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박 소 윤 ** · 서 현 아 ***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그려진 부모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부모가 동시에 등장하는 권의 도서를 선정하여 부모의 출현빈도 등장배경 함께 등장하는 인물 감정표현 부모 행동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더 등장하였으며 둘째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더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셋째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혼자 순으로 어머 니는 딸과 함께 아들과 함께 순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는 긍정적 감정을 어머니는 부정적 감정을 더 표현하였다 다섯째 아버지의 행동 유형은 일상생활 활동 놀이접 전반적인 터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행동 유형은 일상생활 활동 전반적인 터치 육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아이들이 그림책에서 어떤 성역할에 노출되어 있는지 밝히고 현대 사회에 바람직한 부모 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주제어 창작 그림책 아버지 등장인물 어머니 등장인물 성역할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본 논문은 년도 경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동주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016. 7. 1.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박 소 윤** · 서 현 아*** 요 약 본 연구는 창작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생태유아교육연구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2016. 제15권 제2호 , 227 - 249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박 소 윤** · 서 현 아***

    요 약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그려진 부모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부모가 동시에 등장하는

    408권의 도서를 선정하여 부모의 출현빈도, 등장배경, 함께 등장하는 인물, 감정표현, 부모 행동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 후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더 등장하였으며 둘째,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더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셋째,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혼자 순으로, 어머

    니는 딸과 함께, 아들과 함께 순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는 긍정적 감정을

    어머니는 부정적 감정을 더 표현하였다. 다섯째, 아버지의 행동 유형은 일상생활 활동, 놀이접

    촉, 전반적인 터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행동 유형은 일상생활 활동, 전반적인 터치, 보

    육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아이들이 그림책에서

    어떤 성역할에 노출되어 있는지 밝히고, 현대 사회에 바람직한 부모 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주제어 창작 그림책(picture book)

    아버지 등장인물(father’s characters)

    어머니 등장인물(mother’s characters)

    성역할(gender role)

    ※ 논문접수 : 2016. 04. 30 / 수정본 접수 : 2016. 05. 31 / 게재승인 : 2016. 06. 09* 본 논문은 2016년도 경성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동주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2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Ⅰ. 서 론

    현대사회는 가족구조와 가치관의 변화 사회적 환경의 복잡함 및 다양화로 인해 빠르게 변

    화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화 도시화의 흐름 속에서 여성의 사회 진출은 증가하였으나, 가족

    구조는 확대가족에서 핵가족의 형태로 변화하면서 가정 내의 양육에 대한 지지체계는 약화

    되었다. 또한 여성의 교육 기회가 점차 증가하면서 사회적으로 성역할 고정 관념에 대한 비

    판적 목소리가 높아졌고, 부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새롭게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

    었다(김은정, 방희정, 안제원, 김미주, 오수경, 신다원, 2012).

    즉, 전통사회에서 아버지는 경제적 자원을 제공하고, 사회적 권력을 행사하며 가족의 안정

    을 책임지는 역할을 주로 하며 자녀 양육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는 않고 어머니의 역할을 보

    완하는 주변적 인물로 인식되었다(Binger, 1977). 이에 비해 어머니는 가정의 소비생활과 가

    사일을 담당하고, 아이들을 돌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Galambos, 1990)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자녀 양육과 가사일에 아버지의 참여요구가 높아지게 되면서 전통적인 성역

    할의 적합성과 적응성이 문제로 부각되었고(Katz & Walsh, 1991; Koblinsky & Sugawara,

    1984) 최근에는 ‘양성성 인간 유형’이 주목받고 있다. ‘양성성 인간 유형’은 개인이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음을 인정하고, 상황에 따라서 각 성의 역할을 융통성 있게 잘 수

    행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성역할 개념을 말한다(Bem, 1974). 성역할에서 양성적 특징을

    지는 사람은 여성적 행동과 남성적 행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다양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

    으며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Bem, 1974; Marecek, 1979) 상황에 더 융통성 있게 효율적

    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아들에게 성역할 고정관념을 주입시킬 것이 아니

    라 유연한 양성성의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성역할(gender role)은 한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에서 남자 혹은 여자로 특징지어 질 수 있

    는 행동, 태도, 가치, 특성의 기대치로(Block, 1973; Ruble & Martine, 1998) 사회의 성역할 기

    준은 남자와 여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을 기술하며, 각 성의 구성원으로 유목하고 반응하는 고

    정관념을 반영한다(Shaffer, 1999). 고정관념이란 한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이 모두 동질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보는 견해로, Broverman, Vogel, Broverman, Clarkson 와

    Rosenkrantz(1972)는 남녀의 생리적 차이에 근거를 두고 남성과 여성에게 적합한 과제, 활동,

    성격특성을 규정하는 남녀 역할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신념을 성역할 고정관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성 고정관념은 종종 성역할에 기초한다. 이러한 것은 물리적 능력, 태도, 흥미,

    직업과 같은 각 성의 특징에 관해서 만들어진 추측이다. 유아는 세상을 관찰하고, 그들이 다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29

    양한 상황에 적합할 수 있는 규칙과 역할을 발전시킨다(Shaw, 1998). 젠더 스키마이론(Bem,

    1983; Martin & Halverson, 1981)과 사회 인지이론(Bussy & Bandura, 1992)은 유아들은 이

    른 시기부터 남자와 여자의 차이에 관한 태도와 생각을 발전시킨다고 말한다. 이 시기에 유

    아들은 그들의 젠더스키마를 만들고 그것들은 성에 관계된 주변 세상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

    는데 사용되어 그들의 행동패턴을 결정한다. 그들은 남성 혹은 여성의 의미에 대한 개념을

    발달시키기 시작하고 어떻게 사회가 사람들을 분류하고 성에 관하여 그들의 역할을 수행하

    는지를 관찰한다. 특히 발달심리학적으로 학령전기 유아 시기는 성을 구분하고 문화적인 관

    습에 따라 성을 범주화하는 시기이다(Powlishta, Serbin & Moller, 1993). 3세 유아들은 그들

    자신을 구분하고 다른 성을 구분할 수 있으며(Jacklin & maccoby, 1978; Wasserman &

    Stern, 1978) 5세에 많은 유아들은 이미 굳건한 고정관념을 형성한다(Schlossberg &

    Goodman, 1972). 이 시기에 성역할 고정관념에 노출되는 것은 아동의 성역할에 대한 사회화

    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일생동안의 성역할 정체성의 다양한 측면을 유지하고 결정시킬

    수 있다(Peterson & Lach, 1990; Tepper & Cassidy, 1999; Turner & Gervai, 1995; Zemore,

    Fiske & Kim. 2000).

