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220 한국방송학보(2015) 292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정권 , 미디어 유형 , 개별 언론사별 통일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12)13)14)15)16)17) 이화행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정기 한양대학교 교수학습지원팀 책임연구원*** 최진호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정성호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강경수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이 연구는 국민들의 통일 관련 여론형성에 핵심적인 역할 을 하는 통일보도의 경향을 정권별(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미디어 유형별[신문(진보, ), 방송(지상파, 종합편성채널)]로 검증해 냄으로써 우리나라의 통일보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 ,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 주제의 경우 남한정책 23%, 북핵 17%, 국제관계/협력 9%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일을 위한 구체적 실천과 준비과정을 다룬 기사는 10% 정도로 적은 편이었다. 둘째, 통일보도 의 프레임을 살펴본 결과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62%로 많은 편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34% 로 적었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를 살펴본 결과 중립 60%, 부정 21%, 긍정 19%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서 정권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에는 의미있는 차이 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인 제언을 수행하였다. 핵심어: 통일보도, 내용분석, 보도주제, 형식적 프레임, 보도논조 * 이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정주제 연구보고서(2014-09) “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의 내용분석 데이터에 기반한 것임.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로컬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 **** [email protected], 로컬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 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 [email protected], 로컬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 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한국언론은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22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 통일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12)13)14)15)16)17)

이화행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정기 한양대학교 교수학습지원팀 책임연구원

최진호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정성호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강경수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이 연구는 국민들의 통일 관련 여론형성에 핵심적인 역할

을 하는 통일보도의 경향을 정권별(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미디어 유형별[신문(진보 보

수) 방송(지상파 종합편성채널)]로 검증해 냄으로써 우리나라의 통일보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

고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 다 본 연구의 핵심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 주제의 경우 남한정책 23 북핵 17 국제관계협력 9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일을 위한 구체적 실천과 준비과정을 다룬 기사는 10 정도로 적은 편이었다 둘째 통일보도

의 프레임을 살펴본 결과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62로 많은 편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34

로 적었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를 살펴본 결과 중립 60 부정 21 긍정 19

순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서 정권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에는 의미있는 차이

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인 제언을 수행하 다

핵심어 통일보도 내용분석 보도주제 형식적 프레임 보도논조

이 연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정주제 연구보고서(2014-09) ldquo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rdquo의 내용분석 데이터에 기반한 것임

hhleetuackr

jkl8181locirekr 로컬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

jinhochoihanyangackr 로컬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 교신저자

okshchonghanmailnet

idea-kanghanmailnet 로컬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lsquo한국의 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rsquo lsquo통일을 위해 충분한 여론을 형

성하고 있을까rsquo 혹시 lsquo정권과 언론사에 따라 보도행태와 프레임의 차이가 나타나

거나 언론이 정권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는 것은 아닐까rsquo 통일과정에서 언

론의 향력과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한국언론의 통일보도 행태를 비판적으로 분

석하고 개선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그동안 언론학

계에서 진행된 통일 관련 연구는 언론이 통일에 미치는 향을 규명하는 형태의

연구(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이준웅 2004 전백경 2000 등) 통일과정에서 언론

의 역할에 관한 연구(김성완 2003 박종철 2004 박주연 2013 유재천 1992 등)

통일 이후 언론의 역할에 관한 연구(선상신 2013 등)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실제 언론의 보도내용이 어떠한지

언론의 통일보도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한 이론적 접근 내용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기능과 역할에 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

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다만 최근 연구들 부분이 언론의 통일보도 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은 반성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을 바라보는 관점에 해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

을 통해 후속 연구자들이 현재의 통일보도 실태를 보다 면 하게 파악하고 응용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통일정책이 정권의 특성에 의해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주

지의 사실이다 특히 한국사회는 진보와 보수의 이념 립이 강하기 때문에 진보

적 정권과 보수적 정권 간의 통일정책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평가가 있다 예컨

최초의 진보적 정권 교체로 평가되는 김 중 정권의 통일정책은 lsquo6middot15 남북공동

선언rsquo lsquo햇볕정책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듯 평화 화해 협력 실천을 통한 남북 관계 개

선을 모색했다는 측면에서 이전 정권들과 구별된다 역시 진보적 정권인 노무현

정권의 통일정책도 김 중 정권의 통일정책의 연장선에 있다고 평가된다(박상봉

2009 박 호 2013) 다만 보수적 정권인 이명박 정권의 lsquo비핵개방 3000rsquo 박근혜

정권의 lsquo한반도 신뢰 프로세스rsquo는 이전 정권에 비해 북한에 해 강경한 입장을 보

22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논의는 정권이 통일에 해 어떠한 인식(태도)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언론의 통일보도 경향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예컨 홍성

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2011)의 연구에 따르면 김 중 정권 이전의 북

언론보도 프레임은 보수반공레드 콤플렉스를 강조한 반면 김 중 정권 이후의

북 언론보도 프레임은 통일평화상호주의 논리로 변화했다 이는 통일보도가

정권의 특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하게 한다 다만 정권별 통일보

도의 주제와 프레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다

국내에서 통일문제는 민족적 차원보다 정치사회적 차원에서 접근되는 경향이 매

우 강하다(이화행 등 2014) 따라서 미디어 유형(신문 보수지 진보지 방송 지

상파 종편)에 따라 통일보도 논조와 프레임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정권별(진보정권 김 중 노무현 보수정권 이명박 박근혜(초기))

언론사별(보수지 2사 진보지 2사 지상파 3사 종편 4사) 통일보도 주제의 현저

성 형식적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의 차이를 내용분석을 통해 실증하고자

하 다

북통일 관련 이슈는 일반인들이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로 부분의 사

람들은 언론을 통해 북한 관련 정보와 통일 관련 정보를 얻고 나름 로의 의견을

형성하게 된다(박주연 2013) 따라서 통일 관련 여론 형성에 절 적인 역할을 하

게 되는 언론은 엄정한 기준 아래 불편부당하고 객관적인 통일보도를 수행해야

하는 사회적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

도 논조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하더라도 통일 자체에 한 논조가 변화하거나

일관성이 없다면 이는 시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통일 관

련 여론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보도경향을 역사적으로 미디어 유

형별로 살펴봄으로써 통일보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 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3

2 이론적 배경

1) 언론의 현실구성과 프레임

버거와 루크만(Berger amp Luckman 1967)의 현실의 사회적 구성 블러머

(Blumer 1969)의 상징적 상호작용 슈츠(Schutz 1972)의 현상학적 사회학 등으

로부터 발전된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20세기 후반 인간을 이해하는 과학적 접

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 준다 이는 언론학 연구에도 향을 주었다

(McQuail 20052008 132-133쪽) 구성주의적 접근에 의하면 언론은 현실정의

자(definer of reality) 혹은 현실주조자(moulder of reality)가 된다(양승목 1997

7쪽) 즉 언론보도는 단순한 사실이나 사회상의 반 이 아니라 선택되고 만들어

진 현실인 것이다

언론보도에 한 프레임 분석은 이러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잘 드러내며 의미

의 정치사회적 맥락화를 통해 특정 이데올로기를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곽정래middot

이준웅 2009 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이준웅 2000b 2001 Gamson 1988

1992 등) 1970년 이후 뉴스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뉴스의 편파 등에 한 관심

이 깊어져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며 뉴스를 수용자의 해석이 중시되는 텍스트

혹은 담론과정으로 보더라도 뉴스 내용자체의 구성과정에 한 관심이 지속되었

다(이준웅 2000b) 프레임 연구는 이준웅(2000b)이 정리한 바와 같이 사회적 상

호작용 접근 텍스트 분석적 접근 사회운동론적 접근 예상이론적 접근 커뮤니

케이션 효과론적 접근 등 다양한 연구경향이 있으며 여전히 일관된 분석틀이나

개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의 혼란(이준웅 2009)에도 불

구하고 뉴스 프레임은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뉴스 프레임의 중요한 특성 혹은 프레임이 구성되는 과정은 선택과 배제 그

리고 현저성(salience)이다 기틀린(Gitlin 1980)은 현실에 한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를 통해 형성되는 지속적인 패턴이 프레임을 만들어 낸다고 하 다 그

는 뉴스 프레임이 구성하는 현실은 제도화된 것이면서 특정 관점이나 해석을 적

극적으로 옹호 또는 공격하기 위한 패권 투쟁에 의해 가공된 것이라고 주장하

다 엔트만(Entman 1993)은 뉴스 프레임이 특정 문제에 해 정의 내리며 문제

22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의 원인을 규명하면서 문제의 원인과 결과에 한 평가나 판단의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이는 선택과 현저성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며 선택한 측면들을 커뮤니

케이션 텍스트 안에서 보다 현저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 다

프레임의 종류와 구성방식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적

프레임으로 나누기도 한다 형식적 프레임은 아이옌가(Iyengar 1992)의 연구와

같이 일화중심적(episodic) 프레임과 주제중심적(thematic)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사회문제를 개인이나 사건 중심으로 보고 피상적

이고 감성적으로 접근시켜 문제의 책임소재를 특정개인이나 지도자에게 귀속시

키는 것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합리적 판

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면서 책임소재를 사회구

조적 차원으로 돌리는 것이다(임양준 2010a 340쪽 Iyengar amp Simon 1993 p

369) 내용적 측면은 뉴스보도 내에 나타난 특정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므로 이슈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이 체로 귀납적으로 도출된다 형식적 프레임

의 경우 다른 접근 방식에 의한 분석에 비해 다소 정형화된 틀이므로 다양한 이데

올로기적 담론적 분석을 실시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나 한편으로는 사회

적 현실 구성방식을 명료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에서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초반

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쟁점이나 이슈를 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무엇보다도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프레임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

고 있다 이는 언론이 우리사회에서 해야 할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했는지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기 위해 프레임 분석이 활

용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통일은 사회 갈등적이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이슈다 분단 이래 지금까

지 통일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이나 통일방식 등에 한 의견이나 해석 북한을 바라보는 태도에는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며 사안에 따라서는 상반된 의견이 립하기도 한다 즉 통

일에 관한 이슈는 사회 갈등적 성격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는 사회

갈등적 이슈인 통일에 해 언론이 어떻게 바라보고 현실을 구성하는가 하는 문

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다 지금껏 통일에 한 당위성이나 중요성은 인지하면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5

도 통일보도에 한 실질적인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이 부족했다 설문조사를 통

해 언론매체의 이용과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을 살펴본 연구(이준웅 2004)도 있으나 이는 통일보도에 한 직접적인 분석은

아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한 2개 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 사설에

한 프레임분석(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등의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도 기사에 한 분석은 아니었다

한편 북한보도와 관련한 프레임 연구는 상당 부분 축적되어 왔다(김경희middot노

기 2011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이원섭 2006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Dai amp

Hyun 2010 등) 다이와 현(Dai amp Hyun 2010)은 북한의 핵실험에 한 미국 중

국 한국의 통신사 뉴스를 비교분석하 다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위협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나 그 외 프레임으로 테러와의 전쟁(AP) 협상(신화통신) 냉전(연

합뉴스)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상신middot김성해(2011)는 북한언론이

핵 개발에 해 방어수단 안보주권 공정게임 신뢰회복 등의 프레임으로 보도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하승희middot이민규(2012)는 국내언론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주민 생활실태에 한 프레임을 연구함으로써 북한체제(체제에 의한 억압 주민

반발) 북한 개방(서구화middot선진화 체제middot정권 선전수단) 반사회적 범죄middot일탈

(퇴폐적middot비도덕적 반인륜적 범죄) 북한주민 삶의 질 프레임(식량난middot의약품middot

생필품 부족)을 발견하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분석 상기간 분

석매체 분석단위 등의 측면을 확장하여 국가middot민족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통일에

한 실제 언론보도를 형식적 프레임 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통일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 보도의 차이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수용자들은 언론이 틀 지워준 구성

된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정파성(partisanship)에 의한 언론보도는 여론

형성에 중요한 향을 미치게 된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

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어 자유로운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토 가 된다면 바

람직하겠지만 정파성이 어떤 이슈에 해 접근하는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다거나

지나친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실제보도를 통해 편향된(biased) 형태(김동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lsquo한국의 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rsquo lsquo통일을 위해 충분한 여론을 형

성하고 있을까rsquo 혹시 lsquo정권과 언론사에 따라 보도행태와 프레임의 차이가 나타나

거나 언론이 정권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는 것은 아닐까rsquo 통일과정에서 언

론의 향력과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한국언론의 통일보도 행태를 비판적으로 분

석하고 개선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그동안 언론학

계에서 진행된 통일 관련 연구는 언론이 통일에 미치는 향을 규명하는 형태의

연구(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이준웅 2004 전백경 2000 등) 통일과정에서 언론

의 역할에 관한 연구(김성완 2003 박종철 2004 박주연 2013 유재천 1992 등)

