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9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Page 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출 문

한국콘텐츠진흥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9년 12월 21일

주관 연구 기관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최 연 철연구 수행 기관    (주) 스트라베이스연구수행책임자 이 상 오 수행연구원 김 동 진 수행연구원 전 창 의 수행연구원 권 성 미 수행연구원 최 수 진 수행연구원 안 병 욱 수행연구원 허 윤 미

Page 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러닝, 정보콘텐츠,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을 포함하는 지식정보콘텐츠 분야는 새로운 발전의 시기를 맞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 각국의 지식정보콘텐츠 시장과 산업 동향에 한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해외 지식정보콘텐츠 시장에 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지식정보콘텐츠 시장은 권역별, 부문별로 분류된다. 권역별 분류에서는 북미권, 유럽권, 일본, 중국, 아시아태평양권, 남미권으로, 부문별 분류에서는 이러닝, 정보콘텐츠,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으로 구분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분류체계에 근거해 조사를 수행했으며, 주요 기업 동향과 컨퍼런스 소개를 수록함으로써 글로벌 지식정보콘텐츠 시장에 한 현황을 제시했다.

4. 연구수행결과 : 본 보고서에서는 세계 지식정보콘텐츠 산업의 분야별 시장 규모, 시장 동향, 주요 업체 등을 정리하였다. 이러닝 시장은 디지털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환경 변화에 따른 동향을 반영했으며, 정보콘텐츠 시장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혼재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에 특화된 정보콘텐츠 전문 조사업체의 전망 자료를 위주로 정확한 통계자료 작성에 중점을 두었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CMS, DRM, CDN의 세부 부문별 현황을 제시했다.

5. 활용분야 및 실적 : 본 보고서는 국내 지식정보콘텐츠 관련 업체들이 국내시장에서의 역량을 확 하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는 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또한 이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6. 연구 효과 : 지식정보콘텐츠 산업은 미국과 유럽의 다국적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분야이며, 여타 개발단계의 국가들은 분류체계조차 미흡한 실정이다. 본 보고서는 지식정보콘텐츠 산업 전체 및 주요 분야별 시장 규모를 권역별로 파악하여 제시하였고, 해당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기업들의 현황과 전략을 분석, 반영함으로써 국내 지식정보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Page 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I -

제 1 장 이러닝 시장 개요 ····························································································1

제 1 절 이러닝 시장의 정의와 특징 ·································································································1

1. 이러닝의 정의 ·································································································································· 12. 이러닝 산업의 특징 ·························································································································· 2

제 2 절 이러닝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4

1. 이러닝의 분류체계 ·························································································································· 42. 이러닝 시장의 가치사슬 ···················································································································· 43. 조사 상과 조사방법론 ····················································································································· 6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7

제 1 절 세계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7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9

1. 솔루션 측면 ···································································································································· 11가. 이러닝 2.0의 진화 ···················································································································· 11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이러닝 서비스의 두 ············································································· 16

2. 콘텐츠 측면 ···································································································································· 18가. Simulation-based 러닝 및 Game-based 러닝 ·········································································· 18나.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이러닝의 확산 ·········································································· 20

3. 하드웨어 측면 ································································································································ 22가. e-Book 단말 및 e-Textbook 확산에 한 이러닝 시장의 기 감 증폭 ····································· 22나.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m-Learning의 확산 ················································································ 24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27

제 1 절 북미권 이러닝 시장 동향 ··································································································27

1. 북미권 이러닝 시장 현황 및 전망 ··································································································· 272. 북미권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 27

가. 미국 이러닝 시장 트렌드 ·········································································································· 27

이러닝편 목차

Page 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II -

나. 캐나다 이러닝 시장 트렌드 ······································································································· 29

제 2 절 유럽권 이러닝 시장 동향 ··································································································31

1. 유럽권 이러닝 시장 현황 및 전망 ··································································································· 312. 유럽권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 31

가. Agile 이러닝으로 진화하는 Rapid 이러닝 ·················································································· 32나. 이러닝의 접근성 향상 ··············································································································· 33

3. 유럽권 이러닝 정책 동향 ················································································································ 33

제 3 절 일본 이러닝 시장 동향 ·····································································································35

1. 일본 이러닝 시장 현황 및 전망 ······································································································ 352. 일본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 35

가. 기업 이러닝 도입 분야의 확 ·································································································· 36나. 이러닝 콘텐츠 저장소 구축 ······································································································· 37다. 표준화 시도 ······························································································································ 38

3. 일본 이러닝 정책 동향 ··················································································································· 39

제 4 절 중국 이러닝 시장 동향 ·····································································································40

1. 중국 이러닝 시장 현황 및 전망 ······································································································ 402. 중국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 403. 중국 이러닝 정책 동향 ··················································································································· 414. 홍콩 이러닝 시장 현황 ··················································································································· 41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42

1.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현황 및 전망 ······················································································ 422. 아시아․태평양권 각 국가별 이러닝 시장 현황 및 전망 ······································································ 42

가. 호주 ········································································································································· 42나. 인도 ········································································································································· 44다. 싱가포르 ·································································································································· 49라. 만 ········································································································································· 52마. 태국 ········································································································································· 53바. 베트남 ······································································································································ 54

제 4 장 주요 이러닝 기업 현황 ··················································································55

제 1 절 CAREER EDUCATION CORPORATION ············································································55

1. Company Profile ···························································································································· 55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553. 최근 Company 이슈 ······················································································································ 55

Page 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III -

제 2 절 Apollo Group, Inc. ···········································································································56

1. Company Profile ···························································································································· 56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563. 최근 Company 이슈 ························································································································ 56

제 3 절 Blackboard Inc. ···············································································································57

1. Company Profile ···························································································································· 57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573. 최근 Company 이슈 ······················································································································ 57

제 4 절 SABA SOFTWARE INC. ···································································································58

1. Company Profile ···························································································································· 58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583. 최근 Company 이슈 ······················································································································ 59

제 5 장 이러닝 관련 주요 컨퍼런스 ···········································································60

제 1 절 DevLearn 2009 ················································································································60

1. 개요 ··············································································································································· 602. 2009년 행사 내용 ·························································································································· 60

제 2 절 eLearning Network Members' Showcase 2009 ································································61

1. 개요 ··············································································································································· 612. 2009년 행사 내용 ·························································································································· 61

제 3 절 e-Learning World 2009 ···································································································62

1. 개요 ··············································································································································· 622. 2009년 행사 내용 ·························································································································· 62

제 4 절 e-Learning Forum 2009 ··································································································63

1. 개요 ··············································································································································· 632. 2009년 행사 내용 ·························································································································· 63

제 5 절 eLearning Africa 2009 ·····································································································64

1. 개요 ··············································································································································· 642. 2009년 행사 내용 ·························································································································· 64

【참고자료】 ··············································································································65

Page 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IV -

<표 1-1> 이러닝 2.0 도입에 따른 변화 ············································································································· 3

<표 2-1> 세계 이러닝 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 7<표 2-2> 세계 이러닝 시장 부문별 규모 및 전망 ······························································································· 8<표 2-3> Intraverse, Extraverse를 활용한 이러닝 ··························································································· 22

<표 3-1> 북미권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 27<표 3-2> 이러닝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29<표 3-3> 유럽권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 31<표 3-4> Rapid 이러닝과 일반 이러닝의 비교 ·································································································· 32<표 3-5> Rapid 이러닝과 Agile 이러닝의 비교 ································································································ 33<표 3-6> EU의 Education and Training 2010 프로그램 ··················································································· 34<표 3-7> 일본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 35<표 3-8> eLC 표준화 추진위원회의 표준화 작업 ····························································································· 38<표 3-9> 중국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 40<표 3-10> 아태권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 42<표 3-11> 인도의 연령 별 인구 수 및 학생 현황 ··························································································· 47<표 3-12> 이러닝 사업자별 ICT 서비스 제공 중인 학교수 ··············································································· 47<표 3-13> 벤처 캐피털 및 사모 펀드의 인도 이러닝 관련 기업 투자규모 순위 ················································· 48<표 3-14> 싱가포르 1, 2차 IT마스터 플랜 추진 결과 ······················································································ 50<표 3-15> TELDAP의 이러닝 프로젝트 ··········································································································· 53

이러닝편 표 목차

Page 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V -

<그림 1-1> 이러닝 이용 국면의 확 ················································································································· 2<그림 1-2> 이러닝 시장의 분류 체계 ················································································································· 4<그림 1-3> 이러닝의 Value Chain ····················································································································· 5

<그림 2-1> 통신기술의 접목에 따른 이러닝의 발전 전망 ·················································································· 10<그림 2-2> 이러닝 서비스의 진화 단계 ··········································································································· 11<그림 2-3> 이러닝 2.0의 에코시스템 ··············································································································· 12<그림 2-4> Net School의 수업 모습 ················································································································ 14<그림 2-5> Collaboration-based 러닝 ············································································································· 15<그림 2-6> Adobe의 다양한 기능을 연계한 이러닝 Suite ················································································· 16<그림 2-7> Unisys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이러닝 서비스 Manabito Park ······················································ 17<그림 2-8> School City의 Virtual 학습 공간 ··································································································· 18<그림 2-9> 게임의 회화 학습 효과 ·················································································································· 20<그림 2-10> VirtuoCity의 비행기 내 영어회화 수업 ························································································ 21<그림 2-11> e-Book 확산에 따른 환경 변화 ··································································································· 23<그림 2-12> Stockport 학과 T-mobile의 m-learning 프로젝트 개념도 ························································ 25<그림 2-13> 휴 폰을 통한 ‘Mobiledu’ 서비스 화면 ························································································· 25<그림 2-14> Studywiz Mobile의 iPod/iPhone을 활용한 m-learning 애플리케이션 ············································ 26

<그림 3-1> 상 및 난이도에 따른 이러닝 도입 분류 ······················································································ 36<그림 3-2> 이러닝의 전략적 활용 분류 ··········································································································· 37<그림 3-3> FOLC와 ACPA를 통한 콘텐츠 검증 및 저장 개념도 ······································································· 38<그림 3-4> 호주의 2008–2011 Framework Strategy 프로그램 ········································································· 44<그림 3-5> 인도와 경쟁 국가의 이러닝 역외 아웃소싱 산업의 경쟁우위 비교 ··················································· 45<그림 3-6> iN2015 계획의 교육, 학습 부문 목표, 전략, 로드맵 ······································································· 50<그림 3-7> 싱가포르의 3차 IT 마스터플랜 (2009~2014) ··············································································· 51

이러닝편 그림 목차

Page 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VI -

제 1 장 정보콘텐츠 시장 개요 ···················································································71

제 1 절 정보콘텐츠 시장의 정의 ····································································································71

제 2 절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72

1.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 ··········································································································· 72가. 국내 정보콘텐츠 산업의 분류체계 ····························································································· 72나. 해외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 ····························································································· 73

2. 조사 상과 조사방법론 ··················································································································· 75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77

제 1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77

제 2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트렌드 ················································································80

1.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정보콘텐츠 시장의 마이너스 성장 ······························································ 802. 핵심 분야에 한 선택과 집중 ········································································································ 81

가. 펀더멘탈 개선을 위한 인원 감축 및 중소형 M&A 지속 ····························································· 81나. 온라인 정보콘텐츠 서비스 경쟁력 강화 ····················································································· 82다. 솔루션 서비스 경쟁력 강화 ······································································································· 83

3. 결합 상품 및 맞춤형 서비스 증가 ··································································································· 834. 신규 수익원 발굴 ··························································································································· 84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86

1.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 86가.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86나.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86

2.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 87가.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87나.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88

3. 신용정보 콘텐츠 ····························································································································· 89가. 신용정보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89나. 신용정보 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89

정보콘텐츠편 목차

Page 1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VII -

4. 마케팅 정보콘텐츠 ·························································································································· 90가. 마케팅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0나. 마케팅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91

5.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 93가.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3나.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93

6.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 95가.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5나.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96

7.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 97가.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7나.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98

8. 기타 온라인 정보 시장 현황 ··········································································································· 98가. 기타 온라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8나. 기타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 ······························································································· 99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0

제 1 절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0

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 1002.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현황 ········································································································ 101

가. Financial Information ·············································································································· 101나. Marketing Information ············································································································ 102다. Industry Information ·············································································································· 102

제 2 절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3

1.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 103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현황 ········································································································ 104

제 3 절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5

1.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 1052.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현황 ··········································································································· 106

가. 기업 정보콘텐츠 ····················································································································· 106나. 기사 정보콘텐츠 ····················································································································· 107다.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 107

제 4 절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8

1.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 1082.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현황 ··········································································································· 109

Page 1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VIII -

가. 중국지망 ······························································································································· 109나. 중국재경신문검색DB(中國財經報刊數据庫) ··············································································· 111다. 중국정보뱅크DB(中國資訊行數据庫)(China Infobank) ······························································· 111라. iResearch(艾瑞市場咨詢) ········································································································ 112

제 5 절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13

1.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 1132.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현황 ························································································ 114

제 6 절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15

1.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 1152.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현황 ········································································································ 116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17

제 1 절 Acxiom ··························································································································117

1. Company Profile ·························································································································· 117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173. 최근 Company 이슈 ······················································································································ 117

제 2 절 Bloomberg L.P. ··············································································································119

1. Company Profile ·························································································································· 119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193. 최근 Company 이슈 ······················································································································ 119

제 3 절 Dow Jones & Company ·································································································121

1. Company Profile ·························································································································· 121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213. 최근 Company 이슈 ······················································································································ 121

제 4 절 McGraw-Hill Companies ································································································123

1. Company Profile ·························································································································· 123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233. 최근 Company 이슈 ······················································································································ 124

제 5 절 Pearson plc ···················································································································125

1. Company Profile ·························································································································· 125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253. 최근 Company 이슈 ······················································································································ 126

Page 1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IX -

제 6 절 Reed Elsevier ················································································································127

1. Company Profile ·························································································································· 127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273. 최근 Company 이슈 ······················································································································ 127

제 7 절 Thomson Reuters ··········································································································129

1. Company Profile ·························································································································· 129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293. 최근 Company 이슈 ······················································································································ 129

제 8 절 The Nielsen Company ···································································································130

1. Company Profile ·························································································································· 130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303. 최근 Company 이슈 ······················································································································ 130

제 9 절 Wolters Kluwer ·············································································································132

1. Company Profile ·························································································································· 1322. 기업 특징 및 경쟁력 분석 ············································································································· 1323. 최근 Company 이슈 ······················································································································ 132

제 5 장 정보콘텐츠 관련 주요 컨퍼런스 ···································································134

제 1 절 DEXA 2009 ····················································································································134

1. 개요 ··········································································································································· 1342. 2009년 행사 내용 ························································································································· 134

제 2 절 AGM SIGMOD/PODS ···································································································135

1. 개요 ··········································································································································· 1352. 2009년 행사 내용 ························································································································· 135

제 3 절 ADC ······························································································································136

1. 개요 ··········································································································································· 1362. 2009년 행사 내용 ························································································································· 136

【참고자료】 ············································································································137

Page 1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 -

<표 1-1> 국내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 ····································································································· 73<표 1-2> 해외 정보 서비스 제공업체들의 정보콘텐츠 분류체계 ········································································ 74<표 1-3> PWC의 정보콘텐츠 분류체계 ············································································································ 74<표 1-4> Simba Information의 전자정보 콘텐츠 분류체계 ·············································································· 74<표 1-5> 해외 정보콘텐츠 시장 분류체계의 상호비교 및 조정 ········································································· 75<표 1-6> 정보콘텐츠 시장의 조사 상 및 분류 ································································································ 75

<표 2-1>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77<표 2-2>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 79<표 2-3> 세계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 및 성장 추이 ········································································ 86<표 2-4> 주요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 87<표 2-5> 세계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88<표 2-6> 주요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서비스 제공업체 ······················································································ 88<표 2-7> 세계 신용정보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89<표 2-8> 주요 신용정보 콘텐츠 제공업체 ········································································································ 90<표 2-9> 세계 마케팅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1<표 2-10> 주요 시청률 및 이용률 분석정보 제공업체 ······················································································ 92<표 2-11> 주요 제품 마케팅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 92<표 2-12> 세계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3<표 2-13> 주요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 94<표 2-14> 세계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5<표 2-15> 주요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 96<표 2-16> 세계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7<표 2-17> 주요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 98<표 2-18> 세계 기타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99<표 2-19> 주요 기타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 99

<표 3-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0<표 3-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3<표 3-3>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5<표 3-4> 일본 주요 법률 정보 제공업체의 서비스 내용 ················································································· 107<표 3-5>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8<표 3-6> 중국지망의 정보콘텐츠 서비스 제공 내용 ························································································ 110<표 3-7> 중국정보뱅크DB 서비스 제공 내용 ·································································································· 111

정보콘텐츠편 표 목차

Page 1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I -

<표 3-8> 중국정보뱅크DB 서비스 제공 내용 ·································································································· 112<표 3-9> 아태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13<표 3-10>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15

<표 5-1> DEXA 2009 컨퍼런스 주제 ············································································································ 134<표 5-2> ACM SIGMOD/PODS 2009 컨퍼런스 주제 ······················································································ 135<표 5-3> ADC 2009 컨퍼런스 주제 ··············································································································· 136

Page 1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II -

<그림 1-1> 정보콘텐츠와 정보콘텐츠 산업에 한 정의 및 범위 ······································································ 71

<그림 2-1>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78<그림 2-2>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부문별 시장점유율(2009년) ···································································· 78<그림 2-3>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권역별 시장점유율(2009년) ···································································· 79<그림 2-4>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위축에 따른 타개책 모색 ········································································· 80<그림 2-5> 세계 금융 정보콘텐츠 시장 전망 ·································································································· 81<그림 2-6> Elsevier의 'Article of the Future' 서비스 화면 스냅샷 ·································································· 82<그림 2-7> 정보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의 변천 ·································································································· 83<그림 2-8> Wolters Kluwer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략 ·················································································· 84<그림 2-9> 세계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 전망 ····························································································· 85<그림 2-10> Equifax의 신용정보 통합 솔루션 제공 ························································································· 90<그림 2-11> 세계 법률정보 콘텐츠 시장의 주요 업체별 점유율 ········································································ 94<그림 2-12> 세계 세금정보 콘텐츠 시장의 주요 업체 점유율 ··········································································· 95<그림 2-13> 세계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업체 점유율 ···································································· 97

<그림 3-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1<그림 3-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4<그림 3-3>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6<그림 3-4>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09<그림 3-5> 아태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14<그림 3-6>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 116

정보콘텐츠편 그림 목차

Page 1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III -

제 1 장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개요 ···································································139

제 1 절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와 특성 ········································································139

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 ································································································· 139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특징 ································································································ 143

제 2 절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145

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분류체계 ··························································································· 1452. 조사 상과 조사방법론 ·················································································································· 146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47

제 1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147

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분야별/권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147가. 분야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147나. 권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148

2.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현황 ··················································································· 149가. CMS ······································································································································ 149나. DRM ······································································································································ 150다. CDN ····································································································································· 151

제 2 절 세계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렌드 ·····························································152

1. CMS 시장의 주요 트렌드 및 이슈 ····························································································· 152가. 범용 서비스와 특수 목적형 서비스의 분화 ·············································································· 152나. E-Discovery 응 솔루션 시장 수요 증가 ·············································································· 153다. 형 업체 위주의 시장 재편 ··································································································· 154라. 동용상 콘텐츠 활성화와 웹 2.0 기술 도입 ·············································································· 154

2. DRM 시장의 주요 트렌드 및 이슈 ····························································································· 155가. 콘텐츠 업계의 DRM 전략 변화 ······························································································· 156나. DRM 상호 연동성(Interoper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업계의 노력 ··········································· 157

3. CDN 시장의 주요 트렌드 및 이슈 ······························································································· 159가. HD 동영상의 확산에 따른 CDN 이용 증가 ·············································································· 159나. 통신사업자와 통신장비 사업자의 CDN 시장 진출 ···································································· 16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편 목차

Page 1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IV -

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두 ·········································································································· 162

제 3 장 권역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63

제 1 절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163

1.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32.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현황 ·············································································· 163

제 2 절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165

1.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52.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동향 ·············································································· 165

제 3 절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166

1.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62.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동향 ················································································· 166

제 4 절 중국 및 아시아․태평양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167

1. 중국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72. 아시아․태평양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7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 현황 ···························································169

제 1 절 CMS ······························································································································169

1. IBM(CMS) ··································································································································· 169가. Company Fact ························································································································ 169나. Company Profile ···················································································································· 169다. Product ·································································································································· 170라. Client ····································································································································· 171

2. EMC ············································································································································ 171가. Company Fact ························································································································ 171나. Company Profile ···················································································································· 171다. Product ·································································································································· 172라. Client ····································································································································· 173

3. Open Text ··································································································································· 173가. Company Fact ························································································································ 173나. Company Profile ···················································································································· 173다. Product ·································································································································· 174라. Client ····································································································································· 174

Page 1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V -

4. Interwoven ··································································································································· 175가. Company Fact ························································································································ 175나. Company Profile ···················································································································· 175다. Product ·································································································································· 176라. Client ····································································································································· 177

제 2 절 DRM ······························································································································178

1. Apple ··········································································································································· 178가. Company Fact ························································································································ 178나. Company Profile ···················································································································· 178다. Product ·································································································································· 179

2. Microsoft ····································································································································· 179가. Company Fact ························································································································ 179나. Company Profile ···················································································································· 179다. Product ·································································································································· 180

3. RealNetworks ······························································································································· 180가. Company Fact ························································································································ 180나. Company Profile ···················································································································· 180다. Product ·································································································································· 181

4. Adobe ·········································································································································· 181가. Company Fact ························································································································ 181나. Company Profile ···················································································································· 181다. Product ·································································································································· 182

제 3 절 CDN ······························································································································183

1. Akamai ········································································································································ 183가. Company Fact ························································································································ 183나. Company Profile ···················································································································· 183다. Product ·································································································································· 184라. Client ····································································································································· 184

2. Limelight Networks ······················································································································ 185가. Company Fact ························································································································ 185나. Company Profile ···················································································································· 185다. Product ·································································································································· 186라. Client ····································································································································· 187

3. InterNap ······································································································································ 187가. Company Fact ························································································································ 187나. Company Profile ···················································································································· 187다. Product ·································································································································· 188라. Client ····································································································································· 188

Page 1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VI -

4. Level 3 Communications ·············································································································· 188가. Company Fact ························································································································ 188나. Company Profile ···················································································································· 189다. Product ·································································································································· 189라. Client ····································································································································· 189

제 5 장 해외 주요 컨퍼런스 ···················································································190

제 1 절 Content Management Strategies / DITA North America Conference 2009 ··················190

1. 개요 ············································································································································· 190가. 개최 장소 ······························································································································· 190나. 개최 시기 ······························································································································· 190다. 홈페이지 ································································································································· 190

2. 2009년 행사 내용 ························································································································· 190

제 2 절 9th ACM DRM Workshop ······························································································191

1. 개요 ············································································································································· 191가. 개최 장소 ······························································································································· 191나. 개최 시기 ······························································································································· 191다. 홈페이지 ································································································································· 191

2. 2009년 행사 내용 ························································································································· 191

제 3 절 Content Delivery Summit ······························································································192

1. 개요 ············································································································································· 192가. 개최 장소 ······························································································································· 192나. 개최 시기 ······························································································································· 192다. 홈페이지 ································································································································· 192

2. 2009년 행사 내용 ························································································································· 192

【참고자료】 ············································································································193

Page 2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 XVII -

<표 1-1> ECM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구분 ···································································· 140<표 1-2> CDN의 구성요소 ····························································································································· 142<표 1-3>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의 패키지 솔루션별 분류 ················································································ 145

<표 2-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47<표 2-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 148<표 2-3> 세계 CMS 시장 규모 및 전망 ········································································································· 150<표 2-4> 세계 DRM 시장 규모 및 전망 ········································································································· 150<표 2-5> 세계 CDN 시장 규모 및 전망 ········································································································· 151<표 2-6> DRM 표준화 단체현황 ·················································································································· 158<표 2-7> CDN에 의한 콘텐츠 전송 서비스 ···································································································· 160

<표 3-1>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3<표 3-2>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5<표 3-3>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6<표 3-4> 중국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7<표 3-5> 아태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68

<그림 1-1> DRM 분류 및 기술 구조 ············································································································ 141

<그림 2-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 148<그림 2-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권역별 시장 비중(2009년) ·········································································· 149<그림 2-3> CDN 시장 점유율(2008년 말 기준) ····························································································· 159<그림 2-4> 전세계 동영상 전송 CDN 서비스 시장 ························································································· 16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편표/그림 목차

Page 2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Page 2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이러닝 시장의 정의와 특징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

제 1 장 이러닝 시장 개요

제 1 이러닝 시장의 정의와 특징

1. 이러닝의 정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맞이해 기존 특정 장소와 기간 동안에만 이뤄지던 교육환경이 점차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 인터넷 기반의 이러닝(e-Learning)1)이 자리잡고 있다. 이러닝은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기술을 활용하여 이뤄지는 학습을 의미하며, 단순히 인터넷이나 디지털 매체에 제공되는 정보나 강의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활동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통용된다.2)

통상적으로 이러닝은 WBT(Web-Based Training), CBT(Computer-Based Training), V-Class(가상교실 강의) 등의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세스를 광범위하게 조합해서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인터넷, 위성방송, 쌍방향 TV, CD-ROM 등의 매체를 통한 콘텐츠 제공까지도 포함된다.

더불어 이러닝의 정의가 전자적 네트워크 기반을 통한 교육의 제공 및 상호작용은 물론 이러한 교육 및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을 지칭한 용어로 그 의미가 확산되면서 유사 개념이었던 원격 교육, 온라인 교육, 사이버 교육 등도 현재는 이러닝으로 통칭되고 있다. 따라서 광의의 이러닝은 포괄적으로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technology-based learning)을 의미하게 되었다.

반면 협의의 이러닝은 지식과 성과(performance)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의 전달수단으로써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이러닝은 인터넷 기반 학습(internet-based learning)을 의미한다. 또한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 단말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mobile-learning; m-learning)도 활용성이 높아져 이러닝의 범주에 포함되고 있다.

이러닝 확산의 가장 중요한 동인(Driving force)은 교습자(instructor) 중심의 학습 구조가 학습자(learner) 중심으로 전환되는 학습 환경 패러다임의 변화이다. 즉 고용인 또는 학습자는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요구하는 지식 탐색자로서 인식되며, 각종 온/오프라인 서비스는 이들이 모든 종류의 지식 자원에 1) 이러닝(e-Learning)에서의 e의 의미를 살펴보면, 주요 이러닝 연구기관인 Masie 센터의 Masie는 학습의 경험, 배움 기회의 확대,

학습내용의 확대라는 의미에서 Experience, Extension, Expansion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고, IDC에서는 Internet-enabled라는

의미로 사용하였으며, PWC는 학습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Easy라는 의미를 사용하였다.

2) 이러닝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IT 기술을 활용한 교육 시스템(eLC, 2007), 상호작용성과 디지털화 수준이 높고, 정

보기술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활용한 선행적(proactive) 교육 시스템(2008/2009 일본 이러닝 백서) 등으로 정의되고

있다.

Page 2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이러닝 시장 개요

2 한국콘텐츠진흥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림 1-1> 이러닝 이용 국면의 확

자료: 2008/2009 일본 이러닝 백서, 2008

2. 이러닝 산업의 특징

이러닝은 자원 중심적이며 수요자 중심의 교육 체제로서, 폐쇄적이고 일방적이던 기존 교육 체제와는 달리 개방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특성을 지니는 교육 체제이다. 즉, 이러닝은 인터넷의 쌍방향적(interactive) 특성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으며,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분야이다. 이러닝은 동영상과 음성 및 문자채팅기능을 통해 강사와 수강자 간에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필요한 자료를 저장,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원함에 따라, 굳이 같은 장소, 동일 시간에 모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교육환경의 공간적 제약을 해소한다.

특히 인터넷에서 2000년 중반 이후 확산된 웹 2.0개념은 이러닝 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동안 이러닝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등을 통해 주로 Push 형태의 교육이 주를 이루어 왔으나, 최근 들어서는 블로그, 팟캐스팅(Podcasting), 미디어 공유, 소셜 네트워킹 등의 웹 2.0 요소기술들과 결합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두고 현 이러닝을 이전 환경과 구분해 이러닝 2.0이라 지칭하고 있다. 지식의 공유, 오픈, 로컬화 등 웹 2.0의 컨셉을 차용한 이러닝 2.0은 테크놀로지 트렌드로서 웹 2.0의 확실한 자리매김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이러닝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닝 2.0은 교육현장에서 블로그나 팟캐스팅(Podcasting) 사용이 익숙해지면서 SNS형 소프트웨어들을 통합해 기존의 이러닝보다 더욱 자연스러운 양방향의 교육환경을 조성해 준다.

Page 2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이러닝 시장의 정의와 특징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3

기존 이러닝 이러닝 2.0

학습조직화중앙집권(Top down)

Push형교사주도형

교사로부터 학생에게 지식 전달SME(내용전문가)

코스(course), 프로그램지적 재산

한정된 자유특정 애플리케이션(LMS 등)

높은 투자/관리 비용

개인화로컬화(Bottom up)

Pull형학습자 주도형

교사<->학생, 학생<-> 커뮤니티집합지(集合知)

학습분자, 연결(connection)사회적 재산, 공유확대된 자유, 오픈

Blog, Elgg3)

낮은 투자/관리 비용

<표 1-1> 이러닝 2.0 도입에 따른 변화

자료원: e-Learning Consortium, Japan, 2007,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웹 2.0 환경에서 수강자와 강의자는 협력 관계가 되며, 이와 같은 협력 관계의 유지는 이러닝의 교육적 속성 중 매우 중요한 변화 요소이다. 특히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은 점차 실시간 상호작용도 가능하게 하여 이러닝의 양방향성과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3) 2004년 개시한 웹 2.0과 SNS가 절묘히 결합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제공 소셜 사이트. 사용자들에게 각자의 블로그와 파일 저장

소, 온라인 프로필과 RSS 리더를 제공하고 태깅 기능도 첨부한 콘텐츠를 공유

Page 2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이러닝 시장 개요

4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이러닝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1. 이러닝의 분류체계

이러닝 산업은 크게 콘텐츠(Learning Content), 인프라(Learning Infrastructure Solutions), 서비스(Learning Services)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earning Content는 분야별(IT, Business Skill, Medical 등) 코스웨어, 멀티미디어, 시뮬레이션, 테스트 및 평가를 포함한다. Learning Infrastructure Solutions는 이러닝에 관련한 브로드밴드 기반의 기술로서 교육 관리 시스템(LMS), 교육콘텐츠관리 시스템(LCMS), 콘텐츠저작도구, 협력학습 도구, 가상교실 등을 포함한다. Learning Services는 HRM, 교육 컨설팅, 기술적 컨설팅, 학습요구평가, 학습전략 개발, 콘텐츠 설계 및 개발, 시스템/서비스 통합, 사이트 관리 및 호스팅, 유지보수 등을 포함한다.4)

콘텐츠

서비스

인프라

이러닝

코스웨어, 멀티미디어, 시뮬레이션, 테스트, 평가 등

교육관리시스템 (LMS), 교육콘텐츠관리시스템 (LCMS), 콘텐츠저작도구, 가상교실 등

인적자원관리(HRM), 교육컨설팅, 학습전략개발, 유지보수 등

하드웨어이러닝을 구현을 위한 교육용 서버, 교육용 개인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

콘텐츠

서비스

인프라

이러닝

코스웨어, 멀티미디어, 시뮬레이션, 테스트, 평가 등

교육관리시스템 (LMS), 교육콘텐츠관리시스템 (LCMS), 콘텐츠저작도구, 가상교실 등

인적자원관리(HRM), 교육컨설팅, 학습전략개발, 유지보수 등

하드웨어이러닝을 구현을 위한 교육용 서버, 교육용 개인 컴퓨터 등의

하드웨어

<그림 1-2> 이러닝 시장의 분류 체계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 이러닝 시장의 가치사슬

이러닝 산업은 시스템․인프라를 매개로 콘텐츠 홀더와 서비스 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이 구성되며, 국가별 상황에 따라 다소간 차이는 있으나 근본적인 Value Chain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이러닝을

상에 따라 시장을 분류하면, 크게 기업교육(Work Place), 고등교육(Higher Education), 초중등교육(K-12), 성인교육(Consumer)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 기업교육시장이 이러닝 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등교육 및 초중등교육시장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책적 지원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또한 이러닝 산업을 구성요소별로 구분 지으면 시스템․인프라, 서비스, 콘텐츠로 나눌 수 있다. 이러닝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시스템․인프라는 크게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live eLearning tools,

4) 배수진, 「정보통신산업동향-콘텐츠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9

Page 2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이러닝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5

assessment tools, content development tools 등으로 구성된다. 벤더는 기술과 기술을 접목한 상품을 통해 시장을 장악하고, 시장에서의 경쟁을 위해 지속적으로 전략적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을 업데이트 한다.

이러닝 산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콘텐츠는 그만큼 시장 경쟁도 치열하며, 개발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닝 콘텐츠의 전달은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비동기식은 상호작용 없이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교육 내용이 전달되는데 반해, 동기식은 콘텐츠 제공자와 학습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부문은 이러닝의 사업 모델을 구체화하는 것으로서, 최근 많은 사업자가 뛰어들고 있다. 서비스 제공업자의 유형은 포털, 교육서비스 제공자, 직업 서비스 제공자 등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닝 포털은 인터넷 포털과 비슷하며, 한 장소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교육 서비스 제공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로서 온라인 교육과 시험, 학위 과정 등이 포함된다. 직업 서비스 제공자는 웹 디자인으로부터 특화된 콘텐츠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 1-3> 이러닝의 Value Chain

자료원: Adapted from Stacey, Paul's Archive, 2006

이러닝 사업자들은 보다 수평적으로 사업방향을 이동하여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 하고 수익을 극 화하고 있다. 초기 이러닝 시장은 IBM, Cisco 등의 인프라 및 하드웨어 공급업체가 주도했으나 질 높은 콘텐츠에 한 기업들의 수요 증 로 현재는 콘텐츠 홀더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IBM, Sun, MS, Oracle, Cisco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자사의 솔루션에 한 IT Training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Vivendi Universal 등 미디어 기업 및 Yahoo, AOL, MSN 등 글로벌 인터넷 포털 기업들은 축적된 콘텐츠 및 최종소비자 접점의 소유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비즈니스 활동을 수평적으로 확

Page 2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이러닝 시장 개요

6 한국콘텐츠진흥원

하여 콘텐츠 소유와 서비스까지의 일관된 사업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3. 조사 상과 조사방법론

본 보고서는 세계 이러닝 시장 규모와 주요 트렌드를 조사ㆍ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닝 시장, 공급자 및 소비자 특성, 콘텐츠 고유의 특징 등을 담아내기 위해 이러닝 시장을 크게 콘텐츠, 인프라, 서비스로 구분했다. 또한 특정 언어를 공유하는 문화권에 영향을 많이 받는 이러닝의 특성상 세계 이러닝 시장을 미주, 유럽, 일본, 중국, 아시아/태평양 권역으로 구분해서 분석하는 것은 물론, 이들 권역의 주요 국가별 이러닝 시장 현황에 한 분석도 병행했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세계 이러닝 시장의 부문별, 권역별, 연도별 시장 규모와 추이에 한 정량적 분석을 시행하고, 최근의 주요 이슈 및 트렌드에 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이러닝 산업 전반에 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정량적 분석에 활용되는 통계는 개별 국가의 현황 조사 기관에서 발표하는 수치를 기본으로 반영하였다. 그러나 근거자료마다 조사 상과 범주,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시장 규모에 적지 않은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집계 기관의 공신력이 뒷받침되는 개별 국가의 정부 산하기관 및 협회에서 발표하는 수치를 우선적으로 반영했다. 그러나 일부 국가를 제외한 상당수의 국가는 부문별로 세분화된 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에서 공통된 기준에 따라 집계한 최근의 통계치를 반영했다. 개별 국가 기관 통계치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통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개별 국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반영하되, 조사 상 및 범주를 고려하여 국가별 비교가 가능한 수준에서 반영했다.

세부적으로는 북미권과 유럽권의 시장전망은 GIA와 Ambient Insight의 통계를 반영했으며, 일본은 ALIC에서 발간한 이러닝 백서 2008/2009와 IDC Japan의 자료와 Ambient Insight, GIA의 통계를 참조했다. 중국의 경우에는 iResearch의 통계값이 지나치게 높은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GIA와 Ambient Insight의 통계값을 기본으로 iResearch의 시장 성장 전망 내용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Page 2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세계 이러닝 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7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세계 이러닝 시장 규모 망

세계 이러닝 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160억 2,700만 달러에서 2009년 171억 6,0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09년~2014년까지 9.1%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면서 264억 8,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8년까지만 하더라도 주요 시장 조사기관들은 이러닝 콘텐츠 시장의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15~20% 로 비교적 높게 전망해왔다. 그러나 2009년에 들어선 후 시장 조사기관들은 일제히 최근의 세계적 경기 침체를 반영하여 성장률을 폭 하향 수정하였다. 향후 2014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 9.1%는 이러한 세계적 경기 불황전망이 반영된 값이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전세계콘텐츠 5,111 7,125 10,227 12,898 16,027 17,160 18,620 20,544 22,255 24,263 26,482 9.1%

전체 12,687 17,234 23,026 29,471 35,990 38,936 42,822 47,940 53,018 58,960 65,551 11.0%

북미권콘텐츠 4,471 6,204 8,867 10,909 13,422 14,142 14,992 16,154 17,479 18,672 19,946 7.1%

전체 9,687 13,198 16,951 21,243 25,808 27,149 28,958 31,209 33,777 36,136 38,663 7.3%

유럽권콘텐츠 488 682 996 1,510 2,005 2,266 2,583 3,063 3,304 3,743 4,241 13.4%

전체 1,924 2,353 3,435 4,719 5,896 6,600 7,620 8,932 10,128 11,604 13,300 15.0%

일본콘텐츠 107 161 224 272 333 403 589 685 730 888 1,081 21.8%

전체 654 926 1,284 1,610 1,960 2,301 2,679 2,970 3,043 3,414 3,840 10.8%

중국콘텐츠 13 22 48 65 80 98 128 256 257 344 461 36.3%

전체 111 213 463 599 698 811 983 1,925 2,580 3,579 4,518 41.0%

아태권콘텐츠 32 56 92 142 187 251 328 386 485 615 753 24.6%

전체 311 544 893 1,300 1,628 2,075 2,582 2,904 3,490 4,227 5,231 20.3%

<표 2-1> 세계 이러닝 시장 권역별 규모 망

(단위 : 백만 달러)

주: 전체는 이러닝 콘텐츠, 서비스, 인프라의 시장규모를 모두 합산한 수치임, 본 보고서는 콘텐츠 시장만을 조사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본문에서 언급하는 이러닝 시장 규모는 이러닝 콘텐츠 시장 규모를 지칭함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2009년 북미권 이러닝 콘텐츠 시장은 전체시장의 약 82%를 차지하며 세계 이러닝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향후 타 권역의 성장률이 북미권의 성장률보다 더욱 높을 것으로 전망되어 2014년 북미권의 시장점유율은 상 적으로 낮아져 약 75%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권은 2009년~2014년 연평균 성장률 13.4%의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지속하여 2014년에는 세계 시장의 16%를 점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역별 시장 가운데 중국 지역은 이러닝에 한 국가적 관심과 이러닝 확 를 위한 기반 정비에 힘입어 성장에 탄력을 받아 2014년까지 36.3%의 고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아태권은 중국 시장 확 의 영향 및 AeU (Asia e-University) 등 이러닝 통합 움직임에 따라 24.6%라는 고도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

Page 2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8 한국콘텐츠진흥원

된다. 일본 지역의 경우 역시 동 기간 연평균 21.8%의 높은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콘텐츠 5,111 7,125 10,227 12,898 16,027 17,160 18,620 20,544 22,255 24,263 26,482 9.1%

인프라 2,056 2,437 3,053 3,836 4,638 5,055 5,474 6,119 6,831 7,669 8,831 11.8%

서비스 5,520 7,672 9,746 12,737 15,325 16,721 18,728 21,277 23,932 27,028 30,238 12.6%

합계 12,687 17,234 23,026 29,471 35,990 38,936 42,822 47,940 53,018 58,960 65,551 11.0%

<표 2-2> 세계 이러닝 시장 부문별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Page 3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9

제 2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 드

2009년 세계 이러닝 시장은 마켓플레이스의 도입, 웹 2.0을 반영한 이러닝 2.0의 진화, 각종 단말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제는 시장 형성 단계를 넘어서 안정화, 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기존 웹 2.0 기술을 단순 반영하는데 그치던 이러닝 2.0이 이제는 복합적인 기술을 반영하고, 이러닝 2.0 개념과 기술을 반영한 LMS가 개발되기 시작하는 등 보다 높은 교육 효과를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며 이러닝 2.0이 진화하기 시작한 것이 가장 눈에 띄는 트렌드이다.

진화한 이러닝 2.0 단계에서는 웹서비스 뿐 아니라 이러닝 솔루션에도 웹 2.0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닝 시장의 Key Player라 할 수 있는 솔루션 벤더들은 학습자에게 보다 풍부한 미디어 경험과 더 편리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닝 2.0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높은 교육효과를 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에는 어린이들의 집중도와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이러닝에 게임적인 요소를 도입한데 이어 성인층을 상으로도 게임적인 요소를 도입해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보다 실감나는 교재 제공을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5) 기술의 도입도 시도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이러닝이 2.0을 넘어서 3.0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2.0 개념이 기존 1.0의 단방향성 모델에서 양방향성에 주목한 모델을 도입했다고 한다면, 3.0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자생적이면서 파생적인 모델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2.0은 공급자 중심으로 형성되던 기존 Value Chain에 수요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형태의 발전 양상을 보였다면, 이러한 양방향성에 수요자 스스로에게 자율성을 부여해 스스로 콘텐츠를 선택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이를 3.0으로 진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3.0 모델의 등장에는 마켓플레이스의 확산과 WiFi, Bluetooth 등 side-loading의 보급에 따른 네트워크 이용료의 절감을 꼽을 수 있다. 마켓플레이스의 등장은 수요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이러닝 콘텐츠 공급자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Apple의 App Store 및 Google의 Android Market에 콘텐츠를 제공해 이용자들에게 폭넓은 선택권을 부여했으며, 나아가 스스로 오픈마켓 형태의 이러닝 사이트를 런칭하기 시작했다. 이러닝 수요자들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side-loading의 보급 확산에 따라 네트워크 이용료의 부담에서 해방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따라서 향후 이러닝 기술은 이러닝과 IT기술, 그리고 개인화 요소가 결합되는 형태로 발전해 갈 것으로 보인다. 단말기 측면에서는 PMP, PDA, IPTV, e-Book 등의 매체를 비롯해 신규 멀티미디어 단말을 통해 이러닝을 제공받는 방향으로 기술이 개발될 것이며,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유선 네트워크 이외에도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WiFi, 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WiMAX, LTE 등의 4G 네트워크 등이 복합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5) 증강현실(增强現實; Augmented Reality(AR)): 현실을 바탕으로 가상의 이미지나 정보를 덧씌우는(Overlay) 기술

Page 3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10 한국콘텐츠진흥원

또한 임베디드 요소 기술과 로봇 기술의 발전은 음성인식, 이러닝 에이전트, LBS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러닝에 접목되어 이러닝의 효과를 극 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2-1> 통신기술의 목에 따른 이러닝의 발 망

자료원: Ambient Insight, 2009.09

한편, 이용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수집해 이용하는 적극적인 활용 형태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이러닝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가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접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즉, 이러닝 콘텐츠와 오픈마켓의 killer App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e-Book의 결합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K-12 상의 이러닝 콘텐츠와 e-Book 형태로 제공되는 참고서가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해 이용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교육 콘텐츠를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하고, 공급자는 이용자가 원하면 즉시 답변을 제공하는 진정한 의미의 U-learning도 곧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이러닝 시장에서는 상호간에 높은 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는 콘텐츠 간의 결합에 따른 다양한 BM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이러닝 시장은 이러닝 사업자 및 이종 사업자간의 '협업'과 '연계' 움직임에 의해 서비스의 연동성을 더욱 유연하게 구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즉, 웹 2.0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진화하고 API 개방으로 네트워크 환경이 오픈화되어 가는 조류에 발맞춰 상호간 Mash-up이 이루어지는 이러닝 3.0이 일반화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Page 3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1

<그림 2-2> 이러닝 서비스의 진화 단계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세계 이러닝 시장의 트렌드를 시장의 각 부문 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솔루션 측면

가. 이러닝 2.0의 진화웹 2.0 기술을 반영한 ‘이러닝 2.0’ 서비스들은 기존 보유 콘텐츠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이러닝 1.0’과는

달리 콘텐츠 매시업(Mash-up)6)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고려하여 위키, 검색 기능, 블로깅, 팟캐스팅(Podcasting) 등의 활용이 확 되고 있어 ‘학습자의 참여’ 라는 요소가 이러닝 업계의 새로운 경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6) 매시업(Mash-up): 웹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보와 서비스를 서로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

는 것을 뜻함

Page 3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12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3> 이러닝 2.0의 에코시스템

자료원: Avanzo 홈페이지, 2009.11

‘이러닝 2.0’의 확산은 기존 이러닝 사업자와 구분되는 새로운 진영의 이러닝 시장 진입을 촉발하고 있다. Google이 Search, News, Blog, Calendar, Docs, Sketch UP 등의 기능을 묶어 ‘Google for Educators’라는 이름으로 교육용 플랫폼을 무료로 제공하는가 하면 Apple도 교육 목적의 팟캐스트를 무료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팟캐스팅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웹 2.0 기술을 가진 업체들의 이러닝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다.

