사 주소 도쿄도 주오 구 긴자 3-2-17

사업영역 영화제작 및 배급 등 영화관련사업, 관광부동산사업 및 기타 사업

주요 계열사 도에이애니메이션, 도에이비디오, 도에이타이호영상, 도에이TV 프로덕션 등

Financial Profile

단위: 백만엔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6년 113,418 11,914 10.5%

2007년 108,838 10,529 9.7%

2008년 102,707 8,321 8.1%

Company History

연도 Description

1949 도쿄 도시나가와구에 도쿄영화배급(주) 설립

1951 동광영화(주)를 흡수 합병, 상호를 도에이(주)로 변경

1952 도쿄도 추오구 교바시로 이전, 도쿄 증권거래소에 상장

1953 제 1호 직영 극장 ‘시부야 도에이 극장’ 오픈

1954 오사카 증권거래소에 주식 상장

1956 일동영화 (현재의 도에이 애니메이션) 인수

1957 (주) 교육방송 (현재의 TV아사히) 설립에 자본 참여

1958 TV 영화 제작

1970 비디오 사업 진출

1972 부동산, 연예 이벤트, 정보장치 제작공급, 판권 사업을 추가

1975 東映太泰映畵村 오픈

1993 시부야 토에이 플라자 오픈

2000 시네마 콤플렉스 기획운영회사 (주)티조이를 공통출자로 설립

2006 도에이 흥업 부동산 주식회사(연결 자회사)를 흡수 합병

2007 도쿄도 신주쿠에 ‘신주쿠 산쵸메 이스트빌’을 준공, 복합영화관 영업 개시

Page 13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6 절 도에이(東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21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도에이 주식회사는 도에이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20여 개의 영상 관련 사업자를 거느린 일본 최대의 영상그룹이다. 모회사인 도에이 주식회사는 주로 영화 제작 및 배급, TV 드라마 제작 등을 담당하고 있다.

도에이의 사업부문은 크게 영상 관련사업, 관광 부동산사업, 기타 사업으로 구분된다. 도에이는 그동안 영상 관련사업 부문에서 영화제작 및 배급, 비디오영업, 텔레비전영업의 3개 분야의 사업 활동을 강화하고 영상판권영업 등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등 매출 확대를 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8년 도에이의 총매출은 1,027억 700만엔을 기록해 전년대비 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회사 운영 사업

도에이화학공업 필름 현상, 비디오사업 및 비디오 스튜디오

도에이비디오 영화, 비디오소프트 제작/판매

도에이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제작 녹음 스튜디오

타바크 녹음 스튜디오

도에이위성방송 CS디지털 위성방송 사업

도에이TV 프로덕션 TV영화 제작

도에이타이호영상  

도에이음악출판 영화음악제작/저작권 관리

도에이배우양성소 배우양성

디 엔드 데이 영화흥행 ‘마루노우치루브르’ 경영

도에이교토스튜디오 ‘도에이우즈마사영화마을’ 운영

도에이에이전시 광고대리

도에이씨엠 TV-CM&VP 제작

일본산업영화센터 PR영화 제작

도에이애드 크리에이티브 광고/디자인

도에이무역,도에이후즈 수출입

도에이건공 내외장 공사하청

도에이흥업부동산 하우징(housing)

도에이골프클럽 골프장 운영

고쿠라도에이회관 종합테난토(사무실임대업) 경영

<표 4-10> 도에이 자회사 황

자료원: 도에이, 2008

도에이는 히트작품 생산을 목표로 제작, 홍보 및 배급, 흥행 사업 등 영화 관련 전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도에이는 도쿄와 교토에 있는 두 개의 스튜디오를 거점으로 그곳에서 자사가 기획, 개발한 영화뿐만 아니라 방송국, 출판사, 신문사 등 출자회사와 협력을 통해 제작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광고 배급 부문에서는 관객의 기호 변화와 다양화, 영화계의 구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배급 영역을 외화 및 독립영화 작품으로까지 확대하고 있다. 도에이의 직영 극장과 자회사 티조이가 운영하는 시네마 콤플레스를 중심으로 각종 영화를 상영하는 흥행 사업도 벌이고 있다. 또한 영화 이외에도 라이브 방송과 스포츠 등 다양한 콘텐츠를 위성 방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Page 13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4 장 영화 시장 관련 주요기업 동향