    유아들이 접하는 미디어에서 성역할 고정관념 연구는 중요하다. 왜냐하면 전통적인 성고정

    관념에 대한 노출은 남녀 아동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용인되는 행동의 범위를 좁히

    고 불평등을 당연시하게 여기도록 하기 때문이다(Witt, 2000). 유아가 부모의 성역할에 대한

    정보를 얻는 가장 대표적이고 효과적인 매체 중 하나가 바로 그림책을 활용한 접근이다. 유

    아들은 가정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교사와 함께 그림책을 매개로 다양한 상호작용을 한다(이

    효원, 문서림, 조희숙, 2015). 그림책은 아이들이 직접 읽는 게 아닌 성인이 읽어주는 것으로

    도 일찍 접할 수 있으며(Hunt, 2009) 부모 역할과 관계된 성역할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반복

    적인 노출을 제공한다(Anderson & Hamilton, 2005). 즉, 그림책은 성역할에 대한 문화적 가

    치와 작가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유아들이 이러한 가치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득하는

    중요한 도구인 것이다(신세니, 조희숙, 2009; Weitzman, Eiffer, Hokada & Ross, 1972).

    다양한 연구에서 그림책 나타난 성역할은 유아의 태도, 기대, 행동, 주관성에 대하여 직접

    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 Trepanier-Street 와 Romatowski(1999)는 유아를 대상으로 성

    별 직업적 고정관념이 없는 그림책을 읽어 준 뒤 유아들의 직업고정관념을 측정한 결과 남성

    또는 여성만 할 수 있다고 응답한 직업이 그림책 활동 후에는 거의 대부분 남녀모두 가능하

    다고 응답하였다고 하였다. Flerx, Fidler와 Rogers(1976) 역시 고정이 관념이 없는 캐릭터를

    가진 성평등 그림책에 노출시키는 것은 4-5살 유아의 성적 고정관념을 감소시키며, 놀이, 일,

    여가 활동, 지식, 감정표현과 관계된 유아와 부모의 성역할 기준에 관한 판단을 바꾼다고 보

  • 2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고했다. Narahara(1998)는 책에서의 성역할 대한 연구와 그것이 아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여 책속의 캐릭터가 성역할의 모델이 된다고 결론지었다. 국내 연구에서도(김현숙, 2003;

    박지영, 2010; 성구진, 1995; 유은석, 민혜영, 2008; 이은경, 2008; 황지영, 2002) 성평등 그림책

    읽어주기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남녀역할

    의 차별을 두지 않는 책은 아동의 자아, 태도, 행동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유아는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모습을 역할 모델, 모방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유아는 그림책

    을 매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부모의 역할 개념을 이해하고, 사회적 배경, 가치관이나 관습,

    문화를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모가 등장하는 그림책은 유아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의 성역할 모델을 보여주는 동시에 부모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는 점에서 중요한 의

    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그림책에 관한 연구 중 부모 등장인물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한 연구로는(김주희, 1998; 성

    정아, 1995; 정대련, 2001; 정연경, 정대련, 2005; 조정란, 2000, 조한숙, 2002) 등이 있으나 부

    모가 아닌 성인 등장인물의 성역할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성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는 그

    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김세희, 나은숙, 2004), 창작 그림동화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분

    석(김은정 외, 2012),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최예린, 2011), 앤서

    니(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이문정, 2015), 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긍정적-부정적 어머니상과 아버지 상에 대한 고찰(정명숙, 유수경,

    송주연, 2008)등으로 특정 작가의 그림책만을 분석하였거나, 부모 모두가 아닌 아버지의 역할

    에 초점을 맞추어 창작 그림책에서 부모의 성역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일반적

    인 양상을 드러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묘사된 부모의 성

    역할을 다각도로 분석하기 위하여 얼마나 자주 그림책에 등장하는지를 통해 역할의 비중을

    나타내주는 등장빈도, 시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물의 특성을 설명해주는 등장배경,

    부모가 자녀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알 수 있는 함께 등장하는 인물, 부모의 감정과 심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감정표현, 자녀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부모 행동 유형에 중점

    을 두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의 아이들이 어떤 성역할 고정관념에 노출되어 있

    는지 밝히고, 현대 사회에 바람직한 부모 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

    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31

    1.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은 어떠한가?

    1-1. 부모의 등장 빈도는 어떠한가?

    1-2. 부모의 등장 배경은 어떠한가?

    1-3. 부모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은 어떠한가?

    1-4. 부모의 감정표현은 어떠한가?