1) Social Networking 이러닝, Collaboration-based 이러닝으로 발전

한 두 가지 웹기술이 아니라 여러 가지 웹 2.0 기술을 동시에 반영하며 이러닝의 효과를 극 화하려는 움직임이 최근 들어 확산되고 있다. ‘차세 교육’을 표방하며 학습자와 교육자 간의 SNS에 기반하여 2007년 서비스를 시작한 ‘Edu 2.0’ 서비스는 SNS 외에도 블로그, 위키, 위젯 등 다양한 웹 2.0 기술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가상 학교, 그룹, 개인간 네트워크 등의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고, 특히 영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등 10개 국어에 달하는 서비스를 통해 출시 2년 만에 26,000여 명의 회원 참여, 24,000 건 이상의 콘텐츠 확보, 3,000개 이상의 수업이 등록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일본의 SNS 기반 학습 사이트 Smart.fm7)은 원하는 언어의 예문을 스스로 구성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 입력’ 기능을 지원하여 눈길을 끌고 있다. 학습하고 싶은 단어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7) ‘iKnow에서 현재 Smart.fm으로 서비스명을 변경. http://smart.fm

Page 3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3

Smart.fm 사이트 내부 단어들과 Google API를 활용한 후보 단어 등 다양한 단어들이 검색되고, 이 중 학습자가 원하는 내용으로 예문을 구성하여 텍스트, mp3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콘텐츠 단위의 매시업이 아니라 콘텐츠를 스스로 매시업하여 학습할 수 있어 웹 2.0 기술을 새롭게 반영한 사례로 주목받으며, ‘소셜 네트워킹 이러닝(Social Networking eLearning)’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

이 서비스는 개인 페이지를 통해 일기장, 프로필 페이지, 메시징 등 SNS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지원할 뿐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메커니즘을 뇌과학, 심리과학 등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한 러닝 엔진을 바탕으로 학습 상황에 따라 난이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학습한 콘텐츠를 팟캐스팅할 수도 있고, 모바일 버전도 서비스하며 Flickr API를 활용, Flickr에 등록된 사진을 통해 어휘를 시각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다양한 웹 2.0 기술을 활용해 교육 효과를 높이고 있다.

특히 Smart.fm은 자사의 API를 공개해 다양한 사업자들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에 노력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iPhone이나 Twitter를 통해서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Digital Knowledge'가 제공하는 ‘Knowledge Classroom’은 기존의 소셜 네트워킹 이러닝의 범주를 뛰어넘는 학습 특화형 커뮤니티 러닝이라는 호평을 받고 있다. 이 서비스는 가상화된 교실 내에서 수강생 자신이 발표 및 토의를 진행하는 등 이러닝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상화 공간에서 상호간 교류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교습자와 학습자에 의한 1:1 지도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습자들끼리 얼굴을 맞 고 하는 커뮤니티를 통한 학습 방식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교습자는 가상 교실의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고 학생들은 돌아가면서 질문에 답하는 방법도 이용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서비스로 ‘WithUs’가 제공하는 ‘Net School'은 화상회의를 이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교류를 높여 상호간의 학습의지를 고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WithUs'는 'School City8)'라는 가상공간을 제공해 교과서 및 연습문제의 다운로드, 정기 테스트, 강의영상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학생들의 고민 상담, 도서관, 동아리 활동 등 실제로 학교와 같은 기능을 제공해 혼자 PC를 보면서 학습할 때 느낄 수 있는 나태함이나 단조로움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8) http://www.v-schoolcity.net/

Page 3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14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4> Net School의 수업 모습

자료원: WithUs 홈페이지, 2009.11

이처럼 소셜 네트워킹 이러닝은 다양한 형태의 지식 공유 방법을 활용하기에 이르렀다. 즉, Google을 위시해 최근의 Twitter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API를 공개하면서 이를 활용한 매시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웹 2.0의 확산에 따라 이러닝이 이메일, 채팅, 블로그, SNS 등을 활용한 소셜 네트워킹 이러닝으로 발전했다면, 이는 다시 각종 오픈 API를 활용함으로써 한층 더 폭넓고 다양한 기기들과 매시업되는 Collaboration-based 러닝으로 진화해 나가고 있다.

Page 3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5

<그림 2-5> Collaboration-based 러닝

자료원: Ambient Insight, 2009.09

2) 솔루션 벤더들의 주류로 자리잡은 이러닝 2.0 솔루션

이러닝 2.0 초기에는 웹 2.0 기술의 수용이 주로 웹 서비스들로 한정되었으나 2.0 트렌드의 발전과 더불어 이제는 메이저 솔루션 업체들의 이러닝 2.0 수용으로 확산되고 있다.

2000년 중반에 시작된 초기 이러닝 2.0은 기존 이러닝과 비교할 때 참여, 공유, 콘텐츠 오픈 등 다양한 확장성을 지니기는 했지만, 단순히 웹 2.0 기술 한 두 가지를 이러닝 웹서비스에 적용해 보는 단계에 그쳤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 적용 시도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이제는 최신 기술을 적용할 뿐 아니라, 다양한 웹 2.0 기술들을 함께 적용하여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기존 기술을 새로운 방향으로 응용하여 사용하는 등 웹 2.0 기술을 이러닝에 가장 적합하게 조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Blackboard가 2009년 1월에 공개한 ‘Blackboard NG(Next Generation) v9’은 AJAX9), DHTML10) 등 웹 2.0의 기반 기술인 RIA11) 기술을 수용해 나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UI 개선과 함께 매시업, 개인화 및 다른 Blackboard 이용자들과의 SNS도 지원해 나가고 있다. 특히 서비스 초기부터 개방성을 염두에 둔 설9) AJAX; Asynchronized Javascript And XML: Javascript를 활용, 서버와의 비동기적 통신을 통해 동적 페이지를 구성하는 기술

10) DHTML; Dynamic HTML: 정적 마크업 언어인 HTML과 클라이언트 기반 스크립트 언어, 스타일 정의 언어인 CSS를 조합하여

대화형 웹 사이트를 제작하는 기법

11) Rich Internet Application: Html 에서 구현하기 힘든 풍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 X-Internet이라고도 함

Page 3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16 한국콘텐츠진흥원

계를 통해 기존 학사행정 시스템들과의 연계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Adobe는 ‘Acrobat’, ‘Acrobat Connect’, ‘Adobe Presenter’ 등의 기능을 결합한 Adobe 이러닝

Suite를 제공하고 있다. Adobe는 최근 ‘Acrobat 9’ 발표와 함께 기존 전자 문서 역할만 하던 ‘Acrobat’ 라인업에 포트폴리오 기능과 플래시 기능의 결합, 실시간 공동 작업 지원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Flex와 AIR12) 등 RIA 언어를 통해 구성한 이러닝 2.0 솔루션 도입에도 앞장서고 있다.

Adobe 이러닝 Suite는 이러닝 전문가나 이러닝 콘텐츠 개발자들이 유무선 통신 및 인터넷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이러닝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이러닝 콘텐츠, 맞춤형 퀴즈, 상황별 트레이닝,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손쉽게 양방향 러닝 코스 개발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림 2-6> Adobe의 다양한 기능을 연계한 이러닝 Suite

자료원: Adobe 홈페이지, 2009.11

이러한 솔루션 벤더들의 이러닝 2.0 본격 도입은 Blackboard, Adobe 뿐만 아니라 SkillSoft, SumTotal, eCollege 등과 같은 모든 주요 벤더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학습자에게 보다 풍부한 미디어 경험과 더 편리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러닝 2.0의 진화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닝 2.0의 발전 동향은 점차 오픈소스 이러닝 애플리케이션 확산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이러닝 서비스의 대두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안이 이러닝 업계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로서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인 ‘Unisys’는 SaaS형 오픈마켓인 ‘Business Park'를 출시하고 교12) Adobe의 Rich Internet Application 언어. Flex는 브라우저 종속적인 반면 AIR는 브라우저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 제작 가능

Page 3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7

육 인재 육성 서비스인 ‘Manabito Park’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Business Park’는 SaaS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기업이나 이 서비스를 활용해 새로운 수익기반을 창출하려는 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SaaS 서비스의 검색, 연계, 이용, 개발, 판매, 운용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한다. ‘Manabito Park’는 ‘Business Park'의 이러닝 버전으로 ‘Unisys’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SaaS 벤더의 시스템 및 이러닝 콘텐츠 벤더의 이러닝 서비스를 탑재해 이용자를 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 2-7> Unisys의 클라우드 컴퓨 기반 이러닝 서비스 Manabito Park

자료원: JIBS, 2009.11,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또한 ‘WithUs’의 ‘School City’는 협업형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School City’는 자사의 Net School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른 이러닝 사업자가 제공하는 교육 코스도 개설해 제공하고 있으며, 외부 솔루션 사업자와 제휴해 가상 학습 공간을 마련했다.

‘WithUs'는 이러닝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플랫폼을 외부 이러닝 사업자에게도 제공하는 PaaS(Platform as a Service)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 하여 플랫폼 비즈니스를 추구하는 것은 물론, 향후에는 다양한 장르를 망라한 학습형 오픈마켓을 구축할 구상이다.

Page 3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1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8> School City의 Virtual 학습 공간

자료원: School City 홈페이지, 2009.11

한편, North Carolina 학의 이러닝 커뮤니티는 IBM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해 ‘Virtual computing lab'이라는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학생과 연구자들의 니즈를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제공하는 시도를 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2. 콘텐츠 측면

가. Simulation-based 러닝 및 Game-based 러닝보다 나은 이용자 경험 제공을 통한 사용자 기반 확 와 교육 효과 제고를 위해 이러닝에 새로운 기술

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을 끄는 것이 증강현실(AR) 기술 등을 활용해 이용자들에게 더욱 현실감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Simulation-based 러닝과 쉽게 이용자들에게 접근하여 학습 효과 향상을 꾀하는 Game-based 러닝이다.

Simulation-based 러닝은 아직 현실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 했지만 휴 폰 등에 널리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m-Learning의 확 에 중요한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 된다. 또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해 단순히 듣고, 보고, 배우는 단계를 넘어 실제 배움의 현장을 연출함으로써 이용자들의 학습을 돕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Game-based 러닝은 일반 학습 현장의 수업보다 이러닝에 한 접근성을 높이고 중도에 학습을

Page 4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9

포기하는 사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특히 이러닝의 경우 공부를 하다가 중도에 그만두는 중도포기율이 직접 면 수업보다 높은데 Game-based 러닝은 꾸준한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러닝 관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1)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도입 시도

증강현실(AR) 기반 이러닝이란, 학습교재를 사용하는 교실의 학습환경에서 부가적인 정보를 증강현실을 활용한 이러닝 시스템을 도입해 보여줌으로써 체험학습의 효과를 노리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시스템은 실감형 교재, 마커인식기, 콘텐츠 뷰어, 3D 콘텐츠 저작도구, 실감형 콘텐츠 저작도구, LMS, 이용자 인터페이스(UI)로 구성된다.

실감형 교재는 기존의 교재에 증강현실 기능을 수행할 마커를 부착해 3D 콘텐츠 및 이미지 등을 구현한다. 이용자는 PC 카메라 너머로 투영되는 실감형 교재를 이용해, 보다 현장감 있는 학습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러한 교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감형 콘텐츠 뷰어가 필요한데 뷰어에서는 3D 영상과 동영상, 오디오 등의 복합콘텐츠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용자의 학습활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학습 내용의 실시간 기록도 가능하다.

교재관리, 이용자의 학습관리, 실감형 콘텐츠 관리를 위한 LMS는 실감형 콘텐츠 제작시 마커정보, 3D 객체, 오디오, 비디오 정보를 XML로 구성해 기존의 LMS와 연동시킨다. 또한 마커정보와 이용자의 학습활동 정보를 분석해 LMS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수행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하다.

증강현실 기반 이러닝 시스템은 학습자가 흔히 접하는 실제 환경에 가상의 디지털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능동적인 학습활동과 학습과제의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아직 시험적으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단계에 머물고 있지만 향후 휴 폰에 널리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m-Learning에 접목될 수 있다는 기 감을 나타내고 있다.

2) 게임을 이용한 이러닝 학습효과 극대화

게임은 지속적인 흥미를 일으키는 다양한 요소를 가지고 있어 자발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을 유발하는 효율적인 e-learning 제공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 되고 있다. 즉 게임이 제공하는 재미와 실용적인 속성은 전통적 교육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에 한 선입관을 제거시켜, 학습에 한 높은 동기부여를 가능케 한다. 특히 게임을 통한 학습은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능력, 분석(analysis) 능력, 계획(planning) 능력의 제고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인 Gartner는 2011년에는 게임이 교육 솔루션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일본 iShare가 어학 학습을 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을 상으로 '어학학습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에 해 실시한 설문조사13)에 따르면, 영어 학습용 게임이 4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13) n=413, 중복응답

Page 4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20 한국콘텐츠진흥원

는 ‘실제 학원에서 회화강의를 수강함(41.9%)’보다 높은 수치였으며, ‘이러닝을 통한 학습(24.2%)’보다 두배나 높은 것이었다.

49.6%

41.9%

24.2%

23.2%

19.1%

18.4%

15.0%

8.9%

영어 학습용 게임

학원의 회화강의

이러닝

DVD

CD

가정교사

기타

<그림 2-9> 게임의 회화 학습 효과

자료원: iSahre, 2009.09

나. 메타버스(Metaverse)14)를 활용한 이러닝의 확산미국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 Linden Lab社는 3D 가상현실 서비스 Second Life를 운영하고 있다.

2003년 6월 개인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로 처음 문을 연 Second Life는 현재 약 15% 가량이 교육이나 연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하버드, 프린스턴, 인시아드 등 400개에 이르는 유명 학이 Second Life에 참여하고 있으며, 4,700 명 이상의 교육관계자와 함께 MBA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다.

Second Life와 같은 가상현실 서비스가 교육이나 연수 비즈니스의 플랫폼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시뮬레이션과 체험형 커뮤니케이션, Action Learning의 융합이 잘 조화되는 것에 기인한다. 즉, 저렴하게 시뮬레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손쉽게 현장감 있는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Second Life를 활용한 실례를 들어보자면, 일본의 벤처기업인 'VirtuoCity'가 운영하고 있는 영어회화 학원은 미국이나 호주에 거주하고 있는 강사가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Second Life 참가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수업 참가비는 'Passport course'의 경우, 60분 수업 1회에 1,500 엔에 제공된다. Oxford 학의 교재를 이용하는 'Oxford passport' 서비스의 경우, '비행기 내에서의 스튜어디스와 화 장면', '일류 레스토랑에서의 주문' 등 각 상황에 맞춰 연출된 다양한 시뮬레이션으로 구성된 3D 가상세계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14) Metaverse: 세계를 뜻하는 Universe와 가상 , 추상을 의미하는 Meta의 합성어. 즉 3D 가상세계를 뜻하며, 이를 구현한 대표적

인 서비스는 Linden Lab社의 3D 가상현실 인터넷 서비스인 Second Life임

Page 4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1

<그림 2-10> VirtuoCity의 비행기 내 어회화 수업

자료원: VirtuoCity 홈페이지, 2009.11

1) 경제블록 연계에 의한 가격파괴

교육 분야에서 가상현실 서비스가 주목을 받는 이유 중 하나는 경제블록을 쉽게 넘나드는 가격파괴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美 New York Times의 유명 컬럼리스트인 Thomas Freedman은 "지구는 평탄해지고 더욱 가까워지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 있던 콜센터를 비용절감을 위해 인도로 이관해 인도에서 미국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격파괴를 유발한다.

이와 유사한 현상이 Second Life와 같은 전 세계적인 규모로 전개되는 가상서비스 어학교육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예를 든 것처럼, 강사가 자국에 거주하면서 가상현실 서비스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으로 현실감 있는 교육을 제공함에 따라, 강사 입장에서는 이동 경비 등이 들지 않아 저렴한 요금에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수강자 입장에서도 저렴한 수강료로 원어민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가상현실 서비스가 교육, 연수 관련 산업에 적합한 이유로는 ▲아바타와 자아의 일체감에 의한 교육 효과 ▲온라인게임의 롤플레잉 기법의 응용으로 집중도 향상 ▲시뮬레이션 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표현법 등의 장점을 들 수 있다.

2) 가상현실 서비스를 활용한 교육 및 연수 서비스

가상현실 서비스 중에서도 기업 내 교육 및 연수 등에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며, Second Life를 통해서도 많은 기업들이 시험운용을 통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

IBM 같은 IT 업체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인 Wells Fargo, 완구업체인 MGA, 석유회사인 BP 등도 가상현실 서비스의 인트라넷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Intraverse 및 기업간의 인트라넷인 Extraverse를 통해 조직

Page 4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22 한국콘텐츠진흥원

및 물리적 거리를 초월한 교육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업명 활용내용 이용중인 서비스명

Progressive 보험(美) 세일즈, 서비스센터 등의 교육, 연수

ProtosphereJhonson&Jhonson(美)

Novartis(美)사원 교육, 연수

National Guard(美 병무국) 원격회의, 재해복구, 보안훈련 등 EM Nexus

IBM, Northrop Grumman(美) 원격회의, 교육, 연수, 상품개발 등 Second Life Greed

Hillton Hotel(美) 고객 대처 교육 Virtual Heroes

Alcoa(美) 사원교육 SafeDock

<표 2-3> Intraverse, Extraverse를 활용한 이러닝

자료원: NRI, 2009.5

3. 하드웨어 측면

가. e-Book 단말 및 e-Textbook 확산에 대한 이러닝 시장의 기대감 증폭전 세계적인 e-Book 열풍도 이러닝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 된다. Amazon Kindle에 이어 한 때 시

장에서 철수했던 Barnes & Noble도 Nook을 통해 e-Book 시장에 재진입하는 등 e-Book 단말이 활성화되고 그에 맞춰 오픈마켓을 출시하는 등 빠른 속도로 시장이 확 되고 있다. 이에 따라 e-Book 단말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이러닝 콘텐츠에 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Page 4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3

<그림 2-11> e-Book 확산에 따른 환경 변화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9.12

이러닝과 e-Book이 접목되면 이러닝 사업자, e-Book 단말 제조 및 유통사, 교육용 텍스트를 제공하는 콘텐츠 사업자, 네트워크를 공급하는 통신사업자 등 Value Chain을 형성하는 다양한 진영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즉 이러닝 사업자로서는 새로운 유통 방안을 모색할 수 있으며, e-Book 단말 제조사는 killer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신사업자 입장에서는 안정된 콘텐츠 수급과 충성도 높은 이용자층을 확보하여 지속적인 수익 기반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 입장에서 이러닝과 e-Book의 결합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교육 콘텐츠를 이용하고 교육에 한 의문사항이나 답을 즉시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문제풀이를 한 후 그에 한 채점을 요구하거나 틀린 문제에 한 해설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텍스트북의 크기로 제공되는 e-Book 단말은 m-Learning의 한계로 지적되던 작은 화면의 크기에 따른 제약을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이와 관련 Barnes & Noble은 Nook용 콘텐츠 제공을 위해 이러닝 업체 및 출판사와 협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이러닝과 e-Book의 결합 비즈니스 모델은 K-12에 한 교육열이 높은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확 될 것으로 예상된다15). 이러한 이러닝과 e-Book의 접목은 교실 수업에서의 e-Textbook 확산에도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15) 최근 국내에서는 이통사-도서 유통업체-출판사-eBook 단말이 연합된 형태의 BM이 모색되고 있음. KT와 교보문고, iriver가 연

계해 구상하고 있는 이북 수익모델에 교육사업자인 청담이 가세함

Page 4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24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m-Learning의 확산스마트폰 보급 확 , 블로깅 및 3차원 바코드, GPS 등의 모바일 기술이 일반화됨에 따라 기업, 교육기

관, 정부 등 다양한 분야에서 m-Learning을 통한 이러닝이 프로젝트 성격으로 진행되거나, 실제로 제공되고 있다.

m-Learning은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빠른 속도로 확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조사기관 Gartner는 북미, 서유럽,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스마트폰이 중화되어 2013년에는 전체 휴 폰의 60~80%를 스마트폰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m-Learning은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 확 와 함께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교육 콘텐츠를 입수하고 활용하는 형태로 보편화될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 휴 폰을 통한 m-Learning은 콘텐츠를 다운로드해 이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동통신 사업자 T-mobile은 m-Learning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이용자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적합한 서비스와 제품군을 마련하기 위한 케이스 스터디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 중 영국 Stockport 학과의 프로젝트는 주로 학교 외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많은 헤어드레서 강의 수강생 500여 명을 상으로 향상된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콘텐츠는 Stockport 학에서 제작하였고,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UI를 구성하기 위해 Manchester 학이 함께 리서치를 진행했으며, 네트워크는 T-mobile의 모바일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이동통신망과 VPN의 접속은 T-mobile의 ‘Office Link’ 솔루션을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단말기로는 T-mobile의 MDA Vario III가 활용되었는데, 특히 고사양 카메라 덕분에 헤어스타일을 사진으로 찍어 업로드 하는 기능이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프로젝트 진행 결과 학교 외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에게도 즉각적인 반응과 학생 개개인에 맞는 피드백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강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학생들도 많이 사용해 본 휴 전화 단말기를 사용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UI를 개발하여 기술 수용 속도가 느린 편인 헤어드레서 강의 수강생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었다. Stockport 학은 향후 직업 및 기능 교육 부문을 시작으로 유사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m-Learning 활용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

Page 4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5

<그림 2-12> Stockport 학과 T-mobile의 m-learning 로젝트 개념도

자료원: T-Mobile 발표자료,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01

한편, Nokia는 VOA, BBC, ETS 등의 영어 교육 콘텐츠 제공업체, Tencent, Sina와 같은 서비스 제공업체와 함께 중국에서 영어 교육 사이트 ‘Mobiledu’를 런칭하여 m-Learning 시장에 합류하였다.

<그림 2-13> 휴 폰을 통한 ‘Mobiledu’ 서비스 화면

자료원: mobiledu 홈페이지, 2009.01

단말기에 특화된 사례로서는 iPod와 iPhone을 활용한 사례들이 주목받고 있다. LMS 제공 업체 Studywiz가 14~19세를 상으로 설계한 ‘Studywiz Mobile’ 서비스는 이 중 표적인 예이다. Studywiz는 최근 호주 남부 지자체의 ‘21세기 평생교육을 위한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13개 학교에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예정되어 있다. ‘Studywiz Mobile’은 기본적인 게시판, 채팅 기능 외에도 RSS, SMS 등의 기능을 통해 m-Learning을 구현하며, iPod, iPhone, 넷북 등 휴 용 단말기에 최적화된 UI로 구성되었다.

그 밖에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달 모양과 별자리 등의 천체 정보, 수학 강의 및 연습문제 등 iPod Touch와 iPhone용으로 개발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특수 단말기 시장을 노린 표적인 m-learning 사례이다.

Page 4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26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14> Studywiz Mobile의 iPod/iPhone을 활용한 m-learning 애 리 이션

자료원: Studywiz 홈페이지, 2009.01

m-Learning은 화면이 작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만큼, 기존 이러닝과는 이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최적화된 이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UI 향상 리서치 및 연구에 많은 자원을 할애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UI 및 콘텐츠 설계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도 최적의 이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프로젝트를 통해 검증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이 제공하는 개인화된 경험과 실생활 맥락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려 높은 학습 효과를 노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완전히 개인화된, ‘1:1 교실’과 같은 가상 교육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등 m-Learning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기기, 통신, 콘텐츠, 솔루션 등 관련 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Page 4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북미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7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북미권 이러닝 시장 동향

1. 북미권 이러닝 시장  황 망

미국과 캐나다, 라틴 아메리카를 포함한 북미권의 이러닝 시장은 세계 이러닝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북미권 이러닝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8년 134억 2,200만 달러에서 2009년 141억 4,2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2009년~2014년까지 7.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199억 4,6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콘텐츠 4,471 6,204 8,867 10,909 13,422 14,142 14,992 16,154 17,479 18,672 19,946 7.1%

인프라 1,371 1,547 1,695 2,054 2,485 2,527 2,584 2,702 2,916 3,035 3,159 4.6%

서비스 3,845 5,447 6,389 8,280 9,901 10,480 11,382 12,353 13,382 14,429 15,558 8.2%

합계 9,687 13,198 16,951 21,243 25,808 27,149 28,958 31,209 33,777 36,136 38,663 7.3%

<표 3-1> 북미권 이러닝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2. 북미권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 드

가. 미국 이러닝 시장 트렌드미국 이러닝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이러닝 산업의 주요 구성 요소인 콘텐츠, 솔루션, 서비스 3 분야

가 조화롭게 발달하여 학습 인프라가 잘 조성되어 있으며, 교육기관들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 교육부는 지난 2009년 8월, 유치원, K-12, 학 교육, 평생 교육 등 전 교육 영역을 상으로 1996년부터 2008년 사이에 동일한 교육을 받은 99개의 비교 집단을 조사한 결과, 이러닝만 수강했거나 이러닝과 면 교육을 함께 한 쪽이 면 교육만 받은 집단보다 우수한 성적을 냈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비교 집단의 학습 능력을 분석한 결과 이러닝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평균은 59점으로 나타난 반면, 교실에서 일반 수업만 받은 학생들은 평균 50점을 기록했다.

美 Arizona大 온라인 캠퍼스의 Phillip 총장은 “온라인 교육이 지금 변곡점에 와있다. 머지않아 엄청난

Page 4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28 한국콘텐츠진흥원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하였다. 그는 “현재 Arizona州에서 이러닝과 일반 수업을 병행하는 학생들은 5,000명으로 추산되며, 향후 3∼5년 사이에 세 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이러닝은 SNS 같은 기술과 접목되어 학생들이 공유와 협업을 통해 서로 가르치고 도울 수 있게 진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새로운 접근법의 두초기 이러닝은 기존의 통신 교육 과정을 디지털로 만든 수준에 불과했으나 이제 실시간 메시지와 학생

들 간의 협력 툴, 웹 기반의 동영상을 통해 진화하고 있다. 즉, 교실에서 똑같은 내용을 배우는 신 수준에 맞는 수업을 들을 수 있고 수업 이해를 돕는 체험 학습(learning by doing)도 쉬워지고 있다.

Oracle은 미국 이러닝 시장에서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벤더로 평가받고 있는데, ‘iLearning’이라는 브랜드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능력을 갖추고 있을 뿐더러 학습자들은 이 서비스를 통해 자기주도(self-paced)학습, 계획 학습(Scheduled classes), 협동학습 등의 다양한 학습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은 물론 조직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이러닝이 확산되고 있는데, 벤더들은 이용자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고객 요구를 반영한 코스와 콘텐츠의 재편성에 발빠르게 응하고 있다. 이러닝 콘텐츠의 맞춤화를 통해 기업들은 자사의 LMS/LCMS에 이러닝 프로그램을 통합시킴으로서 콘텐츠 활용도의 극 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

Content Publisher-Tech Vendor-Training Service Suppliers-Content Provider 등 이러닝 Value Chain(가치 사슬)을 구성하는 개별 진영들간 제휴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는 상호간의 역량을 집결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휴를 통해 각 진영은 상품 구색을 다양화할 수 있고, 유통채널의 확 와 새로운 시장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높아진다.

이러닝 평가체제 마련에 한 논의미국의 경우, 이러닝 콘텐츠가 매우 다양하다는 장점도 있지만, 지나치게 방 하다 보니 체계적인 평가

양식이 미흡하다는 점이 반 로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닝 참여자들의 콘텐츠에 한 신뢰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닝 평가 방식에 한 논의가 새롭게 두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의 이러닝 평가 시스템 표준이 아직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의 성취도를 포함한 다양한 결과값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평가 과정에서 프로그램 핵심 관리자와의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평가 결과에 따른 프로그램 리더의 피드백이 중요하다는 점 등 세 가지 일반적인 평가 요소가 여러 전문가 집단에서 채택되고 있다.

미국 교육부는 이러한 평가 요소를 고려하여 이러닝 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 일곱 가지로 정리하여 제안하고 있다.

Page 5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북미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9

평가시 고려할 요소 세부 내용

1. 다양한 관계자들의 시각에 입각

− 학생과 교사 뿐 아니라 정책 입안자, 프로젝트 관리자 등 다양한 관계자의 시각에 입각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

− 다양한 관계자의 시각을 고려하여 다년간에 걸친 평가 계획을 고려하여야 함

2. 기존 평가 틀과의 연계

− 북미 이러닝 위원회(NACOL)의 National Standards of Quality for Online Courses, SREB(Southern Regional Education Board)의 Standards for Quality Online Courses 등 K-12 이러닝 교육 및 정책, 평가에 대한 틀이 제시되고 있음

− 다양한 평가 틀 및 사이트와 연계한 평가 모델 비교 분석이 권장됨

3. 다각적인 이러닝 콘텐츠 평가− 다양한 프로그램 요소, 사이트 이용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 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정보 등 콘텐츠 외에도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평가가 요구됨

4. 비교 그룹 찾기− 비교의 목적을 분명히 한 후, 타 콘텐츠와 비교하는 것도 평가의 한 방법으로 활

용될 수 있음

5. 충분한 자료 수집

− 특히 학생의 경험에 관한 정보 등의 자료 수집시 충분한 시간과 자금을 투입하여 학생들과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평가의 목적 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후 자료를 수집하여야 함

6. 프로그램 완성도 − 프로그램 완성도는 특히, 초기에 피드백을 통해 개선을 유도할 수 있음

7. 평가 결과를 실질적으로 반영− 평가 결과가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선으로 이어져야 함− 제언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끈기 있는 소통이 요구됨

<표 3-2> 이러닝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자료원: 미국 교육부, 2008.7

나. 캐나다 이러닝 시장 트렌드북미권 이러닝 시장 중 캐나다에서는 이러닝을 주도적으로 육성ㆍ지원할 공식 기관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기업들이 영세하다는 점, 중소기업에서 보편화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캐나다 이러닝 시장에서는 이러닝 산업 육성에 필요한 자금 지원이 활발하지 않아 자금을 확보하는 방안이 가장 큰 이슈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CoPE16)의 SOF 2008 컨퍼런스에서는 캐나다의 이러닝 자금 위원회 설립이 방안이 논의되었는데, 이에 따른 자금 확보 방안으로 다음 네 가지가 제시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기존의 연구 위원회나 이러닝 자문위원회를 통해 자금 지원을 받는 것이다. 이는 학문적인 연구를 장려하는 가장 쉽고 전통적인 방법이지만, 아직 실행된 적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 교육부를 통해 이러닝 연구를 위한 자금을 할당받고 행정적인 지원을 받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서 가장 큰 책임을 지니고, 자금력을 보유한 정부 기관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규모 연구를 지원해 본적이 아직 없고, 캐나다 교육 포탈 사업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 번째로는 캐나다 교육위원회를 통한 육성ㆍ지원이다. 캐나다 교육위원회는 연구 집행권한을 가지고 있고, 이러닝은 그 사업 주제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난 몇 년 동안 이러닝 연구 지원이 거의 없었고, 자금 지원이 계속될 지도 불명확하다는 것이다.

16) SFU's Community of Practice for Educators : 캐나다 SFU를 중심으로 이러닝 업계 종사자 등으로 구성된 단체

Page 5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30 한국콘텐츠진흥원

마지막 안으로는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공동 자금 지원을 받아, 지역의 이러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러닝 콘텐츠 및 지식 교류를 지원하는 새로운 조직을 설립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Page 5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유럽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31

제 2 유럽권 이러닝 시장 동향

1. 유럽권 이러닝 시장 황 망

유럽권은 각 국가별로 방법론적 차이와 투명성 부족으로 정확하게 전체적인 시장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자료를 근거로 산정해 본 유럽권 이러닝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8년 20억 500만 달러에서 2009년 22억 6,6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09년~2014년까지 13.4%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42억 4,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콘텐츠 488 682 996 1,510 2,005 2,266 2,583 3,063 3,304 3,743 4,241 13.4%

인프라 399 424 618 802 943 1,054 1,168 1,291 1,424 1,579 1,750 10.7%

서비스 1,037 1,247 1,821 2,407 2,948 3,280 3,869 4,578 5,400 6,282 7,308 17.4%

합계 1,924 2,353 3,435 4,719 5,896 6,600 7,620 8,932 10,128 11,604 13,300 15.0%

<표 3-3> 유럽권 이러닝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유럽 기업들은 이러닝을 높은 업무수행능력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으로 간주하여 기업의 이러닝 도입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소기업에서도 이러닝을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학습조직의 상설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체제로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기업시장은 지속적인 두 자리 수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이러닝 시장은 이러닝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 수준에 있어 미주 시장에 비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Blended Learning’에 있어서는 다양한 솔루션이 출시되어 있고 이에 한 고객의 수요도 높은 편이다.

영국, 프랑스,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벨기에, 네델란드 등이 현재 유럽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이러닝 수용도를 보이고 있다.

2. 유럽권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 드

유럽 이러닝 시장은 다양한 언어와 학습 문화적 요인들이 존재하는 지역적 특성이 성장의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영어가 공용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상황은 미국계 이러닝 기업들이 이 영역에서 경쟁 우위를 보이는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유럽 이러닝 시장에서는 이러닝의 비즈니스적 방법론 개선, 웹 2.0 기술을 적용한 이러닝 2.0의

Page 5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32 한국콘텐츠진흥원

두, Rapid 이러닝, 게임 기반 이러닝, 접근성을 확 시킨 솔루션 개발 등이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가. Agile 이러닝으로 진화하는 Rapid 이러닝Rapid 이러닝이란, 웹을 기반으로 3주 정도라는 짧은 기간에 총 제작 비용 10,000 달러 수준의 저렴한

비용으로 비교적 쉬운 기술을 사용해 해당 주제 전문가가 스스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기존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방식과 달리 제작 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문적인 컴퓨터 지식이 필요한 일반 이러닝 콘텐츠 제작에 비해 기술적인 지식이 크게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주제 전문가가 직접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이는 콘텐츠 내용의 질적 제고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수정 및 업데이트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구조화된 템플릿과 패턴 반복을 통해 디자인 관련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콘텐츠의 질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Rapid 이러닝은 주로 새로운 지식을 빠르게 전달해야 하는 분야에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구 분 Rapid 이러닝 일반 이러닝

제작 기간 - 3주 이내 - 3주 ~ 11주

제작비 - 총 제작비 10,000 달러 미만 - 시간당 5,000~30,000 달러 수준

사용 기술 - 특별한 지식 없이도 제작 가능 - 전문적 컴퓨터 지식 필요

디자인- 일정한 템플릿과 구조적 패턴 반복을 통해

디자인적 요소를 최소화- 백지상태에서 처음부터 디자인

<표 3-4> Rapid 이러닝과 일반 이러닝의 비교

자료원: Bersin & Associate

최근 유럽에서는 이미 2006년부터 시작된 Rapid 이러닝이 단순히 제작 기간의 단축과 저렴한 비용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가 집중 논의되고 있다. Rapid 이러닝만의 특징이 이러닝의 당초 목적인 교육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Rapid’의 수준에 한 완급 조절의 필요성이 두되면서 그 안으로 ‘비용 비 효율성’을 고려한 ‘Agile 이러닝’에 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Agile 이러닝은 Rapid 이러닝의 한계에 직면하여 ‘비용 비 효율성’을 고려한 개념이다. 컴퓨터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해당 분야 전문가가 직접 이러닝 콘텐츠를 제작할 때 나타나는 결과물의 완성도 저하 문제, 오히려 제작 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 콘텐츠 제작에 따른 과도한 시간 투여 등은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Agile 이러닝의 등장 배경이며, 관련 콘텐츠 제작을 컴퓨터 전문가가 담당토록 하여 비용 비 효율성을 제고하자는 것이 이 개념의 핵심이다.

Page 5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유럽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33

구 분 Rapid 이러닝 Agile 이러닝

제작 기간 - 매우 짧음 - 짧은 편 (Rapid 이러닝에 비해 길다)

비 용 - 저렴함 - 비용 대비 효율 높음

제작 주체 - 해당 분야 전문가 - 컴퓨터 전문가

결과물의 완성도 - 낮음 - 비교적 높음

<표 3-5> Rapid 이러닝과 Agile 이러닝의 비교

자료원: E-Learning Network Members’ Showcase 발표자료, 2008.7

이처럼 유럽 이러닝 시장에서는 Rapid 이러닝, Agile 이러닝 등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면서 제작 방식의 개선 및 콘텐츠 질 제고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전히 초기 형성단계에 머물고 있는 유럽 이러닝 시장의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한 시장 플레이어들의 참여를 유인하고 이용자들의 이용 증 를 이루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 된다.

나. 이러닝의 접근성 향상이러닝의 이용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편으로 협업, 개인화, 매시업 등 웹 2.0 기술을 이러닝에 접목시

킨 ‘이러닝 2.0’의 부상도 주요 화두 중 하나이다. 유럽의 표적인 이러닝 업체 Futuremedia가 ‘Bupa’17) 사업사를 위해 구축한 차세 이러닝 커뮤니티는 이용자별 개인화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위젯, 이용자 평가 등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여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이용자들이 쉽게 이러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이러닝도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더불어 유럽에서는 장애인 처우 개선에 한 관심이 관련 입법화로 제도화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듯 장애인들의 사회적, 교육적 접근성 확 를 위한 이러닝 활용방안에 한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는 이들 장애인을 위해 이러닝 솔루션을 이중으로 제작하는 번거로움과 시간 및 비용 상의 부담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템플릿이나 서버 기반 위저드 등 자동화된 솔루션이 개발되어 장애인들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 구축은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3. 유럽권 이러닝 정책 동향

EU를 비롯한 유럽의 각 정부는 국가별로 차이를 보이는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 모색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닝 관련 정책도 ‘Information Society for All’이라는 공통의 목적 달성에 주력하고 있다.

IT를 이용한 유럽 전체의 경제 성장을 목표로 EU에서 추진 중인 'e-Europe 계획'에 따르면 EU시민 중 약 8,000만 명 정도가 '저숙련 노동자'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EU는 노동자의 질적 향상을 위해 46개국, 6,000여개의 학, 약 3,200만 명의 학생을 상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 및 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추진하고 있다.

17) 글로벌 규모의 건강/보건관련 전문업체로 보험 등이 주력

Page 5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34 한국콘텐츠진흥원

프로그램명 주요 내용

소크라테스 프로그램

(Socrates Programme)

- 유럽연합 교육 실행계획의 근간(Backbone)

- 유럽 공동체의 교육개발, 상호 언어의 습득, 그리고 상호간 문화 교류를 촉진

- 1단계 프로그램이 1994년~1999년까지 시행되었고, 2000년~2006년까지 프로

그램의 2단계가 진행. 현재는 2007~2013년간 진행되는 Lifelong Learning

Programme이 후속 사업으로 진행 중

- 이 프로그램으로 유럽 각 국가의 교수 및 학생 교환 등과 같은 초국가적 교육의

교류 및 자국 및 외국에서의 원격 학습 개발을 가능해 짐

에라스무스 프로그램

(Erasmus Programme)

- 고등교육과 유럽국가간 학생들의 이동성에 초점

-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의 협력 및 학생들의 이동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

된 프로그램

- 교수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교육조직 및

교수간 주제별 협력망을 구축

- 2004년부터 2008년까지 4년간 총 2억 3천만 유로가 투입됨

- 특히 유럽 학점 교류 시스템 (European Credit Transfer System: ECTS)을 구축

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현 시점에서 가장 성공적인 프로그램으로 평가됨

그룬트비 프로그램

(Grundtvig Programme) - 성인교육의 향상과 대안교육의 촉진

링구아 프로그램

(Lingua Programme) - 유아교육에서부터 성인교육까지 유럽의 언어적 다양성을 육성

미네르바 프로그램

(Minerva Programme) - 원격교육 등 교육에서의 정보통신기술도입을 통한 유럽사회의 통합 촉진

레오나르도 다 빈치 프로그램

(Leonardo Da Vinci

Programme)

- 직업교육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 촉진

유스 프로그램

(Youth Programme)

- 유럽 청소년들 간 단체교류, 개별봉사활동 및 사회활동 등 유럽사회의 활발한

이동성을 기반으로 한 비정형적(non-formal) 교육프로그램 개발

<표 3-6> EU의 Education and Training 2010 로그램

자료원: Europe Information Society,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5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일본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35

제 3 일본 이러닝 시장 동향

1. 일본 이러닝 시장  황 망

일본의 이러닝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8년 3억 3,300만 달러에서 2009년 4억 3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09~2014년까지 21.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10억 8,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콘텐츠 107 161 224 272 333 403 589 685 730 888 1,081 21.8%

인프라 157 234 324 403 510 614 670 710 694 750 810 5.7%

서비스 390 531 736 935 1,117 1,284 1,420 1,575 1,619 1,776 1,949 8.7%

합계 654 926 1,284 1,610 1,960 2,301 2,679 2,970 3,043 3,414 3,840 10.8%

<표 3-7> 일본 이러닝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일본에서 이러닝은 기존 교육 체계의 취약점을 보완함은 물론 자국 내․외의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에 한 지속적인 정보 및 지식 습득에 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도입되었다. 과거에는 직원 교육을 목적으로 한 기업 및 학이 주요 고객이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사회 각계 각층으로 도입 분야가 확장되고 블랜디드 러닝, 시뮬레이션 교육 등 도입 수준 또한 심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고령화와 함께 평생교육 수요가 늘어나고, 이로 인해 이전부터 상 적으로 성장이 저조하던 개인 상 이러닝 시장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일본에서는 부분의 학점을 이러닝으로 취득할 수 있는 인터넷 학 및 학원이 다수 탄생하고 있으며, 학부 또는 학 전체 수준의 이러닝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사무 시스템과 이러닝 시스템을 연결하여 효율적인 교육 서비스 제공을 꾀하는 선진적인 학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반면, 일본의 이러닝은 아직 운용 체제 면에서는 유럽 및 미국과 비교해 부족한 점이 많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기업과 학 등 주요 이러닝 이용 조직의 조직 구조가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 전문 인력의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2. 일본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 드

일본 이러닝 시장은 기업과 학에서의 이러닝이 주도하고 있다. 특히 형성기를 지나 정착기에 접어든 기업 이러닝 도입의 확 및 응용 분야 확산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Page 5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36 한국콘텐츠진흥원

한편 일본의 이러닝에 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이러닝 컨소시엄(e-Learning Consortium; eLC)은 이러닝 보급을 위해서는 콘텐츠가 풍부해야 하고, 실제로 운영하기 위한 전문가가 충분히 많아야 하며, 특별한 기술 없이도 이용자들이 이러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쉬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 입각하여 일본 내 이러닝을 더욱 보급하기 위해 표준화와 함께 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가. 기업 이러닝 도입 분야의 확대일본 기업 이러닝은 시장 형성기를 지나 정착기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기업들이 이

러닝을 도입하는 분야가 점차 확 되고 있다. 일본 이러닝 백서에서는 이러닝 도입 분야를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각 부분의 정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그림 3-1> 상 난이도에 따른 이러닝 도입 분류

자료원: 2008/2009 일본 이러닝 백서

범용적 지식을 전달하는 이러닝 유형 (A 유형)은 가장 활용도가 높은 유형으로서, 일반적인 주제를 다루며 실행 난이도도 높지 않아 운영 관리가 패턴화 되어 있어 이러닝을 처음 도입하는 기업이 가장 먼저 도입하는 유형이다. 부분의 기업은 이 단계를 거친 후 각자의 목적에 따라 B, C, D 유형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직종별 교육의 보완 교재로 활용하는 이러닝 유형 (B 유형)은 계층별, 직종별 교육의 사전 학습이나 사후 학습, 혹은 문제를 통한 학습 내용 확인에 이러닝을 활용하는 것으로, 블렌디드 러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IT 기술자 등을 겨냥한 교육에서 이 유형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적 기능을 교육하는 OJT (On Job Training) 유형 (C 유형)은 아직은 사례가 많지 않으나, 베이비

Page 5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일본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37

붐 세 의 량 퇴직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 종전에는 OJT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여겨지던 전문 기능 교육이 이러닝을 통해 동영상으로 촬영해 둔 콘텐츠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원자력이나 중화학 업종 등에서 신입사원 교육 등에도 활용하고 있다.

경영 스킬을 향상하는 유형 (D 유형)은 사례들 중 가장 적고 활용도도 가장 낮은 유형이다. 간부 후보생 교육을 위한 경영 시뮬레이션 교재로 이러닝을 활용하는 사례 등이 미국이나 영국, 한국 등 글로벌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활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 기업들은 이러닝 도입 초기에는 주로 A 유형 한 가지만을 활용하는 경우가 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이러닝 도입 3년차 이상인 기업이 50% 이상으로 나타나며 만족도도 75% 이상으로 나타나는 등 이러닝의 효과에 한 인지도가 높아져 감에 따라 한 가지 이러닝 유형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A 유형으로부터 시작하여 B, C, D 유형으로 확 시키며 둘 이상의 유형을 함께 활용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이러닝 전략적 활용 4가지 분류’에 나타나는 것처럼 이러닝을 단순히 교육 시스템이 아니라 업무 시스템으로 응용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그림 3-2> 이러닝의 략 활용 분류

자료원: 2008/2009 일본 이러닝 백서

나. 이러닝 콘텐츠 저장소 구축일본에서는 이러닝 콘텐츠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2008년 4월 이러닝 콘텐츠 저장소 (Forum for

On-demand Lecture Circulation; FOLC)를 구축하고 테스트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FOLC는 78개 기업과 76개 학이 참여하여 1,000개 이상의 이러닝 강의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닝 콘텐츠 인증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인 ACPA와 결합한 다양한 콘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도 마련해 놓고 있다.