통일 이후 언론의 역할에 관한 연구(선상신 2013 등)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실제 언론의 보도내용이 어떠한지

언론의 통일보도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한 이론적 접근 내용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기능과 역할에 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

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다만 최근 연구들 부분이 언론의 통일보도 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은 반성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을 바라보는 관점에 해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

을 통해 후속 연구자들이 현재의 통일보도 실태를 보다 면 하게 파악하고 응용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통일정책이 정권의 특성에 의해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주

지의 사실이다 특히 한국사회는 진보와 보수의 이념 립이 강하기 때문에 진보

적 정권과 보수적 정권 간의 통일정책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평가가 있다 예컨

최초의 진보적 정권 교체로 평가되는 김 중 정권의 통일정책은 lsquo6middot15 남북공동

선언rsquo lsquo햇볕정책rsquo에서 확인할 수 있듯 평화 화해 협력 실천을 통한 남북 관계 개

선을 모색했다는 측면에서 이전 정권들과 구별된다 역시 진보적 정권인 노무현

정권의 통일정책도 김 중 정권의 통일정책의 연장선에 있다고 평가된다(박상봉

2009 박 호 2013) 다만 보수적 정권인 이명박 정권의 lsquo비핵개방 3000rsquo 박근혜

정권의 lsquo한반도 신뢰 프로세스rsquo는 이전 정권에 비해 북한에 해 강경한 입장을 보

22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논의는 정권이 통일에 해 어떠한 인식(태도)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언론의 통일보도 경향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예컨 홍성

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2011)의 연구에 따르면 김 중 정권 이전의 북

언론보도 프레임은 보수반공레드 콤플렉스를 강조한 반면 김 중 정권 이후의

북 언론보도 프레임은 통일평화상호주의 논리로 변화했다 이는 통일보도가

정권의 특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하게 한다 다만 정권별 통일보

도의 주제와 프레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다

국내에서 통일문제는 민족적 차원보다 정치사회적 차원에서 접근되는 경향이 매

우 강하다(이화행 등 2014) 따라서 미디어 유형(신문 보수지 진보지 방송 지

상파 종편)에 따라 통일보도 논조와 프레임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정권별(진보정권 김 중 노무현 보수정권 이명박 박근혜(초기))

언론사별(보수지 2사 진보지 2사 지상파 3사 종편 4사) 통일보도 주제의 현저

성 형식적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의 차이를 내용분석을 통해 실증하고자

하 다

북통일 관련 이슈는 일반인들이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로 부분의 사

람들은 언론을 통해 북한 관련 정보와 통일 관련 정보를 얻고 나름 로의 의견을

형성하게 된다(박주연 2013) 따라서 통일 관련 여론 형성에 절 적인 역할을 하

게 되는 언론은 엄정한 기준 아래 불편부당하고 객관적인 통일보도를 수행해야

하는 사회적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

도 논조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하더라도 통일 자체에 한 논조가 변화하거나

일관성이 없다면 이는 시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통일 관

련 여론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보도경향을 역사적으로 미디어 유

형별로 살펴봄으로써 통일보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 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3

2 이론적 배경

1) 언론의 현실구성과 프레임

버거와 루크만(Berger amp Luckman 1967)의 현실의 사회적 구성 블러머

(Blumer 1969)의 상징적 상호작용 슈츠(Schutz 1972)의 현상학적 사회학 등으

로부터 발전된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20세기 후반 인간을 이해하는 과학적 접

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 준다 이는 언론학 연구에도 향을 주었다

(McQuail 20052008 132-133쪽) 구성주의적 접근에 의하면 언론은 현실정의

자(definer of reality) 혹은 현실주조자(moulder of reality)가 된다(양승목 1997

7쪽) 즉 언론보도는 단순한 사실이나 사회상의 반 이 아니라 선택되고 만들어

진 현실인 것이다

언론보도에 한 프레임 분석은 이러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잘 드러내며 의미

의 정치사회적 맥락화를 통해 특정 이데올로기를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곽정래middot

이준웅 2009 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이준웅 2000b 2001 Gamson 1988

1992 등) 1970년 이후 뉴스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뉴스의 편파 등에 한 관심

이 깊어져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며 뉴스를 수용자의 해석이 중시되는 텍스트

혹은 담론과정으로 보더라도 뉴스 내용자체의 구성과정에 한 관심이 지속되었

다(이준웅 2000b) 프레임 연구는 이준웅(2000b)이 정리한 바와 같이 사회적 상

호작용 접근 텍스트 분석적 접근 사회운동론적 접근 예상이론적 접근 커뮤니

케이션 효과론적 접근 등 다양한 연구경향이 있으며 여전히 일관된 분석틀이나

개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의 혼란(이준웅 2009)에도 불

구하고 뉴스 프레임은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뉴스 프레임의 중요한 특성 혹은 프레임이 구성되는 과정은 선택과 배제 그

리고 현저성(salience)이다 기틀린(Gitlin 1980)은 현실에 한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를 통해 형성되는 지속적인 패턴이 프레임을 만들어 낸다고 하 다 그

는 뉴스 프레임이 구성하는 현실은 제도화된 것이면서 특정 관점이나 해석을 적

극적으로 옹호 또는 공격하기 위한 패권 투쟁에 의해 가공된 것이라고 주장하

다 엔트만(Entman 1993)은 뉴스 프레임이 특정 문제에 해 정의 내리며 문제

22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의 원인을 규명하면서 문제의 원인과 결과에 한 평가나 판단의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이는 선택과 현저성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며 선택한 측면들을 커뮤니

케이션 텍스트 안에서 보다 현저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 다

프레임의 종류와 구성방식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적

프레임으로 나누기도 한다 형식적 프레임은 아이옌가(Iyengar 1992)의 연구와

같이 일화중심적(episodic) 프레임과 주제중심적(thematic)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사회문제를 개인이나 사건 중심으로 보고 피상적

이고 감성적으로 접근시켜 문제의 책임소재를 특정개인이나 지도자에게 귀속시

키는 것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합리적 판

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면서 책임소재를 사회구

조적 차원으로 돌리는 것이다(임양준 2010a 340쪽 Iyengar amp Simon 1993 p

369) 내용적 측면은 뉴스보도 내에 나타난 특정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므로 이슈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이 체로 귀납적으로 도출된다 형식적 프레임

의 경우 다른 접근 방식에 의한 분석에 비해 다소 정형화된 틀이므로 다양한 이데

올로기적 담론적 분석을 실시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나 한편으로는 사회

적 현실 구성방식을 명료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에서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초반

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쟁점이나 이슈를 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무엇보다도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프레임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

고 있다 이는 언론이 우리사회에서 해야 할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했는지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기 위해 프레임 분석이 활

용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통일은 사회 갈등적이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이슈다 분단 이래 지금까

지 통일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이나 통일방식 등에 한 의견이나 해석 북한을 바라보는 태도에는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며 사안에 따라서는 상반된 의견이 립하기도 한다 즉 통

일에 관한 이슈는 사회 갈등적 성격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는 사회

갈등적 이슈인 통일에 해 언론이 어떻게 바라보고 현실을 구성하는가 하는 문

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다 지금껏 통일에 한 당위성이나 중요성은 인지하면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5

도 통일보도에 한 실질적인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이 부족했다 설문조사를 통

해 언론매체의 이용과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을 살펴본 연구(이준웅 2004)도 있으나 이는 통일보도에 한 직접적인 분석은

아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한 2개 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 사설에

한 프레임분석(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등의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도 기사에 한 분석은 아니었다

한편 북한보도와 관련한 프레임 연구는 상당 부분 축적되어 왔다(김경희middot노

기 2011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이원섭 2006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Dai amp

Hyun 2010 등) 다이와 현(Dai amp Hyun 2010)은 북한의 핵실험에 한 미국 중

국 한국의 통신사 뉴스를 비교분석하 다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위협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나 그 외 프레임으로 테러와의 전쟁(AP) 협상(신화통신) 냉전(연

합뉴스)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상신middot김성해(2011)는 북한언론이

핵 개발에 해 방어수단 안보주권 공정게임 신뢰회복 등의 프레임으로 보도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하승희middot이민규(2012)는 국내언론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주민 생활실태에 한 프레임을 연구함으로써 북한체제(체제에 의한 억압 주민

반발) 북한 개방(서구화middot선진화 체제middot정권 선전수단) 반사회적 범죄middot일탈

(퇴폐적middot비도덕적 반인륜적 범죄) 북한주민 삶의 질 프레임(식량난middot의약품middot

생필품 부족)을 발견하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분석 상기간 분

석매체 분석단위 등의 측면을 확장하여 국가middot민족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통일에

한 실제 언론보도를 형식적 프레임 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통일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 보도의 차이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수용자들은 언론이 틀 지워준 구성

된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정파성(partisanship)에 의한 언론보도는 여론

형성에 중요한 향을 미치게 된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

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어 자유로운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토 가 된다면 바

람직하겠지만 정파성이 어떤 이슈에 해 접근하는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다거나

지나친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실제보도를 통해 편향된(biased) 형태(김동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2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논의는 정권이 통일에 해 어떠한 인식(태도)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언론의 통일보도 경향에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예컨 홍성

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2011)의 연구에 따르면 김 중 정권 이전의 북

언론보도 프레임은 보수반공레드 콤플렉스를 강조한 반면 김 중 정권 이후의

북 언론보도 프레임은 통일평화상호주의 논리로 변화했다 이는 통일보도가

정권의 특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하게 한다 다만 정권별 통일보

도의 주제와 프레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다

국내에서 통일문제는 민족적 차원보다 정치사회적 차원에서 접근되는 경향이 매

우 강하다(이화행 등 2014) 따라서 미디어 유형(신문 보수지 진보지 방송 지

상파 종편)에 따라 통일보도 논조와 프레임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정권별(진보정권 김 중 노무현 보수정권 이명박 박근혜(초기))

언론사별(보수지 2사 진보지 2사 지상파 3사 종편 4사) 통일보도 주제의 현저

성 형식적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의 차이를 내용분석을 통해 실증하고자

하 다

북통일 관련 이슈는 일반인들이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로 부분의 사

람들은 언론을 통해 북한 관련 정보와 통일 관련 정보를 얻고 나름 로의 의견을

형성하게 된다(박주연 2013) 따라서 통일 관련 여론 형성에 절 적인 역할을 하

게 되는 언론은 엄정한 기준 아래 불편부당하고 객관적인 통일보도를 수행해야

하는 사회적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

도 논조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하더라도 통일 자체에 한 논조가 변화하거나

일관성이 없다면 이는 시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통일 관

련 여론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보도경향을 역사적으로 미디어 유

형별로 살펴봄으로써 통일보도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 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3

2 이론적 배경

1) 언론의 현실구성과 프레임

버거와 루크만(Berger amp Luckman 1967)의 현실의 사회적 구성 블러머

(Blumer 1969)의 상징적 상호작용 슈츠(Schutz 1972)의 현상학적 사회학 등으

로부터 발전된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20세기 후반 인간을 이해하는 과학적 접

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 준다 이는 언론학 연구에도 향을 주었다

(McQuail 20052008 132-133쪽) 구성주의적 접근에 의하면 언론은 현실정의

자(definer of reality) 혹은 현실주조자(moulder of reality)가 된다(양승목 1997

7쪽) 즉 언론보도는 단순한 사실이나 사회상의 반 이 아니라 선택되고 만들어

진 현실인 것이다

언론보도에 한 프레임 분석은 이러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잘 드러내며 의미

의 정치사회적 맥락화를 통해 특정 이데올로기를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곽정래middot

이준웅 2009 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이준웅 2000b 2001 Gamson 1988

1992 등) 1970년 이후 뉴스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뉴스의 편파 등에 한 관심

이 깊어져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며 뉴스를 수용자의 해석이 중시되는 텍스트

혹은 담론과정으로 보더라도 뉴스 내용자체의 구성과정에 한 관심이 지속되었

다(이준웅 2000b) 프레임 연구는 이준웅(2000b)이 정리한 바와 같이 사회적 상

호작용 접근 텍스트 분석적 접근 사회운동론적 접근 예상이론적 접근 커뮤니

케이션 효과론적 접근 등 다양한 연구경향이 있으며 여전히 일관된 분석틀이나

개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의 혼란(이준웅 2009)에도 불

구하고 뉴스 프레임은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뉴스 프레임의 중요한 특성 혹은 프레임이 구성되는 과정은 선택과 배제 그

리고 현저성(salience)이다 기틀린(Gitlin 1980)은 현실에 한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를 통해 형성되는 지속적인 패턴이 프레임을 만들어 낸다고 하 다 그