    1-5. 부모의 행동 유형은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그림책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그려진 부모 등장인물을 살펴보았다. 창작 그림책은 작가가 순

    수하게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글과 그림으로 표현한(김현희, 박상희, 2008) 그림책으로

    패러디 그림책과 옛이야기 그림책, 전기 그림책과 같이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로

    정형화된 인물을 재생하고 있는 그림책과, 사실성과 객관성에 근거하여 특정 대상에 대한 일

    반적인 특성을 분류하고 일반화하는 정보 전달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정보 그림책, 영

    아 그림책, 알파벳 그림책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영아 그림책을 제외한 3세부

    터 8세를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 목록을 국내에서 도서 판매량이 많은 상위 6개 서점(교보문

    고, 예스24, 인터파크, 알라딘, 서울문고, 영풍문고)의 베스트셀러와, 어린이 도서 연구회와 오

    픈키드, 책동이의 권장도서 목록, 서울시에 위치한 6곳의 어린이 도서관(서울시립어린이도서

    관, 중랑숲어린이도서관, 송파어린이도서관, 도봉어린이문화정보도서관, 서초어린이도서관,

    종암동새날도서관)과 부산시에 위치한 3곳의 어린이 도서관(재송어린이도서관, 해운대어린이

    도서관, 부전도서관 어린이실)의 개관이후 2015년 4월까지 대출 순위 목록, 국내외 수상 그림

    책(보림 창작 그림책 공모전, 비룡소 황금도깨비상, CJ특별전 초청 그림책, 칼테콧 수상작, 케

    이트 그린 어웨이 수상작) 1차적으로 수집하였다. 1차 수집된 목록 1101권 중 절판되어 구할

    수 없는 책 158권과 부모가 동시에 등장하지 않아 가족 내의 부모 역할을 살펴볼 수 없는 어

    머니만 등장하는 책 441권, 아버지만 등장하는 책 94권을 제외하였다. 편모, 편부가 등장하는

    그림책은 특별한 상황들이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편적인 부모의 모습으로 일반

  • 2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구분 권수 백분율

    그림책

    국내그림책 113 27.70%

    번역그림책 295 72.30%

    계 408 100.0%

    국내 그림책 출판년도

    1990년 이전 0 0%

    1991년-1999년 12 10.62%

    2000년-2009년 31 27.43%

    2010년 이후 70 61.95%

    계 113 100%

    원전 출판년도

    (번역그림책)

    1990년 이전 77 26.10%

    1991년-1999년 63 21.36%

    2000년-2009년 112 37.96%

    2010년 이후 43 14.58%

    계 295 100.0%

    번역 출판 연도

    (번역그림책)

    1990년 이전 0 0%

    1991년-1999년 30 10.17%

    2000년-2009년 178 60.34%

    2010년 이후 87 29.49%

    계 295 100.0%

    출판국가

    미국 96 32.54%

    영국 61 20.68%

    일본 33 11.19%

    프랑스 32 10.84%

    독일 20 6.78%

    기타국가 53 17.97%

    계 295 100.0%

    화시키는데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가 모두 등장하는 그림책 408권을 최종 연

    구 대상 도서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 도서의 일반적 배경은 표 1과 같다.

    연구 대상 그림책의 일반적 배경 (N=408)

    기타 출판 국가는 스웨덴(11권), 호주(7권), 벨기에(6권), 네덜란드(5권), 스페인(5권), 스위

    스(3권), 핀란드(3권), 중국(2권), 이탈리아(2권), 대만(2권), 포르투갈(1권), 오스트리아(1권),

    몽골(1권), 슬로베니아(1권), 노르웨이(1권), 이스라엘(1권), 캐나다(1권)로 구성되었다.

    2. 연구 도구

    본 연구는 Adams, Walker와 O'Connell(2011), Anderson과 Hamilton(2005)의 그림책에 등

    장하는 아버지, 어머니 인물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등장빈도, 등장배경, 함께 등장

    하는 인물, 감정표현, 부모활동유형으로 항목화 하였다.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33

    1) 등장 빈도 분석기준

    그림책에서 부나 모가 더 많이 혹은 더 작게 출현하는 것은 인물의 중요도를 나타내준다.

    본 연구에서는 Adams 외(2011)의 등장인물 빈도 체크리스트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Adams

    외(2011)는 부와 모의 등장빈도를 높다, 중간, 낮다로 구분하여 정확한 빈도를 알아볼 수 없

    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전체 등장빈도를 체크하도록 수정하였다.

    2) 등장 배경 분석기준

    그림책의 배경은 시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촉매제로 작용

    한다(Nikolajeva, 2009). 또한 배경은 인물구성(characterization)을 지지하기도 하는데 인물이

    주로 실내에 있는 것으로 그려지는지 아니면 실외에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지, 인물이 집과

    안전함을 선호하는지 아니면 집과 떨어진 위험한 장소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고 인

    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ams 외(2011)의 배경 분석 기준을 사용하여

    집안, 집밖, 나타나지 않음으로 분류하고 집, 직장, 공공장소, 자연으로 세분화하여 구분하였

    다.

    3) 함께 등장하는 인물 분석 기준

    그림책 안에서 등장인물이 누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통해 등장인물의 역할 형성

    을 파악할 수 있으며 등장인물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인물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

    와 함께 등장하는 부모님의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Anderson과 Hamilton(2005)의 분석 기준

    에 따라 부모가 혼자 등장, 아들과 등장, 딸과 등장, 아들딸 모두와 등장으로 분석하였다.

    4) 감정 표현 분석 기준

    등장인물의 감정표현은 인물의 심리, 기분, 의식, 생각과 현재 당면한 갈등이 있는지 그리

    고 어떠한 성품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 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감정 유형을 정확하

    게 분류하기 위해 Adams 외(2011)의 체크리스트를 수정, 보완하였다.