Page 5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3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3> FOLC와 ACPA를 통한 콘텐츠 검증 장 개념도

자료원: 2008 이러닝 국제 컨퍼런스 발표문, 2008.9

다. 표준화 시도이러닝 표준화는 LMS 이용자가 타 LMS용 콘텐츠를 통해서도 학습 진행 및 학습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입하는 것으로, 이러닝을 보다 널리 보급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러닝 운영자 및 학습자는 서로 다른 이러닝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게 되어 이러닝 보급에 큰 저해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러닝 컨소시엄(eLC)에서는 표준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항목 주요 내용

LMS인증

- LMS 인증은 각 LMS간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로 이러닝 컨소시엄 표준화

추진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실시

- 국제 표준인 SCORM 1.2 규격을 통해 인증하고 있으며, 규정된 테스트 항목에

합격하면 인증서를 발행하여 제품에 인증 마크를 부착

SCORM 평가사 (SCORM

assessor) 인증 제도

- 표준화추진위원회에서는 LMS 인증시 사용되는 국제표준인 SCORM 규격을

정확히 이해하고, 인증 받은 제품이 보급시 규격에 적합한지 체크하기 위한

SCORM 평가사를 육성하기 위한 SCORM 평가사 인증 제도를 시행

SCORM 인증 LMS/콘텐츠의

상호 호환성 실험

- 일본에서 인증한 LMS에서 SCORM 규격의 국제 표준 콘텐츠가 문제없이

동작하는지 확인

<표 3-8> eLC 표 화 추진 원회의 표 화 작업

자료원: 2008/2009 일본 이러닝 백서,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6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일본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39

3. 일본 이러닝 정책 동향

일본의 IT 산업을 주관하는 총무성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본격적 미래형 정보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정보통신정책인 u-Japan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중 ‘ICT 인재 육성 프로그램’ 을 통해 각급 학교 정보화 및 이러닝 인재 육성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2006년 7월의 ‘중점 계획-2006’의 연장선상으로 2008년 7월에 ‘ICT 국제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 2.0버전’이 새롭게 발표됐다. ‘ICT 국제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 2.0버전’은 2008년부터 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IT인력 양성 센터 설립, 기업, 학, 정부가 연계하여 학에서 실천적인 정보화 교육 시행, 각종 연구개발 프로젝트 확 , 인재 육성 플랫폼을 위한 이러닝 기반 기술 개발, 문부과학성과 협력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육성 프로그램’으로 각급 학교 정보화 인프라 정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Page 6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4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4 국 이러닝 시장 동향

1. 국 이러닝 시장 황 망

중국의 이러닝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8년 8,000만 달러에서 2009년 9,8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2009~2014년까지 36.3%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4억 6,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콘텐츠 13 22 48 65 80 98 128 256 257 344 461 36.3%

인프라 35 65 142 182 210 242 290 568 788 1,097 1,526 44.5%

서비스 63 126 273 352 408 471 565 1,101 1,535 2,138 2,531 40.0%

합계 111 213 463 599 698 811 983 1,925 2,580 3,579 4,518 41.0%

<표 3-9> 국 이러닝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2. 국 이러닝 시장의 주요 트 드

중국 시장조사기관인 iResearch에 따르면, 중국 이러닝 시장은 현재 성장 단계에서 성숙단계로의 이행기에 놓여있다. 2000년 들어선 이후 인터넷 인프라의 확산으로 온라인교육에 사회 전반의 인식이 성숙되고 규범화되어 가고 있으며 관련 법률도 완비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정책 수립과 자원분배 면에서는 아직도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다고 지적되고 있다.

이러닝 이용자 분포에 한 iResearch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과 고정 수입원이 있는 직장인들이 중국 이러닝 시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고등교육’과 ‘직업 및 자격증 시장’이 미래 중국 이러닝 시장의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서 자리매김할 전망이며 이들 시장의 상 적인 성숙도와 인프라의 완비 수준이 향후 중국 이러닝 시장의 발전을 결정하게 될 전망이다.

한편, iResearch는 중국 이러닝 시장이 1999년 도입된 이후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급격히 성장했지만, 온라인 학들이 수익만을 추구하다 보니 무분별하게 학생을 모집하고 시험 부정행위를 방조하는 등의 폐단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이러닝에 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겨났는데, 교육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부터 온라인 교육 행정 체계를 확립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지만 중들에게는 여전히 질 높은 교육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이러닝의 성장을 위해서는 중의 인식 문제가 반드시 선결되어야 할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Page 6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중국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41

뿐만 아니라 자원분배에 있어서 불균형 문제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경제가 발달한 지역은 많은 이러닝 자원의 결정권과 사용권을 가지고 있지만 경제가 발달하지 못한 지역은 그렇지 못한 상황이며 특히 일부 지역은 그 격차가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이러닝 자원의 중복 구축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3. 국 이러닝 정책 동향

중국에서는 68개의 현 원정학원( 학원격교육학원)이 서로 제휴하여 30,000개 과목 이상의 콘텐츠를 개발했으며, 2006년에 교육부가 국가 차원에서 750개 과목에 이르는 우수 콘텐츠를 선출하여 인터넷 상에서 무상 공개했다. 교육기초교육 콘텐츠, 학교육 콘텐츠 및 국가직업교육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 또한 만들어져, 이러닝 교육 콘텐츠 체계를 집약했다. 현재 중국 전역에 걸쳐 18개 학에 디지털 도서관이 만들어져 있다.

이러닝의 공공 서비스 시스템 (Public Service System of Distance Education; PSSDE)을 통해 중국 전역의 1,300개 이상의 교육 센터들을 서로 연계하여 학생 모집, 교육 과정 지원, 시험 관리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이러닝에 한 기업들의 무분별한 수익 추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러닝 관리체계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한편 온라인 학들이 지나치게 많아져 학생 모집에만 급급하다 생긴 교육 수준 저하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사이트와 인터넷 학교 관리 방법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동 법률은 중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 사이트와 온라인 학은 모두 교수진 현황 및 자금 현황 등을 교육부에 제출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4. 홍콩 이러닝 시장 황

홍콩은 중국의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특별 행정구로 지정되어 있고 고도의 자치권이 부여되어 중국과는 언어, 문화, 정책 등 여러 측면에서 독립적인 시장으로 간주되고 있다. 홍콩의 이러닝 시장 및 정책도 중국 본토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홍콩의 Open University of Hong Kong은 영국의 UK e-University를 벤치마킹해 2007년부터 이러닝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외에 도서관 데이터베이스 및 VOD도 구비하고 있다. 홍콩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도서관 (Hong Kong Resource Library)은 다양한 주제의 강의 자료 및 VOD, AOD, 신문 기사 뿐 아니라 고등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구비하고 있다. 홍콩 공립 도서관 (Hong Kong Public Libraries)은 주로 디지털콘텐츠를 중심으로 e-Book과 전자 문서 및 교육 입문서 등의 자료를 제공하며 멀티미디어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홍콩 라디오 방송 RTHK에서도 외국어, 문화, 예술, 과학, 철학, 역사, 신화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는 VOD 및 AOD 이러닝 채널을 마련, 제공하고 있다.

Page 6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4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5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1.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황 망

아태권 이러닝 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8년 1억 8,700만 달러에서 2009년 2억 5,1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09년~2014년까지 24.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7억 5,3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콘텐츠 32 56 92 142 187 251 328 386 485 615 753 24.6%

인프라 94 167 274 395 490 618 762 848 1,009 1,209 1,586 20.7%

서비스 185 321 527 763 951 1,206 1,492 1,670 1,996 2,402 2,892 19.1%

합계 311 544 893 1,300 1,628 2,075 2,582 2,904 3,490 4,227 5,231 20.3%

<표 3-10> 아태권 이러닝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GIA, 2008, ALIC, 2008/2009, iResearch, 2009, Ambient Insight, 2009

아태권 이러닝 시장은 아직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으로 글로벌 이러닝 벤더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장이다.

아태권은 호주와 싱가포르처럼 이러닝 보급 수준이 매우 높은 지역에서부터, 중국, 인도, 한국과 같이 글로벌 이러닝 벤더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국가와 아직은 이러닝 보급 수준이 상 적으로 열악한 여타의 국가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고 있다.

국가간 상이한 언어와 문화의 존재도 아태권의 이러닝 확산을 가로막는 중요한 요인이다. ‘Multi-Language Rapid Learning Design’ 모델의 개발과 ‘신속한 번역 프로세스 툴(tool)’이 이 지역 이러닝 프로그램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로 거론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 아시아․태평양권 각 국가별 이러닝 시장 황 망

가. 호주호주는 낮은 인구 밀도 등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수십 년 전부터 원거리 교육(Distance Education)이

발달되어 왔으며, 이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이러닝이 가장 활성화된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고등교육(Tertiary Education)과정이나 직업교육(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과정에서 특히 이러닝 수용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호주 내에서만 11개의 온라인 MBA과정이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Page 6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43

특히 빅토리아 주는 호주 전체 예산의 1/3을 집행하고, 학생 4명당 1 이상의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학교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등 인프라 보급률이 높아 이러닝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러닝 산업 측면에서 총 150개 기업과 약 1,500명의 직원들이 이러닝 관련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 기업들 중 각 분야별 기업 분포는 콘텐츠 분야 61%, 솔루션 분야 14%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러닝 콘텐츠와 솔루션 해외 수출 기업이 전체의 59%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해외 수출로 인한 수익이 아직은 크지 않은 수준이나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기 되고 있다. 해외 진출 기업들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닝 지원 정책호주 정부는 지난 2000년부터 직업교육 및 훈련 분야(VET 섹터)의 이러닝 도입 활성화를 위해 ‘the

Australian Flexible Learning Framework (Framework)’이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Framework 프로그램은 호주의 직업교육 및 훈련 시스템을 정보화 시 에 걸맞게 전환시켜 놓았을 뿐만 아니라 이러닝이 교육훈련 분야에서 확고히 자리잡을 수 있었던 기반을 형성해 주었다.

Framework 프로그램은 각 추진 단계별로 상이한 목표를 설정해 놓고 진행되어 왔는데, 우선 1단계(2000~2004년)에서는 이러닝의 잠재력을 널리 알리고 인식을 제고시키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고, 2단계(2005~2007년)에서는 정책적 관리 그룹인 청소년, 노년층, 장애인, 원주민 등을 상으로 이러닝 정책을 펼쳤으며, 3단계(2008~2010년)에서는 주요 이러닝 인프라의 구축과 이러닝 공급 및 수요 사이드에 한 본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개발 표준안 제시를 통한 이러닝 자원의 통합과 상호호환성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E-standards for Training’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E-standards Expert Group’을 운영하고 있으며 ‘E-standards’라는 이러닝 전문 포털이 운영되고 있다.

Page 6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44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4> 호주의 2008–2011 Framework Strategy 로그램

자료원: The Australian Flexible Learning Framework, 2008

나. 인도인도는 아태권에서 이러닝 시장 확산이 예상되는 표적 국가들 중 하나다. 높은 수준의 IT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높은 문맹률을 보이고 있는 인도는 그 만큼 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McGrawHill, SkillSoft와 같은 세계적 선도 기업들이 인도 이러닝 업체들과 제휴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Accenture, Element K와 같은 업체들도 인도 내에 자체적으로 개발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인도 학들은 중심으로 외국 학생 유치 및 강의 수준 향상을 위해 학 교육의 현 화라는 측면에서 이러닝에 접근하고 있다. 인도 공과 학(Indian Institutes of Technology)에서는 최신 기술을 채택하여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한 정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주도적으로 이러닝을 지원하고 있고, 학교 연합체에서도 위성을 통한 이러닝 프로젝트 EDUSAT, 인터넷 통한 이러닝 프로젝트 INFONET과 같은 이러닝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Page 6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45

1) 인도 이러닝 역외 아웃소싱18)의 성장

최근 인도 이러닝 시장의 괄목할만한 특징은 이러닝 역외 아웃소싱(Offshoring Outsourcing)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2009년 7월 아웃소싱 산업 전문 시장 조사기관 ValueNotes는 인도의 이러닝 역외 아웃소싱산업이 2008년 말 3억 4,100만 달러에 달했다고 보도하며, 2012년 말 6억 300만 달러까지 성장하여 향후 4년 동안 연평균 15% 의 견고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IT기술과 교육 콘텐츠의 발달에 발맞추어 기업과 교육기관 및 정부기관들은 이러닝 시스템에 교육과 훈련 예산 배분을 확 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단위 기관들이 각자 이러닝 시스템의 기획에서부터 콘텐츠 개발,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기에는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닝 시장은 기관별 자체 구축보다는 일찌감치 아웃소싱으로 발달해 왔다.

이러닝이 아웃소싱에 적합한 산업으로 점차 발전하면서 최근 IT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한 글로벌 아웃소싱의 기지인 인도가 역외 아웃소싱 시장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림 3-5> 인도와 경쟁 국가의 이러닝 역외 아웃소싱 산업의 경쟁우 비교

자료원: ValueNotes, 2009.7

2008년 말 약 3억 4,100만 달러를 기록한 인도의 이러닝 역외시장은 2012년까지 6억 300만 달러로 확 될 전망이다. 특히 2010년까지 세계 경기 전망이 불투명한 전반적인 감소세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2012년까지의 연평균(CAGR) 15% 의 성장률 전망이란 단히 놀라운 수치이다.

인도의 역외 아웃소싱 이러닝 산업이 발전하게 된 것에는 이미 형성되어 있던 IT 산업 등 인도의 역외 18) 이러닝 역외 아웃소싱(Offshoring Outsourcing)이란 인도 외 지역, 즉 이러닝 관련 서비스의 해외로의 수출을 의미함. 예를 들자

면 미국 내 기업에서 인도의 이러닝 시스템을 도입·학습하는 것임

Page 6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46 한국콘텐츠진흥원

아웃소싱에 관한 국제적 이미지가 큰 몫을 차지했다. 즉 이러닝 아웃소싱 부문에 있어서도 인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서 영어와 IT에 관해 숙련된 노동력과 낮은 가격으로 저비용의 아웃소싱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미지가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의 아웃소싱 산업은 써드 파티 개발 제공자와 역외 배급 담당 센터 그리고 아웃소싱 기획과 전략에 관한 컨설팅 회사의 3 부문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장에 진출한 주요 사업자들은 본래부터 이러닝 기업으로 출발한 이러닝 전문 기업에서부터 IT, BPO19), 퍼블리싱, 국내 소매 교육기업 등의 출신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인도의 아웃소싱 이러닝 시장에는 중견 기업급 이상의 사업자가 략 35개 정도 있으며, 1,000여 개 이상의 전문 소기업들과 10만 명 가량의 전문인력들이 활약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인도의 이러닝 분야 기업들은 글로벌 트렌드에 맞는 기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저 비용을 경쟁 요소로 하던 수준을 넘어 미국과 유럽의 최종 학습자의 수요를 이해하여 직접 이러닝 기획과 전략을 수립하는 수준에 올라섰다. 그리고 이러닝 관련 소규모 전문기업들은 모바일 러닝 등 전문 분야에서 각자 빠르게 포지셔닝하고 있는 중이다.

이와 같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 글로벌 시장에 나선 인도 이러닝 기업들은 전략적 변곡점에 서 있다. 전통적으로 인도 이러닝 기업들은 글로벌 이러닝 사업자들과 최종 이용자들을 위한 아웃소싱의 말단 부분 서비스에 집중해 왔으나, 이제는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언젠가는 넘어야 할, 현재 국제 표준을 주도하는 라이벌 사업자들과의 한판 승부를 벌일 때가 되었다. 어느덧 인도의 이러닝 기업들도 이머징 기술과 웹 2.0 애플리케이션과 하이테크 교육 환경론과 경제적 학습 툴을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2) 인도 이러닝 시장의 중장기 발전의 발판, ‘ICT 프로젝트’ 정책

인도의 이러닝 산업이 점점 더 탄력을 받으며 활황으로 나아가고 있는 데에는 정부의 교육정책에 힘입고 있는 바가 크다.

인도는 5~19세의 연령 그룹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국가로서 4억 5,000만 명에 이르는데, 이 중 2억 2,500만 명만이 정규 교육 시스템 내에 있고, 나머지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24세에 해당하는 그룹도 1억 1,300만 명인데 이들의 경우에도 단 12.4%만이 교육 제도의 혜택을 받고 있을 뿐이다.

19)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란,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 일부 또는 업무 전반에 걸쳐 위탁 수행하는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구매나 인사, CRM 및 R&D 업무를 전문 서비스 업체가(특히 IT 전문 기업) 수행해 주는 것을 뜻함

Page 6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47

연령 그룹 인구 수 학생 수 학생 비율(%)

5~14세 240,000 185,000 77.1%

15~19세 119,000 39,000 32.8%

20~24세 113,000 14,000 12.4%

합계 472,000 238,000 50.4%

<표 3-11> 인도의 연령 별 인구 수 학생 황

(단위: 천 명)

자료원 : Census, 인도 인력개발부(Ministry of HRD), Centrum Research 재인용

인도 정부는 5~19세의 연령 그룹만 하더라도 1억 명이 넘게 교육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타개하고자 2007 회계연도에 GDP 비 2.9%였던 교육 예산을 올해는 3.2% 인 300억 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제 11차 5개년 계획(2007~2012년) 기간 동안 교육 부문 지출을 두 배로 늘리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정부로부터 다양한 이러닝 방식의 교육 지원이 행해지고 있는데, 그 중 정부 주도하에 전국에 걸쳐 시행되고 있는 것이 ‘ICT@Schools programmes(일명 ICT 프로젝트)’이다. ICT 프로젝트는 중앙 정부가 펀드를 모아서 예산을 제공하고, 주(州) 정부가 교육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공급, 운영, 유지·보수 및 교사 교육과 IT 교육 등을 민간 교육 사업자에 위탁하여 이러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인도의 ICT 프로젝트 시장은 2008 회계연도에 6,0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예상되는데, 2012 회계연도에는 해당 학교가 지금의 약 35,000여 개에서 65,000개로 늘어나고 시장 규모는 4배 이상 불어난 2억 7,2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ICT 프로젝트로 인하여 최 수혜를 입은 이러닝 사업자는 Educomp, NIIT, Everonn, Compucom 등인데, 최근 중앙 정부는 초등, 중등학교 외에도 1,000개 이상의 산업 훈련기관과 학술 및 금융 관련 기관의 교육 시장에도 이러닝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Tata, Larsen & Toubro, Educomp, Wipro 등이 추가로 시장 확 의 혜택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이러닝 사업자 2008 회계연도 2009 회계연도 3/4분기

Educomp 6,004 9,970

NIIT 4,652 6,710

Everonn 3,164 4,442

Compucom 2,860 NA

<표 3-12> 이러닝 사업자별 ICT 서비스 제공 인 학교수

(단위 : 개)

자료원 : 각사, Centrum Research 재인용

Page 6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48 한국콘텐츠진흥원

3) 인도 이러닝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감과 벤처 캐피털의 이러닝 업계 투자 동향

인도의 지역적 특성이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은 이러닝 시장 성장 전망의 기본 바탕이다. 여기에 인도 정부가 추진하는 전국 단위의 교육 정책이 마련되면서 이러닝 시장은 성장 가도에 놓였는데, 이러한 상황은 인도 이러닝 업계와 벤처 캐피털 업계의 관계를 각별하게 만들어 주었다.

인도는 세계에서 7번째로 넓은 국토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교육 상 인력을 보유한 국가로서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IT인프라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이러닝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러닝 사업자가 정부 육성 정책에 맞추어 기술 개발, 콘텐츠의 디지털화, 외국 교육업체와의 협업이나 조인트 벤처 설립, 지역 시장으로의 침투 등을 발빠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신규 투자와 여유 자금이 필요하다. 한편 벤처 캐피털 업계에게 정부의 굳은 의지가 반영된 시장은 안정성과 수익성이 동시에 확보되는 최고의 투자처이다. 벤처 캐피털들은 인도 정부의 이러닝 교육 정책들과 예산안이 연이어 발표됨에 따라 점차 이러닝 업계를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년간 이러닝 업계와 벤처 캐피털 업계의 상호 이해관계가 맞닿으며 규모 투자들이 연이어 성사되었다.

순위 기업(부문) 투자가 투자규모 시기

1 Manipal Education(원거리 교육) IDFC PE, CapitalInternational 70 2006. 07

2 Excelsoft(이러닝) DE Shaw 31 2008. 04

3 Everonn(교육 전반) New Vernon, 기타 23 2008. 05

4 Adayana(이러닝) Kubera Partners 20 2007. 07

5 TutorVista(온라인 학습)Sequoia Capital India,

LightspeedVentures18 2008. 07

6 MT Educare(가정학습) Helix Investments 12 2007. 08

7 TutorVista(온라인 교습)Sequoia Capital India,

LightspeedVentures,SVB10.75 2006. 12

8 NIIT(교육) Intel Capital 10 2005. 01

9 Excelsoft(이러닝) Arohi Asset Management 9 2008. 09

10 Career Launcher(교육 전반) Gaja Capital 8 2007. 10

<표 3-13> 벤처 캐피털 사모 펀드의 인도 이러닝 련 기업 투자규모 순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 Venture Intelligence PE deal database, 스트라베이스 정리

2009년 직업 교육 전문 기업 Global Talent Tract에 한 Intel Capital의 투자가 이미 성사되었고, 그밖에도 계약 체결 단계에 와있는 몇 개의 건이 기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벤처 캐피털 업계는 지난 2009년 7월 발표된 인도 이러닝 업계의 역외 아웃소싱 시장 확 전망에 힘입어 한층 적극적인 투자 자세를 취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몇 년간 인도 이러닝 업계에 한 신뢰를 잃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Page 7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49

다. 싱가포르1) 이러닝 현황

싱가포르는 일본, 한국, 중국과 함께 아시아 국가 중 상당히 이러닝이 활성화된 국가로 알려져 있다. 싱가포르가 이러닝 분야에서 급속한 발전을 거듭할 수 있었던 데에는 높은 수준의 인프라, 정보통신부문의 발전, 국제화된 사회 환경, 지식 노동자들에 한 수요 증가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싱가포르가 ‘이러닝의 허브(Hub)’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싱가포르 정부의 강력한 추진 의지가 주요 배경이었다.

2) 이러닝 지원정책

싱가포르의 정보통신 개발청(IDA: The Infocomm Development Authority of Singapore)과 교육부(MOE: Ministry of Education)는 각각 iN2015와 IT 마스터 플랜을 통해 싱가포르 이러닝에 한 청사진과 구체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가) 정보통신 개발청의 iN2015iN2015는 지난 2006년 싱가포르 정보통신 개발청이 발표한 정보통신 발전을 위한 10개년 계획으로, 디

지털 미디어, 교육, 금융, 의료, 관광 등 11개 분야에 관한 발전 방안을 담고 있다. 이 중 교육부문의 경우 교육 정보화 추진을 위한 이러닝 지원 방안 및 전략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교육 및 학습분야의 iN2015는 혁신적 정보통신기술의 이용을 통해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 경험 촉진을 1차적 목표로 설정하고 개인화된 학습자 중심의 환경 조성, 학습 기반 시설 구축, 혁신 중심지로서의 입지 확립을 3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의 접근 가능성을 강조한 iACCESS, 쌍방향성을 강조한 iLEARN, 개인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강조한 iEXPERIENCE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EdVantage 프로그램을 로드맵의 기본으로 삼았다.

Page 7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50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3-6> iN2015 계획의 교육, 학습 부문 목표, 략, 로드맵

자료원: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 2008.11

나) IT 마스터 플랜 : 3차에 걸친 교육을 위한 IT 정책싱가포르 교육부가 주도하여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진행된 1차 마스터 플랜은 주로 IT 인프라 구축

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IT 인프라 구축에 성공한 싱가포르 교육부는 2003년부터 2008년까지의 2차 마스터 플랜 추진을 통해 본격적인 이러닝 서비스의 확산을 도모하였다.

구분 1차 IT 마스터 플랜 (1997~2002) 2차 IT 마스터 플랜 (2003~2008)

학생 - IT경험 확산, 관심도 증대

- IT가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확산

- IT 활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보다 적극적인 학습

활동 지원

교습자

- 모든 교습자가 연 30~50시간의 IT 핵심 기술

훈련 과정 수료

- 국가교육연구소에 초급 IT 연수 의무 과정 개설

- CD롬 기반 이러닝 콘텐츠 개발

- IT와 연계가 강화된 커리큘럼 구성

- IT 활용을 통한 전문성 확보와 개인 발전 지원

- 인터넷 기반 이러닝 콘텐츠 개발

인프라

- 모든 학교 인터넷 연결

- 프로젝터, 프린터 등 인프라 구축

- 교습자 2인당 노트북 1대 보급

- 초등학생 5인당 PC 1대 보급

- 모든 학교에 기술 지원 인력 제공

- IT 인프라 안정화

- 교실 내 IT 이용 효율화

- 학습 환경 개선 위한 학교 IT 활용 역량 및 자산

확보

<표 3-14> 싱가포르 1, 2차 IT마스터 랜 추진 결과

자료원: 싱가포르 교육부, 2008.11

싱가포르 교육부가 주관한 12년 간의 1차와 2차 마스터 플랜 시행을 통해 싱가포르 교육 현장의 IT 인

Page 7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51

프라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었고, 학생과 교습자의 IT 활용 능력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교습자간 IT 활용도 격차는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교육부와 각급 학교의 추진 정책상 편차를 조율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싱가포르 교육부는 지난 2008년 8월 3차 IT 마스터 플랜을 발표하였다.

3차 IT 마스터 플랜(2009~2014)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강화, 학생 각자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교육 제공, 각자 원하는 방향으로의 심화 학습 기회 제공, 장소의 제약 없는 학습 환경 제공이라는 네 가지 목표로 진행될 예정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강화를 위해 커리큘럼 디자인에 정보화 요소를 적극 도입할 예정이며, 교습자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개인별 성향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인프라 지원을 통해 언제 어디서건 교육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여 교육 정보화의 잠재력을 최 한 이끌어내겠다는 것이 이번 3차 IT 마스터플랜의 주요 전략내용이다.

ITMaster Plan 3rd

(2009~2014)

ITMaster Plan 3rd

(2009~2014)

학생 각각의 성향에 따른맞춤형 교육 제공

교습자가 원하는 방향의심화학습 기회 제공

장소의 제약이 없는학습 환경 조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강화 커리큘럼 계획 및 디자인 과정에 정보화 요소 통합, 정보화가 커리큘럼에 자연스럽게 융화되도록 조화

커리큘럼 계획 및 디자인 과정에 정보화 요소 통합, 정보화가 커리큘럼에 자연스럽게 융화되도록 조화

교습자의 PC 활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킴교습자의 PC 활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킴

우수 혁신 사례의 발굴, 공유를 장려우수 혁신 사례의 발굴, 공유를 장려

인프라 정비로 정보화의 잠재력을 최대한 도출인프라 정비로 정보화의 잠재력을 최대한 도출

추진 목표 전략적 방향성

ITMaster Plan 3rd

(2009~2014)

ITMaster Plan 3rd

(2009~2014)

학생 각각의 성향에 따른맞춤형 교육 제공

교습자가 원하는 방향의심화학습 기회 제공

장소의 제약이 없는학습 환경 조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강화 커리큘럼 계획 및 디자인 과정에 정보화 요소 통합, 정보화가 커리큘럼에 자연스럽게 융화되도록 조화

커리큘럼 계획 및 디자인 과정에 정보화 요소 통합, 정보화가 커리큘럼에 자연스럽게 융화되도록 조화

교습자의 PC 활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킴교습자의 PC 활용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킴

우수 혁신 사례의 발굴, 공유를 장려우수 혁신 사례의 발굴, 공유를 장려

인프라 정비로 정보화의 잠재력을 최대한 도출인프라 정비로 정보화의 잠재력을 최대한 도출

추진 목표 전략적 방향성

<그림 3-7> 싱가포르의 3차 IT 마스터 랜 (2009~2014)

자료원: 싱가포르 교육부,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싱가포르 이러닝은 교육부에서 주도하는 5년 단위 IT 마스터 플랜과 정보통신 개발청이 주도하는 10년 단위 iN2015가 표적인 이러닝 정책이라 할 수 있는데, 정책이 5년과 10년이라는 비교적 장기적인 시각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특히 iN2015는 "Singapore: An Intelligent Nation, A Global City, Powered By Infocomm" 을 목표로 하는 전자 정부 프로젝트의 교육 부문 하위 범주로 진행되는 것으로 다른 제도와의 강력한 연계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발표한 3차 IT 마스터 플랜의 경우 1차와 2차 IT 마스터 플랜을 통해 구축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개인의 자기주도적 학습, 개인별로 심화된 이러닝 제공을 목표로 할 뿐 아니라 시간과 공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러닝을 지향하여 넓은 범위의 수요자를 충분히 배려한 정책이다.

Page 7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52 한국콘텐츠진흥원

라. 대만만은 지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개년 간 총 1억 1,500만 달러의 예산을 투여하며 ‘이러닝 과학

기술계획(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rogram for e-Learning: ELNP)’을 추진하고 있다. 노동부, 교육부, 경제부, 문화부, 국방부, 농림부, 과학부 등 광범위한 정부부처의 참여하에 진행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이러닝 환경의 개선, 이러닝 산업의 규모의 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수요 창출, 글로벌 이러닝 시장에서 만의 기술 경쟁력 확보 등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ELNP는 만의 정보화 정책인 e-Taiwan의 일환으로, ‘모든 사람을 위한 이러닝(e-Learning for Everyone)’, ‘정보 격차의 극복(Narrowing Digital Divide)’, ‘모바일 러닝(Mobile Learning Devices and Applications)’, ‘이러닝 가상 사이언스 파크(Network Science Park for e-Learning)’, ‘선진적 이러닝 기술 R&D(R&D on Advanced e-Learning Technology)’, ‘이러닝을 통한 학습 및 인식의 기초 연구(Fundamental Research on Learning and Cognition for e-Learning)’, ‘정책지침 및 인재육성(Policy Guidance and Manpower Cultivation)’의 7개 세부 트랙으로 진행되었다.

2008년 1월부터는 ELNP가 ‘디지털 아카이브 프로그램(National Digital Archives Program: NDAP)’과 통합되어 ‘Taiwan e-Learning and Digital Archives Program (TELDAP)’으로 일원화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인적 자원의 질적 개발을 돕는 것을 목표로 교육부, 노동부, 중앙행정부, 문화위원회 등 4개 정부 단체가 주관하고, 그 외 부서들도 참여하는 凡정부적인 프로젝트이다.

Page 7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이러닝 시장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53

세부 과제 세부 과제 내용

ICT 기술 교육 프로그램 - 이러닝 전문가 양성

- 총 3회 시범 교육 워크샵

고등학교와 직업학교

이러닝 교육자료 개발

- 중국어, 수학, 생물학, 역사, 물리학 등 고등학교 강의 자료 600개 개발

- 교사들을 위한 E-teaching 자료 개발

- 자료 공유를 위한 저작권 문제 해결

고등교육을 위한

이러닝 교양지식 개발

- 시범 교육을 위한 워크샵 추진

- 60시간 분량의 교재 시범 제작

- 이러닝 웹사이트에 1000개 이상의 자료망 구축

디지털 아카이브 통합

- 1학년부터 9학년까지 이러닝 자료 통합

- 매년 500명 이상의 교사 참여 유도

- 이러닝 자료와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에 산업계 참여 유도

- 기업체, 정부, 학계, 교사 등 각계 각층 인사로 구성된 교육 프로젝트 팀 가동

기업 이러닝

- 컴퓨터 활용 능력 증진을 위한 단기 워크샵 실시

- 이러닝 웹사이트 개발

- 43 곳의 수료센터 설립

공무원 이러닝

- 이러닝 웹사이트 통합 계정 개발

- 포탈사이트 DB 및 하드웨어 재정비

- 공적 분야 이러닝 자료를 위한 입문서 개발

- 이러닝 교육 활용 관련 국제 세미나 연 2회 개최

문화예술 이러닝

- 대만 문화 교육을 위한 역사 및 지리 교육 자료 개발

- 전통문화, 예술, 문화자산에 흥미 증진

- 문헌학과 사전 자료 통합

<표 3-15> TELDAP의 이러닝 로젝트

자료원: 대만 TELDAP 사이트, 2008.11

마. 태국최근 태국의 이러닝 시장은 매년 25∼30%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태국 정부의 정

책에 힘입은 바 크다. 우선 태국 정부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과 차별을 없애고 지식정보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E-Education 마스터플랜 정책을 진행해 왔다. 특히 이미 2005년에는 태국 최북단에 위치한 Mae Hong Son지역에 WiMax 네트워크에 기반한 IT밸리를 구축하였으며, 2010년까지는 온라인 콘텐츠 개발, 선행적 이러닝 등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펼쳐나갈 전망이다.

이밖에 태국 고등교육위원회는 2005년부터 이러닝 커리큘럼을 인증하고 있으며, 이러닝을 통해 학사 및 석-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추진 중이다. 태국은 향후 3년간 40억 바트(약 1억 2,000만 달러)를 들여 태국의 각 학교를 50 GB 속도의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교육 네트워크 구축 계획도 세웠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존하는 태국 이러닝의 문제점으로 낮은 인프라 보급률과 교사 양성 문제, 태국어 콘텐츠 부족현상 등이 지적되고 있다. 방콕에서는 인프라 보급률이 비교적 높다고는 하지만, 수도 방콕을 벗어나면 네트워크 뿐 아니라 컴퓨터조차 제 로 보급되지 않아 이러닝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기존 이러닝 콘텐츠들은 부분 영어로 제공되는데, 부분의 태국 학생들은 영어보다 태국어 콘텐츠를 선호

Page 7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이러닝 시장 동향 및 전망

54 한국콘텐츠진흥원

하기 때문에 태국어 콘텐츠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바. 베트남베트남 이러닝 시장은 정부 정책과 기술적 발전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베트남 교

육부(MoET)는 교육 분야 전반에 걸쳐 IT기술 적용을 독려하고 있다. 베트남 이러닝 시장의 본격적 성장은 지난 2005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베트남 총리는 2005~2010년 원거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승인 결정을 공포하였으며, 그 후 2007년 4월에는 2010년까지의 베트남 디지털 콘텐츠 산업 발전에 한 프로그램 승인을 공표함으로써, 모든 학교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과 가상 실험 및 전자 수업 등이 권장되기 시작했다. 또한 기술적으로는 2006년부터 ADSL의 보급률이 높아진 것도 이러닝 시장 성장의 배경이 되고 있다.

이러닝에 관한 학술적 연구 및 개발은 베트남 학술 및 교육 네트워크(Vietnam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VinaREN)가 주로 맡아 진행하고 있는데, 트랜스-유라시아 정보 네트워크(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TEIN)의 자금 지원으로 두 기관이 서로 연결되어 콘텐츠 및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베트남 학술 및 교육 네트워크(VinaREN)는 Can Tho 학, VNU Hanoi 등과 함께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국내 및 해외 단체 간 비디오 컨퍼런스와 전자 도서관 프로젝트를 통해 이러닝의 기술적 기반 마련 및 서비스 확 를 주도하고 있다.

베트남 고등교육에서의 이러닝 동향으로는 2002년 시작된 VnDG (Vietnam Development Gateway) 웹사이트를 통해 2003년부터 가상 학인 VnDG 캠퍼스가 서비스되고 있는데, 2004년에는 현지화를 완료하고 LMS를 업그레이드한 이후 활용이 더욱 늘어 2008년 1,3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밖에 2009년 현재 베트남에서는 Hanoi Open University와 PTTT 등의 학이 학사 및 석사 과정의 원거리 교육에 이러닝을 적용하고 있어, 정규 고등교육 부문에서도 이러닝은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Page 7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CAREER EDUCATION CORPORATION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55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94년 CEO Gary E. McCullough

직원수 14,479명 홈페이지 http://www.careered.com

상장증시 NASDAQ 상장명 CECO

본사 주소 12895 Greenspoint Parkway, Suite 600, Hoffman Estates, Illinois 60195, USA

사업영역 교육

Financial Profile

단위: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6년 1,888 219 11.6%

2007년 1,747 133 7.6%

2008년 1,705 107 6.2%

제 4 장 주요 이러닝 기업 현황

제 1 CAREER EDUCATION CORPORATION

1. Company Profile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Career Education Corp.는 Colleges, Schools, Universities Group과 Online Education Group 등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CEC의 Colleges, Schools and Universities Group은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기술, 정보 기술, 경영학, 요리 및 보건 교육과 관련한 박사과정과 석사과정, 학부 과정, 연구 과정, 디플로마 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CEC는 Le Cordon Bleu Schools of North America를 비롯한 영국, 프랑스, UAE, 캐나다 등지에서 80여 개 이상의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CEC Online Education Group은 웹기반 가상 캠퍼스를 운영하며 정보기술, 경영학,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교육학 등의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경쟁사로는 Apollo Group, Devry, ITT Educational 등이다.

3. 최근 Company 이슈

오프라인 교육 서비스 전문 업체인 Career Education Corp.은 지난 2005년 온라인 요리 교육 전문 사이트인 Chefs.com과 디지털 콘텐츠 마켓 플레이스인 Blish.com의 런칭을 통해 온라인 교육 시장으로의 진입을 시작하고 2007년 4월에는 ‘Online Service Center’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온라인 서비스 체제를 갖추어 나가며, 개별 교육기관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2008년 2월부터 전사적인 조직 구조조정을 통해 조직 문화 개편 및 학습자에 중점을 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Page 7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이러닝 기업 현황

56 한국콘텐츠진흥원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73년 CEO Gregory W. Cappelli

직원수 44,222명(2008년 말) 홈페이지 http://www.apollogrp.edu/

상장증시 NYSE 상장명 APOL

본사 주소 4615 East Elwood Street Phoenix Arizona 85040 USA

사업영역 교육

Financial Profile

단위: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6년 2,478 696 28.1%

2007년 2,724 626 23.0%

2008년 3,141 750 23.9%

2009년 3,974 1,129 28.4%

제 2 Apollo Group, Inc.

1. Company Profile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Apollo Group은 직장인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표적인 교육서비스 업체로 the University of Phoenix, the Institut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s, the College for Financial Planning Institutes Corporation, Insight Schools Inc., Western International University 등의 교육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Apollo Group은 2007년 1월 Insight Schools 인수를 통해 온라인 고등학교(High School)를 운영하고 있다. Apollo Group 산하 교육기관인 Axia College에서 제공하고 있는 the Associate's degree program 과 the Doctoral degree program은 100%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Apollo Group은 지난 2007년 8월에 온․오프라인 교육사업의 영업력 강화를 위해 온라인 광고 업체인 Aptimus를 4,800만 달러에 인수했다.

2008년 Apollo Group은 캐나다에 직업 교육을 주로 하는 ‘Meritus University’ 설립을 발표하였으며, Mexico City의 Universidad Latinoamericana S.C.와의 제휴를 통해 멕시코 시장에 진출하는 등 적극적인 해외 진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Page 7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Blackboard Inc.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57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97년 CEO Matthew L. Pittinsky (Chairman)

Maichael L. Chasen (CEO)

직원수 890명 홈페이지 http://www.blackboard.com

상장증시 NASDAQ 상장명 BBBB

본사 주소 1899 L Street NW, Washington, DC 20036, USA

사업영역 교육, 출판, 미디어

주요 계열사 -

Financial Profile

단위: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6년 183 -12 -6.6%

2007년 239 20 8.4%

2008년 312 -1 -0.3%

제 3 Blackboard Inc.

1. Company Profile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현재 전세계 65개국 3,500여 기관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는 Blackboard는 지난 2006년 중반 경쟁 사업자인 WebCT 인수를 통해 이러닝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 Blackboard는 교육용 메시징 솔루션 사업자인 NTI Group 인수를 통해 사업영역과 고객확 를 추진하고 있으며 Sony Felica와의 제휴를 통해 Blackboard Commerce Suite에 비접촉식 지불결제카드 기능을 결합시키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이러닝 솔루션 시장에서 상당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Blackboard의 위협요인으로는 형 고객의 이러닝 핵심 역량의 내부화(in-house)와 오픈 소스의 등장 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양자 모두 규모의 경제를 구현하기가 쉽지 않고 수익성 여부도 불투명한 탓에 현실적으로 큰 위협요인이 되지 못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1년 단위의 가입료 기반(subscription base)을 주 수익모델로 하고 있는 Blackboard는 주문형(on-demand)수익모델을 가지고 있는 NTI Group의 인수를 계기로 수익모델의 다양화를 꾀하고 있다.

2008년 2월 호주 Mascot에 데이터 센터를 오픈하고, 4월에는 중등 교육 서비스 My Learning Plan과 제휴하여 서비스 호환성을 높였으며, 7월에는 Syracuse 학과 함께 'Blackboard' 환경과 오픈소스 LMS인 'Sakai'를 연계하는 서비스를 런칭하였다.

Page 7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이러닝 기업 현황

58 한국콘텐츠진흥원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97년 CEO Bobby Yazdani

직원수 577명 홈페이지 http://www.saba.com

상장증시 NASDAQ 상장명 SABA

본사 주소 2400 Bridge Parkway, Redwood Shores, California 94065-1166, USA

사업영역 교육, 출판, 미디어

주요 계열사 -

Financial Profile(5월 결산)

단위: 백만 달러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2007년 100 -7 -7.0%

2008년 108 -3 -2.8%

2009년 103 0 0%

제 4 SABA SOFTWARE INC.

1. Company Profile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Saba Software는 Human Capital Management Software 및 Solutions 전문 기업으로 미국을 비롯한 캐나다, 벨기에, 독일, 프랑스, 멕시코, 호주, 일본, 중국, 인도, 싱가포르 등에 거점을 확보하고 전 세계 2,000여 고객을 상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aba Software는 지난 2002년 NTT DATA 및 Itochu Techno-Science (CTC)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일본 이러닝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 뒤에 이어 2005년에는 인도에 지사 설립과 아울러 제 2개발 센터를 구축하였고 2007년 5월에는 인도 이러닝 기업 HCL Technologies와 인도 이러닝 시장에서의 조인트 사업 추진을 위해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기도 하였다.

Saba Software는 2005년 5월, 기업용 LMS사업자인 THINQ Learning Solutions와 2006년 2월, 온라인 학습/훈련 SW 및 서비스 사업자인 기업인 Centra Software의 인수를 계기로 명실상부한 이러닝 전문 업체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게 되었다.

Saba Software의 제품군은 크게 Saba HCM Suite와 Centra product suite로 구성되어 있으며 Saba HCM Suite는 Saba Enterprise Learning Suite, Saba Enterprise Performance Suite, Saba Talent Suit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Saba Learning Enterprise는 기업들이 지식과 임무목표를 설정하도록 해주고, 개인과 기관의 교육수요

Page 8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SABA SOFTWARE INC.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59

를 평가하고, online과 off-line learning 교재와 program을 선택, 구매 하는 동시에 개인 학습자의 진행 상태를 측정하고 기업전반의 learning initiatives와 process를 운영하는 개방된 인터넷 기반의 Learning Management System이다.

Saba Learning Provider는 내부, 외부의 learning 공급자가 세계각지의 기관들에 learning content를 online과 off-line으로 개발하고, 판매 및 공급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넷 기반의 learning network이다. Saba의 software를 통해 공급자들은 수요를 분석하고, 콘텐츠를 기관에 판매하고, 전자상거래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online learning의 보급, classroom의 운영, off-line learning의 공급과 그들의 사업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다양한 reporting capabilities의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 system은 등록, 교육관리, 교사지도, online 지식 전달 같은 교육자원을 운영하고 할당한다.

3. 최근 Company 이슈

Saba는 최근 세계적인 인터넷 기반의 B2B learning marketplace로 Saba Learning Exchange를 선보였다. 이는 기업, 정부, learning provider들이 learning 강좌를 사고 팔 수 있게 해주며, learning community안에 통합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이 상품은 종합적인 검색 능력을 포함하고 있고, 보안 암호를 통해 private learning network에 접근하게 하고, 화방이나, 토론 그룹, 전자상거래 기능 등을 제공한다. Saba는 또한 총괄적인 운영 상담을 제공하고, 사업진행의 프로세스 분석, 기술 이행 컨설팅, 교육과 서비스를 지원해준다.

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Saba는 SMGnet, DigitalThink, Cognitive Arts, SkillSoft, Provant, Headlight.com, TrainingNet, Catapult, TEC 등과 제휴를 통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2008년 3월 발표한 ‘Saba Centra 7.6’버전을 바탕으로 North Carolina 학 등 학 및 기업 이러닝 분야로 입지를 넓히고 있으며, 10월에는 기업 상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 ‘Saba Social’을 발표하고, 11월에 Hewlett-Packard社와 제휴를 통해 해외 진출을 확 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Page 8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이러닝 관련 주요 컨퍼런스

60 한국콘텐츠진흥원

개최장소 미국 산호세 개최시기 2009.11.10 ~ 11.13

주관 eLearningGuild

행사규모 Guild 관련아 등 1,346명 참관

참여업체 eLearningGuild에 참여하고 있는 단체 및 개인

행사목적 이러닝 관련 트렌드 등 논의

주요특징 이러닝 업계 종사자들의 최대 규모 커뮤니티 eLearningGuild가 주최하는 컨퍼런스

제 5 장 이러닝 관련 주요 컨퍼런스

제 1 DevLearn 2009

1. 개요

2. 2009년 행사 내용

‘DevLearn’은 이러닝 업계 종사자들의 최 규모 커뮤니티 eLearningGuild가 주최하는 컨퍼런스이다. 매년 기술적 이슈를 포함해 이러닝과 관련된 거의 모든 이슈를 다루며 개최된다. DevLearn 2009의 세션은 140개 이상의 이러닝 활동에 한 견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었으며, 게임을 통한 이러닝을 다루는 ‘Serious Games Zone’, Adobe 제품군을 활용한 이러닝 사례, 그리고 ‘Adobe Learning Summit’등 다양한 세션이 진행되었다.

