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 270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제 14 권 제 4 호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Vol. 14, No. 4, pp 270~277, 2007 Address reprint requests to Choon-Ki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8 Yongon-dong, Ch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2072-2360, Fax: 82-2-764-2718, E-mail: [email protected] � 본 논문은 한국인체공학재단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 대한척추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구연되었음.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증 구기형 # ∙유창훈∙박건우∙이재협∙장봉순∙이춘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정형외과 # The Kyphotic Deformity After Multi-level Laminectomy Ki Hyoung Koo, M.D. # , Chang Hun Yu, M.D., Kun Woo Park, M.D., Jae Hyup Lee, M.D., Bong Soon Chang, M.D., Choon Ki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ongguk University International Hospital, Goyang, Korea # – Abstract –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outcomes of postlaminectomy kyph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laminectomy kyphosis is uncommon and poorly understood, with controversy over the cause, risk factors, and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s: We included 17 patients (8 male, 9 female) who had undergone multilevel laminectomy between 1982 to 2006. Their mean age at the time of laminectomy was 16.3 years. The locations of laminectomy were: 4 cervical/cervicothoracic, 10 thoracic/thoracolumbar, and 3 lumbar. Possible factors for developing kyphotic deformities, such as an age at the time of laminectomy, sex, location, laminectomy extent, and radiation therapy were analyzed with the deformity angle and the time interval from the operation to the occurrence of deformity. Results: The mean time after surgery was 18.3 months, and the mean kyphotic angle was 58 degrees. Patients younger than 12 years or surgery involving more than 4 segments had a slightly shorter time interval, but not significantly. Loca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le and time interval. Radiation therapy and sex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Most (15) patients received corrective surgery 49.9 months after laminectomy, which reduced deformities to an average of 34.5 degrees, whereas 2 patients had mild curvatures of 38 degrees (mean) One patient received a second operation due to pull-out of a rod, and one patient had a postoperative infection. Conclusion: Postlaminectomy kyphosis attends to occur earlier in younger patients and patients with a large number of laminas resected, so careful observation should be done for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Key Words: Kyphosis, Laminectomy, Deformity correction

The Kyphotic Deformity After Multi-level Laminectomy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70 -

한척추외과학회지 제 14 권 제 4 호Journal of Korean Spine Surg.Vol. 14, No. 4, pp 270~277, 2007

Address reprint requests to

Choon-Ki Lee, M.D.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28 Yongon-dong, Chongno-gu, Seoul 110-744, KoreaTel: 82-2-2072-2360, Fax: 82-2-764-2718, E-mail: [email protected]� 본 논문은 한국인체공학재단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본 논문의 요지는 2006년 한척추외과학회 추계학술 회에서 구연되었음.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증

구기형#∙유창훈∙박건우∙이재협∙장봉순∙이춘기

서울 학교 의과 학 정형외과학교실, 동국 학교 일산병원 정형외과#

The Kyphotic Deformity After Multi-level Laminectomy

Ki Hyoung Koo, M.D.#, Chang Hun Yu, M.D., Kun Woo Park, M.D.,Jae Hyup Lee, M.D., Bong Soon Chang, M.D., Choon Ki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ongguk University International Hospital, Goyang, Korea#

– Abstract –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outcomes of postlaminectomy kyph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laminectomy kyphosis is uncommon and poorly understood, with controversy over the

cause, risk factors, and treatment.

Material and Methods: We included 17 patients (8 male, 9 female) who had undergone multilevel laminectomy between 1982 to

2006. Their mean age at the time of laminectomy was 16.3 years. The locations of laminectomy were: 4 cervical/cervicothoracic,

10 thoracic/thoracolumbar, and 3 lumbar. Possible factors for developing kyphotic deformities, such as an age at the time of

laminectomy, sex, location, laminectomy extent, and radiation therapy were analyzed with the deformity angle and the time

interval from the operation to the occurrence of deformity.