    Adams 외(2011)는 감정 유형을 분노, 슬픔, 행복, 두려움, 걱정, 애정, 혼란, 중립적인/읽을

    수 없음으로 구성하였으나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의 분류가 없었으며 그림책에 자

    주 등장하는 미소짓기/웃기, 화내기와 같은 감정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는

    Adams 외(2011)의 체크리스트를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으로 나누었으며 그림책에 긍정

    적 감정으로 그림책에 자주 나타나는 미소짓기/웃기, 기쁨을 추가하였다. 또한 부정적 감정으

  • 2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2부 : 등장배경(The setting of parental appearances) 아버지 어머니

    집안(indoors) 집(home)

    집밖(outdoors)

    직장(work)

    공공장소(public place)

    자연(nature)

    나타나지 않음(unreadable)

    3부 : 함께 등장하는 인물(Appearances of parental characters with others) 아버지 어머니

    혼자 등장(alone)

    아들과 등장(appears with son)

    딸과 등장(appears with daughter)

    1부: 등장빈도(Appearances of parental characters) 아버지 어머니

    본텍스트

    로 제시된 분노, 슬픔, 두려움, 걱정을 더욱 세분화하여 파악하기 위해 슬퍼하기/울기, 화내기

    /분노의 소리치기, 걱정하기, 놀라기, 속상해하기, 미안해하기, 외로움, 불만스러워하기로 분류

    하였다. 이외 언급된 감정 외에 발견되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은 기타항목으로 기재

    하였다.

    5) 부모 행동 유형 분석 기준

    부모가 등장하는 그림책에서 자녀와의 직접적인 상호활동과 양육참여 활동은 부모의 성

    역할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척도를 제공해준다(Quinn, 2003, 2006). Adams 외(2011)은 부모의

    활동을 전반적인 터치(Overall touching), 놀이접촉(Playful contact), 기능접촉(Functional

    contact), 양육활동(Explicitly nurturing), 보육활동(Childcare activity), 집안일(Housework),

    훈육(Disciplining)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그러나 양육활동(Explicitly nurturing)과, 보육활

    동(Childcare activity)에 대한 세밀한 차이가 없어 연구자가 보육활동(Childcare activity)으로

    통일하였으며, 현은자, 설려나, 홍지민(2014)의 그림책의 성인역할 구분을 참고하여 직업 활

    동과 일상생활 활동을 최종 추가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체크리스트는 표 2와 같다.

    등장인물 분석 체크리스트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35

    아들 딸 모두와 등장(appears with son and

    daughter)

    4부 : 감정표현(expressions of Emotion) 아버지 어머니

    긍정적 감정

    (Positive emotion)

    미소짓기/웃기(smile, laugh)

    기뻐하기(glad)

    행복해하기(happiness)

    기타( )

    부정적 감정

    (Negative emotion)

    슬퍼하기/울기(sadness/Cries)

    화내기/분노의 소리치기(anger/yell in anger)

    걱정하기(worry)

    놀라기(surprised)

    속상해하기(get upset)

    미안함(sorry)

    불만스러움(dissatisfiedness)

    기타( )

    5부 : 부모 행동 유형(Actions of parental characters present) 아버지 어머니

    전반적인 터치(overall touching)

    포옹하기, 애정표시로 꼭 껴안기, 들어서 운반하기, 잡고 있기, 업기, 목말타

    기, 어깨 맞대기, 손잡기, 밀어주기, 뽀뽀하기, 만지기, 기타 다른 종류의 신체

    적 접촉

    놀이 접촉(playful contact)

    자녀와 여가와 취미생활을 함께하는 활동. 놀이친구가 되어 놀아주거나 즐

    거운 곳으로 자녀를 데려가 주는 활동

    기능 접촉(functional contact)

    자녀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유익한 지식을 가르쳐주

    는 활동. 문제를 해결하도록 자원을 제공하고 자녀와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

    해 깊게 대화하는 활동

    보육활동(childcare activity)

    먹여주기, 재워주기, 목욕시키기, 옷을 입혀주기, 손씻기, 이닦기, 재워주기

    와 같은 자녀를 직접적으로 돌보는 활동

  • 2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정서적지지(emotional support)

    자녀의 감정을 공감하고 격려하는 정서적으로 위로하고 따뜻함을 주는 활동

    가사노동(housework)

    가정의 의생활 관리, 식생활 관리, 주생활 관리(청소, 설거지, 빨래, 식사준

    비, 다림질, 요리하기, 요리재료 사기, 정원돌보기 등)

    훈육(disciplining)

    예의나 올바른 생활습관을 길러주고 잘못한 행동을 바로 잡거나, 사회의 관

    심적인 가치와 규칙을 알려주고 전달하는 활동

    일상생활활동(daily life activity)

    의사소통, 대화, 식사하기, 집안 행사 참여하기, 건강관리하기, 도움 주고받

    기, 인사하기, 공부하기, 휴식, 수면, 가족 기다리기, 목욕 등 자기의 신변을

    위해 하는 활동이나 보행, 이동에 관한 활동

    직업활동(occupation activity)

    직장에 나가서 일을 하는 경제적 부양활동

    기타

    ( )

    3. 연구 절차

    본 연구의 분석절차는 연구자 2인이 선정된 연구 대상 도서 목록에서 무작위로 40권을 골

    라 각각 분석을 하여 체크리스트의 타당성과 연구자 간의 일치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등장

    빈도, 등장 배경, 함께 등장하는 인물 분석에서는 완벽한 일치를 보였으나 감정표현과 부모

    행동유형에서는 81.2%의 일치도를 보였다. 연구자 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에 대해서는

    여러 번 논의를 거쳐 합의하였다. 합의한 연구 결과는 아동문학 전문가 2인에게 타당도를 검

    증 받았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37

    구분 아버지 빈도(%) 어머니 빈도(%)

    집안 1813 (57.57%) 1820(67.28%)

    집밖

    직장 99 (3.14%) 66 (2.44%)

    공공장소 699 (22.20%) 485 (17.92%)

    자연 371 (11.78%) 209 (7.72%)

    집밖전체 1279 (40.61%) 853 (31.53%)

    나타나지 않음 167 (5.30%) 125 (4.62%)

    합계 3149 (100.0%) 2705 (100.0%)

    Ⅲ. 결과 분석

    1. 아버지와 어머니의 등장 빈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등장 빈도 (N=408)

    구분 아버지 빈도(%) 어머니 빈도(%) 합계

    등장 빈도 3216 (53.82%) 2759(46.18%) 5975(100.0%)

