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는 “꿈드래 쇼핑몰” 에서 www.goods.go.kr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Vol. 245 2016. 12 기획특집 2016우리 10NEWS 기분 좋은 만남 공공자전거 세척직무 참여자 서영완 행복이 머무는 일터 피복류 생산하는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

디딤돌 2016 12월호.pdf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디딤돌 2016 12월호.pdf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는“꿈드래 쇼핑몰”에서

www.goods.go.kr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Vol. 245 • 2016. 12

기획특집 • 2016년 우리 원 10대 NEWS

기분 좋은 만남 • 공공자전거 세척직무 참여자 서영완

행복이 머무는 일터 • 피복류 생산하는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

Page 2: 디딤돌 2016 12월호.pdf

코디패밀리

미래전략부 전산팀 이상훈 대리는 중증장애인직업재활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장애인 복지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다짐

했습니다.

26

기분 좋은 만남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공공자전거를 세척하는

서영완 씨를 만났습니다.

Koddi와 세상

16 BF기관 탐방

훈맹정음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20 행복이 머무는 일터

“패턴 뜨고 원단 잘라 재봉틀로 직접 만들어요”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

Koddi 공감

24 기분 좋은 만남

공공자전거 세척직무 참여자

서영완

26 코디패밀리

미래전략부 전산팀 이상훈 대리

28 궁금talk

장애인일자리사업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

Koddi 뉴스

30 코디 단신

2016 장애인일자리사업 유공자 및

우수참여자 시상 외

34 장애계 단신

‘장애연금ㆍ수당 압류방지’ 수급계좌 지정

가능 외

36 장애계 해외뉴스

푸쉬킨 박물관(Pushkin Museum of Fine Arts)

‘보이지 않는 것을 보다(To Visualize the

Invisible)’라는 주제로 전시회 개최 외

38 편집실 통신

242016

들어가며

BF기관 탐방

시각장애인의 훈민정음, ‘훈맹정음’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한글박물관’을 찾았습니다.

행복이 머무는 일터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의 한호택 원장은 ‘안전한 일자리가

진정한 복지’라고 강조했습니다.

Contents

들어가며

04 인사말

06 기획특집

2016년 우리 원 10대 NEWS

2016년 12월 (통권 제245호) 발행처 한국장애인개발원 • 발행인 황화성 • 편집인 김규철 • 편집위원 김흥기, 김서령 • 편집장 박영순 • 취재기자 조수빈, 양주열

대외협력부 02-3433-0673 • 주소 (07236)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 이룸센터 5층 • 팩스 02-412-0463 • 홈페이지 www.koddi.or.kr

블로그 blog.naver.com/koddi11 • 페이스북 www.facebook.com/koddi1989 • 편집ㆍ인쇄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인쇄사업소 02-2269-7255/7256

이 책에 실린 내용의 저작권은 특별한 표시가 없는 한 한국장애인개발원에 있습니다. <디딤돌>에 실려있는 어떠한 내용이라도 사전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지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의 도서잡지 윤리강령 및 잡지윤리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사진 유승현 I 작가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의

김원근 씨(좌측)와 이진희 씨는

안전하게 활동하도록 돕는 피복류를

만들어갑니다.

(관련기사 20p)

표지 이야기

Page 3: 디딤돌 2016 12월호.pdf

0504

시절은 수상해도 시간은 흘러 계절이 바뀌

고, 우리네 인생은 오늘도 계속됩니다.

마지막 단풍을 떨군 나뭇가지 사이로 부는

찬바람에 옷깃을 여미다가도 ‘쨍’한 겨울 햇

살이 반가워 움츠린 어깨를 다시 펴 봅니다.

자연은 이렇게 묵묵히 제 할 바를 다하며,

그 속에 몸담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계절

이 바뀜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며 2016년 동안 우리 원에

있었던 이슈들을 꼽아봤습니다.

2016년은 우리 원의 새로운 시작을 위한 힘

찬 발걸음을 내딛는 해였습니다. 연초 조금

더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조직으로 만들

고자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 각 사업의

틀을 다듬어 나갔습니다. 전 장애계의 관심

이 주목된 장애등급제 개편 2차 시범사업,

기존 중증 장애인 카페를 리뉴얼한 카페 ‘I

got everything’,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개소 등 이 땅의 장애인의 권리를 회복하고

자립의 길을 다지기 위해 쉼 없이 달려왔습

니다.

지난 11월 4일은 ‘제90회 점자의 날’이었습

니다. 시각장애인의 훈민정음이라 일컫는

‘훈맹정음’이 창제된 날이지요. 서울시 용

산구에 있는 ‘국립한글박물관’에는 훈맹정

음을 만든 고(故) 송암 박두성 선생의 따님

이 기증한 훈맹정음이 있습니다. 이번 달

BF기관 탐방에서는 ‘국립한글박물관’을 방

문해 훈맹정음의 의의를 기리는 시간을 가

졌습니다.

지역사회의 특색에 맞는 직무를 개발하여

장애인 당사자에게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부여하는 곳이 있습니다. 경남 창

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진해장애인복지관에

서 근무하는 서영완 씨를 만나 공공자전거

세척직무를 하며 느낀 소감을 들었습니다.

물론 군데군데 아쉬움이 남기도 합니다. 허

나,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 또 다른 한 해

가 우리에게 주어질 것을 알기에 아쉬움을

희망으로 바꾸어 2017년을 기다려봅니다.

올 한 해 마무리 잘하시고 내년에는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뵙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오.

감사합니다.

자연을 닮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장 황 화 성

Pro logue 인사말

Page 4: 디딤돌 2016 12월호.pdf

0706

Spec ia l기획특집

다사다난(多事多難)이란 말이 이렇게도 딱 맞는 해가 또 있었나 싶은 해였습니다.

2016년은 우리 원이 개발원으로 출범한 지 9년째 되는 해입니다.

정책연구, 직업재활, 편의증진…. 지난 2008년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 출범하면서 우리 원이

부여받은 주요 미션입니다.

그동안 각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고 기초를 다져왔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그 그림들을 재검토하여 틀어진 모양을 자르고 닦아 다듬었습니다.

올해를 마무리하며 2016년 우리 원의 10대 뉴스를 선정했습니다.

2016년 우리 원 10대 NEWS

06

분위기와 맛 한꺼번에 잡은

카페 ‘I got everything(아이갓에브리씽)’ 오픈

장애인 채용 카페가 확 바뀌었다. 우리 원이 지난 2012년부터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진행한 ‘꿈앤카페’가 경리단길 식문화 트렌드 리더 장진우 셰프의 손을 거쳐 카페

‘I got everything’으로 새롭게 태어난 것.

카페 ‘I got everything’은 장진우 셰프의 컨설팅을 받아 브랜드·인테리어·제품디자인

등에서 표준화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스페셜티 원두를 취급하는 카페 뎀셀브즈에서

원두를 납품받아 사용하는 등 품질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카페의 시장경쟁력

을 확보, 장애인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카페 ‘I got everything’은 정부세종청사 교육부동, 인천광역시청, 천안시시설관리

공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올해 안으로 속초시청, 원주시청, 홍성군청 등에 개소할 예정

이다.글ㆍ사진│대외협력부 홍보팀

제1호 정부세종청사점 개소식

제2호 인천광역시청점 전경

Page 5: 디딤돌 2016 12월호.pdf

0908

17개 시ㆍ도에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 개소

지난해 말 시행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

라 지난 2월 1일 대구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 개소식을 시작으로

전국 17개 광역 시·도별로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설치됐다.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는 발달장애인의 전 생애에 걸친 교육, 직업

재활, 문화·복지 서비스 이용 등 개인별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 장애인 관련 기관으로 서비스 연계를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

달장애인 대상 범죄 발생 시 현장조사와 보호, 공공후견인 지원 등 권

익옹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우리 원 중앙장애아동·발달장애인지원센터는 지난 2012년 설치,

운영되고 있다.

