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바우하우스 타이포그래피 1416320 김유나

바우하우스

  • Upload
    yuna

  • View
    299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바우하우스_타이포그래피

Citation preview

Page 1: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타이포그래피

1416320 김유나

Page 2: 바우하우스

01

바우하우스의 타이포그래피 교육

▶ 직사각형 그리드 안에 구성한 산세리프체와 굵은 선과 원의 사용 → 처음 아이디어부터 결과까지 철저하게 수학적이고 기능적으로 진행한 절대적 명료성에 근거

Page 3: 바우하우스

02

라즐로 모호이 너지

▶ “타이포그래피는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이며 가장 격렬한 형태로서의 커뮤니케이션이어야 하고 절대적 명료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 타이포그래피와 사진의 결합에 대한 실험을 지속

▶ 카메라 없는 사진을 개발 ‘포토그램’

1895-1946. 헝가리 태생의 타이포그래퍼, 화가, 포토그래퍼.

Page 4: 바우하우스

02

라즐로 모호이 너지

Page 5: 바우하우스

03

헤르베르트 바이어

▶ 기하학적인 산세리프(Sans-serif) 활자체인 Universal을 설계.

▶ 형태 가장 기본적인 요소만 사용, 검정색과 단 하나의 원색을 보조로 사용.

▶ 그리드(grid)를 적용하여 수평과 수직 또는 사선의 역동적인 화면을 구성.

▶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철학과 원칙을 체계적으로 정리

1900-1985. 그래픽 디자이너 겸 사진가 겸 건축가.

Page 6: 바우하우스

03

헤르베르트 바이어

헤르베르트 바이어가 선보인 ‘유니버설’ 서체(1925)

Page 7: 바우하우스

04

막스 빌

▶ 절대적인 질서를 지닌 기하학적 요소들로 조직된 레이아웃을 구성.

▶ 수학적인 비례, 기하학적 공간 분할, 악치덴츠 그로테스크 서체의 사용.

▶ 국제타이포그래피양식의 개척자 중 한 명

▶ “수학적 사고가 기초를 이루는 예술의 발전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1908-1994. 스위스 태생의 타이포그래퍼, 그래픽디자이너, 건축가, 조각가, 화가.

Page 8: 바우하우스

04

막스 빌

Page 9: 바우하우스

04

막스 빌

Page 10: 바우하우스

04

안치덴츠 크로테스크 서체

저널<타이포그래픽 뉴스>의 커버, 디자인: 얀 치홀트, 독일, 1925

Page 11: 바우하우스

05

▶ 모더니즘의 형태적 명료성을 지향.

▶ 생동감이 살아있게 디자인.

▶ 역동적인 대각선 구도와 간결한 이미지 처리로 시선을 사로잡음.

▶ 삼원색과 기하학적 형태, 반복적인 활자 패턴과 몽타주 기법을 사용하며 자유로운 지면을 구성.

▶ 점차 순수한 타이포그래피에서 사진과 활자를 결합시키는 방식.

1885-1977. 스위스 태생의 타이포그래퍼, 그래픽디자이너, 건축가, 조각가, 화가.

피에 츠바르트

Page 12: 바우하우스

05

피에 츠바르트

Page 13: 바우하우스

05

피에 츠바르트

Page 14: 바우하우스

06

타이포그래피

▶ “타이포그래피는 대중을 위해 봉사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바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사명이다”

• 최소의 간략한 형태 → 쉽게 읽혀야 한다.

• 글자 하나하나의 어울림과 기본적 요소에 충실.

• 장식적 요소도 고려해 가독성과 읽기 즐거운 요소를 모두 아우르는 디자인을 해야한다.

Page 15: 바우하우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