Results: The mean time after surgery was 18.3 months, and the mean kyphotic angle was 58 degrees. Patients younger than 12

years or surgery involving more than 4 segments had a slightly shorter time interval, but not significantly. Loca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le and time interval. Radiation therapy and sex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Most (15) patients

received corrective surgery 49.9 months after laminectomy, which reduced deformities to an average of 34.5 degrees, whereas 2

patients had mild curvatures of 38 degrees (mean) One patient received a second operation due to pull-out of a rod, and one

patient had a postoperative infection.

Conclusion: Postlaminectomy kyphosis attends to occur earlier in younger patients and patients with a large number of laminas

resected, so careful observation should be done for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Key Words: Kyphosis, Laminectomy, Deformity correction

서 론

추궁판 절제술은 척추관 내의 종양의 제거나 감압 등

을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는 술식으로 술 후

일부의 환자에서 척추의 후만이나 측만 변형이 생기는

것으로알려져있다1,2,3).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척추에서 추궁판 절제술이 술

후 즉각적인 불안정성을 일으키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

져있으나후방인 군의절제는후방추궁-관절복합체

의 손상을 가져와 점차로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시상면

상에서의불균형을초래하게된다4,5,6). 이로인하여후방

근육들의 피로와 동통을 일으키고 점차로 후만 변형이

증가한다고알려져왔다2,3,7). 또한, 추궁판절제술이외에

방사선 조사 병력이 있는 경우에 후방 근육 및 인 의

손상으로인해후만변형이발생하기도한다2,8).

발생 빈도에 하여는 여러 저자들이 다양한 보고를

하고 있으나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다1,2,9). 수술 전

척추의 시상면 배열, 수술 전 진단, 환자의 연령, 수술시

절제의 범위, 수술 부위 등에 의해 향을 받는 것으로

여러 저자들이 보고하고 있다1,2,3,8). 소아의 경우는 골격

계의 미성숙으로 인해 성인에 비해 발생율이 높은 것으

로 보고되고 있고3,8,10), 척추 후만 변형의 호발 부위로는

경추부, 경흉추 이행부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

져있다1,2,3).

추궁판 절제술 이후 발생하는 척추 후만 변형은 경추

부에 하여는전방유합술이, 흉추부이하의부위에

하여는 견고한 전후방 유합술이 시행되고 있으나 후방

골조직의 소실로 인하여 견고한 고정이 어렵다고 알려

져있다10,11).

현재까지추궁판절제술후후만변형에 한여러연

구들은 개 경추부에 발생된 경우를 상으로 실시되

었고흉추부이하를포함한척추전장에 한연구는드

물다. 이에 저자들은 흉추부 이하를 포함한 다발성 추

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 변형의 양상 및 기존

의 여러 연구에서 후만 변형의 발생과 연관된다고 알려

진여러인자들과의상관관계를알아보고자하 다.

연구 상 및 방법

1982년 5월부터 2006년 8월까지 2분절이상다분절추

궁판 절제술을 시행 받은 후 척추 후만 변형이 발생된

환자 중 외래 추시가 가능하 던 17례를 상으로 의무

기록과 방사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

행하 다. 다발성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 받았던 시기의

평균 연령은 16.3(1~64)세이었고 남자가 8명, 여자가 9

명이었다. 추궁판절제술을받은원인질병은척수내양

성및악성종양, 추체내양성종양, 전이성골종양, 연골

무형성증에 따른 척추관 협착증 등 다양하 다. 다발성

추궁판절제술을시행한부위는경추부와경흉추부가 4

례, 흉추및흉요추부가 10례, 요추부가 3례이었다.

환자가수술후 1년이내에조기사망하 거나병변의

지속적인 재발 등으로 인하여 외래의 정상적인 추시가

어려운 경우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 다. 다음의 각각의

인자들에 따른 후만 변형 발생 시까지의 시간 경과 및

후만 변형의 크기와의 상관관계를 Mann-Whitney U-검

정에 의한 비모수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 으며, p<0.05

인경우통계적의의가있다고판정하 다.

1. 환자와 관련된 인자의 분석

성별및추궁판절제시의연령과후만변형발생시까

지의 시간 경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으며, 흉추부

및 흉요추부에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 받은 10명의 환자

를 상으로 후만각의 크기와의 상관 관계도 분석하

다. 성별에 따라 그리고 12세 이하의 연령 군과 13세 이

상의연령군으로나누어분석을하 다.