특히 DevLearn 2009에서 Gamelab의 Co-Founder이자 Chief Design Officer인 Eric Zimmerman은 미디어의 본질은 사회적 작용과 상호간의 연계이며, 게임 기반 이러닝은 이러한 미디어의 본질에 근거한 교육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게임은 규칙과 놀이, 시스템, 그리고 의미있는 학습 방법에 한 경험을 설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이러닝과 게임을 연계하면 더욱 높은 이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Page 8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eLearning Network Members' Showcase 2009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61

개최장소 영국 런던 개최시기 2009.7.10

주관 eLearning Network

행사규모 eLearning Network Member 및 통신, 금융, 유통 사업자 등이 참여

참여업체 eLearning Network Members

행사목적 이러닝의 주요 트렌드 및 방향성 논의

주요특징 유럽 이러닝 업체와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이러닝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논의

제 2 eLearning Network Members' Showcase 2009

1. 개요

2. 2009년 행사 내용

‘eLearning Network Members' Showcase 2009’에서는 이러닝 사업자들의 제품 개발의 방향성, 향후 전망, 이러닝의 비즈니스적 방법론 개선, 웹 2.0 기술을 적용한 이러닝 2.0의 두, Rapid 이러닝, 게임 기반 이러닝, 접근성을 확 시킨 솔루션 개발 등이 주요 이슈로 거론됐다. 특히, 이러닝 관련 사업자들은 Collaboration 이러닝에 해 높은 관심을 표명했다.

Kineo의 Stuwart Chadwick은 통신사업자 O2, Vodafone, Cable & Wireless, 패스트푸드 사업자 McDonald, 글로벌 컨설팅펌 Deloitte 및 글로벌 투자은행 HSBC 등과 함께 신속한 학습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션을 진행했으며, 이번 컨퍼런스의 주요 테마 중 하나인 Collaboration Learning의 사례로 BAT & Virgin과 함께 광고 기반 Learning 사례도 제시했다.

Edvantage 그룹의 Carole Bower 또한 솔루션 개발 측면의 Collaboration 이러닝을 테마로 강연을 했다. Carole Brower는 Collaboration 이러닝의 초점을 '단순한 협력'이 아니라 고객과의 학습 솔루션을 찾기 위한 협업 툴이라고 강조했다. 즉, 전통적인 이러닝의 접근 방식이 각각의 이러닝 솔루션을 개별적으로 개발했다면, 향후 Collaboration 이러닝 솔루션은 고객이 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주요 이해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여해 Wireframes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Carole Brower는 이렇게 연계되어 개발된 이러닝 솔루션은 전통적인 이러닝 개발 비용보다 약 30%의 비용 효율을 보인다고 밝혔다.

Page 8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이러닝 관련 주요 컨퍼런스

62 한국콘텐츠진흥원

개최장소 일본 동경 개최시기 2009.8.5 ~ 8.7

주관 일본 이러닝 컨소시엄(eLC)

행사규모 14,956명의 관람객 참관

참여업체 일본의 이러닝 관련 업체 및 대학 등의 교육기관

행사목적 이러닝의 도입, 보급, 전개를 목적으로 하며 연 2회 개최

주요특징 1997년부터 개최된 일본 최대 규모 이러닝 행사

제 3 e-Learning World 2009

1. 개요

2. 2009년 행사 내용

‘e-Learning World 2009’ 행사는 크게 기업 존, 하이 에듀케이션 존, 개인 능력 개발 존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러닝과 관련된 제품, 시스템, 컨설팅, 콘텐츠 및 서비스 등이 소개되었다. 특히, e-Learning World 2009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SaaS, SNS, Collaboration 이러닝, 모바일 이러닝, 게임 기반 이러닝 등에

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총 3일 동안 개최된 e-Learning World 2009에서는 첫째날 일본 e-Learning 상을 수상한 업체들의

세션이 마련되어 각 수상 업체들이 자사 제품의 특징 등에 해 설명했다. 이어서 둘째 날에는 학 교육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에 한 논의가 열렸는데, 세션별로 ‘UI와 시스템의

연계’, ‘이러닝의 지식 메니지먼트’, ‘소셜 네트워크를 지향적인 차세 이러닝 기반의 개발’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마지막 날에는 이러닝 관련 사업자들이 각각의 입장에 따른 이러닝 산업의 현황에 해 발표한 후, 내장객들과 함께 토론의 장이 마련되어 열띤 논의가 벌어졌다.

Page 8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e-Learning Forum 2009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63

개최장소 UAE 두바이 개최시기 2009.1.26 ~ 1.29

주관 UAE 정부

행사규모 -

참여업체 중동 지역 정부 기관 및 단체

행사목적 중동 지역의 이러닝 도입 촉진

주요특징 2008년부터 UAE 정부 주도의 중동지역 이러닝 행사

제 4 e-Learning Forum 2009

1. 개요

2. 2009년 행사 내용

‘e-Learning Forum 2009’는 2008년에 이어 중동지역에서 두 번째로 열린 이러닝 관련 행사이다. 특히 전자정부 프로젝트와 함께 강력한 이러닝 육성 정책을 통해 최근 공급 측면이 급성장하고 있는 두바이를 중심으로, 이러닝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중동 지역의 이러닝 도입 촉진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어서 이러닝 관련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다.

2009년 1월에 개최된 제 2회 e-Learning Forum에서는 중동 지역의 e-Learning 발전을 위해 전문가, 실무자, 연구자 및 교육자들이 참석해 전세계 e-Learning 트렌드와 향후 전망에 해 논의를 펼쳤다. 또한 ‘e-Learning 시스템 개발 및 구현’, ‘전 세계 트렌드에 따라 중동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한 e-Learning 기반 확립’ 등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한 주된 논의가 벌어졌다.

Page 8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이러닝 관련 주요 컨퍼런스

64 한국콘텐츠진흥원

개최장소 세네갈 Dakar 개최시기 2009.5.27 ~ 5.29

주관 Pan-Africa Conference

행사규모 83개 국가, 1,350명의 참가 인원

참여업체 Microsoft, HP, Cisco, Oracle 등

행사목적 아프리카 지역의 이러닝 도입 및 확산 촉진

주요특징 2006년부터 개최된 아프라카 지역 최대의 이러닝 이벤트

제 5 eLearning Africa 2009

1. 개요

2. 2009년 행사 내용

‘eLearning Africa’는 아프리카 지역 이러닝 현황을 알아볼 수 있는 행사로, 2006년부터 시작되어 2009년 제 4회째를 맞이하였다. 최근 정보통신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고, 교육 수준 향상에 한 문제가 지속적인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어 이러닝 시장의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는 아프리카 이러닝 시장에 한 관심으로 Microsoft와 HP, ORACLE 등 기업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며, 각국 교육부 등 각국 관련 부처와 NGO 및 국제개발기구들의 에이전시의 참여도 눈에 띈다.

eLearning Africa 2009에서는 1. eLearning 학습 및 교육학, 2. eLearning 시스템 설계, 3. eLearning 분야 전략, 4. eLearning 인프라 및 공급을 위한 솔루션, 5. 학습 능력 개발, 6. eLearning 콘텐츠 개발 및 제공, 7. 기본적인 연구 및 모니터링과 평가 방법, 8.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eLearning 전략, 9. eLearning 발전을 위한 자원 조달 및 파트너십, 10. 정책과 기획 등 10개의 주요 테마를 설정하고 그에

한 논의를 벌였다. ‘eLearning Africa 2009’는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유럽, 북미, 아시아의 83개국으로부터 1,350명 이상이

방문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프리카 각국의 이러닝 활성화 정책 및 이러닝 현황 뿐 아니라 이러닝 산업 발전 로드맵이 발표되는 등 아프리카 이러닝 시장에 한 높은 기 를 보여주었다.

Page 8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65

【 참 고 자 료 】< 국내자료>

1. 문형돈(2004), IT 신성성장동력 Brief 디지털콘텐츠, IITA2. 박홍균(2005), u러닝을 향한 이러닝 발전 방향, 교육R&D센터3. 산업자원부․한국전자거래진흥원․한국U러닝연합회(2006), 2005-2006 이러닝 백서, 한국U러닝연합회4. 산업자원부(2006), 이러닝 산업 발전 기본계획5. 산업자원부(2007), 차세 이러닝 기술동향 및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6. 얀 파블로프스키 지음/윤여덕․김호균 옮김(2005), 뉴패러다임 e-러닝, 한독산학협동단지7. 오병운(2005), 중국 E-Learning 현황, KETI, 2005.108. 유지연(2005),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 제 13호권 16호, 정보통신

진흥연구원.9. 정보통신부(2005), IT839 전략기술개발 Master Plan, 정보통신부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 2005년 e-러닝 정책 포럼(제17회) 자료집, 2005. 8. 211. 스트라베이스(2009), m-Learning, ‘1:1 가상교실’의 가능성을 제시하다12. 스트라베이스(2009), 2010년 e-Book/e-Reader 시장의 기술 및 경쟁환경 변화 전망

< 해외자료>

1. AEN(2006), Survey Research on e-Learning in Asian Countries-Fiscal Year 20052. ALIC(2005), 日本eラーニング白書 2005/20063. ALIC(2006), 日本eラーニング白書 2006/20074. ALIC(2007), 日本eラーニング白書 2007/20085. ALIC(2008). 日本eラーニング白書 2008/20096. Allan, Barbara(2002), E-learning and teach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London: Facet

Publishing7. Ambient Insight(2007), Learning Technology Reserch Taxonomy, July 20078. Ambient Insight(2008), Learning Technology Reserch Taxonomy, October 20089. Ambient Insight(2009), Learning Technology Reserch Taxonomy, September 200910. ASTD(2007), 2006 State of the Industry Report11. Bersin & Asso(2006), 2005 e-Learning Research Year in Review12. CCW research(2006), 中国计k机世界13. Charu Shankar(2007), Rise in webinars among e-learning trends, in Canadian HR Reporter 2006. 9.

Page 8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66 한국콘텐츠진흥원

2514. Chinalabs(2007), 国内网络远程教育的特点15. 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2007), Study of the e-learning suppliers' market in Europe16. Darien Rossiter(2007), Next Generation e-Learning, Griffith University.17. DCAJ(2007), デジタルコンテンツ白書 200718. DCAJ(2009), デジタルコンテンツ白書 200919. Dentsu(2009), 情報メディア白書200920. DevLearn(2009), Conference, 2009.1021. EDU e-learn(2007), Future analysis of the e-learning supply sector22. Eduventures(2007), K-12 Solutions Research Program23. Eduventures(2007), Online Distance Education Market Update: A Nascent Market Begins to Mature24. e-learning consortium Japan(2009), 2008/2009 e-learning white paper25. Frost & Sullivan(2006), U.S. E-Learning System Market26. Gerri Sinclair, Milton McClaren & Michael J. Griffin(2007), E-Learning and Beyond.27. Global Industry Analysts(2007), e-Learning :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 2007.628. Global Industry Analysts(2008), e-Learning :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 2008.529. Hezel Associates(2006), Global E-Learning Opportunity for U.S. Higher Education30. iResearch(2006), China Online Education Research Report 200631. iResearch(2007), China Online Education Research Report 200732. iResearch(2008), China Online Education Research Report 200833. Laura Overton(2006), Linking learning to business34. Learning Circuits(2005), E-Learning Trends 200435. NMC: The New Media Consortium(2005), THE HORIZON REPORT36. NRI(2004). Japan's IT Market: Racing Towards the Second Phase of Growth37. PEW INTERNET(2005),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TECT, 2005.838. Phill Green(2006), 2006 e-learning awards, in E.learning Age, 2006,1039. Sam S. Adkin(2003), The 2002-2010 U.S. Market for Mobile E-Learning.40. Sloan Consortium(2005), Entering the Mainstream The Quality and Extent of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41. Sloan Consortium(2006), Making the Grade-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06, 2006.1142. THE ELEARNING GUILD(2005), Current trends in e-Learning Research Report, 2005.543. U.S DEPARTMENT OF EDUCATION(2005), Toward A New Golden Age In American Education, 2005.144. 中華人民共和國敎育部(2006), 中國網絡敎育, 中國敎育和科硏計k機網45. 通信信息报(2007), 网络教育调查46. インプレス(2006), インターネット白書 200647. インプレス(2007), インターネット白書 2007

Page 8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67

< 인터넷 사이트 >

1. ABC ACADEMY / DANISH PROBE A/S, http://www.danishprobe.com2. ADL: Advanced Distributed Learning, http://www.adlnet.org3. AEC Edutech, http://www.aec-edutech.com/4. Alexa, http://www.alexa.com5. ALIC: Advanced Learning Infrastructure Consortium, http://www.alic.gr.jp6. Ambient insight, http://www.ambientinsight.com/7. Blackboard, Inc., http://www.blackboard.com8.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www.bls.gov9. Career Education Corporation, http://www.careered.com/10. Catalyst Interactive, http://www.catalystinteractive.com.au/default.htm11. Celemi Inc., http://www.celemi.com/index.php12. CETIS, http://www.cetis.ac.uk13. CMO Magazine, http://www.cmomagazine.com14. Darwin Magazine, http://www.darwinmag.com15. eCollege, http://www.ecollege.com/indexflash.learn16. Economist Intelligence Unit, http://www.eiu.com/17. eLearn Magazine, http://www.elearnmag.org18. elearning Europa Info, http://www.elearningeuropa.info19. e-LearningCentre, http://www.e-learningcentre.co.uk20. Epson Intelligence, http://www.epson-intelligence.jp21. EU eEurope, http://europa.eu.int22. European ODL Liaison Committee, http://www.odl-liaison.org23. Forbes, Corporate elearning economics,

http://www.forbes.com/specialsections/elearning/contents.htm24. FUJI XEROX LEARNING INSTITUTE INC., http://www.fxli.co.jp25. Groupe Cegos, http://www.cegos.fr/fr/26. IEEE LTSC , http://ltsc.ieee.org27. Ilinc Communication, http://www.ilinc.com/28.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http://www.imsglobal.org29. IT media, http://www.itmedia.co.jp30. Kumamoto University, http://gsis.kumamoto-u.ac.jp/concept/index.html/

Page 8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68 한국콘텐츠진흥원

31. LTI Magazine, http://www.ltimagazine.com32. Market Analysis of the 2002-2010 U.S. E-Learning Industry, http://www.brandon-hall.com33. MCF, http://www.mcf.to34. Mediasphere, http://www.mediasphere.com.au/35. Meta Group, http://www.Metagroup.com36. MIRANDANET, http://www.mirandanet.ac.uk/elearning37. National Education Technology Plan, http://www.nationaledtechplan.org38. Netdimensions Limited, http://www.netdimensions.com/39. Nexted Limited, http://www.nexted.com/40. Online University Consortium, http://www.onlineuc.net41. Pearson Education Inc., http://www.pearsoned.com/index.htm42. Proquest Company, http://www.proquestcompany.com/43. Reingex & Eeni, http://www.reingex.com/44. Saba Software Inc., http://www.saba.com/index.htm45. SC36(36th Sub Committee), http://jtclsc36.org46. SCoPE, http://scope.lidc.sfu.ca47. SEPP:Sakai Educational Partners Program, http://www.sakaiproject.org48. Sevensteps, http://www.sevensteps.com/49. SkillSoft Corporation, http://www.skillsoft.com/50. SkyQuestcom, http://www.skyquestcom.com51. Stacey, Paul's Archive, http://www.bctechnology.com/statics/ps_archive.html52. SumTotal Systems Inc., http://www.sumtotalsystems.com/53. Tata Interactive Systems, http://www.tatainteractive.com54. Thomson Corporation, http://www.thomson.com/55. WebCT Vista, http://www.webct.com 56. Webex Communications, Inc., http://www.webex.com/57. Wolters Kluwer Education, http://www.wolters-kluwer.com58. 일본 총무성 http://www.soumu.go.jp59. http://fudan.edu.online2.sh.cn/60. http://www.ascilite.org.au/ 61. http://www.becta.org.uk62. http://www.beida-online.com/63. http://www.chinaacc.net/64. http://www.chinaonlineedu.com/65. http://www.cmr.com.cn/66. http://www.curriculumonline.gov.uk

Page 9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69

67. http://www.downes.ca/cgi-bin/dlorn/dlorn_search.cgi 68. http://www.echinaprogramme.org/intro.php69. http://www.educationau.edu.au/70. http://www.edu-edu.com.cn/71. http://www.eduventures.com/72. http://www.ejel.org/73. http://www.elc.or.jp/74. http://www.e-learningcentre.co.uk/75. http://www.elearningeuropa.info/76. http://elearningnetwork.org/ 77. http://www.elearnmag.org/78. http://www.elek2006.or.kr/index.asp79. http://www.elrc.or.kr/80. http://www.etiantian.com/81. http://www.etwinning.net/82. http://www.eurosoutheastasia-ict.org83. http://www.ferl.becta.gov..uk84. http://www.gov.au/85. http://www.guanghua.sh.cn/86. http://www.harcourteducation.co.uk87. http://www.heymath.com/ 88. http://www.kaoce.org/89. http://www.kelia.org/90. http://www.keris.or.kr91. http://www.learningcircuits.org/92. http://www.meti.go.jp93. http://www.nttr.co.jp/www.jmam.co.jp94. http://www.online-edu.org/95. http://www.prcedu.com/96. http://www.smde.pku.edu.cn/97. http://www.sric-bi.com98. http://learning.teldap.tw/99. http://www.thelearningfederation.edu.au100. http://www.tol24.com/101. http://www.youth.gov.hk/

Page 9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70 한국콘텐츠진흥원

Page 9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Page 9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정보콘텐츠 시장의 정의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71

제 1 장 정보콘텐츠 시장 개요

제 1 정보콘텐츠 시장의 정의

본 보고서에서의 정보콘텐츠란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콘텐츠는 크게 광의의 개념과 협의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광의의 개념은 각종 생활정보를 포함한 모든 정보콘텐츠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유료 콘텐츠뿐만 아니라 무료 콘텐츠도 모두 포함된다.

그러나 이는 시장의 범위가 지나치게 방 할 뿐만 아니라 무료 콘텐츠도 포함되기 때문에 시장규모 도출에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와는 달리 협의의 개념은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콘텐츠’ 산업의 한 분야이므로 시장규모를 추산할 수 있는 전문화된 유료 콘텐츠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정보콘텐츠의 범위를 시장규모를 산출할 수 있는 협의의 개념으로 제한하기로 한다.

<그림 1-1> 정보콘텐츠와 정보콘텐츠 산업에 한 정의 범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8

Page 9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정보콘텐츠 시장 개요

7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정보콘텐츠 산업의 분류에 해서는 국제기구나 주요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등이 서로 다른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국제기구나 각국 정부기관의 분류체계도 조금씩 상이할 뿐만 아니라 업계에서의 분류체계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분류체계는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다. 이는 정보콘텐츠를 하나의 세부 분야로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 자체에 한 정의 및 분류체계가 국제기구나 국가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각 국가 내에서도 관련 정부기관이나 시장조사업체 등이 제각기 분류체계를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마다 시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정보콘텐츠의 범위가 다르다는 점도 공통된 분류체계의 적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보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된 북미나 서유럽의 경우에는 기존 오프라인 정보콘텐츠들이 부분 온라인화되면서 오프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콘텐츠간 구분이 모호해졌고, 이는 정보콘텐츠의 범위를 기존 오프라인 정보 콘텐츠까지 확 하도록 만들고 있다.

이에 반해, 정보콘텐츠 시장이 초기 형성단계에 있는 국가들의 경우에는 정보콘텐츠 산업에 일상정보나 뉴스,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메일, 인터넷 광고, 쇼핑 등을 포함시키거나 정보콘텐츠 산업을 컴퓨터 산업의 일부로 분류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분류체계를 비교한 뒤, 본 시장조사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도출하였다.

1.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

가. 국내 정보콘텐츠 산업의 분류체계국내 정보콘텐츠 산업에 한 분류체계 역시 관련 기관들마다 서로의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정의

하고 있다. 정보콘텐츠는 ‘디지털의 형태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로 정의되고 있으며, 종합정보(신문/잡지 포함), 전문정보(금융경제, 의료, 법률, 기타), 생활정보, 엔터테인먼트(오락정보), 위치기반정보의 5개 분야로 분류되고 있다.20)

20)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8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 시장조사’, 2009.1

Page 9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73

분류 정의 예시

정보

콘텐츠

종합정보텍스트 기반 정보로 온라인에서 기사가 업데이트 서비스되는 모든

인터넷 간행물(디지털 신문/웹진 및 온라인 잡지 서비스 포함)

동아닷컴, 조인스닷컴,한경닷컴

전문

정보

금융/경제온라인상에서 제공되는 증권, 부동산, 은행, 신용카드, 대출 등 경

제관련 정보제공 서비스

팍스넷, 부동산114, 머니투데이

의료(건강)온라인상에서 제공되는 의학, 약학, 한방, 민간요법 등 건강관련 정

보제공 서비스메드에이드, 삼육오홈케어

법률 온라인상의 법률관련 정보제공 서비스로마을,

로마켓아시아

기타 기타 전문 지식관련 정보제공 서비스해피캠퍼스,서식코리아

생활정보여성, 육아, 패션/뷰티, 컴퓨터, 종교, 여행, 이민, 취업, 날씨, e카

드, 심리테스트 등 실생활에 관련된 온라인 정보제공 서비스

인크루트,잡코리아,케이웨더

엔터테인먼트

(오락정보)

영화/연예/공연/문화, 스포츠, 퀴즈/경품/복권, 운세, 유머, 취미 등

흥미 및 오락성 온라인 정보제공 서비스게임메카,

씨제이엔키노

위치기반정보 위치확인 정보 및 이와 연동된 정보제공 서비스엠앤소프트, 포인트아이

<표 1-1> 국내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

자료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9

나. 해외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해외 정보콘텐츠 산업의 분류체계는 앞서 언급했듯이 국가마다 차이가 나는데, 본 보고서에서는 정보

서비스 산업이 발달한 북미와 유럽의 일반적인 분류체계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북미와 유럽은 일찍부터 오프라인에서의 정보 서비스 산업이 발달했으며, 오프라인에서의 정보콘텐츠가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오프라인에서의 기존 분류체계를 그 로 사용하고 있다.

세계적인 정보 서비스 업체들인 Thomson Reuters21), Reed Elsevier, Wolters Kluwer 등은 정보콘텐츠를 일차적으로 1) 일반정보 서비스와 2) 전문정보 서비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 일반정보 서비스는 일반 소비자를 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개는 무료이며, 유료라고 하더라도 시장통계를 집계할 정도의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전문정보 서비스는 주요 산업분야의 전문가들을 상으로 한 유료 서비스로, Thomson Reuters나 Reed Elsevier와 같은 주요 정보 서비스 업체들은 주로 이러한 전문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의 정보콘텐츠라고 하면, 개 이와 같은 유료 전문정보 서비스를 의미한다.

전문정보 서비스는 다시 세분화되는데, 크게 STM(Science, Technology, Medicine : 과학, 기술, 의료/건강), LTR(Legal, Tax, Regulation : 법률, 세무, 규제), Business Information(비즈니스 정보 : 증권거래 정보,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신용정보, 마케팅, 기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21) 금융/경제, 법률, 과학, 의료 등과 같은 각종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종합 정보제공업체인 Thomson은 2007년 5월 금융/경제 뉴

스 분야의 세계 2위 정보제공업체인 Reuters를 172억 달러에 인수한 뒤, 社名을 Thomson Reuters로 변경함

Page 9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정보콘텐츠 시장 개요

74 한국콘텐츠진흥원

분류 내용

일반정보 서비스 일반 소비자 대상 정보

전문정보

서비스

STM 과학, 기술, 의료(건강)

LTR 법률, 조세, 규제 등

Business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신용정보, 마케팅, 기타 등

<표 1-2> 해외 정보 서비스 제공업체들의 정보콘텐츠 분류체계

자료원: Thomson, Reed Elsevier, Wolters Kluwer, 2008

이에 비해 컨설팅 업체인 PWC는 정보 서비스를 ‘Business Information’이라고 부르면서, 일반정보 서비스를 아예 제외하고 기업을 상으로 한 비즈니스 정보 서비스만을 취급하고 있다. PWC의 Business Information은 1) Financial Information, 2) Marketing Information, 3) Industry Information의 3가지로 구분되며, 각각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분류 세분류

Financial Information 증권(Securities), 경제(Economic), 신용정보(Credit)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Industry Information 법률, 건강/의료, 기술, 통신, 에너지, 부동산, 회계 등 특정 산업정보

<표 1-3> PWC의 정보콘텐츠 분류체계

자료원: PWC, 2009

온라인 전자정보 서비스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미국 Simba Information社는 전자정보 서비스 산업22)을 1) 일반 소비자 상 온라인 정보, 2) 비즈니스/전문정보, 3) CD-ROM/미디어 등 3개로 구분하고 있다. 소비자 상 온라인 정보는 일반적인 생활정보이며, 비즈니스/전문정보는 금융, 신용정보, 법률/세금, 마케팅, 건강정보 등이다. CD-ROM/멀티미디어는 유통형태상의 구분일 뿐, 일반정보와 비즈니스/전문정보와 같은 내용상의 구분은 아니다. 따라서 Simba의 분류에서도 웹을 통한 정보서비스로서 유의미한 정보는 유료의 비즈니스/전문정보이다.

분류 내용

전자정보

소비자 대상 온라인 일반정보/생활정보

비즈니스/

전문정보

1. 증권거래 정보(Brokerage) 2. 금융 뉴스 및 리서치(Financial News Research) 3. 신용 정보(Credit) 4. 마케팅 정보(Marketing) 5. 법률/세금 정보(Legal, tax & public record) 6. 헬스케어 정보(Healthcare : 건강 정보) 7.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Current Awareness News & Research) 8. 기타 정보(Other)

CD-ROM/멀티미디어 CD로 유통되는 정보 서비스

<표 1-4> Simba Information의 자정보 콘텐츠 분류체계

22) Simba Information의 전자정보 서비스 산업은 오프라인을 제외한 순수 온라인 정보제공 산업만을 의미함

Page 9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정보콘텐츠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75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2. 조사 상과 조사방법론

국내의 분류체계에서 종합정보나 생활정보, 엔터테인먼트(오락정보) 정보 등은 개 무료이거나, 유료라 하더라도 워낙 범위가 방 해서 전수조사나 표본조사가 아닌 이상, 해외 정보콘텐츠 시장조사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국내 분류체계에서 해외 분류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는 금융/경제(해외 정보콘텐츠 중 증권이나 금융), 의료, 법률 등 전문정보이기 때문에 해외의 분류체계를 적용하되, 앞에서 살펴 본 서로 다른 해외기관의 분류체계를 상호 비교 및 연계해서 조정하기로 한다.

Simba Information PWC Thomson Reuters/Reed Elsvier

대분류 소분류 대분류 소분류 대분류 소분류

Business/

전문정보

- Brokerage

- Financial News

Research

- Credit

Financial

Information

- Securities

- Economic

- CreditBusiness

Information

- Financial

- Marketing

- MarketingMarketing

Information- Marketing

- Legal, Tax & Public

Record

- Healthcare

- Current Awareness

News & Research

- Other

Industry

Information

- Law

- Health Care

- Technology

- Telecom

- Accounting

- 특정 산업

LTR

STM

- Technology

- Science

- Medicine

- Legal

<표 1-5> 해외 정보콘텐츠 시장 분류체계의 상호비교 조정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8

본 보고서는 세계 온라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와 주요 트렌드를 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해외 분류체계를 비교 및 조정한 결과, 본 보고서에서는 해외 온라인 정보콘텐츠 시장조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조사 상을 선정해 조사하기로 한다.

대분류 세분류

Financial Information

1. 증권거래 정보(Brokerage)

2.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Financial News Research)

3. 신용 정보(Credit)

Marketing Information 4. 마케팅 정보(Marketing)

Industry Information

5. 법률/세금 정보(Legal)

6. 헬스케어 정보(Health Care)

7.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Current Awareness News & Research)

8. 기타 온라인 정보

<표 1-6> 정보콘텐츠 시장의 조사 상 분류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2008

Page 9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정보콘텐츠 시장 개요

76 한국콘텐츠진흥원

정량적 분석에 활용되는 통계는 증권거래 정보(Brokerage),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Financial News Research), 신용 정보(Credit), 마케팅 정보(marketing), 법률/세금 정보, 헬스케어 정보,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 기타 온라인 정보로 세분해 시장조사를 하는 Simba의 통계를 참조했으며, 각 권역별, 국가별 시장규모를 도출하고 있는 PWC의 자료를 병행해 시장규모를 산출했다.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이슈 및 트렌드를 분석하는 정성적 분석을 위해서는 최근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신문 기사와 각종 시장조사기관 및 단체에서 제공하는 업계 정보를 참고했다. 또한 관련 학술회 및 전문가 칼럼의 내용도 참조했다.

Page 9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77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23)의 규모는 2008년 402억 7,900만 달러에서 2009년 355억 3,500만 달러로 -11.8%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하락세는 2011년까지 지속된 후 2012년 이후에 다시 성장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2014년까지 연평균 0.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14년에는 368억 2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14,713 14,863 14,242 15,000 14,220 11,966 10,766 10,412 10,633 11,389 11,914 -0.09%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427 452 691 735 711 595 532 501 521 557 588 -0.24%

신용 정보 4,098 4,292 4,437 4,600 4,432 3,685 3,242 3,069 3,147 3,347 3,497 -1.04%

소계 19,238 19,607 19,370 20,335 19,363 16,245 14,540 13,982 14,300 15,293 15,998 -0.31%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7,106 7,612 7,555 7,950 7,696 6,707 6,262 6,125 6,354 6,739 7,069 1.06%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6,062 6,239 7,147 7,570 7,524 7,006 6,777 6,707 6,762 7,033 7,203 0.56%

헬스케어 정보

965 1,005 2,960 3,285 3,440 3,413 3,408 3,520 3,654 3,911 4,124 3.85%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1,585 1,706 1,835 1,965 2,032 1,963 1,936 1,980 2,027 2,147 2,237 2.65%

기타 정보 266 248 240 235 223 201 187 180 173 174 171 -3.27%

소계 8,878 9,198 12,182 13,055 13,219 12,583 12,308 12,387 12,616 13,265 13,734 1.77%

합계 35,221 36,417 39,107 41,340 40,279 35,535 33,110 32,494 33,270 35,297 36,802 0.70%

<표 2-1>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3) 본 보고서에서 의미하는 정보콘텐츠 시장은 온라인 정보콘텐츠 시장을 의미함. 이에 따라 시장규모도 온라인으로 한정해 산출함

Page 10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78 한국콘텐츠진흥원

-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35,000

40,000

45,0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증권거래 정보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신용 정보 마케팅 정보법률/세금 정보 헬스케어 정보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기타 정보

<그림 2-1>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규모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2009년 기준 증권거래 정보가 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법률/세금 정보 19%, 마케팅 정보 19%, 신용 정보 10%, 헬스케어 정보 10%,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6%,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 2%, 기타 정보 1%의 순으로 뒤를 잇고 있다.

<그림 2-2>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부문별 시장 유율(2009년)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규모를 권역별로 보면, 2009년 기준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권이 202억 600만 달러로 세계 시장의 약 56.9%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권이 110억 1,000만 달러로 31.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두 지역이 세계 정보콘텐츠 전체 시장의 9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이 12억 7,200만 달러로 세계시장의 3.6%, 중국이 10억 3,200만 달러로 2.9%, 일본과 중국을 제외한 아태권이 12억 5,400만 달러로 3.5%, 남미권이 7억 6,000만 달러로 2.1%를 차지하고 있다.

Page 10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79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북미권 21,066 21,868 23,318 24,345 23,488 20,206 18,543 18,132 18,609 19,730 20,584 0.37%

유럽권 10,608 10,837 11,655 12,525 12,221 11,010 10,387 10,153 10,315 10,941 11,361 0.63%

일본 1,402 1,404 1,408 1,484 1,462 1,272 1,146 1,103 1,083 1,124 1,135 -2.26%

중국 548 644 785 912 1,001 1,032 1,063 1,127 1,224 1,352 1,482 7.49%

아태권 956 998 1,214 1,300 1,316 1,254 1,227 1,226 1,253 1,318 1,368 1.74%

남미 641 666 727 774 790 760 744 754 787 831 873 2.83%

합계 35,221 36,417 39,107 41,340 40,279 35,535 33,110 32,494 33,270 35,297 36,802 0.70%

<표 2-2>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권역별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그림 2-3>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권역별 시장 유율(2009년)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0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8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트 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기업 고객을 주 고객으로 삼는 정보콘텐츠 부문은 경기 침체에 따른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에 따라 2009년 세계 정보콘텐츠 업계는 고객 이탈에 따른 경영난을 타계하기 위한 위기 탈출 노력이 주된 화두로 등장했다.

이를 위해 주요 정보콘텐츠 업체들은 적인 인원 감축을 단행하는 등 수익기반을 안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들은 자신의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중소형 규모의 인수합병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기존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단순한 정보의 제공을 넘어 다양한 결합 상품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서비스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그림 2-4>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축에 따른 타개책 모색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1. 로벌 경제 기에 따른 정보콘텐츠 시장의 마이 스 성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4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금융관련 정보의 주된 수요처인 금융기관들이 위기를 겪으면서 2008년부터 시장이 동요되는 모습을 보였다.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기화로 촉발된 금융위기로 인한 금융기관들의 도산으로 정보콘텐츠 제공 사업자들의 주요 고객이 이탈하면서 시장도 급속도로 축소되기 시작한 것이다.

Page 10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81

특히, 이러한 추세는 세계적인 경제위기 여파가 실물경제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2009년 이후에 더욱 본격화 되고 있다. 이는 다년계약이 주를 이루는 정보콘텐츠 서비스의 특성상 주요 수요자인 금융업체 등의 파산 여파가 2009년에 접어들면서 계약 종료라는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즉, 세계 주요 금융업체들의 잇따른 파산으로 인해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금융관련 정보 서비스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전체 정보콘텐츠 시장도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9,363

16,245

14,54013,982 14,300

15,29315,998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2-5> 세계 융 정보콘텐츠 시장 망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이에 따라 전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은 북미, 유럽, 일본, 아태권 공히 2008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에 진입했으며, 시장축소는 2010~2011년까지 이어지다가 시장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는 2012년경에 이르러서야 서서히 회복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의 경제성장으로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 되고 있는 중국은 플러스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 핵심 분야에 한 선택과 집

가. 펀더멘탈 개선을 위한 인원 감축 및 중소형 M&A 지속주요 정보콘텐츠 제공사업자들은 금융위기에 따른 위기 타개책으로 핵심 분야에 한 선택과 집중 전략

을 지속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소형 M&A를 추진하고 있으며, 적인 인원 감축 및 구조조정을 지속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조정은 전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악화와 함께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McGraw-Hill은 비핵심 부문의 매각과 핵심부문 인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07년에는 Benziger 부문을 종교서적 출판업체인 CFM Religion에 매각했으며, 2008년 4월에는 소셜 미디어 등에 특화된 미디어 리서치관련 마케팅 업체인 Umbria Inc.를 인수했다. 또한 2008년 10월에는 Thomson

Page 10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82 한국콘텐츠진흥원

Reuters로부터 Reuters Estimates 및 Reuters Research-on-Demand Databases와 관련 자산을 인수했다. 더불어, 2009년 매출이 전년 비 5.5%에서 6.5%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550여 명에 달하는 인원을 감축하고 사업 부서를 재정비하는 등 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한편, Pearson의 계열 그룹인 Penguin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영국 지사 직원의 10%에 해당되는 100여명을 감축했다. 전 세계 주요 정보콘텐츠 사업자이자 Financial Times를 소유하고 있는 Pearson은 불황을 그 직접적인 이유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회사의 포지셔닝을 재검토하기 위한 구조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나. 온라인 정보콘텐츠 서비스 경쟁력 강화그 동안 디지털화의 진행으로 온라인 정보콘텐츠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정보콘텐츠에 한 접근성이 향상

되어 왔다. 온라인을 통해 방 한 정보콘텐츠에 한 DB를 구축하여 검색을 통해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지리적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는 이미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정보콘텐츠가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정보콘텐츠를 상회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기존의 천편일률적인 단방향성 서비스에서 벗어나 점차 고객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제공하는 형태로 변화해가고 있다. 과학 및 의학 부문 전문 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Elsevier는 2009년 6월 'Article of the Future'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온라인을 통해 전자 파일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웹 화면에서 해당 정보 콘텐츠의 개요와 관련한 그래픽 및 연관 자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림 2-6> Elsevier의 'Article of the Future' 서비스 화면 스냅샷

자료원: www.cell.com

Page 10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83

Web 2.0 요소를 접목한 서비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McGraw-Hill이 건축 관련 사업자를 상으로 제공하고 있는 Architectual.com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건축가가 자신의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Twitter를 통해서 PlattsOil News를 제공하고 에너지 시장에 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했다.

McGraw-Hill은 온라인 요소를 강화한 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선보이며 정보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자체가 다음과 같이 변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림 2-7> 정보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의 변천

자료원: McGraw-Hill Factbook. 2009,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다. 솔루션 서비스 경쟁력 강화정보콘텐츠 제공 사업자들은 단순한 정보콘텐츠 제공에서 소프트웨어 및 관리 솔루션까지 통합해 제공하기

위해 관련 기업들의 인수합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NA는 세금 계산용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인 European American Tax Institute를 2008년 3월에 인수했으며, Thomson Reuters는 영국의 세무 소프트웨어 제공기업인 Digita를 2008년 4월에 인수해 각각 통합적인 세무 정보콘텐츠 제공을 위한 역량 강화에 나섰다.

Wolters Kluwer는 2006년 미국의 회계 관련 솔루션 업체인 Gulf Pak Corp.과 회계 관련 솔루션 업체인 ATX/Kleinrock을 인수한데 이어 2008년 4월에는 회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인 MYOB를, 2008년 11월에는 감사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Ci3를 연이어 인수하며 온라인 서비스 역량을 강화한 바 있다.

3. 결합 상품 맞춤형 서비스 증가

정보콘텐츠 사업자들은 콘텐츠에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고객 수요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유지 및 매출 증 를 꾀하고 있다. 과거의 온라인 정보콘텐츠 상품들은 주로 특정 전문분야나 시장에 한 정보를 문헌조사(Secondary Research)나 직접조사(Primary Research)를 통해 콘텐츠의 형태로 제공하는데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고객 수요가 다양화되면서 조사 결과만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유의미한 분석(Commentary & Insight)을 추가로 제공하고, 최근에는 이러한 조사 및 분석 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객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각종 솔루션까지 결합된 상품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Page 10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84 한국콘텐츠진흥원

이처럼 콘텐츠에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까지 결합상품으로 제공하는 형태로 진화하는 이유는 고객의 수요가 다양화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보제공업체 입장에서도 번들 형태로 제공하게 되면 고객유지와 매출증가에 유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실제로 세계적 정보제공 업체인 Wolters Kluwer의 경우, 단품으로 판매할 때의 고객유지율이 87%였던 데 비해, 결합상품으로 판매할 때는 고객유지율이 95%로 증가하는 등 번들 상품이 늘어날 때마다 고객유지율도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역시 단순한 시장조사보다 시장조사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하거나 시장조사와 서비스를 결합해서 판매할 때 더욱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Wolters Kluwer는 고객들의 니즈에 맞춰 각각의 프로세스에 맞는 솔루션과 고객 네트워크를 연계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꾀해 나갈 계획이다.

<그림 2-8> Wolters Kluwer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략

자료원: Wolters Kluwe, 2009

4. 신규 수익원 발굴

전 세계적인 정보콘텐츠 시장의 저조에도 불구하고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은 다른 분야보다 경기침체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보인다.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3.8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41억 2,4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보콘텐츠 제공사업자들은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함께 새로운 수익원을 모색하고 있는 통신사들의 높은 관심에 부응하여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서비스 강화에 나서고 있다. 특히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헬스케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사 및 모바일 단말용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의 다각적인 제휴 및 인수 합병이 추진되었다.

Page 10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85

3,440 3,413 3,4083,520

3,6543,911

4,124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2-9> 세계 헬스 어 정보콘텐츠 시장 망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헬스케어 분야에서 약진이 두드러지는 Wolters Kluwer는 주로 헬스케어 관련 업체들을 인수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Wolters Kluwer는 2006년 1월 미국 의료관련 솔루션 업체인 ProVation Medical 인수를 시작으로, 2008년 말에는 전자 임상정보를 제공하는 UpToDate를 인수해 헬스케어 서비스를 강화했다. UpToDate를 인수함에 따라 Wolters Kluwer는 인터넷, 데스크탑,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임상사례별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Wolters Kluwer는 환자 진단, 관리, 치료를 지원하기 위해 Clin-eguide 서비스라는 신규 서비스를 출시했다. Clin-eguide 서비스는 환자 진료시 특정 약물 정보 및 치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McGraw-Hill 또한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McGraw-Hill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헬스케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Unbound Medicine과 장기 파트너쉽을 체결해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Unbound Medicine은 웹과 모바일 단말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Nursing Central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전 세계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약 3% 정도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John Wiley는 의학정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Blackwell을 인수했으며, 모바일 기반 의료 솔루션 제공 사업자인 Epocrates와 파트너쉽을 체결하고 헬스케어 정보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Page 10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86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3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동향

1.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가.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증권거래 정보(Brokerage Information)콘텐츠는 기관투자가와 같은 투자회사나 개인 투자자들을 상으

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금융시장 정보 및 데이터를 의미한다. 주로 전용 단말이나 웹사이트, 무선 단말 등을 통해 제공되며, 투자가들은 단말을 통해 시장분석 및 각종 지표분석 자료, 뉴스 콘텐츠와 시장 데이터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세계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142억 2,000만 달러에서 2009년 119억 6,6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14년까지 -0.0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119억 1,400만 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북미권 8,270 8,356 7,975 8,208 7,669 6,306 5,570 5,359 5,472 5,846 6,105 -0.64%

유럽권 4,783 4,800 4,576 4,959 4,722 3,970 3,599 3,453 3,505 3,768 3,937 -0.17%

일본 659 654 583 617 594 507 446 428 420 439 445 -2.61%

중국 261 301 325 379 407 412 414 437 475 528 580 7.11%

아태권 457 467 503 541 534 500 478 475 486 515 536 1.38%

남미 283 285 280 296 294 271 258 259 273 293 312 2.82%

합계 14,713 14,863 14,242 15,000 14,220 11,966 10,766 10,412 10,633 11,389 11,914 -0.08%

<표 2-3> 세계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 성장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나.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최근에는 증권거래 프로세스가 자동화됨에 따라 각 이용자들에게 증권거래 정보콘텐츠를 독자적으로 제

공하는 신 네트워크를 통합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눈에 띄고 있다. 이를 위해 주요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제공 사업자인 Thomson Reuters, Bloomberg 등은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서도 쉽게 증권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고 사용자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 커뮤니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도 확 하고 있다.

Page 10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87

증권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업체로는 Thomson Reuters, Bloomberg, GovPX, Track Data, Interactive Data Corp.(IDC), BARRA 등이 있다.

업체명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시장

Thomson ReutersAutex, Alert, Portia, ILX, Instinet, Quotron, Reuters

Plus, Bridge Information Systems, MuitexEquities

Bloomberg Bloomberg Professional Service Bonds

GovPX GovPX Bonds

S&P(McGraw-Hill) Comstock Commodities

Track Data ProTrack, Track ECN Equities

BARRA BarraOne Equities

Interactive Data Corp.(IDC) eSignal, CMS BondEdge Equities

NAQ Inc. RT Trader, RT Trader Pro Equities

EBSEBS Spot, EBS Trader, EBS Market Data, EBS

FXNETForeign Exchange

PC Quote MarketScreen, Orbit, Mercenary, RealTick Equities

Star Data StarQuote Equities

Multex.com MultexEXPRESS Equities

<표 2-4> 주요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각사 홈페이지,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 융 뉴스 리서치 정보콘텐츠

가.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Financial News & Research)는 개인 및 기관 투자가들은 상 로 제공되는

기업 뉴스와 재무 및 관련 데이터를 말한다. 개인 및 기관투자가들에게 단말기나 이메일, 웹 사이트, 무선 단말기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정보는 어떤 주식을 사고팔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세계 온라인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7억 1,100만 달러에서 2009년 5억 9,500만 달러로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1년까지 이러한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부터 다시 성장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지만, 2009년부터 2014년의 연평균 성장률은 -0.24%의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Page 11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88 한국콘텐츠진흥원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CAGR

북미권 240 254 387 402 383 313 275 258 268 286 301 -0.80%

유럽권 139 146 222 243 236 197 178 166 172 184 194 -0.32%

일본 19 20 28 30 30 25 22 21 21 21 22 -2.76%

중국 8 9 16 19 20 20 20 21 23 26 29 6.94%

아태권 13 14 24 26 27 25 24 23 24 25 26 1.22%

남미 8 9 14 15 15 13 13 12 13 14 15 2.67%

합계 427 452 691 735 711 595 532 501 521 557 588 -0.24%

<표 2-5> 세계 융 뉴스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나.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최근 금융 뉴스 정보콘텐츠 제공 사업자들의 수익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전 세계적인 불황이 가장 큰

시장 침체 요소로 꼽히지만, 인터넷 포털 등을 통해 금융 관련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 것도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금융 뉴스 및 리서치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업체들 중에서는 미국의 Dow Jones와 영국의 Financial Times(FT.com)가 표적이다. 이외에도 Value Line, IDC, The Street.com, MarketWatch 등이 각종 뉴스와 리서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업체명 제품 및 서비스

Dow Jones Dow Jones Newswires, WSJ.com

Value Line Value Line Investor Newsletters

Interative Data Corp. eSignal

PCQuote.com PCQuote.com

FinancialContent Inc. FinancialContent.com

Vickers Stock Research Group Vickers Bond Online, Vickers Online

10K Wizard 10K Wizard

Comtex Comtex News Network

Pearson FT.com, The Financial Times

NetContent Inc. OneFN

Track Data myTrack

Edgar Online Edgar Online Pro

TheStreet.com TheStreet.com

MarketWatch.com MarketWatch.com

<표 2-6> 주요 융 뉴스 리서치 서비스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1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89

3. 신용정보 콘텐츠

가. 신용정보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신용정보(Credit Information) 콘텐츠 제공서비스는 개인 및 기업의 신용이나 재무 건전성 등에 한 상

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채권자가 고객이나 채무자의 신용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채권자들이 출여부를 결정할 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신용정보에는 개인 신용정보와 기업 신용정보가 있으며, 개인 신용정보 업체들은 개인의 신용이력과 신용등급 정보를, 기업 신용정보 제공업체들은 기업의 신용이력과 신용등급 정보를 제공한다.