    표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림책에서 아버지 등장빈도는 53.82%, 어머니 등장빈도는

    46.18%로 어머니보다는 아버지가 조금 더 많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버지 어머니의 등장배경

    아버지 어머니의 등장배경 (N=408)

    표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림책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등장하는 배경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집밖보다 집안에서 더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

    장배경을 좀 더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아버지는 집안 (57.57%), 공공장소(22.20%), 자연

    (11.78%)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경우 집안 (67.28%), 공공장소(17.92%), 자연(7.72%)순

    으로 나타나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더 자주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버지

    는 공공장소나 자연 같이 집밖에서 등장하는 빈도가 어머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구분 아버지 빈도(%) 어머니 빈도(%)

    긍정적

    감정

    미소 짓기/웃기 461 (51.50%) 424 (46.18%)

    기뻐하기 18 (2.01%) 15 (1.63%)

    행복해하기 2 (0.22%) 2 (0.22%)

    기타 3 (0.36%) 5 (0.54%)

    긍정적 감정표현 합계 484 (54.07%) 446 (48.58%)

    부정적

    감정

    슬퍼하기/울기 55 (6.15%) 68 (7.41%)

    화내기/분노의소리치기 108 (12.07%) 131 (14.27%)

    구분 아버지 빈도(%) 어머니 빈도(%)

    혼자 418 (25.72%) 201 (16.26%)

    아들과 함께 635 (39.07%) 367 (29.69%)

    딸과 함께 403 (24.80%) 397 (32.12%)

    아들, 딸

    모두와 함께149 (9.17%) 182 (14.72%)

    자녀 성별 나타나지 않음 20 (1.23%) 89 (7.20%)

    합계 1625 (100.0%) 1236 (100.0%)

    3.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등장하는 인물 (N=408)

    표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39.07%)이 가장 많았고,

    혼자 등장하는 장면(25.72%), 딸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24.8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들,

    딸 모두 함께 등장하는 장면(9.17%)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딸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32.12%)이 가장 많았고, 아들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

    (29.69%), 혼자 등장하는 장면(16.2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들, 딸모두와 함께 나타나는

    장면(14.72%), 자녀의 성별을 알 수 없지만 함께 등장하는 장면(7.20%)로 나타나 아버지보다

    자녀와 함께하는 장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버지와 어머니의 감정 표현

    아버지와 어머니의 감정 표현 (N=408)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39

    걱정하기 87 (9.72%) 111 (12.09%)

    놀라기 80 (8.94%) 72 (7.84%)

    속상해하기 8 (0.89%) 28 (3.05%)

    미안해하기 11 (1.23%) 16 (1.74%)

    불만스러움 34 (3.80%) 26 (2.83%)

    기타 28 (3.12%) 20 (2.17%)

    부정적 감정표현 합계 411 (45.92%) 472 (51.42%)

    합계 895 (100.0%) 918 (100.0%)

    구분 아버지 빈도(%) 어머니 빈도(%)

    전반적인 터치 512 (15.04%) 466 (15.66%)

    놀이 접촉 721 (21.19%) 381 (12.81%)

    기능 접촉 231 (6.79%) 188 (6.32%)

    보육활동 294 (8.64%) 392 (13.18%)

    정서적 지지 172 (5.05%) 147 (4.94%)

    가사노동 186 (5.46%) 378 (12.71%)

    훈육 148 (4.35%) 156 (5.25%)

    일상생활활동 895 (26.30%) 740 (24.88%)

    직업활동 115 (3.38%) 49 (1.65%)

    기타 129 (3.79%) 77 (2.59%)

    합계 3403 (100.0%) 2974 (100.0%)

    표 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먼저 아버지의 긍정적 감정표현은 54.07%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표현은 45.92%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감정표현은 48.58%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

    정표현은 51.42%로 나타났다. 즉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긍정적 감정표현을, 어머니는 부정적

    감정표현을 조금 더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책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긍정적 감정표

    현은 미소짓기/웃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감정표현은 미미하였다.

    한편 아버지의 부정적 감정표현은 화내기/분노의 소리치기가 12.07%로 가장 많이 나타났

    고, 걱정하기 9.72%, 놀라기 8.94%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감정표현 역시 화내기

    /분노의 소리치기가 14.2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걱정하기 12.09%, 놀라기 7.84%

    순으로 나타났다.

    5. 아버지와 어머니의 행동 유형

    아버지와 어머니의 행동 유형 (N=408)

  • 2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표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버지의 주된 행동유형은 타인과 대화나누기, 공부하기, 수면

    취하기, 목욕하기, TV보기, 식사하기, 출퇴근하기와 같은 일상생활활동(26.30%)이 가장 많았

    다. 다음으로 놀이접촉(21.19%), 전반적인 터치(15.04%) 순으로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보육활동(8.64%), 가사노동(5.46%), 기능접촉(6.79%), 정서적 지지(5.05%), 훈육(4.35%), 방관

    이나 부부싸움, 폭력, 무기력과 같은 기타(3.79%), 직업활동(3.38%) 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빈

    도를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주된 행동 유형을 살펴보면 일상생활활동(24.88%), 전반적인 터치

    (15.66%), 보육활동(13.18%), 놀이접촉(12.81%), 가사노동(12.71%)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접

    촉(6.32%), 훈육(5.25%), 정서적지지(4.94%), 직업활동(1.65%)은 상대적으로 적은 빈도를 나

    타내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의 도서 판매 상위 6개 서점의 베스트셀러와 권장도서 목록, 서울시와 부산

    시에 위치한 어린이 도서관의 개관이후 대출 순위 목록과 국내외 수상작을 중심으로 선정된

    총 408권의 도서에 나타난 아버지와 어머니의 등장인물을 Adams 외(2011)와, Anderson과

    Hamilton(2005)의 그림책에 등장한 등장인물 분석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체크리스트로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 수행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

    과와 이에 따른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등장빈도를 살펴보면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조금 더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미권 베스트셀러, 칼테콧 수상작, 도서