후만변형발생시기는외래추시기록을검토하고방

사선학적 검사 결과를 관찰하여 후만 변형에 한 최초

언급이나외래방문시촬 한방사선소견상후만변형

이발견되었던시점을기준으로산출하 다.

2. 추궁판 절제술과 관련된 인자의 분석

최초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하 던 의무 기록을 근거로

절제된 추궁판의 범위, 추궁판 절제술이 시행된 부위와

후만 변형 발생 시까지의 시간 경과와의 상관관계를 분

석하 다. 추궁판절제술시행부위는경추부및경흉추

부와 흉추부 이하의 두 군으로 나누어서 분석하 다.

흉추부 및 흉요추부에 추궁판 절제술을 받은 10명을

상으로 추궁판 절제술의 범위와 후만각과의 상관관계

를분석하 다.

3. 방사선 조사와 관련된 인자의 분석

악성 종양의 경우는 방사선 조사를 추가하는 경우가

많으며본연구에포함된환자중총 6례에서방사선조

사의 병력이 있었다. 방사선 조사의 병력이 있는 환자

군과없는환자군을나누어후만변형발생시까지의시

간 경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고, 흉추부 및 흉요추

부에 추궁판 절제술을 받은 10명을 상으로 방사선 조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증∙구기형 외

- 271 -

사력과후만각과의상관관계를분석하 다.

4. 방사선학적 결과의 분석

수술 전 후만각의 크기와 수술 후 후만각의 크기는

Cobbs method를 이용하여 처음 발견 시 기록된 부위와

동일한부위를외래추시시에측정하여비교하 다. 오

차를 감안하여 두 명의 측정자가 동일한 환자에 하여

측정한값을평균하여후만각의크기를정하 다.

5. 수술적 치료의 결과 분석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에 하여는 술 전 후만각의

크기와 술 후 후만각의 크기, 교정률, 그리고 최종 추시

시의후만각의크기를측정하 다. 또한의무기록분석

을 통하여 술 후 합병증 및 술 후 신경학적 이상 유무를

파악하 다.

결 과

다발성추궁판절제술은평균 4.4(2~16)분절에 하여

시행하 으며 외래 추시 관찰 중 평균 18.3(1~156) 개월

에 후만 변형이 발견되었으며 후만곡의 첨부 추체 위치

를 기준으로 한 변형의 위치는 경추부 및 경흉추부가 3

례, 흉추부 5례, 흉요추부 8례, 요추부가 1례 다.

1. 관련 인자와의 상관 관계 분석

척추 후만 변형이 발생한 기간과의 상관성을 12세 이

하군과 13세 이상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12세 이하군에서 평균 10.7개월로

13세 이상군의 25개월에 비하여 척추 후만 변형이 조기

에 발생하는 경향을 보 다(p>0.05). 또한, 절제한 추궁

판의 분절 수가 4분절 이상인 군에서 평균 9.8개월로 3

분절 이하인 군의 29.8개월에 비하여 통계적인 유의성

은없었으나(p>0.05) 역시비교적조기에발생하는경향

을 보 다. 방사선 조사력의 유무에 따른 발생 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방사선 조사력이

없는 군에서 평균 8.4 개월에, 방사선 조사력이 있는 군

에서 평균 37개월에 후만 변형이 발생하여 방사선 조사

력이있는군에서오히려더늦게발생하는경향을보

다(p>0.05). 경추부 및 경흉추부에 추궁판 절제술을 시

행한 군에서 13.3 개월로 흉추부 이하 군의 20.5 개월에

비하여 조기에 발생하는 경향을 보 으나 역시 통계학

적인 의의는 없었다(p>0.05). 이외에 환자의 성별과는

상관관계가없었다(Table 1).

흉추부에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상으로 후만각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12세 이하의 연령

군과 절제한 추궁판 분절수가 4분절 이상인 군에서 통

계학적으로는 의의는 없었으나 후만각의 크기가 큰 경

향을보 다(p=0.14, 0.14). 성별이나방사선조사력에서

는유의한차이를보이지않았다(Table 2).

