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413-440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8.4.201812.413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Empathy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behavior of adolescents by applying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focused on improving empathy for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dentify the process of behavior changes, and to analyze what kind of intervention program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ducted by B City B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is purpose. Results: First, in terms of behavior change, aggressiveness was decreased,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increased, and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others was improved. Second, from the aspect of empathy ability change process, psychological resistance such as anger was shown at the beginning, and this resistance decreased from the middle of the program, the self-understanding was improved,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was recognized. In the latter period, they had a bond with others and showed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s. From the intervention point of view, the facilitator intervened in formation of trust relationship, flexible program progression, inducing divergence of participants, and creative expression of participants. Conclusion: The empathy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developed, an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are effective. Key wor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olescent, Empathy, I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Qualitative case study Corresponding Author: Joo, Yong-Kook. Kyungsung University, Dept. of Education, 309 Suyoung-ro, Nam-gu, Busan, Republic of Korea, 48434. e-mail: [email protected]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413 -

교육혁신연구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2018, Vol. 28, No. 4, pp.413-440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8.4.201812.413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신 민 주1ㆍ주 용 국2

1,2경성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Empathy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in, Min-Ju1ㆍJoo, Yong-Kook2

1,2Kyungsung University Dept. of Education

<Abstrac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behavior of adolescents by applying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focused on improving empathy for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dentify the process of behavior changes, and to analyze what kind of intervention program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nducted by B City B Lifelong Education Center for this purpose. Results: First, in terms of behavior change, aggressiveness was decreased,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increased, and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others was improved. Second, from the aspect of empathy ability change process, psychological resistance such as anger was shown at the beginning, and this resistance decreased from the middle of the program, the self-understanding was improved,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was recognized. In the latter period, they had a bond with others and showed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s. From the intervention point of view, the facilitator intervened in formation of trust relationship, flexible program progression, inducing divergence of participants, and creative expression of participants. Conclusion: The empathy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developed, an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are effective.

Key wor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olescent, Empathy, I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Qualitative case study

Corresponding Author: Joo, Yong-Kook. Kyungsung University, Dept. of Education, 309 Suyoung-ro, Nam-gu, Busan, Republic of Korea, 48434. e-mail: [email protected]

Page 2: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14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세 이하의 아동청소년 장애유형 연구(김태완, 김성아, 2015)에 따르면, 자폐장애가 88.5%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지적장애 (37.2%), 심장장애(10.6%), 언어장애(10.4%), 뇌병변장애(6.6%), 안면

장애(6.3%), 간장애(5.1%) 순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처럼 발달장애청소년의 비중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여전히 발달장애인에 대한 인식 부족과 교육의 지원에 한계가 나타

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변화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제도 개선 측면에서 2017년 발달장애

인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고, 2018년 7월 정부차원에서 발달장애 진단부

터 교육과 취업, 의료 서비스까지 전 생애에 걸친 맞춤형 지원이 담긴 '발달장애인 평생케어 종

합대책'을 발표하고 각 지자체별로 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설립하는 등의 뉴스를 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발달장애인들의 평생케어에 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다.

발달장애인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7)에 의하면, 발달장애인이란 ‘지적장애나 자폐성

장애 그 외 발달이 지연되어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발달장애 청소년은 이러한 발달 지연으로 판별력, 주의력, 기억력, 일반화영역에서 결핍을 보임

에 따라 사회적 감정, 사회적 기술, 사회적 인지손상을 불러일으킨다(안동현, 2009; Mannix, 2009).

그렇기 때문에 일반 또래나 성인으로부터 거부되고 인정받는 것에 실패하고 결국 정서적/행동적

문제를 일으키면서 사회적 관계형성에 힘들어 하며 사소한 반응에도 예민하게 반응하고, 심리적

으로 위축된 행동을 보이기도하고 정서적으로 조절력 발휘가 힘든 특성으로 가끔씩 타인을 향

한 공격적 행동을 하는 등의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오종은, 2001; 정정순, 2004).

따라서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이러한 문제행동은 타인과의 관계형성을 어렵게 만들고 나아가

다양한 정서표현의 기회를 박탈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발달장애인들 중에는 낮은 지능으로

인해 또래들에게 괴롭힘과 따돌림을 받기도 하고 대인관계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우울과

분노 등의 감정을 자주 경험하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 청소년들과는 달리 주변 사람들의 지속적

인 통제와 부정적인 시선은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부정적인 감정들을 더욱 증가시킨다. 이러한

분노와 문제행동을 보이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성장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스스로 표현하거나

해소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사춘기에 접어들면 우울 혹은 분노나 공격

성을 나타내며 과격한 행동이나 욕설 등의 행동으로 자신의 마음을 표출하기도 한다(이영선, 김

환희 2013; 한홍석, 박주연, 2011).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주변 사람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정

서적으로 불안정하여 문제행동을 일으키며 매우 격한 반응을 보이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김선주, 김영희, 2012; 한홍석, 박주연, 2011).

발달장애 청소년은 성장기를 경험하게 되면서 또래나 성인들과의 의사소통, 갈등해결, 협력

Page 3: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15 -

등에서 어려움이 따르는데 그 중 가장 힘든 부분이 서로 간의 공감을 통한 의사소통이다. 보통

공감이라 함은 소통이 기본이 되며 타인에 대하여 긍정적 역할이 교차 되었을 때 비로소 다른

사람의 내적인 경험을 스스로에게 이해시키고, 주관적인 심리상태나 감정을 객관적으로 이해하

고 느끼며 의사소통을 통해 마음을 소통하는 것이 포괄적인 개념이다. 발달장애 청소년은 자신

의 감정 조절조차 힘들고, 타인의 감정 또한 잘 이해하지 못하고 타인과의 관계형성에서 상대방

의 생각과 정서를 파악하기 위해 경청하고, 분별하고 판단하여 그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 못하

게 때문에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어려워한다.

하지만, 발달장애 청소년의 공감능력은 주변인의 역할이나 인지적 요소가 명확히 일치가 되지

않더라도 대리적 경험이나 학습된 정서로도 공감을 할 수 있으며 표현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

다. 특히, 의사소통의 기반이 되는 공감의 인지적 능력(관점 취하기, 상상하기)과 정서적 능력(타

인 감정 이해, 자신의 감정 조절 등), 인지와 정서에 기반한 의사소통의 능력은 매우 필요하다

(이한얼, 조인수, 2011; Barrett-Lennard, 1981). 이러한 공감능력이 향상되면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

게 되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게 되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주변사람들이나 또래친

구들과의 관계도 좋아진다(강경아, 2004; 김용희, 2007; 배미정, 조한익, 2014). 그리고 공감능력은

청소년 시기에 또래들과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하게하며 또래들 간의 집단 따돌림이나 학교부적

응에 대한 동조현상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사회적 능력 향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강유선,

2013).

