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 Visual design 김유나 2 3 Contents Desinger David carson David carson 소개 <Ray Gun>잡지 David carson 작품 Desinger Desinger Desinger Desinger 4 12 16 20 24 디자인 초안 1416320 김유나

디자인 초안

  • Upload
    yuna

  • View
    170

  • Download
    7

Embed Size (px)

DESCRIPTION

design

Citation preview

Page 1: 디자인 초안

1

Visual design김유나

2 3

Contents Desinger

David carson David carson 소개

<Ray Gun>잡지

David carson 작품

Desinger

Desinger

Desinger

Desinger

4

12

16

20

24

디자인 초안 1416320 김유나

Page 2: 디자인 초안

4 5

David Carson 데이비드 카슨1952-현재. 미국 태생의 타이포그래퍼, 그래픽디자이너.

데이비드 카슨 펩시 포스터 디자인

데이비드 카슨(David Carson) 이전에 그 누구도 잡지의 가독성 문제로 이처럼 격렬하게 비난받

은 적이 없다. 글자가 잘려나가 암호처럼 해독해야 하는 텍스트, 금기로 여기는 빨간색 글자로 이

루어진 본문 구성 등 전통적인 규범을 완전히 무시한 그의 디자인은 모더니스트들을 자극하고 논

쟁거리로 삼기에 충분했다.

파도타기 프로 선수였고 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하여 고등학교 선생이었던 카슨은 아르바

이트로 잡지 디자인을 하다가 1980년대 디자이너로 아예 직업을 바꾸었다. 1983년 <트랜스월

드 스케이트보딩>, 1988년 <뮤지션>, 1989년 <비치 컬처>, 1991년 <서퍼> 그리고 1992년에 <

레이 건>까지 아트디렉터로서 일했다. 그는 그리드를 활용한 안정된 레이아웃이나 시각적 위

계에 따른 타이포그래피와 같은 잡지디자인의 통상적 관념을 깼고, 이런 그의 디자인은 항상

논쟁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그의 디자인은 마음대로 하는 작업이 아니었다. 그의 디자인은 개념적이다. 자칫 어

수선해 보이는 표면 아래에는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해결책이 탄

탄하게 놓여 있다. 가독성을 무제 삼아 비난하는 부류 사이에서 카슨은 자신의 그래픽 언어

를 꾸준히 실험해왔다.

그는 가독성이란 상대적이며, 독자에게 이미지를 먼저 심어주고 흥미를 유발시킨다면 아무

리 작은 서체라해도 집중해서 읽게 된다고 했다.

David cason

6 7

같은 잡지이지만 타이포와 그리드의 통일성이 없는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데이비드 카슨의 <레이건>잡지

평범했던 그가 디자인계의 일약 ‘팝스타’로 떠오른 건 그가 디자인한 잡지 <레이건>을 통

해서이다.

1992년부터 얼터너티브 음악 잡지인 <레이건>을 아트디렉팅하기에 이른다. <레이건>은 마

빈 자레트(Marvin Jarrett)가 새롭게 떠오르는 얼터너티브 음악을 소재로 하는 잡지를 구상하

는 중에 만들게 된 것으로, 2000년까지 지속되었다. 여기서 카슨은 특유의 감성과 직관으로

현대 그래픽 디자인 역사에서 가장 주목 받는 타이포그래피의 실험을 감행한다. 얼터너티브

음악의 시각화란 표현이 어울렸던 <레이건>에서, 카슨은 읽혀지는 것보다는 음악을보는 것

에 충실한 디자인을 시도했다. 그는 사진을 난도질했고, 유난히 추상적인 이미지의 사진들만

사용했다. 여기에 읽히지 않는 활자들과 문장들을 더했다. 카슨이 만들어낸 펼침면 하나하나

는 기존의 가독성과 질서를 중시했던 타이포그래피의 규율과 모더니즘적 디자인관을 비웃기

라도 하듯 무질서와 혼란만을 가중시키는 인상을 주었다. 하지만 얼터너티브 음악이 그러했

다. 사람들은 가독성을 무시했다는 이유로 카슨을 비난했지만 그는 내용에 충실한 디자인을

했을 뿐이다. 그 과정에서 사진도 아트디렉터 개인의 해석과 표현을 위한 여러 매체 중 하나

였을 뿐이다. <레이건>에서 뚜렷한 이미지의 뮤지션 사진을 기대하는 건 애초부터 불가능했

다. 아트디렉터 자신도 그리고 뮤지션 스스로도 그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David cason

“중요한 것은 보는 사람의 관심과 흥미를 끄는 것, 일단 관심을 가지게 되면 읽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Ray Gun 레이건, 1993

Page 3: 디자인 초안

8 9David cason

Art directing the Quiksilver Pro NYC, 2011The McLuhan-Carson partnership works : The Book of Probes

David carson’s work

Page 4: 디자인 초안

2 3

Contents Desinger

David carson David carson 소개

<Ray Gun>잡지

David carson 작품

Desinger

Desinger

Desinger

Desinger

4

12

16

20

24

4 5

David Carson 데이비드 카슨1952-현재. 미국 태생의 타이포그래퍼, 그래픽디자이너.