2. 치료 결과

15례에 하여외래추시중후만변형의진행으로수

술적 치료를 시행하 으며 수술을 시행시의 평균 연령

은 21.3(3~65)세이었으며 평균 38도의 후만각을 보이는

2례에 하여는 외래 추시만을 시행하여 최종 추시 시

평균 40도의 후만각을 보 다. 4명의 환자에게 보조기

를착용시켰으나 3례에서후만변형의지속적인증가로

인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 다. 6명의 환자에서 방

사선 조사의 병력이 있었으며 악성 종양의 진행으로 인

한척추외과학회지 Vol. 14, No. 4, 2007

- 272 -

Table 1. Average time interval from the operation to occurrence of kyphotic deformities after laminectomy.

Number Time (Mo) p-value

Sex male 18 7.5±5.8 0.27female 19 29.6±48.8

Age ≤12 yrs 17 10.7±6.91 0.525≥13 yrs 10 25.1±47.4

Number of Laminectomy ≥4 level 19 9.8±7.5 0.772≤3 level 18 29.8±52.4

Location of Laminectomy C/CT 14 17.8±10.8 0.25T/TL/L 13 22.7±41.1

Radiation Yes 16 33.6±54.3 0.06No 11 19.1±11.3

하여 추궁판 절제술 시행 후 30개월, 후방 유합술 시행

후 13개월에사망한경우가 1례있었다.

13세 연골 무형성증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

에서 후방 감압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경우가 1례 있었

으며술후 7개월에후만변형의진행이발견되어술후

8개월에전후방유합술을시행하 다(Fig. 1).

수술을시행한경우는경추부및경흉추부변형 3례에

하여 자가 장골 이식을 동반한 전방 유합술을 시행하

으며(Fig. 2), 흉추, 흉요추 및 요추부에 하여는 1례

에서 후외방 유합술을, 1례에서 전방 유합술과 석고 고

정을, 10례에서전후방유합술을시행하 다. 술전평균

62.5도의 후만각을 보 고 술 후 평균 34.5도로 교정되

어평균 44.6%의교정률을보 다.

1례에서술후감염이발생하여변연절제술및 8주간

의항생제정맥투여로호전되었으며 1례에서술후 7개

월에 강선의 후방 돌출로 인하여 재수술을 시행하 다.

술후신경학적이상의악화소견을보인경우는없었다.

3. 추시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43개월(5~97개월)이었으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 던 15례 중 13례에서 5도 미만의 교정

소실을보 다. 술후감염이있던 1례는 15도의교정소

실을 보 고 강선의 후방 돌출을 보 던 1례에서는 재

수술후 8도의교정소실을보 다.

고 찰

추궁판 절제술을 통한 척수 신경과 신경근의 감압은

다양한 병변의 치료를 위하여 행해지는 가장 오래된 술

식의 하나이며 경추부 추궁판 절제술은 전방 도달술이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증∙구기형 외

- 273 -

Table 2. Average angle of kyphotic deformities after laminectomy at the thoracic spine.

Number Angle (degree) p-value

Sex male 6 69.8±24.1 0.45female 4 60.8±19.2

Age ≤12 yrs 5 76.6±22.6 0.14≥13 yrs 5 55.8±16.4

Number of Laminectomy ≥4 level 7 73.0±21.4 0.14≤3 level 3 50.3±13.7

Radiation Yes 4 67.5±21.8 0.75No 6 65.3±23.5

Fig. 1. Postlaminectomy kyphosis in the skeletally immatureachondroplast. (A) Radiograph immediate afterlaminectomy for symptomatic spinal stenosis. (B) Radi-ograph 7 months after laminectomy shows kyphoticdeformity in lumbar spine. Kyphotic deformity candevelop in most skeletally immature achondroplastincluding our case. (C) Radiograph after anterior andposterior fusion for postlaminectomy kyphosis.

Fig. 2. Postlaminectomy cervical kyphosis. (A) Radiographafter laminectomy for removal of cavernous heman-gioma. (B) Radiograph 6 months after laminectomyshows progression of cervical kyphosis. (C) Radiographafter anterior fusion.