    관 추천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현저하게 적게 나타난다는 Adams 외(2011),

    Anderson과 Hamilton(2005)의 연구와는 상반되며, 칼테콧 수상작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비

    교적 같은 비율로 출현한다는 Quinn(2003, 2006)의 연구와 일치한다. 아버지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 그림책은 성역할 사회화의 초기 과정에 있는 유아들에게 가족 내에서 아버지의 부재가

    당연시되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심어줄 위험이 있으며(Anderson & Hamilton, 2005), 자칫 유

    아들에게 아버지는 무기력하고 자녀들에게 무관심한 존재라는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할 수 있

    다(김지희, 2011). 아버지가 그림책에서 자주 출현한다는 것은 유아들로 하여금 아버지가 자

    신의 주변에 있는 존재이며, 가족 내에서 비중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Quinn, 2003)는 측면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41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가 등장하는 배경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집

    밖보다 집안에서 더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가 더 이상 집밖에서 존재

    하는 독립적인 존재가 아닌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집안에서 가족과 일상을 함께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등장배경을 좀 더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아버지는

    집안(57.57%), 공공장소(22.20%), 자연(11.78%)순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경우 집안

    (67.28%), 공공장소(17.92%), 자연(7.72%)순으로 나타나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더 자

    주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집밖에서 조금 더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에서 남성은 대외적인 역할로 주로 밖에서 활동하며 여성

    은 대내적인 역할로 주로 집안에서 활동한다는(김주희, 1998; 성정아, 1994; 조한숙, 2002) 선

    행연구와 맥을 같이하며 성역할 고정관념이 아직 그림책 속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이 가장 많았고, 혼자 등장하는 장

    면, 딸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는 딸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이

    가장 많았고, 아들과 함께 등장하는 장면, 혼자 등장하는 장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들, 딸

    모두와 함께 나타나는 장면, 자녀의 성별을 알 수 없지만 자녀와 함께 등장하는 장면도 나타

    나 아버지보다 자녀와 함께하는 장면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동성의 자녀와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김승민(2013), Anderson과

    Hamilton(2005), Adams 외(201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그림책 작가들은 아버지와 밀

    접한 관계를 설정할 때 아들을 선택하고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어머니의 경우에는 딸과 함

    께 등장하는 경우, 아들과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비슷한 비율로 나와 자녀의 성별과 상관없

    이 모두 밀접하게 묘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에서 혼자 등장하는 장면은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머니는 아들, 딸 모두와 함께 나타나는 장면, 자녀의 성별을 알 수 없지만 함께 등장

    하는 장면이 아버지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자주 등장하고 집안 내에 존재하지만 그들의 자녀와 함께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 것은 적

    다고 해석할 수 있다.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빈번하게 혼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는 것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등장하는 장면이 많다는

    것은 여성은 양육적이고 주변관계에 집중한다는(Gooden & Gooden, 2001) 전통적인 성고정

    관념을 지지한다.

    넷째, 그림책에서 아버지의 긍정적 감정표현은 54.07%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표현은

    45.92%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긍정적 감정표현은 48.58%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표현

  • 2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은 51.42%로 나타났다. 즉,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긍정적 감정표현을, 어머니는 부정적 감정표

    현을 조금 더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가 부정적 표현을 더 한다는

    Anderson과 Hamilton(2005),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노골적이고 확실히 인지할만한 감정표현

    이 적다는 Adams 외(2011)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슬퍼하기/울기, 화

    내기/소리치기, 걱정하기, 속상해하기, 미안해하기의 감정을 더 많이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버지는 자녀와 갈등을 일으키지 않고 긍정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이상적인 아버지

    로 묘사된 빈도가 조금 더 높은 반면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자녀와 더 밀접하게 생활하면서

    갈등을 겪고 다양한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는 밀접한 존재로 그려지는 빈도가 조금 더 많다

    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그림책에서 아버지의 주된 행동유형은 일상생활활동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놀

    이접촉, 전반적인 터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보육활동, 가사노동, 기능접촉, 정서

    적 지지, 훈육은 상대적으로 적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어머니의 주된 행동 유형을 살펴

    보면 일상생활활동, 전반적인 터치, 보육활동, 놀이접촉, 가사노동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직업

    활동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아버지는 신체적으로 접촉하며 놀이하는

    역할 위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버지가 놀이친구로서 자녀양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선행연구(정대련, 2005; 정연경, 정대련, 2001)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아

    버지는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오는 도구적 존재’에서 벗어나 아버지도 자녀를 돌보고 양육해

    야 한다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보육활동, 정서적지지, 기능접촉, 가사노동, 훈육에 대한 아버지의 참여는 부족한 것

    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일반적인 양육에만 참여할 뿐, 집안

    청소나 요리, 빨래와 같은 가사노동과 기타 힘이 드는 보육활동에는 덜 참여하는 것으로 묘

    사된다는 선행연구(김주희, 1998; 정연경, 정대련, 2001; 조정란, 2000; 조한숙, 2002; Adams,

    et al, 2011)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현대 사회의 아버지에게는 자녀가 문제를 해결하

    도록 자원을 제공하고 유익한 지식을 알려주며 특정 문제에 대해 대화하는 역할, 자녀의 감

    정을 이해하고 정서를 안정시켜주는 정서적 지지와 애정표현을 하는 역할, 자녀의 보육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는 역할, 예의나 올바른 생활습관을 길러주고 잘못한 행동을 바로 잡거나 사

    회의 관심적인 가치와 규칙을 알려주고 전달하는 훈육의 역할, 함께 가사노동을 분담하는 역

    할 역시 기대되어진다(박소윤, 2016). 그러나 그림책에서 이러한 역할들의 묘사가 적었다는

    것은 아버지의 이미지가 편중되어 제공된다는 것이고 이것은 성역할 사회화의 초기 과정에

    있는 유아들에게 잘못된 고정관념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반면 어머니의 경우 신체적으로 접촉하고, 놀아주는 동시에, 보육활동을 하고, 가사노동까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43