는 뉴스 프레임이 구성하는 현실은 제도화된 것이면서 특정 관점이나 해석을 적

극적으로 옹호 또는 공격하기 위한 패권 투쟁에 의해 가공된 것이라고 주장하

다 엔트만(Entman 1993)은 뉴스 프레임이 특정 문제에 해 정의 내리며 문제

22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의 원인을 규명하면서 문제의 원인과 결과에 한 평가나 판단의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이는 선택과 현저성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며 선택한 측면들을 커뮤니

케이션 텍스트 안에서 보다 현저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 다

프레임의 종류와 구성방식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적

프레임으로 나누기도 한다 형식적 프레임은 아이옌가(Iyengar 1992)의 연구와

같이 일화중심적(episodic) 프레임과 주제중심적(thematic)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사회문제를 개인이나 사건 중심으로 보고 피상적

이고 감성적으로 접근시켜 문제의 책임소재를 특정개인이나 지도자에게 귀속시

키는 것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합리적 판

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면서 책임소재를 사회구

조적 차원으로 돌리는 것이다(임양준 2010a 340쪽 Iyengar amp Simon 1993 p

369) 내용적 측면은 뉴스보도 내에 나타난 특정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므로 이슈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이 체로 귀납적으로 도출된다 형식적 프레임

의 경우 다른 접근 방식에 의한 분석에 비해 다소 정형화된 틀이므로 다양한 이데

올로기적 담론적 분석을 실시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나 한편으로는 사회

적 현실 구성방식을 명료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에서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초반

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쟁점이나 이슈를 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무엇보다도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프레임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

고 있다 이는 언론이 우리사회에서 해야 할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했는지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기 위해 프레임 분석이 활

용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통일은 사회 갈등적이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이슈다 분단 이래 지금까

지 통일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이나 통일방식 등에 한 의견이나 해석 북한을 바라보는 태도에는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며 사안에 따라서는 상반된 의견이 립하기도 한다 즉 통

일에 관한 이슈는 사회 갈등적 성격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는 사회

갈등적 이슈인 통일에 해 언론이 어떻게 바라보고 현실을 구성하는가 하는 문

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다 지금껏 통일에 한 당위성이나 중요성은 인지하면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5

도 통일보도에 한 실질적인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이 부족했다 설문조사를 통

해 언론매체의 이용과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을 살펴본 연구(이준웅 2004)도 있으나 이는 통일보도에 한 직접적인 분석은

아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한 2개 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 사설에

한 프레임분석(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등의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도 기사에 한 분석은 아니었다

한편 북한보도와 관련한 프레임 연구는 상당 부분 축적되어 왔다(김경희middot노

기 2011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이원섭 2006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Dai amp

Hyun 2010 등) 다이와 현(Dai amp Hyun 2010)은 북한의 핵실험에 한 미국 중

국 한국의 통신사 뉴스를 비교분석하 다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위협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나 그 외 프레임으로 테러와의 전쟁(AP) 협상(신화통신) 냉전(연

합뉴스)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상신middot김성해(2011)는 북한언론이

핵 개발에 해 방어수단 안보주권 공정게임 신뢰회복 등의 프레임으로 보도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하승희middot이민규(2012)는 국내언론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주민 생활실태에 한 프레임을 연구함으로써 북한체제(체제에 의한 억압 주민

반발) 북한 개방(서구화middot선진화 체제middot정권 선전수단) 반사회적 범죄middot일탈

(퇴폐적middot비도덕적 반인륜적 범죄) 북한주민 삶의 질 프레임(식량난middot의약품middot

생필품 부족)을 발견하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분석 상기간 분

석매체 분석단위 등의 측면을 확장하여 국가middot민족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통일에

한 실제 언론보도를 형식적 프레임 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통일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 보도의 차이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수용자들은 언론이 틀 지워준 구성

된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정파성(partisanship)에 의한 언론보도는 여론

형성에 중요한 향을 미치게 된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

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어 자유로운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토 가 된다면 바

람직하겠지만 정파성이 어떤 이슈에 해 접근하는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다거나

지나친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실제보도를 통해 편향된(biased) 형태(김동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3

2 이론적 배경

1) 언론의 현실구성과 프레임

버거와 루크만(Berger amp Luckman 1967)의 현실의 사회적 구성 블러머

(Blumer 1969)의 상징적 상호작용 슈츠(Schutz 1972)의 현상학적 사회학 등으

로부터 발전된 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은 20세기 후반 인간을 이해하는 과학적 접

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 준다 이는 언론학 연구에도 향을 주었다

(McQuail 20052008 132-133쪽) 구성주의적 접근에 의하면 언론은 현실정의

자(definer of reality) 혹은 현실주조자(moulder of reality)가 된다(양승목 1997

7쪽) 즉 언론보도는 단순한 사실이나 사회상의 반 이 아니라 선택되고 만들어

진 현실인 것이다

언론보도에 한 프레임 분석은 이러한 구성주의적 관점을 잘 드러내며 의미

의 정치사회적 맥락화를 통해 특정 이데올로기를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곽정래middot

이준웅 2009 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이준웅 2000b 2001 Gamson 1988

1992 등) 1970년 이후 뉴스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뉴스의 편파 등에 한 관심

이 깊어져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으며 뉴스를 수용자의 해석이 중시되는 텍스트

혹은 담론과정으로 보더라도 뉴스 내용자체의 구성과정에 한 관심이 지속되었

다(이준웅 2000b) 프레임 연구는 이준웅(2000b)이 정리한 바와 같이 사회적 상

호작용 접근 텍스트 분석적 접근 사회운동론적 접근 예상이론적 접근 커뮤니

케이션 효과론적 접근 등 다양한 연구경향이 있으며 여전히 일관된 분석틀이나

개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의 혼란(이준웅 2009)에도 불

구하고 뉴스 프레임은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틀이라고

할 수 있다

뉴스 프레임의 중요한 특성 혹은 프레임이 구성되는 과정은 선택과 배제 그

리고 현저성(salience)이다 기틀린(Gitlin 1980)은 현실에 한 인식 해석 선택

강조 배제를 통해 형성되는 지속적인 패턴이 프레임을 만들어 낸다고 하 다 그

는 뉴스 프레임이 구성하는 현실은 제도화된 것이면서 특정 관점이나 해석을 적

극적으로 옹호 또는 공격하기 위한 패권 투쟁에 의해 가공된 것이라고 주장하

다 엔트만(Entman 1993)은 뉴스 프레임이 특정 문제에 해 정의 내리며 문제

22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의 원인을 규명하면서 문제의 원인과 결과에 한 평가나 판단의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이는 선택과 현저성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며 선택한 측면들을 커뮤니

케이션 텍스트 안에서 보다 현저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 다

프레임의 종류와 구성방식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적

프레임으로 나누기도 한다 형식적 프레임은 아이옌가(Iyengar 1992)의 연구와

같이 일화중심적(episodic) 프레임과 주제중심적(thematic)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사회문제를 개인이나 사건 중심으로 보고 피상적

이고 감성적으로 접근시켜 문제의 책임소재를 특정개인이나 지도자에게 귀속시

키는 것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합리적 판

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면서 책임소재를 사회구

조적 차원으로 돌리는 것이다(임양준 2010a 340쪽 Iyengar amp Simon 1993 p

369) 내용적 측면은 뉴스보도 내에 나타난 특정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므로 이슈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이 체로 귀납적으로 도출된다 형식적 프레임

의 경우 다른 접근 방식에 의한 분석에 비해 다소 정형화된 틀이므로 다양한 이데

올로기적 담론적 분석을 실시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나 한편으로는 사회

적 현실 구성방식을 명료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에서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초반

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쟁점이나 이슈를 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무엇보다도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프레임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

고 있다 이는 언론이 우리사회에서 해야 할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했는지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기 위해 프레임 분석이 활

용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통일은 사회 갈등적이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이슈다 분단 이래 지금까

지 통일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이나 통일방식 등에 한 의견이나 해석 북한을 바라보는 태도에는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며 사안에 따라서는 상반된 의견이 립하기도 한다 즉 통

일에 관한 이슈는 사회 갈등적 성격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는 사회

갈등적 이슈인 통일에 해 언론이 어떻게 바라보고 현실을 구성하는가 하는 문

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다 지금껏 통일에 한 당위성이나 중요성은 인지하면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5

도 통일보도에 한 실질적인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이 부족했다 설문조사를 통

해 언론매체의 이용과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을 살펴본 연구(이준웅 2004)도 있으나 이는 통일보도에 한 직접적인 분석은

아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한 2개 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 사설에

한 프레임분석(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등의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도 기사에 한 분석은 아니었다

한편 북한보도와 관련한 프레임 연구는 상당 부분 축적되어 왔다(김경희middot노

기 2011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이원섭 2006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Dai amp

Hyun 2010 등) 다이와 현(Dai amp Hyun 2010)은 북한의 핵실험에 한 미국 중

국 한국의 통신사 뉴스를 비교분석하 다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위협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나 그 외 프레임으로 테러와의 전쟁(AP) 협상(신화통신) 냉전(연

합뉴스)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상신middot김성해(2011)는 북한언론이

핵 개발에 해 방어수단 안보주권 공정게임 신뢰회복 등의 프레임으로 보도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하승희middot이민규(2012)는 국내언론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주민 생활실태에 한 프레임을 연구함으로써 북한체제(체제에 의한 억압 주민

반발) 북한 개방(서구화middot선진화 체제middot정권 선전수단) 반사회적 범죄middot일탈

(퇴폐적middot비도덕적 반인륜적 범죄) 북한주민 삶의 질 프레임(식량난middot의약품middot

생필품 부족)을 발견하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분석 상기간 분

석매체 분석단위 등의 측면을 확장하여 국가middot민족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통일에

한 실제 언론보도를 형식적 프레임 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통일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 보도의 차이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수용자들은 언론이 틀 지워준 구성

된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정파성(partisanship)에 의한 언론보도는 여론

형성에 중요한 향을 미치게 된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

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어 자유로운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토 가 된다면 바

람직하겠지만 정파성이 어떤 이슈에 해 접근하는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다거나

지나친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실제보도를 통해 편향된(biased) 형태(김동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2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의 원인을 규명하면서 문제의 원인과 결과에 한 평가나 판단의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이는 선택과 현저성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며 선택한 측면들을 커뮤니

케이션 텍스트 안에서 보다 현저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 다

프레임의 종류와 구성방식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형식적 프레임과 내용적

프레임으로 나누기도 한다 형식적 프레임은 아이옌가(Iyengar 1992)의 연구와

같이 일화중심적(episodic) 프레임과 주제중심적(thematic) 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사회문제를 개인이나 사건 중심으로 보고 피상적

이고 감성적으로 접근시켜 문제의 책임소재를 특정개인이나 지도자에게 귀속시

키는 것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임은 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합리적 판

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면서 책임소재를 사회구

조적 차원으로 돌리는 것이다(임양준 2010a 340쪽 Iyengar amp Simon 1993 p

369) 내용적 측면은 뉴스보도 내에 나타난 특정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므로 이슈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이 체로 귀납적으로 도출된다 형식적 프레임

의 경우 다른 접근 방식에 의한 분석에 비해 다소 정형화된 틀이므로 다양한 이데

올로기적 담론적 분석을 실시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나 한편으로는 사회

적 현실 구성방식을 명료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에서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초반

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쟁점이나 이슈를 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무엇보다도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프레임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

고 있다 이는 언론이 우리사회에서 해야 할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했는지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기 위해 프레임 분석이 활

용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통일은 사회 갈등적이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이슈다 분단 이래 지금까

지 통일을 위해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일이나 통일방식 등에 한 의견이나 해석 북한을 바라보는 태도에는

다양한 논의가 존재하며 사안에 따라서는 상반된 의견이 립하기도 한다 즉 통

일에 관한 이슈는 사회 갈등적 성격을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는 사회

갈등적 이슈인 통일에 해 언론이 어떻게 바라보고 현실을 구성하는가 하는 문

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다 지금껏 통일에 한 당위성이나 중요성은 인지하면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5

도 통일보도에 한 실질적인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이 부족했다 설문조사를 통

해 언론매체의 이용과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을 살펴본 연구(이준웅 2004)도 있으나 이는 통일보도에 한 직접적인 분석은

아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한 2개 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 사설에

한 프레임분석(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등의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도 기사에 한 분석은 아니었다

한편 북한보도와 관련한 프레임 연구는 상당 부분 축적되어 왔다(김경희middot노

기 2011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이원섭 2006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Dai amp

Hyun 2010 등) 다이와 현(Dai amp Hyun 2010)은 북한의 핵실험에 한 미국 중

국 한국의 통신사 뉴스를 비교분석하 다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위협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나 그 외 프레임으로 테러와의 전쟁(AP) 협상(신화통신) 냉전(연

합뉴스)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상신middot김성해(2011)는 북한언론이