세계 신용정보 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44억 3,200만 달러에서 2009년 36억 8,5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1.04%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34억 9,700만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CAGR

북미권 2,303 2,413 2,484 2,517 2,390 1,942 1,677 1,580 1,620 1,718 1,792 -1.59%

유럽권 1,332 1,386 1,426 1,521 1,472 1,222 1,084 1,018 1,037 1,108 1,155 -1.12%

일본 184 189 182 189 185 156 134 126 124 129 130 -3.54%

중국 73 87 101 116 127 127 125 129 141 155 170 6.08%

아태권 127 135 157 166 167 154 144 140 144 151 157 0.41%

남미 79 82 87 91 92 83 78 76 81 86 91 1.84%

합계 4,098 4,292 4,437 4,600 4,432 3,685 3,242 3,069 3,147 3,347 3,497 -1.04%

<표 2-7> 세계 신용정보 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나. 신용정보 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최근에는 개개인의 신용정보를 기업이 아닌 고객 스스로 구매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이는 이

용자들이 자신의 신용정보를 확인하고 누군가에게 도용되고 있지 않은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니즈가 강해졌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한편, 신용정보 콘텐츠 제공업체들은 단순히 신용정보만을 제공하던 기존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기업을 상으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통합한 솔루션으로 제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 신용정보 제공

업체 Equifax는 향후 서비스 방향으로 다양하고 폭넓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의사 결정 기술과 분석 툴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Page 11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90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10> Equifax의 신용정보 통합 솔루션 제공

자료원: Equifax 발표자료, 2009.11

주요 신용정보 콘텐츠 제공업체로는 Experian, Equifax, Transunion, D&B, CreditRiskMonitor 등이 있으며, 이들 업체들은 개인 신용정보와 기업 신용정보를 같이 제공하거나, 둘 중 하나를 제공하고 있다. 매출액 기준으로 개인 신용정보 콘텐츠 제공업체로는 Experian이 가장 크며, 기업 신용정보 콘텐츠 제공업체로는 D&B가 가장 크다.

업체명 제품 및 서비스 내용

ExperianConsumer Credit Bureaux 2억 2,300만 개 이상의 개인 신용정보 DB 제공

National Business Credit DB 2,000만 개 이상의 기업 신용정보 DB 제공

EquifaxEquifax Credit Watch Gold 개인 신용정보의 변동사항을 일(日) 단위로 고지

Equifax Credit Watch Silver 개인 신용정보의 변동사항을 주(週) 단위로 고지

D&B Self Awareness Solution 기업고객 대상의 신용정보 서비스

<표 2-8> 주요 신용정보 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각사 홈페이지,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4. 마 정보콘텐츠

가. 마케팅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마케팅 정보(Marketing Information) 콘텐츠 서비스는 주로 소비자들의 이용 행태를 조사하는 것으로,

각종 소비자 서베이(Servey)와 리서치(Research), 다이렉트 메일(DM), 전화 데이터베이스, 지역 데이터베이스, 제품 구매에 한 응답카드 등이 포함된다.

세계 마케팅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76억 9,600만 달러에서 2009년 67억 7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

Page 11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91

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1.0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시장 규모가 70억 6,9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CAGR

북미권 5,126 5,495 5,418 5,683 5,458 4,618 4,276 4,189 4,358 4,618 4,848 0.98%

유럽권 1,530 1,630 1,630 1,727 1,688 1,569 1,485 1,431 1,477 1,566 1,638 0.85%

일본 175 178 166 172 168 147 132 127 124 130 132 -2.16%

중국 67 81 92 106 115 119 122 130 141 156 172 7.60%

아태권 114 124 143 150 152 145 141 141 144 152 159 1.85%

남미 94 104 106 113 115 109 106 107 110 116 122 2.25%

합계 7,106 7,612 7,555 7,950 7,696 6,707 6,262 6,125 6,354 6,739 7,069 1.06%

<표 2-9> 세계 마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나. 마케팅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마케팅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들은 TV나 라디오, 인터넷 등의 시청률이나 이용률을 분석해서 제공하거나,

소비자들의 신상정보나 제품 구매패턴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다. 또한 고객 집단별 메일링 리스트와 고객 평가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업 마케팅 담당자들이 홍보, 광고, 판매 전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들은 1) TV와 라디오, 인터넷 등의 시청률과 이용률을 분석해서 제공하는 ‘Audience Rating Services’, 2) 소비자들의 연락처를 비롯해서 각종 신상정보 목록을 제공하는 ‘List Compilers Services’, 3)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행태 등을 비롯한 제품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Product Marketing Information’의 3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업체별로 이 3개 부문 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업체들도 있고, 이 중 1~2개 부문 정보만 제공하는 업체들도 있다.

시청률 및 이용률 분석 서비스(Audience Rating Services)TV, 라디오, 인터넷 등 미디어에 한 소비자들의 이용방식이나 규모 등을 측정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

비스로 주로 해당 매체에 한 광고료를 산정하는 데 활용된다. 이 분야에서는 시청률이나 이용률 조사에 흔히 인용되는 조사업체인 ‘Nielson Media Research’s가 가장 유명한데, 특히 TV 시청행태 분석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 Nielson Media는 네덜란드 거 미디어 업체인 VNU 소유이며, VNU는 Nielson Media의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감안, 2007년 들어 사명(社名)을 아예 ‘The Nielson Company’로 변경했다. 라디오 청취행태 조사부문에서는 Arbitron이 유명하며, 인터넷 이용행태 분석은 comScore와 NetRatings가 널리 알려져 있다.

Page 11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92 한국콘텐츠진흥원

업체명 제공 정보

comScore 웹사이트 이용자의 이용행태

NetRatings 웹사이트 이용자의 이용행태

Arbitron Ratings 라디오 청취자의 청취행태

Nielsen Media Research TV 시청자의 시청행태

Competitive Media Reporting 라디오, 뉴스, TV, 잡지 등 광고매체별 지출에 대한 정보

<표 2-10> 주요 시청률 이용률 분석정보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연락처 목록 서비스(List Compilers Services)소비자들의 연락처 자료를 확보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리스트화해서 제공하는 서비스다. 소비

자 자료는 주로 서베이 정보, 고객 우편, 제품 등록 카드 등에서 획득한다. 제공하는 리스트에는 주로 소비자들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나이, 결혼 유무, 소득 수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분야에서는 Donnelly Marketing, Equifax Trans Union 등이 주요 업체로 꼽히며, D&B, InfoUSA, Acxiom은 기업 목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품 마케팅 정보 서비스 제공업체주로 수퍼마켓이나 백화점의 계산 에서 체크되는 소비자의 구매 정보를 취합해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행태와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 때로는 소비자 패널들을 통해 이 같은 정보를 수집하기도 하는데, ACNielson과 Information Resources Inc. 등이 표적인 업체다.

업체명 제품 및 서비스

ACNielsen 수퍼마켓 조사 및 표본조사를 통해 1만 개 이상의 구매습관을 파악한 DB 정보 제공

comScore 비즈니스 웹사이트 이용행태를 파악한 DB 정보 제공

D&B 비즈니스와 고객 마케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제공

Information Resources Inc. 수퍼마켓과 백화점 계산대에서 체크되는 상품정보 제공

Equifax 고객과 특정 비즈니스의 통계정보와 연결정보 목록 제공

IMS 제약회사 마케팅 정보 제공

Catalina Marketing Group 소매고객의 이용행태와 쿠폰 자료를 취합해서 제공

NetRatings 비즈니스 웹사이트 이용행태 분석 결과 제공

Acxiom 비즈니스와 고객 마케팅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취합해서 제공

<표 2-11> 주요 제품 마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Page 11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93

5. 법률/세 정보콘텐츠

가.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법률/세금 정보(Legal/Tax Information) 콘텐츠 서비스는 법률과 세금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각종 법령 관련 결정 사항이나 온라인 법률/세금 서식, 특정 지역이나 전문 분야별 변호사 명단, 판례 검색, 공탁물 등이 포함된다. 온라인 법률/세금 정보는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법을 집행하는 정부 관리들이나 법률 보조원, 법률 도서관 관계자, 리서치 전문가, 기업의 인사 담당자, 지적 재산권 전문가, 법원 출입기자, 법 생 등 법이나 세금과 관련된 전문가 집단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세계 법률정보 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75억 2,400만 달러에서 2009년 70억 6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0.5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72억 3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CAGR

북미권 3,501 3,629 4,138 4,369 4,318 3,912 3,713 3,653 3,694 3,850 3,953 0.21%

유럽권 1,928 1,950 2,230 2,363 2,336 2,256 2,225 2,212 2,210 2,288 2,327 0.63%

일본 249 246 263 276 276 243 226 217 211 215 213 -2.60%

중국 95 113 147 169 189 197 210 222 238 258 278 7.12%

아태권 167 175 227 242 249 240 243 242 244 252 257 1.39%

남미 122 126 141 151 156 157 160 162 166 170 175 2.12%

합계 6,062 6,239 7,147 7,570 7,524 7,006 6,777 6,707 6,762 7,033 7,203 0.56%

<표 2-12> 세계 법률/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나.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단순 정보콘텐츠 제공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까지 통합한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추세는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과거 1970년 까지만 해도 법률/세금 정보콘텐츠는 리서치 분야가 주를 이루었으나, 1990년 와 2000년 들어 온라인상에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 툴 위주로 시장의 주력이 바뀌었으며, 최근에는 리서치와 검색 툴, 정보 분석, 각종 법률 서비스, 리스크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세계 법률/세금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제공업체로는 Thomson Reuters, Reed Elsevier(Lexis Nexis), Wolters Kluwer 등 세계 Big 3 정보서비스 업체들 외에 BNA(Bureau of National Affairs), UCI(United Communications Inc.), State Net 등이 있다.

Page 11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94 한국콘텐츠진흥원

업체명 서비스명 내용

Reed ElsevierLexisNexis

법률, 뉴스, 공식문서, 세금, 규제관련 출판물을 온라인, 프린트, CD-ROM으로 제공. 2008년 10월 ChoicePoint 인수

Quicklaw 온라인 리서치 서비스

Thomson

Thomson West 1만 6,700여 건의 법률, 금융, 비즈니스 뉴스 정보

WestlawWest's online의 법률 리서치 서비스로, 판례, 공식기록, 기타 법률 정보원을 제공

FindLaw 중소규모의 법률회사, 학생, 개인을 위한 웹기반의 법률 디렉토리

Hubbard One 온라인 법률 마케팅 서비스

Elite Information 실무관리 서비스

Wolters KluwerCCH

세금, 회계, 법률, 비즈니스 전문가를 위한 정보서비스, 소프트웨어, Work Flow 툴 제공

Loislaw 판례, 성문법, 헌법, 행정법, 재판법 등 제공

Bureau of National Affairs BNA Online건강보험, 비즈니스, 노동관계, 경제, 조세, 환경보호, 보안 관련 법률 뉴스와 정보 제공

United Communications Inc.(UCI) CCMII 4만 3,000여 건의 세금 및 관세관련 문서 제공

IndexMaster IndexMaster 90여개의 2차 법률 퍼블리셔가 제공하는 1만여 건의 통합자료 제공

<표 2-13> 주요 법률/세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전 세계 법률정보 시장은 Thomson Reuters, Wolters Kluwer, Reed Elsevier 등 세계 Big 3 정보서비스 업체들이 전체 시장의 약 40%를 점유하고 있으며, BNA, Datev, Prat, sage, Beck 등이 약 2%씩의 점유율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그림 2-11> 세계 법률정보 콘텐츠 시장의 주요 업체별 유율

자료원: JP Morgan, 2009.3

전 세계 세금정보 시장은 Wolters Kluwer, Thomson Reuters, Sage 등이 각각 19%, 13%, 8%의 시장 점유율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uit, Lefebvre, Datev, Revue Fiduciaire, Reed Elsevier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Page 11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95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CAGR

북미권 557 585 1,714 1,896 1,974 1,906 1,867 1,917 1,996 2,141 2,263 3.49%

유럽권 307 314 924 1,026 1,068 1,099 1,119 1,161 1,194 1,272 1,332 3.92%

일본 40 40 109 120 126 118 114 114 114 119 122 0.59%

중국 15 18 61 74 86 96 106 117 129 144 159 10.63%

아태권 27 28 94 105 114 117 122 127 132 140 147 4.71%

남미 19 20 58 65 72 77 81 85 90 95 100 5.47%

합계 965 1,005 2,960 3,285 3,440 3,413 3,408 3,520 3,654 3,911 4,124 3.85%

<표 2-14> 세계 헬스 어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그림 2-12> 세계 세 정보 콘텐츠 시장의 주요 업체 유율

자료원: World Accounting, 2009.6

6. 헬스 어 정보콘텐츠

가.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헬스케어 정보콘텐츠는 의과 학을 비롯한 각종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의사나 간호사, 약사와 같은 개인

들에게 제공되는 의약 관련 정보 서비스다. 서비스 상으로는 각종 의학정보 외에도 임상실험 정보, 제약정보 등도 포함된다.

세계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는 2008년 34억 4,000만 달러에서 2009년 34억 1,3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0년까지 지속되다가 2011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은 다른 분야보다 경기침체의 영향을 덜 받아 2009년부터 2014년까지 3.8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41억 2,4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1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96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앞서 언급한 것처럼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은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함께 신규 수익원 발굴을

모색하고 있는 통신사들의 높은 관심을 받으며 성장세를 구가 중이다. 또한 학이나 각종 교육기관 및 의료기관에서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전망을 밝히고 있다.

온라인 헬스케어 정보는 크게 Health Science(의학정보), Clinical(임상),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Pharma(제약)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Health Science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로는 Reed Elsevier, Wolters Kluwer, Thomson, Springer, Blackwell, AMA, McGraw-Hill 등이 유명하며, 헬스케어 정보만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로는 WebMD, 환자정보 전문업체로는 PatientKeeper 등이 있다.

업체명 제품 및 서비스 내용

Reed Elsevier

MD Consult 의사와 기타 헬스케어 전문가들의 임상실험 내용과 결과 제공

ScienceDirect 온라인 저널 접속 서비스 제공

Scopus 의학도서관에 대한 인덱스와 초록 서비스 제공

EMBASE 생물의학과 제약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Wolters Kluwer Clin-eguide 임상의학 정보 지원 툴 제공

Thomson Micromedex 병원과 임상업계에 의해 의학 관련 정보 제공

McGraw-Hill AccessMedicine 의학 저널에 게재된 의학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Unbound Medicine Unbound Medicine PDA, 휴대폰, Web에 헬스케어 기술 플랫폼 제공

WebMD WebMD 복잡한 헬스케어 시스템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PatientKeeper PatientKeeper 환자정보 데이터 관리 시스템 제공

<표 2-15> 주요 헬스 어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전 세계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은 Reed Elsevier, Wolters Kluwer가 35%의 점유율로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Thomson Reuters(6%), Springer Science(5%), UBM(4%), John Wiley(3%), McGraw-Hil(2%)l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Page 11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97

<그림 2-13> 세계 헬스 어 정보콘텐츠 시장의 주요 업체 유율

자료원: Outsell, 2009.10

7. 일반 뉴스 리서치 정보콘텐츠

가.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Current Awareness News & Research) 콘텐츠는 비즈니스 전문가들을 상

으로 일반 최신 뉴스와 리서치 결과뿐만 아니라 과거의 뉴스와 리서치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세계 온라인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20억 3,200만 달러에서 2009년

19억 6,3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0년까지 지속되다가 2011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2.6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22억 3,7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북미권 915 992 1,063 1,134 1,166 1,096 1,061 1,078 1,107 1,176 1,227 2.29%

유럽권 504 533 573 613 631 632 636 653 662 699 723 2.72%

일본 65 67 68 72 75 68 65 64 63 66 66 -0.58%

중국 25 31 38 44 51 55 60 66 71 79 86 9.34%

아태권 44 48 58 63 67 67 69 71 73 77 80 3.50%

남미 32 35 36 39 42 44 46 48 50 52 54 4.24%

합계 1,585 1,706 1,835 1,965 2,032 1,963 1,936 1,980 2,027 2,147 2,237 2.65%

<표 2-16> 세계 일반 뉴스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2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98 한국콘텐츠진흥원

나. 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일반 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로는 Factiva, Dialog, Hoover's, OneSource 등이 표적이며,

일반 기업이나 금융기관, 도서관 등에 뉴스 및 리서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업체명 서비스명 제공 정보 제공 분야

Factiva Factiva.com 뉴스/리서치 비즈니스

Dialog(Thomson Corp.) Profound, DataStar 뉴스/리서치 비즈니스

Hoover's Inc. Hoover's Online 리서치 비즈니스

OneSource Global Business Browser 리서치 비즈니스

Alacra Portal B, Alacra Book 리서치 비즈니스/금융

Northern Light(divine, Inc.) Northern Light 리서치 비즈니스

OCLC FirstSearch 리서치 도서관

R.R. Bowker ulrichsweb.com 리서치 도서관

YellowBrix YellowBrix 리서치 비즈니스

NewsEdge(Thomson Corp.) Dialog NewsEdge 리서치 비즈니스

Comtex News Network Newsroom, CustomWires 뉴스 비즈니스/금융

<표 2-17> 주요 일반 뉴스 리서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8. 기타 온라인 정보 시장 황

가. 기타 온라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기타 온라인 정보는 비즈니스나 전문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들을 말하며, 특정 사용자 그룹

을 상으로 제한된 관심사에 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로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몇몇 업종에 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여기 포함된다.

세계 기타 온라인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매년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2008년 2억 2,300만 달러에서 2009년 2억 1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3.27%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2014년에는 1억 7,1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Page 12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세계 정보콘텐츠 부문별 시장 규모 및 동향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99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북미권 154 144 139 136 128 112 102 98 94 95 94 -3.60%

유럽권 85 78 75 73 69 65 61 59 57 56 55 -3.20%

일본 11 10 9 9 8 7 6 6 5 5 5 -6.30%

중국 4 4 5 5 6 6 6 6 6 6 7 3.04%

아태권 7 7 8 8 7 7 7 6 6 6 6 -2.47%

남미 5 5 5 5 5 5 4 4 4 4 4 -1.76%

합계 266 248 240 235 223 201 187 180 173 174 171 -3.27%

<표 2-18> 세계 기타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나. 기타 정보콘텐츠 현황 및 트렌드기타 온라인 정보 제공업체로는 McGraw-Hill이 가장 유명하며, VertMarkets, SciQuest, Platts,

Excelergy 등이 있다. 이들 업체들은 주로 특정 업종에 특화된 정보 콘텐츠들을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명 제공기업 내용

McGraw-Hill

Construction NetworkMcGraw-Hill Mcgraw-Hill Construction의 모든 정보를 연동해서 제공

VertMarkets VertMarkets 68개 산업 및 세부시장의 구매자와 공급자 연결

SciQuest SciQuest 제약회사에 온라인 정보 및 소프트웨어 제공

Platts McGraw-Hill 에너지 관련 정보 제공

Excelergy Excelergy전 세계 에너지, 유틸리티 산업과 기타 비제도권 시장에 대한 기

술정보 제공

e-IDC.comInternational Design and

Construction Online

건설, 디자인 전문가들에게 각종 관련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접속

서비스 제공

GHR Systems GHR Systems 중소기업, Vendor Finance 등에 관한 기술정보 제공

BuildPoint BuildPoint 건설산업을 위한 CRM 정보 제공

Bricsnet Bricsnet 기업들에게 부동산 서비스 관리 정보 소프트웨어 제공

Fisher Scientific Fisher Scientific임상실험실 및 과학연구소에 장비 및 기타 지원과 관련된 정보

와 서비스 제공

Business.com Business.com 검색엔진과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Smarterwork.com Smartwork 단기, 중기, 장기 프로젝트의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제공자 연결

<표 2-19> 주요 기타 정보콘텐츠 제공업체

자료원: Simba Information, 2008

Page 12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망

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234억 8,800만 달러에서 2009년 202억 6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0.37%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205억 8,4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8,270 8,356 7,975 8,208 7,669 6,306 5,570 5,359 5,472 5,846 6,105 -0.64%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240 254 387 402 383 313 275 258 268 286 301 -0.80%

신용 정보 2,303 2,413 2,484 2,517 2,390 1,942 1,677 1,580 1,620 1,718 1,792 -1.59%

소계 10,813 11,023 10,846 11,127 10,443 8,561 7,523 7,197 7,360 7,850 8,198 -0.86%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5,126 5,495 5,418 5,683 5,458 4,618 4,276 4,189 4,358 4,618 4,848 0.98%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3,501 3,629 4,138 4,369 4,318 3,912 3,713 3,653 3,694 3,850 3,953 0.21%

헬스케어 정보

557 585 1,714 1,896 1,974 1,906 1,867 1,917 1,996 2,141 2,263 3.49%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915 992 1,063 1,134 1,166 1,096 1,061 1,078 1,107 1,176 1,227 2.29%

기타 정보 154 144 139 136 128 112 102 98 94 95 94 -3.60%

소계 5,127 5,350 7,054 7,535 7,587 7,027 6,743 6,746 6,891 7,262 7,537 1.41%

합계 21,066 21,868 23,318 24,345 23,488 20,206 18,543 18,132 18,609 19,730 20,584 0.37%

<표 3-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2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01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3-1>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은 2009년 기준 전 세계 시장의 56.9%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 적이며, 그 중에서도 미국 시장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금융시장이 발달한 지역답게 Financial Information이 전체 정보콘텐츠 시장의 42.4%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증권거래 정보가 전체 시장에서 31.2%의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마케팅 정보콘텐츠의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 적으로 높다는 점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2. 북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황

미국의 정보콘텐츠 시장은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기화로 촉발된 금융위기로 인한 금융기관들의 도산으로 정보콘텐츠 제공 사업자들의 주요 고객이 이탈하면서 시장도 급속도로 축소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글로벌 정보콘텐츠 기업들의 인수/합병과 그에 따른 인력 감소도 시장의 하락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축소 움직임은 2010~2011년까지 이어지다가 2012년경에 회복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미국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들은 온라인 콘텐츠를 확 하며 이와 관련된 각종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툴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기업 인수합병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보다 분석적이고 시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 신 소프트웨어 툴 자체를 서비스하기도 한다.

가. Financial Information미국의 재무정보(Financial Information) 콘텐츠 시장규모는 미국 전체 정보콘텐츠 중에서 가장 큰 비중

인 4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 금융의 중심인 미국의 경우, 금융기관이 밀집해 있는 월 스트리트의 기관 투자가들이 금융 관련 정보콘텐츠 뿐만 아니라 각종 단말까지 함께 이용해 증권시장 분석자료, 각종 지표, 뉴스 등의 실시간 시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Page 12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2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요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인 Thomson Reuters와 Bloomberg가 양강구도를 보이며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2007년 5월 이전만 해도 Bloomberg, Reuters, Thomson의 3자 구도였으나, Thomson의 Reuters 인수 후 경쟁구도가 재편됐다. Thomson Reuter와 Bloomberg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각종 검색 툴을 비롯한 신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나. Marketing Information미국은 전통적으로 다른 정보콘텐츠에 비해 마케팅 정보(Marketing Information) 콘텐츠 시장의 비중이

유난히 큰 편이다.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9년 기준 약 56.9%인데 비해, 마케팅 시장만 놓고 보면, 미국의 비중은 70%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미국 마케팅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마케팅 컨설팅 부문으로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 인력 비중도 높다. 광고 행은 마케팅 컨설팅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거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다이렉트 메일(DM)은 그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다. Industry Information미국의 산업정보(Industry Information) 콘텐츠 시장은 법률/세금 정보 콘텐츠 시장이 2009년 기준

55.6%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지만,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의 확 로 2014년에는 52%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인구 고령화와 신규 수익원을 찾는 통신사업자들의 높은 관심도에 힘입어 헬스케어 정보콘텐츠 시장은 2009년의 27% 수준에서 2014년에는 30%로 확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도 산업정보 콘텐츠 시장은 헬스케어 정보콘텐츠가 시장 성장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온라인 법률 정보콘텐츠 시장은 Thomson Reuters와 Reed Elsevier, Wolters Kluwer 등 주요 3社가 시장의 82%를 장악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Thomson Reuters와 Reed Elsevier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주로 법률 정보를 제공하는 이들 3社는 현재의 단순 정보제공에서 벗어나 소송지원이나 법률교육 등과 같은 법률 실행, 소프트웨어 지원이나 고객 발굴 및 컨설팅 서비스 등과 같은 법률 비즈니스까지 사업영역을 확 하고 있다.

Page 12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03

제 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망

1.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122억 2,100만 달러에서 2009년 110억 1,0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0.63%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113억 6,1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4,783 4,800 4,576 4,959 4,722 3,970 3,599 3,453 3,505 3,768 3,937 -0.17%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139 146 222 243 236 197 178 166 172 184 194 -0.32%

신용 정보 1,332 1,386 1,426 1,521 1,472 1,222 1,084 1,018 1,037 1,108 1,155 -1.12%

소계 6,254 6,332 6,224 6,722 6,430 5,389 4,860 4,637 4,715 5,060 5,286 -0.39%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1,530 1,630 1,630 1,727 1,688 1,569 1,485 1,431 1,477 1,566 1,638 0.85%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1,928 1,950 2,230 2,363 2,336 2,256 2,225 2,212 2,210 2,288 2,327 0.63%

헬스케어 정보

307 314 924 1,026 1,068 1,099 1,119 1,161 1,194 1,272 1,332 3.92%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504 533 573 613 631 632 636 653 662 699 723 2.72%

기타 정보 85 78 75 73 69 65 61 59 57 56 55 -3.20%

소계 2,824 2,875 3,802 4,076 4,104 4,051 4,041 4,084 4,123 4,315 4,437 1.83%

합계 10,608 10,837 11,655 12,525 12,221 11,010 10,387 10,153 10,315 10,941 11,361 0.63%

<표 3-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2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4 한국콘텐츠진흥원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3-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 황

각종 유료 정보콘텐츠 산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유럽은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의 31.0%를 차지하며 미국과 함께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Reed Elsevier나 Wolters Kluwer, The Nielsen Company 등과 같은 글로벌 정보콘텐츠 업체들도 부분 유럽을 본거지로 유럽 및 전 세계를 상으로 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 역시 영국 런던을 중심으로 금융 산업이 발달해 있어 재무 정보(Financial Information) 시장이 전체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49%에 이르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이 전체 정보콘텐츠 시장의 3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유럽권 정보콘텐츠 시장은 미국과 달리 법률/세금 정보 콘텐츠 시장이 마케팅 정보콘텐츠 시장보다 더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유럽지역이 법률이나 세금과 같은 전통적인 정보서비스 영역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유럽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에서도 Thomson Reuters와 Bloomberg의 두 업체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나, 증권거래 정보콘텐츠 시장을 제외한 다른 정보콘텐츠 분야에서는 글로벌 업체들의 시장 독식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유럽이 여러 국가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 국가마다 시장 상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언어가 공존하고 있다는 점도 영어 정보콘텐츠로 단일화된 미국과 달리 다양한 틈새시장이 존재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에서는 국가별, 언어별로 특화된 정보콘텐츠를 제공하는 중소업체들이 다양한 수요에 맞는 정보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 내에서도 서유럽, 특히, 영국, 독일, 프랑스의 3국이 전체 유럽 시장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 금융 산업이 발달한 영국은 유럽 최 정보콘텐츠 시장인 동시에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정보 콘텐츠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증권거래와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콘텐츠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영국에는 Pearson을 비롯한 세계적인 정보콘텐츠 업체들의 본사가 자리잡고 있으며, Reed Elsevier, Wolters Kluwer 등 유럽의 표적 정보콘텐츠 업체들도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Page 12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05

제 3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망

1.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14억 6,200만 달러에서 2009년 12억 7,2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감소세는 2012년까지 지속되다가 2013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되지만, 2009년부터 2014년까지 -2.2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11억 3,500만 달러 규모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659 654 583 617 594 507 446 428 420 439 445 -2.61%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19 20 28 30 30 25 22 21 21 21 22 -2.76%

신용 정보 184 189 182 189 185 156 134 126 124 129 130 -3.54%

소계 862 863 793 837 809 689 603 575 565 589 597 -2.82%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175 178 166 172 168 147 132 127 124 130 132 -2.16%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249 246 263 276 276 243 226 217 211 215 213 -2.60%

헬스케어 정보

40 40 109 120 126 118 114 114 114 119 122 0.59%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65 67 68 72 75 68 65 64 63 66 66 -0.58%

기타 정보 11 10 9 9 8 7 6 6 5 5 5 -6.30%

소계 365 363 449 476 485 437 411 402 393 405 406 -1.43%

합계 1,402 1,404 1,408 1,484 1,462 1,272 1,146 1,103 1,083 1,124 1,135 -2.26%

<표 3-3>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2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6 한국콘텐츠진흥원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3-3>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황

일본의 정보콘텐츠 시장은 증권거래 정보나 금융 리서치 정보, 신용정보 등을 기업에게 제공하는 ‘기업정보’, 일반 뉴스나 금융 뉴스 등을 제공하는 ‘기사정보’, 법률/세금 정보를 제공하는 ‘법률정보’ 등 3개 카테고리로 묶을 수 있다.

가. 기업 정보콘텐츠기업정보 콘텐츠 서비스는 필요한 기업만을 등록해 결과를 인터넷 상에서 확인하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특정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특정 결과만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 있다. 기업들의 변화 내용을 신속히 전하기 위해 결산 시기나 여신변경 시기 등을 매월 혹은 일 단위로 서비스한다.

한편, M&A를 위해 기업정보가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장기업은 주가로 판단하지만 다수의 비상장기업이나 피합병기업에 해서는 ‘기업 가치 판단’이 아주 어렵고 불투명한 경우가 많다. 때문에 최근 기업정보를 이용해서 기업 가치를 산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늘면서, 기업가치 산출의 기초가 되는 기업정보의 신뢰성도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기업정보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Page 12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일본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07

나. 기사 정보콘텐츠주요 신문사들이 제공하는 기사 정보 콘텐츠는 신문, 잡지 내용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서

적, 사전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Nikkei나 Asahi 등과 같은 신문사들은 자사가 보유한 각종 기사를 유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다른 주요 신문사들 역시 전자신문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고 있다. 2008년 4월에는 Asahi 신문사와 Jiji통신, Nikkankougyo 신문사 등 일본 내 유력 신문 3社가 유료 비즈니스 정보검색 서비스인 ‘Kijisaku’를 개시했는데, 3社가 공동으로 800만개 이상의 기사정보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이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들이 자사가 PR하고 싶은 정보를 검색 Top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상용 정보콘텐츠 서비스에는 이러한 광고요소가 없었기 때문에 ‘Kijisaku’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Nikkei Telecom 21은 2008년 3월부터 검색되는 기사정보에 해 ‘선별 후보’를 표시하는 서비스를 개시했다. ‘선별 후보’는 회사명, 이름, 장소, 매체, 기간의 5 종류로 검색된 기사본문과 정보를 자연어로 처리하고, 상이 되는 기사의 수(數)도 그래픽으로 표시함에 따라 비주얼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다. 법률/세금 정보콘텐츠일본 법률/세금 정보 콘텐츠 시장은 온라인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2007년부터 LexisNexis나

Thomson과 같은 세계적 정보 제공업체들의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법률 정보 제공업체들의 지각 변동도 발생했다. 그 동안 제휴 관계였던 신일본출판주식회사와 미국 Thomson은 Westlaw Japan을 설립하고 일본 법률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주)Gyosei가 (주)일본법률정보센터를 인수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주요 법률 정보 제공업체는 Daiichihoki, Gyosei, LIC, LexisNexis JP, Westlaw Japan, TKC 등 총 6개 업체로 재편되었다.

제공업체 서비스명 내용

TKC'LEX/DB 인터넷‘

판례, 국세불복 심판소 재결사례, 특허청 심결을 full 텍스트로 제공,

공적판례집, 최고재판소민사판례, 형사판례집 등을 PDF로 수록

‘TKC lawlibrary LEX/DB 인터넷을 중심으로 일부 학술용 출판사 콘텐츠를 제공

Daiichihoki D1-Law.com 법률정보종합 데이터베이스

Gyosei 현행법령 / 판례검색 DB 법률 판례, 코멘트, 법령 등을 제공

EOC/LIC판례비서.jp

‘판례비서(DVD)’의 후속 버전. 판례, 코멘트, 논문, 해석/비평정보를

수록

주요법률잡지DVD 법률전문잡지를 중심으로 DVD로 법률 정보 제공

LexisNexis Japan LexisNexis JP판례, 판례해설, 법령, 잡지/논문, 공정거래위원회심결, 영문계약서

식 등을 수록

Westlaw Japan Westlaw Japan 법령, 재판례, 서적/잡지, 문헌정보 등을 수록

<표 3-4> 일본 주요 법률 정보 제공업체의 서비스 내용

자료원: 일본정보처리개발협회, 2008.5

Page 13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08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4 국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망

1. 국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10억 100만 달러에서 2009년 10억 3,2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7.49%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 시장 규모가 14억 8,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차지하는 절 적인 비중은 아직 낮지만,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글로벌 기업들의 높은 관심으로 인해 향후 세계 시장에서의 비중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261 301 325 379 407 412 414 437 475 528 580 7.11%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8 9 16 19 20 20 20 21 23 26 29 6.94%

신용 정보 73 87 101 116 127 127 125 129 141 155 170 6.08%

소계 342 397 442 514 554 559 560 587 639 709 779 6.87%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67 81 92 106 115 119 122 130 141 156 172 7.60%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95 113 147 169 189 197 210 222 238 258 278 7.12%

헬스케어 정보

15 18 61 74 86 96 106 117 129 144 159 10.63%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25 31 38 44 51 55 60 66 71 79 86 9.34%

기타 정보 4 4 5 5 6 6 6 6 6 6 7 3.04%

소계 139 166 250 292 332 354 382 410 444 487 531 8.40%

합계 548 644 785 912 1,001 1,032 1,063 1,127 1,224 1,352 1,482 7.49%

<표 3-5> 국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3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09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3-4> 국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 국 정보콘텐츠 시장 황

중국은 아직까지 상당수의 기업이 국영이며, 이는 정보콘텐츠 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 정보콘텐츠 시장이 민간 기업들 주도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부분 정부 산하기관들이 유료로 각종 관련 정보콘텐츠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제공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제공되는 주요 온라인 정보콘텐츠 서비스로는 1) 국가교육부가 주관하고 청화 학교가 운영하는 ‘중국지망(中國知网)’, 2) 금융 및 경제 정보를 주로 제공하는 중국재경신문검색DB, 3)약 60억자 분량의 DB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정보뱅크DB, 4) 인터넷을 포함한 IT 등 최신 산업정보를 제공하는 iResearch 등이 있다.

가. 중국지망 중국지망은 청화 학교가 운영하는 정보콘텐츠 서비스로 각종 학술정보, 석박사논문, 참고도서, 특허 및

표준 관련 정보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지망이 제공하는 정보콘텐츠 서비스로는 중국학술정기간행물온라인출판DB, 중국연감온라인출판DB, 중국통계연감DB, 중국특허원문DB, 국가과학기술성과DB, 중국표준DB, 국외표준DB, 중국박사학위논문원문DB, 중국우수석사학위논문원문DB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Page 13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10 한국콘텐츠진흥원

서비스명 내용

중국학술정기간행물온라인출판DB

(中國學述期刊网絡出版悤庫)

- 최대 규모의 중국학술 정기간행물 데이터 제공

- 학술, 기술, 정책 지도와 고등교육 정기간행물을 위주로 중국 내 7,400여

종의 주요 학술 간행물 수록

- 자연과학, 공정기술, 농업, 철학, 의학, 인문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을

포함함

중국특허원문DB

(中國專利全文數据庫)

- 1985년 9월 이후의 발명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특허 등 모든 특허를

수록하고 있으며, 가장 최신 발명특허 자료도 수록함

- 특허의 내용은 국가 지적재산권 관리국 지적재산권 출판사를 출처로 하며,

관련문헌과 성과 등의 정보는 CNKI 데이터베이스를 출처로 함

- 특허 신청번호, 신청일, 공개번호, 특허명, 개괄, 분류번호, 신청인, 발명인,

주소, 특허대리기관, 대리인, 우선권 등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특허설명서

전문을 다운로드 가능함

국가과학기술성과DB

(國家科技成果數据庫)

- 1978년 이후 정식으로 등록된 모든 중국 과학기술 성과를 수록한 DB

- 모든 성과정보는 성과개괄, 입안현황, 평가현황, 지적소유권 상황과 성과응용

현황, 성과완성단체 현황, 성과완성 인물현황, 단체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음

중국표준DB

(中國標準數据庫)

- 모든 국가표준(GB), 국가건설표준(GBT), 중국산업표준의 색인정보 수록

- 약 8만여 개의 표준(항목)이 있으며, 표준의 내용은 중국표준화 연구원

국가표준기관이 출처임

- 중문표제, 영문표제, 중문 관련어, 영문 관련어, 단위(단체) 발표, 요약,

대체된 표준, 응용관계 등으로 검색

- 국가표준분류법(ICS분류)과 중국표준분류법(CCS분류) 채택

중국박사학위논문원문DB

(中國博士學位論文全文數据庫)

- 중국박사학위논문 데이터를 수록하고 있으며, 2007년 12월 31일 기준 수록된

박사학위논문 원문은 7만 3,000편 이상임

- 1999년 이후 논문을 주로 싣고 있으며, 1999년 이전의 논문도 일부 제공함

중국우수석사학위논문원문DB(中

國优秀碩士學位論文全文數据庫)

- 중국우수석사학위논문 원문DB를 수록하고 있으며, 2007년 12월 31일 기준

수록된 석사학위논문 원문은 55만여 편 이상임

- 전국 460 곳의 석사 배출 단체의 우수석사학위논문이 출처임

중국중요회의원문DB

(中國重要會議論文全文數据庫)

- 2000년 이후 국가 2급 이상 학회, 협회, 대학교, 연구소, 학술기관단체의

논문집을 제공함

- 매년 약 10만 편의 논문을 업데이트 하는데, 2006년 12월 31일 기준 약

58만 편이 수록되어 있음

- 2000년 이전 사회과학분야 회의논문 회고록도 일부 수록

중국중요신문전문데이터정보

(中國重要報紙全文數据庫)

- 2000년 이후 중국 국내 주요 신문 게재물의 학술자료 DB 제공

- 2006년 12월 31일 기준 신문원문DB 645만여 편 이상이 수록되어 있으며,

중국 국내 공식 발행 기관의 500편 이상의 주요 신문이 출처임

국학보전DB

(國學寶典數据庫)

- 국학보전DB는 중문도서관, 중국문화연구기관, 전문연구원과 문학사

애호가들의 중화고적전문자료에 대한 검색시스템

- 선진(춘추전국시대 이전)에서 청나라 말까지 한자로 집필된 역사전적을

수록하고 있으며, 대부분 문헌은 작가의 간단한 소개와 내용구성, 판본 등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표 3-6> 국지망의 정보콘텐츠 서비스 제공 내용

자료원: 중국지망

Page 13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중국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11

나. 중국재경신문검색DB(中國財經報刊數据庫)금융증권선물신문과 간행물 약 200여종을 수록하고 있으며, 증권업, 은행업, 보험업, 과학연구단체와 도서

관, 재경정보DB 등을 제공하고 있다. 4 증권신문, 외국저널 간행물, 증권잡지, 산업별 간행물, 증권시황보고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간과 월간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되며, 즉각적으로 발표되는 정보들은 즉시 업데이트 한다. 하루에 업데이트 되는 양은 2,200여 편 정도에 이른다.

다. 중국정보뱅크DB(中國資訊行數据庫)(China Infobank)중국정보뱅크DB는 60억자 분량의 DB를 수록하고 있으며, 매일 약 1,000만자의 내용이 업데이트 된다. 중국

의 비즈니스와 각 산업별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경제, 비즈니스, 법률, 기업, 인물 등의 정보를 DB化해서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명 내용

중국경제뉴스DB중국의 1,000여개 신문과 정기간행물에서 제공하는 경제정보 제공. 19개 분야,

194개 항목으로 분류

중국비지니스 리포트

(中國商業報告庫)1,000여 명의 경제 전문가와 학자들이 분석한 중국경제 연구 문헌 수록

중국법률법규DB

(中國法律法規)

1949년 이후 각종 법률 및 법규 원문과 사례를 제공하는 DB로, 지방 및 산업별

법률도 포함

중국통계DB

(中國統計數据庫)

1995년부터 현재까지 국가와 각 성, 시 및 지방 통계국의 연감, 세관통계, 경제특

보, 중국 인민은행 통계보고 등의 자료 수록

홍콩상장회사DB

(香港上市公司文獻庫)홍콩상장회사의 자료 DB 제공

중국상장회사DB

(中國上市公司文獻庫)

중국 상장회사(A주식, B주식, H주식)가 발표한 주식 정보 수록, 상장회사 공고,

중간보고, 연말보고 등의 DB 제공

중국인물DB

(中國人物庫)

중국의 주요 정치인, 기업가, 은행가, 과학자, 기타 저명인사들의 약력과 관련정보

제공

중국기업상품DB

(中國企業産品庫)중국 27만여 기업의 기본 현황과 상품자료 DB 제공

중국의료건강DB

(中國醫療健康庫)

100여 종의 전문 의료/의약 저널 DB 제공. 중국의료과학기술, 신의약상품, 전문

병원, 유명 의료진 등의 정보 수록

전문용어DB

(名詞解釋庫)중국에서 사용하는 경제, 금융, 과학기술 등의 산업별 전문용어 해설 제공

중국 중앙 및 지방기관 DB

(中國中央及地方政府机构庫)

중국 중앙 국무처 기관 및 지방 각 부문의 DB 제공. 기관 책임자, 직무, 위치, 전

화번호 등의 자료를 포함

<표 3-7> 국정보뱅크DB 서비스 제공 내용

자료원: 중국정보뱅크DB

Page 13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12 한국콘텐츠진흥원

라. iResearch(艾瑞市場咨詢)iResearch는 인터넷 미디어, 전자상거래 서비스, 인터넷 게임, 모바일 등 새로운 산업분야에 한 시장조사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회사다. 인터넷 업체, 광고주, 광고 리업, 투자기관 등 200여 개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iResearch는 상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03년 10월 북경에 지점을 설립한데 이어, 2008년 1월 광주에도 분점을 설립했다. 주요 서비스로는 iUserTracker, iAdTracker, iUserSurvey, iDataCenter 등이 있다.