122 한국콘텐츠진흥원

3. 최근 Company 이슈

도에이는 도에이 비디오주식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극장용 영화의 DVD 작품 판매촉진에 주력하고 있다. 2008년에는 작품 확충을 꾀해 DVD 433편, VHS 6편을 발매했다. 그 결과, 대형 DVD-BOX 상품 등이 인기를 끌었던 전년도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2008년에는 극장용 영화 ‘원피스 에피소드-사막의 여왕과 해적들’, ‘다이오쿠’, TV영화 ‘Kamen Rider Den-O’ 시리즈 등의 판매가 순조로웠다.

한편 방송시장에서는 각 방송사간의 시청률 경쟁이 격화되고 프로그램 편성이 다양해져, 수주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60분짜리 ‘아이보우(파트너)’, ‘겐쥬로필살검’, 30분짜리 ‘Kamen Rider Den-O’, ‘원피스’, 와이드 스페셜 ‘토요 와이드극장 Kytar Travel Mystery’ 등과 같은 많은 작품의 제작으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캐릭터 상품 사업도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Page 135: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1 절 American Film Market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23

개최장소 Santa Monica, California, USA 개최시기 매년 11월

주관 Independent Film & Television Alliance

행사규모 500편 이상의 영화가 출품되며, 8억 달러 이상의 매매 상담이 이루어짐

참여업체 제작자, 배급자, 감독을 비롯해 매매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투자자

행사목적 영화 부문의 판권 및 배급권 매매/ 투자 상품 발굴 및 투자자 유치

제 5 장 주요 Conference 및 전시회

제 1 American Film Market

1. 개요

2. 행사 배경

American Film Market(AFM)은 1981년부터 개최된 세계적인 필름마켓이다. 미국의 Independent Film & Television Alliance가 주최하며, 매년 5월 말의 칸 영화제와 함께 열리는 Canne Market, 11월에 열리는 MIFED(밀라노견본시) 및 베를린 영화제와 함께 열리는 EFM(Europe Film Market)과 함께 세계 주요 영화 시장 중 하나이다.

AFM에서는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8,000명이 넘는 영화 관련 종사자들이 모여 영화 배급권을 거래하고 투자 계약이 이루어진다. 세계 영화제와 연동된 필름마켓과는 달리 AFM은 영화 박람회의 성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참가 인원 면에서도 영화 제작 관계자 뿐 아니라 투자 관련 관계자들의 모습이 많이 보인다. AFM이 열리는 동안에는 미국 Santa Monica의 Third Street Promenade 일대 모든 영화관에서는 500편이 넘는 영화가 상영된다. 상영되는 영화는 헐리웃의 블록버스터에서부터 국제 영화제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저예산 예술영화까지 다양하다.

3. 2009년 행사 내용

올해로 30회를 맞은 AFM 2009 행사는 11월 4일부터 8일까지 미국 Santa Monica에서 열렸고 총 7,903명이 참석했다. 2009년 AFM에서는 27개 언어로 된 영화 445편이 상연되었으며, 70여 개 국에서 8,000명이 넘는 영화 구매 담당자와 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부대 행사로 10월 31일부터 11월 3일까지 열린 AFCI(Association of Film Commissioners International) 시네포럼 2009에서는 경제위기 등으로 냉각된 영화 투자 시장과 예산삭감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으며, 각종 프레젠테이션과 패널 토론, AFCI University가 주관하는 워크샵 클래스 등을 통해 어려워진 환경에서 경쟁력 있는 영화를 만들고 시

Page 136: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장 주요 Conference 및 전시회

124 한국콘텐츠진흥원

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안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2008년 2009년

참가 인원 7,900여 명 8,000여 명

참가 국가 65 70

바이어 수 1,527 -

업체 수 - -

<표 5-1> AFM 2009 참가 황

자료원: AFM 홈페이지

Page 137: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2 절 Canne Market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25