장애인정책 개선에 앞장,

우리 원 연구결과 정책 반영률 높아져

우리 원은 올 한 해 총 30건(용역 13건, 자체 17건)의 연구과제를 진행했다.

올 연말까지 마무리되는 각 연구의 결과물은 검토를 거쳐 향후 정부의 장애인정책에 크

고 작게 반영할 예정이다.

우리 원이 진행한 연구결과가 올 정부 정책에 반영된 건수는 총 7건이다.

한편, 우리 원은 보건복지부와 함께 장애인 정책 중장기적 로드맵 마련을 위해 장애인

단체, 전문가로 구성된 장애인정책 미래위원회를 운영하였다.

2016년도 정책반영 현황과제명 「직업재활시설 기능보강사업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기능보강사업과 경영컨설팅사업 연계 : 2016년 지침에 기능보강 시설 선정 시 사업추진 의

지 항목으로 반영(2016년 4월)

- 사후관리를 위한 관련 서식 개선 및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개정 : 2016년 지침에 반영

- 직업재활시설 추진 의지 제고 : 2017년 지침 반영 예정

- 직업재활시설 추진 의지 제고 : 2016년 지침에서 기능보강사업 신청 서식에 중장기 계획을

작성하도록 반영,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을 통해 지원 대상 시설 확대

(2015년 33개소 2016년 41개소)

과제명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지원체계 강화방안 연구 및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평가체계 개발연구」

- 2016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반영

과제명 「장애인복지법 개정에 따른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연구」

- 장애인복지법 제25조에 따른 하위법령 개정(안) 정책 제안 : 장애인식개선교육 대상기관 및

교육내용과 방법 등 반영

- 장애인복지법 제46조의2에 따른 하위법령 개정(안) 정책 제안 : 장애인 응시자 시험편의 제

공 내용과 방법 등 반영

표1. 연도별 정책반영 건수

연 도 2012 2013 2014 2015 2016

연구수행현황 28건 25건 27건 30건 30건

정책반영현황 5건 6건 8건 10건 -

정책반영률 17.9% 24.0% 29.6% 33.3% -

Page 6: 디딤돌 2016 12월호.pdf

1110

장애인직업재활의 새모형,

‘퍼스트 잡 직무지원인 지원사업’ 첫 삽

기존 장애인서비스 기관을 비롯한 시설 내에서 진행하던 직업훈련을

지역사회 내 사업체에서 진행하고 취업으로 연계하는 퍼스트 잡 직무

지원인 지원사업이 시작됐다.

이 사업은 우리 원과 한국장애인부모연대 경남지부가 미국의 발달장

애인 직업훈련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서치를 모델로 한 것으로,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경남 창원지역에서 실시했다.

우리 원은 근로현장에서 발달장애인의 직업교육과 훈련을 담당할 직

무지원인을 지원하고 부모연대 경남지부는 근로능력과 의지가 있는

사업 참여자 40명을 선발하여 마산의료원, 하나로마트 창원점, 한창

코리아 등에 배치했다.

“일터를 편리하게 고쳐드립니다”

장애인 소상공인 영업환경 개선사업 확대

2015년 부산광역시에서 첫선을 보여 큰 반향을 일으켰던 장애인 소상

공인 영업환경 개선사업이 올해에도 진행됐다.

장애인 소상공인 영업환경 개선사업은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유재훈)

이 사업비를 지원하고 우리 원이 사업 전반을 진행, 장애인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가게를 일하기 편리한 공간으로 고쳐주는 사업이다. 각

사업장에 근무하는 장애인에 맞추어 출입문 턱 낮추기, 경사로 및 핸

드레일 설치 등의 편의시설과 영업환경에 필요한 시설을 설치해준다.

지난해에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진구, 북구 등 총 11개 사업장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지역을 확대하여 부산·울산·경남지역 장애인

사업장 12곳을 지원했다.

장애등급제 개편 2차 시범사업 실시

장애 당사자의 개별적 상황을 고려, 꼭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2차 장

애등급제 개편 시범사업이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서울(구로구, 노원구), 대전 서구 등

10개 지자체에서 실시됐다.

2차 시범사업은 1차 시범 사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지자체 ‘장애인서비스

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계획, 대상자 서비스 연계지원 이용자 모니터링 등의 내용으

로 진행되었다. 한편, 우리 원과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이 함께 진행한 2차 시범사업

에서 우리 원은 교육과 모니터링, 홍보를 담당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내년 상반기에 장애등급제 개편 3차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Page 7: 디딤돌 2016 12월호.pdf

1312

개도국 장애인정책 발전 지원,

국제협력 확대

우리 원은 제3차 아태장애인 10년의 행동계획인 인천전략의 기금운영 사무국으로 지난

2013년부터 다양한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유엔에스캅과 함께 아태지역 20개 개도국의 장애통계구축을 지원하고 있으며, 태국 방

콕에 있는 유엔에스캅 본부의 접근성 설치 운영을 돕고 있다.

또한 라오스와 인도네시아 장애인의 자립지원을 위해 직업재활사업을 추진하고, 몽골

영유아대상 장애조기발견 및 개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아태지역 개도국의 장애인정책 발전을 위한 사업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지난 8월 말에는 미얀마와 스리랑카의 장애인복지 담당공무원과 장애인 당사자 각 10

명씩 총 20명을 초청하여 역량강화 연수를 진행하였다.

이어서 10월 23일부터 11월 12일까지는 미얀마, 동티모르 등 아시아 10개국의 장애전문

가 20명을 초청, 우리나라 장애인정책과 장애인 복지현장을 소개하고 초청국의 장애인

정책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자리잡아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지난해 법정구매비율 최초 달성

지난 4월 25일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공공기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실적이

2015년 기준 4,640억 원(우선구매비율 1.02%)을 기록, 2008년 3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

선구매 특별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법정구매비율(1%)을 초과했다. 이 수치는 2014년

실적인 3,530억 원보다 31.4% 증가한 것.

이는 중증장애인생산품의 품목이 제도 시행 초기에 비해 다양하게 확대되고, 품질이 향

상돼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진 것이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제도 초기에

는 화장지, 복사지, 필기구 등 사무용품 위주였으나, 최근에는 과일 액기스 등 농산품과

공연, 호텔 메이드 등 서비스 영역까지 중증장애인생산품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우리 원은 지난 2008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운영기

관으로 지정돼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우선구매액 (억 원)

(구매비율)

(연도)

Page 8: 디딤돌 2016 12월호.pdf

1514

이룸센터, 미자립 단체를 위한

인큐베이팅 사무실 지원

출범 9년 만의 대대적인 조직개편,

장애인정책 전문기관으로서 신성장 틀 마련

우리 원은 올해 1월 지난 2008년 출범 이래 9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경영본부 단일체제에서 사업본부를 신설, 2본부 체제로 확대 개편했으며 정책연

구 기능 강화를 위해 정책연구실을 원장 직속으로 두었다.

경영본부에는 미래전략부, 경영지원부, 대외협력부, 이룸센터관리부 등 4개 부서를, 사

업본부에는 직업재활부와 우선구매지원부, 유니버설디자인환경부, 중앙장애아동·발

달장애인지원센터 등 3부 1센터를 두었다.

1월 조직개편으로 우리 원은 장애인정책전문기관으로서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장애등

급개편시범사업 등 장애인서비스전달체계개편 등 장애인정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틀을 마련했다.

우리나라 장애계의 상징건물인 이룸센터가 미자립 장애인단체 및 장

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지난 4월부터 1년간 건물 내에 인큐베이팅 사

무실을 무상으로 임대, 장애인의 자립을 응원하고 있다.

사업 1년차 입주단체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한국근육장애인협회, 한

국접근가능한관광네트워크, 한국청각장애여성회 등 총 3개 단체이다.

한편, 이룸센터는 영등포 소방서와 함께 지난 5월과 10월, 합동 소방

훈련을 실시했다.

최근 재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장애인은 재난 상황 시

가장 취약한 계층이다. 재난 상황에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살수

차를 동원, 실제 화재 상황을 상정한 실감 나고 실효성 높은 훈련으로

진행됐다.