서비스명 내용

iUserTracker

(http://www.iusertracker.com/)

- 네트워크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

- 중국 네트워크 시장의 객관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중국 인터넷 산업의 가치

있는 정책 결정을 위한 DB 제공

- 중국네트워크정보센터(CNNIC)의 중국 네티즌 조사연구 자료를 기초로 제공

iAdTracker

(http://www.iadtracker.com/)

- 네트워크 광고 모니터링 분석 서비스 제공

- 중국의 주요 90여 개 인터넷 사이트에 대해 일일 단위의 네트워크 광고

모니터링 수행

- iAdTracker는 2001년부터 중국 인터넷 광고 모니터링을 시작하여 2005년

6월까지 15만개 이상의 광고기록 DB 수록

iDataCenter

(http://www.iresearch.com.cn/i

datacenter/)

- 중국 인터넷 산업 연구 DB센터

- 인터넷 사용자 DB와 네트워크 경제 산업 연구 보고 DB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iDataCenter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내용 열람 가능

<표 3-8> 국정보뱅크DB 서비스 제공 내용

자료원: iRearch

Page 13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아시아․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13

제 5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망

1.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13억 1,600만 달러에서 2009년 12억 5,4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1년까지 지속되다가 2012년부터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1.7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13억 6,8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457 467 503 541 534 500 478 475 486 515 536 1.38%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13 14 24 26 27 25 24 23 24 25 26 1.22%

신용 정보 127 135 157 166 167 154 144 140 144 151 157 0.41%

소계 597 616 684 733 728 679 646 638 654 691 719 1.16%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114 124 143 150 152 145 141 141 144 152 159 1.85%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167 175 227 242 249 240 243 242 244 252 257 1.39%

헬스케어 정보

27 28 94 105 114 117 122 127 132 140 147 4.71%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44 48 58 63 67 67 69 71 73 77 80 3.50%

기타 정보 7 7 8 8 7 7 7 6 6 6 6-2.47

%

소계 245 258 387 417 437 431 440 446 455 475 490 2.61%

합계 956 998 1,214 1,300 1,316 1,254 1,227 1,226 1,253 1,318 1,368 1.75%

<표 3-9> 아태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3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14 한국콘텐츠진흥원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3-5> 아태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 아시아ㆍ태평양권 정보콘텐츠 시장 황

아시아ㆍ태평양권이 세계 정보콘텐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지만 인도 등 일부 국가들의 급격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향후 성장세가 기 되는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인도는 지난 3년간 아태권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시장으로, 연평균 성장률이 20%를 넘는다. 이는 인도 정부가 외국인 소유한도 제한을 완화함에 따라 인도에 한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되며 각종 정보콘텐츠에 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기업들의 콜센터를 비롯해 각종 아웃소싱 서비스가 인도에 집중되면서 인도 시장에 한 정보콘텐츠 수요가 늘어난 것도 인도 정보콘텐츠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인도의 경우 각종 규정이 잘 정비되어 있고,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미 해외 정보콘텐츠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인도의 정보콘텐츠 시장 성장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외에도 아태권에서는 호주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의 국제적인 아웃소싱이 많은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정보콘텐츠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Page 13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6 절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15

제 6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망

1.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의 규모는 2008년 7억 9,000만 달러에서 2009년 7억 6,000만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감소세는 2010년까지 지속되다가 2011년에 성장세로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9년부터 2014년까지 2.83%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4년에는 8억 7,300만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Financial Information

증권거래 정보

283 285 280 296 294 271 258 259 273 293 312 2.82%

금융뉴스 및 리서치 정보

8 9 14 15 15 13 13 12 13 14 15 2.67%

신용 정보 79 82 87 91 92 83 78 76 81 86 91 1.84%

소계 370 376 381 402 400 368 348 348 367 394 418 2.60%

Marketing Information

마케팅 정보 94 104 106 113 115 109 106 107 110 116 122 2.25%

Industry Information

법률/세금 정보

122 126 141 151 156 157 160 162 166 170 175 2.12%

헬스케어 정보

19 20 58 65 72 77 81 85 90 95 100 5.47%

일반뉴스 및 리서치 정보

32 35 36 39 42 44 46 48 50 52 54 4.24%

기타 정보 5 5 5 5 5 5 4 4 4 4 4-1.76

%

소계 178 186 240 260 275 283 291 299 310 322 333 3.35%

합계 641 666 727 774 790 760 744 754 787 831 873 2.83%

<표 3-10>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Page 13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정보콘텐츠 시장 동향 및 전망

116 한국콘텐츠진흥원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그림 3-6>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WC, 2009, Simba Information, 2008,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 황

남미권 정보콘텐츠 시장은 절 적인 시장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2014년까지 연평균 2.8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국에 이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문별로는 증권거래 정보 등을 다루는 재무정보(Financial Information)의 비중이 가장 높다. 산업정보(Industry information)에서는 법률 및 세금 정보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향후 헬스케어 정보 서비스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Page 13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Acxiom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17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제 1 Acxiom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97년 CEO John Meyer

직원수 6,460명(2008년 말) 홈페이지 www.acxiom.com

상장증시 NASDAQ 상장명 ACXM

본사 주소 41 Information Way Little Rock, AR 72202 United States

사업영역 Marketing, Financial, Credit, Insurance, Retail, Industry 정보

Financial Profile(3월 결산)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6년 1,333 -10 -5.5%

2007년 1,395 12 5.0%

2008년 1,384 2 0.6%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Acxiom은 미국 최 소비자 및 가구(家口) DB 보유업체로, 이메일 및 전화 마케팅용 주소, 전화번호, 인구정보 등을 기업들에게 제공하며, 온라인으로 마케팅 및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마케팅 정보를 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외에 신용정보와 금융정보, 보험정보 등과 관련한 툴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호주, 중국 등에도 진출하는 등 글로벌 사업도 확 하고 있다.

Acxiom은 사업지역을 기준으로 사업부를 나누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력인 미국시장을 담당하는 US Service & Data와 해외시장을 담당하는 International Service & Data로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다. Acxiom의 회계연도 기준은 매년 3월이다.

3. 최근 Company 이슈

Acxiom은 1) 글로벌 시장진출 2) 정보제공 채널의 다양화 3) 서비스 솔루션 확 등을 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해외 정보콘텐츠 기업 및 신규 솔루션 업체들에 한 인수를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Acxiom은 2004년 1월 네덜란드의 Claritas Europe을 4,000만 달러에 인수한데 이어, 4월에는 프랑스 마케팅 정보업체인 Consodata를 3,650만 달러에 인수했다. 이후 Nashville, SmartDM,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등을 차례로 합병했으며, 2004년 11월에는 중국 상하이의 비즈니스 정보 및 CRM

Page 14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18 한국콘텐츠진흥원

업체인 ChinaLOOP을 인수했다. 2005년 1월에 SmartDM을 인수한 데 이어, 4월에는 인터넷 마케팅 서비스업체인 Digital Impact를, 8월에는 금융사기 예상 서비스 업체인 InsightAmerica를 인수했다.

또한 2006년 12월에는 컨설팅 및 시장분석 업체인 Henry Group의 Equitec 사업부를 1,440만 달러에, 2007년 3월에는 인력 트레이닝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 툴 개발업체인 Harbinger Associates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통합 솔루션 업체인 Kefta를 각각 940만 달러와 890만 달러에 인수했다. 2007년 5월과 9월에는 모바일 마케팅 솔루션 업체인 Acuity Mobile과 온라인 배너 타게팅 솔루션 업체인 EchoTarget을 인수하기도 했다.

2007년 8월 Acxiom Digital 마케팅 솔루션 팀은 고객들에게 마케팅 메시지를 제공하는 ‘CertifiedEmail’을 만든 Goodmail System과 제휴를 체결했으며, Acxiom은 Acuity Mobile과도 제휴, 고객 데이터와 실시간 모바일 콘텐츠 제공 플랫폼으로 행동 분석을 통합하는 새로운 모바일 마케팅 솔루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2008년 7월에는 ChoicePoint의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솔루션 부문을 인수하면서 은행, 보험, 미디어 부문으로부터 7개 신규 고객사를 유치했다. 2008년 10월에는 XSellNet과 장기간의 독점 제휴 계약을 체결하고 실시간 고객 정보와 분석 툴을 제공하는 'X12' 서비스를 선보였다.

2009년 9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를 상으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DMS(Direct Marketing Services)를 인수했다. 이는 향후 중동 및 북아프리카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한 2009년 12월에는 시장조사기관 Forrester Research가 Acxiom을 이메일 마케팅 선두 기업으로 발표하는 등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해가고 있다.

Page 14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Bloomberg L.P.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19

제 2 Bloomberg L.P.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81년 CEO Lex Fenwick

직원수 10,500명(2008년 기준) 홈페이지 www.bloomberg.com

상장증시 비상장 상장명 -

본사 주소 499 Park Ave. New York NY 10022 United States

사업영역 증권정보, 금융정보

Financial Profile(3월 결산)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6년 - - -

2007년 - - -

2008년 - - -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Bloomberg는 세계 최 증권거래 및 금융관련 정보 제공업체로, 전용 단말기인 ‘Bloomberg 단말기’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Bloomberg 서비스는 전 세계 125개국에서 금융/증권 뉴스, 시장 데이터, 분석자료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가만 1,600명이 넘는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 투자기관, 일반 상업은행, 정부기관, 기업, 미디어 업체 등이 Bloomberg의 주요 고객이다.

Bloomberg의 경쟁업체로는 Reuters와 Thomson Financial이 있는데, Bloomberg는 2004년 접어들어 기존 1위였던 Reuters를 추월했으며, 이후 시장점유율 33%로 굳건한 1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07년 Thomson이 Reuters를 인수하면서 Thomson-Reuters 합병회사의 시장점유율이 34%로, 다시 순위가 역전됐다.

3. 최근 Company 이슈

Bloomberg의 주요 전략은 1) 사업 다각화를 통한 매출원 확 와 2)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강화로 요약할 수 있다. Bloomberg는 그 동안 ‘Bloomberg Professional 단말기’의 매출이 전체의 90% 가까이를 차지해 왔으나, 최근에는 Bloomberg News, Bloomberg TV, Bloomberg Magazine, Bloomberg Press 등 다양한 미디어와 각종 하드웨어를 통해 매출원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Bloomberg는 또한 글로벌 사업도 확 하고 있는데, 2007년 5월 중동지역에서 Bloomberg TV 영어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2007년 6월에는 NumeriX와 공동으로 리스크 분석 툴을 개발, 제공하기 시작했다.

Bloomberg는 또한 2007년 뉴스 검색 엔진인 NSE<GO>와 실시간 통합 시장 데이터 제공 서비스인 B-pipe On-Demand, 사용자들이 분석 여론과 증권 브로커들의 예측을 보고 평가하도록 만들어진 ‘Best'를 출시했다.

Page 14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20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년 10월에는 McGraw-Hill로부터 경제전문지 BusinessWeek를 인수했다. 미국의 표적인 경제전문지 BusinessWeek 인수로 경제 금융 서비스 강화에 나선 것이다.

한편, Bloomberg는 기존에 무료로 제공되던 인터넷 정보를 유료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뉴스 제공 터미널당 월 1,500달러의 구독료를 받고 있는 Bloomberg는 'bloomberg.com' 이나 'businessweek.com'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유료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24).

24) mbn(2009). "블룸버그, 인터넷 콘텐츠 유료화 검토". 2009. 12. 7.

Page 14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Dow Jones &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21

제 3 Dow Jones & Company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882년 CEO Les Hinton

직원수 7,500명(2007년 기준) 홈페이지 www.dowjones.com

상장증시 NYSE 상장명 DJ

본사 주소 1211 Avenue of the Americas, New York, NY 10036, United States

사업영역 비즈니스 뉴스 및 정보 제공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6년 - - -

2007년 - - -

2008년 - - -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Dow Jones는 세계 최고의 경제전문지인 The Wall Street Journal(WSJ)과 WSJ의 온라인판인 WSJ.com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인 비즈니스 뉴스 및 정보제공 업체 중 하나로, Dow Jones NewsWire, Barren's, MarketWatch, FEER 등도 운영하고 있다. WSJ.com은 유료 가입자 수가 가장 많은 온라인 뉴스 사이트이며, 70만 명이 넘는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Dow Jones는 또한 각종 지표들을 개발, 제공하는 Dow Jones Index도 운영하고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인 ’DJIA(Dow Jones Industrial Average)‘이다. Dow Jones는 또한 Reuters와 합작사로 설립했던 Factiva의 지분 중 Reuters 보유지분을 2006년 12월모두 인수함으로써, Factiva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했다. Factiva는 전세계 118개국의 9,000개 뉴스원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22개 국어로 제공하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Dow Jones는 2004년 온라인 금융정보 제공업체인 MarketWatch를 5억 2,300만 달러에 인수하면서 온라인 사업을 강화해 왔으며, 다른 정보제공 업체들과의 제휴도 확 해 왔다. 2006년 1월 법률/뉴스/비즈니스 정보의 선두업체인 LexisNexis와 제휴, WSJ Online에서 LexisNesix의 법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2006년 3월에는 Yahoo!와 제휴, WSJ 산하 ‘CareerJournal.com’, ‘RealEstateJournal.com’, ‘StartupJournal.com’, ‘OpinionJournal.com’, ‘CollegeJournal.com’ 등의 기사를 Yahoo!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기로 했다.

Page 14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22 한국콘텐츠진흥원

2006년 12월에는 Reuters와의 합작사인 Factiva의 Reuters 지분인수를 완료함으로써,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도 했다. Dow Jones는 2007년 7월 세계 최 미디어 업체인 News Corp.에 50억 달러에 매각됐으며, News Corp.는 2007년 11월 Dow Jones 인수를 마무리했다.

그러나 최근 신문업계의 위기로 인해 경영난에 처한 News Corp.가 자회사에 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Dow Jones 역시 2009년 9월 63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홍콩 경제 전문지 ‘Far Eastern Economic Review'를 폐간했다. 또한 뉴욕 증시의 상징으로 꼽히는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부문의 매각도 추진하고 나섰으나 2009년 12월 현재까지 구체적인 인수 상자가 나서지는 않고 있다.

Page 14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McGraw-Hill Companie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23

제 4 McGraw-Hill Companies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09년 CEO Harold McGraw III

직원수 21,171명 홈페이지 www.mcgrawhill.com

상장증시 NYSE 상장명 MHP

본사 주소 1221 Ave. of the Americas New York, NY 10020-1095

사업영역 비즈니스정보, 금융정보 서비스, 출판 사업, 이러닝, 정보 및 미디어 서비스 등

주요 계열사Standard & Poor's, McGraw-Hill Education, CTB/McGraw-Hill,

The McGraw Network/McGraw-Hill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5년 6,004 1,490 24.8%

2006년 6,255 1,581 25.3%

2007년 6,772 1,823 26.9%

2008년 6,355 1,464 23.0%

2009년(3분기까지) 4,489 1,323 29.4%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McGraw-Hill Companies는 금융정보와 비즈니스 정보, 교육정보를 중심으로 한 정보출판 시장에서 세계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전 세계 28개국에서 290개가 넘는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와 비즈니스 전문잡지인 BusinessWeek의 모회사로도 유명하다.

McGraw-Hill의 사업부는 1) McGraw-Hill Education 2) The Financial Services Group 3) The Information and Media Service Group의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McGraw-Hill Education은 엔지니어링, 과학, 의학, 보건, 경영, 컴퓨터 기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책, 교구, 기타 자료들을 제공하며, 이 분야에서 세계 최 규모를 자랑한다. McGraw-Hill Education은 초등⋅중등 교과서 시장을 공략하는 The School Education Group(SEG)과 고등 교육 및 전문 서적 시장을 공략하는 The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 and International Group(HPI)의 두 개 부문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SEG 부문은 개별 교사와 학생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교재를 공급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교재 외에 최근 디지털 교재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SEG 사업 부문 중에서는 Glencoe/McGraw-Hill, Macmillan/McGraw-Hill, SRA/McGraw-Hill, Wright Group/McGraw-Hill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HPI 부문은 학 교수진과 학생들을 위한 교재 공급에 주력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교재뿐만 아니라 1,000권이 넘는 전자책 콘텐츠도 공급하고 있다. SEG 부문과 HPI 부문을 합한 McGraw-Hill Education 사업부는 회사 전체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Page 14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24 한국콘텐츠진흥원

The Financial Services Group은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를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 투자자, 기업, 금융기관, 도서관, 정부 기관 등이 주요 고객이며, 이들을 위해 국내외 이슈에 한 평가를 제공한다. 이 사업부는 회사 전체 매출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The Information and Media Service Group은 항공, 건설, 에너지, 헬스케어 산업에 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사업부는 AviationNow.com, Contruction.com, Platts.com 같은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회사 전체 매출 중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교육 출판 및 정보콘텐츠 서비스 부문에서 시장 선두를 달리고 있는 McGraw-Hill은 시장 내에서 안정적인 입지를 유지하기 위해 핵심 역량 위주로 사업을 재편하고 나섰다. 이를 위해 McGraw-Hill은 최근 비핵심 부문 매각과 핵심부문 인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07년에는 카톨릭 서적 출판업체 Benziger 부문을 종교서적 출판업체인 CFM Religion에 매각했다. 또한 Standard & Poor's는 금융시장 정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공급업체 IMAKE Consulting과 금융 정보 분석 솔루션 공급업체 ABSXchange를 인수했다. McGraw-Hill 산하 J.D. Power and Associates는 2008년 4월 소셜 미디어 등에 특화된 미디어 리서치관련 마케팅 업체인 Umbria Inc를 인수했으며, 2008년 10월 McGraw-Hill 산하 S&P는 Thomson Reuters로부터 Reuters Estimates, Reuters Research-on-Demand Databases와 관련 자산을 인수하기도 했다.

또한 2009년 10월 지속적인 광고 매출 감소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BusinessWeek를 Bloomberg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80년 전통의 유명 경제전문지BusinessWeek 잡지 부문과 BusinessWeek.com은 Bloomberg 통신의 모회사인 Bloomberg LP의 소유가 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매각 가격은 200만~500만 달러 선이며, Bloomberg가 BusinessWeek의 부채를 모두 인수하는 조건인 것으로 보도됐다. BusinessWeek는 전세계 140여개국에 진출한 유명 경제잡지였음에도 불구하고 불황으로 광고 수입이 감소하면서 경영난을 겪어 왔다. 실제로 2009년 9월 기준 BusinessWeek의 광고 수입은 전년 비 32%나 감소한 1억 1,260만 달러에 그쳤다.

Page 14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절 Pearson plc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25

제 5 Pearson plc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844년 CEO Glen Moreno

직원수 33,680명(2008년 기준) 홈페이지 www.pearson.com

상장증시 NYSE & London 상장명 PSO & PSON

본사 주소 80 Strand London WC2R 0RL UK

사업영역 도서 출판(일반 및 교육용), 신문 발간

주요 계열사 FT Group, Penguin Group, Prearson Education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파운드)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5년 4,096 506 12.4%

2006년 4,051 592 14.6%

2007년 4,162 619 14.9%

2008년 4,811 762 15.8%

2009년(상반기) 2,398 158 6.6%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Pearson은 형 미디어 출판 기업으로 FT Group, Pearson Education, Penguin Group을 비롯한 세개의 사업부문으로 운영된다. FT Group은 재정 정보와 비즈니스 뉴스를 제공하며, Pearson Education은 교재 및 관련 자료를 출판하는 세계 최고의 교육용 출판 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Penguin Group은 Putnam이나 Viking과 같은 브랜드를 통해 픽션, 논픽션, 및 참고 서적 등을 출판하는 글로벌 출판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Financial Times Group은 세계적인 경제전문지로 전 세계 약 25개 도시에 배포되어 130만 명의 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만 10만 부 이상의 발행부수를 자랑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도 Financial Times Group의 뉴스를 배포하고 있다. 주간지 The Economist를 출판하는 The Economist Group 지분의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재무 정보콘텐츠 제공사인 Interactive Data Corporation의 지분도 60% 보유하고 있다.

Financial Times는 최근 신문 시장의 광고 수입과 구독료 수입의 동반 하락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2008년에는 비용 삭감을 위하여 FT Deutschland의 Financial Times 독일어판 지분의 50%를 Gruner + Jahr에 매각한 바 있다. 현재 Financial Times Group은 Pearson 전체 매출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Penguin Group은 도서 출판 영역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 중 하나로 Viking(문학 픽션 및 논픽션), Puffin(아동 도서)과 같은 출판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참고도서 출판사 Dorling Kindersley(DK)

Page 14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26 한국콘텐츠진흥원

및 여행 서적 출판사 Rough Guides도 소유하고 있다. Penguin의 유명 저자로는 Tom Clancy, Patricia Cornwell, Nora Robert 등이 있다. 1953년 Allen Lane에 의해 설립된 Penguin은 저자와 상품 개발에 한 지속적인 투자를 핵심 전략으로 삼으며 Esnest Hemingway나 Agatha Christie를 비롯한 당 최고 작가들의 소설을 출판해왔다.

3. 최근 Company 이슈

Pearson의 계열사인 Penguin Books는 2009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영국 지사 직원의 10%에 해당되는 약 100여명을 감축한다고 발표했다. Pearson은 불황을 그 직접적인 이유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자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또한 참고서적 출판의 장기적인 침체화 압박에 응하여 Dorling Kidersley와 Rough Guides에서 출판하는 출판물의 수와 비용을 감소시켰으며,

신 디지털 부문에 한 투자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Financial Times Group은 온라인 뉴스 구독자에게 개별 뉴스 기사 구독에 따른 소액 결제 시스템

을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FT.com의 전무인 Rob Grimshaw는 Apple이나 Amazon과 같은 방식으로 소비자들이 다운받는 상품의 가를 쉽게 지불할 수 있는 소액 결제 방식을 고려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 시스템은 Financial Times가 제작한 콘텐츠에 해서 편집자와 정기 구독자에게만 한정되어 있는 현재의 방침을 보충할 것으로 보인다.

Mr Gromchaw는 "FT 콘텐츠에 요금을 지불받는 혁신적인 방법을 탐색 중에 있었으며, 소액결제는 가장 가능성 있는 방법일 것으로 여겨진다"고 하면서, "그러나 적절한 경험과 기술적인 솔루션이 배치되어 안정되기 전까지, 구체적인 시간은 논의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Page 14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6 절 Reed Elsevier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27

제 6 Reed Elsevier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880년 CEO Crispin Davis

직원수 36,500명(2008년 기준) 홈페이지 www.reedelsevier.com

상장증시 암스테르담, 런던, 뉴욕 상장명REN(암스테르담), REL(런던)

RUK, ENL(뉴욕)

본사 주소 (영국) 1-3 Strand London WC2N 5JR, (네덜란드)1055 KV Amsterdam

사업영역 교육, 과학, 법률, 비즈니스정보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파운드)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5년 5,166 - -

2006년 5,398 - -

2007년 4,584 - -

2008년 5,334 - -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전문정보 분야에서 세계 최 규모를 자랑하는 Reed Elsevier는 1933년 Reed International PLC와 Elsevier NV의 합병으로 탄생했으며, 네덜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다. Reed Elsevier는 주로 북미지역과 유럽에서 STM(Science/Technology/Medicine), Legal(법률), Education, Business 등 4개 분야에서 정보를 제공해 왔으나, 2007년 Education 사업부인 Harcourt를 Pearson과 Houghton Mifflin Riverdeep에 각각 9억 5,000만 달러와 40억 달러에 분리 매각함으로써 수익성이 낮은 교육 사업부를 과감히 정리했다.

3. 최근 Company 이슈

Reed Elsevier는 상품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의 균형 유지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익성이 낮은 Education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수익성이 높은 다른 사업 위주로 조직을 재편하고 있다. 또한 신기술에 한 투자 확 와 신규 서비스 출시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온라인 정보에 한 수요 증가에

응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Reed Elsevier는 온라인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 그리고 유통채널을 확 한다는 계획이며, 이에 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 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Reed Elsevier는 2006년 4월 캐나다의 온라인 법률 검색 서비스를 신규 런칭하는 한편, 2007년 5월에는 Harcourt Assessment & Harcourt Educational International을 9억 5,000만 달러에 Pearson에 매각했으며, 2007년 7월에는 Harcourt US School Education Business를 Houghton Mifflin Riverdeep 그룹에 40억 달러에 매각하기도 했다. 한편, Reed Elsevier는 2008년 2월부터 진행된 법률 정보 전문 제공업체인 ChoicePoint 인수를 10월에 매듭지음으로써, 36억 달러에 ChoicePoint를 인수

Page 15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28 한국콘텐츠진흥원

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Reed Elsevier는 ChoicePoint 인수를 통해 법률 사업부(Lexis Nexis)와의 시너지 효과가 약 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9년 7월에는 Reed Business Information 산하의 UK Travel Publishing Group을 Clive Jacobs에 매각했다. UK Travel Publishing Group은 Travel Weekly (UK), Travolution, Gazetteers.com을 운영해왔으나, 정보 서비스 사업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Page 15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7 절 Thomson Reuter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29

제 7 Thomson Reuters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34년 CEO Richard Harrington

직원수 50,000여명(2008년 기준) 홈페이지 www.thomson.com

상장증시 TSX, NYSE 상장명 TOC

본사 주소 Toronto-Dominion Bank Tower 66 Wellington Street West Toronto, Ontario M5K 1A1

Canada

사업영역 법률, 세금, 회계, 금융, 과학, 기술, 의료정보 등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6년 6,591 1,248 18.9%

2007년 7,296 1,297 17.8%

2008년 11,707 1,693 14.5%

2009년 상반기 9,640 1,229 12.7%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지난 2007년 5월 Thomson이 Reuters를 인수하면서 탄생한 Thomson Reuters는 세계 최 의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Reuters는 금융정보 부문에서 경쟁업체인 Bloomberg에 1위 자리를 내주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다가 마침내 Thomson에 인수됐는데, 양사는 보완 부문이 많아 시간이 지날수록 합병의 시너지 효과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합병 법인명은 Thomson Reuters로, 증권/금융/경제 뉴스, 법률/세금, 과학/기술, 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의 정보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북미뿐만 아니라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에서 지사나 사무소를 설립하여 글로벌 사업을 펼치고 있다.

3. 최근 Company 이슈

Thomson Reuters는 기존의 인쇄물 사업에서 전자정보 및 온라인 정보콘텐츠 사업으로 주력 분야를 재정비한다는 전략 하에 핵심 역량을 보유한 사업 위주로 적극적인 온라인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정보콘텐츠뿐만 아니라 통합 Workflow Solution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이전에는 콘텐츠 자체에 초점을 맞췄으나, 현재는 고객들이 정보를 교환하거나 통합 분석 및 비교/검색할 수 있도록 각종 소프트웨어와 툴을 함께 제공하는 쪽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Thomson Reuters는 조직을 재편하고 각종 인수합병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Page 15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3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8 The Nielsen Company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964년 CEO David Calhoun

직원수 34,700명(2008년 기준) 홈페이지 http://www.vnu.com

상장증시 비상장 상장명 -

본사 주소 Ceylonpoort 5-25 2037 AA Haarlem The Netherlands

사업영역 비즈니스정보, 인쇄물 유통, 서베이, 마케팅 정보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5년 4,059 - -

2006년 4,178 - -

2007년 4,707 - -

2008년 - - -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The Nielson Company는 VNU가 2007년 접어들면서 새롭게 변경한 사명(社名)이다. 1964년 VNU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The Nielson Company는 네덜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거 미디어 그룹으로, 산하에 시청률 및 각종 서베이 조사로 유명한 ACNielson을 두고 있다. The Nielson Company는 1990년 들어 사업 전략을 바꾸면서 정보콘텐츠 제공업체로 변신하게 됐다. The Nielson Company는 ACNielson을 23억 달러에 인수, Nielsen Media와 통합했으며, 2007년에는 마케팅 조사시장에서 독보적 브랜드로 지명도가 높은 Nielson이라는 브랜드로 사명을 변경하기에 이르렀다.

The Nielson Company는 사명을 변경하면서 기존 사업부도 개편했다. VNU 시절 사업부는 Marketing Information, Media Measurement and Information, Nielson Business Media의 3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조직개편에 의해 Marketing Intelligence, Media Intelligence, Industry Intelligence의 3개 사업부로 재편됐다.

3. 최근 Company 이슈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해 온 The Nielsen Company는 ‘Forward’라는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운영 비용은 줄이고 수익은 증 시켜 왔다. 2007년 들어 사명을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Nielso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하면서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인수합병과 제휴를 통해 보다 특화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

Page 15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8 절 The Nielsen Company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31

이를 위해 The Nielsen Company는 2006년 7월 미국 라디오 및 레코드 시장 조사업체인 Radio & Records(R&R)을 인수했으며, 2007년 5월에는 Experian과 CRM 관련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2007년 6월에는 인터넷 미디어 및 솔루션 업체인 NetRating을, 8월에는 통신 및 미디어 산업 전문 조사업체인 Telephia를 인수하기도 했다. 또한 2008년 2월에는 Set-Top Box에 관한 플랫폼과 TV 시청률을 통합하기 위해 Audience Analytics와 Audience Watch software를 인수했으며, 2008년 5월에는 IAG Research를 인수하기도 했다. 2009년 12월에는 광고주 및 미디어 기업들에게 차세 미디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마케팅 기업 Catalina Marketing Corporation과 합작회사를 설립했다.

Page 15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정보콘텐츠 기업 동향

13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9 Wolters Kluwer

1. Company Profile

Company Overview

설립연도 1889년 CEO Nancy McKinstry

직원수 20,000명 홈페이지 www.wolterskluwer.com

상장증시 암스테르담, 스위스 상장명 WKL.AS

본사 주소 Apollolaan 153 P.O. Box 75248 1070 AE Amsterdam The Netherlands

사업영역 법률, 의료, 비즈니스, 금융, 기업 정보

Financial Profile

연도 매출액(백만달러) 영업이익(EBITDA) 영업이익률

2005년 3,065 474 15.5%

2006년 3,377 556 16.5%

2007년 3,413 667 19.5%

2008년 3,374 678 20.1%

2009년 상반기 1,720 320 18.6%

2. 기업 특징 경쟁력 분석

Wolters Kluwer 역시 Reed Elsevier나 The Nielson Company처럼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정보제공 업체로, 인쇄물, 소프트웨어, 온라인 등을 통해 전문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Wolters Kluwer는 1980년

중반 이후 300개 이상의 기업을 인수하면서 사세를 확장해 왔으나, 2004년부터는 사업의 비효율성을 없애기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해 왔으며, 2007년에는 수익성이 낮은 교육 사업부를 매각하기도 했다.

Wolters Kluwer는 신규 서비스로의 진출보다는 기존에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에 집중함으로써 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Wolters Kluwer의 사업부는 2007년 상반기만 하더라도 Health, Corporate & Finance Service, Tax/Accounting/Legal, Legal/Tax/Regulatory Europe, Education의 5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2007년 4월 Education 사업부를 BridgePoint Capital에 10억 달러에 매각함으로써, 2007년 하반기부터는 Education 사업부를 제외한 4개 사업부로 재편되었다.

3. 최근 Company 이슈

Wolters Kluwer는 이미 지난 수년간 구조조정을 통해 비효율적인 부서를 없애는 등 지속적으로 조직을 개편하는 동시에, 2006년 이후에는 온라인 유통 및 제공 서비스 확 에 초점을 맞추면서, 전략적 제휴와 인수합병도 진행해 왔다. Wolters Kluwer는 2006년 1월 미국 의료관련 솔루션 업체인 ProVation Medical 인수를 시작으로, 8월에는 미국 회계관련 솔루션 업체인 GulfPak Corp.와 역시 회계관련 솔루션 업체인 ATX/Kleinrock을 인수했다. 또한 2007년 8월에는 미국 자동차 딜러 및 렌트 회사의 기술과 리스크를 관

Page 15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9 절 Wolters Kluwer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33

리하는 기업인 AppOne을 인수하기도 했다. 2007년 11월에는 TeamMate를 1,600만 유로에 인수했으며, 12월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의 유명 저널인 MCFR을 4,100만 유로에 인수하기도 했다.

또한 Wolters Kluwer는 전자 임상정보를 제공하는 UpToDate를 2008말년 말에 인수해 헬스케어 서비스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Wolters Kluwer는 UpToDate를 인수함에 따라 인터넷, 데스크탑,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해 임상사례별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도 Wolters Kluwer는 회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인 MYOB를 2008년 4월에 인수했으며, 감사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Ci3를 2008년 11월에 인수해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역량을 강화한 바 있다. 2009년 7월에도 기업 거버넌스 및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AXENTIS를 인수한 바 있다.

Page 15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정보콘텐츠 관련 주요 컨퍼런스

134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5 장 정보콘텐츠 관련 주요 컨퍼런스

제 1 DEXA 2009

1. 개요

개최장소 오스트리아 Linz 개최시기 2009.8.31 ~ 9.3

주관 DEXA Conference Organisation

행사규모 83개 국가, 1,350명의 참가 인원

참여업체 유럽, 북미, 아시아 관련 단체 및 기관

행사목적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각종 시스템과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아키텍처, 데이터 관리에 대

한 정보 교환

주요특징 1990년부터 시작된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 시스템 관련 연례 컨퍼런스

2. 2009년 행사 내용

2009년에는 오스트리아 Linz에서 8월 31일부터 9월 5일까지 6일간 개최됐으며, 20회 DEXA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로 각계 인사들의 강의가 이어졌다.

DEXA 2009 컨퍼런스 주제명

- Data Privacy

- Temporal, Spartial, High Dimensional Database

- Semantic Web and Ontologies

- Web and Information Retrieval

- Mobile Data and Information

- Data and Information Streams

- XML Database

- Data Mining Algorithms

- Multimedia Database

- Data Mining Systems, Data Warehousing

<표 5-1> DEXA 2009 컨퍼런스 주제

자료원: Dexa Homepage

Page 15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AGM SIGMOD/POD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35

제 2 AGM SIGMOD/PODS

1. 개요

개최장소 미국 Rhode Island 개최시기 2009.8.31 ~ 9.3

주관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참여업체 북미 정보콘텐츠 리서처 및 개발자들

행사목적 최신 동향과 관련 기술 및 툴, 경험 등을 공유

주요특징 정보콘텐츠 Researcher 및 개발자들이 참석하는 컨퍼런스 겸 시상식

2. 2009년 행사 내용

2009년에는 제 29회 ACM SIGMOD/PODS가 미국 Rhode Island에서 6월 29일부터 7월 2일까지 3일간 개최됐다.

ACM SIGMOD/PODS 2009 컨퍼런스 주제명

- Curated Database

- Uncertain and Probabilistic Data

- Extreme Data Mining

- Data Exchanging

- Privacy and Anonymization

- Query Optimaztion and Performance

- Database Programming and Performance

- XML Query Processing

- XML and Hierarchical Data

- Data and Application Integration, Spartial Data

<표 5-2> ACM SIGMOD/PODS 2009 컨퍼런스 주제

자료원: Sigmod Homepage

Page 15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정보콘텐츠 관련 주요 컨퍼런스

136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3 ADC

1. 개요

개최장소 뉴질랜드 Wellington 개최시기 2009.1.20 ~ 1.23

주관 Australasian Database Conference

참여업체 호주 지역 대학 및 관련 업체

행사목적 최신 동향과 관련 기술 및 툴, 경험 등을 공유

주요특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리서치와 개발, 애플리케이션 관련 연례 포럼으로 매년 호주 지역 대학들에서 개최

2. 2009년 행사 내용

2009년에는 제 20회 ADC 2009 컨퍼런스가 뉴질랜드 Wellington에서 1월 20일부터 1월 23일까지 개최됐으며, 다음과 같은 주제로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주제명

- High dimensional and temporal data - mage/video retrieval and databases - Information retrieval, filtering and dissemination - Performance issues of databases - Query processing and optimisation - Semi-structured data - Transaction processing - Web access to databases - XML and databases - Advanced database applications - Advanced foundations of databases - Databases for bioinformatics - Data mining/knowledge discovery - Data warehousing - Database system integration issues - Database schema integration - Embedded and Mobile Databases - Federated, distributed, parallel and grid databases - Extended data type management - Logic in databases - Privacy and Secure Databases - Query languages - Spatial data processing/management - Stream Data Management - Web information systems

<표 5-3> ADC 2009 컨퍼런스 주제

자료원: ADC Homepage

Page 15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37

【 참 고 자 료 】

<국내자료>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8). 2008년도 데이터베이스백서. 20082.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2009). 2008년 해외 디지털콘텐츠 시장 조사 : 정보콘텐츠편. 2009.13. mbn(2009). "블룸버그, 인터넷 콘텐츠 유료화 검토". 2009. 12. 7.

<해외자료>1. ABN Amro(2009), Reed Elsevier plc, 2009.112. ABN Amro(2009), Thomson Reuters, 2009.103. Bear Stearns(2009), Professional Publishers : Sentiment Versus Fundamentals, 2009.14. Credit Suisse(2009), Reed Elsevier plc, 2008.125. Credit Suisse(2009), Thomson Reuters, 2009.106. Deutsche Bank(2009), Snakes and Ladders, Heroes and Zeroes, 2009.97. Deutsche Bank(2009), Professional Publishers, 2009.108. Deutsche Bank(2009), Wolters Kluwer NV, 2009.119. ING(2009), Professional Media, 2009.1110. J.P.Morgan(2009), European Professional and Consumer Publishers, 2009.10.2411. J.P.Morgan(2009), Legal Publishing, 2009.912. J.P.Morgan(2009), Thomson Reuters vs Reed Elsevier, 2009.713. J.P.Morgan(2009), Professional Publishers, 2009.114. J.P.Morgan(2009), Reed Elsevier vs Wolters Kluwer, 2009.1115. RBS(2009), Pearson, 2009.1016. PWC(2009),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 2009-201317. Simba Information(2008), Business Information Markets 2007-2008, 2008.318. 日本情報處理開發協會(2009), 전자정보서비스 2009. 2009.5

<인터넷 사이트>1. Acxiom. http://www.acxiom.com2. Bloomberg. http://www.bloomberg.com 3. Dow Jones. http://www.dj.com

Page 16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138 한국콘텐츠진흥원

4. D&B. http://www.dnb.com5. Equifax. http://www.equifax.com6. Experian. http://www.experian.com7. FT.com. http://www.ft.com8. infoUSA. http://www.infousa.com9. Interactive Data Corp. http://www.interactivedata.com10. LexisNexis. http://www.lexisnexis.com11. McGraw-Hill. http://www.mcgraw-hill.com12. Pearson. http://www.pearson.com13. Reed Elsevier. http://www.reedelsevier.com14. The Bureau of National Affairs. http://www.bna.com15. The Industry Analyst Reporter. http://www.industryanalystreporter.com16. Thomson Reuters. thomsonreuters.com 17. Wolters Kluwer. http://www.wolterskluwer.com

Page 16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연구수행기관-(주)스트라베이스

Page 16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와 특성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39

제 1 장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개요

제 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와 특성

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디지털콘텐츠의 수명주기(Life-cycle), 즉, 저작, 편집, 가공, 변환, 저장, 관리, 검색, 유통, 보안, 결제, 과금, 소비의 각 단계별로 적용되는 기반 기술 및 솔루션들을 개발하여 콘텐츠 관련 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시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은 기업용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해 통합되거나 패키지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콘텐츠의 관리, 전송, 정보보안을 통합 지원하는 콘텐츠 솔루션 스위트(Suite)화가 추세이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의 세부 분야는 콘텐츠의 제작, 관리를 담당하는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콘텐츠의 보안과 보호를 관리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 전송을 지원하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으로 나눌 수 있다.

1)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CMS는 다양한 포맷의 각종 콘텐츠를 작성, 수집, 관리, 배급하는 솔루션이다. 즉, 콘텐츠 생산에서부터 활용, 폐기(관리, 배포, 보관)까지의 콘텐츠 전 공급과정(Lifecycle)을 관리하는 기술 및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CMS에 한 명칭이나 영역 구분은 기준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최근에는 CMS의 각종 기능들이 통합되어 단일 제품군으로 출시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전사콘텐츠관리(ECM)25)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정보 보안 영역에 속하는 DRM까지 ECM의 한 영역으로 파악하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

기존 ECM 제품은 주로 통합된 SW 패키지로 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ECM 패키지의 공통 기능만을 간추려 다양한 산업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BCS(Basic Contents Service)가 등장했다. 아직까지 ECM 서비스 부문은 시장의 초기 상태에 머물고 있지만, SW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급부상하고 있어 향후 높은 성장성을 인정받고 있다.

ECM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주요 기능이나 관리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구분한다. 최근에는 CMS 25)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Suite

Page 16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개요

140 한국콘텐츠진흥원

솔루션이 통합(Consolidation)되어 가는 추세를 반영해 ECM Suite를 중심으로 시장을 정의․구분하고 있다.

구분 영역 주요 기능

ECM Core Component

Document Management비즈니스 문서의 체크인/ 체크아웃, 버전 통제, 보안과 라이브러리 서비스

Web Content Management웹 마스터 기능 자동화와 역동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및 관리 기능 제공

Record Management법률, 각종 규제 준수를 위한 기록 보존과 컴플라이언스 정책을 수립 지원

Document Imaging 종이 문서의 캡처, 전환, 관리

Document-Centric Collaboration 문서 공유와 프로젝트 팀 지원

Workflow비즈니스 프로세스, 반복되는 콘텐츠의 할당 및 추적 감시 기능 제공

Extended Component

IDARSs 고정된 콘텐츠의 아카이빙을 제공

E-forms 전자문서의 캡처와 변환

Digital Asset Management 미디어 콘텐츠의 저장과 관리

E-mail archiving 전자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법률 준수 및 자료 보존

ECM Service BCSECM의 핵심 기능만을 월 100달러 미만의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로서 제공함

<표 1-1> ECM을 심으로 한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구분

자료원: CMS Watch,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2)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뜻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전자책, 음악, 비디오, 게임, 소프트웨어, 증권정보, 이미지 등의 각종 콘텐츠를 불법복제로부터 보호하고, 요금을 부가하여 저작권 관련 당사자에게 발생하는 이익을 관리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의미한다.

콘텐츠의 자유로운 복제는 허용하되 불법 사용은 철저히 막는 것이 DRM의 목적이다. 이러한 DRM은 단순 보안기술에서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확 되어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보안기술, 지불, 결제기능 등을 모두 포함하며 발전하고 있다.

가령 보안의 경우 한번 암호를 풀면 누구든 해독된 파일이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지만, DRM은 각각의 사용자 모두가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해야만 이용할 수 있는 장치로 특화되어 가고 있다. 이 경우 특정 파일을 인터넷에서 내려 받아 요금을 지불한 후 다른 사람에게 전송해 주더라도, 전송받은 사람이 파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요금을 추가 지불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국내 한국정보처리학회에서는 DRM을 협의와 광의로 구분하고 있다. 협의의 DRM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된 권한 범위 내에서만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제 기술’로 정의되고 있다. 광의의 DRM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콘텐츠의 지적 자산에 한 권리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는 솔루션으로서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접근 및 이용을 불가능하게 통제하는 수단’으로 정의되었다.

Page 16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와 특성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41

DRM은 응용 도메인에 따라 유료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방지 및 신뢰성 있는 유통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도 하며, 기업의 중요한 지적정보자산에 한 문서보안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개인의 신상 정보나 사생활 정보를 타인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DRM은 다양한 응용 도메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저작권 보호 및 복제 방지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의 신뢰성 있는 유통과 투명한 권리 보호를 뒷받침하는 기술이다. DRM 핵심 기술 요소는 암호화 기술, 키 관리, 패키지, 보안장치, 콘텐츠 식별체계, 메타데이터, 권리표현기술, 권한정책관리, 권한통제기술, 탬퍼링 방지기술, 인증기술, 사용 내역관리 기술, 인증 폐기 등이 포함된다.

<그림 1-1> DRM 분류 기술 구조

자료원: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최근에는 디지털 콘텐츠의 정보보안이 중요해지면서 기업 사용자를 상으로 한 ERM(Enterprise Right Management)으로 기업용 DRM을 구분하려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DRM과 ERM은 데이터의 암호화와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디바이스의 기능을 통제하는 동일한 기술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나, DRM은 개인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콘텐츠 보안과 가용 라이선스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ERM은 다양한 그룹의 사람들이 빈번하게 참여하고 탈퇴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관련된 동적인 콘텐츠의 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ERM의 이러한 특성은 협력사나 공급사, 고객들과의 정보 공유 및 정보 보안을 가능케 하며, DRM과 달리 참여 그룹 간 높은 수준의 협업이 요구되며, 정보의 라이프사이클에 큰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다.

3) CDN(Contents Delivery Networks)

CDN(Contents Delivery Networks)은 인터넷에서 동영상이나, 음악 스트리밍, 파일 다운로드 등 용량 데이터로 인한 트래픽 증가로 전송속도가 떨어질 때, 네트워크 주요 지점에 설치한 전용 서버에 해당 콘텐츠를 미리 저장해 놓았다가 이용자와 가까운 곳의 서버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터넷

Page 16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개요

142 한국콘텐츠진흥원

QoS(Quality of Servcice)를 유지시켜 주는 서비스이다.사용자들의 요구가 잦거나 용량이 큰 콘텐츠는 여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접속점(POP,

Post Office Protocol)들에 설치한 CDN 서버에 미리 저장되는데, 콘텐츠 전송요구가 발생하면 최적의 CDN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콘텐츠가 전달된다. 용량의 콘텐츠는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신속하게 배달되는데, 사용자는 HTML 텍스트와 같이 용량이 작은 콘텐츠는 CP의 웹 서버에서, 동영상 같이 용량이 큰 콘텐츠는 CDN 서버에서 받아보게 된다.

CDN은 트래픽 양을 크게 줄여 콘텐츠 전송 속도를 높이고, 사용자가 끊김 없이 동영상을 즐길 수 있게 하며, 불필요한 네트워크 증설을 방지한다. CDN의 핵심기술은 크게 캐싱(Caching) 기술,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기술, 스트리밍(Streaming) 기술 등으로 나뉜다.

캐싱 기술은 사람들이 자주 방문하는 페이지를 CDN 서버에 저장했다가 사용자가 요구하면 이를 전송해주는 기술이며, 로드 밸런싱은 전국 또는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서버를 감시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가장 빠르게 응답할 수 있는 서버에 연결시켜 주는 기술이다.

원활한 CDN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들 기술 외에도 CP측의 콘텐츠 스트리밍(VOD, 라이브 브로드캐스팅) 기술, CDN에 적합한 네트워크 설계기술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아웃소싱 CDN 서비스는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새로운 영역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CDN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기 보다는 아웃소싱 CDN 서비스를 통해 보다 용량 콘텐츠를 저렴하게 전송할 수 있는 전문 서비스의 등장이 증가하고 있다. 아웃소싱 CDN 서비스는 도입이 쉽고 기존 시스템을 크게 바꿀 필요가 없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요소 목적 내용

빌딩

블록

콘텐츠 분배와 관리 콘텐츠를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근접된 서버에 위치시키기 위한 요소

콘텐츠 경로 배정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구하면 가장 가까운 콘텐츠 저장소나 엔진에 연결시키는

요소

콘텐츠 에지전송 콘텐츠 엔진으로부터 콘텐츠를 빨리 전송하기 위한 요소

콘텐츠 스위칭사용자의 요구가 들어왔을 때 하나 이상의 서버를 거쳐서 그 요구를 분산시키고

이에 따라 결정하기 위한 요소

지능망 서비스 인프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원래의 구성요소에 더 많은 정보를 부가하는 요소

보완

기술

근원 웹서버 사용자가 요구하는 콘텐츠를 제공

핵심 네트워킹 CDN이 사용하는 안전하고 빠르고 관리하기 쉬운 Layer2, Layer3 인프라 구조

<표 1-2> CDN의 구성요소

자료원: Cisco Systems, 2007

Page 16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정의와 특성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43

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특징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은 디지털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으며, 디지털콘텐츠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에 따라 관련 솔루션이 확장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및 정보 보안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은 기업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기업의 핵심 자산을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영역으로 그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은 다양한 포맷의 디지털콘텐츠를 모두 지원해야 하며, 콘텐츠의 생성에서부터 폐기까지 전 영역을 모두 포괄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에게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며 기술 진입장벽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솔루션 분야마다 요구하는 제품의 특성도 매우 상이해 진입장벽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ECM 솔루션의 경우 기업 내부에서 생성되는 오피스 문서, 웹 문서 등은 물론 음성, 비디오, 이메일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는 높은 확장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 국가별, 산업별, 기업별 관습이나 문화적 특성 등에 따른 세분화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춰야 한다.