개최장소 프랑스 칸 개최시기 매년 5월 칸 영화제와 동시에 개최

주관 FESTIVAL DE CANNES

행사규모 약 97개 국가에서 4,173개 업체를 대표하는 1만 500여 명이 행사에 참여

참여업체 제작자, 글로벌 판매 및 배급업체, 재무 전문가 및 투자자

행사목적 영화 부문의 판권 및 배급권 매매/ 영화 시장 투자와 참여를 위한 제휴 형성

제 2 Canne Market

1. 개요

2. 행사 배경

Canne Market은 깐느 국제영화제와 함께 열리는 견본시로 1959년 출범한 이래 American Film Market과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큰 견본시로 자리잡았다. 매년 1만 명 이상이 참석하는 이 영화제는 2008년의 경우 1만 500명이 참가했고 2009년에는 경기침체 여파 등으로 그보다 다소 적은 인원이 참석한 것으로 추산된다. Canne Market(The Marché du Film)에서는 영화 상품의 거래와 제휴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8년의 경우 역 4,000건의 영화 및 프로젝트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이 이루어졌다.

<그림 5-1> 깐느 화제와 함께 열리는 Canne Market(The Marché du Film)

자료원: The Marché du Film, 2009

Page 138: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5 장 주요 Conference 및 전시회

126 한국콘텐츠진흥원

3. 2009년 행사 내용

2009년 행사는 5월 13일~23일까지 열렸다. Palais des Festivals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약 1만 명의 참가자들이 모여 4,500건의 영화를 소개했는데, 현재 제작중인 영화와 제작 완료된 영화들이 골고루 섞여 있었다. Canne Market의 Jérôme Paillard 이사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09년 행사가 예년과 거의 다를 바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전년도에 비해 참가지 수가 3~4% 정도밖에 감소하지 않았으며, 전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참석했기 때문이다. 2009년 행사에서는 미국 참가자 수가 전년 대비 5% 감소한 반면 중국, 멕시코, 이집트에서 온 참가자 수가 늘었다. 프랑스 출신은 약 3% 증가했다.

영화 판매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저예산 독립 영화들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3D 영화 시장이 성숙기에 달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3D 영화는 영화사에서 매우 흥미로운 발전 단계로, 이번 칸 마켓에서는 상당수의 3D 영화가 선보였다. 특히 호주, 홍콩, 미국의 작품이 눈에 띄었다.

2009년 행사에서 두드러진 추세는 아시아 영화사들의 약진이 몇 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물론 올해는 참가자가 급증하지 않았지만 전체 시장 참가자 중 아시아 출신들의 비중이 약 14%를 유지했다. 영화 판매를 위해 참가한 한국의 영화사는 전년도와 비슷한 약 7~8개로 추산되며 일본의 경우 지난해의 22개보다 소폭 늘어난 25개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본토에서 온 사업자들이 약 50%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실제로 중국 영화사들은 홍콩이나 유럽 업체들을 통해 영화 콘텐츠를 판매하기 때문에 영화 판매를 위해 시장에 참가한 경우는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싱가포르는 전년도보다 참가 업체가 2개 늘었다. 이는 아시아 영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Page 139: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제 3 절 Europe Film Market(EFM)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27

제 3 Europe Film Market(EFM)

1. 개요

개최장소 Berlin, German 개최시기 매년 2월

주관 Internationale Filmfestspiele Berlin

행사규모 2009년의 경우 6,300여명의 업계 전문가들이 참가해 1,049회의 영화 상영이 이루어졌으며

698개 영화에 대해 1,050건의 매매가 성사됨

참여업체 제작자, 배급자, 감독을 비롯해 매매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투자자

행사목적 영화 부문의 판권 및 배급권 매매/ 투자 상품 발굴 및 투자자 유치

2. 행사 배경

Europe Film Market(EFM)은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베를린 국제 영화제와 함께 열리는 견본시로 9일 동안 열린다. 베를린 영화제는 연 중 가장 먼저 열리는 메이저 영화제인 만큼 업계 전문가들이 몰려들어 그 해 영화계의 분위기를 미리 점쳐보는 기회가 되고 있다. EFM은 독일 영화들을 해외 상영업자들에게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한편, 국제 공동 제작 기회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세계 시장에서 각국의 영화가 어떤 위치와 경향에 속해 있는지 타진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년 수많은 제작자, 배급업체, 구매자, 영화 판매 에이전트들이 EFM을 가득 메우고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기회를 얻는다.