소개된 이후에도 여전히 흔히 사용되는 유용한 술식이

다. 그러나, 이러한 후방 도달법은 후방근과 인 조직

의절개, 후주의파괴로인하여불안정성의가능성이있

다1,2,10). Pal 등12)은 사체 연구에서 경추에 가해지는 하중

의 36%가추체(전주)를통해전달되며 64%는후관절(후

주)를통해전달된다고하면서전주와함께후주를이루

는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보존되어야 경추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 다. 따라서 후관절 및 인 군을

포함한 광범위한 절제가 이루어진 경우 무게 하중의 축

이 추체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척추 후만 변형의 발생빈

도가더증가하게된다.

다발성 추궁판 절제술 후에 발생되는 후만 변형은 일

반적으로 골격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어린이나 청소년

기에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생율과

후만 변형 발생에 하여 여러 저자들이 다양한 보고를

하고 있다2,8,10,13). Tachdjian 등8)은 척추 종양을 위한 추궁

판 절제술 후 26%의 어린이에서 후만 변형이 발생하

다고 보고하면서 절제된 추궁판의 갯수가 중요한 인자

라고언급하 다. Yasuoka 등10)은후만변형의발생에는

환자의 연령과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한 부위가 중요하

다고 언급하면서 15세 이하의 연령에서 발생률이 더 높

았고 요추부에서 경추부로 갈수록 더 발생률이 높았다

고보고하 다. 본연구에서는다발성추궁판절제술시

행 후 정형외과에 의뢰된 환자만을 상으로 하 기 때

문에후만변형의전체적인발생율을구할수는없었다.

Neuhauser 등8)이성장기척추에의방사선조사의 향

에 하여언급한이후여러저자들이척추방사선조사

후의척추변형의발생에 하여보고하 다. 방사선조

사 시 후방 근육 및 인 의 손상을 유발하여 후방 인

복합체의 약화로 인한 후만의 발생 가능성이 있게 된다2,8). Mayfiled 등8)은 신경모세포종에 하여 방사선 치료

를시행받은환자의 16%에서후만변형이생겼다고보

고하 고 Butler 등2)은 방사선 조사 후 9%에서 후만 변

형이 발생되었다고 보고하 다. 본 연구에서 17명의 환

자 중 방사선 조사의 병력이 있는 경우는 7명이었으나

방사선 조사력이 있는 군과 없는 군에 사이에 후만각의

크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방사선 조사력이

있는군에서오히려후만의발생이늦게발생되었다. 이

는수술후방사선조사가조직의유착에기여해서상

적으로분절간의안정성을부여한것으로생각해볼수

도 있겠고 방사선 조사군이 모두 악성 종양 환자들이어

서종양의치료에우선을두어후만변형의발생에는주

의를 기울이지 않아 상 적으로 조기에 발견하지 못 했

을가능성이있다고할수있겠다.

부위별 만곡의 차이를 고려하여 흉추부에서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만을 상으로한 분석에서는 연

령별, 절제 분절 수에 따른 후만각의 크기의 차이가 보

다 분명하게 보 으며 12세 이하 연령군과 4 분절 이상

의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했던 경우에서 후만각의 크기

가 보다 큰 경향을 보 다. 비록 증례의 수가 많지 않아

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찾지 못하 으나 향후 다른 부

위를 상으로한연구가추가로필요할것으로보인다.

Ain 등14)은 골격 성장이 끝나지 않은 연골 무형성증

환자에서 흉요추부에 광범위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하

는 경우 전례에서 후만 변형이 생겼다고 보고하 는데,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1례에서 추궁판 절제술 후 7개월

에 후만증이 발생하여 전후방 유합술을 시행하 으며

향후 미성숙 연골 무형성증 환자에서는 추궁판 절제술

시예방적으로견고한유합술이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추궁판 절제술 후의 후만 변형은 후방의 골조직의 결

손으로 인하여 견고한 고정이 어려우므로 무엇보다도

후만 변형의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1,2,11). 척추 후만 변형

을예방하기위해서수술자는수술의범위, 후관절의절

제 필요 여부, 수술 전 환자의 척추 배열상태 및 시상면

상 불안정성, 골격계의 성숙 여부 등의 여러 가지 요인

을 고려해야 하며 수술시 가능한 후방 구조물들, 특히

후관절의 손상을 최소화해야 한다1,2). 또한, 수술시 필요

에의해이러한것이불가능할경우에는추궁성형술등

의 다른 수술 방법을 고려하거나 골격계의 미성숙이 있

는 소아의 경우는 수술시 후방 유합술을 시행하는 것을

고려해야한다13,14,15).

