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초등학교 체험학습용 스쿨팜 연구 동국대학교 생태계서비스연구소 장진 2013.11.8

학교텃밭 활성화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론회(13.11.8)_장진(초등학교내 체험학습용 스쿨팜 연구)

  • View
    578

  • Download
    11

Embed Size (px)

DESCRIPTION

학교텃밭 활성화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토론회(13.11.8)_장진(초등학교내 체험학습용 스쿨팜 연구)

Citation preview

초등학교 내 체험학습용 스쿨팜 연구

동국대학교 생태계서비스연구소 장진

2013.11.8

목 차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연구내용 및 방법 4. 연구결과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2

초등학교내 체험 학습용 스쿨팜 연구

3

어젠다코드 3 대과제코드 7 중과제코드 20

연구수행형태 내외부공동 응모구분 내외부 2011년예산내역

(백만원) 110

소과제명

응모 과제명(한글) 초등학교내 체험 학습용 스쿨팜 연구

응모 과제명(영문) The Study on School Farm for Experienti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연구책임자 오충현 동국대학교 환경생태학 박사

세부과제책임자

이강오 서울그린트러스트 산림자원학 박사수료

구교영 ㈜이암허브 경영학 석사

백혜숙 에코십일 유아교육 석사

류기식 그린플러스연합 환경원예

총 연구기간 2011 ~ 2013 ( 3년 )

연구개요

4

연구배경 및 필요성

학생들과 학생가족들이 식물 재배를 통해 교육과정, 식량생산, 건강한 삶, 지역사회, 농장설계, 능력개발

등을 배움 (Walker Jones Education Campus, a DC public school)

학생들이 직접 농작물을 심고 가꾸며 농촌과 농업의 소중함을 느끼게 함 (경기도, 경기농림진흥재단)

학교 내외의 유휴지에 다양한 식물을 심고 가꾸는 것

조성장소 - 운동장, 화단, 옥상 등

재배식물 - 주로 식용 밭작물, 화훼 및 원예식물 등

프로그램 - 작물 재배 및 경험에 초점, 교육프로그램 접목 등

조성주체 - 학교 자율적 단독조성, 자치단체ㆍ민간단체ㆍ기업 등의 지원

스쿨팜이란

형태

기대효과

국내외에서 통용되는 학술적 용어로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음

5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농업과 식량생산은 국가의 기반이 되는 분야

•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농업 소외 가속화

• 미래세대에게 농업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필요

배경

6

연구배경 및 필요성

• 단순한 농업체험 탈피

• 교과과정 연계 가능한 원예통합프로그램 부재

• 조성모델 부재로 인한 보급 및 확산의 어려움

• 스쿨팜 가치평가 미흡

• 농업, 환경, 생태적 안목 함양

• 자연환경과의 올바른 협력 유도

• 환경교육 강화 필요성 제기

(※ UN :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

가.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경제적·산업적 중요성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

시대적 요구

미래세대

국내연구

7

연구배경 및 필요성

가.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경제적·산업적 중요성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

• 경험을 통한 자연스러운 농업 및 환경교육

• 먹거리 생산과정의 이해

• 작물재배 및 협동과정을 통한 인성교육, 공동체교육 효과

• 타 교과목과의 연계를 통한 학업성취도 향상

교육적

• 지역사회에서 소통의 장 역할

• 학교 및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역할 제공

지역사회 소통

• 자연과 건강한 삶과의 관계 이해

건강한 삶

8

연구배경 및 필요성

나.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국내·외 현황

(1) 국내 현황

서울 오류초등학교 (밭 일구기)

남양주 마석초등학교 용인 신릉초등학교 (관찰 및 기록)

○ 학교별 자율적으로 텃밭을 조성하여 재배하는 경우가 대부분

○ 학교농장, 학교텃밭, 스쿨팜, 팜스쿨 등의 명칭 사용

○ 교내 자투리땅에 밭 조성 또는 화분 비치

○ 작물의 재배 및 관찰에 한정되는 프로그램

○ 최근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기업 등 참여

- 경기도, 농림진흥재단, SGT, 여성환경연대, 풀무원 등

9

연구배경 및 필요성

스가이 농업소학교 (밭가꾸기)

아라키 농업소학교 (채소심기)

쿠모가하타 소·중학교 (벼 재배)

전국고등학교농장협회

나.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국내·외 현황

(2) 국외 현황 (일본)