3. 2009년 행사 내용

2009년 2월 열린 European Film Market(EFM) 2009 행사는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55개국에서 408개 기업이 최신 영화와 관련 프로젝트를 소개했으며 영화계 전문가 6,3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치러졌다. 마켓 디렉터인 Beki Probst는 EFM 2009 행사에서 영화 시장이 비교적 안정적인 분위기를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EFM 2009 행사동안 700개의 영화가 1073개 스크린을 통해 상영됐다. 이 중 522편은 이번 영화제에서 처음으로 개봉되는 것이었다.

메리어트 호텔에 새로 마련된 두 번째 행사장에서 극장주들과 영화 구매업자, 업계 전문가들은 Commerzbank의 후원을 받아 영화 전문지인 Screen International, The Hollywood Reporter, Variety 등이 공동 주최한 3개의 ‘EFM Industry Debates’ 세션에 대해 커다란 관심을 보였다. 3일간 벌어진 이번 논의에서 약 600명의 참가자들은 현재의 금융위기에서 영화 업계가 찾을 수 있는 가능한 해결책과 기회들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EMF이 처음으로 도입한 ‘Meet the Docs’에 대한 호응도 높았다. The European Documentary Network(EDN)과 함께 제공한 이번 행사는 다큐멘터리 영화에 관심이 많은 전문가들을 위한 자리였다.

Page 140: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참고자료

128 한국콘텐츠진흥원

【 참 고 자 료 】

<국내자료>1. 공정거래위원회(2008), 영화산업 구조분석 및 경쟁정책적 평가, 20082. 스트라베이스(2009), "DVD보다 인터넷 TV가 먼저"...Sony Pictures 홀드백 전략 수정의 노림수는?,

2009.11.253. 스트라베이스(2009), ‘Sony Pictures, DVD 발매 이전에 온라인 유통 시도…영화계 전체 확산 가능성

대두’, 2009.11.194. 스트라베이스(2009), 2009년 영화 시장 지각변동의 진원지, ‘3D 입체영화’, 2009.4.155. 스트라베이스(2009), 2009년 전세계 디지털 3D 디지털 상영관 비즈니스의 최신 동향과 미래전망,

2009.9.46. 스트라베이스(2009), 3D 입체 영화, 가정용 3D 입체 TV의 확산으로 새로운 성장 모멘텀 확보 중,

2009.1.127. 스트라베이스(2009), 온라인 불법 동영상에 대처하는 헐리우드의 자세, 2009.2.248. 스트라베이스(2009), 日 Sony, 영화관 디지털 전환 비용 부담하며 "디지털 시네마" 사업 본격 출격,

2009.9.119. 스트라베이스(2009), 콘텐츠 유통 시장 진출을 위한 영화사들의 노크: 美 영화사 연합의 유료 TV채널

‘Epix’ 개국, 2009.12.210. 스트라베이스(2009), 프리미엄 영화 채널 Epix의 등장 배경과 사업 전망, 2009.2.911. 스트라베이스(2009), 프리미엄 영화채널 Epix의 등장배경과 사업전망, 2009.2.912. 스트라베이스(2009), 헐리우드 영화사가 자사 영화기반의 게임개발에 직접 나선 이유, 2009.7.2213. 스트라베이스(2009), Hollywood와 전면전 선언한 1달러 DVD 렌탈 사업자 Redbox, 2009.9.314. 한국콘텐츠진흥원(2009), 2009년 중국 영화 시장 동향 및 전망, 동향과 분석, 2009.10.16