이런 이유로 ECM 시장에는 각종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통합 Suite 제품과 어느 산업에서나 보편적으로 사용가능한 핵심 기능만을 축약시킨 라이트 제품 수요가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 ECM 벤더는 각종 기능을 논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제품군의 출시 외에 각 산업 별로 특정한 업무처리를 지원할 수 있는 특화(Vertical)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 이중고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성격의 Suite 제품과 라이트 제품 수요가 공존하고 있는 가운데, 라이트 제품의 경우 이를 서비스로서 제공하려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 ECM 시장은 SW와 서비스가 결합되어 가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DRM 시장에서는 콘텐츠 보호를 위한 각종 기술에 한 논의와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시장 특성이 점차 분화되고 있다. DRM은 디지털 콘텐츠에 한 불법적인 사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아직까지 표준화된 모습을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시장에는 여러 개의 DRM 솔루션들이 공존하고 있다. 디지털 홈 DRM, 스트리밍 콘텐츠 DRM, 도메인 권한 관리 등 각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DRM 기술들이 저변을 넓혀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DRM은 콘텐츠 제공자의 경우 DRM 별로 콘텐츠를 준비하거나, 기기 제조업체가 복수의 DRM 클라이언트를 탑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관리 및 비용 문제가 발생하고 각 DRM의 충돌로 시스템 불안정을 야기하는 문제도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DRM 기술은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 개발보다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에서 DRM 사이의 상호호환성 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가 활성화되면서 각종 동영상, 음악에 한 불법 사용도 크게 증가해 관련 산업에서는 DRM의 확 적용 및 강화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DRM의 확 가 장기적으로는 콘텐츠 산업의 위축을 가져올 것이란 지적이 두되는 등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Page 16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개요

144 한국콘텐츠진흥원

CDN 시장은 디지털 콘텐츠 발달과 네트워크 인프라 확장에 따라 크게 변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CDN이 처음 선보였던 1999년 무렵에는 주로 네트워크 지연이나 트래픽 폭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 와 네트워크 전송 기술의 진보,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의 효율화 등으로 인해 네트워크 지연 문제는 크게 낮아지고 있다. 유럽이나 아시아에 비해 상 적으로 네트워크 보급률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미국에서도 네트워크 지연 문제는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웹 콘텐츠 및 서비스의 내용이 점차 초고속, 고화질 등의 내용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으며, 그 양은 여전히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CDN 관련 기술은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및 비즈니스의 활동을 위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CDN 부문은 기존 기술 중심의 시장에서 점차 서비스 중심의 시장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CDN 관련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현하기 보다는 전문 기업을 통한 서비스로 이용하는 아웃소싱 CDN 서비스 시장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각종 신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이와 같은 내부적인 변화와 함께 IBM, EMC, Oracle, MS 등의 인프라스트럭처 벤더의 진입이 이뤄지고 있어 시장 경쟁구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IT 시스템이 점차 보편화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많은 기업들은 보다 저렴한 운영비용과 손쉬운 사용을 요구하고 있어 단일벤더를 통한 솔루션 구입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갈수록 강해질 것으로 보여 인프라스트럭처 벤더의 영향력 증 와 로컬 벤더의 위상 하락이 예견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산업별로 특화된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의 수요가 점차 나타나고 있어 각 국가의 개별 산업에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로컬 벤더의 가치는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 IBM을 비롯한 인프라스트럭처 벤더들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 로컬 벤더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맺어야 할 필요성이 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에서는 시장 수요 및 고객 지원 측면에서 여타 솔루션 시장보다도 전문성과 지역적 특수성이 요구된다. 제품의 속성상 폭넓은 확장성과 함께 개별 기업들의 세세한 요구까지 지원해야 하며, 글로벌 시장 경쟁 구도에서는 형 SW 벤더들이 시장을 주도함에도 각 산업별/국가별 로컬 벤더의 긴밀한 협력관계가 요구된다. 이는 콘텐츠의 속성상 글로벌한 표준 포맷의 지원, 관리의 효율화 못지않게 각 나라와 기업의 전략 및 문화 반영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Page 16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산업의 분류체계와 조사 방법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45

제 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분류체계와 조사방법론

1.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분류체계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과 유통, 소멸 등 폭 넓은 라이프사이클을 포괄하고 있어 패키지화 및 플랫폼화되고 있는 여타 SW 영역과는 달리 툴의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은 기업 시장을 중심으로 통합되고 패키지화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은 기업용 시장을 중심으로 상용 솔루션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DRM(Digital Right Management), CDN(Content Delivery Network) 등의 영역이 콘텐츠의 관리, 유통, 보호, 전달 측면에서 솔루션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패키지 솔루션을 중심으로 시장을 구분하기도 한다. IT 시장 조사 기관들은 부분 이러한 패키지 솔루션 시장 중심의 분류에 따라 시장 조사 및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구분 세부 영역 내용

CMS

(ECM)

웹 콘텐츠 관리(WCM) 콘텐츠를 웹 채널을 통해 배포

문서관리(DM) 콘텐츠 생성, 팀간 협업과 워크 플로우 관리에 활용

디지털 자산 관리(DAM)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미디어 자산 관리에 활용

이미징&캡처

(Imaging&Capture)

대용량 콘텐츠를 종이 형태로 생성 시 분류, 저장 관리 등을 전자 포맷

으로 바꿔서 적용

기록물 관리(RM)콘텐츠를 기록물로서 보관이 필요할 때 기록물의 보관 주기 등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관리

아카이빙(Archiving) 콘텐츠를 ERP, 파일 시스템, 이메일 등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캡처하는

데 활용

디지털 산출물 관리(DOM)콘텐츠 저장소로부터 다양한 산출물을 생성하고 관리(프린트 스트림,

PDF 전환 등)

DRM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콘텐츠 저장소에 접속할 수 있는 권리를 통제

CDN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컨트롤러(ADC)애플리케이션 성능 향상을 위한 압축, 스위칭, 캐싱 등을 수행

WAN 최적화 솔루션(WOC) WAN 트래픽 속도를 개선하는 기술들이 복합되어 제공

<표 1-3>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의 패키지 솔루션별 분류

자료원: Gartner, IDC, 스트라베이스 재구성, 2009

CMS는 기업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제작 출판, 관리하는 등 일반적으로 콘텐츠 생성, 출판, 배포, 보관 등으로 요약되는 콘텐츠 라이프사이클 전체를 관리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DRM은 기업문서보안 및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 보호에 사용되는 기술로 법적․사회적 원칙을 기반으로 인터넷상의 디지털미디어 콘텐츠의 안전한 배포, 촉진 및 판매를 가능하게 해주는 제도적, 상업적 프로세스 기반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Page 16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장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개요

146 한국콘텐츠진흥원

CDN은 디지털콘텐츠 전송 솔루션으로 인터넷 사용자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콘텐츠 제공업자(CP)의 웹서버에 집중되어 있는 콘텐츠 중 이미지, 배너, 비디오, 오디오와 같이 용량이거나 사용자 요구가 잦은 콘텐츠를 ISP의 접속점에 설치한 CDN 서버에 미리 저장해 놓고, 콘텐츠 요구 발생 시 최적의 CDN 서버로부터 전달하는 용량 데이터전송서비스를 말한다.

이외에도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나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등의 e-Learning 솔루션과 게임 및 영상 기술 등은 각 해당 산업과 중복되므로 본 편에서는 제외하도록 한다.

2. 조사 상과 조사방법론

본 보고서는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와 주요 동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기업 환경을 비롯해 개인 PC 환경에서도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요소 기술로 활용되고 있어 명확한 시장 분류나 시장 규모를 추산하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에서는 디지털콘텐츠솔루션 시장을 둘러싼 환경과 트렌드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조사 상을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시장을 표하는 요소 기술인 CMS, DRM, CDN으로 구분하여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수행했다.

또한 특정 지역에 따라 특징적 성격이 다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산업의 특성상 세계 시장을 북미권, 유럽권, 일본, 중국, 아시아․태평양권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세계 디지털콘텐츠솔루션 시장의 부문별, 권역별, 연도별 시장 규모와 추이에 한 정량적 분석을 시행하고, 최근의 주요 이슈 및 트렌드에 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디지털콘텐츠솔루션 산업 전반에 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정량적 분석에 활용되는 통계는 개별 국가의 현황 조사 기관에서 발표하는 수치를 기본으로 반영하였다. 그러나 근거자료마다 조사 상과 범주,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인해 시장 규모에 적지 않은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집계 기관의 공신력이 뒷받침되는 개별 국가의 정부 산하기관 및 협회에서 발표하는 수치를 우선적으로 반영했다. 다만, 일부 국가를 제외한 상당수의 국가에서 부문별로 세분화된 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에서 공통된 기준에 따라 집계한 최근의 통계치를 반영했다. 개별 국가 기관 통계치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통계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개별 국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반영하되, 조사 상 및 범주를 고려하여 국가별 비교가 가능한 수준에서 반영했다.

Page 17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47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분야별/권역별 시장 규모 망

가. 분야별 시장 규모 및 전망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2008년 67억 3,000만 달러에서 2009년 78억 4,300만 달러

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2.19%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139억 4,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용량 파일 전송에 따른 네트워크 이용 효율화 수요 때문에 CDN 시장이 16.63%의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09-'14

CAGR

CMS 2,039 2,281 2,668 3,029 3,327 3,668 3,997 4,327 4,657 4,987 5,412 8.09%

DRM 262 520 635 750 868 985 1,103 1,234 1,356 1,471 1,644 10.79%

CDN 622 855 1,283 1,849 2,535 3,190 3,831 4,522 5,197 5,827 6,885 16.63%

합계 2,923 3,656 4,586 5,628 6,730 7,843 8,931 10,083 11,210 12,285 13,942 12.19%

<표 2-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Page 17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48 한국콘텐츠진흥원

<그림 2-1>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나. 권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2009년 세계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시장에서 북미권은 전체 시장의 52%를 차지해 최 시장을 이루고

있고 유럽권이 30.2%로 그 뒤를 잇고 있다. 권역별 세계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두 자리 수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2014년까지 11.4%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권 12.4%, 일본 14.6%, 중국 14.3%, 아태권 13.3%의 연평균 성장률이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북미권 1,670 1,995 2,504 2,995 3,523 4,075 4,600 5,122 5,663 6,185 6,984 11.4%

유럽권 885 1,123 1,370 1,705 2,041 2,376 2,713 3,087 3,435 3,766 4,271 12.4%

일본 159 218 302 404 506 608 710 829 937 1,036 1,201 14.6%

중국 75 114 144 187 238 286 334 387 436 483 557 14.3%

아태권 134 206 267 337 422 497 574 658 738 814 929 13.3%

합계 2,923 3,656 4,586 5,628 6,730 7,843 8,931 10,083 11,210 12,285 13,942 12.2%

<표 2-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권역별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Page 17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49

<그림 2-2>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권역별 시장 비 (2009년)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2.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황

가. CMS세계 CMS 시장의 규모는 2008년 33억 2,700만 달러에서 2009년 36억 6,8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8.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54억 1,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CMS 시장에서는 북미권 및 유럽권보다는 중국과 아태권의 성장률이 상 적으로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유럽, 일본의 경우 글로벌 기업을 위주로 CMS 솔루션인 문서관리, 이미징 및 캡처 솔루션의 보급이 오래 전부터 단계적으로 이뤄졌으나, 중국을 비롯한 아태지역은 이러한 수요가 최근 들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지역이 북미권보다 연평균 성장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동유럽을 중심으로 형성된 신규 수요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Page 17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50 한국콘텐츠진흥원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북미권 1,154 1,248 1,486 1,624 1,760 1,897 2,034 2,171 2,308 2,446 2,612 6.6%

유럽권 696 796 907 1,072 1,178 1,323 1,459 1,595 1,730 1,866 2,046 9.1%

일본 79 95 121 143 151 169 184 199 214 230 249 8.1%

중국 47 64 70 86 107 125 144 163 181 200 226 12.6%

아태권 63 78 85 104 131 153 176 199 223 246 279 12.7%

합계 2,039 2,281 2,668 3,029 3,327 3,668 3,997 4,327 4,657 4,987 5,412 8.1%

<표 2-3> 세계 CMS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나. DRM세계 DRM 시장의 규모는 2008년 8억 6,800만 달러에서 2009년 9억 8,5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0.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16억 4,4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DRM 시장은 타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에 비해 시장 규모는 상 적으로 작으나, 모바일 콘텐츠 시장

의 확 , 모바일TV, IPTV 등 새롭게 등장한 플랫폼의 성장에 따라 신규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기업 내 기밀문서 보안에 한 인식 제고 등과 같은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따라 시장 잠재력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방송․통신․미디어 산업 등을 중심으로 융합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 콘텐츠의 보호 및 권한 관리가 민감하고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도 DRM 시장 확 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점쳐진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북미권 179 330 375 407 430 459 487 516 544 571 605 5.7%

유럽권 36 106 140 178 227 269 313 363 409 452 518 14.0%

일본 21 37 52 75 91 112 132 155 176 195 227 15.2%

중국 6 11 16 26 37 48 59 72 84 94 113 18.8%

아태권 20 36 52 64 83 97 112 128 143 159 181 13.2%

합계 262 520 635 750 868 985 1,103 1,234 1,356 1,471 1,644 10.8%

<표 2-4> 세계 DRM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Page 17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전망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51

다. CDN 세계 CDN 시장 규모는 2008년 25억 3,500만 달러에서 2009년 31억 9,0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6.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68억 8,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북미권 337 417 643 964 1,333 1,719 2,079 2,435 2,811 3,168 3,767 17.0%

유럽권 153 221 323 455 636 784 941 1,129 1,296 1,448 1,707 16.8%

일본 59 86 129 186 264 327 394 475 547 612 724 17.2%

중국 22 39 58 75 94 113 131 152 171 189 218 14.0%

아태권 51 92 130 169 208 247 286 331 372 410 470 13.7%

합계 622 855 1,283 1,849 2,535 3,190 3,831 4,522 5,197 5,827 6,885 16.6%

<표 2-5> 세계 CDN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Page 17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5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세계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 드

1. CMS 시장의 주요 트 드 이슈

CMS(Content Management Solution) 시장은 기업 내부의 콘텐츠의 양과 종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용 솔루션 시장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많은 기업들이 콘텐츠 관리 기술을 정보의 생산성 향상에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CMS의 중요성도 커져왔다. CMS는 조직 구성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고 협업을 증진시키며, 또한 문서 작성에서 폐기, 보관에 이르는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산인 내부 콘텐츠의 가치를 보존한다.

CMS 시장은 또한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성능 향상, 기술 통합 등의 요인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과거 몇 년 동안 CMS 시장은 IBM, MS, Oracle 등의 형 벤더 주도로 시장 통합이 진행되어 왔으며, 소규모의 벤더들은 형 벤더가 제공하지 못하는 틈새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향후 CMS 시장의 성장은 기업과 기관에서 통합 솔루션 및 플랫폼 기반 솔루션에 한 수요 증가에 힘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벤더들은 M&A를 통해 자사 제품이 갖추지 못한 기능을 보강하고, 새로운 지역에서의 영향력 증 , 고객 기반 확장 등을 시도하고 있다.

CMS의 세부영역별로 살펴봤을 때, WCM(Web Content Management)은 기업이 내부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고 전자상거래 서비스, 고객 관리, 웹사이트 분석 및 최적화 등에 나서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RM(Record Management)은 기업 지배구조를 강화하고 개정된 법률에 응하기 위한 수요가 부활하고 있다. 문서 캡처와 이미지 관리 솔루션은 많은 기업이나 기관들이 종이 기반의 문서에서 전자콘텐츠로 인프라를 변경하면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콘텐츠는 다른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업무 과정에 통합될 수 있다는 특징이 큰 장점이다. 한편 최근 ECM Suite은 기업이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고 콘텐츠를 작업에 맞춤화시키면서, 업무과정 관리(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와 통합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 범용 서비스와 특수 목적형 서비스의 분화최근 경제위기의 여파로 기업들의 비용 절약 노력이 늘어나면서 BCS26)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들은 CMS에 한 투자를 축소하거나 CMS가 자사 역량 강화에 미칠 요인을 고려해 CMS를 보수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BCS는 저렴한 비용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BCS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은 Microsoft의 SharePoint 제품군으로, 웹브라우저 기반의 협업 기능, 프로세스 관리, 문서관리 등을 제공하고 있다.

BCS는 ECM이 가진 2가지 특성, 즉 각종 콘텐츠를 통합 지원할 수 있는 범용성과 각 산업 및 기업 사26) Basic Content Service의 약자로, CMS에서 꼭 필요한 기능만을 사용자당 100달러 내외의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는 제품을 말

Page 17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53

용자들의 특화된 요구를 지원해야 하는 전문성 가운데 후자에 초점을 맞춘 모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적인 차원에서의 활용은 어렵지만, 각 부서별, 중소기업 규모에서는 충분히 활용 가능한 가벼운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문서 기반의 협업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 소규모 그룹의 생산성 향상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도입이 가능해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BCS와는 정반 성격의 CEVA27)에 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형 벤더들이 BCS를 앞세워 범용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높여 가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 벤더들은 전문화된 특수 목적형 서비스가 필요한 틈새시장(Niche Market)으로 진출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CEVA는 전문적인 업무에서 사용되는 콘텐츠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처리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개선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CEVA가 사용되고 있는 분야로는 보험 청구, 기술문서 관리, 의약업에서의 신약 관리, 금융업에서의 퇴직연금 관리, 콜센터 지원 등이 있다.

형 벤더와 중소형 벤더로 나뉜 CMS 시장의 구도는 생존을 위해 중소 벤더들이 틈새시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했다. 여기에 범용적 환경의 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BCS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이며, BCS를 업무에 적용하기 힘든 특수한 산업군에 속하는 기업들은 CEVA를 활용하게 될 것이다. 범용적 수요와 전문적 수요가 동시에 존재하는 시장 환경 때문에, 향후에도 BCS와 CEVA로 나뉘는 시장 분화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나. E-Discovery 대응 솔루션 시장 수요 증가기업의 문서 관리 환경이 종이 기반에서 전자 파일 기반으로 변화하면서, 법적 응을 담당하는 기업

업무도 변화했다. 이미 북미에서는 종이 문서보다 전자 문서를 법적 절차나 소송에서 주된 증빙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E-Discovery28) 시장에 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E-Discovery만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아웃소싱 업체들이 존재했던 데 반해, 최근에는 E-Discovery 관련 데이터와 처리 프로세스를 CMS에 포함시킴으로서 내부 업무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기업의 법적 응, 소송 등에 관련된 비용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 차원에서 E-Discovery는 점차 기업 내부(in-house)에서 처리하는 업무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미국의 로펌인 Fulbright&Jaroworski가 편찬한 2009년 법률 소송 트렌드 조사(2009 Litigation Trend Survey)에 따르면, 조사 상 기업의 53%가 소송에 100만 달러 이상의 비용을 소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의 45%에 비교해 8%나 증가한 것이며, 건강, 보험, 에너지, 통신과 같은 분야에서는 비용이

부분 1,000만 달러를 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조사 상 기업들은 법률적 요청들을 내부적으로 처리하는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아웃소싱이나 외부 상담 건수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응답했다.27) 금융, 의료, 보험, 법률, 제약사와 같이 특정 산업군에 속한 업무처리 과정이 전문화된 기업들은 업무가 수직적으로 계열화되어

있어 이른바 Vertical Industry라고 불림. 이러한 Vertical Industry에 속한 기업을 대상으로 계열화되고 전문화된 업무 처리과

정을 지원하는 CMS 솔루션을 CEVA(Contents-Enabled Vertical Application)이라고 지칭함

28) E-Discovery(혹은 Electronic Discovery)는 법적인 절차에 사용되는 ‘전자 증거’를 일컫는 용어로, 이메일, 메신저 채팅, MS

Office 등의 문서 파일, 그림 파일, CAD/CAM 파일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이러한 전자적 형태의 파일은 내용에 해당하는 데이

터 이외에도 작성 날짜, 작성자 등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법적 증거로서의 가치를 가짐

Page 17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54 한국콘텐츠진흥원

E-Discovery 관련 비용이 증가하면서, 기업이 이용하던 법률 상담 서비스는 기업 내부 업무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들은 E-Discovery 관련 소프트웨어나 패키지 상품 구매를 늘리게 된다. 결과적으로 일반기업이나 로펌에서 사용하는 E-Discovery 관련 도구 시장이 성장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E-Discovery의 기업 내부화는 소송을 피하기 위한 초기 응이나 증거 확보 등에 기여하고, 외부 법률 상담을 감소시켜 기업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더불어 E-Discovery는 이메일 관리 도구나 기타 기업용 CMS 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해, 업무 과정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다. 대형 업체 위주의 시장 재편최근 3~4년간 CMS 시장에서는 형 벤더들의 M&A를 통한 시장 재편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시장은

IBM, EMC, Oracle, MS 4개 업체를 위시한 인프라스트럭처 벤더 위주로 재편되었다. 이러한 형 벤더들은 CMS 시장에 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결국에는 일반 기업을 상으로 하는 CMS 시장에서는 이들 3~4개 업체만이 살아남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CMS 시장이 형 업체 위주로 재편되면, CMS를 도입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줄어들게 되고 솔루션이 개선될 가능성도 낮아진다. 예를 들어, 형 벤더들이 제공하는 솔루션은 패키지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업들은 각 기능별로 가장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골라 쓰는 Breed-of-best29) 전략을 구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단 한번 특정 벤더의 솔루션을 선택하면 나중에 솔루션을 변경하는 데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형 벤더에 한 의존성이 높아진다. 반면에 형 벤더들의 재무 구조가 탄탄하다는 점과 통합적으로 CMS 솔루션을 개발하기 때문에 각 WCM, DM, RM 각 모듈의 호환성이 높아진다는 것은 장점으로 꼽힌다.

형 벤더들의 시장 확 는 기업들에게는 비용 증가 요인이 되고 있다. 특정 기업이 사용하고 있던 CMS 서비스 업체가 형 벤더에게 합병되면, 해당 CMS의 유지 보수, 업데이트 등의 서비스가 중단되기 때문이다. 형 벤더들은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인수 합병한 기업 제품의 다양한 기능과 포트폴리오를 축소하거나 통합하는 경향을 보인다. CMS를 다른 제품으로 바꾸는 일은 제품 전환 과정에서 업무의 연속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비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해당 기업들은 형 벤더의 M&A가 자사의 CMS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라. 동용상 콘텐츠 활성화와 웹 2.0 기술 도입기존에 CMS 시장에서 사용되는 콘텐츠는 문서, 사진 등 용량이 적은 부류가 부분이었다. 그러나 최

근 YouTube, Facebook 등 디지털 카메라, 휴 폰을 비롯해 동영상을 쉽고 저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휴용 단말이 늘어나면서 동영상 콘텐츠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개인용 영상,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일찍29) 기업이 자사의 니즈에 따라 기능별로 가장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골라 쓰는 전략. 예를 들어 재무 프로그램은 A사의 제품을, 문

서관리 프로그램은 B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말함

Page 17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55

이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 바 있지만, 최근에는 기업용 시장에서도 동영상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기업에서는 동영상 콘텐츠를 내부 교육용 영상, 마케팅 도구, 상품화, 고객지원과 근로자 협업 등에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들은 개발 혁신 과정을 동영상으로 녹화해 동료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고객 지원 엔지니어는 유지 및 보수 업무를 녹화할 수 있다. 지식 근로자들은 회의 과정과 그 결과를 녹화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영상 공유를 담당하는 서버 운영과 손쉬운 동영상 업로드와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 구축이 필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동영상 콘텐츠 활용 증가에 따라 향후에 개발될 BCS 애플리케이션은 자체 서비스 내에서 동영상 편집, 업로드,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동영상의 용량은 기존의 콘텐츠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기 때문에, 기업들은 네트워크 트래픽 폭증에 따르는 비용 증가와 동영상 콘텐츠의 업무 효용성을 비교 분석해 자사 CMS 서비스에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협업과 공동작업, 집단지성으로 표되는 Web 2.0의 특성은 최근 인터넷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추세에서 ECM 솔루션도 협업과 팀 공동 작업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업의 업무 영역에서는 문서를 그룹 단위로 공유하거나 공동편집하고 팀원들이 업무흐름과 연관된 기술과 내용을 함께 숙지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통합화가 원활하게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ECM 솔루션은 정리되지 않고 곳곳에 흩어져 있는 이미지, 문서,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들을 하나의 보관소에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통합된 콘텐츠는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단선적인 관리 방법에서 탈피하여 보다 분산된 콘텐츠 제작과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최근 ECM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들은 콘텐츠를 보다 민첩하고 유연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Ajax, RSS와 같은 기술들은 HTML의 한계를 극복하게 한다.

이러한 사용자 중심적인 콘텐츠 관리 환경에서는 콘텐츠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기업에서 필요한 디지털 콘텐츠에는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구조화된 업무정보들과 블로그나 위키 등에 흩어져 있는 비구조화된 정보들이 혼재한다. 이러한 콘텐츠의 연속성을 감안하여 정보를 재활용하고 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중심적인 Web 2.0 관련 기술들과 정보 유통 체계를 ECM 솔루션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2. DRM 시장의 주요 트 드 이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디지털 콘텐츠가 배포되고 전송되는 과정에서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한다. DRM이 어떤 콘텐츠에 적용되는가에 따라 DRM 시장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인다. DRM이 가장 널리 쓰이는 분야는 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콘텐츠 유통시장이다. 과거 VHS, 오디오 CD와 같이 물리적 형태로 유통되던 엔터테인먼트 미디어는 내용의 전자적 변환, 콘텐츠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발전,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모바일 기기의 활용 증가와 더불어 디지털 콘텐츠로 진화했다.

Page 17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56 한국콘텐츠진흥원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DRM이 활용되고 있는 최근의 양상은 콘텐츠 생산자와 유통자, 소비자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음반사, 영화사와 같은 콘텐츠 생산자의 입장에서 DRM은 자신들이 생산한 콘텐츠의 지적 재산권을 지켜주고 해적판으로부터 시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에 콘텐츠를 생산하고 스스로 유통채널을 확보하고 있던 생산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쪽으로 산업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콘텐츠의 유통을 디지털산업 관련기업에 의존하게 되었다. 최근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담당하는 업체들로 Apple과 같은 서비스, 단말 업체나 Amazon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 기업들이 등장하였으며 이들은 생산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이익을 분배하고 사업을 진행한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도입된 DRM과 별개로 전자 문서, 이미지와 같이 기업에서 사용되는 업무 콘텐츠에 적용된 DRM은 저작권 보호의 목적보다는 기업 내부 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 소비자들을 상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DRM과 달리 업무 콘텐츠 DRM은 기업의 정보 관리와 보안이 중요해지면서 기업을 상으로 그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 콘텐츠 업계의 DRM 전략 변화1) 게임 업계의 DRM 폐지 증가

DRM에 한 실효성 논란이 음반업계에 이어 PC 게임업계에서도 재현되고 있다. 음반업계에서는 Apple iTunes Store를 필두로 DRM을 탑재하지 않은 음원들이 시장에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와 유사한 움직임에서 일부 게임 개발사들은 DRM에 해 ‘득보다 실이 많다’며 사실상 폐기 결정을 내린 상태고, 나머지 업체들 사이에서도 부분유료화 방식의 온라인 게임 출시 등 제3의 길을 모색하려는 경향이 짙어지는 추세다.

DRM의 실효성에 관한 게임업계의 회의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는 ‘아무리 까다로운 복제 방지 시스템이라도 100% 완벽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어느 시점에서든 불법 버전은 등장하고 확산되게 마련’이라는 현실인식이다. 실제로 2008년 출시된 EA의 작 게임 ‘Spore’는 매우 엄격한 DRM(SeCuRom)을 갖췄음에도 첫 3주 동안에만 불법 다운로드 유통량이 40만 건에 달하는 등 2008년 한 해를 통틀어 불법복제의 피해가 가장 컸던 게임으로 기록됐다.

DRM 무용론의 또 다른 이유는 오히려 정품 구매자들에게 실질적인 패널티로 작용해온 그 자체의 딜레마에 있다. DRM이 적용된 최신 PC 게임은 개 인스톨 횟수가 5회 이내로 제한된다. 정품 구매자 입장에서는 해당 게임의 재설치는 물론이고 게임이 인스톨된 PC의 포맷조차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30) 게다가 일부 게임은 개별 CD 키의 불법 유통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툴도 갖추고 있어, 제값을 주고 정품을 산 소비자에게 자칫 불쾌감마저 안기기 쉽다. DRM에 해 ‘게임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아무런 효용이 없는 불필요한 요소’라는 혹평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PC게임 업계의 DRM 논쟁은 과거 음반업계의 DRM 논쟁과 본질적으로 같은 성격을 띤다. ‘정품 구매자30) 설령 한 사용자가 다수의 PC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게임을 설치할 수 있는 PC 대수는 DRM에 설정된 최대 인스톨 횟수를 넘지

못함

Page 18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57

에게 오히려 불편이 돌아가는 모순에도 불구하고 정작 불법복제 차단에는 뚜렷한 효과가 없다’는 평가 자체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게임에는 DRM 이외에도 멀티 플레이 옵션이나 DLC(Downloadable content)와 같이 소비자를 불법 시장에서 유료 시장으로 유도할 수 있는 책이 있기 때문에, 게임 업계는 이러한 안적인 불법 복제 방지책에 희망을 걸고 있다. 최근 온라인 게임시장이 급성장한 것도 이러한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온라인 게임은 게임사의 인터넷 서버에 접속해야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DRM보다 훨씬 강력한 안전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2) 음악 업계의 DRM 폐지 사례

iTunes를 통해 전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사업자 Apple은 2009년 1월 6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제 25회 MacWorld 기조연설에서 그 동안 곡당 99센트에 판매하던 디지털 음원 가격을 69센트, 99센트, 1달러 29센트로 세분화하고 Warner Music, Universal Music Group, Sony BMG 등 주요 음반사들의 DRM-free음반 판매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까지 Apple의 DRM 폐지와 가격 세분화 전략은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전체 매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인기곡만을 놓고 보았을 때, 평균 가격이 30센트 가량 상승하여 일부 소비자들의 이탈이 발생하였으나 iTunes Store의 총 매출은 증가세를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Apple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해 Amazon, Nokia를 비롯한 디지털 음원 공급업체들이 DRM-Free 음원을 선보이고 있다.

미국의 Verizon Wireless는 음악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판매하는 온라인 앱스토어를 개설하면서, 음원을 DRM-Free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이 서비스에는 500만 곡 이상이 등록되어 있다. Nokia는 자사 단말 기반의 모바일 음악 서비스인 ‘Comes with Music’에서 DRM을 아예 배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무료 음원이 인터넷에 ‘널린’ 탓에 무제한 다운로드 방식의 파격적인 서비스로도 수익을 올리기 어렵다는 게 회사 측의 토로다.

Nokia는 12개월간 무제한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음악서비스 ‘Comes with Music’을 작년 가을 출시했다. 그러나 Nokia의 음악서비스 부문 책임자인 Adam Mirabella는 “디지털 유통에 음악 시장의 미래가 걸려 있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문제는 아직 뚜렷한 수익 모델이 없다는 점”이라며, ‘DRM을 아예 적용하지 않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토로한 바 있다.

현재 디지털 음원은 무료로 구할 수 있는 불법 음원이 인터넷에 널린 양상이어서 지원 단말을 제한하는 서비스로는 실질적인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여기에 경쟁사인 Apple은 자사 ‘iTunes’의 모든 음원에서 DRM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이미 선회한 것도 Nokia의 전략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나. DRM 상호 연동성(Interoper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업계의 노력DRM 기술들은 콘텐츠 공급자와 유통자의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아직까지 표준화된 모습을 보이지

Page 18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58 한국콘텐츠진흥원

못하고 있으며, 현재 시장에는 여러 개의 DRM 솔루션들이 공존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업체들의 응 전략과 기술 개발이 DRM 시장의 선결 과제로 두하고 있다.

최근 등장한 DRM 기술은 디지털 컨버전스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여러 종류의 디지털 콘텐츠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컨버전스 환경에서는 디지털 콘텐츠가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음원은 컴퓨터를 비롯해 iPod과 같은 휴 용 플레이어에서 이용되며, 디지털 비디오 콘텐츠는 PC에서 이용되거나 IPTV, 모바일 PMP 단말기 등에서도 활용된다. 이에 따라 최근의 DRM은 PC, 모바일, 셋톱박스와 같은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DRM이 탑재된 콘텐츠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상이한 DRM 기술 간의 상호 연동성 보장은 현재 DRM 기술 분야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이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MPEG-21, OMA(Open Mobile Alliance), Coral, DMP((Digital Media Project), Marlin 등 DRM 표준화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DRM 표준화 단체들 외에도 디지털 방송 콘텐츠의 보호를 위해 ATSC, CableLabs, DVB 등에서 CAS 규격과 셋톱박스의 복제 방지를 위한 기술 규격을 마련하였으며, DRM과의 상호연동을 위한 규격까지 확장하고 있다.

표준기구 내용 진행 정도

MPEG-21콘텐츠 유통 프레임워크 기반 표준

컴포넌트 표준화.2000년 5월 스위스 제네바 52차 MPEG 회의 시작. 2006년 1월 방콕까지 75차 회의까지 진행.

DMP콘텐츠 유통에 필요한 DRM 기능 정의를 통한 DRM 호환성 지원

2003년 12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설립돼 2006년 1월 토리노 9차 회의 진행.

OMA모바일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무선콘텐츠의 유통 및 저작권 보호 2002년 6월에 DRM v 1.0 발표. 2005년 12월 DRM v 2.0 확장 표준 명세서 발표.

Coral 가전제품 기반 콘텐츠, 기기, 서비스

공급자의 DRM간 호환성 지원.2004년 10월 결성되어 2005년 1월 Marlin Joint Development Association 결성

Marlin개방형 표준 Marin DRM 기술로

호환성 지원2006년 MDC 발족, 2008년 10월 Marlin Partner Program 시작

DECE한번 구매한 콘텐츠를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2009년 1월 출범예정. 메이저 영화사 및 전자회사들 참여

<표 2-6> DRM 표 화 단체 황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Page 18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59

3. CDN 시장의 주요 트 드 이슈

CDN(Content Delivery) 시장은 인터넷 망이 FTTP(Fiber to the Premises)로 진화하고 고용량 디지털 콘텐츠의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가운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데이터 센터간의 통합 추세, 지연시간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의 증가, 해외 지사의 증가, P2P 트래픽의 증가 등도 CDN 솔루션의 확산을 가져올 동인들로 꼽히고 있다.

향후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발달과정에서 데이터량의 증가는 필연적이며 CDN은 그에 수반되는 네트워크 역폭 증가분의 일부를 감당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는 기업들에게 네트워크 역폭 확충에 필요한 비용은 소비자들에게 가격부담을 야기하고 기업의 사업 확장에 큰 지장을 준다. 물류비용이 낮아지면 상품 유통이 보다 활발해지는 것과 같이 CDN은 기업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과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현재 CDN 세계 시장에서는 최초로 CDN을 상용화했던 Akamai가 절반이 넘는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 외에 다수 중소규모의 업체들이 나머지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글로벌 CDN 시장에서는 지역적 특수성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각 개별 시장에 기반을 둔 CDN 업체들이 자국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의 CDN 기업인 Cdnetworks는 8%의 점유율로 Limelight에 이어 세계 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2-3> CDN 시장 유율(2008년 말 기 )

자료원: Frost & Sullivan, 2009.04

가. HD 동영상의 확산에 따른 CDN 이용 증가HD 방송의 보급은 CDN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화질 방송․영화 콘텐츠의 전송은 다른 어떤 디지털

콘텐츠와도 비교할 수 없는 역폭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Page 18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60 한국콘텐츠진흥원

디지털 비디오는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전송량이 크게 늘어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DVD 화질(720x480 해상도)의 영상이 1분당 15메가바이트(MByte/Min)의 네트워크 속도를 요구하는 데 반해 Full HD 화질(1920x1080 해상도)의 영상은 그 10배에 해당하는 150메가바이트의 역폭을 요구한다.

고화질 동영상은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동안에만 네트워크에 높은 역폭을 요구한다. 이러한 영상 콘텐츠의 특징을 감안할 때 콘텐츠의 원활한 전송을 위해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역폭을 향상시키는 것은 비능률적이다. CDN 서버는 용량 콘텐츠를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존 네트워크에 부담을 주지 않고 영상을 전송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미국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와 비디오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가 보급되면서 영상 콘텐츠의 특징에 적합한 CDN 솔루션의 수요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으며 HD급 화질을 제공하고 있는 Hulu가 Akamai의 CDN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YouTube도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Google의 네트워크에서 일부는 Akamai의 CDN 서비스 이용을 검토하고 있다. 미 오바마 통령의 ‘Weekly Speech' 전송은 YouTube에서 Akamai의 CDN 서비스 이용으로 변경했다.

또한, 스포츠 중계처럼 다수의 시청자가 동시 접속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전송에도 CDN 서비스가 이용되기 시작했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 시기 CDN 사업자 주요 내용

NYTimes.com,

Viacom, WSJ.com 등2009.01 Akamai

미 대통령 취임식의 스트리밍 동영상을 700만 명에게 동시

전송

NBC Universal 2009.01 Limelight미 대통령 취임식의 스트리밍 동영상을 250만명에게 동시

전송

MSN&NBC 2008.08 Limelight

MSN에 설치된 ‘NBC Olympic.com'에서 방송된 라이브

스트리밍 동영상 2,200시간 분량을 Limelight의 CDN을

이용해 전송

NBC 2009.01Level3

Communications

수퍼볼의 라이브 전송을 Level3 Communications의 CDN을

이용

NCAA March Madness 2009.03 Akamai온디맨드 동영상 및 음성 스트리밍 전송을 Akamai의

CDN을 이용

<표 2-7> CDN에 의한 콘텐츠 송 서비스

자료원: 스트라베이스

고화질 동영상과 같은 용량 콘텐츠에 한 수요 증가와 함께 CDN 서비스 이용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Frost & Sullivan은 2008년 4억 달러 규모의 동영상 전송 CDN 서비스 시장이 연간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12년에는 14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Page 18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주요 트렌드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61

<그림 2-4> 세계 동 상 송 CDN 서비스 시장

자료원: Frost & Sullivan, 2008

나. 통신사업자와 통신장비 사업자의 CDN 시장 진출최근 통신 사업자들이 CDN 시장에 진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00년 경부터 CDN 서비스의 일

종인 ‘Intelligent Content 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해 오던 미국의 AT&T는 2008년 7,000~8,000만 달러 규모의 예산을 들여 본격적인 CDN 시장에 진출한다고 발표하였다.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AT&T는 2008년 Akamai나 Limelight와 같은 지배적 사업자와 비교해 20% 정도의 역폭을 확보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향후에는 CDN 시장의 주요업체로 자리매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외에도 2009년 2월에는 Global Crossing이 CDN 시장 진출을 공언했으며, BT도 2009년에서 2010년에 걸쳐 본격적인 전송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TeliaSonera는 뉴욕의 인기 코메디 방송을 스웨덴에 전송하는 CDN 서비스를 2009년 4월에 개시했다.

CDN 사업자가 통신사업자들에게 전용선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데 반해, 네트워크 기간망과 장비들을 갖추고 있는 통신사업자는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신사업자들의 CDN 시장 진출은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형 통신장비 사업자인 Cisco가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확보하고 C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화에 착수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Alcatel-Lucent는 Verizon의 망을 이용해 CDN 서비스를 제공하는 VELOCIX를 2009년 8월에 인수했다.

통신장비 사업자의 CDN 시장 진출은 장비 구축 시장이 정체되어 있는 상황에서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서비스 부문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포석의 일환이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확보함으로써 망에 한 투자를 하면서 수익을 얼마나 올릴 수 있을지 분석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Page 18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장 세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62 한국콘텐츠진흥원

CDN의 경우 네트워크 인프라와 IDC를 기반으로 기존 고객들에게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즉, 일반 사용자와 기업 고객의 콘텐츠가 원활히 만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통신장비 사업자는 CDN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단순 접속료 이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추가하면서 새로운 수익을 모색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두CDN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서버형처럼 스스로 보유하고 있는 서버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인

터넷을 경유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정보가 발신된다는 의미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일부로 여겨진다. 따라서 CDN 서비스의 발전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Amazon은 2008년 11월 18일 자회사인 Amazon Web Services(AWS)를 통해 CDN 서비스인 CloudFront를 개시하였다. CloudFront는 AWS가 이미 제공 중인 호스티드 스토리지 서비스 'Amazon S3'에 저장된 웹 콘텐츠를 낮은 지연율과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로 제공하는 CDN 서비스다. 개발자는 CDN에 접속해 S3의 콘텐츠를 웹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AWS는 크게 EC2/S3/SQS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가상화된 서버/스토리지/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AWS에서는 서버/스토리지/메시징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용량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작업 등이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자동화되어 있으며, 거의 실시간으로 추가/제거 작업이 일어난다. 이를 통해 AWS는 높은 수준의 Utilization, Scalability, Availability를 보장하는 시스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CDN 서비스의 절 강자인 Akamai도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CDN 서비스를 향후 핵심 사업 과제로 설정하고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Akamai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안정적인 콘텐츠 전송 능력이 성패의 관건이기 때문에, 인터넷 구간의 변수를 제거해 안정성을 보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성능 고민을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Page 18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63

제 3 장 권역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제 1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황

1.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2008년 35억 2,300만 달러에서 2009년 40억 7,5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1.4%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69억 8,4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CMS, DRM, CDN 등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에서 북미권은 전체 시장의 52%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세계 최 의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일본과 중국, 아태권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북미권과 유럽권을 제외한 권역의 시장 규모는 상 적으로 작지만 성장 속도가 빨라 향후 글로벌 네트워크의 발달과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산업의 세계화 과정에서 북미권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CMS 1,154 1,248 1,486 1,624 1,760 1,897 2,034 2,171 2,308 2,446 2,612 6.6%

DRM 179 330 375 407 430 459 487 516 544 571 605 5.7%

CDN 337 417 643 964 1,333 1,719 2,079 2,435 2,811 3,168 3,767 17.0%

합계 1,670 1,995 2,504 2,995 3,523 4,075 4,600 5,122 5,663 6,185 6,984 11.4%

<표 3-1>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2. 북미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황

북미권의 글로벌 기업들에서 CMS 도입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상당한 보급률이 형성되었다. 과거 시장 의 주력 상품이 DM, RM, WCM과 같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이었던 데 반해 현재는 통합된 형태의 ECM Suite 도입이 시장 확 를 주도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10% 의 점진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권의 CMS 시장은 과거 개별 솔루션들을 제공하던 중소 업체들이 IBM, Oracle, EMC 등의 형 IT 기업들에게 인수되어 시장이 재편되었다. 현재 북미권 CMS 시장은 IBM, Open Text, Interwoven,

Page 18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64 한국콘텐츠진흥원

Oracle 등의 상위 4개 업체가 6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한편 CMS 상품이 ECM Suite 형태로 진화하여 기업의 모든 콘텐츠에 전사적으로 관여하게 되고 정보

보안이 중요해지면서 CMS 솔루션과 문서보안용 DRM 솔루션이 통합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CMS 솔루션 제공 업체들은 자사의 ECM Suite에 문서보안 DRM을 탑재하거나 DRM 개발사와의 제휴를 통해 통합적인 기업 콘텐츠 관리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RM 시장에서는 주로 음악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용되었던 기술이 온라인 비디오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셋탑박스, PC, IPTV, 모바일 기기와 같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컨버전스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DRM 기술이 서서히 각광받고 있다. 현재 북미권 DRM 업체로는 Intertrust, IBM, MS, ContentGuard, Adobe 등이 포진해 있으며, 모바일 DRM 업체로는 Lockstream이 두각을 보이고 있다.

전 세계 CDN 시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의 CDN 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콘텐츠 전송 솔루션을 개발해 서비스하는 기업들과 콘텐츠 전송에 필요한 네트워크 하드웨어 제품을 공급하는 기업들로 양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계는 최근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공급하던 Network Appliance와 Cisco 등이 콘텐츠 전송 솔루션까지 패키지화하면서 구분에 큰 의미가 없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시장경쟁은 한층 치열해지고 있으며, 서비스 가격이 전체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또한 Amazon과 같은 IT기업은 콘텐츠 유통 사업에서의 강점을 내세우며 CDN 사업을 시작하였고 AT&T와 같은 통신 사업자들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새롭게 CDN 시장에 진입하였다.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을 격화시키는 주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 지역의 주요 CDN 서비스 사업자로는 Akamai, LimeLight Networks, Internap, Level3 Communications, Verisign, Mirror Image 등이 있으며, Akamai가 이 지역에서 약 80%의 시장점유율로 선두를 지키고 있다. Akamai가 주목하고 있는 향후의 시장은 주문형 HD 비디오의 보급으로 촉발될 가정용 비디오 콘텐츠 서비스 부문과 기업을 상으로 확 되고 있는 ADN(Application Delivery Network) 부문이다. 고화질 HD 비디오에 한 수요 증가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기업들이 Akamai의 CDN 솔루션을 자사에 도입하도록 만들 것이다.