추궁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후만 변형이 발생하는지

에 해방사선촬 을통한정기적인추시관찰이요구

되며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골격계의 성장이 끝나

지 않은 경우나 다분절인 경우와 광범위 절제를 시행한

경우후만변형이조기에발생하므로주의깊은추시관

찰이 요구된다14,15,16). 저자들의 연구에서 12세 이하의 환

자군에서 평균 10.7개월에 후만이 발생하 으며 4분절

이상의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평균 9.8개월에

후만 변형이 발생하 다. 비록 증례의 수가 많지 않아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찾을 수는 없었으나 12세 이하의

연령에서 4분절이상의다발성추궁판절제술을시행한

경우에는 술 후 최초 10개월 동안 주의 깊게 후만 변형

의 발생을 관찰하고 진행하기 전에 즉시 보조기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조기의 착용에 하여 여러

저자들은 비교적 회의적인 결과를 발표하 으나 변형

이 진행하기 전에 적절한 보조기를 사용하면 변형의 진

행을 다소 늦출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8,13). 그러나, 후만

변형이 발생하여 진행하면 보조기의 효과는 제한적이

라는의견이지배적이다11).

후만 변형이 발생한 후의 치료는 경과 관찰이나 수술

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겠으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한척추외과학회지 Vol. 14, No. 4, 2007

- 274 -

되는 주된 적응증은 척수가 후만된 척추체 후면에 압박

되어 발생하는 척수 압박에 의한 신경학적 이상과 후만

변형으로 인한 일상 생활의 불편, 외형 상의 문제 등이

다1,11,17).

경추부와 경흉추부에 하여는 여러 저자들이 전방

도달법에 의한 전방 유합술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전방 유합술은 비교적 술기가 쉽고 전에 시행하 던 수

술에 향을받지않고후만이있는경우전방에삽입한

골편이 압박력을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11,18). 그러나,

Riew 등18)은골이식을통한전방유합술만을시행한경

우합병증의발생빈도가높으며 61%(11명)에서합병증

이 발생하 으며 9명(50%)의 환자는 이식골과 연관된

합병증, 즉 이식골의 돌출, 함몰, 가관절증, 후만증의 악

화이었다고 하 다. Albert 등1)의 19명의 환자를 상으

로 한 연구에서는 전방 유합술만을 시행한 환자의 60%

에서 이식골과 관련된 합병증을 보고하 으며 전-후방

유합술을시행한 14명의환자중 1명에서이러한합병증

이 발생하 다고 보고하 다. 일부의 저자들은 신경학

적이상과심한통증이있는경우에견고한유합을위하

여전후방고정술을권하기도하 다1,10,11). Schultz 등17)은

추궁절제술 후 발생한 경추 후만증을 포함한 72례의 경

추 후만증 환자에서 환상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 이식골

과 연관된 합병증이 없었다고 보고하 다. 후방 유합술

은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할 때 변형의 발생을 방지하는

예방적 목적으로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나 광범위한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하여 후관절이

파괴된 경우에는 유합을 위한 골조직이 적게 남게 되어

견고한 고정이 어려운 경우가 생기게 되며 후방에는 압

박력 신 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불유합의 가능성이 높

아지게된다1,11). 후방에서가장합병증이적은방법은중

첩 이식술(onlay graft)이며 Robinson 등2)은 여기에 후관

절 강선 고정술을 시행하 다. Abumi 등19)은 척추경 나

사못을 이용한 후방 교정술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 고

17례의환자에서평균 28.4도의교정율을보고하 다.