따라서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감정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한다면 이들이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박현숙, 김은아, 하연주, 이미령, 2018; 보건복지부, 2008). 발달장애아동이나 청소년의

사회성 개선이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관련 연구로 소집단 미술치료를 통한 사회적

기술의 향상(김경남, 공마리아, 2017), 정신건강 고위험 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마음읽기

(mind-read) 프로그램(박현숙, 김은아, 하연주, 이미령, 2018), 퓨전 합창을 통한 발달장애학생의 공

감 형성(정진아, 2018),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고재욱,

2016), 타인의 감정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음악, 미술, 동화, 역할극 등과 같은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장매희, 김정미, 윤숙진, 정여주, 2004), 발달장애인들의 지적, 정서적, 사

회적, 감각적, 운동감각적, 미적인 여러 기관들을 통합적으로 자극해 주는 구조화된 예술프로그

램(김경, 정경옥, 2013; 정정순, 2004; Epp, 2008; Malchiodi, 2011; Rubin, 2012) 등이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단일 프로그램보다 통합적 매체들을 이용한 표현활동은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정

서적 안정감을 주기도 하고, 새로운 흥미를 유발시켜주면서 감정의 표현을 마음껏 하게한다(장

매희, 김정미, 윤숙진, 정여주, 2004). 하지만, 비장애청소년들을 위한 다양한 예술치료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을 발달장애청소년들에게 같은 방식으로 적용하기에는 다

소 한계가 있다(구신실, 2012). 왜냐하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에만 초점을 맞추고

Page 4: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16 -

있어서 그 변화과정이나 발달장애청소년이 가진 특성을 고려한 치료자가 프로그램 장면에서 개

입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못하여 실제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

는 진행자의 발달장애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상담 및 교육 경험 등의 역량에 따라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청소년들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 치료프로그램

적용에 따라서 어떠한 공감 행동의 변화가 있는 지, 공감 능력의 변화과정은 어떠한지, 발달장

애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치료자의 프로그램 구성 및 운용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기술하는 것

이다. 여기서 공감훈련에 기반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란 연구자가 공감훈련모형과 연구에 근

거하여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법을 적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치

료 프로그램처럼 연구자가 프로그램 상황이나 과정, 결과를 통제할 수 없고 그리고 사례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얻기 위함이다(Gomm, Hammersley, & Foster, 2000; Yin, 2003). 또한 발달장애 청소

년 대상 프로그램의 현상이나 교육 단위에 대해 어떻게, 혹은 왜라는 의문에 대하여 철저하고

총체적인 서술과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Merriam, 1988).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감훈련에 초점을

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발달장애청소년들의 자신의 스트레스 해소와 정확한 의사전

달 능력향상을 통해 타인과의 공감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구축을 위한 기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문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이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공감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이

프로그램 진행 시기별로 청소년들의 어떤 공감 행동의 변화를 갖게 하는가?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공감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프

로그램 시기별로 청소년의 공감능력의 변화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프로그램 내용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은 어떠한가?

Page 5: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17 -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B시의 B대학교 평생교육원과 구청과의 시구군 연계 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 6

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프로그램 참여자를 의도적으로 목적 표집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발달장애 3급으로 연령대는 고등학교 2학년부터 대학교 3학년까지 8명이며 여학생 3명, 남학생

5명으로 구성되었다. 부모 및 참여자와의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수집한 참여자의 공감능력 특

성, 즉, 의사소통적, 정서적, 기타 행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 <표 Ⅱ-1>과 같다.

<표 Ⅱ-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참여자연령/성별

장애인지 및 의사소통적

특징정서적 특징 기타 행동적 특징

참여자1

20(남)지적장애3급

언어표현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는유형임. 화가 날 때는 자신이하고 싶은 말과 욕을하고 의사소통도 상황에 따라 다름.

평소에는 유머감각도매우 뛰어나서 친구나주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편임.하지만, 분노조절이 힘들어 현재 꾸준히 약물치료를 병행하고 있으며 약 기운이 떨어지거나 주변사람들이 자신을 무시한다는 생각이들면 화를 내고 난폭한행동을 함.

운동을 잘 하고 유머감각도 뛰어남. 음악을좋아하고 춤도 잘 추는외향적인 성향임. 수업 중 굉장히 활달한편임.

참여자2

17(여)지적장애3급

의사소통에 별 어려움은 없으나 말을 잘 하는 편은 아님. 자신의의사를 잘 표현하지 못하고 시선을 잘 피함.

평소에 잘 웃으며, 또래 아이들과는 음악을들으며 소통하기도 하고 깔깔거리며 여고생다운 행동을 함

여고생답게 외모를 꾸미는 것에 관심은 많음. 친구들과 아이돌가수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아이돌 가수의음악 듣기를 좋아함.

참여자3

24(남)

자폐성장애3급

의사소통에는 다소 무리가 없지만 맥락에서벗어난 질문을 잘 함.약간은 경직된 목소리로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의사전달을 할 때도약간 황당한 이야기를할 때가 있음.자신이 하는 일에 잘하려고 하는 마음이 강함.

예의가 무척 바르지만자신의 의견을 고집하고 화가 나면 폭발을할 정도로 격앙된 모습을 보이며, 화가 나면못 참는 편임. 분위기를 깨는 행동을자주 해 친구들이 별로좋아하지 않음.친구들이 하지 말라는행동을 해서 가끔씩 의견충돌이 일어남.

무기나 석궁 등에 관심이 많음필기를 너무 꼼꼼히 하거나 무슨 일이든 녹음을 하려는 행동으로 인해 친구들과 다툼을 하기도 함.

Page 6: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18 -

(표 계속)

참여자연령/성별

장애인지 및 의사소통적

특징정서적 특징 기타 행동적 특징

참여자4

17(여)지적장애3급

처음에는 자신의 의견만 내세워서 또래들과다툴 정도로 의견 충돌을 일으켰음.

가끔씩 자신의 마음에들지 않는 상황이 닥치면 짜증난다는 말을 자주 함. 친분관계가 지속되면자신의 마음을 잘 터놓는 편임.

특징으로는 음악을 좋아하고 연예인 아이돌그룹에 열광하며 그들멤버의 생일과 소소한모든 것들을 다 외울정도임 외모를 꾸미는것에 관심이 많음.먹는 것을 좋아하고 잘웃는 성향임.

참여자5

17(여)지적장애3급

약간은 어눌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성향을 나타냄. 질문에 대답을 할 때눈을 잘 마주치지 못함.

조용하지만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을좋아함.눈 마주침이 잘 되지않음.조용한 성향을 나타냄.

음악을 좋아하고 남자아이돌 그룹을 좋아함.친구들과 가수에 관해이야기를 나누는 것을좋아함. 약간 소극적인 성향임.

참여자6

23(남)지적장애3급

발음이 약간 어눌하지만 또박또박 발표를 하려는 성향임. 언어적 의사소통에는문제가 없지만 타인들의 눈치를 보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경향을 띔.

차분하고 듬직한 행동을 함. 주변 사람들을잘 챙기는 성향을 나타냄. 평소에 리더십이뛰어나 친구들을 잘 이끌어감. 그러나 자신의마음에 거슬리는 이야기를 하는 친구에게 바로 그 행동이 잘못 되었다고 이야기를 함.

공룡을 매우 좋아하며세밀한 그림 속 공룡들을 그리기를 좋아함

참여자7

22(남)지적장애3급

자신의 차례가 되면 발표는 하지만 언어표현이 그다지 뛰어나지는않는 경향을 나타냄.타인들과 대화를 하는것에는 다소 소극적임.

착한 성향이라 친구들이 좋아함. 늘 차분하게 행동하고 튀지 않음.주변 친구들에게 착하다는 소리를 자주 들음.

플롯 불기를 잘 하고, 노래 부르기나 춤은 그다지 잘하진 않지만 남들 앞에서 하는 것을좋아함.

참여자8

19(남)지적장애3급

말이 대체로 빠르지만유머감각이 뛰어남. 노래 가사도 잘 외우고언어가 유창한 편임. 상식이 풍부해서 사자성어 퀴즈 내기를 좋아함.그러나 때로는 뜬금없는 이야기를 잘 함.

무기에 관해 관심이 많고 여성과 운전면허 등다양한 부분에 관심이많음

다른 친구들에 비해 덩치는 조금 큼. 노래를 매우 좋아함. 썩 잘 부르는 것은 아니지만 뜬금없이 노래를 불러주기도 함.