<해외자료>1. AFP(2009), ‘Hollywood studio alliance to deliver online films on demand’, 2009.1.282. AFP(2009), ‘Sony to launch online download service for TVs’, 2009.11.203. Bloomberg(2009), ‘‘Monsters’ May Help Theaters Upgrade, Katzenberg Says’, 2009.3.314. Broadcastingcable(2009), ‘NATPE 2009: Studio 3’s New Net Will Be epix’, 2009.1.275. Canne Film Festival(2009), Focus 20096. Canne Film Festival(2008), Focus 20087. clickz.com(2009), ‘CBS Sticks to Independent Web Strategy, and Agencies Cheer’, 2009.04.23

Page 141: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29

8. CNET News(2009), ‘Movie channel to go live on Web before TV debut’, 2009.1.279. Cnet(2009), 'More signs Hulu subscription service is coming', 2009.10.2210. Contactmusic(2009), ‘Paramount Pictures - New Movie Channel Debut - First on The Web’,

2009.1.2811. contactmusic.com(2009), ‘PARAMOUNT TO TAKE TEST DRIVE WITH REDBOX’, 2009.08.2612. Daily Herald(2009), ‘'Monsters vs. Aliens' boasts galaxy of comic stars’, 2009.3.2713. Daliy News(2009), ‘'Monsters Vs. Aliens' tops box office’, 2009.3.3014. digitaldaily.allthingsd.com(2009), ‘Finally: Disney, Hulu Deal Announced’, 2009.04.3015. Forbes(2009), An Epix Disaster?, 2009.9.1716. Foxbusiness(2009), ‘Redbox Sues 20th Century Fox, 2009.08.1717. GigaOm(2009), 'DVDs, On Demand, Netflix & Streaming Video By the Numbers', 2009.10.2318. gigaom.com(2009), ‘Disney + Hulu: Who Wins, Who Loses and Who Cares?’, 2009.05.0119. glgroup.com(2009), ‘Disney Revamps Digital Strategy; Jumps on Board the Hulu Train’,

2009.04.3020. hollywoodreporter(2009), ‘CEO: Epix is on track despite lack of carriage’, 2009.1.2721. Home Media Magazine(2009), ‘NPD: Kiosks to make up 30% of U.S. Rental Market by 2010’,

2009.08.2522. Homemediamagazine.com(2009), Epix Bows Four-Day Thanksgiving Movie Marathon, 2009.11.2323. Independent(2009), Hooray for Hollywood: Film industry bucks the economic trend, 2009.4.824. Kara Swisher(2009), ‘Louie Swisher Hearts Redbox–But Hollywood Not So Much’, 2009.08.3125. Kara Swisher(2009), ‘Meatballs on TV: Only $25!’, cinematical.com, 2009.11.1026. Knowledge@Wharton,(2009), 'Netflix: One Eye on the Present and Another on the Future',

2009.10.2827. LA Times(2008), "Deal brings Netflix movies and TV shows to TiVo", 2008.10.30 28. LA Times(2009), 'Monsters vs. Aliens' in 3-D: Taking filmmaking to another

dimension’,2009.4.629. LA Times(2009), ‘'Monsters vs. Aliens' a hit in three dimensions’, 2009.3.3030. LA Times(2009), ‘Viacom and partners brand new movie channel’, 2009.1.2731. LA Times(2009), ‘Redbox sues studio over DVD access’, 2009.08.1332. LA Times(2009), ‘Sony Pictures-Redbox deal underscores value of bargain DVD

rentals’,2009.07.2233. Market Watch(2008), "Commentary: Link-up democratizes video streaming", 2008.10.3134. Mashable(2008), "Amazon Video on Demand Launches Today", 2008.7.1735. MPAA(2009), 2009 Economic Impact of the American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Industry,

2009

Page 142: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참고자료

130 한국콘텐츠진흥원

36. Multichannel News(2008), ‘Paramount, Lionsgate, MGM To Roar With New Premium Channel’, 2008.4.20

37. Multichannel News(2009), ‘Epix Eyes May Launch As Broadband Portal’, 2009.1.2738. New York Times(2009), 'In Downturn, Americans Flock to the Movies', 2009.3.139. New York Times(2009), 'Some TVs Go Directly Online for Streaming Movies', 2009.11.0540. NewTeeVee(2009), 'Netflix Q3: 42 Percent of Subs Streaming, and What’s the Mystery Box?',