데이비드 카슨(David Carson) 이전에 그 누구도 잡지의 가독성 문제로 이처럼 격렬하게

비난받은 적이 없다. 글자가 잘려나가 암호처럼 해독해야 하는 텍스트, 금기로 여기는 빨

간색 글자로 이루어진 본문 구성 등 전통적인 규범을 완전히 무시한 그의 디자인은 모더

니스트들을 자극하고 논쟁거리로 삼기에 충분했다.

파도타기 프로 선수였고 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하여 고등학교 선생이었던 카슨은 아르

바이트로 잡지 디자인을 하다가 1980년대 디자이너로 아예 직업을 바꾸었다. 1983년 <트

랜스월드 스케이트보딩>, 1988년 <뮤지션>, 1989년 <비치 컬처>, 1991년 <서퍼> 그리고

1992년에 <레이 건>까지 아트디렉터로서 일했다. 그는 그리드를 활용한 안정된 레이아웃

이나 시각적 위계에 따른 타이포그래피와 같은 잡지디자인의 통상적 관념을 깼고, 이런

그의 디자인은 항상 논쟁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그의 디자인은 마음대로 하는 작업이 아니었다. 그의 디자인은 개념적이다. 자칫

어수선해 보이는 표면 아래에는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해결책

이 탄탄하게 놓여 있다. 가독성을 무제 삼아 비난하는 부류 사이에서 카슨은 자신의 그래

픽 언어를 꾸준히 실험해왔다.

그는 가독성이란 상대적이며, 독자에게 이미지를 먼저 심어주고 흥미를 유발시킨다면

아무리 작은 서체라해도 집중해서 읽게 된다고 했다.

데이비드 카슨 펩시 포스터 디자인

David cason

1

Visual design 김유나

Page 5: 디자인 초안

6 7

평범했던 그가 디자인계의 일약 ‘팝스타’로 떠오른 건 그가 디자인한 잡지 <레이건>을

통해서이다.

1992년부터 얼터너티브 음악 잡지인 <레이건>을 아트디렉팅하기에 이른다. <레이건>은

마빈 자레트(Marvin Jarrett)가 새롭게 떠오르는 얼터너티브 음악을 소재로 하는 잡지를

구상하는 중에 만들게 된 것으로, 2000년까지 지속되었다. 여기서 카슨은 특유의 감성과

직관으로 현대 그래픽 디자인 역사에서 가장 주목 받는 타이포그래피의 실험을 감행한다.

얼터너티브 음악의 시각화란 표현이 어울렸던 <레이건>에서, 카슨은 읽혀지는 것보다는

음악을보는 것에 충실한 디자인을 시도했다. 그는 사진을 난도질했고, 유난히 추상적인

이미지의 사진들만 사용했다. 여기에 읽히지 않는 활자들과 문장들을 더했다. 카슨이 만

들어낸 펼침면 하나하나는 기존의 가독성과 질서를 중시했던 타이포그래피의 규율과 모

더니즘적 디자인관을 비웃기라도 하듯 무질서와 혼란만을 가중시키는 인상을 주었다. 하

지만 얼터너티브 음악이 그러했다. 사람들은 가독성을 무시했다는 이유로 카슨을 비난했

지만 그는 내용에 충실한 디자인을 했을 뿐이다. 그 과정에서 사진도 아트디렉터 개인의

해석과 표현을 위한 여러 매체 중 하나였을 뿐이다. <레이건>에서 뚜렷한 이미지의 뮤지

션 사진을 기대하는 건 애초부터 불가능했다. 아트디렉터 자신도 그리고 뮤지션 스스로도

그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Ray Gun 레이건, 1993

같은 잡지이지만 타이포와 그리드의

통일성이 없는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데이비드 카슨의 <레이건> 잡지

“중요한 것은 보는 사람의 관심과 흥미를 끄는 것, 일단 관심을 가지게 되면 읽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David cason

8 9

David carson’s work

Art directing the Quiksilver Pro NYC, 2011 The McLuhan-Carson partnership works : The Book of Probes

David cason

Page 6: 디자인 초안

디자인 초안 1411673 조은아

Page 7: 디자인 초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WHAT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APPLEA PPLE

AP PLE APPLEAPPLE APP LElKWML

MOST

WOWAPPLEAPPLE

APPLEAPPLE

APPLEAPPLEA APPLEAPPLE

anjrkanswpdlswl ahfmrpTek dndkdkdlanjrkanswpdlswl ahfmrpTek djj

anjrkanswpdlswl dndkdkdlanjrkanswpdlswl ahfmrpTdkdkk wekkk

anjrkanswpdlswl ahfmrpTek dndkdkdll anjfqhk ahfmrpTek awelktjwollllwl;eltkn

anjrkanswpdlswl ahfmrpTek ejwjkdjw,menrkanjrkaanjrkanswpdo anjr djdj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

룰루 깡충깡충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깡충깡충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깡충깡충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옹깡충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

깡충깡충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만세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대한으로 우리나라만세

BOOK

디자인 초안 1411996 이소담

Page 8: 디자인 초안

디자인 초안 1410369 박지은

시각.영상 14학번

숙명여자대학교Hara Kenya

하라켄야의 디자인의 디자인을 읽고 ...하라켄야는 무인양품을 강조하였는데무인양품이란?

TYPO

GRAP

HY

COMM

UNICA

TION

네빌 브로디:

디자인의 메세지:

타이포의 대가

자신만의 서체와 그림문자를만들어낸 브로디는