핵 개발에 해 방어수단 안보주권 공정게임 신뢰회복 등의 프레임으로 보도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하승희middot이민규(2012)는 국내언론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주민 생활실태에 한 프레임을 연구함으로써 북한체제(체제에 의한 억압 주민

반발) 북한 개방(서구화middot선진화 체제middot정권 선전수단) 반사회적 범죄middot일탈

(퇴폐적middot비도덕적 반인륜적 범죄) 북한주민 삶의 질 프레임(식량난middot의약품middot

생필품 부족)을 발견하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분석 상기간 분

석매체 분석단위 등의 측면을 확장하여 국가middot민족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통일에

한 실제 언론보도를 형식적 프레임 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통일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 보도의 차이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수용자들은 언론이 틀 지워준 구성

된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정파성(partisanship)에 의한 언론보도는 여론

형성에 중요한 향을 미치게 된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

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어 자유로운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토 가 된다면 바

람직하겠지만 정파성이 어떤 이슈에 해 접근하는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다거나

지나친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실제보도를 통해 편향된(biased) 형태(김동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5

도 통일보도에 한 실질적인 체계적인 학술적 접근이 부족했다 설문조사를 통

해 언론매체의 이용과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을 살펴본 연구(이준웅 2004)도 있으나 이는 통일보도에 한 직접적인 분석은

아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한 2개 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 사설에

한 프레임분석(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등의 의미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도 기사에 한 분석은 아니었다

한편 북한보도와 관련한 프레임 연구는 상당 부분 축적되어 왔다(김경희middot노

기 2011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이원섭 2006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Dai amp

Hyun 2010 등) 다이와 현(Dai amp Hyun 2010)은 북한의 핵실험에 한 미국 중

국 한국의 통신사 뉴스를 비교분석하 다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위협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나 그 외 프레임으로 테러와의 전쟁(AP) 협상(신화통신) 냉전(연

합뉴스)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상신middot김성해(2011)는 북한언론이

핵 개발에 해 방어수단 안보주권 공정게임 신뢰회복 등의 프레임으로 보도한

다는 것을 규명하 다 하승희middot이민규(2012)는 국내언론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주민 생활실태에 한 프레임을 연구함으로써 북한체제(체제에 의한 억압 주민

반발) 북한 개방(서구화middot선진화 체제middot정권 선전수단) 반사회적 범죄middot일탈

(퇴폐적middot비도덕적 반인륜적 범죄) 북한주민 삶의 질 프레임(식량난middot의약품middot

생필품 부족)을 발견하 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분석 상기간 분

석매체 분석단위 등의 측면을 확장하여 국가middot민족적으로 중요한 이슈인 통일에

한 실제 언론보도를 형식적 프레임 방법 등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언론이

통일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언론의 정파성과 언론 보도의 차이

언론은 보도를 통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수용자들은 언론이 틀 지워준 구성

된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정파성(partisanship)에 의한 언론보도는 여론

형성에 중요한 향을 미치게 된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

지고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어 자유로운 공론의 장을 형성하는 토 가 된다면 바

람직하겠지만 정파성이 어떤 이슈에 해 접근하는 유일한 판단기준이 된다거나

지나친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실제보도를 통해 편향된(biased) 형태(김동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2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최 재 2011)로 나타난다면 이것은 소통의 위기를

유발 증폭시키게 될 것이다

한국언론에서 나타나는 정파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사한 이데올로기적

지형에 있는 정치권력과 언론권력의 lsquo병행(parallelism)rsquo적 관계를 형성(Seymour-

Ure 1974)하는 것으로 lsquo정당 정파성rsquo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신 2007 김

욱middot임유진 2009) 고 신(2007)은 김 삼 김 중 노무현 정권에서 발생한

통령 친인척 비리사건에 한 lt조선일보gt lt한겨레gt 기사를 분석한 결과 신문-정

당의 이념적 유사성에 바탕을 둔 친소관계에 따라 언론보도가 크게 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병행관계가 변화하지 않음을 밝혔다 최진호와 한동섭

(2012)은 노태우 김 삼 김 중 노무현 이명박 5개 정권의 창출과정으로 분석

범위를 확장하여 언론이 이념적 지형에 따라 국가권력창출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탐색하 다 연구 결과 언론들이 정파성을 보이며 국가권력창출과정에 개입한

시점이 신문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3 에서 17 선으로 갈수록 유

사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후보자를 국가권력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향이 보다 뚜

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들은 신문이 쟁점이나 이슈에 해 이념

적으로 유사한 정치적 지형에 위치해 있는 정권과 그 입장을 같이 하고 있는 모습

을 여실히 드러내준다

이처럼 정권별로 동일한 혹은 성격은 유사하나 다른 이슈를 설정하여 신문의

정파성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분명하게 나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모습을 드러내주는 것은 아니다 신문을 언론으로

치환하여 사용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나 매체 유형별로 구분해 보았을 때 신문과

구별되는 방송 언론에 한 연구는 상 적으로 부족하 으며 신문과 방송으로

나누어 살펴본 경우도 거의 없었다 물론 신문과 방송은 매체특성 취재관행 뉴

스 발행(방송)주기 소유구조 등의 측면에서 다르기 때문에 동등하게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용자는 신문과 방송을 차별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용자

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에 일정한 기여를 하기 위해 미디어 유형별로

보도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 상 매체인 신문을 보수지(2개)와 진보지(2개)로 나누고 지상파방송도 그

상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7

한편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면서 뉴스미디어의 지형이 변화되었다 종편출

범이전부터 극심한 정치사회적인 갈등이 있었지만 결국 2011년 12월에 4개 채널

이 등장하게 되었다 종편이 모(母)언론사와 같이 보수적인 목소리를 낼 것이라

는 즉 여론 다양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주요쟁점이었다 종편 보도내용을

분석한 실증적인 연구들이 많이 축적되지는 않았으나 체로 유사한 연구 결과들

이 나타났다 원희 middot윤석민(2015)은 18 선보도를 이슈로 하여 종편 4사와

SBS의 보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TV조선과 채널A가 박근혜 후보 편향성을 드러낸

반면 JTBC와 MBN은 후보 간 지지율 격차 추이에 따른 특정 후보 편향성이 발견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은 middot유세경(2014)은 철도노조파업 이슈를 선정

하여 주제 취재원 관점 다양성으로 나누어 지상파와 종편을 분석한 결과 JTBC

를 제외한 6개 채널은 부정적 보도가 많았으며 노조 측보다 코레일 측 인사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종편은 모언론사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정치적middot이념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보도를 하고 있다고 선행연구에 기 어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JTBC가 꾸준히 다른 종편채널들과 차별되는 보도행태를 보이고 있는 한

편 MBN이 이슈에 따라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편 보도내용에 한 실증적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 연구

를 통해 종편이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탐색하여 종편과 모신문사 간 종

편과 신문 간 종편과 지상파 간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통일보도의 중요성 및 한계에 관한 논의

사람들은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일을 언론을 매개하여 접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

로 현실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Lasswell 1948 박주연 2013 재인용)에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이 수용자의 현실구성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북 및

통일관련 이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박주연 2013) 남북은 물리적으로 분단되

어 있고 국가보안법 등 법률에 의해 정보가 통제된 상태에서 북 및 통일 관련

문제를 언론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경우가 부분이기 때문이다 통일 관련 정보의

창구이자 통일 여론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언론의 중요성은 아무리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2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이에 따라 1990년 부터 2000년 초반까지 통일에 한 언론의 역할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예컨 여 무(1990)는 언론이 개방적 적극적인 태도로

통일문제를 보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 간의 결과 반목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언론이 맹목적으로 통일정책을 옹호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있으며 남북한을 동일한 잣 에서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한다 아울러 언론은 민족동일성의 회복을 위해 개방적 적극적 객관적 보도태도

를 견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준웅(2000a)도 언론이 민족 동일성 회복과 통일

에 언론(방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남북 언론인 간의 상설 정

보통로 구축 남북 방송수신 허용 등 남북 방송교류 확 를 위한 동의와 합의를 위

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연구들은 체로 언론이 통일여론

형성과 민족동일성 회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을 비

하여 객관적 개방적 적극적인 보도를 수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실제 한국언론의 통일보도는 정권이나 국내 북 사건 또는 언론사의

정치적 지향에 따라 논조가 변화하는 등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홍성기 등(2011)에 의하면 김 중 정권 이전의 언론은 보수 냉

전 패러다임을 전략적으로 가졌으나 이후의 언론은 평화 지향적 공존 및 탈냉전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전 정권에 비해 김 중 정권 이

후의 통일보도는 양적 다양성이 제고되었고 질적 수준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

고 있다 주창윤(2000) 역시 김 중 정권의 햇볕정책은 언론의 북보도에 점진

적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고 있다 2000년 6middot15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부정적 북보도 논조가 중립 혹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이철기

(2008)에 따르면 이러한 북보도의 경향은 노무현 정권까지 이어진다 다만 보

수정권인 이명박 정권에 와서 남북관계는 급격히 냉각된다 물론 이명박 정부의

집권 첫해인 2008년과 2009년에는 남북언론교류를 허용하는 등 화해모드가 있었

다 그러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 천안함 사건 등의 정치적 사건이 이어지면

서 남북관계는 경색되었고 언론교류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이준

희 2013) 이는 언론의 통일보도가 일관성 있게 진행되기보다 정권의 북관 통

일관에 좌우되기 쉽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29

한편 북한 관련 보도 방식은 언론사별 정치적 지향과 이념성향의 차이에 근

거하여 차별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실제로 김경희middot노

기 (2001)에 따르면 진보신문은 북한에 해 중립적인 관점에 가까웠지만 보

수신문은 북한에 해 부정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애(2002)에

의하면 서해교전 이후 lsquo햇볕정책rsquo에 한 보수신문(조선 동아)의 논조는 매우 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진보신문(경향 한겨레 한매일)의 논조는 정부의 침

착한 응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한국언론

의 통일보도가 언론사 자체의 정치적 지향에 의해 편향성을 띨 수 있음을 예측케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실제로 정권의 특성 특히 진보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김 중 노무현

정권 시기와 보수적 정권으로 평가받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의 통일보도 내

용과 프레임의 차이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일천하다 아울러 미

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

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해 심층적으로 논의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현재 언론의 통일보도 현황에 한 과학적 실태조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문제점

도출 없이 언론의 통일보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별 미디어 유형별 언론사별 통일보도의 주제와 프레임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내용분석과 프레임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언론의 바람직한 역할에 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은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

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연구문제 3 통일보도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 간 어떤 차별성을 보이는가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3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3 연구 방법

1)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

분석매체는 신문 지상파방송 종합편성채널로 한정하 다 신문은 종합일간지

인 lt조선일보gt lt동아일보gt lt한겨레gt lt경향신문gt 기사를 분석 상으로 선정

하 다 4개 신문을 선정한 이유는 소유구조 및 논조 등에 차이가 있으며 한국 정

당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앞의 두 신문은 보수정파성을 뒤의 두 신문은 진보정파

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지상파방송은 KBS MBC SBS

의 저녁종합뉴스를 분석 상으로 선정하 다 또한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

JTBC 채널A MBN의 저녁종합뉴스를 비롯한 모든 뉴스를 포함시켰다 종합편성

채널은 2011년 12월에 개국하여 비교적 역사가 길지는 않지만 모언론사가 보수

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언론학적으로 중요한 함

의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신규채널이면서 다른 매체와의 동등비교가 불가함에도 불

구하고 분석 상 매체로 포함시켰다 종합편성채널에서만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녁종합뉴스 이외에 모든 뉴스를 포함한 이유는 분석 상 기사의 수가

많지 않은데다가 다른 매체와 동등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기간은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으로 한정하고 이를 포함하

는 기간인 1998년 2월 25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하 다1) 그 이유는 김

중 노무현 정권은 상 적으로 진보적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2)은 상 적으로 보

1) 선 이후에는 해당 정권의 집권기간이라 할지라도 당선자 또는 차기 정부에 관심이 전환된다 가령 이

명박 정권 시기는 2008225-2013224일이지만 2013년 1-2월에는 당시 박근혜 당선자에게 관심이 집중됐

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부의 집권기간과 보도 상이 명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lsquo박근혜 정권 시기rsquo로 간주하

다 따라서 이 분석에서는 lsquosim정권 시기rsquo 또는 lsquo정권 시기별rsquo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공식적인 정부 집

권 기간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어 이에 한 분류를 위해 별도의 유목을 두어 코딩했다

2) 다만 박근혜 정권의 경우 정권이 들어서고 절반도 채 지나지 않았다는 점 이에 따라 해당 정권의 통일정

책이 온전히 드러나면서 추진되지 않았다는 점 정권 초기 언론과의 모종의 월관계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

성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 통일정책을 평가하거나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분명한 한

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다른 정권과 분석기간 단위에 차이가 있어 동등한 비교도 어렵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통일정책에 있어 이전 정권들과는 두드러지게 차별적이므로 분석기간에 포함시켜 최소