흉추부 이하에 하여는 여러 저자들이 전후방 유합

술을보고하고있다. Mayfiled 등8)은전방유리술과유합

술을 시행하고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 다고 보고

하고 있다. 저자들의 경우는 1례에서 후방 고정슬 및 유

합술 만을 시행하 는데 폐암의 흉추부 전이에 의하여

환자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 고식적으로 후방 고정술 및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 다. 1례에서는 전방 유리술 및

유합술과 함께 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고 석고 붕

고정술(Risser cast)을추가하 다. 이외의 10례에 하여

는 전후방 유합술을 시행하 고 양호한 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1례에서술후 7개월에강선의후방돌출로재수

술을하 으나추시에서역시양호한유합을보 다.

향후 추궁판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상으로한 변

형 발생에 한 광범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다분절추궁판절제술을시행할때는술후변형의발생

가능성을염두에두고후방조직의보존에힘써야할것

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궁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

변형의치료에있어서는고위험군에 한주의깊은추

시관찰이중요하다고할수있으며수술적치료에있어

서는 흉추부 이하의 경우 견고한 유합을 얻을 수 있는

전후방 유합술이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만족

할만한교정을얻을수있는방법으로생각된다.

결 론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에는 척추 후만 변형에 하

여주의깊은추시관찰이요구되며특히나이가어리고

분절수가많은경우조기에발생되며, 후만변형도심한

경향을 보이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후만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후방조직 제거가

필요하며 후관절은 가능한 제거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

다. 또한 추궁 제거술을 시행한 경우 주의 깊은 추시 관

찰을 통해 조기에 후만 변형을 진단하고 보조기 착용등

을 통해 후만 변형이 진행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척

추후만변형이발생한경우는후방골조직의소실로인

하여 견고한 고정이 어려우므로 흉추부 이하에 하여

는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전후방 유합술을 시행하여

견고한고정을해야할것으로생각된다.

참고문헌

01) Albert TJ, Vaccaro A: Postlaminectomy kyphosis, Spine

1998; 23: 2738-2745.

02) Butler JC, Whitecloud TS: Postlaminectomy kyphosis.

Orthop Clin Nor Am 1992; 23: 505-511.

03) Lonstein JE: Post-laminectomy Kyphosis. Clin Ortho

Relat Res. 1977; 128: 93-100.

04) Guigui P, Benoist M, Deburge A: Spinal deformity and

instability after multilevel cervical laminectomy for

spondylotic myelopathy. Spine 1998; 23: 440-447.

05) Katsumi Y, Honma T, Nakamura T: Analysis of cervi-

cal instability resulting from laminectomies for removal of

spinal cord tumor. Spine 1989; 14: 1171-1176.

06) Zdeblick TA, Zou D, Warden KE, McCabe R, Kunz D,

Vanderby R: Cervical stability after foraminotomy: a

biomechanical in vitro analysis. J Bone Joint Surg Am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증∙구기형 외

- 275 -

한척추외과학회지 Vol. 14, No. 4, 2007

- 276 -

1992; 74: 2005-2008.

07) Breig A, el-Nadi AF: Biomechanics of the cervical spinal

cord. Relief of contact pressure on and overstretching of

the spinal cord. Acta Radiol Diagn 1966; 4: 602-624.

08) Otsuka NY, Hey L, Hall JE: Postlaminectomy and

postirradiation kyphos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lin

Orthop Relat Res 1998; 354: 189-194.

09) Kaptain GJ, Simons NE, Replogle RE, Pobereskin L:

Incidence and outcome of kyphotic deformity following

laminectomy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J Neu-

rosurg 2000; 93(2S): 199-204.

10) Papagelopoulos PJ, Peterson HA, Ebersold MJ,

Emmanuel PR, Choulhury SN, Quast LM: Spinal col-

umn deformity and instability after lumbar or thoracolum-

bar laminectomy for intraspinal tumor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Spine 1997; 22: 442-451.

11) Blam OG, Albert TJ, Vaccaro AR: Surgical reconstruc-

tion of postlaminectomy cervical kyphosis, Curr Opin

Orthop 2002; 13: 208-213.

12) Pal GP, Sherk HH: The vertical stability of the cervical

spine. Spine 1988; 13: 447-449.

13) Bell DF, Walker JL, O’Conner G, Tibshirani R: Spinal

deformity after multi-level cervical laminectomy in chil-

dren. Spine 1994; 19: 40-411.