Page 9: 디딤돌 2016 12월호.pdf

1716

훈맹정음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한글박물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 訓民正音) 한글. 세상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신비한

문자인 한글과 그 만든 이의 뜻을 기리기 위해, 우리는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정하고

매년 기념하고 있다. 여기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또 하나의 문자가 있다.

바로 훈맹정음(訓盲正音). 훈맹정음을 서울맹학교 교사였던 고(故) 송암 박두성 선생이 90년 전인

1926년 11월 4일 반포한 한글 점자 체계로 세로 3개, 가로 2개의 6점식 점자로 구성되어 있다.

장애인계는 11월 4일을 ‘점자의 날’로 지정하고 매년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1월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BF인증)을 받은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을 찾았다.

Koddi와 세상 BF기관 탐방

글ㆍ사진│대외협력부 홍보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미끄럼 방지 테이프가 부착된 계단 관목을 심어 낙상위험을 줄인 경사로

주차장 입구 곧게 뻗은 점자블록

미끄러지지 않도록 논슬립 테이프를 붙인 배수로 덮개

“국립한글박물관은 설계 때부터 BF인증을 염두에

두었습니다. 2010년 예비인증을 받은 후, 6년간의

보완작업을 마무리하고 2016년 BF인증 최우수등급

을 획득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 기획운영과 신영선 주무관은 BF인

증을 획득하기 위해 우리 원 BF인증팀과 공식적인

미팅만 3~4차례, 전화나 이메일 등 비공식적인 미팅

은 수십 차례 가졌다고 밝혔다.

“심사를 받으면서 BF요소가 박물관 외관과 잘 어

우러지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보완공사를 하다

보니 심사 기간이 길어졌습니다. 박물관 바닥 곳곳

에 보이는 검은 대리석도 실은 장애인 동선을 안내

하기 위해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디자인이 자연스

럽게 녹아들어 애초부터 의도한 것 같죠.”

박물관을 둘러보니 과연 신영선 주무관의 말처럼 BF

요소가 곳곳에 녹아있어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알아채

기 힘들었다. 박물관 옆 실개천을 가로지르는 새하

얀 다리에는 추락방지턱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었다.

비가 오는 날에 장애인이 미끄러지지 않게 붙여둔

논슬립 테이프와 관목이 심어진 박물관 진입 경사로

는 휠체어 이용자의 낙상을 방지하고 있었다.

또한, 이촌역에서부터 휠체어를 타고도 이동에 무

리가 없는 보도가 곧게 뻗어 있어 박물관에 접근하

기 좋다. 이처럼, 국립한글박물관은 서울 중심지에

있어 접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장애인에게 친

화적인 공간이기도 하다.16

Page 10: 디딤돌 2016 12월호.pdf

1918

고객지원팀 이은희 주무관은 장애인 관람객은 주

로 복지관에서 문화탐방차 단체관람으로 오는 경우

가 많다고 말했다. 문예 교육을 목적으로 방문, 도슨

트(박물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하는

안내인)와 함께 박물관을 둘러본다고 한다.

또한, 국립한글박물관을 찾는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유형이 발달장애라고 했다. 발달장애인이 방문할 경

우 알기 쉽게 풀어 쓴 리플릿을 제공하여 한글에 대

한 이해를 돕는다. 발달장애 다음으로 많이 방문하

는 유형은 지체장애라고.

“현재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따로 마련되어 있

지 않지만 방문하는 장애인의 장애 유형과 특성에

맞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인지 매월 셋째 주 일요일 아침마다 정기적으

로 찾아오시는 발달장애인분도 계십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1926년 제정된 훈맹정음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김철민 관장은 “훈맹정음을 창안한

고 송암 박두성 선생은 1963년에 돌아가셨습니다.

영애인 박정희 선생께서 고 송암 박두성 선생이 타

계하신 이후로 훈맹정음 등 자료들을 보관하시다

가 지난 2014년 우리 박물관 개관에 맞춰 기증해주

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김철민 관장은 국립한글박물관 2층에 위치

한 상설전시실에 훈맹정음이 전시되어 있으니 시간

이 날 때 한 번 방문해보라고 권유한다. 국립한글박

물관에는 고 송암 박두성 선생께서 직접 집필한 「한

글 점자 설명서 원고」, 「한글 점자의 유래 초고본 원

고」 등 훈맹정음 관련 자료와 고 송암 박두성 선생의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마천루로 둘러싸여 탁 트인 하늘을 보기 힘든 서울

시내. 그런 서울에서 온전한 하늘을 볼 수 있는 ‘국

립한글박물관’을 찾아 훈맹정음의 정취를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국립한글박물관 이용 안내

이용시간 : 매주 월요일 및 1월 1일,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지정한 날은 휴관

토요일 및 문화가 있는 날 09:00~21:00 그 외 09:00~18:00

관 람 료 : 무료

홈페이지 : www.hangeul.go.kr

문 의 : 02-2124-6200 / 02-2124-6202

한글점자 설명서 원고 정본

훈맹정음이 있는 2층 상설전시실 내부

장애인화장실

안전성 확보를 위해 설치된 추락방지턱

시각장애인을 위한 손잡이 점자표지판

음성안내기

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비상용 호출벨

시각 경보기

우리 원 BF인증 현황 (2016. 11. 30. 현재)

구분신규

(’16. 11. 1.~11. 31.) 누적

예비인증 50 748

본 인증 5 232

총 55 980

국립한글박물관 김철민 관장

모든 박물관은 비장애인뿐 아니라 장애인도 함께

관람하기에 불편함이 없어야 합니다. 우리 박물관

은 BF인증 최우수등급에 걸맞게 향후 시설물의 추

가 또는 변경 시에도 관련 규정에 적합하도록 관리,

모든 사람이 편리하게 관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어 갈 생각입니다. 또한, 개관 2년 차를 맞아 2017년

부터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한글문화 교육을 신

설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시각·청각·지적·지체

등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이 한글과 한글문화 교육

에 참여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시

설과 콘텐츠를 수정·보완하여 누구나 한글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

내년부터는 장애인 한글 문화교육도 실시

18

Page 11: 디딤돌 2016 12월호.pdf

2120

패턴 뜨고 원단 잘라 재봉틀로 직접 만들어요

“제가 파란마음복지센터 시설장으로 취임했을 땐

수의만을 생산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다양한

장례식장에 납품하면서 수익이 괜찮았지만 이내

값싼 중국산에 밀려 운영이 어려워졌습니다. 고민

끝에 과거에 의류사업을 했던 경험과 노하우를 살

려 조끼, 작업복 등 피복류 전반으로 사업을 확대

했습니다. 2015년에는 수의를 제외한 다른 피복류

도 중증장애인생산품 품목 지정을 받아 공공기관

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

는 2007년 10월 강동구청과 동안복지재단의 위탁운

영 약정 체결로 설립되었다. 이후 위탁운영법인이

우성재단으로 바뀌면서 한호택 원장이 취임한 것이

2010년. 한호택 원장은 이곳에서 10명의 장애인 근

로자와 4명의 직원과 함께 수의, 조끼, 방염작업복,

운동복, 셔츠, 티셔츠 등을 생산하고 있다.

품목에 따라 다르나, 피복의 제작 공정은 크게 세 가

지로 나눌 수 있다. 부자재 운반과 정리, 봉제, 포장

이다. 먼저, 부자재를 운반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다.

원단이 입고되면 두 명의 장애인 근로자가 이를 창

고로 옮기고 재고를 정리한다. 봉제작업에는 1명의

교사와 6명의 장애인 근로자가 참여한다. 이 과정에

서 패턴 뜨기, 원단 재단, 단추 달기, 재봉틀 돌리기

등의 작업을 거치며 의복의 모양을 잡아간다. 완성

된 옷을 장애인 근로자 2명이 받아 검수하고 정성스

레 포장하면 제작 과정이 완료된다.