한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1

수적인 기조를 유지하면서 남북통일 정책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다

분석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네이버 뉴스 라이

브러리 해당 언론사의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등 온라인 아카이브를 이용하 다

검색어는 정권별로 다르게 하 으며 lsquoAND(amp)rsquo 연산자를 활용하여 검색하 다

김 중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햇볕rsquo 노무현 정권 시기는 lsquo통일amp평화번 rsquo 이명박 정

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비핵rsquo 박근혜 정권 시기는 lsquo통일 amp 박rsquo으로 하 다3) 신문과

지상파는 1998년 2월 25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으나 종편은 온라인 아카이브가

아직 제 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JTBC와 MBN은 2011년 12월 1일부터 TV조선은

2012년 12월 3일부터 채널A는 2012년 11월 1일부터 자료를 수집하 다 수집된

기사 중 DB 내에서 단순 중복된 기사 통일이 주제가 아닌 기사 통일 이슈가 단순

언급된 기사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총 1697건의 기사를 분석에 활용하 다 언

론사별로 조선일보 215건 동아일보 239건 한겨레 249건 경향신문 213건 KBS

299건 MBC 165건 SBS 172건 TV조선 44건 JTBC 23건 채널A 32건 MBN 46건

이다

2) 분석방법

분석방법은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이며 분석단위는 개별 기사로 하 다

먼저 통일보도의 주제는 보도를 통해 현저하게 다루고 있는 이슈 즉 무엇(what)

을 다루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이우 (1996)의 민족통일연구원 연구보고서에

서 통일관련 보도분석을 위해 사용한 6개 항목(남한내부 남한의 외정책 북한

내부 북한의 외정책 남북관계 국제기구 및 국제환경)과 북한 보도내용을 분

석한 김정탁(1991)의 한국언론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서 분석틀로 삼은 4개 이슈

(남북 고위급회담 보도 범민족 회 관련 보도 남북 축구 및 탁구 단일팀 관련 보

3)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먼저 검색어를 lsquo통일rsquo로 하는 경우 수만 건의 기사가 검색되어 현실적인

제약으로 연구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조사에서 통일관련 보도가 연중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일

반적으로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구성주 방식으로 하는 것도 적합

하지 않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통일 이슈는 정부의 북middot통일 정책과 관련하여 보도되는 경향이 있기 때

문에 각 정권의 주요 북middot통일 정책인 햇볕정책 평화번 정책 비핵개방3000 통일 박론 내에서 키워드

를 추출하는 것이 이 연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lsquo통일rsquo 키워드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lsquoAND 연산

자를 이용하 다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3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도 송년음악회 보도) 북한관련 뉴스를 분석한 홍성기 등(2011)의 분석틀로 삼은

2개 이슈(북한인권 안보관련)를 참조하 다 통일 관련 보도에 한 체계적인 내

용분석 연구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분석유목을 추출하기 위해 수집한 전체 기

사의 제목을 읽고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 유목을 구성하

으며 유목이 상호배타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코더와 연구진이 약 4에 해당하

는 기사를 무작위로 추출해 코딩하면서 확인 및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16개 유목을 최종적으로 구성하 다

이에 따라 보도주제는 ① 남북회담(정상 실무자) ② 북핵군사실험 ③ 6자

회담 ④ 북한인권 ⑤ 북한주민 ⑥ 이산가족상봉 ⑦ 남북경제협력 ⑧ 남북민간

교류 ⑨ 국제관계국제협력 983689983698 통일비용 983689983699 통일방식 983689983700 통일시기 983689983701 북한정

권(변화 권력) 983689983702 남한정책 983689983703 남한 경제문제 983689983704 기타로 분류하 다 예를 들

어 개성공단에 관한 보도는 남북경제협력으로 금강산관광은 남북민간교류로

코딩하 다 부분의 기사는 한 기사에서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양적질적

으로 판단하여 가장 중요하게 취급된 lsquo상위 2개rsquo의 주제를 1차 2차 주제로 나누어

코딩하 다 즉 제목과 리드에서 강조된 부분이 기사 내에서 양적으로 많은 부분

을 차지한 경우가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1차 주제로 판단하 으며

그 외 양적질적으로 핵심이 되는 부분을 2차 주제로 하 다 1차 주제와 2차 주

제는 한 기사에서 중복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코딩하 다 통일보도 주제는 1

차 주제와 2차 주제를 합산하여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 다

다음으로 프레임은 보도 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제시하는지에 관한 것

으로 보도주제 혹은 이슈를 어떻게(how) 다루는가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분석

은 일반적으로 사회 갈등적 이슈에 한 보도를 분석하는 데 용이하다 이 연구에

서 다루는 통일이라는 이슈의 표면은 사회 갈등적이라기보다 사회 통합적인 즉

부분의 국민들이 간절히 염원하는 국가적 이슈로 여겨지며 실제로 그러하지만

그 이면은 정치middot경제middot사회middot문화적 층위들이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따라서

통일에 한 정부의 정책 통일방식 비용 남북경협 등 다양한 논의들에 있어 서

로 다른 의견들이 상충하는 사회 갈등적 특성을 내장하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이

유용한 분석틀이라고 판단된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3

내용적 프레임에 해서는 이 연구의 분석기간이 길고 각 정권별로 다른 프레

임이 나타나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정권에 따른 동등비교가 어려울 것으

로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 다 이에 따라 형식적 프레임만 분석하 다 통일

보도를 구성하는 형식적 프레임 분석은 아이옌가와 시몬(Iyengar amp Simon 1993)

이 제시한 틀을 원용하 다 선행연구들(김선남 2002 양정혜 2001 임양준

2010a 등)을 토 로 ① 일화중심적 프레임과 ②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나누어

뉴스보도에 나타난 우세한 프레임을 코딩하 으며 한 뉴스 내에서 하나의 우세

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두 프레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둘 중 하나의 프레임

으로 코딩하기 어려운 기사는 ③ 일화+주제중심적 프레임 혼합으로 분류하 다

일화중심적 프레임은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토 로 하여 공적 이슈를 틀 짓는

방식으로 이슈를 사건이나 개인 혹은 집단의 행위 중심으로 보면서 피상적이고

감성적으로 접근하여 결과적으로 드러난 사건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구성방

식이다 즉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중점을 두는 프레임이다 반면 주제중심적 프레

임은 이슈가 발생한 다양한 사회구조적 맥락과의 관계를 토 로 틀 짓는 방식으

로 이슈나 문제의 인과관계를 밝히고 합리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맥락적 분석

적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구성방식이다 즉 왜 그러한 이슈나 사건이 발생했는가

에 중점을 두는 해석적middot평가적 방식의 프레임이다(김선남 2002 김훈순 2004

임양준 2010a) 즉 통일과 관련한 통령의 발언 내용이나 북정책 발표에 한

단순한 기술 남북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단순한 정보제공 북핵 또는 군

사실험 과정에 한 단순한 보고 등은 일화중심적 프레임으로 보았다 반면 남북

정상회담이나 6자회담에 한 평가 남북관계나 국제정세에 미치는 향이 포함

된 경우 남한의 북middot통일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이에 한 해석 또는 남북관

계에 한 전망 및 이에 한 안 통일비용이나 통일시기에 한 의견이나 논의

및 해석이 다루어진 보도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으로 간주했다 어느 한 쪽의 프레

임이 우세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두 프레임의 혼합으

로 분류하 다 형식적 프레임에 한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tone)를 측정하 다 이 연구는 김

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초기) 정권을 포괄하는 시기의 통일보도를 분석하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3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기 때문에 분석 상 기사 수집에 한 연구의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lsquo통일rsquo과 lsquo해당 정권의 북 또는 통일정책rsquo을 lsquoANDrsquo 연산자를 이용하여 분석 상

기사를 수집하 다 북정책과 통일정책을 구분하는 데는 모호한 측면이 있으

며 통일정책의 하위개념으로 북정책을 볼 수도 있고 북정책이 통일정책과

교집합을 이루지만 그와는 다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기사수

집에 사용한 키워드는 큰 틀에서 통일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정부의

북 혹은 통일정책 기조이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lsquo통일정책rsquo으로 표현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통일정책이 북정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

통일에 관한 이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어 미디어 인권 등 매우 광범

위하고 다양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통일이라는 틀 안에서 일반적으로 하나로 취급

되는 특성이 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이러한 모든 이슈들을 체로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① 부정적 ② 중립적

③ 긍정적 ④ 불명확함으로 구성하 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기사수집 방법의 특

성상 거의 부분의 기사들이 통일정책에 해 다루고 있으나 통일정책 자체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논조 자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불명확함으로 간주하 다 정

부의 통일에 한 논조 및 정권 미디어 유형 언론사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

해 교차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코딩은 언론학 전공 학원생 세 명이 코딩지침을 충분히 숙지한 후 담당

했다 코더 간 신뢰도(intercoder reliability)는 총 분석 상의 약 5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해당 기사를 세 코더가 중복하여 코딩하게 한 후 검증하 다 호스티

(Hosti) 공식으로 계산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주제 84 형식적 프레임 89 정부

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 87로 산출되었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5

4 연구 결과

1) 연구문제 1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통일보도에 나타난 주제(1 + 2차)를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으로 비교하여

lt표 1gt-lt표 4gt와 같이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남한정

책이 23(788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7(592건) 남

북회담 16(52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 보수지는 북핵군

사실험(24)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5) 북핵군사실험(19) 지

상파는 남북회담(25) 남한정책(22) 종편은 국제관계국제협력(32) 등의 순

으로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8380

df = 45 p < 001) 또한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 134302 df = 150 p < 001)4)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

이 3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2 남북회담 12 남

북민간교류 11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남한

정책(각 38 28)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남북민간교류

(각 13 15)가 높게 나타났다 지상파도 마찬가지로 남한정책(36)이 가장 높

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남북회담(13)이 그 다음으로 현저했다 이는 김 중 정

권 시기의 북정책인 햇볕정책이 당시 크게 강조되었으며 이에 따른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도 활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28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도 가장 현저한 주제인

lsquo남한정책rsquo을 제외하고는 현저성 순위가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4) 정권에 따라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별로 나누어 카이스퀘어 검증결과 기 빈도가 5 미만인 셀이 20

이상인 경우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셔의 정확한 검증(Fishers exact test)을 실시하지 않았다 기 빈도가

5 이상이 되도록 유목을 합칠 수도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이 4개 정권으로 길어 정권별로 차별적으

로 나타난다는 결과 자체도 유의미한 발견이라고 판단하여 유목은 수정하지는 않았다 피셔의 정확한 검증

은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분포가 정확하게 그 분포를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되나 표본

수가 충분히 많은 경우 피셔의 정확한 검증에 한 p-값은 통계치에 한 p-값과 매우 비슷하여 값으

로 연구가설을 검증해도 문제가 없다(안재형 2014 최현철 2013 Agresti amp Finalay 2009 Hayes

20052011 등) 이 연구에서는 표본수가 많다고 판단하여 피셔의 정확한 검증은 실시하지 않았다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3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1820

04

02

630

224

146

264

22

196

92

102

0

2

00

1

03

115

3

112

2

07

13

11

032

7

10

10

100

동아

1626

00

08

1018

140

00

276

42

176

91

148

0

0

0

4

55

710

2

80

0

0

0

11

432

2

31

110

0

계34

460

40

1016

4836

414

64

140

64

372

91

124

0

1

10

2

74

312

9

97

11

38

16

11

376

1

61

110

0

진 보 지

한겨레

2824

02

210

620

102

40

840

60

162

173

14

8

0

12

12

62

37

123

6

21

22

50

4

924

7

37

0

100

경향

108

02

22

820

26

40

234

24

106

94

75

0

19

19

19

75

189

1

95

73

80

1

932

1

19

38

100

계38

320

44

1214

4012

88

010

748

426

8

142

11

9

0

15

15

45

52

149

4

53

03

00

3

727

6

30

15

100

지 상 파

KBS

128

20

02

22

1814

20

030

02

94

128

8

52

10

0

2

12

12

119

1

149

2

10

0

31

9

0

21

100

MBC

1410

20

02

00

418

02

032

04

88

159

11

4

23

0

0

23

0

0

45

205

0

2

30

36

4

0

45

100

SBS

812

00

24

410

60

00

030

00

76

105

15

8

0

0

26

53

53

132

7

90

0

0

0

39

5

0

0

100

계34

304

02

86

1228

322

20

920

625

8

132

11

6

16

0

8

31

23

47

109

12

4

8

8

0

357

0

2

310

0

합계

106

108

48

630

3610

076

4424

814

306

1414

898

118

12

0

4

9

7

33

40

111

8

54

92

79

1

634

1

16

1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128

02

df =

30

p <

001

개별

언론사

291

76

df =

90

p <

001

표 1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김대중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7