    지 하는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반면 직업활동은 가장 낮은 수치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증가하여 다양한 직업 활동을 하고 있는 현

    실에 반해 그림책에 등장하는 어머니는 가사와 양육에 매진하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한정되

    어 있다는 선행 연구(김주희, 1998; 성정아, 1995; 안현진, 2010; 정연경, 정대련, 2001; 조정란,

    2000)와 일치한다. 이는 가정일과 자녀양육은 어머니 중심의 여성영역이라는 고정관념이 아

    직까지 그림책에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아버지가 가계부양자에서 놀이친구로 변화한 반면,

    어머니의 역할은 가정이라는 맥락안에서 제한적으로 묘사됨으로써 성고정 관념을 크게 벗어

    나지 못하고 있는(권점옥, 안선희, 2003)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그림책에서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더 자주 등장하고 집안 내에 존재하지만 그

    들의 자녀와 함께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 것은 어머니보다 적었다. 또한 아버지는 자녀와 갈

    등을 자녀와 갈등을 겪지 않거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않아 부정적인 감정묘사가 어

    머니보다 적고 신체적으로 접촉하며 놀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반면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적게 등장하였지만 자녀들과 더 밀접한 존재로 묘사되었는데

    아버지보다 집안에 더 많이 존재하였고 자녀들과도 더 자주 함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들과 접촉하며 갈등을 겪고 그로인해 부정적인 감정도 아버지보다 더 표출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신체적으로 접촉하고 놀아주는 동시에, 보육활동을 하고, 가사노동을 하는 존

    재로 묘사되고 있었다. 즉, 아버지는 양적으로는 많이 등장하였지만 질적으로는 어머니보다

    적은 역할을 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교사나 부모와 함께 그림책을 읽으면서 아버지와 어머니가 어떻게 묘사되어 있

    는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전반적인 개념을 형성한다. 이것은 내면화 되고 부모 성역할 문화의

    일부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성역할 사회화 초기단계에 있는 유아들에게 이러

    한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즉, 그림책은 유아와 또 책을 읽어주는 부모의 사회화에 영향을 미

    치고, 또한 부모에 대한 유아의 기대를 형성하게끔 해준다(Adams, et al, 2011). 따라서 성역

    할 고정관념적인 묘사에서 벗어나 그림책에서 좋은 부모는 어떠해야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며 좀 더 현대사회에 적합한 실제적인 부모 역할의 반영이 요구되어 진다고 하

    겠다.

    아울러 어떤 그림책을 유아들에게 제공해주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는 온전히 부모와 교

    사들의 몫이다. 부모와 교사들은 부모가 등장하는 바람직한 그림책에 대한 목록을 가지고 유

    아들에게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박소윤, 2016). 이러한 그림책들은 유아들의 현실 이해를 돕

    고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부모의 성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24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첫째, 본 연구는 국내 창작 그림책과 국외 창작 그림책을 나누지 않고 전체적인 추세를 살

    펴보았다. 그러나 국내와 국외는 사회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속 연구

    에서 국내 창작 그림책과 국외 창작 그림책을 나누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부모 등장인물에 대하여 양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러나 양적연구 만으로는 부모의 묘사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없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질

    적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본 연구는 그림책을 분석하여 유아에게 세부적으로 작용하는 부모의 성역할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산물은 다양하므로 만화 영화, 광고,

    TV 프로그램 등에서 부모가 어떻게 비춰지고 있는지 비교분석한다면 각 매체별 특징과 더불

    어 그림책의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45

    참고문헌

    권점옥, 안선희(2003). 유치원 교육활동지도 자료에 나타난 남녀 역할에 대한 차별적 요소 내용 분

    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301-317.

    김세희, 나은숙(2004).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역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5(1), 83-103.

    김승민(2013).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형태 및 가족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은정, 방희정, 안제원, 김미주, 오수경, 신다원(2012). 창작 그림동화책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 분

    석. 한국심리학회지, 17(2), 191-207.

    김주희(1998).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희(2011). 초등 교과서 동화에 나타난 아버지 부재의 의미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현숙(2003). 성평등 그림책 읽어주기가 만3세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희, 박상희(2008). 유아문학: 이론과 적용. 서울: 학지사.

    박소윤(2016). 현대 창작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인물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지영(2010). 가정과 연계한 양성평등 동화책 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별에 미치는

    효과.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구진(1995). 반편견 그림동화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정아(1995). 창작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세니, 조희숙(2009). 비전통적 가족을 소재로 한 그림책 분석: 주제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

    구, 8(3), 51-75.

    안현진(2010).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성별 출현도 및 역할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유은석, 민혜영(2008). 가정과 연계한 그림책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22.

    이문정(2015). 앤서니(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 아동과 권리,

    19(1), 57-77.

    이은경(2008). 양성평등 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24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이효원, 문서림, 조희숙(2015). 만 3세 유아들의 그림책 반복적 읽기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

    구, 14(1), 1-27.

    정대련(2005).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본 유아 그림책 분석-2000년 이후 출판된 추천도서를 중심으

    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1), 23-44.

    정명숙, 유수경, 송주연(2008). Anthony Browne 그림책에 나타난 긍정적-부정적 어머니상과 아버

    지상에 대한 고찰. 어린이미디어연구, 7(2), 171-192.

    정연경, 정대련(2001). 유아용 그림책에 관한 페미니즘적 접근. 아동학회지, 22(2), 329-346.

    조정란(2000). 유아용 그림동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한숙(2002). 유아용 그림동화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예린(2011).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1-23.

    황지영(2002). 가정과 연계한 성평등 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현은자, 설려나, 홍지민(2014).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293-311.

    Adams, M., Walker, C., & O'Connell, P.(2011). Invisible or involved father? a content 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parenting in young children's picturebooks in the UK, Sex Roles,

    65, 259-270.