Page 7: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19 -

2. 사례 프로그램 및 자료수집 도구

1) 공감훈련 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다룬 공감훈련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Barrett-Lennard(1981)의 연구를 재구

성한 고영희(2011)의 공감훈련프로그램과 윤혜일과 최선남(2009), 정정순(2004), 정현주(2008), 최애

나(2013)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목적에 맞도록 새롭게 재구성한 프로그램으로 미술, 음악,

시, 표현 동작과 같은 다양한 예술치료 매체를 독립된 영역으로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통합적으

로 구성한 것이다.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단계마다 공감의 인지적 요소

인 적극적 경청하기와 자신과 타인의 역할 수용, 그리고 의사소통 요소로서 공감 표현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프로그램은 각 회기별 활동내용이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에 적합하게 구성되었는지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각 회기별 목표에 따라 15회기의

활동내용이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의사소통 향상에 적합한 내용인가를 평가하는 것이었

다.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는 상담학 교수 1명, 상담심리 전공 박사 2명으로 Likert 5점 척도에 따

라 평정을 의뢰하였다. 결과는 Lawshe(1985)가 개발한 내적타당도 산출 공식을 적용하여 회기의

활동내용에 대표성, 명확성, 포괄성에 대한 CVR(Content Validity Ratio) 결과물을 산출하였다. CVR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능력, 의사소통영역의 대표성, 명확성, 포괄성 세 부분에서는 평균 4.00이

상으로 나타났고, CVR 또한 0.33~1.0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훈련에 초점을 맞춘 통

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청소년들의 공감능력향상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 확정된 프로그램은 도입(1회기), 공감의 이해단계(2∼7회기), 공감의 적용단계(8∼14회기),

마무리 단계(15회기)로 구성되었다. 회기별 프로그램의 세부 구성내용은 집단관계형성을 위한 마

음열기 도입단계 1회기, 공감의 이해단계로서 인지적 요소를 다루는 (2~7회기), 정서적 요소를

다룬 공감의 적용단계 (8~14회기). 그리고 마무리의 15회기로 구성되었다. 이를 도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면 <표 Ⅱ-2>와 같다.

Page 8: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20 -

<표 Ⅱ-2> 공감훈련 기반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단계 회기 활동내용(주 예술치료방법) 기대효과

도입단계 1 또 다른 만남 (자기소개하기)(미술기반 통합치료) 관계인식하기

공감의이해단계

2나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발표하기(미술기반 통합치료)

자기인식하기

3 풍선에 친구 얼굴 그리기(미술기반 통합치료) 타인과의 관계형성하기

4이름 꾸미고 자신의 감정을 동작으로 표현하기(무용기반 통합치료)

공감의 이해단계

5 칼라점토로 표현하기(미술기반 통합치료) 근육이완하기(신체)

6음악에 맞추어 신체 본뜨기(음악 및 미술기반통합치료)

스트레스 발산하기

7 별 헤는 밤(자연관찰 기반 통합치료) 주변 돌아보기

공감의적용단계

8 과자로 표현한 얼굴(미술기반 통합치료) 갈등문제 발견하기

9 낙엽으로 꾸미기(미술기반 통합치료) 감정인식하기

10 역할극을 통한 심상표현하기(역할극기반 치료) 경험을 통한 자기표현하기

11 손바닥 나무표현하기(미술기반 통합치료) 협동으로 관계형성하기

12짝을 정해 서로 간의 의사표현 해 보기(언어표현 기반 통합 치료)

의사표현하기, 관계촉진하기

13 칼라점토로 표현하기(미술기반 통합 치료) 공감실천하기

14만약 ~라면 (주제토론 후 글로 내 마음 표현하기)(글쓰기와 표현을 통한 통합 치료)

타인과의 공감대 형성하기

마무리 단계 15 아쉬운 이별 그리고 새로운 시작 서로간의 마음나누기(소감)

2) 행동변화 관찰지

본 연구의 자료수집 도구인 행동변화 관찰지는 사회성 검사척도로서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검사지 중 사회성을 검사하기 위한 내용을 바탕으로 김화정(2002)이 수정, 보완한

것을 본 연구대상자를 관찰한 문제행동과 관찰한 내용들을 통합하여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수업 시 행동을 관찰하면서 꼼꼼하게 체크를 하였다. 회기별로 인지적 공감을 위해 적극적 경청

과 역할 수용을 경험하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공감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은 공감을 통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바라보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의사소통적

공감에 맞게 각 프로그램 회기별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대상자별로 관찰하여 행동 관찰지로

기록하고 그에 따른 행동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3) 참여자의 자기 행동성찰 진단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가장 고쳐야 할 자신의 문제를 한 가지씩

적게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끝날 때 그 문제들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스스로 자기 점검을

통하여 자신의 행동변화 결과를 진단하게 하였다.

Page 9: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21 -

4) 치료자 개입 내용

본 연구에서는 주치료자(프로그램 주진행자)와 보조 치료자(보조진행자 및 관찰자) 총 2인이

참가하여 진행하였다. 주치료자는 도입, 공감의 이해, 공감의 적용, 마무리 단계별 회기의 주제

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진행하면서 효과적인 집단상담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참여자의 참여를 격려하고, 참여자가 어려워하거나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 보조치료자와 함께 개

별 참여자에 맞는 적절한 지원을 통하여 집단 상담 교육을 이끌었다. 무엇보다도 참여자 간의

교육에 대한 이해도나 집중도가 다르므로 천천히 시간을 두고 진행하였다.

3. 자료의 수집방법과 분석, 검증 절차

연구자는 B시의 B대학교 평생교육원과 구청과의 시구군 연계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프로그

램을 기획하고, 주진행자(치료자)와 보조진행자로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은 2017년 6월부터 10월

까지 총 15회기를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참여자 부모들과의 사전 면담에서 자녀들의 특성과 자녀들에게 변화하기를

기대하는 부분을 파악하였다. 1회기에는 프로그램의 설명과 함께 서로 간의 약속을 정하였으며

자신들이 가장 바꾸고 싶은 행동 한 가지를 탐색하고 적게 하였다. 이후 회기의 프로그램 과정

에서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특성상 치료자의 관찰과 탐색을 통한 분석이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

므로 수업시간 매 회기마다 참여자들의 변화를 앞서 제시한 행동변화관찰지에 기초하여 탐색하

고 분석하였다. 또한 여기에 참여자들이 매회기마다 “어떤 감정이 들었는지?”, “만약 내가 주인

공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역할극을 할 때는 다른 참여자에게 “너는 어떤 감정이 들었는지?” 등

의 질문을 하게 하면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매 회기 종료마다 “자녀의 행동이나 말은 어떻

게 달라졌는지?”, “앞으로 조금만 더 변했으면 하고 바라는 부모의 바램은?” 등과 관련되어 부모

면담 자료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였다. 참여자와 부모와의 면담자료는 녹음하고, 연구자가 축어록

으로 풀었으며, 이를 녹음내용과 대조하면서 수정하였다. 1회기에 자신이 고치고 싶은 행동변화

에 대하여 마지막 회기에 참여자 스스로 자가진단을 한 후 돌아가면서 발표를 하게하고 변화된

부분에 대해서는 참여자 서로가 칭찬과 격려를 하고 변화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응원을 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치료자는 참여자 간의 활동 자료를 수집하였고 치료자와 보조치료자는 회

기 중에 진행되는 활동사진을 찍고 활동내용과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을 기록하였으며 보조치료

자는 회기별 치료자의 개입 내용을 기록하였다. 매 회기가 끝날 때마다 주치료자의 개입 내용에

대하여 보조 치료자가 관찰하고 기록한 것에 대하여 정확하게 기술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치료자와 보조치료자 간에 그 상황에 어떤 개입을 어떻게 했는지와 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상호 질문과 답변, 성찰을 한 후, 개입결과를 정리하였다. 치료자의 개입내용은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전체 대상 개입과 발달장애청소년의 개별성을 고려한 개인 대상 개입으로 이원화하여 정

Page 10: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22 -

리하였다.

자료분석은 사례기록, 자료들의 단위화, 범주의 개발 순으로 진행되었다. 수집한 모든 자료를

변화결과, 변화 과정, 개입 내용의 주제별과 초기, 중기, 후기의 단계별로 자료들을 단위화하고,

주제의 하위요인이나 참여자별로 정리하고 범주를 개발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에

서 떠오르는 생각이나 발견된 의미에 대해서 메모를 하고 표를 만들어가며 수정작업을 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에 대해서 치료자와 보조치료자의 상호 검증과정을 거쳐서 유의미한 의미단위

별로 재정리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찰과 면담, 관련 연구물 등을 활용한

삼각측정법(triangulation)과 치료자와 보조치료자 간의 개입자 검토(member debriefing)와 부모 검

토(parent debriefing) 등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성향이나 선입견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노

력했다.