○ 농업소학교에 주기적으로 학생이 모여 농업체험

- 菅井農業小学校農場

○ 농업고등학교의 부설 소학교에 농장 조성

○ 전국고등학교농장협회

- 농업교육 발전을 위해 농업담당 교직원을 중심으로 설립

10

연구배경 및 필요성

○ 학교내 농장 설치 또는 농장과의 연계

○ 교육, 식량생산, 건강한 삶, 지역사회 소통, 학교의 역할 증대 등을 목표

○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조성

- DC public school (743m2 조성)

나.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국내·외 현황

(2) 국외 연구 현황 (미국)

1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가. 정성적 성과목표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2) 연구개발의 성격

아이디어 개발 √ 시작품 개발 제품 또는 공정개발 기타 √

○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 스쿨팜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유형별 목적별 조성방법

• 효율적인 운영방안 개발

• 효과적인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 스쿨팜 프로그램 시범운영 및

효과분석

• 유형별, 목적별 매뉴얼 개발

12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 연차별 성과 목표

연 차 목 표

1년차 (2011)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스쿨팜 원예통합 프로그램 개발

2년차 (2012) 스쿨팜 시범 운영 및 모니터링

스쿨팜 조성 및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 도출

3년차 (2013) 스쿨팜 조성모델 및 원예통합 프로그램 보완

농업활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최 종 유형별, 목적별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스쿨팜 원예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정립

가. 정성적 성과목표

13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나. 연차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단 계 구 분 세부과제명 연구개발의 목표 연구개발의 내용 연 구 범 위

1단계 1차년도

(2011)

유형별, 목적별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 국내외 사례조사 ○ 조성 및 운영방안 개발 ○ 시범 초등학교 선정 및 조성

-운영현황 파악 -조성방법 유형화 -조성방법 체계화 -특성별 모델 개발

스쿨팜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스쿨팜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 국내외 사례조사 ○ 유형, 목적별 원예통합 프로그램 개발

-운영현황 파악 -프로그램 유형화 -교과목과 연계 -효과분석법 탐색

2단계 2차년도

(2012)

유형별, 목적별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 스쿨팜 시범운영 및 모니터링 ○ 운영과정 모니터링

-시범대상학교 선정 -스쿨팜 조성 -운영과정 모니터링 -환경변화 모니터링

스쿨팜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프로그램 개선점 도출 ○ 원예통합프로그램 시범운영 ○ 학생 수용도 및 정서변화 모니터링

-교육주체 선정 -프로그램 시행 -프로그램 모니터링 -학생교사 모니터링 -설문조사, 심리검사 -행동변화 모니터링

3단계 3차년도

(2013)

유형별, 목적별 스쿨팜 조성모델 개발

○ 스쿨팜 조성모델 보완 ○ 스쿨팜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매

뉴얼 개발

-운영상 보완점 도출 -운영방법 정립 -조성방법 개선/보완 -스쿨팜 조성모델 정립

스쿨팜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스쿨팜 원예통합프로그램 개선

○ 원예통합 프로그램 효과분석 ○ 원예통합프로그램 보완

-운영상 보완점 도출 -개선 및 보완 -원예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정립 -효과분석

14

연구내용 및 방법

15

연구내용 및 방법

16

대유형 중유형 소유형 해당내용 비고

자연

지반

노지형

교내 공터 교내 빈터, 운동장, 놀이터, 주차장 등 주변 공간을 활용 거의 모든 학교에 해당

학습원 학습원, 재배장, 관찰원, 교재원, 실습지 이용

교외 노지 학교 소유 또는 임대하여 텃밭을 조성한 공간

습지형 논습지 교내 연못이나 상자를 이용하여 습지를 조성한 논습지

자투리공간형 자투리공간 학교 안의 모퉁이나 사각지대에 남은 자투리텃밭

인공

지반

인공지반형

옥상텃밭 학교 건물의 옥상텃밭

벽면텃밭 학교 담장, 펜스에 끈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 공간을 활용

중정원 건물 사이 중앙공간을 활용

화분형

실내용키트

(원예용기) 교육 목적의 소규모 재활용 용기, 교육용 원예용기 거의 모든 학교에 해당

상자텃밭 교실 내·외 상자, 화분을 이용 거의 모든 학교에 해당

자루텃밭 자루를 이용

모듈형텃밭 모듈을 이용하여 조성

화단형 화단텃밭 기존 화단, 주차공원 등

연구결과: 스쿨팜의 유형(공간에 따른 구분)

교내공터, 강동초 학습원, 덕소초

교외노지, 송탄초

스쿨팜의 유형(노지형, 화단형, 인공지반형,습지형 등)