한호택 원장은 찢어지기 쉬운 한지로 수의를 제작

할 때도 한지를 실로 가공하여 쉽게 찢어지지 않는

수의를 제작하는 등 품질향상에 관심이 많았다. 피

복류로 사업을 확장한 이후로도 ISO9001(ISO에서 제

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규격), ISO14001

등의 품질인증을 획득했다. 꾸준한 노력 끝에 부여

군청, 중부발전소, 국민안전처 등 다양한 공공기관

에 조끼를 납품했다고. 수의만 생산하던 2015년에

비해 매출이 20%나 성장했다고 한다.

“우리 센터는 장애인보호작업장이기도 하지만 강

동구청의 위탁을 받아 운영되는 구립 시설입니다.

강동구에 거주하고 있는 다른 장애인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길쌈, 홈패션, 원예, 배드민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작업복은 근로자가 작업하면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일하도록 돕는 옷이다.

작업 내용에 걸맞은 소재를 사용하여 착용감이 좋고 활동하기 쉽도록 품이 넉넉하게 제작되는 작업복.

이번호에서는 작업복을 비롯한 피복류를 생산하는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를 방문했다.

Koddi와 세상 행복이 머무는 일터

사진│유승현 작가

글│대외협력부 홍보팀

피복 제작에 사용되는 미싱기

작업복 등 피복류 생산하는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

20

Page 12: 디딤돌 2016 12월호.pdf

2322

강동구립 파란마음복지센터의 운영법인인 우

성재단은 2011년 일본 오사카에 위치한 지적

장애인 거주시설 지양학원과 MOU를 맺었다.

이때, 직원을 파견하여 한 달 동안 일본의 길쌈인 사

오리를 익혔다. 이후 사오리 직조기를 10대 구입, 길

쌈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길쌈 프로그램을 하며 장

애인들에게 미싱기 사용법을 알려주고 재봉에 흥미

와 소질이 있는 장애인을 발굴한다. 발굴된 장애인

은 심화학습을 통해 피복류 생산 공정으로 영입하기

도 한다.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재를 발굴, 최대한 많은 장애

인을 고용하여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라는 말을 실

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호택 원장. 하지만 그냥 일

터가 아닌,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장애

인 복지의 핵심이라고 한다.

“뭐니뭐니해도 안전이 가장 중요하잖아요? 떼돈을

벌려고 이 일을 하는 것도 아니고. 편안하고 안전

한 일자리가 진정한 복지라고 생각합니다.”

장차 피복류 생산 사업을 확대하여 더 넓은 장소로

사업장을 옮기겠다는 포부를 내비친 한호택 원장.

편안하고 안전한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그의 꿈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

길쌈 프로그램을 수강 중인 황인영 씨는 색상을 고르는 솜씨가 좋아 프로그램이 있는 날

이면 형형 색깔로 물든 원단을 곧잘 만들어 낸다. 인영 씨가 만든 원단을 홈패션 프로그

램에서 컵 받침, 손수건, 가방이나 지갑 등으로 가공하면, 강동구 암사2동 주민센터와 암

사동 유적지 내에 위치한 강동 꿈드래마켓에 가져가 판매한다. 프로그램을 하며 창의력

과 표현력을 마음껏 발산하고 한 달에 40만 원에서 50만 원 가량의 판매 수익은 보너스다. 장애인근로자가 천에 자수를 새기고 있다.

일본식 길쌈인 사오리

재단기로 재단을 하고 있다. 교사의 지도에 따라 옷본을 뜨고 있다.

Page 13: 디딤돌 2016 12월호.pdf

2524

최근 장애인의 욕구는 생존권에서 사회권으로 이동하고 있다. 자신이 속한 사회에 소속감을 느끼고

사회의 일부라고 인식하는 것은 사회적인 동물이라고 불리는 인간으로서 본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장애인에게 지역사회의 특색에 맞는 직무를 개발하여 일자리를 제공,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보람을 심어주는 사업을 소개한다.

Koddi와 공감 기분 좋은 만남

“자전거 씻어주면더 오래 탈 수 있어요”

서영완 씨(남, 지적장애)는 매일 아침 경남 창원시 진

해구 진해장애인복지관에서 함께 근무하는 5명의 동

료와 10대 가량의 자전거를 세척한다. 창원경륜공단

에서 자전거를 받아서 세척장으로 옮기고 오염물을

제거하며 주 14시간, 월 56시간 근무를 한다.

“전에는 부품공장에서 부품 조립하는 일을 했어요.

2014년 8월에는 운천동 주민센터에서 행정도우미

일을 하기도 했구요. 지금 하는 일은 9월 5일부터

했는데, 여기에는 형도 있고 동생도 있어서 일할

때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좋아요.”

진해장애인복지관이 위치한 창원시는 전국 최초로

공공자전거 '누비자'를 도입, 창원시 전역에 자전거

3,900여 대를 운영 중이다. 누비자는 ‘누비다’와 ‘자

전거’를 합성한 말로, 주로 등·하교와 출·퇴근용으로

이용된다. 누비자는 연간 600만 회의 대여횟수를 기

록, 한 대당 연간 2만회 가량 대여된다. 거리로 환산

하면 한 대가 일 년간 약 10,000km를 달리는 셈. 빈번

하게 사용되다 보니 꼼꼼한 관리는 필수다.

영완 씨가 하는 일은 우리 원이 지난 8월부터 시작

한 ‘지역맞춤형 신규일자리 개발사업(공모형)’에 따

른 것이다. 이 사업은 지역 맞춤 일자리를 개발하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 차원의 장애인 고용

사업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 일자리 정보체계를 목

적으로 한다.

현장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진해장애인복지관 최동

환 직업재활사는 “장애인도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우리 진해장애인

복지관이 위치한 창원시는 공공자전거 사업을 운

영, 창원시민에게 단거리 교통수단을 제공하고 있

습니다. 이러한 지역적 특색을 살려 공공자전거 세

척 직무를 개발, 일자리 참여자들이 지역사회 구성

원으로서 역할을 맡아 자긍심을 갖게 하고 싶었습

니다.”라고 직무를 개발하게 된 동기를 밝혔다.

직무를 처음 개발했을 당시에는 공공자전거 세척 직

무가 생소하여 창원시와 창원경륜공단과 협의에 어

려움이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창원경륜공단과 협약

을 맺고 우리 원의 장애청소년 직업재활지원사업에

배정받았다. 2015년 상ㆍ하반기에 청소년 전환교육

으로 자전거 세척 업무를 실습하며 공공자전거 세척

직무매뉴얼을 만들었다. 이런 노력을 창원시와 창원

경륜공단 등으로부터 인정받아 지금까지 진행하고

있다. 창원경륜공단 배송정비파트 이현우 차장은 자

전거 세척을 하고 안 하고의 차이에 따라 자전거 수

명이 달라진다며 매우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첫 월급으로 은행에 적금을 넣었어요. 한 달에 10만

원씩. 열심히 돈 벌어서 높은 층에 있는 집도 사고

장가도 가고 싶어요.”

지난 11월 4개월간의 사업을 종료한 지역맞춤형 신

규일자리 개발사업(공모형). 영완 씨는 내년에 장애

인일자리사업 복지일자리(참여형)로 전환되어 공공

자전거 세척 업무를 계속할 예정이다. 부디 공공자

전거 세척 직무가 지역에 뿌리내려 땀 흘려 번 돈으

로 가정을 이루고 싶다는 영완 씨의 꿈이 이루어지

길 바란다.

글ㆍ사진│대외협력부 홍보팀

장애인일자리사업 복지일자리(참여형) :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장애유형별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 보급하여 직업생활 및 사회참여 경험을 제공하는 사업

Page 14: 디딤돌 2016 12월호.pdf

2726

“ 장애인 직업재활, 편리한 전산 시스템으로 지원하겠습니다”

Koddi와 공감 코디 패밀리 우리 원은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을 지난 2007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은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지원하여 자립기반을 마련하고

사회참여를 독려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사회에 직업재활사업수행기관을 지정하고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지원한다.

