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스피노자의 Looking for Spinoza ; Joy,Sorrow,and the Feeling Brain 저자 : 안토니오 다마지오 Wednesday, November 9, 11

스피노자의 뇌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스피노자의 뇌

스피노자의 뇌Looking for Spinoza ; Joy,Sorrow,and the Feeling Brain

저자 : 안토니오 다마지오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2: 스피노자의 뇌

INDEX

정서와 느낌의 처리 과정

느낌

느낌, 그 이후

몸과 뇌, 마음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3: 스피노자의 뇌

KEY QUESTIONS

KEY QUESTION 1: 과연 감정은 분석과 환원의 대상인가?

KEY QUESTION2 : 감정은 보여지지 않는 활동인가?

KEY QUESTION 3: 감정도 이성과 마찬가지로 정신작용을 처리하는 독립적인 처리과정을 가지고 있는가? (MACHINERY OF EMOTION)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4: 스피노자의 뇌

인간의 진화, 항상성-HOMEOASTASIS-

항상성: 인간 문제 해결의 자동 메커니즘의 결과로 조절하고/조절받는 삶의 상태 “모든

생명체는 자동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를 가지고 태어난다. 에너지의 원천을 찾고 에너지를 자신의 신체에 편입시키고 전환하며, 생명 활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의 화학적 균형을 유지시키고, 닳고 낡아 버린 신체 부분을 수리함으로써 생명체의 구조를 유지-보수하고,병이나 물리적 상해를 일으킬 외부의 요인으로부터 신체를 방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생존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인간은 어정쩡하게 살아있는 상태 이상의 것, 건강(WELLNESS)또는 안녕(WELL-BEING)을 제공하는 것...

- 생물 개체 환경의 변화 (내/외부)----> 생물이 유지하던 존재의 위협 --->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자기 보존을 위해 노력함 : 코나투스 endeavor; impulse, inclination: striving)

충동 및 동기 충동 및 동기Wednesday, November 9, 11

Page 5: 스피노자의 뇌

항상성의 조절 원리 - 포개 넣기

코나투스를 통해 자체 조절하는 작동 원리 : 각각의 가지가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한다. 각각의 가지들은 원래부터 정해진 것이 아니라 생존에서 안녕으로 진화하면서 땜질하듯 만들어진 것.

항상성의 꼭대기 : 협의의 정서와 느낌 : 자동화된 생명 조절 현상의 주인공 0. BACKGROUND EMOTION 1. 일차적 정서(PRIMARY EMOTION): 분노, 혐오, 기쁨, 행복 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보편적인 정서 2. 사회적 정서(SOCIAL EMOTION) : 동정심,당혹감,수치심,긍지,감사함,동경....등 사회적인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감정

그리고 느낌?

대사 작용기본 반사

면역 반응

통증 및 쾌락 행동

충동 및 동기

협의의 정서 (EMOTION-PROPER)

U

U

U

U

U

MIND

BODY

TO

느낌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7: 스피노자의 뇌

편도 정서적으로 유효한 시각/청각적 자극의 경계분노와 공포의 정서 촉발

복내측전전두엽 피질

사회적 정서를 촉발하는 상황이나 자극을 감지 (예. 동정심) 유쾌한 정서보다 부정적인 정서에 민감

시상하부

정서를 구성하는 최고 실행 기관- 정서적 자극으로 형성된 호르몬을 뇌하수체를 통해 혈액으로 방출

- 정서의 신경/화학 반응이 신체 내/외부의 변화에 영향

정서의 표상

정서의 실행

감각 관련 및 고차원적 대뇌피질 편도

전뇌 기저부시상하부뇌간

신체 내부 환경,장기, 골격, 특정 행동의 변화

정서적으로 유효한 자극의 가늠 실행촉발(유도) 정서적 상태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8: 스피노자의 뇌

BODY TO MIND

정서 느낌외부 환경에서 사물이나 사건을 접했을 때 ‘반응’을 만들어내는 생리적 기구

그 반응에 대한 뇌의 지도이자 ‘심상’을 생성해내는 기구

대상의 이로움과 해로움을 구분하지만 창의적인 문제해결까지 나가지 못함

이롭고 해로운 상황에 대한 심상의 발현, 지속적으로 주의와 기억,상상과 추론

정서 느낌

외부에 공개적으로 드러난 부분 (Public)

사적으로 남아있는 부분(Private)

표정,제스처,행동,움직임.... 소유자를 제외한 어느 누구도 볼 수 없음

몸이라는 무대(외부의 스위치)

마음이라는 무대(내부의 스위치)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9: 스피노자의 뇌

EMOTION IS INVISIBLE.