습지형, 누원초

자투리공간형, 용미초

스쿨팜의 유형(노지형, 화단형, 인공지반형,습지형 등)

옥상텃밭, 소화초

중정원, 잠원초 벽면텃밭, 교동초

실내용키트, 영남초

상자텃밭, 문백초

스쿨팜의 유형(노지형, 화단형, 인공지반형,습지형 등)

자루텃밭, 청룡초 모듈형텃밭, 창현초

화단형텃밭, 군자초

스쿨팜의 유형(노지형, 화단형, 인공지반형,습지형 등)

프로그램 목표 분류 효과

아동의 인성교육 및 자연과 하나 되어 살아가고자 하는 의식 함양 자연동화 정서적효과

텃밭교육을 통한 생명존중 사상 증대 생명존중 정서적효과

대상아동의 자존감 중진 자존감 증진 정서적효과

가꾸고 기르면서 식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게 함 자연사랑 정서적효과

작물 재배를 통한 생태감수성, 친환경 먹거리의 소중함 감수성향상 정서적효과

식물의 재배방법을 알고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기를 수 있다. 식물재배 교육적효과

수업개선 교육효과 교육적효과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기르고 식량과 노동의 가치를 알며 건강한 몸과 마음을 기른다. 자연사랑 육체적, 행동적효과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생태감수성을 키우기 위한 취지 생명존중 정서적효과

생태환경 인식 및 활용 생태인식 정서적효과

학교의 특색 사업 추진과 학생들에게 생태환경마인드 확산 생태인식 교육적효과

교과내용 체험실습 체험실습 교육적효과

재배, 경작을 통해 친환경적 정서 함양 및 성취감 느끼기, 먹거리의 소중함 알기 농업친화 교육적효과

아동 식목행사 및 농촌체험 농촌체험 정서적효과

땀 흘려 일하는 노동의 소중함을 체득하게 하여 농촌사랑, 자연사랑, 인간사랑, 생명사랑

의 마음 깊이 간직하게 한다. 노동가치 정서적효과

˙˙˙˙˙ ˙˙˙˙˙ ˙˙˙˙˙

국내 스쿨팜을 운영중인 49개 초등학교 스쿨팜 담당 선생님 설문을 통해 스쿨팜 프로그램의 운영목표 및 효과에 대한 정보를 지표로 도출함

연구결과: 스쿨팜의 효과

21

대유형 중유형 소유형

교육적 측면

인지적 효과

학업성취도 향상

건강과 영양

환경감수성 증가

정서적 효과 자신감과 자긍심

정신적 건강 증진

육체· 행동적 효과

건강증진

다이어트 효과

편식개선(채소) 효과

부모의 지식, 태도, 행동 변화

교사의 지식, 태도 변화

사회적 측면 사회적 효과

협동심 증가

커뮤니티 연계, 공동체의 회복

부모의 스쿨팜 참여

스쿨팜 커뮤니티 활성화(NGO)

환경생태적 측면 환경적 효과

자연환경 보존

학교 실내·외 공기정화 등 환경조절 효과

도시열섬현상 완화

학교 경관 미화

생물종 다양성 회복

경제적 측면 경제적 효과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인재양성

도농교류를 통한 도시와 농촌의 균형적 발전

스쿨팜의 효과

22

23

스쿨팜의 조성 및 관리

스쿨팜의

계획 및 준비

스큘팜의

조성

스쿨팜의

관리

24

일정 내용

11월

․ 교장에게 스쿨팜 구상 제출

․ 정원위원회 발족

․ 주변 학교의 스쿨팜 조사

․ 교사, 위원회, 학부모 및 여타 이해관계자들과 만나 야외교실의 목표와 대상을 논의

․ 일년 단위 기금, 지역 경제단체로부터의 지원이나 설립지원 기금 증서와 같은 모금활동 수단 탐색

12월

․ 스쿨팜을 참여할 협력자 발굴(지역의 단체, 학부모 단체 등)

․ 부지 활용의 조정(관심기→도입기→성장기→발전기→재조성기)

․ 현장 지도의 활용

․ 정원 후보지의 결정을 위하여 스쿨팜 계획서를 놓고 교정의 현재 이용도를 논의

3월

․ 학생 등의 참여 요구

․ 설계 워크숍(설계도면 계속해서 보완)