우리 원은 지난 2014년부터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맞춰 수기로 진행되던 사업을 전산화,

중증장애인직업재활 통합관리 시스템(http://vr.koddi.or.kr)을 구축ㆍ운영하고 있다.

“대학에서 전산을 전공했습니다. 그 이후로 전공

을 살려 SI(System Integration, 회사가 필요로 하

는 정보시스템에 관한 기획에서부터 개발, 구축,

운영까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개발 4년,

금융사에서 프로젝트 관리 및 개발 업무로 12년

등 도합 17년 동안 전산관련 분야에서 일하며 경

력을 쌓아왔습니다.”

우리 원 미래전략부 전산팀 이상훈 대리는 중증장애

인직업재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업무를

맡고 있다. 또한, 최근 포털사이트, 쇼핑몰에서 잇따

라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강화된 정보관리

와 보안을 유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

출 방지 및 이력강화, 보안 솔루션 도입, 시스템 보안

성 검토 등이다. 최근 이상훈 대리는 2014년부터 올

해까지 진행된 중증장애인직업재활 통합관리 시스

템 3단계 구축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있다.

“중증장애인직업재활 통합관리 시스템 3단계 구

축 기간 동안 지원고용, 직업적응훈련, 직업능력

개발훈련 등 훈련과정과 통계, 평가도구를 구축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직업재활 실적을 분기별로 취합

하고 있단다. 전산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

어 아직 일부분은 수기로 진행하고 있다. 내년부터

는 이미 구축된 시스템의 보완과 기능 안정화를 꾀

함과 동시에 모든 중증장애인직업재활 프로세스를

전산화하는 중증장애인직업재활 전산화 구축을 계

획하고 있다.

“이전 직장에서는 일이 많아도 수영을 하면서 스

트레스를 해소했었는데, 우리 원에 와서는 일이

바빠 미처 다니지 못했습니다. 긍정적인 마인드

를 가지고 업무에 임하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

려고 합니다. 그래도 안 될 때는 아이들 학교에서

조직한 학부모 모임에서 여행을 다니며 스트레

스를 풀고 있습니다. 가끔 실내 수영장에 가는데,

아이들도 좋아하고 저도 스트레스가 풀리는 느낌

이라 좋습니다.”

2015년에 입사하자마자 중증장애인직업재활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프로젝트를

관리, 기획하며 다사다난한 한해를 보내고 있는 이

상훈 대리. 우리 원에 온 이후로 본인의 전산 경력이

장애인의 더 나은 삶에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

이 생겼다고.

“개선이 되었으면 하는 점이라고 하기 보다는 추

가로 서비스했으면 하는 점이 있습니다. 아무래

도 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서 당사자 외에도 부

모의 역할이 적지 않은데 우리 시스템 상으로는

부모까지 나타나지는 않죠. 앞으로 시스템 상에

서 장애인 당사자의 부모와 연계된 서비스를 지

원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17년차 ‘진성 전산쟁이’ 이상훈 대리. 앞으로 우리

원에서 보여줄 활약이 기대된다.

글ㆍ사진│대외협력부 홍보팀

26

Page 15: 디딤돌 2016 12월호.pdf

2928

정보기술자격 및 역량교육은 무엇인가요?

정보기술자격 및 역량교육은 2013년에 시작되었습

니다.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일정기

간 전산교육을 통해 한국생산성본부에서 발급하는

국가공인 정보기술자격(ITQ)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교육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2013년 51명, 2014년 105명, 2015년

50명의 참여자가 ITQ(엑셀)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전산 교육에 참여하는 경우 일반형일자리 참여자는

교육시간을 공가로 인정받습니다. 또한, 수행기관

에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사업운영비 및 KT-IT 서

포터즈 교육 강사가 지원됩니다.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 중 일반형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참여 중인 분을 대상으

로 합니다. 일반형일자리사업 참여자는 주로 공공

및 복지행정 업무지원, 장애인일자리사업 업무 전

담지원 등 컴퓨터를 활용하는 업무를 많이 수행하

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분야의 역량 강화

가 필요하므로 일반형일자리사업 경험자 혹은 현

재 참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합니다.

장애인일자리사업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

담당자 직업재활부 일자리개발팀 이혜진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을 받고 싶으면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거주하고 계신 지역의 수행기관에 교육 참여 신청서

를 접수해주시면 됩니다. 참여 신청자 중 참여 인원

이 초과될 경우 교육대상 선발기준을 통해 선발하게

됩니다. 교육대상 선발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교육 수행기관의 역할은 무엇이며 수행기관 선발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은 사업수행기관 15

개소, 참여 장애인 15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교육 수행기관은 정보화교육장을 갖춘 장애인복지

관, 장애인단체, 직업재활서비스 기관으로 1개소당

일반형일자리사업 참여자 10명 내외로 ITQ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정을 운영해야 합니다. 또한, 각 시·

도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 50명을 모집하여 취

업 전 기술,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안내 등을 교육하

는 직무역량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합니다.

수행기관 공모는 공고 및 접수를 통해 기관 접수를

받고 서류심사를 통해 선발이 이루어졌습니다. 총 2

회에 걸친 공모를 통해 현재 13개 시ㆍ도에서 15개

수행기관이 선정,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 2016년 교육 수행 기관 ]

연 번 지 역 기관명

1 부산광역시 금정구장애인복지관

2 대전광역시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동구지회)

3 광주광역시 동구장애인복지관

4 대구광역시 대구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5 세종특별시 세종시장애인복지관

6 경기도 고양시장애인복지관

7 경기도 고양시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8 경기도 남양주시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9 충청북도충청북도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청주)

10 충청남도충청남도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천안)

11 경상남도 진해시장애인복지관

12 서울특별시 영등포장애인복지관

13 경상북도 포항시장애인복지관

14 전라북도 전라북도립장애인복지관

15 전라남도 명도복지관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대상 선발기준

• 1순위 : 현재 장애인일자리사업 일반형일자리 2년 연속

참여자 중 2015년 전산 교육 미참여자

• 2순위 : 장애인일자리사업 일반형일자리 참여자 중 신청 순

• 3순위 : 장애인일자리사업 일반형일자리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자 등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시작된

장애인일자리사업. 이번 호에서 다룰 정보기술자격

및 직업역량교육은 장애인일자리사업 유형 중

일반형일자리사업 대상자에게 정보기술 교육을 실시,

민간 고용시장에서 장애인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문의 : 02-3433-0784

Page 16: 디딤돌 2016 12월호.pdf

3130

카페 ‘I got everything’ 제3호 천안시시설관리공단점 개소

우리 원의 중증장애인 채용 카페 ‘I got everything(아이

갓에브리씽)’ 제3호점이 천안시시설관리공단 한들문

화센터 1층에 문을 열었다.

카페 ‘I got everything’ 제3호 천안시시설관리공단점 개

소식은 11월 18일 오후 2시에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우리 원 황화성 원장, 김동규 천안시시설관리공단 이

사장, 구본영 천안시장, 임승안 나사렛대학교 총장 등

관계기관 대표, 천안지역 장애인단체 및 장애인당사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천안시시설관리공단점 개소와 관련하여 우리 원은 카

페 내 인테리어 및 시설 설치비 지원, 카페 위탁운영 기

관 선정, 사후관리 및 모니터링 등 카페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을 지원하며 천안시시설관리공단은 한

들문화센터 1층 로비에 카페 공간 49.5㎡(약 15평)을 제

공했다.

이 카페는 나사렛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위탁운영하며

이곳에는 발달장애인 2명이 바리스타로 채용되었다.

이곳 카페에서 일하게 된 박민진 씨(여, 지적장애)는 커

피전문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바리스타 자격증

을 가지고 있다. 박민진 씨는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

지,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하루 4시간씩 교대로

주5일 근무하게 된다.

코디단신

초시청 소속 행정도우미), 복지일자리사업 참여자 박

봉근 씨(78, 지체장애, 경남 양산시청), 시각장애인안마

사파견사업 참여자 정세윤 씨(58, 시각장애, 경기 대한

안마사협회)가 최우수참여자로 선정됐다.