“그는 거울을 가져오라고 한 후, 거울 속 자신의 얼굴을, 황폐해지고 처참해진 얼굴을 들여다보았다. 그러더니 이렇게 말했다. 얼굴에 나타난 ‘외면적 비탄’은 ‘단지 보이지 않는 슬픔의 그림자’일 뿐이다. 이 슬픔은 ‘고통스러운 영혼 속에서 조용히 부풀어 오른다.’ 또한 이 슬픔은 ‘모든 내면에 존재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사례- 불과 2MM차이일 뿐인데...

특정한 정서와 느낌을 환기하여 표출하는 훈련이 되어있는 사람 : 배우

폴 에크먼의 실험: 피험자들에게 얼굴 특정 근육을 순서대로 움직이도록 지시, 환자들은 슬픔,공포,행복의 표정을 먼저 짓고 난

다음에 그에 대한 느낌을 표현

정서는 느낌에 선행한다.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10: 스피노자의 뇌

느낌

느낌은 특정 상태의 신체에 대한 관념

느낌은 진행되고 있는 생명의 상태를 마음의 언어로 번역한다.느낌은 일종의 지각 (perception) 이며뇌의 신체지도(body/sensory map)를 기억함으로써 형성됨.

: 정서적 자극과 반응만을 할 줄 아는 다른 생명체와 인간이 구별되는 지점.

느낌의 지각 - 사고의 지각

느낌은 신체의 신체 내부의 특정한 상황에 대한 관념,사고의 특정 방식, 특정 주제에 대한 지각,(META-REPRESENTATION) 즉 신체에 수반하는 마음의 활동과 상태에 대한 지각이다.

느낌은 신체 상태에 대한 신경 지도와 관련있다.

정서의 재현 실험: 피실험자에게 자신의 기억 중에서 행복,분노,슬픔,공포를 불러일으키는 사건을 재현해보라고 지시. 동시에 PET를 측정. --> 뇌와 신체적 상태의 연관관계 분석

정서

느낌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11: 스피노자의 뇌

느낌의 사회성, 그리고 윤리

'덕의 일차적 기반은 자기 자신을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이며 행복은 자신의 존재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 개인의 안녕이 자기 보존의 전부?

'우리의 선은 특히 우리를 다른 사람과 사회 전체의 이익에 연결시켜주는 우정에 있다."

각 개인이 자기 보존을 위한 메커니즘 뿐 아니라 타인의 욕구와 정서를 고려함으로써 사회 집단의 보존과 자기보존이 동시에 가능하다.

이타적 활동, 종교, 윤리, 규범....모두 느낌의 사회적인 협의의 결과물이다.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12: 스피노자의 뇌

CONCLUSION

개개인마다의 정서와 느낌의 대상은 다르지만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대상을 지각하고 처리한다는 점, 느낌의 발현과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감정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은 타당성이 있다.

느낌은 결국 정서라는 신체의 상태와 분리될 수 없다. 단, 정서를 받아 느낌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보이지 않는 신체 내부의 정신적인 지각 활동.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13: 스피노자의 뇌

QUESTIONS

SELF SELFSELF

1. 개인의 감정과 사회 집단의 감정은 다른 처리과정과 결과물을 가지지 않을까?개인의 감정의 합 =/ 사회 전체의 감정의 합

2. 개인의 고유한 감정은 각자의 느낌의 지도에 따라 다르지만, 서로 느끼는 대상이나 처리과정의 유사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점을 활용하여 서로의 마음을 더 쉽게 읽을 수 있는 장치나 정서적인 가까움의 정도를 표현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3. 감정(정서와 느낌)이 역사에서 부속적으로 여겨졌던 이유는 포개넣기의 원리에서 감정은 생존 이상의 가치이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정치적, 경제적인 생존원리가 우선인 현실 세계보다 정보 사회에서는 감정적/사회적인 요소들이 더 중요할 지도 모른다.

Wednesday, November 9, 11

Page 14: 스피노자의 뇌

QUESTION

B

C

E

A

D G

F

H

SENSORY MAP

BODY

Wednesday, November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