Page 18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65

제 2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황

1.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2008년 20억 4,100만 달러에서 2009년 23억 7,6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2.4%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42억 7,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에서 유럽권은 북미권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 규모를 보이고 있으며, DRM 및 CDN 부문에서 상 적으로 높은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CMS 696 796 907 1,072 1,178 1,323 1,459 1,595 1,730 1,866 2,046 9.1%

DRM 36 106 140 178 227 269 313 363 409 452 518 14.0%

CDN 153 221 323 455 636 784 941 1,129 1,296 1,448 1,707 16.8%

합계 885 1,123 1,370 1,705 2,041 2,376 2,713 3,087 3,435 3,766 4,271 12.4%

<표 3-2>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2. 유럽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동향

서유럽의 CMS 시장은 특정 기능에 한 수요가 컸던 개별 솔루션 위주의 시장에서 점차 전체 기업을 상으로 하는 통합형 ECM Suite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서유럽에 비해 IT 산업의 발전이 더딘 동유럽

에서는 여전히 특정 솔루션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CMS 업체들도 이러한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서유럽의 글로벌 기업 위주로 이미 시장 보급이 이루어진 CMS 시장은 DRM과 CDN 시장에 비해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권 DRM 시장은 모바일 게임, 음악 등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확 와 IPTV 서비스의 확 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디지털 기기가 보급되면서 유럽의 DRM 시장은 셋탑박스 처럼 디지털 컨버전스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를 중심으로 시장 확 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Page 18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66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3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황

1.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2008년 5억 600만 달러에서 2009년 6억 8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4.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12억 1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CMS 시장은 기업에서의 ECM 솔루션의 도입이 지연되고 수요가 정체되어 있는 탓에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나, DRM과 CDN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CMS 79 95 121 143 151 169 184 199 214 230 249 8.1%

DRM 21 37 52 75 91 112 132 155 176 195 227 15.2%

CDN 59 86 129 186 264 327 394 475 547 612 724 17.2%

합계 159 218 302 404 506 608 710 829 937 1,036 1,201 14.6%

<표 3-3>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2. 일본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부문별 시장 동향

일본의 CMS 시장은 아직 성숙단계에는 이르지 못했으며 일본 기업들도 CMS에 한 인식부족으로 솔루션 도입에 다소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CMS 시장의 성장률은 DRM, CDN 시장의 높은 성장세에 미치지 못하는 한 자릿수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본 DRM 시장은 모바일 음악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모바일콘텐츠 산업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어 향후에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DMB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이통사 및 CP들의 높은 관심도에 따라 시장의 급격한 성장이 전망된다. 과거에는 음악용 DRM 시장이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하면, 최근에는 온라인 비디오 콘텐츠의 급격한 보급과 더불어 비디오용 DRM이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일본의 CDN 시장에서는 방송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에 한 수요가 많다. 일본의 CDN 업체인 J-Stream은 주로 Fuji, TBS, NHK, TBS, Asahi와 같은 방송사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주문형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원활히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Page 19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절 중국 및 아시아․태평양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현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67

제 4 국 아시아․태평양권 디지털콘텐츠 솔루

션 시장 황

1. 국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중국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2008년 2억 3,800만 달러에서 2009년 2억 8,6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4.3%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5억 5,7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CMS 47 64 70 86 107 125 144 163 181 200 226 12.6%

DRM 6 11 16 26 37 48 59 72 84 94 113 18.8%

CDN 22 39 58 75 94 113 131 152 171 189 218 14.0%

전체 75 114 144 187 238 286 334 387 436 483 557 14.3%

<표 3-4> 국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중국 디지털 콘텐츠 솔루션 시장은 전반적으로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데 CMS와 DRM 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보이나, CDN 시장은 세계 평균보다 낮은 성장이 예상된다. CDN 시장은 네트워크 인프라 확충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데, 중국의 네트워크 역폭이 CDN 솔루션에 한 수요를 증가시킬 만큼 증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 아시아․태평양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아태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2008년 4억 2,200만 달러에서 2009년 4억 9,700만 달러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며, 2014년까지 13.3%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9억 2,9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태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은 한국의 기업용 시장을 중심으로 한 CMS, DRM 보급, 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발달에 따른 CDN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Page 19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장 권역별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동향 및 전망

168 한국콘텐츠진흥원

구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09-'14

CAGR

CMS 63 78 85 104 131 153 176 199 223 246 279 12.7%

DRM 20 36 52 64 83 97 112 128 143 159 181 13.2%

CDN 51 92 130 169 208 247 286 331 372 410 470 13.7%

전체 134 206 267 337 422 497 574 658 738 814 929 13.3%

<표 3-5> 아태권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시장 규모 망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CIBC, 2009, Frost & Sullivan, 2009, 노무라 종합연구소, 2009, 일본 인터넷 백서, 2009, iResearch, 2009

Page 19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CM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69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

현황

제 1 CMS

1. IBM(CMS)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ibm.com ② 직원수 : 386,558명 ③ CEO : Samuel J. Palmisano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매출 91,423 98,785 105,630 95,757

영업이익 12,835 14,791 17,845 18,189

(단위 :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세계 최 의 IT 서비스, 정보컨설팅 업체인 IBM은 IT 산업에서의 영향력과 정보 관리부문에서의 역량

을 바탕으로 CMS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최근 통합 콘텐츠 및 문서관리 솔루션이 활성화되면서, IBM은 콘텐츠 관리 전 부분에 걸쳐 보유하고 있는 제품군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IBM은 2006년 10월 ECM 시장의 선도 기업 중 하나였던 Filenet을 인수함으로써 광범위한 포트폴리오와 개발인력을 확보하게 되었고,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확고하게 다졌다. 양사의 합병으로 기존의 고객들은 서비스 사업자를 변경하지 않고도 보다 발전된 기술 요소를 제공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IBM은 2002년 7월 CM 기업인 Aptrix사를 인수하여 CMS 시장에 뛰어든 이래로 Green Pasture Software, Tarian Software, Venetica 등 다수의 솔루션 회사들에 한 전략적 인수합병과 300여 개가 넘는 콘텐츠 관리 솔

Page 19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70 한국콘텐츠진흥원

서비스 구분 주요제품

Compliance ManagementCommonStorem, Content Collector, eDiscovery Manager, FileNet Email Manager, FileNet Records Manager

Content Management

Content Manager, Content Manager OnDemand, Document Manager, FileNet Capture, FileNet Content Manager, FileNet Document Publisher, FileNet Site Publisher, FileNet Team Collaboration Manager, Lotus Web Content Management

Document Centri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FileNet Business Process Framework, FileNet Business Process Manager, Tivoli Business Continuity Process Manager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Platform

CommonStore for SAP, Content Integrator Enterprise Edition, FileNet System Monitor

Search & Discovery Classification Module, Content Analyzer, eDiscovery, OmniFind

루션 업체와의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통해 다양한 소스의 콘텐츠를 통합함으로써 ECM 시장에서 더욱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IBM ECM solution의 표적인 제품은 IBM Content Manager로, 통합 저장소를 바탕으로 ECM 기반 기술인 데이터베이스,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스토리지 관리, 그룹웨어, 하드웨어 솔루션들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이들을 연계하는 토탈 ECM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IBM ECM 서비스의 핵심 목표는 정보를 '활성화된(Active)' 콘텐츠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모든 콘텐츠 요소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개방적이고 유연한 구조를 지닌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CRM, Call Center 같은 고객 서비스 솔루션이나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각종 전사 솔루션, 리치 미디어 기반의 e-커머스, e-러닝, 방송 아카이빙 솔루션들이 기업의 모든 콘텐츠들과 쉽게 통합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근 IBM은 자사의 ECM 솔루션의 마케팅 포인트를 '민첩한 콘텐츠 관리(Agile Enterprise Contents Management)'로 설정하고 급변하는 기업 정보 환경에 응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다. Product

Page 19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CM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71

라. ClientABF Freight System Academia Sinica CNN DanoneSA

Einstein Group GE-Interlogix-GASI Honda Motors Co. Ltd ING

Lawson Products Mobil Travel Guide National Geographic Orica Chemicals

Posco The PGA Tour SK corp. SONY

United Airlines Volkswagen Volkswagen, Japan Walmart

2. EMC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emc.com ② 직원수 : 38,000명 ③ CEO : Joseph M. Tucci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매출 11,155 13,230 14,876 14,025

영업이익 1,406 1,772 1,898 1,579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EMC는 정보 인프라 기업으로 디지털 정보를 저장, 관리, 보호, 공유하는 스토리지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상 인프라 서비스와 정보 집중형 보안 솔루션에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 EMC는 ECM(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구성요소뿐 아니라 디지털 자산 관리(DAM)등의 옵션 또한 제공하며, Java 2 Platform, Enterprise Edition (J2EE), XML과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부분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EMC가 수익을 거두고 있는 분야에는 정보 저장, 콘텐츠 관리와 아카이빙, VM웨어로 표되는 가상 인프라 서비스, RSA 정보 보안 등이 있다. EMC의 콘텐츠 관리와 아카이빙 부문의 표적인 제품은 EMC Documentum과 EMC Captiva가 있으며, 이 제품들은 정보콘텐츠의 생성 관리, 전송, 아카이빙을 통해 업

Page 19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72 한국콘텐츠진흥원

무 과정을 최적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EMC는 스토리지 중심의 정보 라이프사이클 관리 부분을 중점적으로 브랜드화하고 있다. 표적인 CMS

제품으로는 Documentum&5 Web Publisher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Centera Content Addressed Storage system 등이 있다. EMC는 BEA, Adobe, CIC, Acartus, Authentica, Coast software 등과 기술적 제휴관계를 맺고 있으며 은행, 재정 서비스 기업, 인터넷서비스 업체, 병원, 정부 등 다양한 고객들을 확보하고 있다.

다. Product서비스 구분 주요제품

Business Process Management

Documentum Collaborative Services, Documentum Forms Builder, Documentum Process Suite, Documentum TaskSpace

Collaboration and Document Management

Documentum Client for Lotus Notes, Documentum Authoring Integration Services, Documentum Client for Outlook, Documentum Collaborative Services, Documentum Content Management Portlets, Documentum Content Services for SharePoint, Documentum eRoom, Documentum Federated Search Services, Documentum PDF Annotation Services, Documentum Technical Publications Suite for S1000D, Documentum Webtop

Content Security Documentum IRM Services, Documentum Trusted Content Services

Digital Asset Management

AVALONidm, Documentum Authoring Integration Services, Documentum Content Transformation Services, Documentum Digital Asset Manager, Documentum Media WorkSpace

Document Capture Captiva

Documentum Platform

Documentum Branch Office Caching, Documentum Composer, Documentum Content Distribution Services, Documentum Content Intelligence Services, Documentum Dynamic Delivery Services, Documentum Import Manager, Documentum xDB

Records Management Documentum Records Manager, Documentum Retention Policy Services

Report ManagementDocumentum ApplicationXtender Reports Management, Documentum Archive Services for Reports

Search and Classification

Captiva Dispatcher, Documentum Federated Search Services

Web Content Management

Documentum Site Caching Services, Documentum Web Publisher

Page 19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CM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73

라. Client

Aerospace & DefenseArchitectural, Engineering, &

ConstructionAutomotive

Chemicals, Oil & Gas Consumer Products Education

Finance Government Healthcare

High Tech Insurance Life Sciences

Manufacturing Publishing Retail

Service Provider Telecommunications Utilities

3. Open Text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opentext.com ② 직원수 : 3,000 (추정) ③ CEO : John Shackleton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매출 410 596 726 786

영업이익 39 64 101 112

(단위 :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Open Text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 워털루에 자리 잡은 ECM 솔루션업체로, 사업 영역은 북미, 유럽, 아

시아 태평양 영역에 모두 걸쳐 있다. Open Text의 솔루션은 이메일, 문서,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거래 정보와 같은 다양한 기업 콘텐츠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기능들을 제공한다.

법적 분쟁에 응하는 Open Text의 솔루션은 법적인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며, 기업들이 정부의 규제에 부합하면서도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빠르게 업무처리를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Open Text의 솔루션은 제약회사, 정유사, 생명공학, 금융, 원자력 분야와 같이 광범위한 산업에 모두 응하는 서비스 역량을 갖추고 있다.

Open Text의 주요 제품은 Livelink이다. 표적 솔루션인 LiveLink는 협업, 지식관리, 웹 퍼블리싱, 비즈니스 업무 자동화, 문서관리, 이러닝 관리, 데스크톱 통합, 기록 관리, 무선 접속, 기업 포털 등의 다양한

Page 19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74 한국콘텐츠진흥원

기능을 갖고 있다. 최근 지식관리 솔루션인 ECM 분야에 집중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Open Text는 관련 업체들을 적극적으로 인수하면서 ECM의 6가지 구성 분야를 모두 갖추게 되었다.

Open Text는 또한 다양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업자들과 제휴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Microsoft와의 제휴는 Microsoft의 데스크탑과 서버 상품을 통합하는 데 기여했고 Oracle과의 제휴를 통해 통합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Open Text의 기업용 솔루션 구조를 확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다. Product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Archiving Solutions Business Process Management

CollaborationCompliance and Corporate

GovernanceDigital Asset Management

Document Management eLearning and Corporate Training Enterprise Applications

Email Solution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Report and Output Management Vendor Invoice Management Web Content Management

라. Client3M Alaska Airlines AlintaGas AMB

American Electric Power Applied Materials Barclays BMW

Britannia Airways Metro Cash&Carry Motorola Nortel Networks

Oral-B DBM Dexia Bank Eurohypo AG

Federated Investors Philips Electronics Power Technology Reebok

Regence Group Samsonite SBB Cargo General Motors

Johnson Controls Siemens U.S. Air Force Whirlpool

Page 19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CM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75

4. Interwoven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interwoven.com ② 직원수 : 888명 ③ CEO : Joseph L. Cowan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매출 200.3 225.7 253.4

순이익(순손실) 6.4 23.7 32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Interwoven은 디자인, 생산, 판매, 마케팅, 법적 절차, IT 서비스에 맞춤화되고 특화된 산업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솔루션은 크게 사용자 경험, 프로페셔널 서비스, 금융 서비스, 혼합 애플리케이션 공급 솔루션으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 경험 솔루션은 개인화된 콘텐츠를 지역적 구분과 미디어의 한계를 뛰어넘어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프로페셔널 서비스는 법적인 응절차에 필요한 전자, 종이 문서들을 관리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terwoven은 iManage, MediaBin, Software Intelligence를 인수하면서 협업, 이메일 관리, 문서 관리, 웹 콘텐츠, 디지털 자산, 기록 관리 등 ECM의 모든 분야를 총괄할 수 있게 되었다. Interwoven은 ECM 솔루션을 통합하는데 집중하기 보다는 TeamSite라는 상품으로 WCM(Web Content Management)분야에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브리티시 텔레콤, 포드, GM, 모토롤라, 야마하를 비롯한 3,000개의 기업에서 Interwoven의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Interwoven은 법률 회사에 특화된 솔루션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로펌의 변호사들이 지역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다양한 판례와 법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있다. Interwoven의 금융 서비스 솔루션은 다른 금융회사와의 복잡한 거래들을 쉽게 처리하고 회계와 보안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Page 19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76 한국콘텐츠진흥원

다. Product사업군 주요제품

Collaboration and Document Management

․ WorkSite Server, WorkSite Communications Server, WorkTeam, WorkDocs, WorkProtal, WorkRoute, DeskSite, FileSite, OffSite

Content Distribution ․ OpenDeploy Server

Content Intelligence ․ MetaTagger Server, MetaTagger Studio

Content Provisioning ․ OpenDeploy Server, Control Hub

Digital Asset Management․ MediaBin Asset Server, MediaBin Syndication Manager, MediaBin Deployment

Agent, MediaBin Content Intelligence, MediaBin Clustered Server, Presentation Workbench

Enterprise Application Connector Suite ․ TeamPortal(IBM, BEA, SAP Portals), WorkSite MP Portlets - BEA Portal

Records Management

․ RecordsManager, WorksSite MP Records Mgmt. Server, WorkSite MP Server(J2EE and NET), WorkSite MP Adobe PDF Server, WorkSite MP Integration - MS Office, WorkSite MP Integration - MS Outlook, WorkSite MP Integration - Lotus Notes, WorkRoute MP, WorkSite MP Portlets - BEA Portal

Content Integration ․ TeamSite Integration - Nahava, TeamSite Integration - ContextMedia

Content Management ․ TeamSite Content Server, LiveSite Server, TeamSite XML Server

Developer Suite ․ ContentServices SDK, Developer License, Desktop Developer License

E-Mail Management․ WorkSite Communications Server, FileSite, WorkSite Integration - Lotus Notes,

WorkSite MP Integration - MS Outlook, WorkSite MP Integration - Lotus Notes

Imaging ․ WorkSite Server(Microsoft Platform), WorkSite MP Server(J2EE and NET), Scanning/Image Capture Integrations

Page 20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1 절 CMS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77

라. ClientIndustry Client

Financial Service ․ ABN AMRO, Barclays Global, Deutsche Bank, NASD US Bancorp 등

Legal/Professional Service ․ Addleshaw Goodard, Brodies, DLA, Freshfields, Norton Rose, Orrick 등

Insurance ․ AIG, Allianz, Aon, AXA, Farmers, Skandia Insurance, Swiss Life 등

Government ․ City of Los Angeles, Depart of Education(U.S.), New York State, State of California

Healthcare ․ Alcon, Avalon Pharmace uticals, Blue Cross, Eli Lilly, Novartis, Pfizer 등

Retail/Wholesale ․ Adidas-Sa, Avon, JC Penny, Lowes, McDonald, Reebok, Staples 등

Manufacturing ․ Boeing, Ford Motor Company, Du Pont, General Motors, Samsung 등

Travel/ Transportation ․ Air Canada, Air France, American Airlines, Delta Airlines, FedEx, Sol Melia 등

Education/Learning ․ Deakin University, Harcourt,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oQuest 등

Telecom/Energy ․ AT&T, BT, NTT Data, Orange, SBC, Telecom Italia, T Mobile 등

Media & Entertainment ․ AOL Time Warner, Channel 4, Electronic Arts, Reuters, Starz Encore, Viacom 등

Hi-Tech ․ Avaya, Adobe, Cisco Systems, Intel, Microsoft, Motorola, NEC, Nortel 등

Page 20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78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2 DRM

1. Apple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apple.com ② 직원수 : 21,600 ③ CEO : Steve Jobs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매출 19,315 24,578 37,491 42,905

영업이익 2,453 4,407 8,327 11,740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Apple은 기술력과 디자인을 겸비한 상품(iPod 하드웨어), 소프트웨어(iTunes), 서비스(iTunes Store)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이러한 혁신 모델을 통해 Apple은 단기간에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 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였다.

Apple은 iPod과 연동되는 iTunes를 통해 자사의 DRM인 FairPlay를 시장에 주력으로 선보이고 있다. Apple의 전용 기기에서만 호환되는 FairPlay에 한 업계와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지만 Apple은 iPod이라는 강력한 휴 용 기기를 통해 시장을 장악해 왔다. 2008년 1월 Apple이 iTunes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FairPlay는 그 범위를 더욱 확장하였다.

그러나 FairPlay의 독점적이고 지배적인 위치가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 견해들도 제기되고 있다. Apple이 독점적으로 디지털 콘텐츠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데 맞서 Universal Music, Warner Music, Sony BMG 등의 메이저 음반사는 DRM이 해제된 음원을 시장에 선보였고, 메이저 영화사들이 주축이 된 DRM 표준단체인 DECE는 비디오 콘텐츠 시장에서 Apple과 맞서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비슷한 이유로 CE31) 제조업체는 Apple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지배하는 것을 견제하려 할 것이다.

이러한 업체들의 움직임과 유럽, 미국 등 정부기관들의 Apple에 한 반독점 영향력 행사에 따라 Apple의 CEO Steve Jobs는 온라인 음악 DRM에 한 자사의 입장을 DRM 폐지 쪽으로 선언하였다. 향후 31) CE: Consumer Electronics, 디지털 소비자 가전

Page 20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DRM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79

Apple의 독점을 견제하려는 업계의 이해관계와 이에 한 Apple의 응 전략에 따라 FairPlay DRM의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 Product사업군 주요제품

For All Mac Owners ․ AppleCare Protection Plan

For iPod Owners ․ AppleCare Protection Plan for iPod

For Professionals․ AppleCare Help Dest Support, AppleCare Professional Video Support, AppleCare Technician Training

For Business․ Mac OS Xserver Software Support, AppleCare Premium Service and Support for Xserve of Xserve RAID, AppleCare Service Parts Kits, WebObjects Technical Support, AppleCare Xsan Support

2. Microsoft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microsoft.com ② 직원수 : 89,809 ③ CEO : Steven A. Ballmer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매출 44,282 51,122 60,420 58,437

영업이익 17,772 18,949 24,130 20,976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세계 최 의 소프트웨어 업체인 Microsoft는 PC용, 모바일용 Windows 운영체제에 기반하여 다양한

DRM들을 선보이고 있다. MS가 제공하는 DRM 솔루션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하나는 정보 콘텐츠에 한 보안을 제공하는 RMS(Rights Management Service)이고 또 하나는 음악, 영상 등의 Windows Media 포맷에 응하는 Windows Media DRM이다.

DRM 시장에서 MS의 가장 큰 강점은 Windows에 번들형태로 제공되는 Windows Media Player에 응하는 DRM 솔루션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Media Player는 Windows가 설치된 PC에는 기본적으로 탑

Page 20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8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품 내용

Rights Management Service for Windows Server 2003

문서, E-mail, 그림 파일 등 모든 종류의 디지털 파일에 대해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보안 기능 제공

Windows Media DRM 10 for Portable Devices

포터블 오디오, 비디오 플레이어, 셋탑박스, 모바일 기기에서 Windows 미디어에 대응하는 음악, 영상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보안 기능 제공

Windows Media DRM 10 for Network Devices

PC에서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리시버 등으로 홈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미디어 파일들을 재생할 수 있는 보안 기능 제공

PlayReady 동영상, 음악파일, 벨소리, 이미지 포함하는 모바일 콘텐츠 통합지원

재되어 있는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이며 Windows Media 파일의 호환성과 범용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MS는 또한 독립 소프트웨어 개발사, 하드웨어 업체를 위한 개발 툴(SDK)을 제공하며 Windows Server와의 연동을 통해 DRM의 확장성을 높이고 있다.

다. Product

3. RealNetworks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realnetworks.com ② 직원수 : 1,722 ③ CEO : Robert Kimball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매출 395 578 605

영업이익(손실) -29 -50 -88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미디어 플레이어인 RealPlayer와 RealAudio, RealVideo 포맷으로 유명한 RealNetworks는 인터넷 미디

어 전송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Rhapsody라는 음악 다운로드 스트리밍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Film.com과 RollingStone.com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RealNetwork는 인터넷 오디오,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서의 사업 역량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콘텐츠 시장과 저작권 및 라이선스 관련 DRM 표준에서 큰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RealNetworks는 주요 음악 다운로드 사이트 중 하나인 Rhapsody를 운영하고 있어 상호작용하는 DRM 개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

Page 20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DRM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81

제품 내용

Herix MS DRM, Apple DRM, Real Networks DRM 등과 호환

Rhapsody MS의 Janus 메커니즘을 콘텐츠 다운로드 방식으로 채택한 제품

으로 예상되고 있다. RealNetwork는 또한 Helix DRM 10이라 불리는 독자적인 DRM solution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Helix

DRM을 설치하는 CE32) 제조업체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Rhapsody는 최근 Window Media의 DRM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Helix DRM은 그 입지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이에 한 안으로 RealNetwork는 개방된 표준 DRM을 개발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나, 그 영향력은 아직 불투명하다.

다. Product

4. Adobe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adobe.com ② 직원수 : 6,677 ③ CEO : Shantanu Narayen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매출 2,575 3,158 3,580 2,946

영업이익 572 858 1,060 732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Adobe는 Photoshop, Illustrator와 같은 그래픽 디자인 툴, Premire와 같은 동영상 편집 틀, Flash와 같

은 디지털 미디어 포맷, PDF와 같은 문서 생산 툴까지 모든 디지털 포맷에 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Adobe는 DRM 시장에서 주로 자사의 디지털 미디어 파일 포맷에 응하는 DRM 솔루션들을 출시하고 있는데 기존 PDF 문서에 호환되는 Document Server에 이어 최근에는 Flash 미디어에 응하는 Flash

32) CE: Consumer Electronics, 디지털 소비자 가전

Page 20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8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품 내용

Document Server PDF 문서에 적용되는 문서 암호화, 전자서명, 접근 권한 설정 등을 지원

Flash MRMS Flash Media Rights Management Server, Flash, 동영상 H.264포맷을 지원

Media Rights Management Server를 출시하였다.Adobe의 강점은 이미지, 동영상, 문서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디지털 미디어 파일 제작에 사용

되는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합 Suite 형태로 제공되는 Adobe의 저작 도구들은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작도구 시장에서의 지배력과 표준으로 인정받는 PDF, Flash 포맷 등을 기반으로 DRM 사업을 전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 Product

Page 20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CDN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83

제 3 CDN

1. Akamai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akamai.com ② 직원수 : 1,300명 ③ CEO : Paul Sagan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매출 429 636 791

영업이익 83 171 255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 Akamai는 세계 최초로 CDN 기술을 상용화한 기업으로, Akamai의 콘텐츠 전송 기술은 최초에 MIT의

과학자 그룹에서 개발되었다. 이들은 당시 규모 네트워크에서 중앙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콘텐츠 전송 경로를 우회하도록 만드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개발하던 중이었다. MIT 공 와 경영 학의 교수들이 주축이 된 Akamai는 1998년 MIT 학의 투자를 받았으며, 1999년 CDN 기술을 상용화하였다.

Akamai는 EdgePlatform이라는 이름의 인프라 플랫폼을 구축했는데 여기에는 71개 국가에 설치된 20,000여개의 서버가 사용되고 있다. EdgePlatform은 진보된 형태의 라우팅과 로드 밸런싱, 데이터 수집, 감시를 통해 고객들이 추가적인 장비를 구입하거나 IT 인프라를 개선하지 않고도 웹 상에서의 역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Akamai는 디지털 콘텐츠 전송과 관련, 동영상 등의 라이브와 온디맨드의 스트리밍 전송과 HTTP 형식의 형 파일 등의 다운로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 서비스는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15~20%를 점하는 규모이다. 또한 글로벌 500 기업의 25%가 Akamai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Yahoo를 비롯해 Apple, IBM 등의 컴퓨팅 관련 기업, MTV 등의 미디어 기업, 미 국방성 등의 기관이 주요 고객이다.

Akamai는 현재 EdgePlatform이라고 불리는 분산형 컴퓨팅 플랫폼에 기반해 CDN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EdgePlatform은 현재 전세계 70개국 950개 네트워크에 설치된 42,000여 에 이르는 서버

Page 20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84 한국콘텐츠진흥원

로 구성되어 있으며, Akamai는 이 플랫폼을 활용해 인터넷 트래픽 및 문제점을 상시 감시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로를 회피하는 형태로 CD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kamai EdgePlatform은 On-demand 기업이 예상치 못한 수준의 인터넷 트래픽을 처리할 인프라를 갖추지 않고도 원활한 웹 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프로모션 기간에 플래시 포맷의 광고를 한다거나, 갑자기 증가하는 웹 사이트 검색, 투표와 같은 1회성 트래픽 증폭에 EdgeComputing 기술과 Akamai 인프라 플랫폼의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분산시키게 된다.

Akamai의 표적인 서비스인 EdgeSuite 스트리밍은 Akamai의 스트리밍 기술과 광 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활한 스트리밍을 보장하고 있다. EdgeSuite 스트리밍 서비스는 On-Demand와 Live Streaming 서비스의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On deman Streaming은 스트리밍이 시작되기 전에, 콘텐츠를 고객의 서버로부터 미리 다운받아 최적의 Akamai 스트리밍 서버로 이동시키고, 그 지점에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스트리밍이 병목 현상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Live Streaming은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콘텐츠 복사본을 Akamai의 엔트리 서버로부터 최적의 장소에 위치한 서버로 전송한 후, 다시 완전한 하나의 스트리밍으로 통합하는 기술이다.

다. Product사업군 주요제품

Content Delivery Services․ Akamai Streaming, EdgeSuite Enterprise Edition, EdgeSuite Delivery,

EdgeSuite Delivery Advanced Features

On Demand Managed Services․ On Demand Services, On Demand Applications, On Demand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Akamai Professional Services ․ Professional Services, Customer Care

Application Performance

Services․ Web Application Accelerator

Business Performance

Management Service․ WebTrends On Demand, Akamai EdgeScape

라. ClientAIRBUS Apple Computer BestBuy.com

BMW France L'Oreal MTV Networks

NTT Com Sybase E*TRADE Group, Inc.

FedEx Corp.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t Locker

FUJI TV IBM Corp. IBS

Thomson Financial Toyota Motor Sales U.S. Army Recruitment

Victoria's Secret Yahoo! The Yomiuri Shimbun

Page 20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CDN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85

2. Limelight Networks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limelightnetworks.com ② 직원수 : N/A ③ CEO : Jeffrey Lunsford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매출 65 103 130

영업이익(손실) 4 -19 -30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Limelight Networks는 2001년 설립된 업체로 세계 CDN 시장에서 2위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Limelight는 최종사용자에게 비디오, 음악, 게임, 사회 미디어 콘텐츠 등의 다운로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07년까지 20개의 전송포인트(Content Delivery Point)를 확보하였다. Limelight는 초고속 인터넷 사업자들의 교차망과 백본에 연결되는 자사의 POPs(Points of Presence)에 자료를 복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2006년까지 전 세계에 350Gbps의 역폭 용량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2008년에는 2테라바이트 이상의 역폭을 확보했다.

Limelight Networks의 가장 큰 고객은 Microsoft사로 Limelight의 CDN 서비스는 Xbox Live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MS와 장기계약을 체결하였다. Limelight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은 Akamai에 이어 세계 2위의 사업자로서 형 기업들의 수요에 맞는 용량의 역폭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Akamai를 이용하던 형 업체들이 안으로서 선택할 수 있는 CDN 업체는 Limelight가 유일하다. 다만 최근 많은 콘텐츠 업체들이 자사 내부에 CDN 시설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 Limelight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Limelight의 고객사였던 MySpace는 News Corporation에 인수된 후 Limelight의 CDN 서비스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고 자사 내부에 CDN 솔루션을 갖추었다.

Akamai에 이은 2위 사업자인 Limelight Networks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의 효율화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이 온라인 예약 및 전자상거래의 거래 관리 및 보호 등 미디어 콘텐츠 전송 이외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 Akamai와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Akamai와 MIT는 Limelight Networks에 해 MIT의 CDN 관련 특허권 침해 소송을 제기해 메사추세

Page 20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86 한국콘텐츠진흥원

서비스 내용

LimelightDELIVER웹 페이지, 이미지, 음악, 패키지 게임과 소프트웨어 패키지, HD 비디오를 포함한 다양한 HTTP 요소들을 전세계 사용자들에게 전송

LimelightSTREAM끊김 없고 부드러운 오디오와 비디오 형식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실시간 방송이나 주문형 비디오에 적합

LimelightHD 고용량, 고화질의 HD 비디오 콘텐츠의 스트리밍,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LimelightEXCHANGE 다운로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성향을 보고 및 분석

츠 연방 지방재판소가 Akamai의 제소가 타당하다는 판결을 내리고 Limelight Networks에 4,600만 달러의 침해 배상을 명한 바 있다.

다. Product

Page 210: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CDN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87

Akimbo Amazon unbox DreamWorks

Electronic Arts GameShadow itv play

lonely planet Microsoft Mydeo

msnbc.com mix&burn ifilm

Rajshri Media tvCompass Valve Softare

videojug Vlaze.com N24

라. Client

3. InterNap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internap.com ② 직원수 : 330 ③ CEO : J. Eric Cooney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매출 181 234 254

영업이익(손실) 2 2 -2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Internap Network Services는 1996년 설립된 북미 지역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업체이다. Internap은

본래 ISP들의 상호접속(peering)에 따른 네트워크 효율 저하를 막는 라우트 콘트롤 기술을 보유한 업체로, 현재는 전자상거래, 비디오 오디오 스트리밍, VoIP와 같은 환경에 맞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nternap은 북미, 유럽, 아태 지역에 있는 38개의 Access Point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콘텐츠 전송(Content Distribution), 가상사설네트워크(VPN), 보안, 스토리지 관리와 화상회의 시스템도 제공한다.

InterNap은 2006년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서 강점을 갖고 있던 VitalStream을 2억 1700만 달러에 인수하면서 CDN 시장에 뛰어들었다. VitalStream은 IT사업자가 오디오,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통합된 리치 미디어 콘텐츠 전송과 같이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 전송 사업을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VitalStream과 InterNap의 합병으로 InterNap은 CDN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Page 211: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4 장 주요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기업현황

188 한국콘텐츠진흥원

서비스 내용

On-Demand Streaming Service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스트리밍 서비스, Flash, Windows Media, Silverlight, 웹 다운로드와 같은 다양한 포맷을 지원

Live Streaming Services실시간 방식의 스트리밍 서비스와 함께 라이브 방송을 저장하여 나중에 On-Demand 형식으로 제공 가능

Media ConsoleFlash, Windows Media, Silverlight와 같은 여러 포맷의 미디어 파일을 통합 관리 및 전송할 수 있는 툴셋

Streaming Services for Flash Flash Video 포맷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통합 툴셋 제공

Streaming Services for Windows Media

Windows Media Video 포맷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통합 툴셋 제공

업종 고객사

Fianacial Charles Schwab, JP Morgan Chase, Morgan Stanley, Prudential

Technology Friendster, Hewlett-Packard, Motorola, VeriSign, Rackspace

RetailColumbia House, Crate&Barrel, Gap Jeans, Ice.com, The Sharper Image, Ticketmaster

Media / Publishing Associated Press, CBS Sportsline, HBO, McGraw-Hill, Time Warner

Online Gaming Atari, Big Fish Games, NCsoft, Nuclear Fallout, Sony

Travel Delta Airlines, Hotwire, Hyatt, Spirit Airlines

HealthcareAmgen, Children's Hospital of Seattle, Gambro, North American Scientific

EntertainmentCox Radio Interactive, LA County Museum of Art, Major League Baseball, National Hockey League, DirecTV

Education Apex Learning,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MIT Lincoln Labs

Other Colgate-Palmolive, Edmunds.com, Toyota

VitalStream의 콘텐츠 관리, 전송 서비스와 InterNap의 라우팅 관리 기술이 결합하여 용량 파일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해졌고 양사의 고객들에게 두 종류의 상품을 교차 판매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미디어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되었다는 것을 인수합병으로 얻어진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

다. Product

라. Client

4. Level 3 Communications

가. Company Fact ① 웹사이트 : www.level3.com

Page 212: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3 절 CDN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89

서비스 내용

Caching and DownloadObject Delivery : 비디오, 게임, 패치파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대용량 파일 전송 및 캐싱 서비스 / Total Site Delivery : 홈페이지 캐시 서비스 / Secure Delivery : HTTPS 콘텐츠의 보안 전송 지원

Streaming 실시간 방송인 Live Streaming과 주문형 콘텐츠 On-demand Streaming

Origin Storage Caching and Download, Streaming과 함께 연동되는 콘텐츠 저장 서비스

Intelligent Traffic Management Global Load Balancing, DNS Traffic Management 지원

19 of the world’s top 20 telecom companies 9 of the 10 largest telecom carriers in Europe

9 of the top 10 U.S.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s) 9 of the top 10 U.S. cable companies

3 of the top 4 telecom companies in Asia Top 5 U.S. Wireless Service Providers

② 직원수 : 7,400 ③ CEO : James Q. Crowe ④ 재무제표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매출 3,378 4,269 4,301

영업이익(손실) -127 -229 56

(단위: 백만 달러)

나. Company ProfileLevel 3 Communications는 통신회선과 인터넷 백본을 운영하고 있는 북미지역의 통신사업자이다.

Level 3는 2006년에 SAVVIS의 CDN 사업부문을 1억 3500만 달러에 인수하며 CDN 시장에 진출하였다. Level 3가 합병한 SAVVIS는 1995년에 설립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로 2003년에 WAM!NET을 인수하고 2004년에 Cable&Wireless의 북미 자산을 획득하면서 CDN 사업에 진출하였다. Level 3 Communication의 사업 영역은 주로 용량 파일 다운로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다.

다. Product

라. Client

Page 213: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해외 주요 컨퍼런스

190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5 장 해외 주요 컨퍼런스

제 1 Content Management Strategies / DITA North

America Conference 2009

1. 개요

가. 개최 장소 :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 피터스버그

나. 개최 시기 : 2009년 4월 27일 - 29일

다. 홈페이지 : http://www.cm-strategies.com2. 2009년 행사 내용

Content Management Strategies / DITA North America Conference 2009는 정보 콘텐츠와 기업 콘텐츠 관리에 한 주제와 DITA(Darwin Information Typing Architecture)라고 명명된 XML기반의 기술 정보 저작, 전달 구조를 콘텐츠 관리에 이용하는 법을 논제로 다룬다. CMS / DITA 2009는 미국 플로리다의 세인트버그에서 2009년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 동안 개최되었다.

컨퍼런스는 Management Track, DITA Track, Technical Track, Demo Track의 4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각은 컨텐츠 관리, DITA 구조, 기술요소, 어플리케이션 시연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참가 상은 기업의 정보 개발자/관리자들로, Contents Management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CMS 구축, 콘텐츠를 XML 형태로 변환하는 데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한편 CMS / DITA 2010은 캘리포니아 산타 클라라에서 2010년 4월 19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글로벌 기업에서의 Contents Management 활용을 주제로, 글로벌 고객 기반 Contents 도입에서의 비용 감소 방안, 가치 창출을 위한 Contents 활용법, 주제별/모듈별 콘텐츠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자들에게 전달하는 방안에 해 다룰 예정이다.

Page 214: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2 절 9th ACM DRM Workshop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91

제 2 9th ACM DRM Workshop

1. 개요

가. 개최 장소 : 미국, 시카고

나. 개최 시기 : 2009년 10월 9일

다. 홈페이지 : http://www.almaden.ibm.com/cs/people/hongxia-jin/DRM2009/2. 2009년 행사 내용

ACM Workshop on Digital Rights Management는 디지털 콘텐츠에 적용되는 지적 재산권 문제에 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발표를 통해 학제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포럼이다. 2009년으로 9회째를 맞는 본 워크샵은 2009년 10월 9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었다. ACM DRM Workshop은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 오랜 전통과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단체인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SIGSAC 분과의 후원을 받고 있으며 ACM Conference i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CCS)와 함께 개최되고 있다.

워크샵의 주제는 암호화, 소프트웨어/컴퓨터 시스템 디자인, 정보 신호 처리, 지적재산권법, 정책입안, 산업/경제분석과 같은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주제에 관련된 전문가들이 하루 동안의 일정에서 공식적인 발표, 비공식적인 토론을 거쳐 DRM의 토 와 적용법에 관한 새로운 시각과 견해를 나누게 된다.

학회의 기조강연에서는 시카고 학의 법학과 교수인 Randal Picker가 "The Uses and Abuses of Control at a Distance"라는 주제로 발표했으며, "Formal Models", "Cryptographic Techniques", "Experience", "Software Protection", "Architecture"의 5가지 세션에서 총 9개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Page 215: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제 5 장 해외 주요 컨퍼런스

192 한국콘텐츠진흥원

제 3 Content Delivery Summit

1. 개요

가. 개최 장소 : 미국, 뉴욕

나. 개최 시기 : 2009년 3월 11일

다. 홈페이지 : http://www.contentdeliverysummit.com/2. 2009년 행사 내용

Content Delivery Summit은 콘텐츠 소유 기업, 인프라 제공사, 월 스트리트의 애널리스트 등이 참가해 비디오 콘텐츠를 CDN으로 제공하는 기술, 사업적 이슈에 해 논의하는 컨퍼런스이다. 2009년 행사는 미국 뉴욕에서 3월 11일 개최되었다.

이 컨퍼런스는 Level 3 Communication, Internap, Limelight 등의 CDN 기업과 AT&T와 같은 통신 기업이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컨퍼런스의 특징은 기술 기업과 실제 산업과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월가의 애널리스트들이 공동으로 참가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CDN 산업의 가능성과 이슈를 논의한다는 데 있다.

2009년 행사의 기조 강연은 Microsoft의 Edge Computing Network 부서의 Jeffrey Cohen이 연설자로 나섰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CDN Research Data: Market Sizing and Pricing Trends"라는 제목으로 CDN 시장 규모와 가격 트렌드 분석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두 번째 세션인 'The CDN Market Grows Up: Here Come The Telcos'에서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통신 기업의 CDN 시장 진출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다.

이 밖에도 'CDN Technology Impacts: HTTP, HD, Multi-Bitrate, and Live Broadcasting', 'CDN Demos: Reporting and Analytics', 'CDN Economics: Consolidation And Evaluation', 'The CDN Ecosystem: Moving From Bit Delivery To Media Management', 'The Future of CDNs'와 같은 주제를 통해 CDN 시장의 현안과 각종 이슈들이 논의되었다.

Page 216: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93

【 참 고 자 료 】

<국내자료>

1. KIPA(2007), DRM을 둘러싼 형 벤더들의 립. 해외SW시장 심층분석2. KIPA(2008), 기술 및 정보유출 증가로 기업 DRM 시장 급성장. SW산업동향3. KISDI(2008), CDN서비스의 현황 및 이슈. 홍범석,김태현4. TTA(2007).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이창열5. 강호갑(2006). DRM 기술개발, 아직 갈 길 멀다6. 강호갑(2006).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성장동력, DRM7. 문화관광부(2007), 2007 문화산업통계8. 스트라베이스(2008), iTunes 견제와 불황 타개의 일석이조 효과 노리는 음반업계의

DRM-free 해법, 2008.1.239. 스트라베이스(2009), Apple의 iTunes 판매전략 변화를 통해 본 디지털 음반 시장의 향방,

2009.1.2910. 스트라베이스(2009), EA, 과도한 DRM 전략 포기…게이머들과의 DRM 갈등에서 사실상 투

항, 2009.1.811. 스트라베이스(2009), Nokia, 모바일 음악 서비스의 수익성 부재 토로… DRM 삭제 가능성도

고려, 2009.3.1012. 스트라베이스(2009), PC 게임 업계의 DRM 존폐 논쟁 가열… 매출 확 위한 제3의 길 모색

中, 2009.6.12

<해외자료>

1. BSG(2007). Digital Rights Management2. CIBC(2007). CDN Market Forecast3. CMS Watch(2007). OpenText comes out with new CMS4. CMS Watch(2008). The ECM Suites Report 20095. CMS Watch(2008). The Web CMS Report 20096. CMS Wire(2007). IBM Web Content Management Concepts7. CMS Wire(2007). Oracle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8. CMS Wire(2009), Open Source CMS Market Share

Page 217: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194 한국콘텐츠진흥원

9. CnetNews(2007). IBM Spices up content management play, 10. Copyright and Technology(2009), DRM Resarch: Alive and Well and Living near the

Rhine, 2009.9.2311. Copyright and Technology(2009), Is Copyright a Consumer’s Right or a Citizen’s Right?,

2009.10.1312. Coral Consortium(2008). Coral Consortium Introduction13. Credit Suisse(2007). Akamai Technologies, Inc.14. DCITA(2007). A Guide to Digital Rights Management15. Datamonitor(2006). Digital Rights Management16. Datamonitor(2007). Level 3 Communications, Inc. Company Profile17. Datamonitor(2008). Akamai Technologies, Inc. Company Profile18. Datamonitor(2008). EMC Corporation Company Profile19. Datamonitor(2008). Internap Network Services Corporation Company Profile20. Datamonitor(2008). Interwoven Inc Company Profile21. Datamonitor(2008). Open Text Corporation Company Profile22. IBM(2007) IBM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Product Strategy23. IBM(2008). Agile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24. Information Today(2008). Ten Years Later: Akamai Continues to Evolve with the

Internet25. Japan Business Council in Europe(2007).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26. Meta group(2007). Avoiding Information Leakage: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Approach 27. Meta group(2007). Mobile Digital Rights Management: Critical for Vendors, But Users?28. MetaGroup(2007). Web Content Management : North America Market Overview29. Ovum(2007). Why Oracle must move in on content Management30. Pathan, Al-Mukaddim Khan, and Rajkumar Buyya(2007). A Taxonomy and Survey of

Content Delivery Networks. University of Melbourne Working Paper31. RNCOS(2007). DRM Market Analysis Future Directions32. Research and Consultancy Outsourcing Service(2007). Digital Rights Management-State

of the Industry33. Streaming Media(2008). Pulling Back the Curtain on Level 334. Streaming Media(2008). The State of the Content Delivery Market35. Victor Votsch(2006). A Taxonomy for Content Management Systems

Page 218: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참고자료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195

< 인터넷사이트 >

1. 노무라 종합연구소, http://www.nri.co.jp/2. 야노경제연구소, http://www.yano.co.jp/commit/itbusiness/ 3. 일본 Impress, http://www.impress.co.jp/index2.htm4. 중국 전문가 포럼, http://csf.kiep.go.kr/5. Aberdeen Group, http://www.aberdeen.com6. Business Week, http://www.businessweek.com7. Computerweeklt.com, http://www.computerweekly.com/Home/Default.aspx8. IDG Japan, http://www.idg.co.jp 9. Hoovers.com, http://www.hoovers.com10. iResearch, http://english.iresearch.com.cn/html/Default.html 11. NEC, http://www.nec.co.jp12. Telemak, http://www.telemak.com13. Thomson Research, http://research.thomsonib.com14. Yahoo Finance, http://finance.yahoo.com

Page 219: Ë ³ û ï Ý ± Ä ìI · 요 약 문 1. 제 목: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디지털 인프라 확충과 정보통신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지식정보콘텐츠)

발행인 이 재 웅

발행일 2010년 1월 25일

발행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1602

전화 02-3153-1114 팩스 02-3153-1106

http://www.kocca.or.kr

ISBN : 978-89-93893-69-4 93600

1. 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2. 본 연구보고서의 무단전재(無斷轉載)를 금하며, 가공 ․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콘텐츠

진흥원, 2009 해외콘텐츠시장조사’라고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