이외에 일반형일자리사업 참여자 송영혜 씨(28, 지체장

애, 경기 양평군청), 김보미 씨(39, 정신장애, 서울 양천

구청), 복지일자리사업 참여자 이효건 씨(44, 정신장애,

경기 군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안성진 씨(21, 자폐장

애, 경기 안산시 명혜학교), 우숭명 씨(29, 지적장애, 대

전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시각장애인안마사파견

사업 참여자 김병휘 씨(48, 시각장애, 경기도시각장애

인연합회),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보조일자리사업 참

여자 이아영 씨(21, 지적장애, 광주 엠마우스복지관) 등

우수참여자에게는 한국장애인개발원장상이 수여됐다.

이외에 장애인일자리사업 우수일자리에는 서울 은평

구청, 대전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충남 천안시장애

인체육회, 전남 해남군장애인종합복지관, 경남 양산시

청, 충남 당진시청, 부산 기장장애인복지관, 전남 순천

시장애인보호작업장 등 9곳이 선정됐다.

유공자 및 우수참여자 시상에 이어 우리 원 최한나 일

자리개발팀장이 ‘장애인일자리 전문관리체계’를 소개

하고 보건복지부 임동민 장애인자립기반과 사무관이

‘2017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정책방향 및 주요변경사항’

을 안내하고 이어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한편, 우리 원은 12월 중 2016년 장애인일자리사업 우

수일자리 및 우수참여자 사례 24건을 모아 책자를 발

간,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지자체 등으로 배포할 예

정이다.

2016 장애인일자리사업 유공자 및 우수참여자 시상

우리 원과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지자

체 담당공무원과 수행기관 담당자 400여 명을 초청, 올

해 사업을 수행하며 우수한 성과를 보여준 기관 및 참

여자를 선정해 시상하고 내년도 사업 방향을 안내하는

행사를 가졌다.

11월 17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 12동(산업통상자원

부) 대강당에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보건복지부 방

석배 장애인자립기반과장과 우리 원 황화성 원장 등이

참석, 각각 지자체 및 민간수행기관 사업담당자 17명

과 장애인일자리사업 최우수참여자 4명에게 보건복지

부장관상을, 우수참여자 9명에게 한국장애인개발원장

상을 시상했다.

2016년 장애인일자리사업은 전국 지자체 251곳, 민간

기관 305곳에서 진행됐다. 이 가운데 장애인일자리사

업 유공자표창에 선정된 이는 부산광역시 진구청 허

영란 지방사회복지주사보 등 지자체 담당자 11명, 광

주세광학교 서성연 교사 등 민간기관 담당자 6명 등 총

17명이다.

장애인일자리사업 최우수참여자로 선정된 발달장애

인요양보호사보조일자리사업 참여자 박보름 씨(23, 지

적장애, 인천 송림종합사회복지관)는 요양보호사 자격

증을 취득, 요양원 정직원으로 취업했다. 이외에 일반

형일자리사업 참여자 이권영 씨(63, 지체장애, 강원 속

한편, 우리 원의 카페 ‘I got everything’은 지난달 정부세

종청사, 인천광역시청에 1호점과 2호점을 개소한 데

이어 강원 속초시청, 대구 달서구청, 제주도청, 전북도

청 등이 카페 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우리 원, 장애인식개선교육 강화

우리 원은 지난 8월 「장애인복지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이 개정, 장애인식개선교육 의무 대상이 공공기관 등으

로까지 확대되고 1년 1회 이상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에

따라, 전 직원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첫 장애인식개선교육으로, 지난 11월 7일 이룸센

터에서 강완식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정책실장을 초

청, ‘시각장애인 대응 에티켓’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에서는 시각장애인과의 인사, 대화, 식사 에

티켓, 시각장애인의 교통수단, 숙박시설, 공공시설, 관

공서 이용 시 안내하는 방법, 위험한 물건을 건네줄 때

의 에티켓 등 시각장애인의 장애특성을 이해하고 대하

는 방법이 소개됐다.

우리 원은 기존 비정기적으로 시행되던 장애전문가 초

청 직원 소양교육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정기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장애유형별 대

응 에티켓과 관련한 내용은 인포그래픽으로도 제작, 직

원들에게 배포하고 대국민 인식개선 자료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Page 17: 디딤돌 2016 12월호.pdf

3332

우리 원 지역 소식

부산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국립부경대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우리 원 부산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국립부경

대학교와 발달장애인에 대한 전문지식과 평생교육 관

련한 전문인력 및 교육프로그램 등 인프라 등을 공유

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11월 11일 체결했다.

우리 원 황화성 원장과 국립부경대학교 김영섭 총장은

부산시 남구 용소로 국립부경대학교 대학본부 2층 소

회의실에서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서 협약증서를 교환

했다.

부산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와 국립부경대학교는

국내 평생교육원에서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지

난 9월 24일부터 11월 12일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의사

소통기술 교육’ 및 ‘취업 전 준비교육’ 두 강좌를 진행

했다. 지난 11월 8일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부모간담회

에서 강좌 기간 연장이 요청, 내년 2월까지 각 강좌당

12회기가 추가 진행된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우리 원과 국립부경대학교는 올해

에 이어 내년에도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심리지

원서비스, 신체기능향상, 정서지원 등과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 정기 – 비정기 강좌를 개설-운영할

예정이다.

대구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대구 지역 5개 의료기관과 업무협약

발달장애 판정으로 물리적 심리적 의료지원이 필요한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 학대 등으로 보호가 필요한 발

달장애인을 위해, 우리 원 대구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

센터와 경북대학교병원 등 대구 지역 5개 대형 의료기

관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협약을 체결한 의료기관은 경북대학교병원, 칠곡

경북대학교병원, 대구의료원, 대구파티마병원, 영남대

학교병원 등으로 병원 내 소아청소년과 및 신경정신계를

통해 장애진단 및 재진단이 활성화되어 있는 곳이다.

대구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는 11월 7일 경북대학

교병원,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의 업무협약을 시작으

로, 11월 8일 대구의료원에 이어 11월 9일에는 대구파

티마병원, 영남대학교병원과 각각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5개 의료기관으로부터 발달장애 판

정을 받은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은 대구광역시

발달장애인지원센터로 서비스 연계되어 심리적·정서적

지원을 받는 것은 물론 발달장애인 당사자는 개인별 상

황에 맞는 생애주기별 복지서비스를 지원받게 된다.

또한, 5개 의료기관에서 발달장애인 대상 학대 및 피해

사례가 발견될 경우 대구 지역 경찰서 및 대구광역시

발달장애인지원센터로 신고해야 하며 이를 통해 법적

인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학대

및 피해 당사자인 발달장애인은 의료 지원이 필요한

경우 치료를 받거나 입원 등의 도움을 받게 된다.

이외에도 협약기관은 취약계층의 건강권 수호 지원사

업(301네트워크)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보건 의료 복지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광주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센터,광주복지재단과 MOU 체결

우리 원과 광주복지재단이 발달장애인 지원사업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우리 원 황화성 원장과 장현 광주복지재단 대표이사는

11월 18일 이룸센터 5층 우리 원 원장실에서 진행된 업

무협약식에서 협약증서를 교환했다.

우리 원은 위탁운영 중인 광주광역시발달장애인지원

센터를 통해 광주 지역 발달장애인의 개인별지원계획

수립 및 권익옹호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광주복지재단은 장애인지원단을 운영, 장애인 관련한

실태조사, 정보구축, 자립생활 모델 개발 및 환경구축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정책개발팀에서는 복지정책

에 관한 조사연구 및 정책개발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우리 원과 광주복지재단은 발달장

애인 관련 조사연구와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협력한

다. 이외에 우리 원의 장애인 일자리사업, 유니버설디

자인환경구축사업 등과 관련해 정보를 공유하고 장애

인 정책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중앙장애아동ㆍ발달장애인지원센터,「반갑다, 장애인정책」 발간

우리 원 중앙장애아동ㆍ발달장애인지원센터는 11월

21일 「발달장애인의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하 ‘발달장애인법’)」 시행 1주년을 맞아 발달장애인 눈

높이에 맞춰 장애인정책을 설명한 도서 「반갑다, 장애

인정책」 을 발간했다.