남북민간교류 북핵군사실험 한겨레는 남북회담 북핵군사실험 KBS는 국제

관계국제협력 통일비용 MBC는 통일비용 남북회담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차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9176 df = 90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북회담이 4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핵군사실험 18 남한정책 6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형별로

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북핵군사실험(각 33 25)이 가장 현저하 다 반면

지상파의 경우 신문과 같이 북핵군사실험(70)이 가장 현저했지만 그 비율이 신

문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또한 국제관계국제협력과 남한정책(각 6)이 그다음

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전 정권과는 다르게 남북회담이 가장 현저하게 다루

어진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5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은 주제 현저성이 유사했으나 방송은 신문에 비해

상이하게 나타났다 신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남북민간교류 남북회

담이 지상파 3사는 남북회담 통일비용 국제관계국제협력 등이 현저했다 이러

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6441 df = 84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북핵군사실험이 3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정책 24 남북경제협력 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북핵군사실험(47) 남한정책(16) 진보지는 반 로 남한

정책(31) 북핵군사실험(22)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상파는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북핵군사실험(30) 남한정책(23) 순으로 현저했다 북핵군사실

험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은 해당 정권의 통일 북정책이 lsquo비핵개방3000rsquo이

라는 것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편은 북한정권(43)이 가장 현저하게 나

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28041 df = 45 p < 001) 한편 신

문 4사는 북핵군사실험 남한정책 남북경제협력 등이 방송 4사는 북핵군사실

험 남한정책 남북회담 남한정책 등의 이슈 등이 현저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했다( = 52612 df = 135 p < 001)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3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3234

04

20

24

122

60

010

014

122

262

27

9

0

33

16

0

16

33

98

16

49

0

0

82

0

115

10

0

동아

3042

108

00

44

42

00

44

00

112

268

37

5

89

71

0

0

36

36

36

18

0

0

36

36

0

0

100

계62

7610

122

06

816

46

04

140

1423

4

265

32

5

43

51

9

0

26

34

68

17

26

0

17

60

0

60

100

진 보 지

한겨레

2634

04

02

2022

40

00

28

00

122

213

27

9

0

33

0

16

164

18

0

33

0

0

0

16

66

0

0

100

경향

812

02

00

612

214

00

26

20

66

121

18

2

0

30

0

0

91

182

3

021

2

0

0

30

91

30

0

100

계34

460

60

226

346

140

04

142

018

8

181

24

5

0

32

0

11

138

18

1

32

74

0

0

21

74

11

0

100

지 상 파

KBS

140

60

00

00

08

60

00

140

417

8

787

3

40

0

0

0

0

0

4

53

40

0

0

7

90

2

210

0

MBC

244

20

00

00

46

00

02

02

44

545

9

14

50

0

0

0

0

9

113

6

0

0

0

45

0

45

100

SBS

542

60

00

20

60

80

22

06

88

614

2

36

80

0

0

2

30

6

80

9

10

2

32

30

6

810

0

계21

812

80

00

20

1812

80

218

012

310

703

3

92

60

0

0

6

0

5

83

92

60

6

5

80

3

910

0

합계

314

134

1818

22

3442

4030

140

1046

226

732

429

18

3

25

25

3

3

46

57

55

41

19

0

14

63

3

3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45

55

df =

28

p <

001

개별

언론사

564

41

df=

84

p <

001

표 2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39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10

02

00

42

08

00

06

00

34

59

294

0

5

90

0

11

8

59

0

235

0

0

0

17

6

0

0

100

동아

878

40

26

106

06

00

1024

00

154

52

506

2

60

1

33

96

53

90

3

90

0

6

515

6

0

0

100

계10

884

22

614

80

140

010

300

018

8

53

468

2

11

11

13

27

44

30

7

40

0

5

316

0

0

0

100

진 보 지

한겨레

658

22

20

160

44

00

1468

00

176

34

330

1

11

11

10

9

10

2

32

30

0

8

038

6

0

0

100

경향

1428

00

42

4220

1216

100

1254

22

218

64

128

0

0

1

89

19

3

92

55

73

46

0

55

248

9

9

10

0

계20

862

26

258

2016

2010

026

122

22

394

51

218

5

5

1

55

14

7

51

41

51

25

0

66

310

5

5

10

0

지 상 파

KBS

2048

162

42

46

1812

02

244

02

182

110

26

4

88

11

22

11

22

33

99

66

0

11

11

242

0

1

110

0

MBC

636

40

00

00

1614

00

028

00

104

58

346

3

80

0

0

0

0

15

4

135

0

0

0

26

9

0

0

100

SBS

1836

80

00

44

106

00

618

02

112

161

32

1

71

0

0

0

36

36

89

54

0

0

54

161

0

1

810

0

계44

120

282

42

810

4432

02

890

04

398

111

30

2

70

5

10

5

20

25

111

8

00

5

2

022

6

0

10

100

종 편

TV조선

00

00

00

00

00

00

20

00

2

0

0

0

0

0

0

0

0

0

0

0

0

100

0

0

0

100

JTBC

20

00

00

00

02

00

04

00

8

250

0

0

0

0

0

0

0

0

25

0

0

0

0

500

0

0

10

0

채널

A

MBN

04

00

00

20

02

00

100

00

18

0

222

0

0

0

0

11

1

0

0

111

0

0

55

6

0

0

0

100

계2

40

00

02

00

40

012

40

028

71

143

0

0

0

0

7

10

0

14

3

0

0

429

14

3

0

0

100

합계

7629

834

612

1082

3860

7010

256

246

26

1008

75

296

3

46

1

21

08

13

86

06

91

02

5

624

4

2

6

10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280

41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526

12

df =

135

p <

001

표 3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이명박 정

권 시

기)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4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남북회담

북핵

군사실험

6자 회

담북한인권

북한주민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제

협력

남북민간

교류

국제관계

협력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

북한정권

남한정책

남한경제

문제

기타

보 수 지

조선

24

00

22

00

826

120

016

06

78

26

51

0

0

26

26

0

0

103

33

3

154

0

0

20

5

0

77

100

동아

02

22

00

22

44

20

210

40

36

0

56

56

56

0

0

56

56

111

11

1

56

0

56

278

11

1

0

100

계2

62

22

22

212

3014

02

264

611

4

18

53

18

18

18

18

18

18

105

26

3

123

0

1

822

8

35

53

100

진 보 지

한겨레

02

02

44

28

00

00

412

00

38

0

53

0

53

105

10

5

53

211

0

0

0

0

10

5

316

0

0

10

0

경향

26

00

22

64

22

40

24

00

36

56

167

0

0

5

65

616

7

111

5

65

611

1

0

56

111

0

0

10

0

계2

80

26

68

122

24

06

160

074

27

108

0

2

78

18

110

8

162

2

72

75

40

8

121

6

0

0

100

지 상 파

KBS

2210

02

018

20

438

20

028

144

144

153

6

90

1

40

12

5

14

0

28

264

1

40

0

19

4

97

28

100

MBC

02

00

012

00

634

60

026

62

94

0

21

0

0

0

128

0

0

6

436

2

64

0

0

277

6

42

110

0

SBS

08

04

02

62

00

40

620

160

68

0

118

0

5

90

2

98

82

90

0

5

90

8

829

4

235

0

10

0

계22

200

60

328

210

7212

06

7436

630

6

72

65

0

20

0

105

2

67

3

323

5

39

0

20

242

11

8

20

100

종 편

TV조선

26

04

08

04

208

22

416

28

86

23

70

0

47

0

93

0

47

233

9

32

32

34

718

6

23

93

100

JTBC

22

02

04

00

120

00

016

00

38

53

53

0

53

0

105

0

0

31

6

0

0

0

0

421

0

0

10

0

채널

A0

80

20

62

224

00

00

182

064

0

125

0

3

10

9

43

13

137

5

0

0

0

0

281

3

10

10

0

MBN

02

00

02

22

362

00

024

22

74

0

27

0

0

0

27

27

27

486

2

70

0

0

32

4

27

27

100

계4

180

80

204

892

102

24

746

1026

2

15

69

0

31

0

76

15

31

351

3

88

8

1

528

2

23

38

100

합계

3052

218

860

2224

116

114

322

1819

046

2275

6

40

69

3

24

11

79

29

32

153

15

1

42

3

24

251

6

12

910

0

통계

검증

미디어

유형

377

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

717

59

df =

150

p <

001

표 4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보

도주제 현

저성

(1 +

2차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남한정책이 25로 가장 많았으며 국

제관계국제협력 15 통일비용 15 등의 순으로 현저하게 나타났다 미디어 유

형별로는 보수지는 통일비용(26) 남한정책(23) 진보지는 남한정책(22) 남

북민간교류(16) 순으로 현저했다 지상파와 종편은 남한정책(각 24 25) 통

일비용(각 24 15) 순이었다 다른 정권 시기에 비해 통일비용이 현저하게 나타

난 것은 박근혜 정권에서 통일 북정책으로 lsquo통일 박론rsquo을 강조하고 있어 통일

준비 또는 통일이후의 통일비용과 통일에 한 경제적 효과가 많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7713 df = 45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신문들은 보수지간 진보지간 체로 비슷한 주제를 지상파는

각각 차별적으로 종편은 JTBC 외에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종편은 남한정책

이 가장 현저한 주제로 나타난 JTBC를 제외하고는 국제관계협력이 가장 현저했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1759 df = 150 p < 001)

정리하면 통일보도 주제는 다양하지만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합산 647)과 같은 거시적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통일

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합산 104)와 같은 통일에 한 구체적 실천 차원의

미시적 주제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정책이나 북핵군사실험은 정권

에 관계없이 매우 현저하게 다루어지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에서는 다른 정권 시기와는 달리 통일비용을 주제로 다룬 기사 비율이 높다 이는

집권초 내세웠던 통일 박론에서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한 강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분석 상기간이 짧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2) 연구문제 2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일화중심적 프레임 62(1049건) 주제중심적 프레임

34(572건) 일화 + 주제중심적 프레임 5(76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

별로는 보수지 지상파 종편은 일화적(각 54 77 71) 주제적(각 39 19

19)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3) 일화적(46) 순으로 나타나 다

른 세 미디어 유형과 차별적인 결과를 보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17996 df = 6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61)

이 일화적(38)보다 많았으며 다른 언론사들은 그 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4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만 JTBC는 다른 지상파 종편과 달리 일화적(44)과 주제적(39) 간 비율의 차

이가 크지 않아 다른 방송들과 차별되었다 개별 언론사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 30321 df = 2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 지상파는

일화적(각 63 82) 주제적(각 34 17)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65) 일화적(34) 순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 6917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한겨레만 주제적(75)

이 일화적(24)보다 많았으며 경향신문은 두 프레임이 동일(49)하게 다른 언

론사들은 일화적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지상파는 모두 일화적이 지배적으로 나

타났으나 주제적 프레임으로는 MBC(36)가 KBS(9) SBS(5)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9332 df = 12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0 주제적 3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 보면 보수지는 일화적(46)이 주제적(45)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주제적(56)이 일화적(42)보다 많

았다 지상파도 보수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81)이 주제적(19)보다 압도적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5998

df = 4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이전 정권 시기와 다르게 조선일보 한

겨레 MBC에서 주제적(각 46 67 59)이 일화적(38 33 3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1527 df = 12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1 주제적 32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주제적(47)이 일화적(46)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반 로 일화적(55)이 주제적(44)보다 많았

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중심적(각 72 86)이 주제중심

적(각 16 7)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했다( = 6008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조

선일보만 일화 + 주제적(41)이 가장 많았으며 주제적(35) 일화적(24) 순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3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6331

498

2328

1061

643

31

6

41

100

377

45

9

164

10

0

동아

5532

188

3125

056

625

36

4

11

100

554

44

6

0

100

계11

863

518

654

5310

117

634

33

9

27

100

462

45

3

85

100

진보지

한겨레

1961

181

2041

061

235

75

3

12

100

328

67

2

0

100

경향

2626

153

2012

133

491

49

1

19

100

606

36

4

30

100

계45

872

134

4053

194

336

64

9

15

100

426

56

4

11

100

지상파

KBS

434

047

7811

089

915

8

50

10

087

6

124

0

10

0

MBC

2716

144

813

122

614

36

4

23

100

364

59

1

45

100

SBS

362

038

395

044

947

5

30

10

088

6

114

0

10

0

계10

622

112

912

529

115

5

822

17

1

8

100

806

18

7

6

100

합계

269

172

844

921

913

512

366

599

38

3

18

100

598

36

9

33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9

17 d

f = 4

p <

001

59

98 d

f = 4

p <

001

개별 언

론사

93

32 d

f = 1

2 p

< 0

01 =

115

27

df =

12

p <

001

표 5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4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다른 언론사들은 모두 일화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