14) Ain MC, Shirley ED, Pirouzmanesh BS, Hariri A, Car-

son BS: Postlaminectomy kyphosis in skeletally immature

achodroplast. Spine 2006; 31: 197-201.

15) Fields MJ, Hoshijima K, Feng AH, Richardson WJ,

Myers BS: A biomechanical, radiologic, and clinical

comparison of outcome after multilevel cervical laminec-

tomy or laminoplasty in the rabbit. Spine 2000; 25 : 2925-

2931.

16) Cattell HS, Clark GL Jr: Cervical kyphosis and instabil-

ity following multiple laminectomies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Am 1967; 49: 713-720.

17) Schultz KD, Mclaughlin MR, Haid RW Jr, Comey CH,

Rodts GE Jr, Alexander J: Single-stage anteriorposteri-

or decompression and stabilization for complex cervical

spine disorders. J Neurosurg 2000; 93(2S): 214-221.

18) Riew KD, Hilibrand AS, Palumbo MA, Bohlman HH: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in patients previously man-

aged with a laminectomy: short-term complications. J

Bone Joint Surg Am 1999; 81: 950-957.

19) Abumi K, Shono Y, Taneichi H, Ito M, Kaneda K: Cor-

rection of cervical kyphosis using pedicle screw fixation

systems. Spine 1999; 24: 2389-96.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발생한 척추 후만증∙구기형 외

- 277 -

※ 통신저자 : 이 춘 기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 학교 의과 학 정형외과학교실

Tel: 82-2-2072-2360 Fax: 82-2-764-2718 E-mail: [email protected]

연구계획:다분절추궁판절제술후발생한척추후만증의임상상을후향적으로분석하 다.

연구목적:다분절추궁판절제술후발생한척추후만증의양상및치료결과를평가하고자하 다.

상 및 방법: 1982년 5월부터 2006년 8월까지 2분절이상다분절추궁판절제술후척추후만증이발생한환자중

외래 추시가 가능하 던 17례를 상으로 하 다. 추궁판 절제술시의 평균 연령은 16.3(2~64)세이었고, 남자가 8명,

여자가 9명이었다. 추궁판절제술을시행한부위는경추부및경흉추부가 4례, 흉추부및흉요추부가 10례, 요추부가

3례이었다. 변형 발생 시기 및 후만각의 크기와 환자의 성별, 나이, 추궁판 절제 분절 수 및 부위와의 관계에 하여

분석하 다.

결과: 다분절 추궁판 절제술 후 척추 후만증은 평균 18.3±36(1~156)개월에 발견되었으며, 평균 후만각은 58±21도

이었다. 12세이하군과 13세이상군으로나누어분석한결과 12세이하군에서 13세이상군에비하여척추후만증이

조기에발생하는경향을보 으며, 절제한추궁판의분절수가 4분절이상인군에서 3분절이하인군에비하여비교

적 조기에 발생하는 경향을 보 다. 이외에 방사선 조사력, 성별, 수술 부위와는 적은 증례로 인하여 상관관계를 찾

을수없었다. 17례중 2례에 하여는평균 38±6도의후만각을보여외래추시만을시행하 으며 15례에서는평균

62.6±20도의후만각을보여수술적치료를시행하 으며, 추궁판절제술시행후교정수술까지의기간은평균 49.9

±52.8(6~178)개월이었다. 경추부및경흉추부변형 3례에 하여자가장골이식을동반한전방유합술을시행하

으며 흉추, 흉요추 및 요추에 하여는 1례에서 후외방 유합술을, 1례에서 전방 유합술과 석고 고정을, 10례에서 전

후방유합술을시행하 다. 술후평균후만각은 34.5±19.7도이었으며평균교정율은 44.6±19.7% 이었다. 합병증으

로는술후감염이 1례, 내고정기기의돌출이 1례있었다.

결론:나이가어린환자와 4분절이상의다분절추궁판절제술시행후에는척추변형이조기에발생하는경향이있

으므로주의깊은추시관찰이요구되며조기에변형을발견하여적절하게치료하여야한다.

색인단어:척추후만증, 추궁판절제술, 후만변형교정술

국 문 초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