이 책은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6개월에 걸쳐 제작되

었으며 보건복지부의 복지가이드북 ‘나에게 힘이 되는

복지서비스’의 장애인 서비스 항목 ‘장애로 인해 생활

이 불편할 때’, ‘장애인이 교육의 기회를 원할 때’ 등 10

가지 영역의 66개 서비스 가운데 ‘장애인연금’, ‘중증장

애인 직업재활지원’ 등 발달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서

비스 51개를 선별, 발달장애인이 이해하기 쉬운 텍스

트와 삽화로 정리한 내용을 92페이지 분량에 담았다.

또한 우리 원 중앙장애아동ㆍ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발달장애인 자문위원단 ‘아이엠(I am)’ 정기모임에서

이 책의 초안에 담긴 표현들을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이해하기 쉬운 표현으로 바꾸는 작업을 여러 차례 진

행했다.

「반갑다, 장애인정책」은 12월 중 애니메이션, 내레이

션, 자막을 넣은 10분 분량의 영상버전으로도 제작되

며 이 책의 도서 전문과 영상버전은 우리 원 홈페이지

(www.koddi.or.kr)와 우리 원 중앙장애아동ㆍ발달장애

인지원센터 홈페이지(www.broso.or.kr) 등에서도 공개

할 예정이다.

Page 18: 디딤돌 2016 12월호.pdf

3534

보건복지부, 2017년 장기요양 급여비용 추가 인상안 결정

보건복지부는 11월 29일 제7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2017년 장기요양 급여비용 추가 인상안을 결정했다.

내년 노인요양시설과 주야간보호센터 등에서 받는 장

기요양 서비스 가격(수가)이 평균 4.08% 인상, 노인요

양시설 1등급의 경우 1일 5만 9,330원이 적용된다. 이

는 지난 7월에 결정한 내년 수가 인상률(3.86%)에 촉탁

의 제도개선, 장기요양기관 필수 인력배치 기준 개선

에 필요한 수가 0.22%를 추가로 반영한 결과다.

또한, 시설 입소자의 안전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

야간에 반드시 1명 이상이 근무하도록 의무화됨에 따

라 야간 근무인력에 대한 비용(1인당 약 50만 원)을 추

가로 지급하기로 했다.

이번 장기요양보험 수가 추가 조정은 촉탁의사 활동비

지급방식이 지난 9월에 개선됨에 따라, 시설의 기존 수

가에 포함된 촉탁의 인건비에 해당하는 비용(약 196만

원)을 수가에서 제외하고, 제도의 안정적 정착과 기 채

용된 종사자의 고용유지 및 신규 인력채용에 따른 기

관의 비용부담 등을 고려해 인력채용 지원금을 수가에

추가로 반영한 결과다.

이로써 내년도 장기요양기관별 수가는 시설은 4.02%,

주야간보호는 8.9%, 단기보호는 7.4%가 인상되어 전

체 평균으로는 4.08%가 인상될 예정이다.

서울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발달장애인 가족 사정을 위한 실무도움서’ 발간

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는 복

지관 등에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발달장애인

가족 사정을 위한 실무도움서’를 발간한다고 11월 22

일 밝혔다.

실무도움서는 사회복지사가 발달장애인 가족

과 상담하고, 관계를 맺고, 자원을 연계하는 등

의 전문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실무적 도움을 주

기 위해 제작됐다. 또한,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에 적합

한 사정을 위해 풍부한 사례와 방법 등을 수록했다.

실무도움서는 발달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정, 아동기

가족 사정, 초기성인기 가족 사정, 장ㆍ노년기 가족 사

정 등으로 나누어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을 할 수 있

도록 구성됐다.

실무도움서는 서울시내 재활의료기관과 장애인복지

관, 교육청 산하 특수교육지원센터(11개소) 등을 통해

서 배포되며, 서울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dfscenter.welfare.seoul.kr)에서 PDF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다.

서울연구원, ‘서울시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지원방안’ 보고서 발간

서울연구원은 11월 13일 ‘서울시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지

원방안’ 보고서에서 해외 사례 등을 조사하여 발표했다.

서울시에 등록된 40만여 명의 장애인 중 여성장애인은

16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이중 경제활동을 하는 비율은

21%(약 1만 명)으로, 여성장애인에게 적합한 일자리가

부족하고 장애인에 대한 회사의 부정적인 인식으로

취업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연구원은 국내ㆍ외 사례를 조사하고 자문회의를

통해 여성장애인이 진출할 수 있는 직업군을 제시했다.

먼저, 가벼운 장애를 앓는 여성장애인에게는 반려동물

사업이나 제과ㆍ제빵, 피부관리, 바리스타, 농작물

재배ㆍ판매 등에 진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밝혔다.

지체ㆍ내부장애는 바느질 등 부업, 반려동물 사업,

사무직원, 콜센터, 쇼핑몰 운영, 동영상 제작 등이

어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증ㆍ최중증 여성장애인은 현재 운영 중인 보호

작업장에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이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장애계 단신

발달장애인법ㆍ장애아지원법 개정안 국회 통과

지난 11월 17일 ‘제346회 국회 제13차 본회의’에서 「발

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 과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개정안」 이 가결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소병훈 의원 등 13명이 발의한 「발

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지

방자치단체장이 법원에 성년후견인 선임청구 시 법인

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행법은 성인 발달장애인이 성년후견인을 선임하기

어려울 경우 지자체장이 당사자와 가족을 대신해서 후

견심판청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성년후견인으로 법

인이 아닌 자연인만을 명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후견하던 개인이 사정으로 인해

후견을 하지 못했을 때 공백이 생기는 등 지속성 보장

이 어려웠다. 또한, 개인이 후견할 경우 후견업무 노하

우 축적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문분야 또는 복잡한

사무를 후견해야 할 경우 개인 후견인이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정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법인을 통한 공공후견사

업을 실시하려고 했으나 현행법상 법률적 근거가 없

었다. 이번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해 성년후견인으로서 법인을 지정할 수

있도록 법률적 근거를 만들고자 했다.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개정안」 은 국민의당 소속 김광

수 의원 등 10명이 발의했다.

기존의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은 일반 행위의 불법성

에 비해 벌금 정도가 과소해 형사정책 목적을 달성하

기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국민권익위원회

의 권고안과 국회사무처 법제예규 기준인 징역 1년당

1,000만 원으로 개정, 벌금을 현실화했다.

또한,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개정안」 은 부정한 방법으

로 복지지원을 받는 자를 제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복지지원 제공기관의 설치와 운영에 대한 보조

금을 부정한 방법으로 수령하거나 유용한 자에게 징역

3년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했다.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복지지원을 받거나

다른 사람이 받게 한 자, 복지지원 이용권을 부정하게

사용한 자 등에게는 징역 1년 또는 벌금 1,000만 원 이

하를 부과하도록 했다.

한편, 발달장애인법 개정안은 공포한 날로부터 6개월 후,

장애아동지원법 개정안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된다.

‘장애연금ㆍ수당 압류방지’ 수급계좌 지정 가능

수급자가 원하는 경우 수급자 명의의 지정된 계좌로

장애인 연금과 장애수당을 입금하는 내용을 담은 「장

애인연금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과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11월 15일 국무회의에서 의

결됐다.

개정안은 수급자가 은행에서 압류방지 통장을 개설해 입

금 신청서에 예금통장 사본을 첨부하면 해당 계좌로 연

금과 수당 등이 입금, 채권자가 압류할 수 없도록 했다.

압류방지 통장 개설과 수급계좌 지정은 기초생활보장

제도, 긴급복지제도, 한 부모 지원 제도에서 이미 시행

중이다.