․ 전문가 스쿨팜 컨설팅

․ (필요 시)학교 관할 지자체를 찾아 수도, 전기 공급과 같은 현장 관심 사항을 협의

4월 ․ 스쿨팜 조성 및 프로그램 예산 확보

․ 텃밭 부지를 정리하기 위한 봄철 작업 일정 계획

4월~11월 ․ 텃밭 부지 땅 개량 및 시설 공사

․ 텃밭 작물 심기 및 스쿨팜 운영

스쿨팜의 조성 및 관리

- 교과과정 내 등장하는 식물 선정

유형선정

- 공간별, 목적별 스쿨팜의 유형 결정

- 식물의 한살이를 모두 관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구성

- 참여를 통한 체험 및 과정중심의 프로그램

발아 개화 결실

교과서 내 식물 활용 식물의 다양화 과정중심의 체험

교과과정

프로그램

- 교과 통합 교육

스쿨팜의 조성및 관리 매뉴얼의 구성

26

스쿨팜의 조성및 관리 매뉴얼의 구성

스쿨팜 조성및 관리에서 필요한 내용을 Q&A로 구성

1, 스쿨팜 계획 및 준비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스쿨팜의 조성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3. 스쿨팜의 관리 어떻게 해야할까요?

27

스쿨팜 프로그램 매뉴얼의 구성

1. 스쿨팜의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가요?

2. 2009 교육과정에도 적용이 가능한가요?

3. 프로그램 구성 시 체크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4. 스쿨팜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관리조직은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까요?

5.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교사연수와 학부모교육은 어떻게 하나요?

6. 스쿨팜프로그램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7. 스쿨팜프로그램 초보자는 어떤 작물을 가꾸면 좋을까요?

8. 스쿨팜프로그램 경험자라면 어떤 작물을 가꾸면 좋을까요?

9. 텃밭활동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10. 스쿨팜프로그램은 어떤 단계로 진행하면 좋을까요?

11. 학생들을 스쿨팜프로그램에 적극 참여시키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28

스쿨팜 프로그램 실시에 필요한 내용을 Q&A로 구성

스쿨팜의 프로그램 구성

학년 중점요소 주요 교과연계 봄작물(봄/가을) 월동작물 병충해관리(봄/가을)

1~2 흙, 잎채소,

체험 계절

잎채소, 완두콩, 토마토, 수수,봉숭아/

무,배추

부추 곤충관찰과 흉내내기

3 공영식물, 벌레 동물의 한살이

고추, 들깨, 허브들, 땅콩, 십자화과 채소/

무,비트

양파심기/ 난황유/

십자화과채소의 벌레

4 영양번식, 씨앗 식물의 한살이

토마토, 감자, 고구마, 강낭콩,옥수수,대파,

딸기/배추

양파수확/ 밀보리심기

기지과채소의벌레/목초액

5 곡류, 절기,

미생물

식물의 구조와 기능/작은 생물

의 세계

가지,참외, 당근, 목화/벼, 밀, 보리/

무,쪽파, 갓

밀보리수확/ 마늘심기

EM/미생물농약

6 순환, 퇴비 생태계와 환경 넝쿨채소(수세미, 오이),

메주콩/무

녹비작물심기 (귀리)

천연농약만들기/ 유기농의 병충해관리

29

• 초등학교 학년별 23차시의 수업안(지도안, 활동지 제공)

• 2007 교육과정의 분석 및 관련교과 (사회, 과학, 실과 과목의 연계)

스쿨팜의 프로그램 구성(1-2학년 예시)

차시 주제 내용 교과 관련 요소

1 흙 느껴보기 돌을 고르면서 흙 느껴보기

봄2-봄에 하는 일

2 흙에 씨앗을 뿌려요 완두콩, 부추,

잎채소 씨앗 뿌리기 봄2-봄에 하는 일

3 모종이 이사 왔어요 잎채소 모종과 씨토란

심기 봄2-봄에 하는 일

4 봄나물 캐기 먹을 수 있는 나물 알기 봄2-봄에 하는 일

5 토마토를 심어요 두둑 만들고 토마토심기,

봉숭아 씨앗 심기 여름2-곤충과 식물

6 채소를 건강하게 EM, 칼슘액비 만들기 여름2-곤충과 식물

7 채소 돌보기 솎아주기, 풀뽑기,

땅긁어주기 여름2-곤충과 식물

30

차시, 주제,

내용, 교과관련

요소삽입

스쿨팜의 프로그램 구성(PPT예시안)