Ⅲ.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공감훈련에 초점을 맞춘 통합예술치료 활동으

로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회기별 변

화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회기별 공감행동의 변화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공감행동의 변화는 회기별 공감 행동의 변화 결과와 참여자가 변하기

를 희망하는 행동의 자기성찰 사전, 사후 분석 결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1) 회기별 공감 행동의 변화

본 연구의 회기별 구성은 도입(1회기), 공감의 이해단계(2∼7회기), 공감의 실재단계(8∼14회기),

마무리 단계(15회기)로 구성하였다.

(1) 도입(1회기) : 나와 주변 친구들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 발견하기

초기 단계에서 치료자가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부분은 참여자들의 라포 형성이었다. 그리

고 이후 자기이해를 통한 관계인식을 하고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작품의 소개를

하는 순서로 구성하였다. 치료자가 겪은 회기별 가장 큰 어려움은 서로가 소통이 잘 안되는 문

제로 인한 ‘답답함’이었다. 왜냐하면 대부분 가정에서 부모님들의 양육 방식이 자신들이 요구하

는 것들은 다 들어주기 때문이었다. 이런 일상의 반복으로 인해 자신들의 행동방식이 당연함으

Page 11: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23 -

로 고착화된 것이다. 부모님들과의 면담에서 아이들이 고함치거나 소리를 지르면 들어주지 않을

수가 없고 무섭기도 하기 때문이라는 부모님들의 말씀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현상으

로 인해 참여자들은 대부분 타인의 이야기를 먼저 듣기보다 자신들의 이야기를 먼저 하려고만

하다 보니 서로가 소통이 안 되는 과정이 길어지고 그 과정에서 답답함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

었다. 그리고 참여자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까지는 자주 그런 행동을 보였기 때문에 치료자

는 회기를 진행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돌아가면서 발표를 하고 다른 친구들이 경청과 공감을 하

는 과정에서 일부 ‘답답함’을 해소하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는 역할극을 통해 자신의 분

노를 표출하면서 평소 자신이 자주 하던 행동이나 분노 표출하는 행동은 감소하였고, 이후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의사표현을 하게 되었다.

“저는 매일 볼링도 하고 테니스도 하는데 약을 먹어야 할 시간이 지나서 약을 먹지 않으면 저

도 모르게 화를 내요. 그리고 그 때 엄마와 누나 그리고 아빠는 저를 피해요. 저는 그게 너무 싫

어요. 그러니까 더 화가 나고 가족들하고 이야기를 하기 싫어요. 제가 무슨 잘못을 하는지 잘 모

르겠어요. 엄마와 누나는 얘기를 잘 하다가 가끔 씩 그런 일이 생기면 이야기도 안하고 저를 무

시하는 것만 같아요. 제가 무서운 건가요? 저를 싫어하는 건가요?” (연구 참여자 1)

“저는 연예인이 좋고 그중에서 샤이니 오빠들이 제일 좋아요. 근데 엄마랑 아빠는 그걸 이해

잘 못해요. 그리고 언니는 똑똑하고 공부도 잘하니까 엄마랑 아빠가 좋아하는 것 같아요. 저는

몸도 뚱뚱하고 공부도 못 하니까 그렇게 좋아하지도 않아요. 아이씨! 저도 잘 하고 싶어요. 근데

잘 안 되잖아요.” (참여자 4)

“저는 학교에서 친구들이 무서운 벌레를 보면요 저를 불러서 잡아달라고 하지요. 그건요 제가

요 벌레를 무서워하지 않기 때문이지요. 친구들이 저를 불러서 그런 것들 부탁해서 제가 해 주

면요 친구들이 멋지다고 했어요. 근데 예전에는 친구들이 저를 싫어하는 줄 알았는데 아니라고

했어요. 지난번에 선생님이 속담 격언 질문해서 맞추는 시간에 제가 좀 잘 맞췄더니 친구들에게

인기짱이 됐지요. 친구들이 잘하는 것도 있고 저도 잘 하는 게 있지요.” (연구 참여자 8)

(2) 공감의 이해단계(2~7회기): 소통의 부재와 자기이해의 한계를 직면하고 해소하기

치료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가장 급선무라고 생각한 부분은 치료자와 참여자, 참여자 서

로 간의 ‘소통’이었다. 그리고 치료자가 진행 과정에서 무엇보다 먼저 소통 부재의 원인을 파악

한 결과 대부분 기다리지 못하는 ‘성급함’ 때문이었다. 특히 자신이 말을 하는 순서가 오면 또박

또박 하지 않고 급하게 서두르다보니 의미전달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중기부터 혼자가 아닌 협동으로 진행하는 작품 활동경험을 통해 좀 더 많은 이야기

나누기를 하고 음악을 듣고 신체 표현하기를 통해 좀 더 서로에게 다가 설 수 있었다. 참여자

대부분 회기가 진행될수록 함께 협동하고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표현하였다.

Page 12: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24 -

이러한 시간들이 이들에게는 ‘소통’이라는 경험을 하게 하면서 서로에게 함께하는 시간의 소중

함을 선물하였다.

“저는 똑똑하게 되기 위해서 지금부터라도 매일매일 노력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머리가

나쁘기 때문에 많이 공부를 해야 하고 열심히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저는 지금 저는 제가

배우고 있는 디자인도 열심히 배워서 저는 제가 만든 디자인으로 보석을 만들어 팔 것입니다.

그건 제가 해야 할 일이니까요.” (연구 참여자 3)

‘플룻’을 불면 마음이 편안하고 자두의 ’김밥‘을 부르면 마음이 즐겁고 장윤정의 ’어머나‘를 부

르면 신나요. 학교에서 친구들하고 부르며 춤을 추면 즐겁고 행복해요. 가사를 외우는 게 힘이

들었는데 잘 외우면 안 까먹어요. 플룻은 악보를 보고 하는데 이제는 외우는 곡들이 많고 그래

서 무대 위에서 불면 안 떨리고 저는 제가 자랑스럽지요. (연구 참여자 7)

(3) 공감의 적용단계(8~14회기): 변화를 통한 성장 그리고 의식의 변화 경험하기

적용단계에서는 수업이 끝난 후 매주 참여자 부모님들과의 만남에서 전해 들었던 내용들을

새롭게 분석하고 파악한 부분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적용단계에서 참여자들의 가장 큰 변화

는 타인을 위한 ‘기다림’의 행동을 한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협동화와 역할극을 통한 느낀 점을

발표하는 시간이 이들에게는 서로에게 즐거움을 주고받는 시간이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서로 좋아하는 음악이나 가수들에 관해 토론하고 탐색하는 시간을 통해 공감하고 다름을

이해하면서 좀 더 의식의 변화를 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적용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이러한 행동들이 자연스러운 경험으로 다가가면서 자신감도 생기고 타인과의 관계를 인식하게

되는 의식의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이 행동관찰 결과지나 참여자 또는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서도 나타났다.

“지난 번 수업이 끝나고 엄마와 마주 앉아서 눈을 보고 이야기 하고 싶은 것들을 이야기 하는

시간에 저는 엄마가 하는 말씀을 듣고 왜 그렇게 저를 피했는지 이제는 이해가 될 것 같아요.

