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책 책책

책쓰기 20100626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책쓰기 20100626

책 쓰기

Page 2: 책쓰기 20100626

1. 주제와 목차 정하기

Page 3: 책쓰기 20100626

주제 정하기어떤 주제로 책을 쓸 것인지 정하기 .

내가 자신 있고 잘 할 수 있는 주제 선정 .

영역을 세분화하면 부담이 줄어듦 .

Page 4: 책쓰기 20100626

목차 정하기개괄적인 목차를 거칠게라도 구성합니다 .

흐름을 잡는 것입니다 .

추후 자료를 취합하면서 수정하기 위한 초안으로써 사용합니다 .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알기 위해 씁니다 .

Page 5: 책쓰기 20100626
Page 6: 책쓰기 20100626

2. 책 쓰기 준비

Page 7: 책쓰기 20100626

관련 도서 읽기첫째 , 도서관에서 관련 도서 훑어 보기 .

둘째 , 연관된 개념과 책을 발견하기 .

셋째 , 꼬리를 물으면서 폭 넓게 읽기 . 섭렵

넷째 , 주제를 관통하는 맥락을 찾기 . 맥락

Page 8: 책쓰기 20100626

관련 도서 읽기두 종류의 책 확보하기

첫째 , 큰 그림과 흐름을 주는 Key Book전반적인 체계를 파악하는데 도움

둘째 , 세부 내용과 방법을 주는 실용 도서활용하면 좋겠다 싶은 내용을 확보

Page 9: 책쓰기 20100626

관련 도서 읽기Key Book 을 활용하는 방법

반드시 사서 몇 번이고 읽어서 내 것으로 이해하기 .

저자를 만나서 책에 담겨있지 않은 맥락을 배우고 조언 듣기 .

Page 11: 책쓰기 20100626

관련 도서 읽기실용 도서를 활용하는 방법

책 읽으면서 자신의 언어로 책에 메모하기 .

메모한 내용을 디지털화하기 . 메모장 , SMS 및 트위터 등

Page 12: 책쓰기 20100626
Page 13: 책쓰기 20100626
Page 14: 책쓰기 20100626

관련 도서 읽기Key Book 으로 맥락을 잡고 ,행간을 실용으로 풍성히 채우기 .

주의 : 맥락에 따라 일관성을 지키기 .핵심에 집중하기 .자료를 모아놓는다고 책이 아니다 .

Page 16: 책쓰기 20100626

목차 다시 구성하기맥락과 실용 내용을 확보하면서 목차를 재구성합니다 .

Page 17: 책쓰기 20100626

3. 글 쓰기

Page 18: 책쓰기 20100626

글 쓰기목차에 따라 한 장씩 글을 씁니다 .

단 , 맥락을 유지하면서 글을 씁니다 .

글을 쓰기 전에 목차를 살피고 , 맥락을 파악한 후 글을 씁니다 .

Page 19: 책쓰기 20100626

글 쓰기장을 구성하는 절

즉 소제목을 먼저 구성합니다 .

소제목 안의 내용을 구성합니다 . 이전에 디지털화한 메모 , 읽은 책에 기록된 내용 등을 참고하여 글을 씁니다 .

Page 20: 책쓰기 20100626
Page 21: 책쓰기 20100626

어디에 쓸까한글 파일로 쓰기 .

한글 파일에 씁니다 . 이것이 기본이라 봅니다 .

개인적으로 쓰는 방식입니다 .피드백은 거의 없습니다 .

Page 22: 책쓰기 20100626

어디에 쓸까블로그 및 홈페이지에 쓰기 .

어느 곳에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면 쓸 수 있는 장점 . 꾸준히 활용하면 신뢰할만한 피드백도 기대할 수 있음 .

맥락을 유지하면서 쓰기 어려울 수 있음 .

Page 23: 책쓰기 20100626
Page 24: 책쓰기 20100626

어디에 쓸까광장 게시판에 쓰기 .

사람들이 이미 많이 모여 있는 게시판에 글을 올릴 수 있습니다 .폭 넓은 피드백도 많이 받을 수 있음 .

익명성이 높아 원치 않는 비난 , 욕설 등도 받을 수 있음 .

Page 25: 책쓰기 20100626
Page 26: 책쓰기 20100626

어디에 쓸까모두를 다 활용할 수도 있음 .

광장게시판 + 블로그 = 한글파일 등등

서로 연결 , 조언

Page 27: 책쓰기 20100626
Page 28: 책쓰기 20100626

글 쓰기넉넉하게 글을 씁니다 .

모자라기 보다는 넉넉하게 책을 씁니다 . 잘라내기는 쉬워도 , 새로 써서 채우기는 어렵습니다 .

Page 29: 책쓰기 20100626

4. 책 글 다듬기

Page 30: 책쓰기 20100626

책 글 다듬기한글 파일로 책을 구성합니다 .

신뢰하는 사람들과 책을 다듬습니다 .

Page 31: 책쓰기 20100626
Page 32: 책쓰기 20100626

책 글 다듬기가지치기를 합니다 .

내용이 아까워도 일관성이 없거나 핵심이 아니면 가지치기를 합니다 .

보완합니다 . 맥락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보완합니다 .

Page 33: 책쓰기 20100626

5. 책의 형태 , 분량

Page 34: 책쓰기 20100626

푸른복지 책 형태 종이책 | E-Book

Page 35: 책쓰기 20100626

푸른복지 책 분량약 250 쪽 분량의 단행본 | 약 100 쪽 분량 소책자

Page 36: 책쓰기 20100626

6. 저자

Page 37: 책쓰기 20100626

저자학생 – 준비된 현장 사회사업가가 되기 위해

준비한 과정을 중심으로

현장복지인 – 현장 사회사업가로 일하는 분야 , 영역에 대한 실용적 가치 , 철학 , 지식 , 정보 , 기술을 재정립하는 책으로

Page 38: 책쓰기 20100626

공동 저자 - 협업목차 별로 저자를 모집하여 책을 쓰는 방법

가치와 철학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여단기간 내 각 분야의 전문성을 담아 책을 내는 방법

다양한 웹 툴을 사용하여 작업

Page 39: 책쓰기 20100626

안산 본오종합사회복지관 임병광서울 등촌 4 종합사회복지관 정수현 정애라부천 고강복지회관 이태희서울시립북부장애인종합복지관 임유정서울 신당종합사회복지관 김희진사회복지사 조향경고양시 문촌 7 사회복지관 박미혜 이희진인천 숭의종합사회복지관 백은희서울 신월종합사회복지관 장길석 김택중 허석진서울 서초구립 한우리정보문화센터 김난미부천 춘의종합사회복지관 신현환안산 부곡종합사회복지관 진지혜서울 목동종합사회복지관 홍준호사회사업가 김세진

Page 40: 책쓰기 20100626
Page 41: 책쓰기 20100626
Page 42: 책쓰기 20100626
Page 43: 책쓰기 20100626

7. 쉽게 책 쓰기

Page 44: 책쓰기 20100626

다 되면 쓸께 ?

생각의 체계가 다 완성되면 쓴다 ?

생각의 체계가 다 완성되고그 때 책을 쓰려 하면 평생 한 권도 못 낸다 .

그 당시까지의 생각일 뿐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면 쉽게 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