31

32

◎ 초등학교 내 체험학습용 스쿨팜(school Farm) 가치평가(CVM) 분석

연구결과: 스쿨팜의 효과

※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재화에 대해 실제로 가상의 시

장이 존재하는 것처럼 설정하고, 소비자들에게 이러한 가상적인 상황이 변화되지 않도록 보전하

는 대가로 최대지불용의액(WTP, willingness to pay) 또는 보상요구액(WTA, willingness to accept)

을 파악하여 대상 자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문헌 연구 및 현장조사 시장영역의 설정

(Extent of Market) 가치평가 기법 및 조사 방법 선택

설문지 디자인 : 가상시장 설정

설문지 검증 및 수정 실험설계

분석 이론적 타당성 검증 보고서 작성

◎ 스쿨팜(School Farm) 가치평가 진행

- 서울시(동국대 협약학교 6개교) 및 경기도(경기농림진흥재단 협조 요청, 학교농장 운영

학교 5개교) 총 11개교 800여명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진행

32

표본설계와 본 설문조사 실시

○ 설문조사 분석결과 지불의사액(WTP) 분석 - 평균 지불의사액 : 9,984원 - 최대 지불의사액 : 30,000원 - 중앙값 : 15,000원

지불의사액(WTP) 관측치 수 비율(%)

지불의사액(WTP)=0 199 38

0(지불의사액(WTP)≤5,000 126 24

5,000(지불의사액(WTP)≤10,000 139 27

10,000(지불의사액(WTP)≤20,00

0 45 9

2,0000≤(지불의사액(WTP) 8 1

총합 517 100

구분 초등학생1인당 월평균 지불의사액(WTP)

평균값 9,984원

중앙값 15,000원

지불의사액 분석

스쿨팜 운영 비용 지불의사액(WTP) 추정치

구분 초등학생1인당 연간WTP

(a)

초등학생수×지불의사비율=지불가능수

(b)

총지불액(백만원)

(a×b)

월평균 9,984 2,951,995×0.62=1,830,237 18,273

연평균 119,808 2,951,995×0.62=1,830,237 219,277

스쿨팜의 경제적 가치

월평균 18,273백만 원(약 182억)

연간 평균 지불액은 219,277백만 원(약 2,190억)

33

연구결과: 스쿨팜의 효과

스쿨팜 프로그램의 실시 전 후 자아존중감 변화 비교 연구

집단 구분

평가영역

적용 전 적용 후

t P

적용 전 후 차

M±SD M±SD M±SD

실험군

(n=46)

일반적 자아존중감 27.35±4.55 28.70±5.15 -1.912 0.062 1.348±4.781

사회적 자아존중감 33.85±5.81 34.09±6.58 -0.288 0.774 0.239±5.626

학교 자아존중감 26.15±4.59 26.89±4.77 -1.279 0.207 0.739±3.918

가정적 자아존중감 41.65±6.39 43.89±6.19 -2.579 0.013* 2.239±5.889

전체 129.00±17.40 133.57±18.96 -2.238 0.030* 4.565±13.837

대조군

(n=44)

일반적 자아존중감 27.52±4.82 28.70±5.54 -1.991 0.053 1.182±3.937

사회적 자아존중감 34.66±5.72 34.16±6.17 0.841 0.405 -0.500±3.944

학교 자아존중감 25.91±4.83 26.20±4.52 -0.496 0.622 0.295±3.951

가정적 자아존중감 41.32±5.55 41.86±8.28 -0.635 0.529 0.545±5.696

전체 129.41±18.09 130.93±21.43 -0.732 0.468 1.523±13.797

• 실험군에 적용한 스쿨팜 프로그램의 실

시 전후를 비교

•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가정적 자아존

중감이 유의한 차이가 났고(P=0.013),

전체적인 자아존중감 변화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긍정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

석됨(P=0.030). < 홍연초 5학년 자아존중감 적용 전∙후 검사 집단 간 변화 비교 >

연구결과: 스쿨팜의 효과

34

3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효율적 조성 및 운영을 위한 매뉴얼 제공

- 기존 운영 중인 스쿨팜에 대해 개선·보완방법 제시

- 초등학교 스쿨팜의 경험이 중·고등학교까지 연계 활용 가능하도록 방안 마련

- 스쿨팜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체계화

- 스쿨팜의 객관적 효과 도출

- 미래세대에 자연환경과의 지속발전 가능한 인성, 창의성 등의 안목 함양

- 농업인식 개선을 통한 균형잡힌 국가발전 유도

활용방안

기대효과

감 사 합 니 다

초등학교내 체험 학습용 스쿨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