그리고 그 다음에는 약에 너무 의존하지 않고 제가 바뀌려고 노력을 해요. 엄마가 편안하게 눈

을 보며 이야기를 해 주시니까 좋아요. 그리고 친구들도 그렇게 저를 대해 주니까 마음이 편해

요.” (연구 참여자 1)

“엄마와 아빠랑 같이 놀러갔는데. 너무 웃겼어요. 그리고 아빠가 말했어요. 언니는 언니라서

이쁘고 저는 저라서 이쁘다고요. 샤이니를 아빠가 안 좋아하는 줄 알았는데 아빠도 좋대요, 너무

너무 좋아요. 다음에 콘서트 갈 거에요. 아빠랑 가는 것도 좋지만 친구들하고 가면 더 재미있을

거에요.” (연구 참여자 4)

Page 13: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25 -

“제가 학교에서 성적은 좋아요. 그렇지만 아직은 학점 관리도 그렇고 발표하는 것도 힘들지

않지만 항상 제가 걱정이 되는 것이 제가 하고 있는 전공이 앞으로 잘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

민도 되고요. 사실 제가 말을 하지 않으면 다른 친구들은 제가 장애가 있는지 잘 몰라요. 그렇지

만 지금 이렇게 잘 하는 것이 제가 열심히 노력한부분도 있지만 부모님 덕분이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친구들과 동생들과 함께 여러 체험을 하면서 제가 많이 변하고 있는 것을 알아요.” (연구

참여자 6)

(4) 마무리단계 (15회기): 변화의 과정을 통해 성장해요.

사실 연구 참여자 부모님들의 가장 간절한 소망은 자녀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스스로 혼자

살아갈 수 있는 힘을 부여하게 해 주고 싶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도 대부분 가정

과 학교에서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통하기를 원한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마무리단계에

서의 변화는 ‘편안함’의 행동을 한다는 점이었다.

(5) 참여자 변화 종합 (1~15회기)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변화과정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별 장애등급

이 다른 참여자들이 서로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행동에서는 충동성과 공격성이 줄어들고,

의사소통 유형에서 위축성을 띄는 성향들이 줄어드는 변화과정을 보였다. 둘째, 수업 참여기간

후에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이전과는 다르게 상대방을 향해 적극적인 태도로 다가섰다. 셋

째, 프로그램 활동에 대해 중반 이후부터는 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을 이끌며 적극적으로 프로그램

에 대한 참여를 하였다. 다음은 일부 연구 참여자들의 단계별 변화 사례이다.

“그래도 이번 수업을 하면서 전 많이 좋아졌어요. 제가 화도 많이 참아지고 속상하거나 힘든

일이 있을 때는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신대로 쉼 호흡을 하고 눈을 바라보고 천천히 이야기를 하

면 돼요. 그리고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마음이 더 차분해지고 편안해지는 것을 이제는 알아요.

엄마도 누나도 저와 이야기를 하는 것이 많이 편안해 졌다고 하니까 저도 좋고 운동도 더욱 잘

돼요. 다음 경기에서 금메달을 딸 거니까요.” (연구 참여자1)

“제가 만든 디자인으로 보석을 가지고 목걸이랑 귀걸이랑 반지를 만들었어요. 제가 직접 만들

었으니까 너무 대견스럽다고 칭찬을 해 주셨어요. 저도 이제는 뭐든지 열심히 잘 하고 있고 앞

으로도 열심히 해야 하지요. 그리고 이제 수업 중에도 열심히 적는 것보다 선생님이나 교수님의

말씀에 집중합니다. 그러면 훨씬 잘 기억이 납니다. 이 모든 것이 감사합니다.” (연구 참여자 3).

2) 참여자의 변화 희망 행동의 자기성찰 사전, 사후 분석 결과

참여자 8명의 행동 특성을 프로그램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행동 관찰을 기록하여 정리한 결과

는 <표 Ⅲ-1>과 같이 나타났다. 참여자 8명에게 수업을 첫 회기를 시작하기 전 자신이 가장 변

Page 14: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26 -

화되고 싶은 점을 한 가지씩 적게 하였다. <표 Ⅲ-1>에서는 변화되고 싶은 점을 공감의 유형에

따라 치료자가 나누었는데 참여자 대부분은 정서적 공감과 의사소통적 공감의 변화를 희망하였

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치료자는 꾸준히 이들의 변화과정을 체크하고 분석하였다. 모든 프로그

램이 끝난 후 각자에게 자신이 프로그램을 통해 첫 회기에 변화되고 싶었던 것에 관해 스스로

생각해보고 변화의 정도를 표시하게하고 발표를 해 보았다. 분석결과 참여자 8명 중 5명이 자신

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3명은 완벽하게 변

하지는 않았지만 보통으로 변화되었다고 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분석과도 별다른 차이는 보

이지 않았으나 참여자 2번과 6번의 경우에는 눈에 띄게 변화가 되었다가도 조금씩 원상태로 되

돌아가는 현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행동 관찰지의 사전·사후 결과는 <표 Ⅲ-1>과 같다.

<표 Ⅲ-1> 연구 참여자의 자가 진단 문제 행동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결과

참여자 문제행동(공감의 유형)참여자

사전 사후

1 분노조절이 힘들어 소리를 지르고 화를 잘 낸다. (정서적 공감) ● ◯

2 갑자기 소리를 지른다. (정서적 공감) ● ◯

3 사소한 일에도 불안해하고 안절부절못한다. (정서적 공감) ● △

4 ‘음’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의사소통적 공감) ● ◯

5 눈 마주침이 힘들다. (의사소통적 공감) ● ◯

6머리를 배배 꼬며 ‘아이씨 짜증나요“라는 말을 자주한다. (의사소통적 공감)

● △

7 발표 시 조금 불안한 표정으로 눈빛이 불안하다. (정서적 공감) ● ◯

8 다리를 떨며 집중시간이 짧다. (의사소통적 공감) ● △

주: ● 사전에 자신이 가장 많이 하는 행동

◯ 사후 자신 스스로 행동 변화를 경험한 부분

△ 약간 미흡한 행동변화 부분

2.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회기별 공감능력의 변화 과정

프로그램 참여자가 보여준 회기별 공감능력의 변화 과정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Barrett-Lennard(1981)의 인지, 정서, 의사소통적 공감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 <표 Ⅲ-2>와

같다.

Page 15: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27 -

<표 Ⅲ-2> 공감 훈련 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공감능력 변화 과정

초기(공감의 이해) 중기(공감의 적용) 후기(마무리)

인지적공감

∙함께 노래를 부르는 시간에먼저 자기소개를 할 때에도머뭇거림

∙만들기 시간에 자신이 가진재료들을 친구들과 나누어쓸 줄 알고 친구가 물어보면 대답을 잘 해줌.

∙자신이 지난번 우겼던 일을생각해보니 아직은 모든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조심하겠다고 함.

∙치료자 앞에서 어머니의 말씀을 듣고 자신이 그렇게행동했던 이유에 관해 이야기를 함

∙참여자 6이 수업도중 함께공동작품을 만들고 발표를하자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임

∙모둠활동을 끝내고 발표를할 때 말을 조리 있고 또박또박 함.

∙참여자 5가 공동작품 활동시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를 잘 모르자 가르쳐 줌.

정서적공감

∙자꾸 화를 내거나 짜증 섞인 목소리로 친구들을 대함

∙친구들과 언성을 높이며 화를 내는듯한 목소리로 자신이 옳은 것이라고 우김

∙부모님과 집에서 소리를 지르며 싸우고 또 자신이 잘못한 적이 없다고 치료자에게 말함.

∙참여자 2는 활동을 마친 후친구들과 웃으며 이야기를나누기도 함.

∙참여자 3이 친구의 이야기가 끝나기도 전에 소리를지르며 뛰어 나가버림.

∙참여자 4는 다른 작품이나매체를 빼앗거나 자리에서일어서서 교실 안을 돌아다님.

∙활동을 하면서 서로 도와주고 함께하면서 즐거워 함.

∙친구들과 모둠활동 시 짜증을 부리지 않고 잘 마무리함.

∙참여자는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고 친구가 한 명씩 발표를 마칠 때마다 ‘잘했네’라고 이야기 함.

∙부모님과 화해를 하고 미안하다는 이야기를 함.

∙참여자 7이 마이크를 친구에게 넘겨주고 같이 노래를부르자고 함.