며 동아일보 한겨레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116 df = 18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일화적 67 주제적 27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일화적(56)이 주제적(33)보다 많

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주제적(54)이 일화적(46)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와 종편은 진보지와 마찬가지로 일화적(각 74 70)이 주제적

(각 24 21)보다 지배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진보정권과 동일하게

보수지는 일화적 진보지는 주제적 프레임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850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나

누어 살펴보면 한겨레 경향신문 MBC JTBC는 두 프레임이 유사한 비율이지만

주제적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언론사들에 비해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8166 df = 20 p < 001)

정리하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으며 지상

파와 종편은 일관되게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

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정반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는 것이다 또한 방송에서 일화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인 것은 매체특성에 따

른 결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개별 언론사별 차이도 정권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체로 한겨

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는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다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보도행태를 말해준다(임양준

2010b)고 할 때 한겨레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 전반적으로 심층적인 보도행태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무현 정권 시기 조선일보에서 박근혜 정권 시기 경

향신문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일화중심적 프레임에 비해 상 적으로 많은 것

도 흥미롭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은 개별언

론과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이전에 해오던 보도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는 것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5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일화 중

심적

주제 중

심적

일화+주제중심적

합계

보수지

조선

46

717

2014

539

235

35

3

412

10

051

3

359

12

8

100

동아

3938

077

125

118

506

49

4

0

100

667

27

8

56

100

계43

447

9432

196

57

457

46

8

74

100

561

33

3

105

10

0

진보지

한겨레

4741

088

910

019

534

46

6

0

100

474

52

6

0

100

경향

6245

210

98

100

18

569

41

3

18

100

444

55

6

0

100

계10

986

219

717

200

37

553

43

7

10

100

459

54

1

0

100

지상파

KBS

6912

1091

6111

072

758

13

2

110

10

084

7

153

0

10

0

MBC

3714

152

2023

447

712

26

9

19

100

426

48

9

85

100

SBS

386

1256

322

034

679

10

7

214

10

094

1

59

0

100

계14

432

2319

911

336

415

3

724

16

1

116

10

073

9

235

2

610

0

종편

TV조선

10

01

298

643

100

0

0

100

674

18

6

140

10

0

JTBC

30

14

79

319

750

0

25

0

100

368

47

4

158

10

0

채널

A22

64

32

688

18

8

125

10

0

MBN

81

09

334

037

889

11

1

0

100

892

10

8

0

100

계12

11

1491

2713

131

857

7

17

110

069

5

206

9

910

0

합계

308

163

3350

425

310

223

378

611

32

3

65

100

669

27

0

61

100

통계검증

미디어 유

형 =

60

08 d

f = 6

p <

001

28

50 d

f = 6

p <

001

개별 언

론사

121

16

df = 1

8 p

< 0

01 =

81

66 d

f = 2

0 p

< 0

01

표 6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형

식적 프

레임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4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을 보여 주며 세 언론의 정파성의 정도가 다른 언론에 비해 강한 것으로도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 유일하게 박근혜 정권에서 JTBC가 주제중심적 프레

임이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방송매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편에 비해 심층

적인 보도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방송뉴스와는 차별적인 포맷을 채택하 기

때문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문제 3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논조

통일보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이 60(1015건)로 가장 많았으며 부정 21(350

건) 긍정 19(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신문방송 모두 중

립적인 태도가 지배적이었다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보수지와

진보지는 부정(각 41 23)이 긍정(각 21 21)보다 지상파와 종편은 긍정

(각 11 45)이 부정(각 6 13)보다 많았다 종편에서 긍정이 부정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하여 해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논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34681 df = 9 p < 001) 개별 언론사별로는 경향신문과 KBS MBC의 중립적인

논조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각 90 94 92)

중립적인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부분 보수지 내 지상파 내 종편 내 다른

언론사들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부정(30)

이 긍정(9)에 비해 3배 이상 많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71836 df = 30 p < 001)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먼저 김 중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5 부정 25 긍정 21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가 부정

(43) 중립(39) 긍정(18) 순으로 나타난 반면 진보지는 중립(53)이 가장

많았으며 긍정(29) 부정 (16) 순이었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반 로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

된다 지상파 역시 중립(78)이 지배적이었으며 긍정(16) 부정(6) 순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7661 df = 6 p < 001)

언론사별로는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중립(58)이 가장 많았으

며 부정(37)이 긍정(5)보다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는 부정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7

(50)이 긍정(32)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

(44)이 부정(15)보다 3배 정도 많았으나 경향신문은 중립(74)이 지배적이

었다 지상파의 경우 KBS MBC는 중립(각 98 86)이 지배적으로 많았으나

SBS는 긍정(45)이 가장 많은 가운데 중립(42)과 비슷하 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046 df = 18 p < 001)

둘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54 긍정 25 부정 21 순으로

나타나 이전 정권 시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부정(5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27) 긍정(1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보

지는 긍정(49)이 가장 많았으며 중립(42) 부정(10)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45배 이상 진보지는 긍정이 부정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된다 지상파는 중립이 81로 지배적이었으며 긍정이 19이었다 부

정적 논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18854

df = 6 p < 001) 언론사별로 살펴볼 때 이전 정권 시기와 같이 매우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가령 조선일보는 부정(57) 긍정(5) 동아일보는 부정(61) 긍정

(21)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반 로 긍정(75)이 부정(15)보다 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조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상파는 이전 정권 시기와 거의 유사하게 KBS

MBC는 중립(모두 100)이 지배적이었으나 SBS는 이전 정권 시기와 마찬가지로

긍정(68)이 가장 많았고 중립(32)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36651 df = 20 p < 001)

셋째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9 부정 26 긍정 6 순으

로 나타났다 이전의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

는데 이 시기에는 부정이 4배 이상 많았다 미디어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

수지와 진보지 모두 중립(각 46 62)이 가장 많았으며 부정(각 39 33) 긍

정(각 15 5) 순으로 나타났다 보수지는 부정이 긍정보다 25배 이상 진보지

는 6배 이상 많았다 이명박 정권은 보수정권으로 평가받고 있어 보수지의 통일

정책에 한 논조가 부정보다 긍정이 많을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반 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보수지에 비해 진보지가 부정적 논조의 비율이 긍정적 논조의 비

율보다 훨씬 높았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으며 부정(11) 긍정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4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김대중 정

권노무현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3657

50

9835

223

161

367

58

2

51

0

100

574

36

1

49

16

100

동아

4416

280

8834

1012

056

500

18

2

318

0

10

060

7

179

21

4

0

100

계80

7333

018

669

3215

111

7

430

39

2

177

0

10

059

0

274

12

8

9

100

진보지

한겨레

1233

360

819

646

061

148

40

7

444

0

10

014

8

98

754

0

10

0

경향

1039

31

530

330

033

189

73

6

57

19

100

0

100

0

0

100

계22

7239

113

49

3946

094

164

53

7

291

7

10

09

641

5

489

0

10

0

지상파

KBS

146

00

470

890

089

21

979

0

0

10

00

10

00

0

10

0

MBC

238

40

440

220

022

45

864

9

10

10

00

10

00

0

10

0

SBS

516

170

380

1430

044

132

42

1

447

0

10

00

31

8

682

0

10

0

계8

100

210

129

012

530

015

5

62

775

16

3

0

100

0

806

19

4

0

100

합계

110

245

931

449

7819

691

136

6

245

54

6

207

2

10

021

3

536

24

9

3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76

61 d

f = 6

p <

001

188

54

df =

6 p

< 0

01

개별 언

론사

180

46

df =

18

p <

001

366

51

df =

20

p <

001

표 7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김

대중

노무현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49

(3)이었다 이는 부정이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 비해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 중 정권 시기 6 노무현 정권 시기 0) 체로 신문 방송 모두 이명박 정

권 시기의 통일정책에 해 이전 정권 시기에 비해 상 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 6517

df = 9 p < 001)

언론사별로는 미디어 유형 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부정(각 24 43)이 긍정(각 12 16)보다 각각 2배 25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한겨레 경향신문도 부정(각 67 6)이 긍정(각 24 2)보다 각

각 25배 3배 정도 많았다 한편 경향신문은 이전 두 진보정권 때와 마찬가지로

중립(93)이 지배적이었다 지상파의 경우 3사 모두 중립(각 82 96 82)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전 두 진보정권 시기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았다 이명

박 정권 시기에는 KBS SBS의 부정적 보도가 많았다 종편은 중립(각 100 75

56 64)이 지배적인 가운데 일부 부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기사수가 많지

않아 해석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19188 df = 27 p < 001)

넷째 박근혜 정권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중립 61 긍정 30 부정 9 순으

로 나타났다 앞선 두 진보정권 시기(김 중 노무현)는 부정 긍정의 비율이 비슷

하게 직전 정권 시기(이명박)는 부정이 많았는데 박근혜 정권 시기는 긍정이 많

은 것이 특징적이다 미디어 유형별로는 보수지는 긍정(54)이 가장 많은(중립

39 부정 4) 반면 진보지는 중립(65)이 가장 많았다(부정 24 긍정 11)

이명박 정권 시기에는 부정적 논조가 지배적이었던 보수지가 다시 긍정적 논조로

돌아선 것이 특징적이다 지상파는 중립(86)이 지배적이었다 종편은 긍정

(50)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립 40 부정 11)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했다( = 10823 df = 9 p < 001)

언론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차별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는 긍정(각 57 50)이 부정(각 3 6)보다 각각 20배 8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 로 한겨레는 부정(47)이 긍정(21)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향신문은 중립(100)이 지배적이었는데 이는 4개 정권 시기에

서 모두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평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50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이명박 정

권박근혜 정

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계부정적

중립적

긍정적

불명확

보수지

조선

411

20

171

1422

239

235

64

7

118

0

10

02

635

9

564

5

110

0

동아

3332

120

771

89

018

429

41

6

156

0

10

05

644

4

500

0

10

0

계37

4314

094

222

312

57

394

45

7

149

0

10

03

538

6

544

3

510

0

진보지

한겨레

5921

80

889

64

019

670

23

9

91

0

100

474

31

6

211

0

10

0

경향

610

12

010

90

180

018

55

927

1

80

10

00

10

00

0

10

0

계65

122

100

197

924

40

37

330

61

9

51

0

100

243

64

9

108

0

10

0

지상파

KBS

1475

20

910

710

172

154

82

4

22

0

100

0

986

0

1

410

0

MBC

050

11

523

412

147

0

962

1

91

910

06

487

2

43

21

100

SBS

846

20

565

1910

034

143

82

1

36

0

100

147

55

9

294

0

10

0

계22

171

51

199

813

112

215

3

111

85

9

25

5

100

52

856

7

81

310

0

종편

TV조선

01

00

12

1031

043

0

100

0

0

100

47

233

72

1

0

100

JTBC

13

00

46

112

019

250

75

0

0

0

100

316

57

9

105

0

10

0

채널

A2

1515

032

63

469

46

9

0

100

MBN

45

00

94

1617

037

444

55

6

0

0

100

108

43

2

459

0

10

0

계5

90

014

1452

650

131

357

64

3

0

0

100

107

39

7

496

0

10

0

합계

129

345

291

504

3322

911

24

378

256

68

5

58

2

100

87

606

29

6

11

100

통계 검

증미디어 유

형 =

65

17 d

f = 9

p <

001

108

23

df = 9

p <

001

개별 언

론사

191

88

df =

27

p <

001

197

42

df =

30

p <

001

표 8

미디어 유

형 개별 언

론사별 정

부의 통

일정책에 대

한 논

조 비

교(이

명박

박근혜 정

권 시

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1

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상파는 3사 모두 중립(각 98 87 56)이 지배적이

었다 종편은 ltTV조선gt ltMBNgt은 긍정(각 72 46)이 지배적이었고 채널A

는 중립과 긍정(모두 47)이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반면 JTBC는 다른 종편과

달리 중립이 58(11건)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32(6건) 긍정 11(2건)로 나타나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평가에 있어서 한겨레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

할 만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188

df = 27 p < 001)

정리하면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와 정권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중

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다 사실을 전달하는 스트레이트 기사도 분석 상에 포

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립적 논조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정권별로 논조

에 차이가 극명하게 나뉘어 나타났다 김 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부정(43)이 긍정(18)보다 진보지는 긍정(29)이 부정(16)보다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무현 정부에 이르러 보다 심화되는 양상을 보 다 보수지

는 부정(59) 긍정(13) 진보지는 긍정(49) 부정(10)로 정파성에 따른 언

론과 정치권력의 lsquo병행적 관계rsquo가 여실이 드러난다 이는 박근혜 정부에서도 유사

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서는 보수지와 진보지 모두 부정이 긍

정보다 각각 25배 6배 이상 많았다 분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초기)에 해 동등한 선에서 비교할 수는 없으나 두 정권은 일반적