또한, 장애인 연금ㆍ장애 수당 수급계좌가 개설된 금융

기관이 폐업ㆍ업무정지 등으로 정상영업을 하지 않는

경우 연금과 수당을 현금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Page 19: 디딤돌 2016 12월호.pdf

3736

장애계 해외뉴스

푸쉬킨 박물관

(Pushkin Museum of Fine Arts)‘보이지 않는 것을 보다(To Visualize the Invisible)’라는 주제로 전시회 개최

지난 11월 13일 모스크바의 푸쉬킨 박물관(Pushkin

Museum of Fine Arts)은 러시아의 대형 국영 은행 스베

르방크(Sberbank)와 협력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해 ‘보이

지 않는 것을 보다(To Visualize the Invisible)’라는 주제로

서유럽의 6가지 작품을 촉각 모형으로 재표현한 전시

회를 개최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다(To Visualize the Invisible) 전시 포스터 ⓒ http://www.arts-museum.ru

전시회는 1784년 세계 최초로 14명의 시각장애인을 위

해 맹학교를 설립한 발랑탱 아우이(Valentin Hauy)의 생

일에 맞춰 시작되었으며 2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품으로는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의 수

태고지(Annunciation), 루카스 크라나흐(Lucas Cranach

the Elder)의 성모마리아와 아기 예수(The Virgin with

Baby Jesus), 장 밥티스트 시메옹 샤르댕(Jean-Baptiste

Simeon Chardin)의 예술의 속성과 함께 하는 삶(The Still

Life with Attributes of Art) 이외의 3개의 작품이 있다.

전문가들은 그림의 모형을 위해 볼록판 인쇄를 사용함

과 동시에 최대한 그림이 재창조될 수 있는 직물을 선

택했다. 전시회 방문객들은 특별한 색안경을 착용함으

로써 새로운 경험과 시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푸쉬킨 박물관(Pushkin Museum of Fine Arts)은 장애인

을 위해 ‘접근 가능한 박물관(The Accessible Museum)’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시각장애인들에게 투어

와 강연을 제공하는 ‘푸쉬킨의 금요일(Fridays in the

Pushkin)’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들에게 비디

오 강연을 제공하며 이는 박물관 웹사이트(http://www.

arts-museum.ru)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문 : http://globalaccessibilitynews.com/2016/11/13/moscow-museum-holding-arts-exhibition-for-people-with-vision-disabilities/

아부다비이슬라믹뱅크(ADIB)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활성화 ATM 기기 출시

아부다비이슬라믹뱅크(Abu Dhabi Islamic Bank)는 아

랍에미리트(UAE) 은행 최초로 은행의 디지털 혁신 전

략에 기반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쉽고 안전한 은행 업

무 수행을 하도록 미국 NCR 기업과 협력, 음성 활성화

ATM 기기를 출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NCR 상무이사 웨일 알 아와르(Wael

Al Aawar)는 “음성 활성화 ATM 기기는 ‘모두를 위한 접

근(Access for All)’을 기준으로 디자인되어 시각장애인

이 도움 없이도 안전하게 인출, 송금, 지불 등과 같은

은행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접근 가능한 키패드, 음

성 안내 기술, 점자 기술, 다언어 수용 기술 등으로 구

성되어 있다.”라고 말했다.

음성 활성화 ATM기기 ⓒ http://globalaccessibilitynews.com

전자결제, 환전, 자선 기부를 포함한 은행 업무의 대략

98%는 ATM 기기를 통해 수행되고 있으며 아부다비이

슬라믹뱅크(ADIB)는 국내 관련 부처(General Directorate

of Residency and Foreigners Affairs)와 협력하여 지역 최

초로 생체인증 ATM 기기도 도입했다.

아부다비이슬라믹뱅크(Abu Dhabi Islamic Bank, ADIB)의

사장인 필립 킹(Philip King)은 “시각장애인의 더 나은 욕

구를 충족하기 위한 노력으로 NCR 기업과 파트너 관계

를 맺고 장애인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의 서비

스접근을 보장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원문 : http://globalaccessibilitynews.com/2016/11/14/adib-to-launch-talking-atms-for-people-with-vision-disabilities/

아일랜드 장애 연방

(Disability Federation of Ireland)보조공학 관련 제안서 제작

아일랜드 장애 연방(Disability Federation of Ireland)은 비

영리 조직 인에이블 아일랜드(Enable Ireland)와 공동으

로 정부, 정책 입안자, 서비스 제공자들을 위해 7가지

권고사항이 담긴 보조공학 관련 제안서를 제작, 장애

인들이 욕구를 충족하고 최신 보조기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했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보조 공학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lder People) 제안서 표지 ⓒ http://globalaccessibilitynews.com

7가지 권고사항은 인터뷰, 사례연구, 이해관계자들의

토론, 사용자들의 설문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장애인의 보조 공학 접근을 지지하기 위한 정부정책서 발간

• 보조 공학 여권 도입

• 자원 체계 지원을 전담으로 하는 중앙정부 조직

• 보조기구에 대한 최신 정보와 지원 제공

• 자금 프로토콜 개발

• 서비스 제공 개발

• 보조 공학 사용자, 전문가 사이의 수용성 증가와 조사,

혁신을 위한 투자

아일랜드 장애 연방(DFI)의 사장인 세네터 존 돌란

(Senator John Dolan)은 “장애인과 노인이 사용하는 보조

기구는 이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동하며 인권을 누

릴 수 있게 합니다. 현재 보조공학에 대한 서비스 조항

은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하기에 부족하므로 우리는

이 제안서가 미래의 종합적인 보조 공학 서비스를 지원

하기 위한 행동의 시작이길 희망합니다.”라고 말했다.

인에이블 아일랜드(Enable Ireland)의 사장 피누알라 오

도노반(Fionnuala O’Donovan)은 “보조 공학 여권은 기술

과 교육지원의 조항으로부터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

축하기 위한 기초입니다. 잠재력은 보조 공학이 필요한

사람들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그 결과, 장애인들은

삶에서 더 큰 자율성을 경험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보조 공학(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lder People) 제안서는

www.disability-federation.ie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문 : http://globalaccessibilitynews.com/2016/11/15/enable-ireland-and-disability-federation-ireland-launch-discussion-paper-on-the-future-of-assistive-technology/

Page 20: 디딤돌 2016 12월호.pdf

3938

ww

w.koddi.or.kr

한국장애인개발원사외보

편집실

통신

올해 안에 전국 17개 시ㆍ도 모두에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들어서게 됩니다.

대한민국 곳곳에 들어선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에게 개인별지원계획을 수립하고

범죄 발생 시 권익옹호 업무를 수행합니다.

부디,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로 인하여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빈틈없는 복지를 누릴 수 있길 바랍니다.

각 시ㆍ도별로 속속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설치되고 있습니다.

피복류

코디의 꿈드래

피복류 생산시설

• 홍천군장애인근로작업장 033-432-9662• 죽전직업재활원 041-555-5440• 나눔터 055-286-3233• 춘강장애인근로센터 064-702-7851• 해동일터 031-501-3830• 강동구립 파란마음 복지센터 02-487-4548

• 구리시장애인근로복지센터 031-565-6520• 한국척수장애인협회 피복사업소 02-2209-6651•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 공동사업본부 063-275-0089• 번동코이노니아장애인보호작업시설 02-985-3609• 한국장애인중심기업협회 피복사업본부 02-980-8401• 연광실업 042-582-2254

• 용산구립장애인보호작업장 02-711-7882• 한국농아인협회 중앙사업본부 피복사업소 051-204-3702• 한국장애인정보화협회 섬유복지사업단 055-542-7665• 한국신체장애인복지회 봉제사업부 051-363-9392• 빛가람장애인시설 070-4601-2421• 자혜직업재활센터 031-298-6813• 한국척수장애인협회 대전피복사업소 042-273-9961

www.goods.go.kr

움츠러드는 근육과 인대로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겨울.

편안하고 안전하게 활동하도록 돕는

꿈드래 피복류를 소개합니다.

꿈드래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받은 중증장애인생산품의 통합브랜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