∙미술표현을 통해 색깔에 관해 자신들이 좋아하는 색과그 이유에 관해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웃음.

∙다른 모둠의 작품 발표 시자신의 모둠 차례가 올 때까지 기다리고 자신의 발표를 함

∙다른 모둠친구들의 작품이멋지게 표현되고 발표를 들으면서 칭찬을 하고 ‘멋지다’라는 이야기를 해 줌.

∙참여자 3은 지난 번 함께여행을 가서 했던 행동들을돌이켜보니 자신이 잘못 생각하였다고 친구들 앞에서사과를 함.

∙친구들은 그 이야기를 듣고돌아가며 ‘괜찮다’ 그럴 수도 있고 우리도 그 때 화를내어서 미안했다고 함.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서로가손을 잡고 웃으며 화해를하고 마무리를 함.

Page 16: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28 -

(표 계속)

초기(공감의 이해) 중기(공감의 적용) 후기(마무리)

의사소통적공감

∙조원들 간의 오고가는 대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

∙참여자 1은 다른 친구들에게 딴 짓을 하거나 공동 활동을 거부함

∙참여자 4는 다른 사람이 작품을 소개할 때 듣지 않고자기 말만 함

∙다른 모둠의 작품을 발표할때 평가를 하고 토론을 하는 등 태도의 변화를 보임

∙동시를 짓는 시간에 이야기를 스토리로 만들어 친구들에게 들려주고 질문을 함.

초기 단계에는 가장 먼저 친구나 타인들과 소통의 단절과 어긋남, 중기 단계에는 마음 나누기

를 통한 소통의 시작, 서로의 마음을 알아가는 소통의 확장, 후기 단계에는 서로를 이해하고 소

통하는 단계로 이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물론 회기를 진행할수록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전

달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인해 친구들과의 소통 단절을 경험하게 되면서 가끔씩 서로 다툼도 경

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소통 단절 경험의 참여자도 마음 나누기를 통한 소통 단계인 6회기를

기점으로 조금씩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서로를 바라보며 눈 마주침을 하는 시간이 길어지

고 서로 눈을 바라보면서 고개를 끄덕이며 계속 웃어 보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후 이

어지는 단계에서는 손을 잡거나 새로운 의견들을 나누기도 하고 상대방이 말을 하면 맞장구를

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계속 이어지는 대화에서 ‘그랬구나.’ 또는 ‘그래서?’라는 표현을 사용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단계들이 이어지면서 수업 초반 자신의 말만 늘어놓는다든가, 자신의 이

야기를 들어주지 않으면 화를 낸다거나, 상대방이 이야기를 하면 딴전을 피우는 등의 행동은 많

이 사라지는 모습을 보였다.

3. 치료자의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내용

프로그램 진행 시기별로 집단에 공통적으로 적용한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내용과 개인의 특

수성을 고려한 개별적으로 개입한 운영 내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단계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내용

초기 단계(1회기)에는 서로 간의 마음 나누기를 통한 라포 형성과 자기 탐색을 통한 자기 이

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음은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 중 작품 사진과 활동사진이다.

Page 17: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29 -

풍선에 그린 얼굴 이름 꾸미기

만약 ~라면 전지에 표현해 보기

<그림 Ⅲ-1> 연구 참여자들의 초기수업장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치료자가 참여자 전체에게 공통으로 구성한 프로그램 내용

과 운영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먼저 치료자와 참여자간의 신뢰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환경적으로 자

유롭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치료자는 참여자들이 스스로 자율적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내면의 스트레스를 발산하게 하였다. 그리고 치료자는 이들의 행동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도록 노력하였다.

셋째, 초기단계에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동질성의 원칙을 준수하였다. 통합예술치료를 통

해 참여자들이 각자가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 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참여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초기단계에 구성한 운영은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5의 행동에 대한 치료자의 개입은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5는 평소에도 다른 친구들에 비해

조금 소극적이며 수업 중 발표를 할 때에는 주변 친구들의 눈치를 보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친구들과 놀 때에도 시선을 피하지 않고 두루두루 잘 협동하였다. 대체적으로

참여자 5는 다른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문제가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자신이 가끔씩 눈치

를 보거나 하는 행동들은 잘 해야 한다는 강박감도 있고 자존감이 많이 결여되어 이러한 감정

들이 표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치료자는 참여자 5처럼 약간은 소심하거나 표현력이 다

Page 18: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30 -

소 떨어지는 경우에는 미술표현에서도 조금 더 분출 할 수 있는 음악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부

정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참여자 1처럼 심하게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에는 내면의 화를 분출할 수 있는 음악을 선택하여 자유로운 신체표현과 매체를 통한 표현

으로 마음속의 불안정함이나 분노를 표출하도록 하였다.

2) 중기단계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내용

본 연구의 중기단계(2회기~7회기)에서의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는 전체적인 공감기술을 스스

로 터득하게 하여 자연스러운 표현을 유도하게 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 진행 과정 분석 결과

자발성과 창의성이 조금씩 발휘되었다. 그리고 중반 회기 즈음에는 더 많은 예술적 요소들을 추

가하여 활동의 다양성을 점진적으로 높이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의 중기 단계 수업 장면은 다음

과 같다.

과자로 표현한 얼굴 별 헤는 밤

찰흙으로 꾸미기 낙엽으로 꾸미기

<그림 Ⅲ-2> 연구 참여자들의 중기 단계 수업장면

중기단계에서 참여자 전체에게 공통으로 치료자가 개입한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의 재능이 각기 다르므로 각자의 재능과 지닌 능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

다. 특히 치료과정에서는 참여자들이 적극성을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둘째, 치료자는 참여자가 교육을 잘 따라 올 수 있도록 개별 참여자의 수업 참여 상황과 진척

도를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치료자의 역할은 진행을 통해 치료 상황을 파악하고, 이들이 자기

주도적 표현을 하도록 유도했으며, 혹시 다소 적합하지 않은 표현을 하더라도 격려하고 지지하

Page 19: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31 -

며 그들의 선택을 존중해주었다.

셋째, 치료자는 참여자들의 적극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매체를 선택할

때에는 이들의 선호도와 취향을 존중하여 통합예술치료의 즐거움을 느끼도록 헤 주었으며 이러

한 과정 속에서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중기단계에 개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1은 초기단계보다 중기단계에 접어들면서 분노를 표출하는 모습이 초기단계에

비하여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함께 참여하는 친구들도 수업을 진행하면서 참여자 1의 분노로

인한 행동이 나타날 때에는 눈치를 보면서 피하기도 하였으나 점점 문제행동도 줄어드는 것을

보고 대화를 공유하면서 눈치를 보거나 두려움이 줄어든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행동들에

대하여 치료자는 참여자들에게 함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함께 토론을 통해 규

칙을 정하고 격려 및 칭찬을 통해 구체적으로 상기시켜주었다. 이런 결과 행동과 태도에서 공감

능력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결과를 보였다.

3) 후기단계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내용

프로그램의 후기 단계(8회기~14회기)는 협동적으로 공감능력을 표현하고 개인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왜냐하면 이러한 집단 및 개인

활동을 통해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자신의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고 사고하는 능력과 문제해결능

력을 높일 수 있으며, 원만한 의사소통 능력도 향상시켜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후기 단계에서는 중기단계에 일어난 다양한 공감능력의 변화들을 후기 단계에서 지속

및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의 후기단계 수업 장면은 다음과 같다.

칼라점토로 표현하기 역할극을 통한 심상표현하기

Page 20: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32 -

나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발표하기 손바닥 나무표현하기

<그림 Ⅲ-3> 연구 참여자들의 후기단계 수업장면

후기단계에서 참여자 전체에게 공통으로 치료자가 개입한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있어 집단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각자의 관심 영역과

발달특성과 장애특성이 다르므로 더욱 타인과의 관계형성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음악활동은 청

소년기에 접어든 이들에게는 내면의 스트레스를 분출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타인과의 교류수

단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집단 활동에의 참여를 지지와 격려하였다.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있어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소통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

들은 사회적 기술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 시행과 훈련을 통한

학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후기 단계에서는 치료자가 집단 활동을 통해 참여자 간 질문과 토

론을 주고받게 하고 개별적 발표와 이에 대한 질문을 권장하고 지지하였다.