인 의미에서 보수정권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해당 정권에 한 언론의 평가

는 적어도 통일정책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편 JTBC는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다른 종편과는 정반 의 논조를 보이

고 있었다 이는 종편에 한 초기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JTBC가 다른 종편과는 다른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52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5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한국언론이 통일 이슈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통일

보도의 주제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 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보도의 주제는 다양하나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남한정책

북핵군사실험 남북회담 국제관계국제협력과 같은 거시적 차원의 주제를 합산

하면 647이지만 통일비용 통일방식 통일시기와 같은 미시적middot실천적 차원

이 주제는 104로 상 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북한인권(15) 북한주민(08)

을 다루는 데도 상 적으로 소홀했다 통일 이슈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며 복

잡다단한 국제관계 속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 정치사회적middot시기적 맥락에 큰

향을 받는다는 점 등이 이와 같은 결과를 이끌어 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거

시적 차원의 주제에 보도역량을 집중하여 심층성을 강화하고 북한에 한 불필

요한 자극을 줄여 미시적 차원의 일부주제를 주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

이다 정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한정책과 북핵군사실험에 한 주제가 현저

하나 미디어 유형과 개별 언론사에 따라 다른 주제를 취사선택하고 있었다

둘째 통일보도의 형식적 프레임의 차이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일화중심적(62)인 보도태도가 지배적

이었으며 보수지와 진보지는 정권에 따라 상이한 프레임을 보 다 보수지는 김

중 노무현 박근혜 정권에서 일화중심적 이명박 정권에서 주제중심적 프레임

이 우세했으나 진보지는 반 다 이는 통일보도에 있어서의 심층성이 다소 부

족함을 드러내는 것이며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보도 프레임이 다르게 나타난

다는 기존의 결과들을 다시 한 번 보여 주고 있다

개별 언론사별 차이에서는 미디어 유형별 차이가 보다 구체화되어 드러났다

한겨레는 이명박 정권을 제외하고 주제중심적 프레임이 지배적이었으며 조선일

보는 노무현 정권에서 경향신문은 박근혜 정권(초기)에서 주제중심적으로 보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형식적 측면에서 세 신문은 개별언론과 정권과의 관

계에 따라 보도 심층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종편에서는 박

근혜 정권에서 JTBC가 유일하게 주제중심적으로 보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내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3

용적 측면에서의 접근도 필요하나 형식적 측면에서만 보아도 언론은 나름 로의

정치사회적 입장을 통해 통일 이슈를 재구성하고자 한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는 언론사-정권 간의 정치적 입장이나 이

해관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가 가장 많았으

나 사실전달의 측면을 제외하고 긍정과 부정의 논조로 비교해 볼 때는 정권별 차

이가 매우 분명하게 나뉘었다 예컨 김 중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

수지는 부정이 진보지는 긍정이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보수지는 긍정

이 진보지는 부정이 각각 많았다 이는 한국언론의 정파성에 의해 보수언론과 진

보언론 간의 팽팽한 립이 통일 보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

과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보수지 진보지 모두 부정

적 논조가 긍정적 논조보다 많았다는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보수지의 경우 유사

한 이념적 지형에 있는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긍정보다 부정이 더 많았

다는 것은 언론사 입장에 따라 기존 보도관행 내지 보도태도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을 보여 준다 물론 보수지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나 이는 기존 연구들과 일부 차별

되는 결과로 한 정권 내에서의 언론사 논조의 변화가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했

는지에 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종편 역시 모언론사(모기업)인 보수성향의 신문들과 유사한 논조를 보여 주

고 있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러나 JTBC의 경우만 박근혜 정권의 통일정책

에 해 긍정적인 논조의 기사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겨레와 맥락

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를 준다 이러한 결과는 종편 보도내용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원희 middot윤석민 2014 조은 유세경 2014)과 유사한 결과로

다른 종편들과 차별적인 정치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분석결과에 한 실천적 차원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보도태도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파성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국

민통합이나 동일성 회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보다 객관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

요가 있다 정부의 통일정책에 해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상이한 논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 언론사 내부의 편집방침에 근거하여 통일보도에 있어 정파적 보도태

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는 점은 통일여론 형성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54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로 보인다 전술했듯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

접 경험이 어려운 상황에서 통일에 한 인식과 행동에 있어 언론의 계발효과

(cultivation effect)는 다른 이슈에 비해 절 적일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은 국민들

이 통일의 상인 북한과 북한 주민들에 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공하고 민족

동일성 회복을 이끌어 내기 위한 심층적 보도를 수행해야 할 책무가 있다 단순히

자사의 독자나 시청자들만을 타깃으로 한 편향적인 보도는 단기적으로 남남갈등

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동일성의 회복을 더욱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

다 통일보도는 국내의 모든 언론사들이 자사 이기주의적 생각을 지양하고 승

적으로 협력하여 심층성 객관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권 미디어 유형 개별 언론사에 따른 통일보도의 주제 현저성

형식적 프레임 정부의 통일정책에 한 논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언론의 통일보

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한 기초적 함의를 이끌어 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분석 상기간의 한계

다 만약 통일보도 내용분석 기간을 역 4개 정권이 아닌 모든 정권으로 확 했

다면 통일보도의 경향에 한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었을 것이

다 둘째 분석 상의 한계다 본 연구는 보수지 2개사 진보지 2개사 지상파 3

사 종합편성 4사만을 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중앙지와 지역지를 포괄한 모

든 신문사와 보도전문채널 등 모든 방송사를 포괄하지 못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활성화와 젊은 층의 미디어 이용패턴의 변화를 고려하여 인

터넷 신문과 포털을 통한 통일보도량을 측정했다면 보다 엄 한 연구 결과를 도

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상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충분히 보완되

어야 할 것이다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5

참고 문헌

고 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3권 1호 156-196

곽정래middot이준웅 (2009) 김 중middot노무현 정부시기 탈북자 문제에 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

구 lt한국언론학보gt 53권 6호 196-217

김경희middot노기 (2011)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한 연구 lt한국언론학

보gt 55권 1호 361-387

김동윤middot김성해middot유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lt언론과학연

구gt 13권 3호 75-122

김선남 (2002) 매매춘 관련 TV 뉴스의 프레임 분석 lt한국방송학보gt 16권 2호 41-76

김성완 (2003) 남북통일의 전망과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lt동서언론gt 2집 51-99

김 욱middot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한 담론 변화 분석 lt한국언

론학보gt 53권 4호 94-115

김정탁 (1991) 남한 언론의 북한 보도 내용분석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남북통일과 언론gt

(95-138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김훈순 (2004) 한국언론의 젠더 프레임 lt한국언론정보학보gt 통권 27호 63-91

도정은middot나은경 (2014) 북한 관련 언론 보도의 메시지 해석 수준 및 수용자의 시간적 거리감

이 통일에 한 태도와 전쟁 위험 인식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1호

381-410

박상봉 (2009) lt남북한 역 정권의 통일정책과 안 연구gt 강원 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 호 (2013) 박근혜정부의 북정책 lt통일정책연구gt 22권 1호 1-25

박종철 (2004) 남북관계 개선의 국내적 수용력 확 방안 lt통일한국gt 22권 10호 81-144

박주연 (2013) 텔레비전 방송의 통일 및 북한관련 프로그램 편성추세 연구 lt사회과학연

구gt 29권 3호 387-408

선상신 (2013) 통일 이후 남북한 언론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lt월간 북한gt 2013년 12월 호

56-65

선상신middot김성해 (2011) 북한 언론과 외정책 lt북한학연구gt 7권 1호 255-296

안재형 (2014) ltR을 이용한 누구나 하는 통계분석gt 서울 한나래출판사

양승목 (1997) 언론과 여론 lt언론과 사회gt 통권 17호 6-40

양정혜 (2001)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lt한국언론학보gt 45권 2호 284-315

여 무 (1990) 한국언론의 통일문제 보도와 역할 한국언론연구원 (편) lt독일통일과 언론

의 역할gt (50-53쪽)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원희 middot윤석민 (2015)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lt한국방송학보gt 29권 1호

117-148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56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유재천 (1992) 통일을 위한 언론의 과제와 전망 lt관훈저널gt 53호 100-131

이 애 (2002) 한국언론의 북관 비교연구 lt북한연구학회보gt 6권 2호 193-219

이우 (1996) lt통일과정에서 매스미디어의 역할gt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원섭 (2006)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가 lt한

국언론정보학보gt 35호 329-361

이준웅 (2000a) 통일을 위한 방송의 역할 lt방송연구gt 51호 223-253

이준웅 (2000b)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lt언론과 사회gt 29호 85-153

이준웅 (2001) 갈등적 이슈에 한 뉴스프레임 구성 방식이 의견 형성에 미치는 향 lt한

국언론학보gt 46권 1호 441-482

이준웅 (2004) 언론 매체 이용 및 해석적 틀이 통일 및 북 정책에 한 의견에 미치는 향

lt한국언론학보gt 48권 1호 28-56

이준웅 (2009) 뉴스 틀 짓기 연구의 두 개의 뿔 lt커뮤니케이션 이론gt 5권 1호 123-166

이준희 (2013) lt남북언론교류의 문제점과 과제gt 통일을 비한 남북한 전문가포럼 북한

언론계 현황과 남북통일 발제문

이철기 (2008) lt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gt 평화시 통일시 방송의 역할모색에

관한 민주언론시민연합과 평화통일시민연 공동세미나 발제문

이화행middot정성호middot강경수middot이정기 (2014) lt통일과 언론 통일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임양준 (2010a) 용산사태에 한 일간신문의 뉴스보도 비교연구 lt한국언론학보gt 54권 1호

337-361

임양준 (2010b)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한 뉴스 프레임 분석 lt한국언론정보

학보gt 49호 57-80

전백경 (2000) lt언론의 사회통일교육적 기능 분석gt 서강 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은 middot유세경 (2014)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lt한국언론학보gt

58권 3호 433-461

주창윤 (2000)lt북한관련 보도의 반성과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gt 서울 한국방송진흥원

최 재 (2011) 분열 정치와 분열 언론 그리고 분열 여론의 악순환 이론 한국언론학회 (편)

lt한국 사회의 소통 위기gt (218-246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진호middot한동섭 (2012)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개입 lt언론과학연구gt 12권 2호 534-571

최현철 (2013) lt사회과학 통계분석gt 파주 나남

하승희middot이민규 (2012) 북한주민 생활 실태에 관한 국내 신문보도 프레임연구 lt한국언론

정보학보gt 58호 222-241

홍성기middot하태경middot손광주middot이종철 (2011) lt북한관련 뉴스보도 현황연구gt 서울 한국언론진

흥재단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7

Agresti A amp Finalay B (2009) Statistics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NJ

Pearson

Berger P amp Luckman T (1967)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Garden City NJ

Anchor

Blumer H (1969) Symbolic Interactionism NY Prentice Hall

Entman R M (1993) Framing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43(4) 51-58

Dai J amp Hyun K (2010) Global risk domestic framing Coverag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by US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 agencie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3) 299-317

Gamson W A (1988) A constructionist approach to mass media and public opinion

Symbolic Interaction 11 161-174

Gamson W A (1992) Talking politic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Gitlin T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yes A F (2005) Statistics methods for communication science 류성진 (역) (2011)

lt커뮤니케이션 통계방법론gt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yengar S (1992)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yengar S amp Simon A (1993)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Research 20(3)

365-383

McQuail D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ed) 양승찬middot이강형 (역) (2008)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 파주 나남

Schutz A (1972)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London Heinemann

Seymour-Ure C (1974) The political impact of mass media Los Angelos CA Sage

논문투고일 2014 11 17

논문수정일 2015 03 06

게재확정일 2015 03 11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258  한국방송학보(2015) 29권 2호

Abstract

How Does the Korean Press See the Korean Unification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Korean Unification by Each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Hwa-Haeng Lee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Jeong-Ki LeePrinciple Researcher Hanyang University

Jin-Ho ChoiDoctoral Student Hanyang University

Seong-Ho Cheo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Kyoung-Soo KangProfessor Tongmyo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valuate how the Korean Press represent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constructively suggest an

improvement measure by examining tendencies of unification coverage an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each regime media type(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 and

pres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alient themes of coverage are the

policy of South Korea(23) North Korearsquos nuclear issue(17)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cooperation(9)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been covered

only about 10 of concrete preparations and practices for unification which was

less than expectation Secondly it is showed that the main coverage frame of the

Korean Press is episodic frame(62) and after that it is thematic frame(34)

Lastly this study illustrates that the tone of the report is made up of neutral(60)

negative(21) and positive(19)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most of th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of unification coverage by each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59

regime type of media and press over all

Keywords news coverage of Korean unification content analysis coverage

theme episodic frame thematic frame tone of the report

  •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 5 결론 및 논의
    • 참고 문헌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