2009.10.2241. Nielsen(2009), 'Television, Internet and Mobile Usage in the U.S. A2/M2 Three Screen Report',

Vol. 5, 2009.2Q42. OECD(2008), Remaking the Movies, 200843. One Touch Intelligence(2009), 'Netflix survey uncovers high usage for watch instantly', 2009.10 44. orlandosentinel.com(2009), ‘Walt Disney Co. reports 46% drop in quarterly profit as revenue

falls 7%’, 2009.05.05.45. Peter Blooere(2009) 46. Reuters(2009), ‘Studio 3 Networks Announces epix, the New Brand in American Consumer

Entertainment’, 2009.1.2747. SARFT(2009), 中国广播影视, 2009. 948. Screen Digest(2009), ‘Studios Annonce Entertainment JV Epix to Launch In 2009’, 2009.2.249. Tech Law(2009), ‘Tech Law: Redbox Sues Warner, Mitnick, EEOC Separately Sue AT&T,

More’, 2009.08.2450. Techcrunch.com(2009), Hollywood We Have Plenty of Half Servies. It's Time for A Whole One,

2009.9.2151. Th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2009), ‘Film channel has name, but no network carrier’,

2009.1.28 52. The New York Times(2008), ‘A Movie on Your TV at Home, Before You Can Rent It’,

2008.6.3053. The New York Times(2009), ‘Sony to Offer on internet TV, Then DVD’, 2009.11.1054.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2005), THE MOTION PICTURE INDUSTRY:

CRITICAL ISSUES IN PRACTICE, CURRENT RESEARCH & NEW RESEARCH DIRECTIONS, 2005

55. USA Today(2009), ‘Fox wants theaters to foot the bill for 3D glasses’,2009. 4.1256. Variety(2009), ‘Epix to bow as on-demand, channel’, 2009.1.2757. Wall Street Journal(2009), ‘Disney's Hulu Deal Raises Questions About YouTube Model’,

2009.04.30 58. Wall Street Journal(2009), ‘Disney CEO Says Hulu Deal Won't Hurt Other Businesses’,

Page 143: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영화) 131

2009.05.05, 59. Wall Street Journal(2009), ‘Disney Climbs Aboard Video Site Hulu, Teaming Up With Other

Networks Online’, 2009.05.01, 60. Wall Street Journal(2009), ‘Hulu Withdraws its Content from TV.com, Boxee’, 2009.02.1961. Wall Street Journal(2009), ‘Movie Channel to Debut on Web As Distribution Talks Continue’,

2009.1.28 62. Wall Street Journal(2009), ‘Sony Breaks Ranks on Web with TV Deal’, 2009.11.1163. Walt Disney(2009), ‘The Walt Disney Company Report Second Quarter Earnings’, 2009.05.05.64. Washington Post(2009), Epix Officially Launches Movie Steaming Network, 2009.10.3065. webtvwire.com(2009), ‘Competition Commission Kills Kangaroo | Joint BBC, ITV, and Channel 4

Venture Dead’, 2009.02.04,

<홈페이지>1. http://chinese.mediachina.net2. http://screendaily.com3. www.chauvelcinema.net.au4. www.chinafilm.com5. www.dfat.gov.au/facts/arts_festivals.html6. www.screenaustralia.com7. www.boxofficemojo.com8. www.economist.com 9. www.euromonitor.com10. www.imdb.com11. www.rottentomatoes.com

Page 144: Ë ³ û ï Ý ± Ä ìI - KOCCA · 2010-04-30 · 글로벌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주요 배급사들의 디지털 배급 현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출판, 영화)

발행인 이 재 웅

발행일 2010년 1월 25일

발행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02

전화 02-3153-1114 팩스 02-3153-1106

http://www.kocca.or.kr

ISBN : 978-89-93893-67-0 93600

1.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2. 본 연구보고서의 무단전재(無斷轉載)를 금하며, 가공 ․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콘텐츠

진흥원,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라고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