후기단계에서는 참여자 대부분이 전체 프로그램에 잘 따라와서 개별적으로 참여자에 개입한

내용은 거의 없었고, 일부 참여자의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경우 나머지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개

입하여 집단 활동에의 참여를 독려하였다.

4) 치료자의 프로그램 운영 개입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

본 연구의 초기단계에서는 참여자 대부분이 조금씩은 다른 반응을 보였다. 예를 들면, 참여자

3의 경우에는 중기단계에서 자신이 인정을 받음으로서 그 이후의 프로그램 활동에 자발성을 보

였다. 또한 이들이 음악을 듣고 신체표현을 하며 서로가 서로에 대한 생각과 의견들을 교환하는

활동에서 정서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후기단계에서 참여자 6의 경우에는 집

착하는 행동이 초기나 중기단계보다 현저하게 줄고 친구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이야기 하는 행

동으로 변화되었다. 특히 참여자 2는 의사표현능력이 초기나 중기단계에 비하여 변화됨을 보여

주었다.

Page 21: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33 -

Ⅳ. 논 의

본 연구에서 발달장애청소년들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 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한 결

과, 초기단계에서 후기단계로 갈수록 신체와 감각 그리고 사회성, 언어능력 등 다방면 등에서

공감능력이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도출된 결과가 기존 연구 결과와는 어

떠한 유사점이나 차이점이 있는지, 그리고 본 연구만의 독특한 발견이 있는 지를 논의하고자 한

다. 논의는 본 연구의 문제에 맞추어 공감행동의 변화, 공감능력의 변화과정,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공감 행동의 변화

공감 행동의 변화에서 보면, 초기 단계에서는 또래들과의 이야기 나누기나 토론을 통해서 타

인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을 하는 행동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미술활동 프로그

램의 내용이 이들에게 친밀감을 형성하고 심리적 긴장을 이완시켜 공격적 행동을 조절할 수 있

도록 하고 공격적 행동을 창작활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격적 행동을 감소시켰다는 한

현민(2001)과 김춘경, 변학수, 채연숙(2006)의 연구와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통제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의 내용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중기 및 후기 단계로의 시간이 흐를수록 분노를 표출하는 공격적 행동이 다소 줄어들고 자신

의 행동변화를 느끼게 되었고 친구들에게 소리를 지르고 화를 내는 행동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음악을 들으며 감상을 하거나 특히 자신들이 좋아하는 노래를 부르거나

댄스를 하는 과정을 통해 함께 공감대를 형성하는 부분이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역할극을 하는 시간에는 처음에는 다소 어설펐으나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들을 잘 해내려고 노

력하는 모습들을 통해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글이나 단어로써 표현하는 시간에는 문장이

어색하여도 조원들이 한 줄씩 만들어 내고 고쳐가면서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함께하는 즐거움

을 경험하였다. 또한 모둠별로 진행된 프로그램에서는 개개인의 차이는 다소 있었지만 수업과정

에서 자발적으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기도 하였다. 한편 공동 작업시간에는 서로 대화를 나누거

나 토론을 하고 이후 발표를 하는 시간을 통해서 매우 화기애애한 모습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험들은 공동 작업이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켰다는 박창범(2017)의 연구결과와 그 맥을

같이 한다. 또한 참여자 중 지나치게 분노 표출과 공격성을 보인 참여자의 태도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행동 관찰 기록지나 회기별 변화를 통해서 초기단계보다 현저하게 분노 표출과

공격적 행동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업 종료 후 부모와의 대화에서 굉장히 큰 변화를 보이고

가족들과의 사이가 굉장히 좋아졌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발

달장애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고 이를 통해 공감능력이 향상

Page 22: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34 -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도 나타났듯이 흔히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 공

감능력은 성장단계별로 자연스럽게 발달되어지고 특별한 교육과 훈련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

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발달장애 청소년들도 마찬가지이다.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의 연구에서는 인간의 공감능력은 끊임없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증진되어진다고 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경우에도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공감 행동 변화는 어떠

한가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행동 관찰지의 분석 결과 연구 초반보다 후반으로 갈수록 자

신의 의사표현이 명확해지고 토론을 통해 공감능력이 향상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윤혜일, 최선남(2009)이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사회적 기술의 하위 영역별로 나

눠 진행시킨 것이 지적장애성인의 사회적 기술증진에 효과적이었다는 연구의 진술한 부분과 그

맥을 같이 한다.

2. 공감능력의 변화 과정

본 연구에서 다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의 결과를 살펴보면,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적극

적인 감정표현을 하는 등의 공감능력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표현, 음악표현, 역

할극 등 다양한 예술치료매체를 통해 심상 표현과 신체동작을 통해 발달장애 청소년들로 하여

금 비언어적 표현을 통한 자연스러운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통합예술

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감정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무엇보다 타인에 대한 이

해능력의 향상시킨다는 연구(박현옥, 2007)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한편 감정표현들이 프로그램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회성을 촉진시키고 그로인해 대인관계에서 상호작용을 향상시

킬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

신지체아동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하지연, 김연

화, 한세영(2008)의 연구와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초기단계에서의 예술매체의 활용은 연구 참여자들의 억압된 감정과 분노

를 표출하게 하여 심리적 저항이 감소되게 하였다. 그 다음 중기단계에서는 프로그램 회기마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경험하면서 자기이해와 자기탐색을 통해 자존감이 향상되었다. 이

에 따라 자신 및 구성원간의 긍정적인 상호소통이 가능해진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는 누구나 자기이해를 통해 자신의 강점을 인지하고나면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고 타인과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하게 되어 현실적응력이 높아진다는 이성아와 박승희(2015)의 연구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후기단계에서는 자신 및 타인역할 인지 훈련을 통해 구성원 간에 높아진 유대

감을 관찰하였고 긍정적인 정서적 상호작용의 지속 가능성을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예

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특성상 인지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어려운 상황을

Page 23: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35 -

극복할 수 있도록 긍정적 사고형성을 돕는다는 김수진과 정대영(2011)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

한다.

한편, 참여자의 변화 희망 행동의 자기성찰 사전, 사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전에 비해 사후

검사의 경우 문제행동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프로그램 참여가 문제행동 감소에 비교

적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프로그램 적용활동이 자폐성 아동

의 자발적 모방 행동 변화와 사회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김유진(2014)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특히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켜주고 자신의 의사표현을 적극적으로 하게 함으로서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3.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성한 프로그램 내용과 개입한

운용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단계의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서는 치료자와 참여자 간의 신뢰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발달장애청소년의 특성 중의 하나는 타인에 대한 신뢰관계 형성이 다소 어렵

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1회기부터 신뢰관계 형성에 시간과 활동을 배려해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프로그램 진행의 유연성이다. 통합예

술치료는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과 목표에 맞추어 참여자의 심리적 특징과 각자가 지닌 성향을

종합하여 프로그램의 진행을 유연하게 하고, 어려움에 처할 때마다 적극성과 자신감을 기르게

하여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입 내용은 표현활동 참여수업에

서의 진행 유연성이 문제행동과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과 교사관계,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

인 영향을 준다는 김건희, 이효신, 김진희, 조정민, 김소현(2012)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프로그램 참여자의 발산성 유도이다.