    Anderson, D. A., & Hamilton, M.(2005). Gender role stereotyping of parents in children's picture

    books: the invisible father. Sex Roles, 52, 145-151.

    Bem, S. L.(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1983). Gender schema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child development: raising

    gender-aschematic children in a gender-schematic society. Signs, 8, 598-616.

    Block, J. H.(1973). Conceptions of sex role: some cross-cultura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st, 28, 512-526.

    Bigner, J. J.(1977). “Attitudes toward fathering and father-child activity”,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6(2), 98-106.

    Bussy, K., & Bandura, A.(1992). Self regulatory mechanisms governing gender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3, 1236-1250.

    Broverman, I. K., Vogel, S. R., Broverman, D. M., Clarkson, F. E., & Rosenkrantz, P. A., (1972).

    Sex-role stereotypes:a current appraisal. Journal of Social Issues, 28, 59-78.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47

    Flerx, V., Fidler, D., & Rogers, R.(1976). Sex role stereotypes: developmental aspects and early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47, 998-1007.

    Galambos, N. L.(1990). Masculinity, feminity, and sex role attitude in early adolescence;

    exploring gender intensification, Child Development, 61, 1905-1914.

    Gooden, A., & Gooden, M.(2001). Gender representation in notable children's picture books:

    1995-1999. Sex Roles, 45, 89-101.

    Hunt, P.(2009). The world in pictures. In S. Hallam (Ed.), Illustrations children's books (pp.

    8-26). London: Black Dog.

    Jacklin, C. N., & Maccoby, E. E.(1978). Social behavior at 33 months in same-sex and

    mixed-sex dyads. Child Development, 49, 557-569.

    Katz, P. A., & Walsh, P. V.(1991). Modification of children's gender-stereotyped behavior.

    Child Development, 62, 338-351.

    Koblinsky, S. A., & Sugawara, A. I.(1984). Nonsexist curricular, sex of teacher, and children's

    sex role learning. Sex Roles, 10, 357-367.

    Marecek, J.(1979). Social change, positive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androgyny. In A. G.

    Kaplane (Ed.), psychological androgyny: further considerations. New York: Human

    Sciences.

    Martin, C. L., & Halverson, C. F.(1981). A schematic processing model of sex typing and

    stereotyping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2, 1119-1134.

    Narahara, M.(1998). Gender stereotypes in children's picture book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419248.) East Lansing, MI: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Nikolajeva, M.(2009).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조희숙 외 역). 파주: 교문사. (원저 2005 출판).

    Peterson, S. B., & Lach, M. A.(1990). Gender stereotypes in children's books: their prevalence

    and influence on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Gender and Education, 2, 185-197.

    Powlishta, K. K., Serbin, L. a., & Moller, L. C.(1993). The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gender typing: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gender segregation. Sex Roles, 29,

    723-737.

    Quinn, S.(2003). The portrayals of male parents in caldecott award winning American picture

    books (1938–2002): examining the culture of fatherhood presented to young peo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2006). Examining the culture of fatherhood in 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 24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resence, interactions, and nurturing behaviors of fathers in caldecott award

    winning picture books(1938-2002). Fathering, 4(1), 71-96.

    Ruble, D. N., & Martin, C. A.(1998). Gender development. In W. Dam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Schlossberg, N. K., & Goodman, J.(1972). A woman's place: children's sex stereotyping of

    occupations.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20, 226-270.

    Shaffer, D. R.(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Brooks/Cole.

    Shaw, V.(1998).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bias. New York: The Rosen Publishing Group.

    Tepper, C. A., & Cassidy, K. W.(1999).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language in children's

    picture books. Sex Roles, 40, 265-280.

    Trepanier-Street, M. L., & Romatowski, J. S.(1999). The influence of children's literature on

    gender role perceptions: a reexamin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

    155-159.

    Turner, P. J., & Gervai, J.(1995). A multidimensional study of gender typing in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personality, attitudes, preferences, behavior, and cultyral

    differ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31, 759-772.

    Wasserman, G. A., & Stern, D. N.(1978). An early manifestation of differential behavior toward

    children of the same and opposite sex.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3, 129-137.

    Weitzman, L., Eiffer, D., Hokada, E., & Ross, C.(1972). Sex-role socialization in picture books

    for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7, 1125-1150.

    Witt, S. D.(2000). The influence of television on children's gender role socialization. The

    Journal of Childhood Education: Infancy Through Adolescence, 76, 322-324.

    Zemore, E. S., Fiske, T. S., & Kim, H.(2000). Gender stereotypes and the dynamics of social

    interaction. In T. B. Eckes & H. M. Trautner (Eds.), The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gender(pp. 207-241). Mahwah: Erlbaum.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의 성역할 ․ 249

    Abstract

    Gender role of parents represent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So Yun Park · Hyun Ah Se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ther and mother’s characters portrayed in Picture

    Books, and to discuss desirable gender roles of father and mother for children in Picture Books.

    Totally 408 books were selected, and father and mother both appeared at the same book in all

    subjects. In the study, frequency of father and mother's appearance, appeared background,

    characters appearing with parents, and emotion expression and behavior pattern of paren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content analysi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fathers are appeared more than mothers in picture books.

    Second, mothers are described as appearing more in the house than father. Third, fathers appear as

    the order of frequency, along with son, alone and with daughter, and mothers appear as the order of

    frequency, along with daughter, with son and alone. Fourth, fathers expressed positive emotions

    such as laughing more than negative emotions, but mothers expressed negative emotions more than

    positive emotions. Fifth, behavior patterns of fathers are shown to daily life activity, playful contact

    and overall touching as the order, and behavior patterns of mothers are shown to daily life activity,

    overall touching and childcare activity as the order. This study reveals gender role of parents

    exposed to our children in picture book, and discusses implications for preferred parent model in

    moder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