통합예술치료는 발달장애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감정을 발산하게 하여 자연스러운 의사표현을 하

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치료자는 진행 과정에서 변화 상황을 파악하고, 이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현 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다소 부적합한 반응이나 표현을 하더라도 이를 격려하고 지지

하며 존중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되면서 참여자들은 점점 마음의 안정감을 찾고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타인과의 소통을 경험하는 과정 안에서 서로간의 공감능력이 향상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정신지체 아동들에게 자유롭게

표현하게 한 점이 참여자의 사회적 기술향상을 돕고 의사표현력과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장정순(200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넷째,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활동과정의 창의성이다. 본 연구에서

Page 24: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36 -

진행한 예술치료활동은 미술치료, 음악치료, 무용치료, 연극치료 등을 통해 다양한 창의적 활동

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매체를 선정할 때에 참여자들이 선호하거나 좋아

하는 매체를 선정하여 프로그램 과정에서 몰입하고 즐거움을 느끼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

반기 이후 더 많은 예술적 요소들을 추가하여 활동의 다양성을 점진적으로 높여서 참여자들의

자기 주도적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아동들의 흥

미와 참여 동기를 높여 감정과 행동을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게 한 점이 프

로그램의 효과를 제고한다는 김경, 정경옥(2013)의 연구결과와도 뜻을 같이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다수의 인

원보다는 소수의 인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통합예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일반화와 타당성 검증을 위해 보다 많은 대상자의 치료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발달장

애청소년의 의사소통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 시행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강경아 (2004).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서

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유선 (2013).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공감과 정서표현성의 영향에 대한 고찰. 심리치

료: 다학제적 접근, 13(1), 153-176.

고영희 (2011).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재욱 (2016). 지적장애어린이의 집단놀이 활동이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유아교

육․보육복지연구, 20, 243-269.

공마리아 (2007). 난화를 이용한 다양한 미술치료기법. 한국예술치료학회 월례학술발표회, 53,

32-41.

구신실 (2012). 특수교사의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과 교사효능감. 특수아동교

육연구, 14(3), 501-522.

김건희, 이효신, 김진희, 조정민, 김소현 (2012).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표현활동 학습. 정서․

행동장애연구, 28(2), 325-347.

김경, 정경옥 (2013).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

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17, 95-128.

김경남, 공마리아 (2017). 소집단 미술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정

Page 25: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37 -

서․행동장애연구, 33(4), 175-196.

김선주, 김영희 (2012). 부모와 또래애착, 신체상이 청소년의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 소년보호연

구, 20, 37-58.

김수진, 정대영 (2011).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69-196.

김용희 (2007). 공감능력과 관련된 성격특성 및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573-585.

김유진 (2014). 공감훈련에 기반 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공감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심리행동연구, 6(2), 1-26.

김춘경, 변학수, 채연숙 (2006). 통합적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과 생활스트레스 감소

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2(1), 103-125.

김태완, 김성아 (2015). 장애아동․청소년 지원제도의 현황 및 한계. 보건복지포럼, 219, 64-74.

김화정 (2002).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아 (2016). 청소년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또래 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가족치료연구, 14, 65-80.

박창범 (2017). 발달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통합심신치유연구,

4, 22-47.

박현숙, 김은아, 하연주, 이미령 (2018). 정신건강 고위험 청소년들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

그램 개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2), 90-119.

박현옥 (2007). 장애아동의 발달단계와 교육과정에 근거한 상황이야기 개발 및 적용 효과 검증.

정서․행동장애연구, 23(3), 75-102.

배미정, 조한익 (2014). 내현적 자기애 성향, 자존감,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그리고 대인관계 유

능성 간의 관련성 연구. 상담학연구, 15(6), 2417-2435.

보건복지부 (2008). 장애인복지사업안내(2008년). 에덴복지재단.

안동현 (2009). 청소년 정신건강장애. 대한의사협회지, 52(8), 745-757.

오종은 (2001). 정서장애아동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혜일, 최선남 (2009).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5(2), 103-123.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이성아, 박승희 (2015).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특수교

육학연구, 50, 23-52.

Page 26: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38 -

이영선, 김환희 (2013). 발달장애청소년의 전환성과 탐색. 장애와 고용, 23(3), 83-103.

이한얼, 조인수 (2011). 지적장애인의 지원요구의 수준 및 요인 구조. 통합교육연구, 6, 245-264.

이헌석, 최은희, 황미영 (2009).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

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6(2), 1-22.

장매희, 김정미, 윤숙진, 정여주 (2004). 장애아동을 위한 원예치료와 미술활동 연구. 인간식물환

경학회지, 7(4), 58-64.

정범모 (1971). 인성검사법요강. 서울: KTC.

정정순 (2004).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감정표현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3, 53-74.

정진아 (2018). 퓨전 합창을 통한 발달장애학생의 공감(Empathy) 형성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8, 215-248.

정현주 (2008). 예술치료교육의 개념 정립과 정의.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5(2), 1-15.

지은숙, 박승희 (2009).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

교 생할 적응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111-136.

최애나 (2013). 비만 아동에 대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자아상, 스트레스, 자기효능

감,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9(1), 121-138.

하지연, 김연화, 한세영 (200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형제 갈등 상황에서의 개입행동이 유아의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2, 23-40.

한현민 (2001). 발달장애아동의 행동문제와 효과적 행동치료전략 고찰. 특수교육연구, 8, 3-26.

한홍석, 박주연 (2011).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성 장애학생의 자해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

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41-16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TR).

Washington, DC: Author.

Barrett-Lennard, G. T. (1981). The empathy cycle: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2), 91-100.

Brosnan, J., & Jealy, O. (2011). A review of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aggression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2), 437-446.

Chodorow, J. (1991). Dance therapy & depth psychology: The moving imagination. New York: Routledge.

Epp, K. M. (2008). Outcome-based evaluation of a social skills program using art therapy and group

therapy for children on the autism spectrum. Children & Schools, 30(1), 27-36.

Gomm, R., H, M., & Foster, P. (2000). Case study method: Key issues, key texts. Thousand Oaks, London:

Sage.

Halprin, A. (2000). Dance as a healing art. Mendocino CA: Life Rhythm.

Page 27: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439 -

Kramer, E. (2001). Childhood and art therapy. New York: Brunner & Mazel.

Malchiodi, C. A. (2011). Handbook of art 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Mannix, D. (2009). Life skills activitie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special needs. London: John Wiley & Sons.

Merriam, S. B. (1994).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질적 사례연구법. 허미화

역, (1994). 서울: 양서원.

Moreno, J. J. (1999). Music therapy and psychodrama. Missouri: MMB Music.

Nordoff, P., & Robbins, C. (1983).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New York: Magnamusic-Baton.

Rubin, J. A. (2012). Approaches to art therapy: Theory and technique. New York: Routledge.

Yin, R. K. (2005).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사례연구방법. 신경식, 서아영 역,

(2005). 서울: 한경사.

투고일 : 2018.10.31. / 심사일 : 2018.11.12. / 심사완료일 : 2018.12.20.

Page 28: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grated Art Therapy ... · facilitators were involved in. Metho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ere applied for eight developmental disabilities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4호

- 440 -

국문초록

발달장애청소년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신 민 주1ㆍ주 용 국2

1,2경성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공감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이 청소년들의 어떤 행동의 변화를 가져다주었는지, 프로그램 시기별로 청소년의 공감능력의 변화과정은

어떠한지, 프로그램 내용과 치료자는 어떠한 개입을 하였는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

법: 이러한 목적으로 B시 B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발달장애 청소년 8명을 대상

으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적용 결과 첫째, 행동 변화 측면에서는 공격성

등의 문제행동 감소, 적극적인 감정 표현의 증가, 타인에 대한 이해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공감능력

의 변화과정 측면에서는 초기에는 분노 등의 심리적 저항을 보이다가 중기부터 이러한 저항이 감소하면서

자기이해를 높이고 타인과의 관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후기에는 타인과의 유대감을 갖게 되고, 긍정적인 정

서적 상호작용을 보였다. 개입 측면에서 보면, 진행자는 신뢰관계 형성, 유연한 프로그램 진행, 참여자의 발

산성 유도, 참여자의 창의적 표현에 개입하였다. 결론: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공감능력은 개발될 수 있고,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다.

주요어 : 발달장애 청소년, 공감,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질적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